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34976A - 모바일 단말기용 보안 디바이스 - Google Patents

모바일 단말기용 보안 디바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34976A
KR20210034976A KR1020190117033A KR20190117033A KR20210034976A KR 20210034976 A KR20210034976 A KR 20210034976A KR 1020190117033 A KR1020190117033 A KR 1020190117033A KR 20190117033 A KR20190117033 A KR 20190117033A KR 20210034976 A KR20210034976 A KR 202100349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terminal
online service
information
security device
unique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170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방용정
Original Assignee
방용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방용정 filed Critical 방용정
Priority to KR10201901170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34976A/ko
Publication of KR202100349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3497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08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 H04L63/0876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based on the identity of the terminal or configuration, e.g. MAC address, hardware or software configuration or device fingerpri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08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 H04L63/083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using passwor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모바일 단말기에 대한 온라인 서비스의 인증과 승인을 함에 있어서, 모바일 단말기의 고유정보가 포함된 모바일 단말기용 보안 디바이스는 상기 모바일 단말기에서 실행된 온라인 서비스 화면으로부터 고유정보를 읽어들일 수 있는 카메라 장치부 및 상기 카메라 장치부에서 획득한 온라인 서비스의 고유정보,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고유정보, 현재시각 및 난수 알고리즘 중 두가지 이상을 이용하여, 상기 모바일 단말기에 대한 온라인서비스의 인증과 승인에 필요한 정보를 생성하는 인증과 승인정보 생성부를 포함하고, 상기 온라인 서비스에 입력될 인증과 승인정보 생성부에서 만들어진 정보는 상기 온라인서비스 고유정보와 연결지어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고유정보를 알 수 있도록 생성된다.

Description

모바일 단말기용 보안 디바이스{SECURITY DEVICE FOR MOBILE DEVICE}
본 발명은 모바일 단말기용 보안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스마트폰(smart phone)이란 휴대폰과 PDA의 장점을 결합한 것으로, 휴대폰 기능에 일정관리, 팩스 송수신 및 인터넷 접속 등의 데이터 통신 기능을 통합시킨 것이다. 스마트폰은 구동할 플랫폼인 운영체제(OS)가 필요하다. 스마트폰에 탑재된 운영체제에 따라 사용자는 해당 운영체제에서 실행 가능한 다양한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을 설치하고 추가 또는 삭제할 수 있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선행기술인 한국공개특허 제 2013-00213324호는 사용자 단말을 이용한 모바일 단말에서의 애플리케이션 설치 시스템,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대해 개시하고 있다.
스마트폰 사용자들은 다수의 애플리케이션 또는 모바일 브라우저를 이용하여 다양한 온라인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게 되었다. 사용자들은 온라인 서비스에 로그인함으로써, 필요 정보를 획득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사용자들은 온라인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 온라인 서비스 마다 가입된 아이디와 비밀번호를 직접 영문으로 입력해야 하며, 이로 인해 입력 시간이 소요되고, 사용자 정보가 노출될 수 있는 위험이 따른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보안 디바이스의 카메라 장치부를 이용하여 모바일 단말기에서 실행된 온라인 서비스 화면으로부터 고유 정보를 스캔함으로써, 온라인 서비스의 고유 정보를 인식하도록 하는 모바일 단말기용 보안 디바이스를 제공하고자 한다.
보안 디바이스에서 온라인 서비스의 고유 정보, 모바일 단말기의 고유 정보, 현재 시각, 난수 알고리즘 중 두가지 이상을 이용하여 모바일 단말기에 대한 온라인 서비스의 인증과 승인에 필요한 정보를 생성하는 모바일 단말기용 보안 디바이스를 제공하고자 한다.
정보의 유출, 해킹에 대한 기본적 수단부터 차단하여, 100% 완벽한 온라인 인증을 구현하는 모바일 단말기용 보안 디바이스를 제공하고자 한다.
외부 입/출력 및 외부 통신과 개인정보의 온라인 입력 또는 표시없이 모바일 단말에 대한 온라인 서비스의 인증 승인 절차가 구현되도록 모바일 단말기용 보안 디바이스를 설계함으로써, 100% 안전한 온라인 서비스의 인증, 승인을 구현하도록 하는 모바일 단말기용 보안 디바이스를 제공하고자 한다.
다만, 본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모바일 단말기에서 실행된 온라인 서비스 화면으로부터 고유정보를 읽어들일 수 있는 카메라 장치부 및 상기 카메라 장치부에서 획득한 온라인 서비스의 고유정보,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고유정보, 현재시각 및 난수 알고리즘 중 두가지 이상을 이용하여, 상기 모바일 단말기에 대한 온라인서비스의 인증과 승인에 필요한 정보를 생성하는 인증과 승인정보 생성부를 포함하고, 상기 온라인 서비스에 입력될 인증과 승인정보 생성부에서 만들어진 정보는 상기 온라인서비스 고유정보와 연결지어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고유정보를 알 수 있도록 생성되는 모바일 단말기용 보안 디바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상술한 과제 해결 수단은 단지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 발명을 제한하려는 의도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상술한 예시적인 실시예 외에도, 도면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추가적인 실시예가 존재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모바일 단말기용 보안 디바이스에서 다수의 온라인 서비스의 로그인 권한을 무제한으로 획득함에 따라, 로그인 정보의 입력 시간을 감소시키면서, 빠르게 온라인 서비스에 로그인되도록 하는 모바일 단말기용 보안 디바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모바일 단말기용 보안 디바이스에 구비된 카메라 장치부를 이용하여 로그인할 온라인 서비스를 인식하고, 온라인 서비스의 고유 정보, 모바일 단말기의 고유 정보, 현재 시각, 난수 알고리즘 등을 이용하여 온라인 서비스에 인증 요청할 암호화된 정보를 생성함으로써, 사용자 정보를 노출시키지 않고 온라인 서비스에 로그인되도록 하는 모바일 단말기의 보안 디바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모바일 단말기에 대한 온라인서비스의 인증 승인(로그인, 가입, 권한부여)을 원천적으로 차단하여 개인정보 보호와 유출로 인한 관련 피해와 사회문제를 극복할 수 있도록 하는 모바일 단말기의 보안 디바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온라인 서비스의 이용자들이 가입, 아이디, 비밀번호를 만들거나, 온라인 서비스 이용 가입을 할 필요가 없어지며, 일회성 정보로 인증 승인 절차를 거치게 되어 유출의 위험도 없으며, 외부 통신이나 입력/출력 장치가 없기 때문에, 다양한 방식의 해킹으로부터 자유로울 수 있고, 비밀번호와 아이디 만들기의 불편과 해당 정보의 기억을 위한 노력도 불필요하게 하도록 하는 모바일 단말기용 보안 디바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용 보안 디바이스의 외관의 일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안 디바이스의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그인 인증 절차를 등록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보안 디바이스에서 로그인 인증 절차를 수행하는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5a 내지 도 5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안 디바이스에서 로그인 인증 절차를 수행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적인 도면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하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부(部)'란,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unit),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 양방을 이용하여 실현되는 유닛을 포함한다. 또한, 1 개의 유닛이 2 개 이상의 하드웨어를 이용하여 실현되어도 되고, 2 개 이상의 유닛이 1 개의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어도 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단말 또는 디바이스가 수행하는 것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는 해당 단말 또는 디바이스와 연결된 서버에서 대신 수행될 수도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서버가 수행하는 것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도 해당 서버와 연결된 단말 또는 디바이스에서 수행될 수도 있다.
온라인 보안 인증 모바일 단말기용 보안 디바이스(110)는, 예를 들어, 온라인 인증 승인 절차에 사용되는 OTP (One Time Password)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모바일 단말기용 보안 디바이스(110)는 모바일 단말기(100)의 고유정보 중, 하나 이상과 매칭되고, 수정, 삭제가 불가능하며, 어떠한 형태로든 재사용이 불가능하도록 제조될 수 있다. 모바일 단말기용 보안 디바이스(110)는, 예를 들어, 스마트폰과 같은 모바일 단말기에 장착되는 케이스일 수 있다.
모바일 단말기용 보안 디바이스(110)는 키보드 등의 입력장치 대신에, 예를 들어, 카메라, 스캐너, 광학 인식 장치 등과 같은 리드 장치를 구비할 수 있다. 리드 장치는 다수의 온라인 서비스 인증 승인절차에 이용될 수 있으며, 온라인 서비스에 있어서, URL, 바코드, 큐알코드 등의 다양한 형태의 온라인서비스 고유정보를 핸드폰의 실행화면으로부터 리드할 수 있다. 모바일 단말기용 보안 디바이스(110)는 온라인서비스와 모바일 단말기 간의 1회용 승인, 인증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생성되는 인증, 승인 정보는 사람이 눈으로 확인하여, 온라인 서비스에 해당 정보를 입력하면, 온라인서비스는 입력정보와 온라인 서비스 자신의 정보를 이용하여, 승인해 줄 모바일 단말기의 고유 정보를 유추할 수 있도록 만들어진 인증, 승인 정보일 수 있다.
모바일 단말기(100)의 고유정보를 포함한 모바일 단말기용 보안 디바이스(110)와 온라인 서비스는 각각이 현재 시각과 난수 알고리즘 등을 사용하여, 서로가 인지 가능한 형태의 인증, 승인 정보를 생성하도록 사전 설계된 로직을 공유할 수 있다.
보안 디바이스(110)(예를 들어, 폰 케이스)는 본 발명의 기술 실행 전 이미 특정 핸드폰의 고유정보를 포함하고 있을 수도 있으며, 모바일 단말기(100)는 일체의 외부 통신이 불가능하고, on/off 이외의 외부입력을 받지 않는 형태로 제조될 수 있다.
모바일 단말기(100)에서 온라인 서비스의 정보를 카메라 등으로 리드하는 방식은 해당 모바일 단말기(100)의 무제한 온라인 서비스 인증, 승인을 가능하게 한다.
만약 모바일 단말기(100)의 분실, 파손, 기기변경, 번호 변경 등의 경우, 보안 디바이스(110)는 재사용이 불가능한 형태로 제조될 수 있다. 이를 통해, 하나의 온라인 서비스에 대해 다수의 서로 다른 인증이 가능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용 보안 디바이스의 외관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안 디바이스의 정면을 도시한 예시적인 도면이다. 도 1a를 참조하면, 보안 디바이스(110)는 카메라, 스캐너, 광학 인식 장치 등과 같은 리드 장치(111)를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보안 디바이스(110)는 모바일 단말기(100)에 장착되기 전, 카메라(111)를 통해 모바일 단말기(100)의 고유 정보를 인식할 수 있다. 모바일 단말기(100)의 고유 정보는 예를 들어, 핸드폰번호, 일련번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후, 보안 디바이스(110)가 모바일 단말기(100)에 장착된 후, 카메라(111)를 통해 모바일 단말기(100)의 실행된 온라인 서비스 화면을 촬영 또는 스캔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카메라(111)는 모바일 단말기(100)에서 실행된 온라인 서비스 화면으로부터 고유 정보를 읽어들일 수 있다. 카메라(111)는 온라인 서비스를 식별하기 위해 URL, 바코드 및 큐알코드 등을 촬영 또는 스캔할 수 있다.
도 1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안 디바이스(110)의 후면을 도시한 예시적인 도면이다. 도 1b를 참조하면, 보안 디바이스(110)는 디스플레이(112)를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a에서 보안 디바이스(110)가 카메라(111)를 통해 모바일 단말기(100)의 실행된 화면을 촬영 또는 스캔한 경우, 보안 디바이스(110)는 온라인 서비스의 고유 정보, 모바일 단말기(100)의 고유 정보, 현재 시각, 난수 알고리즘 중 두가지 이상을 이용하여, 모바일 단말기(100)에 대한 온라인 서비스의 인증과 승인에 필요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 때, 생성된 암호화된 정보는 디스플레이(112)를 통해 표시될 수 있다.
이후, 사용자는 보안 디바이스(110)의 디스플레이(112)를 통해 표시된 암호화된 정보를 모바일 단말기(100)의 로그인 입력창에 입력함으로써, 빠르게 온라인 서비스에 로그인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보안 디바이스(110)는 다수의 온라인 서비스에 대한 접속 권한을 획득함으로써, 손쉽고, 빠르게 온라인 서비스에 로그인할 수 있도록 하는 장점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종래에는 사용자가 온라인 서비스에 로그인하기 위해 자신의 아이디 및 비밀번호를 입력하여야 했으나, 본 발명은 암호화된 정보만을 입력함으로써, 사용자 정보가 노출되지 않도록 하는 보안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안 디바이스의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보안 디바이스(110)는 카메라 장치부(210) 및 인증과 승인 정보 생성부(22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모바일 단말기 보안 OTP 케이스가 다수의 온라인 서비스에 무제한 권한 획득을 위해 핸드폰번호, 일련번호 등 모바일 단말기(100)의 고유정보가 포함된 모바일 단말기(100)의 모바일 단말기용 보안 디바이스(110)에 온라인 서비스의 고유 정보를 인식하기 위해 모바일 단말기(100)의 실행된 화면을 스캔할 수 있는 장치와 기 포함된 단말기 고유정보, 현재 시간, 난수 알고리즘, 스캔장치에서 획득한 온라인 서비스의 고유정보들 중 일부 또는 전부를 이용하여 기 설정된 가변/비가변적으로 현재 획득한 온라인 서비스에 인증요청할 암호화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생성 정보에는 "스캔 장치에서 현재 획득한 온라인 서비스"에서, 모바일 단말기(100)의 고유정보를 인지 가능한 형태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카메라 장치부(210)는 모바일 단말기(100)에 장착되기 전, 로그인 인증 절차를 수행하기 위한 등록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카메라 장치부(210)는 보안 디바이스(110)가 모바일 단말기(100)에 장착되기 전, 모바일 단말기(100)의 화면에 출력된 모바일 단말기(100)의 고유 정보를 스캔하여 인식할 수 있다. 보안 디바이스(110)가 모바일 단말기(100)에 장착되기 전에 로그인 인증 절차를 등록하기 위해 고유 정보를 스캔하는 과정에 대해서는 도 3을 통해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안 디바이스에서 로그인 인증 절차를 등록하는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보안 디바이스(110)에서 로그인 인증 절차를 등록하는 방법은 도 1a 내지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라 시계열적으로 처리되는 단계들을 포함한다. 따라서, 이하 생략된 내용이라고 하더라도 도 1a 내지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보안 디바이스(110)에서 로그인 인증 절차를 등록하는 방법에도 적용된다.
단계 S310에서 보안 디바이스(110)는 모바일 단말기(100)의 고유 정보를 읽어들일 수 있다.
단계 S320에서 보안 디바이스(110)는 로그인 인증 절차를 수행하기 위한 등록을 완료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보안 디바이스(110)는 모바일 단말기(100)에 장착되기 전, 모바일 단말기(100)의 일련번호 등을 촬영하고, 모바일 단말기(100)의 일련번호를 읽어들여 고유 정보를 인식함으로써, 로그인 인증 절차를 수행하기 위한 등록을 완료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모바일 단말기(100)에서 로그인 인증 절차를 등록하기 위해 화면을 출력하면, 보안 디바이스(110)는 모바일 단말기(100)의 화면에 출력된 모바일 단말기(100)의 고유 정보를 읽어들이고, 모바일 단말기(100)의 고유 정보를 인식함으로써, 로그인 인증 절차를 수행하기 위한 등록을 완료할 수 있다.
단계 S330에서 보안 디바이스(110)는 보안 디바이스가 모바일 단말기(100)에 장착된 이후, 모바일 단말기(100)의 고유 정보를 인식하지 못하도록 동작할 수 있다.
상술한 설명에서, 단계 S310 내지 S330는 본 발명의 구현예에 따라서, 추가적인 단계들로 더 분할되거나, 더 적은 단계들로 조합될 수 있다. 또한, 일부 단계는 필요에 따라 생략될 수도 있고, 단계 간의 순서가 전환될 수도 있다.
다시 도 2로 돌아와서, 카메라 장치부(210)는 모바일 단말기(100)의 화면이 켜졌을 경우를 인지하여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 때, 카메라 장치부(210)는 보안 디바이스(110)가 모바일 단말기(100)에 장착된 이후, 모바일 단말기(100)의 고유 정보를 더 이상 인식하지 못하도록 동작할 수 있다.
카메라 장치부(210)는 모바일 단말기(100)에서 실행된 온라인 서비스 화면으로부터 고유 정보를 읽어들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카메라 장치부(210)는 온라인 서비스 화면으로부터 URL, 바코드 및 큐알코드 등에 기초하여 온라인 서비스의 고유 정보를 읽어들일 수 있다.
인증과 승인정보 생성부(220)는 카메라 장치부(210)에서 획득한 온라인 서비스의 고유 정보, 모바일 단말기(100)의 고유 정보, 현재 시각 및 난수 알고리즘 중 두가지 이상을 이용하여, 모바일 단말기(100)에 대한 온라인 서비스의 인증과 승인에 필요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온라인 서비스에 입력될 인증과 승인정보 생성부(220)에서 만들어진 정보는 온라인 서비스의 고유 정보와 연결지어 모바일 단말기(100)의 고유 정보를 알 수 있도록 생성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보안 디바이스(110)에서 생성된 온라인 서비스의 인증과 승인에 필요한 정보에 기초하여 온라인 서비스에 대한 모바일 단말기(100)의 로그인 인증 절차가 수행되고, 로그인 인증 절차가 완료된 모바일 단말기(100)가 온라인 서비스에 대해 접근 권한을 획득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안 디바이스에서 로그인 인증 절차를 수행하는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보안 디바이스(110)에서 로그인 인증 절차를 수행하는 방법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라 시계열적으로 처리되는 단계들을 포함한다. 따라서, 이하 생략된 내용이라고 하더라도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보안 디바이스(110)에서 로그인 인증 절차를 수행하는 방법에도 적용된다.
단계 S410에서 보안 디바이스(110)는 모바일 단말기(100)에서 실행된 온라인 서비스 화면으로부터 고유 정보를 읽어들일 수 있다.
단계 S420에서 보안 디바이스(110)는 획득한 온라인 서비스의 고유 정보, 모바일 단말기(100)의 고유 정보, 현재 시각 및 난수 알고리즘 중 두가지 이상을 이용하여, 모바일 단말기(100)에 대한 온라인 서비스의 인증과 승인에 필요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상술한 설명에서, 단계 S410 내지 S420은 본 발명의 구현예에 따라서, 추가적인 단계들로 더 분할되거나, 더 적은 단계들로 조합될 수 있다. 또한, 일부 단계는 필요에 따라 생략될 수도 있고, 단계 간의 순서가 전환될 수도 있다.
도 5a 내지 도 5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안 디바이스에서 로그인 인증 절차를 수행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적인 도면이다.
도 5a를 참조하면, 종래에는 사용자가 https ://abc.com(120)이라는 포털 사이트에 로그인하고자 하는 경우, 사용자는 아이디 입력창(500)에 자신의 아이디를 입력하고, 비밀번호 입력창(501)에 아이디에 설정된 비밀번호를 입력한 후, 로그인 버튼(502)을 입력함으로써, 포털 사이트에 로그인되었다.
그러나 본 발명은 보안 디바이스(110)의 카메라(111)가 모바일 단말기(100)에서 실행된 온라인 서비스 화면으로부터 고유 정보를 읽어들임으로써, 로그인할 온라인 서비스가 https://abc.com(120)임을 인식할 수 있게 된다.
도 5b를 참조하면, 보안 디바이스(110)는 카메라(111)를 통해 온라인 서비스의 고유 정보를 읽어들인 경우, 온라인 서비스의 고유 정보, 모바일 단말기(100)의 고유 정보, 현재 시각 및 난수 알고리즘 중 두가지 이상을 이용하여, 모바일 단말기(100)에 대한 온라인 서비스의 인증과 승인에 필요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보안 디바이스(110)는 디스플레이(112)를 통해 생성된 온라인 서비스의 인증과 승인에 필요한 정보(예를 들어, 1 2 3 4 5)를 표시할 수 있다.
도 5c를 참조하면, 모바일 단말기(100)에서 일회용 비밀번호창(510)이 표시되면, 사용자는 보안 디바이스(110)의 디스플레이(112)를 통해 표시된 온라인 서비스의 인증과 승인에 필요한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도 5d를 참조하면, 모바일 단말기(100)는 입력된 온라인 서비스의 인증과 승인에 필요한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 계정에 대한 온라인 서비스로의 로그인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5d를 통해 설명된 보안 디바이스에서 로그인 인증 절차를 수행하는 방법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또는 컴퓨터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기록 매체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도 1 내지 도 5d를 통해 설명된 보안 디바이스에서 로그인 인증 절차를 수행하는 방법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 있고,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된 휘발성 및 비휘발성,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모바일 단말기
110: 보안 디바이스
111: 카메라
112: 디스플레이
210: 카메라 장치부
220: 인증과 승인정보 생성부

Claims (1)

  1. 모바일 단말기에 대한 온라인 서비스의 인증과 승인을 함에 있어서, 모바일 단말기의 고유정보가 포함된 모바일 단말기용 보안 디바이스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단말기에서 실행된 온라인 서비스 화면으로부터 고유정보를 읽어들일 수 있는 카메라 장치부; 및
    상기 카메라 장치부에서 획득한 온라인 서비스의 고유정보,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고유정보, 현재시각 및 난수 알고리즘 중 두가지 이상을 이용하여, 상기 모바일 단말기에 대한 온라인서비스의 인증과 승인에 필요한 정보를 생성하는 인증과 승인정보 생성부를
    포함하고,
    상기 온라인 서비스에 입력될 인증과 승인정보 생성부에서 만들어진 정보는 상기 온라인서비스 고유정보와 연결지어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고유정보를 알 수 있도록 생성되는 것인, 모바일 단말기용 보안 디바이스.
KR1020190117033A 2019-09-23 2019-09-23 모바일 단말기용 보안 디바이스 KR2021003497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7033A KR20210034976A (ko) 2019-09-23 2019-09-23 모바일 단말기용 보안 디바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7033A KR20210034976A (ko) 2019-09-23 2019-09-23 모바일 단말기용 보안 디바이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34976A true KR20210034976A (ko) 2021-03-31

Family

ID=752378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17033A KR20210034976A (ko) 2019-09-23 2019-09-23 모바일 단말기용 보안 디바이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34976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55030A (ko) * 2021-04-26 2021-05-14 방용정 온라인서비스의 인증과 승인에 사용되는 보안 otp
KR20210055642A (ko) * 2021-04-27 2021-05-17 방용정 온라인 서비스 서버의 otp pw 인증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55030A (ko) * 2021-04-26 2021-05-14 방용정 온라인서비스의 인증과 승인에 사용되는 보안 otp
KR20210055642A (ko) * 2021-04-27 2021-05-17 방용정 온라인 서비스 서버의 otp pw 인증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99118B1 (en) Authenticating a person for a third party without requiring input of a password by the person
US10742634B1 (en) Methods for single sign-on (SSO) using optical codes
CN113474774A (zh) 用于认可新验证器的系统和方法
KR102196365B1 (ko) 모바일 단말기용 개인정보 보안 디바이스
US20130185210A1 (en) Method and System for Making Digital Payments
US20170085561A1 (en) Key storage device and method for using same
US11563740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blocking malware attacks
US9756028B2 (en) Methods, system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s for secure access to information
Vapen et al. 2-clickauth optical challenge-response authentication
US11496462B2 (en) Secure multifactor authentication with push authentication
KR102341018B1 (ko) 범용 온라인 서비스의 보안 인증, 승인, 및 로그인을 위한 오티피 디바이스
KR20200115387A (ko) 온라인 서비스 서버에서 사용자 모바일 단말기에 대한 인증과 승인을 하는 방법
KR20210034976A (ko) 모바일 단말기용 보안 디바이스
US11921840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password managers
US20180241745A1 (en) Method and system for validating website login and online information processing
US11729165B2 (en) Device authorization systems
KR101603988B1 (ko) 상황인식 서비스 시스템
KR102532445B1 (ko) 온라인 서비스 서버의 otp pw 인증 시스템
KR102029309B1 (ko) 인증 요청 기능이 구비된 정보 입력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인증 요청 방법
KR101595099B1 (ko) 보안코드 서비스 제공 방법
KR102532431B1 (ko) 발급정보를 포함하는 온라인 서비스 서버의 otp pw 인증 시스템
KR101594315B1 (ko) 제3자 인증을 이용한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서버
KR102168098B1 (ko) 디지털인감을 이용한 안전한 비밀번호 인증 프로토콜
Al-Sinani Integrating OAuth with information card systems
CN112069231B (zh) 用户信息处理方法及装置、存储介质、电子设备