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41765A - Portable Weight measurement Device for disabled persons - Google Patents

Portable Weight measurement Device for disabled person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41765A
KR20210041765A KR1020190124402A KR20190124402A KR20210041765A KR 20210041765 A KR20210041765 A KR 20210041765A KR 1020190124402 A KR1020190124402 A KR 1020190124402A KR 20190124402 A KR20190124402 A KR 20190124402A KR 20210041765 A KR20210041765 A KR 202100417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ate
support plate
weight
plate
measur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2440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274814B1 (en
Inventor
김동준
손대경
전흥기
박희정
Original Assignee
국립암센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국립암센터 filed Critical 국립암센터
Priority to KR10201901244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74814B1/en
Priority to PCT/KR2020/013327 priority patent/WO2021071170A2/en
Publication of KR202100417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4176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748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7481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0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testing the shape, pattern, colour, size or movement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for diagnostic purpo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0Containers, covers, furniture or holders specially adapted for surgical or diagnostic appliances or instruments, e.g. sterile covers
    • A61B50/10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surgical or diagnostic appliances or instruments
    • A61B50/13Trolleys, e.g. car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GWEIGHING
    • G01G19/00Weighing apparatus or method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groups
    • G01G19/44Weighing apparatus or method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groups for weighing pers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GWEIGHING
    • G01G19/00Weighing apparatus or method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groups
    • G01G19/52Weighing apparatus combined with other objects, e.g. furnit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60/00Constructional details of operational features of apparatus; Accessories for medical measuring apparatus
    • A61B2560/04Constructional details of apparatus
    • A61B2560/0437Trolley or cart-type apparatu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62/00Details of sensors; Constructional details of sensor housings or probes; Accessories for sensors
    • A61B2562/02Details of sensors specially adapted for in-vivo measurements
    • A61B2562/0252Load cell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Pathology (AREA)
  • Biophys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Invalid Beds And Related Equipment (AREA)
  • Accommodation For Nursing Or Treatment Table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rtable patient weight measurement device for a patient that can measure a patient's weight right next to a patient's bed.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xed plate having a pair of upward support rods, and a moving wheel on the lower surface thereof; a moving bar connecting between the support rods; a motor for providing a driving force so that the moving bar moves up and down along the support rods; a measuring assembly provided on one side of the fixing plate and having a first state in which the support plate is in contact with the bottom surface or a second state in which it is not in contact according to the driving of the motor; and an auxiliary plate provided on the other side of the fixed plate.

Description

이동형 환자 체중측정장치{Portable Weight measurement Device for disabled persons}Portable Weight Measurement Device for disabled persons}

본 발명은 환자 체중측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접이식 형태의 작은 부피로 보관이 용이하며, 환자가 침대에서 바로 일어나서 체중을 측정할 수 있는 이동형 환자 체중측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atient weight measuring device, and in particular, to a portable patient weight measuring device that can be easily stored in a small volume in a foldable form, and allows the patient to get up from the bed and measure the weight.

환자의 체중은 환자의 영양상태나 처방의 적정성 등을 파악하는데 중요하다 할 것이다. 체중 측정을 위한 가장 일반적인 체중계는 바닥에 놓아두는 박스형태로 환자기 몸을 고정시킬 수 없어 정확한 체중 측정이 어려웠다. 따라서 환자(거동이 불편한 사람 및 노약자 등 포함)의 체중을 쉽게 측정하기 위한 장치들이 제안된 바 있다. It will be said that the patient's weight is important in grasping the patient's nutritional status or the appropriateness of the prescription. The most common weight scale for measuring weight is a box-type placed on the floor, and it was difficult to accurately measure the weight because the patient's body could not be fixed. Accordingly, devices for easily measuring the weight of patients (including those with disabilities and the elderly) have been proposed.

하나의 예로 환자가 손잡이를 잡고 체중을 안정되게 잴 수 있도록 손잡이가 마련된 체중장치가 있다. 그러나 부피가 큰 형태이며, 이동이 쉽지 않고, 환자가 침대에서 바로 일어나 체중을 측정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예를 들어, 다수의 침대들이 배치된 공간에서 침대 사이로 체중장치를 이동시킬 수 없다.One example is a weight device equipped with a handle so that a patient can hold a handle and measure their weight stably. However, it is a bulky form, it is not easy to move, an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patient cannot get up from the bed and measure the weight. For example, it is not possible to move the weight device between the beds in a space where a number of beds are arranged.

환자 체중장치의 다른 예로, 휠체어 기반의 체중장치가 있다. 이러한 장치는 휠체어에 탑승한 채로 체중을 측정하거나 의자 등에 앉은 상태에서 체중을 측정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나, 환자의 움직임으로 인하여 측정값에 적지않은 오차가 포함되는 문제가 있다.Another example of a patient weight device is a wheelchair-based weight device. Such a device has an advantage of measuring weight while riding in a wheelchair or measuring weight while sitting in a chair, but there is a problem that a considerable error is included in the measured value due to the movement of the patient.

환자 체중장치의 또 다른 예로, 침대나 해먹(Hammock) 기반의 체중계도 있다. 의료용 침대는 이동 휠 하단에 체중계를 장착하여 침대의 무게와 환자의 체중에 의해 지속적으로 하중을 받게 되므로 장치의 파손이나 오작동이 발생하며, 특히 해먹을 이용한 체중측정장치는 환자의 체중을 측정하기 위해 환자의 신체가 많이 움직이게 되어 불편함과 번거로움이 있었다. Another example of a patient weighing device is a bed or hammock-based scale. A medical bed is equipped with a scale at the bottom of the moving wheel to continuously receive a load by the weight of the bed and the patient's weight, so damage or malfunction of the device may occur. In particular, a weight measuring device using a hammock is used to measure the patient's weight. The patient's body moved a lot, causing discomfort and hassle.

환자 체중장치의 또 다른 예로, 환자의 신체에 무리를 주지 않으면서도 신속하고 정확하게 체중을 측정할 수 있는 환자용 체중계(등록실용신안 20-0398873호)가 제안된 바 있다. 그러나 선행기술은 저울에 환자를 매달아 체중을 측정하는 구조로서, 사용이 불편하였다.As another example of a patient's weight device, a weight scale for a patient (Utility Registration No. 20-0398873) has been proposed that can quickly and accurately measure the weight of the patient without causing any strain on the patient's body. However, the prior art is a structure in which the patient is hung on a scale to measure the weight, which is inconvenient to use.

이와 같이 종래 체중장치는 불편함과 번거로움, 측정 값의 오차 발생과 함께, 체중을 측정하기 위해서는 거동이 불편한 환자가 측정장치까지 옮겨야 하는 문제가 있었다. As described above, in the conventional weight device, there is a problem in that a patient with discomfort needs to move to the measuring device in order to measure the weight, along with the inconvenience and hassle, and the occurrence of an error in the measured value.

한편, 상술한 체중장치는 기본적으로 체중측정을 위한 장치만이 구성되고 체지방이나 비만도 측정과 같은 체성분(인바디) 측정 및 분석은 할 수 없었다. 이를 위해서는 이러한 검사를 할 수 있는 장치로 이동해야 하는데, 거동이 불편한 환자는 이동 자체가 쉽지 않았다.On the other hand, the above-described weight apparatus is basically composed of only a device for measuring body weight, and it was not possible to measure and analyze body composition (inbody) such as body fat or obesity. To do this, it is necessary to move to a device capable of such a test, but the movement itself was not easy for patients with discomfort.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환자 침대 옆에서 바로 환자 체중을 측정할 수 있도록 하는 이동형 환자 체중측정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s, and to provide a portable patient weight measuring device capable of measuring a patient's weight right next to a patient's bed.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비 사용시에는 접어 보관할 수 있고, 접힌 상태에서는 부피가 작아 작은 공간에서도 보관이 용이한 이동형 환자 체중측정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ortable patient weight measuring device that can be folded and stored when not in use, and that the volume is small in the folded state and can be easily stored even in a small space.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체중뿐만 아니라 체성분 검사까지 가능하게 하여, 환자가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는 이동형 환자 체중측정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ortable patient weight measuring device that can be conveniently used by patients by enabling not only body weight but also body composition test.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상방으로 연장된 한 쌍의 지지봉이 구비되며, 하면에는 이동 휠이 장착된 고정플레이트; 상기 지지봉 상단을 연결하는 수평 바; 상기 수평 바의 하측에 위치하며, 상기 지지봉 사이를 연결하는 이동 바; 상기 이동 바가 지지봉을 따라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구동력을 제공하는 모터; 및 상기 고정플레이트의 일 측에 마련되며, 상기 모터 구동에 따라 바닥면과 접촉되는 제1 상태 또는 비 접촉되는 제2 상태를 갖는 측정 어셈블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이동형 환자 체중측정장치를 제공한다.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provided with a pair of support rods extending upwardly, a fixed plate on which a moving wheel is mounted on a lower surface; A horizontal bar connecting the upper end of the support bar; A moving bar located below the horizontal bar and connecting between the support bars; A motor providing a driving force so that the moving bar moves in a vertical direction along a support bar; And a measurement assembly provided on one side of the fixed plate and having a first state in contact with a floor surface or a second state in contact with a floor surface according to the motor driving.

바람직하게, 상기 측정 어셈블리는, 체중 측정을 위한 로드 셀(load cell); 상기 로드 셀이 구비된 지지플레이트;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상면에 마련된 발판; 및 지지플레이트의 양측에 구비된 한 쌍의 손잡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Preferably, the measurement assembly comprises: a load cell for measuring weight; A support plate provided with the load cell; A scaffold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plate; And a pair of handles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support plate.

바람직하게, 상기 제1 상태 또는 제2 상태를 위하여, 상기 이동 바와 지지플레이트 사이의 한 쌍의 제1 관절 링크; 및 상기 지지플레이트와 고정플레이트 사이의 한 쌍의 제2 관절 링크를 더 포함한다. Preferably, for the first state or the second state, a pair of first joint links between the moving bar and the support plate; And a pair of second joint links between the support plate and the fixed plate.

바람직하게, 상기 손잡이부는 양 끝단이 서로 다른 방향으로 절곡되는 소정 길이의 막대 모양이며, 하단부는 상기 지지플레이트에 형성된 가이드 홈에 삽입 설치되고, 상단부는 체성분을 측정하는 센서가 내장된다.Preferably, the handle part has a rod shape of a predetermined length in which both ends are bent in different directions, the lower part is inserted into the guide groove formed in the support plate, and the upper part is equipped with a sensor for measuring body composition.

바람직하게, 상기 손잡이부와 지지플레이트 사이는 다관절 링크부재가 결합하고, 상기 다관절 링크부재는 서로 90도 방향으로 어긋나게 배치되는 2개의 단위 링크를 포함한다.Preferably, an articulated link member is coupled between the handle portion and the support plate, and the articulated link member includes two unit links arranged to be offset in a direction of 90 degrees to each other.

바람직하게, 상기 다관절 링크부재가 링크 구동되어 상기 측정 어셈블리가 상기 제1 상태 또는 제2 상태가 될 때, 상기 하단부는 상기 가이드 홈 내에서 슬라이딩 이동한다. Preferably, when the articulated link member is driven by a link and the measurement assembly is in the first state or the second state, the lower end part slides within the guide groove.

바람직하게, 상기 고정플레이트의 타 측에 구비된 보조플레이트를 더 포함하며, 상기 보조플레이트의 수평상태 또는 수직상태를 위하여 상기 이동 바와 보조플레이트 사이의 한 쌍의 제3 관절 링크; 및 상기 보조플레이트와 고정플레이트 사이의 한 쌍의 제4 관절 링크가 연결된다. Preferably, it further comprises an auxiliary plate provided on the other side of the fixed plate, a pair of third joint links between the moving bar and the auxiliary plate for the horizontal or vertical state of the auxiliary plate; And a pair of fourth joint links between the auxiliary plate and the fixed plate.

바람직하게, 상기 제1 관절 링크 및 제2 관절 링크와 상기 제3 관절 링크 및 제4 관절 링크는 서로 대칭되게 구동된다. Preferably, the first and second joint links, and the third and fourth joint links are driven symmetrically to each other.

바람직하게, 상기 제1 상태는 상기 지지플레이트와 보조플레이트가 상기 이동 휠보다 아래에 위치하여 바닥면과 접촉한다.Preferably, in the first state, the support plate and the auxiliary plate are positioned below the moving wheel to contact the bottom surface.

바람직하게, 상기 제2 상태는 상기 고정플레이트의 이동 휠만 바닥면과 접촉한다.Preferably, in the second state, only the moving wheel of the fixed plate contacts the bottom surface.

바람직하게, 상기 모터는 모터 샤프트가 수직 왕복 운동하는 라이너 모터이다. Preferably, the motor is a liner motor in which the motor shaft vertically reciprocates.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이동형 환자 체중측정장치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mobile patient weight measur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has the following effects.

먼저, 비 측정시에는 환자 체중측정장치를 접힌 상태로 할 수 있어 좁은 공간에도 충분히 보관할 수 있어 공간 효율성이 높다.First, the patient's weight measuring device can be folded in the case of non-measurement, so it can be sufficiently stored even in a narrow space, thereby improving space efficiency.

그리고 측정시에는 지지플레이트와 보조플레이트가 펼쳐질 수 있는 좁은 공간만 있으면 되기 때문에, 환자가 누워있는 침대들 사이의 간격이 좁더라도 침대들 사이에 체중측정장치를 위치시킬 수 있어, 환자가 바로 침대에서 이동하여 체중을 측정할 수 있다. 그만큼 환자 이동거리를 최소화할 수 있어 환자의 편의성이 증대될 것이다.And since the measurement requires only a narrow space in which the support plate and the auxiliary plate can be unfolded, the weight measuring device can be placed between the beds even if the distance between the beds on which the patient is lying is narrow. You can move and measure your weight. As such, the patient's travel distance can be minimized, which will increase the patient's convenience.

또 체중 측정시 지지플레이트와 보조플레이트가 바닥면과 접촉되고 이동 휠은 떨어지기 때문에, 안정적인 자세로 체중 측정이 가능하다.In addition, when measuring weight, since the support plate and the auxiliary plate are in contact with the floor surface and the moving wheel falls, it is possible to measure the weight in a stable posture.

또 손잡이부에 체성분 검사 센서를 내장하고 있어, 환자의 이동을 최소화하면서 체중과 체성분을 함께 측정 및 검사할 수 있다.In addition, a body composition test sensor is built into the handle, so it is possible to measure and test both body weight and body composition while minimizing the movement of the patient.

그리고 체중측정장치에는 통신모듈을 내장하고 있다. 따라서 체중이나 체성분 값을 외부기기에서도 쉽게 확인할 수 있어 환자에 대한 관리가 용이하다. And the weight measuring device has a built-in communication module. Therefore, it is easy to manage the patient because the weight or body composition value can be easily checked from an external device.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환자 체중측정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라이너 모터의 연결부 사시도
도 3a 및 도 3b는 환자 체중측정장치의 일부 사시도
도 4a 및 도 4b는 환자 체중측정장치의 체중 측정시의 전방 및 후방 사시도
도 5a 및 도 5b는 환자 체중측정장치의 체중 비측정시(보관)의 전방 및 후방 사시도
도 6a 및 도 6b는 환자 체중측정장치에서 지지플레이트의 접이식 사용을 위한 랙/피니언 기어를 나타낸 단면도
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patient weight measuring devic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nnection part of the liner motor of FIG. 1
3A and 3B are partial perspective views of a patient weight measuring device
4A and 4B are front and rear perspective views of a patient's weight measuring device when measuring weight
5A and 5B are front and rear perspective views of a patient's weight measuring device when measuring the weight ratio (storing)
6A and 6B are cross-sectional views showing a rack/pinion gear for folding use of a support plate in a patient weighing device

본 발명의 목적 및 효과,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구성들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Objects and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echnical configurations for achieving them will become apparent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later in detail together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known function or configura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In addition, terms to be described later are terms defined in consideration of functions in the present invention, which may vary according to the intention or custom of users or operators.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and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However, these embodiments are provided to complete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o fully inform the scope of the invention to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It just becomes. Therefore, the definition should be made based on the contents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본 발명은 거동이 불편한 환자가 이동거리를 최소화하면서 체중측정 및 체지방 검사를 할 수 있는 이동형 환자 체중측정장치로서, 이하에서 도면에 도시한 실시 예에 기초하면서 본 발명에 대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is a mobile patient weight measuring device capable of measuring body weight and body fat while minimizing the moving distance of a patient with reduced mobility, and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based on the embodiments shown in the drawings below. do.

도 1 내지 도 3b를 참고한다. 이동형 환자 체중측정장치(10)는 체중을 측정할 수 있는 펼쳐진 상태(제1 상태) 또는 이동/보관할 수 있는 접힌 상태(제2 상태)의 2가지 구조를 가질 수 있다. See FIGS. 1 to 3B. The mobile patient weight measuring apparatus 10 may have two structures: an unfolded state (first state) capable of measuring weight or a folded state (second state) capable of moving/storing.

이동형 환자 체중장치(10)에는 상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한 쌍의 지지봉(110)이 설치된 고정플레이트(100)가 구비된다. 고정플레이트(100)는, 이동을 위한 이동 휠(wheel)(101)이 하면에 설치되며, 체중을 측정하는 동안에는 체중측정장치(10)의 이동을 방지하도록 상기 이동 휠(101)은 바닥면과 이격된다. 물론 체중을 측정하는 동안 후술하는 지지플레이트(220) 및 보조플레이트(500)에 의해 체중측정장치(10)의 이동은 방지되나, 더 확실한 이동방지를 위한 구성으로 보면 된다. The mobile patient weight device 10 is provided with a fixed plate 100 provided with a pair of support rods 110 extending upwardly. In the fixed plate 100, a moving wheel 101 for movement is installed on the lower surface, and during weight measurement, the moving wheel 101 is connected to the floor surface to prevent movement of the weight measuring device 10. Spaced apart. Of course, while the weight is measured, the movement of the weight measurement device 10 is prevented by the support plate 220 and the auxiliary plate 50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but it can be viewed as a configuration for more reliable movement prevention.

그리고 고정플레이트(100)에는 절개홈(102)이 형성되고, 절개홈(102)에는 일단이 힌지 결합하고 타단은 지지플레이트와 결합하는 결합링크(104)가 구비된다. 절개홈(102)에 의해 제1 상태에서 수직되게 위치하는 지지플레이트(220)는 고정플레이트(100)보다 바깥쪽에 위치하지 않게 되며, 결합링크(104)는 지지플레이트(220)의 이동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In addition, a cutting groove 102 is formed in the fixing plate 100, and a coupling link 104 is provided at one end hingedly coupled to the cutting groove 102 and coupled to the support plate at the other end. The support plate 220 positioned vertically in the first state by the cut groove 102 is not positioned outside the fixed plate 100, and the coupling link 104 supports the movement of the support plate 220. Plays a role.

지지봉(110)은 고정 플레이트(100)의 상면 양단에서 상방을 향하여 한 쌍으로 형성되며, 지지봉(110)의 상단은 수평바(112)가 연결되어 전체적인 형상은 대략 ∩ 형상과 같다.The support rods 110 are formed in a pair from both ends of the upper surface of the fixing plate 100 toward the upper side, and the horizontal bar 112 is connected to the upper end of the support rod 110, so that the overall shape is approximately the same as the ∩ shape.

상기 지지봉(110)의 상측에는 설치 브라켓(120)이 구비된다. 설치 브라켓(120)은 편의 사양을 위한 모듈이 장착되는 공간이라 할 수 있는데, 실시 예서는 소정 사이즈의 입/출력 장치(600)가 장착된다. 미도시하고 있지만, 상기 입/출력장치(600)에는 체중측정이나 체성분 측정을 위한 모드 설정버튼들, 측정된 값을 표시하는 표시부, 외부장치와 통신하기 위한 무선통신모듈이 구비된다.An installation bracket 120 is provided on the upper side of the support bar 110. The installation bracket 120 may be referred to as a space in which a module for convenient specifications is mounted. In the embodiment, an input/output device 600 of a predetermined size is mounted. Although not shown, the input/output device 600 includes mode setting buttons for measuring weight or body composition, a display unit displaying a measured value, and a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for communicating with an external device.

상기 설치 브라켓(112)에는 손잡이(122)가 마련될 수 있고, 손잡이(122) 내에는 체성분을 측정할 수 있는 센서 등이 내장된다. 실시 예에서 환자가 직접 파지하는 손잡이는 아래에서 설명하는 측정 어셈블리(200)와 일체로 구비되는 구조를 제공하나, 이렇게 설치 브라켓(120)에도 손잡이(122)를 형성할 수 있다. A handle 122 may be provided in the mounting bracket 112, and a sensor capable of measuring body composition is embedded in the handle 122. In the embodiment, the handle directly gripped by the patient provides a structure integrally provided with the measurement assembly 200 described below, but the handle 122 may also be formed on the mounting bracket 120 in this way.

상기 지지봉(110) 사이에는 이동바(130)가 결합한다. 이동바(130)는 양단에 결합 브라켓(132)이 일체로 구성되고, 상기 결합 브라켓(132)에 형성된 결합 홀(부호 미도시)이 상기 지지봉(110)의 외주면에 끼워진다. 상기 결합 홀이 지지봉(110)에 끼워져서 이동바(130)는 후술하는 구동력에 의하여 지지봉(110)의 외주면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이동한다.A moving bar 130 is coupled between the support rods 110. The moving bar 130 has coupling brackets 132 integrally formed at both ends, and a coupling hole (not shown) formed in the coupling bracket 132 is fitted in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upport rod 110. The coupling hole is inserted into the support rod 110 so that the moving bar 130 moves in the vertical direction al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upport rod 110 by a driving force to be described later.

상기 수평바(1120와 상기 이동바(130) 사이는 모터(140)가 설치된다. 모터(140)는 라이너 모터가 채용되며, 수평바(112)와 결합하는 모터몸체(142)와, 모터몸체(142)에서 연장되어 끝단이 이동바(130)와 결합하는 샤프트(144)를 포함한다. 모터몸체(142)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평바(112)에 고정된 연결 브라켓(112)를 매개로 연결된다.A motor 140 is installed between the horizontal bar 1120 and the moving bar 130. The motor 140 employs a liner motor, a motor body 142 coupled to the horizontal bar 112, and a motor body It includes a shaft 144 that extends from 142 and has an end coupled to the moving bar 130. The motor body 142 is a connection bracket 112 fixed to the horizontal bar 112 as shown in FIG. It is connected by means of.

그리고 상기 라이너 모터의 특성 상 실시 예에서 상기 샤프트(144)는 수직방향으로 구동되며, 이러한 샤프트(144)의 구동에 따라 이동바(130)는 상기 지지봉(110)을 따라 상하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liner motor, in the embodiment, the shaft 144 is driven in a vertical direction, and the moving bar 130 may move vertically along the support rod 110 as the shaft 144 is driven. .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고정플레이트(100)의 일측에는 측정 어셈블리(200)가 구비된다. 측정 어셈블리(200)는 환자의 체중을 측정하기 위한 구성으로, 체중 측정을 위한 로드셀(load cell)(210)과, 상기 로드 셀(210)이 구비된 지지플레이트(220), 환자가 올라설 수 있도록 상기 지지플레이트(220)의 상면에 마련된 발판(2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measurement assembly 200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fixing plate 100. The measurement assembly 200 is a configuration for measuring the weight of a patient, and a load cell 210 for measuring weight, a support plate 220 provided with the load cell 210, and a patient can stand on it.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foot plate 230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plate 220.

또 상기 측정 어셈블리(200)에는 손잡이부(310)가 마련된다. 실시 예에서 상기 손잡이부(310)는 측정 어셈블리(200)와 일체로 형성된다. 따라서 체중 측정 시 정확한 체중 측정이 가능하다. 즉, 손잡이부가 있는 종래 체중 측정장치는 손잡이부가 발판과는 이격되게 구비되었고, 따라서 환자가 체중 측정을 위해 발판위에 올라가서 손잡이부를 잡을 경우 손잡이에 힘이 분산될 수 있어, 정확한 체중 측정이 어려웠다. 그러나 본 실시 예는 측정 어셈블리(200)에 손잡이부(310)가 함께 구비되었기 때문에 정확하게 환자의 체중 측정이 가능하다.In addition, a handle 310 is provided in the measurement assembly 200. In the embodiment, the handle 310 is integrally formed with the measurement assembly 200. Therefore, accurate weight measurement is possible when measuring weight. That is, in the conventional weight measuring apparatus with a handle, the handle is provid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footrest, and therefore, when the patient climbs on the footrest for weight measurement and grabs the handle, the force may be distributed to the handle, making accurate weight measurement difficult. However, in this embodiment, since the measurement assembly 200 is provided with the handle 310 together, it is possible to accurately measure the patient's weight.

상기 손잡이부(310)는 지지플레이트(220)의 양 측에 한 쌍으로 이루어진다. 손잡이부(310)는 막대모양이며, 양 끝단은 서로 다른 방향으로 절곡되는 형상이다. 즉 하단부(312)는 지지플레이트(220)와 연결되며, 상단부(314)는 환자가 편하게 잡을 수 있도록 구부러진 형상이다. 상기 상단부(314)에 각종 체성분을 측정할 수 있는 센서 등이 내장될 수 있다.The handle part 310 is formed in a pair on both sides of the support plate 220. The handle 310 has a bar shape, and both ends have a shape that is bent in different directions. That is, the lower end 312 is connected to the support plate 220, and the upper end 314 has a bent shape so that the patient can hold it comfortably. Sensors capable of measuring various body compositions may be built in the upper part 314.

한편, 본 발명은 라이너 모터(140)의 구동에 따라 제1 상태 또는 제2 상태를 제공하게 됨은 상술한 바 있다. 제1 상태는 체중을 측정할 수 있는 상태, 제2 상태는 이동/보관할 수 있는 접힌 상태로서, 이를 위해 상기 지지플레이트(220) 및 손잡이부(310)가 제1 상태 및 제2 상태와 대응되게 펼쳐진 상태 및 접힌 상태를 가져야 한다. 이러한 구조에 대해 살펴본다.Meanwhile, it has been described above tha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first state or a second state according to the driving of the liner motor 140. The first state is a state in which the body weight can be measured, and the second state is a folded state that can be moved/stored. For this purpose, the support plate 220 and the handle part 310 are made to correspond to the first state and the second state. It must have an unfolded and folded state. Let's look at this structure.

이동바(130)와 지지플레이트(220) 사이에는 제1 관절링크(410)가 연결되고, 지지플레이트(220)와 고정플레이트(100) 사이에는 제2 관절링크(420)가 연결된다. 제1 관절링크(410) 및 제2 관절링크(420)는 체중측정장치(10)의 좌/우측에 마련되어야 하기 때문에, 한 쌍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관절링크(410, 420)들은 상기 이동바(130)의 수직방향 이동에 따라 펼쳐지거나 접히게 되어, 지지플레이트(220)가 바닥면과 접촉된 상태(펼쳐진 상태)가 되거나 바닥면과 이격되어 수직되게 위치하는 상태가 된다. A first joint link 410 is connected between the moving bar 130 and the support plate 220, and a second joint link 420 is connected between the support plate 220 and the fixed plate 100. Since the first joint link 410 and the second joint link 420 must be provided on the left/right side of the weight measuring device 10, it is formed in a pair. And the joint links (410, 420) are unfolded or folded according to the vertical movement of the moving bar (130), so that the support plate 220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floor (unfolded state) or spaced apart from the floor surface. It is in a vertical position.

체중측정장치(10)가 제1 상태 또는 제2 상태가 되려면, 상기 지지플레이트(220)와 함께 손잡이부(340)도 접히거나 펼쳐지는 상태가 되어야 한다. In order for the weight measuring device 10 to be in the first state or the second state, the handle part 340 must be folded or unfolded together with the support plate 220.

한 쌍의 손잡이부(340)의 하단부(312)는 지지플레이트(220)에 구비된 가이드 홈(250) 내에 설치되고, 지지플레이트(220)가 세워지거나 펼쳐질 때 상기 하단부(312)는 가이드 홈(250) 내에서 구동된다. 그리고 본 실시 예에서 이러한 구동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랙 기어(242) 및 피니언 기어(244)를 이용하였다. 그러나 이는 일 실시 예에 불과하며, 다른 구조를 이용하여 지지플레이트(220)를 세우거나 펼치도록 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The lower end 312 of the pair of handles 340 is installed in the guide groove 250 provided in the support plate 220, and when the support plate 220 is erected or unfolded, the lower end 312 is a guide groove ( 250). And in this embodiment, this drive uses a rack gear 242 and a pinion gear 244 as shown in FIG. 6. However, this is only an example, and it is natural that the support plate 220 can be erected or unfolded using a different structure.

또한 손잡이부(340)는 지지플레이트(220)와 사이에 다관절 링크부재(340)가 결합된다. 본 실시 예에서 다관절 링크부재(340)는 2개의 단위링크(342, 344)가 서로 연결되는 구조인데, 하나(342)는 손잡이부(310)에 끼움 고정된 결합 브라켓트(316)와 결합하고, 다른 하나(344)는 지지플레이트(220)와 결합한다. 그리고 단위링크(342, 344)의 연결은 그 단위링크(342, 344)가 연동하여 펼쳐지거나 접히는 어떠한 구조라도 적용할 수 있을 것이다. In addition, the handle part 340 is coupled to the support plate 220 and an articulated link member 340 therebetween. In this embodiment, the articulated link member 340 is a structure in which two unit links 342 and 344 are connected to each other, and one 342 is coupled with a coupling bracket 316 fitted and fixed to the handle part 310 and , The other 344 is coupled to the support plate 220. In addition, the connection of the unit links 342 and 344 may be applied to any structure in which the unit links 342 and 344 are opened or folded in conjunction with each other.

이러한 각각의 단위링크(342, 344)는 대략 편상형으로 형성되며, 2개의 단위링크(342, 344)는 대략 90도 방향으로 어긋나게 배열시킨다. 이렇게 하는 이유는 지지플레이트(220)가 펼쳐진 상태와 접힌 상태에서 손잡이부(340)의 상단부분(314)이 향하는 방향을 다르게 하기 위함이다. 즉, 펼쳐진 상태에서는 환자가 편하게 파지할 수 있도록 체중측정장치(10)의 후방(도면에서 우측 방향을 가르킴)을 향하도록 하고, 접힌 상태에서는 상단부분(314)이 체중측정장치(10)의 내측방향을 향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Each of these unit links 342 and 344 is formed in an approximately flake shape, and the two unit links 342 and 344 are arranged to be shifted in a direction of approximately 90 degrees. The reason for doing this is to change the direction in which the upper end portion 314 of the handle portion 340 faces in the unfolded and folded state of the support plate 220. That is, in the unfolded state, the weight measuring device 10 is directed to the rear (pointing to the right in the drawing) so that the patient can comfortably grip it, and in the folded state, the upper part 314 is inside the weight measuring device 10. It is to face the direction.

본 발명에 따르면, 측정 어셈블리(200)의 반대편에는 보조플레이트(500)가 구비된다. 보조플레이트(500)는 상기 지지플레이트(220)와 협력하여 체중측정장치(10)를 더 안정되게 위치시키기 위함이다. 예를 들어 보조플레이트(500)가 없다면, 부주의 등에 의하여 체중측정장치(10)가 일방향으로 넘어질 수 있다. 따라서 보조플레이트(500)는 체중측정장치(10)를 안정되게 지지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라 할 것이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 auxiliary plate 500 is provid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measurement assembly 200. The auxiliary plate 500 is to cooperate with the support plate 220 to position the weight measuring device 10 more stably. For example, if there is no auxiliary plate 500, the weight measuring device 10 may fall in one direction due to carelessness or the like. Therefore, it will be said that the auxiliary plate 500 serves to stably support the weight measuring device 10.

보조플레이트(500)도 지지플레이트(220)와 같이 펼쳐진 상태 및 접힌 상태를 가진다. 체중측정장치(10)의 이동/보관을 위해서는 보조플레이트(500)도 지지플레이트(220)와 마찬가지로 접힌 상태가 되어야만 이동이 용이하고 좁은 공간에도 보관이 쉽다. The auxiliary plate 500 also has an unfolded state and a folded state like the support plate 220. In order to move/storage the weight measuring device 10, the auxiliary plate 500 must be folded as well as the support plate 220 so that it can be easily moved and stored in a narrow space.

보조플레이트(500)의 펼침상태 또는 접힘상태를 위한 구조는 지지플레이트(220)와 마련된 관절 링크와 대칭되게 구성된다. 즉 이동 바(130)와 보조플레이트(500) 사이에는 제3 관절 링크(510)가 연결되고, 보조플레이트(500)와 고정플레이트(100) 사이에는 제4 관절 링크가 연결된다. 그리고 이동 바(130)의 수직방향으로의 이동에 따라 펼쳐지거나 접히게 되어, 보조플레이트(500)도 바닥면과 접촉된 상태(펼쳐진 상태)가 되거나 바닥면과 이격되어 세워지는 상태가 된다. The structure for the unfolded or folded state of the auxiliary plate 500 is configured to be symmetrical with the support plate 220 and the joint link provided. That is, a third joint link 510 is connected between the moving bar 130 and the auxiliary plate 500, and a fourth joint link is connected between the auxiliary plate 500 and the fixed plate 100. Further, as the moving bar 130 is unfolded or folded according to the movement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auxiliary plate 500 is also in a state in contact with the floor (unfolded state) or in a state that is spaced apart from the floor and erected.

본 발명의 환자 체중측정장치의 체중측정 상태와 비측정 상태를 구분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The weight measurement state and non-measurement state of the patient's weight measur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separately.

도 4a 및 도 4b는 체중측정장치(10)의 체중 측정시의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를 보면, 지지플레이트(220) 및 보조플레이트(500)는 펼쳐진 상태로 바닥면과 접촉된 상태이고, 고정플레이트(100)의 하면에 위치한 이동 휠(101)은 바닥면과 비접촉된 상태이다. 지지플레이트(220) 및 보조플레이트(500)가 펼쳐진 상태이기 때문에, 이동바(130)는 지지봉(110)의 하단측에 위치한다. 4A and 4B are views showing a state of the weight measuring apparatus 10 when measuring weight. Looking at this, the support plate 220 and the auxiliary plate 500 are in an unfolded state and in contact with the floor surface, and the movable wheel 101 locat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fixed plate 100 is in a non-contact state with the floor surface. Since the support plate 220 and the auxiliary plate 500 are in an unfolded state, the moving bar 130 is located at the lower end of the support bar 110.

그 상태에서 환자는 발판(230) 위로 이동하고, 측정 어셈블리(200)에 일체 형성된 손잡이부(300)의 상단부(314)를 파지한다. 그러면 로드셀(210)에 체중 측정은 이루어지고, 동시에 상단부(314)에 내장된 체성분 감지 센서가 환자의 체성분을 감지할 것이다. In that state, the patient moves on the footrest 230 and grips the upper end 314 of the handle 300 integrally formed with the measurement assembly 200. Then, the weight is measured in the load cell 210, and at the same time, a body composition detection sensor built in the upper part 314 will detect the body composition of the patient.

측정된 체중값이나 체성분 값은 입/출력장치(600)로 전달된다. 입/출력장치(600)은 전달받은 체중값이나 체성분값을 화면 표시하며, 선택적으로 외부장치로 전송한다. The measured weight value or body composition value is transmitted to the input/output device 600. The input/output device 600 displays the received weight value or body composition value on a screen, and selectively transmits it to an external device.

환자가 발판(230)위로 이동하기 전에, 사용자는 입/출력 장치(600)에 마련된 모드설정버튼을 조작하여 체중측정이나 체성분 측정 중 어느 하나만을 측정하도록 할 수 있다. 만약 체성분만을 측정한다면, 환자 상태에 따라 설치 브라켓(120)에 마련된 손잡이(122)를 파지하여 측정할 수도 있을 것이다. Before the patient moves on the footrest 230, the user can operate the mode setting button provided on the input/output device 600 to measure only one of weight measurement or body composition measurement. If only body composition is measured, it may be measured by grasping the handle 122 provided on the installation bracket 120 according to the patient's condition.

도 5a 및 도 5b는 환자 체중측정장치(10)를 보관하기 위한 상태를 보인 도면이다. 체중측정이 완료된 경우, 사용자는 라이너 모터(140)를 구동한다. 라이너 모터(140)의 구동은 입/출력 장치(600)나 모터몸체(142)에 마련된 일련의 버튼 등을 조작하면 될 것이다. 5A and 5B are views showing a state for storing the patient weight measuring device 10. When the weight measurement is completed, the user drives the liner motor 140. The liner motor 140 may be driven by operating the input/output device 600 or a series of buttons provided on the motor body 142.

그러면 모터 샤프트(144)는 상방향으로 이동되며, 일단이 샤프트(144)와 결합상태인 이동 바(130)도 지지봉(110)의 외주면을 따라 상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에 제1 관절링크 내지 제4 관절링크(410, 420, 510, 520)의 운동에 따라 도 4a에 도시된 화살표 방향으로 회동하게 되어 지지플레이트(220)와 보조플레이트(500)를 도면과 같이 수직되게 위치시킨다. Then, the motor shaft 144 is moved upward, and the moving bar 130 having one end coupled to the shaft 144 also moves upward al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upport rod 110. Accordingly,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first to fourth joint links (410, 420, 510, 520), it is rotated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shown in FIG. 4A, so that the support plate 220 and the auxiliary plate 500 are vertically as shown in the drawing. Place it.

이때, 지지플레이트(220)는 내부에 마련된 랙기어(242) 및 피니언기어(244)의 기어운동에 의하여 세워지거나 펼쳐진 상태가 된다. 즉 도 6을 참고하면, 라이너 모터의 구동에 따라 이동바(130)가 상방으로 이동하게 되면 관절링크(410, 420)가 연동하여 동작하게 되고, 따라서 랙기어(242)와 연결된 링크(246)가 일방향으로 회동하는 것에 의하여 랙기어(242)와 피니언기어(244)의 기어 맞물림 구동으로 지지플레이트(220)는 세워지거나 펼친 상태가 된다.At this time, the support plate 220 is erected or unfolded by the gear movement of the rack gear 242 and pinion gear 244 provided therein. That is, referring to FIG. 6, when the moving bar 130 moves upward according to the driving of the liner motor, the joint links 410 and 420 operate in conjunction, and thus the link 246 connected to the rack gear 242 By rotating in one direction, the rack gear 242 and the pinion gear 244 are driven into engagement with each other, so that the support plate 220 is in an erect or unfolded state.

이렇게 하면 지지플레이트(220)는 고정플레이트(100)의 상면에 위치하며, 도 5a와 같이 지지플레이트(220)는 고정플레이트(100)의 외측방향으로 벗어나지 않는다. In this way, the support plate 220 is loc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ixed plate 100, and the support plate 220 does not deviate from the outer direction of the fixed plate 100 as shown in FIG. 5A.

한편, 지지플레이트(220)와 보조플레이트(500)가 접할 때, 손잡이부(340)도 접혀야 한다. 이는 상기 제1 관절링크 내지 제4 관절링크(410, 420, 510, 520)가 구동하면 그 구동력에 의하여 손잡이부(340)의 하단부(312)가 가이드 홈(250)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게 될 것이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support plate 220 and the auxiliary plate 500 are in contact, the handle portion 340 must also be folded. This means that when the first to fourth joint links 410, 420, 510, and 520 are driven, the lower end 312 of the handle part 340 will slide along the guide groove 250 by the driving force. .

그러면 상기 손잡이부(310)와 지지플레이트(220)를 연결하는 2개의 단위링크(342, 344)도 상태가 된다. 이때 2개의 단위링크(342, 344)는 서로 90도 방향으로 어긋나게 배치되었기 때문에, 손잡이부(310)의 상단부분(314)은 접히는 과정에서 대략 90도 회동하여, 궁극적으로 체중측정장치(10)의 내측 방향을 향해 서로 마주보게 된다. Then, the two unit links 342 and 344 connecting the handle 310 and the support plate 220 are also in a state. At this time, since the two unit links 342 and 344 are arranged to be offset in the direction of 90 degrees from each other, the upper part 314 of the handle 310 rotates approximately 90 degrees in the process of folding, and ultimately, the weight measuring device 10 They face each other in the inner direction of.

지지플레이트(220)와 보조플레이트(500)가 접힌 상태가 되면, 이동 휠(101)만 바닥면과 접촉된 상태가 되어, 이동이 용이하다. 또한 도 5a 및 도 5b와 같이 체중측정장치(100)의 하부 사이즈는 고정플레이트(100)의 면적보다 약간 큰 정도로 접히기 때문에, 아주 좁은 공간에서도 보관이 용이하다.When the support plate 220 and the auxiliary plate 500 are in a folded state, only the moving wheel 101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bottom surface, so that movement is easy. In addition, as shown in FIGS. 5A and 5B, since the lower size of the weight measuring apparatus 100 is folded to a degree slightly larger than the area of the fixed plate 100, it is easy to store even in a very narrow space.

특히 본 발명의 체중측정장치(10)는, 환자가 누워있는 침대들 사이의 간격이 좁더라도 침대들 사이에 위치시킬 수 있다. 즉 제2 상태의 체중측정장치(10)는 침대들 사이로 들어갈 수 있고, 그 상태에서 모터(140)를 구동시키면 지지플레이트(220)와 보조플레이트(500)를 침대 아래 공간에 충분히 펼칠 수가 있다. 따라서 침대 바로 옆에 측정장치(10)를 위치시킬 수 있어, 환자의 이동거리를 최소화시키면서 체중이나 체성분 등을 측정할 수 있게 된다. In particular, the weight measuring apparatus 10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positioned between the beds even if the distance between the beds on which the patient is lying is narrow. That is, the weight measuring apparatus 10 in the second state can enter between the beds, and if the motor 140 is driven in that state, the support plate 220 and the auxiliary plate 500 can be sufficiently spread in the space under the bed. Therefore, it is possible to position the measuring device 10 right next to the bed, it is possible to measure the weight or body composition, etc. while minimizing the moving distance of the patient.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이동형 환자 체중측정장치는 소정 구동력에 따라 이동바(130)가 지지봉(110)의 외주면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되기 때문에, 체중을 측정할 수 있는 펼쳐진 상태(제1 상태) 또는 이동/보관할 수 있는 접힌 상태(제2 상태)로 변환되는 2가지 구조를 제공함을 알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mobile patient weight measuring device is in an unfolded state (first state) or a moving/moving/moving/moving state in which the weight can be measured because the moving bar 130 slides al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upport bar 110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driving force. It can be seen that it provides two structures that transform into a folded state (second state) that can be stored.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하여 설명하고 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들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요지 및 범위에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다양한 변형, 변경 및 균등한 타 실시 예들이 가능하다는 것을 명백하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인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Although it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illustrat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se are only exemplary, and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various It will be apparent that variations, modifications and other equivalent embodiments are possible. Therefore, the true technical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technical spirit of the appended claims.

10: 환자 체중장치
100: 고정플레이트
101: 이동 휠
110: 지지봉
112: 수평바
120: 설치브라켓
130: 이동바
140: 모터
200: 측정 어셈블리
210: 로드 셀
220: 지지플레이트
230: 발판
310: 손잡이부
340: 다관절 링크부재
342, 344: 단위링크
410, 420, 510, 520: 제1 내지 제 4 관절링크
500: 보조플레이트
600: 입/출력장치
10: patient weight device
100: fixed plate
101: moving wheel
110: support rod
112: horizontal bar
120: mounting bracket
130: moving bar
140: motor
200: measurement assembly
210: load cell
220: support plate
230: scaffold
310: handle
340: multi-joint link member
342, 344: unit link
410, 420, 510, 520: first to fourth joint links
500: auxiliary plate
600: input/output device

Claims (11)

상방으로 연장된 한 쌍의 지지봉이 구비되며, 하면에는 이동 휠이 장착된 고정플레이트;
상기 지지봉 상단을 연결하는 수평 바;
상기 수평 바의 하측에 위치하며, 상기 지지봉 사이를 연결하는 이동 바;
상기 이동 바가 지지봉을 따라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구동력을 제공하는 모터; 및
상기 고정플레이트의 일 측에 마련되며, 상기 모터 구동에 따라 바닥면과 접촉되는 제1 상태 또는 비 접촉되는 제2 상태를 갖는 측정 어셈블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이동형 환자 체중측정장치.
A fixed plate having a pair of support rods extending upward, and having a moving wheel mounted on a lower surface thereof;
A horizontal bar connecting the upper end of the support bar;
A moving bar located below the horizontal bar and connecting between the support bars;
A motor providing a driving force so that the moving bar moves in a vertical direction along a support bar; And
A mobile patient weight measurement device comprising a measurement assembly provided on one side of the fixed plate and having a first state in contact with a floor surface or a second state in contact with a floor surface according to the motor driv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 어셈블리는,
체중 측정을 위한 로드 셀(load cell);
상기 로드 셀이 구비된 지지플레이트;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상면에 마련된 발판; 및
지지플레이트의 양측에 구비된 한 쌍의 손잡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이동형 환자 체중측정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measurement assembly,
A load cell for weight measurement;
A support plate provided with the load cell;
A scaffold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plate; And
A mobile patient weight measuring device comprising a pair of handles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support pla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상태 또는 제2 상태를 위하여,
상기 이동 바와 지지플레이트 사이의 한 쌍의 제1 관절 링크; 및
상기 지지플레이트와 고정플레이트 사이의 한 쌍의 제2 관절 링크를 더 포함하는 이동형 환자 체중측정장치.
The method of claim 1,
For the first state or the second state,
A pair of first joint links between the moving bar and the support plate; And
Mobile patient weight measuring device further comprising a pair of second joint links between the support plate and the fixed plat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는 양 끝단이 서로 다른 방향으로 절곡되는 소정 길이의 막대 모양이며,
하단부는 상기 지지플레이트에 형성된 가이드 홈에 삽입 설치되고,
상단부는 체성분을 측정하는 센서가 내장되는 이동형 환자 체중측정장치.
The method of claim 2,
The handle portion has a rod shape of a predetermined length in which both ends are bent in different directions,
The lower end is inserted and installed in the guide groove formed in the support plate,
The upper part is a portable patient weight measuring device with a built-in sensor that measures body composition.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와 지지플레이트 사이는 다관절 링크부재가 결합하고,
상기 다관절 링크부재는 서로 90도 방향으로 어긋나게 배치되는 2개의 단위 링크를 포함하는 이동형 환자 체중측정장치.
The method of claim 2,
An articulated link member is coupled between the handle part and the support plate,
The multi-joint link member is a mobile patient weight measuring device comprising two unit links arranged to be offset in a direction of 90 degrees to each other.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다관절 링크부재가 링크 구동되어 상기 측정 어셈블리가 상기 제1 상태 또는 제2 상태가 될 때, 상기 하단부는 상기 가이드 홈 내에서 기어 구동하는 이동형 환자 체중측정장치.
The method of claim 5,
When the multi-joint link member is driven by a link and the measurement assembly is in the first state or the second state, the lower end portion is a movable patient weight measuring device that is gear-driven within the guide groove.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플레이트의 타 측에 구비된 보조플레이트를 더 포함하며,
상기 보조플레이트의 수평상태 또는 수직상태를 위하여 상기 이동 바와 보조플레이트 사이의 한 쌍의 제3 관절 링크; 및
상기 보조플레이트와 고정플레이트 사이의 한 쌍의 제4 관절 링크가 연결되는 이동형 환자 체중측정장치.
The method of claim 3,
Further comprising an auxiliary plate provided on the other side of the fixed plate,
A pair of third joint links between the moving bar and the auxiliary plate for the horizontal or vertical state of the auxiliary plate; And
A mobile patient weight measuring device to which a pair of fourth joint links are connected between the auxiliary plate and the fixed plate.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관절 링크 및 제2 관절 링크와 상기 제3 관절 링크 및 제4 관절 링크는 서로 대칭되게 구동되는 이동형 환자 체중측정장치.
The method of claim 7,
The first joint link, the second joint link, the third joint link, and the fourth joint link is a mobile patient weight measuring device that is driven symmetrically to each other.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상태는 상기 지지플레이트와 보조플레이트가 상기 이동 휠보다 아래에 위치하여 바닥면과 접촉하는 이동형 환자 체중측정장치.
The method of claim 3,
In the first state, the support plate and the auxiliary plate are located below the moving wheel and are in contact with the floor.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상태는 상기 고정플레이트의 이동 휠만 바닥면과 접촉하는 이동형 환자 체중측정장치.
The method of claim 3,
In the second state, only the moving wheel of the fixed plate is in contact with the floo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는 모터 샤프트가 수직 왕복 운동하는 라이너 모터인 이동형 환자 체중측정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motor is a mobile patient weight measuring device that is a liner motor in which the motor shaft vertically reciprocates.
KR1020190124402A 2019-10-08 2019-10-08 Portable Weight measurement Device for disabled persons KR102274814B1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4402A KR102274814B1 (en) 2019-10-08 2019-10-08 Portable Weight measurement Device for disabled persons
PCT/KR2020/013327 WO2021071170A2 (en) 2019-10-08 2020-09-29 Portable patient-weighing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4402A KR102274814B1 (en) 2019-10-08 2019-10-08 Portable Weight measurement Device for disabled person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41765A true KR20210041765A (en) 2021-04-16
KR102274814B1 KR102274814B1 (en) 2021-07-07

Family

ID=754373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24402A KR102274814B1 (en) 2019-10-08 2019-10-08 Portable Weight measurement Device for disabled persons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274814B1 (en)
WO (1) WO2021071170A2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624315A (en) * 2021-07-15 2021-11-09 御备信息技术科技(苏州)有限公司 Detection instrument of weighing apparatu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786187A (en) * 2021-08-09 2021-12-14 北京直角科技有限公司 National physique test is with body height weight measuring apparatu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15176A (en) * 2009-04-17 2010-10-27 백성호 A wheelchair scale
KR20130027187A (en) * 2011-09-07 2013-03-15 주식회사 바이오스페이스 Apparatus and method for body composition measurement having upper plate and support frame linked mutually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972011B2 (en) * 2012-04-05 2016-08-17 株式会社エー・アンド・デイ Weight scale
KR101911772B1 (en) * 2017-06-02 2018-10-25 송재산업 주식회사 Electric cart
KR101927776B1 (en) * 2018-07-20 2018-12-11 주식회사 이목손 Moving cart for heavy weight material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15176A (en) * 2009-04-17 2010-10-27 백성호 A wheelchair scale
KR20130027187A (en) * 2011-09-07 2013-03-15 주식회사 바이오스페이스 Apparatus and method for body composition measurement having upper plate and support frame linked mutually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624315A (en) * 2021-07-15 2021-11-09 御备信息技术科技(苏州)有限公司 Detection instrument of weighing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071170A2 (en) 2021-04-15
WO2021071170A3 (en) 2021-06-03
KR102274814B1 (en) 2021-07-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839232B2 (en) Caregiver general purpose remote cart for patient bed control
JP5100810B2 (en) Folding scale
US7200952B2 (en) Bioinstrumentation apparatus with height measuring device
KR102274814B1 (en) Portable Weight measurement Device for disabled persons
US20150122555A1 (en) Portable and configurable low-profile scale
WO2007090119A2 (en) Vital sign sensing device
KR20190102016A (en) Seated treadmills and how to use them
US10238564B2 (en) Portable assistive lift
CN106236457A (en) Position, portable side lifting and translocating machine
KR101282485B1 (en) Cervical exercising apparatus having monitoring function
US20070240912A1 (en) Bed-Top Scale
CN215017273U (en) Detecting instrument with multiple vital signs
JPS5929710Y2 (en) Betsudo
US20200375829A1 (en) Patient support apparatus transport handle
CN212880817U (en) Sit-up counter
CN216717580U (en) Wheelchair body weight scale
TWM643689U (en) multi-modal scale
CN219284443U (en) Weighing scale with armrests
CN211022679U (en) Health detector
JP5896581B1 (en) Portable optometry equipment
CN113551757B (en) Multi-functional height weight measuring device that applicable crowd is wide
KR200492563Y1 (en) Extension column for measuring body impedance
CN209790324U (en) Rainproof positioning walking aid
CN211095801U (en) Intelligent walking aid device with health detection function
JP3120031U (en) Wheelchair capable of user weight measure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