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33960A - Anterior Orthodontic Appliance And Orthodontic Device Having The Same - Google Patents

Anterior Orthodontic Appliance And Orthodontic Device Hav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33960A
KR20210033960A KR1020210033256A KR20210033256A KR20210033960A KR 20210033960 A KR20210033960 A KR 20210033960A KR 1020210033256 A KR1020210033256 A KR 1020210033256A KR 20210033256 A KR20210033256 A KR 20210033256A KR 20210033960 A KR20210033960 A KR 202100339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terior
orthodontic
unit
teeth
too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3325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487282B1 (en
Inventor
권순용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메디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80149821A external-priority patent/KR20200063732A/en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메디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메디센
Priority to KR10202100332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87282B1/en
Publication of KR202100339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3396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72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728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12Brackets; Arch wires; Combinations thereof; Accessories therefor
    • A61C7/14Brackets; Fixing brackets to teeth
    • A61C7/145Lingual bracke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12Brackets; Arch wires; Combinations thereof; Accessories therefor
    • A61C7/20Arch wires
    • A61C7/22Tension adjusting mea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Abstrac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d are an anterior orthodontic instrument comprising: an anterior teeth unit fixable to the anterior teeth to integrally move a plurality of anterior teeth; an orthodontic hook coupled to the anterior teeth unit and capable of connecting an elastic member for movement of the anterior teeth; and a connector provided in the anterior teeth unit for the selective mounting of the orthodontic hook suitable for the dental condition of a patient and connecting the orthodontic hook and the anterior teeth unit, and an orthodontic appliance having the same. The anterior teeth unit comprises: an anterior instrument comprising anterior teeth bases each fixable to a plurality of anterior teeth and at least one anterior tooth connecting member integrally connecting the anterior teeth bases for integral movement of the anterior teeth bases; and a pair of guide wires extending rearward from both sides of the anterior instrument to guide the movement of the anterior instrument. The present invention can stably implement the movement, for example, the backward movement, of the anterior teeth and can also be applied to orthodontics by selecting an orthodontic hook having a structure (direction, angle, length, etc.) suitable for the dental condition of a patient, thereby minimizing or preventing side effects such as tooth collapse in the process of moving the anterior teeth.

Description

전방 치아교정 기구 및 이를 갖는 치아 교정장치{Anterior Orthodontic Appliance And Orthodontic Device Having The Same}Anterior Orthodontic Appliance And Orthodontic Device Having The Same {Anterior Orthodontic Appliance And Orthodontic Device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전방 치아교정 기구 및 이를 갖는 치아 교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복수의 전치들을 일체로 연결해서 상기 전치들에 교정력을 전달하는 전방 치아교정 기구 및 이를 갖는 치아 교정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nterior orthodontic appliance and an orthodontic device having the same, and to a front orthodontic appliance for transmitting orthodontic force to the anterior teeth by integrally connecting a plurality of anterior teeth, and a dental appliance having the same.

현대인에게 있어서 외모, 특히 인상은 취업이나 입학 등의 면접시 사람을 판단하는 하나의 기준으로서 작용하며, 대인관계에서도 큰 비중을 차지하는 등 사회생활에 매우 중요한 요소로 작용하는데, 특히 치열 구조는 인상을 전체적으로 좌우하는 요인이 된다. 이에 따라 성형수술과 함께 치아, 치열, 또는 안면 골격의 개선을 위한 치과 교정시술이 성행하고 있다.For modern people, appearance, especially impression, acts as a criterion for judging a person during interviews such as employment or admission, and it plays a very important factor in social life, taking up a large proportion in interpersonal relationships. It becomes a factor that influences the whole. Accordingly, along with plastic surgery, dental orthodontic procedures for improving teeth, dentition, or facial skeletons are popular.

상기 치과 교정시술은 부정치열을 바르게 하는 시술, 예를 들면 삐뚤어진 치아를 가지런히 하는 협의의 치열교정술을 포함하는 개념으로서, 성장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여러 가지 골격적 부조화를 바로잡아 정상적인 기능을 발휘할 수 있도록 하여 건강한 구강 조직에 기여하며, 더 나아가 구강의 해부학적 구조를 변화시켜서 얼굴 라인을 수려하게 하여 아름다운 얼굴 이미지를 만들어줄 수 있다.The orthodontic procedure is a concept that includes a procedure that corrects irregular teeth, for example, orthodontics of consultation to tidy a crooked tooth, and corrects various skeletal incongruities that may occur during the growth process, so that a normal function can be achieved. By doing so, it contributes to healthy oral tissue, and furthermore, by changing the anatomical structure of the oral cavity, the facial line can be refined to create a beautiful face image.

상기 치과 교정시술은, 치열의 점진적 이동을 통해 부정교합 등의 부정치열을 개선하는 교정시술과, 성장기에 안면 골격의 상장을 촉진 혹은 억제하는 성장기 교정과, 안면 골격 특히 악골에 대한 외과적 수술을 수행하여 골격적 개선을 부여하는 악교정 수술 등으로 구분될 수 있다.The orthodontic procedure includes orthodontic procedures that improve malocclusion, such as malocclusion, through gradual movement of the dentition, growth phase correction that promotes or suppresses the elevation of the facial skeleton during the growth phase, and surgical operations on the facial skeleton, especially the jaw bone. It can be classified into orthognathic surgery, which is performed to impart skeletal improvement.

다시 말해서, 아래위 치아의 맞물림에 대한 이상이나 안면 골격구조 특히 악골 구조의 이상이 너무나 심해서 단순한 치아 이동만으로는 치료가 불가능한 경우가 있는데, 이러한 경우에는 성장이 끝나지 않은 청소년기의 심하지 않은 악골 구조에서 성장기 교정(Growth Modification)으로, 성인에서도 중등도 이상의 골격이상은 악골 자체의 이상을 수술로 바로잡아 기능적 및/또는 심미적인 얼굴을 만드는 악교정 수술이 상술한 치료술과 함께 병행하여 적용되기도 한다. In other words, abnormalities in the interlocking of the lower and upper teeth or the facial skeletal structure, especially the jaw structure, are so severe that it is not possible to treat only with simple tooth movement.In this case, the growth period correction ( Growth Modification), in adults with moderate or higher skeletal abnormalities, orthognathic surgery, which corrects the abnormality of the jaw itself by surgery to make a functional and/or aesthetic face, is applied in parallel with the above-described treatment.

상기 치열교정시술은 크게 순측 교정과 설측 교정으로 구분할 수도 있는데, 상기 순측 교정이란 치열교정에 사용되는 교정기구를 치아의 표면 중 입술 측의 표면(치아의 바깥쪽 표면)에 부착하여 치열교정을 수행하는 교정법이고, 상기 설측 교정이란 상기 교정기구를 치아의 표면 중 혀측(Lingual)의 표면(치아의 안쪽 표면)에 부착하여 치열교정을 수행하는 교정법이다.The orthodontic procedure can be broadly divided into labial or lingual correction, and the labial orthodontic treatment is performed by attaching orthodontic instruments used for orthodontics to the surface of the lip side (outer surface of the tooth) among the surfaces of the teeth. The lingual correction is an orthodontic method in which the orthodontic appliance is attached to the lingual surface (inner surface of the tooth) of the tooth surface.

상기 치과 교정시술은 환자의 상태에 따라 장기간이 소요되며, 전치부의 치열밀집 현상이나 전치들 사이가 벌이진 현상을 개선하거나, 돌출입 개선이나 발치 공간 또는 치아 소실 공간 폐쇄시술 등 다양한 시술이 이루어지고 있다. The orthodontic procedure takes a long time depending on the patient's condition, and various procedures such as improvement of the density of the teeth in the anterior teeth or the spreading between the anterior teeth, improvement of the protruding mouth, closure of the extraction space or tooth loss space, etc. are performed. have.

한편, 상기 치과 교정시술 중 상기 전치부의 치아(전치들)를 설측, 예를 들면 구개측으로 이동시키는 교정을 설측 견인이라 칭하며, 환자의 치아가 비정상적으로 전방 돌출된 형태인 치아돌출의 경우에는 돌출입 현상을 보이게 되므로, 이러한 돌출입 교정을 위한 하나의 방법으로 상술한 설측 견인이 제시된다. 또한, 전치부 밀집의 교정치료에서도 전치가 퍼지면서 설측으로 견인된다. 상술한 설측 견인 즉 전치부의 후방 이동을 위해, 전치부의 치열에 맞게 곡률진 형태의 호선 와이어가 전치부의 설측 또는 순측에 와이어 서포터(브라켓)을 매개로 구강 내부에 설치된다. On the other hand, the correction of moving the teeth (anterior teeth) of the anterior teeth to the lingual side, for example, the palatal side during the orthodontic procedure, is called lingual traction, and in the case of tooth protrusion in which the patient's teeth are abnormally protruding forward, protruding mouth Since the phenomenon is shown, the above-described lingual traction is presented as one method for correcting this protruding mouth. In addition, even in the orthodontic treatment of dense anterior teeth, the anterior teeth spread and are pulled to the lingual side. For the above-described lingual traction, that is, to move the anterior teeth backward, a curved arc wire is installed in the oral cavity through a wire supporter (bracket) on the lingual or labial side of the anterior teeth.

그러나, 상술한 치과 교정시술 즉 교정치료를 진행할 때, 전치부 즉 전치들(Anterior Teeth)이 후방으로 견인되면서 전치부 치열의 기울어짐(쓰러짐)이나 수직위치의 불균형 등의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However, when performing the above-described orthodontic treatment, that is, orthodontic treatment, problems such as tilting (falling) of the anterior teeth or imbalance in the vertical position may occur as the anterior teeth, that is, the anterior teeth are pulled backward.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0-0020843호, 돌출입 교정장치 및 그 방법, 2010년 2월 23일 공개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10-2010-0020843, Protruding mouth straightening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published on February 23, 2010

본 발명은, 전치들의 이동을 안정적으로 가이드(Guide)할 수 있으며 환자의 치아 상태에 맞게 전치부에 힘을 전달할 수 있는 구조의 전방 치아교정 기구 및 이를 갖는 치아 교정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nterior orthodontic appliance having a structure capable of stably guiding the movement of the anterior teeth and transmitting force to the anterior teeth according to the patient's tooth condition, and a dental orthodontic device having the same. .

본 발명의 일 형태는 복수의 전치들을 일체로 이동시키기 위해 상기 전치들에 고정 가능한 전치 유닛; 그리고 환자의 치아 상태에 맞는 교정용 걸이의 선별적 장착을 위해 상기 전치 유닛에 구비되며, 상기 전치들의 이동을 위한 탄성 부재의 연결이 가능한 상기 교정용 걸이와 상기 전치 유닛을 연결하는 커넥터(Connector)를 포함하는 전방 치아교정 기구로서: 상기 전치 유닛은; 복수의 전치들에 각각 고정 가능한 전치 베이스들과, 상기 전치 베이스들의 일체적 거동을 위해 상기 전치 베이스들을 일체로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의 전치 연결부재를 포함하는 전방 기구, 및 상기 전방 기구의 이동을 가이드 하도록 상기 전방 기구의 양측부에서 후방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가이드 와이어를 포함하는 전방 치아교정 기구를 제공한다.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n anterior tooth unit that can be fixed to the anterior teeth in order to integrally move a plurality of anterior teeth; And a connector (Connector) provided in the anterior unit for selective mounting of the orthodontic hanger suitable for the patient's tooth condition, and connecting the orthodontic hanger and the anterior unit to which an elastic member for moving the anterior teeth can be connected. An anterior orthodontic appliance comprising: the anterior tooth unit; Anterior mechanism including anterior bases each of which can be fixed to a plurality of anterior teeth, and at least one anterior connection member integrally connecting the anterior bases for integral movement of the anterior teeth, and guides the movement of the anterior mechanism It provides a front orthodontic appliance including a pair of guide wires extending rearward from both sides of the front appliance.

상기 교정용 걸이는, 상기 커넥터를 매개로 해서 상기 전치 유닛에 결합되며 상기 전치들의 이동을 위한 탄성 부재 예를 들면 고무줄이나 스프링 등이 연결될 수 있다.The orthodontic hook is coupled to the anterior teeth unit through the connector, and an elastic member for moving the anterior teeth, for example, a rubber band or a spring, may be connected.

상기 커넥터는, 상기 교정용 걸이의 단부(End Portion)이 끼워지는 걸이 삽입부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커넥터는, 상기 교정용 걸이의 단부(End Portion)이 끼워지도록 튜브(Tube)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걸이 삽입부는, 상기 교정용 걸이의 회전을 방지하는 회전 방지홈을 가질 수 있다.The connector may include a hook insert into which an end portion of the orthodontic hook is inserted. For example, the connector may have a tube shape so that an end portion of the orthodontic hook is fitted. In addition, the hook insertion portion may have a rotation preventing groove that prevents rotation of the orthodontic hook.

상기 커넥터는, 상기 전방 기구 예를 들면 상기 전치 연결부재와 상기 가이드 와이어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커넥터는, 상기 전치 유닛의 우측부에 구비되는 우측 커넥터와 상기 전치 유닛의 좌측부에 구비되는 좌측 커넥터를 포함한다.The connector may be provided in any one of the front mechanism, for example, the anterior connection member and the guide wire. The connector includes a right connector provided on a right side of the preposition unit and a left connector provided on a left side of the preposition unit.

상기 커넥터는, 상기 전치 베이스들 중 측절치를 대상으로 하는 측절치 베이스의 근위부 영역에서 견치를 대상으로 하는 견치 베이스의 원위부 영역에 이르는 구간의 후방에 구비될 수 있다.The connector may be provided at the rear of a section from the proximal region of the lateral incisor base targeting the lateral incisor to the distal region of the canine base targeting the canine of the anterior tooth bases.

상기 전방 기구는, 구치에 고정 가능하며 상기 전치 베이스들과 일체로 연결되는 전방 구치 베이스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The anterior mechanism may further include an anterior posterior tooth base fixed to the posterior tooth and integrally connected with the anterior tooth bases.

본 발명의 다른 일 형태는 상술한 전방 치아교정 기구; 우측 구치부에 고정 가능한 우구치 유닛; 그리고 좌측 구치부에 고정 가능한 좌구치 유닛을 포함하는 치아교정 장치로서: 상기 우구치 유닛은, 상기 우측 구치부의 치아들 중 적어도 하나의 구치에 고정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우구치 베이스와, 상기 우구치 베이스와 일체형이며 상기 가이드 와이어 중 우측 가이드 와이어의 전후방향 이동을 안내하도록 상기 우측 가이드 와이어가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Sliding) 가능하게 삽입되는 우측 가이드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좌구치 유닛은, 상기 좌측 구치부의 치아들 중 적어도 하나의 구치에 고정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좌구치 베이스와, 상기 좌구치 베이스와 일체형이며 상기 가이드 와이어 중 좌측 가이드 와이어의 전후방향 이동을 안내하도록 상기 좌측 가이드 와이어가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는 좌측 가이드 부재를 포함하는 치아교정 장치를 제공한다.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anterior orthodontic appliance described above; A uguchi unit that can be fixed to the right molar portion; And a left molars unit fixed to the left molars, wherein the right molars unit includes at least one right molars fixed to at least one of the teeth of the right molars, and integrally with the right molars, and the right molars are integrated with the right molars. And a right guide member into which the right guide wire is slidably insert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o guide the movement of the right guide wire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of the guide wires; The left molars unit includes at least one left molars fixed to at least one of the teeth of the left molars, and integrally with the left molars and guides the movement of the left guide wire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of the guide wires. It provides a tooth orthodontic device including a left guide member into which the left guide wire is slidably insert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상기 우구치 베이스는, 우측 구치부의 치아들 중 복수의 구치에 각각 고정 가능한 복수의 우구치 베이스들을 포함하며; 상기 우구치 유닛은, 상기 우구치 베이스들의 일체적 거동을 위해 상기 우구치 베이스들을 일체로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의 우구치 연결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우측 가이드 부재는 상기 우구치 연결부재에 구비될 수 있다.The uguchi base includes a plurality of uguchi bases each of which can be fixed to a plurality of molars among teeth of the right molars; The Uguchi unit may further include at least one Uguchi connecting member integrally connecting the Uguchi bases for integral movement of the Uguchi bases. The right guide member may be provided on the uguchi connecting member.

그리고, 상기 좌구치 베이스는, 좌측 구치부의 치아들 중 복수의 구치에 각각 고정 가능한 복수의 좌구치 베이스들을 포함하며; 상기 좌구치 유닛은, 상기 좌구치 베이스들의 일체적 거동을 위해 상기 좌구치 베이스들을 일체로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의 좌구치 연결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좌측 가이드 부재는 상기 좌구치 연결부재에 구비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left molar base includes a plurality of left molar bases each of which can be fixed to a plurality of molar teeth among the teeth of the left molar; The left molars unit may further include at least one left molars connecting member integrally connecting the left molars for integral movement of the left molars. The left guide member may be provided on the left molar connection member.

상기 치아교정 장치는; 상기 우구치 유닛과 좌구치 유닛을 연결하는 횡구개 호선(TPA: Trans Palatal Arch)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우측 가이드 부재와 좌측 가이드 부재는 각각 상기 횡구개 호선의 우측 단부와 좌측 단부가 끼워지는 호선 삽입홀을 가질 수 있다.The orthodontic device; It may further include a trans palatal arc (TPA) connecting the right molars and the left molars. In addition, the right guide member and the left guide member may each have an arc line insertion hole into which a right end and a left end of the transverse palatal arc are inserted.

본 발명에 따른 전방 치아교정 기구 및 이를 이용한 치아교정 장치는 다음과 같은 이점을 갖는다.The front tooth correction apparatus and the tooth correction apparatus using the s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e the following advantages.

첫째, 본 발명은, 전치들의 이동 예를 들면 후방이동을 안정적으로 구현할 수 있고, 또한 환자의 치아 상태에 적합한 구조(방향, 각도, 길이 등)의 교정용 걸이를 선택해서 치아교정에 적용할 수 있으므로 전치들의 이동과정에 치아의 쓰러짐 등과 같은 부작용을 최소화 또는 방지할 수 있다.First, the present invention can stably implement the movement of the anterior teeth, for example, the posterior movement, and can also be applied to tooth correction by selecting an orthodontic hook having a structure (direction, angle, length, etc.) suitable for the patient's tooth condition. Therefore, it is possible to minimize or prevent side effects such as tooth collapse during the movement of the anterior teeth.

둘째, 본 발명에 따르면, 전치부의 이동과 동시에 전방 치아교정 기구와 우구치 유닛의 상호작용(작용-반작용) 및 전방 치아교정 기구와 좌구치 유닛의 상호작용에 의해 구치의 함입 또는 정출 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전방 치아교정 기구의 이동과정에서 교정시술용 와이어(가이드 와이어)의 마찰 저항이 최소화될 수 있다.Secon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obtain the effect of indentation or crystallization of the posterior teeth by the interaction (action-reaction) between the anterior teeth correction mechanism and the right molars unit as well as the movement of the anterior teeth and the interaction between the front teeth correction apparatus and the left molars unit. In addition, the frictional resistance of the orthodontic wire (guide wire) in the process of moving the front orthodontic appliance can be minimized.

셋째, 본 발명에 의하면, 전치 견인을 위한 교정기구 및 이를 갖는 치아교정시스템이 구강 내에 쉽고 빠르게 구축(설치)될 수 있으므로, 교정시술이 용이하고 전치부의 이동이 효과적으로 가이드될 수 있으며 환자의 부담감 감소 효과와 급속 교정 효과가 얻어질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하면 교정용 걸이가 교정시술 중에 교체될 수도 있으므로 시술이 보다 편리하다.Thir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orthodontic mechanism for traction of the anterior teeth and the orthodontic system having the same can be easily and quickly established (installed) in the oral cavity, the orthodontic procedure is easy, the movement of the anterior teeth can be effectively guided, and the burden on the patient is reduced. Effects and rapid correction effects can be obtained. An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orthodontic hook may be replaced during the orthodontic procedure, the procedure is more convenient.

본 발명의 특징 및 장점들은 후술되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한 상세한 설명과 함께 다음에 설명되는 도면들을 참고하여 더 잘 이해될 수 있으며, 상기 도면들 중: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방 치아교정 기구 및 이를 갖는 치아교정 장치의 일 실시 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치아교정 장치가 치아에 설치된 상태를 예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방 치아교정 기구 및 이를 갖는 치아교정 장치의 다른 실시 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전방 치아교정 기구 및 이를 갖는 치아교정 장치의 또 다른 실시 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전방 치아교정 기구 및 이를 갖는 치아교정 장치의 또 다른 실시 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그리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전방 치아교정 기구 및 이를 갖는 치아교정 장치의 또 다른 실시 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Feature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better understoo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described below along with a detailed description of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below, among the drawings:
1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embodiment of a front orthodontic appliance and an orthodontic appliance having the s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orthodontic appliance shown in FIG. 1 is installed on a tooth;
3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front orthodontic appliance and the orthodontic appliance having the s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front orthodontic appliance and the orthodontic appliance having the s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front orthodontic appliance and the orthodontic appliance having the s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6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front orthodontic appliance and the orthodontic appliance having the s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목적이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된다.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하기에서 생략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realized in detail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describing the present embodiment, the same names and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the same components, and additional descriptions thereof will be omitted below.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며, "제1"과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동일 명칭의 구성요소들을 설명할 때 이들을 상호 구분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요소의 수를 정의하거나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Term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re used to describ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and terms including ordinal numbers such as "first" and "second" have the same name. When describing elements, they can be used to distinguish them from one another, but it does not define or limit the number of elements.

그리고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는 연결 관계 즉 간접적으로 연결되는 관계도 포함한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And when a compon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or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but a connection in which another component exists in the middl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it includes relationships, that is, relationships that are indirectly connected.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즉 부가 가능성을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erms such as "include" or "have" mean the presence of features, numbers, steps, actions, components, parts, or a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and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ce or addition of numbers, steps, ac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does not exclude the possibility of addition.

먼저,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전방 치아교정 기구 및 이를 갖는 치아교정 장치(치아교정시스템)의 일 실시 예(제1실시 예)가 설명된다. 본 실시 예와 관련된 도면들 중,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방 치아교정 기구 및 이를 갖는 치아교정 장치의 일 실시 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치아교정 장치가 치아에 설치된 상태를 예시한 도면이다.First, with reference to Figs. 1 and 2, an embodiment (first embodiment) of a front orthodontic appliance and a dental appliance having the s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firs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Among the drawings related to this embodiment, FIG. 1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n anterior orthodontic applian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an orthodontic appliance having the same, and FIG. 2 is a view showing a tooth orthodontic appliance shown in FIG. It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tate installed in.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전방 치아교정 기구의 제1실시 예는, 전치 유닛(100)과 커넥터(Connector: 150) 및 교정용 걸이(H)를 포함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치아교정 장치의 제1실시 예(10)는, 본 실시 예에 따른 전방 치아교정 기구와, 우측 구치부에 고정 가능한 우구치 유닛(200)과, 좌측 구치부에 고정 가능한 좌구치 유닛(300)을 포함한다.1 and 2, a first embodiment of an anterior orthodontic applian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anterior tooth unit 100, a connector 150, and an orthodontic hook H. In addition, the first embodiment 10 of the orthodontic applian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ront orthodontic applianc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 right molars unit 200 that can be fixed to the right molars, and a left molars unit that can be fixed to the left molars ( 300).

상기 전치 유닛(100)은 복수의 전치들(RAa, RAb, RAc, LAa, LAb, LAc)을 일체로 이동시키기 위해 상기 전치들에 고정 가능한 구조로서, 전치부 즉 복수의 전치들(RAa, RAb, RAc, LAa, LAb, LAc)에 고정되는 전방 기구(110, 120)와, 상기 전방 기구에 구비되는 한 쌍의 가이드 와이어(130, 140)를 포함한다.The transposition unit 100 is a structure that can be fixed to the anterior teeth to integrally move a plurality of anterior teeth (RAa, RAb, RAc, LAa, LAb, LAc), an anterior part, that is, a plurality of anterior teeth (RAa, RAb, It includes a front mechanism (110, 120) fixed to the RAc, LAa, LAb, LAc), and a pair of guide wires (130, 140) provided in the front mechanism.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전방 기구는 전치 베이스(110)들과 적어도 하나의 전치 연결부재(120)를 포함한다.More specifically, the front mechanism includes anterior bases 110 and at least one anterior connection member 120.

상기 전치 베이스(110)들은 복수의 전치들에 각각 고정 가능하며 예를 들면 치면(치아 표면)에 접착식으로 부착될 수 있다. 상기 전치 베이스(110)들의 표면은 고정 대상 치아의 표면 굴곡에 대응되는 형상을 갖도록 3D 프린팅 등의 방식으로 제조될 수 있다. 물론 상기 전치 베이스(110)들은 상기 전치 연결부재(120)에 간격을 두고 접합 예를 들면 솔더링(Soldering)에 의해 일체화될 수도 있다.The anterior bases 110 may be fixed to a plurality of anterior teeth, respectively, and may be adhesively attached to, for example, a tooth surface (tooth surface). The surfaces of the anterior bases 110 may be manufactured by 3D printing or the like so as to have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curvature of the surface of the tooth to be fixed. Of course, the anterior bases 110 may be integrated with the anterior connection member 120 at intervals by bonding, for example, soldering.

본 실시 예는 상기 전치 베이스(110)들이 전치들의 설측면에 각각 부착된 예이다. 상기 전방 기구는 본 실시 예처럼 6전치에 고정될 수도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좌우 중절치와 측절치와 같은 4전치에만 고정될 수도 있고, 후술되는 다른 실시 예처럼 6전치와 함께 좌우 구치 예를 들면 도 6에 도시된 실시 예처럼 좌우 제1소구치까지 함께 전방 기구에 고정될 수도 있다.This embodiment is an example in which the anterior bases 110 are attached to the lingual side surfaces of the anterior teeth, respectively. The anterior mechanism may be fixed to the 6 anterior teeth as in this embodiment, but is not limited thereto, for example, may be fixed only to the 4 incisors such as the left and right central incisors and the lateral incisors, and the left and right posterior teeth together with the 6 incisors as in other embodiments to be described later. For example, it may be fixed to the front mechanism together with the left and right first premolar teeth as in the embodiment shown in FIG. 6.

그리고 상기 전치 연결부재(120)는, 상기 전치 베이스(110)들의 일체적 거동을 위해 상기 전치 베이스(110)들을 일체로 연결한다. 상기 전치 연결부재(120)는, 하나의 연속된 부재 예를 들면 와이어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복수의 피스(Pieces)로 제조된 후 하나로 연결될 수도 있으며, 3D 프린팅 등의 방식으로 상술한 전치 베이스(110)들과 일체로 제조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anterior connection member 120 integrally connects the anterior bases 110 for the integral movement of the anterior bases 110. The anterior connection member 120 may be formed of one continuous member, for example, a wire, or may be connected to one after being manufactured as a plurality of pieces, and the anterior base 110 described above by a method such as 3D printing. ) May be manufactured integrally.

상기 한 쌍의 가이드 와이어(130, 140)는 상기 전방 기구의 이동 예를 들면 후방 이동(견인)을 가이드(Guide) 하도록 상기 전방 기구의 양측부에서 후방으로 연장된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가이드 와이어(130, 140)는 상기 전방 기구와 일체형이며, 우측과 좌측 견치(RAc, LAc)에 고정되는 우측과 좌측 견치 베이스에서 후방으로 연장되는 구조이나 상기 가이드 와이어(130, 140)의 연결 위치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pair of guide wires 130 and 140 extend rearward from both side portions of the front mechanism to guide the movement of the front mechanism, for example, rearward movement (traction). In this embodiment, the guide wires 130 and 140 are integral with the front mechanism and extend rearward from the right and left canine bases fixed to the right and left canines RAc and LAc, or the guide wire 130, 140) is not limited thereto.

상기 커넥터(150)는 환자의 치아 상태에 맞는 교정용 걸이(H)의 선별적 장착을 위해 상기 전치 유닛(100)에 구비되며, 상기 전치 유닛(100)과 교정용 걸이(H)를 연결한다. 즉 본 명세서에서 상기 교정용 걸이(H)는 전치 유닛(100)과 별도로 마련(제조)되며 전치 유닛(100)에 조립되는 방식이다.The connector 150 is provided on the anterior unit 100 to selectively mount an orthodontic hanger H suitable for the patient's tooth condition, and connects the anterior unit 100 and the orthodontic hanger H. . That is,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orthodontic hanger H is provided (manufactured) separately from the displaced unit 100 and assembled to the displaced unit 100.

다음으로, 상기 교정용 걸이(H)는 환자의 치아 상태에 적합한 구조(길이, 경사각, 방향)가 선별되어서 상기 전치 유닛(100)에 장착 즉 결합되며, 상기 교정용 걸이(H)에는 상기 전치들의 이동을 위한 탄성부재(도시되지 않음) 예를 들면 고무줄이나 스프링이 연결될 수 있다. 본 실시 예 및 후술되는 실시 예들에 의하면, 환자의 치아 상태에 맞는 구조의 교정용 걸이(H)가 선택된 후에 상기 커넥터(150)에 장착(조립)될 수 있다. 그러므로, 상기 커넥터(150)는 환자의 치아 상태에 맞게 선택된 교정용 걸이(H)가 장착되는 부분, 다시 말해서 환자의 치아 상태에 맞는 교정용 걸이의 선별적 장착이 가능한 부분으로서, 상기 교정용 걸이(H)에는 상술한 탄성 부재의 연결이 가능하며, 상기 커넥터(150)는 선별 장착되는 교정용 걸이(H)와 상기 전치 유닛(100)을 연결함을 알 수 있다.Next, the orthodontic hanger (H) is a structure suitable for the patient's tooth condition (length, inclination angle, direction) is selected and attached to the anterior teeth unit 100, that is, coupled, and the orthodontic hanger (H) has the anterior teeth An elastic member (not shown) for the movement of them, for example, a rubber band or a spring may be connected.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nd the embodiments to be described later, after the orthodontic hanger H having a structure suitable for the patient's tooth condition is selected, it may be mounted (assembled) to the connector 150. Therefore, the connector 150 is a portion to which the orthodontic hanger H selected according to the patient's tooth condition is mounted, that is, a portion where the orthodontic hanger suitable for the patient's tooth condition can be selectively mounted, and the orthodontic hanger It can be seen that the above-described elastic member can be connected to (H), and the connector 150 connects the orthodontic hanger (H) to be selectively mounted and the transpose unit 100.

상기 커넥터(150)는, 상기 교정용 걸이(H)의 단부(End Portion)이 끼워지는 걸이 삽입부(151)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커넥터(150)는, 본 실시 예처럼 상기 교정용 걸이(H)의 단부(End Portion)이 끼워지도록 튜브(Tube)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걸이 삽입부(151)는, 상기 교정용 걸이의 회전을 방지하는 회전 방지홈을 갖는 구조 예를 들면 다각형의 홀(Hole)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물론, 상기 걸이 삽입부는 슬롯 형태나 홈 형태 등도 가능하다. The connector 150 may include a hook insertion part 151 into which an end portion of the orthodontic hook H is inserted. For example, the connector 150 may have a tube shape such that an end portion of the orthodontic hanger H is fitted as in the present embodiment. In addition, the hook insertion unit 151 may be implemented in a structure having a rotation preventing groove that prevents rotation of the orthodontic hook, for example, in the form of a polygonal hole. Of course, the hook insertion portion may be in the form of a slot or a groove.

상기 커넥터(150)는, 상기 전방 기구 예를 들면 상기 전치 연결부재(120)에 구비될 수도 있고, 상기 가이드 와이어(130, 140)에 구비될 수도 있다. 본 실시 예에서는, 상기 커넥터(150)가 상술한 전치 연결부재(120)에 일체화 된 구조이다.The connector 150 may be provided on the front mechanism, for example, the anterior connection member 120, or may be provided on the guide wires 130 and 140. In this embodiment, the connector 150 is integrated with the anterior connection member 120 described above.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커넥터(150)는, 상기 전치 유닛(100)의 우측부에 구비되는 우측 커넥터와 상기 전치 유닛(100)의 좌측부에 구비되는 좌측 커넥터를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교정용 걸이(H)는 우측 걸이(H1)와 좌측 걸이(H2)를 포함한다.In more detail, the connector 150 includes a right connector provided on a right side of the preposition unit 100 and a left connector provided at a left side of the preposition unit 100. Therefore, the orthodontic hanger (H) includes a right hanger (H1) and a left hanger (H2).

그리고 상기 가이드 와이어는, 상기 전방 기구의 우측부에서 후방으로 연장되는 우측 가이드 와이어(130)와, 상기 전방 기구의 좌측부에서 후방으로 연장되는 좌측 가이드 와이어(140)를 포함한다.Further, the guide wire includes a right guide wire 130 extending rearward from the right side of the front mechanism, and a left guide wire 140 extending rearward from the left side of the front mechanism.

상기 커넥터(150)는, 상기 전치 베이스(110)들 중 측절치(RAb, LAb)를 대상으로 하는 측절치 베이스(측절치에 부착되는 전치 베이스)의 근위부 영역에서 견치(RAc, LAc)를 대상으로 하는 견치 베이스(견치에 부착되는 전치 베이스)의 원위부 영역에 이르는 구간의 후방 영역(설측 영역)에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교정용 걸이(H)가 측절치의 후방 영역이나 견치의 후방 영역에 연결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커넥터(150)는 우측과 좌측 측절치(RAb, LAb) 각각의 후방 영역에 구비되나 상기 커넥터(150)의 위치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connector 150 is a canine targeting canine teeth (RAc, LAc) in a proximal region of a lateral incisor base (anterior base attached to the lateral incisor) targeting the lateral incisors (RAb, LAb) among the anterior bases 110 It may be provided in the rear area (lingual area) of the section reaching the distal area of the base (anterior base attached to the canine teeth). Accordingly, the orthodontic hook H may be connected to the rear area of the lateral incisor or the rear area of the canine.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connector 150 is provided in the rear area of each of the right and left side incisors RAb and LAb, but the position of the connector 150 is not limited thereto.

본 실시 예에 따르면, 환자의 진단 정보를 바탕으로 한 개인 맞춤형 교정시술을 위해, 개별 환자의 치아 상태에 맞는 구조의 교정용 걸이(H) 예를 들면 후크(Hook)가 선택되어서 상기 커넥터(150)에 장착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정확한 방향과 위치에 교정력을 인가할 수 있으며 결과적으로 교정시술이 보다 정교하게 수행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for a personalized orthodontic procedure based on the patient's diagnosis information, an orthodontic hanger (H), for example, a hook (Hook) having a structure suitable for the individual patient's tooth condition is selected, and the connector 150 ).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can apply the corrective force to the correct direction and position, and as a result, the corrective procedure can be performed more precisely.

상기 교정용 걸이(H)는 상기 커넥터(150)에 끼워진 후에, 기계적 방식 예를 들면 상기 커넥터(150)의 압착이나, 화학적 방식 예를 들면 접착제(접착 레진)에 의한 접착 등에 의해 상기 커넥터(150)에 고정될 수 있다.After the orthodontic hook H is inserted into the connector 150, the connector 150 is mechanically applied, for example, by pressing the connector 150 or a chemical method, for example, by bonding with an adhesive (adhesive resin), or the like. ) Can be fixed.

한편, 상기 우구치 유닛(200)은, 상기 우측 구치부의 치아들(RMa, RMb, RMc) 중 적어도 하나의 구치에 고정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우구치 베이스(210)와, 상기 우구치 베이스(210)와 일체형인 우측 가이드 부재(220)를 포함한다.On the other hand, the uguchi unit 200 includes at least one uguchi base 210 that can be fixed to at least one of the teeth RMa, RMb, and RMc of the right posterior portion, and is integral with the uguchi base 210. It includes a right guide member 220.

상기 우측 가이드 부재(220)는 상기 가이드 와이어 중 우측 가이드 와이어(130)의 전후방향 이동을 안내하며, 상기 우측 가이드 부재(220)에는 상기 우측 가이드 와이어(130)가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Sliding) 가능하게 삽입된다.The right guide member 220 guides the movement of the right guide wire 130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among the guide wires, and the right guide wire 130 is slidabl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the right guide member 220 Is inserted.

그리고 상기 좌구치 유닛(300)은, 상기 좌측 구치부의 치아들(LMa, LMb, LMc) 중 적어도 하나의 구치에 고정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좌구치 베이스(310)와, 상기 좌구치 베이스와 일체형인 좌측 가이드 부재(320)를 포함한다.In addition, the left molars unit 300 includes at least one left molars base 310 that can be fixed to at least one of the teeth LMa, LMb, LMc of the left molars, and the left molars integral with the left molars. It includes a guide member (320).

상기 좌측 가이드 부재(320)는 상기 가이드 와이어 중 좌측 가이드 와이어(140)의 전후방향 이동을 안내하며, 상기 좌측 가이드 부재(320)에는 상기 좌측 가이드 와이어(140)가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된다.The left guide member 320 guides the movement of the left guide wire 140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among the guide wires, and the left guide wire 140 is slidably inserted in the left guide member 32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

이를 위하여 상기 우측 가이드 부재(220)와 좌측 가이드 부재(320)는 각각 상기 가이드 와이어(130, 140)가 끼워지는 와이어 홀(221, 321)을 갖는다. 예를 들면 상기 우측 가이드 부재(220)와 좌측 가이드 부재(320)는 튜브형 가이드(Tube Type Guide)가 될 수 있다.To this end, the right guide member 220 and the left guide member 320 have wire holes 221 and 321 into which the guide wires 130 and 140 are inserted, respectively. For example, the right guide member 220 and the left guide member 320 may be a tube type guide.

도 1에는 상기 와이어 홀(221, 321)의 단면 형상이 원형인 예가 도시되어 있으나, 와이어 홀의 단면 형상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면 사각 형상이 적용될 수도 있다1 illustrates an example in which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wire holes 221 and 321 is circular, but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wire hole is not limited thereto, and for example, a square shape may be applied.

따라서, 상기 교정용 걸이(H)에 탄성부재 예를 들면 고무줄을 걸어서 상기 전방 치아교정 기구가 후방으로 견인되면, 상기 우측 가이드 와이어(130)와 좌측 가이드 와이어(140)가 상기 우측 가이드 부재(220)와 좌측 가이드 부재(320)의 안내를 받아 후방으로 이동하게 된다.Therefore, when the front orthodontic appliance is pulled backward by attaching an elastic member, for example, a rubber band to the orthodontic hanger H, the right guide wire 130 and the left guide wire 140 are moved to the right guide member 220 ) And the left guide member 320 to move to the rear.

그리고 상기 우구치 유닛(200)과 좌구치 유닛(300)이 각각 우측 가이드 와이어(130)와 좌측 가이드 와이어(140)를 지지하고, 상기 가이드 와이어(130, 140)로부터 상기 우구치 유닛(200)과 좌구치 유닛(300)으로 힘이 전달되면서, 전방 치아교정 기구와 우구치 유닛(200)의 작용-반작용 및 전방 치아교정 기구와 좌구치 유닛(300)의 작용-반작용에 의해 전치 이동과 함께 구치 교정이 이루어질 수 있다.And the right molars unit 200 and the left molars unit 300 support the right guide wire 130 and the left guide wire 140, respectively, and the right molars unit 200 and the left teeth from the guide wires 130 and 140 As the force is transmitted to the posterior tooth unit 300, the action-reaction of the anterior orthodontic appliance and the right molar unit 200-reaction and the action-reaction of the anterior orthodontic appliance and the left molar unit 300 allow the posterior teeth to be corrected together with the movement of the anterior teeth. Can be done.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우구치 유닛(200)은 우측 구치부의 치아들 중 복수의 구치에 각각 고정 가능한 복수의 우구치 베이스(210)들을 포함하며, 상기 우구치 베이스(210)들은 대상 치아의 형상에 대응되는 표면 형상을 갖는다.In this embodiment, the uguchi unit 200 includes a plurality of uguchi bases 210 that can be fixed to a plurality of posterior teeth of the right posterior teeth, and the uguchi bases 210 are surfaces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target tooth. Has a shape.

상기 우구치 유닛(200)은, 상기 우구치 베이스(210)들의 일체적 거동을 위해 상기 우구치 베이스(210)들을 일체로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의 우구치 연결부재(230)를 더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우측 가이드 부재(220)는 상기 우구치 연결부재(230)에 구비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면 우구치 베이스(210)들 중 어느 하나에 직접 구비될 수도 있다.The Uguchi unit 200 further includes at least one Uguchi connecting member 230 that integrally connects the Uguchi bases 210 for integral movement of the Uguchi bases 210. In addition, the right guide member 220 is provided on the uguchi connecting member 230,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provided directly on any one of the uguchi bases 210, for example.

그리고, 상기 좌구치 유닛(300)은 좌측 구치부의 치아들 중 복수의 구치에 각각 고정 가능한 복수의 좌구치 베이스(310)들을 포함하며, 상기 좌구치 베이스(310)들도 대상 치아의 형상에 대응되는 표면 형상을 갖는다.In addition, the seating unit 300 includes a plurality of seating bases 310 each of which can be fixed to a plurality of posterior teeth among teeth of the left molars, and the seating bases 310 also correspond to the shape of the target tooth. Has a surface shape.

상기 좌구치 유닛(300)은, 상기 좌구치 베이스(310)들의 일체적 거동을 위해 상기 좌구치 베이스(310)들을 일체로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의 좌구치 연결부재(33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좌측 가이드 부재(320)는 상기 좌구치 연결부재(330)에 구비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면 상기 좌구치 베이스(310)들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될 수도 있다.The left molars unit 300 may include at least one left molars connecting member 330 that integrally connects the left molars 310 for integral movement of the left molars 310. In addition, the left guide member 320 is provided on the left molars connecting member 330,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provided, for example, on any one of the left molars bases 310.

상기 우구치 연결부재(230)는 하나의 연속된 부재 예를 들면 와이어(Wire)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복수의 피스(Pieces)로 제조된 후 하나로 연결될 수도 있으며, 3D 프린팅 등의 방식으로 상술한 우구치 베이스(210)들과 일체로 제조될 수도 있다.The Uguchi connection member 230 may be made of one continuous member, for example, a wire, or may be made of a plurality of pieces and then connected to one, and the Uguchi base described above by a method such as 3D printing. It may be manufactured integrally with the (210).

상기 좌구치 연결부재(330) 역시 하나의 연속된 부재 예를 들면 와이어(Wire)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복수의 피스(Pieces)로 제조된 후 하나로 연결될 수도 있으며, 3D 프린팅 등의 방식으로 상술한 좌구치 베이스(310)들과 일체로 제조될 수도 있다.The left molar connection member 330 may also be made of one continuous member, for example, a wire, or may be made of a plurality of pieces and then connected to one. It may be manufactured integrally with the posterior bases 310.

본 실시 예는 윗니 교정 예를 들면 돌출입 교정에 적용되는 전방 치아교정 기구 및 치아교정 장치로서, 우측 제2소구치와 제1대구치 및 제2대구치가 상기 우구치 유닛(200)에 의해 일체로 묶이고, 좌측 제2소구치와 제1대구치 및 제2대구치가 상기 좌구치 유닛(300)에 의해 일체로 묶여서 돌출입 교정을 수행하는 예이다.This embodiment is a front tooth correction apparatus and a tooth correction device applied to upper teeth correction, for example, protruding mouth correction, wherein the right second premolar, the first and second molars are integrally bound by the upper teeth unit 200, This is an example in which the left second premolar, the first molar, and the second molar are integrally bound by the left molar unit 300 to perform protrusion correction.

상기 치아교정 장치(10)는 상기 우구치 유닛과 좌구치 유닛을 연결하는 횡구개 호선(400, TPA: Trans Palatal Arch)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횡구개 호선(400)의 우측 단부는 상기 우측 가이드 부재(220)에 일체로 연결되고, 상기 횡구개 호선(400)의 좌측 단부는 상기 좌측 가이드 부재(320)에 일체로 연결된다.The orthodontic appliance 10 may further include a trans-palatal arc 400 (TPA) connecting the right molar unit and the left molar unit. In this embodiment, the right end of the transverse palatal arc line 400 is integrally connected to the right guide member 220, and the left end of the transverse palatal arc line 400 is integrally connected to the left guide member 320 do.

상기 횡구개 호선(400)에는 고무줄 등의 탄성부재가 걸리도록 걸림부(410)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우구치 유닛(200)과 좌구치 유닛(300) 및 횡구개 호선(400)은 3D 프린팅에 의해 일체로 제조될 수도 있다.A locking part 410 may be provided on the transverse palatal arc 400 to catch an elastic member such as a rubber band. In addition, the right molar unit 200, the left molar unit 300, and the transverse palatal arc 400 may be integrally manufactured by 3D printing.

상술한 전방 치아교정 기구와 우구치 유닛(200) 및 좌구치 유닛(300)이, 전치부와 우구치부 및 좌구치부에 각각 고정된 후에, 인장된 상태의 고무줄의 일단이 상기 교정용 걸이(H)에 연결되고, 고무줄의 타단이 상기 횡구개 호선(400)에 연결되면 전방 치아교정 기구를 통해 전치부(RAa, RAb, RAc, LAa, LAb, LAc)에 후방 견인력이 가해질 수 있다.After the above-described anterior orthodontic appliance, right molars unit 200 and left molars unit 300 are fixed to the anterior teeth, right molars, and left molars, respectively, one end of the elastic band in a tensioned state is attached to the orthodontic hook (H). When the other end of the rubber band is connected to the transverse palatal arc 400, a rear traction force may be applied to the anterior teeth (RAa, RAb, RAc, LAa, LAb, LAc) through the front orthodontic appliance.

다음으로,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들(10A, 10B)이 설명된다.Next, other embodiments 10A and 10B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3 and 4.

본 발명의 따른 전방 치아교정 기구와 이를 갖는 치아교정 장치의 제2실시 예(10A) 및 제3실시 예(10B)는 전방 치아교정 기구와 우구치 유닛(200A) 및 좌구치 유닛(300A)을 포함한다.The second embodiment 10A and the third embodiment 10B of an anterior orthodontic appliance and a dental appliance having the s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 an anterior orthodontic appliance, a right molar unit 200A, and a left molar unit 300A. do.

본 발명의 제2실시 예(10A) 및 제3실시 예(10B)를 위한 전방 치아교정 기구는 전치 유닛(100A, 100B)과 커넥터(150) 및 교정용 걸이(H)를 포함하며, 본 실시 예의 전치 유닛(100A, 100B)은 전치 베이스(110)들을 연속해서 연결하는 곡선 와이어 구조의 전치 연결부재(120)를 포함한다.The front orthodontic appliance for the second embodiment (10A) and the third embodiment (10B)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terior teeth unit (100A, 100B), a connector 150, and an orthodontic hook (H), this embodiment The example transpose units 100A and 100B include an anterior connecting member 120 of a curved wire structure connecting the anterior bases 110 in succession.

그리고 본 발명의 제2실시 예(10A)에서 커넥터(150)는 상기 전치 베이스(110)들 중 견치에 부착되는 견치 베이스에 연결되고, 본 발명의 제3실시 예(10B)에서 커넥터(150)는 상기 전치 베이스(110)들 중 측절치에 부착되는 견치 베이스에 연결되는 구조이다.And in the second embodiment (10A)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nector 150 is connected to the canine base attached to the canine among the anterior bases 110, and in the third embodiment (10B)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nector 150 Is a structure connected to a canine base attached to a lateral incisor among the anterior bases 110.

그리고 본 발명의 제2실시 예(10A) 및 제3실시 예(10B)에서는 횡구개 호선(400)이 우구치 유닛(200A)과 좌구치 유닛(300A)에 조립되어서 결합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횡구개 호선(400)의 우측 단부가 상기 우구치 유닛의 우측 가이드 부재(220)에 끼워지고, 상기 횡구개 호선(400)의 좌측 단부는 상기 좌구치 유닛의 좌측 가이드 부재(320)에 끼워져서 조립된다. 상기 횡구개 호선(400)은, 상기 우측 가이드 부재(220)와 좌측 가이드 부재(320)의 압착이나 접착 등의 방식으로, 상기 우구치 유닛(200A)과 좌구치 유닛(300A)에 고정될 수 있다.And in the second embodiment (10A) and the third embodiment (10B)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ransverse palatal arc 400 is assembled and coupled to the right molar unit 200A and the left molar unit 300A. More specifically, the right end of the transverse palatal arc line 400 is fitted to the right guide member 220 of the right molar unit, and the left end of the transverse palatal arc line 400 is the left guide member 320 of the left molar unit. It is inserted into and assembled. The transverse palatal arc 400 may be fixed to the right and left molar units 200A and 300A by a method such as compression or adhesion between the right and left guide members 220 and 320. .

이를 위하여 상기 우측 가이드 부재(220)는, 상기 우측 가이드 와이어(130)가 삽입되는 제1와이어 홀(221)과, 횡구개 호선(400)의 우측 단부가 삽입되는 제2와이어 홀(222; 호선 삽입홀)을 포함한다.To this end, the right guide member 220 includes a first wire hole 221 into which the right guide wire 130 is inserted, and a second wire hole 222 into which the right end of the transverse palatal arc 400 is inserted; Insertion hole).

그리고 상기 좌측 가이드 부재(320)는, 상기 좌측 가이드 와이어(140)가 삽입되는 제1와이어 홀(321)과, 횡구개 호선(400)의 좌측 단부가 삽입되는 제2와이어 홀(322; 호선 삽입홀)을 포함한다.In addition, the left guide member 320 includes a first wire hole 321 into which the left guide wire 140 is inserted, and a second wire hole 322 into which the left end of the transverse palatal arc 400 is inserted. Hall).

상기 횡구개 호선(400)에는 고무줄 등의 탄성부재가 걸리도록 걸림부(410)가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걸림부(410)의 구조나 수 및 위치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제2실시 예(10A)와 제3실시 예(10B)에서 설명된 전치 연결부재(120)의 구조와 커넥터(150)의 위치와 횡구개 호선(400)의 연결 구조 등을 제외한 나머지 설명되지 않은 부분에는 전술한 제1실시 예에서 설명된 내용이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으므로, 제2실시 예(10A)와 제3실시 예(10B)에서 설명되지 않은 부분에 대한 반복적인 설명은 생략된다.A locking part 410 may be provided on the transverse palatal arc 400 to catch an elastic member such as a rubber band, and the structure, number, and position of the locking part 410 may be variously changed. Other than the structure of the anterior connection member 120 described in the second embodiment (10A) and the third embodiment (10B), the location of the connector 150 and the connection structure of the transverse-palatal arc line 400, etc. Since the contents described in the first embodiment may be applied to the parts, repetitive descriptions of parts not described in the second embodiment 10A and the third embodiment 10B are omitted.

다음으로,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들(10C, 10D)이 설명된다.Next, further embodiments 10C and 10D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5 and 6.

본 발명의 따른 전방 치아교정 기구와 이를 갖는 치아교정 장치의 제4실시 예(10C) 및 제5실시 예(10D)는 우측과 좌측 가이드 와이어(130, 140)에 각각 구비되는 커넥터(150),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전치 베이스(110)들 중 견치에 부착되는 견치 베이스에 연결되는 커넥터(150)를 포함한다.The fourth embodiment (10C) and the fifth embodiment (10D) of the front orthodontic appliance and the orthodontic device having the s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a connector 150 provided on the right and left guide wires 130 and 140, respectively, More specifically, it includes a connector 150 connected to a canine base attached to a canine tooth among the anterior bases 110.

한편, 본 발명의 제5실시 예(10D)에서, 상기 전방 기구는, 구치 예를 들면 제1소구치에 고정 가능하며 전치 베이스(110)들과 일체로 연결되는 전방 구치 베이스(110A, 110B)를 더 포함한다.On the other hand, in the fifth embodiment (10D)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nterior mechanism includes anterior posterior tooth bases 110A and 110B that can be fixed to the posterior teeth, for example, the first premolar teeth and are integrally connected with the anterior teeth bases 110. Include more.

즉, 본 발명의 제5실시 예(10D)에서는 6전치와 좌우측 제1소구치가 상술한 전방 치아교정 기구에 의해 하나의 덩어리로 묶이게 된다.That is, in the fifth embodiment (10D)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ix anterior teeth and the left and right first premolar teeth are grouped into one lump by the anterior orthodontic appliance described above.

그리고 본 발명의 제5실시 예(10D)에서는 전방 치아교정 기구가 후방으로 견인되면서 제2소구치가 소실된 공간이 폐쇄하는 방식의 치아교정이 진행될 수 있으며, 제5실시 예(10D) 우구치 유닛(200B)은 2개의 우측 대구치들만을 하나로 묶고, 좌구치 유닛(300B)은 2개의 좌측 대구치들만을 하나로 묶는 구조이다. And in the fifth embodiment (10D) of the present invention, as the front orthodontic appliance is pulled to the rear, the space in which the second premolar is lost may be closed, and the fifth embodiment (10D) the uguchi unit ( 200B) has a structure in which only two right molars are tied into one, and the left molars unit 300B is a structure in which only two left molars are tied into one.

물론 환자의 치아 상태에 따라 우구치 유닛(200B) 및/또는 좌구치 유닛(300B)이 하나의 구치 베이스만을 가질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구치 연결부재는 생략되며 구치 베이스(210, 310) 자체에 가이드 부재(220, 320)가 일체로 구비된다. 다만, 전방 치아교정 기구의 이동을 안정적으로 지지하고 구치의 움직임을 억제하기 위해서는 복수의 구치들이 일체로 연결되는 것이 좋다.Of course, the right molar unit 200B and/or the left molar unit 300B may have only one molar base according to the patient's tooth condition. In this case, the posterior connection member is omitted, and the guide members 220 and 320 are integrally provided on the posterior bases 210 and 310 themselves. However, in order to stably support the movement of the anterior orthodontic appliance and suppress the movement of the posterior teeth, it is preferable that a plurality of posterior teeth are integrally connected.

한편, 본 발명의 제5실시 예(10D)에서는 횡구개 호선(TPA)가 생략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경우 구개(입천장)에 고정원, 예를 들면 스크류(나사) 타입의 앵커(도시되지 않음)가 식립될 수 있으며, 교정용 걸이와 앵커가 고무줄로 연결되면 고무줄의 탄성력에 의해 전치들의 이동이 가능해진다.On the other hand, in the fifth embodiment (10D)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ransverse palatal arc line (TPA) may be omitted, and in this case, a fixed circle, for example, a screw (screw) type anchor (not shown) to the palate (ceiling of the mouth) Can be placed, and when the orthodontic hook and anchor are connected with a rubber band, the anterior teeth can be moved by the elastic force of the rubber band.

본 발명의 제4실시 예(10C)와 제5실시 예(10D)에서 설명된 커넥터(150)의 위치와 전방 구치 베이스 및 우구치 베이스의 수와 좌구치 베이스의 수 등을 제외한 나머지 설명되지 않은 부분에는 전술한 제1 내지 제3실시 예에서 설명된 내용이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으므로, 제4실시 예(10C)와 제5실시 예(10D)에서 설명되지 않은 부분에 대한 반복적인 설명은 생략된다.Parts not described except for the location of the connector 150 described in the fourth embodiment 10C and the fifth embodiment 10D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number of front and right molars, and the number of left molars Since the contents described in the first to third embodiments described above may be applied equally to, repetitive descriptions of parts not described in the fourth embodiment 10C and the fifth embodiment 10D will be omitted.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환자의 치아 영상 데이터(파노라마 영상, 세팔로 영상 등)를 기반으로 컴퓨터상에서 디자인/설계된 후 3차원 가공장비, 예를 들면 쾌속조형기(RP 장비)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CAD/CAM 기술을 바탕으로 3D 프린팅 장비에 의해 본 발명과 같은 개인 맞춤형 치아교정 장치가 제조될 수 있다.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may be designed/designed on a computer based on the patient's tooth image data (panorama image, cephalo image, etc.), and then manufactured by a 3D processing equipment, for example, a rapid prototyping machine (RP equipment). have. In other words, a personalized orthodontic device such as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anufactured by 3D printing equipment based on CAD/CAM technology.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 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 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As described above, preferred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looked at, and the fact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mbodi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departing from its spirit or scope in addition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is know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It is self-evident to them.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 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 Therefore,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to be regarded as illustrative rather than restrictive, and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description and may be changed within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and equivalents thereof.

10, 10A, 10B, 10C, 10D: 치아교정 장치
100, 100A, 100B: 전치 유닛
110: 전치 베이스 110A, 110B: 전방 구치 베이스
120: 전치 연결부재 130, 140: 가이드 와이어
150: 커넥터 160: 교정용 걸이
200, 200A, 200B: 우구치 유닛
210: 우구치 베이스 220: 우측 가이드 부재
230: 우구치 연결부재
300, 300A, 300B: 우구치 유닛
310: 우구치 베이스 320: 우측 가이드 부재
330: 우구치 연결부재 400: 횡구개 호선
10, 10A, 10B, 10C, 10D: Orthodontic device
100, 100A, 100B: transposition unit
110: anterior base 110A, 110B: anterior posterior base
120: anterior connecting member 130, 140: guide wire
150: connector 160: calibration hook
200, 200A, 200B: Uguchi unit
210: Uguchi base 220: right guide member
230: Uguchi connecting member
300, 300A, 300B: Uguchi unit
310: Uguchi base 320: right guide member
330: Uguchi connecting member 400: transverse palate line

Claims (8)

복수의 전치들을 일체로 이동시키기 위해 상기 전치들에 고정 가능한 전치 유닛; 그리고
상기 전치 유닛의 우측부와 좌측부에 각각 구비되며, 환자의 치아 상태에 맞는 교정용 걸이의 선별적 장착이 가능하고, 상기 전치들의 이동을 위한 탄성 부재의 연결이 가능한 상기 교정용 걸이와 상기 전치 유닛을 연결하는 커넥터(Connector)를 포함하며:
상기 전치 유닛은;
복수의 전치들에 각각 고정 가능한 전치 베이스들과, 상기 전치 베이스들의 일체적 거동을 위해 상기 전치 베이스들을 일체로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의 전치 연결부재를 포함하는 전방 기구, 및
상기 전방 기구의 이동을 가이드 하도록 상기 전방 기구의 양측부에서 후방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가이드 와이어를 포함하는 전방 치아교정 기구.
An anterior tooth unit that can be fixed to the anterior teeth to integrally move a plurality of anterior teeth; And
The orthodontic hook and the anterior tooth unit are provided on the right and left sides of the anterior teeth, respectively, and selectively mount an orthodontic hook suitable for the patient's tooth condition, and connect an elastic member for movement of the anterior teeth Includes a connector to connect:
The transpose unit;
Anterior mechanism comprising anterior bases each of which can be fixed to a plurality of anterior teeth, and at least one anterior connection member integrally connecting the anterior bases for integral movement of the anterior teeth, and
Anterior orthodontic appliance comprising a pair of guide wires extending rearward from both sides of the anterior appliance to guide the movement of the anterior applian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는, 상기 교정용 걸이의 단부(End Portion)가 끼워지는 걸이 삽입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방 치아교정 기구.
The method of claim 1,
The connector, the front tooth orthodontic applianc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hook insertion portion into which the end (End Portion) of the orthodontic hook is fitted.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걸이 삽입부는, 상기 교정용 걸이의 회전을 방지하는 회전 방지홈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방 치아교정 기구.
The method of claim 2,
The hook insertion unit, characterized in that the front teeth orthodontic appliance having a rotation preventing groove for preventing the rotation of the orthodontic hook.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는, 상기 전방 기구와 상기 가이드 와이어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방 치아교정 기구.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The connector is a front tooth orthodontic appliance, characterized in that provided in any one of the front mechanism and the guide wire.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는, 상기 전치 베이스들 중 측절치를 대상으로 하는 측절치 베이스의 근위부 영역에서 견치를 대상으로 하는 견치 베이스의 원위부 영역에 이르는 구간의 후방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방 치아교정 기구.
The method of claim 4,
The connector, wherein the connector is provided at the rear of a section from the proximal region of the lateral incisor base targeting the lateral incisor to the distal region of the canine base targeting the canine tooth among the anterior tooth base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 기구는, 구치에 고정 가능하며 상기 전치 베이스들과 일체로 연결되는 전방 구치 베이스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방 치아교정 기구.
The method of claim 1,
The anterior orthodontic appliance further comprises an anterior posterior tooth base fixed to the posterior tooth and integrally connected with the anterior tooth bases.
복수의 전치들을 일체로 이동시키기 위해 상기 전치들에 고정 가능한 전치 유닛;
상기 전치 유닛에 결합되며 상기 전치들의 이동을 위한 탄성부재의 연결이 가능한 교정용 걸이;
상기 전치 유닛의 우측부와 좌측부에 각각 구비되며, 환자의 치아 상태에 맞는 교정용 걸이의 선별적 장착이 가능하고, 상기 교정용 걸이와 상기 전치 유닛을 연결하는 커넥터(Connector);
우측 구치부에 고정 가능한 우구치 유닛; 그리고
좌측 구치부에 고정 가능한 좌구치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전치 유닛은,
복수의 전치들에 각각 고정 가능한 전치 베이스들과, 상기 전치 베이스들의 일체적 거동을 위해 상기 전치 베이스들을 일체로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의 전치 연결부재를 포함하는 전방 기구와,
상기 전방 기구의 이동을 가이드 하도록 상기 전방 기구의 양측부에서 후방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가이드 와이어를 포함하고;
상기 우구치 유닛은,
상기 우측 구치부의 치아들 중 적어도 하나의 구치에 고정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우구치 베이스와,
상기 우구치 베이스와 일체형이며 상기 가이드 와이어 중 우측 가이드 와이어의 전후방향 이동을 안내하도록 상기 우측 가이드 와이어가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Sliding) 가능하게 삽입되는 우측 가이드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좌구치 유닛은,
상기 좌측 구치부의 치아들 중 적어도 하나의 구치에 고정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좌구치 베이스와,
상기 좌구치 베이스와 일체형이며 상기 가이드 와이어 중 좌측 가이드 와이어의 전후방향 이동을 안내하도록 상기 좌측 가이드 와이어가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는 좌측 가이드 부재를 포함하는 치아교정 장치.
An anterior tooth unit that can be fixed to the anterior teeth to integrally move a plurality of anterior teeth;
An orthodontic hook coupled to the anterior teeth unit and capable of connecting an elastic member for movement of the anterior teeth;
A connector provided at each of the right and left sides of the anterior unit, selectively mounting an orthodontic hook suitable for a patient's tooth condition, and connecting the orthodontic hook and the anterior unit;
A uguchi unit that can be fixed to the right molar portion; And
Includes a left molar unit that can be fixed to the left molar part:
The transposition unit,
A front mechanism comprising anterior bases each of which can be fixed to a plurality of anterior teeth, and at least one anterior connection member integrally connecting the anterior bases for integral movement of the anterior teeth,
A pair of guide wires extending rearward from both sides of the front mechanism to guide movement of the front mechanism;
The Uguchi unit,
At least one uguchi base fixed to at least one of the teeth of the right posterior portion,
And a right guide member which is integral with the Uguchi base and into which the right guide wire is slidably insert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o guide the movement of the right guide wire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of the guide wires;
The left molars unit,
At least one left molars base fixed to at least one of the teeth of the left molars,
A tooth orthodontic appliance comprising a left guide member integral with the left molar base and into which the left guide wire is slidably insert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so as to guide the movement of the left guide wire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of the guide wire.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우구치 유닛과 좌구치 유닛은 횡구개 호선(TPA: Trans Palatal Arch)에 의해 연결되며; 상기 우측 가이드 부재와 좌측 가이드 부재는 각각 상기 횡구개 호선의 우측 단부와 좌측 단부가 끼워지는 호선 삽입홀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교정 장치.
The method of claim 7,
The right molar unit and the left molar unit are connected by a trans-palatal arch (TPA); The right guide member and the left guide member each have an arc line insertion hole into which the right end and the left end of the transverse palatal arc line are inserted.
KR1020210033256A 2018-11-28 2021-03-15 Anterior Orthodontic Appliance And Orthodontic Device Having The Same KR10248728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3256A KR102487282B1 (en) 2018-11-28 2021-03-15 Anterior Orthodontic Appliance And Orthodontic Device Hav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9821A KR20200063732A (en) 2018-11-28 2018-11-28 Anterior Orthodontic Appliance And Orthodontic Device Having The Same
KR1020210033256A KR102487282B1 (en) 2018-11-28 2021-03-15 Anterior Orthodontic Appliance And Orthodontic Device Having The Same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49821A Division KR20200063732A (en) 2018-11-28 2018-11-28 Anterior Orthodontic Appliance And Orthodontic Device Having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33960A true KR20210033960A (en) 2021-03-29
KR102487282B1 KR102487282B1 (en) 2023-01-13

Family

ID=849002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33256A KR102487282B1 (en) 2018-11-28 2021-03-15 Anterior Orthodontic Appliance And Orthodontic Device Hav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87282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66268A (en) 2022-05-30 2023-12-07 이선희 System for orthodontic treatment having function of positioning by using selective direction of tension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9967B1 (en) * 2003-04-02 2005-04-07 임갑선 Orthodontics materials
KR20100020843A (en) 2008-08-13 2010-02-23 주보훈 Correction apparatus for anterior teeth and/or lip profusion and the method thereof
JP2014513620A (en) * 2011-03-29 2014-06-05 ヨン クォン、スン Protruding mouth straightening wire and projecting mouth straightening system having the same
KR101641350B1 (en) * 2014-10-15 2016-07-20 양동민 Apparatus for orthodontic treatment
KR101723674B1 (en) * 2016-12-09 2017-04-05 정유미 Lingual orthodontic system
KR101737947B1 (en) * 2016-01-04 2017-05-19 권순용 Orthodontic Appliance For Retraction Of Anterior Teeth And Orthodontic Device Having The Same
KR20170101283A (en) * 2014-12-30 2017-09-05 쓰리엠 이노베이티브 프로퍼티즈 컴파니 Dental instruments that provide exposed occlusal surfaces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9967B1 (en) * 2003-04-02 2005-04-07 임갑선 Orthodontics materials
KR20100020843A (en) 2008-08-13 2010-02-23 주보훈 Correction apparatus for anterior teeth and/or lip profusion and the method thereof
JP2014513620A (en) * 2011-03-29 2014-06-05 ヨン クォン、スン Protruding mouth straightening wire and projecting mouth straightening system having the same
KR101641350B1 (en) * 2014-10-15 2016-07-20 양동민 Apparatus for orthodontic treatment
KR20170101283A (en) * 2014-12-30 2017-09-05 쓰리엠 이노베이티브 프로퍼티즈 컴파니 Dental instruments that provide exposed occlusal surfaces
KR101737947B1 (en) * 2016-01-04 2017-05-19 권순용 Orthodontic Appliance For Retraction Of Anterior Teeth And Orthodontic Device Having The Same
KR101723674B1 (en) * 2016-12-09 2017-04-05 정유미 Lingual orthodontic system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66268A (en) 2022-05-30 2023-12-07 이선희 System for orthodontic treatment having function of positioning by using selective direction of tens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87282B1 (en) 2023-01-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982743B (en) Dental wire holder for orthodontic treatment and appliance
US11974896B2 (en) Orthodontic appliances that accommodate incremental and continuous tooth movement, systems and methods
JP6082727B2 (en) Protruding mouth straightening wire and projecting mouth straightening system having the same
KR20200063732A (en) Anterior Orthodontic Appliance And Orthodontic Device Having The Same
JP6186359B2 (en) Orthodontic apparatus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US8257080B2 (en) Low profile orthodontic bite corrector
KR101641350B1 (en) Apparatus for orthodontic treatment
KR102087727B1 (en) A lingual orthodontic device
KR102092592B1 (en) Tube Type Orthodontic Appliance For Supporting Orthodontic Wire
KR20210033960A (en) Anterior Orthodontic Appliance And Orthodontic Device Having The Same
KR101251946B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Orthodontic Kit And Orthodontic Kit Using The Same
Jeong et al. Treatment of Class I crowding using simple tubes bonded with customized resin coverings: A case report
KR101129136B1 (en) Wire for Orthodontic Treatment And Orthodontic Device Having The Same
JP2005218857A (en) Method for selecting bracket to be used for orthodontic treatment of malposition of tooth
KR102223315B1 (en) Tube Type Orthodontic Appliance For Supporting Orthodontic Wire
KR102055497B1 (en) Apparatus for 2in1 type orthodontic treatment
CN220193198U (en) Correction device
CN220089660U (en) Appliance for depressing anterior teeth
CN220001955U (en) Correction device and correction system for mandibular anterior guide
KR20120052492A (en) Instrument for orthodontic treatment and orthodontic treating system having the same
Ureña Achieving clinical success in lingual orthodontics
WO2023017505A1 (en) Patient-specific intraoral dental guidance assembly
Vexiau et al. Retained second molars: therapeutic approach
CN117100432A (en) Manufacturing method of invisible appliance and matched correction method thereof
Anka et al. Non-extraction treatment of Class II 37 malocclusion using miniscrew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PA0107 Divisional application

Comment text: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210315

Patent event code: PA01071R01D

Filing date: 20181128

Application number text: 1020180149821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11129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4I

Patent event date: 20210315

Comment text: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2020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21005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