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37496A - Clothing dryer - Google Patents

Clothing dry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37496A
KR20210037496A KR1020190149714A KR20190149714A KR20210037496A KR 20210037496 A KR20210037496 A KR 20210037496A KR 1020190149714 A KR1020190149714 A KR 1020190149714A KR 20190149714 A KR20190149714 A KR 20190149714A KR 20210037496 A KR20210037496 A KR 202100374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warm air
lower case
upper case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49714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정용덕
김예담
Original Assignee
정용덕
김예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용덕, 김예담 filed Critical 정용덕
Publication of KR202100374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37496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10Drying cabinets or drying chambers having heating or ventilating means
    • D06F58/14Collapsible drying cabinets; Wall mounted collapsible hood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3Laundry conditioning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6Heating arrangements, e.g. gas heating equipment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30Drying process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28Air properties
    • D06F2103/36Flow or velocity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56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related to air ducts, e.g. position of flow diverte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28Electric heating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30Blowers

Abstract

A clothes dryer is disclosed.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clothes dryer comprises: a lower case having an open upper surface and having an inner space separated into an upper space and a lower space by a tray formed with a hot air outlet; a warm air generation unit disposed in the lower space of the lower case; an upper case seated in an upper portion of the lower case and having a main rack for hangers provided at a lower portion thereof; a transfer unit coupled to the lower case and transferring the upper case in a vertical direction; and a cover member coupled to the lower case and the upper case to partition a clothes storage space formed between the lower case and the upper case. The transfer unit includes a first telescopic unit which is coupled to the lower case and the upper case, has a length adjusted with a telescopic-type according to the power supply, and transfers the upper case in the vertical direction.

Description

의류건조기{CLOTHING DRYER}Clothes dryer{CLOTHING DRYER}

본 발명은 의류건조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lothes dryer.

젖은 의류는 실내 또는 실외에 설치된 건조대에 널어 자연 건조시키는 것이 일반적이다. 하지만, 이러한 방식은 날씨의 영향을 많이 받을 수 밖에 없고, 대기 중 미세먼지 농도가 높은 날에는 창문을 개방할 수 없어 통풍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 실내에서 충분히 건조시킬 수 없는 문제가 있었다.It is common for wet clothing to dry naturally by hanging it on a drying rack installed indoors or outdoors. However, this method is inevitably affected by the weather, and the window cannot be opened on days when the concentration of fine dust in the air is high, so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cannot be sufficiently dried in an indoor room where ventilation is not properly performed.

최근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가정용 건조기가 다수 개발되어 판매되고 있다.Recently, in order to solve such a problem, a number of household dryers have been developed and sold.

하지만, 종래 가정용 건조기는 의류 수납공간을 확보하기 위하여 커진 장치 크기로 인하여 넓은 설치 공간이 요구되는 문제가 있었다.However, conventional domestic dryers have a problem in that a wide installation space is required due to an enlarged device size in order to secure a clothing storage space.

본 출원인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크기 조절이 자유로운 세탁물 건조 장치를 개발한 바 있다. 하지만, 씨저스 타입의 높이조절부로 인해 의류 수납공간이 상대적으로 줄어드는 문제가 있었고, 특허발명의 취지에 맞게 장치를 최대한 콤팩트 하게 제작하려고 하면 장치 외관 디자인이 사각 또는 이와 유사한 형상으로 제한되는 문제도 있었다.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the present applicant has developed a laundry drying apparatus with free size adjustment. However, there was a problem that the clothing storage space was relatively reduced due to the Caesars-type height adjustment unit, and there was also a problem that the appearance of the device was limited to a square shape or a similar shape if the device was attempted to be made as compact as possible for the purpose of the patented invention. .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802505호(2017.11.28, 세탁물 건조 장치)Korean Registered Patent Publication No. 10-1802505 (2017.11.28, laundry drying device)

본 발명의 실시 예는 크기 조절이 가능하고 디자인 자유도가 높은 의류건조기를 제공한다.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lothes dryer that can be adjusted in size and has a high degree of design freedom.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개방된 상면을 구비하고, 내부공간이 온풍토출구가 형성된 트레이에 의해 상부공간과 하부공간으로 분리되는 하부케이스; 상기 하부케이스의 하부공간에 배치되는 온풍생성부; 상기 하부케이스의 상부에 안착되고, 하부에 행거 걸이용 메인 랙을 구비하는 상부케이스; 상기 하부케이스에 결합되어, 상기 상부케이스를 상하 방향으로 이송하는 이송부; 및 상기 하부케이스와 상기 상부케이스에 결합되어, 상기 하부케이스와 상기 상부케이스 사이에 형성되는 의류 수납공간을 구획하는 커버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이송부는, 상기 하부케이스와 상기 상부케이스에 결합되고, 동력 공급에 따라 텔레스코픽 타입으로 길이가 조절되어 상기 상부케이스를 상하 방향으로 이송하는 제1 텔레스코픽부를 포함하는 의류건조기가 제공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lower case having an open upper surface, wherein the inner space is separated into an upper space and a lower space by a tray in which a warm air discharge port is formed; A warm air generator disposed in a lower space of the lower case; An upper case seated on the upper part of the lower case and having a main rack for hanging hangers at the lower part; A transfer unit coupled to the lower case and transferring the upper case in a vertical direction; And a cover member coupled to the lower case and the upper case to partition a clothing storage space formed between the lower case and the upper case, wherein the transfer part is coupled to the lower case and the upper case, A clothes dryer including a first telescopic part for transporting the upper case in a vertical direction may be provided by adjusting a length in a telescopic type according to power supply.

상기 이송부는, 상기 하부케이스와 상기 상부케이스에 결합되고, 상기 상부케이스의 상하 방향으로의 이동에 따라 텔레스코픽 타입으로 길이가 조절되는 제2 텔레스코픽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텔레스코픽부는 복수의 제1 튜브, 및 상기 복수의 제1 튜브 중 가장 바깥쪽에 배치된 튜브를 회전시키는 모터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제1 튜브 중 가장 바깥쪽에 배치된 튜브는 상기 하부케이스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복수의 제1 튜브 중 가장 안쪽에 배치된 튜브는 상기 상부케이스에 고정되고, 상기 제1 튜브의 상단 내주면에는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제1 튜브의 외주면에는 상기 돌기를 안내하는 나선형 홈이 형성되되, 상기 나선형 홈의 하단은 상기 돌기가 상기 나선형 홈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막힌 구조일 수 있다.The transfer unit includes a second telescopic unit coupled to the lower case and the upper case and adjusting a length in a telescopic type according to a vertical movement of the upper case, and the first telescopic unit includes a plurality of first tubes , And a motor for rotating the outermost tube of the plurality of first tubes, wherein the outermost tube of the plurality of first tubes is rotatably coupled to the lower case, and the plurality of The innermost tube of the first tube is fixed to the upper case, a protrusion is formed on an upper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tube, and a spiral groove for guiding the protrusion is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tube. The lower end of the spiral groove may have a structure in which the protrusion is closed so that the protrusion is not separated from the spiral groove.

상기 돌기는 상기 나선형 홈에 상응하도록 나선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나선형 돌기는 상기 제1 튜브의 상단부에만 형성될 수 있다.The protrusion may be formed in a helical shape to correspond to the helical groove, and the helical protrusion may be formed only at an upper end of the first tube.

상기 나선형 돌기의 하단으로부터 상기 제1 튜브의 상단까지의 높이는 상기 제1 튜브의 길이보다 작을 수 있다.The height from the lower end of the spiral protrusion to the upper end of the first tube may be smaller than the length of the first tube.

상기 트레이의 중앙부는 상향 돌출되고, 상기 트레이는 상기 중앙부를 감싸도록 상면에서 고리 형상으로 돌출되는 분리 벽을 구비하고, 상기 온풍토출구는 상기 분리 벽의 내측면과 마주보는 상기 중앙부의 경사면에 형성되고, 상기 온풍토출구에서 토출된 온풍은 상기 분리 벽에 상향 경사지게 입사되며, 상기 커버부재의 하단은 상기 분리 벽과 상기 하부케이스의 측벽 사이에서 상기 트레이에 결합되어, 상기 커버부재는 상기 상부케이스 하강 시 상기 분리 벽과 상기 하부케이스의 측벽 사이에 수납되고, 상기 분리 벽의 외측면은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The central portion of the tray protrudes upward, the tray has a separation wall protruding in a ring shape from an upper surface to surround the central portion, and the warm air discharge port is formed on an inclined surface of the central portion facing the inner surface of the separation wall. , The warm air discharged from the warm air discharge port is incident on the separation wall in an upward slope, and the lower end of the cover member is coupled to the tray between the separation wall and the side wall of the lower case, and the cover member is lowered when the upper case is lowered. It is accommodated between the separation wall and the side wall of the lower case, the outer surface of the separation wall may be formed to be inclined.

상기 온풍토출구는 상기 중앙부의 원주 방향을 따라 상호간에 이격 배치되도록 복수로 형성되고, 상기 온풍생성부는, 상기 복수의 온풍토출구에 각각 온풍을 공급하는 복수의 팬 어셈블리를 포함하고, 상기 팬 어셈블리는 상기 온풍토출구에 결합되는 팬 하우징, 및 상기 팬 하우징 내에 배치되는 송풍 팬 및 히터를 포함할 수 있다.The warm air discharge ports are formed in plural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central part, and the warm air generator includes a plurality of fan assemblies respectively supplying warm air to the plurality of warm air discharge ports, and the fan assembly includes the It may include a fan housing coupled to the warm air discharge port, and a blower fan and a heater disposed in the fan housing.

상기 복수의 팬 어셈블리 상호간에 온풍의 유속을 각각 다르게 제어하되, 상기 복수의 팬 어셈블리 각각에서의 온풍의 유속을 주기적으로 변경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Each of the plurality of fan assemblies may control the flow rate of the warm air differently, and may include a controller configured to periodically change the flow rate of the warm air in each of the plurality of fan assemblies.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부케이스의 승하강에 따라 장치 크기를 조절할 수 있고, 이송부를 텔레스코픽 타입으로 구성하여 장치 외관을 원형 또는 기타 다양한 형상으로 콤팩트 하게 디자인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ize of the device can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elevating and descending of the upper case, and by configuring the transfer part in a telescopic type, the exterior of the device can be compactly designed in a circular shape or in various other shape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의료건조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작동 예이고,
도 3은 도 2에서 커버부재가 제거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상부케이스의 저면도이고,
도 5는 도 3의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3의 부분절개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3의 제1 텔레스코픽부의 일부를 분해하여 확대한 부분절개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3의 하부케이스의 평면도이고,
도 9는 도 8에서 트레이 일부가 제거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10은 도 5의 A 부분을 확대한 단면도이고,
도 11은 도 5의 B 부분을 확대한 단면도이고,
도 12는 도 11의 사용 예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13은 도 5의 C 부분을 확대한 단면도이고,
도 14는 도 13의 사용 예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15는 제어부의 블록다이어그램이고,
도 16은 도 3의 변형 예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medical dry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example of the operation of Figure 1,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over member is removed in FIG. 2,
Figure 4 is a bottom view of the upper case of Figure 3,
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FIG. 3,
6 is a partially cut-away perspective view of FIG. 3,
FIG. 7 is a partially exploded and enlarg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part of the first telescopic part of FIG. 3;
8 is a plan view of the lower case of FIG. 3,
9 is a plan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part of the tray is removed in FIG. 8,
10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part A of FIG. 5,
11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part B of FIG. 5,
1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example of use of FIG. 11,
13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part C of FIG. 5,
1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example of use of FIG. 13,
15 is a block diagram of a control unit,
16 is a modified example of FIG. 3.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명백히 다른 의미로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일반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으며, 단지 특정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볼 것이지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의도가 있는 것은 아니다.Terms used in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nterpreted as meanings that can be generally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a different meaning. It will be seen as to explain the embodiment, but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특별한 기재가 없는 한 복수형도 포함하는 것으로 볼 것이다.In this specification, the singular form will be considered to include the plural form unless otherwise specified.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기재된 경우, 해당 부분은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In addition, when a part is described as "including" a certain component, it means that the part may further include other components.

또한, 어떤 구성요소 "상"으로 기재된 경우, 해당 구성요소의 위 또는 아래를 의미하고, 반드시 중력 방향을 기준으로 상측에 위치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In addition, when a component is described as "top", it means above or below the component, and does not necessarily mean that it is located on the top side based on the direction of gravity.

또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또는 "결합"된다고 기재된 경우, 해당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 또는 결합되는 경우뿐만 아니라, 해당 구성요소가 또 다른 구성요소를 통해 간접적으로 연결 또는 결합되는 경우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a component is described as being "connected" or "coupled" to another component, the component is not only directly connected or coupled to another component, but the component is indirectly through another component. It may also include the case of being connected or combined.

또한, 구성요소를 설명하는데 있어서 제1, 제2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지만, 이러한 용어는 해당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In addition, terms such as first and second may be used to describe a component, but these terms are only to distinguish the component from other components, and the nature or order of the component or The order and the like are not limit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의료건조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작동 예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medical dry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n operation example of FIG. 1.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의료건조기(10)는 하부케이스(100), 상부케이스(110) 및 커버부재(120)를 포함할 수 있다.1 and 2, the medical dryer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lower case 100, an upper case 110, and a cover member 120.

상부케이스(110)는 하부케이스(100)의 상부에 안착될 수 있고, 후술하는 이송부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 이송될 수 있다. 따라서, 상부케이스(110)가 상승하게 되면, 하부케이스(100)와 상부케이스(110) 사이에는 의류 수납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The upper case 110 may be seated on the upper part of the lower case 100 and may be transported in the vertical direction by a transport unit to be described later. Accordingly, when the upper case 110 is raised, a clothing storage space may be formed between the lower case 100 and the upper case 110.

커버부재(120)는 하부케이스(100)와 상부케이스(110)에 결합되어 의류 수납공간을 구획할 수 있다.The cover member 120 may be coupled to the lower case 100 and the upper case 110 to divide the clothing storage space.

커버부재(120)는 직물(fabric)을 포함할 수 있고, 커버부재(120)의 전면에는 사용자가 의류를 의류 수납공간에 넣고 뺄 수 있도록 지퍼(121)가 형성될 수 있다.The cover member 120 may include a fabric, and a zipper 121 may be form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cover member 120 to allow a user to insert and remove clothing into the clothing storage space.

하부케이스(100)의 전면에는 의류건조기(10)의 작동 상태를 보여주는 디스플레이 패널(101)이 배치될 수 있고, 후면에는 외기가 유입되는 흡입구가 형성될 수 있다.A display panel 101 showing an operating state of the clothes dryer 10 may be disposed on the front side of the lower case 100, and a suction port through which outside air is introduced may be formed on the rear side.

상부케이스(110)의 상면에는 의류 수납공간을 거친 온풍이 외부로 배출되는 배출구(111)가 형성될 수 있고, 상부케이스(110)의 전면 또는 상면에는 리모트 컨트롤러(130)를 수용하는 안착 홈(113)이 형성될 수 있다. 사용자는 리모트 컨트롤러(130)를 사용하여 의류건조기(10)를 원격 조정할 수 있다. 한편, 배출구(111)에는 배출 공기에서 먼지 등을 제거하는 필터, 및 의류 수납공간의 기압이 기 설정값 이상인 경우에만 공기 배출을 허용하는 안전밸브가 설치될 수 있다.An outlet 111 through which the warm air passing through the clothing storage space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may b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case 110, and a seating groove for accommodating the remote controller 130 may be formed on the front or upper surface of the upper case 110. 113) can be formed. The user may remotely control the clothes dryer 10 using the remote controller 130. Meanwhile, a filter for removing dust or the like from the exhaust air and a safety valve for allowing air to be discharged only when the air pressure in the clothing storage space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preset value may be installed at the outlet 111.

도 3은 도 2에서 커버부재가 제거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3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cover member is removed from FIG. 2.

도 3을 참조하면, 상부케이스(110)는 이송부(200)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 이송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 the upper case 110 may be transported in the vertical direction by the transport unit 200.

이송부(200)는 상하 양단이 각각 하부케이스(100)와 상부케이스(110)에 결합되는 제1 텔레스코픽부(210) 및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텔레스코픽부(220)를 포함할 수 있다.The transfer unit 200 may include a first telescopic unit 210 and at least one or more second telescopic units 220 having upper and lower ends respectively coupled to the lower case 100 and the upper case 110.

제1 텔레스코픽부(210)는 복수의 제1 튜브(211)를 포함할 수 있고, 동력 공급에 따라 텔레스코픽 타입으로 길이가 조절되어 상부케이스(110)를 상하 방향으로 이송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자세히 후술하기로 한다.The first telescopic part 210 may include a plurality of first tubes 211, and the length is adjusted in a telescopic type according to power supply, so that the upper case 110 may be transported in the vertical direction. Thi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later.

제2 텔레스코픽부(220)는 복수의 제2 튜브(221)를 포함할 수 있고, 상부케이스(110)의 상하 방향으로의 이동에 따라 텔레스코픽 타입으로 길이가 조절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제2 튜브(221)는 상호간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The second telescopic unit 220 may include a plurality of second tubes 221, and the length may be adjusted in a telescopic type according to the vertical movement of the upper case 110. For example, the plurality of second tubes 221 may be slidably coupled to each other.

도 4는 도 3의 상부케이스의 저면도이다.4 is a bottom view of the upper case of FIG. 3.

도 4를 참조하면, 상부케이스(110)의 하부에는 행거(hanger) 걸이용 메인 랙(main rack)(115)이 설치될 수 있다. 복수의 메인 랙(115)은 제1 텔레스코픽부(210)로부터 복수, 예를 들어 4개의 텔레스코픽부(220)를 향해 방사상으로 연장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4, a main rack 115 for hanging a hanger may be installed below the upper case 110. The plurality of main racks 115 may be disposed to extend radially from the first telescopic unit 210 toward the plurality, for example, four telescopic units 220.

또한, 복수의 제2 텔레스코픽부(220)에는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의류 또는 행거(hanger)를 걸을 수 있는 하나 또는 복수의 서브 랙(sub rack)(140)이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도 있다.In addition, as illustrated in FIG. 3, one or a plurality of sub racks 140 capable of hanging clothes or hangers may be detachably coupled to the plurality of second telescopic units 220.

도 5는 도 3의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3의 부분절개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3의 제1 텔레스코픽부의 일부를 분해하여 확대한 부분절개 사시도이다.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FIG. 3, FIG. 6 is a partially cut-away perspective view of FIG. 3, and FIG. 7 is a partially exploded and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the first telescopic part of FIG. 3.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제1 텔레스코픽부(210)는 복수의 제1 튜브(211) 및 모터(213)를 포함할 수 있다.5 to 7, the first telescopic part 210 may include a plurality of first tubes 211 and a motor 213.

복수의 제1 튜브(211) 중 가장 바깥쪽에 배치된 튜브(211-1)는 하부케이스(10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고, 모터(213)에 의해 회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제1 튜브(211) 중 가장 바깥쪽에 배치된 튜브(211-1)의 하단 외주면에는 제1 기어(211a)가 형성될 수 있고, 모터(213)의 회전축에는 제1 기어(211a)에 치합하는 제2 기어(213a)가 형성될 수 있다. 모터(213)는 하부케이스(100)에 탑재 내지 고정될 수 있다.The outermost tube 211-1 of the plurality of first tubes 211 may be rotatably coupled to the lower case 100 and may be rotated by the motor 213. For example, a first gear 211a may be formed on a lower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outermost tube 211-1 of the plurality of first tubes 211, and a first gear may be formed on the rotating shaft of the motor 213. A second gear 213a meshing with 211a may be formed. The motor 213 may be mounted or fixed to the lower case 100.

복수의 제1 튜브(211) 중 가장 안쪽에 배치된 튜브(211-5)는 상부케이스(110)에 회전하지 못하도록 고정될 수 있다.The innermost tube 211-5 of the plurality of first tubes 211 may be fixed to the upper case 110 so as not to rotate.

복수의 제1 튜브(211) 상호간은 돌기(211b)와 나선형 홈(211c)의 결합 구조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The plurality of first tubes 211 may be rotatably coupled to each other by a coupling structure of the protrusion 211b and the spiral groove 211c.

돌기(211b)는 제1 튜브(211)의 상단 내주면에 형성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나선형 홈(211c)에 상응하도록 나선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나선형 홈(211c)은 제1 튜브(211)의 외주면에 나선형으로 형성되어 돌기(211b)를 안내할 수 있다.The protrusion 211b may be formed on the upper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tube 211, and preferably may be formed in a spiral shape to correspond to the spiral groove 211c. The spiral groove 211c may be formed in a spiral shape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first tube 211 to guide the protrusion 211b.

돌기(211b)는 제1 튜브(211)의 상단부에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나선형 돌기(211b)의 하단으로부터 제1 튜브(211)의 상단까지의 높이는 제1 튜브(211)의 전체 길이보다 작을 수 있다.The protrusion 211b may be formed only at the upper end of the first tube 211. For example, a height from the lower end of the spiral protrusion 211b to the upper end of the first tube 211 may be smaller than the total length of the first tube 211.

또한, 나선형 홈(211c)의 하단(211d)은 돌기(211b)가 나선형 홈(211c)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막힌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In addition, the lower end 211d of the spiral groove 211c may have a structure in which the protrusion 211b is not separated from the spiral groove 211c.

따라서, 복수의 제1 튜브(211) 중 가장 바깥쪽에 배치된 튜브(211-1)가 모터(213)에 의해 회전하면 복수의 제1 튜브(211) 중 가장 안쪽에 배치된 튜브(211-5)는 제2 텔레스코픽부(220)에 의해 회전 운동이 구속된 상부케이스(110)로 인해 상승하게 되고, 복수의 제1 튜브(211) 중 가장 안쪽에 배치된 튜브(211-5)의 나선형 홈(211c)을 따라 이동하던 돌기(211b)가 나선형 홈(211c)의 하단(211d)에 도달하면 복수의 제1 튜브(211) 중 가장 안쪽에서 두 번째로 배치된 튜브(211-4)는 가장 안쪽에 배치된 튜브(211-5)와 함께 회전 운동이 구속된 상태로 상승하게 된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제1 텔레스코픽부(210)의 길이가 늘어날 수 있다. 한편, 제1 텔레스코픽부(210)의 길이는 모터(213)의 역 회전에 의해 줄어들 수 있다.Accordingly, when the outermost tube 211-1 of the plurality of first tubes 211 is rotated by the motor 213, the innermost tube 211-5 of the plurality of first tubes 211 is rotated. ) Is raised due to the upper case 110 in which the rotational motion is constrained by the second telescopic part 220, and the spiral groove of the innermost tube 211-5 among the plurality of first tubes 211 When the protrusion 211b moving along the (211c) reaches the lower end 211d of the spiral groove 211c, the tube 211-4 disposed second from the innermost of the plurality of first tubes 211 is the most Together with the tube 211-5 disposed inside, the rotational motion is raised in a constrained state. In this way, the length of the first telescopic part 210 may be increased. Meanwhile, the length of the first telescopic part 210 may be reduced by reverse rotation of the motor 213.

한편, 하부케이스(100)는 상면이 개방된 형상일 수 있고, 하부케이스(100)의 내부공간은 트레이(103)에 의해 상부공간과 하부공간으로 분리될 수 있으며, 하부케이스(100)의 하부공간에는 온풍생성부(300) 및 스팀생성부(400)가 배치될 수 있다.Meanwhile, the lower case 100 may have an open upper surface, and the inner space of the lower case 100 may be separated into an upper space and a lower space by a tray 103, and The warm air generating unit 300 and the steam generating unit 400 may be disposed in the space.

도 8은 도 3의 하부케이스의 평면도이고, 도 9는 도 8에서 트레이 일부가 제거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10은 도 5의 A 부분을 확대한 단면도이다.FIG. 8 is a plan view of the lower case of FIG. 3, FIG. 9 is a plan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part of the tray is removed in FIG. 8, and FIG. 10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portion A of FIG. 5.

도 5,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트레이(103)에는 온풍생성부(300)를 구성하는 복수의 팬 어셈블리(310)에서 생성된 온풍이 토출되는 복수의 온풍토출구(103a)가 형성될 수 있다.5, 8 to 10, the tray 103 is formed with a plurality of hot air discharge ports 103a through which the hot air generated by the plurality of fan assemblies 310 constituting the hot air generating unit 300 is discharged. I can.

트레이(103)의 상면은 상향 돌출된 중앙부(103b), 및 중앙부(103b)를 감싸도록 고리 형상으로 돌출된 분리 벽(103c)을 포함할 수 있다.The upper surface of the tray 103 may include a central portion 103b protruding upward and a separation wall 103c protruding in a ring shape so as to surround the central portion 103b.

온풍토출구(103a)는 분리 벽(103c)의 내측면(103c-1)과 마주보는 중앙부(103b)의 경사면(103b-1)에 형성될 수 있고, 온풍토출구(103a)에서 토출된 온풍은 분리 벽(103c)의 내측면(103c-1)에 상향 경사지게 입사되어 상부케이스(110) 측으로 유동할 수 있다.The warm air discharge port 103a may be formed on the inclined surface 103b-1 of the central part 103b facing the inner surface 103c-1 of the separation wall 103c, and the hot air discharged from the warm air discharge port 103a is separated. It is incident on the inner surface 103c-1 of the wall 103c so as to be inclined upward to flow toward the upper case 110.

또한, 복수의 온풍토출구(103a)는 중앙부(103b)의 원주 방향을 따라 상호간에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고, 복수의 온풍토출구(103a) 각각에는 복수의 팬 어셈블리(310) 각각이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복수의 온풍토출구(103a)에서 토출되는 온풍의 상태, 예를 들어 온도, 유속 등은 온풍토출구(103a) 별로 상이하게 제어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plurality of warm air discharge ports 103a may be dispos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central part 103b, and each of the plurality of fan assemblies 310 may be coupled to each of the plurality of warm air discharge ports 103a. . Accordingly, the state of the warm air discharged from the plurality of warm air discharge ports 103a, for example, temperature, flow rate, etc., may be controlled differently for each of the warm air discharge ports 103a.

팬 어셈블리(310)는 온풍토출구(103a)에 결합되는 팬 하우징(311), 및 팬 하우징(311) 내에 배치되는 송풍 팬(313) 및 제1 히터(315)를 포함할 수 있다.The fan assembly 310 may include a fan housing 311 coupled to the warm air discharge port 103a, and a blowing fan 313 and a first heater 315 disposed in the fan housing 311.

예를 들어, 송풍 팬(313)에 의해 하부케이스(100)에 형성된 흡입구(105)를 통해 유입된 외부 공기는 제1 히터(315)를 거쳐 가열된 후 온풍토출구(103a)를 통해 의류 수납공간으로 토출될 수 있다. 한편, 흡입구(105)에는 유입 공기에서 먼지 등을 제거하는 필터, 및 유입 공기를 살균하는 자외선 램프 또는 LED가 설치될 수 있다.For example, external air introduced through the inlet 105 formed in the lower case 100 by the blowing fan 313 is heated through the first heater 315 and then heated through the warm air outlet 103a. Can be discharged. Meanwhile, a filter for removing dust or the like from the inlet air and an ultraviolet lamp or LED for sterilizing the inlet air may be installed in the inlet 105.

도 11은 도 5의 B 부분을 확대한 단면도이고, 도 12는 도 11의 사용 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11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portion B of FIG. 5, and FIG. 12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n example of use of FIG. 11.

도 5,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면, 트레이(103)에는 스팀생성부(400)에서 생성된 스팀이 의류 수납공간으로 토출되는 통로인 스팀토출구(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5, 11, and 12, a steam discharge port (not shown), which is a passage through which the steam generated by the steam generator 400 is discharged to the clothing storage space, may be formed in the tray 103.

스팀생성부(400)는 물통(410), 및 물통(410)에서 배출된 물을 가열하는 제2 히터(420)를 포함할 수 있다.The steam generator 400 may include a bucket 410 and a second heater 420 that heats water discharged from the bucket 410.

물통(410)의 하면에는 물배출구(411)가 형성될 수 있고, 물통(410)은 물통(410)에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어 물배출구(411)를 개폐하는 마개(413), 및 물배출구(411)를 폐쇄하도록 마개(413)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 예를 들어 스프링(415)을 구비할 수 있다.A water outlet 411 may be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bucket 410, and the bucket 410 is slidably coupled to the bucket 410 in an up-down direction to open and close the water outlet 411, and An elastic member, for example, a spring 415 may be provided to provide an elastic force to the stopper 413 to close the water outlet 411.

물통(410)은 트레이(103)의 상면에 형성된 삽입 홈(103d)에 삽입될 수 있고, 삽입 홈(103d)의 개방된 상면은 트레이(103)에 결합되는 커버(103e)에 의해 개폐될 수 있다.The bucket 410 can be inserted into the insertion groove 103d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tray 103, and the open upper surface of the insertion groove 103d can be opened and closed by a cover 103e coupled to the tray 103. have.

예를 들어, 사용자는 물통(410)을 삽입 홈(103d)에 넣은 후 커버(103e)에 의해 삽입 홈(103d)의 개방된 상면을 폐쇄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user may close the open upper surface of the insertion groove 103d by the cover 103e after inserting the water bottle 410 into the insertion groove 103d.

삽입 홈(103d)의 바닥 면에는 마개(413)와 상응하는 위치에 돌출부(103d-1)가 형성될 수 있다.A protrusion 103d-1 may be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stopper 413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insertion groove 103d.

돌출부(103d-1)는 물통(410)이 삽입 홈(103d)에 완전히 삽입되면 마개(413)를 상향 가압할 수 있다. 그 결과, 마개(413)는 스프링(415)을 압축시키면서 상승하여 물배출구(411)를 개방할 수 있다.The protrusion 103d-1 may press the stopper 413 upward when the bucket 410 is completely inserted into the insertion groove 103d. As a result, the stopper 413 may rise while compressing the spring 415 to open the water outlet 411.

돌출부(103d-1)의 측면에는 관통 홀(103d-2)이 형성될 수 있고, 관통 홀(103d-2)은 유로(103f)를 통해 스팀토출구에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물배출구(411)를 통해 삽입 홈(103d) 내로 배출된 물은 관통 홀(103d-2)을 통해 유로(103f)로 유입될 수 있고, 유로(103f)에 배치된 제2 히터(420)에 의해 가열되어 스팀으로 변환될 수 있으며, 스팀은 스팀토출구를 통해 의류 수납공간으로 토출될 수 있다.A through hole 103d-2 may be formed on a side surface of the protrusion 103d-1, and the through hole 103d-2 may be connected to the steam discharge port through a flow path 103f. Accordingly, water discharged into the insertion groove 103d through the water outlet 411 may be introduced into the flow path 103f through the through hole 103d-2, and the second heater 420 disposed in the flow path 103f. ) Can be heated and converted into steam, and the steam can be discharged to the clothing storage space through the steam discharge port.

도 13은 도 5의 C 부분을 확대한 단면도이고, 도 14는 도 13의 사용 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13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portion C of FIG. 5, and FIG. 14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n example of use of FIG. 13.

도 5, 도 13 및 도 14를 참조하면, 트레이(103)의 상면은 커버부재(120)가 결합되는 체결 홈(103g)을 포함할 수 있다.5, 13 and 14, the upper surface of the tray 103 may include a fastening groove 103g to which the cover member 120 is coupled.

체결 홈(103g)은 분리 벽(103c)과 하부케이스(100)의 측벽(107)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The fastening groove 103g may be disposed between the separation wall 103c and the side wall 107 of the lower case 100.

따라서, 커버부재(120)는 상부케이스(110) 하강 시 분리 벽(103c)과 하부케이스(100)의 측벽(107) 사이에 수납될 수 있다. 즉, 분리 벽(103c)은 커버부재 수납공간을 구획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Accordingly, the cover member 120 may be accommodated between the separation wall 103c and the side wall 107 of the lower case 100 when the upper case 110 is lowered. That is, the separation wall 103c may perform a function of partitioning the cover member storage space.

분리 벽(103c)의 외측면(103c-2)은 커버부재(120)가 커버부재 수납공간에 원활하게 수납될 수 있도록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The outer surface 103c-2 of the separation wall 103c may be formed to be inclined so that the cover member 120 can be smoothly accommodated in the cover member storage space.

커버부재(120)의 하단에는 체결 홈(103g)에 삽입되는 삽입부(123)가 결합될 수 있고, 삽입부(123)의 하단 측면에는 돌기(123a)가 형성될 수 있다. 트레이(103)에는 돌기(123a)의 상측에서 분리 벽(103c)의 외측면(103c-2)을 향해 연장되어 삽입부(123)가 체결 홈(103g)으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부재(127)가 볼트 등의 체결부재(125, 도 8 참조)에 의해 트레이(103)의 상면에 고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이탈방지부재(127)는 외부로 노출되지 않게 의류 수납공간에 배치됨으로써 심플한 외부 미관을 제공할 수 있다.An insertion portion 123 inserted into the fastening groove 103g may be coupled to the lower end of the cover member 120, and a protrusion 123a may be formed on the lower side of the insertion portion 123. The tray 103 has a detachment preventing member that extends from the upper side of the protrusion 123a toward the outer surface 103c-2 of the separation wall 103c to prevent the insertion part 123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fastening groove 103g ( 127 may be fix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tray 103 by a fastening member 125 such as a bolt (see FIG. 8 ). As described above, the separation preventing member 127 may provide a simple external aesthetic by being disposed in the clothing storage space so as not to be exposed to the outside.

도 15는 제어부의 블록다이어그램이다.15 is a block diagram of a control unit.

도 15를 참조하면, 의류건조기(10)는 디스플레이 패널(101) 또는 리모트 컨트롤러(130)를 통해 신호가 입력되면 데이터베이스(600)에 저장된 프로그램에 따라 이송부(200), 온풍생성부(300) 및 스팀생성부(400)를 제어하는 제어부(50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5, when a signal is input through the display panel 101 or the remote controller 130, the clothes dryer 10 includes a transfer unit 200, a warm air generation unit 300, and a It may include a control unit 500 that controls the steam generating unit 400.

제어부(500)는 복수의 팬 어셈블리(310) 상호간에 온풍의 유속을 다르게 제어하되, 복수의 팬 어셈블리(310) 각각에서의 온풍의 유속을 주기적으로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주기 동안 제1 팬 어셈블리(310)에서는 강한 세기의 온풍이 나오고 제2 팬 어셈블리(310)에서는 중간 세기의 온풍이 나오고 제3 팬 어셈블리(310)에서는 약한 세기의 온풍이 나온다면, 제2 주기 동안 제1 팬 어셈블리(310)에서는 약한 세기의 온풍이 나오고 제2 팬 어셈블리(310)에서는 강한 세기의 온풍이 나오고 제3 팬 어셈블리(310)에서는 중간 세기의 온풍이 나오게 할 수 있고, 제3 주기 동안 제1 팬 어셈블리(310)에서는 중간 세기의 온풍이 나오고 제2 팬 어셈블리(310)에서는 약한 세기의 온풍이 나오고 제3 팬 어셈블리(310)에서는 강한 세기의 온풍이 나오게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온풍 흐름을 주기적으로 변경할 경우 의류의 위치 및 자세가 변경되어 건조 효율 및 미세먼지 제거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The controller 500 controls the flow rates of the warm air differently between the plurality of fan assemblies 310, but may periodically change the flow rates of the warm air in each of the plurality of fan assemblies 310. For example, during the first cycle, the first fan assembly 310 generates a strong hot air, the second fan assembly 310 produces a medium-intensity warm air, and the third fan assembly 310 generates a weak hot air. If so, during the second period, the first fan assembly 310 may generate a weakly intense warm air, the second fan assembly 310 may generate a strong warm air, and the third fan assembly 310 may generate a medium intensity warm air. In addition, during the third period, the first fan assembly 310 may generate a medium-intensity warm air, the second fan assembly 310 may generate a weak-intensity warm air, and the third fan assembly 310 may generate a strong warm air. have. If the hot air flow is changed periodically as described above, the position and posture of the clothes are changed, so that drying efficiency and fine dust removal efficiency may be improved.

도 16은 도 3의 변형 예이다.16 is a modified example of FIG. 3.

도 16을 참조하면, 도 3에서 의료건조기(10)의 중앙부에 배치되는 제1 텔레스코픽부(210)는 생략될 수 있고, 도 3에서 의료건조기(10)의 가장자리를 따라 배치되는 복수의 제2 텔레스코픽부(220)의 전부 또는 일부는 제1 텔레스코픽부(210)로 대체될 수 있다. 따라서, 의류 수납공간이 추가 확보될 수 있다. 한편, 복수의 제1 텔레스코픽부(210)는 기어 어셈블리를 통해 하나의 모터에서 동력을 공급받을 수 있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복수의 모터에서 각각 동력을 공급받을 수도 있다.Referring to FIG. 16, the first telescopic part 210 disposed in the center of the medical dryer 10 in FIG. 3 may be omitted, and in FIG. 3, a plurality of second telescopic parts disposed along the edge of the medical dryer 10 All or part of the telescopic unit 220 may be replaced with the first telescopic unit 210. Accordingly, a clothing storage space can be additionally secured. Meanwhile, the plurality of first telescopic units 210 may receive power from one motor through the gear assembly,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power may be supplied from each of the plurality of motors.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실시 예를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In the above, description has been made based on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this is only an example and does not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will be able to variously modify and change the embodiments by adding, changing, deleting, or adding components within the scope no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in the claims. It will be possible, and it will be said that this is also included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 의료건조기 100: 하부케이스
101: 디스플레이 패널 103: 트레이
103a: 온풍토출구 103b: 중앙부
103b-1: 경사면 103c: 분리 벽
103c-1: 내측면 103c-2: 외측면
103d: 삽입 홈 103d-1: 돌출부
103d-2: 관통 홀 103e: 커버
103f: 유로 103g: 체결 홈
105: 흡입구 107: 측벽
110: 상부케이스 111: 배출구
113: 안착 홈 115: 메인 랙
120: 커버부재 121: 지퍼
123: 삽입부 123a: 돌기
125: 체결부재 127: 이탈방지부재
130: 리모트 컨트롤러 140: 서브 랙
200: 이송부 210: 제1 텔레스코픽부
211: 제1 튜브 211a: 제1 기어
211b: 돌기 211c: 홈
211d: 하단 213: 모터
213a: 제2 기어 220: 제2 텔레스코픽부
221: 제2 튜브 300: 온풍생성부
310: 팬 어셈블리 311: 팬 하우징
313: 송풍 팬 315: 제1 히터
400: 스팀생성부 410: 물통
411: 물배출구 413: 마개
415: 스프링 420: 제2 히터
500: 제어부 600: 데이터베이스
10: medical dryer 100: lower case
101: display panel 103: tray
103a: warm air discharge port 103b: central part
103b-1: slope 103c: separation wall
103c-1: inner side 103c-2: outer side
103d: insertion groove 103d-1: protrusion
103d-2: through hole 103e: cover
103f: Euro 103g: Fastening groove
105: inlet 107: side wall
110: upper case 111: outlet
113: seating groove 115: main rack
120: cover member 121: zipper
123: insertion part 123a: protrusion
125: fastening member 127: separation preventing member
130: remote controller 140: sub rack
200: transfer unit 210: first telescopic unit
211: first tube 211a: first gear
211b: protrusion 211c: groove
211d: bottom 213: motor
213a: second gear 220: second telescopic part
221: second tube 300: warm air generation unit
310: fan assembly 311: fan housing
313: blowing fan 315: first heater
400: steam generation unit 410: water container
411: water outlet 413: stopper
415: spring 420: second heater
500: control unit 600: database

Claims (7)

개방된 상면을 구비하고, 내부공간이 온풍토출구가 형성된 트레이에 의해 상부공간과 하부공간으로 분리되는 하부케이스;
상기 하부케이스의 하부공간에 배치되는 온풍생성부;
상기 하부케이스의 상부에 안착되고, 하부에 행거 걸이용 메인 랙을 구비하는 상부케이스;
상기 하부케이스에 결합되어, 상기 상부케이스를 상하 방향으로 이송하는 이송부; 및
상기 하부케이스와 상기 상부케이스에 결합되어, 상기 하부케이스와 상기 상부케이스 사이에 형성되는 의류 수납공간을 구획하는 커버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이송부는,
상기 하부케이스와 상기 상부케이스에 결합되고, 동력 공급에 따라 텔레스코픽 타입으로 길이가 조절되어 상기 상부케이스를 상하 방향으로 이송하는 제1 텔레스코픽부를 포함하는 의류건조기.
A lower case having an open upper surface, wherein the inner space is separated into an upper space and a lower space by a tray having a warm air discharge port formed thereon;
A warm air generator disposed in a lower space of the lower case;
An upper case seated on the upper part of the lower case and having a main rack for hanging hangers at the lower part;
A transfer unit coupled to the lower case and transferring the upper case in a vertical direction; And
A cover member coupled to the lower case and the upper case to partition a clothing storage space formed between the lower case and the upper case,
The transfer unit,
A clothes dryer comprising a first telescopic part coupled to the lower case and the upper case and adjusting a length in a telescopic type according to power supply to transfer the upper case in a vertical direc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부는,
상기 하부케이스와 상기 상부케이스에 결합되고, 상기 상부케이스의 상하 방향으로의 이동에 따라 텔레스코픽 타입으로 길이가 조절되는 제2 텔레스코픽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텔레스코픽부는 복수의 제1 튜브, 및 상기 복수의 제1 튜브 중 가장 바깥쪽에 배치된 튜브를 회전시키는 모터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제1 튜브 중 가장 바깥쪽에 배치된 튜브는 상기 하부케이스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복수의 제1 튜브 중 가장 안쪽에 배치된 튜브는 상기 상부케이스에 고정되고,
상기 제1 튜브의 상단 내주면에는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제1 튜브의 외주면에는 상기 돌기를 안내하는 나선형 홈이 형성되되, 상기 나선형 홈의 하단은 상기 돌기가 상기 나선형 홈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막힌 구조인 의류건조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transfer unit,
A second telescopic part coupled to the lower case and the upper case and adjusting a length in a telescopic type according to the vertical movement of the upper case,
The first telescopic unit includes a plurality of first tubes and a motor for rotating the outermost tube of the plurality of first tubes,
The outermost tube of the plurality of first tubes is rotatably coupled to the lower case,
The innermost tube of the plurality of first tubes is fixed to the upper case,
A protrusion is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upper end of the first tube, and a helical groove guiding the protrusion is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tube, and the lower end of the helical groove is a structure in which the protrusion is blocked so that the protrusion is not separated from the helical groove. Clothes dryer.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는 상기 나선형 홈에 상응하도록 나선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나선형 돌기는 상기 제1 튜브의 상단부에만 형성되는 의류건조기.
The method of claim 2,
The protrusion is formed in a spiral so as to correspond to the spiral groove,
The helical protrusion is formed only at the upper end of the first tube.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나선형 돌기의 하단으로부터 상기 제1 튜브의 상단까지의 높이는 상기 제1 튜브의 길이보다 작은 의류건조기.
The method of claim 3,
A height from the lower end of the spiral protrusion to the upper end of the first tube is smaller than the length of the first tub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의 중앙부는 상향 돌출되고,
상기 트레이는 상기 중앙부를 감싸도록 상면에서 고리 형상으로 돌출되는 분리 벽을 구비하고,
상기 온풍토출구는 상기 분리 벽의 내측면과 마주보는 상기 중앙부의 경사면에 형성되고, 상기 온풍토출구에서 토출된 온풍은 상기 분리 벽에 상향 경사지게 입사되며,
상기 커버부재의 하단은 상기 분리 벽과 상기 하부케이스의 측벽 사이에서 상기 트레이에 결합되어, 상기 커버부재는 상기 상부케이스 하강 시 상기 분리 벽과 상기 하부케이스의 측벽 사이에 수납되고, 상기 분리 벽의 외측면은 경사지게 형성되는 의류건조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central portion of the tray protrudes upward,
The tray has a separation wall protruding from an upper surface in a ring shape so as to surround the central part,
The warm air discharge port is formed on an inclined surface of the central portion facing the inner surface of the separation wall, and the warm air discharged from the warm air discharge port is incident on the separation wall in an upward inclined manner,
The lower end of the cover member is coupled to the tray between the separation wall and the side wall of the lower case, and the cover member is accommodated between the separation wall and the side wall of the lower case when the upper case is lowered, A clothes dryer whose outer surface is formed to be inclined.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온풍토출구는 상기 중앙부의 원주 방향을 따라 상호간에 이격 배치되도록 복수로 형성되고,
상기 온풍생성부는,
상기 복수의 온풍토출구에 각각 온풍을 공급하는 복수의 팬 어셈블리를 포함하고,
상기 팬 어셈블리는 상기 온풍토출구에 결합되는 팬 하우징, 및 상기 팬 하우징 내에 배치되는 송풍 팬 및 히터를 포함하는 의류건조기.
The method of claim 5,
The warm air discharge port is formed in a plurality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central portion,
The warm air generating unit,
And a plurality of fan assemblies supplying warm air to the plurality of warm air discharge ports, respectively,
The fan assembly includes a fan housing coupled to the warm air discharge port, and a blower fan and a heater disposed in the fan housing.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팬 어셈블리 상호간에 온풍의 유속을 각각 다르게 제어하되, 상기 복수의 팬 어셈블리 각각에서의 온풍의 유속을 주기적으로 변경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의류건조기.
The method of claim 6,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flow velocity of the warm air differently between the plurality of fan assemblies, and periodically changing the flow velocity of the hot air in each of the plurality of fan assemblies.
KR1020190149714A 2019-09-27 2019-11-20 Clothing dryer KR20210037496A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9608 2019-09-27
KR20190119608 2019-09-27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37496A true KR20210037496A (en) 2021-04-06

Family

ID=754730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49714A KR20210037496A (en) 2019-09-27 2019-11-20 Clothing dry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37496A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4206391A1 (en) * 2022-01-04 2023-07-05 LG Electronics, Inc. Hanger devic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02505B1 (en) 2017-06-30 2017-11-28 정용덕 Laundry drying apparatu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02505B1 (en) 2017-06-30 2017-11-28 정용덕 Laundry drying apparatu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4206391A1 (en) * 2022-01-04 2023-07-05 LG Electronics, Inc. Hanger devic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350977B (en) Cloth drying machine
CN106350976B (en) Cloth drying machine
US20170037560A1 (en) Dryer for clothes
KR101414635B1 (en) Cloth treating apparatus
EP2246470B1 (en) Washer-drier machine
CN101550649B (en) Laundry machine
AU2007277599B2 (en) Multiple laundry treating machine and control method thereof
AU2007277518A1 (en) Multiple laundry treating machine
KR20060060211A (en) Complex type dryer having a clothes hanger for supplying heat air
WO2009020319A2 (en) Clothes treating apparatus
US11542651B2 (en) Clothes care apparatus
CN112301710B (en) Clothes nursing device
US20090151188A1 (en) Clothes treating apparatus
KR20210037496A (en) Clothing dryer
KR102021904B1 (en) Drying machine with hot wind mode and air cleaning mode
KR100595240B1 (en) complex type dryer having means for folding laundry
CN101387070B (en) Clothes treating apparatus
KR20030041385A (en) Cloth dryer
KR200264785Y1 (en) Cloth dryer
JP3114200U (en) Dryer
WO2022193652A1 (en) Clothes care device
KR20230105500A (en) Apparatus for hanging clothes
CN105937153B (en) Clothes-drying
KR20230105769A (en) Apparatus for hanging clothes, and control method for the same
KR20230105499A (en) Apparatus for hanging cloth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