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33597A - Compressor and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 Google Patents

Compressor and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33597A
KR20210033597A KR1020190114938A KR20190114938A KR20210033597A KR 20210033597 A KR20210033597 A KR 20210033597A KR 1020190114938 A KR1020190114938 A KR 1020190114938A KR 20190114938 A KR20190114938 A KR 20190114938A KR 20210033597 A KR20210033597 A KR 202100335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ll
compressor
pipe
circumferential surface
outer circumferent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14938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조재호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149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33597A/en
Publication of KR202100335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33597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3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25/00 - F04B37/00
    • F04B39/12Casings; Cylinders; Cylinder heads; Fluid connections
    • F04B39/121Cas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35/00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the driving means to their working members, or by combination with, or adaptation to, specific driving engines or moto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4B35/04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the driving means to their working members, or by combination with, or adaptation to, specific driving engines or moto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the means being electric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3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25/00 - F04B37/00
    • F04B39/06Cooling; Heating; Prevention of freez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3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25/00 - F04B37/00
    • F04B39/12Casings; Cylinders; Cylinder heads; Fluid connections
    • F04B39/123Fluid connec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49/00Control, e.g. of pump delivery, or pump pressure of, or safety measures for, machines,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1/00 - F04B47/00
    • F04B49/06Control using electricit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1/00Self-contained movable devices, e.g. domestic refrigerators
    • F25D11/02Self-contained movable devices, e.g. domestic refrigerators with cooling compartments at different temperatu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03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for cooling refrigerating machiner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10Arrangements for mounting in particular locations, e.g. for built-in type, for corner ty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BINDEXING SCHEME RELATING TO WIND, 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TO 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COVERED BY SUBCLASSES F03B, F03D AND F03G
    • F05B2210/00Working fluid
    • F05B2210/10Kind or type
    • F05B2210/14Refrigerants with particular properties, e.g. HFC-134a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BINDEXING SCHEME RELATING TO WIND, 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TO 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COVERED BY SUBCLASSES F03B, F03D AND F03G
    • F05B2230/00Manufacture
    • F05B2230/20Manufacture essentially without removing material
    • F05B2230/21Manufacture essentially without removing material by cas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BINDEXING SCHEME RELATING TO WIND, 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TO 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COVERED BY SUBCLASSES F03B, F03D AND F03G
    • F05B2280/00Materials; Properties thereof
    • F05B2280/10Inorganic materials, e.g. metals
    • F05B2280/102Light metals
    • F05B2280/1021Aluminiu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BINDEXING SCHEME RELATING TO WIND, 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TO 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COVERED BY SUBCLASSES F03B, F03D AND F03G
    • F05B2280/00Materials; Properties thereof
    • F05B2280/10Inorganic materials, e.g. metals
    • F05B2280/105Copp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BINDEXING SCHEME RELATING TO WIND, 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TO 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COVERED BY SUBCLASSES F03B, F03D AND F03G
    • F05B2280/00Materials; Properties thereof
    • F05B2280/10Inorganic materials, e.g. metals
    • F05B2280/107Allo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BINDEXING SCHEME RELATING TO WIND, 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TO 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COVERED BY SUBCLASSES F03B, F03D AND F03G
    • F05B2280/00Materials; Properties thereof
    • F05B2280/10Inorganic materials, e.g. metals
    • F05B2280/1072Copper allo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BINDEXING SCHEME RELATING TO WIND, 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TO 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COVERED BY SUBCLASSES F03B, F03D AND F03G
    • F05B2280/00Materials; Properties thereof
    • F05B2280/10Inorganic materials, e.g. metals
    • F05B2280/1073Aluminium alloy, e.g. AlCuMgPb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mall compressor and a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ompressor comprises: an electric motor unit which generates driving force; a compression unit which is operated by the driving force transferred from the electric motor unit and which compresses a refrigerant; a shell made of aluminum or aluminum alloy for having an inner space sealed for storing the electric motor unit and the compression unit; and one or more pipes whose one end is engaged with the shell. The pipes are made of different materials from those of the shell, and can be inserted and engaged for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ipes to directly come in contact with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a pipe connection hole penetrating in the thicknesswise direction of the shell. Accordingly, the small compressor can be easily connected to a suction pipe, discharge pipe, process pipe, etc.

Description

압축기 및 이를 구비한 냉장고{COMPRESSOR AND REFRIGERATOR HAVING THE SAME}Compressor and refrigerator equipped with it {COMPRESSOR AND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알루미늄 쉘로 된 소형 압축기 및 이를 구비한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mall compressor made of an aluminum shell and a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일반적으로 냉장고는 식품, 음료 등과 같은 저장물을 장기간 신선하게 보관하는 기기로서, 보관하고자 하는 저장물의 종류에 따라 냉동 또는 냉장 온도로 유지되는 캐비티에 저장물을 보관한다.BACKGROUND ART In general, a refrigerator is a device that keeps stored objects such as food and beverages fresh for a long period of time, and stores the stored objects in a cavity maintained at a freezing or refrigerating temperature depending on the type of storage to be stored.

냉장고는 내부에 구비된 압축기의 구동에 의해 동작된다. 냉장고의 캐비티에 공급되는 냉기는 냉매의 열교환 작용에 의해서 생성되며, 압축, 응축, 팽창, 증발의 냉각 사이클(Cycle)을 반복적으로 수행하면서 캐비티 온도의 승강에 따라 냉기가 지속적 혹은 단속적으로 냉장고의 내부로 공급된다. 공급된 냉매는 대류에 의해서 캐비티 내부에 고르게 전달되어, 냉장고 내부의 음식물을 원하는 온도로 저장할 수 있다.The refrigerator is operated by driving a compressor provided therein. The cold air supplied to the cavity of the refrigerator is generated by the heat exchange action of the refrigerant, and the cooling cycle of compression, condensation, expansion, and evaporation is repeatedly performed, and the cold air is continuously or intermittently inside the refrigerator according to the increase and decrease of the cavity temperature. Is supplied as. The supplied refrigerant is evenly delivered into the cavity by convection, so that food in the refrigerator can be stored at a desired temperature.

최근에는 전통적인 냉각 효율에 대한 요구뿐만 아니라, 생활 수준의 향상에 따라 레저 문화의 발전으로 인하여 차량에 탑재되거나 이동 가능한 소형 냉장고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소형 냉장고는 차량에 고정형으로 탑재한 후 사용하는 차량용 냉장고의 보급도 늘고 있다. 이러한 소형 냉장고에 대한 수요의 증가는 소형 압축기에 대한 수요의 증가로 이어지고 있다.In recent years, not only the demand for traditional cooling efficiency, but also the demand for a small refrigerator that can be mounted on a vehicle or moveable is increasing due to the development of a leisure culture according to an improvement in living standards. The spread of refrigerators for vehicles used after small refrigerators are mounted on vehicles as a fixed type is also increasing. The increase in demand for such a small refrigerator leads to an increase in demand for a small compressor.

상기와 같은 소형 압축기는, 특허문헌1(한국공개특허 제10-2016-0131372호)과 같이 압축 메커니즘을 이루는 구성과 출력은 대형 압축기와 동일하거나 거의 유사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이에 따라, 압축기의 무게를 줄이기 위해 쉘을 알루미늄과 같은 경량 소재로 제작할 수 있다. The compact compressor as described above, as in Patent Document 1 (Korean Patent Laid-Open Patent No. 10-2016-0131372), constitutes a compression mechanism and outputs the same as or almost similar to that of a large compressor. Accordingly, in order to reduce the weight of the compressor, the shell can be made of a lightweight material such as aluminum.

그러나, 종래의 소형 압축기에서, 쉘이 알루미늄 소재로 형성될 경우에는 그 쉘에 흡입파이프 또는 토출파이프를 결합하기가 곤란하게 된다. 즉, 종래에는 쉘이 철 재질로 이루어지고 흡입파이프와 토출파이프가 동관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흡입파이프와 토출파이프, 프레세스 파이프를 쉘에 직접 용접하거나 또는 철 재질로 된 중간부재를 사이에 두고 용접하여 연결하는 것이었다. 하지만, 쉘이 알루미늄으로 형성되는 경우에는 용접시 알루미늄으로 된 쉘의 실링력이 저하되므로 흡입파이프와 토출파이프, 프로세스 파이프를 쉘에 용접하여 연결하는 것이 어렵게 되는 문제가 있다. However, in a conventional compact compressor, when the shell is formed of an aluminum material, it is difficult to couple a suction pipe or a discharge pipe to the shell. That is, conventionally, as the shell is made of iron and the suction pipe and the discharge pipe are made of copper pipe, the suction pipe, the discharge pipe, and the press pipe are directly welded to the shell or an intermediate member made of iron is welded between them. Was to connect. However, when the shell is formed of aluminum, the sealing force of the aluminum shell is lowered during welding, so that it is difficult to connect the suction pipe, the discharge pipe, and the process pipe to the shell by welding.

또, 종래의 소형 압축기에서는, 상대적으로 방열면적이 감소하게 되어 운전중에 발생되는 열이 압축기의 외부로 신속하게 방열되지 못할 수가 있다. 이로 인해 압축기의 내부온도가 상승하게 되어 압축기 내 부품의 신뢰성이 저하될 뿐만 아니라 모터 효율이 저하될 수 있다. In addition, in the conventional small compressor, since the heat dissipation area is relatively reduced, heat generated during operation may not be quickly dissipated to the outside of the compressor. As a result, the internal temperature of the compressor increases, and thus the reliability of components in the compressor may decrease, and motor efficiency may decrease.

또, 종래의 소형 압축기가 적용되는 냉장고는, 압축기를 방열하기 위해서라도 냉장고의 기계실에 팬을 설치하여야 한다. 하지만, 기계실에 팬을 설치하게 되면 기계실의 면적이 증가되어 동일 용량의 냉장고 대비 수납공간이 감소하게 될 수 있다. 아울러, 팬의 설치로 인해 부품수가 증가하면서 제조 비용이 상승하게 되는 것은 물론, 압축기를 방열하기 위한 팬의 운전시간이 증가하면서 냉장고 효율이 저하되고 소음은 증가하게 될 수도 있다.In addition, in a refrigerator to which a conventional small compressor is applied, a fan must be installed in the machine room of the refrigerator even in order to heat the compressor. However, if the fan is installed in the machine room, the area of the machine room is increased, so that the storage space may be reduced compared to a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capacity. In addition, as the number of parts increases due to the installation of the fan, the manufacturing cost increases, and the operation time of the fan for dissipating the compressor increases, reducing the refrigerator efficiency and increasing the noise.

한국공개특허 제10-2016-0131372호 (공개일: 2016.11.16.)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6-0131372 (Publication date: 2016.11.16.)

본 발명의 목적은, 쉘을 알루미늄과 같은 가벼운 재질로 형성하여 무게를 줄일 수 있는 압축기를 제공하려는데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mpressor capable of reducing weight by forming a shell of a light material such as aluminum.

나아가, 본 발명은 쉘과 다른 재질로 된 흡입파이프와 토출파이프, 프로세스 파이프를 쉘에 용이하면서도 긴밀하게 접촉되어 결합될 수 있는 압축기를 제공하려는데 목적이 있다.Further,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ompressor capable of being coupled to a shell by making a suction pipe, a discharge pipe, and a process pipe made of a different material than the shell easily and in close contact with the shell.

나아가, 본 발명은 쉘과 다른 재질로 된 흡입파이프와 토출파이프, 프로세스 파이프가 쉘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는 압축기를 제공하려는데 목적이 있다.Further,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mpressor in which a suction pipe, a discharge pipe, and a process pipe made of a material different from the shell can be firmly fixed to the shell.

또,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쉘 내부에서 발생되는 열을 신속하게 방열할 수 있는 소형 압축기를 제공하려는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mpact compressor capable of rapidly dissipating heat generated inside a shell.

나아가, 본 발명은 쉘의 외표면에 방열핀이 설치되는 경우 그 방열핀으로 인해 발생되는 사각 또는 사체적을 줄여 압축기가 차지하는 면적을 최소화할 수 있는 소형 압축기를 제공하려는데 목적이 있다. Further,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mall compressor capable of minimizing the area occupied by the compressor by reducing the square or dead volume generated by the radiating fins when the radiating fins are install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shell.

또,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압축기를 냉장고에 적용한 경우 팬을 배제하여 수납공간의 면적을 확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조 비용을 감축할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하려는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refrigerator capable of reducing manufacturing cost as well as expanding the area of a storage space by excluding a fan when a compressor is applied to a refrigerator.

나아가, 본 발명은 팬을 설치하더라도 팬의 운전시간을 최소화하여 냉장고 효율은 높이고 소음은 낮출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하려는데 목적이 있다.Further,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refrigerator capable of increasing refrigerator efficiency and lowering noise by minimizing the operation time of the fan even if a fan is installed.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쉘에 흡입파이프와 토출파이프 또는 프로세스 파이프와 같은 파이프를 인서트 다이캐스팅하여 연결하는 압축기가 제공될 수 있다.In order to achieve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compressor may be provided for connecting a pipe such as a suction pipe and a discharge pipe or a process pipe to a shell by insert-die casting.

또,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알루미늄 쉘에 동관 또는 철관으로 된 파이프를 인서트 다이캐스팅으로 결합하고, 상기 파이프의 외주면에는 환형 돌부 또는 환형 홈부가 형성되는 압축기가 제공될 수 있다.In addition, in order to achieve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compressor may be provided in which a pipe made of a copper tube or an iron tube is inserted into an aluminum shell by insert die casting, and an annular protrusion or an annular groove is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ipe.

또,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구동력을 발생하는 전동부; 상기 전동부로부터 전달되는 구동력에 의해 작동되어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부;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 합금 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전동부 및 상기 압축부를 수용하도록 밀폐된 내부공간을 가지는 쉘; 및 상기 쉘에 결합되는 적어도 한 개 이상의 파이프;를 포함하고, 상기 파이프는, 상기 쉘과 이종 재질로 형성되며, 일단은 상기 쉘을 관통하도록 결합되고, 타단은 냉동사이클을 이루는 냉매관에 결합되는 압축기가 제공될 수 있다. In addition, in order to achieve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lectric unit for generating a driving force; A compression unit that compresses a refrigerant by being operated by a driving force transmitted from the electric unit; A shell made of aluminum or aluminum alloy and having an inner space sealed to accommodate the electric power unit and the compression unit; And at least one or more pipes coupled to the shell; wherein the pipe is formed of a material different from the shell, one end is coupled to pass through the shell, and the other end is coupled to a refrigerant pipe constituting a refrigeration cycle. A compressor may be provided.

여기서, 상기 쉘은 두께방향으로 관통된 파이프 연결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파이프 연결구멍의 내주면은 상기 파이프는 외주면에 직접 접촉될 수 있다.Here, the shell has a pipe connection hole penetrating in the thickness direction, and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ipe connection hole may directly contact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ipe.

그리고, 상기 파이프 연결구멍과 상기 파이프의 외주면 사이에는 상기 파이프를 길이방향으로 지지하는 이탈방지부가 형성될 수 있다.And, between the pipe connection hole a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ipe may be provided with a separation preventing portion for supporting the pip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그리고, 상기 이탈방지부는, 상기 파이프의 외주면에서 반경방향으로 지지돌부가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paration prevention part may be formed by extending a support protrusion in a radial direction from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ipe.

그리고, 상기 이탈방지부는, 상기 파이프의 외주면에서 반경방향으로 지지홈부가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paration prevention part may be formed by recessing a support groove in a radial direction from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ipe.

그리고, 상기 쉘의 두께가 일정하게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shell may have a uniform thickness.

그리고, 상기 쉘의 외주면 또는 내주면에는 상기 파이프 연결구멍을 감싸며 상기 쉘의 두께방향으로 연장되는 보강돌부가 형성될 수 있다.Further, a reinforcing protrusion may be formed on an outer or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hell to surround the pipe connection hole and extend in a thickness direction of the shell.

여기서, 상기 쉘과 상기 파이프의 사이에는 실링부재가 더 구비될 수 있다.Here, a sealing member may be further provided between the shell and the pipe.

그리고, 상기 파이프의 외주면에는 상기 쉘의 외측면 또는 내측면에서 고정부재가 결합되고, 상기 고정부재와 이를 마주보는 상기 쉘의 내측면 또는 외측면의 사이에 상기 실링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In addition, a fixing member may be coupled to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ipe on an outer or inner surface of the shell, and the sealing member may be provided between the fixing member and an inner or outer surface of the shell facing the fixing member.

여기서, 상기 파이프는 상기 쉘에 인서트 다이캐스팅될 수 있다.Here, the pipe may be insert die cast into the shell.

여기서, 상기 파이프는 동, 동합금, 철, 철합금 중 어느 하나의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Here, the pipe may be formed of any one of copper, copper alloy, iron, and iron alloy.

여기서, 상기 쉘의 외주면에는 상기 쉘의 내부에서 발생되는 열을 상기 쉘의 외부로 방출하도록 복수 개의 방열핀이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Here, a plurality of heat dissipation fins may be extended and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hell to dissipate heat generated inside the shell to the outside of the shell.

그리고, 상기 복수 개의 방열핀은, 각각 상기 쉘의 외주면에서 접하는 곡면부, 상기 곡면부의 일단에서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수직부, 상기 곡면부의 타단에서 연장되어 상기 수직부에 직교하는 수평부를 포함하고, 상기 수직부의 축방향 단부면은 상기 쉘의 상단 외주면보다 낮거나 같게 형성되며, 상기 수평부의 반경방향 단부면은 상기 쉘의 반경방향 외주면보다 낮거나 같게 형성될 수 있다.The plurality of heat dissipation fins each include a curved portion in contact with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hell, a vertical portion extending in the axial direction from one end of the curved portion, and a horizontal portion extending from the other end of the curved portion and perpendicular to the vertical portion, the The axial end surface of the vertical portion may be formed to be lower than or equal to the upper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hell, and the radial end surface of the horizontal portion may be formed to be lower than or equal to the radial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hell.

그리고, 상기 복수 개의 방열핀은 수직부의 단부면 및 수평부의 단부면이 각각 동일한 높이로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plurality of radiating fins may have an end surface of a vertical portion and an end surface of a horizontal portion having the same height.

또,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식품을 수납하는 캐비티; 상기 캐비티를 개폐하는 도어; 상기 캐비티의 일측에 구비되며, 내부공간이 외부와 연통되도록 공기통로가 형성되는 기계실; 상기 기계실의 내부에 구비되는 응축기; 및 상기 응축기의 일측에서 상기 기계실의 내부공간에 구비되는 압축기;를 포함하고, 상기 압축기는, 앞서 기재된 압축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가 제공될 수 있다.In addition, in order to achieve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cavity for storing food; A door opening and closing the cavity; A machine room provided on one side of the cavity and having an air passage formed so that the inner space communicates with the outside; A condenser provided in the machine room; And a compressor provided in the inner space of the machine room at one side of the condenser, wherein the compressor includes the compressor described above.

여기서, 상기 방열핀은 상기 응축기를 향하는 방향으로 평행하게 배열될 수 있다.Here, the radiating fins may be arranged in parallel in a direction toward the condenser.

그리고, 상기 공기통로는 입구를 이루는 공기입구와 출구를 이루는 공기출구가 기설정된 간격을 두고 형성되며, 상기 응축기와 압축기는 상기 공기입구와 공기출구 사이에 위치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air passage may be formed such that an air inlet forming an inlet and an air outlet forming an outlet are form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and the condenser and the compressor may be provided to be positioned between the air inlet and the air outlet.

그리고, 상기 응축기와 압축기 사이에 팬이 더 구비될 수 있다.In addition, a fan may be further provided between the condenser and the compressor.

그리고, 상기 압축기의 쉘에는 상기 압축기를 제어하는 제어부가 결합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팬과 압축기의 쉘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In addition,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compressor is coupled to the shell of the compressor, and the control unit may be located between the fan and the shell of the compressor.

본 발명에 의한 소형 압축기 및 이를 적용한 냉장고는, 쉘을 알루미늄과 같은 가벼운 재질로 형성함으로써 압축기의 무게를 줄여 이동식 냉장고와 같이 소형 압축기를 필요로 하는 제품의 전체 무게를 줄일 수 있다.The small compress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a refrigerator to which the same is applied can reduce the weight of the compressor by forming a shell made of a light material such as aluminum, thereby reducing the overall weight of a product requiring a small compressor such as a mobile refrigerator.

나아가, 본 발명은 쉘과 다른 재질로 된 흡입파이프와 토출파이프, 프로세스 파이프와 같은 파이프를 인서트 다이캐스팅으로 결합함에 따라, 파이프를 쉘에 용이하면서도 긴밀하게 결합할 수 있다.Furth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insert-die casting a suction pipe made of a different material from the shell, a discharge pipe, and a pipe such as a process pipe, the pipe can be easily and closely coupled to the shell.

나아가, 본 발명은 쉘과 다른 재질로 된 흡입파이프와 토출파이프, 프로세스 파이프와 같은 파이프에 지지돌부 또는 지지홈부를 형성함으로써, 파이프를 쉘에 인서트 다이캐스팅으로 결합하면서도 파이프를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Furth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forming a support protrusion or a support groove in a pipe such as a suction pipe, a discharge pipe, and a process pipe made of a material different from the shell, the pipe can be firmly fixed while coupling the pipe to the shell by insert die casting.

또, 본 발명에 의한 소형 압축기 및 이를 적용한 냉장고는, 압축기의 쉘이 알루미늄 소재로 형성되고, 쉘의 외주면에 복수 개의 방열핀이 형성된다. 이에 따라, 압축기가 소형이더라도 압축기의 방열에 필요한 면적을 확보할 수 있어 냉장고 설치시 응축팬의 구동시간을 늘리지 않고서도 압축기가 신속하게 방열될 수 있다. 또, 압축기가 신속하게 방열됨에 따라 응축팬을 배제하여 제조비용을 낮추거나 응축팬을 설치하더라도 응축팬의 구동시간을 줄여 전력낭비 및 소음을 소음을 줄일 수 있다. In addition, in the small compress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a refrigerator to which the same is applied, the shell of the compressor is formed of an aluminum material, and a plurality of radiating fins is form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hell. Accordingly, even if the compressor is small, an area required for heat dissipation of the compressor can be secured, so that the compressor can be quickly radiated without increasing the driving time of the condensing fan when the refrigerator is installed. In addition, as the compressor heats up quickly, the production cost can be reduced by excluding the condensing fan, or even if the condensing fan is installed, the driving time of the condensing fan can be reduced, thereby reducing power consumption and noise.

또, 본 발명에 의한 소형 압축기 및 이를 적용한 냉장고는, 앞서 설명한 방열핀이 쉘의 모서리에 형성됨에 따라, 방열핀을 포함한 압축기의 크기를 확대하지 않고도 압축기에 대한 방열효과를 높일 수 있다. Further, in the small compress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refrigerator to which the same is applied, since the above-described radiating fins are formed at the corners of the shell,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heat dissipation effect for the compressor without increasing the size of the compressor including the radiating fins.

또, 본 발명에 의한 소형 압축기 및 이를 적용한 냉장고는, 앞서 설명한 방열핀에 의해 방열효과를 높임에 따라 압축기가 적용된 냉장고에서 팬을 배제하거나 팬을 설치하더라도 팬의 운전시간을 최소화하여 냉장고 효율은 높이고 소음은 낮출 수 있다.In addition, the small compress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refrigerator using the same increase the heat dissipation effect by the heat dissipation fin described above, so even if the fan is excluded from the refrigerator to which the compressor is applied or a fan is installed, the operation time of the fan is minimized, thereby increasing the refrigerator efficiency and noise Can be lowered.

도 1은 본 실시예가 적용되는 차량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따른 차량의 콘솔을 확대하는 사시도,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소형 냉장고의 기계실을 개략적으로 보인 정면도,
도 4는 도 3에서 기계실의 내부를 보인 사시도,
도 5는 본 실시예에 따른 소형 압축기를 보인 사시도,
도 6은 도 5에 따른 소형 압축기의 내부를 보인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토출파이프를 베이스쉘에서 분리하여 보인 사시도,
도 8은 도 7에서 토출파이프를 베이스쉘에 조립하여 보인 사시도,
도 9는 도 8의 "Ⅴ-Ⅴ"선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압축기에서 보강돌부에 대한 다른 실시예를 보인 단면도,
도 11은 본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쉘과 토출파이프의 결합부위를 확대하여 보인 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에 의한 베이스쉘과 토출파이프의 결합구조에 대한 다른 실시예를 보인 단면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베이스쉘과 토출파이프 사이의 결합구조에 대한 다른 실시예를 보인 단면도,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베이스쉘과 토출파이프 사이의 결합구조에 대한 또다른 실시예를 보인 단면도.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vehicle to which the present embodiment is applied,
2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the console of the vehicle according to FIG. 1;
3 is a front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machine room of the small refriger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interior of the machine room in Figure 3,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mall compresso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6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interior of the small compressor according to FIG. 5;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discharge pip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eparated from a base shell,
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discharge pipe assembled to the base shell in FIG. 7;
9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V-V" of FIG. 8;
10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reinforcing protrusion in the compress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joint portion between a base shell and a discharge pip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1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a coupling structure between a base shell and a discharge pip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a coupling structure between a base shell and a discharge pip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coupling structure between the base shell and the discharge pip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소형 압축기 및 이를 적용한 냉장고를 첨부도면에 도시된 일실시예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a small compress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a refrigerator to which the same is applied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an embodiment shown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실시예는 차량에 탑재되거나 이동 가능한 냉장고 및 그 냉장고에 적용되는 소형 압축기에 관한 것이나, 적용 범위는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다만,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차량에 탑재된 냉장고를 기준으로 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소형 압축기 및 이를 적용한 냉장고에 대해 설명한다. The present embodiment relates to a refrigerator mounted or movable in a vehicle and a small compressor applied to the refrigerator, but the scope of application is not limited thereto. However, in the following,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a small compresso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nd a refrigerator to which the same will be described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a refrigerator mounted on a vehicle.

도 1은 본 실시예가 적용되는 차량의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차량(1)에는 사용자가 앉을 수 있는 좌석(2)이 구비된다. 좌석(2)은 좌우 양측으로 서로 이격되고, 적어도 한 쌍이 구비될 수 있다. 좌석(2)의 사이에는 콘솔(console)이 구비되고, 운전자가 운전에 필요한 물품을 두거나 차량의 조작에 필요한 부품이 콘솔에 수납된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vehicle to which this embodiment is applied. Referring to FIG. 1, the vehicle 1 is provided with a seat 2 on which a user can sit. The seats 2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on both left and right sides, and at least one pair may be provided. A console is provided between the seats 2, and the driver puts items necessary for driving or parts necessary for operation of the vehicle are accommodated in the console.

본 실시예에 따른 소형 냉장고는 콘솔에 위치할 수 있다. 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다양한 공간에 설치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뒷좌석 사이공간, 도어, 글로브박스, 및 센터페시아에 설치될 수도 있다. 이는 실시예의 차량용 냉장고는 전원만이 공급되고, 최소한의 공간이 확보되면 설치될 수 있기 때문이다. The small refriger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be located on the console.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installed in various spaces. For example, it may be installed in the space between the rear seats, the door, the glove box, and the center fascia. This is because the vehicle refrigerato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can be installed if only power is supplied and a minimum space is secured.

도 2는 도 1에 따른 차량의 콘솔을 확대하는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콘솔(3)은 수지 등을 재질로 하는 별도의 부품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콘솔(3)의 하측에는 철제 프레임(10)이 구비되고, 센서 등과 같은 센서 부품(11)이 콘솔(3)과 철제 프레임(10)의 사이 간격부에 놓일 수 있다. 센서 부품(11)은 정확한 외부신호의 센싱 및 운전자의 위치에서의 신호 측정이 필요한 부품이 해당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운전자의 생명에 직결되는 에어백센서가 장착될 수 있다.FIG. 2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the console of the vehicle according to FIG. 1. Referring to FIG. 2, the console 3 may be made of a separate component made of resin or the like. An iron frame 10 is provided on the lower side of the console 3, and a sensor component 11 such as a sensor may be placed in a space between the console 3 and the iron frame 10. The sensor component 11 may correspond to a component that requires accurate external signal sensing and signal measurement at a driver's position. For example, an airbag sensor that is directly connected to the driver's life may be installed.

콘솔(3)은 내부에 콘솔공간(4)을 가지고, 콘솔공간(4)은 콘솔커버(5)에 의해서 덮일 수 있다. 콘솔커버(5)는 콘솔(3)에 고정형으로 고정될 수 있다. 이로써, 외부의 이물질이 콘솔커버(5)를 통하여 콘솔 내부로 들어가기가 어렵게 된다. 콘솔공간(4)의 내부에는 차량용 냉장고(20)가 안착된다.The console 3 has a console space 4 inside, and the console space 4 can be covered by the console cover 5. The console cover 5 may be fixedly fixed to the console 3. As a result, it is difficult for external foreign substances to enter the console through the console cover 5. A vehicle refrigerator 20 is mounted inside the console space 4.

콘솔(3)의 우측면에는 공기입구(6)가 마련되어 차량내부의 공기가 콘솔공간(4)의 안으로 유입될 수 있다. 공기입구(6)는 운전자 측을 바라볼 수 있다. 콘솔(3)의 좌측면에는 배기구(7)가 마련되어 콘솔공간(4)의 내부에서 차량용 냉장고의 동작 중에 더워진 공기가 배기될 수 있다. 배기구(7)는 보조운전자 측을 바라볼 수 있다. 공기입구(6) 및 배기구(7)에는 그릴이 제공되어 사용자의 손이 들어가기가 어렵게 하여 안전하게 하고, 위로부터 낙하한 물건이 안으로 들어가지 않도록 하며, 배기되는 바람의 방향을 하방으로 하여 사람에게 직접 향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An air inlet 6 is provided on the right side of the console 3 so that air inside the vehicle can be introduced into the console space 4. The air inlet 6 can look toward the driver. An exhaust port 7 is provided on the left side of the console 3 so that heated air can be exhausted from the inside of the console space 4 during the operation of the vehicle refrigerator. The exhaust port 7 can look toward the auxiliary driver. Grills are provided at the air inlet 6 and the exhaust port 7 to make it difficult for the user to enter, making it safe, preventing objects falling from the top from entering, and directing the exhausted wind downwards to direct people. It can be turned off.

냉장고(20)에는, 부품을 지지하는 냉장고 바닥 프레임(21), 냉장고 바닥 프레임(21)의 좌측에 제공되는 기계실(22), 및 냉장고 바닥 프레임(21)의 우측에 제공되는 캐비티(23)가 포함된다. 기계실(22)은 기계실 커버(25)에 의해서 덮일 수 있고, 캐비티(23)의 상측은 콘솔커버(5) 및 도어(24)에 의해서 덮일 수 있다.The refrigerator 20 includes a refrigerator floor frame 21 supporting components, a machine room 22 provided on the left side of the refrigerator floor frame 21, and a cavity 23 provided on the right side of the refrigerator floor frame 21. Included. The machine room 22 may be covered by the machine room cover 25, and the upper side of the cavity 23 may be covered by the console cover 5 and the door 24.

기계실 커버(25)는, 냉각공기의 유로를 안내하는 것과 함께 기계실 내부로의 이물질유입을 차단할 수 있다. 기계실 커버(25)의 상측에는 냉장고 제어기(30)가 놓여, 소형 냉장고(20)의 전체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The machine room cover 25 guides the flow path of the cooling air and can block the inflow of foreign substances into the machine room. A refrigerator controller 30 is placed above the machine room cover 25 to control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small refrigerator 20.

냉장고 제어기(26)가 기계실 커버(25)의 상측에 설치됨에 따라, 소형 냉장고(20)가 콘솔공간(4) 내부의 좁은 공간에서 적정한 온도 범위에서 문제없이 동작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냉장고 제어기(26)는, 기계실 커버(25)와 콘솔커버(5) 사이 간격을 유동하는 공기에 의해서 냉각될 수 있고, 기계실 커버(25)에서 의해서 기계실(22)의 내부 공간과는 분리되기 때문에 기계실(22) 내부의 열이 영향을 미치지 않을 수 있다.As the refrigerator controller 26 is installed on the upper side of the machine room cover 25, the small refrigerator 20 can be operated without a problem in an appropriate temperature range in a narrow space inside the console space 4. In other words, the refrigerator controller 26 may be cooled by air flowing through the gap between the machine room cover 25 and the console cover 5, and is separated from the internal space of the machine room 22 by the machine room cover 25. Since it is separated, the heat inside the machine room 22 may not have an effect.

콘솔커버(5)는 콘솔공간(4) 상부의 개구된 부분을 차폐할 뿐만 아니라, 캐비티(23)의 상측 테두리를 차폐할 수 있다. 캐비티(23)로의 물품 취출을 허용하는 개구를 사용자가 차폐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콘솔커버(5)에는 도어(24)가 더 설치될 수 있다. 도어(24)는 콘솔커버(5) 및 캐비티(23)의 뒷 부분을 힌지점으로 개방할 수 있다. 여기서, 콘솔커버(5)와 도어(24)와 캐비티(23)의 개구는 사용자가 볼 때 수평으로 놓이고 콘솔(3)의 뒷부분에 위치하여 사용자가 편리하게 도어(24)를 조작할 수 있다.The console cover 5 not only shields the open portion of the upper part of the console space 4, but also shields the upper edge of the cavity 23. A door 24 may be further installed on the console cover 5 in order to allow the user to shield the opening allowing the item to be taken out of the cavity 23. The door 24 may open the rear portion of the console cover 5 and the cavity 23 to a hinge point. Here, the console cover 5, the door 24, and the opening of the cavity 23 are placed horizontally when viewed by the user, and are located at the rear of the console 3, so that the user can conveniently operate the door 24. .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소형 냉장고의 기계실을 개략적으로 보인 정면도이고, 도 4는 도 3에서 기계실의 내부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기계실(22)의 일측(도면에선 좌측)에는 공기입구(22a)가 형성되고, 기계실(22)의 타측(도면에선 우측)에는 공기출구(22b)가 형성된다. 공기출구(22b)는 도면에서는 우측면에 도시되어 있으나, 대개는 우측 바닥면에 형성되어 있다. 다만 설명의 편의를 위해 공기출구는 우측면에 도시한다.3 is a front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machine room of the small refriger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nd FIG.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interior of the machine room in FIG. 3. Referring to FIG. 3, an air inlet 22a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machine room 22 (left side in the drawing), and an air outlet 22b is formed at the other side of the machine room 22 (right side in the drawing). The air outlet 22b is shown on the right side in the drawing, but is usually formed on the right bottom side. However,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the air outlet is shown on the right side.

기계실(22)의 내부에는 냉각공기의 유동방향을 따라 응축기(27), 응축팬(28)과 압축기(100)가 순차적으로 설치된다. 응축기(27)는 기계실 바닥 프레임(221)의 뒷쪽 체결수단에 의해서 체결될 수 있다. 응축기(27)를 통하여 흡입된 공기는 압축기(100)를 냉각시킨 다음에 압축기(100)의 우측 또는 우측 하방으로 유출된다.Inside the machine room 22, a condenser 27, a condensing fan 28, and a compressor 100 are sequentially installed along the flow direction of the cooling air. The condenser 27 may be fastened by a fastening means at the rear of the machine room floor frame 221. The air sucked through the condenser 27 cools the compressor 100 and then flows out to the right or lower right of the compressor 100.

응축기(27)와 압축기(100)의 사이에는 앞서 설명한 응축팬(28)이 설치된다. 응축팬(28)은 소음의 영향으로 인하여 회전속도를 무한정 높일 수 없다. 실험에 따르면 대략 2,000rpm의 수준이면 운전자에게 소음의 영향을 미치지 않는 수준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The condensing fan 28 described above is installed between the condenser 27 and the compressor 100. The condensing fan 28 cannot increase the rotational speed indefinitely due to the influence of noise. According to the experiment, it was confirmed that the level of about 2,000 rpm did not affect the driver of the noise.

하지만, 응푹팬은 반드시 설치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냉장고의 경우는 응축팬(28) 없이 대류에 의한 열교환만으로도 냉매를 응축할 수 있으면 응축팬(28)은 설치되지 않을 수 있다. 다만, 응축팬(28)은 응축기(27)를 통과하는 냉매를 응축시키는 일 외에 압축기(100)를 방열시키는 역할도 하게 된다. 따라서, 압축기(100)에 대한 방열이 원활한 경우에는 응축팬(28)을 설치할 필요가 없거나 설치하더라도 운전시간을 줄일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나중에 압축기와 함께 다시 설명한다.However, the fan is not necessarily installed. For example, in the case of a refrigerator, if the refrigerant can be condensed only by heat exchange by convection without the condensing fan 28, the condensing fan 28 may not be installed. However, the condensing fan 28 serves to heat the compressor 100 in addition to condensing the refrigerant passing through the condenser 27. Therefore, when heat dissipation to the compressor 100 is smooth, it is not necessary to install the condensing fan 28, or even if it is installed, the operating time can be reduced. This will be described later together with the compressor.

상기와 같은 본 실시예에 따른 소형 냉장고의 기계실에서 공기의 유동과정을 보면 다음과 같다. The flow of air in the machine room of the small refriger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s described above is as follows.

즉, 응축팬(28)에 의해 기계실(22)의 내부로 흡입된 공기는 응축기(27)를 통과하며 냉매를 응축시킨다. 이 공기는 드라이어(미도시) 및 팽창밸브(미도시)를 통과한 후 압축기(100)를 냉각시키고 외부로 배출된다. 이때, 공기의 유동은 기계실(22)의 후방에서 전방을 향한 유동이다. 도 3을 기준으로 보면 좌측이 후방, 우측이 전방이다.That is, the air sucked into the machine room 22 by the condensing fan 28 passes through the condenser 27 to condense the refrigerant. This air cools the compressor 100 and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after passing through a dryer (not shown) and an expansion valve (not shown). At this time, the flow of air is a flow from the rear of the machine room 22 toward the front. Referring to FIG. 3, the left side is the rear and the right side is the front.

압축기(100)를 냉각시킨 공기는 기계실의 측면 또는 기계실 바닥 프레임(221)에 구비되는 공기출구(22b)를 통하여 배출될 수 있다. 공기출구(22b)를 통하여 배출된 공기는 냉장고 바닥 프레임(21)에 구비되는 유로 가이드(미도시)를 통하여 차량용 냉장고(20)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The air cooled by the compressor 100 may be discharged through an air outlet 22b provided in the side of the machine room or the bottom frame 221 of the machine room. Air discharged through the air outlet 22b may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vehicle refrigerator 20 through a flow path guide (not shown) provided in the bottom frame 21 of the refrigerator.

한편,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압축기는 쉘의 표면적이 기존의 가정용 냉장고에 적용되는 압축기에 비해 대략 70% 정도 축소된 소형 압축기이다. 이에 따라, 압축기의 내부에서 발생되는 모터열 또는 압축열이 원활하고 신속하게 방열되지 못하게 된다. 그러면 압축기의 내부 부품에 대한 내마모성이 저하되거나 모터의 효율이 저하될 수 있다. Meanwhile, as described above, the compressor is a small compressor whose shell surface area is reduced by approximately 70% compared to the compressor applied to the existing household refrigerator. Accordingly, motor heat or compression heat generated inside the compressor cannot be radiated smoothly and quickly. Then, the abrasion resistance of the internal components of the compressor may decrease or the efficiency of the motor may decrease.

또, 이를 감안하여 응축팬이 구비되는 경우 제조 비용이 상승하게 되고, 응축팬을 장시간 동작시키게 되면 전력소모량이 증가하는 한편 팬 소음이 증가하여 탑승자의 불쾌감을 유발할 수 있다. 이에, 본 실시예와 같이 소형 압축기의 쉘을 가볍고 열전달계수가 높은 알루미늄 합급으로 제작하여 방열 효과를 높일 수 있다. 쉘의 표면에는 복수 개의 방열핀을 형성하여 방열 효과를 더 높일 수 있다. 이를 통해 응축팬을 배제하고나 응축팬을 설치하더라도 팬 동작시간을 최소화하여 냉장고 효율을 높이고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In addition, in consideration of this, when the condensing fan is provided, the manufacturing cost increases, and when the condensing fan is operated for a long time, the power consumption increases while the fan noise increases, which may cause discomfort to the occupant. Accordingly, the shell of the compact compressor can be made of an aluminum alloy having a light weight and a high heat transfer coefficient as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reby increasing the heat dissipation effect. A plurality of heat dissipation fins may be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shell to further enhance heat dissipation effect. Through this, even if a condensing fan is excluded or a condensing fan is installed, the operating time of the fan can be minimized to increase the efficiency of the refrigerator and increase reliability.

소형 압축기(100)는, 냉장고를 이루는 주요한 구성요소 중 하나로서, 구동 방식에 따라 왕복동식 압축기(Reciprocating Compressor), 회전식 압축기(Rotary Compressor) 또는 스크롤식 압축기(Scroll Compressor)로 구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왕복동식 압축기의 일종인 연결형 왕복동식 압축기가 적용된 예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하지만, 압축기의 종류는 한정되지 않는다.The small compressor 100 is one of the main components constituting a refrigerator, and may be classified into a reciprocating compressor, a rotary compressor, or a scroll compressor according to a driving method. In this embodiment, an example in which a connection-type reciprocating compressor, which is a kind of a reciprocating compressor, is applied will be mainly described. However, the type of compressor is not limited.

도 5는 본 실시예에 따른 소형 압축기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에 따른 소형 압축기의 내부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소형 압축기(100)는, 외관을 형성하는 쉘(110), 쉘(110)의 내부공간에 구비되며 구동력을 제공하는 전동부(120), 전동부(120)으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아 피스톤(132)이 실린더(131)에서 직선 왕복운동을 하면서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부(130)를 포함한다.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mall compresso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nd FIG. 6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interior of the small compressor according to FIG. 5. 5 and 6, the compact compressor 100 is provided in the shell 110 forming the exterior, the inner space of the shell 110 and provides a driving force 120, the transmission unit 120 The piston 132 receives a driving force from the cylinder 131 and includes a compression unit 130 for compressing the refrigerant while performing a linear reciprocating motion in the cylinder 131.

쉘(110)은 내부에 밀폐 공간을 형성하며, 이러한 밀폐 공간 내에 전동부(120)와 압축부(130)를 수용한다. 쉘(110)은 가볍고 열전도계수가 높은 알루미늄 합금(이하, 알루미늄으로 약칭함)으로 이루어지며, 커버쉘(111) 및 베이스쉘(112)을 포함한다. The shell 110 forms an enclosed space therein, and accommodates the electric unit 120 and the compression unit 130 in this enclosed space. The shell 110 is made of an aluminum alloy (hereinafter abbreviated as aluminum) that is light and has a high thermal conductivity, and includes a cover shell 111 and a base shell 112.

커버쉘(111)은 베이스쉘(112)과 함께 밀폐된 내부공간을 형성하며, 베이스쉘(112)과 같이 대략 반구 형상으로 형성된다. 커버쉘(111)은 베이스쉘(112)의 상측에서 그 베이스쉘(112)과 패키징되어 쉘(110)의 내부에 밀폐 공간을 형성한다.The cover shell 111 forms an inner space sealed together with the base shell 112 and is formed in an approximately hemispherical shape like the base shell 112. The cover shell 111 is packaged with the base shell 112 on the upper side of the base shell 112 to form a sealed space inside the shell 110.

커버쉘(111)과 베이스쉘(112)은 용접하여 패키징될 수 있으나, 본 실시예에 따른 커버쉘(111)과 베이스쉘(112)이 용접이 어려운 알루미늄 소재로 이루어짐에 따라 볼트 체결될 수 있다. The cover shell 111 and the base shell 112 may be packaged by welding, but as the cover shell 111 and the base shell 112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re made of an aluminum material that is difficult to weld, they may be bolted. .

이를 위해, 커버쉘(111)의 개구면과 베이스쉘(112)의 개구면에는 각각 체결돌부(111a)(112a)가 서로 대응하도록 반경방향으로 돌출 형성되고, 각각의 체결돌부(111a)(112a)에는 볼트 조립을 위한 체결구멍(미부호)이 형성될 수 있다. To this end, the opening surface of the cover shell 111 and the opening surface of the base shell 112 are formed with fastening protrusions 111a and 112a respectively protruding in the radial direction so as to correspond to each other, and each of the fastening protrusions 111a and 112a ) May be formed with a fastening hole (unsigned) for bolt assembly.

베이스쉘(112)은 커버쉘(111)과 같이 대략 반구 형상으로 형성된다. 베이스쉘(112)에는 흡입파이프(115), 토출파이프(116) 및 프로세스 파이프(117)가 각각 장착된다. 흡입파이프(115)는 쉘(110)의 내부공간으로 냉매를 유입시키며, 토출파이프(116)는 쉘(110) 내에서 압축된 냉매를 배출시키며, 프로세스 파이프(117)는 쉘(110)의 내부공간을 밀폐시킨 이후 쉘(110)의 내부공간으로 냉매를 충전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흡입파이프(115) 및 토출파이프(116)와 같이 베이스쉘(112)을 관통하여 장착된다. The base shell 112 is formed in an approximately hemispherical shape like the cover shell 111. The base shell 112 is equipped with a suction pipe 115, a discharge pipe 116, and a process pipe 117, respectively. The suction pipe 115 introduces the refrigerant into the inner space of the shell 110, the discharge pipe 116 discharges the refrigerant compressed in the shell 110, and the process pipe 117 is It is for charging the refrigerant into the inner space of the shell 110 after the space is sealed, and is mounted through the base shell 112 like the suction pipe 115 and the discharge pipe 116.

여기서, 흡입파이프(115), 토출파이프(116), 프로세스 파이프(117)은 각각 베이스쉘(111)에 인서트 다이캐스팅 공법을 이용하여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나중에 다시 설명한다.Here, the suction pipe 115, the discharge pipe 116, and the process pipe 117 may be coupled to the base shell 111 using an insert die casting method, respectively. This will be described later.

한편, 커버쉘(111)의 개구면과 베이스쉘(112)의 개구면은 각각 평평하게 형성되어 밀착 결합될 수도 있지만, 베이스쉘(112)의 개구면이 단차져 커버쉘(111)의 개구면과 베이스쉘(112)의 개구면이 단차 결합되거나 또는 베이스쉘(111)의 개구면에 홈(미도시)이 형성되고 그 홈에 커버쉘(112)의 개구면에 구비된 돌기(미도시)가 삽입되어 양쪽 개구면이 요철 결합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커버쉘(111)의 개구면과 베이스쉘(112)의 개구면 사이의 실링면적이 증가되어 커버쉘(111)과 베이스쉘(112)을 용접이 아닌 볼트 체결로 결합하더라도 내부공간을 긴밀하게 밀봉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opening surface of the cover shell 111 and the opening surface of the base shell 112 may be formed to be flat and closely coupled, but the opening surface of the base shell 112 is stepped so that the opening surface of the cover shell 111 And the opening surface of the base shell 112 is stepwise coupled or a groove (not shown) is formed in the opening surface of the base shell 111 and a protrusion provided on the opening surface of the cover shell 112 in the groove (not shown) Is inserted so that both opening surfaces may be unevenly coupled. Accordingly, the sealing area between the opening surface of the cover shell 111 and the opening surface of the base shell 112 is increased, so that even if the cover shell 111 and the base shell 112 are coupled by bolting instead of welding, the internal space is It can be tightly sealed.

또, 도면으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커버쉘(111)의 개구면과 베이스쉘(112)의 개구면 사이에는 가스켓 또는 오링과 같은 실링부재(미도시)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커버쉘(111)과 베이스쉘(112) 사이의 실링력을 더욱 높일 수 있다. Further,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s, a sealing member (not shown) such as a gasket or an O-ring may be further provided between the opening surface of the cover shell 111 and the opening surface of the base shell 112. Accordingly, the sealing force between the cover shell 111 and the base shell 112 can be further increased.

한편, 커버쉘(111)과 베이스쉘(112)의 외주면에는 방열을 위한 복수 개씩의 방열핀(1191)(1192)이 각각 형성된다. 하지만, 방열핀은 열이 상측으로 향하는 점을 고려하여 베이스쉘(112)의 외주면에는 형성되지 않고 커버쉘(111)의 외주면에만 형성될 수 있다. 또, 방열핀(1191)(1192)은 커버쉘(111)과 베이스쉘(112)에 각각 형성되되, 커버쉘(111)에 형성되는 방열핀(1192)의 표면적이 베이스쉘(112)에 형성되는 방열핀(1191) 보다 더 넓은 표면적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Meanwhile, a plurality of radiating fins 1191 and 1192 for radiating heat are formed o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s of the cover shell 111 and the base shell 112, respectively. However, the heat dissipation fin may not be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ase shell 112, but may be formed only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ver shell 111 in consideration of the fact that heat is directed upward. In addition, the radiating fins 1191 and 1192 are formed on the cover shell 111 and the base shell 112, respectively, and the surface area of the radiating fins 1192 formed on the cover shell 111 is formed on the base shell 112 It can be formed to have a larger surface area than (1191).

방열핀(1191)(1192)은 쉘(110)과 단일체로 연장 형성된다. 커버쉘(111)에 형성되는 방열핀을 제1 방열핀(1191), 베이스쉘(112)에 형성되는 방열핀을 제2 방열핀(1192)이라고 정의할 수 있다. 제1 방열핀(1191)과 제2 방열핀(1192)은 서로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제1 방열핀을 중심으로 설명한다.The radiating fins 1191 and 1192 are formed to extend as a unitary body with the shell 110. A radiating fin formed on the cover shell 111 may be defined as a first radiating fin 1191, and a radiating fin formed on the base shell 112 may be defined as a second radiating fin 1192. The first radiating fins 1191 and the second radiating fins 1192 may be formed identically to each other. Therefore, hereinafter, the first radiating fin will be described as the center.

제1 방열핀(1191)은 커버쉘(111)의 커버측 모서리부(111c)에 형성되되, 제1 방열핀(1191)은 커버측 모서리부(111c)와 상측면부(111b1)와 측벽면부(111b2)가 연결되는 지점까지만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커버쉘(111)이 진원 형상인 반구 형상으로 형성되어 커버쉘(111)의 상면 중앙부가 한 개의 점으로 이루어진 경우에는 그 한 점을 상측면부(111b1)라고 정의할 수 있다. The first radiating fins 1191 are formed on the cover-side corners 111c of the cover shell 111, and the first radiating fins 1191 are the cover-side corners 111c, the upper side surfaces 111b1, and the side wall surfaces 111b2. Can be formed only up to the point where is connected. In this case, when the cover shell 111 is formed in a semi-spherical shape having a true circle shape and the center of the upper surface of the cover shell 111 is formed of one point, one point may be defined as the upper side portion 111b1.

제1 방열핀(1191)은 커버쉘(111)의 외주면에서 연장되는 곡면부(1191a)와, 곡면부(1191a)의 상단에서 축방향에 직교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수평부(1191b)와, 곡면부(1191a)의 하단에서 축방향으로 연장되어 수평부(1191b)를 연결하는 수직부(1191c)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방열핀(1191)은 수평부(1191b)와 수직부(1191c)가 만나는 테두리가 직각 또는 거의 직각을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The first radiating fin 1191 includes a curved portion 1191a extending from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ver shell 111, a horizontal portion 1191b extending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axial direction from the top of the curved portion 1191a, and a curved portion. It may be formed of a vertical portion 1191c extending in the axial direction from the lower end of 1191a and connecting the horizontal portion 1191b. Accordingly, the first heat dissipation fin 1191 may be formed such that an edge where the horizontal portion 1191b and the vertical portion 1191c meet has a right angle or an almost right angle.

또, 도 6과 같이, 제1 방열핀(1191)의 축방향 단부면을 이루는 수평부(1191b)의 단부면은 커버쉘(111)의 상단 외주면인 상측면부(111b1)보다 같거나 낮게 형성되고, 제1 방열핀(1191)의 반경방향 단부면을 이루는 수직부(1191c)의 단부면은 커버쉘(111)의 측면 외주면인 측벽면부(111b2)보다 같거나 낮게 형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as shown in Figure 6, the end surface of the horizontal portion (1191b) forming the axial end surface of the first radiating fin (1191) is formed equal to or lower than the upper surface portion (111b1) that is the upper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ver shell (111), The end surface of the vertical portion 1191c constituting the radial end surface of the first radiating fin 1191 may be formed to be equal to or lower than the side wall surface portion 111b2 that is a sid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cover shell 111.

이에 따라, 제1 방열핀(1191)은 상측면부(111b1) 및 측벽면부(111b2)에는 형성되지 않고 모서리부(111c)에서만 형성되게 된다. 그러면 커버쉘(111)의 외주면에 방열핀(1191)을 형성하면서도 압축기의 실질적인 크기는 증가하지 않게 된다. 즉, 커버쉘(111)의 외표면이 대략 반구 형상으로 형성될 경우 모서리 부분은 일종의 사각 영역(dead angle area) 또는 사체적 영역(dead volume area)이 되는데, 제1 방열핀(1191)이 사각 영역 또는 사체적 영역인 모서리 부분에만 형성됨에 따라 방열핀으로 인해 새로운 사각 영역 또는 사체적이 발생되지 않게 된다. Accordingly, the first radiating fin 1191 is not formed on the upper side portion 111b1 and the sidewall portion 111b2, but is formed only at the corner portion 111c. Then, while forming the radiating fins 1191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ver shell 111, the actual size of the compressor does not increase. That is, when the outer surface of the cover shell 111 is formed in an approximately hemispherical shape, the edge portion becomes a kind of dead angle area or a dead volume area, and the first radiating fin 1191 is a rectangular area. Or, as it is formed only in the corner portion, which is a dead volume area, a new dead area or dead volume is not generated due to the radiating fins.

여기서, 사각 영역 또는 사체적 영역은 기계실 내에서의 빈공간을 의미하는 것으로, 상측면부 또는 측벽면부에 방열핀이 돌출 형성되게 되면 압축기의 실질적인 외표면은 방열핀의 단부면이 되게 된다. 그러면 커버쉘의 상측면부 또는 측벽면부에서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방열핀의 면적만큼 기계실이 넓어져야 하므로, 이 영역은 사각 영역 또는 사체적 영역이 되게 된다. 하지만, 본 실시예와 같이 쉘의 모서리 부분에 는 추가되는 사각 영역 또는 사체적 영역이 발생되지 않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압축기는 방열핀을 형성하면서도 방열핀을 포함한 압축기의 실질적인 크기가 증가하지 않게 된다. Here, the rectangular area or the dead volume area means an empty space in the machine room, and when the radiating fins are protruding from the upper side or the side wall, the actual outer surface of the compressor becomes the end surface of the radiating fin. Then, the machine room must be widened by the area of the heat dissipation fin formed to protrude from the upper side or side wall of the cover shell, so this area becomes a rectangular area or a dead volume area. However, as in the present embodiment, an additional rectangular area or dead volume area does not occur at the edge of the shell. Accordingly, the compresso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does not increase the actual size of the compressor including the radiating fins while forming the radiating fins.

전동부(120)는 쉘(110)의 내부공간에 탄력적으로 지지되어 설치되는 고정자(121)와, 고정자(121)의 안쪽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자(122)와, 회전자(122)의 중심에 결합되어 회전력을 압축부(120)에 전달하는 크랭크축(123)을 포함할 수 있다. The electric unit 120 includes a stator 121 that is elastically supported and installed in the inner space of the shell 110, a rotor 122 that is rotatably installed inside the stator 121, and a rotor 122 It may include a crankshaft 123 that is coupled to the center of and transmits the rotational force to the compression unit 120.

압축부(130)는 실린더(131a)를 형성하는 실린더블록(131)과, 실린더(131a)의 내부에서 반경방향으로 왕복운동을 하면서 냉매를 압축하는 피스톤(132)과, 피스톤(132)에 일단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크랭크축(123)에 타단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전동부(120)의 회전운동을 피스톤(132)의 직선운동으로 변환하는 커넥팅로드(133)와, 실린더블록(131)의 단부에 결합되어 흡입밸브와 토출밸브가 구비되는 밸브조립체(134)와, 밸브조립체(134)의 흡입측에 결합되는 흡입머플러(135)와, 밸브조립체(134)의 토출측을 수용하도록 결합되는 헤드커버(136)와, 헤드커버(136)에 연통되어 냉매의 토출소음을 감쇄시키는 토출머플러(137)를 포함할 수 있다.The compression unit 130 comprises a cylinder block 131 forming a cylinder 131a, a piston 132 compressing a refrigerant while reciprocating in a radial direction inside the cylinder 131a, and one end of the piston 132 The connecting rod 133 is rotatably coupled and the other end is rotatably coupled to the crankshaft 123 to convert the rotational motion of the electric unit 120 into a linear motion of the piston 132, and the cylinder block 131 A valve assembly 134 coupled to the end of the valve assembly 134 having a suction valve and a discharge valve, a suction muffler 135 coupled to the suction side of the valve assembly 134, and a discharge side of the valve assembly 134 It may include a head cover 136 and a discharge muffler 137 communicating with the head cover 136 to attenuate discharge noise of the refrigerant.

상기와 같은 본 실시예에 따른 소형 압축기는 다음과 같이 동작된다.The compact compresso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s described above operates as follows.

즉, 전동부(120)에 전원이 인가되면 회전자(122)가 회전을 하게 된다. 회전자(122)가 회전을 하면 그 회전자(122)에 결합된 크랭크축(123)이 회전을 하면서 회전력을 커넥팅로드(133)를 통해 피스톤(132)에 전달하게 된다. 피스톤(132)은 커넥팅로드(133)에 의해 실린더(131a)에 대해 전후방향으로 왕복운동을 하게 된다.That is, when power is applied to the electric unit 120, the rotor 122 rotates. When the rotor 122 rotates, the crankshaft 123 coupled to the rotor 122 rotates and transmits the rotational force to the piston 132 through the connecting rod 133. The piston 132 reciprocates in the front-rear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cylinder 131a by the connecting rod 133.

예를 들어, 피스톤(132)이 실린더(131a)에서 후진하면 실린더(131a)의 내부체적이 증가하게 되고, 실린더(131a)의 내부체적이 증가되면 쉘(110)의 내부공간에 채워진 냉매가 흡입머플러(135)를 통해 실린더블록(131)의 실린더(131a)으로 흡입된다. For example, when the piston 132 moves backward from the cylinder 131a, the internal volume of the cylinder 131a increases, and when the internal volume of the cylinder 131a increases, the refrigerant filled in the internal space of the shell 110 is sucked. It is sucked into the cylinder 131a of the cylinder block 131 through the muffler 135.

반대로, 피스톤(132)이 실린더(131a)에서 전진하면 실린더(131a)의 내부체적이 감소되고, 실린더(131a)의 내부체적이 감소되면 그 실린더(131a)에 채워진 냉매가 압축되어 밸브조립체(134)의 토출밸브를 통해 헤드커버(136)로 토출된다. 이 냉매는 토출머플러(137)를 거쳐 냉동사이클로 배출되는 일련의 과정을 반복하게 된다.Conversely, when the piston 132 advances from the cylinder 131a, the internal volume of the cylinder 131a decreases, and when the internal volume of the cylinder 131a decreases, the refrigerant filled in the cylinder 131a is compressed and the valve assembly 134 ) Is discharged to the head cover 136 through the discharge valve. The refrigerant is discharged to the refrigeration cycle through the discharge muffler 137 and repeats a series of processes.

이때, 전동부(120)에서는 회전력을 발생시키면서 모터열이 발생하게 되고, 압축부(130)에서는 냉매를 압축하면서 압축열이 발생하게 된다. 이 모터열과 압축열은 쉘(110)의 내부공간으로 흡입되는 냉매 또는 오일과 열교환되어 냉각되고, 냉매와 오일은 쉘(110)의 내주면과 접촉되어 그 쉘(110)과 열교환되면서 냉각되게 된다. 따라서, 쉘(110)의 내부공간에서 발생되는 열은 결국 쉘(110)의 표면을 통해 기계실(22)의 내부로 방열되게 된다. At this time, motor heat is generated while generating rotational force in the electric unit 120, and compression heat is generated while compressing the refrigerant in the compression unit 130. The motor heat and the compression heat are cooled by heat exchange with refrigerant or oil sucked into the inner space of the shell 110, and the refrigerant and oil are in contact with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hell 110 and are cooled by heat exchange with the shell 110. Accordingly, heat generated in the inner space of the shell 110 is eventually radiated to the interior of the machine room 22 through the surface of the shell 110.

이에 따라, 압축기의 방열효과는 쉘(110)의 소재와 표면적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쉘(110)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열전도계수 높은 알루미늄 소재로 형성됨에 따라 방열효과를 높일 수 있다. 하지만, 압축기가 소형화되면서 기존의 가정용 냉장고에 적용되던 압축기에 비해 방열면적, 즉 표면적이 70% 정도 크게 줄게 되었다. 이로 인해 압축기의 소재가 방열에 유리한 알루미늄 소재로 바뀌었다고 하더라도 전체적으로 방열면적이 감소됨에 따라 압축기의 방열효과가 감소될 수 있다.Accordingly, the heat dissipation effect of the compressor may be determined by the material and surface area of the shell 110. As the shell 110 is formed of an aluminum material having a high thermal conductivity, as described above, the heat dissipation effect may be increased. However, as the compressor has been miniaturized, the heat dissipation area, that is, the surface area, has been significantly reduced by about 70% compared to the compressor applied to the existing home refrigerator. Accordingly, even if the material of the compressor is changed to an aluminum material that is advantageous for heat dissipation, the heat dissipation effect of the compressor may be reduced as the overall heat dissipation area is reduced.

이에,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쉘의 외주면에 복수 개의 방열핀을 형성하여 방열면적을 확대하고, 이를 통해 압축기가 소형화되더라도 쉘의 방열면적을 넓게 확보하여 방열 효과를 높이고자 하는 것이다.Accordingly, as described above, a plurality of radiating fins are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hell to expand the radiating area. Through this, even if the compressor is miniaturized, the radiating area of the shell is secured to increase the heat dissipation effect.

다만, 방열핀이 쉘의 외주면 전체에 고르게 형성될 경우 그 방열핀의 단부면으로 정의되는 실제 압축기의 크기는 쉘의 외주면보다 증가하게 된다. 그러면 압축기를 소형화하면서 얻게 되는 장점이 크게 훼손될 수 있다. 따라서, 방열핀을 형성하되, 가급적 방열핀에 의한 사각 또는 사체적을 줄여 방열핀을 포함한 압축기의 실제 크기가 증가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However, when the radiating fins are evenly formed on the entir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hell, the actual size of the compressor defined as the end surface of the radiating fin is increased tha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hell. Then, the advantages obtained while miniaturizing the compressor can be greatly impaired. Therefore, it is preferable to form a radiating fin, but to reduce the square or dead volume by the radiating fin as much as possible so that the actual size of the compressor including the radiating fin is not increased.

한편,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소형 압축기는 소형 냉장고에서 기계실에 설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소형 압축기는 응축기-응축팬-압축기의 순으로 배열될 수 있다. Meanwhile, as described above, the small compresso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be installed in a machine room in a small refrigerator. In this case, the small compressors may be arranged in the order of condenser-condensing fan-compressor.

이때, 기계실(22)의 좌측면에는 공기입구(22a)가, 우측면 또는 우측 바닥면에는 공기출구(22b)가 각각 형성된다. 그러면 응축기(27)는 공기입구(22a)에 근접되는 위치에, 압축기(100)는 기계실(22)의 공기출구(22a)에 근접되는 위치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앞서도 설명한 바와 같이 압축기(100)는 그 특성상 응축기(27)에 비해 공기로부터의 영향을 적게 받게 되므로 응축기(27)에 비해 높은 온도의 공기와 접촉되더라도 냉장고 성능에 크게 영향을 끼치지는 않는다. 다만, 압축기(100)가 본 실시예와 같이 소형인 경우에는 방열면적이 감소되어 압축기에 대한 방열효과가 저하될 수 있고, 이로 인해 응축팬(28)의 작동시간이 증가될 수도 있다.At this time, an air inlet 22a is formed on the left side of the machine room 22, and an air outlet 22b is formed on the right side or the right bottom side, respectively. Then, the condenser 27 may be disposed at a position close to the air inlet 22a and the compressor 100 may be disposed at a position close to the air outlet 22a of the machine room 22.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compressor 100 is less affected by air than the condenser 27 due to its characteristics, even if it comes into contact with air having a higher temperature than the condenser 27, the refrigerator performance is not significantly affected. However, when the compressor 100 is small as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heat dissipation area may be reduced, so that the heat dissipation effect for the compressor may be lowered, and thus the operating time of the condensing fan 28 may be increased.

하지만, 본 실시예와 같이, 쉘(110)을 알루미늄 소재로 형성하고, 쉘(110)의 외주면에 방열핀(1191)(1192)을 형성하는 경우에는 압축기가 소형이더라도 압축기의 방열에 필요한 면적을 확보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압축기(100)를 방열하기 위해 응축팬(28)의 구동시간을 늘리지 않고서도 압축기(100)가 신속하게 방열될 수 있다. 그러면 응축팬(28)의 장시간 구동으로 인한 전력낭비를 예방할 수 있고, 응축팬(28)의 구동으로 인한 소음을 줄일 수 있다. However, as in the present embodiment, when the shell 110 is formed of an aluminum material and the radiating fins 1191 and 1192 are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hell 110, even if the compressor is small, the area required for heat dissipation of the compressor is secured. can do. Through this, the compressor 100 can be quickly radiated without increasing the driving time of the condensing fan 28 in order to radiate the compressor 100. Then, it is possible to prevent power wasted due to the long-time driving of the condensing fan 28, and noise due to driving of the condensing fan 28 can be reduced.

나아가, 방열핀(1191)(1192)의 길이방향 일단이 응축기(27)를 마주보도록 배열될 수 있다. 이 경우 응축기(27)를 통과한 공기가 방열핀(1191)(1192)을 통과하면서 그 방열핀(1191)(1192)과 고르게 접촉될 수 있다. 그리고, 방열핀(1191)(1192)으로 인한 공기의 유동저항이 감소되어 새로운 공기가 신속하게 기계실(22)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응축기(27)와 압축기(100)에 대한 방열효과가 더욱 향상될 수 있다.Furthermore, one end of the radiating fins 1191 and 1192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may be arranged to face the condenser 27. In this case, the air passing through the condenser 27 may evenly contact the radiating fins 1191 and 1192 while passing through the radiating fins 1191 and 1192. In addition, since the flow resistance of air due to the radiating fins 1191 and 1192 is reduced, new air can be quickly introduced into the machine room 22. Accordingly, the heat dissipation effect for the condenser 27 and the compressor 100 may be further improved.

하지만, 방열핀(1191)(1192)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응축기(27)를 향하는 방향에 대해 수평과 수직으로 직교하는 방향으로 배열되거나 또는 방사상으로 배열될 수도 있다. 또, 방열핀(1191)(1192)은 공기의 유동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배열될 수도 있다. However, the radiating fins 1191 and 1192 may be arranged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direction toward the condenser 27 horizontally and perpendicularly or radially as described above. Further, the radiating fins 1191 and 1192 may be arranged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flow direction of air.

이들 경우에는 방열핀의 면적이 확대될 뿐만 아니라 복잡한 방열핀 형상으로 인해 응축기(27)를 통과한 공기가 방열핀(1191)(1192)에 부딪혀 난류를 형성하게 될 수 있다. 그러면 공기가 기계실(22)에서 복잡한 유동분포를 형성하게 되어 공기와 방열핀(1191)(1192) 사이의 접촉성을 높일 수도 있다.In these cases, not only the area of the radiating fins is enlarged, but the air passing through the condenser 27 may collide with the radiating fins 1191 and 1192 due to the complicated shape of the radiating fins, thereby forming turbulent flow. Then, the air forms a complex flow distribution in the machine room 22, so that the contact property between the air and the radiating fins 1191 and 1192 may be improved.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소형 압축기에는 그 쉘(110) 내부의 전동부(120)를 제어하기 위한 압축기 제어부(150)가 구비될 수 있다. Meanwhile, the small compresso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be provided with a compressor control unit 150 for controlling the electric unit 120 inside the shell 110.

다시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압축기 제어부(150)는 베이스쉘(112)의 측면에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압축기 제어부(150)는 쉘(110)보다 높은 열을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압축기 제어부(150)는 응축팬(28)과 압축기(100)의 사이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Referring back to FIGS. 3 and 4, the compressor control unit 150 may be coupled to a side surface of the base shell 112. In addition, the compressor control unit 150 may generate higher heat than the shell 110. Therefore, it may be preferable that the compressor control unit 150 is located between the condensing fan 28 and the compressor 100.

한편, 베이스쉘에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흡입파이프, 토출파이프, 프로세스 파이프가 각각 결합된다. 이들 파이프는 냉동사이클의 냉매관과 연결되거나 또는 단독으로 구비된다. 특히, 냉매관에 연결되는 흡입파이프 또는 토출파이프는 동관, 동합금관, 철관 또는 철합금관으로 이루어지는데 반해 베이스쉘은 알루미늄으로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서는 흡입파이프와 토출파이프를 베이스쉘에 용접하지 않고 인서트 다이캐스팅하여 결합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베이스쉘에 결합되는 토출파이프를 대표예로 삼아 설명한다. Meanwhile, as described above, a suction pipe, a discharge pipe, and a process pipe are respectively coupled to the base shell. These pipes are connected to the refrigerant pipe of the refrigeration cycle or provided alone. In particular, the suction pipe or discharge pipe connected to the refrigerant pipe is made of a copper pipe, a copper alloy pipe, an iron pipe or an iron alloy pipe, whereas the base shell is made of aluminum. Accordingly,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uction pipe and the discharge pipe can be combined by insert die casting without welding to the base shell. Hereinafter, a discharge pipe coupled to the base shell will be described as a representative example.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토출파이프를 베이스쉘에서 분리하여 보인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7에서 토출파이프를 베이스쉘에 조립하여 보인 사시도이며, 도 9는 도 8의 "Ⅴ-Ⅴ"선단면도이다.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discharging pip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eparated from the base shell, FIG. 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discharging pipe assembled to the base shell in FIG. 7, and FIG. 9 is a cross-sectional view of “V-V” of FIG. to be.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베이스쉘(112)에는 두께방향으로 관통되는 파이프 연결구멍(112b)이 형성된다. 하지만, 파이프 연결구멍(112b)은 토출파이프(116)를 결합하기 전에 미리 형성되는 것이 아니라, 토출파이프(116)를 인서트 다이캐스팅으로 결합하는 과정에서 형성된 것이다. 다만, 설명의 편의상 파이프 연결구멍(112b)이 베이스쉘(112)에 형성되는 것으로 가정하여 설명한다. 물론, 후술하는 도 14의 실시예에서와 같이 토출파이프(116)를 후조립하는 경우에는 베이스쉘(112)에 파이프 연결구멍(112b)이 미리 형성되는 것은 당연하다. 7 to 9, the base shell 112 is formed with a pipe connection hole 112b penetrating in the thickness direction. However, the pipe connection hole 112b is not formed in advance before coupling the discharge pipe 116, but is formed in the process of coupling the discharge pipe 116 by insert die casting. However,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it is assumed that the pipe connection hole 112b is formed in the base shell 112. Of course, in the case of post-assembling the discharge pipe 116 as in the embodiment of FIG. 14 to be described later, it is natural that the pipe connection hole 112b is formed in advance in the base shell 112.

토출파이프(116)는 그 외주면이 파이프 연결구멍(112b)의 내주면에 밀착된다. 이는 토출파이프(116)가 동관 또는 철관으로 형성되어 알루미늄으로 된 베이스쉘(112)보다 용융온도가 높다는 점을 이용하여, 토출파이프(116)를 베이스쉘(112)에 인서트 다이캐스팅으로 결합하기 때문이다. 즉, 소정의 금형에 동관 또는 철관으로 된 토출파이프(116)를 넣고 나서, 금형에 알루미늄 용융액을 고압으로 주입하여 금형을 채운다. 그러면 알루미늄 용융액이 기설정된 금형을 채우면서 토출파이프(116)의 외주면에 밀착되게 된다. 그러면, 베이스쉘(112)에 토출파이프(116)를 용접하지 않고도 견고하게 결합할 수 있다.The discharge pipe 116 has its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ipe connection hole 112b. This is because the discharge pipe 116 is bonded to the base shell 112 by insert die casting using the fact that the discharge pipe 116 is formed of a copper tube or an iron tube and has a higher melting temperature than the aluminum base shell 112. . That is, after the discharge pipe 116 made of a copper tube or an iron tube is put in a predetermined mold, an aluminum melt is injected into the mold at high pressure to fill the mold. Then, the aluminum melt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discharge pipe 116 while filling the predetermined mold. Then, the discharge pipe 116 can be firmly coupled to the base shell 112 without welding.

하지만, 토출파이프(116)의 외주면이 밋밋한 평활관 형상으로 형성되게 되면 토출파이프(116)를 베이스쉘(112)에 결합한 후에 탈거될 수 있다. 이에, 본 실시예에서는 토출파이프(116)의 외주면과 이에 대응하는 파이프 연결구멍(112b)의 내주면 사이에 이탈방지부가 형성될 수 있다.However, whe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discharge pipe 116 is formed in a flat smooth tube shape, it may be removed after the discharge pipe 116 is coupled to the base shell 112. Accordingly, in the present embodiment, a separation prevention part may be formed betwee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discharge pipe 116 and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ipe connection hole 112b corresponding thereto.

도 7 및 도 9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토출파이프(116)의 외주면에는 파이프를 길이방향으로 지지하는 이탈방지부가 형성된다. 이탈방지부는 토출파이프(116)의 외주면에서 반경방향으로 연장되는 지지돌부(116a)로 이루어질 수 있다.Referring to FIGS. 7 and 9, a separation prevention part for supporting the pip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s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discharge pipe 116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separation prevention part may be made of a support protrusion 116a extending in the radial direction from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discharge pipe 116.

지지돌부(116a)는 토출파이프(116)의 외주면에 별도의 부재를 압입하거나 용접하여 형성될 수도 있고, 토출파이프(116)를 지그 사이에 넣고 양쪽에서 압축하여 외주면의 일부가 주름지도록 가공하여 형성할 수도 있다. 그 외에 토출파이프(116)의 외주면에 지지돌부(116a)가 형성될 수 있는 방법이면 족하다.The support protrusion 116a may be formed by pressing or welding a separate member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discharge pipe 116, or formed by inserting the discharge pipe 116 between the jig and compressing it on both sides and processing a part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o wrinkle. You may. In addition, a method in which the support protrusion 116a can be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discharge pipe 116 is sufficient.

지지돌부(116a)와 지지홈부(112c)는 서로 대응되도록 각각 환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지지돌부(116a)와 지지홈부(112c)에 의해 토출파이프(116)의 외주면과 파이프 연결구멍(112b)의 내주면은 요철지게 형성된다. 이에 따라, 토출파이프(116)의 외주면과 파이프 연결구멍(112b)의 내주면 사이에서의 접촉면적이 확대될 수 있다. 그러면, 토출파이프(116)의 외주면과 파이프 연결구멍(112b)의 내주면 사이에서의 실링면적이 확대되어 쉘의 내부공간을 더욱 확실하게 실링할 수 있다.The support protrusion 116a and the support groove 112c may each be formed in an annular shape so as to correspond to each other.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discharge pipe 116 and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ipe connection hole 112b are formed unevenly by the support protrusion 116a and the support groove 112c. Accordingly, the contact area betwee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discharge pipe 116 and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ipe connection hole 112b can be enlarged. Then, the sealing area betwee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discharge pipe 116 and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ipe connection hole 112b is enlarged, so that the inner space of the shell can be more reliably sealed.

다만, 지지돌부(116a)와 지지홈부(112c)는 원주방향을 따라 기설정된 간격을 가지는 복수 개의 돌기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지지돌부(116a)와 지지홈부(112c)를 상대적으로 다양하면서 용이하게 형성할 수도 있다. However, the support protrusion 116a and the support groove 112c may be formed of a plurality of protrusions having a predetermined spacing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In this case, the support protrusion 116a and the support groove 112c may be relatively diverse and easily formed.

또, 원주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지지돌부와 지지홈부들 사이에 베이스쉘(112)을 이루는 알루미늄이 채워지게 된다. 이에 따라, 지지돌부와 지지홈부로 인해 베이스쉘(112)의 강도가 약해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어 베이스쉘(112)의 두께를 증가시키지 않고도 쉘의 강도를 유지할 수 있다. In addition, aluminum forming the base shell 112 is filled between the support protrusions formed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nd the support grooves.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suppress the strength of the base shell 112 from weakening due to the support protrusion and the support groove, so that the strength of the shell can be maintained without increasing the thickness of the base shell 112.

한편, 토출파이프(116)에 지지돌부(116a)가 형성되는 경우에는 그 지지돌부(116a)가 형성되는 위치에서는 지지돌부(116a)의 두께만큼 베이스쉘(112)의 두께가 얇아질 수 있다. 그러면 베이스쉘(112)의 신뢰성이 저하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support protrusion 116a is formed in the discharge pipe 116, the thickness of the base shell 112 may be reduced by the thickness of the support protrusion 116a at the position where the support protrusion 116a is formed. Then, the reliability of the base shell 112 may be deteriorated.

이에, 본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쉘(112)에는 지지돌부(116a)가 형성되는 위치에 보강돌부가 형성될 수 있다. 도 7 내지 도 9를 다시 함조하면, 베이스쉘(112)의 외주면에는 파이프 연결구멍(112b)을 감싸며 상기 쉘의 두께방향으로 연장되는 보강돌부(112d)가 형성된다. 도면에서는 보강돌부(112d)가 베이스쉘(112)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것이나 경우에 따라서는 베이스쉘(112)의 내주면에 형성될 수도 있다. Accordingly, in the base shell 112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 reinforcing protrusion may be formed at a position where the support protrusion 116a is formed. 7 to 9 agai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ase shell 112 is formed with a reinforcing protrusion 112d that surrounds the pipe connection hole 112b and extends in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shell. In the drawings, the reinforcing protrusions 112d may be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ase shell 112, but may be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ase shell 112 in some cases.

보강돌부(112d)가 베이스쉘(112)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경우에는 쉘의 내부공간을 넓게 확보하여 다른 부재와의 충돌을 방지할 수 있고, 보강돌부(112d)가 베이스쉘(112)의 내주면에 형성되는 경우에는 압축기의 크기를 그만큼 줄일 수 있다. 도 7 내지 도 9는 본 실시예에 따른 보강돌부가 쉘의 외주면에 형성된 예를 보였다.When the reinforcing protrusion 112d is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ase shell 112, the internal space of the shell can be secured to prevent collision with other members, and the reinforcing protrusion 112d is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ase shell 112 If it is formed in, the size of the compressor can be reduced that much. 7 to 9 show examples in which the reinforcing protrusions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re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hell.

보강돌부(112d)는 환형으로 형성된다. 하지만, 보강돌부(112d)가 반드시 환형으로 형성될 필요는 없다. 즉, 보강돌부(112d)는 토출파이프(116)의 지지돌부(116a)로 인해 쉘의 두께가 얇아지는 것을 보상하는 것이므로, 쉘의 안정성만 확보될 수 있으면 원호 형상 등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The reinforcing protrusion 112d is formed in an annular shape. However, the reinforcing protrusion 112d is not necessarily formed in an annular shape. That is, since the reinforcing protrusion 112d compensates for the thinning of the shell due to the support protrusion 116a of the discharge pipe 116, it may be formed in various shapes such as an arc if only the stability of the shell can be secured.

또, 보강돌부(112d)는 다단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압축기에서 보강돌부에 대한 다른 실시예를 보인 단면도이다.In addition, the reinforcing protrusion 112d may be formed in multiple stages. 10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reinforcing protrusion in the compress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보강돌부(112d)는 2단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보강돌부(112d)는 제1 보강돌부(112d1)와 제2 보강돌부(112d2)가 연속으로 단차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베이스쉘(112)의 외주면에서 가까운 제1 보강돌부(112d1)는 베이스쉘(112)의 외주면에서 상대적으로 먼 제2 보강돌부(112d2)보다 직경이 크게 형성된다. 이는, 다시 말하면 제2 보강돌부(112d2)의 직경은 제1 보강돌부(112d1)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된다. 이에 따라, 보강돌부(112d)의 파이프 방향으로의 길이는 길어지면서도 보강돌부(112d)의 체적은 크게 증가하게 된다. Referring to FIG. 10, the reinforcing protrusion 112d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be formed in two stages. For example, in the reinforcing protrusion 112d, the first reinforcing protrusion 112d1 and the second reinforcing protrusion 112d2 may be continuously stepped. In this case, the first reinforcing protrusion 112d1 close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ase shell 112 has a larger diameter than the second reinforcing protrusion 112d2 relatively far from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ase shell 112. In other words, the diameter of the second reinforcing protrusion 112d2 is formed smaller than the diameter of the first reinforcing protrusion 112d1. Accordingly, while the length of the reinforcing protrusion 112d in the pipe direction increases, the volume of the reinforcing protrusion 112d is greatly increased.

한편, 앞서 설명한 보강돌부(112d)는 경우에 따라 배제될 수 있다. 도 11은 본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쉘과 토출파이프의 결합부위를 확대하여 보인 단면도이다.Meanwhile, the reinforcing protrusion 112d described above may be excluded in some cases. 11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joint portion between a base shell and a discharge pip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도 11을 참조하면, 토출파이프(116)의 외주면에 지지돌부(116a)가 형성된 만큼 베이스쉘(112)의 두께(t)를 두껍게 형성할 수 있다. 그러면, 베이스쉘(112)의 두께(t)는 전체가 일정하면서도 두껍게 형성될 수 있다. 그러면, 토출파이프(116)에 지지돌부(116a)가 형성되더라도 그 지지돌부(116a)가 대응되는 위치에서의 베이스쉘(112)의 두께(t)를 확보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1, the thickness t of the base shell 112 may be formed as thick as the support protrusions 116a are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discharge pipe 116. Then, the thickness t of the base shell 112 may be uniform and thick as a whole. Then, even if the support protrusion 116a is formed in the discharge pipe 116, the thickness t of the base shell 112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support protrusion 116a can be secured.

한편, 앞서 설명한 실시예들에서는 이탈방지부가 토출파이프(116)의 외주면에서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것이나, 이탈방지부는 토출파이프(116)의 외주면에서 함몰지게 형성될 수도 있다. 도 12는 본 발명에 의한 베이스쉘과 토출파이프의 결합구조에 대한 다른 실시예를 보인 단면도이다.Meanwhile,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the separation preventing portion may be formed to protrude from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discharge pipe 116, but the separation preventing portion may be formed to be recessed i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discharge pipe 116. 1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a coupling structure between a base shell and a discharge pip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이탈방지부는, 토출파이프(116)의 외주면에 적어도 한 개 이상의 지지홈부(116b)가 형성되고, 이 지지홈부(116b)에 파이프 연결구멍(112b)의 내주면에서 돌출되는 지지돌부(112e)가 삽입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Referring to Figure 12, the separation prevention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t least one support groove (116b) is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discharge pipe (116), the support groove (116b) of the pipe connection hole (112b). The support protrusion 112e protruding from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may be inserted.

지지홈부(116b)는 기계가공으로 토출파이프(116)의 외주면을 절삭하거나, 또는 스웨징(swage) 기계를 이용하여 토출파이프(116)를 압착성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지지홈부(116b)는 반경방향으로 함몰지게 형성되는 것으로, 환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고, 원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support groove 116b may cut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discharge pipe 116 by machining, or may press-mold the discharge pipe 116 using a swaging machine. Accordingly, the support groove 116b is formed to be recessed in the radial direction, may be formed in an annular shape, or may be formed in an arc shape.

상기와 같이 토출파이프(116)의 외주면에 지지홈부(116b)가 형성되게 되면, 인서트 다이캐스팅 작업시 지지홈부로 알루미늄 용융액이 채워져 토출파이프(116)를 길이방향으로 지지할 수 있게 된다.When the support groove 116b is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discharge pipe 116 as described above, the aluminum melt is filled into the support groove during insert die casting, so that the discharge pipe 116 can be support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그러면, 베이스쉘(112)에 별도의 보강돌부(112d)를 형성하지 않고도 베이스쉘(112)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Then,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base shell 112 from being damaged without forming a separate reinforcing protrusion 112d on the base shell 112.

또, 도 12에서는 지지홈부(116b)가 복수 개인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경우에 따라서는 지지홈부(116b)의 개수를 한 개 또는 최소한으로 줄여 형성할 수도 있다. 그러면, 베이스쉘(112)의 두께를 더욱 얇게 형성할 수도 있다. 그러면 압축기의 무게를 더욱 줄일 수 있다. In addition, in FIG. 12, a case where there are a plurality of support grooves 116b is described as an example, but in some cases, the number of support grooves 116b may be reduced to one or a minimum. Then, the thickness of the base shell 112 may be made thinner. This can further reduce the weight of the compressor.

한편, 앞서 설명한 실시예들에서는 토출파이프(116)를 인서트 다이캐스딩에 의해 베이스쉘(112)에 결합함에 따라, 별도의 실링부재를 구비하지 않는 경우를 설명하였다. 하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베이스쉘(112)과 토출파이프(116)의 사이에는 실링부재(195)가 더 구비될 수 있다.Meanwhile,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 case where a separate sealing member is not provided has been described as the discharge pipe 116 is coupled to the base shell 112 by insert die casing. However, in some cases, a sealing member 195 may be further provided between the base shell 112 and the discharge pipe 116.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베이스쉘과 토출파이프 사이의 결합구조에 대한 다른 실시예를 보인 단면도이다.1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a coupling structure between a base shell and a discharge pip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3을 참조하면, 토출파이프(116)의 일단은 베이스쉘(112)의 파이프 연결구멍(112b)의 내주면을 관통하여 베이스쉘(112)의 내주면보다 안쪽까지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토출파이프(116)는 베이스쉘(112)에 인서트 다이캐스팅으로 결합되는 것이어서 그 토출파이프(116)의 외주면과 파이프 연결구멍(112b)의 내주면은 긴밀하게 밀착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3, one end of the discharge pipe 116 may be formed to penetrate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ipe connection hole 112b of the base shell 112 and extend inward tha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ase shell 112. Here, since the discharge pipe 116 is coupled to the base shell 112 by insert die casti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discharge pipe 116 and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ipe connection hole 112b can be closely contacted.

또, 토출파이프(116)의 외주면에는 앞서 설명한 실시예들과 같이 이탈방지부(도면에서는 지지돌부를 예로 들어 도시하였다)[(116a)(112c)][(116b)(112e)]가 형성됨에 따라, 토출파이프(116)의 외주면과 파이프 연결구멍(112b)의 내주면 사이에는 실링면적을 비교적 넓게 확보할 수 있다.In addition, as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 separation prevention part (a support protrusion is shown as an example in the drawing) [(116a) (112c)] [(116b) (112e)] is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discharge pipe 116 Accordingly, a relatively wide sealing area can be secured betwee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discharge pipe 116 and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ipe connection hole 112b.

하지만, 인서트 다이캐스팅 공정 중에 토출파이프(116)의 외주면과 파이프 연결구멍(112b)의 내주면 사이가 이격될 수도 있다. 이를 감안하여, 베이스쉘(112)과 토출파이프(116)의 사이에는 실링부재(195)가 더 구비될 수 있다. However, during the insert die casting process,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discharge pipe 116 and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ipe connection hole 112b may be spaced apart. In consideration of this, a sealing member 195 may be further provided between the base shell 112 and the discharge pipe 116.

예를 들어, 베이스쉘(112)의 내측에 위치하는 토출파이프(116)의 일단에는 실링부재(195)를 사이에 두고 고정부재(196)가 나사 체결될 수 있다. 여기서, 고정부재(196)는 반드시 체결될 필요는 없다. 경우에 따라서는 토출파이프(116)에 압입되거나 용접될 수도 있다. For example, the fixing member 196 may be screwed to one end of the discharge pipe 116 located inside the base shell 112 with the sealing member 195 interposed therebetween. Here, the fixing member 196 does not necessarily need to be fastened. In some cases, it may be press-fitted or welded to the discharge pipe 116.

실링부재(195)는 도 13과 같이 가스켓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고, 경우에 따라서는 오링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실링부재(195)는 고정부재(196)에 의해 베이스쉘(112)의 내주면에 밀착될 수 있다.The sealing member 195 may be formed in a gasket shape as shown in FIG. 13, or may be formed of an O-ring in some cases. The sealing member 195 may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ase shell 112 by the fixing member 196.

이에 따라, 베이스쉘(112)의 내주면과 토출파이프(116)의 외주면 사이를 실링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쉘의 내부공간에 채워진 냉매 또는 오일이 베이스쉘(112)의 내주면과 토출파이프(116)의 외주면 사이로 누설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seal betwee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ase shell 112 a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discharge pipe 116, and through this, the refrigerant or oil filled in the inner space of the shell is transferred to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ase shell 112 and the discharge pipe 116 It can suppress leakage betwee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s of.

한편, 도면으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실링부재를 배제하고 고정부재를 베이스쉘(112)의 내주면에 밀착시켜 실링력을 높일 수도 있다. 이 경우, 고정부재는 플랜지 형상으로 실링부가 형성되어 실링면적을 넓게 확보할 수 있다.Meanwhile,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s, the sealing member may be excluded and the fixing member may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ase shell 112 to increase the sealing force. In this case, the fixing member is formed in a flange shape with a sealing portion, so that a wide sealing area can be secured.

한편, 토출파이프(116)는 베이스쉘(112)에 후조립할 수도 있다.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베이스쉘과 토출파이프 사이의 결합구조에 대한 또다른 실시예를 보인 단면도이다.Meanwhile, the discharge pipe 116 may be post-assembled to the base shell 112. 1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a coupling structure between a base shell and a discharge pip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4를 참조하면, 베이스쉘(112)에는 파이프 연결구멍(112b)이 형성된다. 전술한 실시예와 달리 본 실시예에서의 파이프 연결구멍(112b)은 베이스쉘(112)에 미리 형성된다. Referring to FIG. 14, a pipe connection hole 112b is formed in the base shell 112. Unlike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 pipe connection hole 112b in this embodiment is formed in advance in the base shell 112.

파이프 연결구멍(112b)의 내경은 토출파이프(116)의 외경보다 크거나 같게 형성될 수 있다. 다만, 토출파이프(116)를 후조립하게 되므로, 파이프 연결구멍(112b)의 내경은 토출파이프(116)의 외경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inner diameter of the pipe connection hole 112b may be formed to be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outer diameter of the discharge pipe 116. However, since the discharge pipe 116 is post-assembled, the inner diameter of the pipe connection hole 112b is preferably formed larger than the outer diameter of the discharge pipe 116.

도 14와 같이, 베이스쉘(112)의 내측에서는 고정부재(196)를 이용하여 토출파이프에 결합하고, 베이스쉘(112)의 외측에서는 토출파이프(116)의 지지돌부(116a)를 이용하여 토출파이프(116)를 길이방향으로 지지할 수 있다. 또, 도면으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베이스쉘(112)의 내주면과 외주면 양쪽에 각각 고정부재를 결합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14, the base shell 112 is coupled to the discharge pipe using a fixing member 196 from the inside of the base shell 112, and discharged using the support protrusion 116a of the discharge pipe 116 from the outside of the base shell 112. The pipe 116 can be support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 addition,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s, the fixing members may be coupled to both the inner and outer peripheral surfaces of the base shell 112, respectively.

이때, 지지돌부(116a)는 베이스쉘(112)을 마주보는 면이 그 반대쪽 면에 비해 넓은 단면적을 가지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In this case, it may be preferable that the support protrusion 116a is formed such that the surface facing the base shell 112 has a larger cross-sectional area than that of the opposite surface.

그리고,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파이프 연결구멍(112b)의 내경은 토출파이프(116)의 외경보다 크게 형성됨에 따라, 베이스쉘(112)의 내주면과 이를 마주보는 고정부재(196)의 일측면 사이, 베이스쉘(112)의 외주면과 이를 마주보는 지지돌부(116a)의 일측면 사이에는 각각 실링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 And,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as the inner diameter of the pipe connection hole 112b is formed larger than the outer diameter of the discharge pipe 116, between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base shell 112 and one side of the fixing member 196 facing it , A sealing member may be provided betwee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ase shell 112 and one side surface of the support protrusion 116a facing it.

상기와 같이, 토출파이프(116)를 베이스쉘(112)에 후조립함에 따라, 별도의 금형작업 없이도 토출파이프(116)를 용이하게 조립할 수 있다. 또, 토출파이프(116)를 베이스쉘(112)에 후조립함에 따라, 토출파이프(116)의 재질을 다양하게 선택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as the discharge pipe 116 is post-assembled to the base shell 112, the discharge pipe 116 can be easily assembled without a separate mold operation. In addition, as the discharge pipe 116 is post-assembled to the base shell 112, various materials of the discharge pipe 116 can be selected.

Claims (18)

구동력을 발생하는 전동부;
상기 전동부로부터 전달되는 구동력에 의해 작동되어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부;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 합금 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전동부 및 상기 압축부를 수용하도록 밀폐된 내부공간을 가지는 쉘; 및
일단이 상기 쉘에 결합되는 적어도 한 개 이상의 파이프;를 포함하고,
상기 파이프는 상기 쉘과 이종 재질로 형성되며, 상기 파이프의 외주면이 상기 쉘의 두께방향으로 관통되는 파이프 연결구멍의 내주면에 직접 접촉되도록 삽입되어 결합되는 압축기.
An electric unit generating a driving force;
A compression unit that compresses a refrigerant by being operated by a driving force transmitted from the electric unit;
A shell made of aluminum or aluminum alloy and having an inner space sealed to accommodate the electric power unit and the compression unit; And
Including; at least one or more pipes one end is coupled to the shell,
The pipe is formed of a different material with the shell, and is inserted and coupled so that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ipe directly contacts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ipe connection hole penetrating in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shel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파이프 연결구멍과 상기 파이프의 외주면 사이에는 상기 파이프를 길이방향으로 지지하는 이탈방지부가 형성되는 압축기.
The method of claim 1,
A compressor having a separation preventing portion for supporting the pipe in a longitudinal direction between the pipe connection hole a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ip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탈방지부는,
상기 파이프의 외주면에서 반경방향으로 지지돌부가 연장되어 형성되는 압축기.
The method of claim 2,
The departure prevention unit,
A compressor formed by extending a support protrusion in a radial direction from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ip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탈방지부는,
상기 파이프의 외주면에서 반경방향으로 지지홈부가 함몰되어 형성되는 압축기.
The method of claim 2,
The departure prevention unit,
Compressor formed by recessing the support groove in the radial direction from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ip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쉘의 두께가 일정하게 형성되는 압축기.
The method of claim 1,
Compressor in which the thickness of the shell is formed to be constan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쉘의 외주면 또는 내주면에는 상기 파이프 연결구멍을 감싸며 상기 쉘의 두께방향으로 연장되는 보강돌부가 형성되는 압축기.
The method of claim 1,
A compressor having a reinforcing protrusion formed on an outer or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hell to surround the pipe connection hole and extend in a thickness direction of the shel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쉘과 상기 파이프의 사이에는 실링부재가 더 구비되는 압축기.
The method of claim 1,
A compressor further comprising a sealing member between the shell and the pipe.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파이프의 외주면에는 상기 쉘의 외측면 또는 내측면에서 고정부재가 결합되고,
상기 고정부재와 이를 마주보는 상기 쉘의 내측면 또는 외측면의 사이에 상기 실링부재가 구비되는 압축기.
The method of claim 7,
A fixing member is coupled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ipe on the outer or inner surface of the shell,
A compressor having the sealing member provided between the fixing member and an inner or outer surface of the shell facing the fixing member.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파이프는 상기 쉘에 인서트 다이캐스팅되는 압축기.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8,
The pipe is an insert die-casting compressor in the shell.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파이프는 동, 동합금, 철, 철합금 중 어느 하나의 재질로 형성되는 압축기.
The method of claim 9,
The pipe is a compressor formed of any one of copper, copper alloy, iron, and iron alloy.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쉘의 외주면에는 상기 쉘의 내부에서 발생되는 열을 상기 쉘의 외부로 방출하도록 복수 개의 방열핀이 연장되어 형성되는 압축기.
The method of claim 1,
A compressor formed by extending a plurality of radiating fins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hell to dissipate heat generated from the inside of the shell to the outside of the shell.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방열핀은, 각각
상기 쉘의 외주면에서 접하는 곡면부, 상기 곡면부의 일단에서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수직부, 상기 곡면부의 타단에서 연장되어 상기 수직부에 직교하는 수평부를 포함하고,
상기 수직부의 축방향 단부면은 상기 쉘의 상단 외주면보다 낮거나 같게 형성되며,
상기 수평부의 반경방향 단부면은 상기 쉘의 반경방향 외주면보다 낮거나 같게 형성되는 압축기.
The method of claim 11,
Each of the plurality of radiating fins
A curved portion in contact with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hell, a vertical portion extending in the axial direction from one end of the curved portion, and a horizontal portion extending from the other end of the curved portion and perpendicular to the vertical portion,
The axial end surface of the vertical part is formed to be lower than or equal to the upper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hell,
The radial end surface of the horizontal portion is formed to be lower than or equal to the radial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hell.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방열핀은 수직부의 단부면 및 수평부의 단부면이 각각 동일한 높이로 형성되는 압축기.
The method of claim 12,
The plurality of radiating fins is a compressor in which an end surface of a vertical portion and an end surface of a horizontal portion are formed at the same height.
식품을 수납하는 캐비티;
상기 캐비티를 개폐하는 도어;
상기 캐비티의 일측에 구비되며, 내부공간이 외부와 연통되도록 공기통로가 형성되는 기계실;
상기 기계실의 내부에 구비되는 응축기; 및
상기 응축기의 일측에서 상기 기계실의 내부공간에 구비되는 압축기;를 포함하고,
상기 압축기는, 상기 제11항에 기재된 압축기로 이루어지는 냉장고.
A cavity for storing food;
A door opening and closing the cavity;
A machine room provided on one side of the cavity and having an air passage formed so that the inner space communicates with the outside;
A condenser provided in the machine room; And
Includes; a compressor provided in the inner space of the machine room at one side of the condenser,
The compressor is a refrigerator comprising the compressor according to claim 11.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방열핀은 상기 응축기를 향하는 방향으로 평행하게 배열되는 냉장고.
The method of claim 14,
The heat dissipation fins are arranged in parallel in a direction toward the condenser.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통로는 입구를 이루는 공기입구와 출구를 이루는 공기출구가 기설정된 간격을 두고 형성되며,
상기 응축기와 압축기는 상기 공기입구와 공기출구 사이에 위치하도록 구비되는 냉장고.
The method of claim 15,
The air passage is formed with an air inlet forming an inlet and an air outlet forming an outlet at predetermined intervals,
The condenser and the compressor are provided to be located between the air inlet and the air outlet.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응축기와 압축기 사이에 팬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The method of claim 16,
A refrigerator, characterized in that further provided with a fan between the condenser and the compressor.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기의 쉘에는 상기 압축기를 제어하는 제어부가 결합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팬과 압축기의 쉘 사이에 위치하는 냉장고.
The method of claim 17,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compressor is coupled to the shell of the compressor,
The control unit is a refrigerator positioned between the fan and the shell of the compressor.
KR1020190114938A 2019-09-18 2019-09-18 Compressor and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KR20210033597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4938A KR20210033597A (en) 2019-09-18 2019-09-18 Compressor and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4938A KR20210033597A (en) 2019-09-18 2019-09-18 Compressor and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33597A true KR20210033597A (en) 2021-03-29

Family

ID=752501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14938A KR20210033597A (en) 2019-09-18 2019-09-18 Compressor and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33597A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31372A (en) 2015-05-07 2016-11-16 (주)제이폴 Reciprocating Small Air Compressor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31372A (en) 2015-05-07 2016-11-16 (주)제이폴 Reciprocating Small Air Compresso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57061B2 (en) Hermetic compressor with internal thermal insulation
US20030053922A1 (en) Scroll-type fluid machine
JP4969648B2 (en) Expander-integrated compressor and refrigeration cycle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JPH0942152A (en) Reciprocating type compressor
US20050169787A1 (en) Compressor
KR0143182B1 (en) Compressor
US20040179955A1 (en) Suction muffler for compressors, compressor with the suction muffler, and apparatus having refrigerant circulation circuit including the compressor
US5697766A (en) Hermetic motor compressor suction muffler connection assembly
KR20210033597A (en) Compressor and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US20120279245A1 (en) Compact discharge device for the refrigeration compressor of an appliance
US11143438B2 (en) Compressor and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US20020112484A1 (en) Pulse tube refrigerator
JP4019720B2 (en) Compressor
JP2007219904A (en) Automatic vending machine
US20040042914A1 (en) Reciprocating compressor
US20040175280A1 (en) Cylinder assembly for compressors, compressor with the cylinder assembly, and apparatus having refrigerant circulation circuit including the compressor
JP5315178B2 (en) Hermetic compressor and refrigerator using the same
JP2003056463A (en) Electric compressor
JP2006207391A (en) Fluid machine
US20050053482A1 (en) Compressor
KR200382906Y1 (en) Inlet muffler of a compressor
KR101273325B1 (en) Hydraulic pump integrated electric motor
JP2012132407A (en) Refrigerant compressor
JPH0259309B2 (en)
JPH08277788A (en) Rotary compress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