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42012A - 인공 지능 추론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인공 지능 추론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42012A
KR20210042012A KR1020200120585A KR20200120585A KR20210042012A KR 20210042012 A KR20210042012 A KR 20210042012A KR 1020200120585 A KR1020200120585 A KR 1020200120585A KR 20200120585 A KR20200120585 A KR 20200120585A KR 20210042012 A KR20210042012 A KR 202100420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de
dsl
hardware
artificial intelligence
target c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205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41240B1 (ko
Inventor
조창식
박재복
유승목
윤석진
이경희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PCT/KR2020/013250 priority Critical patent/WO2021071160A1/ko
Priority to US17/767,364 priority patent/US20220374740A1/en
Publication of KR202100420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420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412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412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N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SPECIFIC COMPUTATIONAL MODELS
    • G06N3/00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biological models
    • G06N3/02Neural networks
    • G06N3/06Physical realisation, i.e. hardware implementation of neural networks, neurons or parts of neurons
    • G06N3/063Physical realisation, i.e. hardware implementation of neural networks, neurons or parts of neurons using electronic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N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SPECIFIC COMPUTATIONAL MODELS
    • G06N3/00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biological models
    • G06N3/02Neural networks
    • G06N3/08Learning metho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N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SPECIFIC COMPUTATIONAL MODELS
    • G06N5/00Computing arrangements using knowledge-based models
    • G06N5/04Inference or reasoning mod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Biophys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eurology (AREA)
  • Devices For Executing Special Programs (AREA)

Abstract

실시예는 인공 지능 추론 장치 및 방법을 개시한다. 실시예는 인공 지능 추론 방법으로, 학습된 신경망 및 파라미터를 학습 프레임워크에 독립적인 상위 레벨 언어의 실행 코드로 변환하는 단계와, 실행 코드를 가속 연산 필요 여부에 따라 범용 언어(General Purpose Language, GPL) 코드와 도메인 특정 언어(Domain Specific Language, DSL) 코드로 분리하는 단계 및 분리된 GPL 코드 및 DSL 코드를 하드웨어에 최적화된 타겟 코드로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인공 지능 추론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Artificial Intelligence Inference}
실시 예는 신경망(Neural Network)을 임베디드 시스템 환경에서 실행시키는 인공 지능 추론 기술에 관한 것이다.
국내 외에 인공 신경망 기반 딥러닝 기술이 활발히 연구되어 왔고, 자율주행자동차, 무인 이동체, 영상 처리 장치, 공장 자동화 등의 다양한 임베디드 환경으로 적용 범위를 확대하고 있다.
딥러닝을 적용한 응용은 학습과 추론 과정으로 이루지는데, 학습된 딥러닝을 임베디드 환경에서 실제로 동작시키는 추론 시스템은 인공지능 응용에 특화된 하드웨어 장치를 제작하고, 제작된 하드웨어에 맞추어 추론 엔진 및 응용 시스템을 만드는 과정으로 이루어진다. 하드웨어를 제작하는 과정에서는 딥러닝 처리를 위한 가속기를 설치하여 연산 성능을 높이게 되는데, 추론 엔진은 딥러닝 가속기를 포함하여 해당 하드웨어에 최적화되도록 설계된다.
그런데 이럴 경우, 소프트웨어 및 코드의 재사용성과 유지 보수 측면에서 많은 비용을 야기할 수 있기 때문에, 하드웨어에 독립적으로 동작하는 추론 시스템을 설계할 필요가 있다. 특히 인공지능 응용의 경우, 인공지능의 병렬 연산량을 고려하여 하드웨어 환경을 선택하게 되는데, CPU, GPU, FPGA, 전용 가속기 등 다양한 가속 하드웨어가 고려되고, 또한 한 종류가 아닌 다양한 종류의 가속기들이 동시에 사용되기도 한다. 이와 같이 추론 시스템은 다양한 하드웨어 가속 하드웨어 환경에 종속되는 구조로 설계되어 있기 때문에 매번 선택된 하드웨어 환경에 최적화된 모델을 구축하기 위해 많은 시간과 노력이 필요하게 된다.
한국공개특허 10-2018-0028967호
실시예는 다양한 하드웨어 환경을 가지는 임베디드 시스템에서 인공지능 응용응 구현을 용이하게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딥러닝을 가속시키는 추론 엔진을 개발함에 있어서 하드웨어 변경에 따른 추론 엔진의 변경을 최소화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실시예는 인공 지능 추론 방법으로, 미리 학습된 신경망을 기반으로 하는 응용을 학습 프레임워크에 독립적인 상위 레벨 언어의 실행 코드로 변환하는 단계와, 실행 코드를 가속 연산 필요 여부에 따라 범용 언어(General Purpose Language, GPL) 코드와 도메인 특정 언어(Domain Specific Language, DSL) 코드로 분리하는 단계 및 분리된 GPL 코드 및 DSL 코드를 하드웨어에 최적화된 타겟 코드로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때, 분리하는 단계는, 실행 코드를 분석한 결과 연산 중심 명령어인지의 여부에 따라 GPL 코드 및 DSL 코드로 생성할 수 있다.
이때, 분리하는 단계는, 연산 중심 명령어인지를 판단함에 있어, 실행 코드를 렉시칼 분석 및 구문 분석한 결과를 기반으로 검사하는 것일 수 있다.
이때, 타겟 코드를 생성하는 단계는, GPL 코드를 하드웨어의 CPU에서 실행되는 타겟 코드로 생성하는 것일 수 있다.
이때, 타겟 코드를 생성하는 단계는, DSL 코드를 분석한 결과 또는 하드웨어의 가속기 구성 상태를 기반으로 하드웨어의 CPU 또는 가속기에서 실행되는 타겟 코드로 생성하는 것일 수 있다.
이때, 타겟 코드를 생성하는 단계는, DSL 코드를 분석한 결과 가속 환경에 유리할 경우, DSL 분리 규칙을 적용하여 타겟 코드를 생성하는 것일 수 있다.
이때, 타겟 코드를 생성하는 단계는, 하드웨어에 가속기가 존재할 경우, DSL 분리 규칙을 적용하여 타겟 코드를 생성하는 것일 수 있다.
이때, 타겟 코드를 생성하는 단계는, 하드웨어에 복수의 가속기들의 종류가 상이할 경우, 가속기 종류별로 DSL 분리 규칙을 적용하는 것일 수 있다.
이때, 타겟 코드를 생성하는 단계는, 하드웨어에 동종 가속기들이 복수개 존재할 경우, 동종 가속기 환경 내에서 복수의 가속기들에 대한 DSL 분리 규칙을 적용하는 것일 수 있다.
실시예는 인공 지능 추론 장치로,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이 기록된 메모리 및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며, 프로그램은, 미리 학습된 신경망을 기반으로 하는 응용을 학습 프레임워크에 독립적인 상위 레벨 언어의 실행 코드로 변환하는 단계, 실행 코드를 가속 연산 필요 여부에 따라 범용 언어(General Purpose Language, GPL) 코드와 도메인 특정 언어(Domain Specific Language, DSL) 코드로 분리하는 단계 및 분리된 GPL 코드 및 DSL 코드를 하드웨어에 최적화된 타겟 코드로 생성하는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이때, 분리하는 단계는, 실행 코드를 분석한 결과 연산 중심 명령어인지의 여부에 따라 GPL 코드 및 DSL 코드로 생성할 수 있다.
이때, 분리하는 단계는, 연산 중심 명령어인지를 판단함에 있어, 실행 코드를 렉시칼 분석 및 구문 분석한 결과를 기반으로 검사하는 것일 수 있다.
이때, 타겟 코드를 생성하는 단계는, GPL 코드를 하드웨어의 CPU에서 실행되는 타겟 코드로 생성하는 것일 수 있다.
이때, 타겟 코드를 생성하는 단계는, DSL 코드를 분석한 결과 또는 하드웨어의 가속기 구성 상태를 기반으로 하드웨어의 CPU 또는 가속기에서 실행되는 타겟 코드로 생성하는 것일 수 있다.
이때, 타겟 코드를 생성하는 단계는, DSL 코드를 분석한 결과 가속 환경에 유리할 경우, DSL 분리 규칙을 적용하여 타겟 코드를 생성하는 것일 수 있다.
이때, 타겟 코드를 생성하는 단계는, 하드웨어에 가속기가 존재할 경우, DSL 분리 규칙을 적용하여 타겟 코드를 생성하는 것일 수 있다.
이때, 타겟 코드를 생성하는 단계는, 하드웨어에 복수의 가속기들의 종류가 상이할 경우, 가속기 종류별로 DSL 분리 규칙을 적용하는 것일 수 있다.
이때, 타겟 코드를 생성하는 단계는, 하드웨어에 동종 가속기들이 복수개 존재할 경우, 동종 가속기 환경 내에서 복수의 가속기들에 대한 DSL 분리 규칙을 적용하는 것일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인공 지능 추론 방법은, 미리 학습된 신경망을 기반으로 하는 응용을 학습 프레임워크에 독립적인 상위 레벨 언어의 실행 코드로 변환하는 단계, 실행 코드를 가속 연산 필요 여부에 따라 범용 언어(General Purpose Language, GPL) 코드와 도메인 특정 언어(Domain Specific Language, DSL) 코드로 분리하는 단계 및 분리된 GPL 코드 및 DSL 코드를 하드웨어에 최적화된 타겟 코드로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분리하는 단계는, 실행 코드를 분석한 결과 연산 중심 명령어인지의 여부에 따라 GPL 코드 및 DSL 코드로 생성하고, 타겟 코드를 생성하는 단계는, GPL 코드를 하드웨어의 CPU에서 실행되는 타겟 코드로 생성하고, DSL 코드를 분석한 결과 또는 하드웨어의 가속기 구성 상태를 기반으로 하드웨어의 CPU 또는 가속기에서 실행되는 타겟 코드로 생성할 수 있다.
이때, 타겟 코드를 생성하는 단계는, DSL 코드를 분석한 결과 가속 환경에 유리할 경우, DSL 분리 규칙을 적용하여 타겟 코드를 생성하고, 하드웨어에 가속기가 존재할 경우, DSL 분리 규칙을 적용하여 타겟 코드를 생성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은 다양한 인공지능 응용 및 하드웨어 가속 환경에 종속되지 않는 인공 지능 추론 장치를 제안으로써, 임베디드 인공지능 개발에서 개발 시간과 노력을 줄여주고 유지보수 비용도 함께 줄여주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인공 지능 추론 장치를 포함하는 임베디드 시스템의 개략적인 블록 구성도이다.
도 2는 실시예에 따른 인공 지능 추론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실행 코드를 GPL 코드와 DSL 코드로 분리하는 단계(S220)를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DSL 코드를 타겟 코드로 생성하는 단계(S232)를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5는 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시스템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비록 "제1" 또는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를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러한 구성요소는 상기와 같은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와 같은 용어는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또는 단계가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또는 단계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는 의미를 내포한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에서는,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실시예에 따른 다양한 하드웨어 가속 환경에서 동작하는 인공 지능 추론 장치 및 방법이 상세히 설명된다.
이때, 인공 지능 추론 장치는 다양한 하드웨어 가속 환경에 독립적인 임베디드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서는 다종의 가속기 별로 인공 지능 추론 장치가 새로 구축되는 것이 아니라, 하드웨어 독립적인 부분을 하위 레이어로 분리함으로써, 다양한 인공지능 가속 하드웨어 환경에 쉽게 이식되게 할 수 있는 기술을 제안한다.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인공 지능 추론 장치를 포함하는 임베디드 시스템의 개략적인 블록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인공 지능 추론 장치(100)는 미리 학습된 신경망을 기반으로 하는 다양한 인공 지능 응용들(10)을 구현하는 프로그램 코드가 입력됨에 따라, 응용 프로그램 코드가 하드웨어 시스템(20) 특성에 최적화되어 실행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신경망은 딥러닝(Deep Learning) 신경망일 수 있고, 딥러닝 신경망을 사용하는 많은 응용들은 서버에서 미리 학습 과정을 거치게 된다. 이때, 학습 프레임워크의 예시로는 tensorflow, caffe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딥러닝 신경망은 많은 연산 처리 용량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GPU나 전용 가속기와 같은 계산 능력이 우수한 가속 장치를 필요로 하며, 경우에 따라서는 두개 이상의 동종 혹은 이종 가속기가 사용될 수도 있다.
그런데, 이때 학습된 신경망 모델 및 가중치(weight) 데이터는 학습 프레임워크에 종속된 형태로 배포되기 때문에, 인공 지능 추론 장치에서는 학습 프레임워크와 동일한 환경 설정이 요구되거나, 추론 엔진에 특화된 포맷으로 변환되는 과정이 수행되어야 한다. 즉, 기존 추론 시스템의 경우 특정 하드웨어에 종속된 시스템을 구현해야 하기 때문에, 가속 하드웨어가 변경될 때마다 새로이 추론 시스템을 만들어야 했었다. 이는 딥러닝 가속 코드에 대한 재사용성을 현저히 저하시킨다,
따라서, 실시예에 따른 인공 지능 추론 장치(100)는 하드웨어 독립적인 부분과 하드웨어 종속적인 부분으로 설계하고, 하드웨어 환경이 달라지더라도 하드웨어 종속된 부분만을 새로이 구축하도록 설계되었다.
이에 실시예에 따른 인공 지능 추론 장치(100)는 프론트 엔드 레이어(110), DSL 레이어(120) 및 타겟 코드 생성 레이어(130)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론트 엔드 레이어(110)는 미리 학습된 신경망 및 파라미터를 기반으로 하는 응용을 학습 프레임워크에 독립적인 상위 레벨 언어의 실행 코드로 변환할 수 있다. 즉, 인공지능 응용(10)을 인공지능 프레임워크에 종속적인 코드에서 프레임워크에 독립적인 상위 레벨 언어의 코드로 변환한다. 즉, 프론트 엔드 레이어(110)는 하드웨어 독립적인 레이어로, 다양한 학습 프레임워크에서 생성된 데이터를 공통으로 처리할 수 있다.
이때, 상위 레벨 언어는, 파이썬(Python)일 수 있다. 또한, NNEF(Neural Network Exchange Format), ONNX (Open Neural Network eXchange format) 등과 같은 표준화된 딥러닝 데이터 변환 포맷일 수도 있다.
DSL 레이어(120)는 실행 코드를 가속 연산 필요 여부에 따라 범용 언어(General Purpose Language, GPL) 코드와 도메인 특정 언어(Domain Specific Language, DSL) 코드로 분리할 수 있다. 즉, DSL 레이어(120)는 프론트 엔드 레이어(110)에서 생성된 실행 코드를 DSL 코드를 사용하여 하드웨어에 독립적인 인공지능 처리 루틴으로 변환한다
이때, DSL 레이어(120)는, 실행 코드를 분석한 결과 연산 중심 명령어인지의 여부에 따라 GPL 코드 및 DSL 코드로 생성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도 3을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타겟 코드 생성 레이어(130)는 분리된 GPL 코드 및 DSL 코드를 하드웨어에 최적화된 타겟 코드로 생성할 수 있다.
즉, 하드웨어 시스템(20)에서 인공 지능 응용(10)이 실행되는데, CPU(21)와 함께 가속기(22)가 더 탑재될 수 있다. 이때, 가속기(22)로 GPU, FPGA, 전용 가속 칩 등과 같은 다양한 종류의 가속기들이 탑재될 수 있고, 종류가 동일한 가속기가 복수개 존재할 수도 있다. 예컨대, 하드웨어 시스템(20)에 GPU와 가속기 칩이 동시에 탑재될 수도 있고, 동일의 2개의 GPU가 탑재될 수도 있다. 즉, 이때, 하드웨어 시스템(20)의 가속 환경 설정은 인공 지능 응용의 특성에 맞추어 크기, 전력 소모 등을 고려하여 성능을 최적화는 방식으로 구현되는 것이다.
CPU(21)에서는 통상적으로 C, C++를 포함하는 GPL 코드가 실행될 수 있다. 따라서, 타겟 코드 생성 레이어(130)는, GPL 코드를 하드웨어의 CPU에서 실행되는 타겟 코드로 생성할 수 있다.
또한, 타겟 코드 생성 레이어(130)는, DSL 코드를 분석한 결과 또는 하드웨어의 가속기 구성 상태를 기반으로 하드웨어의 CPU 또는 가속기에서 실행되는 타겟 코드로 생성할 수 있다. 가속기(22)에서는 DSL 코드가 실행될 수 있는데, DSL 코드는 가속기에 특화된 형태로 변환될 수 있다. 또한, DSL 코드의 특성에 따라 DSL 코드 또한 CPU(21)에서 실행될 수 있다.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도 4를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도 2는 실시예에 따른 인공 지능 추론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실시예는 인공 지능 추론 방법으로, 미리 학습된 신경망을 기반으로 하는 응용을 학습 프레임워크에 독립적인 상위 레벨 언어의 실행 코드로 변환하는 단계(S210)와, 실행 코드를 가속 연산 필요 여부에 따라 범용 언어(General Purpose Language, GPL) 코드와 도메인 특정 언어(Domain Specific Language, DSL) 코드로 분리하는 단계(S220, 도 3 참조) 및 분리된 GPL 코드 및 DSL 코드를 하드웨어에 최적화된 타겟 코드로 생성하는 단계(S230)를 포함한다.
이때, 분리하는 단계(S220)는, 실행 코드를 분석한 결과 연산 중심 명령어인지의 여부에 따라 GPL 코드 및 DSL 코드로 생성할 수 있다.
이때, 분리하는 단계(S220)는, 연산 중심 명령어인지를 판단함에 있어, 실행 코드를 렉시칼 분석 및 구문 분석한 결과를 기반으로 검사하는 것일 수 있다.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도 3을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이때, 타겟 코드를 생성하는 단계(S230)는, GPL 코드를 하드웨어의 CPU에서 실행되는 타겟 코드로 생성하는 단계(S231)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타겟 코드를 생성하는 단계(S230)는, DSL 코드를 분석한 결과 또는 하드웨어의 가속기 구성 상태를 기반으로 하드웨어의 CPU 또는 가속기에서 실행되는 타겟 코드로 생성하는 단계(S232)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인공 지능 추론 장치(100)는 DSL 언어를 특정 하드웨어 환경에 최적화되게 타켓 코드로 변환한다.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도 4를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도 3은 실시예에 따른 실행 코드를 GPL 코드와 DSL 코드로 분리하는 단계(S220)를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장치(100)는 렉시칼 분석(S310) 및 구문 분석(S320)를 수행한다. 여기서, 렉시칼 분석이란 프로그램의 각 문장을 최소 단위인 토큰으로 구분하는 것이다. 여기서, 구문 분석이란 어휘 분석 단계에서 만들어진 토큰들로부터 파스트리 혹은 구문 트리를 생성하는 것이다. 이때, 구문 분석 결과로 규칙과 신경망 프레임워크의 명령어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신경망에 대해 변수, 인자값, 배열값들이 저장된다.
그런 후, 장치(100)는 분석 결과 실행 코드가 연산 중심 명령어인지를 판단한다(S330). 즉, 미리 정의된 규칙을 기반으로 연산 중심 명령어 또는 제어 중심 명령어인지를 검사한다.
S330의 판단 결과 연산 중심 명령어가 아닐 경우, 장치(100)는 실행 코드를 GPL 코드로 생성한다(S340). 즉, 연산의 고성능화를 요구하는 부분이 아닐 경우, GPL 코드로 변환되는 것이다. 예컨대, 응용이 '얼굴 인식'일 경우, 카메라 구동, 촬영 또는 영상 입력 등과 같은 루틴에 해당하는 코드들은 연산의 고성능화가 요구되는 부분이 아니므로, GPL 코드로 생성된다.
반면, S330의 판단 결과 연산 중심 명령어일 아닐 경우, 장치(100)는 실행 코드를 DSL 코드로 생성한다(S350). 즉, 딥러닝 가속 연산의 고성능화를 요구하는 부분은 DSL 코드로 변환되는 것이다. 예컨대, 응용이 '얼굴 인식'일 경우, 준비된 데이터를 입력받아 실제로 실행되는 딥러닝 신경망에 해당하는 코드들은 연산의 고성능화가 요구되는 부분이므로, DSL 코드로 생성된다.
이때, DSL은 문법에 의해 정의되는데, BLAS 라이브러를 최적으로 표현하는 언어로 설계된다. 딥러닝 가속을 위한 DSL 언어의 일 예는 다음과 같을 수 있다.
C[i,j: M, N] = A(i,k: M,N) *+ B(k,j:M, N)
도 4는 실시예에 따른 DSL 코드를 타겟 코드로 생성하는 단계(S232)를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실시예에 따라 DSL 코드를 타겟 코드로 생성하는 단계(S232)는, DSL 코드를 분석한 결과 가속 환경에 유리할 경우, DSL 분리 규칙을 적용하여 DSL 코드를 타겟 코드로 생성하는 것일 수 있다.
즉, 도 4를 참조하면, 장치(100)는 DSL 코드를 분석한 결과 가속 환경에 유리한지를 판단한다(S410). 장치(100)는 S410의 판단 결과, 가속 환경에 유리하지 않을 경우에는 DSL 코드를 CPU에서 실행되는 타겟 코드로 생성하고(S420), 가속 환경에 유리할 경우에는 S430으로 진행한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 DSL 코드를 타겟 코드로 생성하는 단계(S232)는, 하드웨어에 가속기가 존재할 경우, DSL 분리 규칙을 적용하여 타겟 코드를 생성하는 것일 수 있다.
즉, 도 4를 참조하면, 장치(100)는 하드웨어에 가속기가 존재하는지를 판단한다(S430). 장치(100)는 S430의 판단 결과 가속기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에는 DSL 코드를 CPU에서 실행되는 타겟 코드로 생성하고(S420), 가속기가 존재할 경우에는 S440으로 진행한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 DSL 코드를 타겟 코드로 생성하는 단계(S232)는, 하드웨어에 가속기들의 종류가 상이할 경우, 가속기 종류별로 DSL 분리 규칙을 적용하는 것일 수 있다.
즉, 도 4를 참조하면, 장치(100)는 가속기의 환경을 분석(S440)하고, 하드웨어에 종류가 상이한 복수의 이종 가속기들이 존재하는지를 판단한다(S450). S450의 판단 결과 종류가 상이한 복수의 이종 가속기들이 존재할 경우, 장치(100)는 가속기 종류별로 DSL 분리 규칙을 적용한다(S460).
반면, S450의 판단 결과 종류가 상이한 복수의 이종 가속기들이 존재하지 않거나 S460을 수행한 이후, 장치(100)는 S470으로 진행한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 DSL 코드를 타겟 코드로 생성하는 단계(S232)는, 하드웨어에 동종 가속기들이 복수개 존재할 경우, 동종 가속기 환경 내에서 복수의 가속기들에 대한 DSL 분리 규칙을 적용하는 것일 수 있다.
즉, 도 4를 참조하면, 장치(100)는 하드웨어에 동종 가속기들이 복수개 존재하는지를 판단한다(S470). S470의 판단 결과 하드웨어에 동종 가속기들이 복수개 존재할 경우, 장치(100)는 동종 가속기 환경 내에서 복수의 가속기들에 대한 DSL 분리 규칙을 적용한다(S480).
전술한 바와 같이 실시예에서는 DSL 언어를 사용하여 딥러닝 실행 부분을 중간 언어로 변환하고, DSL 언어에서 하드웨어에 최적화된 타켓 코드로의 생성을 별도의 레이어로 분리함으로써, 추론 시스템의 배포를 쉽게 한다. 특히 가속 하드웨어가 둘 이상인 환경에서도 쉽게 동작하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른 인공 지능 추론 장치 및 방법은 딥러닝 신경망을 임베디드 시스템 환경으로 배포(deploy)할 때, 다양한 딥러닝 가속 장치(CPU, GPU, FPGA, 전용 가속기)에 독립적으로 동작할 수 있다.
도 5는 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시스템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실시예에 따른 인공 지능 추론 장치(100)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와 같은 컴퓨터 시스템(1000)에서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시스템(1000)은 버스(1020)를 통하여 서로 통신하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1010), 메모리(1030), 사용자 인터페이스 입력 장치(1040), 사용자 인터페이스 출력 장치(1050) 및 스토리지(106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컴퓨터 시스템(1000)은 네트워크(1080)에 연결되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0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010)는 중앙 처리 장치 또는 메모리(1030)나 스토리지(1060)에 저장된 프로그램 또는 프로세싱 인스트럭션들을 실행하는 반도체 장치일 수 있다. 메모리(1030) 및 스토리지(1060)는 휘발성 매체, 비휘발성 매체, 분리형 매체, 비분리형 매체, 통신 매체, 또는 정보 전달 매체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저장 매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1030)는 ROM(1031)이나 RAM(1032)을 포함할 수 있다.
이상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0 : 인공 지능 추론 장치
110 : 프론트 엔드 레이어 120 : DSL 레이어
130 : 타겟 코드 생성 레이어

Claims (20)

  1. 미리 학습된 신경망을 기반으로 하는 응용을 학습 프레임워크에 독립적인 상위 레벨 언어의 실행 코드로 변환하는 단계;
    실행 코드를 가속 연산 필요 여부에 따라 범용 언어(General Purpose Language, GPL) 코드와 도메인 특정 언어(Domain Specific Language, DSL) 코드로 분리하는 단계; 및
    분리된 GPL 코드 및 DSL 코드를 하드웨어에 최적화된 타겟 코드로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인공 지능 추론 방법.
  2. 제1 항에 있어서, 분리하는 단계는,
    실행 코드를 분석한 결과 연산 중심 명령어인지의 여부에 따라 GPL 코드 및 DSL 코드로 생성하는, 인공 지능 추론 방법.
  3. 제2 항에 있어서, 분리하는 단계는,
    연산 중심 명령어인지를 판단함에 있어, 실행 코드를 렉시칼 분석 및 구문 분석한 결과를 기반으로 검사하는 것인, 인공 지능 추론 방법.
  4. 제1 항에 있어서, 타겟 코드를 생성하는 단계는,
    GPL 코드를 하드웨어의 CPU에서 실행되는 타겟 코드로 생성하는, 인공 지능 추론 방법.
  5. 제1 항에 있어서, 타겟 코드를 생성하는 단계는,
    DSL 코드를 분석한 결과 또는 하드웨어의 가속기 구성 상태를 기반으로 하드웨어의 CPU 또는 가속기에서 실행되는 타겟 코드로 생성하는, 인공 지능 추론 방법.
  6. 제5 항에 있어서, 타겟 코드를 생성하는 단계는,
    DSL 코드를 분석한 결과 가속 환경에 유리할 경우, DSL 분리 규칙을 적용하여 타겟 코드를 생성하는, 인공 지능 추론 방법.
  7. 제5 항에 있어서, 타겟 코드를 생성하는 단계는,
    하드웨어에 가속기가 존재할 경우, DSL 분리 규칙을 적용하여 타겟 코드를 생성하는, 인공 지능 추론 방법.
  8. 제7 항에 있어서, 타겟 코드를 생성하는 단계는,
    하드웨어에 복수의 가속기들의 종류가 상이할 경우, 가속기 종류별로 DSL 분리 규칙을 적용하는, 인공 지능 추론 방법.
  9. 제7 항에 있어서, 타겟 코드를 생성하는 단계는,
    하드웨어에 동종 가속기들이 복수개 존재할 경우, 동종 가속기 환경 내에서 복수의 가속기들에 대한 DSL 분리 규칙을 적용하는, 인공 지능 추론 방법.
  10.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이 기록된 메모리; 및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며,
    프로그램은,
    미리 학습된 신경망을 기반으로 하는 응용을 학습 프레임워크에 독립적인 상위 레벨 언어의 실행 코드로 변환하는 단계;
    실행 코드를 가속 연산 필요 여부에 따라 범용 언어(General Purpose Language, GPL) 코드와 도메인 특정 언어(Domain Specific Language, DSL) 코드로 분리하는 단계; 및
    분리된 GPL 코드 및 DSL 코드를 하드웨어에 최적화된 타겟 코드로 생성하는 단계를 수행하는, 인공 지능 추론 장치.
  11. 제10 항에 있어서, 분리하는 단계는,
    실행 코드를 분석한 결과 연산 중심 명령어인지의 여부에 따라 GPL 코드 및 DSL 코드로 생성하는, 인공 지능 추론 장치.
  12. 제11 항에 있어서, 분리하는 단계는,
    연산 중심 명령어인지를 판단함에 있어, 실행 코드를 렉시칼 분석 및 구문 분석한 결과를 기반으로 검사하는 것인, 인공 지능 추론 장치.
  13. 제10 항에 있어서, 타겟 코드를 생성하는 단계는,
    GPL 코드를 하드웨어의 CPU에서 실행되는 타겟 코드로 생성하는, 인공 지능 추론 장치.
  14. 제10 항에 있어서, 타겟 코드를 생성하는 단계는,
    DSL 코드를 분석한 결과 또는 하드웨어의 가속기 구성 상태를 기반으로 하드웨어의 CPU 또는 가속기에서 실행되는 타겟 코드로 생성하는, 인공 지능 추론 장치.
  15. 제14 항에 있어서, 타겟 코드를 생성하는 단계는,
    DSL 코드를 분석한 결과 가속 환경에 유리할 경우, DSL 분리 규칙을 적용하여 타겟 코드를 생성하는, 인공 지능 추론 장치.
  16. 제14 항에 있어서, 타겟 코드를 생성하는 단계는,
    하드웨어에 가속기가 존재할 경우, DSL 분리 규칙을 적용하여 타겟 코드를 생성하는, 인공 지능 추론 장치.
  17. 제16 항에 있어서, 타겟 코드를 생성하는 단계는,
    하드웨어에 복수의 가속기들의 종류가 상이할 경우, 가속기 종류별로 DSL 분리 규칙을 적용하는, 인공 지능 추론 장치.
  18. 제16 항에 있어서, 타겟 코드를 생성하는 단계는,
    하드웨어에 동종 가속기들이 복수개 존재할 경우, 동종 가속기 환경 내에서 복수의 가속기들에 대한 DSL 분리 규칙을 적용하는, 인공 지능 추론 장치.
  19. 미리 학습된 신경망을 기반으로 하는 응용을 학습 프레임워크에 독립적인 상위 레벨 언어의 실행 코드로 변환하는 단계;
    실행 코드를 가속 연산 필요 여부에 따라 범용 언어(General Purpose Language, GPL) 코드와 도메인 특정 언어(Domain Specific Language, DSL) 코드로 분리하는 단계; 및
    분리된 GPL 코드 및 DSL 코드를 하드웨어에 최적화된 타겟 코드로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분리하는 단계는,
    실행 코드를 분석한 결과 연산 중심 명령어인지의 여부에 따라 GPL 코드 및 DSL 코드로 생성하고,
    타겟 코드를 생성하는 단계는,
    GPL 코드를 하드웨어의 CPU에서 실행되는 타겟 코드로 생성하고, DSL 코드를 분석한 결과 또는 하드웨어의 가속기 구성 상태를 기반으로 하드웨어의 CPU 또는 가속기에서 실행되는 타겟 코드로 생성하는, 인공 지능 추론 방법.
  20. 제19 항에 있어서, 타겟 코드를 생성하는 단계는,
    DSL 코드를 분석한 결과 가속 환경에 유리할 경우, DSL 분리 규칙을 적용하여 타겟 코드를 생성하고, 하드웨어에 가속기가 존재할 경우, DSL 분리 규칙을 적용하여 타겟 코드를 생성하는, 인공 지능 추론 방법.
KR1020200120585A 2019-10-08 2020-09-18 인공 지능 추론 장치 및 방법 KR1026412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20/013250 WO2021071160A1 (ko) 2019-10-08 2020-09-28 인공 지능 추론 장치 및 방법
US17/767,364 US20220374740A1 (en) 2019-10-08 2020-09-28 Artificial intelligence inference apparatus and metho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4396 2019-10-08
KR20190124396 2019-10-0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42012A true KR20210042012A (ko) 2021-04-16
KR102641240B1 KR102641240B1 (ko) 2024-02-29

Family

ID=757436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20585A KR102641240B1 (ko) 2019-10-08 2020-09-18 인공 지능 추론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41240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14264A (ko) 2021-07-21 2023-01-30 티에스엔랩 주식회사 인공지능 모델 변환 방법, 인공지능 모델 변환 장치, 인공지능 모델 구동 방법 및 인공지능 모델 구동 장치
WO2023027368A1 (ko) * 2021-08-24 2023-03-02 주식회사 에너자이 실행 엔진 최적화 방법, 실행 엔진 최적화 장치, 및 실행 엔진 최적화 시스템
KR20230030768A (ko) 2021-08-26 2023-03-07 티에스엔랩 주식회사 인공지능 모델의 유출을 방지하기 위한 인공지능 모델 변환 방법, 인공지능 모델 변환 장치, 인공지능 모델 구동 방법 및 인공지능 모델 구동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80028967A1 (en) 2014-06-02 2018-02-01 General Electric Technology Gmbh Method for capturing carbon dioxide
US10409560B1 (en) * 2015-11-18 2019-09-10 Amazon Technologies, Inc. Acceleration techniques for graph analysis program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80028967A1 (en) 2014-06-02 2018-02-01 General Electric Technology Gmbh Method for capturing carbon dioxide
US10409560B1 (en) * 2015-11-18 2019-09-10 Amazon Technologies, Inc. Acceleration techniques for graph analysis programs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YU XING 외 5명, "An In-depth Comparison of Compilers for Deep Neural Networks on Hardware", 2019 IEEE International Conference on Embedded Software and Systems (ICESS), (2019.08.01.)* *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14264A (ko) 2021-07-21 2023-01-30 티에스엔랩 주식회사 인공지능 모델 변환 방법, 인공지능 모델 변환 장치, 인공지능 모델 구동 방법 및 인공지능 모델 구동 장치
WO2023027368A1 (ko) * 2021-08-24 2023-03-02 주식회사 에너자이 실행 엔진 최적화 방법, 실행 엔진 최적화 장치, 및 실행 엔진 최적화 시스템
KR20230030768A (ko) 2021-08-26 2023-03-07 티에스엔랩 주식회사 인공지능 모델의 유출을 방지하기 위한 인공지능 모델 변환 방법, 인공지능 모델 변환 장치, 인공지능 모델 구동 방법 및 인공지능 모델 구동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41240B1 (ko) 2024-02-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41240B1 (ko) 인공 지능 추론 장치 및 방법
US11144833B2 (en) Data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for merging and processing deterministic knowledge and non-deterministic knowledge
CN112633010B (zh) 基于多头注意力和图卷积网络的方面级情感分析方法及系统
EP4116885A1 (en) Processing method for neural network model, and related device
CN110480635B (zh) 一种用于多机器人的控制方法及控制系统
US11016740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virtual programming by artificial intelligence
US20230334292A1 (en) Node fusion method for computational graph and device
CN113157917B (zh) 基于OpenCL的优化分类模型的建立、优化分类方法及系统
US11847436B2 (en) Machine learning (ML) model-based compiler
US11249891B1 (en) Machine-learning framework for testing feedback controller robustness
CN116560666B (zh) 基于多层级代码生成的ai前端统一计算方法、装置及介质
Seo et al. Top-down parsing for neural network exchange format (nnef) in tensorflow-based deep learning computation
CN117036706A (zh) 一种基于多模态对话语言模型的图像分割方法和系统
CN112748953A (zh) 基于神经网络模型的数据处理方法、装置及电子设备
US20220374740A1 (en) Artificial intelligence inference apparatus and method
CN116596048A (zh) 一种深度学习模型推理部署的方法和系统
US11372381B1 (en) Synthetic engine for artificial intelligence
KR20230065017A (ko) 인공지능 분석 기반 프로그램 소스코드의 요약문 생성 장치 및 방법
KR102275763B1 (ko) 딥러닝 모델로부터 딥러닝 어플리케이션을 자동으로 생성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102574434B1 (ko) 사용자가 요청하는 전문화된 경량 신경망 모델을 실시간으로 생성하는 방법 및 장치
KR102591312B1 (ko) 신경망 변환 장치 및 방법
Park et al. Interworking technology of neural network and data among deep learning frameworks
CN117349186B (zh) 一种基于语义流图的程序语言缺陷定位方法、系统及介质
KR102515149B1 (ko) 자연어 이해를 위한 그래프 변환 시스템 및 방법
CN112966825B (zh) 基于python实现的多模型融合并行推理方法、装置及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