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32038A - Method, program and system for visualizing psychological state and applying it to products - Google Patents

Method, program and system for visualizing psychological state and applying it to product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32038A
KR20210032038A KR1020190113242A KR20190113242A KR20210032038A KR 20210032038 A KR20210032038 A KR 20210032038A KR 1020190113242 A KR1020190113242 A KR 1020190113242A KR 20190113242 A KR20190113242 A KR 20190113242A KR 20210032038 A KR20210032038 A KR 202100320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duct
user
work
image
desig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13242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재원
Original Assignee
이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재원 filed Critical 이재원
Priority to KR10201901132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32038A/en
Publication of KR202100320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32038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21Item configuration or customization
    • G06K9/46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41Shopping interfaces
    • G06Q30/0643Graphical representation of items or shopp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00Arrangements for 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40Extraction of image or video featur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Fina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ultimedia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Provided are a method, a program and a system for visualizing a psychological state and applying the same to a product. The method for visualizing the psychological state and applying the same to the product includes the steps of: receiving one or more visual journals from a user, performed by a computer; generating analysis data and analysis images based on the one or more visual journals; generating a symbol design based on the one or more visual journals; and generating a product design by applying the symbol design to the product, wherein the visual journal includes a work image, text and emotion categories, the analysis data includes statistics of an emotion category, the analysis image is an image which visualizes the analysis data, and the symbol design is a combination of the work image and/or the text.

Description

심리상태를 시각화하여 상품에 적용하는 방법, 프로그램 및 시스템{METHOD, PROGRAM AND SYSTEM FOR VISUALIZING PSYCHOLOGICAL STATE AND APPLYING IT TO PRODUCTS}A method, program, and system to visualize the mental state and apply it to products {METHOD, PROGRAM AND SYSTEM FOR VISUALIZING PSYCHOLOGICAL STATE AND APPLYING IT TO PRODUCTS}

본 발명은 심리상태를 시각화하여 상품에 적용하는 방법, 프로그램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심리상태를 시각화하고, 이를 기반으로 디자인을 생성하여 상품에 적용하는 방법, 프로그램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program, and system for visualizing a mental state and applying it to a product, and more particularly, to a method, program and system for visualizing a user's mental state and creating a design based on this and applying it to a product. About.

최근 소비자들은 패션 브랜드들이 만들어 놓은 상품을 그대로 구매하는 것보다 개성있는 본인의 스타일이 반영된 상품을 구매하는 것을 추구한다. 이러한 추세에 따라 소비자 개개인별로 커스터마이징(customizing)된 상품들에 대한 인기가 높다. 즉, 소비자들은 대중성이 있는 인기 상품 등과 차별화되어 희소성 있는 상품들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다.Recently, consumers seek to purchase products that reflect their unique style rather than buying products made by fashion brands as they are. According to this trend, products customized for each individual consumer are highly popular. In other words, consumers are becoming more interested in scarce products as they are differentiated from popular products that are popular.

이에 따라 패션 브랜드들은 변화된 소비 시장 및 소비자의 구매 욕구에 발맞춰서 소비자의 감성과 감각이 반영될 수 있는 상품 및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예를 들어, 패션 브랜드들은 기존에 판매하던 상품들을 제작된 형태 그대로 판매하기 보다는 해당 상품들의 일부에 구매자의 이름, 이니셜, 원하는 문구 등이 삽입된 형태로 판매하는 서비스를 개발에 몰두하고 있으며, 이러한 서비스가 제공되는 대상 품목들도 제한없이 확대되고 있다.Accordingly, fashion brands are striving to provide products and services that can reflect consumers' emotions and sensations in line with the changed consumption market and consumers' purchase desires. For example, fashion brands are concentrating on developing a service that sells existing products in the form of inserting the buyer's name, initials, and desired phrases into some of the products rather than selling them as they were manufactured. The target items for which services are provided are also expanding without limitation.

한편, 현대인들은 자신의 감정 상태에 대해 타인과 공유하고자 하는 욕구가 크다. 이를 위해 현대인들은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ocial Network Service; SNS) 등을 통해 온라인상에서도 이미지, 동영상, 텍스트 등을 활용하여 자신이 현재 느끼는 기분, 감정들에 대해 자유롭게 표현한다. 또한, 다른 사람들이 업로드한 게시물 등을 감상하며 해당하는 감정에 공감하거나, 해당 게시물로부터 영감을 얻기도 한다.On the other hand, modern people have a great desire to share their emotional state with others. To this end, modern people freely express their current moods and emotions by using images, videos, and texts online through social network services (SNS). They also appreciate posts uploaded by other people, sympathize with the feelings, or get inspiration from those posts.

공개특허공보 제10-2001-0000244호, 2001.01.05Unexamined Patent Publication No. 10-2001-0000244, 2001.01.05

종래의 커스터마이징 시스템 및 제품들은 개인의 개성, 스토리 등을 깊이있게 반영하지 못하고, 단순히 이름, 이니셜 등을 삽입하는 형태에 국한되어 있다.Conventional customizing systems and products do not reflect an individual's personality, story, etc. in depth, and are limited to a form in which a name, initials, etc. are simply inserted.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사용자 개인의 고유한 예술적 특성, 감정 등의 심리상태를 시각화하는 방법, 프로그램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The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program, and system for visualizing the psychological state of a user's unique artistic characteristics, emotions, and the like.

또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사용자 개인의 개성 및 정체성이 반영된 디자인을 생성하고, 이를 상품에 다양한 형태로 적용할 수 있도록 하여 희소성있고 차별화된 상품 디자인을 생성하는 방법, 프로그램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In addition, the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program, and system for creating a scarce and differentiated product design by creating a design that reflects the individuality and identity of a user and applying it to a product in various forms. It is to do.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problems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problems mentioned above, and other problems that are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면에 따른 심리상태를 시각화하여 상품에 적용하는 방법은 컴퓨터에 의해 수행되는, 사용자로부터 하나 이상의 비주얼 저널(visual journal)을 입력받는 단계, 상기 하나 이상의 비주얼 저널을 기반으로 분석 데이터 및 분석 이미지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하나 이상의 비주얼 저널을 기반으로 심볼 디자인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심볼 디자인을 상품에 적용하여 상품 디자인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비주얼 저널은 작품이미지, 텍스트 및 감정 카테고리를 포함하고, 상기 분석 데이터는 상기 감정 카테고리의 통계치를 포함하고, 상기 분석 이미지는 상기 분석 데이터를 시각화한 이미지이고, 상기 심볼 디자인은 상기 작품이미지 및/또는 상기 텍스트를 조합한 것이다.A method of visualizing a mental state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described problem and applying it to a product is the step of receiving one or more visual journals from a user, performed by a computer, and the one or more visual journals. Generating analysis data and analysis images based on a journal, generating a symbol design based on the one or more visual journals, and applying the symbol design to a product to generate a product design, the visual journal Includes work image, text, and emotion category, the analysis data includes statistics of the emotion category, the analysis image is an image visualizing the analysis data, and the symbol design is the work image and/or the text It is a combination of.

상기 방법에서 상기 분석 데이터는 상기 작품이미지에 대한 특징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특징정보는 화풍, 색상, 벡터값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In the above method, the analysis data includes feature information on the work image, and the feature information includes one or more of a style, a color, and a vector value.

상기 방법은 상기 분석 데이터 및 사전 저장된 데이터베이스를 기반으로 상기 사용자의 작품이미지와 유사도가 높은 작품을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추출된 작품을 기반으로 상기 사용자에게 어드바이스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사전 저장된 데이터베이스는 전문작가의 작품에 대한 특징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유사도는 상기 전문작가의 작품에 대한 특징정보와 상기 사용자의 작품에 대한 특징정보를 비교하여 측정되는 것이다.The method further includes extracting a work having a high similarity to the work image of the user based on the analysis data and a pre-stored database, and providing advice to the user based on the extracted work, the dictionary The stored database includes characteristic information on the work of the professional artist, and the similarity is measured by comparing the characteristic information on the work of the professional artist with the characteristic information on the work of the user.

상기 방법은 다른 사용자들의 작품 중 상기 사용자의 작품에 대한 특징정보와 유사도가 높은 작품을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The method further includes providing a work having a high similarity to feature information about the work of the user, among works of other users.

상기 방법은 상기 사용자의 작품에 대한 특징정보를 기반으로 서버에 등록된 전문 작가와 매칭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The method further includes matching with a professional artist registered in the server based on feature information on the user's work.

상기 방법에서 상기 심볼 디자인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하나 이상의 비주얼 저널에 포함된 작품이미지 및 텍스트를 팔레트 형태로 제공하는 단계와, 상기 제공한 작품이미지 및 텍스트 중 각각 하나 이상이 선택되는 단계를 포함한다.Generating the symbol design in the method includes providing a work image and text included in the one or more visual journals in the form of a palette, and selecting one or more of the provided work images and text, respectively. do.

상기 방법에서 상기 심볼 디자인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에게 질문을 제공하여 답변을 입력받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In the method, generating the symbol design further includes receiving an answer by providing a question to the user.

상기 방법에서 상품 디자인을 생성하는 단계는, 2D 또는 3D 형태로 상품 이미지를 제공하는 단계와, 상기 상품 이미지 내에 상기 심볼 디자인의 배치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Generating a product design in the method includes providing a product image in a 2D or 3D form, and determining an arrangement of the symbol design in the product image.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면에 따른 심리상태를 시각화하여 상품에 적용하는 프로그램은 하드웨어인 컴퓨터와 결합되어, 상기 심리상태를 시각화하여 상품에 적용하는 방법을 실행하며 매체에 저장된다.A program that visualizes the mental state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described problem and applies it to a product is combined with a computer, which is hardware, executes a method of visualizing the mental state and applying it to a product, and is stored in the medium. .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면에 따른 심리상태를 시각화하여 상품에 적용하는 시스템은 사용자로부터 하나 이상의 비주얼 저널(visual journal)을 입력받는 입력부, 상기 하나 이상의 비주얼 저널을 기반으로 분석 데이터 및 분석 이미지를 생성하는 분석부, 상기 하나 이상의 비주얼 저널을 기반으로 심볼 디자인을 생성하는 심볼 디자인 생성부 및 상기 심볼 디자인을 상품에 적용하여 상품 디자인을 생성하는 상품 디자인 생서부를 포함하고, 상기 비주얼 저널은 작품이미지, 텍스트 및 감정 카테고리를 포함하고, 상기 분석 데이터는 상기 감정 카테고리의 통계치를 포함하고, 상기 분석 이미지는 상기 분석 데이터를 시각화한 이미지이고, 상기 심볼 디자인은 상기 작품이미지 및/또는 상기 텍스트를 조합한 것이다.The system for visualizing the mental state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 and applying it to a product is an input unit that receives one or more visual journals from a user, and analyzes based on the one or more visual journals. An analysis unit that generates data and analysis images, a symbol design generation unit that generates a symbol design based on the one or more visual journals, and a product design creation unit that generates a product design by applying the symbol design to a product, the The visual journal includes work images, text and emotion categories, the analysis data includes statistics of the emotion category, the analysis image is an image visualizing the analysis data, and the symbol design is the work image and/or It is a combination of the above texts.

상기 본 발명에 의하면, 커스터마이징 디자인을 제작하는데 있어서 단순히 이름, 이니셜 등을 삽입하는 것에 그치지 않고 개인의 고유한 예술적 특성, 감정 등의 심리상태를 시각화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creating a custom design, not only inserting a name, initials, etc., but also visualizing an individual's unique artistic characteristics and psychological states such as emotions.

또한, 상기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 개인의 개성 및 정체성이 반영된 디자인을 상품에 적용한 상품 디자인을 컴퓨터가 자동으로 또는 사용자에 의해 수동으로 편리하게 생성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product design in which a design reflecting a user's individual personality and identity is applied to a product can be conveniently generated by the computer automatically or manually by the user.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effects mentioned above,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심리상태를 시각화하여 상품에 적용하는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심리상태를 시각화하여 상품에 적용하는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주얼 저널의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심볼 디자인의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품 이미지 및 상품 디자인의 예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석 이미지의 예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사도 높은 작품을 추출하고 어드바이스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심리상태를 시각화하여 상품에 적용하는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른 사용자들의 작품 중 유사도가 높은 작품을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심리상태를 시각화하여 상품에 적용하는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에 등록된 전문작가와 매칭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심리상태를 시각화하여 상품에 적용하는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of a system for visualizing a mental state and applying it to a produc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flowchart schematically showing a method of visualizing a mental state and applying it to a produc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n exemplary diagram of a visual jour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n exemplary diagram of a symbol desig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n exemplary diagram of a product image and product desig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n exemplary diagram of an analysis ima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flowchart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method of visualizing a mental state and applying it to a product, further comprising extracting works with high similarity and providing ad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flowchart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method of visualizing a mental state and applying it to a product,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providing a work having a high similarity among works of other user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flowchart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method of visualizing a mental state and applying it to a product,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matching with a professional artist registered in the ser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본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method of achieving them will become apparent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in detail together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but may be implemented in a variety of different forms. It is provided to fully inform the skilled person of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한 도면 부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하며, "및/또는"은 언급된 구성요소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The term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re for describing exemplary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In this specification, the singular form also includes the plural form unless specifically stated in the phrase. As used herein, “comprises” and/or “comprising” do not ex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elements other than the mentioned elem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the same elements, and "and/or" includes each and all combinations of one or more of the mentioned elements. Although "first", "second", and the like are used to describe various elements, it goes without saying that these elements are not limited by these terms. These terms are only used to distinguish one component from another component. Therefore, it goes without saying that the first component mentioned below may be the second component within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otherwise defined, all terms (including technical and scientific term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may be used with meanings that can be commonly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In addition, terms defined in a commonly used dictionary are not interpreted ideally or excessively unless explicitly defined specifically.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심리상태를 시각화하여 상품에 적용하는 시스템의 구성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of a system for visualizing a mental state and applying it to a produc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심리상태를 시각화하여 상품에 적용하는 시스템(10)은 입력부(11), 심볼 디자인 생성부(12), 상품 디자인 생성부(13) 및 분석부(14)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1, a system 10 for visualizing a mental state and applying it to a produc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input unit 11, a symbol design generation unit 12, a product design generation unit 13, and analysis. Includes part 14.

시스템(10)은 서버의 형태로 구축될 수 있고, 입력부(11), 심볼 디자인 생성부(12), 상품 디자인 생성부(13) 및 분석부(14) 전체가 하나의 서버로 운영되거나 각각 또는 일부가 별도의 서버로 운영될 수 있다.The system 10 may be constructed in the form of a server, and the input unit 11, the symbol design generation unit 12, the product design generation unit 13, and the analysis unit 14 are all operated as one server, or each or Some may be operated as separate servers.

입력부(11)는 외부로부터 데이터를 입력받는 역할을 한다. 외부로부터 입력받는 데이터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받는 데이터와 시스템(10)의 관리자로부터 입력받는 데이터가 있다.The input unit 11 serves to receive data from the outside. Data received from the outside includes data input from a user and data input from an administrator of the system 10.

사용자로부터 입력받는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비주얼 저널(Visual journal)을 포함한다. "비주얼 저널(Visual journal)"은 특정 주제나 전문분야를 다루는 신문이나 잡지, 학술지, 일기(Diary) 등의 저널로서 시각화된 이미지를 포함하는 형태의 기록물이다. 비주얼 저널은 필요에 따라 다양한 입력 항목을 포함할 수 있다.Data received from the user includes one or more visual journals. "Visual journal" is a journal that deals with a specific subject or field of expertise, such as newspapers, magazines, journals, and diaries, and is a type of record including visualized images. The visual journal can contain various input items as needed.

사용자는 지속적으로 하나 이상의 비주얼 저널(20)을 입력한다. 사용자로부터 입력받는 비주얼 저널(20)은 해당 사용자의 예술적 특징, 감정 등의 심리상태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기록물이다. 사용자는 제공되는 비주얼 저널 양식에 포함된 입력 항목을 작성함에 따라 감상한 콘텐츠에 대해 느낀 감정 및 본인의 예술적 특징 등의 심리상태에 대하여 텍스트와 이미지를 활용하여 표현할 수 있다.The user continuously enters one or more visual journals 20. The visual journal 20 received from the user is a record including information on the psychological state of the user, such as artistic characteristics and emotions. As the user fills out the input items included in the provided visual journal form, the user can express the psychological state, such as his/her own artistic characteristics, and the feelings felt for the content he/she felt by using text and images.

일 실시예로, 비주얼 저널(20)은 작품이미지, 텍스트 및 감정 카테고리를 포함한다. 이 때, "작품이미지"는 사용자가 직접 작업한 작품 또는 사용자가 감상한 작품의 이미지이다. "텍스트"는 키워드, 구절, 에세이 등 문자로 구성된 항목을 포함한다. "감정 카테고리"는 복수의 카테고리(예를 들어, 희노애락애오욕(기쁨, 노여움, 슬픔, 즐거움, 사랑, 미움, 욕심)을 포함)를 포함하며, 사용자는 비주얼 저널(20)을 입력할 때마다 하나 또는 복수의 감정 카테고리를 선택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visual journal 20 includes a work image, text, and emotion categories. In this case, the "work image" is an image of a work that the user has worked on or a work that the user has enjoyed. "Text" includes items composed of letters, such as keywords, phrases, and essays. “Emotional category” includes a plurality of categories (eg, including joy, anger, sadness, joy, love, hate, greed), and each time a user enters the visual journal 20 One or more emotion categories can be selected.

구체적인 예로, 비주얼 저널은 1) 사용자가 감상한 콘텐츠의 명칭, 2) 작성 일자, 3) 사용자 성명, 4) 사용자가 콘텐츠로부터 인상 깊었던 또는 영감을 얻은 텍스트 구절이나 키워드, 5) 키워드 입력 항목을 형상화하고 사용자의 예술적 특성 또는 감정 등의 심리상태를 시각적으로 표현하는 작품이미지(선, 도형, 색상을 포함) 6) 상기 이미지와 관련하여 사용자가 느끼는 현재 감정 카테고리(복수 선택 가능), 7) 상기 이미지와 관련하여 사용자가 느끼는 감정과 생각(에세이)을 입력 항목으로 포함하는 그림일기 형태의 양식으로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As a specific example, a visual journal embodies 1) the name of the content that the user enjoyed, 2) the date of creation, 3) the user's name, 4) a text phrase or keyword that the user was impressed or inspired by, and 5) the keyword input item. And a work image that visually expresses the user's artistic characteristics or psychological state such as emotions (including lines, figures, and colors) 6) the current emotion category that the user feels in relation to the image (multiple selections possible), 7) the image In relation to this, it may be provided to the user in a form in the form of a picture diary including emotions and thoughts (essays) felt by the user as input items.

한편, 비주얼 저널의 입력 방식은 온라인 방식 및 오프라인 방식이 가능하다. 온라인 방식의 경우, 사용자는 온라인 상에 표시된 입력창에서 제공된 입력 항목들을 순서대로 입력한다. 오프라인 방식의 경우, 사용자는 정해진 양식에 따라 오프라인에서 작성한 비주얼 저널을 스캔 또는 촬영하여 켑쳐된 이미지 형태로 업로드한다. 이 경우, 시스템(10)은 광학 문자 인식(Optical character recognition; OCR)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업로드한 이미지에 포함된 텍스트를 인식하고 입력 항목별로 데이터를 저장 및 관리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input method of the visual journal can be an online method or an offline method. In the case of the online method, the user enters the input items provided in the input window displayed on the online in order. In the case of the offline method, the user scans or shoots a visual journal created offline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format and uploads it in the form of a captured image. In this case, the system 10 may recognize text included in an image uploaded by a user using optical character recognition (OCR), and store and manage data for each input item.

일 실시예로, 사용자가 일반인이 아닌 전문작가인 경우, 일반 사용자와 구별되는 전문작가로 등록하거나 시스템(10)의 관리자 측과 파트너십을 맺을 수 있다. "전문작가"는 예술계에 종사하는 전문가로서 일반인들의 작품 활동에 도움주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사람이다. 한편, 시스템(10)은 전문작가가 등록한 정보에 대한 검증 절차를 추가적으로 진행할 수 있다. 즉, 전문작가가 등록한 경력, 포트폴리오 등이 도용되거나 허위인지 여부를 검증하는 절차 및 등록된 정보를 업데이트하는 절차를 추가적으로 진행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when the user is a professional writer other than a general person, the user may register as a professional writer distinguished from the general user or establish a partnership with the administrator of the system 10. "Professional Artist" is a person who is a professional engaged in the art world and can play a role of helping the general public in their work. Meanwhile, the system 10 may additionally proceed with a verification procedure for information registered by a professional artist. That is, a procedure for verifying whether a professional writer's registered career, portfolio, etc. is stolen or false, and a procedure for updating registered information can be additionally performed.

구체적인 예로, 전문작가는 자신의 경력, 포트폴리오 등을 등록할 수 있으며, 비전문가인 사용자의 작품활동을 돕는 활동을 수행할 수 있다. 이 때, 수행한 활동에 따라 시스템(10)의 관리자나 도움받은 사용자로부터 이익을 창출하는 구조도 가능하다. 즉, 시스템(10)은 전문작가와 일반인인 사용자를 연결(매칭)해주고, 연결되어 수행된 활동에 따라 시스템(10) 자체에서 전문작가에게 대가를 지불하거나, 일반인인 사용자가 해당 전문작가에게 직접 대가를 지불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전문작가와 사용자는 시스템(10)에서 정해진 알고리즘에 따라 자동으로 연결 및 추천해줄 수 있으며, 사용자가 직접 전문작가가 등록해놓은 경력, 포트폴리오 등을 참조하여 선택 및 요청하는 것도 가능하다.As a specific example, a professional artist may register his or her career, portfolio, etc., and may perform activities that help non-professional users to work on their works. At this time, it is also possible to create a profit from the administrator of the system 10 or a user who has been helped according to the performed activity. In other words, the system 10 connects (matches) a professional artist and a general user, and the system 10 itself pays a price to the professional artist according to the connected and performed activities, or the general user directs the corresponding professional artist. It can provide a means of paying the price. On the other hand, the professional writer and the user can automatically connect and recommend according to the algorithm determined in the system 10, and the user can directly select and request by referring to the career, portfolio, etc. registered by the professional writer.

시스템(10)의 관리자로부터 입력받는 데이터는 유명 작가의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유명 작가"는 파블로 피카소, 빈센트 반 고흐, 클로드 모네, 폴 고갱 등과 같이 대중에게 널리 알려져있는 주지저명한 작가들이다. 유명 작가 리스트는 관리자가 임의로 또는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업데이트될 수 있다. 유명 작가의 데이터베이스는 유명 작가의 작품에 대한 특징정보로서 화풍, 색상, 벡터 값 등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 이와 같이 사전 저장된 유명 작가의 데이터베이스는 사용자의 작품에 대한 분석 데이터와 함께 사용자의 작품을 더 발전시키기 위한 서비스 제공에 활용된다. 제공되는 서비스로는 어드바이스 제공, 필터 효과 제공, 전문작가 매칭 서비스가 있으며, 각각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후술한다.Data input from the administrator of the system 10 may include a database of famous authors. "Famous writers" are well-known writers who are widely known to the public, such as Pablo Picasso, Vincent van Gogh, Claude Monet, and Paul Gauguin. The list of famous authors can be updated by an administrator or at the request of a user. The database of famous authors contains information on styles, colors, vector values, etc. as characteristic information on the works of famous authors. The database of famous authors stored in advance in this way is utilized to provide a service to further develop the user's work together with analysis data on the user's work. Provided services include advice provision, filter effect provision, and professional writer matching service, and detailed descriptions of each will be described later with reference to FIGS. 7 to 9.

심볼 디자인 생성부(12)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비주얼 저널를 기반으로 심볼 디자인(30)을 생성하는 역할을 한다.The symbol design generation unit 12 serves to generate the symbol design 30 based on the visual journal input from the user.

“심볼 디자인(30)"은 사용자 개인의 개성 및 정체성이 반영된 디자인으로서, 상기 비주얼 저널에 포함된 작품이미지 및/또는 텍스트를 조합하여 생성되는 디자인이다. 심볼 디자인(30)이 생성되는 과정 및 예시에 대한 상세한 내용은 후술한다.The “symbol design 30” is a design that reflects the individual's individuality and identity, and is a design created by combining work images and/or texts included in the visual journal. Details about will be described later.

상품 디자인 생성부(13)는 심볼 디자인(30)을 상품에 적용하여 상품 디자인(50)을 생성하는 역할을 한다.The product design generation unit 13 serves to generate the product design 50 by applying the symbol design 30 to the product.

"상품 디자인(50)"은 대상 상품에 심볼 디자인(30)을 적용하여 생성된 커스터마이징(Customizing) 디자인이다. 대상 상품은 의류, 악세서리, 신발 등의 심볼 디자인(30)을 적용할 수 있는 임의의 상품이다. 상품 디자인(50)은 시스템(10)에서 자동으로 생성되거나 사용자가 수동으로 직접 생성할 수 있으며, 상품 디자인(50)이 생성되는 과정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한다."Product design 50" is a customizing design created by applying the symbol design 30 to a target product. The target product is any product to which the symbol design 30 such as clothing, accessories, and shoes can be applied. The product design 50 may be automatically generated by the system 10 or may be manually generated by a user, and 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ocess of generating the product design 50 will be described later.

분석부(14)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비주얼 저널에 포함된 데이터를 분석하여 분석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분석 데이터를 기반으로 분석 이미지(60)를 생성하는 역할을 한다.The analysis unit 14 generates analysis data by analyzing data included in the visual journal input from the user, and generates an analysis image 60 based on the analysis data.

일 실시예로, 분석 데이터는 비주얼 저널(20)에 포함된 작품이미지에 대한 특징정보를 포함한다. "특징정보"는 작품이미지에 사용된 화풍, 색상, 벡터값에 대한 정보이다. 이 때, 벡터값은 작품에 포함된 선에 대한 값(예를 들어, 선의 방향, 각도 등)이다.In one embodiment, the analysis data includes characteristic information on the work image included in the visual journal 20. "Characteristic information" is information on the style, color, and vector values used in the work image. In this case, the vector value is a value for the line included in the work (for example, the direction of the line, the angle, etc.).

분석된 작품이미지의 특징정보는 유사한 화풍 스타일의 유명작가 또는 전문작가를 찾는데 이용되며, 사용자에게 작품을 발전시킬 수 있는 어드바이스를 제공하거나 전문작가를 매칭시켜주는 서비스에 활용될 수 있다. 또한, 분석된 작품이미지의 특징정보는 유사한 화풍 또는 색상을 사용하는 다른 사용자의 작품을 찾는데 이용되며, 사용자에게 유사한 스타일의 다른 사용자의 작품을 선별하여 제공하는 서비스에 활용될 수 있다.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한다.The characteristic information of the analyzed work image is used to find famous or professional writers with similar style styles, and can be used to provide advice to users to develop works or to match professional writers. In addition, the characteristic information of the analyzed work image is used to find works of other users who use similar styles or colors, and may be used for a service that selects and provides works of other users with similar styles to users. A detailed description of this will be described later.

다른 실시예로, 분석 데이터는 비주얼 저널(20)에 포함된 색상, 텍스트 및 감정 카테고리의 통계치를 포함한다. 통계치를 통해 사용자가 사용한 색상, 텍스트와 사용자가 선택한 감정 카테고리의 빈도수를 파악할 수 있다.In another embodiment, the analysis data includes statistics of color, text, and emotion categories included in the visual journal 20. Through the statistics, the color and text used by the user and the frequency of the emotion category selected by the user can be identified.

분석부(14)는 사용자가 통계치에 대한 정보를 직관적으로 파악할 수 있도록 분석 이미지(60)를 생성한다. "분석 이미지(60)"는 분석 데이터를 시각화하여 표시하는 이미지이다. 구체적인 예로, 분석 이미지(60)는 자주 사용하거나 선택하는 색상, 단어, 감정 카테고리의 점유율을 파악할 수 있는 이미지(예를 들어, 그래프, 히트맵, 워드 클라우드 등) 또는 사용자의 감정 변화를 시계열적으로 표시하는 이미지(예를 들어, 곡선 그래프, 바이오리듬 등)일 수 있으며, 상술한 예시로 한정되지 않는다. The analysis unit 14 generates an analysis image 60 so that the user can intuitively grasp the information on the statistics. The “analysis image 60” is an image that visualizes and displays analysis data. As a specific example, the analysis image 60 is an image (for example, a graph, a heat map, a word cloud, etc.) that can grasp the share of frequently used or selected colors, words, and emotion categories, or changes in the emotions of the user in time series. It may be an image to be displayed (eg, a curve graph, a biorhythm, etc.), and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xample.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심리상태를 시각화하여 상품에 적용하는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흐름도이다.2 is a flowchart schematically showing a method of visualizing a mental state and applying it to a produc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심리상태를 시각화하여 상품에 적용하는 방법은, 사용자로부터 비주얼 저널을 입력받는 단계(S100), 비주얼 저널을 기반으로 분석 데이터 및 분석 이미지를 생성하는 단계(S200), 비주얼 저널을 기반으로 심볼 디자인을 생성하는 단계(S300) 및 심볼 디자인을 상품에 적용하여 상품 디자인을 생성하는 단계(S400)를 포함한다.2, a method of visualizing a mental sta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pplying it to a product includes receiving a visual journal from a user (S100), generating analysis data and an analysis image based on the visual journal Step S200, generating a symbol design based on the visual journal (S300), and generating a product design by applying the symbol design to a product (S400).

S100 단계는 사용자로부터 비주얼 저널(20)을 입력받는 단계이다.Step S100 is a step of receiving the visual journal 20 from the user.

전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제공된 비주얼 저널 양식에 따라 온라인에서 입력 항목을 작성하거나 오프라인에서 작성하고 스캔 또는 촬영하여 이미지 형태로 업로드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user may fill out an input item online according to the provided visual journal form, or write it offline, scan or shoot, and upload it in the form of an image.

S200 단계는 비주얼 저널에 포함된 데이터를 분석하여 분석 데이터를 생성하고, 이를 시각화하여 분석 이미지(60)를 생성하는 단계이다. 분석 데이터는 사용자가 비주얼 저널(20)을 업로드할 때마다 지속적으로 축적되며, 사용자는 분석 데이터를 통해 자신의 예술적 특징, 감정 등의 심리상태를 지속적으로 관리하고 발전시킬 수 있다.Step S200 is a step of generating analysis data by analyzing data included in the visual journal, and generating an analysis image 60 by visualizing the data. Analysis data is continuously accumulated every time the user uploads the visual journal 20, and the user can continuously manage and develop his or her artistic characteristics and psychological states such as emotions through the analysis data.

분석 이미지(60)는 사용자가 상기 분석 데이터를 직관적으로 파악할 수 있도록 한다.The analysis image 60 allows the user to intuitively grasp the analysis data.

일 실시예로, 분석 데이터는 사용자의 특정 기간동안의 감정 변화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특정 기간으로서 2개월을 선택하고, 2개월 동안 사용자의 감정 카테고리별 선택 빈도수에 대한 분석 데이터를 시각화한 분석 이미지(60)로서 2개월 동안 사용자의 감정 변화를 시계열적으로 나타내는 곡선 그래프 또는 감정 카테고리의 빈도수 점유율을 나타내는 원 그래프 형태로 제공받을 수 있다.In an embodiment, the analysis data may include a change in emotion of the user during a specific period. For example, the user selects 2 months as a specific period, and is an analysis image 60 that visualizes analysis data on the frequency of selection for each emotion category of the user for 2 months. It may be provided in the form of a curve graph or a circle graph indicating the frequency share of the emotion category.

S300 단계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비주얼 저널에 포함된 작품이미지 및/또는 텍스트를 조합하여 심볼 디자인(30)을 생성하는 단계이다.Step S300 is a step of creating the symbol design 30 by combining the work image and/or text included in the visual journal received from the user.

S300 단계에서 심볼 디자인(30)은 자동, 반자동 또는 수동으로 생성될 수 있다. 이하, 각각의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In step S300, the symbol design 30 may be generated automatically, semi-automatically or manually. Hereinafter, each case will be described.

심볼 디자인(30)이 자동으로 생성되는 경우, 시스템(10)이 입력받은 비주얼 저널(20)에 포함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하여 자동으로 심볼 디자인(30)을 생성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시스템(10)은 비주얼 저널(20)에 포함된 작품이미지 및/또는 텍스트를 조합하여 복수의 디자인을 생성한다. 시스템(10)은 작품이미지의 전부 또는 일부와 텍스트를 조합할 수 있다. 시스템(10)은 작품이미지의 특징정보(예를 들어, 화풍, 색상, 벡터값 등)와 어울리는 키워드를 조합하기 위해 인공지능, 머신러닝, 딥러닝 등의 기술을 적용될 수 있다.When the symbol design 30 is automatically generated, the system 10 automatically generates the symbol design 30 based on the data included in the input visual journal 20 and provides it to the user. The system 10 creates a plurality of designs by combining work images and/or texts included in the visual journal 20. The system 10 may combine text with all or part of the work image. The system 10 may apply technologies such as artificial intelligence, machine learning, and deep learning to combine keywords that match the feature information (eg, style, color, vector value, etc.) of the work image.

일 실시예로, 시스템(10)이 심볼 디자인(30)을 자동으로 생성하는 과정을 사용자에게 표시할 수 있다. 시스템(10)은 사용자가 입력했던 비주얼 저널(20)에 포함된 작품이미지, 텍스트, 감정 카테고리 등을 팔레트 형식으로 제공하고, 그 중 일부를 선별하여 조합하는 과정을 사용자에게 표시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process of automatically generating the symbol design 30 by the system 10 may be displayed to the user. The system 10 may provide a work image, text, emotion category, etc. included in the visual journal 20 input by the user in the form of a palette, and display a process of selecting and combining some of them to the user.

시스템(10)이 자동으로 생성하여 제공하는 심볼 디자인(30)은 하나 또는 복수일 수 있으며 그 개수에 제한이 없다. 따라서, 사용자는 시스템(10)이 자동 생성하여 제공하는 복수의 심볼 디자인(30) 중 하나 이상을 선택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사용자가 제공된 심볼 디자인(30)에 만족하지 않는 경우, 시스템(10)이 다시 새로운 심볼 디자인(30)을 생성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며, 사용자는 만족하는 디자인이 생성될 때까지 반복할 수 있다.The number of symbol designs 30 automatically generated and provided by the system 10 may be one or more, and the number thereof is not limited. Accordingly, the user may select one or more of a plurality of symbol designs 30 automatically generated and provided by the system 10. In addition, if the user is not satisfied with the provided symbol design 30, it is possible to cause the system 10 to create a new symbol design 30 again, and the user may repeat until a satisfactory design is generated. .

심볼 디자인(30)이 반자동으로 생성되는 경우, 사용자는 시스템(10)의 도움을 받으며 직접 심볼 디자인(30)을 생성하거나, 시스템(10)이 사용자로부터 심볼 디자인(30)을 생성하는데 이용할 수 있는 추가적인 정보를 입력받거나 사용자의 수정 요청 사항을 반영하며 심볼 디자인(30)을 생성할 수 있다.When the symbol design 30 is generated semi-automatically, the user can directly generate the symbol design 30 with the help of the system 10, or the system 10 can use it to generate the symbol design 30 from the user. The symbol design 30 may be generated by receiving additional information or reflecting the user's request for modification.

일 실시예로, 시스템(10)은 사용자로부터 특정 사항에 대해 조건을 입력받고 조건에 만족하는 심볼 디자인(30)을 생성할 수 있다. 사용자는 텍스트 단독, 이미지 단독, 또는 텍스트와 이미지의 조합, 색상의 개수, 또는 색상 값 등과 관련한 조건을 입력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로, 사용자는 심볼 디자인(30)에 텍스트없이 이미지만 삽입되도록 설정하고, 이미지에 포함되는 색상의 개수를 2가지로 제한하고, 메인 색상을 빨간색, 보조 색상을 파란색으로 설정할 수 있다. 시스템(10)은 해당 조건을 만족하는 형태의 심볼 디자인(30)만 생성하여 제공하게 된다.In an embodiment, the system 10 may receive a condition for a specific item from a user and generate a symbol design 30 that satisfies the condition. The user may input conditions related to text alone, image alone, or a combination of text and image, the number of colors, or color values. As a specific example, the user may set the symbol design 30 to insert only an image without text, limit the number of colors included in the image to two, and set the main color to red and the auxiliary color to blue. The system 10 generates and provides only the symbol design 30 in the form that satisfies the corresponding condition.

또 다른 실시예로, 사용자가 심볼 디자인(30)의 일부분만 직접 제작하고 추가적인 구성에 대해 시스템(10)이 자동으로 생성할 수 있도록 요청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로, 사용자가 심볼 디자인(30)에 포함될 텍스트 부분만을 수동으로 제작한 뒤에 시스템(10)이 이미지를 자동으로 추가하여 해당 텍스트 부분을 포함하는 심볼 디자인(30)을 생성할 수 있다.In another embodiment, a user may directly produce only a portion of the symbol design 30 and request that the system 10 automatically generate additional configurations. As a specific example, after the user manually produces only a text portion to be included in the symbol design 30, the system 10 may automatically add an image to generate the symbol design 30 including the text portion.

또 다른 실시예로, 시스템(10)은 사용자로부터 추가 정보를 입력받기 위해 사전 저장된 질문을 제공하여 답변을 입력받을 수 있다. 구체적인 예로, 시스템(10)은 사용자에게 "xx님이 인생에서 가장 소중하게 생각하는 가치는 무엇인가요? (키워드 및 이미지를 포함하여 5개 이내로 작성해주세요.)"라는 질문을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는 해당 질문에 대해 키워드 및 이미지로 답변을 입력한다. 시스템(10)은 사용자가 입력한 답변을 기반으로 입력된 키워드 및 이미지가 반영된 심볼 디자인(30)을 생성한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제공된 질문에 대답하기 위해 스스로 고민하고 생각하게 되어 사용자의 개성 및 정체성이 보다 정확히 반영된 디자인을 생성할 수 있게 된다.In another embodiment, the system 10 may receive an answer by providing a pre-stored question in order to receive additional information from the user. As a specific example, the system 10 may provide a question to the user, "What is the most valuable value of xx in your life? (Please write within 5 items including keywords and images.)". The user enters an answer to the question with keywords and images. The system 10 generates a symbol design 30 in which the input keyword and image are reflected based on the answer input by the user. Through this, users will be able to think and think for themselves in order to answer the questions provided, so that a design that more accurately reflects the user's personality and identity can be created.

심볼 디자인(30)이 수동으로 생성되는 경우, 사용자는 자유롭게 심볼 디자인(30)을 직접 제작할 수 있다. 이 경우, 일반적인 입력수단인 마우스, 키보드를 포함하여 터치 패드(Touch pad), 터치 스크린(Touch screen), 펜 태블릿(Pen tablet) 등 임의의 입력수단을 이용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는 수동으로 작업 도중에 수동 작업을 멈추고 제작된 부분을 포함하는 심볼 디자인(30)이 자동으로 생성되도록(반자동으로 생성되는 경우) 하는 것도 가능하다.When the symbol design 30 is manually generated, the user can freely create the symbol design 30 directly. In this case, any input means such as a touch pad, a touch screen, and a pen tablet may be used, including a mouse and a keyboard, which are general input means. On the other hand, it is also possible for the user to manually stop the manual work in the middle of the work and automatically generate the symbol design 30 including the produced part (if it is generated semi-automatically).

S400 단계는 생성된 심볼 디자인(30)을 상품에 적용하여 상품 디자인(50)을 생성하는 단계이다. S400 단계는 2D 또는 3D 형태로 상품 이미지(40)를 제공하는 단계와 상기 상품 이미지 내에 상기 심볼 디자인의 배치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Step S400 is a step of generating a product design 50 by applying the generated symbol design 30 to a product. Step S400 includes providing a product image 40 in a 2D or 3D form and determining an arrangement of the symbol design in the product image.

“상품 이미지”는 심볼 디자인(30)이 적용되기 전 상품 본연의 이미지이다.The “product image” is the original product image before the symbol design 30 is applied.

시스템(10)은 상품 카테고리별로 상품 이미지(40)를 저장 및 관리한다. 시스템(10)은 대상 상품의 상품 이미지(40)를 2D 또는 3D 형태로 제공한다. 시스템(10)은 제공된 상품 이미지(40) 내에서 심볼 디자인(30)이 배치된 상품 디자인(50)을 생성한다.The system 10 stores and manages product images 40 for each product category. The system 10 provides the product image 40 of the target product in 2D or 3D form. The system 10 creates a product design 50 in which the symbol design 30 is placed within the provided product image 40.

일 실시예로, 상품 이미지(40) 내에서 심볼 디자인(30)의 배치는 시스템(10)에 의해 자동으로 결정될 수 있다. 시스템(10)은 인공지능, 머신러닝, 딥러닝 등의 기술을 이용하여 사용자들이 자주 삽입하는 위치 및 형태를 학습하여 심볼 디자인(30)의 배치를 결정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로, 대상상품이 티셔츠인 경우, 티셔츠의 앞면의 정중앙에 이미지를 삽입한 상품 디자인이 사용자들에 의해 다수 생성될 수 있다. 시스템(10)은 이를 참조하여 상품 디자인을 자동으로 생성하여, 임의의 위치에 심볼 디자인(30)이 배치되는 것보다 사용자가 만족할 가능성이 높은 상품 디자인(50)을 생성할 수 있게 된다.In one embodiment, the placement of the symbol design 30 within the product image 40 may be automatically determined by the system 10. The system 10 may determine the arrangement of the symbol design 30 by learning the positions and shapes frequently inserted by users using technologies such as artificial intelligence, machine learning, and deep learning. As a specific example, when the target product is a T-shirt, a number of product designs with images inserted in the center of the front of the T-shirt may be generated by users. The system 10 automatically generates a product design with reference to this, so that a product design 50 that is more likely to be satisfied by a user than the symbol design 30 is disposed at an arbitrary location can be generated.

다른 실시예로, 상품 이미지(40) 내에서 심볼 디자인(30)의 배치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정보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직접 심볼 디자인(30)을 삽입할 위치 및 형태를 결정할 수 있다. 사용자는 제공된 상품 이미지(40) 내에서 자유롭게 심볼 디자인(30) 이미지를 이동 및 배치하며 상품 디자인을 생성하게 된다.In another embodiment, the arrangement of the symbol design 30 in the product image 40 may be determined according to information input from the user. That is, the user can directly determine the location and shape to insert the symbol design 30. The user freely moves and arranges the symbol design 30 image within the provided product image 40 to create a product design.

한편, 도 2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일 실시예로, 시스템(10)이 생성된 상품 디자인(50)이 반영된 제품을 상품화하여 판매할 수 있는 판매 시스템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Meanwhile, although not shown in FIG. 2, in an embodiment, the system 10 may serve as a sales system capable of commercializing and selling a product reflecting the generated product design 50.

구체적인 예로, 사용자는 시스템(10)의 관리자와 계약하여, 시스템(10)을 통해 생성된 심볼 디자인(30)을 상품에 적용하여 판매할 수 있는 권한을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시스템(10)은 판매자가 상품화 완료된 상품들을 게시할 수 있고, 구매자가 게시된 상품들을 살펴보고 구매 요청 및 결제를 진행할 수 있도록 하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를 통해, 각각의 사용자가 본인의 심볼 디자인(30)이 적용된 상품 디자인(50)을 생성하는데 그치지 않고, 해당 상품 디자인(50)이 적용된 상품을 실제로 상품화하여 판매할 수 있는 기회까지 가질 수 있게 되므로 작품 활동의 동기부여가 된다.As a specific example, the user may obtain the right to sell by applying the symbol design 30 generated through the system 10 to a product by contracting with the administrator of the system 10. In addition, the system 10 may provide a service that enables a seller to post products that have been commercialized, and to allow a buyer to view the posted products and to make a purchase request and payment. Through this, each user can not only create the product design 50 to which his or her symbol design 30 is applied, but also have an opportunity to actually commercialize and sell the product to which the product design 50 is applied. It is a motivation for the work of the art.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주얼 저널의 예시도이다.3 is an exemplary diagram of a visual jour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시스템(10)은 비주얼 저널(20)의 예로 그림일기 형태의 양식을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사용자는 그림일기 형태로 제공되는 양식에 포함된 입력 항목을 순서대로 작성할 수 있다.The system 10 provides a form in the form of a picture diary as an example of the visual journal 20 to the user, and the user may sequentially write input items included in the form provided in the form of a picture diary.

도 3의 일 실시예를 참조하면, 그림일기는 제목, 날짜, 이름, 키워드, 작품, 감정 카테고리 및 에세이 입력 항목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시스템(10)은 각 항목을 필수 기재 항목 및 선택 기재 항목으로 구분하여 제공할 수 있다.Referring to the exemplary embodiment of FIG. 3, the picture diary may include a title, a date, a name, a keyword, a work, an emotion category, and an essay input item. Meanwhile, the system 10 may provide each item by dividing it into an essential item and an optional item.

이와 같이 사용자는 정해진 항목들에 맞는 정보를 입력하는 과정을 통해 자신의 예술적 특징, 감정 등의 심리상태에 대해 자연스럽게 표현하고 관련 정보를 입력하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심리상태를 어떻게 표현할지 고민하지 않고 자신의 심리상태에 대해 입력할 수 있다.In this way, the user naturally expresses his or her artistic characteristics and psychological state such as emotions and inputs relevant information through the process of inputting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predetermined items. Therefore, the user can input his/her mental state without worrying about how to express the mental state.

사용자는 누적하여 그림일기 형태의 심리상태 데이터를 입력함으로써, 자신의 감정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고, 개인의 정체성 및 자아가 투사된 본인만의 고유한 예술 스타일을 찾아갈 수 있다. 또한, 미술치료와 같이 예술활동을 통해 창의력, 유연한 사고, 자아탄력성, 자존감, 인성, 안정감, 스트레스 대처 능력 등을 개발할 수 있다.By accumulating and inputting psychological state data in the form of a picture diary, users can continuously monitor their emotions and find their own unique artistic style in which their individual identity and self are projected. Also, through artistic activities like art therapy, creativity, flexible thinking, self-resilience, self-esteem, personality, sense of stability, and stress coping ability can be developed.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심볼 디자인의 예시도이다.4 is an exemplary diagram of a symbol desig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에는, 사용자가 비주얼 저널(20)에 입력한 작품 이미지의 일부와 키워드 중 하나인 '비겁함'을 조합한 심볼 디자인(30)이 도시되어 있다. 이와 같이 작품이미지는 일부 또는 전부가 이용될 수 있으며, 텍스트로서 삽입된 키워드의 글씨체, 크기 및 형태는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다.In FIG. 4, a symbol design 30 in which a part of an image of a work input by a user into the visual journal 20 and'cowardice', which is one of keywords, are combined is shown. In this way, part or all of the work image can be used, and the font, size, and shape of the keyword inserted as text can be applied in various ways.

또한, 도 4에는 편의상 이미지와 키워드가 조합된 형태의 심볼 디자인(30)만 도시하였으나, 텍스트는 키워드로 한정되지 않고 문장, 문단일 수 있으며, 텍스트 단독 또는 이미지 단독으로 생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심볼 디자인(30)이 생성되는 방법 및 과정에 대한 내용은 전술한 것과 중복되므로 생략한다.In addition, although only the symbol design 30 in the form of a combination of an image and a keyword is shown in FIG. 4 for convenience, the text is not limited to a keyword, but may be a sentence or a paragraph, and it is possible to generate a text alone or an image alone. The description of the method and the process of generating the symbol design 30 is omitted since it is redundant with that described above.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품 이미지 및 상품 디자인의 예시도이다.5 is an exemplary diagram of a product image and product desig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상 상품이 티셔츠인 경우, 심볼 디자인(30)이 적용되기 전 상품 본연의 이미지인 티셔츠 형태의 상품 이미지(40)가 제공된다. 상품 이미지(40) 내에서 티셔츠 앞면의 중앙에 심볼 디자인(30)을 배치하기로 결정되었다면 해당 내용이 적용된 상품 디자인(50)이 생성된다.As shown in FIG. 5, when the target product is a T-shirt, a product image 40 in the form of a T-shirt, which is the original image of the product before the symbol design 30 is applied, is provided. If it is determined to place the symbol design 30 in the center of the front of the T-shirt within the product image 40, the product design 50 to which the corresponding content is applied is generated.

전술한 바와 같이, 상품 디자인(50)은 시스템(10)에 의해 자동으로 생성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수동으로 생성될 수 있으며, 상세한 내용은 중복되므로 생략한다.As described above, the product design 50 may be automatically generated by the system 10 or manually generated by a user, and detailed information is omitted since it is redundant.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석 이미지의 예시도이다.6 is an exemplary diagram of an analysis ima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을 참조하면, 시스템(10)은 사용자가 2개월동안 선택한 감정 카테고리를 기반으로 원형 차트 형태의 분석 이미지(60)를 생성하여 제공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6, the system 10 may generate and provide an analysis image 60 in the form of a pie chart based on the emotion category selected by the user for 2 months.

사용자는 본인이 2개월 동안 가장 많이 선택한 감정 카테고리를 한 눈에 확인할 수 있으며, 설정 기간을 달리하며 단기간, 장기간에 따른 감정 변화를 파악할 수 있다.The user can check at a glance the emotion category that the user has selected the most for two months, and can grasp the change of emotions over a short period of time and a long period of time by varying the setting period.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사도 높은 작품을 추출하고 어드바이스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심리상태를 시각화하여 상품에 적용하는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흐름도이다.7 is a flowchart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method of visualizing a mental state and applying it to a product, further comprising extracting works with high similarity and providing ad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와 비교하여 더 추가된 단계를 중심으로 설명한다.Compared with FIG. 2, a further step will be described.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심리상태를 시각화하여 상품에 적용하는 방법은 분석 데이터 및 사전 저장된 데이터베이스를 기반으로 사용자의 작품과 유사도가 높은 작품을 추출하는 단계(S210) 및 추출된 작품을 기반으로 사용자에게 어드바이스를 제공하는 단계(S220)를 더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7, a method of visualizing a mental sta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pplying it to a product includes extracting a work having a high similarity to a user's work based on analysis data and a pre-stored database (S210), and It further includes a step (S220) of providing advice to the user based on the extracted work.

S210 단계는 시스템(10)이 사용자의 작품에 대한 특징정보를 분석한 데이터를 바탕으로 사전 저장된 데이터베이스에 포함된 전문작가, 유명작가 및 다른 사용자들의 작품에 대한 특징정보와 유사도를 측정하고, 유사도가 높은 작품을 추출하는 단계이다.In step S210, the system 10 measures the feature information and similarity of the works of professional writers, famous writers, and other users included in the database stored in advance based on the data obtained by analyzing the feature information of the user's work. It is the stage of extracting high works.

사전 저장된 데이터베이스는 유명 작가의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유명 작가는 파블로 피카소, 빈센트 반 고흐, 클로드 모네, 폴 고갱 등과 같이 대중에게 널리 알려져있는 주지저명한 작가들이다. 유명 작가 리스트는 관리자가 임의로 또는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업데이트할 수 있다. 유명 작가의 데이터베이스는 유명 작가의 작품에 대한 특징정보로서 화풍, 색상, 벡터값에 대한 정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The pre-stored database includes databases of famous authors. As mentioned above, famous writers are well-known writers who are widely known to the public, such as Pablo Picasso, Vincent van Gogh, Claude Monet, and Paul Gauguin. The list of famous authors can be updated by the administrator arbitrarily or at the request of the user. The database of famous authors is characteristic information on the works of famous authors, and includes at least one of information on style, color, and vector values.

일 실시예로, 유사도에 사용되는 작품에 대한 특징정보는 해당 작품에 이용된 화풍, 색상, 벡터값 중 하나 이상일 수 있다. 시스템(10)은 상기 특징정보를 수치화하고 비교 및 분석하여 % 단위의 유사도를 제공할 수 있다. 유사도 측정을 위해 특징 정보를 수치화하고, 항목당 가중치를 부여하거나, 연산하는 과정에 대해서는 제한이 없다.In an embodiment, the feature information on a work used for similarity may be one or more of a style, color, and vector value used in the work. The system 10 may provide a degree of similarity in percent by quantifying, comparing, and analyzing the characteristic information. There are no restrictions on the process of quantifying feature information, assigning weights per item, or calculating for similarity measurement.

시스템(10)은 측정된 유사도가 설정된 유사도보다 높은 작품들을 선별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설정된 유사도는 추천되는 작품의 수를 조정하기 위해 시스템(10)의 관리자가 설정하거나, 사용자가 직접 원하는대로 설정할 수 있다.The system 10 selects works with a measured similarity higher than the set similarity and provides them to the user. The set similarity may be set by the administrator of the system 10 in order to adjust the number of recommended works, or may be set as desired by the user.

S220 단계는 사용자의 작업 스타일 발전을 도와주는 서비스로서, 추출된 작품의 특징정보를 바탕으로 사용자에게 작품 활동을 발전시킬 수 있는 어드바이스를 제공하는 단계이다.Step S220 is a service that helps the user to develop a work style, and is a step of providing advice to develop a work activity to a user based on feature information of the extracted work.

구체적인 예로, 사용자가 입력한 작품이 유명작가 A의 작품과 유사도가 높은 경우(측정된 유사도가 설정된 유사도보다 높은 경우), 시스템(10)은 사용자에게 "이후의 작업은 유화를 활용하여 A 작가의 화풍으로 작업해보시는 건 어떨까요?"라는 메시지를 제공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본인의 작품과 유사한 유명작가를 확인하고, 해당 유명작가의 작품에 사용된 화풍으로 작업해보며 더욱 발전된 작품 활동을 할 수 있게 된다.As a specific example, if the work input by the user has a high similarity to the work of famous artist A (when the measured similarity is higher than the set similarity), the system 10 tells the user, How about working with a painting style?" Through this, the user can identify famous artists similar to his or her own work, work with the style used in the famous artist's work, and perform more advanced work activities.

다른 실시예로, 시스템(10)은 필터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필터"는 사용자의 작품이미지에 특정한 효과를 적용하는 수단이다. 사용자는 작품이미지를 원본 그대로 업로드하거나, 필터를 통해 특정한 효과를 적용하여 업로드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로, 사용자의 작품이미지의 특징정보를 분석한 결과, 유명작가 중 하나인 빈센트 반 고흐의 작품의 화풍과 유사도가 높다면, 시스템(10)은 사용자에게 빈센트 반 고흐의 화풍으로 작업한 것과 같은 효과를 주는 필터를 제공한다.In another embodiment, the system 10 may provide a filter service. "Filter" is a means of applying a specific effect to the user's work image. The user can upload the work image as it is or by applying a specific effect through a filter. As a specific example,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characteristic information of the user's work image, if the similarity to the style of work of Vincent van Gogh, one of the famous artists, is high, the system 10 gives the user the same as that of the work of Vincent van Gogh. Provides a filter that gives effect.

이를 통해 사용자는 해당 필터를 자신의 작품이미지에 적용해보며, 작품이미지에 효과를 주는 재미를 느끼고, 이후의 작업 스타일을 발전시키는데 활용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자신의 스타일과 유사한 유명 작가가 누가 있는지 확인하고, 해당 유명 작가의 스타일을 흉내내거나 모방함으로서 자신의 작품을 발전킬 수 있고, 보다 다채로운 작품 활동이 가능하게 된다.Through this, users can apply the filter to their work image, feel the fun of giving effect to the work image, and use it to develop a later work style. That is, the user can develop his or her work by checking who has a famous artist similar to his or her style, imitating or imitating the style of the famous artist, and enabling more diverse work activities.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른 사용자들의 작품 중 유사도가 높은 작품을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심리상태를 시각화하여 상품에 적용하는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흐름도이다.8 is a flowchart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method of visualizing a mental state and applying it to a product,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providing a work with a high similarity among works of other user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을 참조하면, 도 2와 비교하여, 다른 사용자들의 작품 중 유사도가 높은 작품을 제공하는 단계(S230)를 더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8, as compared with FIG. 2, the step of providing a work having a high similarity among works of other users (S230) is further included.

S230 단계는 사용자의 작업 스타일 발전 및 다른 사용자들과의 교류를 도와주는 서비스로서, 사용자의 작품이미지의 특징정보를 분석하여 다른 사용자들의 작품들 중 유사도가 높은 작품을 선별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이다.Step S230 is a service that helps the development of the user's work style and exchanges with other users. It analyzes the characteristic information of the user's work image, selects works with high similarity among works of other users, and provides them to the user. .

사용자는 제공되는 유사한 스타일의 다른 사용자들의 작품을 보며, 본인의 작업 스타일을 객관적으로 인지하고 이후의 작업 스타일을 발전시킬 수 있다. 또한, 유사한 스타일의 사용자들과 교류할 수 있는 기회를 얻을 수 있다.The user can view the works of other users in a similar style provided, objectively recognize his or her work style, and develop a later work style. You can also get an opportunity to interact with users of similar styles.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에 등록된 전문작가와 매칭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심리상태를 시각화하여 상품에 적용하는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흐름도이다.9 is a flowchart schematically showing a method of visualizing a mental state and applying it to a product, further comprising matching with a professional artist registered in the ser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를 참조하면, 도 2와 비교하여, 서버에 등록된 전문작가와 매칭하는 단계(S240)를 더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9, compared with FIG. 2, the step of matching with a professional artist registered in the server (S240) is further included.

S240 단계는 사용자의 작업 스타일 발전을 도와주는 서비스로서, 시스템(10)에 전문작가로 사전 등록되어 있거나 파트너십을 맺은 전문작가들과 사용자를 연결(매칭)해주는 단계이다.Step S240 is a service that helps the development of the user's work style, and is a step of connecting (matching) the user with the professional writers who are pre-registered or partnered as professional writers in the system 10.

일 실시예로, 사용자는 시스템에서 자동으로 제공되는 어드바이스뿐만 아니라, 매칭된 전문작가가 직접 작성한 어드바이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더 나아가서 전문작가에게 수업료를 지불하고 트레이닝을 받는 것도 가능하다.In one embodiment, the user may receive not only advice automatically provided by the system, but also advice written by a matched professional artist. Furthermore, it is possible to pay tuition fees to professional writers and receive training.

이를 통해, 사용자는 스스로 발전시키기 어려운 부분에 있어서 전문작가에게 도움을 받는 것이 가능하고, 전문작가는 해당 사용자의 정보를 공유받음으로써 사용자에 대한 정확한 판단을 하는 것이 가능하여, 보다 효율적인 트레이닝이 가능하게 된다.Through this, users can receive help from professional writers in areas that are difficult to develop by themselves, and professional writers can make accurate judgments about users by sharing information of the user, enabling more efficient training. do.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된 방법 또는 알고리즘의 단계들은 하드웨어로 직접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에 의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모듈로 구현되거나, 또는 이들의 결합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은 RAM(Random Access Memory), ROM(Read Only Memory), EPROM(Erasable Programmable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OM),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하드 디스크, 착탈형 디스크, CD-ROM,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잘 알려진 임의의 형태의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에 상주할 수도 있다.The steps of a method or algorithm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directly in hardware, implemented as a software module executed by hardware, or a combination thereof. Software modules include Random Access Memory (RAM), Read Only Memory (ROM), Erasable Programmable ROM (EPROM), 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OM (EEPROM), Flash Memory, hard disk, removable disk, CD-ROM, or It may reside on any type of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well known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제한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In the abov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but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can be implement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You will be able to understand. Therefore,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illustrative in all respects, and should be understood as non-limiting.

10 : 심리상태를 시각화하여 상품에 적용하는 시스템
20 : 비주얼 저널
30 : 심볼 디자인
40 : 상품 이미지
50 : 상품 디자인
60 : 분석 이미지
10: A system that visualizes the mental state and applies it to products
20: Visual Journal
30: symbol design
40: Product image
50: product design
60: analysis image

Claims (10)

컴퓨터에 의해 수행되는,
사용자로부터 하나 이상의 비주얼 저널(visual journal)을 입력받는 단계;
상기 하나 이상의 비주얼 저널을 기반으로 분석 데이터 및 분석 이미지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하나 이상의 비주얼 저널을 기반으로 심볼 디자인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심볼 디자인을 상품에 적용하여 상품 디자인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비주얼 저널은 작품이미지, 텍스트 및 감정 카테고리를 포함하고,
상기 분석 데이터는 상기 감정 카테고리의 통계치를 포함하고,
상기 분석 이미지는 상기 분석 데이터를 시각화한 이미지이고,
상기 심볼 디자인은 상기 작품이미지 및/또는 상기 텍스트를 조합한 것인,
심리상태를 시각화하여 상품에 적용하는 방법.
Performed by the computer,
Receiving one or more visual journals from a user;
Generating analysis data and analysis images based on the one or more visual journals;
Generating a symbol design based on the one or more visual journals, and
Including the step of generating a product design by applying the symbol design to the product,
The visual journal includes work images, text, and emotion categories,
The analysis data includes statistics of the emotion category,
The analysis image is an image visualizing the analysis data,
The symbol design is a combination of the work image and/or the text,
How to visualize your mental state and apply it to your produc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석 데이터는 상기 작품이미지에 대한 특징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특징정보는 화풍, 색상, 벡터값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심리상태를 시각화하여 상품에 적용하는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The analysis data includes feature information on the work image,
The feature information includes at least one of a style, color, and vector value,
How to visualize your mental state and apply it to your product.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분석 데이터를 기반으로 상기 사용자의 작품이미지와 유사도가 높은 작품을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추출된 작품을 기반으로 상기 사용자에게 어드바이스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유사도는 상기 특징정보를 수치화하여 비교측정되는 것인,
심리상태를 시각화하여 상품에 적용하는 방법.
The method of claim 2,
Extracting a work having a high similarity to the user's work image based on the analysis data, and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providing advice to the user based on the extracted work,
The similarity is measured by comparing the feature information numerically,
How to visualize your mental state and apply it to your product.
제3항에 있어서,
다른 사용자들의 작품 중 상기 사용자의 작품에 대한 특징정보와 유사도가 높은 작품을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심리상태를 시각화하여 상품에 적용하는 방법.
The method of claim 3,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providing a work having a high similarity to the feature information of the work of the user among works of other users,
How to visualize your mental state and apply it to your product.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작품에 대한 특징정보를 기반으로 서버에 등록된 전문작가와 매칭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심리상태를 시각화하여 상품에 적용하는 방법.
The method of claim 3,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matching with a professional artist registered in the server based on the feature information on the user's work,
How to visualize your mental state and apply it to your produc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심볼 디자인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하나 이상의 비주얼 저널에 포함된 작품이미지와 텍스트를 팔레트 형태로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제공한 작품이미지와 키워드 중 각각 하나 이상이 선택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심리상태를 시각화하여 상품에 적용하는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Generating the symbol design,
Providing work images and texts included in the one or more visual journals in the form of a palette, and
Including the step of selecting at least one of each of the provided work image and keywords,
How to visualize your mental state and apply it to your product.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심볼 디자인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에게 질문을 제공하여 답변을 입력받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심리상태를 시각화하여 상품에 적용하는 방법.
The method of claim 6,
Generating the symbol design,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receiving an answer by providing a question to the user,
How to visualize your mental state and apply it to your produc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품 디자인을 생성하는 단계는,
2D 또는 3D 형태로 상품 이미지를 제공하는 단계와,
상기 상품 이미지 내에 상기 심볼 디자인의 배치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심리상태를 시각화하여 상품에 적용하는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The step of generating the product design,
Providing a product image in 2D or 3D form, and
Determining the placement of the symbol design within the product image,
How to visualize your mental state and apply it to your product.
하드웨어인 컴퓨터와 결합되어,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매체에 저장된, 심리상태를 시각화하여 상품에 적용하는 프로그램.A program that visualizes a mental state and applies it to a product, which is combined with a computer that is hardware and stored in a medium to execute the method of any one of claims 1 to 8. 사용자로부터 하나 이상의 비주얼 저널(visual journal)을 입력받는 입력부;
상기 하나 이상의 비주얼 저널을 기반으로 분석 데이터 및 분석 이미지를 생성하는 분석부;
상기 하나 이상의 비주얼 저널을 기반으로 심볼 디자인을 생성하는 심볼 디자인 생성부 및
상기 심볼 디자인을 상품에 적용하여 상품 디자인을 생성하는 상품 디자인 생서부를 포함하고,상기 비주얼 저널은 작품이미지, 텍스트 및 감정 카테고리를 포함하고,
상기 분석 데이터는 상기 감정 카테고리의 통계치를 포함하고,
상기 분석 이미지는 상기 분석 데이터를 시각화한 이미지이고,
상기 심볼 디자인은 상기 작품이미지 및/또는 상기 텍스트를 조합한 것인,
심리상태를 시각화하여 상품에 적용하는 시스템.
An input unit receiving at least one visual journal from a user;
An analysis unit that generates analysis data and analysis images based on the one or more visual journals;
A symbol design generator for generating a symbol design based on the one or more visual journals, and
A product design creation unit that applies the symbol design to a product to generate a product design, wherein the visual journal includes work images, texts, and emotion categories
The analysis data includes statistics of the emotion category,
The analysis image is an image visualizing the analysis data,
The symbol design is a combination of the work image and/or the text,
A system that visualizes the state of mind and applies it to products.
KR1020190113242A 2019-09-16 2019-09-16 Method, program and system for visualizing psychological state and applying it to products KR20210032038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3242A KR20210032038A (en) 2019-09-16 2019-09-16 Method, program and system for visualizing psychological state and applying it to product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3242A KR20210032038A (en) 2019-09-16 2019-09-16 Method, program and system for visualizing psychological state and applying it to product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32038A true KR20210032038A (en) 2021-03-24

Family

ID=752570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13242A KR20210032038A (en) 2019-09-16 2019-09-16 Method, program and system for visualizing psychological state and applying it to product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32038A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46727B1 (en) * 2021-06-18 2022-01-04 (주)월드룩 System for providing ip licensing platform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00244A (en) 2000-08-28 2001-01-05 강욱진 system of management and manufacture of product using picture of child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00244A (en) 2000-08-28 2001-01-05 강욱진 system of management and manufacture of product using picture of child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46727B1 (en) * 2021-06-18 2022-01-04 (주)월드룩 System for providing ip licensing platform
KR20220169876A (en) * 2021-06-18 2022-12-28 (주)월드룩 System for providing ip licensing platform
KR20220169875A (en) * 2021-06-18 2022-12-28 (주)월드룩 System for providing ip licensing platform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oyama et al. Crowd-powered parameter analysis for visual design exploration
Sutherland et al. Facial image manipulation: A tool for investigating social perception
Hyun et al. Balancing homogeneity and heterogeneity in design exploration by synthesizing novel design alternatives based on genetic algorithm and strategic styling decision
Hu et al. A quantitative aesthetic measurement method for product appearance design
Lowry et al. Proposing the Affect-Trust Infusion Model (ATIM) to explain and predict the influence of high and low affect infusion on Web vendor trust
TW201832814A (en) Systems and methods for generating avatars using genotyping data
Mallalieu et al. Understanding the role of consumer motivation and salesperson behavior in inducing positive cognitive and emotional responses during a sales encounter
Yang et al. The beauty premium of tour guides in the customer decision-making process: An AI-based big data analysis
Cassidy Colour forecasting
Zhu et al. Interactive genetic algorithm based on typical style for clothing customization
Herman et al. In the eye of the beholder: A viewer-defined conception of online visual creativity
Wojtczuk et al. Designing and assessing everyday objects: Impact of externalisation tools and judges’ backgrounds
Soon et al. The role of emotions in augmented reality
KR20210032038A (en) Method, program and system for visualizing psychological state and applying it to products
Zhang et al. Examining the moderating effects of shopping orientation, product knowledge and involvement on the effectiveness of Virtual Reality (VR) retail environment
Aleixo et al. From music to image a computational creativity approach
KR20210019362A (en) AR, VR design simulation contents
Zhou et al. A tool to facilitate the cross-cultural design process using deep learning
US20150228033A1 (en) Portraying an individual through use of artifacts for social networking and playing
Foroughi et al. Reuse intention of augmented reality apps: recreational consciousness as moderator
Peak et al. Integrating the visual design discipline with information systems research and practice
Lokman Kansei/affective engineering and Web design
Fry et al. Achieving the new graduate dream: building sustainable business success at a small scale
WO2020170845A1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and program
Dev et al. A perceptual aesthetics measure for 3D shap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