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29109A - 이차전지 및 그 이차전지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이차전지 및 그 이차전지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29109A
KR20210029109A KR1020200112507A KR20200112507A KR20210029109A KR 20210029109 A KR20210029109 A KR 20210029109A KR 1020200112507 A KR1020200112507 A KR 1020200112507A KR 20200112507 A KR20200112507 A KR 20200112507A KR 20210029109 A KR20210029109 A KR 202100291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de assembly
pressing
curved surface
secondary battery
exterior mater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125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미정
이영훈
김민정
이우용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PL20861343.0T priority Critical patent/PL4009407T3/pl
Priority to CN202080059410.7A priority patent/CN114270585B/zh
Priority to JP2022512832A priority patent/JP7362189B2/ja
Priority to PCT/KR2020/011916 priority patent/WO2021045549A1/ko
Priority to EP20861343.0A priority patent/EP4009407B1/en
Publication of KR202100291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29109A/ko
Priority to US17/686,576 priority patent/US20220190310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4Construction or manufacture in gener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4Construction or manufacture in general
    • H01M10/0468Compression means for stacks of electrodes and separa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4Construction or manufacture in general
    • H01M10/0436Small-sized flat cells or batteries for portable equipm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4Construction or manufacture in general
    • H01M10/0459Cells or batteries with folded separator between plate-like electro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4Construction or manufacture in general
    • H01M10/0463Cells or batteries with horizontal or inclined electro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4Construction or manufacture in general
    • H01M10/0481Compression means other than compression means for stacks of electrodes and separa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1Types of temperature control
    • H01M10/615Heating or keeping warm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02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physical structure
    • H01M50/105Pouches or flexible ba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16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30Batteries in portable systems, e.g. mobile phone, laptop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Secondary Cells (AREA)
  • Battery Electrode And Active Subsutance (AREA)

Abstract

이차전지 및 그 이차전지의 제조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은 종래에 비해 작은 곡률 반경을 갖는 이차전지를 제조하기 위한 것이다.

Description

이차전지 및 그 이차전지의 제조방법{Secondary battery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본 발명은 이차전지 및 그 이차전지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종래에 비해 작은 곡률 반경을 갖는 이차전지 및 그 이차전지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전자기기에 대한 수요 및 전자기기에 대한 수요자의 요구가 점차 다양해짐에 따라 전자기기에 장착되며 반복적인 충전 및 방전이 가능한 이차전지(secondary battery)에 요구되는 사양(specification) 역시 다양해지고 있다.
예를 들어, 최근 사용자가 전자기기를 머리에 장착한 상태로 사용하는 VR 기기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VR 기기가 머리에 장착되기 위해 VR 기기에는 사람의 머리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을 갖는 곡면이 형성되는 것이 일반적인데, 이를 위해 이차전지 역시 기존의 형상을 벗어나 곡면 형상을 가질 것이 요구된다. 또는, 전자기기의 내부 공간의 활용성을 극대화하기 위해 이차전지의 형상이 기존의 정형적인 형상을 벗어나 곡면 형상 등의 비정형적인 형상을 가질 것이 요구된다.
곡면이 형성되는 이차전지를 제조하기 위해서는 곡면을 포함하는 가압 프레스를 이용하여 전극 조립체의 외부면을 가압하는 과정이 필요한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따르면 가압 프레스를 이용하여 전극 조립체의 외부면을 가압하여 곡면을 형성하는 과정에서 여러 가지 문제점이 있었다.
예를 들어, 가압 프레스에 의해 가압되기 전의 전극 조립체 내에서 전극과 분리막은 서로 접착된 상태인데, 가압 프레스로 전극 조립체를 가압하여 곡면이 형성되더라도, 가압 프레스에 의해 가압되기 전 전극과 분리막과의 접착력에 의해 곡면이 유지되지 못하고 가압되기 전의 상태로 돌아가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은 가압 프레스에 의해 형성되는 곡면의 곡률 반경이 작아질수록(즉, 가압 프레스에 의해 전극 조립체가 많이 휠수록) 심해지는 경향이 있었다.
또한, 전극과 분리막을 교대로 적층하여 제조되는 적층형 전극 조립체를 가압하여 곡면이 형성되는 경우, 적층형 전극 조립체의 곡면 형상을 유지하기 위해서 전극 조립체를 지지하는 구성이 없으므로, 전극 조립체 내의 전극과 분리막이 박리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 역시 가압 프레스에 의해 형성되는 곡면의 곡률 반경이 작아질수록 심해지는 경향이 있었다.
상기의 문제점들은 종래에 비해 작은 곡률 반경을 갖는 곡면이 형성된 전극 조립체 및 이차전지를 제조하는데 장애로 작용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종래에 비해 작은 곡률 반경을 갖는 곡면이 형성되면서 시간이 지더라도 그러한 곡면의 형상이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는 전극 조립체를 제조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전극과 분리막이 교대로 배치된 구조를 가지며 평평한 상면 및 하면이 형성된 전극 조립체를 준비하는 전극 조립체 준비 단계; 곡면이 형성된 제1 가압 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전극 조립체의 상면 및 하면을 가압함으로써, 상기 전극 조립체의 상면 및 하면에 상기 제1 가압 장치에 형성된 곡면에 대응되는 형상을 갖는 곡면을 형성하는 제1 가압 단계; 곡면이 형성된 상기 전극 조립체를 오목한 형상의 컵(cup)이 형성된 파우치형 외장재 내에 수용하는 수용 단계; 및 곡면이 형성된 제2 가압 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제1 가압 단계에서 상기 전극 조립체에 형성된 곡면 및 상기 외장재의 외면을 가압하는 제2 가압 단계; 를 포함하는 이차전지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수용 단계 이전에 이루어지고, 상기 제1 가압 단계에서 상기 전극 조립체의 상면 및 하면에 형성된 곡면과 대응되는 형상을 갖는 곡면이 형성된 상기 컵을 상기 외장재에 형성하는 컵 형성 단계;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가압 단계 이후에 이루어지고, 상기 제2 가압 단계에서 형성된 상기 외장재에 형성된 곡면의 표면을 고르게 하는 표면 고르기 단계;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표면 고르기 단계에서, 원통 형상의 롤러가 상기 외장재에 형성된 곡면의 표면 상에서 회전함으로써, 상기 외장재에 형성된 곡면의 표면의 고르기가 향상될 수 있다.
상기 전극 조립체는, 상기 전극 조립체의 두께 방향으로 복수의 별개의 전극과 복수의 별개의 분리막이 교대로 적층된 L&S(lamination & stacking) 구조를 가지거나, 장방형의 분리 필름 상에 전극을 포함하는 복수의 기본 단위체가 배치되고 상기 분리 필름이 폴딩된 S&F(stacking & folding)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전극 조립체 준비 단계에서, 상기 전극 조립체를 가압하는 압력은 180kgf 내지 220kgf이고, 상기 전극 조립체를 가열하는 온도는 섭씨 45도 내지 65도일 수 있다.
상기 제1 가압 단계에서, 상기 전극 조립체를 가압하는 압력은 600kgf 내지 1500kgf이고, 상기 전극 조립체를 가열하는 온도는 섭씨 75도 내지 85도이고, 상기 전극 조립체를 가압 및 가열하는 시간은 50초 내지 110초일 수 있다.
상기 제1 가압 단계에서, 상기 전극 조립체를 가압하는 압력은 950kgf 내지 1050kgf이고, 상기 전극 조립체를 가압 및 가열하는 시간은 55초 내지 65초일 수 있다.
상기 제1 가압 단계에서, 상기 전극 조립체를 가압하는 압력은 900kgf 내지 1000kgf이고, 상기 전극 조립체를 가압 및 가열하는 시간은 55초 내지 65초일 수 있다.
상기 제2 가압 단계에서, 상기 전극 조립체 및 상기 외장재를 가압하는 압력은 200kgf 내지 400kgf이고, 상기 전극 조립체 및 상기 외장재를 가열하는 온도는 섭씨 55도 내지 65도일 수 있다.
곡면이 형성된 제3 가압 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제2 가압 단계에서 형성된, 상기 전극 조립체에 형성된 곡면 및 상기 외장재에 형성된 곡면을 추가로 가압하는 제3 가압 단계;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3 가압 단계에서, 상기 전극 조립체 및 상기 외장재를 가압하는 압력은 300kgf 내지 400kgf이고, 상기 전극 조립체 및 상기 외장재를 가열하는 온도는 섭씨 75도 내지 85도이고, 상기 전극 조립체 및 상기 외장재를 가압 및 가열하는 시간은 8초 내지 12초일 수 있다.
상기 제3 가압 단계 이후에, 상기 전극 조립체 및 상기 외장재에 형성된 곡면의 곡률 반경은 70mm 내지 150mm일 수 있고, 더 상세하게는 80mm 내지 100mm일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전극과 분리막이 교대로 배치된 구조를 가지며 상면과 하면에 곡면이 형성된 전극 조립체; 상기 전극 조립체를 수용하며 상기 전극 조립체의 상면 및 하면에 형성된 곡면의 곡률 반경에 대응되는 곡률 반경을 갖는 곡면이 형성되되 오목한 형상을 갖는 컵(cup)이 형성되는 파우치형 외장재; 를 포함하고, 상기 전극 조립체에 형성된 곡면 및 상기 외장재에 형성된 곡면의 곡률 반경은 각각 70mm 내지 150mm인 이차전지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종래에 비해 작은 곡률 반경을 갖는 곡면이 형성되면서 시간이 지더라도 그러한 곡면의 형상이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는 전극 조립체를 제조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차전지의 제1 기본 단위체의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차전지의 제2 기본 단위체의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이차전지의 제3 기본 단위체의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이차전지의 전극 조립체가 전개되었을 때의 모습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이차전지의 전극 조립체의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이차전지 제조방법에서 제2 가압 단계 이후에 이차전지에 곡면이 형성된 모습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이차전지 제조방법에서 표면 고르기 단계가 이루어지는 모습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4에 대한 실험예 1의 결과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4에 대한 실험예 2의 결과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 1 및 실시예 5에 대한 실험예 1의 결과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 및 실시예 5에 대한 실험예 2의 결과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이하,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이차전지 및 이차전지 제조방법을 설명하도록 한다.
이차전지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차전지의 제1 기본 단위체의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차전지의 제2 기본 단위체의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이차전지의 제3 기본 단위체의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이차전지는 전극과 분리막을 포함하는 제1 기본 단위체(110), 제2 기본 단위체(120) 및 제3 기본 단위체(13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내지 제3 기본 단위체(110, 120, 130)는 각각 음극(142), 분리막(146) 및 양극(144, 144')이 교대로 배치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제1 내지 제3 기본 단위체는 음극, 분리막, 양극이 교대로 적층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기본 단위체(110)는 아래에서부터 음극(142), 분리막(146), 양극(144), 분리막(146) 및 음극(142)이 교대로 적층된 5층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기본 단위체(120)는 아래에서부터 양극(144), 분리막(146), 음극(142), 분리막(146) 및 양극(144)이 교대로 배치된 5층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제2 기본 단위체(120)의 경우와 유사하게 제3 기본 단위체(130)도 아래에서부터 양극, 분리막, 음극, 분리막 및 양극이 교대로 배치된 5층 구조를 가질 수 있다. 그러나,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기본 단위체(130)의 양 끝부에 배치된 양극 중 하나는 단면 양극(144')일 수 있다.
일반적으로 전극은 전극 시트의 양면에 전극 활물질층이 도포된 구조를 갖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단면 양극은 양극 시트의 일면에만 양극 활물질층이 도포된 구조를 가진다. 이때, 단면 양극(144')의 양극 시트의 양면 중 양극 활물질층이 도포되는 면은 분리막(146)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따른 전극 조립체(10)는 분리 필름(150) 및 분리 필름(150) 상에 배치된 제1 내지 제3 기본 단위체(110, 120, 13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내지 제3 기본 단위체(110, 120, 130)의 폭들은 서로 동일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극 조립체(10)를 전개하였을 때, 분리 필름(150)의 일 끝부에는 제1 기본 단위체(110)가 배치되고, 분리 필름(150)의 반대쪽 타 끝부 방향으로 제1 내지 제3 기본 단위체의 폭 만큼의 빈 공간이 형성된 후, 2개의 제2 기본 단위체(120), 2개의 제1 기본 단위체(110), 2개의 제2 기본 단위체(120), 2개의 제1 기본 단위체(110), 그리고, 2개의 제3 기본 단위체(130)가 순차적으로 배치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한편, 2개의 제3 기본 단위체(130)는 단면 양극이 분리 필름(150)과 맞닿도록 배치될 수 있다(도 5 참조).
한편,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전극 조립체(10)는 분리 필름(150) 상에 제1 내지 제3 기본 단위체(110, 120, 130)를 배치한 후 분리 필름이 폴딩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하, 본 명세서에서는, 분리 필름 상에 전극을 포함하는 복수의 기본 단위체가 배치된 후 분리 필름이 폴딩된 구조를 S&F(stacking & folding) 구조라 부르기로 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이차전지는, 전극과 분리막이 교대로 배치된 구조를 가지며 상면과 하면에 곡면이 형성된 전극 조립체, 및 전극 조립체를 수용하며 전극 조립체의 상면 및 하면에 형성된 곡면의 곡률 반경에 대응되는 곡률 반경을 갖는 곡면이 형성되되 오목한 형상을 갖는 컵(cup)이 형성되는 파우치형 외장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전극 조립체에 형성된 곡면 및 외장재에 형성된 곡면의 곡률 반경은 각각 70mm 내지 150mm일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이차전지의 곡면의 곡률 반경은 70mm 내지 150mm일 수 있다.
참고로, 이러한 이차전지는 사람이 머리에 쓰는 VR 기기에 탑재될 수 있게 상기 70mm 내지 150mm 범위로 정해질 수 있되, 일반적인 성인의 머리에 맞는 VR기기에 탑재되는 이차전지라면 80mm 내지 100mm 정도로 정해질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70mm 는 아동용 또는 머리가 작은 사람이 착용할 수 있는 소형 VR 기기에 탑재될 수 있을 것이며, 150mm 는 머리가 큰 사람이 착용할 수 있는 대형 VR 기기에 탑재될 수 있을 것이다.
이차전지 제조방법
본 발명에 따른 이차전지 제조방법은, 전극과 분리막이 교대로 배치된 구조를 가지는 전극 조립체를 준비하는 전극 조립체 준비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전극 조립체 준비 단계에서 준비되는 전극 조립체의 상면 및 하면에는 평평한 면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전극 조립체 준비 단계에서 준비되는 전극 조립체는, (i) 전극 조립체의 두께 방향으로 복수의 별개의 전극과 복수의 별개의 분리막이 교대로 적층된 L&S(lamination & stacking) 구조를 갖는 전극 적층체를 포함하거나, (ii) 장방형의 분리 필름 상에 전극을 포함하는 복수의 기본 단위체가 배치된 후 분리 필름이 폴딩된 S&F(stacking & folding) 구조를 갖는 전극 적층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전극 조립체 준비 단계에서 기본 단위체를 제조하기 위해 기본 단위체를 가압하는 압력은 180kgf 내지 220kgf이고, 기본 단위체를 가열하는 온도는 섭씨 45도 내지 55도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전극 조립체 준비 단계에서 준비되는 전극 조립체가 S&F 구조를 갖는 전극 적층체를 포함하는 경우, 그러한 전극 적층체는, 분리 필름 상에 기본 단위체를 배치한 후 분리 필름을 폴딩할 때, 분리 필름 및 기본 단위체를 가압하는 압력은 140kgf 내지 160kgf일 수 있고, 가열하는 온도는 섭씨 65도 내지 75도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이차전지 제조방법은 종래에 비해 작은 곡률 반경을 갖는 곡면이 형성된 이차전지를 제조하기 위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이차전지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이차전지에 형성된 곡면의 곡률 반경은 70mm 내지 150mm 일 수 있고, 더 상세하게는 80mm 내지 100mm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이차전지 제조방법은, 곡면이 형성된 제1 가압 장치를 이용하여 전극 조립체의 상면 및 하면을 가압함으로써, 전극 조립체의 상면 및 하면에 제1 가압 장치에 형성된 곡면에 대응되는 형상을 갖는 곡면을 형성하는 제1 가압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이차전지 제조방법에서 제1 가압 단계에 의해 전극 조립체의 상면 및 하면에 처음으로 곡면(curved surface)이 형성되므로, 본 발명에 따른 제1 가압 단계는 커빙(curving) 공정이라고도 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이차전지 제조방법의 제1 가압 단계에서, 전극 조립체의 상면 및 하면을 가압하는 압력은 600kgf 내지 1500kgf일 수 있고, 전극 조립체의 상면 및 하면을 가압하는 온도는 섭씨 75도 내지 85도일 수 있고, 전극 조립체를 가압 및 가열하는 시간은 50초 내지 110초일 수 있다.
제1 가압 단계에서 전극 조립체의 상면 및 하면을 가압하는 압력이 600kgf 미만인 경우에는 본 발명이 제조하고자 하는 범위의 곡률 반경을 갖는 곡면이 이차전지에 형성되지 않을 수 있고, 제1 가압 단계에서 전극 조립체의 상면 및 하면을 가압하는 압력이 1500kgf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통기도가 지나치게 커질 수 있다.
통기도란 소정의 조건 하에서 공기가 어떤 구성(ex. 전극 조립체)을 통과하는 시간을 나타낸 것으로, 전극 조립체의 통기도를 측정함으로써 이온의 침투성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전극 조립체의 통기도가 크다는 것은 공기가 전극 조립체, 특히, 분리막을 통과하는 데 오랜 시간이 걸린다는 것을 의미하므로, 전극 조립체의 이온 투과성이 낮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전극 조립체의 통기도가 지나치게 큰 경우 전극 조립체, 또는, 이차전지의 성능이 저하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 제1 가압 단계에서 전극 조립체의 상면 및 하면을 가압하는 온도는 950kgf 내지 1050kgf일 수 있다. 또는, 보다 바람직하게는, 제1 가압 단계에서 전극 조립체의 상면 및 하면을 가압하는 온도는 900kgf 내지 1000kgf일 수 있다. 또한, 보다 바람직하게 제1 가압 단계에서 전극 조립체의 상면 및 하면을 가압하는 시간은 55초 내지 65초일 수 있다. 또는, 보다 바람직하게 제1 가압 단계에서 전극 조립체의 상면 및 하면을 가압하는 시간은 95초 내지 105초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이차전지 제조방법은, 곡면이 형성된 전극 조립체를 오목한 형상의 컵(cup)이 형성된 파우치형 외장재(이하, '외장재') 내에 수용하는 수용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외장재에 형성되는 컵의 형상은 제1 가압 단계에 의해 곡면이 형성된 전극 조립체의 형상에 대응될 수 있다.
또한, 외장재에 컵을 형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이차전지 제조방법은 상기 수용 단계 이전에 이루어지고, 제1 가압 단계에서 전극 조립체의 상면 및 하면에 형성된 곡면과 대응되는 형상을 갖는, 곡면이 형성된 컵을 외장재에 형성하는 컵 형성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이차전지 제조방법은, 곡면이 형성된 제2 가압 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제1 가압 단계에서 전극 조립체에 형성된 곡면 및 외장재의 외면을 가압하는 제2 가압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제2 가압 단계는 이차전지에 형성된 곡면을 가압하는 것일 수 있다.
제2 가압 단계는 상기 수용 단계 이후에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제2 가압 단계에서, 외장재에 형성된 컵에 전극 조립체를 수용한 후 외장재의 외면을 가압함으로써, 상기 외장재 내에 수용된 전극 조립체에 형성된 곡면도 함께 가압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제1 가압 단계에서 형성된 전극 조립체의 곡면의 형상이 제2 가압 단계에 의해 보다 견고하게 유지될 수 있다.
제2 가압 단계에서, 전극 조립체 및 외장재(즉, 이차전지)를 가압하는 압력은 200kgf 내지 400kgf일 수 있고, 이차전지의 상면 및 하면을 가압하는 온도는 섭씨 55도 내지 65도일 수 있다.
제2 가압 단계는, 곡면이 형성된 제1 지그 및 제2 지그 사이에 전극 조립체가 수용된 외장재를 삽입한 후 제1 지그 및 제2 지그가 전극 조립체가 수용된 외장재를 가압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제2 가압 단계는 지그 포메이션(jig formation) 공정이라고도 볼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이차전지 제조방법에서 제2 가압 단계 이후에 이차전지에 곡면이 형성된 모습을 도시한 측면도로서, 제1 가압 단계 이후에 이차전지(1)의 상면 및 하면에 곡면(C)이 형성된 경우가 도시되어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이차전지 제조방법은, 제2 가압 단계 이후에 이루어지고, 상기 제2 가압 단계에서 형성된, 외장재에 형성된 곡면의 표면을 고르게 하는 표면 고르기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이차전지 제조방법에서 표면 고르기 단계가 이루어지는 모습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7에는 이차전지(1)의 상면에 형성된 곡면(C) 상을 원통 형상의 롤러(20)가 회전하는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상기 표면 고르기 단계에서는, 원통 형상의 롤러(20)가 이차전지(1)에 형성된 곡면(C)의 표면 상에서 회전함으로써 이차전지(1) 에 형성된 곡면의 표면의 고르기가 향상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 표면 고르기 단계에서, 롤러(20)가 이차전지(1)에 형성된 곡면의 표면 상에서 회전할 때, 원통 형상의 롤러와 이차전지(1)에 형성된 곡면(C)의 표면 상에는 서로 미끄러지지 않을 수 있다. 이는, 표면 고르기 단계에서 롤러와 이차전지에 형성된 곡면의 표면 간에는 정지 마찰력(force of static friction)이 작용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이차전지 제조방법은, 곡면이 형성된 제3 가압 장치를 이용하여 전극 조립체에 형성된 곡면 및 외장재에 형성된 곡면을 추가로 가압하는 제3 가압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제3 가압 단계는 이차전지에 형성된 곡면을 가압하는 것일 수 있다. 제3 가압 단계는 상기 표면 고르기 단계 이후에 이루어질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표면 고르기 단계에서 외장재에 형성된 곡면의 표면의 고르기가 향상될 수 있다. 그러나, 이 과정에서 원통 형상의 롤러가 이차전지에 형성된 곡면의 표면을 가압하기 때문에, 이차전지에 형성된 곡면의 곡률 반경에 변형이 일어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표면 고르기 단계 이후에 제3 가압 단계에 의해 이차전지에 형성된 곡면을 추가적으로 가압하게 되므로, 제1 가압 단계 및 제2 가압 단계에서 형성된 이차전지의 곡면의 형상이 제3 가압 단계에 의해 보다 견고하게 유지될 수 있다.
제3 가압 단계에서, 전극 조립체 및 외장재(즉, 이차전지)의 상면 및 하면을 가압하는 압력은 300kgf 내지 400kgf일 수 있고, 이차전지의 상면 및 하면을 가압하는 온도는 섭씨 75도 내지 85도일 수 있고, 이차전지의 상면 및 하면을 가압 및 가열하는 시간은 8초 내지 12초일 수 있다.
제3 가압 단계는, 고온으로 가열된 핫 프레스 지그(hot press jig) 내에 이차전지를 삽입한 후 지그가 이차전지를 가열 및 가압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제3 가압 단계는 핫 프레스(hot press) 공정이라고도 볼 수 있다. 상기 제3 가압 단계, 즉, 핫 프레스 공정 이후의 이차전지의 곡률 반경은 70mm 내지 150mm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르면 제1 가압 단계에서 전극 조립체의 상면 및 하면을 가압하는 제1 가압 장치에서, 전극 조립체의 가운데 영역을 가압하는 영역의 곡면과 전극 조립체의 양 끝부를 가압하는 영역의 곡면의 곡률 반경은 서로 다를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제1 가압 장치에서 전극 조립체의 양 끝부를 가압하는 영역의 곡면의 곡률 반경은 전극 조립체의 가운데 영역을 가압하는 영역의 곡면의 곡률 반경보다 작을 수 있다.
가압 장치에 의해 곡면이 형성된 전극 조립체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다시 펴지려고 하는 경향이 있다. 이는 전극 조립체 내 전극과 분리막 간에 형성된 접착에 의해 형성된 복원력 때문이다. 이러한 경향은 전극 조립체에 형성된 곡면 중에서도 곡면의 끝부에서 상대적으로 더욱 크다.
제1 가압 장치에서 전극 조립체의 양 끝부와 가운데 영역을 가압하는 영역의 곡면의 곡률 반경을 각각 서로 다르게 하는 것은 이러한 경향을 상쇄하기 위한 것일 수 있다. 즉, 제1 가압 단계에서, 전극 조립체에 형성된 곡면에서 양 끝부에 형성된 곡면의 곡률 반경이 더 작도록 함으로써 곡면의 전 영역에서 곡률 반경의 편차를 줄일 수 있다.
실시예 1
분리 필름, 5개의 제1 기본 단위체, 4개의 제2 기본 단위체 그리고 2개의 제3 기본 단위체를 준비하였다. 제1 기본 단위체는 음극, 분리막, 양극, 분리막 및 음극이 순차적으로 적층된 구조를 가졌고, 제2 기본 단위체는 양극, 분리막, 음극, 분리막 및 양극이 순차적으로 적층된 구조를 가졌고, 제3 기본 단위체는 단면 양극, 분리막, 음극, 분리막 및 양극이 순차적으로 적층된 구조를 가졌다.
제1 내지 제3 기본 단위체를 제조하는 과정에서 전극과 분리막을 접착하기 위해 전극과 분리막에 가해진 압력은 200kgf, 온도는 섭씨 50도였다.
이후, 분리 필름의 상면에 제1 내지 제3 기본 단위체를 배치하였다. 분리 필름의 일 끝부에 제1 기본 단위체가 배치되었고, 분리 필름의 반대쪽 타 끝부 방향으로 제1 내지 제3 기본 단위체의 폭만큼의 빈 공간이 형성된 후, 2개의 제2 기본 단위체, 2개의 제1 기본 단위체, 2개의 제2 기본 단위체, 2개의 제1 기본 단위체, 그리고, 2개의 제3 기본 단위체가 순차적으로 배치되었다. 이때, 2개의 제3 기본 단위체는 단면 양극이 분리 필름과 맞닿도록 배치되었다.
분리 필름을 상기와 같이 배치한 후, 분리 필름을 폴딩하여 전극 조립체를 제조하였다.
이후, 곡면이 형성된 제1 가압 장치를 이용하여 전극 조립체를 가압하여 전극 조립체에 곡면을 형성하였다(제1 가압 단계). 제1 가압 장치가 전극 조립체를 가압할 때의 가압 온도는 섭씨 80도였고, 가압 압력은 600kgf였고, 가압 시간은 60초였다.
이후, 제1 가압 장치에 의해 곡면이 형성된 전극 조립체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을 갖는 컵이 형성된 시트형 외장재에 전극 조립체를 수용하여 이차전지를 제조하였다.
이후, 곡면이 형성된 제2 가압 장치를 이용하여 이차전지에 형성된 곡면을 추가로 가압하였다(jig formation 공정). 제2 가압 장치가 이차전지를 가압할 때의 가압 온도는 섭씨 60도였고, 가압 압력은 300kgf였다.
이후, 곡면이 형성된 제3 가압 장치를 이용하여 이차전지에 형성된 곡면을 추가로 가압하였다(hot press 공정). 제3 가압 장치가 이차전지를 가압할 때의 가압 온도는 섭씨 80도였고, 가압 압력은 350kgf였고, 가압 시간은 10초였다.
실시예 2
제1 가압 장치가 전극 조립체를 가압할 때의 가압 압력이 900kgf인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이차전지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3
제1 가압 장치가 전극 조립체를 가압할 때의 가압 압력이 1000kgf인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이차전지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4
제1 가압 장치가 전극 조립체를 가압할 때의 가압 압력이 1500kgf인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이차전지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5
제1 가압 장치가 전극 조립체를 가압할 때의 가압 시간이 100초인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이차전지를 제조하였다.
실험예 1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5에 따라 제조된 이차전지에 형성된 곡면의 곡률 반경을 측정하였다. Keyence 사의 3D 측정기를 이용하여 이차전지의 이미지를 촬영한 후, 이차전지의 양 끝 지점 및 가운데 지점을 설정하여 세 지점의 위치를 측정한 후, 상기 세 지점을 토대로 곡률 반경을 측정하였다.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4에 따라 제조된 이차전지에 형성된 곡면의 곡률 반경을 측정한 결과가 도 8에 도시되어 있고, 실시예 1 및 실시예 5에 따라 제조된 이차전지에 형성된 곡면의 곡률 반경을 측정한 결과가 도 9에 도시되어 있다.
실험예 2
실시예 1 및 실시예 5에 따라 제조된 이차전지의 통기도를 측정하였다.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4에 따라 제조된 이차전지의 통기도를 측정한 결과가 도 10에 도시되어 있고, 실시예 1 및 실시예 5에 따라 제조된 이차전지의 통기도를 측정한 결과가 도 11에 도시되어 있다. 통기도는, 100ml의 공기가 이차전지를 통과하는 데 걸리는 시간(초)을 계산함으로써 측정되었다.
실험예 1 및 실험예 2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은 결과를 도출할 수 있다.
제1 가압 단계에서 전극 조립체에 가해지는 압력이 증가할수록 이차전지의 곡률 반경이 작아지는 경향을 가짐을 알 수 있다. 즉, 제1 가압 단계에서 전극 조립체에 가해지는 압력이 증가할수록 이차전지에 형성된 곡면의 형상이 잘 유지됨을 확인할 수 있다. 그러나, 그 압력이 1000kgf인 경우(실시예 3)와 1500kgf(실시예 4)인 경우를 비교하면 이차전지에 형성된 곡면의 곡률 반경의 차이가 크지 않음을 알 수 있다.
반면, 제1 가압 단계에서 전극 조립체에 가해지는 압력이 증가할수록 이차전지의 통기성은 증가함을 알 수 있다. 즉, 제1 가압 단계에서 전극 조립체에 가해지는 압력이 증가할수록 이차전지의 성능은 저하됨을 알 수 있다. 특히, 압력이 1000kgf인 경우(실시예 3)와 비교하여 압력이 1500kgf인 경우(실시예 4) 통기도가 급격히 증가함을 확인할 수 있다.
한편, 실시예 1과 실시예 5를 비교하면, 제1 가압 단계에서의 가압 시간이 60초인 경우(즉, 실시예 1)의 이차전지의 곡률 반경이 제1 가압 단계에서의 가압 시간이 100초인 경우(즉, 실시예 5)의 이차전지의 곡률 반경보다 현저하게 큰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반면, 제1 가압 단계에서의 가압 시간이 100초인 경우(즉, 실시예 5)의 이차전지의 통기도는 제1 가압 단계에서의 가압 시간이 60초인 경우(즉, 실시예 1)의 이차전지의 통기도와 큰 차이가 나지 않음을 확인할 수 있다(즉, 실시예 1 및 실시예 5 모두 통기도는 250초 내외임을 확인할 수 있음).
이상에서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실시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1 : 이차전지
10 : 전극 조립체
110 : 제1 기본 단위체
120 : 제2 기본 단위체
130 : 제3 기본 단위체
142 : 음극
144 : 양극
144' : 단면 양극
146 : 분리막
150 : 분리 필름
20 : 롤러
C : 곡면

Claims (15)

  1. 전극과 분리막이 교대로 배치된 구조를 가지며 평평한 상면 및 하면이 형성된 전극 조립체를 준비하는 전극 조립체 준비 단계;
    곡면이 형성된 제1 가압 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전극 조립체의 상면 및 하면을 가압함으로써, 상기 전극 조립체의 상면 및 하면에 상기 제1 가압 장치에 형성된 곡면에 대응되는 형상을 갖는 곡면을 형성하는 제1 가압 단계;
    곡면이 형성된 상기 전극 조립체를 오목한 형상의 컵(cup)이 형성된 파우치형 외장재 내에 수용하는 수용 단계; 및
    곡면이 형성된 제2 가압 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제1 가압 단계에서 상기 전극 조립체에 형성된 곡면 및 상기 외장재의 외면을 가압하는 제2 가압 단계; 를 포함하는 이차전지 제조방법.
  2. 청구항 1에서,
    상기 수용 단계 이전에 이루어지고,
    상기 제1 가압 단계에서 상기 전극 조립체의 상면 및 하면에 형성된 곡면과 대응되는 형상을 갖는 곡면이 형성된 상기 컵을 상기 외장재에 형성하는 컵 형성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이차전지 제조방법.
  3. 청구항 1에서,
    상기 제2 가압 단계 이후에 이루어지고,
    상기 제2 가압 단계에서 형성된 상기 외장재에 형성된 곡면의 표면을 고르게 하는 표면 고르기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이차전지 제조방법.
  4. 청구항 3에서,
    상기 표면 고르기 단계에서,
    원통 형상의 롤러가 상기 외장재에 형성된 곡면의 표면 상에서 회전함으로써, 상기 외장재에 형성된 곡면의 표면의 고르기가 향상되는 이차전지 제조방법.
  5. 청구항 1에서,
    상기 전극 조립체는,
    상기 전극 조립체의 두께 방향으로 복수의 별개의 전극과 복수의 별개의 분리막이 교대로 적층된 L&S(lamination & stacking) 구조를 가지거나,
    장방형의 분리 필름 상에 전극을 포함하는 복수의 기본 단위체가 배치되고 상기 분리 필름이 폴딩된 S&F(stacking & folding) 구조를 갖는 이차전지 제조방법.
  6. 청구항 1에서,
    상기 전극 조립체 준비 단계에서,
    상기 전극 조립체를 가압하는 압력은 180kgf 내지 220kgf이고,
    상기 전극 조립체를 가열하는 온도는 섭씨 45도 내지 65도인 이차전지 제조방법.
  7. 청구항 1에서,
    상기 제1 가압 단계에서,
    상기 전극 조립체를 가압하는 압력은 600kgf 내지 1500kgf이고,
    상기 전극 조립체를 가열하는 온도는 섭씨 75도 내지 85도이고,
    상기 전극 조립체를 가압 및 가열하는 시간은 50초 내지 110초인 이차전지 제조방법.
  8. 청구항 7에서,
    상기 제1 가압 단계에서,
    상기 전극 조립체를 가압하는 압력은 950kgf 내지 1050kgf이고,
    상기 전극 조립체를 가압 및 가열하는 시간은 55초 내지 65초인 이차전지 제조방법.
  9. 청구항 7에서,
    상기 제1 가압 단계에서,
    상기 전극 조립체를 가압하는 압력은 900kgf 내지 1000kgf이고,
    상기 전극 조립체를 가압 및 가열하는 시간은 55초 내지 65초인 이차전지 제조방법.
  10. 청구항 1에서,
    상기 제2 가압 단계에서,
    상기 전극 조립체 및 상기 외장재를 가압하는 압력은 200kgf 내지 400kgf이고,
    상기 전극 조립체 및 상기 외장재를 가열하는 온도는 섭씨 55도 내지 65도인 이차전지 제조방법.
  11. 청구항 1에서,
    곡면이 형성된 제3 가압 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제2 가압 단계에서 형성된, 상기 전극 조립체에 형성된 곡면 및 상기 외장재에 형성된 곡면을 추가로 가압하는 제3 가압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이차전지 제조방법.
  12. 청구항 11에서,
    상기 제3 가압 단계에서,
    상기 전극 조립체 및 상기 외장재를 가압하는 압력은 300kgf 내지 400kgf이고,
    상기 전극 조립체 및 상기 외장재를 가열하는 온도는 섭씨 75도 내지 85도이고,
    상기 전극 조립체 및 상기 외장재를 가압 및 가열하는 시간은 8초 내지 12초인 이차전지 제조방법.
  13. 청구항 11에서,
    상기 제3 가압 단계 이후에,
    상기 전극 조립체 및 상기 외장재에 형성된 곡면의 곡률 반경은 70mm 내지 150mm인 이차전지 제조방법.
  14. 청구항 13에서,
    상기 제3 가압 단계 이후에,
    상기 전극 조립체 및 상기 외장재에 형성된 곡면의 곡률 반경은 80mm 내지 100mm인 이차전지 제조방법.
  15. 전극과 분리막이 교대로 배치된 구조를 가지며 상면과 하면에 곡면이 형성된 전극 조립체;
    상기 전극 조립체를 수용하며 상기 전극 조립체의 상면 및 하면에 형성된 곡면의 곡률 반경에 대응되는 곡률 반경을 갖는 곡면이 형성되되 오목한 형상을 갖는 컵(cup)이 형성되는 파우치형 외장재; 를 포함하고,
    상기 전극 조립체에 형성된 곡면 및 상기 외장재에 형성된 곡면의 곡률 반경은 각각 70mm 내지 150mm인 이차전지.
KR1020200112507A 2019-09-05 2020-09-03 이차전지 및 그 이차전지의 제조방법 KR20210029109A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L20861343.0T PL4009407T3 (pl) 2019-09-05 2020-09-04 Wysokonapięciowy moduł akumulatorowy zawierający zewnętrzną mostkową szynę zbiorczą
CN202080059410.7A CN114270585B (zh) 2019-09-05 2020-09-04 二次电池及制造该二次电池的方法
JP2022512832A JP7362189B2 (ja) 2019-09-05 2020-09-04 二次電池およびその二次電池の製造方法
PCT/KR2020/011916 WO2021045549A1 (ko) 2019-09-05 2020-09-04 이차전지 및 그 이차전지의 제조방법
EP20861343.0A EP4009407B1 (en) 2019-09-05 2020-09-04 Method for manufacturing a secondary battery
US17/686,576 US20220190310A1 (en) 2019-09-05 2022-03-04 Secondary battery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0276 2019-09-05
KR20190110276 2019-09-05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29109A true KR20210029109A (ko) 2021-03-15

Family

ID=751346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12507A KR20210029109A (ko) 2019-09-05 2020-09-03 이차전지 및 그 이차전지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29109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488727A (zh) * 2021-06-23 2021-10-08 湖南立方新能源科技有限责任公司 一种弧形电池的加工方法、加工装置及弧形电池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488727A (zh) * 2021-06-23 2021-10-08 湖南立方新能源科技有限责任公司 一种弧形电池的加工方法、加工装置及弧形电池
CN113488727B (zh) * 2021-06-23 2023-03-28 湖南立方新能源科技有限责任公司 一种弧形电池的加工方法、加工装置及弧形电池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987118B2 (ja) 電極組立体の製造方法
KR102563163B1 (ko) 전극 조립체 제조장치
KR20200023853A (ko) 전극 조립체 제조장치
EP3416225B1 (en) Electrode assembly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KR20150034944A (ko) 전극조립체 제조방법
KR20210029109A (ko) 이차전지 및 그 이차전지의 제조방법
US11508970B2 (en) Battery and battery manufacturing method
CN111052476B (zh) 电极组件及其制造方法
US10164232B2 (en) Manufacturing method and manufacturing apparatus of electrode body
EP4009407A1 (en) Secondary battery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econdary battery
CN114270585B (zh) 二次电池及制造该二次电池的方法
KR20200126767A (ko) 전극 조립체 제조방법과, 이를 통해 제조된 전극 조립체 및 이차전지
US20200083555A1 (en) Secondary battery, and apparatu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US11621434B2 (en) Method for manufacturing electrode assembly
KR102540600B1 (ko) 전극 조립체
EP4258400A1 (en) Electrode assembly lamination roller
KR20230096885A (ko) 전극 조립체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230148633A (ko) 전극 조립체의 제조 방법 및 전극 조립체의 제조장치
KR20220112515A (ko) 선압착 및 면압착을 포함하는 전극조립체 제조방법,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전극조립체
JP2024503884A (ja) 二次電池製造装置及びそれを用いる二次電池製造方法
CN116711115A (zh) 电极组件层压辊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