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39584A - Eye protection light rod - Google Patents

Eye protection light ro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39584A
KR20210039584A KR1020190121993A KR20190121993A KR20210039584A KR 20210039584 A KR20210039584 A KR 20210039584A KR 1020190121993 A KR1020190121993 A KR 1020190121993A KR 20190121993 A KR20190121993 A KR 20190121993A KR 20210039584 A KR20210039584 A KR 202100395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housing
light emitting
space
emi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21993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곽의성
Original Assignee
곽의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곽의성 filed Critical 곽의성
Priority to KR10201901219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39584A/en
Publication of KR202100395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39584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L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BEING PORTABLE OR SPECIALLY ADAPTED FOR TRANSPORTATION
    • F21L4/00Electric lighting devices with self-contained electric batteries or cel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1/00Screens not covered by groups F21V1/00, F21V3/00, F21V7/00 or F21V9/00
    • F21V11/02Screens not covered by groups F21V1/00, F21V3/00, F21V7/00 or F21V9/00 using parallel laminae or strips, e.g. of Venetian-blind ty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ight rod capable of eye protection and, more specifically, to a light rod which prevents light of a light rod from being directly irradiated onto the eyes of a user who uses the light rod in a process of taking a hand signal using the light rod, thereby suppressing lowering of health of the eyes of the user.

Description

눈의 보호가 가능한 경광봉{Eye protection light rod}Eye protection light rod

본 발명은 눈의 보호가 가능한 경광봉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경광봉을 이용해 수신호를 취하는 과정에서 경광봉을 사용하는 사용자의 눈으로 경광봉의 조명이 직접적으로 조사되는 것을 방지해 사용자의 눈 건강을 저해시키지 않도록 하는 경광봉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arning light stick capable of protecting the eyes, and more particularly, in the process of receiving a hand signal using the warning light rod, the user's eyes are prevented from being directly irradiated with the light of the warning light. It relates to a gyeonggwangbong that does not impair eye health.

일반적으로 경광봉은, 유도봉, 신호봉 등의 다양한 명칭으로 불리게 되며, 야간에 위험을 알리는 중요 매개체로 사용되는 것으로, 전원이 내장된 손잡이부와, 상기 손잡이부에 연결되어 엘이디 등의 점등에 의해 빛을 발하는 광원부로 구성되고, 상기 광원부는 일정 길이를 갖는 경광관에 삽입되어 있다. In general, a warning light rod is called by various names such as guidance rods, signal rods, etc., and is used as an important medium for notifying danger at night.It is connected to the handle part with built-in power and the light by lighting the LED, etc. It is composed of a light source unit that emits light, and the light source unit is inserted into a light tube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이러한 경광봉은 사용자가 손수 경광봉을 흔드는 동작을 취하여 정지신호, 위험신호, 방향변경신호 등 다른 여러 상황에 대한 신호를 상대방에게 이해시키기 위한 수단으로서 활용된다.These warning lights are used as a means for the other party to understand signals for various situations such as a stop signal, a danger signal, a direction change signal, etc. by a user's hand shaking the warning lamp.

일례로, 도로상에서 공사가 진행되는 경우 도로의 차량소통이 원활하지 못함에 따라 발생 되는 도로의 혼잡을 피하도록 경광봉을 이용해 수신호를 발생시켜 차량의 원활한 소통을 위한 방향을 지시하거나 안내하는데 주로 활용되는 것이다.For example, when construction is underway on the road, it is mainly used to instruct or guide the direction for smooth vehicle communication by generating a hand signal using a warning light bar to avoid congestion on the road caused by poor traffic on the road. It becomes.

종래 경광봉에 관한 기술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772209호에 개시된 바 있으며, 이를 소개하면 다음과 같다.As a technology related to a conventional light rod, it has been disclosed in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1772209, which is introduced as follows.

종래 경광봉은 전원이 내장되며, 외부로 노출된 스위치가 구비된 손잡이부; 상기 손잡이부의 외부 일측으로 노출되며, 상기 전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충전단자부; 상기 손잡이부의 상단부에 결합 되며, 내부에 발광수단이 구비되는 발광부; 상기 발광부의 선단에 구비되며 상기 발광부의 길이방향으로 빛을 조사하도록 구비되는 조명부; 상기 손잡이부의 하단에 구비되는 자석부; 및 상기 스위치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기준으로 상기 발광수단 및 상기 조명부의 발광패턴을 제어하며, 상기 전원의 충전 상태를 감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Conventional light rod has a built-in power, and a handle portion provided with a switch exposed to the outside; A charging terminal part exposed to an outer side of the handle part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power source; A light-emitting unit coupled to the upper end of the handle and having light-emitting means therein; A lighting unit provided at the tip of the light emitting unit and provided to irradiate ligh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light emitting unit; A magnet part provided at the lower end of the handle part; And a control unit that controls the light emitting means and the light emitting pattern of the lighting unit based on a signal input from the switch, and monitors a charging state of the power source.

이와 같은 종래의 경광봉은 발광수단에서 발광되는 빛이 조명부의 사방으로 퍼짐에 따라 시인성은 향상되나, 야간작업시 경광봉을 조작하는 사용자의 눈에 부정적인 영향을 끼치게 된다.As the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emitting means spreads in all directions of the lighting unit, such a conventional warning lamp improves visibility, but negatively affects the eyes of users who operate the warning lamp during night work.

경광봉 수신호는 사용자의 전방을 바라보게 발생시키는 것이 일반적인데, 이 경우 빛이 사방으로 퍼지는 경광봉을 이용해 수신호를 발생시키게 되면 사용자의 안면 앞쪽으로 놓여진 경광봉의 빛이 사용자의 눈을 향해 직접적으로 조사되어 시력 저하, 눈의 피로 등을 초래함은 물론, 심할 경우 두통, 어지럼증 등과 같은 증세까지 유발하기도 한다.It is common to generate the hand signal to look in front of the user.In this case, when the hand signal is generated using a light-spreading light, the light from the light from the front of the user's face is directly irradiated toward the user's eyes. As a result, it can lead to reduced vision and eye strain, as well as symptoms such as headache and dizziness in severe cases.

더욱이, 야간작업시 주변조도가 상대적으로 어둡기 때문에 이러한 상황에서 경광봉에서 발광되는 빛이 눈에 조사될 경우, 위 설명한 문제점이 더욱 심화된다는 것은 자명하다.Moreover, since the ambient illumination is relatively dark during night work, it is obvious that the above-described problem is further exacerbated when light emitted from the warning light is irradiated to the eye in this situation.

즉, 경광봉을 사용하더라도 사용자의 눈에 직접적인 자극이 가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경광봉의 기술 개발이 적극 요구되고 있다.In other words, even if a light stick is used, there is an active need to develop a technology for a light stick to prevent direct irritation to the user's eyes.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772209호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1772209

본 발명은 상기 종래 기술상의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 경광봉을 이용해 수신호를 취하는 과정에서 경광봉을 사용하는 사용자의 눈으로 경광봉의 조명이 직접적으로 조사되는 것을 방지해 사용자의 눈 건강을 저해시키지 않도록 하는 경광봉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was created to solve this problem in consideration of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In the process of taking a hand signal using the light stick, the user's eyes are prevented from being directly irradiated with the lighting of the light stick. Its purpose is to provide a gyeonggwangbong that does not impair eye health.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일측방향으로 직진형 조명을 점등시키고 타측방향으로 확산형 조명을 점등시키는 발광부를 포함하는 경광봉에 있어서, 상기 발광부는, 통형의 발광하우징; 상기 발광하우징의 내공간이 제1 공간과 제2 공간으로 구획되도록 발광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는 제1 구획판; 상기 제1 공간에 설치되어 직진형 조명을 발광시키는 제1 발광모듈; 상기 제2 공간에 설치되는 제2 발광모듈; 및 상기 제2 공간에 설치되어 제2 발광모듈에서 발광되는 조명을 확산시키는 확산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as a means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n a light-emitting unit including a light emitting unit for lighting a straight-type light in one direction and a diffuse type light in the other direction, wherein the light-emitting unit comprises: a cylindrical light-emitting housing; A first partition plate installed inside the light emitting housing so that the inner space of the light emitting housing is divided into a first space and a second space; A first light-emitting module installed in the first space to emit light of a straight light; A second light emitting module installed in the second space; And a diffusion plate installed in the second space to diffuse light emitted from the second light emitting module.

또한, 상기 발광부에 전력을 제공하는 배터리가 내장되는 본체하우징; 및 상기 발광하우징의 개방된 상단을 폐쇄하도록 발광하우징의 상단에 장착되는 커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a main body housing in which a battery for providing power to the light emitting unit is embedded; And a cover mounted on the upper end of the light emitting housing to close the open upper end of the light emitting housing.

또, 상기 발광하우징에는 내주면을 따라 방사상으로 보강돌기가 돌출되며 상기 보강돌기는 발광하우징의 길이방향을 따라 직선으로 연장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light emitting housing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reinforcing protrusions protrude radially along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the reinforcing protrusions are formed to extend in a straight lin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light emitting housing.

또한, 상기 본체하우징의 외측면에는 서로 대향되도록 평면 형태의 파지면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a gripping surface in a planar shape is formed on an outer surface of the main housing to face each other.

또, 제2 공간이 두 개의 설치공간으로 구획되도록 제2 공간의 내부에 설치되는 제2 구획판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발광모듈은 서로 교번적으로 배치된 복수의 제1 청색발광소자 및 제1 적색발광소자를 포함하며, 상기 제2 발광모듈은 각각의 설치공간에 배치되는 제2 청색발광소자 및 제2 적색발광소자를 포함하며, 제1 청색발광소자가 점등되면 이와 연동하여 제2 청색발광소자가 동시에 점등되고, 제1 적색발광소자가 점등되면 이와 연동하여 제2 적색발광소자가 점등되도록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second space further includes a second partition plate installed inside the second space so that the second space is divided into two installation spaces, wherein the first light emitting module comprises a plurality of first blue light emitting devices alternately arranged with each other and A first red light-emitting device is included, and the second light-emitting module includes a second blue light-emitting device and a second red light-emitting device disposed in each installation space, and when the first blue light-emitting device is turned on, a second light-emitting device is interlocked therewith. When the blue light-emitting device is lit at the same time and the first red light-emitting device is lit, the second red light-emitting device is controlled to be lit in conjunction with the first red light-emitting device.

본 발명에 따른 경광봉은 수신호를 취하는 과정에서 경광봉의 일측으로 발광되는 청색 또는 적색의 조명을 경광봉의 타측에서 그대로 확인이 가능한 구조를 갖춤으로써 사용자는 현재 조명의 색을 확인하기 위해 경광봉을 돌려가며 경광봉의 일측에서 발광되는 직진형 조명에 눈을 노출시킬 필요가 없고, 더욱이, 사용자의 시야를 향해 발광되는 조명을 확산형 조명으로 구성함으로써 사용자의 눈이 눈 건강에 해로운 환경에 노출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The light sti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tructure in which blue or red light emitted from one side of the light stick can be checked as it is from the other side of the light stick in the process of taking a hand signal, so that the user rotates the light stick to check the current color of the light. There is no need to expose your eyes to the straight-line light emitted from one side of the light stick, and moreover, by configuring the light emitted toward the user's field of view as a diffused light, the user's eyes can be prevented from being exposed to an environment that is harmful to eye health. Provides a good effect.

도 1 내지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경광봉의 전체적인 외관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경광봉의 사용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4 내지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경광봉의 개략적인 분해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6은 발광하우징의 평면을 도시한 도면.
도 7은 발광부의 단면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8 내지 도 9는 경광봉의 구동모드에 따른 점등상태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10은 본체하우징의 횡단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ㅈ
1 to 2 are views showing the overall appearance of a light r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state of use of the present light rod.
4 to 5 are diagrams showing a schematic exploded configuration of a warning light r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plan view showing a light emitting housing.
7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cross-sectional configuration of a light emitting unit.
8 to 9 are views exemplarily showing the lighting state according to the driving mode of the light bar.
Figure 10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cross-section of the main body housing.

본 발명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어지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In order to fully understand the present invention,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modified in various forms,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detail below. This embodiment is provided to more completely explain the present invention to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Accordingly, the shape of elements in the drawings may be exaggerated to emphasize a more clear description. It should be noted that in each drawing, the same member may be indica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 Detailed descriptions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that are determined to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omitted.

본 발명에 따른 경광봉은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방향으로 직진형 조명을 점등시키고 타측방향으로 확산형 조명을 점등시키는 발광부(100), 상기 발광부(100)에 전력을 제공하는 배터리(B)가 내장되는 본체하우징(200) 및 상기 발광하우징(110)의 개방된 상단을 폐쇄하도록 발광하우징(110)의 상단에 장착되는 커버(300)를 포함하는 것으로 정의될 수 있다.As shown in Figs. 1 to 2, the light-emitting r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power to the light-emitting unit 100 and the light-emitting unit 100 to light up a straight-type light in one direction and a diffuse-type light in the other direction. It may be defined as including a main housing 200 in which the battery B is embedded and a cover 300 mounted on the upper end of the light emitting housing 110 so as to close the open upper end of the light emitting housing 110.

본 발명에 따른 경광봉을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파지한 상태에서 수신호를 발생시키게 되면 사용자 기준 전방 방향인 일측방향으로는 직진형 조명이 발광되고, 사용자를 향하는 타측방향으로는 확산형 조명이 발광된다.When a hand signal is generated while the user grips the warning light r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3, a straight light is emitted in one direction, which is the user's reference front direction, and a diffuse type light is emitted in the other direction toward the user. The light is emitted.

이와 같은 작용에 의해 발생되는 수신호는 일측방향으로 직진되는 조명에 의해 시인성이 개선된 수신호로 표현되고, 타측방향으로 발광되는 조명은 확산되는 조명으로 발광되도록 해 조명이 사용자의 눈으로 직접 조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 hand signal generated by such an action is expressed as a hand signal with improved visibility by the light going straight in one direction, and the light emitted in the other direction is made to emit with diffused light so that the light is directly irradiated to the user's eyes. Can be prevented.

이를 위한 세부구성으로, 발광부(100)는 도 4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형의 발광하우징(110), 상기 발광하우징(110)의 내공간이 제1 공간(121)과 제2 공간(122)으로 구획되도록 발광하우징(110)의 내부에 설치되는 제1 구획판(120), 상기 제1 공간(121)에 설치되어 직진형 조명을 발광시키는 제1 발광모듈(130), 상기 제2 공간(122)에 설치되는 제2 발광모듈(140) 및 상기 제2 공간(122)에 설치되어 제2 발광모듈(140)에서 발광되는 조명을 확산시키는 확산판(150)을 포함하는 것으로 예시될 수 있다.As a detailed configuration for this, as shown in FIGS. 4 to 7, the light emitting unit 100 has a cylindrical light emitting housing 110, and the inner space of the light emitting housing 110 is a first space 121 and a second space. A first partition plate 120 installed inside the light emitting housing 110 to be divided into 122, a first light emitting module 130 installed in the first space 121 to emit straight light, and the first 2 Illustratively comprising a second light emitting module 140 installed in the space 122 and a diffusion plate 150 installed in the second space 122 to diffuse the light emitted from the second light emitting module 140 Can be.

먼저, 발광하우징(110)은 중공의 원통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내부에 수용된 제1 발광모듈(130)과 제2 발광모듈(140)에서 발광되는 조명이 통과될 수 있도록 투명 또는 반투명의 합성수지재질로 이루어진다.First, the light emitting housing 110 may be made of a hollow cylindrical member, and a transparent or semi-transparent synthetic resin material so that the light emitted from the first light emitting module 130 and the second light emitting module 140 accommodated therein can pass. Consists of

발광하우징(110)의 상부로는 커버(300)가 장착되며 하부로는 본체하우징(200)이 장착된다.The cover 300 is mount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light emitting housing 110 and the body housing 200 is mounted on the lower portion.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발광하우징(110)에는 내주면을 따라 방사상으로 보강돌기(111)가 돌출될 수도 있으며, 상기 보강돌기(111)는 발광하우징(1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직선으로 연장 형성된다.6, the light emitting housing 110 may have a reinforcing protrusion 111 protruding radially along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the reinforcing protrusion 111 extends in a straight lin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light emitting housing 110 Is formed.

상기 보강돌기(111)는 사용자가 경광봉을 들고 수신호를 취하는 과정에서 주변 구조물과의 충돌시 발광하우징(110)의 강도를 보강해 파손을 방지하기 위한 수단으로 작용되고, 경우에 따라서는 발광하우징(110)의 내부에 수용된 제1 발광모듈(130)과 제2 발광모듈(140)에서 발광되는 조명을 난반사시켜 발광 효율을 증대시키기도 한다.The reinforcing protrusion 111 acts as a means for preventing damage by reinforcing the strength of the light-emitting housing 110 when a user collides with a surrounding structure in the process of receiving a hand signal while holding a warning light bar, and in some cases, the light-emitting housing The light emitted from the first light emitting module 130 and the second light emitting module 140 accommodated in the interior 110 is diffusely reflected to increase light emission efficiency.

제1 구획판(120)은 발광하우징(110)의 내부에서 발광하우징(1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 설치되는 판상의 부재로 일측면에 제1 발광모듈(130)이, 타측면에 제2 발광모듈(140)이 부설된다.The first partition plate 120 is a plate-shaped member extending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light emitting housing 110 inside the light emitting housing 110, and has a first light emitting module 130 on one side and a second light emitting module 130 on the other side. The light emitting module 140 is attached.

즉, 제1 구획판(120)에 의해 구획된 발광하우징(110)의 제1 공간(121)에는 제1 발광모듈(130)이 배치되고, 제2 공간(122)에는 제2 발광모듈(140)이 배치되어 서로 반대되는 방향으로 조명을 발광시키게 되는 구성을 갖춘다.That is, the first light emitting module 130 is disposed in the first space 121 of the light emitting housing 110 partitioned by the first partition plate 120, and the second light emitting module 140 is disposed in the second space 122. ) Is arranged to emit light in opposite directions.

먼저, 제1 발광모듈(130)은 서로 교번적으로 배치된 복수의 제1 청색발광소자(131) 및 제1 적색발광소자(132)를 포함한다.First, the first light-emitting module 130 includes a plurality of first blue light-emitting devices 131 and first red light-emitting devices 132 that are alternately arranged with each other.

복수의 제1 청색발광소자(131)와 제1 적색발광소자(132)가 제1 구획판(120)의 일측면에서 일렬로 배치되며 동작모드 선택에 따라 제1 청색발광소자(131)와 제1 적색발광소자(132)는 개별동작으로 점등이 이루어지게 된다.A plurality of first blue light-emitting devices 131 and first red light-emitting devices 132 are arranged in a line on one side of the first partition plate 120, and the first blue light-emitting device 131 and the first blue light-emitting device 131 1 The red light-emitting element 132 is turned on by an individual operation.

한편, 본 발명의 설명에서 되는 발광소자들은 청색과 적색 조명을 발광시킬 수 있는 공지의 고출력 LED와 같은 발광수단으로 이루어지도록 해 낮에도 발광되는 조명을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On the other hand, the light-emitting devices used in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made of light-emitting means such as a known high-power LED capable of emitting blue and red lights, so that it is easy to check the lights emitted during the day.

제1 발광모듈(130)과 유사하게, 제2 발광모듈(140)도 청색 조명을 발광시키는 제2 청색발광소자(141) 및 적색 조명을 발광시키는 제2 적색발광소자(142)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Similar to the first light-emitting module 130, the second light-emitting module 140 also includes a second blue light-emitting device 141 for emitting blue light and a second red light-emitting device 142 for emitting red light It consists of.

다만, 상기 제2 청색발광소자(141)와 제2 적색발광소자(142)는 제1 공간(121)에서 서로 교번적인 패턴으로 일렬 배치되는 제1 발광모듈(130)의 세부구성과 달리 제2 공간(122)을 다시 한번 구획해 형성된 제3 공간(123)과 제4 공간(124)에 각각 개별적으로 설치된다.However, the second blue light-emitting device 141 and the second red light-emitting device 142 are different from the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first light-emitting module 130 arranged in a line in an alternating pattern in the first space 121 They are separately installed in the third space 123 and the fourth space 124 formed by dividing the space 122 once again.

이를 위해 발광부(100)는 제2 공간(122)이 두 개의 설치공간, 즉, 제3 공간(123)과 제4 공간(124)으로 구획되도록 제2 공간(122)의 내부에 설치되는 제2 구획판(160)을 더 포함하는 구성을 갖춘다.To this end, the light emitting unit 100 is a first space installed inside the second space 122 so that the second space 122 is divided into two installation spaces, that is, the third space 123 and the fourth space 124. It has a configuration that further includes a partition plate (160).

제2 구획판(160)은 제1 구획판(120)의 타측면에 대해 수직으로 설치되며 내공간이 원통형으로 구성된 발광하우징(110)의 설계를 고려해 반원형 판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second partition plate 160 is installed vertically with respect to the other side of the first partition plate 120 and is preferably made of a semi-circular plate in consideration of the design of the light emitting housing 110 having a cylindrical inner space.

특히, 발광부(100)의 타측방향으로는 확산형 조명이 발광되는데, 이를 위해 제2 발광모듈(140)에서 발광되는 조명은 상기 확산판(150)을 통과해 발광하우징(110)의 외측으로 조사된다.In particular, diffusion-type lighting is emitted in the other direction of the light-emitting unit 100, and for this purpose, the light emitted from the second light-emitting module 140 passes through the diffusion plate 150 to the outside of the light-emitting housing 110. It is investigated.

이를 위해 확산판(150)은 발광하우징(110)의 타측 내주면과 접하게 배치되며 조명의 확산을 위한 반투명 재질의 시트로 이루어지게 된다. 필요에 따라 청색 또는 적생의 컬러 시트로 이루어질 수 있다.To this end, the diffusion plate 150 is disposed in contact with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other side of the light emitting housing 110 and is made of a sheet made of a translucent material for diffusion of illumination. If necessary, it may be made of blue or red color sheets.

제1 청색발광소자(131)와 제2 청색발광소자(141)는 서로 연동되도록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고, 제1 적색발광소자(132)와 제2 적색발광소자(142)가 서로 연동되도록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구성을 갖춘다.The first blue light-emitting device 131 and the second blue light-emitting device 141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and the first red light-emitting device 132 and the second red light-emitting device 142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It has a connected configuration.

즉, 본 발명에 따른 경광봉은 제1 청색발광소자(131)가 점등되면 이와 연동하여 제2 청색발광소자(141)가 동시에 점등되고, 제1 적색발광소자(132)가 점등되면 이와 연동하여 제2 적색발광소자(142)가 점등되도록 제어되는 제어모드를 구현시킬 수 있다.That is, when the first blue light-emitting device 131 is lit, the second blue light-emitting device 141 is simultaneously lit, and when the first red light-emitting device 132 is lit, the light-emitting r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nnected to the first blue light-emitting device 131. 2 It is possible to implement a control mode in which the red light emitting device 142 is controlled to be turned on.

일례로, 상기 제어모드는 청색점등모드와 적색점등모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청색점등모드를 작동시키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청색발광소자(131)와 제2 청색발광소자(141)가 동시에 점등되어 경광봉의 일측으로는 청색의 직진형 조명을, 경광봉의 타측으로는 청색의 확산형 조명을 발광시키게 된다.For example, the control mode may be composed of a blue light mode and a red light mode, and when the blue light mode is activated, the first blue light emitting device 131 and the second blue light emitting device 141 are It is turned on at the same time to emit blue straight light to one side of the light stick and blue diffuse light to the other side of the light stick.

이와 유사하게, 적색점등모드를 작동시키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적색발광소자(132)와 제2 적색발광소자(142)가 동시에 점등되어 경광봉의 일측으로는 적색의 직진형 조명을, 경광봉의 타측으로는 적색의 확산형 조명을 발광시키게 된다.Similarly, when the red light-emitting mode is operated, the first red light-emitting device 132 and the second red light-emitting device 142 are simultaneously lit as shown in FIG. The other side of the light stick emits a red diffused light.

이와 같이 경광봉을 작동시키게 되면 경광봉의 일측으로 발광되는 청색 또는 적색의 조명을 경광봉의 타측에서 그대로 확인이 가능하기 때문에 사용자는 현재 조명의 색을 확인하기 위해 경광봉을 돌려가며 경광봉의 일측에서 발광되는 직진형 조명에 눈을 노출시킬 필요가 없다.When the light is operated in this way, the blue or red light emitted from one side of the light can be checked as it is from the other side of the light, so the user rotates the light to check the current color of the light and emits light from one side of the light. There is no need to expose your eyes to the straight-line lighting.

더욱이,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사용자의 시야를 향해 발광되는 조명은 확산형 조명이기 때문에 사용자의 눈에 부정적인 영향을 끼치지 않게 되는 것이다.Moreover, as shown in FIG. 3, since the illumination emitted toward the user's field of view is a diffuse type illumination, it does not negatively affect the user's eyes.

한편, 경광봉의 조명 색은 수신호를 해석하는데 중요한 지표가 될 수 있다. 예컨대, 적색 조명의 경우, 통행을 금지한다거나, 차량을 서행시키기 위한 색으로 인식되며, 청색 조명의 경우 이와 반대되는 개념으로 인식되는 경우가 대부분이기 때문에 본 발명에 따른 경광봉은 청색과 적색 조명이 서로 구분되어 개별 작동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On the other hand, the color of the light of the light pole can be an important index in interpreting the hand signal. For example, in the case of red lighting, it is recognized as a color for prohibiting traffic or slowing the vehicle, and in the case of blue lighting, in most cases, it is recognized as the opposite concept. It is configured to be separated and operated individually.

이러한 제어모드의 선택은 후술 될 본체하우징(200)에서의 수조작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Selection of such a control mode may be made by manual manipulation in the main housing 20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상기 본체하우징(200)은 사용자가 손으로 파지하기 위한 부분으로, 제어버튼(240), 전원버튼(230), 배터리(B) 충전을 위한 충전아울렛(220) 등이 마련될 수 있다.The body housing 200 is a part for the user to hold by hand, and may include a control button 240, a power button 230, a charging outlet 220 for charging the battery B, and the like.

또한, 도시하지 않았지만, 본체하우징(200) 내부에는 기판이 내장될 수 있고, 상기 기판은 상기 제어버튼(240), 전원버튼(230), 배터리(B), 제1 발광모듈(130), 제2 발광모듈(140) 등을 전기적으로 연결해 배터리(B)의 전원이 각 부재들로 공급되도록 함과 동시에 제어신호가 각 구성들로 전달될 수 있도록 한다.In addition, although not shown, a substrate may be embedded in the main housing 200, and the substrate includes the control button 240, the power button 230, the battery B, the first light emitting module 130, and the first light emitting module 130. 2 By electrically connecting the light emitting module 140, etc., the power of the battery B is supplied to the respective members, and at the same time, the control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respective components.

그리고,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하우징(200)의 외측면에는 서로 대향되도록 평면 형태의 파지면(210)이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10, a gripping surface 210 in a planar shape may be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main body housing 200 so as to face each other.

상기 파지면(210)에 의해 본체하우징(200)을 파지하는 사용자는 무의식으로 항상 동일한 방향으로 경광봉을 파지할 수 있게 된다.A user who holds the main body housing 200 by the gripping surface 210 can unconsciously grip the light bar in the same direction at all times.

종래 대부분의 경광봉은 본 발명의 파지면(210)에 대한 구성은 배제되고 본체하우징(200) 내부로 수용될 배터리(B)의 형태와 동일한 원통형으로 제작되었는데, 이 경우 본체하우징(200)을 간소화시킬 수는 있으나, 경광봉의 파지 방향을 쉽게 특정할 수 없었다.Conventionally, most of the light rods are manufactured in the same cylindrical shape as the shape of the battery B to be accommodated in the main housing 200 without the configuration of the gripping surface 210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is case, the main housing 200 is simplified. Although it could be done, the gripping direction of the light rod could not be easily specified.

즉, 경광봉을 손으로 파지한 뒤 조명이 비춰지는 방향을 항상 눈으로 확인해가며 경광봉의 방향을 적절히 돌려 사용해야 하는 불편함이 뒤따르게 되는 것이다.In other words, after holding the light stick by hand, the direction in which the light is illuminated is always checked with your eyes, and the inconvenience of using the light stick properly rotates.

반면, 본 발명에 따른 경광봉은 본체하우징(200)을 손으로 파지하는 순간 파지면(210)에 의해 경광봉의 방향을 인지할 수 있어 발광부(100)를 눈으로 직접 확인할 필요 없이 항상 동일한 방향으로 경광봉을 들어 올릴 수 있게 되는 것이다.On the other hand, the light sti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recognize the direction of the light stick by the gripping surface 210 as soon as the main body housing 200 is gripped by hand, so that the light emitting unit 100 is always in the same direction without the need to directly check the light emitting unit 100 with the eyes. You will be able to lift the Gyeonggwangbong.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are merely exemplary, and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will appreciate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other equivalent embodiments are possible. Therefore, it will be appreciated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form mention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above. Therefore, the true technical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technical spirit of the appended claims.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to be understood as including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and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substitutes within the scope thereof.

100: 발광부 200: 본체하우징
300: 커버 110: 발광하우징
120: 제1 구획판 130: 제1 발광모듈
140: 제2 발광모듈
100: light-emitting unit 200: main body housing
300: cover 110: light-emitting housing
120: first partition plate 130: first light emitting module
140: second light emitting module

Claims (4)

일측방향으로 직진형 조명을 점등시키고 타측방향으로 확산형 조명을 점등시키는 발광부를 포함하는 경광봉에 있어서,
상기 발광부는,
통형의 발광하우징;
상기 발광하우징의 내공간이 제1 공간과 제2 공간으로 구획되도록 발광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는 제1 구획판;
상기 제1 공간에 설치되어 직진형 조명을 발광시키는 제1 발광모듈;
상기 제2 공간에 설치되는 제2 발광모듈; 및
상기 제2 공간에 설치되어 제2 발광모듈에서 발광되는 조명을 확산시키는 확산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광봉.
In a warning light bar comprising a light emitting unit for lighting a straight-type lighting in one direction and a diffused-type lighting in the other direction,
The light emitting part,
Cylindrical luminous housing;
A first partition plate installed inside the light emitting housing so that the inner space of the light emitting housing is divided into a first space and a second space;
A first light-emitting module installed in the first space to emit light of a straight light;
A second light emitting module installed in the second space; And
And a diffusion plate installed in the second space to diffuse light emitted from the second light emitting modul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발광부에 전력을 제공하는 배터리가 내장되는 본체하우징; 및
상기 발광하우징의 개방된 상단을 폐쇄하도록 발광하우징의 상단에 장착되는 커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광봉.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main body housing in which a battery for providing power to the light emitting unit is embedded; And
And a cover mounted on an upper end of the light emitting housing to close the open upper end of the light emitting housing.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본체하우징의 외측면에는 서로 대향되도록 평면 형태의 파지면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광봉.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A light bar, characterized in that a flat gripping surface is formed on an outer surface of the main housing to face each other.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발광하우징에는 내주면을 따라 방사상으로 보강돌기가 돌출되며 상기 보강돌기는 발광하우징의 길이방향을 따라 직선으로 연장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광봉.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light rod, characterized in that a reinforcing protrusion protrudes radially along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light-emitting housing, and the reinforcing protrusion extends in a straight line along a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light-emitting housing.
KR1020190121993A 2019-10-02 2019-10-02 Eye protection light rod KR20210039584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1993A KR20210039584A (en) 2019-10-02 2019-10-02 Eye protection light ro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1993A KR20210039584A (en) 2019-10-02 2019-10-02 Eye protection light rod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39584A true KR20210039584A (en) 2021-04-12

Family

ID=754399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21993A KR20210039584A (en) 2019-10-02 2019-10-02 Eye protection light rod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39584A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72209B1 (en) 2015-09-08 2017-08-28 이성영 Rechargeable signal stick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72209B1 (en) 2015-09-08 2017-08-28 이성영 Rechargeable signal stick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694626B2 (en) Glow stick
JPH11321455A (en) Interior lighting system
JP2012501050A (en) Illuminable equipment
KR200396903Y1 (en) Portable Light Emitting Device
KR101772209B1 (en) Rechargeable signal stick
KR20210039584A (en) Eye protection light rod
RU2339872C2 (en) Luminous bar illuminated by light-emitting diodes
CN210181804U (en) Multifunctional traffic baton
KR200488305Y1 (en) Multi functional signal stick
JP3087329U (en) Signal light
JP3144332U (en) LED black light
JP6293749B2 (en) Beacon light
KR20240075281A (en) Light stick capable of interchange transparent cover
JP2016130039A (en) Lighting structure for vehicle
US20130016495A1 (en) Structure of candle holder
JPH08161651A (en) Portable signal light
JP3183205U (en) Signal flashlight
KR100548608B1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th light guide light emitting function
KR20110135603A (en) Automotive led lights indirect lighting
JP3095244U (en) Luminous fan
KR200377620Y1 (en) Multi purpose key holder
US20110187551A1 (en) Illuminated door bell
US20070153513A1 (en) Signal lantern
JP2007226689A (en) Refuge area display device
JPH1186601A (en) Led sign lam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