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28027A - 냉장고 - Google Patents

냉장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28027A
KR20210028027A KR1020190109213A KR20190109213A KR20210028027A KR 20210028027 A KR20210028027 A KR 20210028027A KR 1020190109213 A KR1020190109213 A KR 1020190109213A KR 20190109213 A KR20190109213 A KR 20190109213A KR 20210028027 A KR20210028027 A KR 202100280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ce
door
wall
partition wall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092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동선
정형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위니아전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위니아전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위니아전자
Priority to KR10201901092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28027A/ko
Publication of KR202100280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2802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5/00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 F25D25/02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by shelves
    • F25D25/024Slidable shelves
    • F25D25/025Draw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8/00Drawers for tables, cabinets or like furniture; Guides for drawers
    • A47B88/40Sliding drawers; Slides or guide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1/00Self-contained movable devices, e.g. domestic refrigerators
    • F25D11/02Self-contained movable devices, e.g. domestic refrigerators with cooling compartments at different temperatur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10/00General construction of drawers, guides and guide devices
    • A47B2210/17Drawers used in connection with household appliances
    • A47B2210/175Refrigerators or freez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efrigerator Hous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냉장고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저장실이 구비된 본체;와 상기 저장실을 개폐하는 서랍형 도어;와 상기 본체의 양측벽에 고정되고 랙기어부가 마련되는 한 쌍의 고정레일;과 상기 서랍형 도어의 양측에 고정되고 상기 랙기어부를 따라 회전하는 피니언기어가 마련되는 한 쌍의 도어레일;을 포함하되, 한 쌍의 고정레일에 마련된 상기 랙기어부 중 어느 하나에는 절단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서랍형 도어에 일측으로 편중된 힘이 가해진 상태로 슬라이딩 도어가 인입되어도 서랍형 도어의 좌우 정렬이 자동적으로 이루어지고, 이로 인해 서랍형 도어의 인입 시 저장실을 완전히 밀폐할 수 있으므로 저장실 내의 냉기가 외부로 유출되지 않는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냉장고 {REFRIGERATOR}
본 발명은 냉장고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서랍형 도어에 일측으로 편중된 힘이 가해진 상태로 슬라이딩 도어가 인입되어도 서랍형 도어의 좌우 정렬이 자동적으로 이루어지고, 이로 인해 서랍형 도어의 인입 시 저장실을 완전히 밀폐할 수 있으므로 저장실 내의 냉기가 외부로 유출되지 않는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장고는 도어에 의해 개폐되는 저장실에 식품을 냉장 또는 냉동 상태로 보관하기 위한 가전기기로서, 통상적으로 식품을 저온의 냉장상태로 보관하기 위한 냉장실과 식품을 얼려서 냉동상태로 보관하기 위한 냉동실을 구비한다.
또한, 냉장고에는 사용자의 편의를 위해 얼음을 생성하여 저장하는 제빙실이 추가적으로 구성될 수 있고, 사용자가 제빙실에 저장된 얼음을 외부로 취출할 수 있도록 디스펜서가 마련될 수 있다.
최근에 출시되는 냉장고는 냉동실보다 비교적 자주 사용하는 냉장실을 본체의 상부에 제공하고, 상대적으로 냉장실보다 덜 사용하는 냉동실을 본체의 하부에 제공하는 추세이며, 특히, 최근에는 본체의 좌우측에 각각 힌지결합되어 좌우로 나란히 배치된 두 개의 회동형 도어에 의해 냉장실이 개폐되고,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된 서랍형 도어에 의해 냉동실이 개폐되는 프렌치도어 타입의 냉장고가 각광받고 있다.
이러한 냉장고의 서랍형 도어는 저장실에 대한 인출 및 인입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기 위해 본체와 레일부, 랙기어 및 피니언기어 등에 의해 연결되도록 결합되는데, 이와 관련된 종래기술로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944106에 게재된 것이 있다.
종래의 냉장고는, 내상과 외상을 갖는 본체와, 상기 내상의 내부에 전면이 개방되도록 형성되는 저장실과, 상기 저장실의 개방된 전면을 개폐하도록 마련되는 슬라이딩 도어와, 상기 슬라이딩 도어를 상기 본체에 대해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1레일부와 제2레일부와, 상기 제1레일부와 상기 제2레일부 사이에서 연장되는 연결바와, 상기 연결바에 결합되고 상기 제1레일부에 맞물리는 제1피니언 기어와, 상기 연결바에 결합되고 상기 제2레일부에 맞물리는 제2피니언 기어와, 상기 제1레일부와 상기 제2레일부가 틀어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제1레일부의 후단부와 상기 제2레일부의 후단부 사이에서 연장되는 후방 보강 프레임와, 상기 슬라이딩 도어의 개폐 시에 상기 슬라이딩 도어와 함께 이동하여 상기 저장실에 인입 및 인출되고, 상기 제1레일부와 상기 제2레일부에 의해 지지되는 저장 바스켓 및, 상기 저장 바스켓에 의해 지지되고, 상기 저장 바스켓의 상측에서 인입 및 인출되도록 마련되고, 구름 운동을 수행하도록 롤러를 갖는 보조 바스켓을 포함하고, 상기 저장 바스켓은 측벽을 포함하고, 상기 측벽은, 상기 롤러의 전방으로의 이동을 제한하도록 상기 측벽의 상부에서 상측으로 돌출되는 전방 돌기와, 상기 롤러의 후방으로의 이동을 제한하도록 상기 측벽의 상부에서 상측으로 돌출되는 후방 돌기와, 상기 롤러를 지지하도록 상기 측벽의 상부에 마련되고, 상기 전방 돌기에서 상기 후방 돌기까지 연장되는 롤러 지지면과, 상기 롤러의 측방으로의 이동을 제한하며 상기 롤러를 안내하도록 상기 롤러 지지면에서 상측으로 돌출되는 가이드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1레일부와 상기 제2레일부는 각각, 상기 내상에 결합되는 제1커버 레일과, 상기 제1커버 레일에 결합되는 제1슬라이딩 레일과, 상기 제1커버 레일에 일체로 형성되는 랙기어와, 상기 슬라이딩 도어에 결합되고 상기 저장 바스켓을 지지하는 제2커버 레일과, 상기 제2커버 레일에 결합되는 제3슬라이딩 레일과, 상기 제1슬라이딩 레일 및 상기 제3슬라이딩 레일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슬라이딩 레일을 포함하고, 상기 제1피니언 기어는 상기 제1레일부의 제3슬라이딩 레일에 결합되고 상기 제1레일부의 랙기어에 맞물리고, 상기 제2피니언 기어는 상기 제2레일부의 제3슬라이딩 레일에 결합되고 상기 제2레일부의 랙기어에 맞물리게 구성된다.
하지만, 이러한 종래의 냉장고는 슬라이딩 도어에 일측으로 편중된 힘이 가해진 상태로 슬라이딩 도어가 인입될 경우 슬라이딩도어가 비틀리게 되어 좌우 정렬이 이루어지지 않는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이러한 종래의 냉장고는 슬라이딩 도어가 제대로 정확히 인입되었는지 직관적으로 쉽게 알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이러한 종래의 냉장고는 슬라이딩 도어가 비틀린 상태로 인입되어 저장실이 완전히 밀폐되지 못하므로, 저장실 내의 냉기가 외부로 유출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KR 10-1944106 B1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서랍형 도어에 일측으로 편중된 힘이 가해진 상태로 슬라이딩 도어가 인입되어도 서랍형 도어의 좌우 정렬이 자동적으로 이루어지고, 이로 인해 서랍형 도어의 인입 시 저장실을 완전히 밀폐할 수 있으므로 저장실 내의 냉기가 외부로 유출되지 않는 냉장고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냉장고는, 저장실이 구비된 본체;와 상기 저장실을 개폐하는 서랍형 도어;와 상기 본체의 양측벽에 고정되고 랙기어부가 마련되는 한 쌍의 고정레일;과 상기 서랍형 도어의 양측에 고정되고 상기 랙기어부를 따라 회전하는 피니언기어가 마련되는 한 쌍의 도어레일;을 포함하되, 한 쌍의 고정레일에 마련된 상기 랙기어부 중 어느 하나에는 절단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절단부는 상기 랙기어부의 후방측에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절단부는 상기 랙기어부의 후단부 일부분이 잘려 나가 형성된 공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피니언기어는 상기 절단부의 상부에서 공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피니언기어는 상기 절단부의 상부에서 상기 고정레일과 이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는 다음과 같은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는 서랍형 도어에 일측으로 편중된 힘이 가해진 상태로 슬라이딩 도어가 인입되어도 서랍형 도어의 좌우 정렬이 자동적으로 이루어진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는 서랍형 도어의 좌우 정렬이 자동적으로 이루어져 서랍형 도어의 인입 시 저장실을 완전히 밀폐할 수 있으므로 저장실 내의 냉기가 외부로 유출되지 않는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는 서랍형 도어가 제대로 정확히 인입되었는지 사용자가 인지할 수 있는 소리가 나게 되어 서랍형 도어가 닫힌 것을 직관적으로 쉽게 알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회동형 도어가 열린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회동형 도어를 도시한 배면사시도.
도 4는 도 3에서 도어포켓이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배면사시도.
도 5는 도 3의 A-A 부분 절취하여 도시한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도어내상에서 걸림부재가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수평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도어외상에서 도어핸들조립체가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분리사시도.
도 8은 도 7의 A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확대사시도.
도 9는 도 7의 B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확대사시도.
도 10은 도 7의 배면사시도.
도 11은 도 10의 C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확대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도어핸들조립체가 도어외상에 조립된 상태를 도시한 수직단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도어핸들조립체가 도어외상에 조립된 상태를 도시한 수평단면도.
도 1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내부케이스에서 서랍형 도어가 인출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15는 도 14의 배면분해사시도.
도 1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바스켓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 17은 도 16의 분해시시도.
도 18은 도 16에서 측벽커버를 제거하여 도시판 평면도.
도 19는 도 16의 가이드롤러의 중심을 전후 방향으로 절취하여 도시한 단면도.
도 20은 도 16의 저면사시도.
도 2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본체 양측에 고정되는 고정레일을 도시한 평면도.
도 2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서랍형 도어가 인출된 상태에서의 전선 구조를 도시한 배면사시도.
도 2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서랍형 도어가 인입된 상태에서의 전선 구조를 도시한 배면사시도(확대도는 제2연결프레임, 접속부재, 도어레일 및 연결레일을 제거한 상태).
도 2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제빙실이 형성된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저면사시도.
도 25는 도 24의 B-B 부분을 절취하여 도시한 단면도.
도 26은 도 24의 C-C 부분을 절취하여 도시한 단면도.
도 27은 도 24의 D-D 부분을 절취하여 도시한 단면도.
도 28은 도 24에서 제빙실을 형성하는 구성들을 제거하여 도시한 저면사시도.
도 2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외부구획벽을 도시한 사시도.
도 30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외부구획벽을 도시한 저면사시도.
도 31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내부구획벽을 도시한 사시도.
도 3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내부구획벽을 도시한 저면사시도.
도 3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입구벽을 도시한 사시도.
도 3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설치벽을 도시한 사시도.
도 35 내지 도 4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구획벽, 입구벽, 설치벽 및 내부케이스가 서로 조립되는 과정을 도시한 사시도.
도 4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일체발포공정을 도시한 개략도.
도 4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일체발포공정을 도시한 개략도.
도 4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상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 4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제빙실측 선반이 탈거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
도 4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제빙실측 선반이 구획벽에 거치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
도 46은 도 45에서 선반지지대에 거치된 제2행거브라켓만을 도시한 평면도.
도 4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제빙실측 선반을 구획벽에 거치하는 과정을 도시한 사용상태도.
도 4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제빙기를 도시한 사시도.
도 4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제빙기를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분리사시도.
도 5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얼음저장용 버킷을 도시한 사시도.
도 5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얼음저장용 버킷을 배면측에서 도시한 저면사시도.
도 5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구동부 팬 덕트조립체를 도시한 사시도.
도 5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구동부 팬 덕트조립체를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분리사시도.
도 54는 도 53을 배면에서 도시한 배면분리사시도.
도 5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제빙실도어에 형성된 손잡이의 중심을 기준으로 절취하여 도시한 수직단면도.
도 5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외부케이스 및 내부케이스에서 증발기케이스가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배면분리사시도.
도 57은 도 56에서 내부케이스에 증발기케이스가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배면사시도.
도 58의 (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증발기 케이스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8의 (b)는 도 58의 (a)의 배면사시도.
도 59는 (a)는 도 58의 (a)의 정면도이고, 도 58의 (b)는 도 58의 (a)의 배면도.
도 6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단열커버가 본체에서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배면분리사시도.
도 6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단열커버, 증발기조립체 및 가이드부가 본체에서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배면분리사시도.
도 6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증발기조립체를 도시한 배면분해사시도.
도 6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가이드부를 도시한 배면분해사시도.
도 64는 도 63을 정면에서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6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단열커버의 중심을 기준으로 절취하여 외부커버와 내부커버로 분해한 상태를 도시한 수평단면도.
도 6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단열커버에서 제1패킹 및 제2패킹이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분리사시도.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참고적으로 이하에서 설명될 본 발명의 구성들 중 종래기술과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전술한 종래기술을 참조하기로 하고 별도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여기서 사용되는 전문용어는 단지 특정 실시 예를 언급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을 의도하지 않는다. 여기서 사용되는 단수 형상들은 문구들이 이와 명백히 반대의 의미를 나타내지 않는 한 복수 형상들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의 의미는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을 구체화하며, 다른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성분 및/또는 군의 존재나 부가를 제외시키는 것은 아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나 "접촉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촉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하에서 설명되는 전후좌우상하의 방향은 모두 도면 1에 도시된 방향을 기준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회동형 도어가 열린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회동형 도어를 도시한 배면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에서 도어포켓이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배면사시도이고, 도 5는 도 3의 A-A 부분 절취하여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도어내상에서 걸림부재가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수평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도어외상에서 도어핸들조립체가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분리사시도이고, 도 8은 도 7의 A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확대사시도이고, 도 9는 도 7의 B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확대사시도이고, 도 10은 도 7의 배면사시도이고, 도 11은 도 10의 C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확대사시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도어핸들조립체가 도어외상에 조립된 상태를 도시한 수직단면도이고, 도 1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도어핸들조립체가 도어외상에 조립된 상태를 도시한 수평단면도이고, 도 1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내부케이스에서 서랍형 도어가 인출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5는 도 14의 배면분해사시도이고, 도 1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바스켓부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7은 도 16의 분해시시도이고, 도 18은 도 16에서 측벽커버를 제거하여 도시판 평면도이고, 도 19는 도 16의 가이드롤러의 중심을 전후 방향으로 절취하여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20은 도 16의 저면사시도이고, 도 2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본체 양측에 고정되는 고정레일을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2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서랍형 도어가 인출된 상태에서의 전선 구조를 도시한 배면사시도이고, 도 2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서랍형 도어가 인입된 상태에서의 전선 구조를 도시한 배면사시도이고, 도 2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제빙실이 형성된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저면사시도이고, 도 25는 도 24의 B-B 부분을 절취하여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26은 도 24의 C-C 부분을 절취하여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27은 도 24의 D-D 부분을 절취하여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28은 도 24에서 제빙실을 형성하는 구성들을 제거하여 도시한 저면사시도이고, 도 2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외부구획벽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0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외부구획벽을 도시한 저면사시도이고, 도 31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내부구획벽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내부구획벽을 도시한 저면사시도이고, 도 3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입구벽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설치벽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5 내지 도 4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구획벽, 입구벽, 설치벽 및 내부케이스가 서로 조립되는 과정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일체발포공정을 도시한 개략도이고, 도 4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일체발포공정을 도시한 개략도이고, 도 4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상부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제빙실측 선반이 탈거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4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제빙실측 선반이 구획벽에 거치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46은 도 45에서 선반지지대에 거치된 제2행거브라켓만을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4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제빙실측 선반을 구획벽에 거치하는 과정을 도시한 사용상태도이고, 도 4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제빙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제빙기를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분리사시도이고, 도 5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얼음저장용 버킷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얼음저장용 버킷을 배면측에서 도시한 저면사시도이고, 도 5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구동부 팬 덕트조립체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구동부 팬 덕트조립체를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분리사시도이고, 도 54는 도 53을 배면에서 도시한 배면분리사시도이고, 도 5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제빙실도어에 형성된 손잡이의 중심을 기준으로 절취하여 도시한 수직단면도이고, 도 5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외부케이스 및 내부케이스에서 증발기케이스가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배면분리사시도이고, 도 57은 도 56에서 내부케이스에 증발기케이스가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배면사시도이고, 도 58의 (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증발기 케이스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8의 (b)는 도 58의 (a)의 배면사시도이고, 도 59는 (a)는 도 58의 (a)의 정면도이고, 도 58의 (b)는 도 58의 (a)의 배면도이고, 도 6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단열커버가 본체에서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배면분리사시도이고, 도 6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단열커버, 증발기조립체 및 가이드부가 본체에서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배면분리사시도이고, 도 6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증발기조립체를 도시한 배면분해사시도이고, 도 6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가이드부를 도시한 배면분해사시도이고, 도 64는 도 63을 정면에서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6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단열커버의 중심을 기준으로 절취하여 외부커버와 내부커버로 분해한 상태를 도시한 수평단면도이고, 도 6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단열커버에서 제1패킹 및 제2패킹이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분리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체(10)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외관을 이루는 구성으로서, 직육면체의 박스 형상으로 형성되며, 외부케이스(100)와 내부케이스(200)를 포함한다.
외부케이스(100)는 본체(10)의 외관, 즉, 실질적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외관을 이루는 구성으로서, 전면이 개방되고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외부케이스(100)의 후측벽의 일측 상단에는 개구(101)가 형성된다.
개구(101)는 외부케이스(100)의 후측벽을 전후 방향으로 관통하는 구멍으로서, 대략 직사각형 형태로 형성된다.
개구(101)는 외부케이스(100)의 후측벽 좌측 상단 모서리 측에 인접하게 형성되어 후술할 제빙실(60)에 냉기를 공급하기 위한 증발기조립체(1100)를 외부케이스(100)의 후측벽 후방 측에서 조립하여 설치할 수 있게 하는 역할을 한다.
개구(101)는 외부케이스(100)의 전방에 배치되는 후술할 증발기케이스(1000)의 설치공간(1010)과 연통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외부케이스(100)에는 내부케이스(200)가 결합된다.
내부케이스(200)는 외부케이스(100)의 내부 공간에 수용되어 조립됨으로써 외부케이스(100)와 결합되고, 각종 배선의 수용 및 후술할 단열재(110)가 주입되어 발포될 수 있도록 외부케이스(100)와의 사이에 공간부(102)를 마련한 채 외부케이스(100)와 결합된다.
내부케이스(200)는 전면이 개방되어 있으며, 내부에 복수 개의 저장실이 마련되어 있고, 상기 복수 개의 저장실은 각각 도어에 의해 선택적으로 차폐 가능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는 상냉장 하냉동의 프렌치도어타입의 냉장고로서, 상기 복수 개의 저장실은 내부케이스(200)의 상부에 마련되는 냉장실(11) 및 냉장실(11)의 하측에 배치되도록 내부케이스(200)의 하부에 마련되는 냉동실(12)을 포함한다.
냉장실(11)은 식품을 저온의 냉장상태로 보관하기 위한 저장실로서, 일반적으로 사용자들이 가장 많이 이용하는 저장실이며, 냉장실(11)의 이용 시 사용자들이 허리를 굽혀야 하는 등의 불편함을 배제시키기 위해 본체(10)의 상부에 마련되어 사용자 편의성이 증대된다.
냉동실(12)은 식품을 얼려 냉동상태로 보관하기 위한 저장실로서, 냉장실(11)에 비해 상대적으로 덜 이용하는 저장실이며, 이에 따라 본체(10)의 하부, 즉, 냉장실(11)의 하부에 마련된다.
내부케이스(200)에는 상부 일측 구석에는 제빙실(60)이 형성된다.
제빙실(60)은 얼음을 생성하여 저장하는 구성으로서, 상부에 얼음을 생성하는 제빙기(700)가 설치되고, 그 하부에 제빙기(700)에서 생성된 얼음을 저장하여 보관하는 얼음저장용 버킷(800)이 설치된다.
제빙실(60) 및 이와 관련된 각각의 구성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상기 복수 개의 저장실은 특화실(1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특화실(13)은 냉장실(11)과 냉동실(12) 사이에 마련되어 야채, 과일, 육류, 생선, 음료, 와인 등의 특정 물품을 기능 전환을 통해 알맞은 온도로 보관하기 위한 저장실로서, 냉장실(11)의 직하방 및 냉동실(12)의 직상방에 마련된다.
냉장실(11), 냉동실(12) 및 특화실(13)은 격벽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 서로 구획되어 있으며, 냉장실(11)의 용량이 가장 크게 형성되고, 특화실(13)의 용량이 가장 작게 형성된다.
한편, 상기 복수 개의 저장실 전면측에는 각각 도어가 설치되어 상기 저장실이 상기 도어에 의해 선택적으로 개폐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복수 개의 저장실 중 일부 개는 회동형 도어(300)에 의해 개폐될 수 있고, 상기 복수 개의 저장실 중 나머지 일부 개는 서랍형 도어(400)에 의해 개폐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본체(10)의 상부에 배치되는 냉장실(11)이 회동형 도어(300)에 의해 개폐되고, 본체(10)의 하부, 즉, 냉장실(11)의 하부에 배치된 특화실(13) 및 특화실(13)의 하부에 배치된 냉동실(12)이 각각 서랍형 도어(400)에 의해 개폐되며, 이하에서는 이를 바탕으로 설명한다.
저장실인 냉장실(11)의 전면에는 회동형 도어(300)가 설치된다.
회동형 도어(300)는 냉장실(11)의 개방된 전면을 선택적으로 개폐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본체(10)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양문형 도어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회동형 도어(300)는 좌측 상단부와 좌측 하단부가 각각 본체(10)의 좌측 상단부와 좌측 중앙부에 힌지 결합되어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동함에 따라 냉장실(11)의 개방된 전면 좌측부를 개폐하는 제1회동형 도어(310) 및 우측 상단부와 우측 하단부가 각각 본체(10)의 우측 상단부와 우측 중앙부에 힌지 결합되어 반시계방향 또는 시계방향으로 회동함에 따라 냉장실(11)의 개방된 전면 우측부를 개폐하는 제2회동형 도어(320)를 포함한다.
즉, 제1회동형 도어(310)와 제2회동형 도어(320)는 본체(10)의 좌측과 우측에 각각 설치되어 좌우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되어 있다.
제1회동형 도어(310)는 제1회동형 도어(310)의 외관을 형성하는 제1도어외상(310a) 및 제1도어외상(310a)의 후단에 결합되는 제1도어내상(310b)을 포함한다.
또한, 제2회동형 도어(320)는 제2회동형 도어(320)의 외관을 형성하는 제2도어외상(320a) 및 제2도어외상(320a)의 후단에 결합되는 제2도어내상(320b)을 포함한다.
회동형 도어(300)에는 디스펜서(330)가 설치된다.
디스펜서(330)는 회동형 도어(300)가 닫혀 있는 상태에서 회동형 도어(300)를 열지 않고 급수탱크(미도시)에 저장되어 있는 물 또는 제빙실(60)에 저장되어 있는 얼음을 취출구를 통해 냉장고의 외부로 취출 가능하게 하는 구성으로서, 본 실시예에서 디스펜서(330)는 본체(10)의 좌측에 설치된 제1회동형 도어(310)에 마련된다.
디스펜서(330)는 제1회동형 도어(310)에 상하 방향으로 형성되어 하단부가 취출구와 연통되는 얼음이송덕트(331)를 포함하고, 제1회동형 도어(310)가 닫혀 있을 경우 얼음이송덕트(331)의 상단부는 제빙실(60)과 연통됨으로써 디스펜서(330)의 취출구와 제빙실(60)이 연통되어 제1회동형 도어(310)가 닫힌 상태에서도 제빙실(60)에 저장된 얼음이 디스펜서(330)의 취출구를 통해 외부로 취출 가능하게 된다.
얼음이송덕트(331)의 상단 둘레에는 얼음이송덕트(331)와 제빙실(60)이 연통되어 있을 때 제빙실(60)과 냉장실(11)간의 기밀을 유지하기 위한 가스켓(332)이 설치된다.
가스켓(332)은 상부면이 전방에서 후방측으로 갈수록 낮아지는 경사를 갖도록 형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가스켓(332)은 상단부 전단측이 후단측보다 높게 위치하도록 전체적으로 비스듬히 기울어진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가스켓(332)은 상단 전둘레에서 가스켓(332)의 중심 외측방향으로 갈수록 점점 낮아지는 경사를 갖도록 형성되어 있다.
가스켓(332)에 형성된 경사는 제1회동형 도어(310)의 닫힘 시, 후술할 접촉부(6119)와의 스무스한 밀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해 준다.
디스펜서(330)에는 버튼, 레버 등과 같은 조작부(333)가 마련되고, 사용자는 필요에 따라 조작부(333)를 조작함으로써 급수탱크(미도시)에 저장된 물 또는 제빙실(60)에 저장된 얼음을 디스펜서(330)를 통해 취출할 수 있다.
제1회동형 도어(310)의 후면 우측 단부에는 밀폐바(340)가 설치된다.
밀폐바(340)는 상하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바의 일면에 밀폐면(341)이 마련되어 있는 형태로 형성되어 제1회동형 도어(310)와 제2회동형 도어(320)가 닫혀 있는 상태일 경우 제1회동형 도어(310)와 제2회동형 도어(320) 간의 이격 공간을 밀폐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밀폐면(341) 내부에는 자석이 구비될 수 있고, 또한, 밀폐면(341) 자체가 자석으로 형성될 수 있다.
밀폐바(340)는 제1회동형 도어(310)의 후면 우측 단부에 힌지 결합되어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면에 만곡되게 형성된 가이드돌기(342)가 구비된다.
밀폐바(340)는 제1회동형 도어(310)가 닫힐 경우 가이드돌기(342)가 본체(10)의 상부 중앙에 라운드지게 형성된 가이드홈(14)의 안내에 따라 가이드홈(14)에 수용됨으로써 밀폐면(341)이 전방측을 향하도록 회동한다.
또한, 밀폐바(340)는 제1회동형 도어(310)가 열릴 경우 가이드돌기(342)가 본체(10)의 상부 중앙에 만곡되게 형성된 가이드홈(14)의 안내에 따라 가이드홈(14)에서 이탈됨으로써 밀폐면(341)이 우측을 향하도록 회동한다.
제1회동형 도어(310)와 제2회동형 도어(320)의 후면에는 각각 제1도어가스켓(311)과 제2도어가스켓(321)이 설치된다.
제1도어가스켓(311)은 제1회동형 도어(310)의 후면 테두리, 즉, 내면 테두리 전둘레에 걸쳐 연속적으로 설치됨으로써 직사각형 형태를 이루고, 제2도어가스켓(321)은 제2회동형 도어(320)의 후면 테두리, 즉, 내면 테두리 전둘레에 걸쳐 연속적으로 설치됨으로써 직사각형 형태를 이룬다.
제1도어가스켓(311)과 제2도어가스켓(321)은 냉장실(11)을 차폐하기 위해 제1회동형 도어(310)와 제2회동형 도어(320)를 닫을 경우 본체(10)에 밀착되어 냉장실(11)의 기밀을 유지하기 위한 구성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1회동형 도어(310)와 제2회동형 도어(320)가 닫힌 상태일 때, 제1도어가스켓(311)은 상측부, 하측부 및 좌측부가 본체(10)에 밀착되고, 우측부가 밀폐바(340)의 밀폐면(341) 좌측에 밀착되며, 제2도어가스켓(321)은 상측부, 하측부 및 우측부가 본체(10)에 밀착되고, 좌측부가 밀폐바(340)의 밀폐면(341) 우측에 밀착되어 냉장실(11)의 기밀을 유지토록 하는 것이다.
이때, 제1도어가스켓(311)과 제2도어가스켓(321)은 내부에 자석이 구비되어 자력에 의해 본체(10)와 밀폐바(340)에 부착됨이 바람직하다.
회동형 도어(300)의 도어내상(310b, 320b)에는 한 쌍의 걸림돌기(317, 351)가 마련된다.
한 쌍의 걸림돌기(317, 351)는 회동형 도어(300)에 마련된 디스펜서(330)의 하단부 측 도어내상(310b, 320b)에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1도어내상(310b)의 양측부에는 후방측으로 돌출된 좌측돌출벽(316)과 우측돌출벽(315)이 형성되고, 한 쌍의 걸림돌기(317, 351)는 우측돌출벽(315)의 외부 좌측면에서 좌측으로 돌출된 형태의 제1걸림돌기(317)와 좌측돌출벽(316)의 외부 우측면에서 우측으로 돌출된 형태의 제2걸림돌기(351)로 구성된다.
여기서, 좌측돌출벽(316)은 우측돌출벽(315)에 비해 후방측으로 더 돌출되어 있고, 이에 따라, 좌측돌출벽(316)에 마련된 제2걸림돌기(351)는 우측돌출벽(315)에 마련된 제1걸림돌기(317)보다 더 후방측이 배치된다.
한 쌍의 걸림돌기 중 제1걸림돌기(317)는 제1도어내상(310b)의 우측돌출벽(315)에 일체로 형성된다.
또한, 한 쌍의 걸림돌기 중 제2걸림돌기(351)는 제1도어내상(310b)과 별도로 구비되어 좌측돌출벽(316)에 결합되는 걸림부재(350)에 일체로 형성되고, 좌측돌출벽(316)에 형성된 걸림돌기수용홀(318)을 통해 좌측돌출벽(316)의 우측으로 돌출된 형태로 마련된다.
걸림부재(350)는 좌측돌출벽(316)의 내부 우측면을 지지하는 제1지지부(352), 제1지지부(352)의 후단에서 좌측으로 절곡형성되는 연결부(353), 연결부(353)의 좌측단에서 전방 좌측으로 절곡형성되는 제2지지부(354), 연결부(353)의 전면에서 전방측으로 연장되는 간격유지부(355) 및 제1지지부(352)의 우측면에서 우측으로 돌출형성되는 제2걸림돌기(351)를 포함하고, 탄성을 가진 재질로 형성되며, 서로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제1지지부(352)는 걸림돌기수용홀(318)보다 전후 방향 길이가 길게 형성되어 제2걸림돌기(351)만이 걸림돌기수용홀(318)을 통해 삽입될 수 있도록 좌측돌출벽(316)의 내부 우측면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제2지지부(354)는 걸림부재(350)가 좌측돌출벽(316) 내부에 삽입되어 제2걸림돌기(351)가 걸림돌기수용홀(318)에 끼워질 경우 좌측돌출벽(316)의 내부 좌측면을 가압하여 걸림부재(350)가 좌측돌출벽(316) 내부에 억지끼움상태로 고정될 수 있게 하는 역할을 한다.
간격유지부(355)는 걸림부재(350)가 좌측돌출벽(316) 내부에 삽입되어 제2걸림돌기(351)가 걸림돌기수용홀(318)에 끼워질 경우 연결부(353)와 좌측돌출벽(316) 간의 전후 방향 간격을 유지시키는 역할을 한다.
걸림부재(350)는 제1도어내상(310b)의 전방측에서 제1도어내상(310b)의 좌측돌출벽(316) 내부에 억지로 끼워진 후 좌측돌출벽(316)에 형성된 걸림돌기수용홀(318)에 제2걸림돌기(351)가 끼워져 우측으로 돌출됨으로써 제1도어내상(310b)에 결합된다.
한 쌍의 걸림돌기(317, 351)는 상하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상면이 라운드지게 형성된다.
한 쌍의 걸림돌기(317, 351)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상하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절개홈(351a)이 형성되며, 본 실시예에서 절개홈(351a)은 제2걸림돌기(351)에 형성된다.
절개홈(351a)은 제2걸림돌기(351)의 전면 및 상면에 걸쳐서 절개된 홈으로서, 전방측과 상부측이 개방되어 있다.
절개홈(351a)의 내부에는 보강편(351b)이 형성된다.
보강편(351b)은 절개홈(351a)의 내부 둘레면에 일체로 형성되고, 절개홈(351a)의 내부 후면에서부터 절개홈(351a)의 내부 전방 일측까지 형성된다.
즉, 보강편(351b)은 전단이 제2걸림돌기(351)의 전단보다 후방측에 배치되도록 형성되어 절개홈(351a) 내에 삽입되는 이탈방지부(364)의 후면을 지지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회동형 도어(300)의 후면, 즉, 제1회동형 도어(310)의 제1도어내상에는 도어포켓(360)이 설치된다.
도어포켓(360)은 각종 병류, 비닐 포장된 식품, 자주 이용하는 식품 등을 수납하여 보관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고 상면이 개방된 용기의 형태로 형성된다.
도어포켓(360)은 일측부가 절곡된 형태로 형성된다.
즉, 도어포켓(360)은 좌우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제1포켓부(361) 및 제1포켓부(361)의 우측부에서 전방측으로 절곡된 제2포켓부(362)로 구성된다.
도어포켓(360)은 제1회동형 도어(310)에 마련된 디스펜서(330)의 하단부에 장착되는데, 이때, 제1포켓부(361)는 디스펜서(330)의 후방측에 지지되고, 제2포켓부(362)는 디스펜서(330)와 우측돌출벽(315) 사이의 공간에 수용되어 장착된다.
도어포켓(360)의 양측벽에는 한 쌍의 걸림돌기(317, 351)에 대응하는 한 쌍의 포켓홈(363)이 형성된다.
포켓홈(363)은 걸림돌기(317, 351)에 끼워져 도어포켓(360)이 제1회동형 도어(310)에 장착될 수 있게 하는 구성이다.
포켓홈(363)은 도어포켓(360)의 좌측벽과 우측벽에 각각 형성되고, 내측 수평 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되어 하부가 개방되고 상부가 폐쇄된 홈이며, 도어포켓(360)의 좌측벽과 우측벽, 보다 구체적으로, 제1포켓부(361)의 좌측벽과 제2포켓부(362)의 우측벽에 각각 한 개씩 형성되어 한 쌍을 이룬다.
한 쌍의 포켓홈(363)은 한 쌍의 걸림돌기(317, 351)에 대응하여 끼워진다.
이때, 제1포켓부(361)의 좌측벽에 형성된 포켓홈(363)은 제2걸림돌기(351)에 끼워지고, 제2포켓부(362)의 우측벽에 형성된 포켓홈(363)은 제1걸림돌기(317)에 끼워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포켓홈(363)은 상하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내부 상면이 걸림돌기(317, 351)의 상면 형상에 대응하도록 라운드지게 형성된다.
포켓홈(363)에는 포켓홈(363)의 개방된 하부를 통해 걸림돌기(317, 351)가 끼워지게 되고, 걸림돌기(317, 351)의 라운드진 상면이 포켓홈(363)의 라운드진 내부 상면을 지지하게 되며, 걸림돌기(317, 351)의 전면과 후면이 포켓홈(363) 내부 전면과 후면에 걸리게 됨으로써 도어포켓(360)이 제1회동형 도어(310)에 장착된다.
포켓홈(363)의 내부 일측에는 상하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이탈방지부(364)가 일체로 형성된다.
이탈방지부(364)는 절개홈(351a)에 삽입될 수 있도록 포켓홈(363)의 내부 전면과 상면에 걸쳐 돌출형성되는데, 이는 이탈방지부(364)가 포켓홈(363)의 내부 전면과 상면에 일체로 돌출형성됨을 말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절개홈(351a)이 좌측돌출벽(316)에 마련된 제2걸림돌기(351)에 형성되어 있으므로, 이탈방지부(364) 역시 도어포켓(360)의 좌측벽에 형성된 포켓홈(363)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탈방지부(364)는 좌측 포켓홈(363)의 내부 우측면과 이격되도록 형성되고, 좌측 포켓홈(363)의 내부 전면 및 내부 상면의 좌측단에 형성된다.
이탈방지부(364)는 절개홈(351a)에 상하 방향으로 삽입 가능한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탈방지부(364)는 절개홈(351a)의 개방된 상부측을 통해 절개홈(351a)에 끼워지게 된다.
이러한 경우, 도어포켓(360)은 포켓홈(363)의 내부 전면이 걸림돌기(317, 351)의 전면에 걸리고, 이탈방지부(364)의 후면이 절개홈(351a)의 내부 후면에 걸리는 것에 의해 후방측으로의 이탈이 제한된다.
또한, 도어포켓(360)은 걸림돌기(317, 351)의 상면이 포켓홈(363) 내부 상면을 지지하고, 절개홈(351a)의 내부 하면이 이탈방지부(364)의 하면을 지지하는 것에 의해 하측으로의 이탈이 제한된다.
이에 따라, 도어포켓(360)은 걸림돌기(317, 351)와 포켓홈(363) 간의 끼움구조와 더불어 절개홈(351a)과 이탈방지부(364) 간의 끼움구조를 통한 이중의 끼움구조가 적용되어 회동형 도어(300)에 보다 견고히 고정될 수 있다.
걸림돌기(317, 351)와 포켓홈(363) 간의 끼움구조 및 절개홈(351a)과 이탈방지부(364) 간의 끼움구조를 통해 도어포켓(360)을 회동형 도어(300)에 장착하는 과정은 다음과 같다.
먼저, 도어포켓(360)에 형성된 한 쌍의 포켓홈(363)을 장착하고자 하는 한 쌍의 걸림돌기(317, 351)의 직상방에 위치하도록 도어포켓(360)을 좌측돌출벽(316)과 우측돌출벽(315) 사이로 밀어 넣는다.
다음, 도어포켓(360)을 직하방으로 내려 한 쌍의 포켓홈(363)을 대응되는 한 쌍의 걸림돌기(317, 351)에 삽입시키는 동시에 이탈방지부(364)를 절개홈(351a)에 삽입시킴으로써 회동형 도어(300)에 대한 도어포켓(360)의 장착이 완료된다.
걸림돌기(317, 351)가 회동형 도어(300)에 상하 방향으로 여러 쌍 형성되어 있을 경우, 위와 같은 과정을 통해 복수 개의 도어포켓(360)을 장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저장실에는 서랍형 도어(400)가 설치된다.
도 14 내지 도 23을 참조하면, 서랍형 도어(400)는 저장실 중에서 특히, 특화실(13) 및 냉동실(12)의 개방된 전면을 선택적으로 개폐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본체(10)의 내부케이스(200)에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된다.
서랍형 도어(400)는 특화실(13) 및 냉동실(12)의 개방된 전면을 차폐할 수 있는 도어부(410) 및 도어부(410)의 후방측에 결합되어 내부에 식품을 보관할 수 있는 바스켓부(420)를 포함한다.
사용자는 서랍형 도어(400)를 전방측으로 당겨서 서랍형 도어(400)를 외부로 인출시킬 수 있고, 서랍형 도어(400)를 후방측으로 밀어서 서랍형 도어를 특화실(13) 및 냉동실(12) 내부로 인입시킬 수 있다.
서랍형 도어(400)는 도어부(410)와 바스켓부(420)를 포함한다.
도어부(410)는 서랍형 도어(400)의 전면부를 이루는 구성으로서, 직사각형 형상의 덮개 형태로 형성되며, 저장실, 즉, 본 실시예에서는 특화실(13) 및 냉동실(12)을 선택적으로 차폐하는 역할을 한다.
도어부(410)의 전면에는 후술할 도어핸들조립체(500)가 좌우 방향으로 길게 장착되어 사용자가 도어핸들조립체(500)를 파지한 상태로 편리하게 서랍형 도어(400)를 인출하거나 인입시킬 수 있다.
도어부(410)의 상면에는 제어패널(411)이 마련될 수 있다.
제어패널(411)은 야채, 과일, 육류, 생선, 음료, 와인 등의 특정 물품을 알맞은 상태로 저장실에 보관하기 위해 사용자가 조작하여 설정 가능한 구성으로서, 본 실시예에서는 특화실(13)에 설치된 서랍형 도어(400)의 도어부(410) 상면측에 마련되나, 냉동실(12)에 설치된 서랍형 도어(400)에 마련될 수도 있다.
제어패널(411)은 본체(10)의 내부케이스측 전선(201)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사용자의 조작에 의한 설정에 따라 저장실이 제어될 수 있다.
도어부(410)에는 제1연결프레임(412)이 설치된다.
제1연결프레임(412)은 도어부(410)와 제2연결프레임(413) 및 레일조립체(46)를 연결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L”형 프레임이고, 도어부(410)의 후면 양단부에 좌우 대칭되는 형태로 각각 체결되어 고정된다.
제1연결프레임(412)에는 제2연결프레임(413)이 결합된다.
제2연결프레임(413)은 도어부(410)의 후방측에 바스켓부(420)를 마련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전후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전단부가 도어부(410)에 고정된 두 개의 제1연결프레임(412) 후단에 각각 체결되어 고정된다.
제2연결프레임(413)의 전방측 상단에는 상하 방향으로 관통되고 수평 방향 외측으로 개방된 구속홈(414)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2연결프레임의 전방측과 후방측에는 각각 관통부(415)가 존재하고, 상기 관통부(415)의 내부 상단에는 고정편(416)이 하측으로 돌출형성되어 있다.
제2연결프레임(413)의 후방측에 형성된 고정편(416)은 하단부가 후방측으로 절곡된 형태로 형성된다.
제2연결프레임(413)의 내측면에는 접속부재(430)가 결합된다.
접속부재(430)는 제어패널(411)에 연결된 제어패널측 전선(401)과 내부케이스(200)의 외부에서 특화실(13)의 내부로 인출된 내부케이스측 전선(201)을 연결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제2연결프레임(413)의 내측면 하부에 끼움결합 및 나사체결을 통해 고정된다.
접속부재(430)의 내부에는 제어패널측 전선(401)과 본체(10)의 내부케이스측 전선(201)을 연결하기 위한 연결선(미도시)이 마련되고, 상기 연결선의 양단은 접속부재(430)의 전단부와 후단부에 마련된 제1커넥터(431)와 제2커넥터(432)에 접속된다.
도어부(410)의 후면에는 바스켓부(420)가 마련된다.
바스켓부(420)는 내부에 식품 등을 보관하기 위한 저장공간(420a)이 마련된 수납부로서, 상면이 개방된 박스형상으로 형성된다.
바스켓부(420)의 양측벽에는 거치부(421)가 형성된다.
거치부(421)는 바스켓부(420)의 좌측벽과 우측벽 상단에서 각각 수평 방향 외측으로 절곡된 형태로 형성된다.
바스켓부(420)는 도어부(410)에 고정된 두 개의 제2연결프레임(413) 사이에 상측에서 하측으로 삽입된 후 거치부(421)가 제2연결프레임(413)의 상면에 의해 지지됨으로써 제2연결프레임(413)에 거치된다.
거치부(421)의 전방측 하면에는 하측으로 돌출된 구속편(422)이 형성된다.
구속편(422)은 바스켓부(420)가 제2연결프레임(413)에 올려져 거치될 경우 제2연결프레임(413)의 구속홈(414)에 삽입되어 바스켓부(420)가 전후 방향으로 움직이지 않도록 구속하는 역할을 한다.
바스켓부(420)는 도어부(410)의 후면측에 고정되어 도어부(410)의 개폐에 따라 특화실(13) 및 냉동실(12)에서 인출되거나 특화실(13) 및 냉동실(12)로 인입 가능하다.
바스켓부(420)의 전측벽에는 냉기의 흐름을 원활하게 하기 위해 전후 방향으로 관통된 복수 개의 제1장공(423)이 일정 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장공(423)은 좌우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있다.
바스켓부(420)의 양측벽에는 수평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롤러홈(424)이 형성된다.
롤러홈(424)은 바스켓부(420)의 전측벽과 후측벽 상단부에 각각 형성되어 후술할 칸막이(440)에 고정된 가이드롤러(450)가 수용되는 홈이다.
롤러홈(424)은 좌우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바스켓부(420)의 저장공간(420a)과 연통된다.
롤러홈(424)의 하부 바닥에는 좌우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복수 개의 제2장공(425)이 일정 간격으로 관통형성될 수 있다.
롤러홈(424)은 저장공간(420a)과 연통되는 입구의 상하폭이 후술할 가이드롤러(450)의 전체 높이보다 작게 형성되어 롤러홈(424) 내부에 설치된 가이드롤러(450)가 롤러홈(424) 외부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바스켓부(420)에서 롤러홈(424)이 형성된 부분의 상부는 별도의 측벽커버(426)로 이루어져 바스켓부(420)의 전측벽과 후측벽 상단에 각각 체결되어 고정된다.
즉, 측벽커버(426)는 바스켓부(420)의 전측벽과 후측벽의 상단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고, 측벽커버(426)가 탈거될 경우 롤러홈(424)의 상부는 개방되어 가이드롤러(450)를 롤러홈(424) 내부에서 빼낼 수 있다.
바스켓부(420)의 하면에는 보강지지부(427)가 형성된다.
보강지지부(427)는 바스켓부(420)의 하면을 보강하여 저장공간(420a)에 보관되는 식품 등의 하중을 지지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바스켓부(420)의 하면 중앙부에 전후 이격된 상태로 두 개가 각각 돌출형성되며, 좌우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보강지지부(427)는 일부분이 상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되어 있다.
바스켓부(420)에는 보강부재(428)가 설치된다.
보강부재(428)는 두 개의 보강지지부(427) 사이에 개재되어 좌우 방향으로 길게 배치되며, 바스켓부(420)의 하면측에 체결되어 고정된다.
보강부재(428)는 보강지지부(427)와 마찬가지로 바스켓부(420)의 하면을 보강하여 저장공간(420a)에 보관되는 식품 등의 하중을 지지하기 위한 구성이다.
롤러홈(424)의 내부 바닥에는 상측으로 돌출된 가이드리브(429)가 형성된다.
가이드리브(429)는 롤러홈(424)의 길이 방향을 따라 좌우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제2장공(425)을 사이에 두고 전방측과 후방측에 각각 한 개씩 형성된다.
가이드리브(429)는 후술할 롤러(454)의 하면이 올려지는 부분으로서, 후술할 롤러(454)의 하면과 롤러홈(424)의 내부 바닥 간의 접촉면적을 줄임으로써 롤러홈(424)의 내부 바닥에 의한 마찰을 감소시키는 역할을 한다.
바스켓부(420)의 내부에는 칸막이(440)가 구비된다.
칸막이(440)는 바스켓부(420)의 저장공간(420a)을 좌우 방향 또는 전후 방향으로 구획하는 구성으로서, 적어도 한 개 이상 마련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의 칸막이(440)는 두 개가 마련되어 저장공간(420a)을 좌우 방향으로 구획하고 있다.
칸막이(440)는 저장공간(420a) 내에 전후 방향으로 길게 설치되고, 수직하게 기립된 형태로 배치되며, 투명 또는 불투명한 재질로 형성된다.
칸막이(440)의 일측과 타측에는 삽입편(441)이 형성된다.
삽입편(441)은 후술할 가이드롤러(450)를 칸막이(440)에 조립하여 고정시키기 위한 구성으로서, 칸막이(440)의 전단 상부와 칸막이(440)의 후단 상부에 각각 한 개씩 일체로 형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하나의 삽입편(441)은 칸막이(440)의 전단 상부에서 전방측으로 사각형상을 가지도록 돌출형성되고, 다른 하나의 삽입편(441)은 칸막이(440)의 후단 상부에서 후방측으로 사각형상을 가지도록 돌출형성된다.
삽입편(441)은 후술할 롤러브라켓(451)에 형성된 삽입편수용홈(452)에 삽입되어 롤러브라켓(451)과 체결되어 고정된다.
칸막이(440)의 일측과 타측, 즉, 전후에는 각각 가이드롤러(450)가 설치된다.
가이드롤러(450)는 칸막이(440)가 저장공간(420a) 내에서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롤러홈(424)에 수용되어 안내되는 구성으로서, 칸막이(440)의 전단 상부측에 한 개가 설치되고, 칸막이(440)의 후단 상부측에 한 개가 설치된다.
즉, 가이드롤러(450)는 전후 방향으로 대칭되도록 한 쌍이 칸막이(440)의 양단 상부에 고정되는 것이다.
가이드롤러(450)는 롤러브라켓(451)과 롤러(454)를 포함한다.
롤러브라켓(451)은 좌우 방향, 즉, 롤러홈(424)의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부재로서, 칸막이(440)의 삽입편(441)과 서로 고정되는 부분이다.
롤러브라켓(451)의 일면 중앙에는 사각형상의 삽입편수용홈(452)이 형성되고, 타면 중앙에는 삽입편수용홈(452)과 연통되는 원형의 나사삽입공(453)이 형성된다.
삽입편수용홈(452)에는 칸막이(440)의 삽입편(441)이 수용되어 끼워지고, 삽입편(441)에는 나사삽입공(453)을 통해 삽입된 나사가 체결되어 칸막이(440)와 롤러브라켓(451)이 서로 고정된다.
이때, 롤러브라켓(451)은 칸막이(440)에 수직으로 교차하도록 고정된다.
롤러브라켓(451)에는 롤러(454)가 설치된다.
롤러(454)는 롤러홈(424)에 수용된 채 롤러홈(424)의 안내에 따라 이동하는 구성이다.
롤러(454)는 수직축(455)에 의해 회전가능하도록 롤러브라켓(451)의 하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되고, 복수 개가 설치될 경우 롤러홈(424)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되도록 롤러브라켓(451)에 설치된다.
이때, 롤러(454)는 롤러홈(424)의 입구측 내면(전방측 롤러홈의 내부 후면 및 전방측 롤러홈의 내부 전면)에 접촉되도록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롤러브라켓(451)에 두 개의 롤러(454)가 설치되어 있다.
두 개의 롤러(454) 중 한 개는 롤러브라켓(451)의 하부 좌측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다른 한 개는 롤러브라켓(451)의 하부 우측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두 개의 롤러(454)는 서로 좌우 방향으로 이격되어 있다.
칸막이(440)에 고정된 가이드롤러(450)가 롤러홈(424)에 수용될 경우 두 개의 롤러(454)는 롤러홈(424)의 입구측 내면에 접촉되고, 이 상태로 사용자에 의해 칸막이(440)에 힘이 가해질 경우 두 개의 롤러(454)는 가해진 힘의 방향에 따라 롤러홈(424)의 입구측 내면을 타고 롤러홈(424) 내에서 좌우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사용자에 의해 칸막이(440)에 가해지는 힘이 칸막이(440)의 어느 일측으로 편중되거나 강하게 작용하더라도 수직축(455)에 의해 회전 가능한 가이드롤러(450)의 롤러(454)는 구름면이 항상 롤러홈(424)의 입구측 내면에 접촉한 상태를 유지하므로, 바스켓부(420)의 저장공간(420a) 내에서 칸막이(440)가 뒤틀림없이 매우 쉽게 슬라이딩이동할 수 있다.
한편, 서랍형 도어(400)의 후면측 양단부는 각각 레일조립체(46)에 의해 본체(10)의 양측벽에 연결된다.
레일조립체(46)는 서랍형 도어(400)의 후면측 일단부와 본체(10)의 내부케이스(200) 일측벽 내면에 한 개가 개재되고, 서랍형 도어(400)의 후면측 타단부와 본체(10)의 내부케이스(200) 타측벽 내면에 한 개가 개재된다.
레일조립체(46)는 서랍형 도어(400)를 본체(10)의 내부케이스(200)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함으로써 저장실에 대해 서랍형 도어(400)를 인출 및 인입 가능하게 하고, 서랍형 도어(400)를 지지하는 구성이다.
레일조립체(46)는 서랍형 도어(400)에 고정되는 도어레일(480), 본체(10)의 내부케이스(200)에 고정되는 고정레일(460) 및 도어레일(480)과 고정레일(460)을 연결하는 연결레일(470)을 포함한다.
고정레일(460)은 전후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레일로써, 후술할 연결레일(470)을 슬라이딩 가능하게 하고, 후술할 피니언기어(483)를 안내하는 레일이다.
고정레일(460)은 본체(10)의 내부케이스(200) 양측벽 내면, 즉, 좌측벽 내면과 우측벽 내면에 각각 체결되어 고정된다.
고정레일(460)은 레일하우징(461), 레일하우징(461) 내부에 결합되는 레일부재(462)를 포함한다.
레일하우징(461)은 저장실의 내면인 내부케이스(200)의 양측벽 내면에 직접적으로 고정되는 구성으로서, 전후 방향으로 길게 배치되도록 내부케이스(200)에 밀착된 채 체결되어 고정된다.
레일하우징(461)의 상부에는 밀착된 내부케이스(200)측 수평 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레일결합홈(463)이 레일하우징(461)의 길이 방향을 따라 길게 마련되고, 레일결합홈(463)의 내부 상면 단부에는 하측으로 돌출된 복수 개의 걸림턱(464)이 서로 이격형성되며, 레일결합홈(463)의 내부 하면 단부에는 상측으로 돌출된 랙기어부(465)가 전후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이때, 걸림턱(464)는 레일결합홈(463)의 내부 측면과 일정 간격 이격되어 있고, 랙기어부(465)는 걸림턱(464)과 동일한 간격으로 레일결합홈(463)의 내부 측면과 이격되어 있으며, 랙기어부(465)는 걸림턱(464)보다 내부케이스(200)의 중심측 수평 방향으로 더 많이 튀어 나와 있다.
레일하우징(461)의 하부 전방측에는 밀착된 내부케이스(200)측 특화실(13)의 중심 외측 수평 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전선수납홈(466a)이 전후 방향으로 길게 마련되고, 전선수납홈(466a)의 내부 상면 단부에는 하측으로 돌출된 복수 개의 전선구속돌기(466)가 서로 이격형성되며, 레일하우징(461)의 하부 후방측, 즉, 전선수납홈(466a)의 후방측에는 좌우 방향으로 관통되고 하측으로 개방된 전선수납공간(467a)이 형성되고, 전선수납공간(467a)의 내부 상면 전단부에는 하측으로 돌출된 전선누름편(467)이 형성된다.
전선수납홈(466a)은 내부케이스(200)의 외부에서 내부케이스(200)에 형성된 저장실, 즉, 본 실시예에서는 특화실(13)의 내부로 인출된 내부케이스측 전선(201)의 전방부가 수납되는 홈이고, 전선수납공간(467a)은 내부케이스측 전선(201)의 후방부, 즉, 전선수납홈(466a)의 후방측으로 인출된 내부케이스측 전선(201)이 서랍형 도어(400)의 인출 및 인입에 따라 이탈 및 수납되는 공간이며,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레일하우징(461)에는 레일부재(462)가 결합된다.
레일부재(462)는 전후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후술할 연결레일(470)의 전후 방향 슬라이딩을 가능하게 하는 구성이다.
레일부재(462)는 레일하우징(461)의 레일결합홈(463)에 삽입되어 레일결합홈(463)의 내부 측면에 형성된 돌기에 끼워져 고정된다.
또한, 레일부재(462)는 좌우 방향으로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상단부가 걸림턱(464)과 레일결합홈(463)의 내부 측면 사이에 구속되고, 하단부가 랙기어부(465)와 레일결합홈(463)의 내부 측면 사이에 구속된다.
레일부재(462)에는 연결레일(470)이 결합된다.
연결레일(470)은 전후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레일로써, 레일부재(462)의 내부에 삽입되어 레일부재(462)에 대해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된다.
레일부재(462)와 연결레일(470)의 사이에는 복수 개의 볼베어링(미도시)과 상기 복수 개의 볼베어링의 간격을 유지하고 지지하기 위한 리테이너(미도시)가 마련된다.
상기 복수 개의 볼베어링 및 상기 리테이너는 레일부재(462)의 상단부와 연결레일(470)의 상단부 사이 및 레일부재(462)의 하단부와 연결레일(470)의 하단부 사이에 마련되어 레일부재(462)와 연결레일(470) 간의 슬라이딩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해준다.
연결레일(470)에는 도어레일(480)이 결합된다.
도어레일(480)은 전후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레일로써, 연결레일(470)의 내부에 삽입되어 연결레일(470)에 대해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된다.
도어레일(480)은 도어부(410)에 고정된 제2연결프레임(413)에 고정되어 저장실에 대한 서랍형 도어(400)의 인출 및 인입을 가능하게 해준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어레일(480)의 내측면 전방측과 후방측에는 내측으로 돌출되어 내부가 상하 방향으로 관통된 고정편수용부(481)가 각각 형성되고, 고정편수용부(481)에는 제2연결프레임(413)에 형성된 고정편(416)이 상측에서 하측으로 끼워짐으로써 도어레일(480)이 제2연결프레임(413)의 외측면에 고정되는 것이다.
이때, 끼움결합된 고정편(416)과 고정편수용부(481)는 별도로 나사체결될 수 있다.
이렇게 도어레일(480)은 제2연결프레임(413)에 고정되고, 제2연결프레임(413)은 앞서 설명했던 바와 같이 제1연결프레임(412)을 통해 서랍형 도어(400)의 도어부(410)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도어레일(480)이 연결레일(470)의 안내에 따라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딩되면 도어레일(480)에 고정된 서랍형 도어(400) 역시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딩되어 저장실에 대해 인출 및 인입되는 것이다.
양측 도어레일(480)의 후단 내측면에는 피니언기어부(482)가 설치된다.
피니언기어부(482)는 이격된 한 쌍의 피니언기어(483) 및 한 쌍의 피니언기어(483)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축(484)을 포함하며, 연결축(484)은 한 쌍의 피니언기어(483)의 회전에 따라 함께 회전할 수 있도록 한 쌍의 피니언기어(483)와 결합되어 있다.
한 쌍의 피니언기어(483)는 도어부(410)의 후면 양단부 측에 고정된 한 쌍의 도어레일(480) 후단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채 랙기어부(465)에 치합되어 도어레일(480)의 슬라이딩 시 랙기어부(465)의 안내에 따라 전후 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다.
피니언기어부(482)는 서랍형 도어(400)의 슬라이딩을 통한 인출 및 인입이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랙기어부(465)와의 치합을 통해 서랍형 도어(400)를 내부케이스(200)에 대해 견고히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내부케이스(200)의 양측벽 내면 중 어느 한 곳에 고정된 고정레일(460)의 랙기어부(465)는 후방측에 절단부(468)가 마련되어 나머지 한 곳에 고정된 고정레일(460)의 랙기어부(465)보다 후방측으로 덜 튀어 나오게 형성됨으로써 전후 방향 길이가 짧게 형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내부케이스(200)의 우측벽 내면에 고정된 랙기어부(465)의 후단부에는 랙기어부(465)의 후단부 일부분이 잘려 나간 형태로 형성된 공간인 절단부(468)가 마련되고, 내부케이스(200)의 우측벽 내면에 고정된 랙기어부(465)는 절단부(468)의 길이(L)만큼 내부케이스(200)의 좌측벽 내면에 고정된 랙기어부(465)보다 전후 방향 길이가 더 짧게 형성된다.
즉, 내부케이스(200)의 우측벽 내면에 고정된 랙기어부(465)의 전단은 내부케이스(200)의 좌측벽 내면에 고정된 랙기어부(465)의 전단과 동일한 좌우 방향 수평선상에 위치하고, 내부케이스(200)의 좌측벽 내면에 고정된 랙기어부(465)의 후단은 내부케이스(200)의 우측벽 내면에 고정된 랙기어부(465)의 후단보다 절단부(468)의 길이(L)만큼 후방측으로 더 돌출된 형태를 가지는 것이다.
이로 인해, 서랍형 도어(400)는 서랍형 도어(400)에 가해지는 힘이 일측으로 편중되어 서랍형 도어(400)의 우측부가 좌측부에 비해 저장실로 더 들어가는 형태로 편심되게 인입되더라도 우측 랙기어부(465)에 치합된 피니언기어(483)가 랙기어부(465)에서 이탈하여 절단부(468)에 진입한 채 절단부(468)의 상부에서 공회전하게 되는 동시에, 좌측 랙기어부(465)에 치합된 피니언기어(483)가 좌측 랙기어부(465)를 따라 서랍형 도어(400)의 수평이 이루어질 때까지 회전하며 후진함으로써 서랍형 도어(400)의 좌우 정렬이 저절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이때, 절단부(468)의 상부에 배치된 피니언기어(483)는 우측 고정레일(460)의 어느 부분과도 접촉하지 않은 채 우측 고정레일(460)과 이격됨으로써 우측 고정레일(460)의 간섭없이 공회전하게 되는 것이다.
서랍형 도어(400)는 피니언기어(483)가 절단부(468)에 진입하는 순간 저장실 내에 완전히 인입된 것을 사용자가 인지할 수 있는 소리(예를 들면 덜컥)가 나게 되어 사용자가 직관적으로 서랍형 도어(400)가 닫힌 것을 알 수 있다.
한편, 레일조립체(46)에는 도어부(410)에 설치된 제어패널측 전선(401)과 본체(10)의 내부케이스측 전선(201)을 안내하여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구조가 적용된다.
제어패널측 전선(401)은 도어부(410)의 후면측을 통해 도어부(410)의 외부로 인출되어 접속부재(430)의 제1커넥터(431)에 접속되고, 내부케이스측 전선(201)은 내부케이스(200)의 외부에서 특화실(13)의 내부로 인출되어 레일하우징(461)의 전방측에 형성된 전선수납홈(466a)에 일부분이 수납된 후 전선수납홈(466a)의 후방측으로 인출되어 제2커넥터(432)에 접속됨으로써 제어패널(411)이 본체(10)의 내부케이스측 전선(201)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때, 전선수납홈(466a)에 수납된 내부케이스측 전선(201), 즉, 내부케이스측 전선(201)의 전방부는 전선구속돌기(466)에 의해 전선수납홈(466a) 내에 구속되어 고정레일(460)을 사이에 두고 내부케이스(200)와 이격되도록 특화실(13)의 중심측을 향한 전선수납홈(466a)의 내부 일측면에 고정되고, 전선수납홈(466a)의 후방측으로 인출된 내부케이스측 전선(201)은 전단 우측부가 전선누름편(467)에 의해 눌러져서 내부케이스측 전선(201)의 후방측이 내부케이스(200)의 측벽쪽으로 밀린 형태가 된다.
전선수납홈(466a)의 후방측으로 인출된 내부케이스측 전선(201)은 서랍형 도어(400)의 인출 및 인입에 따라 전선수납홈(466a)의 후방측에 마련된 전선수납공간(467a)에 대해 이탈 및 수납되고, 전선수납홈(466a)에 수납된 내부케이스측 전선(201)은 서랍형 도어(400)의 인출 및 인입에 상관없이 항상 전선수납홈(466a)에 수납된 상태를 유지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서랍형 도어(400)의 인출 시 전선수납홈(466a)의 후방측으로 인출된 내부케이스측 전선(201)은 일단부가 전선누름편(467)에 의해 고정되고, 타단부가 제2커넥터(432)에 접속된 채 서랍형 도어(400)의 인출 방향으로 함께 이동하게 되어 전선수납홈(466a)에 수납된 내부케이스측 전선(201)과 좌우로 나란히 배치된다.
즉, 서랍형 도어(400)의 인출 시 내부케이스측 전선(201)은 전체적으로 “U”자로 구부러진 형태가 된다.
또한, 서랍형 도어(400)의 인입 시 전선수납홈(466a)의 후방측으로 인출된 내부케이스측 전선(201)은 일단부가 전선누름편(467)에 의해 고정되고, 타단부가 제2커넥터(432)에 접속된 채 서랍형 도어(400)의 인입 방향으로 함께 이동하게 되어 전선수납공간(467a)에 수납되며, 전선수납홈(466a)에 수납된 내부케이스측 전선(201)과 전후로 일렬 배치된다.
즉, 서랍형 도어(400)의 인입 시 내부케이스측 전선(201)은 전선수납홈(466a) 및 전선수납공간(467a) 내에서 전체적으로 “1”자로 펴진 형태가 된다.
이와 같은 구조를 통해 내부케이스측 전선(201)은 주변 구성들로 인한 의도치 않은 접힘이나 끼임 등을 서랍형 도어(400)의 인출 및 인입에 상관없이 미연에 방지할 수 있고, 이로 인해 전선이 끊어지거나 마모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한편, 복수의 저장실을 선택적으로 차폐하는 각각의 도어, 즉, 제1회동형 도어(310), 제2회동형 도어(320) 및 서랍형 도어(400)에는 각각 도어핸들조립체(500)가 설치된다.
도 7 내지 13을 참조하면, 도어핸들조립체(500)는 제1회동형 도어(310), 제2회동형 도어(320) 및 서랍형 도어(400)의 전면에 각각 장착되어 각 도어의 개폐를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해주는 구성이다.
이하에서는 제1회동형 도어(310)에 고정장착되는 도어핸들조립체(500)를 기준으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어핸들조립체(500)는 도어핸들(510), 캡부재(520), 브라켓(530), 서포트(540), 연결구(550) 및 고정구(5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어핸들(510)은 사용자에 의해 직접적으로 파지되는 구성으로서, 상하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중앙부가 전방측으로 볼록하게 라운드져 있는 만곡된 형상이다.
도어핸들(510)은 전측벽이 후측벽보다 상하 양측으로 더 튀어 나옴으로써 후측벽보다 길게 형성되고, 상단과 하단이 경사지게 형성된다.
도어핸들(510)의 내부에는 상하 방향으로 라운드지게 관통하는 중공(511)이 형성되고, 도어핸들(510)의 상단과 하단은 개방되어 있다.
도어핸들(510)의 전측벽 후면 중앙에는 도어핸들(510)의 전측벽 길이 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는 돌출라인(512)이 일체로 마련되고, 돌출라인(512)의 상부와 하부에는 전방측으로 오목하게 파여져 있는 걸림홈(513)이 형성되어 있다.
도어핸들(510)의 후측벽의 일측과 타측에는 전후 방향으로 관통형성된 한 쌍의 제1체결공(514)이 각각 마련된다.
제1체결공(514)은 도어핸들(510)의 후측벽 상부와 하부에 각각 한 쌍, 즉, 두 개씩이 상하 방향으로 이격되도록 형성된다.
한 쌍의 제1체결공(514)은 후술할 브라켓(530)에 형성된 두 개의 제1삽입공(535) 및 서포트(540)에 형성된 두 개의 제2삽입공(546)에 대응한다.
도어핸들(510)의 양단에는 각각 캡부재(520)가 장착된다.
캡부재(520)는 도어핸들(510)의 개방된 양단을 차폐하여 마감처리하기 위한 구성이다.
캡부재(520)의 내측면 전방측, 즉, 상측 캡부재(520)의 하면 전방측과 하측 캡부재(520)의 상면 전방측에는 캡부재(520)와 일체로 돌출형성되는 걸림부(521)가 각각 마련되고, 걸림부(521)의 후면과 캡부재(520)의 내측면 사이에는 일체의 보강리브(미도시)가 형성된다.
또한, 캡부재(520)의 내측면에는 도어핸들(510)의 개방된 양단의 둘레 형상에 대응되는 삽입부(522)가 캡부재(520)의 테두리에 인접하도록 캡부재(520)와 일체로 돌출형성된다.
삽입부(522)는 개곡선 형태로 형성되어 일단이 걸림부(521)의 좌측단과 이격되고, 타단이 걸림부(521)의 우측단과 이격되도록 형성된다.
캡부재(520)의 외측면 후방측에는 함몰부(523)가 마련된다.
함몰부(523)는 캡부재(520)의 외측면 후방측, 즉, 상측 캡부재(520)의 상면 후방측과 하측 캡부재(520)의 하면 후방측이 각각 함몰되어 단차지게 형성된 부분이다.
캡부재(520)의 걸림부(521)와 삽입부(522)는 도어핸들(510)의 개방된 양단을 통해 중공(511)측으로 삽입되고, 중공(511)에 삽입된 삽입부(522)는 중공(511)의 내주면에 끼워지게 되며, 중공(511)에 삽입된 걸림부(521)는 걸림홈(513)에 끼워져 걸림홈(513) 내의 일면에 걸리는 것에 의해 구속됨으로써 캡부재(520)가 도어핸들(510)에 고정장착된다.
도어핸들(510)의 후측벽 일측과 타측에는 각각 브라켓(530)이 수용된 서포트(540)가 체결되어 조립된다.
브라켓(530)은 후술할 연결구(550)와 고정구(560) 간의 체결을 위한 구성으로서, 서포트(540)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며, 연결구수용부(531)와 날개부(53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연결구수용부(531)는 브라켓(530)의 중앙부를 이루는 구성으로서, 전체적으로 볼 때 대략 원형링의 형상을 가진다.
연결구수용부(531)는 좌측부의 두께에 비해 우측부의 두께가 두껍게 형성되며, 좌측단 외면과 우측단 외면이 편평한 면으로 형성된다.
연결구수용부(531)의 중앙에는 연결구수용홀(533)이 형성된다.
연결구수용홀(533)은 전후 방향으로 관통된 구멍으로서, 전체적으로 원형으로 형성된다.
연결구수용홀(533)의 내주면 상부와 하부는 편평한 면으로 형성된다.
연결구수용부(531)의 우측부에는 고정홀(534)이 형성된다.
고정홀(534)은 연결구수용부(531)의 우측단 외면에서부터 연결구수용홀(533)의 내주면까지 관통되도록 형성되고, 이로 인해 연결구수용홀(533)과 연통된다.
고정홀(534)은 일측 단부가 타측 단부보다 후방측에 위치하여 경사지게 형성되는데, 보다 구체적으로 고정홀(534)은 좌측 단부가 우측 단부보다 후방측에 위치하도록 비스듬한 빗금 형태로 형성된다.
고정홀(534)의 내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후술할 고정구(560)가 고정홀(534)에 체결될 수 있다.
연결구수용부(531)에는 날개부(532)가 형성된다.
날개부(532)는 연결구수용부(531)의 일단과 타단에 각각 한 개씩 일체로 형성된다.
날개부(532)는 연결구수용부(531)의 상단과 하단에서 각각 상측과 하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날개부(532)에는 제1삽입공(535)이 형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1삽입공(535)은 제1체결공(514)과 대응되도록 상측의 날개부(532)와 하측의 날개부(532)에 각각 한 개씩 형성되고, 전후 방향으로 관통되도록 형성된다.
날개부(532)의 후면 좌측단과 우측단에는 각각 경사홈(536)이 형성된다.
경사홈(536)은 브라켓(530)을 후술할 서포트(540)에 장착할 때 쉽게 장착할 수 있게 하는 역할을 한다.
이렇게 구성되는 브라켓(530)은 서포트(540)의 내부에 장착되어 고정된다.
서포트(540)는 내부에 브라켓(530)이 장착된 채 도어핸들(510)의 후측벽 상부에 한 개와 하부에 한 개가 각각 체결되어 결합되는 구성으로서, 전면측이 도어핸들(510)의 후측벽에 밀착된 채 도어핸들(510)과 체결되어 후술할 연결구(550) 및 고정구(560)를 통해 도어핸들(510)을 제1회동형 도어(310)에 장착할 수 있도록 보조하는 역할을 한다.
서포트(540)는 상하 폭이 전방측에서 후방측으로 갈수록 점점 작아지는 형태를 가지고, 서포트(540)의 내부에는 전방측이 개방된 공간이 형성되어 있다.
서포트(540)의 전방측 일단부는 캡부재(520)의 함몰부(523)를 지지하고, 서포트(540)의 전방측 타단부는 도어핸들(510)의 후측벽을 지지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측 서포트(540)의 전방측 상단부는 상측 캡부재(520)의 함몰부(523)를 지지하고, 하측 서포트(540)의 전방측 하단부는 하측 캡부재(520)의 함몰부(523)를 지지하며, 상측 서포트(540)의 전방측 하단부는 도어핸들(510)의 후측벽을 지지하고, 하측 서포트(540)의 전방측 상단부는 도어핸들(510)의 후측벽을 지지하는 것이다.
서포트(540)의 내부에 형성된 공간에는 브라켓(530)이 수용되는 브라켓수용부(541)가 형성되어 있다.
브라켓수용부(541)은 전체적으로 브라켓(530)의 둘레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브라켓(530)이 브라켓수용부(541) 내에 수용되고, 브라켓(530)의 테두리를 지지할 수 있도록 서포트(540)의 내부 바닥면, 즉, 서포트(540)의 후측벽 전면에 일체로 형성되며, 전방측으로 돌출형성된다.
브라켓수용부(541)는 중앙수용부(542), 날개부수용부(543)를 포함한다.
중앙수용부(542)는 브라켓(530)의 연결구수용부(531)가 끼워져 수용되는 구성으로서, 연결구수용부(531)의 외주면을 구속할 수 있도록 전방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돌출된 중앙수용부(542)는 일부분이 절개되어 있으며, 일측부는 서포트(540)의 측벽에 의해 이루어진다.
날개부수용부(543)는 중앙수용부(542)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형성되어 브라켓(530)의 날개부(532)가 끼워져 수용되는 구성으로서, 날개부(532)의 둘레면을 구속할 수 있도록 전방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날개부수용부(543)는 중앙수용부(542)에 비해 전방측으로 더욱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중앙수용부(542)의 내부 바닥, 즉, 서포트(540)의 후측벽 중앙부는 연결구수용부(531)의 외주면 형상에 대응하도록 전후 방향으로 관통되어 브라켓수용부(541)에 수용된 브라켓(530)의 연결구수용부(531)가 후방측으로 노출될 수 있다.
브라켓수용부(541)의 일측 좌우 내측벽과 브라켓수용부(541)의 타측 좌우 내측벽에는 각각 경사돌기(544)가 형성된다.
경사돌기(544)는 중앙수용부(542)의 상부와 하부에 형성된 날개부수용부(543)의 좌우 내측벽에 각각 형성된다.
경사돌기(544)는 브라켓수용부(541)의 날개부수용부(543)에 수용된 브라켓(530)의 날개부(532)를 구속함으로써 브라켓(530)이 서포트(540)에서 견고히 장착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브라켓(530)이 서포트(540)에 장착될 경우, 브라켓(530)은 경사홈(536) 내부의 경사면이 경사돌기(544)의 경사면을 타고 넘어가게 되고, 브라켓(530)의 날개부(532) 전면이 경사돌기(544)의 후면에 걸림으로써 서포트(540)에 쉽고 견고하게 장착될 수 있다.
경사돌기(544)에 대향하는 서포트(540)의 후측벽에는 슬릿(545)이 형성된다.
슬릿(545)은 상하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전후 방향으로 관통되도록 형성된다.
슬릿(545)은 경사돌기(544)의 직후방에 위치하도록 서포트(540)의 후측벽에 마련된다.
날개부수용부(543)의 내부 바닥을 이루는 후측벽의 중앙에는 제2삽입공(546)이 형성된다.
제2삽입공(546)은 상측 날개부수용부(543)의 내부 바닥과 하측 날개부수용부(543)의 내부 바닥에 각각 형성되고, 상측 날개부수용부(543)의 내부 바닥과 하측 날개부수용부(543)의 내부 바닥을 전후 방향으로 관통하도록 형성된다
제2삽입공(546)은 제1체결부재(B1)가 삽입되어 구멍으로서, 도어핸들(510), 브라켓(530) 및 서포트(540) 간의 결합을 위해 형성된다.
제2삽입공(546)은 도어핸들(510)의 제1체결공(514) 및 브라켓(530)의 제1삽입공(535)과 대응하여 연통되도록 형성되고, 제1체결부재(B1)는 제2삽입공(546) 및 제1삽입공(535) 순으로 삽입된 후 제1체결공(514)의 내주면에 체결될 수 있다.
서포트(540)의 일측벽에는 고정구투입홀(547)이 형성된다.
고정구투입홀(547)은 서포트(540)의 우측벽 중앙 부근에 형성되며, 좌우 방향으로 관통된 원형 구멍이다.
고정구투입홀(547)은 서포트(540)에 수용되어 장착된 브라켓(530)의 고정홀(534)과 연통되며, 고정홀(534)보다 큰 직경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고정구투입홀(547)은 후술할 고정구(560)를 외측에서 받아들여 고정홀(534)에 체결될 수 있도록 한다.
도어핸들(510), 브라켓(530) 및 서포트(540) 간의 결합 구조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브라켓(530)을 서포트(540)의 브라켓수용부(541)에 끼워서 장착시킨다.
이때, 브라켓(530)의 고정홀(534)과 서포트(540)의 고정구투입홀(547)은 좌우 방향으로 정렬되어 연통되고, 브라켓(530)의 제1삽입공(535)과 서포트(540)의 제2삽입공(546)은 전후 방향으로 정렬되어 연통된다.
다음, 브라켓(530)이 장착된 서포트(540)를 도어핸들(510)의 후측벽으로 밀착시켜서 서포트(540)의 전방측 일단부가 함몰부(523)를 지지토록 하고, 서포트(540)의 전방측 타단부가 도어핸들(510)의 후측벽 후면을 지지토록 서포트(540)를 도어핸들(510)에 배치시킨다.
이때, 도어핸들(510)의 제1체결공(514)과 브라켓(530)의 제1삽입공(535)과 서포트(540)의 제2삽입공(546)은 전후 방향으로 정렬되어 연통된다.
다음, 제1체결부재(B1)를 제2삽입공(546) 및 제1삽입공(535) 순으로 삽입시킨 후 제1체결공(514)의 내주면에 체결시킴으로써 도어핸들(510), 브라켓(530) 및 서포트(540)가 서로 고정된다.
이때, 제1체결공(514)의 내주면에 체결된 제1체결부재(B1)의 헤드는 서포트(540)의 후측벽 후면에 형성된 헤드홈(548)에 수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헤드홈(548)에 수용된 제1체결부재(B1)의 헤드는 헤드홈(548) 외측으로 돌출되지 않는다.
제1회동형 도어(310)측에는 연결구(550)가 체결된다.
연결구(550)는 서로 결합되어 고정된 도어핸들(510), 브라켓(530) 및 서포트(540)를 제1회동형 도어(310)에 연결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일측이 제1회동형 도어(310)측에 체결되고, 타측이 서포트(540)에 장착된 브라켓(530)의 연결구수용홀(533)에 삽입된다.
연결구(550)는 나사부(551), 플랜지부(552), 목부(553) 및 테이퍼부(55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나사부(551)는 제1회동형 도어(310)측에 체결되어 연결구(550)를 제1회동형 도어(310)에 고정시키기 위한 구성이다.
나사부(551)는 제1회동형 도어(310)측에 체결되는데, 보다 구체적으로 나사부(551)는 제1회동형 도어(310)의 전측벽 후면, 즉, 제1도어외상(310a)의 후면에 결합되는 체결패널(370)에 나사결합된다.
체결패널(370)은 전체적으로 좌측 중앙부가 일부 절개된 사각판 형상으로 형성된다.
체결패널(370)의 중심에는 전후 방향으로 관통된 제2체결공(371)이 형성되고, 체결패널(370)의 전면 우측에는 전방측으로 돌출된 원형의 장착돌기(372)가 일체로 형성되며, 체결패널(370)의 전면 좌측에는 전방측으로 돌출된 제1후크(373)가 일체로 형성되고, 제2체결공(371)은 장착돌기(372)와 제1후크(373) 사이에 형성된다.
제1회동형 도어(310)의 제1도어외상(310a)에는 연결구(550)의 나사부(551)가 삽입되는 제3삽입공(312), 제3삽입공(312)의 우측에 배치되어 장착돌기(372)가 삽입되는 원형의 장착홀(313) 및 제3삽입공(312)의 좌측에 배치되어 제1후크(373)가 삽입되는 사각형의 제1후크삽입홀(314)이 전후방향으로 관통형성된다.
제3삽입공(312)은 장착홀(313)과 제1후크삽입홀(314) 사이에 형성되고, 제3삽입공(312)은 장착홀(313)과 서로 이격되어 있으며, 제3삽입공(312)은 제1후크삽입홀(314)과 연결되어 있다.
또한, 제3삽입공(312)은 제2체결공(371)보다 큰 직경을 가진다.
체결패널(370)은 제1회동형 도어(310)의 제1도어외상(310a) 후면에 장착되며, 장착돌기(372)가 장착홀(313)에 삽입되고, 제1후크(373)가 제1후크삽입홀(314)에 삽입되어 제1회동형 도어(310)의 제1도어외상(310a) 전면에 걸림으로써 제1회동형 도어(310)의 제1도어외상(310a) 후면에 체결패널(370)이 장착되어 고정되는 것이며, 이때, 제2체결공(371)은 제3삽입공(312)의 후방측에 연통되도록 위치하게 된다.
이때, 제1후크(373)는 제1도어외상(310a)의 전방측으로 돌출되나, 브라켓(530)의 후단과 서포트(540)의 후단에 걸쳐 형성된 제1후크수용홈(537)에 수용되어 제1후크(373)로 인해 브라켓(530) 및 서포트(540)가 제1회동형 도어(310)에서 들뜨지 않도록 한다.
나사부(551)는 위와 같이 제1회동형 도어(310)에 장착된 체결패널(370)의 제2체결공(371) 내주면에 체결되어 고정되고, 이러한 체결 구조를 통해 연결구(550)는 제1회동형 도어(310)에 고정된다.
나사부(551)의 일단에는 플랜지부(552)가 형성된다.
플랜지부(552)는 나사부(551)의 전단에 일체로 형성되고, 나사부(551)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가지는 원판 형상으로 형성되며, 나사부(551)의 전둘레에 걸쳐 반경방향 외측으로 돌출된 형태로 형성된다.
플랜지부(552)는 나사부(551)가 제2체결공(371)에 체결될 때 제1회동형 도어(310)의 제1도어외상(310a) 전면에 접촉됨으로써 나사부(551)의 움직임을 제한하는 역할을 한다.
플랜지부(552)의 일단에는 목부(553)가 형성된다.
목부(553)는 플랜지부(552)의 전단에 일체로 형성되고, 플랜지부(552)의 직경보다 작고 나사부(551)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가지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된다.
목부(553)의 일단에는 테이퍼부(554)가 형성된다.
테이퍼부(554)는 목부(553)의 전단에 일체로 형성되고, 후방측에서 전방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점점 커지는 원뿔대의 형태로 형성되어 외주면이 경사면으로 이루어진다.
테이퍼부(554)의 전면에는 후방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형상 공구홈(555)이 마련되어 별도의 공구를 통해 연결구(550)를 제2체결공(371)의 내주면에 체결하거나 제2체결공(371)의 내주면에서 풀 수 있다.
테이퍼부(554)의 전단부의 직경은 연결구수용홀(533)과 대략 유사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회동형 도어(310)측에 나사부(551)가 고정되어 있는 상태에서 연결구(550)의 전방측에는 도어핸들(510) 및 서포트(540)와 상호 고정된 브라켓(530)이 끼워지고, 이에 따라 목부(553)와 테이퍼부(554)는 연결구수용홀(533)에 수용되며, 브라켓(530)에는 서포트(540)를 통해 삽입된 고정구(560)가 체결된다.
고정구(560)는 브라켓(530)과 연결구(550)를 고정시킴으로써 도어핸들(510)이 제1회동형 도어(310)에 고정되게 하는 역할을 한다.
고정구(560)는 일측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고, 타측 단부에 렌치홈(561)이 형성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고정구(560)는 좌우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원통형상으로 형성되어 외주면 좌측단부에서 중앙 부근까지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고, 우측면에 렌치홈(561)이 형성된 무두볼트의 형태로 마련된다.
고정구(560)는 서포트(540)의 고정구투입홀(547)을 통해 삽입된 후 렌치와 같은 별도의 공구를 통해 회전됨으로써 브라켓(530)의 고정홀(534) 내주면에 비스듬하게 나사결합된다.
이때, 고정홀(534) 내주면에 대한 고정구(560)의 나사결합은 시계방향으로의 회전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고, 나사결합 해제는 반시계방향으로의 회전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고정홀(534)의 내주면에 나사결합된 고정구(560)를 계속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킬 경우, 고정구(560)는 연결구수용홀(533)의 내부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렇게 이동한 고정구(560)의 좌측단은 연결구수용홀(533)에 수용된 테이퍼부(554)의 외주면 즉, 테이퍼부(554)의 경사면을 가압하는 동시에 테이퍼부(554)의 경사면을 따라 후방의 목부(553)측으로 밀리게 되며, 이에 따라 도어핸들(510), 서포트(540) 및 브라켓(530)도 고정구(560)와 함께 후방측으로 밀려 제1회동형 도어(310)의 제1도어외상(310a) 전면을 가압하게 된다.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며 연결구수용홀(533)의 내부측으로 이동하던 고정구(560)는 테이퍼부(554)의 경사면 일정위치에서 더 이상 시계방향으로의 회전이 불가능한 채 고정되고, 연결구(550)는 고정구(560)와 연결구수용홀(533)의 내주면에 의해 구속됨으로써 도어핸들조립체(500)가 제1회동형 도어(310)에 견고하게 고정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도어핸들조립체(500)는 제1회동형 도어(310)에 대한 도어핸들(510)의 장착에 서포트(540)를 적용함에 따라 연결구(550)의 변경이 필요하지 않으므로 연결구(550)의 표준화가 이루어진다.
만약, 도어핸들(510)의 디자인 변경을 위해 도어핸들(510)을 교체하고자 할 경우, 연결구(550)는 표준화된 상태로서 변경할 필요가 없고, 도어핸들(510)과 서포트(540)만을 변경하여 다른 디자인의 도어핸들(510)로 교체할 수 있는 것이다.
전술한 도어핸들조립체(500)는 제1회동형 도어(310)에 고정장착되는 것을 기준으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도어핸들조립체(500)는 제2회동형 도어(320) 및 서랍형 도어(400)에도 각각 고정장착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이때, 도어핸들조립체(500)는 제2회동형 도어(320)에 설치될 경우 제1회동형 도어(310)에 설치된 도어핸들조립체(500)와 좌우 대칭되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서랍형 도어(400)에 설치될 경우 제1회동형 도어(310)에 설치된 도어핸들조립체(500)가 우측 시계방향으로 90도 회전한 형태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각각의 도어에 설치된 도어핸들조립체(500) 및 이를 이루는 각 구성은 서로 설치방향만 달라질 뿐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 및 동일한 장착구조를 통해 설치되는 것이다.
한편, 내부케이스(200)의 일측 내면에는 제1비드부(210)가 형성되고, 내부케이스(200)의 타측 내면에는 제2비드부(220)가 형성된다.
도 24 내지 40을 참조하면, 제1비드부(210)는 내부케이스(200)의 상측벽 내면에서 하측으로 볼록하게 돌출된 형태로 형성되는 동시에 내부케이스(200)의 후측벽 내면에서부터 전방측으로 길게 연장되어 형성되고, 제2비드부(220)는 내부케이스(200)의 좌측벽 내면에서 우측으로 볼록하게 돌출된 형태로 형성되는 동시에 내부케이스(200)의 후측벽 내면에서부터 전방측으로 길게 연장되어 형성된다.
이때, 제1비드부(210)와 제2비드부(220)는 내부케이스(200)에 각각 일체로 형성되며, 제1비드부(210)는 제2비드부(220)에 비해 긴 길이로 형성된다.
제1비드부(210)와 제2비드부(220)는 내부케이스(200)의 내측으로 볼 때 볼록한 형상을 가지나, 내부케이스(200)의 외측으로 볼 때 오목한 형상을 가진다.
즉, 제1비드부(210)와 제2비드부(220)는 내부케이스(200)의 내면에 대해 볼록하게 돌출되어 있고, 내부케이스(200)의 외면에 대해 오목하게 함몰된 형태를 가진다.
제1비드부(210)의 전방측 단부면은 후방측에서 전방측으로 갈수록 하측에서 상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전후 방향 길이가 하측에서 상측으로 갈수록 점점 길어지고, 제2비드부(220)의 전방측 단부면은 후방측에서 전방측으로 갈수록 우측에서 좌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전후 방향 길이가 우측에서 좌측으로 갈수록 점점 길어진다.
또한, 제1비드부(210)의 우측부에는 제1단차부(211)가 형성되어 후술할 단턱부(6132)를 지지하고, 제2비드부(220)의 하부에는 제2단차부(221)가 형성되어 후술할 외부구획벽(610)의 제1하판(611) 좌측단부를 지지한다.
제1비드부(210)는 제빙실(60)을 형성하는 후술할 구획벽(600)의 우측부와 함께 제빙실(60) 우측의 단열벽 일부분을 이루고, 제2비드부(220)는 제빙실(60)을 형성하는 후술할 구획벽(600)의 하측부와 함께 제빙실(60) 하측의 단열벽 일부분을 이룬다.
한편, 내부케이스(200)의 일측 상부 구석에는 구획벽(600)이 설치된다.
구획벽(600)은 일측에 제1비드부(210)와 형합되는 제1오목부(6131)가 형성되고, 타측에 제2비드부(220)와 형합되는 제2오목부(6241)가 형성된다.
구획벽(600)은 내부케이스(200)의 좌측 상부 구석에 결합되어 제빙실(60)을 형성시키기 위한 우측단열벽과 하측단열벽 역할을 하는 벽체로서, 우측 상단에 형성된 제1오목부(6131)가 내부케이스(200)의 제1비드부(210)와 형합되어 결합되고, 하부 좌측단에 형성된 제2오목부(6241)가 내부케이스(200)의 제2비드부(220)와 형합되어 결합됨으로써 내부에 제빙실(60)을 형성한다.
즉, 구획벽(600)은 제빙실(60)을 냉장실(11)과 별도의 단열공간으로 구획시키기 위한 구성으로서, 내부케이스(200)의 상측벽 및 좌측벽과 더불어 제빙실(60)을 둘러싸는 제빙실케이스의 역할을 한다.
구획벽(600)의 내부에는 단열재수용공간(601)이 마련된다.
외부케이스(100)와 내부케이스(200)의 사이 공간부(102) 및 구획벽(600)의 단열재수용공간(601) 적어도 일부분에는 단열재(110)가 주입되어 일체 발포되는데 이에 대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또한, 구획벽(600)에 의해 제빙실(60)을 형성함에 있어서, 구획벽(600)과 더불어 입구벽(630) 및 설치벽(640)이 더 포함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설명은 후술한다.
구획벽(600)은 외부구획벽(610)과, 외부구획벽(610)의 내측에 결합되는 내부구획벽(620)으로 이루어진다.
외부구획벽(610)은 제빙실(60)의 외관을 이루는 구성으로서, 제1하판(611), 제1하판(611)의 우측단 전체에 걸쳐 상측으로 연장되는 제1측판(612), 제1측판(612)의 상단 일부분에 걸쳐 좌측으로 연장되는 제1결합판(613),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어 하단과 우측단이 각각 제1하판(611)의 전단과 제1측판(612)의 전단 전체에 걸쳐 일체로 형성되는 제1전판(614) 및 제1하판(611)과 제1측판(612)과 제1결합판(613)의 후단에 일체로 형성되는 제1후판(615)을 포함한다.
제1하판(611)은 외부구획벽(610)의 바닥을 이루는 구성으로서, 전후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제1하판(611)의 좌측단부는 제2비드부(220)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후단에서 전방 일측까지 우측으로 함몰되어 있고, 내부케이스(200)와 구획벽(600)의 결합 시 제2단차부(221)에 의해 지지된다.
제1하판(611)은 전방측이 전방에서 후방으로 갈수록 점점 낮아지는 경사를 갖는 경사판(6111)으로 형성되고, 경사판(6111)의 후방측이 수평판(6112)으로 형성된다.
제1하판(611)의 전방측, 즉, 경사판(6111)에는 상하 방향으로 관통된 얼음토출구(6113)가 후술할 제1전판(614)의 전면과 이격되도록 형성된다.
얼음토출구(6113)는 후술할 제빙기(700)에서 생성되어 얼음저장용 버킷(800)에 저장된 얼음이 토출되는 구멍으로서, 후술할 제빙실도어(810)의 후방측에 이격배치되도록 구획벽(600)의 하부에 마련된다.
얼음토출구(6113)가 구획벽(600)의 하부에 마련됨에 따라 제빙실도어(810)와 구획벽(600) 간의 이음부분, 즉, 제빙실도어(810)와 구획벽(600) 간의 개폐를 위한 착탈부분은 얼음토출구(6113)의 전방측에 얼음토출구(6113)와 이격되도록 위치하여 얼음저장용 버킷(800)에 저장된 얼음의 이동경로 상 냉기의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다.
얼음토출구(6113)의 하단부 테두리에는 하측으로 볼록하게 돌출된 접촉부(6119)가 형성된다.
접촉부(6119)는 구획벽(600)의 하면, 즉, 제1하판(611)의 경사판(6111) 하면에 형성되며, 얼음토출구(6113)의 하단부 테두리를 따라 링 형태로 형성된다.
접촉부(6119)는 전방에서 후방측으로 갈수록 낮아지는 경사를 갖도록 기울어지게 형성된다.
접촉부(6119)는 디스펜서(330)에 형성된 얼음이송덕트(331)의 상단부에 마련된 가스켓(332)과 밀착되는 부분으로서, 가스켓(332)에 집중적으로 압력을 가할 수 있게 한다.
접촉부(6119)는 제1회동형도어(310)가 본체(10)에 닫힐 경우, 가스켓(332)에 형성된 경사를 타고 스무스(smooth)하게 가스켓(332)의 상단 전둘레를 가압하는 동시에 가스켓(332)의 상단 전둘레에 밀착되어 제빙실(60)과 냉장실(11) 간의 기밀을 유지시켜준다.
가스켓(332)과 접촉부(6119)는 제1회동형도어(310)의 닫힘 시, 가스켓(332)에 형성된 경사에 의해 스무스(smooth)하게 서로 밀착되므로, 가스켓(332)에 별도의 윤활소재의 첨가 없이도 가스켓(332)의 뒤틀림이나 밀림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제1하판(611)의 상면, 보다 구체적으로 수평판(6112)의 상면에는 평면상으로 볼 때 “ㄷ”자의 형태를 갖도록 상측으로 돌출된 제1돌출턱(6114)이 형성되고, 제1돌출턱(6114)의 상단에는 제1돌출턱(6114)의 테두리를 따라 외측으로 절곡된 플랜지(6115)가 형성된다.
제1돌출턱(6114) 및 플랜지(6115)는 제1하판(611)의 전측, 후측 및 좌측 테두리의 내측에 위치하도록 형성된다.
플랜지(6115)의 좌측부에는 제1체결부(6116)가 일체로 형성된다.
제1체결부(6116)는 외부구획벽(610), 후술할 내부구획벽(620) 및 설치벽(640) 간의 결합을 위해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세 개의 제1체결부(6116)가 전후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도록 형성된다.
제1하판(611)의 하면에는 제2체결부(6117)가 형성된다.
제2체결부(6117)는 본 실시예에서 수평판(6112)의 하면 중앙부에 좌우 방향으로 두 개가 서로 이격형성되고, 그 후방에 한 개가 형성된다.
이때, 수평판(6112)의 중앙부 우측에 형성된 제2체결부(6117)는 수평판(6112)의 후방에 형성된 제2체결부(6117)보다 제1하판(611)의 우측단에 인접하게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체결부(6117)에는 선반거치대(616)가 체결된다.
선반거치대(616)는 전체적으로 사각판상으로 형성되고, 제2체결부(6117)의 개수 및 배치에 대응하도록 나사공(6161)이 구비된다.
선반거치대(616)는 각각의 나사공(6161)을 통해 체결부재가 삽입되어 제2체결부(6117)에 체결됨으로써 구획벽(600)의 하부 외면, 즉, 외부구획벽(610)의 제1하판(611)의 하면에 고정설치된다.
선반거치대(616)의 전단부 좌측단에서 선반거치대(616)의 전단부 우측 일정위치까지는 상측으로 돌출된 제1단턱(6163)이 형성되고, 제1단턱(6163)의 우측단인 선반거치대(616)의 전단부 우측 일정위치에서 선반거치대(616)의 전단부 우측단까지는 제1단턱(6163)에 대해 함몰되어 하측으로 단차진 제1무턱부(6165)가 형성된다.
또한, 선반거치대(616)의 후단부 좌측단에서 선반거치대(616)의 우측 일정위치까지는 상측으로 돌출된 제2단턱(6164)이 형성되고, 제2단턱(6164)의 우측단인 선반거치대(616)의 후단부 우측 일정위치에서 선반거치대(616)의 후단부 우측단까지는 제2단턱(6164)에 대해 함몰되어 하측으로 단차진 제2무턱부(6166)가 형성된다.
제1단턱(6163)은 제2단턱(6164)보다 우측으로 더 길게 형성되고, 제1무턱부(6165)는 제2무턱부(6166)보다 좌측으로 더 짧게, 즉, 제2무턱부(6166)가 제1무턱부(6165)보다 좌측으로 더 길게 형성된다.
이러한 이유는 후술할 제2행거브라켓(252)의 경사부(252a)를 후술할 유격공간(6162)에 수용할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
선반거치대(616)와 구획벽(600)의 하부 외면 사이에는 유격공간(6162)이 형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유격공간(6162)은 제1무턱부(6165) 및 제2무턱부(6166)와 구획벽(600)의 하부 외면 사이의 공간이다.
유격공간(6162)은 전단부보다 후단부가 우측에서 좌측 방향으로 더 깊게 형성된다.
이러한 이유는 앞서 말한 바와 같이 유격공간(6162)을 이루는 제2무턱부(6166)의 좌우 방향 길이가 제1무턱부(6165)의 좌우 방향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기 때문이다.
유격공간(6162)의 상하 높이는 제1단턱(6163) 및 제2단턱(6164)의 높이에 대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유격공간(6162)에는 후술할 제빙실측 선반(250)이 거치되어 높이가 높은 물건을 냉장실(11)에 용이하게 보관할 수 있다.
제1하판(611)의 우측단에는 제1측판(612)이 일체로 형성된다.
제1측판(612)은 전후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제1하판(611)의 우측단에서 상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됨으로써 수직방향으로 기립한 형태를 가진다.
제1측판(612)의 상단부는 제1비드부(210)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후단에서 전방 일측까지 하측으로 함몰되어 있다.
제1측판(612)에는 하단부에는 제3체결부(6121)가 형성된다.
제3체결부(6121)는 제1측판(612)의 우측면 하단부에 전후 방향으로 두 개가 서로 이격형성된다.
제3체결부(6121)에는 선반지지편(617)이 체결된다.
선반지지편(617)은 두 개의 제3체결부(6121)에 각각 끼워져 체결부재에 의해 체결됨으로써 구획벽(600)의 우측 외면, 즉, 외부구획벽(610)의 제1측판(612)의 우측면에 고정설치된다.
선반지지편(617)은 구획벽(600)에 전후 방향으로 두 개가 마련되어 후술할 제빙실측 선반(250)의 일측이 장착될 수 있으며, 제빙실측 선반(250)을 수직으로 거치할 경우 제빙실측 선반(250)의 일면이 구획벽에 직접 접촉하지 않고 일정 간격으로 유지하도록 한다.
제1측판(612)의 상단에는 제1결합판(613)이 일체로 형성된다.
제1결합판(613)은 전후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제1측판(612)의 상단에서 좌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됨으로써, 제1하판(611)과 대향한다.
제1결합판(613)의 좌우 폭은 제1하판(611)의 좌우 폭보다 짧게 형성되고, 제1결합판(613)의 전후 방향 길이는 제1하판(611) 및 제1측판(612)의 전후 방향 길이보다 짧게 형성된다.
즉, 제1결합판(613)은 제1하판(611)의 수평판(6112)과 대략 유사한 전후 방향 길이를 갖도록 형성되고, 제1결합판(613)의 전단은 후술할 제1전판(614)과 이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결합판(613)의 우측부에는 내부케이스(200)의 제1비드부(210)와 형합되는 제1오목부(6131)가 형성된다.
제1오목부(6131)는 제1비드부(210)가 수용되어 형합될 수 있도록 제1결합판(613)의 우측부에 하측으로 오목한 형태로 형성되며, 전후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제1오목부(6131)는 구획벽(600)을 내부케이스(200)에 결합할 경우 제1비드부(210)와의 형합을 통해 구획벽(600)이 정확한 위치에 조립될 수 있게 한다.
제1오목부(6131)는 제1비드부(210)와 대응되도록 전방측 단부면이 후방측에서 전방측으로 갈수록 하측에서 상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고, 이로 인해 제1비드부(210)와의 형합이 용이해진다.
제1오목부(6131)의 전방측 단부는 제1오목부(6131)에 대해 상측으로 솟아 있다.
제1오목부(6131)의 우측단에는 단턱부(6132)가 형성된다.
단턱부(6132)는 제1측판(612)의 상단이 제1오목부(6131)에 대해 상측으로 돌출된 부분으로서, 내부케이스(200)와 구획벽(600)의 결합 시 단턱부(6132)는 제1단차부(211)에 지지된다.
제1결합판(613)에는 삽입돌기(6133) 및 제4삽입공(6134)이 형성된다.
삽입돌기(6133)는 제1결합판(613)의 상면 좌측부에 일체로 형성되고, 상측으로 돌출형성된다.
삽입돌기(6133)는 제1결합판(613)의 상면 전방, 중앙 및 후방에 각각 한 개씩, 총 세 개가 서로 이격되도록 형성된다.
제4삽입공(6134)은 상하 방향으로 관통형성된 구멍이다.
제4삽입공(6134)은 제1결합판(613)의 상면 전방에 형성된 삽입돌기(6133)와 제1결합판(613)의 상면 중앙에 형성된 삽입돌기(6133) 사이에 두 개가 형성되고, 제1결합판(613)의 상면 중앙에 형성된 삽입돌기(6133)와 제1결합판(613)의 상면 후방에 형성된 삽입돌기(6133) 사이에 한 개가 형성된다.
제1결합판(613)의 우측부, 즉, 제1오목부(6131)에는 제3체결공(6135)이 형성된다.
제3체결공(6135)은 네 개가 제1오목부(6131)의 상면에 형성되며, 네 개의 제3체결공(6135)은 전후 방향으로 이격형성된다.
제1하판(611)과 제1측판(612)의 전단에는 제1전판(614)이 일체로 형성된다.
제1전판(614)은 정면에서 볼 때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어 하단과 우측단이 각각 제1하판(611)의 전단과 제1측판(612)의 전단에 일체로 형성된다.
이때, 제1전판(614)은 제1결합판(613)과 이격되어 있다.
제1전판(614)에는 후술할 얼음저장용 버킷(800)이 제빙실(60)로 인입되거나 제빙실(60)로부터 인출될 수 있도록 전후 방향으로 관통된 제1개구부(6141)가 형성된다.
제1개구부(6141)는 후술할 입구벽(630)의 제2개구부(6301)와 연통되어 제빙실(60)의 전면이 개방되게 한다.
제1전판(614)의 상단과 좌측단에는 후방측으로 돌출된 돌출편(6142)이 각각 형성되고, 돌출편(6142)에는 상하 방향으로 관통되는 제1끼움공(6143)이 형성된다.
또한, 제1전판(614)의 좌측 하단 후면에는 체결편(6144)이 형성된다.
제1하판(611)과 제1측판(612)과 제1결합판(613)의 후단에는 제1후판(615)이 일체로 형성된다.
제1후판(615)은 배면에서 볼 때 “L”형상으로 형성되고, 하단과 우측단과 상단이 각각 제1하판(611)과 제1측판(612)과 제1결합판(613)의 후단에 일체로 형성된다.
제1결합판(613)의 하부에는 제1측판(612)에서 좌측으로 연장된 절곡판(6122)이 형성된다.
절곡판(6122)은 좌측단이 하측으로 절곡되어 있고, 절곡판(6122)의 좌측단은 제1결합판(613)의 좌측단보다 제1측판(612)에 대해 좌측으로 덜 튀어 나와 있다.
제1결합판(613)과 절곡판(6122) 사이에는 제1끼움홈(6123)이 형성된다.
제1끼움홈(6123)은 제1결합판(613)과 절곡판(6122) 사이의 전방측, 좌측 및 후방측에 걸쳐서 형성되어 전방측, 좌측 및 후방측이 개방되어 있다.
또한, 제1하판(611)과 플랜지(6115) 사이에는 제2끼움홈(6118)이 형성된다.
제2끼움홈(6118)은 제1하판(611)과 플랜지(6115) 사이의 전방측, 좌측 및 후방측에 걸쳐서 형성되어 전방측, 좌측 및 후방측이 개방되어 있다.
제1끼움홈(6123)과 제2끼움홈(6118)에는 후술할 내부구획벽(620)의 제1끼움부(623)와 제2끼움부(625)가 끼워지게 된다.
제1하판(611), 제1측판(612) 및 제1결합판(613)에는 제1실링부재(618)가 마련된다.
제1실링부재(618)는 제1하판(611)의 전방측 상면에서부터 제1측판(612)의 전방측 좌측면을 거쳐 제1결합판(613)의 전단부 하면을 두르도록 배치되어, 외부구획벽(610)에 후술할 내부구획벽(620) 및 후술할 입구벽(630)이 결합될 때 내부구획벽(620)의 제2전판(626) 외측 테두리 및 입구벽(630)의 후방테두리판(633) 외측 테두리가 제1실링부재(618)에 밀착될 수 있다.
제1실링부재(618)는 스펀지로 제작되어 제1하판(611), 제1측판(612) 및 제1결합판(613)에 접착될 수 있다.
제1실링부재(618)는 외부구획벽(610)과 내부구획벽(620) 사이 및 외부구획벽(610)과 입구벽(630) 사이에 개재되어 외부구획벽(610)의 전방부, 내부구획벽(620)의 전단부 및 입구벽(630)의 후단부 간의 이음부를 실링하는 역할을 한다.
제1측판(612)에는 제2실링부재(619)가 마련된다.
제2실링부재(619)는 제1측판(612)의 후단부 좌측면에 상하 방향으로 길게 배치되어, 외부구획벽(610)에 내부구획벽(620)이 결합될 때 내부구획벽(620)의 제2후판(627) 우측단이 제2실링부재(619)에 밀착될 수 있다.
제2실링부재(619)는 제1실링부재(618)와 마찬가지로 스펀지로 제작되어 제1측판(612)에 접착될 수 있다.
제2실링부재(619)는 외부구획벽(610)과 내부구획벽(620) 사이에 개재되어 외부구획벽(610)의 후단부와 내부구획벽(620)의 후단부 간의 이음부를 실링하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외부구획벽(610)에는 내부구획벽(620)이 결합된다.
내부구획벽(620)은 외부구획벽(610)의 제1하판(611)과 제1측판(612)보다 전후 방향 길이가 짧게 형성되고, 외부구획벽(610)과의 사이에 본체(10)의 외부로부터 공간부(102)에 주입된 단열재(110)가 주입될 수 있는 단열재수용공간(601)이 구비되도록 외부구획벽(610)과 결합된다.
내부구획벽(620)은 외부구획벽(610)의 내측에 결합되어 제빙실(60)의 하부 내면과 우측 내면을 이루는 구성으로서, 제2하판(621), 제2하판(621)의 우측단 전체에 걸쳐 상측으로 연장되는 제2측판(622), 제2측판(622)의 상단에 형성되는 제1끼움부(623), 제2하판(621)의 좌측단 전제에 걸쳐 하측으로 연장되는 제2결합판(624), 제2결합판(624)의 하단 전체에 걸쳐 우측으로 연장되는 제2끼움부(625), 제2하판(621)과 제2측판(622)과 제1끼움부(623)와 제2결합판(624)과 제2끼움부(625)의 전단에 일체로 형성되는 제2전판(626) 및 제2하판(621)과 제2측판(622)과 제1끼움부(623)와 제2결합판(624)과 제2끼움부(625)의 후단에 일체로 형성되는 제2후판(627)을 포함한다.
제2하판(621)은 제빙실(60)의 내부 바닥을 이루는 구성으로서, 전후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제2하판(621)의 좌측단부는 제2비드부(220)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후단에서 전방 일측까지 우측으로 함몰되어 있다.
제2하판(621)은 편평하게 형성되고, 제2하판(621)의 후단 좌우측에는 제4체결부(6211)가 각각 형성된다.
두 개의 제4체결부(6211)는 후술할 증발기케이스(1000)와의 체결을 위한 구성이다.
제2하판(621)의 우측단에는 제2측판(622)이 일체로 형성된다.
제2측판(622)은 전후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제2하판(621)의 우측단에서 상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됨으로써 수직방향으로 기립한 형태를 가진다.
제2측판(622)은 상단 중앙부가 전후 방향으로 길게 좌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제2측판(622)의 상단부 좌측면, 즉, 제2측판(622)의 돌출된 부분의 좌측면에는 제5체결부(6221)와 제1제빙기지지부(6222)가 형성된다.
제5체결부(6221)는 전후 방향으로 세 개가 서로 이격형성된다.
제5체결부(6221)는 외부구획벽(610)의 제4삽입공(6134)에 삽입된다.
제1제빙기지지부(6222)는 후술할 제빙기(700)의 일측을 지지하는 구성으로서, 전후 방향으로 두 개가 서로 이격형성된다.
제1제빙기지지부(6222)는 세 개의 제5체결부(6221) 중 가장 전방측에 위치한 제5체결부(6221)의 전방에 하나가 형성되고, 중앙측에 위치한 제5체결부(6221)의 후방에 하나가 형성된다.
제2측판(622)의 후단에는 제6체결부(6223)가 형성된다.
제6체결부(6223)는 후술할 제2후판(627)과 제2측판(622)이 만나는 부분에 형성된다.
제6체결부(6223)는 제4체결부(6211)와 더불어 후술할 증발기케이스(1000)와의 체결을 위한 구성으로서, 제2하판(621)의 후단 우측에 형성된 제4체결부(6211)의 직상방에 위치한다.
제2측판(622)의 상단에는 제1끼움부(623)가 일체로 형성된다.
제1끼움부(623)는 제2측판(622)의 돌출된 부분 상단에서 우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되고, 제1끼움부(623)의 우측 중앙부는 전후 방향으로 길게 절개되어 상하 방향으로 관통되는 동시에 우측이 개방되어 있다.
제1끼움부(623)의 절개되지 않은 전방부와 후방부는 제2측판(622)보다 우측으로 더 튀어 나오도록 형성된다.
제1끼움부(623)는 전방측 단부가 그 후방부보다 높게 형성되어 있는데, 다시 말해서 제1끼움부(623)는 전방측 단부보다 그 후방부가 하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되어 외부구획벽(610)과의 결합 시 제1오목부(6131)에 대응하여 결합될 수 있다.
제2하판(621)의 좌측단에는 제2결합판(624)이 일체로 형성된다.
제2결합판(624)은 전후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제2하판(621)의 좌측단에서 하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제2결합판(624)에는 내부케이스(200)의 제2비드부(220)와 형합되는 제2오목부(6241)가 형성된다.
제2오목부(6241)는 제2비드부(220)가 수용되어 형합될 수 있도록 제2결합판(624)에 우측으로 오목한 형태로 형성되며, 전후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제2오목부(6241)는 제1오목부(6131)와 더불어 구획벽(600)을 내부케이스(200)에 결합할 경우 제2비드부(220)와의 형합을 통해 구획벽(600)이 정확한 위치에 조립될 수 있게 한다.
제2오목부(6241)는 제2비드부(220)와 대응되도록 전방측 단부면이 후방측에서 전방측으로 갈수록 우측에서 좌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고, 이로 인해 제2비드부(220)와의 형합이 용이해진다.
제2오목부(6241)에는 제7체결부(6242) 및 제5삽입공(6243)이 형성된다.
제7체결부(6242)는 제2오목부(6241)의 좌측에 네 개가 형성되고, 전후 방향으로 서로 이격형성된다.
제7체결부(6242)는 내부케이스(200)와의 체결을 위한 구성으로서 후술할 설치벽(640)에 삽입된 채 내부케이스(200)와 체결된다.
제5삽입공(6243)은 좌우 방향으로 관통형성된 구멍으로서, 제2오목부(6241)의 전방부, 중앙부, 후방부에 각각 한 개씩 총 세 개가 형성되어 있으며, 외부구획벽(610)의 제1체결부(6116)와 대응하도록 배치된다.
제5삽입공(6243)은 외부구획벽(610)과 내부구획벽(620)의 결합 시 제1체결부(6116)의 좌측면에 밀착되어 후술할 설치벽(640)의 제9삽입공(6432)을 통한 체결부재가 제1체결부(6116)에 체결될 수 있게 한다.
제2결합판(624)의 하단에는 제2끼움부(625)가 일체로 형성된다.
제2끼움부(625)는 제2결합판(624)의 하단에서 우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되고, 제2끼움부(625)의 우측 중앙부는 전후 방향으로 길게 절개되어 상하 방향으로 관통되는 동시에 우측이 개방되어 있다.
제2끼움부(625)의 절개되지 않은 전방부와 후방부는 제2측판(622)보다 우측으로 더 튀어 나오도록 형성된다,
또한, 제2끼움부(625)의 절개되지 않은 전방부와 후방부의 우측단은 제1끼움부(623)의 절개되지 않은 전방부와 후방부의 우측단과 동일한 수직선상에 위치한다.
제2하판(621)과 제2측판(622)과 제1끼움부(623)와 제2결합판(624)과 제2끼움부(625)의 전단에는 제2전판(626)이 일체로 형성된다.
제2전판(626)은 제2하판(621)과 제2측판(622)의 전단에서 외측으로 연장된 형태, 즉, 제2하판(621)의 하측으로 연장되는 동시에 제2측판(622)의 우측으로 연장되어 정면에서 볼 때 “L”형상이 반시계방향으로 90도 회전한 형태로 형성된다.
제2하판(621)과 제2측판(622)과 제1끼움부(623)와 제2결합판(624)과 제2끼움부(625)의 후단에는 제2후판(627)이 일체로 형성된다.
제2후판(627)은 제2하판(621)의 하측으로 연장되는 동시에 제2측판(622)의 우측으로 연장되어 배면에서 볼 때 “L”형상으로 형성된다.
즉, 제2후판(627)은 제1전판(614)과 전후 방향으로 대칭되는 형상을 가진다.
위와 같이 구성되는 내부구획벽(620)은 외부구획벽(610)의 내측으로 수용되어 제1끼움부(623)가 제1끼움홈(6123)에 끼워지고, 제5체결부(6221)가 제4삽입공(6134)에 하측에서 상측으로 삽입되며, 제2끼움부(625)가 제2끼움홈(6118)에 끼워짐으로써 외부구획벽(610)과 결합된다.
이때, 내부구획벽(620)의 제1끼움부(623) 상면은 제1결합판(613)의 제1오목부(6131) 하면에 배치되고, 내부구획벽(620)의 제2끼움부(625) 하면은 제1하판(611)의 수평판(6112) 상면에 배치되며, 내부구획벽(620)의 제2전판(626) 하단 및 제2전판(626) 우측단은 외부구획벽(610)의 수평판(6112) 상면 및 외부구획벽(610)의 제1측판(612) 좌측면에 배치되고, 내부구획벽(620)의 제2후판(627) 후면 및 제2후판(627) 우측단은 외부구획벽(610)의 제1후판(615) 전면 및 외부구획벽(610)의 제1측판(612) 좌측면에 배치되며, 내부구획벽(620)의 제2전판은 외부구획벽(610)의 제1전판(614)과 전후 방향으로 이격배치된다.
외부구획벽(610)과 내부구획벽(620)은 이렇게 결합되어 내부에 단열재수용공간(601)을 마련한 채 구획벽(600)을 이루며, 구획벽(600)은 제1비드부(210)에 제1오목부(6131)가 끼워져 형합되고, 제2비드부(220)에 제2오목부(6241)가 끼워져 형합된 채 내부케이스(200)에 체결됨으로써 제빙실(60)을 형성한다.
한편, 제1비드부(210)와 제1오목부(6131) 중 어느 하나에는 제1관통공(6136a)이 형성된 제1돌출부(6136)가 형성되고 나머지 하나에는 제1돌출부(6136)가 삽입되는 제1주입구(210a)가 형성되되, 제2비드부(220)와 제2오목부(6241) 중 어느 하나에는 제2관통공(6244a)이 형성된 제2돌출부(6244)가 형성되고 나머지 하나에는 제2돌출부(6244)가 삽입되는 제2주입구(220a)가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비드부(210)에 제1주입구(210a)가 형성되고, 제2비드부(220)에 제2주입구(220a)가 형성되며, 제1오목부(6131)에 제1돌출부(6136)가 형성되고, 제2오목부(6241)에 제2돌출부(6244)가 형성되는 것으로 설명한다.
제1비드부(210)에는 제1주입구(210a)가 형성된다.
제1주입구(210a)는 제1비드부(210)를 상하로 관통하는 직사각형상의 구멍으로, 전후로 이격되게 두 개가 형성되며, 제1주입구(210a)의 개수는 필요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제1주입구(210a)는 외부케이스(100)의 상측벽과 내부케이스(200)의 상측벽 사이의 공간부(102) 및 구획벽(600)의 상부 우측 단열재수용공간(601) 사이에 배치되어 공간부(102)와 단열재수용공간(601)을 연통시켜주는 역할을 한다.
제2비드부(220)에는 제2주입구(220a)가 형성된다.
제2주입구(220a)는 제2비드부(220)를 좌우로 관통하는 직사각형상의 구멍으로, 전후로 이격되게 두 개가 형성되며, 제1주입구(210a)와 마찬가지로 제2주입구(220a)의 개수는 필요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제2주입구(220a)는 외부케이스(100)의 좌측벽과 내부케이스(200)의 좌측벽 사이의 공간부(102) 및 구획벽(600)의 하부 좌측 단열재수용공간(601) 사이에 배치되어 공간부(102)와 단열재수용공간(601)을 연통시켜주는 역할을 한다.
제1오목부(6131)에는 제1주입구(210a)에 삽입되는 제1돌출부(6136)가 일체로 형성된다.
제1돌출부(6136)는 제1오목부(6131)에서 상측으로 돌출된 형태로 형성되고, 제1주입구(210a)의 개수에 대응되도록 전후로 이격되게 두 개가 형성되며, 제1돌출부(6136)의 개수는 제1주입구(210a)의 개수가 달라질 경우 이에 대응하여 달라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돌출부(6136)의 전면에는 좌우로 이격된 두 개의 제1리브(6137)가 일체로 형성되어 제1돌출부(6136)를 보강해준다.
제1돌출부(6136)의 내부에는 상하로 관통하는 제1관통공(6136a)이 형성된다.
제1관통공(6136a)은 구획벽(600)의 내부 공간, 즉, 제1측판(612)과 제2측판(622) 사이의 단열재수용공간(601)에 연통된다.
제1관통공(6136a)은 제1주입구(210a)와 마찬가지로 외부케이스(100)의 상측벽과 내부케이스(200)의 상측벽 사이의 공간부(102)를 구획벽(600)의 제1측판(612)과 제2측판(622) 사이의 단열재수용공간(601)과 연통시켜주는 역할을 한다.
즉, 제1비드부(210)와 제1오목부(6131)의 형합 시, 각각의 제1돌출부(6136)는 대응되는 각각의 제1주입구(210a)에 삽입되고, 외부케이스(100)의 상측벽과 내부케이스(200)의 상측벽 사이의 공간부(102)는 제1주입구(210a)와 제1관통공(6136a)을 통해 제1측판(612)과 제2측판(622) 사이의 단열재수용공간(601)과 연통되는 것이다.
제2오목부(6241)에는 제2주입구(220a)에 삽입되는 제2돌출부(6244)가 일체로 형성된다.
제2돌출부(6244)는 제2오목부(6241)에서 좌측으로 돌출된 형태로 형성되고, 제2주입구(220a)의 개수에 대응되도록 전후로 이격되게 두 개가 형성되며, 제2돌출부(6244)의 개수는 제2주입구(220a)의 개수가 달라질 경우 이에 대응하여 달라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돌출부(6244)의 전면에는 상하로 이격된 두 개의 제2리브(6245)가 일체로 형성되어 제2돌출부(6244)를 보강해준다.
제2돌출부(6244)의 내부에는 좌우로 관통하는 제2관통공(6244a)이 형성된다.
제2관통공(6244a)은 구획벽(600)의 내부 공간, 즉, 제1하판(611)과 제2하판(621) 사이의 단열재수용공간(601)에 연통된다.
제2관통공(6244a)은 제2주입구(220a)와 마찬가지로 외부케이스(100)의 좌측벽과 내부케이스(200)의 좌측벽 사이의 공간부(102)를 구획벽(600)의 제1하판(611)과 제2하판(621) 사이의 단열재수용공간(601)과 연통시켜주는 역할을 한다.
즉, 제2비드부(220)와 제2오목부(6241)의 형합 시, 각각의 제2돌출부(6244)는 대응되는 각각의 제2주입구(220a)에 삽입되고, 외부케이스(100)의 좌측벽과 내부케이스(200)의 좌측벽 사이의 공간부(102)는 제2주입구(220a)와 제2관통공(6244a)을 통해 제1하판(611)과 제2하판(621) 사이의 단열재수용공간(601)과 연통되는 것이다.
한편, 제1비드부(210)에는 제1결합공(212)이 형성된다.
제1결합공(212)은 제1비드부(210)에 상하 방향으로 관통형성되는 구멍으로서, 내부케이스(200) 및 구획벽(600) 간의 체결을 위하여 제1비드부(210)에 총 네 개가 형성되고, 각 제1주입구(210a)의 전후측에 한 개씩 배치되는 형태로 형성된다.
제2비드부(220)에는 제2결합공(222)이 형성된다.
제2결합공(222)은 제2비드부(220)에 좌우 방향으로 관통형성되는 구멍으로서, 내부케이스(200), 구획벽(600) 및 후술할 설치벽(640) 간의 체결을 위하여 제2비드부(220)에 총 네 개가 형성되고, 각 제2주입구(220a)의 전후측에 한 개씩 배치되는 형태로 형성된다.
내부케이스(200)의 상측벽에는 제3결합공(213)이 형성된다.
제3결합공(213)은 상하 방향으로 관통형성되는 구멍으로서, 내부케이스(200), 후술할 입구벽(630) 및 후술할 설치벽 간의 체결을 위하여 제1비드부(210)의 전방측에 위치하도록 내부케이스(200)의 상측벽에 한 개가 형성된다.
내부케이스(200)의 좌측벽에는 제4결합공(223)이 형성된다.
제4결합공(223)은 좌우 방향으로 관통형성되는 구멍으로서, 내부케이스(200), 후술할 입구벽(630) 및 후술할 설치벽 간의 체결을 위하여 내부케이스(200)의 좌측벽 상부에 두 개가 상하로 이격형성된다.
내부케이스(200)의 상측벽 후방 좌측부에는 제1제빙수유입홀(214)이 형성된다.
제1제빙수유입홀(214)은 내부케이스(200)의 상측벽에 상하 방향으로 관통형성되어 급수탱크(미도시)에서 공급되는 제빙수를 후술할 제빙기(700)로 유입될 수 있게 하는 역할을 한다.
내부케이스(200)의 좌측벽에는 하니스하우징설치홀(224)이 형성된다.
하니스하우징설치홀(224)은 하니스하우징(205)이 장착되는 구멍으로서, 제4결합공(223)의 후방측에 형성된다.
한편, 구획벽(600)의 전방부에는 입구벽(630)이 결합된다.
입구벽(630)은 제빙실(60)의 입구 부분을 이루는 구성으로서, 전체적으로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고, 중앙부에 전후 방향으로 관통된 제2개구부(6301)가 형성되어 있다.
입구벽(630)은 외부구획벽(610)의 제1전판(614)과 내부구획벽(620)의 제2전판(626) 사이에 결합된다.
입구벽(630)은 둘레판(631), 둘레판(631)의 전단에 형성되는 전방테두리판(632), 둘레판(631)의 후단에 형성되는 후방테두리판(633)을 포함한다.
둘레판(631)는 전체적으로 전후 방향으로 관통된 직육면체 박스 형상으로 형성된다.
둘레판(631)은 전방측 둘레면이 외측으로 돌출된 형태로 단차지게 형성되어 있다.
둘레판(631)의 상부벽 상면에는 전방테두리판(632)의 후면과 후방테두리판(633)의 전면을 연결하는 제1연결판(6311)이 일체로 형성되고, 제1연결판(6311)의 상단에는 전방테두리판(632)의 상단과 후방테두리판(633)의 상단을 연결하는 제2연결판(6312)이 일체로 형성된다.
제1연결판(6311)은 둘레판(631)의 상측부 상면에 수직방향으로 기립된 상태로 형성되고, 제2연결판(6312)은 제1연결판(6311)의 상단에서 우측으로 연장되는 형태로 형성된다.
제2연결판(6312)은 둘레판(631)의 상측부와 상하 방향으로 이격되어 있다.
제2연결판(6312)의 상면 전단부에는 제1끼움편(6313)이 형성되고, 둘레판(631)의 좌측 외면 전단부에는 제2끼움편(6314)이 형성된다.
제1끼움편(6313)은 구획벽(600)의 제1전판(614) 상단에 형성된 제1끼움공(6143)에 끼움결합되고, 제2끼움편(6314)은 구획벽(600)의 제1전판(614) 좌측단에 형성된 제1끼움공(6143)에 끼움결합됨으로써 입구벽(630)이 제1전판(614)과 제2전판(626) 사이의 이격된 공간에 배치된 채 구획벽(600)에 고정장착된다.
제2연결판(6312)의 상면 중앙부에는 제3끼움편(6315)이 형성된다.
제3끼움편(6315)은 후술할 설치벽(640)에 형성된 제2끼움공(6421)이 끼워져 결합되는 구성이다.
제2연결판(6312)의 상면에는 제8체결부(6316)가 형성되고, 둘레판(631)의 좌측부 좌측면에는 제9체결부(6317)가 형성된다.
제8체결부(6316)는 제2연결판(6312)의 상면에 한 개가 형성되고, 후술할 설치벽(640)의 제6삽입공(6422)에 하측에서 상측으로 삽입되어 내부케이스(200)를 통한 체결부재가 체결되는 구성이다.
제9체결부(6317)는 둘레판(631)의 좌측부 좌측면에서 우측면으로 돌출되어 두 개가 상하 방향으로 이격되도록 형성되고, 후술할 설치벽(640)의 제12삽입공(6435)에 우측에서 좌측으로 삽입되어 내부케이스(200)를 통한 체결부재가 체결되는 구성이다.
제2연결판(6312)의 중앙 좌측부에는 제4체결공(6318)이 형성된다.
제4체결공(6318)은 제3끼움편(6315)의 좌측에 나란히 형성되어 후술할 설치벽(640)을 통한 체결부재가 내주면에 체결되는 구성이다.
둘레판(631)의 하측부 하면에는 하측으로 돌출된 얼음안내부(6319)가 형성된다.
얼음안내부(6319)의 하단부는 제1하판(611)의 경사판(6111)과 동일한 경사를 가지도록 형성된다.
얼음안내부(6319)는 내부가 상하 방향으로 관통형성되어 상단부가 제2개구부(6301)와 연통되고, 하단부가 얼음토출구(6113)와 연통된다.
얼음안내부(6319)는 입구벽(630)이 구획벽(600)에 결합될 경우 하단부가 구획벽(600)의 얼음토출구(6113)에 삽입된다.
둘레판(631)의 전단에는 전방테두리판(632)이 일체로 형성된다.
전방테두리판(632)은 둘레판(631)의 전단에서 둘레판(631)의 전단 둘레를 따라 외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전방테두리판(632)은 둘레판(631)에 대해 외측으로 절곡된 형태로 형성된다.
전방테두리판(632)의 전면에는 자석수용홈(6321)이 형성된다.
자석수용홈(6321)은 전방테두리판(632)의 전면에서 후방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홈으로서, 내부에 자석이 구비된다.
입구벽(630)이 구획벽(600)에 결합될 경우 전방테두리판(632)은 자석수용홈(6321)에 자석(미도시)을 구비한 채 구획벽(600)의 제1전판(614) 후면에 밀착되어 고정된다.
자석수용홈(6321)에 구비된 자석은 후술할 얼음저장용 버킷(800)의 제빙실도어(810)에 구비된 자석과의 인력에 의해 제1전판(614)에 후술할 얼음저장용 버킷(800)의 제빙실도어(810)가 쉽게 부착되도록 해준다.
둘레판(631)의 후단에는 후방테두리판(633)이 일체로 형성된다.
후방테두리판(633)은 둘레판(631)의 후단에서 둘레판(631)의 후단 둘레를 따라 외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후방테두리판(633)은 둘레판(631)에 대해 외측으로 절곡된 형태로 형성된다.
전방테두리판(632)과 후방테두리판(633)의 사이에는 단열재삽입공간(6302)이 형성된다.
단열재삽입공간(6302)은 입구벽(630)이 후술할 설치벽(640)과 결합되기 전에 제빙실(60) 전방측의 단열을 위한 입구벽단열재(634)가 삽입되는 공간으로서, 둘레판(631)의 외주면을 따라 형성된다.
입구벽단열재(634)는 둘레판(631)의 외주면 전체를 덮도록 단열재삽입공간(6302)에 삽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입구벽(630)의 제1끼움편(6313)이 구획벽(600)의 제1끼움공(6143)에 끼워져 입구벽(630)이 구획벽(600)에 고정되면, 전방테두리판(632)의 전면과 후방테두리판(633)의 후면은 각각 제1전판(614)의 후면과 제2전판(626)의 전면에 각각 밀착된 채 고정된다.
한편, 서로 결합된 구획벽(600) 및 입구벽(630)에는 설치벽(640)이 결합된다.
설치벽(640)은 각종 구동부와 연결되는 하니스의 설치, 얼음저장용 버킷(800)의 인출과 인입에 대한 가이드 및 제빙기(700)의 설치를 위한 구성으로서, 구획벽(600)에 결합된 채 내부케이스(200)의 상측벽 내면 및 좌측벽 내면에 체결되어 결합된다.
설치벽(640)은 정면에서 볼 때 “ㄱ”형상이 반시계방향으로 90도 회전한 형태이고, 배면에서 볼 때 “ㄱ”형상으로 형성된다.
설치벽(640)의 일측은 구획벽(600)의 일측과 입구벽(630)의 일측을 덮고, 설치벽(640)의 타측은 구획벽(600)의 타측과 입구벽(630)의 타측을 덮도록 배치된다.
설치벽(640)은 내부케이스(200)의 상측벽 내면에 결합되는 상부설치판(641) 및 상부설치판(641)의 좌측단에서 하측으로 연장형성되는 측부설치판(643)을 포함한다.
상부설치판(641)은 전후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판으로서, 구획벽(600)의 제1결합판(613)을 덮는 동시에 입구벽(630)의 상부를 덮는 형태로 설치된다.
이때, 구획벽(600)의 제1오목부(6131)는 상부설치판(641)에 의해 덮이지 않는다.
상부설치판(641)의 전방측 우측단에는 우측으로 돌출된 돌출판(642)이 일체로 형성된다.
돌출판(642)의 중앙에는 상하 방향으로 관통된 사각형상의 제2끼움공(6421)이 형성되고, 제2끼움공(6421)의 전방 좌측에는 제6삽입공(6422)이 형성된다.
제2끼움공(6421)은 구획벽(600)에 결합된 입구벽(630)의 제3끼움편(6315)이 끼워지는 구성으로서, 구획벽(600) 및 입구벽(630)에 설치벽(640)을 체결하기 전에 설치벽(640)의 체결위치를 정확하게 설정해주는 역할을 한다.
제6삽입공(6422)은 내부케이스(200)의 제3결합공(213)과 연통되고, 입구벽(630)의 제8체결부(6316)가 하측에서 상측으로 삽입되는 구성으로서, 제3결합공(213) 및 제6삽입공(6422)을 통해 삽입되는 체결부재가 제6삽입공(6422)에 삽입된 제8체결부(6316)에 체결됨으로써 내부케이스(200), 입구벽(630) 및 설치벽(640)의 각 상부가 서로 체결되어 고정된다.
상부설치판(641)에는 제7삽입공(6411) 및 제8삽입공(6412)이 형성된다.
제7삽입공(6411)은 구획벽(600)의 삽입돌기(6133)에 대응하도록 상부설치판(641)의 우측단부에 전후 방향으로 세 개가 서로 이격형성된다.
제7삽입공(6411)은 구획벽(600)의 삽입돌기(6133)가 하측에서 상측으로 삽입되는 구성으로서, 제2끼움공(6421)과 마찬가지의 역할을 한다.
제8삽입공(6412)은 상부설치판(641)의 우측단부에 전후 방향으로 네 개가 서로 이격형성된다.
네 개의 제8삽입공(6412) 중 가장 전방에 위치하는 제8삽입공(6412)은 입구벽(630)의 제4체결공(6318)에 연통되고, 설치벽(640)의 상부는 제8삽입공(6412)을 통해 삽입되는 체결부재가 제4체결공(6318)의 내주면에 체결됨으로써 입구벽(630)의 상부에 고정된다.
또한, 네 개의 제8삽입공(6412) 중 가장 전방에 위치하는 제8삽입공(6412)을 제외한 나머지 제8삽입공(6412)은 각각 제5체결부(6221)가 삽입된 제4삽입공(6134)에 연통되고, 설치벽(640)의 상부는 제8삽입공(6412) 및 제4삽입공(6134)을 통해 삽입되는 체결부재가 제5체결부(6221)에 체결됨으로써 구획벽(600)의 상부에 체결되어 고정된다.
상부설치판(641)의 후방 좌측부에는 제2제빙수유입홀(6413)이 형성된다.
제2제빙수유입홀(6413)은 제1제빙수유입홀(214)과 연통되도록 상부설치판(641)에 상하 방향으로 관통형성되어 급수탱크(미도시)에서 공급되는 제빙수를 후술할 제빙기(700)로 유입될 수 있게 하는 역할을 한다.
상부설치판(641)의 전방측에는 제빙기장착홈(6414)이 형성된다.
제빙기장착홈(6414)은 제빙실(60)에 후술할 제빙기(700)의 설치 시 제빙기(700)에 형성된 탄성편(713)이 끼워져 장착되는 구성이다.
상부설치판(641)의 좌측단에는 측부설치판(643)이 일체로 형성된다.
측부설치판(643)은 전후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판으로서, 상부설치판(641)의 좌측단에서 하측으로 연장형성된다.
측부설치판(643)은 구획벽(600)의 제2결합판(624)을 덮는 동시에 입구벽(630)의 좌측부를 덮는 형태로 설치된다.
이때, 측부설치판(643)은 구획벽(600)의 제2오목부(6241)를 포함하여 제2결합판(624) 전체를 덮도록 배치된다.
측부설치판(643)의 하단부에는 개재부(6431)가 형성된다.
개재부(6431)는 제2비드부(220)와 제2오목부(6241)의 형합 시 제2비드부(220)와 제2오목부(6241) 사이에 개재되는 구성으로서, 좌측면으로 볼 때 오목하게 형성되고, 우측면으로 볼 때 볼록하게 형성되어 좌측면이 제2비드부(220)에 형합되는 동시에 우측면이 제2오목부(6241)에 형합된다.
개재부(6431)에는 내부케이스(200)의 제2주입구(220a)와 동일한 형상의 개재홀(6431a)이 형성되고, 개재홀(6431a)은 제2주입구(220a)와 대응되도록 전후 방향으로 두 개가 이격형성된다.
개재부(6431)에는 제9삽입공(6432) 및 제10삽입공(6433)이 형성된다.
제9삽입공(6432)은 좌우 방향으로 관통된 구멍으로서, 제5삽입공(6243)의 좌측에 위치하여 제5삽입공(6243)에 연통되고, 구획벽(600)의 제1체결부(6116) 및 제5삽입공(6243)에 대응하도록 개재부(6431)에 전후 방향으로 세 개가 서로 이격형성된다.
제9삽입공(6432)에는 체결부재가 삽입되고, 삽입된 체결부재는 제5삽입공(6243)을 통해 제1체결부(6116)에 체결됨으로써 구획벽(600) 및 설치벽(640)의 각 하단부가 서로 체결되어 고정된다.
제10삽입공(6433)은 좌우 방향으로 관통된 구멍으로서, 제7체결부(6242)에 대응하도록 개재부(6431)에 전후 방향으로 네 개가 서로 이격형성된다.
제10삽입공(6433)에는 구획벽(600)의 제7체결부(6242)가 삽입되고, 내부케이스(200)의 제2결합공(222)에 삽입된 체결부재가 제10삽입공(6433)을 통해 제7체결부(6242)에 체결됨으로써 내부케이스(200), 구획벽(600) 및 설치벽(640)의 각 하단부가 서로 체결되어 고정된다.
측부설치판(643)의 전단부 하단에는 제11삽입공(6434)이 형성된다.
제11삽입공(6434)은 좌우 방향으로 관통된 구멍으로서, 체결부재가 삽입되어 구획벽(600)의 제1전판(614)에 형성된 체결편(6144)에 체결됨으로써 구획벽(600) 및 설치벽(640)의 각 하단부가 서로 체결되어 고정된다.
측부설치판(643)에는 제11삽입공(6434)의 상부 후방측에 배치되도록 제12삽입공(6435)이 형성된다.
제12삽입공(6435)은 좌우 방향으로 관통된 구멍으로서, 내부케이스(200)의 제4결합공(223) 및 입구벽(630)의 제9체결부(6317)에 대응하도록 측부설치판(643)의 전방측에 상하 방향으로 두 개가 서로 이격형성된다.
제12삽입공(6435)에는 입구벽(630)의 제9체결부(6317)가 삽입되고, 내부케이스(200)의 제4결합공(223)에 삽입된 체결부재가 제12삽입공(6435)을 통해 제9체결부(6317)에 체결됨으로써 내부케이스(200), 입구벽(630) 및 설치벽(640)의 각 좌측 전단부가 서로 체결되어 고정된다.
측부설치판(643)의 상측 중앙부에는 제2제빙기지지부(미도시)가 형성된다.
제2제빙기지지부(미도시)는 후술할 제빙기(700)의 타측을 지지하는 구성으로서, 측부설치판(643)의 우측면에서 우측으로 돌출형성되고, 전후 방향으로 두 개가 이격형성된다.
측부설치판(643)의 중앙부에는 하니스설치홀(6437)이 형성된다.
하니스설치홀(6437)은 전기적으로 연결이 필요한 제빙실(60) 내 각 구성들의 하니스를 설치하기 위한 구멍이다.
하니스설치홀(6437)에는 하니스커버(644)가 마련된다.
하니스커버(644)는 하니스설치홀(6437)을 마감하는 동시에 제빙실(60)에 대해 인출 및 인입되는 얼음저장용 버킷(800)의 전후 슬라이딩이동을 가이드하는 역할을 한다.
하니스커버(644)는 일측이 하니스설치홀(6437) 후방의 측부설치판(643) 좌측면에 걸려 지지되고, 타측이 하니스설치홀(6437) 전방의 측부설치판(643) 우측면에 체결됨으로써 설치벽(640)에 고정된다.
한편, 설치벽(640)은 구획벽(600) 및 입구벽(630)과 서로 결합된 채 내부케이스(200)에 결합됨으로써 제빙실(60)을 형성하는데, 서로 결합된 구획벽(600), 입구벽(630) 및 설치벽(640)은 내부케이스(200)에 결합되기 전 제3실링부재(650)가 마련되어 내부케이스(200)에 결합될 수 있다.
제3실링부재(650)는 설치벽(640)의 상면, 구획벽(600)의 상면, 구획벽(600)의 후면, 설치벽(640)의 좌측면에 걸쳐 배치되도록 마련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3실링부재(650)는 상부설치판(641)의 상면 전방 좌측단에서 상부설치판(641)의 상면 전방 우측부까지 길게 연장되고, 상부설치판(641)의 상면 전방 우측부에서 제1오목부(6131)의 상면 후단까지 길게 연장되며, 제1오목부(6131)의 상면 후단에서 제1후판(615)의 후면 우측부 하단까지 길게 연장되고, 제1후판(615)의 후면 우측부 하단에서 제1후판(615)의 후면 좌측단까지 길게 연장되며, 제1후판(615)의 후면 좌측단에서 개재부(6431)의 좌측면을 거쳐 측부설치판(643)의 좌측면 전방부까지 길게 연장되고, 측부설치판(643)의 좌측면 전방부에서 상부설치판(641)의 상면 전방 좌측단까지 길게 연장되도록 배치된 채 설치벽(640) 및 구획벽(600)에 접착된다.
이때, 제3실링부재(650)는 제1오목부(6131)에 형성된 제1돌출부(6136)가 제3실링부재(650)에 끼워질 수 있도록 구멍을 구비함으로써, 제3실링부재(650)에 제1돌출부(6136)가 끼워져 제3실링부재(650)가 제1돌출부(6136)를 둘러쌀 수 있다.
또한, 제3실링부재(650)는 개재홀(6431a)을 관통한 제2돌출부(6244)가 제3실링부재(650)에 끼워질 수 있도록 구멍을 구비함으로써, 제3실링부재(650)에 제2돌출부(6244)가 끼워져 제3실링부재(650)가 제2돌출부(6244)를 둘러쌀 수 있다.
제3실링부재(650)는 스펀지로 제작되어 구획벽(600) 및 설치벽(640)에 접착된 상태로 마련될 수 있다.
제3실링부재(650)는 구획벽(600)과 내부케이스(200) 사이 및 설치벽(640)과 내부케이스(200) 사이에 개재된 상태로 배치되어, 내부케이스(200)의 상측벽 내면, 후측벽 내면 및 좌측벽 내면에 밀착됨으로써 서로 결합된 구획벽(600) 및 설치벽(640)과 내부케이스(200) 간의 마주하는 이음부를 실링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제3실링부재(650)는 제1돌출부(6136)와 제2돌출부(6244)를 둘러싼 채 구획벽(600)과 내부케이스(200) 사이 및 설치벽(640)과 내부케이스(200) 사이에 개재된 상태로 배치되어 실링이 이루어지므로, 본체(10)의 외부로부터 공간부(102)로 주입된 후 제1돌출부(6136)의 제1관통공(6136a)과 제2돌출부(6244)의 제2관통공(6244a)을 통해 단열재수용공간(601)에 주입되는 단열재(110)가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내부케이스(200), 외부구획벽(610), 내부구획벽(620), 입구벽(630) 및 설치벽(640)을 조립하여 제빙실을 제조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먼저, 도 35에 도시된 상태를 시작으로 도 3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구획벽(610) 및 내부구획벽(620)을 서로 가고정시켜서 구획벽(600)을 마련한다.
이때, 구획벽단열재(602), 제1실링부재(618) 및 제2실링부재(619)는 외부구획벽(610)과 내부구획벽(620)의 가고정 전 외부구획벽(610)에 미리 접착되어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후, 외부구획벽(610)의 제1끼움홈(6123)에는 내부구획벽(620)의 제1끼움부(623)가 끼워지고, 외부구획벽(610)의 제2끼움홈(6118)에는 내부구획벽(620)의 제2끼움부(625)가 끼워지며, 외부구획벽(610)의 제4삽입공(6134)에는 내부구획벽(620)의 제5체결부(6221)가 끼워지고, 외부구획벽(610)의 제1체결부(6116)의 좌측면에는 내부구획벽(620)의 제5삽입공(6243)의 우측부가 밀착되어 외부구획벽(610) 및 내부구획벽(620)이 서로 가고정된 상태로 구획벽(600)이 형성된다.
다음, 도 37 및 도 3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구벽(630)에 입구벽단열재(634)가 마련되고, 서로 가고정된 외부구획벽(610) 및 내부구획벽(620)에 입구벽단열재(634)가 마련된 입구벽(630)을 가고정시킨다.
이때, 입구벽(630)에 형성된 단열재삽입공간(6302)에는 입구벽(630)의 외주면을 따라 입구벽단열재(634)가 삽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후, 외부구획벽(610)의 제1전판(614) 상측에 형성된 제1끼움공(6143)에는 입구벽(630)의 제1끼움편(6313)이 끼워지고, 외부구획벽(610)의 제1전판(614) 좌측에 형성된 제1끼움공(6143)에는 입구벽(630)의 제2끼움편(6314)이 끼워져 구획벽(600)의 전방측에 입구벽(630)이 가고정되는 것이다.
다음, 도 3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가고정된 외부구획벽(610), 내부구획벽(620) 및 입구벽(630)에 설치벽(640)을 가고정시킨다.
이때, 외부구획벽(610)의 삽입돌기(6133)에는 설치벽(640)의 제7삽입공(6411)이 끼워지고, 내부구획벽(620)의 제7체결부(6242)에는 설치벽(640)의 제10삽입공(6433)이 끼워지며, 입구벽(630)의 제8체결부(6316)에는 설치벽(640)의 제6삽입공(6422)이 끼워지고, 입구벽(630)의 제3끼움편(6315)에는 설치벽(640)의 제2끼움공(6421)이 끼워지며, 입구벽(630)의 제9체결부(6317)에는 설치벽(640)의 제12삽입공(6435)이 끼워져 서로 가고정된 외부구획벽(610), 내부구획벽(620) 및 입구벽(630)에 설치벽(640)이 가고정된다.
다음, 도 39에 도시된 상태로 서로 가고정된 외부구획벽(610), 내부구획벽(620), 입구벽(630) 및 설치벽(640)을 체결부재로 체결하여 고정시킨다.
이때, 설치벽(640)의 제9삽입공(6432)에는 체결부재가 삽입되어 내부구획벽(620)의 제5삽입공(6243)을 통해 외부구획벽(610)의 제1체결부(6116)에 체결되고, 설치벽(640)의 제8삽입공(6412)에는 체결부재가 삽입되어 외부구획벽(610)의 제4삽입공(6134)에 삽입된 내부구획벽(620)의 제5체결부(6221) 및 입구벽(630)의 제4체결공(6318)에 체결되며, 설치벽(640)의 제11삽입공(6434)에는 체결부재가 삽입되어 외부구획벽(610)의 체결편(6144)에 체결됨으로써 서로 가고정된 외부구획벽(610), 내부구획벽(620), 입구벽(630) 및 설치벽(640)이 서로 고정되는 것이다.
이렇게 서로 고정되는 외부구획벽(610), 내부구획벽(620), 입구벽(630) 및 설치벽(640)은 전체적으로 전후 방향으로 개방된 직육면체 형상으로 구비된다.
다음, 도 4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의 내부케이스(200)의 제1비드부(210)에 구획벽(600)의 제1오목부(6131)를 형합 배치시키고, 내부케이스(200)의 제1비드부(210)에 설치벽(640)의 개재부(6431) 및 구획벽(600)의 제2오목부(6241)를 형합 배치시켜 정확한 조립위치를 설정한 후 서로 고정된 외부구획벽(610), 내부구획벽(620), 입구벽(630) 및 설치벽(640)을 내부케이스(200)에 체결부재로 체결하여 고정시킨다.
이때, 내부케이스(200)와 구획벽(600) 사이 및 내부케이스(200)와 설치벽(640) 사이에는 제3실링부재(650)가 개재된 상태인 것이 바람직하며, 내부케이스(200)의 제1결합공(212)에는 체결부재가 삽입되어 외부구획벽(610)의 제3체결공(6135)에 체결되고, 내부케이스(200)의 제2결합공(222)에는 체결부재가 삽입되어 설치벽(640)의 제10삽입공(6433)을 통해 내부구획벽(620)의 제7체결부(6242)에 체결되며, 내부케이스(200)의 내부케이스(200)의 제3결합공(213)에는 체결부재가 삽입되어 설치벽(640)의 제6삽입공(6422)을 통해 입구벽(630)의 제8체결부(6316)에 체결되고, 내부케이스(200)의 제4결합공(223)에는 체결부재가 삽입되어 설치벽(640)의 제12삽입공(6435)을 통해 입구벽(630)의 제9체결부(6317)에 체결됨으로써 서로 고정된 외부구획벽(610), 내부구획벽(620), 입구벽(630) 및 설치벽(640)이 내부케이스(200)에 체결되어 고정되는 것이다.
또한, 앞서 말한 바와 같이 제1비드부(210)와 제1오목부(6131)는 서로 형합된 상태로 내부케이스(200)에 고정되고, 제2비드부(220)와 제2오목부(6241)는 서로 형합된 상태로 내부케이스(200)에 고정되며, 개재부(6431)는 제2비드부(220)와 제2오목부(6241) 사이에 개재되어 제2비드부(220)와 제2오목부(6241)에 형합된 상태로 내부케이스(200)에 고정된다.
다음, 도 41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열재(110)가 외부케이스(100)와 내부케이스(200) 사이의 공간부(102)에 주입된다.
이때, 단열재(110)는 본체(10)의 외부로부터 공급되어 공간부(102)로 주입되며, 공간부(102)에 주입된 단열재(110)는 공간부(102) 내에서 유동하게 된다.
다음, 도 41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간부(102) 내에서 유동하는 단열재(110)가 제1주입구(210a) 및 제1관통공(6136a)을 통해 구획벽(600)의 단열재수용공간(601)으로 주입되고, 제2주입구(220a) 및 제2관통공(6244a)을 통해 구획벽(600)의 단열재수용공간(601)으로 주입된다.
다음, 단열재(110)에 대한 일체발포공정이 실시되어 단열재(110)가 팽창하여 굳게 된다.
이때, 단열재(110)는 공간부(102)와 단열재수용공간(601)에 걸쳐서 일체로 발포되어 본체(10)와 구획벽(600)을 일체와 같이 고정시키는 역할을 하고, 단열재(110)의 일체발포 후 구획벽(600)은 본체(10)에서 분리 불가능한 상태가 된다.
이상과 같은 과정을 통해 구획벽(600), 입구벽(630) 및 설치벽(640)은 체결부재에 의해 내부케이스(200)에 체결되어 고정설치되고, 이렇게 내부케이스(200)에 고정설치된 구획벽(600), 입구벽(630) 및 설치벽(640)은 내부케이스(200)의 상부 좌측 구석에 냉장실(11)과 별도의 단열공간으로 구획되는 제빙실(60)을 형성한다.
한편, 도 41 및 도 4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케이스(100)와 내부케이스(200)의 사이 및 구획벽(600) 내부의 적어도 일부분에는 단열재(110)가 주입되어 일체 발포된다.
단열재(110)는 본체(10)의 외부로부터 본체(10)의 공간부(102), 즉, 외부케이스(100)와 내부케이스(200) 사이의 공간부(102)에 주입되고, 공간부(102)에 주입된 단열재(110)는 공간부(102)를 유동하다가 구획벽(600) 내부의 단열재수용공간(601)의 적어도 일부분에 주입되며, 이후 공간부(102)와 단열재수용공간(601)에 주입된 단열재(110)는 일체 발포되는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구획벽(600)은 전술한 바와 같이, 제1비드부(210)와 제2비드부(220)에 각각 제1오목부(6131)와 제2오목부(6241)가 형합되도록 체결부재에 의해 내부케이스(200)에 조립된다.
이때, 제1돌출부(6136)와 제2돌출부(6244)는 각각 제1주입구(210a)와 제2주입구(220a)에 삽입된 상태가 된다.
이러한 상태로, 본체(10)의 공간부(102)에는 내부케이스(200)의 내부(제빙실, 냉장실, 냉동실 및 특화실) 및 외부케이스(100)의 외부(본체의 외부) 간의 단열을 위해 우레탄 등과 같은 액상 발포액인 단열재(110)가 본체(10)의 외부로부터 주입된다.
이렇게 본체(10)의 공간부(102)에 주입된 단열재(110)는 공간부(102)를 따라 유동하다가 제1주입구(210a)와 제1관통공(6136a)을 통해 제1측판(612)과 제2측판(622) 사이의 단열재수용공간(601)에 주입되고, 더불어 제2주입구(220a)와 제2관통공(6244a)을 통해 제1하판(611)과 제2하판(621) 사이의 단열재수용공간(601)으로도 주입됨으로써 구획벽(600)의 단열재수용공간(601)의 적어도 일부분에 단열재(110)가 주입되어진다.
이러한 상태에서 단열재(110)는 일체 발포되어 팽창함으로써 외부케이스(100)와 내부케이스(200)의 사이 공간부(102)에서부터 구획벽(600)의 단열재수용공간(601)의 적어도 일부분까지 일체로 굳어져 채워지게 되고, 이로 인해 구획벽(600)은 본체(10)와 분리 불가능한 일체형인 상태가 되어 제빙실(60)이 냉장실(11)과 별도의 단열공간으로 구획되는 것이다.
한편, 도 41을 참조하면, 구획벽(600)의 단열재수용공간(601) 일부분에는 단열재(110)가 주입되기 전에 구획벽단열재(602)가 미리 삽입될 수 있는데, 이때, 구획벽단열재(602)는 외부구획벽(610)과 내부구획벽(620)의 결합 전에 미리 삽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획벽단열재(602)는 단열재수용공간(601)에서 단열재(110)가 주입될 일정 공간을 비워둔 채 삽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구획벽단열재(602)는 단열재수용공간(601) 중 구획벽(600)의 하부 우측 구석측을 포함하여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41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케이스(200)에 구획벽(600)이 체결되기 전, 구획벽(600)에는 단열재수용공간(601) 중 제1측판(612)과 제2측판(622) 사이 상단부 일부분이 비워진 상태로 제1관통공(6136a)과 연통하는 제1공백영역(601a)이 마련되고, 단열재수용공간(601) 중 제1하판(611)과 제2하판(621) 사이 좌측단부 일부분이 비워진 상태로 제2관통공(6244a)과 연통하는 제2공백영역(601b)이 마련되도록 구획벽단열재(602)가 미리 단열재수용공간(601)에 삽입된다.
즉, 구획벽(600)에는 단열재수용공간(601)에서 구획벽단열재(602)가 존재하지 않는 공간인 제1공백영역(601a)과 제2공백영역(601b)이 마련되는 것이다.
이후, 도 41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획벽(600)은 내부에 구획벽단열재(602)를 구비한 채 내부케이스(200)에 체결되고, 구획벽(600)이 내부케이스(200)에 체결된 상태에서 본체(10의 공간부(102)에는 본체(10)의 외부로부터 단열재(110)가 주입되며, 공간부(102)에 주입된 단열재(110)는 공간부(102)를 유동한다.
이후, 도 41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공백영역(601a)에는 본체(10)의 공간부(102)에 주입된 단열재(110)가 공간부(102)를 유동하다가 제1주입구(210a)에 삽입된 제1돌출부(6136)의 제1관통공(6136a)을 통해 주입되고, 도 41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공백영역(601b)에는 본체(10)의 공간부(102)에 주입된 단열재(110)가 공간부(102)를 유동하다가 제2주입구(220a)에 삽입된 제2돌출부(6244)의 제2관통공(6244a)을 통해 주입된다.
이후, 공간부(102), 제1공백영역(601a) 및 제2공백영역(601b)에 주입된 단열재(110)는 일체 발포됨으로써 단열재수용공간(601)에 구획벽단열재(602)가 마련됨과 더불어 단열재(110)가 공간부(102)와 단열재수용공간(601)에 걸쳐 일체마련되는 것이다.
한편, 도 42를 참조하면, 구획벽(600)의 단열재수용공간(601)은 미리 삽입되는 구획벽단열재(602) 없이 본체(10)의 외부로부터 공간부(102)로 주입되는 단열재(110)로만 전부 채워질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42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획벽(600)은 내부케이스(200)에 체결되기 전에 단열재수용공간(601)이 모두 비워져 있는 상태이다.
즉, 단열재수용공간(601)은 구획벽단열재(602)가 존재하지 않는 빈 공간인 상태인 것이다.
이후, 도 42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획벽(600)은 내부케이스(200)에 체결되고, 이러한 상태에서 본체(10)의 공간부(102)에는 본체(10)의 외부로부터 단열재(110)가 주입되어 유동한다.
이후, 도 42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열재수용공간(601)에는 본체(10)의 공간부(102)에 주입된 단열재(110)가 공간부(102)를 유동하다가 제1주입구(210a)에 삽입된 제1돌출부(6136)의 제1관통공(6136a)을 통해 주입되고, 제2주입구(220a)에 삽입된 제2돌출부(6244)의 제2관통공(6244a)을 통해 주입되어 단열재수용공간(601)이 단열재(110)로 채워지게 된다.
이때, 단열재수용공간(601)에 주입되는 단열재(110)는 이후에 발포됨을 감안하여 발포 후 팽창된 단열재(110)가 단열재수용공간(601)을 모두 채울 수 있을 정도로만 적정량 주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후, 공간부(102)와 단열재수용공간(601)에 주입된 단열재(110)는 일체 발포됨으로써 단열재(110)가 공간부(102)와 단열재수용공간(601)의 전체에 일체마련되는 것이다.
한편, 저장실의 내부에는 선반(230, 240, 250)이 마련된다.
도 43 내지 도 47을 참조하면, 선반(230, 240, 250)은 저장실 중 냉장실(11)에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냉장실(11)의 내부에 복수 개가 마련될 수 있다.
본체(10)의 내부 후면 좌측부, 중앙부 및 우측부, 즉, 내부케이스(200)의 후측벽 내면 좌측부, 중앙부 및 우측부에는 각각 좌측브라켓홀더(202), 중앙브라켓홀더(203) 및 우측브라켓홀더(204)가 고정설치된다.
선반(230, 240, 250)은 일측과 타측이 각각 본체(10)에 장착되어 냉장실(11)의 좌측에 마련되는 좌측선반(230), 일측과 타측이 각각 본체(10)에 장착되어 냉장실(11)의 우측에 마련되는 우측선반(240) 및 일측과 타측이 각각 구획벽(600)과 본체(10)에 장착되는 제빙실측 선반(250)을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좌측선반(230)은 일측이 좌측브라켓홀더(202)에 장착되고, 중앙브라켓홀더(203)에 장착되어 본체(10)의 내부인 냉장실(11)의 좌측에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우측선반(240)은 일측이 우측브라켓홀더(204) 장착되고, 중앙브라켓홀더(203)에 장착되어 본체(10)의 내부인 냉장실(11)의 우측에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제빙실측 선반(250)은 일측이 구획벽(600)의 우측면에 설치된 선반지지편(617)에 장착되고, 타측이 중앙브라켓홀더(203)에 장착되어 본체(10)의 내부인 냉장실(11)의 좌측에 마련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제빙실측 선반(250)의 장착 및 거치 구조에 대해 자세히 설명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빙실측 선반(250)은 좌측단부에 제1행거브라켓(251)이 구비되고, 우측단부에 제2행거브라켓(252)이 구비된다.
제1행거브라켓(251)은 전후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제빙실측 선반(250)의 좌측단부에 결합되는 일자형 프레임으로 이루어지고, 제2행거브라켓(252)은 하단면이 전단에서 후단으로 갈수록 하측으로 경사진 경사부(252a)로 형성되어 상하폭이 점점 증가하는 형태의 경사형 프레임으로 이루어진다.
제1행거브라켓(251)의 하단부 전방측과 후방측에는 각각 지지홈(251a)이 형성되고, 각각의 지지홈(251a)은 구획벽(600)의 우측 외면 전방측과 후방측에 각각 형성된 선반지지편(617)에 끼워짐으로써 제1행거브라켓(251)이 선반지지편(617)에 장착된다.
또한, 제2행거브라켓(252)의 후단은 중앙브라켓홀더(203)에 끼움결합되어 제2행거브라켓(252)이 중앙브라켓홀더(203)에 장착됨으로써 제빙실측 선반(250)이 내부케이스(200)에 고정되는 것이다.
사용자는 냉장실(11)을 넓게 사용하기 위해서나 제빙실측 선반(250)이 필요하지 않을 경우 제빙실측 선반(250)을 탈거시킬 수 있다.
선반지지편(617) 및 중앙브라켓홀더(203)에서 탈거된 제빙실측 선반(250)은 본체(10)의 외부에 별도로 보관할 필요없이 시계방향으로 90도 회전된 상태로 제빙실(60)을 형성하는 구획벽(600)의 하부에 끼워져 거치될 수 있다.
이때, 제빙실측 선반(250)은 제2행거브라켓(252)이 하측에 위치하도록 수직방향으로 기립한 상태이고, 제2행거브라켓(252)은 경사부(252a)가 좌측을 향하도록 뉘어진 채 배치된다.
기립된 제빙실측 선반(250)은 제2행거브라켓(252)을 선반거치대(616)와 구획벽(600) 사이의 유격공간(6162)에 삽입시킴으로써 구획벽(600)에 거치된다.
이때, 제2행거브라켓(252)은 뉘어진 상태에서 좌우 폭이 가장 큰 부분이 후방측을 향하도록 배치되어 우측에서 좌측 방향으로 유격공간(6162)에 삽입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유격공간(6162)에 삽입된 제2행거브라켓(252)은 제1단턱(6163)의 우측단 및 제2단턱(6164)의 우측단에 걸릴 때까지 삽입 가능하며, 삽입된 제2행거브라켓(252)은 유격공간(6162) 내부의 제1무턱부(6165) 및 제2무턱부(6166)에 의해 지지된다.
즉, 유격공간(6162)에 끼워진 제2행거브라켓은 제1단턱(6163)과 제2단턱(6164)에 의해 유격공간(6162)으로의 삽입깊이가 제한되는 것이다.
제2행거브라켓(252)이 유격공간(6162)에 삽입되어 거치되면 제빙실측 선반(250)은 수직방향으로 기립한 상태로 구획벽(600)의 우측 외면에 지지됨으로써 거치되는 동시에, 유격공간(6162)에 삽입된 제2행거브라켓(252)은 상부가 구획벽(600)의 하부 외면에 지지되고, 하부가 제1무턱부(6165) 및 제2무턱부(6166)에 지지되어 유격공간(6162)에서 이탈되지 않는다.
제빙실측 선반(250)을 구획벽(600)측에 거치하는 과정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선반지지편(617) 및 중앙브라켓홀더(203)에 장착된 제빙실측 선반(250)을 선반지지편(617) 및 중앙브라켓홀더(203)에서 탈거시킨다.
다음, 제빙실측 선반(250)을 시계방향으로 90도 회전시켜 수직방향으로 기립시킨 후 구획벽(600)의 우측에 배치시킨다.
다음, 제빙실측 선반(250)을 우측에서 좌측으로 이동시켜 제2행거브라켓(252)을 유격공간(6162)에 삽입시키고, 삽입된 제2행거브라켓(252)을 제1단턱(6163)의 우측단 및 제2단턱(6164)의 우측단까지 밀어넣음으로서 구획벽(600)에 대한 제빙실측 선반(250)의 거치가 완료된다.
한편, 제빙실(60)에는 제빙기(700)와 얼음저장용 버킷(800)이 마련된다.
도 24 내지 도 27, 도 48, 도 49 및 도 55를 참조하면, 제빙기(700)는 얼음을 생성하는 구성으로서, 제빙실(60)의 상부에 설치된다.
제빙기(700)는 상부하우징(710), 구동장치(720), 제빙용 몰드(730), 이젝터(740), 가이더(750), 이빙히터(미도시) 및 하부하우징(76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부하우징(710)은 제빙기(700)의 상부를 이루는 구성으로서, 좌측벽이 우측벽에 비해 하측으로 돌출되는 형태로 연장되어 있다.
상부하우징(710)의 우측벽 외면 상단에는 제1거치편(711)이 형성되고, 좌측벽 외면 하단에는 제2거치편(미도시)이 형성된다.
제1거치편(711)은 상부하우징(710)의 우측벽 외면 상단 전방측과 후방측에 각각 한 개씩 형성되어 내부구획벽(620)에 형성된 두 개의 제1제빙기지지부(6222)에 올려져 거치되고, 제2거치편(미도시)은 상부하우징(710)의 좌측벽 외면 하단 전방측과 후방측에 각각 한 개씩 형성되어 설치벽(640)에 형성된 두 개의 제2제빙기지지부(미도시)에 올려져 거치됨으로써 제빙기(700)가 제빙실(60)의 상부에 설치될 수 있다.
상부하우징(710)의 전단부에는 탄성편(713)이 형성된다.
탄성편(713)은 상부하우징(710)의 전단 중앙에 상측으로 돌출된 후크의 형태로 형성된다.
탄성편(713)은 제빙기(700)가 제빙실(60)에 설치될 때, 설치벽(640)의 제빙기장착홈(6414)에 끼워져 장착됨으로써 제빙기(700)가 제빙실(60) 내에 고정된다.
상부하우징(710)의 상부 후방측에는 제빙수안내부(714)가 형성된다.
제빙수안내부(714)는 내부케이스(200)의 제1제빙수유입홀(214) 및 설치벽(640)의 제2제빙수유입홀(6413) 하측에 배치되어 급수탱크(미도시)에서 공급된 제빙수를 제1제빙수유입홀(214) 및 제2제빙수유입홀(6413)을 통해 받아들인 후 제빙용 몰드(730)로 안내하는 구성이다.
제빙수안내부(714)의 내부 전면에는 제빙용 몰드(730)로 제빙수가 안내될 수 있도록 전후 관통된 제빙수안내홀(미도시)이 제빙용 몰드(730) 측과 연통되도록 형성되고, 제빙수안내부(714)의 내부 양측면과 바닥면은 제빙수가 제빙수안내홀(미도시)로 흐를 수 있도록 전방 중앙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다.
상부하우징(710)의 우측벽 전방부에는 좌우 방향으로 관통된 제3끼움공(716)이 형성되고, 상부하우징(710)의 좌측벽 전방부에는 제13삽입공(미도시)이 형성된다.
제3끼움공(716)과 제13삽입공(미도시)은 구동장치(720)를 상부하우징(710)에 고정시키기 위한 구성이다.
상부하우징(710)의 후방측 하부에는 제2후크(718)가 형성된다.
제2후크(718)는 제빙용 몰드(730)를 상부하우징(710)에 고정시키기 위한 구성이다.
상부하우징(710)의 전단부에는 구동장치(720)가 결합된다.
구동장치(720)는 우측 상부에 형성된 제4끼움편(721)이 상부하우징(710)의 제3끼움공(716)에 끼워지고, 상부하우징(710)의 제13삽입공(미도시)을 통해 삽입된 체결부재가 구동장치(720)의 좌측 상부에 형성된 제5체결공(미도시)에 체결되어 상부하우징(710)에 고정됨으로써 상부하우징(710)의 전단부 하부측에 결합된다.
구동장치(720)는 후술할 이젝터(740)의 구동 및 후술할 이빙히터(미도시)의 제어 등에 필요한 구성품들이 구비된 장치일 수 있다.
상부하우징(710)의 하부 및 구동장치(720)의 후방에는 제빙용 몰드(730)가 설치된다.
제빙용 몰드(730)는 급수탱크(미도시)로부터 제빙수안내부(714)를 통해 제빙수를 공급받아 소정 형상의 얼음으로 생성하는 구성으로서, 하측으로 오목한 공간을 갖는 복수 개의 단위 몰드(731)를 포함한다.
제빙용 몰드(730)는 전단부가 구동장치(720)의 하부에 체결부재로 체결되어 고정되고, 후단부에 형성된 제2후크삽입홀(732)에 상부하우징(710)의 제2후크(718)가 삽입되어 상부하우징(710)에 고정된다.
제빙용 몰드(730)의 좌우측벽 외면에는 각각 제5끼움편(733)이 형성된다.
제5끼움편(733)은 하부하우징(760)과의 결합을 위한 구성으로서, 좌측벽의 외면에 두 개가 형성되고, 우측벽의 외면에 한 개가 형성된다.
구동장치(720)와 제빙용 몰드(730)의 후단부 사이에는 이젝터(740)가 설치된다.
이젝터(740)는 제빙용 몰드(730)의 각 단위 몰드(731)에 생성된 얼음을 이빙시키는 구성으로서, 구동장치(720)를 통해 회전력을 전달받을 수 있도록 전단이 구동장치(720)에 결합되고, 후단이 제빙용 몰드(730)의 후단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이젝터(740)는 이젝터축(741) 및 이젝터축(741)에 형성되는 복수 개의 이젝터핀(742)을 포함한다.
이젝터축(741)은 제빙용 몰드(730)의 상부 중앙에 배치되도록 전후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구동장치(720)의 작동에 따라 회전하는 축으로서, 전단이 구동장치(72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후단이 제빙용 몰드(730)의 후측벽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이젝터축(741)에는 복수 개의 이젝터핀(742)이 형성된다.
이젝터핀(742)은 이젝터축(741)에서 돌출형성되고, 이젝터축(741)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 개가 서로 이격 형성된다.
각각의 이젝터핀(742)은 각각의 단위 몰드(731)에 대응하도록 배치된다.
이젝터핀(742)은 이젝터축(741)이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함께 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단위 몰드(731)에 생성된 얼음을 단위 몰드(731)에서 밀어내어 분리시키는 역할을 한다.
제빙용 몰드(730)의 우측부에는 가이더(750)가 설치된다.
가이더(750)는 우측벽 하부가 제빙용 몰드(730)의 우측벽 상단에 끼워짐으로써 제빙용 몰드(730)에 결합된다.
가이더(750)는 우측벽의 상단에서 좌측 상부로 경사지게 돌출된 경사안내부(751)를 포함하고, 경사안내부(751)는 가이더(750)의 우측벽 전후 방향을 따라 복수 개가 서로 이격 형성된다.
서로 가장 인접한 두 개의 경사안내부(751) 사이의 이격 간격은 단위 몰드(731)에 생성된 얼음의 전후 폭보다 작게 형성되어 서로 가장 인접한 두 개의 경사안내부(751) 사이로 얼음이 빠져 나갈 수 없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각각의 경사안내부(751)는 각각의 이젝터핀(742) 사이마다 배치되어 각각의 이젝터핀(742)과 겹치지 않게 서로 어긋나 있는데, 이러한 이유는 경사안내부(751)가 이젝터핀(742)의 회전동작을 방해하지 않게 하기 위함이다.
경사안내부(751)는 이젝터핀(742)의 시계 방향 회전에 의해 단위 몰드(731)에서 분리된 얼음을 제빙기(700)의 하부에 배치된 얼음저장용 버킷(800)의 버킷부(830)로 낙하시킬 수 있도록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제빙용 몰드(730)의 하부에는 이빙히터(미도시)가 마련될 수 있다.
이빙히터(미도시)는 제빙용 몰드(730)의 하면측 테두리를 따라 설치되어 제빙용 몰드(730)에 얼어 붙어 있는 얼음이 제빙용 몰드(730)에서 쉽게 분리될 수 있도록 제빙용 몰드(730)를 가열하는 역할을 한다.
제빙용 몰드(730)의 하부에는 하부하우징(760)이 결합된다.
하부하우징(760)은 제빙기(700)의 하부를 이루는 구성으로서, 좌우측벽 외면에 각각 제4끼움공(761)이 형성되어 있다.
제4끼움공(761)은 제빙용 몰드(730)에 형성된 제5끼움편(733)에 대응하도록 하부하우징(760)의 좌측벽 외면에 두 개가 형성되고, 우측벽 외면에 한 개가 형성된다.
제4끼움공(761)에는 제5끼움편(733)이 끼워져 제빙용 몰드(730)가 하부하우징(760)에 고정된다.
또한, 하부하우징(760)은 후단 우측부가 상부하우징(710)의 후단 우측부에 체결부재로 체결되어 상부하우징(710)에 고정된다.
하부하우징(760)의 후단에는 냉기유입덕트(762)가 형성된다.
냉기유입덕트(762)는 내부에 냉기유입유로(762a)가 마련되고, 후방측에서 전방측으로 갈수록 상하 폭이 점점 감소하는 형태로 형성되며, 이에 따라 냉기유입덕트(762)의 내부에 마련된 냉기유입유로(762a) 역시 후방측에서 전방측으로 갈수록 상하 폭이 점점 감소하는 형태로 형성된다.
이때, 냉기유입덕트(762)의 상부는 전방에서 후방측으로 갈수록 상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고, 냉기유입덕트(762)의 하부는 편평한 형태로 형성된다.
냉기유입덕트(762)는 후술할 냉기토출덕트(930)를 통해 토출되는 냉기를 내부의 냉기유입유로(762a)로 받아들여 하부하우징(760)의 냉기유로(764)에 전달하는 구성이다.
하부하우징(760)의 하측판 상면, 즉, 하부하우징(760)의 내부 바닥면에는 좌우 방향으로 이격된 두 개의 차단벽(763)이 상측으로 돌출형성되고, 양측 차단벽(763) 사이에는 냉기유로(764)가 마련된다.
양측 차단벽(763)은 하부하우징(760)의 양측벽과 이격되도록 하부하우징(760)의 양측벽 내부에 형성된다.
차단벽(763)은 하부하우징(760)의 좌측벽과 좌측 차단벽(763) 사이 상부 및 하부하우징(760)의 우측벽과 우측 차단벽(763) 사이 상부에 배치된 이빙히터(미도시)의 가동 시, 이빙히터(미도시)의 열이 냉기유로(764)측으로 전달되지 않도록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
냉기유로(764)는 하부하우징(760) 내부의 양측 차단벽(763) 사이에 형성되어 냉기유입덕트(762)를 통해 유입된 냉기가 후방측에서 전방측으로 흐르게 하는 유로로서, 제빙용 몰드(730)의 하부에 배치되어 제빙용 몰드(730)에 공급된 제빙수를 얼려 얼음이 생성되게 한다.
냉기유로(764)는 제빙용 몰드(730)의 하면과 냉기유로(764)의 내부 바닥면 사이로 냉기의 흐름을 안내함으로써 제빙용 몰드(730)에 공급된 제빙수에 냉기가 직접적으로 분사되지 않게 하고, 이를 통해 제빙용 몰드(730)에서 생성되는 얼음의 빙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냉기유로(764)의 내부 바닥면에는 올록볼록한 형태의 흐름저지부(765)가 형성된다.
흐름저지부(765)는 냉기유로(764) 내에서 유동하는 냉기의 흐름에 와류를 발생시켜 냉기유로(764) 내에서의 냉기 흐름을 지연시킴으로써 제빙용 몰드(730)의 하부에 냉기가 머물도록 하고, 이로 인해 제빙용 몰드(730)에 공급된 제빙수는 신속히 얼게 된다.
하부하우징(760)의 하측판 전단에는 냉기유출구(766)가 형성된다.
냉기유출구(766)는 냉기유로(764)의 내부 바닥면 전단에 형성되어 냉기유로(764)의 후방측에서 전방측으로 유동하는 냉기를 하측으로 유출시켜 제빙기(700)의 하부에 배치된 얼음저장용 버킷(800)으로 유도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제빙실(60)의 하부에는 얼음저장용 버킷(800)이 설치된다.
도 24 내지 도 27, 도 50, 도 51 및 도 55를 참조하면, 얼음저장용 버킷(800)은 제빙기(700)에서 생성된 얼음을 저장하는 구성으로서, 제빙기(700)의 하부에 배치되어 제빙실(60)에 대해 인출 및 인입 가능하게 설치된다.
얼음저장용 버킷(800)은 제빙실도어(810), 얼음분쇄부(820), 버킷부(830) 및 오거(84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빙실도어(810)는 구획벽(600)의 전면에 착탈됨으로써 제빙실(60)의 개방된 전면을 선택적으로 개폐하기 위한 구성이다.
제빙실도어(810)는 얼음저장용 버킷(800)을 제빙실(60)에서 인출시킬 경우 구획벽(600)의 전면에서 이격되어 제빙실(60)의 전면을 개방하고, 얼음저장용 버킷(800)을 제빙실(60)에 완전히 인입시킬 경우 구획벽(600)의 전면에 밀착되어 제빙실(60)의 전면을 폐쇄한다.
얼음저장용 버킷(800)에는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는 손잡이(811)가 형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손잡이(811)는 제빙실도어(810)의 전면 하부에 고정되어 사용자가 얼음저장용 버킷(800)을 제빙실(60)에 대해 인출 및 인입시킬 때, 사용자가 손잡이(811)를 파지한 채 얼음저장용 버킷(800)을 손쉽게 당기거나 밀 수 있게 해준다.
종래의 경우, 얼음저장용 버킷을 인출 및 인입시키기 위해서는 얼음저장용 버킷의 하면에 형성된 얼음토출구 등에 손을 넣어 얼음저장용 버킷을 당기거나 밀어야 하므로 비위생적이고,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하지만, 본 발명의 경우, 제빙실도어(810)에 손잡이(811)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얼음토출구(6113)가 오염될 문제가 없을 뿐더러 간편하고 손쉽게 얼음저장용 버킷(800)의 인출 및 인입이 가능한 것이다.
제빙실도어(810)의 후면에는 제빙실(60)의 기밀 유지를 위한 직사각형상의 제빙실도어가스켓(812)이 마련된다.
제빙실도어가스켓(812)은 얼음분쇄부(820)의 전단부 외주면을 둘러싸는 형태로 제빙실도어(810)의 후면에 설치되어 얼음분쇄부(820)의 외주면에 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빙실도어가스켓(812)은 제빙실도어(810)가 제빙실(60)의 전면을 폐쇄할 경우, 구획벽(600)의 단차진 제1개구부(6141) 내주면에 밀착되어 제빙실(60)의 기밀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해준다.
제빙실도어(810)의 후면에는 제빙실(60)의 기밀 유지를 위한 직사각형상의 제빙실도어실링부재(813)가 더 마련된다.
제빙실도어실링부재(813)는 제빙실도어가스켓(812)의 전단부 외주면을 둘러싸는 형태로 제빙실도어(810)의 후면에 설치되고, 제빙실도어실링부재(813)의 일측은 끊어져 있을 수 있다.
제빙실도어(810)의 내부에는 제빙실도어단열재(814)가 마련될 수 있다.
제빙실도어단열재(814)는 제빙실도어(810)의 내부에 삽입되어 제빙실(60)과 제빙실(60) 외부 간을 단열시킬 수 있다.
제빙실도어(810)의 좌측단 상하측 내부과 우측단 상측 내부에는 각각 자석(미도시)이 마련되어 제빙실도어(810)가 제빙실(60)의 전면을 폐쇄할 경우, 입구벽(630)에 마련된 자석(미도시)과의 상호 작용을 통해 제빙실도어(810)의 후면이 구획벽(600)의 제1전판(614) 전면에 달라 붙음으로써 쉽게 밀착된다.
제빙실도어(810)의 후면에는 얼음분쇄부(820)가 결합된다.
얼음분쇄부(820)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얼음을 분쇄시켜 배출시키는 구성으로서, 제빙실도어(810)의 후면에 후방측으로 돌출된 형태로 설치되고, 하부가 개방되어 얼음토출구(6113)와 연통되어 있다.
얼음분쇄부(820)는 제빙실도어(810)와 버킷부(830) 사이에 배치되어 제빙실도어(810)와 버킷부(830)를 연결한다.
얼음분쇄부(820)는 크러셔(821), 지지부재(822) 및 작동축(82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크러셔(821)는 얼음분쇄부(820)의 내부에 복수 개가 마련되어 후술할 오거(840)의 회전에 따라 함께 회전하여 얼음을 부수는 구성이다.
크러셔(821)의 하부에는 지지부재(822)가 설치된다.
지지부재(822)는 크러셔(821)의 하부에 배치되어 크러셔(821)가 얼음을 부술 수 있도록 부수고자 하는 얼음을 지지하는 구성이다.
지지부재(822)에는 작동축(823)이 연결된다.
작동축(823)은 일단이 지지부재(822)에 연결되고, 타단이 후술할 제1구동부(911)에 연결되어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작동되는 제1구동부(911)에 의해 작동축(823)이 회전함으로써 지지부재(822)가 얼음을 지지하거나 얼음을 지지하지 않을 수 있다.
즉, 지지부재(822)는 작동축(823)의 회전에 따라 회전하여 얼음토출구(6113)의 차폐하거나 차폐하지 않을 수 있다.
이때, 지지부재(822)가 얼음을 지지하는 경우에는 얼음이 크러셔(821)에 의해 부숴진 후 얼음토출구(6113)를 통해 디스펜서(330)로 취출될 수 있고, 지지부재(822)가 얼음을 지지하지 않는 경우에는 얼음이 원형 그대로 얼음토출구(6113)를 통해 디스펜서(330)로 취출될 수 있다.
작동축(823)의 후단부에는 후술할 제1구동부(911)의 미작동 시 작동축(823)에 탄성력을 부여하여 작동축(823)을 복귀시키기 위한 탄성부재(824)가 설치될 수 있다.
얼음분쇄부(820)의 후방측에는 버킷부(830)가 결합된다.
버킷부(830)는 제빙기(700)에서 생성된 얼음이 보관되는 용기로서, 전후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내부에 상부가 개방된 얼음저장공간(831)이 마련되어 있다.
버킷부(830)의 하면 좌우측에는 전후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슬라이딩리브(832)가 각각 형성된다.
슬라이딩리브(832)는 제빙실(60)에 대한 얼음저장용 버킷(800)의 인출 및 인입 시 제빙실(60)의 바닥면을 타고 전후 슬라이딩을 함으로써 얼음저장용 버킷(800)의 인출 및 인입을 안정적으로 도와주는 역할을 한다.
슬라이딩리브(832)는 좌측에 배치된 것이 우측에 배치된 것보다 더 길게 형성될 수 있다.
버킷부(830)의 하부 우측에는 지지부재(822)에 연결된 작동축(823)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후술할 제1구동부(911)에 연결된다.
버킷부(830)에는 오거(840)가 설치된다.
오거(840)는 버킷부(830)의 얼음저장공간(831)에 보관된 얼음을 얼음토출구(6113) 측으로 이송시키는 구성으로서, 얼음저장공간(831) 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오거(840)의 일단은 복수 개의 크러셔(821)와 함께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고, 오거(840)의 타단은 후술할 제2구동부(912)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을 수 있도록 회전브라켓(841)을 통해 제2구동부(912)와 연결된다.
즉, 오거(840)는 후단에 구비된 회전브라켓(841)을 통해 제2구동부(912)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얼음저장공간(831)에 보관된 얼음을 전방측으로 이송시켜 얼음토출구(6113)로 내보낼 수 있게 한다.
또한, 오거(840)는 후단에 구비된 회전브라켓(841)을 통해 제2구동부(912)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전단에 결합된 크러셔(821)를 회전시킬 수 있다.
제빙실도어(810), 얼음분쇄부(820), 버킷부(830) 및 오거(84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서로 결합된 상태로서, 제빙실도어(810)의 개폐에 따라 함께 이동하게 되므로 전체적으로 제빙실(60)에 대해 인출 및 인입 가능하다.
한편, 얼음저장용 버킷(800)의 후방측에는 구동부 팬 덕트조립체(900)가 마련된다.
도 52 내지 55를 참조하면, 구동부 팬 덕트조립체(900)는 얼음저장용 버킷(800)에 구동력을 제공하여 얼음저장용 버킷(800)의 작동축(823)과 오거(840)를 작동시키는 구동부조립체(910), 얼음저장용 버킷(800)과 후술할 증발기조립체(1100) 사이에 배치되어 증발기조립체(1100)에 의해 제공되는 냉기를 후술할 증발기케이스(1000)의 냉기흡입구(1002) 및 냉기토출구(1001)를 통해 순환시키는 팬조립체(920) 및 후술할 증발기케이스(1000)의 냉기토출구(1001)를 통해 토출되는 냉기를 받아들여 제빙기(700)로 안내하는 냉기토출덕트(930)가 모듈화되어 마련된다.
구동부 팬 덕트조립체(900)는 구동부조립체(910)의 후방부에 팬조립체(920)가 결합되고, 구동부조립체(910)의 상부에 냉기토출덕트(930)이 결합되어 모듈화된다.
구동부조립체(910)는 제1구동부(911), 제2구동부(912) 및 구동부하우징(913)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구동부하우징(913)은 구동부조립체(910)의 외관을 이루는 구성으로서, 전방측에 형성되어 하면이 개방된 제1구동부수용부(913a)와 제1구동부수용부(913a)의 후단에 일체로 형성되는 제2구동부수용부(913b)를 포함한다.
구동부하우징(913)의 제2구동부수용부(913b) 후방부에는 사각형상의 제1결합플랜지(9101)가 형성되고, 상부에는 사각형상의 제2결합플랜지(9102)가 형성된다.
제2구동부수용부(913b)의 후단 양측, 보다 구체적으로 제1결합플랜지(9101)의 좌측부와 우측부에는 각각 제1착탈공(9131)이 두 개씩 형성된다.
또한, 제2구동부수용부(913b)의 상단 양측, 보다 구체적으로 제2결합플랜지(9102)의 좌측부와 우측부에는 각각 제1착탈돌기(9132)가 두 개씩 형성된다.
제1착탈공(9131)과 제1착탈돌기(9132)의 개수는 필요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제1착탈공(9131)은 후술할 팬조립체(920)의 제2착탈돌기(9213)와 끼움결합 가능하여 팬조립체(920)가 구동부하우징(913)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제1착탈돌기(9132)는 후술할 냉기토출덕트(930)의 제2착탈공(932)과 끼움결합 가능하여 냉기토출덕트(930)가 구동부하우징(913)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구동부하우징(913)의 제2구동부수용부(913b)는 전면 하부에 복수 개의 제1냉기유동슬릿(9133)이 형성되고, 후면이 개방되며, 개방된 후면측에 제2냉기유동슬릿(9135)이 형성된 끼움판(9134)이 양측 내벽에 끼워져 결합된다.
제1냉기유동슬릿(9133)은 후술할 팬조립체(920)의 작동 시 얼음저장용 버킷(800)측의 냉기를 구동부하우징(913)으로 유입될 수 있게 하는 구멍이고, 제2냉기유동슬릿(9135)은 구동부하우징(913)으로 유입된 냉기를 팬조립체(920)로 흡입될 수 있게 하는 구멍이다.
구동부하우징(913)의 일측에는 제1구동부(911)가 설치된다.
제1구동부(911)는 구동부하우징(913)의 전방부에 설치된다.
제1구동부(911)는 상하 방향으로 운동 가능한 솔레노이드밸드로 구성되어 구동부하우징(913)의 전방 우측에 돌출된 제1구동부수용부(913a)에 수용되어 설치되며, 얼음을 분쇄할 경우 얼음을 지지하기 위한 작동축(823) 및 지지부재(822)를 작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1구동부(911)에는 상하 방향으로 직선운동 가능한 작동편(9111)이 마련되어 얼음분쇄부(820)의 작동축(823) 후단이 작동편(9111)에 연결되고, 제1구동부(911)의 구동에 의해 작동편(9111)이 직선운동함에 따라 작동축(823) 및 작동축(823)의 전단에 연결된 지지부재(822)는 회전하게 되어 얼음을 지지하거나 지지하지 않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구동부하우징(913)의 타측에는 제2구동부(912)가 설치된다.
제2구동부(912)는 제1구동부(911)의 후방측에 설치된다.
제2구동부(912)는 회전력을 제공하는 모터로 구성되어 제1구동부수용부(913a)의 후단에 일체로 형성된 제2구동부수용부(913b)의 내부에 수용되어 설치되며, 버킷부(830)의 얼음저장공간(831)에 저장된 얼음의 이송을 위한 오거(840) 및 얼음을 분쇄하기 위한 크러셔(821)를 작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2구동부(912)에는 회전축(9121) 및 회전축(9121)에 고정된 회전플랜지(9122)가 마련되어 오거(840)의 후단, 즉, 오거(840)의 회전브라켓(841)이 회전플랜지(9122)에 연결되고, 제2구동부(912)의 구동에 의해 회전플랜지(9122)가 회전함에 따라 오거(840) 및 오거(840)에 고정된 크러셔(821)가 회전하게 되어 얼음이 전방측으로 이송되거나 전방측으로 이송된 얼음이 분쇄될 수 있다.
구동부하우징(913)의 일측에는 팬조립체(920)가 설치된다.
팬조립체(920)는 구동부하우징(913)의 후단에 착탈 가능하게 조립되고, 제빙실(60)과 증발기케이스(1000) 사이에 배치되며, 원심팬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팬조립체(920)는 팬하우징(921), 임펠러(922) 및 회전모터(미도시)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팬하우징(921)은 팬조립체(920)의 외관을 이루는 구성으로서, 전면 중앙에 냉기흡입덕트(9211)가 일체로 마련되고, 하부 후방에 냉기배출덕트(9212)가 일체로 마련된다.
냉기흡입덕트(9211)는 내부에 제빙실(60)에 연통되는 냉기흡입유로(9211a)가 마련되어 팬조립체(920)의 작동 시 제빙실(60)의 하부 전방측, 즉, 얼음저장용 버킷(800)측의 냉기를 제1냉기유동슬릿(9133) 및 제2냉기유동슬릿(9135)을 통해 흡입하기 위한 구성이다.
또한, 냉기배출덕트(9212)는 내부에 후술할 증발기케이스(1000)의 설치공간(1010)에 연통되는 냉기배출유로(9212a)가 마련되어 냉기흡입유로(9211a)를 통해 흡입된 냉기를 증발기케이스(1000)의 냉기흡입구(1002)로 배출하기 위한 구성이다.
본 발명의 팬조립체(920)는 팬하우징(921) 자체만으로 냉기흡입덕트(9211) 및 냉기배출덕트(9212)를 일체로 구성할 수 있으므로 팬하우징(921)에 별도로 덕트를 마련할 필요가 없다라는 장점이 있다.
팬하우징(921)의 하면은 전방에서 후방으로 갈수록 상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팬하우징(921)의 내부에는 스크롤(Scroll) 형상의 공간이 마련되고, 팬하우징(921) 내부의 스크롤 형상의 공간은 냉기흡입덕트(9211)와 냉기배출덕트(9212) 사이에 형성되어 연통된다.
팬조립체(920)의 팬하우징(921) 전방부에는 사각형상의 제3결합플랜지(9201)가 형성된다.
제3결합플랜지(9201)는 팬조립체(920)를 구동부조립체(910)에 결합시킬 경우, 제1결합플랜지(9101)의 내부에 끼워져 외주면이 제1결합플랜지(9101)의 내주면에 밀착된 채 결합되고, 이로 인해 결합되는 부위의 기밀성이 향상되어 구동부조립체(910) 및 팬조립체(920)의 내부를 유동하는 냉기의 손실을 방지할 수 있다.
팬하우징(921)의 전단 양측, 즉, 제3결합플랜지(9201)의 좌측부와 우측부에는 각각 제2착탈돌기(9213)가 두 개씩 형성된다.
제2착탈돌기(9213)는 필요에 따라 개수가 다르게 형성될 수 있으며, 구동부하우징(913)의 제1착탈공(9131)에 끼움결합됨으로써 제1결합플랜지(9101)와 제3결합플랜지(9201)가 서로 끼워져 밀착된 채 고정된다.
또한, 제2착탈돌기(9213)는 구동부하우징(913)의 제1착탈공(9131)에 끼움결합되거나 끼움해제됨에 따라 팬하우징(921)이 구동부하우징(913)에 착탈 가능할 수 있다.
팬하우징(921)의 냉기배출덕트(9212) 하단면 테두리에는 스펀지 재질의 제1실링재(9214) 및 제1실링재(9214)가 접착된다.
제1실링재(9214))는 팬조립체(920)가 후술할 팬수용부(1020)에 수용될 경우 팬수용부(1020)의 내부 하면이 밀착되어 팬조립체(920)와 팬수용부(1020) 간의 하부 이음부를 실링할 수 있다.
팬하우징(921)의 후면에는 회전모터(미도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선을 안내하는 전선안내부(9216)가 마련된다.
전선안내부(9216)는 팬하우징(921)의 후면에 체결되어 회전모터(미도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선이 불필요하게 여타 다른 구성들에 걸리거나 파손되지 않도록 회전모터(미도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선을 일정방향으로 안내해주는 안내벽(9217)이 형성된다.
안내벽(9217)은 전선안내부(9216)의 후방측으로 돌출형성되고, 회전모터(미도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선을 안내하고자 하는 방향으로 라운드지게 형성될 수 있다.
팬하우징(921)의 내부에는 임펠러(922)가 설치된다.
임펠러(922)는 팬하우징(921) 내부의 스크롤 형상의 공간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회전모터(미도시)에 의해 회전한다.
임펠러(922)는 회전모터(미도시)에 의해 회전하게 될 경우 냉기흡입덕트(9211)의 냉기흡입유로(9211a)를 통해 얼음저장용 버킷(800)측의 냉기를 흡입한 후 냉기배출덕트(9212)의 냉기배출유로(9212a)를 통해 후술할 증발기케이스(1000)의 냉기흡입구(1002)로 냉기를 배출한다.
임펠러(922)는 위와 같이 냉기를 흡입 및 배출하는 것을 통해 증발기조립체(1100)에 의해 제공되는 냉기를 제빙실(60과 증발기케이스(1000) 간에서 순환시키는 역할을 한다.
구동부하우징(913)의 타측에는 냉기토출덕트(930)가 설치된다.
냉기토출덕트(930)는 후술할 증발기케이스(1000)의 냉기토출구(1001)에서 토출되는 냉기를 받아들여 제빙기(700)의 냉기유입덕트(762)로 안내하는 역할을 하는 구성으로서, 구동부하우징(913)의 상단에 착탈 가능하게 조립되고, 제빙기(700)와 증발기케이스(1000) 사이에 배치된다.
이때, 냉기토출덕트(930)의 전단은 제빙기(700)의 냉기유입덕트(762) 후단에 밀착되고, 냉기토출덕트(930)의 후단은 증발기케이스(1000)의 냉기토출구(1001) 테두리에 밀착된다.
냉기토출덕트(930)는 내부에 냉기토출유로(931)가 마련되고, 후방측에서 전방측으로 갈수록 상하 폭이 점점 감소하는 형태로 형성되며, 이에 따라 냉기토출덕트(930)의 내부에 마련된 냉기토출유로(931) 역시 후방측에서 전방측으로 갈수록 상하 폭이 점점 감소하는 형태로 형성된다.
이때, 냉기토출덕트(930)의 상부는 전방에서 후방측으로 갈수록 상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냉기토출덕트(930)의 후단면 테두리에는 스펀지 재질의 제2실링재(933)가 접착되어 냉기토출덕트(930)와 후술할 증발기케이스(1000) 간의 이음부를 실링한다.
냉기토출덕트(930)의 하부에는 사각형상의 제4결합플랜지(9301)가 형성된다.
제4결합플랜지(9301)는 냉기토출덕트(930)를 구동부조립체(910)에 결합시킬 경우, 제2결합플랜지(9102)가 내부에 끼워져 내주면이 제2결합플랜지(9102)의 외주면에 밀착된 채 결합된다.
냉기토출덕트(930)의 하단 양측, 즉, 제4결합플랜지(9301)의 좌측부와 우측부에는 각각 제2착탈공(932)이 두 개씩 형성된다.
제2착탈공(932)은 필요에 따라 개수가 다르게 형성될 수 있으며, 구동부하우징(913)의 제1착탈돌기(9132)가 끼움결합됨으로써 제2결합플랜지(9102)와 제4결합플랜지(9301)가 서로 끼워져 밀착된 채 고정된다.
또한, 제2착탈공(932)은 구동부하우징(913)의 제1착탈돌기(9132)가 끼움결합되거나 끼움해제됨에 따라 냉기토출덕트(930)가 구동부하우징(913)에 착탈 가능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설명한 구동부조립체(910), 팬조립체 및 냉기토출덕트(930)는 서로 끼움결합으로 조립되어 하나의 조립체인 구동부 팬 덕트조립체(900)로 마련되고, 이로 인해 구동부조립체(910), 팬조립체(920) 및 냉기토출덕트(930)는 각각 개별적으로 제빙실(60)에 설치할 필요없이 하나의 조립체로 모듈화된 구동부 팬 덕트조립체(900)의 상태로 한 번의 설치과정을 통해 제빙실(60)에 설치할 수 있게 된다.
다시 말해서, 구동부 팬 덕트조립체(900)는 후술할 팬수용부(1020)에 팬조립체(920)가 설치됨에 따라 팬조립체(920)와 모듈화된 구동부조립체(910) 및 냉기토출덕트(930) 역시 설치하고자 하는 정위치에 배치된 채 설치되는 것이다.
구동부 팬 덕트조립체(900)를 구성하는 구동부조립체(910), 팬조립체(920) 및 냉기토출덕트(930)는 서로 끼움결합 외에 별도로 체결부재로 체결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도 55 내지 66을 참조하여 증발기케이스 및 이와 관련된 구성들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55 내지 66을 참조하면, 내부케이스(200)에는 장착부(260)가 마련된다.
장착부(260)는 내부케이스(200)의 상부벽, 후측벽 및 좌측벽에 걸쳐 내측으로 오목하게 함몰형성된 공간으로써, 제빙실(60)의 직후방에 형성된다.
즉, 장착부(260)는 내부케이스(200)의 상부 후방 좌측 모서리가 내측으로 오목하게 함몰형성된 공간인 것이다.
장착부(260)는 후술할 증발기케이스(1000)가 수용되어 장착되는 공간이고, 장착부(260)의 내부 전면에는 전후 방향으로 관통된 연통홀(261a)이 형성되어 있다.
장착부(260)의 내부에는 제1장착면(261), 제2장착면(262) 및 이격면(263)이 형성되어 있다.
제1장착면(261)은 장착부(260)의 내부 전면이고, 제2장착면(262)은 장착부(260)의 내부 우측면이며, 이격면(263)은 장착부(260)의 내부 바닥면이다.
제1장착면(261)에는 전술한 연통홀(261a)이 형성되어 있고, 이격면(263)은 전방에서 후방측으로 갈수록 점점 낮아지는 경사를 가진다.
장착부(260)의 전방측 내부케이스(200) 측면에 마련된 하니스하우징설치홀(224)에는 각종 하니스를 처리하기 위한 하니스하우징(205)이 장착된다.
하니스하우징(205)은 하니스하우징설치홀(224)을 완전히 덮도록 하니스하우징설치홀(224)에 끼워져 장착된다.
한편, 외부케이스(100)의 후측벽과 내부케이스(200)의 후측벽 사이에는 증발기케이스(1000)가 마련된다.
증발기케이스(1000)는 외부케이스(100)의 후측벽에 형성된 개구(101)를 통해 설치되는 증발기조립체(1100)가 수용되는 구성으로서, 증발기조립체(1100)는 증발기케이스(1000)를 통해 외부케이스(100)의 후측벽과 내부케이스(200)의 후측벽 사이에 설치되며, 제빙실(60)의 후방측에 배치되도록 설치된다.
증발기케이스(1000)는 내부케이스(200)의 후측벽에 형성된 장착부(260)에 전방부가 수용된 채 장착되고, 외부케이스(100)의 후측벽 내면에 후방단부가 체결되어 본체(10)에 결합되는 것이다.
이하에서는, 증발기케이스(1000)에 대해 더 자세히 설명한다.
증발기케이스(1000)는 전체적으로 사각 박스와 유사한 형태로 형성되며, 증발기케이스(1000)의 상하 높이는 장착부(260)의 상하 높이보다 짧게 형성된다.
증발기케이스(1000)의 전면 상단에는 전방측으로 돌출된 제1장착플랜지(1003)가 좌우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증발기케이스(1000)의 전면 좌측단에는 전방측으로 돌출된 제2장착플랜지(1004)가 상하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증발기케이스(1000)의 우측면 상단에는 우측으로 돌출된 제3장착플랜지(1005)가 전후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증발기케이스(1000)의 우측면 중앙부에는 우측으로 돌출된 제4장착플랜지(1006)가 상하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각각 내부케이스(200)의 외면에 지지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1장착플랜지(1003), 제2장착플랜지(1004), 제3장착플랜지(1005) 및 제4장착플랜지(1006)는 서로 일체로 형성되는 동시에 증발기케이스(1000)에 일체로 마련되고, 증발기케이스(1000)의 전면 상단에 마련된 제1장착플랜지(1003)의 좌측단에는 제2장착플랜지(1004)가 제1장착플랜지(1003)에 대해 하측으로 절곡된 형태로 마련되며, 증발기케이스(1000)의 전면 상단에 마련된 제1장착플랜지(1003)의 우측단에는 제3장착플랜지(1005)가 제1장착플랜지(1003)에 대해 후방측으로 절곡된 형태로 마련되며, 제3장착플랜지(1005)의 후단에는 제4장착플랜지(1006)가 제3장착플랜지(1005)에 대해 하측으로 절곡된 형태로 마련된다.
증발기케이스(1000)가 장착부(260)에 수용되어 장착될 경우, 제1장착플랜지(1003)는 장착부(260)의 제1장착면(261) 상단 모서리를 덮은 채 내부케이스(200)의 상측벽 외면에 밀착되어 지지되고, 제2장착플랜지(1004)는 장착부(260)의 제1장착면(261) 좌측단 모서리를 덮은 채 내부케이스(200)의 좌측벽 외면에 밀착되어 지지되며, 제3장착플랜지(1005)는 장착부(260)의 제2장착면(262) 상단 모서리를 덮은 채 내부케이스(200)의 상측벽 외면에 밀착되어 지지되고, 제4장착플랜지(1006)는 장착부(260)의 제2장착면(262) 후단 모서리를 덮은 채 내부케이스(200)의 후측벽 외면에 밀착되어 지지됨으로써 증발기케이스(1000)가 장착부(260)에 수용되어 장착되는 것이다.
이때, 증발기케이스(1000)의 전면은 제1장착면(261)에 밀착되고, 증발기케이스(1000)의 우측면은 제2장착면(262)에 밀착된다.
또한, 증발기케이스(1000)의 하단부는 장착부(260)의 이격면(263)과 이격되어 증발기케이스(1000)의 하단부에 드레인부재(1101)가 결합될 수 있다.
증발기케이스(1000)의 제1장착플랜지(1003)에는 제1비드대응부(1003a)가 형성되고, 증발기케이스(1000)의 제2장착플랜지(1004)에는 제2비드대응부(1004a) 형성된다.
제1비드대응부(1003a)는 증발기케이스(1000)가 장착부(260)에 장착될 경우, 내부케이스(200)의 상측벽에 형성된 제1비드부(210)에 끼워져 장착되고, 제2비드대응부(1004a)는 증발기케이스(1000)가 장착부(260)에 장착될 경우, 내부케이스(200)의 좌측벽에 형성된 제2비드부(220)가 끼워져 장착됨으로써 증발기케이스(1000)를 보다 견고히 장착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내부케이스(200)의 장착부(260)에 장착된 증발기케이스(1000)는 전면에 형성된 제1나사투입공(1007)을 통해 체결부재가 삽입되어 구획벽(600)에 형성된 제4체결부(6211) 및 제6체결부(6223)에 체결됨으로써 내부케이스(200) 및 구획벽(600)에 고정된다.
증발기케이스(1000)의 좌측 외주면에는 격자리브(1008)가 형성될 수 있다.
증발기케이스(1000)의 후단 테두리에는 둘레 외측 방향으로 연장되는 지지플랜지(1030)가 형성된다.
지지플랜지(1030)는 내부케이스(200)에 장착된 증발기케이스(1000)의 후단측에 외부케이스(100)가 밀착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으로서, 후면이 외부케이스(100)의 후측벽 내면에 밀착된다.
이를 통해 증발기케이스(1000)는 내부케이스(200)와 외부케이스(100)의 사이에 배치되어 고정될 수 있다.
지지플랜지(1030)에는 커버체결부(1031)가 형성된다.
커버체결부(1031)는 지지플랜지(1030)의 둘레를 따라 복수 개가 형성되며, 후방측에서 전방측으로 체결부재가 체결될 수 있도록 마련된다.
커버체결부(1031)는 지지플랜지(1030)의 상부, 하부, 좌측부 및 우측부에 각각 세 개씩 형성되어 있으며, 이를 통해 외부케이스(100) 및 후술할 단열커버(1300)를 증발기케이스(1000)에 고정시킬 수 있다.
지지플랜지(1030)의 내주면측에는 지지플랜지(1030)에 대해 후방측으로 돌출된 외측가압부(1032)가 형성된다.
외측가압부(1032)는 지지플랜지(1030)의 내주면 전체에 걸쳐 후방측으로 돌출형성되며, 후술할 단열커버(1300)가 증발기케이스(1000)에 체결되어 고정될 경우 후술할 제2패킹(1340)을 가압하여 보다 확실하게 증발기케이스(1000) 내부의 기밀을 유지할 수 있게 해 준다.
외측가압부(1032)는 외부케이스(100)의 개구(101)에 전방에서 후방측으로 끼워져 개구(101)의 후방측으로 튀어나오도록 위치한다.
증발기케이스(1000)의 내주면에는 단차면(1040)이 형성된다.
단차면(1040)은 증발기케이스(1000)의 내주면에서 내측으로 절곡된 형태로 형성된 면으로서, 증발기케이스(1000)의 내주면 전체에 걸쳐 형성된다.
단차면(1040)은 지지플랜지(1030)에 대해 내측으로 단차지게 형성되어 있다.
단차면(1040)에는 내측가압부(1041)가 형성된다.
내측가압부(1041)는 단차면(1040)의 내측 테두리 전둘레에 걸쳐 후방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되고, 후술할 단열커버(1300)가 증발기케이스(1000)에 체결되어 고정될 경우 제1패킹(1330)을 가압하여 보다 확실하게 증발기케이스(1000) 내부의 기밀을 유지할 수 있게 해 준다.
증발기케이스(1000)에는 설치공간(1010) 및 팬수용부(1020)가 형성된다.
설치공간(1010)은 후술할 증발기조립체(1100) 및 가이드부(1200)가 설치되는 공간으로서, 증발기케이스(1000)의 내부에 마련된다.
설치공간(1010)은 후면이 개방되어 있고, 설치공간(1010)의 후면 개방부는 외부케이스(100)의 개구(101) 동일한 형태로 형성되어 있으며, 설치공간(1010)은 개구(101)의 바로 앞에 위치하여 개구(101)에 연통된다.
설치공간(1010)의 내부 하면에는 드레인홀(1012)이 형성되고, 드레인홀(1012)에는 드레인부재(1101)가 삽입되며, 드레인부재(1101)에는 돌기(미도시)가 형성되어 드레인홀(1012)의 내주면에 형성된 구멍(미도시)에 끼움결합됨으로써 드레인홀(1012)에 드레인부재(1101)가 고정장착된다.
드레인부재(1101)는 제상히터(1120)의 가동에 의해 증발기조립체(1100)에 착상된 성에가 녹아서 발생되는 제상수를 하측으로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설치공간(1010)의 내부 전방측 중앙부에는 전방측에서 후방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되는 후술할 팬수용부(1020)로 인해 볼록부(1013)가 형성된다.
볼록부(1013)의 좌측부는 설치공간(1010)의 좌측 내면과 일체로 붙어있고, 볼록부(1013)의 우측부는 설치공간(1010)의 우측 내면과 서로 이격되어 있다.
볼록부(1013)의 우측부와 설치공간(1010)의 우측 내면 사이에는 작업공간(1014)이 마련되어 설치공간(1010) 내부에 설치되는 후술할 증발기(1110)의 용접과 같은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볼록부(1013)에는 가이드부체결부(1011)가 형성된다.
가이드부체결부(1011)는 후술할 가이드부(1200)를 증발기케이스(1000)에 체결하여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이다.
설치공간(1010)의 내부 전방측에는 후술할 가이드부(1200)가 수용되어 설치되고, 설치공간(1010)의 내부 후방측에는 후술할 증발기조립체(1100)가 수용되어 설치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치공간(1010)의 전방부에는 후술할 냉기흡입구(1002)를 통해 제빙실(60)에서 설치공간(1010) 내로 흡입되는 냉기의 흐름을 증발기조립체(1100)의 하단부로 유도하는 가이드부(1200)가 조립되고, 설치공간(1010)의 후방부 즉, 가이드부(1200)의 후방측에는 냉동사이클에 의한 열교환을 통해 제빙실(60)에 냉기를 제공하기 위한 증발기조립체(1100)가 설치된다.
이때, 증발기조립체(1100)는 외부케이스(100)의 후측벽에 형성된 개구(101)를 통해 설치공간(1010) 내에 설치됨으로써 사용자는 공간적인 제약과 같은 장애없이 매우 용이하게 증발기조립체(1100)를 설치공간(1010) 내에 조립하여 설치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증발기조립체(1100)에 대한 유지보수가 매우 용이하다.
설치공간(1010)에 설치되는 증발기조립체(1100) 및 가이드부(1200)에 관한 설명은 이후 더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증발기케이스(1000)의 전면측에는 제1장착면(261)에 형성된 연통홀(261a)을 통해 제빙실(60)과 연통되는 냉기토출구(1001)와 냉기흡입구(1002)가 형성되고, 냉기흡입구(1002) 측에는 팬조립체(920)가 구비된다.
냉기토출구(1001)는 증발기케이스(1000)의 전면측 상부에 전후 방향으로 관통형성되어 설치공간(1010)과 제빙실(60)을 연통시키고, 냉기흡입구(1002)는 증발기케이스(1000)의 전면측 중앙부의 경사면, 즉, 후술할 팬수용부(1020) 내부의 경사진 하면에 상하로 관통형성되어 설치공간(1010)과 제빙실(60)을 연통시킨다.
냉기토출구(1001)는 냉기토출덕트(930)에 연결되어 설치공간(1010) 내의 증발기조립체(1100)에 의해 열교환된 냉기가 제빙실(60)의 상부에 설치된 제빙기(700)로 흐르도록 하는 구성이고, 냉기흡입구(1002)는 냉기배출덕트(9212)에 연결되어 제빙기(700)와 얼음저장용 버킷(800)을 거친 냉기가 증발기케이스(1000)의 설치공간(1010) 내로 흐를수 있도록 하는 구성이다.
이때, 냉기흡입구(1002)를 통해 설치공간(1010)으로 흡입된 냉기는 후술할 가이드부(1200)의 안내에 따라 설치공간(1010)의 중앙부 부근에서 하부측으로 유도되어 증발기조립체(1100)의 하단부에서부터 상단부로 흐르게 되는 것이다.
증발기케이스(1000)의 전면 중앙부에는 후방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팬수용부(1020)가 형성된다.
냉기흡입구(1002)는 팬수용부(1020) 내부의 경사진 하면에 형성되고, 팬수용부(1020)는 냉기흡입구(1002)와 연통된다.
팬수용부(1020)에는 증발기조립체(1100)의 열교환에 의해 제공되는 냉기를 순환시키기 위한 팬조립체(920)가 냉기흡입구(1002)측, 보다 구체적으로 냉기흡입구(1002)의 바로 위에 배치되도록 설치된다.
팬조립체(920)의 냉기배출덕트(9212)는 냉기흡입구(1002)의 상단에 밀착되어 냉기배출유로(9212a)와 냉기흡입구(1002)가 기밀하게 연통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증발기케이스(1000)에는 증발기조립체(1100)가 설치되는 설치공간(1010)과 팬조립체(920)가 설치되는 팬수용부(1020)가 함께 마련되어 있으므로, 증발기조립체(1100) 및 팬조립체(920)를 조립하는 것이 매우 용이하고, 각 구성들을 컴팩트하게 배치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한편, 증발기케이스(1000)에는 발열수단(1050)이 설치된다.
발열수단(1050)은 결로현상으로 인해 외부케이스(100), 단열커버(1300) 및 증발기케이스(1000)의 둘레면에 맺히는 물방울을 제거하거나 결로현상으로 인해 외부케이스(100), 단열커버(1300) 및 증발기케이스(1000)의 둘레면에 물방울이 맺히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증발기케이스(1000)의 후방측 외주면을 둘러싸도록 마련된다.
발열수단(1050)은 발열선(1051)과 접착부재(105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발열선(1051)은 외부의 전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열을 발생시키는 구성으로서, 증발기케이스(1000)의 후방측 외주면 상에 배치된다.
발열선(1051)은 커버체결부(1031)의 전방측에 위치하도록 증발기케이스(1000)의 후방측 외주면을 따라 마련된다.
발열선(1051)은 두 줄이 전후 방향으로 이격되도록 구성되어 증발기케이스(1000)의 외주면을 두르도록 마련되며, 필요에 따라 한 줄로 형성되거나, 세 줄 이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증발기케이스(1000)의 외주면에 마련된 발열선(1051)은 접착부재(1052)에 의해 증발기케이스(1000)의 외주면에 고정된다.
접착부재(1052)는 발열선(1051)이 증발기케이스(1000)의 외주면에서 이탈하지 않도록 고정시켜 주는 역할은 하는 구성이다.
접착부재(1052)는 발열선(1051)을 덮은 채 증발기케이스(1000)의 외주면에 접착되는 테이프인 것이 바람직하다.
위와 같이 구성된 발열수단(1050)은 외부케이스(100), 단열커버(1300) 및 증발기케이스(1000)에 맺힌 물방울을 제거 또는 외부케이스(100), 단열커버(1300) 및 증발기케이스(1000)에 물방울이 맺히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시 가동되어 열을 발생시킬 수 있고,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주기적으로 가동되어 열을 발생시킬 수도 있으며, 외부케이스(100), 단열커버(1300) 및 증발기케이스(1000)에 맺히는 물방울을 감지하여 감지된 결과에 따라 자동으로 가동되어 열을 발생시킬 수도 있다.
한편, 증발기케이스(1000)에는 증발기조립체(1100)가 수용되어 설치된다.
증발기조립체(1100)는 제빙실(60) 내에 냉기를 제공하기 위한 구성이다.
증발기조립체(1100)는 증발기케이스(1000)의 설치공간(1010) 후방측에 수용되며, 증발기조립체(1100)가 설치공간(1010)에 수용되기 전에 설치공간(1010)에는 후술할 가 미리 수용되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증발기조립체(1100)는 설치공간(1010) 내에서 냉기를 발생시켜 증발기케이스(1000)에 형성된 냉기토출구(1001)로 냉기를 토출시킬 수 있도록 한다.
증발기조립체(1100)는 증발기(1110), 제상히터(1120), 핀(1130) 및 제1전도판(114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증발기(1110)는 증발기조립체(1100)의 핵심구성으로서, 설치공간(1010) 내에서 조립되어 설치된다.
증발기(1110)는 압축기(미도시), 응축기(미도시) 및 팽창수단(미도시)과 연계되어 냉동사이클을 이루는 구성이고, 이러한 냉동사이클을 통해 증발기(1110)는 증발기케이스(1000)의 설치공간(1010) 내에서 내부의 냉매와 증발기(1110) 주위의 공기 간의 열교환을 행하여 냉기를 생성하게 된다.
증발기(1110)와 인접한 위치에는 제상히터(1120)가 배치된다.
제상히터(1120)는 증발기(1110)의 전방측과 후방측에 배치되는데, 이때 증발기(1110)는 제상히터(1120)의 전방부와 후방부 사이에 삽입된 형태로 배치된다.
제상히터(1120)는 증발기(1110)에 착상되는 성에를 녹여서 제상수로 흘려보내기 위한 구성이다.
제상히터(1120)는 외부의 전원으로부터 전원을 인가 받아 열을 발생시키고, 이러한 열이 증발기(1110)에 가해져 증발기(1110)에 착상되는 성에를 녹임으로써 증발기(1110)에 착상된 성에가 제거되는 것이다.
위와 같은 증발기(1110) 및 제상히터(1120)는 핀(1130)에 끼워져 결합된다.
핀(1130)은 증발기(1110)의 열교환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구성으로서, 좌우 방향으로 복수 개가 이격배치되어 마련된다.
복수 개의 핀(1130)에는 증발기(1110) 및 제상히터(1120)가 파형을 이루는 형태로 끼워져 결합되고, 이로 인해 증발기(1110), 제상히터(1120) 및 핀(1130)은 서로 결합된다.
복수 개의 핀(1130) 중 가장 외측, 즉, 가장 좌측과 우측에 배치된 핀(1130)에는 클립부(1131)가 형성된다.
클립부(1131)는 가장 좌측에 배치된 핀(1130)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한 개씩 형성되고, 가장 우측에 배치된 핀(1130)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한 개씩 형성된다.
또한, 클립부(1131)의 맨 좌측에 배치된 핀(1130)의 하단에는 전후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가느다란 고정슬릿(1132)이 형성된다.
클립부(1131)는 제1전도판(1140)과 결합되어 고정된다.
제1전도판(1140)은 제상히터(1120)의 가동 시 제상히터(1120)에서 발생되는 열이 전도되어 증발기(1110)에 고루 가해질 수 있도록 하는 구성으로서, 열전도율이 좋은 금속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전도판(1140)의 후면에는 전방측으로 오목하게 함몰된 클립수납면(1141)이 형성된다.
클립수납면(1141)은 좌우 방향으로 대칭되는 형태로 제1전도판(1140)의 좌측부와 우측부에 각각 두 개씩이 형성된다.
각각의 클립수납면(1141)에는 상하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가느다란 클립홀(1142)이 형성된다.
클립홀(1142)은 좌측에 배치된 두 클립수납면(1141)의 우측단부에 각각 형성되고, 우측에 배치된 두 클립수납면(1141)의 좌측단부에 각각 형성되어 핀(1130)에 형성된 클립부(1131)와 대응한다.
각각의 클립홀(1142)에는 대응하는 각각의 클립부(1131)가 삽입되어 고정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클립부(1131)는 대응하는 클립홀(1142)에 삽입되기 전 핀(1130)에서 후방측으로 연장된 형태로 형성되어 있고, 이러한 상태에서 클립부(1131)는 대응하는 클립홀(1142)에 삽입되며, 클립홀(1142)에 삽입된 클립부(1131)에는 외력이 가해져서 클립부(1131)가 외측으로 절곡된 형태로 접히게 되어 클립부(1131)가 클립수납면(1141)에 지지된다.
이렇게 클립수납면(1141)에 지지된 클립부(1131)는 클립수납면(1141)에 걸려 전방측으로 이동이 불가능하게 되어 제1전도판(1140)이 핀(1130)에 고정되는 것이다.
또한, 제1전도판(1140)에는 핀(1130)에 형성된 고정슬릿(1132)에 끼워지는 고정클립(1143)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증발기조립체(1100)의 증발기(1110)에 의해 생성되는 냉기는 팬조립체(920)의 작동에 의해 순환되는 흐름을 가지며, 이를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증발기(1110)에 의해 생성되는 냉기는 증발기(1110)의 상단부에서 후술할 가이드부(1200)의 토출안내유로(1213)를 거쳐 냉기토출구(1001)를 통해 토출된다.
냉기토출구(1001)를 통해 토출된 냉기는 냉기토출유로(931)로 안내되어 냉기유입유로(762a)로 유입된다.
냉기유입유로(762a)로 유입된 냉기는 제빙기(700)에서 얼음이 생성될 수 있도록 제빙용 몰드(730) 하부의 냉기유로(764)를 후방에서 전방측으로 유동한 후 냉기유출구(766)를 통해 하방으로 유출된다.
냉기유출구(766)를 통해 하방으로으로 유출된 냉기는 얼음분쇄부(820) 및 버킷부(830)의 전방부를 거쳐 버킷부(830)의 후방부측으로 유동한다.
버킷부(830)의 후방부측으로 유동한 냉기는 제1냉기유동슬릿(9133)을 통해 구동부하우징(913)의 내부 하부로 유입되고, 구동부하우징(913)의 내부 하부로 유입된 냉기는 제2냉기유동슬릿(9135)을 통해 구동부하우징(913)의 외부로 유출된다.
제2냉기유동슬릿(9135)을 통해 유출된 냉기는 냉기흡입유로(9211a)로 흡입되고, 냉기흡입유로(9211a)로 흡입된 냉기는 냉기배출유로(9212a)를 통해 배출된다.
냉기배출유로(9212a)를 통해 배출된 냉기는 냉기흡입구(1002)를 통해 후술할 가이드부(1200)의 흡입안내유로(1212, 1222)로 흡입되어 흡입안내유로(1212, 1222)의 안내에 따라 설치공간(1010) 내부에 설치된 증발기(1100)의 하단부로 안내된다.
증발기(1110)의 하단부로 안내된 냉기는 증발기(1110)를 상측으로 통과하여 증발기(1110)의 상단부까지 유동함으로써 전체적인 냉기의 순환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한편, 증발기케이스(1000)에는 가이드부(1200)가 수용되어 설치된다.
가이드부(1200)는 제빙실(60)과 증발기케이스(1000)의 설치공간(1010) 간의 냉기의 흐름을 유도하기 위한 구성이다.
가이드부(1200)는 증발기케이스(1000)의 설치공간(1010) 전방측에 수용되어 증발기조립체(1100)의 전방에 배치되며, 증발기조립체(1100)가 설치공간(1010)에 수용되기 전에 설치공간(1010)에 미리 수용되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설치공간(1010) 내의 볼록부(1013)는 가이드부(1200)의 전방 중앙에 형성된 오목한 부분에 삽입되어지며, 전체적으로 설치공간(1010)의 전방측 형상은 가이드부(1200)의 전체적인 형상에 대응된다.
가이드부(1200)에는 토출안내유로(1213)가 형성되어 설치공간(1010) 내의 증발기(1110)에서 생성된 냉기를 제빙실(60)측으로 안내할 수 있고, 흡입안내유로(1212, 1222)가 형성되어 제빙실(60)측에서 팬조립체(920)에 의해 흡입되는 냉기를 설치공간(1010) 내부로 안내할 수 있다.
이하, 가이드부(1200)에 대해 자세히 설명한다.
가이드부(1200)는 제1가이드몸체(1210), 제2가이드몸체(1220) 및 제2전도판(12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1가이드몸체(1210)는 가이드부(1200)의 상부 및 후방부를 이루는 구성이다.
제1가이드몸체(1210)의 우측부 중앙에는 제1공간차단벽(1211)이 형성되어 설치공간(1010) 내에 마련된 작업공간(1014)에 끼워짐으로써 작업공간(1014)을 메우게 된다.
제1가이드몸체(1210)의 상부에는 전후 방향으로 관통된 토출안내유로(1213)가 마련된다.
토출안내유로(1213)는 설치공간(1010)의 후방부, 즉, 설치공간(1010)에서 증발기조립체(1100)가 설치된 공간과 냉기토출구(1001) 사이에 개재되어 연통된다.
토출안내유로(1213)는 전단이 냉기토출구(1001)에 연통되고, 후단이 증발기(1110)의 상단 전방에 위치한다.
토출안내유로(1213)의 전단측 테두리는 냉기토출구(1001)의 후단측 테두리에 밀착되어 토출안내유로(1213)와 냉기토출구(1001)가 기밀하게 연통되며, 토출안내유로(1213)의 후단측은 증발기(1110)의 상단부에 인접하도록 위치하여 설치공간(1010)의 하측에서 상측으로 유동하여 증발기(1110)를 통과하는 냉기가 토출안내유로(1213)로 유입될 수 있다.
제1가이드몸체(1210)의 하부에는 전면이 개방되고, 상면과 하면이 개방되며, 후면 하부 일부가 개방된 제1흡입안내유로(1212)가 마련된다.
제1흡입안내유로(1212)는 후술할 제2흡입안내유로(1222)와 더불어 흡입안내유로(1212, 1222)를 구성한다.
제1가이드몸체(1210)의 전면 중앙 우측에는 체결부삽입공(1214)이 형성되어 증발기케이스(1000)에 형성된 가이드부체결부(1011)가 삽입된다.
체결부삽입공(1214)에 삽입된 가이드부체결부(1011)에는 후술할 제2전도판(1230)의 제2나사투입공(1232)을 통해 삽입된 체결부재가 체결되어 증발기케이스(1000)에 가이드부(1200)가 고정될 수 있다.
제1가이드몸체(1210)의 중앙부에는 설치공간(1010) 내의 볼록부(1013)가 수용된다.
제1가이드몸체(1210)의 하부에는 제2가이드몸체(1220)가 배치된다.
제2가이드몸체(1220)는 제1가이드몸체(1210)의 하부에 형합되어 가이드부(1200)를 구성하며, 제1가이드몸체(1210)와 제2가이드몸체(1220)는 설치공간(1010)의 전방측에 정합되어 수용된다.
이때, 제2가이드몸체(1220)는 볼록부(1013)와 설치공간(1010)의 내부 하면 사이에 끼워진다.
제2가이드몸체(1220)의 우측부 상부에는 제2공간차단벽(1221)이 형성되어 제1공간차단벽(1211)과 더불어 설치공간(1010) 내에 마련된 작업공간(1014)에 끼워짐으로써 작업공간(1014)을 메우게 된다.
제2가이드몸체(1220)의 후방부에는 상면이 개방되고, 후면이 개방된 제2흡입안내유로(1222)가 형성된다.
제2흡입안내유로(1222)는 제1가이드몸체(1210)와 제2가이드몸체(1220)가 형합되어 결합됨에 따라 제1흡입안내유로(1212)와 결합되어 흡입안내유로(1212, 1222)를 구성한다.
제1가이드몸체(1210)와 제2가이드몸체(1220)의 형합 시 제1흡입안내유로(1212)에서 개방된 전면은 제2가이드몸체(1220)의 전방부에 의해 폐쇄되고, 제2흡입안내유로(1222)에서 개방된 후면은 제1가이드몸체(1210)의 후방부에 의해 하부 일부를 제외하고 폐쇄된다.
이를 통해, 흡입안내유로(1212, 1222)는 상하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상면이 개방되고, 후면 하부가 일부 개방된 유로로 마련된다.
흡입안내유로(1212, 1222)는 전방에서 후방측으로 갈수록 낮아지는 경사를 갖는 유로이다.
흡입안내유로(1212, 1222)는 설치공간(1010)의 후방부, 즉, 설치공간(1010)에서 증발기조립체(1100)가 설치된 공간과 냉기흡입구(1002) 사이에 개재되어 연통된다.
흡입안내유로(1212, 1222)는 상단이 냉기흡입구(1002)에 연통되고, 하단이 증발기(1110)의 하단 전방에 위치한다.
즉, 흡입안내유로(1212, 1222)의 상단측 테두리는 냉기흡입구(1002)의 하단측 테두리에 밀착되어 흡입안내유로(1212, 1222)와 냉기흡입구(1002)가 기밀하게 연통되며, 흡입안내유로(1212, 1222)의 하부 후단측은 증발기(1110)의 하단부에 인접하도록 위치하여 설치공간(1010)에 유입되는 냉기가 설치공간(1010)에 설치된 증발기(1110)의 하단부를 먼저 통과하여 상측으로 유동하도록 안내할 수 있다.
즉, 제빙실(60) 및 냉기흡입구(1002)가 증발기(1110)의 하단부보다 높게 위치하여도 흡입안내유로(1212, 1222)를 통해 냉기를 증발기(1110)의 하단부로 안내할 수 있는 것이다.
제1가이드부(1200)와 제2가이드부(1200)는 스티로폼 재질로 이루어지고, 이로 인해 가이드부(1200)는 냉기를 안내하는 역할을 하는 동시에 냉장실(11) 및 제빙실(60)과 설치공간(1010) 간의 단열벽 역할도 수행할 수 있다.
가이드부(1200)는 별체의 제1가이드몸체(1210)와 제2가이드몸체(122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흡입안내유로(1212, 1222) 내에 이물질이 유입되거나 흡입안내유로(1212, 1222) 내의 청소가 필요할 경우, 형합된 제1가이드몸체(1210)와 제2가이드몸체(1220)를 서로 분리하여 제1흡입안내유로(1212)와 제2흡입안내유로(1222)를 용이하게 유지보수할 수 있다.
제2가이드몸체(1220)가 형합된 제1가이드몸체(1210)의 후면에는 제2전도판(1230)이 결합된다.
제2전도판(1230)은 제1전도판(1140)과 마찬가지로 제상히터(1120)의 가동 시 제상히터(1120)에서 발생되는 열이 전도되어 증발기(1110)에 고루 가해질 수 있도록 하는 구성으로서, 열전도율이 좋은 금속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전도판(1230)은 제1가이드몸체(1210)의 후면 중앙부에서 하단까지를 덮는 형태로 마련되고, 우측부 일부가 전방측으로 절곡되어 제1가이드몸체(1210)의 우측면 일부도 덮는 형태로 마련된다.
제2전도판(1230)의 하단부에는 냉기흡입유로(1212, 1222)의 하단부 후방측에 연통되는 복수 개의 냉기흡입슬릿(1231)이 형성되어 냉기흡입유로(1212, 1222)를 통해 안내되는 냉기가 냉기흡입슬릿(1231)을 거쳐 증발기(1110)의 하단부로 안내될 수 있다.
제1가이드몸체(1210), 제2가이드몸체(1220) 및 제2전도판(1230)은 중앙 상부와 하부가 각각 별도의 접착테이프(1240)로 감긴 채 접착되어 서로 고정되고, 이로 인해 제1가이드몸체(1210)와 제2가이드몸체(1220)가 형합된 상태 및 제1가이드몸체(1210)의 후면을 제2전도판(1230)이 덮은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되어 전체적으로 가이드부(1200)가 이루어진다.
접착테이프(1240)는 가이드부(1200)가 설치공간(1010)에 수용되기 전에 가이드부(1200)에 접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전도판(1230)의 우측부에는 제2나사투입공(1232)이 전후 방향으로 관통형성된다.
제2전도판(1230)은 앞서 말한 바와 같이, 제2나사투입공(1232)을 통해 삽입된 체결부재가 제1가이드몸체(1210)의 체결부삽입공(1214)에 삽입된 증발기케이스(1000)의 가이드부체결부(1011)에 체결됨으로써 제1가이드몸체(1210), 제2가이드몸체(1220) 및 증발기케이스(1000)와 서로 고정될 수 있다.
한편, 외부케이스(100)의 개구(101)에는 설치공간(1010)의 후방부에 정합되는 단열커버(1300)가 설치된다.
단열커버(1300)는 외부케이스(100)의 개구(101) 및 설치공간(1010)을 본체(10)의 외부로부터 밀폐시키기 위해 외부케이스(100)의 후측벽 및 증발기케이스(1000)에 체결부재로 체결되어 결합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단열커버(1300)는 후술할 제3나사투입공(1324b)을 통해 삽입된 체결부재가 개구(101)의 테두리를 따라 외부케이스(100)에 형성된 커버체결공(101a)에 삽입된 후, 개구(101)에 외측가압부(1032)가 끼워진 상태로 증발기케이스(1000)의 커버체결부(1031)에 체결되어 고정되는 것이다.
이때, 제3나사투입공(1324b), 커버체결공(101a) 및 커버체결부(1031)는 서로 대응되도록 각각 복수 개가 마련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열커버(1300)는 외부케이스(100)의 후측벽에 장착 또는 탈거됨으로써 개구(101) 및 설치공간(1010)의 개폐가 가능하다.
단열커버(1300)는 외부커버(1310) 및 외부커버(1310)에 결합되는 내부커버(13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외부커버(1310)는 개구(101) 및 설치공간(1010)의 개방된 후면과 동일한 형상의 후면부에 테두리를 따라 전방측으로 돌출된 측벽부를 갖는 외부커버몸체(1311)와, 외부커버몸체(1311)의 후단 외주면을 따라 외주면 외측으로 돌출된 외부커버플랜지(1312)로 이루어진다.
외부커버몸체(1311)의 측벽부에는 제3패킹(1350)이 삽입되고, 외부커버몸체(1311)의 측벽부 내주면에는 억지끼움홈(1311a)이 마련되며, 외부커버플랜지(1312)에는 후방측으로 오목한 돌출부수용홈(1312a)이 형성된다.
제3패킹(1350)은 외부커버몸체(1311)의 측벽부 전둘레에 걸쳐 끼워지고, 억지끼움홈(1311a)은 외부커버몸체(1311)의 측벽부 내주면을 따라 복수 개가 이격형성되며, 돌출부수용홈(1312a)는 외부커버플랜지(1312)의 전둘레에 걸쳐 형성되어 전방측이 개방된다.
외부커버(1310)에는 내부커버(1320)가 결합된다.
내부커버(1320)는 개구(101) 및 설치공간(1010)의 개방된 후면과 동일한 형상의 전면부에 테두리를 따라 후방측으로 돌출된 측벽부를 갖는 내부커버몸체(1321)와, 내부커버몸체(1321)의 후단 외주면을 따라 외주면 외측으로 돌출되고 내부커버몸체(1321)의 전면에 대해 단차지게 형성된 내부커버플랜지(1324)로 이루어진다.
내부커버몸체(1321)의 전면부 테두리에는 전방측으로 개방된 패킹홈(1321a)이 내부커버몸체(1321)의 전면부 테두리를 따라 형성되고, 패킹홈(1321a)에는 내부에 빈 공간이 마련된 제1패킹(1330)이 삽입된다.
제1패킹(1330)은 일부분이 패킹홈(1321a)의 외부 전방측으로 돌출되고, 단열커버(1300)가 외부케이스(100)의 후측벽에 결합되면 내측가압부(1041)에 의해 눌러져 패킹홈(1321a) 내부 양측 둘레면 및 패킹홈(1321a) 내부 후면에 압착된다.
이때, 증발기케이스(1000)의 단차면(1040)과 패킹홈(1321a)의 외측 둘레벽 전단 사이는 제1패킹(1330)에 의해 밀폐되어 설치공간(1010)과 본체(10) 외부 간의 기밀을 유지할 수 있다.
내부커버몸체(1321)의 내주면 후방측에는 외부커버(1310)와의 고정을 위한 억지끼움돌기(1322)가 형성되고, 억지끼움돌기(1322)의 전방측 내부커버몸체(1321) 내주면에는 패킹삽입리브(1323)가 형성된다.
억지끼움돌기(1322)와 패킹삽입리브(1323)는 내부커버몸체(1321)의 내주면을 따라 복수 개가 이격형성되고, 패킹삽입리브(1323)의 후단에는 후방측으로 개방된 패킹끼움부(1323a)가 형성된다.
억지끼움돌기(1322)는 억지끼움홈(1311a)에 대응되도록 마련되고, 억지끼움홈(1311a)에 끼워져 외부커버(1310)와 내부커버(1320)가 서로 끼움결합됨으로써 단열커버(1300)을 구성한다.
이때, 외부커버몸체(1311)의 측벽부에 끼워진 제3패킹(1350)은 억지끼움돌기(1322)에 의해 밀려서 억지끼움돌기(1322)와 함께 억지끼움홈(1311a)에 일부가 끼워지고, 또한, 외부커버몸체(1311)의 측벽부에 끼워진 제3패킹(1350)의 전방부는 외부커버몸체(1311)의 측벽부와 함께 패킹끼움부(1323a)에 끼워지게 된다.
내부커버플랜지(1324)의 전면 둘레 내측부에는 후방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되어 전면이 개방된 패킹밀착홈(1324a)이 형성되고, 단열커버(1300)의 후방부 외주면, 즉, 내부커버몸체(1321)의 측벽부 후방 외주면에는 제2패킹(1340)이 맞닿도록 삽입된다.
패킹밀착홈(1324a)은 내부커버플랜지(1324)의 전면 전둘레에 걸쳐 형성되고, 내부커버몸체(1321)의 측벽부에 끼워진 제2패킹(1340)은 일부분, 즉 제2패킹(1340)의 후면 둘레 외측부가 내부커버플랜지(1324)의 전면에 밀착되며, 내부커버몸체(1321)의 측벽부에 끼워진 제2패킹(1340)의 나머지 부분, 즉, 제2패킹(1340)의 후면 둘레 내측부가 패킹밀착홈(1324a)의 개방된 전면을 덮도록 배치된다.
제2패킹(1340)은 단열커버(1300)가 외부케이스(100)의 후측벽에 결합되면 내부커버플랜지(1324)와 외부케이스(100)의 후측벽에 의해 압착되는 동시에 외측가압부(1032)에 의해 눌러져 패킹밀착홈(1324a)에 억지로 삽입되어 제1패킹(1330)과 더불어 설치공간(1010)과 본체(10) 외부 간의 기밀을 이중으로 단속하여 유지할 수 있다.
내부커버플랜지(1324)에는 전후 방향으로 관통된 제3나사투입공(1324b)이 형성된다.
제3나사투입공(1324b)은 단열커버(1300)를 외부케이스(100) 및 증발기케이스(1000)에 고정시키기 위한 구멍으로서, 내부커버플랜지(1324)의 둘레를 따라 복수 개가 이격형성되며, 패킹밀착홈(1324a)의 외측에 마련된다.
단열커버(1300)가 개구(101)를 통해 설치공간(1010)에 정합된 상태에서 제3나사투입공(1324b)에는 체결부재가 삽입되고, 제3나사투입공(1324b)에 삽입된 체결부재는 외부케이스(100)의 커버체결공(101a)을 거쳐 증발기케이스(1000)의 커버체결부(1031)에 체결됨으로써 단열커버(1300), 외부케이스(100) 및 증발기케이스(1000)가 서로 견고히 고정된다.
내부커버플랜지(1324)의 후면에는 후방측으로 돌출되고, 단열커버(1300)의 중심을 기준으로 양 끝단에 대칭하여 형성되는 커버손잡이(1325)가 마련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커버손잡이(1325)는 단열커버(1300)의 후면 좌측 하부인 내부커버플랜지(1324)의 후면 좌측 하부에 하나, 단열커버(1300)의 후면 우측 상부인 내부커버플랜지(1324)의 후면 우측 상부에 하나가 마련되어 단열커버(1300)의 개폐 시 사용자가 커버손잡이(1325)를 파지한 채 용이하게 단열커버(1300)를 개폐할 수 있게 한다.
단열커버(1300)의 내부, 즉, 서로 결합된 외부커버(1310)와 내부커버(1320) 사이의 공간에는 커버단열재(1301)가 구비되어 증발기케이스(1000)의 설치공간(1010)과 본체(10) 외부 간의 단열이 보다 효과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한다.
내부커버몸체(1321)의 측벽부 후단 테두리에는 후방측으로 연장된 커버돌출부(1326)가 전둘레에 걸쳐 형성된다.
커버돌출부(1326)는 외부커버(1310)와 내부커버(1320)의 결합 시 돌출부수용홈(1312a)에 삽입되어 외부커버(1310)와 내부커버(1320) 간의 결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단열커버(1300)의 전면 우측에는 공간차단부(1327)가 형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공간차단부(1327)는 내부커버몸체(1321)의 전면 우측부에서 전방측으로 돌출된 형태로 형성되어 설치공간(1010)에서 가이드부(1200)와 증발기조립체(1100)가 설치된 공간 외에 남는 공간인 설치공간(1010) 우측부에 삽입되어 불필요한 공간을 메꿔줌으로써 불필요한 공간까지 냉기가 순환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위와 같이 구성된 단열커버(1300)는 제1패킹(1330) 및 제2패킹(1340)을 통해 증발키케이스(1000)에 이중으로 실링되어 본체(10) 외부에 대한 개구(101) 및 설치공간(1010)의 기밀을 보다 확실하게 유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제빙실(60)을 형성하는 구획벽(600) 및 증발기케이스(1000)에 설치되는 증발기조립체(1100)가 본체(10)의 상부 좌측 모서리 측에 적용되는 것에 따라 설명하였으나, 필요에 따라 반대로 본체(10)의 상부 우측 모서리 측에 적용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청구범위의 균등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 가능함은 물론이다.
10 : 본체 46 : 레일조립체
60 : 제빙실 100 : 외부케이스
200 : 내부케이스 300 : 회동형도어
400 : 서랍형도어 500 : 도어핸들조립체
600 : 구획벽 700 : 제빙기
800 : 얼음저장용 버킷 900 : 구동부 팬 덕트조립체
1000 : 증발기케이스 1100 : 증발기조립체
1200 : 가이드부 1300 : 단열커버

Claims (5)

  1. 저장실이 구비된 본체;
    상기 저장실을 개폐하는 서랍형 도어;
    상기 본체의 양측벽에 고정되고 랙기어부가 마련되는 한 쌍의 고정레일;
    상기 서랍형 도어의 양측에 고정되고 상기 랙기어부를 따라 회전하는 피니언기어가 마련되는 한 쌍의 도어레일;을 포함하되,
    한 쌍의 고정레일에 마련된 상기 랙기어부 중 어느 하나에는 절단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절단부는 상기 랙기어부의 후방측에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절단부는 상기 랙기어부의 후단부 일부분이 잘려 나가 형성된 공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피니언기어는 상기 절단부의 상부에서 공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피니언기어는 상기 절단부의 상부에서 상기 고정레일과 이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KR1020190109213A 2019-09-03 2019-09-03 냉장고 KR2021002802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9213A KR20210028027A (ko) 2019-09-03 2019-09-03 냉장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9213A KR20210028027A (ko) 2019-09-03 2019-09-03 냉장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28027A true KR20210028027A (ko) 2021-03-11

Family

ID=751433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09213A KR20210028027A (ko) 2019-09-03 2019-09-03 냉장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28027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44106B1 (ko) 2012-04-10 2019-01-30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44106B1 (ko) 2012-04-10 2019-01-30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692766B2 (en) Refrigerator
KR101997259B1 (ko) 냉장고
US20120272670A1 (en) Refrigerator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210028009A (ko) 냉장고
KR20210028026A (ko) 냉장고
KR20210028007A (ko) 냉장고
KR20210028018A (ko) 냉장고
KR20210028027A (ko) 냉장고
KR20210028017A (ko) 냉장고
KR20210028020A (ko) 냉장고
KR20210028013A (ko) 냉장고
KR20210028023A (ko) 냉장고 제조방법
KR20210028014A (ko) 냉장고
KR20210028019A (ko) 냉장고
KR20210028008A (ko) 냉장고
KR20210028024A (ko) 냉장고
KR20210028025A (ko) 냉장고
KR20210028006A (ko) 냉장고
KR20210028011A (ko) 냉장고
KR20210028015A (ko) 냉장고
KR20210028016A (ko) 냉장고
KR20210028021A (ko) 냉장고
KR20210028022A (ko) 냉장고
KR20210028010A (ko) 냉장고
KR20210028005A (ko) 냉장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