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31297A -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트래픽을 처리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트래픽을 처리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31297A
KR20210031297A KR1020190113071A KR20190113071A KR20210031297A KR 20210031297 A KR20210031297 A KR 20210031297A KR 1020190113071 A KR1020190113071 A KR 1020190113071A KR 20190113071 A KR20190113071 A KR 20190113071A KR 20210031297 A KR20210031297 A KR 202100312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pf
information
packet
function
devic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130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상수
권기석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130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31297A/ko
Priority to EP20863331.3A priority patent/EP4024788A4/en
Priority to CN202080073826.4A priority patent/CN114586409A/zh
Priority to US17/642,208 priority patent/US20220321481A1/en
Priority to PCT/KR2020/012287 priority patent/WO2021049899A1/ko
Publication of KR202100312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3129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02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 H04W28/10Flow control between communication endpoi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7/00Traffic control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7/10Flow control; Congestion control
    • H04L47/20Traffic polic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7/00Traffic control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7/10Flow control; Congestion control
    • H04L47/24Traffic characterised by specific attributes, e.g. priority or QoS
    • H04L47/2441Traffic characterised by specific attributes, e.g. priority or QoS relying on flow classification, e.g. using integrated services [IntServ]
    • H04L47/14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7/00Traffic control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7/10Flow control; Congestion control
    • H04L47/35Flow control; Congestion control by embedding flow control information in regular packets, e.g. piggyback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7/00Traffic control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7/70Admission control; Resource allocation
    • H04L47/82Miscellaneous aspects
    • H04L47/825Involving tunnels, e.g. MP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02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 H04W28/10Flow control between communication endpoints
    • H04W28/12Flow control between communication endpoints using signalling between network el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0/00Affiliation to network, e.g. registration; Terminating affiliation with the network, e.g. de-registration
    • H04W60/04Affiliation to network, e.g. registration; Terminating affiliation with the network, e.g. de-registration using triggered ev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02Processing of mobility data, e.g. registration information at HLR [Home Location Register] or VLR [Visitor Location Register]; Transfer of mobility data, e.g. between HLR, VLR or external networks
    • H04W8/04Registration at HLR or HSS [Home Subscriber Server]

Abstract

본 개시는 LTE(Long Term Evolution)와 같은 4G(4th generation) 통신 시스템 이후 보다 높은 데이터 전송률을 지원하기 위한 5G(5th generation) 또는 pre-5G 통신 시스템에 관련된 것이다. 무선 통신 시스템의 코어 망에서 UPF(user plane function)를 위한 장치의 동작 방법은, SMF(session management function)를 위한 장치로부터 패킷을 처리하기 위한 규칙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규칙에 기반하여 제1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사용자 트래픽을 포함하는 패킷을 처리하는 과정과, 상기 처리된 패킷을 제2 장치로 송신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장치 또는 상기 제2 장치는, 사용자 평면에 관련된 기능을 수행하는 다른 장치일 수 있다.

Description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트래픽을 처리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PROCESSING TRAFFIC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본 개시(disclosure)는 일반적으로 무선 통신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트래픽을 처리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4G(4th generation) 통신 시스템 상용화 이후 증가 추세에 있는 무선 데이터 트래픽 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해, 개선된 5G(5th generation) 통신 시스템 또는 pre-5G 통신 시스템을 개발하기 위한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이유로, 5G 통신 시스템 또는 pre-5G 통신 시스템은 4G 네트워크 이후(Beyond 4G Network) 통신 시스템 또는 LTE(Long Term Evolution) 시스템 이후(Post LTE) 시스템이라 불리어지고 있다.
높은 데이터 전송률을 달성하기 위해, 5G 통신 시스템은 초고주파(mmWave) 대역(예를 들어, 60기가(60GHz) 대역과 같은)에서의 구현이 고려되고 있다. 초고주파 대역에서의 전파의 경로손실 완화 및 전파의 전달 거리를 증가시키기 위해, 5G 통신 시스템에서는 빔포밍(beamforming), 거대 배열 다중 입출력(massive MIMO), 전차원 다중입출력(Full Dimensional MIMO, FD-MIMO), 어레이 안테나(array antenna), 아날로그 빔형성(analog beam-forming), 및 대규모 안테나(large scale antenna) 기술들이 논의되고 있다.
또한 시스템의 네트워크 개선을 위해, 5G 통신 시스템에서는 진화된 소형 셀, 개선된 소형 셀(advanced small cell), 클라우드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cloud radio access network, cloud RAN), 초고밀도 네트워크(ultra-dense network), 기기 간 통신(Device to Device communication, D2D), 무선 백홀(wireless backhaul), 이동 네트워크(moving network), 협력 통신(cooperative communication), CoMP(Coordinated Multi-Points), 및 수신 간섭제거(interference cancellation) 등의 기술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 밖에도, 5G 시스템에서는 진보된 코딩 변조(Advanced Coding Modulation, ACM) 방식인 FQAM(Hybrid Frequency Shift Keying and Quadrature Amplitude Modulation) 및 SWSC(Sliding Window Superposition Coding)과, 진보된 접속 기술인 FBMC(Filter Bank Multi Carrier), NOMA(Non Orthogonal Multiple Access), 및 SCMA(Sparse Code Multiple Access) 등이 개발되고 있다.
5G 통신 시스템에서는 기존 4G 통신 시스템 대비 다양한 서비스에 대한 지원을 고려하고 있다. 예를 들어, 5G 통신 시스템에서는 모바일 초광대역 통신 서비스(enhanced mobile broad band, eMBB), 초 고신뢰성/저지연 통신 서비스(ultra-reliable and low latency communication, URLLC), 대규모 기기간 통신 서비스(massive machine type communication, mMTC), 차세대 방송 서비스(evolved multimedia broadcast/multicast service, eMBMS) 등을 지원할 수 있다.
5G 통신 시스템에서 요구하는 데이터 처리량을 달성하기 위해, 무선 구간에서는 물론 코어 망에서의 처리 속도의 향상이 요구된다. 이에 따라, 코어 망에서 데이터를 효과적으로 처리하기 위한 다양한 구조들이 논의 중에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논의를 바탕으로, 본 개시(disclosure)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사용자 트래픽을 처리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무선 통신 시스템의 코어 망에서 UPF(user plane function)를 위한 장치의 동작 방법은, SMF(session management function)를 위한 장치로부터 패킷을 처리하기 위한 규칙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규칙에 기반하여 제1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사용자 트래픽을 포함하는 패킷을 처리하는 과정과, 상기 처리된 패킷을 제2 장치로 송신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장치 또는 상기 제2 장치는, 사용자 평면에 관련된 기능을 수행하는 다른 장치일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무선 통신 시스템의 코어 망에서 SMF(session management function)를 위한 장치의 동작 방법은, UPF(user plane function)를 위한 복수의 장치들 각각에서 수행되는 적어도 하나의 액션(action)을 위한 규칙들을 결정하는 과정과, 상기 규칙들에 대한 정보를 상기 UPF를 위한 복수의 장치들로 송신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무선 통신 시스템의 코어 망에서 NRF(network repository function)를 위한 장치의 동작 방법은, UPF(user plane function)를 위한 복수의 장치들과 장치와의 NF(network function) 등록 절차를 수행함으로써, 상기 UPF를 위한 복수의 장치들에 의해 제공되는 UPF 서비스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과정과, SMF(session management function)를 위한 장치로부터, 상기 UPF를 위한 복수의 장치들에 대한 정보를 요청하는 요청 메시지를 송신하는 과정과, 상기 UPF를 위한 복수의 장치들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는 과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무선 통신 시스템의 코어 망에서 UPF(user plane function)를 위한 장치는, 송수신기와, 상기 송수신기와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SMF(session management function)를 위한 장치로부터 패킷을 처리하기 위한 규칙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규칙에 기반하여 제1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사용자 트래픽을 포함하는 패킷을 처리하고, 상기 처리된 패킷을 제2 장치로 송신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장치 또는 상기 제2 장치는, 사용자 평면에 관련된 기능을 수행하는 다른 장치일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무선 통신 시스템의 코어 망에서 SMF(session management function)를 위한 장치는, 송수신기와, 상기 송수신기와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UPF(user plane function)를 위한 복수의 장치들 각각에서 수행되는 적어도 하나의 액션(action)을 위한 규칙들을 결정하고, 상기 규칙들에 대한 정보를 상기 UPF를 위한 복수의 장치들로 송신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무선 통신 시스템의 코어 망에서 NRF(network repository function)를 위한 장치는, 송수신기와, 상기 송수신기와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UPF(user plane function)를 위한 복수의 장치들과 장치와의 NF(network function) 등록 절차를 수행함으로써, 상기 UPF를 위한 복수의 장치들에 의해 제공되는 UPF 서비스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고, SMF(session management function)를 위한 장치로부터, 상기 UPF를 위한 복수의 장치들에 대한 정보를 요청하는 요청 메시지를 송신하고, 상기 UPF를 위한 복수의 장치들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장치 및 방법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사용자 트래픽을 효과적으로 처리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을 도시한다.
도 2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코어 망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다.
도 3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UPF의 연결 구조의 일 예를 도시한다.
도 4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패킷 전달 방식의 일 예를 도시한다.
도 5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패킷 전달 방식의 다른 예를 도시한다.
도 6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패킷 처리의 일 예를 도시한다.
도 7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패킷을 처리하기 위한 신호 교환도의 일 예를 도시한다.
도 8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터널링을 이용하여 패킷을 전달하는 경우의 신호 교환도의 예를 도시한다.
도 9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헤더를 이용하여 패킷을 전달하는 경우의 신호 교환도의 예를 도시한다.
도 10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일부 규칙이 UPF(user plane function) 장치에 의해 정의되는 경우의 신호 교환도의 또 다른 예를 도시한다.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다른 실시 예의 범위를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닐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개시에 기재된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질 수 있다. 본 개시에 사용된 용어들 중 일반적인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동일 또는 유사한 의미로 해석될 수 있으며, 본 개시에서 명백하게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경우에 따라서, 본 개시에서 정의된 용어일지라도 본 개시의 실시 예들을 배제하도록 해석될 수 없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는 하드웨어적인 접근 방법을 예시로서 설명한다. 하지만,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를 모두 사용하는 기술을 포함하고 있으므로,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이 소프트웨어 기반의 접근 방법을 제외하는 것은 아니다.
이하 본 개시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서비스의 트래픽을 처리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하 설명에서 사용되는 신호를 지칭하는 용어, 채널을 지칭하는 용어, 제어 정보를 지칭하는 용어, 네트워크 객체(network entity) 또는 네트워크 기능(network function)들을 지칭하는 용어, 장치의 구성 요소를 지칭하는 용어 등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 예시된 것이다. 따라서, 본 개시가 후술되는 용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동등한 기술적 의미를 가지는 다른 용어가 사용될 수 있다.
이하 설명에서 사용되는 접속 노드(node)를 식별하기 위한 용어, 망 객체(network entity) 또는 NF(network function)들을 지칭하는 용어, 메시지들을 지칭하는 용어, 망 객체들 간 인터페이스를 지칭하는 용어, 다양한 식별 정보들을 지칭하는 용어 등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 예시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이 후술되는 용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동등한 기술적 의미를 가지는 대상을 지칭하는 다른 용어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는, 일부 통신 규격(예: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에서 사용되는 용어들을 이용하여 다양한 실시 예들을 설명하지만, 이는 설명을 위한 예시일 뿐이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은, 다른 통신 시스템에서도, 용이하게 변형되어 적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을 도시한다.
도 1을 참고하면, 시스템은 UE(user equipment))(100), RAN(radio access network)(120), 코어 망(core network)(130), DN(data network)(140)를 포함한다. 코어 망(130)은 AMF(access and mobility management function) (130a), SMF(session management function)(130b), UPF(user plane function)(130c), NSSF(network slice selection function)(130d), NEF(network exposure function)(130e), NRF(network repository function)(130f), PCF(policy control function)(130g), UDM(unified data management)(130h), AF(application function)(130i), AUSF(authentication server function)(130g), SCP(service communication proxy)(130h)를 포함한다.
UE(110)는 사용자에 의해 사용되는 장치로서, RAN(120)에 포함되는 기지국과 무선 채널을 통해 통신을 수행한다. UE(110)는 UE 외 '단말(terminal)', '이동국(mobile station)', '가입자국(subscriber station)', '원격 단말(remote terminal)', '무선 단말(wireless terminal)', '사용자 장치(user device)' 또는 이와 동등한 기술적 의미를 가지는 다른 용어로 지칭될 수 있다.
RAN(120)은 사용자 장치(예: UE(110))와 직접 연결되는 네트워크로서, UE(110)에게 무선 접속을 제공하는 인프라스트럭쳐(infrastructure)이다. RAN(120)은 복수의 기지국들의 집합을 포함하며, 복수의 기지국들은 상호 간 형성된 인터페이스를 통해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복수의 기지국들 간 인터페이스들 중 적어도 일부는 유선이거나 무선일 수 있다. 기지국은 CU(central unit) 및 DU(distributed unit)으로 분리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 경우, 하나의 CU가 복수의 DU들을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기지국은 기지국(base station) 외에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 AP)', '이노드비(eNodeB, eNB)', '5G 노드(5th generation node)', '지노드비(next generation nodeB, gNB)', '무선 포인트(wireless point)', '송수신 포인트(transmission/reception point, TRP)' 또는 이와 동등한 기술적 의미를 가지는 다른 용어로 지칭될 수 있다.
코어 망(130)은 전체 시스템을 관리하는 네트워크로서, RAN(120)을 제어하고, RAN(120)을 통해 송수신되는 UE(110)에 대한 데이터 및 제어 신호들을 처리한다. 코어 망(130)은 사용자 플랜(user plane) 및 제어 플랜(control plane)의 제어, 이동성(mobility)의 처리, 가입자 정보의 관리, 과금, 다른 종류의 시스템(예: LTE(long term evolution) 시스템)과의 연동 등 다양한 기능들을 수행한다. 상술한 다양한 기능들을 수행하기 위해, 코어 망(130)은 서로 다른 NF(network function)들을 가진 기능적으로 분리된 복수의 장치들을 포함할 수 있다. 코어 망(130)에서 제공되는 NF들(예: SMF(130b), UPF(130c) 등)은 논리적 객체(entity)들로서, 각 NF는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를 포함할 수 있다. 논리적 객체들은 프로세서, 하드웨어, 펌웨어 또는 이들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각 논리적 객체는 하나의 장치 또는 복수의 장치들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AMF(130a)는 UE에 대한 무선 망 접속(access) 및 이동성(mobility)을 관리하는 NF(network function)이다. SMF(130b)는 단말에 대한 세션(session)을 관리하는 NF이다. 세션 정보는 QoS(quality of service) 정보, 과금 정보, 패킷(packet) 처리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 UPF(130c)는 사용자 평면 트래픽(user plane traffic), 즉, 고객이 통신 망을 통해 송수신하는 패킷을 처리하는 NF이다. UPF(130c)는 SMF(130b)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되지 아니하였으나, 시스템은 UDSF(unstructured data storage network function)를 포함할 수 있다. UDSF는 구조화되지 않은(unstructured) 데이터를 저장하는 NF이며, 어떠한 유형의 데이터도 NF의 요청에 따라 저장(store)하거나 반출(retrieve)할 수 있다.
도 1에 예시된 다양한 NF들은 논리적인 관점에서 정의된 것으로, NF들은 적어도 하나의 하드웨어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 장치들은 유선 또는 무선 통신 선로를 통해 연결을 설정하고, 필요한 데이터를 송신 및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각 NF가 독립적인 장치들로 구현될 수 있다. 다른 예로, 도 1에 예시된 NF들 중 둘 이상의 NF들이 하나의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하나의 NF가 복수의 장치들의 집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한편,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통신 망의 구조적 특징 중 하나는 AMF, SMF 등 서비스를 위한 제어 평면(control plane) 및 실제 트래픽을 처리하는 사용자 평면(user plane)을 분리한 것이다. 특히, UPF가 지원하는 사용자 트래픽(user traffic)의 처리, 즉, 패킷 처리(packet processing)는 이하 [표 1]과 같은 다양한 세부 처리 기능들로 분리될 수 있다.
기능 설명
기본 패킷 처리(packet processing) GTP-U(GPRS(general packet radio system) tunneling protocol-user plane) 터널링(tunneling) 관리, NG-RAN(next generation radio access network)과 DN(data network) 사이의 패킷 전송
패킷 검출(packet detection) UPF가 패킷을 처리하기 위해 패킷들을 구분하는 기능이며, 일반적으로 패킷의 IP(internet protocol) 헤더에 포함된 소스/목적지(source/destination) 주소, 포트 등의 정보를 이용거나, 어플리케이션 정보(예: 어플리케이션 식별자)를 이용하여 특정 패킷이 어떤 플로우(flow)에 포함되는지를 판단하는 과정.
QoS 집행(enforcement) 비트 레이트(bit rate) 조절, packet을 버리거나(discard) 전송을 보류하는 패킷 게이팅(packet gating), 패킷 검출 결과 식별된 플로우에 대한 정보를 packet에 추가하는 플로우 마킹(flow marking), 식별된 서비스 종류를 패킷에 추가하는 SCI(service class indicator) 추가 등 서비스 품질 제어 기능
사용 보고(usage reporting) 트래픽 양(traffic volume), 구간(duration), 이벤트(event) 등 트래픽 사용양/정보를 기록하고 보고하는 기능. 과금을 위한 지원 기능을 포함
패킷 버퍼링(packet buffering) 특정 단말에 대한 패킷들을 버퍼링하고, 패킷 도달에 대한 상태 정보를 보고(repot)하는 기능
멀티-액세스 서포팅(multi-access supporting) 여러 종류의 액세스(access) 망(예: 5G와 4G, 5G와 WiFi 등))을 동시에 연동하여 지원하는 기능
DPI(deep packet inspection) 패킷을 세부 분석하여, 어떤 종류의 서비스/컨텐츠인지를 파악하는 기능
위 [표 1]에 예시된 처리 기능들 중, 사용 보고 기능은 다른 기능에 대하여 부가적으로 존재할 수 있다. 즉, 사용 보고 기능은 결과에 대한 보고를 필요로 하는 다른 기능에 추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 보고 기능은 패킷 버퍼링 기능, DPI 기능과 함께 수행될 수 있다.
이하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 하나의 패킷 처리 기능 또는 모듈은 'UPF 서비스(service)'라고 지칭될 수 있다. UPF 서비스는 상술한 다양한 패킷 처리 세부 기능 각각에 대응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예를 들면, QoS 집행 기능은 UPF 'QoS 집행 서비스(enforcement service)'에 대응된다. 또한, 상술한 다양한 패킷 처리 세부 기능들 외의 추가적인 패킷 처리 기능, 예를 들면, NAT(network address translation) 기능, 가상(virtual) 랜(local area network, LAN) 지원 기능 등이 더 지원될 수 있다.
하나의 UPF 인스턴스(instance)는 하나 이상의 UPF 서비스를 지원할 수 있다. 만약, 각각의 UPF 서비스가 식별 가능한 인스턴스 형태로 구현될 경우, UPF 서비스는 'UPF 서비스 인스턴스(service instance)'라 지칭될 수 있다. 동일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UPF 서비스 인스턴스들은 UPF 서비스 세트(service set)로 묶일 수 있다. 하나의 UPF 서비스 세트에 속한 UPF 서비스 인스턴스들은 서로 컨텍스트(context)를 교환 또는 공유하고, 동일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동일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UPF 인스턴스들은 함께 UPF 세트(set)를 구성할 수 있으며, 하나의 UPF 세트에 속하는 UPF 인스턴스들은 서로 컨텍스트를 교환 또는 공유하고, 동일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동일한 UPF 서비스 세트 또는 UPF 세트에 속하는 UPF 인스턴스들 간에는 단말이 이동성이나 망 상태 변경에 따라 UPF 서비스 또는 UPF 인스턴스가 변경될 경우에도, 단말에 대한 서비스 연속성(service continuity) 또는 IP 주소 보존(IP address preservation)이 지원될 수 있다.
UPF 인스턴스는 3GPP 표준에서 정의한 NF인 UPF가 현실화됨으로써 식별될 수 있는 대상이다. 즉, UPF 인스턴스는 적어도 하나의 UPF 서비스를 위한 연산을 수행하고, 정보를 송신 및 수신할 수 있도록 구현된 하드웨어 장치로 이해될 수 있다. 또는, UPF 인스턴스는 가상화 된 시스템에서 물리적인 하드웨어 장치 위에서 수행되는 소프트웨어의 인스턴스 또는 프로세스로 이해될 수 있다. 이 경우, UPF 인스턴스는 기능적으로나 외부 장치와 연동 관점에서 하드웨어 장치와 동등한 수준의 장치(예: 가상화 머신(virtual machine))로 동작한다고 이해될 수 있다. 따라서, UPF 인스턴스는 'UPF 장치(device)' 또는 'UPF 노드(node)'로 지칭될 수 있다. 즉, UPF 장치 또는 UPF 노드는 가상화된 시스템 내의 인스턴스로 이해될 수 있다. 하나의 UPF는 하나 이상의 UPF 서비스를 지원할 수 있으며, 각각의 UPF 서비스들도 현실화됨으로써, 식별 가능한 형태인 적어도 하나의 UPF 서비스 인스턴스로 분리 및 구현될 수 있다. 만약, UPF가 UPF 인스턴스로 구현될 경우, UPF 서비스 인스턴스는 UPF 인스턴스에 포함될 수 있다. 따라서,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을 기술함에 있어 'UPF', 'UPF 인스턴스', 'UPF 서비스 인스턴스', 'UPF 장치', 'UPF 노드' 등의 용어들은 혼용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에서, 특정한 패킷에 대한 검출 및 매칭되는 대상은 플로우(flow)라는 용어로 표현된다. 여기서, 플로우는 특정 서비스에 대한 데이터 플로우를 지칭하는 서비스 데이터 플로우 뿐만 아니라, 특정 서비스 응용(application)을 지칭하는 표현으로 사용될 수 있다.
도 2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코어 망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다. 도 2에 예시된 구조는 도 1의 AMF, UPF, NSSF, NEF, NRF, NCF, UDM, AF, AUSF, SMF, SCP중 적어도 하나 또는 이들을 분리한 복수의 인스턴스들 중 하나의 기능 또는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장치의 구성으로서 이해될 수 있다. 이하 사용되는 '??부', '??기'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도 2를 참고하면, 코어 망 장치는 통신부(210), 저장부(220), 제어부(2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통신부(210)는 네트워크 내 다른 장치들과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즉, 통신부(210)는 코어 망 장치에서 다른 장치로 송신되는 비트열을 물리적 신호로 변환하고, 다른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물리적 신호를 비트열로 변환한다. 즉, 통신부(210)는 신호를 송신 및 수신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통신부(210)는 모뎀(modem), 송신부(transmitter), 수신부(receiver) 또는 송수신부(transceiver)로 지칭될 수 있다. 이때, 통신부(210)는 코어 망 장치가 백홀 연결(예: 유선 백홀 또는 무선 백홀)을 거쳐 또는 네트워크를 거쳐 다른 장치들 또는 시스템과 통신할 수 있도록 한다.
저장부(220)는 코어 망 장치의 동작을 위한 기본 프로그램, 응용 프로그램, 설정 정보 등의 데이터를 저장한다. 저장부(220)는 휘발성 메모리, 비휘발성 메모리 또는 휘발성 메모리와 비휘발성 메모리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저장부(220)는 제어부(230)의 요청에 따라 저장된 데이터를 제공한다.
제어부(230)는 코어 망 장치의 전반적인 동작들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230)는 통신부(210)를 통해 신호를 송수신한다. 또한, 제어부(230)는 저장부(220)에 저장된 명령어 등을 호출 및 실행하고, 데이터를 기록하고, 읽는다. 이를 위해, 제어부(230)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processor)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라, 제어부(230)는 코어 망 장치가 후술하는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동작들을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3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UPF의 연결 구조의 일 예를 도시한다. 도 3은 UPF(130c)가 복수의 UPF 서비스들(330a 내지 330e)로 분리된 구조를 예시한다. 경우에 따라, 도 3에 예시된 복수의 UPF 서비스들(330a 내지 330e)은 복수의 UPF 인스턴스들 또는 장치들로 이해될 수 있다.
도 3을 참고하면, UPF(130a)는RAN(radio access network)(120), SMF(130b), DN(140)와 연결되며, 복수의 UPF 서비스들(330a 내지 330e)을 포함한다.
UPF(130a)는 DN(140)과 RAN(120) 사이에서 사용자 트래픽을 처리한다. 또한, UPF(130a)는 QoS 제어, 과금 등의 사용 보고(usage reporting), 패킷 버퍼링 등 패킷 처리 기능을 수행한다. 일 실시 예에 따라, 전체 패킷 처리 과정은 서로 다른 기능을 갖는 UPF 서비스들(330a 내지 330e) 의 네트워크(network)에 의해 지원된다. 예를 들어, 특정 서비스 데이터 플로우(service data flow)에 대한 과금, DPI(deep packet inspection), QoS 제어가 필요한 경우, 해당 서비스에 속하는 트래픽은 해당 처리 기능을 제공하는 여러 개의 논리적으로 분리된 UPF 서비스들(330a 내지 330e)에 의해 처리될 수 있다. 이때, UPF 서비스들(330a 내지 330e)이 어떤 종류의 패킷 처리를 수행하고, 어떤 경로로 처리된 패킷을 전달할지 등 UPF의 구체적인 동작은 SMF(130b)가 전달하는 규칙(rule)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라, 여러 개의 분리된 UPF 서비스들(330a 내지 330e)이 패킷을 처리하는 과정은 크게 다음 2개의 단계들로 나누어질 수 있다.
제1 단계는 패킷 검출/매핑을 수행하는 동작이다. 패킷을 수신한 UPF는 설정된 패킷 검출 규칙(packet detection rule)에 의해 패킷을 구분하고, 구분 결과에 따라 패킷을 플로우로 매핑한다. 즉, 패킷 검출은 특정 패킷의 정보를 이용해, 해당 패킷을 특정 플로우로 매핑하는 과정으로 이해될 수 있다. 이때, 플로우는 서비스 단위의 제어를 위한 서비스 데이터 플로우일 수 있다.
제2 단계는 패킷 처리를 수행하는 동작이다. 패킷을 수신한 UPF는 설정된 액션 규칙(action rule)에 따라 패킷을 처리한다. 이때, UPF가 수행할 수 있는 액션(action)은 특성에 따라 QoS 집행, 패킷 버퍼링, 사용 보고, 포워드(forward)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만약, 제1 단계를 통해 로우 매핑에 대한 정보를 가지고 있으며, 플로우 별로 수행할 액션 규칙을 가진 경우, UPF는 별도의 패킷 검출/매핑 없이 플로우 단위의 액션을 수행할 수 있다. 만약, 플로우 별 매핑 정보를 가지고 있지 않거나, UPF에 별도의 패킷 검출 규칙 및 이에 연동된 액션 규칙을 가지는 경우, UPF가 액션을 취하기 위한 대상을 구분하기 위해 패킷 검출/매핑을 수행할 수 있다.
서비스 종류 및 SMF로부터 설정된 규칙에 따라, 특정 패킷 및 플로우들은 제1 단계 및 제2 단계를 반복적으로 거치거나, 또는 다양한 조합에 의해 처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단계를 한번 거친 후, 제2 단계에서 서로 다른 종류의 액션들이 순차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도 3과 같이, UPF는 복수의 엔티티들로 분리될 수 있다. 도 3은 패킷 처리 기능 또는 서비스를 기준으로 UPF를 분리한 경우를 예시한다. 하지만, 다른 실시 예에 따라, 다른 기준으로 UPF가 분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연산량을 기준으로 UPF가 분리될 수 있다. 이 경우, 연산량이 다른 기능에 비해 상대적으로 많은 기능의 경우, 해당 기능을 수행하는 복수의 엔티티들이 정의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어플리케이션 또는 서비스(UPF 서비스가 아닌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서비스)를 기준으로 UPF가 분리될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 또는 서비스의 종류에 따라 요구되는 UPF 상의 기능의 조합이 다를 수 있으므로, 각 엔티티 또는 엔티티 서브셋(subset)이 특정 어플리케이션을 위해 필요한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가지도록 UPF가 분리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라, 전술한 기준들 외 다른 기준이 적용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나아가, 복수의 기준들이 결합적으로(jointly) 적용될 수 있다.
도 4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패킷 전달 방식의 일 예를 도시한다. 도 4는 터널(tunnel)을 이용한 패킷 전달을 예시한다.
도 4를 참고하면, 서로 연결된 UPF 장치#1(430c-1) 및 UPF 장치#2(430c-2)는 패킷을 송신 및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 UPF 장치#1(430c-1)이 패킷 검출을 수행하고, 패킷 검출의 결과, 즉, 플로우 정보와 함께 패킷을 UPF 장치#2(430c-2)로 전달하고자 하는 경우, 검출의 결과인 플로우 정보를 UPF 장치#2(430c-2)로 전달하는 방법이 필요하다. 본 실시 예의 경우, 특정 플로우 별로 터널(tunnel)(402)이 설정되며(established), 해당 플로우에 속하는 패킷들은 대응하는 터널(402)을 통해 전달된다. 이때, 플로우 정보(예: 플로우 식별자 등)는 UPF 장치#1(430c-1) 및 UPF 장치#2(430c-2) 사이에 설정된 터널(402)을 통해 전달되는 패킷의 헤더에 포함될 수 있다. 또는, UPF 장치#1(430c-1) 및 UPF 장치#2(430c-2) 사이에서 터널(402)을 설정하는 과정에서, 특정 터널 식별자와 플로우 식별자 사이의 관계를 확인 및 공유하면, UPF 장치#1(430c-1)은 터널 식별자를 통해 플로우를 지시할 수 있다.
특정 플로우에 대해 취할 액션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규칙이 UPF 장치#2(430c-2)에 설정될 수 있다. UPF 장치#2(430c-2)는 수신한 플로우 정보를 이용해 별도의 패킷 검출을 수행하지 아니하고, 바로 대응되는 액션 규칙에 따라 패킷을 처리한다. 이러한 절차는 복수의 패킷 처리 액션이 요구되는 경우에도 적용될 수 있다. 하나의 UPF에서 두 개 이상의 패킷 처리 기능(예: UPF 서비스)들을 지원할 수 있는 경우, 해당 UPF는 수신된 플로우 정보를 이용해 두 개 이상의 패킷 처리 동작들을 수행할 수 있다. 두 개 이상의 패킷 처리 기능들이 두 개 이상의 UPF들에서 분리된 형태로 지원되는 경우, UPF들은 순차적으로 연결되고, 각 패킷 처리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상술한 터널을 이용하여 플로우 정보를 표현하는 방식이 채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식에 따르는 경우, UPF 동작 중 계산 복잡도가 높은 패킷 검출을 한번만 수행하면서도, 다양한 서비스 특성에 맞는 UPF를 분리하거나, 유연하게 배치할 수 있는 장점이 얻어진다.
도 5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패킷 전달 방식의 다른 예를 도시한다. 도 5는 헤더(header)를 이용한 패킷 전달을 예시한다.
도 5를 참고하면, 패킷 검출의 결과인 플로우 정보는 UPF 장치#1(530c-1) 및 UPF 장치#2(530c-2) 사이에서 전송되는 패킷의 헤더(header)(502)에 포함된다. 다시 말해, 패킷은 헤더(502) 및 페이로드(504)를 포함하며, 헤더(502)는 플로우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본 실시 예의 경우, 패킷 검출에 의해 획득된 플로우 정보는 별도 터널링(tunneling) 없이 전달된다. UPF 장치#1(530c-1) 및 UPF 장치#2(530c-2) 사이에서 PDU 세션(session) 단위에서 별도의 터널링이 적용되는 경우(예: GTP-U 터너 등), 해당 터널에 다양한 플로우들이 포함될 수 있으며, 터널 및 터널 헤드가 플로우 정보를 전달하기 위해 사용될 수 없으므로, 플로우 정보는, 만약 IP 를 사용하는 경우, IP 헤더 또는 L2(layer 2) 헤더에 삽입됨으로써 다음 UPF로 전달될 수 있다. IP 헤더를 사용하는 경우, 플로우 정보는 DSCP 필드 또는, 트래픽 클래스(traffic class) 또는 플로우 레이블 필드(label field)를 통해 전달될 수 있다. L2 헤더를 사용하는 경우는, 플로우 정보는 태그 필드(tag field), 또는 이더타입 필드(etherType field)를 통해 전달될 수 있다. 이를 위해, UPF 장치#1(530c-1) 및 UPF 장치#2(530c-2)가 PDU 세션을 생성하는 과정 중, 플로우 정보를 전달할 방식에 대한 정보 및 플로우 식별자에 대한 정보가 상호 교환될 수 있다.
특정 플로우에 대해 취할 액션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규칙이 UPF 장치#2(430c-2)에 설정될 수 있다. UPF 장치#2(430c-2)는 수신한 플로우 정보를 이용해 별도의 패킷 검출을 수행하지 아니하고, 바로 대응되는 액션 규칙에 따라 패킷을 처리한다. 이러한 절차는 복수의 패킷 처리 액션이 요구되는 경우에도 적용될 수 있다. 하나의 UPF에서 두 개 이상의 패킷 처리 기능(예: UPF 서비스)들을 지원할 수 있는 경우, 해당 UPF는 수신된 플로우 정보를 이용해 두 개 이상의 패킷 처리 동작들을 수행할 수 있다. 두 개 이상의 패킷 처리 기능들이 두 개 이상의 UPF들에서 분리된 형태로 지원되는 경우, UPF들은 순차적으로 연결되고, 각 패킷 처리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상술한 터널을 이용하여 플로우 정보를 표현하는 방식이 채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식에 따르는 경우, UPF 동작 중 계산 복잡도가 높은 패킷 검출을 한번만 수행하면서도, 다양한 서비스 특성에 맞는 UPF를 분리하거나, 유연하게 배치할 수 있는 장점이 얻어진다.
도 4 및 도 5를 참고하여 설명한 실시 예들과 같이, 2개의 UPF 장치들 간 플로우 정보는 사용되는 터널 또는 헤더에 포함된 정보에 의해 확인될 수 있다. 만일, 하나의 UPF 장치, 즉, UPF 인스턴스에 의해 복수의 UPF 서비스들이 제공되는 경우, UPF 서비스들 간 플로우 정보의 교환은 내부 함수(예: API(application program interface))를 이용하여 전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플로우 정보는 API에 의해 사용되는 적어도 하나의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지시될 수 있다.
도 6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패킷 처리의 일 예를 도시한다. 도 6은 헤더(header)를 이용한 패킷 전달을 예시한다. 도 6은 특정 UPF가 UPF 서비스, 즉, 패킷 처리를 위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입력, 출력 동작을 예시한다. 도 6에서, 가로축은 사용자 평면을, 세로축은 제어 평면을 나타낸다.
도 6을 참고하면, 제어 평면은 UPF가 패킷 처리를 위한 규칙을 수신하거나, 특정 정보를 전달하기 위한 인터페이스(interface)를 통해 정보가 교환되는 영역으로서, SMF 및 UPF 사이의 N4 기준 포인트(reference point)에 대응될 수 있다. 사용자 평면은 NG-RAN과 연동되는 N3, 다른 UPF와 연동되는 N9, DN과 연동되는 N6 기준 포인트에 대응될 수 있다. 도 6의 예에서, UPF 서비스(630)는 패킷 검출이 완료된 패킷을 처리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것을 가정한다.
도 6과 같이, UPF 서비스(630)는 SMF로부터 패킷 처리를 위한 규칙에 대한 정보를 수신한다. 이때, 규칙은 패킷 처리의 대상이 되는 패킷을 식별할 수 있는 플로우 식별자, 패킷 처리 동작을 나타낼 액션 간의 관계를 포함할 수 있다. 만약 서로 다른 유형의 액션들을 설정해야 할 경우, UPF 서비스(630)가 수신하는 규칙에 대한 정보는 액션 별로 서로 구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UPF 서비스(630)가 QoS 집행(QoS Enforcement) 및 사용 보고를 수행하는 경우, QER(QoS enforcement rule)과 URR(usage reporting rule)에 대한 정보가 수신될 수 있다. 다른 예로, UPF 서비스(630)가 패킷을 처리한 후 다른 엔티티로 패킷을 전달해야할 경우, FAR(forwarding action rule)에 대한 정보가 수신될 수 있다. 공통적으로, 서비스(630)가 SMF로부터 수신하는 규칙은 대상이 되는 패킷들에 매핑된 플로우에 대한 식별자(들)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규칙에 대한 정보는 UPF 서비스(630)가 수신하는 여러 규칙들의 적용되는 순서 또는 우선순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만약, 매칭되는 액션 규칙이 명시적으로 하나라도 없을 때 기본적으로 수행되는 액션 규칙이 요구되는 경우, 기본적으로 수행되는 액션은 가장 낮은 우선순위로 모든 패킷 또는 플로우에 대해 설정되거나 수신될 수 있다.
UPF 서비스(630)는 사용자 평면 상의 경로(path)를 통해 실제 사용자 데이터 패킷을 수신한다. 이때, 패킷이 수신된 터널에 기반하여, 또는 패킷 헤더에 포함된 플로우 식별자에 기반하여, UPF 서비스(630)는 별도의 패킷 검출 동작 없이 수신되는 패킷에 대응하는 플로우를 확인할 수 있다. UPF 서비스(630)는 플로우 식별자에 대응하는 액션 규칙이 있는지를 우선순위에 따라 확인하고, 매핑되는 액션 규칙이 있다면 액션을 수행하고, 더 이상 매칭될 액션 규칙이 없을 때까지 확인 및 수행 동작을 반복한다.
패킷 처리를 위한 액션이 특정 정보(예: 과금, 사용량 등)를 다른 엔티티에게 보고해야 하는 동작인 경우, UPF 서비스(630)는 설정된 보고 규칙(reporting rule)에 따라 보고할 데이터를 수집/가공하고, 보고 조건이 충족되면, 해당 정보를 보고한다. 만약 패킷 처리를 위한 액션 규칙이 패킷을 다른 엔티티로 전달하는 것인 경우, UPF 서비스(630)는 FAR에 따라 목적지 및 헤더 정보를 설정하고, 다른 UPF 서비스, DN 또는 RAN으로 패킷을 전달한다.
도 7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패킷을 처리하기 위한 신호 교환도의 일 예를 도시한다.
도 7을 참고하면, 701 단계에서, UPF 장치(130c)는 NRF 장치(130f)와 등록 절차를 수행한다. 등록 절차를 통해, UPF 장치(103c)는 UPF 장치(103c)에서 제공되는 UPF 서비스에 대한 정보를 NRF 장치(103f)로 송신한다. 이에 따라, NRF 장치(130f)는 UPF 장치(130c)의 존재 및 UPF 장치(130c)에 의해 제공 가능한 UPF 정보를 식별하고, UPF 장치(130c)의 정보를 등록할 수 있다.
703 단계에서, SMF 장치(130b)는 NRF 장치와 발견(discovery) 절차를 수행한다. 발견 절차는 SMF 장치(130b)가 UE의 패킷을 처리하기 위해 필요한 적어도 하나의 UPF 서비스를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의 UPF 장치, 즉, UPF 인스턴스를 확인하기 위한 동작들을 포함한다. 이를 통해, SMF 장치(130b)는 UE의 특정 세션에 대응하는 플로우 상의 패킷들을 처리하기 위해 필요한 적어도 하나의 UPF 장치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705 단계에서, UPF 장치(130c) 및 SMF 장치(130b)는 규칙 정의 절차를 수행한다. 규칙 정의 절차는 SFM 장치(130b)가 규칙을 생성하고, 생성된 규칙을 UPF 장치(130c)로 전달하는 동작들을 포함한다. 여기서, SMF 장치(130b)에서 UPF 장치(130c)로 전달되는 규칙에 대한 정보는 규칙의 전부이거나 또는 일부일 수 있다.
707 단계에서, UPF 장치(130c)는 규칙에 따라 패킷을 처리한다. UPF 장치(130c)는 SMF 장치(130b)로부터 수신된 규칙에 대한 정보에 기반하여, UPF 장치(130c)에서 수행할 UPF 서비스 및 상세한 규칙들을 확인하고, 확인된 규칙들에 따라 패킷을 처리할 수 있다.
도 8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터널링을 이용하여 패킷을 전달하는 경우의 신호 교환도의 예를 도시한다. 도 8은 2개의 패킷 처리 기능, 즉, UPF 서비스들(예: 패킷 검출, 추가 액션)이 수행되는 경우를 예시한다. 하지만, 3개 이상의 패킷 처리 기능들이 수행되는 경우에도 이하 후술되는 절차가 적용될 수 있다.
도 8을 참고하면, 801 단계에서, NF 등록 및 선택을 위한 동작들이 수행된다. 예를 들어, UPF 장치#1(130c-1) 및 UPF 장치#2(130c-2)는 NRF 장치에 UPF 서비스 관련 정보를 등록하고, SMF 장치(130b)는 특정 서비스에 대한 트래픽을 처리하기 위한 UPF들을 선택하기 위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803 단계에서, SMF 장치(130b)는 UPF 장치#1(130c-1)에게 N4 세션 설정 메시지를 송신한다. 다시 말해, SMF 장치(130b)는 UPF 장치#1(130c-1)가 수행할 패킷 처리 동작을 구체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N4 (PFCP) 규칙을 전달한다. N4 규칙 전달 동작은 특정 단말, 특정 서비스(DNN)에 대한 PDU 세션(session)을 설정(establish)하는 과정 중 일부로서 수행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UPF 장치#1(130c-1)은 패킷에 대한 검출을 수행하고, 매칭된 플로우 정보를 다른 UPF 장치에게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가정되며, 이에 따라 SMF 장치(130b)가 전달하는 규칙은 PDR(packet detection rule)을 포함한다. PDR은 패킷 검출에 사용될 하나 이상의 PDI(packet detection information)을 포함하며, 매칭된(matched) 패킷이 속하는 플로우를 식별할 수 있는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플로우 식별 정보는 헤더에 포함될 플로우 식별자 또는 패킷이 속할 터널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는, 검출 결과 및 추가 패킷 처리 동작이 필요한 경우, 패킷을 다음 UPF 장치로 전달하기 위한 세부 규칙이 포함된 FAR(forwarding action rule)이 포함될 수 있다. 이 경우 PDR은 매칭된 플로우에 대한 식별자를 직접 포함하지 않고 패킷 검출 결과에 대해 대응되는 FAR ID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FAR에 플로우를 식별할 수 있는 정보가 포함되어야 하며, 패킷 검출 이후 패킷이 대응되는 FAR에 따라 패킷이 포워딩(forwarding)되면서, 플로우 식별 정보가 추가될 수 있다.
805 단계에서, SMF 장치(130b)는 UPF 장치#2(130c-1)에게 N4 세션 설정 메시지를 송신한다. 다시 말해, SMF 장치(130b)는 UPF 장치#2(130c-2)가 수행할 패킷 처리 동작을 구체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N4 (PFCP) 규칙을 전달한다. N4 규칙 전달 동작은 특정 단말, 특정 서비스(DNN)에 대한 PDU 세션(session)을 설정(establish)하는 과정 중 일부로서 수행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UPF 장치#2(130c-2)는 특정 액션을 수행하고, 처리된 패킷을 다른 엔티티에게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가정되며, 이에 따라 SMF 장치(130b)가 전달하는 규칙은 이를 위한 액션 규칙을 포함한다. 액션 규칙은 특정한 패킷 처리 동작을 기술한 세부 파라미터를 포함하며, 처리가 적용될 대상에 대한 플로우 식별자를 포함할 수 있다.
807 단계에서, UPF 장치#1(130c-1) 및 UPF 장치#2(130c-2)는 터널을 설정한다. 즉, 별도의 터널 또는 연결(association)을 생성하는 과정이 필요한 경우, UPF 장치#1(130c-1) 및 UPF 장치#2(130c-2)는 터널 설정을 위한 메시지들을 송신 및 수신할 수 있다. 터널 설정은 UPF 장치#1(130c-1) 및 UPF 장치#2(130c-2) 간 직접적인 시그널링에 의해 수행되거나, 또는 SMF 장치(130b)를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809 단계에서, UPF 장치#1(130c-1)은 연동된 객체로부터 사용자 평면 패킷을 수신한다. 여기서, UPF 장치#1(130c-1)로 패킷을 전달하는 객체는 RAN, DN, 또는 다른 UPF 장치일 수 있다. 또한, 수신된 패킷은 상향링크 데이터 또는 하향리읔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811 단계에서, UPF 장치#1(130c-1)은 수신된 패킷에 대해 패킷 검출 및 플로우 매칭(matching)을 수행한다. 복수의 PDR들이 설정된 경우, UPF 장치#1(130c-1)은 우선순위에 따라 매칭되는 PDR이 있는지를 여부를 판단한다. 패킷이 PDR의 PDI에 대해 매칭되면, UPF 장치#1(130c-1)은 PDR에 플로우에 대한 정보가 포함된 경우, 이를 이용하여 다른 UPF가 플로우를 식별할 수 있도록 하고, 또는 PDR에 플로우 정보 없이 연동된 다른 액션 규칙에 대한 ID가 포함된 경우, 대응되는 액션 규칙을 이용해 패킷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액션 규칙에 플로우에 대한 정보가 포함된 경우, UPF 장치#1(130c-1)은 이를 이용하여 다른 UPF가 플로우를 식별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813 단계에서, UPF 장치#1(130c-1)은 패킷을 다음 UPF 장치인 UPF 장치#2(130c-2)로 전달한다. 이때, UPF 장치#1(130c-1)은 UPF 장치#2(130c-2)가 패킷 검출 결과를 알 수 있도록 플로우 정보를 함께 전달한다. 플로우 정보는 명시적 또는 묵시적으로 전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패킷은 플로우 별로 생성된 특정 터널을 통해 전달될 수 있다.
815 단계에서, UPF 장치#2(130c-2)는 수신된 패킷에 대한 처리를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UPF 장치#2(130c-2)는 UPF 장치#1(130c-1)로부터 수신한 패킷이 속하는 플로우를 식별하고, 이를 이용해 해당 플로우에 대해 수행할 액션 규칙을 확인한다. UPF 장치#2(130c-2)에 복수의 액션 규칙들이 설정된 경우, UPF 장치#2(130c-2)는 우선순위에 따라 해당 플로우에 대해 적용 가능한 액션 규칙을 확인한다. 동일한 플로우에 대해 중복된 액션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나의 플로우에 하나의 액션 타입은 한번만 수행하도록 설정하거나, 또는 서비스 유형 및 액션에 특성에 따라 하나의 플로우에 동일한 액션 타입을 다른 세부 파라미터로 복수 적용하는 것을 허용하는 것에 대한 설정이 액션 규칙에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액션 타입은 QoS 집행, 포워딩, 버퍼링, 사용 보고 등의 UPF가 제공할 수 있는 패킷 처리 서비스의 유형을 지칭한다.
도 9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헤더를 이용하여 패킷을 전달하는 경우의 신호 교환도의 예를 도시한다. 도 9는 2개의 패킷 처리 기능, 즉, UPF 서비스들(예: 패킷 검출, 추가 액션)이 수행되는 경우를 예시한다. 하지만, 3개 이상의 패킷 처리 기능들이 수행되는 경우에도 이하 후술되는 절차가 적용될 수 있다.
도 9를 참고하면, 901 단계 및 903 단계에서, UPF 장치#1(130c-1) 및 UPF 장치#2(130c-2) 각각은 NRF 장치(130f)와 NF 등록 절차를 수행한다. NF 등록 절차를 통해 UPF 장치#1(130c-1) 및 UPF 장치#2(130c-2) 각각은 NRF 장치(130f)에 NF 프로파일(profile) 및 연결 정보(예: 피어(peer)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NF 프로파일은 UPF 장치#1(130c-1) 및 UPF 장치#2(130c-2) 각각이 지원하는 기능(예: UPF 서비스) 및 최대 용량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 정보는 자신과 연동 가능한 다른 네트워크 엔티티(예: 다른 UPF 장치, RAN 또는 DN)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905 단계에서. NRF 장치(130f)는UPF 장치#1(130c-1) 및 UPF 장치#2(130c-2) 로부터 수신한 정보를 저장한다.
907 단계에서, SMF 장치(130b)는 적어도 하나의 UPF 장치를 선택하기 위한 NF 발견 요청(discovery request) 메시지를 NRF 장치(130f)에게 전송한다. SMF 장치(130b)가 UPF 장치를 선택하기에 충분한 정보를 저장하고 있거나, UPF 발견 절차를 이미 수행한 경우, 본 905 단계는 생략될 수 있다. NR 발견 요청 메시지는 SMF 장치(130b)가 특정한 어플리케이션, 서비스 또는 트래픽을 위해 필요로 하는 UPF 서비스들, 즉, UPF 기능들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909 단계에서,. NRF 장치(130f)는 SMF 장치(130b)의 요청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UPF 장치를 결정한다.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UPF 장치의 집합은 'UPF 망(network)'이라 지칭될 수 있다. 911 단계에서, NRF 장치(130f)는 SMF 장치(130b)에게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UPF 장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UPF 발견 응답 메시지를 송신한다. 이때, UPF 발견 응답 메시지는 SMF가 요청한 패킷 처리 서비스를 지원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UPF 장치의 후보군 및 UPF 장치들 간의 연결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913 단계에서, SMF 장치(130b)는 수신된 정보, 저장된 정보 및 설정 정보를 이용해 UPF 장치들을 선택하고, 각각의 UPF를 제어하기 위한 N4(PFCP) 규칙을 생성한다. 본 실시 예는, UPF 장치#1(130c-1) 및 UPF 장치#2(130c-2)가 선택됨을 가정한다.
915 단계에서, SMF 장치(130b)는 UPF 장치#1(130c-1)에게 N4 세션 설정 메시지를 송신한다, N4 세션 설정 메시지는 패킷 처리에 대한 규칙을 포함한다. 본 실시 예에서, UPF 장치#1(130c-1)로 전달되는 규칙은 PDR을 포함하며, 추가 패킷 처리 여부 또는 플로우 식별자 판단 동작에 따라 다른 액션 규칙(예: FAR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917 단계에서, SMF 장치(130b)는 UPF 장치#2(130c-2)에게 N4 세션 설정 메시지를 송신한다, N4 세션 설정 메시지는 패킷 처리에 대한 규칙을 포함한다. 본 실시 예에서, UPF 장치#2(130c-2)가 UPF 장치#1(130c-1)가 수행한 패킷 검출 결과에 후속하는 액션을 수행하는 경우, UPF 장치#2(130c-2)로 전달되는 N4 규칙은 세부 액션을 포함하는 규칙 및 대상이 될 플로우에 대한 식별자를 포함할 수 있다.
919 단계에서, UPF 장치#1(130c-1)은 수신된 패킷에 대해 패킷 검출 및 플로우 매칭(matching)을 수행한다. 복수의 PDR들이 설정된 경우, UPF 장치#1(130c-1)은 우선순위에 따라 매칭되는 PDR이 있는지를 여부를 판단한다. 패킷이 PDR의 PDI에 대해 매칭되면, UPF 장치#1(130c-1)은 PDR에 플로우에 대한 정보가 포함된 경우, 이를 이용하여 다른 UPF가 플로우를 식별할 수 있도록 하고, 또는 PDR에 플로우 정보 없이 연동된 다른 액션 규칙에 대한 ID가 포함된 경우, 대응되는 액션 규칙을 이용해 패킷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액션 규칙에 플로우에 대한 정보가 포함된 경우, UPF 장치#1(130c-1)은 이를 이용하여 다른 UPF가 플로우를 식별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921 단계에서, UPF 장치#1(130c-1)은 패킷을 다음 UPF 장치인 UPF 장치#2(130c-2)로 전달한다. 이때, UPF 장치#1(130c-1)은 UPF 장치#2(130c-2)가 패킷 검출 결과를 알 수 있도록 플로우 정보를 함께 전달한다. 플로우 정보는 명시적 또는 묵시적으로 전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플로우 정보는 패킷의 헤더에 포함될 수 있다.
923 단계에서, UPF 장치#2(130c-2)는 수신된 패킷을 처리한다. 구체적으로, UPF 장치#2(130c-2)는 UPF 장치#1(130c-1)로부터 수신한 패킷이 속하는 플로우를 식별하고, 이를 이용해 해당 플로우에 대해 수행할 액션 규칙을 확인한다. UPF 장치#2(130c-2)에 복수의 액션 규칙들이 설정된 경우, UPF 장치#2(130c-2)는 우선순위에 따라 해당 플로우에 대해 적용 가능한 액션 규칙을 확인한다. 동일한 플로우에 대해 중복된 액션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나의 플로우에 하나의 액션 타입은 한번만 수행하도록 설정하거나, 또는 서비스 유형 및 액션에 특성에 따라 하나의 플로우에 동일한 액션 타입을 다른 세부 파라미터로 복수 적용하는 것을 허용하는 것에 대한 설정이 액션 규칙에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액션 타입은 QoS 집행, 포워딩, 버퍼링, 사용 보고 등의 UPF가 제공할 수 있는 패킷 처리 서비스의 유형을 지칭한다.
도 9를 참고하여 설명한 절차에서, NF 등록, UPF 발견 등의 동작들을 위해, NRF 장치(130f)가 정보를 저장 및 제공한다. 다른 실시 예에 따라, NRF 장치(130f)는 SCP 장치로 대체될 수 있다. 이 경우, 901 단계 및 903 단계에서 UPF 장치#1(130c-1) 및 UPF 장치#2(130c-2)는 SCP 장치와 NR 등록 절차를 수행하고, 907 단계 및 911 단계에서, SMF 장치(130b)는 SCP 장치와 UPF 발견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도 10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일부 규칙이 UPF 장치에 의해 정의되는 경우의 신호 교환도의 또 다른 예를 도시한다 도 10은 2개의 패킷 처리 기능, 즉, UPF 서비스들(예: 패킷 검출, 추가 액션)이 수행되는 경우를 예시한다. 하지만, 3개 이상의 패킷 처리 기능들이 수행되는 경우에도 이하 후술되는 절차가 적용될 수 있다.
도 10을 참고하면, 1001 단계 및 1003 단계에서, UPF 장치#1(130c-1) 및 UPF 장치#2(130c-2) 각각은 NRF 장치(130f)와 NF 등록 절차를 수행한다. NF 등록 절차를 통해 UPF 장치#1(130c-1) 및 UPF 장치#2(130c-2) 각각은 NRF 장치(130f)에 NF 프로파일(profile) 및 연결 정보(예: 피어(peer)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NF 프로파일은 UPF 장치#1(130c-1) 및 UPF 장치#2(130c-2) 각각이 지원하는 기능(예: UPF 서비스) 및 최대 용량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 정보는 자신과 연동 가능한 다른 네트워크 엔티티(예: 다른 UPF 장치, RAN 또는 DN)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1005 단계에서. NRF 장치(130f)는UPF 장치#1(130c-1) 및 UPF 장치#2(130c-2) 로부터 수신한 정보를 저장한다.
1007 단계에서, SMF 장치(130b)는 적어도 하나의 UPF 장치를 선택하기 위한 NF 발견 요청(discovery request) 메시지를 NRF 장치(130f)에게 전송한다. SMF 장치(130b)가 UPF 장치를 선택하기에 충분한 정보를 저장하고 있거나, UPF 발견 절차를 이미 수행한 경우, 본 905 단계는 생략될 수 있다. NR 발견 요청 메시지는 SMF 장치(130b)가 특정한 어플리케이션, 서비스 또는 트래픽을 위해 필요로 하는 UPF 서비스들, 즉, UPF 기능들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1009 단계에서,. NRF 장치(130f)는 SMF 장치(130b)의 요청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UPF 장치를 결정한다.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UPF 장치의 집합은 'UPF 망(network)'이라 지칭될 수 있다. 1011 단계에서, NRF 장치(130f)는 SMF 장치(130b)에게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UPF 장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UPF 발견 응답 메시지를 송신한다. 이때, UPF 발견 응답 메시지는 SMF가 요청한 패킷 처리 서비스를 지원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UPF 장치의 후보군 및 UPF 장치들 간의 연결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1013 단계에서. SMF 장치(130b)는 수신된 정보, 저장된 정보 및 설정 정보를 이용해 UPF 장치들을 선택하고, UPF 장치들을 제어하기 위한 N4(PFCP) 규칙을 생성한다. 이 때, SMF 장치(130b)에 의해 생성되는 규칙 중, UPF 장치#1(130c-1)로 전달되는 규칙은 UPF 장치#1(130c-1)에서 사용되는 규칙 뿐만 아니라, UPF 장치#1(130c-1)에 의해 처리한 패킷을 전달받고, 후속 액션을 처리할 UPF 장치#2(130c-2)에 대한 규칙의 전부 또는 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1015 단계에서, SMF 장치(130b)는 UPF 장치#1(130c-1)에게 N4 세션 설정 메시지를 송신한다, N4 세션 설정 메시지는 패킷 처리에 대한 규칙을 포함한다. 본 실시 예에서, UPF 장치#1(130c-1)로 전달되는 규칙은 PDR을 포함하며, 추가 패킷 처리 여부 또는 플로우 식별자 판단 동작에 따라 다른 액션 규칙(예: FAR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1017 단계에서, SMF 장치(130b)는 UPF 장치#2(130c-2)에게 N4 세션 설정 메시지를 송신한다, N4 세션 설정 메시지는 패킷 처리에 대한 규칙을 포함한다. 본 실시 예에서, UPF 장치#2(130c-2)가 UPF 장치#1(130c-1)가 수행한 패킷 검출 결과에 후속하는 액션을 수행하는 경우, UPF 장치#2(130c-2)로 전달되는 N4 규칙은 세부 액션을 포함하는 규칙 및 대상이 될 플로우에 대한 식별자를 포함할 수 있다.
1019 단계에서, UPF 장치#1(130c-1)은 수신된 패킷에 대해 패킷 검출 및 플로우 매칭(matching)을 수행한 후, 다음 UPF 서비스를 확인한다. 1021 단계에서, UPF 장치#1(130c-1)은 다음 UPF, 즉, UPF 장치#2(130c-2)에 대한 액션 규칙을 결정한다. 여기서, UPF 장치#1(130c-1)에 의해 결정되는 액션 규칙은 SMF 장치(130b)로부터 제공된 UPF 장치#2(130c-2)의 액션 규칙과 함께 사용될 수 있는 규칙이다. 즉, UPF 장치#1(130c-1)은 UPF 장치#2(130c-2)가 패킷 처리할 때 사용할 세부 파라미터 또는 액션 규칙의 적어도 일부를 결정할 수 있다.
1023 단계에서, UPF 장치#1(130c-1)은 패킷을 다음 UPF 장치인 UPF 장치#2(130c-2)로 전달한다. 이때, UPF 장치#1(130c-1)은 UPF 장치#2(130c-2)가 패킷 검출 결과를 알 수 있도록 플로우 정보를 함께 전달한다. 플로우 정보는 명시적 또는 묵시적으로 전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플로우 정보는 패킷의 헤더에 포함될 수 있다. 또한, 패킷은 UPF 장치#2(130c-2)가 패킷 처리할 때 사용할 세부 파라미터 또는 액션 규칙의 적어도 일부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패킷에 포함되는 액션 규칙에 대한 정보는 미리 정의된 규칙들 중 하나를 지시하는 지시자, 전송 경로를 변경하기 위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1025 단계에서, UPF 장치#2(130c-2)는 수신된 패킷을 처리한다. 이때, UPF 장치#2(130c-2)는 SMF 장치(130b)로부터 수신되거나 미리 설정된 액션 규칙 및 UPF 장치#1(130c-1)으로부터 수신된 플로우 정보를 이용한 패킷을 처리할 수 있다. 만약 UPF 장치#1(130c-1)이 플로우 정보 뿐만 아니라 패킷 처리를 위한 규칙 또는 세부 파라미터를 함께 전달한 경우, UPF 장치#2(130c-2)는 UPF 장치#1(130c-1)로부터 제공된 규칙에 기반하여 패킷을 처리할 수 있다. 만약, SMF 장치(130b)로부터 수신되거나 미리 설정된 액션 규칙이 UPF 장치#1(130c-1)로부터 제공된 규칙과 충돌되는 경우, 어느 규칙을 우선적으로 적용해야 할지는 UPF의 설정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본 개시의 청구항 또는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들에 따른 방법들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조합의 형태로 구현될(implemented) 수 있다.
소프트웨어로 구현하는 경우,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소프트웨어 모듈)을 저장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가 제공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에 저장되는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은, 전자 장치(device) 내의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 가능하도록 구성된다(configured for execution).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은, 전자 장치로 하여금 본 개시의 청구항 또는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들에 따른 방법들을 실행하게 하는 명령어(instructions)를 포함한다.
이러한 프로그램(소프트웨어 모듈, 소프트웨어)은 랜덤 액세스 메모리 (random access memory), 플래시(flash) 메모리를 포함하는 불휘발성(non-volatile) 메모리, 롬(read only memory, ROM), 전기적 삭제가능 프로그램가능 롬(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EEPROM), 자기 디스크 저장 장치(magnetic disc storage device), 컴팩트 디스크 롬(compact disc-ROM, CD-ROM), 디지털 다목적 디스크(digital versatile discs, DVDs) 또는 다른 형태의 광학 저장 장치, 마그네틱 카세트(magnetic cassette)에 저장될 수 있다. 또는, 이들의 일부 또는 전부의 조합으로 구성된 메모리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구성 메모리는 다수 개 포함될 수도 있다.
또한, 프로그램은 인터넷(Internet), 인트라넷(Intranet), LAN(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또는 SAN(storage area network)과 같은 통신 네트워크,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구성된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접근(access)할 수 있는 부착 가능한(attachable) 저장 장치(storage device)에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저장 장치는 외부 포트를 통하여 본 개시의 실시 예를 수행하는 장치에 접속할 수 있다. 또한, 통신 네트워크상의 별도의 저장장치가 본 개시의 실시 예를 수행하는 장치에 접속할 수도 있다.
상술한 본 개시의 구체적인 실시 예들에서, 개시에 포함되는 구성 요소는 제시된 구체적인 실시 예에 따라 단수 또는 복수로 표현되었다. 그러나, 단수 또는 복수의 표현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시한 상황에 적합하게 선택된 것으로서, 본 개시가 단수 또는 복수의 구성 요소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복수로 표현된 구성 요소라 하더라도 단수로 구성되거나, 단수로 표현된 구성 요소라 하더라도 복수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본 개시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개시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개시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Claims (20)

  1. 무선 통신 시스템의 코어 망에서 UPF(user plane function)를 위한 장치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SMF(session management function)를 위한 장치로부터 패킷을 처리하기 위한 규칙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규칙에 기반하여 제1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사용자 트래픽을 포함하는 패킷을 처리하는 과정과,
    상기 처리된 패킷을 제2 장치로 송신하는 과정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장치 또는 상기 제2 장치는, 사용자 평면에 관련된 기능을 수행하는 다른 장치인 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NRF(network repository function)를 위한 장치와의 NF(network function) 등록 절차를 수행함으로써, 상기 장치에서 제공되는 UPF 서비스에 대한 정보를 송신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방법.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처리된 패킷은, 상기 패킷이 속한 플로우에 대응하는 터널을 통해 송신되는 방법.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처리된 패킷은, 상기 패킷이 속한 플로우에 대한 정보를 헤더에 포함하는 방법.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처리된 패킷은, 상기 제2 장치에서 상기 패킷을 처리하기 위해 사용하는 액션 규칙에 대한 정보의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는 방법,
  6. 무선 통신 시스템의 코어 망에서 SMF(session management function)를 위한 장치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UPF(user plane function)를 위한 복수의 장치들 각각에서 수행되는 적어도 하나의 액션(action)을 위한 규칙들을 결정하는 과정과,
    상기 규칙들에 대한 정보를 상기 UPF를 위한 복수의 장치들로 송신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방법.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규칙들에 대한 정보는, 상기 규칙들의 일부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방법.

  8. 청구항 6에 있어서,
    NRF(network repository function)를 위한 장치에게 상기 UPF를 위한 복수의 장치들에 대한 정보를 요청하는 요청 메시지를 송신하는 과정과,
    상기 UPF를 위한 복수의 장치들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방법.
  9. 무선 통신 시스템의 코어 망에서 NRF(network repository function)를 위한 장치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UPF(user plane function)를 위한 복수의 장치들과 장치와의 NF(network function) 등록 절차를 수행함으로써, 상기 UPF를 위한 복수의 장치들에 의해 제공되는 UPF 서비스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과정과,
    SMF(session management function)를 위한 장치로부터, 상기 UPF를 위한 복수의 장치들에 대한 정보를 요청하는 요청 메시지를 송신하는 과정과,
    상기 UPF를 위한 복수의 장치들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방법.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요청 메시지는, 어플리케이션, 서비스 또는 트래픽을 위해 필요로 하는 UPF 서비스들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방법.
  11. 무선 통신 시스템의 코어 망에서 UPF(user plane function)를 위한 장치에 있어서,
    송수신기와,
    상기 송수신기와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SMF(session management function)를 위한 장치로부터 패킷을 처리하기 위한 규칙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규칙에 기반하여 제1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사용자 트래픽을 포함하는 패킷을 처리하고,
    상기 처리된 패킷을 제2 장치로 송신하도록 제어하며,
    상기 제1 장치 또는 상기 제2 장치는, 사용자 평면에 관련된 기능을 수행하는 다른 장치인 장치.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NRF(network repository function)를 위한 장치와의 NF(network function) 등록 절차를 수행함으로써, 상기 장치에서 제공되는 UPF 서비스에 대한 정보를 송신하도록 제어하는 장치.
  13.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처리된 패킷은, 상기 패킷이 속한 플로우에 대응하는 터널을 통해 송신되는 장치.
  14.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처리된 패킷은, 상기 패킷이 속한 플로우에 대한 정보를 헤더에 포함하는 장치.
  15.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처리된 패킷은, 상기 제2 장치에서 상기 패킷을 처리하기 위해 사용하는 액션 규칙에 대한 정보의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는 장치,
  16. 무선 통신 시스템의 코어 망에서 SMF(session management function)를 위한 장치에 있어서,
    송수신기와,
    상기 송수신기와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UPF(user plane function)를 위한 복수의 장치들 각각에서 수행되는 적어도 하나의 액션(action)을 위한 규칙들을 결정하고,
    상기 규칙들에 대한 정보를 상기 UPF를 위한 복수의 장치들로 송신하도록 제어하는 장치.
  17.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규칙들에 대한 정보는, 상기 규칙들의 일부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장치.
  18.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NRF(network repository function)를 위한 장치에게 상기 UPF를 위한 복수의 장치들에 대한 정보를 요청하는 요청 메시지를 송신하고,
    상기 UPF를 위한 복수의 장치들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도록 제어하는 장치.
  19. 무선 통신 시스템의 코어 망에서 NRF(network repository function)를 위한 장치에 있어서,
    송수신기와,
    상기 송수신기와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UPF(user plane function)를 위한 복수의 장치들과 장치와의 NF(network function) 등록 절차를 수행함으로써, 상기 UPF를 위한 복수의 장치들에 의해 제공되는 UPF 서비스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고,
    SMF(session management function)를 위한 장치로부터, 상기 UPF를 위한 복수의 장치들에 대한 정보를 요청하는 요청 메시지를 송신하고,
    상기 UPF를 위한 복수의 장치들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도록 제어하는 장치.
  20. 청구항 19에 있어서,
    상기 요청 메시지는, 어플리케이션, 서비스 또는 트래픽을 위해 필요로 하는 UPF 서비스들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장치.
KR1020190113071A 2019-09-11 2019-09-11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트래픽을 처리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20210031297A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3071A KR20210031297A (ko) 2019-09-11 2019-09-11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트래픽을 처리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EP20863331.3A EP4024788A4 (en) 2019-09-11 2020-09-11 DEVICE AND METHOD FOR PROCESSING TRAFFIC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N202080073826.4A CN114586409A (zh) 2019-09-11 2020-09-11 无线通信系统中用于处理业务的设备和方法
US17/642,208 US20220321481A1 (en) 2019-09-11 2020-09-11 Device and method for processing traffic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PCT/KR2020/012287 WO2021049899A1 (ko) 2019-09-11 2020-09-11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트래픽을 처리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3071A KR20210031297A (ko) 2019-09-11 2019-09-11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트래픽을 처리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31297A true KR20210031297A (ko) 2021-03-19

Family

ID=748667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13071A KR20210031297A (ko) 2019-09-11 2019-09-11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트래픽을 처리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220321481A1 (ko)
EP (1) EP4024788A4 (ko)
KR (1) KR20210031297A (ko)
CN (1) CN114586409A (ko)
WO (1) WO202104989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30551A (ko) * 2022-08-31 2024-03-07 삼성전자주식회사 통신 시스템에서 트래픽 오프로딩을 위한 방법 및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173404A1 (en) * 2016-04-01 2017-10-05 Idac Holdings, Inc. Methods for service slice selection and separation
CN113923714A (zh) * 2017-05-09 2022-01-11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QoS控制方法及设备
KR20190043079A (ko) * 2017-10-17 2019-04-25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네트워크에서 하향링크 데이터를 알리는 방법, 네트워크 트리거된 서비스 요청 방법, 그리고 이를 수행하는 네트워크 엔터티
CN109756430B (zh) * 2017-11-07 2021-08-03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规则的处理方法及装置
US11895033B2 (en) * 2017-11-17 2024-02-06 Huawei Technologie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traffic routing and path optimization for peer-to-peer communications
CN113347673B (zh) * 2018-08-13 2022-06-24 大唐移动通信设备有限公司 Pdu会话管理、节点关联和upf发现的方法及设备
US11297530B2 (en) * 2018-11-02 2022-04-05 Huawei Technologies Co., Ltd. Method and system for using policy to handle packets
US10848525B2 (en) * 2019-01-29 2020-11-24 Verizon Patent And Licensing Inc. Systems and method for selection of a user plane component for internet protocol multimedia subsystem sessions
WO2020200434A1 (en) * 2019-04-02 2020-10-08 Nokia Technologies Oy Local user plane function control
US11330667B2 (en) * 2019-05-03 2022-05-10 Ofinno, Llc Group communication signaling overload mitigation
EP3994850A1 (en) * 2019-07-03 2022-05-11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Establishing a packet forwarding control protocol session
CN113133079A (zh) * 2019-12-31 2021-07-16 华为技术有限公司 路由配置方法及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4024788A1 (en) 2022-07-06
EP4024788A4 (en) 2022-09-14
WO2021049899A1 (ko) 2021-03-18
US20220321481A1 (en) 2022-10-06
CN114586409A (zh) 2022-06-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46648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서비스의 트래픽을 처리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CN110720200B (zh) 用于控制无线通信系统中的拥塞的装置和方法
US11026079B2 (en) Method and device for managing state of session according to position of termina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20220345929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sa-upf reloc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20240064208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upporting upf event exposure servic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20220330070A1 (en) Method and device for measuring performanc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11910295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network slice data rat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11950299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handling PDU sess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11558813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network autom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20220330294A1 (en) Communication method, apparatus, and system
JP2021180353A (ja) 基地局、システム及び方法
EP4024788A1 (en) Device and method for processing traffic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20210043268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로밍 상태인 단말에 대한 네트워크 데이터를 분석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20220043441A (ko) 그룹 이벤트 모니터링을 위한 그룹 관리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20210125389A (ko) Target AF로 Notification을 전송하는 방법 및 장치
CN111373835A (zh) 无线通信系统中管理连接的装置和方法
US20240064825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specification version
US20240064826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specification version
US11909828B2 (en) Device and method for handling always-on PDU sess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20220152868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서비스 품질을 관리하는 방법 및 장치
KR20230073580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서비스 기능 체인을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CN116325899A (zh) 业务数据流的传输方法、通信装置及通信系统
KR20220117766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e2 메시지를 전송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20210055628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서비스 품질을 지원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20220137429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백홀 정보 기반 세션 관리를 위한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