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33322A -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ame - Google Patents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33322A
KR20210033322A KR1020190114905A KR20190114905A KR20210033322A KR 20210033322 A KR20210033322 A KR 20210033322A KR 1020190114905 A KR1020190114905 A KR 1020190114905A KR 20190114905 A KR20190114905 A KR 20190114905A KR 20210033322 A KR20210033322 A KR 202100333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parator
negative electrode
electrode
secondary battery
positive electr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14905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박상목
이영우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149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33322A/en
Publication of KR202100333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33322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8Construction or manufacture
    • H01M10/0583Construction or manufacture of accumulators with folded construction elements except wound ones, i.e. folded positive or negative electrodes or separators, e.g. with "Z"-shaped electrodes or separa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2Li-accumulators
    • H01M10/0525Rocking-chair batteries, i.e. batteries with lithium insertion or intercalation in both electrodes; Lithium-ion batter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40Separators; Membranes; Diaphragms; Spacing elements inside cells
    • H01M50/403Manufacturing processes of separators, membranes or diaphragm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40Separators; Membranes; Diaphragms; Spacing elements inside cells
    • H01M50/46Separators, membranes or diaphragms characterised by their combination with electro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40Separators; Membranes; Diaphragms; Spacing elements inside cells
    • H01M50/463Separators, membranes or diaphragm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31Electrode connections inside a battery casing
    • H01M50/54Connection of several leads or tabs of plate-like electrode stacks, e.g. electrode pole straps or bridg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Secondary Cells (AREA)

Abstract

A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plurality of positive electrodes including a positive electrode current collector, a positive electrode coating layer for coating the positive electrode current collector, and a positive electrode lead; a plurality of negative electrodes comprising a negative electrode current collector, a negative electrode coating layer for coating the negative electrode current collector, and a negative electrode lead; and a separator positioned among the positive electrodes and the negative electrodes to close the other end surface of the negative electrodes facing the positive electrode lead.

Description

리튬이온 이차전지 및 그 제조방법{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AME}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AME}

본 발명은 리튬이온 이차전지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양극 리드와 대면하는 음극 전극의 타단 끝단면이 폐쇄되도록 분리막을 형성함으로써 분리막의 수축이 일어나더라도 양극 집전체와 음극 전극 간의 단락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리튬이온 이차전지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nd more particularly, by forming a separator so that the other end of the negative electrode facing the positive lead is closed, even if shrinkage occurs between the positive electrode current collector and the negative electrode. It relates to a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capable of preventing the occurrence of a short circuit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최근 리튬이온 배터리 셀의 전기차량 적용이 확대되고 있으며, 전기차량의 1충전 주행거리 향상을 위해 고 에너지밀도 배터리 셀에 대한 요구가 높아지고 있다. 이에 대해 종래에는 배터리 셀의 에너지밀도를 높이기 위해 전극 적층수 및 전류밀도 증대를 위하여 셀 두께를 두껍게 설계하고 전극 기재의 두께는 얇게 하며 탭 방향 테라스 부의 공간을 줄이는 방향으로 개발이 진행되고 있다.Recently, the application of lithium-ion battery cells to electric vehicles is expanding, and demand for high energy density battery cells is increasing in order to improve the one-charge mileage of electric vehicles. On the other hand, in the related art, in order to increase the energy density of the battery cell, the cell thickness is designed to be thick to increase the number of electrode stacks and the current density, the thickness of the electrode substrate is thin, and development is in progress in the direction of reducing the space of the terrace portion in the tab direction.

한편, 리튬이온 이차전지의 젤리롤은 기본적으로 양극 전극과 음극 전극 사이에 분리막이 위치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때, 양극 전극, 분리막 및 음극 전극을 적층하기 위해 다양한 적층 기술이 제안되고 있는데, 종래의 리튬이온 이차전지의 젤리롤 구조에서는 양극 리드부에 근접하는 음극 전극이 개방형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분리막이 수축될 시, 분리막의 수축에 따른 양극 리드부와 음극 전극 사이에 단락이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분리막의 수축이 발생하더라도 양극 리드부와 음극 전극 사이에 단락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기술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Meanwhile, the jelly roll of a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basically has a structure in which a separator is positioned between a positive electrode and a negative electrode. At this time, various lamination techniques have been proposed to stack the positive electrode, the separator, and the negative electrode.In the jelly roll structure of a conventional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the negative electrode close to the positive lead is in an open type, so that the separator may shrink. At this time, there is a problem in that a short circuit may occur between the anode lead portion and the cathode electrode due to shrinkage of the separator. Accordingly,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technology capable of preventing the occurrence of a short circuit between the anode lead part and the cathode electrode even when the separator shrinks.

KR 10-1546545KR 10-1546545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본 발명은 양극 리드와 대면하는 음극 전극의 타단 끝단면이 폐쇄되도록 분리막을 형성함으로써 분리막의 수축이 일어나더라도 양극 집전체와 음극 전극 간의 단락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리튬이온 이차전지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proposed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 is to prevent the occurrence of a short circuit between the positive electrode current collector and the negative electrode even if the separator shrinks by forming a separator so that the other end of the negative electrode facing the positive lead is close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that can be used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리튬이온 이차전지는 양극 집전체, 상기 양극 집전체를 코팅하는 양극 코팅층 및 양극 리드를 포함하는 복수의 양극 전극; 음극 집전체, 상기 음극 집전체를 코팅하는 음극 코팅층 및 음극 리드를 포함하는 복수의 음극 전극; 및 상기 양극 전극과 상기 음극 전극 사이에 위치하되 상기 양극 리드와 대면하는 상기 음극 전극의 타단 끝단면이 폐쇄되도록 형성된 분리막;을 포함할 수 있다.A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ncludes a positive electrode current collector, a plurality of positive electrodes including a positive electrode coating layer coating the positive electrode current collector, and a positive electrode lead; A plurality of negative electrodes including a negative electrode current collector, a negative electrode coating layer coating the negative electrode current collector, and a negative electrode lead; And a separator disposed between the positive electrode and the negative electrode and formed such that the other end of the negative electrode facing the positive lead is closed.

상기 분리막은 상기 양극 리드와 대면하는 상기 음극 전극의 타단 끝단면 측에서 절곡된 제1 절곡부를 포함하며,The separator includes a first bent portion bent at a side of the other end of the negative electrode facing the positive lead,

상기 제1 절곡부는 상기 음극 전극의 타단 끝단면으로부터 1mm 이상 상기 제1 절곡부의 길이의 5% 이하로 이격된 위치에서 절곡될 수 있다.The first bent portion may be bent at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other end of the negative electrode by 1 mm or more and 5% or less of the length of the first bent portion.

상기 분리막은 상기 음극 리드와 대면하는 상기 양극 전극의 일단 끝단면이 폐쇄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The separator may be formed such that one end of the anode electrode facing the cathode lead is closed.

상기 분리막은 상기 음극 리드와 대면하는 상기 양극 전극의 일단면 측에서 절곡된 제2 절곡부를 포함하며,The separator includes a second bent portion bent at one end side of the anode electrode facing the cathode lead,

상기 제2 절곡부는 상기 양극 전극의 일단면으로부터 1mm 이상 이격되고 상기 음극 전극의 일단 끝단면으로부터 4mm 이하 이격된 위치에서 절곡될 수 있다.The second bent portion may be bent at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one end surface of the positive electrode by 1 mm or more and spaced apart from one end surface of the negative electrode by 4 mm or less.

상기 양극 전극, 상기 음극 전극 및 상기 분리막을 감싸는 최외각 분리막;을 더 포함할 수 있다.It may further include an outermost separator surrounding the anode electrode, the cathode electrode, and the separator.

상기 최외각 분리막은 상기 음극 전극의 일단 끝단면으로부터 2mm 이상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The outermost separator may be formed to be spaced apart from one end of the cathode electrode by 2 mm or more.

상기 최외각 분리막은, 상기 양극 전극, 상기 음극 전극 및 상기 분리막을 커버할 시 상기 양극 리드 및 상기 음극 리드의 위치와 대응되는 위치에 관통홀이 형성될 수 있다.When the outermost separator covers the anode electrode, the cathode electrode, and the separator, a through hole may be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of the anode lead and the cathode lead.

상기 양극 리드 및 상기 음극 리드 양측에 위치하며, 분리막, 음극 전극 및 양극 전극이 교차로 적층된 구조를 감싸는 테이프;를 더 포함할 수 있다.It may further include a tape positioned on both sides of the anode lead and the cathode lead and surrounding a structure in which a separator, a cathode electrode, and an anode electrode are alternately stacked.

상기 양극 전극 또는 상기 음극 전극 중 최외각에 위치한 전극의 외면부는 상기 분리막과 접착된 상태일 수 있다.An outer surface portion of an outermost electrode of the positive electrode or the negative electrode may be adhered to the separator.

상술한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리튬이온 이차전지 제조방법은, (1) 양극 전극, 분리막, 음극 전극 및 테이프를 마련하는 단계; (2) 스테이지 위에 테이프를 로딩하는 단계; (3) 로딩된 테이프 위에 분리막을 로딩하는 단계; (4) 로딩된 분리막 위에 음극 전극을 로딩한 후 상기 분리막을 폴딩하는 단계; (5) 폴딩된 분리막 위에 양극 전극을 로딩한 후 상기 분리막을 폴딩하는 단계; (6) 기 설정된 수량까지 음극 전극, 분리막 및 양극 전극을 적층한 후 분리막을 절단하는 단계; 및 (7) 테이프를 폴딩하여 최외각에 적층된 분리막 외면에 부착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A method for manufacturing a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described other object includes the steps of: (1) preparing a positive electrode, a separator, a negative electrode, and a tape; (2) loading the tape onto the stage; (3) loading a separator on the loaded tape; (4) loading a cathode electrode on the loaded separator and then folding the separator; (5) loading an anode electrode on the folded separator and then folding the separator; (6) laminating the negative electrode, the separator, and the positive electrode up to a preset quantity, and then cutting the separator; And (7) folding the tape and attaching the tape to the outer surface of the separator laminated on the outermost side.

단계 (2)에서는, 스테이지에 진공을 형성하여 상기 테이프가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In step (2), a vacuum is formed on the stage so that the tape is fixed.

단계 (4)에서는, 상기 음극 전극의 타단 끝단면으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분리막을 폴딩할 수 있다.In step (4), the separator may be folded at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other end of the negative electrode by a predetermined distance.

단계 (5)에서는, 상기 양극 전극의 일단면으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분리막을 폴딩할 수 있다.In step (5), the separator may be folded at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one end surface of the anode electrode by a predetermined distance.

(8) 최외각 분리막으로 상기 양극 전극 및 상기 음극 전극 및 상기 분리막을 감싸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8) wrapping the anode electrode, the cathode electrode, and the separator with an outermost separator; may further include.

본 발명에 따르면 양극 리드와 대면하는 음극 전극의 타단 끝단면이 폐쇄되도록 분리막을 형성함으로써 분리막의 수축이 일어나더라도 양극 집전체와 음극 전극 간의 단락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forming the separator so that the other end of the negative electrode facing the positive lead is closed, even if the separator shrinks, it is possible to prevent a short circuit between the positive electrode current collector and the negative electrode.

또한, 음극 전극의 비정상적인 변형 시에도 양극 리드와 음극 전극 간에 단락이 발생하는 것을 최소화 시킬 수 있다.In addition, even when the negative electrode is abnormally deformed, it is possible to minimize the occurrence of a short circuit between the positive electrode lead and the negative electrode.

아울러, 양극 리드의 코팅 등의 방법 또는 분리막을 봉지 형태로 만든 방식에 비해 추가 공정이 필요하지 않음으로써 비용 절감이 가능하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reduce cost by not requiring an additional process compared to a method such as coating the anode lead or a method in which the separator is formed in a sealed form.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리튬이온 이차전지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리튬이온 이차전지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리튬이온 이차전지 최외각 분리막에 형성된 관통홀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리튬이온 이차전지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리튬이온 이차전지 제조방법의 흐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리튬이온 이차전지 제조방법에서 단계 (1)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리튬이온 이차전지 제조방법에서 단계 (2)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리튬이온 이차전지 제조방법에서 단계 (3)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리튬이온 이차전지 제조방법에서 단계 (4)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리튬이온 이차전지 제조방법에서 단계 (5)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리튬이온 이차전지 제조방법에서 단계 (6)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리튬이온 이차전지 제조방법에서 단계 (7)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1 is a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view showing a through hole formed in an outermost separator of a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view showing the flow of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view for explaining step (1) in the method for manufacturing a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view for explaining step (2) in the method for manufacturing a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view for explaining step (3) in the method for manufacturing a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view for explaining step (4) in the method for manufacturing a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view for explaining step (5) in the method for manufacturing a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view for explaining step (6) in the method for manufacturing a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view for explaining step (7) in the method for manufacturing a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The terms or words used in the specification and claims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o their usual or dictionary meanings, and the inventor may appropriately define the concept of terms in order to describe his own invention in the best way. It should be interpreted as a meaning and concept consistent with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based on the principle that there is.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기재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Therefore,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the configurations described in the drawings are only the most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do not represent all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us variou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may be equivalent variations.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리튬이온 이차전지는 양극전극(100), 음극전극(200) 및 분리막(300)을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최외각 분리막(400) 및 조립된 배터리 셀을 커버하는 케이스(700) 중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a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positive electrode 100, a negative electrode 200, and a separator 300. In addition, at least one of the outermost separator 400 and the case 700 covering the assembled battery cell may be further included.

양극전극(100)은 양극 집전체(110), 양극 집전체(110)를 코팅하는 양극 코팅층(120) 및 양극 리드(13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양극 집전체(110)는 도전체이고 사용범위 내에서 전기화학적으로 안정한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무방하며, 실시예에 따라 알루미늄, 스테인리스강 또는 니켈 도금 강 등일 수 있다.The positive electrode 100 may include a positive electrode current collector 110, a positive electrode coating layer 120 coating the positive electrode current collector 110, and a positive electrode lead 130. Here, the positive electrode current collector 110 may be any conductor as long as it is a conductor and is electrochemically stable within the range of use, and may be aluminum, stainless steel, or nickel plated steel, depending on the embodiment.

또한, 양극 코팅층(120)은 양극 집전체(110) 상에 형성되고 양극 활물질을 포함하는 양극 활물질층 및 양극 활물질층 상에 형성되고 도전재와 바인더를 포함하는 코팅층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양극 활물질은 실시예에 따라 리튬을 포함하는 고용체 산화물이지만 전기화학적으로 리튬 이온을 흡장 및 방출할 수 있는 물질이라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In addition, the positive electrode coating layer 120 may include a posi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layer formed on the positive electrode current collector 110 and including a posi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and a coating layer formed on the posi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layer and including a conductive material and a binder. Here, the posi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is a solid solution oxide containing lithium according to embodiments, but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it is a material capable of electrochemically occluding and releasing lithium ions.

양극 리드(130)는 양극 집전체(110) 중 양극 코팅층(120)이 형성되지 않은 부분으로 양극 리드탭(800)과 용접되어 외부로 전기가 흐르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The positive electrode lead 130 is a portion of the positive electrode current collector 110 on which the positive electrode coating layer 120 is not formed, and is welded to the positive electrode lead tab 800 to allow electricity to flow to the outside.

음극 전극(200)은 음극 집전체(210), 음극 집전체(210)를 코팅하는 음극 코팅층(220) 및 음극 리드(23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음극 집전체(210)는 도전체이고 사용범위 내에서 전기화학적으로 안정한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무방하며, 실시예에 따라 구리, 알루미늄, 스테인리스강 또는 니켈 도금 강 등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negative electrode 200 may include a negative electrode current collector 210, a negative electrode coating layer 220 coating the negative electrode current collector 210, and a negative electrode lead 230. Here, the negative electrode current collector 210 is a conductor and may be any electrochemically stable material within the range of use, and may be copper, aluminum, stainless steel, or nickel plated steel, but is not limited thereto. .

음극 코팅층(220)은 음극 집전체(210) 상의 일부 영역에 형성되고 음극 활물질을 포함하는 음극 활물질층 및 음극 활물질층 상에 형성되고 도전재 및 바인더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코팅층을 포함할 수 있다. 음극 활물질은 금속계 활물질 및 탄소계 활물질을 포함할 수 있고, 이때 금속계 활물질은 규소계 활물질, 주석계 활물질,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탄소계 활물질은 탄소(원자)를 포함하고 동시에 전기 화학적으로 리튬 이온을 흡장 및 방출할 수 있는 물질로서, 실시예에 따라 흑연 활물질, 인조흑연, 천연흑연, 인조흑연 및 천연흑연의 혼합물, 인조흑연을 피복한 천연흑연 등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negative electrode coating layer 220 is formed on a portion of the negative electrode current collector 210 and may include a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layer including a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and a coating layer formed on the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layer and including at least one of a conductive material and a binder. . The negative active material may include a metallic active material and a carbon-based active material, and in this case, the metallic active material may include a silicon-based active material, a tin-based active material, or a combination thereof, and the carbon-based active material includes carbon (atom) and at the same time electricity As a material capable of chemically occluding and releasing lithium ions, it may be a graphite active material, artificial graphite, natural graphite, a mixture of artificial graphite and natural graphite, natural graphite coated with artificial graphite, etc., but is not limited thereto. .

음극 리드(230)는 음극 집전체(210) 중 음극 코팅층(220)이 형성되지 않은 부분으로 음극 리드탭(900)과 용접되어 외부로 전기가 흐르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The negative electrode lead 230 is a portion of the negative electrode current collector 210 on which the negative electrode coating layer 220 is not formed, and is welded to the negative electrode lead tab 900 to allow electricity to flow to the outside.

분리막(300)은 양극 전극(100)과 음극 전극(200) 사이에 위치하여 양극 전극(100)과 음극 전극(200)을 전기적으로 분리하는 역할을 하며, 양극 전극(100)과 음극 전극(200) 사이에 이온이 이동할 수 있는 다공성 막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핵심적인 특징인 분리막(300)의 구조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The separator 300 is positioned between the positive electrode 100 and the negative electrode 200 to electrically separate the positive electrode 100 and the negative electrode 200, and serves to electrically separate the positive electrode 100 and the negative electrode 200. ) May be formed as a porous membrane through which ions can move. Hereinafter, the structure of the separation membrane 300, which is a key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1을 참조하면, 분리막(300)은 양극 전극(100)과 음극 전극(200) 사이에 위치하되 양극 리드(130)와 대면하는 음극 전극(200)의 타단 끝단면이 폐쇄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분리막(300)은 양극 리드(130)와 대면하는 음극 전극(200)의 타단 끝단면 측에서 절곡된 제1 절곡부(31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제1 절곡부(310)를 통해 음극 전극(200)의 타단 끝단면이 폐쇄되도록 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실시예에 따라, 제1 절곡부(310)는 음극 전극(200)의 타단 끝단면으로부터 1mm 이상 제1 절곡부(310)의 길이의 5% 이하로 이격된 위치에서 절곡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1mm는 음극 전극(200)이 타단 끝단면으로부터 길이 방향으로의 팽창이 없을 경우, 적층 설비의 작업 산포 및 분리막 수축 등을 고려한 최소 수치로서, 제1 절곡부(310)는 음극 전극(200)의 타단 끝단면으로부터 1mm 이상 이격된 위치에서 절곡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제1 절곡부(310)가 제1 절곡부(310)의 길이의 5% 이상으로 이격된 위치에서 절곡되는 경우 에너지밀도 저하 및 자재 소모량 증가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는 것을 고려하여 제1 절곡부(310)는 음극 전극(200)의 타단 끝단면으로부터 제1 절곡부(310)의 길이의 5% 이하로 이격된 위치에서 절곡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지만, 제1 절곡부(310)가 절곡되는 위치는 음극 전극(200)의 팽창량을 고려하여 설정되는 것으로 음극 전극(200)의 팽창량에 따라 제1 절곡부(310)가 절곡되는 위치는 변경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the separator 300 may be positioned between the anode electrode 100 and the cathode electrode 200, but may be formed such that the other end surface of the cathode electrode 200 facing the anode lead 130 is closed. . Specifically, the separator 300 may include a first bent portion 310 bent from the side of the other end of the negative electrode 200 facing the positive lead 130, and the first bent portion 310 Through this, the other end of the cathode electrode 200 may be closed. More specifically, according to the embodiment, the first bent portion 310 is bent at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other end of the cathode electrode 200 by 1 mm or more and 5% or less of the length of the first bent portion 310. desirable. Here, 1 mm is the minimum value in consideration of the work distribution of the lamination facility and the shrinkage of the separator when there is no expans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from the other end of the cathode electrode 200, and the first bent portion 310 is the cathode electrode 200 It is preferable to bend at a position separated by 1mm or more from the other end of ). In addition, when the first bent portion 310 is bent at a position separated by more than 5% of the length of the first bent portion 310, the first bent portion 310 may cause problems such as a decrease in energy density and an increase in material consumption The bent portion 310 is preferably bent at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other end of the cathode electrode 200 by 5% or less of the length of the first bent portion 310. However, the position at which the first bent part 310 is bent is set in consideration of the amount of expansion of the negative electrode 200, and the position at which the first bent part 310 is bent according to the amount of expansion of the negative electrode 200 is can be changed.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리튬이온 이차전지에 따르면 제1 절곡부(310)를 통해 양극 리드(130)와 대면하는 음극 전극(200)의 타단 끝단면을 폐쇄시킴으로써, 리튬이온 이차전지의 비정상적인 거동으로 인해 분리막(300)이 수축된다고 할지라도 양극 리드(130)에 근접한 음극 전극(200)이 분리막(300)으로 둘러싸여 있으므로 양극 리드(130)와 음극 전극(200) 간에 단락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closing the other end of the negative electrode 200 facing the positive electrode lead 130 through the first bent portion 310, lithium Even if the separator 300 shrinks due to the abnormal behavior of the ion secondary battery, since the negative electrode 200 close to the positive lead 130 is surrounded by the separator 300, a short circuit between the positive lead 130 and the negative electrode 200 This can be prevented from occurring.

한편, 분리막(300)은 음극 리드(230)와 대면하는 양극 전극(100)의 일단 끝단면이 폐쇄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분리막(300)은 음극 리드(230)와 대면하는 양극 전극(100)의 일단면 측에서 절곡된 제2 절곡부(32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제2 절곡부(320)를 통해 양극 전극(100)의 일단 끝단면이 폐쇄되도록 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실시예에 따라, 제2 절곡부(320)는 양극 전극(100)의 일단면으로부터 1mm 이상 이격되고 음극 전극(200)의 일단 끝단면으로부터 4mm 이하 이격된 위치에서 절곡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1mm는 일반적으로 양극 전극이 길이방향으로 팽창이 거의 없으므로 적층설비의 작업 산포 및 분리막 수축 등을 고려한 최소 수치로서, 제2 절곡부(320)는 양극 전극(100)의 일단면으로부터 1mm 이상 이격된 위치에서 절곡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제2 절곡부(320)가 음극 전극(200)의 일단 끝단면으로부터 4mm 이상 이격된 위치에서 절곡된 경우 에너지밀도 저하 및 자재 소모량 증가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는 것을 고려하여 제2 절곡부(320)는 양극 전극(100)의 일단면으로부터 4mm 이하 이격된 위치에서 절곡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지만, 제2 절곡부(320)가 절곡되는 위치는 음극 전극(200)의 팽창량을 고려하여 설정되는 것으로 음극 전극(200)의 팽창량에 따라 제2 절곡부(320)가 절곡되는 위치는 변경될 수 있다.Meanwhile, the separator 300 may be formed such that one end surface of the anode electrode 100 facing the cathode lead 230 is closed. Specifically, the separator 300 may include a second bent portion 320 bent at one end side of the anode electrode 100 facing the cathode lead 230, and through the second bent portion 320 One end of the anode electrode 100 may be closed. More specifically, according to the embodiment, the second bent portion 320 is preferably bent at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one end surface of the anode electrode 100 by 1 mm or more and spaced apart from one end surface of the cathode electrode 200 by 4 mm or less. Do. Here, 1 mm is the minimum value in consideration of the work distribution of the lamination facility and shrinkage of the separator since the positive electrode generally has little expans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second bent part 320 is 1 mm or more from one end of the positive electrode 100 It is preferable to bend at a spaced apart position. In addition, when the second bent part 320 is bent at a position separated from one end of the cathode electrode 200 by 4 mm or more, the second bent part may cause problems such as a decrease in energy density and an increase in material consumption. (320) is preferably bent at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one end of the anode electrode 100 by 4 mm or less. However, the position at which the second bent part 320 is bent is set in consideration of the amount of expansion of the cathode electrode 200, and the position at which the second bent part 320 is bent according to the amount of expansion of the cathode electrode 200 is can be changed.

한편, 양극 전극(100) 또는 음극 전극(200) 중 최외각에 위치한 전극의 외면부는 분리막(300)과 접착된 상태일 수 있다. 아울러, 양극 전극(100)과 대면하지 않는 음극 전극(200)은 분리막(300)과 접착된 상태일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outer surface of the outermost electrode of the anode electrode 100 or the cathode electrode 200 may be adhered to the separator 300. In addition, the cathode electrode 200 that does not face the anode electrode 100 may be adhered to the separator 300.

테이프(500)는 도 12를 참조하면 양극 리드(130) 및 음극 리드(230) 양측에 위치하며 분리막(300), 음극 전극(200) 및 양극 전극(100)이 교차로 적층된 구조를 감싸는 역할을 한다.Referring to FIG. 12, the tape 500 is positioned on both sides of the anode lead 130 and the cathode lead 230, and serves to wrap the structure in which the separator 300, the cathode electrode 200, and the anode electrode 100 are stacked in an alternating manner. do.

한편,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리튬이온 이차전지는 양극 전극(100), 음극 전극(200) 및 분리막(300)을 감싸는 최외각 분리막(4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최외각 분리막(400)은 음극 전극(200)의 일단 끝단면으로부터 2mm 이상 이격되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2mm는 테이핑의 작업성 및 분리막의 수축율을 고려하여 설정된 값이다.Meanwhile, referring to FIG. 2, a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n outermost separator 400 surrounding the positive electrode 100, the negative electrode 200, and the separator 300. have. Here, the outermost separator 400 is preferably formed to be spaced apart from one end of the cathode electrode 200 by 2 mm or more. Here, 2mm is a value set in consideration of the workability of taping and the shrinkage rate of the separator.

아울러, 도 3을 참조하면 최외각 분리막(400)은 양극 전극(100), 음극 전극(200) 및 분리막(300)을 커버할 시, 양극 리드(130) 및 음극 리드(230)로 인해 간섭이 발생할 수 있는데, 이러한 간섭을 회피하기 위해, 양극 전극(100), 음극 전극(200) 및 분리막(300)을 커버할 시 양극 리드(130) 및 음극 리드(230)의 위치와 대응되는 위치에 도 3과 같이 관통홀(410)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관통홀(410)의 형상은 특정 형상에 한정되지 않으며 최외각 분리막(400)으로 양극 전극(100), 음극 전극(200) 및 분리막(300)을 커버할 시 양극 리드(130) 및 음극 리드(230)가 간섭되지 않는다면 다양한 형상이 본 발명에서의 관통홀(410)에 적용될 수 있다.In addition, referring to FIG. 3, when the outermost separator 400 covers the anode electrode 100, the cathode electrode 200, and the separator 300, interference is caused by the anode lead 130 and the cathode lead 230. In order to avoid such interference, when covering the anode electrode 100, the cathode electrode 200, and the separator 300, the anode lead 130 and the cathode lead 230 are located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s. As shown in 3, a through hole 410 may be formed. Here, the shape of the through hole 410 is not limited to a specific shape, and when the anode electrode 100, the cathode electrode 200, and the separator 300 are covered by the outermost separator 400, the anode lead 130 and the cathode If the lead 230 does not interfere, various shapes may be applied to the through hole 410 in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리튬이온 이차전지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리튬이온 이차전지에서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극 리드(130)와 대면하는 각 음극 전극(100)의 타단 끝단면만 폐쇄되도록 형성되고 각 양극 전극(100)의 양측면은 개방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4 is a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4, only the other end of each negative electrode 100 facing the positive lead 130 is formed to be closed, and each positive electrode 100 Both sides of the may have an open structure.

이하에서는 도 5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리튬이온 이차전지 제조방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a method of manufacturing a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5 to 12.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리튬이온 이차전지 제조방법의 흐름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6은 단계 (1)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7은 단계 (2)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8은 단계 (3)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9는 단계 (4)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10은 단계 (5)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11은 단계 (6)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12는 단계 (7)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5 is a view showing the flow of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view for explaining step (1), and FIG. 7 is a view for explaining step (2) 8 is a view for explaining step (3), FIG. 9 is a view for explaining step (4), FIG. 10 is a view for explaining step (5), and FIG. 11 is a view for explaining step (6) ), and FIG. 12 is a view for explaining step (7).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리튬이온 이차전지 제조방법은 (1) 양극 전극, 분리막, 음극 전극 및 테이프를 마련하는 단계, (2) 스테이지 위에 테이프를 로딩하는 단계, (3) 로딩된 테이프 위에 분리막을 로딩하는 단계, (4) 로딩된 분리막 위에 음극 전극을 로딩한 후 상기 분리막을 폴딩하는 단계, (5) 폴딩된 분리막 위에 양극 전극을 로딩한 후 상기 분리막을 폴딩하는 단계, (6) 기 설정된 수량까지 음극 전극, 분리막 및 양극 전극을 적층한 후 분리막을 절단하는 단계, 및 (7) 테이프를 폴딩하여 최외각에 적층된 분리막 외면에 부착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고, (8) 최외각 분리막으로 상기 양극 전극 및 상기 음극 전극 및 상기 분리막을 감싸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5, a method of manufacturing a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1) preparing a positive electrode, a separator, a negative electrode, and a tape, and (2) loading the tape on the stage. , (3) loading the separator on the loaded tape, (4) loading the negative electrode on the loaded separator and then folding the separator, (5) loading the positive electrode on the folded separator, and then removing the separator. Folding, (6) laminating the negative electrode, the separator, and the positive electrode up to a preset quantity, and then cutting the separator, and (7) folding the tape and attaching it to the outer surface of the separator laminated on the outermost side; And (8) wrapping the anode electrode, the cathode electrode, and the separator with an outermost separator; may further include.

구체적으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계 (1)에서는 양극 전극(100), 분리막(300), 음극 전극(200) 및 테이프(500)를 마련할 수 있다.Specifically, as shown in FIG. 6, in step (1), an anode electrode 100, a separator 300, a cathode electrode 200, and a tape 500 may be provided.

단계 (2)에서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테이지(600) 위에 테이프(500)를 로딩할 수 있다. 이때, 스테이지(600)에 진공을 형성함으로써, 테이프(500)가 움직이지 않고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In step (2), the tape 500 may be loaded onto the stage 600 as shown in FIG. 7. At this time, by forming a vacuum on the stage 600, the tape 500 may be fixed without moving.

단계 (3)에서는 도 8과 같이 로딩된 테이프(500) 위에 분리막(300)을 로딩시킬 수 있다. 이때, 스테이지(600)에 진공을 형성함으로써, 분리막(300)도 움직이지 않고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In step (3), the separator 300 may be loaded on the loaded tape 500 as shown in FIG. 8. At this time, by forming a vacuum on the stage 600, the separation membrane 300 may be fixed without moving.

단계 (4)에서는 도 9와 같이 로딩된 분리막(300) 위에 음극 전극(200)을 로딩한 후 분리막(300)을 폴딩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단계 (4)에서는, 음극 전극의 타단 끝단면으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된 위치에서 분리막을 폴딩시킬 수 있다. 여기서, 분리막(300)의 폴딩위치는 충전 후 음극 전극의 연신량 및 설비 작업의 공차를 고려하여 설정할 수 있다.In step (4), after loading the negative electrode 200 on the loaded separator 300 as shown in FIG. 9, the separator 300 may be folded. Specifically, in step (4), the separator may be folded at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other end of the cathode electrode by a predetermined distance. Here, the folding position of the separator 300 may be set in consideration of an elongation amount of the negative electrode after charging and a tolerance of equipment work.

단계 (5)에서는 도 10과 같이 폴딩된 분리막(300) 위에 양극 전극(100)을 로딩한 후 분리막(300)을 폴딩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단계 (5)에서는, 양극 전극의 일단면으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된 위치에서 분리막을 폴딩시킬 수 있다.In step (5), after loading the anode electrode 100 on the folded separator 300 as shown in FIG. 10, the separator 300 may be folded. Specifically, in step (5), the separator may be folded at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one end surface of the anode electrode by a predetermined distance.

단계 (6)에서는 도 11과 같이 기 설정된 수량까지 음극 전극(200), 분리막(300) 및 양극 전극(100)을 적층한 후 분리막(300)을 절단할 수 있다. 이때, 분리막의 절단위치는 최소한 폴딩위치 보다 외측인 것이 바람직하다. 다시 말해, 단계 (6)에서는 기 설정된 전극 수량이 적층될 때까지 단계 (4) 및 단계 (5)의 과정을 반복할 수 있다.In step (6), the cathode electrode 200, the separator 300, and the anode electrode 100 may be stacked up to a predetermined quantity as shown in FIG. 11, and then the separator 300 may be cut. 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cutting position of the separation membrane is at least outside the folding position. In other words, in step (6), the processes of steps (4) and (5) may be repeated until a predetermined number of electrodes are stacked.

단계 (7)에서는 도 12와 같이 테이프(500)를 폴딩하여 최외각에 적층된 외면에 부착시킬 수 있다. 아울러, 단계 (7)에서는 분리막을 절단한 후 테이프(500)를 폴딩하여 최외각에 적층된 외면에 부착한 후 스테이지에의 진공을 해제시킨 후 배터리 셀의 용접공정으로 이송시킬 수 있다.In step (7), as shown in FIG. 12, the tape 500 may be folded and attach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outermost layer. In addition, in step (7), after cutting the separator, the tape 500 is folded and attach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outermost layer, and then the vacuum on the stage is released, and then transferred to the welding process of the battery cell.

100: 양극 전극 110: 양극 집전체
120: 양극 코팅층 130: 양극 리드
200: 음극 전극 210: 음극 집전체
220: 음극 코팅층 230: 음극 리드
300: 분리막 310: 제1 절곡부
320: 제2 절곡부 400: 최외각 분리막
410: 관통홀 500: 테이프
600: 스테이지 700: 케이스
800: 양극 리드탭 900: 음극 리드탭
100: positive electrode 110: positive current collector
120: anode coating layer 130: anode lead
200: negative electrode 210: negative current collector
220: negative electrode coating layer 230: negative electrode lead
300: separator 310: first bent portion
320: second bent portion 400: outermost separation membrane
410: through hole 500: tape
600: stage 700: case
800: positive lead tab 900: negative lead tab

Claims (14)

양극 집전체, 상기 양극 집전체를 코팅하는 양극 코팅층 및 양극 리드를 포함하는 복수의 양극 전극;
음극 집전체, 상기 음극 집전체를 코팅하는 음극 코팅층 및 음극 리드를 포함하는 복수의 음극 전극; 및
상기 양극 전극과 상기 음극 전극 사이에 위치하되 상기 양극 리드와 대면하는 상기 음극 전극의 타단 끝단면이 폐쇄되도록 형성된 분리막;을 포함하는 리튬이온 이차전지.
A plurality of positive electrodes including a positive electrode current collector, a positive electrode coating layer coating the positive electrode current collector, and a positive electrode lead;
A plurality of negative electrodes including a negative electrode current collector, a negative electrode coating layer coating the negative electrode current collector, and a negative electrode lead; And
And a separator disposed between the positive electrode and the negative electrode and formed such that the other end of the negative electrode facing the positive lead is closed.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분리막은 상기 양극 리드와 대면하는 상기 음극 전극의 타단 끝단면 측에서 절곡된 제1 절곡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절곡부는 상기 음극 전극의 타단 끝단면으로부터 1mm 이상 상기 제1 절곡부의 길이의 5% 이하로 이격된 위치에서 절곡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이온 이차전지.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eparator includes a first bent portion bent at a side of the other end of the negative electrode facing the positive lead,
The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wherein the first bent portion is bent at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other end of the negative electrode by 1 mm or more and 5% or less of the length of the first bent portion.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분리막은 상기 음극 리드와 대면하는 상기 양극 전극의 일단 끝단면이 폐쇄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이온 이차전지.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eparator is a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such that one end of the positive electrode facing the negative lead is closed.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분리막은 상기 음극 리드와 대면하는 상기 양극 전극의 일단면 측에서 절곡된 제2 절곡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절곡부는 상기 양극 전극의 일단면으로부터 1mm 이상 이격되고 상기 음극 전극의 일단 끝단면으로부터 4mm 이하 이격된 위치에서 절곡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이온 이차전지.
The method of claim 3,
The separator includes a second bent portion bent at one end side of the anode electrode facing the cathode lead,
The second bent portion is a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characterized in that the bent at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one end surface of the positive electrode by 1 mm or more and spaced apart from one end surface of the negative electrode by 4 mm or less.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양극 전극, 상기 음극 전극 및 상기 분리막을 감싸는 최외각 분리막;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이온 이차전지.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further comprising: an outermost separator surrounding the positive electrode, the negative electrode, and the separator.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최외각 분리막은 상기 음극 전극의 일단 끝단면으로부터 2mm 이상 이격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이온 이차전지.
The method of claim 5,
The outermost separator is a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to be spaced apart by 2 mm or more from one end of the negative electrode.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최외각 분리막은, 상기 양극 전극, 상기 음극 전극 및 상기 분리막을 커버할 시 상기 양극 리드 및 상기 음극 리드의 위치와 대응되는 위치에 관통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이온 이차전지.
The method of claim 5,
The outermost separator is a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characterized in that a through hole is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of the positive electrode lead and the negative electrode lead when covering the positive electrode, the negative electrode, and the separator.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양극 리드 및 상기 음극 리드 양측에 위치하며, 분리막, 음극 전극 및 양극 전극이 교차로 적층된 구조를 감싸는 테이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이온 이차전지.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tape positioned on both sides of the positive electrode and the negative electrode and covering a structure in which a separator, a negative electrode, and a positive electrode are stacked alternately.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양극 전극 또는 상기 음극 전극 중 최외각에 위치한 전극의 외면부는 상기 분리막과 접착된 상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이온 이차전지.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characterized in that the outer surface of the electrode located at the outermost of the positive electrode or the negative electrode is adhered to the separator.
(1) 양극 전극, 분리막, 음극 전극 및 테이프를 마련하는 단계;
(2) 스테이지 위에 테이프를 로딩하는 단계;
(3) 로딩된 테이프 위에 분리막을 로딩하는 단계;
(4) 로딩된 분리막 위에 음극 전극을 로딩한 후 상기 분리막을 폴딩하는 단계;
(5) 폴딩된 분리막 위에 양극 전극을 로딩한 후 상기 분리막을 폴딩하는 단계;
(6) 기 설정된 수량까지 음극 전극, 분리막 및 양극 전극을 적층한 후 분리막을 절단하는 단계; 및
(7) 테이프를 폴딩하여 최외각에 적층된 분리막 외면에 부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리튬이온 이차전지 제조방법.
(1) preparing an anode electrode, a separator, a cathode electrode, and a tape;
(2) loading the tape onto the stage;
(3) loading a separator on the loaded tape;
(4) loading a cathode electrode on the loaded separator and then folding the separator;
(5) loading an anode electrode on the folded separator and then folding the separator;
(6) laminating the negative electrode, the separator, and the positive electrode up to a preset quantity, and then cutting the separator; And
(7) A method of manufacturing a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comprising a; folding the tape and attaching it to the outer surface of the separator laminated on the outermost side.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단계 (2)에서는, 스테이지에 진공을 형성하여 상기 테이프가 고정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이온 이차전지 제조방법.
The method of claim 10,
In the step (2), a method of manufacturing a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characterized in that the tape is fixed by forming a vacuum on the stage.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단계 (4)에서는, 상기 음극 전극의 타단 끝단면으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분리막을 폴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이온 이차전지 제조방법.
The method of claim 10,
In the step (4), the method of manufacturing a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wherein the separator is folded at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other end of the negative electrode by a predetermined distance.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단계 (5)에서는, 상기 양극 전극의 일단면으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분리막을 폴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이온 이차전지 제조방법.
The method of claim 10,
In the step (5), the method of manufacturing a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characterized in that the separator is folded at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one end surface of the positive electrode by a predetermined distance.
청구항 10에 있어서,
(8) 최외각 분리막으로 상기 양극 전극 및 상기 음극 전극 및 상기 분리막을 감싸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이온 이차전지 제조방법.
The method of claim 10,
(8) wrapping the positive electrode, the negative electrode, and the separator with an outermost separator; the method of manufacturing a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further comprising.
KR1020190114905A 2019-09-18 2019-09-18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ame KR20210033322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4905A KR20210033322A (en) 2019-09-18 2019-09-18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4905A KR20210033322A (en) 2019-09-18 2019-09-18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am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33322A true KR20210033322A (en) 2021-03-26

Family

ID=752593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14905A KR20210033322A (en) 2019-09-18 2019-09-18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33322A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200140A1 (en) * 2022-04-15 2023-10-19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Electrode assembly and battery cell including sam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46545B1 (en) 2010-12-09 2015-08-24 주식회사 엘지화학 Pouch type lithium secondary battery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46545B1 (en) 2010-12-09 2015-08-24 주식회사 엘지화학 Pouch type lithium secondary battery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200140A1 (en) * 2022-04-15 2023-10-19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Electrode assembly and battery cell including sam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205803B2 (en) Constrained electrode assembly
EP2988362B1 (en) Curved electrode stack and battery pack comprising same
EP2750239B1 (en) Stepped electrode assembly and battery cell comprising same
KR100731452B1 (en) Electrode plate rolling device and rolling method for cylinder type battery
EP2136429B1 (en) Electrode assembly and lithium secondary battery with same
JP6538023B2 (en) Electrochemical cell comprising a folded electrode, its components, a battery comprising said electrochemical cell, and a method of forming such a cell etc
JPH11214027A (en) Secondary battery compensating capacity ratio of positive electrode and negative electrode
EP2958177B1 (en) Electrode assembly having rounded corners
KR20130133687A (en) Lectrode assembly, battery cell, manufacturing mathod of electrode assembly and manufacturing mathod of battery cell
KR20150051046A (en) Method forming electrode surface pattern and the electrode manufactured by the method and secondary battery including the same
KR101482385B1 (en) Stepwise Cell Assembly
KR20210033322A (en)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ame
KR20160023035A (en) A battery cell of vertical stacking structure
CN112020791A (en) Unit cell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1431726B1 (en) Electrode Assembly of Improved Safety And Secondary Battery with the Same
KR20140070260A (en) Electrode assembly of jelly roll type and secondary battery comprising the same
US8986868B2 (en) Rechargeable battery
JP5093666B2 (en) Lithium battery
CN107978761B (en) Current collector for an energy storage cell for storing electrical energy
JP2005174779A (en) Lithium ion secondary cell
JP2018060699A (en) Manufacturing method for laminated secondary battery
CN115428187A (en) Secondary electrochemical lithium ion cell
EP3598555A1 (en) Electrode, electrode assembly,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CN107548525B (en) Separator for battery cell and battery cell
EP4231420A2 (en) Secondary batte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