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41302A - 청각 보조 장치 - Google Patents

청각 보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41302A
KR20210041302A KR1020190123824A KR20190123824A KR20210041302A KR 20210041302 A KR20210041302 A KR 20210041302A KR 1020190123824 A KR1020190123824 A KR 1020190123824A KR 20190123824 A KR20190123824 A KR 20190123824A KR 20210041302 A KR20210041302 A KR 202100413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hearing
sound
main body
hearing a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238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미영
김종환
유승민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238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41302A/ko
Publication of KR202100413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4130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5/00Deaf-aid sets, i.e. electro-acoustic or electro-mechanical hearing aids; Electric tinnitus maskers providing an auditory perception
    • H04R25/43Electronic input selection or mixing based on input signal analysis, e.g. mixing or selection between microphone and telecoil or between microphones with different directivity characteristic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20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 H04R1/32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for obtaining desired directional characteristic only
    • H04R1/323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for obtaining desired directional characteristic only for loudspeak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5/00Deaf-aid sets, i.e. electro-acoustic or electro-mechanical hearing aids; Electric tinnitus maskers providing an auditory perception
    • H04R25/40Arrangements for obtaining a desired directivity characteristic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3/00Circuits for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3/002Damping circuit arrangements for transducers, e.g. motional feedback circu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217/00Details of magnetostrictive, piezoelectric, or electrostrictive transducers covered by H04R15/00 or H04R17/00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their subgroups
    • H04R2217/03Parametric transducers where sound is generated or captured by the acoustic demodulation of amplitude modulated ultrasonic wav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225/00Details of deaf aids covered by H04R25/00,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eurosurgery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청각 보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청각 보조 장치는, 난청사용자를 인식 및 추적하고 음성을 입력받는 센서부, 인식 및 추적된 난청사용자에게 주파수가 변조된 지향성 소리를 출력하는 지향성스피커, 디스플레이부, 외부 장치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통신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난청사용자에게 대화 음성, 스마트폰의 통화음, 가전기기의 알림 등의 소리를 가청주파수로 변조하여 지향성스피커로 출력하고, 디스플레이부의 실시간 자막으로 정보를 제공하여 난청사용자의 청각을 보조하고 생활 편의를 증진시킨다.

Description

청각 보조 장치{Hearing Aids}
본 발명은, 청각 보조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난청사용자에게 가청주파수를 가지는 소리 및 시각으로 인식이 가능한 자막을 제공하는 청각 보조 장치에 관한 것이다.
난청인은 특정 주파수 영역대의 소리를 잘 듣지 못한다. 그러므로, 난청인이 소리를 잘 들을 수 있도록 보조하기 위한 보청기 등의 장치는, 난청인이 잘 듣지 못하는 주파수 영역대의 소리를 변조시켜서 출력한다.
난청인은 보청기를 착용함으로써 소리를 잘 들을 수 있지만, 보청기를 귀에 착용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고, 보청기가 정확하게 소리를 변조하여 출력하지 못하는 경우에는 소리가 전달하는 정보를 획득함에 있어서 불편할 수 있다.
한편, 특정 방향에서만 소리를 들을 수 있도록 지향성을 가진 소리를 발생하는 지향성스피커가 있다. 예를 들어 설명하면, 파라메트릭스피커는 인접한 주파수의 두 초음파를 같은 방향으로 진행시켜, 초음파의 비선형적 상호작용으로 공기 중에 두 주파수의 차에 해당하는 가청음을 내는 가상의 음원을 생성하게 된다. 그리고, 이 가상의 음원들이 일렬로 배열되게 되어 지향성의 소리빔이 형성되고, 거리를 진행함에 따라 초음파는 소산되고 지향성 가청음만 전파되게 된다.
선행문헌으로, 한국 등록특허 제10-1450095호는 초음파 장치로 사용자의 위치를 추적하고, 추적된 사용자에게 지향성스피커로 소리를 출력하는 발명을 개시하고 있다.
이러한 지향성스피커를 이용하여 난청인에게 변조된 소리를 출력하면 난청인이 보청기를 착용하는 번거로움이 없이 소리를 청취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일 과제는, 난청사용자가 보청기를 착용하지 않아도 소리를 잘 들을 수 있도록 편의를 증진시키고, 난청사용자에게 음성 등의 소리에 포함된 정보를 청각뿐만 아니라 시각으로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과제는, 난청사용자가 음성 등의 소리에 포함되었던 정보가 기억이 나지 않아고 나중에 확인할 수 있도록 기억을 보조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과제는, 난청사용자가 대화 내용을 시각으로 제공받을 때, 화자를 구별해서 대화 내용을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과제는, 난청사용자가 내용을 시각으로 제공받을 때, 중요한 단어를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과제는, 난청사용자가 TV, 스마트폰, 현관인터폰, 위험알림장치의 정보를 효과적으로 제공받도록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과제는, 난청사용자가 필요한 경우 보청기를 착요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각 보조 장치는, 본체, 소리출력부, 디스플레이부, 통신부 및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청각 보조 장치는 센서부 및 틸팅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본체는, 그 내부 및 외부에 구성 부품을 설치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소리출력부는, 지향성 소리를 출력하는 지향성스피커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에 설치된다.
상기 센서부는, 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 소리를 입력받는 마이크, 동체의 위치를 파악하여 추적하는 추적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에 설치된다.
상기 틸팅부는, 상기 소리출력부의 수평 방향 및 수직 방향 지향각을 조절하고 상기 본체에 설치된다.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자막, 기호 및 영상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표시하고 상기 본체에 설치된다.
상기 통신부는, 외부 장치와 데이터를 송수신하고 상기 본체에 설치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본체에 설치되고, 난청사용자가 청취할 수 있는 가청주파수에 관한 정보를 저장하며, 상기 통신부로 수신받은 데이터에 관한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표시하도록 제어하고 또한 상기 가청주파수를 가지는 소리로 변조되어 상기 지향성스피커로 출력되도록 제어한다.
상기 제어부는, 난청사용자 영상데이터를 저장하여 상기 카메라로 촬영한 영상데이터가 상기 난청사용자 영상데이터로 식별되면, 상기 추적센서가 난청사용자의 얼굴을 추적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소리출력부에서 출력되는 소리가 상기 추적센서가 추적하는 난청사용자의 얼굴을 향하도록 상기 틸팅부를 제어하며, 상기 마이크로 입력받은 소리에 관한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표시하도록 제어하고 또한 상기 가청주파수를 가지는 소리로 변조되어 상기 지향성스피커로 출력되도록 제어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마이크로 입력받은 소리 및 상기 통신부로 수신받은 데이터에 관한 정보가 상기 가청주파수를 가지는 소리로 변조되어 상기 지향성스피커로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향성스피커는 초음파를 이용하여 지향성 소리를 출력하는 스피커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추적센서는, 물체의 윤곽을 식별하여 추적하도록 구성되는 상기 카메라 또는 물체에 전파를 발사하고 반사되어 오는 전압을 측정해서 물체를 추적하는 레이더센서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추적센서로 파악된 상기 청각 보조 장치와 난청사용자의 얼굴 간의 제1 거리에 비례해서 상기 지향성스피커가 출력하는 소리가 커지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거리에 비례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표시하는 정보의 크기가 커지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마이크로 입력받은 소리 및 상기 통신부로 수신받은 데이터에 관한 정보가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실시간 자막으로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마이크로 입력받은 사용자의 목소리를 구별하고, 사용자별로 입력받은 목소리가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구별되어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마이크로 입력받은 사용자의 목소리 중 크게, 느리게 또는 끊어서 발화된 목소리가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구별되어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사용자의 터치입력에 의해서 명령을 입력받는 터치패널로 구성되고, 상기 소리출력부와 난청사용자를 잇는 제1 선분과, 상기 소리출력부와 상기 소리출력부에서 출력되는 소리가 향하는 지점을 잇는 제2 선분 간의 각도의 크기를 표시하고 상기 본체에 설치되는 점등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사용자가 터치입력하는 방식에 따라서,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상기 자막의 위치, 명도를 제어하고, 상기 각도의 크기에 따라서 상기 점등수단이 색상 또는 색상의 채도를 달리하여 점등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본체와 탈부착이 가능하게 구성되고, 제1 통신모듈을 구비하여 상기 통신부와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자막을 저장하고, 사용자의 입력 명령에 따라 저장된 상기 자막을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거나 상기 외부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통신부는 텔레비젼, 모바일폰, 도어벨, 위험알림장치를 포함하는 외부 장치와 데이터를 송수신하고, 상기 제어부는 복수개의 상기 외부 장치가 동시에 데이터를 전송하는 경우, 상기 위험알림장치의 정보가 최우선으로 상기 소리출력부로 출력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청각 보조 장치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명령을 입력받고, 상기 본체에 설치되거나 상기 본체와 독립적으로 구성되는 조작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조작부로 입력되는 명령에 관한 정보가 상기 디스플레이부로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소리출력부는 소리를 출력하는 일반스피커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추적센서가 난청사용자의 위치를 파악하지 못하거나 상기 조작부로 사용자가 상기 일반스피커의 작동 명령을 입력하면, 상기 일반스피커가 소리를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청각 보조 장치는, 또한, 내부 및 외부에 구성 부품을 설치할 수 있는 본체; 지향성 소리를 출력하는 지향성스피커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에 설치되는 소리출력부; 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 소리를 입력받는 마이크, 동체의 위치를 파악하여 추적하는 추적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에 설치되는 센서부; 상기 소리출력부의 수평 방향 및 수직 방향 지향각을 조절하고 상기 본체에 설치되는 틸팅부; 외부 장치와 데이터를 송수신하고 상기 본체에 설치되는 통신부; 사용자의 귀에 탈부착이 가능하게 구성되고, 상기 통신부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제2 통신모듈 및 주파수가 변조된 소리를 출력하는 스피커를 포함하며, 상기 본체와 탈부착이 가능하게 구성되는 보청기; 및 난청사용자 영상데이터를 저장하여 상기 카메라로 촬영한 영상데이터가 상기 난청사용자 영상데이터로 식별되면, 상기 추적센서가 난청사용자의 얼굴을 추적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소리출력부에서 출력되는 소리가 상기 추적센서가 추적하는 난청사용자의 얼굴을 향하도록 상기 틸팅부를 제어하며 상기 본체에 설치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난청사용자가 청취할 수 있는 가청주파수에 관한 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마이크로 입력받은 소리 및 상기 통신부로 수신받은 데이터에 관한 정보가 상기 가청주파수를 가지는 소리로 변조되어 상기 지향성스피커 또는 상기 보청기로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청각 보조 장치.
또한, 상기 통신부는 텔레비젼, 모바일폰, 도어벨, 위험알림장치를 포함하는 외부 장치와 데이터를 송수신하고, 상기 제어부는 복수개의 상기 외부 장치가 동시에 데이터를 전송하는 경우, 상기 위험알림장치의 정보가 최우선으로 상기 소리출력부 또는 상기 보청기로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음성명료화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음성명료화모듈을 이용하여 잡음이 제거되고 음질이 개선된 소리가 상기 지향성스피커 또는 상기 보청기로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추적센서로 파악된 상기 청각 보조 장치와 난청사용자의 얼굴 간의 제2 거리에 비례해서 상기 지향성스피커가 출력하는 소리가 커지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소리출력부와 난청사용자를 잇는 제3 선분과, 상기 소리출력부와 상기 소리출력부에서 출력되는 소리가 향하는 지점을 잇는 제4 선분 간의 각도의 크기를 표시하고 상기 본체에 설치되는 점등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각도의 크기에 따라서 상기 점등수단이 색상 또는 색상의 채도를 달리하여 점등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발명의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청각 보조 장치는, 지향성스피커가 난청사용자를 추적하며 난청사용자가 청취할 수 있는 소리를 난청사용자에게 출력함으로써, 난청사용자가 보청기를 착용하지 않아도 소리를 잘 들을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디스플레이부가 실시간 자막을 표시함으로써, 난청사용자가 음성 등의 소리 정보를 시각으로도 인식할 수 있으므로 소리 정보를 보다 정확하게 인식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된 자막의 내용이 저장 및 전송되어 필요한 경우 확인할 수 있으므로, 난청사용자가 음성 등의 소리 정보를 잊어버려도 나중에 다시 확인할 수 있도록 하여 기억을 보조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대화 내용이 화자를 구별해서 표시됨으로써, 난청사용자가 화자를 구별해서 대화 내용을 시각으로 확인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디스플레이부에 대화 내용 중 중요한 단어가 구별되어 표시됨으로써, 난청사용자가 대화 내용 중 중요한 단어를 식별하여 인식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체가 텔레비젼, 스마트폰, 현관인터폰, 위험알림장치 등의 연결가능장치와 데이터를 송수신하여 소리출력부 및 디스플레이부가 연결가능장치의 정보를 출력하므로, 난청사용자의 생활의 편의 및 안전이 증진되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체에 탈부착이 가능한 보청기가 본체와 연동되어 사용됨으로써, 난청사용자가 본체로부터 멀리 떨어진 장소로 이동하여도 가청주파수로 변조된 소리를 효과적으로 들을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각 보조 장치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2는 도1의 청각 보조 장치를 구성하는 소리출력부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3은 도1의 청각 보조 장치를 구성하는 센서부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4는 움직이는 난청사용자를 카메라로 추적하는 도3의 센서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5는 움직이는 난청사용자를 레이더로 추적하는 도3의 센서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6은 소리출력부를 틸팅시키는 도1의 청각 보조 장치의 틸팅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7은 외부 장치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도1의 청각 보조 장치의 통신부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8은 터치 스크롤 기능을 구비하는 도1의 청각 보조 장치의 디스플레이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9는 터치 입력 기능을 구비하는 도1의 청각 보조 장치의 디스플레이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10은 배터리의 잔량을 표시하는 도1의 청각 보조 장치의 디스플레이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11은 소리 크기 조절을 표시하는 도1의 청각 보조 장치의 디스플레이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12는 도1의 청각 보조 장치의 제어부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13은 본체와 텔레비젼이 연결되는 상태를 표시하는 도1의 청각 보조 장치의 디스플레이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14는 본체와 스마트폰이 연결되는 상태를 표시하는 도1의 청각 보조 장치의 디스플레이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15는 본체와 위험알림장치가 연결되는 상태를 표시하는 도1의 청각 보조 장치의 디스플레이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16은 본체와 현관인터폰이 연결되는 상태를 표시하는 도1의 청각 보조 장치의 디스플레이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17은 난청사용자와 본체와의 거리에 따라서 다르게 제어되는 도1의 디스플레이부 및 소리출력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18은 외부 장치 연결 명령에 따라 본체와 연결되는 장치를 표시하는 도1의 청각 보조 장치의 디스플레이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19는 스크롤 형식으로 자막이 표시되는 도1의 청각 보조 장치의 디스플레이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20은 줄간격이 조절되어 자막이 표시되는 도1의 청각 보조 장치의 디스플레이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을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상세한 설명 전체에 걸쳐 동일한 참조번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청각 보조 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각 보조 장치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청각 보조 장치(1)는 상기 청각 보조 장치(1)에 등록된 난청인(이하, 난청사용자라 한다)에게 지향성 소리 및 시각 정보를 제공할 수 있으며, 도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체(10), 충전기(20), 보청기(3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본체(10)는 소리출력부(100), 센서부(200), 틸팅부(300), 통신부(400), 디스플레이부(500), 조작부(600), 제어부(700), 전력공급부(800)를 포함할 수 있다.
도2는 도1의 청각 보조 장치를 구성하는 소리출력부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먼저, 도1 및 도2를 참조하여, 상기 소리출력부(100)의 구성에 관하여 설명한다.
상기 소리출력부(100)는 지향성 소리 및 일반적인 소리를 출력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도2를 예를 들어 설명하면, 지향성스피커(110), 일반스피커(1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향성스피커(110)는 특정 방향에서만 소리를 들을 수 있도록 지향성을 가진 소리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설명하면, 다수개의 스피커에서 서로 다른 주파수의 소리를 내게 하여 특정 영역에 청취영역을 만들어내는 시스템으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인접한 주파수의 두 초음파를 같은 방향으로 진행시켜, 초음파의 비선형적 상호작용으로 공기 중에 두 주파수의 차에 해당하는 가청음을 내는 가상의 음원을 생성하고, 이 가상의 음원들이 형성하는 지향성 소리빔이 초음파가 소산되어 지향성 가청음만 전파되도록 하는 파라메트릭스피커로 구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일반스피커(120)는 소리를 출력할 수 있는 종래의 스피커로 구성될 수 있다.
이어서, 상기 센서부(200)의 구성에 관하여 설명한다.
상기 센서부(200)는 영상을 촬영하고 소리를 집음할 수 있으며, 동체를 추적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는 센서로 구성되어 상기 본체(10)에 설치될 수 있다.
도3은 도1의 청각 보조 장치를 구성하는 센서부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예를 들어, 도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센서부(200)는 카메라(210), 마이크(220), 레이더센서(230), 초음파센서(24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카메라(210)는 영상을 촬영할 수 있는 종래의 카메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청각 보조 장치(1) 주변의 영상을 촬영할 수 있도록 상기 본체(10)에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설명하면, 상기 카메라(210)는 상기 소리출력부(100)에서 출력되는 소리가 향하는 방향의 영상을 촬영할 수 있도록 상기 본체(10)의 정면에 설치될 수 있고, 상기 본체(10)의 사방을 촬영할 수 있도록 복수개가 상기 본체(10)에 설치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카메라(210)는 동체의 영상을 촬영함으로써 동체의 위치를 추적할 수도 있다.
도4는 움직이는 난청사용자를 카메라로 추적하는 도3의 센서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예를 들어, 도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카메라(210)는 촬영되는 물체가 움직이는 영상을 촬영하면서 물체의 위치를 추적할 수 있다.
상기 마이크(220)는 소리를 집음할 수 있는 종래의 마이크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청각 보조 장치(1) 주변의 소리를 집음할 수 있도록 상기 본체(10)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레이더센서(230) 및 상기 초음파센서(240)는 동체의 위치를 추적할 수 있는 종래의 레이더센서 또는 초음파센서로 구성될 수 있다.
도5는 움직이는 난청사용자를 레이더로 추적하는 도3의 센서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예를 들어, 도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레이더센서(230)는 물체에 전파를 발사하고 반사되어 오는 전압을 측정해서 물체를 추적하는 종래의 레이더센서가 상기 본체(10)에 구비되어, 난청사용자의 위치를 추적할 수 있다.
이어서, 상기 틸팅부(300)의 구성에 관하여 설명한다.
상기 틸팅부(300)는 장치를 수평 및 수직 방향으로 틸팅시킬 수 있는 종래의 틸팅수단을 채용하여 상기 본체(10)에 설치될 수 있으며, 상기 소리출력부(100) 또는 상기 본체(10)를 수평방향과 수직방향으로 틸팅시켜서 상기 지향성스피커(110)에서 출력되는 소리가 향하는 방향을 조절할 수 있다.
도6은 소리출력부를 틸팅시키는 도1의 청각 보조 장치의 틸팅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예를 들어, 도6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틸팅부(300)는 상기 카메라(210), 상기 레이더센서(230), 또는 상기 초음파센서(240)가 추적하는 난청사용자를 향해서 상기 지향성스피커(110)에서 출력되는 소리가 전달될 수 있도록, 상기 소리출력부(100) 또는 상기 본체(10)를 틸팅시킬 수 있다.
이어서, 상기 통신부(400)의 구성에 관하여 설명한다.
상기 통신부(400)는 외부 장치와 데이터를 송수신 할 수 있도록 종래의 통신모듈 등을 포함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본체(10)에 설치될 수 있다.
도7은 외부 장치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도1의 청각 보조 장치의 통신부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7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통신부(400)는 보청기(30), 텔레비젼(TV, 40), 모바일폰(50), 도어벨(60), 위험알림장치(70)를 포함하는 외부 장치와 데이터를 송수신 할 수 있다.
상기 보청기(30)는 난청사용자가 들을 수 있는 가청주파수를 출력할 수 있는 스피커를 구비하며 종래의 통신모듈을 구비하는 종래의 보청기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텔레비젼(TV, 40), 상기 모바일폰(50), 상기 도어벨(60)은 종래의 통신모듈을 구비하는 종래의 텔레비젼, 모바일폰, 도어벨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위험알림장치(70)는 종래의 통신모듈을 구비하며 위험한 상황이나 긴급한 상황을 알려줄 수 있는 화재경보장치, 재난알림시스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500)의 구성에 관하여 설명한다.
상기 디스플레이부(500)는 기호, 문자, 영상 등을 출력할 수 있는 종래의 디스플레이 패널로 구성되어 상기 본체(10)에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부(500)는 사용자가 만지거나 표면을 쓸어서 조작 명령을 입력할 수 있는 종래의 터치 패널로 구성될 수 있다.
도8은 터치 스크롤 기능을 구비하는 도1의 청각 보조 장치의 디스플레이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예를 들어, 도8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디스플레이부(500)는 사용자가 화면을 만지면서 쓸어 넘기면, 스크롤 기능이 작동되어 과거에 표시된 문자를 확인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9는 터치 입력 기능을 구비하는 도1의 청각 보조 장치의 디스플레이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또 다른 예를 들어, 도9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디스플레이부(500)는 상기 디스플레이부(500)는 사용자가 과거에 표시된 문자가 나타나는 화면을 확인하다가 상기 화면을 두번 터치 입력하면, 가장 최근에 표시된 문자를 확인할 수 있도록 화면이 변경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부(500)는 내부에 설치된 배터리의 잔량을 표시하거나, 상기 소리출력부(100)로 출력되는 소리의 크기가 조절되는 것을 표시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10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본체(10)가 상기 충전기(20)와 탈착되면 상기 디스플레이부(500)는 상기 배터리의 잔량을 단계별로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도1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조작부(600)에 의해서 상기 소리출력부(100)의 출력 소리 크기가 조절되도록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디스플레이부(500)는 막대 그래프 형식으로 상기 소리출력부(100)의 소리 크기를 표시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부(500)는 상기 소리출력부(100)와 난청사용자의 머리를 잇는 제1 선분과, 상기 소리출력부(100)와 상기 소리출력부(100)에서 출력되는 소리가 향하는 지점을 잇는 제2 선분 간의 각도의 크기를 표시하고 상기 본체에 설치되는 점등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점등수단은 상기 각도의 크기에 따라서 색상 또는 색상의 채도를 달리하여 점등되어, 상기 소리출력부(100)에서 출력되는 소리가 난청사용자의 머리에 가깝게 지향된 정도를 표시할 수 있다. 즉, 상기 소리출력부(100)의 소리가 난청사용자에게 지향중인 동작, 지향이 완료된 상태 등을 표시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디스플레이부(500)는 상기 본체(10)로부터 탈부착이 가능하게 구성되고, 종래의 통신모듈 등을 구비하여 상기 본체(10)와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게 구성될 수도 있다.
이어서, 상기 조작부(600)의 구성에 관하여 설명한다.
상기 조작부(600)는 사용자가 소정의 힘으로 누르거나 만지면 상기 청각 보조 장치(1)의 작동 명령이 입력될 수 있도록 버튼 또는 터치패널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조작부(600)는 상기 본체(10)에 구비되거나 상기 본체(10)와는 별도의 장치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설명하면, 상기 조작부(600)는 상기 디스플레이부(500)의 화면의 터치패널로 구성될 수도 있고, 종래의 원격 리모콘 등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이어서, 상기 제어부(700)의 구성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12는 도1의 청각 보조 장치의 제어부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상기 제어부(700)는 상기 청각 보조 장치(1)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도록 종래의 마이컴(micro computer) 등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도1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소리출력부(100), 상기 센서부(200), 상기 틸팅부(300), 상기 통신부(400), 상기 디스플레이부(500)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700)는 상기 통신부(400)를 제어하여 상기 청각 보조 장치(1)가 외부 장치와 연결되도록 제어하고, 외부 장치와 연결되는 상태 및 외부 장치로부터 전송되는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부(500)가 표시하고 상기 소리출력부(100)가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13은 본체와 텔레비젼이 연결되는 상태를 표시하는 도1의 청각 보조 장치의 디스플레이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1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제어부(700)는 상기 통신부(400)를 제어하여 상기 청각 보조 장치(1)가 상기 텔레비젼(TV, 40)과 연결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사용자가 상기 청각 보조 장치(1)가 상기 텔레비젼(TV, 40)과 연결되도록 명령을 입력하면(a), 상기 제어부(700)는 다른 화면을 표시하던 상기 디스플레이부(500)가(b) 상기 텔레비젼(TV, 40)의 아이콘을 표시하고(c), 상기 텔레비젼(TV, 40)과 연결이 완료되기 위한 시간을 문자 또는 그래프로 표현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d). 그리고, 상기 청각 보조 장치(1)가 상기 텔레비젼(TV, 40)과 연결되면 상기 텔레비젼(TV, 40)으로부터 전송받은 정보가 상기 디스플레이부(500)로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e).
도14는 본체와 스마트폰이 연결되는 상태를 표시하는 도1의 청각 보조 장치의 디스플레이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1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제어부(700)는 상기 통신부(400)를 제어하여 상기 청각 보조 장치(1)가 상기 모바일폰(50)과 연결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700)는 상기 모바일폰(50)으로부터 전화 수신 정보를 입력 받으면(a), 상기 디스플레이부(500)가 전화 수신 상황을 표시하도록 제어하고 전화 수신 알림음을 상기 소리출력부(100)가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b). 그리고, 사용자가 전화 수신 명령을 입력하면(c), 상기 디스플레이부(500)에서 전화 수신음을 자막으로 표시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소리출력부(100)로 전화 수신음이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d).
도15는 본체와 위험알림장치가 연결되는 상태를 표시하는 도1의 청각 보조 장치의 디스플레이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1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제어부(700)는 상기 통신부(400)를 제어하여 상기 청각 보조 장치(1)가 상기 위험알림장치(70)와 연결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700)는 상기 위험알림장치(70)로부터 위험 상황 정보를 입력 받으면(a), 상기 디스플레이부(500)에서 위험 상황 정보를 자막으로 표시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소리출력부(100)로 위험 상황 소리 정보가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d).
도16은 본체와 현관인터폰이 연결되는 상태를 표시하는 도1의 청각 보조 장치의 디스플레이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16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제어부(700)는 상기 통신부(400)를 제어하여 상기 청각 보조 장치(1)가 상기 도어벨(60)과 연결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700)는 상기 도어벨(60)로부터 방문자 정보를 입력 받으면(a), 상기 디스플레이부(500)가 방문자 정보 및 인터폰 수신 버튼을 표시하도록 제어하고 방문자 알림음을 상기 소리출력부(100)가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b). 그리고, 사용자가 상기 도어벨(60)의 인터폰 수신 명령을 입력하면, 상기 디스플레이부(500)에서 방문자의 대화 내용을 자막으로 표시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소리출력부(100)로 방문자의 대화 내용이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c).
그리고, 상기 제어부(700)는 상기 청각 보조 장치(1)와 난청사용자 간의 거리에 따라서 상기 디스플레이부(500)와 상기 소리출력부(100)를 제어할 수 있다.
도17은 난청사용자와 본체와의 거리에 따라서 다르게 제어되는 도1의 디스플레이부 및 소리출력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17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제어부(700)는 난청사용자가 상기 청각 보조 장치(1)로부터 가깝게 위치하는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부(500)가 문자를 작게 표시하고 상기 소리출력부(100)가 소리를 작게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a). 그리고, 난청사용자가 상기 청각 보조 장치(1)로부터 멀리 위치하는 경우에는 상기 디스플레이부(500)가 문자를 크게 표시하고 상기 소리출력부(100)가 소리를 크게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b).
상기 제어부(700)는 사용자가 상기 조작부(600)로 상기 청각 보조 장치(1)와 장치 간의 연결 명령을 입력하면, 상기 디스플레이부(500)에서 연결될 외부 장치의 아이콘을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18은 외부 장치 연결 명령에 따라 본체와 연결되는 장치를 표시하는 도1의 청각 보조 장치의 디스플레이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18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사용자에 의해서 상기 청각 보조 장치(1)와 장치 간의 연결 명령이 입력되면(a), 상기 청각 보조 장치(1)가 상기 마이크(220)와 연결되는 상태를 상기 디스플레이부(500)가 아이콘으로 표시하도록 제어하거나(b), 상기 텔레비젼(TV, 40)과 연결되는 상태를 상기 디스플레이부(500)가 아이콘으로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으며(c), 상기 모바일폰(50)과 연결되는 상태를 상기 디스플레이부(500)가 아이콘으로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d).
상기 제어부(700)는 상기 디스플레이부(500)에 표시되는 자막이 난청사용자가 인식하기 편한 방식으로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도19는 스크롤 형식으로 자막이 표시되는 도1의 청각 보조 장치의 디스플레이부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20은 줄간격이 조절되어 자막이 표시되는 도1의 청각 보조 장치의 디스플레이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예를 들어, 도19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제어부(700)는 상기 디스플레이가 자막을 표시하도록 제어하고(a)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자막이 누적되었을 때(b), 사용자가 상기 디스플레이부(500)를 만지고 쓸어넘기면 스크롤 형식으로 자막이 표시될 수 있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500)를 제어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어, 도20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제어부(700)는 상기 디스플레이부(500)로 자막이 표시되도록 제어하고(a), 소정의 시간이 지난 후에 상기 디스플레이부(500)로 자막이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경우에는, 상기 디스플레이부(500)에 표시되는 문장이 줄간격이 조정되어 표시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500)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700)는 상기 센서부(200)를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어부(700)는 난청사용자의 영상데이터를 저장하고 상기 센서부(200)의 상기 카메라(210)가 난청사용자의 영상을 촬영하면, 상기 카메라(210), 상기 레이더센서(230) 또는 상기 초음파센서(240)(이하, 추적센서라 한다)가 난청사용자의 위치를 추적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700)는 상기 틸팅부(300)를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어부(700)는 상기 제어부(700)는 상기 소리출력부(100)에서 출력되는 소리가 상기 추적센서가 추적하는 난청사용자의 얼굴로 향하도록 상기 틸팅부(30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700)는 상기 소리출력부(100)를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어부(700)는 난청사용자의 가청주파수에 관한 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마이크(220)로 집음된 소리, 외부 장치로부터 전송받은 소리에 관한 정보가 상기 가청주파수를 가지는 소리로 변조되어 상기 소리출력부(100)로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700)는 상기 소리출력부(100)가 소리를 상기 지향성스피커(110) 또는 상기 일반스피커(120)에서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추적센서에 의해서 난청사용자의 위치가 정확하게 파악되는 경우에는 난청사용자의 머리가 위치하는 방향으로 상기 지향성스피커(110)가 소리를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700)는 난청사용자와 상기 청각 보조 장치(1) 사이에 구조물이 있는 경우, 상기 지향성스피커(110)로 음향 반사를 통해서 난청사용자에게 소리를 전달이 가능한 경로를 파악하여 상기 경로로 소리를 출력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추적센서에 의해서 난청사용자의 위치가 정확하게 파악되지 않는 경우에는 일반스피커(120)가 소리를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어부(700)는 종래의 음성명료화모듈을 포함하여 상기 소리출력부(100)에서 출력되는 소리가 난청사용자에게 명료하게 전달되도록 제어할 수 있으며, 종래의 자막재생모듈을 포함하여 자막이 상기 디스플레이부(500)에 표시되는 방식을 제어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설명하면, 상기 제어부(700)는 상기 마이크(220)로 집음된 음성 또는 외부 장치로부터 전송된 음성 정보가 실시간 자막으로 상기 디스플레이부(500)에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으며, 화자별로 분리되어 상기 디스플레이부(500)에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어 설명하면, 상기 제어부(700)는 상기 마이크(220)로 집음된 음성 또는 외부 장치로부터 전송된 음성 정보 중에서 중요한 단어가 상기 디스플레이부(500)에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대적으로 크게 발화된 단어, 상대적으로 느리게 발화된 단어, 끊어서 발화된 단어 등이 색상이나 필체를 달리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500)에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어서, 상기 전력공급부(800)의 구성에 관하여 설명한다.
상기 전력공급부(800)는 상기 청각 보조 장치(1)의 작동에 필요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도록 종래의 충전이 가능한 배터리 등으로 구성되어 상기 본체(1)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전력공급부(800)는 상기 본체(10)가 상기 충전기(20)에 부착되면 충전이 될 수 있다.
이어서, 상기 충전기(20)의 구성에 관하여 설명한다.
상기 충전기(20)는 상기 본체(10)와 연결되어 상기 전력공급부(800)가 충전이 되도록 전력을 공급할 수 있으며, 종래의 충전장치의 구성을 채용할 수 있다.
이어서, 상기 보청기(30)의 구성에 관하여 설명한다.
상기 보청기(30)는 난청사용자에게 적합한 가청주파수를 가지는 소리를 출력하는 종래의 보청기의 구성을 채용할 수 있으며, 상기 본체(10)에 탈부착이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보청기(30)가 상기 본체(10)에서 탈착되면 상기 제어부(700)는 상기 소리출력부(100)에서 소리가 출력되지 않고 상기 보청기(30)에서 소리가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반대로, 상기 보청기(30)가 상기 본체(10)에 안착되면 상기 제어부(700)는 상기 보청기(30)에서 소리가 출력되지 않고 상기 소리출력부(100)에서 소리가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청각 보조 장치의 작용 및 효과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청각 보조 장치(1)의 근처에 난청사용자가 접근하면 상기 카메라(210)가 난청사용자를 촬영하여 식별하면, 상기 추적센서가 상기 난청사용자의 위치를 추적한다.
그리고, 상기 소리출력부(100)는 상기 추적센서가 추적하는 상기 난청사용자가 소리를 청취할 수 있도록 틸팅되어 소리를 출력한다. 상기 소리출력부(100)는 상기 지향성스피커(110)로 난청사용자에게 지향성 소리를 출력할 수도 있고, 상기 일반스피커(120)로 난청사용자에게 일반 소리를 출력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부(500)는 화면에 실시간 자막, 아이콘 등을 표시하여 난청사용자가 시각으로 정보를 인식할 수 있도록 보조한다. 상기 디스플레이부(500)는 상기 본체(10)로부터 탈부착이 가능하여 난청사용자가 휴대하면서 시각 정보를 획득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보청기(30)는 상기 청각 보조 장치(1)에 탈부착이 가능하게 구성되어 사용자가 상기 보청기(30)를 착용하면 상기 소리출력부(100) 대신 상기 보청기(30)에서 소리가 출력될 수 있다. 반면에 사용자가 상기 보청기(30)를 상기 본체(10)에 안착시키면 상기 청각 보조 장치(1)의 상기 본체(10)가 작동 준비를 하고 상기 소리출력부(100)가 난청사용자에게 소리를 출력한다.
이처럼, 본 발명에 따른 청각 보조 장치는, 지향성스피커가 난청사용자를 추적하며 난청사용자가 청취할 수 있는 소리를 난청사용자에게 출력함으로써, 난청사용자가 보청기를 착용하지 않아도 소리를 잘 들을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디스플레이부가 실시간 자막을 표시함으로써, 난청사용자가 음성 등의 소리 정보를 시각으로도 인식할 수 있으므로 소리 정보를 보다 정확하게 인식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된 자막의 내용이 저장 및 전송되어 필요한 경우 확인할 수 있으므로, 난청사용자가 음성 등의 소리 정보를 잊어버려도 나중에 다시 확인할 수 있도록 하여 기억을 보조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대화 내용이 화자를 구별해서 표시됨으로써, 난청사용자가 화자를 구별해서 대화 내용을 시각으로 확인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디스플레이부에 대화 내용 중 중요한 단어가 구별되어 표시됨으로써, 난청사용자가 대화 내용 중 중요한 단어를 식별하여 인식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체가 텔레비젼, 스마트폰, 현관인터폰, 위험알림장치 등의 연결가능장치와 데이터를 송수신하여 소리출력부 및 디스플레이부가 연결가능장치의 정보를 출력하므로, 난청사용자의 생활의 편의 및 안전이 증진되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체에 탈부착이 가능한 보청기가 본체와 연동되어 사용됨으로써, 난청사용자가 본체로부터 멀리 떨어진 장소로 이동하여도 가청주파수로 변조된 소리를 효과적으로 들을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이상에서 대표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한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에 의하여 정해져야 한다.
1 : 청각 보조 장치 20 : 충전기
30 : 보청기 40 : 텔레비젼
50 : 모바일폰 60 : 도어벨
70 : 위험알림장치 100 : 소리출력부
110 : 지향성스피커 120 : 일반스피커
200 : 센서부 210 : 카메라
220 : 마이크 230 : 레이더센서
240 : 초음파센서 300 : 틸팅부
400 : 통신부 500 : 디스플레이부
600 : 조작부 700 : 제어부
800 : 전력공급부

Claims (20)

  1. 본체;
    지향성 소리를 출력하는 지향성스피커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에 설치되는 소리출력부;
    자막, 기호 및 영상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표시하고 상기 본체에 설치되는 디스플레이부;
    외부 장치와 데이터를 송수신하고 상기 본체에 설치되는 통신부; 및
    상기 본체에 설치되고, 난청사용자가 청취할 수 있는 가청주파수에 관한 정보를 저장하며, 상기 통신부로 수신받은 데이터에 관한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표시하도록 제어하고 또한 상기 가청주파수를 가지는 소리로 변조되어 상기 지향성스피커로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청각 보조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 소리를 입력받는 마이크, 동체의 위치를 파악하여 추적하는 추적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에 설치되는 센서부; 및
    상기 소리출력부의 수평 방향 및 수직 방향 지향각을 조절하고 상기 본체에 설치되는 틸팅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난청사용자 영상데이터를 저장하여 상기 카메라로 촬영한 영상데이터가 상기 난청사용자 영상데이터로 식별되면, 상기 추적센서가 난청사용자의 얼굴을 추적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소리출력부에서 출력되는 소리가 상기 추적센서가 추적하는 난청사용자의 얼굴을 향하도록 상기 틸팅부를 제어하며, 상기 마이크로 입력받은 소리에 관한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표시하도록 제어하고 또한 상기 가청주파수를 가지는 소리로 변조되어 상기 지향성스피커로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청각 보조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향성스피커는 초음파를 이용하여 지향성 소리를 출력하는 스피커인, 청각 보조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추적센서는,
    물체의 윤곽을 식별하여 추적하도록 구성되는 상기 카메라 또는 물체에 전파를 발사하고 반사되어 오는 전압을 측정해서 물체를 추적하는 레이더센서로 구성되는, 청각 보조 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추적센서로 파악된 상기 청각 보조 장치와 난청사용자의 얼굴 간의 제1 거리에 비례해서 상기 지향성스피커가 출력하는 소리가 커지도록 제어하는, 청각 보조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거리에 비례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표시하는 정보의 크기가 커지도록 제어하는, 청각 보조 장치.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마이크로 입력받은 소리 및 상기 통신부로 수신받은 데이터에 관한 정보가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실시간 자막으로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청각 보조 장치.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마이크로 입력받은 사용자의 목소리를 구별하고, 사용자별로 입력받은 목소리가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구별되어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청각 보조 장치.
  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마이크로 입력받은 사용자의 목소리 중 크게, 느리게 또는 끊어서 발화된 목소리가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구별되어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청각 보조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사용자의 터치입력에 의해서 명령을 입력받는 터치패널로 구성되고,
    상기 소리출력부와 난청사용자를 잇는 제1 선분과, 상기 소리출력부와 상기 소리출력부에서 출력되는 소리가 향하는 지점을 잇는 제2 선분 간의 각도의 크기를 표시하고 상기 본체에 설치되는 점등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사용자가 터치입력하는 방식에 따라서,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상기 자막의 위치, 명도를 제어하고, 상기 각도의 크기에 따라서 상기 점등수단이 색상 또는 색상의 채도를 달리하여 점등되도록 제어하는, 청각 보조 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본체와 탈부착이 가능하게 구성되고, 제1 통신모듈을 구비하여 상기 통신부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청각 보조 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자막을 저장하고, 사용자의 입력 명령에 따라 저장된 상기 자막을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거나 상기 외부 장치로 전송하는, 청각 보조 장치.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텔레비젼, 모바일폰, 도어벨, 위험알림장치를 포함하는 외부 장치와 데이터를 송수신하고,
    상기 제어부는 복수개의 상기 외부 장치가 동시에 데이터를 전송하는 경우, 상기 위험알림장치의 정보가 최우선으로 상기 소리출력부로 출력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청각 보조 장치.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청각 보조 장치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명령을 입력받고, 상기 본체에 설치되거나 상기 본체와 독립적으로 구성되는 조작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조작부로 입력되는 명령에 관한 정보가 상기 디스플레이부로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청각 보조 장치.
  1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소리출력부는 소리를 출력하는 일반스피커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추적센서가 난청사용자의 위치를 파악하지 못하거나 상기 조작부로 사용자가 상기 일반스피커의 작동 명령을 입력하면, 상기 일반스피커가 소리를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청각 보조 장치.
  16. 내부 및 외부에 구성 부품을 설치할 수 있는 본체;
    지향성 소리를 출력하는 지향성스피커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에 설치되는 소리출력부;
    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 소리를 입력받는 마이크, 동체의 위치를 파악하여 추적하는 추적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에 설치되는 센서부;
    상기 소리출력부의 수평 방향 및 수직 방향 지향각을 조절하고 상기 본체에 설치되는 틸팅부;
    외부 장치와 데이터를 송수신하고 상기 본체에 설치되는 통신부;
    사용자의 귀에 탈부착이 가능하게 구성되고, 상기 통신부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제2 통신모듈 및 주파수가 변조된 소리를 출력하는 스피커를 포함하며, 상기 본체와 탈부착이 가능하게 구성되는 보청기; 및
    난청사용자 영상데이터를 저장하여 상기 카메라로 촬영한 영상데이터가 상기 난청사용자 영상데이터로 식별되면, 상기 추적센서가 난청사용자의 얼굴을 추적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소리출력부에서 출력되는 소리가 상기 추적센서가 추적하는 난청사용자의 얼굴을 향하도록 상기 틸팅부를 제어하며 상기 본체에 설치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난청사용자가 청취할 수 있는 가청주파수에 관한 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마이크로 입력받은 소리 및 상기 통신부로 수신받은 데이터에 관한 정보가 상기 가청주파수를 가지는 소리로 변조되어 상기 지향성스피커 또는 상기 보청기로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청각 보조 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텔레비젼, 모바일폰, 도어벨, 위험알림장치를 포함하는 외부 장치와 데이터를 송수신하고,
    상기 제어부는 복수개의 상기 외부 장치가 동시에 데이터를 전송하는 경우, 상기 위험알림장치의 정보가 최우선으로 상기 소리출력부 또는 상기 보청기로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청각 보조 장치.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음성명료화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음성명료화모듈을 이용하여 잡음이 제거되고 음질이 개선된 소리가 상기 지향성스피커 또는 상기 보청기로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청각 보조 장치.
  19.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추적센서로 파악된 상기 청각 보조 장치와 난청사용자의 얼굴 간의 제2 거리에 비례해서 상기 지향성스피커가 출력하는 소리가 커지도록 제어하는, 청각 보조 장치.
  20.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소리출력부와 난청사용자를 잇는 제3 선분과, 상기 소리출력부와 상기 소리출력부에서 출력되는 소리가 향하는 지점을 잇는 제4 선분 간의 각도의 크기를 표시하고 상기 본체에 설치되는 점등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각도의 크기에 따라서 상기 점등수단이 색상 또는 색상의 채도를 달리하여 점등되도록 제어하는, 청각 보조 장치.
KR1020190123824A 2019-10-07 2019-10-07 청각 보조 장치 KR2021004130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3824A KR20210041302A (ko) 2019-10-07 2019-10-07 청각 보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3824A KR20210041302A (ko) 2019-10-07 2019-10-07 청각 보조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41302A true KR20210041302A (ko) 2021-04-15

Family

ID=754407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23824A KR20210041302A (ko) 2019-10-07 2019-10-07 청각 보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41302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75258B1 (en) Voice responsive image tracking system
CN108957761B (zh) 显示装置及其控制方法、头戴式显示装置及其控制方法
EP3163748A2 (en) Method, device and terminal for adjusting volume
KR101585793B1 (ko) 스마트 보청기
EP1659782A2 (en) Videophone with automatic zooming, centring and scaling
EP3188460A1 (en) Method,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for controlling application program
KR20160082206A (ko)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이동 단말기와 연동하는 헤드셋
WO2002009434A1 (es) Portero electronico digital
KR20140141916A (ko) 사용자 기기의 알림 기능 운용 방법 및 장치
WO2018081412A1 (en) Facial recognition system
WO2018163637A1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記録媒体
KR102106754B1 (ko) 비상 사고 방송 안내를 위한 지능형 멀티 인터콤 방송시스템
CN104244132A (zh) 一种智能耳机系统及其控制方法
CN112678373B (zh) 垃圾分类方法、系统、装置、控制设备及存储介质
US10225670B2 (en) Method for operating a hearing system as well as a hearing system
KR20210041302A (ko) 청각 보조 장치
CN111128180A (zh) 一种听力障碍者的辅助对话系统
KR101600429B1 (ko) 환경 상황 적응 방식의 청력 보조 기기 및 멀티미디어 장치 연계를 위한 청력 보조 기기의 제어 방법
KR101678396B1 (ko) 청각장애인용 호출 시스템
KR102000282B1 (ko) 청각 기능 보조용 대화 지원 장치
CN208028877U (zh) 一种智能对讲终端
JP2012134660A (ja) 撮像装置及びインターホン装置、インターホンシステム
CN204157025U (zh) 一种智能耳机系统
KR102256899B1 (ko) 스마트 초인종
CN217546174U (zh) 智能会议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