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33695A - 재고 파악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재고 파악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33695A
KR20210033695A KR1020190115299A KR20190115299A KR20210033695A KR 20210033695 A KR20210033695 A KR 20210033695A KR 1020190115299 A KR1020190115299 A KR 1020190115299A KR 20190115299 A KR20190115299 A KR 20190115299A KR 20210033695 A KR20210033695 A KR 202100336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duct
area
information
inventory
recogn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152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19893B1 (ko
Inventor
박주봉
Original Assignee
디카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디카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디카모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152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19893B1/ko
Publication of KR202100336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336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198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198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10/087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e.g. order filling, procurement or balancing against ord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G06Q10/06312Adjustment or analysis of established resource schedule, e.g. resource or task levelling, or dynamic reschedul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G06Q10/06313Resource planning in a project environ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0002Inspection of images, e.g. flaw detection
    • G06T7/0004Industrial image inspect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08B21/182Level alarms, e.g. alarms responsive to variables exceeding a threshold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Marketing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Abstract

촬영 영역을 촬영하는 단계; 인식 점의 식별이 가능하도록 영상을 보정하는 단계; 보정된 영상으로부터 인식 점의 위치를 식별하여 제품 영역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제품 영역에 위치하는 제품의 종류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제품 종류에 의해 분류되는 제품 정보로부터 재고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재고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재고 파악 방법을 개시한다.

Description

재고 파악 방법 및 시스템{INVENTORY IDENTIFICATION METHOD AND SYSTEM}
본 발명은 재고 파악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촬영 영역에 마련되는 인식 점의 상태에 따라 재고를 파악하는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마트, 편의점, 슈퍼마켓 등에서 사용되는 진열대는 기호 식품, 약품, 실용품 등 여러 제품을 다량 진열할 수 있도록 설치된다.
한편, 이러한 진열대는 재고를 파악하고, 재고가 부족한 제품을 다시 진열하기 위해서는 관리자가 직접 제품의 개수를 파악해야 한다.
이러한 경우, 재고가 부족해진 시점에 관리자가 재고의 부족을 파악하지 못할 수도 있으며, 이에 따라, 고객의 만족도가 저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자동으로 재고를 파악하는 방안이 요구되는 실정이다.
한편, 최근에는 마트 및 편의점 등에서 관리자가 요구되지 않는 자동 판매 시스템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며, 이와 관련하여, 자동으로 재고를 파악하는 방안이 결합되어 보다 효율적인 판매점의 운영이 가능해질 수도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촬영 영역에 마련되는 인식 점의 상태에 따라 재고를 파악하는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측면은, 사전에 설정되는 촬영 영역을 촬영하는 영상 촬영 단계; 상기 촬영 영역에 마련되는 인식 점의 식별이 가능하도록 상기 영상 촬영 단계에서 촬영된 영상을 보정하는 영상 보정 단계; 상기 영상 보정 단계에서 보정된 영상으로부터 인식 점의 위치를 식별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품이 위치하는 영역을 나타내는 제품 영역을 생성하는 영역 생성 단계; 상기 제품 영역에 위치하는 제품의 종류를 판단하는 제품 판단 단계; 상기 제품의 종류에 따른 제품 정보로부터 상기 제품 영역에 존재하는 제품의 개수를 나타내는 재고 정보를 생성하는 재고 판단 단계; 및 상기 재고 판단 단계에서 생성되는 재고 정보를 출력하는 재고 출력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품이 진열되는 진열대는 니은 자 형태로 구비되고, 복수의 인식 점을 구비하는 인식 영역은 상기 진열대의 바닥 면 및 벽 면 중 적어도 하나의 면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영역 생성 단계는, 상기 바닥 면에 구비되는 인식 영역인 바닥 면 인식 영역으로부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품이 위치하는 영역을 나타내는 바닥 면 제품 영역을 생성하고, 상기 벽 면에 구비되는 인식 영역인 벽 면 인식 영역으로부터 제품이 위치하는 영역을 나타내는 벽 면 제품 영역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품 정보는, 상기 바닥 면 인식 영역에 대해 제품 하나가 차지하는 영역을 나타내는 단일 바닥 면 제품 영역 및 상기 벽 면 인식 영역에 대해 제품 하나가 차지하는 영역을 나타내는 단일 벽 면 제품 영역 중 적어도 하나의 영역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재고 판단 단계는, 상기 단일 바닥 면 제품 영역과 상기 바닥 면 제품 영역을 비교하여 상기 바닥 면 제품 영역에 존재하는 제품의 개수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재고 판단 단계는, 상기 벽 면 인식 영역에서 상기 벽 면 제품 영역이 생성되지 않은 경우, 제품이 진열되지 않은 것을 출력하도록 제품 미 진열 명령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품 판단 단계는, 상기 인식 영역에 사전에 설정되는 제품에 대한 단일 바닥 면 제품 영역과 상기 바닥 면 제품 영역을 비교하고, 상기 제품의 상기 단일 벽 면 제품 영역과 상기 벽 면 제품 영역을 비교하여, 적어도 하나의 비교 결과가 다른 것으로 나타나는 경우에, 다른 제품이 진열된 것을 출력하도록 제품 착오 진열 명령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서로 다른 제품의 제품 정보에 대한 데이터베이스를 저장하는 서버 장치에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제품 정보 요청 명령을 전달하여 상기 제품 정보 요청 명령에 따른 제품 정보를 전달받고, 상기 제품 정보를 저장하는 정보 저장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정보 저장 단계는, 상기 제품 정보에 따른 제품의 보유 개수 정보를 상기 서버 장치로부터 전달받아 저장하고, 판매된 제품의 개수를 나타내는 판매 개수 정보를 외부로부터 전달받아 상기 보유 개수 정보로부터 차감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재고 출력 단계는, 상기 재고 판단 단계에서 생성되는 재고 정보와 상기 보유 개수 정보가 다른 경우에 알림을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촬영 영역은, 복수의 인식 점이 배치되는 인식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인식 영역은 상기 제품이 진열되는 진열대의 일측면에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측면은, 서로 다른 제품의 제품 정보에 대한 데이터베이스를 저장하는 서버 장치; 사전에 설정되는 촬영 영역을 촬영하는 카메라; 및 상기 카메라에서 촬영된 영상을 전달받고, 상기 촬영 영역에 마련되는 인식 점에 따라 상기 제품이 위치하는 제품 영역을 생성하고, 상기 서버 장치로부터 전달받은 제품 정보에 따라 상기 제품 영역에 존재하는 제품의 제품 종류를 판단하고, 상기 제품 종류 및 상기 제품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에 따라 상기 제품 영역에 위치하는 제품의 개수를 나타내는 재고 정보를 생성하는 재고 파악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재고 파악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함으로써, 촬영 영역에 마련되는 인식 점의 상태에 따라 재고를 파악할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고 파악 시스템의 개략도이다.
도2a 및 도2b는 도1의 진열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3a 및 도3b는 도1의 진열대에 배치되는 인식 영역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4는 도1의 진열대에 배치되는 인식 영역 내에서 제품이 진열되는 영역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고 파악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6은 도5의 제품 판단 단계의 세부 순서도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고 파악 시스템의 개략도이다.
재고 파악 시스템(1)은 서버 장치(100), 카메라(200) 및 재고 파악 장치(300)를 포함할 수 있으며, 보다 상세하게, 재고 파악 시스템(1)은 진열대(400) 및 디스플레이(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서버 장치(100)는 서로 다른 제품의 정보를 나타내는 제품 정보에 대한 데이터베이스를 저장할 수 있다.
이때, 서버 장치(100)는 재고 파악 장치(300)와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로 연결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서버 장치(100)와 재고 파악 장치(300)는 상호 간의 데이터 통신이 이루어져, 서버 장치(100)에 저장되거나, 서버 장치(100)에서 생성되는 정보를 재고 파악 장치(300)에 전달할 수 있으며, 재고 파악 장치(300)에 저장되거나, 재고 파악 장치(300)에서 생성되는 정보 또는 명령 등을 서버 장치(100)에 전달할 수 있다.
한편, 유선 네트워크는 동축 케이블(Coaxial Cable), 광섬유 케이블(Optical Fiber Cable), UTP 케이블(Unshielded Twist Pair Cable), STP 케이블(Shielded Twist Pair Cable) 및 FTP 케이블(Foil Screened Twist Pair Cable) 등의 유선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전달하고, 전달받는 네트워크로 이해할 수 있으며, 무선 네트워크는 코드 분할 다중 접속 방식(CDMA), 시분할 다중 접속 방식(TDMA), 주파수 분할 다중 접속 방식(FDMA),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접속 방식(OFDMA) 및 단일-캐리어 주파수 분할 다중 접속 방식(SC-FDMA) 등의 무선의 형태로 데이터를 전달하고, 전달받는 네트워크로 이해할 수 있다. 또한, 유선 네트워크 및 무선 네트워크는 공지된 다른 기술을 이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서버 장치(100)에 저장되는 제품 정보는 제품명, 제조일, 제조사, 제품 가격 및 제품 하나의 크기 또는 형태를 나타내는 단일 제품 영역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제품 정보는 제품의 일측면에서 나타나는 이미지, 제품의 색상, 제품의 일측면에서 나타나는 문자의 배열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서로 다른 각각의 제품은 서버 장치(100)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는 제품 정보에 따라 분류 또는 구분될 수 있으며, 서버 장치(100) 또는 재고 파악 장치(300)에서 서로 다른 제품을 분류 또는 구분할 때,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품 정보가 이용될 수 있다.
이외에도, 제품 정보는 서로 다른 제품을 분류 또는 구분할 수 있는 제품에 대한 특성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카메라(200)는 사전에 설정되는 촬영 영역을 촬영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촬영 영역은 복수의 인식 점이 배치되는 인식 영역을 포함할 수 있고, 인식 영역은 제품이 진열되는 진열대(400)의 일측면에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대해, 촬영 영역은 진열대(400)에 부착된 인식 영역을 포함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인식 영역은 복수의 인식 점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카메라(200)는 인식 영역을 포함하는 촬영 영역을 촬영할 수 있으며, 촬영 영역이 촬영된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여기에서, 촬영된 영상은 영상에 포함되는 색상, 대비, 명암, 주파수 등의 영상 정보의 보정이 가능한 형태로 생성될 수 있다.
한편, 카메라(200)는 제품을 진열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진열대(400)의 일측에 구비될 수 있으며, 진열대(400)가 복수의 층으로 구비되는 경우에, 카메라(200)는 각 층의 촬영 영역을 촬영할 수 있도록 복수 개의 카메라(200)로 진열대(400)의 각각의 층에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카메라(200)는 사전에 설정되는 시간적 주기에 따라 촬영 영역을 촬영할 수 있으며, 카메라(200)는 외부로부터 전달받는 촬영 명령에 따라 촬영 영역을 촬영할 수 있다.
진열대(400)는 복수 개의 인식 점을 포함하는 인식 영역을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으며, 진열대(400)가 복수의 층으로 구비되는 경우에, 인식 영역은 각각의 층에 구비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500)는 진열대(400)의 일측에 구비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500)는 진열대(400)에 진열된 제품의 제품 정보에 포함되는 서로 다른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디스플레이(500)는 재고 파악 장치(300)에서 생성되는 진열대(400)에 진열된 제품의 재고를 나타내는 재고 정보 또는 제품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전달받아 출력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디스플레이(500)는 재고 파악 장치(300)와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로 연결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재고 파악 장치(300)는 재고 파악 장치(300)에 저장되거나, 재고 파악 장치(300)에서 생성되는 정보를 디스플레이(500)에 전달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디스플레이(500)는 재고 파악 장치(300)로부터 전달받는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500)는 일측면에서 서로 다른 정보를 출력하도록 구비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500)는 복수의 디스플레이(500)가 결합되어 각각의 디스플레이(500)에서 서로 다른 정보를 출력하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재고 파악 장치(300)는 카메라(200)에서 촬영된 영상을 전달받을 수 있으며, 이를 위해, 재고 파악 장치(300)는 카메라(200)와 유선 네트워크 및 무선 네트워크로 연결될 수 있다.
재고 파악 장치(300)는 카메라(200)로 촬영된 영상을 촬영 영역에 마련되는 인식 점의 식별이 가능하도록 보정하여 보정된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영상을 보정하는 것은 영상을 표현하는 색상, 대비, 명암 및 주파수 등의 다수의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수정하는 것일 수 있으며, 이러한 보정은 영상을 보정하는 목적 및 영상에 포함되는 정보에 따라 다른 방식으로 실시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인식 점의 식별이 가능하도록 보정하는 것은 인식 점의 형태, 인식 점의 색상 및 인식 점의 크기 등에 따라 다른 방식으로 보정될 수 있다.
한편, 재고 파악 장치(300)는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촬영 명령 입력에 따라 카메라(200)에 촬영 명령을 전달할 수 있다.
재고 파악 장치(300)는 보정된 영상으로부터 인식 점의 위치를 식별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품이 위치하는 영역을 나타내는 제품 영역을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제품 영역은 제품의 위치에 따라 겹쳐지지 않은 인식 점을 연결하는 선에 따라 결정되는 면으로 나타날 수 있으며, 제품 영역은 제품의 위치 및 인식 점이 구비되는 형태에 따라 제품과 겹쳐지는 인식 점을 연결하는 선에 따라 결정되는 면으로 나타날 수 있다.
여기에서, 제품과 겹쳐지지 않은 인식 점은 특정 인식 점과 인접하는 복수 개의 인식 점 중 적어도 하나의 인식 점이 식별되지 않는 경우에, 해당 인식 점을 겹쳐지지 않은 인식 점으로 설정할 수 있으며, 각각의 인식 점을 하나의 좌표로 가정하여, 임의로 지정되는 하나의 겹쳐지지 않은 인식 점으로부터 가장 근접한 다른 겹쳐지지 않은 인식 점을 연결하는 과정을 반복하여 제품 영역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제품과 겹쳐지는 인식 점은 특정 인식 점과 인접하는 복수 개의 인식 점 중 적어도 하나의 인식 점이 식별되는 경우에, 해당 인식 점을 겹쳐지는 인식 점으로 설정할 수 있으며, 각각의 인식 점을 하나의 좌표로 가정하여, 임의로 지정되는 하나의 겹쳐지는 인식 점으로부터 가장 근접한 다른 겹쳐지는 인식 점을 연결하는 과정을 반복하여 제품 영역을 생성할 수 있다.
한편, 제품 영역은 식별된 임의의 인식 점과 인접하는 식별된 다른 모든 인식 점을 연결하고, 적어도 3개 이상의 식별된 인식 점에 의해 생성되는 면을 제외하는 영역으로 생성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제품 영역은 촬영 영역에 존재하는 다수 개의 인식 점을 활용하는 다양한 형태로 생성될 수 있으며, 인식 점은 점, 선 등의 다양한 형태로 구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재고 파악 장치(300)는 제품 영역에 위치하는 제품의 제품 종류를 판단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재고 파악 장치(300)는 제품을 구별하도록 설정되는 제품 정보를 제품 영역에서 추출할 수 있으며, 재고 파악 장치(300)는 추출된 제품 정보에 따라 제품 종류를 판단할 수 있다.
여기에서, 제품 정보는 단일 제품 영역, 제품의 일측면에서 나타나는 이미지, 제품의 색상 및 제품의 일측면에서 나타나는 문자의 배열 등 제품의 외측으로부터 추출이 가능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재고 파악 장치(300)는 촬영된 영상 또는 보정된 영상을 제품 영역으로부터 제품 정보의 추출이 가능하도록 보정할 수 있다.
한편, 재고 파악 장치(300)는 촬영 영역 내에서 서로 다른 제품의 종류에 따라 진열되는 위치를 나타내는 제품 위치 정보를 외부로부터 입력 받고, 재고 파악 장치(300)는 제품 위치 정보에 따른 제품의 제품 정보를 서버 장치(100)로부터 전달받을 수 있으며, 재고 파악 장치(300)는 외부로부터 입력 받은 제품 정보에 따라 제품 종류를 판단할 수 있다.
이때, 서버 장치(100)로부터 전달받는 제품 정보는 제품 정보에 포함되는 다수개의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일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재고 파악 장치(300)는 서로 다른 제품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제품을 구분할 수 있다.
또한, 제품 위치 정보는 촬영 영역에 포함되는 인식 영역 내에서 특정 제품이 진열되는 위치를 나타내는 정보일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제품 위치 정보는 특정한 제품을 구별할 수 있도록 제품 정보에 포함되는 다수의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재고 파악 장치(300)는 설정된 제품 위치 정보에 따른 제품 정보를 서버 장치(100)에 요청하고, 서버 장치(100)는 해당 제품 정보를 재고 파악 장치(300)에 전달할 수 있다.
한편, 재고 파악 장치(300)는 진열대(400)의 바닥 면에 구비되는 인식 영역인 바닥 면 인식 영역으로부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품이 위치하는 영역을 나타내는 바닥 면 제품 영역을 생성할 수 있으며, 재고 파악 장치(300)는 진열대(400)의 벽 면에 구비되는 인식 영역인 벽 면 인식 영역으로부터 제품이 위치하는 영역을 나타내는 벽 면 제품 영역을 생성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제품 정보는 바닥 면 인식 영역에 대해 제품 하나가 차지하는 영역을 나타내는 단일 바닥 면 제품 영역 및 벽 면 인식 영역에 대해 제품 하나가 차지하는 영역을 나타내는 단일 벽 면 제품 영역 중 적어도 하나의 영역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단일 바닥 면 제품 영역 및 단일 벽 면 제품 영역은 단일 제품 영역에 포함되는 정보일 수 있으며, 인식 영역으로부터 생성되는 바닥 면 제품 영역 및 벽 면 제품 영역은 제품 영역에 포함되는 정보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재고 파악 장치(300)는 단일 바닥 면 제품 영역과 바닥 면 제품 영역을 비교하여 바닥 면 제품 영역에 존재하는 제품의 개수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품 영역이 해당 영역에 포함되는 인식 점의 개수에 따라 구분되는 경우에, 바닥 면 제품 영역에 포함되는 인식 점의 개수를 단일 바닥 면 제품 영역에 포함되는 인식 점의 개수로 나누어 바닥 면 제품 영역에 포함되는 제품의 개수를 계산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제품 영역에 포함되는 인식 점의 개수는 인식 영역에 대해 가로 방향으로 포함되는 인식 점의 개수 및 세로 방향으로 포함되는 인식 점의 개수로 구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재고 파악 장치(300)는 각각의 방향에 대한 인식 점의 개수를 비교하여 제품의 개수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재고 파악 장치(300)는 인식 영역에 포함되는 인식 점과 진열된 제품에 의해 가려지는 인식 점의 상태 등에 따라서 제품이 위치하는 영역을 판단하는 다른 방식을 이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재고 파악 장치(300)는 제품 영역을 생성할 때, 벽 면 인식 영역에서 벽 면 제품 영역이 생성되지 않은 경우에, 제품이 진열되지 않은 것을 디스플레이(500)에 출력하도록 제품 미 진열 명령을 생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재고 파악 장치(300)는 제품 미 진열 명령을 디스플레이(500)에 전달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500)는 제품 미 진열 명령에 따라 제품이 진열되지 않은 것을 알림으로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제품 파악 장치(300)는 인식 영역에 사전에 설정되는 제품에 대한 단일 바닥 면 제품 영역과 바닥 면 제품 영역을 비교하고, 단일 벽 면 제품 영역과 상기 벽 면 제품 영역을 비교하여, 적어도 하나의 비교 결과가 다른 것으로 나타나는 경우에, 다른 제품이 진열된 것을 디스플레이(500)에 출력하도록 제품 착오 진열 명령을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사전에 설정되는 제품은 촬영 영역 내에서 서로 다른 제품의 종류에 따라 진열되는 위치를 나타내는 제품 위치 정보에 따른 제품일 수 있으며, 제품 파악 장치(300)에서 생성되는 제품 영역과 비교되는 단일 제품 영역은 제품 위치 정보에 따른 제품에 포함되는 정보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재고 파악 장치(300)는 제품 착오 진열 명령을 디스플레이(500)에 전달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500)는 제품 착오 진열 명령에 따라 제품이 진열되지 않은 것을 알림으로 출력할 수 있다.
한편, 재고 파악 장치(300)는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제품 정보 요청 명령을 서버 장치(100)에 전달할 수 있으며, 재고 파악 장치(300)는 제품 정보 요청 명령에 따라 구분되는 제품의 제품 정보를 서버 장치(100)로부터 전달받을 수 있다.
여기에서, 제품 정보 요청 명령은 제품의 재고 수량 등을 관리하는 장치에 의해 입력될 수 있으며, 사용자에 의해 직접 입력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때, 제품의 재고 수량 등을 관리하는 장치는 금전등록기 및 컴퓨터 단말기의 기능이 결합된 POS(Point Of Sales) 시스템 등이 이용될 수 있으며, 이러한 시스템이 재고 파악 장치(300)에 결합되어 하나의 장치로 이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제품 정보 요청 명령은 특정 제품을 구별하기 위한 정보 및 제품 정보에 의해 구별된 제품에 대해 진열이 요구되는 개수를 나타내는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특정 제품을 구별하기 위한 정보는 제품 정보에 포함되는 다수개의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서버 장치(100)는 제품 정보 요청 명령에 의해 분류되는 제품에 대한 제품 정보 및 진열대(400)에 전달 가능한 제품의 개수를 나타내는 전달 개수 정보를 재고 파악 장치(300)에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재고 파악 장치(300)는 서버 장치(100)로부터 전달받은 제품 정보를 재고 파악 장치(300) 내에 저장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재고 파악 장치(300)는 촬영 영역을 촬영하고, 영상을 보정하여 얻어지는 제품 영역에서 확인되는 제품의 제품 정보를 재고 파악 장치(300) 내의 저장소에서 추출할 수 있다.
이때, 재고 파악 장치(300)는 이전에 저장된 보유 개수 정보에 서버 장치(100)로부터 전달받은 전달 개수 정보를 합할 수 있으며, 이전에 저장된 보유 개수 정보가 없는 경우에는 전달 개수 정보가 나타내는 제품의 개수가 보유 개수 정보로 변경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재고 파악 장치(300)는 제품 영역에 존재하는 제품의 개수를 제품 정보를 통해서 계산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제품 정보는 단일 제품 영역 등의 제품의 형태 또는 크기를 가리키는 정보 포함할 수 있다.
재고 파악 장치(300)는 제품 종류에 의해 분류되는 제품 정보로부터 제품 영역에 위치하는 제품의 개수를 나타내는 재고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재고 파악 장치(300)는 단일 제품 영역과 제품 영역을 비교하여 제품 영역에 위치하는 제품의 개수를 계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일 제품 영역이 제품에 겹쳐지는 인식 점의 개수를 나타내는 경우에, 제품 영역에서 제품에 겹쳐진 인식 점의 개수를 단일 제품 영역으로 나누어, 제품 영역에 위치하는 제품의 개수를 계산하여, 재고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단일 제품 영역은 하나의 제품이 나타내는 형태 또는 크기에 관련되는 정보이므로, 제품 영역이 생성되는 방식에 따라 다른 형태의 정보로 나타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재고 파악 장치(300)는 단일 제품 영역과 제품 영역을 이용하여 제품 영역에 존재하는 제품의 개수를 판단하여 재고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재고 파악 장치(300)는 생성된 재고 정보를 디스플레이(500)에 전달하여 재고 정보가 디스플레이(500)에서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재고 파악 장치(300)는 서버 장치(100)로부터 제품 정보에 따른 제품의 보유 개수 정보를 전달받아 저장할 수 있으며, 재고 파악 장치(300)는 외부로부터 판매된 제품의 개수를 나타내는 판매 개수 정보를 전달받고, 보유 개수 정보로부터 판매 개수 정보를 차감할 수 있다.
이때, 판매 개수 정보를 전달하는 장치는 제품의 재고 수량 등을 관리하는 장치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POS 시스템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재고 파악 장치(300)는 특정 제품의 보유 개수 정보가 사전에 설정되는 개수보다 작아지는 경우에, 해당 제품에 대한 제품 정보 요청 명령을 생성할 수 있으며, 재고 파악 장치(300)는 생성된 제품 정보 요청 명령을 서버 장치(100)에 전달할 수 있다.
이때, 재고 파악 장치(300)는 해당 제품에 대한 제품 정보 요청 명령을 생성하기 위한 사용자의 동의를 요청하는 알림을 생성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에, 사용자로부터 제품 정보 요청 명령의 생성에 대한 승인을 입력 받으면, 재고 파악 장치(300)는 제품 정보 요청 명령을 생성하고, 서버 장치(100)에 제품 정보 요청 명령을 전달할 수 있다.
한편, 재고 파악 장치(300)는 외부로부터 입력을 받기 위한 입력 장치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러한 입력 장치는 특정 명령을 생성하는 버튼, 스위치, 키보드, 마우스 등의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도2a 및 도2b는 도1의 진열대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진열대(400)는 제품을 진열하도록 구비될 수 있으며, 진열대(400)에는 카메라(200), 디스플레이(500), 인식 영역(410)이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진열대(400)는 상측에 카메라(200) 및 디스플레이(500)를 설치할 수 있는 상판을 구비할 수 있다.
카메라(200)는 진열대(400)에 제품이 진열되도록 구비되는 영역을 포함하는 촬영 영역을 향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500)는 진열대(400)에 진열된 제품의 전방 하측에 설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진열대(400)의 특정 영역에 진열된 제품에 대한 정보는 해당 영역에 근접하여 설치된 디스플레이(500)에 출력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500)의 위치는 진열대(400)에서 제품이 진열되는 위치에 인접하여 해당 위치에 진열되는 제품의 정보가 출력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인식 영역(410)은 복수 개의 인식 점을 포함하며, 이러한 인식 영역(410)은 진열대(400)의 바닥 면 및 벽 면에 배치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진열대(400)는 니은 자 형태로 구비될 수 있으며, 진열대(400)는 복수의 층에 제품을 진열하기 위해, 니은 자 형태의 진열대(400)가 복수 개의 층으로 쌓이는 형태로 구비될 수도 있다.
도2a를 참조하면, 하나의 층으로 구비되는 진열대(400)를 확인할 수 있고, 도2b를 참조하면, 복수의 층으로 구비되는 진열대(400a, 400b, 400c)를 확인할 수 있다.
이때, 진열대(400)에는 제품이 진열되는 복수의 층이 진열대(400a, 400b, 400c)에 구비되는 경우에, 각 층에 독립적으로 구비되는 촬영 영역 및 인식 영역(410a, 410b, 410c)을 촬영할 수 있도록 복수 개의 카메라(200a, 200b, 200c)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진열대(400a, 400b, 400c)에는 각 층에 구비되는 제품의 정보를 독립적으로 출력할 수 있도록 복수 개의 디스플레이(500a, 500b, 500c)가 설치될 수 있다.
한편,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도3a 및 도3b는 도1의 진열대에 배치되는 인식 영역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3a를 참조하면, 인식 영역(410)은 점의 형태로 나타나는 복수의 인식 점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또한, 도3b를 참조하면, 인식 영역(410)은 직교하는 선으로부터 생성되는 복수의 인식 점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한편, 인식 점은 선의 형태로 구비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경우, 인식 영역(410)은 복수의 선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재고 파악 장치(300)는 제품 영역을 생성할 때, 인식 영역(410)에 마련되는 복수의 선을 이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인식 영역(410)은 점 또는 선 등의 제품 영역을 생성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로 마련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한편, 인식 영역(410)은 복수의 인식 점이 일정한 배열로 나타나도록 구비될 수 있으며, 인식 영역(410)은 진열대(400)에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식 영역(410)은 인식 점이 구비되는 일측면의 배향면에 접착면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인식 영역(410)은 진열대(400)의 바닥 면 및 벽 면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재고 파악 장치(300)는 진열대(400)의 바닥 면 및 벽 면 중 적어도 하나의 면에 대해 나타나는 제품 영역을 제품의 종류를 구별하는데 이용할 수 있으며, 진열대(400)의 바닥 면 및 벽 면 중 적어도 하나의 면에 대해 나타나는 제품 영역을 제품이 소진된 것인지 판단하는데 이용할 수 있다.
도4는 도1의 진열대에 배치되는 인식 영역 내에서 제품이 진열되는 영역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진열대(400)에 진열되는 서로 다른 제품은 각각의 제품의 종류에 매칭되는 제품 위치 정보에 따라 진열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재고 파악 장치(300)는 촬영 영역 내에서 서로 다른 제품의 종류에 따라 진열되는 위치를 나타내는 제품 위치 정보를 외부로부터 입력 받을 수 있다.
이때, 제품 위치 정보는 사전에 설정되어, 제품이 진열되는 영역(411, 412, 413)을 나타내는 정보일 수 있으며, 재고 파악 장치(300)는 외부로부터 촬영 영역 내에 진열되는 제품의 정보를 입력 받을 때, 제품이 진열되는 영역(411, 412, 413)을 나타내는 제품 위치 정보도 입력 받을 수 있다.
또한, 재고 파악 장치(300)는 제품 위치 정보에 따른 제품의 제품 정보를 서버 장치(100)로부터 전달받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재고 파악 장치(300)는 촬영 영역 내의 특정 위치에서 식별되는 제품이 어떤 종류의 제품인지 판단할 수 있다.
도4를 참조하면, 진열대(400)의 인식 영역(410) 상에 나타나는 복수의 영역(411, 412, 413)은 각각의 제품이 진열되도록 설정된 영역일 수 있으며, 각각의 영역(411, 412, 413)은 제품 위치 정보에 따른 영역으로 이해될 수 있다.
도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고 파악 방법의 순서도이다.
재고 파악 방법은 영상 촬영 단계(800), 영상 보정 단계(810), 영역 생성 단계(820), 제품 판단 단계(830), 재고 판단 단계(840) 및 재고 출력 단계(85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고 파악 방법은 도 1에 도시된 재고 파악 시스템(1)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 상에서 진행되므로, 도 1의 재고 파악 시스템(1)과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고, 반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영상 촬영 단계(800)는 사전에 설정되는 촬영 영역을 촬영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촬영 영역은 복수의 인식 점이 배치되는 인식 영역(410)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영상 촬영 단계(800)에서 촬영되는 영상은 영상에 포함되는 색상, 대비, 명암, 주파수 등의 영상 정보의 보정이 가능한 영상일 수 있다.
또한, 영상 촬영 단계(800)는 사전에 설정되는 시간적 주기에 따라 촬영 영역을 촬영할 수 있으며, 영상 촬영 단계(800)는 외부로부터 전달받는 촬영 명령에 따라 촬영 영역을 촬영할 수 있다.
영상 보정 단계(810)는 영상 촬영 단계(800)에서 촬영된 영상을 전달받을 수 있으며, 영상 보정 단계(810)는 촬영된 영상을 촬영 영역에 마련되는 인식 점의 식별이 가능하도록 보정할 수 있다.
이때, 영상을 보정하는 것은 영상을 표현하는 색상, 대비, 명암 및 주파수 등의 다수의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수정하는 것일 수 있으며, 이러한 보정은 영상을 보정하는 목적 및 영상에 포함되는 정보에 따라 다른 방식으로 실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영상 보정 단계(810)는 제품에 의해 인식 점이 가려진 영역을 식별하도록 영상을 보정할 수 있다.
영역 생성 단계(820)는 영상 보정 단계(810)에서 보정된 영상으로부터 인식 점의 위치를 식별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품이 위치하는 영역을 나타내는 제품 영역을 생성할 수 있다.
영역 생성 단계(820)는 진열대(400)의 바닥 면에 구비되는 인식 영역(410)인 바닥 면 인식 영역으로부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품이 위치하는 영역을 나타내는 바닥 면 제품 영역을 생성할 수 있으며, 재고 파악 장치(300)는 진열대(400)의 벽 면에 구비되는 인식 영역(410)인 벽 면 인식 영역으로부터 제품이 위치하는 영역을 나타내는 벽 면 제품 영역을 생성할 수 있다.
제품 판단 단계(830)는 제품 영역에 위치하는 제품의 종류를 판단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품 판단 단계(830)는 제품을 구별하도록 설정되는 제품 정보를 제품 영역에서 추출할 수 있으며, 제품 판단 단계(830)는 추출된 제품 정보에 따라 제품 종류를 판단할 수 있다.
이때, 제품 판단 단계(830)는 촬영된 영상 또는 보정된 영상을 제품 영역으로부터 제품 정보의 추출이 가능하도록 보정할 수도 있다.
한편, 제품 판단 단계(830)는 촬영 영역 내에서 서로 다른 제품의 종류에 따라 진열되는 위치를 나타내는 제품 위치 정보를 외부로부터 입력 받고, 제품 판단 단계(830)는 제품 위치 정보에 따른 제품의 제품 정보를 외부로부터 전달받을 수 있으며, 제품 판단 단계(830)는 외부로부터 입력 받은 제품 정보에 따라 제품 종류를 판단할 수 있다.
한편, 제품 판단 단계(830)는 인식 영역(410)에 사전에 설정되는 제품에 대한 단일 바닥 면 제품 영역과 바닥 면 제품 영역을 비교하고, 단일 벽 면 제품 영역과 상기 벽 면 제품 영역을 비교하여, 적어도 하나의 비교 결과가 다른 것으로 나타나는 경우에, 다른 제품이 진열된 것을 디스플레이(500)에 출력하도록 제품 착오 진열 명령을 생성할 수 있다.
재고 판단 단계(840)는 제품 종류에 의해 분류되는 제품 정보로부터 제품 영역에 위치하는 제품의 개수를 나타내는 재고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재고 판단 단계(840)는 단일 제품 영역과 제품 영역을 비교하여 제품 영역에 위치하는 제품의 개수를 계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일 제품 영역이 제품에 겹쳐지는 인식 점의 개수를 나타내는 경우에, 제품 영역에서 제품에 겹쳐진 인식 점의 개수를 단일 제품 영역으로 나누어, 제품 영역에 위치하는 제품의 개수를 계산하여, 재고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재고 판단 단계(840)는 하나의 제품이 나타내는 형태 또는 크기에 관련되는 정보이므로, 제품 영역이 생성되는 방식에 따라 다른 형태의 정보로 나타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재고 판단 단계(840)는 단일 제품 영역과 제품 영역을 이용하여 제품 영역에 존재하는 제품의 개수를 판단하여 재고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재고 판단 단계(840)는 제품 영역을 생성할 때, 벽 면 인식 영역에서 벽 면 제품 영역이 생성되지 않은 경우에, 제품이 진열되지 않은 것을 디스플레이(500)에 출력하도록 제품 미 진열 명령을 생성할 수 있다.
재고 판단 단계(840)는 단일 바닥 면 제품 영역과 바닥 면 제품 영역을 비교하여 바닥 면 제품 영역에 존재하는 제품의 개수를 판단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제품 영역에 포함되는 인식 점의 개수는 인식 영역에 대해 가로 방향으로 포함되는 인식 점의 개수 및 세로 방향으로 포함되는 인식 점의 개수로 구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재고 판단 단계(840)는 각각의 방향에 대한 인식 점의 개수를 비교하여 제품의 개수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재고 판단 단계(840)는 인식 영역(410)에 포함되는 인식 점과 진열된 제품에 의해 가려지는 인식 점의 상태 등에 따라서 제품이 위치하는 영역을 판단하는 다른 방식을 이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에 따라, 재고 판단 단계(840)는 생성된 재고 정보를 디스플레이(500)에 전달하여 재고 정보가 디스플레이(500)에서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
재고 출력 단계(850)는 제품 판단 단계(830)에서 생성되는 제품 착오 진열 명령에 따라 특정 위치에서 사전에 설정된 제품 외에 다른 제품이 진열된 것을 디스플레이(500)에서 알림으로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
재고 출력 단계(850)는 재고 판단 단계(830)에서 생성되는 제품 미 진열 명령에 따라 제품이 진열되지 않은 것을 디스플레이(500)에서 알림으로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
도6은 도5의 제품 판단 단계의 세부 순서도이다.
제품 판단 단계(830)는 영상 보정 단계(831), 제품 정보 추출 단계(832), 제품 위치 정보 설정 단계(835), 제품 정보 입력 단계(836) 및 제품 종류 판단 단계(838)를 포함할 수 있다.
영상 보정 단계(831)는 영상 촬영 단계(800)에서 촬영된 영상 또는 영상 보정 단계(810)에서 보정된 영상을 제품 영역으로부터 제품 정보의 추출이 가능하도록 보정할 수 있다.
여기에서, 제품 정보는 단일 제품 영역, 제품의 일측면에서 나타나는 이미지, 제품의 색상 및 제품의 일측면에서 나타나는 문자의 배열 등 제품의 외측으로부터 추출이 가능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영상 보정 단계(831)는 제품의 색상, 문자, 이미지 등으로부터 제품을 분류할 수 있도록 영상을 보정할 수 있다.
제품 정보 추출 단계(832)는 영상 보정 단계(831)에서 보정된 영상으로부터 제품을 구별하도록 설정되는 제품 정보를 제품 영역에서 추출할 수 있다.
제품 위치 정보 설정 단계(835)는 촬영 영역 내에서 서로 다른 제품의 종류에 따라 진열되는 위치를 나타내는 제품 위치 정보를 외부로부터 입력 받을 수 있다.
한편, 제품 위치 정보 설정 단계(835)는 이전에 입력 받은 제품 위치 정보가 존재하는 경우에, 생략될 수 있다.
제품 정보 입력 단계(836)는 제품 위치 정보에 따라 설정되는 영역에 진열되는 제품의 제품 정보에 포함되는 다수의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입력 받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제품 정보 입력 단계(836)는 제품 위치 정보에 따른 제품의 제품 정보를 서버 장치(100)로부터 전달받을 수 있다.
한편, 제품 정보 입력 단계(836)는 이전에 입력 받은 제품 위치 정보에 따른 제품 정보가 존재하는 경우에, 생략될 수 있다.
제품 종류 판단 단계(838)는 영상으로부터 제품 정보를 추출하는 경우에, 추출된 제품 정보에 따라 제품 종류를 판단할 수 있다.
제품 종류 판단 단계(838)는 인식 영역(410) 내에서 제품이 진열되는 위치를 나타내는 제품 위치 정보가 설정되는 경우에, 제품 위치 정보 및 제품 정보에 따라 제품 종류를 판단할 수 있다.
제품 종류 판단 단계(838)는 제품 위치 정보가 설정되는 경우에, 제품 위치 정보에 따른 제품의 단일 바닥 면 제품 영역과 바닥 면 제품 영역을 비교하고, 단일 벽 면 제품 영역과 상기 벽 면 제품 영역을 비교하여, 적어도 하나의 비교 결과가 다른 것으로 나타나는 경우에, 제품 위치 정보에 따른 제품 외에 다른 제품이 진열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 재고 파악 시스템
100: 서버 장치
200, 200a, 200b, 200c: 카메라
300: 재고 파악 장치
400, 400a, 400b, 400c: 진열대
410, 410a, 410b, 410c: 인식 영역
411, 412, 413: 제품이 진열되는 영역
500, 500a, 500b, 500c: 디스플레이

Claims (12)

  1. 사전에 설정되는 촬영 영역을 촬영하는 영상 촬영 단계;
    상기 촬영 영역에 마련되는 인식 점의 식별이 가능하도록 상기 영상 촬영 단계에서 촬영된 영상을 보정하는 영상 보정 단계;
    상기 영상 보정 단계에서 보정된 영상으로부터 인식 점의 위치를 식별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품이 위치하는 영역을 나타내는 제품 영역을 생성하는 영역 생성 단계;
    상기 제품 영역에 위치하는 제품의 종류를 판단하는 제품 판단 단계;
    상기 제품의 종류에 따른 제품 정보로부터 상기 제품 영역에 존재하는 제품의 개수를 나타내는 재고 정보를 생성하는 재고 판단 단계; 및
    상기 재고 판단 단계에서 생성되는 재고 정보를 출력하는 재고 출력 단계를 포함하는, 재고 파악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품이 진열되는 진열대는 니은 자 형태로 구비되고,
    복수의 인식 점을 구비하는 인식 영역은 상기 진열대의 바닥 면 및 벽 면 중 적어도 하나의 면에 배치되는, 재고 파악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영역 생성 단계는,
    상기 바닥 면에 구비되는 인식 영역인 바닥 면 인식 영역으로부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품이 위치하는 영역을 나타내는 바닥 면 제품 영역을 생성하고,
    상기 벽 면에 구비되는 인식 영역인 벽 면 인식 영역으로부터 제품이 위치하는 영역을 나타내는 벽 면 제품 영역을 생성하는, 재고 파악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품 정보는,
    상기 바닥 면 인식 영역에 대해 제품 하나가 차지하는 영역을 나타내는 단일 바닥 면 제품 영역 및 상기 벽 면 인식 영역에 대해 제품 하나가 차지하는 영역을 나타내는 단일 벽 면 제품 영역 중 적어도 하나의 영역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재고 파악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재고 판단 단계는,
    상기 단일 바닥 면 제품 영역과 상기 바닥 면 제품 영역을 비교하여 상기 바닥 면 제품 영역에 존재하는 제품의 개수를 판단하는, 재고 파악 방법.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재고 판단 단계는,
    상기 벽 면 인식 영역에서 상기 벽 면 제품 영역이 생성되지 않은 경우, 제품이 진열되지 않은 것을 출력하도록 제품 미 진열 명령을 생성하는, 재고 파악 방법.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품 판단 단계는,
    상기 인식 영역에 사전에 설정되는 제품에 대한 단일 바닥 면 제품 영역과 상기 바닥 면 제품 영역을 비교하고, 상기 제품의 상기 단일 벽 면 제품 영역과 상기 벽 면 제품 영역을 비교하여, 적어도 하나의 비교 결과가 다른 것으로 나타나는 경우에, 다른 제품이 진열된 것을 출력하도록 제품 착오 진열 명령을 생성하는, 재고 파악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서로 다른 제품의 제품 정보에 대한 데이터베이스를 저장하는 서버 장치에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제품 정보 요청 명령을 전달하여 상기 제품 정보 요청 명령에 따른 제품 정보를 전달받고, 상기 제품 정보를 저장하는 정보 저장 단계를 더 포함하는, 재고 파악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저장 단계는,
    상기 제품 정보에 따른 제품의 보유 개수 정보를 상기 서버 장치로부터 전달받아 저장하고,
    판매된 제품의 개수를 나타내는 판매 개수 정보를 외부로부터 전달받아 상기 보유 개수 정보로부터 차감하는, 재고 파악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재고 출력 단계는,
    상기 재고 판단 단계에서 생성되는 재고 정보와 상기 보유 개수 정보가 다른 경우에 알림을 출력하는, 재고 파악 방법.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촬영 영역은,
    복수의 인식 점이 배치되는 인식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인식 영역은 상기 제품이 진열되는 진열대의 일측면에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재고 파악 방법.
  12. 서로 다른 제품의 제품 정보에 대한 데이터베이스를 저장하는 서버 장치;
    사전에 설정되는 촬영 영역을 촬영하는 카메라; 및
    상기 카메라에서 촬영된 영상을 전달받고, 상기 촬영 영역에 마련되는 인식 점에 따라 상기 제품이 위치하는 제품 영역을 생성하고, 상기 서버 장치로부터 전달받은 제품 정보에 따라 상기 제품 영역에 존재하는 제품의 제품 종류를 판단하고, 상기 제품 종류 및 상기 제품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에 따라 상기 제품 영역에 위치하는 제품의 개수를 나타내는 재고 정보를 생성하는 재고 파악 장치를 포함하는, 재고 파악 시스템.

KR1020190115299A 2019-09-19 2019-09-19 재고 파악 방법 및 시스템 KR1023198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5299A KR102319893B1 (ko) 2019-09-19 2019-09-19 재고 파악 방법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5299A KR102319893B1 (ko) 2019-09-19 2019-09-19 재고 파악 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33695A true KR20210033695A (ko) 2021-03-29
KR102319893B1 KR102319893B1 (ko) 2021-11-02

Family

ID=752501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15299A KR102319893B1 (ko) 2019-09-19 2019-09-19 재고 파악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19893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46166B1 (ko) * 2021-05-21 2022-01-04 (주)트리플렛 매대 감지 및 무인결제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KR20220136049A (ko) * 2021-03-30 2022-10-07 와이폴라리스 주식회사 무인점포환경에 따라 제공되는 맞춤형 무인점포 제공 장치 및 방법
WO2023146264A1 (ko) * 2022-01-26 2023-08-03 비스타테크놀러지 주식회사 반사경-카메라 구조를 이용한 상품 재고 관리 시스템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09332A (ko) 2022-01-13 2023-07-20 주식회사 무잉 무인 매장 관리 장치 및 방법
KR102436273B1 (ko) * 2022-06-17 2022-08-25 (주) 인터마인즈 인공지능 기반의 비전 인식을 이용한 재고 판단 방법 및 이를 위한 무인판매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79381B1 (ko) 2015-04-09 2016-11-25 김연호 재고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
KR20190031431A (ko) * 2016-03-29 2019-03-26 보사 노바 로보틱스 아이피, 인크. 물품의 위치 파악, 식별 및 카운트하는 방법 및 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79381B1 (ko) 2015-04-09 2016-11-25 김연호 재고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
KR20190031431A (ko) * 2016-03-29 2019-03-26 보사 노바 로보틱스 아이피, 인크. 물품의 위치 파악, 식별 및 카운트하는 방법 및 시스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36049A (ko) * 2021-03-30 2022-10-07 와이폴라리스 주식회사 무인점포환경에 따라 제공되는 맞춤형 무인점포 제공 장치 및 방법
KR102346166B1 (ko) * 2021-05-21 2022-01-04 (주)트리플렛 매대 감지 및 무인결제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WO2023146264A1 (ko) * 2022-01-26 2023-08-03 비스타테크놀러지 주식회사 반사경-카메라 구조를 이용한 상품 재고 관리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19893B1 (ko) 2021-1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19893B1 (ko) 재고 파악 방법 및 시스템
JP7416292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システム、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10346794B2 (en) Item monitoring system and method
US11361270B2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information of stored object
US8577136B1 (en) Grid pixelation enhancement for in-stock analytics
US8189855B2 (en) Planogram extraction based on image processing
US11887051B1 (en) Identifying user-item interactions in an automated facility
CN109117824B (zh) 商品的管理方法、装置、电子设备及储存介质
US20140129395A1 (en) Detection of stock out conditions based on image processing
JP2012174154A (ja) 在庫状況管理方法および在庫状況管理装置
KR20200108271A (ko) 전자 선반 라벨이 장착된 선반용 카메라-구현된 물품 레이아웃 제어 방법
GB2555913A (en)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retail products
US10311417B2 (en) Sales data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for instructing operation on operation section to be operated next
JP2016071782A (ja) 商品陳列情報集計システム
CN110895747B (zh) 商品信息识别、显示、信息关联、结算方法及系统
US20200202095A1 (en) Positional relationship detection device and positional relationship detection system
JP6724244B2 (ja) 物品管理支援装置、物品管理支援システムおよび物品管理支援方法
WO2020163217A1 (en) Systems, method and apparatus for frictionless shopping
US20210173603A1 (en) Systems, methods, and apparatus for updating an electronic shelf label display
US11238401B1 (en) Identifying user-item interactions in an automated facility
US20220180302A1 (en) System and method for inventory management and multimedia content delivery
JP2017097622A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17010801A (zh) 一种物流管理系统
JP2018077665A (ja) 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装置、表示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2022140498A (ja) 情報処理装置および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方法、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