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36643A - 환자 모니터링 시스템 - Google Patents

환자 모니터링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36643A
KR20210036643A KR1020190118874A KR20190118874A KR20210036643A KR 20210036643 A KR20210036643 A KR 20210036643A KR 1020190118874 A KR1020190118874 A KR 1020190118874A KR 20190118874 A KR20190118874 A KR 20190118874A KR 20210036643 A KR20210036643 A KR 202100366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rage member
catheter
unit
alarm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188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19029B1 (ko
Inventor
김봉영
조정기
Original Assignee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901188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19029B1/ko
Publication of KR202100366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366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190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190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017Catheters; Hollow probes specially adapted for long-term hygiene care, e.g. urethral or indwelling catheters to prevent infec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68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 A61B5/6846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specially adapted to be brought in contact with an internal body part, i.e. invasive
    • A61B5/6847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specially adapted to be brought in contact with an internal body part, i.e. invasive mounted on an invasive device
    • A61B5/6852Catheters
    • A61M1/0021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00Suction or pumping devices for medical purposes; Devices for carrying-off, for treatment of, or for carrying-over, body-liquids; Drainage systems
    • A61M1/70Gravity drainage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5/168Means for controlling media flow to the body or for metering media to the body, e.g. drip meters, counters ; Monitoring media flow to the body
    • A61M5/16831Monitoring, detecting, signalling or eliminating infusion flow anomali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5/168Means for controlling media flow to the body or for metering media to the body, e.g. drip meters, counters ; Monitoring media flow to the body
    • A61M5/16886Means for controlling media flow to the body or for metering media to the body, e.g. drip meters, counters ; Monitoring media flow to the body for measuring fluid flow rate, i.e. flowmeter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80/00ICT specially adapted for facilitating communication between medical practitioners or patients, e.g. for collaborative diagnosis, therapy or health monitor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2005/1401Functional features
    • A61M2005/1406Minimizing backflow along the delivery catheter trac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18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with alar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33Controlling, regulating or measuring
    • A61M2205/3331Pressure; Flow
    • A61M2205/3334Measuring or controlling the flow rat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35Communication
    • A61M2205/3576Communication with non implanted data transmission devices, e.g. using external transmitter or receiver

Abstract

본 발명은 환자 모니터링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환자 모니터링 시스템은 저장 부재; 방광과 상기 저장 부재를 연결하고, 상기 방광 내의 소변을 상기 저장 부재로 안내하는 카테터; 상기 카테터 내에서 유동하는 상기 소변에 대한 흐름 정보를 확득하는 역류 감지 센서부; 및 상기 역류 감지 센서부에서 획득한 상기 흐름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방광에서 상기 저장 부재로 유동하는 상기 소변의 역류 여부를 판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환자 모니터링 시스템{SYSTEM FOR MONITORING PATIENT}
본 발명은 환자 모니터링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소변, 약액 등의 유체의 역류를 통한 감염 등을 방지하기 위한 환자 모니터링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통상 카테터(catheter)는 사람 또는 동물의 체강(늑막강, 복막강) 또는 관상(管狀), 낭상(囊狀) 기관(소화관, 방광 등)과 혈액, 체액, 분비물이나 생체조직의 배출을 위해 사용되는 것이다. 주사기는 니들 이라고 하는 금속의 뾰족한 부분이 있지만 카테터는 끝이 무디고 둥근 형태이고 대개 고무나 실리콘, 금속으로 되어 있다. 카테터는 의학적으로 관 형태의 기구를 말하는데, 카테터는 카테테르 라고도 부르며 약제나 세정액의 주입 등에도 사용되고 형태는 여러 가지이며, 쓰이는 부위나 목적에 따라서 종류도 다양하다.
최근 의료기관에서는 카테터의 멸균이나 잘못된 사용으로 여러 가지 감염이 발생되어 사회 문제가 되고 있다. 특히 장내나 요도, 기관에 카테터 삽입 시 카테터 안쪽에서 소변이 역류하거나 주위환경이나 의료인의 손과 멸균과정의 실수로 인해 감염이 되는 경우가 많다. 즉, 많은 연구들은 병원 내 감염이 죽음을 이끄는 원인이 될 수 있다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이에 따라, 카테터 관련 감염 방지를 위해 적절한 카테터의 관리가 중요하나, 카테터의 적절한 관리를 위한 자동화 시스템은 개발되어 있지 않은 상태이며 현재까지 환자/보호자 교육과 의료진의 직접 관찰 및 피드백에 의존하고 있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최근에는 카테터의 적절한 관리를 위한 환자 모니터링 시스템에 대한 연구가 진행 중에 있다.
특허출원번호 KR 10-2014-0040497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소변, 약액 등의 유체의 역류를 통한 감염 등을 방지하기 위한 환자 모니터링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카테터의 신장으로 인한 카테터 파손, 카테터의 분리 등으로 인한 감염 등을 방지하기 위한 환자 모니터링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환자 모니터링 시스템은 저장 부재; 방광과 상기 저장 부재를 연결하고, 상기 방광 내의 소변을 상기 저장 부재로 안내하는 카테터; 상기 카테터 내에서 유동하는 상기 소변에 대한 흐름 정보를 확득하는 역류 감지 센서부; 및 상기 역류 감지 센서부에서 획득한 상기 흐름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방광에서 상기 저장 부재로 유동하는 상기 소변의 역류 여부를 판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외부에 알람을 출력하는 알람 출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소변이 역류하는 것으로 판단할 경우, 상기 알람 출력부로 제1 출력 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알람 출력부는 상기 제1 출력 신호가 입력될 경우에 상기 제1 출력 신호에 대응되는 알람을 출력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제1 출력 신호를 외부 단말기로 전송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카테터의 신장 정보를 획득하는 신장 센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신장 센서부에서 획득한 상기 신장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카테터의 신장 길이 값을 산출하고, 산출된 신장 길이 값이 기 설정된 기준 값을 초과하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외부에 알람을 출력하는 알람 출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신장 길이 값이 상기 기준 값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알람 출력부로 제2 출력 신호를 전송하며, 상기 알람 출력부는 상기 제2 출력 신호가 입력될 경우에 상기 제2 출력 신호에 대응되는 알람을 출력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저장 부재의 바닥부에 대한 끌림 정보를 획득하는 끌림 센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끌림 정보는 상기 저장 부재의 위치 정보 및 상기 저장 부재의 바닥부와 상기 저장 부재의 아래에 위치된 물체 간의 접촉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끌림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바닥부가 상기 물체와 접촉한 상태에서 이동하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외부에 알람을 출력하는 알람 출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바닥부가 상기 물체와 접촉한 상태에서 이동하는 것으로 판단한 경우, 상기 알람 출력부로 제3 출력 신호를 전송하며, 상기 알람 출력부는 상기 제3 출력 신호가 입력될 경우에 상기 제3 출력 신호에 대응되는 알람을 출력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저장 부재 내에 저장된 상기 소변의 용량 정보를 획득하는 용량 센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용량 센서부에서 획득한 상기 용량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저장 부재 내의 소변 용량이 기 설정된 기준 용량을 초과하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외부에 알람을 출력하는 알람 출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소변 용량이 상기 기준 용량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알람 출력부로 제4 출력 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알람 출력부는 상기 제4 출력 신호가 입력될 경우, 상기 제4 출력 신호에 대응되는 알람을 출력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카테터 상에 설치되고, 상기 카테터 내의 유로를 개폐하는 밸브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소변이 역류하는 것으로 판단할 경우, 상기 밸브부가 상기 카테터를 폐쇄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환자 모니터링 시스템은 약액을 저장하는 저장 부재; 상기 저장 부재와 이격되고, 상기 약액을 주입하는 주입 부재; 상기 저장 부재에 저장된 상기 약액을 상기 주입 부재로 안내하는 카테터; 상기 카테터 내에서 유동하는 상기 약액에 대한 흐름 정보를 확득하는 역류 감지 센서부; 및 상기 역류 감지 센서부에서 획득한 상기 흐름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저장 부재에서 상기 주입 부재로 유동하는 상기 약액의 역류 여부를 판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고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소변, 약액 등의 유체의 역류를 통한 감염 등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카테터의 신장으로 인한 카테터 파손 및 카테터의 분리, 저장 부재 내의 소변 용량의 초과로 인한 소변 역류, 저장 부재의 끌림으로 인한 저장 부재 파손 등에 의해 발생하는 환자 피해, 감염 등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환자 모니터링 시스템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2는 도 1의 환자 모니터링 시스템을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 3은 도 1의 카테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저장 부재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환자 모니터링 시스템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6는 도 5의 환자 모니터링 시스템을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환자 모니터링 시스템을 나타낸 계략도이다.
본 발명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들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구성요소가 상기 용어들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환자 모니터링 시스템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2는 도 1의 환자 모니터링 시스템을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 3은 도 1의 카테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저장 부재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환자 모니터링 시스템(10)는 방광(B) 내의 소변을 배출하는 의료 장치에서 소변의 역류, 저장 부재의 끌림, 카테터(200)의 신장 여부 등을 모니터링할 수 있다. 환자 모니터링 시스템(10)은 저장 부재(100), 카테터(200), 센서부(300), 및 모니터링 장치(M)를 포함할 수 있다. 모니터링 장치(M)는 제어부(50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모니터링 장치(M)는 알람 출력부(600)의 후술할 제1 출력부(610) 및 통신부(7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환자 모니터링 시스템(10)은 밸브부(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모니터링 장치(M)는 제어부(500), 통신부(700), 알람 출력부(600) 등을 보호하는 케이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제1 출력부(610)는 디스플레이 유닛, 오디오 유닛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모니터링 장치(M)는 센서부(300)와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모니터링 장치(M)는 센서부(3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거나, 무선 통신 등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센서부(300)에서 감지한 정보가 제어부(500)로 전송될 수 있다. 또한, 실시 예에서 센서부(300)는 역류 감지 센서부(350), 신장 센서부(310), 끌림 센서부(330), 및 용량 센서부(370)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저장 부재(100)는 내부에 수용 공간(110)을 가질 수 있다. 수용 공간(110)에는 소변(U)이 저장될 수 있다. 저장 부재(100)는 카테터(200)로부터 소변이 주입되는 주입구(120)와 수용 공간(110) 내에 저장된 소변을 배출하는 배출구(140)를 포함할 수 있다. 주입구(120)는 카테터(200)와 일단과 연결될 수 있고, 저장 부재(100)의 상측에 위치될 수 있다. 배출구(140)는 저장 부재(100)의 하측에 위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저장 부재(100) 내의 소변(U)이 별도의 외력 없이 중력에 의해 배출구(14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저장 부재(100)는 신축성 있는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저장 부재(100)는 고무, 실리콘, 고분자 물질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카테터(200)는 방광(B)과 저장 부재(100)를 연결할 수 있다. 카테터(200)는 방광(B) 내의 소변을 저장 부재(100)로 안내할 수 있다. 카테터(200)는 일측에 위치된 유입구(210), 타측에 위치된 공급구(220), 및 유입구(210)와 공급구(220)를 연결하는 안내 유로(23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카테터(200)는 유입구(210)와 인접한 곳에 벌룬(250)을 포함할 수 있다. 벌룬(250)은 카테터(200)가 방광(B)에서 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유입구(210)는 카테터(200)의 일단에 위치될 수 있다. 유입구(210)는 방광(B) 내에 위치되어 방광(B) 내의 소변이 유입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공급구(220)는 카테터(200)의 타단에 위치될 수 있다. 공급구(220)는 저장 부재(100) 내에 위치될 수 있다. 이와 달리, 다른 실시 예에서, 공급구(220)는 주입구(120)와 연통될 수 있다. 카테터(200)는 신축성 있는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카테터(200)는 고무, 실리콘, 고분자 물질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카테터(200)에 잡아당기는 외력이 가해질 경우, 신장될 수 있다.
역류 감지 센서부(350)는 카테터(200) 내의 소변의 흐름을 감지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역류 감지 센서부(350)는 카테터(200)와 저장 부재(100)의 높이 차를 감지하여 소변의 흐름을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역류 감지 센서부(350)는 제1 높이 센서와 제2 높이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높이 센서와 제2 높이 센서는 카테터(200)에 설치될 수 있다.
제1 높이 센서는 카테터(200)의 유입구(210)와 인접한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제1 높이 센서는 유입구(210)의 높이를 감지할 수 있다. 제2 높이 센서는 카테터(200)의 공급구(220)와 인접한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제2 높이 센서는 공급구(220)의 높이를 감지할 수 있다. 이와 달리 다른 실시 예에서, 역류 감지 센서부(350)는 카테터(200)의 안내 유로(230) 내의 소변의 유동 방향을 감지할 수 있다.
제어부(500)는 역류 감지 센서부(350)에서 감지한 소변의 흐름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소변의 흐름 정보는 제1 위치 센서에서 측정한 유입구(210)의 높이 값, 제2 위치 센서에서 측정한 공급구(220)의 높이 값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500)는 소변의 흐름 정보를 이용하여 방광(B)에서 저장 부재(100)로 유동하는 소변의 역류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제어부(500)는 유입구(210)의 높이 값과 공급구(220)의 높이 값의 차가 기 설정된 높이차 값보다 작을 경우에 소변이 역류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는 공급구(220)가 유입구(210)보다 높은 위치에 있는 경우, 중력에 의해 소변이 역류하는 원리에 따른 것이다. 다만, 다른 실시 예에서, 소변의 흐름 정보는 소변의 유동 방향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500)는 소변의 유동 방향 정보를 이용하여 소변이 공급구(220)에서 유입구(210)로 유동하는 지를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500)는 소변이 공급구(220)에서 유입구(210)로 유동한다고 판단하는 경우, 소변이 역류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알람 출력부(600)는 외부에 알람을 출력할 수 있다. 알람은 시각, 청각, 후각, 및 촉각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자극을 외부로 출력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알람 출력부(600)는 외부에 소리로 알람을 출력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 예에서 알람 출력부(600)는 모니터링 장치(M)에 설치된 제1 출력부(610)와 환자의 손에 착용된 스마트 워치 등의 제2 출력부(620)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달리, 다른 실시 예에서, 알람 출력부(600)는 제1 출력부(610) 또는 제2 출력부(620)만 포함하거나 다수의 출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500)는 소변이 역류하는 것을 판단하는 경우, 알람 출력부(600)로 제1 출력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알람 출력부(600)는 제어부(500)로부터 제1 출력 신호가 입력될 경우, 제1 출력 신호에 대응되는 알람을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출력 신호는 제1 소리 유형 정보와 제1 소리 크기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소변이 역류하는 상황은 카테터(200)를 통한 요로감염이 될 수 있는 상황이기 때문에, 제1 소리 크기는 최대 크기일 수 있고, 제1 소리 유형도 고주파 대역의 유형일 수 있다. 이에 따라, 환자나 환자 근처의 간병인은 소변의 역류 상황을 신속하게 인지할 수 있다.
통신부(700)는 제어부(500)에서 생상된 신호를 외부 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다. 외부 단말기는 스마트폰, PDA, 스마트워치 등의 스마트 기기(S)일 수 있다. 실시 예에서, 통신부(700)는 무선통신을 할 수 있는 장치일 수 있다. 예를 들면, 통신부(700)는 블루투스 장치 등일 수 있다. 이에 따라, 통신부(700)는 제어부(500)로부터 전송된 제1 출력 신호를 외부 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다. 제1 출력 신호는 소변의 역류 시간 정보, 소변의 역류 시 대처 정보, 환자의 위치 정보, 환자의 개인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외부 단말기는 수신한 제1 출력 신호에 대응한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신장 센서부(310)는 카테터(200)의 길이 신장을 감지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신장 센서부(310)는 카테터(200)에 설치될 수 있다. 신장 센서부(310)는 카테터(200)에 작용하는 인장력을 감지하여 카테터(200)의 길이 신장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신장 센서부(310)는 로드 셀일 수 있다. 이와 달리, 다른 실시 예에서, 신장 센서부(310)는 서로 이격된 카테터(200)의 양 지점 간의 거리를 측정하는 거리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거리 센서는 카테터(200)의 제1 지점과 공급구(220)와 인접한 카테터(200)의 제2 지점 간의 거리를 측정할 수 있다.
제어부(500)는 신장 센서부(310)에서 감지한 길이 신장 정보를 이용하여 카테터(200)의 신장 길이 값을 산출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길이 신장 정보는 카테터(200)에 작용하는 인장력의 크기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500)는 인장력의 크기 정보에 따른 카테터(200)의 신장 길이 값을 산출할 수 있다.
제어부(500)는 산출된 신장 길이 값이 기 설정된 기준 값을 초과하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500)는 신장 길이 값이 기준 값을 초과하는 경우, 카테터(200)가 과신장되었다고 판단할 수 있다. 카테터(200)가 과신장되는 상황에서는 카테터(200)가 파단되거나 카테터(200)가 방광(B) 및/또는 저장 부재(100)와 분리되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카테터(200)를 연결하고 있는 환자가 다치거나 파단된 카테터(200)를 통한 요로감염이 발생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신장 센서부(310)가 거리 센서를 포함할 경우, 길이 신장 정보는 카테터(200)의 제1 지점과 제2 지점 간의 거리 값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500)는 거리 값이 기 설정된 거리 값을 초과하는 경우, 카테터(200)가 과신장되었다고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500)는 신장 길이 값이 기준 값을 초과하는 경우, 알람 출력부(600)로 제2 출력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알람 출력부(600)는 제어부(500)로부터 제2 출력 신호가 입력될 경우, 제2 출력 신호에 대응되는 알람을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2 출력 신호는 제2 소리 유형 정보와 제2 소리 크기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소리 유형 정보는 제1 소리 유형 정보와 상이할 수 있다. 제2 소리 크기 정보는 제1 소리 크기 정보와 상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환자나 간병인은 카테터(200) 과신장 상황을 신속하게 인지할 수 있다.
통신부(700)는 제어부(500)에서 전송된 제2 출력 신호를 외부 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다. 제2 출력 신호는 카테터(200)의 신장 값 정보, 환자의 위치 정보, 환자의 개인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외부 단말기는 수신한 제2 출력 신호에 대응한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끌림 센서부(330)는 저장 부재(100)의 바닥부(130)에 대한 끌림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끌린다”는 의미는 저장 부재(100)의 바닥부(130)가 저장 부재(100)의 아래에 위치된 지면 등의 물체에 접촉한 상태에서 이동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끌림 센서부(330)는 저장 부재(100)의 바닥부(130)와 저장 부재(100) 아래에 위치된 물체(지면 등) 간의 거리를 측정하는 거리 센서와 저장 부재(100)의 위치를 측정하는 위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끌림 센서부(330)는 저장 부재(100)의 바닥부(130)와 상기 물체 간의 거리 및 저장 부재(100)의 위치를 측정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끌림 정보는 저장 부재(100)의 위치 정보 및 저장 부재(100)의 바닥부(130)와 물체 간의 접촉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접촉 정보는 저장 부재(100)의 바닥부(130)와 물체 간의 거리 정보일 수 있다.
이와 달리, 다른 실시 에에서, 끌림 센서부(330)는 저장 부재(100)의 바닥부(130)에 가해지는 외력을 감지하는 압력 센서와 저장 부재(100)를 위치를 측정하는 위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끌림 센서부(330)는 저장 부재(100)의 바닥부(130)에 가해지는 외력 값 및 저장 부재(100)의 위치를 측정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서 접촉 정보는 물체의 접촉으로 인해 저장 부재(100)의 바닥면에 가해지는 압력 정보일 수 있다.
제어부(500)는 끌림 센서부(330)에서 감지한 끌림 정보를 이용하여 저장 부재(100)의 바닥부(130)가 물체와 접촉한 상태에서 이동하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제어부(500)는 저장 부재(100)의 바닥부(130)와 물체 간의 거리 정보를 이용하여 물체와 바닥부(130) 간의 접촉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500)는 바닥부(130)와 물체가 접촉한 상태라고 판단할 경우, 저장 부재(100)의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저장 부재(100)가 이동하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500)는 저장 부재(100)의 바닥부(130)의 끌림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저장 부재(100)가 바닥 끌림이 발생하는 경우, 카테터(200)가 저장 부재(100)로부터 분리되거나 저장 부재(100)가 파손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 등이 저장 부재(100)의 바닥 끌림을 미리 파악하는 경우, 상기의 상황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제어부(500)는 저장 부재(100)의 바닥부(130)가 물체와 접촉한 상태에서 이동하는 것으로 판단한 경우, 알람 출력부(600)로 제3 출력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알람 출력부(600)는 제어부(500)로부터 제3 출력 신호가 입력될 경우, 제3 출력 신호에 대응되는 알람을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3 출력 신호는 제3 소리 유형 정보와 제3 소리 크기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3 소리 유형 정보는 제1 및 제2 소리 유형 정보와 상이할 수 있다. 제3 소리 크기 정보는 제1 및 제2 소리 크기 정보와 상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환자나 간병인은 저장 부재(100)의 바닥 끌림 상황을 신속하게 인지할 수 있다.
통신부(700)는 제어부(500)에서 전송된 제3 출력 신호를 외부 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다. 제3 출력 신호는 저장 부재(100)의 바닥 끌림 정보, 환자의 위치 정보, 환자의 개인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외부 단말기는 수신한 제3 출력 신호에 대응한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용량 센서부(370)는 저장 부재(100) 내에 저장된 소변의 용량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제어부(500)는 용량 센서부(370)에서 획득한 용량 정보를 이용하여, 저장 부재(100) 내의 소변 용량이 기 설정된 기준 용량을 초과하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용량 센서부(370)는 저장 부재(100)에 설치되어 소변의 수위를 측정하는 수위 센서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어부(500)는 저장 부재(100) 내의 소변 용량이 기준 용량을 초과하는 경우, 알람 출력부(600)로 제4 출력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알람 출력부(600)는 제어부(500)로부터 제4 출력 신호가 입력될 경우, 제4 출력 신호에 대응되는 알람을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4 출력 신호는 제4 소리 유형 정보와 제4 소리 크기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4 소리 유형 정보는 제1 내지 제3 소리 유형 정보와 상이할 수 있다. 제4 소리 크기 정보는 제1 내지 제3 소리 크기 정보와 상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환자나 간병인은 저장 부재(100) 내의 소변의 배출 상황을 신속하게 인지할 수 있다.
통신부(700)는 제어부(500)에서 전송된 제4 출력 신호를 외부 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다. 제3 출력 신호는 저장 부재(100)의 소변 용량 정보, 현재 시간 정보, 환자의 위치 정보, 환자의 개인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외부 단말기는 수신한 제4 출력 신호에 대응한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밸브부(400)는 카테터(200) 상에 설치되고, 카테터(200) 내의 안내 유로(230)를 개폐할 수 있다. 밸브부(400)는 전자밸브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어부(500)는 카테터(200) 내의 소변이 역류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경우, 밸브부(400)가 카테터(200)를 폐쇄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소변이 방광(B)으로 역류하는 것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환자 모니터링 시스템(10)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설명의 간략화를 위해 도 1 내지 도 4에서 설명한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하거나 간략하게 기술하기로 한다.
도 5를 참조하면, 환자 모니터링 시스템(10)은 저장 부재(100), 카테터(200), 센서부(300), 제어부(500), 알람 출력부(600), 및 통신부(700)를 포함할 수 있다. 센서부(300)는 역류 감지 센서부(350), 신장 센서부(310), 끌림 센서부(330), 및 용량 센서부(370)를 포함할 수 있다.
신장 센서부(310)는 카테터(200)의 길이 신장을 감지할 수 있다. 신장 센서부(310)는 서로 이격된 카테터(200)의 제1 지점과 제2 지점을 촬영하는 제1 영상 유닛(C)일 수 있다. 제1 영상 유닛(C)은 제1 지점과 제2 지점을 포함한 제1 영상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제어부(500)는 제1 영상 이미지를 이용하여 제1 지점과 제2 지점 간의 거리를 산출할 수 있다. 제어부(500)는 제1 지점과 제2 지점 간의 거리가 기준 값을 초과하는 경우, 카테터(200)가 과 신장되었다고 판단할 수 있다.
끌림 센서부(330)는 저장 부재(100)의 바닥부(130)에 대한 끌림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끌림 센서부(330)는 저장 부재(100)의 바닥부(130)를 촬영하는 제2 영상 유닛(C)일 수 있다. 제2 영상 유닛(C)은 저장 부재(100)의 바닥부(130)가 포함된 제2 영상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제어부(500)는 제2 영상 이미지를 이용하여 저장 부재(100)의 바닥부(130)가 저장 부재(100) 아래의 물체 간의 거리를 산출할 수 있다. 제어부(500)는 산출된 거리 정보를 이용하여 저장 부재(100)의 바닥부(130)와 물체 간의 접촉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500)는 제2 영상 이미지를 이용하여 저장 부재(100)의 이동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에 제어부(500)는 제2 영장 이미지를 이용하여 저장 부재(100)의 바닥부(130)의 끌림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용량 센서부(370)는 저장 부재(100) 내에 저장된 소변의 용량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용량 센서부(370)는 저장 부재(100)를 촬영하는 제3 영상 유닛(C)일 수 있다. 이와 달리, 다른 실시 예에서, 제2 영상 유닛(C)이 용량 센서부(370)의 역할을 함께 수행할 수 있다. 제3 영상 유닛(C)은 저장 부재(100)를 촬영하여 제3 영상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이때, 저장 부재(100)는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져야 한다.
실시 예에서, 제1 내지 제3 영상 유닛들(C)은 하나의 영상 유닛(C)으로 이루어 질 수 있다. 이와 달리, 다른 실시 예에서, 제1 내지 제3 영상 유닛들은 별개의 영상 유닛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어부(500)는 제3 영상 이미지를 이용하여, 저장 부재(100) 내의 소변의 수위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제어부(500)는 소변의 수위가 기 설정된 수위보다 높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500)는 소변의 수위가 설정된 수위보다 높을 경우, 통신부(700)를 통해 외부 단말기 등으로 저장 부재(100)의 소변을 비우라는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도 7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환자 모니터링 시스템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설명의 간략화를 위해 도 1 내지 도 4에서 설명한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하거나 간략하게 기술하기로 한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환자 모니터링 시스템(11)는 저장 부재(100)에 저장된 약약을 환자에게 주입하는 의료 장치에서 약액의 역류, 카테터(200)의 신장 여부 등을 모니터링할 수 있다. 환자 모니터링 시스템(11)은 저장 부재(100), 카테터(200), 센서부(300), 모니터링 장치(M) 및 주입 부재(50)를 포함할 수 있다.
모니터링 장치(M)는 제어부(50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모니터링 장치(M)는 알람 출력부(600)의 제1 출력부(610) 및 통신부(7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센서부(300)는 역류 감지 센서부(350), 신장 센서부(310) 및 용량 센서부(370)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저장 부재(100)는 내부에 수용 공간(110)을 가질 수 있다. 수용 공간(110)에는 약액(L)이 저장될 수 있다. 저장 부재(100)는 카테터(200)와 연결될 수 있다. 저장 부재(100)는 카테터(200)의 유입구(210)와 연통되는 배출구(140)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저장 부재(100) 내의 약약이 배출구(140)를 통해 카테터(200)로 공급될 수 있다. 저장 부재(100)는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카테터(200)는 저장 부재(100)와 주입 부재(50)를 연결할 수 있다. 카테터(200)는 유입구(210), 공급구(220), 및 안내 유로(230)를 포함할 수 있다. 카테터(200)는 신축성 있는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주입 부재(50)는 저장 부재(100)와 이격될 수 있다. 주입 부재(50)는 카테터(200)를 통해 저장 부재(100)의 약액(L)을 공급받을 수 있다. 주입 부재(50)는 공급 받은 약액을 환자에게 주입할 수 있다. 주입 부재(50)는 실리콘 튜브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역류 감지 센서부(350)는 카테터(200) 내의 약액의 흐름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신장 센서부(310)는 카테터(200)의 길이 신장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용량 센서부(370)는 저장 부재(100) 내에 저장된 약액의 용량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제어부(500)는 역류 감지 센서부(350)로부터 약액의 흐름 정보, 신장 센서부(310)로부터 길이 신장 정보, 및 용량 센서부(370)로부터 용량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제어부(500)는 약액의 흐름 정보를 이용하여 약액의 역류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500)는 신장 정보를 이용하여 카테터(200)의 신장 길이 값이 기준 값을 초과하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500)는 용량 정보를 이용하여 저장 부재(100) 내의 약액 용량이 기준 용량보다 작은지를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500)는 약액의 역류, 카테터(200)의 신장 길이의 기준값 초과, 및 약액 용량의 기준 용량 미만 등의 상황(이하, 환자 검사 필요 상황 이라함)을 환자 및/또는 간병인에게 알릴 수 있도록 알람 출력부(60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500)는 환자 검사 필요 상황이 발생할 경우, 환자 검사 필요 상황을 환자와 멀리 떨어진 간병인 또는 의료진에게 알릴 수 있도록 통신부(70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500)는 약액이 역류한다고 판단한 경우, 안내 유로(230)를 폐쇄하도록 밸브부(400)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500)의 환자 검사 필요 상황 판단 방법은 앞에서 전술한 바 생략하기로 한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이 명백하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속한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명확해질 것이다.
10, 11: 환자 모니터링 시스템 100: 저장 부재
200: 카테터 300: 센서부
310: 신장 센서부 330: 끌림 센서부
350: 역류 감지 센서부 370: 용량 센서부
400: 밸브부 500: 제어부
600: 알람 출력부 700: 통신부

Claims (11)

  1. 저장 부재;
    방광과 상기 저장 부재를 연결하고, 상기 방광 내의 소변을 상기 저장 부재로 안내하는 카테터;
    상기 카테터 내에서 유동하는 상기 소변에 대한 흐름 정보를 확득하는 역류 감지 센서부; 및
    상기 역류 감지 센서부에서 획득한 상기 흐름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방광에서 상기 저장 부재로 유동하는 상기 소변의 역류 여부를 판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환자 모니터링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외부에 알람을 출력하는 알람 출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소변이 역류하는 것으로 판단할 경우, 상기 알람 출력부로 제1 출력 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알람 출력부는 상기 제1 출력 신호가 입력될 경우에 상기 제1 출력 신호에 대응되는 알람을 출력하는 환자 모니터링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출력 신호를 외부 단말기로 전송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하는 환자 모니터링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테터의 신장 정보를 획득하는 신장 센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신장 센서부에서 획득한 상기 신장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카테터의 신장 길이 값을 산출하고, 산출된 신장 길이 값이 기 설정된 기준 값을 초과하는지를 판단하는 환자 모니터링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외부에 알람을 출력하는 알람 출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신장 길이 값이 상기 기준 값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알람 출력부로 제2 출력 신호를 전송하며,
    상기 알람 출력부는 상기 제2 출력 신호가 입력될 경우에 상기 제2 출력 신호에 대응되는 알람을 출력하는 환자 모니터링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 부재의 바닥부에 대한 끌림 정보를 획득하는 끌림 센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끌림 정보는 상기 저장 부재의 위치 정보 및 상기 저장 부재의 바닥부와 상기 저장 부재의 아래에 위치된 물체 간의 접촉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끌림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바닥부가 상기 물체와 접촉한 상태에서 이동하는지를 판단하는 환자 모니터링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외부에 알람을 출력하는 알람 출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바닥부가 상기 물체와 접촉한 상태에서 이동하는 것으로 판단한 경우, 상기 알람 출력부로 제3 출력 신호를 전송하며,
    상기 알람 출력부는 상기 제3 출력 신호가 입력될 경우에 상기 제3 출력 신호에 대응되는 알람을 출력하는 환자 모니터링 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 부재 내에 저장된 상기 소변의 용량 정보를 획득하는 용량 센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용량 센서부에서 획득한 상기 용량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저장 부재 내의 소변 용량이 기 설정된 기준 용량을 초과하는지를 판단하는 환자 모니터링 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외부에 알람을 출력하는 알람 출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소변 용량이 상기 기준 용량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알람 출력부로 제4 출력 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알람 출력부는 상기 제4 출력 신호가 입력될 경우, 상기 제4 출력 신호에 대응되는 알람을 출력하는 환자 모니터링 시스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테터 상에 설치되고, 상기 카테터 내의 유로를 개폐하는 밸브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소변이 역류하는 것으로 판단할 경우, 상기 밸브부가 상기 카테터를 폐쇄하도록 제어하는 환자 모니터링 시스템.
  11. 약액을 저장하는 저장 부재;
    상기 저장 부재와 이격되고, 상기 약액을 주입하는 주입 부재;
    상기 저장 부재에 저장된 상기 약액을 상기 주입 부재로 안내하는 카테터;
    상기 카테터 내에서 유동하는 상기 약액에 대한 흐름 정보를 확득하는 역류 감지 센서부; 및
    상기 역류 감지 센서부에서 획득한 상기 흐름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저장 부재에서 상기 주입 부재로 유동하는 상기 약액의 역류 여부를 판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환자 모니터링 시스템.
KR1020190118874A 2019-09-26 2019-09-26 환자 모니터링 시스템 KR1023190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8874A KR102319029B1 (ko) 2019-09-26 2019-09-26 환자 모니터링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8874A KR102319029B1 (ko) 2019-09-26 2019-09-26 환자 모니터링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36643A true KR20210036643A (ko) 2021-04-05
KR102319029B1 KR102319029B1 (ko) 2021-10-28

Family

ID=754618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18874A KR102319029B1 (ko) 2019-09-26 2019-09-26 환자 모니터링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1902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729712A (zh) * 2021-08-27 2021-12-03 北京纳米能源与系统研究所 一种传感器
KR20220080853A (ko) * 2020-12-08 2022-06-15 서울대학교병원 방광 충만 상태 모니터링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68554A (en) * 1992-11-20 1994-11-29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Blood pumping system with selective backflow warning
WO2014043650A2 (en) * 2012-09-17 2014-03-20 Theranova, Llc Systems, devices and methods for urine monitoring
KR20140040497A (ko) 2012-09-26 2014-04-03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용자 단말에서의 사용자 맞춤형 영상 처리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68554A (en) * 1992-11-20 1994-11-29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Blood pumping system with selective backflow warning
WO2014043650A2 (en) * 2012-09-17 2014-03-20 Theranova, Llc Systems, devices and methods for urine monitoring
KR20140040497A (ko) 2012-09-26 2014-04-03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용자 단말에서의 사용자 맞춤형 영상 처리장치 및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80853A (ko) * 2020-12-08 2022-06-15 서울대학교병원 방광 충만 상태 모니터링 장치
CN113729712A (zh) * 2021-08-27 2021-12-03 北京纳米能源与系统研究所 一种传感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19029B1 (ko) 2021-10-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00384167A1 (en) Systems, devices and methods for draining and analyzing bodily fluids
US8535280B2 (en) Pressure based refill status monitor for implantable pumps
US11553865B2 (en) Bladder health monitoring systems and related methods and devices
US7736354B2 (en) Patient hydration system with hydration state detection
JP5193233B2 (ja) Acs治療システム
US8920389B2 (en) Detecting needle entry into a port of an infusion device
US11116892B2 (en) Medium injection diversion and measurement
CN106456849A (zh) 用于移除血液和血栓性物质的系统和方法
US20110004198A1 (en) Pressure Sensing Catheter
CN107205675A (zh) 用于感测生理数据以及引流和分析体液的系统、设备和方法
JP2021515618A (ja) 胸部ドレナージを管理するためのシステム
CA2312746A1 (en) Method and device for monitoring a catheter unit
BR112012006271B1 (pt) aparelho para tratar ferimentos com pressão negativa
EP3571996A1 (en) Urodynamic monitoring system and drainage monitoring control unit thereof
KR102319029B1 (ko) 환자 모니터링 시스템
US20160058355A1 (en) Device for measuring urinary detrusor pressure
US20220193366A1 (en) Dynamic Pressure Response System and Method for Measuring Residual Fluid
US20130310770A1 (en) Infusion Apparatus With Composition Pulse Flow Sensor
US20220355018A1 (en) Devices and methods for managing chest or wound drainage
US20220288362A1 (en) Systems and associated methods for improved interrogation of shunt functionality
JP7200146B2 (ja) 媒体の注入、迂回及び計測
CN211486133U (zh) 一种带有压力感应器的导尿管
WO2021150999A1 (en) Devices and methods for managing chest or wound drainage
DK2010251T3 (en) SYSTEM FOR HYDRATING PATIENT WITH DETECTION OF ABNORMAL CONDITION
US20220168498A1 (en) Medium injection diversion and measure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