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41413A - 세탁물 감지 장치 - Google Patents

세탁물 감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41413A
KR20210041413A KR1020190124106A KR20190124106A KR20210041413A KR 20210041413 A KR20210041413 A KR 20210041413A KR 1020190124106 A KR1020190124106 A KR 1020190124106A KR 20190124106 A KR20190124106 A KR 20190124106A KR 20210041413 A KR20210041413 A KR 202100414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undry
image
unit
washing machine
detection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241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80083B1 (ko
Inventor
김동민
윤동환
최준이
김창훈
최재성
Original Assignee
선문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선문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선문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901241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80083B1/ko
Publication of KR202100414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414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800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800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14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measuring specific parameters
    • D06F34/18Condition of the laundry, e.g. nature or weight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14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measuring specific parameters
    • D06F34/20Parameters relating to constructional components, e.g. door senso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PMEASURING LINEAR OR ANGULAR SPEED,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SHOCK; INDICATING PRESENCE, ABSENCE, OR DIRECTION, OF MOVEMENT
    • G01P15/00Measuring acceleration; Measuring deceleration; Measuring shock, i.e. sudden change of acceleration
    • G01P15/14Measuring acceleration; Measuring deceleration; Measuring shock, i.e. sudden change of acceleration by making use of gyroscop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0002Inspection of images, e.g. flaw detection
    • G06T7/0004Industrial image inspection
    • G06T7/001Industrial image inspection using an image reference approach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3/0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 G08B3/1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H04N5/2257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40Opening or locking status of doo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58Indications or alarms to the control system or to the use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58Indications or alarms to the control system or to the user
    • D06F2105/60Audible signals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탁물 감지 장치는, 세탁기 통 내부에 잔여 세탁물이 남아있는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감지부; 잔여 세탁물이 있는 경우, 사용자에게 알림을 전달하기 위한 알림부; 및 상기 세탁기의 덮개의 안쪽면에 고정되기 위한 고정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세탁물 감지 장치{LAUNDRY SENSING DEVICE}
본 발명의 실시예는 세탁물 감지 장치, 특히 잔여 세탁물이 세탁기 통 내부에 남아있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사용자에게 알림을 제공할 수 있는 세탁물 감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세탁기를 이용하여 세탁물을 세탁하고 나면, 사용자는 세탁기의 덮개를 열고 세탁물을 수거해야 한다. 이때, 사용자는 세탁기 내부를 면밀히 살펴 세탁물을 수거해야 하는 수고가 든다.
특히, 집단 생활을 하는 장소(예컨대, 병원, 기숙사 등)에 위치한 세탁기를 사용하는 경우, 잔여 세탁물을 한번이라도 수거하지 못하게 되면, 그 세탁물을 다시 찾기가 매우 어려워진다.
또한, 사용자가 세탁물을 찾아내기 어려운 어두운 통속에서 잔여 세탁물을 확인해야 했고, 특히, 몸이 불편한 사용자가 잔여 세탁물이 남아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것이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9-0108532호 '세탁기/건조기 내의 이물질 감지 방법, 장치 및 시스템'(2019.09.24. 공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세탁물 감지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세탁물이 세탁기 통 내부에 남아있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사용자에게 알림을 제공할 수 있는 세탁물 감지 장치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탁물 감지 장치는, 세탁기 통 내부에 잔여 세탁물이 남아있는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감지부; 잔여 세탁물이 있는 경우, 사용자에게 알림을 전달하기 위한 알림부; 및 상기 세탁기의 덮개의 안쪽면에 고정되기 위한 고정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감지부는, 사용자의 세탁물에 대한 수거 여부를 감지하기 위한 수거 감지부; 상기 세탁기의 비어있는 상태의 통 내부를 촬영하여 제1 이미지를 생성하고, 세탁물 수거가 감지된 경우, 상기 세탁기의 통 내부를 촬영하여 제2 이미지를 생성하기 위한 이미지 생성부; 상기 제1 이미지 및 상기 제2 이미지를 기준 방향에 따라 회전 변환하기 위한 이미지 처리부; 상기 제1 이미지 및 상기 제2 이미지를 비교하기 위한 비교부; 및 상기 제1 이미지 및 상기 제2 이미지의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세탁기 통 내부에 잔여 세탁물이 남아있는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판단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수거 감지부는, 자이로 센서 및 가속도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이미지 생성부는, TOF 카메라 센서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판단부는, 상기 제1 이미지 및 상기 제2 이미지가 동일한 경우, 잔여 세탁물이 없는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제1 이미지 및 상기 제2 이미지가 상이한 경우, 잔여 세탁물이 있는 것으로 판단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알림부는, 잔여 세탁물이 있는 경우, 알림 소리를 생성하기 위한 스피커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알림부는, 잔여 세탁물이 있는 경우, 알림 광을 생성하기 위한 발광 다이오드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세탁기의 상기 덮개의 안쪽면에 부착되는 덮개 고정부; 상기 감지부가 고정된 회전 볼; 및 상기 덮개 고정부에 결합되어, 상기 감지부가 상기 세탁기 통의 중앙을 향하도록 상기 회전 볼을 회전 이동시킬 수 있는 회전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세탁기의 덮개 상태를 감지하는 상태 감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회전부는, 상기 덮개 상태에 따라 상기 회전 볼을 회전시킨다.
본 발명에서, 상기 상태 감지부는, 자이로 센서 및 가속도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세탁물 감지 장치는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세탁물 감지 장치는 세탁물이 세탁기 통 내부에 남아있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사용자에게 알림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탁물 감지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탁물 감지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정부의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 및 그 밖에 당업자가 본 발명의 내용을 쉽게 이해하기 위하여 필요한 사항에 대하여 상세히 기재한다. 다만, 본 발명은 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므로 하기에 설명하는 실시예는 표현 여부에 불구하고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다.
동일한 도면부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또한, 도면들에 있어서, 구성요소들의 두께, 비율, 및 치수는 기술적 내용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이다. "및/또는"은 연관된 구성들이 정의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조합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아래에", "하측에", "위에", "상측에" 등의 용어는 도면에 도시된 구성들의 연관관계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다. 상기 용어들은 상대적인 개념으로, 도면에 표시된 방향을 기준으로 설명된다.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즉,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하의 설명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번호 및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탁물 감지 장치(10)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탁물 감지 장치(10)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탁물 감지 장치(10)는, 세탁기 덮개에 부탁되어 세탁기의 통 내부에 잔여 세탁물이 남아있는지를 확인하고, 이를 사용자에게 알려줄 수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세탁물 감지 장치(10)는, 감지부(100), 알림부(200) 및 고정부(300)를 포함할 수 있다.
감지부(100)는, 세탁기 통 내부에 잔여 세탁물이 남아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를 위해 감지부(100)는, 수거 감지부(110), 이미지 생성부(120), 이미지 처리부(130), 비교부(140) 및 판단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수거 감지부(110)는 사용자의 세탁물에 대한 수거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예컨대, 수거 감지부(110)는 세탁기의 덮개(CVR)가 열리고 닫히는 상태 또는 세탁기 내부의 무게를 감지함으로써, 세탁물에 대한 수거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수거 감지부(110)는 무게 센서, 자이로 센서 및 가속도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미지 생성부(120)는 세탁기 통 내부에 대한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이미지 생성부(120)는 비어있는 상태의 통 내부를 촬영하여 제1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제1 이미지는 기준 이미지로서, 세탁기 내부가 비어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이미지이다.
이미지 생성부(120)는 사용자의 세탁물 수거가 감지된 경우, 세탁기 통 내부를 촬영하여 제2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제2 이미지는 세탁기 통 내부의 현재 상태를 나타내는 이미지일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이미지 생성부(120)는 TOF(Time of Flight) 카메라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TOF 카메라 센서는 이미지의 심도를 감지할 수 있다.
이미지 처리부(130)는, 제1 이미지 및 제2 이미지의 비교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제1 이미지 및 제2 이미지를 기준 방향에 따라 회전 변환시킬 수 있다. 일반적으로, 세탁기가 구동하는 경우, 세탁기 통이 회전하기 때문에 세탁 전후 상태에 각각 대응하는 제1 이미지 및 제2 이미지는 회전 정도가 다른 상태일 수 있다.
따라서, 이미지 처리부(130)는 두 이미지를 동일한 기준점에 기초하여 회전 변환시킴으로써, 비교가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비교부(140)는 제1 이미지 및 제2 이미지를 비교할 수 있다. 이때, 제1 이미지 및 제2 이미지는 이미지 처리부(130)에 의해 회전 변환된 상태이므로, 비교부(140)는 단순 비교를 통해 비어있는 상태의 세탁기 내부 이미지와 세탁이 완료되어 세탁물을 수거중인 세탁기 내부 이미지를 정확하게 비교할 수 있다.
판단부(150)는 비교부(140)의 결과에 기초하여, 세탁기 통 내부에 잔여 세탁물이 남아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컨대, 제1 이미지 및 제2 이미지가 동일한 경우, 판단부(150)는 잔여 세탁물이 없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제1 이미지 및 제2 이미지가 상이한 경우, 잔여 세탁물이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알림부(200)는 잔여 세탁물이 있는 경우, 사용자에게 알림을 전달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알림부(200)는, 스피커(210), 발광 다이오드(220) 및 진동 모터(230)를 포함할 수 있다.
스피커(210)는 잔여 세탁물이 있는 경우, 알림 소리를 생성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세탁기 내부를 직접 확인하지 않고 멀리 떨어진 곳에서도 잔여 세탁물이 남아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발광 다이오드(220)는 잔여 세탁물이 있는 경우, 알림 광을 생성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소리가 잘 들리지 않는 상황에서도 잔여 세탁물이 남아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진동 모터(230)는 잔여 세탁물이 있는 경우, 알림 진동을 생성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촉감을 이용하여 잔여 세탁물이 남아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알림부(200)는 고정부(300)의 일측에 위치될 수 있다.
고정부(300)는, 세탁기의 덮개(CVR)의 안쪽면에 고정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세탁물 감지 장치(10)는 세탁기의 덮개(CVR)의 안쪽면에 고정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고정부(300)는, 덮개 고정부(310), 회전 볼(320), 회전부(330) 및 상태 감지부(340)를 포함할 수 있다.
덮개 고정부(310)는 세탁기의 덮개(CVR)의 안쪽면에 부착될 수 있다.
회전 볼(320)은 구형 구조체로, 감지부(100)는 회전 볼(320)에 고정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 볼(320)은 구면을 따라 회전될 수 있다.
회전부(330)는 덮개 고정부(310)에 결합되며, 감지부(100)가 세탁기 통의 중앙을 향하도록 회전 볼(320)을 회전시킬 수 있다.
상태 감지부(340)는 덮개 상태를 감지할 수 있다. 예컨대, 상태 감지부(340)는 덮개가 열려있는지 여부 및 덮개가 기울어진 각도 등을 감지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상태 감지부(340)는 자이로 센서 및 가속도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상태 감지부(340)는 수거 감지부(110)와 통합되어 일체로 구현될 수 있다.
회전부(330)는 상태 감지부(340)의 감지 결과에 따라, 회전 볼(320)을 회전시킬 수 있다. 예컨대, 덮개(CVR)가 45도 기울어진 상태로 열려있는 상태라면, 회전부(330)는 감지부(100)가 세탁기의 통 내부의 중앙을 향하도록, 회전 볼(320)을 덮개가 열린 방향으로 45도 회전시킬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탁물 감지 장치(10)는 세탁기 내부의 물의 유입을 방지하기 위한 방수 밀봉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정부(300)의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세탁기의 덮개(CVR)는 열리고 닫힐 수 있다. 예컨대, 덮개(CVR)는 세탁기의 통(MB)에 일측에 결합되어 회전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세탁기의 덮개(CVR)의 안쪽면 중앙부에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탁물 감지 장치(10)가 아래를 향하여 배치될 수 있다.
사용자가 세탁물의 수거를 할때, 세탁기의 덮개(CVR)는, 위 방향을 따라 기울어진 상태로 올라갈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정부(300)는 감지부(100)가 계속해서 세탁기 통(MB) 내부를 향할 수 있도록, 회전 볼(320)을 회전시킬 수 있다.
상술한 방식에 따라, 본 발명의 세탁물 감지 장치는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세탁물 감지 장치는 세탁물이 세탁기 통 내부에 남아있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사용자에게 알림을 제공할 수 있다.
이상 본 명세서에서 설명한 기능적 동작과 본 주제에 관한 실시형태들은 본 명세서에서 개시한 구조들 및 그들의 구조적인 등가물을 포함하여 디지털 전자 회로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펌웨어 또는 하드웨어에서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이 조합에서 구현 가능하다.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주제의 실시형태는 하나 이상이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다시 말해 데이터 처리 장치에 의한 실행을 위하여 또는 그 동작을 제어하기 위하여 유형의 프로그램 매체 상에 인코딩되는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에 관한 하나 이상이 모듈로서 구현될 수 있다. 유형의 프로그램 매체는 전파형 신호이거나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일 수 있다. 전파형 신호는 컴퓨터에 의한 실행을 위하여 적절한 수신기 장치로 전송하기 위한 정보를 인코딩하기 위하여 생성되는 예컨대 기계가 생성한 전기적, 광학적 또는 전자기 신호와 같은 인공적으로 생성된 신호이다.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는 기계로 판독 가능한 저장장치, 기계로 판독 가능한 저장 기판, 메모리 장치, 기계로 판독 가능한 전파형 신호에 영향을 미치는 물질의 조합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이 조합일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프로그램, 소프트웨어,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 스크립트 또는 코드로도 알려져 있음)은 컴파일되거나 해석된 언어나 선험적 또는 절차적 언어를 포함하는 프로그래밍 언어의 어떠한 형태로도 작성될 수 있으며, 독립형 프로그램이나 모듈, 컴포넌트, 서브루틴 또는 컴퓨터 환경에서 사용하기에 적합한 다른 유닛을 포함하여 어떠한 형태로도 전개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은 파일 장치의 파일에 반드시 대응하는 것은 아니다. 프로그램은 요청된 프로그램에 제공되는 단일 파일 내에, 또는 다중의 상호 작용하는 파일(예컨대, 하나 이상이 모듈, 하위 프로그램 또는 코드의 일부를 저장하는 파일) 내에, 또는 다른 프로그램이나 데이터를 보유하는 파일의 일부(예컨대, 마크업 언어 문서 내에 저장되는 하나 이상이 스크립트) 내에 저장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은 하나의 사이트에 위치하거나 복수의 사이트에 걸쳐서 분산되어 통신 네트워크에 의해 상호 접속된 다중 컴퓨터나 하나의 컴퓨터 상에서 실행되도록 전개될 수 있다.
부가적으로, 본 특허문헌에서 기술하는 논리 흐름과 구조적인 블록도는 개시된 구조적인 수단의 지원을 받는 대응하는 기능과 단계의 지원을 받는 대응하는 행위 및/또는 특정한 방법을 기술하는 것으로, 대응하는 소프트웨어 구조와 알고리즘과 그 등가물을 구축하는 데에도 사용 가능하다.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프로세스와 논리 흐름은 입력 데이터 상에서 동작하고 출력을 생성함으로써 기능을 수행하기 위하여 하나 이상이 컴퓨터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하나 이상이 프로그래머블 프로세서에 의하여 수행 가능하다.
컴퓨터 프로그램의 실행에 적합한 프로세서는, 예컨대 범용 및 특수 목적의 마이크로프로세서 양자 및 어떤 형태의 디지털 컴퓨터의 어떠한 하나 이상이 프로세서라도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프로세서는 읽기 전용 메모리나 랜덤 액세스 메모리 또는 양자로부터 명령어와 데이터를 수신할 것이다.
컴퓨터의 핵심적인 요소는 명령어와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하나 이상이 메모리 장치 및 명령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세서이다. 또한, 컴퓨터는 일반적으로 예컨대 자기, 자기 광학 디스크나 광학 디스크와 같은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하나 이상이 대량 저장 장치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거나 그것으로 데이터를 전송하거나 또는 그러한 동작 둘 다를 수행하기 위하여 동작가능 하도록 결합되거나 이를 포함할 것이다. 그러나, 컴퓨터는 그러한 장치를 가질 필요가 없다.
본 기술한 설명은 본 발명의 최상의 모드를 제시하고 있으며,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하여, 그리고 당업자가 본 발명을 제작 및 이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예를 제공하고 있다. 이렇게 작성된 명세서는 그 제시된 구체적인 용어에 본 발명을 제한하는 것이 아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 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하여져야만 할 것이다.
10: 세탁물 감지 장치 100: 감지부
110: 수거 감지부 120: 이미지 생성부
130: 이미지 처리부 140: 비교부
150: 판단부 200: 알림부
210: 스피커 220: 발광 다이오드
230: 진동 모터 300: 고정부
310: 덮개 고정부 320: 회전 볼
330: 회전부 340: 상태 감지부

Claims (10)

  1. 세탁기 통 내부에 잔여 세탁물이 남아있는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감지부;
    잔여 세탁물이 있는 경우, 사용자에게 알림을 전달하기 위한 알림부; 및
    상기 세탁기의 덮개의 안쪽면에 고정되기 위한 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물 감지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는,
    사용자의 세탁물에 대한 수거 여부를 감지하기 위한 수거 감지부;
    상기 세탁기의 비어있는 상태의 통 내부를 촬영하여 제1 이미지를 생성하고, 세탁물 수거가 감지된 경우, 상기 세탁기의 통 내부를 촬영하여 제2 이미지를 생성하기 위한 이미지 생성부;
    상기 제1 이미지 및 상기 제2 이미지를 기준 방향에 따라 회전 변환하기 위한 이미지 처리부;
    상기 제1 이미지 및 상기 제2 이미지를 비교하기 위한 비교부; 및
    상기 제1 이미지 및 상기 제2 이미지의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세탁기 통 내부에 잔여 세탁물이 남아있는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판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물 감지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거 감지부는, 자이로 센서 및 가속도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물 감지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생성부는, TOF 카메라 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물 감지 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부는,
    상기 제1 이미지 및 상기 제2 이미지가 동일한 경우, 잔여 세탁물이 없는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제1 이미지 및 상기 제2 이미지가 상이한 경우, 잔여 세탁물이 있는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물 감지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알림부는,
    잔여 세탁물이 있는 경우, 알림 소리를 생성하기 위한 스피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물 감지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알림부는,
    잔여 세탁물이 있는 경우, 알림 광을 생성하기 위한 발광 다이오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물 감지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세탁기의 상기 덮개의 안쪽면에 부착되는 덮개 고정부;
    상기 감지부가 고정된 회전 볼; 및
    상기 덮개 고정부에 결합되어, 상기 감지부가 상기 세탁기 통의 중앙을 향하도록 상기 회전 볼을 회전 이동시킬 수 있는 회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물 감지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세탁기의 덮개 상태를 감지하는 상태 감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회전부는, 상기 덮개 상태에 따라 상기 회전 볼을 회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물 감지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상태 감지부는,
    자이로 센서 및 가속도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물 감지 장치.
KR1020190124106A 2019-10-07 2019-10-07 세탁물 감지 장치 KR1022800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4106A KR102280083B1 (ko) 2019-10-07 2019-10-07 세탁물 감지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4106A KR102280083B1 (ko) 2019-10-07 2019-10-07 세탁물 감지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41413A true KR20210041413A (ko) 2021-04-15
KR102280083B1 KR102280083B1 (ko) 2021-07-20

Family

ID=754408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24106A KR102280083B1 (ko) 2019-10-07 2019-10-07 세탁물 감지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80083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29193A (ja) * 1999-02-12 2000-08-22 Mitsubishi Electric Corp 全自動洗濯機
JP2015169412A (ja) * 2014-03-10 2015-09-28 三菱電機株式会社 冷蔵庫及び冷蔵庫を備えた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
JP2019023563A (ja) * 2018-11-15 2019-02-14 東芝ライフスタイル株式会社 冷蔵庫
KR20190108532A (ko) 2019-09-04 2019-09-24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건조기 내의 이물질 감지 방법, 장치 및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29193A (ja) * 1999-02-12 2000-08-22 Mitsubishi Electric Corp 全自動洗濯機
JP2015169412A (ja) * 2014-03-10 2015-09-28 三菱電機株式会社 冷蔵庫及び冷蔵庫を備えた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
JP2019023563A (ja) * 2018-11-15 2019-02-14 東芝ライフスタイル株式会社 冷蔵庫
KR20190108532A (ko) 2019-09-04 2019-09-24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건조기 내의 이물질 감지 방법, 장치 및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80083B1 (ko) 2021-07-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32627B2 (en) Secure sensor data transport and processing
US20170255938A1 (en) Blocking fraudulent transactions in an nfc device
US8704767B2 (en) Environmental gesture recognition
US9733695B2 (en) Battery life management in portable terminal
CN107690608B (zh) 通过rfid扫描对姿势输入的认证
CN107071052B (zh) 一种给物联网设备提供云后端服务的装置、系统和方法
US11632285B2 (en) Dynamically accessing and configuring secured systems
CN108664780A (zh) 允许基于不同级别的解锁机制的各种设备访问
US10031819B2 (en) Checkpoint mechanism in a compute embedded object storage infrastructure
US11080970B2 (en) End user protection against ATM keypad overlay
CN109558734A (zh) 一种堆栈安全性的检测方法及装置、移动设备
US11507444B1 (en) Platform framework error handling
US20210224377A1 (en) Interface for a hardware security module
CN116762315A (zh) 利用人工智能自动修复安全问题的技术
KR20210041413A (ko) 세탁물 감지 장치
CN107430651A (zh) 受信预测分析执行中间件
US11675602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creating root-of-trust for computing system components
WO2019001427A1 (zh) 账户管理方法及装置
US20150186031A1 (en) Indicating a transition from gesture based inputs to touch surfaces
US11556487B1 (en) Apparatus to monitor whether another device has been compromised
EP3547194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ecure boot
US11194904B2 (en) Security actions based on monitored computer and user physical activities
US9942257B1 (en) Trustworthy indication of software integrity
CN111373731B (zh) 图像处理方法、处理系统及电子设备
US20240005660A1 (en) User-customized computer vision event detec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