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42756A - 에어로졸 생성 장치 - Google Patents

에어로졸 생성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42756A
KR20210042756A KR1020190125688A KR20190125688A KR20210042756A KR 20210042756 A KR20210042756 A KR 20210042756A KR 1020190125688 A KR1020190125688 A KR 1020190125688A KR 20190125688 A KR20190125688 A KR 20190125688A KR 20210042756 A KR20210042756 A KR 202100427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tomization
aerosol
amount
level
he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256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정후
정우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Priority to KR10201901256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42756A/ko
Publication of KR202100427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4275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24F47/008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60Devices with integrated user interface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50Control or monitor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5/00Inhalators
    • A61M15/0065Inhalators with dosage or measuring devices
    • A61M15/0068Indicating or counting the number of dispensed doses or of remaining doses
    • A61M15/007Mechanical counters
    • A61M15/0071Mechanical counters having a display or indicato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23/00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 G01F23/0007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for discrete indicating and measuring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1/00Details of electric heating devices
    • H05B1/02Automatic switch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to apparatus ; Control of heating devices
    • H05B1/0227Applications
    • H05B1/023Industrial applications
    • H05B1/0244Heating of flui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Anesthesiology (AREA)
  • Fluid Mechanics (AREA)
  • Biophys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ulmo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Hemat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Special Spraying Apparatus (AREA)

Abstract

에어로졸 생성 장치는, 사용자로부터 에어로졸의 무화량을 조절하기 위한 무화 레벨의 현재 설정을 수신하는 무화 조절 인터페이스, 무화량이 조절된 에어로졸을 생성하기 위하여 무화 조절 인터페이스를 통해 현재 설정된 무화 레벨에 대응하는 가열 조건으로 액상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가열하는 히터, 히터의 가열을 위한 전력을 공급하는 배터리, 무화 레벨에 대응하는 가열 조건을 계산하고 계산된 가열 조건에 기초하여 배터리로부터 히터로 공급되는 전력량을 조절함으로써 무화량이 조절된 에어로졸의 생성을 제어하는 제어부, 및 무화 레벨의 현재 설정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에어로졸 생성 장치 {AEROSOL GENERATING DEVICE}
에어로졸 생성 장치로서, 구체적으로 무화량의 조절이 가능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에 관한다.
근래에 일반적인 궐련의 단점들을 극복하는 대체 방법에 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예를 들어, 궐련을 연소시켜 에어로졸을 생성시키는 방법이 아닌 궐련 내의 에어로졸 생성 물질이 가열됨에 따라 에어로졸이 생성하는 방법에 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이에 따라, 가열식 궐련 또는 가열식 에어로졸 생성 장치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에어로졸 생성 물질로서 액체 조성물을 무화하여 에어로졸을 생성하는 방식의 에어로졸 생성 장치인 경우, 사용자마다 폐활량, 흡연 습관 등의 차이로 인하여 에어로졸 생성 장치로부터 생성되는 무화량이 각기 다르다. 또한, 사용자마다 또는 동일한 사용자라 할지라도 흡연 환경에 따라, 사용자는 보다 많은 무화량으로 흡연을 하거나 보다 적은 무화량으로 흡연을 하고자 하는 다양한 경우들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원하는 정도에 맞는 무화량을 제공할 수 있도록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무화량을 조절할 수 있는 기능이 요구된다.
다양한 실시예들은 에어로졸 생성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개시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이하의 실시예들로부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유추될 수 있다.
일 측면에 따르면, 에어로졸 생성 장치는, 사용자로부터 에어로졸의 무화량을 조절하기 위한 무화 레벨의 현재 설정을 수신하는 무화 조절 인터페이스; 상기 무화량이 조절된 에어로졸을 생성하기 위하여, 상기 무화 조절 인터페이스를 통해 현재 설정된 상기 무화 레벨에 대응하는 가열 조건으로 액상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가열하는 히터; 상기 히터의 가열을 위한 전력을 공급하는 배터리; 상기 무화 레벨에 대응하는 상기 가열 조건을 계산하고, 상기 계산된 가열 조건에 기초하여 상기 배터리로부터 상기 히터로 공급되는 전력량을 조절함으로써 상기 무화량이 조절된 에어로졸의 생성을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무화 레벨의 현재 설정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무화 조절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무화 레벨이 변경된 경우, 상기 배터리의 현재 배터리 잔량 및 상기 액상 에어로졸 생성 물질의 현재 잔량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변경된 무화 레벨에 대응하여 남은 흡연 가능 횟수를 적응적으로(adaptively) 계산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는 상기 변경된 무화 레벨에 대응하여 적응적으로 계산된 상기 남은 흡연 가능 횟수를 표시한다.
또한, 상기 무화 조절 인터페이스에 의해 설정 가능한 무화 레벨들 각각에 대응하는 가열 조건들에 대한 상관관계 데이터를 룩업 테이블로 저장하는 메모리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가열 조건은 상기 무화 레벨에 따라 상기 배터리로부터 상기 히터로 공급될 전력량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히터는 상기 액상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이송하는 액체 전달 수단 및 상기 액체 전달 수단에 감겨 있는 적어도 하나의 코일 히터를 포함하는 히터 조립체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히터가 복수의 코일 히터들을 포함하는 히터 조립체인 경우, 상기 코일 히터들 각각은 상기 배터리 및 상기 제어부 각각에 개별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코일 히터들 각각을 독립적으로 제어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히터가 복수의 코일 히터들을 포함하는 히터 조립체인 경우, 상기 무화 레벨에 따라 상기 복수의 코일 히터들 중 활성화될 적어도 하나의 코일 히터와 상기 활성화될 적어도 하나의 코일 히터에 공급될 전력량을 결정함으로써, 상기 무화 레벨에 대응하는 무화량의 에어로졸이 생성되도록 제어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보다 높은 수치의 무화 레벨에서는 보다 많은 개수의 코일 히터가 활성화되고, 보다 낮은 수치의 무화 레벨에서는 보다 적은 개수의 코일 히터가 활성화되도록, 상기 히터를 제어한다.
또한, 상기 무화 조절 인터페이스는 제 1 단위로 무화 레벨을 변경할 수 있는 노멀 모드, 및 상기 제 1 단위보다 세밀한 제 2 단위로 무화 레벨을 변경할 수 있는 세부 조절 모드를 지원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무화 조절 인터페이스에 의해 설정 가능한 무화 레벨들에 대한 영점 조정을 수행하는 사용자 맞춤형 모드가 설정된 경우, 상기 현재 설정된 무화 레벨을 디폴트 무화 레벨로 갱신한다.
또한, 상기 액상 에어로졸 생성 물질의 현재 잔량을 측정하는 잔량 측정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미리 정의된 1회 퍼프가 수행될 때마다 소모되는 액상의 양에 기초하여, 상기 남은 흡연 가능 횟수를 적응적으로 계산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액상 에어로졸 생성 물질의 초기 양에서 퍼프 횟수에 따라 소모된 양을 감산함으로써, 상기 액상 에어로졸 생성 물질의 현재 잔량을 측정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측정된 현재 잔량과 미리 정의된 1회 퍼프가 수행될 때마다 소모되는 액상의 양에 기초하여, 상기 남은 흡연 가능 횟수를 적응적으로 계산한다.
또한, 상기 무화 조절 인터페이스는 터치 스크린, 회전 다이얼 및 조그셔틀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무화 레벨의 현재 설정을 수신하는 입력 인터페이스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는 터치 스크린, 막대 바, 멀티레벨 LED 및 컬러 변환 LED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현재 설정된 무화 레벨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출력 인터페이스일 수 있다.
다른 측면에 따르면, 방법은, 사용자로부터 에어로졸의 무화량을 조절하기 위한 무화 레벨의 현재 설정을, 무화 조절 인터페이스를 통해 수신하는 단계; 현재 설정된 상기 무화 레벨에 대응하는 가열 조건, 및 이전 무화 레벨이 상기 현재 설정에 의해 변경된 경우 배터리의 현재 배터리 잔량 및 액상 에어로졸 생성 물질의 현재 잔량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변경된 무화 레벨에 대응하는 적응적인 남은 흡연 가능 횟수를 계산하는 단계; 상기 계산된 가열 조건에 기초하여 상기 액상 에어로졸 생성 물질이 가열되도록 상기 배터리로부터 히터로 공급되는 전력량을 조절함으로써, 상기 무화량이 조절된 에어로졸의 생성을 제어하는 단계; 및 상기 무화 레벨의 현재 설정에 대한 정보, 및 상기 계산된 적응적인 남은 흡연 가능 횟수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된 바에 따르면, 에어로졸 생성 장치에서 사용자가 직접 원하는 정도로 에어로졸의 무화량을 조절할 수 있고, 무화량 조절에 따라 적응적으로 변동되는 흡연 가능 횟수를 확인할 수 있으므로,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사용자 편의성이 증진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외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보유하는 교체 가능한 카트리지와 이를 구비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결합 관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리 사시도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하드웨어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무화 조절 인터페이스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디스플레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라 에어로졸 생성 장치에서 무화량을 조절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7은 다른 실시예에 따라 에어로졸 생성 장치에서 무화량을 조절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라 무화 레벨의 변경에 대응하는 히터의 가열 조건의 변경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른 히터 조립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일 실시예에 따라 무화 레벨의 설정에 대응하는 무화량 조절을 위하여 히터 조립체의 코일 히터들을 제어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은 일 실시예에 따라 세부 무화 레벨의 설정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는 일 실시예에 따라 무화 레벨의 조절에 따라 배터리 잔량에 기초하여 남은 흡연 가능 횟수의 정보를 적응적으로 제공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3은 일 실시예에 따라 무화 레벨의 조절에 따라 액상 잔량에 기초하여 남은 퍼프 가능 횟수의 정보를 적응적으로 제공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로졸 생성 장치에서 무화량을 조절하여 에어로졸을 생성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실시예들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외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고하면, 에어로졸 생성 장치(1)는 에어로졸 생성 물질(100)을 기화시켜 에어로졸을 생성하는 장치이다. 에어로졸 생성 장치(1)는, 에어로졸 생성 물질(100)을 내부에 수용하고 있는 별도의 카트리지와 결합될 수 있는 분리형 타입의 구조로 구현되거나, 또는 별도의 카트리지 결합 없이 에어로졸 생성 장치(1) 내부에 에어로졸 생성 물질(100)을 수용하여 리필(refill)할 수 있는 일체형 타입의 구조로 구현될 수 있다. 즉, 에어로졸 생성 장치(1)의 구현 형태는 다양할 수 있고, 어느 하나로 제한되지 않는다.
에어로졸 생성 물질(100)은 에어로졸 생성 장치(1) 내 액체 저장부에 수용된다. 에어로졸 생성 물질(100)은 예를 들어 액체 상태나, 고체 상태나, 기체 상태나, 겔(gel) 상태 등의 어느 하나의 상태를 갖는 물질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 에어로졸 생성 물질(100)은 액상 조성물일 수 있다. 액상 조성물은, 예를 들어 휘발성 담배 향 성분을 포함하는 담배 함유 물질을 포함하는 액체일 수 있고, 비 담배 물질을 포함하는 액체일 수도 있다.
액상 조성물은 니코틴 염이 첨가된 임의의 중량비의 글리세린 및 프로필렌 글리콜 용액을 포함할 수 있다. 액상 조성물에는 2종 이상의 니코틴 염이 포함될 수도 있다. 니코틴 염은 니코틴에 유기산 또는 무기산을 포함하는 적절한 산을 첨가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니코틴은 자연적으로 발생하는 니코틴 또는 합성 니코틴으로서, 액상 조성물의 총 용액 중량에 대한 임의의 적절한 중량의 농도를 가질 수 있다.
니코틴 염의 형성을 위한 산은 혈중 니코틴 흡수 속도, 에어로졸 생성 장치(1)의 작동 온도, 향미 또는 풍미, 용해도 등을 고려하여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니코틴 염의 형성을 위한 산은 벤조산, 락트산, 살리실산, 라우르산, 소르브산, 레불린산, 피루브산, 포름산, 아세트산, 프로피온산, 부티르산, 발레르산, 카프로산, 카프릴산, 카프르산, 시트르산, 미리스트산, 팔미트산, 스테아르산, 올레산, 리놀레산, 리놀렌산, 페닐아세트산, 타르타르산, 숙신산, 푸마르산, 글루콘산, 사카린산, 말론산 또는 말산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단독의 산 또는 상기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2 이상의 산들의 혼합이 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한편, 에어로졸 생성 장치(1)(또는 카트리지)가 내부에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수용한다'는 것은 폐쇄된 컨테이너(container)와 같은 공간에 에어로졸 생성 물질(100)을 수용하는 것과, 또는 예를 들어 스펀지(sponge), 솜, 천, 다공성 세라믹 구조체 등과 같이 물질을 함침(함유)하는 수단을 이용하여 에어로졸 생성 물질(100)을 수용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에어로졸 생성 장치(1)는 전기 신호 등에 의해 동작함으로써 에어로졸 생성 장치(1) 내부의 에어로졸 생성 물질(100)의 상(phase)을 기체의 상으로 변환함으로써 에어로졸을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에어로졸은 에어로졸 생성 물질(100)로부터 발생한 증기화된 입자와 공기가 혼합된 상태의 기체를 의미할 수 있다.
에어로졸 생성 장치(1)가 에어로졸을 생성하기 위하여, 에어로졸 생성 장치(1)는 전기 가열 방식, 초음파 진동 방식, 유도 가열 방식 등 다양한 가열 방식들을 이용함으로써 에어로졸 생성 물질(100)의 상을 변환할 수 있다.
에어로졸 생성 장치(1)는 에어로졸 생성 물질(100)을 기화시켜 에어로졸을 생성하는 기능을 수행하기 위하여, 무화기(atomizer)를 포함할 수 있다. 무화기는 예를 들어, 에어로졸 생성 물질(100)(예를 들어, 액상 조성물)을 흡수하여 에어로졸 생성 물질(100)을 이송하는 액체 전달 수단(wick; 윅)과, 액체 전달 수단에 의해 이송된 에어로졸 생성 물질(100)을 가열하여 에어로졸을 생성하는 히터를 포함할 수 있다.
액체 전달 수단은 예를 들어 면 섬유, 세라믹 섬유, 유리 섬유, 다공성 세라믹 등과 같은 재료들로 제작될 수 있다.
히터는 전기 저항에 의해 열을 발생시킴으로써 액체 전달 수단에 전달되는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가열하기 위하여 구리, 니켈, 텅스텐 등의 금속 소재를 포함할 수 있다. 히터는 예를 들어, 금속 열선(wire), 금속 열판(plate), 세라믹 발열체 등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니크롬선과 같은 소재를 이용하여 전도성 필라멘트로 구현되거나 액체 전달 수단에 감기거나 액체 전달 수단에 인접하게 배치된 코일 히터일 수 있다. 이에 제한되지 않고, 무화기는 또한, 별도의 액체 전달 수단을 사용하지 않고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흡수하여 에어로졸로 변환하기 위한 최적의 상태로 유지하는 기능과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가열하여 에어로졸을 발생하는 기능을 모두 수행하는 메시 형상(mesh shape)이나 플레이트 형상(plate shape)의 발열체로도 구현될 수 있다.
한편, 에어로졸 생성 장치(1)는 히터의 가열로 인하여 에어로졸 생성 물질(100)이 기화됨으로써 에어로졸을 생성할 수 있고, 이때의 무화량은 다양한 요인들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화량은, 에어로졸 생성 장치(1)를 사용하고 있는 주변 환경(온도, 습도 등), 사용자의 퍼프 강도, 히터의 가열 온도, 에어로졸 생성 물질(100)의 특성 등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즉, 에어로졸 생성 장치(1)는 미리 정해진 무화량이 초기 설정되었을 지라도, 이와 같은 요인들에 의해 다른 무화량을 제공할 수도 있다. 나아가서, 사용자마다 또는 동일한 사용자라 할지라도 흡연 환경에 따라, 어느 사용자는 보다 많은 무화량으로 흡연을 하고자 할 수 있고, 또는 보다 적은 무화량으로 흡연을 하고자 하는 다양한 경우들이 있을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에어로졸 생성 장치(1)는 사용자가 원하는 정도에 맞는 무화량을 제공할 수 있도록 에어로졸 생성 장치(1)의 무화량을 조절할 수 있는 다양한 수단들을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에어로졸 생성 장치(1)는 외부에 사용자가 직접 무화량을 조절할 수 있는 무화 조절 인터페이스(atomization adjustment interface)(110), 및 조절된 무화량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디스플레이(120)를 구비할 수 있다.
무화 조절 인터페이스(110)는 사용자로부터 에어로졸의 무화량을 조절하기 위한 무화 레벨의 현재 설정을 수신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20)는 무화 레벨의 현재 설정에 대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에어로졸 생성 장치(1)에서, 무화 조절 인터페이스(110)와 디스플레이(120)는 각각 별개의 하드웨어들로 구현되거나, 또는 무화 조절 인터페이스(110)와 디스플레이(120)는 터치 스크린과 같은 일체화된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도 1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무화 조절 인터페이스(110)와 디스플레이(120)가 일렬로 배치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에어로졸 생성 장치(1)에서 무화 조절 인터페이스(110)와 디스플레이(120)의 배치는 다양할 수 있다.
무화 조절 인터페이스(110)와 디스플레이(120)의 상세한 실시예들에 대해서는 이하 해당 도면들에서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보유하는 교체 가능한 카트리지와 이를 구비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결합 관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리 사시도이다.
도 2를 참고하면, 에어로졸 생성 장치(5)는 도 1의 에어로졸 생성 장치(1)가 분리형 타입인 경우에 대한 일 예이다. 따라서, 이에 제한되지 않고, 도 1의 에어로졸 생성 장치(1)는 도 2의 에어로졸 생성 장치(5)와는 다른 타입으로도 구현될 수 있다.
에어로졸 생성 장치(5)는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보유하는 카트리지(20)와, 카트리지(20)를 지지하는 본체(10)를 포함한다. 여기서, 카트리지(20)는 앞서 도 1에서 설명된 에어로졸 생성 물질(100)을 보유할 수 있다.
카트리지(20)는 내부에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수용한 상태에서 본체(10)에 결합될 수 있다. 카트리지(20)의 일부분이 본체(10)의 수용 공간(19)에 삽입됨으로써 카트리지(20)가 본체(10)에 장착될 수 있다.
카트리지(20) 내부에 수용된 에어로졸 생성 물질이 외부에서 시각적으로 확인될 수 있도록, 카트리지(20)의 액체 저장부(21)는 적어도 일부가 투명한 소재로 제작될 수 있다. 액체 저장부(21)는 본체(10)에 결합할 때에 본체(10)의 홈(11)에 삽입될 수 있도록 액체 저장부(21)로부터 돌출하는 돌출창(21a)을 포함한다. 마우스피스(22) 및 액체 저장부(21)의 전체가 투명한 플라스틱이나 유리 등의 소재로 제작될 수 있으며, 액체 저장부(21)의 일부분에 해당하는 돌출창(21a)만이 투명한 소재로 제작될 수 있다.
본체(10)는 수용 공간(19)의 내측에 배치된 접속 단자(10t)를 포함한다. 본체(10)의 수용 공간(19)에 카트리지(20)의 액체 저장부(21)가 삽입되면 본체(10)는 접속 단자(10t)를 통하여 카트리지(20)에 전력을 제공하거나, 카트리지(20)의 작동과 관련한 신호를 카트리지(20)에 공급할 수 있다.
카트리지(20)의 액체 저장부(21)의 일측 단부에는 마우스피스(22)가 결합된다. 마우스피스(22)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5)의 사용자의 구강으로 삽입되는 부분이다. 마우스피스(22)는 액체 저장부(21) 내부의 에어로졸 생성 물질로부터 발생한 에어로졸을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공(22a)을 포함한다.
본체(10)에는 슬라이더(7)가 본체(10)에 대하여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슬라이더(7)는 본체(10)에 대해 이동함으로써 본체(10)에 결합된 카트리지(20)의 마우스피스(22)의 적어도 일부를 덮거나 마우스피스(22)의 적어도 일부를 외부로 노출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슬라이더(7)는 카트리지(20)의 돌출창(21a)의 적어도 일부를 외부로 노출시키는 장공(7a)을 포함한다.
슬라이더(7)는 내부가 비어 있으며 양측 단부가 개방된 통 형상을 갖는다. 슬라이더(7)의 구조는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통 형상으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본체(10)의 가장자리에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본체(10)에 대해 이동 가능한 클립 모양의 단면 형상을 갖는 절곡된 판의 구조나, 만곡된 원호 모양의 단면 형상을 갖는 구부러진 반원통 형상 등의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슬라이더(7)는 본체(10)와 카트리지(20)에 대한 슬라이더(7)의 위치를 유지하기 위한 자성체를 포함한다. 자성체는 영구자석이나, 철, 니켈, 코발트, 또는 이들의 합금 등과 같은 소재를 포함할 수 있다.
자성체는 슬라이더(7)의 내부 공간을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보는 두 개의 제1 자성체(8a)와, 슬라이더(7)의 내부 공간을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보는 두 개의 제2 자성체(8b)를 포함한다. 제1 자성체(8a)와 제2 자성체(8b)는 슬라이더(7)의 이동 방향, 즉 본체(10)가 연장하는 방향인 본체(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게 배치된다.
본체(10)는 슬라이더(7)가 본체(10)에 대하여 이동하는 동안 슬라이더(7)의 제1 자성체(8a)와 제2 자성체(8b)가 이동하는 경로 상에 배치된 고정 자성체(9)를 포함한다. 본체(10)의 고정 자성체(9)도 수용 공간(19)을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보도록 두 개가 설치될 수 있다.
슬라이더(7)의 위치에 따라, 고정 자성체(9)와 제1 자성체(8a) 또는 고정 자성체(9)와 제2 자성체(8b) 사이에서 작용하는 자력에 의하여 슬라이더(7)는 마우스피스(22)의 단부를 덮거나 노출시키는 위치에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본체(10)는 슬라이더(7)가 본체(10)에 대하여 이동하는 동안 슬라이더(7)의 제1 자성체(8a)와 제2 자성체(8b)의 이동하는 경로 상에 배치되는 위치변화 감지 센서(3)를 포함한다. 위치변화 감지 센서(3)는 예를 들어 자기장의 변화를 감지하여 신호를 발생하는 홀 효과(hall effect)를 이용한 홀 센서(hall IC)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의 에어로졸 생성 장치(5)에서 본체(10)와 카트리지(20)와 슬라이더(7)는 길이 방향을 가로지르는 방향에서의 단면 형상이 대략 직사각형이지만, 에어로졸 생성 장치(5)의 형상은 이에 제한되지 않고 다양할 수 있다. 즉, 에어로졸 생성 장치(5)는 원형이나 타원형이나 정사각형이나 여러 가지 형태의 다각형의 단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5)가 길이 방향으로 연장할 때 반드시 직선적으로 연장하는 구조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사용자가 손으로 잡기 편하게 예를 들어 유선형으로 만곡되거나 특정 영역에서 미리 정해진 각도로 절곡되며 길게 연장할 수 있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하드웨어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을 참고하면, 에어로졸 생성 장치(300)는 도 1의 에어로졸 생성 장치(1) 또는 도 2의 에어로졸 생성 장치(5)에 해당할 수 있다. 에어로졸 생성 장치(300)는 배터리(310), 히터(320), 센서(330), 입력 인터페이스(340), 출력 인터페이스(350), 제어부(360) 및 메모리(37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에어로졸 생성 장치(300)의 내부 구조는 도 3에 도시된 것에 한정되지 않고, 에어로졸 생성 장치(300)의 설계에 따라, 도 3에 도시된 하드웨어 구성들 중 일부가 생략되거나 새로운 하드웨어 구성이 더 추가될 수 있음을 통상의 기술자라면 이해할 수 있다.
앞서 도 1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에어로졸 생성 장치(300)는 일체형 타입의 본체만으로 구현될 수 있고, 이와 같은 경우 에어로졸 생성 장치(300)에 포함된 하드웨어 구성들은 본체에 위치한다. 이와 달리, 에어로졸 생성 장치(300)는 도 2의 에어로졸 생성 장치(5)와 같이, 본체 및 카트리지로 구성될 수 있고, 이와 같은 경우 에어로졸 생성 장치(300)에 포함된 하드웨어 구성들은 본체 및 카트리지에 나뉘어 위치할 수 있다. 나아가서, 에어로졸 생성 장치(300)에 포함된 하드웨어 구성들 중 적어도 일부는 본체 및 카트리지 각각에 위치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300)에 포함된 각 하드웨어 구성의 위치를 고려하지 않고, 각 하드웨어 구성들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배터리(310)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300)가 동작하는데 요구되는 전력을 공급한다. 예를 들어, 배터리(310)는 히터(320)가 가열될 수 있도록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또한, 배터리(310)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300) 내에 구비된 다른 하드웨어 구성들인, 센서(330), 입력 인터페이스(340), 출력 인터페이스(350), 제어부(360) 및 메모리(370)의 동작에 필요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배터리(310)는 리튬폴리머(LiPoly) 배터리와 같이 재충전이 가능한 배터리로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일회용 배터리일 수 있다.
히터(320)는 제어부(360)의 제어에 따라 배터리(310)로부터 전력을 공급 받아 에어로졸 생성 장치(300) 내에 수용된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가열할 수 있다.
에어로졸 생성 장치(300)가 본체 및 카트리지의 분리형 타입으로 구현되는 경우, 히터(320)는 카트리지에 위치할 수 있다. 히터(320)가 카트리지에 위치하는 경우, 히터(320)는 본체 및 카트리지 중 적어도 어느 한 곳에 위치한 배터리(310)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다. 또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300)가 본체만의 일체형 타입으로 구현되는 경우, 히터(320)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300)의 본체에 위치할 수 있다.
히터(320)는 임의의 적합한 전기 저항성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적합한 전기 저항성 물질은 타이타늄, 지르코늄, 탄탈럼, 백금, 니켈, 코발트, 크로뮴, 하프늄, 나이오븀, 몰리브데넘, 텅스텐, 주석, 갈륨, 망간, 철, 구리, 스테인리스강, 니크롬 등을 포함하는 금속 또는 금속 합금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히터(320)는 금속 열선(wire)의 코일, 전기 전도성 트랙(track)이 배치된 금속 열판(plate), 세라믹 발열체 등으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에어로졸 생성 장치(300)가 도 2의 에어로졸 생성 장치(5)와 같은 분리형 타입인 경우, 히터(320)는 카트리지에 포함된 구성일 수 있다. 카트리지는 히터(320), 액체 전달 수단 및 액체 저장부를 포함할 수 있다. 액체 저장부에 수용된 에어로졸 생성 물질은 액체 전달 수단으로 이동하고, 히터(320)는 액체 전달 수단에 흡수된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가열하여 에어로졸을 발생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히터(320)는 니켈크롬과 같은 소재를 포함하고 액체 전달 수단에 감기거나 액체 전달 수단에 인접하게 배치된 코일 히터일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히터(320)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300)의 수용 공간에 삽입된 궐련의 내부 및/또는 외부를 가열하는 방식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에어로졸 생성 장치(300)에 마련된 궐련 수용 공간에 궐련이 삽입되고, 히터(320)가 궐련 내의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가열함으로써 에어로졸이 생성될 수 있다.
한편, 히터(320)는 유도 가열식 히터로 구현될 수도 있다. 히터(320)는 궐련 또는 카트리지를 유도 가열 방식으로 가열하기 위한 전기 전도성 코일을 포함할 수 있으며, 궐련 또는 카트리지에는 유도 가열식 히터에 의해 가열될 수 있는 서셉터가 포함될 수 있다.
에어로졸 생성 장치(300)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330)를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센서(330)에서 센싱된 결과는 제어부(360)로 전달되고, 센싱 결과에 따라 제어부(360)는 히터의 동작 제어, 흡연의 제한, 궐련(또는 카트리지) 삽입 유/무 판단, 알림 표시 등과 같은 다양한 기능들이 수행되도록 에어로졸 생성 장치(30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360)는 퍼프 감지 센서에 의한 센싱 결과에 기초하여 에어로졸의 생성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적어도 하나의 센서(330)는 퍼프 감지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퍼프 감지 센서는 온도 변화, 유량(flow) 변화, 전압 변화 및 압력 변화 중 어느 하나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퍼프를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센서(330)는 온도 감지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온도 감지 센서는 히터(320)(또는, 에어로졸 생성 물질)가 가열되는 온도를 감지할 수 있다. 에어로졸 생성 장치(300)는 히터(320)의 온도를 감지하는 별도의 온도 감지 센서를 포함하거나, 별도의 온도 감지 센서를 포함하는 대신 히터(320) 자체가 온도 감지 센서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또는, 히터(320)가 온도 감지 센서의 역할을 수행함과 동시에 에어로졸 생성 장치(300)에 별도의 온도 감지 센서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나아가서, 적어도 하나의 센서(330)는 위치변화 감지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위치변화 감지 센서는 본체에 대하여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 슬라이더의 위치 변화를 감지할 수 있다.
입력 인터페이스(340)는 사용자로부터 사용자 조작 정보를 수신하는 인터페이싱 수단이다. 예를 들어, 입력 인터페이스(340)는 버튼, 스위치, 다이얼 등의 물리적 인터페이싱 수단들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한편, 도 1에서 설명된 무화 조절 인터페이스(110)는 입력 인터페이스(340)에 해당한다.
출력 인터페이스(350)는 사용자에게 에어로졸 생성 장치(300)의 상태, 예를 들어 배터리의 잔량 정보, 에어로졸 생성 물질의 잔량 정보 등에 대한 다양한 정보들을 제공할 수 있다. 출력 인터페이스(350)는 시각 정보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도 1에서 설명된 디스플레이(120)는 출력 인터페이스(350)에 해당할 수 있다. 또한, 출력 인터페이스(350)는 램프, 촉각 정보를 출력하는 진동 모터, 소리 정보를 출력하는 스피커 등의 인터페이싱 수단들에 해당할 수 있다.
한편, 입력 인터페이스(340) 및 출력 인터페이스(350)는 물리적으로 별개로 구현된 인터페이싱 수단들로 구현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입력 인터페이스(340) 및 출력 인터페이스(350)는 터치 스크린 또는 터치 패드와 같이 입출력(I/O) 인터페이싱 기능이 하나로 통합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로도 구현될 수 있다. 즉, 도 1에서 설명된 무화 조절 인터페이스(110)와 디스플레이(120)는 터치 스크린과 같은 일체화된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 있다.
입력 인터페이스(340)는 사용자로부터 무화량 조절을 위한 무화 레벨의 설정을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입력 인터페이스(340)는 미리 정의된 무화 레벨들 중에서 어느 하나의 무화 레벨에 대한 사용자 선택을 수신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에어로졸 생성 장치(300)는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무화 레벨에 대응하는 무화량의 에어로졸이 생성되도록, 히터(320)의 가열 조건(예를 들어, 공급 전력량 등)을 변경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360)는, 설정된 무화 레벨에 대응하는 무화량의 에어로졸을 생성하기 위하여, 설정된 무화 레벨에 기초하여 배터리(310)로부터 공급될 전력량, 히터(320)의 저항 값 등의 다양한 요소들을 계산함으로써, 원하는 무화량으로 에어로졸이 생성되도록 에어로졸 생성 장치(300)의 구성요소들을 제어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히터(320)는 무화량이 조절된 에어로졸을 생성하기 위하여, 무화 조절 인터페이스(110)(즉, 입력 인터페이스(340))를 통해 현재 설정된 무화 레벨에 대응하는 가열 조건으로 액상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가열한다. 제어부(360)는 무화 레벨에 대응하는 가열 조건을 계산하고, 계산된 가열 조건에 기초하여 배터리(310)로부터 히터(320)로 공급되는 전력량을 조절함으로써 무화량이 조절된 에어로졸의 생성을 제어한다.
한편, 히터(320)의 가열 조건으로서 공급 전력량이 변경되는 경우, 공급 전력량의 변경에 의존하여 히터(320)의 온도가 함께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즉, 히터(320)로 보다 많은 전력량이 공급되는 경우 히터(320)의 온도는 보다 증가하게 되고, 반대로 히터(320)로 보다 적은 전력량이 공급되는 경우, 히터(320)의 온도는 보다 감소하게 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들에서 별도의 설명이 없다 할지라도, 공급 전력량의 변경은 히터 온도의 변경에 대응하는 것으로 고려될 수 있다.
출력 인터페이스(350)는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무화 레벨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나아가서, 출력 인터페이스(350)는 무화 레벨에 연계된 다양한 정보, 예를 들어 무화량, 적응적 배터리 잔량, 적응적 액상 잔량, 공급 전력량(또는 공급 전압), 가변 저항의 현재 저항 값 등과 같이 무화 레벨의 조절에 따라 함께 변동되는 다양한 정보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출력 인터페이스(350)는 이 밖에도, 무화 레벨과 관련 없는 정보, 예를 들어 시간, 카트리지 삽입 여부 등의 정보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들에서, "적응적(adaptive 또는 adaptively)"이라는 용어는 어떠한 상태(또는 상황)가 변화 또는 변경될 때 그 상태(또는 상황) 변화에 의존하여 다른 상태(또는 다른 상황)가 연동되어 변화 또는 변경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적응적으로 남은 흡연 가능 횟수가 계산될 수 있다는 것은, 무화 레벨이 제 1 무화 레벨에서 제 2 무화 레벨로 변경되는 것에 연계되어, 남은 흡연 가능 횟수가 원래의 제 1 횟수로부터 새로 계산된 제 2 횟수로 변경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마찬가지로, 적응적 배터리 잔량, 적응적 액상 잔량 등의 용어들은, 변경된 무화 레벨에 의존하여 배터리 잔량이 변경되는 것, 변경된 무화 레벨에 의존하여 액상 잔량이 변경되는 것 등을 의미할 수 있다. 본 실시예들에서 "적응적"이라는 용어는 유사한 의미를 갖는 다른 용어들로도 대체되어 지칭될 수 있다.
메모리(370)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300) 내에서 처리되는 각종 데이터들을 저장하는 하드웨어로서, 메모리(370)는 제어부(360)에서 처리된 데이터들 및 처리될 데이터들을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370)는 DRAM(dynamic random access memory),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등과 같은 RAM(random access memory), ROM(read-only memory),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등의 다양한 종류들로 구현될 수 있다.
메모리(370)에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300)의 동작 시간, 최대 퍼프 횟수, 현재 퍼프 횟수, 적어도 하나의 온도 프로파일, 적어도 하나의 전력 프로파일 및 사용자의 흡연 패턴에 대한 데이터 등이 저장될 수 있다. 또한, 메모리(370)는 제어부(360)가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무화 레벨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획득 및 계산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룩업 테이블(LUT)도 저장할 수 있다. 즉, 메모리(370)는 무화 조절 인터페이스(110)에 의해 설정 가능한 무화 레벨들 각각에 대응하는 가열 조건들에 대한 상관관계 데이터를 룩업 테이블로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가열 조건은 무화 레벨에 따라 배터리(310)로부터 히터(320)로 공급될 전력량 등의 다양한 요소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360)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3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하드웨어이다. 제어부(360)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프로세서는 다수의 논리 게이트들의 어레이로 구현될 수도 있고, 범용적인 마이크로 프로세서와 이 마이크로 프로세서에서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이 저장된 메모리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다른 형태의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도 있음을 본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수 있다.
제어부(360)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330)에 의해 센싱된 결과를 분석하고 뒤이어 수행될 처리들을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제어부(360)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330)에 의해 센싱된 결과에 기초하여, 히터(320)의 동작이 개시 또는 종료되도록 히터(320)에 공급되는 전력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360)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330)에 의해 센싱된 결과에 기초하여, 히터(320)가 소정의 온도까지 가열되거나 적절한 온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히터(320)에 공급되는 전력의 양 및 전력이 공급되는 시간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360)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330)에 의해 센싱된 결과에 기초하여, 출력 인터페이스(35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퍼프 감지 센서를 이용하여 퍼프 횟수를 카운트한 후 퍼프 횟수가 미리 설정된 횟수에 도달하면, 제어부(360)는 출력 인터페이스(350)의 램프, 진동 모터 및 스피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에어로졸 생성 장치(300)가 곧 종료될 것임을 통지할 수 있다.
한편, 도 3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에어로졸 생성 장치(300)는 데이터 통신을 하거나 충전 전력을 공급받기 위한 단자들, 외부 디바이스와 무선 통신(예를 들어, WI-FI, WI-FI Direct, Bluetooth, NFC(Near-Field Communication) 등)을 수행하기 위한 다양한 통신 인터페이싱 수단들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에어로졸 생성 장치(300)는 별도의 크래들과 함께 에어로졸 생성 시스템을 구성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크래들은 에어로졸 생성 장치(300)의 배터리(310)를 충전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에어로졸 생성 장치(300)는 크래들 내부의 수용 공간에 수용된 상태에서, 크래들의 배터리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에어로졸 생성 장치(300)의 배터리(310)를 충전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 내지 도 3에서 설명된 에어로졸 생성 장치(1, 300)에서의 무화량 조절과 관련된 다양한 실시예들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무화 조절 인터페이스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를 참고하면, 에어로졸 생성 장치(1) 외부의 일부 영역에는 무화 조절 인터페이스(110)가 구비될 수 있다. 다만, 무화 조절 인터페이스(110)의 위치는 어느 하나로 제한되지 않고 에어로졸 생성 장치(1)의 다양한 위치들에 구비될 수 있다.
무화 조절 인터페이스(110)는 사용자가 에어로졸 생성 장치(1)에 의해 생성될 에어로졸의 무화량을 직접 조절하기 위한 수단이다. 무화 조절 인터페이스(110)의 구현 방식은 다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화 조절 인터페이스(110)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1)의 외부 표면 상에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회전 다이얼(410)로 구현되거나 또는 조그셔틀(420)로 구현될 수 있다. 회전 다이얼(410) 또는 조그셔틀(420) 주위에는 여러 무화 레벨들을 나타내는 심볼들(예를 들어, 숫자들)이 함께 표시될 수 있고, 이를 이용하여 사용자는 회전 다이얼(410) 또는 조그셔틀(420)을 돌림으로써 조절된 현재 무화 레벨을 식별할 수 있다.
무화 조절 인터페이스(110)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1)의 외부 표면 상에 설치된 터치 스크린(430)으로 구현될 수 있다. 터치 스크린(430) 상에는 사용자의 터치 또는 드래그에 의해 조작될 수 있는 다양한 무화 레벨들이 표시될 수 있으며, 사용자는 터치 스크린(430) 상에서 원하는 무화 레벨을 선택함으로써, 무화량을 조절할 수 있다. 도 4에서는 터치 스크린(430) 상에서 스크롤 방식으로 무화 레벨들을 조절할 수 있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터치 스크린(430) 상에는 다양한 방식들로 무화 레벨 선택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표시될 수 있다.
한편, 도 4에서는 무화 조절 인터페이스(110)에서 구현 가능한 무화 조절 인터페이스(110)의 일부 예시들만이 설명되었을 뿐이다. 따라서, 무화 조절 인터페이스(110)는 이 밖에도 여러 무화 레벨들 중 사용자가 원하는 무화 레벨을 선택할 수 있는 다양한 수단들로 구현될 수 있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디스플레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를 참고하면, 에어로졸 생성 장치(1) 외부의 일부 영역에는 디스플레이(120)가 구비될 수 있다. 다만, 디스플레이(120)의 위치는 어느 하나로 제한되지 않고 에어로졸 생성 장치(1)의 다양한 위치들에 구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120)는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현재 무화 레벨을 나타내기 위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120)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1)의 외부 표면 상에 설치된 터치 스크린(510)으로 구현될 수 있다. 즉, 터치 스크린(510)으로 구현된 디스플레이(120)는 도 4에서 설명된 무화 조절 인터페이스(110)와 일체화된 하드웨어로서, 도 4의 터치 스크린(430)에 대응한다. 터치 스크린(510) 상에는 사용자의 터치 또는 드래그에 의해 조작될 수 있는 다양한 무화 레벨들이 표시될 수 있고, 사용자는 터치 스크린(510)을 통해 현재 설정된 무화 레벨을 바로 식별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20)가 터치 스크린(510)으로 구현된 경우에는, 터치 스크린(510)이 도 4의 무화 조절 인터페이스(110)(즉, 터치 스크린(430))의 기능도 담당하므로, 에어로졸 생성 장치(1)에는 별도의 물리적 무화 조절 수단이 구비되지 않을 수 있다.
디스플레이(120)는 막대 바(520), 멀티레벨 LED(Light-Emitting Diode)(530), 컬러 변환 LED(540) 등과 같이, 여러 무화 레벨들 중 현재 무화 레벨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다양한 출력 인터페이싱 수단들로도 구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120)가 막대 바(520)로 구현되는 경우, 무화 레벨에 따라 막대의 길이가 가변될 수 있고, 또한 무화 레벨에 따라 막대의 컬러가 현재 무화 레벨(현재 히터 온도)을 시각적으로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도록 변화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막대 바(520)의 막대의 컬러는 현재 무화 레벨(현재 히터 온도)이 높아질수록 노란색, 초록색, 빨간색 순으로 변화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라 에어로졸 생성 장치에서 무화량을 조절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6을 참고하면, 무화량 조절 방법은 앞서 설명된 도면들에서의 에어로졸 생성 장치(1, 5 또는 300)에서 시계열적으로 처리되는 단계들로 구성된다. 따라서, 이하에서 생략된 내용이라 하더라도 도 1 내지 5에 도시된 에어로졸 생성 장치(1, 5 또는 300)에 관하여 이상에서 기술된 내용은 도 6의 방법에도 적용될 수 있다.
601 단계에서, 무화 조절 인터페이스(110)(또는 입력 인터페이스(340))는 사용자가 무화량 레벨 조절을 위한 조작을 수행하는 경우, 사용자로부터 무화량 조절을 위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한다. 여기서, 사용자 입력은 도 4에 도시된 터치 스크린(430) 상의 사용자 터치/드래그, 회전 다이얼(410) 또는 조그셔틀(420)의 조작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무화 조절 인터페이스(110)의 구현 방식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602 단계에서, 제어부(360)는 무화 조절 인터페이스(110)(또는 입력 인터페이스(340))를 통해 사용자에 의해 조절된 무화 레벨로 현재 무화 레벨을 설정한다.
603 단계에서, 제어부(360)는 설정된 무화 레벨에 대응하는 가열 조건으로 동작되도록 히터(320)를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제어부(360)는 메모리(370)에 저장된 룩업 테이블을 참조하여, 설정된 무화 레벨에 대응하는 히터(320)의 가열 조건(예를 들어, 배터리(310)로부터 공급될 전력, 코일 히터의 저항 값 등)을 계산할 수 있다. 그리고 나서, 제어부(360)는 설정된 무화 레벨에 대응하는 무화량으로 에어로졸이 생성되도록, 계산된 가열 조건에 기초하여 히터(320)의 가열 동작을 제어한다.
604 단계에서, 에어로졸 생성 장치(1, 5 또는 300)는 에어로졸 생성 물질에 대한 히터(320)의 가열에 따라,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무화 레벨에 대응하는 무화량의 에어로졸을 생성한다.
도 7은 다른 실시예에 따라 에어로졸 생성 장치에서 무화량을 조절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7을 참고하면, 무화량 조절 방법은 앞서 설명된 도면들에서의 에어로졸 생성 장치(1, 5 또는 300)에서 시계열적으로 처리되는 단계들로 구성된다. 따라서, 이하에서 생략된 내용이라 하더라도 도 1 내지 5에 도시된 에어로졸 생성 장치(1, 5 또는 300)에 관하여 이상에서 기술된 내용은 도 7의 방법에도 적용될 수 있다.
도 7의 무화량 조절 방법은 사용자 맞춤형(user-customized) 모드라는 점에 있어서 도 6의 무화량 조절 방법과 상이하다. 구체적으로, 사용자 맞춤형(user-customized) 모드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1, 5 또는 300)의 디폴트 무화 레벨이 사용자에 의해 현재 설정된 무화 레벨로 갱신되는 모드로서, 무화 조절 인터페이스(110)에 의해 설정 가능한 무화 레벨들에 대한 영점 조정을 수행하는 모드를 의미한다. 여기서, 디폴트 무화 레벨은 영점 조정에 의해 설정된 레벨을 의미할 수 있다.
사용자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1, 5 또는 300)의 입력 인터페이스(340)를 통해 사용자 맞춤형 모드 하에서 무화 레벨을 조절하는 것으로 설정할 수 있다. 사용자 맞춤형 모드의 설정 시점은 무화 레벨의 설정 전에 미리 수행되는 것으로 가정하여 이하 설명하겠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무화 레벨의 설정 후에도 가능할 수 있다.
701 단계에서, 무화 조절 인터페이스(110)(또는 입력 인터페이스(340))는 사용자가 무화량 레벨 조절을 위한 조작을 수행하는 경우, 사용자로부터 무화량 조절을 위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한다.
702 단계에서, 제어부(360)는 무화 조절 인터페이스(110)(또는 입력 인터페이스(340))를 통해 사용자에 의해 조절된 무화 레벨로 현재 무화 레벨을 설정한다.
703 단계에서, 제어부(360)는 사용자 맞춤형 모드가 설정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만약 사용자 맞춤형 모드가 설정된 경우, 704 단계가 수행된다. 그러나, 사용자 맞춤형 모드가 설정되지 않은 경우, 705 단계로 진입된다. 이때, 사용자 맞춤형 모드가 설정되지 않은 경우에서의 도 7의 무화량 설정 방법은, 도 6에서 설명된 무화량 설정 방법과 동일할 것이다.
704 단계에서, 제어부(360)는 사용자 맞춤형 모드에 따라, 사용자에 의해 현재 설정된 무화 레벨을, 디폴트 무화 레벨로 설정한다. 즉, 에어로졸 생성 장치(1, 5 또는 300)의 디폴트 무화 레벨(영점 조정 레벨)이 사용자에 의해 현재 설정된 무화 레벨로 갱신된다. 예를 들어, 무화 레벨들이 레벨 1부터 레벨 10까지 존재하는 상태에서 사용자가 레벨 5를 원하는 무화 레벨로 선택한 경우, 선택된 레벨 5는 새로운 레벨 1로 갱신된다. 이에 따라, 새로운 레벨 1 (이전 레벨 5에 대응함)부터 새로운 레벨 10까지가 단계적으로 재설정될 수 있다. 새로운 무화 레벨들 각각에 대응하는 히터(320)의 가열 조건들은 제어부(360)에 의한 연산에 의해 결정될 수 있고, 그 결과들은 메모리(370)에 새로운 룩업 테이블로 갱신되어 저장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사용자 맞춤형 모드에 따라 디폴트 무화 레벨이 갱신됨으로써, 에어로졸 생성 장치(1, 5 또는 300)의 해당 사용자는 자신에게 최적화된(맞춤화된) 에어로졸 생성 장치(1, 5 또는 300)의 사용이 가능해 질 수 있다.
705 단계에서, 제어부(360)는 설정된 무화 레벨에 대응하는 가열 조건으로 동작되도록 히터(320)를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제어부(360)는 메모리(370)에 저장된 룩업 테이블을 참조하여, 설정된 무화 레벨에 대응하는 히터(320)의 가열 조건(예를 들어, 배터리(310)로부터 공급될 전력, 코일 히터의 저항 값 등)을 계산할 수 있다. 그리고 나서, 제어부(360)는 설정된 무화 레벨에 대응하는 무화량으로 에어로졸이 생성되도록, 계산된 가열 조건에 기초하여 히터(320)의 가열 동작을 제어한다.
706 단계에서, 에어로졸 생성 장치(1, 5 또는 300)는 에어로졸 생성 물질에 대한 히터(320)의 가열에 따라,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무화 레벨에 대응하는 무화량의 에어로졸을 생성한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라 무화 레벨의 변경에 대응하는 히터의 가열 조건의 변경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을 참고하면, 히터 조립체(800)는 액체 전달 수단(820) 및 액체 전달 수단(820)에 감긴 코일 히터(810)를 포함하는 것으로 구현될 수 있다. 히터 조립체(800)는 앞서 설명된 히터(320)에 해당하고, 코일 히터(810) 및 액체 전달 수단(820)의 재료, 기능 등은 앞서 설명되었다.
코일 히터(810)는 전기 저항성 물질로 제작되어, 배터리(310)로부터 공급된 전력에 의한 전류 흐름에 따라 가열될 수 있다. 배터리(310)로부터 보다 많은 전력량이 공급되는 경우 코일 히터(810)는 보다 많은 열을 발산하게 되고, 반대로 배터리(310)로부터 보다 적은 전력량이 공급되는 경우, 코일 히터(810)는 보다 적은 열을 발산하게 된다. 즉, 배터리(310)로부터 보다 많은 전력량이 공급되는 경우 히터 조립체(800)에 의한 히터 온도는 보다 증가하게 되고, 반대로 배터리(310)로부터 보다 적은 전력량이 공급되는 경우, 히터 조립체(800)에 의한 히터 온도는 보다 감소하게 된다.
무화 조절 인터페이스(110)(또는 입력 인터페이스(340))를 통해 사용자가 무화 레벨을 조절한 경우, 제어부(360)는 조절된 무화 레벨에 대응하는 공급 전력량을 계산하고, 계산된 공급 전력량이 코일 히터(810)에 제공되도록 배터리(310)의 전력 공급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화 레벨이 증가되는 것으로 조절된 경우, 제어부(360)는 공급 전력량을 증가시키고, 이에 따라 에어로졸 생성 장치(1, 5 또는 300)는 보다 많은 무화량의 에어로졸을 생성한다. 반대로, 무화 레벨이 감소되는 것으로 조절된 경우, 제어부(360)는 공급 전력량을 감소시키고, 이에 따라 에어로졸 생성 장치(1, 5 또는 300)는 보다 적은 무화량의 에어로졸을 생성한다.
도 8에서는 히터 조립체(800)(즉, 히터(320))가 하나의 코일 히터(810)만을 포함하고, 하나의 코일 히터(810)에 제공될 공급 전력량을 가변시켜 무화량을 조절하는 것으로 설명하였다. 이와 달리, 다른 예에 따르면, 히터(320)에는 복수의 코일 히터들이 구비되고, 복수의 코일 히터들에 대한 전력 공급 제어를 통해 무화량이 조절될 수도 있다.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른 히터 조립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를 참고하면, 히터 조립체(900)는 액체 전달 수단(920) 및 액체 전달 수단(920)에 감긴 복수의 코일 히터들(911, 912 및 913)을 포함하는 것으로 구현될 수 있다. 히터 조립체(900)는 앞서 설명된 히터(320)에 해당한다. 한편, 설명의 편의상 도 9에서는 히터 조립체(900)가 3개의 코일 히터들(911, 912 및 913)만을 포함하는 것으로 설명하겠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히터 조립체(900)는 다른 개수의 복수의 코일 히터들을 포함하도록 제작될 수도 있다.
제 1 코일 히터(911), 제 2 코일 히터(912) 및 제 3 코일 히터(913) 각각은, 배터리(310) 및 제어부(360)에 독립적으로 연결된다. 즉, 제 1 코일 히터(911)는 제 1 말단(911-1) 및 제 2 말단(911-2)을 통해 배터리(310) 및 제어부(360) 각각에 연결되고, 제 2 코일 히터(912)는 제 1 말단(912-1) 및 제 2 말단(912-2)을 통해 배터리(310) 및 제어부(360) 각각에 연결되고, 제 3 코일 히터(913)는 제 1 말단(913-1) 및 제 2 말단(913-2)을 통해 배터리(310) 및 제어부(360) 각각에 연결된다. 여기서, 하나의 말단 쌍은 양(+)의 단자 및 음(-)의 단자에 해당한다. 따라서, 제어부(360)는 배터리(310)로부터 제 1 코일 히터(911), 제 2 코일 히터(912) 및 제 3 코일 히터(913) 각각에 공급된 전력을 개별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360)는 히터 조립체(900)의 액체 전달 수단(920)에 감긴 제 1 코일 히터(911), 제 2 코일 히터(912) 및 제 3 코일 히터(913) 중에서, 활성화될 코일 히터 개수를 가변시킴으로써, 무화량을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360)는 높은 무화 레벨이 설정된 경우 보다 많은 무화량의 에어로졸을 생성하기 위하여, 보다 많은 개수의 코일 히터들(911, 912, 913)을 활성화할 수 있다. 그러나, 제어부(360)는 낮은 무화 레벨이 설정된 경우 보다 적은 무화량의 에어로졸을 생성하기 위하여, 보다 적은 개수의 코일 히터들(911, 912, 913)을 활성화할 수 있다. 즉, 제어부(360)는 보다 높은 수치의 무화 레벨에서는 보다 많은 개수의 코일 히터가 활성화되고, 보다 낮은 수치의 무화 레벨에서는 보다 적은 개수의 코일 히터가 활성화되도록, 히터(320)를 제어한다. 여기서, 코일 히터의 활성화는 코일 히터에 전력이 공급되는 상태를 의미하고, 비활성화는 코일 히터에 전력 공급이 차단된 상태를 의미할 수 있다. 나아가서, 제어부(360)는 도 8에서 설명된 방식과 같이, 코일 히터들(911, 912, 913) 각각에 공급될 전력을 개별적으로 조절함으로써, 무화량 조절을 할 수 있다.
즉, 도 9에 도시된 히터 조립체(900)를 이용한 무화량 조절은, 도 8의 히터 조립체(800)와 달리, 히터 조립체(900)에 포함된 코일 히터들(911, 912, 913) 각각의 활성화 상태를 추가적으로 제어함으로써 보다 정밀하고 광범위한 무화량 조절이 가능해 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360)는 무화 레벨에 따라 복수의 코일 히터들(911, 912, 913) 중 활성화될 적어도 하나의 코일 히터와 활성화될 적어도 하나의 코일 히터에 공급될 전력량을 결정함으로써, 무화 레벨에 대응하는 무화량의 에어로졸이 생성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제 1 코일 히터(911), 제 2 코일 히터(912) 및 제 3 코일 히터(913) 각각은 동일한 소재 및 동일한 물성을 갖는 것으로 구현될 수 있다. 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고, 제 1 코일 히터(911), 제 2 코일 히터(912) 및 제 3 코일 히터(913) 각각은 동일한 소재 및 서로 다른 물성을 갖는 것으로 구현되거나, 또는 서로 다른 소재 및 서로 다른 물성을 갖는 것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들에서 메모리(370)는 제 1 코일 히터(911), 제 2 코일 히터(912) 및 제 3 코일 히터(913) 각각의 물성에 기초한 각 무화 레벨에 매핑된 저항 값, 전력량 등의 가열 조건들과 관련된 상관관계 데이터를 룩업 테이블로 미리 저장할 수 있고, 제어부(360)는 저장된 룩업 테이블을 이용하여 무화량 조절을 위한 제 1 코일 히터(911), 제 2 코일 히터(912) 및 제 3 코일 히터(913) 각각에 대한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도 10은 일 실시예에 따라 무화 레벨의 설정에 대응하는 무화량 조절을 위하여 히터 조립체의 코일 히터들을 제어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을 참고하면, 케이스(1010)는 무화 레벨이 레벨 1인 것을 나타내고, 케이스(1020)는 무화 레벨이 레벨 3인 것을 나타내고, 케이스(1030)는 무화 레벨이 레벨 7인 것을 나타낸다. 도 10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임의의 무화 레벨들을 정의하였고, 무화 레벨의 수치가 높을수록 보다 많은 무화량의 에어로졸을 생성하는 것으로 가정한다. 또한, 히터 조립체(1000)는 제 1 코일(1011), 제 2 코일(1012) 및 제 3 코일(1013)의 3개의 독립적 코일 히터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가정한다.
케이스(1010)에 따르면, 무화 레벨은 레벨 1에 해당하므로, 히터 조립체(1000)는 낮은 무화량의 에어로졸을 생성하도록 제어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제어부(360)는 3개의 코일들(1011, 1012, 1013) 중 어느 하나의 코일(예를 들어, 제 1 코일(1011))만 활성화되고 나머지 코일들(예를 들어, 제 2 코일(1012) 및 제 3 코일(1013))은 비활성화되는 것으로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배터리(310)로부터의 전력은 오직 제 1 코일(1011)에게만 공급되고, 제 2 코일(1012) 및 제 3 코일(1013)에는 공급되지 않는다. 에어로졸은 결국 액체 전달 수단 상에서 제 1 코일(1011)과 접촉하고 있는 영역들에서만 생성되기 때문에, 낮은 무화량의 에어로졸이 생성될 수 있다.
케이스(1020)에 따르면, 무화 레벨은 레벨 3에 해당하므로, 히터 조립체(1000)는 케이스(1010)보다는 많은 무화량이 생성되도록 제어된다. 따라서, 제어부(360)는 3개의 코일들(1021, 1012, 1013) 중 어느 두 개의 코일들(예를 들어, 제 1 코일(1011) 및 제 2 코일(1012))만 활성화되고 나머지 코일(예를 들어, 제 3 코일(1013))은 비활성화되는 것으로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배터리(310)로부터의 전력은 오직 제 1 코일(1011) 및 제 2 코일(1012)에게만 공급되고, 제 3 코일(1013)에는 공급되지 않기 때문에, 에어로졸은 액체 전달 수단 상에서 제 1 코일(1011) 및 제 2 코일(1012)과 접촉하고 있는 영역들에서만 생성된다. 그러므로, 케이스(1020)에서는 케이스(1010)보다는 많은 무화량이 생성될 수 있다.
케이스(1030)에 따르면, 무화 레벨은 레벨 7에 해당하므로, 히터 조립체(1000)는 케이스(1020)보다도 많은 무화량이 생성되도록 제어된다. 따라서, 제어부(360)는 3개의 코일들(1021, 1012, 1013)을 모두 활성화하는 것으로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배터리(310)로부터 전력이 공급된 제 1 코일(1011), 제 2 코일(1012) 및 제 3 코일(1013)이 가열됨으로써, 케이스(1030)에서는 케이스(1020)보다도 많은 무화량이 생성될 수 있다.
한편, 도 10에서 코일들(1011, 1012, 1013)에 대한 음영 표시는 해당 코일의 활성화 상태를 나타낸다. 도 10에서는 무화 레벨에 따라 활성화된 코일 개수가 가변되는 것만을 설명하였으나,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무화 레벨에 따라 각 코일에 공급된 전력량 또한 가변됨으로써 무화량이 조절될 수 있다.
도 11은 일 실시예에 따라 세부 무화 레벨의 설정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을 참고하면, 무화 레벨의 설정을 위한 노멀(normal) 모드에서 무화 조절 인터페이스(110)(또는 입력 인터페이스(340))는 1레벨 단위(제 1 단위)로 무화 레벨을 조절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360)도 1레벨 단위로 변경되는 무화 레벨에 대응하여 히터(320)의 가열 조건들의 변경을 제어할 수 있다.
하지만, 사용자는 보다 세밀한 단위로 무화 레벨을 변경하고자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사용자는 무화 조절 인터페이스(110)를 통해 세부 조절 모드를 실행할 수 있다. 즉, 노멀 모드는 무화 조절 인터페이스(110)에서 무화 레벨의 설정을 위해 기본적으로 지원되는 모드를 의미하고, 세부 조절 모드는 사용자의 요청이 있을 경우에 비로소 활성화되는 모드일 수 있다. 즉, 무화 조절 인터페이스(110)는 노멀 모드 및 세부 조절 모드를 모두 지원할 수 있다. 하지만, 본 실시예의 무화 조절 인터페이스(110)는 도 11에서의 설명과 달리, 별도의 세부 조절 모드 없이, 무화 레벨의 단계를 세분화하여 제공하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
세부 조절 모드에서, 사용자는 무화 조절 인터페이스(110)를 통해 보다 세밀한 단위(제2 단위)로 무화 레벨을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세부 조절 모드의 활성화 전에는 "무화 레벨 = 3"을 설정할 수 있을 뿐이었으나, 세부 조절 모드의 활성화 후에는 "무화 레벨 = 3.18"과 같이, 보다 정밀한 무화 레벨의 설정이 가능해 질 수 있다. 한편, 도 11에서 설명된 무화 레벨의 수치들은 임의의 수치들일 뿐이다.
세부 조절 모드에 따라 보다 정밀한 무화 레벨이 설정된 경우, 제어부(360)는 대응하는 무화량의 에어로졸을 생성하기 위하여, 히터 조립체(1000)의 코일들(1101, 1102, 1103)에 공급될 전력을 정밀하게 계산하고, 배터리(310)로부터 계산된 전력이 각각의 코일들(1101, 1102, 1103)에 공급될 수 있도록 제어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360)는 제 1 코일(1101)은 100%의 가열 출력을 갖고 제 2 코일(1102)은 300%의 가열 출력을 갖는 것으로 제어할 수 있다.
도 12는 일 실시예에 따라 무화 레벨의 조절에 따라 배터리 잔량에 기초하여 남은 흡연 가능 횟수의 정보를 적응적으로 제공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제어부(360)는 현재 배터리 잔량에 기초하여, 무화 조절 인터페이스(110)를 통해 사용자에 의해 현재 설정된 무화 레벨에 대응하여 남은 흡연 가능 횟수를 적응적으로(adaptively) 계산할 수 있다. 그리고, 디스플레이(120)는 제어부(360)에 의해 계산된 결과에 기초하여, 현재 배터리 잔량을 기준으로 현재 설정된 무화 레벨에 대응하여 남은 흡연 가능 횟수에 대한 정보를 적응적으로 표시할 수 있다.
도 12를 참고하면, 케이스(1211)에서와 같이 무화 레벨이 레벨 1로 설정된 경우, 제어부(360)는 현재 배터리 잔량에 기초하여, 현재 설정된 무화 레벨(즉, 레벨 1)에 대응하는 남은 흡연 가능 횟수(즉, 20회)를 계산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20)는 무화 레벨(레벨 1)에 대응하는 남은 흡연 가능 횟수(20회)에 대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만약, 케이스(1211) 이후에, 케이스(1221)에서와 같이 무화 레벨이 레벨 7로 변경된 경우, 제어부(360)는 현재 배터리 잔량에 기초하여, 현재 변경된 무화 레벨(즉, 레벨 7)에 대응하는 남은 흡연 가능 횟수(즉, 12회)를 적응적으로 계산할 수 있다. 그리고, 디스플레이(120)는 현재 변경된 무화 레벨(레벨 7)에 대응하는 남은 흡연 가능 횟수(12회)에 대한 정보를 적응적으로 변경하여 표시할 수 있다. 한편, 도 12에서 예로 든 수치들은 설명의 편의를 위한 임의의 수치들일 뿐이다.
무화 레벨이 증가하는 것으로 조절된 경우에는 보다 많은 무화량의 에어로졸을 생성하기 위하여 배터리(310)는 히터(320)에 보다 많은 전력을 공급하기 때문에, 제어부(360)는 현재 배터리 잔량을 기준으로 남은 흡연 가능 횟수가 감소하는 것으로 적응적으로 결정할 수 있다. 반대로, 무화 레벨이 감소하는 것으로 조절된 경우에는 보다 적은 무화량의 에어로졸을 생성하기 위하여 배터리(310)는 히터(320)에 보다 적은 전력을 공급하기 때문에, 제어부(360)는 현재 배터리 잔량을 기준으로 남은 흡연 가능 횟수가 증가하는 것으로 적응적으로 결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무화 레벨의 조절에 따라 적응적으로 변경되는 남은 흡연 가능 횟수에 대한 정보는 디스플레이(120)를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도 13은 일 실시예에 따라 무화 레벨의 조절에 따라 액상 잔량에 기초하여 남은 퍼프 가능 횟수의 정보를 적응적으로 제공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제어부(360)는 현재 액상 에어로졸 생성 물질의 잔량에 기초하여, 무화 조절 인터페이스(110)를 통해 사용자에 의해 현재 설정된 무화 레벨에 대응하여 남은 퍼프 가능 횟수를 적응적으로 계산할 수 있다. 그리고, 디스플레이(120)는 제어부(360)에 의해 계산된 결과에 기초하여, 현재 액상 에어로졸 생성 물질의 잔량을 기준으로 현재 설정된 무화 레벨에 대응하여 남은 퍼프 가능 횟수에 대한 정보를 적응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한편, 현재의 액상 에어로졸 생성 물질의 잔량을 측정하는 방법은 다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의 센서(330)가 액상의 잔량을 측정하는 잔량 측정 센서를 포함하는 것으로 구현된 경우, 현재의 액상 에어로졸 생성 물질의 잔량은, 잔량 측정 센서를 이용하여 측정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에어로졸 생성 장치(1, 5, 300)가 카트리지 및 본체로 구성된 분리형 타입인 경우, 카트리지에 포함되어 있는 액상 에어로졸 생성 물질의 초기 양은 미리 정해질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360)는 1회 퍼프가 수행될 때마다 소모되는 액상의 양을 미리 정의해 놓을 수 있다. 이후에 흡연이 진행되는 경우, 제어부(360)는 액상 에어로졸 생성 물질의 초기 양에서, 퍼프 횟수에 따라 소모된 양을 감산함으로써, 현재의 액상 에어로졸 생성 물질의 잔량을 측정할 수 있다.
이 밖에도, 다른 방식들에 의해 액상 에어로졸 생성 물질의 잔량이 측정될 수 있다.
도 13을 참고하면, 케이스(1311)에서와 같이 무화 레벨이 레벨 1로 설정된 경우, 제어부(360)는 현재 액상 에어로졸 생성 물질의 잔량에 기초하여, 현재 설정된 무화 레벨(즉, 레벨 1)에 대응하는 남은 퍼프 가능 횟수(즉, 180회)를 계산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20)는 무화 레벨(레벨 1)에 대응하는 남은 퍼프 가능 횟수(180회)에 대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만약, 케이스(1311) 이후에, 케이스(1321)에서와 같이 무화 레벨이 레벨 7로 변경된 경우, 제어부(360)는 현재 액상 에어로졸 생성 물질의 잔량에 기초하여, 현재 변경된 무화 레벨(즉, 레벨 7)에 대응하는 남은 퍼프 가능 횟수(즉, 85회)를 적응적으로 계산할 수 있다. 그리고, 디스플레이(120)는 현재 변경된 무화 레벨(레벨 7)에 대응하는 남은 퍼프 가능 횟수(85회)에 대한 정보를 적응적으로 변경하여 표시할 수 있다. 한편, 도 13에서 예로 든 수치들은 설명의 편의를 위한 임의의 수치들일 뿐이다.
무화 레벨이 증가하는 것으로 조절된 경우 보다 많은 무화량의 에어로졸을 생성하기 위해서는 보다 많은 양의 액상 에어로졸 생성 물질이 소모되기 때문에, 제어부(360)는 현재 액상 에어로졸 생성 물질의 잔량을 기준으로 남은 퍼프 가능 횟수가 감소하는 것으로 적응적으로 결정할 수 있다. 반대로, 무화 레벨이 감소하는 것으로 조절된 경우 보다 적은 무화량의 에어로졸을 생성하기 위해서는 보다 적은 양의 액상 에어로졸 생성 물질이 소모되기 때문에, 제어부(360)는 현재 액상 에어로졸 생성 물질의 잔량을 기준으로 남은 퍼프 가능 횟수가 증가하는 것으로 적응적으로 결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무화 레벨의 조절에 따라 적응적으로 변경되는 남은 퍼프 가능 횟수에 대한 정보는 디스플레이(120)를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도 12 및 도 13에 따르면, 제어부(360)는 무화 조절 인터페이스(110)를 통해 무화 레벨이 변경된 경우, 배터리(310)의 현재 배터리 잔량 및 액상 에어로졸 생성 물질의 현재 잔량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변경된 무화 레벨에 대응하여 남은 흡연 가능 횟수를 적응적으로 계산한다. 즉, 도 12에서는 현재 배터리 잔량에 기초하여 적응적인 남은 흡연 가능 횟수를 계산하고, 도 13에서는 액상 에어로졸 생성 물질의 현재 잔량에 기초하여 적응적인 남은 흡연 가능 횟수를 계산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
다만, 이에 제한되지 않고, 제어부(360)는 현재 배터리 잔량 및 액상 에어로졸 생성 물질의 현재 잔량을 모두 고려하여 적응적인 남은 흡연 가능 횟수를 종합적으로 계산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360)는 현재 배터리 잔량에 기초하여 계산된 남은 흡연 가능 횟수와 액상 에어로졸 생성 물질의 현재 잔량에 기초하여 계산된 적응적인 남은 흡연 가능 횟수를 비교하여 보다 낮은 값을 결정하고, 이와 같이 결정된 낮은 값이 최종적으로 디스플레이될 남은 흡연 가능 횟수인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즉, 제어부(360)는 도 12 및 도 13 각각에서와 같이 어느 하나의 잔량에 의해서만 적응적으로 남은 흡연 가능 횟수를 계산하는 것이 아닌, 여러 잔량들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적응적으로 남은 흡연 가능 횟수를 계산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120)는 변경된 무화 레벨에 대응하여 적응적으로 계산된 남은 흡연 가능 횟수를 표시한다.
한편, 도 12에서는 남은 흡연 가능 횟수에 대한 정보가 제공되고, 도 13에서는 남은 퍼프 가능 횟수에 대한 정보가 제공될 수 있는 것으로 설명되었다. 여기서, "흡연" 용어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1, 5, 300)를 이용한 소정 횟수 단위의 일련의 퍼프들을 의미하고, "퍼프" 용어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1, 5, 300)를 이용한 1회의 흡입 행위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에어로졸 생성 장치(1, 5, 300)가 1회의 흡연시 약 n회의 퍼프를 지원하는 경우(n은 자연수, 예를 들어 14회), "1회 흡연 = n회 퍼프"로 고려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360)는 남은 흡연 가능 횟수와 남은 퍼프 가능 횟수를 서로 용이하게 치환하여 계산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120)는 남은 흡연 가능 횟수 또는 남은 퍼프 가능 횟수 중 어느 것이라도 적응적으로 표시할 수 있다.
도 1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로졸 생성 장치에서 무화량을 조절하여 에어로졸을 생성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14의 방법은 앞서 설명된 도면들에서의 에어로졸 생성 장치(1, 5 또는 300)에서 시계열적으로 처리되는 단계들로 구성된다. 따라서, 이하에서 생략된 내용이라 하더라도 도 1 내지 13에서 에어로졸 생성 장치(1, 5 또는 300)에 관하여 기술된 내용은 도 14의 방법에도 적용될 수 있다.
1401 단계에서, 무화 조절 인터페이스(110)(즉, 입력 인터페이스(340))는 사용자로부터 에어로졸의 무화량을 조절하기 위한 무화 레벨의 현재 설정을 수신한다.
1402 단계에서, 제어부(360)는 현재 설정된 무화 레벨에 대응하는 가열 조건, 및 이전 무화 레벨이 현재 설정에 의해 변경된 경우 배터리(310)의 현재 배터리 잔량 및 액상 에어로졸 생성 물질의 현재 잔량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변경된 무화 레벨에 대응하는 적응적인 남은 흡연 가능 횟수를 계산한다.
1403 단계에서, 제어부(360)는 계산된 가열 조건에 기초하여 액상 에어로졸 생성 물질이 가열되도록 배터리(310)로부터 히터(320)로 공급되는 전력량을 조절함으로써, 무화량이 조절된 에어로졸의 생성을 제어한다.
1404 단계에서, 디스플레이(120)(즉, 출력 인터페이스(350))는 무화 레벨의 현재 설정에 대한 정보, 및 계산된 적응적인 남은 흡연 가능 횟수를 표시한다.
한편, 상술한 방법은 컴퓨터에서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으로 작성 가능하고,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이용하여 상기 프로그램을 동작시키는 범용 디지털 컴퓨터에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방법에서 사용된 데이터의 구조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여러 수단을 통하여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마그네틱 저장매체(예를 들면, 롬, 램, USB,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등), 광학적 판독 매체(예를 들면, 시디롬, 디브이디 등)와 같은 저장매체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와 관련된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기된 기재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방법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3)

  1. 에어로졸 생성 장치에 있어서,
    사용자로부터 에어로졸의 무화량을 조절하기 위한 무화 레벨의 현재 설정을 수신하는 무화 조절 인터페이스;
    상기 무화량이 조절된 에어로졸을 생성하기 위하여, 상기 무화 조절 인터페이스를 통해 현재 설정된 상기 무화 레벨에 대응하는 가열 조건으로 액상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가열하는 히터;
    상기 히터의 가열을 위한 전력을 공급하는 배터리;
    상기 무화 레벨에 대응하는 상기 가열 조건을 계산하고, 상기 계산된 가열 조건에 기초하여 상기 배터리로부터 상기 히터로 공급되는 전력량을 조절함으로써 상기 무화량이 조절된 에어로졸의 생성을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무화 레벨의 현재 설정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무화 조절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무화 레벨이 변경된 경우, 상기 배터리의 현재 배터리 잔량 및 상기 액상 에어로졸 생성 물질의 현재 잔량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변경된 무화 레벨에 대응하여 남은 흡연 가능 횟수를 적응적으로(adaptively) 계산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는 상기 변경된 무화 레벨에 대응하여 적응적으로 계산된 상기 남은 흡연 가능 횟수를 표시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무화 조절 인터페이스에 의해 설정 가능한 무화 레벨들 각각에 대응하는 가열 조건들에 대한 상관관계 데이터를 룩업 테이블로 저장하는 메모리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가열 조건은
    상기 무화 레벨에 따라 상기 배터리로부터 상기 히터로 공급될 전력량을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히터는
    상기 액상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이송하는 액체 전달 수단 및 상기 액체 전달 수단에 감겨 있는 적어도 하나의 코일 히터를 포함하는 히터 조립체인, 에어로졸 생성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히터가 복수의 코일 히터들을 포함하는 히터 조립체인 경우, 상기 코일 히터들 각각은 상기 배터리 및 상기 제어부 각각에 개별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코일 히터들 각각을 독립적으로 제어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히터가 복수의 코일 히터들을 포함하는 히터 조립체인 경우, 상기 무화 레벨에 따라 상기 복수의 코일 히터들 중 활성화될 적어도 하나의 코일 히터와 상기 활성화될 적어도 하나의 코일 히터에 공급될 전력량을 결정함으로써, 상기 무화 레벨에 대응하는 무화량의 에어로졸이 생성되도록 제어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보다 높은 수치의 무화 레벨에서는 보다 많은 개수의 코일 히터가 활성화되고, 보다 낮은 수치의 무화 레벨에서는 보다 적은 개수의 코일 히터가 활성화되도록, 상기 히터를 제어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무화 조절 인터페이스는
    제 1 단위로 무화 레벨을 변경할 수 있는 노멀 모드, 및 상기 제 1 단위보다 세밀한 제 2 단위로 무화 레벨을 변경할 수 있는 세부 조절 모드를 지원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무화 조절 인터페이스에 의해 설정 가능한 무화 레벨들에 대한 영점 조정을 수행하는 사용자 맞춤형 모드가 설정된 경우, 상기 현재 설정된 무화 레벨을 디폴트 무화 레벨로 갱신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액상 에어로졸 생성 물질의 현재 잔량을 측정하는 잔량 측정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미리 정의된 1회 퍼프가 수행될 때마다 소모되는 액상의 양에 기초하여, 상기 남은 흡연 가능 횟수를 적응적으로 계산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액상 에어로졸 생성 물질의 초기 양에서 퍼프 횟수에 따라 소모된 양을 감산함으로써, 상기 액상 에어로졸 생성 물질의 현재 잔량을 측정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측정된 현재 잔량과 미리 정의된 1회 퍼프가 수행될 때마다 소모되는 액상의 양에 기초하여, 상기 남은 흡연 가능 횟수를 적응적으로 계산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무화 조절 인터페이스는
    터치 스크린, 회전 다이얼 및 조그셔틀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무화 레벨의 현재 설정을 수신하는 입력 인터페이스인, 에어로졸 생성 장치.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는
    터치 스크린, 막대 바, 멀티레벨 LED 및 컬러 변환 LED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현재 설정된 무화 레벨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출력 인터페이스인, 에어로졸 생성 장치.
  13. 사용자로부터 에어로졸의 무화량을 조절하기 위한 무화 레벨의 현재 설정을, 무화 조절 인터페이스를 통해 수신하는 단계;
    현재 설정된 상기 무화 레벨에 대응하는 가열 조건, 및 이전 무화 레벨이 상기 현재 설정에 의해 변경된 경우 배터리의 현재 배터리 잔량 및 액상 에어로졸 생성 물질의 현재 잔량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변경된 무화 레벨에 대응하는 적응적인 남은 흡연 가능 횟수를 계산하는 단계;
    상기 계산된 가열 조건에 기초하여 상기 액상 에어로졸 생성 물질이 가열되도록 상기 배터리로부터 히터로 공급되는 전력량을 조절함으로써, 상기 무화량이 조절된 에어로졸의 생성을 제어하는 단계; 및
    상기 무화 레벨의 현재 설정에 대한 정보, 및 상기 계산된 적응적인 남은 흡연 가능 횟수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KR1020190125688A 2019-10-10 2019-10-10 에어로졸 생성 장치 KR2021004275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5688A KR20210042756A (ko) 2019-10-10 2019-10-10 에어로졸 생성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5688A KR20210042756A (ko) 2019-10-10 2019-10-10 에어로졸 생성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42756A true KR20210042756A (ko) 2021-04-20

Family

ID=757432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25688A KR20210042756A (ko) 2019-10-10 2019-10-10 에어로졸 생성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42756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49099A (ko) 2021-04-30 2022-11-08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맞춤형 흡연 체험을 제공하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 및 이에 적용되는 에어로졸 발생 물품
KR20230001859A (ko) * 2021-06-29 2023-01-05 주식회사 이엠텍 궐련의 제공 정보를 통해 제어되는 미세입자 발생장치
WO2023106804A1 (en) * 2021-12-07 2023-06-15 Kt&G Corporation Aerosol generating device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WO2023169056A1 (zh) * 2022-03-07 2023-09-14 深圳市卓尔悦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气溶胶雾化装置的控制方法和装置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49099A (ko) 2021-04-30 2022-11-08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맞춤형 흡연 체험을 제공하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 및 이에 적용되는 에어로졸 발생 물품
KR20230001859A (ko) * 2021-06-29 2023-01-05 주식회사 이엠텍 궐련의 제공 정보를 통해 제어되는 미세입자 발생장치
WO2023106804A1 (en) * 2021-12-07 2023-06-15 Kt&G Corporation Aerosol generating device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WO2023169056A1 (zh) * 2022-03-07 2023-09-14 深圳市卓尔悦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气溶胶雾化装置的控制方法和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10042756A (ko) 에어로졸 생성 장치
US20230141960A1 (en) Aerosol generating device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US20220039480A1 (en) Aerosol generating device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EP3897249B1 (en) Aerosol generating device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US11974612B2 (en) Aerosol generating device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US20220395028A1 (en) Aerosol generating device
KR102350596B1 (ko) 에어로졸 생성 장치
US11957182B2 (en) Aerosol generating device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KR102374705B1 (ko) 에어로졸 생성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US20230096029A1 (en) Aerosol generating de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KR20200126588A (ko) 에어로졸 생성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KR20200129681A (ko) 에어로졸 생성 장치 및 에어로졸 생성 장치에서 퍼프를 검출하는 방법
US20220279859A1 (en) Aerosol generating device
US20220361583A1 (en) Aerosol generating device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KR102258050B1 (ko) 카트리지 및 이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KR20210012310A (ko) 마우스피스 교체식 에어로졸 생성장치
US20220408831A1 (en) Aerosol generating device
KR20210042744A (ko) 궐련 및 카트리지를 선택적으로 사용 가능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 및 방법
US20230148676A1 (en) Aerosol generating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US11832648B2 (en) Cartridge for aerosol generat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