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41967A - Character robot and robot control system using the same - Google Patents

Character robot and robot control system us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41967A
KR20210041967A KR1020190124852A KR20190124852A KR20210041967A KR 20210041967 A KR20210041967 A KR 20210041967A KR 1020190124852 A KR1020190124852 A KR 1020190124852A KR 20190124852 A KR20190124852 A KR 20190124852A KR 20210041967 A KR20210041967 A KR 202100419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bot
character
control
management server
inte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2485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287091B1 (en
Inventor
현바오로
Original Assignee
현바오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바오로 filed Critical 현바오로
Priority to KR10201901248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87091B1/en
Publication of KR202100419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4196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870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8709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9/00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 B25J9/16Programme controls
    • B25J9/1602Programme controls characterised by the control system, structure, architec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1/00Manipulato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9/00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 B25J9/16Programme controls
    • B25J9/1628Programme controls characterised by the control loop
    • B25J9/163Programme controls characterised by the control loop learning, adaptive, model based, rule based expert contro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9/00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 B25J9/16Programme controls
    • B25J9/1679Programme controls characterised by the tasks executed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s a character robot and a robot control system using the s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haracter robot comprises: a robot body which communicates with a user terminal or a management server, receives control information related to at least one among sensing, movement, and output from the user terminal or the management server, and performs a first control corresponding to the received control information; and a first character member which is coupled to the robot body, is formed into a character model, and stores first character information including first authentication data and character data related to the character. The robot body receives the first character information from the first character member, and performs a second control different from the first control by using the received first character information.

Description

캐릭터로봇 및 이를 이용한 로봇제어시스템{Character robot and robot control system using the same} Character robot and robot control system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로봇제어기술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캐릭터화한 캐릭터부재를 이용하여 로봇제어에 대한 흥미 및 집중도를 향상시키는 캐릭터로봇 및 이를 이용한 로봇제어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obot control technology, and more particularly, to a character robot that improves interest and concentration for robot control by using a character member, and a robot control system using the same.

일반적으로, 로봇제어는 컴퓨터에서 제어사항을 C언어 프로그램, BASIC 언어 프로그램 등과 같은 프로그램 언어로 소스코드를 코딩한 후, 코딩된 소스코드를 로봇에 다운로드하면 로봇이 제어사항을 수행하는 것을 의미한다.In general, robot control means that the robot performs control items by coding a source code in a programming language such as a C language program or a BASIC language program in a computer, and then downloading the coded source code to the robot.

따라서 로봇제어를 수행하기 위해서는 로봇과 컴퓨터 간의 유/무선 통신을 통해 코딩된 소스코드가 다운로드될 수 있는 환경이 구축되어야 한다.Therefore, in order to perform robot control, an environment in which the coded source code can be downloaded through wired/wireless communication between the robot and the computer must be established.

즉, 종래의 로봇제어는 컴퓨터가 구비되지 않은 경우 로봇제어를 구현할 수 없고, 컴퓨터가 구비되더라도 로봇제어에 필요한 프로그램 언어를 사용자가 알아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That is, the conventional robot control cannot implement robot control when a computer is not provided, and even if a computer is provide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user needs to know a program language required for robot control.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7-0008107호(2017.01.23.)Korean Patent Application Publication No. 10-2017-0008107 (2017.01.23.)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로봇본체에 캐릭터정보가 저장된 캐릭터부재를 적어도 하나 결합하고, 결합된 캐릭터부재에 저장된 캐릭터정보에 따라 로봇제어를 수행하는 캐릭터로봇 및 이를 이용한 로봇제어시스템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haracter robot that combines at least one character member in which character information is stored in a robot body, and performs robot control according to the character information stored in the combined character member, and a robot control system using the same. There is this.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로봇제어시스템은 소정의 캐릭터 외형을 가지며, 상기 캐릭터 외형에 대응하는 로봇의 동작을 제어하는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로봇제어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와, 상기 기록매체와 다른 기기를 연결하는 인터페이스모듈을 포함하는 캐릭터 부재 및 상기 인터페이스와 연결되는 인터페이스부와, 로봇의 동작을 수행하는 하나 이상의 기능부와, 상기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상기 캐릭터 부재의 상기 인터페이스와 연결되면 상기 기록매체에 저장된 상기 로봇제어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기능부를 제어하여 로봇의 동작을 실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로봇 본체를 포함한다. A robot control system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has a predetermined character appearance, and a robot control program for executing a method of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robot corresponding to the character appearance is recorded. A character member including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an interface module connecting the recording medium and other devices, an interface unit connected to the interface, at least one functional unit for performing an operation of a robot, and the interface unit When connected to the interface of the character member, the robot body includes a control unit that executes the robot control program stored in the recording medium to control the one or more functional units to execute the operation of the robot.

상기 로봇제어시스템은 상기 로봇 본체의 외형과 동일한 가상 로봇 본체 외형을 표현하고 가상으로 상기 로봇 본체의 동작을 수행하는 가상로봇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관리 서버를 더 포함하며, 상기 로봇 본체는 관리 서버와 통신을 위한 통신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상기 캐릭터 부재의 상기 인터페이스와 연결되면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관리 서버에 접속하여 상기 가상 로봇 본체의 외형에 상기 캐릭터 외형과 동일한 가상 캐릭터 외형이 결합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robot control system further includes a management server for storing a virtual robot program that expresses the external shape of the virtual robot body identical to that of the robot body and virtually performs an operation of the robot body, wherein the robot body communicates with the management server. Further comprising a communication unit for, wherein the control unit is connected to the interface of the character member through the interface unit, by accessing the management server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the appearance of the virtual character identical to the appearance of the character in the appearance of the virtual robot body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o be combined.

상기 로봇제어시스템은 소스 코드를 입력받는 입력모듈과, 상기 로봇 본체와 통신을 위한 통신모듈과, 상기 통신모듈을 통해 상기 로봇 본체와 연결된 상기 캐릭터 부재와 연결되면, 상기 소스 코드를 빌드하여 상기 로봇제어 프로그램을 생성하여, 생성된 상기 로봇제어 프로그램을 상기 기록매체에 저장하거나, 상기 소스 코드를 빌드하여 상기 기록매체에 저장된 상기 로봇제어 프로그램을 업데이트하는 제어모듈을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을 더 포함한다. When the robot control system is connected to an input module receiving a source code, a communication module for communication with the robot body, and the character member connected to the robot body through the communication module, the robot control system builds the source code to build the robot. It further comprises a user terminal comprising a control module for generating a control program, storing the generated robot control program in the recording medium, or building the source code to update the robot control program stored in the recording medium.

여기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로봇제어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기능부에 대한 제어에 성공하면,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관리 서버에 접속하여 상기 가상로봇 프로그램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로봇제어 프로그램으로 업데이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Here, when the control of the one or more functional units is successful by executing the robot control program, the control unit connects to the management server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and updates at least a part of the virtual robot program to the robot control program. It is characterized.

상기 제어부는 상기 로봇제어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기능부에 대한 제어에 성공하면,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관리 서버에 접속하여 상기 가상 로봇의 경험치를 부여하며, 상기 관리 서버는 상기 가상 로봇이 소정 수치 이상의 경험치를 가질 때마다 상기 가상 로봇의 레벨을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When the control unit executes the robot control program and succeeds in controlling the at least one functional unit, the control unit accesses the management server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and provides the experience value of the virtual robot. It characterized in that the level of the virtual robot is increased whenever the experience value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numerical value.

상기 로봇제어시스템은 상기 캐릭터 외형과 다른 제2 캐릭터 외형을 가지며, 상기 제2 캐릭터 외형에 대응하는 로봇의 동작을 제어하는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제2 로봇제어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제2 기록매체와, 상기 제2 기록매체와 다른 기기를 연결하는 제2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제2 캐릭터 부재를 더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상기 제2 인터페이스와 연결되면, 상기 제2 기록매체에 저장된 상기 제2 로봇제어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기능부를 제어하여 로봇의 동작을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robot control system has a second character appearance different from the character appearance, and a computer-readable second record in which a second robot control program for executing a method of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robot corresponding to the second character appearance is recorded. And a second character member including a medium and a second interface for connecting the second recording medium and another device. Here, when the controller is connected to the second interface through the interface unit, the control unit executes the second robot control program stored in the second recording medium to control the at least one function unit to execute the operation of the robot. .

상기 로봇제어시스템은 상기 로봇 본체의 외형과 동일한 가상 로봇 본체 외형을 표현하고 가상으로 상기 로봇 본체의 동작을 수행하는 가상 로봇인 가상로봇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관리 서버 및 소스 코드를 입력받는 입력모듈과, 상기 관리 서버와 통신을 위한 통신모듈과, 상기 통신모듈을 통해 상기 관리 서버에 접속하면, 상기 소스 코드를 빌드하여 상기 가상로봇 프로그램을 생성하여 상기 관리 서버에 저장하거나, 상기 소스 코드를 빌드하여 상기 관리 서버에 저장된 상기 가상로봇 프로그램을 업데이트하는 제어모듈을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을 더 포함한다. The robot control system includes an input module for receiving a source code and a management server for storing a virtual robot program, which is a virtual robot that expresses the external shape of the virtual robot body identical to that of the robot body, and performs the operation of the robot body virtually, When accessing the management server through the communication module for communication with the management server and the communication module, the source code is built and the virtual robot program is generated and stored in the management server, or the source code is built and the It further includes a user terminal including a control module for updating the virtual robot program stored in the management server.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관리 서버 상에서 상기 가상로봇 프로그램이 실행되어 정상 동작하면, 상기 통신모듈을 통해 상기 로봇 본체와 연결된 상기 캐릭터 부재와 연결한 후, 상기 가상로봇 프로그램을 로봇제어 프로그램으로 상기 기록매체에 저장하거나, 상기 가상로봇 프로그램으로 상기 기록매체에 저장된 상기 로봇제어 프로그램을 업데이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When the virtual robot program is executed on the management server and operates normally, the control module connects to the character member connected to the robot body through the communication module, and then transfers the virtual robot program to the recording medium as a robot control program. Or updating the robot control program stored in the recording medium with the virtual robot program.

상기 제어모듈은 화면을 표시하기 위한 표시모듈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통신모듈을 통해 상기 관리 서버에 접속한 후, 상기 관리 서버 상에서 상기 가상로봇 프로그램을 실행시키고, 상기 가상로봇 프로그램이 실행되는 실행 화면을 상기 표시모듈을 통해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control module further includes a display module for displaying a screen, and the control module executes the virtual robot program on the management server after accessing the management server through the communication module, and the virtual robot program It characterized in that the execution screen to be executed is displayed through the display module.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캐릭터로봇은 제1 캐릭터 외형을 가지며, 제1 캐릭터 외형에 대응하는 로봇의 동작을 제어하는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제1 로봇제어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제1 기록매체와, 상기 기록매체와 다른 기기를 연결하는 제1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제1 캐릭터 부재와, 상기 제1 인터페이스와 연결되는 인터페이스부와, 로봇의 동작을 수행하는 하나 이상의 기능부와, 상기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상기 제1 캐릭터 부재의 상기 제1 인터페이스와 연결되면 상기 제1 기록매체에 저장된 상기 제1 로봇제어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기능부를 제어하여 로봇의 동작을 실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로봇 본체를 포함한다. A character robot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described object has a first character appearance, and a first robot control program for executing a method of controlling the motion of the robot corresponding to the first character appearance A first character member including the recorded computer-readable first recording medium, a first interface connecting the recording medium and other devices, an interface unit connected to the first interface, and performing an operation of the robot. When connected to the first interface of the first character member through at least one function unit and the interface unit, the first robot control program stored in the first recording medium is executed to control the at least one function unit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robot. It includes a robot body including a control unit to execute.

상기 캐릭터로봇은 상기 제1 캐릭터 외형과 다른 제2 캐릭터 외형을 가지며, 상기 제2 캐릭터 외형에 대응하는 로봇의 동작을 제어하는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제2 로봇제어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제2 기록매체와, 상기 제2 기록매체와 다른 기기를 연결하는 제2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제2 캐릭터 부재를 더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상기 제2 인터페이스와 연결되면, 상기 제2 기록매체에 저장된 상기 제2 로봇제어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기능부를 제어하여 로봇의 동작을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character robot has a second character appearance different from the first character appearance, and a computer-readable second in which a second robot control program for executing a method of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robot corresponding to the second character appearance is recorded. It further includes a second character member including a recording medium and a second interface for connecting the second recording medium and another device. Here, when the controller is connected to the second interface through the interface unit, the control unit executes the second robot control program stored in the second recording medium to control the at least one function unit to execute the operation of the robot. .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캐릭터로봇은 사용자단말 또는 관리서버와 통신을 하고, 상기 사용자단말 또는 상기 관리서버로부터 센싱, 이동 및 출력 중 적어도 하나와 관련된 제어정보를 수신하며, 상기 수신된 제어정보에 해당하는 제1 제어를 수행하는 로봇본체 및 상기 로봇본체와 결합되고, 캐릭터모형으로 형성되며, 제1 인증 데이터 및 캐릭터와 관련된 캐릭터 데이터를 포함하는 제1 캐릭터정보가 저장되는 제1 캐릭터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로봇본체는, 상기 제1 캐릭터부재로부터 제1 캐릭터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제1 캐릭터정보를 이용하여 제1 제어와 다른 제2 제어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character robo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municates with a user terminal or a management server, receives control information related to at least one of sensing, movement, and output from the user terminal or the management server, and the reception A robot body that performs a first control corresponding to the controlled information, and a first character information that is combined with the robot body, is formed in a character model, and stores first character information including first authentication data and character data related to the character. Including a character member, wherein the robot body is characterized in that it receives first character information from the first character member, and performs a second control different from the first control by using the received first character information. .

또한 상기 로봇본체와 결합되고, 상기 캐릭터모형과 관련된 보조모형으로 형성되며, 제2 인증 데이터 및 상기 캐릭터 데이터에 부가되는 보조 데이터를 포함하는 제2 캐릭터정보가 저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캐릭터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at least one second character member, which is coupled to the robot body, is formed as an auxiliary model related to the character model, and stores second character information including second authentication data and auxiliary data added to the character data. It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includes.

또한 상기 로봇본체는, 상기 제2 캐릭터부재가 결합되면 상기 제2 인증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제2 캐릭터부재에 대한 인증절차를 수행하고, 상기 인증절차에서 인증이 완료되고, 상기 제1 캐릭터부재의 인증도 완료되면 상기 제2 캐릭터부재로부터 보조 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캐릭터 데이터와 상기 보조 데이터가 결합된 제3 캐릭터정보를 생성하며, 상기 생성된 제3 캐릭터정보를 이용하여 제1 제어 및 제2 제어와 다른 제3 제어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when the second character member is coupled, the robot body performs an authentication procedure for the second character member using the second authentication data, and authentication is completed in the authentication procedure, and the first character member When authentication is also completed, third character information is generated in which the character data and the auxiliary data are combined by receiving auxiliary data from the second character member, and first control and second control using the generated third character information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performs a third control different from that.

또한 상기 로봇본체는, 상기 제1 캐릭터부재가 결합되면 상기 인증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제1 캐릭터부재에 대한 인증절차를 수행하고, 상기 인증절차에서 인증이 완료되면 상기 제2 제어를 수행하고, 상기 인증절차에서 미완료되면 경보알람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when the first character member is coupled, the robot body performs an authentication procedure for the first character member using the authentication data, and when authentication is completed in the authentication procedure, the robot body performs the second control, and the It characterized in that it outputs an alarm alarm if it is not completed in the authentication procedure.

본 발명에 따른 로봇제어시스템은 착탈이 가능한 부재를 포함하는 캐릭터로봇, 상기 캐릭터로봇에 제어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캐릭터로봇으로부터 상기 캐릭터로봇의 상태정보를 수신하며, 상기 수신된 상태정보를 출력하는 사용자단말, 상기 캐릭터로봇 또는 상기 사용자단말로부터 상태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상태정보를 저장하며, 상기 저장된 상태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캐릭터로봇을 모니터링하는 관리 서버를 포함하되, 상기 캐릭터로봇은, 상기 사용자단말 또는 상기 관리서버와 통신을 하고, 상기 사용자단말 또는 상기 관리서버로부터 센싱, 이동 및 출력 중 적어도 하나와 관련된 제어정보를 수신하며, 상기 수신된 제어정보에 해당하는 제1 제어를 수행하는 로봇본체 및 상기 로봇본체와 결합되고, 캐릭터모형으로 형성되며, 인증 데이터 및 캐릭터와 관련된 캐릭터 데이터를 포함하는 제1 캐릭터정보가 저장되는 제1 캐릭터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로봇본체는, 상기 제1 캐릭터부재로부터 제1 캐릭터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제1 캐릭터정보를 이용하여 제1 제어와 다른 제2 제어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robot control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haracter robot including a detachable member, transmitting control information to the character robot, receiving state information of the character robot from the character robot, and outputting the received state information. And a management server for receiving status information from a user terminal, the character robot, or the user terminal, storing the status information, and monitoring the character robot using the stored status information, wherein the character robot is A robot body that communicates with a terminal or the management server, receives control information related to at least one of sensing, movement, and output from the user terminal or the management server, and performs first control corresponding to the received control information And a first character member coupled with the robot body, formed in a character model, and storing first character information including authentication data and character data related to the character, wherein the robot body comprises the first character member The first character information is received from and a second control different from the first control is performed using the received first character information.

또한 상기 관리서버는, 상기 상태정보에 포함된 제1 캐릭터정보와 제1 제어 및 제2 제어에 대한 제어상태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캐릭터로봇의 현재 상태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된 결과에서 이상이 감지되면 상기 사용자단말로 이상감지정보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management server determines the current state of the character robot using the first character information included in the state information and the control state information for the first control and the second control, and detects an abnormality in the determined result. Then, abnormality detection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the user terminal.

본 발명에 따른 캐릭터로봇 및 이를 이용한 로봇제어시스템은 로봇본체에 캐릭터정보가 저장된 캐릭터부재를 적어도 하나 결합하고, 결합된 캐릭터부재에 저장된 캐릭터정보에 따라 로봇제어를 수행함으로써, 사용자가 다양한 로봇제어를 손쉽게 경험할 수 있다.A character robo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a robot control system using the same combine at least one character member in which character information is stored in the robot body, and perform robot control according to the character information stored in the combined character member, so that a user can control various robots. You can easily experience it.

또한 외형을 캐릭터화함으로써, 저연령층 사용자에게 로봇제어에 대한 거부감을 줄이고, 흥미를 유발시킬 수 있다.In addition, by characterizing the appearance,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rejection of robot control and induce interest in low-age users.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로봇제어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로봇제어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캐릭터로봇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4는 도 3의 로봇본체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5는 도 3의 제1 캐릭터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6은 도 3의 제2 캐릭터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7은 도 3의 로봇본체 및 제1 캐릭터부재의 결합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도 7의 로봇본체 및 제1 캐릭터부재의 분해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도 3의 로봇본체, 제1 캐릭터부재 및 제2 캐릭터부재의 분해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관리서버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봇제어시스템의 로봇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로봇제어시스템의 로봇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robot control system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robot control system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haracter robo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the robot body of FIG. 3.
5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first character member of FIG. 3.
6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second character member of FIG. 3.
7 is a view for explaining a coupled state of the robot body and the first character member of FIG. 3.
8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disassembled state of the robot body and the first character member of FIG. 7.
9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disassembled state of the robot body, the first character member and the second character member of FIG. 3.
10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user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diagram for explaining the configuration of a management ser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robot control method of the robot control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robot control method of a robot control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당업자에게 자명하거나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First of all, in adding reference numerals to elements of each drawing, it should be noted that the same elements are to have the same numerals as possible even if they are indicated on different drawings. In addition,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configuration or function is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or ma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본 발명은 캐릭터화한 캐릭터부재를 이용하여 로봇제어에 대한 흥미 및 집중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착탈이 가능한 캐릭터부재를 로봇본체와 결합시켜 캐릭터부재에 저장된 고유의 캐릭터정보를 이용하여 로봇제어를 할 수 있다. 이 때, 본 발명은 캐릭터부재를 교체하면서 로봇본체와 결합시킴으로써, 다양한 로봇제어를 쉽고 간단하게 할 수 있어 로봇제어를 처음 접하는 초보자들에게 많은 도움을 줄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can improve the degree of interest and concentration for robot control by using a character member that has been characterized. Specifically, in the present invention, a removable character member can be combined with a robot body to control the robot using unique character information stored in the character member. At this time, the present invention can easily and simply control a variety of robots by combining the character member with the robot body while replacing the character member, so that it can be of great help to beginners who are new to robot control.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로봇제어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robot control system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로봇제어시스템(100)은 캐릭터로봇(110), 사용자단말(130) 및 관리서버(15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1, the robot control system 100 includes a character robot 110, a user terminal 130, and a management server 150.

캐릭터로봇(110)은 피규어(figure)형상으로 캐릭터화한 캐릭터부재와 로봇본체가 결합되어 다양한 로봇제어를 제공한다. 즉, 캐릭터로봇(110)은 착탈이 가능한 캐릭터부재를 교체하면서 교체된 캐릭터부재에 저장된 캐릭터정보를 이용하여 로봇제어를 할 수 있다. 또한 캐릭터로봇(110)은 사용자단말(130) 또는 관리서버(150)로부터 제어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제어정보에 따라 로봇제어를 할 수 있다. 캐릭터로봇(110)의 자세한 설명은 도 3 내지 도 9를 통해 개시한다.The character robot 110 provides various robot controls by combining a character member and a robot body characterized in a figure shape. That is, the character robot 110 may control the robot using character information stored in the replaced character member while replacing the detachable character member. In addition, the character robot 110 may receive control information from the user terminal 130 or the management server 150 and control the robot according to the received control informa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character robot 110 is disclosed through FIGS. 3 to 9.

사용자단말(130)은 캐릭터로봇(110) 및 관리서버(150)와 통신을 수행한다. 사용자단말(130)은 캐릭터로봇(110) 및 관리서버(150) 사이에서 중계기 역할을 할 수 있다. 사용자단말(130)은 사용자입력을 입력받고, 입력된 사용자입력을 이용하여 제어정보로 생성한다. 사용자단말(130)은 생성된 제어정보를 캐릭터로봇(110)에 전송하여 캐릭터로봇(110)을 제어할 수 있다. 사용자단말(130)은 캐릭터로봇(110)로부터 상태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상태정보를 출력한다. 상태정보는 캐릭터로봇(110)의 캐릭터정보, 제어정보 등을 포함한다. 여기서, 사용자단말(130)은 상태정보에 포함된 캐릭터정보에 따라 출력되는 디스플레이가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단말(130)은 캐릭터정보에 포함된 증강현실(augmented reality, AR) 정보에 따라 출력되는 디스플레이를 변경할 수 있다. 사용자단말(130)은 스마트폰, 태블릿PC, 핸드헬드 컴퓨터, 데스크톱, 랩톱 등과 같은 개인용 컴퓨터 시스템일 수 있다.The user terminal 130 communicates with the character robot 110 and the management server 150. The user terminal 130 may serve as a repeater between the character robot 110 and the management server 150. The user terminal 130 receives a user input and generates control information using the input user input. The user terminal 130 may control the character robot 110 by transmitting the generated control information to the character robot 110. The user terminal 130 receives status information from the character robot 110 and outputs the received status information. The state information includes character information and control information of the character robot 110. Here, the display of the user terminal 130 may be changed according to character information included in the state information. For example, the user terminal 130 may change the displayed display according to the augmented reality (AR) information included in the character information. The user terminal 130 may be a personal computer system such as a smart phone, a tablet PC, a handheld computer, a desktop, and a laptop.

관리서버(150)는 캐릭터로봇(110) 또는 사용자단말(130)과 통신을 수행한다. 관리서버(150)는 캐릭터로봇(110) 또는 사용자단말(130)로부터 캐릭터로봇(110)의 상태정보를 수신한다. 관리서버(150)는 수신된 상태정보를 저장하고, 새롭게 수신된 상태정보를 실시간으로 업데이트할 수 있다. 관리서버(150)는 상태정보를 이용하여 캐릭터로봇(110)을 모니터링한다. 즉, 관리서버(150)는 상태정보에 포함된 캐릭터정보와 제어상태정보를 이용하여 캐릭터로봇(110)의 현재 상태를 판단하고, 판단된 결과에서 이상이 감지되면 사용자단말(130)로 이상감지정보를 전송한다. 이를 통해, 사용자단말(130)은 이상감지정보를 출력하여 사용자가 캐릭터로봇(110)에 이상이 발생했음을 알릴 수 있다.The management server 150 communicates with the character robot 110 or the user terminal 130. The management server 150 receives status information of the character robot 110 from the character robot 110 or the user terminal 130. The management server 150 may store the received status information and update the newly received status information in real time. The management server 150 monitors the character robot 110 using the status information. That is, the management server 150 determines the current state of the character robot 110 using character information and control state information included in the state information, and if an abnormality is detected in the determined result, the abnormality is detected by the user terminal 130. Transmit information. Through this, the user terminal 130 may output abnormality detection information to inform the user that an abnormality has occurred in the character robot 110.

한편, 로봇제어시스템(100)은 캐릭터로봇(110), 사용자단말(130) 및 관리서버(150)를 서로 연결해주는 통신망(190)을 더 포함한다. 통신망(190)은 백본망과 가입자망으로 구성될 수 있다. 백본망은 X.25 망, Frame Relay 망, ATM망, MPLS(Multi Protocol Label Switching) 망 및 GMPLS(Generalized Multi Protocol Label Switching) 망 중 하나 또는 복수의 통합된 망으로 구성될 수 있다. 가입자망은 FTTH(Fiber To The Home), ADSL(Asymmetric Digital Subscriber Line), 케이블망, 지그비(zigbee), 블루투스(bluetooth), Wireless LAN(IEEE 802.11b, IEEE 802.11a, IEEE 802.11g, IEEE 802.11n), Wireless Hart(ISO/IEC62591-1), ISA100.11a(ISO/IEC 62734), COAP(Constrained Application Protocol), MQTT(Multi-Client Publish/Subscribe Messaging),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 3G,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4G 및 차세대 통신망인 5G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로, 통신망(150)은 인터넷망일 수 있고, 이동 통신망일 수 있다. Meanwhile, the robot control system 100 further includes a communication network 190 for connecting the character robot 110, the user terminal 130, and the management server 150 to each other. The communication network 190 may be composed of a backbone network and a subscriber network. The backbone network may be composed of one or more integrated networks among the X.25 network, Frame Relay network, ATM network, Multi Protocol Label Switching (MPLS) network, and Generalized Multi Protocol Label Switching (GMPLS) network. Subscriber networks include FTTH (Fiber To The Home), ADSL (Asymmetric Digital Subscriber Line), cable network, zigbee, Bluetooth, Wireless LAN (IEEE 802.11b, IEEE 802.11a, IEEE 802.11g, IEEE 802.11n). ), Wireless Hart (ISO/IEC62591-1), ISA100.11a (ISO/IEC 62734), COAP (Constrained Application Protocol), MQTT (Multi-Client Publish/Subscribe Messaging), WIBro (Wireless Broadband), Wimax, 3G, It may be 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DPA), 4G, and 5G, which is a next-generation communication network. In some embodiments, the communication network 150 may be an Internet network or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도 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로봇제어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robot control system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로봇제어시스템(200)은 복수의 캐릭터로봇(211, 221, 231) 및 사용자단말(212, 222, 232)이 일대일 대응되도록 그룹화하여 로봇제어를 한다. 즉, 로봇제어시스템(200)은 복수의 캐릭터로봇(211, 221, 231) 및 사용자단말(212, 222, 232)을 제1 그룹(210) 내지 제n 그룹(230)으로 그룹화하고, 각 그룹은 통신망(290)을 통해 관리서버(250)와 통신을 수행한다(n은 2이상의 자연수). 여기서, 제1 그룹(210)은 제1 캐릭터로봇(211) 및 제1 사용자단말(212)을 포함하고, 제2 그룹(220)은 제2 캐릭터로봇(221) 및 제2 사용자단말(222)을 포함하며, 제n 그룹(230)은 제n 캐릭터로봇(231) 및 제n 사용자단말(232)을 포함한다. 한편, 로봇제어시스템(200)은 제1 실시예에 따른 로봇제어시스템(100)과 비교할 때, 복수의 캐릭터로봇(211, 221, 231) 및 복수의 사용자단말(212, 222, 232)이 일대일 대응으로 그룹화되는 부분이외의 부분은 동일한 구성 및 기능을 가지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1 and 2, the robot control system 200 controls the robot by grouping a plurality of character robots 211, 221, 231 and user terminals 212, 222, 232 so as to correspond one-to-one. That is, the robot control system 200 groups a plurality of character robots 211, 221, 231 and user terminals 212, 222, 232 into a first group 210 to an nth group 230, and each group Performs communication with the management server 250 through the communication network 290 (n is a natural number of 2 or more). Here, the first group 210 includes a first character robot 211 and a first user terminal 212, and the second group 220 is a second character robot 221 and a second user terminal 222 And, the n-th group 230 includes an n-th character robot 231 and an n-th user terminal 232. On the other hand, the robot control system 200 is compared with the robot control system 1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a plurality of character robots (211, 221, 231) and a plurality of user terminals (212, 222, 232) one-to-one Since parts other than the correspondingly grouped parts have the same configuration and function, a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로봇제어시스템(200)은 각 그룹의 사용자단말(211, 221, 231)이 각 그룹의 캐릭터로봇(212, 222, 232)만을 제어할 수 있다. 즉, 제1 사용자단말(212)은 제1 캐릭터로봇(211)과 일대일 제어를 하고, 제2 사용자단말(222)은 제2 캐릭터로봇(221)과 일대일 제어를 하며, 제n 사용자단말(232)은 제n 캐릭터로봇(232)과 일대일 제어를 한다. 이러한 일대일 제어를 수행하기 위해, 로봇제어시스템(200)은 캐릭터로봇과 사용자단말 간에 인증절차를 수행할 수 있으며, 인증이 되는 경우에만 서로 간의 통신이 이루어져 일대일 제어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In the robot control system 200, the user terminals 211, 221, and 231 of each group can control only the character robots 212, 222, and 232 of each group. That is, the first user terminal 212 performs one-to-one control with the first character robot 211, the second user terminal 222 performs one-to-one control with the second character robot 221, and the n-th user terminal 232 ) Performs one-to-one control with the n-th character robot 232. In order to perform such one-to-one control, the robot control system 200 may perform an authentication procedure between the character robot and the user terminal, and communication between each other is performed only when authentication is performed so that one-to-one control can be achieved.

로봇제어시스템(200)은 관리서버(250)를 통해 각 그룹(210, 220, 230)을 모니터링할 수 있다. 즉, 관리서버(250)는 제1 그룹(210) 내지 제n 그룹(230)으로부터 각 그룹의 캐릭터로봇에 대한 상태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상태정보를 이용하여 각 그룹을 모니터링한다. 이 때, 관리서버(250)는 각 그룹에서 수신된 상태정보를 저장하고, 새롭게 수신된 상태정보를 실시간으로 업데이트할 수 있다.The robot control system 200 may monitor each group (210, 220, 230) through the management server (250). That is, the management server 250 receives status information on the character robots of each group from the first group 210 to the nth group 230 and monitors each group using the received status information. At this time, the management server 250 may store the status information received from each group and update the newly received status information in real time.

한편, 로봇제어시스템(200)은 게임분야에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로봇제어시스템(200)은 제1 그룹(210) 내지 제n 그룹(230)이 서로 다른 사용자에 의해 각각 제어되고, 전체 그룹을 관리서버(250)가 제어할 수 있다. 즉, 로봇제어시스템(200)은 각 그룹의 캐릭터로봇을 캐릭터로봇과 연결된 사용자단말로 사용자가 제어할 수 있다. 이 때, 캐릭터로봇은 고유의 캐릭터정보를 저장함으로써, 사용자는 자신만의 캐릭터로봇을 만들 수 있다. 따라서 로봇제어시스템(200)은 사용자가 자신만의 캐릭터로봇으로 다른 사용자의 캐릭터로봇과 경쟁하는 구도를 가지는 게임에 적용하여 사용자가 로봇제어에 흥미를 가지도록 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robot control system 200 can be applied to the field of games. For example, in the robot control system 200, the first group 210 to the n-th group 230 are each controlled by different users, and the management server 250 may control the entire group. That is, the robot control system 200 may control the character robots of each group by a user terminal connected to the character robot. At this time, the character robot stores unique character information, so that the user can create his own character robot. Accordingly, the robot control system 200 may apply to a game in which a user competes with another user's character robot with his or her own character robot so that the user is interested in robot control.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캐릭터로봇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고, 도 4는 도 3의 로봇본체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며, 도 5는 도 3의 제1 캐릭터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고, 도 6은 도 3의 제2 캐릭터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3 is a block diagram for explaining a character robo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block diagram for explaining the robot body of FIG. 3, and FIG. 5 is a block diagram for explaining the first character member of FIG. It is a block diagram, and FIG. 6 is a block diagram for explaining the second character member of FIG. 3.

도 1,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캐릭터로봇(110)은 로봇본체(10) 및 제1 캐릭터부재(30)를 포함하고, 적어도 하나의 제2 캐릭터부재(50)를 더 포함한다.1 and 3 to 6, the character robot 110 includes a robot body 10 and a first character member 30, and further includes at least one second character member 50.

로봇본체(10)는 캐릭터로봇(110)을 지지하는 지지대 및 로봇제어에 대한 구동을 수행하는 몸체 역할을 한다. 로봇본체(10)는 통신부(11), 센서부(12), 인터페이스부(13), 이송부(14), 조명부(15), 스피커(16), 저장부(17), 전원부(18) 및 제어부(19)를 포함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통신부(11), 센서부(12), 인터페이스부(13), 이송부(14), 조명부(15), 스피커(16), 저장부(17) 및 전원부(18)는 통칭하여 기능부(11 내지 18)라고 칭할 수 있다. 이러한 기능부 각각은 로봇의 동작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The robot body 10 serves as a support for supporting the character robot 110 and a body for driving the robot control. The robot body 10 includes a communication unit 11, a sensor unit 12, an interface unit 13, a transfer unit 14, a lighting unit 15, a speaker 16, a storage unit 17, a power supply unit 18, and a control unit. It includes (19).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the communication unit 11, the sensor unit 12, the interface unit 13, the transfer unit 14, the lighting unit 15, the speaker 16, the storage unit 17, and the power unit 18 are collectively referred to as Thus, it can be referred to as the functional units 11 to 18. Each of these functional units performs the operation of the robot. Specifically, it will be described as follows.

통신부(11)는 사용자단말(130) 또는 관리서버(150)와 통신을 한다. 통신부(11)는 사용자단말(130) 또는 관리서버(150)로부터 제어정보를 수신하고, 캐릭터로봇의 상태정보를 전송한다. 여기서, 캐릭터로봇의 상태정보는 캐릭터정보 및 제어상태정보를 포함한다. 캐릭터정보 및 제어상태정보의 자세한 설명은 후술되기로 한다.The communication unit 11 communicates with the user terminal 130 or the management server 150. The communication unit 11 receives control information from the user terminal 130 or the management server 150 and transmits the state information of the character robot. Here, the state information of the character robot includes character information and control state informa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character information and the control state information will be described later.

센서부(12)는 로봇본체(10)의 전면 및 좌우측면에 형성되고, 장애물을 감지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센서부(12)는 로봇본체(10)가 이동하는 경로에 배치된 장애물을 감지한다. 센서부(12)는 적외선 센서, 초음파 센서 등을 포함한다.The sensor unit 12 is formed on the front and left and right sides of the robot body 10 and can detect an obstacle. Preferably, the sensor unit 12 detects an obstacle disposed in a path in which the robot body 10 moves. The sensor unit 12 includes an infrared sensor, an ultrasonic sensor, and the like.

인터페이스(Interface)부(13)는 로봇본체(10)의 상부에 형성되고, 제1 캐릭터부재(30) 및 제2 캐릭터부재(50)와 결합된다. 인터페이스부(13)는 제1 캐릭터부재(30) 및 제2 캐릭터부재(50)를 고정하는 역할뿐만 아니라 서로 간에 전기적인 연결이 이루어져 통신을 수행하는 통로 역할을 한다. 이를 통해, 인터페이스부(13)는 로봇본체(10)와 제1 캐릭터부재(30) 및 제2 캐릭터부재(50) 간에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이 때, 제1 캐릭터부재(30) 및 제2 캐릭터부재(50)는 인터페이스부(13)로 캐릭터정보를 전송한다.The interface unit 13 is formed on the robot body 10 and is coupled to the first character member 30 and the second character member 50. The interface unit 13 not only fixes the first character member 30 and the second character member 50, but also serves as a passage through which electrical connections are made to each other to perform communication. Through this, the interface unit 13 may transmit and receive information between the robot body 10 and the first character member 30 and the second character member 50. In this case, the first character member 30 and the second character member 50 transmit character information to the interface unit 13.

이송부(14)는 로봇본체(10)의 양측면에 형성되고, 이동경로에 따라 이동한다. 이를 위해, 이송부(14)는 복수의 바퀴 및 복수의 바퀴를 회전시키기 위한 모터를 포함한다. The transfer unit 14 i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robot body 10 and moves according to a movement path. To this end, the transfer unit 14 includes a plurality of wheels and a motor for rotating the plurality of wheels.

조명부(15)는 로봇본체(10)의 전면에 형성되고, 전방을 향해 조명을 출력한다. 조명부(15)는 LED, 램프 등을 포함한다. The lighting unit 15 is form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robot body 10 and outputs lighting toward the front. The lighting unit 15 includes an LED, a lamp, and the like.

스피커(16)는 로봇본체(10)에 형성되고, 외부로 소리를 출력한다. 스피커(16)는 경보음, 알람음 등을 출력할 수 있다. The speaker 16 is formed on the robot body 10 and outputs sound to the outside. The speaker 16 may output an alarm sound, an alarm sound, and the like.

저장부(17)는 로봇본체(10) 내부에 형성되고, 통신부(11)로부터 수신된 제어정보 및 인터페이스부(13)로부터 수신된 캐릭터정보이 저장된다. 저장부(17)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The storage unit 17 is formed inside the robot body 10 and stores control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communication unit 11 and character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interface unit 13. The storage unit 17 is a flash memory type, a hard disk type, a media card micro type, a card type memory (eg, SD or XD memory, etc.), RAM (Random Access Memory, RAM), SRAM (Static Random Access Memory), ROM (Read-Only Memory, ROM), EEPROM (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magnetic memory, It may include at least one storage medium of a magnetic disk and an optical disk.

전원부(18)는 로봇본체(10) 내부에 형성되고, 전원을 공급한다. 전원부(18)는 배터리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1차 또는 2차 전지일 수 있다.The power supply unit 18 is formed inside the robot body 10 and supplies power. The power supply unit 18 may be formed in the form of a battery, and may be a primary or secondary battery.

제어부(19)는 로봇본체(10) 내부에 형성되고, 통신부(11)로부터 수신된 제어정보를 이용하여 제1 제어를 수행한다. 여기서, 제1 제어는 사용자단말(130) 또는 관리서버(150)와 같이 외부장치로부터 수신된 제어정보에 의해 제어되는 것을 의미한다. 이 때, 제어부(19)는 제어정보에 따라 센서부(12), 이송부(14), 조명부(15) 및 스피커(17)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함으로써, 다양한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The control unit 19 is formed inside the robot body 10 and performs the first control using the control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communication unit 11. Here, the first control means that it is controlled by control information received from an external device such as the user terminal 130 or the management server 150. In this case, the control unit 19 may perform various controls by controlling at least one of the sensor unit 12, the transfer unit 14, the lighting unit 15, and the speaker 17 according to the control information.

제1 캐릭터부재(30)는 로봇본체(10)와 결합되고, 피규어(figure)형상의 캐릭터모형으로 형성된다. 제1 캐릭터부재(30)는 제1 인증 데이터 및 캐릭터와 관련된 캐릭터 데이터를 포함하는 제1 캐릭터정보가 저장된다. 여기서, 제1 인증 데이터는 제1 캐릭터부재(30)를 인증하는 식별번호, 인증키 등과 같은 데이터를 포함하고, 캐릭터 데이터는 캐릭터의 스펙(spec), 기능, 제어 등과 같은 데이터를 포함한다. 제1 캐릭터부재(30)는 일반 데이터가 더 저장될 수 있다. 즉, 제1 캐릭터부재(30)는 USB(Universal Serial Bus)와 같이 일반 데이터가 저장되는 저장매체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제1 캐릭터부재(30)는 제1 인터페이스모듈(31) 및 제1 기록매체(32)를 포함한다.The first character member 30 is coupled to the robot body 10 and is formed in a character model in the shape of a figure. The first character member 30 stores first character information including first authentication data and character data related to the character. Here, the first authentication data includes data such as an identification number and an authentication key for authenticating the first character member 30, and the character data includes data such as a character specification, function, and control. The first character member 30 may further store general data. That is, the first character member 30 may perform a function of a storage medium in which general data is stored, such as a universal serial bus (USB). The first character member 30 includes a first interface module 31 and a first recording medium 32.

제1 인터페이스모듈(31)은 로봇본체(10)의 인터페이스부(13)와 결합되는 부분으로써, 로봇본체(10)와의 양방향 통신을 수행한다. 제1 인터페이스모듈(31)은 로봇본체(10)로부터 요청신호를 수신하고, 로봇본체(10)로 요청신호에 따른 제1 캐릭터정보 또는 일반 데이터를 전송한다. 제1 인터페이스모듈(31)은 인터페이스부(13)와 결합되면 고정되는 구조로 형성될 뿐만 아니라 인터페이스부(13)와의 탈착이 용이하도록 탈착부재가 포함될 수 있다.The first interface module 31 is a part that is coupled with the interface unit 13 of the robot body 10 and performs bidirectional communication with the robot body 10. The first interface module 31 receives a request signal from the robot body 10 and transmits first character information or general data according to the request signal to the robot body 10. The first interface module 31 may be formed in a structure that is fixed when coupled to the interface unit 13 and may include a detachable member to facilitate detachment from and to the interface unit 13.

제1 기록매체(32)는 제1 캐릭터정보 및 일반 데이터를 저장하고, 저장된 제1 캐릭터정보 또는 일반 데이터를 제1 인터페이스모듈(31)로 전송한다. 제1 기록매체(32)는 제1 캐릭터정보 및 일반 데이터를 구분하여 저장할 수 있고, 제1 캐릭터정보를 제1 인증 데이터 및 캐릭터 데이터로 구분하여 저장할 수 있다. The first recording medium 32 stores first character information and general data, and transmits the stored first character information or general data to the first interface module 31. The first recording medium 32 may separate and store first character information and general data, and may divide and store the first character information into first authentication data and character data.

제2 캐릭터부재(50)는 로봇본체(10)와 결합되고, 제1 캐릭터부재(30)의 캐릭터모형과 관련된 보조모형으로 형성된다. 제2 캐릭터부재(50)는 제2 인증 데이터 및 제1 캐릭터부재(30)의 캐릭터 데이터에 부가되는 보조 데이터를 포함하는 제2 캐릭터정보가 저장된다. 여기서, 제2 인증 데이터는 제2 캐릭터부재(50)를 인증하는 식별번호, 인증키 등과 같은 데이터를 포함하고, 보조 데이터는 부가되는 기능, 제어 등과 같은 데이터를 포함한다. 제2 캐릭터부재(50)는 일반 데이터가 더 저장될 수 있다. 즉, 제2 캐릭터부재(50)는 USB와 같이 일반 데이터가 저장되는 저장매체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제2 캐릭터부재(50)는 제2 인터페이스모듈(51) 및 제2 기록매체(52)를 포함한다.The second character member 50 is coupled to the robot body 10 and is formed as an auxiliary model related to the character model of the first character member 30. The second character member 50 stores second character information including second authentication data and auxiliary data added to the character data of the first character member 30. Here, the second authentication data includes data such as an identification number and an authentication key for authenticating the second character member 50, and the auxiliary data includes data such as added functions and controls. The second character member 50 may further store general data. That is, the second character member 50 may function as a storage medium in which general data is stored, such as a USB. The second character member 50 includes a second interface module 51 and a second recording medium 52.

제2 인터페이스모듈(51)은 로봇본체(10)의 인터페이스부(13)와 결합되는 부분으로써, 로봇본체(10)와의 양방향 통신을 수행한다. 제2 인터페이스모듈(51)은 로봇본체(10)로부터 요청신호를 수신하고, 로봇본체(10)로 요청신호에 따른 제2 캐릭터정보 또는 일반 데이터를 전송한다. 제2 인터페이스모듈(51)은 인터페이스부(13)와 결합되면 고정되는 구조로 형성될 뿐만 아니라 인터페이스부(13)와의 탈착이 용이하도록 탈착부재가 포함될 수 있다.The second interface module 51 is a part that is coupled to the interface unit 13 of the robot body 10 and performs bidirectional communication with the robot body 10. The second interface module 51 receives a request signal from the robot body 10 and transmits second character information or general data according to the request signal to the robot body 10. The second interface module 51 may be formed in a structure that is fixed when combined with the interface unit 13, and may include a detachable member to facilitate detachment from and to the interface unit 13.

제2 기록매체(52)는 제2 캐릭터정보 및 일반 데이터를 저장하고, 저장된 제2 캐릭터정보 또는 일반 데이터를 제2 인터페이스모듈(51)로 전송한다. 제2 기록매체(52)는 제2 캐릭터정보 및 일반 데이터를 구분하여 저장할 수 있고, 제2 캐릭터정보를 제2 인증 데이터 및 보조 데이터로 구분하여 저장할 수 있다. The second recording medium 52 stores second character information and general data, and transmits the stored second character information or general data to the second interface module 51. The second recording medium 52 may separate and store second character information and general data, and may divide and store the second character information into second authentication data and auxiliary data.

이하 설명의 편의 상, 제1 인터페이스모듈(31) 및 제2 인터페이스모듈(51)을 통칭하여 인터페이스모듈이라고 칭하기로 하며, 제1 기록매체(32) 및 제2 기록매체(52)를 통칭하여 기록매체라고 칭하기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캐릭터 부재(30, 50)는 인터페이스모듈(31, 51) 및 기록매체(32, 52)를 포함한다. 캐릭터 부재(30, 50)는 캐릭터부재(30, 50)에 따라 소정의 캐릭터 외형을 가진다. 그리고 기록매체(32, 52)에 저장된 데이터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형태로 저장되며, 캐릭터 외형에 대응하는 로봇의 동작을 제어하는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로봇제어 프로그램이 기록된다. 또한, 인터페이스모듈(31, 51)은 다른 기기, 즉, 로봇 본체와 연결하기 위한 것이다.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below, the first interface module 31 and the second interface module 51 will be collectively referred to as an interface module, and the first recording medium 32 and the second recording medium 52 will be collectively referred to as recording. It will be called the medium. Accordingly, the character members 30 and 5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 interface modules 31 and 51 and recording media 32 and 52. The character members 30 and 50 have a predetermined character appearance according to the character members 30 and 50. The data stored in the recording media 32 and 52 are stored in a computer-readable form, and a robot control program for executing a method of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robot corresponding to the appearance of the character is recorded. In addition, the interface modules 31 and 51 are for connecting with other devices, that is, the robot body.

이하, 캐릭터 로봇(110)이 구동되는 과정을 설명한다. 캐릭터 로봇(110)은 로봇본체(10)가 제1 캐릭터부재(30) 및 제2 캐릭터부재(50)와의 결합상태에 따라 3가지 방법으로 구동된다.Hereinafter, a process in which the character robot 110 is driven will be described. The character robot 110 is driven in three ways depending on the state in which the robot body 10 is coupled with the first character member 30 and the second character member 50.

첫 번째, 캐릭터 로봇(110)이 제1 캐릭터부재(30) 및 제2 캐릭터부재(50)와 결합되지 않은 경우, 로봇본체(10)는 사용자단말(130) 또는 관리서버(150)로부터 제어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제어정보에 따라 제1 제어를 수행한다. 여기서, 제어정보는 센싱, 이동 및 출력 중 적어도 하나와 관련된 제어에 관한 방법이 포함된다. 따라서 로봇본체(10)는 제어정보에 포함된 제어방법에 맞게 구동된다.First, when the character robot 110 is not combined with the first character member 30 and the second character member 50, the robot body 10 controls information from the user terminal 130 or the management server 150. And performs first control according to the received control information. Here, the control information includes a method related to control related to at least one of sensing, movement, and output. Therefore, the robot body 10 is driven according to the control method included in the control information.

두 번째, 캐릭터 로봇(110)이 제1 캐릭터부재(30)와 결합되고, 제2 캐릭터부재(50)와 결합되지 않은 경우, 로봇본체(10)는 제1 캐릭터부재(30)로 인증 요청신호를 전송하고, 제1 캐릭터부재(30)로부터 제1 인증 데이터를 수신한다. 로봇본체(10)는 수신된 제1 인증 데이터를 이용하여 제1 캐릭터부재(30)의 인증절차를 수행한 후, 인증이 완료되면 제1 제어와 다른 제2 제어를 수행한다. 여기서, 로봇본체(10)는 제1 캐릭터부재(30)의 인증이 미완료되면 경보알람을 출력한 후, 제1 제어만 수행한다.Second, when the character robot 110 is coupled to the first character member 30 and not coupled to the second character member 50, the robot body 10 sends an authentication request signal to the first character member 30 And receives first authentication data from the first character member 30. The robot body 10 performs an authentication procedure of the first character member 30 using the received first authentication data, and then performs a second control different from the first control when authentication is completed. Here, when the authentication of the first character member 30 is not completed, the robot body 10 outputs an alarm alarm and then performs only the first control.

상세하게는, 로봇본체(10)는 제1 캐릭터부재(30)의 인증이 완료되면 제1 캐릭터부재(30)로 캐릭터 데이터 요청신호를 전송하고, 제1 캐릭터부재(30)로부터 캐릭터 데이터를 수신한다. 로봇본체(10)는 수신된 캐릭터 데이터를 이용하여 제2 제어를 수행한다. 이 때, 로봇본체(10)는 제2 제어를 우선적으로 수행하고, 제2 제어가 완료되면 제1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In detail, when the first character member 30 is authenticated, the robot body 10 transmits a character data request signal to the first character member 30 and receives character data from the first character member 30. do. The robot body 10 performs a second control using the received character data. In this case, the robot body 10 may preferentially perform the second control, and may perform the first control when the second control is completed.

세 번째, 캐릭터 로봇(110)이 제1 캐릭터부재(30) 및 제2 캐릭터부재(50)와 결합되는 경우, 로봇본체(10)는 제1 캐릭터부재(30) 및 제2 캐릭터부재(50)로 각각 인증 요청신호를 전송하고, 제1 캐릭터부재(30)로부터 제1 인증 데이터 수신 및 제2 캐릭터부재(50)로부터 제2 인증 데이터 수신을 한다. 로봇본체(10)는 수신된 제1 인증 데이터 및 제2 인증 데이터를 이용하여 제1 캐릭터부재(30) 및 제2 캐릭터부재(50)의 인증절차를 수행한 후, 인증이 완료되면 제1 제어 및 제2 제어와 다른 제3 제어를 수행한다. 이 때, 로봇본체(10)는 제1 캐릭터부재(30)의 인증이 완료되고, 제2 캐릭터부재(50)의 인증이 미완료되면 제1 경보알람을 출력한 후, 제1 제어 및 제2 제어만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로봇본체(10)는 제1 캐릭터부재(30)의 인증이 미완료되고, 제2 캐릭터부재(50)의 인증이 완료되면 제2 경보알람을 출력한 후, 제1 제어만 수행한다. 즉, 로봇본체(10)는 제2 캐릭터부재(50)가 제1 캐릭터부재(30)의 보조부재라고 판단함으로써, 제1 캐릭터부재(30)가 인증되지 않으면 제2 캐릭터부재(50)가 인증되더라도 제3 제어를 수행하지 않고, 제1 제어만 수행한다. 한편, 제1 경보알람 및 제2 경보알람은 서로 다른 소리일 수 있다.Third, when the character robot 110 is combined with the first character member 30 and the second character member 50, the robot body 10 is the first character member 30 and the second character member 50 Each transmits an authentication request signal, and receives first authentication data from the first character member 30 and receives second authentication data from the second character member 50. The robot body 10 performs the authentication procedure of the first character member 30 and the second character member 50 using the received first authentication data and the second authentication data, and then controls the first when authentication is completed. And a third control different from the second control. At this time, when the authentication of the first character member 30 is completed and the authentication of the second character member 50 is not completed, the robot body 10 outputs a first alarm alarm, and then controls the first and second controls. Can only be performed. In addition, when the authentication of the first character member 30 is not completed and the authentication of the second character member 50 is completed, the robot body 10 outputs a second alarm and then performs only the first control. That is, the robot body 10 determines that the second character member 50 is an auxiliary member of the first character member 30, so that if the first character member 30 is not authenticated, the second character member 50 is authenticated. Even if it does, the third control is not performed, and only the first control is performed. Meanwhile, the first and second alarms may have different sounds.

상세하게는, 로봇본체(10)는 제1 캐릭터부재(30) 및 제2 캐릭터부재(50)의 인증이 완료되면 제1 캐릭터부재(30) 및 제2 캐릭터부재(50)로 각각 캐릭터 데이터 요청신호 및 보조 데이터 요청신호를 전송하고, 제1 캐릭터부재(30)로부터 캐릭터 데이터를 수신하고, 제2 캐릭터부재(50)로부터 보조 데이터를 수신한다. 로봇본체(10)는 수신된 캐릭터 데이터 및 보조 데이터가 결합된 제3 캐릭터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제3 캐릭터정보를 이용하여 제1 제어 및 제2 제어와 다른 제3 제어를 수행한다. 이 때, 로봇본체(10)는 제3 제어를 우선적으로 수행하고, 제3 제어가 완료되면 제2 제어를 수행하며, 제2 제어가 완료되면 제1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Specifically, when the authentication of the first character member 30 and the second character member 50 is completed, the robot body 10 requests character data from the first character member 30 and the second character member 50, respectively. A signal and an auxiliary data request signal are transmitted, character data is received from the first character member 30, and auxiliary data is received from the second character member 50. The robot body 10 generates third character information in which the received character data and auxiliary data are combined, and performs a third control different from the first control and the second control by using the generated third character information. In this case, the robot body 10 may preferentially perform the third control, perform the second control when the third control is completed, and perform the first control when the second control is completed.

이하, 캐릭터 로봇(110)의 제1 제어, 제2 제어 및 제3 제어의 구체적인 예시를 설명한다. Hereinafter, specific examples of the first control, the second control, and the third control of the character robot 110 will be described.

제1 제어는 로봇본체(10)의 기본 구동에 대한 제어를 의미한다. 즉, 제1 제어는 로봇본체(10)의 센싱, 이동 및 출력 중 적어도 하나와 관련된 제어를 의미한다.The first control means control for the basic driving of the robot body 10. That is, the first control means a control related to at least one of sensing, movement, and output of the robot body 10.

예를 들면, 제어정보가 기 설정된 이동경로로 이동하면서 장애물을 센싱 하는 정보인 경우, 로봇본체(10)의 제어부(19)는 제어정보를 이용하여 이송부(14)를 구동시켜 기 설정된 이동경로를 따라 이동하는 동시에 센서부(12)를 구동시켜 이동경로에 장애물이 있는지 센싱 하는 제1 제어를 수행한다. For example, if the control information is information that senses an obstacle while moving along a preset movement path, the controller 19 of the robot body 10 drives the transfer unit 14 using the control information to determine the preset movement path. A first control is performed to sense whether there is an obstacle in the movement path by moving the sensor unit 12 while moving along the line.

제2 제어는 로봇본체(10)에 제1 캐릭터부재(30)가 결합되면서 제1 캐릭터부재(30)에 저장된 제1 캐릭터정보를 이용한 제어를 의미한다. 즉, 제2 제어는 결합된 제1 캐릭터부재의 캐릭터와 관련된 제어를 의미한다.The second control refers to control using the first character information stored in the first character member 30 while the first character member 30 is coupled to the robot body 10. That is, the second control means a control related to the character of the combined first character member.

예를 들면, 제1 캐릭터정보의 캐릭터 데이터가 캐릭터와 관련된 직업 정보인 경우, 로봇본체(10)의 제어부(19)는 제1 캐릭터정보에 저장된 직업 정보에 맞게 제2 제어를 수행한다. 즉, 캐릭터가 소방관이고, 제1 캐릭터정보에 소방관에 대한 정보가 포함되면 제어부(19)는 이송부(14)를 구동시켜 기 설정된 이동경로를 따라 이동하는 동시에 조명부(15)를 구동시켜 조명을 점멸되도록 출력하고, 스피커(16)를 구동시켜 사이렌을 출력하는 제2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character data of the first character information is job information related to the character, the control unit 19 of the robot body 10 performs the second control according to the job information stored in the first character information. That is, when the character is a firefighter and the first character information includes information on the firefighter, the control unit 19 drives the transfer unit 14 to move along a preset movement path and simultaneously drives the lighting unit 15 to blink the lights. As possible, the second control of outputting a siren by driving the speaker 16 may be performed.

또는 제1 캐릭터정보의 캐릭터 데이터가 캐릭터와 관련된 증강현실 디스플레이 정보인 경우, 로봇본체(10)의 제어부(19)는 제1 캐릭터정보에 저장된 증강현실 디스플레이 정보에 대한 화면이 사용자단말(130)에 출력되도록 제2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즉, 제어부(19)는 통신부(11)를 통해 증강현실 디스플레이 정보가 사용자단말(130)로 전송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 때, 증강현실 디스플레이는 캐릭터의 형상 또는 기능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Alternatively, when the character data of the first character information is augmented reality display information related to a character, the controller 19 of the robot body 10 displays a screen for the augmented reality display information stored in the first character information on the user terminal 130. The second control can be performed to be output. That is, the control unit 19 may control the augmented reality display information to be transmitted to the user terminal 130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11. In this case, the augmented reality display may be provided in various forms according to the shape or function of the character.

제3 제어는 로봇본체(10)에 제1 캐릭터부재(30) 및 제2 캐릭터부재(50)가 결합되면서 제1 캐릭터부재(30)에 저장된 제1 캐릭터정보 및 제2 캐릭터부재(30)에 저장된 제2 캐릭터정보를 결합하여 생성한 제3 캐릭터정보를 이용한 제어를 의미한다. 즉, 제3 제어는 결합된 제2 제어를 보다 구체화한 제어를 의미한다.The third control is applied to the first character information and the second character member 30 stored in the first character member 30 while the first character member 30 and the second character member 50 are coupled to the robot body 10. It means control using the third character information generated by combining the stored second character information. That is, the third control refers to a control in which the combined second control is more specific.

예를 들면, 제1 캐릭터정보의 캐릭터 데이터가 소방관에 대한 정보이고, 제2 캐릭터정보의 보조 데이터가 소방 매뉴얼 정보인 경우, 로봇본체(10)의 제어부(19)는 이송부(14)를 구동시켜 기 설정된 이동경로를 따라 이동하는 동시에 조명부(15)를 구동시켜 조명을 점멸되도록 출력하고, 스피커(16)를 구동시켜 사이렌을 출력하면서 일정 시간마다 소방 매뉴얼 정보가 추가적으로 출력되는 제3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character data of the first character information is information about a firefighter, and the auxiliary data of the second character information is the fire fighting manual information, the control unit 19 of the robot body 10 drives the transfer unit 14 While moving along a preset movement path, the lighting unit 15 is driven to output the lights to blink, and the speaker 16 is driven to output a siren, while performing a third control in which firefighting manual information is additionally output. I can.

또는 제1 캐릭터정보의 캐릭터 데이터가 증강현실 디스플레이 정보이고, 제2 캐릭터정보의 보조 데이터가 가상현실(virtual reality, VU) 디스플레이 정보인 경우, 로봇본체(10)의 제어부(19)는 증강현실 디스플레이 정보 및 가상현실 디스플레이 정보에 대한 화면이 사용자단말(130)에 출력되도록 제3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즉, 제어부(19)는 통신부(11)를 통해 증강현실 디스플레이 정보 및 가상현실 디스플레이 정보가 사용자단말(130)로 전송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 때, 증강현실 디스플레이 및 가상현실 디스플레이는 캐릭터의 형상 또는 기능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Alternatively, when the character data of the first character information is augmented reality display information, and the auxiliary data of the second character information is virtual reality (VU) display information, the controller 19 of the robot body 10 is an augmented reality display. A third control may be performed so that a screen for information and virtual reality display information is output to the user terminal 130. That is, the controller 19 may control the augmented reality display information and the virtual reality display information to be transmitted to the user terminal 130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11. In this case, the augmented reality display and the virtual reality display may be provided in various forms according to the shape or function of the character.

도 7은 도 3의 로봇본체 및 제1 캐릭터부재의 결합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8은 도 7의 로봇본체 및 제1 캐릭터부재의 분해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9는 도 3의 로봇본체, 제1 캐릭터부재 및 제2 캐릭터부재의 분해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7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coupled state of the robot body and the first character member of Figure 3, Figure 8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disassembled state of the robot body and the first character member of Figure 7, Figure 9 is 3 is a diagram for explaining the disassembled state of the robot body, the first character member, and the second character member.

도 3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캐릭터로봇(110)은 로봇본체(10) 및 제1 캐릭터부재(30)를 포함하고, 적어도 하나의 제2 캐릭터부재(50)를 더 포함한다. 3 to 9, the character robot 110 includes a robot body 10 and a first character member 30, and further includes at least one second character member 50.

캐릭터로봇(110)은 로봇본체(10)에 제1 캐릭터부재(30) 및 제2 캐릭터부재(50)가 결합되는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서로 간에 탈부착이 가능하다. 이 때, 캐릭터로봇(110)은 결합된 제1 캐릭터부재(30) 및 제2 캐릭터부재(50)의 탈착이 용이하도록 탈착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The character robot 110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first character member 30 and the second character member 50 are coupled to the robot body 10, and can be attached and detached from each other. In this case, the character robot 110 may include a detachable member to facilitate detachment of the combined first character member 30 and the second character member 50.

한편, 제1 캐릭터부재(30)는 피규어 형상의 캐릭터모형으로 형성되고, 제2 캐릭터부재(50)는 제1 캐릭터부재(30)의 캐릭터모형과 관련된 보조모형으로 형성됨에 따라 사용자의 흥미를 유발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사용자가 저연령층인 경우, 해당 나이에 관심이 있는 캐릭터를 제1 캐릭터부재(30)로 형상화함으로써, 로봇제어에 대한 거부감을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1 캐릭터부재(30) 및 제2 캐릭터부재(50)를 다양한 조합으로 결합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짐으로써, 사용자가 다양한 로봇제어를 경험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first character member 30 is formed as a character model in the shape of a figure, and the second character member 50 is formed as an auxiliary model related to the character model of the first character member 30, thereby causing interest of the user. I can. That is, 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user is a low-age group, a character interested in a corresponding age is shaped as the first character member 30, thereby reducing a feeling of rejection for robot control.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tructure capable of combining the first character member 30 and the second character member 50 in various combinations, so that the user can experience various robot controls.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130)에 대해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130)은 통신모듈(131), 입력모듈(132), 표시모듈(133), 저장모듈(134) 및 제어모듈(135)을 포함한다. Meanwhile, the user terminal 13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10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user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10, the user terminal 130 includes a communication module 131, an input module 132, a display module 133, a storage module 134, and a control module 135.

통신모듈(131)은 로봇본체(10) 혹은 관리 서버(150)와 통신을 위한 것이다. 통신모듈(131)은 송신되는 신호의 주파수를 상승 변환 및 증폭하는 RF(Radio Frequency) 송신기(Tx) 및 수신되는 신호를 저 잡음 증폭하고 주파수를 하강 변환하는 RF 수신기(Rx)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통신모듈(131)은 송신되는 신호를 변조하고, 수신되는 신호를 복조하는 모뎀(Modem)을 포함할 수 있다. The communication module 131 is for communication with the robot body 10 or the management server 150. The communication module 131 may include a radio frequency (RF) transmitter (Tx) for up-converting and amplifying a frequency of a transmitted signal, and an RF receiver (Rx) for low-noise amplifying and down-converting a received signal. . In addition, the communication module 131 may include a modem that modulates the transmitted signal and demodulates the received signal.

입력모듈(132)은 사용자 단말(130)의 각 종 기능, 동작 등을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의 키 조작을 입력받고 입력 신호를 생성하여 제어모듈(135)에 전달한다. 입력모듈(132)은 전원을 켜거나, 끄기 위한 전원 키를 비롯하여, 사용자 단말(130)에 특정 입력을 위한 문자 키, 숫자 키, 방향키 등의 다양한 키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모듈(132)의 기능은 표시모듈(133)이 터치스크린으로 구현된 경우, 표시모듈(133)에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표시모듈(133)만으로 모든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경우, 입력모듈(132)은 생략될 수도 있다. The input module 132 receives a user's key manipulation for controlling various functions and operations of the user terminal 130, generates an input signal, and transmits the input signal to the control module 135. The input module 132 may include a power key for turning on or off the power, and various keys such as a letter key, a number key, and a direction key for specific input to the user terminal 130. The function of the input module 132 may be performed in the display module 133 when the display module 133 is implemented as a touch screen, and when all functions can be performed by only the display module 133, the input module 132 ) May be omitted.

표시모듈(133)은 제어모듈(135)로부터 화면 표시를 위한 데이터를 수신하여 수신된 데이터를 화면으로 표시할 수 있다. 표시모듈(133)은 사용자 단말(130)의 메뉴, 데이터, 기능 설정 정보 및 기타 다양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시각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표시모듈(133)이 터치스크린으로 형성되는 경우, 입력모듈(132)의 기능의 일부 또는 전부를 대신 수행할 수 있다. 표시모듈(133)은 액정표시장치(LCD, Liquid Crystal Display),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능동형 유기 발광 다이오드(AMOLED, Active Matrix 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The display module 133 may receive data for screen display from the control module 135 and display the received data on a screen. The display module 133 may visually provide menus, data, function setting information, and other various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 130 to the user. When the display module 133 is formed as a touch screen, some or all of the functions of the input module 132 may be performed instead. The display module 133 may be formed of a liquid crystal display (LCD), a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an active matrix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AMOLED), or the like.

저장모듈(134)은 사용자 단말(130)의 동작에 필요한 각 종 데이터, 애플리케이션, 사용자 단말(130)의 동작에 따라 발생된 각 종 데이터를 저장한다. 이러한 저장모듈(134)은 스토리지, 메모리 등이 될 수 있다. 특히, 저장모듈(134)은 선택적으로, 사용자 단말(130)의 부팅(booting) 및 운영(operation)을 위한 운영체제(OS, Operating System),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필요한 동작을 수행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저장할 수 있다. 특히, 저장모듈(134)은 소스 코드가 입력되면, 입력된 소스 코드를 컴파일, 링크 및 빌드 과정을 거쳐 소스 코드에 따른 프로그램을 생성하는 애플리케이션(예컨대, 컴파일러 등)을 저장할 수 있다. 저장모듈(134)에 저장되는 각 종 데이터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삭제, 변경, 추가될 수 있다. The storage module 134 stores various types of data required for the operation of the user terminal 130, applications, and various types of data generated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user terminal 130. The storage module 134 may be a storage, a memory, or the like. In particular, the storage module 134 selectively stores an operating system (OS, Operating System) for booting and operation of the user terminal 130, and an application that performs necessary operation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saved. In particular, when the source code is input, the storage module 134 may store an application (eg, a compiler, etc.) that generates a program according to the source code through a process of compiling, linking, and building the input source code. Each type of data stored in the storage module 134 may be deleted, changed, or added according to a user's manipulation.

제어모듈(135)은 사용자 단말(130)의 전반적인 동작 및 사용자 단말(130)의 내부 블록들 간 신호 흐름을 제어하고, 데이터를 처리하는 데이터 처리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제어모듈(135)은 중앙 처리 장치(Central Processing Unit : CPU),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plication Processor), GPU(Graphic Processing Unit) 등이 될 수 있다. 이러한 제어모듈(135)의 동작은 아래에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The control module 135 may control an overall operation of the user terminal 130 and a signal flow between internal blocks of the user terminal 130 and perform a data processing function of processing data. The control module 135 may be a central processing unit (CPU), an application processor, a graphic processing unit (GPU), or the like. The operation of the control module 135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below.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관리 서버(150)에 대해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관리서버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관리서버(150)는 통신유닛(151), 저장유닛(152) 및 제어유닛(153)을 포함한다. Next, the management server 15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11 is a diagram for explaining the configuration of a management ser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11, the management server 150 includes a communication unit 151, a storage unit 152 and a control unit 153.

통신유닛(151)은 네트워크를 통해 로봇본체(10) 혹은 사용자 단말(130)과 통신하기 위한 것이다. 통신모듈(110)은 네트워크를 통해 송신되는 신호를 변조하고, 수신되는 신호를 복조하는 모뎀(Modem)을 포함할 수 있다. The communication unit 151 is for communicating with the robot body 10 or the user terminal 130 through a network. The communication module 110 may include a modem that modulates a signal transmitted through a network and demodulates a received signal.

저장유닛(152)은 관리서버(150)의 동작에 필요한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저장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특히, 저장유닛(152)은 관리서버(150)의 사용에 따라 발생하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영역이다. 이러한 데이터는 로봇 본체(10)의 외형과 동일한 가상 로봇 본체 외형 및 캐릭터 부재(30, 50)에 대응하는 캐릭터 외형을 표현하고, 캐릭터 부재(30, 50)에 대응하여 가상으로 로봇 본체(10)의 동작을 수행하는 가상로봇 프로그램을 포함한다. 즉, 이러한 가상로봇 프로그램은 캐릭터 부재(30, 50)에 대응하는 가상 로봇이 될 수 있다. 저장유닛(152)에 저장되는 각 종 데이터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삭제, 변경, 추가될 수 있다. The storage unit 152 serves to store programs and data necessary for the operation of the management server 150. In particular, the storage unit 152 is an area in which data generated according to the use of the management server 150 is stored. These data represent the virtual robot body exterior and the character appearance corresponding to the character members 30 and 50, which are the same as the appearance of the robot body 10, and virtually correspond to the character members 30 and 50, and the robot body 10 It includes a virtual robot program that performs the operation of. That is, such a virtual robot program may be a virtual robot corresponding to the character members 30 and 50. Each type of data stored in the storage unit 152 may be deleted, changed, or added according to a user's manipulation.

제어유닛(153)은 관리서버(150)의 전반적인 동작 및 관리서버(150)의 내부 블록들 간 신호 흐름을 제어하고, 데이터를 처리하는 데이터 처리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제어유닛(153)은 중앙처리장치(CPU: Central Processing Unit), 디지털신호처리기(DSP: Digital Signal Processor) 등이 될 수 있다. 이러한 제어유닛(153)의 동작은 아래에서 더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The control unit 153 may perform a data processing function of controlling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management server 150 and a signal flow between internal blocks of the management server 150 and processing data. The control unit 153 may be a central processing unit (CPU), a digital signal processor (DSP), or the like. The operation of the control unit 153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below.

전술한 바와 같이, 캐릭터 부재(30, 50)는 소정의 캐릭터 외형을 가진다. As described above, the character members 30 and 50 have a predetermined character appearance.

즉, 제1 캐릭터 부재(30)는 제1 캐릭터 외형을 가지며, 제2 캐릭터 부재(30)는 제1 캐릭터 외형과 다른 제2 캐릭터 외형을 가진다. 또한, 캐릭터 부재(30, 50)는 캐릭터 외형에 대응하는 로봇의 동작을 제어하는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로봇제어 프로그램이 기록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32, 52)와, 기록매체(32, 52)와 다른 기기를 연결하는 인터페이스모듈(31, 51)을 포함한다. That is, the first character member 30 has a first character appearance, and the second character member 30 has a second character appearance different from the first character appearance. In addition, the character members 30 and 50 includ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a 32 and 52 on which a robot control program for executing a method of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robot corresponding to the appearance of the character is recorded, and the recording media 32 and 52. ) And interface modules 31 and 51 for connecting other devices.

로봇 본체(10)의 제어부(19)는 인터페이스부(13)를 통해 제1 캐릭터 부재(30)의 제1 인터페이스(31)와 연결되면 제1 기록매체(32)에 저장된 제1 로봇제어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하나 이상의 기능부(11 내지 18)를 제어하여 로봇의 동작을 실행한다. 반면, 로봇 본체(10)의 제어부(19)는 인터페이스부(13)를 통해 제2 캐릭터 부재(50)의 제2 인터페이스(51)와 연결되면 제2 기록매체(52)에 저장된 제2 로봇제어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하나 이상의 기능부(11 내지 18)를 제어하여 로봇의 동작을 실행한다. When the control unit 19 of the robot body 10 is connected to the first interface 31 of the first character member 30 through the interface unit 13, the first robot control program stored in the first recording medium 32 is stored. To control one or more functional units 11 to 18 to execute the operation of the robot. On the other hand, when the control unit 19 of the robot main body 10 is connected to the second interface 51 of the second character member 50 through the interface unit 13, the second robot control is stored in the second recording medium 52. By executing a program, one or more functional units 11 to 18 are controlled to execute the operation of the robot.

전술한 제1 로봇제어 프로그램 및 제2 로봇제어 프로그램은 사용자의 코딩을 위한 입력에 따라 생성 혹은 업데이트되며, 관리 서버에 저장되는 가상로봇 프로그램은 로봇제어 프로그램의 생성 혹은 업데이트에 맞춰 생성 및 업데이트된다. 그러면, 이러한 방법에 대해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봇제어시스템의 동작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봇제어시스템의 로봇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The first robot control program and the second robot control program described above are generated or updated according to an input for coding by the user, and the virtual robot program stored in the management server is generated and updated according to the creation or update of the robot control program. Then, this method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First, an operation of the robot control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1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robot control method of the robot control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2를 참조하면, S110 단계에서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캐릭터 부재(30, 50) 중 어느 하나와 로봇 본체(10)가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캐릭터 부재(30, 50)의 인터페이스모듈(31, 51)과 로봇 본체(10)의 인터페이스부(13)를 통해 캐릭터 부재(30, 50) 중 어느 하나와 로봇 본체(10)가 연결된다. Referring to FIG. 12, in step S110, the robot body 10 may be connected to any one of the character members 30 and 50 according to the user's manipulation. At this time, any one of the character members 30 and 50 is connected to the robot body 10 through the interface modules 31 and 51 of the character members 30 and 50 and the interface unit 13 of the robot body 10. .

캐릭터 부재(30, 50)와 연결되면, 로봇 본체(10)의 제어부(19)는 기록매체(32, 52)에 접근할 수 있으며, 기록매체(32, 52)에 접근한 제어부(19)는 캐릭터 부재(30, 50)를 식별하기 위한 캐릭터 부재 식별자를 추출하고, S120 단계에서 추출된 캐릭터 부재 식별자를 관리 서버(150)로 전송한다. When connected to the character members 30 and 50, the control unit 19 of the robot body 10 can access the recording media 32 and 52, and the control unit 19 accessing the recording media 32 and 52 The character member identifier for identifying the character members 30 and 50 is extracted, and the character member identifier extracted in step S120 is transmitted to the management server 150.

관리 서버(150)의 제어유닛(153)은 통신유닛(151)을 통해 캐릭터 부재 식별자를 수신하면, S130 단계에서 저장유닛(152)에 저장된 캐릭터 부재 식별자에 대응하는 캐릭터 외형과 동일한 가상 캐릭터 외형을 추출하여 로봇 본체의 외형과 동일한 가상 로봇 본체의 외형에 가상 캐릭터 외형을 결합한다. When the control unit 153 of the management server 150 receives the character member identifier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151, the virtual character appearance identical to the character appearance corresponding to the character member identifier stored in the storage unit 152 in step S130 is displayed. It extracts and combines the appearance of the virtual character with the appearance of the virtual robot body that is the same as that of the robot body.

한편, 사용자 단말(130)의 제어모듈(135)은 통신모듈(131)을 통해 로봇 본체(10)와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로봇 본체와 연결된 캐릭터 부재(30/50)의 기록매체(32, 52)와 연결될 수 있다. Meanwhile, the control module 135 of the user terminal 130 may be connected to the robot body 10 through the communication module 131. Accordingly, it can be connected to the recording media 32 and 52 of the character member 30/50 connected to the robot body.

일 실시예에 따르면, 캐릭터 부재(30/50)의 기록매체(32, 52)에 로봇제어 프로그램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제어모듈(135)은 입력모듈(132)을 통해 소스 코드를 코딩하는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하면, S140 단계에서 제어모듈(135)은 소스 코드를 빌드하여 로봇제어 프로그램을 생성하고, S150 단계에서 캐릭터 부재(30/50)의 기록매체(32, 52)에 로봇제어 프로그램을 전송하여 저장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캐릭터 부재(30/50)의 기록매체(32, 52)에 로봇제어 프로그램이 존재하는 경우, 제어모듈(135)은 입력모듈(132)을 통해 소스 코드를 코딩하는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하면, S140 단계에서 제어모듈(135)은 소스 코드를 빌드하여 로봇제어 프로그램을 생성하고, S150 단계에서 캐릭터 부재(30/50)의 기록매체(32, 52)의 로봇제어 프로그램을 생성된 로봇제어 프로그램으로 업데이트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when the robot control program does not exist in the recording media 32 and 52 of the character member 30/50, the control module 135 is a user who codes the source code through the input module 132. Upon receiving the input of, in step S140, the control module 135 builds the source code to generate a robot control program, and in step S150, the robot control program is placed on the recording media 32 and 52 of the character member 30/50. Can be sent and save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when a robot control program exists on the recording media 32 and 52 of the character member 30/50, the control module 135 is used by the user who codes the source code through the input module 132. Upon receiving the input, the control module 135 creates a robot control program by building the source code in step S140, and generates a robot control program of the recording media 32 and 52 of the character member 30/50 in step S150. It can be updated with the old robot control program.

한편, 로봇 본체(10)의 제어부(19)는 S170 단계에서 기록매체(32, 52)에 저장되거나, 업데이트된 로봇제어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복수의 기능부(11 내지 18)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여 로봇의 동작을 실행할 수 있다. 이러한 실행 결과, 로봇 제어에 성공하면, 제어부(19)는 S180 단계에서 기록매체(32, 52)의 로봇제어 프로그램 및 제어 성공에 따른 소정의 경험치를 나타내는 수치를 관리서버(150)로 전송한다. Meanwhile, the controller 19 of the robot body 10 controls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functional units 11 to 18 by executing the stored or updated robot control program in the recording media 32 and 52 in step S170. Robot movement can be executed. As a result of this execution, if the robot control is successful, the controller 19 transmits a robot control program of the recording media 32 and 52 and a numerical value representing a predetermined experience value according to the success of the control to the management server 150 in step S180.

관리 서버(150)의 제어유닛(153)은 통신유닛(151)을 통해 상기 로봇제어 프로그램을 수신하면, 저장유닛(152)에 기존에 가상로봇 프로그램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저장유닛(152)에 수신된 로봇제어 프로그램을 가상로봇 프로그램으로 저장하거나, 저장유닛(152)에 기존에 가상로봇 프로그램이 존재하는 경우, 저장유닛(152)에 저장된 기존 가상로봇 프로그램을 수신된 로봇제어 프로그램으로 업데이트한다. When the control unit 153 of the management server 150 receives the robot control program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151, if there is no existing virtual robot program in the storage unit 152, the storage unit 152 The received robot control program is stored as a virtual robot program, or when a virtual robot program exists in the storage unit 152, the existing virtual robot program stored in the storage unit 152 is updated with the received robot control program.

그런 다음, 제어유닛(153)은 S200 단계에서 해당하는 가상로봇 프로그램에 대응하는 가상 로봇에 대한 경험치를 누적하고, 해당 가상 로봇이 소정 수치 이상의 경험치를 가질 때마다 상기 가상 로봇의 레벨을 증가시킨다. Then, the control unit 153 accumulates the experience value for the virtual robot corresponding to the corresponding virtual robot program in step S200, and increases the level of the virtual robot whenever the virtual robot has an experience value equal to or greater than a predetermined value.

다음으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로봇제어시스템의 동작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로봇제어시스템의 로봇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Next, an operation of the robot control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1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robot control method of a robot control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3을 참조하면, S210 단계 내지 S230 단계는 전술한 S110 단계 내지 S120 단계와 동일하다. 즉, S110 단계에서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캐릭터 부재(30, 50) 중 어느 하나와 로봇 본체(10)가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캐릭터 부재(30, 50)의 인터페이스모듈(31, 51)과 로봇 본체(10)의 인터페이스부(13)를 통해 캐릭터 부재(30, 50) 중 어느 하나와 로봇 본체(10)가 연결된다. 또한, 로봇 본체(10)의 제어부(19)는 기록매체(32, 52)에 접근하여 캐릭터 부재(30, 50)를 식별하기 위한 캐릭터 부재 식별자를 추출하고, S120 단계에서 추출된 캐릭터 부재 식별자를 관리 서버(150)로 전송한다. 이에 따라, 관리 서버(150)의 제어유닛(153)은 통신유닛(151)을 통해 캐릭터 부재 식별자를 수신하면, S130 단계에서 저장유닛(152)에 저장된 캐릭터 부재 식별자에 대응하는 캐릭터 외형과 동일한 가상 캐릭터 외형을 추출하여 로봇 본체의 외형과 동일한 가상 로봇 본체의 외형에 가상 캐릭터 외형을 결합한다. Referring to FIG. 13, steps S210 to S230 are the same as steps S110 to S120 described above. That is, in step S110, the robot body 10 may be connected to any one of the character members 30 and 50 according to the user's manipulation. At this time, any one of the character members 30 and 50 is connected to the robot body 10 through the interface modules 31 and 51 of the character members 30 and 50 and the interface unit 13 of the robot body 10. . In addition, the control unit 19 of the robot main body 10 accesses the recording media 32 and 52 to extract a character member identifier for identifying the character members 30 and 50, and extracts the character member identifier extracted in step S120. It transmits to the management server 150. Accordingly, when the control unit 153 of the management server 150 receives the character member identifier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151, the virtual character corresponding to the character member identifier stored in the storage unit 152 in step S130 The appearance of the character is extracted and the appearance of the virtual character is combined with the appearance of the virtual robot body that is the same as that of the robot body.

한편, 사용자 단말(130)의 제어모듈(135)은 통신모듈(131)을 통해 관리 서버(150)와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모듈(135)은 통신모듈(131)을 통해 관리 서버(150)의 저장유닛(152)에 연결될 수 있다. Meanwhile, the control module 135 of the user terminal 130 may be connected to the management server 150 through the communication module 131. Accordingly, the control module 135 may be connected to the storage unit 152 of the management server 150 through the communication module 131.

일 실시예에 따르면, 관리 서버(150)의 저장유닛(152)에 가상로봇 프로그램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제어모듈(135)은 입력모듈(132)을 통해 소스 코드를 코딩하는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하면, S240 단계에서 소스 코드를 빌드하여 가상로봇 프로그램을 생성하고, S250 단계에서 관리 서버(150)의 저장유닛(152)에 가상로봇 프로그램을 전송하여 저장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관리 서버(150)의 저장유닛(152)에 가상로봇 프로그램이 존재하는 경우, 제어모듈(135)은 입력모듈(132)을 통해 소스 코드를 코딩하는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하면, S240 단계에서 소스 코드를 빌드하여 가상로봇 프로그램을 생성하고, S250 단계에서 관리 서버(150)의 저장유닛(152)의 가상로봇 프로그램을 생성된 가상로봇 프로그램으로 업데이트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when there is no virtual robot program in the storage unit 152 of the management server 150, the control module 135 receives the user's input for coding the source code through the input module 132 Then, the source code may be built in step S240 to generate a virtual robot program, and in step S250, the virtual robot program may be transmitted to and stored in the storage unit 152 of the management server 15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when a virtual robot program exists in the storage unit 152 of the management server 150, the control module 135 receives an input of a user coding a source code through the input module 132 , In step S240, the source code is built to generate a virtual robot program, and in step S250, the virtual robot program of the storage unit 152 of the management server 150 may be updated to the generated virtual robot program.

한편, 관리 서버(150)의 제어유닛(153)은 S270 단계에서 저장유닛(152)에 저장되거나, 업데이트된 가상로봇 프로그램을 실행할 수 있다. 이러한 실행 결과, 실행에 성공하면, 제어유닛(153)은 S280 단계에서 통신유닛(151)을 통해 가상로봇 프로그램을 로봇본체(10)를 통해 캐릭터 부재(30, 50)에 전송하여 가상로봇 프로그램을 로봇제어 프로그램으로 캐릭터 부재(30, 50)의 기록매체(32, 52)에 저장하거나, 가상로봇 프로그램으로 캐릭터 부재(30, 50)의 기록매체(32, 52)에 저장된 로봇제어 프로그램을 업데이트할 수 있다. Meanwhile, the control unit 153 of the management server 150 may be stored in the storage unit 152 in step S270 or may execute an updated virtual robot program. As a result of this execution, if the execution is successful, the control unit 153 transmits the virtual robot program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151 to the character members 30 and 50 through the robot body 10 in step S280 to transmit the virtual robot program. It is possible to update the robot control program stored in the recording media 32 and 52 of the character members 30 and 50 as a robot control program, or update the robot control program stored in the recording media 32 and 52 of the character members 30 and 50 as a virtual robot program. I can.

그런 다음, 제어유닛(153)은 S300 단계에서 가상로봇 프로그램의 실행 성공에 따른 가상 로봇에 대한 경험치를 누적하고, 해당 가상 로봇이 소정 수치 이상의 경험치를 가질 때마다 상기 가상 로봇의 레벨을 증가시킨다. Then, the control unit 153 accumulates the experience value for the virtual robot according to the successful execution of the virtual robot program in step S300, and increases the level of the virtual robot whenever the virtual robot has an experience value equal to or greater than a predetermined value.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로봇 제어 방법은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어와 데이터를 저장하기에 적합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의 형태로 제공될 수도 있다. 이러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으며, 컴퓨터 시스템에 의해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Compact Disk Read Only Memory), DVD(Digital Video Disk)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Read Only Memory), 램(RAM, Random Access Memory),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를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functional) 프로그램,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프로그래머들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Meanwhile, the robot control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ovided in the form of a computer-readable medium suitable for storing computer program commands and data. Such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may include program commands, data files, data structures, etc. alone or in combination, and includes all types of recording devices storing data that can be read by a computer system. Examples of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a include magnetic media such as hard disks, floppy disks, and magnetic tapes, optical recording media such as CD-ROM (Compact Disk Read Only Memory), and DVD (Digital Video Disk). Optical Media), Magnetic-Optical Media such as a floptical disk, and program instructions such as ROM (Read Only Memory), RAM (RAM, Random Access Memory), flash memory, etc. And a hardware device specially configured to perform. In addition,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is distributed over a computer system connected through a network, so that computer-readable codes can be stored and executed in a distributed manner. In addition, functional programs, codes, and code segments for implementing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asily inferred by programmers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이상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하고 도시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에만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기술적 사상의 범주를 이탈함없이 본 발명에 대해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As described above and shown in connection with a preferred embodiment for illustrating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as shown and described as described abov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It will be well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many changes and modifications are possible to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ly, all such appropriate changes and modifications and equivalents should be considered to be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 로봇본체 11: 통신부
12: 센서부 13: 인터페이스부
14: 이송부 15: 조명부
16: 스피커 17: 저장부
18: 전원부 19: 제어부
30: 제1 캐릭터부재 31: 제1 인터페이스모듈
32: 제1 기록매체 50: 제2 캐릭터부재
51: 제2 인터페이스모듈 52: 제2 기록매체
70: 보호커버 100, 200: 로봇제어시스템
110: 캐릭터로봇 130: 사용자단말
150, 250: 관리서버 190, 290: 통신망
210: 제1 그룹 211: 제1 캐릭터로봇
212: 제1 사용자단말 220: 제2 그룹
221: 제2 캐릭터로봇 222: 제2 사용자단말
230: 제n 그룹 231: 제n 캐릭터로봇
232: 제n 사용자단말
10: robot body 11: communication unit
12: sensor unit 13: interface unit
14: transfer unit 15: lighting unit
16: speaker 17: storage
18: power supply unit 19: control unit
30: first character member 31: first interface module
32: first recording medium 50: second character member
51: second interface module 52: second recording medium
70: protective cover 100, 200: robot control system
110: character robot 130: user terminal
150, 250: management server 190, 290: communication network
210: first group 211: first character robot
212: first user terminal 220: second group
221: second character robot 222: second user terminal
230: nth group 231: nth character robot
232: n-th user terminal

Claims (10)

로봇제어시스템에 있어서,
소정의 캐릭터 외형을 가지며,
상기 캐릭터 외형에 대응하는 로봇의 동작을 제어하는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로봇제어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와,
상기 기록매체와 다른 기기를 연결하는 인터페이스모듈을 포함하는
캐릭터 부재; 및
상기 인터페이스와 연결되는 인터페이스부와,
로봇의 동작을 수행하는 하나 이상의 기능부와,
상기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상기 캐릭터 부재의 상기 인터페이스와 연결되면 상기 기록매체에 저장된 상기 로봇제어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기능부를 제어하여 로봇의 동작을 실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로봇 본체;를 포함하는
로봇제어시스템.
In the robot control system,
Has a predetermined character appearance,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in which a robot control program for executing a method of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robot corresponding to the character appearance is recorded;
Including an interface module for connecting the recording medium and other devices
Character absence; And
An interface unit connected to the interface,
One or more functional units that perform the operation of the robot,
When connected to the interface of the character member through the interface unit, a control unit for executing the robot operation by executing the robot control program stored in the recording medium to control the one or more functional units
Robot body; including
Robot control system.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로봇제어시스템은
상기 로봇 본체의 외형과 동일한 가상 로봇 본체 외형을 표현하고 가상으로 상기 로봇 본체의 동작을 수행하는 가상로봇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관리 서버;를 더 포함하며,
상기 로봇 본체는 관리 서버와 통신을 위한 통신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상기 캐릭터 부재의 상기 인터페이스와 연결되면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관리 서버에 접속하여
상기 가상 로봇 본체의 외형에 상기 캐릭터 외형과 동일한 가상 캐릭터 외형이 결합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제어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robot control system
A management server for storing a virtual robot program that represents the virtual robot body external shape identical to that of the robot body and virtually performs the operation of the robot body; and
The robot body further includes a communication unit for communication with a management server,
The control unit
When connected to the interface of the character member through the interface unit, by connecting to the management server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Characterized in that the virtual character external shape identical to the character external shape is coupled to the external shape of the virtual robot body
Robot control system.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로봇제어시스템은
소스 코드를 입력받는 입력모듈과,
상기 로봇 본체와 통신을 위한 통신모듈과,
상기 통신모듈을 통해 상기 로봇 본체와 연결된 상기 캐릭터 부재와 연결되면,
상기 소스 코드를 빌드하여 상기 로봇제어 프로그램을 생성하여, 생성된 상기 로봇제어 프로그램을 상기 기록매체에 저장하거나,
상기 소스 코드를 빌드하여 상기 기록매체에 저장된 상기 로봇제어 프로그램을 업데이트하는 제어모듈을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로봇제어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기능부에 대한 제어에 성공하면,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관리 서버에 접속하여 상기 가상로봇 프로그램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로봇제어 프로그램으로 업데이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제어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2,
The robot control system
An input module that receives the source code,
A communication module for communication with the robot body,
When connected to the character member connected to the robot body through the communication module,
Build the source code to generate the robot control program, and store the generated robot control program in the recording medium, or
Comprising a control module for updating the robot control program stored in the recording medium by building the source code
User terminal; further includes,
The control unit
When the control of the one or more functional units is succeeded by executing the robot control program, accessing the management server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to update at least a part of the virtual robot program to the robot control program.
Robot control system.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로봇제어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기능부에 대한 제어에 성공하면,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관리 서버에 접속하여
상기 가상 로봇의 경험치를 부여하며,
상기 관리 서버는
상기 가상 로봇이 소정 수치 이상의 경험치를 가질 때마다
상기 가상 로봇의 레벨을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제어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3,
The control unit
When the control of the one or more functional units is successful by executing the robot control program,
By connecting to the management server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Gives the experience value of the virtual robot,
The management server
Whenever the virtual robot has more than a predetermined value of experience
Characterized in that to increase the level of the virtual robot
Robot control system.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로봇제어시스템은
상기 캐릭터 외형과 다른 제2 캐릭터 외형을 가지며,
상기 제2 캐릭터 외형에 대응하는 로봇의 동작을 제어하는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제2 로봇제어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제2 기록매체와,
상기 제2 기록매체와 다른 기기를 연결하는 제2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제2 캐릭터 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상기 제2 인터페이스와 연결되면,
상기 제2 기록매체에 저장된 상기 제2 로봇제어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기능부를 제어하여 로봇의 동작을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제어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robot control system
It has a second character appearance different from the character appearance,
A computer-readable second recording medium in which a second robot control program for executing a method of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robot corresponding to the outer appearance of the second character is recorded;
Including a second interface for connecting the second recording medium and another device
It further includes; a second character member,
The control unit
Through the interface
When connected to the second interface,
And executing the operation of the robot by controlling the one or more functional units by executing the second robot control program stored in the second recording medium.
Robot control system.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로봇제어시스템은
상기 로봇 본체의 외형과 동일한 가상 로봇 본체 외형을 표현하고 가상으로 상기 로봇 본체의 동작을 수행하는 가상 로봇인 가상로봇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관리 서버; 및
소스 코드를 입력받는 입력모듈과,
상기 관리 서버와 통신을 위한 통신모듈과,
상기 통신모듈을 통해 상기 관리 서버에 접속하면, 상기 소스 코드를 빌드하여 상기 가상로봇 프로그램을 생성하여 상기 관리 서버에 저장하거나, 상기 소스 코드를 빌드하여 상기 관리 서버에 저장된 상기 가상로봇 프로그램을 업데이트하는 제어모듈을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을 더 포함하는
로봇제어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robot control system
A management server for storing a virtual robot program, which is a virtual robot that represents an external shape of the robot body that is the same as that of the robot body and virtually performs an operation of the robot body; And
An input module that receives the source code,
A communication module for communication with the management server,
When accessing the management server through the communication module, the source code is built to generate the virtual robot program and stored in the management server, or the source code is built to update the virtual robot program stored in the management server. Including a control module
User terminal; further comprising
Robot control system.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관리 서버 상에서 상기 가상로봇 프로그램이 실행되어 정상 동작하면,
상기 통신모듈을 통해 상기 로봇 본체와 연결된 상기 캐릭터 부재와 연결한 후,
상기 가상로봇 프로그램을 로봇제어 프로그램으로 상기 기록매체에 저장하거나,
상기 가상로봇 프로그램으로 상기 기록매체에 저장된 상기 로봇제어 프로그램을 업데이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제어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6,
The control module
When the virtual robot program is executed on the management server and operates normally,
After connecting with the character member connected to the robot body through the communication module,
Storing the virtual robot program as a robot control program in the recording medium, or
Updating the robot control program stored in the recording medium with the virtual robot program
Robot control system.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모듈은
화면을 표시하기 위한 표시모듈;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통신모듈을 통해 상기 관리 서버에 접속한 후,
상기 관리 서버 상에서 상기 가상로봇 프로그램을 실행시키고,
상기 가상로봇 프로그램이 실행되는 실행 화면을 상기 표시모듈을 통해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제어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6,
The control module
A display module for displaying a screen; further comprising,
The control module
After connecting to the management server through the communication module,
Run the virtual robot program on the management server,
A robot control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execution screen on which the virtual robot program is executed is displayed through the display module.
캐릭터로봇에 있어서,
제1 캐릭터 외형을 가지며,
제1 캐릭터 외형에 대응하는 로봇의 동작을 제어하는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제1 로봇제어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제1 기록매체와,
상기 기록매체와 다른 기기를 연결하는 제1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제1 캐릭터 부재; 및
상기 제1 인터페이스와 연결되는 인터페이스부와,
로봇의 동작을 수행하는 하나 이상의 기능부와,
상기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상기 제1 캐릭터 부재의 상기 제1 인터페이스와 연결되면 상기 제1 기록매체에 저장된 상기 제1 로봇제어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기능부를 제어하여 로봇의 동작을 실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로봇 본체;를 포함하는
캐릭터로봇.
In the character robot,
Has a first character appearance,
A computer-readable first recording medium in which a first robot control program for executing a method of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robot corresponding to the first character appearance is recorded;
Including a first interface for connecting the recording medium and other devices
A first character member; And
An interface unit connected to the first interface,
One or more functional units that perform the operation of the robot,
When connected to the first interface of the first character member through the interface unit, the first robot control program stored in the first recording medium comprises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one or more functional units to execute the robot operation.
Robot body; including
Character robot.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캐릭터로봇은
상기 제1 캐릭터 외형과 다른 제2 캐릭터 외형을 가지며,
상기 제2 캐릭터 외형에 대응하는 로봇의 동작을 제어하는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제2 로봇제어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제2 기록매체와,
상기 제2 기록매체와 다른 기기를 연결하는 제2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제2 캐릭터 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상기 제2 인터페이스와 연결되면,
상기 제2 기록매체에 저장된 상기 제2 로봇제어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기능부를 제어하여 로봇의 동작을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릭터로봇.
The method of claim 9,
The above character robot
It has a second character appearance different from the first character appearance,
A computer-readable second recording medium in which a second robot control program for executing a method of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robot corresponding to the outer appearance of the second character is recorded;
Including a second interface for connecting the second recording medium and another device
It further includes; a second character member,
The control unit
Through the interface
When connected to the second interface,
And executing the operation of the robot by controlling the one or more functional units by executing the second robot control program stored in the second recording medium.
Character robot.
KR1020190124852A 2019-10-08 2019-10-08 Character robot and robot control system using the same KR10228709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4852A KR102287091B1 (en) 2019-10-08 2019-10-08 Character robot and robot control system us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4852A KR102287091B1 (en) 2019-10-08 2019-10-08 Character robot and robot control system using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41967A true KR20210041967A (en) 2021-04-16
KR102287091B1 KR102287091B1 (en) 2021-08-06

Family

ID=757438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24852A KR102287091B1 (en) 2019-10-08 2019-10-08 Character robot and robot control system us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87091B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023234A1 (en) * 2014-08-15 2016-02-18 Vtech Electronics, Ltd. Electronic toy with radial independent connector and associated communication protocol
KR101696151B1 (en) * 2016-06-09 2017-01-12 신재광 MODULAR ROBOTICS SYSTEM BASED ON IoT
KR20170008107A (en) 2015-07-13 2017-01-23 김인숙 Block Puzzle Toy for Education
KR20190095189A (en) * 2019-07-25 2019-08-14 엘지전자 주식회사 Robot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023234A1 (en) * 2014-08-15 2016-02-18 Vtech Electronics, Ltd. Electronic toy with radial independent connector and associated communication protocol
KR20170008107A (en) 2015-07-13 2017-01-23 김인숙 Block Puzzle Toy for Education
KR101696151B1 (en) * 2016-06-09 2017-01-12 신재광 MODULAR ROBOTICS SYSTEM BASED ON IoT
KR20190095189A (en) * 2019-07-25 2019-08-14 엘지전자 주식회사 Robot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87091B1 (en) 2021-08-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90237003A1 (en) Display device,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screen display
CN110430558A (en) Apparatus control method, device, electronic equipment and storage medium
KR102650444B1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registering a smart home device in a smart home system
CN108632342A (en) Method from audio data to multiple external equipments and electronic equipment for sending
WO2019144489A1 (en) Display device, electronic apparatus and screen display control method
JP2009259199A (en) Method, system and program for interacting with avatar relating to user in computer virtual environment
CN105589336A (en) Multi-Processor Device
KR102651726B1 (en) Electronic device including light emitting de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CN112494943A (en) Information sending and resource transferring method and device in game, medium and equipment
CN107643949A (en) Application program switching system and method, storage medium and electronic equipment
KR20220104236A (en) Synchronization methods and electronic devices
KR20220092602A (en) Application sharing method, electronic device and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US20190342737A1 (en) Remote bluetooth communication system
KR20130104777A (en) Appratus and method for romotely controlling robot using portable smart device
CN110912911A (en) Air conditioning equipment authority control method, user equipment and control system
US20170192494A1 (en) Wearable interactive gaming device
CN109885243B (en)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device in electronic system, storage medium and electronic equipment
US20210370166A1 (en) Guide-assisted Virtual Experiences
KR102287091B1 (en) Character robot and robot control system using the same
KR20020014501A (en) Toy education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using cyber community
JP5427592B2 (en) Device control system, terminal device and device
CN109375786B (en)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remote PC desktop based on physical keyboard and mouse equipment
CN110327620A (en) Operation mapping control system, method and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between multiterminal
KR102590347B1 (en) Data management method, electronic device and server for managing data
CN108702694A (en) Method for network connection and electronic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