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42070A - Washing Machine - Google Patents

Washing Machin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42070A
KR20210042070A KR1020210044270A KR20210044270A KR20210042070A KR 20210042070 A KR20210042070 A KR 20210042070A KR 1020210044270 A KR1020210044270 A KR 1020210044270A KR 20210044270 A KR20210044270 A KR 20210044270A KR 20210042070 A KR20210042070 A KR 202100420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uxiliary
door
washing
unit
dischar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4427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350183B1 (en
Inventor
김준호
김창용
김현철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40065919A external-priority patent/KR102238814B1/en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442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50183B1/en
Publication of KR202100420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4207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501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5018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6Casings; Tubs
    • D06F37/267Tubs specially adapted for mounting thereto components or devices not provided for in preceding subgroup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02Rotary receptacles, e.g. drums
    • D06F37/12Rotary receptacles, e.g. drums adapted for rotation or oscillation about a vertical axi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8Liquid supply or discharge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ain Body Construction Of Washing Machines And Laundry Dryer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ashing machine, which has an auxiliary laundry unit forming an auxiliary laundry space separate from a main laundry space formed in a rotating tub, and includes a discharge assembly that selectively communicates the auxiliary laundry space and the main laundry space. Through this configuration, independent auxiliary washing is possible, and washing efficiency can be improved.

Description

세탁기{Washing Machine}Washing Machine{Washing Machine}

본 발명은 세탁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보조세탁이 가능한 세탁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ashing machine, and more particularly, to a washing machine capable of auxiliary washing.

세탁기는 전력을 이용하여 의류를 세탁하는 기계로서, 일반적으로 세탁수를 저수하는 고정조와, 고정조의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조와, 회전조의 바닥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는 펄세이터를 포함한다.A washing machine is a machine for washing clothes using electric power, and generally includes a stationary tank for storing washing water, a rotation tank rotatably installed inside the stationary tank, and a pulsator rotatably provided at the bottom of the rotation tank.

일반적으로 세탁기는 고정조와 회전조에 의해 세탁공간을 형성하나, 양말, 흰옷 및 속옷등에 묻은 찌든 때를 별도로 세탁하는 공간은 형성되어 있지 않다.In general, a washing machine forms a laundry space by a fixed tank and a rotating tank, but there is no space for separately washing dirty dirt from socks, white clothes, and underwear.

본 발명의 일 측면은 보조세탁을 위해 보조세탁공간을 갖는 보조세탁유닛을 구비하는 세탁기를 제공한다.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washing machine having an auxiliary washing unit having an auxiliary washing space for auxiliary washing.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세탁기는 개구를 갖는 본체; 상기 본체 내부에서 세탁수가 저수되는 고정조; 세탁물이 세탁되는 메인세탁공간을 갖고, 상기 고정조 내부에서 회전가능하게 마련되는 회전조; 상기 개구에 마련되는 도어어셈블리;를 포함하고, 상기 도어어셈블리는, 상기 개구를 개폐하는 도어; 보조세탁을 할 수 있도록 보조세탁공간을 갖고, 상기 도어의 내측에 배치되는 보조세탁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보조세탁유닛은, 상기 보조세탁공간에서 상기 메인세탁공간으로 세탁물을 배출할 수 있도록 개폐가능하게 마련되는 배출어셈블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washing machine according to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in body having an opening; A fixed tank in which washing water is stored inside the main body; A rotating tub that has a main washing space in which laundry is washed, and is rotatably provided inside the fixed tub; A door assembly provided in the opening, wherein the door assembly includes: a door opening and closing the opening; It has an auxiliary washing space to perform auxiliary washing, and an auxiliary washing unit disposed inside the door, wherein the auxiliary washing unit opens and closes so that laundry can be discharged from the auxiliary washing space to the main washing space. It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 discharge assembly provided to be possible.

상기 보조세탁유닛은, 상기 보조세탁공간을 형성하는 유닛몸체; 상기 유닛몸체상에 마련되어 상기 메인세탁공간과 연통되도록 형성되는 보조개구;를 포함하고, 상기 배출어셈블리는 상기 보조개구를 개폐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The auxiliary washing unit, a unit body forming the auxiliary washing space; And an auxiliary opening provided on the unit body and formed to communicate with the main washing space, and the discharge assembly may be configured to open and close the auxiliary opening.

상기 배출어셈블리는, 상기 보조개구를 폐쇄하는 제 1 위치와 상기 보조개구를 개방하는 제 2 위치를 이동하는 배출도어; 상기 유닛몸체에 마련되어 상기 배출도어가 상기 제 1 위치와 상기 제 2 위치를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배출도어를 안내하는 도어홀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The discharge assembly may include a discharge door for moving a first position for closing the auxiliary opening and a second position for opening the auxiliary opening; And a door holder provided on the unit body to guide the discharge door so that the discharge door can move the first position and the second position.

상기 배출도어는, 상기 제 1 위치에서 상기 제 2 위치로의 이동을 위해, 상기 제 1 위치와 상기 제 2 위치사이에서 상기 유닛몸체로부터 고정이 해제되는 고정해제위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The discharge door further comprises a fixed release position in which fixed from the unit body is released between the first position and the second position for movement from the first position to the second position. I can.

상기 배출도어는, 도어몸체; 상기 도어몸체의 일단에 마련되어 상기 도어홀더에 결합되는 슬라이더; 상기 도어몸체의 타단에 마련되어 상기 유닛몸체에 선택적으로 구속되도록 구성되는 구속부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The discharge door, the door body; A slider provided at one end of the door body and coupled to the door holder; A constraining member provided at the other end of the door body and configured to be selectively constrained to the unit body; It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

상기 구속부재는, 상기 배출도어가 상기 제 1 위치에 위치할 때는 상기 유닛몸체에 구속되고, 상기 배출도어가 상기 고정해제위치에 위치할 때는 상기 유닛몸체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The constraining member may be constrained to the unit body when the discharge door is positioned at the first position, and may be separated from the unit body when the discharge door is positioned at the releasing position.

상기 도어홀더는, 홀더몸체; 상기 홀더몸체로부터 연장형성되어 상기 슬라이더가 이동가능하도록 마련되는 슬라이딩레일로서, 상기 배출도어가 상기 제 1 위치와 상기 고정해제위치를 이동하도록 구성되는 슬라이딩레일; 상기 홀더몸체가 상기 유닛몸체와 힌지결합하도록 상기 홀더몸체에 마련되는 홀더힌지로서, 상기 배출도어가 상기 고정해제위치와 상기 제 2 위치를 이동하도록 구성되는 홀더힌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The door holder, the holder body; A sliding rail extending from the holder body and provided to move the slider, the sliding rail configured to move the discharge door to the first position and the fixed release position; And a holder hinge provided on the holder body such that the holder body is hingedly coupled to the unit body, wherein the discharge door moves the releasing position and the second position. have.

상기 배출도어는, 도어몸체; 상기 도어몸체의 일단에 마련되어 상기 도어홀더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슬라이더;를 포함하고, 상기 슬라이딩레일은, 상기 배출도어가 상기 제 1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슬라이더가 결합되는 제 1 결합부; 상기 제 1 결합부로부터 이격되며 상기 배출도어가 상기 고정해제위치에 있을 때 상기 슬라이더가 결합되는 제 2 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The discharge door, the door body; A slider provided at one end of the door body and movably coupled to the door holder, wherein the sliding rail includes: a first coupling portion to which the slider is coupled when the discharge door is in the first position; And a second coupling portion that is spaced apart from the first coupling portion and to which the slider is coupled when the discharge door is in the releasing position.

상기 유닛몸체는, 바닥부; 상기 바닥부를 향해 구배지게 형성되는 측면부;를 포함하고, 상기 보조개구는, 적어도 일부가 상기 바닥부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The unit body, the bottom portion; And a side portion formed to be inclined toward the bottom portion, wherein at least a portion of the auxiliary opening may be formed on the bottom portion.

상기 보조개구는, 상기 바닥부로부터 상기 유닛몸체의 단부까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The auxiliary opening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ormed from the bottom to the end of the unit body.

상기 도어어셈블리는 상기 본체에 대해 회동가능하게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The door assembly may be provided to be rotatable with respect to the main body.

상기 도어어셈블리는, 상기 개구를 폐쇄하도록 상기 도어와 상기 보조세탁유닛이 상기 개구상에 배치되는 폐쇄위치와, 상기 폐쇄위치로부터 상기 도어가 회동하여 상기 보조세탁유닛에서 보조세탁가능하도록 배치되는 보조세탁위치와, 상기 개구를 개방되도록 상기 도어와 상기 보조세탁유닛이 회동하는 개방위치를 이동하도록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The door assembly includes a closed position in which the door and the auxiliary washing unit are disposed on the opening so as to close the opening, and the auxiliary laundry disposed so that the door is rotated from the closed position to enable auxiliary washing in the auxiliary washing unit. It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rovided to move a position and an open position in which the door and the auxiliary washing unit rotate to open the opening.

상기 보조세탁유닛은, 상기 유닛몸체의 상측단부에서, 인접한 상기 상측단부보다 하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되며, 상기 보조세탁공간에서 세탁된 세탁수를 배수하는 보조배수구;를 포함하고, 상기 보조개구는, 상기 배출어셈블리에 의해 개방시 상기 보조배수구의 너비가 확장되도록 상기 보조배수구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The auxiliary washing unit includes; an auxiliary drain hole formed at an upper end of the unit body to be concave downward than the adjacent upper end portion, and draining the washing water washed in the auxiliary washing space; and the auxiliary opening, the auxiliary opening, wherein It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nected to the auxiliary drain port so that the width of the auxiliary drain port expands when opened by the discharge assembly.

상기 배출어셈블리는, 상기 보조개구를 개폐하는 배출도어;를 포함하고, 상기 배출도어는, 그 도어내면과 도어외면이, 각각 상기 유닛몸체에서 상기 보조세탁공간을 형성하는 내면과, 상기 내면의 배면인 외면으로부터 연장되는 면의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The discharge assembly includes a discharge door for opening and closing the auxiliary opening, wherein the discharge door includes an inner surface of the door and an outer surface of the door, respectively, an inner surface forming the auxiliary washing space in the unit body, and a rear surface of the inner surface It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ormed in the shape of a surface extending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phosphorus.

상기 배출도어와 상기 유닛몸체는 동일한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The discharge door and the unit body may be formed of the same material.

상기 배출도어는, 상기 보조개구를 중심으로 양측으로 개방되는 한 쌍의 배출도어;를 포함하고, 상기 도어홀더는, 상기 한 쌍의 배출도어와 상기 유닛몸체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한 쌍의 배출도어가 상기 유닛몸체에 대해 회동가능하게 마련되는 홀더힌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The discharge door includes a pair of discharge doors opened to both sides around the auxiliary opening, wherein the door holder is provided between the pair of discharge doors and the unit body, and the pair of discharge doors It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 holder hinge provided to be rotatable with respect to the unit body.

상기 배출어셈블리는, 상기 보조개구를 폐쇄하는 제 1 위치와, 상기 제 1 위치로부터 슬라이딩이동하여 상기 보조개구를 개방하는 제 2 위치를 이동하는 배출도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The discharge assembly may include a first position for closing the auxiliary opening and a discharge door for sliding from the first position to move to a second position for opening the auxiliary opening.

상기 배출도어는, 상기 유닛몸체의 하부로 슬라이딩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The discharge door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it slides to a lower portion of the unit body.

상기 배출도어는, 상면에 마련되는 이동홈;을 포함하고, 상기 배출어셈블리는, 상기 유닛몸체의 하면에 마련되어 상기 이동돌기의 이동을 안내하는 도어레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The discharge door may include a moving groove provided on an upper surface, and the discharge assembly may include a door rail provided on a lower surface of the unit body to guide the movement of the moving protrusion.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세탁기는 개구를 갖는 본체; 상기 본체 내부에서 세탁수가 저수되는 고정조; 세탁물이 세탁되는 메인세탁공간을 갖고, 상기 고정조 내부에서 회전가능하게 마련되는 회전조; 상기 개구에 마련되는 도어어셈블리;를 포함하고, 상기 도어어셈블리는, 상기 개구를 개폐하는 도어; 상기 도어의 내측에서 보조세탁을 위한 보조세탁공간을 갖는 보조세탁유닛으로서, 상기 보조세탁공간이 상기 메인세탁공간에 대해 폐쇄되도록 배치되는 제 1 위치와, 상기 보조세탁공간이 상기 메인세탁공간에 대해 개방되도록 배치되는 제 2 위치를 이동하는 배출어셈블리를 갖는 보조세탁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washing machine according to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in body having an opening; A fixed tank in which washing water is stored inside the main body; A rotating tub that has a main washing space in which laundry is washed, and is rotatably provided inside the fixed tub; A door assembly provided in the opening, wherein the door assembly includes: a door opening and closing the opening; As an auxiliary washing unit having an auxiliary washing space for auxiliary washing inside the door, a first position in which the auxiliary washing space is arranged to be closed with respect to the main washing space, and the auxiliary washing space with respect to the main washing space And an auxiliary washing unit having a discharge assembly moving to a second position disposed to be opened.

상기 보조세탁유닛은, 상기 보조세탁공간을 형성하는 유닛몸체; 상기 유닛몸체상에 마련되어 상기 메인세탁공간과 연통되도록 형성되는 보조개구;를 포함하고, 상기 배출어셈블리는 상기 보조개구를 개폐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The auxiliary washing unit, a unit body forming the auxiliary washing space; And an auxiliary opening provided on the unit body and formed to communicate with the main washing space, and the discharge assembly may be configured to open and close the auxiliary opening.

상기 배출어셈블리는, 상기 보조개구를 폐쇄하는 제 1 위치와 상기 보조개구를 개방하는 제 2 위치를 이동하는 배출도어; 상기 유닛몸체에 마련되어 상기 배출도어가 상기 제 1 위치와 상기 제 2 위치를 이동하도록 마련되는 도어홀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The discharge assembly may include a discharge door for moving a first position for closing the auxiliary opening and a second position for opening the auxiliary opening; And a door holder provided on the unit body so that the discharge door moves between the first position and the second position.

상기 배출도어는, 상기 제 1 위치에서 상기 제 2 위치로의 이동을 위해, 상기 제 1 위치와 상기 제 2 위치사이에서 상기 유닛몸체로부터 고정이 해제되는 고정해제위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The discharge door further comprises a fixed release position in which fixed from the unit body is released between the first position and the second position for movement from the first position to the second position. I can.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세탁기는 개구를 갖는 본체; 상기 본체 내부에서 세탁수가 저수되는 고정조; 세탁물이 세탁되는 메인세탁공간을 갖고, 상기 고정조 내부에서 회전가능하게 마련되는 회전조; 상기 개구에 마련되는 도어어셈블리;를 포함하고, 상기 도어어셈블리는, 상기 개구를 개폐하는 도어; 보조세탁을 할 수 있도록 보조세탁공간과, 상기 보조세탁공간과 상기 메인세탁공간을 연통하는 보조개구를 갖는 보조세탁유닛으로서, 상기 보조개구를 개폐하는 배출어셈블리를 갖는 보조세탁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washing machine according to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in body having an opening; A fixed tank in which washing water is stored inside the main body; A rotating tub that has a main washing space in which laundry is washed, and is rotatably provided inside the fixed tub; A door assembly provided in the opening, wherein the door assembly includes: a door opening and closing the opening; An auxiliary washing unit having an auxiliary washing space and an auxiliary opening communicating the auxiliary washing space and the main washing space so that auxiliary washing can be performed, the auxiliary washing unit having a discharge assembly for opening and closing the auxiliary opening; It is characterized.

상기 배출어셈블리는, 상기 보조개구를 폐쇄하는 제 1 위치와, 상기 제 1 위치로부터 슬라이딩이동하여 상기 보조개구를 개방하는 제 2 위치를 이동하는 배출도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The discharge assembly may include a first position for closing the auxiliary opening and a discharge door for sliding from the first position to move to a second position for opening the auxiliary opening.

상기 배출도어는, 상기 유닛몸체의 하부로 슬라이딩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The discharge door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it slides to a lower portion of the unit body.

상기 배출도어는, 상면에 마련되는 이동홈;을 포함하고, 상기 배출어셈블리는, 상기 유닛몸체의 하면에 마련되어 상기 이동돌기의 이동을 안내하는 도어레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The discharge door may include a moving groove provided on an upper surface, and the discharge assembly may include a door rail provided on a lower surface of the unit body to guide the movement of the moving protrusion.

본 발명의 세탁기는 보조세탁유닛을 갖추어 보조세탁이 가능하다.The washing machin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equipped with an auxiliary washing unit to enable auxiliary washing.

또한 기존의 세탁방법과 독립적으로 보조세탁이 가능하여, 세탁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In addition, auxiliary washing is possible independently of the existing washing method, thereby improving washing efficiency.

또한 보조세탁유닛이 회동가능하게 마련되어 보조세탁을 위한 보조세탁유닛의 작동을 편리하게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auxiliary washing unit is rotatably provided to facilitate the operation of the auxiliary washing unit for auxiliary washing.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도어를 개방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도어어셈블리를 분해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보조세탁유닛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보조어셈블리의 결합에 관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도어어셈블리의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를 상측에서 바라본 도면.
도 8a, 8b, 8c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도어어셈블리의 동작에 관한 도면.
도 9a, 9b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보조세탁유닛의 동작에 관한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보조세탁유닛의 하부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보조세탁유닛의 분해사시도.
도 12a, 12b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보조세탁유닛의 하부정면도.
도 13a는 도 12a의 Ⅰ-Ⅰ의 단면도.
도 13b는 도 12a의 Ⅱ-Ⅱ의 단면도.
도 14a, 14b, 14c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보조세탁유닛의 동작에 관한 도면.
도 1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보조세탁유닛의 하부사시도.
도 16a, 16b, 16c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보조세탁유닛의 동작에 관한 도면.
도 17, 18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보조세탁유닛의 하부정면도.
도 19은 도 19의 Ⅲ-Ⅲ의 단면도.
도 20a, 20b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보조세탁유닛의 동작에 관한 도면.
1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washing machin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erspective view of an open door of a washing machin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door assembly of the washing machin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perspective view of an auxiliary washing unit of the washing machin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coupling of the auxiliary assembly of the washing machin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door assembly of the washing machin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view as viewed from the top of the washing machin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A, 8B, and 8C are views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door assembly of the washing machin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A and 9B are views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auxiliary washing unit of the washing machin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bottom perspective view of the auxiliary washing unit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auxiliary washing unit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A and 12B are bottom front views of the auxiliary washing unit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3A is a cross-sectional view of I-I of FIG. 12A.
13B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II-II of FIG. 12A.
14A, 14B, and 14C are view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auxiliary washing unit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5 is a bottom perspective view of an auxiliary washing unit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6A, 16B, and 16C are diagram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auxiliary washing unit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7 and 18 are lower front views of an auxiliary washing unit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9 is a cross-sectional view of III-III of FIG.
20A and 20B are view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auxiliary washing unit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단면도이다.1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washing machin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탁기(1)는 외관을 형성하는 캐비닛(10)과, 캐비닛(10)의 내부에 배치되어 세탁수가 저수되는 고정조(11)와, 고정조(11)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는 회전조(12)와, 회전조(12)의 내부에 배치되어 수류를 발생시키는 펄세이터(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As shown in FIG. 1, the washing machine 1 includes a cabinet 10 forming an exterior, a fixed tank 11 disposed inside the cabinet 10 to store washing water, and an inside of the fixed tank 11.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rotating tub 12 disposed rotatably, and a pulsator 50 disposed inside the rotating tub 12 to generate a water flow.

캐비닛(10)의 상부에는 회전조(12)의 내부로 세탁물을 투입할 수 있도록 개구(24)가 형성된다. 개구(24)는 캐비닛(10)의 상부에 설치된 도어어셈블리(100)에 의해 개폐될 수 있다. 고정조(11)는 현가장치(15)에 의해 캐비닛(10)에 지지될 수 있다.An opening 24 is formed at the top of the cabinet 10 so that laundry can be injected into the rotating tub 12. The opening 24 may be opened and closed by the door assembly 100 install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cabinet 10. The fixed tank 11 may be supported on the cabinet 10 by the suspension device 15.

고정조(11)의 상부에는 고정조(11)로 세탁수를 공급하기 위한 급수관(17)이 설치된다. 급수관(17)의 일측은 외부 급수원과 연결되고, 급수관(17)의 타측은 세제공급장치(16)와 연결된다. 급수관(17)을 통해 공급되는 물은 세제공급장치(16)를 경유하여 세제와 함께 고정조(11)의 내부로 공급된다. 급수관(17)에는 급수밸브(18)가 설치되어 물의 공급을 제어할 수 있다.A water supply pipe 17 for supplying washing water to the fixing tank 11 is installed on the top of the fixing tank 11. One side of the water supply pipe 17 is connected to an external water supply source, and the other side of the water supply pipe 17 is connected to the detergent supply device 16. Water supplied through the water supply pipe 17 is supplied to the inside of the fixed tank 11 together with the detergent via the detergent supply device 16. A water supply valve 18 is installed in the water supply pipe 17 to control the supply of water.

회전조(12)는 상부가 개방된 원통형으로 마련되고, 그 측면에는 다수의 탈수공(13)이 형성된다. 회전조(12)의 상부에는 고속 회전 시에 회전조(12)가 안정적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밸런서(14)가 장착될 수 있다.The rotating tub 12 is provided in a cylindrical shape with an open top, and a plurality of dewatering holes 13 are formed on the side thereof. A balancer 14 may be mounted on the top of the rotating tub 12 so that the rotating tub 12 can stably rotate during high-speed rotation.

고정조(11)의 하측 외부에는 회전조(12)와 펄세이터(50)를 회전시키는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모터(25)와, 모터(25)로부터 발생된 구동력을 회전조(12)와 펄세이터(50)에 동시 또는 선택적으로 전달하는 동력절환장치(26)가 설치된다.A motor 25 that generates a driving force that rotates the rotating tub 12 and the pulsator 50 and the driving force generated from the motor 25 are applied to the rotating tub 12 and the pulsator outside the lower side of the fixed tub 11. A power switching device 26 that simultaneously or selectively transmits to 50 is installed.

회전조(12)에는 중공형 탈수축(29)이 결합되고, 탈수축(29)의 중공부에 설치되는 세탁축(27)은 세탁축결합부(28)를 통해 펄세이터(50)에 결합될 수 있다. 모터(25)는 동력절환장치(26)의 승강 동작에 따라 회전조(12)와 펄세이터(50)에 동시에 또는 선택적으로 구동력을 전달할 수 있다.A hollow dehydration shaft (29) is coupled to the rotary tub (12), and the washing shaft (27) installed in the hollow portion of the dehydration shaft (29) is coupled to the pulsator (50) through the washing shaft coupling unit (28). Can be. The motor 25 may simultaneously or selectively transmit a driving force to the rotating tub 12 and the pulsator 50 according to the lifting operation of the power switching device 26.

동력절환장치(26)는 동력절환을 위한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액추에이터(30)와, 액추에이터(30)의 동작에 따라 직선 운동하는 로드부(31)와, 로드부(31)와 연결되어 로드부(31)의 동작에 따라 회동하는 클러치부(3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The power switching device 26 includes an actuator 30 that generates a driving force for power switching, a rod portion 31 that moves linearly according to an operation of the actuator 30, and a rod portion 31 connected to the rod portion 31 to be connected to the rod portion ( I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clutch unit 32 that rotates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31).

고정조(12)의 바닥에는 고정조(12)에 저장된 세탁수를 배출하도록 배수구(20)가 형성되고, 배수구(20)에는 제 1 배수관(21)이 연결된다. 제 1 배수관(21)에는 배수를 단속하는 배수밸브(22)가 설치될 수 있다. 배수밸브(22)의 출구는 세탁수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제 2 배수관(34)에 연결될 수 있다.A drain hole 20 is formed at the bottom of the fixing tank 12 to discharge the washing water stored in the fixing tank 12, and a first drain pipe 21 is connected to the drain hole 20. A drain valve 22 that regulates drainage may be installed in the first drain pipe 21. The outlet of the drain valve 22 may be connected to a second drain pipe 34 for discharging the washing water to the outside.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도어를 개방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도어어셈블리를 분해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보조세탁유닛의 사시도이다.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opened door of the washing machin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door assembly of the washing machin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4 is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perspective view of an auxiliary washing unit of a washing machine according to an example.

개구(24)에는 도어어셈블리(100)가 마련된다.A door assembly 100 is provided in the opening 24.

도어어셈블리(100)는 도어(110)와 보조세탁유닛(120)을 포함할 수 있다.The door assembly 100 may include a door 110 and an auxiliary washing unit 120.

도어(110)는 캐비닛(10)의 일측에 마련되어, 개구(24)를 개폐하도록 마련된다. 도어(110)에는 도어(110)가 개구(24)를 폐쇄하는 상태에서도 내부가 보이도록 투명부재(112)가 마련될 수 있다.The door 110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cabinet 10 and is provided to open and close the opening 24. The door 110 may be provided with a transparent member 112 so that the inside is visible even when the door 110 closes the opening 24.

보조세탁유닛(120)은 보조세탁공간(120a)을 구비하여 별도의 손세탁을 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보조세탁공간(120a)은 고정조와 회전조에 의해 형성되는 메인세탁공간(11a)과 분리되어 세탁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The auxiliary washing unit 120 is provided with an auxiliary washing space 120a to perform separate hand washing. The auxiliary washing space (120a) is provided to be separated from the main washing space (11a) formed by a fixed tub and a rotating tub to wash.

메인세탁공간(11a)과 보조세탁공간(120a)은 공간이 분리되어 있어서, 각각의 공간에서 독립적으로 세탁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또한 메인세탁공간(11a)과 보조세탁공간(120a)에서의 세탁은 별도로 진행할 수도 있고, 동시에 진행할 수도 있다.Since the main washing space 11a and the auxiliary washing space 120a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they are provided to be washed independently in each space. In addition, washing in the main washing space 11a and the auxiliary washing space 120a may be performed separately or may be performed simultaneously.

보조세탁유닛(120)은 도어(110)의 내측에서 그 일측을 중심으로 회동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보조세탁유닛(120)은 도어(110)의 회동축과 일치되도록 동일한 축을 가지게 마련될 수 있다. 보조세탁유닛(120)과 도어(110)의 회동에 대해서는 이후에 자세하게 설명한다.The auxiliary washing unit 120 may be provided to be rotatable about one side of the door 110 from the inside of the door 110. The auxiliary washing unit 120 may be provided to have the same axis so as to coincide with the rotation axis of the door 110. The rotation of the auxiliary washing unit 120 and the door 11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later.

보조세탁유닛(120)은 바닥부(124)와 측면부(126)로 구성되는 유닛몸체(122)를 포함할 수 있다.The auxiliary washing unit 120 may include a unit body 122 composed of a bottom portion 124 and a side portion 126.

보조세탁유닛(120)의 보조세탁공간(120a)은 유닛몸체(122)에 의해 형성된다. 바닥부(124)는 보조세탁공간(120a)의 깊이를 결정짓는 요소로서, 바닥부(124)는 평평하게 마련될 수도 있고, 곡면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측면부(126)는 바닥부(124)를 향해 구배되도록 형성되며, 바닥부(124)를 향해 구배지도록 형성된다.The auxiliary washing space (120a) of the auxiliary washing unit (120) is formed by the unit body (122). The bottom part 124 is an element that determines the depth of the auxiliary washing space 120a, and the bottom part 124 may be provided flat or may be formed to have a curved surface. The side portion 126 is formed to be inclined toward the bottom portion 124 and is formed to be inclined toward the bottom portion 124.

바닥부(124)와 측면부(126)는 대략적으로 오목한 보조세탁공간(120a)을 갖도록 마련되어, 보조세탁공간(120a)에 세탁수를 받아 별도의 세탁을 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The bottom portion 124 and the side portion 126 are provided to have an approximately concave auxiliary washing space 120a, and are provided to receive washing water in the auxiliary washing space 120a to perform separate washing.

보조세탁유닛(120)은 마찰돌기(128)를 포함할 수 있다.The auxiliary washing unit 120 may include a friction protrusion 128.

마찰돌기(128)는 유닛몸체(122)에 마련되며, 보조세탁이 용이하도록 마련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측면부(126)에 마련되도록 구성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유닛몸체(122)의 내면 구비되도록 구성되면 이를 만족한다. 마찰돌기(128)는 손세탁시 세탁물과의 마찰력을 상승시켜 세탁물의 때가 잘 빠지도록 하는 기능을 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보조세탁유닛(120)의 내면에서 인접한 내면보다 볼록하게 형성된다. 마찰돌기(128)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와 같이 복수개가 나란하게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마찰돌기(128)의 형상과 배치는 한정되지 않는다.The friction protrusion 128 is provided on the unit body 122, and is provided to facilitate auxiliary washing.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configured to be provided on the side portion 126,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The friction protrusion 128 functions to increase the frictional force with the laundry during hand washing so that the dirt is easily removed, and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ner surface of the auxiliary washing unit 120 is formed to be more convex than the adjacent inner surface. A plurality of friction protrusions 128 may be formed side by side as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owever, the shape and arrangement of the friction protrusions 128 are not limited.

보조세탁유닛(120)은 보조배수구(130)를 포함할 수 있다.The auxiliary washing unit 120 may include an auxiliary drain 130.

보조배수구(130)는 보조세탁공간(120a)에서 세탁된 세탁수가 배수되도록 마련된다. 보조배수구(130)는 홀의 형상으로 마련되어, 별도의 개폐부재를 갖고 보조세탁공간(120a)의 바닥부(124)에 배치될 수도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유닛몸체(122)에서 측면부(126)에 마련된다. 보조배수구(130)는 보조세탁유닛(120)이 회동하는 경우, 보조세탁공간(120a)에 저수된 세탁수가 기울어져 배출될 수 있도록 마련된다.The auxiliary drain 130 is provided to drain the washing water washed in the auxiliary washing space 120a. The auxiliary drainage port 130 may be provided in the shape of a hole, and may have a separate opening and closing member and may be disposed on the bottom portion 124 of the auxiliary washing space 120a, and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ide portion 126 in the unit body 122 ). The auxiliary drainage port 130 is provided so that when the auxiliary washing unit 120 is rotated, the washing water stored in the auxiliary washing space 120a is tilted and discharged.

보조배수구(130)는 유닛몸체(122)에서 인접한 유닛몸체(122)의 상단부(126a) 낮도록 형성되는 보조배수구(130)의 둘레(126b)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즉, 유닛몸체(122)의 상단부를 기준으로 오목하게 형성되는 부분에 보조배수구(130)가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보조배수구(130)의 형상은 한정되지 않고, 보조세탁유닛(120)을 기울였을 때, 보조세탁공간(120a)에 저수된 세탁수가 배출될 수 있도록 마련되는 형상이면 이를 만족한다.The auxiliary drainage port 130 may be formed by the circumference 126b of the auxiliary drainage port 130 formed to be lower than the upper end 126a of the unit body 122 adjacent to the unit body 122. That is, the auxiliary drainage port 130 may be formed in a portion that is concavely formed with respect to the upper end of the unit body 122. However, the shape of the auxiliary drainage port 130 is not limited, and when the auxiliary washing unit 120 is tilted, the auxiliary washing space 120a satisfies the shape provided so that the water stored in the auxiliary washing space 120a can be discharged.

보조세탁유닛(120)은 안착플랜지(132)를 포함할 수 있다.The auxiliary washing unit 120 may include a seating flange 132.

안착플랜지(132)는 보조세탁유닛(120)의 상단에서 그 둘레를 따라 플랜지의 형상을 가지고 형성되어, 캐비닛(10)에 안착될 수 있도록 마련된다. 즉, 안착플랜지(132)는 유닛몸체(122)의 상단을 따라 플랜지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The seating flange 132 is formed in the shape of a flange along the circumference at the upper end of the auxiliary washing unit 120, and is provided to be seated in the cabinet 10. That is, the seating flange 132 may be provided in a flange shape along the upper end of the unit body 122.

캐비닛(10)의 개구(24)측의 내측면에는, 개구(24)의 둘레를 따라 돌출형성되는 안착부(24a)가 마련될 수 있다. 안착플랜지(132)는 안착부(24a)에 안착될 수 있도록 마련된다. 안착플랜지(132)가 안착부(24a)에 안착됨으로서, 보조세탁유닛(120)이 캐비닛(10)에 고정될 수 있게 된다.A seating portion 24a protruding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opening 24 may be provided on an inner surface of the cabinet 10 on the side of the opening 24. The seating flange 132 is provided to be seated on the seating portion 24a. As the seating flange 132 is seated on the seating portion 24a, the auxiliary washing unit 120 can be fixed to the cabinet 10.

메인세탁공간(11a)과 보조세탁공간(120a)으로의 급수를 위해 급수장치(160)를 포함할 수 있다.A water supply device 160 may be included for water supply to the main washing space 11a and the auxiliary washing space 120a.

급수장치(160)는 급수관(162), 메인급수관(164), 보조급수관(166)과 전환유닛(168)을 포함할 수 있다.The water supply device 160 may include a water supply pipe 162, a main water supply pipe 164, an auxiliary water supply pipe 166 and a conversion unit 168.

급수관(162)은 일단이 급수밸브(18)와 연결되고, 타단은 전환유닛(168)과 연결될 수 있다. 급수관(162)은 급수밸브(18)로부터 공급되는 세탁수를 전환유닛(168)으로 전달하도록 마련된다. The water supply pipe 162 may have one end connected to the water supply valve 18 and the other end connected to the conversion unit 168. The water supply pipe 162 is provided to deliver the washing water supplied from the water supply valve 18 to the conversion unit 168.

메인세탁공간(11a)으로 급수를 위해 메인급수관(164)이 마련될 수 있다. 메인급수관(164)은 일단은 세제공급장치(16)와 연결되고, 타단은 전환유닛(168)과 연결될 수 있다.A main water supply pipe 164 may be provided for water supply to the main washing space 11a. The main water supply pipe 164 may be connected to the detergent supply device 16 at one end and the conversion unit 168 at the other end.

보조세탁유닛(120)의 보조세탁공간(120a)으로의 급수를 위해 보조급수관(166)이 마련될 수 있다. 보조급수관(166)은 일단은 보조급수구(60)와 연결되고, 타단은 전환유닛(168)과 연결될 수 있다. An auxiliary water supply pipe 166 may be provided for water supply to the auxiliary washing space 120a of the auxiliary washing unit 120. The auxiliary water supply pipe 166 may have one end connected to the auxiliary water supply port 60, and the other end connected to the conversion unit 168.

전환유닛(168)은 급수관(162)으로부터 전달되는 세탁수를 메인급수관(164)과 보조급수관(166) 중 선택적으로 어느 하나로 공급하도록 마련된다. 즉, 전환유닛(168)의 제어를 통해 메인급수관(164)과 보조급수관(166)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세탁공간으로 세탁수가 급수되도록 마련된다. 전환유닛(168)은 3방밸브를 포함할 수 있다.The conversion unit 168 is provided to selectively supply the washing water delivered from the water supply pipe 162 to one of the main water supply pipe 164 and the auxiliary water supply pipe 166. That is, through the control of the conversion unit 168, the washing water is provided to be supplied to the washing space through at least one of the main water supply pipe 164 and the auxiliary water supply pipe 166. The conversion unit 168 may include a three-way valve.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메인급수관(164)과 보조급수관(166)이 전환유닛(168)을 사이에 두고 급수관(162)으로부터 분기되도록 마련되나, 메인급수관(164)과 보조급수관(166)이 급수밸브(18)에 연결되어 급수밸브(18)의 제어를 통해 세탁수가 급수되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 즉, 일단이 세제공급장치(16)와 연결되는 메인급수관(164)과, 일단이 보조급수구(60)와 연결되는 보조급수관(166)의 각각의 타단이 급수밸브(18)와 연결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ain water supply pipe 164 and the auxiliary water supply pipe 166 are provided to branch from the water supply pipe 162 with the conversion unit 168 interposed therebetween, but the main water supply pipe 164 and the auxiliary water supply pipe 166 It may be provided to be connected to the valve 18 to supply washing water through the control of the water supply valve 18. That is, each other end of the main water supply pipe 164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detergent supply device 16 and the auxiliary water supply pipe 166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auxiliary water supply port 60 is provided to be connected to the water supply valve 18 Can be.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메인급수관(164)과 보조급수관(166) 중 선택적으로 세탁수가 공급되도록 마련되나, 메인급수관(164)과 보조급수관(166)으로 동시에 급수되어도 무방하다.In addition,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washing water is provided to be selectively supplied among the main water supply pipe 164 and the auxiliary water supply pipe 166, but it may be supplied to the main water supply pipe 164 and the auxiliary water supply pipe 166 simultaneously.

보조급수구(60)는 보조급수관(166)과 연통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보조급수구(60)는 보조세탁유닛(120)으로 세탁수를 급수할 수 있도록 보조세탁유닛(120)의 일측에 마련될 수 있다.The auxiliary water supply port 60 may be provided to communicate with the auxiliary water supply pipe 166. The auxiliary water supply port 60 may be provided on one side of the auxiliary washing unit 120 so that washing water can be supplied to the auxiliary washing unit 120.

보조급수구(60)로부터 공급되는 세탁수가 보조세탁유닛(120)으로 유입될 수 있도록, 보조세탁유닛(120)은 보조급수구(60)에 대응하여 세탁수유입구(134)가 마련된다. 세탁수유입구(134)는 유닛몸체(122)에서 인접한 유닛몸체(122)의 상단부(126a)보다 낮도록 형성되는 유입구둘레(126c)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즉, 유닛몸체(122)의 상단부를 기준으로 오목하게 형성되는 부분에 세탁수유입구(134)가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세탁수유입구(134)의 형상은 한정되지 않고, 보조급수구(60)를 통해 세탁수가 유입시에 유닛몸체(122)에 의해 간섭되지 않고, 보조세탁공간(120a)으로 유입될 수 있도록 마련되는 형상이면 이를 만족한다.The auxiliary washing unit 120 is provided with a washing water inlet 134 corresponding to the auxiliary water supply port 60 so that the washing water supplied from the auxiliary water supply port 60 can flow into the auxiliary washing unit 120. The washing water inlet 134 may be formed by an inlet circumference 126c formed to be lower than the upper end 126a of the unit body 122 adjacent to the unit body 122. That is, the washing water inlet 134 may be formed in a portion formed concave with respect to the upper end of the unit body 122. However, the shape of the washing water inlet 134 is not limited, and the washing water is not interfered by the unit body 122 when the washing water flows through the auxiliary water supply port 60, and is provided so that it can be introduced into the auxiliary washing space 120a. If it is a shape that becomes, it is satisfied.

보조세탁유닛(120)은 열가소성 수지로 형성될 수 있다. 보조세탁유닛(120)은 ABS재질로 구비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손빨래에 필요한 내충격성과 강성등을 갖춘 재질이면 이를 만족한다. The auxiliary washing unit 120 may be formed of a thermoplastic resin. The auxiliary washing unit 120 may be provided with an ABS material. However, it is not limited thereto, and any material having impact resistance and rigidity necessary for hand washing is satisfied.

도 5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보조어셈블리의 결합에 관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도어어셈블리의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를 상측에서 바라본 도면이다.5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combination of an auxiliary assembly of a washing machin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door assembly of a washing machin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7 is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is is a view of a washing machine according to an example as viewed from above.

도어(110)와 보조세탁유닛(120)은 각각 캐비닛(10)에 대해 회동가능하게 마련된다.The door 110 and the auxiliary washing unit 120 are provided to be rotatable with respect to the cabinet 10, respectively.

도어(110)는 도어회동축(114a)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마련되고, 보조세탁유닛(120)은 보조회동축(140a)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마련된다.The door 110 is rotatably provided about the door rotation shaft 114a, and the auxiliary washing unit 120 is rotatably provided about the auxiliary rotation shaft 140a.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도어회동축(114a)과 보조회동축(140a)이 도어(110)와 보조세탁유닛(120)에 대해 동일한 측면에 배치되어, 동일한 방향으로 개폐되도록 마련된다.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oor rotation shaft 114a and the auxiliary rotation shaft 140a are disposed on the same side of the door 110 and the auxiliary washing unit 120, and are provided to open and close in the same direction.

도어회동축(114a)과 보조회동축(140a)은 동일한 축상에 마련될 수 있다. 즉, 도어회동축(114a)과 보조회동축(140a)가 일치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The door rotation shaft 114a and the auxiliary rotation shaft 140a may be provided on the same shaft. That is, the door rotation shaft 114a and the auxiliary rotation shaft 140a may be provided to match.

이를 위해 도어(110)는 도어회동축(114a)을 따라 캐비닛(10)에 마련되는 도어회동부(110a)에 의해 캐비닛(10)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보조세탁유닛(120)은 보조회동부(140)에 의해 도어(110)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된다.To this end, the door 110 is rotatably coupled to the cabinet 10 by a door rotation part 110a provided in the cabinet 10 along the door rotation shaft 114a, and the auxiliary washing unit 120 is a subsidiary rotation unit. It is rotatably coupled to the door 110 by the eastern part 140.

도어회동부(110a)는 캐비닛(10)에서 도어(110)가 도어회동축(114a)을 중심으로 회동할 수 있도록 도어회동축(114a)방향으로 돌기형상으로 돌출형성될 수 있다. 자세하게는 도어(110)에는 수용부(114)가 마련되고, 도어회동부(110a)가 수용부(114)에 삽입됨으로서, 도어(110)가 캐비닛(10)에 대해 회동가능하게 지지된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도어(110)의 외측면에서 도어(110)가 도어회동축(114a)을 중심으로 회동할 수 있도록 도어회동축(114a)방향으로 돌기형상으로 돌출형성될 수도 있다. 도어회동부(110a)의 형상은 한정되지 않고, 도어(110)가 캐비닛(10)에 대해 회동가능하게 마련되면 이를 만족한다.The door rotation part 110a may be formed to protrude in the direction of the door rotation axis 114a so that the door 110 in the cabinet 10 can rotate about the door rotation axis 114a. In detail, the door 110 is provided with an accommodating portion 114, and the door rotating portion 110a is inserted into the accommodating portion 114, so that the door 110 is rotatably supported with respect to the cabinet 10.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door 110 may be formed to protrude in the direction of the door rotation axis 114a so that the door 110 can rotate about the door rotation axis 114a on the outer surface of the door 110. The shape of the door rotating part 110a is not limited, and it is satisfied if the door 110 is provided to be rotatable with respect to the cabinet 10.

도어(110)는 보조회동부(140)가 회동할 수 있도록, 도어(110)의 일측에서 오목하게 형성되는 삽입부(116)가 마련되고, 삽입부(116)에는 보조세탁유닛(120)이 보조회동축(140a)을 중심으로 회동할 수 있도록 보조회동축(140a)방향으로 돌출형성되는 회동돌기(118)가 형성될 수 있다. 보조세탁유닛(120)에는 회동돌기(118)에 대응하여 회동홀(142)이 형성될 수 있다. 도어회동축(114a)과 보조회동축(140a)이 일치하도록 보조회동부(140)가 도어(110)의 일부에 삽입되어 회동하게 마련된다.The door 110 is provided with an insertion portion 116 that is concavely formed on one side of the door 110 so that the auxiliary rotating portion 140 can rotate, and the auxiliary washing unit 120 is provided in the insertion portion 116. A rotation protrusion 118 protruding in the direction of the auxiliary rotation shaft 140a may be formed so as to rotate about the auxiliary rotation shaft 140a. A rotating hole 142 may be formed in the auxiliary washing unit 120 to correspond to the rotating protrusion 118. The auxiliary rotating part 140 is inserted into a part of the door 110 and provided to rotate so that the door rotating shaft 114a and the auxiliary rotating shaft 140a coincide.

그러나 도어(110)와 보조세탁유닛(120)이 회동하는 형상이나 배치는 한정되지 않으며, 도어(110)와 보조세탁유닛(120)이 개구(24)를 개폐하도록 마련되는 구성이면 이를 만족한다.However, the shape or arrangement in which the door 110 and the auxiliary washing unit 120 rotate is not limited, and any configuration in which the door 110 and the auxiliary washing unit 120 open and close the opening 24 is satisfied.

보조회동부(140)는 유닛몸체(122)에서 돌출되는 형상으로 마련되어, 보조회동축(140a)이 유닛몸체(122)로부터 이격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보조세탁유닛(120)의 회전반경을 크게 할 수 있으며, 보조세탁유닛(120)의 회전시 유닛몸체(122)가 도어(110)나 캐비닛(10)에 의해 간섭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The auxiliary rotating part 140 may be provided in a shape protruding from the unit body 122, and may be provided so that the auxiliary rotating shaft 140a is spaced apart from the unit body 122. With this configuration, the rotation radius of the auxiliary washing unit 120 can be increased, and the unit body 122 can be prevented from being interfered by the door 110 or the cabinet 10 when the auxiliary washing unit 120 is rotated. .

도어어셈블리(100)는 핸들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The door assembly 100 may include a handle unit 150.

핸들부(150)는 도어(110)에 구비되는 도어핸들부(152)와, 보조세탁유닛(120)에 구비되는 보조핸들부(154)를 포함할 수 있다.The handle unit 150 may include a door handle unit 152 provided in the door 110 and an auxiliary handle unit 154 provided in the auxiliary washing unit 120.

도어핸들부(152)는 일측에 마련되는 도어회동축(114a)에 대응하여 도어(110) 타측에 마련될 수 있다. 이와 동일하게 보조핸들부(154)는 일측에 마련되는 보조회동축(140a)에 대응하여 보조세탁유닛(120) 타측에 마련될 수 있다. 도어핸들부(152)와 보조핸들부(154)는 상호 길이방향으로 나란하게 마련될 수 있다.The door handle part 152 may be provided on the other side of the door 110 in correspondence with the door rotation shaft 114a provided on one side. In the same way, the auxiliary handle part 154 may be provided on the other side of the auxiliary washing unit 120 in correspondence with the auxiliary rotating shaft 140a provided on one side. The door handle part 152 and the auxiliary handle part 154 may be provided parallel to each othe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도어핸들부(152)와 보조핸들부(154)는 각각 도어(110)의 전면과, 보조세탁유닛(120)의 전면에 마련되어 도어(110)와 보조세탁유닛(120)을 회동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도어핸들부(152)의 동작으로 도어(110)를 회동시킬 수 있고, 보조핸들부(154)의 동작으로 보조세탁유닛(120)만을 회동시키거나, 보조세탁유닛(120)과 도어(110)를 함께 회동시킬 수 있다.The door handle part 152 and the auxiliary handle part 154 are provided on the front of the door 110 and the front of the auxiliary washing unit 120, respectively, so that the door 110 and the auxiliary washing unit 120 can be rotated. do. The door 110 can be rotated by the operation of the door handle unit 152, and only the auxiliary washing unit 120 is rotated by the operation of the auxiliary handle unit 154, or the auxiliary washing unit 120 and the door 110 Can be brought together.

도어어셈블리(100)의 전면에 대해 도어핸들부(152)는 제 1 길이(L1) 형성되고, 보조핸들부(154)는 제 1 길이(L1)과 나란하게 형성되는 제 2 길이(L2)에 형성될 수 있다. 도어핸들부(152)를 동작하면 도어(110)가 회동하고, 도어(110)가 개방된 경우 보조핸들부(154)를 동작하면 보조세탁유닛(120)을 회동시킬 수 있다. 도어(110)가 닫힌 경우 보조핸들부(154)를 동작하면 도어(110)와 보조세탁유닛(120)을 함께 회동시킬 수 있으므로, 도어(110)와 보조세탁유닛(120)의 무게를 고려하여 제 2 길이(L2)은 제 1 길이(L1)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즉, 보조핸들부(154)는 도어핸들부(152)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다.With respect to the front of the door assembly 100, the door handle part 152 has a first length L1, and the auxiliary handle part 154 has a second length L2 formed parallel to the first length L1. Can be formed. When the door handle unit 152 is operated, the door 110 rotates, and when the door 110 is opened, the auxiliary handle unit 154 is operated to rotate the auxiliary washing unit 120. When the door 110 is closed, since the door 110 and the auxiliary washing unit 120 can be rotated together by operating the auxiliary handle unit 154, the weight of the door 110 and the auxiliary washing unit 120 is considered. The second length L2 may be formed longer than the first length L1. That is, the auxiliary handle part 154 may be formed longer than the door handle part 152.

이하는 상기 구성에 따른 세탁기의 도어어셈블리 동작에 관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an operation of the door assembly of the washing machine according to the above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도 8a, 8b, 8c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도어어셈블리의 동작에 관한 도면이다.8A, 8B, and 8C are views illustrating the operation of the door assembly of the washing machin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어어셈블리(100)는 폐쇄위치(CP)와, 보조세탁위치(SP)와, 개방위치(OP)를 회동가능하게 마련된다. 폐쇄위치(CP)는 도어어셈블리(100)가 개구(24)를 폐쇄하도록 도어(110)와 보조세탁유닛(120)이 개구(24)상에 배치되어, 개구(24)를 막도록 마련되는 위치이다. 보조세탁위치(SP)는 도어어셈블리(100)가 폐쇄위치(CP)로부터 도어(110)가 회동하여 보조세탁유닛(120)에서 보조세탁가능하도록 배치되는 위치이다. 개방위치(OP)는 도어어셈블리(100)가 개구(24)를 개방하도록 도어(110)와 보조세탁유닛(120)이 폐쇄위치(CP) 또는 보조세탁위치(SP)로부터 회동하는 위치이다. The door assembly 100 is provided to be rotatable in a closed position (CP), an auxiliary washing position (SP), and an open position (OP). The closed position CP is a position in which the door 110 and the auxiliary washing unit 120 are disposed on the opening 24 so that the door assembly 100 closes the opening 24, so that the opening 24 is closed. to be. The auxiliary washing position (SP) is a position in which the door assembly 100 is disposed so that the door 110 is rotated from the closed position CP to enable auxiliary washing in the auxiliary washing unit 120. The open position OP is a position in which the door 110 and the auxiliary washing unit 120 rotate from the closed position CP or the auxiliary washing position SP so that the door assembly 100 opens the opening 24.

도어핸들부(152)의 동작에 의해 도어어셈블리(100)는 폐쇄위치(CP)와 보조세탁위치(SP)를 이동하게 되고, 보조핸들부(154)의 동작에 의해 도어어셈블리(100)는 폐쇄위치(CP)와 개방위치(OP)를 이동하도록 마련된다.The door assembly 100 moves the closed position CP and the auxiliary washing position SP by the operation of the door handle unit 152, and the door assembly 100 is closed by the operation of the auxiliary handle unit 154. It is provided to move the position CP and the open position OP.

이하는 상기 구성에 따른 세탁기의 보조세탁유닛의 동작에 관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auxiliary washing unit of the washing machine according to the above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도 9a, 9b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보조세탁유닛의 동작에 관한 도면이다.9A and 9B are views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auxiliary washing unit of the washing machin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어어셈블리(100)가 보조세탁위치(SP)에서 보조세탁을 마치고 난 뒤, 세탁수는 보조배수구(130)를 통해 메인세탁공간(11a) 또는 세탁기의 외부로 배출된다.After the door assembly 100 finishes the auxiliary washing at the auxiliary washing position SP, the washing water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main washing space 11a or the washing machine through the auxiliary drain 130.

자세하게는 도어어셈블리(100)가 보조세탁위치(SP)에 있을 때, 보조세탁유닛(120)의 위치를 제 1 위치(P1)라 하면, 보조세탁유닛(120)은 제 1 위치(P1)와, 보조세탁공간(120a)에 있는 세탁수가 보조배수구(130)를 통해 메인세탁공간(11a) 또는 세탁기의 외부로 배출되도록 보조세탁유닛(120)이 제 1 위치(P1)로부터 회동한 제 2 위치(P2)를 회동하게 마련된다. 제 2 위치(P2)는 보조세탁유닛(120)이 보조회동축(140a)을 중심으로 회동하여, 보조세탁공간(120a)에 있는 세탁수가 보조배수구(130)를 통해 배출되도록 기울어지는 위치를 말한다. 제 2 위치(P2)는 제 1 위치(P1)와, 도어어셈블리(100)가 개방위치(OP)에 있을 때 보조세탁유닛(120)의 위치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In detail, when the door assembly 100 is in the auxiliary washing position (SP), when the position of the auxiliary washing unit 120 is the first position (P1), the auxiliary washing unit 120 is the first position (P1) and , The second position in which the auxiliary washing unit 120 rotates from the first position P1 so that the washing water in the auxiliary washing space 120a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main washing space 11a or the washing machine through the auxiliary drain 130 It is arranged to rotate (P2). The second position (P2) refers to a position in which the auxiliary washing unit 120 is rotated around the auxiliary rotating shaft 140a, so that the washing water in the auxiliary washing space 120a is discharged through the auxiliary drainage port 130. . The second position P2 may be formed between the first position P1 and the position of the auxiliary washing unit 120 when the door assembly 100 is in the open position OP.

보조배수구(130)는 인접한 측면부(126)보다 높이가 낮게 형성되는 부분에 형성되므로, 세탁수가 측면부(126)의 상단부를 넘어 흘러넘치지 않도록 기울여도 충분히 보조배수구(130)를 통해 세탁수를 배출할 수 있게 된다.Since the auxiliary drain 130 is formed in a portion formed with a height lower than the adjacent side portion 126, the washing water can be sufficiently discharged through the auxiliary drain 130 even if the washing water is tilted so as not to overflow beyond the upper end of the side portion 126. You will be able to.

도 10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보조세탁유닛의 하부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보조세탁유닛의 분해사시도이다.10 is a bottom perspective view of the auxiliary washing unit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auxiliary washing unit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보조세탁유닛(120)은 배출어셈블리(170)를 포함할 수 있다.The auxiliary washing unit 120 may include a discharge assembly 170.

보조세탁유닛(120)은 보조세탁공간(120a)으로부터 메인세탁공간(11a)으로 세탁물 또는 세탁수를 배출할 수 있도록 배출구(120b)가 마련된다. 배출어셈블리(170)는 배출구(120b)를 개폐가능하게 마련되어 선택적으로 보조세탁공간(120a)의 세탁물 또는 세탁수를 메인세탁공간(11a)으로 배출할 수 있도록 한다. 배출구(120b)는 보조세탁공간(120a)을 관통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The auxiliary washing unit 120 is provided with a discharge port 120b to discharge laundry or washing water from the auxiliary washing space 120a to the main washing space 11a. The discharge assembly 170 is provided so as to be able to open and close the discharge port 120b so that the laundry or washing water in the auxiliary washing space 120a can be selectively discharged to the main washing space 11a. The outlet 120b is configured to pass through the auxiliary washing space 120a.

유닛몸체(122)는 상술한 바와 같이 바닥부(124)와 측면부(126)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배출구(120b)는 적어도 일부가 바닥부(124)에 형성될 수 있다. 즉, 배출구(120b)가 바닥부(124)로부터 형성되어, 배출어셈블리(170)를 통해 세탁물 또는 세탁수가 메인세탁공간(11a)으로 배출시에 보조세탁공간(120a)의 세탁물 또는 세탁수가 남아있지 않고, 쉽게 배출될 수 있도록 마련할 수 있다.The unit body 122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bottom portion 124 and a side portion 126 as described above. At least a portion of the outlet 120b may be formed in the bottom portion 124. That is, when the discharge port 120b is formed from the bottom part 124, when laundry or washing water is discharged to the main washing space 11a through the discharge assembly 170, laundry or washing water in the auxiliary washing space 120a is not left. It can be provided so that it can be easily discharged.

배출구(120b)는 바닥부(124)로부터 유닛몸체(122)의 상단부(126a)까지 형성될 수 있다. 배출구(120b)가 바닥부(124)로부터 유닛몸체(122)의 상단부(126a)까지 형성되어 있어, 후술하는 보조세탁공간(120a)의 세탁물 또는 세탁수를 쉽게 메인세탁공간(11a)으로 배출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배출구(120b)는 유닛몸체(122)의 상단부(126a)까지 연장형성될 수 있으며, 보조배수구(130)를 형성하는 보조배수구(130)의 둘레(126b)까지 형성되도록 마련된다.The outlet 120b may be formed from the bottom portion 124 to the upper end portion 126a of the unit body 122. Since the discharge port 120b is formed from the bottom part 124 to the upper part 126a of the unit body 122, the laundry or washing water in the auxiliary washing space 120a to be described later can be easily discharged to the main washing space 11a. I can. In this embodiment, the discharge port 120b may be extended to the upper end portion 126a of the unit body 122, and is provided to be formed to the circumference 126b of the auxiliary drain port 130 forming the auxiliary drain port 130.

이러한 구성을 통해, 보조세탁공간(120a)의 세탁물이나 세탁수를 메인세탁공간(11a)으로 배출하기 위해 별도로 꺼낸 뒤 다시 메인세탁공간(11a)으로 넣는 동작을 생략할 수 있다. 그러나 배출구(120b)가 형성되는 크기는 한정되지 않고, 후술하는 제 2 실시예에서의 배출구(120b)와 같이 유닛몸체(122)의 단부까지 형성되지 않고, 유닛몸체(122)상에 마련되어도 무방하다.Through this configuration, it is possible to omit the operation of separately taking out laundry or washing water in the auxiliary washing space 120a to discharge into the main washing space 11a and then putting them back into the main washing space 11a. However, the size at which the discharge port 120b is formed is not limited, and it is not formed to the end of the unit body 122 as in the discharge port 120b in the second embodiment to be described later, and may be provided on the unit body 122. Do.

배출구(120b)는 배출어셈블리(170)에 의해 선택적으로 개폐되어, 상술한 보조배수구(130)의 영역을 확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즉, 배출구(120b)는 보조배수구(130)와 연결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보조배수구(130)는 배출구(120b)로부터 연장형성될 수 있다.The discharge port 120b may be selectively opened and closed by the discharge assembly 170 and may be provided to expand the area of the auxiliary drain port 130 described above. That is, the discharge port 120b may be provided to be connected to the auxiliary drain port 130. In other words, the auxiliary drainage port 130 may be extended from the discharge port 120b.

도어어셈블리(100)가 보조세탁위치(SP)에 있을 때, 보조세탁유닛(120)을 제 1 위치(P1)와 제 2 위치(P2)를 회동하도록 하여 보조세탁공간(120a)의 세탁수를 메인세탁공간(11a) 또는 세탁기의 외부로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 배출구(120b)는 보조배수구(130)의 너비 혹은 영역이 확장되도록 하여, 보조세탁유닛(120)이 제 1 위치(P1)와 제 2 위치(P2)를 회동하지 않아도 보조세탁공간(120a)의 세탁물 또는 세탁수가 메인세탁공간(11a)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When the door assembly 100 is in the auxiliary washing position (SP), the auxiliary washing unit 120 is rotated between the first position (P1) and the second position (P2) to reduce the washing water in the auxiliary washing space (120a). It can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main laundry space (11a) or washing machine. The discharge port (120b) is such that the width or area of the auxiliary drain port (130) is expanded, so that the auxiliary washing unit (120) does not rotate the first position (P1) and the second position (P2). Laundry or washing water may be discharged to the main washing space 11a.

도 12a, 12b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보조세탁유닛의 하부정면도이고, 도 13a는 도 12a의 Ⅰ-Ⅰ의 단면도, 도 13b는 도 12a의 Ⅱ-Ⅱ의 단면도이다.12A and 12B are lower front views of the auxiliary washing unit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3A is a cross-sectional view of I-I of FIG. 12A, and FIG. 13B is a cross-sectional view of II-II of FIG. 12A.

배출어셈블리(170)는 상술한 배출구(120b)를 개폐하도록 마련된다.The discharge assembly 170 is provided to open and close the above-described discharge port 120b.

배출어셈블리(170)는 배출도어(172)와, 배출도어(172)의 동작을 가이드하는 도어홀더(180)를 포함할 수 있다.The discharge assembly 170 may include a discharge door 172 and a door holder 180 that guides the operation of the discharge door 172.

배출도어(172)는 배출구(120b)를 개폐하도록 마련된다. 배출도어(172)의 형상은 한정되지 않으나, 배출구(120b)와 일치하도록 마련되어 배출구(120b)를 폐쇄시에 보조세탁유닛(120)의 내측으로 보조세탁공간(120a)을 형성할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The discharge door 172 is provided to open and close the discharge port 120b. The shape of the discharge door 172 is not limited, but it is provided to match the discharge port 120b to form an auxiliary washing space 120a inside the auxiliary washing unit 120 when the discharge port 120b is closed. I can.

배출도어(172)는 배출구(120b)의 넓이가 가변될 수 있도록 마련된다. 즉, 배출구(120b)의 넓이가 최소일 때와 배출구(120b)의 넓이가 최대일 때를 이동할 수 있도록 배출도어(172)가 동작할 수 있다. 다른 관점에서 설명하면, 배출도어(172)는 배출구(120b)를 개폐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배출구(120b)의 넓이가 최소일 때는 배출구(120b)가 배출도어(172)에 의해 폐쇄된 상태를 의미하고, 배출구(120b)의 넓이가 최대 일 때는 배출구(120b)가 배출도어(172)에 의해 개방된 상태를 의미할 수 있다.The discharge door 172 is provided so that the width of the discharge port 120b is variable. That is, the discharge door 172 may be operated to move when the width of the discharge port 120b is the minimum and when the width of the discharge port 120b is the maximum. Explaining from another viewpoint, the discharge door 172 may be provided to open and close the discharge port (120b). When the width of the discharge port (120b) is the minimum, it means that the discharge port (120b) is closed by the discharge door (172), and when the width of the discharge port (120b) is the maximum, the discharge port (120b) is connected to the discharge door (172). It can mean an open state.

배출도어(172)는 유닛몸체(122)와 함께 사출된 후 분리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즉, 배출도어(172)는 유닛몸체(122)와 동일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The discharge door 172 may be provided to be separated after being injected together with the unit body 122. That is, the discharge door 172 may be formed of the same material as the unit body 122.

또한 이러한 구성을 통해 배출구(120b)의 넓이가 최소일 때, 배출도어(172)의 내면인 도어내면(174a)은 유닛몸체(122)의 보조세탁공간(120a)을 형성하는 내면(122a)으로부터 연장되는 면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배출구(120b)의 넓이가 최소일 때는 배출구(120b)가 배출도어(172)에 의해 폐쇄되는 상태이므로, 배출도어(172)의 도어내면(174a)과 유닛몸체(122)의 내면(122a)이 일치하는 상태가 된다.In addition, through this configuration, when the width of the discharge port (120b) is the minimum, the door inner surface (174a), which is the inner surface of the discharge door (172), is from the inner surface (122a) forming the auxiliary washing space (120a) of the unit body (122). It may be formed in the shape of an extending surface. When the width of the discharge port 120b is the minimum, the discharge port 120b is closed by the discharge door 172, so the door inner surface 174a of the discharge door 172 and the inner surface 122a of the unit body 122 are It is in a matched state.

자세하게는 배출도어(172)의 내측면, 외측면인 도어내면(174a)과 도어외면(174b)은, 각각 유닛몸체(122)의 보조세탁공간(120a)을 형성하는 내면(122a)과, 내면(122a)의 배면인 외면(122b)으로부터 연장되는 면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배출도어(172)는 유닛몸체(122)와 함께 제조된 뒤에 절단등의 공정을 통해 분리되므로, 배출도어(172)와 유닛몸체(122)가 단차를 가지지 않고 배치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In detail, the inner and outer surfaces of the discharge door 172, the door inner surface 174a and the door outer surface 174b, respectively, the inner surface 122a forming the auxiliary washing space 120a of the unit body 122, and the inner surface. It may be formed in a shape of a surface extending from the outer surface 122b, which is the rear surface of 122a. Since the discharge door 172 is manufactured together with the unit body 122 and then separated through a process such as cutting, the discharge door 172 and the unit body 122 may be provided to be disposed without having a step difference.

배출도어(172)는 배출구(120b)를 폐쇄하는 제 1 위치(DP1)와, 배출구(120b)를 개방하는 제 2 위치(DP2)를 이동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배출도어(172)가 제 1 위치(DP1)에 있는 경우에는, 배출도어(172)가 유닛몸체(122)에 고정되도록 마련되고, 배출도어(172)가 제 2 위치(DP2)에 있는 경우에는 배출도어(172)가 배출구(120b)의 개방을 위해 유닛몸체(122)에 대한 고정이 해제된다. 즉, 배출도어(172)는 제 1 위치(DP1)에서 제 2 위치(DP2)로의 이동시, 제 1 위치(DP1)와 제 2 위치(DP2) 사이에서 유닛몸체(122)로부터 고정이 해제되는 고정해제위치(FDP)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discharge door 172 may be provided to move the first position DP1 to close the discharge port 120b and the second position DP2 to open the discharge port 120b. When the discharge door 172 is in the first position DP1, the discharge door 172 is provided to be fixed to the unit body 122, and when the discharge door 172 is in the second position DP2 The discharge door 172 is fixed to the unit body 122 to open the discharge port 120b. That is, the discharge door 172 is fixed to be released from the unit body 122 between the first position DP1 and the second position DP2 when moving from the first position DP1 to the second position DP2. It may further include a release position (FDP).

본 실시예에서는 배출도어(172)의 제 1 위치(DP1)와 고정해제위치(FDP)사이의 이동방향은 세탁기(1)의 전후방향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이동방향을 제 1 방향(DW1)이라 정의하고, 이와 수직한 세탁기(1)의 상하방향을 제 2 방향(DW2)이라 정의한다.In this embodiment, the moving direction between the first position DP1 and the releasing position FDP of the discharge door 172 is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of the washing machine 1. This movement direction is defined as the first direction DW1, and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washing machine 1 perpendicular thereto is defined as the second direction DW2.

배출도어(172)는 도어몸체(174)와, 슬라이더(176)와, 구속부재(178)를 포함할 수 있다.The discharge door 172 may include a door body 174, a slider 176, and a restraining member 178.

도어몸체(174)는 배출구(120b)와 대응되도록 마련되며, 배출도어(172)가 제 1 위치(DP1)에 배치될 시에 배출구(120b)를 폐쇄하도록 마련된다.The door body 174 is provided to correspond to the discharge port 120b, and is provided to close the discharge port 120b when the discharge door 172 is disposed in the first position DP1.

슬라이더(176)는 도어몸체(174)의 일단에 마련되어 도어홀더(180)에 결합되도록 마련된다. 슬라이더(176)는 후술하는 도어홀더(180)의 슬라이딩레일(184)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슬라이더(176)는 도어몸체(174)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며, 슬라이딩레일(184)을 따라 이동하여 배출도어(172)가 제 1 위치(DP1)와 고정해제위치(FDP)를 이동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The slider 176 is provided at one end of the door body 174 and is provided to be coupled to the door holder 180. The slider 176 may move along the sliding rail 184 of the door holder 180 to be described later. The slider 176 may be formed integrally with the door body 174, and moves along the sliding rail 184 so that the discharge door 172 can move the first position DP1 and the fixed release position FDP. It is prepared.

슬라이더(176)는 도어몸체(174)로부터 연장형성되는 슬라이더몸체(176a)와, 슬라이더몸체(176a)상에서 유닛몸체(122)와 나란한 방향으로 플랜지형상으로 형성되는 레일구속부(176b)와, 레일구속부(176b)의 양측에 마련되는 한 쌍의 결합홈(176d)을 포함할 수 있다.The slider 176 includes a slider body 176a extending from the door body 174, a rail restraining part 176b formed in a flange shape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unit body 122 on the slider body 176a, and a rail It may include a pair of coupling grooves (176d)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restraining portion (176b).

레일구속부(176b)는 슬라이더몸체(176a)상에서 상호간에 이격되어 한 쌍이 마련될 수 있으며, 한 쌍의 레일구속부(176b)의 사이에는 슬라이딩레일(184)의 이동가이드부(185)가 삽입되는 가이드공간(176c)이 형성될 수 있다.A pair of rail constraining parts 176b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on the slider body 176a, and a moving guide part 185 of the sliding rail 184 is inserted between the pair of rail constraining parts 176b. The guide space (176c) may be formed.

한 쌍의 결합홈(176d)은 슬라이더(176)의 이동을 통해 후술하는 슬라이딩레일(184)의 제 1 결합부(186a) 또는 제 2 결합부(186b)에 선택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The pair of coupling grooves 176d may be selectively coupled to the first coupling portion 186a or the second coupling portion 186b of the sliding rail 184 to be described later through the movement of the slider 176.

구속부재(178)는 배출도어(172)의 단부가 유닛몸체(122)에 선택적으로 고정될 수 있도록 마련된다. 구속부재(178)는 도어몸체(174)의 타단에 마련되어 도어몸체(174)의 타단이 유닛몸체(122)에 선택적으로 구속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The restraining member 178 is provided so that the end of the discharge door 172 can be selectively fixed to the unit body 122. The restraining member 178 is provided at the other end of the door body 174 and is configured so that the other end of the door body 174 can be selectively constrained to the unit body 122.

즉, 배출도어(172)가 제 1 위치(DP1)에 있을 때, 구속부재(178)는 도어몸체(174)의 타단이 유닛몸체(122)에 구속되도록 마련되고, 배출도어(172)가 고정해제위치(FDP)에 있을 때, 구속부재(178)는 도어몸체(174)의 타단이 유닛몸체(122)로부터 이탈되어, 배출도어(172)가 회동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That is, when the discharge door 172 is in the first position (DP1), the restraining member 178 is provided so that the other end of the door body 174 is constrained to the unit body 122, and the discharge door 172 is fixed. When in the release position (FDP), the restraining member 178 is provided so that the other end of the door body 174 is separated from the unit body 122, and the discharge door 172 can rotate.

구속부재(178)는 도어몸체(174)의 타단에서 'ㄷ'의 형상을 가지도록 마련될 수 있다. 즉 구속부재(178)는 일면이 개방된 삽입구(178a)를 가지며, 배출도어(172)가 제 1 위치(DP1)에 있을 때는 삽입구(178a)에 유닛몸체(122)의 단부가 삽입되고, 배출도어(172)가 고정해제위치(FDP)에 있을 때는 구속부재(178)가 유닛몸체(122)의 단부로부터 이탈되도록 마련된다.The restraining member 178 may be provided to have a shape of'C' at the other end of the door body 174. That is, the constraining member 178 has an insertion hole 178a whose one side is open, and when the discharge door 172 is in the first position DP1, the end of the unit body 122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hole 178a, and discharged. When the door 172 is in the releasing position (FDP), the restraining member 178 is provided to be separated from the end of the unit body 122.

도어홀더(180)는 배출도어(172)가 제 1 위치(DP1)와, 고정해제위치(FDP)와, 제 2 위치(DP2)를 이동할 수 있도록 배출도어(172)의 이동을 안내한다.The door holder 180 guides the movement of the discharge door 172 so that the discharge door 172 can move the first position DP1, the releasing position FDP, and the second position DP2.

도어홀더(180)는 홀더몸체(182)와, 슬라이딩레일(184)과, 홀더힌지(187)를 포함할 수 있다.The door holder 180 may include a holder body 182, a sliding rail 184, and a holder hinge 187.

홀더몸체(182)는 후술하는 홀더힌지(187)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마련되며, 막대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holder body 182 is rotatably provided by a holder hinge 187 to be described later, and may be formed in a rod shape.

슬라이딩레일(184)은 슬라이더(176)가 이동가능하도록 마련되어, 배출도어(172)가 제 1 위치(DP1)와 고정해제위치(FDP)를 이동하도록 마련된다. 슬라이딩레일(184)은 홀더몸체(182)의 양단에서 절곡되어 연장형성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슬라이딩레일(184)은 한 쌍이 마련되어 상호 마주보도록 마련될 수 있다.The sliding rail 184 is provided so that the slider 176 is movable, and the discharge door 172 is provided to move the first position DP1 and the fixed release position FDP. The sliding rail 184 may be provided to be bent at both ends of the holder body 182 to form an extension. A pair of sliding rails 184 may be provided to face each other.

슬라이딩레일(184)은 상술한 가이드공간(176c)에 삽입되며, 슬라이더(176)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이동가이드부(185)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가이드부(185)는 한 쌍의 레일구속부(176b)사이에 마련되는 가이드공간(176c)에 삽입되어 슬라이더(176)의 이동을 가이드함에 따라, 슬라이더(176)의 이동을 전후방향인 제 1 방향(DW1)으로 구속할 수 있게 된다. 즉, 슬라이더(176)가 제 1 방향(DW1)에 수직한 상하방향인 제 2 방향(DW2)으로 슬라이딩레일(184)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 sliding rail 184 is inserted into the guide space 176c described above, and may include a movement guide part 185 that guides the movement of the slider 176. The movement guide part 185 is inserted into the guide space 176c provided between the pair of rail constraining parts 176b to guide the movement of the slider 176, thereby controlling the movement of the slider 176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It can be constrained in one direction (DW1). That is,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slider 176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sliding rail 184 in the second direction DW2, which is an up-down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first direction DW1.

한 쌍의 슬라이딩레일(184)의 내측에는 상술한 슬라이더(176)의 한 쌍의 결합홈(176d)에 결합될 수 있도록 한 쌍의 결합부(186)가 마련된다. 한 쌍의 결합부(186)는 이동가이드의 상하로 배치되어, 한 쌍의 레일구속부(176b)를 구속하므로 슬라이더(176)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A pair of coupling portions 186 are provided inside the pair of sliding rails 184 so as to be coupled to the pair of coupling grooves 176d of the slider 176 described above. The pair of coupling portions 186 are disposed above and below the movement guide, and constrain the pair of rail constraining portions 176b, so that the slider 176 can be stably supported.

결합부(186)는 제 1 결합부(186a)와, 제 1 결합부(186a)로부터 이격되는 제 2 결합부(186b)를 포함한다. 결합부(186)는 슬라이딩레일(184)의 내측에서 돌출되는 형상을 갖고, 상술한 슬라이더(176)의 결합홈(176d)에 결합될 수 있도록 마련된다.The coupling portion 186 includes a first coupling portion 186a and a second coupling portion 186b spaced apart from the first coupling portion 186a. The coupling portion 186 has a shape protruding from the inside of the sliding rail 184 and is provided to be coupled to the coupling groove 176d of the slider 176 described above.

슬라이더(176)의 결합홈(176d)은 제 1 결합부(186a)와 제 2 결합부(186b)에 선택적으로 결합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즉, 배출도어(172)가 제 1 위치(DP1)에 위치한 경우에 슬라이더(176)의 결합홈(176d)은 제 1 결합부(186a)에 결합되고, 배출도어(172)가 고정해제위치(FDP) 또는 제 2 위치(DP2)에 위치한 경우에 슬라이더(176)의 결합홈(176d)은 제 2 결합부(186b)에 결합되도록 마련된다. The coupling groove 176d of the slider 176 may be provided to be selectively coupled to the first coupling portion 186a and the second coupling portion 186b. That is, when the discharge door 172 is located in the first position DP1, the coupling groove 176d of the slider 176 is coupled to the first coupling part 186a, and the discharge door 172 is in the fixed release position ( When located in the FDP or the second position DP2, the coupling groove 176d of the slider 176 is provided to be coupled to the second coupling portion 186b.

한 쌍의 슬라이딩레일(184)은 홀더몸체(182)에 대해 탄성적으로 이격되도록 마련될 수 있어, 슬라이더(176)가 제 1 결합부(186a)와 제 2 결합부(186b)간을 이동하는 경우 상호간에 벌어져서 슬라이더(176)가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슬라이더(176)는 슬라이딩이동을 통해 제 1 결합부(186a) 또는 제 2 결합부(186b)에 선택적으로 결합될 수 있도록 마련된다.A pair of sliding rails 184 may be provided to be elastically spaced apart from the holder body 182, so that the slider 176 moves between the first coupling portion 186a and the second coupling portion 186b. In this case, the sliders 176 may be provided so that they can be easily moved by spreading between them. Through this configuration, the slider 176 is provided to be selectively coupled to the first coupling portion 186a or the second coupling portion 186b through sliding movement.

홀더힌지(187)는 홀더몸체(182)상에 마련되어, 홀더몸체(182)가 유닛몸체(122)의 힌지부(123)와 회전샤프트(187a)에 의한 힌지결합하도록 마련된다. 홀더힌지(187)는 유닛몸체(122)에 대해 도어홀더(180)가 회동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즉, 홀더힌지(187)는 배출도어(172)를 고정해제위치(FDP)와 제 2 위치(DP2)를 이동하도록 마련된다.The holder hinge 187 is provided on the holder body 182, and the holder body 182 is provided to be hingedly coupled to the hinge portion 123 of the unit body 122 and the rotation shaft 187a. The holder hinge 187 is provided so that the door holder 180 can rotate with respect to the unit body 122. That is, the holder hinge 187 is provided to move the discharge door 172 to the releasing position (FDP) and the second position (DP2).

이하는 상기 구성에 따른 배출어셈블리(170)의 동작에 관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discharge assembly 170 according to the above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도 14a, 14b, 14c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보조세탁유닛(120)의 동작에 관한 도면이다.14A, 14B, and 14C are diagrams illustrating the operation of the auxiliary washing unit 12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4a를 참고하면, 배출도어(172)가 제 1 위치(DP1)에 위치한 경우에는, 도어몸체(174)의 일단은 도어홀더(180)에 의해 구속되고, 도어몸체(174)의 타단은 구속부재(178)에 의해 구속되어 배출구(120b)를 폐쇄하는 상태가 된다.Referring to FIG. 14A, when the discharge door 172 is located in the first position DP1, one end of the door body 174 is constrained by the door holder 180, and the other end of the door body 174 is constrained. It is constrained by the member 178 to close the discharge port 120b.

보조세탁공간(120a)에서의 보조세탁이 끝난 후, 보조세탁공간(120a) 내부의 세탁물과 세탁수를 메인세탁공간(11a)으로 배출하기 위해 배출도어(172)를 고정해제위치(FDP)로 이동시킬 수 있다.After the auxiliary washing in the auxiliary washing space 120a is finished, the discharge door 172 is moved to the FDP to discharge the laundry and washing water inside the auxiliary washing space 120a to the main washing space 11a. Can be moved.

도 14b를 참고하여, 배출도어(172)를 제 1 방향(DW1)으로 이동시켜, 제 1 위치(DP1)에서 고정해제위치(FDP)로 이동시키면, 배출도어(172)의 슬라이더(176)는 슬라이딩레일(184)에서 제 1 결합부(186a)로부터 슬라이딩되어 제 2 결합부(186b)에 안착하게 된다. 이와 함께 배출도어(172)의 구속부재(178)는 유닛몸체(122)로부터 이탈되면서, 도어몸체(174)의 타단의 구속이 해제되고, 도어홀더(180)에 의해 회동가능한 상태가 된다. Referring to FIG. 14B, when the discharge door 172 is moved in the first direction DW1 and moved from the first position DP1 to the releasing position FDP, the slider 176 of the discharge door 172 is The sliding rail 184 slides from the first coupling portion 186a to be seated on the second coupling portion 186b. In addition, the restraint member 178 of the discharge door 172 is separated from the unit body 122, the restraint of the other end of the door body 174 is released, and the door holder 180 is in a rotatable state.

그러므로 도 14c에서 볼 수 있듯이 배출도어(172)의 타단이 구속이 해제되면서, 배출도어(172)는 도어홀더(180)에 의해 회동가능한 상태가 된다. 그러므로 배출도어(172)는 고정해제위치(FDP)로부터 제 2 위치(DP2)로 회동하게 되면서 배출구(120b)가 개방되고, 보조세탁공간(120a) 내부의 세탁물과 세탁수가 메인세탁공간(11a)으로 배출시킬 수 있게 된다.Therefore, as shown in FIG. 14C, while the other end of the discharge door 172 is released, the discharge door 172 is in a rotatable state by the door holder 180. Therefore, the discharge door 172 is rotated from the fixed release position (FDP) to the second position (DP2), the discharge port (120b) is opened, the laundry and washing water in the auxiliary washing space (120a) the main washing space (11a) Can be discharged.

상술한 설명에서는 배출도어(172)가 제 1 위치(DP1)와, 고정해제위치(FDP)와, 제 2 위치(DP2)를 이동하도록 설명하였다. 그러나 배출도어(172)의 고정해제위치(FDP)를 생략하고, 도어홀더(180)가 배출도어(172)를 제 1 위치(DP1)와 제 2 위치(DP2)사이를 회동하도록 배출도어(172)를 회동지지하는 구성이어도 무방하다.In the above description, the discharge door 172 has been described to move the first position DP1, the releasing position FDP, and the second position DP2. However, by omitting the fixed release position (FDP) of the discharge door 172, the door holder 180 rotates the discharge door 172 between the first position DP1 and the second position DP2. ) May be rotated and supported.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배출도어(172)가 보조세탁유닛(120)의 후방에 배치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배출도어(172)의 배치방향과 배출도어(172)의 제 1 위치(DP1)와 고정해제위치(FDP)사이의 이동방향인 제 1 방향(DW1)은 한정되지 않는다.In addition,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has been described that the discharge door 172 is disposed at the rear of the auxiliary washing unit 120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The first direction DW1, which is a moving direction between the position DP1 and the releasing position FDP, is not limited.

이하는 제 2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에 관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a washing machin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본 실시예의 설명에서 상술한 실시예에서와 중복되는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In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embodiment, a description of the configuration overlapping with that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will be omitted.

본 실시예에서는 제 1 실시예에서와 배출어셈블리(270)의 구성을 달리한다.In this embodiment, the configuration of the discharge assembly 270 is different from that in the first embodiment.

도 1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보조세탁유닛(220)의 하부사시도이다.15 is a bottom perspective view of an auxiliary washing unit 220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보조세탁유닛(220)은 배출어셈블리(270)를 포함할 수 있다.The auxiliary washing unit 220 may include a discharge assembly 270.

보조세탁유닛(220)은 보조세탁공간(220a)으로부터 메인세탁공간(11a)으로 세탁물 또는 세탁수를 배출할 수 있도록 보조개구(220b)가 마련된다. 배출어셈블리(270)는 보조개구(220b)를 개폐가능하게 마련되어 선택적으로 보조세탁공간(220a)의 세탁물 또는 세탁수를 메인세탁공간(11a)으로 배출할 수 있도록 한다.The auxiliary washing unit 220 is provided with an auxiliary opening 220b to discharge laundry or washing water from the auxiliary washing space 220a to the main washing space 11a. The discharge assembly 270 is provided so as to be able to open and close the auxiliary opening 220b so that the laundry or washing water in the auxiliary washing space 220a can be selectively discharged to the main washing space 11a.

유닛몸체(222)는 상술한 바와 같이 바닥부(224)와 측면부(226)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보조개구(220b)는 적어도 일부가 바닥부(224)에 형성될 수 있다. 즉, 보조개구(220b)가 바닥부(224)로부터 형성되어, 배출어셈블리(270)를 통해 세탁물 또는 세탁수가 메인세탁공간(11a)으로 배출시에 보조세탁공간(220a)의 세탁물 또는 세탁수가 남아있지 않고, 쉽게 배출될 수 있도록 마련할 수 있다.The unit body 222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bottom portion 224 and a side portion 226 as described above. At least a portion of the auxiliary opening 220b may be formed in the bottom portion 224. That is, the auxiliary opening 220b is formed from the bottom portion 224, and when laundry or washing water is discharged to the main washing space 11a through the discharge assembly 270, laundry or washing water in the auxiliary washing space 220a remains. It is not, and can be prepared so that it can be easily discharged.

배출어셈블리(270)는 배출도어(272)와, 배출도어(272)의 동작을 가이드하는 도어홀더(280)를 포함한다.The discharge assembly 270 includes a discharge door 272 and a door holder 280 that guides the operation of the discharge door 272.

배출도어(272)는 보조개구(220b)를 개폐하도록 마련된다. 배출도어(272)의 형상은 한정되지 않으나, 보조개구(220b)와 일치하도록 마련되어 보조개구(220b)를 폐쇄시에 보조세탁유닛(220)의 내측으로 보조세탁공간(220a)을 형성할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The discharge door 272 is provided to open and close the auxiliary opening 220b. The shape of the discharge door 272 is not limited, but it is provided to match the auxiliary opening 220b so that when the auxiliary opening 220b is closed, the auxiliary washing space 220a can be formed inside the auxiliary washing unit 220. Can be provided.

배출도어(272)는 보조개구(220b)를 폐쇄하는 제 1 위치(DP1)와, 제 1 위치(DP1)로부터 회동하여 보조개구(220b)를 개방하는 제 2 위치(DP2)를 이동하도록 마련된다. The discharge door 272 is provided to move a first position DP1 for closing the auxiliary opening 220b and a second position DP2 for opening the auxiliary opening 220b by rotating from the first position DP1. .

본 실시예에서 배출도어(272)는 보조개구(220b)를 중심으로 양측으로 개폐할 수 있도록 한 쌍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discharge door 272 may be formed in a pair so that it can be opened and closed in both sides around the auxiliary opening 220b.

배출도어(272)는 임의로 제 2 위치(DP2)로 회동하지 않도록 제 1 위치(DP1)에서 고정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배출도어(272)에 고정장치(미도시)를 별도로 장착하여도 되고, 배출도어(272)가 유닛몸체(222) 또는 도어홀더(280)사이에서 세탁물과 세탁수의 자중을 견디도록 구성되어도 무방하며, 그 방법은 한정되지 않는다.The discharge door 272 may be provided to be fixed at the first position DP1 so as not to arbitrarily rotate to the second position DP2. For this purpose, a fixing device (not shown) may be separately installed on the discharge door 272, and the discharge door 272 is configured to withstand the weight of laundry and washing water between the unit body 222 or the door holder 280. It can be done, and the method is not limited.

도어홀더(280)는 홀더힌지(287)를 포함할 수 있다. 홀더힌지(287)는 한 쌍의 배출도어(272)와 유닛몸체(222) 사이에 마련되어 한 쌍의 배출도어(272)가 유닛몸체(222)에 대해 회동가능하게 마련된다. 즉, 홀더힌지(287)는 배출도어(272)의 회동을 위해, 배출도어(272)의 배면에 고정되어 유닛몸체(222)에 대해 회동결합될 수 있다.The door holder 280 may include a holder hinge 287. The holder hinge 287 is provided between the pair of discharge doors 272 and the unit body 222 so that the pair of discharge doors 272 is rotatable with respect to the unit body 222. That is, the holder hinge 287 may be fix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discharge door 272 so as to rotate the discharge door 272 so as to be pivotally coupled to the unit body 222.

이하는 상기 구성에 따른 배출어셈블리(270)의 동작에 관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discharge assembly 270 according to the above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도 16a, 16b, 16c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보조세탁유닛(220)의 동작에 관한 도면이다.16A, 16B, and 16C are diagrams illustrating the operation of the auxiliary washing unit 22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6a를 참고하면, 배출도어(272)가 제 1 위치(DP1)에 위치한 경우에는, 배출도어(272)는 보조개구(220b)를 폐쇄하여 보조세탁공간(220a)에서 보조세탁이 가능하도록 위치한다.Referring to FIG. 16A, when the discharge door 272 is located in the first position DP1, the discharge door 272 is positioned so that auxiliary washing is possible in the auxiliary washing space 220a by closing the auxiliary opening 220b. do.

보조세탁공간(220a)에서의 보조세탁이 끝난 후, 보조세탁공간(220a) 내부의 세탁물과 세탁수를 메인세탁공간(11a)으로 배출하기 위해 배출도어(272)를 제 1 위치(DP1)에서 제 2 위치(DP2)로 회동시킬 수 있다.After the auxiliary washing in the auxiliary washing space 220a is finished, the discharge door 272 is moved from the first position DP1 to discharge the laundry and washing water inside the auxiliary washing space 220a to the main washing space 11a. It can be rotated to the second position DP2.

도 16b와 16c를 참고하면, 배출도어(272)가 제 2 위치(DP2)로 회동하면서 보조개구(220b)는 개방되고, 보조세탁공간(220a)내부의 세탁물과 세탁수는 보조세탁공간(220a)의 하부에 배치되는 메인세탁공간(11a)으로 낙하할 수 있게 된다.16B and 16C, the auxiliary opening 220b is opened while the discharge door 272 is rotated to the second position DP2, and laundry and washing water in the auxiliary washing space 220a are stored in the auxiliary washing space 220a. ) It is possible to fall into the main laundry space (11a) disposed below.

이하는 제 3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에 관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a washing machine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본 실시예의 설명에서 상술한 실시예에서와 중복되는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In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embodiment, a description of the configuration overlapping with that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will be omitted.

본 실시예에서는 제 1 실시예에서와 배출어셈블리(370)의 구성을 달리한다.In this embodiment, the configuration of the discharge assembly 370 is different from that in the first embodiment.

도 17, 18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보조세탁유닛의 하부정면도, 도 19은 도 18의 Ⅲ-Ⅲ의 단면도이다.17 and 18 are a bottom front view of an auxiliary washing unit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9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III-III of FIG. 18.

보조세탁유닛(320)은 배출어셈블리(370)를 포함할 수 있다.The auxiliary washing unit 320 may include a discharge assembly 370.

보조세탁유닛(320)은 보조세탁공간(320a)으로부터 메인세탁공간(11a)으로 세탁물 또는 세탁수를 배출할 수 있도록 보조개구(320b)가 마련된다. 배출어셈블리(370)는 보조개구(320b)를 개폐가능하게 마련되어 선택적으로 보조세탁공간(320a)의 세탁물 또는 세탁수를 메인세탁공간(11a)으로 배출할 수 있도록 한다.The auxiliary washing unit 320 is provided with an auxiliary opening 320b to discharge laundry or washing water from the auxiliary washing space 320a to the main washing space 11a. The discharge assembly 370 is provided to open and close the auxiliary opening 320b so that laundry or washing water in the auxiliary washing space 320a can be selectively discharged to the main washing space 11a.

유닛몸체(322)는 상술한 바와 같이 바닥부(324)와 측면부(326)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보조개구(320b)는 적어도 일부가 바닥부(324)에 형성될 수 있다. 즉, 보조개구(320b)가 바닥부(324)로부터 형성되어, 배출어셈블리(370)를 통해 세탁물 또는 세탁수가 메인세탁공간(11a)으로 배출시에 보조세탁공간(320a)의 세탁물 또는 세탁수가 남아있지 않고, 쉽게 배출될 수 있도록 마련할 수 있다.The unit body 322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bottom portion 324 and a side portion 326 as described above. At least a portion of the auxiliary opening 320b may be formed in the bottom portion 324. That is, the auxiliary opening (320b) is formed from the bottom portion (324), when the laundry or washing water is discharged to the main washing space (11a) through the discharge assembly (370), laundry or washing water in the auxiliary washing space (320a) remains. It is not, and can be prepared so that it can be easily discharged.

배출어셈블리(370)는 배출도어(372)와, 배출도어(372)의 동작을 가이드하는 도어레일(380)을 포함한다.The discharge assembly 370 includes a discharge door 372 and a door rail 380 that guides the operation of the discharge door 372.

배출도어(372)는 보조개구(320b)를 개폐하도록 마련된다. 배출도어(372)의 형상은 한정되지 않으나, 보조개구(320b)와 일치하도록 마련되어 보조개구(320b)를 폐쇄시에 보조세탁유닛(320)의 내측으로 보조세탁공간(320a)을 형성할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The discharge door 372 is provided to open and close the auxiliary opening 320b. The shape of the discharge door 372 is not limited, but it is provided to match the auxiliary opening 320b so that the auxiliary washing space 320a can be formed inside the auxiliary washing unit 320 when the auxiliary opening 320b is closed. Can be provided.

배출도어(372)는 보조개구(320b)를 폐쇄하는 제 1 위치(DP1)와, 제 1 위치(DP1)로부터 회동하여 보조개구(320b)를 개방하는 제 2 위치(DP2)를 이동하도록 마련된다. The discharge door 372 is provided to move the first position DP1 to close the auxiliary opening 320b and the second position DP2 to open the auxiliary opening 320b by rotating from the first position DP1. .

배출도어(372)는 제 1 위치(DP1)에서 제 2 위치(DP2)로 슬라이딩이동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배출도어(372)는 도어몸체(374)와, 도어몸체(374)의 상면에 마련되는 이동홈(376)을 포함한다. 배출도어(372)는 이동홈(376)에 후술하는 도어레일(380)이 삽입되어, 배출도어(372)의 이동을 가이드하게 된다.The discharge door 372 may be provided to slide from the first position DP1 to the second position DP2. The discharge door 372 includes a door body 374 and a moving groove 376 provid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door body 374. In the discharge door 372, a door rail 38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is inserted into the moving groove 376 to guide the movement of the discharge door 372.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배출도어(372)는 보조세탁유닛(320)의 후방에서 보조세탁유닛(320)의 전후방향인 제 1 방향(DW1)으로 이동하게 되나, 배출도어(372)의 진행방향은 한정되지 않는다.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ischarge door 372 moves from the rear of the auxiliary washing unit 320 to the first direction DW1, which is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of the auxiliary washing unit 320, but the moving direction of the discharge door 372 Is not limited.

이동홈(376)은 배출도어(372)의 이동을 가이드하도록 마련되므로, 이동홈(376)은 제 1 방향(DW1)을 따라 도어몸체(374)의 상부에서 오목하게 연장형성될 수 있다.Since the moving groove 376 is provided to guide the movement of the discharge door 372, the moving groove 376 may be formed to extend concavely from the top of the door body 374 along the first direction DW1.

도어레일(380)은 배출도어(372)의 이동을 안내하도록 마련된다.The door rail 380 is provided to guide the movement of the discharge door 372.

도어레일(380)은 보조세탁유닛(320)에서 보조세탁공간(320a)을 이루는 내면의 배면인 외면에 마련될 수 있다. 도어레일(380)은 배출도어(372)의 진행방향인 제 1 방향(DW1)으로 보조세탁유닛(320)의 외면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이동홈(376)과 도어레일(380)은 각각 한 쌍이 마련되나, 그 수는 한정되지 않는다.The door rail 380 may be provided on an outer surface that is a rear surface of the inner surface forming the auxiliary washing space 320a in the auxiliary washing unit 320. The door rail 380 may be dispos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auxiliary washing unit 320 in the first direction DW1 which is the traveling direction of the discharge door 372.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air of the moving groove 376 and the door rail 380 is provided, but the number is not limited.

도어레일(380)은 도어레일몸체(382)와 도어레일플랜지(384)를 포함할 수 있다.The door rail 380 may include a door rail body 382 and a door rail flange 384.

도어레일몸체(382)는 보조세탁유닛(320)의 외면으로부터 연장형성되도록 형성되며, 도어레일플랜지(384)는 도어레일몸체(382)의 단부로부터 보조세탁유닛(320)과 나란한 방향으로 플랜지형상을 갖고 마련될 수 있다. 이동홈(376)은 도어레일몸체(382)에 대응되는 제 1 이동홈(376)과, 도어레일플랜지(384)에 대응되며 제 1 이동홈(376a)보다 홈의 너비가 넓은 제 2 이동홈(376b)을 포함한다. 도어레일몸체(382)보다 폭이 넓은 도어레일플랜지(384)는, 제 1 이동홈(376a)보다 홈의 너비가 넓은 제 2 이동홈(376b)에 삽입되어 제 1 이동홈(376a)을 통해 이탈되지 않도록 구비될 수 있다.The door rail body 382 is formed to extend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auxiliary washing unit 320, and the door rail flange 384 has a flange shape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auxiliary washing unit 320 from the end of the door rail body 382. It can be prepared with. The moving groove 376 is a first moving groove 376 corresponding to the door rail body 382 and a second moving groove corresponding to the door rail flange 384 and having a wider groove width than the first moving groove 376a. (376b). The door rail flange 384, which is wider than the door rail body 382, is inserted into the second movable groove 376b, which has a wider width than the first movable groove 376a, through the first movable groove 376a. It may be provided so as not to be separated.

이러한 구성을 통해 배출도어(372)가 도어레일(380)을 따라 이동시에, 배출도어(372)가 도어레일(380)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Through this configuration, when the discharge door 372 moves along the door rail 380, the discharge door 372 can be prevented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door rail 380.

이하는 상기 구성에 따른 배출어셈블리(370)의 동작에 관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discharge assembly 370 according to the above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도 20a, 20b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보조세탁유닛(320)의 동작에 관한 도면이다.20A and 20B are diagrams illustrating the operation of the auxiliary washing unit 320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0a를 참고하면, 배출도어(372)가 제 1 위치(DP1)에 위치한 경우에는, 배출도어(372)는 보조개구(320b)를 폐쇄하여 보조세탁공간(320a)에서 보조세탁이 가능하도록 위치한다.Referring to FIG. 20A, when the discharge door 372 is located in the first position DP1, the discharge door 372 is positioned to allow auxiliary washing in the auxiliary washing space 320a by closing the auxiliary opening 320b. do.

보조세탁공간(320a)에서의 보조세탁이 끝난 후, 보조세탁공간(320a) 내부의 세탁물과 세탁수를 메인세탁공간(11a)으로 배출하기 위해 배출도어(372)를 제 1 위치(DP1)에서 제 2 위치(DP2)로 슬라이딩이동시킬 수 있다.After the auxiliary washing in the auxiliary washing space 320a is finished, the discharge door 372 is moved from the first position DP1 to discharge the laundry and washing water inside the auxiliary washing space 320a to the main washing space 11a. It can be slid to the second position DP2.

도 20b를 참고하면, 배출도어(372)는 도어레일(380)을 따라 제 1 위치(DP1)에서 제 2 위치(DP2)로 이동하게 된다. 제 1 이동홈(376a)에는 도어레일몸체(382)가 삽입되고, 제 2 이동홈(376b)에는 도어레일플랜지(384)가 삽입되어, 배출도어(372)의 이동이 가이드된다.Referring to FIG. 20B, the discharge door 372 moves from the first position DP1 to the second position DP2 along the door rail 380. The door rail body 382 is inserted into the first moving groove 376a, and the door rail flange 384 is inserted into the second moving groove 376b to guide the movement of the discharge door 372.

이러한 과정에서 보조개구(320b)는 개방되고, 보조세탁공간(320a)내부의 세탁물과 세탁수는 보조세탁공간(320a)의 하부에 배치되는 메인세탁공간(11a)으로 낙하할 수 있게 된다.In this process, the auxiliary opening 320b is opened, and laundry and washing water in the auxiliary washing space 320a can fall into the main washing space 11a disposed below the auxiliary washing space 320a.

이상에서는 특정의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다. 그러나, 상기한 실시예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In the above, specific embodiments have been illustrated and described. However, it is not limited only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invention pertains will be able to perform various changes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invention described in the following claims. .

1 : 세탁기 10 : 캐비닛
11 : 고정조 11a : 메인세탁공간
12 : 회전조 16 : 세제공급장치
18 : 급수밸브 24a : 안착부
60 : 보조급수구
100 : 도어어셈블리 110 : 도어
110a : 도어회동부
112 : 투명부재 114 : 수용부
114a : 도어회동축 116 : 삽입부
118 : 회동돌기 120 : 보조세탁유닛
120a : 보조세탁공간 122 : 유닛몸체
124 : 바닥부 126 : 측면부
128 : 마찰돌기 130 : 보조배수구
132 : 안착플랜지 134 : 세탁수유입구
140 : 보조회동부 140a : 보조회동축
142 : 회동홀
150 : 핸들부 152 : 도어핸들부
154 : 보조핸들부 160 : 급수장치
162 : 급수관 162 : 급수관
164 : 메인급수관 166 : 보조급수관
168 : 전환유닛 170 : 배출어셈블리
172 : 배출도어 180 : 도어홀더
P1 : 제 1 위치 P2 : 제 2 위치
L1 : 제 1 길이 L2 : 제 2 길이
CP : 폐쇄위치 SP : 보조세탁위치
OP : 개방위치
1: washing machine 10: cabinet
11: fixed tank 11a: main laundry space
12: rotating tank 16: detergent supply device
18: water supply valve 24a: seating part
60: auxiliary water supply port
100: door assembly 110: door
110a: door pivot
112: transparent member 114: receiving portion
114a: door rotation shaft 116: insertion part
118: pivoting protrusion 120: auxiliary washing unit
120a: auxiliary laundry space 122: unit body
124: bottom portion 126: side portion
128: friction protrusion 130: auxiliary drain
132: seating flange 134: washing water inlet
140: auxiliary rotating part 140a: auxiliary rotating shaft
142: meeting hall
150: handle portion 152: door handle portion
154: auxiliary handle unit 160: water supply device
162: water supply pipe 162: water supply pipe
164: main water supply pipe 166: auxiliary water supply pipe
168: conversion unit 170: discharge assembly
172: discharge door 180: door holder
P1: 1st position P2: 2nd position
L1: 1st length L2: 2nd length
CP: Closed position SP: Auxiliary washing position
OP: open position

Claims (12)

개구를 갖는 본체와,
상기 본체 내부에서 세탁수가 저수되는 고정조와,
상기 고정조 내부에서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며, 세탁물이 세탁되는 메인세탁부가 형성되는 회전조와,
상기 개구에 마련되고, 적어도 일면에 손세탁을 할 수 있도록 보조세탁부가 형성되는 탑 커버 어셈블리와,
상기 메인세탁부로 물을 제공하는 메인 급수관과, 상기 보조세탁부로 물을 제공하는 보조 급수관을 포함하는 급수 장치를 포함하는 세탁기.
A body having an opening,
A fixed tank in which washing water is stored inside the main body,
A rotating tank rotatably provided inside the fixed tank and in which a main washing unit through which laundry is washed is formed,
A top cover assembly provided in the opening and having an auxiliary washing unit formed on at least one surface for hand washing;
A washing machine comprising a water supply device including a main water supply pipe providing water to the main washing unit and an auxiliary water supply pipe supplying water to the auxiliary washing uni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탑 커버 어셈블리는,
그 내면이 중심을 향해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top cover assembly,
Washing machine, characterized in that the inner surface is formed to be inclined downward toward the center.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세탁부는,
상기 탑 커버 어셈블리의 내면 중 적어도 일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The method of claim 2,
The auxiliary washing unit,
A washing machine, characterized in that disposed on at least one of the inner surfaces of the top cover assembly.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세탁부는,
상기 탑 커버 어셈블리의 내면 중 전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The method of claim 3,
The auxiliary washing unit,
Washing machine, characterized in that disposed on the front of the inner surface of the top cover assembly.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세탁부는,
세탁물의 마찰을 상승시키도록 상기 탑 커버 어셈블리의 내면 보다 볼록하게 형성되는 복수의 마찰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The method of claim 3,
The auxiliary washing unit,
A washing machine comprising a plurality of friction protrusions that are convexly formed than an inner surface of the top cover assembly to increase friction of the laundry.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마찰돌기는 직선 또는 라운드 형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The method of claim 5,
The friction protrusion is a washing machin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straight or round shap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탑 커버 어셈블리는,
상기 보조세탁부가 형성되며, 상기 탑 커버 어셈블리에 탈착 가능하게 마련되는 보조세탁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top cover assembly,
And an auxiliary washing unit detachably provided on the top cover assembly, wherein the auxiliary washing unit is formed.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세탁유닛은,
바닥부와, 상기 바닥부를 향해 경사지도록 형성되며 그 일면에 상기 보조세탁부가 형성되는 바디와,
상기 바디의 상단 테두리에 형성되는 안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The method of claim 7,
The auxiliary washing unit,
A body formed to be inclined toward the bottom portion and the auxiliary washing portion formed on one surface thereof;
A washing machine comprising a seating portion formed on an upper edge of the body.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탑 커버 어셈블리는,
상기 안착부에 대응되도록 상기 개구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안착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The method of claim 8,
The top cover assembly,
And a seating surface formed along the periphery of the opening so as to correspond to the seating portion.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세탁유닛은,
상기 보조세탁공간에서 세탁된 세탁수를 배수하는 보조배수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The method of claim 7,
The auxiliary washing unit,
And an auxiliary drain port for draining the washing water washed in the auxiliary washing space.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세탁유닛은,
ABS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The method of claim 7,
The auxiliary washing unit,
Washing machine,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of ABS material.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세탁유닛은 상기 회전조의 상부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The method of claim 7,
The auxiliary washing unit is a washing machine, characterized in that disposed above the rotating tub.

KR1020210044270A 2014-05-30 2021-04-05 Washing Machine KR10235018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4270A KR102350183B1 (en) 2014-05-30 2021-04-05 Washing Machin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65919A KR102238814B1 (en) 2014-05-30 2014-05-30 Washing Machine
KR1020210044270A KR102350183B1 (en) 2014-05-30 2021-04-05 Washing Machine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65919A Division KR102238814B1 (en) 2014-02-28 2014-05-30 Washing Machin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42070A true KR20210042070A (en) 2021-04-16
KR102350183B1 KR102350183B1 (en) 2022-01-14

Family

ID=793431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44270A KR102350183B1 (en) 2014-05-30 2021-04-05 Washing Machin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50183B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16037A (en) * 1997-08-12 1999-03-05 윤종용 Washing machine
JP2005525888A (en) * 2002-05-17 2005-09-02 アルチュリク・アノニム・シルケチ drum
JP2006192279A (en) * 2005-01-14 2006-07-27 Electrolux Home Products Corp Nv Textile product treating apparatus having ultrasonic cleaning devic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16037A (en) * 1997-08-12 1999-03-05 윤종용 Washing machine
JP2005525888A (en) * 2002-05-17 2005-09-02 アルチュリク・アノニム・シルケチ drum
JP2006192279A (en) * 2005-01-14 2006-07-27 Electrolux Home Products Corp Nv Textile product treating apparatus having ultrasonic cleaning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50183B1 (en) 2022-01-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952623B1 (en) Washing machine
KR102377563B1 (en) Washing Machine and Water Supply Device
US11365508B2 (en) Washing machine having a manual washing unit
KR102565509B1 (en) Water supply apparatus and washing machine
KR102238814B1 (en) Washing Machine
KR101543566B1 (en) Washing Machine
KR20210042070A (en) Washing Machine
KR102229351B1 (en) Washing Machi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