KR20210043159A - 레이다 트랜스폰더에서의 송신 출력의 이상 유무 감지 방법 및 송신 출력의 이상 유무 감지 시스템 - Google Patents

레이다 트랜스폰더에서의 송신 출력의 이상 유무 감지 방법 및 송신 출력의 이상 유무 감지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43159A
KR20210043159A KR1020190125986A KR20190125986A KR20210043159A KR 20210043159 A KR20210043159 A KR 20210043159A KR 1020190125986 A KR1020190125986 A KR 1020190125986A KR 20190125986 A KR20190125986 A KR 20190125986A KR 20210043159 A KR20210043159 A KR 202100431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bnormality
transmitter
transmission
signal
radar transpon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259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성완
김석권
마근수
Original Assignee
한국항공우주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항공우주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항공우주연구원
Priority to KR10201901259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43159A/ko
Publication of KR202100431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4315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7/00Details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s G01S13/00, G01S15/00, G01S17/00
    • G01S7/02Details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s G01S13/00, G01S15/00, G01S17/00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 G01S13/00
    • G01S7/40Means for monitoring or calibrating
    • G01S7/4004Means for monitoring or calibrating of parts of a radar system
    • G01S7/4008Means for monitoring or calibrating of parts of a radar system of transmit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7/00Monitoring; Testing
    • H04B17/30Monitoring; Testing of propagation channels
    • H04B17/309Measuring or estimating channel quality parameters
    • H04B17/318Received signal strength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Radar Systems Or Details Thereof (AREA)

Abstract

레이다 트랜스폰더에서의 송신 출력의 이상 유무 감지 방법 및 송신 출력의 이상 유무 감지 시스템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레이다 트랜스폰더에서의 송신 출력의 이상 유무 감지 방법은, 정해진 송신 시간이 도래하면, RSSI(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or) 검출기의 모드를 누설신호 측정 모드로 전환하는 단계와, 레이다 트랜스폰더 내 송신기로부터 출력되는 송신신호와 연관되어 발생하는 누설신호를, 모드 전환한 상기 RSSI 검출기를 통해 측정하는 단계와, 측정되는 상기 누설신호의 레벨을, 설정된 기준 범위와 비교하여, 상기 송신기에서의 송신 출력의 이상 유무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측정된 누설신호를 이용한, 상기 송신기에서의 송신 출력의 이상 유무를 판단한 후에, 상기 RSSI 검출기의 모드를, 외부신호에 대한 수신신호를 측정하는 수신신호 측정 모드로 환원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레이다 트랜스폰더에서의 송신 출력의 이상 유무 감지 방법 및 송신 출력의 이상 유무 감지 시스템{METHOD AND SYSTEM FOR DETECTING ERROR OF TRANSMIT-POWER IN RADAR TRANSPONDER}
본 발명은 펄스 레이다 시스템 탑재장치의 SOH 체크와 연관되며, 보다 특정하게는 레이다 트랜스폰더에서의 송신기 누설신호의 레벨을 기존 RSSI 검출기를 활용해 검출하여 SOH 체크 시의 손실을 최소화 하는 것에 연관된다.
비행체의 위치 추적에 사용되는 레이다 트랜스폰더(RADAR TRANSPONDER)(비콘)에는 지상 레이다의 장거리 추적성을 구현하기 위해 고출력 RF 송신장치(반도체증폭기 또는 진공관소자)가 탑재된다.
특히 레이다 트랜스폰더의 송신기에는 고출력 소자가 사용되며 안정적인 동작은 레이다 추적 시스템의 중요한 요소이다. 또한 비행시 송신 출력의 오동작 여부에 대한 판단은 레이다의 비행 추적 실패 시에 원인 규명을 위해서도 필요하다.
그러나 이러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탑재장치의 고유 기능 블록 외에 송신출력 검출 블록이 추가되어야 하며, 소형, 경량화를 추구하는 탑재장치에는 큰 부담이 될 수 있다.
일례로, "레이다 시스템의 오동작 검출장치"에 관한 등록특허 10-0155274 (1998.07.14)에서는 송신 신호를 검출하기 위해 수신선로 상에 결합소자(커플러)를 추가하여 RF 신호를 분기하고 이 신호로부터 송신 출력의 오동작을 검출하는 방식을 제안하고 있다. 이 경우에는 수신기와 검출기가 추가적으로 요구된다.
또한, "송신신호의 루프백을 통해 이상을 판단하는 레이더 시스템 및 송신신호의 루프백을 통해 레이더 시스템의 이상을 판단하는 방법"에 관한 등록특허 10-1173427 (2012.08.06)에서는 송신신호의 루프백을 통해 송신출력의 이상 유무를 판단하는 방식을 제안하고 있다. 이 경우에는 스위치를 이용하여 선로를 절체하므로 이상 유무를 실시간으로 검출할 수는 없으며 또한 스위치 추가에 따른 손실이 발생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별도의 하드웨어를 추가로 연결하지 않고, 레이다 트랜스폰더와 같은 펄스 레이다 시스템 탑재장치에서의 송신 출력의 오동작 여부를 신호 손실 없이 실시간으로 검출하기 위한 기술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레이다 트랜스폰더의 기존 송/수신 구성 블록을 그대로 활용하여 송신단 및 수신단의 선로 상에 추가적인 회로 없이 송신 출력에 대한 에러 검출을 심플하게 구현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송신기를 구성하는 다단의 증폭기 각 단에서의 송신 출력을 증폭 단별 임계치와 비교하여, 송신기 내에서 이상 발생 위치를 정확하게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레이다 트랜스폰더에서의 송신 출력의 이상 유무 감지 방법은, 정해진 송신 시간이 도래하면, RSSI(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or) 검출기의 모드를 누설신호 측정 모드로 전환하는 단계와, 레이다 트랜스폰더 내 송신기로부터 출력되는 송신신호와 연관되어 발생하는 누설신호를, 모드 전환한 상기 RSSI 검출기를 통해 측정하는 단계와, 측정되는 상기 누설신호의 레벨을, 설정된 기준 범위와 비교하여, 상기 송신기에서의 송신 출력의 이상 유무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측정된 누설신호를 이용한, 상기 송신기에서의 송신 출력의 이상 유무를 판단한 후에, 상기 RSSI 검출기의 모드를, 외부신호에 대한 수신신호를 측정하는 수신신호 측정 모드로 환원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레이다 트랜스폰더에서의 송신 출력의 이상 유무 감지 시스템은, 정해진 송신 시간이 도래하면, RSSI 검출기의 모드를 누설신호 측정 모드로 전환하는 전환부와, 레이다 트랜스폰더 내 송신기로부터 출력되는 송신신호와 연관되어 발생하는 누설신호를, 모드 전환한 상기 RSSI 검출기를 통해 측정하는 측정부와, 측정되는 상기 누설신호의 레벨을, 설정된 기준 범위와 비교하여, 상기 송신기에서의 송신 출력의 이상 유무를 판단하는 판단부, 및 상기 측정된 누설신호를 이용한, 상기 송신기에서의 송신 출력의 이상 유무를 판단한 후에, 상기 RSSI 검출기의 모드를, 외부신호에 대한 수신신호를 측정하는 수신신호 측정 모드로 환원하는 환원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레이다 트랜스폰더의 송신기에서 출력되는 송신신호 중 수신기 쪽으로 피드백되는 누설신호를 기존 RSSI 검출기를 활용해 측정하고, 측정된 누설신호의 레벨을 송신기가 정상 동작할 때의 기준 범위와 비교하여 송신 출력의 이상 유무를 검출 함으로써, 추가적인 하드웨어를 사용하지 않고 송신 출력의 에러를 손실 없이 간단히 검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송신 출력의 이상이 검출되면 송신기 내부의 다단의 증폭기에서의 송신 출력을 증폭 단별 임계치와 비교하여, 송신기 내에서의 이상 발생 위치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기존의 RSSI 검출기를 활용하여, 안테나로 전달되지 않고 수신기 쪽으로 누설되는 송신신호의 레벨 측정을 통해 송신 출력의 이상 유무를 판단함으로써, 안테나측 출력을 줄이지 않고도 정상 동작시의 레벨을 기준으로 송신 출력의 이상이 발생되는 양상 및 오동작의 발생 위치를 손쉽게 파악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레이다 트랜스폰더에서의 송신 출력의 이상 유무 감지 시스템 및 레이다 트랜스폰더를 포함한 네트워크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레이다 트랜스폰더에서의 송신 출력의 이상 유무 감지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레이다 트랜스폰더에서의 송신 출력의 이상 유무 감지 시스템에서, 레이다 트랜스폰더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레이다 트랜스폰더에서의 송신 출력의 이상 유무 감지 방법의 순서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실시예들에는 다양한 변경이 가해질 수 있어서 특허출원의 권리 범위가 이러한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들에 대한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이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실시예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설명을 목적으로 사용된 것으로, 한정하려는 의도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실시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레이다 트랜스폰더에서의 송신 출력의 이상 유무 감지 시스템 및 레이다 트랜스폰더를 포함한 네트워크를 도시한 도면이다.
네트워크(100)는 송신 출력의 이상 유무 감지 시스템(110) 및 레이다 트랜스폰더(120)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송신 출력의 이상 유무 감지 시스템(110)은, 레이다 트랜스폰더(120)의 송신기에서 출력되는 송신신호 중 수신기 쪽으로 피드백되는 누설신호를 기존의 외부로부터의 수신신호 측정시 사용하는 RSSI(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or) 검출기를 활용해 측정하고, 측정된 누설신호의 레벨을 송신기가 정상 동작할 때의 기준 범위와 비교하여 송신 출력의 이상 유무를 검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송신 출력의 이상 유무 감지 시스템(110)은 정해진 송신 시간이 도래하면, RSSI 검출기의 모드를 누설신호 측정 모드로 전환하고, 레이다 트랜스폰더(120) 내 송신기로부터 출력되는 송신신호와 연관되어 발생하는 누설신호를, 모드 전환한 RSSI 검출기를 통해 측정하고, 측정되는 누설신호의 레벨을, 설정된 기준 범위와 비교하여, 송신기에서의 송신 출력의 이상 유무를 판단할 수 있다.
송신 출력의 이상 유무 감지 시스템(110)은 누설신호를 이용한 송신기에서의 송신 출력의 이상 유무를 판단한 후에, RSSI 검출기의 모드를, 외부신호에 대한 수신신호를 측정하는 수신신호 측정 모드로 환원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송신 출력의 이상 유무 감지 시스템(110)은 추가적인 하드웨어를 사용하지 않고 송신 출력의 에러를 손실 없이 간단히 검출할 수 있다.
레이다 트랜스폰더(120)는 펄스 레이다 시스템 탑재장치의 하나로서, 송신기와 수신기 및 서큘레이터(Circulator)(또는 듀플렉서)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레이다 트랜스폰더(120)에 대한 보다 상세한 구성은 도 3에서 설명한다.
레이다 트랜스폰더(120)는 정해진 수신 시간 동안, 수신기를 통해 외부로부터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한 신호를, 정해진 송신 시간 동안, 송신기를 통해 출력하여 외부로 중계 전송하는 기능을 할 수 있다.
레이다 트랜스폰더(120)는 송신기와 수신기를 연결하는 서큘레이터(또는 듀플렉서)의 순방향 경로 또는 역방향 경로를 통해, 송수신이 전환될 수 있다.
또한 레이다 트랜스폰더(120)는 외부로부터 수신되는 신호를 측정하거나, 송신기에서 출력되는 송신신호 중 수신기 쪽으로 피드백되는 누설신호를 측정하는 RSSI 검출기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송신 출력의 이상 유무 감지 시스템(110)은 정해진 수신 시간 동안, RSSI 검출기를 수신신호 측정 모드로 전환하여 외부로부터 수신되는 신호를 측정할 수 있고, 상기 RSSI 검출기의 모드를 누설신호 측정 모드로 전환하여, 송신기에서 출력되는 송신신호 중 수신기 쪽으로 피드백되는 누설신호를 측정해, 송신 출력의 이상 유무를 판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송신 출력의 이상 유무 감지 시스템(110)은 레이다 트랜스폰더(120)의 내부 또는 외부에 구현될 수 있으나, 본 명세서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레이다 트랜스폰더(120)의 외부에 구현되는 것을 한정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레이다 트랜스폰더에서의 송신 출력의 이상 유무 감지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레이다 트랜스폰더에서의 송신 출력의 이상 유무 감지 시스템(200)은, 전환부(210), 측정부(220), 판단부(230), 환원부(240) 및 설정부(250)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전환부(210)는 정해진 송신 시간이 도래하면, RSSI(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or) 검출기의 모드를 '누설신호 측정 모드'로 전환한다.
측정부(220)는 레이다 트랜스폰더 내 송신기로부터 출력되는 송신신호와 연관되어 발생하는 누설신호를, 모드 전환한 RSSI 검출기를 통해 측정한다.
상기 모드 전환에 따라, 측정부(220)는 송신기로부터 출력되는 송신신호를, 서큘레이터 또는 듀플렉서를 통해 안테나로 전달하는 동안, 레이다 트랜스폰더 내 수신기로 누설되는 송신신호의 일부를 상기 누설신호로서, RSSI 검출기를 이용하여 측정할 수 있다.
일례로 측정부(220)는 송신기에 서큘레이터가 연결되어 있는 경우, 서큘레이터의 순방향 경로를 통해, 송신기로부터 상기 안테나로 전달되는 송신신호 중, 서큘레이터의 역방향 경로를 통해 수신기로 누설되는 송신신호의 일부를 상기 누설신호로서, 수신기에 연결된 RSSI 검출기로 검출할 수 있다.
판단부(230)는 측정되는 상기 누설신호의 레벨을, 설정된 기준 범위와 비교하여, 상기 송신기에서의 송신 출력의 이상 유무를 판단한다.
일례로 판단부(230)는 상기 누설신호의 레벨이, 상기 기준 범위 미만으로 이탈하면, 상기 송신기에서 송신 출력의 저하에 관한 이상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판단부(230)는 상기 누설신호의 레벨이, 상기 기준 범위를 초과하여 이탈하면, 상기 송신기에서 송신 출력의 과잉에 관한 이상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환원부(240)는 판단부(230)에서 상기 측정된 누설신호를 이용한, 상기 송신기에서의 송신 출력의 이상 유무를 판단한 후에, 상기 RSSI 검출기의 모드를, 외부신호에 대한 수신신호를 측정하는 수신신호 측정 모드로 환원한다.
설정부(250)는 상기 송신 시간 이전의 일정 기간 동안 상기 송신기가 정상으로 동작했을 때 측정된 상기 누설신호의 레벨을 이용하여, 상기 기준 범위를 설정한다.
이하 도 3을 참조하여 레이다 트랜스폰더에서의 송신 출력의 이상 유무를 감지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레이다 트랜스폰더에서의 송신 출력의 이상 유무 감지 시스템에서, 레이다 트랜스폰더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레이다 트랜스폰더(300)는 송신기(310), 수신기(320), 서큘레이터(330), 안테나(340) 및 RSSI 검출기(35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송신기(310)는 정해진 송신 시간(Tx) 동안, 송신기(310)로부터 출력되는 신호('송신신호')를 안테나(340)를 통해 외부로 전송하는 기능을 할 수 있다.
수신기(320)는 정해진 수신 시간(Rx) 동안, 안테나(340)를 통해 외부로부터 수신되는 신호('수신신호')를 수신하는 기능을 할 수 있다.
서큘레이터(330)는 한 단자에 입력되어 바로 옆 단자로 신호를 출력시켜주는 원형 구조 3 단자의 수동 비가역 장치(passive non-reciprocal device)로서, 1,2,3 세 포트가 원형으로 배치되어, 레이다 트랜스폰더(300) 내에서 송수신을 분리하는 기능을 할 수 있다.
서큘레이터(330)는 송신기(310) 및 수신기(320)와 각각 연결되어, 레이다 트랜스폰더(300) 내부에서 신호를 전달하는 방향을 전환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서큘레이터(330)는 순방향(시계방향) 경로를 통해 상기 송신 시간 동안 송신기(310)로부터 출력되는 송신신호를, 안테나(340)로 전달하고, 역방향(반시계방향) 경로를 통해 상기 수신 시간 동안 안테나(340)로부터 전달되는 외부의 수신신호를, 송신기(310)로 전달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레이다 트랜스폰더(300)에는 서큘레이터(330) 대신에 듀플렉서가 포함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안테나(340)는 송신기(310)로부터 전달된 송신신호를 외부로 송출하거나, 외부에서 송출된 신호를 수신해 수신기(320)로 전달하는 기능을 할 수 있다.
RSSI 검출기(350)는 '수신신호 측정 모드'일 때 외부로부터 수신되는 수신신호를 측정하고, '누설신호 측정 모드'일 때 송신기(310)로부터 출력되는 송신신호 중 안테나(340)로 전달되지 못하고 수신기(320) 쪽으로 피드백된 누설신호를 측정하는 기능을 할 수 있다.
전환부(210)는 정해진 송신 시간(Tx) 동안, RSSI 검출기(350)의 모드를 '수신신호 측정 모드'에서 '누설신호 측정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측정부(220)는 모드 전환된 RSSI 검출기(350)를 이용하여, 송신기(310)로부터 출력되는 송신신호 중 서큘레이터(330)에 의해 안테나(340) 쪽으로 전달되지 못하고 수신기(320) 쪽으로 피드백되는 누설신호를 측정할 수 있다.
판단부(230)는 누설신호의 측정된 레벨이 설정된 기준 범위에 포함되면, 송신 출력을 정상으로 판단하고, 송신기(310)를 정상 동작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는, 판단부(230)는 누설신호의 측정된 레벨이 설정된 기준 범위를 이탈하면, 송신 출력에 이상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고, 송신기(310) 내부에 고장이 발생하여 오동작 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기준 범위는 송신기(310)가 정상으로 동작할 때에 측정된 누설신호의 레벨을 이용하여, 설정부(250)에 의해 사전에 설정될 수 있다.
환원부(240)는 누설신호를 이용한 송신 출력의 이상 유무가 판단되면, RSSI 검출기(350)의 모드를, 다시 외부신호에 대한 수신신호를 측정하는 '수신신호 측정 모드'로 환원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기존에 레이다 트랜스폰더(300)의 수신기(320)에 구비되어 있는 RSSI 검출기(350)를 그대로 사용하여, 모드를 전환하는 것 만으로, 수신시간 동안에는 레이다로부터 유입되는 수신신호 펄스를 검출하는 한편, 송신 시간 동안에는 누설된 송신신호 펄스를 검출하여, 송신출력의 저하 및 오동작 발생 여부를 신호의 손실 없이 간단하게 판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판단부(230)는 송신기(310)에서 송신 출력의 이상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송신기(310)를 구성하는 내부의 다단의 증폭기의 각 단에서 출력되는 제1 송신신호의 레벨을, 상기 각 단 마다 설정된 제1 기준 범위('증폭 단별 임계치')와 비교하고, 상기 제1 기준 범위를 벗어나는 증폭기를, 송신기(310) 내에서 이상이 발생한 위치로서 식별할 수 있다.
판단부(230)는 상기 기준 범위가 기준 문턱값으로 설정된 경우, 상기 누설신호의 레벨이, 상기 기준 문턱값 이상인지 비교하여, 송신기(310)에서의 송신 펄스폭의 이상 유무를 판단할 수 있다.
판단부(230)는 측정되는 상기 누설신호의 파형을, 설정된 기준 파형과 비교하여, 송신기(310)에서의 송신 출력의 이상 유무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판단부(230)는 상기 판단 결과, 송신기(310)에서 상기 송신 출력의 과잉에 관한 이상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송신기(310)와 연결된 서큘레이터(330)에 의해 상기 송신신호가 전달되는, 레이다 트랜스폰더(300) 내 안테나(340)의 이상을 더 판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레이다 트랜스폰더에서의 송신 출력의 이상 유무 감지 시스템(200)은 정해진 송신 시간이 도래하면, 레이다 트랜스폰더 내 송신기로부터 출력되는 제1 송신신호를, 서큘레이터를 통해 안테나로 전달하고, 상기 제1 송신신호를 전달하는 동안, 상기 레이다 트랜스폰더 내 수신기로 누설되는 제2 송신신호를, 외부로부터의 수신신호를 검출하는 RSSI 검출기를 이용하여 검출하고, 검출되는 상기 제2 송신신호의 레벨을, 설정된 기준 범위와 비교하여, 상기 제1 송신신호를 출력한 상기 송신기에서의 송신 출력의 이상 유무를 판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레이다 트랜스폰더의 송신기에서 출력되는 송신신호 중 수신기 쪽으로 피드백되는 누설신호를 기존 RSSI 검출기를 활용해 측정하고, 측정된 누설신호의 레벨을 송신기가 정상 동작할 때의 기준 범위와 비교하여 송신 출력의 이상 유무를 검출 함으로써, 추가적인 하드웨어를 사용하지 않고 송신 출력의 에러를 손실 없이 간단히 검출할 수 있다.
이하, 도 4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송신 출력의 이상 유무 감지 시스템(200)의 작업 흐름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레이다 트랜스폰더에서의 송신 출력의 이상 유무 감지 방법의 순서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레이다 트랜스폰더에서의 송신 출력의 이상 유무 감지 방법은 상술한 송신 출력의 이상 유무 감지 시스템(20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단계(410)에서, 송신 출력의 이상 유무 감지 시스템(200)은, 정해진 송신 시간이 도래하면, RSSI(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or) 검출기의 모드를 누설신호 측정 모드로 전환한다.
단계(420)에서, 송신 출력의 이상 유무 감지 시스템(200)은, 레이다 트랜스폰더 내 송신기로부터 출력되는 송신신호와 연관되어 발생하는 누설신호를, 모드 전환한 상기 RSSI 검출기를 통해 측정한다.
단계(430)에서, 송신 출력의 이상 유무 감지 시스템(200)은, 측정되는 상기 누설신호의 레벨을, 설정된 기준 범위와 비교하여, 상기 송신기에서의 송신 출력의 이상 유무를 판단한다.
단계(440)에서, 송신 출력의 이상 유무 감지 시스템(200)은, 상기 측정된 누설신호를 이용한, 상기 송신기에서의 송신 출력의 이상 유무를 판단한 후에, 상기 RSSI 검출기의 모드를, 외부신호에 대한 수신신호를 측정하는 수신신호 측정 모드로 환원한다.
단계(450)에서, 송신 출력의 이상 유무 감지 시스템(200)은, 송신기에서 송신 출력의 이상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송신기를 구성하는 다단의 증폭기의 각 단에서 출력되는 제1 송신신호의 레벨을, 상기 각 단 마다 설정된 제1 기준 범위와 비교하여, 상기 송신기 내에서 이상이 발생한 위치를 식별한다.
즉 송신 출력의 이상 유무 감지 시스템(200)은 기존의 RSSI 검출기를 활용하여, 안테나로 전달되지 않고 수신기 쪽으로 누설되는 송신신호의 레벨 측정을 통해 송신 출력의 이상 유무를 판단함으로써, 안테나측 출력을 줄이지 않고도 정상 동작시의 레벨을 기준으로 송신 출력의 이상이 발생되는 양상 및 오동작의 발생 위치를 손쉽게 파악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송신 출력의 이상 유무 감지 시스템(200)은 서큘레이터의 누설과 RSSI 검출부를 이용하여 송신 출력의 이상 유무를 검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송신 출력의 이상 유무 감지 시스템(200)은 누설된 송신 출력을 RSSI 검출부에서 송신 타이밍에 맞춰 샘플링하여 송신출력을 검출할 수 있다. 또한 송신 출력의 이상 유무 감지 시스템(200)은 송신출력 검출 후 기준 범위 내의 여부를 확인하여 송신기 이상 유무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송신 출력의 이상 유무 감지 시스템(200)은 다단의 증폭기로 구성된 송신부에서 각 단의 출력에 따른 송신출력 검출 레벨 수치를 확보하고, 송신출력 검출 데이터와 비교하여 단별 증폭기 이상 유무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송신 출력의 이상 유무 감지 시스템(200)은 송신출력 검출 기준 문턱값 이상의 범위를 확인하여 송신 펄스폭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송신 출력의 이상 유무 감지 시스템(200)은 송신출력 검출 파형을 기준 파형과 비교하여 이상 유무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송신 출력의 이상 유무 감지 시스템(200)은 송신출력 검출 레벨이 기준값보다 클 경우 안테나단의 이상 유무를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레이다 트랜스폰더의 기존 송/수신 구성 블록을 그대로 활용하여 송신단 및 수신단의 선로 상에 추가적인 회로 없이 송신 출력에 대한 에러 검출을 심플하게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송신기를 구성하는 다단의 증폭기 각 단에서의 송신 출력을 증폭 단별 임계치와 비교하여, 송신기 내에서 이상 발생 위치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 코드(code), 명령(instruction),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하는 대로 동작하도록 처리 장치를 구성하거나 독립적으로 또는 결합적으로(collectively) 처리 장치를 명령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및/또는 데이터는, 처리 장치에 의하여 해석되거나 처리 장치에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어떤 유형의 기계, 구성요소(component), 물리적 장치, 가상 장치(virtual equipment), 컴퓨터 저장 매체 또는 장치, 또는 전송되는 신호 파(signal wave)에 영구적으로, 또는 일시적으로 구체화(embody)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 상에 분산되어서, 분산된 방법으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를 기초로 다양한 기술적 수정 및 변형을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200: 송신 출력의 이상 유무 감지 시스템
210: 전환부
220: 측정부
230: 판단부
240: 환원부
250: 설정부

Claims (14)

  1. 정해진 송신 시간이 도래하면, RSSI(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or) 검출기의 모드를 누설신호 측정 모드로 전환하는 단계;
    레이다 트랜스폰더 내 송신기로부터 출력되는 송신신호와 연관되어 발생하는 누설신호를, 모드 전환한 상기 RSSI 검출기를 통해 측정하는 단계;
    측정되는 상기 누설신호의 레벨을, 설정된 기준 범위와 비교하여, 상기 송신기에서의 송신 출력의 이상 유무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측정된 누설신호를 이용한, 상기 송신기에서의 송신 출력의 이상 유무를 판단한 후에, 상기 RSSI 검출기의 모드를, 외부신호에 대한 수신신호를 측정하는 수신신호 측정 모드로 환원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레이다 트랜스폰더에서의 송신 출력의 이상 유무 감지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기에서 송신 출력의 이상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송신기를 구성하는 다단의 증폭기의 각 단에서 출력되는 제1 송신신호의 레벨을, 상기 각 단 마다 설정된 제1 기준 범위와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기준 범위를 벗어나는 증폭기를, 상기 송신기 내에서 이상이 발생한 위치로서 식별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레이다 트랜스폰더에서의 송신 출력의 이상 유무 감지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누설신호의 레벨이, 상기 기준 범위 미만으로 이탈하면, 상기 송신기에서 송신 출력의 저하에 관한 이상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 또는
    상기 누설신호의 레벨이, 상기 기준 범위를 초과하여 이탈하면, 상기 송신기에서 송신 출력의 과잉에 관한 이상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레이다 트랜스폰더에서의 송신 출력의 이상 유무 감지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 결과, 상기 송신기에서 상기 송신 출력의 과잉에 관한 이상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송신기와 연결된 서큘레이터에 의해 상기 송신신호가 전달되는, 상기 레이다 트랜스폰더 내 안테나의 이상을 더 판단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레이다 트랜스폰더에서의 송신 출력의 이상 유무 감지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범위가 기준 문턱값으로 설정된 경우,
    상기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누설신호의 레벨이, 상기 기준 문턱값 이상인지 비교하여, 상기 송신기에서의 송신 펄스폭의 이상 유무를 판단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레이다 트랜스폰더에서의 송신 출력의 이상 유무 감지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측정되는 상기 누설신호의 파형을, 설정된 기준 파형과 비교하여, 상기 송신기에서의 송신 출력의 이상 유무를 판단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레이다 트랜스폰더에서의 송신 출력의 이상 유무 감지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시간 이전의 일정 기간 동안 상기 송신기가 정상으로 동작했을 때 측정된 상기 누설신호의 레벨을 이용하여, 상기 기준 범위를 설정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레이다 트랜스폰더에서의 송신 출력의 이상 유무 감지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하는 단계는,
    상기 송신기로부터 출력되는 송신신호를, 서큘레이터 또는 듀플렉서를 통해 안테나로 전달하는 동안, 상기 레이다 트랜스폰더 내 수신기로 누설되는 상기 송신신호의 일부를 상기 누설신호로서, 상기 RSSI 검출기를 이용하여 측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레이다 트랜스폰더에서의 송신 출력의 이상 유무 감지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기에 서큘레이터가 연결되어 있는 경우,
    상기 RSSI 검출기를 이용하여 측정하는 단계는,
    상기 서큘레이터의 순방향 경로를 통해, 상기 송신기로부터 상기 안테나로 전달되는 상기 송신신호 중, 상기 서큘레이터의 역방향 경로를 통해 상기 수신기로 누설되는 상기 송신신호의 일부를 상기 누설신호로서, 상기 수신기에 연결된 상기 RSSI 검출기로 검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레이다 트랜스폰더에서의 송신 출력의 이상 유무 감지 방법.
  10. 정해진 송신 시간이 도래하면, RSSI 검출기의 모드를 누설신호 측정 모드로 전환하는 전환부;
    레이다 트랜스폰더 내 송신기로부터 출력되는 송신신호와 연관되어 발생하는 누설신호를, 모드 전환한 상기 RSSI 검출기를 통해 측정하는 측정부;
    측정되는 상기 누설신호의 레벨을, 설정된 기준 범위와 비교하여, 상기 송신기에서의 송신 출력의 이상 유무를 판단하는 판단부; 및
    상기 측정된 누설신호를 이용한, 상기 송신기에서의 송신 출력의 이상 유무가 판단 됨에 따라, 상기 RSSI 검출기의 모드를, 외부신호에 대한 수신신호를 측정하는 수신신호 측정 모드로 환원하는 환원부
    를 포함하는 레이다 트랜스폰더에서의 송신 출력의 이상 유무 감지 시스템.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부는,
    상기 송신기에서 송신 출력의 이상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송신기를 구성하는 다단의 증폭기의 각 단에서 출력되는 제1 송신신호의 레벨을, 상기 각 단 마다 설정된 제1 기준 범위와 비교하고,
    상기 제1 기준 범위를 벗어나는 증폭기를, 상기 송신기 내에서 이상이 발생한 위치로서 식별하는
    레이다 트랜스폰더에서의 송신 출력의 이상 유무 감지 시스템.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부는,
    상기 누설신호의 레벨이, 상기 기준 범위 미만으로 이탈하면, 상기 송신기에서 송신 출력의 저하에 관한 이상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거나, 또는 상기 누설신호의 레벨이, 상기 기준 범위를 초과하여 이탈하면, 상기 송신기에서 송신 출력의 과잉에 관한 이상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는
    레이다 트랜스폰더에서의 송신 출력의 이상 유무 감지 시스템.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부는,
    상기 판단 결과, 상기 송신기에서 상기 송신 출력의 과잉에 관한 이상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송신기와 연결된 서큘레이터에 의해 상기 송신신호가 전달되는, 상기 레이다 트랜스폰더 내 안테나의 이상을 더 판단하는
    레이다 트랜스폰더에서의 송신 출력의 이상 유무 감지 시스템.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시간 이전의 일정 기간 동안 상기 송신기가 정상으로 동작했을 때 측정된 상기 누설신호의 레벨을 이용하여, 상기 기준 범위를 설정하는 설정부
    를 더 포함하는 레이다 트랜스폰더에서의 송신 출력의 이상 유무 감지 시스템.
KR1020190125986A 2019-10-11 2019-10-11 레이다 트랜스폰더에서의 송신 출력의 이상 유무 감지 방법 및 송신 출력의 이상 유무 감지 시스템 KR2021004315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5986A KR20210043159A (ko) 2019-10-11 2019-10-11 레이다 트랜스폰더에서의 송신 출력의 이상 유무 감지 방법 및 송신 출력의 이상 유무 감지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5986A KR20210043159A (ko) 2019-10-11 2019-10-11 레이다 트랜스폰더에서의 송신 출력의 이상 유무 감지 방법 및 송신 출력의 이상 유무 감지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43159A true KR20210043159A (ko) 2021-04-21

Family

ID=757439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25986A KR20210043159A (ko) 2019-10-11 2019-10-11 레이다 트랜스폰더에서의 송신 출력의 이상 유무 감지 방법 및 송신 출력의 이상 유무 감지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43159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63582A (ko) * 2020-11-10 2022-05-17 한국항공우주연구원 펄스 디코딩을 수행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63582A (ko) * 2020-11-10 2022-05-17 한국항공우주연구원 펄스 디코딩을 수행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8090847A1 (zh) 射频反射波检测装置、无线通信系统及天线状态检测方法
US8620225B2 (en) Power detection circuit, transmitter, and power detection method
US9113367B2 (en)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determining voltage standing wave ratio in a downlink period of radio communication
WO2008008080A1 (en) System and method for measuring phase and power variance
CN103064070B (zh) 一种单脉冲雷达系统自检与状态参数的监测结构和方法
CN108761413B (zh) 用于大功率rcs测试的射频开关保护装置及方法
JP2016516344A (ja) データパケット信号トランシーバをテストするためのシステム及び方法
CN106291131A (zh) 射频识别天线检测方法及装置
KR20210043159A (ko) 레이다 트랜스폰더에서의 송신 출력의 이상 유무 감지 방법 및 송신 출력의 이상 유무 감지 시스템
US9385820B2 (en) VSWR estimation using correlation to suppress external interference
CN104917574A (zh) 短距离电力通信用无线通信测试系统自校准方法
CN105548977A (zh) 一种数字阵二次雷达数字t/r组件状态检测方法及装置
CN103178909A (zh) 驻波测量电路的故障检测方法和装置
CN209356587U (zh) 一种射频天线驻波自检测系统
US6810239B2 (en) Automated transmitter combiner monitoring system and method of using same
JP5831644B2 (ja) 無線送信装置、vswr判定装置およびvswr判定方法
CN111060931A (zh) 卫星地面测控链路距离零值的高精度测量方法和系统
KR100836191B1 (ko) 지상지원장비와 위성체 사이에 설치되어 정확한 측정을지원하는 루프백 장치
US20160337051A1 (en) Technique For Monitoring And Managing Output Power
KR100820165B1 (ko) Pim 신호 감시시스템 및 그를 이용한 pim 신호감시방법
JP5189483B2 (ja) 無線装置
KR102528710B1 (ko) 항공기용 능동 위상 배열 안테나 송수신기의 점검 장치 및 점검 방법
CN109406885A (zh) 一种射频天线驻波自检测方法及系统
US20240137193A1 (en) Wireless transceiver circuit and wireless signal boosting device having the wireless transceiver circuit
CN115865125B (zh) 双通道收发单元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