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28947A - 미세먼지 제거장치 - Google Patents

미세먼지 제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28947A
KR20210028947A KR1020190110132A KR20190110132A KR20210028947A KR 20210028947 A KR20210028947 A KR 20210028947A KR 1020190110132 A KR1020190110132 A KR 1020190110132A KR 20190110132 A KR20190110132 A KR 20190110132A KR 20210028947 A KR20210028947 A KR 202100289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ule
dust collecting
dust
fine dust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101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덕재
Original Assignee
김덕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덕재 filed Critical 김덕재
Priority to KR10201901101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28947A/ko
Publication of KR202100289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2894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3/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 e.g. air, by electrostatic effect
    • B03C3/02Plant or installations having external electricity supply
    • B03C3/04Plant or installations having external electricity supply dry type
    • B03C3/08Plant or installations having external electricity supply dry type characterised by presence of stationary flat electrodes arranged with their flat surfaces parallel to the gas strea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3/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 e.g. air, by electrostatic effect
    • B03C3/02Plant or installations having external electricity supply
    • B03C3/04Plant or installations having external electricity supply dry type
    • B03C3/14Plant or installations having external electricity supply dry type characterised by the additional use of mechanical effects, e.g. gravity
    • B03C3/155Filt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3/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 e.g. air, by electrostatic effect
    • B03C3/34Constructional details or accessories or operation thereof
    • B03C3/40Electrode constructions
    • B03C3/41Ionising-electro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3/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 e.g. air, by electrostatic effect
    • B03C3/34Constructional details or accessories or operation thereof
    • B03C3/40Electrode constructions
    • B03C3/45Collecting-electrodes
    • B03C3/47Collecting-electrodes flat, e.g. plates, discs, grat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3/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 e.g. air, by electrostatic effect
    • B03C3/34Constructional details or accessories or operation thereof
    • B03C3/66Applications of electricity supply techniqu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2201/00Details of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 B03C2201/04Ionising electrode being a wire

Landscapes

  • Filtering Materials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 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And Apparatus (AREA)

Abstract

개시된 본 발명에 따른 미세먼지 제거장치는, 외부 공기 또는 내부 공기를 선택적으로 유입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유입모듈; 상기 외부 공기 또는 상기 내부 공기에 함유된 미세먼지를 제거한 후 실내로 배출시키는 배출모듈; 상기 유입모듈 측에 위치되어 유입된 상기 외부 공기 또는 상기 내부 공기를 1차로 필터링하는 필터모듈; 및 상기 필터모듈과 상기 배출모듈의 사이에 배치되어, 플라즈마 와이어를 통과하는 미세먼지가 플라즈마 방전에 의해 극성을 갖도록 하여 집진판에 달라붙도록 하는 집진모듈;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유입모듈을 통해 실외 공기 또는 실내 공기를 선택적으로 유입한 상태에서 플라즈마 와이어를 통과하는 미세먼지가 플라즈마 방전에 의해 극성을 갖도록 하여 집진판에 달라붙도록 하는 집진모듈을 통해 미세먼지를 효과적으로 제거 가능하며, 금속판 및 집진판을 경사지게 배치함으로써 집진모듈의 두께는 줄이면서 집진 효율은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미세먼지 제거장치 {APPARATUS FOR ELIMINATING FINE DUST}
본 발명은 미세먼지 제거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미세먼지 등과 같은 유해물질의 실내 유입을 차단하고 동시에 실내에서 발생하는 유해공기를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기 정화를 위해 설치되는 공기정화장치는 크게 필터방식과 전기 집진방식의 두 가지를 사용한다. 필터방식은 공기 속에 포함된 유해가스, 먼지, 연기, 냄새 등이 막을 통과하면서 직접 걸러지는 방식이며, 전기 집진방식은 고전압 방전 및 정전현상을 이용하여 유해가스, 먼지, 연기, 냄새 등을 제거하는 방식이다.
대부분의 생활을 실내에서 보내는 현대인들은 비교적 저농도이고, 눈에 보이지 않는 실내 부유 유해 먼지들을 의식하지 못한 채 생활하고 있으나, 이러한 실내 부유 유해 먼지들은 습도, 온도, 소음 등과 같은 인간의 쾌적함과 관련된 환경요소와는 달리 인간의 건강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유해요소들임. 따라서 이러한 유해입자들을 제거/차단하는 효율적인 관리방법이 없다면 심각한 건강문제를 초래할 수 있다.
최근에는 에너지 절약차원에서 외부공기 유입이 억제되어 주택이나 빌딩구조의 기밀화가 증대되고 외부 공기 또한 산업화 등으로 오염이 심각해져 실내와 실외의 고립화가 가속화되고 있는 실정이다.
결국, 건물의 사무실에서 일하는 직장인들 가운데 각종 건강장애와 관련된 증상을 호소하는 사람들이 늘어나고 있으며, 두통, 안질, 졸음, 집중력 저하, 어지러움 등의 현상이 두드러지게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현상의 주된 원인은 최근 주거 양식의 변화로 인한 밀폐된 공간에서의 생활시간의 증가로 볼 수 있으며, 또한 밀폐된 공간에서 초미세먼지(PM2.5)와 같은 유해물질은 현대인의 건강장애를 유발하는 원인이 되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유해물질의 실내 유입을 차단하고 동시에 실내에서 발생하는 유해공기를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공기질 개선 장치에 대한 수요는 점증하고 있다.
이러한, 공기정화장치와 관련된 기술이 한국등록특허 제1655976호에 제안된 바 있다.
그러나 특허문헌 1은 실내에 공기를 정화하는데 한정된 기능을 갖고 있으며, 유해물질의 실내유입을 차단하는 기능은 없으므로 이에 대한 해결책이 요구되고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655976호(2016.09.02)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창틀 또는 창틀 측방에 설치하여 실외에서 유입되는 공기 또는 실내 공기에 함유된 미세먼지를 효율적으로 제거하는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미세먼지 제거장치는, 외부 공기 또는 내부 공기를 선택적으로 유입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유입모듈; 상기 외부 공기 또는 상기 내부 공기에 함유된 미세먼지를 제거한 후 실내로 배출시키는 배출모듈; 상기 유입모듈 측에 위치되어 유입된 상기 외부 공기 또는 상기 내부 공기를 1차로 필터링하는 필터모듈; 및 상기 필터모듈과 상기 배출모듈의 사이에 배치되어, 플라즈마 와이어를 통과하는 미세먼지가 플라즈마 방전에 의해 극성을 갖도록 하여 집진판에 달라붙도록 하는 집진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집진모듈은, 유입구 및 배출구가 각각 형성되는 케이스;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 본체와, 상기 본체 표면을 기설정 온도에서 산화시켜 형성한 유전체막 및 상기 유전체막 표면에 세라믹을 소성하여 형성한 세라믹 코팅층을 포함하며, 상기 전원부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토대로 좌측 또는 우측에 일정 간격을 두고 배치된 금속판과의 전위차에 의해 플라즈마 방전을 일으키는 플라즈마 와이어; 상기 케이스 내부에 복수 개가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으며, 외부에서 유입되는 공기 속에 포함된 먼지, 연기를 포함한 입자가 상기 플라즈마 와이어와의 전위차에 의해 발생된 플라즈마 방전에 의해 극성을 갖도록 하는 금속판; 및 상기 금속판 사이에 각각 배치되며, 상기 플라즈마 와이어 및 상기 금속판 사이에 발생하는 플라즈마 방전에 의해 극성을 가진 외부에서 유입되는 공기 속에 포함된 먼지, 연기를 포함한 입자를 상기 전원부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토대로 집진시키는 집진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금속판 및 집진판은 경사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필터모듈과 상기 배출모듈의 사이에 유해 입자 크기에 따라 여과 정도가 다르도록 필터모듈이 다수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유입모듈, 배출모듈, 필터모듈, 및 집진모듈은 창틀 안쪽 또는 바깥쪽에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유입모듈을 통해 실외 공기 또는 실내 공기를 선택적으로 유입한 상태에서 플라즈마 와이어를 통과하는 미세먼지가 플라즈마 방전에 의해 극성을 갖도록 하여 집진판에 달라붙도록 하는 집진모듈을 통해 미세먼지를 효과적으로 제거 가능하며, 금속판 및 집진판을 경사지게 배치함으로써 집진모듈의 두께는 줄이면서 집진 효율은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미세먼지 제거장치가 창틀 외부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미세먼지 제거장치에서 집진모듈의 내부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미세먼지 제거장치에서 집진모듈의 집진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미세먼지 제거장치에서 집진모듈의 플라즈마 와이어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미세먼지 제거장치에서 집진모듈에 적용되는 금속판의 표면에 광촉매층이 형성된 것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미세먼지 제거장치에서 외부 공기 및 내부 공기를 유입하는 상태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미세먼지 제거장치가 창틀 내부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상기와 같은 목적, 특징 및 다른 장점들은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함으로써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미세먼지 제거장치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미세먼지 제거장치가 창틀 외부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미세먼지 제거장치에서 집진모듈의 내부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미세먼지 제거장치에서 집진모듈의 집진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미세먼지 제거장치에서 집진모듈의 플라즈마 와이어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미세먼지 제거장치에서 집진모듈에 적용되는 금속판의 표면에 광촉매층이 형성된 것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미세먼지 제거장치에서 외부 공기 및 내부 공기를 유입하는 상태를 도시한 개략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미세먼지 제거장치가 창틀 내부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미세먼지 제거장치(10)는 유입모듈(100), 제1 필터모듈(200), 집진모듈(300), 제2 필터모듈(400) 및 배출모듈(500)을 포함하며, 5~12kV의 고전압을 인가하여 먼지들을 대전시키는 것이 가능하면서 그 이하의 저전압을 인가하여 대전 역시 가능하다.
여기서, 저전압을 인가하여 대전하는 경우, 탄소계열의 나노산화체인 그래핀과 탄소계를 플라즈마 와이어(Copper, Nickel, KOVAR)에 소성 코팅하여 저전압에서 미세먼지를 제거하기 위한 유효한 플라즈마를 발생시킴으로써 고전압 배제에 따른 오존 발생을 실내 환경 기준치인 50ppb이하로 최소화 가능하다. 또한, 강력한 에너지를 가지고 있는 플라즈마 방전효과로 OH 라디칼 살균이온이 다량 발생하여 미세먼지 이외의 유독성 물질과 반응, 산소와 탄소이온을 분해하여 신속히 오염물질을 제거 가능하다.
더욱이, 본 발명의 미세먼지 제거장치(10)는 창틀(10)의 바깥쪽 측방에 위치되면서 실내, 외 마감판(도면에 미도시)에 의해 마감되며, 실내 마감판의 하측과 상측에 내부 유입구와 배출구가 각각 형성되고, 실외 마감판의 하측에 외부 유입구가 형성된다.
유입모듈(100)은 도 1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 공기 또는 내부 공기를 선택적으로 유입할 수 있도록 구비되며, 유입구조물(102) 및 유입팬(104)을 포함한다.
유입구조물(102)은 점차 면적이 확대되는 호퍼 형상으로 형성되며, 하측에 위치되어 종축을 기준으로 회전되면서 외부 유입구 또는 내부 유입구와 연통시킨다.
유입팬(104)은 흡입력을 발생시켜 외부 유입구를 통해 실외의 공기를 강제 흡입하게 하거나, 내부 유입구를 통해 실내의 공기를 강제 흡입하게 한다.
제1 필터모듈(200)은 도 1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입팬(104)과 연결되어 유입된 외부 공기 또는 내부 공기에 함유된 이물질 등을 1차로 필터링하며, 일 예로 부직포 필터 등이 이에 적용된다.
집진모듈(300)은 도 1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필터모듈(200) 상에 위치되어 플라즈마 와이어(330)를 통과하는 미세먼지가 플라즈마 방전에 의해 극성을 갖도록 하여 집진판(350)에 달라붙도록 케이스(310), 전원부(320), 플라즈마 와이어(330), 금속판(340) 및 집진판(350)을 포함하며, 대전부와 집진부로 나누어진 기존의 전기 집진기의 구조와 달리 대전부와 집진부가 별개의 구조가 아닌 일체형으로 구현되어 있다.
특히, 집진모듈(300)은 도 3에 도시된 금속판(340)이 적용됨으로써 플라즈마 와이어(330)에 전압이 인가되어 발생하는 플라즈마광이 금속판(340)의 형성된 광촉매층(341)에 도달되어 광촉매의 촉매활성이 발휘되도록 할 수 있다.
광촉매층(341)은 다양한 물질을 이용하여 형성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이산화 티타늄(TiO2)을 이용하여 광촉매층을 형성할 수 있다.
그 밖에도 광촉매층(341)은 ZnO, ZrO2, WO3, 페롭스카이트형 복합 금속산화물 등을 이용하여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에서 플라즈마 와이어(330)에 전압이 인가되면 플라즈마 와이어(330)와 금속판(334) 간의 전위차에 의하여 플라즈마 방전이 일어나며, 다수의 이온이 형성된다. 플라즈마 방전은 플라즈마광을 생성하며, 이와 같이 생성된 플라즈마광은 금속판(340)의 표면에 형성된 광촉매층(341)에 도달하여 광촉매층에 포함된 광촉매 물질의 광촉매 활성이 발휘된다.
예를 들어, 광촉매층(341)을 이산화 티타늄(TiO2)을 이용하여 형성할 경우, 이산화 티타늄에 플라즈마광이 흡수되어 광촉매층의 표면에 전자(e-) 및 정공이 생기게 되고 전자는 광촉매층 표면에 있는 산소(O2)와 반응해서 슈퍼옥사이드 음이온(O2-)을 형성하게 되며, 정공은 공기 속에 존재하고 있는 수분과 반응하여 하이드록실 라디칼(hydroxyl radical, 중성 OH)을 생성한다.
이때, 생성된 하이드록실 라디칼은 강력한 유기물질들을 산화분해 할 수 있는 능력을 지니고 있으며, 오염된 공기 속에 존재하는 악취물질, 바이러스, 박테리아 같은 세균 등을 분해하여 이들을 물과 이산화탄소로 전환시킨다.
이와 같이 집진모듈(300)에 사용되는 금속판(340)의 표면에 광촉매층(341)을 형성할 경우 별도의 광촉매유니트를 미세먼지 제거장치(10) 내부에 설치해야 할 필요가 없게 되어 설치비용 및 공간 면에서 매우 효율적이다.
케이스(310)는 미세먼지 제거장치(10)를 구성하는 각 부분들을 내장하고 있고, 전면에 내부로 공기를 유입하기 위한 유입구(312)가 구비되며, 후면에 정화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출구(314)가 구비된다.
전원부(320)는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전원을 플라즈마 와이어(330) 및 집진판(350)으로 공급한다.
플라즈마 와이어(33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리, 니켈 또는 코바르(KOVAR)를 포함한 니켈이 함유된 금속계열 중 어느 하나의 재질로 형성된 전도성 와이어 본체의 표면에 그래핀(graphene), 그래핀옥사이드, 탄소나노튜브 (CNT), 풀러렌 (fullerene), 흑연 및 카본블랙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조합을 이용하여 탄소계 코팅층(334)을 소성 코팅함으로써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플라즈마 와이어(330)가 전원부(320)로부터 전압을 공급받게 되면 좌측 또는 우측에 일정 간격을 두고 배치된 금속판(340)과의 사이에 전위차가 형성되고, 이와 같이 형성된 전위차에 의해 플라즈마 방전이 일어나게 된다.
플라즈마 방전은 다량의 이온을 형성하게 되며 이에 따라 플라즈마 방전이 일어나는 공간을 통과하는 다양한 오염물질인 미세먼지 등이 전하를 띄게 된다.
이때, 플라즈마 와이어(330)는 금속판(340) 및 집진판(350) 사이에 배치되며, 본체(332)와 탄소계 코팅층(334)으로 구성된다.
즉, 플라즈마 와이어(330)는 본체(332) 표면에 탄소계 코팅층(334)을 형성하여 제작되며, 탄소계 코팅층(334)은 소성코팅 과정을 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본체(332)는 미세먼지 제거장치(10) 등에 사용되는 경우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이 흘러 플라즈마 방전이 일어나도록 하는 부분으로서, 구리, 니켈 또는 코바르(KOVAR)를 포함한 니켈이 함유된 금속계열 중 어느 하나의 재질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코바르(KOVAR)는 금속과 유리나 세라믹과의 봉합부분에서 사용하는 철, 니켈, 코발트 합금으로서, 웨스팅하우스사의 상품명이며, 전자관이나 반도체 디바이스에 널리 사용된다.
탄소계 코팅층(334)은 다양한 탄소계 물질을 이용하여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며, 예를 들어 그래핀(graphene), 그래핀옥사이드, 탄소나노튜브(CNT), 풀러렌 (fullerene), 흑연 및 카본블랙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조합을 이용하여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탄소계 코팅층(334)은 1㎚ 내지 50㎛의 두께로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며, 바람직하게는 1㎚ 내지 10㎛의 두께로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여기서, 탄소계 코팅층(334)은 사용환경에 따라 두께가 조절 가능하다.
더욱이, 플라즈마 와이어(330)는 플라즈마 방전의 효율을 높이기 위해 각각의 금속판(340) 및 집진판(350) 사이의 중앙공간에 배치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금속판(340)은 케이스(310) 내부에 복수 개가 소정의 간격을 두고 경사지게 배치되어 있으며, 외부에서 유입되는 공기 속에 포함된 먼지, 연기를 포함한 입자가 플라즈마 와이어(330)와의 전위차에 의해 발생된 플라즈마 방전에 의해 극성을 가지도록 한다.
금속판(340)은 알루미늄으로 형성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며, 그 이외에 도전성 물질이면 어느 것을 사용하더라도 무방하다.
집진판(350)은 금속판(340) 사이에 각각 경사지게 배치되어 있으며, 플라즈마 와이어(330) 및 금속판(340) 사이에 발생하는 플라즈마 방전에 의해 극성을 가진 외부에서 유입되는 공기 속에 포함된 미세먼지 등을 포함한 입자를 전원부(320)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토대로 집진시킨다.
이렇게, 금속판(340)과 집진판(350)이 경사지게 배치되어 집진모듈(300)의 두께는 줄이면서 집진 면적 향상 등에 의해 효율이 상승 가능하다.
제2 필터모듈(400)은 도 1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집진모듈(300) 상에 적어도 한 층 이상이 적층 형성되어 유해 입자 크기에 따라 여과 정도가 다르도록 구비된다.
배출모듈(500)은 도 1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 공기 또는 내부 공기에 함유된 미세먼지를 제거한 후 실내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구비되며, 배출구조물(502) 및 배출팬(504)을 포함한다.
배출구조물(502)은 점차 면적이 확대되는 호퍼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측에 위치되어 내부 배출구와 연통된다.
배출팬(504)은 배출력을 발생시켜 내부 배출구를 통해 미세먼지 등이 제거된 공기를 실내로 배출시킨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미세먼지 제거장치(10)가 창틀(10)의 안쪽에 설치되면서 실내, 외 마감판(20, 30)에 의해 마감되며, 실내 마감판(20)의 하측과 상측에 내부 유입구(22)와 배출구(24)가 각각 형성되고, 실외 마감판(30)의 하측에 외부 유입구(32)가 형성된다. 이때, 본 발명의 미세먼지 제거장치(10)의 구성 및 기능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유입모듈(100), 제1 필터모듈(200), 집진모듈(300), 제2 필터모듈(400) 및 배출모듈(500)을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더욱이, 유입모듈(100)의 작동 여부 또는 공기 유입 방향, 집진모듈(300) 및 배출모듈(500)의 작동 여부는 제어부(C)에 의해 작동이 제어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미세먼지 제거장치(10)의 작동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유입모듈(100)을 회전 작동하여 유입구조물(102)을 외부 유입구와 연통시킨 상태(도 6(a) 참조)에서 유입된 외부 공기에 함유되어 있는 미세먼지 등을 제거할지, 아니면 유입구조물(102)을 내부 유입구와 연통시킨 상태(도 6(b) 참조)에서 유입된 내부 공기에 함유되어 있는 미세먼지 등을 제거할지를 선택하게 된다.
다음으로, 유입된 외부 공기 또는 내부 공기는 제1 필터모듈(200)을 통해 1차적으로 필터링되고, 1차 필터링된 공기는 집진모듈(300)로 이동된다.
다음으로, 집진모듈(300)에 전원이 인가되면 전원부(320)에서 플라즈마 와이어(330) 및 집진판(350)으로 전원이 공급된다.
이어, 전원부(320)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에 의해 플라즈마 와이어(330) 및 플라즈마 와이어(330)의 좌측 또는 우측에 일정 간격을 두고 배치된 금속판(340) 사이에서 전위차에 의한 플라즈마 방전이 일어난다.
그리고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라즈마 방전에 의해 케이스(310)의 유입구(312)를 통해 외부에서 유입되는 공기 속에 포함된 미세먼지 등의 입자가 극성을 띠게 된다. 즉, 미세먼지 등의 입자가 플라즈마 방전에 의해 이온화되어 극성을 띄게 되는 것이다.
이때 발생되는 플라즈마는 탄소계 코팅층이 형성된 플라즈마 와이어(330)로 인하여 넓은 범위에서 높은 효율로 이온을 형성하게 되기 때문에 종래의 미세먼지 제거장치와는 달리 비교적 저전압에서도 효율적인 이온 형성 즉, 플라즈마 방전이 가능하게 되며, 그에 따라 외부에서 유입된 공기 속에 포함된 미세먼지 등의 입자 대부분이 매우 용이하게 극성을 띄도록 할 수 있으며, 저전압이 사용될 수 있으므로 오존의 발생량 또한 현저하게 저감시킬 수 있게 된다.
결국, 플라즈마 방전에 의해 극성을 띠게 된 공기 속에 포함된 미세먼지 등의 입자는 전원부(320)로부터 공급받은 전원에 의해 극성으로 변화된 집진판(350)에 들러붙고, 정화된 공기가 케이스(310)의 배출구(314)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따라서, 플라즈마 와이어(330)는 플라즈마 방전을 매우 손쉽게 일으켜 방전효율을 극대화 시키는 것이 가능하여 이러한 플라즈마 와이어(330)를 미세먼지 제거장치(10)에 사용하는 경우에는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대부분의 미세먼지 등이 플라즈마 방전에 의해 극성을 갖게 되어 집진판(350)에 매우 쉽게 달라붙기 때문에 기존 장치 대비 집진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금속판(340)의 표면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광촉매층(341) 형성되어 있어, 광촉매 반응에 의하여 유해 오염 물질의 추가적인 제거가 가능하게 된다.
다음으로, 미세먼지 등이 제거된 공기는 제2 필터모듈(400)을 거치면서 재차 필터링된 후 배출모듈(500)의 배출팬(504)을 통해 배출구조물(502)과 내부 배출구로 배출된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 미세먼지 제거장치 100: 유입모듈
200: 제1 필터모듈 300: 집진모듈
310 : 케이스 312 : 유입구
314 : 배출구 320 : 전원부
330 : 플라즈마 와이어 332 : 본체
334 : 탄소계 코팅층 340 : 금속판
341 : 광촉매층 350 : 집진판
400: 제2 필터모듈 500: 배출모듈

Claims (5)

  1. 외부 공기 또는 내부 공기를 선택적으로 유입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유입모듈;
    상기 외부 공기 또는 상기 내부 공기에 함유된 미세먼지를 제거한 후 실내로 배출시키는 배출모듈;
    상기 유입모듈 측에 위치되어 유입된 상기 외부 공기 또는 상기 내부 공기를 1차로 필터링하는 필터모듈; 및
    상기 필터모듈과 상기 배출모듈의 사이에 배치되어, 플라즈마 와이어를 통과하는 미세먼지가 플라즈마 방전에 의해 극성을 갖도록 하여 집진판에 달라붙도록 하는 집진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먼지 제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집진모듈은,
    유입구 및 배출구가 각각 형성되는 케이스;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
    본체와, 상기 본체 표면을 기설정 온도에서 산화시켜 형성한 유전체막 및 상기 유전체막 표면에 세라믹을 소성하여 형성한 세라믹 코팅층을 포함하며, 상기 전원부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토대로 좌측 또는 우측에 일정 간격을 두고 배치된 금속판과의 전위차에 의해 플라즈마 방전을 일으키는 플라즈마 와이어;
    상기 케이스 내부에 복수 개가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으며, 외부에서 유입되는 공기 속에 포함된 먼지, 연기를 포함한 입자가 상기 플라즈마 와이어와의 전위차에 의해 발생된 플라즈마 방전에 의해 극성을 갖도록 하는 금속판; 및
    상기 금속판 사이에 각각 배치되며, 상기 플라즈마 와이어 및 상기 금속판 사이에 발생하는 플라즈마 방전에 의해 극성을 가진 외부에서 유입되는 공기 속에 포함된 먼지, 연기를 포함한 입자를 상기 전원부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토대로 집진시키는 집진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먼지 제거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판 및 집진판은 경사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먼지 제거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모듈과 상기 배출모듈의 사이에 유해 입자 크기에 따라 여과 정도가 다르도록 필터모듈이 다수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먼지 제거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모듈, 배출모듈, 필터모듈, 및 집진모듈은 창틀 안쪽 또는 바깥쪽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먼지 제거장치.
KR1020190110132A 2019-09-05 2019-09-05 미세먼지 제거장치 KR2021002894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0132A KR20210028947A (ko) 2019-09-05 2019-09-05 미세먼지 제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0132A KR20210028947A (ko) 2019-09-05 2019-09-05 미세먼지 제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28947A true KR20210028947A (ko) 2021-03-15

Family

ID=751347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10132A KR20210028947A (ko) 2019-09-05 2019-09-05 미세먼지 제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28947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55976B1 (ko) 2014-03-10 2016-09-08 서정선 미세먼지 정화기능을 갖는 공기정화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55976B1 (ko) 2014-03-10 2016-09-08 서정선 미세먼지 정화기능을 갖는 공기정화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30375200A1 (en) Composite air sterilization purifier
CN104501313B (zh) 一种无需更换滤网的空气净化器
CN201394408Y (zh) 多段式静电过滤器
AU2004268857A1 (en) Gas treating device
KR20190020441A (ko) 공기청정용 드론
CN102980255A (zh) 空气净化装置
CN107694755A (zh) 静电除尘模块及空气调节装置
WO2013065205A1 (ja) 微生物・ウイルスの捕捉・不活化装置及びその方法
CN102261217A (zh) 门窗净气装置
CN102434920A (zh) 壁挂式室内空气净化装置
KR102389862B1 (ko) 광촉매 반응기 모듈이 구비되는 공조시스템
CN105387525A (zh) 空气净化器
CN207012785U (zh) 一种微波无极光氧、等离子、光催化组合废气治理系统
JP3000056B2 (ja) 空気清浄化装置
CN218781407U (zh) 一种高效静电除尘灭菌的洁净新风机及其系统
KR20190076432A (ko) 탄소계 코팅층을 갖는 플라즈마 와이어 및 이를 이용한 집진기
KR20210028947A (ko) 미세먼지 제거장치
CN206996842U (zh) 静电除尘模块及空气调节装置
KR100774484B1 (ko) 정전 필름을 포함하는 공기 정화기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조화 시스템
CN1609523A (zh) 高吸附性多功能空气净化器
KR20200019646A (ko) 탄소계 코팅층을 갖는 플라즈마 와이어 및 이를 이용한 집진기
CN209776105U (zh) 一种便于携带的车用空气净化器
Kumar et al. Air Pollution Control Technologies for Indoor Particulate Matter Pollution: A Review
CN206556144U (zh) 一体化复合空气净化器
CN213577834U (zh) 一种新型中央空调除尘杀菌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