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31543A - 비디오 코딩을 위한 디바이스들 및 방법들 - Google Patents

비디오 코딩을 위한 디바이스들 및 방법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31543A
KR20210031543A KR1020217007309A KR20217007309A KR20210031543A KR 20210031543 A KR20210031543 A KR 20210031543A KR 1020217007309 A KR1020217007309 A KR 1020217007309A KR 20217007309 A KR20217007309 A KR 20217007309A KR 20210031543 A KR20210031543 A KR 202100315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ference pixel
video coding
coding block
pixel value
curr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073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52058B1 (ko
Inventor
알렉세이 콘스탄티노비치 필리포브
바실리 알렉세이비치 루피트스키
Original Assignee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100315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315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520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520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02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element, parameter or selection affected or controlled by the adaptive coding
    • H04N19/103Selection of coding mode or of prediction mode
    • H04N19/105Selection of the reference unit for prediction within a chosen coding or prediction mode, e.g. adaptive choice of position and number of pixels used for predi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02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element, parameter or selection affected or controlled by the adaptive coding
    • H04N19/103Selection of coding mode or of prediction mode
    • H04N19/11Selection of coding mode or of prediction mode among a plurality of spatial predictive coding mod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34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element, parameter or criterion affecting or controlling the adaptive coding
    • H04N19/136Incoming video signal characteristics or propert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34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element, parameter or criterion affecting or controlling the adaptive coding
    • H04N19/157Assigned coding mode, i.e. the coding mode being predefined or preselected to be further used for selection of another element or parameter
    • H04N19/159Prediction type, e.g. intra-frame, inter-frame or bidirectional frame predi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69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 H04N19/17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the unit being an image region, e.g. an object
    • H04N19/176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the unit being an image region, e.g. an object the region being a block, e.g. a macrobloc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69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 H04N19/182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the unit being a pixe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89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adaptation method, adaptation tool or adaptation type used for the adaptive cod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5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predictive coding
    • H04N19/593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predictive coding involving spatial prediction techniqu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ression Or Coding Systems Of Tv Sign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수의 기준 픽셀의 복수의 기준 픽셀 값에 기반하여 비디오 신호의 프레임의 현재 비디오 코딩 블록의 픽셀들의 픽셀 값들의 인트라 예측을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장치는: 복수의 기준 픽셀 중 제1 기준 픽셀의 제1 기준 픽셀 값 - 제1 기준 픽셀은 제1 이웃 비디오 코딩 블록 내에 위치함 -, 복수의 기준 픽셀 중 제2 기준 픽셀의 제2 기준 픽셀 값 - 제2 기준 픽셀은 제2 이웃 비디오 코딩 블록 내에 위치함 -, 현재 픽셀과 제1 기준 픽셀 간의 거리, 및 현재 픽셀과 제2 기준 픽셀 간의 거리에 기반하여, 현재 비디오 코딩 블록의 현재 픽셀의 픽셀 값을 인트라 예측하도록 구성된 인트라 예측 유닛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비디오 코딩을 위한 디바이스들 및 방법들{DEVICES AND METHODS FOR VIDEO CODING}
본 발명은 비디오 코딩 분야에 관한 것이다. 더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비디오 코딩 블록의 인트라 예측을 위한 장치 및 방법 뿐만 아니라 이러한 인트라-예측 장치를 포함하는 인코딩 장치 및 디코딩 장치에 관한 것이다.
디지털 비디오 통신 및 저장 응용예들은 광범위한 디지털 디바이스들, 예를들어, 디지털 카메라, 셀룰러 라디오 전화, 랩톱, 방송 시스템, 비디오 원격회의 시스템 등에 의해 구현된다. 이들 응용예들의 가장 중요하고 도전적인 작업들 중 하나는 비디오 압축이다. 비디오 압축 작업은 복잡하며, 2개의 모순적 파라미터, 즉, 압축 효율성 및 계산 복잡성에 의해 제한된다. ITU-T H.264/AVC 또는 ITU-T H.265/HEVC와 같은 비디오 코딩 표준들은 이들 파라미터들 간의 양호한 절충을 제공한다. 그러한 이유로, 비디오 코딩 표준들의 지원은 거의 임의의 비디오 압축 응용예에 대한 의무적 요건이다.
최신 비디오 코딩 표준들은 소스 픽처를 비디오 코딩 블록들(또는 짧은 블록들)로 파티셔닝하는 것(partitioning)에 기초한다. 이들 블록들의 프로세싱은 이들의 사이즈, 공간적 위치, 및 인코더에 의해 특정되는 코딩 모드에 의존한다. 코딩 모드들은 예측의 타입에 따라 2개 그룹으로 분류될 수 있다: 인트라-예측 모드 및 인터-예측 모드. 인트라-예측 모드들은 동일한 픽처(또한 프레임 또는 이미지라 지칭됨)의 픽셀들을 사용하여 기준 샘플들을 생성하여 재구성되는 블록의 픽셀들에 대한 예측 값들을 계산한다. 인트라-예측은 공간적 예측이라고도 지칭된다. 인터-예측 모드들은 시간적 예측을 위해 설계되며, 이전의 또는 다음 픽처들의 기준 샘플들을 사용하여 현재 픽처의 블록의 픽셀들을 예측한다. 예측 스테이지 이후, 원래 신호와 그것의 예측 간의 차이인 예측 에러에 대해 변환 코딩이 수행된다. 이후, 변환 계수들 및 사이드 정보가 엔트로피 인코더(예를 들어, AVC/H.264 및 HEVC/H.265에 대한 CABAC)를 사용하여 인코딩된다. 최근 채택된 ITU-T H.265/HEVC 표준(ISO/IEC 23008-2:2013, "Information technology - High efficiency coding and media delivery in heterogeneous environments - Part 2: High efficiency video coding", November 2013)은 코딩 효율성과 계산 복잡성 간의 적절한 절충을 제공하는 최신의 비디오 코딩 툴들의 세트를 선언한다. ITU-T H.265/HEVC 표준에 대한 개요는 Gary J. Sullivan에 의한, "Overview of the High Efficiency Video Coding (HEVC) Standard", in IEEE Transactions on Circuits and Systems for Video Technology, Vol. 22, No. 12, December 2012에 주어지며, 그 전체 내용은 참조로 본원에 포함된다.
ITU-T H.264/AVC 비디오 코딩 표준과 유사하게, HEVC/H.265 비디오 코딩 표준은 소스 픽처의 블록들, 예를 들어, 코딩 유닛(CU)들로의 분할을 제공한다. CU들 각각은 더 작은 CU들 또는 예측 유닛(PU)들로 추가로 분할될 수 있다. PU는 PU의 픽셀들에 적용되는 프로세싱의 타입에 따라 인트라-예측되거나 인터-예측될 수 있다. 인터-예측의 경우, PU는 PU에 대해 특정되는 모션 벡터를 사용하는 모션 보상에 의해 프로세싱되는 픽셀들의 영역을 나타낸다. 인트라 예측에 대해, 이웃 블록들의 인접한 픽셀들은 현재 블록을 예측하기 위한 기준 샘플들로서 사용된다. PU는 이 PU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유닛(TU)들에 대한 인트라-예측 모드들의 세트로부터 선택되는 예측 모드를 특정한다. TU는 상이한 사이즈들(예를 들어, 4x4, 8x8, 16x16 및 32x32 픽셀들)을 가질 수 있으며, 상이한 방식들로 프로세싱될 수 있다. TU에 대해, 변환 코딩이 수행되는데, 즉, 예측 에러는 이산 코사인 변환 또는 이산 사인 변환을 이용하여 변환되고(HEVC/H.265 표준에서, 그것은 인트라-코딩된 블록들에 적용된다) 양자화된다. 따라서, 재구성된 픽셀들은 DBF, SAO 및 ALF와 같은 루프-내 필터들이 억제하려고 하는 양자화 잡음을 포함한다(그것은 예를 들어, 유닛들 간의 블록성, 예리한 에지들과 함께 링잉 결함들 등으로서 명백해질 수 있다). 정교한 예측 코딩(모션 보상 및 인트라-예측과 같은) 및 파티셔닝 기법들(예를 들어, CU 및 PU들에 대한 QT 뿐만 아니라 TU들에 대한 RQT)의 사용으로 표준화 기구는 PU들에서의 리던던시를 상당히 감소시키는 것을 허용했다.
이들 비디오 코딩 표준들의 풍부한 응용을 초래하는 예측 툴들은 인터 예측 툴 및 인트라 예측 툴로 대략적으로 구별될 수 있다. 인트라 예측이 현재 픽처에 포함된 정보에만 의존하는 반면, 인터 예측은 상이한 픽처들 간의 리던던시를 사용하여 코딩 효율성을 추가로 증가시킨다. 따라서, 일반적으로, 일반적인 비디오 신호들에 대해 동일한 시각적 품질을 달성하기 위해, 인트라 예측이 인터 예측보다 더 높은 비트레이트를 요구한다.
그럼에도, 인트라 코딩은 모든 비디오 코딩 시스템들의 본질적 부분인데, 왜냐하면 진행중인 전송들로의 랜덤 액세스를 위해 그리고 에러 은닉을 위해, 비디오 전송을 시작하는 것이 요구되기 때문이다. 그러나, HEVC 표준에서, 픽셀들의 단 하나의 인접 행/열이 현재 프로세싱되는 비디오 코딩 블록(HEVC의 경우 코딩 유닛 또는 CU라 지칭됨)에 대한 예측 기반으로서 사용된다. 또한, 각 예측(angular prediction)에 기초한 인트라 예측의 경우, 단 하나의 방향이 CU마다 적용될 수 있다. 이러한 제한들로 인해, 인트라 코딩된 CU들의 레지듀얼들에 대해 높은 비트 레이트들이 요구된다.
따라서, 인트라 예측을 위한 코딩 효율성의 증가를 허용하는, 비디오 코딩을 위한 디바이스들 및 방법들에 대한 요구가 존재한다.
인트라 예측을 위한 코딩 효율성의 증가를 허용하는, 비디오 코딩을 위한 디바이스들 및 방법들이 발명의 목적이다.
이전 및 다른 목적들은 독립 청구항들의 발명 대상에 의해 달성된다. 추가적인 구현 형태들은 종속 청구항들, 기재 및 도면들로부터 명확하다.
후속하는 개시내용은, 실시예들에서, 다음 의미를 가지는 복수의 용어를 사용한다: 슬라이스 - 독립적으로 인코딩/디코딩된 픽처의 공간적으로 별개의 영역. 슬라이스 헤더 - 특정 슬라이스와 연관된 정보를 시그널링하도록 구성된 데이터 구조. 비디오 코딩 블록(또는 짧은 블록) - 픽셀들 또는 샘플들의 MxN(M-열 x N-행) 어레이(각각의 픽셀/샘플은 적어도 하나의 픽셀/샘플 값과 연관됨), 또는 변환 계수들의 MxN 어레이. 코딩 트리 유닛(CTU) 그리드 - 비디오 인코딩을 위해 매크로-블록들로 픽셀들의 블록들을 파티셔닝하도록 사용되는 그리드 구조. 코딩 유닛(CU) - 루마 샘플들의 코딩 블록, 3개의 샘플 어레이를 가지는 이미지의 크로마 샘플들의 2개의 코딩 블록들, 또는 샘플들을 코딩하기 위해 사용되는 3개의 별도의 컬러면들 및 신택스를 사용하여 코딩되는 픽처 또는 단색 픽처의 샘플들의 코딩 블록. 픽처 파라미터 세트(PPS) - 각각의 슬라이스 세그먼트 헤더에서 발견되는 신택스 요소에 의해 결정되는 바와 같은 0개 또는 그 이상의 전체 코딩된 픽처들에 적용하는 신택스 요소들을 포함하는 신택스 구조. 시퀀스 파라미터 세트(SPS) - 각각의 세그먼트 헤더에서 발견되는 신택스 요소에 의해 참조되는 PPS에서 발견되는 신택스 요소의 콘텐츠에 의해 결정되는 바와 같은 0개 또는 그 이상의 전체 코딩된 비디오에 적용하는 신택스 요소들을 포함하는 신택스 구조. 비디오 파라미터 세트(VPS) - 제로 또는 그 이상의 전체 코딩된 비디오 시퀀스에 적용하는 신택스 요소들을 포함하는 신택스 구조. 예측 유닛(PU) - 루마 샘플들의 예측 블록, 3개의 샘플 어레이를 가지는 픽처의 크로마 샘플들의 2개의 대응하는 예측 블록, 또는 예측 블록 샘플들을 예측하기 위해 사용되는 3개의 별도의 컬러면 및 신택스를 사용하여 코딩되는 픽처 또는 단색 픽처의 샘플들의 예측 블록. 변환 유닛(TU) - 루마 샘플들의 변환 블록, 3개의 샘플 어레이를 가지는 픽처의 크로마 샘플들의 2개의 대응하는 변환 블록, 또는 변환 블록 샘플들을 예측하기 위해 사용되는 3개의 별도의 컬러 면들 및 신택스를 사용하여 코딩되는 픽처 또는 단색 픽처의 샘플들의 변환 블록. 보충 향상 정보(SEI) - 비디오의 사용을 향상시키기 위해 비디오 비트-스트림 내에 삽입될 수 있는 추가 정보. 루마 - 이미지 샘플의 밝기를 표시하는 정보. 크로마 - 적색 색차 컴포넌트(Cr) 또는 청색 색차 컴포넌트(Cb)의 견지에서 기술될 수 있는, 이미지 샘플의 컬러를 표시하는 정보.
제1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복수의 기준 픽셀의 복수의 기준 픽셀 값에 기반하여 비디오 신호의 프레임의 현재 비디오 코딩 블록의 픽셀들의 픽셀 값들의 인트라 예측을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장치는: 복수의 기준 픽셀 중 제1 기준 픽셀의 제1 기준 픽셀 값 - 제1 기준 픽셀은 제1 이웃 비디오 코딩 블록 내에 위치함 -, 복수의 기준 픽셀들 중 제2 기준 픽셀의 제2 기준 픽셀 값 - 제2 기준 픽셀은 제2 이웃 비디오 코딩 블록 내에 위치함 -, 현재 픽셀과 제1 기준 픽셀 간의 거리, 및 현재 픽셀과 제2 기준 픽셀 간의 거리에 기반하여, 현재 비디오 코딩 블록의 현재 픽셀의 픽셀 값을 인트라 예측하도록 구성되는 인트라 예측 유닛을 포함한다.
따라서, 비디오 코딩을 위한 개선된 장치가 제공되는데, 이는 인트라 예측을 위한 코딩 효율성의 증가를 허용한다.
제1 양태에 따른 장치의 제1 가능한 구현 형태에서, 인트라 예측 유닛은 제1 가중치와 제1 기준 픽셀 값과의 곱 - 제1 가중치는 현재 픽셀과 제1 기준 픽셀 간의 거리 및 현재 픽셀과 제2 기준 픽셀 간의 거리에 기초함 -, 및 제2 가중치와 제2 기준 픽셀 값과의 곱 - 제2 가중치는 현재 픽셀과 제1 기준 픽셀 간의 거리 및 현재 픽셀과 제2 기준 픽셀 간의 거리에 기초함 - 에 기반하여 현재 비디오 코딩 블록의 현재 픽셀의 픽셀 값을 인트라 예측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장치는 특별히 효율적일 것이다.
제1 양태의 제1 구현 형태에 따른 장치의 제2 가능한 구현 형태에서, 인트라 예측 유닛은 다음 수학식들:
Figure pat00001
Figure pat00002
에 기반하여 제1 가중치
Figure pat00003
및 제2 가중치
Figure pat00004
를 결정하도록 구성되고,
Figure pat00005
은 현재 픽셀과 제2 기준 픽셀 간의 거리를 나타내고,
Figure pat00006
는 현재 픽셀과 제1 기준 픽셀 간의 거리를 나타내고, D는 제1 기준 픽셀과 제2 기준 픽셀 간의 거리를 나타낸다. 따라서, 장치는 특별히 효율적일 것이다.
제1 양태의 제1 또는 제2 구현 형태에 따른 장치의 제3 가능한 구현 형태에서, 인트라 예측 유닛은 제1 가중치와 제1 기준 픽셀 값의 곱 및 제2 가중치와 제2 기준 픽셀 값의 곱의 합산으로서 현재 비디오 코딩 블록의 현재 픽셀의 픽셀 값을 인트라 예측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장치는 특별히 효율적일 것이다.
구현 형태에서, 인트라 예측 유닛은 다음 수학식:
Figure pat00007
에 기반하여 복수의 프라이머리 기준 픽셀 값 및 복수의 세컨더리 기준 픽셀 값에 기반하는 현재 비디오 코딩 블록의 픽셀들의 픽셀 값들을 인트라 예측하도록 구성되고,
Figure pat00008
는 좌표
Figure pat00009
를 가지는 현재 비디오 코딩 블록의 픽셀의 픽셀 값을 나타내고,
Figure pat00010
는 제1 가중치를 나타내고,
Figure pat00011
는 프라이머리 기준 픽셀 값을 나타내고,
Figure pat00012
는 제2 가중치를 나타내고,
Figure pat00013
는 세컨더리 기준 픽셀 값을 나타낸다. 따라서, 장치는 특별히 효율적일 것이다.
구현 형태에서, 인트라 예측 유닛은 다음 수학식:
Figure pat00014
에 기반하여 복수의 프라이머리 기준 픽셀 값 및 복수의 세컨더리 기준 픽셀 값에 기반하는 현재 비디오 코딩 블록의 픽셀들의 픽셀 값들을 인트라 예측하도록 구성되고,
Figure pat00015
는 프라이머리 기준 픽셀 값
Figure pat00016
과 연관된 프라이머리 기준 픽셀로부터 좌표
Figure pat00017
를 가지는 현재 비디오 코딩 블록의 픽셀까지의 거리를 나타내고,
Figure pat00018
는 세컨더리 기준 픽셀 값
Figure pat00019
과 연관된 세컨더리 기준 픽셀로부터 좌표
Figure pat00020
를 가지는 현재 비디오 코딩 블록의 픽셀까지의 거리를 나타내고, D는 프라이머리 기준 픽셀 값
Figure pat00021
과 연관된 프라이머리 기준 픽셀로부터 세컨더리 기준 픽셀 값
Figure pat00022
과 연관된 세컨더리 기준 픽셀까지의 거리를 나타내는데, 즉,
Figure pat00023
이다. 따라서, 장치는 특별히 효율적일 것이다.
그러한 제1 양태 또는 장치의 제1 내지 제3 구현 형태 중 임의의 하나에 따른 장치의 제4 가능한 구현 형태에서, 현재 픽셀, 제1 픽셀 및 제2 픽셀은 실질적으로 직선 상에 놓여 있는데, 즉, 직선을 정의한다.
그러한 제1 양태 또는 장치의 제1 내지 제4 구현 형태 중 임의의 하나에 따른 장치의 제5 가능한 구현 형태에서, 복수의 기준 픽셀 값은 제1 기준 픽셀을 포함하는 복수의 프라이머리 기준 픽셀 값, 및 제2 기준 픽셀을 포함하는 복수의 세컨더리 기준 픽셀 값을 포함하고, 장치는 기준 픽셀 유닛을 더 포함하고, 기준 픽셀 유닛은 복수의 프라이머리 기준 픽셀 값에 기반하여 복수의 세컨더리 기준 픽셀 값을 생성하도록 구성되고, 복수의 프라이머리 기준 픽셀 값은 제1 이웃 비디오 코딩 블록을 포함하는 현재 비디오 코딩 블록의 이웃 비디오 코딩 블록들 내에 위치하는 복수의 프라이머리 기준 픽셀과 연관되고, 복수의 세컨더리 기준 픽셀 값은 제2 이웃 비디오 코딩 블록을 포함하는 현재 비디오 코딩 블록의 추가적인 이웃 비디오 코딩 블록들 내에 위치하는 복수의 세컨더리 기준 픽셀과 연관되고, 추가적인 이웃 비디오 코딩 블록들은 상기 이웃 비디오 코딩 블록들이 아니다. 따라서, 장치는 특별히 효율적일 것이다.
제1 양태의 제5 구현 형태에 따른 장치의 제6 가능한 구현 형태에서, 복수의 프라이머리 기준 픽셀은 현재 비디오 코딩 블록 바로 위의 픽셀들의 행 내에 그리고 현재 비디오 코딩 블록의 좌측 또는 우측의 픽셀들의 열 내에 위치하거나, 또는 복수의 프라이머리 기준 픽셀은 현재 비디오 코딩 블록의 바로 아래의 픽셀들의 행 내에 그리고 현재 비디오 코딩 블록의 좌측 또는 우측의 픽셀들의 열 내에 위치한다. 따라서, 장치는 특별히 효율적일 것이다.
제1 양태의 제5 또는 제6 구현 형태에 따른 장치의 제7 가능한 구현 형태에서, 기준 픽셀 유닛은 복수의 세컨더리 기준 픽셀의 서브세트의 각각의 세컨더리 기준 픽셀 값에 대해, 지향성 인트라 예측에 기반하는 세컨더리 기준 픽셀 값의 제1 컴포넌트 및 제1 세컨더리 기준 픽셀 값과 제2 세컨더리 기준 픽셀 값 사이의 보간 예측에 기반하는 세컨더리 기준 픽셀 값의 제2 컴포넌트를 결정하고, 세컨더리 기준 픽셀 값의 제1 컴포넌트와 세컨더리 기준 픽셀 값의 제2 컴포넌트를 조합하여 세컨더리 기준 픽셀 값을 생성하도록 추가로 구성되고, 제1 세컨더리 기준 픽셀 값 및 제2 세컨더리 기준 픽셀 값은 복수의 세컨더리 기준 픽셀 값의 서브세트의 일부가 아니다. 따라서, 장치는 특별히 효율적일 것이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보간 예측은 알려진 값들의 세트를 사용하여 주어진 위치들에서 미지의 값들의 세트를 예측하기 위한 보간 방법들에 기초한다. 보간은 알려진 값들의 세트를 근사화시키는 미리-정의된 함수를 선택하는 것, 및 미지의 타겟 값들의 위치들에서 이 함수의 값들을 계산하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보간을 위해 사용되는 일반적인 함수들은 선형, 스플라인(spline) 또는 삼차(cubic)이며, 알려진 값들의 전체 세트에 적용될 수 있거나 또는 알려진 값들의 상이한 서브세트들에 대한 상이한 파라미터들을 가진다. 후자의 경우는 구분적 보간으로서 알려져 있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지향성 인트라 예측은 예측될 블록 내에서 경계 값들을 전달하는 것에 기초하며, 따라서 예측되는 보간의 각각의 픽셀 값은 해당 픽셀의 위치를 기준 픽셀들의 세트 상으로 특정된 방향으로 투사시킴으로써 계산된다. 투사되는 위치가 분수 형태로(fractional), 픽셀 위치들 사이에 있는 경우, 이웃 픽셀들 간의 서브-픽셀 보간 예측이 적용될 수 있다.
제1 양태의 제7 구현예에 따른 장치의 제8 가능한 구현 형태에서, 기준 픽셀 유닛은 지향성 인트라 예측에 기반하여 세컨더리 기준 픽셀 값의 제1 컴포넌트를 결정하기 위해 H.264 표준, H.265 표준, 또는 이들 표준들 중 하나로부터 진화되는 표준의 지향성 모드를 사용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장치는 특별히 효율적일 것이다.
제1 양태의 제7 또는 제8 구현 형태에 따른 장치의 제9 가능한 구현 형태에서, 기준 픽셀 유닛은 제1 세컨더리 기준 픽셀에 이웃하는 프라이머리 기준 픽셀들의 프라이머리 기준 픽셀 값들에 기반하는 제1 세컨더리 기준 픽셀 값 및 제2 세컨더리 기준 픽셀에 이웃하는 프라이머리 기준 픽셀들의 프라이머리 기준 픽셀 값들에 기반하는 제2 세컨더리 기준 픽셀 값을 결정하도록 추가로 구성된다. 따라서, 장치는 특별히 효율적일 것이다.
제1 양태의 제9 구현 형태에 따른 장치의 제10 가능한 구현 형태에서, 기준 픽셀 유닛(101)은 다음 수학식들:
Figure pat00024
에 기반하여 제1 세컨더리 기준 픽셀 값
Figure pat00025
및 제2 세컨더리 기준 픽셀 값
Figure pat00026
을 결정하도록 구성되고, N은 현재 비디오 코딩 블록의 선형 사이즈를 나타낸다. 따라서, 장치는 특별히 효율적일 것이다.
제1 양태의 제7 내지 제10 구현 형태 중 임의의 하나에 따른 장치의 제11 가능한 구현 형태에서, 기준 픽셀 유닛은 다음 수학식:
Figure pat00027
Figure pat00028
에 기반하여 제1 세컨더리 기준 픽셀 값
Figure pat00029
및 제2 세컨더리 기준 픽셀 값
Figure pat00030
간의 보간 예측에 기반하는 세컨더리 기준 픽셀 값의 제2 컴포넌트
Figure pat00031
를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장치는 특별히 효율적일 것이다.
제1 양태의 제7 내지 제11 구현 형태 중 임의의 하나에 따른 장치의 제12 가능한 구현 형태에서, 기준 픽셀 유닛은 다음 수학식:
Figure pat00032
에 기반하여 세컨더리 기준 픽셀 값의 제1 컴포넌트
Figure pat00033
와 세컨더리 기준 픽셀 값의 제2 컴포넌트
Figure pat00034
를 조합하여 세컨더리 기준 픽셀 값
Figure pat00035
을 생성하도록 구성되고, 여기서
Figure pat00036
Figure pat00037
이다.
제1 양태의 제12 구현 형태에 따른 장치의 제13 가능한 구현 형태에서, 기준 픽셀 유닛은 현재 비디오 코딩 블록의 방향, 인덱스 k 및/또는 사이즈에 따라 가중치들
Figure pat00038
및/또는
Figure pat00039
을 조정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장치는 특별히 효율적일 것이다.
제2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비디오 신호의 프레임의 현재 비디오 코딩 블록을 인코딩하기 위한 인코딩 장치에 관한 것이며, 현재 비디오 코딩 블록은 복수의 픽셀 블록을 포함하고, 각각의 픽셀은 픽셀 값과 연관된다. 인코딩 장치는 그러한 제1 양태 또는 장치의 구현 형태들 중 임의의 하나에 따른 인트라 예측 장치; 및 예측된 비디오 코딩 블록에 기반하여 현재 비디오 코딩 블록을 인코딩하도록 구성되는 인코딩 유닛을 포함한다.
제3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비디오 신호의 프레임의 인코딩된 비디오 코딩 블록을 디코딩하기 위한 디코딩 장치에 관한 것이며, 인코딩된 비디오 코딩 블록은 복수의 픽셀을 포함하고, 각각의 픽셀은 픽셀 값과 연관된다. 디코딩 장치는 그러한 제1 양태 또는 예측된 비디오 코딩 블록을 제공하기 위한 장치의 구현 형태들 중 임의의 하나에 따른 인트라 예측 장치; 및 인코딩된 비디오 코딩 블록 및 예측된 비디오 코딩 블록에 기반하여 비디오 코딩 블록을 복원하도록 구성되는 복원 유닛을 포함한다.
제4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복수의 기준 픽셀의 복수의 기준 픽셀 값에 기반하여 비디오 신호의 프레임의 현재 비디오 코딩 블록의 픽셀들의 픽셀 값들의 인트라 예측을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방법은: 복수의 기준 픽셀 중 제1 기준 픽셀의 제1 기준 픽셀 값 - 제1 기준 픽셀은 제1 이웃 비디오 코딩 블록 내에 위치함 -, 복수의 기준 픽셀 중 제2 기준 픽셀의 제2 기준 픽셀 값 - 제2 기준 픽셀은 제2 이웃 비디오 코딩 블록 내에 위치함 -, 현재 픽셀과 제1 기준 픽셀 간의 거리, 및 현재 픽셀과 제2 기준 픽셀 간의 거리에 기반하여, 현재 비디오 코딩 블록의 현재 픽셀의 픽셀 값을 인트라 예측하는 것을 포함한다.
발명의 제4 양태에 따른 방법은 발명의 제1 양태에 따른 인트라-예측 장치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발명의 제4 양태에 따른 방법의 추가적인 특징들은 발명의 제1 양태 및 그것의 상이한 구현 형태들에 따른 인트라-예측 장치의 기능성으로부터 직접 초래된다.
제5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컴퓨터 상에서 실행될 때 제4 양태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 코드를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에 관한 것이다.
발명은 하드웨어 및/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될 수 있다.
발명의 추가적인 실시예들은 후속하는 도면들에 대해 기술될 것이다.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인트라-예측 장치를 예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2는 실시예에 따른 인코딩 장치 및 실시예에 따른 디코딩 장치를 예시하는 개략도를 도시한다.
도 3은 실시예에 따른 인트라-예측 방법을 예시하는 개략도를 도시한다.
도 4는 실시예에 따른 인트라-예측 장치의 몇 개의 양태를 예시하는 비디오 코딩 블록의 개략도를 도시한다.
도 5a 및 5b는 실시예에 따른 인트라-예측 장치에서 구현되는 인트라-예측 프로세싱 단계들을 예시하는 다이어그램을 도시한다.
도 6은 실시예에 따른 인트라-예측 장치에서 구현되는 인트라-예측 프로세싱 단계들을 예시하는 다이어그램을 도시한다.
도 7은 실시예에 따른 인트라-예측 장치에서 구현되는 인트라-예측 프로세싱 단계들을 예시하는 다이어그램을 도시한다.
도 8은 실시예에 따른 인트라-예측 장치에서 구현되는 인트라-예측 프로세싱 단계들을 예시하는 다이어그램을 도시한다.
도 9는 실시예에 따른 인트라-예측 장치의 양태를 예시하는 비디오 코딩 블록의 개략도를 도시한다.
도 10은 실시예에 따른 인트라-예측 장치에서 구현되는 인트라-예측 프로세싱 단계들을 예시하는 다이어그램을 도시한다.
도 11은 실시예에 따른 디코딩 장치에서 구현되는 프로세싱 단계들을 예시하는 다이어그램을 도시한다.
도 12는 실시예에 따른 디코딩 장치에서 구현되는 프로세싱 단계들을 예시하는 다이어그램을 도시한다.
여러 도면들에서, 동일한 참조 부호들은 동일한 또는 적어도 기능적으로 등가인 특징들에 대해 사용될 것이다.
후속하는 기재에서, 개시내용의 일부를 형성하며, 본 발명이 배치될 수 있는 특정 양태들이 예시에 의해 도시되는, 첨부 도면들에 대한 참조가 이루어진다. 다른 양태들이 이용될 수 있으며, 구조적 또는 논리적 변경들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이루어질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된다. 따라서, 후속하는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범위가 첨부된 청구항들로 정의됨에 따라, 제한적인 의미로 취해지지 않아야 한다.
예를 들어, 기재된 방법에 관련된 개시내용이 또한 방법을 수행하도록 구성되는 대응하는 디바이스 또는 시스템에 대해서도 참을 유지할 수 있으며, 그 역도 성립한다는 것이 이해된다. 예를 들어, 특정 방법 단계가 기재되는 경우, 대응하는 디바이스는, 기재된 방법 단계를 수행하기 위한 유닛이 도면들에 명시적으로 기술되거나 예시되지 않더라도, 이러한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다른 방식으로 구체적으로 주지되지 않은 한, 본원에 기술되는 다양한 예시적인 양태들의 특징들이 서로 조합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된다.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인트라 예측 장치(100)를 예시하는 개략도를 도시한다.
인트라 예측 장치(100)는 복수의 기준 픽셀의 복수의 기준 픽셀 값에 기반하여 비디오 신호의 프레임의 현재 비디오 코딩 블록의 픽셀들의 픽셀 값들을 인트라 예측하도록 구성된다.
인트라 예측 장치(100)는: 복수의 기준 픽셀 중 제1 기준 픽셀의 제1 기준 픽셀 값 - 제1 기준 픽셀은 제1 이웃 비디오 코딩 블록 내에 위치함 -, 복수의 기준 픽셀 중 제2 기준 픽셀의 제2 기준 픽셀 값 - 제2 기준 픽셀은 제2 이웃 비디오 코딩 블록 내에 위치함 -, 현재 픽셀과 제1 기준 픽셀 간의 거리, 및 현재 픽셀과 제2 기준 픽셀 간의 거리에 기반하여 현재 비디오 코딩 블록의 현재 픽셀의 픽셀 값을 인트라 예측하도록 구성되는 인트라 예측 유닛(103)을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현재 픽셀의 위치, 제1 픽셀의 위치 및 제2 픽셀의 위치는 직선을 정의한다.
실시예에서, 인트라 예측 유닛(103)은: 제1 가중치와 제1 기준 픽셀 값의 곱 - 제1 가중치는 현재 픽셀과 제1 기준 픽셀 간의 거리 및 현재 픽셀과 제2 기준 픽셀 간의 거리에 기초함 -, 및 제2 가중치와 제2 기준 픽셀 값의 곱 - 제2 가중치는 현재 픽셀과 제1 기준 픽셀 간의 거리 및 현재 픽셀과 제2 기준 픽셀 간의 거리에 기초함 - 에 기반하여 현재 비디오 코딩 블록의 현재 픽셀의 픽셀 값을 인트라 예측하도록 구성된다.
실시예에서, 인트라 예측 유닛(103)은 다음 수학식들:
Figure pat00040
Figure pat00041
에 기반하여 제1 가중치
Figure pat00042
및 제2 가중치
Figure pat00043
를 결정하도록 구성되고,
Figure pat00044
은 현재 픽셀과 제2 기준 픽셀 간의 거리를 나타내고,
Figure pat00045
은 현재 픽셀과 제1 기준 픽셀 간의 거리를 나타내고, D는 제1 기준 픽셀과 제2 기준 픽셀 간의 거리를 나타낸다.
실시예에서, 인트라 예측 유닛(103)은 예를 들어, 다음 수학식:
Figure pat00046
에 기반하여, 제1 가중치와 제1 기준 픽셀 값의 곱 및 제2 가중치와 제2 기준 픽셀 값의 곱의 합산으로서 현재 비디오 코딩 블록의 현재 픽셀의 픽셀 값을 인트라 예측하도록 구성되고,
Figure pat00047
는 좌표
Figure pat00048
를 가지는 현재 픽셀의 픽셀 값을 나타내고,
Figure pat00049
는 제1 기준 픽셀 값을 나타내고,
Figure pat00050
는 제2 기준 픽셀 값을 나타낸다.
따라서, 실시예에서 인트라 예측 유닛(103)은 다음 수학식:
Figure pat00051
에 기반하여 현재 비디오 코딩의 현재 픽셀의 픽셀 값을 인트라 예측하도록 구성된다.
추가적인 실시예에서, 인트라 예측 유닛(103)은 다음 수학식:
Figure pat00052
에 기반하여 현재 비디오 코딩의 현재 픽셀의 픽셀 값을 인트라 예측하도록 구성되고,
Figure pat00053
는 예측되는 픽셀 값에 대한 제1 기준 픽셀 값의 기여를 정의하는 가중치 계수를 나타내고,
Figure pat00054
는 예측되는 픽셀 값에 대한 제2 기준 픽셀 값의 기여를 정의하는 가중치 계수이고,
Figure pat00055
Figure pat00056
이다. 가중치 계수들
Figure pat00057
의 값들은, 예를 들어, 현재 프로세싱되는 비디오 코딩 블록의 사이즈, 스큐-지향성(skew-directional) 인트라-예측 모드 인덱스, 또는 이러한 가중치 계수들의 값들을 직접적으로 또는 간접적으로 정의하는 신택스 요소들에 대한 명시적으로 시그널링된 정보에 의해 정의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복수의 기준 픽셀 값은 제1 기준 픽셀을 포함하는 복수의 프라이머리 기준 픽셀 값, 및 제2 기준 픽셀을 포함하는 복수의 세컨더리 기준 픽셀 값을 포함한다. 실시예에서, 장치(100)는 기준 픽셀 유닛(101)을 더 포함하고, 기준 픽셀 유닛(101)은 복수의 프라이머리 기준 픽셀 값에 기반하여 복수의 세컨더리 기준 픽셀 값을 생성하도록 구성되고, 복수의 프라이머리 기준 픽셀 값은 제1 이웃 비디오 코딩 블록을 포함하는 현재 비디오 코딩 블록의 이웃 비디오 코딩 블록들 내에 위치하는 복수의 프라이머리 기준 픽셀과 연관되고, 복수의 세컨더리 기준 픽셀 값은 제2 이웃 비디오 코딩 블록을 포함하는 현재 비디오 코딩 블록의 추가적인 이웃 비디오 코딩 블록들 내에 위치하는 복수의 세컨더리 기준 픽셀과 연관되고, 추가적인 이웃 비디오 코딩 블록들은 상기 이웃 비디오 코딩 블록들이 아니다.
실시예에서, 복수의 프라이머리 기준 픽셀은 현재 비디오 코딩 블록 바로 위의 픽셀들의 행들 내에 그리고 현재 비디오 코딩 블록의 좌측 또는 우측의 픽셀들의 열 내에 위치한다. 추가적인 실시예에서, 복수의 프라이머리 기준 픽셀은 현재 비디오 코딩 블록의 바로 아래의 픽셀들의 행 내에 그리고 현재 비디오 코딩 블록의 좌측 또는 우측의 픽셀들의 열 내에 위치한다.
실시예에서, 현재 비디오 코딩 블록은 2차 비디오 코딩 블록 또는 직사각형 비디오 코딩 블록이다.
인트라 예측 장치(100)의 추가적인 실시예들이 하기에 추가로 기술될 것이다.
도 2는 실시예에 따른 인코딩 장치(201) 및 실시예에 따른 디코딩 장치(211)를 예시하는 개략도를 도시한다.
인코딩 장치(201)는 비디오 신호의 프레임의 현재 비디오 코딩 블록을 인코딩하도록 구성되고, 현재 비디오 코딩 블록은 복수의 픽셀을 포함하고, 각각의 픽셀은 픽셀 값과 연관된다. 인코딩 장치(201)는 예측된 비디오 코딩 블록을 제공하기 위한 도 1에 도시된 인트라 예측 장치(100), 및 예측된 비디오 코딩 블록에 기반하여 현재 비디오 코딩 블록을 인코딩하도록 구성되고 그리고 예를 들어, 비트 스트림의 형태로, 인코딩된 현재 비디오 코딩 블록을 제공하기 위한 인코딩 유닛(203)을 포함한다. 인코딩 장치(201)의 추가적인 실시예들이 하기에 추가로 기술될 것이다. 실시예에서, 인코딩 장치(201)는, 예를 들어, HEVC 표준에서 정의된 바와 같은, 하이브리드 인코더로서 구현될 수 있고, 엔트로피 인코더와 같은, 추가적인 컴포넌트들을 포함할 수 있다.
디코딩 장치(211)는 인코딩 장치(201)에 의해 제공되는 비트스트림 내에 포함되는, 비디오 신호의 프레임의 인코딩된 비디오 코딩 블록을 디코딩하도록 구성되고, 인코딩된 비디오 코딩 블록은 복수의 픽셀을 포함하고, 각각의 픽셀은 픽셀 값과 연관된다. 디코딩 장치(211)는 예측된 비디오 코딩 블록을 제공하기 위한 도 1에 도시된 인트라 예측 장치(100) 및 인코딩된 비디오 코딩 블록 및 예측된 비디오 코딩 블록에 기반하여 비디오 코딩 블록을 복원하도록 구성되는 복원 유닛(213)을 포함한다. 디코딩 장치(211)의 추가적인 실시예들이 하기에 추가로 기술될 것이다. 실시예에서, 디코딩 장치(211)는 예를 들어, HEVC 표준에서 정의된 바와 같은, 하이브리드 디코더로서 구현될 수 있고, 인코딩된 비디오 코딩 블록에 기반하여 레지듀얼 비디오 코딩 블록을 제공하기 위한 디코딩 유닛과 같은, 추가적인 컴포넌트들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은 복수의 기준 픽셀의 복수의 기준 픽셀 값에 기반하여 비디오 신호의 프레임의 현재 비디오 코딩 블록의 픽셀들의 픽셀 값들의 인트라 예측을 위한 방법(300)을 예시하는 개략도를 도시한다.
인트라 예측 방법(300)은: 복수의 기준 픽셀 중 제1 기준 픽셀의 제1 기준 픽셀 값 - 제1 기준 픽셀 값은 제1 이웃 비디오 코딩 블록 내에 위치함 -, 복수의 기준 픽셀 중 제2 기준 픽셀의 제2 기준 픽셀 값 - 제2 기준 픽셀 값은 제2 이웃 비디오 코딩 블록 내에 위치함 -, 현재 픽셀과 제1 기준 픽셀 간의 거리, 및 현재 픽셀과 제2 기준 픽셀 간의 거리에 기반하여, 현재 비디오 코딩 블록의 현재 픽셀의 픽셀 값을 인트라 예측하는 단계(301)를 포함한다.
인트라 예측 방법(300)의 추가적인 실시예들이 하기에 추가로 기술될 것이다.
도 4는 실시예에 따른 인트라 예측 장치(100) 및 인트라 예측 방법(300)의 몇 개의 양태들, 특히, 현재 픽셀의 픽셀 값, 제1 기준 픽셀 값, 및 제2 기준 픽셀 값 간의 관계를 예시하는 예시적인 현재 비디오 코딩 블록의 개략도를 도시한다. 실시예에 따라 인트라 예측 장치(100) 및 인트라 예측 방법(300)에서 구현되는 대응하는 프로세싱 단계들이 도 5a 및 5b에 도시된다.
도 4에서, 픽셀들의 그레이 정사각형은 예시적인 현재 프로세싱되는 비디오 코딩 블록을 나타낸다. 도 4에 도시된 예시적인 현재 비디오 코딩 블록에 대해, 프라이머리 기준 픽셀들은 현재 비디오 코딩 블록 위의 픽셀들의 행 내의 픽셀들 및 현재 비디오 코딩 블록의 좌측의 픽셀들의 열 내의 픽셀들이다. 따라서,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프라이머리 기준 픽셀들은 이미 인트라 예측된, 즉, 인트라 예측 장치(100)에 의해 프로세싱된, 이웃 비디오 코딩 블록들에 속한다. 도 4에서, 현재 비디오 코딩 블록 위의 행 내의 프라이머리 기준 픽셀들은 0 내지 2N까지 인덱싱되고(indexed), 현재 비디오 코딩 블록의 좌측의 픽셀들의 열 내의 프라이머리 기준 픽셀들은 0 내지 -2N까지 인덱싱된다.
도 5a 및 5b는 실시예에 따른 인트라-예측 장치(100)에서 구현되는 인트라-예측 프로세싱 단계들을 예시하는 다이어그램을 도시한다. 선택된 인트라-예측 모드 인덱스를 입력하는 단계(프로세싱 단계(501)), 현재 프로세싱되는 비디오 코딩 블록의 사이즈를 입력하는 단계(프로세싱 단계(503)), 및 복수의 기준 샘플들을 입력하는 단계(프로세싱 단계(505))를 프로세싱한 이후, 장치(100)는 프로세싱 단계(507)에서, 이 입력에 기반하여, 종래의 인트라 예측 모드들에 기반하여 현재 프로세싱되는 비디오 코딩 블록을 인트라 예측할지(프로세싱 단계(509)) 또는 전술된 장치(100)의 인트라 예측 유닛(103)에 의해 제공되는 인트라 예측에 기반하여 현재 프로세싱되는 비디오 코딩 블록을 인트라 예측할지를 체크한다. 후자의 경우, 장치(100)는 현재 프로세싱되는 비디오 코딩 블록의 모든 픽셀들을 프로세싱하기 위한 루프(511)에 진입한다. 루프는 다음 프로세싱 단계들, 즉, 현재 픽셀과 제1 기준 픽셀 간의 거리
Figure pat00058
및 현재 픽셀과 제2 기준 픽셀 간의 거리
Figure pat00059
를 계산하는 단계(프로세싱 단계(513)), 예를 들어, 룩-업 테이블에 기반하여, 가중치 계수들
Figure pat00060
에 대한 값들을 선택하는 단계(프로세싱 단계(515)), 필요한 경우, 제1 기준 픽셀 값
Figure pat00061
및 제2 기준 픽셀 값
Figure pat00062
을 획득하기 위해 기준 샘플들을 보간하는 단계(프로세싱 단계(517)), 및 다음 수학식:
Figure pat00063
에 기반하여 현재 픽셀의 픽셀 값을 인트라 예측하는 단계(프로세싱 단계(519))를 포함한다.
도 5a 및 5b에 예시된 프로세싱 방식은 인코더 측 및 디코더 측 모두에 적용가능하다. 인코더 측에서, 제안된 거리-가중치형 메커니즘을 위한 인트라-예측 모드 선택은 종래의 기법들을 사용하여, 예컨대, RD-비용 척도(RD-cost criterion)를 사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도 4는 인트라 예측 장치(100)가, 더 어두운 그레이 음영에 의해 도 4에서 식별되는, 현재 프로세싱되는 비디오 코딩 블록의 픽셀, 즉, 현재 프로세싱되는 픽셀의 픽셀 값을 인트라-예측하는 경우를, 예로서 예시한다. 도 4에 가정된 예시적인 45°방향을 가지는 인트라 예측 모드에 대해, 기준 픽셀 유닛(101)은 현재 프로세싱되는 픽셀과 연관된 제1 기준 픽셀
Figure pat00064
을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현재 프로세싱되는 픽셀의 "반대 측" 상의 제2 기준 픽셀
Figure pat00065
이 결정된다(이는 또한 도 6의 프로세싱 단계들(601, 603, 및 605)에 예시된다). 제2 기준 픽셀
Figure pat00066
의 위치는 인트라-예측 모드, 예측될 블록의 사이즈 및 현재 프로세싱되는 픽셀이 예측되는 위치에 의존한다. 이 위치가 프라이머리(즉, 이미 예측된) 기준 픽셀과 일치하지 않는 경우(도 6의 프로세싱 단계(603)도 참조하라), 대응하는 제2 기준 픽셀 값이 다음과 같이 결정될 것이다.
제1 기준 픽셀 값
Figure pat00067
및/또는 제2 기준 픽셀 값
Figure pat00068
이 정수 픽셀 위치들에 위치하지 않을 수 있고, 따라서, 예를 들어, HEVC 표준에 의해 정의된 바와 같은, 서브-픽셀 보간 프로세스를 요구할 수 있다(도 6의 프로세싱 단계들(607, 609, 611 및 613)도 참조하라).
다음 스테이지에서, 장치(100)의 인트라 예측 유닛(103)은 전술된 바와 같이, 제1 기준 픽셀 값
Figure pat00069
및 제2 기준 픽셀 값
Figure pat00070
에 기반하여 현재 프로세싱되는 픽셀의 픽셀 값을 인트라 예측하도록 구성된다.
도 4에 도시된 실시예는 현재 프로세싱되는 비디오 코딩 블록의 프로세싱되지 않은 측들에 대한 세컨더리 기준 샘플들, 즉, 픽셀 값들의 생성을 사용한다. HEVC 표준에서, 예를 들어, 프로세싱되지 않은 측들은 현재 프로세싱되는 비디오 코딩 블록의 우측 및 최하부 측이다.
도 7은 제2 기준 픽셀을 포함하는 세컨더리 기준 픽셀들을 생성하기 위한 실시예에 따른 장치(100)의 기준 픽셀 유닛(101) 내에 구현되는 일반적인 개념을 예시하는 개략도를 도시한다.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기준 픽셀 유닛(101)은 2개의 컴포넌트, 소위 점진적으로 보간되는 픽셀 값들 또는 컴포넌트들 및 지향성으로 예측되는 픽셀 값들 또는 컴포넌트들, 즉, 예를 들어, HEVC/H.265 표준에 정의된 33개 지향성 모드에 의해 제공되는 바와 같은, 지향성 예측에 기반하여 예측되는 픽셀들의 조합을 사용한다.
도 7에 예시된 바와 같이,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라, 이들 2개의 컴포넌트는 지향성으로 또는 이들 값들의 보간에 의해 세컨더리 기준 샘플들
Figure pat00071
을 획득하기 위해 독립적으로 계산되고 조합될 수 있다.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지향성으로 예측된 값들은 이들 픽셀들이 예측되는 블록에 속하는 것처럼, 즉, 현재 프로세싱되는 비디오 코딩 블록의 "내부"의 픽셀들인 것처럼, 동일한 방식으로 계산된다. 이들 2개 컴포넌트의 조합은 상이한 방식들로 수행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기준 픽셀 유닛(101)은 다음 수학식:
Figure pat00072
에 기반하여 세컨더리 기준 픽셀 값을 생성하기 위해 제1 컴포넌트, 즉, 지향성으로 예측되는 픽셀 값, 및 제2 컴포넌트, 즉, 점진적으로 보간되는 픽셀 값의 가중된 합산을 취하도록 구성되며, 여기서
Figure pat00073
Figure pat00074
이고, k는 세컨더리 기준 픽셀 값들을 식별하기 위한 인덱스를 나타낸다. 예를 들어, 도면에서, 인덱스 k는 0(최하부 행에서 왼쪽의 세컨더리 기준 픽셀) 내지 2N(현재 프로세싱되는 비디오 코딩 블록의 우측 상의 행 내의 최상부에 있는 세컨더리 기준 픽셀)까지 이어진다. 실시예에서, 가중치들
Figure pat00075
은 값 0.5을 가질 수 있다. 실시예에서, 가중치들
Figure pat00076
은 현재 비디오 코딩 블록의 사이즈 및/또는 선택된 지향성 모드에 의존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가중치
Figure pat00077
는 다음 표에 제공되는 값들을 가질 수 있다(여기서, 가중치
Figure pat00078
는 관계식
Figure pat00079
Figure pat00080
로부터 도출될 수 있고, 각자의 각 모드 범위를 정의하는 수들은 상이한 지향성 모드들을 식별하는 인덱스들이다):
Figure pat00081
또 다른 실시예에서, 기준 픽셀 유닛(101)은, 제1 컴포넌트들, 즉, 지향성으로 예측되는 픽셀 값들 및 제2 컴포넌트들, 즉, 점진적으로 보간되는 픽셀 값들을 혼합함으로써(이는 비-선형 연산들을 포함할 수 있음), 제2 기준 픽셀을 포함하는 세컨더리 픽셀 값들
Figure pat00082
을 생성하도록 구성된다.
도 8은 점진적으로 보간되는 픽셀 값들을 생성하기 위한 2-스테이지 프로세스(800)에 기초하는, 실시예에 따른 인트라-예측 장치(100)에서 구현되는 인트라-예측 프로세싱 단계들을 예시하는 다이어그램을 도시한다.
제1 프로세싱 스테이지(801)에서, 기준 픽셀 유닛(101)은 제1 및 제2(또는 마지막) 세컨더리 기준 픽셀의 세컨더리 기준 픽셀 값들을 결정하도록 구성되며, 제1 세컨더리 기준 픽셀 및 마지막 세컨더리 기준 픽셀은 프라이머리 기준 픽셀들에 인접한 세컨더리 기준 픽셀들이다. 도 4에 도시된 예시적인 시나리오에서, 제1 세컨더리 기준 픽셀(픽셀 값
Figure pat00083
과 연관됨)은 최하부 행 내의 가장 좌측 픽셀이며, 마지막 세컨더리 기준 픽셀(픽셀 값
Figure pat00084
과 연관됨)은 현재 프로세싱되는 비디오 코딩 블록의 우측 상의 행 내의 최상부 픽셀이다.
실시예에서, 기준 픽셀 유닛(101)은 다음 수학식들:
Figure pat00085
에 기반하여 제1 세컨더리 기준 픽셀 값
Figure pat00086
및 제2 세컨더리 기준 픽셀 값
Figure pat00087
을 결정하도록 구성되고,
Figure pat00088
는 각자의 프라이머리 기준 픽셀의 픽셀 값을 나타내고,
Figure pat00089
는 프라이머리 기준 픽셀 가중치를 나타낸다.
도 8에 도시된 프로세스의 제2 프로세싱 스테이지(803)는 상이한 방식들로 이루어질 수 있다. 실시예에서, 장치(100)의 기준 픽셀 유닛(101)은 점진적으로 보간되는 픽셀 값들, 즉, 선형 보간을 사용하여 각자의 세컨더리 기준 픽셀 값들
Figure pat00090
을 생성하기 위한 각자의 제2 컴포넌트를 생성하도록 구성된다. 실시예에서, 장치(100)의 기준 픽셀 유닛(101)은 다음 수학식:
Figure pat00091
에 기반하여 계단 사이즈의 값을 결정하고, 이 계단 사이즈 s를 사용하여 점진적으로 보간된 값들:
Figure pat00092
을 계산하도록 구성된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장치(100)의 기준 픽셀 유닛(101)은 예를 들어, 다음 수학식:
Figure pat00093
에 기반하여, 점진적으로 보간되는 픽셀들 중 첫번째 픽셀 및 마지막 픽셀의 평균 픽셀 값을 정의하도록 구성된다.
도 9에 도시된 예시적인 비디오 코딩 블록에 기반하여 예시되는 실시예에서, 장치(100)의 기준 픽셀 유닛(101)은 현재 프로세싱되는 비디오 코딩 블록의 중간에 위치하는 포인트를 세컨더리 기준 픽셀들의 위치들에 투사함으로써 이 평균 픽셀 값에 대한 대응하는 세컨더리 기준 픽셀을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현재 프로세싱되는 비디오 코딩 블록의 중간에 위치하는 포인트의 좌표는 다음과 같이 표현될 수 있다:
Figure pat00094
여기서, W 및 H는 각자, 현재 프로세싱되는 비디오 코딩 블록의 폭 및 높이를 나타낸다. 이 실시예에 대해, 도 8에 도시된 제2 프로세싱 스테이지(803)는 세컨더리 기준 픽셀 값들의 제1 컴포넌트들, 즉, 지향성으로 예측되는 픽셀 값들을 예측하기 위해 사용되는 인트라-예측 모드에 종속적이게 되는데, 왜냐하면, 보간이 평균 픽셀 값과 연관된 세컨더리 기준 픽셀의 위치를 고려하여 수행되기 때문이다. 추가적인 실시예들에서, 2개의 상이한 계단 사이즈 값이 기준 픽셀 유닛(101)에 의해 사용되어 포인트들, 소위:
Figure pat00095
Figure pat00096
간의 선형 보간을 수행할 수 있다.
추가적인 실시예들에서, 기준 픽셀 유닛(101)은 구간
Figure pat00097
내에서 점진적으로 보간되는 픽셀 값들을 결정하기 위해 선형 보간 대신 2차 또는 더 고차의 보간을 사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10은 제2 기준 픽셀 값을 포함하는 세컨더리 기준 픽셀 값들을 생성하기 위한 추가적인 실시예들에 따라, 그리고/또는 도 8에 도시된 프로세싱 단계(803)에 대한 대안으로서, 기준 픽셀 유닛(101) 내에서 구현되는 알고리즘을 예시한다.
도 10에 도시된 알고리즘의 제1 프로세싱 단계(1001)에서, 예측될 현재 프로세싱되는 비디오 코딩 블록의 사이즈 S 및 인트라 예측 모드
Figure pat00098
가 선택된다. 다음 프로세싱 단계(1003)에서, 지향성으로 예측되는 픽셀들
Figure pat00099
은 프로세싱 단계(1001)에서 선택된 인트라 예측 모드
Figure pat00100
를 사용하여 미지의 기준 샘플 측들에 대해 생성된다. 실시예에서, 기준 픽셀 유닛(101)은 도 10의의 프로세싱 단계(1003)에서의 선택 및 사용을 위한 하나 이상의 종래의 인트라 예측 메커니즘(예를 들어, 표준 H.265에 정의된 종래의 인트라 예측 메커니즘)을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프로세싱 단계(1003)는 세컨더리 기준 픽셀 값들을 생성하기 위해 사용되는 프라이머리 기준 픽셀 값들의 필터링 또는 필터링 없음을 포함할 수 있다.
세컨더리 기준 픽셀들이 지향성으로 생성된 이후, 장치의 기준 픽셀 유닛(101)은 프로세싱 단계(1007)에서 필터
Figure pat00101
에 의해 이들 세컨더리 기준 픽셀들을 필터링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기준 픽셀 유닛(101)은 현재 프로세싱되는 비디오 코딩 블록, 즉, 예측될 블록의 사이즈 S 및/또는 선택되는 인트라 예측 모드
Figure pat00102
에 따라 필터
Figure pat00103
를 선택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도 10의 프로세싱 단계(1005)를 참조하라).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프로세싱(1007)에 적용되는
Figure pat00104
필터는 프로세싱 단계(1003)에서 프라이머리 기준 샘플들에 대해 임의적으로 적용되는 것과는 상이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기준 픽셀 유닛(101)은 알려진 기준 샘플들을 필터링하기 위해 H.265 표준에 특정된 필터들보다 더 강하도록 프로세싱 단계(1005)에서의 필터
Figure pat00105
를 선택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러나, FIR, IIR, 비-선형 또는 중앙값 필터들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 상이한 필터들
Figure pat00106
을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들 필터들은, 블러링, 디-링잉(de-ringing) 또는 선명화(sharpening)를 포함하는 상이한 효과들을 제공할 수 있다.
후속하는 섹션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해 구현되는 바와 같은 장치(201)와 디코딩 장치(211) 간의 시그널링을 포함하는, 인코딩 장치(201) 및 디코딩 장치(211)의 추가적인 실시예들이 기술될 것이다. 인지될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디코딩 장치(211) 측에서의 특수한 시그널링을 요구하지 않으며, 따라서 비트스트림 파싱 동작들의 복잡성을 증가시키지 않는다.
도 11은 HEVC 표준에 기반하여 실시예에 따라 디코딩 장치(211)에서 구현되는 프로세싱 방식(1100)을 도시한다.
제1 프로세싱 단계(1101)에서, 인트라 예측 모드의 인덱스
Figure pat00107
가 비트-스트림으로부터 파싱된다(parsed). 이후, 프로세싱 단계(1103)에서, 디코딩된 인트라 예측 모드가 지향성 인트라 예측 모드인지에 대한 결정이 이루어진다. 시그널 방식이 HEVC 비디오 코딩의 상황에서 적용되는 경우,
Figure pat00108
이 1보다 더 클 때 인트라 예측 모드는 지향성이다. 발명의 실시예들은 평면 모드를 사용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이 조건은
Figure pat00109
이 1과 동일하지 않는 것으로서 기입될 수 있다.
지향성(및 가능하게는 평면적) 인트라 예측 모드들에 대해, 프로세싱 단계(1105b)에서 플래그 "idw_dir_mode_PU_flag"의 값이 비트스트림으로부터 파싱된다.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이 플래그는 비트 스트림 내로 유입되어 제안된 메커니즘을 예측 유닛(변환 유닛들의 세트)에 적용할지를 코딩한다. 실시예에서, 이 플래그의 값은 단계(1105a)에서 비-지향성(DC 및 평면) 인트라 예측 모드들에 대해 0으로 할당된다. 프로세싱 단계(1107)에서, PU에 속하는 TU들이 결정되고, 각각의 TU에 대해, 예측된 신호를 획득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해 제공되는 바와 같이, 종래의 예측 방식을 사용할지(프로세싱 단계(1111b)) 또는 거리-가중형 예측을 사용할지(프로세싱 단계(1111a))에 대한 결정이 이루어진다(프로세싱 단계(1109)). 프로세싱 단계(1109)에서 TU에 대한 결정은 플래그 "idw_dir_mode_PU_flag"의 값에 기반하여 이루어지는데, 이는 프로세싱 단계들(1105a 및 1105b)에서 결정된다.
도 12는 HEVC 표준에 기초하는 실시예에 따른 인코딩 장치(201)에서 구현되는 프로세싱 방식(1200)을 도시한다.
프로세싱 방식(1200)은 프로세싱 단계(1201)에서, 주어진 PU에 대한 후보 인트라 예측 모드들의 세트 중에서 하나의 인트라 예측 모드를 선택함으로써 시작한다. 이후, 플래그 "idw_dir_mode_PU_flag"는 0의 값으로 할당되는데(프로세싱 단계(1203)를 참조하라), 이는 거리-가중형 지향성 예측(DWDIP)이 PU 내에 적용되지 않음을 의미한다. PU의 각각의 TU에 대해, 레이트-왜곡 비용(RD-비용)이 추정된다(프로세싱 단계들(1205, 1207, 1209)을 참조하라). PU 코딩 비용은 TU들에 대한 RD-비용들을 합산하고 시그널링 비용들을 추가함으로써 추정될 수 있다(프로세싱 단계(1211)를 참조하라).
후보 인트라 예측 모드들로부터 선택되는 인트라-예측 모드가 지향성이 아닌 경우, 추가적인 계산들이 존재하지 않는데, 즉, 주어진 PU 및 인트라-예측 모드에 대한 RD-비용이 결정된다(프로세싱 단계들(1213 및 1215b)을 참조하라). 그렇지 않은 경우, 유사한 동작들(프로세싱 단계들(1215a, 1217, 1219, 1221 및 1223)을 참조하라)이, 플래그 "idw_dir_mode_PU_flag"가 1로 설정되었을 때의 경우에 대해 수행되는데, 즉 DWDIP가 주어진 PU에 대해 인에이블된다. 플래그 "idw_dir_mode_PU_flag"의 어느 값이 사용되어야 하는지에 대한 인코딩 장치(201)에 의한 결정은 RD-비용들을 비교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프로세싱 단계(1215)를 참조하라).
개시내용의 특정 특징 또는 양태가 몇 개의 구현예들 또는 실시예들 중 단 하나에 대해서만 개시되었을 수 있지만, 이러한 특징 또는 양태는, 임의의 주어진 또는 특정한 응용예에 대해 바람직하거나 유리할 수 있음에 따라, 다른 구현예들 또는 실시예들의 하나 이상의 추가적인 특징 또는 양태와 조합될 수 있다. 또한, 용어들 "포함하다(include)", "가지다", "~를 가지는(with)" 또는 이들의 다른 변형어들이 상세한 설명 또는 청구항들에서 사용되는 범위에 대해, 이러한 용어들은 용어 "포함하다(comprise)"와 유사한 방식으로 내포적인 것으로 의도된다. 또한, 용어 "예시적인" 및 "예를 들어(for example 및 e.g.)"는 최상 또는 최적이기보다는, 단지 예로서 의도된다. 용어 "커플링되는" 및 "접속되는"은, 이들의 파생어들과 더불어 사용되었을 수 있다. 이들 용어들이, 2개의 요소가 직접 물리적 또는 전기적으로 접촉하는지, 또는 이들이 서로 직접 접촉하지 않는지의 여부와는 무관하게, 이들이 서로 협력하거나 상호작용함을 나타내기 위해 사용되었을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특정 양태들이 본원에 예시되고 기술되었지만, 다양한 대안적인 그리고/또는 등가적인 구현예들이 본 개시내용의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도시된 특정 양태들에 대해 대체되고 기술될 수 있다는 것이 인지될 것이다. 이 출원은 본원에 논의된 특정 양태들의 임의의 조정들 또는 변형들을 커버하도록 의도된다.
후속하는 청구항들 내의 요소들이 대응하는 라벨링을 가지고 특정 시퀀스로 인용되지만, 청구항 인용들이 해당 요소들의 일부 또는 전부를 구현하기 위해 특정 시퀀스를 다른 방식으로 내포하지 않는 한, 해당 요소들이 반드시 그 특정 시퀀스로 구현되는 것으로 제한되도록 의도되지는 않는다.
많은 대안들, 수정들, 및 변형들이, 위 교시들의 견지에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물론,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본원에 기술된 것 이외에도 본 발명의 다수의 응용예들이 존재함을 용이하게 인지할 것이다. 본 발명이 하나 이상의 특정 실시예에 대해 기술되었지만,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많은 변경들이 본 발명의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본 발명에 대해 이루어질 수 있음을 인지한다. 따라서, 첨부되는 청구항들 및 그 등가물들의 범위 내에서, 발명이 본원에 구체적으로 기술된 것 이외에 다른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Claims (18)

  1. 복수의 기준 픽셀의 기준 픽셀 값들에 기반하여 비디오 신호의 프레임의 현재 비디오 코딩 블록의 픽셀들의 픽셀 값들의 인트라 예측을 위한 장치로서,
    상기 복수의 기준 픽셀 중 제1 기준 픽셀의 제1 기준 픽셀 값 - 상기 제1 기준 픽셀은 제1 이웃 비디오 코딩 블록 내에 위치함 -,
    상기 복수의 기준 픽셀 중 제2 기준 픽셀의 제2 기준 픽셀 값 - 상기 제2 기준 픽셀은 제2 이웃 비디오 코딩 블록 내에 위치함 -,
    상기 제1 기준 픽셀 값에 대한 제1 가중치, 및
    상기 제2 기준 픽셀 값에 대한 제2 가중치
    에 기반하여 상기 현재 비디오 코딩 블록의 현재 픽셀의 픽셀 값을 인트라 예측하도록 구성되는 인트라 예측 유닛
    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기준 픽셀 및 상기 제2 기준 픽셀은 상기 현재 픽셀의 반대 측에 위치하고,
    상기 제2 기준 픽셀은 상기 현재 비디오 코딩 블록의 최하부 측에 위치하거나, 상기 제2 기준 픽셀은 상기 현재 비디오 코딩 블록의 우측에 위치하는, 인트라 예측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트라 예측 유닛은:
    상기 제1 기준 픽셀 값과 상기 제1 가중치의 곱 - 상기 제1 가중치는 상기 현재 픽셀과 상기 제2 기준 픽셀 간의 거리 및 상기 제1 기준 픽셀과 상기 제2 기준 픽셀 간의 거리에 기초함 -, 및
    상기 제2 기준 픽셀 값과 상기 제2 가중치의 곱 - 상기 제2 가중치는 상기 현재 픽셀과 상기 제1 기준 픽셀 간의 거리 및 상기 제1 기준 픽셀과 상기 제2 기준 픽셀 간의 거리에 기초함 -
    에 기반하여 상기 현재 비디오 코딩 블록의 현재 픽셀의 픽셀 값을 인트라 예측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1 기준 픽셀과 상기 제2 기준 픽셀 간의 거리는 상기 현재 픽셀과 상기 제1 기준 픽셀 간의 거리 및 상기 현재 픽셀과 상기 제2 기준 픽셀 간의 거리의 합인, 인트라 예측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인트라 예측 유닛은 이하의 수학식들:
    Figure pat00110
    Figure pat00111

    에 기반하여 상기 제1 가중치
    Figure pat00112
    및 상기 제2 가중치
    Figure pat00113
    를 결정하도록 구성되고,
    Figure pat00114
    는 상기 현재 픽셀과 상기 제2 기준 픽셀 간의 거리를 나타내고,
    Figure pat00115
    는 상기 현재 픽셀과 상기 제1 기준 픽셀 간의 거리를 나타내고, D는 상기 제1 기준 픽셀과 상기 제2 기준 픽셀 간의 거리를 나타내는 인트라 예측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인트라 예측 유닛은 상기 제1 가중치와 상기 제1 기준 픽셀 값의 곱 및 상기 제2 가중치와 상기 제2 기준 픽셀 값의 곱의 합산으로서 상기 현재 비디오 코딩 블록의 현재 픽셀의 픽셀 값을 인트라 예측하도록 구성되는 인트라 예측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현재 픽셀, 상기 제1 기준 픽셀 및 상기 제2 기준 픽셀은 직선 상에 놓여 있는 인트라 예측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기준 픽셀 값은 상기 제1 기준 픽셀을 포함하는 복수의 프라이머리 기준 픽셀 값, 및 상기 제2 기준 픽셀을 포함하는 복수의 세컨더리 기준 픽셀 값을 포함하고, 상기 장치는 기준 픽셀 유닛을 더 포함하고, 상기 기준 픽셀 유닛은 상기 복수의 프라이머리 기준 픽셀 값에 기반하여 상기 복수의 세컨더리 기준 픽셀 값을 생성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복수의 프라이머리 기준 픽셀 값은 상기 제1 이웃 비디오 코딩 블록을 포함하는 상기 현재 비디오 코딩 블록의 이웃 비디오 코딩 블록들 내에 위치하는 복수의 프라이머리 기준 픽셀과 연관되고, 상기 복수의 세컨더리 기준 픽셀 값은 상기 제2 이웃 비디오 코딩 블록을 포함하는 상기 현재 비디오 코딩 블록의 추가적인 이웃 비디오 코딩 블록들 내에 위치하는 복수의 세컨더리 기준 픽셀과 연관되는, 인트라 예측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프라이머리 기준 픽셀은 상기 현재 비디오 코딩 블록 바로 위의 픽셀들의 행 내에 그리고 상기 현재 비디오 코딩 블록의 좌측 또는 우측의 픽셀들의 열 내에 위치하거나, 또는 상기 복수의 프라이머리 기준 픽셀은 상기 현재 비디오 코딩 블록 바로 아래의 픽셀들의 행 내에 그리고 상기 현재 비디오 코딩 블록의 좌측 또는 우측의 픽셀들의 열 내에 위치하는 인트라 예측 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픽셀 유닛은 상기 복수의 세컨더리 기준 픽셀 값의 서브세트의 각각의 세컨더리 기준 픽셀 값에 대해, 지향성 인트라 예측에 기반하는 상기 세컨더리 기준 픽셀 값의 제1 컴포넌트 및 제1 세컨더리 기준 픽셀 값과 제2 세컨더리 기준 픽셀 값 간의 보간 예측에 기반하는 상기 세컨더리 기준 픽셀 값의 제2 컴포넌트를 결정하고, 상기 세컨더리 기준 픽셀 값의 상기 제1 컴포넌트와 상기 세컨더리 기준 픽셀 값의 상기 제2 컴포넌트를 조합하여 상기 세컨더리 기준 픽셀 값을 생성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인트라 예측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픽셀 유닛은 지향성 인트라 예측에 기반하여 상기 세컨더리 기준 픽셀 값의 상기 제1 컴포넌트를 결정하기 위해 H.264 표준, H.265 표준, 또는 이들 표준들 중 하나로부터 진화되는 표준의 지향성 모드를 사용하도록 구성되는 인트라 예측 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픽셀 유닛은 상기 제1 세컨더리 기준 픽셀에 이웃하는 프라이머리 기준 픽셀들의 프라이머리 기준 픽셀 값들에 기반하는 상기 제1 세컨더리 기준 픽셀 값, 및 상기 제2 세컨더리 기준 픽셀에 이웃하는 프라이머리 기준 픽셀들의 프라이머리 기준 픽셀 값들에 기반하는 상기 제2 세컨더리 기준 픽셀 값을 결정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인트라 예측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픽셀 유닛은 이하의 수학식들:
    Figure pat00116

    에 기반하여 상기 제1 세컨더리 기준 픽셀 값
    Figure pat00117
    및 상기 제2 세컨더리 기준 픽셀 값
    Figure pat00118
    을 결정하도록 구성되고, N은 상기 현재 비디오 코딩 블록의 선형 사이즈를 나타내는 인트라 예측 장치.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픽셀 유닛은 이하의 수학식:
    Figure pat00119

    Figure pat00120

    에 기반하는 상기 제1 세컨더리 기준 픽셀 값
    Figure pat00121
    과 상기 제2 세컨더리 기준 픽셀 값
    Figure pat00122
    간의 보간 예측에 기반하여 상기 세컨더리 기준 픽셀 값의 상기 제2 컴포넌트
    Figure pat00123
    를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인트라 예측 장치.
  13.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픽셀 유닛은 이하의 수학식:
    Figure pat00124

    에 기반하여 상기 세컨더리 기준 픽셀 값의 상기 제1 컴포넌트
    Figure pat00125
    와 상기 세컨더리 기준 픽셀 값의 상기 제2 컴포넌트
    Figure pat00126
    를 조합하여 상기 세컨더리 기준 픽셀 값
    Figure pat00127
    을 생성하도록 구성되고,
    Figure pat00128
    Figure pat00129
    인 인트라 예측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픽셀 유닛은 상기 현재 비디오 코딩 블록의 방향, 인덱스 k 및/또는 사이즈에 따라 가중치들
    Figure pat00130
    및/또는
    Figure pat00131
    을 조정하도록 구성되는 인트라 예측 장치.
  15. 비디오 신호의 프레임의 현재 비디오 코딩 블록을 인코딩하기 위한 인코딩 장치(201)로서,
    상기 현재 비디오 코딩 블록은 복수의 픽셀을 포함하고, 각각의 픽셀은 픽셀 값과 연관되고, 상기 인코딩 장치(201)는:
    예측된 비디오 코딩 블록을 제공하기 위한 제1항에 따른 인트라 예측 장치; 및
    상기 예측된 비디오 코딩 블록에 기반하여 상기 현재 비디오 코딩 블록을 인코딩하도록 구성되는 인코딩 유닛
    을 포함하는 인코딩 장치(201).
  16. 비디오 신호의 프레임의 인코딩된 비디오 코딩 블록을 디코딩하기 위한 디코딩 장치로서,
    상기 인코딩된 비디오 코딩 블록은 복수의 픽셀을 포함하고, 각각의 픽셀은 픽셀 값과 연관되고, 상기 디코딩 장치는:
    예측된 비디오 코딩 블록을 제공하기 위해 제1항에 따른 인트라 예측 장치; 및
    인코딩된 비디오 코딩 블록 및 상기 예측된 비디오 코딩 블록에 기반하여 비디오 코딩 블록을 복원하도록 구성되는 복원 유닛
    을 포함하는 디코딩 장치.
  17. 복수의 기준 픽셀의 기준 픽셀 값들에 기반하여 비디오 신호의 프레임의 현재 비디오 코딩 블록의 픽셀들의 픽셀 값들의 인트라 예측을 위한 방법으로서,
    상기 복수의 기준 픽셀 중 제1 기준 픽셀의 제1 기준 픽셀 값 - 상기 제1 기준 픽셀은 제1 이웃 비디오 코딩 블록 내에 위치함 -,
    상기 복수의 기준 픽셀 중 제2 기준 픽셀의 제2 기준 픽셀 값 - 상기 제2 기준 픽셀은 제2 이웃 비디오 코딩 블록 내에 위치함 -,
    상기 제1 기준 픽셀 값에 대한 제1 가중치, 및
    상기 제2 기준 픽셀 값에 대한 제2 가중치
    에 기반하여 상기 현재 비디오 코딩 블록의 현재 픽셀의 픽셀 값을 인트라 예측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기준 픽셀 및 상기 제2 기준 픽셀은 상기 현재 픽셀의 반대 측에 위치하고,
    상기 제2 기준 픽셀은 상기 현재 비디오 코딩 블록의 최하부 측에 위치하거나, 상기 제2 기준 픽셀은 상기 현재 비디오 코딩 블록의 우측에 위치하는, 인트라 예측 방법.
  18. 컴퓨터 상에서 실행될 때 제17항의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 코드를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한 매체.
KR1020217007309A 2016-10-14 2016-10-14 비디오 코딩을 위한 디바이스들 및 방법들 KR10235205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RU2016/000705 WO2018070898A1 (en) 2016-10-14 2016-10-14 Devices and methods for video coding
KR1020197013258A KR102228474B1 (ko) 2016-10-14 2016-10-14 비디오 코딩을 위한 디바이스들 및 방법들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13258A Division KR102228474B1 (ko) 2016-10-14 2016-10-14 비디오 코딩을 위한 디바이스들 및 방법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31543A true KR20210031543A (ko) 2021-03-19
KR102352058B1 KR102352058B1 (ko) 2022-01-17

Family

ID=57708717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13258A KR102228474B1 (ko) 2016-10-14 2016-10-14 비디오 코딩을 위한 디바이스들 및 방법들
KR1020217007309A KR102352058B1 (ko) 2016-10-14 2016-10-14 비디오 코딩을 위한 디바이스들 및 방법들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13258A KR102228474B1 (ko) 2016-10-14 2016-10-14 비디오 코딩을 위한 디바이스들 및 방법들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11102474B2 (ko)
EP (2) EP3869798A1 (ko)
JP (1) JP6784836B2 (ko)
KR (2) KR102228474B1 (ko)
CN (1) CN109845252B (ko)
AU (1) AU2016426405B2 (ko)
CA (1) CA3040452C (ko)
WO (1) WO2018070898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95708A1 (ko) * 2022-04-03 2023-10-12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 인코딩/디코딩 방법 및 장치, 그리고 비트스트림을 저장한 기록 매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28474B1 (ko) * 2016-10-14 2021-03-16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비디오 코딩을 위한 디바이스들 및 방법들
CN115733973A (zh) * 2016-12-23 2023-03-03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用于矩形视频编码块的编码方法、装置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WO2019107927A1 (ko) * 2017-11-28 2019-06-06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양방향 인트라 예측 방법 및 장치
CN111937389B (zh) 2018-03-29 2022-01-14 华为技术有限公司 用于视频编解码的设备和方法
US10645381B2 (en) * 2018-04-30 2020-05-05 Google Llc Intra-prediction for smooth blocks in image/video
WO2020125803A1 (en) * 2018-12-21 2020-06-25 Beijing Bytedance Network Technology Co., Ltd. Intra prediction using polynomial model
CN110072112B (zh) * 2019-03-12 2023-05-12 浙江大华技术股份有限公司 帧内预测方法、编码器及存储装置
CN112153385B (zh) * 2020-11-25 2021-03-02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编码处理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40848A (ko) * 2010-12-22 2015-12-16 엘지전자 주식회사 화면 내 예측 방법 및 이러한 방법을 사용하는 장치
KR20190055253A (ko) * 2016-10-14 2019-05-22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비디오 코딩을 위한 디바이스들 및 방법들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2006320064B2 (en) * 2005-11-30 2010-09-09 Kabushiki Kaisha Toshiba Image encoding/image decoding method and image encoding/image decoding apparatus
WO2008084817A1 (ja) * 2007-01-09 2008-07-17 Kabushiki Kaisha Toshiba 画像符号化と復号化の方法及び装置
KR101361005B1 (ko) 2008-06-24 2014-02-13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인트라 예측 방법 및 장치와 그를 이용한 영상부호화/복호화 방법 및 장치
HUE041324T2 (hu) 2010-05-25 2019-05-28 Lg Electronics Inc Új síkbani elõrejelzés üzemmód
KR102086145B1 (ko) 2010-12-13 2020-03-09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인트라 예측 방법 및 그 장치
US10306222B2 (en) * 2011-06-20 2019-05-28 Hfi Innovation Inc. Method and apparatus of directional intra prediction
WO2014003421A1 (ko) * 2012-06-25 2014-01-03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비디오 부호화 및 복호화를 위한 방법
EP3198867A4 (en) 2014-10-31 2018-04-04 MediaTek Inc. Method of improved directional intra prediction for video coding
WO2017073360A1 (ja) * 2015-10-30 2017-05-04 ソニー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および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40848A (ko) * 2010-12-22 2015-12-16 엘지전자 주식회사 화면 내 예측 방법 및 이러한 방법을 사용하는 장치
KR20190055253A (ko) * 2016-10-14 2019-05-22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비디오 코딩을 위한 디바이스들 및 방법들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Yongbing Lin. CE6.a: Report of Bidirectional UDI mode for Intra prediction. JCT-VC 6th Meeting: Torino, IT, 14-22 July, 2011, JCTVC-F509* *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95708A1 (ko) * 2022-04-03 2023-10-12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 인코딩/디코딩 방법 및 장치, 그리고 비트스트림을 저장한 기록 매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9535212A (ja) 2019-12-05
KR102352058B1 (ko) 2022-01-17
CN109845252B (zh) 2021-08-03
AU2016426405A8 (en) 2019-05-16
EP3516867A1 (en) 2019-07-31
CN109845252A (zh) 2019-06-04
BR112019007634A2 (pt) 2019-09-10
EP3869798A1 (en) 2021-08-25
CA3040452A1 (en) 2018-04-19
AU2016426405A1 (en) 2019-05-02
CA3040452C (en) 2023-03-28
US20190238838A1 (en) 2019-08-01
JP6784836B2 (ja) 2020-11-11
AU2016426405B2 (en) 2021-11-25
KR20190055253A (ko) 2019-05-22
EP3516867B1 (en) 2021-06-30
WO2018070898A8 (en) 2019-05-09
WO2018070898A1 (en) 2018-04-19
US11102474B2 (en) 2021-08-24
KR102228474B1 (ko) 2021-03-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28474B1 (ko) 비디오 코딩을 위한 디바이스들 및 방법들
US10887587B2 (en) Distance weighted bi-directional intra prediction
KR102287594B1 (ko) 미리 결정된 방향성 인트라 예측 모드들의 세트를 확장하기 위한 인트라 예측 장치
US20230071458A1 (en) Encoding apparatus for signaling an extension directional intra-prediction mode within a set of directional intra-prediction modes
KR102371266B1 (ko) 미리 결정된 방향성 인트라 예측 모드들의 세트로부터 방향성 인트라 예측 모드를 제거하기 위한 인트라 예측 장치
CN110771166A (zh) 用于视频编码的装置和方法
JP7071474B2 (ja) ビデオコーディングのための装置及び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