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37645A -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한 운동 관리 방법 및 운동 관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한 운동 관리 방법 및 운동 관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37645A
KR20210037645A KR1020210038997A KR20210038997A KR20210037645A KR 20210037645 A KR20210037645 A KR 20210037645A KR 1020210038997 A KR1020210038997 A KR 1020210038997A KR 20210038997 A KR20210038997 A KR 20210038997A KR 20210037645 A KR20210037645 A KR 202100376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exercise
wearable device
fitness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389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상규
이준형
조성호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389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37645A/ko
Publication of KR202100376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3764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or social welfare, e.g. community support activities or counselling servic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4/00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preceding groups; Controlling or monitoring of exercises, sportive games, training or athletic performances
    • A63B24/0062Monitoring athletic performances, e.g. for determining the work of a user on an exercise apparatus, the completed jogging or cycling distanc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63B71/0619Displays, user interfaces and indic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port equipment, e.g. display mounted on treadmills
    • A63B71/0622Visual, audio or audio-visual systems for entertaining, instructing or motivating the us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Wearable computers, e.g. on a bel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63B71/0619Displays, user interfaces and indic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port equipment, e.g. display mounted on treadmills
    • A63B71/0622Visual, audio or audio-visual systems for entertaining, instructing or motivating the user
    • A63B2071/0625Emitting sound, noise or music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63B71/0619Displays, user interfaces and indic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port equipment, e.g. display mounted on treadmills
    • A63B2071/0655Tactile feedback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5/00Miscellaneous features of sport apparatus, devices or equipment
    • A63B2225/50Wireless data transmission, e.g. by radio transmitters or telemetr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Marketing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 Measuring And Recording Apparatus For Diagnosis (AREA)

Abstract

개시된 운동 관리 방법은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의한 운동 관리 방법으로서, 사용자에게 필요한 운동량에 대한 제 1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사용자의 현재 운동 상태에 대한 제 2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제 1 정보와 제 2 정보를 비교하고, 비교 결과를 사용자에게 출력하는 관리 단계;를 포함한다. 이러한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착용하고 운동을 하는 사용자는 목표 운동량 달성에 적합한 운동 관리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Description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한 운동 관리 방법 및 운동 관리 시스템 {Health management method and system using a wearable device}
본 개시는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한 운동 관리 시스템에 대한 것이다.
건강에 관한 관심이 증가됨에 따라 여러 가지 생체신호를 일상 생활에서 측정하여 편의성을 향상시킨, 다양한 종류의 생체 정보 검출 장치가 개발되고 있다.
또한, 이러한 장치는 착용자에게 착용되어, 생체 상태를 직접 측정할 수 있는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 device)의 형태로 보급되어, 개인의 건강정보 데이터 베이스와 연계하여 건강 관련 서비스들을 제공하고, 원격 의료진단과 연계하여 진단/처방 결과를 환자에게 전달하는 스마트 헬스케어 시스템(smart healthcare system)으로 활용되고 있다.
현대인들은 또한, 일상 생활에서의 운동 부족을 보완하기 위해 헬스장 등의 헬스 기구를 이용하게 된다. 다양한 헬스 기구는 필요한 운동 부위에 적절한 운동량을 제공하기 위해 마련되는 것이며, 사용자는 효과적으로 헬스 기구를 사용하기 위해, 통상 전문 트레이너의 도움을 받아 필요한 운동량의 달성 여부를 체크하는 경우가 많다.
본 개시는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한 운동 관리 방법 및 운동 관리 시스템을 제시하고자 한다.
일 유형에 따르는 운동 관리 방법은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의한 운동 관리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에게 필요한 운동량에 대한 제 1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사용자의 현재 운동 상태에 대한 제 2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제 1 정보와 제 2 정보를 비교하고, 비교 결과를 사용자에게 출력하는 관리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제 1 정보는 하나 이상의 헬스 기기에 대한, 운동 강도 또는 운동 회수 또는 운동 시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는 사용자가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직접 입력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 1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외부 전자 기기로부터 유선 또는 무선 통신에 의해 상기 제 1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제 2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제 1 정보 중에서, 사용자가 근접한 헬스 기기에 대해 필요한 운동량 정보를 출력하는 출력 단계; 사용자가 상기 헬스 기기를 사용하는 동안 운동 강도 및/또는 누적 운동량에 대한 정보를 얻는 모니터링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출력 단계는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표시부 또는 상기 사용자에게 근접한 헬스 기기의 표시부에 상기 헬스 기기에 대해 필요한 운동량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상기 출력 단계는 상기 헬스 기기에 대해 필요한 운동량 정보를 안내하는 음성 메시지를 발생할 수 있다.
상기 모니터링 단계는 상기 헬스 기기와의 무선 통신에 의해 상기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모니터링 단계는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구비된 센서에 의해, 반복 회수를 카운팅할 수 있다.
상기 센서는 가속도 센서, 자이로스코프 센서 또는 지자기 센서일 수 있다.
상기 관리 단계는 상기 제 2 정보와, 사용자가 사용하고 있는 헬스 기기에 대한 제 1 정보를 비교하고, 상기 헬스 기기에 대해 남은 운동량을 산출하는 단계; 상기 헬스 기기에 대한 운동 완료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운동 완료 여부에 따른 안내 사항을 사용자에게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표시부, 스피커 또는 진동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헬스 기기에 대한 운동이 완료된 경우, 상기 헬스 기기에 대한 운동이 완료되었음을 사용자에게 알려주는 음성 메시지 또는 알림음을 발생할 수 있다.
상기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헬스 기기에 대한 운동이 완료되지 않은 상태에서, 사용자가 상기 헬스 기기의 작동을 중지하거나 상기 헬스 기기에서 멀어지는 경우, 상기 헬스 기기에 대한 운동이 완료되지 않았음을 알려주는 음성 메시지 또는 경고음을 발생할 수 있다.
상기 운동 관리 방법은 상기 헬스 기기에 대해 남은 운동량에 대한 정보를 알려주는 음성 메시지를 발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운동 관리 방법은 상기 제 2 정보를 사용자가 사용한 헬스 기기들에 대해 시간에 따라 누적하여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일 유형에 따른 기록 매체는 상술한 어느 하나의 운동 관리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일 수 있다.
또한, 일 유형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사용자와의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입/출력부; 무선 통신 기능을 가지는 통신부;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이 저장되는 메모리; 상기 입/출력부, 통신부를 제어하고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은, 상술한 어느 하나의 운동 관리 방법을 실행하는 명령어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손목에 착용될 수 있는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일 유형에 따른 운동 관리 시스템은 무선 통신 기능을 가지는 하나 이상의 헬스 기기; 상기 헬스 기기를 사용하는 사용자에게 착용될 수 있는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포함한다.
상술한 운동 관리 방법, 운동 관리 시스템은 개인 트레이너의 도움 없이도 목표 운동량의 달성이 용이한 운동 관리 서비스를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상술한 운동 관리 방법을 실행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착용하여 헬스 기구등을 사용한 운동을 함으로써, 사용자는 효과적이고 체계적으로 스스로의 체력 관리를 할 수 있다.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운동 관리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보인다.
도 2는 도 1의 운동 관리 시스템에서 사용자에게 착용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개략적인 구성을 보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실시예에 따른 운동 관리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4는 도 3의 흐름도에서 제 1 정보 수신이 이루어지는 방법을 예시적으로 보인다.
도 5는 제1정보 수신에 따라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나타나는 화면을 예시적으로 보인다.
도 6은 도 3의 흐름도에서 제 2 정보가 획득되는 과정을 예시적으로 보인다.
도 7은 도 3의 흐름도에서 제 1 정보와 제 2 정보를 비교하고 결과를 출력하는 과정을 예시적으로 보인다.
도 8 내지 도 12는 사용자가 실시예에 따른 운동 관리 방법에 따라 운동하는 예시적인 과정을 보인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효과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할 때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한정적인 의미가 아니라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되었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고,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들 또는 구성요소가 부가될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운동 관리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보인다.
실시예에 따른 운동 관리 시스템은 사용자에게 착용될 수 있는 웨어러블 디바이스(1000)를 활용하여, 사용자가 스스로의 운동량을 관리하며 운동할 수 있는 시스템을 제공한다. 이를 위하여, 운동 관리 시스템은 무선 통신 기능을 가지는 하나 이상의 헬스 기기 및 상기 헬스 기기를 사용하는 사용자에게 착용될 수 있는 웨어러블 디바이스(1000)를 포함한다.
웨어러블 디바이스(1000)는 사용자가 수행하고자 하는 목표 운동량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또한, 사용자가 사용하고 있는 제 1 내지 제 4 헬스 기기(HM1)(HM2)(HM3)(HM4) 중 어느 하나와 통신 및/또는 사용자의 운동 상태를 센싱하며, 사용자의 운동량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한다. 그리고, 이에 근거하여 적절한 관리 서비스를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웨어러블 디바이스(100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손목에 착용할 수 있는 형태를 가질 수 있으며,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2는 도 1의 운동 관리 시스템에서 사용자에게 착용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1000)의 개략적인 구성을 보이는 블록도이다.
웨어러블 디바이스(1000)는 상기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사용자와의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입/출력부(100), 무선 통신 기능을 가지는 통신부(400),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이 저장되는 메모리(500), 입/출력부(100), 통신부(400)를 제어하고 메모리(500)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프로세서(600)를 포함한다. 웨어러블 디바이스(1000)는 또한, 센서부(300), GPS 수신부(2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500)에는 사용자에게 제공하고자 하는 운동 관리 서비스를 실행하는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운동 관리 모듈(540)이 저장된다.
이하 상기 구성요소들에 대해 차례로 살펴본다.
입/출력부(100)는, 사용자 및/또는 외부기기와의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며, 버튼(110), 커넥터(120), 키패드(130), 디스플레이부(140), 음향 출력부(150), 진동 모터(16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입/출력부(100)는 사용자가 웨어러블 디바이스(1000)를 제어하기 위한 데이터를 입력할 수 있는 입력 수단을 제공한다. 상기한 구성 외에, 입력 수단으로, 돔 스위치 (dome switch), 터치 패드(접촉식 정전 용량 방식, 압력식 저항막 방식, 적외선 감지 방식, 표면 초음파 전도 방식, 적분식 장력 측정 방식, 피에조 효과 방식 등)등이 더 구비될 수 있고,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입/출력부(10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또는 진동 신호의 출력을 위한 출력 수단을 제공한다. 디스플레이부(140)와 터치패드가 레이어 구조를 이루어 터치 스크린으로 구성되는 경우, 디스플레이부(140)는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40)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전기영동 디스플레이(electrophoretic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40)는 프로세서(600)의 제어에 따라 사용자에게 필요한 운동 관리 사항에 대한 화면을 출력할 수 있다. 음향 출력부(150)는 프로세서(600)의 제어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40)에서 안내하는 화면과 관련되는 음성 메시지를 출력하거나, 기타, 사용자의 운동 상태에 따라 알림음, 경고음 등의 음향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이러한 음향 출력부(150)에는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진동 모터(160)는 진동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한 경고음과 함께, 또는 경고음 대신 진동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진동 모터(160)는 터치스크린에 터치가 입력되는 경우 진동 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다.
센서부(300)는, 웨어러블 디바이스(1000)의 상태, 예를 들어, 움직임, 위치 변화등을 감지하고 감지된 정보를 프로세서(600)로 전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웨어러블 디바이스(1000)를 착용한 사용자의 운동 회수, 예를 들어, 역기 운동 회사나 복근 운동 회수 등을 카운팅할 수 있게 된다.
센서부(300)는 지자기 센서(terrestrial magnetic sensor)(310), 가속도 센서(acceleration sensor)(320), 위치 센서(330), 자이로스코프 센서(34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생체 신호, 예를 들어, ECG(ELECTROCARDIOGRAPHY), GSR(GALVANIC SKIN REFLEX) 및 맥파(pulse wave) 등과 같은 생체 신호를 검출하기 위한 센서들을 구비할 수도 있다. 이 외에도, 온/습도 센서, 적외선 센서, 기압 센서, 근접 센서 등이 더 포함될 수 있고,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근거리 통신부(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unit)(400)는, 웨어러블 디바이스(1000)와 외부 기기, 예를 들어, 헬스 기기나 사용자가 휴대한 스마트폰과의 통신 기능을 제공한다.
근거리 통신부(400)는, 블루투스 통신부, BLE(Bluetooth Low Energy) 통신부, 근거리 무선 통신부(Near Field Communication unit), WLAN(와이파이) 통신부, 지그비(Zigbee) 통신부, 적외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통신부, WFD(Wi-Fi Direct) 통신부, UWB(ultra wideband) 통신부, Ant+ 통신부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웨어러블 디바이스(1000)에 구비되는 통신부로, 근거리 통신부(400)만을 예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방송 수신부나 이동 통신부와 같은 구성이 더 구비될 수도 있다.
메모리(500)에는 프로세서(600)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 이 저장될 수 있다.
메모리(50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M, Random Access Memory)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OM, Read-Only Memory),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500)에 저장된 프로그램들은 그 기능에 따라 복수 개의 모듈들로 분류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센서 모듈(510), GPS 모듈(520), 통신 모듈(530), 운동 관리 모듈(540) 등으로 분류될 수 있다. 이외에도, 웨어러블 디바이스(1000)가 제공하고자 하는 기능에 따라, UI 모듈, 터치 스크린 모듈, 알림 모듈, 동영상 재생 모듈, 오디오 재생 모듈 등이 더 포함될 수 있다.
프로세서(600)는 웨어러블 디바이스(10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600)는, 메모리(170)에 저장된 프로그램들을 실행함으로써, 입/출력부(100), 센서부(300), 통신부(400) 등을 전반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운동 관리 모듈(540)을 실행함으로써, 사용자가 헬스 기기를 사용하며 운동을 수행할 때, 스스로의 관리가 가능하도록 관리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웨어러블 디바이스(1000)의 상기한 구성은 메모리(500)에 저장된 운동 관리 모듈(540)을 프로세서(600)에서 실행하는데 필요한 구성 요소로서 예시된 것이다. 운동 관리 모듈(540)은 생체 신호 모니터링 기능을 가지는 스마트 와치(smart watch)와 같은 형태로 구현된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구비될 수도 있다. 이 경우, 목적에 알맞은 추가적인 구성, 예를 들어, 생체 인증 모듈, 생체 센서, 생체 센서로부터 수신된 신호를 분석하는 분석 모듈 등이 더 구비될 수 있다.
도면에서, 각 부, 즉, 입/출력부(100), 센서부(300), 통신부(400), 메모리(500)에 기재된 구성 요소들은 선택적인 구성요소들이며, 즉, 이들 중 하나 이상이 구비될 수 있다.
이하, 상기한 웨어러블 디바이스(1000)가 제공하는 운동 관리 서비스에 대해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도 3은 실시예에 따른 운동 관리 방법의 흐름도이다.
실시예에 따른 운동 관리 방법은 사용자에게 착용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1000)에 의해 수행되는 것으로, 크게, 사용자에게 필요한 운동량에 대한 제 1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S2000), 사용자의 현재 운동 상태에 대한 제 2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S3000), 제 1 정보와 제 2 정보를 비교하고 그 결과를 출력하는 단계(S4000)를 포함한다.
도 4는 도 3의 흐름도에서 제 1 정보 수신이 이루어지는 방법(S2000)을 예시적으로 보인다.
제 1 정보는 사용자에게 필요한 운동량은 사용자가 수행하고자 하는 목표 운동량이 될 수 있으며, 하나 이상의 헬스 기기에 대한, 운동 강도 또는 운동 회수 또는 운동 시간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목표 운동량은 사용자가 임의로 설정하여 웨어러블 디바이스(1000)에 구비된 입력 수단을 통해 직접 입력할 수 있다.
또는, 목표 운동량은 사용자의 체력을 측정하고 이에 알맞은 운동 처방을 내리는 프로그램에 의해 설정될 수도 있다. 이러한 서비스는 통상, 사용자가 사용하는 헬스장에서 제공되는 경우가 많다. 이 경우, 이러한 기능을 가지는 전자 기기(EA)와의 유선 또는 무선의 통신에 의해 상기한 제 1 정보가 수신될 수도 있다. 전자 기기(EA)는 체력 측정부와 목표 운동량 설정부를 구비하는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전자 기기(EA)는 사용자가 사용하는 헬스장에 구비되지 않을 수도 있으며, 이 경우, 사용자는 전자 기기(EA)로부터 처방된 필요 운동량 정보를 다른 기기에 저장하고 있다가 웨어러블 디바이스(1000)에 입력할 수도 있다. 또는, 사용자가 직접 계획하거나 전문 트레이너를 통해 설정된 필요 운동량에 대한 정보를 다른 기기에 저장하고 있다가 웨어러블 디바이스(1000)에 입력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휴대한 스마트폰(SM)을 활용하여, 클라우드 서버(CS) 또는 기타, 다른 웹 스토리지(web storage)에 저장된 정보를 웨어러블 디바이스(1000)에 전송할 수 있다.
도 5는 제 1 정보 수신에 따라 웨어러블 디바이스(1000)에 나타나는 화면을 예시적으로 보인다.
도시된 화면은 예시적인 것이며, 이외에도, 소모 칼로리등과 같은 형태로 목표 운동량이 설정될 수도 있다.
도 6은 도 3의 흐름도에서 제 2 정보가 획득되는 과정(S3000)을 예시적으로 보인다.
제 2 정보는 사용자의 현재 운동 상태에 대한 정보로서, 사용자가 현재 사용하고 있는 헬스 기기, 현재까지의 누적 운동량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사용자가 근접한 헬스 기기에 대해 필요한 운동량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S3100). 예를 들어, 도 5에서 예시한 바와 같이, 설정된 목표 운동량 정보로부터, 사용자가 근접한 헬스 기기에 대한 정보를 추출하여 디스플레이 또는 음성 메시지로 출력할 수 있다.
사용자가 근접한 헬스 기기를 판단할 때, 예를 들어,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구비된 GPS 기능을 활용할 수 있다. 웨어러블 디바이스(1000)에는 사용자가 사용하는 헬스장에 배치된 헬스 기기들에 대한 위치 정보가 미리 저장될 수 있고, 저장된 정보와, GPS로부터 수신된 사용자의 위치 정보를 비교하여 사용자가 근접한 헬스 기기를 판별할 수 있다. 그리고, 해당 헬스 기기에 대해 필요한 운동량 정보를 제 1 정보로부터 추출한다. 추출된 결과는 웨어러블 디바이스(1000)의 표시부에 표시되거나, 및/또는 음성 메시지로 출력될 수 있다. 또한, 해당 헬스 기기가 표시부를 구비한 경우, 해당 헬스 기기의 표시부에도 목표 운동량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가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안내에 따라 해당 헬스 기기를 사용하기 시작하면,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사용자의 운동 상태, 즉, 운동 강도 및/또는 누적 운동량에 대해 모니터링한다(S3200).
이를 위해, 해당 헬스 기기와의 무선 통신하거나(S3210),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구비된 센서가 사용자의 운동 회수를 카운팅(S3220)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런닝 머신을 사용하는 동안 런닝 머신에서 운동 속도, 운동 시간, 소모 칼로리 등의 정보를 제공할 수 있고, 이 정보가 웨어러블 디바이스(1000)와의 무선 통신으로 웨어러블 디바이스(1000)에 제공될 수 있다.
무선 통신 기능을 가지지 않는 헬스 기기를 사용하여 운동하는 경우, 예를 들어, 역기 운동이나 복근 운동 등을 수행할 때는 웨어러블 디바이스(1000)에 구비된 가속도 센서 등에 의해, 운동 회수가 측정될 수 있다.
도 7은 도 3의 흐름도에서 제 1 정보와 제 2 정보를 비교하고 결과를 출력하는 과정(S4000)을 예시적으로 보인다.
웨어러블 디바이스(1000)는 사용자가 사용중인 헬스 기기에 대해 남은 운동량을 산출하고(S4100), 이로부터 운동 완료 여부를 판단한다(S4200). 그리고, 운동 완료 여부에 따른 안내 사항을 사용자에게 출력한다(S4300).
운동이 완료된 경우(C1), 운동이 완료되었음을 알리는 음성 메시지 또는 알림음을 발생한다(S4310).
운동이 완료되지 않은 상태에서, 사용자가 해당 헬스 기기를 사용하여 운동하는 동안(C2), 남은 운동량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거나, 또는, 이에 대한 음성 메시지를 발생한다(S4320). 남은 운동량에 대한 정보 표시는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표시부, 또는, 사용중인 헬스 기기에 표시부가 구비된 경우, 상기 헬스 기기의 표시부에 이러한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남은 운동량에 대한 정보를 음성 메시지로 안내할 경우, 소정 정해진 시점에, 예를 들어, 달성률이 50%인 시점, 90%인 시점에 안내 메시지를 발생할 수 있다.
운동이 완료되지 않은 상태에서, 사용자가 해당 헬스 기기의 작동을 중지하거나, 해당 헬스 기기로부터 멀어지는 경우(C3), 웨어러블 디바이스(1000)는 운동이 미완료되었음을 알리는 음성 메시지 또는 경고음 또는 진동을 발생할 수 있다. 헬스 기기의 작동이 중지되었는지 여부는, 예를 들어, 해당 헬스 기기와의 무선 통신을 통해 판단할 수 있다. 사용자가 해당 헬스 기기로부터 멀어지는지 여부는 웨어러블 디바이스(1000)에 구비된 GPS 기능을 활용할 수 있다.
도 8 내지 도 12는 사용자가 실시예에 따른 운동 관리 방법에 따라 운동하는 예시적인 과정을 보인다.
도 8을 참조하면, 사용자는 예를 들어, 도 5와 같이 제시된 목표 운동량 안내에 따라 역기 운동을 위한 제 1 헬스 기기(HM1)로 접근할 수 있다. 제 1 헬스 기기(HM1)는 역기 운동 기기일 수 있다. 사용자가 착용한 웨어러블 디바이스(1000)에서 사용자가 역기 운동 기기(HM1)에 접근한 것이 센싱되면, 웨어러블 디바이스(1000)는 저장되어 있는 제 1 정보 중에서, 역기 운동과 관련된 정보를 추출하여, 웨어러블 디바이스(1000)의 표시부에 해당 헬스 기기에 대한 목표 운동량을 표시한다.
사용자는 웨어러블 디바이스(1000)의 표시부에 안내된 대로, 역기 운동 기기(HM1)를 사용하여 운동을 시작하고, 운동을 하는 동안, 사용자가 착용한 웨어러블 디바이스(1000)가 사용자의 운동 상태를 모니터한다. 이 경우, 웨어러블 디바이스(1000)에 구비된 센서, 예를 들어, 가속도 센서에 의해, 사용자의 역기 운동 회수를 측정, 카운트할 수 있다. 모니터된 결과는 웨어러블 디바이스(1000)의 표시부에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웨어러블 디바이스(1000)의 음향 출력부에 의해, 남은 운동량에 대한 안내 메시지가 제공될 수도 있다. 남은 운동량에 대한 안내 메시지는 소정의 정해진 시점에 한 번 또는 복수회 제공될 수 있다.
모니터 결과에 따라, 제 1 헬스 기기(HM1)에서 수행할 목표 운동량 달성률이 100%가 되면, 웨어러블 디바이스(1000)는 음성 메시지 또는 알림음 등으로, 제 1 헬스 기기(HM1)에서의 운동이 완료되었음을 안내할 수 있다. 또한, 이와 함께, 다음에 사용할 헬스 기기 및 이에 대한 목표 운동량을 화면 또는 음성 정보로 출력할 수 있다.
한편, 도 10과 같이, 목표 운동량이 달성되지 않은 상태에서 사용자가 제 1 헬스 기기(HM1)로부터 멀어지는 경우, 웨어러블 디바이스(1000)는 경고음 또는 진동을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운동이 완료되지 않았음을 알리는 음성 메시지를 발생할 수도 있다.
이러한 안내에 따라, 사용자는 다시 제 1 헬스 기기(HM1)로 돌아가 남은 운동을 수행할 수 있다. 웨어러블 디바이스(1000)는 제 1 헬스 기기(HM1)에 대한 운동이 완료되었음을 안내하고, 다음에 수행할 헬스 기기 및 이에 대한 목표 운동량을 화면 또는 음성으로 안내할 수 있다.
도 11은 사용자가 웨어러블 디바이스(1000)의 안내에 따라 제 3 헬스 기기(HM3), 즉, 런닝 머신에 근접한 것을 보인다. 사용자가 런닝 머신(HM3)에 근접하면, 웨어러블 디바이스(1000)는 저장되어 있는 제 1 정보로부터 런닝 머신(HM3)과 관련된 정보를 추출하여, 웨어러블 디바이스(1000)의 표시부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이와 함께, 런닝 머신(HM3)에 구비된 표시부(D)에 상기 정보가 표시될 수도 있다.
도 12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런닝 머신(HM3)을 사용하여 운동을 하는 동안, 런닝 머신(HM3)에서 측정하는 사용자의 상태, 즉, 운동 시간, 소모 칼로리 등과 같은 누적 운동량, 운동 속도 등의 정보가 런닝 머신(HM3)과의 통신에 의해 웨어러블 디바이스(1000)의 표시부에 표시된다.
마찬가지로, 목표 운동량이 달성되면, 웨어러블 디바이스(1000)은 해당 헬스 기기에 대한 운동이 완료되었음을 사용자에게 알리며, 또한, 목표 운동량이 달성되지 않은 상태에서, 런닝 머신(HM3)의 작동이 중지되거나, 사용자가 런닝 머신(HM3)으로부터 멀어지면, 웨어러블 디바이스(1000)는 사용자에게 경고 메시지를 발생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사용자는 웨어러블 디바이스(1000)를 착용하고, 웨어러블 디바이스(1000)에서 제공하는 가이드에 따라 사용자에게 필요한 운동량을 달성할 수 있다.
웨어러블 디바이스(1000)는 또한, 사용자가 다양한 헬스 기기들에 대해 수행한 운동량을 누적하여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정보는 웨어러블 디바이스(1000)에 저장되거나, 또는, 사용자가 휴대한 스마트폰이나, 이와 연동되는 클라우드 서버에 저장될 수 있다. 저장된 정보는 사용자의 체력 관리를 위한 분석에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행한 운동의 총 칼로리 소모량을 분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운동 관리 방법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 모듈과 같이, 컴퓨터에 의해 실행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기록 매체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 있고,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 및 통신 매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된 휘발성 및 비휘발성,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통신 매체는 전형적으로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반송파와 같은 변조된 데이터 신호의 기타 데이터, 또는 기타 전송 메커니즘을 포함하며, 임의의 정보 전달 매체를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부"는 프로세서 또는 회로와 같은 하드웨어 구성(hardware component), 및/또는 프로세서와 같은 하드웨어 구성에 의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구성(software component)일 수 있다.
이러한 본원 발명인 운동 관리 방법, 이에 사용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운동 관리 시스템은 이해를 돕기 위하여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적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0-웨어러블 디바이스

Claims (20)

  1.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의한 운동 관리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에게 필요한 목표 운동량에 대한 제 1 정보를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수신하는 단계;
    사용자가 헬스 기기를 사용하여 수행 중인 운동에 대한 제 2 정보를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획득하는 단계;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상기 제 1 정보와 제 2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목표 운동량의 달성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상기 결정하는 단계의 결과에 근거한 제 3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운동 관리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헬스 기기가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로부터 소정 거리내에 있을 때,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상기 헬스 기기와 연결하는 것을 포함하는, 운동 관리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 2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수행 중인 운동의 중단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포함하는, 운동 관리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목표 운동량에 대한 달성률을 출력하는 것을 포함하는, 운동 관리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제 3 정보를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표시부에 표시하는 것을 포함하는, 운동 관리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정보가 상기 헬스 기기의 표시부에 표시되도록,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상기 제 3 정보를 상기 헬스 기기에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운동 관리 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제 3 정보를 소리 또는 진동으로 출력하는 것을 포함하는, 운동 관리 방법.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상기 제 1 정보 중 상기 헬스 기기와 관련된 정보를 상기 헬스 기기에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운동 관리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헬스 기기가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와 무선 통신될 때 상기 헬스 기기로부터 상기 제2정보를 획득하며,
    사용자가 사용하는 헬스 기기가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와 통신되지 않을 때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포함된 센서로부터 상기 제2정보를 획득하는,
    운동 관리 방법.
  10.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의한 운동 관리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가 제 1 헬스 기기를 사용하여 수행하는 제 1 운동과 관련된 제 1 정보를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획득하는 단계;
    사용자가 제 2 헬스 기기를 사용하여 수행하는 제 2 운동과 관련된 제 2 정보를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획득하는 단계;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상기 제 1 정보와 제 2 정보에 근거한 제 3 정보를 누적하는 단계;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누적된 상기 제 3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운동 관리 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정보는 상기 제 1 헬스 기기로부터 획득되고,
    상기 제 2 정보는 상기 제 2 헬스 기기로부터 획득되는, 운동 관리 방법.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제 1 헬스 기기가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로부터 소정 거리 내에 있을 때,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상기 제 1 헬스 기기에 연결하는 것을 포함하며,
    상기 제 2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제 2 헬스 기기가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로부터 소정 거리 내에 있을 때,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상기 제 2 헬스 기기에 연결하는 것을 포함하는, 운동 관리 방법.
  13.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제 3 정보를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표시부에 표시하는 것을 포함하는, 운동 관리 방법.
  14.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제 3 정보를 소리 또는 진동으로 출력하는 것을 포함하는, 운동 관리 방법.
  15.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정보가 상기 제1 헬스 기기의 표시부 또는 상기 제 2 헬스 기기의 표시부에 표시되도록,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상기 제 3 정보를 상기 제1 헬스 기기 또는 제 2 헬스 기기에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운동 관리 방법.
  16. 헬스 기기와 무선 통신할 수 있는 통신부; 및
    상기 통신부에 의해 수신된, 상기 헬스 기기를 사용하여 사용자가 수행하는 운동과 관련된 제 1 정보에 근거하여, 제 2 정보를 결정하고, 결정된 상기 제 2 정보를 출력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정보는 사용자가 수행할 목표 운동량과 상기 헬스 기기를 사용하여 사용자가 수행한 누적 운동량을 포함하며,
    상기 제 2 정보는 상기 목표 운동량 달성 여부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18.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정보의 결정은
    상기 제 1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헬스 기기의 중단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포함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19. 헬스 기기에 의해 수행되는 운동 관리 방법에 있어서,
    상기 헬스 기기로부터 소정 거리 내에 있는 웨어러블 디바이스와 연결하는 단계;
    상기 헬스 기기를 사용하는 운동에 대한 제 1 정보를 상기 헬스 기기가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헬스 기기가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로부터 제 2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운동 관리 방법.
  20.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표시부에 표시되는 상기 제2 정보를 상기 헬스 기기의 표시부에 동시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운동 관리 방법.



KR1020210038997A 2021-03-25 2021-03-25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한 운동 관리 방법 및 운동 관리 시스템 KR2021003764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8997A KR20210037645A (ko) 2021-03-25 2021-03-25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한 운동 관리 방법 및 운동 관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8997A KR20210037645A (ko) 2021-03-25 2021-03-25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한 운동 관리 방법 및 운동 관리 시스템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39067A Division KR102312272B1 (ko) 2014-10-15 2014-10-15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한 운동 관리 방법 및 운동 관리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37645A true KR20210037645A (ko) 2021-04-06

Family

ID=754730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38997A KR20210037645A (ko) 2021-03-25 2021-03-25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한 운동 관리 방법 및 운동 관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37645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12272B1 (ko)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한 운동 관리 방법 및 운동 관리 시스템
KR101252951B1 (ko) 측두동맥을 활용한 심박측정 기능이 구비된 헤드셋과 스마트폰 및 이를 이용한 심폐 건전성 진단 방법.
US8500604B2 (en) Wearable system for monitoring strength training
US20150133748A1 (en) Interactive system for monitoring and assisting the physical activity of a user within a gym environment
US20070027399A1 (en) System using a bluetooth headphone for heartbeat monitoring, electronic recording, and displaying data
KR102275175B1 (ko) IoT 기술을 활용하여 모든 피트니스 기구에 연동되는 장착형 스마트 짐 통합 솔루션 장치와 그 운영 방법
KR101050280B1 (ko) 생체신호 분석 시스템 및 방법
KR20160090113A (ko) 웨어러블 기기를 이용한 생활 운동 권장 관리 시스템
KR20160147297A (ko) 사물인터넷 플랫폼을 이용한 생활 운동 권장 관리 시스템
KR20100052951A (ko) 일체형 헬스케어 장치
KR101992113B1 (ko) 피트니스 모니터링 시스템
KR20130021934A (ko) 운동 보조 장치 및 그 방법, 그리고 운동보조 장치를 이용한 회원들의 운동능력 통합관리 시스템
KR20210037645A (ko)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한 운동 관리 방법 및 운동 관리 시스템
KR101817274B1 (ko) 다 센서 기반 착용형 에너지 소모량 측정 장치 및 방법
JP2004321585A (ja) 運動療法指導管理装置
KR20230073677A (ko) 운동기록 기반 운동종목 추천 전자장치 및 방법
KR20230172314A (ko) 개인화된 운동을 통한 신체상태 관리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장치
KR20230079730A (ko) 개인화된 건강상태정보 처리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장치
US9886557B2 (en) Safety ensuring system of exercise machine and method of ensuring safety while using an exercise machine
KR102129488B1 (ko) 자세 교정이 가능한 헬스 케어 기기
KR20230073680A (ko) 사용자 건강상태 기반 운동강도 설정장치 및 방법
KR102220347B1 (ko) 클립형 생체신호측정 디바이스 및 이를 이용한 사회 안전망 연계 시스템
Noh et al. Smart exercise application to improve LEG function and short-term memory through game-like lunge exercises: development and evaluation
KR20140102871A (ko) 생체 정보 모니터링 시스템
KR101335631B1 (ko) 상황 인식 기반의 평행 보행 기구 및 환자 재활 훈련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