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30874A - 보안영상 생성 디스플레이 장치 및 어댑터 - Google Patents

보안영상 생성 디스플레이 장치 및 어댑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30874A
KR20210030874A KR1020200113565A KR20200113565A KR20210030874A KR 20210030874 A KR20210030874 A KR 20210030874A KR 1020200113565 A KR1020200113565 A KR 1020200113565A KR 20200113565 A KR20200113565 A KR 20200113565A KR 20210030874 A KR20210030874 A KR 202100308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data
image
identification
display device
bloc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135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64187B1 (ko
Inventor
이준영
최형순
Original Assignee
(주)리마보안연구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리마보안연구소 filed Critical (주)리마보안연구소
Priority to PCT/KR2020/012051 priority Critical patent/WO2021049835A1/ko
Publication of KR202100308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308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641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641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10Protecting distributed programs or content, e.g. vending or licensing of copyrighted material ; Digital rights management [DRM]
    • G06F21/16Program or content traceability, e.g. by watermark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8Interfacing the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e.g. adapting the transmission rate of a video stream to network bandwidth; Processing of multiplex streams
    • H04N21/2389Multiplex stream processing, e.g. multiplex stream encrypting
    • H04N21/23892Multiplex stream processing, e.g. multiplex stream encrypting involving embedding information at multiplex stream level, e.g. embedding a watermark at packet leve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3Generation or processing of protective or descriptive data associated with content; Content structuring
    • H04N21/835Generation of protective data, e.g. certificates
    • H04N21/8358Generation of protective data, e.g. certificates involving watermar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Technology Law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 Image Processing (AREA)

Abstract

보안영상 생성 디스플레이 장치 및 어댑터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외부 장치로부터 제1 영상데이터를 수신하는 통신부, 상기 제1 영상데이터를 보정하여 제2 영상데이터를 생성하는 영상처리부 및 상기 제1 영상데이터에 삽입 영상데이터를 오버레이하여 상기 제2 영상데이터를 생성하도록 상기 영상처리부를 제어하고, 생성된 상기 제2 영상데이터를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보안영상 생성 디스플레이 장치 및 어댑터{SECURITY IMAGE GENERATING DISPLAY DEVICE AND ADAPTER}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한 것으로, 특히 보안영상 생성 디스플레이 장치 및 어댑터에 관한 것이다.
정보통신 기술 및 네트워크가 발달됨에 따라, 오프라인을 통해 제공되던 교육, 출판, 음악, 영화, 게임 등의 다양한 콘텐츠가 디지털 데이터 형태로 제작되어 온라인을 통해 배포 및 제공되고 있다.
오프라인을 통한 제공방법과 달리 디지털 데이터 형태로 제작된 콘텐츠는, 원본을 획득하여 복제, 변형, 가공, 수정 및 전파가 훨씬 수월하기 때문에 콘텐츠의 원제작자가 불법 유출 등을 원인으로 피해를 입는 사례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따라서, 원제작자 입장에서는 제작한 콘텐츠의 가치를 보존하고 정당한 이익 창출을 위해서, 콘텐츠가 권한없는 제3자에 의해 무단으로 복제되어 배포되는 것을 방지하고, 유출된 경우 유출자를 추적하여 합당한 보상 및 처벌을 청구할 수 있도록 하는 수단이 필수적으로 요구된다.
이에 따라, 온라인에서 제공되는 콘텐츠에 포함된 정보가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다양한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 예를 들어, 화면 캡쳐를 방지하는 기술, 컨텐츠 제공 시 워터마크를 표시하는 기술 등의 다양한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
그러나, 상술한 종래기술들에 의하면, 유출자가 콘텐츠가 표시된 디스플레이 화면을 오프라인에서 별도의 디바이스(예컨대, 휴대폰)로 촬영하여 정보를 유출시키는 것을 방지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기존의 정보 유출 방지를 위한 기술들은 대부분 컴퓨터에서 실행되는 프로그램 또는 어플리케이션 등의 소프트웨어로 구현되어, 유출자가 디스플레이 장치와 별도로 온/오프시킬 수 있는 위험성이 있고, 컴퓨터 내의 다른 소프트웨어와 충돌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공개특허공보 제10-1439475호, 2014.09.02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유출자의 디스플레이 화면 촬영 시에도 정보 유출을 방지할 수 있는 보안영상을 생성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어댑터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정보 유출이 발생되면, 유출된 정보에서 유출자를 추적할 수 있는 정보를 확보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어댑터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컴퓨터에서 실행되는 소프트웨어가 아닌, 별도의 하드웨어에서 보안영상을 생성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어댑터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외부 장치로부터 제1 영상데이터를 수신하는 통신부, 상기 제1 영상데이터를 보정하여 제2 영상데이터를 생성하는 영상처리부 및 상기 제1 영상데이터에 삽입 영상데이터를 오버레이하여 상기 제2 영상데이터를 생성하도록 상기 영상처리부를 제어하고, 생성된 상기 제2 영상데이터를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삽입 영상데이터는 복수의 차단블록을 포함하는 차단 영상데이터이고, 상기 차단 영상데이터는, 연속되는 복수의 프레임마다 상기 복수의 차단블록의 위치가 변경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차단블록 각각의 크기를 조절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영상데이터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프레임에 대하여 중요영역을 추출하고, 추출된 상기 중요영역에 상기 차단블록을 오버레이하도록 상기 영상처리부를 제어하고, 상기 중요영역은, 텍스트 또는 이미지가 존재하는 영역인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삽입 영상데이터는, 사용자 또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식별정보를 나타내는 식별 영상데이터이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영상데이터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프레임의 입력영역에 상기 식별 영상데이터를 오버레이하도록 상기 영상처리부를 제어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입력영역은 동일한 색상으로 구성된 영역이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영역의 평균 색상과 최솟값만큼 차이나는 색상으로 상기 식별 영상데이터를 오버레이하도록 상기 영상처리부를 제어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외부 장치로부터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식별정보를 수신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외부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와 연결되는 어댑터는, 상기 외부 장치로부터 제1 영상데이터를 수신하는 통신부, 상기 제1 영상데이터를 보정하여 제2 영상데이터를 생성하는 영상처리부 및 상기 제1 영상데이터에 삽입 영상데이터를 오버레이하여 상기 제2 영상데이터를 생성하도록 상기 영상처리부를 제어하고, 생성된 상기 제2 영상데이터를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 전송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삽입 영상데이터는 복수의 차단블록을 포함하는 차단 영상데이터이고, 상기 차단 영상데이터는, 연속되는 복수의 프레임마다 상기 복수의 차단블록의 위치가 변경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삽입 영상데이터는, 사용자 또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식별정보를 나타내는 식별 영상데이터이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영상데이터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프레임의 입력영역에 상기 식별 영상데이터를 오버레이하도록 상기 영상처리부를 제어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기타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영상 저작자는 원본영상이 무단으로 복제되어 유출되는 것에 대비하여, 유출자를 추적할 수 있는 보안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따라서, 영상 저작자는 영상 유출로 인해 발생하는 손해를 사전에 대비할 수 있고, 타인이 영상을 무단 복제하여 배포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영상 화면에 표시된 중요 정보를 타인이 사진 촬영함에 따라 정보 유출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보안영상에 삽입된 영상데이터는 시청자가 육안으로 인식하기 어려운 방법으로 삽입되므로, 영상을 시청하는 시청자를 불편하게 하지 않으면서도 영상의 무단복제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컴퓨터 내의 소프트웨어가 아닌 별도의 하드웨어에서 보안영상을 생성함에 따라, 시청자가 보안 소프트웨어를 별도로 온/오프시키거나 컴퓨터에서 실행되는 다른 소프트웨어와 충돌할 위험성이 낮으므로, 보안 정도가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단 영상데이터가 오버레이된 보안영상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양한 크기의 차단블록의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요영역에 차단블록이 오버레이된 보안영상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별 영상데이터가 오버레이된 보안영상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식별 영상데이터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식별이미지를 포함하는 식별 영상데이터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10 내지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별 영상데이터의 오버레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보안영상 생성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어댑터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어댑터의 보안영상 생성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본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한 도면 부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하며, "및/또는"은 언급된 구성요소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부" 또는 "모듈"이라는 용어는 소프트웨어, FPGA 또는 ASIC과 같은 하드웨어 구성요소를 의미하며, "부" 또는 "모듈"은 어떤 역할들을 수행한다. 그렇지만 "부" 또는 "모듈"은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다. "부" 또는 "모듈"은 어드레싱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부" 또는 "모듈"은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 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구성요소들과 "부" 또는 "모듈"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부" 또는 "모듈"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부" 또는 "모듈"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영상데이터"는 2차원 또는 3차원의 정적 또는 동적 이미지를 의미한다. 즉, "영상데이터"는 하나의 프레임인 정적 영상데이터일 수도 있고, 복수의 프레임이 연속되는 동적 영상데이터(즉, 동영상데이터)일 수도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디스플레이부(110), 통신부(120), 영상처리부(130) 및 제어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10)는 제어부(140)의 제어에 따라 다양한 영상을 표시한다. 특히, 디스플레이부(110)는 제어부(140)의 제어에 따라, 외부 장치(10)로부터 수신된 제1 영상데이터(200)나, 영상처리부(130)에서 생성된 제2 영상데이터(400)를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10)는 예컨대, LCD(Liquid Crystal Display), CRT(cathode-ray tube), PDP(plasma display panel),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TOLED(transparent OLED)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통신부(120)는 외부 장치(10)와 통신할 수 있다. 특히, 통신부(120)는 외부 장치(예컨대, 컴퓨터)로부터 제1 영상데이터(200)를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영상데이터(200)는 원본영상으로, 후술하는 삽입 영상데이터(300)가 삽입되지 않은 원본 그대로의 영상데이터를 의미할 수 있다.
통신부(120)는 외부 장치(10)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될 수 있다. 예컨대, 통신부(120)는 근거리 통신망(LAN: Local Area Network)이나 인터넷망을 통해 외부 장치와 연결될 수 있으며, 무선 통신(예컨대, Z-wave, 4LoWPAN, RFID, LTE D2D, BLE, GPRS, Weightless, Edge Zigbee, ANT+, NFC, IrDA, DECT, WLAN, 블루투스, 와이파이, Wi-Fi Direct, GSM, UMTS, LTE, WiBRO 등) 방식에 의해 연결될 수도 있다.
영상처리부(130)는 제어부(140)의 제어에 따라, 외부 장치(10)로부터 수신된 제1 영상데이터(200)를 기초로 보안영상인 제2 영상데이터(400)를 생성한다.
일 실시예에서, 제2 영상데이터(400)는 제1 영상데이터(200)에 특정한 삽입 영상데이터(300)가 오버레이(overlay)된 보안영상일 수 있다. 제2 영상데이터(400)에 대하여는 상세히 후술한다.
제어부(14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40)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미도시)를 포함하여, 특정 영상을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부(110)를 제어하고, 외부 장치(10)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도록 통신부(120)를 제어하고, 영상 처리 동작을 수행하도록 영상처리부(130)를 제어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제2 영상데이터(400)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삽입 영상데이터(300)가 차단 영상데이터(310)인 실시예의 제2 영상데이터(400)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단 영상데이터가 오버레이된 보안영상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서, 제1 영상데이터(200)에 오버레이되는 삽입 영상데이터(300)는 차단 영상데이터(310)일 수 있다. 즉, 도 2와 같이, 제2 영상데이터(400)는 원본 영상인 제1 영상데이터(200)에 차단 영상데이터(310)가 오버레이되어 생성되는 보안영상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차단 영상데이터(310)는 도 2와 같이 복수의 차단블록(311)을 포함하는 영상데이터일 수 있다. 복수의 차단블록(311)은 제1 영상데이터(200) 상에 오버레이되어, 제1 영상데이터의 일부 영역을 가리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도 3 내지 도 5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차단 영상데이터(310)의 격자가 점선으로 표시되었으나, 실제로는 도 2와 같이 차단블록(311)만 표시될 수 있다.
차단 영상데이터(310)는, 도 3과 같이 연속되는 프레임(400(a), 400(b))마다 차단블록(311)의 위치가 변경되는 복수의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영상처리부(130)는 연속되는 각각의 프레임마다 차단블록(311)의 위치가 변경되도록 원본영상인 제1 영상데이터(200)에 차단 영상데이터(310)를 오버레이하여, 보안영상인 제2 영상데이터(400)를 생성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로, 제1 영상데이터(200)가 하나의 프레임으로 구성된 정적 영상데이터인 경우, 상기 하나의 프레임을 복제하고, 복제된 프레임마다 차단블록(311)의 위치가 변경되는 각각의 프레임을 오버레이하여, 복수의 프레임을 포함하는 제2 영상데이터(400)를 생성할 수 있다.
다른 구체적인 예로, 제1 영상데이터(200)가 복수의 프레임으로 구성된 동적 영상데이터인 경우, 상기 복수의 프레임 각각에 차단블록(311)의 위치가 변경되는 각각의 프레임을 오버레이하여, 복수의 프레임을 포함하는 제2 영상데이터(400)를 생성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영상처리부(130)가 연속되는 프레임마다 차단블록(311)의 위치가 변경되도록 차단 영상데이터(310)를 오버레이하여 제2 영상데이터(400)를 생성한 경우, 디스플레이부(110)를 통해 표시되는 제2 영상데이터(400)를 시청하는 사용자는 시각적으로 차단블록(311)을 인지하지 못할 수 있다. 그러나, 사용자가 제2 영상데이터(400)가 표시되는 디스플레이부(110)를 카메라 등을 통해 촬영하는 경우, 복수의 차단블록(311)이 제1 영상데이터(200) 상에 오버레이된 특정 시점의 프레임을 촬영하게 되므로, 차단블록(311)에 의해 원본영상인 제1 영상데이터(200)에 포함된 중요 정보를 가려 정보 유출을 방지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양한 크기의 차단블록의 예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서, 차단 영상데이터(310)에 포함된 복수의 차단블록(311) 각각의 크기는 제어부(140)에 의해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실시예에 따라 동일한 차단 영상데이터(310)에 포함된 각각의 차단블록(311)의 크기가 서로 상이할 수도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요영역에 차단블록이 오버레이된 보안영상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서, 제2 영상데이터(400)는 제1 영상데이터(200)의 중요영역에 차단블록(311)이 중점적으로 오버레이되어 생성되는 보안영상일 수 있다.
이를 위해, 영상처리부(130)는 제어부(140)의 제어에 따라, 제1 영상데이터(200)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프레임에 대하여 중요영역(220)을 추출할 수 있다.
제1 영상데이터(200)가 하나의 프레임으로 구성된 정적 영상데이터인 경우, 영상처리부(130)는 상기 하나의 프레임에 대하여 중요영역(220)을 추출할 수 있다. 이와 달리, 제1 영상데이터(200)가 복수의 프레임으로 구성된 동적 영상데이터인 경우, 영상처리부(130)는 상기 복수의 프레임의 일부 또는 전부에 대하여 각각 중요영역(220)을 추출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로, 중요영역(220)은 텍스트 또는 이미지가 존재하는 영역일 수 있으며, 각각의 프레임에는 중요영역(220)이 존재하지 않을 수도 있고, 한 개 이상이 존재할 수도 있다.
이어서, 영상처리부(130)는 제어부(140)의 제어에 따라, 추출된 중요영역(220) 상에 차단블록(311)이 중점적으로 위치하도록 제1 영상데이터(200) 상에 차단 영상데이터(310)를 오버레이하여, 보안영상인 제2 영상데이터(400)를 생성할 수 있다.
원본영상인 제1 영상데이터(200)에 포함된 중요 정보는 텍스트나 이미지로 구성될 확률이 높다. 따라서, 텍스트나 이미지가 존재하는 중요영역(220)을 추출하여 차단블록(311)을 중점적으로 위치시키고, 텍스트나 이미지가 존재하지 않는 영역에는 차단블록(311)이 위치하지 않도록 차단 영상데이터(310)를 오버레이함으로써, 보다 효율적으로 제2 영상데이터(400)를 생성할 수 있다. 다만, 이 경우에도 연속되는 프레임마다 차단블록(311)의 위치가 변경되어야 한다.
한편, 제어부(140)는 영상처리부(130)를 통해 중요영역(220) 상에 오버레이 표시되는 차단블록(311)의 차단 시간 및 차단 빈도 중 적어도 하나를 조절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차단 시간은 상기 차단블록(311)이 중요영역(220) 상에 오버레이 표시가 지속되는 시간(일 예로, 5분 지속) 또는 상기 차단블록(311)이 중요영역(220) 상에 오버레이 표시되는 특정 시간(일 예로, 12시 30분)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차단 빈도는 상기 차단블록(311)이 중요영역(220) 상에 오버레이 표시되는 빈도를 뜻한다.
또한, 제어부(140)는 차단블록(311) 없이, 중요영역(220)이 차단되는 시간이나 차단되는 빈도 중 적어도 하나를 조절함으로써, 상기 중요영역(220)이 포함된 제1 영상데이터(200)를 보안영상으로 생성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차단 시간은 제1 영상 데이터(200) 내에 중요영역(220)의 표시가 지속되는 시간(일 예로, 5분 지속) 또는 제1 영상데이터(200) 내에 중요영역(220)이 표시되는 특정 시간(일 예로, 12시 30분)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차단 빈도는 제1 영상데이터(200) 내에 중요영역(220)이 표시되는 빈도를 뜻한다.
다음으로, 도 6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삽입 영상데이터(300)가 식별 영상데이터(320)인 실시예의 제2 영상데이터(400)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별 영상데이터가 오버레이된 보안영상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서, 제1 영상데이터(200)에 오버레이되는 삽입 영상데이터(300)는 식별 영상데이터(320)일 수 있다. 즉, 도 6과 같이, 제2 영상데이터(400)는 원본영상인 제1 영상데이터(200)에 식별 영상데이터(320)가 오버레이되어 생성되는 보안영상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식별 영상데이터(320)는 영상의 표시를 요청한 사용자의 식별정보 또는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식별정보를 나타내는 영상데이터일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식별정보는 사용자의 식별ID, 디스플레이 장치의 식별번호, 네트워크 IP주소(Internet Protocol Address), MAC주소(Media Access Control Address), 재생 요청한 시간 등이 포함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식별정보는 다양한 방식에 의해 획득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로, 특정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식별번호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저장부(미도시)에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다른 구체적인 예로, 통신부(120)가 외부 장치(10)로부터 사용자의 식별ID와 같은 식별정보를 수신하여 획득할 수 있다. 이 경우, 통신부(120)는 제어부(140)의 제어에 따라, 외부 장치(10)로부터 식별정보를 실시간 또는 일정 주기마다 수신할 수도 있다. 다만, 이는 예시에 불과하며, 식별정보는 다양한 방식으로 획득될 수 있다.
식별정보를 나타내는 식별 영상데이터(320)는, 시청자가 육안으로 인식하기 어렵도록 제1 영상데이터(200) 상에 오버레이될 수 있다. 이에 대하여는 상세히 후술한다.
식별정보를 나타내는 식별 영상데이터(320)가 오버레이된 보안영상인 제2 영상데이터(400)가 유포되는 경우, 제2 영상데이터의 프레임에 포함된 식별정보를 기반으로 유출자를 탐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2 영상데이터의 표시를 요청한 사용자의 식별ID를 기초로 유출자를 탐색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면, 제2 영상데이터가 표시된 특정 디스플레이 장치의 식별번호 및 재생 요청 시간을 획득하면, 유출자를 탐색하고자 하는 관리자는 상기 특정 디스플레이 장치가 있는 장소의 상기 재생 요청 시간에 촬영된 CCTV 영상을 확인하여 유출자를 탐색할 수 있다.
한편,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본 발명의 식별 영상데이터(320)는 도 7과 같이 식별정보를 포함할 수도 있고, 도 8 내지 도 9와 같이 특정한 형태의 식별이미지를 포함할 수도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식별 영상데이터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별 영상데이터(320)는, 특정한 식별정보(320(a)) 자체를 포함하는 영상데이터일 수 있다.
구체적인 예로, 도 7과 같이 식별정보(320(a))가 특정한 문자열(“식별정보 A”)인 경우, 식별 영상데이터(320)는 문자열 “식별정보 A”를 포함하는 영상데이터일 수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식별정보가 특정한 이미지인 경우, 식별 영상데이터는 상기 특정한 이미지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에서 영상처리부(130)는, 원본영상인 제1 영상데이터(200) 상에 식별정보(320(a)) 자체(예컨대, “식별정보 A”)를 오버레이하여 보안영상인 제2 영상데이터(400)를 생성할 수 있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식별이미지를 포함하는 식별 영상데이터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식별 영상데이터(320)는, 특정한 식별정보에 대응되는 식별이미지(320(b))를 포함하는 영상데이터일 수 있다.
구체적인 예로, 식별이미지(320(b))는 복수개의 도트(dot)를 포함하는 이미지일 수 있다. 예컨대, 식별이미지는 도 8과 같이 복수개의 도트(321, 322)가 나열된 이미지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고 각각의 도트(321, 322)가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거나, 특정 형상을 형성하도록 배치될 수도 있다.
또한, 도 9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서, 식별이미지(320(b))는 복수의 도트가 배열된 패턴에 따라 상이한 식별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로, 식별이미지(320(b))를 구성하는 각각의 도트는 1비트(bit)의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으며, 각각의 도트는 하나의 비트값(0 또는 1)을 나타낼 수 있다. 예컨대, 식별이미지(320(b))는 ‘0’을 나타내는 제1 도트(321)와 ‘1’을 나타내는 제2 도트(322)가 특정 패턴으로 배열되어, 특정한 비트열(도 8에서 ‘10011010’)을 나타낼 수 있다. 이때, 도 9와 같이 각각의 식별이미지(즉, 비트열)마다 상이한 식별정보가 매칭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복수의 도트 각각은, 생성된 보안영상(제2 영상데이터)이 가공되어 일부 픽셀이 소실되는 경우에도 식별이미지의 도트 패턴을 유지할 수 있는 크기 또는 간격으로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로, 도 8(b)와 같이 각각의 도트는 복수개(도 8(b)에서 25개)의 픽셀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식별이미지(320(b))가 오버레이된 보안영상이 손실 압축, 해상도 변경 등의 가공을 거치는 경우, 삽입된 식별이미지(320(b))의 일부 픽셀이 소실될 수 있다. 이때, 식별이미지의 일부 픽셀이 소실되더라도 식별정보의 획득(즉, 비트열 획득)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 식별이미지를 구성하는 각각의 도트가 복수개의 픽셀을 포함하는 크기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하나의 식별이미지(320(b))에 포함되는 도트의 개수나, 각각의 도트에 포함되는 픽셀의 개수는, 필요에 따라 제어부(140)에 의해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도 10 내지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별 영상데이터의 오버레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10 내지 도 13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서, 영상처리부(130)는 보안영상인 제2 영상데이터(400, 400a, 400b) 시청 시 시청자가 식별정보(320(a)) 또는 식별이미지(320(b))를 육안으로 발견하기 어렵도록, 원본영상인 제1 영상데이터(200)의 일부 영역에 식별 영상데이터(320)를 오버레이할 수 있다.
우선, 도 10을 참조하여 제1 영상데이터(200)가 하나의 프레임을 포함하는 정적 영상데이터인 경우의 예시를 설명한다.
일 실시예에서, 식별 영상데이터(320)에 포함된 식별정보(320(a)) 또는 식별이미지(320(b))는, 제1 영상데이터의 프레임(210) 내의 입력영역(240) 상에 입력영역(240)의 색상에서 최솟값만큼 차이나는 색상으로 오버레이될 수 있다. 이때, 입력영역(240)은 동일한 색상으로 구성되는 영역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색상을 RGB(Red, Green, Blue) 시스템으로 표현할 때, 색의 농도는 0부터 255까지의 숫자로 표현될 수 있다. 255에 가까울수록 해당 계열의 색상의 농도가 높아지고, 0에 가까울수록 해당 계열의 색상의 농도가 낮아진다. 이 때, 상기 최솟값은 RGB 시스템에서 1만큼의 차이를 의미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로, 식별정보(320(a))의 색상은 입력영역(240)의 색상보다 1만큼 높을 수도 있고, 낮을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입력영역(240)의 색상이 삼원색 중 녹색 계통의 색상이고 녹색(Green)의 값이 180이라면, 식별정보(320(a))의 색상은 입력영역(240)의 색상과 빨간색(Red)의 값 및 파란색(Blue)의 값은 동일하되 녹색의 값이 180과 1만큼 차이나는 181 또는 179로 설정되어, 입력영역(240) 상에 오버레이될 수 있다.
이는 육안으로 구별하기 어려운 색상 차이에 해당하므로, 보안영상 표시 요청자의 시청을 불편하게 하지 않는다. 그러나, 식별정보 탐색 단계에서는 상기 최솟값만큼의 차이를 이용하여 오버레이된 식별정보를 검출해낼 수 있다.
다른 구체적인 예로, 제1 도트(321) 및 제2 도트(322)를 포함하는 식별이미지(320(b))가 오버레이되는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 식별이미지(320(b)) 내의 제1 도트(321) 및 제2 도트(322) 중 적어도 하나는 입력영역(240) 색상에서 최솟값만큼 차이나는 색상으로 설정되고, 제1 도트 및 제2 도트는 서로 상이한 색상으로 설정되어, 입력영역(240) 상에 오버레이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11(a)와 같이 제1 도트(321)의 색상은 입력영역(240)의 색상보다 1만큼 낮고, 제2 도트(322)의 색상은 입력영역(240)의 색상보다 1만큼 높을 수 있다.
다른 예를 들면, 도 11(b)와 같이 제1 도트(321)의 색상은 입력영역(240)의 색상과 동일하고, 제2 도트(322)의 색상은 입력영역(240)의 색상보다 1만큼 높을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면, 도 11(c)와 같이 제1 도트(321)의 색상은 입력영역(240)의 색상보다 1만큼 높고, 제2 도트(322)의 색상은 입력영역(240)의 색상보다 2만큼 높을 수 있다(즉, 제2 도트(322)의 색상은 제1 도트(321)의 색상보다 1만큼 높을 수 있다). 다만, 도 11은 예시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도 10 및 도 12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서, 식별정보(320(a)) 또는 식별이미지(320(b))가 오버레이되는 입력영역(240)은, 입력영역(240)의 주변에 위치한 후보영역(230)의 평균 색상으로 설정될 수 있다. 즉, 보안영상의 시청자가 입력영역(240)을 육안으로 발견하기 어렵게 하여, 시청에 불편을 느끼지 않도록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10과 같이 일정 조건 하에 추출된 입력영역(240)의 색상을 후보영역(230)의 평균 색상으로 설정하거나, 도 12와 같이 후보영역(230)의 평균 색상으로 구성된 영역을 추출하여 입력영역(240)으로 설정할 수도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입력영역(240)이 복수개인 경우, 식별정보(320(a)) 또는 식별이미지(320(b))를 복수개로 분리하여 각각의 입력영역에 오버레이할 수도 있다.
한편, 도 13을 참조하면, 제1 영상데이터(200)가 복수의 프레임을 포함하는 동적 영상데이터인 경우, 영상처리부(130)는 제어부(140)의 제어에 따라, 상기 복수의 프레임 중 적어도 하나의 후보 프레임(210)을 추출하고, 추출된 후보 프레임(210) 각각에 식별 영상데이터(320)를 오버레이할 수 있다.
이상으로 도 10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제1 영상데이터(200)의 프레임(210) 내의 입력영역(240) 상에 오버레이되는 식별정보(320(a)) 또는 식별이미지(320(b))를 포함하는 식별 영상데이터(320)의 색상 차이를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므로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도 10 내지 도 13의 예시도는 설명을 위해 입력영역(240)과 식별 영상데이터(320)가 확연히 구별되도록 도시하였으나, 실제 재생 화면에서는 육안으로 구별할 수 없으며, 입력영역(240) 및 입력영역(240) 상에 오버레이된 식별정보(320(a)) 또는 식별이미지(320(b))를 인지할 수 없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보안영상 생성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하에서는, 도 1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보안영상 생성 방법을 설명한다.
통신부(120)는 제어부(140)의 제어에 따라, 제1 영상데이터(200)를 수신한다(S110). 즉, 통신부(120)는, 외부 장치(10)로부터 원본영상인 제1 영상데이터(200)를 수신할 수 있다.
이어서, 영상처리부(130)는 제어부(140)의 제어에 따라, 수신한 제1 영상데이터(200)에 삽입 영상데이터(300)를 오버레이하여(S200), 보안영상인 제2 영상데이터(400)를 생성한다(S300). 삽입 영상데이터(300) 및 제2 영상데이터(400)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은 자세히 상술하였으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이어서, 디스플레이부(110)는 제어부(140)의 제어에 따라, 생성된 보안영상인 제2 영상데이터(400)를 표시한다(S400). 즉, 디스플레이부(110)는 외부 장치(예컨대, 컴퓨터)가 전송한 원본영상을 표시하지 않고, 원본영상에 삽입 영상데이터(식별 또는 차단 영상데이터)가 오버레이된 보안영상을 표시함으로써, 원본영상의 무단 복제, 유포를 방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술한 본 발명의 보안영상 생성 방법은, 펌웨어(firmware)의 형태로 구현되어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수행될 수 있다.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어댑터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어댑터의 보안영상 생성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5 및 도 1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어댑터(1000)는 통신부(1200), 영상처리부(1300) 및 제어부(1400)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도 1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댑터(1000)의 보안영상 생성 방법을 설명한다.
어댑터(1000)의 통신부(1200)는 제어부(1400)의 제어에 따라, 제1 영상데이터(200)를 수신한다(S1110).
일 실시예에서, 통신부(1200)는, 외부 장치(10)로부터 원본영상인 제1 영상데이터(200)를 수신할 수 있다. 즉, 어댑터(1000)의 통신부(1200)는,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2000)뿐만 아니라 외부 장치(10)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통신부(1200)는,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2000)로부터 원본영상인 제1 영상데이터(200)를 수신할 수 있다. 즉,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2000)가 외부 장치(10)로부터 제1 영상데이터(200)를 수신하고, 디스플레이 장치(2000)가 수신한 제1 영상데이터(200)를 어댑터(1000)의 통신부(1200)로 전송하는 것일 수도 있다.
이어서, 어댑터(1000)의 영상처리부(1300)는 제어부(1400)의 제어에 따라, 수신한 제1 영상데이터(2000)에 삽입 영상데이터(300)를 오버레이하여(S1200), 보안영상인 제2 영상데이터(400)를 생성한다(S1300). 삽입 영상데이터(300) 및 제2 영상데이터(400)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은 상술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보안영상 생성 방법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며,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이어서, 어댑터(1000)의 통신부(1200)는, 제어부(1400)의 제어에 따라, 생성된 보안영상인 제2 영상데이터(400)를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2000)에 전송한다(S1400).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2000)는 어댑터(1000)의 통신부(1200)로부터 제2 영상데이터를 수신하면(S1410), 수신된 제2 영상데이터를 표시한다(S1500). 즉,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2000)는 외부 장치(예컨대, 컴퓨터)가 전송한 원본영상을 표시하지 않고, 어댑터(1000)에 의해 원본영상에 삽입 영상데이터(식별 또는 차단 영상데이터)가 오버레이된 보안영상을 수신하여 표시함으로써, 원본영상의 무단 복제, 유포를 방지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 및 어댑터(1000)에 의하면, 원본영상에 보안 이미지를 오버레이하여 보안영상을 생성하는 단계가 외부 장치(예컨대, 컴퓨터)와 별도 디바이스인(다만, 실시예에 따라 물리적으로 결합될 수는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 또는 어댑터에서 수행된다. 따라서, 유출자가 보안 소프트웨어(예컨대, 펌웨어)를 별도로 온/오프 시키거나 외부 장치에서 실행되는 다른 소프트웨어와 충돌할 위험성이 낮으므로, 보안 정도가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된 방법 또는 알고리즘의 단계들은 하드웨어로 직접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에 의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모델로 구현되거나, 또는 이들의 결합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델은 RAM(Random Access Memory), ROM(Read Only Memory), EPROM(Erasable Programmable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OM),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하드 디스크, 착탈형 디스크, CD-ROM,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잘 알려진 임의의 형태의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에 상주할 수도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제한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 : 외부 장치
100 : 디스플레이 장치
110: 디스플레이부
120, 1200: 통신부
130, 1300: 영상처리부
140, 1400: 제어부
200: 제1 영상데이터
300: 삽입 영상데이터
310: 차단 영상데이터
320: 식별 영상데이터
400: 제2 영상데이터
1000: 어댑터
2000: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

Claims (10)

  1.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외부 장치로부터 제1 영상데이터를 수신하는 통신부;
    상기 제1 영상데이터를 보정하여 제2 영상데이터를 생성하는 영상처리부; 및
    상기 제1 영상데이터에 삽입 영상데이터를 오버레이하여 상기 제2 영상데이터를 생성하도록 상기 영상처리부를 제어하고, 생성된 상기 제2 영상데이터를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 영상데이터는, 복수의 차단블록을 포함하는 차단 영상데이터이고,
    상기 차단 영상데이터는, 연속되는 복수의 프레임마다 상기 복수의 차단블록의 위치가 변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차단블록 각각의 크기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4.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영상데이터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프레임에 대하여 중요영역을 추출하고, 추출된 상기 중요영역에 상기 차단블록을 오버레이하도록 상기 영상처리부를 제어하고,
    상기 차단블록의 차단 시간 및 차단 빈도 중 적어도 하나가 조절되도록 상기 영상처리부를 제어하며,
    상기 중요영역은, 텍스트 또는 이미지가 존재하는 영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 영상데이터는, 사용자 또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식별정보를 나타내는 식별 영상데이터이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영상데이터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프레임의 입력영역에 상기 식별 영상데이터를 오버레이하도록 상기 영상처리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영역은 동일한 색상으로 구성된 영역이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영역의 색상과 최솟값만큼 차이나는 색상으로 상기 식별 영상데이터를 오버레이하도록 상기 영상처리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7.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외부 장치로부터 상기 식별정보를 수신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8. 외부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와 연결되는 어댑터에 있어서,
    상기 외부 장치로부터 제1 영상데이터를 수신하는 통신부;
    상기 제1 영상데이터를 보정하여 제2 영상데이터를 생성하는 영상처리부; 및
    상기 제1 영상데이터에 삽입 영상데이터를 오버레이하여 상기 제2 영상데이터를 생성하도록 상기 영상처리부를 제어하고, 생성된 상기 제2 영상데이터를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 전송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어댑터.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 영상데이터는, 복수의 차단블록을 포함하는 차단 영상데이터이고,
    상기 차단 영상데이터는, 연속되는 복수의 프레임마다 상기 복수의 차단블록의 위치가 변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댑터.
  10.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 영상데이터는, 사용자 또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식별정보를 나타내는 식별 영상데이터이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영상데이터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프레임의 입력영역에 상기 식별 영상데이터를 오버레이하도록 상기 영상처리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댑터.
KR1020200113565A 2019-09-10 2020-09-07 보안영상 생성 디스플레이 장치 및 어댑터 KR1025641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20/012051 WO2021049835A1 (ko) 2019-09-10 2020-09-07 보안영상 생성 디스플레이 장치 및 어댑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0112135 2019-09-10
KR1020190112135 2019-09-1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30874A true KR20210030874A (ko) 2021-03-18
KR102564187B1 KR102564187B1 (ko) 2023-08-07

Family

ID=752324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13565A KR102564187B1 (ko) 2019-09-10 2020-09-07 보안영상 생성 디스플레이 장치 및 어댑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6418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45898A (ko) * 2021-09-29 2023-04-05 주식회사 인베트 사실 확인 동영상 사적 공유 서비스 시스템
WO2023153646A1 (ko) * 2022-02-11 2023-08-17 삼성전자 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14061A (ko) * 2003-05-28 2006-02-14 오끼 덴끼 고오교 가부시끼가이샤 워터마크 정보 삽입 장치, 화상 처리 장치, 워터마크 정보삽입 방법 및 화상 처리 방법
KR20120113167A (ko) * 2011-04-04 2012-10-12 주식회사 마크애니 디지털 콘텐트 유출 방지 시스템 및 방법
KR20140022354A (ko) * 2013-10-15 2014-02-24 주식회사 안랩 스크린 캡쳐 방지장치 및 방법
KR101439475B1 (ko) 2013-04-03 2014-09-17 주식회사 마인미디어 동영상 복제 검출 및 추적 장치 및 방법
KR20180116866A (ko) * 2017-04-18 2018-10-26 (주) 코드그린 스크린을 통한 정보유출 방지 시스템 및 방법
JP2019003577A (ja) * 2017-06-20 2019-01-10 富士通株式会社 表示制御プログラム、表示制御方法および情報処理装置
KR20190029330A (ko) * 2017-09-12 2019-03-20 주식회사 이노티움 화면 워터마크 표출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14061A (ko) * 2003-05-28 2006-02-14 오끼 덴끼 고오교 가부시끼가이샤 워터마크 정보 삽입 장치, 화상 처리 장치, 워터마크 정보삽입 방법 및 화상 처리 방법
KR20120113167A (ko) * 2011-04-04 2012-10-12 주식회사 마크애니 디지털 콘텐트 유출 방지 시스템 및 방법
KR101439475B1 (ko) 2013-04-03 2014-09-17 주식회사 마인미디어 동영상 복제 검출 및 추적 장치 및 방법
KR20140022354A (ko) * 2013-10-15 2014-02-24 주식회사 안랩 스크린 캡쳐 방지장치 및 방법
KR20180116866A (ko) * 2017-04-18 2018-10-26 (주) 코드그린 스크린을 통한 정보유출 방지 시스템 및 방법
JP2019003577A (ja) * 2017-06-20 2019-01-10 富士通株式会社 表示制御プログラム、表示制御方法および情報処理装置
KR20190029330A (ko) * 2017-09-12 2019-03-20 주식회사 이노티움 화면 워터마크 표출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45898A (ko) * 2021-09-29 2023-04-05 주식회사 인베트 사실 확인 동영상 사적 공유 서비스 시스템
WO2023153646A1 (ko) * 2022-02-11 2023-08-17 삼성전자 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64187B1 (ko) 2023-08-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869086B2 (en) Dynamic video overlays
JP5325267B2 (ja) オブジェクト表示装置、オブジェクト表示方法及びオブジェクト表示プログラム
US20150371014A1 (en) Obscurely rendering content using masking techniques
US20060152603A1 (en) White balance correction in digital camera images
KR102564187B1 (ko) 보안영상 생성 디스플레이 장치 및 어댑터
US20110025701A1 (en) Method and system for creating an image
CA2654504C (en) System and method for analyzing and marking a film
WO2021049835A1 (ko) 보안영상 생성 디스플레이 장치 및 어댑터
US8311391B2 (en) Method and system for analyzing and marking a film
US8374382B2 (en) Device for processing video images, video projection system and signal intended for use by the projection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