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41313A - 배전전력계통 알람 메시지 처리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배전전력계통 알람 메시지 처리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41313A
KR20210041313A KR1020190123860A KR20190123860A KR20210041313A KR 20210041313 A KR20210041313 A KR 20210041313A KR 1020190123860 A KR1020190123860 A KR 1020190123860A KR 20190123860 A KR20190123860 A KR 20190123860A KR 20210041313 A KR20210041313 A KR 202100413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ssage
alarm
received
information
power syste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238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63390B1 (ko
Inventor
조휘창
이연호
Original Assignee
한전케이디엔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전케이디엔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전케이디엔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238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63390B1/ko
Publication of KR202100413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413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633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633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202Child monitoring systems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carried by the parent and the child
    • G08B21/0222Message structure or message content, e.g. message protocol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202Child monitoring systems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carried by the parent and the child
    • G08B21/0225Monitoring making use of different thresholds, e.g. for different alarm level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08B21/185Electrical failure alar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07Details of data content structure of message packets; data protocol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Remote Monitoring And Control Of Power-Distribution Network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배전지능화 운영시스템으로부터 전력설비에서 발생한 알람 메시지를 수신하는 통신부; 상기 통신부에서 수신한 메시지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 및 과거에 수신한 제1메시지를 통하여 ID를 부여한 경험, 상기 제1메시지와 현재 수신한 제2메시지의 종류 및 상기 제1메시지와 상기 제2 메시지간의 수신 시간 간격을 이용하여 상기 제2 메시지에 ID를 부여하는 처리부를 포함하는 배전전력계통 알람 메시지 처리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배전전력계통 알람 메시지 처리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PROCESSING ALARM MESSAGE OF ELECTRIC POWER SYSTEM}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알람 메시지 처리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배전전력계통 운영시스템에 적용될 수 있는 알람 메시지 처리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기존 배전전력계통 운영 시스템에서 알람 처리 방식은 발생한 시간(Time Tag)을 기준으로 순차적으로 알람을 표시하거나, 특정 분류조건(제어, 고장, 소속)에 대하여 정렬하는 방식으로 제공되었다. 이러한 처리 방식에서 운영시스템은 알람 발생 내용을 리스트형태로 계속 업데이트하기 때문에, 천재지변이나 1차 고장 발생후 고장구간의 확산(확대), 개폐기등 설비의 연쇄탈락 등 대량의 알람이 발생할 경우 운전원 입장에서 현재 배전 계통의 상황을 판단하기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알람이 발생할 경우 운전원은 해당 알람을 반드시 인지하여야 한다. 그런데, 선로 고장 발생시 하나의 설비가 1개의 알람만을 발생시키는 것이 아니라 복수의 알람을 발생시키며, 많게는 하나의 설비에서10개 전후의 알람을 발생시킬 수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설비의 개수가 2~3개만 되더라도 20~30개의 알람이 동시에 발생될 수 있으며, 그 순서 또한 일관되지 않고 설비내 발생시간(Time Tag)에 따라 표출하기에 운전원의 입장에서는 알람 내역을 명확하게 확인하기 어려워진다. 또한, 알람 내역을 읽는 중간에 새로운 알람이 들어온다면 새롭게 업데이트 된 내용을 확인하는데 추가적이 시간이 소요된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배전전력계통 운영시스템에서 수집되는 다양한 알람 정보를 효과적으로 분류할 수 있는 배전전력계통 알람 메시지 처리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배전지능화 운영시스템으로부터 전력설비에서 발생한 알람 메시지를 수신하는 통신부; 상기 통신부에서 수신한 메시지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 및 과거에 수신한 제1메시지를 통하여 ID를 부여한 경험, 상기 제1메시지와 현재 수신한 제2메시지의 종류 및 상기 제1메시지와 상기 제2 메시지간의 수신 시간 간격을 이용하여 상기 제2 메시지에 ID를 부여하는 처리부를 포함하는 배전전력계통 알람 메시지 처리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처리부는 상기 제1 메시지에 ID를 부여한 경험이 없는 경우, 상기 제2메시지에 독립ID를 부여할 수 있다.
상기 처리부는 상기 제1 메시지에 ID를 부여한 경험이 있는 경우, 상기 제1 메시지 및 상기 제2메시지가 고장정보인지 제어정보인지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처리부는 상기 제1 메시지 및 상기 제2메시지가 제어정보인 경우, 상기 제1메시지 수신 시점으로부터 기 설정된 기준 시간 이내에 수신한 제2메시지에 대하여 상기 제1메시지에 부여한 ID와 동일한 ID를 부여할 수 있다.
상기 처리부는 상기 제1메시지 및 상기 제2메시지가 제어정보인 경우, 상기 제1메시지 수신 시점으로부터 기 설정된 기준 시간 이후에 수신한 제2메시지에 대하여 상기 제1메시지에 부여한 ID와 상이한 ID를 부여할 수 있다.
상기 처리부는 상기 제1메시지가 제어정보이고 상기 제2메시지가 고장정보인 경우, 상기 제2메시지에 대하여 상기 제1메시지에 부여한 ID와 동일한 ID를 부여할 수 있다.
상기 처리부는 상기 제1 메시지가 고장정보인 경우, 상기 제1메시지 수신 시점으로부터 기 설정된 기준 시간 이내에 수신한 제2메시지에 대하여 상기 제1메시지에 부여한 ID와 동일한 ID를 부여 할 수 있다.
상기 처리부는 상기 제1메시지가 고장정보인 경우, 상기 제1메시지 수신 시점으로부터 기 설정된 기준 시간 이후에 수신한 제2메시지에 대하여 상기 제1메시지에 부여한 ID와 상이한 ID를 부여할 수 있다.
메시지별로 부여된 ID에 따라 상기 알람 정보 메시지를 그룹화하여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배전지능화 운영시스템으로부터 전력설비에서 알람 정보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통신부에서 수신한 메시지를 저장하는 단계; 및 과거에 수신한 제1메시지를 통하여 ID를 부여한 경험, 상기 제1메시지와 현재 수신한 제2메시지의 종류 및 상기 제1메시지와 상기 제2 메시지간의 수신 시간 간격을 이용하여 상기 제2 메시지에 ID를 부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배전전력계통 알람 메시지 처리 방법를 제공한다.
본 발명인 배전전력계통 알람 메시지 처리 장치 및 방법은 배전전력계통 운영시스템에서 수집되는 다양한 알람 정보를 효과적으로 분류하여 운전원의 선로내 고장정보에 대한 인지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관리지역 내 다수의 선로에서 동시다발적으로 발생한 알람 정보들의 연관관계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알람 정보를 그룹화하여 직관적으로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운영시스템을 사용하여 설비를 제어함에 있어서 사전에 제어된 명령 및 결과 확인과 고장설비 리스트, 고장유형등을 일괄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타 제어설비 오조작 또는 고장구간과 건전구간의 신속한 분리를 통하여 정전시간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전 전력계통 알람 메시지 처리 장치의 구성 블록도이다.
도2는 알람 메시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3은 본 발명의 배전계통 운영시스템에서 알람 메시지 처리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처리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전선로 고장 상황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6 및 도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은 설명되는 일부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 범위 내에서라면, 실시 예들간 그 구성 요소들 중 하나 이상을 선택적으로 결합, 치환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기술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일반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으며,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를 고려하여 그 의미를 해석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할 수 있고, "A 및(와) B, C 중 적어도 하나(또는 한 개 이상)"로 기재되는 경우 A, B, C로 조합할 수 있는 모든 조합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되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구성 요소와 그 다른 구성 요소 사이에 있는 또 다른 구성 요소로 인해 '연결', '결합' 또는 '접속' 되는 경우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각 구성 요소의 "상(위) 또는 하(아래)"에 형성 또는 배치되는 것으로 기재되는 경우, 상(위) 또는 하(아래)는 두 개의 구성 요소들이 서로 직접 접촉되는 경우뿐만 아니라 하나 이상의 또 다른 구성 요소가 두 개의 구성 요소들 사이에 형성 또는 배치되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상(위) 또는 하(아래)"으로 표현되는 경우 하나의 구성 요소를 기준으로 위쪽 방향뿐만 아니라 아래쪽 방향의 의미도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전 전력계통 알람 메시지 처리 장치의 구성 블록도이다. 도1을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배전 전력계통 알람 메시지 처리 장치(10)는 통신부(11), 데이터베이스(12), 처리부(13) 및 표시부(14)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통신부(11)는 배전지능화 운영시스템(1)으로부터 전력설비에서 발생한 알람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통신부(11)는 배전지능화 운영시스템(1)과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통신부(11)는 무선랜(Wireless LAN: WLAN), 와이 파이(Wi-Fi), 와이브로(Wireless Broadband: Wibro), 와이맥스(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Wimax),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IEEE 802.16, 롱 텀 에볼루션(Long Term Evolution: LTE), 광대역 무선 이동 통신 서비스(Wireless Mobile Broadband Service: WMBS) 등의 원거리 통신 기술을 사용하여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또는 통신부(11)는 블루투스, RFID(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WB(Ultra Wideband), 지그비, 인접 자장 통신(NFC)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유선 통신 기술로는, USB 통신, 이더넷(Ethernet), 시리얼 통신(serial communication), 광/동축 케이블 등의 근거리 통신 기술을 사용하여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도2는 알람 메시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실시예에서 알람 메시지란 전력설비에서 발생하는 이벤트 중에서 관리자 또는 운전원이 반드시 인지하여야 하는 항목을 의미한다. 알람 메시지는 예를 들면, 설비 열림/닫힘 상태, 고장발생 내역, 고장 전압/전류값, 고장 전압/전류 상(相), 외부전원 상실 여부, FI(Fault indicator)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알람 메시지는 배전선로 정보, 알람내용, 발생시간 및 기록시간을 포함할 수 있다.
도2에서는 기록 시간을 기준으로 18초 이내에 발생한 알람을 나타내며, 이러한 예시를 통하여 고장발생시 운전원은어떤 설비에 고장이 발생하였는지 직관적으로 인지하기 어렵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다시 도1을 참조하면, 데이터베이스(12)는 통신부(11)에서 수신한 메시지를 저장할 수 있다.
데이터 베이스(12)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 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면, SD 또는 XD 메모리등),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중 적어도 하나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베이스(12)는 인터넷(internet) 상에서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를 운영하거나, 또는 웹 스토리지와 관련되어 동작할 수도 있다.
데이터베이스(12)는 통신부(11)에서 수신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으며, 과거 일정 기간 동안의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베이스(12)는, 배전전력계통 알람 메시지 처리 장치(1)가 동작하는데 필요한 데이터와 프로그램 등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베이스(12)는, 다양한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UI) 또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raphic User Interface: GUI)를 저장할 수 있다.
처리부(13)는 과거에 수신한 제1메시지를 통하여 ID를 부여한 경험, 제1메시지와 현재 수신한 제2메시지의 종류 및 제1메시지와 제2 메시지간의 수신 시간 간격을 이용하여 제2 메시지에 ID를 부여할 수 있다.
도3은 본 발명의 배전계통 운영시스템에서 알람 메시지 처리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3의 예시를 참조하면, 특정지역에 설치된 송당선132에서 알람 메시지를 수신하면, 송당간56에서도 알람 메시지를 수신하며, 두 메시지간의 시간차이는 수초 정도이다. 따라서, 송당선132의 알람 메시지 수신 후에 송당간56의 알람 메시지를 수신하기까지 30초가 지나지 않았다면, 두 개의 알람 메시지 사이에는 연관관계(동일고장에 대한 정보이다)가 있다고 판단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판단기준 시간은 30초로 결정될 수 있다. 이는 설비(RT)에서는 고장발생시 최대 30초 이내에 고장정보를 판단하기 때문이다. 이 때, 두 설비간 발생할 수 있는 송당간56의 알람 메시지-송당선132간의 경우의 수는 고장정보-고장정보, 고장정보-제어정보, 제어정보-고장정보 및 제어정보-제어정보로 구분될 수 있다. 열거된 경우의 수는 설비의 개수가 증가하더라도 직접적으로는 직전 정보와 이번 정보만을 고려하기에 고정될 수 있다.
처리부(13)는 알람 메시지를 수신하면, 데이터베이스(12)로부터 이전 수신 메시지를 불러온다. 이 때, 이전 수신 메시지는 현재 수신한 메시지 직전에 수신한 메시지일 수 있다. 각 메시지간의 시간 관계는 알람 메시지에 포함된 기록시간을 기준으로 판단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제1메시지는 제2메시지 직전에 수신된 메시지이며, 직전에 수신한지 여부는 기록 시간을 기준으로 판단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ID는 알람 메시지에 부여되는 식별 신호를 의미하며, 문자, 숫자, 기호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메시지 종류는 고장정보 및 제어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제1메시지와 제2메시지간의 알람 메시지간의 경우의 수는 고장정보-고장정보, 고장정보-제어정보, 제어정보-고장정보 및 제어정보-제어정보로 구분될 수 있다.
도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처리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1 및 도4를 참조하면, 처리부(13)는 제1 메시지에 ID를 부여한 경험이 없는 경우, 제2메시지에 독립ID를 부여할 수 있다. 이는 장치를 최초 구동시킨 경우 또는 초기화 이후 최초 수신된 알람 메시지에게 독립ID를 부여하기 위한 것이다.
처리부(13)는 제1 메시지에 ID를 부여한 경험이 있는 경우, 제1 메시지 및 제2메시지가 고장정보인지 제어정보인지 판단할 수 있다().
처리부(13)는 제1 메시지 및 제2메시지가 제어정보인 경우, 제1메시지 수신 시점으로부터 기 설정된 기준 시간 이내에 수신한 제2메시지에 대하여 제1메시지에 부여한 ID와 동일한 ID를 부여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기준 시간은 전술한 판단 기준 시간과 같은 이유로 30초로 설정될 수 있다. 이렇게 처리하는 이유는 제1메시지가 제어정보이고, 30초 이내에 수신한 제2메시지가 제어정보라면 동일한 제어 대상 설비가 원인이 되어 메시지가 발생한 것일 가능성이 크기 때문이다.
처리부(13)는 제1메시지 및 제2메시지가 제어정보인 경우, 제1메시지 수신 시점으로부터 기 설정된 기준 시간 이후에 수신한 제2메시지에 대하여 제1메시지에 부여한 ID와 상이한 ID를 부여할 수 있다. 이렇게 처리하는 이유는 제1메시지 및 제2메시지가 제어정보로 종류가 동일하더라도, 30초가 경과한 이후에는 다른 원인에 기인한 제어정보일 가능성이 크기 때문이다.
처리부(13)는 제1메시지가 제어정보이고 제2메시지가 고장정보인 경우, 제2메시지에 대하여 제1메시지에 부여한 ID와 동일한 ID를 부여할 수 있다. 이렇게 처리하는 이유는 제1메시지가 제어정보이고 제2메시지가 고장정보라면 제1메시지에 나타난 제어 대상 설비가 원인이 되어 제2메시지의 고장정보가 발생한 것일 가능성이 크기 때문이다.
처리부(13)는 제1 메시지가 고장정보인 경우, 제1메시지 수신 시점으로부터 기 설정된 기준 시간 이내에 수신한 제2메시지에 대하여 제1메시지에 부여한 ID와 동일한 ID를 부여할 수 있다.
처리부(13)는 제1메시지가 고장정보인 경우, 제1메시지 수신 시점으로부터 기 설정된 기준 시간 이후에 수신한 제2메시지에 대하여 제1메시지에 부여한 ID와 상이한 ID를 부여할 수 있다.
이렇게 처리하는 이유는 제1메시지가 고장정보일 경우 30초 이내에 들어오는 고장정보 또는 제어정보는 모두 제1메시지와 연관된 것으로 동일한 ID를 부여 받아야 하기 때문이다. 구체적으로, 제1 메시지가 고장정보일 경우, 제2메시지는 동일한 고장정보에 대한 메시지일 것이고, 제어정보는 고장정보에 대한 제어정보이기 때문이다. 즉, 고장상황에서는 고장을 제거하기 위한 조작만을 수행하기 때문이다.
표시부(14)는 메시지별로 부여된 ID에 따라 알람 정보 메시지를 그룹화하여 시각적으로 표시할 수 있다.
표시부(14)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전자잉크 디스플레이(e-ink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표시부(14)는 처리부(13)를 통하여 가공된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표시부(14)는 다양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또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화면에 출력할 수 있다.
표시부(14)는 처리부(13)의 결과를 사용하여 고장 및 제어 적절한 기준으로 분류함으로써 알람 메시지의 가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전선로 고장 상황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배전선로에서 고장 발생시 하나의 설비에서 복수개의 알람을 발생되며, 많으면 10개 전후로 발생될 수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설비의 개수가 2~3개만 되더라도 알람은 20~30개까지 한번에 발생될 수 있으며, 그 순서 또한 일관되지 않은 상태로 설비내 발생시간(Time Tag)에 따라서 표시된다.
도6 및 도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6은 기존 방식에 따라 알람 메시지를 표시한 표이고, 도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ID를 부여하고 그룹화하여 알람 메시지를 표시한 표이다.
도6을 참조하면, 알람 메시지를 발생시간에 따라 순차적으로 나열하였으며, 각 알람 메시지간의 연관성을 확인하기 어렵다. 또한, 모든 알람 메시지가 독립적으로 구분되어 있어 운전원은 모든 알람 메시지의 내용을 구체적으로 확인하여야 하는데, 대량의 알람 메시지가 동시에 발생되는 경우 이는 불가능하다.
도7을 참조하면, 각 알람메시지에는 ID가 부여되어 있으며 동일한 ID가 부여된 알람 메시지는 그룹별로 구분하여 시간순서에 따라 정렬되어 있다. 또한, 각 그룹내에서 알람 메시지는 변전소, 배전선로, 설비를 기준으로 구분하여 표시되어 있다. 운전원은 그룹별로 구분된 알람 메시지를 통하여 알람 메시지간의 연관성을 직관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어떤 설비에서 어떤 알람 메시지사 발생했는지, 이에 연관된 배전선로, 설비는 어떠한 것인지 보다 직관적으로 인지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부'라는 용어는 소프트웨어 또는 FPGA(field-programmable gate array) 또는 ASIC과 같은 하드웨어 구성요소를 의미하며, '~부'는 어떤 역할들을 수행한다. 그렇지만 '~부'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다. '~부'는 어드레싱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부'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구성요소들과 '~부'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부'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부'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구성요소들 및 '~부'들은 디바이스 또는 보안 멀티미디어카드 내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CPU들을 재생시키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전력계통 알람 메시지 처리 장치
11: 통신부
12: 데이터베이스
13: 처리부
14: 표시부

Claims (10)

  1. 배전지능화 운영시스템으로부터 전력설비에서 발생한 알람 메시지를 수신하는 통신부;
    상기 통신부에서 수신한 메시지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 및
    과거에 수신한 제1메시지를 통하여 ID를 부여한 경험, 상기 제1메시지와 현재 수신한 제2메시지의 종류 및 상기 제1메시지와 상기 제2 메시지간의 수신 시간 간격을 이용하여 상기 제2 메시지에 ID를 부여하는 처리부를 포함하는 배전전력계통 알람 메시지 처리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부는 상기 제1 메시지에 ID를 부여한 경험이 없는 경우, 상기 제2메시지에 독립ID를 부여하는 배전전력계통 알람 메시지 처리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부는 상기 제1 메시지에 ID를 부여한 경험이 있는 경우, 상기 제1 메시지 및 상기 제2메시지가 고장정보인지 제어정보인지 판단하는 배전전력계통 알람 메시지 처리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부는 상기 제1 메시지 및 상기 제2메시지가 제어정보인 경우, 상기 제1메시지 수신 시점으로부터 기 설정된 기준 시간 이내에 수신한 제2메시지에 대하여 상기 제1메시지에 부여한 ID와 동일한 ID를 부여하는 배전전력계통 알람 메시지 처리 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부는 상기 제1메시지 및 상기 제2메시지가 제어정보인 경우, 상기 제1메시지 수신 시점으로부터 기 설정된 기준 시간 이후에 수신한 제2메시지에 대하여 상기 제1메시지에 부여한 ID와 상이한 ID를 부여하는 배전전력계통 알람 메시지 처리 장치.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부는 상기 제1메시지가 제어정보이고 상기 제2메시지가 고장정보인 경우, 상기 제2메시지에 대하여 상기 제1메시지에 부여한 ID와 동일한 ID를 부여하는 배전전력계통 알람 메시지 처리 장치.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부는 상기 제1 메시지가 고장정보인 경우, 상기 제1메시지 수신 시점으로부터 기 설정된 기준 시간 이내에 수신한 제2메시지에 대하여 상기 제1메시지에 부여한 ID와 동일한 ID를 부여하는 배전전력계통 알람 메시지 처리 장치.
  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부는 상기 제1메시지가 고장정보인 경우, 상기 제1메시지 수신 시점으로부터 기 설정된 기준 시간 이후에 수신한 제2메시지에 대하여 상기 제1메시지에 부여한 ID와 상이한 ID를 부여하는 배전전력계통 알람 메시지 처리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메시지별로 부여된 ID에 따라 상기 알람 정보 메시지를 그룹화하여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하는 배전전력계통 알람 메시지 처리 장치.
  10. 배전지능화 운영시스템으로부터 전력설비에서 알람 정보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통신부에서 수신한 메시지를 저장하는 단계; 및
    과거에 수신한 제1메시지를 통하여 ID를 부여한 경험, 상기 제1메시지와 현재 수신한 제2메시지의 종류 및 상기 제1메시지와 상기 제2 메시지간의 수신 시간 간격을 이용하여 상기 제2 메시지에 ID를 부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배전전력계통 알람 메시지 처리 방법.
KR1020190123860A 2019-10-07 2019-10-07 배전전력계통 알람 메시지 처리 장치 및 방법 KR1022633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3860A KR102263390B1 (ko) 2019-10-07 2019-10-07 배전전력계통 알람 메시지 처리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3860A KR102263390B1 (ko) 2019-10-07 2019-10-07 배전전력계통 알람 메시지 처리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41313A true KR20210041313A (ko) 2021-04-15
KR102263390B1 KR102263390B1 (ko) 2021-06-10

Family

ID=754410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23860A KR102263390B1 (ko) 2019-10-07 2019-10-07 배전전력계통 알람 메시지 처리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6339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283563A (zh) * 2021-12-24 2022-04-05 深圳供电局有限公司 一种电网线路故障消防式响应系统、方法和装置
CN114495462A (zh) * 2021-12-28 2022-05-13 深圳供电局有限公司 报警消息处理方法、装置、计算机设备和存储介质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10863A (ko) * 2014-03-20 2015-10-05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에너지관리시스템의 데이터 처리 장치
KR20180035094A (ko) * 2016-09-28 2018-04-05 한국전력공사 배전운영시스템의 해석용 응용프로그램의 운영시스템 및 운영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10863A (ko) * 2014-03-20 2015-10-05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에너지관리시스템의 데이터 처리 장치
KR20180035094A (ko) * 2016-09-28 2018-04-05 한국전력공사 배전운영시스템의 해석용 응용프로그램의 운영시스템 및 운영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283563A (zh) * 2021-12-24 2022-04-05 深圳供电局有限公司 一种电网线路故障消防式响应系统、方法和装置
CN114495462A (zh) * 2021-12-28 2022-05-13 深圳供电局有限公司 报警消息处理方法、装置、计算机设备和存储介质
CN114495462B (zh) * 2021-12-28 2024-03-22 深圳供电局有限公司 报警消息处理方法、装置、计算机设备和存储介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63390B1 (ko) 2021-06-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63390B1 (ko) 배전전력계통 알람 메시지 처리 장치 및 방법
CN106355357B (zh) 配电网故障处理方法及信息处理系统
CN102087593A (zh) 远程设备管理界面
KR101553769B1 (ko) 에너지관리시스템의 데이터 처리를 위한 장치
US10498129B2 (en) Electrical device with failure monitoring function, electrical system and terminal device
EP3231103B1 (en)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operations in a satellite communication system
CN106101374A (zh) 通知消息的显示方法及装置、终端
KR101860015B1 (ko) 에러 예측 기반 사전 서비스 제공을 위한 IoT 기기 관리장치
US9363656B1 (en) Sector based wireless device management
CN104412215A (zh) 设备管理装置
KR20210126232A (ko) 장비전원 모니터링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CN110928249A (zh) 用于监测装置信息的系统和方法
US10565816B2 (en) Kiosk locating and directing system
US8693368B2 (en) Method and system for remote identification of a network node
CN115102838B (zh) 服务器宕机风险的应急处理方法和装置、电子设备
KR101467216B1 (ko) 인버터 기능 시험 장치
KR102612368B1 (ko) 전자 가격 표시기, 조명 장치 및 제어 장치
CN115499327A (zh) 三维可视化数据中心管理的方法、设备、介质及程序产品
US20220021581A1 (en) Baseline network dependency mapping and alerting
EP2373024A2 (en) Intelligent camera display based on selective searching
US11009848B2 (en) Scalable intelligent query-based interface to navigate and find industrial information on a visual interface
CN110662242B (zh) 天馈系统检测方法、网管设备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US20200073777A1 (en) Method for Automatically Evaluating Alarm Clusters
US20210043062A1 (en) Alarm management apparatus, alarm management system, and alarm management method
CN108648421A (zh) 一种告警方法、装置及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