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30066A - Three way dry cup - Google Patents

Three way dry cup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30066A
KR20210030066A KR1020190111546A KR20190111546A KR20210030066A KR 20210030066 A KR20210030066 A KR 20210030066A KR 1020190111546 A KR1020190111546 A KR 1020190111546A KR 20190111546 A KR20190111546 A KR 20190111546A KR 20210030066 A KR20210030066 A KR 202100300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p
standing
handle
stem
support pie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1154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253699B1 (en
Inventor
소재돈
Original Assignee
소재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재돈 filed Critical 소재돈
Priority to KR10201901115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53699B1/en
Publication of KR202100300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3006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536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5369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3/00Other table equipment
    • A47G23/02Glass or bottle holders
    • A47G23/0208Glass or bottle holders for drinking-glasses, plastic cup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9/00Table service
    • A47G19/22Drinking vessels or saucers used for table servic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4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7G19/00-A47G23/16
    • A47G2400/02Hygiene

Landscapes

  • Table Devices Or Equipment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three-way dry cup, which comprises: a cup (10) having an opening unit formed in an upper end unit; a handle (20) provided on one side of the cup (10); a standing stem (30) provided to the handle (20); and a standing support piece (40) provided to the other side of the cup (10).

Description

쓰리 웨이 드라이컵{Three way dry cup}Three way dry cup

본 발명은 쓰리 웨이 드라이컵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컵을 세 방향으로 세워서 건조시키는 새로운 구성의 쓰리 웨이 드라이컵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hree-way dry cup, and more particularly, to a three-way dry cup of a new configuration in which the cup is erected and dried in three directions.

일반적으로, 컵은 사용하고 나서 물에 씻어서 컵걸이대에 걸어서 건조시키거나 컵을 거꾸로 세워서 건조시키게 된다. 컵을 뒤집어서 건조시킴으로써 컵의 내부에 먼지 등의 이물질이 유입되는 경우를 방지한다.In general, after use, the cup is washed with water and dried by hanging it on a cup rack, or by standing the cup upside down to dry. The cup is turned over and dried to prevent foreign matter such as dust from entering the cup.

그런데, 컵걸이대에 걸어서 컵을 건조시키고자 할 경우에는 컵걸이대를 따로 마련해야 하는 단점이 있으며, 컵을 거꾸로 세워서 건조시킬 경우에는 컵의 상단부가 컵받침대(예를 들어, 주방의 선반이나 씽크대 등)에 직접 닿은 상태로 건조를 시켜야 하므로 위생적으로 좋지 못하다. 컵을 거꾸로 세워서 건조시킬 때에는 컵받침대의 표면에 컵의 상단부가 닿은 상태이기 때문에 비위생적인 건조라 할 수 있어서 미생물이 번식하여 컵이 오염되는 경우와 같은 문제가 있다.However, if you want to dry the cup by hanging it on a cup rack, there is a disadvantage of having to prepare a cup rack separately, and when drying the cup upside down, the upper part of the cup is a coaster (for example, a shelf or a sink in the kitchen). It is not hygienic because it must be dried in direct contact with the product. When drying the cup upside down, it can be said to be unsanitary drying because the upper end of the cup is in contact with the surface of the coaster, and there is a problem such as when the cup is contaminated by the propagation of microorganisms.

한국공개특허 제10-2019-0058862호(2019년05월30일 공개)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9-0058862 (published on May 30, 2019) 한국공개특허 제10-2016-0145932호(2016년12월21일 공개)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6-0145932 (published on December 21, 2016) 한국공개실용신안 제20-2013-0003393호(2013년06월10일 공개)Korea Open Utility Model No. 20-2013-0003393 (released on June 10, 2013) 한국등록특허 제10-0827982호(2008년04월30일 등록)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0827982 (registered on April 30, 2008)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개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컵을 거꾸로 세워서 건조시키거나 옆으로 세워서 건조시키거나 바로 세워서 건조시킬 수 있는 것과 같이 다양한 방향으로 컵을 세워서 건조시킬 수 있는 새로운 구성의 쓰리 웨이 드라이컵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was developed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 and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erect and dry the cup in various directions, such as drying the cup upside down, drying it upside down, or drying it upright. It is trying to provide a three-way dry cup with a new configuration that can be used.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하면, 상단부에 개방부가 구비된 컵; 상기 컵에 구비된 손잡이; 상기 손잡이에 구비된 스탠딩 스템;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쓰리 웨이 드라이컵이 제공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a cup provided with an opening at the upper end; A handle provided on the cup; A three-way dry cup comprising a; standing stem provided on the handle is provided.

상기 컵의 타측에 구비된 스탠딩 지지편;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a standing support piece provided on the other side of the cup.

상기 컵의 일측에는 손잡이가 구비되고, 상기 스탠딩 지지편은 상기 손잡이의 맞은편에 배치되도록 상기 컵의 타측에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A handle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cup, and the standing support piece is provided on the other side of the cup so as to be disposed opposite the handle.

상기 손잡이에 구비된 스탠딩 스템의 일부와 상기 스탠딩 지지편의 일부는 상기 컵의 상단부보다 더 위쪽으로 돌출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A portion of the standing stem provided on the handle and a portion of the standing support piece are characterized in that they protrude more upward than the upper end of the cup.

상기 스탠딩 지지편은 상기 컵의 타측에 적어도 두 개 이상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standing support piece is characterized in that at least two or more are provided on the other side of the cup.

상기 스탠딩 지지편의 하단부는 상기 컵의 상단부보다 더 아래에서 상기 컵의 타측에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lower end of the standing support piece is connected to the other side of the cup further below the upper end of the cup.

상기 스탠딩 지지편의 안쪽면은 상기 컵의 외표면에서 일정 거리 이격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inner surface of the standing support piece is configured to be spaced apar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cup.

상기 컵의 일측에는 손잡이가 구비되고, 상기 스탠딩 지지편은 상기 손잡이의 맞은편에 배치되도록 상기 컵의 타측에 구비되고, 상기 손잡이에 구비된 스탠딩 스템의 일부와 상기 스탠딩 지지편의 일부는 상기 컵의 상단부보다 더 위쪽으로 돌출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A handle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cup, and the standing support piece is provided on the other side of the cup so as to be disposed opposite the handle, and a part of the standing stem provided on the handle and a part of the standing support piece are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protrudes more upward than the upper end.

상기 손잡이의 일부는 상기 컵의 상단부보다 더 위쪽으로 돌출되고, 상기 손잡이에는 상부 스탠딩 스템과 하부 스탠딩 스템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Part of the handle protrudes higher than the upper end of the cup, and the handle includes an upper standing stem and a lower standing stem.

상기 상부 스탠딩 스템과 상기 하부 스탠딩 스템은 상기 손잡이의 외측으로 돌출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upper standing stem and the lower standing stem are characterized in that they protrude to the outside of the handle.

상기 손잡이의 상부에 상기 상부 스탠딩 스템 두 개가 구비되고, 상기 손잡이의 하부에 상기 하부 스탠딩 돌기가 두 개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two upper standing stems are provided on the upper part of the handle, and the two lower standing protrusions are provided under the handle.

본 발명에 의하면, 상단부에 개방부가 구비된 컵; 상기 컵에 구비된 손잡이; 상기 손잡이에 구비된 스탠딩 스템; 상기 컵에 구비된 스탠딩 지지편;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쓰리 웨이 드라이컵이 제공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cup provided with an opening at the upper end; A handle provided on the cup; A standing stem provided on the handle; A three-way dry cup is provided, comprising: a standing support piece provided in the cup.

본 발명에 의하면, 상단부에 개방부가 구비된 컵; 상기 컵의 일측에 구비된 손잡이; 상기 손잡이에 구비된 스탠딩 스템; 상기 컵의 타측에 구비된 스탠딩 지지편;을 포함하고, 상기 손잡이에 구비된 스탠딩 스템의 일부와 상기 스탠딩 지지편의 일부는 상기 컵의 상단부보다 더 위쪽으로 돌출되고, 상기 스탠딩 지지편은 상기 컵의 타측에 적어도 두 개 이상 구비되며, 상기 스탠딩 지지편은 위쪽으로 갈수록 좌우 폭이 점점 줄어들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쓰리 웨이 드라이컵이 제공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cup provided with an opening at the upper end; A handle provided on one side of the cup; A standing stem provided on the handle; Including; a standing support piece provided on the other side of the cup, and a part of the standing stem provided on the handle and a part of the standing support piece protrude more upward than the upper end of the cup, and the standing support piece At least two or more are provided on the other side, and the standing support piece is provided with a three-way dry cup, characterized in that the left and right widths are gradually reduced as it goes upward.

본 발명은 컵을 말리기 위해 걸어주는 것과 같은 컵걸이대 등을 따로 마련할 필요가 없으며, 컵건조대 등을 따로 마련할 필요가 없아서 비용적인 측면과 주방 공간 절약 등의 측면에서 유리한 효과가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no need to separately prepare a cup hanger, such as hanging to dry the cup, and there is no need to provide a separate cup drying rack, so there is an advantageous effect in terms of cost and kitchen space saving.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쓰리 웨이 드라이컵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쓰리 웨이 드라이컵을 반대 방향에서 보여주는 사시도
도 3은 도 1의 정면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드라이컵을 거꾸로 뒤집어놓은 상태를 보여주는 일측면도
도 5는 도 1에 도시된 드라이컵을 주요부인 스탠딩 스템을 이용하여 옆으로 세워놓은 상태를 보여주는 일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쓰리 웨이 드라이컵의 사시도
도 7은 도 6의 쓰리 웨이 드라이컵을 반대 방향에서 보여주는 사시도
도 8은 도 6의 정면도
도 9는 도 6에 도시된 드라이컵을 거꾸로 뒤집어놓은 상태를 보여주는 일측면도
도 10은 도 6에 도시된 드라이컵을 주요부인 스탠딩 스템을 이용하여 옆으로 세워놓은 상태를 보여주는 일측면도
도 11은 도 6에 도시된 쓰리 웨이 드라이컵에 캐릭터부를 구현한 상태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일측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의한 쓰리 웨이 드라이컵의 사시도
도 13은 도 12의 쓰리 웨이 드라이컵을 반대 방향에서 보여주는 사시도
도 14는 도 12의 정면도
도 15는 도 12에 도시된 드라이컵을 거꾸로 뒤집어놓은 상태를 보여주는 일측면도
도 16은 도 12에 도시된 드라이컵을 주요부인 스탠딩 스템을 이용하여 옆으로 세워놓은 상태를 보여주는 일측면도
도 17은 도 12에 도시된 쓰리 웨이 드라이컵에 캐릭터부를 구현한 상태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일측면도
도 18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의한 쓰리 웨이 드라이컵의 사시도
도 19는 도 18의 쓰리 웨이 드라이컵을 반대 방향에서 보여주는 사시도
도 20은 도 18의 정면도
도 21는 도 18에 도시된 드라이컵을 거꾸로 뒤집어놓은 상태를 보여주는 일측면도
도 22는 도 18에 도시된 드라이컵을 주요부인 스탠딩 스템을 이용하여 옆으로 세워놓은 상태를 보여주는 일측면도
도 23은 도 18에 도시된 쓰리 웨이 드라이컵에 캐릭터부를 구현한 상태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일측면도
도 24는 본 발명의 주요부인 컵의 바닥부에 오목홈을 형성한 실시예를 보여주는 저면도
도 25는 도 24의 사시도
도 25는 본 발명의 주요부인 컵의 바닥부에 오목홈을 형성한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저면도
도 26은 도 25의 사시도
도 27은 도 24와 도 26에 도시된 오목홈에 칫솔을 거치한 상태를 보여주는 측면도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three-way dry cup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three-way dry cup of Figure 1 from the opposite direction
Figure 3 is a front view of Figure 1
Figure 4 is a sid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dry cup shown in Figure 1 is turned upside down
5 is a sid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dry cup shown in FIG. 1 is erected sideways using a standing stem, which is a main part
6 is a perspective view of a three-way dry cup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three-way dry cup of FIG. 6 from the opposite direction
8 is a front view of FIG. 6
9 is a sid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dry cup shown in FIG. 6 is turned upside down
10 is a sid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dry cup shown in FIG. 6 is erected sideways using a standing stem, which is a main part
11 is a sid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a character part is implemented in the three-way dry cup shown in FIG. 6
12 is a perspective view of a three-way dry cup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three-way dry cup of FIG. 12 from the opposite direction
14 is a front view of FIG. 12
15 is a sid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dry cup shown in FIG. 12 is turned upside down
16 is a sid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dry cup shown in FIG. 12 is erected sideways using a standing stem, which is a main part
FIG. 17 is a sid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a character part is implemented in the three-way dry cup shown in FIG. 12
18 is a perspective view of a three-way dry cup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9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three-way dry cup of FIG. 18 from the opposite direction
20 is a front view of FIG. 18
FIG. 21 is a sid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dry cup shown in FIG. 18 is turned upside down
22 is a sid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dry cup shown in FIG. 18 is erected sideways using a standing stem, which is a main part
FIG. 23 is a sid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a character part is implemented in the three-way dry cup shown in FIG. 18
24 is a bottom view showing an embodiment in which a concave groove is formed in the bottom of a cup, which is a main par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5 is a perspective view of FIG. 24
25 is a bottom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in which a concave groove is formed at the bottom of a cup, which is a main part of the present invention
26 is a perspective view of FIG. 25
27 is a sid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toothbrush is mounted in the concave groove shown in FIGS. 24 and 26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과 특징 및 장점은 첨부도면 및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참조함으로써 더욱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Objects, feature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more easily understood by referring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In addition,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configuration or function ma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In addition, in describing the constituent ele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erms such as first, second, A, B, (a) and (b) may be used. These terms are for distinguishing the constituent element from other constituent elements, and the nature, order, or order of the constituent element is not limited by the term. For example, if a component is described as being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the componen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at other component, but between each compon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another component may be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쓰리 웨이 드라이컵은 상단부에 개방부가 구비된 컵(10)과, 상기 컵(10)에 구비된 손잡이(20)와, 상기 손잡이(20)에 구비된 스탠딩 스템(30)을 구비한다.Referring to the drawings, the three-way dry cu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up 10 provided with an opening at an upper end, a handle 20 provided in the cup 10, and a standing stem provided in the handle 20. (30) is provided.

상기 컵(10)은 쓰리 웨이 드라이컵의 바디 부분으로서, 내부에 공간부가 있고 상기 공간부는 컵(10)의 상단부에 구비된 개방부를 통해서 상부로 개구된 구조가 된다. 상기 컵(10)은 위에서 아래로 갈수록 직경이 점점 줄어들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cup 10 is a body part of the three-way dry cup, and has a space therein and the space part has a structure that is opened upward through an opening provided at the upper end of the cup 10. The cup 10 may be configured to gradually decrease in diameter from top to bottom.

상기 손잡이(20)는 컵(10)의 일측에 구비된다. 손잡이(20)는 상부 연결부(22)와 하부 연결부(24) 및 중간 연결부(26)로 구성된다. 상부 연결부(22)의 내측단부가 컵(10)의 일측에 연결되고, 하부 연결부(24)의 내측단부는 하부 연결부(24)의 아래에서 컵(10)의 일측에 연결되며, 상기 상부 연결부(22)와 하부 연결부(24)의 외측단부에 중간 연결부(26)의 상단부와 하단부가 연결되도록 구성된다.The handle 20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cup 10. The handle 20 is composed of an upper connection part 22, a lower connection part 24, and an intermediate connection part 26. The inner end of the upper connection part 22 is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cup 10, and the inner end of the lower connection part 24 is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cup 10 under the lower connection part 24, and the upper connection part ( 22) and the upper end and the lower end of the intermediate connection 26 to the outer end of the lower connection part 24 are connected to each other.

상기 스탠딩 스템(30)은 손잡이(20)에 구비된다. 스탠딩 스템(30)은 상부 스탠딩 스템(32)과 하부 스탠딩 스템(34)으로 구성된다.The standing stem 30 is provided on the handle 20. The standing stem 30 is composed of an upper standing stem 32 and a lower standing stem 34.

상부 스탠딩 스템(32)은 손잡이(20)의 상부 연결부(22)와 중간 연결부(26) 사이에 연결되어 컵(10)의 외표면에서 점점 벌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된다. 두 개의 상부 스탠딩 스템(32)의 내측단부가 손잡이(20)의 상부 연결부(22)와 중간 연결부(26) 사이에 연결된 상태에서 두 개의 상부 스탠딩 스템(32)이 컵(10)의 외표면으로부터 점점 벌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된 것이다. 상기 컵(10)과 손잡이(20)를 옆에서 볼 때에 컵(10)의 상단부에서 더 위쪽으로 갈수록 상부 스탠딩 손잡이(20)가 컵(10)의 외표면에서 점점 벌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된다. 상기 상부 스탠딩 스템(32)의 일부는 컵(10)의 상단부보다 더 위쪽으로 돌출되어 있다. 스탠딩 스템(30)은 상부 스탠딩 스템(32)과 하부 스탠딩 스템(34)으로 이루어지므로, 상기 컵(10)의 상단부보다 더 위쪽으로 스탠딩 스템(30)의 일부가 돌출된 것이라 할 수 있다. 이때, 두 개의 상부 스탠딩 스템(32)이 손잡이(20)에서 상부 쪽으로 가지처럼 분기된 구성을 취한다. 상기 손잡이(20)의 정면에서 볼 때에 두 개의 상부 스탠딩 스템(32)은 점점 벌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된다. 두 개의 상부 스탠딩 스템(32)이 하단부에서 상단부로 갈수록 점점 더 벌어지도록 연장된 구성을 취한다. 한편, 상기 상부 스탠딩 스템(32)의 상단부에는 상부 스탠딩 콘택트편(32A)이 구비된다. 상부 스탠딩 콘택트편(32A)은 상부 스탠딩 스템(32)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연장된다. 상기 컵(10)과 손잡이(20)의 측면에서 볼 때에 상부 스탠딩 콘택트편(32A)은 상부쪽으로 연장된다. 상기 상부 스탠딩 콘택트편(32A)은 컵(10)의 외표면과 마주하는 방향으로 일정 길이 연장된다.The upper standing stem 32 is connected between the upper connection part 22 and the intermediate connection part 26 of the handle 20 and extends in a direction that gradually spreads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cup 10. With the inner ends of the two upper standing stems 32 connected between the upper connection 22 and the intermediate connection 26 of the handle 20, the two upper standing stems 32 are removed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cup 10. It was extended in a direction that gradually opened up. When the cup 10 and the handle 20 are viewed from the side, the upper standing handle 20 extends in a direction that gradually opens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cup 10 as it goes further upward from the upper end of the cup 10. A part of the upper standing stem 32 protrudes more upward than the upper end of the cup 10. Since the standing stem 30 includes an upper standing stem 32 and a lower standing stem 34, it can be said that a part of the standing stem 30 protrudes higher than the upper end of the cup 10. At this time, the two upper standing stems 32 are branched from the handle 20 to the upper side like branches. When viewed from the front of the handle 20, the two upper standing stems 32 extend in an increasingly wide open direction. The two upper standing stems 32 take an extended configuration so that they are more and more wider from the lower end to the upper end. Meanwhile, an upper standing contact piece 32A is provided at an upper end of the upper standing stem 32. The upper standing contact piece 32A extends in a direction crossing the upper standing stem 32. When viewed from the side of the cup 10 and the handle 20, the upper standing contact piece 32A extends upward. The upper standing contact piece 32A extends for a predetermined length in a direction facing the outer surface of the cup 10.

하부 스탠딩 스템(34)은 손잡이(20)의 하부 연결부(24)와 중간 연결부(26) 사이에 연결되어 컵(10)의 외표면에서 점점 벌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된다. 두 개의 하부 스탠딩 스템(34)의 내측단부가 손잡이(20)의 하부 연결부(24)와 중간 연결부(26) 사이에 연결된 상태에서 두 개의 하부 스탠딩 스템(34)이 컵(10)의 외표면으로부터 점점 벌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된다. 상기 컵(10)과 손잡이(20)를 옆에서 볼 때에 손잡이(20)의 하부 연결부(24)의 상단부에서 더 아래쪽으로 갈수록 하부 스탠딩 손잡이(20)가 컵(10)의 외표면에서 점점 벌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된다. 이때, 상기 하부 스탠딩 스템(34)은 두 개이다. 두 개의 하부 스탠딩 스템(34)이 손잡이(20)에서 하부 쪽으로 가지처럼 분기된 구성을 취한다. 상기 손잡이(20)의 정면에서 볼 때에 두 개의 하부 스탠딩 스템(34)은 점점 벌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된다. 두 개의 하부 스탠딩 스템(34)이 하단부에서 상단부로 갈수록 점점 더 벌어지도록 연장된 구성을 취한다. 한편, 상기 하부 스탠딩 스템(34)의 하단부에는 하부 스탠딩 콘택트편(34A)이 구비된다. 하부 스탠딩 콘택트편(34A)은 하부 스탠딩 스템(34)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연장된다. 상기 컵(10)과 손잡이(20)의 측면에서 볼 때에 하부 스탠딩 콘택트편(34A)은 하부쪽으로 연장된다. 하부 스탠딩 콘택트편(34A)은 컵(10)의 외표면과 마주하는 방향으로 일정 길이 연장된다.The lower standing stem 34 is connected between the lower connection part 24 and the intermediate connection part 26 of the handle 20 and extends in a direction that gradually opens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cup 10. With the inner ends of the two lower standing stems 34 connected between the lower connection part 24 and the middle connection part 26 of the handle 20, the two lower standing stems 34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cup 10 It extends in an increasingly widespread direction. When viewing the cup 10 and the handle 20 from the side, the lower standing handle 20 gradually opens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cup 10 as it goes further downward from the upper end of the lower connection part 24 of the handle 20 Is extended to. At this time, there are two lower standing stems 34. The two lower standing stems 34 are branched from the handle 20 toward the lower side. When viewed from the front of the handle 20, the two lower standing stems 34 extend in an increasingly wide open direction. The two lower standing stems 34 take an extended configuration so that they spread more and more from the lower part to the upper part. Meanwhile, a lower standing contact piece 34A is provided at a lower end of the lower standing stem 34. The lower standing contact piece 34A extends in a direction crossing the lower standing stem 34. When viewed from the side of the cup 10 and the handle 20, the lower standing contact piece 34A extends downward. The lower standing contact piece 34A extends for a predetermined length in a direction facing the outer surface of the cup 10.

상기한 구성의 본 발명의 쓰리 웨이 드라이컵은 컵(10)을 세 방향으로 세울 수 있다. 컵(10)의 물기를 증발시켜서 말릴 때에 컵(10)을 세 방향으로 세울 수 있게 된다. 제1스탠딩 방향으로는 컵(10)을 똑바로 세운다. 컵(10)의 하단부가 컵받침대에 닿은 상태로 세워서 컵(10)의 물기를 증발시켜서 말릴 수 있다. 제2스탠딩 방향으로는 컵(10)을 뒤집어서 세운다. 컵(10)의 상단부의 개구부가 컵받침대를 향하도록 거꾸로 세워서 컵(10)의 물기를 말려서 건조시킨다. 제2스탠딩 방향으로 컵(10)을 세운 상태에서는 컵(10)의 상단부(즉, 입술 라인)의 일부와 상기 두 개의 상부 스탠딩 스템(32)이 지지하는 3점 지지 상태가 되어서 안정적으로 컵(10)을 뒤집어서 세울 수 있으며, 이러한 제2스탠딩 방향에서 컵(10)의 물기를 증발시켜서 말리게 된다. 이때, 상기 두 개의 상부 스탠딩 스템(32)의 상단부에는 상부 스탠딩 콘택트편(32A)이 구비되어, 두 개의 상부 스탠딩 콘택트편(32A)이 컵받침대에 접촉되고 컵(10)의 입술라인의 일부가 컵받침대에서 접촉되어 3점 지지 상태가 되어서 안정적으로 컵(10)을 거꾸로 세울 수 있다. 제3스탠딩 방향으로 컵(10)을 세운 상태는 컵(10)을 옆으로 세워 놓은 상태이다. 제3스탠딩 방향에서는 두 개의 상부 스탠딩 스템(32)과 두 개의 하부 스탠딩 스템(34)이 컵받침대에 접촉된 상태로 컵(10)이 옆으로 세워지도록 지지하며, 이처럼 제3스탠딩 방향으로 컵(10)을 옆으로 세워서 컵(10)에 묻은 물기를 증발시켜서 말리도록 한다. 두 개의 상부 스탠딩 스템(32)과 두 개의 하부 스탠딩 스템(34)이 컵받침대에 접촉된 4점 지지 상태에서 컵(10)을 옆으로 안정적으로 세워서 컵(10)의 물기를 말릴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두 개의 상부 스탠딩 스템(32)의 상단부와 두 개의 하부 스탠딩 스템(34)의 하단부에는 각각 상부 스탠딩 콘택트편(32A)과 하부 스탠딩 콘택트편(34A)이 구비되어, 두 개의 상부 스탠딩 콘택트편(32A)과 두 개의 하부 스탠딩 콘택트편(34A)이 컵받침대에 접촉된 상태로 컵(10)을 옆으로 세워서 말리게 되므로, 컵(10)을 더 안정적으로 옆으로 세워줄 수 있다. 상기 두 개의 상부 스탠딩 스템(32)과 두 개의 하부 스탠딩 스템(34)에 비하여 두 개의 상부 스탠딩 콘택트편(32A)과 두 개의 하부 스탠딩 콘택트편(34A)이 컵받침대에보다 더 넓은 면적으로 접촉되므로, 보다 더 안정적으로 컵(10)을 옆으로 세운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The three-way dry cup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can erect the cup 10 in three directions. When the water of the cup 10 is evaporated and dried, the cup 10 can be erected in three directions. The cup 10 is erected in the first standing direction. The lower end of the cup 10 can be evaporated and dried by evaporating the water of the cup 10 by standing in a state in contact with the coaster. In the second standing direction, the cup 10 is turned upside down. The cup 10 is placed upside down so that the opening of the upper end of the cup 10 faces the coaster, and the cup 10 is dried by drying. In the state where the cup 10 is erected in the second standing direction, a part of the upper end (ie, lip line) of the cup 10 and a three-point support state supported by the two upper standing stems 32 are stably supported. 10) can be turned upside down and dried by evaporating the water of the cup 10 in the second standing direction. At this time, an upper standing contact piece 32A is provided at the upper end of the two upper standing stems 32, so that the two upper standing contact pieces 32A are in contact with the coaster, and a part of the lip line of the cup 10 is The cup 10 can be stably erected upside down because it is in contact with the coaster and is in a three-point support state. The state in which the cup 10 is erected in the third standing direction is a state in which the cup 10 is erected sideways. In the third standing direction, the two upper standing stems 32 and the two lower standing stems 34 are supported so that the cup 10 is erected sideways in a state in which they are in contact with the coaster. 10) to the side to evaporate the water on the cup (10) to dry. In a four-point support state in which the two upper standing stems 32 and the two lower standing stems 34 are in contact with the coaster, the cup 10 is stably erected to the side to dry the cup 10. At this time, an upper standing contact piece 32A and a lower standing contact piece 34A are provided at the upper end of the two upper standing stems 32 and the lower end of the two lower standing stems 34, respectively, and the two upper standing contacts Since the cup 10 is erected sideways and dried while the piece 32A and the two lower standing contact pieces 34A are in contact with the coaster, the cup 10 can be more stably placed sideways. Compared to the two upper standing stems 32 and the two lower standing stems 34, the two upper standing contact pieces 32A and the two lower standing contact pieces 34A are in contact with a larger area than the coaster. , It can be more stably maintained in a state where the cup 10 is erected to the side.

따라서, 본 발명은 컵(10)을 말리기 위해 걸어주는 것과 같은 컵(10)걸이대 등을 따로 마련할 필요가 없으며, 컵(10)건조대 등을 따로 마련하지 않아서 비용적인 측면과 주방 공간 절약 등의 측면에서 유리한 효과가 있다. 또한, 컵(10)을 거꾸로 세워서 건조시킬 경우라도 컵(10)의 상단부 전체가 컵(10)받침대(예를 들어, 주방의 선반이나 씽크대 등)에 직접 닿은 상태로 건조를 시키지 않으며, 컵(10)을 거꾸로 세워서 컵(10)의 상단부(즉, 입술 라인)이 컵(10)받침대에 닿더라도 아주 일부분만 닿게 되므로, 위생적으로 좋다. 컵(10)을 거꾸로 세워서 건조시킬 때에는 컵(10)받침대의 표면에 컵(10)의 상단부인 입술 라인의 아주 일부만이 닿은 상태이기 때문에 위생적인 건조라 할 수 있어서 미생물이 번식하여 컵(10)이 오염되는 경우와 같은 문제는 거의 생기지 않는다. 본 발명은 컵(10)을 거꾸로 세워서 말릴 뿐만 아니라 옆으로도 세워서 말릴 수 있으므로, 효용성 측면에서 아주 바람직하다.Therefor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no need to provide a separate cup 10 hanger, such as hanging to dry the cup 10, and there is no need to provide a separate drying rack for the cup 10, thereby reducing cost and saving space in the kitchen. There is an advantageous effect on the side. In addition, even when drying the cup 10 upside down, the entire upper end of the cup 10 does not dry while directly in contact with the cup 10 base (for example, a kitchen shelf or a sink, etc.). 10) Upside down, even if the upper end (ie, lip line) of the cup 10 touches the cup 10 base, only a small portion of the cup 10 touches it, so it is hygienic. When drying the cup 10 upside down, only a very part of the lip line, which is the upper end of the cup 10, is in contact with the surface of the cup 10 base, so it can be called hygienic drying, and microorganisms multiply and the cup 10 Problems such as this contamination rarely arise. In the present invention, not only can the cup 10 stand upside down and dry, but also stand sideways to dry, so it is very desirable in terms of utility.

한편, 본 발명에서는 컵(10)에 스탠딩 지지편(40)이 더 구비된다. 상기 스탠딩 스템(30)은 컵(10)의 일측에 구비되고, 상기 스탠딩 지지편(40)은 컵(10)의 타측에 구비된다. 컵(10)의 상하 방향 중심선을 기준으로 할 때에 스탠딩 스템(30)과 스탠딩 지지편(40)은 서로 반대 방향에 배치된다. 상기 스탠딩 지지편(40)의 일부는 컵(10)의 상단부보다 더 위로 돌출된다. 스탠딩 지지편(40)의 하단부가 컵(10)의 상단부에 연결되어 스탠딩 지지편(40)의 일부가 컵(10)의 상단부보다 더 위쪽으로 돌출된다. 컵(10)의 상단부에는 사람의 입술이 닿게 되는 부분이라서 컵(10)의 상단부는 입술 라인이라 할 수 있는데, 상기 스탠딩 지지편(40)의 하단부가 컵(10)의 입술 라인에 연결된다. 이때, 두 개의 스탠딩 지지편(40)이 컵(10)에서 상부 쪽으로 가지처럼 분기된 구성을 취한다. 상기 컵(10)의 일측에 달린 손잡이(20)의 정면에서 볼 때에 두 개의 스탠딩 지지편(40)이 점점 벌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된다. 두 개의 스탠딩 지지편(40)이 하단부에서 상단부로 갈수록 점점 더 벌어지도록 연장된 구성을 취한다. 한편, 상기 스탠딩 지지편(40)은 하단부에서 상단부로 갈수록 좌우 폭이 점점 좁아지는 형상으로 구성된다. 스탠딩 지지편(40)이 귀 모양으로 구성된 것으로 볼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up 10 is further provided with a standing support piece 40. The standing stem 30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cup 10, and the standing support piece 40 is provided on the other side of the cup 10. The standing stem 30 and the standing support piece 40 are disposed in opposite directions based on the vertical center line of the cup 10. A part of the standing support piece 40 protrudes higher than the upper end of the cup 10. The lower end of the standing support piece 40 is connected to the upper end of the cup 10 so that a part of the standing support piece 40 protrudes more upward than the upper end of the cup 10. Since the upper end of the cup 10 is a part where the lips of a person come into contact, the upper end of the cup 10 may be referred to as a lip line, and the lower end of the standing support piece 40 is connected to the lip line of the cup 10. At this time, the two standing support pieces 40 take a branched configuration from the cup 10 toward the top. When viewed from the front of the handle 20 attached to one side of the cup 10, the two standing support pieces 40 extend in a direction that gradually opens. The two standing support pieces 40 take an extended configuration so that they are more and more wider from the lower end to the upper end. On the other hand, the standing support piece 40 is configured in a shape that gradually narrows the left and right widths from the lower end to the upper end. It can be seen that the standing support piece 40 is configured in the shape of an ear.

상기 컵(10)에 적어도 두 개의 스탠딩 지지편(40)이 구비되는데, 이러한 복수개의 스탠딩 지지편(40)이 구비된 경우에는 컵(10)을 거꾸로 세워놓은 제2스탠딩 방향에는 복수개의 스탠딩 지지편(40)과 적어도 두 개의 상부 스탠딩 지지편(40)이 컵받침대에 적어도 4점 이상의 접촉되어 컵(10)을 거꾸로 세운 상태로 지지하며, 이러한 상태에서 컵(10)의 물기를 말릴 수 있다.At least two standing support pieces 40 are provided in the cup 10, and when such a plurality of standing support pieces 40 are provided, a plurality of standing supports are provided in the second standing direction in which the cup 10 is upside down. The piece 40 and the at least two upper standing support pieces 40 are in contact with the coaster at least four points to support the cup 10 in an upside down state, and in this state, the cup 10 can be dried. .

상기 컵(10)에 적어도 두 개의 스탠딩 지지편(40)이 구비되고, 스탠딩 지지편(40)이 컵(10)의 상단부(입술 라인)보다 더 위로 돌출된 경우, 컵(10)을 거꾸로 세운 제2스탠딩 방향에서는 상기 컵(10)의 입술 라인인 상단부를 컵받침대에서 떠 있게 되고, 복수개의 스탠딩 지지편(40)과 복수개의 상부 스탠딩 지지편(40)이 컵받침대에 접촉되므로, 위생적인 건조라 할 수 있어서 미생물이 번식하여 컵(10)이 오염되는 경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한다. 컵(10)을 거꾸로 세워서 말릴 때에 컵(10)의 입술라인인 상단부가 컵받침대에 접촉되지 않고 떠 있는 상태에서 컵(10)을 말릴 수 있으므로, 위생적으로 아주 좋다.When at least two standing support pieces 40 are provided in the cup 10, and the standing support pieces 40 protrude higher than the upper end (lip line) of the cup 10, the cup 10 is inverted. In the second standing direction, the upper end, which is the lip line of the cup 10, is floating on the coaster, and a plurality of standing support pieces 40 and a plurality of upper standing support pieces 40 come into contact with the coaster. Since it can be referred to as drying, problems such as when the cup 10 is contaminated due to the growth of microorganisms is solved. When the cup 10 is inverted and dried, the cup 10 can be dried in a state where the upper end, which is the lip line of the cup 10, is not in contact with the coaster, so it is very good hygienically.

한편, 본 발명에서는 컵(10)에 스탠딩 지지편(40)이 더 구비되기는 하되, 상기 스탠딩 지지편(40)은 컵(10)의 상단부인 입술 라인보다 더 아래로 내려온 컵(10)의 외표면에 연결된다. 스탠딩 지지편(40)의 하단부가 컵(10)의 외표면에 연결되고, 스탠딩 지지편(40)의 안쪽면 내측단은 컵(10)의 상단부와 인접한 위치에 배치된다. 이러한 실시예의 경우 스탠딩 지지편(40)이 컵(10)에 연결되는 구조적인 강도가 더 높아지는 효과를 더 기대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e present invention, although the standing support piece 40 is further provided on the cup 10, the standing support piece 40 is the outer side of the cup 10 that descends further than the lip line, which is the upper end of the cup 10. Connected to the surface. The lower end of the standing support piece 40 is connect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cup 10, and the inner end of the inner surface of the standing support piece 40 is disposed at a position adjacent to the upper end of the cup 10. In this embodiment, the effect of increasing the structural strength in which the standing support piece 40 is connected to the cup 10 can be further expected.

또한, 본 발명에서는 컵(10)에 스탠딩 지지편(40)이 더 구비되기는 하되, 상기 스탠딩 지지편(40)은 컵(10)의 상단부인 입술 라인보다 더 아래로 내려온 컵(10)의 외표면에 연결되고 동시에 스탠딩 지지편(40)의 안쪽면은 컵(10)의 상단부보다 더 아래로 내려오도록 구성된다. 스탠딩 지지편(40)의 하단부가 컵(10)의 외표면에 연결되고, 스탠딩 지지편(40)의 안쪽면 내측단은 컵(10)의 상단부보다 더 아래쪽으로 내려온 위치에 배치되어, 스탠딩 지지편(40)의 안쪽면 내측단과 컵(10)의 상단부 사이에 이격 거리가 확보된다. 이러한 실시예의 경우 스탠딩 지지편(40)이 컵(10)에 연결되는 구조적인 강도가 더 높아지는 효과과 컵(10)의 상단부인 입술 라인이 스탠딩 지지편(40)에 묻은 먼지 등의 이물질에 의해 오염되는 경우까지 방지하여 위생적으로 더욱더 좋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although the standing support piece 40 is further provided on the cup 10, the standing support piece 40 is the outer side of the cup 10 that descends further than the lip line, which is the upper end of the cup 10. It is connected to the surface and at the same time the inner surface of the standing support piece 40 is configured to descend further below the upper end of the cup 10. The lower end of the standing support piece 40 is connect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cup 10, and the inner end of the inner surface of the standing support piece 40 is disposed at a position lowered downward than the upper end of the cup 10, and supports the standing. A separation distance is secured between the inner end of the inner surface of the piece 40 and the upper end of the cup 10. In this embodiment, the structural strength in which the standing support piece 40 is connected to the cup 10 is increased, and the lip line, which is the upper end of the cup 10, is contaminated by foreign substances such as dust on the standing support piece 40. It can be prevented from occurring, so that even better effects can be expected hygienically.

한편, 상기 컵(10)에 적어도 두 개의 스탠딩 지지편(40)이 구비된 실시예도 컵(10)을 제1스탠딩 방향과 제3스탠딩 방향으로 세워서 컵(10)을 말릴 수 있음은 당연하며, 컵(10)에 적어도 두 개의 스탠딩 지지편(40)이 구비된 실시예의 효과는 상기 컵(10)에 스탠딩 지지편(40)이 구비되어 있지 않은 실시예의 효과는 그대로 가지고 있음은 당연하다.On the other hand, in the embodiment in which at least two standing support pieces 40 are provided on the cup 10, it is natural that the cup 10 can be dried by erecting the cup 10 in the first and third standing directions, It is natural that the effect of the embodiment in which the cup 10 is provided with at least two standing support pieces 40 has the effect of the embodiment in which the cup 10 is not provided with the standing support pieces 40 as it is.

또한, 본 발명에서는 컵(10)에 두 개 이상의 스탠딩 지지편(40)이 구비되고, 스탠딩 지지편(40)의 좌우폭이 위로 갈수록 점점 좁아진 형상으로 이루어진 실시예의 경우, 두 개 이상의 스탠딩 지지편(40)을 이용하여 컵(10)의 외표면에 캐릭터 스티커를 부착시켜 줌으로써 외관적으로 예쁜 동물 모양 캐릭터 등과 같이 캐릭터부(50)를 쉽게 구현할 수 있다. 상기 컵(10)에 두 개의 스탠딩 지지편(40)이 구비된 경우, 두 개의 스탠딩 지지편(40)이 귀 모양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볼 수 있어서, 컵(10)의 외표면에 예를 들어 토끼 캐릭터 스티커를 부착하거나 인어공주 캐릭터 스티커를 부착하거나 피카츄 캐릭터 스티커를 부착하면 컵(10) 자체에 토끼나 인어공주와 같은 여러 가지 캐릭터를 구현할 수 있게 된다. 두 개의 귀 모양 스탠딩 지지편(40)을 이용하여 컵(10)의 외표면에 여러 가지 예쁜 동물 모양 캐릭터나 원하는 캐릭터 스티커를 부착함으로써 캐릭터 컵(10)으로도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캐릭터 스티커를 컵(10)의 외표면에 부착하여 캐릭터부(50)를 구연하는 것 이외에 스크린 인쇄 방식에 의해 동물 모양의 캐릭터를 구현하는 것과 같이 다양한 방식으로 캐릭터부(50)를 구현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case of an embodiment in which two or more standing support pieces 40 are provided in the cup 10, and the left and right widths of the standing support pieces 40 become narrower toward the top, two or more standing support pieces ( By attaching a character sticker on the outer surface of the cup 10 using 40), the character part 50 can be easily implemented, such as an externally beautiful animal-shaped character. When the cup 10 is provided with two standing support pieces 40, it can be seen that the two standing support pieces 40 have an ear shape, so that the outer surface of the cup 10 is, for example, a rabbit character. When a sticker is attached, a mermaid character sticker is attached, or a Pikachu character sticker is attached, various characters such as a rabbit or a little mermaid can be implemented on the cup 10 itself. It can also be used as a character cup 10 by attaching various pretty animal-shaped characters or desired character stickers to the outer surface of the cup 10 using two ear-shaped standing support pieces 40. At this time, in addition to the character part 50 by attaching the character sticker to the outer surface of the cup 10, the character part 50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ways, such as implementing an animal-shaped character by a screen printing method. I can.

한편, 본 발명에서는 컵(10)의 바닥부에 홈(GR)을 형성하도록 구성된다. 홈(GR)은 컵(10)의 바닥부 바깥면에 적어도 두 개 이상으로 형성된다. 컵(10)의 바닥부 바깥면에는 바텀 돌출부(11)가 구비되고, 바텀 돌출부(11)에 홈(GR)이 형성되도록 구성된다.On the other hand, 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configured to form a groove GR in the bottom portion of the cup 10. At least two grooves GR are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bottom portion of the cup 10. A bottom protrusion 11 is provided on an outer surface of the bottom portion of the cup 10, and a groove GR is formed in the bottom protrusion 11.

따라서, 상기 컵(10)을 뒤집어서 세워놓은 상태(즉, 컵(10)의 바닥부 바깥면이 위쪽을 향하도록 세워놓은 상태에서 컵(10)의 바닥부에 물이 고이는 경우가 있다 하더라도 바닥부의 고인물이 상기 홈(GR)을 통해서 바닥부 바깥쪽으로 빠져나와서 컵(10)의 외표면으로 흘러내리면서 자연 건조가 되기 때문에, 컵(10)의 바닥부에 물이 고여서 컵(10)이 제대로 건조되지 못하는 경우를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컵(10)을 뒤집어서 세워놓은 상태에서는 상기 홈(GR)으로 인하여 컵(10)이 더 확실하게 자연 건조될 수 있게 된다.Therefore, the cup 10 is turned upside down (that is, even if water may accumulate at the bottom of the cup 10 in a state where the outer surface of the bottom of the cup 10 faces upward, Since the stagnant material escapes to the outside of the bottom through the groove (GR) and flows down to the outer surface of the cup 10, it is naturally dried, so that the water is collected at the bottom of the cup 10, so that the cup 10 is properly When the cup 10 is turned upside down, the cup 10 can be naturally dried more reliably due to the groove GR.

또한, 상기 홈(GR)을 이용하여 칫솔(1)과 같은 물품을 거치할 수 있으며, 이처럼 홈(GR)을 이용하여 컵(10)의 바닥부 바깥면에 칫솔(1)을 거치하여 놓으면 칫솔(1)이 컵(10)에서 떨어지지 않고 안정적으로 거치되므로, 칫솔(1) 등을 사용할 때에도 편리하고 컵(10)의 바닥부에 거치시켜놓은 칫솔(1)이 자연 건조될 수 있으며, 컵(10)의 바닥부에 홈(GR)을 이용하여 칫솔(1)을 거치하여 칫솔(1)이 자연 건조됨으로 인하여 위생적으로 더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홈(GR)을 이용하여 칫솔(1) 이외에 욕실에서 사용하는 다른 물품도 컵(10)의 바닥부 위에 거치시킬 수도 있게 된다.In addition, the groove (GR) can be used to mount items such as the toothbrush (1), and if the toothbrush (1) is plac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bottom of the cup (10) using the groove (GR), the toothbrush (1) Since it is stably mounted without falling from the cup 10, it is convenient even when using a toothbrush (1), and the toothbrush (1) placed on the bottom of the cup (10) can be naturally dried, and the cup ( It is more preferable hygienically because the toothbrush 1 is naturally dried by mounting the toothbrush 1 using the groove GR at the bottom of 10). On the other hand, by using the groove (GR) it is possible to mount other items used in the bathroom other than the toothbrush (1) on the bottom of the cup (10).

이상,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에 대하여 상술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는 이러한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변경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것이다.In the above, specific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bove. However,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se specific embodiments,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are possible within the scope of not changing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Anyone who has it will understand.

따라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므로,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하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Therefore,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provided to completely inform the scope of the invention to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and should be understood as illustrative and non-limiting in all respects, The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10. 컵 20. 손잡이
22. 상부 연결부 24. 하부 연결부
26. 중간 연결부 30. 스탠딩 스템
32. 상부 스탠딩 스템 32A. 상부 스탠딩 콘택트편
34. 하부 스탠딩 스템 34A. 하부 스탠딩 콘택트편
40. 스탠딩 지지편 50. 캐릭터부
10. Cup 20. Handle
22. Upper connection 24. Lower connection
26. Intermediate connection 30. Standing stem
32. Upper standing stem 32A. Upper standing contact
34. Lower standing stem 34A. Lower standing contact
40. Standing support section 50. Character section

Claims (12)

상단부에 개방부가 구비된 컵(10);
상기 컵(10)에 구비된 손잡이(20);
상기 손잡이(20)에 구비된 스탠딩 스템(30);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쓰리 웨이 드라이컵.
A cup 10 provided with an opening at the upper end;
A handle 20 provided on the cup 10;
A three-way dry cup comprising: a standing stem (30) provided on the handle (2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20)의 일부는 상기 컵(10)의 상단부보다 더 위쪽으로 돌출되고, 상기 손잡이(20)에는 상부 스탠딩 스템(32)과 하부 스탠딩 스템(34)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쓰리 웨이 드라이컵.
The method of claim 1,
A part of the handle 20 protrudes higher than the upper end of the cup 10, and the handle 20 includes an upper standing stem 32 and a lower standing stem 34. Dry cup.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스탠딩 스템(32)과 상기 하부 스탠딩 스템(34)은 상기 손잡이(20)의 외측으로 돌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쓰리 웨이 드라이컵.
The method of claim 2,
The three-way dry cup, characterized in that the upper standing stem (32) and the lower standing stem (34) protrude to the outside of the handle (20).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20)의 상부에 상기 상부 스탠딩 스템(32) 두 개가 구비되고, 상기 손잡이(20)의 하부에 상기 하부 스탠딩 돌기가 두 개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쓰리 웨이 드라이컵.
The method of claim 3,
A three-way dry cup, characterized in that two upper standing stems (32) are provid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handle (20), and two lower standing protrusions are provided at a lower portion of the handle (20).
상단부에 개방부가 구비된 컵(10);
상기 컵(10)에 구비된 손잡이(20);
상기 손잡이(20)에 구비된 스탠딩 스템(30);
상기 컵(10)에 구비된 스탠딩 지지편(40);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쓰리 웨이 드라이컵.
A cup 10 provided with an opening at the upper end;
A handle 20 provided on the cup 10;
A standing stem 30 provided on the handle 20;
A three-way dry cup comprising: a standing support piece (40) provided in the cup (10).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컵(10)의 일측에는 손잡이(20)가 구비되고, 상기 스탠딩 지지편(40)은 상기 손잡이(20)의 맞은편에 배치되도록 상기 컵(10)의 타측에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쓰리 웨이 드라이컵.
The method of claim 5,
A handle 20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cup 10, and the standing support piece 40 is provided on the other side of the cup 10 so as to be disposed opposite the handle 20. Way Dry Cup.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20)에 구비된 스탠딩 스템(30)의 일부와 상기 스탠딩 지지편(40)의 일부는 상기 컵(10)의 상단부보다 더 위쪽으로 돌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쓰리 웨이 드라이컵.
The method of claim 6,
A three-way dry cup, characterized in that a portion of the standing stem (30) provided in the handle (20) and a portion of the standing support piece (40) protrude more upward than the upper end portion of the cup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스탠딩 지지편(40)은 상기 컵(10)의 타측에 적어도 두 개 이상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쓰리 웨이 드라이컵.
The method of claim 7,
The three-way dry cup, characterized in that at least two of the standing support pieces (40) are provided on the other side of the cup (10).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스탠딩 지지편(40)의 하단부는 상기 컵(10)의 상단부보다 더 아래에서 상기 컵(10)의 타측에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쓰리 웨이 드라이컵.
The method of claim 5,
A three-way dry cup, characterized in that the lower end of the standing support piece (40) is connected to the other side of the cup (10) further below the upper end of the cup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스탠딩 지지편(40)의 안쪽면은 상기 컵(10)의 외표면에서 일정 거리 이격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쓰리 웨이 드라이컵.
The method of claim 9,
Three-way dry cup, characterized in that the inner surface of the standing support piece (40) is configured to be spaced apar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cup (10).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스탠딩 지지편(40)은 상기 컵(10)의 타측에 적어도 두 개 이상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쓰리 웨이 드라이컵.
The method of claim 10,
The three-way dry cup, characterized in that at least two of the standing support pieces (40) are provided on the other side of the cup (10).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컵(10)의 일측에는 손잡이(20)가 구비되고, 상기 스탠딩 지지편(40)은 상기 손잡이(20)의 맞은편에 배치되도록 상기 컵(10)의 타측에 구비되고, 상기 손잡이(20)에 구비된 스탠딩 스템(30)의 일부와 상기 스탠딩 지지편(40)의 일부는 상기 컵(10)의 상단부보다 더 위쪽으로 돌출되며, 상기 컵(10)의 바닥부에는 오목홈(GR)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쓰리 웨이 드라이컵.
The method of claim 11,
A handle 20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cup 10, and the standing support piece 40 is provided on the other side of the cup 10 so as to be disposed opposite the handle 20, and the handle 20 A part of the standing stem 30 provided in) and a part of the standing support piece 40 protrude further upwards than the upper end of the cup 10, and a concave groove GR at the bottom of the cup 10 Three-way dry cup, characterized in that equipped with.
KR1020190111546A 2019-09-09 2019-09-09 Three way dry cup KR10225369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1546A KR102253699B1 (en) 2019-09-09 2019-09-09 Three way dry cup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1546A KR102253699B1 (en) 2019-09-09 2019-09-09 Three way dry cup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30066A true KR20210030066A (en) 2021-03-17
KR102253699B1 KR102253699B1 (en) 2021-05-18

Family

ID=752457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11546A KR102253699B1 (en) 2019-09-09 2019-09-09 Three way dry cup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53699B1 (en)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92768U (en) * 1989-01-04 1990-07-24
KR100827982B1 (en) 2007-04-11 2008-05-08 김덕영 A multipurpose cup
CN202408651U (en) * 2011-12-28 2012-09-05 上海齐升工业产品设计有限公司 Toothbrush cup
KR20130003393U (en) 2011-11-30 2013-06-10 이기원 Cup of Support
KR20160145932A (en) 2015-06-11 2016-12-21 김영범 A Mugs having a prevent function of a cup collapse
KR20190058862A (en) 2017-11-22 2019-05-30 윤기웅 swing mug cup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92768U (en) * 1989-01-04 1990-07-24
KR100827982B1 (en) 2007-04-11 2008-05-08 김덕영 A multipurpose cup
KR20130003393U (en) 2011-11-30 2013-06-10 이기원 Cup of Support
CN202408651U (en) * 2011-12-28 2012-09-05 上海齐升工业产品设计有限公司 Toothbrush cup
KR20160145932A (en) 2015-06-11 2016-12-21 김영범 A Mugs having a prevent function of a cup collapse
KR20190058862A (en) 2017-11-22 2019-05-30 윤기웅 swing mug cup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53699B1 (en) 2021-05-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D426630S (en) Combined ceiling fan and fan cage
USD544261S1 (en) Shelf fence
USD453488S1 (en) Table top container for plants, flowers, food and other articles
USD935577S1 (en) Infant bath tub
US3208597A (en) Hat and miscellaneous hanger
KR20080005164U (en) Stand type hanger
KR102253699B1 (en) Three way dry cup
USD611732S1 (en) Stackable table frame
CN206006568U (en) A kind of folding type show shelf
US2789873A (en) Knockdown stand construction
CA2211950C (en) Soap case
CN105832026B (en) A kind of cabinet for including suspension pendant
CN201767678U (en) Combined type clothes hanger
JP2006212176A (en) Bottle stand
CN206342158U (en) A kind of combined type bedroom cabinet
USD455480S1 (en) Leg
USD499507S1 (en) Lighting fixture support
USD453709S1 (en) Table top container for plants, flowers, food and other articles
CN204862870U (en) Bathroom can be assembled suspension type classification and put sundries
CN211919569U (en) Combined wine bottle
KR20190047276A (en) Button type fordable hanger
CN210314981U (en) Dirty clothes frame is accomodate to multi-functional resilience formula
USD499200S1 (en) Lighting fixture support
CN208339329U (en) A kind of removable multifunctional hat rack
CN207492692U (en) Prevent the cutter frame structure of rot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