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27149A - Oral appliance - Google Patents

Oral applian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27149A
KR20210027149A KR1020200108340A KR20200108340A KR20210027149A KR 20210027149 A KR20210027149 A KR 20210027149A KR 1020200108340 A KR1020200108340 A KR 1020200108340A KR 20200108340 A KR20200108340 A KR 20200108340A KR 20210027149 A KR20210027149 A KR 202100271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adjustment
bracket
support unit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0834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554912B1 (en
Inventor
정일도
조인환
윤원상
임혜정
박진영
김어빈
Original Assignee
(주)큐라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큐라움 filed Critical (주)큐라움
Priority to PCT/KR2020/011540 priority Critical patent/WO2021040454A2/en
Publication of KR202100271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2714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549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5491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56Devices for preventing snoring
    • A61F5/566Intra-oral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02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8Other medical applications
    • A61B5/4806Sleep evalu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68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 A61B5/6801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specially adapted to be attached to or worn on the body surface
    • A61B5/6813Specially adapted to be attached to a specific body part
    • A61B5/6814Head
    • A61B5/682Mouth, e.g., oral cavity; tongue; Lips; Teet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9/00Dental auxiliary appliances
    • A61C19/04Measuring 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dentistr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5/00Filling or capping teeth
    • A61C5/007Dental splints; teeth or jaw immobilisation devices; stabilizing retainers bonded to teeth after orthodontic treat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2204/00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1C2204/002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using batteri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Biophysic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ath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Dentistry (AREA)
  • Surgery (AREA)
  • Epidemiology (AREA)
  • Nursing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Pulmonology (AREA)
  • Otolaryngolog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oral device mounted to the inside of the oral cavity. More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oral device for treating snoring and sleep apnea. The oral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n upper unit in which at least a part of the upper teeth is received; a lower unit in which at least a part of the lower teeth is received and which is engaged with the upper unit; a pair of front and back movement amount adjustment units which protrude from a side surface of one of the upper unit and the lower unit, have adjustment brackets provided slidably forward or backward, are placed in mutually symmetrical positions, and adjust the sliding amount of the adjustment brackets so as to make it possible to adjust the amount of forward movement of the lower unit with respect to the upper unit; a first support unit which is in contact with one surface of the adjustment bracket of one of the front and back movement amount adjustment units, and is installed at the other of the upper unit and the lower unit; and a second support unit which is in contact with one surface of the adjustment bracket of the other of the front and back movement amount adjustment units, is installed at the other of the upper unit and the lower unit, and is installed in a position symmetrical to a position in which the first support unit is installed.

Description

구강 장치{ORAL APPLIANCE}Oral device {ORAL APPLIANCE}

본 발명은 구강 내에 장착되는 구강 장치로서, 보다 상세하게 코골이 및 수면무호흡증 치료용 구강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oral device mounted in the oral cavity, and more particularly, to an oral device for treating snoring and sleep apnea.

수면 중의 호흡장애는 심각한 건강 문제를 야기할 수 있으며, 대표적인 수면호흡장애(sleep-related breathing disorders) 증상으로 코골이와 수면후호흡증이 있다.Sleeping breathing disorder can cause serious health problems, and typical sleep-related breathing disorders include snoring and post-sleep breathing.

이러한 코골이는 흡기시 인두벽과 주위 연조직간의 간격이 좁아지면서 흡기시 이러한 좁아진 부위가 진동하여 소리를 발생시키는 현상이며, 아울러, 폐쇄성 수면무호흡증(obstructive sleep apnea, OSA)은 인두벽과 기도 주위 연조직이 지나치게 이완되어 연조직이 인두벽과 밀접되어 상기도가 좁아짐에 따라 공기의 흐름이 일부 차단되면서 기도가 일시적으로 막힘에 따라 공기가 폐에 일시적으로 흐르지 못하는 현상이다. 이러한 코골이와 폐쇄성 수면무호흡증은 수면 중에 자주 깨는 것에 의하여 수면의 질이 저하되고, 반복적인 저 산소증에 의하여 낮에 만성적인 피로 증상과 만성 두통 증상을 보이며, 신경 인지적인 기능 장애를 초래한다.Such snoring is a phenomenon in which the gap between the pharyngeal wall and the surrounding soft tissue is narrowed during inspiration, and the narrowed area vibrates during inhalation to generate sound. This is a phenomenon in which the air flow is partially blocked as the upper airway narrows as the soft tissue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pharyngeal wall due to excessive relaxation, and the airway is temporarily blocked, so that air cannot flow to the lungs temporarily. Such snoring and obstructive sleep apnea decrease the quality of sleep due to frequent waking during sleep, and chronic fatigue symptoms and chronic headache symptoms during the day due to repetitive hypoxia, and neurocognitive dysfunction.

뿐만 아니라, 많은 연구 결과에 의하면 수면무호흡증과 동맥성 고혈압, 관상 동맥 질환 사이의 연관성이 보고되고 있으며, 수면 무호흡 상태를 반복하다보면 혈액속에 저산소증을 초래하여 부정맥 및 심한 경우에는 심부전으로 돌연사에 이르는 불행한 경우도 발생하고 있는 것이다. 아울러, 소아의 코골이의 경우에는 성장 장애와 학습 장애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발표되었다.In addition, many studies have reported a link between sleep apnea, arterial hypertension, and coronary artery disease. Repeated sleep apnea causes hypoxia in the blood, leading to sudden death due to arrhythmia and heart failure in severe cases. Is also occurring. In addition, it has been reported that snoring in children is highly likely to lead to growth and learning difficulties.

그러므로, 이러한 수면 중의 호흡장애 증상인 코골이와 수면무호흡증을 완화, 치료하기 위한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호흡장치나 수술법에 의한 개선도 시도되고 있으나, 호흡장치는 그 장치의 설치 및 착용이 번거롭다는 문제점이 있고 수술법은 고통이 따르며 항구적인 치료 결과를 얻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Therefore, attempts have been made to alleviate and treat snoring and sleep apnea, which are symptoms of breathing disorders during sleep, and improvement by respiratory devices or surgical methods is also being attempted, but the installation and wearing of the breathing device is cumbersom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surgical method is painful, and it is difficult to obtain a permanent treatment result.

한편,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사용자의 하악을 전방으로 이동시켜, 수면 중 코골이 또는 수면무호흡증을 저감시키기 위한 구강 장치들에 제시되고 있으나, 사용자의 구강 상태에 따라 하악 위치를 조정시키는 구강 장치의 조정 구성들이 사용자의 구강 환경에 노출됨에 따라 상기 구강 장치에 음식물의 협착이 발생되거나 사용자가 과도하게 이물감을 느낄 수 있는 문제가 있다. On the other hand,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it has been suggested in oral devices to reduce snoring or sleep apnea during sleep by moving the user's mandible forward, but the adjustment configuration of the oral device to adjust the mandible position according to the user's oral condition. As they are exposed to the user's oral environment, there is a problem in that food is constricted in the oral device or the user may feel an excessive foreign body sensation.

또한, 사용자가 상기 구강 장치를 착용한 상태에서, 사용자의 상태를 모니터링을 하기 위해서는 수면 검사를 진행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In addition, in a state in which the user wears the oral device, there is an inconvenience of performing a sleep examination in order to monitor the user's condition.

한국등록특허 제10-1080463호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080463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강 장치는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사용자의 구강에 설치된 상태에서 사용자의 구강 환경에 조정 구성의 노출이 최소화되는 구강 장치를 제안하고자 한다.An ora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to propose an oral device that minimizes exposure of the adjustment component to the user's oral environment in a state installed in the user's oral cavity.

또한, 사용자가 구강 장치를 착용한 상태에서 사용자의 수면 상태를 측정할 수 있는 구강 장치를 제안하고자 한다.In addition, it is intended to propose an oral device capable of measuring the user's sleeping state while the user is wearing the oral device.

본 발명의 실시예의 일 측면에 따른 구강 장치는, 구강 장치에 있어서, 윗니의 적어도 일부가 수용되는 상부 유닛; 아랫니의 적어도 일부가 수용되며, 상기 상부 유닛와 맞물리는 하부 유닛; 상기 상부 유닛 및 상기 하부 유닛 중 어느 하나의 측면으로부터 돌출되며, 조정 브래킷이 전방 또는 후방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마련되며, 상호 대칭되는 위치에 배치되어, 상기 조정 브래킷의 슬라이딩량을 조정하여 상기 상부 유닛에 대한 상기 하부 유닛의 전방 이동량을 조정 가능하게 하는 한 쌍의 전후방 이동량 조정유닛; 상기 전후방 이동량 조정유닛 중 어느 하나의 상기 조정 브래킷의 일면이 맞닿으며, 상기 상부 유닛 및 상기 하부 유닛 중 다른 하나에 설치되는 제1 지지유닛; 및 상기 전후방 이동량 조정유닛의 중 다른 하나의 상기 조정 브래킷의 일면에 맞닿으며, 상기 상부 유닛 및 상기 하부 유닛 중 다른 하나에 설치되고, 상기 제1 지지 유닛이 설치된 위치에 대칭되는 위치에 설치되는 제2 지지 유닛;을 포함한다.An ora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upper unit in which at least a part of an upper tooth is accommodated in the oral device; A lower unit accommodating at least a portion of the lower teeth and engaged with the upper unit; Protruding from either side of the upper unit and the lower unit, the adjustment bracket is provided to be slidable forward or rearward, and is disposed at a mutually symmetrical position to adjust the sliding amount of the adjustment bracket   to the upper unit A pair of front and rear movement amount adjustment units for adjusting the forward movement amount of the lower unit relative to each other; A first support unit that abuts one surface of the adjustment bracket of any one of the front and rear movement amount adjustment units, and is installed on the other one of the upper unit and the lower unit; And a first abutting on one surface of the adjustment bracket of the other of the front and rear movement amount adjustment units, installed on the other one of the upper unit and the lower unit, and installed at a position symmetrical to the position at which the first support unit is installed. It includes; 2 support units.

또한, 상기 전후방 이동량 조정유닛은, 상기 상부 유닛 및 상기 하부 유닛 중 어느 하나에 고정되며 일측이 개구되어 형성되는 조정스크류 삽입홀이 형성되는 조정유닛 하우징과, 상기 조정 브래킷을 상기 조정유닛 하우징에 슬라이딩 결합시키는 조정 스크류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조정 브래킷은, 상기 조정유닛 하우징에 대하여 제1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상기 조정유닛 하우징에 슬라이딩 결합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front-rear movement amount adjustment unit, the adjustment unit housing fixed to any one of the upper unit and the lower unit and formed with an adjustment screw insertion hole formed by opening one side, and sliding the adjustment bracket to the adjustment unit housing. It includes an adjustment screw unit to be coupled, the adjustment bracket may be slidably coupled to the adjustment unit housing to be slidable in a first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adjustment unit housing.

또한, 상기 조정 브래킷의 일측에는 상기 조정 스크류 유닛의 일측이 결합되며, 상기 조정 브래킷의 타측에는 상기 조정 스크류 유닛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경사지는 방향으로 형성되는 조정유닛측 가압면이 형성되며, 상기 조정유닛측 가압면과 바라보는 상기 제1 지지 유닛 및 상기 제2 지지 유닛의 일부 부분에는, 조정유닛측 가압면과 평행하며 적어도 일부에 상기 제1 가압면이 접촉되는 지지유닛측 가압면이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one side of the adjustment screw unit is coupled to one side of the adjustment bracket, and an adjustment unit side pressing surface formed in a direction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adjustment screw unit is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adjustment bracket, and the adjustment In some portions of the first support unit and the second support unit facing the unit-side pressing surface, a support unit-side pressing surface may be formed in parallel with the adjustment unit-side pressing surface and at least partially in contact with the first pressing surface. I can.

또한, 상기 조정 브래킷은, 상기 조정 스크류 유닛의 일측이 결합되는 조정 브래킷의 스크류 고정홀이 형성되는 조정 브래킷 몸체와, 상기 제1 가압면이 형성되며 상기 조정 브래킷 몸체의 전방을 향하여 돌출 형성되는 가압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adjustment bracket, the adjustment bracket body in which a screw fixing hole of the adjustment bracket to which one side of the adjustment screw unit is coupled is formed, and the first pressing surface is formed, and the pressure is formed protruding toward the front of the adjustment bracket body. May contain wealth.

또한, 상기 조정 스크류 유닛의 타측에는 나선이 형성되는 나선부가 형성되며, 상기 나선부는 상기 조정 스크류 삽입홀에 나선 결합되고, 상기 조정 스크류 유닛의 상기 일측에는 상기 조정 브래킷의 상기 스크류 고정홀에 회전 가능하게 끼워지는 회전연결부 및 상기 회전연결부의 단부에 형성되며 상기 조정 스크류 유닛이 상기 조정 브래킷의 상기 스크류 고정홀에서 탈거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회전연결부보다 돌출 형성되는 스토퍼부가 형성되며, 상기 조정 스크류 유닛의 상기 나선부 및 상기 회전연결부 사이에는, 외주면에 기설정된 간격으로 복수 개의 조정홈이 형성되고 상기 나선부 및 상기 회전연결부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는 조정부가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other side of the adjustment screw unit is formed with a spiral portion in which a spiral is formed, the spiral portion is spirally coupled to the adjustment screw insertion hole, and the one side of the adjustment screw unit is rotatable in the screw fixing hole of the adjustment bracket And a stopper part protruding from the rotation connection part to prevent the adjustment screw unit from being removed from the screw fixing hole of the adjustment bracket and formed at the end of the rotation connection part, and the adjustment screw unit Between the spiral portion and the rotation connection portion, a plurality of adjustment grooves are form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an adjustment portion formed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spiral portion and the rotation connection portion may be formed.

또한, 상기 스크류 고정홀은, 상기 조정 브래킷 몸체의 중심으로부터 편심된 위치에 위치되며, 상기 스크류 고정홀은, 상기 조정 브래킷 몸체의 일 측면으로 개구되며, 상기 스크류 고정홀에 상기 조정 스크류 유닛의 상기 회전연결부가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조정 스크류 유닛의 상기 스토퍼부 및 상기 조정부는, 상기 조정 브래킷 몸체의 일면과 이면에 지지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screw fixing hole is located at a position eccentric from the center of the adjustment bracket body, the screw fixing hole is opened to one side of the adjustment bracket body, the screw fixing hole of the adjustment screw unit In a state in which the rotation connection part is inserted, the stopper part and the adjusting part of the adjusting screw unit may be supported on one surface and a rear surface of the adjusting bracket body.

또한, 상기 전후방 이동량 조정유닛은, 일측은 상기 조정유닛 하우징의 일면에 형성되는 제1 가이드부재 삽입홈에 끼워지며, 타측은 상기 조정유닛 하우징의 상기 일면과 마주보는 상기 조정 브래킷의 일면에 형성되는 제2 가이드부재 삽입홈에 끼워지는 가이드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부재는 상기 조정 스크류 유닛과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front and rear movement amount adjustment unit, one side is fitted into a first guide member insertion groove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adjustment unit housing, the other side is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adjustment bracket facing the one surface of the adjustment unit housing. The second guide member may further include a guide member fitted into the insertion groove, and the guide member may be disposed in parallel with the adjustment screw unit.

또한, 상기 전후방 이동량 조정 유닛은, 상기 상부 유닛 및 상기 하부 유닛 중 어느 하나의 유닛에 상기 전후방 이동량 조정 유닛을 고정시키기 위한 조정유닛 고정브래킷을 더 포함하고, 상기 조정유닛 고정브래킷은, 상기 조정유닛 하우징이 결합되는 제1 조정유닛 고정브래킷 몸체와, 상기 제1 조정유닛 고정브래킷 몸체와의 사이에 단차가 형성되며 상기 전후방 이동량 조정유닛의 상기 조정 스크류 유닛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복수의 관통홀들이 형성되는 제2 조정유닛 고정브래킷 몸체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front-rear movement amount adjustment unit further comprises an adjustment unit fixing bracket for fixing the front-rear movement amount adjustment unit to any one of the upper unit and the lower unit, the adjustment unit fixing bracket, the adjustment unit A step is formed between the first adjustment unit fixing bracket body to which the housing is coupled and the first adjustment unit fixing bracket body,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adjustment screw unit of the front and rear movement amount adjustment unit, and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It may include a second adjustment unit fixing bracket body in which they are formed.

또한, 상기 상부 유닛 및 상기 하부 유닛 중 어느 하나의 유닛의 후방측 양 단부에는 상기 전후방 이동량 조정유닛이 고정되며, 상기 상부 유닛 또는 상기 하부 유닛의 몸체부를 기준으로 측면으로 돌출되는 조정유닛 고정부가 형성되며, 상기 전후방 이동량 조정유닛의 상기 조정유닛 하우징은 상기 조정유닛 고정부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전후방 이동량 조정유닛의 상기 조정 브래킷 및 상기 조정 스크류 유닛의 일부는 상기 조정유닛 고정부의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front-rear movement amount adjustment unit is fixed at both ends of the rear side of any one of the upper unit and the lower unit, and an adjustment unit fixing portion protruding laterally relative to the body portion of the upper unit or the lower unit is formed. The adjustment unit housing of the front and rear movement amount adjustment unit is disposed inside the adjustment unit fixing unit, and a part of the adjustment bracket and the adjustment screw unit of the front and rear movement amount adjustment unit may be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adjustment unit fixing unit. I can.

또한, 상기 제1 지지 유닛 및 상기 제2 지지 유닛은, 상기 제1 지지 유닛 및 상기 제2 지지 유닛의 외형을 형성되는 제1 지지 유닛 몸체 및 제2 지지 유닛 몸체를 각각 포함하고, 후방을 바라보는 상기 제1 지지 유닛 몸체 및 상기 제2 지지 유닛 몸체의 후면에는 상기 전후방 이동량 조정유닛의 일부가 접촉되며, 상기 전후방 이동량조정유닛의 이동 방향에 대하여 경사지는 지지유닛측 가압면이 형성되고, 전방을 바라보는 상기 제1 지지 유닛 몸체 및 상기 제2 지지 유닛 몸체의 전면과, 상기 제1 지지 유닛 몸체 및 상기 제2 지지 유닛 몸체의 상면 사이에는 라운드 지게 형성되는 라운드부가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support unit and the second support unit, each including a first support unit body and a second support unit body that form the outer shape of the first support unit and the second support unit, facing the rear. A portion of the front and rear movement amount adjustment unit is in contact with the rear surfaces of the first support unit body and the second support unit body, and a support unit side pressing surface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moving direction of the front and rear movement amount adjustment unit is formed, and the front A round portion formed in a round shape may be formed between front surfaces of the first and second support unit bodies looking at an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support unit bodies and upper surfaces of the first and second support unit bodies.

또한, 상기 제1 지지 유닛은, 구강의 상태와 수면상태 및 정보를 감지하기 위한 센서부와 상기 센서부에서 생성된 센싱 데이터를 외부로 송신하고 외부의 명령을 수신하기 위한 통신부가 배치되며, 상기 제2 지지 유닛에는 상기 제1 지지 유닛에 대하여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배터리부가 배치되며, 상기 제1 지지 유닛 및 상기 제2 지지 유닛을 전기적으로 상호 연결하기 위한 케이블 유닛을 더 포함하고, 상기 케이블 유닛은 상기 상부 유닛 및 상기 하부 유닛 중 다른 하나의 유닛 몸체의 전방부에 매설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support unit is provided with a sensor unit for sensing oral conditions, sleep conditions, and information, and a communication unit for transmitting sensing data generated by the sensor unit to the outside and receiving an external command, and the The second support unit further includes a battery unit for supplying power to the first support unit, further comprising a cable unit for electrically interconnecting the first support unit and the second support unit, and the cable unit May be buried in the front portion of the body of the other unit among the upper unit and the lower unit.

또한, 상기 제2 지지 유닛은, 외형을 제2 지지 유닛의 외형을 형성하며 제1 측면의 중앙에는 함몰 형성되는 배터리 수납공간이 형성되는 제2 지지 유닛 몸체와, 상기 제2 지지 유닛 몸체의 상기 배터리 수납 공간을 선택적으로 차폐하는 배터리 캡부를 포함하고, 상기 배터리 수납공간을 둘러싸는 상기 제2 지지 유닛 몸체의 수납공간 내벽에는 상기 배터리 캡부의 결합을 가이드하는 몸체측 가이드유닛 및 상기 배터리 캡부의 잠금 상태가 유지되도록 하는 잠금유닛이 형성되고, 상기 배터리 캡부는, 상기 배터리 수납 공간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캡부 몸체 및 상기 캡부 몸체의 내면에서 상기 배터리 수납공간을 향하여 연장 형성되는 삽입부를 포함하고, 상기 삽입부의 외면에는 상기 몸체측 가이드유닛에 회전 방향으로 가이드되는 캡부측 가이드유닛 및 상기 잠금유닛이 걸리는 잠금홈이 형성되며, 상기 제2 지지 유닛 몸체에 대하여 상기 배터리 캡부의 회전 위치에 따라 상기 제2 지지 유닛 몸체에 대한 상기 배터리 캡부의 잠금 상태 또는 열림 상태가 결정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cond support unit includes a second support unit body having an outer shape forming the outer shape of the second support unit and having a battery storage space recessed in the center of the first side, and the second support unit body. A body-side guide unit for guiding the combination of the battery cap portion and a lock of the battery cap portion on an inner wall of the storage space of the second support unit body surrounding the battery storage space and including a battery cap portion selectively shielding the battery storage space A locking unit for maintaining a state is formed, and the battery cap portion includes a cap body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battery storage space, and an insertion portion extending from an inner surface of the cap body toward the battery storage space, On the outer surface of the insertion portion, a cap portion-side guide unit guided in a rotational direction to the body-side guide unit and a locking groove for engaging the locking unit are formed. 2 A locked state or an open state of the battery cap portion with respect to the support unit body may be determined.

또한, 상기 배터리 캡부의 상기 캡부측 가이드유닛에는, 선택적으로 상기 몸체측 가이드 유닛의 단부와 접촉되어 회전 방향에 따라 상기 배터리 캡부를 상기 제2 지지 유닛 몸체 측으로부터 탈거시키는 방향으로 가이드하는 경사부가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guide unit on the cap portion side of the battery cap portion, an inclined portion is formed to selectively contact an end portion of the body-side guide unit to guide the battery cap portion in a direction in which the battery cap portion is removed from the body side of the second support unit Can be.

또한, 상기 제1 지지 유닛 및 상기 제2 지지 유닛을 상기 상부 유닛 또는 상기 하부 유닛에 각각 결합시키기 위한 제1 결합 브래킷 및 제2 결합 브래킷;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지지 유닛 및 상기 제2 지지 유닛은 체결유닛에 의하여 상기 제1 결합 브래킷 및 상기 제2 결합 브래킷에 체결되며, 상기 제1 결합 브래킷 및 제2 결합브래킷의 일부가 상기 상부 유닛 또는 상기 하부 유닛에 매설되어 상기 상부 유닛 또는 상기 하부 유닛에 결합될 수 있다.Further, a first coupling bracket and a second coupling bracket for coupling the first support unit and the second support unit to the upper unit or the lower unit, respectively, further comprising, the first support unit and the second support unit. The support unit is fastened to the first coupling bracket and the second coupling bracket by a fastening unit, and a part of the first coupling bracket and the second coupling bracket is buried in the upper unit or the lower unit. Can be coupled to the lower unit.

또한, 상기 제1 결합 브래킷 및 상기 제2 결합 브래킷은, 상기 제1 지지 유닛 및 상기 제2 지지 유닛이 결합되는 제1 결합 브래킷 몸체 및 제2 결합 브래킷 몸체와, 상기 제1 결합 브래킷 몸체 및 상기 제2 결합 브래킷 몸체와의 사이에는 단차가 형성되고 상기 상부 유닛 및 상기 하부 유닛 중 어느 하나의 유닛에 매설되는 제1 결합 브래킷 고정부 및 제2 결합 브래킷 고정부와, 상기 제1 결합브래킷 고정부 및 상기 제2 결합 브래킷 고정부의 전방 및 후방으로 연장 형성되는 연장브래킷들을 포함하고, 상기 연장브래킷에는 적어도 하나의 관통홀이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coupling bracket and the second coupling bracket, a first coupling bracket body and a second coupling bracket body to which the first support unit and the second support unit are coupled, the first coupling bracket body and the A step is formed between the second coupling bracket body and the first coupling bracket fixing part and the second coupling bracket fixing part, which are buried in any one of the upper unit and the lower unit, and the first coupling bracket fixing part. And extension brackets extending forward and rearward of the second coupling bracket fixing part, and at least one through hole may be formed in the extension bracket.

또한, 상기 제1 결합 브래킷 고정부 및 상기 제2 결합 브래킷 고정부 중 어느 하나에는 상기 제1 지지 유닛 또는 상기 제2 지지 유닛 측으로 돌출 형성되며, 상기 제1 지지 유닛 또는 상기 제2 지지 유닛을 체결시키기 위한 체결부재가 고정되는 돌출 고정유닛이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any one of the first coupling bracket fixing portion and the second coupling bracket fixing portion is formed to protrude toward the first support unit or the second support unit, and the first support unit or the second support unit is fastened. A protruding fixing unit to which a fastening member for fixing is fixed may be formed.

제안되는 실시예에 의하면, 구강 장치의 상부 유닛에 대한 하부 유닛의 상대적인 이동을 손쉽게 수행할 수 있으며, 상부 유닛에 대한 하부 유닛의 전방 인출된 상태가 견고하게 유지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oposed embodiment, it is possible to easily perform a relative movement of the lower unit with respect to the upper unit of the oral device, and the state of the lower unit with respect to the upper unit can be firmly maintained.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강 장치의 전방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구강 장치의 상부 유닛 및 하부 유닛이 분해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구강 장치의 하부 유닛의 일부가 절개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1의 구강 장치의 제1 지지 유닛 및 제1 결합 브래킷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1의 구강 장치의 제2 지지 유닛 및 제2 결합 브래킷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 및 도 7은, 도 5의 제2 지지 유닛의 제2 지지 유닛 몸체 및 배터리 캡부를 상세하게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은, 도 1의 전후방 이동량 조정 유닛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9은, 도 8의 전후방 이동량 조정 유닛의 구성이 분해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0은, 도 8의 X-X 선도에 따른 단면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1은, 도 8의 전후방 이동량 조정 유닛을 이용한 조정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2는, 도 8의 전후방 이동량 조정 유닛에 의하여 상부 유닛에 대한 하부 유닛의 이동이 진행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1 is a front perspective view of an ora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view showing an upper unit and a lower unit of the oral apparatus of FIG. 1 in an exploded state.
3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part of the lower unit of the oral apparatus of FIG. 1 is cut.
FIG. 4 is a view showing a first support unit and a first coupling bracket of the oral device of FIG. 1.
5 is a view showing a second support unit and a second coupling bracket of the oral device of FIG. 1.
6 and 7 are views showing in detail a second support unit body and a battery cap of the second support unit of FIG. 5.
8 is a diagram showing the front-rear movement amount adjustment unit of FIG. 1.
9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onfiguration of the front-rear movement amount adjustment unit of FIG. 8 is disassembled.
10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ross section taken along the line XX in FIG. 8.
11 is a diagram showing an adjustment process using the front and rear movement amount adjustment unit of FIG. 8.
FIG. 1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rocess in which a lower unit is moved with respect to an upper unit by the front-rear movement amount adjusting unit of FIG. 8.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method of achieving them will become apparent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in detail together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but will be implemented in a variety of different forms, only the present embodiments are intended to complete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common knowledge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It is provided to completely inform the scope of the invention to those who have, and the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Although the first, second, and the like ar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it goes without saying that these components are not limited by these terms. These terms are only used to distinguish one component from another component. Therefore, it goes without saying that the first component mentioned below may be the second component within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The sam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the same elem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의 각각 특징들이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서로 결합 또는 조합 가능하며, 당업자가 충분히 이해할 수 있듯이 기술적으로 다양한 연동 및 구동이 가능하며, 각 실시예들이 서로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실시 가능할 수도 있고 연관 관계로 함께 실시 가능할 수도 있다.Each of the features of the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artially or entirely combined or combined with each other, and as a person skilled in the art can fully understand, technically various interlocking and driving are possible, and each of the embodiments may be independently implemented with respect to each other. It may be possible to do it together in a related relationship.

한편, 본 발명의 명세서에서 구체적으로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에 의해 기대될 수 있는 잠정적인 효과는 본 명세서에 기재된 것과 같이 취급되며, 본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 제공된 것인바, 도면에 도시된 내용은 실제 발명의 구현모습에 비해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구성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거나 간략하게 기재한다.On the other hand, the potential effects that can be expected by the technic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that are not specifically mentioned in the specif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treated as describ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this embodiment is for those with average knowledge in the art. It is provided to more completely describe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contents shown in the drawings may be exaggerated and expressed compared to the actual implement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configuration determined to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Omit or briefly describe.

이하에서는 첨부되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강 장치의 전방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의 구강 장치의 상부 유닛 및 하부 유닛이 분해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그리고, 도 3은, 도 1의 구강 장치의 하부 유닛의 일부가 절개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1 is a front perspective view of an ora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view showing an exploded state of an upper unit and a lower unit of the oral device of FIG. 1. And, FIG. 3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part of the lower unit of the oral apparatus of FIG. 1 is cu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강 장치(1)는 코골이 및 수면무호흡증 치료용 구강 장치로, 사용자의 수면 상태 중, 코골이 또는 수면무호흡증의 발생을 억제하기 위하여, 사용자가 구강에 착용하는 장치이다.The oral device 1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n oral device for treating snoring and sleep apnea, and is a device worn by the user in the oral cavity in order to suppress the occurrence of snoring or sleep apnea during the user's sleep state. .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구강 장치(1)는 상부 유닛(100)과, 상부 유닛(200)에 정합되는 하부 유닛(200)을 포함한다. 상부 유닛(100) 및 하부 유닛(200)이 상호 간에 맞물리도록 조립한 다음, 상부 유닛(100)을 사용자의 상부 치아, 즉 윗니의 적어도 일부가 수용되도록 끼우고, 하부 유닛(100)은 사용자의 하부 치아, 즉 아랫니의 적어도 일부가 수용되도록 끼운다. 이때, 상부 유닛(100)에 대하여 하부 유닛(200)이 기설정된 길이만큼 전방을 향하여 돌출되도록 설정하면, 사용자의 하악이 전방으로 이동됨에 따라 사용자의 수면과정에서, 코골이 또는 수면 무호흡증이 발생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1 to 3, the oral device 1 includes an upper unit 100 and a lower unit 200 that is matched to the upper unit 200. After assembling the upper unit 100 and the lower unit 200 to engage with each other, the upper unit 100 is fitted so that at least a part of the user's upper teeth, that is, the upper teeth, is accommodated, and the lower unit 100 is It fits so that at least part of the lower tooth, that is, the lower tooth, is received. At this time, if the lower unit 200 is set to protrude forward by a predetermined length with respect to the upper unit 100, snoring or sleep apnea occurs during the user's sleep process as the user's lower jaw is moved forward. Can be suppressed.

이때, 하부 유닛(200)이 상부 유닛(100)에 대하여 전방으로 이동되는 거리는, 사용자의 신체 상태 및 병변 상태(코골이, 수면무호흡증 발생 빈도) 등에 따라서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강 장치(1)는 사용자의 병변 상태, 예시적으로 코골이, 수면 무호흡 증 발생 여부를 센싱하기 위한 적어도 한 종류(예시적으로, 음향 센서, 가속도 센서, 자이로 센서 등)의 센서를 포함하여, 사용자의 수면 중 사용자의 병변 발생 여부를 체크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distance that the lower unit 200 moves forward with respect to the upper unit 100 may be set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user's physical condition and lesion condition (snoring, sleep apnea occurrence frequency), and the like. Oral device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t least one type for sensing whether the user's lesion status, exemplarily snoring, sleep apnea has occurred (e.g., an acoustic sensor, an acceleration sensor, a gyro sensor, etc.) ), it is possible to check whether or not a lesion has occurred during the user's sleep.

예시적으로, 먼저 기설정된 제1 거리만큼, 하부 유닛(200)이 상부 유닛(100)에 대하여 전방으로 이동된 상태로 설정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구강 장치(1)를 착용하고 수면을 시작한다. 구강 장치(1)를 착용한 상태에서 사용자의 코골이 또는 수면무호흡증이 발생되는 경우, 구강 장치(1)는 해당 병변의 발생 빈도를 기록하고, 실시간 또는 사용자의 착용이 종료된 상태에서, 상기 발생 빈도에 대한 데이터를 서버(미도시) 또는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한다. 사용자 또는 의료진은 상기 발생 빈도에 대한 데이터에 기초하여, 하부 유닛(200)이 상부 유닛(100)에 대하여 전방으로 이동된 거리를 상기 제1 거리 이외에 다른 거리로 변경하여, 상기 병변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For example, first, in a state in which the lower unit 200 is moved forward with respect to the upper unit 100 by a predetermined first distance, the user wears the oral device 1 and starts sleeping. When the user's snoring or sleep apnea occurs while wearing the oral device 1, the oral device 1 records the frequency of occurrence of the lesion, and in real time or in a state where the user's wearing is terminated, the occurrence Data on the frequency is transmitted to a server (not shown) or a user terminal. Based on the data on the frequency of occurrence, the user or the medical staff changes the distance the lower unit 200 moves forward with respect to the upper unit 100 to a distance other than the first distance to suppress the occurrence of the lesion. can do.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강 장치(1)는 하부 유닛(200)이 전방 또는 후방 이동이 미세하고 정확하게 수행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강 장치의 구성을 상세하게 설명한다.The oral apparatus 1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allow the lower unit 200 to move forward or backward in a fine and accurate manner. Hereinafter, the configuration of an ora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강 장치(1)는 상부 유닛(100)과, 하부 유닛(200)과, 전후방 이동량 조정 유닛(300)과, 제1 지지 유닛(400)과, 제2 지지 유닛(500)과, 제1 결합 브래킷(600)과, 제2 결합 브래킷(700)과, 케이블 유닛(800)을 포함한다.1 to 3, the oral apparatus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upper unit 100, a lower unit 200, a front and rear movement amount adjustment unit 300, and a first support unit ( 400), a second support unit 500, a first coupling bracket 600, a second coupling bracket 700, and a cable unit 800.

보다 상세히, 상부 유닛(100) 및 하부 유닛(200)은 사용자의 치아에 설치되는 구성으로, 사용자의 불편함 및 상해를 방지하기 위하여 예시적으로 실리콘 등과 같은 연성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In more detail, the upper unit 100 and the lower unit 200 are configured to be installed on the user's teeth, and may be exemplarily formed of a soft material such as silicon in order to prevent discomfort and injury to the user.

상부 유닛(100)은 상부 유닛 몸체(110)를 포함하고, 상부 유닛 몸체(110)의 상면에는 사용자의 상부 치아에 대응되는 상부 치아 삽입 공간(111)이 형성된다.The upper unit 100 includes an upper unit body 110, and an upper tooth insertion space 111 corresponding to the user's upper teeth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unit body 110.

하부 유닛(200)은, 아랫니의 적어도 일부가 수용되며, 상부 유닛(100)의 상부 유닛 몸체(110)와 맞물린다. 하부 유닛(200)은 사용자의 하부 치아에 대응되는 하부 유닛 몸체(210)를 포함하고, 하부 유닛 몸체(210)의 상면은 상부 유닛 몸체(110)의 하면이 맞닿으며, 하부 유닛몸체(210)의 하면에는 사용자의 하부 치아에 대응되는 하부 치아 삽입 공간(212) 이 형성된다. 하부 유닛 몸체(210)의 상면 및 상부 유닛 몸체(110)의 하면은 상호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도록 평평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lower unit 200 accommodates at least a portion of the lower teeth, and is engaged with the upper unit body 110 of the upper unit 100. The lower unit 200 includes a lower unit body 210 corresponding to the user's lower teeth,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unit body 210 is in contact with 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unit body 110, and the lower unit body 210 A lower tooth insertion space 212 corresponding to the user's lower teeth is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face.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unit body 210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unit body 110 may be formed in a flat shape to enable mutual sliding movement.

한 쌍의 전후방 이동량 조정유닛(300)은 상부 유닛(100) 및 하부 유닛(200) 중 어느 하나의 측면으로부터 돌출되며, 조정 브래킷(320)이 전방 또는 후방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마련되며, 조정 브래킷(320)의 슬라이딩 량을 조정하여 상부 유닛(100)에 대한 하부 유닛(200)의 전방 이동량을 조정 가능하게 한다. 이때, 한 쌍의 전후방 이동량 조정유닛(300)은 상부 유닛(100)의 후방 측에, 상호 대칭되는 위치에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전후방 이동량 조정유닛(300)은 상부 유닛(100)의 후방 측 양 단부에 고정되며, 전후방 이동량 조정유닛(300)의 조정 브래킷(320)은 상부 유닛(100)의 전방을 향하도록 배치된다. 이때, 상부 유닛(100)의 전방은 사용자의 어금니에서 앞니가 있는 방향을 의미한다. 상부 유닛(100)은 후방 측 양 단부에 배치되며, 상부 유닛 몸체(110)를 기준으로 측면으로 돌출되며, 전후방 이동량 조정 유닛(300)의 일부가 고정된 상태로 매설되는 조정유닛 고정부(120)를 더 포함한다.A pair of front and rear movement amount adjustment units 300 protrude from either side of the upper unit 100 and the lower unit 200, and the adjustment bracket 320 is provided to be slidable forward or backward, and the adjustment bracket ( By adjusting the amount of sliding of 320), the amount of forward movement of the lower unit 200 relative to the upper unit 100 can be adjusted. At this time, the pair of front-rear movement amount adjustment units 300 are disposed on the rear side of the upper unit 100 and at positions symmetrical to each other. The front-rear movement amount adjustment unit 300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is fixed to both ends of the rear side of the upper unit 100, and the adjustment bracket 320 of the front-rear movement amount adjustment unit 300 faces the front of the upper unit 100. Are arranged to do so. In this case, the front of the upper unit 100 refers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front teeth are located in the user's molars. The upper unit 100 is disposed at both ends of the rear side, protrudes to the side based on the upper unit body 110, and the adjustment unit fixing part 120 embedded in a state in which a part of the front and rear movement amount adjustment unit 300 is fixed. ).

한편, 제1 지지 유닛(400)에는, 구강의 상태를 감지하기 위한 센서부(미도시)와 상기 센서부(미도시)에서 생성된 센싱 데이터를 외부로 송신하고 외부의 명령을 수신하기 위한 통신부가 배치된다. 그리고, 제1 지지 유닛(400)은 전후방 이동량 조정유닛(300) 중 어느 하나의 조정 브래킷(320)의 일면이 맞닿으며, 상부 유닛(100) 및 하부 유닛(200) 중 다른 하나, 본 실시예에서는 하부 유닛(200)측에 설치된다.Meanwhile, the first support unit 400 includes a sensor unit (not shown) for detecting the state of the oral cavity and a communication unit for transmitting sensing data generated by the sensor unit (not shown) to the outside and receiving an external command. Is placed. In addition, the first support unit 400 is in contact with one surface of the adjustment bracket 320 of any one of the front and rear movement amount adjustment unit 300, the other one of the upper unit 100 and the lower unit 200, this embodiment In the lower unit 200 is installed on the side.

그리고, 제2 지지 유닛(500)에는, 제1 지지 유닛(400)에 대하여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배터리부(미도시)가 배치된다. 제2 지지 유닛(500)은 전후방 이동량 조정유닛(300) 중 다른 하나의 조정 브래킷(320)의 일면에 맞닿으며, 상부 유닛(100) 및 하부 유닛(200) 중 다른 하나, 본 실싱예에서는 하부 유닛(200)측에 설치되고, 제1 지지 유닛(100)이 설치된 위치에 대칭되는 위치에 설치된다.In addition, a battery unit (not shown) for supplying power to the first support unit 400 is disposed in the second support unit 500. The second support unit 500 abuts on one surface of the other adjustment bracket 320 of the front and rear movement amount adjustment unit 300, the other one of the upper unit 100 and the lower unit 200, in this sealing example, the lower It is installed on the side of the unit 200 and is installed at a position symmetrical to the position where the first support unit 100 is installed.

케이블 유닛(800)은, 제1 지지 유닛(400) 및 제2 지지 유닛(500)을 전기적으로 상호 연결하며, 상부 유닛(100) 및 하부 유닛(200) 중 다른 하나, 본 실시예에서는 하부 유닛(200)의 하부 유닛 몸체(210)의 전방부에 매설된다. 케이블 유닛(800)은 예시적으로 FPC(Flexible Printed Circuit) 케이블 일 수 있으며, 케이블 유닛(800)이 하부 유닛(200)에 매설된 상태로 제공됨에 따라서, 외력에 의한 파단 발생을 억제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느끼는 이물감을 최소화할 수 있다.The cable unit 800 electrically interconnects the first support unit 400 and the second support unit 500, and the other one of the upper unit 100 and the lower unit 200, in this embodiment, the lower unit It is buried in the front part of the lower unit body 210 of 200. The cable unit 800 may be an FPC (Flexible Printed Circuit) cable as an example, and as the cable unit 800 is provided in a state buried in the lower unit 200, the occurrence of breakage due to an external force can be suppressed. , It is possible to minimize the foreign body sensation felt by the user.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전후방 이동량 조정 유닛(300)이 상부 유닛(100)에 배치되며, 제1 지지 유닛(400), 제2 지지 유닛(500) 및 케이블 유닛(800)이 하부 유닛(200)에 배치되는 구성으로 설명되고 있으나, 전후방 이동량 조정 유닛(300)이 하부 유닛(200)에 배치되며, 제1 지지 유닛(400), 제2 지지 유닛(500) 및 케이블 유닛(800)이 상부 유닛(100)에 배치되는 구성도 가능하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ront and rear movement amount adjustment unit 300 is disposed on the upper unit 100, and the first support unit 400, the second support unit 500, and the cable unit 800 are the lower unit 200. Although described as a configuration disposed in the front and rear movement amount adjustment unit 300 is disposed in the lower unit 200, the first support unit 400, the second support unit 500, and the cable unit 800 is the upper unit A configuration arranged in (100) is also possible.

이하에서는, 제1 지지 유닛(400)의 구성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the configuration of the first support unit 400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도 4는, 도 1의 구강 장치의 제1 지지 유닛 및 제1 결합 브래킷을 보여주는 도면이다.FIG. 4 is a view showing a first support unit and a first coupling bracket of the oral device of FIG. 1.

도 4를 참조하면, 제1 지지 유닛(400)은, 제1 지지 유닛(400)의 외형을 형성되는 제1 지지 유닛 몸체(410)와, 제1 지지 유닛 몸체(410)의 내부에 설치되며 제어모듈 및 센서모듈을 포함하고 케이블 유닛(800)의 일단이 접속되는 제1 지지유닛측 기판(450)을 포함한다. 제1 지지 유닛(400)의 후방을 바라보는 제1 지지 유닛 몸체(410)의 후면에는 전후방 이동량 조정유닛(300)의 일부가 접촉되며, 전후방 이동량 조정유닛(300)의 이동 방향에 대하여 경사지는 지지유닛측 가압면(411)이 형성된다. 그리고, 전방을 바라보는 제1 지지 유닛 몸체(410)의 전면과, 제1 지지 유닛 몸체(410)의 상면 사이에는 라운드 지게 형성되는 라운드부(413)가 형성된다. 라운드부(413)의 곡률 반경은 제1 지지 유닛 몸체(410)의 다른 모서리의 곡률 반경보다 크게 형성된다. 즉, 라운드부(413)는 완만한 곡면으로 형성됨으로써, 사용자의 입 안에 접촉될 때, 사용자의 불편감을 최소화시키며 장기 착용에 대한 상해를 억제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4, the first support unit 400 is installed inside the first support unit body 410 and the first support unit body 410 forming the outer shape of the first support unit 400, and It includes a control module and a sensor module, and includes a first support unit side substrate 450 to which one end of the cable unit 800 is connected. A part of the front and rear movement amount adjustment unit 300 is in contact with the rear of the first support unit body 410 facing the rear of the first support unit 400, and is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moving direction of the front and rear movement amount adjustment unit 300. The support unit side pressing surface 411 is formed. In addition, a round portion 413 formed to be round is formed between the front surface of the first support unit body 410 facing the front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support unit body 410. The radius of curvature of the round portion 413 is larger than the radius of curvature of other corners of the first support unit body 410. That is, since the round portion 413 is formed in a smooth curved surface, when it comes into contact with the user's mouth, the user's discomfort can be minimized and injuries to long-term wearing can be suppressed.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구강 장치(1)는 제1 지지 유닛(410)을 하부 유닛(200)에 결합시키기 위한 제1 결합 브래킷(600)을 더 포함한다.Meanwhile, the oral apparatus 1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further includes a first coupling bracket 600 for coupling the first support unit 410 to the lower unit 200.

제1 지지 유닛(400)은 제1 체결유닛(미도시)에 의하여 제1 결합 브래킷(600)에 체결되며, 제1 결합 브래킷(600)의 일부가 하부 유닛(200)에 매설되어, 하부 유닛(200)에 결합된다. The first support unit 400 is fastened to the first coupling bracket 600 by a first fastening unit (not shown), and a part of the first coupling bracket 600 is buried in the lower unit 200, so that the lower unit Is bound to 200.

제1 결합 브래킷(600)은, 제1 지지 유닛(400)이 결합되는 제1 결합 브래킷 몸체(620)와, 제1 결합 브래킷 몸체(620)와의 사이에는 단차가 형성되고 하부 유닛(200)에 매설되는 제1 결합 브래킷 고정부(610)와, 제1 결합브래킷 고정부(610)의 전방 및 후방으로 연장 형성되는 연장브래킷(630, 640)들을 포함한다. 이때, 제1 결합 브래킷(600)의 제1 결합브래킷 몸체(620) 및 제1 결합브래킷 고정부(610)의 외형은 제1 지지 유닛(400)의 평면 형상과 유사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The first coupling bracket 600 has a step formed between the first coupling bracket body 620 to which the first support unit 400 is coupled, and the first coupling bracket body 620, and the lower unit 200 The first coupling bracket fixing portion 610 to be buried, and extension brackets 630 and 640 extending forward and rearward of the first coupling bracket fixing portion 610 are included. In this case, the first coupling bracket body 620 of the first coupling bracket 600 and the first coupling bracket fixing portion 610 may have an external shape similar to the planar shape of the first support unit 400.

그리고, 연장브래킷(630, 640)에는 적어도 하나의, 본 실시예에서는 복수의 관통홀(631)이 형성된다. 즉, 실리콘 또는 레진 등과 같은 연성 재질로 형성되는 하부 유닛(200)의 성형 과정에서, 하부 유닛(200)이 완전하게 굳기 전에, 하부 유닛(200)에 제1 결합 브래킷 고정부(610) 및 연장브래킷(630, 640)이 매설된다. 이때, 연장브래킷(630, 640)의 관통홀(631)에 하부 유닛(200)을 형성하는 재료가 유입된 상태에서 굳어져, 제1 결합 브래킷(600)이 보다 견고하게 하부 유닛(200)에 결합될 수 있다.In addition, at least one, in this embodiment,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631 are formed in the extension brackets 630 and 640. That is, in the molding process of the lower unit 200 formed of a soft material such as silicone or resin, before the lower unit 200 is completely hardened, the first coupling bracket fixing part 610 and extension to the lower unit 200 Brackets 630 and 640 are buried. At this time, the material forming the lower unit 200 is hardened while the material forming the lower unit 200 is introduced into the through hole 631 of the extension brackets 630 and 640, so that the first coupling bracket 600 is more firmly attached to the lower unit 200. Can be combined.

한편, 제1 결합 브래킷 고정부(610)에는 제1 지지 유닛(400) 측으로 돌출 형성되며, 제1 지지 유닛(400)을 체결시키기 위한 체결부재가 고정되는 돌출 한 쌍의 고정유닛(611)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결합 브래킷 고정부(610)와 제1 지지 유닛(400) 사이에는 공간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공간을 통하여 케이블 유닛(800)의 일부가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공간을 통하여 제1 지지 유닛(400) 내부에 배치되는 제1 지지유닛측 기판(450)의 열이 외부로 원활하게 발산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first coupling bracket fixing portion 610 is formed protruding toward the first support unit 400, a pair of protruding fixing units 611 to which a fastening member for fastening the first support unit 400 is fixed. Can be formed. Accordingly, a space may be formed between the first coupling bracket fixing part 610 and the first support unit 400, and a part of the cable unit 800 may be disposed through the space. In addition, heat of the first support unit-side substrate 450 disposed inside the first support unit 400 may be smoothly radiat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space.

그리고, 제1 지지 유닛 몸체(410)의 상기 전면의 테두리에는 케이블 유닛(800)의 일단이 제1 지지유닛측 기판(450)에 접속되기 위한 제1 케이블 접속부(418)가 함몰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a first cable connection part 418 for connecting one end of the cable unit 800 to the first support unit side substrate 450 may be recessed at the front edge of the first support unit body 410. .

이하에서는, 제1 지지 유닛(400)에 대하여 대칭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2 지지 유닛(500)의 구성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the configuration of the second support unit 500 formed in a shape symmetric with respect to the first support unit 40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5는, 도 1의 구강 장치의 제2 지지 유닛 및 제2 결합 브래킷을 보여주는 도면이며, 도 6 및 도 7은, 도 5의 제2 지지 유닛의 제2 지지 유닛 몸체 및 배터리 캡부를 상세하게 보여주는 도면이다.FIG. 5 is a view showing a second support unit and a second coupling bracket of the oral device of FIG. 1, and FIGS. 6 and 7 are a second support unit body and a battery cap of the second support unit of FIG. 5 in detail. It is a drawing showing.

도 5를 참조하면, 제2 지지 유닛(500)은, 제2 지지 유닛(500)의 외형을 형성되는 제2 지지 유닛 몸체(510)와, 제2 지지 유닛 몸체(510)의 내부에 설치되며 제어모듈을 포함하고 케이블 유닛(800)의 타단이 접속되는 제2 지지유닛측 기판(550)과, 제2 지지유닛측 기판(550)과 제2 지지 유닛 몸체(510) 사이에 수납되는 배터리 유닛(560)을 포함한다. 제2 지지 유닛(500)의 후방을 바라보는 제2 지지 유닛 몸체(510)의 후면에는 전후방 이동량 조정유닛(300)의 일부가 접촉되며, 전후방 이동량 조정유닛(300)의 이동 방향에 대하여 경사지는 제2 지지유닛측 가압면(511) 이 형성된다. 그리고, 전방을 바라보는 제2 지지 유닛 몸체(510)의 전면과, 제2 지지 유닛 몸체(510)의 상면 사이에는 라운드 지게 형성되는 라운드부(513)가 형성된다. 라운드부(513)의 곡률 반경은 제2 지지 유닛 몸체(510)의 다른 모서리의 곡률 반경보다 크게 형성된다. 즉, 라운드부(513)는 완만한 곡면으로 형성됨으로써, 사용자의 입 안에 접촉될 때, 사용자의 불편감을 최소화시키며 장기 착용에 대한 상해를 억제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5, the second support unit 500 is installed inside the second support unit body 510 and the second support unit body 510 forming the outer shape of the second support unit 500, and A battery unit accommodated between the second support unit-side substrate 550 and the second support unit-side substrate 550 and the second support unit body 510 including a control module and the other end of the cable unit 800 is connected Includes 560. A part of the front and rear movement amount adjustment unit 300 is in contact with the rear of the second support unit body 510 facing the rear of the second support unit 500, and is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moving direction of the front and rear movement amount adjustment unit 300. The second support unit side pressing surface 511 is formed. In addition, a round portion 513 formed to be round is formed between the front surface of the second support unit body 510 facing the front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support unit body 510. The radius of curvature of the round portion 513 is formed larger than the radius of curvature of other corners of the second support unit body 510. That is, since the round portion 513 is formed in a smooth curved surface, when it comes into contact with the user's mouth, the user's discomfort can be minimized and injuries to long-term wearing can be suppressed.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구강 장치(1)는 제2 지지 유닛(500)을 하부 유닛(200)에 결합시키기 위한 제2 결합 브래킷(700)을 더 포함한다.Meanwhile, the oral apparatus 1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further includes a second coupling bracket 700 for coupling the second support unit 500 to the lower unit 200.

제2 지지 유닛(500)은 제2 체결유닛(미도시)에 의하여 제2 결합 브래킷(700) 에 체결되며, 제2 결합 브래킷(700)의 일부가 하부 유닛(200)에 매설되어, 하부 유닛(200)에 결합된다.The second support unit 500 is fastened to the second coupling bracket 700 by a second coupling unit (not shown), and a part of the second coupling bracket 700 is buried in the lower unit 200, so that the lower unit Is bound to 200.

제2 결합 브래킷(700)은, 제2 지지 유닛(500)이 결합되는 제2 결합 브래킷 몸체(720)와, 제2 결합 브래킷 몸체(720)와의 사이에는 단차가 형성되고 하부 유닛(200)에 매설되는 제2 결합 브래킷 고정부(710)와, 제2 결합브래킷 고정부(710)의 전방 및 후방으로 연장 형성되는 연장브래킷(730, 740)들을 포함한다. 이때, 제2 결합 브래킷(700)의 제2 결합브래킷 몸체(720) 및 제2 결합브래킷 고정부(710)의 외형은 제1 지지 유닛(500)의 평면 형상과 유사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The second coupling bracket 700 has a step formed between the second coupling bracket body 720 to which the second support unit 500 is coupled, and the second coupling bracket body 720, and the lower unit 200 The embedded second coupling bracket fixing portion 710 and extension brackets 730 and 740 extending forward and rearward of the second coupling bracket fixing portion 710 are included. At this time, the outer shapes of the second coupling bracket body 720 and the second coupling bracket fixing portion 710 of the second coupling bracket 700 may be formed in a shape similar to the planar shape of the first support unit 500.

그리고, 연장브래킷(730, 740)에는 적어도 하나의, 본 실시예에서는 복수의 관통홀(741) 이 형성된다. 즉, 실리콘 또는 레진 등과 같은 연성 재질로 형성되는 하부 유닛(200)의 성형 과정에서, 하부 유닛(200)이 완전하게 굳기 전에, 하부 유닛(200)에 제1 결합 브래킷 고정부(710) 및 연장브래킷(730, 740)이 매설된다. 이때, 연장브래킷(730, 740)의 관통홀에 하부 유닛(200)을 형성하는 재료가 유입된 상태에서 굳어져, 제1 결합 브래킷(700)이 보다 견고하게 하부 유닛(200)에 결합될 수 있다.In addition, at least one, in this embodiment,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741 are formed in the extension brackets 730 and 740. That is, in the molding process of the lower unit 200 formed of a soft material such as silicone or resin, before the lower unit 200 is completely hardened, the first coupling bracket fixing part 710 and extension to the lower unit 200 Brackets 730 and 740 are buried. At this time, the material forming the lower unit 200 is hardened in a state in which the material forming the lower unit 200 is introduced into the through hole of the extension brackets 730 and 740, so that the first coupling bracket 700 can be more firmly coupled to the lower unit 200. have.

그리고, 제2 결합 브래킷 몸체(720)와, 제2 결합 브래킷 몸체(720)와의 사이에 형성되는 상기 단차에 의하여 제2 결합 브래킷 고정부(710)와 제2 지지 유닛(500) 사이에는 공간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공간을 통하여 케이블 유닛(800)의 일부가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공간을 통하여 제2 지지 유닛(500) 내부에 배치되는 기판(550)의 열이 외부로 원활하게 발산될 수 있다.In addition, a space between the second coupling bracket fixing part 710 and the second support unit 500 is formed by the step formed between the second coupling bracket body 720 and the second coupling bracket body 720. It may be formed, and a part of the cable unit 800 may be disposed through the space. In addition, heat of the substrate 550 disposed inside the second support unit 500 may be smoothly radiat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space.

그리고, 제2 지지 유닛 몸체(510)의 상기 전면의 테두리에는 케이블 유닛(800)의 타단이 접속되기 위한 제2 케이블 접속부(미도시)가 함몰 형성될 수 있다. 제2 지지 유닛측 가압면(511)에는 연장브래킷(740)의 일부가 수용되는 함몰부(518)가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a second cable connection part (not shown) for connecting the other end of the cable unit 800 may be formed in the rim of the front surface of the second support unit body 510. A depression 518 in which a part of the extension bracket 740 is accommodated may be formed on the pressing surface 511 of the second support unit side.

한편, 제2 지지 유닛(500)의 제2 지지 유닛 몸체의 중앙에는 함몰 형성되는 배터리 수납공간(520)이 형성되며, 제2 지지 유닛(500)은, 배터리 수납 공간(520)을 선택적으로 차폐하는 배터리 캡부(530)를 더 포함한다. 배터리 유닛(560)은 배터리 수납공간(520)에 수납되며, 배터리 수납공간(520)과 제2 결합 브래킷(700) 사이에는 제2 지지유닛측 기판(550)이 배치된다. 제2 지지유닛측 기판(550)의 일측은 제2 지지유닛측 몸체(510)에 고정되며 제2 지지유닛측 기판(550)의 타측은 제2 결합 브래킷(700)에 고정된다. 이때, 배터리 유닛(560)은 예시적으로 납작한 원통형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 battery storage space 520 is formed in the center of the second support unit body of the second support unit 500 is formed, the second support unit 500, the battery storage space 520 is selectively shielded It further includes a battery cap portion 530. The battery unit 560 is accommodated in the battery storage space 520, and the second support unit side substrate 550 is disposed between the battery storage space 520 and the second coupling bracket 700. One side of the second support unit-side substrate 550 is fixed to the second support unit-side body 510 and the other side of the second support unit-side substrate 550 is fixed to the second coupling bracket 700. In this case, the battery unit 560 may be exemplarily formed in a flat cylindrical shape.

배터리 수납공간(520)은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배터리 캡부(530)는 배터리 수납공간(520)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배터리 캡부(530)는 배터리 수납공간(520)에 배터리(미도시)가 삽입된 상태에서, 배터리 수납공간(520)을 외부에 대하여 차폐함으로써, 상기 배터리가 정위치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 battery storage space 520 may be formed in a circular shape, and the battery cap portion 530 may be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battery storage space 520. The battery cap part 530 may prevent the battery from being separated from its original position by shielding the battery storage space 520 from the outside in a state in which a battery (not shown) is inserted into the battery storage space 520. .

도 6 및 도 7은 배터리 수납공간(520)에 배터리 캡부(530)가 설치되는 과정을 보여주기 위하여, 제2 지지 유닛(500)의 배면 측이 노출된 상태가 도시된다.6 and 7 show a state in which the rear side of the second support unit 500 is exposed in order to show a process in which the battery cap part 530 is installed in the battery storage space 520.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배터리 수납공간(520)을 둘러싸는 제2 지지 유닛 몸체(510)의 수납공간 내벽에는 배터리 캡부(530)의 결합을 제1 가이드하는 몸체측 가이드유닛(521) 및 제2 가이드 유닛(522)과, 배터리 캡부(530)의 잠금 상태가 유지되도록 하는 잠금유닛(523)이 형성된다.6 and 7, a body-side guide unit 521 for first guiding the coupling of the battery cap portion 530 to the inner wall of the storage space of the second support unit body 510 surrounding the battery storage space 520 And the second guide unit 522 and the locking unit 523 to maintain the locked state of the battery cap portion 530 is formed.

그리고, 배터리 캡부(530)는, 배터리 수납 공간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캡부 몸체(531) 및 캡부 몸체(531)의 내면에서 배터리 수납공간(520)을 향하여 연장 형성되는 삽입부(532)를 포함한다.In addition, the battery cap part 530 includes a cap body 531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battery storage space and an insertion part 532 extending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cap body 531 toward the battery storage space 520. Includes.

삽입부(532)의 외면에는 제2 몸체측 가이드유닛(522)에 회전 방향으로 가이드되는 캡부측 가이드유닛(535)과, 잠금유닛(523)이 걸리는 잠금홈(533)이 형성된다. 따라서, 제2 지지 유닛 몸체(510)에 대한 배터리 캡부(520)의 회전 위치에 따라 제2 지지 유닛 몸체(510)에 대한 배터리 캡부(520)의 잠금 상태 또는 열림 상태가 결정될 수 있다. 이때, 캡부측 가이드유닛(535)은 제2 몸체측 가이드 유닛(522)와 제1 몸체측 가이드 유닛(521)사이에 배치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제1 몸체측 가이드 유닛(521) 및 제2 몸체측 가이드 유닛(522)이 제2 지지 유닛 몸체(510)에 형성되는 구성으로 설명되고 있으나, 하나의 가이드 유닛 만이 설치되는 구성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포함될 수 있다.The outer surface of the insertion part 532 is formed with a cap part side guide unit 535 which is guided in a rotational direction to the second body side guide unit 522 and a locking groove 533 through which the locking unit 523 is caught. Accordingly, a locked state or an open state of the battery cap part 520 with respect to the second support unit body 510 may b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rotational position of the battery cap part 520 with respect to the second support unit body 510. At this time, the cap side guide unit 535 is disposed between the second body side guide unit 522 and the first body side guide unit 521. On the other hand,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body-side guide unit 521 and the second body-side guide unit 522 are described as being formed on the second support unit body 510, but only one guide unit is The installed configuration may also be included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한편, 배터리 캡부(520)의 캡부측 가이드유닛(535)에는, 선택적으로 몸체측 가이드 유닛(522)의 단부와 접촉되어 회전 방향에 따라 배터리 캡부(530)를 제2 지지 유닛 몸체(510) 측으로부터 탈거시키는 방향으로 가이드하는 경사부(534)가 형성된다. 즉, 배터리 캡부(530)가 제2 지지 유닛 몸체(510)로부터 분리되는 위치로 회전되는 경우, 배터리 캡부(530)의 경사부(534)가 제1 몸체측 가이드 유닛(521) 또는 제2 몸체측 가이드 유닛(522)의 단부에 접촉되어, 회전 진행에 따라 배터리 캡부(530)가 제2 지지 유닛 몸체(510) 측으로부터 돌출, 즉 팝업(Pop-up) 되도록 하여, 사용자가 보다 손쉽게 배터리 캡부(520)를 제2 지지 유닛 몸체(510)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cap portion-side guide unit 535 of the battery cap portion 520 is selectively contacted with the end of the body-side guide unit 522 to move the battery cap portion 530 to the second support unit body 510 side according to the rotation direction. An inclined portion 534 is formed that guides in a direction to be removed from. That is, when the battery cap portion 530 is rotated to a position separated from the second support unit body 510, the inclined portion 534 of the battery cap portion 530 is the first body-side guide unit 521 or the second body It is in contact with the end of the side guide unit 522 so that the battery cap part 530 protrudes from the side of the second support unit body 510, that is, pop-up as the rotation progresses, so that the user can more easily use the battery cap part. The 520 may be separated from the second support unit body 510.

이하에서는 구강 장치(1)의 전후방 이동량 조정유닛(300)의 구성을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the configuration of the front-rear movement amount adjustment unit 300 of the oral device 1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8은, 도 1의 전후방 이동량 조정 유닛을 보여주는 도면이며, 도 9은, 도 8의 전후방 이동량 조정 유닛의 구성이 분해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그리고, 도 10은, 도 8의 X-X 선도에 따른 단면을 보여주는 도면이다.FIG. 8 is a diagram showing the front-rear movement amount adjustment unit of FIG. 1, and FIG. 9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onfiguration of the front-rear movement amount adjustment unit of FIG. 8 is disassembled. And, FIG. 10 is a view showing a cross section taken along the X-X diagram of FIG. 8.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전후방 이동량 조정유닛(300)은, 상부 유닛(100) 및 하부 유닛(200) 중 어느 하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부 유닛(100),에 고정되며 일측이 개구되어 형성되는 조정스크류 삽입홀이 형성되는 조정유닛 하우징(310)과, 조정유닛 하우징(310)에 대하여 제1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조정유닛 하우징(310)에 슬라이딩 결합되는 조정 브래킷(320)과, 조정 브래킷(320)을 조정유닛 하우징(310)에 슬라이딩 결합시키는 조정 스크류 유닛(340)을 포함한다.8 to 10, the front and rear movement amount adjustment unit 300 is fixed to any one of the upper unit 100 and the lower unit 200, the upper unit 100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one side is An adjustment unit housing 310 having an opening and an adjustment screw insertion hole formed therein, and an adjustment bracket 320 slidably coupled to the adjustment unit housing 310 so as to be slidable in a first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adjustment unit housing 310 , It includes an adjustment screw unit 340 for sliding the adjustment bracket 320 to the adjustment unit housing 310.

보다 상세히, 조정 브래킷(320)의 일측에는 조정 스크류 유닛(340)의 일측이 결합되며, 조정 브래킷(320)의 타측에는 조정 스크류 유닛(340)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경사지는 방향으로 형성되는 조정유닛측 가압면(322)이 형성된다. 조정유닛측 가압면(322)과 바라보는 제1 지지 유닛(400) 및 상기 제2 지지 유닛(500)의 일부 부분에는, 조정유닛측 가압면(322)과 평행하며 적어도 일부에 제1 가압면이 접촉되는 지지유닛측 가압면(411, 511)이 형성된다. 예시적으로 본 실시예에서는 조정유닛측 가압면(322) 및 지지 유닛측 가압면(411, 511)은 구강 장치(1)의 전방을 기준으로 상향 경사진다.In more detail, one side of the adjustment screw unit 340 is coupled to one side of the adjustment bracket 320, and an adjustment unit formed in a direction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adjustment screw unit 340 on the other side of the adjustment bracket 320 Side pressing surface 322 is formed. In some portions of the first support unit 400 and the second support unit 500 facing the adjustment unit side pressing surface 322, parallel to the adjustment unit side pressing surface 322, and at least a part of the first pressing surface The support unit side pressing surfaces 411 and 511 which are in contact are formed. Exemplarily, in this embodiment, the adjustment unit side pressing surface 322 and the support unit side pressing surfaces 411 and 511 are inclined upward with respect to the front of the oral device 1.

본 실시예에서, 조정유닛측 가압면(322) 및 지지 유닛측 가압면(411, 511) 서로 경사진 상태로 접촉됨에 따라, 보다 넓은 면적이 접촉되며, 조정 스크류 유닛(340)을 회전 시키는 상대적으로 적은 힘으로도, 상부 유닛(100)에 대한 하부 유닛(200)의 전후방 이동을 손쉽게 수행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as the adjustment unit-side pressing surface 322 and the support unit-side pressing surfaces 411 and 511 contact each other in an inclined state, a larger area is in contact, and the adjustment screw unit 340 is rotated. Even with a small force, it is possible to easily move the lower unit 200 back and forth with respect to the upper unit 100.

그리고, 조정 브래킷(320)은, 조정 스크류 유닛(340)의 일측이 결합되는 조정 브래킷(320)의 스크류 고정홀(324)이 형성되는 조정 브래킷 몸체(321)와, 조정유닛측 가압면(322)이 형성되며 조정 브래킷 몸체(321)의 전방을 향하여 돌출 형성되는 가압부(328)를 포함한다. 이때, 가압부(328)는 조정 브래킷 몸체(321)의 중앙을 기준으로 편심됨 위치에 돌출 형성된다.And, the adjustment bracket 320, the adjustment bracket body 321 in which the screw fixing hole 324 of the adjustment bracket 320 to which one side of the adjustment screw unit 340 is coupled is formed, and the adjustment unit side pressing surface 322 ) Is formed and includes a pressing portion 328 protruding toward the front of the adjustment bracket body 321. At this time, the pressing part 328 is formed to protrude at an eccentric position based on the center of the adjustment bracket body 321.

한편, 조정 스크류 유닛(340)의 타측에는 나선이 형성되는 나선부(341)가 형성되며, 나선부(341)는 조정유닛 하우징(310)의 상기 조정 스크류 삽입홀에 나선 결합된다. 그리고, 조정 스크류 유닛(340)의 일측에는 조정 브래킷(320)의 스크류 고정홀(324)에 회전 가능하게 끼워지는 회전연결부(344)와, 회전연결부(344)의 단부에 형성되며 조정 스크류 유닛(340)이 조정 브래킷(320)의 스크류 고정홀(324)에서 탈거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회전연결부(344)보다 돌출 형성되는 스토퍼부(345)가 형성된다. 조정 스크류 유닛(340)의 나선부(341) 및 회전연결부(344) 사이에는, 외주면에 기설정된 간격으로 복수 개의 조정홈(343)이 형성되고 나선부(341) 및 회전연결부(344)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는 조정부(342)가 형성된다.On the other hand, the other side of the adjustment screw unit 340 is formed with a spiral portion 341 in which a spiral is formed, and the spiral portion 341 is spirally coupled to the adjustment screw insertion hole of the adjustment unit housing 310. And, at one side of the adjustment screw unit 340, a rotation connection part 344 that is rotatably fitted into the screw fixing hole 324 of the adjustment bracket 320, and formed at the end of the rotation connection part 344, the adjustment screw unit ( A stopper part 345 protruding from the rotation connection part 344 is formed to prevent the 340 from being removed from the screw fixing hole 324 of the adjustment bracket 320. Between the spiral portion 341 and the rotation connection portion 344 of the adjustment screw unit 340, a plurality of adjustment grooves 343 are form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the diameter of the spiral portion 341 and the rotation connection portion 344 A larger adjustment portion 342 is formed.

조정 브래킷(320)의 스크류 고정홀(324)은, 조정 브래킷 몸체(321)의 중심으로부터 편심된 위치에 위치되며, 스크류 고정홀(324)은, 조정 브래킷 몸체(321)의 일 측면으로 개구된다. 스크류 고정홀(324)에 조정 스크류 유닛(340)의 회전연결부(344)가 삽입된 상태에서, 조정 스크류 유닛(340)의 스토퍼부(345) 및 조정부(342)는, 조정 브래킷 몸체(321)의 일면과 이면에 지지된다.The screw fixing hole 324 of the adjustment bracket 320 is located at an eccentric position from the center of the adjustment bracket body 321, and the screw fixing hole 324 is opened to one side of the adjustment bracket body 321 . In a state in which the rotation connection part 344 of the adjusting screw unit 340 is inserted into the screw fixing hole 324, the stopper part 345 and the adjusting part 342 of the adjusting screw unit 340 are, the adjusting bracket body 321 It is supported on one side and the back side of.

전후방 이동량 조정유닛(300)은, 한 쌍의 가이드부재(350) 및 조정유닛 고정브래킷(330)를 더 포함한다.The front and rear movement amount adjustment unit 300 further includes a pair of guide members 350 and an adjustment unit fixing bracket 330.

한 쌍의 가이드부재(350)는, 일측은 조정유닛 하우징(310)의 일면에 형성되는 제1 가이드부재 삽입홈에 끼워지며, 타측은 조정유닛 하우징(310)의 상기 일면과 마주보는 조정 브래킷(320)의 일면에 형성되는 제2 가이드부재 삽입홈(325) 에 끼워진다. 가이드부재(350)는 조정 스크류 유닛(340)과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A pair of guide members 350, one side is fitted into a first guide member insertion groove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adjustment unit housing 310, the other side is an adjustment bracket facing the one surface of the adjustment unit housing 310 ( It is fitted into the second guide member insertion groove 325 formed on one side of the 320). The guide member 350 may be disposed in parallel with the adjusting screw unit 340.

본 실시예에서는 가이드부재(350)가 조정 스크류 유닛(340)을 사이에 두고 상호 이격되는 한 쌍으로 마련되는 구성으로 설명되고 있으나, 하나의 가이드부재(350)가 설치되는 구성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포함될 수 있다. 가이드부재(350)에는 별도의 나선이 형성되지 않고, 가이드부재(350)는 예시적으로 원통형상의 샤프트로 형성될 수 있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guide member 350 is described as a configuration in which a pair i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with the adjustment screw unit 340 interposed therebetween, but a configuration in which one guide member 350 is installed is also an implement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ncluded in the example. A separate spiral is not formed in the guide member 350, and the guide member 350 may be formed as an exemplary cylindrical shaft.

그리고, 조정유닛 고정브래킷(330)은 상부 유닛(100)에 전후방 이동량 조정 유닛(300)을 고정시킨다. 조정유닛 고정브래킷(330)은, 조정유닛 하우징(310)이 결합되는 제1 조정유닛 고정브래킷 몸체(331)와, 제1 조정유닛 고정브래킷 몸체(331)와의 사이에 단차가 형성되며 전후방 이동량 조정유닛(300)의 조정 스크류 유닛(340)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복수의 관통홀(333)들이 형성되는 제2 조정유닛 고정브래킷 몸체(332)를 포함한다. 조정유닛 고정브래킷(330)의 제2 조정 유닛 고정 브래킷 몸체(332)가 제1 조정유닛 고정 브래킷 몸체(331)에 비하여, 상부 유닛(100) 측으로 매몰되는 방향으로 위치됨으로써, 전후방 이동량 조정유닛(300)의 조정 브래킷(322)의 이동이 조정유닛 고정브래킷(330)에 의하여 간섭받는 것이 억제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adjustment unit fixing bracket 330 fixes the front and rear movement amount adjustment unit 300 to the upper unit 100. The adjustment unit fixing bracket 330 has a step formed between the first adjustment unit fixing bracket body 331 to which the adjustment unit housing 310 is coupled, and the first adjustment unit fixing bracket body 331 and adjusts the amount of movement forward and backward. It includes a second adjustment unit fixing bracket body 332 formed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adjustment screw unit 340 of the unit 300 and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333 are formed. The second adjustment unit fixing bracket body 332 of the adjustment unit fixing bracket 330 is positioned in a direction to be buried toward the upper unit 100 compared to the first adjustment unit fixing bracket body 331, so that the front and rear movement amount adjustment unit ( The movement of the adjustment bracket 322 of 300) can be suppressed from being interfered with by the adjustment unit fixing bracket 330.

한편, 상부 유닛(100)에는 조정유닛 고정부(120)가 형성되며, 전후방 이동량 조정유닛(300)의 조정유닛 하우징(310)은 조정유닛 고정부(120)의 내부에 매몰된 상태로 배치된다. 그리고, 전후방 이동량 조정유닛(300)의 조정 브래킷(320) 및 조정 스크류 유닛(340)의 일부는 상부 유닛(100)의 조정유닛 고정부(120)의 외부로 노출된다. 즉, 전후방 이동량 조정유닛(300)에서 일부 만이 외부로 노출됨으로써, 전후방 이동량 조정유닛(300)에 이물질 간섭등이 발생되는 것이 최소화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upper unit 100 has an adjustment unit fixing part 120 is formed, and the adjustment unit housing 310 of the front and rear movement amount adjustment unit 300 is disposed in a state buried inside the adjustment unit fixing part 120 . In addition, some of the adjustment bracket 320 and the adjustment screw unit 340 of the front and rear movement amount adjustment unit 300 are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adjustment unit fixing portion 120 of the upper unit 100. That is, only a part of the front and rear movement amount adjustment unit 300 is exposed to the outside, so that foreign matter interference or the like in the front and rear movement amount adjustment unit 300 may be minimized.

이하에서는 전후방 이동량 조정유닛(300)에 의하여 상부 유닛(100)에 대한 하부 유닛(200)의 상대적인 위치 변화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a change in the relative position of the lower unit 200 with respect to the upper unit 100 by the front and rear movement amount adjustment unit 300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도 11은, 도 8의 전후방 이동량 조정 유닛을 이용한 조정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며, 도 12는, 도 8의 전후방 이동량 조정 유닛에 의하여 상부 유닛에 대한 하부 유닛의 이동이 진행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FIG. 11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adjustment process using the front-rear movement amount adjustment unit of FIG. 8, and FIG. 1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rocess in which the movement of the lower unit relative to the upper unit is performed by the front-rear movement amount adjustment unit of FIG. 8.

먼저, 도 11를 참조하면, 전후방 이동량 조정 유닛(300)의 조정 유닛 하우징(310)에 대한 조정 브래킷(320)의 상대적인 인입/인출량을 조정하여, 상부 유닛(100)에 대한 하부 유닛(200)의 전방 이동량을 조정하는 경우, 노출된 조정 스크류 유닛(340)의 조정부(342)에 형성된 조정홈(343)에 조정 수단(900)의 일단을 끼운다. 그리고, 원하는 길이만큼 조정 브래킷(320)을 조정유닛 하우징(310)으로부터 인입 또는 인출시키기 위하여, 조정 수단(900)을 이용하여 조정 스크류 유닛(340)을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조정 유닛 하우징(310)에 스크류 결합된 조정 스크류 유닛(340)이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됨에 따라, 조정 스크류 유닛(340)의 일단에 배치되는 조정 브래킷(320)은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될 수 있다.First, referring to FIG. 11, by adjusting the relative in/out amount of the adjustment bracket 320 with respect to the adjustment unit housing 310 of the front and rear movement amount adjustment unit 300, the lower unit 200 with respect to the upper unit 100 ), when adjusting the amount of forward movement, insert one end of the adjusting means 900 into the adjusting groove 343 formed in the adjusting portion 342 of the exposed adjusting screw unit 340. And, in order to insert or withdraw the adjustment bracket 320 from the adjustment unit housing 310 by a desired length, the adjustment screw unit 340 is rotated in a clockwise or counterclockwise direction using the adjustment means 900. As the adjustment screw unit 340 screwed to the adjustment unit housing 310 is rotated clockwise or counterclockwise, the adjustment bracket 320 disposed at one end of the adjustment screw unit 340 moves forward or backward. Can be.

그 다음, 도 12(A)를 참조하면, 전후방 이동량 조정 유닛(300)의 조정 브래킷(320)의 조정유닛측 가압면(322)은, 제1 지지유닛(400)의 지지유닛측 가압면(411)과 맞닿은 상태로 배치된다.Next, referring to FIG. 12(A), the adjustment unit side pressing surface 322 of the adjustment bracket 320 of the front and rear movement amount adjustment unit 300 is the support unit side pressing surface of the first support unit 400 ( It is arranged in contact with the 411).

그 다음, 도 12(B)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조정 스크류 유닛(340)을 회전시켜, 조정 브래킷(320)을 조정 유닛 하우징(310)으로부터 제1 거리(d1)만큼 인출 시키면, 하부 유닛(200)에 고정되는 제1 지지 유닛(400)이 조정 브래킷(320)에 의하여 가압되어, 하부 유닛(200)은 상부 유닛(100)에 대하여 제2 거리(d2) 만큼 전방으로 이동된다. 이때, 제1 거리(d1) 및 제2 거리(d2)는 동일하다.Next, referring to FIG. 12(B), when the user rotates the adjustment screw unit 340 and pulls the adjustment bracket 320 out from the adjustment unit housing 310 by a first distance d1, the lower unit ( The first support unit 400 fixed to 200 is pressed by the adjustment bracket 320 so that the lower unit 200 is moved forward by a second distance d2 with respect to the upper unit 100. In this case, the first distance d1 and the second distance d2 are the same.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강 장치(1)는 스크류 회전을 이용하여, 상부 유닛(100)에 대한 하부 유닛(200)의 상대적인 움직임을 제어함으로써, 보다 정밀하게 거리가 제어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부 유닛(100)에 대한 하부 유닛(200)의 전방 인출된 상태가 견고하게 유지될 수 있다.That is, the oral device 1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dvantageous in that the distance can be more precisely controlled by controlling the relative movement of the lower unit 200 with respect to the upper unit 100 using screw rotation. There is this. In addition, a state in which the lower unit 200 is pulled forward with respect to the upper unit 100 may be firmly maintained.

한편, 제1 지지 유닛(400)은 온도 및/또는 움직임을 감지하기 위한 복수의 센서들을 포함하며, 구강 장치(1)는 상기 센서의 센싱값에 기초하여, 구강 장치(1)의 착용 상태, 사용자의 병변 발생 여부, 사용자의 수면 상태 등을 체크할 수 있다.Meanwhile, the first support unit 400 includes a plurality of sensors for detecting temperature and/or movement, and the oral device 1 is a wearing state of the oral device 1 based on the sensing value of the sensor, It is possible to check whether a user has a lesion, a user's sleep status, etc.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In the abov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it is possible to implement various modifications within the scope of the claims,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is natural to fall within the range of.

Claims (16)

구강 장치에 있어서,
윗니의 적어도 일부가 수용되는 상부 유닛;
아랫니의 적어도 일부가 수용되며, 상기 상부 유닛와 맞물리는 하부 유닛;
상기 상부 유닛 및 상기 하부 유닛 중 어느 하나의 측면으로부터 돌출되며, 조정 브래킷이 전방 또는 후방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마련되며, 상호 대칭되는 위치에 배치되어, 상기 조정 브래킷의 슬라이딩량을 조정하여 상기 상부 유닛에 대한 상기 하부 유닛의 전방 이동량을 조정 가능하게 하는 한 쌍의 전후방 이동량 조정유닛;
상기 전후방 이동량 조정유닛 중 어느 하나의 상기 조정 브래킷의 일면이 맞닿으며, 상기 상부 유닛 및 상기 하부 유닛 중 다른 하나에 설치되는 제1 지지유닛; 및
상기 전후방 이동량 조정유닛의 중 다른 하나의 상기 조정 브래킷의 일면에 맞닿으며, 상기 상부 유닛 및 상기 하부 유닛 중 다른 하나에 설치되고, 상기 제1 지지 유닛이 설치된 위치에 대칭되는 위치에 설치되는 제2 지지 유닛;을 포함하는 구강 장치.
In the oral device,
An upper unit accommodating at least a portion of the upper teeth;
A lower unit accommodating at least a portion of the lower teeth and engaged with the upper unit;
It protrudes from either side of the upper unit and the lower unit, and the adjustment bracket is provided to be slidable forward or backward, and is disposed at a mutually symmetrical position, so that the sliding amount of the adjustment bracket is adjusted to the upper unit. A pair of front and rear movement amount adjustment units for adjusting the forward movement amount of the lower unit relative to each other;
A first support unit that abuts one surface of the adjustment bracket of any one of the front and rear movement amount adjustment units, and is installed on the other one of the upper unit and the lower unit; And
A second abutting on one surface of the adjustment bracket of the other one of the front and rear movement amount adjustment units, installed on the other one of the upper unit and the lower unit, and installed at a position symmetrical to the position where the first support unit is installed Oral device comprising a; support unit.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전후방 이동량 조정유닛은,
상기 상부 유닛 및 상기 하부 유닛 중 어느 하나에 고정되며 일측이 개구되어 형성되는 조정스크류 삽입홀이 형성되는 조정유닛 하우징과, 상기 조정 브래킷을 상기 조정유닛 하우징에 슬라이딩 결합시키는 조정 스크류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조정 브래킷은, 상기 조정유닛 하우징에 대하여 제1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상기 조정유닛 하우징에 슬라이딩 결합되는 구강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front and rear movement amount adjustment unit,
An adjustment unit housing fixed to one of the upper unit and the lower unit and having an adjustment screw insertion hole formed by opening one side thereof, and an adjustment screw unit slidingly coupled the adjustment bracket to the adjustment unit housing,
The adjustment bracket is an oral device that is slidably coupled to the adjustment unit housing so as to be slidable in a first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adjustment unit housing.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조정 브래킷의 일측에는 상기 조정 스크류 유닛의 일측이 결합되며, 상기 조정 브래킷의 타측에는 상기 조정 스크류 유닛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경사지는 방향으로 형성되는 조정유닛측 가압면이 형성되며,
상기 조정유닛측 가압면과 바라보는 상기 제1 지지 유닛 및 상기 제2 지지 유닛의 일부 부분에는, 조정유닛측 가압면과 평행하며 적어도 일부에 상기 제1 가압면이 접촉되는 지지유닛측 가압면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 장치.
The method of claim 2,
One side of the adjustment screw unit is coupled to one side of the adjustment bracket, and an adjustment unit side pressing surface formed in a direction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length direction of the adjustment screw unit is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adjustment bracket,
In some portions of the first support unit and the second support unit facing the adjustment unit-side pressing surface, a support unit-side pressing surface parallel to the adjustment unit-side pressing surface and contacting at least a portion of the first pressing surface is provided. Oral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조정 브래킷은, 상기 조정 스크류 유닛의 일측이 결합되는 조정 브래킷의 스크류 고정홀이 형성되는 조정 브래킷 몸체와, 상기 제1 가압면이 형성되며 상기 조정 브래킷 몸체의 전방을 향하여 돌출 형성되는 가압부를 포함하는 구강 장치.
The method of claim 3,
The adjustment bracket includes an adjustment bracket body in which a screw fixing hole of an adjustment bracket to which one side of the adjustment screw unit is coupled is formed, and a pressing portion having the first pressing surface and protruding toward the front of the adjustment bracket body. Oral device.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조정 스크류 유닛의 타측에는 나선이 형성되는 나선부가 형성되며, 상기 나선부는 상기 조정 스크류 삽입홀에 나선 결합되고,
상기 조정 스크류 유닛의 상기 일측에는 상기 조정 브래킷의 상기 스크류 고정홀에 회전 가능하게 끼워지는 회전연결부 및 상기 회전연결부의 단부에 형성되며 상기 조정 스크류 유닛이 상기 조정 브래킷의 상기 스크류 고정홀에서 탈거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회전연결부보다 돌출 형성되는 스토퍼부가 형성되며,
상기 조정 스크류 유닛의 상기 나선부 및 상기 회전연결부 사이에는, 외주면에 기설정된 간격으로 복수 개의 조정홈이 형성되고 상기 나선부 및 상기 회전연결부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는 조정부가 형성되는 구강 장치.
The method of claim 4,
The other side of the adjusting screw unit is formed with a spiral portion in which a spiral is formed, the spiral portion is spirally coupled to the adjustment screw insertion hole,
On the one side of the adjustment screw unit, a rotation connection part rotatably fitted into the screw fixing hole of the adjustment bracket and an end portion of the rotation connection part are formed, and the adjustment screw unit is removed from the screw fixing hole of the adjustment bracket. A stopper part protruding from the rotation connection part is formed to prevent it,
An oral device in which a plurality of adjustment grooves are form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between the spiral portion and the rotation connection portion of the adjustment screw unit, and an adjustment portion is formed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spiral portion and the rotation connection portion.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류 고정홀은, 상기 조정 브래킷 몸체의 중심으로부터 편심된 위치에 위치되며,
상기 스크류 고정홀은, 상기 조정 브래킷 몸체의 일 측면으로 개구되며,
상기 스크류 고정홀에 상기 조정 스크류 유닛의 상기 회전연결부가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조정 스크류 유닛의 상기 스토퍼부 및 상기 조정부는, 상기 조정 브래킷 몸체의 일면과 이면에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 장치.
The method of claim 5,
The screw fixing hole is located at a position eccentric from the center of the adjustment bracket body,
The screw fixing hole is opened to one side of the adjustment bracket body,
Oral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n a state in which the rotational connection of the adjustment screw unit is inserted into the screw fixing hole, the stopper part and the adjustment part of the adjustment screw unit are supported on one surface and a rear surface of the adjustment bracket body.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전후방 이동량 조정유닛은, 일측은 상기 조정유닛 하우징의 일면에 형성되는 제1 가이드부재 삽입홈에 끼워지며, 타측은 상기 조정유닛 하우징의 상기 일면과 마주보는 상기 조정 브래킷의 일면에 형성되는 제2 가이드부재 삽입홈에 끼워지는 가이드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부재는 상기 조정 스크류 유닛과 나란하게 배치되는 구강 장치.
The method of claim 2,
The front and rear movement amount adjustment unit, one side is fitted into a first guide member insertion groove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adjustment unit housing, the other side is a second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adjustment bracket facing the one surface of the adjustment unit housing. Further comprising a guide member fitted into the guide member insertion groove,
The guide member is an oral device disposed in parallel with the adjustment screw unit.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전후방 이동량 조정 유닛은, 상기 상부 유닛 및 상기 하부 유닛 중 어느 하나의 유닛에 상기 전후방 이동량 조정 유닛을 고정시키기 위한 조정유닛 고정브래킷을 더 포함하고,
상기 조정유닛 고정브래킷은, 상기 조정유닛 하우징이 결합되는 제1 조정유닛 고정브래킷 몸체와, 상기 제1 조정유닛 고정브래킷 몸체와의 사이에 단차가 형성되며 상기 전후방 이동량 조정유닛의 상기 조정 스크류 유닛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복수의 관통홀들이 형성되는 제2 조정유닛 고정브래킷 몸체를 포함하는 구강 장치.
The method of claim 2,
The front-rear movement amount adjustment unit further includes an adjustment unit fixing bracket for fixing the front-rear movement amount adjustment unit to any one of the upper unit and the lower unit,
The adjustment unit fixing bracket has a step formed between the first adjustment unit fixing bracket body to which the adjustment unit housing is coupled, and the first adjustment unit fixing bracket body, and the adjustment screw unit of the front and rear movement amount adjustment unit Oral device including a second adjustment unit fixing bracket body formed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formed with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유닛 및 상기 하부 유닛 중 어느 하나의 유닛의 후방측 양 단부에는 상기 전후방 이동량 조정유닛이 고정되며, 상기 상부 유닛 또는 상기 하부 유닛의 몸체부를 기준으로 측면으로 돌출되는 조정유닛 고정부가 형성되며,
상기 전후방 이동량 조정유닛의 상기 조정유닛 하우징은 상기 조정유닛 고정부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전후방 이동량 조정유닛의 상기 조정 브래킷 및 상기 조정 스크류 유닛의 일부는 상기 조정유닛 고정부의 외부로 노출되는 구강장치.
The method of claim 2,
The front and rear movement amount adjustment units are fixed at both ends of the rear side of any one of the upper unit and the lower unit, and adjustment unit fixing portions protruding laterally relative to the body of the upper unit or the lower unit are formed,
The adjustment unit housing of the front and rear movement amount adjustment unit is disposed inside the adjustment unit fixing unit, and a part of the adjustment bracket and the adjustment screw unit of the front and rear movement amount adjustment unit i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adjustment unit fixing unit.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지 유닛 및 상기 제2 지지 유닛은, 상기 제1 지지 유닛 및 상기 제2 지지 유닛의 외형을 형성되는 제1 지지 유닛 몸체 및 제2 지지 유닛 몸체를 각각 포함하고,
후방을 바라보는 상기 제1 지지 유닛 몸체 및 상기 제2 지지 유닛 몸체의 후면에는 상기 전후방 이동량 조정유닛의 일부가 접촉되며, 상기 전후방 이동량조정유닛의 이동 방향에 대하여 경사지는 지지유닛측 가압면이 형성되고,
전방을 바라보는 상기 제1 지지 유닛 몸체 및 상기 제2 지지 유닛 몸체의 전면과, 상기 제1 지지 유닛 몸체 및 상기 제2 지지 유닛 몸체의 상면 사이에는 라운드 지게 형성되는 라운드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first support unit and the second support unit each include a first support unit body and a second support unit body forming the outer shape of the first support unit and the second support unit,
Part of the front-rear movement amount adjustment unit is in contact with the rear surfaces of the first support unit body and the second support unit body facing the rear, and a support unit side pressing surface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moving direction of the front-rear movement amount adjustment unit is formed Become,
A round portion formed in a round shape is formed between the front surfaces of the first and second support unit bodies facing the front, and the upper surfaces of the first and second support unit bodies. Oral device.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지 유닛에는 구강의 상태를 감지하기 위한 센서부와 상기 센서부에서 생성된 센싱 데이터를 외부로 송신하고 외부의 명령을 수신하기 위한 통신부가 배치되며,
상기 제2 지지 유닛에는 상기 제1 지지 유닛에 대하여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배터리부가 배치되며,
상기 제1 지지 유닛 및 상기 제2 지지 유닛을 전기적으로 상호 연결하기 위한 케이블 유닛을 더 포함하고,
상기 케이블 유닛은 상기 상부 유닛 및 상기 하부 유닛 중 다른 하나의 유닛 몸체의 전방부에 매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first support unit is provided with a sensor unit for detecting the state of the oral cavity and a communication unit for transmitting sensing data generated by the sensor unit to the outside and receiving an external command,
A battery part for supplying power to the first support unit is disposed in the second support unit,
Further comprising a cable unit for electrically interconnecting the first support unit and the second support unit,
The cable unit is an oral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buried in the front portion of the body of the other one of the upper unit and the lower unit.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지지 유닛은, 외형을 제2 지지 유닛의 외형을 형성하며 제1 측면의 중앙에는 함몰 형성되는 배터리 수납공간이 형성되는 제2 지지 유닛 몸체와, 상기 제2 지지 유닛 몸체의 상기 배터리 수납 공간을 선택적으로 차폐하는 배터리 캡부를 포함하고,
상기 배터리 수납공간을 둘러싸는 상기 제2 지지 유닛 몸체의 수납공간 내벽에는 상기 배터리 캡부의 결합을 가이드하는 몸체측 가이드유닛 및 상기 배터리 캡부의 잠금 상태가 유지되도록 하는 잠금유닛이 형성되고,
상기 배터리 캡부는, 상기 배터리 수납 공간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캡부 몸체 및 상기 캡부 몸체의 내면에서 상기 배터리 수납공간을 향하여 연장 형성되는 삽입부를 포함하고,
상기 삽입부의 외면에는 상기 몸체측 가이드유닛에 회전 방향으로 가이드되는 캡부측 가이드유닛 및 상기 잠금유닛이 걸리는 잠금홈이 형성되며,
상기 제2 지지 유닛 몸체에 대하여 상기 배터리 캡부의 회전 위치에 따라 상기 제2 지지 유닛 몸체에 대한 상기 배터리 캡부의 잠금 상태 또는 열림 상태가 결정되는 구강 장치.
The method of claim 11,
The second support unit includes a second support unit body having an outer shape forming the outer shape of the second support unit and having a battery storage space recessed in the center of the first side, and the battery storage of the second support unit body Including a battery cap portion for selectively shielding the space,
On the inner wall of the storage space of the second support unit body surrounding the battery storage space, a body-side guide unit for guiding the coupling of the battery cap portion and a locking unit for maintaining the locked state of the battery cap portion are formed,
The battery cap portion includes a cap portion body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battery storage space, and an insertion portion extending from an inner surface of the cap portion body toward the battery storage space,
The outer surface of the insertion portion is formed with a cap portion-side guide unit guided in a rotational direction to the body-side guide unit and a locking groove through which the locking unit is caught,
An oral device in which a locked state or an open state of the battery cap part with respect to the second support unit body is determined according to a rotational position of the battery cap part with respect to the second support unit body.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캡부의 상기 캡부측 가이드유닛에는, 선택적으로 상기 몸체측 가이드 유닛의 단부와 접촉되어 회전 방향에 따라 상기 배터리 캡부를 상기 제2 지지 유닛 몸체 측으로부터 탈거시키는 방향으로 가이드하는 경사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 장치.
The method of claim 12,
The battery cap portion may have an inclined portion formed in the cap portion-side guide unit, which selectively contacts an end portion of the body-side guide unit to guide the battery cap portion in a direction to remove it from the second support unit body side according to a rotation direction. Oral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지 유닛 및 상기 제2 지지 유닛을 상기 상부 유닛 또는 상기 하부 유닛에 각각 결합시키기 위한 제1 결합 브래킷 및 제2 결합 브래킷;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지지 유닛 및 상기 제2 지지 유닛은 체결유닛에 의하여 상기 제1 결합 브래킷 및 상기 제2 결합 브래킷에 체결되며, 상기 제1 결합 브래킷 및 제2 결합브래킷의 일부가 상기 상부 유닛 또는 상기 하부 유닛에 매설되어 상기 상부 유닛 또는 상기 하부 유닛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A first coupling bracket and a second coupling bracket for coupling the first support unit and the second support unit to the upper unit or the lower unit, respectively, and
The first support unit and the second support unit are fastened to the first coupling bracket and the second coupling bracket by a coupling unit, and a part of the first coupling bracket and the second coupling bracket may be the upper unit or the lower portion. Oral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embedded in the unit and coupled to the upper unit or the lower unit.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결합 브래킷 및 상기 제2 결합 브래킷은, 상기 제1 지지 유닛 및 상기 제2 지지 유닛이 결합되는 제1 결합 브래킷 몸체 및 제2 결합 브래킷 몸체와, 상기 제1 결합 브래킷 몸체 및 상기 제2 결합 브래킷 몸체와의 사이에는 단차가 형성되고 상기 상부 유닛 및 상기 하부 유닛 중 어느 하나의 유닛에 매설되는 제1 결합 브래킷 고정부 및 제2 결합 브래킷 고정부와, 상기 제1 결합브래킷 고정부 및 상기 제2 결합 브래킷 고정부의 전방 및 후방으로 연장 형성되는 연장브래킷들을 포함하고,
상기 연장브래킷에는 적어도 하나의 관통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 장치.
The method of claim 14,
The first coupling bracket and the second coupling bracket may include a first coupling bracket body and a second coupling bracket body to which the first support unit and the second support unit are coupled, and the first coupling bracket body and the second A step is formed between the coupling bracket body and the first coupling bracket fixing part and the second coupling bracket fixing part, which are buried in any one of the upper unit and the lower unit, and the first coupling bracket fixing part, and the Including extension brackets extending forward and rearward of the second coupling bracket fixing portion,
Oral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at least one through hole is formed in the extension bracket.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결합 브래킷 고정부 및 상기 제2 결합 브래킷 고정부 중 어느 하나에는 상기 제1 지지 유닛 또는 상기 제2 지지 유닛 측으로 돌출 형성되며, 상기 제1 지지 유닛 또는 상기 제2 지지 유닛을 체결시키기 위한 체결부재가 고정되는 돌출 고정유닛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 장치.
The method of claim 15,
Any one of the first coupling bracket fixing portion and the second coupling bracket fixing portion is formed to protrude toward the first support unit or the second support unit, and for fastening the first support unit or the second support unit. Oral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protruding fixing unit to which the fastening member is fixed is formed.
KR1020200108340A 2019-08-29 2020-08-27 Oral appliance KR10255491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20/011540 WO2021040454A2 (en) 2019-08-29 2020-08-28 Oral applian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6719 2019-08-29
KR20190106719 2019-08-2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27149A true KR20210027149A (en) 2021-03-10
KR102554912B1 KR102554912B1 (en) 2023-07-13

Family

ID=751486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08340A KR102554912B1 (en) 2019-08-29 2020-08-27 Oral applian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54912B1 (en)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80463B1 (en) 2008-12-04 2011-11-04 정진우 Oral Appliance for Treating Snoring and Sleep Apnea
KR101271576B1 (en) * 2011-09-14 2013-06-11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Treating Appliance for Snoring and Sleep Apnea
CN104825268A (en) * 2015-06-05 2015-08-12 吴东轶 Oral cavity device for restraining snores
KR101722640B1 (en) * 2015-10-13 2017-04-03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Mandibular advancement device
CN207562030U (en) * 2017-03-08 2018-07-03 邹孟真 Snore relieving facing
CN208677687U (en) * 2018-02-27 2019-04-02 谢静钗 Snore relieving facing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80463B1 (en) 2008-12-04 2011-11-04 정진우 Oral Appliance for Treating Snoring and Sleep Apnea
KR101271576B1 (en) * 2011-09-14 2013-06-11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Treating Appliance for Snoring and Sleep Apnea
CN104825268A (en) * 2015-06-05 2015-08-12 吴东轶 Oral cavity device for restraining snores
KR101722640B1 (en) * 2015-10-13 2017-04-03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Mandibular advancement device
CN207562030U (en) * 2017-03-08 2018-07-03 邹孟真 Snore relieving facing
CN208677687U (en) * 2018-02-27 2019-04-02 谢静钗 Snore relieving fac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54912B1 (en) 2023-07-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717436B2 (en) Methods and devices for treating sleep apnea
RU2703505C2 (en) Mandibular advancement device, and method and kit for producing said device
US11246744B2 (en) Device for moving lower jaw forward
KR101080463B1 (en) Oral Appliance for Treating Snoring and Sleep Apnea
RU2424833C2 (en) Children nasal joint mask
EP2091476B1 (en) Device for snoring prevention
US9517319B2 (en) Wearing tool for breathing mask, and breathing mask
JP7437316B2 (en) Mandibular anterior fixation device with a set of separated electrical components
US20170304107A1 (en) Oral appliance fixed to lower teeth
US20210093236A1 (en) Monitoring blood oxygen saturation levels of a patient interface
AU2009321054B2 (en) Fitting tool for use in wearing breathing mask, and breathing mask
US20170151086A1 (en) Custom made oral appliance for airway management of those with obstructive sleep apnea (osa)
KR102058104B1 (en) Oral appliance improved for flexibility of lower jaw and adhesiveness to tooth
US20160354231A1 (en) Device and system for improved breathing
KR102554912B1 (en) Oral appliance
JP7145939B2 (en) Customizable masks and how to adjust their size
US20140150800A1 (en) Patient interface arrangement with adjustable forehead support
US20220331065A1 (en) Sleep apnea and anti-snoring system
KR101959537B1 (en) Mandibular traction device for Snoring Prevention
WO2021040454A2 (en) Oral appliance
US20240099877A1 (en) Tongue stabilization device with frontal stabilization
US10799389B2 (en) Mouthpiece device for the treatment of obstructive sleep apnea syndrome
KR102170497B1 (en) Positive airway pressure mask
KR20190097376A (en) Oral device for treating snoring and sleep apnea
WO2023129154A1 (en) Sleep apnea and anti-snoring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