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27723A - Nose respirator - Google Patents

Nose respirat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27723A
KR20210027723A KR1020190108497A KR20190108497A KR20210027723A KR 20210027723 A KR20210027723 A KR 20210027723A KR 1020190108497 A KR1020190108497 A KR 1020190108497A KR 20190108497 A KR20190108497 A KR 20190108497A KR 20210027723 A KR20210027723 A KR 202100277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se
filter
nasal
wrap
wrap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0849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248632B1 (en
Inventor
윤병예
Original Assignee
윤병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병예 filed Critical 윤병예
Priority to KR10201901084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48632B1/en
Publication of KR202100277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2772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486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4863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23/00Filters for breathing-protection purposes
    • A62B23/06Nose filter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8Component parts for gas-masks or gas-helmets, e.g. windows, straps, speech transmitters, signal-devices
    • A62B18/082Assembling eyepieces, lenses or vision-correction means in or on gas-mask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Otolaryng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Respiratory Apparatuses And Protective Mean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spirator worn on the nose, and more particularly, to a nasal respirator that effectively prevents dust in the air from being sucked into the body through the nose during nasal breathing. The present invention implements a new type of nasal respirator that can be worn in a close contact state while wrapping around a user′s nose, can filter fine dust in the air, and is easy to wear, such as being able to be fixed by hanging on glasses or the like. Thus, the nasal respirator can secure functionality, such as reliably blocking fine dust in the air, and improve usability and handling, such as being easily worn and used.

Description

코 호흡기{NOSE RESPIRATOR}Nose Respirator {NOSE RESPIRATOR}

본 발명은 코에 착용하는 호흡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코 호흡 시에 공기 중의 먼지 등이 코를 통해 체내로 흡입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막아주는 코 호흡기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spirator worn on the nose, and more particularly, to a nasal respirator that effectively prevents dust in the air from being inhaled into the body through the nose during nasal breathing.

일반적으로 마스크는 외출 시 각종 먼지나 황사 등이 체내에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용도로 사용된다. In general, masks are used to block various kinds of dust or yellow dust from entering the body when going out.

이러한 용도의 마스크는 주로 평면 형상을 이루면서 직물로 제작되며, 사용할 때에는 양측에 부착되어 있는 고리를 사용자의 양쪽 귀에 건 상태에서 마스크의 표면이 코와 입을 포함한 안면에 밀착되도록 하여 사용한다. The mask for this purpose is mainly made of fabric while forming a flat shape, and when using it, the surface of the mask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face including the nose and mouth while the rings attached to both sides are held on both ears of the user.

그러나, 실제로는 평면 형상으로 이루어진 마스크를 착용하는 경우 마스크의 표면 전체가 사용자의 안면에 밀착되지 못하고 안면과 마스크 사이에 틈이 생기는 경우가 많으며, 이로 인해 사용자가 마스크를 착용한 상태에서 숨을 들이마실 때 안면과 마스크 사이의 틈을 통해 공기가 흡입되면서 먼지나 황사 등이 걸어지지 못하고 체내로 유입되는 문제가 있다. However, in reality, when wearing a mask made of a flat shape, the entire surface of the mask does not adhere to the user's face, and there are many cases where a gap is created between the face and the mask, which causes the user to breathe while wearing the mask. When drinking, air is sucked through the gap between the face and the mask, and there is a problem that dust or yellow dust cannot be walked and flow into the body.

그리고, 입과 코를 막는 형태의 마스크는 입이나 코를 통해 배출되는 날숨에 포함된 체액 등에 의해 마스크가 오염되면서 악취와 불쾌감을 쉽게 느끼게 되고, 결국 마스크를 자주 교체하거나 또는 자주 세탁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In addition, masks in the form of covering the mouth and nose are contaminated by bodily fluids contained in the exhaled breath through the mouth or nose, making it easier to feel odor and discomfort, resulting in the inconvenience of frequent replacement of the mask or frequent washing. There is this.

또한, 사용자가 마스크와 함께 안경을 착용하는 경우에는 마스크와 안경 사이에 형성된 틈을 통해 날숨의 일부가 안경 표면과 접촉됨으로써, 안경에 김이 서리는 등의 문제도 있다. In addition, when a user wears glasses together with a mask, some of the exhalation comes into contact with the surface of the glasses through a gap formed between the mask and the glasses, and there is a problem such as fogging on the glasses.

이와 같은 평면 형상의 마스크가 가지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다양한 형태의 마스크가 제시되고 있다. Various types of masks have been proposed to solve the problems of such a planar mask.

일 예로서, 한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05907호에는『코싸개가 부착된 마스크』가 개시되어 있다. As an example, Korean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20-0405907 discloses a “mask with a nose wrap”.

상기『코싸개가 부착된 마스크』는 사각형 형상의 천조각으로 된 패드와, 상기 패드의 양쪽 대향변에 부착된 귀걸이줄과, 상기 패드의 상변 중앙부에 부착된 코싸개로 구성되며, 코싸개가 상부로 방출되는 콧김을 차단하여 안경에 김이 서리는 것을 방지하고, 콧 속으로 유입되는 먼지 등을 제거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The “mask with a nose wrap” is composed of a pad made of a square piece of cloth, an earring string attached to both opposite sides of the pad, and a nose wrap attached to the center of the upper side of the pad. By blocking the nose that is emitted to the top, it prevents fogging on the glasses, and the dust that flows into the nose can be removed.

그러나, 상기『코싸개가 부착된 마스크』역시 사용 시 사용자의 입을 막는 형태이기 때문에 날숨에 포함된 체액 등에 의해 마스크가 오염되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없고, 또 코를 막은 코싸개가 사용자의 코에 제대로 밀착되지 못하는 경우에는 콧김이 상부로 방출될 우려가 높은 단점이 있는 등 여전히 기존 마스크가 가지고 있는 문제점을 해결하기에는 미흡한 실정이다. However, since the ``mask with a nose cover'' is also a form that closes the user's mouth when used, the problem of contaminating the mask by bodily fluids contained in exhalation cannot be solved. If it is not adhered to, there is a disadvantage that there is a high risk of nose discharge to the upper part, and it is still insufficient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existing mask.

한국 공개특허 제10-2012-0002502호Korean Patent Application Publication No. 10-2012-0002502 한국 공개특허 제10-2016-0079412호Korean Patent Application Publication No. 10-2016-0079412 한국 공개특허 제10-2016-0108859호Korean Patent Application Publication No. 10-2016-0108859 한국 공개특허 제10-2016-0134338호Korean Patent Application Publication No. 10-2016-0134338 한국 공개특허 제10-2016-0144038호Korean Patent Application Publication No. 10-2016-0144038

따라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사용자의 코 주변을 감싸면서 밀착시킨 상태로 착용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공기 중의 미세먼지 등을 걸러줄 수 있음은 물론 안경 등에 걸어서 고정시킬 수 있는 등 착용이 간편한 새로운 형태의 코 호흡기를 구현함으로써, 공기 중의 미세먼지 등을 확실하게 차단할 수 있는 등 기능성을 확보할 수 있고, 손쉽게 착용하여 사용할 수 있는 등 사용성 및 취급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코 호흡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in consideration of such a point, and not only can be worn in a close contact state while surrounding the user's nose, but also can filter out fine dust in the air, and can be fixed by hanging on glasses, etc. By implementing a new type of nasal respirator that is easy to wear, such as a nose respirator, it is possible to secure functionality, such as reliably blocking fine dust in the air, and to improve usability and handling by being easily worn and used. Its purpose is to provide a respiratory system.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코 호흡기는 다음과 같은 특징이 있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nasal respirator provided by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following characteristics.

상기 코 호흡기는 사람의 코를 수용하면서 코 주변의 윤곽을 따라 피부에 밀착 가능한 형태로서, 전면과 후면이 개방되어 있는 동시에 양쪽 측면에는 선택적으로 공기를 차단하는 공기개폐용 막이 형성되어 있는 코싸개와, 상기 코싸개의 전면 개방부위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코로 흡입되는 공기 속의 이물질을 걸러주는 역할을 하는 필터장치와, 상기 코싸개의 착용을 위한 코싸개 지지장치를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 The nasal respirator is a shape that can be closely adhered to the skin along the contour of the nose while accommodating a person's nose, and the nose wrapper is formed with an air opening/closing membrane selectively blocking air on both sides while the front and the rear are open.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filter device that is installed on the front opening of the nose bag and serves to filter foreign substances in the air sucked into the nose, and a nose bag support device for wearing the nose bag.

여기서, 상기 코싸개의 후면 개방부위에는 가장자리를 따라가면서 일정폭으로 안쪽을 향해 젖혀진 형태로 이루어져 코 주변의 윤곽을 따라 피부에 밀착되는 기밀용 테두리부재가 형성될 수 있다. Here, an airtight rim member may be formed at the rear open portion of the nose wrapper in a shape that is tilted toward the inside with a certain width while following the edge, and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skin along the contour around the nose.

그리고, 상기 필터장치는 코싸개측에 결합되는 원통형의 필터 하우징과, 상기 필터 하우징의 내측에 수납식으로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다수 개의 필터부재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때의 필터부재는 적어도 프리필터와 헤파필터를 이용한 2단계의 공기청정단계를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filter device may include a cylindrical filter housing coupled to the nose wrap side, and a plurality of filter members retractably detachably coupled to the inside of the filter housing, wherein the filter member is at least a prefilter It is possible to perform a two-stage air cleaning step using and a HEPA filter.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코싸개 지지장치는 하단부의 홀을 이용하여 코싸개에 형성되어 있는 고리에 착탈 가능한 구조로 결합되는 동시에 상단부 양편의 훅을 이용하여 안경측에 걸쳐지는 홀더로 이루어질 수 있다. In a preferred embodiment, the nose wrapper support device may be formed of a holder that is attached to a ring formed in the nose wrapper in a detachable structure by using a hole in the lower end and at the same time hangs on the side of the glasses using hooks on both sides of the upper end.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코싸개 지지장치는 코싸개의 양편에 형성되어 있는 밴드 브라켓에 각 한쪽이 연결됨과 더불어 각 다른 한쪽은 벨크로 테이프에 의해 서로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한쌍의 밴드로 이루어질 수 있다. In a preferred embodiment, the nose wrapper support device may consist of a pair of bands each of which one is connected to the band bracket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nose wrapper, and the other side is detachably coupled to each other by Velcro tape.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코싸개 지지장치는 코싸개의 내부에 설치됨과 더불어 코싸개의 착용 시에 사용자의 코에 꽂을 수 있는 한쌍의 원통형 비강삽입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In a preferred embodiment, the nose sachet support device may include a pair of cylindrical nasal inserts that are installed inside the nose sachet and can be inserted into the user's nose when wearing the nose sachet.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코 호흡기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The nasal respirator provided by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following effects.

첫째, 부드러운 실리콘 소재나 러버 소재 등의 코싸개로 사용자의 코 주변을 감싸면서 완전히 밀착시킨 상태로 착용이 가능하고, 다단계의 필터장치로 공기 속에 포함되어 있는 미세먼지 등의 이물질을 효율적으로 걸러줌으로써, 미세먼지 등이 체내로 유입되는 것을 완벽하게 차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First, it can be worn with a soft silicone material or rubber material wrapped around the user's nose and fully adhered to it, and a multi-stage filter device efficiently filters foreign substances such as fine dust contained in the air. , It has the effect of completely blocking the inflow of fine dust into the body.

둘째, 코싸개에 있는 안경 걸이대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안경에 걸어서 사용할 수 있으므로, 착용이 간편하고 쉬울 뿐만 아니라 안경에 김서림 등도 막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Second, since it can be hung on the user's glasses by using the glasses hanger on the nose, it is not only convenient and easy to wear, but also has an effect of preventing fogging on the glasses.

셋째, 부피가 작고 구조가 간단하여 사용 및 취급이 간편할 뿐만 아니라 손쉽게 세척하여 사용할 수 있는 항상 깨끗하고 위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Third, it is easy to use and handle due to its small volume and simple structure, and has the effect of always being clean and hygienic that can be easily washed and used.

도 1과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 호흡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 호흡기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코 호흡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코 호흡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코 호흡기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
1 and 2 are perspective views showing the nasal respir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nasal respir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nasal respirato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nasal respirato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front view showing the state of use of the nasal respir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과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 호흡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 호흡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1 and 2 are perspective views showing a nasal respir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nasal respir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코 호흡기는 코 호흡 시에 코 주변을 밀폐시킬 수 있는 수단으로 코싸개(11)를 포함한다. As shown in Figs. 1 to 3, the nasal respirator includes a nose wrap 11 as a means to seal the nose area during nasal breathing.

상기 코싸개(11)는 사람의 코를 수용하면서 코 주변의 윤곽을 따라 피부에 밀착 가능한 형태로 이루어지게 된다. The nose wrapper 11 is formed in a shape capable of being in close contact with the skin along the contour around the nose while accommodating a person's nose.

예를 들면, 상기 코싸개(11)는 후술하는 필터장치(12)의 결합을 위해 전면이 뚫려 있는 동시에 사람의 코 주변을 감싸면서 피부에 밀착되기 위해 후면이 뚫려 있으며, 사람의 코 모양과 유사하면서 코를 넉넉하게 수용할 수 있는 통(桶)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For example, the nose wrapper 11 has a front hole for the combination of the filter device 12 to be described later, and at the same time, the back side is opened to close the skin while surrounding the nose of a person, and is similar to the shape of a person's nose. It can be made in the form of a barrel that can accommodate the nose generously.

여기서, 상기 코싸개(11)는 적당한 강도를 가지면서도 부드럽고 유연한 합성수지 소재, 예를 들면 실리콘 러버 등과 같은 소재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Here, it is preferable that the nose wrap 11 is made of a material such as a soft and flexible synthetic resin material, for example, silicone rubber, while having an appropriate strength.

이러한 코싸개(11)의 양쪽 측면에는 공기를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역할을 하는 실리콘 러버 소재 등으로 이루어진 공기개폐용 막(10)이 형성된다. On both sides of the nose wrap 11, an air opening/closing film 10 made of a silicone rubber material that serves to selectively block air is formed.

이때의 공기개폐용 막(10)은 코싸개 소재의 두께에 비해 상대적으로 얇은 두께를 가지는 대략 삼각형의 막으로서, 막의 가장자리 일부 구간을 이용하여 코싸개(11)의 바깥면에 접착 또는 일체 성형 등을 통해 코싸개(11)측에 부착되는 구조로 형성되고, 이렇게 형성되는 공기개폐용 막(10)은 코싸개(11)의 측면 양편에 형성되어 있는 공기 배출홀(25)을 바깥쪽에서 덮어줄 수 있게 된다. The air opening/closing film 10 at this time is a substantially triangular film having a relatively thin thickness compared to the thickness of the nose wrap material, and is adhered or integrally form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nose wrap 11 using a portion of the edge of the film. It is formed in a structure that is attached to the nose wrap 11 side through, and the air opening and closing film 10 formed in this way covers the air discharge holes 25 formed on both sides of the nose wrap 11 from the outside. You will be able to.

예를 들면, 상기 공기개폐용 막(10)은 코싸개(11)측에 부착되는 쪽의 두께가 상대적으로 가장 두껍게 되어 있고, 반대쪽으로 갈수록 두께가 점차적으로 얇아지게 되므로서, 사용자의 호흡 시 공기의 흐름에 의해 용이하게 젖혀지거나 복원될 수 있게 된다. For example, the air opening and closing membrane 10 has a relatively thickest thickness on the side attached to the nose wrap 11, and gradually decreases in thickness toward the opposite side. It can be easily flipped or restored by the flow of.

이때, 상기 공기개폐용 막(10)의 면적은 공기 배출홀(25)의 면적 대비 상대적으로 큰 면적으로 되어 있어서, 공기개폐용 막(10)이 자체 복원력을 이용하여 공기 배출홀(25)을 덮고 있는 상태(공기개폐용 막의 가장자리 부분이 코싸게 표면에 밀착된 상태)에서는 공기 배출홀(25)이 완전히 차단될 수 있게 된다. At this time, the area of the air opening and closing membrane 10 is a relatively large area compared to the area of the air exhaust hole 25, so that the air opening and closing membrane 10 uses its own restoring force to close the air exhaust hole 25. In the covered state (a state in which the edge portion of the air opening and closing membrane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surface), the air discharge hole 25 can be completely blocked.

이에 따라, 상기 코싸개(11)를 착용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코로 숨을 들이마시는 경우, 코싸개 내부의 흡입 압력에 의해 공기개폐용 막(10)이 딸려옴과 동시에 공기 배출홀(25)을 포함하는 그 주변에 밀착되면서 공기 배출홀(25)을 차단하게 되고, 결국 이 상태에서는 공기 배출홀(25)을 통해 외부 공기가 유입되지 않게 되는 한편, 사용자가 코로 숨을 내쉬는 경우, 이때의 배출 압력에 의해 공기개폐용 막(10)이 바깥쪽으로 젖혀짐과 더불어 공기 배출홀(25)을 개방하게 되고, 결국 이 상태에서는 공기 배출홀(25)을 통해 코싸개 내부 공기가 바깥쪽으로 배출될 수 있게 된다. Accordingly, when the user breathes through the nose while wearing the nose cover 11, the air opening and closing membrane 10 is attached by the suction pressure inside the nose cover and the air discharge hole 25 is opened. The air discharge hole 25 is blocked by being in close contact with the surrounding area, and in the end, in this state, outside air is not introduced through the air discharge hole 25, while when the user exhales through the nose, discharge at this time Due to the pressure, the air opening and closing membrane 10 is tilted outward and the air discharge hole 25 is opened. Eventually, in this state, the air inside the nose wrapper can be discharged outward through the air discharge hole 25. There will be.

그리고, 상기 코싸개(11)의 전면 윗쪽으로는 고리(18)가 형성됨과 더불어 이때의 고리(18)에는 후술하는 홀더(20)의 홀(17)이 끼워지면서 걸려질 수 있게 되고, 상기 코싸개(11)의 양쪽 측면에는 밴드 브라켓(21)이 형성됨과 더불어 이때의 밴드 브라켓(21)에는 후술하는 밴드(23)의 한쪽 끝부분이 묶여지면서 연결될 수 있게 된다. In addition, a ring 18 is formed on the upper front side of the nose wrap 11, and a hole 17 of the holder 2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is fitted to the ring 18 at this time, and can be hooked. Band brackets 21 ar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wrapper 11, and one end of the band 23,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is tied to the band bracket 21 at this time and can be connected.

특히, 상기 코싸개(11)는 사용자 코 주변의 밀착 상태를 강화하기 위한 수단으로 기밀용 테두리부재(14)를 포함한다. In particular, the nose wrap 11 includes an airtight frame member 14 as a means for reinforcing the close contact state around the user's nose.

상기 기밀용 테두리부재(14)는 부드럽고 유연한 실리콘 러버 소재 등으로 이루어지게 되며, 코싸개(11)의 후면 개방부위 가장자리에 결합 또는 일체 형성되면서 지지됨과 더불어 이때의 가장자리를 따라가면서 일정폭으로 안쪽을 향해 젖혀진 형태를 이루게 된다. The airtight rim member 14 is made of a soft and flexible silicone rubber material, and is supported while being combined or formed integrally with the edge of the rear open portion of the nose wrap 11, and along the edge at this time, the inside with a certain width It forms a shape that is tilted toward.

예를 들면, 상기 기밀용 테두리부재(14)는 코싸개(11)의 후면 개방부위 가장자리에 완만한 곡률을 이루며 2겹의 겹쳐진 형태로 형성될 수 있게 된다. For example, the airtight rim member 14 may be formed in a two-ply overlapping shape with a gentle curvature at the edge of the rear open portion of the nose wrap 11.

이에 따라, 상기 코싸개(11)의 착용 시 기밀용 테두리부재(14)는 코 주변의 윤곽을 따라 약간 눌려짐과 더불어 피부에 밀착되면서 코 주변을 완전히 밀봉시킬 수 있게 되고, 결국 코싸개(11)의 가장자리 부분을 통한 외부 공기의 유입을 완전히 차단할 수 있게 된다. Accordingly, when the nose wrap 11 is worn, the airtight rim member 14 is slightly pressed along the contour around the nose and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skin to completely seal the nose area. ), it is possible to completely block the inflow of outside air through the edge.

또한, 상기 코 호흡기는 호흡 시에 유입되는 공기 속에 이물질 등을 필터링하는 수단으로 필터장치(12)를 포함한다. In addition, the nasal respirator includes a filter device 12 as a means for filtering foreign substances or the like in the air introduced during breathing.

상기 필터장치(12)는 코싸개(11)의 전면 개방부위에 설치되면서 코로 흡입되는 공기 속의 이물질을 걸러주는 역할을 하게 된다. The filter device 12 is installed in the front opening of the nose wrap 11 and serves to filter foreign substances in the air sucked through the nose.

이를 위하여, 상기 필터장치(12)는 필터 지지체 역할과 공기통로 역할을 하는 필터 하우징(15)과 이물질을 필터링하는 역할을 하는 적어도 1개 이상의 필터부재(16)로 구성된다. To this end, the filter device 12 includes a filter housing 15 that serves as a filter support and an air passage, and at least one filter member 16 that filters foreign substances.

상기 필터 하우징(15)은 원통형의 관 형태로서, 코싸개(11)의 전면 개방부위에 홈과 돌기 간의 결합구조, 예를 들면 필터 하우징측 홈과 코싸게측 돌기 간의 결합구조에 의해 코싸개(11)측에 결합된다. The filter housing 15 is in the form of a cylindrical tube, by a coupling structure between the groove and the protrusion in the front opening of the nose wrap 11, for example, the coupling structure between the groove on the filter housing side and the protrusion on the nose cover ( It is joined to the 11) side.

그리고, 상기 필터 하우징(15)의 외주면 윗쪽에는 앞뒤로 다수 개의 슬릿(26)이 형성되며, 이때의 슬릿(26)을 통해 필터부재(16)를 수납식으로 끼웠다 빼냈다 할 수 있게 된다. Further, a plurality of slits 26 are formed on the upper side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lter housing 15, and the filter member 16 is retractably inserted and removed through the slits 26 at this time.

상기 필터부재(16)는 필터 하우징과 동일한 직경을 가지는 원형의 틀 속에 지지되는 원판형의 필터로서, 필터 하우징(15)의 슬릿(26)을 통해 필터 하우징(15) 내에 동축구조로 장착되고, 이렇게 장착된 상태에서의 필터부재(16)의 외주면과 필터 하우징(15)의 외주면은 동일면을 이룰 수 있게 된다. The filter member 16 is a disk-shaped filter supported in a circular frame having the same diameter as the filter housing, and is coaxially mounted in the filter housing 15 through the slit 26 of the filter housing 15, In such a mounted state,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lter member 16 a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lter housing 15 can form the same surface.

특히, 상기 필터부재(16)는 다단계로 필터링 기능을 수행할 수 있게 되는데, 예를 들면 프리필터(16a)와 헤파필터(16b)를 이용한 2단계의 공기청정단계를 수행할 수 있게 된다. In particular, the filter member 16 can perform a filtering function in multiple stages, for example, it is possible to perform a two-stage air cleaning step using the pre-filter 16a and the HEPA filter 16b.

여기서, 앞쪽에 장착되는 프리필터(16a)는 입자가 큰 먼지 등을 제거하는 고효율의 프리필터로서, 헤파필터(16b)를 보호하여 주기 때문에 오랜시간 사용하여도 초기의 고성능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Here, the pre-filter 16a mounted at the front is a high-efficiency pre-filter that removes dust having large particles, and protects the HEPA filter 16b, so that the initial high performance can be maintained even when used for a long time.

그리고, 상기 헤파필터(16b)는 초미세먼지 제거, 유해가스/스모그 제거, 황사, 사스 바이러스 예방 등을 수행하는 고성능 필터로서, 0.01미크론 이하의 바이러까지도 제거가 가능하다. In addition, the HEPA filter 16b is a high-performance filter that removes ultra-fine dust, removes harmful gas/smog, prevents yellow dust, and SARS virus, and can remove viruses of 0.01 microns or less.

보통 일반 제품의 경우 여러 단계의 필터를 하나의 패키지에 묶어 특정한 필터가 수명을 다할 경우에도 필터 패키지 전체를 교체해야만 하는 비효율적인 면이 있으나,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필터장치(12)의 경우에는 각 필터가 단계 별로 독립되어 있는 동시에 개별적으로 장착 및 교체가 가능하도록 되어 있어서 훨씬 경제적이고 효율적인 운영이 가능한 이점이 있다. Usually, in the case of a general product, there is an inefficient aspect of having to replace the entire filter package even when a specific filter reaches the end of its life by tying several filters in one package. However, in the case of the filter device 12 provided by the present invention, each Since the filters are independent for each stage and can be individually mounted and replaced, there is an advantage that more economical and efficient operation is possible.

이와 같은 필터장치(12)의 필터부재(16)는 두께를 적절히 조절하여, 예를 들면 프리필터(16a)와 헤파필터(16b)의 두께를 달리하여 적용될 수 있으며, 프리필터(16a)를 헤파필터(16b) 보다 두껍게, 또는 프리필터(16a)를 헤파필터(16b) 보다 얇게 적용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된다. The filter member 16 of the filter device 12 may be applied by appropriately adjusting the thickness, for example, by varying the thickness of the pre-filter 16a and the HEPA filter 16b. It is possible to use the pre-filter 16a by applying it thicker than the filter 16b or thinner than the HEPA filter 16b.

또한, 상기 코 호흡기는 코싸개(11)의 착용 상태를 유지시켜주는 수단으로 다양한 형태의 코싸개 지지장치(13)를 포함한다. In addition, the nasal respirator includes various types of nose wrap support devices 13 as means for maintaining the wearing state of the nose wrap 11.

일 예로서, 도 1 내지 도 3에서 볼 수 있듯이, 상기 코싸개 지지장치(13)는 코싸개(11)를 안경측에 걸어줄 수 있는 홀더(20)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As an example, as can be seen in FIGS. 1 to 3, the nose wrapper support device 13 may be made of a holder 20 capable of hanging the nose wrapper 11 on the side of the glasses.

이러한 홀더(20)는 대략 "T"자 형태의 부재로서, 하단부에는 홀(17)이 형성되어 있어서 이곳을 통해 코싸개(11)에 형성되어 있는 고리(18)에 착탈 가능한 구조로 결합될 수 있게 되고, 상단부에는 양편에 훅(19)이 형성되어 있어서 이곳을 통해 안경의 안경태, 예를 들면 브릿지 부분에 걸쳐질 수 있게 된다. This holder 20 is a member of an approximately "T" shape, and a hole 17 is formed at the lower end thereof so that it can be coupled to the ring 18 formed on the nose wrap 11 in a detachable structure. There is, and hooks 19 are formed on both sides at the upper end so that it can be hung over the eyeglasses, for example, the bridge part of the glasses through this.

이에 따라, 상기 코싸개(11)에 홀더(20)를 결합시킨 후에 코싸개(11)를 코에 착용한 상태에서 홀더(20)의 훅(19)을 안경태의 브릿지에 걸게 되면, 코싸개(11)의 착용 상태가 유지될 수 있게 된다. Accordingly, after coupling the holder 20 to the nose wrap 11, when the hook 19 of the holder 20 is hooked on the bridge of the eyeglass-tae while the nose wrap 11 is worn on the nose, the nose wrapper ( 11) can be maintained in the wearing state.

다른 예로서, 도 4에서 볼 수 있듯이, 상기 코싸개 지지장치(13)는 코싸개(11)를 잡아주기 위해 사용자의 머리 뒷쪽으로 묶을 수 있는 한쌍의 밴드(23)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As another example, as shown in FIG. 4, the nose wrapper support device 13 may be made of a pair of bands 23 that can be tied to the back of the user's head to hold the nose wrapper 11.

이러한 한쌍의 밴드(23)의 각 한쪽은 코싸개(11)의 양편에 형성되어 있는 밴드 브라켓(21)에 각각 연결되고, 각각의 다른 한쪽에는 서로 붙혔다 떼었다 할 수 있는 벨크로 테이프(22a,22b)가 형성된다. Each one of such a pair of bands 23 is connected to the band bracket 21 formed on both sides of the nose wrap 11, and each other is a Velcro tape 22a, which can be attached to and removed from each other. 22b) is formed.

이에 따라, 상기 코싸개(11)를 코에 착용한 상태에서 양쪽의 밴드(23)를 머리 뒤로 돌린 다음에 머리 뒷쪽에서 벨크로 테이프(22a,22b)를 붙혀 줌으로써, 코싸개(11)의 착용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 Accordingly, in a state where the nose wrap 11 is worn on the nose, the bands 23 on both sides are rotated behind the head, and then the Velcro tapes 22a and 22b are attached to the back of the head, so that the nose wrap 11 is worn. Can be maintained stably.

물론, 한쌍의 밴드(23)로 이루어진 코싸개 지지장치(13)를 적용한 코 호흡기의 경우에도 코싸개(11), 필터장치(12) 등은 위의 일 실시예와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게 된다. Of course, even in the case of a nasal respirator to which the nose wrapper support device 13 consisting of a pair of bands 23 is applied, the nose wrapper 11, the filter device 12, and the like can be applied in the same manner as in the above embodiment.

또 다른 예로서, 도 5에서 볼 수 있듯이, 코싸개 지지장치(13)는 코싸개(11)를 코에 꽂은 상태로 지지할 수 있는 한쌍의 원통형 비강삽입체(24)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As another example, as can be seen in FIG. 5, the nose wrapper support device 13 may be made of a pair of cylindrical nasal inserts 24 that can support the nose wrapper 11 in a state of being inserted into the nose.

상기 원통형 비강삽입체(24)는 실리콘 러버 소재 등으로 되어 있는 사각블록 형태의 몸체부재와 상기 몸체부재의 한쪽면에 돌출 형성되는 동시에 축선방향으로 관통되어 있는 한쌍의 나란한 관부재를 포함하며, 이때의 관부재를 사용자의 코에 삽입함으로써 원통형 비강삽입체(24)가 코에 지지될 수 있게 된다. The cylindrical nasal insert 24 includes a body member in the shape of a square block made of a silicon rubber material, etc., and a pair of parallel pipe members protruding from one side of the body member and penetrating in the axial direction. By inserting the tubular member of the user's nose, the cylindrical nasal insert 24 can be supported on the nose.

이러한 원통형 비강삽입체(24)는 코싸개(11)의 내부 벽면에 형성되어 있는 양쪽의 지지체(27)에 끼워지는 몸체부재를 통해 코싸개(11)의 내부에 결합될 수 있게 된다. This cylindrical nasal insert 24 can be coupled to the inside of the nose wrap 11 through a body member that is fitted to both supports 27 formed on the inner wall of the nose wrap 11.

이에 따라, 상기 코싸개(11)의 내부에 원통형 비강삽입체(24)를 결합시킨 후에 코싸개(11)를 코에 착용함과 동시에 원통형 비강삽입체(24)의 관부재를 사용자에 코에 삽입하게 되면, 코싸개(11)의 착용 상태가 유지될 수 있게 된다. Accordingly, after coupling the cylindrical nasal insert 24 to the inside of the nose wrap 11, the nose wrap 11 is worn on the nose and at the same time, the tubular member of the cylindrical nasal insert 24 is attached to the user's nose. When inserted, the wearing state of the nose wrapper 11 can be maintained.

따라서, 이와 같이 구성되는 코 호흡기의 사용상태에 대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Therefore, looking at the state of use of the nasal respirator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s as follows.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코 호흡기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Figure 6 is a front view showing the state of use of the nasal respir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여기서는 홀더(20)로 이루어진 코싸개 지지장치(13)를 이용하여 코싸개(11)를 코에 착용한 상태를 보여준다. As shown in Figure 6, here shows a state in which the nose wrap 11 is worn on the nose using the nose wrap support device 13 made of the holder 20.

이를 위하여, 상기 코싸개(11)로 사용자의 코를 감싸는 동시에 코싸개(11)의 윗쪽에 있는 코싸개 지지장치(13), 즉 홀더(20)의 훅(19)을 사용자가 끼고 있는 안경의 안경태 브릿지에 걸게 되면, 코싸개(11)는 코 주변에 밀착된 상태로 고정될 수 있게 된다. To this end, the nose wrapper 11 covers the user's nose and at the same time, the nose wrapper support device 13 on the upper side of the nose wrapper 11, that is, the hook 19 of the holder 20, of the eyeglasses that the user is wearing. When hanging on the bridge, the nose wrap 11 can be fixed in close contact with the nose.

이 상태에서, 사용자가 코로 숨을 들이마시게 되면, 외부의 공기는 필터장치(12)의 필터부재(16)를 통과하여, 즉 프리필터(16a)와 헤파필터(16b)를 차례로 통과하여 코싸개(11)의 내부로 들어오게 되고, 계속해서 사용자의 코를 통해 체내로 흡입된다. In this state, when the user breathes through the nose, external air passes through the filter member 16 of the filter device 12, that is, passes through the pre-filter 16a and the HEPA filter 16b in order to It enters the inside of the wrapper 11, and is continuously sucked into the body through the user's nose.

이때의 흡입되는 공기 속에 포함되어 있는 미세먼지 등의 이물질은 프리필터(16a)와 헤파필터(16b)를 거치면서 완전히 제거되므로서, 사용자는 깨끗하게 정화된 공기를 흡입할 수 있게 된다. At this time, foreign substances such as fine dust contained in the inhaled air are completely removed while passing through the pre-filter 16a and the HEPA filter 16b, so that the user can inhale cleanly purified air.

그리고, 상기 코싸개(11)에 있는 공기개폐용 막(10)은 코로 숨을 들이마실 때의 압력에 의해 닫힌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In addition, the air opening/closing membrane 10 in the nose wrap 11 can be maintained in a closed state by the pressure when inhaling through the nose.

한편, 사용자가 코로 숨을 내쉬게 되면, 이때의 배출압력에 의해 공기개폐용 막(10)이 바깥쪽으로 들쳐지면서 코싸개(11)에 있는 공기 배출홀(25)이 열려지게 되므로, 이곳을 통해 사용자가 내쉬는 숨이 밖으로 빠져나갈 수 있게 된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user exhales through the nose, the air opening and closing membrane 10 is lifted outward by the discharge pressure at this time and the air discharge hole 25 in the nose wrap 11 is opened. The breath that the user exhales is able to escape.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코 호흡 시에 사용자의 코 주변을 감싸면서 밀착시킨 상태로 착용이 가능하고, 공기 중의 미세먼지 등을 걸러줄 수 있음은 물론 안경 등에 걸어서 고정시킬 수 있는 등 착용이 간편한 새로운 코 호흡기를 제공함으로써, 공기 중의 미세먼지 등을 확실하게 차단할 수 있는 등 우수한 기능성을 확보할 수 있고, 누구나 불편없이 손쉽게 착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wear it in a tight contact state while wrapping around the user's nose when breathing the nose, and it is possible to filter fine dust in the air, as well as to fix it by hanging on glasses, etc. By providing a nasal respirator, excellent functionality can be secured, such as being able to reliably block fine dust in the air, and anyone can easily wear and use without inconvenience.

10 : 공기개폐용 막
11 : 코싸개
12 : 필터장치
13 : 코싸개 지지장치
14 : 기밀용 테두리부재
15 : 필터 하우징
16 : 필터부재
16a : 프리필터
16b : 헤파필터
17 : 홀
18 : 고리
19 : 훅
20 : 홀더
21 : 밴드 브라켓
22a,22b : 벨크로 테이프
23 : 밴드
24 : 원통형 비강삽입체
25 : 공기 배출홀
26 : 슬릿
27 : 지지체
10: air opening and closing membrane
11: nose wrap
12: filter device
13: nose wrap support device
14: airtight frame member
15: filter housing
16: filter member
16a: pre-filter
16b: HEPA filter
17: hall
18: ring
19: hook
20: holder
21: band bracket
22a,22b: Velcro tape
23: band
24: cylindrical nasal implant
25: air exhaust hole
26: slit
27: support

Claims (6)

사람의 코를 수용하면서 코 주변의 윤곽을 따라 피부에 밀착 가능한 형태로서, 전면과 후면이 개방되어 있는 동시에 양쪽 측면에는 선택적으로 공기를 차단하는 공기개폐용 막(10)이 형성되어 있는 코싸개(11);
상기 코싸개(11)의 전면 개방부위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코로 흡입되는 공기 속의 이물질을 걸러주는 역할을 하는 필터장치(12);
상기 코싸개(11)의 착용을 위한 코싸개 지지장치(13);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 호흡기.
It is a form capable of being closely adhered to the skin along the contour of the nose while accommodating a human nose.The front and rear sides are open, and at the same time, an air opening/closing membrane 10 that selectively blocks air is formed on both sides. 11);
A filter device 12 installed in the front opening of the nose wrap 11 and serves to filter foreign substances in the air sucked through the nose;
A nose wrap support device 13 for wearing the nose wrap 11;
Nasal respiratory system comprising a.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코싸개(11)의 후면 개방부위에는 가장자리를 따라가면서 일정폭으로 안쪽을 향해 젖혀진 형태로 이루어져 코 주변의 윤곽을 따라 피부에 밀착되는 기밀용 테두리부재(14)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 호흡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It characterized in that the airtight rim member 14 is formed in the rear open portion of the nose wrap 11 in a shape that is tilted inward with a certain width while following the edge, and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skin along the contour of the nose. Nasal respiratory system.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필터장치(12)는 코싸개(11)측에 결합되는 원통형의 필터 하우징(15)과, 상기 필터 하우징(15)의 내측에 수납식으로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다수 개의 필터부재(16)를 포함하며, 상기 필터부재(16)는 적어도 프리필터(16a)와 헤파필터(16b)를 이용한 2단계의 공기청정단계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 호흡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filter device 12 includes a cylindrical filter housing 15 coupled to the nose wrap 11 side, and a plurality of filter members 16 retractably and detachably coupled to the inside of the filter housing 15. Including, wherein the filter member (16) is a nasal respirator, characterized in that performing a two-step air cleaning step using at least a pre-filter (16a) and a HEPA filter (16b).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코싸개 지지장치(13)는 하단부의 홀(17)을 이용하여 코싸개(11)에 형성되어 있는 고리(18)에 착탈 가능한 구조로 결합되는 동시에 상단부 양편의 훅(19)을 이용하여 안경측에 걸쳐지는 홀더(2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 호흡기.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The nose wrapper support device 13 is coupled in a detachable structure to the ring 18 formed in the nose wrapper 11 by using the hole 17 at the lower end, and at the same time, the eyeglasses using the hooks 19 on both sides of the upper end. The nasal respirator,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a holder (20) over the side.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코싸개 지지장치(13)는 코싸개(11)의 양편에 형성되어 있는 밴드 브라켓(21)에 각 한쪽이 연결됨과 더불어 각 다른 한쪽은 벨크로 테이프(22a,22b)에 의해 서로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한쌍의 밴드(23)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 호흡기.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The nose wrapper support device 13 is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band bracket 21 formed on both sides of the nose wrapper 11, and the other side is detachably coupled to each other by Velcro tapes 22a and 22b. The nasal respirator,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a pair of bands (23).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코싸개 지지장치(13)는 코싸개(11)의 내부에 설치됨과 더불어 코싸개(11)의 착용 시에 사용자의 코에 꽂을 수 있는 한쌍의 원통형 비강삽입체(24)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 호흡기.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The nose wrapper support device 13 is installed inside the nose wrapper 11 and is made of a pair of cylindrical nasal inserts 24 that can be inserted into the user's nose when the nose wrapper 11 is worn. Nasal respiratory system.
KR1020190108497A 2019-09-03 2019-09-03 Nose respirator KR10224863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8497A KR102248632B1 (en) 2019-09-03 2019-09-03 Nose respirat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8497A KR102248632B1 (en) 2019-09-03 2019-09-03 Nose respirato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27723A true KR20210027723A (en) 2021-03-11
KR102248632B1 KR102248632B1 (en) 2021-05-04

Family

ID=751431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08497A KR102248632B1 (en) 2019-09-03 2019-09-03 Nose respirato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48632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801404B1 (en) * 2022-08-10 2023-10-31 Robert Sabin Heated air N95 mask, heated air training workout mask and multi-function mask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42720A (en) * 2005-10-19 2007-04-24 김종화 Mask of dustproof
KR20120002502A (en) 2010-06-30 2012-01-05 김영호 Pocket type mask
KR20120050809A (en) * 2010-11-11 2012-05-21 이영상 Mask for protecting from pesticide poisoning
JP2015225088A (en) * 2014-05-26 2015-12-14 箱石 英政 Tool for preventing blur of spectacles
KR20160079412A (en) 2014-12-26 2016-07-06 박남준 Nose mask for avoiding inhaling impurities in air
KR20160108859A (en) 2015-03-09 2016-09-21 김명환 Anti-dust nose mask
KR20160134338A (en) 2015-05-15 2016-11-23 안상현 The breathing apparatus for micro dust filtering with exhaust valve in the norse mask
KR20160144038A (en) 2015-06-08 2016-12-16 이지영 Nose mask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42720A (en) * 2005-10-19 2007-04-24 김종화 Mask of dustproof
KR20120002502A (en) 2010-06-30 2012-01-05 김영호 Pocket type mask
KR20120050809A (en) * 2010-11-11 2012-05-21 이영상 Mask for protecting from pesticide poisoning
JP2015225088A (en) * 2014-05-26 2015-12-14 箱石 英政 Tool for preventing blur of spectacles
KR20160079412A (en) 2014-12-26 2016-07-06 박남준 Nose mask for avoiding inhaling impurities in air
KR20160108859A (en) 2015-03-09 2016-09-21 김명환 Anti-dust nose mask
KR20160134338A (en) 2015-05-15 2016-11-23 안상현 The breathing apparatus for micro dust filtering with exhaust valve in the norse mask
KR20160144038A (en) 2015-06-08 2016-12-16 이지영 Nose mask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801404B1 (en) * 2022-08-10 2023-10-31 Robert Sabin Heated air N95 mask, heated air training workout mask and multi-function mask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48632B1 (en) 2021-05-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33645B2 (en) Personal air filter
KR20180064337A (en) A contact type mask having an intake port and vent port
KR101840108B1 (en) Mask for fine dust removal
CN108136237A (en) Filter mask retainer
US20090000624A1 (en) Respirator having a harness and methods of making and fitting the same
JP2018512235A (en) Pollutant inhalation prevention mask
KR101619494B1 (en) Functional mask
JP2000505335A (en) Exercise filter
US20200061399A1 (en) Venus Flu Trap
TWI552784B (en) Nasal mask respirator with filter cartridge
KR20160134338A (en) The breathing apparatus for micro dust filtering with exhaust valve in the norse mask
JP2009247735A (en) Dust-proof mask
KR20200052218A (en) Exhaust valve, the mask having the exhaust valve, and wear unit of the Mask
KR101578506B1 (en) Mask
US20230356010A1 (en) Head encapsulation unit
WO2017011784A1 (en) Facemask with filter insert for protection against airborne pathogens
JP2023553430A (en) Improvements regarding face masks
KR102093517B1 (en) Mask For Cutting Off Fine Dusts
JP2011200421A (en) Mask
KR102248632B1 (en) Nose respirator
KR200492269Y1 (en) Mask with nose filter
KR20210060062A (en) Nose mask for fine dust
WO2018082694A1 (en) Breathing filtration device
KR101819144B1 (en) Spectacles having means of supplying the purified air
KR20160135568A (en) Nose Filter detachable mask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