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38225A -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통신을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통신을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38225A
KR20210038225A KR1020190121109A KR20190121109A KR20210038225A KR 20210038225 A KR20210038225 A KR 20210038225A KR 1020190121109 A KR1020190121109 A KR 1020190121109A KR 20190121109 A KR20190121109 A KR 20190121109A KR 20210038225 A KR20210038225 A KR 202100382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pdu session
information
accessory
conn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211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손중제
김성훈
이지철
정상수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211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38225A/ko
Publication of KR202100382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3822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6Authent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70Services for machine-to-machine communication [M2M] or machine type communication [MTC]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0Wireless network protocols or protocol adaptations to wireless operation
    • H04W80/08Upper layer protocols
    • H04W80/10Upper layer protocols adapted for application session management, e.g. SIP [Session Initiation Protoco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통신시스템의 게이트웨이 단말은 부속 단말과 연결이 설정됨에 따라, 상기 무선통신시스템 내의 적어도 하나의 네트워크 엔티티와 PDU (protocol data unit) 세션을 설정하고, 설정된 PDU 세션을 통해 상기 부속 단말과 어플리케이션 서버 간의 인증을 수행하며, 게이트웨이 단말의 URSP(UE Route Selection Policy) 룰에 부속 단말의 룰을 추가하고, 부속 단말의 룰에 기초하여 부속 단말의 트래픽을 지원할 수 있는 PDU 세션을 설정할 수 있다.

Description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통신을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 {METHOD AND APPARATRUS FOR PERFORMING COMMUNIC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본 개시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에 연결 된 부속 단말들의 서비스 요구사항에 맞도록 PDU 세션 연결 설정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4G 통신 시스템 상용화 이후 증가 추세에 있는 무선 데이터 트래픽 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해, 개선된 5G 통신 시스템 또는 pre-5G 통신 시스템을 개발하기 위한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이유로, 5G 통신 시스템 또는 pre-5G 통신 시스템은 4G 네트워크 이후 (Beyond 4G Network) 통신 시스템 또는 LTE 시스템 이후 (Post LTE) 이후의 시스템이라 불리어지고 있다. 높은 데이터 전송률을 달성하기 위해, 5G 통신 시스템은 초고주파 (mmWave) 대역 (예를 들어, 60기가 (60GHz) 대역과 같은)에서의 구현이 고려되고 있다. 초고주파 대역에서의 전파의 경로손실 완화 및 전파의 전달 거리를 증가시키기 위해, 5G 통신 시스템에서는 빔포밍 (beamforming), 거대 배열 다중 입출력 (massive MIMO), 전차원 다중입출력 (full dimensional MIMO, FD-MIMO), 어레이 안테나 (array antenna), 아날로그 빔형성 (analog beam-forming), 및 대규모 안테나 (large scale antenna) 기술들이 논의되고 있다. 또한 시스템의 네트워크 개선을 위해, 5G 통신 시스템에서는 진화된 소형 셀, 개선된 소형 셀 (advanced small cell), 클라우드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cloud radio access network: cloud RAN), 초고밀도 네트워크 (ultra-dense network), 기기 간 통신 (Device to Device communication: D2D), 무선 백홀 (wireless backhaul), 이동 네트워크 (moving network), 협력 통신 (cooperative communication), CoMP (Coordinated Multi-Points), 및 수신 간섭제거 (interference cancellation) 등의 기술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 밖에도, 5G 시스템에서는 진보된 코딩 변조(Advanced Coding Modulation: ACM) 방식인 FQAM (Hybrid FSK and QAM Modulation) 및 SWSC (Sliding Window Superposition Coding)과, 진보된 접속 기술인 FBMC (Filter Bank Multi Carrier), NOMA (non orthogonal multiple access), 및 SCMA (sparse code multiple access) 등이 개발되고 있다.
한편, 인터넷은 인간이 정보를 생성하고 소비하는 인간 중심의 연결 망에서, 사물 등 분산된 구성 요소들 간에 정보를 주고 받아 처리하는 IoT (Internet of Things, 사물인터넷) 망으로 진화하고 있다. 클라우드 서버 등과의 연결을 통한 빅데이터 (Big data) 처리 기술 등이 IoT 기술에 결합된 IoE (Internet of Everything) 기술도 대두되고 있다. IoT를 구현하기 위해서, 센싱 기술, 유무선 통신 및 네트워크 인프라, 서비스 인터페이스 기술, 및 보안 기술과 같은 기술 요소 들이 요구되어, 최근에는 사물간의 연결을 위한 센서 네트워크 (sensor network), 사물 통신 (Machine to Machine, M2M), MTC (Machine Type Communication) 등의 기술이 연구되고 있다. IoT 환경에서는 연결된 사물들에서 생성된 데이터를 수집, 분석하여 인간의 삶에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는 지능형 IT (Internet Technology) 서비스가 제공될 수 있다. IoT는 기존의 IT (information technology) 기술과 다양한 산업 간의 융합 및 복합을 통하여 스마트홈, 스마트 빌딩, 스마트 시티, 스마트 카 혹은 커넥티드 카, 스마트 그리드, 헬스 케어, 스마트 가전, 첨단의료서비스 등의 분야에 응용될 수 있다.
이에, 5G 통신 시스템을 IoT 망에 적용하기 위한 다양한 시도들이 이루어지고 있다. 예를 들어, 센서 네트워크 (sensor network), 사물 통신 (Machine to Machine, M2M), MTC (Machine Type Communication) 등의 기술이 5G 통신 기술이 빔 포밍, MIMO, 및 어레이 안테나 등의 기법에 의해 구현되고 있는 것이다. 앞서 설명한 빅데이터 처리 기술로써 클라우드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cloud RAN)가 적용되는 것도 5G 기술과 IoT 기술 융합의 일 예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것과 이동통신 시스템의 발전에 따라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됨으로써, 이러한 서비스들을 효과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방안이 요구되고 있다.
본 개시는 이동통신 단말에 연결된 부속 단말들이 이동통신 단말을 통하여 통신 연결 서비스를 제공 받을 때, 부속 단말들이 제공하고자 하는 서비스들의 요구 사항을 만족할 수 있도록,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이동통신 단말에 연결된 부속 단말들을 인지하고, 이동통신 시스템과 이동통신 단말 사이에서 부속 단말의 서비스에 해당하는 QoS를 지원하는 PDU 세션 연결을 설정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통신시스템의 게이트웨이 단말은 부속 단말과 연결이 설정됨에 따라, 상기 무선통신시스템 내의 적어도 하나의 네트워크 엔티티와 PDU (protocol data unit) 세션을 설정하고, 설정된 PDU 세션을 통해 상기 부속 단말과 어플리케이션 서버 간의 인증을 수행하며, 게이트웨이 단말의 URSP(UE Route Selection Policy)룰에 부속 단말의 룰을 추가하고, 부속 단말의 룰에 기초하여 부속 단말의 트래픽을 지원할 수 있는 PDU 세션을 설정할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App 서버의 요청에 따라 이동통신 시스템과 게이트웨이 단말 간의 PDU 세션을 설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게이트웨이 단말의 요청에 따른 이동통신 시스템과 게이트웨이 단말 간의 PDU 세션을 설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부속 단말과 게이트웨이 단말 간의 연결을 설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구조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엔티티의 구조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4G 통신 시스템 상용화 이후 증가 추세에 있는 무선 데이터 트래픽 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해, 개선된 5G 통신 시스템 또는 pre-5G 통신 시스템을 개발하기 위한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이유로, 5G 통신 시스템 또는 pre-5G 통신 시스템은 4G 네트워크 이후 (Beyond 4G Network) 통신 시스템 또는 LTE 시스템 이후 (Post LTE) 이후의 시스템이라 불리어지고 있다. 높은 데이터 전송률을 달성하기 위해, 5G 통신 시스템은 초고주파 (mmWave) 대역 (예를 들어, 60기가 (60GHz) 대역과 같은)에서의 구현이 고려되고 있다. 초고주파 대역에서의 전파의 경로손실 완화 및 전파의 전달 거리를 증가시키기 위해, 5G 통신 시스템에서는 빔포밍 (beamforming), 거대 배열 다중 입출력 (massive MIMO), 전차원 다중입출력 (full dimensional MIMO, FD-MIMO), 어레이 안테나 (array antenna), 아날로그 빔형성 (analog beam-forming), 및 대규모 안테나 (large scale antenna) 기술들이 논의되고 있다. 또한 시스템의 네트워크 개선을 위해, 5G 통신 시스템에서는 진화된 소형 셀, 개선된 소형 셀 (advanced small cell), 클라우드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cloud radio access network: cloud RAN), 초고밀도 네트워크 (ultra-dense network), 기기 간 통신 (Device to Device communication: D2D), 무선 백홀 (wireless backhaul), 이동 네트워크 (moving network), 협력 통신 (cooperative communication), CoMP (Coordinated Multi-Points), 및 수신 간섭제거 (interference cancellation) 등의 기술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 밖에도, 5G 시스템에서는 진보된 코딩 변조(Advanced Coding Modulation: ACM) 방식인 FQAM (Hybrid FSK and QAM Modulation) 및 SWSC (Sliding Window Superposition Coding)과, 진보된 접속 기술인 FBMC (Filter Bank Multi Carrier), NOMA (non orthogonal multiple access), 및 SCMA (sparse code multiple access) 등이 개발되고 있다.
한편, 인터넷은 인간이 정보를 생성하고 소비하는 인간 중심의 연결 망에서, 사물 등 분산된 구성 요소들 간에 정보를 주고 받아 처리하는 IoT (Internet of Things, 사물인터넷) 망으로 진화하고 있다. 클라우드 서버 등과의 연결을 통한 빅데이터 (Big data) 처리 기술 등이 IoT 기술에 결합된 IoE (Internet of Everything) 기술도 대두되고 있다. IoT를 구현하기 위해서, 센싱 기술, 유무선 통신 및 네트워크 인프라, 서비스 인터페이스 기술, 및 보안 기술과 같은 기술 요소 들이 요구되어, 최근에는 사물간의 연결을 위한 센서 네트워크 (sensor network), 사물 통신 (Machine to Machine, M2M), MTC (Machine Type Communication) 등의 기술이 연구되고 있다. IoT 환경에서는 연결된 사물들에서 생성된 데이터를 수집, 분석하여 인간의 삶에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는 지능형 IT (Internet Technology) 서비스가 제공될 수 있다. IoT는 기존의 IT (information technology) 기술과 다양한 산업 간의 융합 및 복합을 통하여 스마트홈, 스마트 빌딩, 스마트 시티, 스마트 카 혹은 커넥티드 카, 스마트 그리드, 헬스 케어, 스마트 가전, 첨단의료서비스 등의 분야에 응용될 수 있다.
이에, 5G 통신 시스템을 IoT 망에 적용하기 위한 다양한 시도들이 이루어지고 있다. 예를 들어, 센서 네트워크 (sensor network), 사물 통신 (Machine to Machine, M2M), MTC (Machine Type Communication) 등의 기술이 5G 통신 기술이 빔 포밍, MIMO, 및 어레이 안테나 등의 기법에 의해 구현되고 있는 것이다. 앞서 설명한 빅데이터 처리 기술로써 클라우드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cloud RAN)가 적용되는 것도 5G 기술과 IoT 기술 융합의 일 예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것과 이동통신 시스템의 발전에 따라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됨으로써, 이러한 서비스들을 효과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방안이 요구되고 있다. 4G 통신 시스템 상용화 이후 증가 추세에 있는 무선 데이터 트래픽 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해, 개선된 5G 통신 시스템 또는 pre-5G 통신 시스템을 개발하기 위한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이유로, 5G 통신 시스템 또는 pre-5G 통신 시스템은 4G 네트워크 이후 (Beyond 4G Network) 통신 시스템 또는 LTE 시스템 이후 (Post LTE) 이후의 시스템이라 불리어지고 있다. 높은 데이터 전송률을 달성하기 위해, 5G 통신 시스템은 초고주파 (mmWave) 대역 (예를 들어, 60기가 (60GHz) 대역과 같은)에서의 구현이 고려되고 있다. 초고주파 대역에서의 전파의 경로손실 완화 및 전파의 전달 거리를 증가시키기 위해, 5G 통신 시스템에서는 빔포밍 (beamforming), 거대 배열 다중 입출력 (massive MIMO), 전차원 다중입출력 (full dimensional MIMO, FD-MIMO), 어레이 안테나 (array antenna), 아날로그 빔형성 (analog beam-forming), 및 대규모 안테나 (large scale antenna) 기술들이 논의되고 있다. 또한 시스템의 네트워크 개선을 위해, 5G 통신 시스템에서는 진화된 소형 셀, 개선된 소형 셀 (advanced small cell), 클라우드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cloud radio access network: cloud RAN), 초고밀도 네트워크 (ultra-dense network), 기기 간 통신 (Device to Device communication: D2D), 무선 백홀 (wireless backhaul), 이동 네트워크 (moving network), 협력 통신 (cooperative communication), CoMP (Coordinated Multi-Points), 및 수신 간섭제거 (interference cancellation) 등의 기술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 밖에도, 5G 시스템에서는 진보된 코딩 변조(Advanced Coding Modulation: ACM) 방식인 FQAM (Hybrid FSK and QAM Modulation) 및 SWSC (Sliding Window Superposition Coding)과, 진보된 접속 기술인 FBMC (Filter Bank Multi Carrier), NOMA (non orthogonal multiple access), 및 SCMA (sparse code multiple access) 등이 개발되고 있다.
한편, 인터넷은 인간이 정보를 생성하고 소비하는 인간 중심의 연결 망에서, 사물 등 분산된 구성 요소들 간에 정보를 주고 받아 처리하는 IoT (Internet of Things, 사물인터넷) 망으로 진화하고 있다. 클라우드 서버 등과의 연결을 통한 빅데이터 (Big data) 처리 기술 등이 IoT 기술에 결합된 IoE (Internet of Everything) 기술도 대두되고 있다. IoT를 구현하기 위해서, 센싱 기술, 유무선 통신 및 네트워크 인프라, 서비스 인터페이스 기술, 및 보안 기술과 같은 기술 요소 들이 요구되어, 최근에는 사물간의 연결을 위한 센서 네트워크 (sensor network), 사물 통신 (Machine to Machine, M2M), MTC (Machine Type Communication) 등의 기술이 연구되고 있다. IoT 환경에서는 연결된 사물들에서 생성된 데이터를 수집, 분석하여 인간의 삶에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는 지능형 IT (Internet Technology) 서비스가 제공될 수 있다. IoT는 기존의 IT (information technology) 기술과 다양한 산업 간의 융합 및 복합을 통하여 스마트홈, 스마트 빌딩, 스마트 시티, 스마트 카 혹은 커넥티드 카, 스마트 그리드, 헬스 케어, 스마트 가전, 첨단의료서비스 등의 분야에 응용될 수 있다.
이에, 5G 통신 시스템을 IoT 망에 적용하기 위한 다양한 시도들이 이루어지고 있다. 예를 들어, 센서 네트워크 (sensor network), 사물 통신 (Machine to Machine, M2M), MTC (Machine Type Communication) 등의 기술이 5G 통신 기술이 빔 포밍, MIMO, 및 어레이 안테나 등의 기법에 의해 구현되고 있는 것이다. 앞서 설명한 빅데이터 처리 기술로써 클라우드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cloud RAN)가 적용되는 것도 5G 기술과 IoT 기술 융합의 일 예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것과 이동통신 시스템의 발전에 따라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됨으로써, 이러한 서비스들을 효과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방안이 요구되고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라 App 서버의 요청에 따른 이동통신 시스템과 게이트웨이 단말 간의 PDU 세션 설정 절차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개시에서 부속 단말은 이동통신 단말과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어 이동통신 단말이 제공해주는 통신 연결 서비스를 사용하고 이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기능을 포함하는 장치들을 포함할 수 있다. 부속 단말은 AR/VR 기기, Connected health 기기, smart watch, 블루투스 헤드셋 또는 블루투스 이어폰, 마우스/키보드 등의 다양한 기기 형태 일 수 있으나 이는 일 예일 뿐, 부속 단말이 전술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개시의 게이트웨이 단말은 이동통신 단말의 일종으로 이동통신 시스템에 등록하고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제공해주는 통신 연결 서비스를 통해서 부속 단말에게 통신 연결 서비스를 제공해 줄 수 있는 단말을 포함할 수 있다. 게이트웨이 단말은 스크린 등의 사용자 UI를 가지고 있는 일반 휴대 전화와 같은 형태 또는 사용자 UI를 가지고 있지 않은 모뎀 장치와 같은 형태 들을 포함한 다양한 형태일 수 있다.
부속 단말은 블루투스, 와이파이 등의 무선 Access 기술 또는 유선 Access 기술을 통해서 게이트웨이 단말에 연결될 수 있다. 이때, 게이트웨이 단말의 이동통신 망 밖에서 이동통신 가입자 임을 인지할 수 있는 공개 가입자 정보(GPSI, generic public subscription identifier) 등의 값을 획득할 수 있다.
단계 0에서, 부속 단말과 게이트웨이 단말은 서로 연결될 수 있다.
단계 1에서, 게이트웨이 단말은 이동통신 시스템과 기존에 PDU 세션 연결 설정 절차를 완료할 수 있다. 여기에서, 이동통신 시스템은 예를 들어, 기지국, AMF, SMF1, UPF1을 포함할 수 있다. 게이트웨이 단말은 PDU 세션 연결을 통해서 부속 단말에게 통신 연결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게이트웨이 단말은, 필요하다고 판단되는 경우, 부속 단말 등의 연결을 위해서 별도의 PDU 세션 연결 설정 절차를 이동통신 시스템과 수행하고 해당 PDU 세션 연결을 통해서 부속 단말에게 통신 연결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단계 2에서, 부속 단말은 Gateway 단말을 통해서 Application 서버와 연결하여 Application 서버와 인증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이때, 부속 단말은 Gateway 단말의 GPSI 값을 Application 서버에 제공해 줄 수 있다.
부속 단말과의 인증 절차를 수행한 후에, 단계 3에서 Application 서버는 이동통신 시스템의 UDM 또는 PCF에 연결하여 게이트웨이 단말의 PDU 세션 컨텍스트에 부속 단말 연결을 위한 PDU 세션 컨텍스트를 추가할 수 있다. Application 서버는 게이트웨이 단말과 부속 단말이 연결되어 있음을 UDM에 알리고, 부속 단말의 데이터 연결을 위해서 필요한 PDU 세션의 설정 정보 및 부속 단말과의 서비스 데이터 연결을 구별할 수 있는 서비스 데이터 플로우 (Service Data Flow)의 구별 정보 및 관련한 QoS 요구사항 정보 등을 제공할 수 있다.
이때, Application 서버는 게이트웨이 단말의 GPSI 또는 부속 단말과의 인증 절차를 수행할 때 수신한 패킷에 포함된 IP 주소 등을 사용하여 게이트웨이 단말의 정보를 UDM 또는 PCF에게 알릴 수 있다. 또한, 부속 단말의 MAC address 등의 HW 주소 또는 부속 단말이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할당 받았던 사용자 ID 등의 정보를 포함하여서 게이트웨이 단말에 연결된 부속 단말을 지칭 할 수 있다.
상기 부속 단말의 데이터 연결을 위해서 필요한 PDU 세션의 설정 정보는 상기 부속 단말의 PDU 세션을 지원하도록 설정된 네트워크 슬라이스가 있는 경우, 관련 네트워크 슬라이스를 지칭할 수 있는 ID 등을 포함하는 네트워크 슬라이스 정보, 해당 PDU 세션이 연결되는 데이터 네트워크를 구별할 수 있는 데이터 네트워크 이름 (DNN), 해당 PDU 세션의 사용 관련한 Maximum Data Rate 또는 data size limit 등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또 다른 실시 예로 Application 서버는 NEF를 통하여 UDM/UDR 또는 PCF와 연결할 수 있다. 이때, Application 서버가 NEF에게 전달하는 정보는 상기 게이트웨이 단말의 GPSI 또는 IP 주소, 부속 단말을 지칭할 수 있는 MAC Address 등의 주소 또는 사용자 ID, 게이트웨이 단말에 부속 단말이 연결되어 있음을 알리는 정보, 부속 단말의 데이터 연결을 위해서 필요한 PDU 세션의 설정 정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NEF는 해당 정보를 UDM/UDR 또는 PCF 등에 전달 할 수 있다.
단계 3에서, App 서버에게서 요청을 수신한 UDM/UDR은 게이트웨이 단말의 PDU 세션 컨텍스트에 부속 단말 연결을 위한 PDU 세션 컨텍스트를 추가할 수 있다. UDM/UDR은 App서버의 요청에 포함된 게이트웨이 단말과 연관된 PDU 세션의 설정 정보 및 관련한 부속 단말의 정보(MAC Address 등의 주소 또는 사용자 ID 등의 정보)를 UDM/UDR에서 관리하는 게이트웨이 단말의 정보에 업데이트 할 수 있다.
단계 4에서, App서버에게서 요청을 수신한 PCF는 게이트웨이 단말의 policy에 부속 단말 연결을 위한 PDU 세션 관련 policy를 추가하고, URSP(UE Route Selection Policy)룰을 추가할 수 있다.
PCF는 App서버의 요청에 포함된 게이트웨이 단말과 연결된 부속 단말의 정보(MAC Address 등의 주소 또는 사용자 ID 등의 정보), 부속 단말의 서비스 연결을 구별할 수 있는 Service Data Flow 정보 및 서비스 요구사항을 만족하기 위한 QoS 관련 정보 등을 PCF에서 관리하는 게이트웨이 단말의 정보에 업데이트 할 수 있다. Service Data Flow 정보는 서비스가 제공되는 IP filter 정보 등의 Service Data Flow를 구별할 수 있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PCF는 App서버에게서 요청한 정보를 기반으로 단말의 PDU 세션 설정 시 참조할 수 있는 URSP (UE Route Selection Policy)에 상기 부속 단말의 PDU 세션 설정을 위한 정보를 업데이트 할 수 있다.
단계 5에서, PCF는 업데이트된 URSP 룰에 관한 정보를 AMF를 통해서 단말에게 전송할 수 있다. AMF를 통해 게이트웨이 단말의 URSP 룰에 부속 단말 연결을 위한 룰이 업데이트될 수 있다.
단계 6에서, 게이트웨이 단말은 부속 단말의 데이터를 수신한 후에, 이를 게이트웨이 단말에 저장된 URSP에서 해당 부속 단말의 해당 데이터에 맞는 Traffic Descriptor가 있는지 확인할 수 있다. 만일 해당 부속 단말의 해당 데이터에 맞는 Traffic Descriptor가 존재하면 해당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한 PDU 연결 관련 규칙(Route Selection Descriptor)에 따라서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다. 만일 해당 PDU 연결 관련 규칙에서 규정된 요구사항을 만족하는 PDU 세션이 존재하는 경우, 해당 PDU 세션으로 데이터를 전송한다. 만일 해당 PDU 연결 관련 규칙에서 규정된 요구사항을 만족하는 PDU 세션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게이트웨이 단말은 해당 PDU 세션을 만들기 위한 PDU 세션 연결 요청을 이동통신 망에게 전송한다. 예를 들어, 단계 7에서 게이트웨이 단말은 부속 단말의 트래픽을 지원할 수 있는 PDU 세션 연결 요청을 AMF에 전송할 수 있다. 이때, 게이트웨이 단말은 PDU 세션 연결 요청에 해당 PDU 세션 연결 요청이 부속 단말의 데이터를 지원하기 위한 PDU 세션 연결 요청 임을 알리기 위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부속 단말의 데이터를 지원하기 위한 PDU 세션 연결 요청 임을 알릴 수 있는 정보로 부속 단말의 ID (일 예로 부속 단말의 H/W 주소 또는 부속 단말에 연결된 사용자 ID 등) 등의 정보 들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게이트웨이 단말에게서 PDU 세션 연결 요청을 수신한 AMF는 상기 단계 8에서, PDU 세션 연결 요청을 처리할 수 있는 SMF로 SMF2를 선택하고 SMF2에게 수신한 PDU 세션 연결 요청을 전달할 수 있다. 상기 SMF2는 일 실시예에 따라 SMF1과 동일한 SMF가 선택될 수도 있고, 다른 실시예에 따라, 다른 SMF가 선택될 수도 있다.
단계 9에서, PDU 세션 연결 요청을 수신한 SMF2는 해당 PDU 세션 연결 요청이 부속 단말의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한 연결 요청임을 확인하고 PCF와 상기 PDU 세션 연결 요청을 지원할 수 있는 PDU 세션 관련 Policy 연결을 설정할 수 있다. 이때, SMF2는 PCF에게 부속 단말의 ID 등의 정보 및 PDU 세션 관련 정보 들을 포함하여 PDU 세션 관련 Policy 연결 요청을 PCF에게 전달할 수 있다.
PCF는 SMF2에서 수신한 Policy 연결 요청에서 부속 단말의 ID의 정보를 확인하고 해당 PDU 세션이 부속 단말의 데이터를 지원하기 위한 PDU 세션 연결 요청 임을 확인하고 관련 PDU 세션 관련 정책 및 과금 정책 등을 수립할 수 있다. PCF는 수립된 PDU 세션 관련 정책 및 PDU 세션에서 주고 받을 데이터들을 처리하기 위한 QoS 정보 등을 SMF2에게 회신할 수 있다.
단계 10에서, SMF2는 PCF에서 수신한 PDU 세션 관련 정책 및 데이터 처리를 위한 QoS 정보 들을 기반으로 해당 PDU 세션의 데이터 처리에 관련한 규칙들을 UPF2에게 업데이트 할 수 있다. UPF2는 상기 PDU 세션의 데이터를 처리하도록 선택된 UPF이며 UPF1과 동일한 UPF이거나 다른 UPF일 수 있다.
단계 11에서, SMF2는 기지국과 게이트웨이 단말에게 상기 PDU 세션을 통한 데이터를 지원할 수 있도록 해당 PDU 세션 정보 및 PDU 세션 관련 데이터 및 QoS 처리 방법 등을 포함한 시그널링 메시지를 전달할 수 있다. 이때, SMF2는 게이트웨이 단말에게 상기 PDU 세션 연결 요청이 성공적으로 수립되었음을 알리는 PDU 세션 연결 요청에 대한 회신을 포함하여 전달하거나 별도의 메시지로 전달할 수 있다.
게이트웨이 단말은 이동통신 망에서 PDU 세션 연결 요청에 대한 회신을 수신하고 이후, 단계 12에서 상기 수신한 PDU 세션 정보 및 PDU 세션 관련 데이터 처리 방법 및 QoS 처리 방법을 따라서 부속 단말로부터 수신한 데이터 및 부속 단말로 전달해야하는 데이터들을 기지국과 주고 받을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URSP는 아래와 같은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URSP (UE Route Selection Policy)
Information name Description Category PCF permitted to modify in a UE context Scope
Rule Precedence Determines the order the URSP rule is enforced in the UE. Mandatory
(NOTE 1)
Yes UE context
Traffic descriptor This part defines the Traffic descriptor components for the URSP rule. Mandatory
(NOTE 3)
- Application descriptors It consists of OSId and OSAppId(s). (NOTE 2) Optional Yes UE context
- IP descriptors (NOTE 5) Destination IP 3 tuple(s) (IP address or IPv6 network prefix, port number, protocol ID of the protocol above IP). Optional Yes UE context
- Domain descriptors Destination FQDN(s) Optional Yes UE context
- Non-IP descriptors (NOTE 5) Descriptor(s) for destination information of non-IP traffic Optional Yes UE context
- DNN This is matched against the DNN information provided by the application. Optional Yes UE context
- Connection Capabilities This is matched against the information provided by a UE application when it requests a network connection with certain capabilities. (NOTE 4) Optional Yes UE context
- peripheral device descriptors This is matched against the information provided by a UE when there is a peripheral device which try to getting a network connection with specific QoS handling through the UE : type of peripheral device, Peripheral device's MAC Address or User ID associated with peripheral device Optional Yes UE context
List of Route Selection Descriptors A list of Route Selection Descriptors. The components of a Route Selection Descriptor are described in table 6.6.2.1-3. Mandatory
Rule Precedence Determines the order the URSP rule is enforced in the UE Mandatory
(NOTE 1)
Yes UE context
NOTE 1: Rules in a URSP shall have different precedence values.
NOTE 2: The information is used to identify the Application(s) that is(are) running on the UE's OS. The OSId does not include an OS version number. The OSAppId does not include a version number for the application.
NOTE 3: At least one of the Traffic descriptor components shall be present.
NOTE 4: The format and some values of Connection Capabilities, e.g. "ims", "mms", "internet", "Tethering", "Multi-User connection" etc., are defined in TS 24.526 [19]. More than one connection capabilities value can be provided.
NOTE 5: A URSP rule cannot contain the combination of the Traffic descriptor components IP descriptors and Non-IP descriptors.
[표 1]과 같이, 일 실시 예에 따르면, URSP의 Traffic Descriptor의 Connection Capability에 “Multi-User Connection”이라는 식별자가 포함될 수 있다. “Multi-User Connection”이라는 식별자는 해당 단말의 어플리케이션 혹은 OS가 여러 사용자에게 데이터 연결을 지원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단말은 어플리케이션 혹은 OS의 데이터 연결 요청이 있는 경우, Traffic Descriptor의 Connection Capability에 포함된 “Multi-User Connection”이라는 식별자에 기초하여, 이러한 요청이 Connection Capability의 “Multi-User Connection”에 해당하는 요청이라는 것을 판단할 수 있다. 즉, 단말은 어플리케이션 혹은 OS로부터 받은 '여러 사용자 지원을 위한' 데이터 연결 요청에 대해서,Traffic Descriptor의 Connection Capability가 적용되는 것이라고 판단할 수 있다.또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URSP의 Traffic Descriptor의 Connection Capability에 “Tethering”이라는 식별자가 포함될 수 있다. “Tethering”이라는 식별자는 해당 단말의 어플리케이션 혹은 OS가 테더링(tethering)을 통해 다른 단말 혹은 다른 사용자에게 데이터 연결을 지원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단말은 어플리케이션 혹은 OS의 데이터 연결 요청이 있는 경우, Traffic Descriptor의 Connection Capability에 포함된 “Tethering”이라는 식별자에 기초하여, 이러한 요청이 Connection Capability의 “Tethering”에 해당하는 요청이라는 것을 판단할 수 있다. 즉, 단말은 어플리케이션 혹은 OS로부터 받은 테더링을 위한 데이터 연결 요청에 대해서 Traffic Descriptor의 Connection Capability가 적용되는 것이라고 판단한다.
또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Traffic Descriptor는 Peripheral Device Descriptor에 부속 단말의 단말 타입 또는, H/W 주소, 예를 들어 MAC Address, 또는 부속 단말에서 사용되는 사용자 ID (User ID)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게이트웨이 단말은 부속 단말이 게이트웨이 단말에 연결될 때, 해당 부속 단말의 H/W 주소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게이트웨이 단말은 부속 단말과 게이트웨이 단말 간의 연결을 통해서 부속 단말이 사용하는 사용자 ID의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만일 특정 부속 단말이 게이트웨이 단말에게 연결되어서 데이터를 주고받고자 하는 경우, 게이트웨이 단말은 부속 단말에서의 데이터를 수신하고 이를 단말의 URSP 처리부(또는 URSP를 처리하는 Layer)는 해당 부속 단말의 H/W 주소 정보 또는 부속 단말과 연결된 사용자 ID가 Traffic Descriptor의 Peripheral Device Descriptor에 해당하는 정보와 매칭이 되는지 확인할 수 있다. 이때, Peripheral Device Descriptor에서 사용되는 사용자 ID는 NAI(Network Access Identifier) 형식일 수 있다. 예를 들면, user_name@domain.com의 형식일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ID는 복수 개가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사용자에 대해서 같은 Route Selection을 적용해야 할 경우, Traffic Descriptor의 Peripheral Device Descriptor에 포함된 사용자 ID(User ID) 정보에 복수개의 사용자 ID를 포함하여 단말에게 전달할 수 있다. 이를 수신한 게이트웨이 단말은 사용자 ID 정보에 포함된 복수개의 사용자 ID에 해당하는 부속 단말 또는 부속 단말에 연결된 사용자의 ID들이 모두 Traffic Descriptor에 매치된다고 판단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실시예에 따라, 게이트웨이 단말은 부속 단말이 게이트웨이 단말에 연결될 때, 해당 부속 단말의 타입을 확인할 수 있다. 부속 단말의 타입은 부속 단말이 수행하는 기능 또는 부속 단말이 지원하는 성능 캐퍼빌리티에 따라 단말을 분류한 결과이다. 예를 들어, 부속 단말의 타입은 부속 단말의 기능에 따라 AR/VR 기기, Connected health 기기, smart watch, 블루투스 헤드셋 또는 블루투스 이어폰, 마우스/키보드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며, 부속 단말이 지원하는 성능에 따라 전술한 타입에서 보다 세부적으로 부속 단말의 타입이 분류될 수도 있다.
Traffic Descriptor에 따라 식별된 데이터 연결 요청에 대해서 수행해야 할 Route Selection 정보의 리스트, 즉, [표 1] 의 List of Route Selection Descriptors는 아래 [표 2]와 같이 구성될 수 있다.
Route Selection Descriptor
Information name Description Category PCF permitted to modify in URSP Scope
Route Selection Descriptor Precedence Determines the order in which the Route Selection Descriptors are to be applied. Mandatory
(NOTE 1)
Yes UE context
Route selection components This part defines the route selection components Mandatory
(NOTE 2)
SSC Mode Selection One single value of SSC mode.(NOTE 5) Optional Yes UE context
Network Slice Selection Either a single value or a list of values of S-NSSAI(s). Optional(NOTE 3) Yes UE context
DNN Selection Either a single value or a list of values of DNN(s).There can be dedicated DNN for Tethering Optional Yes UE context
PDU Session Type Selection One single value of PDU Session Type Optional Yes UE context
Non-Seamless Offload indication Indicates if the traffic of the matching application is to be offloaded to non-3GPP access outside of a PDU Session. Optional(NOTE 4) Yes UE context
Access Type preference Indicates the preferred Access Type (3GPP or non-3GPP or Multi-Access) when the UE establishes a PDU Session for the matching application. Optional Yes UE context
Route Selection Validation Criteria(NOTE 6) This part defines the Route Validation Criteria components Optional
Time Window The time window when the matching traffic is allowed. The RSD is not considered to be valid if the current time is not in the time window. Optional Yes UE context
Location Criteria The UE location where the matching traffic is allowed. The RSD rule is not considered to be valid if the UE location does not match the location criteria. Optional Yes UE context
NOTE 1: Every Route Selection Descriptor in the list shall have a different precedence value.
NOTE 2: At least one of the route selection components shall be present.
NOTE 3: When the Subscription Information contains only one S-NSSAI in UDR, the PCF needs not provision the UE with S-NSSAI in the Network Slice Selection information. The "match all" URSP rule has one S-NSSAI at most.
NOTE 4: If this indication is present in a Route Selection Descriptor, no other components shall be included in the Route Selection Descriptor.
NOTE 5: The SSC Mode 3 shall only be used when the PDU Session Type is IP.
NOTE 6: The Route Selection Descriptor is not considered valid unless all the provided Validation Criteria are met.
NOTE 7: In this Release of specification, inclusion of the Validation Criteria in Roaming scenarios is not considered.
NOTE 8: When the PDU Session Type is "Ethernet" or "Unstructured", this component shall be present.
[표 2]와 같이,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DNN Selection 정보에는 테더링(Tethering)을 위한 DNN 값이 포함될 수 있다. 단말은 Traffic Descriptor에 따라 테더링(Tethering)에 대한 Connection Capability를 확인한 후, 이에 해당하는 Route Selection Descriptor에 포함된 DNN을 Tethering 용 DNN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는 DNN Selection 정보에 테더링(Tethering)용 DNN이라는 별도의 지시자가 있을 수 있다.도2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게이트웨이 단말의 요청에 따른 이동통신 시스템과 게이트웨이 단말 간의 PDU 세션 설정 절차를 도시한다.
단계 0에서, 부속 단말은 블루투스, 와이파이 등의 무선 Access 기술 또는 유선 Access 기술을 통해서 게이트웨이 단말과 연결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부속 단말은 제공 받고자 하는 서비스와 관련한 사용자 ID 및 서비스가 제공 되어질 PDU 세션의 특성을 알리기 위한 DNN(Data Network Name) 등의 정보를 게이트웨이 단말에게 전달할 수 있다.
단계 1에서, 게이트웨이 단말은 부속 단말과 연결이 설정된 후, 부속 단말의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한 PDU 세션 연결 요청을 이동통신 망에게 전송할 수 있다. 이때, 게이트웨이 단말은 PDU 세션 연결 요청에 해당 PDU 세션 연결 요청이 부속 단말의 데이터를 지원하기 위한 PDU 세션 연결 요청 임을 알리는 정보 및 부속 단말이 제공한 사용자 ID를 포함시킬 수 있다. 만일 부속 단말이 게이트웨이 단말에게 부속 단말이 서비스를 받게될 PDU 세션의 DNN을 제공한 경우, 게이트웨이 단말은 해당 PDU 세션 연결 요청에 해당 DNN을 포함하여 전송할 수 있다. 만일, 부속 단말이 DNN을 제공하지 않은 경우에 게이트웨이 단말은 부속 단말의 연결을 위하여 사전에 설정된 DNN이 있는 경우에는 부속 단말의 연결을 위해서 사전에 설정된 DNN을 PDU 세션 연결 요청에 포함할 수 있다.
단계 1에서, 게이트웨이 단말에게서 PDU 세션 연결 요청을 수신한 AMF는 상기 PDU 세션 연결 요청을 처리할 수 있는 SMF를 선택하고 SMF에게 수신한 PDU 세션 연결 요청을 전달할 수 있다.
단계 2에서, 상기 PDU 세션 연결 요청을 수신한 SMF는 부속 단말이 제공한 사용자 ID가 추가 인증이 필요한지 확인하고, 추가 인증이 필요한 것으로 판정되는 경우, PDU 세션 연결 요청에 포함된 사용자 ID를 DNN의 추가 인증을 위해서 할당된 DN-AAA 서버에게 전달하여 추가 인증 절차를 수행하도록 요청할 수 있다. 이때, DN-AAA 서버는 상기 PDU 세션 연결 요청에 포함된 DNN 별로 선택되거나 또는 이동통신망 내에서 별도 지정된 설정에 따라서 선택될 수 있다.
SMF는 DN-AAA서버에게 추가 인증 요청을 보내고, DN-AAA 서버와 게이트웨이 단말을 통한 부속 단말 간의 추가 인증 절차의 수행을 위해서 필요하면 해당 데이터를 전송할 UPF를 선택하고 단계 3에서, 해당 UPF를 통해서 DN-AAA 서버와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부속 단말에서 제공된 사용자 ID를 SMF를 통해서 받은 DN-AAA 서버는 SMF와 게이트웨이 단말을 통해서 부속 단말과 추가 인증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이때, SMF는 게이트웨이 단말에게서 수신한 인증 관련 메시지를 DN-AAA 서버에게 전달하는 역할과 DN-AAA 서버에서 수신한 인증 관련 메시지를 게이트웨이 단말에게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SMF를 통해서 DN-AAA 서버에서의 인증 관련 메시지를 수신한 게이트웨이 단말은 이를 부속 단말에게 전달하여 인증 절차가 진행되도록 한다. 게이트웨이 단말은 또한 부속 단말에게서 수신한 DN-AAA 서버와의 인증 관련 메시지를 SMF에게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DN-AAA 서버와 부속 단말 간의 사용자 ID에 대한 인증이 성공적으로 완료된 이후, 단계 4에서, DN-AAA 서버는 SMF는 추가 인증이 성공적으로 완료 되었음을 알리고, 해당 사용자 ID에 대한 PDU 세션에 대해서 적용될 Policy의 정보를 지시하는 DN Authorization Profile Index를 SMF에게 알려줄 수 있다.
단계 5에서, DN-AAA 서버에서 추가 인증이 성공했음을 수신한 SMF는 PCF와 부속 단말의 사용자 ID를 지원하기 위한 PDU 세션 요청에 대한 Policy를 적용하기 위해서 Policy 연결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SMF는 부속 단말의 정보 및 사용자 ID 등을 포함하여 PCF에서 해당 Policy 연결이 부속 단말의 사용자 ID에서의 데이터 연결을 지원하기 위한 PDU session 임을 알릴 수 있다. 이때, DN-AAA 서버에서 DN Authorization Profile Index를 수신한 경우, SMF는 DN Authorization Profile Index도 포함하여 PCF에게 전달할 수 있다.
PCF는 SMF에게서 부속 단말의 정보 및 관련 사용자 ID, DN Authorization Profile Index 등을 포함하는 PDU 세션에 대한 Policy 연결 요청을 수신한 경우, 해당 PDU 세션이 부속 단말의 사용자 ID에서의 데이터 연결을 지원하기 위한 PDU 세션임을 인지할 수 있다. PCF는 수신한 DN Authorization Profile Index 및 PDU 세션 관련 정보들을 참조하여 해당 PDU 세션의 Policy 및 과금 정책 등을 수립할 수 있다. PCF는 수립된 PDU 세션 관련 정책 및 PDU 세션에서 주고 받을 데이터들을 처리하기 위한 QoS 정보 등을 SMF에게 회신한다.
단계 6에서, 상기 SMF는 PCF에서 수신한 PDU 세션 관련 정책 및 데이터 처리를 위한 QoS 정보 들을 기반으로 해당 PDU 세션의 데이터 처리에 관련한 규칙들을 UPF에게 업데이트 할 수 있다. 이때, SMF는 필요한 경우, DN-AAA 서버와의 인증을 위해서 선택되었던 UPF와의 연결을 해제하고 다른 UPF를 상기 PDU 세션의 데이터를 처리하도록 선택 할 수 있다.
단계 7에서, SMF는 기지국과 게이트웨이 단말에게 상기 PDU 세션을 통한 데이터를 지원할 수 있도록 해당 PDU 세션 정보 및 PDU 세션 관련 데이터 및 QoS 처리 방법 등을 포함한 시그널링 메시지를 전달한다. 이때, SMF는 게이트웨이 단말에게 상기 PDU 세션 연결 요청이 성공적으로 수립되었음을 알리는 PDU 세션 연결 요청에 대한 회신을 포함하여 전달하거나 별도의 메시지로 전달할 수 있다.
게이트웨이 단말은 이동통신 망에서 PDU 세션 연결 요청에 대한 회신을 수신하고 이후, 단계 8에서, 상기 수신한 PDU 세션 정보 및 PDU 세션 관련 데이터 처리 방법 및 QoS 처리 방법을 따라서 부속 단말로부터 수신한 데이터 및 부속 단말로 전달해야하는 데이터들을 기지국과 송수신할 수 있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부속 단말과 게이트웨이 단말 간의 연결 설정 절차를 도시한 도면이다.
단계 0에서, 부속 단말이 데이터 송수신을 위하여 게이트웨이 단말과의 연결이 필요한 경우, 부속 단말은 우선 주변에 게이트 웨이 단말이 존재하는지 유선 또는 무선 상의 네트워크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가령 부속 단말이 게이트웨이 단말과 Wi-Fi 등을 통하여 연결하는 경우, 부속 단말은 게이트웨이 단말의 Wi-Fi 제공 여부 등의 네트워크를 확인한다.
단계 1에서, 부속 단말이 게이트웨이 단말과 연결될 수 있는 네트워크를 확인한 경우, 부속 단말은 게이트웨이 단말과의 연결 설정 절차를 수행한다. 이때, 부속 단말과 게이트웨이 단말은 각각 상대방의 MAC Address 정보 등을 획득할 수 있다.
단계 2에서, 부속 단말과 게이트웨이 단말 간의 연결이 설정된 후, 게이트웨이 단말은 부속 단말에게 이동통신 망에서의 제공해주는 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는지를 확인하기 위해서 사용자 ID를 요청할 수 있다.
단계 3에서, 부속 단말이 이동통신 망에서 제공해주는 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는 사용자 ID를 할당 받은 경우, 부속 단말은 게이트웨이 단말에게 해당 사용자 ID의 정보를 게이트웨이 단말의 ID 요청에 대한 회신으로 제공할 수 있다. 이때, 부속 단말에 할당된 사용자 ID는 복수 개가 될 수 있고, 이때, 부속 단말은 하나 또는 복수 개의 사용자 ID를 게이트웨이 단말에게 회신할 수 있다.
게이트웨이 단말은 부속 단말에게 요청하는 사용자 ID 요청에 게이트웨이 단말의 GPSI 정보를 포함하여 전송하거나, 부속 단말에게서 사용자 ID를 회신한 이후, 별도의 절차로 GPSI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400)의 구조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단말(400)은 송수신부(410), 프로세서(420) 및 메모리(430)를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게이트웨이 단말 또는 부속 단말의 동작에 따라, 단말(400)의 송수신부(410), 프로세서(420) 및 메모리(430)가 동작할 수 있다. 다만, 단말(400)의 구성 요소가 전술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단말(400)은 전술한 구성 요소들 보다 더 많은 구성 요소(예를 들어, NIC(network interface controller))를 포함하거나 더 적은 구성 요소를 포함할 수도 있다. 뿐만 아니라 송수신부(410), 프로세서(420) 및 메모리(430)는 하나의 칩(chip)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송수신부(410)는 네트워크 엔티티 또는 다른 단말과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여기에서, 신호는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전술한 적어도 하나의 메시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송수신부는 전송되는 신호의 주파수를 상승 변환 및 증폭하는 RF 송신기와, 수신되는 신호를 저 잡음 증폭하고 주파수를 하강 변환하는 RF 수신기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다만, 이는 송수신부의 일 실시예일뿐이며, 송수신부의 구성 요소가 RF 송신기 및 RF 수신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송수신부(410)는 무선 채널을 통해 신호를 수신하여 프로세서(420)로 출력하고, 프로세서(420)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무선 채널을 통해 전송할 수 있다.
프로세서(420)는 부속 단말의 룰에 기초하여, 트래픽을 처리하기 위한 PDU 세션을 설정하고, PDU 세션을 통해 부속 단말의 트래픽을 처리하기 위한 소프트웨어를 구동(drive)시킬 수 있는 하드웨어로서, 일 예시로, 하나 이상의 CPU(central processing unit)가 프로세서(420)에 포함될 수 있다.
메모리(430)는 단말(400)의 동작에 필요한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430)는 단말(400)에서 획득되는 신호에 포함된 제어 정보 또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는 롬(ROM), 램(RAM), 하드디스크, CD-ROM 및 DVD 등과 같은 저장 매체 또는 저장 매체들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엔티티(500)의 구조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네트워크 엔티티(500)는 송수신부(510), 프로세서(520) 및 메모리(530)를 포함할 수 있다. 네트워크 엔티티(500)는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전술한 기지국, AMF, PCF, 어플리케이션 서버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전술한 기지국, AMF, PCF, 어플리케이션 서버 중 어느 하나의 통신 방법에 따라, 송수신부(510), 프로세서(520) 및 메모리(530)가 동작할 수 있다. 다만, 네트워크 엔티티 (500)의 구성 요소가 전술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 엔티티 (500)는 전술한 구성 요소들 보다 더 많은 구성 요소(예를 들어, NIC(network interface controller))를 포함하거나 더 적은 구성 요소를 포함할 수도 있다. 뿐만 아니라 송수신부(510), 프로세서(520) 및 메모리(530)는 하나의 칩(chip)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송수신부(510)는 다른 네트워크 엔티티, 게이트웨이 단말 또는 부속 단말과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여기에서, 신호는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전술한 적어도 하나의 메시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송수신부는 전송되는 신호의 주파수를 상승 변환 및 증폭하는 RF 송신기와, 수신되는 신호를 저 잡음 증폭하고 주파수를 하강 변환하는 RF 수신기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다만, 이는 송수신부의 일 실시예일뿐이며, 송수신부의 구성 요소가 RF 송신기 및 RF 수신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송수신부는 무선 채널을 통해 신호를 수신하여 프로세서(520)로 출력하고, 프로세서(520)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무선 채널을 통해 전송할 수 있다.
프로세서(520)는 부속 단말의 룰에 기초하여, 트래픽을 처리하기 위한 PDU 세션을 설정하고, PDU 세션을 통해 부속 단말의 트래픽을 처리하기 위한 하드웨어로서, 일 예시로, 하나 이상의 CPU(central processing unit)가 프로세서(520)에 포함될 수 있다. 프로세서(520)는 메모리(530)에 저장된 소프트웨어를 구동시킴에 따라,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전술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메모리(530)는 네트워크 엔티티(500)의 동작에 필요한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530)는 단말에서 획득되는 신호에 포함된 제어 정보 또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530)는 롬(ROM), 램(RAM), 하드디스크, CD-ROM 및 DVD 등과 같은 저장 매체 또는 저장 매체들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술한 본 개시의 구체적인 실시 예들에서, 본 개시에 포함되는 구성 요소는 제시된 구체적인 실시 예에 따라 단수 또는 복수로 표현되었다. 그러나, 단수 또는 복수의 표현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시한 상황에 적합하게 선택된 것으로서, 본 개시가 단수 또는 복수의 구성 요소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복수로 표현된 구성 요소라 하더라도 단수로 구성되거나, 단수로 표현된 구성 요소라 하더라도 복수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본 개시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개시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개시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Claims (1)

  1. 무선통신시스템에서 게이트웨이(gateway) 단말이 통신을 수행하는 방법에 있어서,
    부속 단말과 연결이 설정됨에 따라, 상기 무선통신시스템 내의 적어도 하나의 네트워크 엔티티와 PDU (protocol data unit) 세션을 설정하는 단계;
    상기 설정된 PDU 세션을 통해 상기 부속 단말과 어플리케이션 서버 간의 인증을 수행하는 단계;
    상기 게이트웨이 단말의 URSP(UE Route Selection Policy) 룰에 상기 부속 단말의 룰을 추가하는 단계; 및
    상기 부속 단말의 룰에 기초하여 상기 부속 단말의 트래픽을 지원할 수 있는 PDU 세션을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KR1020190121109A 2019-09-30 2019-09-30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통신을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 KR2021003822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1109A KR20210038225A (ko) 2019-09-30 2019-09-30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통신을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1109A KR20210038225A (ko) 2019-09-30 2019-09-30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통신을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38225A true KR20210038225A (ko) 2021-04-07

Family

ID=754696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21109A KR20210038225A (ko) 2019-09-30 2019-09-30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통신을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38225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2069568B2 (en) Method and device for terminal attaching and creating home-routed PDU session in roaming environment supporting network slice
US10972970B2 (en) Method for capability negotiation and slice information mapping between network and terminal in 5G system
US11172405B2 (en) Method for checking change in wireless connection type of terminal in third-party application server
US20230023571A1 (en) Service processing method for proximity service, device, and system
KR20210119849A (ko) 에지 컴퓨팅 시스템을 위한 통신 방법 및 장치
KR20180120553A (ko) 5g 서비스 협상을 위한 등록 타입 추가 방법 및 장치
KR20200114863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일대일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KR20200143134A (ko)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CN113691969A (zh) 通信方法和装置
US20230132454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upporting edge computing service for roaming u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JP2022546270A (ja) 無線通信システムでpduセッションをハンドリングするための装置及び方法
CN113811025A (zh) 一种释放中继连接的方法、设备及系统
US20240022469A1 (en) Method for determining edge configuration server and apparatus
US11153925B2 (en) Handling of QoS flow description without valid EPS bearer context
KR20210037467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직접 통신 제공 방법 및 장치
KR20200116852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서비스 정책을 처리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20210023299A (ko)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네트워크 서비스를 노출하는 방법 및 장치
KR20200091308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네트워크 슬라이스의 인터워킹을 제공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20200099328A (ko) Dn authorized pdu세션 재인증 지원 및 dn authorization data 변경에 따른 pdu세션 관리 방법 및 장치
KR102290784B1 (ko) 네트워크에 의한 단말과 네트워크 간의 pdu 세션 연결의 업데이트 방안
KR20220135130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세션 관리를 위한 방법 및 장치
KR20210038225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통신을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
KR20210030167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하나의 단말을 여러 사용자가 이용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KR20220106623A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세션 관리 방법 및 장치
KR20210144207A (ko) 사용자 가입자 데이터를 프로비저닝하기 위한 커넥티비티 제공 네트워크 검색 및 선택 방법 및 장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