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29463A - 국방 개발품목에 대한 도면의 자료 목록 자동 작성 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국방 개발품목에 대한 도면의 자료 목록 자동 작성 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29463A
KR20210029463A KR1020190110723A KR20190110723A KR20210029463A KR 20210029463 A KR20210029463 A KR 20210029463A KR 1020190110723 A KR1020190110723 A KR 1020190110723A KR 20190110723 A KR20190110723 A KR 20190110723A KR 20210029463 A KR20210029463 A KR 202100294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ssembly
list
data list
level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107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진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화
Priority to KR10201901107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29463A/ko
Publication of KR202100294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2946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0Computer-aided design [CA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Geomet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Factory Administr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국방 개발품목에 대한 도면의 자료 목록 자동 작성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국방 개발품목에 대한 도면 파일을 입력받는 도면 파일 입력부;입력된 도면 파일로부터 도면의 종류를 구분하는 도면 종류 구분부; 구분된 도면의 종류가 조립도면인 경우, 관련도면의 번호와 도번을 비교한 결과를 토대로 부품목록을 추출하고 레벨(LEVEL)을 부여하여 조립도면의 자료 목록을 작성하는 조립도면 자료 목록 작성부; 및 구분된 도면의 종류가 단품도면인 경우, 관련도면의 부품목록, 품명 및 도면번호를 비교한 결과를 토대로 단품도면의 자료 목록을 작성하는 단품도면 자료 목록 작성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국방 개발품목에 대한 도면의 자료 목록 자동 작성 장치 및 그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CREATING A LIST OF MATERIALS ON DRAWINGS FOR NATIONAL DEFENSE DEVELOPMENT ITEM}
본 발명은 국방 개발품목에 대한 도면의 자료 목록 자동 작성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자세하게는 입력된 도면 파일로부터 도면의 종류를 구분하고, 조립도면인 경우 관련도면의 번호와 도번을 비교한 결과를 토대로 부품목록을 추출하고 레벨(LEVEL)을 부여하여 자료 목록을 작성하고, 단품도면인 경우 관련도면의 부품목록, 품명 및 도면번호를 비교한 결과를 토대로 단품도면의 자료 목록을 작성하는 국방 개발품목에 대한 도면의 자료 목록 자동 작성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면 관리는 주로 수작업에 의해 이루어졌다. 즉, 해당 부서의 담당자는 수작업을 통해 특정 제품에 대한 도면의 작성이 완료될 경우 이 도면에 대한 결재를 받고, 결재된 도면에 대한 내역의 정리후 별도 위치에 보관함으로써 추후, 도면에 대한 정보가 필요할 경우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하였다.
현재에는 CAD(Computer-Aided Design) 소프트웨어(software)의 발전으로 인해 각 담당자는 자신의 개인용 PC를 통해 도면의 제작이 가능하게 되었다.
이와 같은 CAD 소프트웨어는 작성중인 도면의 수정이 간단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도면의 제작이 보다 빠르고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게 되어 업무의 향상이 이루어진 효과를 유발하였다.
그러나, 각종 설계 변경에 따른 도면의 수정이 이루어질 경우 해당 관리자 혹은 작업자에게 정확히 전달되지 못할 경우 작업 오류가 유발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고, 특히, 원래의 도면을 이루는 제품은 각종 세부 부품이 포함됨에도 불구하고, 이 세부 부품에 대한 도면은 별도 관리됨과 더불어 이의 내역 역시 별도 관리됨에 따라 관리자 혹은 해당 담당자가 특정 도면에 대한 상세 정보를 원할 경우 상기 도면에 대한 정보 검색의 곤란함이 유발될 수 밖에 없었던 문제점이 있다.
이와 관련하여, 한국공개특허 제2004-0064784호는 "제품의 부품목록 자동구성 및 운영방법"에 관하여 개시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서, 입력된 도면 파일에 부품목록 정보의 유무를 통해 도면의 종류를 조립도면 및 단품도면으로 구분하고, 관련도면의 부품목록, 품명 및 도면번호 등을 추출하여 자료 목록을 작성하는 국방 개발품목에 대한 도면의 자료 목록 자동 작성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국방 개발품목에 대한 도면의 자료 목록 자동 작성 장치는 국방 개발품목에 대한 도면 파일을 입력받는 도면 파일 입력부; 입력된 도면 파일로부터 도면의 종류를 구분하는 도면 종류 구분부; 구분된 도면의 종류가 조립도면인 경우, 관련도면의 번호와 도번을 비교한 결과를 토대로 부품목록을 추출하고 레벨(LEVEL)을 부여하여 조립도면의 자료 목록을 작성하는 조립도면 자료 목록 작성부; 및 구분된 도면의 종류가 단품도면인 경우, 관련도면의 부품목록, 품명 및 도면번호를 비교한 결과를 토대로 단품도면의 자료 목록을 작성하는 단품도면 자료 목록 작성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도면 종류 구분부는 입력된 도면 파일에 부품목록 정보가 있으면 조립도면인 것으로, 입력된 도면 파일에 부품목록 정보가 없으면 단품도면인 것으로 구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조립도면 자료 목록 작성부는, 구분된 도면의 종류가 조립도면인 경우, 관련도면의 번호와 도번을 비교하는 번호 및 도번 비교부; 관련도면의 번호와 도번을 비교한 결과, 관련도면의 번호와 도번이 동일한 경우 제1 조립도면인 것으로 파악하고, 해당 도면의 부품목록에 포함되어 있는 표 항목을 셀 단위로 구분하여 추출하고 레벨을 부여하는 제1 조립도면 세부 목록 추출부; 및 관련도면의 번호와 도번을 비교한 결과, 관련도면의 번호와 도번이 동일하지 않는 경우 제2 조립도면인 것으로 파악하고, 관련도면의 번호 하부에 해당 도면의 부품목록을 추출하고 레벨을 부여하는 제2 조립도면 세부 목록 추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 조립도면 세부 목록 추출부는, 관련도면의 번호와 도번이 동일한 경우, 제1 조립도면의 최상위 레벨인 것으로 인식하는 최상위 레벨 인식부; 제1 조립도면의 도명 및 도번을 추출하여 제1 조립도면의 제1 레벨로 인식하고, 이를 셀 단위로 구분하여 자료 목록을 작성하는 제1 조립도면의 제1 레벨 인식부; 및제1 조립도면의 부품목록에 포함되어 있는 품번, 품명, 수량, 부품번호 및 도면번호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표 항목을 추출하여 제1 조립도면의 제2 레벨로 인식하고, 이를 셀 단위로 구분하여 자료 목록을 작성하는 제1 조립도면의 제2 레벨 인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 조립도면 세부 목록 추출부는, 관련도면의 번호와 도번이 동일하지 않은 경우, 관련도면의 번호가 도번의 상위 도면임을 인식하되, 해당 관련 도면의 번호를 제2 조립도면의 제1 레벨로 인식하고, 이를 셀 단위로 구분하여 자료 목록을 작성하는 제2 조립도면의 제1 레벨 인식부; 제2 조립도면의 도명 및 도번을 추출하여 제2 조립도면의 제1 레벨로 인식하고, 이를 셀 단위로 구분하여 자료 목록을 작성하는 제2 조립도면의 제2 레벨 인식부; 및 제2 조립도면의 부품목록에 포함되어 있는 품번, 품명, 수량, 부품번호 및 도면번호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표 항목을 제2 조립도면의 제3 레벨로 인식하고, 이를 셀 단위로 구분하여 자료 목록을 작성하는 제2 조립도면의 제3 레벨 인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단품도면 자료 목록 작성부는, 구분된 도면의 종류가 단품도면인 경우, 상위 조립도면의 관련도면 번호를 인식하고, 이를 셀 단위로 구분하여 자료 목록을 작성하는 번호 인식부; 단품도면의 도명 및 도번을 추출하고, 이를 셀 단위로 구분하여 자료 목록을 작성하는 도명 및 도번 인식부; 및 상위 조립도면의 부품목록에 포함되어 있는 품번, 품명, 수량, 부품번호 및 도면번호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표 항목 그리고 도면번호와 추출된 단품도면의 도명 및 도번과 비교한 결과를 단품도면의 자료 목록의 항목에 별도 표시하는 자료 목록 별도 표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자료 목록 별도 표시부는 상위 조립도면의 부품목록에 포함되어 있는 표 항목과 추출된 관련 도면의 번호, 단품도면의 도명 및 도번과 비교한 결과, 일치하지 않는 항목을 별도의 색으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국방 개발품목에 대한 도면의 자료 목록 자동 작성 방법은 도면 파일 입력부에 의해, 국방 개발품목에 대한 도면 파일을 입력받는 단계; 도면 종류 구분부에 의해, 입력된 도면 파일로부터 도면의 종류를 구분하는 단계; 조립도면 자료 목록 작성부에 의해, 구분된 도면의 종류가 조립도면인 경우, 관련도면의 번호와 도번을 비교한 결과를 토대로 부품목록을 추출하고 레벨(LEVEL)을 부여하여 조립도면의 자료 목록을 작성하는 단계; 및 단품도면 자료 목록 작성부에 의해, 구분된 도면의 종류가 단품도면인 경우, 관련도면의 부품목록, 품명 및 도면번호를 비교한 결과를 토대로 단품도면의 자료 목록을 작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입력된 도면 파일로부터 도면의 종류를 구분하는 단계는, 입력된 도면 파일에 부품목록 정보가 있으면 조립도면인 것으로, 입력된 도면 파일에 부품목록 정보가 없으면 단품도면인 것으로 구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구분된 도면의 종류가 조립도면인 경우, 관련도면의 번호와 도번을 비교한 결과를 토대로 부품목록을 추출하고 레벨(LEVEL)을 부여하여 조립도면의 자료 목록을 작성하는 단계는, 구분된 도면의 종류가 조립도면인 경우, 관련도면의 번호와 도번을 비교하는 단계; 관련도면의 번호와 도번을 비교한 결과, 관련도면의 번호와 도번이 동일한 경우 제1 조립도면인 것으로 파악하고, 해당 도면의 부품목록에 포함되어 있는 표 항목을 셀 단위로 구분하여 추출하고 레벨을 부여하는 단계; 및 관련도면의 번호와 도번을 비교한 결과, 관련도면의 번호와 도번이 동일하지 않는 경우 제2 조립도면인 것으로 파악하고, 관련도면의 번호 하부에 해당 도면의 부품목록을 추출하고 레벨을 부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관련도면의 번호와 도번을 비교한 결과, 관련도면의 번호와 도번이 동일한 경우 제1 조립도면인 것으로 파악하고, 해당 도면의 부품목록에 포함되어 있는 표 항목을 셀 단위로 구분하여 추출하고 레벨을 부여하는 단계는, 관련도면의 번호와 도번이 동일한 경우, 제1 조립도면의 최상위 레벨인 것으로 인식하는 단계;제1 조립도면의 도명 및 도번을 추출하여 제1 조립도면의 제1 레벨로 인식하고, 이를 셀 단위로 구분하여 자료 목록을 작성하는 단계; 및 제1 조립도면의 부품목록에 포함되어 있는 품번, 품명, 수량, 부품번호 및 도면번호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표 항목을 추출하여 제1 조립도면의 제2 레벨로 인식하고, 이를 셀 단위로 구분하여 자료 목록을 작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관련도면의 번호와 도번이 동일하지 않는 경우 제2 조립도면인 것으로 파악하고, 관련도면의 번호 하부에 해당 도면의 부품목록을 추출하고 레벨을 부여하는 단계는, 관련도면의 번호와 도번이 동일하지 않은 경우, 관련도면의 번호가 도번의 상위 도면임을 인식하되, 해당 관련 도면의 번호를 제2 조립도면의 제1 레벨로 인식하고, 이를 셀 단위로 구분하여 자료 목록을 작성하는 단계; 제2 조립도면의 도명 및 도번을 추출하여 제2 조립도면의 제1 레벨로 인식하고, 이를 셀 단위로 구분하여 자료 목록을 작성하는 단계; 및 제2 조립도면의 부품목록에 포함되어 있는 품번, 품명, 수량, 부품번호 및 도면번호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표 항목을 제2 조립도면의 제3 레벨로 인식하고, 이를 셀 단위로 구분하여 자료 목록을 작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구분된 도면의 종류가 단품도면인 경우, 관련도면의 부품목록, 품명 및 도면번호를 비교한 결과를 토대로 단품도면의 자료 목록을 작성하는 단계는, 구분된 도면의 종류가 단품도면인 경우, 상위 조립도면의 관련도면 번호를 인식하고, 이를 셀 단위로 구분하여 자료 목록을 작성하는 단계; 단품도면의 도명 및 도번을 추출하고, 이를 셀 단위로 구분하여 자료 목록을 작성하는 단계; 및 상위 조립도면의 부품목록에 포함되어 있는 품번, 품명, 수량, 부품번호 및 도면번호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표 항목 그리고 도면번호와 추출된 단품도면의 도명 및 도번과 비교한 결과를 단품도면의 자료 목록의 항목에 별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단품도면의 부품목록에 포함되어 있는 품번, 품명, 수량, 부품번호 및 도면번호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표 항목 그리고 도면번호를 추출하여 이를 셀 단위로 구분하여 자료 목록을 작성하고, 상위 조립도면의 부품목록에 포함되어 있는 표 항목과 추출된 관련 도면의 번호, 단품도면의 도명 및 도번과 비교한 결과를 단품도면의 자료 목록의 항목에 별도 표시하는 단계는, 상위 조립도면의 부품목록에 포함되어 있는 표 항목과 추출된 관련 도면의 번호, 단품도면의 도명 및 도번과 비교한 결과, 일치하지 않는 항목을 별도의 색으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국방 개발품목에 대한 도면의 자료 목록 자동 작성 장치 및 그 방법은 입력된 도면 파일에 부품목록 정보의 유무를 통해 도면의 종류를 조립도면 및 단품도면으로 구분하고, 관련도면의 부품목록, 품명 및 도면번호 등을 추출하여 자료 목록을 작성함으로써, 국방 개발품목의 기술 자료 작성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국방규격 서식에 맞춰 국방 개발품목에 대한 도면의 자료 목록이 작성되도록 함으로써, 부품 수량, 부품 번호 변경, 부품 추가 또는 삭제와 같은 설계 변경사항에 대하여 추적 및 비교를 용이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국방 개발품목에 대한 도면의 자료 목록 자동 작성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국방 개발품목에 대한 도면의 자료 목록 자동 작성 장치에 채용되는 도면 종류 구분부에 의해 도면의 종류를 구분하는 예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국방 개발품목에 대한 도면의 자료 목록 자동 작성 장치에 채용되는 조립도면 자료 목록 작성부의 세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 내지 도 7은 도 4의 조립도면 자료 목록 작성부에 채용되는 제1 조립도면 세부 목록 추출부의 세부 구성과 그에 따른 화면의 예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 및 도 9는 도 4의 조립도면 자료 목록 작성부에 채용되는 제2 조립도면 세부 목록 추출부의 세부 구성과 그에 따른 화면의 예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국방 개발품목에 대한 도면의 자료 목록 자동 작성 장치에 채용되는 단품도면 자료 목록 작성부의 세부 구성과 그에 따른 화면의 예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국방 개발품목에 대한 도면의 자료 목록 자동 작성 방법의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국방 개발품목에 대한 도면의 자료 목록 자동 작성 방법에서 조립도면의 자료 목록을 작성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국방 개발품목에 대한 도면의 자료 목록 자동 작성 방법에서 단품도면의 자료 목록을 작성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이하,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국방 개발품목에 대한 도면의 자료 목록 자동 작성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국방 개발품목에 대한 도면의 자료 목록 자동 작성 장치에 채용되는 도면 종류 구분부에 의해 도면의 종류를 구분하는 예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에 따른 국방 개발품목에 대한 도면의 자료 목록 자동 작성 장치는 크게 도면 파일 입력부(110), 도면 종류 구분부(120), 조립도면 자료 목록 작성부(130) 및 단품도면 자료 목록 작성부(140)를 포함한다.
도면 파일 입력부(110)는 국방 개발품목에 대한 도면 파일을 입력받는다.
여기서, 국방 개발품목에 대한 도면 파일의 표제란은 도면크기(A0~A4)와 관계없이 크기가 고정되어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표제란에 관련도면 번호가 차상위 조립도면번호이며, 내곽선 기준으로 아래로부터 64mm 위, 오른쪽에서 140mm 내 도면 파일 자료를 엑셀로 추출하고, 140mm(품번(10), 품명(50), 수량(10), 부품번호(30), 도면번호(40))에 값들을 5개의 엑셀 셀로 구분하여 추출하게 된다.
도면 종류 구분부(120)는 입력된 도면 파일로부터 도면의 종류를 구분한다.
도면 종류 구분부(120)는 입력된 도면 파일에 부품목록 정보가 있으면 조립도면인 것으로, 입력된 도면 파일에 부품목록 정보가 없으면 단품도면인 것으로 구분한다. 즉, 도면 종류 구분부(12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제란 상부(점선 사각 박스 표시)에 부품목록이 있으면 조립도면이고,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제란 상부에 부품목록이 없으면 단품도면이다.
조립도면 자료 목록 작성부(130)는 구분된 도면의 종류가 조립도면인 경우, 관련도면의 번호와 도번을 비교한 결과를 토대로 부품목록을 추출하고 레벨(LEVEL)을 부여하여 조립도면의 자료 목록을 작성한다.
단품도면 자료 목록 작성부(140)는 구분된 도면의 종류가 단품도면인 경우, 관련도면의 부품목록, 품명 및 도면번호를 비교한 결과를 토대로 단품도면의 자료 목록을 작성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국방 개발품목에 대한 도면의 자료 목록 자동 작성 장치에 채용되는 조립도면 자료 목록 작성부의 세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에 따른 조립도면 자료 목록 작성부(130)는 구분된 도면의 종류가 조립도면인 경우, 관련도면의 번호와 도번을 비교한 결과를 토대로 부품목록을 추출하고 레벨(LEVEL)을 부여하여 조립도면의 자료 목록을 작성한다.
이를 위해, 조립도면 자료 목록 작성부(130)는 번호 및 도면 비교부(131), 제1 조립도면 세부 목록 추출부(132) 및 제2 조립도면 세부 목록 추출부(136)를 포함한다.
번호 및 도번 비교부(131)는 구분된 도면의 종류가 조립도면인 경우, 관련도면의 번호와 도번을 비교한다.
제1 조립도면 세부 목록 추출부(132)는 관련도면의 번호와 도번을 비교한 결과, 관련도면의 번호와 도번이 동일한 경우 제1 조립도면인 것으로 파악하고, 해당 도면의 부품목록에 포함되어 있는 표 항목을 셀 단위로 구분하여 추출하고 레벨을 부여한다.
제2 조립도면 세부 목록 추출부(136)는 관련도면의 번호와 도번을 비교한 결과, 관련도면의 번호와 도번이 동일하지 않는 경우 제2 조립도면인 것으로 파악하고, 관련도면의 번호 하부에 해당 도면의 부품목록을 추출하고 레벨을 부여한다.
도 5 내지 도 7은 도 4의 조립도면 자료 목록 작성부에 채용되는 제1 조립도면 세부 목록 추출부의 세부 구성과 그에 따른 화면의 예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제1 조립도면 세부 목록 추출부(132)는 관련도면의 번호와 도번을 비교한 결과, 관련도면의 번호와 도번이 동일한 경우 제1 조립도면인 것으로 파악하고, 해당 도면의 부품목록에 포함되어 있는 표 항목을 셀 단위로 구분하여 추출하고 레벨을 부여한다.
이를 위해, 제1 조립도면 세부 목록 추출부(132)는 최상위 레벨 인식부(133), 제1 조립도면의 제1 레벨 인식부(134) 및 제1 조립도면의 제2 레벨 인식부(135)를 포함한다.
최상위 레벨 인식부(133)는 관련도면의 번호와 도번이 동일한 경우, 제1 조립도면의 최상위 레벨인 것으로 인식한다.
제1 조립도면의 제1 레벨 인식부(134)는 제1 조립도면의 도명 및 도번을 추출하여 제1 조립도면의 제1 레벨로 인식하고, 이를 셀 단위로 구분하여 자료 목록을 작성한다.
제1 조립도면의 제2 레벨 인식부(135)는 제1 조립도면의 부품목록에 포함되어 있는 품번, 품명, 수량, 부품번호 및 도면번호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표 항목을 추출하여 제1 조립도면의 제2 레벨로 인식하고, 이를 셀 단위로 구분하여 자료 목록을 작성한다.
보다 자세하게,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제1 조립도면 세부 목록 추출부(132)는 표제란의 관련도면의 번호와 관련도면의 도면이 동일한 경우 최상위 레벨으로 인식하여 제1 조립도면의 도명 및 도번을 추출하여 제1 조립도면의 제1 레벨(A)으로 제1 조립도면의 표 항목을 추출하여 제1 조립도면의 제2 레벨(B)으로 하여 도 7과 같이 엑셀에 셀 단위로 구분하여 추출한다.
도 8 및 도 9는 도 4의 조립도면 자료 목록 작성부에 채용되는 제2 조립도면 세부 목록 추출부의 세부 구성과 그에 따른 화면의 예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제2 조립도면 세부 목록 추출부(136)는 관련도면의 번호와 도번을 비교한 결과, 관련도면의 번호와 도번이 동일하지 않는 경우 제2 조립도면인 것으로 파악하고, 관련도면의 번호 하부에 해당 도면의 부품목록을 추출하고 레벨을 부여한다.
이를 위해, 제2 조립도면 세부 목록 추출부(136)는 제2 조립도면의 제1 레벨 인식부(137), 제2 조립도면의 제2 레벨 인식부(138) 및 제2 조립도면의 제3 레벨 인식부(138)를 포함한다.
제2 조립도면의 제1 레벨 인식부(137)는 관련도면의 번호와 도번이 동일하지 않은 경우, 관련도면의 번호가 도번의 상위 도면임을 인식하되, 해당 관련 도면의 번호를 제2 조립도면의 제1 레벨로 인식하고, 이를 셀 단위로 구분하여 자료 목록을 작성한다.
제2 조립도면의 제2 레벨 인식부(138)는 제2 조립도면의 도명 및 도번을 추출하여 제2 조립도면의 제1 레벨로 인식하고, 이를 셀 단위로 구분하여 자료 목록을 작성한다.
제2 조립도면의 제3 레벨 인식부(139)는 제2 조립도면의 부품목록에 포함되어 있는 품번, 품명, 수량, 부품번호 및 도면번호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표 항목을 제2 조립도면의 제3 레벨로 인식하고, 이를 셀 단위로 구분하여 자료 목록을 작성한다.
보다 자세하게,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제2 조립도면 세부 목록 추출부(132)는 관련 도면의 번호를 추출하여 제2 조립도면의 제1 레벨(A)으로, 제2 조립도면의 도명 및 도번을 추출하여 제2 조립도면의 제2 레벨(B)으로, 제2 조립도면의 부품목록을 추출하여 매칭하여 제2 조립도면의 제3 레벨(C)으로 하여 엑셀에 셀 단위로 구분하여 추출한다.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국방 개발품목에 대한 도면의 자료 목록 자동 작성 장치에 채용되는 단품도면 자료 목록 작성부의 세부 구성과 그에 따른 화면의 예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에 따른 단품도면 자료 목록 작성부(140)는 구분된 도면의 종류가 단품도면인 경우, 관련도면의 부품목록, 품명 및 도면번호를 비교한 결과를 토대로 단품도면의 자료 목록을 작성한다.
이를 위해, 단품도면 자료 목록 작성부(140)는 번호 인식부(141), 도명 및 도번 인식부(142) 및 자료 목록 별도 표시부(143)를 포함한다.
번호 인식부(141)는 구분된 도면의 종류가 단품도면인 경우, 상위 조립도면의 관련도면 번호를 인식하고, 이를 셀 단위로 구분하여 자료 목록을 작성한다.
도명 및 도번 인식부(142)는 단품도면의 도명 및 도번을 추출하고, 이를 셀 단위로 구분하여 자료 목록을 작성한다.
자료 목록 별도 표시부(143)는 상위 조립도면의 부품목록에 포함되어 있는 품번, 품명, 수량, 부품번호 및 도면번호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표 항목 그리고 도면번호와 추출된 단품도면의 도명 및 도번과 비교한 결과를 단품도면의 자료 목록의 항목에 별도 표시한다.
자료 목록 별도 표시부(143)는 상위 조립도면의 부품목록에 포함되어 있는 표 항목과 추출된 관련 도면의 번호, 단품도면의 도명 및 도번과 비교한 결과, 일치하지 않는 항목을 별도의 색으로 표시한다.
보다 자세하게, 도 1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단품도면 자료 목록 작성부(140)는 상위 조립도면의 관련도면 번호(70014601 해당)를 인식하고, 단품도면의 도명 및 도번(발사기 조립체 및 70014602에 해당)을 추출한 후, 상위 조립도면의 부품목록에 포함되어 있는 표 항목과 추출된 관련 도면의 번호, 단품도면의 도명 및 도번과 비교한 결과 일치하지 않는 항목을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붉은 색으로 표시한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국방 개발품목에 대한 도면의 자료 목록 자동 작성 방법의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에 따른 국방 개발품목에 대한 도면의 자료 목록 자동 작성 방법은 앞서 설명한 국방 개발품목에 대한 도면의 자료 목록 자동 작성 장치를 이용하는 것으로, 이하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먼저, 국방 개발품목에 대한 도면 파일을 입력받는다(S100).
다음, 입력된 도면 파일로부터 도면의 종류를 구분한다(S110).
S110 단계는 입력된 도면 파일에 부품목록 정보가 있으면 조립도면인 것으로, 입력된 도면 파일에 부품목록 정보가 없으면 단품도면인 것으로 구분한다.
다음, 구분된 도면의 종류가 조립도면인 경우, 관련도면의 번호와 도번을 비교한 결과를 토대로 부품목록을 추출하고 레벨(LEVEL)을 부여하여 조립도면의 자료 목록을 작성한다(S120).
다음, 구분된 도면의 종류가 단품도면인 경우, 관련도면의 부품목록, 품명 및 도면번호를 비교한 결과를 토대로 단품도면의 자료 목록을 작성한다(S130).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국방 개발품목에 대한 도면의 자료 목록 자동 작성 방법에서 조립도면의 자료 목록을 작성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에 따른 조립도면의 자료 목록을 작성 과정은 먼저, 구분된 도면의 종류가 조립도면으로 구분되면 관련도면의 번호와 도번을 비교한다(S200, S210).
이때, 관련도면의 번호와 도번을 비교한 결과, 관련도면의 번호와 도번이 동일한 경우 제1 조립도면인 것으로 파악하고, 해당 도면의 부품목록에 포함되어 있는 표 항목을 셀 단위로 구분하여 추출하고 레벨을 부여한다.
보다 자세하게, 관련도면의 번호와 도번이 동일한 경우, 제1 조립도면의 최상위 레벨인 것으로 인식한다(S220).
다음, 제1 조립도면의 도명 및 도번을 추출하여 제1 조립도면의 제1 레벨로 인식하고, 이를 셀 단위로 구분하여 자료 목록을 작성한다(S221).
다음, 제1 조립도면의 부품목록에 포함되어 있는 품번, 품명, 수량, 부품번호 및 도면번호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표 항목을 추출하여 제1 조립도면의 제2 레벨로 인식하고, 이를 셀 단위로 구분하여 자료 목록을 작성한다(S222).
한편, 관련도면의 번호와 도번을 비교한 결과, 관련도면의 번호와 도번이 동일하지 않는 경우 제2 조립도면인 것으로 파악하고, 관련도면의 번호 하부에 해당 도면의 부품목록을 추출하고 레벨을 부여한다.
보다 자세하게, 관련도면의 번호와 도번이 동일하지 않은 경우, 관련도면의 번호가 도번의 상위 도면임을 인식하되, 해당 관련 도면의 번호를 제2 조립도면의 제1 레벨로 인식하고, 이를 셀 단위로 구분하여 자료 목록을 작성한다(S230).
다음, 제2 조립도면의 도명 및 도번을 추출하여 제2 조립도면의 제1 레벨로 인식하고, 이를 셀 단위로 구분하여 자료 목록을 작성한다(S231).
다음, 제2 조립도면의 부품목록에 포함되어 있는 품번, 품명, 수량, 부품번호 및 도면번호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표 항목을 제2 조립도면의 제3 레벨로 인식하고, 이를 셀 단위로 구분하여 자료 목록을 작성한다(S232).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국방 개발품목에 대한 도면의 자료 목록 자동 작성 방법에서 단품도면의 자료 목록을 작성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먼저, 구분된 도면의 종류가 단품도면으로 구분되면 상위 조립도면에 대한 관련도면의 번호를 인식하고, 이를 셀 단위로 구분하여 자료 목록을 작성한다(S300, S310).
다음, 단품도면의 도명 및 도번을 추출하고, 이를 셀 단위로 구분하여 자료 목록을 작성한다(S320).
다음, 상위 조립도면의 부품목록에 포함되어 있는 품번, 품명, 수량, 부품번호 및 도면번호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표 항목 그리고 도면번호와 추출된 단품도면의 도명 및 도번과 비교한다(S330).
다음, 비교 결과, 관련 도면의 번호, 단품도면의 도명 및 도번이 일치하면 별도의 색을 표시하지 않고(S340), 비교 결과, 관련 도면의 번호, 단품도면의 도명 및 도번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일치하지 않는 단품도면의 자료 목록의 항목에 별도의 색으로 표시한다(S350).
이상 본 명세서에서 설명한 기능적 동작과 본 주제에 관한 실시형태들은 본 명세서에서 개시한 구조들 및 그들의 구조적인 등가물을 포함하여 디지털 전자 회로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펌웨어 또는 하드웨어에서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이 조합에서 구현 가능하다.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주제의 실시형태는 하나 이상이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다시 말해 데이터 처리 장치에 의한 실행을 위하여 또는 그 동작을 제어하기 위하여 유형의 프로그램 매체상에 인코딩되는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에 관한 하나 이상이 모듈로서 구현될 수 있다. 유형의 프로그램 매체는 전파형 신호이거나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일 수 있다. 전파형 신호는 컴퓨터에 의한 실행을 위하여 적절한 수신기 장치로 전송하기 위한 정보를 인코딩하기 위하여 생성되는 예컨대 기계가 생성한 전기적, 광학적 또는 전자기 신호와 같은 인공적으로 생성된 신호이다.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는 기계로 판독 가능한 저장장치, 기계로 판독 가능한 저장 기판, 메모리 장치, 기계로 판독 가능한 전파형 신호에 영향을 미치는 물질의 조합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이 조합일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프로그램, 소프트웨어,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 스크립트 또는 코드로도 알려져 있음)은 컴파일되거나 해석된 언어나 선험적 또는 절차적 언어를 포함하는 프로그래밍 언어의 어떠한 형태로도 작성될 수 있으며, 독립형 프로그램이나 모듈, 컴포넌트, 서브루틴 또는 컴퓨터 환경에서 이용하기에 적합한 다른 유닛을 포함하여 어떠한 형태로도 전개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은 파일 장치의 파일에 반드시 대응하는 것은 아니다. 프로그램은 요청된 프로그램에 제공되는 단일 파일 내에, 또는 다중의 상호 작용하는 파일(예컨대, 하나 이상이 모듈, 하위 프로그램 또는 코드의 일부를 저장하는 파일) 내에, 또는 다른 프로그램이나 데이터를 보유하는 파일의 일부(예컨대, 마크업 언어 문서 내에 저장되는 하나 이상이 스크립트) 내에 저장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은 하나의 사이트에 위치하거나 복수의 사이트에 걸쳐서 분산되어 통신 네트워크에 의해 상호 접속된 다중 컴퓨터나 하나의 컴퓨터 상에서 실행되도록 전개될 수 있다.
부가적으로, 본 특허문헌에서 기술하는 논리 흐름과 구조적인 블록도는 개시된 구조적인 수단의 지원을 받는 대응하는 기능과 단계의 지원을 받는 대응하는 행위 및/또는 특정한 방법을 기술하는 것으로, 대응하는 소프트웨어 구조와 알고리즘과 그 등가물을 설정하는 데에도 사용 가능하다.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프로세스와 논리 흐름은 수신 데이터 상에서 동작하고 출력을 생성함으로써 기능을 수행하기 위하여 하나 이상이 컴퓨터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하나 이상이 프로그래머블 프로세서에 의하여 수행 가능하다.
컴퓨터 프로그램의 실행에 적합한 프로세서는, 예컨대 범용 및 특수 목적의 마이크로프로세서 양자 및 어떤 형태의 디지털 컴퓨터의 어떠한 하나 이상이 프로세서라도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프로세서는 읽기 전용 메모리나 랜덤 액세스 메모리 또는 양자로부터 명령어와 데이터를 수신할 것이다.
컴퓨터의 핵심적인 요소는 명령어와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하나 이상이 메모리 장치 및 명령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세서이다. 또한, 컴퓨터는 일반적으로 예컨대 자기, 자기 광학 디스크나 광학 디스크와 같은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하나 이상이 대량 저장 장치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거나 그것으로 데이터를 전송하거나 또는 그러한 동작 둘 다를 수행하기 위하여 동작가능 하도록 결합되거나 이를 포함할 것이다. 그러나, 컴퓨터는 그러한 장치를 가질 필요가 없다.
본 기술한 설명은 본 발명의 최상의 모드를 제시하고 있으며,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하여, 그리고 당업자가 본 발명을 제작 및 이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예를 제공하고 있다. 이렇게 작성된 명세서는 그 제시된 구체적인 용어에 본 발명을 제한하는 것이 아니다.
따라서, 상술한 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본 예들에 대한 개조, 변경 및 변형을 가할 수 있다. 요컨대 본 발명이 의도하는 효과를 달성하기 위해 도면에 도시된 모든 기능 블록을 별도로 포함하거나 도면에 도시된 모든 순서를 도시된 순서 그대로 따라야만 하는 것은 아니며, 그렇지 않더라도 얼마든지 청구항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속할 수 있음에 주의한다.
100 : 국방 개발품목에 대한 도면의 자료 목록 자동 작성 장치
110 : 도면 파일 입력부
120 : 도면 종류 구분부
130 : 조립도면 자료 목록 작성부
140 : 단품도면 자료 목록 작성부

Claims (14)

  1. 국방 개발품목에 대한 도면 파일을 입력받는 도면 파일 입력부;
    입력된 도면 파일로부터 도면의 종류를 구분하는 도면 종류 구분부;
    구분된 도면의 종류가 조립도면인 경우, 관련도면의 번호와 도번을 비교한 결과를 토대로 부품목록을 추출하고 레벨(LEVEL)을 부여하여 조립도면의 자료 목록을 작성하는 조립도면 자료 목록 작성부; 및
    구분된 도면의 종류가 단품도면인 경우, 관련도면의 부품목록, 품명 및 도면번호를 비교한 결과를 토대로 단품도면의 자료 목록을 작성하는 단품도면 자료 목록 작성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국방 개발품목에 대한 도면의 자료 목록 자동 작성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면 종류 구분부는 입력된 도면 파일에 부품목록 정보가 있으면 조립도면인 것으로, 입력된 도면 파일에 부품목록 정보가 없으면 단품도면인 것으로 구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국방 개발품목에 대한 도면의 자료 목록 자동 작성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립도면 자료 목록 작성부는,
    구분된 도면의 종류가 조립도면인 경우, 관련도면의 번호와 도번을 비교하는 번호 및 도번 비교부;
    관련도면의 번호와 도번을 비교한 결과, 관련도면의 번호와 도번이 동일한 경우 제1 조립도면인 것으로 파악하고, 해당 도면의 부품목록에 포함되어 있는 표 항목을 셀 단위로 구분하여 추출하고 레벨을 부여하는 제1 조립도면 세부 목록 추출부; 및
    관련도면의 번호와 도번을 비교한 결과, 관련도면의 번호와 도번이 동일하지 않는 경우 제2 조립도면인 것으로 파악하고, 관련도면의 번호 하부에 해당 도면의 부품목록을 추출하고 레벨을 부여하는 제2 조립도면 세부 목록 추출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국방 개발품목에 대한 도면의 자료 목록 자동 작성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조립도면 세부 목록 추출부는,
    관련도면의 번호와 도번이 동일한 경우, 제1 조립도면의 최상위 레벨인 것으로 인식하는 최상위 레벨 인식부;
    제1 조립도면의 도명 및 도번을 추출하여 제1 조립도면의 제1 레벨로 인식하고, 이를 셀 단위로 구분하여 자료 목록을 작성하는 제1 조립도면의 제1 레벨 인식부; 및
    제1 조립도면의 부품목록에 포함되어 있는 품번, 품명, 수량, 부품번호 및 도면번호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표 항목을 추출하여 제1 조립도면의 제2 레벨로 인식하고, 이를 셀 단위로 구분하여 자료 목록을 작성하는 제1 조립도면의 제2 레벨 인식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국방 개발품목에 대한 도면의 자료 목록 자동 작성 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조립도면 세부 목록 추출부는,
    관련도면의 번호와 도번이 동일하지 않은 경우, 관련도면의 번호가 도번의 상위 도면임을 인식하되, 해당 관련 도면의 번호를 제2 조립도면의 제1 레벨로 인식하고, 이를 셀 단위로 구분하여 자료 목록을 작성하는 제2 조립도면의 제1 레벨 인식부;
    제2 조립도면의 도명 및 도번을 추출하여 제2 조립도면의 제1 레벨로 인식하고, 이를 셀 단위로 구분하여 자료 목록을 작성하는 제2 조립도면의 제2 레벨 인식부; 및
    제2 조립도면의 부품목록에 포함되어 있는 품번, 품명, 수량, 부품번호 및 도면번호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표 항목을 제2 조립도면의 제3 레벨로 인식하고, 이를 셀 단위로 구분하여 자료 목록을 작성하는 제2 조립도면의 제3 레벨 인식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국방 개발품목에 대한 도면의 자료 목록 자동 작성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품도면 자료 목록 작성부는,
    구분된 도면의 종류가 단품도면인 경우, 상위 조립도면의 관련도면 번호를 인식하고, 이를 셀 단위로 구분하여 자료 목록을 작성하는 번호 인식부;
    단품도면의 도명 및 도번을 추출하고, 이를 셀 단위로 구분하여 자료 목록을 작성하는 도명 및 도번 인식부; 및
    상위 조립도면의 부품목록에 포함되어 있는 품번, 품명, 수량, 부품번호 및 도면번호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표 항목 그리고 도면번호와 추출된 단품도면의 도명 및 도번과 비교한 결과를 단품도면의 자료 목록의 항목에 별도 표시하는 자료 목록 별도 표시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국방 개발품목에 대한 도면의 자료 목록 자동 작성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자료 목록 별도 표시부는 상위 조립도면의 부품목록에 포함되어 있는 표 항목과 추출된 관련 도면의 번호, 단품도면의 도명 및 도번과 비교한 결과, 일치하지 않는 항목을 별도의 색으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국방 개발품목에 대한 도면의 자료 목록 자동 작성 장치.
  8. 도면 파일 입력부에 의해, 국방 개발품목에 대한 도면 파일을 입력받는 단계;
    도면 종류 구분부에 의해, 입력된 도면 파일로부터 도면의 종류를 구분하는 단계;
    조립도면 자료 목록 작성부에 의해, 구분된 도면의 종류가 조립도면인 경우, 관련도면의 번호와 도번을 비교한 결과를 토대로 부품목록을 추출하고 레벨(LEVEL)을 부여하여 조립도면의 자료 목록을 작성하는 단계; 및
    단품도면 자료 목록 작성부에 의해, 구분된 도면의 종류가 단품도면인 경우, 관련도면의 부품목록, 품명 및 도면번호를 비교한 결과를 토대로 단품도면의 자료 목록을 작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국방 개발품목에 대한 도면의 자료 목록 자동 작성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입력된 도면 파일로부터 도면의 종류를 구분하는 단계는,
    입력된 도면 파일에 부품목록 정보가 있으면 조립도면인 것으로, 입력된 도면 파일에 부품목록 정보가 없으면 단품도면인 것으로 구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국방 개발품목에 대한 도면의 자료 목록 자동 작성 방법.
  10. 제8항에 있어서,
    구분된 도면의 종류가 조립도면인 경우, 관련도면의 번호와 도번을 비교한 결과를 토대로 부품목록을 추출하고 레벨(LEVEL)을 부여하여 조립도면의 자료 목록을 작성하는 단계는,
    구분된 도면의 종류가 조립도면인 경우, 관련도면의 번호와 도번을 비교하는 단계;
    관련도면의 번호와 도번을 비교한 결과, 관련도면의 번호와 도번이 동일한 경우 제1 조립도면인 것으로 파악하고, 해당 도면의 부품목록에 포함되어 있는 표 항목을 셀 단위로 구분하여 추출하고 레벨을 부여하는 단계; 및
    관련도면의 번호와 도번을 비교한 결과, 관련도면의 번호와 도번이 동일하지 않는 경우 제2 조립도면인 것으로 파악하고, 관련도면의 번호 하부에 해당 도면의 부품목록을 추출하고 레벨을 부여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국방 개발품목에 대한 도면의 자료 목록 자동 작성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관련도면의 번호와 도번을 비교한 결과, 관련도면의 번호와 도번이 동일한 경우 제1 조립도면인 것으로 파악하고, 해당 도면의 부품목록에 포함되어 있는 표 항목을 셀 단위로 구분하여 추출하고 레벨을 부여하는 단계는,
    관련도면의 번호와 도번이 동일한 경우, 제1 조립도면의 최상위 레벨인 것으로 인식하는 단계;
    제1 조립도면의 도명 및 도번을 추출하여 제1 조립도면의 제1 레벨로 인식하고, 이를 셀 단위로 구분하여 자료 목록을 작성하는 단계; 및
    제1 조립도면의 부품목록에 포함되어 있는 품번, 품명, 수량, 부품번호 및 도면번호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표 항목을 추출하여 제1 조립도면의 제2 레벨로 인식하고, 이를 셀 단위로 구분하여 자료 목록을 작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국방 개발품목에 대한 도면의 자료 목록 자동 작성 방법.
  12. 제10항에 있어서,
    관련도면의 번호와 도번이 동일하지 않는 경우 제2 조립도면인 것으로 파악하고, 관련도면의 번호 하부에 해당 도면의 부품목록을 추출하고 레벨을 부여하는 단계는,
    관련도면의 번호와 도번이 동일하지 않은 경우, 관련도면의 번호가 도번의 상위 도면임을 인식하되, 해당 관련 도면의 번호를 제2 조립도면의 제1 레벨로 인식하고, 이를 셀 단위로 구분하여 자료 목록을 작성하는 단계;
    제2 조립도면의 도명 및 도번을 추출하여 제2 조립도면의 제1 레벨로 인식하고, 이를 셀 단위로 구분하여 자료 목록을 작성하는 단계; 및
    제2 조립도면의 부품목록에 포함되어 있는 품번, 품명, 수량, 부품번호 및 도면번호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표 항목을 제2 조립도면의 제3 레벨로 인식하고, 이를 셀 단위로 구분하여 자료 목록을 작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국방 개발품목에 대한 도면의 자료 목록 자동 작성 방법.
  13. 제8항에 있어서,
    구분된 도면의 종류가 단품도면인 경우, 관련도면의 부품목록, 품명 및 도면번호를 비교한 결과를 토대로 단품도면의 자료 목록을 작성하는 단계는,
    구분된 도면의 종류가 단품도면인 경우, 상위 조립도면의 관련도면 번호를 인식하고, 이를 셀 단위로 구분하여 자료 목록을 작성하는 단계;
    단품도면의 도명 및 도번을 추출하고, 이를 셀 단위로 구분하여 자료 목록을 작성하는 단계; 및
    상위 조립도면의 부품목록에 포함되어 있는 품번, 품명, 수량, 부품번호 및 도면번호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표 항목 그리고 도면번호와 추출된 단품도면의 도명 및 도번과 비교한 결과를 단품도면의 자료 목록의 항목에 별도 표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국방 개발품목에 대한 도면의 자료 목록 자동 작성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단품도면의 부품목록에 포함되어 있는 품번, 품명, 수량, 부품번호 및 도면번호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표 항목 그리고 도면번호를 추출하여 이를 셀 단위로 구분하여 자료 목록을 작성하고, 상위 조립도면의 부품목록에 포함되어 있는 표 항목과 추출된 관련 도면의 번호, 단품도면의 도명 및 도번과 비교한 결과를 단품도면의 자료 목록의 항목에 별도 표시하는 단계는,
    상위 조립도면의 부품목록에 포함되어 있는 표 항목과 추출된 관련 도면의 번호, 단품도면의 도명 및 도번과 비교한 결과, 일치하지 않는 항목을 별도의 색으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국방 개발품목에 대한 도면의 자료 목록 자동 작성 방법.
KR1020190110723A 2019-09-06 2019-09-06 국방 개발품목에 대한 도면의 자료 목록 자동 작성 장치 및 그 방법 KR2021002946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0723A KR20210029463A (ko) 2019-09-06 2019-09-06 국방 개발품목에 대한 도면의 자료 목록 자동 작성 장치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0723A KR20210029463A (ko) 2019-09-06 2019-09-06 국방 개발품목에 대한 도면의 자료 목록 자동 작성 장치 및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29463A true KR20210029463A (ko) 2021-03-16

Family

ID=752240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10723A KR20210029463A (ko) 2019-09-06 2019-09-06 국방 개발품목에 대한 도면의 자료 목록 자동 작성 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29463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30880B1 (ko) * 2021-08-17 2022-08-08 하정근 도면 데이터 베이스 제공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30880B1 (ko) * 2021-08-17 2022-08-08 하정근 도면 데이터 베이스 제공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023656B2 (en) Method and system for dynamically configuring a user interface for a specified document review task
US10824543B2 (en)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ed software test case designing based on machine learning (ML)
CN105487864B (zh) 代码自动生成的方法和装置
US8775918B2 (en)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ic improvement of electronic presentations
CN107766045B (zh) 为机器视觉系统提供可视化程序的装置、系统和方法
CN111414166B (zh) 代码的生成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CN106796578A (zh) 知识自动化系统
US20220035847A1 (en) Information retrieval
CN113535165A (zh) 界面生成方法、装置、电子设备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KR20210029463A (ko) 국방 개발품목에 대한 도면의 자료 목록 자동 작성 장치 및 그 방법
CN116737137A (zh) 业务流程的生成方法、装置、计算机设备和存储介质
US20230161945A1 (en) Automatic two-way generation and synchronization of notebook and pipeline
CN116257236A (zh) 页面生成方法、装置、设备及介质
US20230044288A1 (en) Computer implemented system and method of enrichment of data for digital product definition in a heterogenous environment
US20220107790A1 (en) Semantic Design System
EP3926465A1 (en) Method and system for creating an app by merging source code
US20170199729A1 (en) Application developing method and system
CN114217794A (zh) 页面设计方法、客户端设备、可读介质及程序产品
CN113506099A (zh) 申报业务的配置系统、方法、计算机设备和存储介质
US20200159805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ducing transferable, modular web pages
CN110209907A (zh) 信息处理装置、方法以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KR102648613B1 (ko) 입력 이미지를 기반으로 인터넷 쇼핑몰에 전시되는 상품 이미지를 생성하는 방법, 장치 및 컴퓨터-판독 가능 기록 매체
US11687708B2 (en) Generator for synthesizing templates
US20230401570A1 (en) Determining an optimum quantity of fractional non-fungible tokens to generate for content and a content exchange
CN116992831A (zh) 语句处理方法及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