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26760A - 전기자동차용 변속기의 동기장치 - Google Patents

전기자동차용 변속기의 동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26760A
KR20210026760A KR1020190108012A KR20190108012A KR20210026760A KR 20210026760 A KR20210026760 A KR 20210026760A KR 1020190108012 A KR1020190108012 A KR 1020190108012A KR 20190108012 A KR20190108012 A KR 20190108012A KR 20210026760 A KR20210026760 A KR 202100267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ift
transmission
shaft
shift fork
electric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080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변성곤
안철민
김석준
맹수현
천동희
김백유
하준영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080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26760A/ko
Publication of KR202100267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2676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3/00Control outputs from the control unit to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or to other devices than the final output mechanism
    • F16H63/02Final output mechanisms therefor; Actuating means for the final output mechanisms
    • F16H63/30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final output mechanisms
    • F16H63/32Gear shift yokes, e.g. shift fork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7/00General details of gearing
    • F16H57/02Gearboxes; Mounting gearing there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90Vehicles comprising electric prime movers
    • B60Y2200/91Electric vehic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3/00Control outputs from the control unit to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or to other devices than the final output mechanism
    • F16H63/02Final output mechanisms therefor; Actuating means for the final output mechanisms
    • F16H63/30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final output mechanisms
    • F16H63/304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final output mechanisms the final output mechanisms comprising elements moved by electrical or magnetic force
    • F16H2063/3063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final output mechanisms the final output mechanisms comprising elements moved by electrical or magnetic force using screw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ar-Shifting Mechanisms (AREA)

Abstract

전기자동차용 변속기의 동기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기자동차용 변속기의 동기장치는 제1, 제2 변속기어 사이의 공간을 최소화하고, 각 싱크로유닛을 제1, 제2 변속기어의 양 외측으로 분할 배치하여 전장을 축소하며, 시프트 포스의 스크루 축상의 작용점과 슬리브의 접촉면 사이에 레일축을 이용한 작용점을 추가하여 틸팅량을 감소하고, 변속 시 걸림 현상을 제거하도록, 하나의 입력축 상에 제1, 제2 변속기어가 이웃하여 나란히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고, 제1, 제2 변속기어의 양 외측의 입력축 상에 각각 클러치 기어와 싱크로 링 및 슬리브로 이루어지는 제1, 제2 싱크로유닛이 구성되며, 시프트 모터의 스크루 축 상에 치합된 스크루하우징에 각 선단이 연결된 제1, 제2 시프트 포크가 상기 제1, 제2 싱크로유닛의 각 슬리브에 결합되어 이루어지는 분할형 동기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 시프트 포크는 선단에 상기 스크루하우징이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제2 시프트 포크는 선단에 가이드 블록이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 블록을 통하여 상기 제1 시프트 포크의 선단부 일 측면에 볼트 체결되며, 상기 스크루 축을 따라 배치되어 상기 제1 시프트 포크의 선단부와 상기 제2 시프트 포크의 가이드 블록의 중심을 관통하여 양단이 변속기 케이스에 고정되는 레일축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전기자동차용 변속기의 동기장치{SYNCHRONIZER FOR TRANSMISSION}
본 발명은 전기자동차용 변속기의 동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시프트 포크를 통해 전달되는 시프트 포스의 스크루 축 상의 작용점과 슬리브 상의 작용점 사이에 레일축을 이용한 작용점을 추가하여 틸팅량 감소 및 변속 걸림 현상을 제거하는 전기자동차용 변속기의 동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기자동차의 변속기(즉, 감속기)는 다단화에 따른 성능, 연비, 재료비, 및 패키지 측면에서 장점을 극대화하고, 단점을 해소하기 위한 연구개발이 지속되어 왔다.
즉, 다단화에 따라 성능면에서는 변속으로 인한 변속 손실 및 운전성 저하되는 단점이 있는 반면, 모터의 사양 증대 없이도 초기 발진 성능이 향상되어 다이나믹한 주행이 가능하고, 출력기준 최고속도가 상향되며, 모터 운전점 변경으로 인한 모터 연속성능을 향상시키는 장점이 있다.
이외에 연비 측면에서는 감속기 효율 감소로 인해 배터리 용량의 증대가 필요하나, 재료비 측면에서는 동일 주행거리를 기준으로 1단 감속기 차량과 동일 수준으로 유지할 수 있으며, 패키지 측면에서도 모터 사이즈 축소로 인해 동일한 수준을 유지할 수 있다.
최근에는 전기자동차 전용 4단 변속기의 상부 전장을 축소하여 탑재성 개선을 위한 레이아웃 배치구조에 대한 연구의 일환으로, 동기장치의 탑재공간을 최적화하기 위해 입력축 상의 2개의 변속기어의 양 외측으로 시프트 포크를 각각 배치하는 분할형 동기장치를 적용하고 있다.
도 6은 기존의 전기자동차용 변속기의 동기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전기자동차용 변속기의 상부에 적용되는 분할형 동기장치를 도시한 것으로, 하나의 입력축(101) 상에 제1, 제2 변속기어(103)(105)가 이웃하여 나란히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고, 제1, 제2 변속기어(103)(105)의 양 외측의 입력축(101) 상에 각각 클러치 허브(111)(211)와 클러치 기어(113)(213)와 싱크로 링(115)(215) 및 슬리브(117)(217)로 이루어지는 싱크로유닛(100)(200)이 구성된다.
또한, 제1, 제2 변속기어(103)(105)의 양 외측에 배치되는 양측 슬리브(117)(217)는 각각의 시프트 포크(119)(219)에 결합되고, 양측 시프트 포크(119)(219)는 선단에 하나의 스크루하우징(301)을 통하여 연결되어 시프트 모터(300)의 회전축(303)에 연결된 스크루 축(305) 상에 치합되는 구조를 이룬다.
이에 따라, 시프트 모터(300)의 정역 회전제어에 따라 양측 시트프 포크(119)(219)가 스크루 축(305)을 따라 전후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양측 슬리브(117)(217)를 통해 제1, 제2 변속기어(103)(105)를 입력축(101)에 선택적으로 동기 연결하게 된다.
이와 같이, 기존의 분할형 동기장치는 변속기의 상부에 배치되는 제1, 제2 변속기어(103)(105) 사이의 불필요한 공간을 최소화하여 각 싱크로유닛(100)(200)을 제1, 제2 변속기어(103)(105)의 양 외측으로 분할 배치함으로써 변속기의 상부 전장을 축소 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분할형 동기장치는 제1, 제2 변속기어(103)(105)가 입력축(101) 상에 이웃하게 나란히 배치되고 각 싱크로유닛(100)(200)이 제1, 제2 변속기어(103)(105)의 양 외측에 각각 분할 배치되어 각 시프트 포크(119)(219)의 길이가 제1, 제2 변속기어(103)(105)의 외경보다 더 크게 형성되어 시프트 모터(300)의 스크루 축(305)에 하나의 스크루하우징(301)을 통해 체결되어야 함으로, 시프트 포스가 걸리는 스크루 축(305) 상의 작용점(P1)과 슬리브의 작용점(P2)(P3) 사이의 모멘트 아암의 길이가 증가하여 틸팅량이 증가하게 되고, 변속 시 걸림 현상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에 기재된 사항은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를 증진하기 위하여 작성된 것으로서, 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이 아닌 사항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제1, 제2 변속기어를 이웃하게 배치하여 각 싱크로유닛을 제1, 제2 변속기어의 양 외측으로 분할 배치하여 설치 공간 및 전장을 축소함과 동시에, 시프트 포크를 통해 전달되는 시프트 포스의 스크루 축 상의 작용점과 슬리브 상의 작용점 사이의 시프트 포크 상에 레일축을 적용하여 작용점을 추가함으로써, 틸팅량 감소 및 변속 걸림 현상을 제거하는 전기자동차용 변속기의 동기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하나 또는 다수의 실시 예에서는 하나의 입력축 상에 제1, 제2 변속기어가 이웃하여 나란히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고, 제1, 제2 변속기어의 양 외측의 입력축 상에 각각 클러치 기어와 싱크로 링 및 슬리브로 이루어지는 제1, 제2 싱크로유닛이 구성되며, 시프트 모터의 스크루 축 상에 치합된 스크루하우징에 각 선단이 연결된 제1, 제2 시프트 포크가 상기 제1, 제2 싱크로유닛의 각 슬리브에 결합되어 이루어지는 분할형 동기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 시프트 포크는 선단에 상기 스크루하우징이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제2 시프트 포크는 선단에 가이드 블록이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 블록을 통하여 상기 제1 시프트 포크의 선단부 일 측면에 볼트 체결되며, 상기 스크루 축을 따라 배치되어 상기 제1 시프트 포크의 선단부와 상기 제2 시프트 포크의 가이드 블록의 중심을 관통하여 양단이 변속기 케이스에 고정되는 레일축을 포함하는 전기자동차용 변속기의 동기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레일축은 양단이 상기 변속기 케이스의 내부에 형성되는 설치홀에 키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레일축은 상기 제1 시프트 포크의 선단부 중심과 상기 제2 시프트 포크의 가이드 블록의 중심에 각각 관통 형성되는 가이드 홀을 통하여 삽입되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2 시프트 포크는 상기 제1 시프트 포크의 선단부 일 측면에 상기 가이드 블록의 외 측면이 접촉된 상태로, 상기 레일축의 양측에서 볼트 체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레일축은 상기 시프트 모터에 의해 작동하는 제1, 제2 시프트 포크의 스크루 축 상의 작용점과 각 슬리브의 작용점 사이의 일측에 추가 작용점을 형성하되, 상기 제1, 제2 변속기어의 외경부 보다 외측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크루 축은 일단이 상기 시프트 모터의 회전축과 스플라인 결합되고, 일측과 선단부가 각각 변속기 케이스에 베어링을 통하여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기자동차용 변속기의 동기장치는 입력축 상에 제1, 제2 변속기어를 이웃하여 나란히 회전 가능하게 배치하여 제1, 제2 변속기어 사이의 공간을 최소화하고, 각 싱크로유닛을 제1, 제2 변속기어의 양 외측으로 분할 배치함으로써 설치 공간 및 변속기의 상부 전장을 축소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기자동차용 변속기의 동기장치는 각 시프트 포크를 통해 전달되는 시프트 포스의 스크루 축 상의 작용점과 각 슬리브 상의 작용점 사이의 각 시프트 포크 상의 각 일측을 관통하여 안내하도록 레일축을 설치하여 시프트 포스의 작용점을 추가함으로써, 틸팅량 감소 및 변속 걸림 현상을 제거하는 효과가 있다.
이외에, 본 발명의 실시 예로 인해 얻을 수 있거나 예측되는 효과에 대해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한 상세한 설명에서 직접적 또는 암시적으로 개시하도록 한다. 즉,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예측되는 다양한 효과에 대해서는 후술될 상세한 설명 내에서 개시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기자동차용 변속기의 동기장치가 적용된 변속기 상부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기자동차용 변속기의 동기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기자동차용 변속기의 동기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기자동차용 변속기의 동기장치의 제1 작동 상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기자동차용 변속기의 동기장치의 제2 작동 상태도이다.
도 6은 기존의 전기자동차용 변속기의 동기장치의 측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한다.
단,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하기의 설명에서 구성의 명칭을 제1, 제2 등으로 구분한 것은 그 구성의 명칭이 동일하여 이를 구분하기 위한 것으로, 반드시 그 순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기자동차용 변속기의 동기장치가 적용된 변속기 상부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기자동차용 변속기의 동기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기자동차용 변속기의 동기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기자동차용 변속기의 동기장치는 하나의 입력축(IS) 상에 제1 변속기어(G1)과 제2 변속기어(G2)가 이웃하여 나란히 회전 가능하게 배치된다.
상기 제1, 제2 변속기어(G1)(G2)의 양 외측에는 상기 입력축(IS) 상에 제1, 제2 싱크로유닛(SU1)(SU2)이 각각 구성된다.
상기 제1, 제2 싱크로유닛(SU1)(SU2)은 각각 제1, 제2 변속기어(G1)(G2)의 각 외측에 제1, 제2 클러치 허브(CH1)(CH2)가 입력축(IS)에 각각 스플라인 결합되고, 상기 제1 변속기어(G1)와 제1 클러치 허브(CH1) 사이에 제1 클러치 기어(CG1)와 제1 싱크로 링(SR1)이 배치되고, 상기 제2 변속기어(G2)와 제2 클러치 허브(CH2) 사이에 제2 클러치 기어(CG2)와 제2 싱크로 링(SR2)이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제1, 제2 클러치 허브(CH1)(CH2) 상에는 각각 제1, 제2 슬리브(SL1)(SL2)가 스플라인 결합되며, 상기 제1, 제2 슬리브(SL1)(SL2) 상에는 시프트 모터(SM)의 회전력을 전후력으로 전달하는 제1, 제2 시프트 포크(SF1)(SF2)가 연결된다.
도 2와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제1, 제2 시프트 포크(SF1)(SF2)는 상기 시프트 모터(SM)의 회전력을 전후력으로 전달하는 스크루 축(S2) 상의 스크루하우징(SH)에 각 선단이 연결된다.
여기서, 상기 스크루 축(S2)은 상기 입력축(IS)에 일정간격 이격되어 평행하게 배치되며, 일단이 상기 시프트 모터(SM)의 회전축(S1)에 연결되어 회전력을 전달받는다.
이러한 상기 스크루 축(S2)은 일단이 상기 시프트 모터(SM)의 회전축(S1)의 선단과 스플라인 결합되고, 일측과 선단부가 각각 변속기 케이스(C)에 베어링(B)을 통하여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스크루하우징(SH)은 상기 스크루 축(S2) 상에 치합되어 시프트 모터(SM)의 회전력에 의해 스크루 축(S2)이 회전하면, 스크루 축(S2)을 따라 전후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선단이 연결된 상기 제1, 제2 시프트 포크(SF1)(SF2)에 전후력을 전달하여 제1, 제2 슬리브(SL1)(SL2)를 작동시킨다.
이때, 상기 스크루하우징(SH)은 상기 제1 시프트 포크(SF1)는 선단에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제2 시프트 포크(SF2)는 선단에 가이드 블록(GB)이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 블록(GB)을 통하여 상기 제1 시프트 포크(SF1)의 선단부 일 측면에 볼트(BT)로 체결된다.
그리고 상기 동기장치는 레일축(RS)을 포함하는데, 상기 레일축(RS)은 입력축(IS)과 스크루 축(S2) 사이에서 상기 스크루 축(S2)을 따라 평행하게 배치되어 상기 제1 시프트 포크(SF1)의 선단부와 상기 제2 시프트 포크(SF2)의 가이드 블록(GB)의 중심을 관통하여 양단이 변속기 케이스(C)에 고정된다.
이때, 상기 레일축(RS)은 양단이 상기 변속기 케이스(C)의 내부에 형성되는 설치홀(H1)(H2)에 각각 키 결합되어 고정된다.
또한, 상기 레일축(RS)은 상기 제1 시프트 포크(SF1)의 선단부 중심과 상기 제2 시프트 포크(SF2)의 가이드 블록(GB)의 중심에 각각 관통 형성되는 가이드 홀(GH)을 통하여 삽입되어 설치된다.
즉, 상기 레일축(RS)은 제1, 제2 시프트 포크(SF1)(SF2)를 통해 전달되는 시프트 포스의 스크루 축(S2) 상의 작용점(P1)과 제1, 제2 슬리브(SL1)(SL2) 상의 각 작용점(P2)(P3) 사이의 각 시프트 포크(SF1)(SF2) 상의 일측에 추가 작용점(P4)(P5)을 형성해 주는 기능을 한다.
이때, 상기 레일축(RS)은 제1, 제2 시프트 포크(SF1)(SF2)에 의해 전달되는 시프트 포스의 상기 스크루 축(S2) 상의 작용점(P1)과 제1, 제2 슬리브(SL1)(SL2)의 작용점(P2)(P3) 사이의 일측에 각각 추가 작용점(P4)(P5)을 형성하되, 상기 제1, 제2 변속기어(G1)(G2)의 외경부 보다 외측에 설치되어야 한다.
그리고 상기 제2 시프트 포크(SF2)는 상기 제1 시프트 포크(SF1)의 선단부 일 측면에 상기 가이드 블록(GB)의 외 측면이 접촉된 상태로, 상기 레일축(RS)의 양측에서 볼트(BT)로 체결되며, 이때, 상기 가이드 블록(GB)의 상면이 상기 스크루하우징(SH)의 하면에 접촉된 상태로 고정된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전기자동차용 변속기의 동기장치는 시프트 모터(SM)의 작동에 의해 제1, 제2 시프트 포크(SF1)(SF2)가 스크루 축(S2)을 따라 전후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제1, 제2 슬리브(SL1)(SL2)를 각각 동일방향으로 이동시키면서 제1, 제2 싱크로유닛(SU1)(SU2)을 선택적으로 작동시키게 된다.
그러면, 상기 제1, 제2 변속기어(G1)(G2)는 제1, 제2 싱크로유닛(SU1)(SU2) 중, 작동되는 하나의 싱크로유닛에 의해 상기 입력축(IS)에 선택적으로 동기 연결된다.
도 4와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기자동차용 변속기의 동기장치의 제1, 제2 작동 상태도이다.
도 4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기자동차용 변속기의 동기장치에 의한 동기 작동 과정을 설명한다.
먼저, 상기 제1 변속기어(G1)가 입력축(IS)과 동기 작동하는 과정은 도 4와 같이, 시프트 모터(SM)가 정방향으로 회전 작동하여 스크루 축(S2)이 정방향 회전하면서 스크루하우징(SH)을 시프트 모터(SM) 측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이에 따라, 상기 제1, 제2 시프트 포크(SF1)(SF2)는 스크루 축(S2)과 레일축(RS)을 따라 상기 시프트 모터(SH) 측 방향으로 이동한다.
그러면, 상기 제1 슬리브(SL1)는 제1 시프트 포크(SF1)에 의해 시프트 포스를 전달받아 제1 싱크로유닛(SU1)의 제1 클러치 허브(CH1) 상에서 제1 클러치 기어(CG1)와 제1 싱크로 링(SR1)으로 진입하면서 치합되어 상기 제1 변속기어(G1)와 입력축(IS)을 동기 연결한다.
이때, 상기 제2 슬리브(SL2)는 제2 싱크로유닛(SU2)의 제2 클러치 허브(CH2) 상에서 동기 해제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2 변속기어(G2)가 입력축(IS)과 동기 작동하는 과정은 도 5와 같이, 시프트 모터(SM)가 역방향으로 회전 작동하여 스크루 축(S2)이 역방향 회전하면서 스크루하우징(SH)을 시프트 모터(SM) 반대측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이에 따라, 상기 제1, 제2 시프트 포크(SF1)(SF2)는 스크루 축(S2)과 레일축(RS)을 따라 상기 시프트 모터(SH) 반대측 방향으로 이동한다.
그러면, 상기 제2 슬리브(SL2)는 제2 시프트 포크(SF2)에 의해 시프트 포스를 전달받아 제2 싱크로유닛(SU2)의 제2 클러치 허브(CH2) 상에서 제2 클러치 기어(CG2)와 제2 싱크로 링(SR2)으로 진입하면서 치합되어 상기 제2 변속기어(G2)와 입력축(IS)을 동기 연결한다.
이때, 상기 제1 슬리브(SL1)는 제1 싱크로유닛(SU1)의 제1 클러치 허브(CH1) 상에서 동기 해제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기자동차용 변속기의 동기장치는 입력축(IS) 상에 제1, 제2 변속기어(G1)(G2)를 이웃하여 나란히 회전 가능하게 배치함으로써, 제1, 제2 변속기어(G1)(G2) 사이의 잉여 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제1, 제2 싱크로유닛(SU1)(SU2)을 제1, 제2 변속기어(G1)(G2)의 양 외측에 분할하여 배치함으로써 특히, 전기자동차 전용 4단 DCT 변속기의 상부 전장을 축소하여 탑재성을 개선할 수 있다.
또한, 시프트 모터(SM)의 작동에 의해 각 시프트 포크(SF1)(SF2)를 통해 전달되는 시프트 포스의 스크루 축(S2) 상의 작용점(P1)과 각 슬리브(SL1)(SL2) 상의 작용점(P2)(P3) 사이의 각 시프트 포크(SF1)(SF2) 상의 일측에 상기 레일축(RS)에 의한 추가 작용점(P4)(P5)이 형성되어 시프트 포스의 작용점(P1)(P2)(P3)간 모멘트 아암의 길이를 줄여주는 효과를 가지며, 이에 따라 틸팅량 감소 및 변속 걸림 현상의 억제 효과가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IS: 입력축
G1,G2: 제1, 제2 변속기어
SU1,SU2: 제1, 제2 싱크로유닛
CH1,CH2: 제1, 제2 클러치 허브
CG1,CG2: 제1, 제2 클러치 기어
SR1,SR2: 제1, 제2 싱크로 링
SL1,SL2: 제1, 제2 슬리브
SM: 시프트 모터
SF1,SF2: 제1, 제2 시프트 포크
S1: 회전축
S2: 스크루 축
SH: 스크루하우징
C: 변속기 케이스
B: 베어링
GB: 가이드 블록
RS: 레일축

Claims (13)

  1. 하나의 입력축 상에 제1, 제2 변속기어가 이웃하여 나란히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고, 제1, 제2 변속기어의 양 외측의 입력축 상에 각각 클러치 기어와 싱크로 링 및 슬리브로 이루어지는 제1, 제2 싱크로유닛이 구성되며, 시프트 모터의 스크루 축 상에 치합된 스크루하우징에 각 선단이 연결된 제1, 제2 시프트 포크가 상기 제1, 제2 싱크로유닛의 각 슬리브에 결합되어 이루어지는 분할형 동기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 시프트 포크는 선단에 상기 스크루하우징이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제2 시프트 포크는 선단에 가이드 블록이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 블록을 통하여 상기 제1 시프트 포크의 선단부 일 측면에 볼트 체결되며,
    상기 스크루 축을 따라 배치되어 상기 제1 시프트 포크의 선단부와 상기 제2 시프트 포크의 가이드 블록의 중심을 관통하여 양단이 변속기 케이스에 고정되는 레일축;
    을 포함하는 전기자동차용 변속기의 동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축은
    양단이 상기 변속기 케이스의 내부에 형성되는 설치홀에 키 결합되는 전기자동차용 변속기의 동기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축은
    상기 제1 시프트 포크의 선단부 중심과 상기 제2 시프트 포크의 가이드 블록의 중심에 각각 관통 형성되는 가이드 홀을 통하여 삽입되어 설치되는 전기자동차용 변속기의 동기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시프트 포크는
    상기 제1 시프트 포크의 선단부 일 측면에 상기 가이드 블록의 외 측면이 접촉된 상태로, 상기 레일축의 양측에서 볼트 체결되는 전기자동차용 변속기의 동기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축은
    상기 시프트 모터에 의해 작동하는 제1, 제2 시프트 포크의 스크루 축 상의 작용점과 각 슬리브의 작용점 사이의 일측에 추가 작용점을 형성하되, 상기 제1, 제2 변속기어의 외경부 보다 외측에 설치되는 전기자동차용 변속기의 동기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루 축은
    일단이 상기 시프트 모터의 회전축과 스플라인 결합되고, 일측과 선단부가 각각 변속기 케이스에 베어링을 통하여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전기자동차용 변속기의 동기장치.
  7. 하나의 입력축 상에 이웃하여 나란히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는 제1, 제2 변속기어를 상기 입력축에 선택적으로 동기 연결하는 동기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 제2 변속기어의 양 외측의 입력축 상에 각 클러치 기어와 각 싱크로 링 및 각 슬리브로 구성되어 상기 제1, 제2 변속기어를 상기 입력축에 각각 선택적으로 동기 연결하는 제1, 제2 싱크로유닛;
    변속기 케이스의 외부 일측에 설치되는 시프트 모터;
    상기 입력축과 일정간격 이격되어 평행하게 배치되며, 상기 시프트 모터의 회전축에 연결되는 스크루 축;
    선단에 일체로 형성된 스크루하우징을 통하여 상기 스크루 축에 연결되어 상기 시프트 모터의 회전력을 이용하여 상기 각 슬리브를 작동시키는 제1, 제2 시프트 포크;
    상기 입력축과 스크루 축 사이에 평행하게 배치되어 양단이 변속기 케이스에 고정되며, 상기 제1, 제2 시프트 포크의 각 일측을 관통하여 축방향으로 안내하는 레일축;
    을 포함하는 전기자동차용 변속기의 동기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축은
    양단이 상기 변속기 케이스의 내부에 형성되는 설치홀에 키 결합되는 전기자동차용 변속기의 동기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루하우징은
    상기 제1 시프트 포크는 선단에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제2 시프트 포크는 선단에 가이드 블록이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 블록을 통하여 상기 제1 시프트 포크의 선단부 일 측면에 볼트 체결되는 전기자동차용 변속기의 동기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축은
    상기 제1 시프트 포크의 선단부 중심과 상기 제2 시프트 포크의 가이드 블록의 중심에 각각 관통 형성되는 가이드 홀을 통하여 삽입되어 설치되는 전기자동차용 변속기의 동기장치.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시프트 포크는
    상기 제1 시프트 포크의 선단부 일 측면에 상기 가이드 블록의 외 측면이 접촉된 상태로, 상기 레일축의 양측에서 볼트 체결되는 전기자동차용 변속기의 동기장치.
  12.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축은
    상기 시프트 모터에 의해 작동하는 제1, 제2 시프트 포크의 스크루 축 상의 작용점과 각 슬리브의 작용점 사이의 일측에 추가 작용점을 형성하되, 상기 제1, 제2 변속기어의 외경부 보다 외측에 설치되는 전기자동차용 변속기의 동기장치.
  13.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루 축은
    일단이 상기 시프트 모터의 회전축과 스플라인 결합되고, 일측과 선단부가 각각 변속기 케이스에 베어링을 통하여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전기자동차용 변속기의 동기장치.
KR1020190108012A 2019-09-02 2019-09-02 전기자동차용 변속기의 동기장치 KR2021002676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8012A KR20210026760A (ko) 2019-09-02 2019-09-02 전기자동차용 변속기의 동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8012A KR20210026760A (ko) 2019-09-02 2019-09-02 전기자동차용 변속기의 동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26760A true KR20210026760A (ko) 2021-03-10

Family

ID=751484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08012A KR20210026760A (ko) 2019-09-02 2019-09-02 전기자동차용 변속기의 동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26760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593205A (zh) * 2022-03-30 2022-06-07 重庆蓝黛变速器有限公司 一种汽车变速器换挡拨叉机构
CN115126865A (zh) * 2022-08-16 2022-09-30 一汽解放汽车有限公司 变速箱同步器操纵机构、变速箱和汽车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593205A (zh) * 2022-03-30 2022-06-07 重庆蓝黛变速器有限公司 一种汽车变速器换挡拨叉机构
CN114593205B (zh) * 2022-03-30 2023-07-18 重庆蓝黛变速器有限公司 一种汽车变速器换挡拨叉机构
CN115126865A (zh) * 2022-08-16 2022-09-30 一汽解放汽车有限公司 变速箱同步器操纵机构、变速箱和汽车
CN115126865B (zh) * 2022-08-16 2023-07-14 一汽解放汽车有限公司 变速箱同步器操纵机构、变速箱和汽车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19295B1 (ko) 하이브리드 차량용 파워트레인
KR101588775B1 (ko) 차량용 변속장치
KR101543164B1 (ko) 하이브리드 차량용 파워트레인
KR101500204B1 (ko) 차량의 하이브리드 파워트레인
US10520064B2 (en) Dual-clutch automatic transmission
KR20180052808A (ko) 차량용 변속기 구조
KR101683489B1 (ko) 차량용 변속장치
JP2020506341A (ja) 横置型車両用駆動アセンブリ
KR101416424B1 (ko) 자동차의 더블 클러치 변속기
KR20080058388A (ko) 자동화 수동변속기 및 그러한 자동화 수동변속기의 변속제어 방법
KR20130030506A (ko) 차량의 하이브리드 파워트레인
KR20160038142A (ko) 하이브리드 차량의 파워트레인
CN102555766A (zh) 一种混合动力变速器总成
KR20130104386A (ko) 하이브리드 파워트레인
CN204921928U (zh) 电动汽车变速器齿轴系统
KR20190080476A (ko) 차량용 동력전달장치
KR20210026760A (ko) 전기자동차용 변속기의 동기장치
CN112224007B (zh) 一种多模式混合动力专用变速器
CN103982605A (zh) 换档机构及使用该换档机构的双离合组合变速器和车辆
KR101543086B1 (ko) 차량의 하이브리드 파워트레인
KR20190004862A (ko) 차량용 변속기
CN203902248U (zh) 一种混合动力纵置双离合变速箱传动装置
CN203463568U (zh) 一种双离合自动变速器
CN203822968U (zh) 一种混合动力纵置双离合变速箱传动装置
CN103438159A (zh) 一种双离合自动变速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