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36712A - Dishwashing machine - Google Patents

Dishwashing machin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36712A
KR20210036712A KR1020190119085A KR20190119085A KR20210036712A KR 20210036712 A KR20210036712 A KR 20210036712A KR 1020190119085 A KR1020190119085 A KR 1020190119085A KR 20190119085 A KR20190119085 A KR 20190119085A KR 20210036712 A KR20210036712 A KR 202100367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connection
magnet
tub
dishwash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19085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성훈
김진태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190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36712A/en
Publication of KR202100367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36712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251Details of the casing
    • A47L15/4257Details of the loading doo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251Details of the casing
    • A47L15/4257Details of the loading door
    • A47L15/4259Arrangements of locking or security/safety devices for doors, e.g. door latches, switch to stop operation when door is ope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251Details of the casing
    • A47L15/4257Details of the loading door
    • A47L15/4261Connections of the door to the casing, e.g. door hing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47/0001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with electric actu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 E05B47/0012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with electric actu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with rotary electromoto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5/00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 E05B65/06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for swing doors or windows, i.e. opening inwards and outward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2401/00Automatic detection in controlling methods of 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e.g. information provided by sensors entered into controlling devices
    • A47L2401/26Loading door status, e.g. door latch opened or closed stat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2401/00Automatic detection in controlling methods of 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e.g. information provided by sensors entered into controlling devices
    • A47L2401/30Variation of electrical, magnetical or optical quantiti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47/0001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with electric actu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 E05B2047/0014Constructional features of actuators or power transmissions therefor
    • E05B2047/0018Details of actuator transmissions
    • E05B2047/002Geared transmiss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2047/0048Circuits, feeding, monitoring
    • E05B2047/0067Monitoring
    • E05B2047/0068Door closed

Landscapes

  • Washing And Drying Of Tableware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shwasher. The dishwash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tub, a pair of doors and a motor, a hook provided to be coupled to the tub, and an opening device provided with a magnet installed on the hook. In addition, the pair of doors include a lower door on which the opening device is installed, and an upper door which is disposed on the upper side of the lower door and on which a second magnet is installed. In this case, a reed switch installed on the lower door to sense the first magnet and the second magnet is further included.

Description

식기세척기{DISHWASHING MACHINE}Dishwasher {DISHWASHING MACHINE}

본 발명은 식기세척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shwasher.

일반적으로, 식기세척기는 세척수에 의하여 식기 표면에 묻어 있는 음식물 찌꺼기가 세척되도록 하는 가전기기이다. 자세하게는, 상기 식기세척기에는, 세척실이 형성된 터브, 상기 세척실로 고압의 세척수를 분사하는 분사 노즐 및 상기 터브의 내부에는 식기가 안착하는 안착부가 구비될 수 있다.In general, a dishwasher is a household appliance that is used to wash food residues on the surface of the dish by washing water. In detail, the dishwasher may be provided with a tub in which a washing chamber is formed, a spray nozzle for spraying high-pressure washing water into the washing chamber, and a seating portion for placing dishes in the tub.

그리고, 상기 분사노즐이 상기 랙에 안착된 식기에 고압의 세척수를 분사함에 따라, 상기 식기가 세척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식기세척기에는, 상기 터브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세척실을 개폐하는 도어가 구비된다. 사용자는 도어를 상기 터브에서 회동하여 상기 세척실을 개방하고, 상기 세척실에 식기를 수납하거나 상기 세척실에서 식기를 인출할 수 있다.In addition, as the spray nozzle sprays high-pressure washing water onto the dishes mounted on the rack, the dishes may be washed. In addition, the dishwasher is provided with a door rotatably coupled to the tub to open and close the washing chamber. The user may open the washing chamber by rotating the door in the tub, and may store dishes in the washing chamber or take out dishes from the washing chamber.

이때, 사용자의 편의를 위하여 자동으로 도어를 회동하여 상기 세척실을 개방하는 개방장치가 아래와 같은 선행문헌에 개시된 바 있다.At this time, for the user's convenience, an opening device for opening the washing chamber by automatically rotating the door has been disclosed in the prior literature as follows.

<선행문헌><Prior literature>

1. 유럽등록특허 : EP02394558(2016년 09월 21일)1. European registered patent: EP02394558 (September 21, 2016)

2. 발명의 명칭 : 식기세척기2. Title of invention: dishwasher

상기 선행문헌에 기재된 식기세척기에는, 도어의 상부를 밀어 회동시키는 개방장치가 구비된다. 이때, 이와 같은 개방장치에 의해서는 상기 도어가 비교적 작은 개방각도로 회동된다. 그에 따라, 사용자가 세척실 내에 식기를 수납하거나 세척실에서 식기를 인출하기 위해서는 다시 도어를 개방하여야 한다.The dishwasher described in the prior literature is provided with an opening device that pushes and rotates the upper portion of the door. At this time, by such an opening device, the door is rotated at a relatively small opening angle. Accordingly, in order for the user to store dishes in the washing room or take out dishes from the washing room, the door must be opened again.

즉, 선행문헌의 장치를 통해서는 상기 도어를 완전히 자동으로 개방하지 못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그에 따라, 사용자의 편의성을 효과적으로 증대시키지 못한다는 문제점이 있다.That is,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door cannot be opened completely automatically through the device of the prior literature. Accordingly,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user's convenience cannot be effectively increased.

본 실시 예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한 쌍의 도어가 구비되고, 상기 한 쌍의 도어를 자동으로 개방하는 개방장치가 구비된 식기세척기를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An object of the present embodiment is to propose a dishwasher provided with a pair of doors and an opening device for automatically opening the pair of doors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또한, 상기 도어의 개방상태 및 상기 개방장치의 작동상태를 감지하는 센서를 간단한 센싱장치를 구비한 식기세척기를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pose a dishwasher having a simple sensing device for sensing the open state of the door and the operating state of the opening device.

본 발명의 식기세척기는 한 쌍의 도어를 갖는 소형(컴팩트형) 식기세척기에 있어서, 도어를 자동으로 개방하는 개방장치를 갖는다. 특히, 상기 도어의 개방상태 및 상기 개방장치의 작동상태를 감지하는 복수의 자석 및 리드스위치가 구비된다.The dishwashe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small (compact type) dishwasher having a pair of doors, and has an opening device that automatically opens the door. In particular, a plurality of magnets and reed switches for sensing the open state of the door and the operating state of the opening device are provided.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식기세척기에는, 세척실이 형성된 터브, 상기 세척실을 개폐하도록 상기 터브의 전면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한 쌍의 도어 및 모터, 상기 터브에 결합가능하게 마련되는 후크 및 상기 후크에 설치되는 제 1 자석이 구비된 개방장치가 포함된다.A dishwasher according to the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tub in which a washing chamber is formed, a pair of doors and motors rotatably coupled to the front of the tub to open and close the washing chamber, and a hook provided to be coupled to the tub An opening device provided with a first magnet installed on the hook is included.

그리고, 상기 한 쌍의 도어에는, 상기 개방장치가 설치되는 하부도어 및 상기 하부도어의 상부에 배치되고, 제 2 자석이 설치되는 상부도어가 포함된다.In addition, the pair of doors includes a lower door on which the opening device is installed, and an upper door on which a second magnet is installed, which is disposed above the lower door.

그리고, 상기 제 1 자석 및 상기 제 2 자석을 감지하도록 상기 하부도어에 설치되는 리드스위치가 더 포함된다.Further, a reed switch installed on the lower door to sense the first magnet and the second magnet is further included.

이때, 상기 제 1 자석은, 상기 모터의 작동에 의해 상기 후크가 회동되는 경우, 상기 리드스위치에 의해 감지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first magnet may be disposed to be sensed by the reed switch when the hook is rotated by the operation of the motor.

이때, 상기 제 2 자석은, 상기 상부도어 및 상기 하부도어가 상기 세척실을 폐쇄하도록 상기 터브의 전면에 나란하게 배치되는 경우, 상기 리드스위치에 의해 감지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second magnet may be disposed to be sensed by the reed switch when the upper door and the lower door are disposed parallel to the front surface of the tub to close the washing chamber.

제안되는 실시 예에 따르면, 개방장치에 의해 자동으로 터브에서 도어를 회동하여 세척실을 개방함에 따라, 사용자의 편의성이 증대된다는 장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proposed embodiment, as the door is automatically rotated in the tub by the opening device to open the washing room,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the user's convenience is increased.

특히, 세척이 완료된 후 상기 도어가 자동으로 개방되어 상기 터브 내에 존재하는 수증기가 외부로 분출되어 식기가 효과적으로 건조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In particular,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the door is automatically opened after washing is completed, so that water vapor present in the tub is ejected to the outside, so that the dishes can be effectively dried.

또한, 상기 도어의 개방상태 및 상기 개방장치의 작동상태를 감지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을 도모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the user's convenience can be achieved by detecting the open state of the door and the operating state of the opening device.

특히, 상기 도어의 개방상태 및 상기 개방장치의 작동상태를 하나의 리드스위치를 이용하여 간단하게 감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In particular,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the open state of the door and the operation state of the opening device can be simply detected using a single reed switch.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식기세척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도어가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개방장치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개방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다른 식기세척기의 개방장치의 일부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개방장치의 작동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센서를 도시한 도면이다.
1 is a view showing a dishwash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door of the dishwasher is open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opening device of the dishwasher is install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opening device of a dishwash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and 6 are diagrams showing a partial configuration of an opening device for a dishwash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to 10 are views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opening device of the dishwash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ensor of a dishwash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 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Hereinafter,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hrough exemplary drawings. In adding reference numerals to elements of each drawing, it should be noted that the same elements are assigned the same numerals as possible, even if they are indicated on different drawings. In addition, in describ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well-known configuration or function interferes with an understanding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In addition, in describing the constituent elements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erms such as first, second, A, B, (a), and (b) may be used. These terms are for distinguishing the constituent element from other constituent elements, and the nature, order, or order of the constituent element is not limited by the term. When a component is described as being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the componen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at other component, but another component between each compon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may be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식기세척기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도어가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1 is a view showing a dishwash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door of the dishwash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opened.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식기세척기(1)에는, 터브(10) 및 도어(20)가 포함된다.As shown in FIGS. 1 and 2, the dishwasher 1 according to the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tub 10 and a door 20.

상기 터브(10)는 상기 식기세척기(1)의 외관을 형성하는 구성으로 이해될 수 있다. 특히, 상기 터브(10)는 내부에 세척실(11)을 형성하도록 구비된다. 상기 세척실(11)은 세척수가 분사되어 식기의 세척이 이루어지는 공간으로 이해될 수 있다.The tub 10 may be understood as a configuration that forms the exterior of the dishwasher 1. In particular, the tub 10 is provided to form a washing chamber 11 therein. The washing chamber 11 may be understood as a space where washing water is sprayed to wash dishes.

상기 세척실(11)에는 식기 등이 안착되는 적어도 하나의 안착부(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안착부는 식기가 안착될 수 있으며, 세척수가 통과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안착부는 소정의 와이어가 서로 교차되어 식기가 안착하는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At least one seating portion (not shown) on which dishes or the like are seated may be provided in the washing chamber 11. The seating portion may be formed to allow dishes to be seated and washing water to pass therethrough. For example, the seating portion may form a space in which a tableware is seated by crossing predetermined wires with each other.

일반적으로, 상기 터브(10)는 전면이 개방된 박스형상으로 마련된다. 도 1 및 도 2를 참고하면, 상기 터브(10)는 바닥면에 안착되고, 상부로 연장되며 내부공간이 마련된 직육면체로 구비된다.In general, the tub 10 is provided in a box shape with an open front surface. Referring to FIGS. 1 and 2, the tub 10 is mounted on a bottom surface, extends upward, and is provided as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having an inner space.

상기 도어(20)는 상기 세척실(11)을 개폐하도록 상기 터브(10)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된다. 특히, 상기 터브(10)가 전면이 개방된 형상으로 마련됨에 따라, 상기 도어(20)는 상기 터브(10)의 전면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된다.The door 20 is rotatably coupled to the tub 10 to open and close the washing chamber 11. In particular, as the tub 10 is provided in an open shape, the door 20 is rotatably coupled to the front of the tub 10.

이때, 상기 도어(20)에는 사용자에 의해 작동되는 스위치(23, 24)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스위치(23, 24)는 사용자에 의해 눌림가능하게 마련되거sk, 사용자의 접촉을 센싱하는 형식으로 마련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door 20 may be provided with switches 23 and 24 operated by a user. The switches 23 and 24 may be provided to be depressed by a user or may be provided in a form that senses a user's contact.

예를 들어, 상기 스위치에는 상기 식기세척기(1)의 전원을 ON/OFF하는 전원부나 상기 식기세척기(1)의 각종 기능을 선택하는 입력부로 구비되는 복수의 버튼(23)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위치에는, 상기 도어(20)의 개방을 위한 개방입력부(24)가 포함된다.For example, the switch may include a power unit for turning on/off the power of the dishwasher 1 or a plurality of buttons 23 provided as input units for selecting various functions of the dishwasher 1. In addition, the switch includes an opening input unit 24 for opening the door 20.

상기 도어(20)는 서로 구분되는 한 쌍의 도어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도어(20)는 상하로 각각 배치되는 상부도어(21) 및 하부도어(22)로 구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상부도어(21) 및 상기 하부도어(22)는 사각 평판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The door 20 may be provided as a pair of separate doors. The pair of doors 20 may be divided into an upper door 21 and a lower door 22 respectively disposed vertically. For example, the upper door 21 and the lower door 22 may have a rectangular flat plate shape.

또한, 상기 상부도어(21)의 하단부와 상기 하부도어(22)의 상단부가 서로 접하도록 배치된다. 이때, 상기 터브(10)의 전면이 상기 도어(20)에 의해 완전히 커버되고, 상기 세척실(11)이 폐쇄된다. 특히, 세척수 등의 누설을 방지하도록, 상기 상부도어(21)와 상기 하부도어(22)는 밀착되어 배치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lower end of the upper door 21 and the upper end of the lower door 22 are arranged to be in contact with each other. At this time, the front of the tub 10 is completely covered by the door 20, and the washing chamber 11 is closed. In particular, the upper door 21 and the lower door 22 may be disposed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to prevent leakage of washing water or the like.

상기 상부도어(21) 및 상기 하부도어(22)는 상기 터브(10)의 전면에 각각 회동가능하게 결합된다. 자세하게는, 상기 상부도어(21)는 상단부가 회전중심이 되어 하단부가 상기 터브(10)의 전방으로 회동된다. 그리고, 상기 하부도어(22)는 하단부가 회전중심이 되어 상단부가 상기 터브(10)의 전방으로 회동된다. The upper door 21 and the lower door 22 are rotatably coupled to the front surface of the tub 10, respectively. In detail, the upper door 21 is rotated in front of the tub 10 as the upper end becomes a center of rotation. In addition, the lower door 22 is rotated in front of the tub 10 as the lower end becomes a center of rotation.

그에 따라, 상기 터브(10)의 전면이 개방되어 상기 세척실(11)이 외부에 노출될 수 있다. 상기 세척실(11)이 외부에 노출되는 경우, 사용자는 상기 세척실(11)로 식기를 투입하거나, 상기 세척실(11)에서 식기를 회수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front surface of the tub 10 may be opened to expose the washing chamber 11 to the outside. When the washing chamber 11 is exposed to the outside, the user may insert dishes into the washing chamber 11 or retrieve the dishes from the washing chamber 11.

이때,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식기세척기(1)는 상기 도어(20)를 자동으로 개방하여 사용자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세척실(11)에 투입된 식기의 세척이 완료된 경우, 식기의 완전건조를 위하여 상기 도어(20)를 자동으로 개방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dishwasher 1 according to the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automatically open the door 20 to facilitate the user's convenience. In particular, when washing of the dishes put into the washing chamber 11 is completed, the door 20 may be automatically opened to completely dry the dishes.

이를 위하여 상기 식기세척기(1)에는 상기 도어(20)를 개방하는 개방장치(100)가 포함된다. 이하, 상기 개방장치(100)에 대하여 자세하게 설명한다.To this end, the dishwasher 1 includes an opening device 100 for opening the door 20. Hereinafter, the opening device 10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개방장치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이해의 편의상 상기 하부도어(22)의 일부를 생략하여 상기 식기세척기(1)의 전면을 도시하였다.3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opening device of the dishwasher is install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llustrates the front of the dishwasher 1 by omitting a part of the lower door 22 for convenience of understanding.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개방장치(100)는 상기 도어(20)에 배치된다. 특히, 상기 개방장치(100)는 한 쌍의 도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개방장치(100)는 상기 하부도어(22)에 설치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3, the opening device 100 is disposed on the door 20. In particular, the opening device 100 may be installed in at least one of a pair of doors. For example, the opening device 100 may be installed on the lower door 22.

자세하게는, 상기 하부도어(22)는 소정의 내부공간을 갖도록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개방장치(100)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하부도어(22)의 내부공간에 설치된다. 즉, 상기 개방장치(100)는 상기 하부도어(22)의 내측에 삽입되어 설치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도 3에서는 상기 하부도어(22)의 내부공간을 도시하기 위하여, 상기 하부도어(22)의 전단부를 생략하였다.In detail, the lower door 22 may be provided to have a predetermined internal space. In addition, at least a part of the opening device 100 is installed in the inner space of the lower door 22. That is, it can be understood that the opening device 100 is inserted and installed inside the lower door 22. In FIG. 3, in order to show the inner space of the lower door 22, the front end of the lower door 22 is omitted.

또한, 상기 하부도어(22)의 내부공간에는 PCB 등 제어장치(30)가 설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어장치(30)는 상기 스위치(23, 24)와 연결되어 상기 스위치(23, 24)에 입력된 명령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부도어(22)의 내측에는 각종 장치가 배치될 수 있으며 이해의 편의상, 나머지 구성은 생략하여 도시하였다.In addition, a control device 30 such as a PCB may be installed in the inner space of the lower door 22. Such a control device 30 may be connected to the switches 23 and 24 to perform a command input to the switches 23 and 24. In addition, various devices may be disposed inside the lower door 22, and for convenience of understanding, the remaining configurations are omitted.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하부도어(22)에는 상기 개방장치(100) 중 적어도 일부가 관통되는 도어개방홀(102)이 형성된다. 상기 도어개방홀(102)에 상기 개방장치(100)의 후크(120, 130)가 관통되어 배치될 수 있다. 자세하게는, 상기 도어개방홀(102)을 통해 상기 후크(120, 130)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하부도어(22)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배치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 a door opening hole 102 through which at least a portion of the opening device 100 passes is formed in the lower door 22. Hooks 120 and 130 of the opening device 100 may be disposed through the door opening hole 102. In detail, at least a portion of the hooks 120 and 130 may be disposed to protrude to the outside of the lower door 22 through the door opening hole 102.

그리고, 상기 터브(10)에는 상기 도어개방홀(102)과 대응되는 위치에 터브개방홀(12)이 형성된다. 상기 하부도어(22)가 상기 세척실(11)을 폐쇄하도록 배치되는 경우, 상기 도어개방홀(102) 및 상기 터브개방홀(12)은 서로 접하도록 배치된다. 이때, 상기 도어개방홀(102) 및 상기 터브개방홀(12)은 양 측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한 쌍으로 각각 구비된다.In addition, a tub opening hole 12 is formed in the tub 10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door opening hole 102. When the lower door 22 is arranged to close the washing chamber 11, the door opening hole 102 and the tub opening hole 12 are arranged to contact each other. At this time, the door opening hole 102 and the tub opening hole 12 are provided as a pair of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on both sides.

그리고, 상기 도어개방홀에서 돌출된 후크(120, 130)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터브개방홀(12)에 삽입될 수 있다. 즉, 상기 후크(120, 130)가 상기 터브개방홀(12)에 삽입되어 설치됨에 따라, 상기 하부도어(22)가 상기 터브(10)에 고정될 수 있다.In addition, at least a portion of the hooks 120 and 130 protruding from the door opening hole may be inserted into the tub opening hole 12. That is, as the hooks 120 and 130 are inserted and installed in the tub opening hole 12, the lower door 22 may be fixed to the tub 10.

예를 들어, 상기 터브개방홀(12)의 내측에는 상기 후크(120, 130)가 결합되는 결합홈(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후크(120, 130)가 상기 결합홈에 결합됨에 따라 상기 하부도어(22)가 상기 터브(10)에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하부도어(22)가 상기 터브(11)에 고정됨에 따라, 상기 세척실(11)을 폐쇄할 수 있다.For example, a coupling groove (not shown) to which the hooks 120 and 130 are coupled may be formed inside the tub opening hole 12. Accordingly, as the hooks 120 and 130 are coupled to the coupling groove, the lower door 22 may be fixed to the tub 10. In addition, as the lower door 22 is fixed to the tub 11, the washing chamber 11 may be closed.

또한, 상기 후크(120, 130)가 상기 결합홈에서 분리되는 경우, 상기 하부도어(22)가 상기 터브(11)에서 고정해제된다. 그에 따라, 중력 또는 설치구조 등에 의해 상기 하부도어(22)가 상기 터브(11)에서 회동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후크(120, 130)는 상기 터브개방홀(12)에서 인출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hooks 120 and 130 are separated from the coupling groove, the lower door 22 is released from the tub 11. Accordingly, the lower door 22 may be rotated in the tub 11 by gravity or an installation structure. In addition, the hooks 120 and 130 may be withdrawn from the tub opening hole 12.

이때, 상기 상부도어(21)는 상기 하부도어(22)와 링크구조(미도시) 등으로 연결되어 배치된다. 이와 같은 링크구조는 상기 터브(11)의 내측에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를 통해 상기 하부도어(22)가 회동되면, 상기 상부도어(21)가 함께 회동될 수 있다. 즉, 하나의 개방장치(100)를 통해 한 쌍의 도어가 이동가능하게 마련된다.At this time, the upper door 21 is arranged to be connected to the lower door 22 by a link structure (not shown). Such a link structure may be provided inside the tub 11. When the lower door 22 is rotated through this structure, the upper door 21 may be rotated together. That is, a pair of doors is provided to be movable through one opening device 100.

정리하면, 상기 하부도어(22)는 상기 터브(10)에 고정된 상태로 배치되어, 상기 상부도어(21) 및 하부도어(22)는 상기 세척실(11)을 폐쇄한다. 그리고, 상기 개방장치(100)에 의해 상기 하부도어(22)가 상기 터브(10)에서 고정해제되면, 상기 상부도어(21) 및 상기 하부도어(22)가 회동되어 상기 세척실(11)을 개방한다.In summary, the lower door 22 is disposed in a fixed state to the tub 10, and the upper door 21 and the lower door 22 close the washing chamber 11. And, when the lower door 22 is released from the tub 10 by the opening device 100, the upper door 21 and the lower door 22 are rotated to open the washing chamber 11 Open.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개방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4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opening device of a dishwash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개방장치(100)에는 모터(110)가 포함된다. 상기 모터(110)는 일 방향으로만 회전되는 원웨이 모터(one-way motor)로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모터(110)는 비교적 부피가 적어 상기 하부도어(22)의 공간활용도가 증대될 수 있으며 상기 식기세척기(1)의 소형화에 적합하다.As shown in Figure 4, the opening device 100 includes a motor 110. The motor 110 may be provided as a one-way motor that rotates only in one direction. Since the motor 110 has a relatively small volume, the space utilization of the lower door 22 can be increased, and is suitable for miniaturization of the dishwasher 1.

또한, 상기 개방장치(100)에는 소정의 각도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서포터(140)가 포함된다. 상기 서포터(140)는 좌우방향으로 연장된 막대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서포터(140)의 좌우방향 길이는 상기 도어개방홀(102)의 이격거리와 대응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opening device 100 includes a supporter 140 that is rotatably installed at a predetermined angle. The supporter 140 may be provided in the shape of a rod extending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In this case, the length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of the supporter 140 may correspond to a separation distance of the door opening hole 102.

상기 서포터(140)는 상기 모터(110)를 중심으로 양 측으로 연장되어 배치된다. 즉, 상기 서포터(140)는 상기 모터(110)의 양 측으로 연장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하부도어(22)의 내부공간 제한에 의해, 상기 모터(110)는 상기 서포터(140)의 일 측으로 치우쳐 배치될 수 있다.The supporter 140 is disposed to extend to both sides around the motor 110. That is, the supporter 140 may be understood as extending to both sides of the motor 110. In this case, due to the internal space limitation of the lower door 22, the motor 110 may be arranged to be skewed toward one side of the supporter 140.

상기 서포터(140)는 상기 모터(110)의 작동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구비된다. 자세하게는, 상기 모터(110)에 의해, 상기 서포터(140)는 소정의 각도로 회전될 수 있다.The supporter 140 is rotatably provided by the operation of the motor 110. In detail, by the motor 110, the supporter 140 may be rotated at a predetermined angle.

또한, 상기 개방장치(100)에는, 상기 서포터(140)의 양 단에 배치되는 한 쌍의 후크(120, 130)가 포함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한 쌍의 후크(120, 130)는 상기 터브(10)에 결합가능하게 상기 하부도어(22)에서 돌출되어 마련된다. 그리고, 상기 한 쌍의 후크(120, 130)는 상기 도어개방홀(102)을 관통하여 상기 터브개방홀(12)에 삽입되어 설치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opening device 100 includes a pair of hooks 120 and 130 disposed at both ends of the supporter 140. As described above, the pair of hooks 120 and 130 are provided to protrude from the lower door 22 so as to be coupled to the tub 10. In addition, the pair of hooks 120 and 130 may pass through the door opening hole 102 and be inserted into the tub opening hole 12 to be installed.

상기 후크(120, 130)는 상기 서포터(140)가 회전됨에 따라 함께 회전될 수 있다. 즉, 상기 후크(120, 130)는 상기 서포터(140)와 연동되어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때, 상기 후크(120, 130)와 상기 서포터(140)는 소정의 링크구조 등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는, 설계에 따라 다르게 변형될 수 있는 것으로 그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The hooks 120 and 130 may be rotated together as the supporter 140 is rotated. That is, the hooks 120 and 130 are installed rotatably in connection with the supporter 140. In this case, the hooks 120 and 130 and the supporter 140 may be connected by a predetermined link structure or the like. This may be modified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design, an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이때, 상기 모터(110)의 작동에 의해 상기 서포터(140)가 소정의 각도로 회전되면, 상기 후크(120, 130)가 상기 터브(10)에서 분리될 수 있다. 자세하게는, 상기 서포터(140)와 연결된 상기 후크(120, 130)가 소정의 각도로 회동되며, 상기 터브(10)에 마련된 결합홈에서 분리된다. 그에 따라, 상기 하부도어(22)가 상기 터브(10)에서 고정해제되고, 상기 상부도어(21) 및 상기 하부도어(22)가 회동되어 상기 세척실(11)을 개방한다.At this time, when the supporter 140 is rotated at a predetermined angle by the operation of the motor 110, the hooks 120 and 130 may be separated from the tub 10. In detail, the hooks 120 and 130 connected to the supporter 140 are rotated at a predetermined angle and separated from the coupling groove provided in the tub 10. Accordingly, the lower door 22 is released from the tub 10, and the upper door 21 and the lower door 22 are rotated to open the washing chamber 11.

또한, 상기 개방장치(100)에는 상기 모터(110)와 상기 서포터(140)를 연결하는 기어모듈(150)이 포함된다. 상기 기어모듈(150)은 상기 모터(110)의 작동에 의해 상기 서포터(140)가 소정의 각도로 회전되도록 연결하는 구성으로 이해될 수 있다. 이하, 상기 기어모듈(150)에 대하여 자세하게 설명한다.In addition, the opening device 100 includes a gear module 150 connecting the motor 110 and the supporter 140. The gear module 150 may be understood as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supporter 140 rotates at a predetermined angle by the operation of the motor 110. Hereinafter, the gear module 15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다른 식기세척기의 개방장치의 일부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 및 도 6에서는 상기 개방장치(100) 중 상기 모터(110) 및 상기 기어모듈(150)을 도시하였다.5 and 6 are diagrams showing a partial configuration of an opening device for a dishwash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and 6 illustrate the motor 110 and the gear module 150 of the opening device 100.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기어모듈(150)에는, 회전가능하게 마련되는 연결기어(152) 및 상기 연결기어(152)에 결합되어 상하이동가능하게 마련되는 연결랙(200)이 포함된다. 즉, 상기 기어모듈(150)은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변형하는 구성으로 이해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5, the gear module 150 includes a connection gear 152 that is rotatably provided and a connection rack 200 that is coupled to the connection gear 152 and is provided so as to move upwardly. . That is, the gear module 150 may be understood as a configuration that transforms a rotational motion into a linear motion.

상기 연결기어(152)는 상기 모터(110)의 작동에 의해 회전된다. 이때, 상기 연결기어(152)는 상기 모터(110)에 직접 연결되거나, 보조기어(154)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보조기어(154)의 개수 및 크기는 설계에 따라 다르게 마련될 수 있다.The connection gear 152 is rotated by the operation of the motor 110. In this case, the connection gear 152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the motor 110 or may be connected through an auxiliary gear 154. The number and size of the auxiliary gears 154 may be provided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design.

상기 연결기어(152)에는 회전중심에서 일 측으로 이격되고 회전방향과 수직하게 돌출된 연결돌기(155)가 형성된다. 도 5 상에서, 상기 연결돌기(155)가 지면을 향하여 돌출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상기 연결기어(152)가 회전되면 상기 연결돌기(155)도 소정의 회전반경으로 회전된다.The connection gear 152 has a connection protrusion 155 spaced from the rotation center to one side and protruding perpendicular to the rotation direction. 5, the connection protrusion 155 may be provided to protrude toward the ground. Accordingly, when the connecting gear 152 is rotated, the connecting protrusion 155 is also rotated with a predetermined radius of rotation.

상기 연결랙(200)은 상기 연결돌기(155)에 끼워져, 상기 연결돌기(155)가 회전됨에 따라, 상하운동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연결랙(200)이 상하운동되며 상기 서포터(140)를 소정의 각도로 회전시킬 수 있다. 자세하게는, 상기 연결랙(200)이 상부로 이동되며 상기 서포터(140)와 접하며, 상기 서포터(140)의 일측을 밀어 회전시킬 수 있다.The connection rack 200 is fitted into the connection protrusion 155 and may move up and down as the connection protrusion 155 is rotated. In addition, the connection rack 200 is moved up and down, and the supporter 140 may be rotated at a predetermined angle. In detail, the connection rack 200 is moved upward and contacts the supporter 140, and one side of the supporter 140 may be pushed and rotated.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연결랙(200)은 상하이동에 따라 상기 서포터(140)와 접촉되는 접촉연결부(210) 및 상기 연결돌기(155)가 삽입되어 배치되는 연결홈(H)이 형성된 연결홈형성부(220)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연결랙(200)이 상부로 이동되며 상기 서포터(140)와 접하도록, 상기 접촉연결부(210)가 상기 연결홈형성부(220)의 상측에 위치된다.6, the connection rack 200 is a connection groove (H) in which a contact connection part 210 and the connection protrusion 155 are inserted and placed in contact with the supporter 140 according to the vertical movement. It is composed of a groove forming portion 220. At this time, the contact connection part 210 is located above the connection groove forming part 220 so that the connection rack 200 is moved upward and contacts the supporter 140.

상기 접촉연결부(210)는 상기 서포터(140)와 접촉되는 다양한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접촉연결부(210)는 상부로 길게 연장된 사각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The contact connection part 210 may be provided in various shapes in contact with the supporter 140. For example, as shown in FIG. 6, the contact connection part 210 may be provided in a rectangular shape extending upwardly.

상기 연결홈형성부(220)는 상기 연결홈(H)을 형성하도록, 소정의 프레임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연결홈(H)은, 제 1 연결단 내지 제 5 연결단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연결단은 상기 연결홈(H)을 형성하는 가장자리로 이해되며, 설명의 편의상 5개로 구분된다.The connection groove forming part 220 may be provided in a predetermined frame to form the connection groove (H). In this case, the connection groove H may be formed as a first connection end to a fifth connection end. At this time, the connection end is understood as an edge forming the connection groove H, and is divided into five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자세하게는, 상기 연결홈(H)은 서로 연결된 제 1 연결단(224) 및 2 연결단(222)이 포함된다. 상기 제 1 연결단(224) 및 상기 제 2 연결단(222)은 각각 직선으로 연장되고, 서로 예각을 형성하도록 연결된다, 즉, 상기 제 1 연결단(224) 및 상기 제 2 연결단(222)의 연결각도(a)는 0보다 크고 90도 보다 작게 구비된다. 예를 들어, 상기 연결각도(a)는 60도에 해당될 수 있다.In detail, the connection groove H includes a first connection end 224 and a second connection end 222 connected to each other. The first connection end 224 and the second connection end 222 each extend in a straight line and are connected to form an acute angle to each other, that is, the first connection end 224 and the second connection end 222 ), the connection angle (a) is greater than 0 and less than 90 degrees. For example, the connection angle (a) may correspond to 60 degrees.

또한, 상기 제 1 연결단(224)과 상기 제 2 연결단(222)의 사이에 첨단(225, cutting edge)이 형성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특히, 상기 제 1 연결단(224)과 상기 제 2 연결단(222)은 하부로 뾰족한 첨단(225)을 형성한다. 즉, 상기 연결홈(H)에는, 하부로 뾰족한 첨단(225)이 형성된다.In addition, it may be understood that a cutting edge 225 is formed between the first connection end 224 and the second connection end 222. In particular, the first connection end 224 and the second connection end 222 form a pointed tip 225 downward. That is, in the connection groove (H), a pointed tip 225 is formed downward.

다르게 말하면, 상기 제 1 연결단(224)과 상기 제 2 연결단(222)은 'V'형상을 형성할 수 있다. 즉, 상기 연결홈(H)의 일부는 'V'형상을 갖는다.In other words, the first connection end 224 and the second connection end 222 may form a'V' shape. That is, a part of the connection groove H has a'V' shape.

또한, 상기 연결홈(H)은 상기 제 1 연결단(224) 및 상기 제 2 연결단(222)에서 각각 연장되는 제 3 연결단(226) 및 제 4 연결단(228), 상기 제 3 연결단(226) 및 상기 제 4 연결단(228)을 연결하도록 연장되는 제 5 연결단(227)이 포함된다. 따라서, 상기 연결홈(H)은 시계방향으로 상기 제 1 연결단(224), 상기 제 2 연결단(222), 상기 제 4 연결단(228), 상기 제 5 연결단(227) 및 상기 상기 제 3 연결단(226)이 차례로 연장된 형태로 형성된다.In addition, the connection groove (H) is a third connection end 226 and a fourth connection end 228 extending from the first connection end 224 and the second connection end 222, respectively, the third connection A fifth connection end 227 extending to connect the end 226 and the fourth connection end 228 is included. Therefore, the connection groove (H) is the first connection end 224, the second connection end 222, the fourth connection end 228, the fifth connection end 227 and the The third connection end 226 is formed in a sequentially extended form.

상기 제 3 연결단(226), 상기 제 4 연결단(228) 및 상기 제 5 연결단(227)은 각각 곡선으로 연장될 수 있다. 즉, 상기 연결홈(H)는 직선 및 곡선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3 연결단(226) 및 상기 제 4 연결단(228)은 상기 제 1 연결단(224) 및 상기 제 2 연결단(222)에서 양 측으로 서로 멀어지도록 연장된다. 그리고, 하부로 구부러져 연장되며, 상기 제 5 연결단(227)에 의해 연결된다.The third connection end 226, the fourth connection end 228, and the fifth connection end 227 may each extend in a curved shape. That is, the connection groove (H) may be formed in a straight line and a curved line. The third connection end 226 and the fourth connection end 228 extend away from each other in both sides from the first connection end 224 and the second connection end 222. Then, it is bent downward and extends, and is connected by the fifth connection end 227.

이와 같은 형상을 참조하여, 상기 개방장치(100)의 동작에 대하여 자세하게 설명한다.With reference to such a shape, the operation of the opening device 10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7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개방장치의 작동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에서 도 10은 시간의 경과에 따른 각 상태를 각각 도시한 것이다. 기재의 편의상, 도 7 내지 도 10에서는 개방장치(100)의 일부를 생략하였고, 상기 서포터(140)의 일부를 대략적으로 도시하였다.7 to 10 are views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opening device of the dishwash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to 10 show each state over time.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a part of the opening device 100 is omitted in FIGS. 7 to 10, and a part of the supporter 140 is schematically illustrated.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모터(110)는 일방향으로 회전된다. 이하, 상기 모터(110)가 상기 연결기어(152)를 시계방향(CW)으로 회전되도록 작동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설명의 편의상, 도 7에 도시된 제 1 상태를 초기상태로 설명한다.As described above, the motor 110 is rotated in one direction. Hereinafter, a case in which the motor 110 is operated to rotate the connection gear 152 in a clockwise direction (CW) will be described.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the first state shown in FIG. 7 will be described as an initial state.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결기어(152)는 상기 연결돌기(155)가 회전중심의 좌측에 위치되도록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연결랙(200)은 상기 연결돌기(155)가 상기 제 3 연결단(226)에 접하도록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모터(110)가 작동되며, 상기 연결기어(152)가 시계방향으로 회전된다.As shown in FIG. 7, the connection gear 152 is arranged such that the connection protrusion 155 is located on the left side of the rotation center. In addition, the connection rack 200 is disposed so that the connection protrusion 155 contacts the third connection end 226. Then, the motor 110 is operated, and the connection gear 152 is rotated in a clockwise direction.

그에 따라,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결돌기(255)도 시계방향으로 회전되어, 상측 및 우측으로 이동된다. 그리고, 상기 연결돌기(255)가 상기 제 3 연결단(226)을 상측으로 밀어 상기 연결랙(200)이 상부로 이동된다.Accordingly, as shown in Fig. 8, the connection protrusion 255 is also rotated clockwise, and is moved upward and to the right. In addition, the connection protrusion 255 pushes the third connection end 226 upward so that the connection rack 200 is moved upward.

이때, 도 8과 같이, 상기 연결돌기(255)가 상측 및 우측으로 이동되어 상기 제 3 연결단(226)과 상기 제 1 연결단(224)의 사이에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연결단(226)이 상부로 이동되어 상기 서포터(140)와 접촉된다.In this case, as shown in FIG. 8, the connection protrusion 255 is moved upward and right to be disposed between the third connection end 226 and the first connection end 224. In addition, the connection end 226 is moved upward and is in contact with the supporter 140.

계속하여 상기 연결기어(152)가 시계방향으로 회전되며, 상기 연결돌기(255)가 상측 및 우측으로 이동된다. 그리고, 도 9와 같이, 상기 연결돌기(255)는 최상단에 위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연결기어(152)는 상기 연결돌기(155)가 회전중심의 상부에 위치되도록 배치된다. Subsequently, the connecting gear 152 is rotated in a clockwise direction, and the connecting protrusion 255 is moved upward and to the right. And, as shown in Figure 9, the connection protrusion 255 may be located at the top. That is, the connection gear 152 is disposed so that the connection protrusion 155 is positioned above the rotation center.

이때, 상기 연결기어(152)는 상측 및 우측으로 이동되어 상기 제 1 연결단(224)과 상기 제 2 연결단(222)의 사이에 배치된다. 즉, 상기 연결돌기(152)는 상기 첨단(224)에 위치된다.At this time, the connection gear 152 is moved upward and right to be disposed between the first connection end 224 and the second connection end 222. That is, the connecting protrusion 152 is located at the tip 224.

그리고, 상기 연결돌기(255)가 상기 제 1 연결단(224)을 상측으로 밀어 상기 연결랙(200)이 상부로 더 이동된다. 그에 따라, 상기 연결랙(200)이 상기 서포터(140)를 밀며 상부로 더 이동되고, 상기 서포터(140)는 소정의 각도로 회전된다. 즉, 상기 서포터(140) 및 상기 후크(120, 130)가 회전된다. 그에 따라, 상기 후크(120, 130)가 상기 터브(10)에서 결합해제되고, 상기 도어(20)가 회동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connection protrusion 255 pushes the first connection end 224 upward so that the connection rack 200 is further moved upward. Accordingly, the connection rack 200 is further moved upward while pushing the supporter 140, and the supporter 140 is rotated at a predetermined angle. That is, the supporter 140 and the hooks 120 and 130 are rotated. Accordingly, the hooks 120 and 130 are disengaged from the tub 10, and the door 20 may be rotated.

즉, 상기 연결기어(152)가 회전됨에 따라 상기 연결돌기(155)가 최상부에 위치되는 경우, 상기 연결돌기(152)가 상기 제 1 연결단(224)과 상기 제 2 연결단(222)의 사이에 형성된 첨단에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연결랙(200)이 상부에 위치되며 상기 서포터(140) 및 상기 후크(120, 130)가 회전되고, 상기 도어(20)가 회동된다.That is, when the connecting protrusion 155 is positioned at the top as the connecting gear 152 is rotated, the connecting protrusion 152 is formed between the first connecting end 224 and the second connecting end 222. It is placed on the tip formed in between. Further, the connection rack 200 is located on the upper side, the supporter 140 and the hooks 120 and 130 rotate, and the door 20 rotates.

계속하여 상기 연결기어(152)가 시계방향으로 회전되며, 상기 연결돌기(155)는 하측 및 우측으로 이동된다. 그리고, 도 10과 같이, 상기 연결돌기(155)는 최상단에서 하측으로 이동되어 위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연결기어(152)는 상기 연결돌기(155)가 회전중심의 우측에 위치되도록 배치된다. Subsequently, the connecting gear 152 is rotated in a clockwise direction, and the connecting protrusion 155 is moved downward and to the right. In addition, as shown in FIG. 10, the connection protrusion 155 may be moved from an uppermost end to a lower side to be positioned. That is, the connection gear 152 is disposed so that the connection protrusion 155 is located on the right side of the rotation center.

이때, 상기 연결기어(152)는 하측 및 우측으로 이동되어 상기 제 2 연결단(222)과 상기 제 4 연결단(228)의 사이에 배치된다. 그에 따라, 상기 연결랙(200)이 하부로 이동된다. 이때, 도 8과 같이, 상기 연결랙(200)은 상기 서포터(140)와 접촉된 상태로 배치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connection gear 152 is moved downward and to the right to be disposed between the second connection end 222 and the fourth connection end 228. Accordingly, the connection rack 200 is moved downward. In this case, as shown in FIG. 8, the connection rack 200 may be disposed in contact with the supporter 140.

즉, 상기 연결랙(200)은 상기 연결돌기(155)가 상기 첨단(225)에 배치되는 경우에만 상기 서포터(140)를 밀어서 회동시킬 수 있다. 정확하게는, 상기 연결돌기(155)가 상기 첨단(225)과 매우 인접하게 위치되는 경우만을 의미한다. 그에 따라, 상기 연결랙(200)이 상측에 위치되고 상기 서포터(140) 및 상기 후크(120, 130)가 회동된 시간은 매우 짧을 수 있다.That is, the connection rack 200 may be rotated by pushing the supporter 140 only when the connection protrusion 155 is disposed on the tip 225. Specifically, it means only the case where the connecting protrusion 155 is located very close to the tip 225. Accordingly, the time during which the connection rack 200 is positioned on the upper side and the supporter 140 and the hooks 120 and 130 are rotated may be very short.

다시 말하면, 상기 도어(20)를 개방시키는 상기 개방장치(100)의 작동시간이 매우 짧게 구비된다. 그에 따라, 상기 개방장치(100)에 의해 상기 세척실(11)이 개방된 직후에도, 상기 후크(120, 130)가 바르게 복귀되어 상기 세척실(11)를 다시 폐쇄할 수 있다. In other words, the operating time of the opening device 100 for opening the door 20 is provided very short. Accordingly, even immediately after the washing chamber 11 is opened by the opening device 100, the hooks 120 and 130 are properly returned to close the washing chamber 11 again.

그리고, 계속하여 상기 연결기어(152)가 시계방향으로 회전되며, 상기 연결돌기(155)는 도 10에서 도 7의 상태로 이동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연결돌기(155)는 계속하여 회전중심의 하측에 위치된다. 그에 따라, 상기 연결랙(200)은 상기 서포터(140)의 하부에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Then, the connection gear 152 is continuously rotated in a clockwise direction, and the connection protrusion 155 may be moved from FIG. 10 to the state of FIG. 7. At this time, the connection protrusion 155 is continuously positioned below the center of rotation. Accordingly, the connection rack 200 may be dispos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lower portion of the supporter 140.

이와 같이, 상기 연결기어(142)가 1회전(360도 회전)함에 따라, 상기 연결랙(200)이 상부로 이동되고 복귀된다. 즉, 상기 연결기어(142)가 1회전되면, 상기 서포터(140) 및 상기 후크(120, 130)가 1번 회동되어 복귀될 수 있다.In this way, as the connection gear 142 rotates one rotation (360 degrees rotation), the connection rack 200 is moved upward and returned. That is, when the connection gear 142 is rotated once, the supporter 140 and the hooks 120 and 130 may be rotated once and returned.

이와 같은 구조를 통해 자동으로 도어를 개방하여 사용자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다. 특히, 상기 개방장치(100)가 신속하게 복귀됨에 따라, 사용자가 보다 편리하게 도어의 자동개방 기능을 이용할 수 있다.Through this structure, the door can be opened automatically to facilitate the user's convenience. In particular, as the opening device 100 returns quickly, the user can more conveniently use the automatic opening function of the door.

이때,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식기세척기(1)에는, 상기 도어(20)의 개방상태 및 상기 개방장치(100)의 작동상태를 감지하는 각종 센서가 구비될 수 있다. 이하, 이에 대하여 자세하게 설명한다.At this time, the dishwasher 1 according to the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ovided with various sensors that detect the open state of the door 20 and the operation state of the opening device 100. Hereinafter, thi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센서를 도시한 도면이다. 기재의 편의상, 도 11은 상기 식기세척기(1)의 일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하였다. 특히, 도 11은 상기 터브(10), 상기 상부도어(21) 및 상기 하부도어(22)를 일 측에서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1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ensor of a dishwash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FIG. 11 schematically shows a part of the dishwasher 1. In particular, FIG. 11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tub 10, the upper door 21, and the lower door 22 from one side.

또한, 설명의 편의상, 상기 후크(120)를 함께 도시하였다. 실제로 상기 후크(120)는 상기 하부도어(22)의 내측 및 상기 터브(10)의 내측에 위치될 수 있다. 또한, 실제로는 작동상태를 감지하는 각종 센서도 각 구성의 내측에 위치될 수 있으나, 설명의 편의상 함께 도시하였다.In addition,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the hook 120 is illustrated together. In fact, the hook 120 may be located inside the lower door 22 and inside the tub 10. In addition, in reality, various sensors for sensing the operating state may be located inside each component, but are shown together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식기세척기(1)에는, 제 1 자석(310), 제 2 자석(320) 및 리드스위치(300, reed switch)가 포함된다. 이때, 상기 리드스위치(300)는 내부에 자성체가 구비되어 인접하는 자석을 감지하는 구성으로 이해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11, the dishwasher 1 includes a first magnet 310, a second magnet 320, and a reed switch 300. In this case, the reed switch 300 may be understood as a configuration in which a magnetic material is provided therein to sense an adjacent magnet.

상기 제 1 자석(310)은 상기 후크(120)에 설치된다. 자세하게는, 상기 제 1 자석(310)은 상기 터브(10)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상기 후크(120)의 말단부에 설치된다.The first magnet 310 is installed on the hook 120. In detail, the first magnet 310 is installed at the distal end of the hook 120 that is inserted into and coupled to the tub 10.

상기 제 2 자석(320)은 상기 상부도어(21)에 설치된다. 자세하게는, 상기 제 2 자석(320)은 상기 하부도어(22)와 인접한 상기 상부도어(21)의 하단부에 설치될 수 있다.The second magnet 320 is installed on the upper door 21. In detail, the second magnet 320 may be installed at a lower end of the upper door 21 adjacent to the lower door 22.

상기 리드스위치(300)는 상기 하부도어(22)에 설치된다. 자세하게는, 상기 리드스위치(300)는 상기 상부도어(21)와 인접한 상기 하부도어(22)의 상단부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리드스위치(300)는 상기 후크(120)의 상측에 위치된다. 특히, 상기 리드스위치(300)는 상기 하부도어(21)에 삽입되는 상기 후크(120)의 일 측에 설치된다.The reed switch 300 is installed on the lower door 22. In detail, the reed switch 300 may be installed at an upper end of the lower door 22 adjacent to the upper door 21. In addition, the reed switch 300 is located above the hook 120. In particular, the reed switch 300 is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hook 120 inserted into the lower door 21.

그에 따라, 상기 리드스위치(300)는 상기 제 1 자석(310) 및 상기 제 2 자석(320)을 감지할 수 있다. 자세하게는, 상기 제 1 자석(310)은, 상기 모터(110)의 작동에 의해 상기 후크(120)가 회동되는 경우, 상기 리드스위치(300)에 의해 감지된다. 또한, 상기 제 2 자석(320)은, 상기 세척실(11)이 폐쇄되는 경우, 상기 리드스위치(300)에 의해 감지된다.Accordingly, the reed switch 300 may sense the first magnet 310 and the second magnet 320. In detail, the first magnet 310 is sensed by the reed switch 300 when the hook 120 is rotated by the operation of the motor 110. In addition, the second magnet 320 is sensed by the reed switch 300 when the washing chamber 11 is closed.

도 11의 (a)는 상기 세척실(11)이 폐쇄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즉, 상기 상부도어(21) 및 상기 하부도어(22)가 상기 터브(10)의 전면에 밀착되어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후크(120)의 말단부는 상기 터브(10)에 삽입되어 결합홈(14)에 설치된다.11A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washing chamber 11 is closed. That is, the upper door 21 and the lower door 22 are arranged in close contact with the front surface of the tub 10. In addition, the distal end of the hook 120 is inserted into the tub 10 and installed in the coupling groove 14.

이때, 상기 상부도어(21)와 상기 하부도어(22)는 상하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치된다. 특히, 상기 상부도어(22)의 하단부와 상기 하부도어(22)의 상단부는 서로 밀접하게 배치된다. 그에 따라, 상기 제 2 자석(320) 및 상기 리드스위치(300)가 인접하게 배치되며, 상기 리드스위치(300)가 상기 제 2 자석(320)을 감지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upper door 21 and the lower door 22 are arranged side by side in the vertical direction. In particular, the lower end of the upper door 22 and the upper end of the lower door 22 are disposed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Accordingly, the second magnet 320 and the reed switch 300 are disposed adjacent to each other, and the reed switch 300 may sense the second magnet 320.

즉, 상기 리드스위치(300)에 의해 상기 제 2 자석(320)이 감지되는 경우, 상기 세척실(11)이 폐쇄된 것을 알 수 있다.That is, when the second magnet 320 is sensed by the reed switch 300, it can be seen that the washing chamber 11 is closed.

도 11의 (b)는 상기 모터(110)의 작동에 의해 상기 후크(120)가 회동되어 상기 결합홈(14)과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즉, 도어의 개방을 위하여, 상기 후크(120)가 상기 하부도어(21)와 상기 터브(10)를 결합해제한 상태에 해당된다.11B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hook 120 is rotated by the operation of the motor 110 and separated from the coupling groove 14. That is, in order to open the door, the hook 120 corresponds to a state in which the lower door 21 and the tub 10 are disengaged.

이때, 도어의 개방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모터(110)의 작동에 의해 자동으로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개방입력부(24)를 통한 사용자의 요구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door may be opened automatically by the operation of the motor 110 as described above. In addition, it may be performed at the request of a user through the open input unit 24.

도 11의 (b)와 같이, 상기 후크(120)의 말단부가 상방으로 회동되는 경우, 상기 리드스위치(300)와 상기 후크(120)의 말단부가 수평하게 위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제 1 자석(310) 및 상기 리드스위치(300)가 인접하게 배치되며, 상기 리드스위치(300)가 상기 제 1 자석(310)을 감지할 수 있다.As shown in (b) of FIG. 11, when the distal end of the hook 120 is rotated upward, the reed switch 300 and the distal end of the hook 120 may be positioned horizontally. That is, the first magnet 310 and the reed switch 300 are disposed adjacent to each other, and the reed switch 300 may sense the first magnet 310.

즉, 상기 리드스위치(300)에 의해 상기 제 1 자석(310)이 감지되는 경우, 상기 후크(120)가 회동된 것을 알 수 있다.That is, when the first magnet 310 is sensed by the reed switch 300, it can be seen that the hook 120 is rotated.

도 11의 (c)는 상기 상부도어(21) 및 상기 하부도어(22)가 회동되어, 상기 세척실(11)을 개방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때, 상기 상부도어(21) 및 상기 하부도어(22)가 각각 상방 및 하방으로 회동된다. 그리고, 상기 상부도어(22)의 하단부와 상기 하부도어(22)의 상단부는 서로 이격되어 배치된다.11C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upper door 21 and the lower door 22 are rotated to open the washing chamber 11. At this time, the upper door 21 and the lower door 22 are rotated upward and downward, respectively. In addition, a lower end of the upper door 22 and an upper end of the lower door 22 are dispos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그에 따라, 상기 상기 제 2 자석(320) 및 상기 리드스위치(300)가 멀어지며, 상기 리드스위치(300)가 상기 제 2 자석(320)을 감지할 수 없다. 즉, 상기 리드스위치(300)에 의해 상기 제 2 자석(320)이 감지되지 않는 경우, 상기 세척실(11)이 폐쇄된 것을 알 수 있다.Accordingly, the second magnet 320 and the reed switch 300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and the reed switch 300 cannot detect the second magnet 320. That is, when the second magnet 320 is not detected by the reed switch 300, it can be seen that the washing chamber 11 is closed.

도 11에서는 한 쌍의 후크 중 하나의 후크(120)에 대해서만 설명하였다. 상기 제 1 자석, 제 2 자석 및 리드스위치를 포함하는 센서는 다른 하나의 후크(130)에도 동일하게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비용의 절감을 위하여 상기 센서는 한 쌍의 후크 중 어느 하나에만 설치될 수 있다.In FIG. 11, only one hook 120 of a pair of hooks has been described. The sensor including the first magnet, the second magnet, and the reed switch may be installed in the same manner in the other hook 130. In addition, in order to reduce cost, the sensor may be installed on only one of a pair of hooks.

이와 같이 상기 도어(20)의 개방상태 및 상기 개방장치(100)의 작동상태를 감지하여 사용자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도어(20)의 개방상태 및 상기 개방장치(100)의 작동상태가 정상적이지 않은 경우 에러신호를 발생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open state of the door 20 and the operating state of the opening device 100 may be sensed to facilitate the user's convenience. For example, when the open state of the door 20 and the operating state of the opening device 100 are not normal, an error signal may be generated.

1 : 식기세척기 10 : 터브
21 : 상부도어 22 : 하부도어
100 : 개방장치 110 : 모터
120, 130 : 후크 140 : 서포터
150 : 기어모듈
1: dishwasher 10: tub
21: upper door 22: lower door
100: opening device 110: motor
120, 130: hook 140: supporter
150: gear module

Claims (10)

세척실이 형성된 터브;
상기 세척실을 개폐하도록 상기 터브의 전면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한 쌍의 도어; 및
모터, 상기 터브에 결합가능하게 마련되는 후크 및 상기 후크에 설치되는 제 1 자석이 구비된 개방장치가 포함되고,
상기 한 쌍의 도어에는,
상기 개방장치가 설치되는 하부도어; 및
상기 하부도어의 상부에 배치되고, 제 2 자석이 설치되는 상부도어가 포함되고,
상기 제 1 자석 및 상기 제 2 자석을 감지하도록 상기 하부도어에 설치되는 리드스위치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
A tub with a washing chamber formed therein;
A pair of doors rotatably coupled to the front of the tub to open and close the washing chamber; And
It includes a motor, a hook provided to be coupled to the tub, and an opening device provided with a first magnet installed on the hook,
In the pair of doors,
A lower door on which the opening device is installed; And
It is disposed above the lower door and includes an upper door on which a second magnet is installed,
And a reed switch installed on the lower door to sense the first magnet and the second magne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자석은, 상기 상부도어 및 상기 하부도어가 상기 세척실을 폐쇄하도록 상기 터브의 전면에 나란하게 배치되는 경우, 상기 리드스위치에 의해 감지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
The method of claim 1,
And the second magnet is disposed to be sensed by the reed switch when the upper door and the lower door are disposed parallel to the front of the tub to close the washing chambe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자석은, 상기 모터의 작동에 의해 상기 후크가 회동되는 경우, 상기 리드스위치에 의해 감지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first magnet is arranged to be sensed by the reed switch when the hook is rotated by the operation of the moto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리드스위치는 상기 하부도어의 상단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 2 자석은 상기 상부도어의 하단부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reed switch is disposed at the upper end of the lower door,
The second magnet is a dishwasher, characterized in that disposed at the lower end of the upper doo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개방장치에는,
상기 모터의 양 측으로 연장된 서포터; 및
상기 모터의 작동에 의해 상기 서포터가 회전되도록, 상기 모터와 상기 서포터를 연결하는 기어모듈이 더 포함되고,
상기 후크는 상기 서포터의 양 단에 각각 배치되는 한 쌍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
The method of claim 1,
In the opening device,
Supporters extending to both sides of the motor; And
A gear module connecting the motor and the supporter is further included so that the supporter is rotated by the operation of the motor,
The hooks are dishwasher, characterized in that provided in a pair of each disposed at both ends of the supporter.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기어모듈에는,
상기 모터의 작동에 의해 회전되는 연결기어; 및
상기 연결기어에 결합되어 상하이동가능하게 마련되는 연결랙이 포함되고,
상기 연결랙이 상부로 이동됨에 따라 상기 서포터가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
The method of claim 5,
In the gear module,
A connecting gear rotated by the operation of the motor; And
A connection rack coupled to the connection gear and provided so as to move upward is included,
Dishwasher, characterized in that the supporter rotates as the connection rack is moved upward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기어에는 회전중심에서 일 측으로 이격되고 회전방향과 수직하게 돌출된 연결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연결랙은
상하이동에 따라 상기 서포터와 접촉되는 접촉연결부; 및
상기 연결돌기가 삽입되어 배치되는 연결홈이 형성된 연결홈형성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
The method of claim 6,
The connecting gear has a connecting protrusion spaced from the rotation center to one side and protruding perpendicular to the rotation direction,
The connecting rack is
A contact connection part in contact with the supporter along the vertical movement; And
And a connection groove forming portion having a connection groove in which the connection protrusion is inserted and disposed.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홈에는 하부로 뾰족한 첨단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
The method of claim 7,
Dishwasher, characterized in that the pointed tip is form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connection groov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도어는 상기 하부도어의 회동에 연동되어 회동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upper door is a dishwasher, characterized in that installed so as to rotate in association with the rotation of the lower doo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개방장치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하부도어의 내측공간에 삽입되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
The method of claim 1,
A dishwasher, wherein at least a portion of the opening device is inserted and installed in an inner space of the lower door.
KR1020190119085A 2019-09-26 2019-09-26 Dishwashing machine KR20210036712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9085A KR20210036712A (en) 2019-09-26 2019-09-26 Dishwashing machin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9085A KR20210036712A (en) 2019-09-26 2019-09-26 Dishwashing machin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36712A true KR20210036712A (en) 2021-04-05

Family

ID=754618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19085A KR20210036712A (en) 2019-09-26 2019-09-26 Dishwashing machin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36712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69049B2 (en) Washing machine having lid locker
US9119523B2 (en) Dishwasher appliance with rack assembly projections
US10087567B2 (en) Control panel for a washing machine appliance
KR20210036712A (en) Dishwashing machine
KR20210036709A (en) Dishwashing machine
KR20210036711A (en) Dishwashing machine
WO2014090876A1 (en) A dishwasher
US7927431B2 (en) Switch assembly support system for a dishwashing appliance, and associated apparatus and method
KR20210036710A (en) Dishwashing machine and control method of the same
KR101241872B1 (en) fixable structure of button assembly and control panel for dish washer
US20200129040A1 (en) Dishwasher appliance with a side-fire indicator lens
KR100566618B1 (en) Dishwasher
EP0671143A1 (en) Household dishwashing machine
US20220151457A1 (en) User interface console for an appliance providing clearance for an edge connector
KR102058074B1 (en) Dish Washer
KR20080044465A (en) Control apparatus of laundry treatment machine
JP2006263174A (en) Dish washer and door open/close detecting device
CN109715029A (en) Domestic bowl-washing
WO2020069801A1 (en) A dishwasher comprising a detergent dispenser
US20230165431A1 (en) Dishwashing appliances and sensor assemblies for detecting a position of an appliance door
KR20060095353A (en) Dishwasher
US20230320558A1 (en) Dishwashing appliances and sensor assemblies for detecting a position of an appliance door
JP2001104230A (en) Tableware washer and kitchin sink with the same
US9890572B2 (en) Latch assembly
US8840202B2 (en) Dishwasher appliance with a contoured silverware baske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