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42227A - Snoring and sleep apnea prevention systems - Google Patents

Snoring and sleep apnea prevention system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42227A
KR20210042227A KR1020190124932A KR20190124932A KR20210042227A KR 20210042227 A KR20210042227 A KR 20210042227A KR 1020190124932 A KR1020190124932 A KR 1020190124932A KR 20190124932 A KR20190124932 A KR 20190124932A KR 20210042227 A KR20210042227 A KR 202100422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noring
user
sleep apnea
sleep
present disclos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2493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407286B1 (en
Inventor
최기은
Original Assignee
최기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기은 filed Critical 최기은
Priority to KR10201901249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07286B1/en
Publication of KR202100422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42227A/en
Priority to KR1020220043669A priority patent/KR102487668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072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0728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56Devices for preventing snor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8Other medical applications
    • A61B5/4806Sleep evaluation
    • A61B5/4818Sleep apnoe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6/00Devices for influencing the respiratory system of patients by gas treatment, e.g. mouth-to-mouth respiration; Tracheal tubes
    • A61M16/0003Accessories therefor, e.g. sensors, vibrators, negative press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6/00Devices for influencing the respiratory system of patients by gas treatment, e.g. mouth-to-mouth respiration; Tracheal tubes
    • A61M16/0057Pumps therefor
    • A61M16/0066Blowers or centrifugal pum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6/00Devices for influencing the respiratory system of patients by gas treatment, e.g. mouth-to-mouth respiration; Tracheal tubes
    • A61M16/021Devices for influencing the respiratory system of patients by gas treatment, e.g. mouth-to-mouth respiration; Tracheal tubes operated by electrical means
    • A61M16/022Control mean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1/00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1/00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 A61M21/0094Isolation chambers used therewith, i.e. for isolating individuals from external stimuli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1/00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 A61M2021/0005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by the use of a particular sense, or stimulus
    • A61M2021/0022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by the use of a particular sense, or stimulus by the tactile sense, e.g. vib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1/00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 A61M2021/0005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by the use of a particular sense, or stimulus
    • A61M2021/0027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by the use of a particular sense, or stimulus by the hearing sens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mat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Anesthesi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Nursing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Biophysics (AREA)
  • Path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Psychology (AREA)
  • Otolaryngology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The present disclosure relates to a snoring and sleep apnea prevention system to prevent the problems, in advance, of causing complications in various cardiovascular systems of the human body due to difficulties in life caused by fatigue due to snoring and sleep apnea occurring during sleep and hypoxia induced during sleep, and the problem in mental and physical health due to the function destruction of the brain caused by the lack of air supplied to the human body. To this end, the system comprises a semicircle housing and a control management device, and is operated in response to snoring.

Description

코골이 방지 및 수면 무호흡 예방 시스템{SNORING AND SLEEP APNEA PREVENTION SYSTEMS}Snoring prevention and sleep apnea prevention system {SNORING AND SLEEP APNEA PREVENTION SYSTEMS}

본 개시(Disclosure)는, 코골이 방지 및 수면 무호흡 예방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써, 상세하게는 수면 중 코골이로 인하여 발생하는 피로와 수면 무호흡으로 인한 건강 및 정신 이상을 발병하기 전에 예방하기 위한 코골이 방지 및 수면 무호흡 예방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disclosure (Disclosure) relates to a system for preventing snoring and preventing sleep apnea, and in detail, snoring to prevent fatigue caused by snoring during sleep and health and mental disorders due to sleep apnea before onset. It relates to prevention and sleep apnea prevention system.

여기서는, 본 발명에 관한 배경기술이 제공되며, 이들이 반드시 공지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This section provides background information related to the present disclosure which is not necessarily prior art).Here, background technology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and these do not necessarily mean known technology (This section provides background information related to the present disclosure which is not necessarily prior art).

코골이는 수면 중 호흡 기류가 여러 가지 원인으로 좁아진 기도를 지나면서 이완된 연구개(입 천정에서 비교적 연한 뒤쪽 부분)와 구개수(목젖, 구강 연구개의 중앙 아래에 늘어진 모양으로 현옹수라고도 함) 등의 주위 구조물에 진동을 일으켜 발생되는 호흡 잡음이다.Snoring is a soft soft palate (a relatively soft back part from the ceiling of the mouth) and palatal (a drooping shape under the center of the uvula and oral soft palate, which is also called hyeonongsu) while passing through a narrowed airway due to various causes of breathing airflow during sleep. It is a breathing noise generated by vibrations in the surrounding structures.

나아가 수면 무호흡은 수면 중 호흡 정지가 빈번하게 발생하는 것으로, 심한 코골이와 주간 졸음증 등의 수면장애의 원인이 된다.Furthermore, sleep apnea is a frequent occurrence of respiratory arrest during sleep, which causes sleep disorders such as severe snoring and daytime sleepiness.

또한 수면 무호흡으로 인해 수면 중 유발되는 저산소증은 다양한 심폐혈관계와 사람의 머리(뇌)에 합병증을 유발할 수 있다.In addition, hypoxia caused during sleep due to sleep apnea can cause complications in various cardiopulmonary systems and human head (brain).

현재 코골이 및 수면 무호흡의 발생 과정에 대한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고, 여러 연구 결과들이 보고되고 있다. Currently, there are many studies on the development of snoring and sleep apnea, and several studies have been reported.

코골이와 수면 무호흡 환자의 대부분이 비강에서 시작되어 인후두까지 이어지는 구조인 상기도의 공간이 좁아지는 해부학적 이상 증상을 가지고 있다.Most of the patients with snoring and sleep apnea have anatomical abnormalities in which the space of the upper airway narrows, a structure that begins in the nasal cavity and extends to the throat.

또한, 비만으로 인하여 목 부위에 지방이 축적되거나 혀, 편도 등의 조직이 비대해진 경우에도 목 안의 공간이 줄어들고 상기도가 좁아져 코골이 및 수면 무호흡이 나타날 수 있다.In addition, even if fat accumulates in the neck area due to obesity or tissues such as tongue and tonsils become enlarged, the space in the neck is reduced and the upper airway narrows, leading to snoring and sleep apnea.

또한 턱이 비정상적으로 작거나 목이 짧고 굵은 사람에게서 이러한 증상이 나타나는 경우도 많다. 두 번째 인두 주변 의 기능에 문제가 생겨 인두의 기도 확장근의 힘에 의한 흉곽 내 음압을 이겨내지 못할 때에도 코골이와 수면 무호흡이 발생한다.In addition, these symptoms often appear in people with an abnormally small chin or a short and thick neck. Snoring and sleep apnea occur even when there is a problem with the function around the second pharynx and cannot overcome the negative pressure in the rib cage caused by the force of the dilator muscles of the pharynx.

환경 변화 등으로 인해 코골이 증상을 갖고 있는 인구가 증가하고 있고, 상기와 같은 의학적 원인을 기초로 코골이 증상을 해소하기 위해 의학적 조치가 기본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나, 코골이 증상은 기본적으로 사람이 잠을 잘 때 자신의 몸에 맞지 않는 자세를 취하고 있어서 발생하는 것이므로, 코골이 증상을 가지는 사람들에게 보다 편안한 잠을 제공할 수 있는 기술 개발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The population with snoring symptoms is increasing due to environmental changes, and medical measures are basically taken to relieve snoring symptoms based on the above medical causes. It is caused by taking a posture that does not fit your body when sleeping, so there is a demand for technology development that can provide more comfortable sleep to people with snoring symptoms.

그 중에서 사람들이 잠을 잘 때 필수적으로 사용하는 것이 베개이다. 베개는 사람들이 잠을 잘 때 머리에 베는것으로 특히, 코골이 증상을 갖는 사람들에게는 각 개인의 신체 구조에 맞는 베개 구조가 필요하다.Among them, pillows are essential for people to use when they sleep. Pillows are put on their heads when people sleep, and especially, those with snoring symptoms need a pillow structure that fits each individual's body structure.

그래서 사람들에게 편안한 수면을 제공하기 위한 장치 또는 코골이를 감소시키기 위한 장치의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는데, 특히 베개의 경우에는 종래기술 한국공개특허 제2015-0046544호의 '머리받침부의 높이 조절이 가능한 코골이 방지 베개'가 개시되어 있다.Therefore, a device for providing comfortable sleep to people or a device for reducing snoring is being developed.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pillows, snoring capable of adjusting the height of the headrest in Korean Patent Application Publication No. 2015-0046544 Prevention pillow' is disclosed.

이 종래기술의 경우에는 머리받침부의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하여 사용자의 코골이를 방지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하고 있다. In the case of the prior art, the height of the headrest is adjustable to prevent snoring of the user.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은 단순히 사용자가 베는 베개의 높낮이 조절만으로 코골이를 방지하고자 하는데, 사용자에게 베개 높낮이 조절 편의성 제공만으로는 사용자의 코골이를 방지하기에는 한계가 있다고 할 것이다. However, the prior art attempts to prevent snoring only by simply adjusting the height of the pillow that the user puts on, but it will be said that there is a limit to preventing snoring of the user only by providing the convenience of adjusting the height of the pillow to the user.

즉, 베개 사용자가 수면을 하는데 있어서 편안함을 느끼고 이로 인해 숙면을 취하면서 코골이를 하지 않기 위해서는, 베개를 베는 사용자의 전반적인 자세 및 호흡의 흐름에 대한 고려가 필요한데 상기 종래 기술은 단순히 베개 높낮이의 조절만으로 코골이 문제를 해결한다는 것은 상당히 부족한 기술이라 할 것이다.In other words, in order for the pillow user to feel comfortable in sleeping and to avoid snoring while taking a good night's sleep due to this, it is necessary to consider the overall posture and the flow of breathing of the user who cuts the pillow, but the prior art simply controls the height of the pillow. Solving the snoring problem with just one thing is quite a lack of skill.

따라서, 복잡한 구조가 아니면서도 사용자에게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고, 수면을 취하는 사용자에게 코골이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기술개발이 요구되고 있다고 할 것이다.Therefore, it will be said that there is a need to develop a technology to provide convenience to the user without having a complicated structure and to prevent snoring from occurring in the sleeping user.

선행기술문헌Prior art literature

특허문헌 : Patent Literature:

(특허문헌 0001) 등록특허공보 제10-1286092호(20130709 공고) (Patent Document 0001) Registered Patent Publication No. 10-1286092 (announcement 20130709)

(특허문헌 0002) 등록특허공보 제10-1542349호(20150731 공고) (Patent Document 0002) Registered Patent Publication No. 10-1542349 (Announcement of 20150731)

(특허문헌 0003) 등록특허공보 제10-1997238호(20190701 공고) (Patent Document 0003) Registered Patent Publication No. 10-1997238 (20190701 announcement)

(특허문헌 0004)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82254호(20161228 공고) (Patent Document 0004) Registration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20-0482254 (20161228 announcement)

공개문헌 : Public literature:

(공개문헌 0001) 공개특허공보 10-2017-0100797 (20170905 공개) (Publication Document 0001) Patent Publication 10-2017-0100797 (Published 20170905)

(공개문헌 0002) 공개특허공보 10-2018-0071218 (20180627 공개) (Publication Document 0002) Patent Publication 10-2018-0071218 (published in 20180627)

(공개문헌 0003) 공개특허공보 10-2018-0133981 (20181218 공개) (Publication Document 0003) Patent Publication 10-2018-0133981 (published 20181218)

(공개문헌 0004) 공개특허공보 10-2019-0071511 (20190624 공개) (Publication Document 0004) Patent Publication 10-2019-0071511 (Published 20190624)

본 개시는, 사람 성인의 절반 이상이 수면 중에 발생하는 코골이와 수면 무호흡으로 인하여 깊은 수면을 취하지 못해 발생하는 피로의 누적으로 인하여 편두통 또는 신경질적인 스트레스에 시달려 정상적인 생활을 하는데 있어 애로 사항이 발생하고, 코골이 중에 발생하는 수면 무호흡으로 인하여 심폐혈관계에 이상이 발생하며, 이에 따른 합병증이 유발할 뿐만아니라, 사람의 뇌에 전달되는 산소량의 부족으로 인하여 발생하는 뇌를 구성하는 대뇌피질의 손상에 의한 건강상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시스템과 설비를 제공하고자 한다.In the present disclosure, more than half of human adults suffer from migraine or nervous stress due to the accumulation of fatigue caused by inability to sleep due to snoring and sleep apnea that occur during sleep. , Sleep apnea that occurs during snoring causes abnormalities in the cardiopulmonary system, and complications are caused, as well as health due to damage to the cerebral cortex that constitutes the brain caused by a lack of oxygen delivered to the human brain. It is intended to provide a system and equipment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oblem.

여기서는, 본 발명의 전체적인 요약(Summary)이 제공되며, 이것이 본 발명의 외연을 제한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된다(This section provides a general summary of the disclosure and is not a comprehensive disclosure of its full scope or all of its features).Here, a summary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and this section provides a general summary of the disclosure and is not a comprehensive disclosure of its full scope or all of its features).

상기한 과제의 해결을 위해, 본 개시는, 코골이가 발생하거나 이루어지면 본 개시 시스템에서 인지하고, 임의적으로 코골이를 일시 중단시켜 가수면(설잠) 상태에서 정상적인 호흡을 할 수 있도록 유도하거나 수면 또는 무의식(가사) 상태 중에 코골이를 반복적으로 제지 및/또는 방해하여 가수면(설잠) 상태를 이루어 코골이 습관을 차단하거나 방지하며, 코골이와 동반되는 수면 무호흡은 가수면(설잠) 상태에서 정상적인 호흡을 할 수 있으므로 수면 무호흡이 일어나는 무의식(가사) 상태를 가수면(설잠) 상태로 바꾸거나 유도하여 정상적인 호흡이 이루어져 산소가 부족한 뇌에 충분한 산소가 공급되게 하므로써, 저산소로 인하여 발병되는 대뇌피질의 손상을 방지하여, 대뇌피질의 손상에 의한 건강상의 문제점들을 예방하기 위한 시스템을 갖는 것을 제1 발명으로 제공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disclosure is recognized by the present disclosure system when snoring occurs or is achieved, and temporarily suspends snoring to induce normal breathing in a sleep (sleep) state or sleep Or, during the unconscious (lyric) state, by repeatedly restraining and/or interfering with snoring to form a snoring (solitary sleep) state to block or prevent the snoring habit, and sleep apnea accompanying snoring is performed in a solitary sleep (solitary) state. Because normal breathing is possible, the cerebral cortex caused by hypoxia is caused by hypoxia by changing or inducing the unconscious (lyric) state in which sleep apnea occurs to a sleep apnea state, and by inducing normal breathing and supplying sufficient oxygen to the oxygen-poor brain. The first invention provides a system for preventing damage to the cerebral cortex and preventing health problems caused by damage to the cerebral cortex.

또한, 본 개시는 상기 제1 발명에 따른 코골이 방지 및 수면 무호흡 예방을 위한 설비 및 시스템을 구현하는 것을 제2 발명으로 제공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disclosure provides as a second invention to implement a facility and system for preventing snoring and preventing sleep apnea according to the first invention.

본 개시는, 상기 제2 발명에 따른 설비 시스템에서 코골이 환자의 상태에 따라 단계적으로 진행되는 상태를 인지하고, 반복 수행되는 프로그램을 실행할 수 있는 인공지능(AI) 시스템을 갖추는 것을 제3 발명으로 제공한다.The present disclosure is to provide an artificial intelligence (AI) system capable of executing a program that is repeatedly performed by recognizing a state in which snoring progresses in stages according to the condition of the patient in the facility system according to the second invention as a third invention. to provide.

본 개시에 따르면, 코골이 방지 및 수면 무호흡 예방 시스템(100)은 사람 성인의 절반 이상이 수면 중에 이루어지는 코골이로 인하여 깊은 수면을 취하지 못하므로해서 발생하는 피로의 누적으로 주간에 정상적인 생활을 하는데 있어, 투통과 스트레스와 같은 애로 사항이 발생하고, 코골이 중에 동반되는 수면 무호흡으로 인하여 심폐혈관계에 이상이 발생하거나 이에 따른 합병증이 유발되며, 사람의 뇌에 전달되는 산소의 부족으로 인하여 뇌를 구성하는 대뇌피질의 손상 등과 같은 육체적, 정신적 건강상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코골이와 수면 무호흡이 발생하는 잠자리에서 숙면을 위하여 이루어지는 수면 또는 무의식(가사) 상태 동안 이루어지는 코골이를 본 개시 설비 시스템을 통하여 무의식(가사) 상태 중에 습관적으로 이루어지는 코골이를 임의적, 강제적으로 반복 억제하거나 차단하여 습관적으로 행하던 코골이를 중지하거나 예방하여 치료하고, 코골이와 동시에 동반되는 수면 무호흡은 가수면(설잠) 상태에서는 정상적인 호흡이 이루어지므로, 수면 또는 무의식(가사) 상태 중에 코골이를 임의적 강제적 차단하여 가수면(설잠) 상태로 전환시켜 정상적인 호흡을 할 수 있게 도와주어 수면 무호흡으로 인한 산소 부족량을 정상화 시킬 수 있어, 대뇌피질의 손상을 방지하거나 예방할 수 있으므로 뇌경색이나 치매 등과 같은 노인성 기억상실 기능과 기억장애와 같은 질병이 발병되기 전에 시간을 늦추거나 연장할 수 있으며, 또한, 발병하기 전에 예방할 수도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disclosure, the snoring prevention and sleep apnea prevention system 100 is an accumulation of fatigue that occurs because more than half of adults are unable to take deep sleep due to snoring during sleep. , Difficulties such as pain and stress occur, and abnormalities in the cardiopulmonary system or complications are caused due to sleep apnea accompanying snoring. In order to solve physical and mental health problems such as damage to the cerebral cortex, snoring performed during sleep or unconscious (lyric) state in a bed where snoring and sleep apnea occur in a sleep or unconscious (lyric) state is unconscious through the system of the present disclosure. (Lyrics) The habitual snoring during the (lyric) state is arbitrarily and forcibly repeatedly suppressed or blocked to stop or prevent the habitual snoring. Because breathing takes place, it helps normal breathing by arbitrarily forcibly blocking snoring during sleep or unconscious (lyric) state and converting to a sleep (sleeping) state, thereby normalizing oxygen deficit due to sleep apnea, cerebral Since damage to the cortex can be prevented or prevented, senile amnesia functions such as cerebral infarction or dementia and diseases such as memory disorders can be delayed or prolonged before onset, and can also be prevented before onset.

도 1은, 종래 공개된 '머리받침부의 높이 조절이 가능한 코골이 방지 베개'를 표현한 도면 임.
도 2는, 본 개시에 따른 코골이 방지 및 수면 무호흡 예방 시스템(100)의 정면을 보여주는 도면이면서 대표도 임.
도 3은, 도 2의 본 개시에 따른 코골이 방지 및 수면 무호흡 예방 시스템(100)의 측면을 보여주는 도면 임.
도 4는, 본 개시에 따른 일반적인 코골이의 패턴 설명을 위한 도면 임.
도 5에서 도 8은, 본 개시에 따른 상황에 따라 코골이 방지 및 수면 무호흡 예방 시스템(100)의 작동 패턴을 보여주는 도면 임.
1 is a view showing a conventionally disclosed'snoring prevention pillow capable of adjusting the height of the headrest'.
Figure 2 is a view showing the front of the snoring prevention and sleep apnea prevention system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disclosure and is a representative view.
3 is a view showing a side view of the snoring prevention and sleep apnea prevention system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disclosure of FIG.
4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general snoring pattern according to the present disclosure.
5 to 8 is a view showing an operation pattern of the snoring prevention and sleep apnea prevention system 100 according to the situ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disclosure.

이하, 본 개시에 따른 코골이 방지 및 수면 무호흡 예방 시스템(100)을 구현하기 위한 다양한 실시형태를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Hereinafter, various embodiments for implementing the snoring prevention and sleep apnea prevention system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disclosur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다만, 본 개시의 사상은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 형태에 의해 그 실시 가능 형태가 제한된다고 할 수는 없고, 본 개시의 사상을 이해하는 통상의 기술자는 본 개시와 동일한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양한 실시 형태를 치환 또는 변경의 방법으로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포함됨을 밝힌다.However, the spirit of the present disclosure cannot be said to be limited to the possible embodiments by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and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who understand the spirit of the present disclosure will be included within the scope of the same technical idea as the present disclosure. Although it will be possible to easily propose an embodiment as a method of substitution or change, it is revealed that this is also included in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이하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선택한 것이므로, 본 개시의 기술적 내용을 파악함에 있어서 사전적 의미에 제한되지 않고,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로 적절히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In addition, the terms used below are not limited to the dictionary meaning in grasping the technical cont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since the terms used herein are selected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and should be properly interpreted as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disclosure.

도 2는, 본 개시에 따른 코골이 방지 및 수면 무호흡 예방 시스템(100)의 정면도를 표현한다.2 shows a front view of a snoring prevention and sleep apnea prevention system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disclosure.

도 3은, 본 개시 코골이 방지 및 수면 무호흡 예방 시스템의 정면도인 도 2를 측면에서 바라보는 관점에서 표현한다.FIG. 3 is a front view of the system for preventing snoring and preventing sleep apnea according to the present disclosure, showing FIG. 2 from a side view.

도 2와 도 3은, 본 개시에 따른 코골이 방지 및 수면 무호흡 예방 시스템(100)의 전체적인 모습을 보여주는 것으로, 시스템을 구성하는 설비에 대하여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표현하기 위해서 개시하고 있다.2 and 3 illustrate the overall appearance of the snoring prevention and sleep apnea prevention system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disclosure, and are disclosed in order to easily understand equipment constituting the system.

도 2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코골이 방지 및 수면 무호흡 예방 시스템(100)은, 상부는 4분지 1의 원형 또는 그 내외로 원형을 이루어 투명 또는 반투명의 하우징(110)을 이루며, 하부는 베개를 올려 놓을 수 있는 상판과 상판을 받쳐주는 하판이 이중의 판재로 이루어지는 베개 받침부(120)이다.2 to 3, the snoring prevention and sleep apnea prevention system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comprises a transparent or semi-transparent housing 110 by forming a circle of a quarter 1 or a circle inside and outside the upper part. The lower part is a pillow support part 120 made of a double plate with an upper plate on which a pillow can be placed and a lower plate supporting the upper plate.

상기 하우징(110)은, 인체의 두분인 얼굴을 포함한 머리를 덮기 위하여 4분지 1 또는 내외의 원형으로 유리 및 플라스틱 재질 또는 비철 금속으로도 이루어질 수 있으며, 옆의 동침자에게 코골이로 인한 소음 및 시스템에서 생성되는 소리(음파)로 인하여 불편함을 주지 않기 위하여 4분지 1의 형태를 이중으로 커버(COVER)로 만들어 반원형의 형태로 변형될 수 있도록 설계할 수 있다.The housing 110 may be made of glass and plastic material or non-ferrous metal in a circle of one quarter or an inside and outside to cover the head, including the face, which is the two of the human body. In order not to cause discomfort due to the sound (sound wave) generated by the system, the shape of the quarter 1 can be designed to be transformed into a semicircular shape by making a double cover.

또한, 반원형의 형태로 변형되면, 사용(이용)자의 두부를 더 잘 감싸거나 하우징(110) 밖으로 송출되는 소리(음파)나 소음을 줄이기 위하여 이중 커버(COVER)로 덮을 수 있도록 구성할 때는, 목과 맞닫는 부위에 불편함을 주지않기 위하여 공간을 줄 수 있는 반원형의 홈(틈, 도면에 도시하지 않음)을 구성하게 된다.In addition, when it is transformed into a semicircular shape, when configured to better wrap the head of the user (user) or cover it with a double cover (COVER) to reduce sound (sound waves) or noise transmitted out of the housing 110, the neck and A semicircular groove (gap, not shown in the drawing) that can give space is constructed so as not to cause discomfort in the mating part.

그리고, 상기 하우징(110)의 내부에서 인체의 두부로부터 양측 벽면 상단 또는 옆면에는 스피커와 마이크가 있으며, 하단 양면에는 일측에는 시스템을 관리하는 관리기(130)를 일측에는 하부 이중 베개 받침부에 진동(떨림)과 같은 흔들림을 유발할 수 있는 장비인 진동 모터(MOTOR, 124)가 위치하거나 부착고정되어 구비될 수 있지만, 앞의 위치와 반대로 바꾸어 구비될 수도 있고, 하우징(110) 내부가 아닌 하우징(110) 밖이나 유무선 연결선을 이용하여 유격을 두고 별도의 위치에 위치 시킬 수도 있지만 진동 모터(MOTOR, 124)의 경우에는 하부 베개 받침부(120)를 구성하는 베개 받침판과 시스템 밑판(122) 사이에 위치시킬 수도 있다.And, in the interior of the housing 110, there are speakers and a microphone on the upper or side of the walls on both sides from the head of the human body, on both sides of the lower side, a manager 130 for managing the system is provided on one side, and a vibration ( A vibration motor (MOTOR, 124), which is an equipment that can cause vibration, such as vibration), may be located or attached and fixed, but may be provided by changing the position opposite to the previous position, and the housing 110 not inside the housing 110 ) It can be located in a separate location with a clearance using the outside or wired/wireless connection line, but in the case of a vibration motor (MOTOR, 124), it is located between the pillow support plate constituting the lower pillow support part 120 and the system base plate 122 You can also make it.

여기에서, 마이크(111)와 스피커(112)의 역할과 용도는, 코골이 방지 및 수면 무호흡 예방 시스템(100)에서 사용(이용)자가 수면을 취하면서 코골이가 이루어지면 마이크(111)는 코골이의 음파(소음) 및 소리를 접음하여 시스템의 조절과 통제 및 프로그램을 실행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갖는 인공지능(AI) 시스템으로 이루어진 관리기(130)에 전달하여 시스템의 조절과 통제를 담당한 관리기(130) 내부에 내장된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마이크(111)를 통하여 접음된 음파(소음) 및 소리에 대응하는 사람의 자연적인 음성을 녹음하여 실행하거나 기계적 음성 및 또는 비음을 유무선을 이용하여 스피커로 코골이가 이루어지는 사용(이용)자의 귀에 듣을 수 있는 음성이나 소리를 보내어 사용(이용)자에게 "코골지마" "이제 그만" 기타 등등의 음성이나 비음을 이용하여 전달하여 코골이를 무의식 중에 제지하거나 임의로 방해를 하여 코골이를 단절하는 방법으로 이루어진다.Here, the roles and uses of the microphone 111 and the speaker 112 are, in the snoring prevention and sleep apnea prevention system 100, when the snoring is made while the user (user) is sleeping, the microphone 111 is snoring. The manager in charge of controlling and controlling the system by transferring the sound waves (noise) and the sound to the manager 130 consisting of an artificial intelligence (AI) system that has a program that can control and control the system and execute the program ( 130) Execute the program built inside and record and execute the sound waves (noise) folded through the microphone 111 and the natural voice of a person corresponding to the sound, or snoring with a speaker using a wired or wireless mechanical voice and/or nasal sound. Stop snoring unconsciously by sending audible voice or sound to the ear of the user (user) where lice are made, and conveying to the user (user) by using voices or nasal sounds such as "Don't snor", "Stop now", etc. It consists of a method of interrupting snoring by either randomly interfering with it.

또한, 상기 시스템의 조절과 통제 및 프로그램을 실행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갖는 인공지능(AI) 시스템으로 이루어진 관리기(130)의 다른 기능은, 마이크(111)에 의해 접음하여 인지한 음파(소음)나 소리를 사용(이용)자의 코골이에 대응하여 스피커(112)로 반복적으로 전달하였으나 코골이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진다고 인지되면 유무선을 통하여 하부 베개 받침부(120) 시스템의 베개 받침판(121)을 좌우앞뒤로 움직이거나 진동으로 사용(이용)자의 두부나 어깨를 흔들거나 두둘기는 기능을 수행하는 진동 모터(MOTOR, 124)에 신호로 동작이 이루어 질 수 있도록하며, 보낸 신호는 진동 모터(MOTOR, 124)를 동작하여 코골이를 스피커(112)와 같이 반복 또는 단계적으로 강도(크기)를 조절하여 코골이를 무의식 중에 제지하거나 임으로 방해하여 코골이를 단절시키며, 사용(이용)자나 동침자 및/또는 시스템 관리자가 임의로 정한 최고점까지 실행하여도 코골이가 중지하지 않을 때는 사전에 프로그램으로 입력하여 마지막에 실행할 수 있도록 음성(소리)이나 표시글을 이용하여 병원치료가 필요함을 알려 기계적 치료를 중단하고 병원을 통한 치료가 이루어지도록 조치하는 프로그램이 실행되도록 한다.In addition, another function of the manager 130 made of an artificial intelligence (AI) system having a program capable of controlling and controlling the system and executing a program is a sound wave (noise) or sound perceived by folding by the microphone 111 In response to the snoring of the user (user), it is repeatedly transmitted to the speaker 112, but if it is recognized that snoring is continuously made, the pillow support plate 121 of the lower pillow support unit 120 system is moved left and right back and forth through wired or wireless. The vibration motor (MOTOR, 124), which performs the function of shaking or knocking the head or shoulder of the user (user) by vibration, can be operated as a signal, and the sent signal operates the vibration motor (MOTOR, 124). Thus, snoring is stopped unconsciously by adjusting the intensity (size) in a repetitive or stepwise manner like the speaker 112 to stop snoring by unconsciously or interfering with it, and the user (user), co-sleeper, and/or system administrator If the snoring does not stop even after executing to the randomly determined peak, stop the mechanical treatment by notifying the need for hospital treatment by using voice (sound) or indicator so that the snoring can not be stopped, input it as a program in advance and execute it at the end. Make sure that the program that takes measures to make it happen is executed.

이에 따른 내용은 구체적인 설명에서 나열하고자 한다.The contents according to this will be list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도 2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코골이 방지 및 수면 무호흡 예방 시스템(100)의 상기 베개 받침부(120)는,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인체의 두부를 올려 놓을 수 있는 상판과 상판을 받쳐주는 하판이 겹쳐서 이중의 판재로 구현된다.2 to 3, the pillow support part 120 of the snoring prevention and sleep apnea prevention system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top plate on which the head of the human body can be placed, as described above. The lower plate that supports the upper plate overlaps and is realized as a double plate.

그러므로, 사용(이용)자의 두부인 얼굴을 포함한 머리 및 베개를 올려 놓아도 그 중량에 형태가 변하거나 변형이 없는 재질로 이루어지며, 베개 받침판(121)인 상판과 베개 받침판(121)인 상판을 받쳐주는 동시에 상판의 움직임이나 떨림이 이루어질 수 있는 레일과 같은 설비가 구성되고, 상판인 베개 받침판(121)의 중량을 받쳐주는 시스템 밑판(122)이 별도로 움직이거나 고정일 수 있는 하판의 구조가 이중으로 겹쳐져서 하부로 이루어 진다.Therefore, even if the head and pillow including the head of the user (user) are placed on it, the shape is made of a material that does not change or deform in its weight, and supports the upper plate, which is the pillow support plate 121, and the upper plate, which is the pillow support plate 121. At the same time, facilities such as rails that can move or shake the upper plate are configured, and the system base plate 122 that supports the weight of the pillow support plate 121, which is the upper plate, can be moved or fixed separately. It overlaps and consists of the lower part.

또한, 도 2 내지 도 3을 보면 코골이 방지 및 수면 무호흡 예방 시스템(100)의 내부, 상기 베개 받침부(120) 양측 위에는 본 개시 시스템을 관리하는 관리기(130)가 일측에 있고, 반대쪽 일측에는 진동 모터(MOTOR, 124)가 도시되어 있다.In addition, referring to Figures 2 to 3, the inside of the snoring prevention and sleep apnea prevention system 100, on both sides of the pillow support unit 120, there is a manager 130 for managing the present disclosure system on one side, and on the other side A vibration motor (MOTOR) 124 is shown.

그렇지만, 상기 시스템을 관리하는 관리기(130)와 진동 모터(MOTOR, 124)가 꼭 시스템 내부에 위치하지 않아도 본 개시는 이루어 질 수 있으며, 예를 들면 관리기(130)는, 코골이 방지 및 수면 무호흡 예방 시스템(100)의 외부에 진동 모터(MOTOR, 124)는, 시스템 하부 상판과 하판 사이 및/또는 관리기(130)는, 시스템과 연결선 또는 무선으로 연장되어 별도의 공간에 있고, 진동 모터(MOTOR, 124)는 하판 상에 있거나 상판 배면에 위치하여 일체로 이루어지는 형식 등과 같이 많은 변형 예로 이루어지므로 일반 발명가 또는 개발자는, 굳이 도면에 구애받지 않고 해석하여야 할 것이다.However, the present disclosure may be made even if the manager 130 and the vibration motor 124 managing the system are not necessarily located inside the system, for example, the manager 130 prevents snoring and sleep apnea. A vibration motor (MOTOR, 124) outside the prevention system 100 is located in a separate space between the upper and lower plates of the system and/or the manager 130 is extended by a connection line or wirelessly to the system, and is in a separate space. , 124) is made of a number of variations, such as a form that is integrally formed on the lower plate or located on the rear of the upper plate, so that a general inventor or developer will have to interpret it without being bound by the drawings.

상기에서 기술되는 바와 같이, 본 개시 코골이 방지 및 수면 무호흡 예방 시스템(100)은, 시스템을 구성하기 위하여 투명 또는 반투명의 하우징(110)이 4분지 1 또는 4분지 1의 하우징(110) 위에 추가 덮개를 구현하여 이중구조로 구성되어 펼져지면서 반원형으로 변하는 상부를 구성하고, 이중으로 이루어진 판 위에 베개를 올려 놓을 수 있도록 구성되며, 상부 하우징(110) 내부 사용(이용)자의 인체에서 두부 양면 상단 또는 측면에 마이크와 스피커가 부착 구비되고, 하부 이중으로 이루어진 베개 받침부(120)의 상판은, 하판인 시스템 밑판(122) 위에 구비된 베개 받침판 레일(123)을 타고 좌우 또는 앞뒤로 움직일 수 있으며, 베개 받침판(121)인 상판을 하판의 시스템 밑판(122) 위에 구비된 베개 받침판 레일(123) 위에서 움직일 수 있도록 가동되는 진동 모터(MOTOR, 124)가 베개 받침판(121) 위 또는 배면 외에 하판 위이거나 일체로도 구성될 수 있도록 위치하고, 본 개시 시스템에 구비된 설비를 관리하고 조정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내포한 관리기(130) 또한 시스템 내부 및 외부 또는 별도의 장소에 위치할 수 있도록 구비된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disclosure anti-snoring and sleep apnea prevention system 100, a transparent or translucent housing 110 is added on the quarter 1 or quarter 1 housing 110 to constitute the system. By implementing a cover, it is composed of a double structure to form an upper part that changes into a semicircular shape as it expands, and is configured so that a pillow can be placed on the double plate, and the top of both sides of the head in the human body of the upper housing 110 internal use (user) Alternatively, a microphone and a speaker are attached to the side, and the upper plate of the pillow support part 120 made of a lower double can move left and right or back and forth on the pillow support plate rail 123 provided on the system base plate 122, which is a lower plate, A vibration motor (MOTOR, 124) movable to move the upper plate, which is the pillow support plate 121, on the pillow support plate rail 123 provided on the system bottom plate 122 of the lower plate is above the pillow support plate 121 or on the lower plate in addition to the rear surface. The manager 130, which is located so as to be integrally configured, and includes a program capable of managing and adjusting facilities provided in the present disclosure system, is also provided to be located inside and outside the system or in a separate place.

여기에서, 시스템의 설비를 관리하고 조정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내포한 관리기(130)는, 상기에서 기술한 바와 같이 시스템의 하우징(110) 내부 또는 외부에 구비되어 내부에 구비된 마이크(111)나 스피커(112) 또는 진동 모터(MOTOR, 124)와 연결선(도면에 도시하지 않음) 및/또는 무선(도면에 도시하지 않음)으로 연결된다.Here, the manager 130 including a program capable of managing and adjusting the equipment of the system is provided inside or outside the housing 110 of the system as described above, and the microphone 111 or speaker provided therein (112) or a vibration motor (MOTOR, 124) and a connection line (not shown in the figure) and / or wireless (not shown in the figure) is connected.

여기서, 시스템의 설비를 관리하고 조정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내포한 관리기(130)는 또한, 마이크(111)로 접음한 코골이 음파(소음) 및 소리를 내부에 구비되는 프로그램을 통하여 코골이 음파(소음) 및 소리의 강도(크기)나 세기(높낮이)로 반복 접수에 의한 대응 프로그램이 가동되어 인간의 음성 및/또는 기계음(일반적으로 통용되는 전달 음 또는 기타 음파를 이용하거나 비음 그외 골전도와 같은 기계적 작동에 의해 생성되는 음)과 같은 소리(음파)를 스피커(112)를 통하여 하우징(110) 내부에 누워있는 인체의 두부에 있는 귀나 골전도를 통하여 음파를 발성 전달하거나 유무선(도면에 도시하지 않음)으로 이루어진 전달장치를 통하여 사용(이용)자가 듣거나 느낄 수 있도록 전파(전달)하거나 하부 베개 받침부(120)에 있는 진동 모터(MOTOR, 124)에 신호를 보내어 배개 받침판(121)을 움직여 누워있는 사용(이용)자의 두부나 어깨를 흔들거나 진동을 전달할 수 있게 한다.Here, the manager 130, which includes a program that can manage and adjust the facilities of the system, also includes a snoring sound wave (noise) folded with a microphone 111 and a snoring sound wave (noise) through a program provided therein. ) And sound intensity (volume) or intensity (high and low), and the response program is activated by repetitive reception of human voice and/or mechanical sound (using commonly used transmitted sound or other sound waves, nasal sound, or other mechanical operations such as bone conduction) Sounds (sound waves) such as sound generated by the speaker 112 are transmitted through the ear or bone conduction in the head of the human body lying inside the housing 110 through the speaker 112 or wired or wirelessly (not shown in the drawing) It propagates (transmits) so that the user (user) can hear or feel it through a transmission device consisting of, or sends a signal to the vibration motor (MOTOR, 124) in the lower pillow support part 120 to move the pillow support plate 121 to lie down. It is possible to shake the head or shoulder of the user (user) or transmit vibration.

또한, 관리기(130)는, 내부에 접음한 음파(소음)에 대응하는 프로그램이 구비되는데, 이는 일반적으로 통용되는 설계로 이루어진 프로그램일 수 있거나 다수의 통용 프로그램을 결합하여 이루어질 수도 있고, 차후 설계과정에서 프로그램이 개발되어 구성될 수 있으며, 미래에 개발되어 접목되어 이루어질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manager 130 is provided with a program corresponding to the sound wave (noise) folded therein, which may be a program made of a commonly used design or may be performed by combining a plurality of commonly used programs, and a subsequent design process The program can be developed and configured in the future, or it can be developed and grafted in the future.

여기에서, 사용(이용)자의 얼굴을 포함하는 인체의 두부 양측 시스템 내부 벽면 상단이나 측면에 부착되는 마이크(111)는, 시스템 하우징(110) 내부에서 사용(이용)자의 코 또는 입 일 수 있음에서 발생 생성되는 코골이의 음파(소음)나 소리를 본 개시 시스템을 관리하는 관리기(130)에 전송하는 기능을 한다.Here, the microphone 111 attached to the top or side of the inner wall of the system on both sides of the head of the human body including the face of the user (user) may be the nose or mouth of the user (user) inside the system housing 110 It functions to transmit the sound waves (noise) or sound of snoring generated and generated to the manager 130 that manages the present disclosure system.

그리고, 사용(이용)자의 얼굴을 포함하는 인체의 두부 양측 시스템 내부 벽면 상단이나 측면에 부착되는 스피커(112)는, 시스템을 관리하는 관리기(130)가 인지한 코골이 음파(소음)에 대한 대응 프로그램으로 이루어지는 인간의 음성 및/또는 기계음(일반적으로 통용되는 전달 음 또는 기타 음파를 이용하거나 비음 그외 골전도와 같은 기계적 작동에 의해 생성되는 음)과 같은 소리(음파)를 시스템 하우징(110) 내부에 발성하거나 스피커(112)와는 다른 방법으로 이루어진 발성장치를 통하여 유무선으로 사용(이용)자가 코골이를 개시하면 사전에 입력한 횟수나 강도에 따라 프로그램을 가동하여 듣거나 느낄 수 있도록하여 사용(이용)자가 코골이가 이루어지는 무의식(가사) 상태에서 설잠이 이루어지는 가수면(설잠)의 상태가 되도록 만들어주어 설잠이나 가수면 상태에서는 정상호흡이 이루어지므로 코골이를 차단할 수 있다.And, the speaker 112 attached to the top or side of the inner wall of the system on both sides of the head of the human body including the face of the user (user) responds to the snoring sound wave (noise) recognized by the manager 130 that manages the system. Sounds (sound waves) such as human voice and/or mechanical sound (generally used transmitted sound or other sound waves or sounds generated by mechanical operations such as nasal sound or bone conduction) made of a program are placed inside the system housing 110 When the user (user) initiates snoring through a speech device made in a different way than the speaker 112, the program is operated according to the number of times or intensity entered in advance so that the user can hear or feel it (use) In the unconscious (lyric) state in which self-snoring is performed, it is made to become a state of singer-myeon (seoljam), so that normal breathing is performed in the state of seoljam or snoring, so snoring can be blocked.

또한, 상기에서 기술한 바와 같이, 시스템의 하우징(110) 하부에서 2중으로 구성되는 베개 받침부(120)의 베개 받침판(121)은, 베개 받침판(121) 상단 일측이나 배면과 일체 또는 시스템 밑판(122)과의 사이 및 시스템 밑판(122)과 일체로 이루어진 진동 모터(MOTOR, 124)에 관리기(130)에서 전달된 전기적 신호에 의하여 시스템 밑판(122)에 구비된 베개 받침판 레일(123)을 타고 움직이는 베개 받침판(121)을 좌우 또는 앞뒤로 흔들거나 진동을 발생하도록 하여 머리 또는 어깨를 흔들거나 두드리는 효과로써, 사용(이용)자가 가사(무의식) 상태에서 정상호흡이 이루어지는 가수면(설잠) 상태가 되도록해 준다.In addition, as described above, the pillow support plate 121 of the pillow support unit 120, which is composed of two layers under the housing 110 of the system, is integral with one side or the rear of the pillow support plate 121, or the system bottom plate ( 122) and ride the pillow support plate rail 123 provided in the system base plate 122 by the electric signal transmitted from the manager 130 to the vibration motor (MOTOR, 124) made integral with the system base plate 122 It is the effect of shaking or tapping the head or shoulder by shaking the moving pillow support plate 121 left or right or back and forth, or generating vibration, so that the user (user) is in a state of sleeping (sleeping) in which normal breathing is performed in a housekeeping (unconscious) state. Do it.

여기서, 베개 받침판(121)은 진동모터(124)로 전달받은 관리기(130)에서 전달된 전기적 신호에 의하여 움직임 또는 진동의 강도(크기)나 세기(높낮이)가 같은 정도로 반복 실행될 수도 있고, 주기적 반복에도 계속 이루어질 때에 강도(크기)나 세기(높낮이)를 높이라는 관리기(130) 내부에 프로그램된 신호를 받아 이전보다 더 높은 강도(크기)나 세기(높낮이)로 작동되어 사용(이용)자가 가수면(설잠) 상태가 되도록 한다.Here, the pillow support plate 121 may be repeatedly executed to the same extent as the intensity (size) or intensity (height) of the movement or vibration by the electric signal transmitted from the manager 130 transmitted to the vibration motor 124, and periodically repeats When it continues to occur, it receives a signal programmed inside the manager 130 to increase the intensity (size) or intensity (height), and operates at a higher intensity (size) or intensity (height) than before, and the user (user) is mantissa. Make it in a state of (litter sleep).

이러한, 관리기(30)에서 중복으로 보내지는 신호로 이전보다 더 높은 강도(크기)나 세기(높낮이)로 작동되어 사용(이용)자가 가수면(설잠) 상태가 되도록 이루어지는 것은 스피커나 기타 전달장치를 통하여 전달되는 신호 또한, 시스템 받침판(121)에서 이루어지는 것과 같이 이루어지지만 시스템 받침판(121)은, 상기 스피커나 기타 전달장치로 음성이나 소리를 전달하였으나 효과를 보지 못하여 계속하여 코골이나 수면 무호흡 상태가 이루어진다면, 본 개시 시스템의 관리기(130)가 감지하므로써, 스피커나 기타 전달장치와 이어져 연동되는 것으로 이해하여야 한다.Such a signal transmitted from the manager 30 is redundantly operated at a higher intensity (size) or intensity (height) than before, so that the user (user) is in a water surface (sleep) state by using a speaker or other transmission device. The signal transmitted through the system support plate 121 is also performed as in the system support plate 121, but the system support plate 121 transmits voice or sound to the speaker or other transmission device, but does not see any effect, and continues to snoring or sleep apnea. If so,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manager 130 of the present disclosure system detects it and is connected to and interlocked with a speaker or other delivery device.

그러나, 상기 시스템 받침판(121)에서 이루어지는 흔들림 또는 진동과 같은 떨림이 미리 프로그램한 최고의 수준에 도달하여 더 이상의 효과가 없을 때는 병원치료가 필요하므로 표시에 의한 전달 또는 음성이나 기계음을 통한 전달 신호로 사용(이용)자나 사용(이용)자와 동침하는 사람 또는 관리기(130)를 조작하는 전문가나 의사와 같은 제3자가 진행을 중단하고 병원 치료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However, when vibrations such as shaking or vibration made from the system base plate 121 reach the pre-programmed maximum level and no further effect, hospital treatment is required, so it is used as a transmission signal by indication or through voice or mechanical sound. A third party, such as a person (user) or a person who sleeps with the person (user), or an expert or doctor who operates the manager 130, should stop the process and allow hospital treatment to be performed.

본 개시는, 상기와 같은 기계적 설계와 음파(소음)의 강도(크기)나 세기(높낮이)를 인지하여 무형의 프로그램을 통하여 사전에 기계적 설비를 가동할 수 있는 명령어를 포함하는 음파(소음)를 관리기(130)에 입력된 프로그램이 전기신호로 바꾸는 신호 변환기가 관리기(130)에 필요하며, 음파(소음)를 접음하여 그 강도(크기)나 세기(높낮이)에 프로그램이 어떠한 프로그램을 실행할 것인지 음파(소음)를 단계적 적정점을 데이터화하여 관리기(130) 프로그램의 선택과 반복적 적정점 횟수를 초과한 후 다음 단계에서의 적정점과 반복적 적정점 횟수에 대한 목표치까지를 연동될 수 있는 데이터들을 인지하는 것을 중복하거나 자체적으로 반복 수행하여 이루어지도록 관리기(130)에 프로그래밍 된다.The present disclosure provides a sound wave (noise) including a command for operating a mechanical facility in advance through an intangible program by recognizing the mechanical design and the intensity (size) or intensity (height) of the sound wave (noise) as described above. A signal converter that converts the program input to the manager 130 into an electrical signal is required in the manager 130, and the sound wave (noise) is folded to determine which program the program will execute at its intensity (size) or intensity (height). (Noise) is converted into data into a step-by-step appropriate point, and after exceeding the selection of the program and the number of repetitive titration points, the manager 130 recognizes data that can be linked up to the target value for the appropriate point and the number of repetitive titration points in the next step. It is programmed in the manager 130 so as to be duplicated or repeatedly performed by itself.

상기 관리기(130) 내부의 프로그램은, 사용(이용) 초기 사용(이용)자의 코골이 습관에서 오는 패턴과 음파(소음)의 강도(크기)나 세기(높낮이)를 기억(메모리)하고, 그 변화와 단계적 강도(크기)나 세기(높낮이)의 변화를 인지하여 다음 단계를 수행할 수 있는 명령어를 포함한 신호를 스피커나 소리(음파) 전달장치 또는 베개 받침판 진동 모터(MOTOR)에 전기 신호로 보내지며, 이에 상응하는 모든 인공지능(AI) 전달 방법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The program inside the manager 130 memorizes (memory) the intensity (size) or intensity (height) of the sound wave (noise) and the pattern from the snoring habit of the initial user (user) of the user (use), and the change And, a signal including a command to perform the next step by recognizing the change in intensity (size) or intensity (height) step by step is sent as an electrical signal to a speaker, sound (sound wave) transmission device, or pillow support plate vibration motor (MOTOR). , Including all artificial intelligence (AI) delivery methods corresponding thereto.

본 개시는 상기 구비된 기계적 설비와 프로그램에 의하여 발성되는 음파(소리) 또는 전기 장치를 통한 진동 모터(MOTOR, 124)를 이용하여 무의식(가사) 상태에서 일어나는 반복적 코골이를 일정한 패턴 사이 마다 제지하거나 반복적 방해를 통하여 가수면(설잠) 상태가 되도록하여 코골이를 단절시키거나 방해하여 정상적인 호흡이 이루어지도록 만들어 준다.The present disclosure prevents repetitive snoring occurring in an unconscious (lyric) state by using sound waves (sound) uttered by the mechanical equipment and program provided above or a vibration motor (MOTOR, 124) through an electric device at each constant pattern, or Through repetitive obstruction, the snoring can be cut off or disturbed by making it in a state of snoring, making normal breathing possible.

상기와 같은 동작의 반복을 통하여 나이가 들면서 탄력이 떨어지면서 늘어진 기도 주변의 근육과 비만으로 인하여 공간이 줄어든 기도에 긴장감을 주어 근육이 무의식적으로 수축과 팽창을 반복함에 따라 기도 주변 근육을 강하게 단련시키므로써, 단단한 근육으로 인하여 기도의 막힘을 없애고, 비만으로 늘어진 목적과 줄어든 기도 주변 근육을 운동시키고 강화하여 기도를 넓혀주어 호흡 곤란이 일어나는 원인을 제거함으로써, 건강한 호흡을 통한 공기를 인체의 내부로 원활하게 흐르도록하여 심폐기능을 강화하여 산소부족으로 인한 합병증을 줄이거나 대뇌에 공기를 원활히 공급하여 대뇌피질에 공기 부족으로 인하여 발생되는 대뇌피질의 파괴를 줄이고, 뇌 관련 정신적, 육체적 건강을 유지시킬 수 있게되어 기도 근육의 늘어짐과 기도가 좁아지면서 이루어지는 코골이를 치료하거나 예방할 수 있도록 이루어준다.Through the repetition of the above movements, the muscles around the airways that are stretched as they age and the elasticity decreases, and the muscles around the airways are strongly trained as the muscles around the airways are involuntarily contracted and expanded by giving tension to the airways whose space is reduced due to obesity By removing the obstruction of the airways due to the tight muscles, and by exercising and strengthening the obesity and the reduced muscles around the airways, it widens the airways and eliminates the cause of breathing difficulties, thereby smoothing air through healthy breathing into the interior of the human body. By reinforcing the cardiopulmonary function by allowing it to flow smoothly, it can reduce complications due to lack of oxygen, or smoothly supply air to the cerebral cortex to reduce the destruction of the cerebral cortex caused by lack of air, and maintain brain-related mental and physical health. As a result, it is possible to treat or prevent snoring caused by sagging of the airway muscles and narrowing of the airways.

그런 의미에서 도 4는, 일반적으로 이루어지는 통상적 코골이 패턴을 도시화한 것이다.In that sense, FIG. 4 shows a typical snoring pattern that is generally made.

도 5는, 도 4의 일반적으로 이루어지는 통상적 코골이 패턴에 코골이가 이루어지거나 발생하면, 관리기(130) 내부에 사전 입력한 프로그램이 스피커를 통하여 "코골지마""그만"과 같은 소리(음, 인간의 음성을 녹음한 내용 또는 기계적으로 생성한 소리 또는 비음이나 골전도를 통한 울림에 의해서 이루어지는 음)를 통하여 코골이가 일러나는 순간 발성되거나 전파하여 코골이를 중간에 방해하는 예를 도시화한 도면이며, 이러한 동작은 지속적으로 반복되다가 코골이가 끊어져 정상적인 수면으로 인하여 음파(소음)가 낮아지거나 사라지면 코골이가 치료 또는 예방되었다는 것을 사전에 관리기(130) 조작자에 의하여 프로그램으로 규정되어 코골이 방지 및 수면 무호흡 예방 시스템이 중지된다.5 shows, when snoring occurs or occurs in the typical snoring pattern of FIG. 4, a program previously inputted into the manager 130 is a sound such as "Don't snor" and "stop" through the speaker. , Recorded contents of human voice, or mechanically generated sound, or sound produced by nasal or bone conduction), when snoring occurs, it is uttered or propagated at the moment to prevent snoring. This is a drawing, and this operation is defined as a program by the operator of the manager 130 in advance that the snoring is cured or prevented when the sound wave (noise) decreases or disappears due to normal sleep due to the snoring cut off continuously. And the sleep apnea prevention system is stopped.

도 6에서 도 8은, 도 5와 같은 코골이 패턴이 끊어졌다가 다시 이루어지면서 코골이 방지 및 수면 무호흡 예방 시스템의 발성 강도(크기)나 세기(높낮이)를 한단계 높여 실행되도록 사전에 관리기(130) 조작자에 의하여 프로그램으로 규정한다.6 to 8, the snoring pattern as shown in FIG. 5 is cut off and re-implemented, and the manager 130 in advance to increase the vocal intensity (size) or intensity (height) of the system for preventing snoring and preventing sleep apnea. ) It is defined as a program by the operator.

이러한 동작은 단계적으로 상승되며, 지속적으로 반복되다가 관리기(130) 조작자에 의하여 그 정도를 사전에 규정하여 한도를 초과하면, 그 강도(크기)나 세기(높낮이)를 더 높이는 조절이거나 베개 받침판을 흔들거나 떨림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상기와 같은 소리나 음파에 의한 코골이 단절을 유도하는 방식이 아닌 기계적으로 전기 신호를 보내어 기계적 장치인 진동 모터(MOTOR, 124)를 조정하여 사용(이용)자가 무의식(가사) 상태에서 가수면(설잠) 상태가 되도록 진행되며, 그 진행이 지속적으로 계속 이루어지거나 프로그램상에 그 한도를 초과하여 더 높여 앞에서와 같은 절차를 코골이와 무호흡이 일어나는 패턴사이에서 반복 수행된다.Such an operation is raised step by step, and if it exceeds the limit by pre-determining the degree by the operator of the manager 130 after being continuously repeated, the intensity (size) or intensity (height) is further increased or the pillow support plate is shaken. It is not a method of inducing snoring by sound or sound waves as described above, but by sending an electrical signal mechanically to make it shake or shake, and adjust the vibration motor (MOTOR, 124), which is a mechanical device, so that the user (user) is unconscious (lyrics). ) In the state of snoring (soaking), and the progress is continuously made, or the program exceeds the limit and is raised higher, and the same procedure as before is repeatedly performed between the patterns in which snoring and apnea occur.

그러나, 몇 단계를 상기와 같은 소리나 음파와 같은 발성이나 골전도와 같은 떨림 또는 기계적 흔들림과 진동을 통하여 반복으로 실행되었으나 사전에 규정한 최고 단계를 반복 수행하여도 코골이 및 수면 무호흡 상태가 계속해서 이루어 질 경우, 기계적인 치료나 예방을 할 수 있는 단계를 벗어난 발병이므로 코골이 방지 및 수면 무호흡 예방 시스템(100)으로써의 역할을 수행하면 안되고, 병원이나 병원과 준하는 시설을 통한 수술을 통하여 치료가 이루어져야 하는 단계인 만큼, 본 개시 코골이 방지 및 수면 무호흡 예방 시스템(100)은, 표시장치 또는 음성을 통한 알림이나 비음과 같은 비정형의 소리로써, 사용(이용)자가 인지할 수 있도록 발성 및/또는 표시장치로 알려줄 수 있도록 프로그램 된다.However, several steps were repeatedly performed through vocalizations such as sounds or sound waves as described above, tremors such as bone conduction, or mechanical vibrations and vibrations, but snoring and sleep apnea continue to occur even after repeating the highest step prescribed in advance. If this occurs, it should not play the role of the snoring prevention and sleep apnea prevention system 100 because it is out of the stage for mechanical treatment or prevention, and treatment is possible through surgery through a hospital or a facility similar to that of the hospital. As a step to be made, the present disclosure snoring prevention and sleep apnea prevention system 100 is an atypical sound such as a notification or nasal sound through a display device or voice, and vocalization and/or It is programmed to inform the display device.

상기에서 나열하여 기술한 내용은, 본 개시의 도면으로 공시한 단계적 절차를 벗어난 프로그램으로도 실현될 수 있는 만큼 새로운 개발을 위한 개발자나 발명가로부터 이루어지는 개발이 본 개시에 도시한 프로그램을 벗어났다고 하여도 본 발명의 개시에 포함되는 것으로 인지하여야 한다.The contents listed and described above can be realized by a program that deviates from the step-by-step procedure disclosed in the drawings of the present disclosure, even if the development made by the developer or inventor for new development deviates from the program shown in the present disclosure. It should be recognized as being included in the disclosure of the invention.

또한, 본 개시는 상기에서 나열하여 기재하거나 도면으로 도시한 방법 외에도 이와 동일한 효과가 이루어지는 설계 또한 본 개시에 포함되는 것으로 인지하여야 한다.In addition, it should be recognized that the present disclosure is included in the present disclosure, in addition to the methods listed above or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 design having the same effect as described above.

상기에서 나열하여 기술한 코골이 방지 및 수면 무호흡 예방 시스템(100)에서 수면 중에 이루어지는 가수면(설잠) 상태는, 수면이나 무의식(가사) 상태와 같이 인체를 구성하는 근육과 힘줄 등과 같은 근골계가 이완되거나 무력화로 아사 상태가 아닌 정신과 육체가 긴장된 상태를 유지하며, 잠든 상태와 깨어있는 상태가 공존한 상태를 말하며, 일반적으로 그 시간은 짧은 시간에 이루어지며, 이 시간에는 코골이가 이루어지지 않고, 정상적인 호흡이 이루어지므로 본 개시는, 이와 같이 수면 또는 무의식(가사)) 상태에서 코골이가 이루어지는 것을 차단하기 위하여 가수면(설잠) 상태에서 정상적인 호흡이 이루어지는 것을 실습을 통하여 이용한 코골이 방지 및 수면 무호흡 예방 시스템을 특징으로 개시한다.In the snoring prevention and sleep apnea prevention system 100 described above, the sleep (sleeping) state during sleep is a relaxation of the musculoskeletal system such as muscles and tendons constituting the human body such as sleep or unconscious (lyric) state. It refers to a state in which the mind and body remain tense, not a starvation state due to being incapacitated or incapacitated, and a state in which asleep state and awake state coexist.In general, the time takes place in a short time, and during this time no snoring occurs, Since normal breathing is made, the present disclosure is to prevent snoring and sleep apnea using practice that normal breathing is performed in a sleep (soak) state in order to block snoring in the sleep or unconscious (lyric) state as described above. It features a prevention system.

100 코골이 예방 및 수면 무호흡 예방 시스템
110 시스템 하우징 111 마이크 112 스피커
120 베개 받침부 121 베개 받침판 122 시스템 밑판
123 베개 받침판 레일 124 진동 모터(MOTOR) 130 관리기
100 snoring prevention and sleep apnea prevention system
110 System housing 111 Microphone 112 Speaker
120 Pillow base 121 Pillow base 122 System base
123 Pillow base rail 124 Vibration motor 130 Supervisor

Claims (3)

4분지 1의 원형 또는 이중으로 설계되어 반원형으로 이루어지는 하우징;
마이크 및 스피커 그리고 흔들(진동)판과 연결되는 조절 관리기;
상기 하우징과 구성 설비 그리고 조절 관리기로 이루어져 사용(이용)자의 코골이에 반응하여 동작이 이루어지는 코골이 방지 및 수면 무호흡 예방 시스템
A housing made of a semicircular shape by being designed as a quarter 1 circle or double;
Adjustment manager connected to the microphone and speaker and the shaking (vibration) plate;
A system for preventing snoring and preventing sleep apnea that operates in response to snoring of a user (user) consisting of the housing, components, and control manager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4분지 1의 원형 또는 이중으로 이루어진 하우징 양측 면에 마이크와 스피커가 부착되고, 하우징 하부에 흔들(진동)판이 이중으로 이루어져 베개를 받쳐주는 구조로 이루어지는 특징이 있는 코골이 방지 및 수면 무호흡 예방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snoring prevention and sleep apnea prevention system characterized by a structure consisting of a structure in which a microphone and a speaker are attached to both sides of a circular or double housing of the quarter 1, and a vibration (vibration) plate is made of a double under the housing to support the pillow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조절 관리기는 마이크와 스피커 그리고 흔들(진동)판과 유무선으로 연결되어 사용(이용)자의 코골이에 반응하여 실행 패턴과 강도(세기) 높낮이를 조절하는 프로그램이 실행되는 특징이 있는 코골이 방지 및 수면 무호흡 예방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control manager is connected to the microphone, the speaker, and the shaking (vibration) plate by wired or wirelessly, and in response to the snoring of the user (user), a program that adjusts the execution pattern and intensity (intensity) height is executed. Sleep apnea prevention system
KR1020190124932A 2019-10-09 2019-10-09 Snoring and sleep apnea prevention systems KR102407286B1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4932A KR102407286B1 (en) 2019-10-09 2019-10-09 Snoring and sleep apnea prevention systems
KR1020220043669A KR102487668B1 (en) 2019-10-09 2022-04-07 Snoring and sleep apnea prevention system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4932A KR102407286B1 (en) 2019-10-09 2019-10-09 Snoring and sleep apnea prevention systems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43669A Division KR102487668B1 (en) 2019-10-09 2022-04-07 Snoring and sleep apnea prevention system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42227A true KR20210042227A (en) 2021-04-19
KR102407286B1 KR102407286B1 (en) 2022-06-10

Family

ID=75718555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24932A KR102407286B1 (en) 2019-10-09 2019-10-09 Snoring and sleep apnea prevention systems
KR1020220043669A KR102487668B1 (en) 2019-10-09 2022-04-07 Snoring and sleep apnea prevention systems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43669A KR102487668B1 (en) 2019-10-09 2022-04-07 Snoring and sleep apnea prevention system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407286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60010B1 (en) 2020-12-21 2021-06-04 타우데이타 주식회사 Sound source providing system and method for improving sleep quality based on artificial intelligence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8402Y1 (en) * 2003-03-21 2003-06-28 강봉구 A Snore Free Pillow
KR20100083443A (en) * 2009-01-14 2010-07-22 이원호 An insomnia physical therapy organization and physical therpy unit snoring and electronic plectronic therapy unit
KR20120056655A (en) * 2010-11-25 2012-06-04 (주)유엔씨 Controlling Apparatus for Comfort Sleeping and Its Method
CN204520107U (en) * 2015-04-13 2015-08-05 浙江十全医疗器材有限公司 A kind of health care massage pillow
CN109771123A (en) * 2019-03-08 2019-05-21 东南大学 A kind of snore stopping pillow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8402Y1 (en) * 2003-03-21 2003-06-28 강봉구 A Snore Free Pillow
KR20100083443A (en) * 2009-01-14 2010-07-22 이원호 An insomnia physical therapy organization and physical therpy unit snoring and electronic plectronic therapy unit
KR20120056655A (en) * 2010-11-25 2012-06-04 (주)유엔씨 Controlling Apparatus for Comfort Sleeping and Its Method
CN204520107U (en) * 2015-04-13 2015-08-05 浙江十全医疗器材有限公司 A kind of health care massage pillow
CN109771123A (en) * 2019-03-08 2019-05-21 东南大学 A kind of snore stopping pillow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60010B1 (en) 2020-12-21 2021-06-04 타우데이타 주식회사 Sound source providing system and method for improving sleep quality based on artificial intelligen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47557A (en) 2022-04-18
KR102487668B1 (en) 2023-01-11
KR102407286B1 (en) 2022-06-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90388024A1 (en) Device to detect; assess and treat snoring, sleep apneas and hypopneas
JP5802201B2 (en) System and method for synchronizing a subject's breathing
US20110295083A1 (en) Devices, systems, and methods for monitoring, analyzing, and/or adjusting sleep conditions
AU2012350369B2 (en) Oral sleep apnoea device
US20030199945A1 (en) Device and method for treating disordered breathing
Can What is obstructive sleep apnea in adults?
WO2007137302A2 (en) Nasal and oral appliances and method for treating sleep apnea
US20120204887A1 (en) Adjustable Snore-Attenuating Pressure (ASAP)
KR20210042227A (en) Snoring and sleep apnea prevention systems
US20080092908A1 (en) Orthopedic and Anti-Apnea Apparatus for Reposing or Sleeping
CN204839891U (en) Telescopic throat support
US10799387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ducing snoring
US20170156921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ndibular support
KR102559713B1 (en) Personalized Tongue Strengthening Device
Larsen Rehabilitation for the patient with head and neck cancer
JP2002300938A (en) Sound sleep bed for preventing snore
Phillips Snoring and Sleep Apnea
Sweeney-Brown Music and medicine: music therapy within a medical setting
KR20220089958A (en) Supporting base for anti-snoring apparatus
WO2019231316A1 (en) An electronic device for reduction of snoring of an individual
Ralls et al. No EasyWay Down
Walker Breathing and Voice: Speaking Again
Agius Banished from the bedroom
Stradling Therapeutic Approaches to Sleep Apnea
Hörmann Update 2004 on snoring and obstructive sleep apne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