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37229A - 다중 채널을 통해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전송하는 사용자 단말, 서버 및 방법 - Google Patents

다중 채널을 통해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전송하는 사용자 단말, 서버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37229A
KR20210037229A KR1020190119593A KR20190119593A KR20210037229A KR 20210037229 A KR20210037229 A KR 20210037229A KR 1020190119593 A KR1020190119593 A KR 1020190119593A KR 20190119593 A KR20190119593 A KR 20190119593A KR 20210037229 A KR20210037229 A KR 202100372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ultimedia data
network
unit
transmission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195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차재욱
최우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to KR10201901195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37229A/ko
Publication of KR202100372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3722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8Interfacing the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e.g. adapting the transmission rate of a video stream to network bandwidth; Processing of multiplex streams
    • H04N21/2385Channel allocation; Bandwidth allo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6Assembling of a multiplex stream, e.g. transport stream, by combining a video stream with other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inserting a URL [Uniform Resource Locator] into a video stream, multiplexing software data into a video stream; Remultiplexing of multiplex streams; Insertion of stuffing bits into the multiplex stream, e.g. to obtain a constant bit-rate; Assembling of a packetised elementary strea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60Network structure or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 or between remote clients; Control signalling between clients,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Transmission of management data between server and client, e.g. sending from server to client commands for recording incoming content stream; Communication details between server and client 
    • H04N21/63Control signaling related to video distribution between client,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Network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s or between remote clients, e.g. transmitting basic layer and enhancement layers over different transmission paths, setting up a peer-to-peer communication via Internet between remote STB's; Communication protocols; Addressing
    • H04N21/631Multimode Transmission, e.g. transmitting basic layers and enhancement layers of the content over different transmission paths or transmitting with different error corrections, different keys or with different transmission protoco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60Network structure or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 or between remote clients; Control signalling between clients,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Transmission of management data between server and client, e.g. sending from server to client commands for recording incoming content stream; Communication details between server and client 
    • H04N21/63Control signaling related to video distribution between client,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Network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s or between remote clients, e.g. transmitting basic layer and enhancement layers over different transmission paths, setting up a peer-to-peer communication via Internet between remote STB's; Communication protocols; Addressing
    • H04N21/647Control signaling between network components and server or clients; Network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s, e.g. controlling the quality of the video stream, by dropping packets, protecting content from unauthorised alteration within the network, monitoring of network load, bridging between two different networks, e.g. between IP and wireless
    • H04N21/64784Data processing by the networ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다중 채널을 통해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전송하는 사용자 단말은 복수의 네트워크 채널에 대한 채널 환경을 모니터링하여 복수의 네트워크 채널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 채널을 선정하는 채널 선정부, 선정된 네트워크 채널 각각에 대한 단위 시간당 전송량을 확인하는 확인부, 확인된 각 네트워크 채널에 대한 단위 시간당 전송량에 기초하여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분할하는 분할부 및 분할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각 네트워크 채널에 할당하여 컨텐츠 서버로 전송하는 전송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다중 채널을 통해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전송하는 사용자 단말, 서버 및 방법{USER DEVICE, SERVER AND METHOD FOR TRANSMITTING MULTIMEDIA DATA THROUGH MULTI CHANNELS}
본 발명은 다중 채널을 통해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전송하는 사용자 단말, 서버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정보통신 기술의 발전과 더불어 다양한 무선 통신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다양한 무선 통신 기술 중 무선랜(WLAN) 기술은 무선 주파수 기술을 바탕으로 스마트폰(Smartphone), 노트북 등과 같은 이동 단말을 이용하여 특정 서비스 제공지역에서 무선으로 인터넷에 액세스할 수 있도록 해준다.
최근 들어, 종래의 IEEE(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 802.11g/n 표준을 지원하는 이동 단말에 비하여 높은 성능을 제공하는 IEEE 802.11ac 표준을 지원하는 이동 단말들의 이용이 증가하고 있다. 이동 단말의 사용자들 사이에서 초고화질 비디오와 같은 고용량 콘텐츠에 대한 소비가 증가함에 따라, 보다 높은 성능을 지원하는 무선랜 시스템이 요구되고 있다.
한편, 이동 단말이 컨텐츠 서버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업로드하고자 하는 경우,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용량 및 네트워크 상태에 따라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전송률에 변화가 발생하여 컨텐츠 서버로의 업로드가 원활하지 않을 수 있다.
이동 단말이 컨텐츠 서버로부터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다운로드 방식 또는 스트리밍 방식을 통해 제공받고자 하는 경우에도 콘텐츠 서버의 상태, 네트워크 상태에 따라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전송률에 변화가 발생하여 다운로드 서비스 또는 스트리밍 서비스가 원활하게 제공되지 않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한국공개특허공보 제2018-0044957호 (2018.05.03. 공개)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복수의 네트워크 채널 중 선정된 네트워크 채널 각각에 대한 단위 시간당 전송량을 확인하고, 확인된 각 네트워크 채널에 대한 단위 시간당 전송량에 기초하여 멀티 미디어 데이터를 분할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분할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각 네트워크 채널에 할당하여 각 네트워크 채널을 통해 컨텐츠 서버로 전송하고자 한다. 다만, 본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제 1 측면에 따른 다중 채널을 통해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전송하는 사용자 단말은 복수의 네트워크 채널에 대한 채널 환경을 모니터링하여 상기 복수의 네트워크 채널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 채널을 선정하는 채널 선정부; 상기 선정된 네트워크 채널 각각에 대한 단위 시간당 전송량을 확인하는 확인부; 상기 확인된 각 네트워크 채널에 대한 단위 시간당 전송량에 기초하여 상기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분할하는 분할부; 및 상기 분할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상기 각 네트워크 채널에 할당하여 컨텐츠 서버로 전송하는 전송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2 측면에 따른 다중 채널을 통해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전송하는 컨텐츠 서버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멀티미디어 데이터에 대한 전송 요청을 수신하는 수신부; 복수의 네트워크 채널에 대한 채널 환경을 모니터링하여 상기 복수의 네트워크 채널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 채널을 선정하는 채널 선정부; 상기 선정된 네트워크 채널 각각에 대한 단위 시간당 전송량을 확인하는 확인부; 상기 확인된 각 네트워크 채널에 대한 단위 시간당 전송량에 기초하여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분할하는 분할부; 및 상기 분할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상기 각 네트워크 채널에 할당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전송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3 측면에 따른 사용자 단말에서 다중 채널을 통해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은 복수의 네트워크 채널에 대한 채널 환경을 모니터링하여 상기 복수의 네트워크 채널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 채널을 선정하는 단계; 상기 선정된 네트워크 채널 각각에 대한 단위 시간당 전송량을 확인하는 단계; 상기 확인된 각 네트워크 채널에 대한 단위 시간당 전송량에 기초하여 상기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분할하는 단계; 및 상기 분할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상기 각 네트워크 채널에 할당하여 상기 컨텐츠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과제 해결 수단은 단지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 발명을 제한하려는 의도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상술한 예시적인 실시예 외에도, 도면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추가적인 실시예가 존재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복수의 네트워크 채널 중 선정된 네트워크 채널 각각에 대한 단위 시간당 전송량을 확인하고, 확인된 각 네트워크 채널에 대한 단위 시간당 전송량에 기초하여 멀티 미디어 데이터를 분할할 수 있다. 또한, 분할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각 네트워크 채널에 할당하여 각 네트워크 채널을 통해 컨텐츠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일정한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전송률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중 채널을 이용한 멀티미디어 데이터 전송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에 도시된 사용자 단말의 블록도이다.
도 3a 내지 3e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에서 다중 네트워크 채널을 통해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에 도시된 컨텐츠 서버의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서버에서 다중 네트워크 채널을 통해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에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부(部)'란,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unit),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 양방을 이용하여 실현되는 유닛을 포함한다. 또한, 1 개의 유닛이 2 개 이상의 하드웨어를 이용하여 실현되어도 되고, 2 개 이상의 유닛이 1 개의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어도 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단말 또는 디바이스가 수행하는 것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는 해당 단말 또는 디바이스와 연결된 서버에서 대신 수행될 수도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서버가 수행하는 것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도 해당 서버와 연결된 단말 또는 디바이스에서 수행될 수도 있다.
이하, 첨부된 구성도 또는 처리 흐름도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중 채널을 이용한 멀티미디어 데이터 전송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멀티미디어 데이터 전송 시스템은 사용자 단말(100) 및 컨텐츠 서버(110)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도 1의 멀티미디어 데이터 전송 시스템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도 1을 통해 본 발명이 한정 해석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라 도 1과 다르게 구성될 수도 있다.
일반적으로, 도 1의 멀티미디어 데이터 전송 시스템의 각 구성요소들은 네트워크(미도시)를 통해 연결된다. 네트워크는 단말들 및 서버들과 같은 각각의 노드 상호 간에 정보 교환이 가능한 연결 구조를 의미하는 것으로, 근거리 통신망(LAN: Local Area Network), 광역 통신망(WAN: Wide Area Network), 인터넷 (WWW: World Wide Web), 유무선 데이터 통신망, 전화망, 유무선 텔레비전 통신망 등을 포함한다. 무선 데이터 통신망의 일례에는 3G, 4G, 5G,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LTE(Long Term Evolution),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와이파이(Wi-Fi), 블루투스 통신, 적외선 통신, 초음파 통신, 가시광 통신(VLC: Visible Light Communication), 라이파이(LiFi) 등이 포함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사용자 단말(100)은 사용자로부터 멀티미디어 데이터에 대한 컨텐츠 서버(110)로의 업로드 요청을 입력받은 경우, 복수의 네트워크 채널에 대한 채널 환경을 모니터링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00)은 모니터링된 복수의 네트워크 채널(예컨대, wi-fi 네트워크 채널, 모바일 네트워크 채널(3G, 4G, 5G 등), 이더넷 네트워크 채널 등)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 채널을 선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100)은 모니터링된 복수의 네트워크 채널 중 컨텐츠 서버(110)와 세션 연결이 가능한 네트워크 채널을 탐색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00)은 선정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 채널 각각에 대한 단위 시간당 전송량을 확인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00)은 확인된 각 네트워크 채널에 대한 단위 시간당 전송량에 기초하여 컨텐츠 서버(110)로 업로드하고자 하는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분할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00)은 분할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각 네트워크 채널에 할당하여 컨텐츠 서버(110)에게 전송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00)은 사용자로부터 멀티미디어 데이터에 대한 전송 요청(다운로드 요청 또는 스트리밍 요청)을 입력받은 경우, 컨텐츠 서버(110)에게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전송을 요청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00)은 복수의 네트워크 채널에 대한 채널 환경을 모니터링하고, 모니터링된 복수의 네트워크 채널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 채널을 선정하고, 선정된 적어도 하나의 네트워크 채널을 통해 컨텐츠 서버(110)와의 세션 연결을 수행할 수 있다.
컨텐츠 서버(110)는 사용자 단말(100)에 의해 선정된 적어도 하나의 네트워크 채널 각각에 대한 단위 시간당 전송량을 확인할 수 있다.
컨텐츠 서버(110)는 확인된 각 네트워크 채널에 대한 단위 시간당 전송량에 기초하여 사용자 단말(100)이 전송받고자 하는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분할할 수 있다.
컨텐츠 서버(110)는 분할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각 네트워크 채널에 할당하여 사용자 단말(100)에게 전송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00)은 무선/유선 통신이 가능한 모바일 단말을 포함할 수 있고,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100)은 다양한 형태의 디바이스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100)은 네트워크를 통해 원격지의 서버에 접속할 수 있는 휴대용 단말일 수 있다. 여기서, 휴대용 단말의 일 예에는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스마트폰(smartphone), 태블릿 PC,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가 포함될 수 있다. 다만, 사용자 단말(100)은 앞서 예시된 것들로 한정 해석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에서는 도 1의 멀티미디어 데이터 전송 시스템의 각 구성요소의 동작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에 도시된 사용자 단말(100)의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100)은 채널 선정부(200), 확인부(210), 분할부(220), 전송부(230), 추출부(240), 패킷 스크럼블 수행부(250) 및 수신부(260)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도 2에 도시된 사용자 단말(100)은 본 발명의 하나의 구현 예에 불과하며, 도 2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을 기초로 하여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채널 선정부(200)는 복수의 네트워크 채널에 대한 채널 환경을 모니터링하여 복수의 네트워크 채널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 채널을 선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채널 선정부(200)는 사용자로부터 멀티미디어 데이터에 대한 컨텐츠 서버(110)로의 업로드 요청을 입력받은 경우, 사용자 단말(100)과 컨텐츠 서버(110)와 세션 연결이 가능한 네트워크 채널을 탐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a를 참조하면, 채널 선정부(200)는 복수의 네트워크 채널(예컨대, wi-fi 네트워크 채널, 모바일 네트워크 채널(3G, 4G, 5G 등), 이더넷 네트워크 채널 등) 중 사용자 단말(100)이 위치한 네트워크 환경에서 사용가능한 제 1 네트워크 채널(20) 및 제 2 네트워크 채널(22)을 선정하고, 선정된 제 1 네트워크 채널(20) 및 제 2 네트워크 채널(22)을 통해 컨텐츠 서버(110)와 세션 연결을 수행할 수 있다. 채널 선정부(200)는 제 1 쓰레드(T1)에 매핑된 제 1 네트워크 채널(20) 및 제 2 쓰레드(T2)에 매핑된 제 2 네트워크 채널(22) 각각을 통해 컨텐츠 서버(110)에게 사용자 단말(100)의 식별 정보를 포함한 세션 연결을 위한 세션 연결 요청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이 때, 사용자 단말(100)의 식별 정보에 대한 인증 절차가 별도로 수행될 수 있다. 컨텐츠 서버(110)는 제 1 네트워크 채널(20)을 통해 제 1 쓰레드(T1)에서 수신된 사용자 단말(100)의 식별 정보와 제 2 네트워크 채널(22)을 통해 제 2 쓰레드(T2)에서 수신된 사용자 단말(100)의 식별 정보가 동일한지 확인하고, 사용자 단말(100)의 식별 정보가 동일한 경우, 사용자 단말(100)과의 세션 연결을 수행할 수 있다.
<제 1 실시예>
확인부(210)는 선정된 네트워크 채널 각각에 대한 단위 시간당 전송량을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a를 참조하면, 확인부(210)는 제 1 쓰레드(T1)와 매핑된 제 1 네트워크 채널(20) 및 제 2 쓰레드(T2)와 매핑된 제 2 네트워크 채널(22) 각각에 대한 기설정된 단위 시간(예컨대, 3초) 동안의 전송량을 확인할 수 있다.
분할부(220)는 확인된 각 네트워크 채널에 대한 단위 시간당 전송량에 기초하여 컨텐츠 서버(110)로 업로드하고자 하는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분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분할부(220)는 확인된 각 네트워크 채널에 대한 단위 시간당 전송량에 해당하는 비율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각 네트워크 채널에 대응하도록 분할할 수 있다.
도 3a는 서로 다른 네트워크 채널(예컨대, LTE, WiFi 등)을 동시에 이용하는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a를 참조하면, 분할부(220)는 제 1 쓰레드(T1)와 매핑된 제 1 네트워크 채널(20)(예컨대, LTE)에 대한 단위 시간당 전송량과 제 2 쓰레드(T2)와 매핑된 제 2 네트워크 채널(22)(예컨대, WiFi)에 대한 단위 시간당 전송량 간의 비율에 기초하여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각 네트워크 채널(20, 22)에 대응하도록 분할할 수 있다.
전송부(230)는 분할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쓰레드 별로 각 네트워크 채널에 할당하여 컨텐츠 서버(110)에게 전송할 수 있다. 이후, 네트워크 채널을 통해 분할된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전송이 완료된 사용자 단말(100)의 적어도 하나의 쓰레드의 구동은 개별적으로 종료될 수 있다. 또한, 분할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수신한 컨텐츠 서버(110)의 쓰레드에서는 리소스 반환이 이루어질 수 있다. 컨텐츠 서버(110)에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모두 수신하면, 사용자 단말(100) 및 컨텐츠 서버(110) 간의 세션 연결은 해제될 수 있다.
전송부(230)는 각 네트워크 채널로 전송되는 분할된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전송량을 체크하고, 각 네트워크 채널 간의 전송량 차가 기설정된 임계값을 초과하는 경우, 각 네트워크 채널로 전송되는 분할된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전송 비율을 재조정할 수 있다.
분할부(220)는 선정된 네트워크 채널이 1 개인 경우, 선정된 1개의 네트워크 채널로부터 분리된 적어도 하나의 포트 각각에 대한 단위 시간당 전송량에 기초하여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분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분할부(220)는 선정된 네트워크 채널이 1 개인 경우, 선정된 1개의 네트워크 채널로부터 분리된 적어도 하나의 포트 각각에 대한 단위 시간당 전송량에 해당하는 비율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각 포트에 대응하도록 분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분할부(220)는 선정된 네트워크 채널로부터 포트가 2개로 분리된 경우, 분리된 제 1 포트 및 제 2 포트 각각에 대한 단위 시간당 전송량에 해당하는 비율에 기초하여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분할할 수 있다.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보안 목적을 위하여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복수의 포트(제 1 포트 및 제 2 포트) 각각에 대응하도록 분리하여 전송할 수 있다.
전송부(230)는 분할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하나의 네트워크 채널로부터 분리된 각 포트에 할당하여 컨텐츠 서버(110)에게 전송할 수 있다.
전송부(230)는 각 포트로 전송되는 분할된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전송량을 체크하고, 각 포트 간의 전송량 차가 기설정된 임계값을 초과하는 경우, 각 포트로 전송되는 분할된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전송 비율을 재조정할 수 있다.
<제 2 실시예>
추출부(240)는 멀티미디어 데이터로부터 신호크기 값 및 위상배열 값을 추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b를 참조하면, 추출부(240)는 음성 및 영상이 포함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패스트 퓌리에 변환(FFT, Fast Fourier Transformation)을 통해 스펙토그램으로 변환하고, 변환된 스펙트로그램으로부터 신호크기 값(201) 및 위상배열 값(203)을 추출할 수 있다. 추가로 신호크기 값(201) 및 위상배열 값(203)은 목적에 따라 추가적으로 변형되거나 제거될 수 있다.
패킷 스크럼블 수행부(250)는 추출된 신호크기 값 및 추출된 위상배열 값을 이용하여 기설정된 프레임 단위로 패킷 스크러블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c를 참조하면, 패킷 스크럼블 수행부(250)는 추출된 신호크기 값 및 위상배열 값 각각을 기설정된 프레임 단위로 분할할 수 있다.
패킷 스크럼블 수행부(250)는 추출된 신호크기 값 및 추출된 위상배열 값을 이용하여 선정된 네트워크 채널의 수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스크럼블 배열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a 및 3c 함께 참조하면, 패킷 스크럼블 수행부(250)는 선정된 네트워크 채널이 제 1 네트워크 채널(20) 및 제 2 네트워크 채널(22)인 경우, 기설정된 프레임 단위로 분할된 신호크기 값(207) 및 위상배열 값(209)을 이용하여 네트워크 채널의 수에 맞게 제 1 스크럼블 배열 데이터(211) 및 제 2 스크럼블 배열 데이터(213)를 생성할 수 있다.
전송부(230)는 선정된 네트워크 채널의 수에 대응하여 생성된 적어도 하나의 스크럼블 배열 데이터를 각 네트워크 채널에 할당하여 컨텐츠 서버(110)에게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a 및 3d 함께 참조하면, 전송부(230)는 제 1 네트워크 채널(20) 및 제 2 네트워크 채널(22) 간의 전송률 차이가 기설정된 임계치(예컨대, 10%) 이하인 경우, 제 1 네트워크 채널(20)에 제 1 스크럼블 배열 데이터(211)를 할당하고, 제 2 네트워크 채널(22)에 제 2 스크럼블 배열 데이터(213)를 할당함으로써 할당된 스크럼블 배열 데이터를 컨텐츠 서버(110)에게 전송할 수 있다.
전송부(230)는 각 네트워크 채널 중 어느 하나의 네트워크 채널을 통한 스크럼블 배열 데이터의 전송이 완료된 경우, 전송이 완료된 네트워크 채널에 전송이 완료되지 않은 스크럼블 배열 데이터를 역순으로 할당하여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a 및 3e 함께 참조하면, 제 1 네트워크 채널(20) 및 제 2 네트워크 채널(22) 간의 전송률 차이가 기설정된 임계치를 초과하는 상황에서 제 1 네트워크 채널(20)을 통한 컨텐츠 서버(110)로의 제 1 스크럼블 배열 데이터(211)에 대한 전송이 모두 완료되고, 제 2 네트워크 채널(22)을 통해 컨텐츠 서버(110)로 제 2 스크럼블 배열 데이터(213)의 일부(215)만 전송된 경우, 전송부(230)는 제 1 스크럼블 배열 데이터(211)의 전송이 완료된 제 1 네트워크 채널(20)에 제 2 스크럼블 배열 데이터(213)의 다른 일부(217)를 역순으로 할당하여 컨텐츠 서버(110)로 전송할 수 있다.
패킷 스크럼블 수행부(250)는 선정된 네트워크 채널이 1 개인 경우, 추출된 신호크기 값 및 추출된 위상배열 값을 이용하여 선정된 1개의 네트워크로부터 분리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포트의 수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스크럼블 배열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패킷 스크럼블 수행부(250)는 선정된 1개의 네트워크로부터 분리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포트의 수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스크럼블 배열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전송부(23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포트의 수에 대응하여 생성된 적어도 하나의 스크럼블 배열 데이터를 각 포트에 할당하여 컨텐츠 서버(110)에게 전송할 수 있다.
전송부(230)는 사용자로부터 멀티미디어 데이터에 대한 컨텐츠 서버(110)로부터의 다운로드 요청(또는 스트리밍 요청)을 입력받은 경우, 컨텐츠 서버(110)에게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전송 요청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수신부(260)는 복수의 네트워크 채널 중 사용자 단말(100)에 의해 선정된 네트워크 채널(또는 하나의 네트워크 채널로부터 분리된 적어도 둘 이상의 포트) 각각을 통해 컨텐츠 서버(110)부터 분할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신부(260)는 컨텐츠 서버(110)로부터 적어도 둘 이상의 네트워크 채널 각각에 대한 세션 연결을 요청받을 수 있다. 이 때, 해당 적어도 둘 이상의 네트워크의 수에 대응하여 사용자 단말(100) 및 컨텐츠 서버(110) 각각의 쓰레드 간에 세션 연결이 수행되면, 수신부(260)는 선정된 네트워크 채널 각각을 통해 분할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컨텐츠 서버(11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수신부(260)는 컨텐츠 서버(110)로부터 수신된 분할된 멀티미디어 데이터가 선정된 네트워크 채널의 수에 대응한 적어도 하나의 스크럼블 배열 데이터인 경우, 적어도 하나의 스크럼블 배열 데이터를 언스크럼블링할 수 있다.
한편, 당업자라면, 채널 선정부(200), 확인부(210), 분할부(220), 전송부(230), 추출부(240), 패킷 스크럼블 수행부(250) 및 수신부(260) 각각이 분리되어 구현되거나, 이 중 하나 이상이 통합되어 구현될 수 있음을 충분히 이해할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에 도시된 컨텐츠 서버(110)의 블록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컨텐츠 서버(110)는 수신부(400), 세션 연결부(410), 확인부(420), 분할부(430), 전송부(440), 추출부(450), 패킷 스크럼블 수행부(460) 및 저장부(470)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도 4에 도시된 컨텐츠 서버(110)는 본 발명의 하나의 구현 예에 불과하며, 도 4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을 기초로 하여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수신부(400)는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멀티미디어 데이터에 대한 전송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세션 연결부(410)는 복수의 네트워크 채널 중 사용자 단말(100)에 의해 선정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 채널에 대하여 사용자 단말(100)과의 세션 연결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를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100)은 사용자로부터 멀티미디어 데이터에 대한 다운로드 요청(또는 스트리밍 요청)을 입력받으면, 복수의 네트워크 채널에 대한 채널 환경을 모니터링하여 복수의 네트워크 채널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 채널(50, 52, 54)을 선정하고, 선정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 채널(50, 52, 54)에 대하여 사용자 단말(100)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쓰레드와 컨텐츠 서버(110)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쓰레드 간의 세션 연결을 위한 세션 연결 요청 메시지(사용자 단말(100)의 식별 정보 포함)를 컨텐츠 서버(110)로 전송할 수 있다. 이후, 컨텐츠 서버(110)의 세션 연결부(410)는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수신된 세션 연결 요청 메시지에 기초하여 사용자 단말(100)에 의해 선정된 네트워크 채널(50, 52, 54)에 대하여 사용자 단말(100)과의 세션 연결을 수행할 수 있다.
<제 1 실시예>
확인부(420)는 사용자 단말(100)에 의해 선정된 네트워크 채널 각각에 대한 단위 시간당 전송량을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를 참조하면, 확인부(420)는 컨텐츠 서버(110)의 제 1 쓰레드(T1)와 사용자 단말(100)의 제 1 쓰레드(T1) 간의 세션 연결을 통해 매핑된 제 1 네트워크 채널(50)과, 컨텐츠 서버(110)의 제 2 쓰레드(T2)와 사용자 단말(100)의 제 2 쓰레드(T2) 간의 세션 연결을 통해 매핑된 제 2 네트워크 채널(52) 및, 컨텐츠 서버(110)의 제 3 쓰레드(T3)와 사용자 단말(100)의 제 3 쓰레드(T3) 간의 세션 연결을 통해 매핑된 제 3 네트워크 채널(54) 각각에 대한 기설정된 단위 시간(예컨대, 3초) 동안의 전송량을 확인할 수 있다.
분할부(430)는 확인된 각 네트워크 채널에 대한 단위 시간당 전송량에 기초하여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요청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분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분할부(430)는 확인된 각 네트워크 채널에 대한 단위 시간당 전송량에 해당하는 비율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각 네트워크 채널에 대응하도록 분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를 참조하면, 분할부(430)는 제 1 네트워크 채널(50)에서의 단위 시간당 전송량과 제 2 네트워크 채널(52)에서의 단위 시간당 전송량 및 제 3 네트워크 채널(54)에서의 단위 시간당 전송량 간의 비율에 기초하여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각 네트워크 채널(50, 52, 54)에 대응하도록 분할할 수 있다.
전송부(440)는 분할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쓰레드 별로 각 네트워크 채널에 할당하여 사용자 단말(100)에게 전송할 수 있다.
이후, 네트워크 채널을 통해 분할된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전송이 완료된 컨텐츠 서버(110)의 적어도 하나의 쓰레드의 구동은 개별적으로 종료될 수 있다. 또한, 분할된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전송이 완료된 컨텐츠 서버(110)의 쓰레드에서는 리소스 반환이 이루어질 수 있다. 사용자 단말(100)에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모두 수신하면, 사용자 단말(100) 및 컨텐츠 서버(110) 간의 세션 연결은 해제될 수 있다.
전송부(440)는 각 네트워크 채널로 전송되는 분할된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전송량을 체크하고, 각 네트워크 채널 간의 전송량 차가 기설정된 임계값을 초과하는 경우, 각 네트워크 채널로 전송되는 분할된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전송 비율을 재조정할 수 있다.
분할부(430)는 사용자 단말(100)에 의해 선정된 네트워크 채널이 1 개인 경우, 선정된 네트워크 채널로부터 분리된 적어도 하나의 포트 각각에 대한 단위 시간당 전송량에 해당하는 비율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각 포트에 대응하도록 분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분할부(430)는 사용자 단말(100)에 의해 선정된 네트워크 채널이 1 개인 경우, 선정된 네트워크 채널로부터 분리된 적어도 하나의 포트 각각에 대한 단위 시간당 전송량에 해당하는 비율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각 포트에 대응하도록 분할할 수 있다.
전송부(440)는 분할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사용자 단말(100)에 의해 선정된 하나의 네트워크 채널로부터 분리된 각 포트에 할당하여 사용자 단말(100)에게 전송할 수 있다.
전송부(440)는 각 포트로 전송되는 분할된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전송량을 체크하고, 각 포트 간의 전송량 차가 기설정된 임계값을 초과하는 경우, 각 포트로 전송되는 분할된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전송 비율을 재조정할 수 있다.
<제 2 실시예>
사용자 단말(100)은 사용자 단말(100)에 의해 선정된 네트워크 채널 각각에 대한 단위 시간당 전송량을 체크하고, 각 네트워크 채널에 대한 단위 시간당 전송량에 해당하는 비율을 결정할 수 있다.
수신부(400)는 사용자 단말(100)에 의해 결정된 각 네트워크 채널에 대한 단위 시간당 전송량에 해당하는 비율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분할부(430)는 사용자 단말(100)에 의해 결정된 각 네트워크 채널에 대한 단위 시간당 전송량에 해당하는 비율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각 네트워크 채널에 대응하도록 분할할 수 있다.
전송부(440)는 분할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각 네트워크 채널에 할당하여 컨텐츠 서버(110)에게 전송할 수 있다.
<제 3 실시예>
추출부(450)는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요청된 멀티미디어 데이터로부터 신호크기 값 및 위상배열 값을 추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추출부(450)는 음성 및 영상이 포함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패스트 퓌리에 변환(FFT, Fast Fourier Transformation)을 통해 스펙토그램으로 변환하고, 변환된 스펙트로그램으로부터 신호크기 값 및 위상배열 값을 추출할 수 있다.
패킷 스크럼블 수행부(460)는 추출된 신호크기 값 및 추출된 위상배열 값을 이용하여 기설정된 프레임 단위로 패킷 스크러블을 수행할 수 있다.
패킷 스크럼블 수행부(460)는 추출된 신호크기 값 및 추출된 위상배열 값을 이용하여 선정된 네트워크 채널의 수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스크럼블 배열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패킷 스크럼블 수행부(460)는 추출된 신호크기 값 및 추출된 위상배열 값을 이용하여 선정된 네트워크 채널의 수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스크럼블 배열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전송부(440)는 생성된 적어도 하나의 스크럼블 배열 데이터를 각 네트워크 채널에 할당하여 사용자 단말(100)에게 전송할 수 있다.
전송부(440)는 각 네트워크 채널 중 어느 하나의 네트워크 채널을 통한 스크럼블 배열 데이터의 전송이 완료된 경우, 전송이 완료된 네트워크 채널에 전송이 완료되지 않은 스크럼블 배열 데이터를 역순으로 할당하여 사용자 단말(100)에게 전송할 수 있다.
패킷 스크럼블 수행부(460)는 선정된 네트워크 채널이 1 개인 경우, 추출된 신호크기 값 및 추출된 위상배열 값을 이용하여 선정된 네트워크로부터 분리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포트의 수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스크럼블 배열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전송부(44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포트의 수에 대응하여 생성된 적어도 하나의 스크럼블 배열 데이터를 각 포트에 할당하여 사용자 단말(100)에게 전송할 수 있다.
저장부(470)는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멀티미디어 데이터에 대한 업로드 요청을 수신한 경우, 복수의 네트워크 채널 중 사용자 단말(100)에 의해 선정된 네트워크 채널을 통해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수신된 분할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조합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470)는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수신된 분할된 멀티미디어 데이터가 선정된 네트워크 채널의 수에 대응한 적어도 하나의 스크럼블 배열 데이터인 경우, 적어도 하나의 스크럼블 배열 데이터를 언스크럼블링한 후 조합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할 수 있다.
한편, 당업자라면, 수신부(400), 세션 연결부(410), 확인부(420), 분할부(430), 전송부(440), 추출부(450), 패킷 스크럼블 수행부(460) 및 저장부(470) 각각이 분리되어 구현되거나, 이 중 하나 이상이 통합되어 구현될 수 있음을 충분히 이해할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100)에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단계 S601에서 사용자 단말(100)은 복수의 네트워크 채널에 대한 채널 환경을 모니터링하여 복수의 네트워크 채널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 채널을 선정할 수 있다.
단계 S603에서 사용자 단말(100)은 선정된 네트워크 채널 각각에 대한 단위 시간당 전송량을 확인할 수 있다.
단계 S605에서 사용자 단말(100)은 확인된 각 네트워크 채널에 대한 단위 시간당 전송량에 기초하여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분할할 수 있다.
단계 S607에서 사용자 단말(100)은 분할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각 네트워크 채널에 할당하여 컨텐츠 서버(110)에게 전송할 수 있다.
상술한 설명에서, 단계 S601 내지 S607은 본 발명의 구현예에 따라서, 추가적인 단계들로 더 분할되거나, 더 적은 단계들로 조합될 수 있다. 또한, 일부 단계는 필요에 따라 생략될 수도 있고, 단계 간의 순서가 변경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 모듈과 같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기록 매체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 있고,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된 휘발성 및 비휘발성,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사용자 단말
110: 컨텐츠 서버
200: 채널 선정부
210, 420: 확인부
220, 430: 분할부
230, 440: 전송부
240, 450: 추출부
250, 460: 패킷 스크럼블 수행부
260, 400: 수신부
410: 세션 연결부

Claims (18)

  1. 다중 채널을 통해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전송하는 사용자 단말에 있어서,
    복수의 네트워크 채널에 대한 채널 환경을 모니터링하여 상기 복수의 네트워크 채널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 채널을 선정하는 채널 선정부;
    상기 선정된 네트워크 채널 각각에 대한 단위 시간당 전송량을 확인하는 확인부;
    상기 확인된 각 네트워크 채널에 대한 단위 시간당 전송량에 기초하여 상기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분할하는 분할부; 및
    상기 분할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상기 각 네트워크 채널에 할당하여 컨텐츠 서버로 전송하는 전송부를 포함하는 것인, 사용자 단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분할부는 상기 확인된 각 네트워크 채널에 대한 단위 시간당 전송량에 해당하는 비율로 상기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상기 각 네트워크 채널에 대응하도록 분할하는 것인, 사용자 단말.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분할부는 상기 선정된 네트워크 채널이 1 개인 경우, 상기 선정된 네트워크 채널로부터 분리된 적어도 하나의 포트 각각에 대한 단위 시간당 전송량에 해당하는 비율로 상기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상기 각 포트에 대응하도록 분할하는 것인, 사용자 단말.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미디어 데이터로부터 신호크기 값 및 위상배열 값을 추출하는 추출부; 및
    상기 추출된 신호크기 값 및 상기 추출된 위상배열 값을 이용하여 기설정된 프레임 단위로 패킷 스크러블을 수행하는 패킷 스크럼블 수행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인, 사용자 단말.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패킷 스크럼블 수행부는 상기 추출된 신호크기 값 및 상기 추출된 위상배열 값을 이용하여 상기 선정된 네트워크 채널의 수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스크럼블 배열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전송부는 상기 생성된 적어도 하나의 스크럼블 배열 데이터를 상기 각 네트워크 채널에 할당하여 상기 컨텐츠 서버로 전송하는 것인, 사용자 단말.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패킷 스크럼블 수행부는 상기 선정된 네트워크 채널이 1 개인 경우, 상기 추출된 신호크기 값 및 상기 추출된 위상배열 값을 이용하여 상기 선정된 네트워크로부터 분리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포트의 수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스크럼블 배열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전송부는 상기 생성된 적어도 하나의 스크럼블 배열 데이터를 상기 각 포트에 할당하여 상기 컨텐츠 서버로 전송하는 것인, 사용자 단말.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부는 상기 각 네트워크 채널 중 어느 하나의 네트워크 채널을 통한 상기 스크럼블 배열 데이터의 전송이 완료된 경우, 상기 전송이 완료된 네트워크 채널에 상기 전송이 완료되지 않은 스크럼블 배열 데이터를 역순으로 할당하여 전송하는 것인, 사용자 단말.
  8. 다중 채널을 통해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전송하는 컨텐츠 서버에 있어서,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멀티미디어 데이터에 대한 전송 요청을 수신하는 수신부;
    복수의 네트워크 채널 중 선정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 채널에 대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과의 세션 연결을 수행하는 세션 연결부;
    상기 선정된 네트워크 채널 각각에 대한 단위 시간당 전송량을 확인하는 확인부;
    상기 확인된 각 네트워크 채널에 대한 단위 시간당 전송량에 기초하여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분할하는 분할부; 및
    상기 분할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상기 각 네트워크 채널에 할당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전송부를 포함하는 것인, 컨텐츠 서버.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분할부는 상기 확인된 각 네트워크 채널에 대한 단위 시간당 전송량에 해당하는 비율로 상기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상기 각 네트워크 채널에 대응하도록 분할하는 것인, 컨텐츠 서버.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분할부는 상기 선정된 네트워크 채널이 1 개인 경우, 상기 선정된 네트워크 채널로부터 분리된 적어도 하나의 포트 각각에 대한 단위 시간당 전송량에 해당하는 비율로 상기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상기 각 포트에 대응하도록 분할하는 것인, 컨텐츠 서버.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에 의해 결정된 상기 각 네트워크 채널에 대한 단위 시간당 전송량에 해당하는 비율에 대한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분할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에 의해 결정된 상기 각 네트워크 채널에 대한 단위 시간당 전송량에 해당하는 비율로 상기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상기 각 네트워크 채널에 대응하도록 분할하는 것인, 컨텐츠 서버.
  12.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미디어 데이터로부터 신호크기 값 및 위상배열 값을 추출하는 추출부; 및
    상기 추출된 신호크기 값 및 상기 추출된 위상배열 값을 이용하여 기설정된 프레임 단위로 패킷 스크러블을 수행하는 패킷 스크럼블 수행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인, 컨텐츠 서버.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패킷 스크럼블 수행부는 상기 추출된 신호크기 값 및 상기 추출된 위상배열 값을 이용하여 상기 선정된 네트워크 채널의 수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스크럼블 배열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전송부는 상기 생성된 적어도 하나의 스크럼블 배열 데이터를 상기 각 네트워크 채널에 할당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것인, 컨텐츠 서버.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패킷 스크럼블 수행부는 상기 선정된 네트워크 채널이 1 개 인 경우, 상기 추출된 신호크기 값 및 상기 추출된 위상배열 값을 이용하여 상기 선정된 네트워크로부터 분리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포트의 수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스크럼블 배열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전송부는 상기 생성된 적어도 하나의 스크럼블 배열 데이터를 상기 각 포트에 할당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것인, 컨텐츠 서버.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부는 상기 각 네트워크 채널 중 어느 하나의 네트워크 채널을 통한 상기 스크럼블 배열 데이터의 전송이 완료된 경우, 상기 전송이 완료된 네트워크 채널에 상기 전송이 완료되지 않은 스크럼블 배열 데이터를 역순으로 할당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것인, 컨텐츠 서버.
  16. 사용자 단말에서 다중 채널을 통해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에 있어서,
    복수의 네트워크 채널에 대한 채널 환경을 모니터링하여 상기 복수의 네트워크 채널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 채널을 선정하는 단계;
    상기 선정된 네트워크 채널 각각에 대한 단위 시간당 전송량을 확인하는 단계;
    상기 확인된 각 네트워크 채널에 대한 단위 시간당 전송량에 기초하여 상기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분할하는 단계; 및
    상기 분할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상기 각 네트워크 채널에 할당하여 컨텐츠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인, 멀티미디어 데이터 전송 방법.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분할하는 단계는
    상기 확인된 각 네트워크 채널에 대한 단위 시간당 전송량에 해당하는 비율로 상기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상기 각 네트워크 채널에 대응하도록 분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멀티미디어 데이터 전송 방법.
  18.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분할하는 단계는
    상기 선정된 네트워크 채널이 1 개인 경우, 상기 선정된 네트워크 채널로부터 분리된 적어도 하나의 포트 각각에 대한 단위 시간당 전송량에 해당하는 비율로 상기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상기 각 포트에 대응하도록 분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멀티미디어 데이터 전송 방법.
KR1020190119593A 2019-09-27 2019-09-27 다중 채널을 통해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전송하는 사용자 단말, 서버 및 방법 KR2021003722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9593A KR20210037229A (ko) 2019-09-27 2019-09-27 다중 채널을 통해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전송하는 사용자 단말, 서버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9593A KR20210037229A (ko) 2019-09-27 2019-09-27 다중 채널을 통해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전송하는 사용자 단말, 서버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37229A true KR20210037229A (ko) 2021-04-06

Family

ID=754731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19593A KR20210037229A (ko) 2019-09-27 2019-09-27 다중 채널을 통해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전송하는 사용자 단말, 서버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37229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44957A (ko) 2015-09-24 2018-05-03 알리바바 그룹 홀딩 리미티드 음성 인식 방법 및 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44957A (ko) 2015-09-24 2018-05-03 알리바바 그룹 홀딩 리미티드 음성 인식 방법 및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10274349A1 (en) On-demand super slice instantiation and orchestration
US10686854B2 (en) Streaming content using ad hoc networks of user devices
US20220078867A1 (en) Flexible carrier downlink and uplink pairing for advanced networks
US10827416B2 (en) Multi-operator spectrum resource sharing management
US10681618B2 (en) Bearer split or fast switch capability indicator
US11018746B2 (en) Outcome based receiver beam tuning
CN104969657A (zh) 通过使用多个媒体流进行无线实时媒体通信
US20230020097A1 (en) Indication of multiple in multiple out network layers across carriers to optimize 5g or other next generation network
US11470594B2 (en) Reducing higher layer signaling overhead in multiantenn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US11171719B2 (en) Facilitating dynamic satellite and mobility convergence for mobility backhaul in advanced networks
US10966182B2 (en) Parameter encoding techniques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US20210266762A1 (en) Dynamic facilitation of traffic steering for 4g, 5g, and other next generation networks
JP7034261B2 (ja) 参照信号のための統一インデックス付けフレームワーク
KR102264582B1 (ko) 전기통신 네트워크 내에서 트래픽의 선조종
US20150163853A1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multiple communication interfaces, and cooperative data communication method thereof
US20220361077A1 (en) Mobile device display of federated wireless access point networks for 5g or other next generation network
KR20210037229A (ko) 다중 채널을 통해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전송하는 사용자 단말, 서버 및 방법
JP2022506435A (ja) アップリンク及びダウンリンクフロントホールのための適応固定ポイントマッピング
US20160192405A1 (en) Apparatus, method and system of mapping a wireless local area network access point to a sink device
KR102050133B1 (ko) 사용자 요청에 따른 mptcp 통신 보안 활성화 방법 및 사용자 단말
US9538539B2 (en) Apparatus, system and method of channel switching
KR102548800B1 (ko) 미디어 콘텐츠에 대한 향상된 특징들을 가능하게 하기 위한 네트워크 프로토콜
US20230319753A1 (en) Apparatus, system, and method of client identity for user equipment (ue) service access
US10390338B2 (en) Generic physical layer downlink control information design
CN114698111A (zh) 传输业务的方法和通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