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28765A - System for providing health care information based on microbiome and method thereof - Google Patents

System for providing health care information based on microbiome and method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28765A
KR20210028765A KR1020190109291A KR20190109291A KR20210028765A KR 20210028765 A KR20210028765 A KR 20210028765A KR 1020190109291 A KR1020190109291 A KR 1020190109291A KR 20190109291 A KR20190109291 A KR 20190109291A KR 20210028765 A KR20210028765 A KR 202100287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exercise
sleep
microbiome
heal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09291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윤여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메가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메가랩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메가랩
Priority to KR10201901092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28765A/en
Publication of KR202100287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28765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2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 G16H2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nutrition control, e.g. die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0Other methods or instruments for diagnosis, e.g. instruments for taking a cell sample, for biopsy, for vaccination diagnosis; Sex determination; Ovulation-period determination; Throat striking implements
    • A61B10/0038Devices for taking faeces samples; Faecal examination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02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2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Combined pulse/heart-rate/blood pressure determination; Evaluating a cardiovascular condi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using combinations of techniques provided for in this group with electrocardiography or electroauscultation; Heart catheters for measuring blood pressure
    • A61B5/021Measuring pressure in heart or blood 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0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testing the shape, pattern, colour, size or movement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11Measuring movement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e.g. head or hand tremor, mobility of a limb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45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pH value;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r tissues, e.g. interstitial fluid, cerebral tissue
    • A61B5/14532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pH value;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r tissues, e.g. interstitial fluid, cerebral tissue for measuring glucose, e.g. by tissue impedance measure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8Other medical applications
    • A61B5/4806Sleep evalu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68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 A61B5/6801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specially adapted to be attached to or worn on the body surface
    • A61B5/6802Sensor mounted on worn ite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2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physiological signals or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7271Specific aspects of physiological measurement analysis
    • A61B5/7275Determining trends in physiological measurement data; Predicting development of a medical condition based on physiological measurements, e.g. determining a risk fact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4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 A61B5/742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using visual display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2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electronic clinical trials or questionnaire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2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 G16H20/3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physical therapies or activities, e.g. physiotherapy, acupressure or exercising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Q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OR TEST PAPER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CONDITION-RESPONSIVE CONTROL IN MICROBIOLOGICAL OR ENZYMOLOGICAL PROCESSES
    • C12Q1/00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 C12Q1/02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involving viable microorganism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physics (AREA)
  • Path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Epidemiology (AREA)
  • Physiology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sychiatry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Dentistr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ardi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icrobiome-based health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and a method thereof, capable of predicting and preventing diseases. The microbiome-based health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following steps: collecting life pattern information on eating habits, exercise, and sleep; analyzing intestinal microbes of a user through a fecal sample collection kit in which the collected feces of the user is inserted; and recommending eating habits, exercise, and sleep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correlation between the intestinal microbes and the eating habits, the amount of exercise and the sleep based on analysis results.

Description

마이크로바이옴 기반 건강정보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System for providing health care information based on microbiome and method thereof} System for providing health care information based on microbiome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마이크로바이옴 기반 건강정보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icrobiome-based health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and method thereof.

인체의 곳곳에 터를 잡고 사는 미생물 집단을 상재미생물총(indigenous microbiota)이라고 하고 이들의 유전정보 전체를 마이크로바이옴(microbiome)이라 한다. 마이크로바이옴은 최근 인체의 다양한 생명현상 또는 질병과 상관이 있다는 사실이 밝혀지면서 매우 활발히 연구되고 있다.The population of microorganisms living in various places in the human body is called an indigenous microbiota, and their entire genetic information is called a microbiome. Microbiome is being studied very actively as it has recently been discovered that it is correlated with various life phenomena or diseases in the human body.

이와 같은 마이크로바이옴은 주로 음식과 관련된 연구에 집중되고 있으나, 수면이나 운동 등과 같은 생활 패턴 전반에 영향을 받고 있기 때문에 다양한 분석과 이를 토대로 개선을 위한 제안이 요구되고 있다.Although such microbiome is mainly focused on research related to food, since it is affected by overall lifestyle patterns such as sleep or exercise, various analyzes and suggestions for improvement based on this are required.

KRKR 2019-00251802019-0025180 AA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장내 미생물 분석 데이터, 운동량, 섭취 음식 및 수면 등의 빅데이터를 분석하여 건강 증진을 도모하며 질병을 예측하고 예방할 수 있는 마이크로바이옴 기반 건강정보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In order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mote health by analyzing big data such as intestinal microbial analysis data, exercise amount, ingested food and sleep, and to predict and prevent diseases. We intend to provide a biome-based health information provision system and method.

다만,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However, the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problems mentioned above, and other problems that are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위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분석/추천 서비스 서버에 의해 수행되는 마이크로바이옴 기반 건강정보 제공 방법에 있어서, 식습관, 운동 및 수면에 대한 생활 패턴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채취된 사용자의 대변이 투입된 채변 키트를 통하여 사용자의 장내 보유 미생물을 분석하는 단계; 및 상기 분석 결과를 토대로 상기 보유 미생물과 식습관, 운동량 및 수면의 연관성에 따라 보유 미생물 개선을 위한 식습관, 운동, 및 수면 정보를 추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마이크로바이옴 기반 건강정보 제공 방법이 제공된다.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there is provided a method for providing health information based on microbiome performed by an analysis/recommendation service server, comprising: collecting life pattern information on eating habits, exercise, and sleep; Analyzing the microorganisms held in the intestines of the user through the collection kit into which the collected user's feces are put; And recommending eating habits, exercise, and sleep information for improving the possessed microorganisms according to the association between the possessing microorganisms and eating habits, exercise amount, and sleep based on the analysis result. .

일 실시예에서, 상기 마이크로바이옴 기반 건강정보 제공 방법은 사용자 단말에 설치된 모바일 앱을 통하여 회원 가입하는 단계; 및 건강 상태 및 생활 습관에 대한 문진을 작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microbiome-based health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comprises the steps of registering a member through a mobile app installed in a user terminal; And writing a questionnaire on health conditions and lifestyle habits; may further include.

일 실시예에서, 상기 마이크로바이옴 기반 건강정보 제공 방법은 상기 분석된 결과에 대한 시각화 정보로 생성하여 사용자 단말로 안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시각화 정보는 장내 세균 비율, 비만/정상균 비율 및 진단, 장내미생물 변화, 운동량/수면량/섭취영양분, 장내 세균과 건강요소 관계, 및 절대 균체수를 포함하며, 상기 건강요소는 항암력, 면역력, 항산화력, 호르몬(세로토닌), 스트레스 및 DNA 메틸화를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microbiome-based health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further comprises generating visualization information on the analyzed result and guiding it to a user terminal, wherein the visualization information includes an intestinal bacteria ratio, an obesity/normal bacteria ratio, and Diagnosis, changes in intestinal microflora, amount of exercise/sleep/nutrients intake, relationship between intestinal bacteria and health factors, and absolute number of bacteria, and the health factors include anticancer power, immunity, antioxidant power, hormone (serotonin), stress and DNA methylation. Can include.

일 실시예에서, 상기 수집하는 단계는 헬스케어 디바이스를 통하여 운동 정보, 수면 정보, 혈당 정보 및 혈압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the collecting may collect exercise information, sleep information, blood sugar information, and blood pressure information through a healthcare device.

일 실시예에서, 상기 수집하는 단계는 사용자 단말을 통하여 식사 종류를 등록하거나 사진을 촬영하여 업로드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collecting may register a meal type or take a picture and upload it through a user terminal.

일 실시예에서, 상기 추천하는 단계는 상기 보유 미생물을 개선하기 위한 운동 정보, 수면 정보 및 식단을 추천하고, 상기 보유 미생물의 개선을 위한 유익균 증가 방향을 도출하며, 사용자가 선호하는 음식을 기반으로 상기 식단을 추천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recommending step recommends exercise information, sleep information, and diet for improving the retained microorganism, derives a direction of increasing beneficial bacteria for improvement of the retained microorganism, and based on the user's preferred food. I can recommend the above diet.

일 실시예에서, 상기 분석하는 단계는 상기 보유 미생물과 질병 또는 질환의 연관성을 도출하고, 상기 식습관, 수면 정보 및 운동 정보를 5:3:2 비율로 반영하여 식습관, 수면 및 운동 조정에 따른 개선 가능 수치를 도출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step of analyzing is to derive the association between the microorganism and the disease or disease, and reflect the diet, sleep information, and exercise information in a 5:3:2 ratio to improve diet, sleep, and exercise adjustment. You can derive possible numbers.

일 실시예에서, 상기 분석하는 단계는 상기 채변 키트로부터 추출된 미생물 정보를 기반으로 미생물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여 보유 미생물을 진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analyzing step may diagnose the possessed microorganism by searching a microorganism database based on the microorganism information extracted from the collection kit.

일 실시예에서, 상기 분석하는 단계는 상기 업로드된 사진으로부터 구성 식재료를 식별하고, 상기 식별된 구성 식재료를 바탕으로 해당 음식의 칼로리, 영양성분 및 영양 구성을 산출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step of analyzing may identify a constituent ingredient from the uploaded photo, and calculate the calorie, nutritional composition, and nutritional composition of the food based on the identified constituent ingredient.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헬스케어 디바이스 또는 사용자 단말부터 식습관, 운동 및 수면에 대한 생활 패턴 정보를 수집하고, 채취된 사용자의 대변이 투입된 채변 키트를 통하여 사용자의 장내 보유 미생물을 분석하는 보유 미생물 분석부; 상기 분석된 결과에 대한 시각화 정보로 생성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로 안내하며, 상기 보유 미생물과 질병 또는 질환의 연관성을 도출하는 상태 진단부; 및 상기 분석 결과를 토대로 상기 보유 미생물과 식습관, 운동량 및 수면의 연관성에 따라 보유 미생물 개선을 위한 식습관, 운동, 및 수면 정보를 추천하는 추천부;를 포함하는 마이크로바이옴 기반 건강정보 제공 시스템이 제공된다. 여기서, 상기 시각화 정보는 장내 세균 비율, 비만/정상균 비율 및 진단, 장내미생물 변화, 운동량/수면량/섭취영양분, 장내 세균과 건강요소 관계, 및 절대 균체수를 포함하며, 상기 건강요소는 항암력, 면역력, 항산화력, 호르몬(세로토닌), 스트레스 및 DNA 메틸화를 포함한다.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retained microorganism that collects lifestyle pattern information on eating habits, exercise, and sleep from a healthcare device or a user terminal, and analyzes a user's intestinal microorganisms through a collection kit into which the collected user's feces are put. Analysis unit; A condition diagnosis unit that generates visualization information on the analyzed result and guides it to the user terminal, and derives a correlation between the possessed microorganism and a disease or disease; And a microbiome-based health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comprising a; and a recommendation unit for recommending eating habits, exercise, and sleep information for improving the possessed microorganisms according to the association between the possessed microorganisms and the eating habits, exercise amount, and sleep based on the analysis result. do. Here, the visualization information includes intestinal bacteria ratio, obesity/normal bacteria ratio and diagnosis, intestinal microbial changes, exercise/sleep quantity/nutrient intake, relationship between intestinal bacteria and health factors, and absolute number of bacteria, and the health factors include anticancer power, Includes immunity, antioxidant power, hormones (serotonin), stress and DNA methyla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바이옴 기반 건강정보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은 장내 미생물 분석 데이터, 운동량, 섭취 음식 및 수면 등의 빅데이터를 분석하여 식생활뿐만 아니라 수면이나 운동 등 생활 패턴 전반을 개선하도록 추천함으로써, 건강 증진을 도모하며 질병을 예측하고 예방할 수 있다. The microbiome-based health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and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alyzes big data such as intestinal microbial analysis data, exercise amount, ingested food and sleep to improve not only diet but also overall life patterns such as sleep and exercise. By recommending that you do, you can promote health and predict and prevent diseases.

또한, 본 발명은 분석된 데이터에 대한 시각화 자료를 사용자 단말을 통해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자신의 장내 보유 미생물과 관련된 분석 결과를 쉽게 이해하고, 그에 따른 건강 상태와 개선 방향을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visualization data on the analyzed data through the user terminal, so that the user can easily understand the analysis result related to the microorganisms possessed in his or her intestine, and the health status and improvement direction according to it can be easily recognized. .

또한, 본 발명은 장내 보유 미생물의 개선을 위한 식단, 운동 및 수면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생활 패턴 중 개별 사항들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개선의 노력을 기울일 수 있도록 도울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목표인식을 제고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diet, exercise, and sleep information for the improvement of microorganisms in the intestine, thereby helping the user to independently make efforts to improve individual matters among the lifestyle patterns, thereby enhancing the user's target awareness. can do.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바이옴 기반 건강정보 제공 시스템을 나타낸 구성도이고,
도 2는 도 1의 분석/추천 서비스 서버를 나타낸 블록도이며,
도 3은 도 1의 서버 데이터베이스의 블록도이고,
도 4는 시각화 자료의 제1예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5는 시각화 자료의 제2예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시각화 자료의 제3예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7은 시각화 자료의 제4예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8은 시각화 자료의 제5예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바이옴 기반 건강정보 제공 방법의 순서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microbiome-based health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analysis/recommendation service server of FIG. 1,
Figure 3 is a block diagram of the server database of Figure 1,
4 is a diagram showing a first example of visualization data,
5 is a diagram showing a second example of visualization data,
6 is a diagram showing a third example of visualization data,
7 is a diagram showing a fourth example of visualization data,
8 is a diagram showing a fifth example of visualization data,
9 is a flowchart of a method for providing health information based on a microbio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였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may easily implement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and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In the drawings, parts irrelevant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in order to clearly describe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assigned to the same or similar compon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아래에 설명되는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의 실시예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오히려,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을 더욱 충실하고 완전하게 하며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을 완전하게 전달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provided to more fully describe the present invention to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and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may be modified in various other forms, and The scope is not limited to the following examples. Rather, these examples are provided to make the present invention more faithful and complete, and to fully convey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특정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사용되며, 본 발명을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단수 형태는 문맥상 다른 경우를 분명히 지적하는 것이 아니라면, 복수의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경우 "포함한다(comprise)"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한 형상들, 숫자, 단계, 동작, 부재, 요소 및/또는 이들 그룹의 존재를 특정하는 것이며, 하나 이상의 다른 형상, 숫자, 동작, 부재, 요소 및/또는 그룹들의 존재 또는 부가를 배제하는 것이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및/또는"은 해당 열거된 항목 중 어느 하나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The terms used in this specification are used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As used herein, the singular form may include a plural form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a different case. Also, as used herein, “comprise” and/or “comprising” specify the presence of the mentioned shapes, numbers, steps, actions, members, elements and/or groups thereof. And does not ex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shapes, numbers, actions, members, elements and/or groups. As used herein, the term “and/or” includes any and all combinations of one or more of the corresponding listed items.

본 명세서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가 다양한 부재, 영역 및/또는 부위들을 설명하기 위하여 사용되지만, 이들 부재, 부품, 영역, 층들 및/또는 부위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한정되지 않음은 자명하다. 이들 용어는 특정 순서나 상하, 또는 우열을 의미하지 않으며, 하나의 부재, 영역 또는 부위를 다른 부재, 영역 또는 부위와 구별하기 위하여만 사용된다. 따라서 이하 상술할 제1 부재, 영역 또는 부위는 본 발명의 가르침으로부터 벗어나지 않고서도 제2 부재, 영역 또는 부위를 지칭할 수 있다.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erms such as first and second are used to describe various members, regions, and/or parts, but it is obvious that these members, parts, regions, layers and/or parts are not limited by these terms. . These terms do not imply any particular order, top or bottom, or superiority, and are only used to distinguish one member, region, or region from another member, region, or region. Accordingly, the first member, region, or region to be described below may refer to the second member, region, or reg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achings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명세서에서, "또는", "적어도 하나" 등의 용어는 함께 나열된 단어들 중 하나를 나타내거나, 또는 둘 이상의 조합을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A 또는 B", "A 및 B 중 적어도 하나"는 A 또는 B 중 하나만을 포함할 수 있고, A와 B를 모두 포함할 수도 있다.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erms such as "or" and "at least one" may represent one of words listed together, or a combination of two or more. For example, "A or B" and "at least one of A and B" may include only one of A or B, and may include both A and B.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면들에 있어서, 예를 들면, 제조 기술 및/또는 공차에 따라, 도시된 형상의 변형들이 예상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 명세서에 도시된 영역의 특정 형상에 제한된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예를 들면 제조상 초래되는 형상의 변화를 포함하여야 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schematically showing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drawings, for example, depending on manufacturing techniques and/or tolerances, variations of the illustrated shape can be expected. Accordingly,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o the specific shape of the region shown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but should include, for example, a change in shape caused by manufacturing.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바이옴 기반 건강정보 제공 시스템을 나타낸 구성도이고, 도 2는 도 1의 분석/추천 서비스 서버를 나타낸 블록도이며, 도 3은 도 1의 서버 데이터베이스의 블록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microbiome-based health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analysis/recommendation service server of FIG. 1, and FIG. 3 is a server database of FIG. It is a block diagram of.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바이옴 기반 건강정보 제공 시스템(10)은 분석/추천 서비스 서버(100), 헬스케어 디바이스(200), 채변 키트(300) 및 사용자 단말(400)을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 1, a microbiome-based health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analysis/recommendation service server 100, a healthcare device 200, a collection kit 300, and a user terminal. Includes 400.

마이크로바이옴 기반 건강정보 제공 시스템(10)은 인체의 장내 미생물 분석, 운동량, 및 섭취 음식에 대한 정보를 빅데이터 분석을 통하여 사람의 건강증진을 도모하며 나아가서 질병을 예측하고 예방하기 위한 것이다. The microbiome-based health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10 aims to promote human health through big data analysis of the intestinal microbial analysis of the human body, exercise amount, and information on ingested food, and further predict and prevent diseases.

이때, 마이크로바이옴 기반 건강정보 제공 시스템(10)은 블록체인 기반으로 회원관리, 서비스 관리 및 빌링 서비스를 수행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microbiome-based health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10 may perform member management, service management, and billing service based on a block chain.

또한, 마이크로바이옴 기반 건강정보 제공 시스템(10)은 비식별화된 미생물 분석 빅데이터를 운영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마이크로바이옴 기반 건강정보 제공 시스템(10)은 블록체인 기반 UMA(User Managed Accessed)의 개인 정보를 참조할 경우 식별화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microbiome-based health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10 may operate de-identified microbial analysis big data. Alternatively, the microbiome-based health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10 can be identified when referring to personal information of a blockchain-based UMA (User Managed Accessed).

분석/추천 서비스 서버(100)는 헬스케어 디바이스(200) 및 사용자 단말(400)로부터 식습관, 운동 및 수면에 대한 생활 패턴 정보를 수집하고, 채변 키트(300)로부터 추출된 장내 미생물 정보를 기반으로 해당 사용자의 장내 보유 미생물을 진단할 수 있다.The analysis/recommendation service server 100 collects lifestyle pattern information on eating habits, exercise, and sleep from the healthcare device 200 and the user terminal 400, and based on the intestinal microbial information extracted from the collection kit 300. It is possible to diagnose the microorganisms possessed in the intestines of the user.

또한, 분석/추천 서비스 서버(100)는 보유 미생물과 식습관, 운동량 및 수면의 연관성을 분석하고 분석 결과를 토대로 보유 미생물 개선을 위한 식습관, 운동, 및 수면 정보를 추천할 수 있다. 일례로, 보유 미생물과 식습관, 운동량 및 수면의 연관성은 표준 그룹과의 비교를 통해 도출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analysis/recommendation service server 100 may analyze the association between the possessed microorganism and the eating habit, exercise amount, and sleep, and recommend eating habits, exercise, and sleep information for improving the possessed microorganism based on the analysis result. For example, the association between the retained microorganism and diet, exercise and sleep can be derived through comparison with a standard group.

이를 위해, 분석/추천 서비스 서버(100)는 미생물 데이터베이스(102) 및 서버 데이터베이스(150)를 검색할 수 있다. 여기서, 미생물 데이터베이스(102)는 미생물 관련 의료기관 및 연구기관에서 수집된 데이터베이스일 수 있다. 또한, 분석/추천 서비스 서버(100)는 서비스와 관련하여 수집되는 사용자 데이터를 서버 데이터베이스(150)에 업데이트할 수 있다.To this end, the analysis/recommendation service server 100 may search the microorganism database 102 and the server database 150. Here, the microbial database 102 may be a database collected by microbial-related medical institutions and research institutes. In addition, the analysis/recommendation service server 100 may update user data collected in connection with the service to the server database 150.

또한, 분석/추천 서비스 서버(100)는 서버 데이터베이스(15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서버 데이터베이스(150)는 분석/추천 서비스 서버(100)에 의해 수집된 사용자 정보 및 그에 따른 각종 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analysis/recommendation service server 100 may include a server database 150. Here, the server database 150 may store user information collected by the analysis/recommendation service server 100 and various types of information according thereto.

헬스케어 디바이스(200)는 IoT 디바이스일 수 있다. 헬스케어 디바이스(200)는 운동 정보, 수면 정보, 혈당 및 혈압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여기서, 운동 정보는 걸음수, 심박수, 달리기 속도, 운동 시간, 운동 추이, 및 칼로리 소모량을 포함할 수 있다.The healthcare device 200 may be an IoT device. The healthcare device 200 may collect exercise information, sleep information, blood sugar and blood pressure information. Here, the exercise information may include step count, heart rate, running speed, exercise time, exercise trend, and calorie consumption.

또한, 헬스케어 디바이스(200)는 수집된 정보를 분석/추천 서비스 서버(1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헬스케어 디바이스(200)는 자체 통신 기능을 통하여 또는 사용자 단말(400)을 통하여 수집된 정보를 분석/추천 서비스 서버(100)로 전송할 수 있다. 일례로, 헬스케어 디바이스(200)는 손목밴드형 디바이스, 스마트폰형 디바이스, 혈압계 등과 같은 웨어러블 디바이스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healthcare device 200 may transmit the collected information to the analysis/recommendation service server 100. In this case, the healthcare device 200 may transmit information collected through its own communication function or through the user terminal 400 to the analysis/recommendation service server 100. For example, the healthcare device 200 may be a wearable device such as a wristband type device, a smart phone type device, and a blood pressure monitor.

채변 키트(300)는 채집된 대변을 투입하여 사용자의 체내 미생물을 분석할 수 있다. 여기서, 채변 키트(300)는 분석/추천 서비스 서버(100)의 운영사 또는 운영사에 의해 지정된 거점 의료시설에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사용자는 채집된 대변을 거점 의료시설로 오프라인으로 전달할 수 있다. The collection kit 300 may analyze microorganisms in the user's body by inserting the collected feces. Here, the collection kit 300 may be provided at a base medical facility designated by an operator or an operator of the analysis/recommendation service server 100. At this time, the user can deliver the collected feces to the base medical facility offline.

대안적으로, 채변 키트(300)는 IoT 디바이스로 구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채변 키트(300)는 사용자에게 사전에 배포될 수 있다. 이때, 사용자는 채집된 대변을 바로 채변 키트(300)에 투입할 수 있다. 채변 키트(300)는 분석된 정보를 분석/추천 서비스 서버(100)로 전송할 수 있다.Alternatively, the debt kit 300 may be configured as an IoT device. To this end, the debt kit 300 may be distributed to users in advance. In this case, the user may directly put the collected feces into the collection kit 300. The collection kit 300 may transmit the analyzed information to the analysis/recommendation service server 100.

사용자 단말(400)은 분석/추천 서비스 서버(100)에 접속하여 회원가입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 단말(400)은 모바일 앱을 통하여 가입절차를 진행할 수 있다. 일례로, 사용자 단말(400)은 전화번호로 인증을 받은 후 가입을 진행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400)은 이메일 주소의 유효성을 확인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사용자 단말(400)은 SNS 등과 같은 인터넷 포털 사이트의 계정과 연계하여 가입할 수 있다.The user terminal 400 may access the analysis/recommendation service server 100 to perform membership registration. In this case, the user terminal 400 may proceed with the subscription procedure through the mobile app. For example, the user terminal 400 may proceed with subscription after receiving authentication with a phone number. Also, the user terminal 400 may check the validity of the email address. Optionally, the user terminal 400 may sign up in connection with an account of an Internet portal site such as SNS.

또한, 사용자 단말(400)은 건강 상태 및 생활 습관에 대한 문진을 입력할 수 있다. 여기서, 문진은, 가족력 및 병력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user terminal 400 may input a questionnaire on health conditions and lifestyle habits. Here, the interview may include a family history and medical history.

또한, 사용자 단말(400)은 섭취한 음식 정보를 분석/추천 서비스 서버(100)로 전송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식사 정보를 사용자 단말(400)을 통하여 분석/추천 서비스 서버(100)에 등록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user terminal 400 may transmit the food information consumed to the analysis/recommendation service server 100. That is, the user may register meal information in the analysis/recommendation service server 100 through the user terminal 400.

대안적으로, 사용자 단말(400)은 식사 전에 음식을 촬영하여 음식 사진을 분석/추천 서비스 서버(100)로 업로드할 수 있다. Alternatively, the user terminal 400 may take a picture of food before eating and upload a picture of the food to the analysis/recommendation service server 100.

도 2를 참조하면, 분석/추천 서비스 서버(100)는 회원 관리부(110), 보유 미생물 분석부(120), 상태 진단부(130) 및 추천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 the analysis/recommendation service server 100 may include a member management unit 110, a microbial analysis unit 120, a condition diagnosis unit 130, and a recommendation unit 140.

회원 관리부(110)는 사용자 단말(400)에 설치된 모바일 앱을 통하여 회원 가입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회원 관리부(110)는 회원관리, 서비스 관리 및 그에 따른 빌링 서비스를 수행할 수 있다. 이때, 특히, 개인 데이터의 수집의 증가도미에 따른 개인정보 보호 및 보안을 위해 회원 관리부(110)는 블록 체인기반으로 수행할 수 있다.The member management unit 110 may perform membership registration through a mobile app installed on the user terminal 400. Here, the member management unit 110 may perform member management, service management, and billing service accordingly. In this case, in particular, for the protection and security of personal information in accordance with the increasing collection of personal data, the member management unit 110 may perform a block chain-based operation.

또한, 회원 관리부(110)는 회원 가입 과정에서 건강 상태 및 생활 습관에 대한 문진을 사용자 단말(400)에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400)을 이용하여 문진을 분석/추천 서비스 서버(100)로 업로드할 수 있다. 여기서, 문진은 건강 상태 및 생활 습관을 포함하며, 건강 상태는 가족력 및 병력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member management unit 110 may provide the user terminal 400 with a questionnaire on health status and lifestyle during the membership registration process. In this case, the user may upload the paperweight to the analysis/recommendation service server 100 using the user terminal 400. Here, the questionnaire includes a health status and lifestyle, and the health status may include a family history and medical history.

보유 미생물 분석부(120)는 헬스케어 디바이스(200)를 통하여 운동 정보, 수면 정보, 혈당 정보 및 혈압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여기서, 운동 정보는 걸음수, 심박수, 달리기 속도, 운동 시간, 운동 추이, 및 칼로리 소모량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수면 정보는 수면량 및 시간 시간대를 포함할 수 있다.The possessed microorganism analysis unit 120 may collect exercise information, sleep information, blood sugar information, and blood pressure information through the healthcare device 200. Here, the exercise information may include step count, heart rate, running speed, exercise time, exercise trend, and calorie consumption. In addition, the sleep information may include a sleep amount and a time zone.

또한, 보유 미생물 분석부(120)는 사용자 단말(400)을 통하여 식사 종류를 등록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400)을 통하여 각 식사 시의 섭취하는 음식의 종류를 업로드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retained microorganism analysis unit 120 may register the type of meal through the user terminal 400. Here, the user may upload the type of food consumed at each meal through the user terminal 400.

대안적으로, 보유 미생물 분석부(120)는 사용자 단말(400)에 의해 업로드된 사진으로부터 음식을 구성하는 식재료를 식별할 수 있다. 일례로, 보유 미생물 분석부(120)는 사진의 음식을 인식하고 인식된 음식에 대한 정보를 서버 데이터베이스(150)에서 검색하여 해당 식재료를 식별할 수 있다. 이때, 보유 미생물 분석부(120)는 식별된 식재료를 바탕으로 해당 음식의 칼로리, 영양성분 및 영양 구성을 산출할 수 있다.Alternatively, the possessed microbial analysis unit 120 may identify food ingredients constituting the food from the photos uploaded by the user terminal 400. As an example, the possessed microbial analysis unit 120 may recognize food in a photo and search for information on the recognized food in the server database 150 to identify the corresponding food ingredient. At this time, the retained microbial analysis unit 120 may calculate calories, nutritional components, and nutritional composition of the food based on the identified food materials.

또한, 보유 미생물 분석부(120)는 채변 키트(300)를 통하여 사용자의 장내 보유 미생물을 분석할 수 있다. 이때, 보유 미생물 분석부(120)는 채변 키트(300)를 통하여 추출된 장내 미생물 정보를 기반으로 미생물 데이터베이스(102)를 검색하여 해당 사용자의 장내 보유 미생물을 진단할 수 있다. 여기서, 보유 미생물 분석부(120)는 유해균 및 유익균을 구분하여 진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ossessed microorganism analysis unit 120 may analyze the user's intestinal microorganisms through the collection kit 300. At this time, the possessed microbial analysis unit 120 may search the microbial database 102 based on the intestinal microbial information extracted through the collection kit 300 to diagnose the intestinal microbe of the user. Here, the retained microbial analysis unit 120 may diagnose harmful bacteria and beneficial bacteria by classifying them.

상태 진단부(130)는 보유 미생물 분석부(120)의 분석된 결과에 대한 시각화 정보를 생성하여 사용자 단말(400)로 안내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 단말(400)에 안내되는 시각화 정보는 각종 그래프 정보로서, 장내 세균 비율, 비만/정상균 비율 및 진단, 장내미생물 변화, 운동량/수면량/섭취영양분, 장내 세균과 건강요소 관계, 및 절대 균체수를 포함할 수 있다.The condition diagnosis unit 130 may generate visualization information on the analyzed result of the microbial analysis unit 120 and guide the generated information to the user terminal 400. Here, the visualization information guided to the user terminal 400 is various graph information, including intestinal bacteria ratio, obesity/normal bacteria ratio and diagnosis, changes in intestinal microorganisms, exercise/sleep quantity/nutrients intake, relationship between intestinal bacteria and health factors, and absolute bacteria. May contain numbers.

이에 의해, 사용자가 자신의 장내 보유 미생물과 관련된 분석 결과를 쉽게 이해할 수 있다. 또한, 분석 결과에 다른 자신의 건강 상태와 장내 보유 미생물의 개선 방향을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다. Thereby, the user can easily understand the analysis results related to the microorganisms possessed in his or her intestines.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easily recognize the direction of improvement of one's own health condition and the intestinal-bearing microorganisms different from the analysis result.

또한, 상태 진단부(130)는 보유 미생물 분석부(120)에 분석된 보유 미생물과 질병 또는 질환의 연관성을 도출할 수 있다. 여기서, 상태 진단부(130)는 미생물 데이터베이스(102)에서 보유 미생물 관련 질병을 검색함으로써, 발생가능한 예상 질병 또는 질환을 도출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condition diagnosis unit 130 may derive a correlation between the possessed microorganism analyzed by the possessed microorganism analysis unit 120 and the disease or disease. Here, the condition diagnosis unit 130 may derive an expected disease or disease that may occur by searching for a disease related to a possessed microorganism in the microorganism database 102.

또한, 상태 진단부(130)는 해당 질병 또는 질환에 대한 예방책을 제안할 수 있다. 예방책은 보유 미생물에 대한 개선 또는 해당 질병 또는 질환을 예방하기 위한 생활습관 등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dition diagnosis unit 130 may propose a preventive measure for a corresponding disease or disease. The preventive measures may include improvement of the possessed microorganism or a lifestyle to prevent the disease or disease.

이때, 상태 진단부(130)는 보유 미생물에 대한 개선 가능 수치를 도출할 수 있다. 일례로, 상태 진단부(130)는 식습관, 수면 정보 및 운동 정보를 5:3:2의 비율로 반영하여 식습관, 수면 및 운동 조정에 따른 개선 가능 수치를 도출할 수 있다. 여기서, 상태 진단부(130)는 보유 미생물과 식습관, 수면 정보 및 운동 각각의 연관성을 미생물 데이터베이스(102) 또는 서버 데이터베이스(150)를 통하여 검색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condition diagnosis unit 130 may derive an improvement possible value for the possessed microorganism. For example, the condition diagnosis unit 130 may derive an improvement possible value according to diet, sleep, and exercise adjustment by reflecting the eating habit, sleep information, and exercise information at a ratio of 5:3:2. Here, the condition diagnosis unit 130 may search through the microorganism database 102 or the server database 150 for correlations between the possessed microorganisms and eating habits, sleep information, and exercise.

추천부(140)는 보유 미생물 분석부(120)의 분석 결과와 상태 진단부(130)의 개선 가능 수치를 토대로 보유 미생물 개선을 위한 식습관, 운동, 및 수면 정보를 추천할 수 있다. 여기서, 추천부(140)는 보유 미생물과 식습관, 운동량 및 수면의 연관성에 따라 해당 정보를 추천할 수 있다. 이때, 추천부(140)는 보유 미생물과 식습관, 운동량 및 수면의 연관성을 미생물 데이터베이스(102) 또는 서버 데이터베이스(150)를 통하여 검색할 수 있다.The recommendation unit 140 may recommend eating habits, exercise, and sleep information for improving the holding microorganisms based on the analysis result of the holding microorganism analysis unit 120 and the improvement possible value of the condition diagnosis unit 130. Here, the recommendation unit 140 may recommend the corresponding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association between the retained microorganism and eating habits, exercise amount, and sleep. In this case, the recommendation unit 140 may search the association between the retained microorganism and the eating habit, exercise amount, and sleep through the microorganism database 102 or the server database 150.

또한, 추천부(140)는 보유 미생물을 개선하기 위한 운동 정보, 수면정보 및 식단을 추천할 수 있다. 일례로, 추천부(140)는 보유 미생물의 개선을 위한 유익균 증가 방향을 도출할 수 있다. 이때, 추천부(140)는 유익균이 증가하도록 운동, 수면 및 식단을 추천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recommendation unit 140 may recommend exercise information, sleep information, and diet for improving the possessed microorganisms. For example, the recommendation unit 140 may derive a direction of increasing beneficial bacteria for improvement of the holding microorganism. At this time, the recommendation unit 140 may recommend exercise, sleep, and diet so that beneficial bacteria increase.

또한, 추천부(140)는 사용자가 선호하는 음식을 기반으로 식단을 추천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가 선호하는 음식은 평소에 주로 섭취하는 음식일 수 있다. In addition, the recommendation unit 140 may recommend a diet based on food that the user prefers. Here, the food that the user prefers may be food that the user usually consumes.

이에 의해, 사용자가 생활 패턴 중 개별 사항들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개선의 노력을 기울일 수 있도록 도울 수 있다. 따라서 개별 사항별로 사용자의 목표인식을 제고할 수 있다.As a result, it is possible to help the user to independently make efforts to improve individual items among the lifestyle patterns. Therefore,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user's target awareness for each individual item.

도 3을 참조하면, 서버 데이터베이스(150)는 사용자 정보(151), 헬스케어 정보(152), 보유 미생물 정보(153), 섭취 음식 정보(154) 및 음식 사진 정보(155)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 the server database 150 may include user information 151, healthcare information 152, microbial information 153, food intake information 154, and food photo information 155. .

사용자 정보(151)는 회원 관리 정보일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 정보(151)는 서비스 관리 및 빌링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The user information 151 may be member management information. Here, the user information 151 may include service management and billing information.

헬스케어 정보(152)는 헬스케어 디바이스(200)를 통하여 분석/추천 서비스 서버(100)에서 수집된 정보일 수 있다. 여기서, 헬스케어 정보(152)는 운동 정보, 혈당 및 혈압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The healthcare information 152 may be information collected by the analysis/recommendation service server 100 through the healthcare device 200. Here, the healthcare information 152 may include exercise information, blood sugar and blood pressure information.

보유 미생물 정보(153)는 채변 키트(300)를 통하여 추출된 정보와 보유 미생물 분석부(120)에 의해 분석된 사용자의 보유 미생물 정보일 수 있다. 여기서, 보유 미생물 정보(153)는 유해균, 유익균 및 비만균을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보유 미생물 정보(153)는 연관성이 있는 질병 또는 질환을 포함할 수 있다.The retained microorganism information 153 may be information extracted through the collection kit 300 and information about the user's own microorganisms analyzed by the retained microorganism analysis unit 120. Here, the retained microorganism information 153 may include harmful bacteria, beneficial bacteria, and obese bacteria. Optionally, the retained microbial information 153 may include related diseases or diseases.

섭취 음식 정보(154)는 사용자 단말(400)을 통하여 분석/추천 서비스 서버(100)에 등록된 식사 정보일 수 있다. 또한, 섭취 음식 정보(154)는 사용자 단말(400)에 의해 업로드된 사진을 기초로 분석된 음식 정보일 수 있다. The food intake information 154 may be meal information registered in the analysis/recommendation service server 100 through the user terminal 400. In addition, the food intake information 154 may be food information analyzed based on a photo uploaded by the user terminal 400.

음식 사진 정보(155)는 사용자 단말(400)을 통하여 분석/추천 서비스 서버(100)에 업로드된 사진일 수 있다. The food photo information 155 may be a photo uploaded to the analysis/recommendation service server 100 through the user terminal 400.

도 4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시각화 자료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여기서, 시각화 자료는 사용자 단말(400)에서 디스플레이되는 상태를 설명한다.Visualization data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4 to 8. Here, the visualization material describes a state displayed on the user terminal 400.

도 4는 시각화 자료의 제1예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시각화 자료의 제2예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6은 시각화 자료의 제3예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7은 시각화 자료의 제4예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8은 시각화 자료의 제5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4 is a diagram showing a first example of visualization data, FIG. 5 is a diagram showing a second example of visualization data, FIG. 6 is a diagram showing a third example of visualization data, and FIG. 7 is a fourth example of visualization data. It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and FIG. 8 is a diagram showing a fifth example of visualization data.

도 4를 참조하면, 시각화 자료의 제1예는 장내 세균 비율로서, 유익균(비피도박테리움, 락토바실러스), 중간균(박테로이데스) 및 유해균(클로스트리듐)의 비율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시각화 자료의 제1예는 사용자의 장내 비율과 함께 표준 그룹의 평균 비율이 함께 표시될 수 있다. 일례로, 장내 세균 비율은 원형 띠 그래프로 표시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4, a first example of the visualization data is the ratio of intestinal bacteria, and may include the ratio of beneficial bacteria (Bifidobacterium, Lactobacillus), intermediate bacteria (Bacteroides), and harmful bacteria (Clostridium). . In this case, in the first example of the visualization data, the average ratio of the standard group may be displayed together with the intestinal ratio of the user. For example, the percentage of bacteria in the intestine may be represented by a circular band graph.

또한, 시각화 자료의 제1예는 장내 세균 비율의 수치와 함께 장내 세균 비율에 대하여 산출된 종합 점수가 표시될 수 있다. 일례로, 장내 세균 비율에 대한 종합 점수는 표준 그룹의 평균 비율을 기준으로 산출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first example of the visualization data, a total score calculated for the ratio of intestinal bacteria may be displayed together with a numerical value of the ratio of intestinal bacteria. For example, the overall score for the ratio of intestinal bacteria may be calculated based on the average ratio of the standard group.

도 5를 참조하면, 시각화 자료의 제2예는 비만/정상균 비율로서, 비만유도균(퍼미규테스)과 정상균(박테로이데테스)의 비율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시각화 자료의 제2예는 사용자의 비만/정상균 비율과 함께 표준그룹의 평균 비율이 함께 표시될 수 있다. 일례로, 비만/정상균 비율은 막대 그래프로 표시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5, a second example of the visualization data is the ratio of obesity/normal bacteria, and may include the ratio of obesity-inducing bacteria (permyguetes) and normal bacteria (bacterioidetes). In this case, in the second example of the visualization data, the average ratio of the standard group may be displayed together with the obesity/normal bacteria ratio of the user. For example, the ratio of obesity/normal bacteria may be displayed as a bar graph.

시각화 자료의 제2예는 비만세균 진단으로서 비만유도균과 정상균의 비율에 대하여 산출된 종합 점수가 표시될 수 있다. 일례로, 비만세균 진단에 대한 종합 점수는 표준 그룹의 평균 비율을 기준으로 산출될 수 있다. 이때, 비만유도균과 정상균의 비율이 원형 띠 그래프로 함께 표시될 수 있다.The second example of the visualization data is the diagnosis of obesity bacteria, and a composite score calculated for the ratio of obesity inducing bacteria and normal bacteria can be displayed. For example, the overall score for the diagnosis of obesity bacteria may be calculated based on the average ratio of the standard group. At this time, the ratio of obesity-inducing bacteria and normal bacteria may be displayed together in a circular band graph.

도 6을 참조하면, 시각화 자료의 제3예는 장내 세균/운동/수면/식습관 모니터링 차트로서, 장내미생물 변화, 신체 변화 및 운동량/수면량/섭취영양분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장내 미생물 변화는 유익균, 중간균 및 유해균의 비율을 변화 상태를 막대 그래프로 표시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6, a third example of the visualization data is an intestinal bacteria/exercise/sleep/eating habit monitoring chart, which may include changes in intestinal microorganisms, changes in body and amount of exercise/sleep/nutrient intake. Here, the intestinal microbial change may be displayed as a bar graph showing the rate of change of beneficial bacteria, intermediate bacteria and harmful bacteria.

신체 변화는 체중, 골격근량, 체지방율, 세포와 수분비 등의 변화가 표시될 수 있다.Body changes can be indicated by changes in body weight, skeletal muscle mass, body fat percentage, and cell and water ratio.

운동량/수면량/섭취영양분은 걷기와 달리기 운동량(시간), 섭취 영양소 및 그 비율, 수면량(또는 수면 시간)을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섭취영양분에 대하여 영향 균형 점수가 표시될 수 있다.The amount of exercise/sleep amount/nutrient intake may indicate the amount of walking and running exercise (time), nutrients intake and their ratio, and sleep amount (or sleep time). Here, an impact balance score may be displayed for ingested nutrients.

도 7을 참조하면, 시각화 자료의 제4예는 장내 세균 비율의 추가 분석으로서, 유익균(비피도박테리움, 락토바실러스), 및 유해균(클로스트리듐)의 비율이 막대 그래프와 방사형 그래프로 표시될 수 있다. 이때, 시각화 자료의 제4예는 표준 그룹의 표준 비율이 함께 표시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7, the fourth example of the visualization data is an additional analysis of the ratio of intestinal bacteria, and the ratio of beneficial bacteria (Bifidobacterium, Lactobacillus), and harmful bacteria (Clostridium) is displayed as a bar graph and a radial graph. I can. In this case, in the fourth example of the visualization data, the standard ratio of the standard group may be displayed together.

여기서, 시각화 자료의 제4예는 장내 세균과 건강요소 관계가 더 표시될 수 있다. 각 건강 요소에 대하여 유익균, 유해균 및 표준 그룹의 평균의 크기가 막대 그래프로 표시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건강요소는 항암력, 면역력, 항산화력, 호르몬(세로토닌), 스트레스 및 DNA 메틸화를 포함할 수 있다.Here, in the fourth example of the visualization data,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stinal bacteria and health factors may be further displayed. For each health factor, the average size of the beneficial bacteria, harmful bacteria and standard groups can be displayed as a bar graph. At this time, the health factors may include anti-cancer power, immunity, antioxidant power, hormone (serotonin), stress, and DNA methylation.

도 8을 참조하면, 시각화 자료의 제5예는 유익균(비피도박테리움, 락토바실러스), 및 유해균(클로스트리듐)의 절대 균체수가 표시될 수 있다. 여기서, 절대 균체수는 CFU(Colony-Forming Unit) 단위로 표시될 수 있다. 이때, 절대 균체수는 막대 그래프, 수치 및 적성범위로 구분되게 표시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8, in a fifth example of the visualization data, the absolute number of cells of beneficial bacteria (Bifidobacterium, Lactobacillus), and harmful bacteria (Clostridium) may be displayed. Here, the absolute cell number may be displayed in CFU (Colony-Forming Unit) units. At this time, the absolute cell number may be displayed to be divided into a bar graph, a numerical value, and an aptitude range.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바이옴 기반 건강정보 제공 시스템(10)은 건강 증진을 도모하며 질병을 예측하고 예방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자신의 장내 보유 미생물과 관련된 분석 결과를 쉽게 이해하고, 그에 따른 건강 상태와 개선 방향을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생활 패턴 중 개별 사항들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개선의 노력을 기울일 수 있도록 도울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목표인식을 제고할 수 있다.With this configuration, the microbiome-based health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mote health, predict and prevent diseases, and allow the user to analyze the results related to the microorganisms in his intestine. It is easy to understand, and the health status and direction of improvement accordingly can be easily recognized, and it can help users to independently make efforts for improvement for individual items in their life patterns, thus raising the user's awareness of the goal. have.

이하,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마이크로바이옴 기반 건강정보 제공 방법을 설명한다.Hereinafter, a method of providing health information based on microbiom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9.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바이옴 기반 건강정보 제공 방법의 순서도이다.9 is a flowchart of a method for providing health information based on a microbio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마이크로바이옴 기반 건강정보 제공 방법(500)은 회원 가입 단계(S510 및 S520), 음식/운동/수면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S530), 보유 미생물을 분석하는 단계(S540) 및 분석 결과 안내 및 추천 단계(S550 및 S560)를 포함한다.The microbiome-based health information provision method 500 includes the steps of signing up for a member (S510 and S520), collecting food/exercise/sleep information (S530), analyzing the possessed microorganism (S540), and guiding and recommending analysis results. It includes steps S550 and S560.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분석/추천 서비스 서버(100)는 사용자 단말(400)에 설치된 모바일 앱을 통하여 회원 가입을 수행한다(단계 S510). 이때, 분석/추천 서비스 서버(100)는 입력되는 이메일 주소의 유효성을 확인하고, 포털 사이트의 계정과 연계하여 가입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In more detail, as shown in FIG. 9, first, the analysis/recommendation service server 100 performs membership registration through a mobile app installed in the user terminal 400 (step S510). In this case, the analysis/recommendation service server 100 may check the validity of the input email address and perform subscription processing in connection with the account of the portal site.

다음으로, 분석/추천 서비스 서버(100)는 사용자 단말(400)을 이용하여 건강 상태 및 생활 습관에 대한 문진을 작성한다(단계 S520). 이때,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400)을 이용하여 문진을 분석/추천 서비스 서버(100)로 업로드할 수 있다. 여기서, 문진은 건강 상태 및 생활 습관을 포함하며, 건강 상태는 가족력 및 병력을 포함할 수 있다.Next, the analysis/recommendation service server 100 creates a questionnaire on health status and lifestyle using the user terminal 400 (step S520). In this case, the user may upload the paperweight to the analysis/recommendation service server 100 using the user terminal 400. Here, the questionnaire includes a health status and lifestyle, and the health status may include a family history and medical history.

다음으로, 분석/추천 서비스 서버(100)는 식습관, 운동 및 수면에 대한 생활 패턴 정보를 수집한다(단계 S530). 이때, 분석/추천 서비스 서버(100)는 헬스케어 디바이스(200)를 통하여 운동 정보, 수면 정보, 혈당 정보 및 혈압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여기서, 운동 정보는 걸음수, 심박수, 달리기 속도, 운동 시간, 운동 추이, 및 칼로리 소모량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수면 정보는 수면량 및 시간 시간대를 포함할 수 있다.Next, the analysis/recommendation service server 100 collects lifestyle pattern information for eating habits, exercise, and sleep (step S530). In this case, the analysis/recommendation service server 100 may collect exercise information, sleep information, blood sugar information, and blood pressure information through the healthcare device 200. Here, the exercise information may include step count, heart rate, running speed, exercise time, exercise trend, and calorie consumption. In addition, the sleep information may include a sleep amount and a time zone.

또한, 분석/추천 서비스 서버(100)는 사용자 단말(400)을 통하여 식사 종류를 등록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400)을 통하여 각 식사 시의 섭취하는 음식의 종류를 분석/추천 서비스 서버(100)로 업로드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analysis/recommendation service server 100 may register a meal type through the user terminal 400. That is, the user may upload the type of food consumed at each meal to the analysis/recommendation service server 100 through the user terminal 400.

대안적으로, 분석/추천 서비스 서버(100)는 사용자 단말(400)에 의해 업로드된 사진으로부터 음식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400)을 이용하여 식사 전에 음식을 촬영하고 음식 사진을 분석/추천 서비스 서버(100)로 업로드할 수 있다. Alternatively, the analysis/recommendation service server 100 may collect food information from a photo uploaded by the user terminal 400. That is, the user may use the user terminal 400 to take a picture of food before eating and upload a picture of the food to the analysis/recommendation service server 100.

다음으로, 분석/추천 서비스 서버(100)는 보유 미생물을 분석한다(단계 S540). 이때, 분석/추천 서비스 서버(100)는 채취된 사용자의 대변이 투입된 채변 키트(300)를 사용자의 장내 보유 미생물을 분석할 수 있다. 여기서, 분석/추천 서비스 서버(100)는 채변 키트(300)를 통하여 추출된 장내 미생물 정보를 기반으로 미생물 데이터베이스(102)를 검색하여 해당 사용자의 장내 보유 미생물을 진단할 수 있다. 또한, 분석/추천 서비스 서버(100)는 유해균 및 유익균을 구분하여 진단할 수 있다.Next, the analysis/recommendation service server 100 analyzes the possessed microorganism (step S540). At this time, the analysis/recommendation service server 100 may analyze the microorganisms possessed in the intestine of the user by using the collection kit 300 into which the collected user's feces are put. Here, the analysis/recommendation service server 100 may search the microorganism database 102 based on the intestinal microorganism information extracted through the collection kit 300 to diagnose the intestinal microorganisms of the user. In addition, the analysis/recommendation service server 100 may classify and diagnose harmful bacteria and beneficial bacteria.

또한, 분석/추천 서비스 서버(100)는 사용자 단말(400)에 의해 업로드된 사진으로부터 음식을 구성하는 재료를 식별할 수 있다. 일례로, 분석/추천 서비스 서버(100)는 사진의 음식을 인식하고 인식된 음식에 대한 정보를 서버 데이터베이스(150)에서 검색하여 해당 식재료를 식별할 수 있다. 이때, 분석/추천 서비스 서버(100)는 식별된 식재료를 바탕으로 해당 음식의 칼로리, 영양성분 및 영양 구성을 산출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analysis/recommendation service server 100 may identify ingredients constituting food from the photos uploaded by the user terminal 400. As an example, the analysis/recommendation service server 100 may recognize food in a picture and search for information on the recognized food in the server database 150 to identify a corresponding food ingredient. In this case, the analysis/recommendation service server 100 may calculate calories, nutritional components, and nutritional composition of the food based on the identified food ingredients.

또한, 분석/추천 서비스 서버(100)는 분석된 보유 미생물과 질병 또는 질환의 연관성을 도출할 수 있다. 여기서, 분석/추천 서비스 서버(100)는 미생물 데이터베이스(102)에서 보유 미생물 관련 질병을 검색함으로써, 발생가능한 예상 질병 또는 질환을 도출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analysis/recommendation service server 100 may derive a correlation between the analyzed possessed microorganism and a disease or disease. Here, the analysis/recommendation service server 100 may derive a possible disease or disease by searching for a disease related to a microorganism in the microorganism database 102.

이때, 분석/추천 서비스 서버(100)는 해당 질병 또는 질환에 대한 예방책을 제안할 수 있다. 여기서, 예방책은 보유 미생물에 대한 개선 또는 해당 질병 또는 질환을 예방하기 위한 생활습관 등을 포함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analysis/recommendation service server 100 may suggest a preventive measure for a corresponding disease or disease. Here, the preventive measures may include improvement of the possessed microorganism or a lifestyle for preventing the corresponding disease or disease.

또한, 분석/추천 서비스 서버(100)는 보유 미생물에 대한 개선 가능 수치를 도출할 수 있다. 일례로, 분석/추천 서비스 서버(100)는 식습관, 수면 정보 및 운동 정보를 5:3:2의 비율로 반영하여 식습관, 수면 및 운동 조정에 따른 개선 가능 수치를 도출할 수 있다. 여기서, 분석/추천 서비스 서버(100)는 보유 미생물과 식습관, 수면 정보 및 운동 각각의 연관성을 미생물 데이터베이스(102) 또는 서버 데이터베이스(150)를 통하여 검색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analysis/recommendation service server 100 may derive an improvement possible value for the possessed microorganism. For example, the analysis/recommendation service server 100 may derive an improvement possible value according to diet, sleep, and exercise adjustment by reflecting eating habits, sleep information, and exercise information in a ratio of 5:3:2. Here, the analysis/recommendation service server 100 may search through the microorganism database 102 or the server database 150 for correlations between the possessed microorganisms and eating habits, sleep information, and exercise.

다음으로, 분석/추천 서비스 서버(100)는 분석된 결과에 대한 시각화 정보로 생성하여 사용자 단말(400)로 안내한다(단계 S550). 이때, 분석/추천 서비스 서버(100)는 장내 세균 비율, 비만/정상균 비율 및 진단, 장내미생물 변화, 운동량/수면량/섭취영양분, 장내 세균과 건강요소 관계, 및 절대 균체수를 포함하는 시각화 정보를 사용자 단말(400)로 안내할 수 있다.Next, the analysis/recommendation service server 100 generates visualization information on the analyzed result and guides it to the user terminal 400 (step S550). At this time, the analysis/recommended service server 100 provides visualization information including the intestinal bacteria ratio, obesity/normal bacteria ratio and diagnosis, changes in intestinal microorganisms, exercise/sleep quantity/nutrients intake,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stinal bacteria and health factors, and the absolute number of bacteria. It can be guided to the user terminal 400.

여기서, 시각화 정보는 장내 세균 비율, 비만/정상균 비율 및 진단, 장내미생물 변화, 운동량/수면량/섭취영양분, 장내 세균과 건강요소 관계, 및 절대 균체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건강요소는 항암력, 면역력, 항산화력, 호르몬(세로토닌), 스트레스 및 DNA 메틸화를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visualization information may include intestinal bacteria ratio, obesity/normal bacteria ratio and diagnosis, changes in intestinal microorganisms, exercise/sleep quantity/nutrients intake, relationship between intestinal bacteria and health factors, and absolute number of bacteria. At this time, the health factors may include anti-cancer power, immunity, antioxidant power, hormone (serotonin), stress, and DNA methylation.

다음으로, 분석/추천 서비스 서버(100)는 분석 결과를 토대로 보유 미생물 개선을 위한 식습관, 운동, 및 수면 정보를 추천한다(단계 S560). 이때, 분석/추천 서비스 서버(100)는 보유 미생물과 식습관, 운동량 및 수면의 연관성에 따라 해당 정보를 추천할 수 있다. 여기서, 분석/추천 서비스 서버(100)는 보유 미생물과 식습관, 운동량 및 수면의 연관성을 미생물 데이터베이스(102) 또는 서버 데이터베이스(150)를 통하여 검색할 수 있다.Next, the analysis/recommendation service server 100 recommends eating habits, exercise, and sleep information for improving the possessed microorganisms based on the analysis result (step S560). In this case, the analysis/recommendation service server 100 may recommend the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association between the possessed microorganism and the eating habit, exercise amount, and sleep. Here, the analysis/recommendation service server 100 may search through the microorganism database 102 or the server database 150 for correlations between the possessed microorganisms and eating habits, exercise amount, and sleep.

또한, 분석/추천 서비스 서버(100)는 보유 미생물을 개선하기 위한 운동 정보, 수면 정보 및 식단을 추천할 수 있다. 일례로, 분석/추천 서비스 서버(100)는 보유 미생물의 개선을 위한 유익균 증가 방향을 도출할 수 있다. 이때, 분석/추천 서비스 서버(100)는 유익균이 증가하도록 운동, 수면 및 식단을 추천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analysis/recommendation service server 100 may recommend exercise information, sleep information, and diet for improving the possessed microorganisms. As an example, the analysis/recommendation service server 100 may derive an increase direction of beneficial bacteria for improvement of the possessed microorganism. In this case, the analysis/recommendation service server 100 may recommend exercise, sleep, and diet so that beneficial bacteria increase.

또한, 분석/추천 서비스 서버(100)는 사용자가 선호하는 음식을 기반으로 식단을 추천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가 선호하는 음식은 평소에 주로 섭취하는 음식일 수 있다. In addition, the analysis/recommendation service server 100 may recommend a diet based on the food preferred by the user. Here, the food that the user prefers may be food that the user usually consumes.

이와 같은 방법에 의해, 본 발명은 건강 증진을 도모하며 질병을 예측하고 예방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자신의 장내 보유 미생물과 관련된 분석 결과를 쉽게 이해하고, 그에 따른 건강 상태와 개선 방향을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생활 패턴 중 개별 사항들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개선의 노력을 기울일 수 있도록 도울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목표인식을 제고할 수 있다.By such a method,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mote health, predict and prevent diseases, and allow the user to easily understand the analysis results related to the microorganisms possessed in his or her intestines, and to easily recognize the health status and improvement direction accordingly. In addition, since it is possible to help the user to independently make efforts to improve individual items among the life patterns, the user's awareness of the goal can be improved.

상기와 같은 방법들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분석/추천 서비스 서버(100)에 의해 구현될 수 있고, 특히, 이러한 단계들을 수행하는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이러한 프로그램들은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 매체에 저장되거나 전송 매체 또는 통신망에서 반송파와 결합된 컴퓨터 데이터 신호에 의하여 전송될 수 있다. 이때,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해 판독가능한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The above methods may be implemented by the analysis/recommended service server 100 as shown in FIG. 1, and in particular, may be implemented as a software program that performs these steps, and in this case, these programs are computer-readable. It may be stored on a possible recording medium or transmitted by a computer data signal combined with a carrier wave in a transmission medium or a communication network. In this case,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may include all types of recording devices in which data readable by a computer system is stored.

이상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본 명세서에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추가 등에 의해서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든다고 할 것이다.Althoug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above,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present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who understand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add components within the scope of the same idea. It will be possible to easily propose other embodiments by changing, deleting, adding, etc., but it will be said that this is also within the spirit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 : 마이크로바이옴 기반 건강정보 제공 시스템
100 : 분석/추천 서비스 서버 102 : 미생물 데이터베이스
110 : 회원 관리부 120 : 보유 미생물 분석부
130 : 상태 진단부 140 : 추천부
150 : 서버 데이터베이스 151 : 사용자 정보
152 : 헬스케어 정보 153 : 보유 미생물 정보
154 : 섭취 음식 정보 155 : 음식 사진 정보
200 : 헬스케어 디바이스 300 : 채변 키트
400 : 사용자 단말
10: Microbiome-based health information provision system
100: analysis/recommended service server 102: microbial database
110: member management unit 120: possessed microorganism analysis unit
130: condition diagnosis unit 140: recommendation unit
150: server database 151: user information
152: healthcare information 153: possessed microbial information
154: Ingested food information 155: Food photo information
200: healthcare device 300: collection kit
400: user terminal

Claims (10)

분석/추천 서비스 서버에 의해 수행되는 마이크로바이옴 기반 건강정보 제공 방법에 있어서,
식습관, 운동 및 수면에 대한 생활 패턴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채취된 사용자의 대변이 투입된 채변 키트를 통하여 사용자의 장내 보유 미생물을 분석하는 단계; 및
상기 분석 결과를 토대로 상기 보유 미생물과 식습관, 운동량 및 수면의 연관성에 따라 보유 미생물 개선을 위한 식습관, 운동, 및 수면 정보를 추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마이크로바이옴 기반 건강정보 제공 방법.
In the microbiome-based health information provision method performed by the analysis/recommended service server,
Collecting lifestyle pattern information on eating habits, exercise and sleep;
Analyzing the microorganisms held in the intestine of the user through the collection kit into which the collected user's feces are put; And
Recommending eating habits, exercise, and sleep information for improving the possessed microorganisms according to the association between the possessing microorganisms and eating habits, exercise amount, and sleep based on the analysis result;
Microbiome-based health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comprising a.
제1항에 있어서,
사용자 단말에 설치된 모바일 앱을 통하여 회원 가입하는 단계; 및
건강 상태 및 생활 습관에 대한 문진을 작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마이크로바이옴 기반 건강정보 제공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Signing up as a member through a mobile app installed on the user terminal; And
The method of providing health information based on microbiome further comprising; writing a questionnaire on health conditions and lifestyle habits.
제1항 있어서,
상기 분석된 결과에 대한 시각화 정보로 생성하여 사용자 단말로 안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시각화 정보는 장내 세균 비율, 비만/정상균 비율 및 진단, 장내미생물 변화, 운동량/수면량/섭취영양분, 장내 세균과 건강요소 관계, 및 절대 균체수를 포함하며,
상기 건강요소는 항암력, 면역력, 항산화력, 호르몬(세로토닌), 스트레스 및 DNA 메틸화를 포함하는 마이크로바이옴 기반 건강정보 제공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Generating as visualization information on the analyzed result,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guiding the user terminal,
The visualization information includes intestinal bacteria ratio, obesity/normal bacteria ratio and diagnosis, changes in intestinal microbes, exercise/sleep quantity/nutrients intake, relationship between intestinal bacteria and health factors, and absolute number of bacteria,
The health factor is a microbiome-based health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including anticancer power, immunity, antioxidant power, hormone (serotonin), stress and DNA methyla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집하는 단계는 헬스케어 디바이스를 통하여 운동 정보, 수면 정보, 혈당 정보 및 혈압정보를 수집하는 마이크로바이옴 기반 건강정보 제공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The collecting step is a microbiome-based health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for collecting exercise information, sleep information, blood sugar information, and blood pressure information through a healthcare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집하는 단계는 사용자 단말을 통하여 식사 종류를 등록하거나 사진을 촬영하여 업로드하는 마이크로바이옴 기반 건강정보 제공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The collecting step is a microbiome-based health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of registering a meal type or taking a picture and uploading it through a user termina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추천하는 단계는 상기 보유 미생물을 개선하기 위한 운동 정보 및 식단을 추천하고,
상기 보유 미생물의 개선을 위한 유익균 증가 방향을 도출하며,
사용자가 선호하는 음식을 기반으로 상기 식단을 추천하는 마이크로바이옴 기반 건강정보 제공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The recommending step recommends exercise information and diet for improving the retained microorganisms,
Derive the direction of increasing beneficial bacteria for the improvement of the retained microorganisms,
A microbiome-based health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that recommends the diet based on the user's favorite foo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석하는 단계는 상기 보유 미생물과 질병 또는 질환의 연관성을 도출하고,
상기 식습관, 수면 정보 및 운동 정보를 5:3:2 비율로 반영하여 식습관, 수면 및 운동 조정에 따른 개선 가능 수치를 도출하는 마이크로바이옴 기반 건강정보 제공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The analyzing step derives a correlation between the possessing microorganism and a disease or disease,
A method of providing health information based on microbiome that reflects the eating habits, sleep information, and exercise information in a 5:3:2 ratio to derive values that can be improved according to diet, sleep and exercise adjustmen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석하는 단계는 상기 채변 키트로부터 추출된 미생물 정보를 기반으로 미생물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여 보유 미생물을 진단하는 마이크로바이옴 기반 건강정보 제공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The analyzing step is a microbiome-based health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for diagnosing a possessed microorganism by searching a microorganism database based on the microorganism information extracted from the collection kit.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분석하는 단계는 상기 업로드된 사진으로부터 구성 식재료를 식별하고,
상기 식별된 구성 식재료를 바탕으로 해당 음식의 칼로리, 영양성분 및 영양 구성을 산출하는 마이크로바이옴 기반 건강정보 제공 방법.
The method of claim 5,
The analyzing step identifies the constituent ingredients from the uploaded photo,
Microbiome-based health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for calculating calories, nutritional components, and nutritional composition of the food based on the identified ingredients.
헬스케어 디바이스로 또는 사용자 단말부터 식습관, 운동 및 수면에 대한 생활 패턴 정보를 수집하고, 채취된 사용자의 대변이 투입된 채변 키트를 통하여 사용자의 장내 보유 미생물을 분석하는 보유 미생물 분석부;
상기 분석된 결과에 대한 시각화 정보로 생성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로 안내하며, 상기 보유 미생물과 질병 또는 질환의 연관성을 도출하는 상태 진단부; 및
상기 분석 결과를 토대로 상기 보유 미생물과 식습관, 운동량 및 수면의 연관성에 따라 보유 미생물 개선을 위한 식습관, 운동, 및 수면 정보를 추천하는 추천부;를 포함하고,
상기 시각화 정보는 장내 세균 비율, 비만/정상균 비율 및 진단, 장내미생물 변화, 운동량/수면량/섭취영양분, 장내 세균과 건강요소 관계, 및 절대 균체수를 포함하며,
상기 건강요소는 항암력, 면역력, 항산화력, 호르몬(세로토닌), 스트레스 및 DNA 메틸화를 포함하는 마이크로바이옴 기반 건강정보 제공 시스템.
A retention microbial analysis unit that collects life pattern information on eating habits, exercise, and sleep from a health care device or from a user terminal, and analyzes a user's intestinal microbes through a collection kit into which the collected user's feces are put;
A condition diagnosis unit that generates visualization information on the analyzed result, guides it to the user terminal, and derives a correlation between the possessed microorganism and a disease or disease; And
Including; a recommendation unit for recommending information on eating habits, exercise, and sleep for improving the holding microorganisms according to the association between the holding microorganism and the eating habit, exercise amount, and sleep based on the analysis result; and
The visualization information includes intestinal bacteria ratio, obesity/normal bacteria ratio and diagnosis, changes in intestinal microbes, exercise/sleep quantity/nutrients intake, relationship between intestinal bacteria and health factors, and absolute number of bacteria,
The health factor is a microbiome-based health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including anticancer power, immunity, antioxidant power, hormone (serotonin), stress and DNA methylation.
KR1020190109291A 2019-09-04 2019-09-04 System for providing health care information based on microbiome and method thereof KR20210028765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9291A KR20210028765A (en) 2019-09-04 2019-09-04 System for providing health care information based on microbiome and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9291A KR20210028765A (en) 2019-09-04 2019-09-04 System for providing health care information based on microbiome and method thereof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28765A true KR20210028765A (en) 2021-03-15

Family

ID=751344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09291A KR20210028765A (en) 2019-09-04 2019-09-04 System for providing health care information based on microbiome and method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28765A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225308A1 (en) * 2021-04-19 2022-10-27 한국과학기술연구원 Method for analyzing microbial interaction networks from microbiome data using non-negative matrix factorization
KR20230011655A (en) 2021-07-14 2023-01-25 주식회사 아이도트 A method for generating training data for automatic disease diagnosis
KR102529575B1 (en) * 2022-10-06 2023-05-08 주식회사 엔젠바이오 Personalized solution providing method for growth of toddler based on microbiome and analysis apparatus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25180A (en) 2017-08-31 2019-03-11 주식회사 이노아이엔씨 Application method of gut microbiome analysis for animal health monitoring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25180A (en) 2017-08-31 2019-03-11 주식회사 이노아이엔씨 Application method of gut microbiome analysis for animal health monitoring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225308A1 (en) * 2021-04-19 2022-10-27 한국과학기술연구원 Method for analyzing microbial interaction networks from microbiome data using non-negative matrix factorization
KR20230011655A (en) 2021-07-14 2023-01-25 주식회사 아이도트 A method for generating training data for automatic disease diagnosis
KR102529575B1 (en) * 2022-10-06 2023-05-08 주식회사 엔젠바이오 Personalized solution providing method for growth of toddler based on microbiome and analysis apparatu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nittle et al. How can interventions increase motivation for physical activity?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US10930394B2 (en) Lifestyle management supporting apparatus and lifestyle management supporting method
King et al. Behavioral impacts of sequentially versus simultaneously delivered dietary plus physical activity interventions: the CALM trial
Miller et al. A needs assessment, development, and formative evaluation of a health promotion smartphone application for college students
Peterson Telerehabilitation booster sessions and remote patient monitoring in the management of chronic low back pain: a case series
Olsen An integrative review of literature on the determinants of physical activity among rural women
Oh et al. Health disparities in awareness of physical activity and cancer prevention: findings from the National Cancer Institute's 2007 Health Information National Trends Survey (HINTS)
Kankanhalli et al. Combined interventions for physical activity, sleep, and diet using smartphone apps: a scoping literature review
KR20210028765A (en) System for providing health care information based on microbiome and method thereof
Maglalang et al. “I don’t have to explain, people understand”: Acceptability and Cultural Relevance of a Mobile Health Lifestyle Intervention for Filipinos with Type 2 Diabetes
Zhao Relationships between sources of health information and diabetes knowledge in the US Hispanic population
Youngstrom et al. Commentary: Moving toward cost-effectiveness in using psychophysiological measures in clinical assessment: Validity, decision making, and adding value
Suggs et al. OVERWEIGHT AND OBESE SEDENTARY ADULTS'PHYSICAL ACTIVITY BELIEFS AND PREFERENCES.
Kilpela et al. Body image in older women: a mediator of BMI and wellness behaviors
Vanroy et al. Short-and long-term effects of a need-supportive physical activity intervention among patients with type 2 diabetes mellitus: A randomized controlled pilot trial
Enwald Tailoring health communication: the perspective of information users' health information behaviour in relation to their physical health status
Smith et al. A series of n-of-1 studies examining the interrelationships between social cognitive theory constructs and physical activity behaviour within individuals
Pekmezi et al. Pilot trial of a home-based physical activity program for African American women
Sahin Rules of engagement in mobile health: what does mobile health bring to research and theory?
Selander et al. Predictors for successful vocational rehabilitation for clients with back pain problems
Oreskovic et al. Assessment of walking routes as a possible approach for promoting physical activity in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Brief Report
Martinez et al. Social support and parenting stress in Hispanic parents of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Booth et al. Sociodemographic Factors Associated With Objectively Measured Moderate-to Vigorous-intensity Physical Activity in Adults With Type 2 Diabetes: Cross-sectional Results From the Canadian Health Measures Survey (2007 to 2017)
Wills et al. Body mass index knowledge of older adults and motivation to change
De Guzman et al. Explicating physical activity preferences of community-dwelling Filipino elderly in urban and rural settings: A conjoint analysi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