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34338A - 결제 처리를 위한 장치, 시스템 및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결제 처리를 위한 장치, 시스템 및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34338A
KR20210034338A KR1020190116170A KR20190116170A KR20210034338A KR 20210034338 A KR20210034338 A KR 20210034338A KR 1020190116170 A KR1020190116170 A KR 1020190116170A KR 20190116170 A KR20190116170 A KR 20190116170A KR 20210034338 A KR20210034338 A KR 202100343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yment
payment processing
server
image code
request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161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71162B1 (ko
Inventor
김기수
김보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Priority to KR10201901161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71162B1/ko
Publication of KR202100343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34338A/ko
Priority to KR1020220157460A priority patent/KR202201633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711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711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2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wireless devices
    • G06Q20/327Short range or proximity payments by means of M-devices
    • G06Q20/3276Short range or proximity payments by means of M-devices using a pictured code, e.g. barcode or QR-code, being read by the M-devi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2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involving a neutral party, e.g. certification authority, notary or trusted third party [TTP]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16Payments settled via telecommunication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2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wireless devices
    • G06Q20/325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wireless devices using wireless network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2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wireless devices
    • G06Q20/327Short range or proximity payments by means of M-devices
    • G06Q20/3274Short range or proximity payments by means of M-devices using a pictured code, e.g. barcode or QR-code, being displayed on the M-devi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40Authorisation, e.g. identification of payer or payee, verification of customer or shop credentials; Review and approval of payers, e.g. check credit lines or negative lists
    • G06Q20/401Transaction verifi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40Authorisation, e.g. identification of payer or payee, verification of customer or shop credentials; Review and approval of payers, e.g. check credit lines or negative lists
    • G06Q20/401Transaction verification
    • G06Q20/4012Verifying personal identification numbers [PI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42Confirmation, e.g. check or permission by the legal debtor of payment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Fina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결제 처리를 위한 장치, 시스템 및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결제 처리 시스템의 제어방법은, 고객 단말기가 결제 인증 정보를 포함하는 결제용 이미지 코드 요청 신호를 생성하여 결제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결제 서버가 상기 결제 인증 정보를 이용하여 인증 처리를 수행한 후, 인증에 성공한 경우 특정 결제 방식 정보를 포함하는 이미지 코드를 생성하여 상기 고객 단말기에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고객 단말기가 상기 결제 서버로부터 수신된 이미지 코드를 표시하는 단계와; 가맹점 단말기가 상기 고객 단말기에 표시된 이미지 코드를 인식한 후, 해당 이미지 코드에 포함된 결제 방식 정보를 추출하고, 해당 결제 방식 정보를 이용하여 결제 방식을 선정하고, 그 선정된 결제 방식에 결제 처리가 이루어지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결제 처리를 위한 장치, 시스템 및 제어 방법{APPARATUS, SYSTEM, AND CONTROL METHOD FOR PAYMENT PROCESSING}
본 발명은 결제 처리를 위한 장치, 시스템 및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소정의 이미지 코드에 기초하여 결제 처리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장치, 시스템 및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다양한 결제 방식이 제공되고 있는데, 그 중 대표적인 것이 바코드를 활용한 휴대폰 소액결제이다.
바코드를 활용한 휴대폰 소액결제의 처리 과정을 살펴보면, 사용자가 조작하는 휴대폰이 결제 서버에 접속하여 인증 처리를 과정을 거친 후 임의의 랜덤 정보를 포함하는 바코드를 수신하여 표시하면, 사용자가 이를 물품 또는 서비스 제공업체 직원(일 예로 편의점 점원)에 제시하면서 소액 결제로 해 줄 것을 요청하고, 이에 직원은 POS(Point Of Sales) 단말기상의 메뉴 조작을 통해 소액 결제 화면이 표시되도록 하고, 이 상태에서 스캐너로 해당 바코드를 스캔하여 바코드 정보가 소액 결제 화면에 표시되도록 함과 아울러 물품 또는 서비스 제공 가격을 입력한 후 확인 버튼을 누르면 POS 단말기는 해당 입력된 정보를 포함하는 결제 처리 요청 신호를 소액 결제 처리 서버(일 예로 소액 결제 PG사 서버)에 전송하고, 이 후 소액 결제 처리 서버는 수신한 정보를 포함하는 결제 처리 요청 신호를 결제 서버에 전송하여 검증을 거쳐 결제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방식에서는 상품 구매 또는 서비스 이용자(즉, 사용자)는 예를 들어 가맹점 직원(즉, 상술한 상품 또는 서비스 제공 업체 직원)에게 휴대폰에 표시되는 바코드를 제시하면서 자신이 어떤 결제 수단으로 결제할 것인지를 구두로 알리고, 이에 가맹점 직원은 POS 단말기에서 사용자가 말한 결제 방식을 메뉴 조작을 통해 선택하는 결제 수단 선택 과정이 필요했다.
또한 종래에는 소액 결제 처리 서버(즉, 소액 결제 PG사 서버)에서 소액 결제와 관련된 부정사용 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수단이 전혀 없어서, 소액 결제와 관련된 분쟁이 끊임없이 발생하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들은 소액 결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결제 방식에 있어서도 마찬가지로 발생될 수 있는 것들이다.
등록특허 제10-1548933호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결제 처리를 진행함에 있어서 상품 또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업체 직원 등의 번거로움을 최소화하고, 신속한 결제가 이루어지도록 함과 아울러, 결제와 관련된 부정사용을 걸러낼 수 있도록 하는 결제 처리를 위한 장치, 시스템 및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결제 처리 시스템은, 결제 인증 정보를 포함하는 결제용 이미지 코드 요청 신호를 생성하여 결제 서버에 전송하고, 상기 결제 서버로부터 특정 결제 방식 정보가 포함된 이미지 코드가 수신되면 해당 이미지 코드를 표시하는 고객 단말기와; 상기 고객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결제용 이미지 코드 요청 신호에서 결제 인증 정보를 추출하여 인증 처리를 수행한 후, 인증에 성공한 경우 특정 결제 방식 정보를 포함하는 이미지 코드를 생성하여 상기 고객 단말기에 전송하는 결제 서버와; 상기 고객 단말기에 표시된 이미지 코드를 인식한 후, 해당 이미지 코드에 포함된 결제 방식 정보를 추출하고, 해당 결제 방식 정보를 이용하여 결제 방식을 선정하고, 그 선정된 결제 방식에 결제 처리가 이루어지도록 제어하는 가맹점 단말기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결제 처리 시스템의 제어방법은, 고객 단말기가 결제 인증 정보를 포함하는 결제용 이미지 코드 요청 신호를 생성하여 결제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결제 서버가 상기 결제 인증 정보를 이용하여 인증 처리를 수행한 후, 인증에 성공한 경우 특정 결제 방식 정보를 포함하는 이미지 코드를 생성하여 상기 고객 단말기에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고객 단말기가 상기 결제 서버로부터 수신된 이미지 코드를 표시하는 단계와; 가맹점 단말기가 상기 고객 단말기에 표시된 이미지 코드를 인식한 후, 해당 이미지 코드에 포함된 결제 방식 정보를 추출하고, 해당 결제 방식 정보를 이용하여 결제 방식을 선정하고, 그 선정된 결제 방식에 결제 처리가 이루어지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가맹점 단말기는, 고객 단말기에 표시된 이미지 코드를 인식하는 이미지 코드 인식부와; 상기 이미지 코드에 포함된 결제 방식 정보를 추출하는 정보 추출부와; 상기 결제 방식 정보를 이용하여 결제 방식을 선정하는 결제 방식 선정부와; 상기 결제 방식 선정부에서 선정된 결제 방식에 따른 결제 처리가 이루어지도록 제어하는 결제 처리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가맹점 단말기의 제어방법은, 고객 단말기에 표시된 이미지 코드를 인식하는 단계와; 상기 이미지 코드에 포함된 결제 방식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와; 상기 결제 방식 정보를 이용하여 결제 방식을 선정하는 단계와; 상기 단계에서 선정된 결제 방식에 따른 결제 처리가 이루어지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바코드 등을 이용하여 결제 처리를 진행함에 있어서 상품 또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업체 직원이 결제 방식을 고객으로부터 듣고 결제 방식에 따른 메뉴를 선택 조작하는 번거로움을 제거함으로써, 사용자 편의성 증대는 물론이고 신속한 결제 처리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바코드에 개인 식별 정보를 포함시킨 후, 결제 처리 중계 서버에서 이러한 개인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그 이전의 결제 패턴과 비교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결제와 관련된 부정사용을 걸러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결제 처리 시스템의 전체적인 개략 구성도이고,
도 2는 도 1의 가맹점 단말기의 기능 블록도이고,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결제 처리 시스템의 제어흐름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각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하나의 예에 불과하고, 본 발명이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특히 본 발명은 각 실시예에 포함되는 개별 구성, 개별 기능, 또는 개별 단계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특히, 편의상 청구 범위의 일부 청구항에는 '(a)'와 같은 알파벳을 포함시켰으나, 이러한 알파벳이 각 단계의 순서를 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각 실시예에서 언급하는 각 신호는 한 번의 연결 등에 의해 전송되는 하나의 신호를 의미할 수도 있지만, 후술하는 특정 기능 수행을 목적으로 전송되는 일련의 신호 그룹을 의미할 수도 있다. 즉, 각 실시예에서는 소정의 시간 간격을 두고 전송되거나 상대 장치로부터의 응답 신호를 수신한 이후에 전송되는 복수 개의 신호들이 편의상 하나의 신호명으로 표현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결제 처리 시스템의 개략 구성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다.
동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체 결제 처리 시스템은, 고객 단말기(100), 가맹점 단말기(200), 결제 처리 중계 서버(300), 결제 서버(4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고객 단말기(100)는 상품 또는 서비스를 구매한 자가 조작하는 것으로서, 예를 들어 스마트폰, 피처폰 등과 같은 필요시 무선통신을 할 수 있는 이동 통신 단말기일 수 있다.
특히 고객 단말기(100)는 결제 서버(400)와 통신하여 결제를 위해 이용되는 소정의 이미지 코드를 수신할 수 있는데, 여기서 이미지 코드는 예를 들어 바코드, 또는 QR 코드와 같은 다차원 이미지 코드에 해당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고객 단말기(100)는 결제 인증 정보를 포함하는 결제용 이미지 코드 요청 신호를 생성하여 결제 서버(400)에 전송하고, 그 결제 서버(400)로부터 특정 결제 방식 정보가 포함된 이미지 코드가 수신되면 해당 이미지 코드를 표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결제 인증 정보는 고객 단말기(100) 그 자체 또는 고객 단말기(100) 사용자(즉, 고객)에 대한 인증을 할 수 있도록 하는 정보로써, 예를 들어 로그인 패스워드 등에 해당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고객이 고객 단말기(100)에 패스워드를 입력하면 고객 단말기(100)는 그 입력된 패스워드를 포함하는 결제 용 이미지 코드 요청 신호를 생성하여 결제 서버(400)에 전송할 수 있다.
또는 고객 단말기(100)는 결제 서버(400)에 접속한 이후 고객에 의해 입력되는 패스워드를 전송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결제 서버(400)는 고객 단말기(100) 및 결제 처리 중계 서버(300)와 통신하여 실제로 결제를 수행하는 것으로서, 예를 들어 소액 결제 서버(400)에 해당할 수도 있다.
여기서 소액 결제 서버(400)는 예를 들어 휴대폰을 가진 고객으로 하여금 휴대폰 요금에 결제 금액이 포함되도록 처리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고객 단말기(100)는 결제 서버(400)에 결제용 이미지 코드 요청 신호를 전송할 수 있는데, 결제 서버(400)는 수신된 결제용 이미지 코드 요청 신호에서 결제 인증 정보를 추출하여 인증 처리를 수행한 후, 인증에 성공한 경우 특정 결제 방식 정보를 포함하는 이미지 코드를 생성하여 고객 단말기(100)에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인증 처리는 결제 인증 정보가 예를 들어 일종의 패스워드인 경우 해당 고객 단말기(100)에 대응하여 기 저장된 패스워드와 결제용 이미지 코드 요청 신호로부터 추출한 패스워드를 비교하여 일치 여부를 판단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술한 특정 결제 방식 정보는 고객과 가맹점(즉, 상품 또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가게 또는 업체)간의 결제 방식에 대응되는 것으로서, 본 실시예에서는 '소액 결제 방식'을 의미하는 것이라 가정한다.
이러한 특정 결제 방식 정보는 결제 서버(400)에 미리 설정된 것일 수도 있고, 또는 고객 단말기(100) 또는 고객 단말기(100)의 사용자와 관련하여 미리 매칭된 것일 수도 있으며, 더 나아가 고객 단말기(100)로부터의 요청에 따라 동적으로 정해진 것일 수도 있다.
특히, 결제 서버(400)는 결제 인증 정보를 이용하여 인증 처리를 수행한 결과 인증에 성공한 경우, 고객 단말기(100)에 대응되는 개인 식별 정보를 추출한 후, 그 추출한 개인 식별 정보와 특정 결제 방식 정보를 포함하는 이미지 코드를 생성할 수도 있다.
여기서 개인 식별 정보는 고객 단말기(100)의 전화번호와 같이 고객 단말기(100) 또는 그 사용자를 특정하기 위한 정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고객 단말기(100)는 각종 요청 신호를 전송할 때 자신의 고유 장치 정보 또는 이동통신사 가입자 정보 등을 포함시킬 수 있는데, 결제 서버(400)는 이러한 고유 장치 정보 또는 이동통신사 가입자 정보에 매칭된 개인 식별 정보를 기 구비된 데이터베이스(미 도시함) 또는 고객 정보 서버(미 도시함)로부터 획득하여 이미지 코드에 그 정보의 내용을 포함시키는 것이다.
바코드 또는 QR 코드와 같은 이미지 코드에 소정의 정보를 포함시키는 것 그 자체는 공지된 기술에 해당하므로 보다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더 나아가 결제 서버(400)는 기 설정된 알고리즘에 따른 가변코드를 추가로 추출하여 그에 대응되는 정보를 이미지 코드에 포함시킬 수도 있고, 이때 가변코드 값은 고객 단말기(100) 또는 해당 고객 단말기(100)의 사용자에 매칭시켜 임시로 저장할 수도 있다.
가변코드를 생성함에 있어서 결제 서버(400)는 랜덤방식으로 숫자를 생성할 수도 있고, 또는 특정 고객 단말기(100)로부터 수신된 결제용 이미지 코드 요청 신호의 횟수에 해당되는 숫자를 생성할 수도 있다.
상술한 개인 식별 정보와 가변코드는 유출을 방지하기 위해 기 구비되거나 또는 소정의 키 관리 서버(미 도시함)으로부터 획득한 암호화 키를 이용하여 암호화 처리된 후에 사용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예를 들어, 결제 서버(400)는 개인 식별 정보와 가변코드에 대해서는 암호화 처리된 값을 이미지 코드에 포함시키고, 결제 방식 정보에 대해서는 평문 상태의 값을 이미지 코드에 포함시킬 수 있다.
한편, 가맹점 단말기(200)는 고객이 상품 또는 서비스를 구매한 가게 또는 업체에 구비된 것으로서, 상술한 바와 같이 고객이 이미지 코드가 표시된 고객 단말기(100)를 제시하면, 이를 인식하여 결제 처리가 이루어지도록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가맹점 단말기(200)는 고객 단말기(100)에 표시된 이미지 코드를 인식한 후, 해당 이미지 코드에 포함된 결제 방식 정보를 추출하고, 해당 결제 방식 정보를 이용하여 결제 방식을 선정하며, 그 선정된 결제 방식에 결제 처리가 이루어지도록 제어하는 것이다.
이러한 가맹점 단말기(200)의 구체적인 기능 블록의 일 예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다.
동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맹점 단말기(200)는 이미지 코드 인식부(210), 정보 추출부(220), 결제 방식 선정부(230), 결제 처리 제어부(240), 저장부(250), 디스플레이부(26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우선 저장부(250)는 가맹점 단말기(200)의 동작에 필요한 애플리케이션 또는 데이터, 설정 정보 등이 저장되는 것으로서, 가맹점 단말기(200)의 동작 중 새로 발생하거나 외부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 또는 설정 정보 역시 저장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60)는 가맹점 단말기(200)의 동작에 필요한 텍스트, 이미지 등이 표시되는 것으로서, 특히 가맹점 직원이 결제를 위해 이용하는 각 결제 방식별 메뉴가 표시될 수 있다.
이미지 코드 인식부(210)는 고객 단말기(100)에 표시된 이미지 코드를 인식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이미지 코드 인식부(210)는 광 스캐너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고객 단말기(100)에 표시되는 이미지 코드를 스캔할 수 있다.
정보 추출부(220)는 이미지 코드에 포함된 결제 방식 정보를 추출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이미지 코드 인식부(210)에 의해 인식된 결과에서 결제 방식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미지 코드에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결제 방식 정보, 개인 식별 정보, 및 가변코드가 포함되어 있을 수 있는데, 정보 추출부(220)는 이러한 정보들을 서로 구별하여 추출할 수 있는 것이다.
결제 방식 선정부(230)는 정보 추출부(220)에 의해 추출된 결제 방식 정보를 이용하여 결제 방식을 선정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결제 방식 선정부(230)는 결제 방식 정보에 기초하여 현재 수행해야 할 결제 처리 방식이 '소액 결제'라고 선정할 수 있는 것이다.
결제 처리 제어부(240)는 결제 방식 선정부(230)에서 선정된 결제 방식에 따른 결제 처리가 이루어지도록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결제 방식이 '소액 결제'인 경우 결제 처리 제어부(240)는 소액 결제를 위한 각종 처리를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결제 처리 제어부(240)는 결제 방식 선정부(230)에서 선정된 결제 방식에 따른 입력 화면을 표시하고, 해당 입력 화면에서의 조작에 따라 결제 처리가 이루어지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가맹점 단말기(200)는 '카드 결제', '현금 결제', '소액 결제' 등 다양한 방식의 결제를 처리할 수 있고, 그 각각의 결제 방식에 따라 디스플레이부(260)에 표시되는 항목 선택 등의 화면이 달라질 수 있는데, 결제 처리 제어부(240)는 결제 방식 선정부(230)에서 선정된 결제 방식에 따른 입력 화면이 디스플레이부(260)에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는 것이다.
일 예로 결제 방식 선정부(230)에서 선정한 결제 방식이 '소액 결제'인 경우, 결제 처리 제어부(240)는 '소액 결제'를 위한 입력 화면(일종의 메뉴 화면)이 디스플레이부(260)에 표시되도록 할 수 있는데, 이에 따라 가맹점 직원은 별도의 메뉴 조작/선택 과정 없이 즉시 '소액 결제'용 화면을 확인할 수 있고, 이러한 소액 결제용 화면에서 필요한 정보(예를 들어 상품 가격 등)를 입력할 수 있게 된다.
다른 예로써, 결제 처리 제어부(240)는 결제 방식 선정부(230)에서 선정된 결제 방식에 따른 결제 처리 서버를 선택하고, 해당 결제 처리 서버에 결제 처리 요청 신호를 전송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각 결제 방식에 따른 결제 처리 서버가 구분되어 있는 경우, 결제 처리 제어부(240)는 결제 방식 선정부(230)에서 선정된 결제 방식이 '소액 결제'인 경우, '소액 결제'를 담당하는 결제 처리 서버에 결제 처리 요청 신호를 전송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결제 처리 서버는 결제 처리를 수행하는데 필요한 서버를 통칭한 것으로서, 도 1을 참조하면 결제 처리 중계 서버(300) 또는 결제 서버(400)에 해당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가맹점 단말기(200)가 결제 처리 중계 서버(300)와 통신하는 것을 일 예로 하고 있으므로, 결제 처리 제어부(240)는 결제 처리 요청 신호를 결제 처리 중계 서버(300)에 전송하는데, 이때 결제 처리 요청 신호에는 이미지 코드로부터 추출한 개인 식별 정보와 가변코드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포함될 수 있다.
한편, 결제 처리 중계 서버(300)는 가맹점 단말기(200) 및 결제 서버(400) 간의 통신 경로 상에 위치하여 결제를 위한 일종의 중계 처리를 수행하는 것으로서, 예를 들어 밴사에서 운영하는 서버 또는 소액 결제 PG사 서버에 해당할 수 있다.
즉, 결제 처리 중계 서버(300)는 여러 종류의 결제 서버(400)와 통신하여 결제가 이루어지도록 중계 처리를 수행하는데, 예를 들어 카드 결제를 위해 카드사 서버와 통신하고, 계좌 이체를 위해 은행 서버와 통신하며, 소액 결제를 위해 통신사 소액 결제 서버(400)와 통신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결제 처리 요청 신호에 개인 식별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결제 처리 중계 서버(300)는 그 결제 처리 요청 신호로부터 추출한 개인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부정사용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결제 처리 중계 서버(300)는 매 결제 처리 요청 신호가 수신할 때마다 해당 결제 처리 요청 신호에 포함된 개인 식별 정보와 결제 관련 정보를 매핑 저장하여 결제 히스토리를 관리하고, 추후 결제 처리 요청 신호가 수신된 경우 그 결제 요청 형태가 기 저장된 결제 히스토리를 참조한 사용 패턴과 다른 경우 부정사용으로 판단하여 에러 메시지 또는 경고 메시지를 가맹점 단말기(200) 또는 결제 서버(400)에 전송할 수 있고, 개인 식별 정보가 고객 단말기(100)의 전화번호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고객 단말기(100)에 상술한 에러 메시지 또는 경고 메시지를 전송할 수도 있다.
일 예로 결제 히스토리에 새벽 시간대의 결제 내역이 전혀 존재하지 않음에도, 새벽 시간대에 해당 개인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결제 처리 요청 신호가 수신된 경우 결제 처리 중계 서버(300)는 부정사용으로 판단할 수 있는 것이다.
판단 결과 부정사용이 아닌 경우, 결제 처리 중계 서버(300)는 결제 서버(400)에 결제 처리 요청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이때 가맹점 단말기(200)로부터 수신된 결제 처리 요청 신호에 가변코드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결제 처리 중계 서버(300)는 해당 가변코드를 포함하는 결제 처리 요청 신호를 결제 서버(400)에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개인 식별 정보와 가변코드가 암호화되어 있는 경우 결제 처리 중계 서버(300)는 이들을 복호화하여 처리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결제 처리 중계 서버(300)에는 결제 서버(400)의 암호화키에 대응되는 복호화키가 미리 구비되거나 동적으로 결제 서버(400) 또는 소정의 키 관리 서버(미 도시함)와 통신하여 획득할 수 있다.
결제 서버(400)는 실제 결제 처리를 수행하는 주체에 해당하는 것으로서, 예를 들어 카드사 서버, 은행 서버, 소액 결제 서버(400) 등에 해당할 수 있다.
결제 서버(400)는 결제 처리 중계 서버(300)의 결제 처리 요청 신호에 따라 결제 처리를 수행하는데, 이때 수신된 결제 처리 요청 신호에 가변코드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이를 추출하여 기 저장된 가변코드(즉, 이미지 코드를 생성하는 시점에 저장하였던 가변코드)와 비교하고, 기 설정된 유효시간 이내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방식으로 인증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3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결제 처리 시스템의 전체적인 제어흐름을 설명한다.
우선, 도 3에는 고객 단말기(100)와 결제 서버(400)간의 통신을 통해 고객 단말기(100)가 소액 결제를 위한 바코드를 수신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고객 단말기(100)는 사용자에 의해 결제 비밀번호가 입력되면(단계 S1), 그 결제 비밀번호를 포함하는 소액 결제용 바코드 요청 신호를 결제 서버(400)에 전송한다(단계 S3).
결제 서버(400)는 소액 결제용 바코드 요청 신호에 포함된 결제 비밀번호를 기 등록되어있는 고객 단말기(100) 또는 고객 단말기(100) 사용자의 결제 비밀번호와 비교하여 일치 여부를 확인한다(단계 S5).
결제 서버(400)는 확인 결과 일치하지 않는다면(단계 S7) 고객 단말기(100)에 에러 메시지를 전송하여(단계 S9) 에러 메시지가 고객 단말기(100)에 표시되도록 하고(단계 S11), 확인 결과 일치한다면(단계 S7), 기 설정된 결제 방식 정보를 확인하고(단계 S13), 고객 단말기(100) 또는 고객 단말기(100) 사용자에 매핑되어 저장되어 있던 개인 식별 정보를 추출하며(단계 S15), 가변 코드를 생성하여 해당 가변 코드에 대한 결제 유효 시간을 저장한다(단계 S17).
이어서 결제 서버(400)는 확인된 결제 방식 정보, 추출된 개인 식별 정보, 생성된 가변 코드를 모두 포함하는 소액 결제용 바코드를 생성하여(단계 S19) 고객 단말기(100)에 전송한다(단계 S21).
다음으로, 도 4를 참조하여 고객 단말기(100)에 수신된 소액 결제용 바코드를 기초로 실제 결제 처리가 수행되는 과정을 설명한다.
고객 단말기(100)는 결제 서버(400)로부터 수신된 소액 결제용 바코드를 표시하고(단계 S31), 이에 가맹점 단말기(200)는 기 구비된 스캐너 등을 이용하여 고객 단말기(100)에 표시된 소액 결제용 바코드를 인식한 후(단계 S33), 결제 방식 정보를 추출하고(단계 S35), 그 추출한 결제 방식 정보에 따라 결제 방식을 선정한다(단계 S37).
본 실시예에서는 소액 결제용 바코드를 일 예로 하고 있으므로, 가맹점 단말기(200)는 '소액 결제'를 결제 방식으로 선정한다.
이어서 가맹점 단말기(200)는 선정된 소액 결제 방식에 대응되는 입력 화면을 표시하고(단계 S39), 가맹점 점원이 필요한 정보(일 예로 상품 판매 가격 등)를 입력하면(단계 S41) 스캐너를 이용하여 인식된 정보들과 점원에 의해 입력된 정보들을 포함하는 소액 결제 요청 신호를 결제 처리 중계 서버(300)에 전송한다(단계 S43).
결제 처리 중계 서버(300)는 가맹점 단말기(200)로부터 수신되는 소액 결제 요청 신호에서 개인 식별 정보를 추출한 후(단계 S45), 그 추출된 개인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부정사용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47).
판단 결과 부정사용에 해당하는 경우(단계 S49) 결제 처리 중계 서버(300)는 에러 메시지를 가맹점 단말기(200)에 전송하여(단계 S51) 결제 진행 중단이 이루어지도록 하고(단계 S53), 만일 부정사용에 해당하지 않는 경우(단계 S49) 결제 처리 중계 서버(300)는 소액 결제 요청 신호를 결제 서버(400)에 전송한다(단계 S55).
결제 서버(400)는 결제 처리 중계 서버(300)로부터 수신된 소액 결제 요청 신호에서 가변코드를 추출한 후 검증을 수행하는데(단계 S57), 예를 들어 유효기간이 도과하였는지 여부에 따라 검증 통과 여부가 결정될 수 있다.
검증에 통과한 경우(단계 S59), 결제 서버(400)는 소액 결제 처리를 수행하는데(단계 S61), 예를 들어 결제 처리 중계 서버(300)로부터 수신된 소액 결제 요청 신호에서 상품 판매 가격을 추출한 후, 해당 고객 단말기(100)의 통신 요금에 추가되도록 처리할 수 있다.
이어서 결제 서버(400)는 승인 메시지를 결제 처리 중계 서버(300)를 경유하여 가맹점 단말기(200)에 전송함(단계 S63, S65)과 아울러 고객 단말기(100)에도 전송한다(단계 S69).
이에 따라 고객 단말기(100) 및 가맹점 단말기(200)에 결제 승인 메시지가 표시될 수 있다(단계 S67, S71).
한편, 상술한 각 실시예를 수행하는 과정은 소정의 기록 매체(예를 들어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에 저장된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여기서 기록 매체는 RAM(Random Access Memory)과 같은 전자적 기록 매체, 하드 디스크와 같은 자기적 기록 매체, CD(Compact Disk)와 같은 광학적 기록 매체 등을 모두 포함한다.
이때, 기록 매체에 저장된 프로그램은 컴퓨터나 스마트폰 등과 같은 하드웨어 상에서 실행되어 상술한 각 실시예를 수행할 수 있다. 특히,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가맹점 단말기의 기능 블록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이러한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한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 및 수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되는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면 본 발명에 포함된다는 것은 자명할 것이다.
100 : 고객 단말기 200 : 가맹점 단말기
300 : 결제 처리 중계 서버 400 : 결제 서버
210 : 이미지 코드 인식부 220 : 정보 추출부
230 : 결제 방식 선정부 240 : 결제 처리 제어부
250 : 저장부 260 : 디스플레이부

Claims (26)

  1. (a) 고객 단말기가 결제용 이미지 코드 요청 신호를 생성하여 결제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와;
    (b) 상기 결제 서버가 특정 결제 방식 정보를 포함하는 이미지 코드를 생성하여 상기 고객 단말기에 전송하는 단계와;
    (c) 상기 고객 단말기가 상기 결제 서버로부터 수신된 이미지 코드를 표시하는 단계와;
    (d) 가맹점 단말기가 상기 고객 단말기에 표시된 이미지 코드를 인식한 후, 해당 이미지 코드에 포함된 결제 방식 정보를 추출하고, 해당 결제 방식 정보를 이용하여 결제 방식을 선정하고, 그 선정된 결제 방식에 결제 처리가 이루어지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제 처리 시스템의 제어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에서, 상기 고객 단말기가 상기 결제 서버에 전송하는 상기 결제용 이미지 코드 요청 신호는 결제 인증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b) 단계에서, 상기 결제 서버는 상기 결제 인증 정보를 이용하여 인증 처리를 수행한 후, 인증에 성공한 경우 상기 특정 결제 방식 정보를 포함하는 이미지 코드를 생성하는 결제 처리 시스템의 제어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에서, 상기 결제 서버는 상기 결제 인증 정보를 이용하여 인증 처리를 수행한 후, 인증에 성공한 경우 상기 고객 단말기에 대응되는 개인 식별 정보를 추출한 후, 그 추출한 개인 식별 정보와 특정 결제 방식 정보를 포함하는 이미지 코드를 생성하여 상기 고객 단말기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제 처리 시스템의 제어방법.
  4.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결제 처리 중계 서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d) 단계에서 상기 가맹점 단말기는 상기 선정된 결제 방식에 따른 결제 처리 중계 서버를 선택하고, 해당 결제 처리 중계 서버에 결제 처리 요청 신호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제 처리 시스템의 제어방법.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에서 상기 가맹점 단말기는 상기 이미지 코드에 포함된 개인 식별 정보를 추출한 후, 해당 개인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결제 처리 요청 신호를 생성하여 결제 처리 중계 서버에 전송하고,
    (e) 상기 결제 처리 중계 서버가 상기 결제 처리 요청 신호에 포함된 개인 식별 정보를 추출한 후, 그 추출한 개인 식별 정보에 대응하여 기 저장된 기존 사용 패턴을 기초로 부정사용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 부정사용이 아닌 경우 결제 진행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제 처리 시스템의 제어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e) 단계에서 상기 결제 처리 중계 서버는 판단 결과 부정사용이 아닌 경우 상기 결제 서버에 결제 처리 요청 신호를 전송하고,
    (f) 상기 결제 서버가 상기 결제 처리 중계 서버의 결제 처리 요청 신호에 따라 결제 처리를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제 처리 시스템의 제어방법.
  7. 제2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에서 상기 결제 서버는 인증에 성공한 경우 상기 고객 단말기에 대응되는 개인 식별 정보와 기 설정된 알고리즘에 따른 가변코드를 추출 및 저장한 후, 그 추출한 개인 식별 정보 및 가변코드와 특정 결제 방식 정보를 포함하는 이미지 코드를 생성하여 상기 고객 단말기에 전송하고,
    상기 (d) 단계에서 상기 가맹점 단말기는 상기 이미지 코드에 포함된 개인 식별 정보 및 가변코드를 추출한 후, 해당 개인 식별 정보 및 가변코드를 포함하는 결제 처리 요청 신호를 생성하여 결제 처리 중계 서버에 전송하고,
    상기 결제 처리 중계 서버는 상기 가변코드를 포함하는 결제 처리 요청 신호를 상기 결제 서버에 전송하고,
    상기 결제 서버는 상기 결제 처리 중계 서버의 결제 처리 요청 신호에 포함된 가변코드와 기 저장된 가변코드를 비교하여 인증처리를 수행한 후 결제 처리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제 처리 시스템의 제어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에서 상기 결제 서버는 상기 가변코드를 기 설정된 유효시간에 매칭시켜 저장하고,
    상기 결제 처리 중계 서버의 결제 처리 요청 신호에 포함된 가변코드와 기 저장된 가변코드를 비교하여 인증처리를 수행할 때 상기 결제 서버는 기 매칭된 유효시간을 고려하여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제 처리 시스템의 제어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에서 상기 결제 서버는 상기 개인 식별 정보와 상기 가변코드를 각각 암호화한 후 상기 이미지 코드에 포함시키고,
    상기 결제 처리 중계 서버는 상기 가맹점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결제 처리 요청 신호에서 개인 식별 정보 및 가변 코드를 추출한 후, 복호화하여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제 처리 시스템의 제어방법.
  10. (a) 고객 단말기에 표시된 이미지 코드를 인식하는 단계와;
    (b) 상기 이미지 코드에 포함된 결제 방식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와;
    (c) 상기 결제 방식 정보를 이용하여 결제 방식을 선정하는 단계와;
    (d) 상기 (c) 단계에서 선정된 결제 방식에 따른 결제 처리가 이루어지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맹점 단말기의 제어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에서는, 상기 (c) 단계에서 선정된 결제 방식에 따른 입력 화면을 표시하고, 해당 입력 화면에서의 조작에 따라 결제 처리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맹점 단말기의 제어방법.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에서는, 상기 (c) 단계에서 선정된 결제 방식에 따른 결제 처리 서버를 선택하고, 해당 결제 처리 서버에 결제 처리 요청 신호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맹점 단말기의 제어방법.
  13. 제1항 내지 제3항, 제5항 내지 제6항, 제10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
  14. 하드웨어와 결합되어 제1항 내지 제3항, 제5항 내지 제6항, 제10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
  15. 결제용 이미지 코드 요청 신호를 생성하여 결제 서버에 전송하고, 상기 결제 서버로부터 특정 결제 방식 정보가 포함된 이미지 코드가 수신되면 해당 이미지 코드를 표시하는 고객 단말기와;
    상기 고객 단말기로부터 결제용 이미지 코드 요청 신호를 수신한 경우 특정 결제 방식 정보를 포함하는 이미지 코드를 생성하여 상기 고객 단말기에 전송하는 결제 서버와;
    상기 고객 단말기에 표시된 이미지 코드를 인식한 후, 해당 이미지 코드에 포함된 결제 방식 정보를 추출하고, 해당 결제 방식 정보를 이용하여 결제 방식을 선정하고, 그 선정된 결제 방식에 결제 처리가 이루어지도록 제어하는 가맹점 단말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제 처리 시스템.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고객 단말기가 상기 결제 서버에 전송하는 상기 결제용 이미지 코드 요청 신호는 결제 인증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결제 서버는 상기 결제 인증 정보를 이용하여 인증 처리를 수행한 후, 인증에 성공한 경우 상기 특정 결제 방식 정보를 포함하는 이미지 코드를 생성하는 결제 처리 시스템.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결제 서버는 상기 고객 단말기에 대응되는 개인 식별 정보를 추출한 후, 그 추출한 개인 식별 정보와 특정 결제 방식 정보를 포함하는 이미지 코드를 생성하여 상기 고객 단말기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제 처리 시스템.
  18. 제15항 또는 제17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결제 처리 중계 서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가맹점 단말기는 상기 선정된 결제 방식에 따른 결제 처리 중계 서버를 선택하고, 해당 결제 처리 중계 서버에 결제 처리 요청 신호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제 처리 시스템.
  19. 제17항에 있어서,
    결제 처리 중계 서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가맹점 단말기는 상기 이미지 코드에 포함된 개인 식별 정보를 추출한 후, 해당 개인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결제 처리 요청 신호를 생성하여 결제 처리 중계 서버에 전송하고,
    상기 결제 처리 중계 서버는 상기 결제 처리 요청 신호에 포함된 개인 식별 정보를 추출한 후, 그 추출한 개인 식별 정보에 대응하여 기 저장된 기존 사용 패턴을 기초로 부정사용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 부정사용이 아닌 경우 결제 진행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제 처리 시스템.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결제 처리 중계 서버는 판단 결과 부정사용이 아닌 경우 상기 결제 서버에 결제 처리 요청 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결제 서버는 상기 결제 처리 중계 서버의 결제 처리 요청 신호에 따라 결제 처리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제 처리 시스템.
  21. 제16항 또는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결제 서버는 상기 고객 단말기에 대응되는 개인 식별 정보와 기 설정된 알고리즘에 따른 가변코드를 추출 및 저장한 후, 그 추출한 개인 식별 정보 및 가변코드와 특정 결제 방식 정보를 포함하는 이미지 코드를 생성하여 상기 고객 단말기에 전송하고,
    상기 가맹점 단말기는 상기 이미지 코드에 포함된 개인 식별 정보 및 가변코드를 추출한 후, 해당 개인 식별 정보 및 가변코드를 포함하는 결제 처리 요청 신호를 생성하여 결제 처리 중계 서버에 전송하며,
    상기 결제 처리 중계 서버는 상기 가변코드를 포함하는 결제 처리 요청 신호를 상기 결제 서버에 전송하고,
    상기 결제 서버는 상기 결제 처리 중계 서버의 결제 처리 요청 신호에 포함된 가변코드와 기 저장된 가변코드를 비교하여 인증처리를 수행한 후 결제 처리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제 처리 시스템.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결제 서버는 상기 가변코드를 기 설정된 유효시간에 매칭시켜 저장하고, 상기 결제 처리 중계 서버의 결제 처리 요청 신호에 포함된 가변코드와 기 저장된 가변코드를 비교하여 인증처리를 수행할 때 상기 결제 서버는 기 매칭된 유효시간을 고려하여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제 처리 시스템.
  23.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결제 서버는 상기 개인 식별 정보와 상기 가변코드를 각각 암호화한 후 상기 이미지 코드에 포함시키고,
    상기 결제 처리 중계 서버는 상기 가맹점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결제 처리 요청 신호에서 개인 식별 정보 및 가변 코드를 추출한 후 복호화하여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제 처리 시스템.
  24. 고객 단말기에 표시된 이미지 코드를 인식하는 이미지 코드 인식부와;
    상기 이미지 코드에 포함된 결제 방식 정보를 추출하는 정보 추출부와;
    상기 결제 방식 정보를 이용하여 결제 방식을 선정하는 결제 방식 선정부와;
    상기 결제 방식 선정부에서 선정된 결제 방식에 따른 결제 처리가 이루어지도록 제어하는 결제 처리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맹점 단말기.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결제 처리 제어부는 상기 결제 방식 선정부에서 선정된 결제 방식에 따른 입력 화면을 표시하고, 해당 입력 화면에서의 조작에 따라 결제 처리가 이루어지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맹점 단말기.
  26.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결제 처리 제어부는 상기 결제 방식 선정부에서 선정된 결제 방식에 따른 결제 처리 서버를 선택하고, 해당 결제 처리 서버에 결제 처리 요청 신호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맹점 단말기.
KR1020190116170A 2019-09-20 2019-09-20 결제 처리를 위한 장치, 시스템 및 제어 방법 KR1024711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6170A KR102471162B1 (ko) 2019-09-20 2019-09-20 결제 처리를 위한 장치, 시스템 및 제어 방법
KR1020220157460A KR20220163313A (ko) 2019-09-20 2022-11-22 결제 처리를 위한 장치, 시스템 및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6170A KR102471162B1 (ko) 2019-09-20 2019-09-20 결제 처리를 위한 장치, 시스템 및 제어 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57460A Division KR20220163313A (ko) 2019-09-20 2022-11-22 결제 처리를 위한 장치, 시스템 및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34338A true KR20210034338A (ko) 2021-03-30
KR102471162B1 KR102471162B1 (ko) 2022-11-28

Family

ID=75265204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16170A KR102471162B1 (ko) 2019-09-20 2019-09-20 결제 처리를 위한 장치, 시스템 및 제어 방법
KR1020220157460A KR20220163313A (ko) 2019-09-20 2022-11-22 결제 처리를 위한 장치, 시스템 및 제어 방법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57460A KR20220163313A (ko) 2019-09-20 2022-11-22 결제 처리를 위한 장치, 시스템 및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471162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88257A (ko) * 2011-01-31 2012-08-08 중소기업은행 휴대용 단말기에서 생성된 일회용 바코드에 의한 대금 결제방법 및 장치
KR20140067882A (ko) * 2012-11-27 2014-06-05 브이피 주식회사 단말기에서 생성된 식별 정보를 이용한 결제 방법 및 결제 중계 시스템
KR20150097287A (ko) * 2014-02-18 2015-08-26 크루셜텍 (주) 코드 발급 방법, 사용자 단말기 및 결제 중계 서버
KR101548933B1 (ko) 2013-08-29 2015-09-02 주식회사 티모넷 스마트카드 인증서버를 이용한 본인확인과 소액결제 인증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80024546A (ko) * 2016-08-30 2018-03-08 주식회사 엔비레즈 부정 결제 방지 시스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88257A (ko) * 2011-01-31 2012-08-08 중소기업은행 휴대용 단말기에서 생성된 일회용 바코드에 의한 대금 결제방법 및 장치
KR20140067882A (ko) * 2012-11-27 2014-06-05 브이피 주식회사 단말기에서 생성된 식별 정보를 이용한 결제 방법 및 결제 중계 시스템
KR101548933B1 (ko) 2013-08-29 2015-09-02 주식회사 티모넷 스마트카드 인증서버를 이용한 본인확인과 소액결제 인증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50097287A (ko) * 2014-02-18 2015-08-26 크루셜텍 (주) 코드 발급 방법, 사용자 단말기 및 결제 중계 서버
KR20180024546A (ko) * 2016-08-30 2018-03-08 주식회사 엔비레즈 부정 결제 방지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71162B1 (ko) 2022-11-28
KR20220163313A (ko) 2022-1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1066044B (zh) 用于商家qr码的数字支持服务
US11127009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using a mobile device to effect a secure electronic transaction
EP3114634B1 (en) Transactions utilizing multiple digital wallets
US8977234B2 (en) Using low-cost tags to facilitate mobile transactions
EP3917079A1 (en) Authentication systems and methods using timestamp comparison
EP2631860B1 (en) Sending a 2D code via a hardware interface of a Pin-Pad
CA2578893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cessing payment options
CN105593883A (zh) 验证交易的方法
US20130144737A1 (en) Point-of-Sale (POS) Machine, POS Machine Card-Payment System and Card-Payment Trading Method Thereof
KR101828742B1 (ko) 보안이 강화된 간편 결제 시스템 및 그 결제방법
US20190095902A1 (en) System and method of processing payment transactions via mobile devices
AU2023200221A1 (en) Remote transaction system, method and point of sale terminal
EP3265986A1 (en) Assignment of transactions to sub-accounts in payment account system
US20210166215A1 (en) Method for performing a contactless payment transaction
US20160335617A1 (en) Authentication Payment and Loyalty Program Integration with Self Service Point of Sale Systems
CN114207578A (zh) 移动应用程序集成
KR20200024014A (ko) 상점 인증기를 포함하는 안전한 모바일 결제 방법 및 시스템
KR102471162B1 (ko) 결제 처리를 위한 장치, 시스템 및 제어 방법
JP6910502B1 (ja) 決済処理方法及び決済処理装置
US20190205587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ducting offline commerce transactions using an encrypted user id barcode
JP6905120B1 (ja) 情報処理方法及び情報処理装置
KR20220046152A (ko) 다차원 이미지를 이용한 결제 처리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과 그 시스템에 포함되는 결제 처리 서버 및 그 제어방법
US20220270075A1 (en) Method for performing a contactless payment transaction
KR100963854B1 (ko) 심 카드의 데이터 처리 시스템 및 방법
US20160098715A1 (en) Transaction verification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