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36116A - Backlight unit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 Google Patents

Backlight unit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36116A
KR20210036116A KR1020190118164A KR20190118164A KR20210036116A KR 20210036116 A KR20210036116 A KR 20210036116A KR 1020190118164 A KR1020190118164 A KR 1020190118164A KR 20190118164 A KR20190118164 A KR 20190118164A KR 20210036116 A KR20210036116 A KR 202100361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source
current
unit
light
light sourc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1816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254403B1 (en
Inventor
명지우
황상수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181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54403B1/en
Publication of KR202100361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3611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544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5440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3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 G09G3/3406Control of illumination source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Illuminating devices
    • G02F1/133602Direct backlight
    • G02F1/133603Direct backlight with LED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Illuminating devices
    • G02F1/133602Direct backlight
    • G02F1/133612Electrical details

Abstrac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backlight unit capable of implementing excellent image quality comprises: a plurality of light sources including a first light source positioned in a central area in one direction and a second light source positioned in an edge area; and a light source control unit controlling currents having different magnitudes to be applied to the first light source and the second light source.

Description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BACKLIGHT UNIT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BACKLIGHT UNIT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TECHNICAL FIELD

본 발명은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관한 것으로, 좀더 상세하게는, 복수의 광원을 구비하는 직하형의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acklight unit and a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and more particularly, to a direct type backlight unit including a plurality of light sources and a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정보화 사회가 발전함에 따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대한 요구도 다양한 형태로 증가하고 있다. 이에 부응하여 근래에는 액정 표시 장치(liquid crystal display, LCD), 플라스마 디스플레이 패널(plasma display panel, PDP), 전계 발광 디스플레이(electro luminescent display, ELD), 진공 형광 디스플레이(vacuum fluorescent display, VF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 emitting diode) 등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연구되어 사용되고 있다.As the information society develops, the demand for display devices is also increasing in various forms. In response to this, in recent years, liquid crystal display (LCD), plasma display panel (PDP), electro luminescent display (ELD), vacuum fluorescent display (VFD), organic Display devices such as 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have been studied and used.

이러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중에서 자발광 특성을 가지지 않은 액정 표시 장치 등에는 화상을 표시하기 위하여 후방에서 광을 제공하는 백라이트 유닛을 구비한다. 직하형의 백라이트 유닛에서는 복수의 광원이 평면 상에 배치된 형태를 가지는데, 백라이트 유닛 또는 디스플레이 모듈은 사각형을 가지고 광원의 광 분포는 원형을 가지므로 백라이트 유닛의 외곽 및 코너 부분에 광이 충분하게 도달하기 어려울 수 있다. 이에 따라 백라이트 유닛의 가장자리 영역, 특히 코너 영역이 다른 부분보다 어둡게 보이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Among these display devices,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or the like that does not have a self-luminous characteristic includes a backlight unit that provides light from the rear to display an image. In the direct-type backlight unit, a plurality of light sources are arranged on a plane. However, since the backlight unit or display module has a square and the light distribution of the light source has a circular shape, sufficient light is provided at the outer and corner portions of the backlight unit. It can be difficult to reach. Accordingly, there may be a problem that the edge area of the backlight unit, in particular, the corner area is darker than other areas.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백라이트 유닛의 가장자리 영역에 반사 특성을 가지는 반사 테이프 등을 부착하였으나, 제조 비용이 상승하며 부착 공정 시 편차 등에 의하여 가장자리 영역이 어둡게 보이는 문제를 효과적으로 개선하는 데 어려움이 있었다. 그리고 반사 테이프 등에 의하여 눈부심 등이 발생하거나 원하지 않게 화면 또는 화질이 변화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In order to prevent this, a reflective tape or the like having reflective characteristics was attached to the edge region of the backlight unit, but there was a difficulty in effectively improving the problem that the edge region appears dark due to variations in manufacturing cost and variation during the attaching process. In addition, glare may occur due to a reflective tape, or a problem such as an unwanted change in screen or image quality may occur.

본 발명은 중앙 영역과 가장자리 영역의 휘도 차이를 저감하거나 사용자가 휘도 차이를 쉽게 인식하지 못하도록 하여 우수한 화질을 구현할 수 있도록 하는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제공하고자 한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backlight unit and a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to reduce a difference in luminance between a center region and an edge region or to realize excellent image quality by preventing a user from easily recognizing the luminance difference.

본 실시예에 따른 백라이트 유닛은, 일 방향에서 중앙 영역에 위치하는 제1 광원 및 가장자리 영역에 위치하는 제2 광원을 포함하는 복수의 광원; 및 상기 제1 광원과 상기 제2 광원에 서로 다른 크기의 전류가 인가되도록 제어하는 광원 제어부를 포함한다. The backlight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exemplary embodiment includes: a plurality of light sources including a first light source positioned in a central region and a second light source positioned in an edge region in one direction; And a light source controller for controlling currents of different sizes to be applied to the first light source and the second light source.

상기 광원 제어부는 상기 제1 광원에 인가되는 제1 전류보다 상기 제2 광원에 인가되는 제2 전류가 큰 값을 가지도록 제어할 수 있다. The light source controller may control the second current applied to the second light source to have a larger value than the first current applied to the first light source.

상기 제1 전류에 대한 상기 제2 전류의 비율이 110 내지 130%일 수 있다. A ratio of the second current to the first current may be 110 to 130%.

상기 복수의 광원은 상기 제1 광원과 상기 제2 광원 사이에 위치하는 복수의 내부 광원을 포함하고, 상기 광원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내부 광원이 상기 제2 전류보다 낮고 상기 제1 전류와 같거나 그보다 낮은 전류가 인가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The plurality of light sources includes a plurality of internal light sources positioned between the first light source and the second light source, and the light source control unit includes the plurality of internal light sources being lower than the second current and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first current. It can be controlled so that a low current is applied.

상기 광원 제어부는, 상기 제1 전류와 상기 제2 전류의 차이와, 상기 제1 전류와 상기 복수의 내부 광원의 차이의 합이 실질적으로 동일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The light source control unit may control a sum of a difference between the first current and the second current and a difference between the first current and the plurality of internal light sources to be substantially the same.

상기 제1 광원이 상기 일 방향과 교차하는 교차 방향에서 복수로 구비되어 상기 일 방향에서의 중앙 영역에서 상기 교차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제1 광원부를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제2 광원이 상기 교차 방향에서 복수로 구비되어 상기 일 방향에서의 가장자리 영역에서 상기 교차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제2 광원부를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제1 광원부와 상기 제2 광원부 사이에 상기 제2 전류보다 낮고 상기 제1 전류와 같거나 그보다 낮은 전류가 인가되며 상기 교차 방향으로 구비되는 복수의 내부 광원을 포함하는 내부 광원부를 복수로 포함할 수 있다. The first light source may be provided in plural in an intersection direction crossing the one direction, and may constitute a first light source unit extending along the intersection direction in a central region in the one direction. A plurality of second light sources may be provided in the crossing direction to form a second light source unit extending along the crossing direction in an edge region in the one direction. A plurality of internal light sources including a plurality of internal light sources provided in the cross direction are applied between the first light source unit and the second light source unit and are applied with a current lower than the second current and equal to or lower than the first current. I can.

상기 복수의 제2 광원 중 모서리에 인접한 제2 광원과의 거리가 상기 일 방향으로 연장된 가장자리 사이보다 상기 교차 방향으로 연장된 가장자리 사이에서 더 클 수 있다. A distance from a second light source adjacent to an edge of the plurality of second light sources may be greater between edges extending in the crossing direction than between edges extending in the one direction.

상기 광원 제어부가, 상기 복수의 광원의 온-오프(on-off)를 제어하는 집적 회로와, 상기 복수의 광원에 인가되는 전류 크기를 다르게 변환하는 마이크로 컨트롤러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The light source control unit may include an integrated circuit that controls on-off of the plurality of light sources, and a microcontroller unit that differently converts the magnitude of current applied to the plurality of light sources.

상기 광원 제어부가 상기 복수의 광원의 온-오프 및 전류 크기를 제어하는 집적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The light source control unit may include an integrated circuit that controls on-off and current magnitudes of the plurality of light sources.

상기 제1 광원 또는 상기 제2 광원의 주변에서 광을 흡수하는 광 흡수 패턴을 구비할 수 있다. A light absorption pattern may be provided for absorbing light around the first light source or the second light source.

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디스플레이 모듈; 및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후방에 위치하는 백라이트 유닛을 포함한다. 상기 백라이트 유닛이, 일 방향에서 중앙 영역에 위치하는 제1 광원 및 가장자리 영역에 위치하는 제2 광원을 포함하는 복수의 광원, 그리고 상기 제1 광원과 상기 제2 광원에 서로 다른 크기의 전류가 인가되도록 제어하는 광원 제어부를 포함한다. Th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display module; And a backlight unit positioned behind the display module. In the backlight unit, a plurality of light sources including a first light source positioned in a central region and a second light source positioned in an edge region, and currents of different sizes are applied to the first light source and the second light source in one direction It includes a light source control unit to be controlled to be.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하면, 중앙 영역에 위치한 제1 광원보다 가장자리 영역에 위치한 제2 광원에 큰 전류를 인가하여 휘도 차이를 저감하거나 사용자가 휘도 차이를 쉽게 인식하지 못하도록 하여 우수한 화질을 구현할 수 있다. 그리고 중앙 영역과 가장자리 영역 사이에 제2 광원에 인가되는 제2 전류보다 낮고 제1 광원에 인가되는 제1 전류와 같거나 그보다 낮은 전류가 인가되는 내부 광원을 위치시켜 소비 전력을 증가시키지 않고도 가장자리 영역에서의 휘도 저하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전류를 제어하는 것에 의하여 휘도 차이를 방지 또는 최소화하여 별도의 테이프 등을 사용하지 않아도 되므로 제조 비용을 절감하고 제조 공정을 단순화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 greater current is applied to the second light source located in the edge region than the first light source located in the center region to reduce the difference in luminance or to prevent the user from easily recognizing the difference in luminance, thereby implementing excellent image quality . In addition, the edge region without increasing power consumption is positioned between the center region and the edge region by placing an internal light source that is applied with a current lower than the second current applied to the second light source and equal to or lower than the first current applied to the first light source.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prevent the decrease in luminance at. By controlling the current in this way, since the difference in luminance is prevented or minimized so that there is no need to use a separate tape, it is possible to reduce manufacturing cost and simplify the manufacturing proces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전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포함된 디스플레이부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한 광원 부재를 III-III 선을 따라 잘라서 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부 또는 백라이트 유닛에서 복수의 광원 또는 복수의 광원부의 위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모식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한 디스플레이부 또는 백라이트 유닛에서 복수의 광원부에 인가되는 전류의 상대값의 일 예를 모식화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의 (a) 및 (b)는 도 4의 A 부분 및 B 부분을 각기 확대하여 복수의 광원의 광 도달 영역을 함께 도시한 모식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변형예에 따른 디스플레이부 또는 백라이트 유닛에 포함되는 광원 부재의 일부를 도시한 모식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포함되는 백라이트 유닛 및 회로부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백라이트 유닛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모식도이다.
1 is a front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display unit included in the display device shown in FIG. 1.
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light source member shown in FIG. 2 taken along line III-III.
4 is a schematic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positions of a plurality of light sources or a plurality of light sources in a display unit or a backlight unit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n example of relative values of currents applied to a plurality of light sources in the display unit or backlight unit illustrated in FIG. 4.
6A and 6B are schematic diagrams showing the light reaching regions of a plurality of light sources by enlarging portions A and B of FIG. 4, respectively.
7 is a schematic diagram illustrating a part of a light source member included in a display unit or a backlight unit according to a modified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backlight unit and a circuit part included in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schematic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backlight uni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형태로 변형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it goes without saying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se embodiments and may be modified in various forms.

도면에서는 본 발명을 명확하고 간략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설명과 관계 없는 부분의 도시를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극히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참조부호를 사용한다. 그리고 도면에서는 설명을 좀더 명확하게 하기 위하여 두께, 넓이 등을 확대 또는 축소하여 도시하였는바, 본 발명의 두께, 넓이 등은 도면에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In the drawings, in order to clearly and briefly describe the present invention, illustration of parts irrelevant to the description is omitted, and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identical or extremely similar par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In addition, in the drawings, the thickness and width are enlarged or reduced in order to clarify the description. However, the thickness and width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ose shown in the drawings.

그리고 명세서 전체에서 어떠한 부분이 다른 부분을 "포함"한다고 할 때,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부분을 배제하는 것이 아니며 다른 부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위에" 있다고 할 때,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는 경우 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분이 위치하는 경우도 포함한다.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다고 할 때에는 중간에 다른 부분이 위치하지 않는 것을 의미한다.In addition, when a certain part "includes" another part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the other part is not excluded and other parts may be further included unless otherwise stated. Further, when a part such as a layer, film, region, plate, etc. is said to be "on" another part, this includes not only the case where the other part is "directly above", but also the case where the other part is located in the middle. When a part such as a layer, a film, a region, or a plate is "directly over" another part, it means that no other part is located in the middle.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Hereinafter, a backlight unit and a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전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포함된 디스플레이부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한 광원 부재를 III-III 선을 따라 잘라서 본 단면도이다. 1 is a front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display unit included in the display device shown in FIG. 1, and FIG. 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light source member shown in FIG. 2 taken along line III-III.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화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110)와, 디스플레이부(110)의 하부, 후방 등에서 디스플레이부(110)를 지지하는 지지 부재(120)를 포함할 수 있다. 1 to 3, the display devic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display unit 110 that displays an image, and supports the display unit 110 at the bottom and rear of the display unit 110. It may include a support member 120.

여기서, 디스플레이부(110)는, 디스플레이 모듈(20)과, 디스플레이 모듈(20)의 후방에서 디스플레이 모듈(20)에 광을 제공하는 백라이트 유닛(30)을 포함한다. 그리고 디스플레이부(110)가 프론트 커버(10), 프레임(40), 회로부(50), 백 커버(60)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Here, the display unit 110 includes a display module 20 and a backlight unit 30 that provides light to the display module 20 from the rear of the display module 20. In addition, the display unit 110 may further include a front cover 10, a frame 40, a circuit unit 50, a back cover 60, and the like.

참조로, 디스플레이부(110)는 수평 방향(가로 방향, 도면의 x축 방향)으로 일정한 폭을 가지며 상하 방향(세로 방향, 도면의 y축 방향)으로 일정한 길이를 가지는 대략적인 사각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도면에서는 디스플레이부(110)가 수평 방향으로 장변을 가지고 상하 방향으로 단변을 가지는 것을 예시로 하였으나, 디스플레이부(110)의 수평 방향의 폭과 상하 방향의 길이가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디스플레이부(110)가 수평 방향으로 단변을 가지고 상하 방향으로 장변을 가질 수도 있다. 그리고 디스플레이부(110)의 화면과 수직하는 두께 방향을 전후 방향(도면의 z축 방향)이라 할 수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부(110)의 백 커버(60)로부터 디스플레이 모듈(20)로 향하는 방향, 즉, 화상이 표시되는 면 쪽으로 향하는 방향을 전방(도면의 양의 z축 방향)이라 할 수 있고, 디스플레이부(110)의 디스플레이 모듈(20)로부터 백 커버(60)로 방향, 즉, 화상이 표시되지 않는 면 쪽으로 향하는 방향을 후방(도면의 음의 z축 방향)이라 할 수 있다. For reference, the display unit 110 may have an approximate rectangular shape having a constant width in the horizontal direction (horizontal direction, the x-axis direction of the drawing) and a constant length in the vertical direction (vertical direction, y-axis direction of the drawing). have. In the drawings, the display unit 110 has a long sid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a short side in the vertical direction. However, the width of the display unit 110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the length in the vertical direction are substantially the same, or the display unit 110 ) May have a short sid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a long side in the vertical direction. In addition, a thickness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screen of the display unit 110 may be referred to as a front-rear direction (z-axis direction of the drawing). In this case, the direction from the back cover 60 of the display unit 110 toward the display module 20, that is, the direction toward the surface on which the image is displayed may be referred to as the front (the positive z-axis direction in the drawing), and the display A direction from the display module 20 of the unit 110 to the back cover 60, that is, a direction toward a surface where an image is not displayed may be referred to as a rear (negative z-axis direction in the drawing).

프론트 커버(10)는 디스플레이 모듈(20)의 전면과 측면의 적어도 일부 영역을 덮을 수 있다. 프론트 커버(10)는 가장자리 부분을 따라 형성되어 중앙 부분이 비어 있는 액자 형상, 프레임 형상 등을 가질 수 있다. 프론트 커버(10)의 비어 있는 중앙 부분을 통하여 디스플레이 모듈(20)의 화상이 외부로 표시될 수 있다. The front cover 10 may cover at least some areas of the front and side surfaces of the display module 20. The front cover 10 may have a frame shape, a frame shape, etc. formed along an edge portion and in which the central portion is empty. An image of the display module 20 may be externally displayed through the empty central portion of the front cover 10.

이러한 프론트 커버(10)는 디스플레이 모듈(20)의 전면 측에 위치하는 전면 커버, 디스플레이 모듈(20)의 후면 측에 위치하는 측면 커버 중 적어도 하나를 구비할 수 있다. 전면 커버와 측면 커버는 일체화된 구조를 가질 수도 있고, 서로 별개의 구조로 제조되어 결합될 수도 있다. 그리고 디자인 등을 고려하여 전면 커버 및 측면 커버 중 적어도 하나를 구비하지 않을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프론트 커버(10)가 전면 커버가 구비되지 않고 측면 커버만을 구비할 수 있다. 그 외의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The front cover 10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front cover positioned on the front side of the display module 20 and a side cover positioned on the rear side of the display module 20. The front cover and the side cover may have an integrated structure, or may be manufactured and combined in separate structures from each other. In addition, in consideration of design and the like, at least one of a front cover and a side cover may not be provided. For example, the front cover 10 may not be provided with a front cover, but may have only a side cover. Other variations are possible.

디스플레이 모듈(20)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의 전면에 제공되며 다양한 구조 또는 방식으로 화상을 표시하는 다양한 장치일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20)은 복수의 픽셀을 구비하여 복수의 픽셀에 각기 특정한 색상, 명도, 채도 등을 구현하여 화상을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20)은 플렉서블 특성을 가질 수도 있고 플렉서블 특성을 가지지 않을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20)은 후면 및/또는 측면에 고정되는 프레임, 베젤(bezel), 모듈 커버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display module 20 is provid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display device 100 and may be a variety of devices that display images in various structures or methods. The display module 20 may include a plurality of pixels to display an image by implementing specific colors, brightness, and saturation, respectively, in the plurality of pixels. The display module 20 may or may not have flexible characteristics. The display module 20 may further include a frame, a bezel, a module cover, etc. fixed to the rear and/or side surfaces.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모듈(20)이 액정 표시 장치 등일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20)이 액정 표시 장치를 구비하면, 액정층을 사이에 두고 서로 대향하는 전면 기판 및 후면 기판을 포함할 수 있다. 전면 기판에는 복수의 서브 픽셀(예를 들어, 적색(R), 녹색(G), 청색(B) 등의 서브 픽셀)을 구비하는 픽셀이 복수로 정의될 수 있다. 후면 기판은 화소 전극과 공통 전극 사이에 발생된 전압 차에 따라 액정층의 분자 배열을 변화시키는 스위칭 소자를 구비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알려진 다양한 구조, 방식 등이 사용될 수 있는 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For example, the display module 20 may be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or the like. When the display module 20 includes a liquid crystal display, it may include a front substrate and a rear substrate facing each other with a liquid crystal layer therebetween. A plurality of pixels including a plurality of sub-pixels (eg, sub-pixels such as red (R), green (G), and blue (B)) may be defined on the front substrate. The rear substrate may include a switching element that changes the molecular arrangement of the liquid crystal layer according to a voltage difference generated between the pixel electrode and the common electrode. For this, a variety of known structures, methods, etc. may be used, and detailed descriptions thereof will be omitted.

디스플레이 모듈(20)의 후방에는 디스플레이 모듈(20)의 구동을 위한 회로부(50)가 구비될 수 있다. 회로부(50)는 다양한 부재, 물품 등을 포함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회로부(50)가 전원 공급 부재, 구동 부재, 튜너 부재, 회로 어셈블리, 케이블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전원 공급 부재는 디스플레이 모듈(20)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구동 부재는 디스플레이 모듈(20)에 표시되는 화상을 조절할 수 있다. 튜너 부재는 방송 정보 또는 외부 입력 정보를 수신하여 이를 구동 부재에 제공할 수 있다. 회로 어셈블리는 다양한 역할을 하는 회로 부재 등을 포함할 수 있고, 케이블은 회로 어셈블리에 연결되어 신호 등을 전달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그리고 회로부(50)가 백라이트 유닛(30)의 구동과 관련된 광원 제어부(도 8의 참조부호 54, 이하 동일)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추후에 도 8을 참조하여 좀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회로부(50)는 다양한 역할을 수행할 수 있으며 다양한 구조 등을 가질 수 있다. A circuit unit 50 for driving the display module 20 may be provided behind the display module 20. The circuit unit 50 may include various members, articles, and the like. For example, the circuit unit 50 may include a power supply member, a driving member, a tuner member, a circuit assembly, a cable, and the like. The power supply member may supply power to the display module 20. The driving member may adjust an image displayed on the display module 20. The tuner member may receive broadcast information or external input information and provide it to the driving member. The circuit assembly may include circuit members that perform various roles, and the cable may serve to transmit signals or the like by being connected to the circuit assembly. In addition, the circuit unit 50 may further include a light source control unit (reference numeral 54 in FIG. 8, hereinafter the same) related to driving of the backlight unit 30. This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later with reference to FIG. 8. The circuit unit 50 may perform various roles and may have various structures.

일 예로, 회로부(50)가 디스플레이 모듈(20)의 후방과 백 커버(60)의 전방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회로부(50)가 다양한 위치에 위치하거나 다양한 위치에 고정되는 하나 또는 복수의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circuit unit 50 may be positioned between the rear of the display module 20 and the front of the back cover 60.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circuit unit 50 may include one or a plurality of parts positioned at various positions or fixed at various positions.

백라이트 유닛(30)은 디스플레이 모듈(20)의 후면 측에 위치하여 디스플레이 모듈(20)에 광을 제공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백라이트 유닛(30)은 디스플레이 모듈(20)의 후면 측에 위치하는 복수의 광원(36)을 구비하는 직하형 구조일 수 있다. 백라이트 유닛(30)은 전체 구동 방식이나, 화면 분할 구동(local dimming), 임펄시브(impulsive) 구동 등과 같은 부분 구동 방식으로 구동될 수 있다. 직하형 구조는 전체 구동 방식 뿐만 아니라 부분 구동 방식에도 적합하여 명암비를 극대화할 수 있다. The backlight unit 30 may be positioned on the rear side of the display module 20 to provide light to the display module 20. In this embodiment, the backlight unit 30 may be a direct type structure including a plurality of light sources 36 positioned on the rear side of the display module 20. The backlight unit 30 may be driven by a full driving method or a partial driving method such as local dimming or impulsive driving. The direct-type structure is suitable not only for the entire driving method but also for the partial driving method, so that the contrast ratio can be maximized.

좀더 구체적으로, 백라이트 유닛(30)은, 복수의 광원(36) 등을 구비하여 광을방출하는 광원 부재(32)와, 광원 부재(32)의 전면에 위치하여 광을 제어하는 광학 부재(300)를 포함할 수 있다. More specifically, the backlight unit 30 includes a light source member 32 including a plurality of light sources 36 and the like to emit light, and an optical member 300 positioned in front of the light source member 32 to control light. ) Can be included.

광원 부재(32)는, 기판(34), 복수의 광원(36), 그리고 배선부(38)를 포함할 수 있다. The light source member 32 may include a substrate 34, a plurality of light sources 36, and a wiring portion 38.

일 예로, 기판(34)은 일정한 폭을 가지면서 제1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일자 또는 스트랩(strap)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각 기판(34)에는 기판(34)의 연장 방향인 제1 방향에서 서로 소정의 간격을 가지며 복수의 광원(36)이 배치되어 하나의 스트링(string)을 구성할 수 있다. 광원(36)의 직경은 제1 방향과 교차(일 예로, 직교)하는 제2 방향에서의 기판(34)의 폭보다 클 수 있는데,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와 같이 복수의 광원(36)이 구비된 기판(34)(즉, 스트링)이 제2 방향에서 서로의 사이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복수로 위치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하면 복수의 광원(36)이 백라이트 유닛(30) 또는 디스플레이 모듈(20)의 전체 영역에 규칙적이고 고르게 위치하도록 할 수 있다. As an example, the substrate 34 may have a straight or strap shape extending long in the first direction while having a constant width. Each of the substrates 34 may have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each other in a first direction, which is an extension direction of the substrate 34, and a plurality of light sources 36 may be disposed to form one string. The diameter of the light source 36 may be larger than the width of the substrate 34 in the second direction intersecting (eg, orthogonal) with the first direction,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s described above, a plurality of substrates 34 (ie, string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light sources 36 may be positioned in a second direction with a predetermined distance therebetween. According to this structure, the plurality of light sources 36 may be regularly and evenly positioned over the entire area of the backlight unit 30 or the display module 20.

기판(34)은 복수의 광원(36)을 지지하는 역할과 함께 광원(36)을 광원 제어부(54)에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기판(34)은, 절연 물질으로 구성되는 베이스 부재와, 베이스 부재에 형성된 전극 패턴을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베이스 부재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유리, 폴리카보네이트(PC), 실리콘 등으로 구성될 수 있고, 전극 패턴은 금속, 탄소나노튜브 등과 같은 전도성 물질로 구성될 수 있다. 일 예로, 기판(34)은 인쇄 회로 기판(printed circuit board, PCB)일 수 있다. The substrate 34 may serve to support the plurality of light sources 36 and to electrically connect the light sources 36 to the light source controller 54. To this end, the substrate 34 may include a base member made of an insulating material and an electrode pattern formed on the base member. Here, the base member may be made of 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glass, polycarbonate (PC), silicon, and the like, and the electrode pattern may be made of a conductive material such as metal or carbon nanotubes. For example, the substrate 34 may be a printed circuit board (PCB).

복수의 스트링은 배선부(38)에 의하여 회로부(50)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즉, 배선부(38)가 복수의 스트링의 전극 패턴과 회로부(50)를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여기서, 배선부(38)는 제2 방향으로 복수의 스트링에 연결되되, 복수의 스트링을 개별적으로 구동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각 스트링에 구비된 복수의 광원(36)을 개별적으로 구동하도록 형성될 수도 있고, 각 스트링에 구비된 복수의 광원(36)을 일괄하여 구동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도 2에서는 배선부(38)가 복수의 스트링의 일측(제1 방향에서의 일측)에 위치한 것을 예시하였으나, 본 발명이 배선부(38)의 위치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The plurality of strings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ircuit unit 50 by the wiring unit 38. That is, the wiring unit 38 may electrically connect the electrode patterns of the plurality of strings to the circuit unit 50. Here, the wiring unit 38 may be connected to the plurality of strings in the second direction and may be formed to individually drive the plurality of strings. In addition, it may be formed to individually drive the plurality of light sources 36 provided in each string, or may be formed to collectively drive the plurality of light sources 36 provided in each string. 2 illustrates that the wiring unit 38 is positioned on one side (one side in the first direction) of a plurality of strings,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location of the wiring unit 38.

광원(36)은, 광을 방출하는 발광부(36a)로 구성되거나, 발광부(36a)를 포함하는 발광 패키지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발광부(36a)가 발광 다이오드(LED) 칩일 수 있고, 광원(36)은 발광 다이오드칩 또는 발광 다이오드 페키지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발광 다이오드 칩은, 적색, 녹색, 청색 등 중에 하나의 색을 방출하는 유색 발광 다이오드칩으로 구성되거나, 백색을 방출하는 백색 발광 다이오드칩으로 구성될 수 있다. 발광부(36a)가 유색 발광 다이오드칩을 포함하는 경우에, 하나의 색을 방출하는 유색 발광 다이오드칩을 포함할 수도 있고, 서로 다른 색을 방출하는 복수의 유색 발광 다이오드칩을 포함할 수도 있다. The light source 36 may be composed of a light-emitting unit 36a that emits light, or may be composed of a light-emitting package including the light-emitting unit 36a. For example, the light emitting part 36a may be a light emitting diode (LED) chip, and the light source 36 may be configured as a light emitting diode chip or a light emitting diode package. Here, the light-emitting diode chip may be composed of a colored light-emitting diode chip that emits one of red, green, and blue, or may be composed of a white light-emitting diode chip that emits white. When the light emitting part 36a includes a colored light emitting diode chip, it may include a colored light emitting diode chip that emits one color, or may include a plurality of colored light emitting diode chips that emit different colors.

예를 들어, 광원(36)이, 발광 다이오드 칩으로 구성되는 발광부(36a)와, 발광부(36a)가 하부 측에 수용되도록 위치하는 렌즈(36b)를 포함하는 발광 다이오드 패키지일 수 있다. 그러면, 발광부(36a)로부터 방출된 광이 렌즈(36b)의 표면을 통과하면서 경로가 달라지므로 원하는 형태로 광이 방출될 수 있도록 한다. For example, the light source 36 may be a light emitting diode package including a light emitting portion 36a formed of a light emitting diode chip and a lens 36b positioned to accommodate the light emitting portion 36a at a lower side. Then, the path is changed while the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emitting part 36a passes through the surface of the lens 36b, so that the light can be emitted in a desired shape.

여기서, 광원(36)은 칩-온-보드(chip-on-board, COB) 타입일 수 있다. 즉, 광원(36)이 기판(34)에 직접 결합하여 기판(34)에 실장된 형태로 고정될 수 있다. 이에 의하면, 광원(36)을 장착 또는 실장하는 공정을 단순화할 수 있고, 광원(36)에 의한 저항을 낮춰 에너지 손실을 저감하고 전력 효율을 향상할 수 있으며, 광원 부재(32)의 박형화 및 경량화가 가능하다. Here, the light source 36 may be a chip-on-board (COB) type. That is, the light source 36 may be directly coupled to the substrate 34 and fixed in a form mounted on the substrate 34.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simplify the process of mounting or mounting the light source 36, reduce energy loss and improve power efficiency by lowering the resistance by the light source 36, and reduce the thickness and weight of the light source member 32 Is possible.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광원(36)에 포함되는 광원의 종류, 방식, 구조 등이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으며, 광원을 광원 제어부(54)에 연결하는 방식, 구조, 형태 등이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으며, 그 외의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ccordingly, the type, method, and structure of the light source included in the light source 36 may be variously modified, and the method, structure, and shape of connecting the light source to the light source control unit 54 may be variously modified. Various variations are possible.

광원 부재(32)의 전면(좀더 구체적으로, 기판(34) 및 광원(36)의 전면)에 위치하는 광학 부재(300)는 광원 부재(32)로부터 방출된 광의 반사, 확산 등을 유도하여 광이 디스플레이 모듈(20)에 효율적이면서 고르게 제공되도록 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The optical member 300 locat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light source member 32 (more specifically, the front surface of the substrate 34 and the light source 36) induces reflection, diffusion, etc. of the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source member 32 It may serve to efficiently and evenly provide the display module 20.

도 2에서는 일 예로 광학 부재(300)가 반사 시트(302), 확산판(304), 광학 시트(306)를 구비한 것을 예시하였다. In FIG. 2, for example, the optical member 300 includes a reflective sheet 302, a diffusion plate 304, and an optical sheet 306.

기판(34)의 전면에 위치하는 반사 시트(302)는 광원(36)이 통과되는 홀(302a)이 구비된 시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일 예로, 반사 시트(302)는 복수의 광원(36)에 일대일 대응하는 복수의 홀(302a)을 구비하고, 복수의 홀(302a)을 포함하는 영역이 서로 전체적으로 일체의 구조로 연결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반사 시트(302)는 광원(36)로부터 방출된 광, 확산판(304)으로부터 반사된 광 등을 전방으로 반사하여 디스플레이 모듈(20)에 도달하는 광의 양을 증가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The reflective sheet 302 position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substrate 34 may have a sheet shape including a hole 302a through which the light source 36 passes. As an example, the reflective sheet 302 has a plurality of holes 302a corresponding to the plurality of light sources 36 one-to-one, and the regions including the plurality of holes 302a have a shape connected to each other in an integral structure as a whole. I can. The reflective sheet 302 may serve to increase an amount of light reaching the display module 20 by reflecting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source 36 and light reflected from the diffusion plate 304 forward.

여기서, 반사 시트(302)는 알루미늄, 은, 금 등과 같이 높은 반사도를 가지는 금속을 포함하거나, 티타늄 산화물(TiO2)와 같이 높은 반사도를 가지는 금속 산화물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반사 시트(302)는 금속 또는 금속 산화물을 기판(34) 위에 층상으로 형성하는 것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금속 또는 금속 산화물을 인쇄(그라비아 코팅, 스크린 인쇄 등), 증착(진공 증착, 화학적 증착, 증발(evaporation) 등), 스퍼터링, 코팅 등의 방법으로 기판(34) 위에 형성하여 반사 시트(302)를 형성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별도로 제조된 반사 시트(302)를 기판(34)의 전면 측에 위치시킬 수도 있다. Here, the reflective sheet 302 may include a metal having high reflectivity such as aluminum, silver, gold, or the like, or may include a metal oxide having high reflectivity such as titanium oxide (TiO 2 ). For example, the reflective sheet 302 may be formed by forming a metal or metal oxide layer on the substrate 34. For example, by forming a metal or metal oxide on the substrate 34 by printing (gravure coating, screen printing, etc.), vapor deposition (vacuum deposition, chemical vapor deposition, evaporation, etc.), sputtering, coating, etc. 302 can be formed.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a separately manufactured reflective sheet 302 may be positioned on the front side of the substrate 34.

광원(36) 및 반사 시트(302) 상에 수지층이 증착되어 광을 좀더 확산시킬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수지층이 구비되지 않아도 된다. A resin layer is deposited on the light source 36 and the reflective sheet 302 to further diffuse the light.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a resin layer may not be provided.

광원(36) 및 반사 시트(302)와 일정 간격만큼 이격되어 확산판(304)이 위치할 수 있다. 확산판(304)은 광원(36)로부터 방출된 광을 전방으로 확산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이에 의하면 반사 시트(302)와 확산판(304) 사이에 위치한 에어 갭이 광원(36)로부터 방출된 광이 넓게 퍼질 수 있도록 하는 버퍼 역할을 할 수 있다. 반사 시트(302)와 확산판(304) 사이에 에어 갭을 유지하기 위한 스페이서, 지지부 등이 구비될 수도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The diffuser plate 304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light source 36 and the reflective sheet 302 by a predetermined interval. The diffusion plate 304 may serve to diffuse the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source 36 forward. Accordingly, the air gap positioned between the reflective sheet 302 and the diffusion plate 304 may serve as a buffer to allow the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source 36 to spread widely. A spacer, a support part, etc. for maintaining an air gap may be provided between the reflective sheet 302 and the diffusion plate 304,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광학 시트(306)는 확산판(304)의 전면에 위치하며 디스플레이 모듈(20)의 후면에 밀착되어 광원(36)로부터 방출된 광이 디스플레이 모듈(20)로 고르게 전달되도록 할 수 있다. 광학 시트(306)는 하나의 층 또는 복수의 층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일 예로, 광학 시트(306)가 적어도 하나의 확산 시트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프리즘 시트를 포함할 수 있다. 확산 시트는 광이 부분적으로 밀집되는 것을 방지하여 전체 영역에서 균일한 휘도를 가질 수 있도록 하고, 프리즘 시트는 확산 시트의 전방에 위치하여 확산 시트로부터 방출된 광을 집광하여 디스플레이 모듈(20)에 수직하게 광이 입사하도록 한다. The optical sheet 306 is position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diffusion plate 304 and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rear surface of the display module 20 so that the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source 36 is evenly transmitted to the display module 20. The optical sheet 306 may be formed of one layer or a plurality of layers. For example, the optical sheet 306 may include at least one diffusion sheet and/or at least one prism sheet. The diffusion sheet prevents the light from being partially concentrated to have uniform luminance over the entire area, and the prism sheet is positioned in front of the diffusion sheet to condense the light emitted from the diffusion sheet and is perpendicular to the display module 20. Let the light enter.

이러한 백라이트 유닛(30)은 프레임(40)의 전면 측에서 복수의 광원(36)이 디스플레이 모듈(20) 쪽으로 위치하도록 프레임(40)에 결합되어 디스플레이 모듈(20)로 광을 제공할 수 있다. 프레임(40)은 디스플레이부(110)에 포함된 부재를 지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실시예에서는 백라이트 유닛(30)이 프레임(40)에 결합되어 지지될 수 있다. 프레임(130)은 안정적으로 백라이트 유닛(30) 등을 지지할 수 있도록 금속 재질(예를 들어, 알루미늄 합금)로 구성될 수 있다. The backlight unit 30 may be coupled to the frame 40 so that the plurality of light sources 36 are positioned toward the display module 20 from the front side of the frame 40 to provide light to the display module 20. The frame 40 may serve to support a member included in the display unit 110. For example, in this embodiment, the backlight unit 30 may be coupled to and supported by the frame 40. The frame 130 may be made of a metal material (eg, aluminum alloy) so as to stably support the backlight unit 30 and the like.

상술한 설명에서는 편의를 위하여 확산 시트(302), 확산판(304), 광학 시트(306) 등의 광학 부재(300)을 백라이트 유닛(30)에 포함되는 부재로 설명하고, 프레임(40)을 백라이트 유닛(30)과 별도의 부재로 설명하였다. 그러나 확산 시트(302), 확산판(304), 광학 시트(306) 등의 광학 부재(300) 중 적어도 하나가 백라이트 유닛(30)과 구별되는 별개의 부재로 판단될 수도 있고, 프레임(40)이 백라이트 유닛(30)에 포함되는 부재로 판단될 수도 있다.In the above description, for convenience, the optical member 300 such as the diffusion sheet 302, the diffusion plate 304, and the optical sheet 306 is described as a member included in the backlight unit 30, and the frame 40 is It has been described as a separate member from the backlight unit 30. However, at least one of the optical members 300 such as the diffusion sheet 302, the diffusion plate 304, and the optical sheet 306 may be determined as a separate member distinguished from the backlight unit 30, and the frame 40 It may be determined as a member included in the backlight unit 30.

백 커버(60)는 디스플레이 모듈(20)의 후방, 백라이트 유닛(30), 회로부(50) 등이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여 디스플레이 모듈(20), 백라이트 유닛(30), 회로부(50) 등을 안정적으로 보호하고 디스플레이부(110)의 외관을 향상할 수 있다. The back cover 60 prevents the rear of the display module 20, the backlight unit 30, and the circuit unit 50 from being exposed to the outside, so that the display module 20, the backlight unit 30, the circuit unit 50, etc. Can be stably protected and the appearance of the display unit 110 can be improved.

백 커버(60)는 디스플레이 모듈(20) 등을 덮어서 보호할 수 있는 다양한 구조, 재질, 크기, 두께 등을 가질 수 있다. 일 예로, 백 커버(60)는 디스플레이 모듈(20)의 후방에서 일체의 구조를 형성할 수도 있다. 다른 예로, 백 커버(60)가, 회로부(50) 이외의 부분을 덮는 커버와, 회로부(50)를 덮는 커버를 별개로 포함할 수 있다. 그 외에 백 커버(60)가 다양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백 커버(60)는 금속, 고분자 물질(예를 들어, 수지), 강화 섬유 등의 다양한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백 커버(60)가 가볍고 성형이 쉬우며 비용이 저렴한 수지로 구성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백 커버(60)의 형상, 물질 등은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The back cover 60 may have various structures, materials, sizes, thicknesses, etc. that can cover and protect the display module 20 or the like. For example, the back cover 60 may form an integral structure behind the display module 20. As another example, the back cover 60 may separately include a cover covering portions other than the circuit portion 50 and a cover covering the circuit portion 50. In addition, the back cover 60 may have various structures. The back cover 60 may include various materials such as a metal, a polymer material (eg, resin), and reinforcing fibers. For example, the back cover 60 may be made of a resin that is light, easy to mold, and inexpensive.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shape and material of the back cover 60 may be variously modified.

지지 부재(120)는 디스플레이부(110)의 하부 및 후면 중 적어도 하나에 연결되어 디스플레이부(110)를 지지할 수 있다. 지지 부재(120)는 바닥면 또는 벽면에 디스플레이부(110)를 고정 및 지지하는 다양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부(110)와 지지 부재(120)의 결합 구조, 결합 형태, 결합 방법 등은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The support member 120 may be connected to at least one of the lower and rear surfaces of the display unit 110 to support the display unit 110. The support member 120 may have various structures for fixing and supporting the display unit 110 on a floor or a wall. That is, the coupling structure, coupling form, coupling method, etc. of the display unit 110 and the support member 120 may be variously modified,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도 1 내지 도 3과 함께 도 4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백라이트 유닛(30)을 좀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The backlight unit 3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4 to 8 along with FIGS. 1 to 3.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부(110) 또는 백라이트 유닛(30)에서 복수의 광원(36) 또는 복수의 광원부(A1, A2, A31, A32, A33, A34)의 위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모식도이고, 도 5는 도 4에 도시한 디스플레이부(110) 또는 백라이트 유닛(30)에서 복수의 광원부(A1, A2, A31, A32, A33, A34)에 인가되는 전류의 상대값의 일 예를 모식화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의 (a) 및 (b)는 도 4의 A 부분 및 B 부분을 각기 확대하여 복수의 광원(36)의 광 도달 영역(R1, R2, R3)을 함께 도시한 모식도이다. 4 schematically shows the positions of the plurality of light sources 36 or the plurality of light sources A1, A2, A31, A32, A33, A34 in the display unit 110 or the backlight unit 3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schematic diagram, and FIG. 5 is one of the relative values of currents applied to the plurality of light source units A1, A2, A31, A32, A33, A34 in the display unit 110 or the backlight unit 30 shown in FIG. 4 It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n example. 6A and 6B are schematic diagrams showing the light reaching regions R1, R2, and R3 of the plurality of light sources 36 by enlarging portions A and B of FIG. 4, respectively.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백라이트 유닛(30)에 포함되는 복수의 광원(36)은, 일 방향에서 중앙 영역에 위치하는 제1 광원(361) 및 가장자리 영역에 위치하는 제2 광원(362)을 포함한다. 그리고 제1 광원(361)과 제2 광원(362)에 서로 다른 크기의 전류가 인가되도록 복수의 광원(36)을 제어하여 중앙 영역과 가장자리 영역의 휘도 차이를 저감하는 광원 제어부(54)가 구비된다. 1 to 6, a plurality of light sources 36 included in the backlight unit 30 according to the present exemplary embodiment include a first light source 361 located in a central area in one direction and a first light source 361 located in an edge area. And a second light source 362. In addition, a light source controller 54 is provided to control the plurality of light sources 36 so that different currents are applied to the first light source 361 and the second light source 362 to reduce the difference in luminance between the center area and the edge area. do.

이하에서는 서로 다른 전류가 인가되는 복수의 광원(36)의 배치 등을 먼저 설명한 이후에 도 9을 참조하여 복수의 광원(36)에 서로 다른 전류를 인가하는 광원 제어부(54)의 구동에 대하여 좀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arrangement of the plurality of light sources 36 to which different currents are applied will be described first, and then the driving of the light source controller 54 applying different currents to the plurality of light sources 36 with reference to FIG. 9 will be described. I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일 예로, 본 실시예에서는 제1 광원(361) 및 제2 광원(362)이 일 방향(일 예로, 도면의 y축 방향 또는 화면의 수직 방향)에서의 중앙 영역 및 가장자리 영역에 각기 위치하고, 제1 전류가 인가되는 제1 광원(361)이 상술한 일 방향과 교차하는 교차 방향(일 예로, 도면의 x축 방향 또는 화면의 수평 방향)에서 일정 간격을 두고 복수로 위치하여 교차 방향으로 연장되는 중앙 영역에서 제1 광원부(A1)를 구성하고, 제2 전류가 인가되는 제2 광원(362)이 교차 방향에서 일정 간격을 두고 복수로 위치하여 교차 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장자리 영역에서 제2 광원부(A2)를 구성한다. 그리고 일 방향에서 중앙 영역과 가장자리 영역 사이에 교차 방향으로 연장되는 내부 광원부(A31, A32, A33, A34)가 복수로 위치할 수 있고, 내부 광원부(A31, A32, A33, A34) 각각에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전류가 인가되는 복수의 내부 광원(364a, 364b, 364c, 364d)이 위치할 수 있다. 이하의 설명 및 도 4에서는 복수의 내부 광원부(A31, A32, A33, A34)이, 복수의 제1 내부 광원(364a)을 구비하는 제1 내부 광원부(A31), 복수의 제2 내부 광원(364b)을 구비하는 제2 내부 광원부(A32), 복수의 제3 내부 광원(364c)을 구비하는 제3 내부 광원부(A33), 복수의 제4 내부 광원(364d)을 구비하는 제4 내부 광원부(A34)를 포함하는 것을 하나의 예시로 한다. For example, in this embodiment, the first light source 361 and the second light source 362 are respectively located in the center area and the edge area in one direction (eg, the y-axis direction of the drawing or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screen), 1 A plurality of first light sources 361 to which current is applied are position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in the crossing direction (for example, the x-axis direction of the drawing or the horizontal direction of the screen) crossing the above-described one direction, extending in the crossing direction. The first light source unit A1 is configured in the central area, and the second light source 362 to which the second current is applied is positioned in a plurality at a predetermined interval in the crossing direction, and the second light source unit A2 is located in the edge area extending in the crossing direction. ). In addition, a plurality of internal light source units A31, A32, A33, and A34 extending in an intersecting direction may be located between the central region and the edge region in one direction, and each of the internal light source units A31, A32, A33, and A34 may be substantially A plurality of internal light sources 364a, 364b, 364c, and 364d to which the same current is applied may be located.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and FIG. 4, a plurality of internal light source units A31, A32, A33, and A34 include a first internal light source unit A31 including a plurality of first internal light sources 364a, and a plurality of second internal light sources 364b. ) Having a second internal light source unit A32, a third internal light source unit A33 having a plurality of third internal light sources 364c, and a fourth internal light source unit A34 having a plurality of fourth internal light sources 364d. Including) is an example.

여기서, 제1 광원부(A1), 제2 광원부(A2), 제1 내부 광원부(A31), 제2 내부 광원부(A32), 제3 내부 광원부(A33), 제4 내부 광원부(A34), 또는 이에 각기 포함되는 복수의 제1 광원(361), 복수의 제2 광원(362), 복수의 제1 내부 광원(364a), 복수의 제2 내부 광원(364b), 복수의 제3 내부 광원(364c), 복수의 제4 내부 광원(364d)은 서로 간의 개념적인 구별을 위하여 실질적으로 동일한 전류 값이 인가되는 광원들을 통칭한 것으로, 이들이 실질적으로 다른 형상, 구조, 방식 등을 가져 물리적으로 구별되는 것은 아니다. Here, the first light source unit A1, the second light source unit A2, the first internal light source unit A31, the second internal light source unit A32, the third internal light source unit A33, the fourth internal light source unit A34, or Each of a plurality of first light sources 361, a plurality of second light sources 362, a plurality of first internal light sources 364a, a plurality of second internal light sources 364b, a plurality of third internal light sources 364c , The plurality of fourth internal light sources 364d are collectively referred to as light sources to which substantially the same current value is applied for conceptual distinction between each other, and they are not physically distinguished because they have substantially different shapes, structures, and methods. .

본 실시예에서 광원 제어부(54)는 복수의 제1 광원(361)에 인가되는 제1 전류보다 제2 광원(362)에 인가되는 제2 전류가 더 큰 값을 가지도록 한다. 이와 같이 제1 광원(361)보다 제2 광원(362)에 더 큰 전류가 인가되면,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광원(362)에 의하여 방출된 광의 도달 영역(R2)이 제1 광원(361)에 의하여 방출된 광의 도달 영역(R1)보다 커지게 된다. 및/또는, 재1 광원(361)에 인가되는 제1 전류가 상대적으로 작아 제1 광원(361)의 휘도가 작고 제2 광원(362)에 인가되는 제2 전류가 상대적으로 커서 제2 광원(362)의 휘도가 커질 수 있다. 이에 따라 백라이트 유닛(30) 또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의 가장자리 영역예서 광이 충분하게 도달하지 못하여 발생되던 어두움, 휘도 저하 등의 현상을 방지 또는 최소화할 수 있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light source control unit 54 allows the second current applied to the second light source 362 to have a larger value than the first current applied to the plurality of first light sources 361. In this way, when a larger current is applied to the second light source 362 than the first light source 361, as shown in FIG. 6, the arrival area R2 of the light emitted by the second light source 362 becomes the first It becomes larger than the arrival area R1 of the light emitted by the light source 361. And/or, the first current applied to the first light source 361 is relatively small, the luminance of the first light source 361 is small, and the second current applied to the second light source 362 is relatively large, and the second light source ( The luminance of 362) may be increased.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prevent or minimize phenomena such as darkness and lowering of luminance that occur when light does not sufficiently reach the edge region of the backlight unit 30 or the display device 100.

일 예로, 제1 전류에 대한 제2 전류의 비율이 110% 내지 130%일 수 있다. 상술한 비율이 110% 미만이면 가장자리 영역에서의 휘도 저하 등의 현상을 방지하는 효과가 충분하지 않을 수 있고, 상술한 비율이 130%를 초과하면 디스플레이부(110)의 내에서 휘도 차이가 커져서 우수한 화질을 구현하기 어려울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1 전류, 제2 전류 등의 값은 다양하게 변화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광원(36)에 인가되는 전류와 이에 의한 휘도가 비례 관계를 가지지만 선형적 비례 관계를 가지지 않을 수 있으므로, 제1 광원부(A1)에 의한 중앙 영역의 휘도 및 제2 광원부(A2)에 의한 가장자리 영역의 휘도를 고려하여 제1 전류, 제2 전류 등의 값이 변화될 수 있다. For example, a ratio of the second current to the first current may be 110% to 130%. If the above-described ratio is less than 110%, the effect of preventing a phenomenon such as a decrease in luminance in the edge region may not be sufficient, and if the above-described ratio is more than 130%, the difference in luminance within the display unit 110 increases. It can be difficult to achieve picture quality.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values of the first current and the second current may be variously changed. For example, since the current applied to the light source 36 and the luminance resulting therefrom have a proportional relationship, but may not have a linear proportional relationship, the luminance of the central region by the first light source unit A1 and the second light source unit A2 Values of the first current and the second current may be changed in consideration of the luminance of the edge region caused by ).

그리고 광원 제어부(54)는 복수의 내부 광원(364a, 364b, 364c, 364d)이 제2 전류보다 낮고 제1 전류와 같거나 그보다 낮은 전류가 인가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복수의 내부 광원(364a, 364b, 364c, 364d)에 상대적으로 작은 전류가 인가되면,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의 내부 광원(364a, 364b, 364c, 364d)에 의하여 방출된 광의 도달 영역(R3)이 제2 광원(362)에 의하여 방출된 광의 도달 영역(R2)보다 작다. 그러나 복수의 내부 광원(364a, 364b, 364c, 364d)이 위치한 영역에서는 광의 도달 영역(R3)이 이웃한 것들과 겹쳐지므로 형성되므로, 광의 도달 영역(R3)이 상대적으로 적어도 휘도 저하 등의 문제가 크게 발생하지 않을 수 있다. In addition, the light source controller 54 may control the plurality of internal light sources 364a, 364b, 364c, and 364d to apply a current lower than the second current and equal to or lower than the first current. In this way, when a relatively small current is applied to the plurality of internal light sources 364a, 364b, 364c, 364d, as shown in FIG. 6, the light emitted by the plurality of internal light sources 364a, 364b, 364c, 364d The arrival area R3 is smaller than the arrival area R2 of the light emitted by the second light source 362. However, in the area where the plurality of internal light sources 364a, 364b, 364c, 364d are located, since the light arrival area R3 overlaps with neighboring ones, the light arrival area R3 is relatively at least a problem such as a decrease in luminance. May not occur significantly.

일 예로, 일 방향에 위치하는 복수의 내부 광원(364a, 364b, 364c, 364d) 중 적어도 하나에 제1 전류 및 제2 전류보다 낮은 전류가 인가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좀더 구체적으로, 제1 전류와 제2 전류의 차이와, 제1 전류와 복수의 내부 광원(364a, 364b, 364c, 364d)에 각기 인가되는 전류의 차이의 합(즉, 제1 전류와 제1 내부 광원(364a)에 인가되는 전류의 차이, 제1 전류와 제2 내부 광원(364b)에 인가되는 전류의 차이, 제1 전류와 제3 내부 광원(364c)에 인가되는 전류의 차이, 제1 전류와 제4 내부 광원(364d)에 인가되는 전류의 차이를 모두 더한 값)이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여기서 실질적으로 동일하다고 함은 제1 전류를 기준으로 할 때 5% 이내(일 예로, 2% 이내)의 차이를 가지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As an example, a current lower than the first current and the second current may be applied to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internal light sources 364a, 364b, 364c, and 364d positioned in one direction. More specifically, the sum of the difference between the first current and the second current and the difference between the first current and the currents respectively applied to the plurality of internal light sources 364a, 364b, 364c, 364d (that is, the first current and the first The difference between the current applied to the internal light source 364a, the difference between the first current and the current applied to the second internal light source 364b, the difference between the first current and the current applied to the third internal light source 364c, the first A value obtained by adding all differences between the current and the current applied to the fourth internal light source 364d) may be substantially the same. Here, "substantially the same" may mean that the difference is within 5% (for example, within 2%) based on the first current.

이에 의하면, 복수의 광원(36)의 전체에 가해지는 전류의 양이 제2 전류에 의하여 증가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가장자리 영역에 제2 전류를 인가하면서도 내부 광원(364a, 364b, 364c, 364d)에 인가되는 전류의 양은 제1 전류와 같거나 이보다 작게 하여 복수의 광원(36)에 가해지는 전류의 총합을, 복수의 광원(36) 전체에 제1 전류를 인가한 것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의하여 소비 전력을 증가시키지 않고도 가장자리 영역에서의 휘도 저하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prevent an increase in the amount of current applied to all of the plurality of light sources 36 due to the second current. That is, while applying the second current to the edge region, the amount of current applied to the internal light sources 364a, 364b, 364c, 364d is equal to or smaller than the first current, so that the sum of the currents applied to the plurality of light sources 36 is reduced. , It can be made to be substantially the same as applying the first current to all of the plurality of light sources 36.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prevent a decrease in luminance in the edge region without increasing power consumption.

본 실시예의 일 예에 따른 제1 광원부(A1), 제2 광원부(A2), 그리고 내부 광원부(A31, A32, A33, A34)에 인가되는 전류의 비율을 제1 전류를 기준으로 나타내면 다음의 표 1과 같다. 표 1에서는 도 5에 도시한 백라이트 유닛(30)의 배열을 그대로 표시하였다. The following table shows the ratio of the currents applied to the first light source unit A1, the second light source unit A2, and the internal light source units A31, A32, A33, and A34 according to an example of this embodiment based on the first current. Same as 1. In Table 1, the arrangement of the backlight unit 30 shown in FIG. 5 is displayed as it is.

제2 광원부(A2)Second light source unit A2 114%114% 제4 내부 광원부(A34)The fourth internal light source unit A34 100%100% 제3 내부 광원부(A33)Third internal light source unit (A33) 96%96% 제2 내부 광원부(A32)Second internal light source unit (A32) 92%92% 제1 내부 광원부(A31)First internal light source unit (A31) 96%96% 제1 광원부(A1)First light source unit A1 100%100% 제1 광원부(A1)First light source unit A1 100%100% 제1 내부 광원부(A31)First internal light source unit (A31) 96%96% 제2 내부 광원부(A32)Second internal light source unit (A32) 92%92% 제3 내부 광원부(A33)Third internal light source unit (A33) 96%96% 제4 내부 광원부(A34)The fourth internal light source unit A34 100%100% 제2 광원부(A2)Second light source unit A2 114%114%

표 1에 개시된 일 예에서 제2 전류와 제1 전류의 차이가 14%이고, 제1 전류와 복수의 내부 광원부(A31, A32, A33, A34)의 전류 차이의 합이 14%로 서로 동일할 수 있다. 이에 의하여 제2 광원부(A2)에 인가되는 제2 전류가 제1 광원부(A1)에 인가되는 제1 전류와 차이가 있어도, 제1 내지 제4 내부 광원부(A31, A32, A33, A34)에 의하여 전체 전류가 증가하는 것을 방지 또는 최소화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소비 전력을 그대로 유지하면서 가장자리 영역에서의 휘도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광원부(A2)에 가까이 위치한 제4 내부 광원부(A34)에 제1 전류와 동일한 전류를 인가하고 이에 인접한 제1 및 제3 내부 광원부(A31, A33)에 이보다 낮은 전류를 인가하고 제1 내부 광원부(A31)와 제3 내부 광원부(A33) 사이에 위치한 제2 내부 광원부(A32)에 제1 및 제3 내부 광원부(A31, A33)에 인가된 전류보다 낮은 전류를 인가한 것을 예시하였다. 이에 의하면 제2 광원부(A2)를 제외한 영역에서 전류 또는 휘도 분포가 대칭 구조를 가지고 중앙 영역과 가장자리 영역 사이에 위치한 부분에서 중앙 영역 및 가장자리 영역 각기 향하면서 휘도가 점진적으로 증가되는 양상을 가져 사용자가 전류 차이를 어색하게 느끼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In the example disclosed in Table 1, the difference between the second current and the first current is 14%, and the sum of the difference between the first current and the currents of the plurality of internal light sources (A31, A32, A33, A34) is equal to 14%. I can. Accordingly, even if the second current applied to the second light source unit A2 is different from the first current applied to the first light source unit A1, the first to fourth internal light source units A31, A32, A33, and A34 The increase in the total current can be prevented or minimized.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prevent a decrease in luminance in the edge region while maintaining the power consumption as it is. Here, the same current as the first current is applied to the fourth internal light source unit A34 located close to the second light source unit A2, and a lower current is applied to the first and third internal light source units A31 and A33 adjacent thereto. 1 It is illustrated that a current lower than the current applied to the first and third internal light source units A31 and A33 is applied to the second internal light source unit A32 located between the internal light source unit A31 and the third internal light source unit A33. . According to this, the current or luminance distribution in the area except for the second light source unit A2 has a symmetrical structure, and the luminance gradually increases from a portion located between the center area and the edge area toward the center area and the edge area. You can prevent the awkward feeling of the current difference.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제1 광원부(A1), 제2 광원부(A2) 및 내부 광원부(A31, A32, A33, A34)가 화면의 수평 방향(도면의 x축 방향)으로 연장되고, 화면의 수직 방향(도면의 y축 방향)에 서로 다른 전류가 인가되는 복수의 광원(36) 또는 복수의 광원부(A1, A2, A31, A32, A33, A34)가 위치하는 것을 예시하였다. 디스플레이부(110)의 디자인 등을 고려하여 모서리에 인접하여 위치한 제2 광원(362)과 이에 인접한 수평 가장자리(LS1, LS2) 사이의 제1 거리(D1)가 모서리에 인접한 제2 광원(362)과 이에 인접한 수직 가장자리(SS1, SS2) 사이의 제2 거리(D2)보다 큰 것을 고려한 것이다. 예를 들어, 측면에서 볼 때 디스플레이부(110)의 두께를 얇게 보이게 하기 위하여 제1 거리(D1)를 상대적으로 길게 할 수 있는데, 이 경우에 수평 가장자리(LS1, LS2)에 인접한 가장자리 영역(즉, 수평 가장자리 영역)에서 휘도가 더 많이 저하될 수 있다. 이를 고려하여 수평 가장자리(LS1, LS2)을 따라 연장되도록 제2 광원부(A2)를 위치시켜 수평 가장자리(LS1, LS2) 부근에서 발생할 수 있는 휘도 저하를 최소화한 것이다. 그리고 하나의 기판(34)에 위치하는 복수의 광원(36)이 일괄로 제어될 수 있어 별도의 추가 회로 등을 적용하지 않아 구조를 단순화할 수 있다.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 first light source unit A1, the second light source unit A2, and the internal light source units A31, A32, A33, A34 exten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of the screen (the x-axis direction in the drawing), and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screen. It is illustrated that a plurality of light sources 36 or a plurality of light source units A1, A2, A31, A32, A33, and A34 to which different currents are applied are positioned in (y-axis direction of the drawing). In consideration of the design of the display unit 110, the first distance D1 between the second light source 362 located adjacent to the edge and the horizontal edges LS1 and LS2 adjacent thereto is the second light source 362 adjacent to the edge. And the second distance D2 between the adjacent vertical edges SS1 and SS2. For example, in order to make the display unit 110 look thinner when viewed from the side, the first distance D1 may be relatively long. In this case, the edge regions adjacent to the horizontal edges LS1 and LS2 (that is, , In the horizontal edge area), the luminance may be further degraded. In consideration of this, the second light source unit A2 is positioned so as to extend along the horizontal edges LS1 and LS2 to minimize the decrease in luminance that may occur near the horizontal edges LS1 and LS2. In addition, since a plurality of light sources 36 positioned on one substrate 34 can be collectively controlled, a separate additional circuit or the like is not applied, thereby simplifying the structure.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의 광원(36)이 기판(34)에 위치하고, 복수의 기판(34)이 연성 평면 케이블(FFC) 등으로 구성되는 배선부(38)에 의하여 연결되고 복수의 기판(34)의 회로 패턴과 배선부(38)의 회로 패턴이 기판(34)에 구비된 복수의 광원(36)를 개별적으로 구동할 수 있도록 형성 및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참조로, 도 7에서는 배선부(38)와 복수의 광원(36)에 대해서 개략적으로만 도시하였을 뿐,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구조에서는 제1 광원부(A1), 제2 광원부(A2), 내부 광원부(A31, A32, A33, A34)가 화면의 수직 방향(도면의 y축 방향)으로 연장되고, 화면의 수평 방향(도면의 x축 방향)에 서로 다른 전류가 인가되는 복수의 광원(36) 또는 복수의 광원부(A1, A2, A31, A32, A33, A34)가 위치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제1 거리(D1)가 제2 거리(D2)보다 작은 경우에 적합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전체 가장자리(즉, 수평 가장자리(LS1, LS2) 및 수직 가장자리(SS1, SS2))를 따라 제2 전류가 구비되는 복수의 제2 광원(362)이 배치되어 액자 형상으로 제2 광원부(A2)가 위치하고, 중앙을 향하면서 복수의 내부 광원부(A31, A32, A33, A34) 및 제1 광원부(A1)가 차례로 위치할 수도 있다. 그 외의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For example, as shown in FIG. 7, a plurality of light sources 36 are positioned on a substrate 34, and a plurality of substrates 34 are formed by a wiring portion 38 composed of a flexible flat cable (FFC) or the like. It is connected, and the circuit pattern of the plurality of substrates 34 and the circuit pattern of the wiring unit 38 may be formed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individually drive the plurality of light sources 36 provided on the substrate 34. For reference, in FIG. 7, only the wiring portion 38 and the plurality of light sources 36 are schematically illustrated,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In this structure, the first light source unit A1, the second light source unit A2, and the internal light source units A31, A32, A33, A34 extend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screen (the y-axis direction in the drawing), and the horizontal direction of the screen (the drawing A plurality of light sources 36 or a plurality of light source units A1, A2, A31, A32, A33, and A34 to which different currents are applied may be positioned in the x-axis direction). In this case, it may be suitable when the first distance D1 is smaller than the second distance D2,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In addition, a plurality of second light sources 362 provided with a second current are disposed along the entire edges (that is, horizontal edges LS1 and LS2 and vertical edges SS1 and SS2) to form a frame shape. ) May be positioned, and the plurality of internal light source units A31, A32, A33, A34 and the first light source unit A1 may be sequentially positioned while facing the center. Other variations are possible.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에 포함되는 백라이트 유닛(30) 및 회로부(50)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8에서 회로부(50) 및 이에 포함되는 광원 제어부(54)로는 본 실시예에 따른 백라이트 유닛(30)의 구동과 직접 관련된 부분만을 간략하게 도시하였다. 8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backlight unit 30 and a circuit unit 50 included in the display device 100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FIG. 8, only parts directly related to driving of the backlight unit 30 according to the present exemplary embodiment are illustrated as the circuit unit 50 and the light source control unit 54 included therein.

도 8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 광원 제어부(54)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를 구동하는 회로부(50)의 일부이거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를 구동하는 회로부(5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별개의 회로 부분일 수 있다. 예를 들어, 광원 제어부(54)가 백라이트 유닛(30)의 구동을 제어하는 드라이버 보드(drive board)의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52)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 부재의 일부 또는 전부이거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 부재와는 다른 별개의 전원 공급부일 수 있다. Referring to FIG. 8, in this embodiment, the light source control unit 54 is a part of the circuit unit 50 for driving the display device 100, or a separate unit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ircuit unit 50 for driving the display device 100. May be part of the circuit. For example, the light source controller 54 may include a part or all of a driver board that controls driving of the backlight unit 30. In addition, the power supply unit 52 that supplies power is a part or all of the power supply member that supplies power to the display device 100, or a separate power supply different from the power supply member that supplies power to the display device 100 It can be wealth.

본 실시예에서 광원 제어부(54)는 복수의 광원(36)의 온-오프 및 전류 크기를 제어할 수 있다. 좀더 구체적으로, 광원 제어부(54)가, 복수의 광원(36)의 온-오프(on-off)를 제어하는 집적 회로(54a)와, 복수의 광원(36)에 인가되는 전류를 특정된 비율로 변환하여 이를 집적 회로(54a)에 전달하는 마이크로 컨트롤러 유닛(54b)을 포함할 수 있다. In this embodiment, the light source controller 54 may control the on-off and current magnitudes of the plurality of light sources 36. More specifically, the light source control unit 54 determines the integrated circuit 54a that controls on-off of the plurality of light sources 36 and the current applied to the plurality of light sources 36 at a specified ratio. It may include a microcontroller unit 54b that converts to and transfers it to the integrated circuit 54a.

도 5 및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복수의 광원(36)을 제어하고자 하는 경우를 일 예로 하여 광원 제어부(54)의 구동의 일 예를 설명한다. 마이크로 컨트롤러 유닛(54b)은, 기본 전류(예를 들어, 제1 전류)를 100%로 하여, 복수의 광원(36), 즉, 복수의 제1 광원(361)(제1 광원부(A1)), 복수의 제2 광원(362)(제2 광원부(A2)), 복수의 제1 내지 제4 내부 광원(364a, 364b, 364c, 364d)(제1 내지 제4 내부 광원부(A31, A32, A33, A34))에 인가될 전류를 설정된 전류 비율에 따라 변환하는 연산을 하여 그 결과를 집적 회로(54a)에 제공한다. As shown in FIG. 5 and Table 1, an example of driving the light source controller 54 will be described by taking the case of controlling the plurality of light sources 36 as an example. The microcontroller unit 54b has a basic current (e.g., a first current) of 100%, and a plurality of light sources 36, that is, a plurality of first light sources 361 (first light source part A1) , A plurality of second light sources 362 (second light source unit A2), a plurality of first to fourth internal light sources 364a, 364b, 364c, 364d (first to fourth internal light source units A31, A32, A33 , A34)) is converted according to the set current ratio, and the result is provided to the integrated circuit 54a.

좀더 구체적으로, 마이크로 컨트롤러 유닛(54b)은 제1 전류가 그대로 인가될 제1 광원(361) 및 제4 내부 광원(364d)에 대해서는 100%의 값을 그대로 제공하도록 연산하고, 제2 광원(362)에 인가될 제2 전류로 제1 전류의 114%에 해당하는 값을 연산하여 제공하고, 제1 및 제3 내부 광원(364a, 364c)에 인가될 전류로 제1 전류의 96%에 해당하는 값을 연산하여 제공하고, 제2 내부 광원(364b)에 인가될 전류로 제1 전류의 92%에 해당하는 값을 연산하여 제공한다. 이러한 연산 및 이의 결과 제공은 마이크로 컨트롤러 유닛(54b)의 알고리즘을 설정하는 것에 의하여 쉽게 구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마이크로 컨트롤러 유닛(54b)의 알고리즘을 설정하여, 전원 공급부에서 출력된 전류가 각 광원에 연결된 집적 회로(54a)의 각 스위칭 소자로 공급되는 전류의 크기를 다르게 설정할 수 있다. 그러면, 전원 공급부(52)가 기본 전류인 제1 전류를 제공하여도 마이크로 컨트롤러 유닛(54b)에서 복수의 광원(36)에 인가될 전류를 연산하여 그 결과를 집적 회로(54a)에 제공할 수 있고, 집적 회로(54a)는 복수의 광원(36) 또는 복수의 광원부(A1, A2, A31, A32, A33, A34)의 온-오프를 개별로 또는 일괄하여 제어하여 특정 광원(36)에 원하는 크기의 전류가 인가되도록 하거나, 전류가 인가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More specifically, the microcontroller unit 54b calculates to provide a value of 100% for the first light source 361 and the fourth internal light source 364d to which the first current is to be applied as it is, and the second light source 362 ) Is provided by calculating a value corresponding to 114% of the first current as the second current to be applied to), and the current to be applied to the first and third internal light sources 364a, 364c, which is 96% of the first current. A value is calculated and provided, and a value corresponding to 92% of the first current as a current to be applied to the second internal light source 364b is calculated and provided. This operation and the provision of its result can be easily implemented by setting the algorithm of the microcontroller unit 54b. In this way, by setting the algorithm of the microcontroller unit 54b, the magnitude of the current output from the power supply unit and supplied to each switching element of the integrated circuit 54a connected to each light source may be set differently. Then, even if the power supply 52 provides the first current, which is the basic current, the microcontroller unit 54b calculates the current to be applied to the plurality of light sources 36 and provides the result to the integrated circuit 54a. In addition, the integrated circuit 54a controls the on-off of a plurality of light sources 36 or a plurality of light sources (A1, A2, A31, A32, A33, A34) individually or collectively, A current of the magnitude may be applied or the current may not be applied.

즉, 온-오프만을 제어할 수 있는 집적 회로(54a)를 그대로 사용하면서도 마이크로 컨트롤러 유닛(54b)의 알고리즘을 설정하는 것에 의하여 서로 다른 전류 값을 복수의 광원(36)에 각기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저렴한 비용의 집적 회로(54a)를 사용할 수 있어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That is, different current values can be provided to the plurality of light sources 36 by setting the algorithm of the microcontroller unit 54b while using the integrated circuit 54a capable of controlling only on-off as it is.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use the low-cost integrated circuit 54a, thereby reducing the cost.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집적 회로(54a)가 복수의 광원(36)의 온-오프와 함께 전류량을 조절할 수 있는 경우에는 마이크로 컨트롤러 유닛(54b)와 무관하게 집적 회로(54a)가 단독으로 복수의 광원(36) 또는 복수의 광원부(A1, A2, A31, A32, A33, A34)에 포함된 특정 광원(36)에 원하는 크기의 전류가 인가되도록 하거나, 전류가 인가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Therefore, when the integrated circuit 54a is capable of controlling the amount of current together with the on-off of the plurality of light sources 36, the integrated circuit 54a is independent of the microcontroller unit 54b. Alternatively, a current of a desired size may be applied to a specific light source 36 included in the plurality of light source units A1, A2, A31, A32, A33, A34, or current may not be applied.

상술한 설명에서 내부 광원부(A31, A32, A33, A34)의 개수, 광원(36)의 개수, 표 1 및 도 5에 기재한 전류 크기 등은 상세한 설명 및 명확한 이해를 위하여 예시로 제시한 것에 불과한 바,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내부 광원부(A31, A32, A33, A34)의 개수, 광원(36)의 개수, 이에 인가되는 전류 크기 등은 백라이트 유닛(30) 또는 디스플레이부(110)의 크기, 광원(36)의 개수, 휘도, 특성 등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In the above description, the number of internal light sources A31, A32, A33, A34, the number of light sources 36, the current magnitudes described in Tables 1 and 5, etc., are only presented as examples for detailed description and clear understanding. Ba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Therefore, the number of internal light sources A31, A32, A33, A34, the number of light sources 36, the amount of current applied thereto, etc. are the size of the backlight unit 30 or the display unit 110, the number of light sources 36, It can be variously modified according to luminance and characteristics.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하면, 중앙 영역에 위치한 제1 광원(361)보다 가장자리 영역에 위치한 제2 광원(362)에 큰 전류를 인가하여 휘도 차이를 저감하거나 사용자가 휘도 차이를 쉽게 인식하지 못하도록 하여 우수한 화질을 구현할 수 있다. 그리고 중앙 영역과 가장자리 영역 사이에 제2 광원(362)에 인가되는 제2 전류보다 낮고 제1 광원(361)에 인가되는 제1 전류와 같거나 그보다 낮은 전류가 인가되는 내부 광원(364)을 위치시켜 소비 전력을 증가시키지 않고도 가장자리 영역에서의 휘도 저하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전류를 제어하는 것에 의하여 휘도 차이를 방지 또는 최소화하여 별도의 테이프 등을 사용하지 않아도 되므로 제조 비용을 절감하고 제조 공정을 단순화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 larger current is applied to the second light source 362 located in the edge region than the first light source 361 located in the central region to reduce the luminance difference or prevent the user from easily recognizing the luminance difference. Excellent image quality can be realized. In addition, an internal light source 364 that is lower than the second current applied to the second light source 362 and applied with a current equal to or lower than the first current applied to the first light source 361 is positioned between the center region and the edge region. Thus,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prevent luminance deterioration in the edge region without increasing power consumption. By controlling the current in this way, since the difference in luminance is prevented or minimized so that there is no need to use a separate tape, it is possible to reduce manufacturing cost and simplify the manufacturing process.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복수의 광원(36)에 인가되는 전류를 다르게 제어하는 것을 예시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가장자리 영역에서의 휘도 차이를 사용자가 쉽게 인식하지 못하도록 하는 다른 구성이 독립적으로 또는 상술한 실시예와 함께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예를 도 9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it is exemplified that currents applied to the plurality of light sources 36 are controlled differently,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ccordingly, another configuration that prevents the user from easily recognizing the difference in luminance in the edge region may be provided independently or together with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This exampl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9.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백라이트 유닛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모식도이다.9 is a schematic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backlight uni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는 제1 광원(361) 또는 제2 광원(362)의 주변에서 광을 흡수하는 광 흡수 패턴(39)을 구비할 수 있다. 광 흡수 패턴(39)은 휘도가 다른 부분보다 크게 높은 영역 또는 휘도가 크게 변화하는 영역의 주변에 위치하여 휘도 차이를 줄이거나 사용자가 휘도 차이가 크게 느끼지 못하도록 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이러한 광 흡수 패턴(39)은 광을 흡수하여 휘도 차이 등을 저감하는 것인 바, 눈부심 등의 발생, 또는 원하지 않는 화면 또는 화질의 변화 등의 문제를 최소화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9, in the present embodiment, a light absorption pattern 39 that absorbs light around the first light source 361 or the second light source 362 may be provided. The light absorption pattern 39 may serve to reduce a difference in luminance or prevent a user from feeling the difference in luminance by being located around a region having a greater luminance than other parts or a region in which the luminance changes significantly. Since the light absorption pattern 39 absorbs light to reduce a difference in luminance, it is possible to minimize problems such as occurrence of glare or unwanted change in screen or image quality.

광 흡수 패턴(39)으로는 광을 흡수하거나 차단하는 다양한 물질, 구조 등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광 흡수 패턴(39)이 금속, 산화물, 질화물, 블랙 카본, 염료, 안료 또는 이들의 조합 등을 포함하거나 이들을 포함하는 하나 또는 복수의 층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광 흡수 패턴(39)은 기판(32) 또는 광학 부재(300) 위에 형성 또는 부착하거나 이들과 별도로 위치하는 등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The light absorption pattern 39 may have various materials, structures, etc. that absorb or block light. For example, the light absorption pattern 39 may include a metal, an oxide, a nitride, a black carbon, a dye, a pigment, or a combination thereof, or may be composed of one or a plurality of layers including them. The light absorption pattern 39 may be formed or attached on the substrate 32 or the optical member 300, or may be disposed separately from the substrate 32 or the optical member 300.

일 예로, 본 실시예에서는 광 흡수 패턴(39)이 제2 광원(362)의 주변, 특히, 제2 광원(362)의 내측(즉, 제2 광원(362)과 제4 내부 광원(364d) 사이)에서 수평 가장자리(LS1, LS2)를 따라 길게 이어지도록 형성된다. 제2 광원(362)과 수평 가장자리(LS1, LS2) 사이의 영역은 휘도가 크게 변화하는 영역이므로 이에 인접한 주변부에 광 흡수 패턴(39)을 위치시켜 제4 내부 광원(364d)으로부터 수평 가장자리(LS1, LS2)까지 휘도가 점진적으로 변화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의하여 사용자가 휘도 차이가 크게 느끼지 못하도록 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른 예로, 광 흡수 패턴(39)이 제2 광원(362)의 주변, 특히, 제2 광원(362)의 내측에서 수직 가장자리(SS1, SS2)를 따라 길게 이어지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또는, 광 흡수 패턴(39)이 수평 가장자리(LS1, LS2) 및 수직 가장자리(SS1, SS2)를 전체적으로 따라 형성되거나, 모서리에 위치한 제2 광원(362)의 내측에 부분적으로 형성되는 등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광 흡수 패턴(39)의 위치, 형상 등이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For example, in this embodiment, the light absorption pattern 39 is around the second light source 362, particularly, inside the second light source 362 (that is, the second light source 362 and the fourth internal light source 364d). Between), it is formed to extend long along the horizontal edges LS1 and LS2. Since the area between the second light source 362 and the horizontal edges LS1 and LS2 has a large change in luminance, the light absorbing pattern 39 is positioned in the vicinity thereof, so that the horizontal edge LS1 from the fourth internal light source 364d is , LS2), the luminance can be changed gradually.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user from feeling a large difference in luminance.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s another example, the light absorption pattern 39 may be formed to extend along the vertical edges SS1 and SS2 around the second light source 362, in particular, inside the second light source 362. Alternatively, various deformations such as the light absorption pattern 39 are formed entirely along the horizontal edges LS1 and LS2 and the vertical edges SS1 and SS2, or are partially formed inside the second light source 362 located at the corner. It is possible. As such, the position and shape of the light absorption pattern 39 may be variously modified.

상술한 바에 따른 특징, 구조, 효과 등은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포함되며, 반드시 하나의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나아가, 각 실시예에서 예시된 특징, 구조, 효과 등은 실시예들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에 의하여 다른 실시예들에 대해서도 조합 또는 변형되어 실시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조합과 변형에 관계된 내용들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Features, structures, effects, and the like according to the above are included in at least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re not necessarily limited to only one embodiment. Furthermore, the features, structures, effects, and the like illustrated in each embodiment may be combined or modified for other embodiments by a person having ordinary knowledge in the field to which the embodiments belong. Therefore, contents related to such combinations and modifications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110: 디스플레이부
120: 지지 부재
10: 프론트 커버
20: 디스플레이 모듈
30: 백라이트 유닛
40: 프레임
50: 회로부
60: 백 커버
100: display device
110: display unit
120: support member
10: front cover
20: display module
30: backlight unit
40: frame
50: circuit part
60: back cover

Claims (11)

일 방향에서 중앙 영역에 위치하는 제1 광원 및 가장자리 영역에 위치하는 제2 광원을 포함하는 복수의 광원; 및
상기 제1 광원과 상기 제2 광원에 서로 다른 크기의 전류가 인가되도록 제어하는 광원 제어부
를 포함하는 백라이트 유닛.
A plurality of light sources including a first light source positioned in a central region and a second light source positioned in an edge region in one direction; And
A light source control unit that controls currents of different sizes to be applied to the first light source and the second light source
Backlight unit comprising a.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 제어부는 상기 제1 광원에 인가되는 제1 전류보다 상기 제2 광원에 인가되는 제2 전류가 큰 값을 가지도록 제어하는 백라이트 유닛.
The method of claim 1,
The light source control unit controls the second current applied to the second light source to have a larger value than the first current applied to the first light sourc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류에 대한 상기 제2 전류의 비율이 110 내지 130%인 백라이트 유닛.
The method of claim 2,
A backlight unit in which a ratio of the second current to the first current is 110 to 130%.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광원은 상기 제1 광원과 상기 제2 광원 사이에 위치하는 복수의 내부 광원을 포함하고,
상기 광원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내부 광원이 상기 제2 전류보다 낮고 상기 제1 전류와 같거나 그보다 낮은 전류가 인가되도록 제어하는 백라이트 유닛.
The method of claim 2,
The plurality of light sources includes a plurality of internal light sources positioned between the first light source and the second light source,
The light source control unit controls the plurality of internal light sources to apply a current lower than the second current and equal to or lower than the first current.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 제어부는, 상기 제1 전류와 상기 제2 전류의 차이와, 상기 제1 전류와 상기 복수의 내부 광원의 차이의 합이 실질적으로 동일하도록 제어하는 백라이트 유닛.
The method of claim 4,
The light source control unit controls such that a sum of a difference between the first current and the second current and a difference between the first current and the plurality of internal light sources is substantially the sam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광원이 상기 일 방향과 교차하는 교차 방향에서 복수로 구비되어 상기 일 방향에서의 중앙 영역에서 상기 교차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제1 광원부를 구성하고,
상기 제2 광원이 상기 교차 방향에서 복수로 구비되어 상기 일 방향에서의 가장자리 영역에서 상기 교차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제2 광원부를 구성하고,
상기 제1 광원부와 상기 제2 광원부 사이에 상기 제2 전류보다 낮고 상기 제1 전류와 같거나 그보다 낮은 전류가 인가되며 상기 교차 방향으로 구비되는 복수의 내부 광원을 포함하는 내부 광원부를 복수로 포함하는 백라이트 유닛.
The method of claim 1,
The first light source is provided in plural in an intersection direction crossing the one direction to configure a first light source unit extending along the intersection direction in a central region in the one direction,
The second light source is provided in plural in the crossing direction to configure a second light source unit extending along the crossing direction in an edge region in the one direction,
Including a plurality of internal light source units including a plurality of internal light sources provided in the crossing direction with a current lower than the second current and equal to or lower than the first current applied between the first light source unit and the second light source unit Backlight unit.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2 광원 중 모서리에 인접한 제2 광원과의 거리가 상기 일 방향으로 연장된 가장자리 사이보다 상기 교차 방향으로 연장된 가장자리 사이에서 더 큰 백라이트 유닛.
The method of claim 6,
A backlight unit in which a distance from a second light source adjacent to an edge of the plurality of second light sources is greater between edges extending in the crossing direction than between edges extending in the one direc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 제어부가, 상기 복수의 광원의 온-오프(on-off)를 제어하는 집적 회로와, 상기 복수의 광원에 인가되는 전류 크기를 다르게 변환하는 마이크로 컨트롤러 유닛을 포함하는 백라이트 유닛.
The method of claim 1,
The backlight unit including an integrated circuit for controlling the on-off of the plurality of light sources by the light source control unit, and a microcontroller unit for differently converting the magnitudes of currents applied to the plurality of light source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 제어부가 상기 복수의 광원의 온-오프 및 전류 크기를 제어하는 집적 회로를 포함하는 백라이트 유닛.
The method of claim 1,
The backlight unit including an integrated circuit for the light source control unit to control on-off and current magnitudes of the plurality of light source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광원 또는 상기 제2 광원의 주변에서 광을 흡수하는 광 흡수 패턴을 구비하는 백라이트 유닛.
The method of claim 1,
A backlight unit having a light absorption pattern for absorbing light from the periphery of the first light source or the second light source.
디스플레이 모듈; 및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후방에 위치하는 백라이트 유닛
을 포함하고,
상기 백라이트 유닛이, 일 방향에서 중앙 영역에 위치하는 제1 광원 및 가장자리 영역에 위치하는 제2 광원을 포함하는 복수의 광원, 그리고 상기 제1 광원과 상기 제2 광원에 서로 다른 크기의 전류가 인가되도록 제어하는 광원 제어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Display module; And
A backlight unit located at the rear of the display module
Including,
In the backlight unit, a plurality of light sources including a first light source positioned in a central region and a second light source positioned in an edge region, and currents of different sizes are applied to the first light source and the second light source in one direction A display device comprising a light source control unit to be controlled to be.
KR1020190118164A 2019-09-25 2019-09-25 Backlight unit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KR10225440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8164A KR102254403B1 (en) 2019-09-25 2019-09-25 Backlight unit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8164A KR102254403B1 (en) 2019-09-25 2019-09-25 Backlight unit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36116A true KR20210036116A (en) 2021-04-02
KR102254403B1 KR102254403B1 (en) 2021-05-20

Family

ID=754667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18164A KR102254403B1 (en) 2019-09-25 2019-09-25 Backlight unit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54403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229250A1 (en) * 2022-05-25 2023-11-30 엘지전자 주식회사 Image display device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20180A (en) * 2000-09-08 2002-03-14 가부시끼가이샤 히다찌 가조 죠호 시스템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KR20050068213A (en) * 2003-12-29 2005-07-05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Back light structure of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JP2008076842A (en) * 2006-09-22 2008-04-03 Fujifilm Corp Photographing apparatus and light emitting method
KR20090088350A (en) * 2006-08-14 2009-08-19 익시스 코포레이션 Video and content controlled backlight
KR20100109748A (en) * 2009-04-01 2010-10-1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Liquid crystal display and driving method of thereof
KR20120046470A (en) * 2010-11-02 2012-05-10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Backlight unit
JP2014127461A (en) * 2012-12-27 2014-07-07 Toshiba Corp Backlight unit and video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KR20170015828A (en) * 2015-07-31 2017-02-0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Back light Unit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having thereof
JP2017161630A (en) * 2016-03-08 2017-09-14 船井電機株式会社 Display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20180A (en) * 2000-09-08 2002-03-14 가부시끼가이샤 히다찌 가조 죠호 시스템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KR20050068213A (en) * 2003-12-29 2005-07-05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Back light structure of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KR20090088350A (en) * 2006-08-14 2009-08-19 익시스 코포레이션 Video and content controlled backlight
JP2008076842A (en) * 2006-09-22 2008-04-03 Fujifilm Corp Photographing apparatus and light emitting method
KR20100109748A (en) * 2009-04-01 2010-10-1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Liquid crystal display and driving method of thereof
KR20120046470A (en) * 2010-11-02 2012-05-10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Backlight unit
JP2014127461A (en) * 2012-12-27 2014-07-07 Toshiba Corp Backlight unit and video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KR20170015828A (en) * 2015-07-31 2017-02-0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Back light Unit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having thereof
JP2017161630A (en) * 2016-03-08 2017-09-14 船井電機株式会社 Display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229250A1 (en) * 2022-05-25 2023-11-30 엘지전자 주식회사 Image display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54403B1 (en) 2021-05-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860474B2 (en) Backlight unit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backlight unit
US8643804B2 (en) Backlight unit and display device
US10365513B2 (en) Backlight unit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backlight unit
KR102558277B1 (en) Display device
US10867563B2 (en) Display device
EP3825761B1 (en) Display device
JP6101748B2 (en) Backlight unit
KR102383645B1 (en) Display device
US11003022B2 (en) Display device
KR102254403B1 (en) Backlight unit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KR102638185B1 (en) display device
KR101827970B1 (en) backlight unit and display apparatus for using the same
KR20170017375A (en) Display device
KR20160078038A (en) Display apparatus
KR20170048045A (en) Display device
KR20190084545A (en) Display device
KR101739586B1 (en) Backlight unit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US11966110B2 (en) Display device
KR20210136354A (en) Display device
KR20190111291A (en) Display device
KR20170085706A (en) Display device
KR20180023556A (en) Back light unit and display device comprising i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