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31288A - Base coat composition - Google Patents

Base coat compositi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31288A
KR20210031288A KR1020190113054A KR20190113054A KR20210031288A KR 20210031288 A KR20210031288 A KR 20210031288A KR 1020190113054 A KR1020190113054 A KR 1020190113054A KR 20190113054 A KR20190113054 A KR 20190113054A KR 20210031288 A KR20210031288 A KR 202100312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rylic polyol
weight
base coat
polyolefin resin
coat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1305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303402B1 (en
Inventor
이정우
정주영
윤상혁
박순종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씨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씨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씨씨
Priority to KR10201901130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03402B1/en
Publication of KR202100312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3128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034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03402B1/en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23/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23/26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9D123/28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by reaction with halogens or compounds containing haloge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3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08L33/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esters containing only carbon, hydrogen and oxygen, which oxygen atoms are present only as part of the carboxyl radical
    • C08L33/062Copolymers with monomers not covered by C08L33/06
    • C08L33/068Copolymers with monomers not covered by C08L33/06 containing glycidyl group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Paints Or Remover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ase coat composition with excellent adhesion to flame-retardant materials and, more specifically, to a base coat composition comprising: a polyolefin resin; first acrylic polyol; second acrylic polyol; and third acrylic polyol, wherein the first acrylic polyol has a higher hydroxyl value and lower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than the second acrylic polyol, and the third acrylic polyol has a higher hydroxyl value and lower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than the first acrylic polyol.

Description

베이스 코트 조성물{BASE COAT COMPOSITION}Base coat composition {BASE COAT COMPOSITION}

본 발명은 난연 소재에 대한 부착성이 우수하여 프라이머 공정의 삭제가 가능하고, 내습성, 내방향제성 및 내썬크림성이 우수한 베이스 코트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ase coat composition having excellent adhesion to a flame retardant material, enabling removal of a primer process, and excellent moisture resistance, fragrance resistance, and sunscreen resistance.

자동차 플라스틱 부품은 외관 특성을 향상시키고 외부 환경으로부터 표면을 보호하기 위해 도장 처리하여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때, 도장 처리는 통상적으로 화염이나 코로나 방전 처리를 통하여 플라스틱 부품과 도료 간의 표면장력을 향상시키는 전처리, 플라스틱 부품과 베이스 도막의 부착력 상향을 위한 프라이머 처리, 및 플라스틱 부품의 외관 특성 향상 및 외관 보호를 위한 베이스 도막으로 이루어진다. Automotive plastic parts are generally used after being painted in order to improve the appearance characteristics and protect the surface from the external environment. At this time, the painting treatment is usually a pretreatment that improves the surface tension between the plastic part and the paint through flame or corona discharge treatment, a primer treatment to increase the adhesion of the plastic part and the base coating, and improves the appearance characteristics of the plastic part and protects the exterior. It consists of a base coating film for.

이때, 자동차 내장용 플라스틱 부품의 소재로는 통상적으로 난연 소재, 예를 들면, 폴리프로필렌(PP)계, 나일론 또는 열가소성 폴리올레핀(Thermoplastic polyolefin, TPO)계 등이 적용되고 있다. 이로 인해, 자동차 내장용 플라스틱 부품의 프라이머로는, 난연 소재에 대해 부착성이 우수한 올레핀계 수지가 널리 이용되고 있다. 또한, 자동차 내장용 플라스틱 부품의 베이스 코트는 통상적으로 내썬크림성 및 내방향제성이 우수한 아크릴 폴리올 수지를 포함한다.At this time, a flame retardant material, for example, a polypropylene (PP)-based, nylon or thermoplastic polyolefin (TPO)-based material is generally used as a material for a plastic part for automobile interiors. For this reason, as a primer for plastic parts for automobile interiors, olefin resins having excellent adhesion to flame-retardant materials are widely used. In addition, the base coat of plastic parts for automobile interiors typically includes an acrylic polyol resin having excellent sunscreen resistance and fragrance resistance.

이와 관련하여, 한국 등록특허 제792,937호(특허문헌 1)에는 염소화된 수성 올레핀계 수지, 폴리우레탄 수지 및 수성 실리콘계 수지를 함유한 프라이머 조성물, 및 지방족 우레탄, 지방족 우레탄 개질용 실리콘 폴리올 및 N-메틸-2-피롤리돈을 함유한 열가소성 폴리카보네이트 우레탄 조성물을 이용한 플라스틱 시트 표면의 수성 코팅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특허문헌 1의 코팅방법은 프라이머 코팅 후 가열 건조하고 베이스 코팅을 진행해야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In this regard,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792,937 (Patent Document 1) discloses a primer composition containing a chlorinated aqueous olefin resin, a polyurethane resin, and an aqueous silicone resin, and aliphatic urethane, silicone polyol for aliphatic urethane modification, and N-methyl. A method of aqueous coating of a plastic sheet surface using a thermoplastic polycarbonate urethane composition containing -2-pyrrolidone is disclosed. However, in the coating method of Patent Document 1, there is a hassle of heating-drying and performing base coating after primer coating.

따라서, 난연 소재에 대한 부착성이 우수하여 프라이머 공정의 삭제가 가능하여 경제성이 우수하고, 제조된 도막이 내습성, 내썬크림성, 및 내방향제성 등의 다양한 물성이 우수한 베이스 코트 조성물에 대한 연구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Therefore, it has excellent adhesion to flame-retardant materials, so it is possible to remove the primer process, so it is economical, and the manufactured coating film is researched and developed for a base coat composition that has excellent various physical properties such as moisture resistance, sunscreen resistance, and fragrance resistance. This is a necessary situation.

한국 등록특허 제792,937호 (공개일: 2008.1.8.)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792,937 (published on August 8, 2008)

이에, 본 발명은 난연 소재에 대한 부착성이 우수하여 프라이머 공정의 삭제가 가능하고, 제조된 도막이 내습성, 내썬크림성, 내방향제성 등의 다양한 물성이 우수한 베이스 코트 조성물을 제공한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base coat composition having excellent adhesion to a flame-retardant material so that the primer process can be eliminated, and the prepared coating film is excellent in various physical properties such as moisture resistance, sunscreen resistance, and fragrance resistance.

본 발명은 폴리올레핀 수지, 제1 아크릴 폴리올, 제2 아크릴 폴리올 및 제3 아크릴 폴리올을 포함하고,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polyolefin resin, a first acrylic polyol, a second acrylic polyol and a third acrylic polyol,

상기 제1 아크릴 폴리올은 제2 아크릴 폴리올보다 높은 수산기가 및 낮은 유리전이온도를 갖고,The first acrylic polyol has a higher hydroxyl value and a lower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than the second acrylic polyol,

상기 제3 아크릴 폴리올은 제1 아크릴 폴리올보다 높은 수산기가 및 낮은 유리전이온도를 갖는, 베이스 코트 조성물을 제공한다.The third acrylic polyol provides a base coat composition having a higher hydroxyl value and a lower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than the first acrylic polyol.

본 발명에 따른 베이스 코트 조성물은 도장 작업성이 우수하고, 난연 소재에 대한 부착성이 우수하여 프라이머 공정의 삭제가 가능하여 경제성이 우수하다. The base coat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excellent coating workability and excellent adhesion to flame-retardant materials, so that the primer process can be eliminated, thereby providing excellent economical efficiency.

또한, 상기 베이스 코트 조성물로부터 제조된 도막은 외관 특성, 내습성, 내썬크림성, 내방향제성 등의 다양한 물성이 우수하다. In addition, the coating film prepared from the base coat composition is excellent in various physical properties such as appearance characteristics, moisture resistance, sunscreen resistance, and fragrance resistance.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중량평균분자량"은 당업계에 알려진 통상의 방법에 의해 측정된 것이며, 예를 들어 GPC(gel permeation chromatograph) 방법으로 측정할 수 있다. 나아가, "유리전이온도"는 당업계에 알려진 통상의 방법에 의해 측정된 것이며, 예를 들어 시차주사열량분석법(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ry, DSC)으로 측정할 수 있다. 더불어, "산가" 및 "수산기가"와 같은 작용기가는 당업계에 잘 알려진 방법에 의해 측정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적정(titration)의 방법으로 측정한 값을 나타낼 수 있다.As used herein,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is measured by a conventional method known in the art, for example, it can be measured by a gel permeation chromatograph (GPC) method. Further, the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is measured by a conventional method known in the art, for example, it can be measured by 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ry (DSC). In addition, functional groups such as "acid value" and "hydroxyl value" may be measured by methods well known in the art, and may represent values measured by, for example, titration.

또한, 본 명세서에서, "(메트)아크릴"은 "아크릴" 및/또는 "메타크릴"을 의미하고, "(메트)아크릴레이트"는 "아크릴레이트" 및/또는 "메타크릴레이트"를 의미한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meth)acrylic” means “acrylic” and/or “methacrylic”, and “(meth)acrylate” means “acrylate” and/or “methacrylate” .

본 발명에 따른 베이스 코트 조성물은 폴리올레핀 수지, 제1 아크릴 폴리올, 제2 아크릴 폴리올 및 제3 아크릴 폴리올을 포함한다.The base coat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olyolefin resin, a first acrylic polyol, a second acrylic polyol, and a third acrylic polyol.

폴리올레핀 수지Polyolefin resin

폴리올레핀 수지는 난연 소재에 대한 부착성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한다. Polyolefin resin serves to improve the adhesion to the flame retardant material.

이때, 상기 폴리올레핀 수지는 염소화 변성 폴리올레핀 수지일 수 있으며, 상기 염소화 변성 폴리올레핀 수지는 염소(Cl)로 변성된 폴리올레핀 수지를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폴리올레핀 수지는 불포화 지방산으로 변성된 염소화 폴리올레핀 수지일 수 있다. 상기 불포화 지방산으로 변성된 염소화 폴리올레핀 수지는 염소화 변성 폴리올레핀 수지를 불포화 지방산으로 변성한 수지를 의미한다. At this time, the polyolefin resin may be a chlorinated modified polyolefin resin, and the chlorinated modified polyolefin resin refers to a polyolefin resin modified with chlorine (Cl). Specifically, the polyolefin resin may be a chlorinated polyolefin resin modified with an unsaturated fatty acid. The chlorinated polyolefin resin modified with the unsaturated fatty acid refers to a resin obtained by modifying the chlorinated modified polyolefin resin with an unsaturated fatty acid.

상기 불포화 지방산은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이타콘산, 말레산, 푸마르산, 무수 말레산, 무수 이타콘산, 및 올레산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불포화 지방산은 말레산일 수 있다. 즉, 상기 폴리올레핀 수지는 말레산으로 변성된 염소화 폴리올레핀일 수 있다. The unsaturated fatty acid may be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crylic acid, methacrylic acid, itaconic acid, maleic acid, fumaric acid, maleic anhydride, itaconic anhydride, and oleic acid. Specifically, the unsaturated fatty acid may be maleic acid. That is, the polyolefin resin may be a chlorinated polyolefin modified with maleic acid.

또한, 상기 폴리올레핀 수지는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이소프로필렌, 폴리부틸렌 및 이들의 공중합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olyolefin resin may include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polyethylene, polypropylene, polyisopropylene, polybutylene, and copolymers thereof.

나아가, 상기 폴리올레핀 수지는 중량평균분자량(Mw)이 50,000 내지 100,000 g/mol, 또는 60,000 내지 90,000 g/mol일 수 있다. 폴리올레핀 수지의 중량평균분자량이 상기 범위 내일 경우, 도장 작업성이 우수한 효과가 있다. Furthermore, the polyolefin resin may have a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Mw) of 50,000 to 100,000 g/mol, or 60,000 to 90,000 g/mol. When the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of the polyolefin resin is within the above range, there is an effect of excellent coating workability.

또한, 상기 폴리올레핀 수지는 염소의 함량이 수지 총 중량에 대하여 10 내지 35 중량%, 또는 20 내지 30 중량%일 수 있다. 폴리올레핀 수지의 염소 함량이 상기 범위 내일 경우, 부착성이 우수한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the polyolefin resin may have a chlorine content of 10 to 35% by weight, or 20 to 30% by weigh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resin. When the chlorine content of the polyolefin resin is within the above range, there is an effect of excellent adhesion.

나아가, 상기 폴리올레핀 수지는 불포화 지방산의 함량이 수지 총 중량에 대하여 0.5 내지 5 중량%, 또는 1 내지 2 중량%일 수 있다. 상기 폴리올레핀 수지 내 불포화 지방산의 함량이 상기 범위 내일 경우, 외관이 우수한 효과가 있다. Furthermore, the polyolefin resin may have an unsaturated fatty acid content of 0.5 to 5% by weight, or 1 to 2% by weigh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resin. When the content of the unsaturated fatty acid in the polyolefin resin is within the above range, the appearance is excellent.

또한, 상기 폴리올레핀 수지는 고상일 수 있으며, 작업성을 위해, 고형분 함량이 총 중량을 기준으로 15 내지 25 중량%가 되도록 용제에 녹인 형태일 수도 있다. 고형분 함량이 상기 범위 내일 경우, 아크릴 수지와의 상용성 및 도료의 저장성이 우수한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the polyolefin resin may be in a solid state, and for workability, the polyolefin resin may be dissolved in a solvent so that the solid content is 15 to 25% by weight based on the total weight. When the solid content is within the above range, there is an effect of excellent compatibility with acrylic resin and storage of paint.

또한, 상기 염소화 폴리올레핀 수지는 25℃에서의 점도(가드너 점도)가 A4 내지 A일 수 있다. 폴리올레핀 수지의 25℃에서의 점도(가드너 점도)가 상기 범위 내일 경우, 도료의 저장성이 우수한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the chlorinated polyolefin resin may have a viscosity (Gardner viscosity) of A4 to A at 25°C. When the viscosity (Gardner viscosity) of the polyolefin resin at 25° C. is within the above range, there is an effect of excellent storage properties of the paint.

나아가, 상기 폴리올레핀 수지는 베이스 코트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15 내지 25 중량부, 또는 17 내지 23 중량부의 함량으로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폴리올레핀 수지의 함량이 상기 범위 내일 경우, 난연 소재에 대한 부착성이 우수하고, 도막의 기초 물성인 내썬크림성 및 내방향제성등이 향상될 수 있다.Further, the polyolefin resin may be included in the composition in an amount of 15 to 25 parts by weight, or 17 to 23 parts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base coat composition. When the content of the polyolefin resin is within the above range, adhesion to the flame retardant material is excellent, and the basic physical properties of the coating film, such as sunscreen resistance and fragrance resistance, may be improved.

제1 아크릴 폴리올First acrylic polyol

제1 아크릴 폴리올은 베이스 코트 조성물의 내방향제성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한다. The first acrylic polyol serves to improve the fragrance resistance of the base coat composition.

상기 제1 아크릴 폴리올은 공지된 방법에 따라 직접 합성된 것을 사용하거나, 시판되는 제품을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아크릴 폴리올은, 예를 들어, 수산기 함유 아크릴 단량체를 중합하여 제조된 것일 수 있다.The first acrylic polyol may be directly synthesized according to a known method, or a commercially available product may be used. In this case, the first acrylic polyol may be prepared by polymerizing, for example, an acrylic monomer containing a hydroxyl group.

상기 수산기 함유 아크릴 단량체로는 예를 들어, 2-하이드록시메틸 (메트)아크릴레이트, 2-하이드록시에틸 (메트)아크릴레이트, 2-하이드록시프로필 (메트)아크릴레이트, 2-하이드록시부틸 (메트)아크릴레이트, 1,3-부탄디올 디(메트)아크릴레이트, 1,4-부탄디올 디(메트)아크릴레이트, 에틸렌글리콜 디(메트)아크릴레이트 및 1,6-헥산디올 디(메트)아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Examples of the hydroxyl group-containing acrylic monomer include 2-hydroxymethyl (meth)acrylate, 2-hydroxyethyl (meth)acrylate, 2-hydroxypropyl (meth)acrylate, and 2-hydroxybutyl ( Meth)acrylate, 1,3-butanediol di(meth)acrylate, 1,4-butanediol di(meth)acrylate, ethylene glycol di(meth)acrylate and 1,6-hexanediol di(meth)acrylate It may include one or mor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이때, 상기 제1 아크릴 폴리올은 상술한 바와 같은 수산기 함유 아크릴 단량체와 비닐 단량체를 중합하여 제조된 것일 수 있다. 상기 비닐 단량체의 종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예를 들어, 스티렌, 메틸스티렌, 디메틸스티렌, 플루오로스티렌, 에톡시스티렌, 메톡시스티렌, (메트)아크릴레이트, 메틸 (메트)아크릴레이트, 에틸 (메트)아크릴레이트, 부틸 (메트)아크릴레이트 및 이소부틸 (메트)아크릴레이트로 이루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first acrylic polyol may be prepared by polymerizing a hydroxyl group-containing acrylic monomer and a vinyl monomer as described above. The kind of the vinyl monomer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for example, styrene, methylstyrene, dimethylstyrene, fluorostyrene, ethoxystyrene, methoxystyrene, (meth)acrylate, methyl (meth)acrylate, ethyl ( It may include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meth)acrylate, butyl (meth)acrylate, and isobutyl (meth)acrylate.

또한, 상기 제1 아크릴 폴리올은 제2 아크릴 폴리올보다 높은 수산기가 및 낮은 유리전이온도를 갖고, 제3 아크릴 폴리올보다 낮은 수산기가 및 높은 유리전이온도를 갖는다. In addition, the first acrylic polyol has a higher hydroxyl value and a lower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than the second acrylic polyol, and has a lower hydroxyl value and a higher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than that of the third acrylic polyol.

구체적으로, 상기 제1 아크릴 폴리올은 수산기가(OHv)가 50 내지 70 mgKOH/g, 또는 60 내지 70 mgKOH/g이고, 유리전이온도(Tg)가 38 내지 45 ℃, 또는 40 내지 44 ℃일 수 있다. 제1 아크릴 폴리올의 수산기가가 상기 범위 내일 경우, 내습성이 우수한 효과가 있고, 유리전이온도가 상기 범위 내일 경우, 내아세톤성이 우수한 효과가 있다. Specifically, the first acrylic polyol may have a hydroxyl value (OHv) of 50 to 70 mgKOH/g, or 60 to 70 mgKOH/g, and a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Tg) of 38 to 45°C, or 40 to 44°C. have. When the hydroxyl value of the first acrylic polyol is within the above range, the moisture resistance is excellent, and when the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is within the above range, the acetone resistance is excellent.

나아가, 상기 제1 아크릴 폴리올은 중량평균분자량(Mw)이 15,000 내지 30,000 g/mol, 또는 18,000 내지 25,000 g/mol일 수 있다. 제1 아크릴 폴리올의 중량평균분자량이 상기 범위 내일 경우, 내방향제성이 우수한 효과가 있다.Furthermore, the first acrylic polyol may have a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Mw) of 15,000 to 30,000 g/mol, or 18,000 to 25,000 g/mol. When the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of the first acrylic polyol is within the above range, there is an effect of excellent fragrance resistance.

상기 제1 아크릴 폴리올은 고형분 함량이 수지 총 중량을 기준으로 40 내지 65 중량%, 또는 45 내지 55 중량%일 수 있다. 제1 아크릴 폴리올의 고형분 함량이 상기 범위 내일 경우, 외관이 우수한 효과가 있다.The first acrylic polyol may have a solid content of 40 to 65% by weight, or 45 to 55% by weigh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resin. When the solid content of the first acrylic polyol is within the above range, the appearance is excellent.

또한, 상기 제1 아크릴 폴리올은 15 내지 25 중량부의 폴리올레핀 수지에 대하여 1 내지 20 중량부, 또는 5 내지 15 중량부의 함량으로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제1 아크릴 폴리올의 함량이 상기 범위 내일 경우, 내방향제성이 우수한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the first acrylic polyol may be included in the composition in an amount of 1 to 20 parts by weight, or 5 to 15 parts by weight based on 15 to 25 parts by weight of the polyolefin resin. When the content of the first acrylic polyol is within the above range, there is an effect of excellent fragrance resistance.

제2 아크릴 폴리올Second acrylic polyol

제2 아크릴 폴리올은 베이스 코트 조성물의 내썬크림성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한다. The second acrylic polyol serves to improve the sunscreen resistance of the base coat composition.

상기 제2 아크릴 폴리올은 공지된 방법에 따라 직접 합성된 것을 사용하거나, 시판되는 제품을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 아크릴 폴리올은, 예를 들어, 수산기 함유 아크릴 단량체를 중합하여 제조된 것일 수 있다.The second acrylic polyol may be directly synthesized according to a known method, or a commercially available product may be used. In this case, the second acrylic polyol may be prepared by polymerizing, for example, an acrylic monomer containing a hydroxyl group.

상기 수산기 함유 아크릴 단량체로는 예를 들어, 2-하이드록시메틸 (메트)아크릴레이트, 2-하이드록시에틸 (메트)아크릴레이트, 2-하이드록시프로필 (메트)아크릴레이트, 2-하이드록시부틸 (메트)아크릴레이트, 1,3-부탄디올 디(메트)아크릴레이트, 1,4-부탄디올 디(메트)아크릴레이트, 에틸렌글리콜 디(메트)아크릴레이트 및 1,6-헥산디올 디(메트)아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Examples of the hydroxyl group-containing acrylic monomer include 2-hydroxymethyl (meth)acrylate, 2-hydroxyethyl (meth)acrylate, 2-hydroxypropyl (meth)acrylate, and 2-hydroxybutyl ( Meth)acrylate, 1,3-butanediol di(meth)acrylate, 1,4-butanediol di(meth)acrylate, ethylene glycol di(meth)acrylate and 1,6-hexanediol di(meth)acrylate It may include one or mor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이때, 상기 제2 아크릴 폴리올은 상술한 바와 같은 수산기 함유 아크릴 단량체와 비닐 단량체를 중합하여 제조된 것일 수 있다. 상기 비닐 단량체의 종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예를 들어, 스티렌, 메틸스티렌, 디메틸스티렌, 플루오로스티렌, 에톡시스티렌, 메톡시스티렌, 메틸 (메트)아크릴레이트, 에틸 (메트)아크릴레이트, 부틸 (메트)아크릴레이트 및 이소부틸 (메트)아크릴레이트로 이루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second acrylic polyol may be prepared by polymerizing a hydroxyl group-containing acrylic monomer and a vinyl monomer as described above. The type of the vinyl monomer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for example, styrene, methylstyrene, dimethylstyrene, fluorostyrene, ethoxystyrene, methoxystyrene, methyl (meth)acrylate, ethyl (meth)acrylate, butyl It may include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meth)acrylate and isobutyl (meth)acrylate.

또한, 상기 제2 아크릴 폴리올은 제1 아크릴 폴리올보다 낮은 수산기가 및 높은 유리전이온도를 갖고, 제3 아크릴 폴리올보다 낮은 수산기가 및 높은 유리전이온도를 갖는다.In addition, the second acrylic polyol has a lower hydroxyl value and a higher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than the first acrylic polyol, and has a lower hydroxyl value and a higher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than that of the third acrylic polyol.

구체적으로, 상기 제2 아크릴 폴리올은 수산기가(OHv)가 20mgKOH/g 이상 50mgKOH/g 미만, 또는 35 내지 45 mgKOH/g이고, 유리전이온도(Tg)가 45℃ 초과 60℃ 이하, 또는 46 내지 55 ℃일 수 있다. 제2 아크릴 폴리올의 수산기가가 상기 범위 내일 경우, 내썬크림성 우수한 효과가 있고, 유리전이온도가 상기 범위 내일 경우, 부착성이 우수한 효과가 있다.Specifically, the second acrylic polyol has a hydroxyl value (OHv) of 20 mgKOH/g or more and less than 50 mgKOH/g, or 35 to 45 mgKOH/g, and a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Tg) of more than 45° C. and 60° C. or less, or 46 to It may be 55 °C. When the hydroxyl value of the second acrylic polyol is within the above range, there is an effect of excellent sunscreen resistance, and when the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is within the above range, there is an effect of excellent adhesion.

나아가, 상기 제2 아크릴 폴리올은 중량평균분자량(Mw)이 20,000 내지 35,000 g/mol, 또는 23,000 내지 30,000 g/mol일 수 있다. 제2 아크릴 폴리올의 중량평균분자량이 상기 범위 내일 경우, 외관이 우수한 효과가 있다.Further, the second acrylic polyol may have a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Mw) of 20,000 to 35,000 g/mol, or 23,000 to 30,000 g/mol. When the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of the second acrylic polyol is within the above range, the appearance is excellent.

또한, 상기 제2 아크릴 폴리올은 고형분 함량이 수지 총 중량을 기준으로 40 내지 65 중량%, 또는 45 내지 55 중량% 일 수 있다. 제2 아크릴 폴리올의 고형분 함량이 상기 범위 내일 경우, 도장 작업성이 우수한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second acrylic polyol may have a solid content of 40 to 65% by weight, or 45 to 55% by weigh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resin. When the solid content of the second acrylic polyol is within the above range, there is an effect of excellent coating workability.

또한, 상기 제2 아크릴 폴리올은 15 내지 25 중량부의 폴리올레핀 수지에 대하여 1 내지 10 중량부, 또는 2 내지 6 중량부의 함량으로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제2 아크릴 폴리올의 함량이 상기 범위 내일 경우, 내아세톤성이 우수한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the second acrylic polyol may be included in the composition in an amount of 1 to 10 parts by weight, or 2 to 6 parts by weight based on 15 to 25 parts by weight of the polyolefin resin. When the content of the second acrylic polyol is within the above range, acetone resistance is excellent.

제3 아크릴 폴리올3rd acrylic polyol

제3 아크릴 폴리올은 베이스 코트 조성물의 내아세톤성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한다. The third acrylic polyol serves to improve the acetone resistance of the base coat composition.

상기 제3 아크릴 폴리올은 공지된 방법에 따라 직접 합성된 것을 사용하거나, 시판되는 제품을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3 아크릴 폴리올은, 예를 들어, 수산기 함유 아크릴 단량체를 중합하여 제조된 것일 수 있다.The third acrylic polyol may be directly synthesized according to a known method, or a commercially available product may be used. In this case, the third acrylic polyol may be prepared by polymerizing, for example, an acrylic monomer containing a hydroxyl group.

상기 수산기 함유 아크릴 단량체로는 예를 들어, 2-하이드록시메틸 (메트)아크릴레이트, 2-하이드록시에틸 (메트)아크릴레이트, 2-하이드록시프로필 (메트)아크릴레이트, 2-하이드록시부틸 (메트)아크릴레이트, 1,3-부탄디올 디(메트)아크릴레이트, 1,4-부탄디올 디(메트)아크릴레이트, 에틸렌글리콜 디(메트)아크릴레이트 및 1,6-헥산디올 디(메트)아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Examples of the hydroxyl group-containing acrylic monomer include 2-hydroxymethyl (meth)acrylate, 2-hydroxyethyl (meth)acrylate, 2-hydroxypropyl (meth)acrylate, and 2-hydroxybutyl ( Meth)acrylate, 1,3-butanediol di(meth)acrylate, 1,4-butanediol di(meth)acrylate, ethylene glycol di(meth)acrylate and 1,6-hexanediol di(meth)acrylate It may include one or mor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이때, 상기 제3 아크릴 폴리올은 상술한 바와 같은 수산기 함유 아크릴 단량체와 비닐 단량체를 중합하여 제조된 것일 수 있다. 상기 비닐 단량체의 종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예를 들어, 스티렌, 메틸스티렌, 디메틸스티렌, 플루오로스티렌, 에톡시스티렌, 메톡시스티렌, 메틸 (메트)아크릴레이트, 에틸 (메트)아크릴레이트, 부틸 (메트)아크릴레이트 및 이소부틸 (메트)아크릴레이트로 이루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third acrylic polyol may be prepared by polymerizing a hydroxyl group-containing acrylic monomer and a vinyl monomer as described above. The type of the vinyl monomer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for example, styrene, methylstyrene, dimethylstyrene, fluorostyrene, ethoxystyrene, methoxystyrene, methyl (meth)acrylate, ethyl (meth)acrylate, butyl It may include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meth)acrylate and isobutyl (meth)acrylate.

또한, 상기 제3 아크릴 폴리올은 제1 아크릴 폴리올보다 높은 수산기가 및 낮은 유리전이온도를 갖고, 제2 아크릴 폴리올보다 높은 수산기가 및 낮은 유리전이온도를 갖는다.In addition, the third acrylic polyol has a higher hydroxyl value and a lower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than the first acrylic polyol, and has a higher hydroxyl value and a lower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than the second acrylic polyol.

구체적으로, 상기 제3 아크릴 폴리올은 수산기가(OHv)가 120 내지 150 mgKOH/g, 또는 130 내지 145 mgKOH/g이고, 유리전이온도(Tg)가 25℃ 이상 38℃ 미만, 또는 30 내지 35 ℃일 수 있다. 제3 아크릴 폴리올의 수산기가가 상기 범위 내일 경우, 가교밀도를 증량시키는데 우수한 효과가 있고, 유리전이온도가 상기 범위 내일 경우, 외관이 우수한 효과가 있다.Specifically, the third acrylic polyol has a hydroxyl value (OHv) of 120 to 150 mgKOH/g, or 130 to 145 mgKOH/g, and a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Tg) of 25° C. or more and less than 38° C., or 30 to 35° C. Can be When the hydroxyl value of the third acrylic polyol is within the above range, there is an excellent effect in increasing the crosslinking density, and when the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is within the above range, the appearance is excellent.

나아가, 상기 제3 아크릴 폴리올은 중량평균분자량(Mw)이 10,000 내지 30,000 g/mol, 또는 13,000 내지 20,000 g/mol일 수 있다. 제3 아크릴 폴리올의 중량평균분자량이 상기 범위 내일 경우, 부착성이 우수한 효과가 있다.Furthermore, the third acrylic polyol may have a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Mw) of 10,000 to 30,000 g/mol, or 13,000 to 20,000 g/mol. When the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of the third acrylic polyol is within the above range, there is an effect of excellent adhesion.

또한, 상기 제3 아크릴 폴리올은 고형분 함량이 수지 총 중량을 기준으로 50 내지 70 중량%, 또는 53 내지 65 중량%일 수 있다. 제3 아크릴 폴리올의 고형분 함량이 상기 범위 내일 경우, 내습성이 우수한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third acrylic polyol may have a solid content of 50 to 70% by weight, or 53 to 65% by weigh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resin. When the solid content of the third acrylic polyol is within the above range, there is an effect of excellent moisture resistance.

또한, 상기 제3 아크릴 폴리올은 15 내지 25 중량부의 폴리올레핀 수지에 대하여 10 내지 30 중량부, 또는 18 내지 25 중량부의 함량으로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제3 아크릴 폴리올의 함량이 상기 범위 내일 경우, 내방향제성이 우수한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the third acrylic polyol may be included in the composition in an amount of 10 to 30 parts by weight, or 18 to 25 parts by weight based on 15 to 25 parts by weight of the polyolefin resin. When the content of the third acrylic polyol is within the above range, there is an effect of excellent fragrance resistance.

이때, 상기 베이스 코트 조성물은 제1 아크릴 폴리올, 제2 아크릴 폴리올 및 제3 아크릴 폴리올을 2.0 내지 3.5 : 1 : 4 내지 6의 중량비, 또는 2.3 내지 3.0 : 1 : 4.0 내지 5.5의 중량비의 함량으로 포함할 수 있다. 제1 아크릴 폴리올, 제2 아크릴 폴리올 및 제3 아크릴 폴리올의 중량비가 상기 범위 내일 경우, 내썬크림성 및 내방향제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In this case, the base coat composition contains the first acrylic polyol, the second acrylic polyol, and the third acrylic polyol in a weight ratio of 2.0 to 3.5: 1: 4 to 6, or 2.3 to 3.0: 1: 4.0 to 5.5 by weight. can do. When the weight ratio of the first acrylic polyol, the second acrylic polyol, and the third acrylic polyol is within the above range, there is an effect of improving sunscreen resistance and fragrance resistance.

또한, 상기 베이스 코트 조성물은 15 내지 25 중량부의 폴리올레핀 수지에 대하여 제1 아크릴 폴리올, 제2 아크릴 폴리올 및 제3 아크릴 폴리올의 총량을 22 내지 46 중량부, 또는 25 내지 41 중량부로 포함할 수 있다. 제1 아크릴 폴리올, 제2 아크릴 폴리올 및 제3 아크릴 폴리올의 총량이 상기 범위 내일 경우, 내썬크림성 및 내방향제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base coat composition may include 22 to 46 parts by weight, or 25 to 41 parts by weight of the total amount of the first acrylic polyol, the second acrylic polyol, and the third acrylic polyol based on 15 to 25 parts by weight of the polyolefin resin. When the total amount of the first acrylic polyol, the second acrylic polyol, and the third acrylic polyol is within the above range, there is an effect of improving sunscreen resistance and fragrance resistance.

상기 베이스 코트 조성물은 안료, 첨가제 및 용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The base coat composition may further include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pigments, additives, and solvents.

안료Pigment

상기 안료는 통상적으로 도료에 적용될 수 있는 것이라면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며, 예를 들어, 소광제, 조색제 등을 들 수 있다.The pigment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it is usually applied to a paint, and examples thereof include a matting agent and a color toning agent.

상기 소광제는 광택을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소광제는 도료 조성물에 사용될 수 있는 통상적인 것이라면 특별히 제한하지 않으며, 예를 들어, 실리카를 들 수 있다. 상기 소광제의 사용량에는 특별한 제한이 없으나, 예를 들어, 15 내지 25 중량부의 폴리올레핀 수지에 대하여 5 내지 20 중량부, 또는 8 내지 15 중량부의 함량으로 조성물에 사용될 수 있다. The matting agent serves to control the gloss. The matting agent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it is a conventional one that can be used in the coating composition, and for example, silica may be used. Although there is no particular limitation on the amount of the matting agent used, for example, it may be used in the composition in an amount of 5 to 20 parts by weight, or 8 to 15 parts by weight based on 15 to 25 parts by weight of the polyolefin resin.

상기 조색제는 제조된 도막에 색상을 부여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상기 조색제는 예를 들어, 탈크, 탄산칼슘, 이산화티타늄, 산화철, 산화황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상기 조색제는 15 내지 25 중량부의 폴리올레핀 수지에 대하여 10 내지 20 중량부의 함량으로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조색제의 함량이 상기 범위 내일 경우, 제조된 막의 은폐력이 부족한 문제, 및 도막의 부착력이 저하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The toning agent serves to impart color to the prepared coating film. At this time, the colorant may be, for example, talc, calcium carbonate, titanium dioxide, iron oxide, sulfur oxide, or the like. In addition, the colorant may be included in the composition in an amount of 10 to 20 parts by weight based on 15 to 25 parts by weight of the polyolefin resin. When the content of the toning agent is within the above rang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problem of insufficient hiding power of the produced film and the problem of lowering the adhesion of the coating film.

첨가제additive

상기 첨가제는 통상적으로 도료에 적용될 수 있는 것이라면 특별히 제한하지 않으나, 예를 들어, 표면조정제, 경화촉진제, 반응지연제, 얼룩방지제, 왁스 등을 들 수 있다. The additive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it can be applied to a conventional paint, but examples thereof include a surface modifier, a curing accelerator, a reaction retarder, an anti-stain agent, a wax, and the like.

이때, 상기 첨가제는 15 내지 25 중량부의 폴리올레핀 수지에 대하여 1 내지 15 중량부, 또는 5 내지 10 중량부의 함량으로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additive may be included in the composition in an amount of 1 to 15 parts by weight, or 5 to 10 parts by weight based on 15 to 25 parts by weight of the polyolefin resin.

상기 표면조정제는 조성물의 표면장력을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표면조정제로는 표면장력을 조절하기 위해 도료 조성물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첨가제를 사용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폴리실록산계 표면조정제 또는 비실리콘계 표면조정제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표면조정제의 사용량에는 특별한 제한이 없고, 15 내지 25 중량부의 폴리올레핀 수지에 대하여 0.01 내지 1.0 중량부의 함량으로 조성물에 사용될 수 있다. 표면조정제의 함량이 상기 함량 범위 미만인 경우, 제조된 도막의 외관이 저하될 수 있고, 상기 함량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 조성물의 재도장 부착성이 저하될 수 있다.The surface modifier serves to adjust the surface tension of the composition. As the surface modifier, additives generally used in the coating composition may be used to control the surface tension, and for example, a polysiloxane-based surface modifier or a non-silicone-based surface modifier may be used. There is no particular limitation on the amount of the surface modifier to be used, and may be used in the composition in an amount of 0.01 to 1.0 parts by weight based on 15 to 25 parts by weight of the polyolefin resin. When the content of the surface modifier is less than the above content range, the appearance of the prepared coating film may be deteriorated, and when it exceeds the above content range, the recoating adhesion of the composition may be lowered.

상기 경화촉진제는 도료의 가교 밀도를 높이는 역할을 한다. 상기 경화촉진제로서는 가교도를 높이기 위해 도료 조성물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것을 사용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디부틸틴디아세테이트, 디부틸틴디라우레이트, 스테니어스옥테이트, 디부틸틴머켑타이드 등의 금속화합물; 트리에틸디아민, 트리에타놀아민, 1,4-디아조사이클로옥탄, 디메틸에탄올아민, 에틸모르피린, 디메틸아미노에틸모르포린, 디메틸사이클로헥실아민 등의 3차 아민; 및 알칼리 금속의 카복시산염 또는 아연계 착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경화촉진제의 사용량에는 특별한 제한은 없으나, 과량으로 적용될 경우, 가사시간 확보에 어려움이 발생할 수 있다.The curing accelerator serves to increase the crosslinking density of the paint. As the curing accelerator, those generally used in paint compositions can be used to increase the degree of crosslinking, and for example, metal compounds such as dibutyltindiacetate, dibutyltindilaurate, steneas octate, dibutyltinmercaptide, etc. ; Tertiary amines such as triethyldiamine, triethanolamine, 1,4-diazocyclooctane, dimethylethanolamine, ethylmorphine, dimethylaminoethylmorpholine, and dimethylcyclohexylamine; And an alkali metal carboxylate or a zinc-based complex compound. There is no particular limitation on the amount of the curing accelerator used, but when applied in an excessive amount, it may be difficult to secure pot life.

상기 반응지연제는 조성물의 가사시간(Pot Life)을 지연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때, 상기 반응지연제는, 예를 들어, 글리콜 디(3-메르캅토프로피오네이트)(GDMP, glycol di(3-mercaptopropionate))를 들 수 있다. 이때, 상기 반응지연제의 사용량에는 특별한 제한이 없으며, 조성물의 물성에 영향이 없는 한에서 사용량을 조절할 수 있다.The reaction delay agent serves to delay the pot life of the composition. At this time, the reaction delaying agent may be, for example, glycol di(3-mercaptopropionate) (GDMP, glycol di(3-mercaptopropionate)). At this time, there is no particular limitation on the amount of the reaction delaying agent, and the amount of the reaction delaying agent may be adjusted as long as the physical properties of the composition are not affected.

상기 얼룩방지제는 도료를 도막에 도장 후 생기는 얼룩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상기 얼룩방지제는, 예를 들어, 합성 실리카를 들 수 있다. 이때, 상기 얼룩방지제의 사용량에는 특별한 제한이 없으며, 조성물의 물성에 영향이 없는 한에서 사용량을 조절할 수 있다.The anti-stain agent serves to prevent stains generated after coating the paint film. At this time, the stain inhibitor may be, for example, synthetic silica. At this time, there is no particular limitation on the amount of the stain inhibitor, and the amount may be adjusted as long as there is no effect on the physical properties of the composition.

상기 왁스는 도막의 내마모성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왁스는 도료 조성물에 사용될 수 있는 통상적인 것이라면 특별히 제한하지 않으며, 예를 들어, 폴리올레핀계 왁스, 불소계 왁스, 파라핀계 왁스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상기 왁스는 15 내지 25 중량부의 폴리올레핀 수지에 대하여 0.5 내지 2.5 중량부의 함량으로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다.The wax serves to improve the abrasion resistance of the coating film. The wax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it is a conventional one that can be used in the coating composition, and examples thereof include polyolefin-based wax, fluorine-based wax, and paraffin-based wax. In addition, the wax may be included in the composition in an amount of 0.5 to 2.5 parts by weight based on 15 to 25 parts by weight of the polyolefin resin.

용제solvent

상기 용제는 도막의 두께를 조절하고 조성물의 도막 작업성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한다. The solvent serves to control the thickness of the coating film and improve the workability of the coating film of the composition.

이때, 상기 용제는 비극성 용제 및 극성 용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비극성 용제는 예를 들어, n-헵탄 및 n-헥산 등을 들 수 있으며, 상기 극성 용제는 예를 들어, 에틸 아세테이트, n-부틸 아세테이트, 이소부틸 아세테이트, 에틸 에틸렌글리콜 모노에틸 에테르 아세테이트, 이염기성 에스테르, 3-메톡시 부틸 아세테이트, 아밀 아세테이트, 부틸글리콜 아세테이트, 메틸 에틸 케톤, 메틸 이소부틸 케톤, 아세톤, 디이소부틸 케톤, 이소포론 및 사이클로헥사논 등을 들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극성 용제는 에스테르계 용제 및 케톤계 용제를 포함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solvent may include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 non-polar solvent and a polar solvent. The non-polar solvent may be, for example, n-heptane and n-hexane, and the polar solvent may be, for example, ethyl acetate, n-butyl acetate, isobutyl acetate, ethyl ethylene glycol monoethyl ether acetate, di-salt Basic esters, 3-methoxy butyl acetate, amyl acetate, butyl glycol acetate, methyl ethyl ketone, methyl isobutyl ketone, acetone, diisobutyl ketone, isophorone, and cyclohexanone. For example, the polar solvent may include an ester-based solvent and a ketone-based solvent.

또한, 상기 용제의 사용량에는 특별한 제한이 없으나, 용제가 지나치게 많이 사용되면 조성물의 부착력 저하나 내구력 저하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며, 너무 소량 사용되면 용제 사용으로 인한 효과를 기대하기 어렵다. 예를 들어, 상기 용제는 15 내지 25 중량부의 폴리올레핀 수지에 대하여 5 내지 20 중량부의 함량으로 포함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re is no particular limitation on the amount of the solvent used, but if too much of the solvent is used, a problem of lowering adhesion or durability of the composition may occur, and if too small amount is used, it is difficult to expect the effect of the use of the solvent. For example, the solvent may be included in an amount of 5 to 20 parts by weight based on 15 to 25 parts by weight of the polyolefin resin.

본 발명에 따른 베이스 코트 조성물은 상술한 바와 같은 폴리올레핀 수지 및 3종의 아크릴 폴리올을 포함하는 주제부; 및 경화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베이스 코트 조성물은 주제부 및 경화제부를 포함하는 2액형 코트 조성물일 수 있다.The base coat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in part including a polyolefin resin and three types of acrylic polyols as described above; And a curing agent part; may include. That is, the base coat composition may be a two-component coat composition including a main part and a hardener part.

이때, 상기 주제부는 25℃에서의 점도가 50 내지 80 KU, 또는 57 내지 63 KU이고, 주제부 총 중량을 기준으로 30 내지 40 중량%, 또는 33 내지 39 중량%의 고형분을 포함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main part may have a viscosity of 50 to 80 KU, or 57 to 63 KU at 25° C., and may include 30 to 40% by weight, or 33 to 39% by weight of solids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main part.

경화제부Hardener part

상기 경화제부는 경화제 및 경화제부 용제를 포함할 수 있다.The hardener part may include a hardener and a hardener part solvent.

나아가, 상기 경화제는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경화제는 주제부의 수산기와 반응하여 우레탄 결합을 형성할 수 있다면 그 종류를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상기 경화제는 경화 속도, 부착성, 도막 경도, 내열성 등이 우수하며 저가인 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 톨루엔 디이소시아네이트, 자일렌 디이소시아네이트의 단독중합체 및 변성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Furthermore, the curing agent may include a polyisocyanate compound. In addition, the type of the curing agent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it can react with the hydroxyl group of the main part to form a urethane bond. For example, the curing agent contains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homopolymers and modified products of methylene diisocyanate, toluene diisocyanate, and xylene diisocyanate, which are excellent in curing speed, adhesion, coating film hardness, and heat resistance, and are inexpensive. can do.

상기 조성물은 상기 경화제의 이소시아네이트와 상기 주제부 내의 하이드록실기의 당량비는 1 내지 2 : 1일 수 있다. 상기 당량비가 상기 범위 미만인 경우, 경도, 내수성 등의 도막 물성이 저하될 수 있고, 상기 범위 초과인 경우, 도막의 건조성이 저하될 수 있다. In the composition, the equivalent ratio of the isocyanate of the curing agent and the hydroxyl group in the main part may be 1 to 2:1. When the equivalence ratio is less than the above range, properties of the coating film such as hardness and water resistance may be deteriorated, and when the equivalent ratio exceeds the above range, the drying property of the coating film may be deteriorated.

상기 경화제는 적당한 용제로 희석하여 별도 용기에 보관한 후 사용 직전에 충분히 교반하여 사용할 수 있다. The curing agent may be diluted with a suitable solvent and stored in a separate container, and then sufficiently stirred immediately before use.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베이스 코트 조성물은 도장 작업성이 우수하고, 난연 소재에 대한 부착성이 우수하여 프라이머 공정의 삭제가 가능하여 경제성이 우수하다. 또한, 상기 베이스 코트 조성물로부터 제조된 도막은 외관 특성, 내습성, 내썬크림성, 내방향제성 등의 다양한 물성이 우수하다.The base coat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has excellent coating workability and excellent adhesion to flame-retardant materials, so that the primer process can be eliminated, and thus economical efficiency is excellent. In addition, the coating film prepared from the base coat composition is excellent in various physical properties such as appearance characteristics, moisture resistance, sunscreen resistance, and fragrance resistance.

이하,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것일 뿐 어떠한 의미로든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through examples. However, these examples are only intended to aid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se examples in any sense.

[실시예][Example]

실시예 1 내지 9 및 비교예 1 내지 6. 베이스 코트 조성물의 제조Examples 1 to 9 and Comparative Examples 1 to 6. Preparation of base coat composition

하기 표 1 및 2에 기재된 바와 같은 조성으로 각 성분들을 사용하여 주제부를 제조하였다.A main part was prepared using each component in the composition as described in Tables 1 and 2 below.

이후, 폴리이소시아네이트 경화제(HDI Trimer)의 이소시아네이트기와 상기 주제부의 하이드록실기를 1:1의 당량비로 혼합하여 베이스 코트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베이스 코트 조성물에 신너를 첨가하여 25℃에서 4호 포드컵 점도를 12 내지 14초로 조절하였다.Thereafter, the isocyanate group of the polyisocyanate curing agent (HDI Trimer) and the hydroxyl group of the main part were mixed in an equivalent ratio of 1:1 to prepare a base coat composition. Thinner was added to the prepared base coat composition to adjust the viscosity of No. 4 Pod Cup at 25° C. to 12 to 14 seconds.

성분(중량부)Ingredients (parts by weight) 실시예Example 1One 22 33 44 55 66 77 88 99 폴리올레핀 수지1Polyolefin resin 1 2222 2020 -- -- 1717 2323 2020 1818 1919 폴리올레핀 수지2Polyolefin resin2 -- -- 2222 -- -- -- -- -- -- 폴리올레핀 수지3Polyolefin resin3 -- -- -- 2020 -- -- -- -- -- 제1-1 아크릴 폴리올1-1 acrylic polyol 10.510.5 12.512.5 -- -- 1515 88 1111 1111 12.512.5 제1-2 아크릴 폴리올1-2 acrylic polyol -- -- 10.510.5 -- -- -- -- -- -- 제1-3 아크릴 폴리올No. 1-3 acrylic polyol -- -- -- 12.512.5 -- -- -- -- -- 제2-1 아크릴 폴리올2-1 acrylic polyol 4.54.5 4.54.5 -- -- 55 33 44 4.74.7 55 제2-2 아크릴 폴리올2-2 acrylic polyol -- -- 4.54.5 -- -- -- -- -- -- 제2-3 아크릴 폴리올2-3 acrylic polyol -- -- -- 4.54.5 -- -- -- -- -- 제3-1 아크릴 폴리올3-1 acrylic polyol 22.522.5 22.522.5 -- -- 2020 16.516.5 2020 2525 2323 제3-2 아크릴 폴리올3-2 acrylic polyol -- -- 22.522.5 -- -- -- -- -- -- 제3-3 아크릴 폴리올3-3 acrylic polyol -- -- -- 22.522.5 -- -- -- -- -- 얼룩방지제Stain inhibitor 2.52.5 2.52.5 2.52.5 2.52.5 3.53.5 3.53.5 2.52.5 2.52.5 2.52.5 소광제Quencher 1111 1111 1111 1111 1111 1212 1111 11.811.8 1111 왁스Wax 1One 1One 1One 1One 22 22 1One 1One 1One 조색제Toning agent 13.613.6 13.613.6 13.613.6 13.613.6 14.114.1 14.614.6 13.613.6 13.613.6 13.613.6 반응지연제Reaction retardant 1One 1One 1One 1One 1.51.5 22 22 1One 1One 경화촉진제Hardening accelerator 1.41.4 1.41.4 1.41.4 1.41.4 1.41.4 2.42.4 2.42.4 1.41.4 1.41.4 용제solvent 1010 1010 1010 1010 9.59.5 1313 12.512.5 1010 1010 총량Total amount 100100 100100 100100 100100 100100 100100 100100 100100 100100

성분(중량부)Ingredients (parts by weight) 비교예Comparative example 1One 22 33 44 55 66 폴리올레핀 수지1Polyolefin resin 1 -- 2424 23.523.5 25.525.5 24.524.5 2222 제1-1 아크릴 폴리올1-1 acrylic polyol 14.514.5 -- 1313 1414 -- -- 제1-4 아크릴 폴리올1-4 acrylic polyol -- -- -- -- -- 10.510.5 제2-1 아크릴 폴리올2-1 acrylic polyol 8.58.5 6.56.5 -- 88 -- -- 제2-4 아크릴 폴리올2-4 acrylic polyol  -- -- -- -- -- 4.54.5 제3-1 아크릴 폴리올3-1 acrylic polyol 26.526.5 24.524.5 2323 -- 2525 -- 제3-4 아크릴 폴리올3-4 acrylic polyol -- -- -- -- -- 22.522.5 얼룩방지제Stain inhibitor 3.53.5 3.53.5 2.52.5 4.54.5 44 2.52.5 소광제Quencher 1212 1313 1111 1313 1212 1111 왁스Wax 22 1One 1One 22 1.51.5 1One 조색제Toning agent 14.614.6 13.613.6 13.613.6 15.615.6 14.614.6 13.613.6 반응지연제Reaction retardant 22 1One 1One 22 1.51.5 1One 경화촉진제Hardening accelerator 2.42.4 1.41.4 1.41.4 2.42.4 1.91.9 1.41.4 용제solvent 1414 11.511.5 1010 1313 1515 1010 총량Total amount 100100 100100 100100 100100 100100 100100

이하,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사용한 각 성분들의 제조사 및 제품명 등은 하기 표 3에 나타냈다.Hereinafter, manufacturers and product names of each component used in Examples and Comparative Examples are shown in Table 3 below.

성분ingredient 제조사 및 제품명Manufacturer and product name 비고Remark 폴리올레핀
수지1
Polyolefin
Suzy 1
-- 고형분 함량: 15중량%, 말레산 함유량: 1.5중량%,
염소 함량: 25중량%, Mw: 75,000g/mol,
25℃에서의 가드너 점도: A2
Solid content: 15% by weight, maleic acid content: 1.5% by weight,
Chlorine content: 25% by weight, Mw: 75,000 g/mol,
Gardner viscosity at 25°C: A2
폴리올레핀
수지2
Polyolefin
Suzy2
-- 고형분 함량: 21중량%, 말레산 함유량: 2중량%,
염소 함량: 28중량%, Mw: 90,000g/mol,
25℃에서의 가드너 점도: A
Solid content: 21% by weight, maleic acid content: 2% by weight,
Chlorine content: 28% by weight, Mw: 90,000 g/mol,
Gardner viscosity at 25°C: A
폴리올레핀
수지3
Polyolefin
Suzy 3
-- 고형분 함량: 25 중량%, 말레산 함유량: 1중량%,
염소 함량: 21중량%, Mw: 60,000g/mol,
25℃에서의 가드너 점도: A4
Solid content: 25% by weight, maleic acid content: 1% by weight,
Chlorine content: 21% by weight, Mw: 60,000 g/mol,
Gardner viscosity at 25°C: A4
제1-1 아크릴 폴리올1-1 acrylic polyol -- 고형분 함량: 51중량%, OHv: 66mgKOH/g,
Tg: 41.8℃, Mw: 21,650g/mol
Solid content: 51% by weight, OHv: 66mgKOH/g,
Tg: 41.8°C, Mw: 21,650g/mol
제1-2 아크릴 폴리올1-2 acrylic polyol -- 고형분 함량: 46중량%, OHv: 60mgKOH/g,
Tg: 40.2℃, Mw: 18,120g/mol
Solid content: 46% by weight, OHv: 60mgKOH/g,
Tg: 40.2°C, Mw: 18,120g/mol
제1-3 아크릴 폴리올No. 1-3 acrylic polyol -- 고형분 함량: 54중량%, OHv: 69.3mgKOH/g,
Tg: 43.7℃, Mw: 24,880g/mol
Solid content: 54% by weight, OHv: 69.3mgKOH/g,
Tg: 43.7°C, Mw: 24,880g/mol
제1-4 아크릴 폴리올1-4 acrylic polyol -- 고형분 함량: 51중량%, OHv: 135mgKOH/g,
Tg: 65.2℃, Mw: 22,580g/mol
Solid content: 51% by weight, OHv: 135mgKOH/g,
Tg: 65.2°C, Mw: 22,580g/mol
제2-1 아크릴 폴리올2-1 acrylic polyol -- 고형분 함량: 50중량%, OHv: 40.1mgKOH/g,
Tg: 50℃, Mw: 26,340g/mol
Solid content: 50% by weight, OHv: 40.1mgKOH/g,
Tg: 50°C, Mw: 26,340g/mol
제2-2 아크릴 폴리올2-2 acrylic polyol -- 고형분 함량: 45중량%, OHv: 35.4mgKOH/g,
Tg: 46.1℃, Mw: 23,530g/mol
Solid content: 45% by weight, OHv: 35.4mgKOH/g,
Tg: 46.1°C, Mw: 23,530g/mol
제2-3 아크릴 폴리올2-3 acrylic polyol -- 고형분 함량: 53중량%, OHv: 44.2mgKOH/g,
Tg: 54.5℃, Mw: 29,600g/mol
Solid content: 53% by weight, OHv: 44.2mgKOH/g,
Tg: 54.5°C, Mw: 29,600g/mol
제2-4 아크릴 폴리올2-4 acrylic polyol -- 고형분 함량: 50중량%, OHv: 58mgKOH/g,
Tg: 31.2℃, Mw: 25,000g/mol
Solid content: 50% by weight, OHv: 58mgKOH/g,
Tg: 31.2°C, Mw: 25,000g/mol
제3-1 아크릴 폴리올3-1 acrylic polyol -- 고형분 함량: 58중량%, OHv: 138.9mgKOH/g,
Tg: 32.4℃, Mw: 16,775g/mol
Solid content: 58% by weight, OHv: 138.9mgKOH/g,
Tg: 32.4°C, Mw: 16,775g/mol
제3-2 아크릴 폴리올3-2 acrylic polyol -- 고형분 함량: 54중량%, OHv: 130.6mgKOH/g,
Tg: 30℃, Mw: 13,210g/mol
Solid content: 54% by weight, OHv: 130.6mgKOH/g,
Tg: 30°C, Mw: 13,210g/mol
제3-3 아크릴 폴리올3-3 acrylic polyol -- 고형분 함량: 64중량%, OHv: 145mgKOH/g,
Tg: 34.5℃, Mw: 19,560g/mol
Solid content: 64% by weight, OHv: 145mgKOH/g,
Tg: 34.5°C, Mw: 19,560g/mol
제3-4 아크릴 폴리올3-4 acrylic polyol -- 고형분 함량: 58중량%, OHv: 18mgKOH/g,
Tg: 80.2℃, Mw: 18,000g/mol
Solid content: 58% by weight, OHv: 18mgKOH/g,
Tg: 80.2°C, Mw: 18,000g/mol
얼룩방지제Stain inhibitor 제조사: EVONIC,
제품명: AEROSIL R-972
Manufacturer: EVONIC,
Product Name: AEROSIL R-972
합성 실리카Synthetic silica
소광제Quencher 제조사: PQ coporation, 제품명: Gasil HP-33Manufacturer: PQ coporation, Product name: Gasil HP-33 비정질 실리카Amorphous silica 왁스Wax 제조사: HUNGSAN HWASUNG, 제품명: HPA-405Manufacturer: HUNGSAN HWASUNG, Product Name: HPA-405 -- 조색제Toning agent 제조사: KCC,제품명: YX1234KManufacturer: KCC, Product Name: YX1234K -- 반응지연제Reaction retardant 제조사: THIOCHEMICALS, 제품명: CHIOCURE GDMPManufacturer: THIOCHEMICALS, Product Name: CHIOCURE GDMP 글리콜 디(3-메르캅토프로피오네이트)Glycol di(3-mercaptopropionate) 경화촉진제Hardening accelerator 제조사: SONGWON, 제품명: SONGSTAB TL-100Manufacturer: SONGWON, Product Name: SONGSTAB TL-100 디부틸틴디라우레이트(DBTDL)Dibutyltindilaurate (DBTDL) 용제solvent -- 부틸 아세테이트, 메틸 이소부틸 케톤 및 에틸 아세테이트를 1:1.6:0.2의 중량비로 혼합한 혼합물Mixture of butyl acetate, methyl isobutyl ketone and ethyl acetate in a weight ratio of 1:1.6:0.2

시험예: 제조된 도막의 특성 평가Test Example: Evaluation of the properties of the manufactured coating film

플라스틱 소재인 폴리프로필렌 상에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한 베이스 코트 조성물(건조도막두께: 17~23㎛)을 도장한 후, 80℃에서 30분간 핫 에어로 경화시켜 도막을 얻었다. 이후 조성물의 도장 작업성, 도막의 외관 및 물성을 하기과 같은 방법으로 측정하여 그 결과를 표 4에 나타내었다.After coating the base coat composition (dry film thickness: 17 to 23 μm) prepared in Examples and Comparative Examples on polypropylene, which is a plastic material, it was cured with hot air at 80° C. for 30 minutes to obtain a coating film. Thereafter, the coating workability of the composition, the appearance and physical properties of the coating film were measured in the following manner, and the results are shown in Table 4.

(1) 외관(1) Appearance

플라스틱 소재인 폴리프로필렌 상에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한 베이스 코트 조성물(건조도막두께: 17~23㎛)을 도장한 후, 80℃에서 30분간 핫 에어로 경화시켜 도막을 얻은 후 육안상 표면의 기포, 이물, 반점, 홈 및 칠퍼짐성의 정도를 비교하였다. After coating the base coat composition (dry film thickness: 17-23㎛) prepared in Examples and Comparative Examples on polypropylene, which is a plastic material, curing it with hot air at 80℃ for 30 minutes to obtain a coating film. Air bubbles, foreign matter, spots, grooves, and the degree of spreadability were compared.

구체적으로, 육안상 표면의 기포, 이물, 반점 및 홈이 없고, 칠퍼짐성이 양호한 경우, 우수(◎), 육안상 표면의 기포, 이물, 반점 및 홈은 없고 칠퍼짐성이 부족한 경우 양호(○), 육안 상 표면의 기포, 이물, 반점 및 홈이 미세하게 있고 칠퍼짐성이 부족한 경우 보통(△), 육안 상 표면의 기포, 이물, 반점 및 홈이 있고 칠퍼짐성이 부족한 경우 불량(×)으로 평가하였다. Specifically, if there are no bubbles, foreign matter, spots and grooves on the surface of the naked eye, and if the spreadability is good, it is excellent (◎), when there are no bubbles, foreign substances, spots and grooves on the surface of the naked eye, and if there are no bubbles, it is good (○) , If there are fine bubbles, foreign matters, spots and grooves on the visual surface and lack of spreadability, it is evaluated as normal (△), and if there are bubbles, foreign matters, spots and grooves on the surface of the naked eye and lacks spreadability, it is evaluated as defective (×). I did.

(2) 도장작업성(2) Painting workability

30cm×40cm(가로×세로) 틴플레이트에 IWATA 61건을 이용하여 베이스 도료 조성물을 왕복 2회 도장하여 도장시 도료의 무화 정도, 평활성의 정도 및 도막 살오름성을 비교하였다.The base coating composition was coated twice on a 30cm×40cm (width×length) tinplate using 61 IWATA guns to compare the degree of atomization, smoothness, and paint film salvage at the time of coating.

구체적으로, 육안상 표면 내 칠퍼짐성이 양호하며 살오름성이 우수한 경우 우수(◎), 육안상 살오름성은 양호하나 칠퍼짐성이 부족한 경우 양호(○), 육안상 살오름성 및 칠퍼짐성이 부족하며 도장이물이 3점 미만으로 발생한 경우 보통(△), 도장이물이 3점 이상이며 크레터링이 발생한 경우 불량(×)으로 평가하였다.Specifically, excellent (◎) when the surface has good spreadability within the surface with the naked eye and excellent (◎), good when the surface is good, but lacks the spreadability by the naked eye (○), and is insufficient with the naked eye. If the painting foreign body occurred with less than 3 points, it was evaluated as normal (△), and when the painting foreign body was more than 3 points and cratering occurred, it was evaluated as defective (×).

(3) 부착성(3) adhesion

도막의 부착성을 ASTM D3359 테이프 부착성 시험 방법에 의거하여, 칼날로 가로 및 세로 각각 100개의 정사각형(가로 1mm × 세로 1mm)으로 긋고 테이프를 사용하여 떼어내어 부착성을 측정하였다.According to the ASTM D3359 tape adhesion test method, the adhesion of the coating film was drawn into 100 squares (1 mm width x 1 mm length) with a blade, and peeled off using a tape to measure the adhesion.

이때, 100개의 정사각형이 100% 온전히 붙어있는 경우 우수(◎), 남은 정사각형이 95% 이상 100% 미만인 경우 양호(○), 90% 이상 95% 미만인 경우 보통(△), 85% 이상 90% 미만인 경우 불량(×)으로 평가하였다. At this time, if 100 squares are 100% fully attached, it is excellent (◎), if the remaining squares are 95% or more and less than 100%, it is good (○), if it is 90% or more and less than 95%, it is normal (△), and it is 85% or more and less than 90%. The case was evaluated as defective (×).

(4) 내습성(4) moisture resistance

40℃ 항온조에 도막을 10일간 침적한 후 도막의 부착성을 평가하였으며, 평가 기준은 100개의 정사각형 중 100% 온전히 붙어있는 경우 우수(◎), 95% 이상 100% 미만이 붙어있는 경우 양호(○), 90% 이상 95% 미만이 붙어있는 경우 보통(△), 90% 미만이 붙어있는 경우 불량(×)으로 평가하였다.After immersing the coating film in a 40℃ thermostat for 10 days, the adhesion of the coating film was evaluated. The evaluation criteria are excellent (◎) when 100% of the 100 squares are completely attached, and good when more than 95% and less than 100% are attached (○ ), if more than 90% and less than 95% were attached, it was evaluated as normal (△), and if less than 90% was attached, it was evaluated as defective (×).

(5) 내썬크림성(5) Sunscreen resistance

아크릴판(50㎜×50㎜, 가로×세로)에 같은 크기의 백면포(Toyosynthetic CH2070-3상당품) 2장을 겹쳐 올린 후 썬크림(니베아 SPF47) 0.25 g을 전면에 도포하였다. 이후, 썬크림 도포 부위를 도막 위에 올리고 아크릴판을 눌러 밀착시켰다. 이후, 80±2℃의 항온조 내에 1 시간 동안 방치한 후 꺼내어, 백면포와 아크릴판을 제거한 후, 10분 동안 상온에서 방치하였다. 이후, 중성세제로 씻어내고 건조한 후 도막의 부착성을 평가하였으며, 평가 기준은 상기 항목 (3)과 동일하게 적용하였다.Two sheets of white cotton cloth (Toyosynthetic CH2070-3 equivalent) of the same size were stacked on an acrylic plate (50 mm×50 mm, width×length), and 0.25 g of sun cream (NIVEA SPF47) was applied on the entire surface. Thereafter, the sunscreen application portion was put on the coating film and the acrylic plate was pressed in close contact. Thereafter, it was allowed to stand in a thermostat at 80±2° C. for 1 hour and then taken out, the white cotton cloth and the acrylic plate were removed, and then left at room temperature for 10 minutes. Thereafter, after washing with a neutral detergent and drying, the adhesion of the coating film was evaluated, and the evaluation criteria were applied in the same manner as in the above item (3).

(6) 내아세톤성(6) Acetone resistance

이소부탄올, 에탄올 및 메탄올 각각을 천에 묻혀 500g 하중으로 최종 도막을 10회 문질러 내아세톤성을 평가하였다. 테스트 결과 도막이 벗겨지지 않고 변색이 되지 않은 경우 우수(◎), 도막이 벗겨지지않고 GREY SCALE 4급인 경우 양호(○), 도막이 벗겨지지 않고 GREY SCALE 3급인 경우 보통(△), 도막이 벗겨지거나 GREY SCALE 2급 이하인 경우 불량(×)으로 평가하였다.Each of isobutanol, ethanol, and methanol was applied to a cloth, and the final coating film was rubbed 10 times under a load of 500 g to evaluate acetone resistance. As a result of the test, if the film does not peel off and does not discolor, it is excellent (◎), if the film does not come off and is GREY SCALE grade 4 (○), if the film does not come off and is gray scale grade 3, it is normal (△), the film is peeled off or gray scale 2 If it is below grade, it was evaluated as defective (×).

(7) 내방향제성(7) Fragrance resistance

지름 20mm 크기의 알루미늄 캡을 접착제를 이용하여 도막 표면에 부착하고, 0.2ml의 방향제 평가액(이소아밀 아세테이트(ISOAMLYL ACETATE): 리모넨(limonene): 리날울(linalool) = 4:1:1의 부피비로 혼합한 용액)을 스포이드를 이용하여 알루미늄 캡 내부에 떨어뜨리고 상온에서 5분간 방치했다. 그 후, 70±2℃ 항온조 내에 30분간 방치한 후 꺼내고, 부착한 알루미늄 캡을 제거한 후 도막 표면을 육안 조사했다. An aluminum cap with a diameter of 20 mm was attached to the surface of the coating film using an adhesive, and 0.2 ml of fragrance evaluation solution (ISOAMLYL ACETATE: limonene: linalool = 4:1:1 by volume) The mixed solution) was dropped into the inside of the aluminum cap using a dropper and left at room temperature for 5 minutes. Then, after leaving it to stand for 30 minutes in a thermostat at 70±2° C., it was taken out, and the attached aluminum cap was removed, and then the surface of the coating film was visually inspected.

테스트 결과, 도막에 육안상 주름이 없고, 도막을 손으로 만졌을 경우에도 주름이 없는 경우 우수(◎), 육안상 주름은 없으나, 도막을 손으로 만졌을 때 주름이 생기는 경우 양호(○), 육안상 미세 주름이 생긴 경우 보통(△), 육안상 주름이 매우 심한 경우 불량(x)으로 평가하였다. As a result of the test, the coating film has no visible wrinkles, and even when the coating film is touched by hand, it is excellent if there are no wrinkles (◎). If fine wrinkles occurred, it was evaluated as normal (△), and if the wrinkles were very severe, it was evaluated as bad (x).

도장 작업성Painting workability 외관Exterior 부착성Adherence 내습성Moisture resistance 내썬크림성Sunscreen resistance 내아세톤성Acetone resistance 내방향제성Fragrance resistance 실시예Example 1One 22 33 44 55 66 77 88 99 비교예Comparative example 1One XX XX XX XX XX 22 XX XX 33 XX 44 XX 55 XX XX 66 XX XX

표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실시예 1 내지 9의 베이스 코트 조성물은 도장 작업성이 우수하고, 이로부터 제조된 도막은 외관 특성, 부착성, 내습성, 내썬크림성, 내아세톤성 및 내방향제성이 우수했다. As shown in Table 4, the base coat compositions of Examples 1 to 9 have excellent coating workability, and the coating film prepared therefrom has appearance characteristics, adhesion, moisture resistance, sunscreen resistance, acetone resistance, and fragrance resistance. This was excellent.

반면, 비교예 1 내지 6의 베이스 코트 조성물로부터 제조된 도막은 내방향제성이나 외관 특성이 부족했다. On the other hand, the coating films prepared from the base coat compositions of Comparative Examples 1 to 6 lacked fragrance resistance and appearance characteristics.

Claims (6)

폴리올레핀 수지, 제1 아크릴 폴리올, 제2 아크릴 폴리올 및 제3 아크릴 폴리올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아크릴 폴리올은 제2 아크릴 폴리올보다 높은 수산기가 및 낮은 유리전이온도를 갖고,
상기 제3 아크릴 폴리올은 제1 아크릴 폴리올보다 높은 수산기가 및 낮은 유리전이온도를 갖는, 베이스 코트 조성물.
Including a polyolefin resin, a first acrylic polyol, a second acrylic polyol and a third acrylic polyol,
The first acrylic polyol has a higher hydroxyl value and a lower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than the second acrylic polyol,
The third acrylic polyol has a higher hydroxyl value and a lower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than the first acrylic polyol, the base coat composition.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아크릴 폴리올은 수산기가가 50 내지 70 mgKOH/g이고,
상기 제2 아크릴 폴리올은 수산기가가 20mgKOH/g 이상 50mgKOH/g 미만이며,
상기 제3 아크릴 폴리올은 수산기가가 120 내지 150 mgKOH/g인, 베이스 코트 조성물.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acrylic polyol has a hydroxyl value of 50 to 70 mgKOH/g,
The second acrylic polyol has a hydroxyl value of 20 mgKOH/g or more and less than 50 mgKOH/g,
The third acrylic polyol has a hydroxyl value of 120 to 150 mgKOH/g, a base coat composition.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아크릴 폴리올은 유리전이온도가 38 내지 45 ℃이고,
상기 제2 아크릴 폴리올은 유리전이온도가 45℃ 초과 60℃ 이하이며,
상기 제3 아크릴 폴리올은 유리전이온도가 25℃ 이상 38℃ 미만인, 베이스 코트 조성물.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acrylic polyol has a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of 38 to 45 °C,
The second acrylic polyol has a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of more than 45°C and not more than 60°C,
The third acrylic polyol has a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of 25° C. or more and less than 38° C., a base coat composition.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제1 아크릴 폴리올, 제2 아크릴 폴리올 및 제3 아크릴 폴리올을 2.0 내지 3.5 : 1 : 4 내지 6의 중량비의 함량으로 포함하는, 베이스 코트 조성물.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composition comprises a first acrylic polyol, a second acrylic polyol, and a third acrylic polyol in a weight ratio of 2.0 to 3.5: 1: 4 to 6, the base coat composition.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폴리올레핀 수지는 중량평균분자량이 50,000 내지 100,000 g/mol이고, 염소의 함량이 수지 총 중량에 대하여 10 내지 35 중량%이고, 불포화 지방산의 함량이 수지 총 중량에 대하여 0.5 내지 5 중량%인, 베이스 코트 조성물.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polyolefin resin has a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of 50,000 to 100,000 g/mol, a chlorine content of 10 to 35 w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resin, and an unsaturated fatty acid content of 0.5 to 5 w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resin, the base Coat composition.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15 내지 25 중량부의 폴리올레핀 수지에 대하여 제1 아크릴 폴리올, 제2 아크릴 폴리올 및 제3 아크릴 폴리올의 총량을 22 내지 46 중량부로 포함하는, 베이스 코트 조성물.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composition comprises 22 to 46 parts by weight of the total amount of the first acrylic polyol, the second acrylic polyol, and the third acrylic polyol based on 15 to 25 parts by weight of the polyolefin resin.
KR1020190113054A 2019-09-11 2019-09-11 Base coat composition KR10230340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3054A KR102303402B1 (en) 2019-09-11 2019-09-11 Base coat composi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3054A KR102303402B1 (en) 2019-09-11 2019-09-11 Base coat compositi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31288A true KR20210031288A (en) 2021-03-19
KR102303402B1 KR102303402B1 (en) 2021-09-23

Family

ID=752621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13054A KR102303402B1 (en) 2019-09-11 2019-09-11 Base coat compositio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03402B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41335A (en) * 1998-12-22 2000-07-15 유철진 Paint composition
KR100792937B1 (en) 2006-09-13 2008-01-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Method of waterbone coating of plastic sheet for interior material of motors
KR20180061667A (en) * 2016-11-30 2018-06-08 주식회사 케이씨씨 Coating composition
KR20180118971A (en) * 2017-04-24 2018-11-0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A high-solid coating composition and coating method using the sam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41335A (en) * 1998-12-22 2000-07-15 유철진 Paint composition
KR100792937B1 (en) 2006-09-13 2008-01-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Method of waterbone coating of plastic sheet for interior material of motors
KR20180061667A (en) * 2016-11-30 2018-06-08 주식회사 케이씨씨 Coating composition
KR20180118971A (en) * 2017-04-24 2018-11-0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A high-solid coating composition and coating method us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03402B1 (en) 2021-09-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307960B (en) Coating compositions containing acrylic and aliphatic polyester blends
TW318187B (en)
JP4159600B2 (en) Aqueous two-component-polyurethane-coating agent, its production and process for producing multilayer coatings
JP5044407B2 (en) Coating composition and method for producing a multilayer coating
AU694171B2 (en) Coating compositions
JP6014903B2 (en) Two-component aqueous one-coat paint composition
KR20010013405A (en) Coating agent, method for its production and its use as coating lacquer or transparent lacquer, in particular for coating plastics
CN100334172C (en) Solvent based coating composition
KR102468328B1 (en) Coating kit for hot-stamped metalic materials
CN101977973A (en) Process for producing a multilayer coating
US7091278B2 (en) Aqueous two-component coating compositions
KR102259013B1 (en) Water-soluble primer composition
KR102303402B1 (en) Base coat composition
KR101847421B1 (en) Waterborne paint composition
CA2487916A1 (en) One-component flexible etch resistant clearcoat
KR102461873B1 (en) Clear coat composition
KR20200068294A (en) Base coat composition
KR102259014B1 (en) Primer coat composition
KR102583106B1 (en) Clear coat composition
US20080214721A1 (en) Polyester-polacrylate dispersions for two-component coating compositions
KR102259012B1 (en) Water-soluble base coat composition
US5856408A (en) Water dispersible acrylic based graft copolymers, a method of manufacture and aqueous paints
JP2004307532A (en) Polypropylene resin marking film
JP6069980B2 (en) Aqueous composite resin composition and article
JPH09279092A (en) Coating composi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