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36553A - 제빙기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 Google Patents

제빙기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36553A
KR20210036553A KR1020190118650A KR20190118650A KR20210036553A KR 20210036553 A KR20210036553 A KR 20210036553A KR 1020190118650 A KR1020190118650 A KR 1020190118650A KR 20190118650 A KR20190118650 A KR 20190118650A KR 20210036553 A KR20210036553 A KR 202100365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ce
making
ejector
control box
he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186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지준동
신계영
임동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창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창
Priority to KR10201901186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36553A/ko
Publication of KR202100365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3655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00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02Apparatus for disintegrating, removing or harvesting ice
    • F25C5/04Apparatus for disintegrating, removing or harvesting ice without the use of saws
    • F25C5/043Tools, e.g. ice picks, ice crushers, ice sha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00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02Apparatus for disintegrating, removing or harvesting ice
    • F25C5/04Apparatus for disintegrating, removing or harvesting ice without the use of saws
    • F25C5/08Apparatus for disintegrating, removing or harvesting ice without the use of saws by heating bodies in contact with the i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1/00Self-contained movable devices, e.g. domestic refrigerators
    • F25D11/02Self-contained movable devices, e.g. domestic refrigerators with cooling compartments at different temperatu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400/00Auxiliary features or devices for 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400/10Refrigerator un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roduction, Working, Storing, Or Distribution Of Ice (AREA)

Abstract

제빙홈에서 이빙된 얼음이 재유입방지 플레이트 및 이젝트 핀 사이에 끼이더라도, 이젝터가 제빙 트레이의 제빙홈에서 얼음을 취출하기 위한 초기 위치인 원위치로 복귀할 수 있는 제빙기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가 제공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제빙기는, 제어박스와, 상기 제어박스의 일측에 배치되고 제빙수가 수용되는 제빙홈이 상면에 형성된 제빙 트레이와, 상기 제빙 트레이의 하면에 설치된 이빙 히터와, 상기 제어박스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어 상기 이빙 히터가 작동한 후 정방향으로 회전되고 정방향으로 회전 시 상기 제빙홈에서 제빙된 얼음을 취출하는 이젝트 핀이 둘레면에 돌출 형성된 이젝터를 포함하고, 상기 이젝터는 상기 정방향으로 회전 시 설정시간 내에 상기 이젝트 핀이 원위치로 안오는 경우 상기 이젝트 핀이 상기 원위치로 올 때까지 상기 정방향 및 역방향을 번갈아가며 회전 작동된다.

Description

제빙기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ICE MAKER AND REFRIGERATOR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은 제빙기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장고는 음식물을 저온 상태로 보관하기 위한 가전기기로서, 음식을 냉장 상태로 보관하는 냉장실과, 음식물을 냉동 상태로 보관하는 냉동실 중 적어도 하나를 구비한다.
상기 냉장고는 압축기, 응축기, 팽창기구 및 증발기를 냉매가 순환하는 냉동사이클을 이용하여 상기 냉장실 및 상기 냉동실 중 적어도 하나로 냉기를 공급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냉장실 및 상기 냉동실 중 적어도 하나에는 제빙기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빙기는 제빙수를 공급받아 얼음을 제조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장치이다.
상기 제빙기는 제빙홈이 형성된 제빙 트레이를 포함한다. 상기 제빙홈에 제빙수가 공급된 후 상기 제빙홈에 공급된 제빙수를 얼려서 얼음이 생성될 수 있다.
상기 제빙홈에서 얼음의 제조가 완료된 후, 상기 제빙홈에서 얼음을 취출하는 방식에 따라, 상기 제빙기는 트위스트 타입의 제빙기와 이젝터 타입의 제빙기로 구비된다.
상기 트위스트 타입의 제빙기는 상기 제빙홈에서 얼음의 제조가 완료된 후, 상기 제빙 트레이를 비틀어서 상기 제빙홈에서 얼음을 취출할 수 있다.
상기 이젝터 타입의 제빙기는 상기 제빙홈에서 얼음의 제조가 완료된 후, 이젝터를 회전시킴으로서, 상기 이젝터의 둘레면에 형성된 이젝트 핀이 상기 제빙홈에서 얼음을 취출할 수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9-0071427호(2019.06.24. 공개일)(이하, '종래 기술'이라 함)에는 이젝터 핀이 설치된 '제빙기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종래 기술은 상기 제빙홈에서 얼음이 제조가 완료된 후, 상기 이젝터 핀이 회전되어 상기 제빙홈에서 얼음을 취출할 수 있다.
그런데, 상기 종래 기술은 상기 이젝터 핀에 의해 상기 제빙홈에서 취출된 얼음이 낙하하지 못하고, 상기 제빙홈의 일측을 덮는 플레이트 위에 남아있게 되는 경우, 상기 이젝터 핀이 회전됨에 따라 상기 얼음은 상기 플레이트 및 상기 이젝터 핀 사이에 끼이게 되어서, 상기 이젝터 핀이 상기 제빙홈에서 얼음을 취출하기 위한 초기 위치인 원위치로 복귀되지 못하게 되므로, 상기 제빙홈에서 얼음을 이빙시키기 위한 제어가 불가능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9-0071427호(2019.06.24. 공개일)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는, 제빙홈에서 이빙된 얼음이 재유입방지 플레이트 및 이젝트 핀 사이에 끼이더라도, 이젝터가 제빙 트레이의 제빙홈에서 얼음을 취출하기 위한 초기 위치인 원위치로 복귀할 수 있는 제빙기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제빙기는 제어박스, 제빙 트레이, 이빙 히터 및 이젝터로 구성된다. 상기 제빙 트레이는 상기 제어박스의 일측에 배치된다. 상기 제빙 트레이의 상면에는 제빙홈이 형성된다. 상기 제빙홈에는 제빙수가 수용된다. 상기 이빙 히터는 상기 제빙 트레이의 하면에 설치된다. 상기 이젝터는 상기 제어박스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어 상기 이빙 히터가 작동한 후 정방향으로 회전된다. 상기 이젝터의 둘레면에는 이젝트 핀이 돌출 형성된다. 상기 이젝트 핀은 상기 이젝터가 정방향으로 회전될 시 상기 제빙홈에서 제빙된 얼음을 취출한다. 상기 이젝터는, 상기 정방향으로 회전 시 설정시간 내에 상기 이젝트 핀이 원위치로 안오는 경우, 상기 이젝트 핀이 상기 원위치로 올 때까지, 상기 정방향 및 역방향을 번갈아가며 회전 작동된다.
상기 이빙 히터는, 제1 히팅구간에서 제1 온도로 발열되게 작동될 수 있고, 제2 히팅구간에서 제2 온도로 발열되게 작동될 수 있다. 상기 제1 히팅구간은 상기 이빙 히터의 작동시작 후 구간일 수 있다. 상기 제2 히팅구간은 상기 제1 히팅구간 후 구간일 수 있다. 상기 이젝터는, 상기 제1 히팅구간 및 상기 제2 히팅구간 중 적어도 하나의 구간에서, 상기 이젝트 핀이 상기 원위치로 안오는 경우, 상기 이젝트 핀이 원위치로 올 때까지, 정방향 및 역방향을 번갈아가며 회전 작동될 수 있다.
상기 제2 온도는 상기 제1 온도보다 높은 온도일 수 있다.
상기 이빙 히터는 입력되는 전기에 의해 발열되는 전기히터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 히팅구간에서는 상기 이빙 히터가 상기 제1 온도로 발열될 때까지 상기 이빙 히터로 전기가 입력될 수 있다. 상기 제1 히팅구간에서는 상기 이빙 히터가 상기 제1 온도로 발열되면 상기 이빙 히터로 전기가 차단될 수 있다. 상기 제2 히팅구간에서는 상기 이빙 히터가 상기 제2 온도로 발열될 때까지 상기 이빙 히터로 전기가 입력될 수 있다. 상기 제2 히팅구간에서는 상기 이빙 히터가 상기 제2 온도로 발열되면 상기 이빙 히터로 전기가 차단될 수 있다.
상기 이젝터는 상기 정방향 및 상기 역방향을 번갈아가며 회전 작동되는 구간에서 정지가 가능할 수 있다.
상기 이젝터는 상기 정방향 회전 작동 시간이 상기 역방향 회전 작동 시간보다 길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제빙기는 제어박스, 제빙 트레이, 이빙 히터, 이젝터, 이빙 모터 및 제어부로 구성된다. 상기 제빙 트레이는 상기 제어박스의 일측에 배치된다. 상기 제빙 트레이의 상면에는 제빙홈이 형성된다. 상기 제빙홈에는 제빙수가 수용된다. 상기 이빙 히터는 상기 제빙 트레이의 하면에 설치된다. 상기 이젝터는 상기 제어박스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된다. 상기 이젝터의 둘레면에는 이젝트 핀이 돌출 형성된다. 상기 이젝트 핀은 상기 이젝터의 회전 시 상기 제빙홈에서 제빙된 얼음을 취출한다. 상기 이빙 모터는 상기 제어박스 내에 배치된다. 상기 이빙 모터는 상기 이젝터를 회전시킨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어박스 내에 배치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빙 히터를 작동시킨 후 상기 이빙 모터의 회전축을 정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빙 모터의 회전축을 정방향으로 회전시킨 후 설정시간 내에 상기 이젝트 핀이 원위치로 안오는 경우, 상기 이젝트 핀이 상기 원위치로 올 때까지, 상기 이빙 모터의 회전축을 정방향 및 역방향으로 번갈아가며 회전시킨다.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는 상기 제빙기를 포함한다.
기타 실시예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제빙기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는, 이젝터가 제빙홈에서 얼음을 취출하기 위해 정방향으로 회전된 후 설정시간 내에 이젝트 핀이 원위치로 안오는 경우, 상기 이젝트 핀이 상기 원위치에 올 때까지, 상기 이젝터는 상기 정방향 및 역방향으로 번갈아가며 회전 작동된다. 따라서, 재유입방지 플레이트와 상기 이젝트 핀 사이에 얼음이 끼인 경우, 상기 이젝터가 상기 정방향 및 상기 역방향으로 번갈아가며 회전 동작하기 때문에, 상기 이젝트 핀이 상기 재유입방지 플레이트 및 상기 이젝트 핀 사이에 끼인 얼음에 충격을 가해서 상기 얼음을 상기 재유입방지 플레이트에서 미끄러져 낙하되도록 하거나, 상기 재유입방지 플레이트 및 상기 이젝트 핀 사이에 끼인 얼음을 쪼개서 상기 재유입방지 플레이트로부터 이탈시키게 되므로, 상기 이젝트 핀이 상기 재유입방지 플레이트 및 상기 이젝트 핀 사이에 끼인 얼음을 제거한 후, 제빙홈에서 얼음을 취출하기 위한 초기 위치인 상기 원위치로 이동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제빙기가 설치된 냉장고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제빙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제빙기의 일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제빙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제빙기의 제어 블록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제빙기의 시간의 흐름에 따른 제어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제빙기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를 도면들을 참고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제빙기가 설치된 냉장고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냉장고(1)는 제빙기(100)를 포함할 수 있다.
냉장고(1)는 전면이 개구된 저장실을 형성하는 캐비닛과, 상기 저장실의 개구된 전면을 개폐하는 적어도 하나의 도어(8, 9)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저장실은, 식품을 냉장 상태로 저장하는 냉장실과, 식품을 냉동 상태로 저장하는 냉동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냉장고(1)는 상기 냉장실 및 상기 냉동실을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예시한 것으로서, 상기 냉장실이 상기 냉동실의 상측에 구비될 수 있다.
도어(8, 9)는, 상기 냉장실을 개폐하는 냉장실 도어(8)와, 상기 냉동실을 개폐하는 냉동실 도어(9)를 포함할 수 있다. 냉장실 도어(8)는 서로 좌우로 배치된 두 개로 구비되어, 좌측 냉장실 도어(8)는 상기 냉장실의 일부인 좌측을 개폐할 수 있고, 우측 냉장실 도어(8)는 상기 냉장실의 나머지부인 우측을 개폐할 수 있다.
제빙기(100)는 상기 냉장실 및 상기 냉동실 중 적어도 하나에 설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냉장고(1)는 상기 냉장실의 좌측 상부에 제빙기(100)가 설치될 수 있다.
제빙기(100)는 냉장고(1)로부터 제빙수를 공급받을 수 있고, 냉장고(1)의 냉동사이클로부터 상기 저장실로 공급되는 냉기에 의해 상기 제빙수를 얼음으로 변하게 하여서, 상기 얼음을 제조할 수 있다.
냉장고(1)의 상기 저장실에는 아이스 박스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아이스 박스는 제빙기(100)의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아이스 박스는 상측이 개구된 통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빙기(100)에서 제빙된 얼음은 제빙기(100)로부터 상기 아이스 박스로 이빙되어, 상기 아이스 박스 내에 수용되어 저장될 수 있다.
상기 아이스 박스 내에는 오거(Auger)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오거는 상기 아이스 박스에 둘레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오거의 양단은 각각 상기 아이스 박스의 양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오거의 외주면에는 나선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오거는 회전 시 상기 나선홈을 통해 상기 아이스 박스 내에 저장된 얼음을 상기 아이스 박스의 외부로 이송시킬 수 있다. 상기 오거는 상기 아이스 박스의 일측에 설치된 오거모터의 구동력에 의해 회전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제빙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제빙기의 일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제빙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제빙기의 제어 블록도이다.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제빙기(100)는 제빙 트레이(10), 제어박스(30) 및 드레인부재(40)를 포함할 수 있다.
제빙 트레이(10)에는 제빙홈(15)이 형성될 수 있다. 제빙홈(15)은 제빙 트레이(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된 복수개의 제빙홈(15)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빙홈(15)은 제빙 트레이(10)의 상면에 형성될 수 있다.
제어박스(30)는 사각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어박스(30)는 제빙 트레이(10)의 일단에 배치될 수 있다. 제빙 트레이(10)는 제어박스(30)의 일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빙 트레이(10)의 일단은 제어박스(30)의 일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빙 트레이(10)의 일단은 후술할 제어박스 케이스(31)의 일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빙 트레이(10)의 길이는 제어박스(30)의 일측에서 수평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빙 트레이(10)의 타단에는 급수부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급수부는 후술할 제빙기 커버(60)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급수부는 제빙기 커버(60)의 양단 중 제어박스(30)에서 먼 일단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급수부는 제빙홈(15)으로 제빙수를 공급하는 유로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급수부로부터 제빙홈(15)으로 제빙수가 공급될 수 있다. 제빙홈(15)으로 공급된 제빙수는 냉장고(1) 저장실의 냉기에 의해 냉각되어 얼음으로 변할 수 있다.
제어박스(30)는 제어박스 케이스(31) 및 제어박스 커버(32)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박스 케이스(31) 및 제어박스 커버(32)는 서로 대향하는 면이 개구된 사각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어박스 케이스(31) 내에 후술할 기어박스, 팬 하우징 및 제어부를 비롯한 각종 내부부품이 설치된 후, 제어박스 커버(32)는 제어박스 케이스(31)의 개구된 일면을 덮고 제어박스 케이스(31)에 결합될 수 있다.
제어박스(30)의 상부에는 제빙기 커버(60)가 설치될 수 있다. 제빙기 커버(60)는 제어박스(30)의 상측 및 제빙 트레이(10)의 상측을 덮을 수 있다. 제빙기 커버(60)는 제어박스(30)의 상측면을 덮는 제1 제빙기 커버부(61)를 포함할 수 있다. 제빙기 커버(60)는 제1 제빙기 커버부(61)에서 수평방향으로 연장되어 제빙 트레이(10)의 상측을 덮는 제2 제빙기 커버부(6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제빙기 커버부(61)는 제어박스(30)의 상면에 안착될 수 있다. 제1 제빙기 커버부(61)의 측면에는 제어박스(30)의 측면으로 연장되는 체결부(68)가 형성될 수 있고, 체결부(68)는 제어박스(30)에 스크류(69)를 통해 체결될 수 있다. 체결부(68)는 제어박스 케이스(31)에 스크류(69)를 통해 체결될 수 있다.
제2 제빙기 커버부(62)는 상면부, 제1 측면부 및 제2 측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면부는 제빙 트레이(10)의 상면과 대향될 수 있다. 상기 상면부는 제빙 트레이(10)의 상면으로부터 상측으로 이격될 수 있다. 후술하는 이젝트 핀(26)이 제빙홈(15)에서 얼음을 취출할 시, 상기 얼음은 상기 상면부와, 후술할 재유입방지 플레이트(83) 사이의 공간을 통해 제빙기(100)의 외부로 빠져 나온 후, 냉장고(1)에 설치된 상기 아이스 박스로 낙하되어 상기 아이스 박스 내에 수용될 수 있다.
상기 제1 측면부는 상기 상면부의 측면에서 하측으로 연장되어, 제빙 트레이(10)의 일측면의 상측에 수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제빙기(100)가 냉장고(1) 저장실에 설치되는 경우, 상기 제1 측면부는 냉장고(1) 저장실의 측벽에 가깝게 배치되어 냉장고(1) 저장실의 측벽에 설치될 수 있다. 제빙기(100)가 냉장고(1) 저장실에 설치된 상태일 때, 제빙기 커버(60)는 제빙기(100) 중 제빙기 커버(60) 이외의 구성을 위에서 지지하는 기능을 할 수 있다.
상기 제2 측면부는 제빙기 커버(60)의 양단 중 제어박스(30)로부터 먼 일단에서 하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제2 측면부는 제빙 트레이(10)의 타단부 상측에 수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제빙기 커버(60)는 제빙홈(15)으로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할 수 있고, 후술하는 이젝터(25)를 가려서 제빙기(100)의 외관을 아름답게 함과 아울러, 사용자의 손이 이젝터(25)의 둘레면에 형성된 이젝트 핀(26)에 의해 부상을 당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제어박스(30) 내부에는 이빙 모터(20) 및 제어부(35)가 수용될 수 있다. 이빙 모터(20)는 제빙홈(15)에서 얼음이 이빙되도록 구동할 수 있다. 이빙 모터(20)는 제어부(35)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제빙 트레이(10)로부터 상측으로 이격된 위치에는 이젝터(25)가 배치될 수 있다. 이젝터(25)는 제어박스(30)의 일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이젝터(25)는 제어박스(30)의 일측에서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긴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젝터(25)는 제어박스 케이스(31)의 일측에서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긴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젝터(25)는 제빙 트레이(10)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이젝터(25)의 일단은 제어박스(30)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이젝터(25)의 일단은 제어박스 케이스(31)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이젝터(25)의 일단은 제어박스(30)의 내부로 삽입될 수 있다. 이젝터(25)는 제어박스(30)의 일측에서 제빙 트레이(10)의 상측으로 돌출 배치될 수 있다.
이젝터(25)는 이빙 모터(20)의 구동력에 의해 둘레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이젝터(25)에는 이젝트 핀(26)이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이젝트 핀(26)은 이젝터(25)의 둘레면에 반경방향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이젝트 핀(26)은 이젝터(25)의 길이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된 복수개의 이젝트 핀(26)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복수개의 이젝트 핀(26)은 복수개의 제빙홈(15)과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이젝트 핀(26)은 이젝터(25)의 회전 시 제빙홈(15)으로 삽입되어 제빙홈(15)에서 얼음을 취출할 수 있다. 제빙홈(15)에서 이젝트 핀(26)에 의해 이빙된 얼음은 낙하하여 냉장고(1)에 설치된 상기 아이스 박스 내에 수용되어 저장될 수 있다.
제빙 트레이(10)의 상측에는 재유입방지 플레이트(83)가 배치될 수 있다. 재유입방지 플레이트(83)는 제빙 트레이(10)의 상면 일측을 덮을 수 있다. 재유입방지 플레이트(83)는 제빙홈(15) 중 얼음이 제빙홈(15)에서 분리 시작되는 방향의 일측을 덮을 수 있다.
재유입방지 플레이트(83)는 이젝트 핀(26)에 의해 제빙홈(15)에서 취출된 얼음이 제빙홈(15)으로 재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제빙홈(15)에서 제빙된 얼음은 이젝터(25)의 회전 시 이젝트 핀(26)에 의해 취출되어 재유입방지 플레이트(83)의 상면으로 이동한 후 재유입방지 플레이트(83)의 상면을 따라 미끄러져서 상기 아이스 박스 내로 낙하할 수 있다. 이젝트 핀(26)에 의해 제빙홈(15)에서 취출되어 재유입방지 플레이트(83)의 상면으로 이동된 얼음이, 상기 아이스 박스 내로 쉽게 낙하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재유입방지 플레이트(83)는 이젝터(25)에 가까운 일측이 이젝터(25)에서 먼 일측에 비해 높이가 높게 경사져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재유입방지 플레이트(83)의 하면에는 한 쌍의 결합리브(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결합리브는 서로 이격되어서, 상기 한 쌍의 결합리브 사이에는 결합홈(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빙 트레이(10)의 일측 상단에는 상기 결합홈으로 삽입되는 결합리브(미도시)가 상측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제빙 트레이(10)의 일측 상단에 형성된 상기 결합리브가 재유입방지 플레이트(83)의 하면에 형성된 상기 결합홈에 삽입되어서, 재유입방지 플레이트(83)는 제빙 트레이(10)에 설치될 수 있다.
재유입방지 플레이트(83)에는 이젝터(25)의 회전 시 이젝트 핀(26)이 통과하는 이젝트 핀 통과홀(83A)이 형성될 수 있다. 이젝트 핀 통과홀(83A)은 재유입방지 플레이트(83)의 길이를 따라 서로 이격된 복수개의 이젝트 핀 통과홀(83A)로 형성될 수 있다. 이젝트 핀 통과홀(83A)은 냉장고(1) 저장실 내의 냉기가 통과하는 홀의 기능도 할 수 있다. 이젝트 핀 통과홀(83A)은 냉장고(1) 저장실 내의 냉기가 제빙 트레이(10)로 쉽게 공급되도록 하여서, 제빙홈(15)에서 제빙이 쉽게 되도록 할 수 있다.
제어박스(30) 내에는 상기 기어박스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기어박스는 제어박스 케이스(31) 내에 설치될 수 있다. 이빙 모터(20)는 상기 기어박스의 일측면에 설치되어 제어박스(30) 내에 수용될 수 있다. 상기 기어박스 내에는 복수개의 기어(미도시)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복수개의 기어는 이빙 모터(20)의 회전축과 이젝터(25)의 일단을 연결할 수 있다. 상기 복수개의 기어는 이빙 모터(20)의 구동력을 이젝터(25)로 전달할 수 있다. 이빙 모터(20)의 회전축의 회전력은 상기 복수개의 기어를 통해 이젝터(25)로 전달되어서, 이빙 모터(20)의 구동력에 의해 이젝터(25)는 회전될 수 있다.
제빙 트레이(10)로 하측으로 이격된 위치에는 드레인부재(40)가 배치될 수 있다.
드레인부재(40)는 제어박스(30)에 결합될 수 있다. 드레인부재(40)는 제어박스 케이스(31)에 결합될 수 있다. 드레인부재(40)는 제어박스(30)의 일측에 배치될 수 있다. 드레인부재(40)는 제어박스(30)의 일측에서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되, 제어박스(30)에 가까운 일단이 타단에 비해 높이가 조금 높게 경사져서 배치될 수 있다. 드레인부재(40)는 제어박스 케이스(31)의 일측에서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되, 제어박스 케이스(31)에 가까운 일단이 타단에 비해 높이가 조금 높게 경사져서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제빙 트레이(10)로부터 드레인부재(40)로 낙하된 수분은 드레인부재(40)의 경사면을 타고 흘러서 드레인부재(40)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드레인부재(40)는 대략 사각형상의 하면부와, 상기 하면부의 네변에서 각각 상측으로 연장되는 측면부들을 포함할 수 있다. 드레인부재(40)는 상측이 개구된 사각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드레인부재(40)는 제빙 트레이(10)로부터 하측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드레인부재(40)는 제빙 트레이(10)로부터 낙하하는 수분을 받아 배출할 수 있다. 상기 급수부로부터 제빙홈(15)에 제빙수가 과공급되는 경우, 상기 과공급된 제빙수는 제빙 트레이(10)로부터 드레인부재(40)로 낙하할 수 있다.
또한, 제빙 트레이(10)의 하면에는 후술할 냉매관(72) 및 이빙 히터(22)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제빙 트레이(10)의 냉각 및 가열을 반복하는 과정에서, 제빙 트레이(10)의 하면에 성에가 맺혔다가 수분으로 변할 수 있고, 이렇게 생성된 수분은 드레인부재(40)로 낙하할 수 있다.
드레인부재(40)는 제빙 트레이(10) 및 상기 아이스 박스 사이에 배치되어서, 제빙 트레이(10)로부터 낙하하는 수분이 상기 아이스 박스 내에 저장된 얼음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드레인부재(40)의 타단에는 배수부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배수부에는 배수유로가 형성될 수 있다. 제빙 트레이(10)로부터 드레인부재(40)로 낙하된 수분은, 드레인부재(40)의 경사면을 타고 드레인부재(40)의 타단으로 흐른 후, 상기 배수부를 통해 드레인부재(40)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드레인부재(40)에는 결빙방지히터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결빙방지히터는 드레인부재(40)를 가열할 수 있다. 제빙 트레이(10)로부터 드레인부재(40)로 낙하된 수분은 냉장고(1) 저장실의 냉기와 열교환되어 결빙될 수 있다. 드레인부재(40)로 낙하된 수분이 결빙되는 경우, 드레인부재(40)로 낙하된 수분의 배출이 어려워질 수 있다. 상기 결빙방지히터는 제빙 트레이(10)로부터 드레인부재(40)로 낙하된 수분이 결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드레인부재(40)에는 드레인부재 커버가 결합될 수 있다. 드레인부재 커버는 드레인부재(40)의 하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결빙방지히터는 드레인부재(40) 및 상기 드레인부재 커버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드레인부재(40)는 상기 결빙방지히터의 열이 쉽게 전달될 수 있는 재질인 것이 바람직하다. 드레인부재(40)는 금속재질일 수 있다. 상기 드레인부재 커버는 상기 결빙방지히터의 열이 냉장고(1)에 설치된 상기 아이스 박스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재질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드레인부재 커버는 플라스틱재질일 수 있다.
상기 결빙방지히터는 입력되는 전기에 의해 발열하는 면상 히터로 형성될 수 있다.
제어박스(30) 내에는 상기 순환팬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순환팬은 제어박스 케이스(31) 내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순환팬은 제어박스(30)의 외부로 바람을 불어낼 수 있다. 제어박스(30)의 적어도 일면에는 상기 순환팬의 회전에 의해 생성된 바람이 제어박스(30) 내에서 제어박스(30) 외부로 송풍되는 송풍구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송풍구는 제어박스 커버(32)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송풍구를 통해 제어박스(30)의 외부로 송풍되는 공기에 의해, 냉장고(1) 저장실의 냉기는 원활하게 순환되어 제빙 트레이(10)로 이동되어서, 제빙홈(15) 내의 제빙수가 신속하게 제빙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순환팬은 팬 하우징에 설치될 수 있고, 상기 팬 하우징은 제어박스(30) 내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팬 하우징은 제어박스 케이스(31) 내에 설치될 수 있다.
제빙 트레이(10)의 일측에는 에어 가이드(81)가 배치될 수 있다. 에어 가이드(81)는 제어박스(30)의 일측에서 수평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에어 가이드(81)는 제어박스 케이스(31)의 일측에서 수평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에어 가이드(81)의 상단은 재유입방지 플레이트(83)의 일측에 결합되어서, 하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에어 가이드(81)는 제빙 트레이(10)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에어 가이드(81)는 재유입방지 플레이트(83)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에어 가이드(81)에는 에어 가이드홀(81A)이 형성될 수 있다. 에어 가이드홀(81A)은 에어 가이드(81)의 길이를 따라 서로 이격된 복수개의 에어 가이드홀(81A)로 형성될 수 있다. 에어 가이드(81) 주변의 공기는 상기 순환팬의 회전에 의해 에어 가이드홀(81A)을 통과하여 제빙 트레이(10)로 이동되어서, 제빙홈(15) 내의 제빙수가 신속하게 제빙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35)는 제어박스 케이스(31) 내에 설치될 수 있다. 제어부(35)는 PCB(Printed Circuit Board)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35)는 이빙 히터(22), 이빙 모터(20), 상기 결빙방지히터 및 상기 순환팬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35)는 후술할 급수밸브(38) 및 냉매밸브(39)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35)는 하네스를 통해 냉장고(1)에 설치된 냉장고 제어부와 연결될 수 있다. 제어부(35)는 상기 냉장고 제어부로부터 제어전원 및 제어신호를 상기 하네스를 통해 입력받을 수 있다.
제빙기(100)는 수위감지센서(3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수위감지센서(36)는 제빙홈(15) 내에 수용되는 제빙수의 수위를 감지할 수 있다. 수위감지센서(36)는 제빙홈(15) 내의 만수위치에 설치되어서, 제빙홈(15) 내에 수용되는 제빙수가 만수되면 제빙수와 접촉되어 제빙수의 수위를 감지할 수 있다.
수위감지센서(36)는 온도센서로 형성되거나, 정전용량센서로 형성되거나, 통전센서로 형성될 수 있다.
수위감지센서(36)가 온도센서로 형성되는 경우, 수위감지센서(36)는 제빙홈(15)에 수용되는 제빙수와 접촉되어 제빙수의 온도를 감지할 수 있고, 제어부(35)는 수위감지센서(36)로부터 입력되는 온도가 설정온도 이상이면, 제빙홈(15) 내에 제빙수가 만수되었다고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수위감지센서(36)가 정전용량센서로 형성되는 경우, 수위감지센서(36)는 제빙홈(15)에 수용되는 제빙수와 접촉되어 제빙수의 정전용량을 감지할 수 있고, 제어부(35)는 수위감지센서(36)로부터 입력되는 정전용량이 설정정전용량 이상이면, 제빙홈(15) 내에 제빙수가 만수되었다고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통전센서는 제빙홈(15) 내의 만수위치에 설치된 두 개의 전극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제빙홈(15) 내에 제빙수가 만수되면 상기 두 개의 전극이 제빙수에 의해 통전될 수 있고, 제어부(35)는 상기 두 개의 전극이 통전되면, 제빙홈(15) 내에 제빙수가 만수되었다고 판단할 수 있다.
제빙기(100)는 제빙완료센서(3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빙완료센서(37)는 제빙홈(15) 내의 제빙수가 제빙완료된 것을 감지할 수 있다. 제빙완료센서(37)는 제빙홈(15) 내의 제빙수와 접촉될 수 있는 위치에 설치되어, 상기 제빙수가 얼음으로 변한 것을 감지할 수 있다.
제빙완료센서(37)는 온도센서로 형성되거나, 정전용량센서로 형성될 수 있다.
제빙완료센서(37)가 온도센서로 형성되는 경우, 제빙완료센서(37)는 제빙홈(15) 내에서 제빙된 얼음과 접촉되어 상기 얼음의 온도를 감지할 수 있고, 제어부(35)는 제빙완료센서(37)로부터 입력되는 온도가 설정온도 이하이면, 제빙홈(15) 내의 제빙수가 제빙완료되었다고 판단할 수 있다.
제빙완료센서(37)가 정전용량센서로 형성되는 경우, 제빙완료센서(37)는 제빙홈(15) 내에서 제빙된 얼음과 접촉되어 상기 얼음의 정전용량을 감지할 수 있고, 제어부(35)는 제빙완료센서(37)로부터 입력되는 정전용량이 설정정전용량 이상이면, 제빙홈(15) 내의 제빙수가 제빙완료되었다고 판단할 수 있다.
수위감지센서(36) 및 제빙완료센서(37)는, 상기 온도센서 하나로 통합될 수도 있고, 상기 정전용량센서 하나로 통합될 수도 있다.
냉장고(1)는 제빙홈(15)으로 상기 제빙수를 공급하는 급수밸브(38)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35)는 급수밸브(38)가 제빙홈(15)에 제빙수를 공급하거나 차단하도록 급수밸브(38)를 제어할 수 있다. 급수밸브(38)는 제어부(35)에 의해 제어되어 개폐될 수 있다. 급수밸브(38)는 개방되어 제빙홈(15)으로 제빙수를 공급할 수 있다. 급수밸브(38)는 폐쇄되어 제빙홈(15)으로 제빙수의 공급을 멈출 수 있다. 제어부(35)는 수위감지센서(36)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통해 제빙홈(15) 내의 제빙수가 만수라고 판단될 때까지, 급수밸브(38)가 제빙홈(15)에 상기 제빙수를 공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35)는 제빙홈(15)에 제빙수가 급수된 후 상기 순환팬을 회전시켜서 냉장고(1) 저장실의 냉기가 제빙 트레이(10)로 원활하게 이동되도록 제어하여서, 상기 제빙수가 신속하게 제빙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냉장고(1)는 냉매관(72)에 차가운 냉매를 공급하는 냉매밸브(39)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35)는 제빙홈(15)에 제빙수가 급수된 후 냉매밸브(39)를 제어하여서, 냉매관(72)에 차가운 냉매가 유입되도록 할 수 있다. 냉매밸브(39)는 제어부(35)에 의해 제어되어 개폐될 수 있다. 냉매밸브(39)는 개방되어 냉매관(72)에 차가운 냉매를 공급할 수 있다. 냉매밸브(39)는 폐쇄되어 냉매관(72)에 차가운 냉매의 공급을 멈출 수 있다. 냉매관(72)에 상기 차가운 냉매과 공급되면, 냉매관(72)은 상기 차가운 냉매를 통해 제빙 트레이(10)를 냉각시켜서 상기 제빙수가 신속하게 제빙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제어부(35)는 제빙완료센서(37)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통해 제빙홈(15) 내의 제빙수가 제빙완료되었다고 판단될 때까지, 냉매밸브(39)가 냉매관(72)에 상기 차가운 냉매를 공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35)는 제빙홈(15)에 제빙수의 제빙이 완료된 후, 이빙 히터(22)에 전기를 입력하여서 이빙 히터(22)가 입력되는 전기에 의해 발열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빙 히터(22)는 입력되는 전기에 의해 발열되어 제빙 트레이(10)를 가열하여서 제빙홈(15) 내의 얼음을 살짝 녹일 수 있다. 제빙홈(15)에서 제빙이 완료된 후, 이빙 히터(22)는 제빙 트레이(10)를 가열하여서, 제빙홈(15)에 고착된 얼음을 살짝 녹임으로써, 제빙홈(15) 내의 얼음이 이젝트 핀(26)에 의해 제빙홈(15)에서 쉽게 취출되도록 할 수 있다.
이후에, 제어부(35)는 이빙 모터(20)를 제어하여서 이젝터(25)를 회전시켜 이젝트 핀(26)이 제빙홈(15)에서 얼음을 취출하여 상기 아이스 박스로 이빙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35)는 상기 결빙방지히터에 전원을 공급하여서, 상기 결빙방지히터가 제어부(35)로부터 공급되는 전기에 의해 발열되도록 제어하여서, 제빙 트레이(10)로부터 드레인부재(40)로 낙하된 수분이 결빙되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드레인부재(40)에는 만빙감지센서(52)가 설치될 수 있다. 만빙감지센서(52)는 제빙홈(15)에서 이빙되어 상기 아이스 박스에 수용된 얼음의 만빙을 감지할 수 있다.
만빙감지센서(52)의 신호는 제어부(35)로 입력될 수 있고, 제어부(35)는 만빙감지센서(52)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아이스 박스에 수용된 얼음의 만빙을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35)는 상기 아이스 박스에 수용된 얼음의 만빙을 판단하는 경우, 이빙 모터(20)를 동작시키지 않음으로서, 제빙홈(15)에서 얼음이 상기 아이스 박스로 이빙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드레인부재(40)의 일단에는 일측으로 돌출되는 제1 센서설치부(41)가 형성될 수 있다. 제1 센서설치부(41)는 드레인부재(40)의 양단 중 제어박스(30)에 가까운 일단에 드레인부재(40)의 측면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드레인부재(40)의 타단에는 일측으로 돌출되는 제2 센서설치부(42)가 형성될 수 있다. 제1 센서설치부(41)는 드레인부재(40)의 양단 중 제어박스(30)에서 먼 타단에 드레인부재(40)의 측면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제2 센서설치부(42)는 제1 센서설치부(41)와 대향할 수 있다.
만빙감지센서(52)는 광센서로 형성될 수 있다. 즉, 만빙감지센서(52)는 발광부(미도시) 및 수광부(5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발광부는 빛을 발광할 수 있고, 수광부(52)는 상기 발광부의 빛을 수광할 수 있다.
상기 발광부는 제1 센서설치부(41) 및 상기 제2 센서설치부(42) 중 어느 하나에 설치될 수 있다. 수광부(52)는 제1 센서설치부(41) 및 제2 센서설치부(42) 중 다른 하나에 설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발광부는 제1 센서설치부(41)에 설치되고, 수광부(52)는 제2 센서설치부(42)에 설치된다. 물론, 상기 발광부는 제2 센서설치부(42)에 설치될 수도 있고, 수광부(52)는 제1 센서설치부(41)에 설치될 수도 있다. 이하, 제1 센서설치부(41)에 상기 발광부가 설치되고, 제2 센서설치부(42)에 수광부(52)가 설치되는 것으로 한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제1 센서설치부(41)는 내부가 빈 구조로 형성되어, 상기 발광부는 제1 센서설치부(41) 내에 삽입될 수 있다. 제1 센서설치부(41) 중 제2 센서설치부(42)를 향하는 면에는 상기 발광부가 노출되는 홀이 형성될 수 있다.
제2 센서설치부(42)는 내부가 빈 구조로 형성되어, 수광부(52)는 제2 센서설치부(42) 내에 삽입될 수 있다. 제2 센서설치부(42) 중 제1 센서설치부(41)를 향하는 면에는 수광부(52)가 노출되는 홀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발광부 및 수광부(52)가 서로 대향된 제1 센서설치부(41) 및 제2 센서설치부(42) 각각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발광부 및 수광부(52) 사이에 상기 아이스 박스에 수용된 얼음이 위치하는 경우, 그 얼음에 의해 수광부(52)는 상기 발광부의 광을 수광하지 못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수광부(52)가 상기 발광부의 광을 수광하지 못하는 경우, 상기 아이스 박스의 얼음이 만빙이라고 판단할 수 있다.
제어박스(30)에는 개구부(33)가 형성될 수 있다. 개구부(33)는 제어박스(30)의 하측 모서리부에 형성될 수 있다. 개구부(33)는 제어박스 케이스(31)에 형성될 수 있다. 개구부(33)는 제어박스 케이스(31)의 하측 모서리부에 형성될 수 있다.
드레인부재(40)의 일단에는 개구부(33)를 덮는 커버부(45)가 형성될 수 있다. 커버부(45)는 제어박스(30)와 결합되어서, 제어박스(30) 및 커버부(45)의 결합상태의 전체 형상이 사각통 형상이 되도록 할 수 있다. 제1 센서설치부(41)는 커버부(45)의 일부를 형성할 수 있다.
한편, 드레인부재(40)의 일단에 형성된 커버부(45)는 제어박스(30)에 볼트를 통해 체결될 수 있다. 커버부(45)의 하면에는 상기 볼트가 관통하는 홀이 형성될 수 있으며, 커버부(45)의 하면은 제어박스(30)의 하면에 상기 볼트를 통해 체결될 수 있다. 커버부(45)는 제어박스(30) 중 제어박스 케이스(31)의 하면에 상기 볼트를 통해 체결될 수 있다.
제빙 트레이(10)의 제빙홈(15)은 프레스가공되어 형성될 수 있다. 즉, 제빙 트레이(10)의 원자재를 상면이 오목하고 하면이 볼록하게 프레스가공하면, 제빙 트레이(10)는 상면에 제빙홈(15)이 형성될 수 있고, 하면에는 볼록부(17)가 형성될 수 있다. 제빙홈(15)은 볼록부(17)의 내측에 형성될 수 있다.
제빙 트레이(10)의 하면에는 냉매관(72)이 설치될 수 있다. 볼록부(17)에는 열교환핀이 돌출 형성될 수 있고, 냉매관(72)은 상기 열교환핀에 형성된 홈에 삽입되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열교환핀은 제빙 트레이(10)의 폭방향으로 이격된 복수개의 열교환핀으로 형성될 수 있다.
냉매관(72)은 길이의 가운데가 절곡되어 U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냉매관(72)의 양측은 상기 복수개의 열교환핀에 형성된 홈에 각각 삽입될 수 있다.
냉매관(72)은 적어도 일부가 복수개의 볼록부(17)를 가로질러 배치될 수 있다.
냉매관(72)의 절곡된 부분인 가운데는 제어박스(30) 측에 배치될 수 있고, 냉매관(72)의 양단은 제어박스(30)의 반대편에 배치될 수 있다. 제빙기(100)가 냉장고(1)에 설치될 시, 제어박스(30)는 냉장고(1) 저장실의 전방을 향할 수 있다. 따라서, 냉매관(72)의 양단이 제어박스(30)의 반대편에 배치되면, 냉장고(1)의 후방에 설치된 냉동사이클의 구성에 냉매관(72)의 양단을 쉽게 연결할 수 있다. 냉매관(72)의 양단은 제빙 트레이(10)의 타단보다 외측으로 돌출 배치되어, 상기 냉동사이클의 구성에 냉매관(72)의 양단을 보다 쉽게 연결할 수 있다.
한편, 도 4를 참조하면, 제빙홈(15)에 제빙수가 적게 채워진 상태에서 얼음이 제빙된 후 이젝트 핀(26)에 의해 제빙홈(15)에서 취출되거나, 제빙홈(15)에서 얼음이 단단하게 제빙되지 못한 상태에서 이젝트 핀(26)에 의해 제빙홈(15)에서 취출되면, 이젝터(25)의 회전 시 이젝트 핀(26)에 의해 제빙홈(15)에서 취출되어 재유입방지 플레이트(83)의 상면으로 이동된 얼음이, 이젝트 핀 통과홀(83A)에 끼어서 상기 아이스 박스 내로 낙하하지 않고 재유입방지 플레이트(83)의 상면에 그대로 남아 있을 수 있다. 이 경우, 재유입방지 플레이트(83)의 상면으로 이동된 얼음은 이젝터(25)의 회전 시 재유입방지 플레이트(83) 및 이젝트 핀(26) 사이에 끼이게 되어서, 이젝트 핀(26)은 원위치로 오지 못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원위치는 이젝트 핀(26)이 제빙홈(15)에서 얼음의 취출을 시작하는 초기 위치일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이젝터(25)의 회전 시, 이젝트 핀(26)에 의해 제빙홈(15)에서 취출되어 재유입방지 플레이트(83)의 상면으로 이동된 얼음이, 재유입방지 플레이트(83) 및 이젝트 핀(26) 사이에 끼어서, 이젝트 핀(26)이 상기 원위치로 오지 못하는 현상을 이젝터 재밍(jamming) 현상이라고 일컫는다.
상기 이젝터 재밍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방법을 도 6을 참조하여 아래에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제빙기의 시간의 흐름에 따른 제어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시간의 흐름에 따른 제빙기의 제어는, 제빙홈(15)에 제빙수가 만수된 후 제빙을 시작하여 제빙이 완료되기까지의 구간인 제빙구간(G)과, 제빙구간(G) 후에 제빙홈(15)에서 얼음을 분리하는 이빙구간(S)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35)는, 급수밸브(38)를 개방되도록 제어하여 제빙홈(15)에 제빙수를 공급하고, 수위감지센서(36)가 감지한 감지값을 이용하여 제빙홈(15)에 제빙수가 만수되었다고 판단되면, 급수밸브(38)를 닫아서 제빙홈(15)에 제빙수의 공급을 멈춘다. 이와 같이, 제빙홈(15)에 제빙수가 만수된 상태인 급수밸브(38)가 닫힌 상태에서 제빙구간(G)이 시작된다.
또한, 제빙구간(G)이 시작되면 제어부(35)는, 상기 순환팬을 작동시킴과 아울러, 냉매밸브(39)를 개방되도록 제어하여 냉매관(72)에 상기 차가운 냉매를 공급하고, 제빙완료센서(37)가 감지한 감지값을 이용하여 제빙홈(15) 내의 제빙수가 제빙완료되었다고 판단되면, 상기 순환팬을 정지시킴과 아울러 냉매밸브(39)를 닫아서 냉매관(72)에 상기 차가운 냉매의 공급을 멈춘다. 이와 같이, 제빙홈(15) 내의 제빙수가 제빙이 완료된 상태인 상기 순환팬이 정지되고 냉매밸브(39)가 닫힌 상태에서 제빙구간(G)이 종료되고 이빙구간(S)이 시작된다.
이빙구간(S)은 이빙 히터(22) 및 이빙 모터(20)가 작동되는 구간일 수 있다.
이빙구간(S)에서 이젝터(25)는 이빙 히터(22)가 작동한 후 정방향(CW; clockwise)으로 회전될 수 있다. 이젝터(25)가 정방향(CW)으로 회전될 시, 이젝트 핀(26)은 제빙홈(15)에서 제빙된 얼음을 취출할 수 있다. 이젝터(25)는 정방향(CW)으로 회전 시 설정시간 내에 이젝트 핀(26)이 상기 원위치로 안오는 경우, 이젝터(25)가 정방향(CW)으로 회전되어 이젝트 핀(26)이 상기 원위치로 올 때까지, 상기 정방향(CW) 및 역방향(CCW; counter clockwise)을 번갈아가며 회전 작동될 수 있다.
즉, 이빙구간(S)에서 제어부(35)는 이빙 히터(22)를 작동시킨 후 이빙 모터(20)의 회전축을 정방향(CW)으로 회전시킨다. 제어부(35)는 이빙 모터(20)의 회전축을 정방향으로 회전시킨 후 설정시간 내에 이젝트 핀(26)이 원위치로 안오는 경우, 이빙 모터(20)의 회전축이 정방향(CW)으로 회전되어 이젝트 핀(26)이 상기 원위치로 올 때까지, 이빙 모터(20)의 회전축을 정방향(CW) 및 역방향(CCW)으로 번갈아가며 회전시킨다.
이젝트 핀(26)이 원위치로 안오는 것을 판단하기 위해, 제어부(35)는 반드시 상기 설정시간을 이용할 필요는 없다. 즉, 제어부(35)에는 이젝터(25)의 회전위치 또는 이젝트 핀(26)의 위치를 감지하는 홀센서가 포함될 수도 있다. 제어부(35)는 상기 홀센서가 감지한 이젝터(25)의 회전위치 또는 이젝트 핀(26)의 위치를 통해 이젝트 핀(26)의 현재 위치를 판단할 수 있으므로, 이젝트 핀(26)이 상기 원위치에 위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이젝트 핀(26)의 현재 위치를 감지하기 위해, 반드시 상기 홀센서를 이용할 필요는 없다. 예를 들어, 제어부(35)는 이빙 모터(20)의 코어에 걸리는 전기저항이 증가되는 경우, 이젝터(25)가 정방향(CW)으로 회전 도중에 얼음에 걸린 것으로 판단하여서, 이젝트 핀(26)이 상기 원위치에 있지 않다고 판단할 수도 있다.
이빙구간(S)은, 이빙 히터(22)의 작동시작 후 구간인 제1 히팅구간(H1)과, 제1 히팅구간(H1) 후 구간인 제2 히팅구간(H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히팅구간(H1)은 이빙 히터(22)가 제1 온도로 발열되는 구간일 수 있고, 제2 히팅구간(H2)은 이빙 히터(22)가 제2 온도로 발열되는 구간일 수 있다. 상기 제1 온도 및 상기 제2 온도는 상이한 온도일 수 있고,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2 온도는 상기 제1 온도보다 높은 온도일 수 있다.
제1 히팅구간(H1)에서는 이빙 히터(22)가 상기 제1 온도로 발열될 때까지 이빙 히터(22)로 전기가 입력될 수 있다. 또한, 제1 히팅구간(H1)에서는 이빙 히터(22)가 상기 제1 온도로 발열되면 이빙 히터(22)로 전기가 차단될 수 있다.
즉, 제1 히팅구간(H1)에서 제어부(35)는 이빙 히터(22)가 상기 제1 온도로 발열될 때까지 이빙 히터(22)로 전기를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제1 히팅구간(H1)에서 제어부(35)는 이빙 히터(22)가 상기 제1 온도로 발열되면 이빙 히터(22)로 전기의 공급을 차단할 수 있다. 제1 히팅구간(H1)에서 제어부(35)는 이빙 히터(22)로 전기의 공급 및 차단을 복수 번 반복할 수 있다.
제2 히팅구간(H2)에서는 이빙 히터(22)가 상기 제2 온도로 발열될 때까지 이빙 히터(22)로 전기가 입력될 수 있다. 또한, 제2 히팅구간(H2)에서는 이빙 히터(22)가 상기 제2 온도로 발열되면 이빙 히터(22)로 전기가 차단될 수 있다.
즉, 제2 히팅구간(H2)에서 제어부(35)는 이빙 히터(22)가 상기 제2 온도로 발열될 때까지 이빙 히터(22)로 전기를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제2 히팅구간(H2)에서 제어부(35)는 이빙 히터(22)가 상기 제2 온도로 발열되면 이빙 히터(22)로 전기의 공급을 차단할 수 있다. 제2 히팅구간(H2)에서 제어부(35)는 이빙 히터(22)로 전기의 공급 및 차단을 복수 번 반복할 수 있다.
이젝터(25)는, 제2 히팅구간(H2)에서 이젝트 핀(26)이 상기 원위치로 안오는 경우, 이젝트 핀(26)이 원위치로 올 때까지, 정방향(CW) 및 역방향(CCW)을 번갈아가며 회전 작동될 수 있다.
즉, 제1 히팅구간(H1)에서 제어부(35)는, 이빙 히터(22)로 전기를 공급하여 이빙 히터(22)를 상기 제1 온도로 발열시킬 수 있고, 이빙 모터(20)의 회전축을 정방향(CW)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또한, 제2 히팅구간(H2)에서 제어부(35)는, 이빙 히터(22)로 전기를 공급하여 이빙 히터(22)를 상기 제2 온도로 발열시킬 수 있고, 이젝트 핀(26)이 상기 원위치로 안오는 경우 이젝트 핀(26)이 상기 원위치로 올 때까지 이빙 모터(20)의 회전축을 정방향(CW) 및 역방향(CCW)으로 번갈아가며 회전시킬 수 있다.
물론, 이젝터(25)는, 제1 히팅구간(H1)에서 이젝트 핀(26)이 상기 원위치로 안오는 경우에도, 이젝트 핀(26)이 원위치로 올 때까지, 정방향(CW) 및 역방향(CCW)을 번갈아가며 회전 작동될 수 있다.
즉, 제1 히팅구간(H1)에서 제어부(35)는, 이빙 히터(22)로 전기를 공급하여 이빙 히터(22)를 상기 제1 온도로 발열시킬 수 있고, 이빙 모터(20)의 회전축을 정방향(CW)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또한, 제1 히팅구간(H1)에서 제어부(35)는, 이젝트 핀(26)이 상기 원위치로 안오는 경우 이젝트 핀(26)이 상기 원위치로 올 때까지 이빙 모터(20)의 회전축을 정방향(CW) 및 역방향(CCW)으로 번갈아가며 회전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이젝터(25)는 제1 히팅구간(H1) 및 제2 히팅구간(H2) 중 적어도 하나의 구간에서 이젝트 핀(26)이 상기 원위치로 안오는 경우, 이젝트 핀(26)이 원위치로 올 때까지, 정방향(CW) 및 역방향(CCW)을 번갈아가며 회전 작동될 수 있다.
즉, 제어부(35)는 제1 히팅구간(H1) 및 제2 히팅구간(H2) 중 적어도 하나의 구간에서 이젝트 핀(26)이 상기 원위치로 안오는 경우, 이젝트 핀(26)이 원위치로 올 때까지, 이빙 모터(20)의 회전축을 정방향(CW) 및 역방향(CCW)으로 번갈아가며 회전시킬 수 있다.
이젝터(25)는 정방향(CW) 및 역방향(CCW)을 번갈아가며 회전 작동되는 구간에서 정지가 가능할 수 있다. 즉, 제어부(35)는 이빙 모터(20)의 회전축을 정방향(CW) 및 역방향(CCW)으로 회전시키는 구간 내에서 이빙 모터(20)의 회전축을 정지시킬 수 있다.
이젝터(25)는 정방향(CW) 회전 작동 시간이 역방향(CCW) 회전 작동 시간보다 길 수 있다. 즉, 제어부(35)는 이빙 모터(20)의 회전축을 역방향(CCW)으로 회전시키는 시간보다 길게 이빙 모터(20)의 회전축을 정방향(CW)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제빙기(100)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1)는, 이젝터(25)가 제빙홈(15)에서 얼음을 취출하기 위해 정방향(CW)으로 회전된 후 설정시간 내에 이젝트 핀(26)이 원위치로 안오는 경우, 이젝트 핀(26)이 상기 원위치에 올 때까지, 이젝터(25)는 정방향(CW) 및 역방향(CCW)을 번갈아가며 회전 작동된다.
따라서, 재유입방지 플레이트(83)와 이젝트 핀(26) 사이에 얼음이 끼인 경우, 이젝터(25)가 정방향(CW) 및 역방향(CCW)으로 번갈아가며 회전 동작하기 때문에, 이젝트 핀(26)이 재유입방지 플레이트(83) 및 이젝트 핀(26) 사이에 끼인 얼음에 충격을 가해서 상기 얼음을 재유입방지 플레이트(83)에서 미끄러져 낙하되도록 하거나, 재유입방지 플레이트(83) 및 이젝트 핀(26) 사이에 끼인 얼음을 쪼개서 재유입방지 플레이트(83)로부터 이탈시키게 되므로, 이젝트 핀(26)이 재유입방지 플레이트(83) 및 이젝트 핀(26) 사이에 끼인 얼음을 제거한 후, 제빙홈(15)에서 얼음을 취출하기 위한 초기 위치인 상기 원위치로 이동될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제빙 트레이 15 : 제빙홈
20 : 이빙 모터 22 : 이빙 히터
25 : 이젝터 26 : 이젝트 핀
30 : 제어박스 35 : 제어부
H1 : 제1 히팅구간 H2 : 제2 히팅구간

Claims (8)

  1. 제어박스;
    상기 제어박스의 일측에 배치되고, 제빙수가 수용되는 제빙홈이 상면에 형성된 제빙 트레이;
    상기 제빙 트레이의 하면에 설치된 이빙 히터; 및
    상기 제어박스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어 상기 이빙 히터가 작동한 후 정방향으로 회전되고, 정방향으로 회전 시 상기 제빙홈에서 제빙된 얼음을 취출하는 이젝트 핀이 둘레면에 돌출 형성된 이젝터;를 포함하고,
    상기 이젝터는, 상기 정방향으로 회전 시 설정시간 내에 상기 이젝트 핀이 원위치로 안오는 경우, 상기 이젝트 핀이 상기 원위치로 올 때까지, 상기 정방향 및 역방향을 번갈아가며 회전 작동되는 제빙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이빙 히터는, 상기 이빙 히터의 작동시작 후 구간인 제1 히팅구간에서 제1 온도로 발열되게 작동되고, 상기 제1 히팅구간 후 구간인 제2 히팅구간에서 제2 온도로 발열되게 작동되며,
    상기 이젝터는, 상기 제1 히팅구간 및 상기 제2 히팅구간 중 적어도 하나의 구간에서, 상기 이젝트 핀이 상기 원위치로 안오는 경우, 상기 이젝트 핀이 원위치로 올 때까지, 정방향 및 역방향을 번갈아가며 회전 작동되는 제빙기.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2 온도는 상기 제1 온도보다 높은 온도인 제빙기.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이빙 히터는 입력되는 전기에 의해 발열되는 전기히터로 구비되어,
    상기 제1 히팅구간에서는, 상기 이빙 히터가 상기 제1 온도로 발열될 때까지 상기 이빙 히터로 전기가 공급되고, 상기 이빙 히터가 상기 제1 온도로 발열되면 상기 이빙 히터로 전기가 차단되며,
    상기 제2 히팅구간에서는, 상기 이빙 히터가 상기 제2 온도로 발열될 때까지 상기 이빙 히터로 전기가 공급되고, 상기 이빙 히터가 상기 제2 온도로 발열되면 상기 이빙 히터로 전기가 차단되는 제빙기.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이젝터는 상기 정방향 및 상기 역방향을 번갈아가며 회전 작동되는 구간에서 정지가 가능한 제빙기.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이젝터는 상기 정방향 회전 작동 시간이 상기 역방향 회전 작동 시간보다 긴 제빙기.
  7. 제어박스;
    상기 제어박스의 일측에 배치되고, 제빙수가 수용되는 제빙홈이 상면에 형성된 제빙 트레이;
    상기 제빙 트레이의 하면에 설치된 이빙 히터;
    상기 제어박스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고, 회전 시 상기 제빙홈에서 제빙된 얼음을 취출하는 이젝트 핀이 둘레면에 돌출 형성된 이젝터;
    상기 제어박스 내에 배치되고, 상기 이젝터를 회전시키는 이빙 모터; 및
    상기 제어박스 내에 배치되고, 상기 이빙 히터를 작동시킨 후 상기 이빙 모터의 회전축을 정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빙 모터의 회전축을 정방향으로 회전시킨 후 설정시간 내에 상기 이젝트 핀이 원위치로 안오는 경우, 상기 이젝트 핀이 상기 원위치로 올 때까지, 상기 이빙 모터의 회전축을 정방향 및 역방향으로 번갈아가며 회전시키는 제빙기.
  8.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7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제빙기를 포함하는 냉장고.
KR1020190118650A 2019-09-26 2019-09-26 제빙기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KR2021003655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8650A KR20210036553A (ko) 2019-09-26 2019-09-26 제빙기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8650A KR20210036553A (ko) 2019-09-26 2019-09-26 제빙기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36553A true KR20210036553A (ko) 2021-04-05

Family

ID=754620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18650A KR20210036553A (ko) 2019-09-26 2019-09-26 제빙기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36553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71427A (ko) 2017-12-14 2019-06-24 주식회사 대창 제빙기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71427A (ko) 2017-12-14 2019-06-24 주식회사 대창 제빙기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65496B1 (ko) 냉장고용 제빙기의 급속 제빙 제어 방법
KR101622595B1 (ko) 제빙장치 및 이를 구비한 냉장고 및 이 냉장고의 제빙방법
JP4593934B2 (ja) アイスメーカーを備えた冷蔵庫
KR101962139B1 (ko) 아이스메이커 및 그 제어방법
US8408023B2 (en) Refrigerator and ice maker
US20080092574A1 (en) Cooler with multi-parameter cube ice maker control
KR20070119271A (ko) 냉장고와 이를 이용한 제빙방법
US8572999B2 (en) Refrigerator
US11280533B2 (en) Refrigerator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KR20210036553A (ko) 제빙기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KR20210051712A (ko) 제빙기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KR100531290B1 (ko) 냉장고의 자동제빙기 및 자동제빙기 제어방법
KR20210016819A (ko) 제빙기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KR20210037855A (ko) 제빙기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KR100880464B1 (ko) 냉장고
KR102491973B1 (ko) 아이스메이커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KR20090128906A (ko) 냉장고 제빙기의 제어 방법
KR20210003537A (ko) 제빙기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KR20050024702A (ko) 냉장고용 급속제빙기
KR20230053111A (ko) 제빙기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KR20220001337A (ko) 제빙기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WO2021083251A1 (zh) 冰块制冰机的控制方法
KR20240084143A (ko) 제빙기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KR20220149269A (ko) 제빙기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KR20240082539A (ko) 제빙기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