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40507A - 색소폰용 스탠드 - Google Patents

색소폰용 스탠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40507A
KR20210040507A KR1020190122800A KR20190122800A KR20210040507A KR 20210040507 A KR20210040507 A KR 20210040507A KR 1020190122800 A KR1020190122800 A KR 1020190122800A KR 20190122800 A KR20190122800 A KR 20190122800A KR 20210040507 A KR20210040507 A KR 202100405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axophone
bell
support
stand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228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구영남
Original Assignee
구영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영남 filed Critical 구영남
Priority to KR10201901228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40507A/ko
Publication of KR202100405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4050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GREPRESENTATION OF MUSIC; RECORDING MUSIC IN NOTATION FORM; ACCESSORIES FOR MUSIC OR MUSICAL INSTRU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SUPPORTS
    • G10G5/00Supports for musical instrument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DSTRINGED MUSICAL INSTRUMENTS; WIND MUSICAL INSTRUMENTS; ACCORDIONS OR CONCERTINAS; PERCUSSION MUSICAL INSTRUMENTS; AEOLIAN HARPS; SINGING-FLAME MUSICAL INSTRUMENTS; MUSICAL INSTRU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D7/00General design of wind musical instruments
    • G10D7/06Beating-reed wind instruments, e.g. single or double reed wind instruments
    • G10D7/08Saxophon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Auxiliary Devices For Music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색소폰용 스탠드를 개시한다.
본 발명의 색소폰용 스탠드는 색소폰을 거치하기 위한 색소폰용 스탠드에 있어서, 색소폰의 벨 부분이 접촉되는 평탄한 접촉면을 형성한 것으로 하부에는 지면에 접촉하기 위한 지면플랜지가 구비되는 판재형의 받침대; 상기 받침대의 상부 양단에 힌지 결합되어 회동되는 것에 의해 상기 받침대로부터 이격되어 펼쳐지는 것으로 일단이 지면에 접촉되는 지지대; 상기 받침대의 접촉면 상에 구비되는 것으로 하부에서 상부로 진행하면서 간격이 벌어지도록 배치되어 그 사이에 벨이 끼움되어 고정지지하는 것으로 복수의 실리콘을 볼을 연결하여 된 한 쌍의 볼고정구를 구비한 벨고정모듈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은 사용자가 간편하게 접거나 펼칠 수 있도록 된 것으로 구조가 간소하여 휴대 및 보관이 용이하고 경제적인 제작과 보급이 가능한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색소폰의 벨 부분이 지면 바닥을 향하도록 거치됨에 따라 색소폰의 내부로 외부의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색소폰 전체가 지면으로부터 떨어져 있으므로 지면과의 마찰로 인한 손상의 우려가 없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견고하고 안정된 거치상태를 보장할 수 있어 제품에 대한 소비자의 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유용한 효과가 기대된다.

Description

색소폰용 스탠드{Stand For Saxophone}
본 발명은 색소폰을 연주하지 않을시에 세운 상태로 거치할 수 있는 색소폰용 스탠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간소한 구조에 의해 접거나 펼칠 수 있도록 하여 휴대 및 보관의 편의성을 높이고 아울러 색소폰에 대한 견고한 고정을 가능하게 하여 안정된 거치상태를 보장할 수 있는 색소폰용 스탠드에 관한 것이다.
널리 알려진 바와 같이 색소폰은 싱글 리드 악기군에 속하는 목관 악기의 일종으로 원뿔형 관에 끝이 나팔 모양으로 벌어지고 구멍은 키로 막혀 있고 몸통은 대개 황동 등의 금속재로 되어 있으며, 구조가 복잡하고 여러 민감한 구성품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져 있어 취급과 보관에 상당한 주의를 기울여야 하는 고가의 악기이다.
이러한 색소폰은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케이스에 넣어 보관 또는 운반되는데, 케이스는 외부에서 가해지는 충격에 대해 쉽게 파손되지 않도록 단단한 재질로 형성되고, 그 내부는 수납된 색소폰에 외부 충격이 전달되지 않도록 하면서 운반 중에 움직이지 않도록 부드럽고 완충성이 우수한 재질로 마감되어 있다.
한편, 색소폰을 연주하다가 잠시 쉬거나 다음 곡 준비를 위한 경우에는 악기를 잠시 보관하여야 하는데 케이스에 수납시키기에는 매우 불편하고 번거로운 단점이 있었다.
즉, 색소폰을 잠시 사용하지 않는 경우 대부분의 연주자는 의자에 기대어 놓거나 손이 들고 있게 되는데, 의자에 기대어 놓는 경우 색소폰이 쉽게 넘어지거나 의자에서 떨어질 수 있는 폐단이 있고, 손에 들고 있는 경우에는 연주자가 편하게 쉬거나 다음곡 연주를 위한 준비를 할 수 없는 폐단이 있었다.
특히, 색소폰의 무게는 기타 다른 악기에 비해 무게감이 있는 악기로서 예를 들면 가장 대중적인 색소폰인 알토인 경우 2.8kg, 테너는 3.8kg 가량되므로 연주 후에는 편한 자세로 쉴 필요가 있으나, 연주하지 않을 때에도 색소폰을 들고 있어야 한다면 연주자가 느끼는 피로감이 커질 뿐만 아니라 이로 인한 신체에 무리를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종래기술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350783호를 통해 "휴대용 색소폰 안전스탠드" 가 제안된 바 있으며, 그 등록 청구항 3에는 ‘일측이 평판부(11)로 되고 타측은 U자관하부 삽입홈(13)을 갖는 쿠션부재(14)가 상면에 올려진 만곡부(12)로 된 악기받침대(10)와; 각각의 일측 끝단을 볼트(32)로 체결하여 각각 회전할 수 있게 되고, 후방으로 완전히 접을 경우 쿠션부재(14)의 상부에서 서로 모아져 길이 방향 측면이 맞닿게 형성한 상기 악기받침대(10)의 평판부(11) 상부 좌우측에 위치하는 2개의 막대형 다리(20)와; 상기 다리(20) 상부에 위치하고 경첩(31)이 상부에 고정된 것으로, 볼트(32)를 경첩(31)과 고정부재(30)와 와셔(33)와 다리(20)와 와셔(34)와 악기받침대(10) 순으로 끼워 너트(35)로 체결되게 기준판재 역할을 하는 고정부재(30)와; 상기 고정부재(30)의 경첩(31)과 하단이 볼트(36)로 체결되어 결합되고 상단이 경첩(42)과 볼트(43)로 체결하여 결합된 것으로, 사용시 바닥면과 75-85도의 각도로 세워지도록 한 평판형의 경사지지대(40)와; 상기 경사지지대(40)의 경첩(42)과 볼트(44)로 고정된 것으로, 색소폰이 전후 좌우로 기울어지지 않도록 벨 하단 몸통을 끼워서 물고 있도록 말굽 모양으로 된 벨하단 결합기구(50); 로 구성되어 악기 수직하중이 실리는 거치(据置) 지지점인 하부 악기받침대(4)가 지면과 접하도록 형성되는 휴대용 색소폰 안전 스탠드에 있어서, 상기 경사지지대(40)의 구성위치는, 경첩(31)과 고정된 경사지지대(40)를 위로 펼칠 경우 고정부재(30)의 상부와 경사지지대(40)의 하단 모서리가 맞닿아 더 이상 젖혀지지 않도록 경첩(31)의 회동축이 고정부재(30)의 전방 끝단 모서리에서 경사지지대(40)의 두께만큼 들어간 자리에 위치하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색소폰 안전 스탠드.’가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 기술에 따른 휴대용 색소폰 안전 스탠드는 거치(据置) 된 악기하중 지지점이 지면에 닿게 되고 비교적 안정된 거칠(据置) 상태를 보이고 있었지만, 이 악기스탠드 역시 나팔부(Bell) 바로하단 만곡부 만을 ??자형 걸이로 잡고만 있어서 외부 충격에 탈거되는 불안한 문제점을 안고 있었다.
또 다른 종래기술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519791호를 통해 "관악기 스탠드" 가 제안된 바 있으며, 그 청구항 1에는 ‘일정 길이로 연장되는 관형상의 바디(M1)와, 이 바디(M1)의 선단에 확장된 벨부(M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악기(M)를 상기 벨부(M2)가 하향되게 거꾸로 세워 거치하도록 된 관악기 스탠드에 있어서;
일정 면적을 형성하도록 링형상으로 된 베이스부(31)와; 상기 베이스부(31)의 일측에 기단이 결합된 상태에서 일정 각도로 경사지게 상향 연장되는 지지부(33)와; 상기 지지부(33)의 일측이 링형태로 절곡되어 손으로 그립 가능하도록 된 손잡이(34)와; 상기 지지부(33)의 상단측에 위치되어 상기 악기(M)의 벨부(M2)를 통해 바디(M1)의 내부에 삽입되도록 연장된 삽입부(35)와; 상기 삽입부(35)의 단부측에 확장되어 상기 벨부(M2)의 단부가 접촉 지지되는 받침부(36)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악기 스탠드.’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에 따른 관악기 스탠드는 벨 내부에 삽입되도록 긴 관형상의 삽입부(35)와 그 선단에 벨의 모양대로 형성된 받침부(36)를 갖는 스탠드가 개발되었으나, 이 악기 거치대는 연주하던 색소폰을 180도 각도로 뒤집어 세워서 거치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으며, 악기를 뒤집어 고정한 지지 구조로 인해 베이스부 부피가 무척 커지는 문제점과 안락성이 부족하여 피곤한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 종래 기술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종래기술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850646호를 통해 ‘색소폰용 스탠드’가 제안된 바 있으며, 그 청구항 1에는 ‘악기를 세워서 거치(据置)하기 위한 색소폰(saxophone)용 스탠드에서, 색소폰용 스탠드(1)는 길이가 긴 막대 형상으로 형성되고, 그 각각의 한쪽 끝단에는 미끄럼방지 목적의 고무캡(20)이 형성되고, 그 각각의 다른 쪽 끝단 중앙에는 볼트 구멍을 형성한 2개의 지지막대(10)와; 한쪽은 상기 지지막대(10)의 중앙 후면에 벨클립 고정피스(31)로 고정되고, 다른 쪽은 벨의 원주모서리(b1)가 끼워져 결합할 때 벨(b)을 보호하기 위한 실리콘튜브(32)와 보호패드(40)가 형성된 2개의 벨 클립(30)과; 상기 지지막대(10)의 다른 쪽 끝단 후면에 위치하고, 볼트(70) 및 캡너트(71)로 상기 지지막대(10)와 결합하고, 휘어지는 탄성을 지닌 S자 형태의 벨누름판(51)을 갖는 후면지지판(50)과; 상기 지지막대(10)의 다른 쪽 끝단 전면에 위치하고, 볼트(70) 및 캡너트(71)에 의해 상기 지지막대(10)와 결합되는 전면지지판(60)과; 색소폰(S)의 U자관을 바닥면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U자관 하부받침대(80);로 구성된 것으로, 색소폰 벨(bell)과의 결속 시, 벨의 뒤쪽 원주면(b3)의 하단부 중 일정거리로 떨어진 접점 2개소를 2개의 벨 클립 상의 실리콘튜브가 각각 눌러주고, 상기 접점 2개소의 정중앙에 항상 위치하는 벨누름판(51)이 자체 탄성으로 벨의 앞쪽 원주면(b2) 1개소를 벨 클립 방향으로 밀어, 강력한 결속력을 갖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색소폰(saxophone)용 스탠드.’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종래기술에 따른 색소폰용 스탠드는 한 쌍의 지지막대를 벌린 뒤, 색소폰의 벨클립 고정피스에 벨을 끼워 넣고 색소폰의 일부를 바닥에 접촉시키는 것으로 한 쌍의 지지막대와 색소폰 몸체의 일부가 지면에 접촉되는 것에 의해 거치되는 구성이어서 색소폰의 몸통 일부가 지면과의 접촉으로 인한 손상될 우려가 큰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연주자는 바닥에 충분한 완충성과 미끄럼이 방지될 수 있는 패드나 시트를 깔아 놓고 사용해야 하므로 사용이 불편한 문제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색소폰의 벨의 방향이 측면을 향하는 형태이어서 색소폰 내의 이물질이 유입될 가능성이 큰 문제점이 있었다.
등록특허공보 제10-1676922호(2016.11.10.) 등록특허공보 제10-1831729호(2018.02.19.) 등록특허공보 제10-1828171호(2018.02.05.) 등록특허공보 제10-1850646호(2018.04.13.) 등록특허공보 제10-1519791호(2015.05.06)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간소한 구조에 의해 접거나 펼칠 수 있도록 하여 휴대 및 보관의 편의성을 높이고, 특히 색소폰 벨이 바닥측을 향하도록 거치시킴으로써 외부로부터 이물질 등의 유입을 최소화하며, 견고하고 안정된 거치상태를 보장할 수 있는 색소폰용 스탠드의 제공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례에 따른 색소폰용 스탠드는, 색소폰을 거치하기 위한 색소폰용 스탠드에 있어서, 색소폰의 벨 부분이 접촉되는 평탄한 접촉면을 형성한 것으로 하부에는 지면에 접촉하기 위한 지면플랜지가 구비되는 판재형의 받침대; 상기 받침대의 상부 양단에 힌지 결합되어 회동되는 것에 의해 상기 받침대로부터 이격되어 펼쳐지는 것으로 일단이 지면에 접촉되는 지지대; 상기 받침대의 접촉면 상에 구비되는 것으로 하부에서 상부로 진행하면서 간격이 벌어지도록 배치되어 그 사이에 벨이 끼움되어 고정지지하는 것으로 복수의 실리콘을 볼을 연결하여 된 한 쌍의 볼고정구를 구비한 벨고정모듈로 구성된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한 특징으로서, 상기 받침대는 상기 색소폰의 벨이 접촉하는 접촉면에 직물재, 합성수지재, 고무재 중 어느 하나로 된 보호패드가 부착 구비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특징으로서, 상기 지지대는 금속튜브를 굽힘 성형한 것으로 양단이 상기 받침대의 상부 양단에 힌지 결합되고, 하단은 지면에 접촉되는 것으로, 상기 하단은 미끄럼 방지를 위한 합성수지 또는 고무로 된 미끄럼 방지구가 결합 구비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특징으로서, 상기 받침대의 후면 하부일측과 상기 지지대의 하면 일측에는 서로 자력을 부착될 수 있도록 구비된 것으로 둘 중 어느하는 자성금속재가 구비되고 다른 한쪽에는 자석이 구비된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특징으로서, 상기 받침대와 지지대는 서로 벌어지는 간격을 제한하기 위한 스토퍼가 구비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색소폰용 스탠드는 사용자가 간편하게 접거나 펼칠 수 있도록 된 것으로 구조가 간소하여 휴대 및 보관이 용이하고 경제적인 제작과 보급이 가능한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색소폰의 벨 부분이 지면 바닥을 향하도록 거치됨에 따라 색소폰의 내부로 외부의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색소폰 전체가 지면으로부터 떨어져 있으므로 지면과의 마찰로 인한 손상의 우려가 없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견고하고 안정된 거치상태를 보장할 수 있어 제품에 대한 소비자의 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유용한 효과가 기대된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고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색소폰용 스탠드를 정면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색소폰용 스탠드를 후면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색소폰용 스탠드에서 본체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색소폰용 스탠드에서 볼고정구를 나타낸 사시도.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구성 및 작용을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즉,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여기서, 반복되는 설명,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색소폰용 스탠드를 정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색소폰용 스탠드를 후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색소폰용 스탠드에서 본체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끝으로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색소폰용 스탠드에서 실리콘볼 고정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상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색소폰용 스탠드의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색소폰용 스탠드는 크게 받침대와 지지대 그리고 벨고정모듈로 구성된다.
받침대는 색소폰의 벨 부분이 접촉되는 평탄한 접촉면을 형성한 것으로 하부에는 지면에 접촉하기 위한 지면플랜지가 구비되는 판재형상의 부재로 제공된다.
이러한 받침대는 상기 색소폰의 벨이 접촉하는 접촉면에 직물재, 합성수지재, 고무재 중 어느 하나로 된 보호패드가 부착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지지대는 상기 받침대의 상부 양단에 힌지 결합되어 회동되는 것에 의해 상기 받침대로부터 이격되어 펼쳐지는 것으로 일단이 지면에 접촉되는 구조이다.
이러한 지지대는 금속튜브를 굽힘 성형한 것으로 양단이 상기 받침대의 상부 양단에 힌지 결합되고, 하단은 지면에 접촉되는 것으로, 상기 하단은 미끄럼 방지를 위한 합성수지 또는 고무로 된 미끄럼 방지구가 결합 구비되는 것에 있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받침대의 후면 하부일측과 상기 지지대의 하면 일측에는 서로 자력을 부착될 수 있도록 구비된 것으로 둘 중 어느하는 자성금속재가 구비되고 다른 한쪽에는 자석이 구비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받침대와 지지대는 서로 벌어지는 간격을 제한하기 위한 스토퍼가 구비된다.
이때의 스토퍼는 물리적인 구조에 의해 더 이상 받침대와 지지대가 벌어지지 않도록 힌지결합부에 걸림돌기를 형성하는 것에 의해 가능하다.
벨고정모듈은 상기 받침대의 접촉면 상에 구비되는 것으로 하부에서 상부로 진행하면서 간격이 벌어지도록 배치되어 그 사이에 벨이 끼움되어 고정지지하는 것으로 복수의 실리콘을 볼을 연결하여 된 한 쌍의 볼고정구를 구비하는 구성이다.
이때의 상기 실리콘볼은 15mm의 직경을 갖는 실리콘재로 성형한 것이 사용되며, 와이어에 의해 결속되는 구성이다. 이때 상기 와이어는 금속재나 합성수지재가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색소폰용 스탠드는 연주자가 색소폰을 사용하지 않을 시에 받침대로부터 지지대를 펼친뒤 바닥에 고정시킨 상태에서 색소폰의 벨 부분을 벨고정모듈을 구성하는 한 쌍의 볼고정구 사이에 집어넣는 간소한 작업만으로 견고하고 안정된 거치상태를 확보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례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적용 부위를 변경하여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을 할 수 있음은 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변형예 또는 수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1 : 색소폰용 스탠드

Claims (5)

  1. 색소폰을 거치하기 위한 색소폰용 스탠드에 있어서,
    색소폰의 벨 부분이 접촉되는 평탄한 접촉면을 형성한 것으로 하부에는 지면에 접촉하기 위한 지면플랜지가 구비되는 판재형의 받침대;
    상기 받침대의 상부 양단에 힌지 결합되어 회동되는 것에 의해 상기 받침대로부터 이격되어 펼쳐지는 것으로 일단이 지면에 접촉되는 지지대;
    상기 받침대의 접촉면 상에 구비되는 것으로 하부에서 상부로 진행하면서 간격이 벌어지도록 배치되어 그 사이에 벨이 끼움되어 고정지지하는 것으로 복수의 실리콘을 볼을 연결하여 된 한 쌍의 볼고정구를 구비한 벨고정모듈;
    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색소폰용 스탠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대는 상기 색소폰의 벨이 접촉하는 접촉면에 직물재, 합성수지재, 고무재 중 어느 하나로 된 보호패드가 부착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색소폰용 스탠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는 금속튜브를 굽힘 성형한 것으로 양단이 상기 받침대의 상부 양단에 힌지 결합되고, 하단은 지면에 접촉되는 것으로, 상기 하단은 미끄럼 방지를 위한 합성수지 또는 고무로 된 미끄럼 방지구가 결합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색소폰용 스탠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대의 후면 하부일측과 상기 지지대의 하면 일측에는 서로 자력을 부착될 수 있도록 구비된 것으로 둘 중 어느하는 자성금속재가 구비되고 다른 한쪽에는 자석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색소폰용 스탠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대와 지지대는 서로 벌어지는 간격을 제한하기 위한 스토퍼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색소폰용 스탠드.
KR1020190122800A 2019-10-04 2019-10-04 색소폰용 스탠드 KR2021004050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2800A KR20210040507A (ko) 2019-10-04 2019-10-04 색소폰용 스탠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2800A KR20210040507A (ko) 2019-10-04 2019-10-04 색소폰용 스탠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40507A true KR20210040507A (ko) 2021-04-14

Family

ID=754777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22800A KR20210040507A (ko) 2019-10-04 2019-10-04 색소폰용 스탠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40507A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9791B1 (ko) 2014-05-21 2015-05-12 노동민 관악기 스탠드
KR101676922B1 (ko) 2014-01-06 2016-11-17 어수지 3종 통합 색소폰 연주 스탠드 (보면대.거치대.연주 지지대)
KR101828171B1 (ko) 2015-09-07 2018-02-12 어영호 색소폰 멀티 스탠드
KR101831729B1 (ko) 2016-07-22 2018-02-23 서윤석 색소폰 거치대
KR101850646B1 (ko) 2017-04-05 2018-04-20 박규한 색소폰용 스탠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76922B1 (ko) 2014-01-06 2016-11-17 어수지 3종 통합 색소폰 연주 스탠드 (보면대.거치대.연주 지지대)
KR101519791B1 (ko) 2014-05-21 2015-05-12 노동민 관악기 스탠드
KR101828171B1 (ko) 2015-09-07 2018-02-12 어영호 색소폰 멀티 스탠드
KR101831729B1 (ko) 2016-07-22 2018-02-23 서윤석 색소폰 거치대
KR101850646B1 (ko) 2017-04-05 2018-04-20 박규한 색소폰용 스탠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029796A (en) Musical instrument stand
US7205468B1 (en) Combination guitar arm rest and leg rest for improved guitar sound resonance
US7375269B2 (en) Bass guitar stand up adapter
US20090277320A1 (en) Instrument stand
US20080196572A1 (en) Navarro guitar support
US6693234B2 (en) Instrument stand
US9715869B1 (en) Banjo stand for seated players
US6130375A (en) Stringed instrument stand
US10037749B2 (en) Apparatus and methods for a collapsible stand for a stringed instrument
US6585315B1 (en) Foldable stool and stringed instrument stand
US20110240807A1 (en) Musical Instrument Stand
KR20210040507A (ko) 색소폰용 스탠드
CA2522417A1 (en) Combination instrument stand and chair
US7900881B2 (en) Musical instrument support stand
KR101850646B1 (ko) 색소폰용 스탠드
EP3532811B1 (en) Apparatus for carrying and supporting musical instruments
US9214141B2 (en) Stand and cradle for double bass and cello
US9305529B1 (en) Guitar rest
KR20210040506A (ko) 관악기용 스탠드
US9526344B2 (en) Support for a musical drum
KR102306367B1 (ko) 색소폰용 스탠드
KR101309117B1 (ko) 현악기 연주용 받침장치
US8403276B2 (en) Vertical support system for musical instruments
US7893332B1 (en) Music instrument stand
US8878038B1 (en) Adjustable percussion mount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