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26633A - 도면 정보를 활용한 변경요소 관리용 변경관리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도면 정보를 활용한 변경요소 관리용 변경관리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26633A
KR20210026633A KR1020190107679A KR20190107679A KR20210026633A KR 20210026633 A KR20210026633 A KR 20210026633A KR 1020190107679 A KR1020190107679 A KR 1020190107679A KR 20190107679 A KR20190107679 A KR 20190107679A KR 20210026633 A KR20210026633 A KR 202100266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nge
work
management
facility
fa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076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40049B1 (ko
Inventor
김용하
홍준기
안성조
정희욱
정재원
김우람
김새롬이
신유진
이명주
손원기
정윤남
이화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수시스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수시스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수시스템
Priority to KR10201901076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40049B1/ko
Publication of KR202100266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266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400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400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8Construc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G06Q10/06316Sequencing of tasks or work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4Manufactur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90/00Enabling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contribution to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P90/30Comput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90/00Enabling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contribution to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P90/80Management or planning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변경관리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플랜트 현장에서 업무 창구의 일원화를 위해 발생하는 모든 작업을 일반 정비작업 및 변경요소작업으로 분류하는 과정부터 현장과 일치화된 도면 정보를 기초로 설계 변경, 변경 작업 지시, 변경 관리까지 용이하게 수행되도록 할 수 있는 도면 정보를 활용한 변경요소 관리용 변경관리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공장 설비의 일반/변경요소 관리 대상을 분류하고, 변경요소 관리 대상에 대응하는 설비도면을 매칭시키는 변경요소 분류단계와; 설비도면과 매칭된 변경요소 관리 대상의 변경 작업에 대한 승인을 요청하는 변경승인 요청단계와; 승인된 변경 작업에 따라 설비도면을 수정하는 설비도면 수정단계와; 수정된 설비도면에 기초하여 변경요소 관리 대상의 변경 작업을 계획하는 변경작업 계획단계와; 변경 작업 계획에 따른 작업 및 설비 가동전 점검 완료 후 작업 표준을 개정하는 작업표준 개정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도면 정보를 활용한 변경요소 관리용 변경관리 방법 및 시스템{CHANGE MANAGEMENT METHOD AND SYSTEM FOR MANAGING CHANGE ELEMENTS UTILIZING DRAWING INFORMATION}
본 발명은 변경관리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플랜트 현장에서 업무 창구의 일원화를 위해 발생하는 모든 작업을 일반 정비작업 및 변경요소작업으로 분류하는 과정부터 현장과 일치화된 도면 정보를 기초로 설계 변경, 변경 작업 지시, 변경 관리까지 용이하게 수행되도록 할 수 있는 도면 정보를 활용한 변경요소 관리용 변경관리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플랜트 산업은 화학 소재, 전력, 가스, 석유, 담수 등 제품을 생산할 수 있는 설비를 공급하거나 공장을 짓는 산업으로, 제품을 제조하기 위한 기계, 장비 등의 하드웨어, 엔지니어링, 소프트웨어, 시공, 유지보수가 모두 포함된 종합 산업이라 볼 수 있으며, 여기서 산업 플랜트는 원료나 에너지를 공급하여 물리적, 화학적 작용을 하게 하는 장치, 공장 시설, 생산 시설 등을 포괄적으로 의미한다.
이러한 산업 플랜트는 그 용도, 규모, 목적에 맞게 수많은 산업 설비, 자재들이 다양하게 조합되어져 구축됨에 따라 주기적으로 해당 설비, 자재 등을 개별적으로 관리해야 하는데, 현재까지의 산업 플랜트 관리는 주로 전문가를 통해 플랜트 현장을 관리하도록 하는 방식에 의해 이루어지게 되고, 규모와 용도에 따라 플랜트 현장에 배치되는 인원수가 많을 수 밖에 없으며, 이로 인해 플랜트 관리를 위한 경제적인 비용 소요 부분도 상당할 수 밖에 없다.
한편으로, 대규모로 구축되어지는 산업 플랜트 특성상 수년에서 수십년 동안 장기적으로 관리가 이루어져야 하지만, 과거에는 관리자의 기억이나 종이 문서에 의존한 수동적인 관리에 의존하였기 때문에 오랜 시간 경과에 따라 지속적으로 도면, 설비 변경 이력 등의 관리정보를 보존하기 어려웠고, 여러 관리인력의 변동이나 정보 공유를 위한 소통채널의 불확실성으로 인해 전반적으로 산업 플랜트의 체계적인 관리가 어려울 수 밖에 없었다.
따라서, 산업 플랜트와 관련된 도면, 일반/변경요소, 유지보수 이력 등의 정보 관리, 설계 변경이 필요한 현장의 정확한 작업 지시 등을 통해 장기적인 관점에서 산업 플랜트의 최적화된 관리가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방안 마련이 필요한 실정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897434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490311호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플랜트 현장의 업무 창구의 일원화를 위해 발생하는 설비 관련 모든 작업을 일반 정비작업 및 변경요소작업으로 분류하고 현장과 일치화된 도면 정보를 기초로 설계 변경, 변경 작업 지시, 변경 관리까지 원활하게 진행되도록 하기 위한 도면 정보를 활용한 변경요소 관리용 변경관리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공장 설비의 일반/변경요소 관리 대상을 분류하고, 변경요소 관리 대상에 대응하는 설비도면을 매칭시키는 변경요소 분류단계와; 설비도면과 매칭된 변경요소 관리 대상의 변경 작업에 대한 승인을 요청하는 변경승인 요청단계와; 승인된 변경 작업에 따라 설비도면을 수정하는 설비도면 수정단계와; 수정된 설비도면에 기초하여 변경요소 관리 대상의 변경 작업을 계획하는 변경작업 계획단계와; 변경 작업 계획에 따른 작업 및 설비 가동전 점검 완료 후 작업 표준을 개정하는 작업표준 개정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변경요소 분류단계 이전으로 설비도면과 비교하기 위한 공장 설비의 사진, 기존 도면 및 스펙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설비 데이터를 취합하는 설비 데이터 취합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추가로, 상기 변경요소 분류단계는 사전에 구비되는 설비관리용 체크리스트를 통해 일반/변경요소 관리 대상 및 등급을 자동으로 분류하며, 분류된 변경요소 관리 대상에 대한 설비명, 기능, 위치 및 설비도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시각적으로 나타내는 변경요소 정보 제공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변경승인 요청단계 다음으로 사전에 준비된 공정안전 인허가 자료에 기초하여 변경요소 관리 대상의 변경 작업에 대한 이상 유무를 자동으로 판단하여 변경 작업 승인 여부를 결정하는 변경승인 결정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작업표준 개정단계 다음으로 변경 작업 완료된 준공 도면 및 개정된 작업 표준 정보를 외부 요청 시 제공 가능하도록 갱신하는 변경관리 완료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으로, 본 발명은, 공장 설비의 일반/변경요소 관리 대상을 분류하고, 변경요소 관리 대상에 대응하는 설비도면을 매칭시키기 위한 변경요소 분류모듈과; 설비도면과 매칭된 변경요소 관리 대상의 변경 작업에 대한 승인을 요청하기 위한 변경승인 요청모듈과; 승인된 변경 작업에 따라 설비도면을 수정하기 위한 설비도면 수정모듈과; 수정된 설비도면에 기초하여 변경요소 관리 대상의 변경 작업을 계획하기 위한 변경작업 계획모듈과; 변경 작업 계획에 따른 작업 및 설비 가동전 점검 완료 후 작업 표준을 개정하기 위한 작업표준 개정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도면 정보를 활용한 변경요소 관리용 변경관리 방법 및 시스템은 플랜트 현장의 모든 작업을 일반 관리 대상 및 변경요소 관리 대상으로 자동 분류하고 변경 작업 대상 설비와 도면을 매칭시켜 연계되도록 함에 따라 변경 관리 진행에 필요한 빠른 대상 확인, 변경 작업 대상 누락 방지, 전산화에 의한 변경 작업 관리의 신뢰성 확보 등에 일조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도면 정보를 활용한 변경요소 관리용 변경관리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
도 2a, 도 2b,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변경관리 방법 프로세스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변경관리 시스템 및 기존 레거시 시스템의 연계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도면 정보를 활용한 변경요소 관리용 변경관리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에 따른 도면 정보를 활용한 변경요소 관리용 변경관리 방법 및 시스템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도면 정보를 활용한 변경요소 관리용 변경관리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본 발명은 기본적으로 변경요소 분류단계, 변경승인 요청단계, 설비도면 수정단계, 변경작업 계획단계, 작업표준 개정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공장 설비의 일반/변경요소 관리 대상을 분류하고, 변경요소 관리 대상에 대응하는 설비도면을 매칭시키는 변경요소 분류단계와, 설비도면과 매칭된 변경요소 관리 대상의 변경 작업에 대한 승인을 요청하는 변경승인 요청단계와, 승인된 변경 작업에 따라 설비도면을 수정하는 설비도면 수정단계와, 수정된 설비도면에 기초하여 변경요소 관리 대상의 변경 작업을 계획하는 변경작업 계획단계와, 변경 작업 계획에 따른 작업 및 설비 가동전 점검 완료 후 작업 표준을 개정하는 작업표준 개정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변경요소 분류단계 이전으로 설비도면과 비교하기 위한 공장 설비의 사진, 기존 도면 및 스펙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설비 데이터를 취합하는 설비 데이터 취합단계를 더 포함하게 된다.
상기 설비 데이터 취합단계는 변경요소 분류단계에서 참고할 설비 데이터의 분류체계를 정의하여 그 기준에 따라 설비 데이터를 분류하게 되는데, 이러한 분류는 수작업에 의해 이루어질 수도 있으나, OCR(Optical Character Reader), 스마트 렌즈 등과 같은 문자, 이미지 인식 방식을 통해 문서 및 도면을 자동 분류할 수 있으며, 이 때에 키워드 추출, 데이터 마이닝, 머신러닝, 딥러닝 등의 다양한 방식이 함께 적용될 수 있다.
도 2a, 도 2b,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변경관리 방법 프로세스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변경요소 분류단계는 공장 설비를 관리하는데 있어서 대상을 관리 범주에 따라 분류할 필요가 있으며, 이에 따라 일반/변경요소 관리 대상을 분류할 수 있는데, 다시 말해서 단순히 점검을 통해 관리가 이루어지는 일반 관리 대상과, 부분별로 나누어진 설비의 고장/안전관련 규정의 변동/기타 사유에 의한 비교적 큰 규모로 단위 설비의 일부 또는 전체 변경을 요구하는 변경요소 관리 대상으로 분류하여 각 대상별로 별도의 관리 프로세스가 진행된다.
상기 변경요소 분류단계는 사전에 구비되는 설비관리용 체크리스트를 통해 일반/변경요소 관리 대상 및 등급을 자동으로 분류하게 되며, 이는 설비의 변경관리 표준 프로세스를 수립하고 관리의 신뢰성 확보를 위해 일정한 절차에 따라 변경요소 관리에 누락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여기서, 상기 변경요소 분류단계는 분류된 변경요소 관리 대상에 대한 설비명, 기능, 위치, 설비도면 등을 시각적으로 나타내는 변경요소 정보 제공단계를 더 포함하게 되며, 이에 따라 변경요소에 대한 작업 대상 확인, 작업 지시 결정 등의 과정 진행 시 변경관리 진행에 필요한 모델, 도면 등을 통해 대상을 직접 확인할 수 있고, 모든 도면, 기술문서의 연계로 변경요소 관리 대상이 누락되는 상황을 방지할 수 있으며, 변경 관리의 전산화를 통해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참고로, 기술된 바와 같은 변경요소 관리 대상 문서는 신규 공장의 도면/기술자료, 증설 공장 및 공정의 도면/기술자료, 운전 중 유실되어 복원된 도면/기술자료, 운전 중 불일치되어 일치화된 도면/기술자료와 같은 것들로 정의될 수 있다.
상기 변경승인 요청단계는 분류된 변경요소 관리 대상에 대해 변경 작업 승인을 온라인상에서 요청하게 되며, 변경 작업 승인을 위해 첫째로는 다수의 결재 라인을 거쳐 순차적 또는 일괄적으로 승인 요청을 하면서 변경요소에 대한 변경 관련 자료(예: 설비도면, 기술문서 등)를 공유하는 방식이나, 둘째로는 변경승인 요청단계 다음으로 사전에 준비된 공정안전 인허가 자료에 기초하여 변경요소 관리 대상의 변경 작업에 대한 이상 유무를 자동으로 판단하는 과정을 통해 변경 작업 승인 여부를 결정하는 방식과 같은 변경승인 결정단계가 따를 수 있으며, 이러한 변경승인 결정단계 또한 키워드 추출, 데이터 마이닝, 머신러닝, 딥러닝 등의 다양한 방식을 통해 수행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설비도면 수정단계는 변경승인 요청단계 이후로 승인된 변경 작업에 따라 기존 설비도면을 수정하는 과정에 따르는데, 도면 담당자에 의한 수작업을 통해 기존 도면의 설계변경이 이루어질 수도 있고, 수정될 부분의 지정 이후 별도 라이브러리 호출, 대체 설비의 지정 등의 방식을 통해서 자동으로 도면 수정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도 있다.
상기 변경작업 계획단계는 수정된 설비도면에 따라 변경요소 관리 대상의 변경 작업을 계획하는 과정임을 고려할 때, 자재 수급, 인력 배치, 작업 일정 등 변경 작업 계획서를 작성하여 작업 담당자에게 통보하게 되며, 예를 들어 변경 작업 계획서의 경우 수정된 설비도면이 첨부되거나 온라인상에서 자재, 인력, 일정 등과 관련하여 단순 체크하는 방식에 따라 간단히 작성될 수 있다.
상기 변경작업 계획단계는 변경작업에 필요한 자재의 명칭, 수량, 규격, 가격 등의 자재정보를 안내하는 자재정보 안내단계를 더 포함함으로써 현장에서 요구되는 자재의 규모, 재고 상황들을 변경작업 지시 내용과 함께 일괄적으로 확인하도록 할 수 있고, 변경작업이 완료된 이후에 공정 운전 데이터, 자재정보를 포함한 설비 이력 데이터를 빅데이터화한 다음 인공지능을 통해 분석함으로써, 공정 운전 데이터 분석을 통해서는 공정 효율의 최적화를 도모할 수 있고, 설비 이력 데이터 분석을 통해서는 설비의 최소 보존주기를 산출하여 설비 점검/유지보수 기간을 예측하는 과정이 포함될 수 있다.
참고로, 상기 변경작업 계획단계에서는 자재정보에 기초하여 수량별 또는 가격별 우선순위에 따라 호환 가능한 재고 자재가 수정도면에 반영되도록 할 수도 있는데, 이는 변경작업 시 재고 수량이 많은 자재를 먼저 사용하도록 하거나 동일한 기능을 하더라도 가격이 낮은 자재가 우선적으로 사용되도록 하여 자재 관리의 효율성이나 경제적인 측면을 고려한 작업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작업표준 개정단계는 변경된 설비에 따라 작업 표준 또한 개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므로 변경 작업 계획에 따른 작업 및 설비 가동전 점검 완료 후 작업 표준을 개정하게 되고, 이 때 안전운전 계획, 비상조치 계획, 운전 매뉴얼, 가동전 점검 안전표, 가동전 점검 체크리스트, 펀치 리스트, 변경 작업 교육 등에 대한 문서들이 작업표준 개정 사항에 반영될 수 있다.
상기 작업표준 개정단계 다음으로 변경 작업 완료된 준공 도면 및 개정된 작업 표준 정보를 외부 요청 시 제공 가능하도록 갱신하는 변경관리 완료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변경관리 완료단계에서는 포털 사이트를 통해 설비도면, 수정도면, 변경작업 이력과 같은 설비관리 정보의 검색이 가능하도록 하여 공장 운영 및 유지보수에 필요한 정보를 손쉽게 취득하도록 하며, 포털 사이트에서는 그 밖에 뉴스, 날씨와 같은 정보를 제공하거나 SAP, EDMS, 그룹웨어/HR 등의 기간계 시스템 연계에 의해 업무에 필요한 다양한 정보 또한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부수적으로, 상기 포털 사이트는 설비관리 정보 열람을 위한 다양한 문서 포맷을 지원하여 별도의 소프트웨어 구매 절차를 거치지 않고도 무료로 업무에 필요한 여러 형식의 문서를 확인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아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변경요소 관리 표준 프로세스의 일례에 대해 도 2a 및 도 2b를 참조로 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1. 설비 관리 작업이 발생하면 체크리스트를 통해 자동으로 일반 또는 변경요소 관리 대상으로 분류하고, 변경요소 관리 대상이 존재하면 변경요소 관리 작업에 대해 발의
2. 변경관리위원회에서 변경요소 관리 작업의 승인여부를 결정하고, 작업이 승인되면 변경요소 관리 대상의 도면을 수정/검토 후 변경 작업을 계획
3. 변경 작업 계획에 따른 공사 완료 후 설비 가동전 점검 및 교육 작업 표준 개정
4. 안전운전 계획, 비상조치 계획, 운전 매뉴얼, 가동전 안전 점검표, 가동전 점검 Check Sheet, Punch List, 변경 작업 교육 등 관련 문서 공유
5. 시운전 진행, 준공 도면 공유 이후로 변경 관리 완료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변경관리 시스템 및 기존 레거시 시스템의 연계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기술된 바와 같이 변경관리 프로세스 진행 중에 다음 단계로 넘어가기 위해 필요한 조건(변경관리위원회 승인여부, 변경대상 등록여부 확인, 작업완료 여부 확인, 안전담당자 승인 여부 등)을 충족하여야만 다음 단계로 진행이 가능할 수 있으며, 이러한 특징은 변경요소관리를 진행하여 도면의 신뢰성을 확보하는 방법이다.
도 5를 참조로 하면, 상술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변경 관리의 주요 특징은 다음과 같다.
1. 변경 관리와 관련된 표준문서, 지침, 도면, 기술문서 등을 사전에 문서 관리 시스템에 등록하여 문서의 버전관리가 될 수 있도록 시스템화하고 변경관리 시스템과 연동 가능
2. 변경관리의 대상이 되는 설비 관리 시스템의 설비/기능위치 데이터와 연동 가능
3. 변경 관리를 통해 변경되는 설비 및 문서를 사전 맵핑하여 설비, 도면, 기술문서, 표준문서, 각종 지침 등을 누락없이 관리 가능
4. 기타 결재 시스템, 인사/조직관리 시스템 등 기간계 시스템 간 연계 가능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도면 정보를 활용한 변경요소 관리용 변경관리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도면 정보를 활용한 변경요소 관리용 변경관리 시스템은 기본적으로 변경요소 분류모듈, 변경승인 요청모듈, 변경작업 계획모듈 및 작업표준 개정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공장 설비의 일반/변경요소 관리 대상을 분류하고 변경요소 관리 대상에 대응하는 설비도면을 매칭시키기 위한 변경요소 분류모듈과, 설비도면과 매칭된 변경요소 관리 대상의 변경 작업에 대한 승인을 요청하기 위한 변경승인 요청모듈과, 승인된 변경 작업에 따라 설비도면을 수정하기 위한 설비도면 수정모듈과, 수정된 설비도면에 기초하여 변경요소 관리 대상의 변경 작업을 계획하기 위한 변경작업 계획모듈과, 변경 작업 계획에 따른 작업 및 설비 가동전 점검 완료 후 작업 표준을 개정하기 위한 작업표준 개정모듈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변경요소 분류모듈은 사전에 마련되는 설비관리용 체크리스트를 통해 설비 중 일반/변경요소 관리 대상을 자동으로 분류하게 되며, 분류된 변경요소 관리 대상에 대한 설비명, 기능, 위치, 설비도면 등을 시각적으로 나타내는 기능을 포함하여 변경요소에 대한 작업 대상 확인, 작업 지시 결정 등의 과정 진행 시 변경관리 진행에 필요한 모델, 도면 등을 통해 대상을 직접 확인하도록 지원하게 된다.
상기 변경승인 요청모듈은 분류된 변경요소 관리 대상에 대해 변경 작업 승인을 온라인상에서 요청하기 위한 것으로, 변경 작업 승인을 위해 다수의 결재 라인을 거쳐 순차적 또는 일괄적으로 승인 요청을 하면서 변경요소에 대한 변경 관련 자료를 공유하거나, 사전에 준비된 공정안전 인허가 자료에 기초하여 변경요소 관리 대상의 변경 작업에 대한 이상 유무를 자동으로 판단하는 과정을 통해 변경 작업 승인 여부를 결정하도록 지원하며, 키워드 추출, 데이터 마이닝, 머신러닝, 딥러닝 등을 통해 이러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설비도면 수정모듈은 일례로 승인된 변경 작업에 따라 기존 설비도면을 수정하기 위해 수정될 부분의 지정 이후 별도 라이브러리 호출, 대체 설비의 지정 등의 방식에 따라 자동으로 도면 수정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을 들 수 있다.
상기 변경작업 계획모듈은 자재 수급, 인력 배치, 작업 일정 등 변경 작업 계획서를 작성하여 작업 담당자에게 통보하게 되며, 예를 들어 변경 작업 계획서의 경우 수정된 설비도면을 첨부하거나 온라인상에서 자재, 인력, 일정 등과 관련하여 단순 체크하는 방식에 따라 간단히 작성될 수 있음과 아울러, 변경작업에 필요한 자재의 명칭, 수량, 규격, 가격 등의 자재정보를 안내하는 기능을 더 포함하여 현장에서 요구되는 자재의 규모, 재고 상황들을 변경작업 지시 내용과 함께 일괄적으로 확인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작업표준 개정모듈은 변경 작업 계획에 따른 작업 및 설비 가동전 점검 완료 후 작업 표준을 개정하게 되고, 이 때 안전운전 계획, 비상조치 계획, 운전 매뉴얼, 가동전 점검 안전표, 가동전 점검 체크리스트, 펀치 리스트, 변경 작업 교육 등에 대한 문서들이 작업표준 개정 사항에 반영될 수 있으며, 작업표준 개정은 인공지능에 의한 학습과정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특정형상 및 방향을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7)

  1. 공장 설비의 일반/변경요소 관리 대상을 분류하고, 변경요소 관리 대상에 대응하는 설비도면을 매칭시키는 변경요소 분류단계와;
    설비도면과 매칭된 변경요소 관리 대상의 변경 작업에 대한 승인을 요청하는 변경승인 요청단계와;
    승인된 변경 작업에 따라 설비도면을 수정하는 설비도면 수정단계와;
    수정된 설비도면에 기초하여 변경요소 관리 대상의 변경 작업을 계획하는 변경작업 계획단계와;
    변경 작업 계획에 따른 작업 및 설비 가동전 점검 완료 후 작업 표준을 개정하는 작업표준 개정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면 정보를 활용한 변경요소 관리용 변경관리 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변경요소 분류단계 이전으로 설비도면과 비교하기 위한 공장 설비의 사진, 기존 도면 및 스펙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설비 데이터를 취합하는 설비 데이터 취합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면 정보를 활용한 변경요소 관리용 변경관리 방법.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변경요소 분류단계는 사전에 구비되는 설비관리용 체크리스트를 통해 일반/변경요소 관리 대상 및 등급을 자동으로 분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면 정보를 활용한 변경요소 관리용 변경관리 방법.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변경요소 분류단계는 분류된 변경요소 관리 대상에 대한 설비명, 기능, 위치 및 설비도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시각적으로 나타내는 변경요소 정보 제공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 스캔 기반 도면 정보를 활용한 플랜트 통합 관리 방법.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변경승인 요청단계 다음으로 사전에 준비된 공정안전 인허가 자료에 기초하여 변경요소 관리 대상의 변경 작업에 대한 이상 유무를 자동으로 판단하여 변경 작업 승인 여부를 결정하는 변경승인 결정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면 정보를 활용한 변경요소 관리용 변경관리 방법.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작업표준 개정단계 다음으로 변경 작업 완료된 준공 도면 및 개정된 작업 표준 정보를 외부 요청 시 제공 가능하도록 갱신하는 변경관리 완료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면 정보를 활용한 변경요소 관리용 변경관리 방법.
  7.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6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을 사용한 변경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공장 설비의 일반/변경요소 관리 대상을 분류하고, 변경요소 관리 대상에 대응하는 설비도면을 매칭시키기 위한 변경요소 분류모듈과;
    설비도면과 매칭된 변경요소 관리 대상의 변경 작업에 대한 승인을 요청하기 위한 변경승인 요청모듈과;
    승인된 변경 작업에 따라 설비도면을 수정하기 위한 설비도면 수정모듈과;
    수정된 설비도면에 기초하여 변경요소 관리 대상의 변경 작업을 계획하기 위한 변경작업 계획모듈과;
    변경 작업 계획에 따른 작업 및 설비 가동전 점검 완료 후 작업 표준을 개정하기 위한 작업표준 개정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면 정보를 활용한 변경요소 관리용 변경관리 시스템.
KR1020190107679A 2019-08-30 2019-08-30 도면 정보를 활용한 변경요소 관리용 변경관리 방법 및 시스템 KR1023400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7679A KR102340049B1 (ko) 2019-08-30 2019-08-30 도면 정보를 활용한 변경요소 관리용 변경관리 방법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7679A KR102340049B1 (ko) 2019-08-30 2019-08-30 도면 정보를 활용한 변경요소 관리용 변경관리 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26633A true KR20210026633A (ko) 2021-03-10
KR102340049B1 KR102340049B1 (ko) 2021-12-17

Family

ID=751487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07679A KR102340049B1 (ko) 2019-08-30 2019-08-30 도면 정보를 활용한 변경요소 관리용 변경관리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4004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75880B1 (ko) * 2021-08-24 2022-03-17 이지훈 인공지능 모델 기반의 제조 공정에서의 견적 및 설계도 산출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48365A (ko) 2022-10-06 2024-04-15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문자 영역 배치 형상을 이용한 도면 비교 장치 및 방법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04062A (ko) * 2006-07-04 2008-01-09 Stx조선주식회사 선박설계상의 기술표준 관리 시스템 구축 방법
KR20080004060A (ko) * 2006-07-04 2008-01-09 Stx조선주식회사 선박설계상의 기술변경 검토 시스템 구축 방법
KR20080004061A (ko) * 2006-07-04 2008-01-09 Stx조선주식회사 선박설계상의 기술변경 관리 시스템 구축 방법
JP2009134685A (ja) * 2007-09-03 2009-06-18 Tauchi Sekkei:Kk 建築物の施工管理システム
KR101490311B1 (ko) 2012-09-24 2015-02-05 플랜트에셋 주식회사 레이저 스캐너를 이용한 플랜트 구조물의 품질 및 시공성 검사방법
KR101897434B1 (ko) 2018-03-05 2018-09-10 조현태 시공 검수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04062A (ko) * 2006-07-04 2008-01-09 Stx조선주식회사 선박설계상의 기술표준 관리 시스템 구축 방법
KR20080004060A (ko) * 2006-07-04 2008-01-09 Stx조선주식회사 선박설계상의 기술변경 검토 시스템 구축 방법
KR20080004061A (ko) * 2006-07-04 2008-01-09 Stx조선주식회사 선박설계상의 기술변경 관리 시스템 구축 방법
JP2009134685A (ja) * 2007-09-03 2009-06-18 Tauchi Sekkei:Kk 建築物の施工管理システム
KR101490311B1 (ko) 2012-09-24 2015-02-05 플랜트에셋 주식회사 레이저 스캐너를 이용한 플랜트 구조물의 품질 및 시공성 검사방법
KR101897434B1 (ko) 2018-03-05 2018-09-10 조현태 시공 검수 장치 및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75880B1 (ko) * 2021-08-24 2022-03-17 이지훈 인공지능 모델 기반의 제조 공정에서의 견적 및 설계도 산출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40049B1 (ko) 2021-12-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Gentner Industry 4.0: reality, future or just science fiction? How to convince today's management to invest in tomorrow's future! Successful strategies for industry 4.0 and manufacturing IT
Garbie Sustainability in manufacturing enterprises: Concepts, analyses and assessments for industry 4.0
CN102985883A (zh) 能源设施控制系统
KR102340049B1 (ko) 도면 정보를 활용한 변경요소 관리용 변경관리 방법 및 시스템
US20150227893A1 (en) Estimate method and generator
Irajpour et al. A framework to determine the effectiveness of maintenance strategies lean thinking approach
Ćwikła The methodology of development of the Manufacturing Information Acquisition System (MIAS) for production management
Torres-Calderon et al. Automated mining of construction schedules for easy and quick assembly of 4D BIM simulations
Kalmakova On the information support improvement of it project management system
CA2842592A1 (en) Estimate method and generator
KR102085541B1 (ko) 레이저 스캔 기반 도면 정보를 활용한 플랜트 통합 관리 방법 및 시스템
Lucas et al. Using a case-study approach to explore methods for transferring BIM-based asset data to facility management systems
Massaro et al. A case study of process engineering of operations in working sites through data mining and augmented reality
US6516280B2 (en) Method and system for electronic recycle inventory tracking
Sunday et al. ROLE OF RELIABILITY MANAGEMENT TOOLS AND DOCUMENTATIONS-A REVIEW
Kang et al. Discrete event simulation to reduce the effect of uncertainties on project planning
Ali et al. Building Operation and Maintenance: A Framework for Simplified 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BIM) Digital Mobile Application.
CN110570120A (zh) Erp智能下单方法、装置、系统以及存储介质
Druijff BIM-based material passport in Madaster during the operational and maintenance phase of a building
Wang et al. IoT-based inventory control system framework for panelized construction
Shoshin et al. Digital Transformation of an Aircraft Operation Ecosystem
Chelyshkov et al. Development the concept of using XML-schemas and requirements for them for the transfer and storage of information, documents and materials included in the information model of capital construction objects
Popescu The most innovative lean practices deployed in transportation and their effects on the financial and operational performance
Moghadam et al. Post-simulation visualization application for production improvement of modular construction manufacturing
Roh et al. Smart-Tracking Systems Development with QR-Code and 4D-BIM for Progress Monitoring of a Steel-Plant Blast-Furnace Revamping Project in Kore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