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32630A - Refrigerator installed at an entrance of the place - Google Patents

Refrigerator installed at an entrance of the pla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32630A
KR20210032630A KR1020190113856A KR20190113856A KR20210032630A KR 20210032630 A KR20210032630 A KR 20210032630A KR 1020190113856 A KR1020190113856 A KR 1020190113856A KR 20190113856 A KR20190113856 A KR 20190113856A KR 20210032630 A KR20210032630 A KR 202100326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entrance
refrigerator
cabinet
he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13856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민석
이득원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138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32630A/en
Publication of KR202100326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32630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10Arrangements for mounting in particular locations, e.g. for built-in type, for corner ty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5/00Devices not covered by group F25D11/00 or F25D13/00, e.g. non-self-contained movable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6Walls
    • F25D23/062Walls defining a cabinet
    • F25D23/063Walls defining a cabinet formed by an assembly of pane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6Walls
    • F25D23/065Details
    • F25D23/067Supporting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efrigerator Housings (AREA)

Abstrac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refrigerator for an entrance door comprises: a cabinet inserted into a mounting hole formed on a door or a wall of an entrance door to be installed and having a storage chamber for storing an object; an outside door connected to a front side of the cabinet to open and close the storage chamber and exposed to an outdoor space; an inside door connected to a rear side of the cabinet to open and close the storage chamber and exposed to an indoor space; a cold air supply device stored in a space defined by a lower portion of the cabinet and the housing and supplying cold air to the storage chamber; and a fastening member penetrating the cabinet to be inserted into a back surface of the entrance door to enable the cabinet to be firmly fixated to the mounting hole.

Description

현관용 냉장고 {Refrigerator installed at an entrance of the place}Refrigerator installed at an entrance of the place}

본 발명은 현관용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frigerator for the entrance.

최근, 물품을 소정의 장소에 배달하는 배달 서비스가 활성화 되고 있다. 특히, 상기 물품이 신선식품일 경우, 식품이 상하거나 식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배달 차량에 냉장고 또는 온장고를 구비하여 식품을 저장하고 배달한다.Recently, a delivery service for delivering goods to a predetermined place has been activated. In particular, when the product is a fresh food, a refrigerator or a heating cabinet is provided in a delivery vehicle to store and deliver the food in order to prevent the food from spoiling or cooling.

식품은 냉각 또는 보온상태가 유지되도록 하는 포장재에 담겨져 배달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상기 포장재는 스티로폼과 같은 환경오염 물질로 구성되어, 최근 사용량을 절감하고자 하는 사회적 분위기가 조성된다.Food is usually delivered in packaging that keeps it cool or warm. The packaging material is composed of environmental pollutants such as styrofoam, and a social atmosphere to reduce recent usage is created.

한편, 배달시간에 사용자가 가정에 있는 경우에는, 배달원과 사용자가 직접 대면하여 식품을 전달받을 수 있으나, 사용자가 가정에 없는 경우 또는 배달시간이 너무 이르거나 늦게 되면, 배달원과 사용자가 직접 대면하여 식품을 전달받기가 어렵다.On the other hand, if the user is at home at the delivery time, the delivery person and the user can face-to-face to receive food, but if the user is not at home or the delivery time is too early or late, the delivery person and the user face-to-face It is difficult to receive food.

따라서, 배달원과 사용자가 직접 대면하지 않더라도 식품을 전달받을 수 있고, 식품이 사용자에게 최종 전달될 때까지 상하거나 식지 않아야 하는 필요성이 나타난다.Therefore, it is possible to receive food even if the delivery person and the user do not face each other, and there is a need to prevent the food from being spoiled or cooled until it is finally delivered to the user.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최근에는 소정 장소의 입구(현관)에 냉장고를 설치하여 배달원은 상기 냉장고에 식품을 보관하여 신선상태를 유지하고 사용자는 편한 시간에 냉장고에 접근하여 식품을 전달받을 수 있는 제품이 소개되고 있다.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recently, a refrigerator is installed at the entrance (the entrance) of a predetermined place, so that the delivery person keeps the food in the refrigerator to keep it fresh, and the user accesses the refrigerator at a convenient time to receive the product. It is being introduced.

아래의 선행 기술에는 현관 도어에 장착되는 현관용 냉장고가 개시된다.The following prior art discloses a refrigerator for a front door mounted on a front door.

현관 도어에 장착되는 현관용 냉장고의 두께는 현관 도어의 두께보다 두껍고, 현관 도어의 전면(실외에 노출되는 면으로 정의)으로부터 현관용 냉장고가 돌출되는 양을 최소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thickness of the entrance refrigerator mounted on the entrance door is thicker than the thickness of the entrance door, and it is desirable to minimize the amount of the entrance refrigerator protruding from the front of the entrance door (defined as the surface exposed to the outside).

현관용 냉장고의 안정적인 결합을 위해서는, 현관 도어의 전면과 후면으로 돌출되는 길이가 동일하게 설계되어, 현관용 냉장고의 무게 중심이 현관 도어의 내부에 존재하는 것이 좋다. For a stable combination of the front door refrigerator, the length protruding from the front and rear sides of the front door is designed to be the same, so that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front door refrigerator is preferably present inside the front door.

그러나, 현관용 냉장고의 실외측 도어가 현관 도어의 전면으로부터 돌출되는 양이 클수록 파손의 위험성이 높아지므로, 가능하면 현관용 냉장고의 실외측 도어의 전면과 현관 도어의 전면은 동일 면에 가깝게 설치되는 것이 좋다. However, since the risk of damage increases as the amount of the outdoor door of the entrance refrigerator protrudes from the front of the entrance door, the front of the outdoor door of the entrance refrigerator and the front of the entrance door are installed close to the same surface as possible. It is good.

상기와 같은 이유 때문에, 현관 도어의 후방으로 돌출되는 현관용 냉장고의 길이가 현관 도어의 전방으로 돌출되는 현관용 냉장고의 길이보다 길어지게 된다. 그 결과, 현관용 냉장고의 하중에 의한 비틀림 모멘트가 상기 현관용 냉장고의 후단에 작용하게 된다. For the above reasons, the length of the entrance refrigerator protruding to the rear of the entrance door becomes longer than the length of the entrance refrigerator protruding toward the front of the entrance door. As a result, a torsional moment caused by the load of the door refrigerator acts on the rear end of the door refrigerator.

현관용 냉장고의 후단에 작용하는 회전 모멘트에 의하여 현관 도어가 비틀리는 현상이 발생하는 문제점을 안고 있다.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front door is twisted by a rotational moment acting on the rear end of the front door refrigerator.

뿐만 아니라, 현관용 냉장고가 현관 도어에 장착된 상태에서 현관용 냉장고의 캐비닛이 변형되어 아래로 처지는 형상 변형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 특히, 현관용 냉장고의 내부에 저장된 물품의 하중이 더해지면, 편심 하중에 의한 현관용 냉장고의 비틀림 현상이 가중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In addition, there is a high possibility that the cabinet of the entrance refrigerator is deformed while the entrance refrigerator is mounted on the entrance door, resulting in a shape deformation that sags downward. In particular, when the load of the article stored in the interior of the door refrigerator is added, a problem occurs in that the torsion phenomenon of the door refrigerator due to the eccentric load is increased.

또한, 현관 도어의 개폐 과정에서, 현관 도어가 외력에 의하여 강하게 닫히는 경우, 실내외 압력차에 의하여 강하게 닫히는 경우, 또는 외력에 의하여 강하게 개방되어 외벽에 부딪히는 경우에, 도어에 발생하는 충격이 현관용 냉장고로 그대로 전달되어, 현관용 냉장고가 파손되거나 현관 도어로부터 분리되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In addition, in the opening and closing process of the entrance door, when the entrance door is strongly closed by an external force, when it is strongly closed by an indoor/outdoor pressure difference, or when it is strongly opened by an external force and hits an outer wall, the impact that occurs on the door is caused by the door refrigerator. As it is delivered as it is, the front refrigerator may be damaged or separated from the front door.

뿐만 아니라, 현관 도어에 현관용 냉장고가 견고하게 장착되지 아니하면, 현관 도어의 개폐 과정에서 현관용 냉장고가 현관 도어로부터 분리되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In addition, if the entrance refrigerator is not firmly mounted on the entrance door, a phenomenon in which the entrance refrigerator is separated from the entrance door may occur during the opening and closing process of the entrance door.

선행 기술 : 한국공개특허 제2011-0033394호(2011년03월31일)Prior technology: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2011-0033394 (March 31, 2011)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제안된다. The present invention is proposed to improve the above problems.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현관용 냉장고는, 현관 도어 또는 벽면에 형성되는 장착홀에 끼워져서 설치되며, 물품의 보관을 위한 저장실이 형성되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의 전면에 연결되어 상기 저장실을 개폐하며, 실외에 노출되는 실외측 도어; 상기 캐비닛의 후면에 연결되어 상기 저장실을 개폐하며, 실내에 노출되는 실내측 도어; 상기 캐비닛의 하부와 상기 하우징에 의하여 정의되는 공간에 수용되며, 상기 저장실로 냉기를 공급하는 냉기 공급 장치; 및 상기 캐비닛이 상기 장착홀에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상기 캐비닛을 관통하여 상기 현관 도어의 배면에 삽입되는 체결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A refrigerator for a front do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ncludes: a cabinet fitted in a mounting hole formed on a front door or a wall, and having a storage compartment for storing items; An outdoor door connected to the front of the cabinet to open and close the storage compartment, and exposed to the outdoors; An interior door connected to the rear of the cabinet to open and close the storage compartment, and exposed to the interior; A cold air supply device accommodated in a space defined by the lower portion of the cabinet and the housing, and supplying cold air to the storage chamber; And a fastening member that penetrates the cabinet and is inserted into the rear surface of the front door so that the cabinet is firmly fixed to the mounting hole.

상기와 같은 구성을 이루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현관용 냉장고에 의하면, 편심 하중에 의하여 현관용 냉장고에 작용하는 비틀림 모멘트에 의하여 현관용 냉장고의 형상 변형 가능성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According to the refrigerator for the doo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there is an advantage of minimizing the possibility of deformation of the shape of the refrigerator for the door by a torsional moment acting on the refrigerator for the door due to an eccentric load.

또한, 상기 비틀림 모멘트에 의하여 현관 도어의 비틀림 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In addition, there is an advantage of minimizing a twisting phenomenon of the front door by the twisting moment.

또한, 완충 플랜지가 현관용 냉장고의 외주며에 둘러지므로, 현관 도어에 발생하는 충격이 현관용 냉장고 전달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buffer flange is wrapped around the outer periphery of the entrance refrigerator, it is possible to minimize the impact of the impact generated on the entrance door being transmitted to the entrance refrigerator.

또한, 아우터 케이스와 완충 플랜지가 다수의 체결 부재에 의하여 편심 보강 부재에 체결 견고하게 결합되고, 편심 보강 부재와 완충 플랜지가 현관 도어의 배면에 다수의 체결 부재에 의하여 견고하게 고정되므로, 현관용 냉장고가 현관 도어로부터 분리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outer case and the buffer flange are firmly coupled to the eccentric reinforcing member by a plurality of fastening members, and the eccentric reinforcing member and the buffer flange are firmly fix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entrance door by a plurality of fastening members. Can prevent separation from the entrance door.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현관용 냉장고가 현관 도어에 장착된 모습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2는 현관용 냉장고의 장착 부위를 보여주는 현관 도어의 배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현관용 냉장고의 전면 사시도.
도 4는 상기 현관용 냉장고의 분해 사시도.
도 5는 도 3의 5-5를 따라 절개되는 현관용 냉장고의 종단면도.
도 6은 도 5의 A 부분의 확대도.
도 7은 도 5의 B 부분의 확대도.
도 8은 도 3의 8-8을 따라 절개되는 종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현관용 냉장고의 캐비닛을 구성하는 인너 케이스의 배면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현관용 냉장고의 캐비닛을 구성하는 아우터 케이스의 배면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현관용 냉장고를 구성하는 편심 보강 부재의 전면 사시도.
도 12는 상기 편심 보강 부재의 배면 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현관용 냉장고를 구성하는 지지 프레임의 배면 사시도.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현관용 냉장고를 구성하는 완충 플랜지의 배면 사시도.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현관용 냉장고를 구성하는 플랜지 커버의 배면 사시도.
도 16은 상기 플랜지 커버의 전면 사시도.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n entrance refriger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ounted on an entrance door.
Figure 2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the entrance door showing the mounting portion of the refrigerator for the entrance.
Figure 3 is a front perspective view of the refrigerator for the do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door refrigerator.
Figure 5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of the refrigerator for the front door cut along 5-5 of Figure 3;
6 is an enlarged view of part A of FIG. 5.
7 is an enlarged view of part B of FIG. 5.
8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8-8 of FIG. 3.
9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an inner case constituting a cabinet of an entrance refriger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an outer case constituting a cabinet of an entrance refriger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front perspective view of an eccentric reinforcing member constituting an entrance refriger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the eccentric reinforcing member.
13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a support frame constituting an entrance refriger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4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a buffer flange constituting an entrance refriger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5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a flange cover constituting an entrance refriger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6 is a front perspective view of the flange cover.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현관용 냉장고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Hereinafter, a refrigerator for a do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현관용 냉장고가 현관 도어에 장착된 모습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n entrance refriger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ounted on an entrance door.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현관용 냉장고(10)는, 주택의 현관 도어(1) 또는 현관 벽을 관통하여 장착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 an entrance refrigerator 10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mounted through the entrance door 1 or the entrance wall of a house.

상세히, 상기 현관용 냉장고(10)는 현관 도어(1)의 손잡이(2)로부터 이격되는 지점, 일례로 현관 도어(1)의 중앙에 장착될 수 있다. In detail, the entrance refrigerator 10 may be mounted at a point spaced apart from the handle 2 of the entrance door 1, for example, at the center of the entrance door 1.

또한, 사용자의 사용 편의성 및 물품을 배송하는 택배 기사의 사용 편의성을 위해서 현관 도어의 하단으로부터 2m 이내의 높이에 설치되는 것이 좋다. 바람직하게는 현관 도어의 하단으로부터 1.5m ~ 1.7m 범위의 높이에 상기 현관용 냉장고(10)가 설치되는 것이 좋다. 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o be installed at a height of less than 2m from the lower end of the entrance door for the convenience of use of the user and the convenience of use of the courier delivering the goods. Preferably, the front door refrigerator 10 is installed at a height in the range of 1.5 m to 1.7 m from the lower end of the front door.

여기서, 상기 현관용 냉장고(10)의 전면은 실외(O)에 노출되고, 후면은 실내(I)에 노출된다. 즉, 상기 현관용 냉장고(10)는, 실외(O)에 노출되는 면이 전면으로 정의되고, 실내(I)에 노출되는 면이 후면으로 정의될 수 있다. Here, the front side of the door refrigerator 10 is exposed to the outdoors O, and the rear side of the refrigerator 10 is exposed to the interior I. That is, in the door refrigerator 10, a surface exposed to the outside (O) may be defined as a front surface, and a surface exposed to the indoor (I) may be defined as a rear surface.

도 2는 현관용 냉장고의 장착 부위를 보여주는 현관 도어의 배면 사시도이다. 2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an entrance door showing a mounting portion of an entrance refrigerator.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현관용 냉장고(10)를 현관 도어(1)에 장착하기 위해서, 현관 도어(1)에는 장착홀(1a)이 형성된다. 상기 장착홀(1a)은 상기 현관용 냉장고(10)를 전후 방향 종단면 형상과 동일한 형상 및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2, in order to mount the front door refrigerator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the front door 1, a mounting hole 1a is formed in the front door 1. The mounting hole 1a may be formed in the same shape and size as the longitudinal cross-sectional shape of the front-rear refrigerator 10.

또한, 상기 장착홀(1a)의 가장자리에 대응하는 상기 현관 도어(1)의 배면에는 안착홈(1b)dl 소정 깊이 단차지게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안착홈(1b)의 가장자리를 따라 다수의 체결홀들(1c)이 형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rear surface of the front door 1 corresponding to the edge of the mounting hole 1a may be formed to be stepped at a predetermined depth, and a plurality of fastenings along the edge of the mounting groove 1b Holes 1c may be formed.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현관용 냉장고의 전면 사시도이고, 도 4는 상기 현관용 냉장고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3의 5-5를 따라 절개되는 현관용 냉장고의 종단면도이고, 도 6은 도 5의 A 부분의 확대도이고, 도 7은 도 5의 B 부분의 확대도이며, 도 8은 도 3의 8-8을 따라 절개되는 종단면도이다. 3 is a front perspective view of a refrigerator for a do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refrigerator for the door, and FIG. 5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of the refrigerator for the door cut along 5-5 of FIG. , FIG. 6 is an enlarged view of part A of FIG. 5, FIG. 7 is an enlarged view of part B of FIG. 5, and FIG. 8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8-8 of FIG. 3.

도 3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현관용 냉장고(10)는, 내부에 저장실(111)이 형성되고, 전후면이 모두 개방되는 캐비닛과, 상기 캐비닛에 연결되어 상기 캐비닛의 전면 개구부를 개폐하는 실외측 도어(20)와, 상기 캐비닛에 연결되어 상기 캐비닛의 후면 개구부를 개폐하는 실내측 도어(22)와, 상기 저장실(111)의 하측에 배치되는 냉기 공급 장치(30)를 포함할 수 있다. 3 to 8, the refrigerator 10 for the entran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abinet in which a storage chamber 111 is formed and all front and rear surfaces thereof are open, and the cabinet is connected to the cabinet. An outdoor door 20 that opens and closes the front opening of the cabinet, an indoor door 22 connected to the cabinet to open and close the rear opening of the cabinet, and a cold air supply device 30 disposed below the storage chamber 111 ) Can be included.

상기 캐비닛은, 상기 저장실(111)을 정의하는 인너 케이스(11)와, 상기 인너 케이스(11)의 외부에서 상기 인너 케이스(11)를 감싸는 아우터 케이스(12), 및 상기 인너 케이스(11)와 아우터 케이스(12) 사이에 채워지는 단열재(I)를 포함할 수 있다. The cabinet includes an inner case 11 defining the storage chamber 111, an outer case 12 surrounding the inner case 11 from the outside of the inner case 11, and the inner case 11 It may include an insulating material (I) filled between the outer case 12.

상기 현관용 냉장고(10)는, 상기 인너 케이스(11)와 상기 아우터 케이스(12) 사이에 배치되는 편심 보강 부재(1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편심 보강 부재(13)는, 상기 인너 케이스(11)와 아우터 케이스(12) 사이에 배치되어, 비틀림 모멘트에 의한 캐비닛의 형상 변형을 방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편심 보강 부재(13)는 상기 캐비닛의 일부분으로 이해될 수 있다. The door refrigerator 10 may further include an eccentric reinforcing member 13 disposed between the inner case 11 and the outer case 12. The eccentric reinforcing member 13 is disposed between the inner case 11 and the outer case 12 and serves to prevent shape deformation of the cabinet due to a torsion moment. The eccentric reinforcing member 13 may be understood as a part of the cabinet.

상기 아우터 케이스(12)의 바닥에는 냉기 흡입을 위한 흡입홀(후술함)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흡입홀에는 석션 플레이트(23)가 장착될 수 있다.A suction hole (to be described later) for inhaling cold air may be formed at the bottom of the outer case 12, and a suction plate 23 may be mounted in the suction hole.

상기 인너 케이스(11)의 바닥부에는 장착 플레이트(14)가 결합되고, 상기 장착 플레이트(14)의 중앙에 상기 냉기 공급 장치(30)가 결합된다. 상기 냉기 공급 장치(30)의 상부 절반은 상기 저장실(111)에 노출되고, 하부 절반은 상기 인너 케이스(11)의 바닥부와 아우터 케이스(12)의 바닥부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에 노출된다. A mounting plate 14 is coupled to the bottom of the inner case 11, and the cold air supply device 30 is coupled to the center of the mounting plate 14. The upper half of the cold air supply device 30 is exposed to the storage chamber 111, and the lower half is exposed to a space formed between the bottom of the inner case 11 and the bottom of the outer case 12.

또한, 상기 실내측 도어(12)의 배면 가장자리에는 인너 실러(21)가 둘러지고, 상기 실외측 도어(20)의 배면 가장자리에는 아우터 실러(19)가 둘러질 수 있다. In addition, an inner sealer 21 may be wrapped around a rear edge of the indoor door 12, and an outer sealer 19 may be wrapped around a rear edge of the outdoor door 20.

또한, 상기 현관용 냉장고(10)는, 상기 현관 도어(1)의 장착홀(1a)에 고정되어, 상기 현관 도어(1)의 비틀림을 최소화하기 위한 보강 부재로 기능하는 지지 프레임(16)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 프레임(16)은 상기 편심 보강 부재(13)의 전단부 외주면에 끼워진다. In addition, the entrance refrigerator 10 is fixed to the mounting hole 1a of the entrance door 1, and has a support frame 16 functioning as a reinforcing member for minimizing torsion of the entrance door 1 It may contain more. The support frame 16 is fitt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front end of the eccentric reinforcing member 13.

또한, 상기 현관용 냉장고(10)는, 현관 도어(1)의 개폐 과정에서 발생하는 외부 충격을 흡수하도록 하는 완충 플랜지(17) 및 플랜지 커버(1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door refrigerator 10 may further include a buffer flange 17 and a flange cover 18 to absorb an external shock generated during the opening and closing process of the front door 1.

한편, 상기 냉기 공급 장치(30)는, 열전 소자가 적용된 냉기 공급 수단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일반 냉각 사이클이 적용될 수도 있다. Meanwhile, the cold air supply device 30 may be a cold air supply means to which a thermoelectric element is applied,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a general cooling cycle may be applied.

상기 열전 소자는, 전류가 공급되면 일 면은 온도가 떨어지는 흡열면으로 작용하고, 반대면은 온도가 증가하는 발열면으로 작용한다. 또한, 상기 열전 소자에 공급되는 전류의 방향이 바뀌면 상기 흡열면과 발열면이 바뀌게 된다. When the current is supplied, one side of the thermoelectric element acts as a heat absorbing surface, and the opposite side acts as a heat generating surface where the temperature increases. In addition, when the direction of the current supplied to the thermoelectric element is changed, the heat absorbing surface and the heating surface are changed.

구체적으로, 상기 냉기 공급 장치(30)는, 상기 열전 소자(31)와, 상기 열전 소자(31)의 흡열면에 부착되는 콜드 싱크(32)와, 상기 콜드 싱크(32)의 전방(또는 상측)에 배치되는 흡열팬(33)과, 상기 열전 소자(31)의 발열면에 부착되는 히트 싱크(34)와, 상기 히트 싱크(34)의 후방(또는 하측)에 배치되는 방열팬(35)과, 상기 콜드 싱크(32)와 히트 싱크(34) 간의 열전달을 방지하는 단열재(35)를 포함할 수 있다. Specifically, the cold air supply device 30 includes the thermoelectric element 31, a cold sink 32 attached to the heat absorbing surface of the thermoelectric element 31, and a front (or upper side) of the cold sink 32. ), a heat absorbing fan 33 disposed at, a heat sink 34 attached to the heating surface of the thermoelectric element 31, and a heat dissipating fan 35 disposed at the rear (or lower side) of the heat sink 34 And, it may include an insulating material 35 for preventing heat transfer between the cold sink 32 and the heat sink 34.

상기 단열재(35)는, 상기 열전 소자(31)의 측면을 감싸는 형태로 제공된다. 상기 단열재(35)의 전면에는 상기 콜드 싱크(32)가 접촉하고, 상기 단열재(35)의 후면에는 상기 히트 싱크(34)가 접촉한다.The insulating material 35 is provided in a form surrounding the side surface of the thermoelectric element 31. The cold sink 32 is in contact with the front surface of the insulating material 35 and the heat sink 34 is in contact with the rear surface of the insulating material 35.

또한, 상기 콜드 싱크(32)와 히트 싱크(34)는, 상기 열전 소자(31)의 흡열면 또는 발열면에 직접 부착되는 열전도체와, 상기 열전도체의 표면에서 연장되는 다수의 열교환 핀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In addition, the cold sink 32 and the heat sink 34 are formed of a heat conductor directly attached to the heat absorbing surface or the heating surface of the thermoelectric element 31, and a plurality of heat exchange fins extending from the surface of the heat conductor. I can.

상기 흡열팬(33)은 상기 캐비닛(11)의 내부를 향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발열팬(36)은 상기 석션 플레이트(23)의 직상방에 놓인다. The heat absorbing fan 33 is disposed to face the inside of the cabinet 11, and the heating fan 36 is placed directly above the suction plate 23.

상기 콜드 싱크(32)는 상기 인너 케이스(11)의 바닥부에 노출되어 상기 저장실(111)을 냉각시키고, 상기 히트 싱크(34)는 상기 장착 플레이트(14)의 하측에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방열팬(35)은 상기 석션 플레이트(23)를 통하여 실내 공기를 흡입하고, 상기 흡입된 실내 공기는 상기 히트 싱크(34)와 열교환한 뒤 다시 실내로 배출된다. The cold sink 32 is exposed to the bottom of the inner case 11 to cool the storage chamber 111, and the heat sink 34 is disposed under the mounting plate 14. In addition, the heat dissipation fan 35 sucks indoor air through the suction plate 23, and the sucked indoor air exchanges heat with the heat sink 34 and then is discharged back into the room.

여기서, 상기 장착 플레이트(14)의 저면에는 가이드 덕트(15)가 장착되어, 상기 히트 싱크(34)와 열교환한 실내 공기의 배출 유로를 형성할 수 있다. Here, a guide duct 15 is mounted on the bottom of the mounting plate 14 to form an exhaust flow path for the indoor air heat-exchanged with the heat sink 34.

또한, 상기 흡열팬(33)은 저장실(111) 내부 공기를 흡입한 다음 상기 콜드 싱크(32)의 중심으로 배출하여, 상기 콜드 싱크(32)와 저장실(111) 내부 공기가 열교환하도록 한다. 그러면, 상기 저장실(111) 내부 공기는 외부 온도보다 낮아지고, 상기 콜드 싱크(32)로 흡수된 열은 상기 열전 소자(31)를 통하여 상기 히트 싱크(34)로 전도된다. In addition, the heat absorbing fan 33 sucks the air inside the storage chamber 111 and then discharges it to the center of the cold sink 32 so that the cold sink 32 and the air inside the storage chamber 111 exchange heat. Then, the air inside the storage chamber 111 is lower than the external temperature, and the heat absorbed by the cold sink 32 is conducted to the heat sink 34 through the thermoelectric element 31.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현관용 냉장고의 캐비닛을 구성하는 인너 케이스의 배면 사시도이다. 9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an inner case constituting a cabinet of an entrance refriger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현관용 냉장고(10)의 인너 케이스(11)는, 전면과 후면이 개구되는 육면체 형상을 이룰 수 있다. Referring to FIG. 9, the inner case 11 of the door refrigerator 1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have a hexahedral shape in which front and rear surfaces are opened.

상세히, 상기 인너 케이스(11)는, 바닥부(112)와, 좌측면부(113)와, 우측면부(114), 및 상면부(115)로 이루어지고, 상기 인너 케이스(11)의 전단에는 전면 플랜지(116)가 형성되고, 후단에는 후면 플랜지(117)가 형성될 수 있다. In detail, the inner case 11 is composed of a bottom portion 112, a left side portion 113, a right side portion 114, and an upper surface portion 115, and the front end of the inner case 11 A flange 116 may be formed, and a rear flange 117 may be formed at the rear end.

상기 바닥부(112)와, 좌우 측면부(113,114), 및 상면부(115)는 케이스 바디로 정의될 수 있고, 상기 전면 플랜지(116)와 후면 플랜지(117)는 상기 케이스 바디의 연장 방향(또는 전후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절곡되어 형성될 수 있다. The bottom portion 112, the left and right side portions 113 and 114, and the upper surface portion 115 may be defined as a case body, and the front flange 116 and the rear flange 117 are extended directions of the case body (or It may be formed by bending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front-rear direction).

또한, 상기 바닥부(112)에는 냉기 공급 장치 수용부(118)가 형성되며, 상기 냉기 공급 장치 수용부(118)는, 상기 바닥부(112)가 하측으로 소정 깊이 단차지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고, 상기 냉기 공급 장치 수용부(118)의 바닥에는 개구부(118a)가 형성된다. 상기 개구부(118a)를 통해서 상기 냉기 공급 장치(30)의 상측 절반 정도가 상기 냉기 공급 장치 수용부(118)에 노출된다. In addition, a cold air supply device accommodating portion 118 is formed on the bottom portion 112, and the cold air supply device accommodating portion 118 may be formed in a form in which the bottom portion 112 is stepped at a predetermined depth downward. In addition, an opening 118a is formed at the bottom of the cold air supply device receiving portion 118. About half of the upper half of the cold air supply device 30 is exposed to the cold air supply device receiving portion 118 through the opening 118a.

도 5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냉기 공급 장치(30)의 상단부, 즉 상기 흡열팬(33)의 상면은 상기 바닥부(112)와 적어도 동일한 높이를 이루거나, 상기 바닥부(112)보다 낮은 위치에 놓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바닥부(112)에는 상기 냉기 공급 장치 수용부(118)의 상면을 덮는 커버 플레이트(미도시)가 놓일 수 있고, 상기 커버 플레이트의 상며에는 보관 물품을 적재하는 트레이(미도시)가 놓일 수 있다. 5 and 8, the upper end of the cold air supply device 30, that is, the upper surface of the heat absorbing fan 33 is at least the same height as the bottom part 112, or the bottom part 112 ) Can be placed in a lower position. In addition, a cover plate (not shown) covering the upper surface of the cold air supply device accommodating portion 118 may be placed on the bottom portion 112, and a tray (not shown) for loading storage items is placed on the top of the cover plate. Can be set.

저장실(111) 냉기가 상기 냉기 공급 장치(30)의 콜드 싱크(32)와 열교환 가능하도록, 상기 커버 플레이트 및 상기 트레이의 바닥에는 다수의 연통홀들이 형성될 수 있다. A plurality of communication holes may be formed at the bottom of the cover plate and the tray so that the cold air of the storage chamber 111 can exchange heat with the cold sink 32 of the cold air supply device 30.

또한, 상기 전면 플랜지(116)의 상단부 중앙 및 하단부 중앙 중 적어도 일측에는 체결홀(116a)이 형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a fastening hole 116a may be formed in at least one side of the center of the upper end and the center of the lower end of the front flange 116.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현관용 냉장고의 캐비닛을 구성하는 아우터 케이스의 배면 사시도이다. 10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an outer case constituting a cabinet of an entrance refriger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현관용 냉장고의 캐비닛을 구성하는 아우터 케이스(12)는, 전후면이 개구되는 사각통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0, the outer case 12 constituting the cabinet of the front door refrigerator according to the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have a rectangular cylindrical shape with front and rear surfaces open.

상세히, 상기 아우터 케이스(12)는, 바닥부(121)와, 좌측면부(122)와, 우측면부(123), 및 상면부(124)를 포함하며, 전후 방향으로 소정의 폭을 가질 수 있다. In detail, the outer case 12 includes a bottom portion 121, a left side portion 122, a right side portion 123, and an upper surface portion 124, and may have a predetermined width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

상기 바닥부(121)의 좌측 가장자리와 우측 가장자리에는 배기홀(127)이 형성될 수 있고, 중앙에는 석션홀(126)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석션홀(126)에 상기 석션 플레이트(23)가 장착된다. An exhaust hole 127 may be formed at a left edge and a right edge of the bottom portion 121, and a suction hole 126 may be formed at the center. The suction plate 23 is mounted in the suction hole 126.

상기 좌측면부(122)와 우측면부(123)는 상기 바닥부(121)의 양 단부에서 라운드지게 절곡된 후 상측으로 소정 높이 연장되며, 상기 상면부(124)는 상기 좌측면부(122)의 상단과 우측면부(123)의 상단을 연결한다. 상기 상면부(124)의 좌우측 가장자리는 소정 곡률로 라운드지게 형성될 수 있다. The left side portion 122 and the right side portion 123 are bent roundly at both ends of the bottom portion 121 and then extend upward by a predetermined height, and the top portion 124 is the upper end of the left side portion 122 And the upper end of the right side part 123 are connected. The left and right edges of the upper surface portion 124 may be rounded with a predetermined curvature.

상기 아우터 케이스(12)의 전단부 가장자리에는 체결 플랜지(125)가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체결 플랜지(125)를 따라 다수의 체결홀들(125a)이 형성될 수 있다. A fastening flange 125 may be formed at an edge of the front end of the outer case 12, and a plurality of fastening holes 125a may be formed along the fastening flange 125.

상기 체결 플랜지(125)는 상기 아우터 케이스912)의 전단부에서 수직하게 절곡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The fastening flange 125 may be formed by bending and extending vertically from the front end of the outer case 912.

상기 인너 케이스(11)와 상기 아우터 케이스(12) 사이에는 발포 단열재가 충진되어 캐비닛을 완성하게 된다. Foam insulation is filled between the inner case 11 and the outer case 12 to complete the cabinet.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현관용 냉장고를 구성하는 지지 프레임의 배면 사시도이다.13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a support frame constituting an entrance refriger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현관용 냉장고(10)가 현관 도어(1)의 장착홀(1a)에 장착되면, 상기 현관용 냉장고(10)의 하중에 의하여 상기 현관 도어(1)의 비틀림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3, when the front door refrigerator 1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ounted in the mounting hole 1a of the front door 1, the front door ( 1) torsion may occur.

상기 현관 도어(1)의 비틀림 현상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상기 지지 프레임(16)이 상기 현관용 냉장고(10)에 구비될 수 있다. In order to minimize the torsion of the front door 1, the support frame 16 may be provided on the front door refrigerator 10.

상세히, 상기 지지 프레임(16)은 후술하게 될 편심 보강 부재(13)의 전방측 외주면에 둘러진다. 그리고, 상기 지지 프레임(16)은 상기 현관 도어(1)의 상기 장착홀(1a)에 끼워져서 상기 장착홀(1a)의 형상을 유지시키는 기능을 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In detail, the support frame 16 is wrapped around the front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eccentric reinforcing member 13 to be described later. In addition, it may be understood that the support frame 16 functions to maintain the shape of the mounting hole 1a by being fitted into the mounting hole 1a of the front door 1.

더욱 상세히, 상기 지지 프레임(16)은, 상기 장착홀(1a)의 전후 방향 폭 또는 현관 도어(1)의 두께에 대응하는 폭을 가지고 사각형 띠 형태로 이루어지는 프레임 바디(161)와, 상기 프레임 바디(161)의 후단에서 상기 프레임 바디(161)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절곡되엉 연장되는 후단 절곡부(163)로 이루어질 수 있다. In more detail, the support frame 16 includes a frame body 161 formed in a rectangular strip shape having a width corresponding to the width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of the mounting hole 1a or the thickness of the entrance door 1, and the frame body It may be formed of a rear bent portion 163 extending from the rear end of the frame body 161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frame body 161.

상기 후단 절곡부(163)는, 상기 프레임 바딕(161)의 좌우 측면부와 상면부의 후단에서 절곡되어 연장되는 제 1 부분(163a)과, 상기 프레임 바디(161)의 바닥부 후단에서 하측으로 연장되는 제 2 부분(163b)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rear bent portion 163 includes a first portion 163a bent and extended from the rear end of the left and right side portions and the upper surface portion of the frame body 161, and the first portion 163a extending downward from the rear end of the bottom portion of the frame body 161 It may be made of the second part 163b.

상기 제 1 부분(163a)의 폭은 상기 프레임 바디(161)의 좌측면부와 상면부 및 우측면부를 따라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제 2 부분(163b)의 상하 방향 폭은 상기 제 1 부분(163a)의 폭보다 더 길게 설게될 수 있다. 즉, 상기 제 2 부분(163b)은 상기 프레임 바디(161)의 바닥부 후단에서 하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현관 도어(1)의 후면에 함몰되는 안착홈(1b)에 안착될 수 있다. The width of the first part 163a may be formed equally along the left and upper and right sides of the frame body 161, and the vertical width of the second part 163b is the first part ( It may be designed to be longer than the width of 163a). That is, the second portion 163b may extend downward from the rear end of the bottom portion of the frame body 161 and be seated in the seating groove 1b recessed in the rear surface of the front door 1.

또한, 상기 후단 절곡부(163)에는 다수의 체결홀들(164)이 소정 간격 이격되어 배열될 수 있다. In addition, a plurality of fastening holes 164 may be arrang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in the rear bent portion 163.

또한, 상기 지지 프레임(16)은, 상기 프레임 바디(161)의 전단부에서 절곡되는 전단 절곡부(16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단 절곡부(162)는 상기 후단 절곡부(163)의 절곡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절곡되어, 상기 후단 절곡부(163)와 평행하게 연장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support frame 16 may further include a shearing bent portion 162 that is bent at the front end of the frame body 161. The front bent portion 162 may be bent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bending direction of the rear bent portion 163 and may extend parallel to the rear bent portion 163.

즉, 상기 전단 절곡부(162)는 상기 프레임 바디(161)의 전면부 중앙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후단 절곡부(162)는 상기 프레임 바디(161)의 중앙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That is, the front bent portion 162 extends in a direction closer to the center of the front portion of the frame body 161, and the rear bent portion 162 extends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center of the frame body 161. I can.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현관용 냉장고를 구성하는 편심 보강 부재의 전면 사시도이고, 도 12는 상기 편심 보강 부재의 배면 사시도이다. 11 is a front perspective view of an eccentric reinforcing member constituting a refrigerator for a do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2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the eccentric reinforcing member.

도 5와 함께 상기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면, 상기 편심 보강 부재(13)는 상기 인너 케이스(11)와 아우터 케이스(12)의 사이에 놓여서 상기 현관용 냉장고(10)의 캐비닛의 구성 요소로 이해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S. 11 and 12 together with FIG. 5, the eccentric reinforcing member 13 is placed between the inner case 11 and the outer case 12 to form a component of the cabinet of the front refrigerator 10. Can be understood as

상기 편심 보강 부재(13)는, 상기 캐비닛에 작용하는 비틀림 모멘트에 의하여 캐비닛이 비틀리는 현상을 최소화는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으로 이해될 수 있다. The eccentric reinforcing member 13 may be understood as a configuration that performs a function of minimizing a phenomenon in which the cabinet is twisted due to a twisting moment acting on the cabinet.

상세히, 상기 편심 보강 부재(13)는, 도어 밀착판(138)을 기준으로 실내 노출부(13a)와 매립부(13b)로 구획될 수 있다. 상기 도어 밀착판(138)은 상기 실내 노출부(13a)와 매립부(13b)의 외주면으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지지 프레임(16)의 후단에 형성된 후단 절곡부(163)와 동일한 크기와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In detail, the eccentric reinforcing member 13 may be divided into an indoor exposed portion 13a and a buried portion 13b based on the door contact plate 138. The door contact plate 138 protrudes from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s of the indoor exposed portion 13a and the buried portion 13b, and has the same size and shape as the rear bent portion 163 formed at the rear end of the support frame 16. I can.

즉, 상기 지지 프레임(16)은 상기 편심 보강 부재(13)의 매립부(13b)에 끼워져서, 상기 도어 밀착판(138)의 전면에 상기 후단 절곡부(163)의 배면이 밀착된다. 상기 도어 밀착판(138)에도 다수의 체결홀들이 형성되고, 상기 다수의 체결홀들은 상기 후단 절곡부(163)에 형성되는 다수의 체결홀들(164)과 정렬되어, 체결 부재가 삽입될 수 있다. That is, the support frame 16 is fitted into the buried portion 13b of the eccentric reinforcing member 13, so that the rear surface of the rear bent portion 163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front surface of the door contact plate 138. A plurality of fastening holes are also formed in the door contact plate 138, and the plurality of fastening holes are aligned with a plurality of fastening holes 164 formed in the rear bent portion 163, so that a fastening member can be inserted. have.

또한, 상기 아우터 케이스(12)의 전단부에서 절곡 연장되는 상기 체결 플랜지(125)는 상기 도어 밀착판(138)의 배면에 밀착된다. 그리고, 상기 후단 절곡부(163)와 상기 도어 밀착판(138)을 관통하는 체결부가, 상기 체결 플랜지(125)에 형성된 체결홀들(125a)을 관통하여, 상기 아우터 케이스(12)와 편신 보강 부재(13) 및 상기 지지 프레임(16)이 한 몸으로 결합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fastening flange 125 extending from the front end of the outer case 12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rear surface of the door contact plate 138. In addition, a fastening part penetrating the rear end bent part 163 and the door contact plate 138 passes through the fastening holes 125a formed in the fastening flange 125 to reinforce the outer case 12 The member 13 and the support frame 16 may be combined into one body.

상기 실내 노출부(13a)는, 상기 현관 도어(1)의 배면으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인너 케이스(11)의 상면 및 좌우면을 둘러싸는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실내 노출부(13a)의 외주면은, 실질적으로 상기 아우터 케이스(12)의 내주면에 밀착되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The indoor exposed portion 13a may extend rearward from the rear surface of the front door 1 to surround the upper surface and the left and right surfaces of the inner case 11.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indoor exposed part 13a may have a structure substantially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outer case 12.

상기 실내 노출부(13a)는, 좌측면부(131)와 상면부(133) 및 우측면부(132)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현관 도어(1)의 배면에서 후방으로 연장되는 상기 실내 노출부(13a)의 연장 길이는 상기 인너 케이스(11) 또는 상기 아우터 케이스(12)의 연장 길이에 대응하는 길이로 설계될 수 있다. The indoor exposed part 13a may include a left side 131, an upper side 133, and a right side 132. The extension length of the indoor exposed part 13a extending from the rear surface of the front door 1 to the rear may be designed to be a length corresponding to the extension length of the inner case 11 or the outer case 12.

상기 상면부(133)에는 다수의 관통홀들(133a)이 형성되어, 상기 인너 케이스(11)와 아우터 케이스(12) 사이에 주입되는 발포 단열재가 통과하도록 할 수 있다. 즉, 상기 캐비닛 내부로 주입되는 발포 단열재가 상기 다수의 관통홀들(133a)에 채워져서 상기 캐비닛의 강성이 확보될 수 있다.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133a are formed in the upper surface portion 133 to allow a foamed insulating material injected between the inner case 11 and the outer case 12 to pass. That is, the foamed insulating material injected into the cabinet may be filled in the plurality of through holes 133a, so that the rigidity of the cabinet may be secured.

한편, 상기 매립부(13b)는, 바닥부(134)와, 좌측면부(135)와, 우측면부(136), 및 상면부(137)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실내 노출부(13a)는 바닥부가 개구되는 반면, 상기 매립부(13b)는 바닥부를 형성하도록 설계된다. 상기 매립부(13b)에는 바닥부(134)가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현관 도어(1)에 장착홀(1a)에 장착된 상태에서 캐비닛의 형상 변형을 최소화할 수 있다. Meanwhile, the buried part 13b may include a bottom part 134, a left part 135, a right part 136, and an upper part 137. The indoor exposed portion 13a is designed to have a bottom portion open, while the buried portion 13b is designed to form a bottom portion. Since the bottom portion 134 is formed in the buried portion 13b, deformation of the shape of the cabinet can be minimized while being mounted in the mounting hole 1a in the entrance door 1.

또한, 상기 상면부(137) 중앙에는 체결홀(137a)이 형성되고, 상기 체결홀(137a)을 관통하는 체결 부재는 상기 인너 케이스(11)의 체결홀(116a)에 삽입된다. In addition, a fastening hole 137a is formed in the center of the upper surface part 137, and a fastening member penetrating the fastening hole 137a is inserted into the fastening hole 116a of the inner case 11.

또한, 상기 편심 부강 부재(13)의 도어 밀착판(138)과 지지 프레임(16)의 후단 절곡부(163)를 관통하는 다수의 체결 부재들이 현관 도어(1)에 삽입됨으로써, 현관용 냉장고(10)가 현관 도어(1)로부터 분리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In addition, a plurality of fastening members penetrating the door contact plate 138 of the eccentric buoyant member 13 and the rear bent portion 163 of the support frame 16 are inserted into the entrance door 1, so that the entrance refrigerator ( There is an advantage of preventing the phenomenon that 10) is separated from the front door 1.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현관용 냉장고를 구성하는 완충 플랜지의 배면 사시도이다.14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a buffer flange constituting an entrance refriger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 및 도 1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현관용 냉장고(10)가 현관 도어(1)에 장착된 상태에서, 현관 도어(1)를 열고 닫을 때 발생하는 충격이 상기 현관용 냉장고(10)로 그대로 전달된다. 5 and 14, when the front door refrigerator 1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ounted on the front door 1, the impact generated when the front door 1 is opened and closed is used for the front door. It is delivered to the refrigerator 10 as it is.

현관 도어(1)를 강제로 세게 닫거나, 창문을 개방하였을 때 발생하는 실내외 압력차에 의하여 현관 도어(1)가 저절로 강하게 닫히거나, 현관 도어(1)를 세게 열어서 도어 핸들이 외벽에 부딪힐 때, 현관 도어(1)에 강한 충격이 발생한다. 그리고, 이러한 충격은 현관용 냉장고(10)로 전달되어, 캐비닛의 파손이나 저장실(111)에 보관된 음식물의 파손을 초래할 수 있다. When the entrance door (1) is forcibly closed by force, or when the entrance door (1) is closed strongly by itself due to a pressure difference between indoors and outdoors that occurs when the window is opened, or when the door handle hits the exterior wall by opening the entrance door (1) strongly. , A strong impact occurs on the entrance door (1). In addition, such an impact may be transmitted to the refrigerator 10 for the front door, resulting in damage to the cabinet or damage to food stored in the storage chamber 111.

이와 같이, 현관 도어(1)에 발생하는 충격이 현관용 냉장고(10)로 전달되는 것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상기 완충 플랜지(17)가 제공될 수 있다. In this way, in order to minimize the impact generated on the front door 1 from being transmitted to the front refrigerator 10, the buffer flange 17 may be provided.

상세히, 상기 완충 플랜지(17)는, 상기 현관 도어(1)의 장착홀(1a) 내주면에 끼워지도록, 사각형 띠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완충 플랜지(17)는 상기 지지 프레임(16)을 감싸는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In detail, the buffer flange 17 may be formed in a rectangular strip shape so as to be fitted into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mounting hole 1a of the front door 1. In addition, the buffer flange 17 may be provided in a form surrounding the support frame 16.

상기 완충 플랜지(17)는 충격 흡수를 위하여 고무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The buffer flange 17 may be made of a rubber material for shock absorption.

상기 완충 플랜지(17)는 상기 지지 프레임(16)을 구성하는 상기 프레임 바디(161)의 폭에 대응하는 폭과, 소정의 두께를 가지는 메인 플렌지(171)와, 상기 메인 플랜지(171)의 전단부에서 절곡 연장되는 에지 플랜지(172)로 이루어질 수 있다. The buffer flange 17 has a width corresponding to the width of the frame body 161 constituting the support frame 16 and a main flange 171 having a predetermined thickness, and a front end of the main flange 171 It may be formed of an edge flange 172 bent and extended from the part.

상기 메인 플랜지(171)의 외주면은 상기 장착홀(1a)의 내주면에 밀착되고, 상기 메인 플랜지(171)의 내주면은 상기 프레임 바디(161)의 외주면에 밀착된다.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main flange 171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mounting hole 1a, and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main flange 171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rame body 161.

또한, 상기 에지 플랜지(172)의 배면은 상기 현관 도어(1)의 전면에 밀착된다. In addition, the rear surface of the edge flange 172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front surface of the front door 1.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현관용 냉장고를 구성하는 플랜지 커버의 배면 사시도이고, 도 16은 상기 플랜지 커버의 전면 사시도이다. 15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a flange cover constituting a refrigerator for a do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6 is a front perspective view of the flange cover.

도 5와 도 15 및 도 1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랜지 커버(18)는, 상기 현관 도어(1)의 배면에 함몰된 상기 안착홈(1b)의 가장자리에 둘러지도록 제공된다. 5, 15, and 16, a flange cover 18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to surround the edge of the seating groove 1b recessed in the rear surface of the front door 1. .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우터 케이스(12)의 체결 플랜지(125)와, 지지 프레임(16)의 후단 절곡부(163)는, 체결 부재(S)에 의하여 상기 편심 보강 부재(13)의 도어 밀착판(138)에 결합된다. 5 to 7, the fastening flange 125 of the outer case 12 and the rear end bent portion 163 of the support frame 16 are formed by the eccentric reinforcing member ( It is coupled to the door contact plate 138 of 13).

상기 플랜지 커버(18)는 상기 체결 부재(S)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차폐하는 차폐 커버로 이해될 수 있다. 즉, 상기 플랜지 커버(18)는 상기 체결 부재(S)의 헤드 부분을 완전히 덮도록 상기 아우터 케이스(12)의 외주면에 끼워져서 상기 현관 도어(1)의 배면에 고정될 수 있다. The flange cover 18 may be understood as a shielding cover that shields the fastening member S from being exposed to the outside. That is, the flange cover 18 may be fitted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outer case 12 so as to completely cover the head portion of the fastening member S and fix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front door 1.

상기 플랜지 커버(18)의 전면에는 상기 체결 부재(S)의 헤드 부분을 수용하는 헤드 수용홈(181)이 함몰 형성될 수 있다. A head receiving groove 181 for accommodating the head portion of the fastening member S may be recess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flange cover 18.

상기 플랜지 커버(18)는 플라스틱 소재로 이루어지거나, 상기 완충 플랜지(17)와 동일한 고무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The flange cover 18 may be made of a plastic material, or may be made of the same rubber material as the buffer flange 17.

Claims (10)

현관 도어 또는 벽면에 형성되는 장착홀에 끼워져서 설치되며, 물품의 보관을 위한 저장실이 형성되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의 전면에 연결되어 상기 저장실을 개폐하며, 실외에 노출되는 실외측 도어;
상기 캐비닛의 후면에 연결되어 상기 저장실을 개폐하며, 실내에 노출되는 실내측 도어;
상기 캐비닛의 하부와 상기 하우징에 의하여 정의되는 공간에 수용되며, 상기 저장실로 냉기를 공급하는 냉기 공급 장치; 및
상기 캐비닛이 상기 장착홀에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상기 캐비닛을 관통하여 상기 현관 도어의 배면에 삽입되는 체결 부재를 포함하는 현관용 냉장고.
A cabinet installed by being inserted into a mounting hole formed on an entrance door or a wall surface, and having a storage room for storing items;
An outdoor door connected to the front of the cabinet to open and close the storage compartment, and exposed to the outdoors;
An interior door connected to the rear of the cabinet to open and close the storage compartment, and exposed to the interior;
A cold air supply device accommodated in a space defined by the lower portion of the cabinet and the housing, and supplying cold air to the storage chamber; And
A refrigerator for entrance including a fastening member that penetrates through the cabinet and is inserted into a rear surface of the entrance door so that the cabinet is firmly fixed to the mounting hol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캐비닛은,
내부에 상기 저장실이 정의되는 인너 케이스와,
상기 인너 케이스의 외측에 끼워지는 편심 보강 부재와,
상기 편심 보강 부재의 외측에 끼워지는 아우터 케이스, 및
상기 인너 케이스와 상기 아우터 케이스 사이에 채워지는 단열재를 포함하고,
상기 체결 부재는 상기 아우터 케이스와 상기 편심 보강 부재를 차례로 관통하여 상기 현관 도어의 배면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관용 냉장고.
The method of claim 1,
The cabinet,
An inner case in which the storage compartment is defined therein,
An eccentric reinforcing member fitted to the outside of the inner case,
An outer case fitted to the outside of the eccentric reinforcing member, and
Including a heat insulating material filled between the inner case and the outer case,
The fastening member passes through the outer case and the eccentric reinforcing member in turn and is inserted into a rear surface of the entrance door.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아우터 케이스의 전단부에는 체결 플랜지가 절곡 연장되고,
상기 편심 보강 부재의 외주면에는 도어 밀착판이 돌출 연장되며,
상기 체결 부재는 상기 체결 플랜지와 상기 도어 밀착판을 차례로 관통하여 상기 현관 도어의 배면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관용 냉장고.
The method of claim 2,
A fastening flange is bent and extended at the front end of the outer case,
A door contact plate protrudes from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eccentric reinforcing member,
The fastening member is inserted into the rear surface of the front door by sequentially passing through the fastening flange and the door contact plate.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편심 보강 부재는,
상기 아우터 케이스에 의하여 감싸지는 실내 노출부와,
상기 장착홀에 삽입되는 매립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실내 노출부와 상기 매립부는 상기 도어 밀착판에 의하여 구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관용 냉장고.
The method of claim 3,
The eccentric reinforcing member,
An indoor exposed portion wrapped by the outer case,
Further comprising a buried portion inserted into the mounting hole,
The indoor exposed part and the buried part are partitioned by the door contact plate.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매립부의 외주면에 끼워지는 지지 프레임을 더 포함하는 현관용 냉장고.
The method of claim 4,
Door refrigerator further comprising a support frame fitted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embedding part.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프레임은,
상기 매립부의 외주며에 끼워지는 프레임 바디와,
상기 프레임 바디의 후단에서 절곡 연장되고, 상기 도어 밀착판에 밀착되는 후단 절곡부를 포함하는 현관용 냉장고.
The method of claim 5,
The support frame,
A frame body fitted to the outer periphery of the buried part,
A door refrigerator including a rear bent portion bent and extended from a rear end of the frame body and in close contact with the door contact plate.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 부재는 상기 체결 프랜지와, 상기 도어 밀착판, 및 상기 후단 절곡부를 차례로 관통하여 상기 현관 도어의 배면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관용 냉장고.
The method of claim 6,
The fastening member is inserted into the rear surface of the front door by sequentially passing through the fastening flange, the door contact plate, and the rear bent portion.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현관 도어의 배면에는 상기 도어 밀착판의 윤곽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단차 또는 함몰되는 안착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관용 냉장고.
The method of claim 7,
An entrance refrigerator, characterized in that a seating portion that is stepped or recess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an outline of the door contact plate is formed on a rear surface of the entrance door.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 부재는 상기 안착부의 내측 가장자리에 해당하는 상기 현관 도어의 배면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관용 냉장고.
The method of claim 8,
The fastening member is an entrance refrigerator, characterized in that inserted into the rear surface of the entrance door corresponding to the inner edge of the seating portio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냉기 공급 장치는,
흡열면과 발열면을 형성하는 열전 소자와,
상기 흡열면에 접촉하는 콜드 싱크와,
콜드 싱크의 상측에 놓이는 흡열팬과,
상기 발열면에 접촉하는 히트 싱크와,
상기 히트 싱크의 하측에 놓이는 방열팬과,
상기 콜드 싱크와 히트 싱크 사이에 배치되어 열전달을 차단하는 단열재를 포함하는 현관용 냉장고.
The method of claim 1,
The cold air supply device,
A thermoelectric element forming a heat absorbing surface and a heat generating surface,
A cold sink in contact with the heat absorbing surface,
A heat absorbing fan placed on the upper side of the cold sink,
A heat sink in contact with the heating surface,
A heat dissipation fan placed under the heat sink,
Door refrigerator comprising an insulating material disposed between the cold sink and the heat sink to block heat transfer.
KR1020190113856A 2019-09-17 2019-09-17 Refrigerator installed at an entrance of the place KR20210032630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3856A KR20210032630A (en) 2019-09-17 2019-09-17 Refrigerator installed at an entrance of the pla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3856A KR20210032630A (en) 2019-09-17 2019-09-17 Refrigerator installed at an entrance of the plac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32630A true KR20210032630A (en) 2021-03-25

Family

ID=752226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13856A KR20210032630A (en) 2019-09-17 2019-09-17 Refrigerator installed at an entrance of the pla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32630A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33394A (en) 2009-09-25 2011-03-31 조영택 A refrigerator attached a front door or a gat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33394A (en) 2009-09-25 2011-03-31 조영택 A refrigerator attached a front door or a gat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9893730U (en) Refrigerator with freezing chamber returning air at front side of cooling chamber
EP2921805B1 (en) Refrigerator
RU2443950C2 (en) Refrigerator
KR102462679B1 (en) Refrigerator
EP3699525B1 (en) Entrance refrigerator
KR20210032630A (en) Refrigerator installed at an entrance of the place
CN111609652B (en) Entrance refrigerator and refrigerator
KR20210032631A (en) Refrigerator installed at an entrance of the place
KR20210032627A (en) Refrigerator installed at an entrance of the place
US6014868A (en) Refrigerator with improved cold air supply structure
KR20210032628A (en) Refrigerator installed at an entrance of the place
JP5603620B2 (en) Cooling storage
CN108204700B (en) Refrigerator with a door
US11525609B2 (en) Entrance refrigerator
JP6744383B2 (en) refrigerator
CN113063260B (en) Refrigerator for vestibule
CN209893740U (en) Refrigerator with a door
JP3600579B2 (en) refrigerator
CN106595179B (en) Air-cooled refrigeration equipment with transparent display area at top
US20040226314A1 (en) Under-counter refrigerator
EP3699531A1 (en) Entrance refrigerator
JP2020125903A (en) refrigerator
KR20210009837A (en) Refrigerator installed at an entrance of the place
CN113063254A (en) Refrigerator for vestibule
KR20210009863A (en) Refrigerator installed at an entrance of the pla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