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30036A - 밸브 상태 표시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가스절연개폐설비 - Google Patents

밸브 상태 표시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가스절연개폐설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30036A
KR20210030036A KR1020190111465A KR20190111465A KR20210030036A KR 20210030036 A KR20210030036 A KR 20210030036A KR 1020190111465 A KR1020190111465 A KR 1020190111465A KR 20190111465 A KR20190111465 A KR 20190111465A KR 20210030036 A KR20210030036 A KR 202100300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ve
shaft
status display
display device
fluid fl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114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31016B1 (ko
Inventor
김도훈
김민곤
박수상
Original Assignee
한국전력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력공사 filed Critical 한국전력공사
Priority to KR10201901114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31016B1/ko
Publication of KR202100300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300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310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310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7/00Special means in or on valves or other cut-off apparatus for indicating or recording operation thereof, or for enabling an alarm to be given
    • F16K37/0058Optical means, e.g. light transmission, observation por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44Mechanical actuating means
    • F16K31/52Mechanical actuating means with crank, eccentric, or cam
    • F16K31/524Mechanical actuating means with crank, eccentric, or cam with a ca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44Mechanical actuating means
    • F16K31/53Mechanical actuating means with toothed gea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7/00Special means in or on valves or other cut-off apparatus for indicating or recording operation thereof, or for enabling an alarm to be given
    • F16K37/0008Mechanical mea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3/00Arrangement of switchgear in which switches are enclosed in, or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casing, e.g. cubicle
    • H02B13/02Arrangement of switchgear in which switches are enclosed in, or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casing, e.g. cubicle with metal casing
    • H02B13/035Gas-insulated switchgear
    • H02B13/065Means for detecting or reacting to mechanical or electrical defec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Indication Of The Valve Opening Or Closing St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밸브 상태 표시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가스절연개폐설비에 관한 것으로, 유체흐름경로가 마련되는 밸브바디, 상단부에 장착되는 핸드휠의 회전에 따라 유체흐름경로를 개폐시키도록 밸브바디에 장착되는 밸브축, 밸브축의 회전량과 연동하여 유체흐름경로의 개폐상태를 표시하는 상태 표시 유닛을 포함하여 밸브의 유체흐름경로의 개방 또는 폐쇄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Description

밸브 상태 표시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가스절연개폐설비 {APPARATUS FOR NOTICING STATE OF VALVE AND GAS INSULATED SWITCHGEAR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은 밸브 상태 표시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가스절연개폐설비에 관한 것으로, 밸브의 유체흐름경로의 개방 또는 폐쇄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밸브 상태 표시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가스절연개폐설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스절연개폐설비(Gas Insulated Switchgear, GIS)는 고압의 절연가스를 철재 탱크에 봉입하여 절연을 유지하는 설비이며, 전력의 공급 및 차단기능을 수행한다.
가스절연개폐설비에는 절연 내력 확보를 위한 고압의 SF6 가스가 충진되어 있으며, 도 1에서 보이듯, SF6 가스의 이동 통로(10)에는 배기 및 충진을 위한 스톱밸브(20)가 설치된다. 따라서 가스절연개폐설비(1)의 점검, 증설 및 SF6 가스의 점검 시에는 작업자가 수동으로 이 스톱밸브(20)를 조작함으로써 SF6 가스의 배기 및 충진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스톱밸브(20)는 통상적으로 복수개가 마련되는데 가스절연개폐설비의 스톱밸브들 중에는 평상시에 닫혀 있어야만 하는 밸브가 있고, 평상시에 열려 있어야만 하는 밸브가 있다.
일예로, 가스절연개폐설비의 가스 이동 통로에는 가스의 회수구간이 있고 가스의 충전구간이 있는데 정상상태에서 가스회수구간의 스톱밸브는 열려 있어야 하고, 가스충전구간의 스톱밸브는 닫혀있어야 한다.
그런데 작업상의 어떠한 사유로 스톱밸브(20)의 이러한 개폐 상태가 유지되지 못하면 절연파괴가 되므로 밸브 상태 표시 장치를 통해 스톱밸브의 개폐 상태를 작업자에게 알려주는 것, 이를 통해 스톱밸브의 적정 개폐 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 문제라고 할 수 있다.
또한, 가스절연개폐설비의 사용환경이 옥외인 경우에는 외부 환경 요소에 의해 설비의 손상 또는 파손이 발생할 우려가 크기 때문에 이러한 경우에는 설비의 내구성 및 내후성에 관한 문제까지 추가적으로 고려하여야 한다.
뿐만 아니라, 가스절연개폐설비를 구축하거나 스톱밸브를 조작하는 작업자에게 있어서는 스톱밸브의 개폐 상태를 파악하는 것 이외에, 밸브 상태 표시 장치의 설치의 편의성도 매우 중요한 문제라고 할 수 있다.
한국 공개특허 제10-1996-0027116호 (1996.07.22)
본 발명은 전술한 배경에서 안출된 것으로, 종래에 밸브의 유체흐름경로의 개폐상태를 확인하는 기능이 없었던 문제를 해소하며, 밸브의 유로 개방 또는 폐쇄 여부를 확인할 수 있어 작업자의 착오조작을 방지할 수 있는 밸브 상태 표시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가스절연개폐설비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밸브의 유로 개방 또는 폐쇄 여부를 표시하는 장치의 수정작업을 할 수 있어 신뢰도가 향상되며, 작업자의 착오조작을 이중으로 체크할 수 있어 유체의 잘못된 흐름으로 인한 설비의 치명적 오류 및 관련 안전사고의 발생을 사전에 예방할 수 있는 밸브 상태 표시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가스절연개폐설비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내구성, 내후성, 구동의 안정성이 향상되어 작업자의 만족도를 높이며, 다규격의 밸브에 설치 가능하여 범용성이 있고, 설치 및 철거가 편리하여 조립 성능이 높은 밸브 상태 표시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가스절연개폐설비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여기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유체흐름경로가 마련되는 밸브바디, 상단부에 장착되는 핸드휠의 회전에 따라 유체흐름경로를 개폐시키도록 밸브바디에 장착되는 밸브축, 밸브축의 회전량과 연동하여 유체흐름경로의 개폐상태를 표시하는 상태 표시 유닛을 포함하는 밸브 상태 표시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밸브 상태 표시 장치는 밸브바디와 핸드휠 사이에 상태 표시 유닛이 장착될 간격을 마련하도록, 양단이 핸드휠과 밸브축에 결합되며 상태 표시 유닛이 장착되는 조립 샤프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상태 표시 유닛은, 밸브바디에 고정되고 핸드휠 측에 표시창이 마련된 케이스, 케이스의 내측에 구비되며 조립 샤프트와 연결되어 회전력이 전달되는 가이드판, 케이스와 가이드판 사이에 구비되고 가이드판이 회전함에 따라 조립 샤프트의 반경방향 외측으로 이동되며 유체흐름경로가 개방 또는 폐쇄 상태인 경우 표시창과 대응되는 위치에 위치되어 유체흐름경로의 개방 또는 폐쇄 상태를 표시하는 표시기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표시기는 가이드판과 마주보는 면에서 돌출되게 형성되고, 가이드판에 형성된 가이드홈에 삽입되어 이동되는 가이드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가이드홈은 원호 형상으로 형성된 제1가이드홈, 가이드판의 회전시 표시기를 조립 샤프트의 반경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제1가이드홈의 일측단에서 조립 샤프트의 원주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되 끝단으로 갈수록 조립 샤프트의 회전축으로부터 거리가 멀어지는 형상으로 형성된 제2가이드홈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케이스는 표시기와 마주보는 면에서 함몰되게 형성되며 표시기의 양측단을 지지하여 표시기가 삽입되어 이동되는 슬라이드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밸브 상태 표시 장치는 조립 샤프트와 가이드판 사이의 기어비를 조절하여 회전력을 전달하도록 조립 샤프트에 장착되는 구동 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구동 유닛은, 밸브바디에 고정되며 케이스와 장착되는 베이스, 케이스 내부에 구비되어 가이드판과 함께 조립 샤프트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며 링 형상으로 형성되어 내측면에 기어가 형성된 이너기어, 조립 샤프트의 외측면에 구비되는 선기어, 이너기어와 선기어에 맞물려 조립 샤프트의 회전력을 이너기어에 전달하는 중간기어를 포함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구동 유닛은 중공형상으로 형성되어 베이스의 중간기어의 축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 중간기어 지지홀에 삽입 장착되며, 내측에 중간기어의 축이 삽입되어 중간기어의 회전을 지지하는 지지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지지부재(440)는 일예로 무급유 부시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밸브 상태 표시 장치는 표시기가 표시창에 표시될 때 유체흐름경로의 개방 또는 폐쇄 상태에 해당하는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가 구비된 상태 전송 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상태 전송 유닛은, 이너기어의 베이스와 마주보는 면에서 돌출되게 형성된 캠돌기, 베이스에 장착되고 캠돌기에 지지되는 접점인출부가 구비된 스위치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표시기는 접점인출부가 캠돌기에 안착될 때 표시창에 표시되도록 작동될 수 있다.
그리고 조립 샤프트는, 밸브축의 단면이 사각 형상으로 형성된 상단부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함몰되게 형성되어 밸브축의 상단부가 삽입 체결되는 밸브축 삽입홈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조립 샤프트와 밸브축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핸드휠은 조립 샤프트의 단면이 사각 형상인 고정부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관통되게 형성되어 고정부에 삽입 체결되는 고정홀이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르면 유체흐름경로에 구비되어 밸브축을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 완료함으로써 유체흐름경로의 개방 또는 폐쇄 세팅이 완료되는 스톱밸브, 개방 또는 폐쇄 세팅이 완료된 스톱밸브의 밸브축에 연결되는 상기의 밸브 상태 표시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절연개폐설비가 제공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상태 표시 유닛이 구비되어 종래에 밸브의 유체흐름경로의 개폐상태를 확인하는 기능이 없었던 문제를 해소하며, 밸브의 유로 개방 또는 폐쇄 여부를 확인할 수 있으며, 시인성이 높아 작업자의 착오조작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태 전송 유닛이 구비되어 상태 표시 유닛의 수정작업을 할 수 있어 신뢰도가 향상되며, 작업자의 착오조작을 이중으로 체크할 수 있어 유체의 잘못된 흐름으로 인한 설비의 치명적 오류 및 관련 안전사고의 발생을 사전에 확실하게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내구성, 내후성, 구동의 안정성이 향상되어 작업자의 만족도를 높이며, 다규격의 밸브에 설치 가능하여 범용성이 있고, 설치 및 철거가 편리하여 조립 성능이 높아지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가스절연개폐설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밸브 상태 표시 장치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밸브 상태 표시 장치의 적용예를 보여주는 평면도,
도 4는 도 3의 분해사시도,
도 5 및 도 6은 도 2의 일부 부품을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밸브 상태 표시 장치의 케이스 안쪽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밸브 상태 표시 장치의 가이드판의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밸브 상태 표시 장치의 상태 표시 유닛의 작동을 보여주는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밸브 상태 표시 장치의 표시기의 작동을 보여주는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밸브 상태 표시 장치의 구동 유닛의 결합구조를 보여주는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밸브 상태 표시 장치의 상태 전송 유닛의 장착구조를 보여주는 도면,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밸브 상태 표시 장치의 상태 전송 유닛의 작동을 보여주는 도면,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가스절연개폐설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밸브 상태 표시 장치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밸브 상태 표시 장치의 적용예를 보여주는 평면도, 도 4는 도 2의 분해사시도, 도 5 및 도 6은 도 2의 일부 부품을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밸브 상태 표시 장치의 케이스 안쪽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밸브 상태 표시 장치의 가이드판의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밸브 상태 표시 장치의 상태 표시 유닛의 작동을 보여주는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밸브 상태 표시 장치의 표시기의 작동을 보여주는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밸브 상태 표시 장치의 구동 유닛의 결합구조를 보여주는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밸브 상태 표시 장치의 상태 전송 유닛의 장착구조를 보여주는 도면,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밸브 상태 표시 장치의 상태 전송 유닛의 작동을 보여주는 도면,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가스절연개폐설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밸브 상태 표시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가스절연개폐설비는 유체흐름경로가 마련되는 밸브바디(100), 상단부에 장착되는 핸드휠(120)의 회전에 따라 유체흐름경로를 개폐시키도록 밸브바디(100)에 장착되는 밸브축(110), 밸브축(110)의 회전량과 연동하여 유체흐름경로의 개폐상태를 표시하는 상태 표시 유닛(30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후술할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있어서,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방향은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수직부(102)의 수평부(101) 측은 하측 방향으로, 수직부(102)의 핸드휠(120) 측은 상측 방향으로 지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유체흐름경로는 일예로 가스절연개폐설비에서 사용되는 SF6가스가 흐르는 통로가 될 수 있고, 유체흐름경로에 구비되는 밸브는 릴리프 밸브 또는 버터플라이 밸브가 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밸브 상태 표시 장치가 가스절연개폐설비에 적용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나, 본 발명에 따른 밸브 상태 표시 장치는 가스절연개폐설비 이외의 다른 설비에도 적용될 수 있다.
작업자는 내부에 SF6가스가 흐르는 유체흐름경로의 세팅, 점검 등을 마치고 유체흐름경로에 설치된 밸브를 통해 유체흐름경로 내부의 유동을 제어한다.
가스절연개폐설비에는 다수의 유체흐름경로 및 밸브가 존재하며, 평상시에 닫혀 있어야만 하는 상시닫힘 밸브가 있으며, 평상시에 열려 있어야만 하는 상시열림 밸브가 있다.
일예로, 가스회수구간의 유체흐름경로의 밸브는 항상 열림으로 세팅되야 하므로 상시열림 밸브로 구비되고, 가스충전구간의 유체흐름경로의 밸브는 항상 닫힘으로 세팅되야 하므로 상시닫힘 밸브로 구비되어 각 유체흐름경로의 절연을 유지한다.
즉, 유체흐름경로가 가스충전구간의 유체흐름경로라고 한다면 여기에 설치된 밸브는 상시닫힘 밸브로 구비되어야 하며, 밸브축(110)은 유체흐름경로가 폐쇄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방향으로 회전 완료된 상태여야 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아래에서는 상시닫힘 밸브를 기준으로 하여 설명한다.
밸브는 몸체를 이루는 밸브바디(100)와, 핸드휠(120)의 회전력을 전달하여 유체흐름경로를 개폐시키는 밸브축(110)으로 구성된다.
밸브바디(100)는 유체흐름경로에 구비되는 수평부(101)와, 수평부(101)로부터 수직하게 분기되어 형성되며 내측에 밸브축(110)이 장착되는 수직부(102)로 구성된다.
밸브축(110)은 상단부에 핸드휠(120)이 장착되며, 핸드휠(120)의 회전에 따라 유체흐름경로를 개폐시키도록 구비된다.
이때, 작업자는 밸브 내부 또는 유체흐름경로의 상태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없어서, 밸브축(110)의 회전량과 연동하여 유체흐름경로의 개폐상태를 표시하는 상태 표시 유닛(300)이 구비된다.
상태 표시 유닛(300)은 핸드휠(120)과 밸브바디(100) 사이의 밸브축(110)에 장착될 수 있으며, 핸드휠(120)과 밸브바디(100) 사이의 간격이 좁아 설치가 어려운 경우, 핸드휠(120)과 밸브축(110)에 결합되는 조립 샤프트(20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조립 샤프트(200)는 상태 표시 유닛(300)이 장착되어 하단부에 밸브축(110)이 삽입 체결되어 함께 회전하고 상단부에 핸드휠(120)이 장착된다.
이러한 조립 샤프트(200)는 밸브바디(100)와 핸드휠(120) 사이에 상태 표시 유닛(300)이 장착될 간격을 마련한다.
여기서, 상태 표시 유닛(300)은 구체적으로는 밸브바디(100)에 장착되고, 상태 표시 유닛(300)의 내부에 구비되는 가이드판(320)이 밸브축(110)에 연결되어 회전되는 구조이다.
이러한 상태 표시 유닛(300)은 상시닫힘 밸브와 상시열림 밸브의 외관 색상을 다르게 하여 작업자가 손쉽게 분별할 수 있도록 구비된다.
일예로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도 3의 (a)에 도시된 상시닫힘 밸브는 외관이 적색으로 마련되며 글자는 청색으로 음각되어 마련될 수 있고, 도 3의 (b)에 도시된 상시열림 밸브는 외관이 청색으로 마련되며 글자는 적색으로 음각되어 마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시닫힘 밸브와 상시열림 밸브를 쉽게 분별하며, 밸브 내부의 유체흐름경로의 개폐상태를 쉽게 확인할 수 있어 현장 작업자의 시인성을 향상시킨다.
또한, 조립 샤프트(200)의 핸드휠(120)이 장착되는 외측면에는 단면이 사각 형상인 고정부(220)가 마련되고, 핸드휠(120)의 중앙부에는 고정부(220)와 대응되는 사각 형상의 고정홀(121)이 마련된다.
이와 같이 핸드휠(120)이 조립 샤프트(200)의 고정부(220)에 삽입 체결됨에 따라 핸드휠(120)과 조립 샤프트(200) 사이의 회전이 방지된다.
그리고, 핸드휠(120)의 하측면은 고정부(220)와 조립 샤프트(200)의 외측면 사이의 단차면에 지지되고, 핸드휠(120)의 상측면은 조립 샤프트(200)에 체결되는 너트부재(201)로 지지되어 체결된다.
너트부재(201)는 조립 샤프트(200)의 상단부에 나사산 형태로 마련되는 나사부(230)에 체결되는 구조로, 핸드휠(120)의 축방향 이동을 방지하기 위해 핸드휠(120)의 상측면을 지지한다.
이어서, 조립 샤프트(200)에 밸브축(110)이 삽입 체결되도록, 밸브축(110)의 상단부 단면은 사각 형상으로 형성되며, 조립 샤프트(200)의 하단부에 밸브축(110)의 상단부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함몰되게 형성되어 밸브축(110)의 상단부가 삽입 체결되는 밸브축 삽입홈(210)이 마련된다.
이와 같이 밸브축 삽입홈(210)에 밸브축(110)의 상단부를 삽이 삽입 체결시켜 조립 샤프트(200)와 밸브축(110)을 간단하게 조립할 수 있어 작업자의 만족도를 높이며, 조립 샤프트(200)와 밸브축(110) 사이가 회전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조립 샤프트(200)는 밸브축(110)과 일체로 구비될 수 있으며, 밸브축(110)의 상단부에서 연장 형성되어 조립 샤프트(200)와 밸브축(110)이 일체로 마련될 수도 있다.
조립 샤프트(200)가 별도로 마련되어 밸브축(110)이 밸브축 삽입홈(210)에 삽입 체결되는 구조는 기존에 설치되어 있는 밸브 또는 다양한 규격의 밸브에 조립 샤프트(200)를 체결함에 따라 상태 표시 유닛(300)을 용이하게 설치하거나 탈거할 수 있어 편리하고, 조립 샤프트(200)가 밸브축(110)과 일체로 구비되는 구조는 부품 수를 절감할 수 있어 효과적이다.
이어서, 본 발명에 따른 상태 표시 유닛(300)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태 표시 유닛(300)은 작업자가 핸드휠(120)을 회전시켜 유체흐름경로가 폐쇄되는 경우 핸드휠(120)과 마주보는 면에 닫힘 표시가 표시되도록, 상태 표시 유닛(300)을 밸브바디(100)에 장착시키는 베이스(410), 닫힘 표시가 그려진 표시기(330), 표시기(330)를 이동시키는 가이드판(320), 표시창(312)이 마련된 케이스(31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베이스(410)는 원판 형상으로 형성되며 조립 샤프트(200)가 관통하여 삽입되는 삽입홀(411)이 형성되고, 밸브바디(100) 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밸브바디(100)의 수직부(102)가 삽입되는 원통 형상의 삽입보스(412)가 구비된다.
삽입홀(411)은 밸브바디(100)의 수직부(102)의 상측단에서 단차지며 상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돌출부(103)가 삽입되며, 베이스(410)와 밸브바디(100) 사이의 조립을 지지한다.
삽입보스(412)는 내측면이 테이퍼 형상으로 형성됨에 따라 상태 표시 유닛(300)이 다규격의 밸브에 범용으로 조립될 수 있게 하며, 현장 조립 및 탈거의 편리성을 높인다.
그리고, 삽입보스(412)에는 원주방향으로 복수 위치에 체결되어 밸브바디(100)의 수직부(102)의 외측면에 압력을 가하는 핀 또는 체결 볼트 등이 구비될 수 있으며, 삽입보스(412)와 밸브바디(100)의 수직부(102) 사이의 조립 성능을 높이면서 밸브의 밀봉 성능을 유지한다.
표시기(330)는 표시창(312)의 크기보다 큰 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케이스(310)와 가이드판(320) 사이에 구비되며, 표시창(312)에 드러나는 면에는 닫힘 또는 열림을 의미하는 글자가 표시되거나 음각되어 있다.
일예로, 상시닫힘 밸브의 경우는 닫힘이라는 글자가 표시될 수 있으며, 상시열림 밸브의 경우는 열림이라는 글자가 표시될 수 있다.
그리고, 표시기(330)는 가이드판(320)이 회전함에 따라 조립 샤프트(200)의 반경방향으로 이동되며 유체흐름경로가 폐쇄 상태인 경우 표시창(312)과 대응되는 위치에 위치된다.
반면, 상시열림 밸브의 경우, 표시기(330)는 유체흐름경로가 개방되도록 핸드휠(120)이 회전하면 조립 샤프트(200)의 반경방향 외측으로 이동하여 표시창(312)에 열림 표시가 그려진 표시기(330)가 위치되어 표시된다.
가이드판(320)은 원판 형상으로 형성되며, 중앙에 조립 샤프트(200)가 관통하는 관통홀(301)이 구비된다.
이러한 가이드판(320)은 조립 샤프트(200)와 연결되어 회전력이 전달되며, 회전함에 따라 표시기(330)를 조립 샤프트(200)의 반경방향 외측 또는 조립 샤프트(200)의 반경방향 내측으로의 이동을 가이드한다.
케이스(310)는 내측에 표시기(330)와 가이드판(320)이 구비되도록 형성되며, 베이스(410)와 볼트 또는 핀 등의 체결부재(401)로 결합되어 밸브바디(100)에 고정된다. 이때, 베이스(410)에는 체결부재(401)가 관통하는 체결홀(413)이 형성되고, 체결부재(401)는 체결홀(413)에 삽입되어 케이스(310)에 나사 체결되거나 삽입 체결된다.
즉, 케이스(310)는 원통의 함체 형상으로 형성되되 핸드휠(120) 반대측이 개구되어 있어 내장되는 부품들이 조립되며, 케이스(310)의 개구된 부분을 베이스(410)가 덮도록 체결되어 케이스(310)의 조립을 완료하며 내장되는 부품들의 위치를 지지한다.
또한, 케이스(310)는 조립 샤프트(200)가 관통하는 통과홀(311)이 형성되며, 핸드휠(120)과 마주보는 면에 표시창(312)이 마련되어 유체흐름경로가 폐쇄 상태인 경우에만 표시창(312)을 통해 표시기(330)가 표시된다.
또한, 케이스(310)는 밸브가 상시닫힘 밸브 인지 상시열림 밸브 인지를 쉽게 분별하기 위해 적색 또는 청색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시닫힘 밸브의 경우 케이스(310)와 표시기(330)가 적색으로 형성되고 상시열림 밸브의 경우 케이스(310)와 표시기(330)가 청색으로 형성된다.
또한, 케이스(310)와 표시기(330)는 옥외 및 주변 현장여건을 반영하여 자외선 및 녹 발생 등에 의한 경려 변화 및 환경변화에 따른 탈색이나 손괴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고온 열처리 및 급속냉각의 원리로 후처리 되어 내구성 및 내후성을 확보하고 기계적 탄성계수를 보강한 재질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케이스(310)와 표시기(330)는 강도, 내열성, 내약품성 등이 높으며, 안정적인 조립과 내후성을 확보할 수 있으며, 시인성을 높여 케이스(310)와 표시기(330)의 글자가 지워지거나 흐려지거나 변형되는 것을 방지한다.
그리고 표시창(312)은 작업자가 핸드휠(120)을 회전시킬 때 쉽게 확인할 수 있어야 하므로, 케이스(310)의 외경은 핸드휠(120)의 외경보다 크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표시창(312)이 핸드휠(120)의 끝단 보다 조립 샤프트(200)의 반경방향 외측에 위치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핸드휠(120)의 회전방향 및 회전량에 따라 표시기(330)가 조립 샤프트(200)의 반경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표시기(330)에 가이드돌기(331)가 형성되고, 가이드판(320)에 가이드홈(321)이 형성되며, 케이스(310)에 슬라이드홈(313)이 형성된다.
가이드돌기(331)는 표시기(330)의 가이드판(320)과 마주보는 면에서 돌출되게 형성되며 가이드홈(321)에 삽입되어 이동된다.
가이드홈(321)은 가이드판(320)에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되 가이드판(320)이 유체흐름경로를 폐쇄시키는 방향으로 회전할수록 조립 샤프트(200)의 회전축에서 멀어지도록 형성된다.
도 7의 도시된 케이스(310)의 안쪽 형상을 참조하면, 슬라이드홈(313)은 케이스(310)의 표시기(330)와 마주보는 면에서 함몰되게 형성되며 표시기(330)의 양측단을 지지함에 따라 표시기(330)가 삽입되어 이동된다.
이때, 표시기(330)는 슬라이드홈(313)에 지지되어 직선 왕복이동 되도록, 양측면이 평행한 평면으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슬라이드홈(313)의 표시기(330)의 양측면과 마주보는 면도 표시기(330)와 대응되는 평면으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표시기(330)는 양측면이 슬라이드홈(313)의 양쪽 내측면에 지지되어 조립 샤프트(200)의 반경방향으로만 이동되도록 가이드된다.
일예로 유체흐름경로가 폐쇄되도록 핸드휠(120)이 회전하는 경우, 조립 샤프트(200)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가이드판(320)이 회전하고, 가이드홈(321)의 가이드돌기(331)가 삽입된 지점에서 조립 샤프트(200)의 회전축까지의 거리가 점점 멀어지면서 표시기(330)가 조립 샤프트(200)의 반경방향 외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유체흐름경로를 폐쇄시키기 위한 핸드휠(120)의 회전이 완료되면 표시기(330)는 표시창(312)에 표시된다.
반대로 유체흐름경로가 개방되도록 핸드휠(120)이 회전하는 경우, 조립 샤프트(200)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가이드판(320)이 회전하고, 가이드홈(321)의 가이드돌기(331)가 삽입된 지점에서 조립 샤프트(200)의 회전축까지의 거리가 점점 가까워지면서 표시기(330)가 조립 샤프트(200)의 반경방향 내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유체흐름경로를 개방시키기 위한 핸드휠(120)의 회전이 완료되면 표시기(330)는 케이스(310)에 가려지게 된다.
또한, 도 8을 참조하여 가이드홈(321)의 형상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가이드홈(321)은 표시기(330)의 위치를 유지하는 제1가이드홈(322)과, 표시기(330)를 조립 샤프트(200)의 반경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2가이드홈(323)으로 구성된다.
제1가이드홈(322)은 반지름이 일정한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어 표시기(330)의 위치를 유지시킴에 따라 표시기(330)가 안정적으로 작동된다.
제2가이드홈(323)은 제1가이드홈(322)의 일측단에서 조립 샤프트(200)의 원주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되 끝단으로 갈수록 조립 샤프트(200)의 회전축으로부터 거리가 멀어지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가이드판(320)의 회전시 표시기(330)를 조립 샤프트(200)의 반경방향으로 이동시킨다.
그리고, 제2가이드홈(323)의 끝단에는 반지름이 일정한 원호 형상의 연장홈(324)이 연장되어 형성되며, 연장홈(324)은 표시기(330)가 조립 샤프트(200)의 반경방향 외측으로 이동 완료된 후 표시기(330)의 위치를 유지시켜, 표시기(330)가 정확하게 표시되게 하며, 운전자가 유체흐름경로의 상태를 정확하게 인지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가이드돌기(331)가 제2가이드홈(323)의 끝단에 지지되어 정지되지 않도록 연장홈(324)이 구비되는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가이드돌기(331)가 제2가이드홈(323)의 끝단을 지지함에 따라 가이드판(320)이 회전할 수 없게 되고 조립 샤프트(200)도 회전할 수 없게 되어 유체흐름경로의 적정 폐쇄상태를 유지할 수 없는 문제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제2가이드홈(323)의 끝단에 연장홈(324)이 마련된다.
이러한 가이드홈(321)과 슬라이드홈(313)에 가이드되어 이동하는 표시기(330)의 작동 구조를 상세하게 살펴보기 위해 케이스(310)에 상태 표시 유닛(300)과 작동 유닛이 장착된 상태의 배면도에서 작동구조를 보여주는 도 9과 밸브 개폐 표시 장치의 평면도에서 작동구조를 보여주는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9의 (a)와 도 10의 (a)는 가이드돌기(331)가 제1가이드홈(322)에 삽입되어 이동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표시기(330)의 위치는 변하지 않고 작업자가 바라봤을 때 표시기(330)가 케이스(310)에 가려져 표시창(312)이 빈 공간으로 보이게 된다.
여기서 조립 샤프트(200)가 회전하면 도 9의 (b)와 도 10의 (b)처럼 가이드돌기(331)가 제2가이드홈(323)으로 이동되고, 표시기(330)의 위치는 조립 샤프트(200)의 반경방향 외측으로 소정거리 이동하여 작업자가 바라봤을 때 표시기(330)의 일부가 표시창(312)에 표시되어 표시기(330)의 일부분만 보이게 된다.
여기서 조립 샤프트(200)가 회전 완료되어 밸브의 유체흐름경로의 상태가 개방 또는 폐쇄된 경우, 도 9의 (c)와 도 10의 (c)는 가이드돌기(331)가 제2가이드홈(323)의 끝단으로 이동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표시기(330)의 위치는 조립 샤프트(200)의 반경방향 외측으로 더 이동하여 작업자가 바라봤을 때 표시기(330)의 글자가 표시창(312)에 전부 보이게 된다.
만약, 가이드돌기(331)가 제2가이드홈(323)의 끝단으로 이동된 상태지만 조립 샤프트(200)가 더 회전해야 하는 경우에는 가이드돌기(331)가 연장홈(324)으로 이동될 수 있으며, 작업자가 바라봤을 때는 도 10의 (c)의 상태로 보이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밸브 개폐 표시 장치는, 상태 표시 유닛(300)의 가이드판(320)과 조립 샤프트(200) 사이에서 회전력을 전달하는 구동 유닛(400)이 구비된다.
도 1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구동 유닛(400)은 가이드판(320)과 조립 샤프트(200) 사이의 기어비를 조절하기 위해 구비되어 상태 표시 유닛(300)의 전체적인 부피가 커지는 것을 방지한다.
구동 유닛(400)은 가이드판(320)에 장착되는 이너기어(420), 조립 샤프트(200)의 외측면에 구비된 선기어(240), 이너기어(420)와 선기어(240) 사이에 맞물리는 중간기어(430)를 포함한다.
이너기어(420)는 내측면에 기어가 형성된 링 형상으로 마련되고, 케이스(310) 내부에서 가이드판(320)과 함께 조립 샤프트(200)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한다.
이너기어(420)와 가이드판(320)은 일체로 형성되거나, 별도 부재 또는 별도 구조로 체결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중간기어(430)는 이너기어(420)와 선기어(240)에 맞물려 조립 샤프트(200)의 회전력을 이너기어(420)에 전달하며, 한 개 또는 두 개 이상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중간기어(430)는 축(431)이 베이스(410)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어 장착되며, 베이스(410)에는 중간기어(430)의 축(431)과 대응되는 위치에 중간기어 지지홀(414)이 형성된다.
그리고, 중간기어 지지홀(414)에 장착되어 중간기어(430)의 축(431)을 회전 지지하는 중공 형상의 지지부재(440)가 더 구비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밸브 상태 표시 장치는 유체흐름경로의 개폐 상태를 시각적인 표시뿐만 아니라 전기적인 표시를 통해 이중으로 확인하며, 상태 표시 유닛(300)의 오조작을 예방하며, 수정 작업이 가능하도록 상태 전송 유닛(500)이 더 구비된다.
도 12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태 전송 유닛(500)은 표시기(330)가 표시창(312)에 표시될 때 유체흐름경로의 개방 또는 폐쇄 상태에 해당하는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가 구비된다.
제어부는 유체흐름경로의 개방 또는 폐쇄 상태를 원격 제어시스템으로 전송할 수 있으며, 원격 제어시스템은 일예로, 가스절연개폐 설비실에서 확인 가능한 SCADA (Supervisory Control and Data Acquisition)일 수 있다.
상태 전송 유닛(500)은 전기적 접점을 인출하여 유체흐름경로의 개방 또는 폐쇄 상태를 확인하는 것으로, 이너기어(420)에 구비되는 캠돌기(421), 베이스(410)에 장착되는 스위치부(510)로 구성된다.
캠돌기(421)는 이너기어(420)의 하측면인, 베이스(410)와 마주보는 면에서 돌출되게 형성된다.
또한, 캠돌기(421)는 조립 샤프트(200)의 원주방향 양측이 이너기어(420)의 하측면과 연결되는 경사면으로 형성되거나 곡면으로 형성되어 후술할 접점인출부(511)의 이동시 걸림이 없어 작업자가 핸드휠(120)을 회전시킬 때 저항력을 주지 않게 된다. 즉, 작업자가 핸드휠(120)을 용이하게 회전시킬 수 있게 된다.
스위치부(510)는 베이스(410)에 장착되고, 이너기어(420)의 하측면 또는 캠돌기(421)와 접촉되는 접점인출부(511)가 구비된다.
일예로 접점인출부(511)는 이너기어(420)의 하측면에 접촉되는 단부에 회전 가능한 바퀴로 구비되어 이너기어(420)의 하측면과 구름 마찰될 수 있으며, 접점인출부(511)와 스위치 사이에는 압축스프링이 마련되어 접점인출부(511)가 이너기어(420)의 하측면 측으로 탄성지지될 수 있다.
그리고, 스위치부(510)는 리미트 스위치 등으로 마련될 수 있으며, 접점인출부(511)가 압축스프링을 압축시키며 캠돌기(421)의 경사면을 따라 이동하여 캠돌기(421)를 지지하면, 접점인출부(511)의 이너기어(420)를 지지하는 단부의 반대측 단부가 스위치부(510)를 조작하여 신호를 인출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베이스(410)에는 삽입보스(412)의 일측면에 구비되는 판형상의 스위치 장착부(415)가 마련되고, 스위치부(510)에 형성된 장착홀(512)에 삽입되어 스위치 장착부(415)에 체결되는 장착부재(501)를 매개로 스위치부(510)가 스위치 장착부(415)에 장착된다.
또한, 베이스(410)는 스위치 장착부(415)의 삽입보스(412) 반대측과 인접한 위치에 접점인출부(511)가 관통하여 이너기어(420) 측으로 돌출되기 위한 접점인출부 관통홀(416)이 형성된다.
그리고 접점인출부(511)는 접점인출부 관통홀(416)을 통해 이너기어(420) 측으로 돌출되어 이너기어(420)의 하측면 중 이너기어(420)와 캠돌기(421) 사이의 거리를 반경으로 하는 원주상에서 이너기어(420)의 하측면을 지지한다.
또한, 캠돌기(421)는 이너기어(420)에 구비되어 이너기어(420)와 함께 회전하며 스위치부(510)는 베이스(410)에 장착되어 정지상태를 유지함에 따라, 도 13의 (a)와 같이 접점인출부(511)가 이너기어(420)의 하측면을 지지할 때는 제어부가 제1신호를 인출하며, 도 13의 (b)와 같이 이너기어(420)가 회전하여 접점인출부(511)가 캠돌기(421)를 지지할 때는 제어부가 제2신호를 인출한다.
그리고, 상시닫힘 밸브의 경우, 제1신호는 유체흐름경로의 개방 상태에 해당하는 신호로 표시기(330)가 표시창(312)에 표시되지 않거나 표시기(330)의 일부분만 보이며, 비정상적인 상태를 의미한다.
제2신호는 유체흐름경로의 폐쇄 상태에 해당하는 신호로 표시기(330)가 표시창(312)에 표시되며, 정상 상태를 의미한다.
이에 따라 상태 표시 유닛(300)에서 표시기(330)가 표시창(312)에 표시될 때 상태 전송 유닛(500)에서 접점인출부(511)가 캠돌기(421)를 지지하여 제어부로부터 유체흐름경로의 닫힘 상태에 해당하는 제2신호가 인출되는 지를 확인함에 따라, 상태 표시 유닛(300)을 조립할 때 또는 상태 표시 유닛(300)이 정상 작동하도록 수정작업을 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태 표시 유닛(300)뿐만 아니라 상태 전송 유닛(500)으로도 유체흐름경로의 개폐 상태를 확인할 수 있어서, 작업자의 착오조작을 이중으로 체크하여 유체의 잘못된 흐름으로 인한 설비의 치명적 오류 및 관련 안전사고의 발생을 사전에 확실하게 예방한다.
한편, 다른 측면으로서의 본 발명은 도 13에서 보이듯,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밸브 상태 표시 장치를 구비하는 가스절연개폐설비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가스절연개폐설비는 유체흐름경로에 구비되어 밸브축(110)을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 완료함으로써 유체흐름경로를 개방 또는 폐쇄 세팅 완료하는 스톱밸브, 밸브축(110)에 연결되어 유체흐름경로의 개방 또는 폐쇄 상태를 표시하는 상태 표시 유닛(3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이러한 밸브축(110)은, 본 발명에 따른 밸브 상태 표시 장치의 조립 샤프트(200)의 밸브축 삽입홈(210)에 삽입 체결되거나, 일체로 구비되어 밸브 상태 표시 장치와 연동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방법으로 밸브 상태 표시 장치의 세팅을 완료하여 밸브의 밸브축(110)의 상태, 즉, 유체흐름경로의 개방 또는 폐쇄 여부를 작업자에게 전달한다.
이러한 형상과 구조를 갖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상태 표시 유닛이 구비되어 종래에 밸브의 유체흐름경로의 개폐상태를 확인하는 기능이 없었던 문제를 해소하며, 밸브의 유로 개방 또는 폐쇄 여부를 확인할 수 있으며, 시인성이 높아 작업자의 착오조작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태 전송 유닛이 구비되어 상태 표시 유닛의 수정작업을 할 수 있어 신뢰도가 향상되며, 작업자의 착오조작을 이중으로 체크할 수 있어 유체의 잘못된 흐름으로 인한 설비의 치명적 오류 및 관련 안전사고의 발생을 사전에 확실하게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내구성, 내후성, 구동의 안정성이 향상되어 작업자의 만족도를 높이며, 다규격의 밸브에 설치 가능하여 범용성이 있고, 설치 및 철거가 편리하여 조립 성능이 높아지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되거나 결합되어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밸브바디 110: 밸브축
120: 핸드휠 200: 조립 샤프트
210: 밸브축 삽입홈 220: 고정부
230: 나사부 240: 선기어
300: 상태 표시 유닛 310: 케이스
312: 표시창 313: 슬라이드홈
320: 가이드판 321: 가이드홈
322: 제1가이드홈 323: 제2가이드홈
324: 연장홈 330: 표시기
331: 가이드돌기 400: 구동 유닛
410: 베이스 412: 삽입보스
415: 스위치 장착부 420: 이너기어
421: 캠돌기 430: 중간기어
440: 지지부재 500: 상태 전송 유닛
510: 스위치부 511: 접점인출부

Claims (16)

  1. 유체흐름경로가 마련되는 밸브바디;
    상단부에 장착되는 핸드휠의 회전에 따라 상기 유체흐름경로를 개폐시키도록 상기 밸브바디에 장착되는 밸브축; 및
    상기 밸브축의 회전량과 연동하여 상기 유체흐름경로의 개폐상태를 표시하는 상태 표시 유닛;
    을 포함하는 밸브 상태 표시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바디와 핸드휠 사이에 상기 상태 표시 유닛이 장착될 간격을 마련하도록, 양단이 상기 핸드휠과 밸브축에 결합되며 상기 상태 표시 유닛이 장착되는 조립 샤프트;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 상태 표시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상태 표시 유닛은,
    상기 밸브바디에 고정되고, 상기 핸드휠 측에 표시창이 마련된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내측에 구비되며, 상기 조립 샤프트와 연결되어 회전력이 전달되는 가이드판; 및
    상기 케이스와 가이드판 사이에 구비되고, 상기 가이드판이 회전함에 따라 상기 조립 샤프트의 반경방향 외측으로 이동되며 상기 유체흐름경로가 개방 또는 폐쇄 상태인 경우 상기 표시창과 대응되는 위치에 위치되어 상기 유체흐름경로의 개방 또는 폐쇄 상태를 표시하는 표시기;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 상태 표시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기는,
    상기 가이드판과 마주보는 면에서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판에 형성된 가이드홈에 삽입되어 이동되는 가이드돌기;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 상태 표시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홈은,
    원호 형상으로 형성된 제1가이드홈; 및
    상기 가이드판의 회전시 상기 표시기를 상기 조립 샤프트의 반경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상기 제1가이드홈의 일측단에서 상기 조립 샤프트의 원주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되 끝단으로 갈수록 상기 조립 샤프트의 회전축으로부터 거리가 멀어지는 형상으로 형성된 제2가이드홈;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 상태 표시 장치.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상기 표시기와 마주보는 면에서 함몰되게 형성되며 상기 표시기의 양측단을 지지하여 상기 표시기가 삽입되어 이동되는 슬라이드홈;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 상태 표시 장치.
  7.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조립 샤프트와 가이드판 사이의 기어비를 조절하여 회전력을 전달하도록, 상기 조립 샤프트에 장착되는 구동 유닛;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 상태 표시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유닛은,
    상기 밸브바디에 고정되며 상기 케이스와 장착되는 베이스;
    상기 케이스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가이드판과 함께 상기 조립 샤프트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며, 링 형상으로 형성되어 내측면에 기어가 형성된 이너기어;
    상기 조립 샤프트의 외측면에 구비되는 선기어; 및
    상기 이너기어와 선기어에 맞물려 상기 조립 샤프트의 회전력을 상기 이너기어에 전달하는 중간기어;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 상태 표시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유닛은,
    중공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베이스의 상기 중간기어의 축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 중간기어 지지홀에 삽입 장착되며, 내측에 상기 중간기어의 축이 삽입되어 상기 중간기어의 회전을 지지하는 지지부재;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 상태 표시 장치.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기가 표시창에 표시될 때 상기 유체흐름경로의 개방 또는 폐쇄 상태에 해당하는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가 구비된 상태 전송 유닛;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 상태 표시 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상태 전송 유닛은,
    상기 이너기어의 상기 베이스와 마주보는 면에서 돌출되게 형성된 캠돌기; 및
    상기 베이스에 장착되고, 상기 캠돌기에 지지되는 접점인출부가 구비된 스위치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 상태 표시 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기는 상기 접점인출부가 상기 캠돌기에 안착될 때 상기 표시창에 표시되도록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 상태 표시 장치.
  1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조립 샤프트는, 상기 밸브축의 단면이 사각 형상으로 형성된 상단부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함몰되게 형성되어 상기 밸브축의 상단부가 삽입 체결되는 밸브축 삽입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 상태 표시 장치.
  1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조립 샤프트와 밸브축은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 상태 표시 장치.
  1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핸드휠은 상기 조립 샤프트의 단면이 사각 형상인 고정부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관통되게 형성되어 상기 고정부에 삽입 체결되는 고정홀이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 상태 표시 장치.
  16. 유체흐름경로에 구비되어 밸브축을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 완료함으로써 상기 유체흐름경로의 개방 또는 폐쇄 세팅이 완료되는 스톱밸브; 및
    개방 또는 폐쇄 세팅이 완료된 상기 스톱밸브의 상기 밸브축에 연결되는 제1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의 밸브 상태 표시 장치;
    를 포함하는 가스절연개폐설비.
KR1020190111465A 2019-09-09 2019-09-09 밸브 상태 표시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가스절연개폐설비 KR1026310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1465A KR102631016B1 (ko) 2019-09-09 2019-09-09 밸브 상태 표시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가스절연개폐설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1465A KR102631016B1 (ko) 2019-09-09 2019-09-09 밸브 상태 표시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가스절연개폐설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30036A true KR20210030036A (ko) 2021-03-17
KR102631016B1 KR102631016B1 (ko) 2024-01-31

Family

ID=752457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11465A KR102631016B1 (ko) 2019-09-09 2019-09-09 밸브 상태 표시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가스절연개폐설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3101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20564A (ko) 2022-08-08 2024-02-15 한국전력공사 밸브 장치 및 이를 제어하는 인터록 시스템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27116A (ko) 1994-12-28 1996-07-22 가나이 쯔도무 가스절연 개폐장치
JP2000179743A (ja) * 1998-12-14 2000-06-27 Fujikin Inc 流体制御器用開閉表示装置
JP2015040620A (ja) * 2013-08-23 2015-03-02 株式会社ネリキ バルブ装置、及びバルブ装置の開閉状態検知方法
KR20170138002A (ko) * 2016-06-03 2017-12-14 (주)허브시스템 밸브 구동장치
KR20180091434A (ko) * 2017-02-07 2018-08-16 태광후지킨 주식회사 모니터링용 밸브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27116A (ko) 1994-12-28 1996-07-22 가나이 쯔도무 가스절연 개폐장치
JP2000179743A (ja) * 1998-12-14 2000-06-27 Fujikin Inc 流体制御器用開閉表示装置
JP2015040620A (ja) * 2013-08-23 2015-03-02 株式会社ネリキ バルブ装置、及びバルブ装置の開閉状態検知方法
KR20170138002A (ko) * 2016-06-03 2017-12-14 (주)허브시스템 밸브 구동장치
KR20180091434A (ko) * 2017-02-07 2018-08-16 태광후지킨 주식회사 모니터링용 밸브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20564A (ko) 2022-08-08 2024-02-15 한국전력공사 밸브 장치 및 이를 제어하는 인터록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31016B1 (ko) 2024-01-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70115727A (ko) 가시적 개방 지시기
US8593241B2 (en) Enclosed proximity switch assembly
KR20100056480A (ko) 콕-리턴 스프링을 사용하는 밸브용 고장 안전 장치
KR20210030036A (ko) 밸브 상태 표시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가스절연개폐설비
US5277223A (en) Valve position transmitter
CN101408096A (zh) 可视暗杆平板闸阀
US11953117B2 (en) Gate valve indicator devices for oil and gas applications
US4126040A (en) Liquid level gauge
US20150007431A1 (en) Enclosed proximity switch assembly
JP2015135161A (ja) バルブ開閉装置
US6626578B1 (en) Rotary pump with bearing wear indicator
US3181342A (en) Oil gauge with testing facility
KR101796640B1 (ko) 변전소 가스 절연개폐기용 차단 밸브
US8988020B1 (en) Motor operator system for a power switch with travel set with three positions for ground or double-throw type switch
US20090165349A1 (en) Integrated Contact Indication and Label Holder
US8071901B2 (en) Safety switch
CN212725115U (zh) 一种隔爆箱用的停送电装置
CN102364178A (zh) 一种波纹管球阀
CN219321208U (zh) 分合闸指示装置
CN211238085U (zh) 一种用于户外永磁式真空断路器的分合指示装置
KR102542475B1 (ko) 밸브 상태 표시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가스절연개폐설비
RU2807830C1 (ru) Узел сигнализации конечных положений
KR101192831B1 (ko) 차단밸브의 개폐여부 표시장치
CN220337602U (zh) 一种转盘密码阀门及气体贮存设备
KR20130019696A (ko) 오조작 방지 기능을 구비한 밸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