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27627A - 피부회복 및 진정 기능을 구비한 화장품 조성물 - Google Patents

피부회복 및 진정 기능을 구비한 화장품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27627A
KR20210027627A KR1020190106698A KR20190106698A KR20210027627A KR 20210027627 A KR20210027627 A KR 20210027627A KR 1020190106698 A KR1020190106698 A KR 1020190106698A KR 20190106698 A KR20190106698 A KR 20190106698A KR 20210027627 A KR20210027627 A KR 202100276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solution
cosmetic composition
mixed solution
m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066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43360B1 (ko
Inventor
도운
Original Assignee
도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운 filed Critical 도운
Priority to KR10201901066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43360B1/ko
Publication of KR202100276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276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433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433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 A61K31/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A61K31/352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condensed with carbocyclic rings, e.g. methantheli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61K8/345Alcohols containing more than one hydroxy grou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4Proteins; Peptides; Derivatives or degradation produc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8Sphingolipids, e.g. ceramides, cerebrosides, ganglios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73Polysaccharides
    • A61K8/735Mucopolysaccharides, e.g. hyaluronic acid;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06Algae
    • A61K8/9711Phaeophycota or Phaeophyta [brown algae], e.g. Fucu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94Liliopsida [mono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05Preparations for sensitiv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9Mixtures
    • A61K2800/592Mixtures of compounds complementing their respective functions
    • A61K2800/5922At least two compounds being classified in the same subclass of A61K8/18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Botany (AREA)
  • Myc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physics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피부회복 및 진정 기능을 구비한 화장품 조성물은 전체 화장품 조성물 중량 대비, 부틸렌글리콜, 글리세린을 포함하는 베이스 그룹 70 내지 95중량%, 아보카도추출물, 참마뿌리추출물을 포함하는 추출물 그룹 5 내지 30중량%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부틸렌글리콜, 글리세린을 포함하는 베이스 그룹과 아보카도추출물, 참마뿌리추출물을 포함하는 추출물 그룹을 포함하여 화장품 조성물을 제조함으로써 피부의 회복 및 진정, 영양 공급, 손상 예방 등에 도움이 될 수 있다.

Description

피부회복 및 진정 기능을 구비한 화장품 조성물{Cosmetic composition with skin recovery and soothing function}
본 발명은 피부회복 및 진정 기능을 구비한 화장품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부틸렌글리콜, 글리세린을 포함하는 베이스 그룹과 아보카도추출물, 참마뿌리추출물을 포함하는 추출물 그룹을 포함하여 화장품 조성물을 제조함으로써 피부의 회복 및 진정, 영양 공급, 손상 예방 등에 도움이 될 수 있는, 피부회복 및 진정 기능을 구비한 화장품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먼저, 화장품이란 인체를 청결하게 만들고 미화하여 용모를 변화시키거나 피부의 건강을 유지 또는 증진하기 위하여 인체에 사용되는 것이다. 이때, 화장품은 피부의 신진대사를 촉진시키고, 유수분밸런스를 유지시키며, 유해한 외부환경인자(자외선, 미생물, 먼지, 공해 등)으로부터 보호하는 역할을 수행하여야 한다.
최근, 화장품 업계에서는 이러한 기본적인 기능을 가진 일반화장품에서 나아가 피부의 미백에 도움을 주는 제품, 피부의 주름 개선에 도움을 주는 제품, 피부를 곱게 태워주거나 자외선으로부터 피부를 보호하는 데 도움을 주는 제품 등의 특정기능이 강조된 화장품을 개발 및 출시하고 있다.
이때, 피부의 개선을 위한 화장품 조성물과 관련된 선행기술로 한국 공개 특허 제 10-2017-0010499호(발명의 명칭 : 달팽이 점액 발효여과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피부장벽 개선 및 높은 피부 흡수율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과 기능성 화장품)가 등록되어 있다.
상기 선행기술은 여과한 달팽이 점액에 효모를 접종 발효시켜 생성된 달팽이 점액 발효여과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장벽 개선 및 높은 피부 흡수율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시함과 동시에, 달팽이로부터 일정시간동안 분비된 달팽이 점액을 수집하여 여과하는 단계; 상기 달팽이점액 여과물을 효모 배양배지에 첨가하고 살균하는 단계; 및 상기 살균된 배지의 달팽이점액 여과물에 효모를 접종하여 발효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달팽이 점액 발효여과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피부장벽 개선 및 높은 피부 흡수율을 갖는 화장료 제조방법을 제시하고 있다.
상기 선행기술에 따르면 달팽이점액을 발효여과물을 유효성분으로하여 화장품을 제조함으로써 피부의 장벽을 강화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지만, 일시적으로 피부의 장벽을 강화하여 보호하며 피부 내에 성분이 흡수되어 피부 자체의 개선을 도모하기에는 어려움이 따른다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아보카도추출물, 참마뿌리추출물을 포함하는 추출물 그룹을 포함하여 화장품 조성물을 제조함으로써 피부의 회복 및 개선에 도움이 될 수 있는, 피부회복 및 진정 기능을 구비한 화장품 조성물울 개발할 필요성이 대두되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 기술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부틸렌글리콜, 글리세린을 포함하는 베이스 그룹과 아보카도추출물, 참마뿌리추출물을 포함하는 추출물 그룹을 포함하여 피부의 회복 및 진정, 영양 공급, 손상 예방 등에 도움이 될 수 있는 화장품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아시아티코사이드, 마데카소사이드를 포함하는 기능성 그룹을 포함함으로써 피부를 유연하고 매끄럽게 할 수 있고, 피부에 영양분을 공급해주어 손상된 피부 및 피부에 생성된 흔적의 개선에 도움을 줄 수 있는 화장품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탄력보조제를 추가적으로 포함함으로써 피부의 탄력을 향상시킬 수 있고 피부의 노화를 방지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는 화장품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노화방지보조제를 추가적으로 포함함으로써 항산화 기능을 제공하여 피부의 노화를 방지하고 주름을 개선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는 화장품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피부회복 및 진정 기능을 구비한 화장품 조성물은, 전체 화장품 조성물 중량 대비, 부틸렌글리콜, 글리세린을 포함하는 베이스 그룹 70 내지 95중량%, 아보카도추출물, 참마뿌리추출물을 포함하는 추출물 그룹 5 내지 30중량%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화장품 조성물은, 아시아티코사이드, 마데카소사이드를 포함하는 기능성 그룹을 추가적으로 포함하되, 전체 화장품 조성물 중량 대비, 베이스 그룹 70 내지 90중량%, 추출물 그룹 5 내지 25중량%, 상기 기능성 그룹 0.1 내지 5중량%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하여, 상기 추출물 그룹은, 알로에추출물, 다시마추출물을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상기 기능성 그룹은, 올리고펩타이드, 세라마이드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피부회복 및 진정 기능을 구비한 화장품 조성물에 의하면,
1) 아보카도추출물, 참마뿌리추출물을 포함하는 추출물 그룹을 포함하여 피부의 회복 및 진정, 영양 공급, 손상 예방 등에 도움이 될 수 있고,
2) 아시아티코사이드, 마데카소사이드를 포함하는 기능성 그룹을 포함함으로써 피부를 유연하고 매끄럽게 할 수 있고, 피부에 영양분을 공급해주어 손상된 피부 및 피부에 생성된 흔적의 개선에 도움을 줄 수 있으며,
3) 탄력보조제를 추가적으로 포함함으로써 피부의 탄력을 향상시킬 수 있고 피부의 노화를 방지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을 뿐 아니라,
4) 노화방지보조제를 추가적으로 포함함으로써 항산화 기능을 제공하여 피부의 노화를 방지하고 주름을 개선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화장품 조성물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의 탄력보조제의 코팅막을 제조하는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
도 3은 본 발명의 탄력보조제의 탄력 물질을 제조하는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
도 4는 본 발명의 노화방지보조제를 제조하는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첨부된 도면은 축척에 의하여 도시되지 않았으며, 각 도면의 동일한 참조 번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화장품 조성물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개념도이며, 도 1을 보아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의 피부회복 및 진정 기능을 구비한 화장품 조성물은 베이스 그룹과 추출물 그룹의 혼합물로 이루어져 있다.
구체적으로, 화장품 조성물은 전체 화장품 조성물 중량 대비, 부틸렌글리콜, 글리세린을 포함하는 베이스 그룹 70 내지 95중량%, 아보카도추출물, 참마뿌리추출물을 포함하는 추출물 그룹 5 내지 30중량%의 혼합물일 수 있다.
베이스 그룹은 부틸렌글리콜, 글리세린을 포함하며, 본 발명의 화장품 조성물에 유화 안정성과 동결을 방지하는 기능을 부여한다.
이때, 부틸렌글리콜은 수산기(-OH)를 2개 이상 갖는 폴리올(polyol) 중 하나로서 일반적인 화장품의 보습제로서 많이 사용된다. 이러한 부틸렌글리콜은 피부 자극이 적고 자체 항균성이 있으며 후술할 글리세린보다 가벼운 사용감을 가지므로 산뜻한 느낌을 제공한다는 특징이 있다. 더하여, 글리세린 또한 화장품의 보습제로서 많이 사용되는 물질로서 수분을 흡수하는 성질이 뛰어나 피부에 풍부한 보습감을 공급해줄 수 있으며, 상술한 부틸렌글리콜보다 사용감은 무겁지만 보습력은 더 강하다는 특징이 있다. 이러한 부틸렌글리콜과 글리세린은 베이스 그룹 내에서 다양한 비율로서 존재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부틸렌글리콜 : 글리세린은 1 : 1 또는 3 : 1의 비율로 혼합될 수 있다. 여기서, 베이스 그룹에는 필요에 따라 부틸렌글리콜과 글리세린 이외에 정제수 또는 화장품 조성물에 유화 안정성을 제공할 수 있는 기타 성분들이 함께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
추출물 그룹은 아보카도추출물, 참마뿌리추출물을 포함하며, 본 발명의 화장품 조성물에 피부 회복 및 진정 기능을 부여한다.
이때, 아보카도추출물은 30% 지방산과 다량의 탄수화물 및 단백질이 포함되어 있는 고영양의 아보카도의 열매에서 추출한 성분으로서, 콜라겐, 엘라스틴의 합성을 유도하여 피부의 유연성을 유지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으며, 피부 흡수력이 좋아 건조한 피부에 효과적으로 영양을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참마뿌리추출물은 참마의 뿌리에서 추출한 성분으로서, 피토뮤신이라는 달팽이 점액 유사 성분이 다량 함유되어 있어 식물성 달팽이 점액이라고도 불린다. 이러한 참바뿌리추출물의 피토뮤신은 자극 받은 피부의 완화 및 손상 예방에 도움이 되며, 피부의 흔적 관리에 도움이 되고, 무틴, 사포닌, 알란토인을 함유하여 피부를 보호하는 천연 보습막을 형성함으로써 피부의 보습과 결 관리에 도움이 될 수 있다.
상술한 아보카도추출물과 참마뿌리추출물은 추출물 그룹 내에서 다양한 비율로 존재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아보카도추출물 : 참마뿌리추출물은 1 : 1의 비율 또는 1 : 5의 비율로 혼합되어 존재할 수 있다.
이때, 추출물 그룹은 아보카도추출물 및 참마뿌리추출물 이외에도 피부의 기능에 도움을 줄 수 있는 다른 추출물을 추가적으로 함유할 수 있다.
더하여, 화장품 조성물에는 아시아티코사이드, 마데카소사이드를 포함하는 기능성 그룹이 추가적으로 포함될 수 있으며, 베이스 그룹과 추출물 그룹에 비해 적은 비율로 첨가되어 혼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아시아티코사이드, 마데카소사이드를 포함하는 기능성 그룹은 전체 화장품 조성물 중량 대비, 베이스 그룹 70 내지 90중량%, 추출물 그룹 5 내지 25중량%, 상기 기능성 그룹 0.1 내지 5중량%의 비율로 첨가될 수 있다.
먼저, 아시아티코사이드(Asiaticoside)는 일반적으로 산화방지제, 피부컨디셔닝제로서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센텔라아시아티카(병풀)의 추출성분중 하나인 천연유기화합물이다. 이때, 아시아티코사이드는 피부의 자극을 감소시킬 수 있고, 피부의 탄력을 증진시킬 수 있으며, 산화 방지 효과가 있어 피부를 유연하고 매끄럽게 할 수 있다. 더하여, 피부에 영양분을 공급해주어 손상된 피부 및 피부에 생성된 흔적의 개선에 도움을 줄 수 있고 건성, 지성, 민감성 피부 등 다양한 피부 타입에 적용할 수 있다.
다음, 마데카소사이드(Madecassoside) 또한 센텔라아시아티카(병풀)의 추출성분중 하나로서 외부의 유해 환경으로부터 피부를 보호할 수 있고, 식물의 약리 성분인 트리테르펜(triterpene)이 함유되어 있어 자극 받은 피부를 보호 및 진정시킬 수 있으며, 피지를 효과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는 특징이 있다. 더하여, 건성, 지성, 민감성 피부에 모두 사용하기 적합하여 안정하다는 장점이 있다.
이러한 아시아티코사이드와 마데카소사이드는 기능성 그룹 내에서 다양한 비율로서 혼합되어 존재할 수 있으며, 피부에 유해하지 않은 다른 기능성 성분들을 추가적으로 함께 포함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아시아티코사이드와 마데카소사이드는 기능성 그룹 내에서 1 : 1 또는 1 : 2 등의 다양한 비율로서 존재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화장품 조성물의 추출물 그룹은 알로에추출물과 다시마 추출물을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먼저, 알로에추출물은 알로에의 잎에서 얻어진 즙액으로서 옛날부터 각 국에서 민간약으로서 옛날부터 위의 강화, 변비 등에 복용, 베인 상처, 화상, 여드름, 탈모, 타박상, 벌레 물린 데의 가려움 및 부종멈춤, 열상 등에 이용하였으며, 지혈, 염증완화, 통증 멈춤, 화농방지, 외상에는 육아조직 재생촉진 등의 효능이 있다. 더하여, 피부에 자극적이지 않으며 광택성을 부여할 수 있고 피부 진정 효과에 뛰어나다는 장점이 있다.
다음, 다시마추출물은 피부에 좋은 비타민C와 E가 풍부하여 피부를 윤기 나고 탄력 있게 가꾸어줄 수 있으며, 각질 제거와 피부의 노화 방지에도 효과가 좋다. 더하여, 멜라닌 색소를 억제하여 피부의 미백에 좋으며 달아오른 피부를 진정시켜주기 때문에 자외선 등이 강한 여름철에 활용하면 특히 좋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러한 알로에추출물과 다시마추출물은 상술한 아보카도추출물 및 참마뿌리추출물과 함께 다양한 비율로 혼합되어 존재할 수 있으며, 이때 이들의 혼합 비율에 대해서는 구체적인 제한을 두지 않는다. 더하여, 피부의 회복 및 진정 등에 도움이 될 수 있는 기타 추출물이 추가적으로 포함되어 함께 혼합되어 있을 수도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아시아티코사이드, 마데카소사이드를 포함하는 기능성 그룹은 올리고펩타이드, 세라마이드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먼저, 올리고펩타이드는 2개에서 20개의 아미노산(amino acids)으로 이루어진 펩타이드(peptide)를 말하는 것으로서, 피부의 재생에 관여하는 성분과 유사하여 피부 내에서 콜라겐의 합성을 촉진시킬 수 있으며, 이로써 피부의 탄력과 주름 개선에 도움을 줄 수 있다. 더하여, 노화된 각질의 탈락을 촉진시킬 수 있어 피부의 턴오버(turn-over)주기를 촉진시킴으로써 피부 상처의 회복과 노화 피부의 개선에 도움이 될 수 있다.
다음, 세라마이드는 피부 표면층에 높은 함량으로 존재하는 지방질(지방) 성분으로서, 피부의 표면에 보호막을 형성하여 수분의 손실을 방지하며 외부의 유해 환경 및 오염으로부터 피부를 보호할 수 있다. 또한, 세라마이드는 레티놀, 나이아신아마이드, 그리고 펩타이드보다 안티에이징에 뛰어난 성분이며, 피부 장벽을 강화하고 수분을 증가시켜 부드럽고, 탄력 있는 피부를 느낄 수 있고, 주름이 완화되고, 민감함을 완화시킬 수 있다. 더하여, 피부의 자연스럽게 함유되어 있는 성분이기 때문에 모든 피부에 적합하며 향과 자극 성분이 함유되어있지 않는 한 눈가 등의 얇고 민감한 피부에도 사용이 가능하다. 이러한 세라마이드는 다른 피부 보충 성분, 예를 들어서 지방산, 글리세린, 그리고 콜레스트롤과 함께 사용되었을 때 가장 효과적이다.
또 다른 실시예로서, 본 발명의 화장품 조성물은 히알루론산을 포함하는 탄력보조제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으며, 이로써 피부의 탄력을 향상시킬 수 있고 피부의 노화를 방지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체 화장품 조성물 중량 대비, 1 내지 5중량% 상기 탄력보조제가 추가적으로 포함될 수 있다.
이때, 이러한 탄력보조제는 히알루론산을 포함하는 탄력 물질이 코팅막에 의해 감싸져서 캡슐레이션(capsulation)되어있을 수 있으며, 이로써 피부의 탄력을 증진시키는 물질이 손상되지 않고 오래 유지되어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탄력보조제의 코팅막을 제조하는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이러한 코팅막은 1차 혼합 용액 제조 단계(S110), 2차 혼합 용액 제조 단계(S111), 코팅제 제조 단계(S112), 코팅막 완성 단계(S113)를 거쳐 제조될 수 있다.
먼저, 1차 혼합 용액 제조 단계(S110)는 전체 1차 혼합 용액 중량 대비, 물 55 내지 70중량%, PVA(Poly(vinyl alcohol)) 25 내지 35중량%, PEG(Poly(ethylene glycol)) 5 내지 15중량%를 혼합한 뒤 80 내지 95℃로 가열하여 1차 혼합 용액을 과정이다. 여기서, PVA는 우수한 기계적 물성을 가지는 것으로서 후에 고화되어 겔 형태의 막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PEG는 PVA 사슬의 분자 간 또는 분자 내 수소 결합을 유도하기 위한 첨가제이다.
다음, 2차 혼합 용액 제조 단계(S111)는 전체 2차 혼합 용액 중량 대비, 헥산 30 내지 80중량%, PLGA(poly(lactic-co-glycolic acid)) 20 내지 70중량%을 혼합하여 2차 혼합 용액을 제조하는 과정으로서, 15,000 내지 25,000rpm의 속도로 5 내지 10분 동안 교반하여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헥산은 PLGA를 용해시킬 수 있는 용매로서 역할을 수행하며, PLGA는 체내에서 효소의 작용 없이 단순 가수 분해될 수 있는 생체형 고분자로서 고화되어 멤브레인을 형성할 수 있다.
이후, 코팅제 제조 단계(S112)는 전체 코팅제 중량 대비, 상기 1차 혼합 용액 50 내지 70중량%, 상기 2차 혼합 용액 30 내지 50중량%을 혼합하여 코팅제를 제조하는 과정이며, 코팅막 완성 단계(S113)는 상기 코팅제를 냉각하여 코팅막을 완성하는 과정으로서, 냉각은 상온(약 10 내지 30℃)의 온도 까지 진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완성된 코팅제는 고화되어 물성이 뛰어난 코팅막을 형성할 수 있으며, 이로써 상술한 탄력보조제를 안정적으로 보호할 수 있다. 더하여, 생분해성이 있어 체내에서 일정 시간이 흐른 뒤 자연적으로 분해되어 제거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피부의 탄력 효과가 오래 지속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탄력보조제의 탄력 물질을 제조하는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이때, 상술한 탄력보조제의 핵심 물질인 탄력 물질은 제 1 용액 제조 단계(S120), 제 1 물질 수득 단계(S121), 제 2 물질 수득 단계(S122), 제 3 용액 제조 단계(S123), 제 4 용액 제조 단계(S124), 제 3 물질 수득 단계(S125), 탄력 물질 완성 단계(S126)를 거쳐 제조될 수 있다.
먼저, 제 1 용액 제조 단계(S120)는 전체 제 1 용액 중량 대비, 물 50 내지 60중량%, PEGDE(Poly(ethylene glycol) diglycidyl ether) 30 내지 40중량%, 히알루론산(Hyaluronic acid) 0.1 내지 10중량%을 혼합한 뒤 50 내지 70℃에서 1 내지 3시간 동안 가열하여 제 1 용액을 제조하는 과정이며, 제 1 물질 수득 단계(S121)는 제 1 용액을 - 60 내지 -40℃에서 동결 건조한 뒤 수득물을 물을 통해 1 내지 3회 세척하고 다시 동결 건조하여 제 1 물질을 수득하는 과정이다.
여기서, 히알루론산은 결체조직뿐만 아니라 관절의 윤활액, 피부, 탯줄 등에서 기질을 이루며 겔 상태로 존재하는 것으로 피부 조직 내에서 접착제로 작용하고 조직 장벽을 이루어 세균과 같은 전염성 물질의 통과를 막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으며, 피부에 수분을 공급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PEGDE는 히알루론산 구조의 알코올 그룹(-OH)에 결합되어 히알루론산을 개질시킬 수 있다. 즉, 후술할 콜라겐과의 반응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따라서 수득된 제 1 물질은 표면이 개질된 히알루론산이라고 할 수 있다.
이후, 제 2 물질 수득 단계(S122)는 전체 제 2 용액 중량 대비, pH 7.4의 PBS(Phosphate Buffered Saline) 용액 70 내지 85중량%, 제 1 물질 15 내지 30중량%을 혼합하여 제 2 용액을 제조한 뒤 여과하여 잔여물인 제 2 물질을 수득하는 과정이다. 여기서, pH 농도가 7.4인 PBS 용액을 사용하는 이유는 이 pH 농도를 가지는 것이 살아있는 생물에 적용하기 안정적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제 2 물질은 제 1 물질을 생물에 적합한 pH 농도에 맞추기 위하여 조절된 것이다.
다음, 제 3 용액 제조 단계(S123)는 전체 제 3 용액 중량 대비, pH 3 염산 용액 90 내지 99.9중량%, 콜라겐 0.1 내지 10중량%을 혼합하여 제 3 용액을 제조하는 과정이다. 여기서, 콜라겐은 단백질 구조재로서 동물의 체형을 유지하는데 관여하고, 진피, 힘줄, 혈관, 뼈, 치아 등의 인체 조직에 포함된 것이다. 이때, 콜라겐은 대부분의 동물, 특히 포유동물에서 많이 발견되는 섬유 단백질로, 피부와 연골 등 체내의 모든 결합조직의 대부분을 차지하며, 피부에 보습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염산 용액은 콜라겐을 용해시킬 수 있으며, 제 3 용액의 용매로서 역할을 수행한다.
이후, 제 4 용액 제조 단계(S124)는 전체 제 4 용액 중량 대비, 제 3 용액 70 내지 90중량%, 제 2 물질 10 내지 30중량%을 30 내지 40℃에서 20 내지 30시간 동안 혼합하여 제 4 용액을 제조하는 과정이며, 제 3 물질 수득 단계(S125)는 제 4 용액을 -55 내지 -45℃에서 동결건조한 뒤 물로 1 내지 3회 세척한 후 다시 동결 건조하여 제 3 물질을 수득하는 과정이다. 여기서, 제 4 용액은 제 2 물질 즉, 개질된 히알루론산과 콜라겐 용액을 혼합한 용액으로서 히알루론산-콜라겐 복합체가 제조될 수 있다. 즉, 수득된 제 3 물질이 히알루론산-콜라겐 복합체인 것이다.
마지막으로, 탄력 물질 완성 단계(S126)는 전체 탄력 물질 중량 대비, 제 3 물질 5 내지 30중량%, PBS 용액 70 내지 95중량%을 혼합하여 탄력 물질을 완성하는 과정이다. 여기서, PBS 용액은 상술한 바와 같이 7.4의 pH 농도인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탄력 물질을 피부에 적용하기 적합한 pH 농도로 맞추기 위해서 혼합되는 것이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제조된 탄력 물질은 인체의 조직의 성분이며 생체에 적합한 콜라겐 및 히알루론산을 통해 제조된 복합체이므로 인체에 무해하며, 피부의 탄력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피부의 노화를 방지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서, 화장품 조성물은 퀘르세틴(quercetin)을 포함하는 노화방지보조제를 추가적으로 포함함으로써 항산화 기능을 제공하여 피부의 노화를 방지하고 주름을 개선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체 화장품 조성물 중량 대비, 1 내지 5중량% 상기 노화방지보조제가 추가적으로 포함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노화방지보조제를 제조하는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이러한 노화방지보조제는 제 1 혼합 용액 제조 단계(S210), 제 2 혼합 용액 제조 단계(S211), 제 3 혼합 용액 제조 단계(S212), 여과 용액 수득 단계(S213), 노화방지보조제 완성 단계(S214)를 거쳐 제조될 수 있다.
먼저, 제 1 혼합 용액 제조 단계(S210)는 전체 제 1 혼합 용액 중량 대비, 올레인산(oleic acid) 25 내지 35중량%, 포스파티딜콜린(Phosphatidylcholine) 15 내지 25중량%, 콜레스테롤(Cholesterol) 10 내지 20중량%, 세라마이드(Ceramide) 5 내지 15중량%, 퀘르세틴(quercetin) 10 내지 20중량%, 루틴(rutin) 10 내지 20중량%을 혼합하여 제 1 혼합 용액을 제조하는 과정이다.
여기서, 올레인산, 콜레스테롤, 세라마이드의 혼합은 생체 세포간지질의 조성과 유사하기 때문에 높은 생체 친화도와 전달력을 이용하여 노화방지보조제의 피부 흡수가 잘 되도록 보조할 수 있는 물질이며, 포스파티딜콜린은 이러한 조합에 더하여 용해도를 개선하기 위하여 첨가되었다. 또한, 퀘르세틴과 루틴은 항산화 기능을 제공할 수 있어 피부의 노화를 방지할 수 있으며 손상된 피부를 개선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는 물질이다.
다음, 제 2 혼합 용액 제조 단계(S211)는 전체 제 2 혼합 용액 중량 대비, 클로로포름 35 내지 60중량%, 메탄올 25 내지 45중량%, 상기 제 1 혼합 용액 5 내지 20중량%을 혼합하여 제 2 혼합 용액을 제조하는 과정이다. 여기서, 클로로포름과 메탄올은 노화방지보조제 제조를 위한 용매로서 역할을 수행한다.
이후, 제 3 혼합 용액 제조 단계(S212)는 상기 제 2 혼합 용액을 회전 증발 농축을 통해 용매를 제거하여 중간 물질을 수득한 뒤, 전체 제 3 혼합 용액 중량 대비, 상기 중간 물질 5 내지 20중량%, 인산완충용액(phosphate buffer, PB) 80 내지 95중량%을 혼합하여 제 3 혼합 용액을 제조하는 과정이다.
이때, 회전 증발 농축은 감압 하에서 플라스크를 수조 중에서 회전하여 플라스크 내의 액체를 농축 또는 제거시켜 진행될 수 있다. 또한, 인산완충용액은 pH가 약 7.0이 되도록 유지함으로써 상술한 과정을 통해 형성된 세포간지질의 조성과 유사한 막의 가수 분해를 방지하기 위하여 첨가되었다.
다음, 여과 용액 수득 단계(S213)는 상기 제 3 혼합 용액을 0.4 내지 0.5㎛ 크기의 필터로 여과한 뒤 잔여물을 제거한 여과 용액을 수득하는 과정이며, 노화방지보조제 완성 단계(S214)는 전체 노화방지보조제 중량 대비, 상기 여과 용액 15 내지 40중량%, 셀룰로오스 분말을 포함하는 흡수보조제 60 내지 85중량%를 혼합한 뒤 30 내지 45℃에서 20 내지 30시간 동안 가열하여 노화방지보조제를 완성하는 과정이다.
여기서, 흡수보조제는 셀룰로오스 분말을 포함하여 제조되었으며 노화방지제의 피부 흡수를 보조하기 위하여 제조되었다. 이때, 흡수보조제의 구체적인 제조 방법은 후술하도록 한다.
이러한 방법을 통해 제조된 노화방지제는 퀘르세틴과 루틴을 포함하여 제조되었기 때문에 항산화 작용을 수행함으로써 피부의 노화를 방지하고 주름을 개선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다.
이때, 상술한 흡수보조제는 피부와 친화성이 높은 셀룰로오스를 포함하여 제조되었기 때문에 노화방지보조제가 피부 내로 원활히 흡수할 수 있도록 도움을 줄 수 있는 물질이며, 이를 통해 노화방지보조제가 피부 내에 잘 흡수되어 항산화 기능을 발휘함으로써 피부의 노화를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흡수보조제는 1차 물질 제조 단계, 2차 물질 제조 단계, 3차 물질 제조 단계, 흡수보조제 완성 단계를 거쳐 제조될 수 있다.
먼저, 1차 물질 제조 단계는 전체 1차 물질 중량 대비, 9% 염화나트륨 용액 80 내지 95중량%, 셀룰로오스 분말 5 내지 20중량%을 혼합한 뒤 - 80 내지 -60℃에서 20 내지 30시간 동안 동결시켜 1차 물질을 제조하는 과정이며, 다음, 2차 물질 제조 단계는 상기 1차 물질을 15 내지 30℃로 해동시킨 뒤 전체 2차 물질 중량 대비, 상기 1차 물질 60 내지 80중량%, 물 20 내지 40중량%을 혼합하여 2차 물질을 제조하는 과정이다.
여기서, 9% 염화나트륨 용액 은 셀룰로오스 분말의 용해를 위한 용매로서 역할을 수행하며, 셀룰로오스는 천연 고분자의 한 종류로서 미색류의 바깥막, 연체동물의 점액물질 등에 포함되어 있는 물질이다. 이러한 셀룰로오스는 물에 팽윤되어 많은 양의 수분을 함유할 수 있는데, 피부의 최외각층인 각질층의 피부 수화도에 따라 장벽 기능이 감소하는 현상을 이용하여 투과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즉, 피부 수화 시스템을 이용함으로써 노화방지보조제의 투과를 촉진시킬 수 있다.
이후, 3차 물질 제조 단계는 전체 3차 물질 중량 대비, 상기 2차 물질 85 내지 95중량%, 카보머(Carbomer) 5 내지 15중량%을 혼합한 뒤 70 내지 80℃에서 6 내지 10시간 동안 가열하여 3차 물질을 제조하는 과정이다.
여기서, 카보머는 제 3 용액의 가교 반응을 촉진하는 물질로서, 이를 통해 흡수보조제는 용액의 형태가 아닌 하이드로겔(hydrogel) 형태가 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흡수보조제 완성 단계는 상기 3차 물질을 증류수 및 에탄올로 세척하여 흡수보조제를 완성하는 과정으로서, 세척 과정은 2 내지 5회 진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디.
이러한 과정을 통해 제조된 흡수보조제는 물물에 팽윤되어 녹지 않고 많은 양의 수분을 함유할 수 있는 3차원 망상의 친수성 고분자로 이루어져 피부에 효과적으로 수분을 공급할 수 있으며, 더하여 노화방지보조제를 효과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피부회복 및 진정 기능을 구비한 화장품 조성물을 상기 설명 및 도면에 표현하였지만 이는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여 본 발명의 사상이 상기 설명 및 도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S110: 1차 혼합 용액 제조 단계 S111: 2차 혼합 용액 제조 단계
S112: 코팅제 제조 단계 S113: 코팅막 완성 단계
S120: 제 1 용액 제조 단계 S121: 제 1 물질 수득 단계
S122: 제 2 물질 수득 단계 S123: 제 3 용액 제조 단계
S124: 제 4 용액 제조 단계 S125: 제 3 물질 수득 단계
S126: 탄력 물질 완성 단계 S210: 제 1 혼합 용액 제조 단계
S211: 제 2 혼합 용액 제조 단계 S212: 제 3 혼합 용액 제조 단계
S213: 여과 용액 수득 단계 S214: 노화방지보조제 완성 단계

Claims (10)

  1. 피부회복 및 진정 기능을 구비한 화장품 조성물로서,
    전체 화장품 조성물 중량 대비, 부틸렌글리콜, 글리세린을 포함하는 베이스 그룹 70 내지 95중량%, 아보카도추출물, 참마뿌리추출물을 포함하는 추출물 그룹 5 내지 30중량%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품 조성물은,
    아시아티코사이드, 마데카소사이드를 포함하는 기능성 그룹을 추가적으로 포함하되,
    전체 화장품 조성물 중량 대비, 베이스 그룹 70 내지 90중량%, 추출물 그룹 5 내지 25중량%, 상기 기능성 그룹 0.1 내지 5중량%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조성물.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 그룹은,
    알로에추출물, 다시마추출물을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조성물.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성 그룹은,
    올리고펩타이드, 세라마이드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조성물.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품 조성물은,
    히알루론산을 포함하는 탄력보조제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되,
    전체 화장품 조성물 중량 대비, 1 내지 5중량% 상기 탄력보조제가 추가적으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조성물.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탄력보조제는,
    히알루론산을 포함하는 탄력 물질이 코팅막에 의해 감싸져서 캡슐레이션(capsulation)되어있되,
    상기 코팅막은,
    전체 1차 혼합 용액 중량 대비, 물 55 내지 70중량%, PVA(Poly(vinyl alcohol)) 25 내지 35중량%, PEG(Poly(ethylene glycol)) 5 내지 15중량%를 혼합한 뒤 80 내지 95℃로 가열하여 1차 혼합 용액을 제조하는, 1차 혼합 용액 제조 단계;
    전체 2차 혼합 용액 중량 대비, 헥산 30 내지 80중량%, PLGA(poly(lactic-co-glycolic acid)) 20 내지 70중량%을 혼합하여 2차 혼합 용액을 제조하는, 2차 혼합 용액 제조 단계;
    전체 코팅제 중량 대비, 상기 1차 혼합 용액 50 내지 70중량%, 상기 2차 혼합 용액 30 내지 50중량%을 혼합하여 코팅제를 제조하는, 코팅제 제조 단계;
    상기 코팅제를 냉각하여 코팅막을 완성하는 단계;를 거쳐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조성물.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탄력 물질은,
    전체 제 1 용액 중량 대비, 물 50 내지 60중량%, PEGDE(Poly(ethylene glycol) diglycidyl ether) 30 내지 40중량%, 히알루론산(Hyaluronic acid) 0.1 내지 10중량%을 혼합한 뒤 50 내지 70℃에서 1 내지 3시간 동안 가열하여 제 1 용액을 제조하는, 제 1 용액 제조 단계;
    상기 제 1 용액을 - 60 내지 -40℃에서 동결 건조한 뒤 수득물을 물을 통해 1 내지 3회 세척하고 다시 동결 건조하여 제 1 물질을 수득하는, 제 1 물질 수득 단계;
    전체 제 2 용액 중량 대비, pH 7.4의 PBS(Phosphate Buffered Saline) 용액 70 내지 85중량%, 상기 제 1 물질 15 내지 30중량%을 혼합하여 제 2 용액을 제조한 뒤 여과하여 잔여물인 제 2 물질을 수득하는, 제 2 물질 수득 단계;
    전체 제 3 용액 중량 대비, pH 3 염산 용액 90 내지 99.9중량%, 콜라겐 0.1 내지 10중량%을 혼합하여 제 3 용액을 제조하는, 제 3 용액 제조 단계;
    전체 제 4 용액 중량 대비, 상기 제 3 용액 70 내지 90중량%, 상기 제 2 물질 10 내지 30중량%을 30 내지 40℃에서 20 내지 30시간 동안 혼합하여 제 4 용액을 제조하는, 제 4 용액 제조 단계;
    상기 제 4 용액을 -55 내지 -45℃에서 동결건조한 뒤 물로 1 내지 3회 세척한 후 다시 동결 건조하여 제 3 물질을 수득하는, 제 3 물질 수득 단계;
    전체 탄력 물질 중량 대비, 상기 제 3 물질 5 내지 30중량%, PBS 용액 70 내지 95중량%을 혼합하여 탄력 물질을 완성하는 단계;를 거쳐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조성물.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품 조성물은,
    퀘르세틴(quercetin)을 포함하는 노화방지보조제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되,
    전체 화장품 조성물 중량 대비, 1 내지 5중량% 상기 노화방지보조제가 추가적으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조성물.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노화방지보조제는,
    전체 제 1 혼합 용액 중량 대비, 올레인산(oleic acid) 25 내지 35중량%, 포스파티딜콜린(Phosphatidylcholine) 15 내지 25중량%, 콜레스테롤(Cholesterol) 10 내지 20중량%, 세라마이드(Ceramide) 5 내지 15중량%, 퀘르세틴(quercetin) 10 내지 20중량%, 루틴(rutin) 10 내지 20중량%을 혼합하여 제 1 혼합 용액을 제조하는, 제 1 혼합 용액 제조 단계;
    전체 제 2 혼합 용액 중량 대비, 클로로포름 35 내지 60중량%, 메탄올 25 내지 45중량%, 상기 제 1 혼합 용액 5 내지 20중량%을 혼합하여 제 2 혼합 용액을 제조하는, 제 2 혼합 용액 제조 단계;
    상기 제 2 혼합 용액을 회전 증발 농축을 통해 용매를 제거하여 중간 물질을 수득한 뒤, 전체 제 3 혼합 용액 중량 대비, 상기 중간 물질 5 내지 20중량%, 인산완충용액(phosphate buffer, PB) 80 내지 95중량%을 혼합하여 제 3 혼합 용액을 제조하는, 제 3 혼합 용액 제조 단계;
    상기 제 3 혼합 용액을 0.4 내지 0.5㎛ 크기의 필터로 여과한 뒤 잔여물을 제거한 여과 용액을 수득하는, 여과 용액 수득 단계;
    전체 노화방지보조제 중량 대비, 상기 여과 용액 15 내지 40중량%, 셀룰로오스 분말을 포함하는 흡수보조제 60 내지 85중량%를 혼합한 뒤 30 내지 45℃에서 20 내지 30시간 동안 가열하여 노화방지보조제를 완성하는 단계;를 거쳐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조성물.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흡수보조제는,
    전체 1차 물질 중량 대비, 9% 염화나트륨 용액 80 내지 95중량%, 셀룰로오스 분말 5 내지 20중량%을 혼합한 뒤 -80 내지 -60℃에서 20 내지 30시간 동안 동결시켜 1차 물질을 제조하는, 1차 물질 제조 단계;
    상기 1차 물질을 15 내지 30℃로 해동시킨 뒤 전체 2차 물질 중량 대비, 상기 1차 물질 60 내지 80중량%, 물 20 내지 40중량%을 혼합하여 2차 물질을 제조하는, 2차 물질 제조 단계;
    전체 3차 물질 중량 대비, 상기 2차 물질 85 내지 95중량%, 카보머(Carbomer) 5 내지 15중량%을 혼합한 뒤 70 내지 80℃에서 6 내지 10시간 동안 가열하여 3차 물질을 제조하는, 3차 물질 제조 단계;
    상기 3차 물질을 증류수 및 에탄올로 세척하여 흡수보조제를 완성하는 단계;를 거쳐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조성물.
KR1020190106698A 2019-08-29 2019-08-29 피부회복 및 진정 기능을 구비한 화장품 조성물 KR1022433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6698A KR102243360B1 (ko) 2019-08-29 2019-08-29 피부회복 및 진정 기능을 구비한 화장품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6698A KR102243360B1 (ko) 2019-08-29 2019-08-29 피부회복 및 진정 기능을 구비한 화장품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27627A true KR20210027627A (ko) 2021-03-11
KR102243360B1 KR102243360B1 (ko) 2021-04-22

Family

ID=751430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06698A KR102243360B1 (ko) 2019-08-29 2019-08-29 피부회복 및 진정 기능을 구비한 화장품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4336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81661B1 (ko) * 2022-10-21 2022-12-27 주식회사 더마룹 비건엑소좀, 비건펩타이드, 비건히알루론산 및 비건세라마이드를 함유한 피부 장벽개선, 보습에 효과적인 화장료 조성물
KR102524599B1 (ko) * 2022-10-21 2023-04-21 주식회사 더마룹 비건 pdrn을 함유하여 리포좀화한 탄력, 영양, 재생에 효과적인 조성물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81661B1 (ko) * 2022-10-21 2022-12-27 주식회사 더마룹 비건엑소좀, 비건펩타이드, 비건히알루론산 및 비건세라마이드를 함유한 피부 장벽개선, 보습에 효과적인 화장료 조성물
KR102524599B1 (ko) * 2022-10-21 2023-04-21 주식회사 더마룹 비건 pdrn을 함유하여 리포좀화한 탄력, 영양, 재생에 효과적인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43360B1 (ko) 2021-04-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uncan et al. Advantages of hyaluronic acid and its combination with other bioactive ingredients in cosmeceuticals
CN108653142A (zh) 一种保湿组合物
CN106137906A (zh) 一种植物精粹修护面膜精华液
CN106420482A (zh) 一种肌能赋活水光精华液
CN104983647A (zh) 深层修复面膜及其制备方法
KR102143829B1 (ko) 가교결합된 히알루론산 및 루페올을 포함하는 피부 보습 및 여드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613845B1 (ko) 천연물 유래의 피부개선용 화장조성물
KR102243360B1 (ko) 피부회복 및 진정 기능을 구비한 화장품 조성물
CN104958241A (zh) 一种保湿中药面膜产品及其制备方法
KR101479642B1 (ko) 하이드로겔 팩 및 그 제조방법
WO2009002982A2 (en) Gastropod biological fluid, method of making and refining and use
CN105963239A (zh) 可促进皮肤再生的乳液
CN114010532A (zh) 双剂单向缓释皮肤修护膜和其制备方法及应用
CN103705431B (zh) 一种鱼源胶原抗氧化肽美容面膜及其制备方法
JP4993391B2 (ja) 痩身方法に使用する痩身用塗布剤
CN108553365A (zh) 一种苹果肌丝滑面膜及其制备方法
JP2001131049A (ja) 皮膚外用剤
CN103622879A (zh) 一种含花生多肽的日霜及其制备方法
US20200354431A1 (en) Mutable collagenous tissue from echinoderms
KR20170066806A (ko) 전복 점액 및 전복 추출물을 포함하는 보습용 하이드로겔 팩
JP3522609B2 (ja) ヒアルロン酸産生促進剤、及びこれを含有して成る皮膚外用剤
CN108403526A (zh) 一种去眼袋的植物护肤组合物及应用
CN105662998B (zh) 一种具有防护紫外线的牦牛皮胶原面膜及制备方法
CN103599054A (zh) 含花生蛋白多肽的面膜及其制备方法
JP2021169532A (ja) トランスグルタミナーゼ産生促進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