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25038A - 다양한 아이콘 뱃지를 표시할 수 있는 데이터 처리 터미널 및 상기 뱃지와 터미널을 이용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다양한 아이콘 뱃지를 표시할 수 있는 데이터 처리 터미널 및 상기 뱃지와 터미널을 이용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25038A
KR20210025038A KR1020210027095A KR20210027095A KR20210025038A KR 20210025038 A KR20210025038 A KR 20210025038A KR 1020210027095 A KR1020210027095 A KR 1020210027095A KR 20210027095 A KR20210027095 A KR 20210027095A KR 20210025038 A KR20210025038 A KR 202100250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designated
app
terminal
unconfirm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270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재규
심영택
정재락
Original Assignee
이재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재규 filed Critical 이재규
Priority to KR10202100270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25038A/ko
Publication of KR202100250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2503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1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using ic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1/00User-to-user messaging in packet-switching networks, transmitted according to store-and-forward or real-time protocols, e.g. e-mail
    • H04L51/07User-to-user messaging in packet-switching networks, transmitted according to store-and-forward or real-time protocols, e.g. e-mail characterised by the inclusion of specific contents
    • H04L51/10Multimedia information

Abstract

본 명세서는 스마트폰 등의 데이터 처리 터미널에 장착된 앱이 수신하는 푸시 정보의 수효 또는 내용을 표시하는 다양한 푸시 통지의 구성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명세서는 발신자가 사용자를 지정 수신자로 지정하여 발송하였고 사용자가 아직 확인하지 못한 미확인 지정 컨텐츠, 상기 지정 컨텐츠의 수효나 내용 등을 표시할 수 있는 지정 아이콘 뱃지, 상기 뱃지의 생성 및 사용 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는 사용자가 확인해야 할 필요성이 상대적으로 높은 지정 컨텐츠를 사용자가 확인해야 할 필요성이 상대적으로 낮은 비지정 컨텐츠와 구분할 수 있도록 표시하는 지정 아이콘 뱃지, 상기 뱃지의 생성과 사용 방법 등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다양한 아이콘 뱃지를 표시할 수 있는 데이터 처리 터미널 및 상기 뱃지와 터미널을 이용하는 방법{A DATA PROCESSING TERMINAL CAPABLE OF DISPLAYING VARIOUS ICON BADGES AND A METHOD FOR USING SUCH BADGES AND TERMINAL}
본 명세서는 스마트폰이나 모바일폰 등의 데이터 처리 터미널의 운영체계나 상기 터미널의 다양한 유닛이 수신하는 푸시 정보의 수효 또는 내용의 표시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히 말하자면, 본 명세서는 발신자가 하나 이상의 수신자를 지정한 푸시 정보에 포함되어 있는 (미확인) 지정 컨텐츠의 생성과 사용 방법, 또는 (미확인) 지정 컨텐츠의 수효나 내용을 표시할 수 있는 (미확인) 지정 아이콘 뱃지의 생성 및 사용 방법에 관한 것이다.
따라서 컨텐츠 발신자는 수신자가 확인해야 할 필요성이 상대적으로 높은 지정 컨텐츠를, 확인해야 할 필요성이 상대적으로 낮은 비지정 컨텐츠와 구분하여 발송할 수 있다. 또한 컨텐츠 수신자 역시 지정 컨텐츠와 지정 아이콘 뱃지를 이용하여 자신이 확인할 필요성이 높은 컨텐츠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발신자의 터미널은 상기 컨텐츠를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 패킷"에 포함시키고, 송신기를 통하여 네트워크나 인터넷으로 송신한다. 데이터 패킷을 수신한 수신자의 터미널은 상기 패킷으로부터 컨텐츠를 추출할 수 있다. 상기 방법을 이용하여 발신자와 수신자는 서로 컨텐츠를 주고받을 수 있다. 기존의 스마트폰이나 모바일폰과 같은 데이터 처리 터미널은 물론 데스크탑 또는 랩탑 컴퓨터, 유무선 전화기 등의 터미널도 이러한 방식으로 컨텐츠를 교환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데이터 패킷은 "헤더(header)," "컨텐츠(contents)" 및 "테일(tail)"을 포함하는 것으로 하되, 경우에 따라 헤더와 테일 중 하나만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비지정 데이터 패킷"은 다양한 구성을 가진 기존의 데이터 패킷과 동일하며, 따라서 "비지정 데이터 패킷"도 헤더, 컨텐츠 및 테일을 포함하되, 경우에 따라 헤더와 데일 중 하나만을 포함할 수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비지정 데이터 패킷"에 포함된 컨텐츠는 "비지정 컨텐츠"로 지칭하기로 한다.
이에 반하여 본 명세서에서 "지정 데이터 패킷"은 헤더, 컨텐츠, 테일 및 "지정 신호"를 포함하는 것으로 하며, 경우에 따라 헤더 및 테일 중 하나만 포함할 수도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지정 데이터 패킷"에 포함된 컨텐츠는 "지정 컨텐츠"라 지칭하기로 한다. 특정 앱이 확립한 특정 그룹에 속한 발신자가 지정 데이터 패킷을 송신할 경우, 발신자는 상기 그룹의 특정 멤버를 지정 수신자로 지정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지정 신호"는 상기 지정 수신자를 의미한다.
지정 신호는 상기 헤더, 컨텐츠 및 테일과 별도의 부분으로 데이터 패킷에 포함될 수 있다. 또는 지정 신호는 데이터 패킷의 헤더 또는 테일에 포함되거나 또는 컨텐츠에 포함될 수 있다. 이와는 달리 지정 신호는 데이터 패킷과 별도로 송신될 수 있으며, 이 때 상기 데이터 패킷은 지정 데이터 패킷이 아니라 비지정 데이터 패킷으로 간주할 수 있으며, 지정 신호는 지정 수신자를 의미하는 정보는 물론 상기 데이터 패킷을 식별하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정의에 근거하여, 본 명세서는 전화 송수신 앱, SNS(social network service) 앱, 그룹웨어 소프트웨어(groupware software) 앱, 메신저(messenger) 앱, 이메일(e-mail) 앱, 일정 관리(scheduling) 앱 등을 이용하여 생성할 수 있고, 상기 앱의 앱 아이콘과 함께 표시할 수 있는 "푸시 정보(push information)" 또는 "푸시 통지(push notification)" 등과 관련된 [1] "지정 컨텐츠," [2] "지정 아이콘 뱃지," [3] 상기 지정 컨텐츠 및 지정 아이콘 뱃지의 다양한 구성, [4] 상기 지정 컨텐츠 및 지정 아이콘 뱃지의 다양한 생성 방법, 또는 [5] 상기 지정 컨텐츠 및 지정 아이콘 뱃지의 다양한 사용 방법 등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는 스마트폰, 모바일폰 등의 데이터 처리 터미널의 운영체계 또는 상기 터미널의 기타 유닛이 발송 또는 수신하는 "푸시 정보"의 수효나 내용 등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명세서는 [1] 발신자가 하나 이상의 수신자를 지정(즉 지정 수신자)할 수 있는 다양한 "푸시 정보(일예로 지정 데이터 패킷)," [2] 상기 푸시 정보에 포함된 다양한 지정 컨텐츠, [3] 상기 푸시 정보나 지정 컨텐츠의 수효 또는 내용 등을 표시할 수 있는 다양한 "지정 아이콘 뱃지," [4] 상기 지정 컨텐츠 또는 지정 아이콘 뱃지의 다양한 생성 방법, [5] 상기 지정 컨텐츠 및 지정 아이콘 뱃지의 다양한 사용 방법, [6] 수신자가 확인해야 할 필요성이 상대적으로 높은 지정 컨텐츠를, 상기 필요성이 상대적으로 낮은 비지정 컨텐츠와 구분하여 표시할 수 있는 다양한 지정 아이콘 뱃지, 또는 [7] 상기 지정 아이콘 뱃지 등의 다양한 생성 및 사용 방법 등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는 모바일폰, 스마트폰 등의 데이터 처리 터미널은 물론 모바일 패드, 웹패드, 휴대용 정보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유선 전화, 인터폰, 무전기, 유무선 데이터 처리 기기, 컴퓨터 또는 통신 기기에 대한 상기 지정 컨텐츠와 지정 아이콘 뱃지 등의 적용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는 상기 지정 컨텐츠, 지정 데이터 패킷 또는 지정 아이콘 뱃지를 다양한 기기의 유무선 데이터 처리 유닛, 유무선 제어 유닛 또는 유무선 통신 유닛 등에 적용하기 위한 다양한 구성 또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특히 상기 기기의 예로는 [1] 차량, 건물, 로봇 또는 드론, [2] 다양한 전자 기기 또는 전기 기기, [3] 사물인터넷 망, 또는 [4] 사물인터넷 망에 연결된 본 문단의 [1] 내지 [3]의 기기 등이 있다. 따라서 본 문단의 다양한 기기 또는 상기 유닛의 사용자 또는 상기 기기나 유닛이 발송하는 데이터 패킷을 수신하는 사용자는 상기 데이터 패킷에 포함된 지정 컨텐츠의 수효나 내용 등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데이터 처리 터미널의 사용자는 터미널에 장착된 특정 앱을 구동하고, 상기 앱이 확립한 특정 그룹의 멤버와 컨텐츠를 교환한 후, 상기 앱의 구동을 마칠 수 있다. 사용자가 상기 앱의 구동을 마친 후, 동일한 그룹의 다른 멤버인 발신자가 사용자에게 컨텐츠를 발송하게 되면, 사용자는 컨텐츠를 즉시 확인할 수 없다. 터미널이 또는 앱은 사용자가 아직 확인하지 못한 하나 이상의 "미확인 컨텐츠"를 수신하였음을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다. 일예로 기존의 터미널은 다양한 "미확인 컨텐츠"를 사용함으로써, 상기 "미확인 컨텐츠"의 수효를 나타낸다. [도1]은 터미널에 장착된 다양한 소프트웨어 앱(즉 어플리케이션의 약칭) 및 상기 앱의 앱 아이콘과 함께 영상 유닛에 표시하는 미확인 아이콘 뱃지의 예시이다.
터미널(10)은 영상 유닛(11)에 사용자 인터페이스인 앱 아이콘(20)의 형태로 상기 앱을 표시할 수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본 명세서에서 "앱"이란 상기 앱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로서 영상 유닛에 표시된 "앱 아이콘"(20)을 의미하거나, 또는 상기 앱 아이콘이 "앱(20)"을 의미하는 것으로 한다. 일예로 [도1]의 터미널(10)은 전면에 터치 스크린 형태의 영상 유닛(11)을 포함하며, 총 6개의 앱 아이콘(20)을 영상 유닛(11)에 표시한다.
참고로 [도1]의 터미널(10)은 해제 상태(unlock state)에서 구동하고 있다. 따라서 터미널(10)은 해제 상태에서 사용자가 구동할 수 있는 다수의 앱에 대한 사용자 인터페이스인 앱 아이콘(20)을 홈 스크린에 표시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앱 아이콘(20)에 사용자 입력을 제공하면, 터미널(10)은 상기 앱을 구동할 수 있다. 또한 터미널(10)이 해제 상태로 이동하기 위하여 사용자 인증을 요구할 경우, [도1]의 터미널(10)은 사용자가 인증에 성공하여 해제 상태로 이동한 것으로 간주할 수 있다.
또한 터미널(10)은 영상 유닛(11)에 특정 앱에 대한 미확인 아이콘 뱃지(21)를 표시할 수 있다. 참고로 [도1]의 터미널(10)은 영상 유닛(11)에 미확인 아이콘 뱃지(21)가 각각 부착된 3개의 앱 아이콘(20)과 어떤 미확인 아이콘 뱃지(21)가 부착되지 않는 3개의 앱 아이콘(20)을 표시한다.
터미널(10)은 사용자가 제공하는 다양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입력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입력 유닛은 [1] 다수의 하드웨어 요소 중 하나인 하드 버튼 형태의 입력 유닛, [2] 영상 유닛(11)의 최소한 일부인 터치 스크린 형태의 입력 유닛, 또는 [3] 터치 스크린이나 일반 스크린 등에 사용자 인터페이스(즉 U/I)의 형태로 제공되는 소프트 버튼 형태의 입력 유닛 등일 수 있다. [도1]의 터미널(10)은 그 전면을 위로 향하도록 배치하였을 경우, 좌측에 하드 버튼 형태의 입력 유닛(12A), 우측에 한 쌍의 하드 버튼 형태의 입력 유닛(12B)(12C) 등을 포함한다.
[도1]에 도시하지 않았지만, 상기 하드 버튼 형태 입력 유닛(12A)(12B)(12C)은 영상 유닛(11)에 U/I 형태로 표시되는 하나 이상의 소프트 버튼 형태 입력 유닛으로 대체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터미널(10)은 하나 이상의 소프트 버튼 형태의 입력 유닛 및 하나 이상의 하드 버튼 형태의 입력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도2]는 기존의 앱 아이콘(또는 앱)(20) 및 이에 부착된 미확인 아이콘 뱃지(21)에 대한 상세한 예시이다. [도2]의 미확인 아이콘 뱃지(21)는 숫자 "230"을 표시하며,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본 명세서에서는 이를 미확인 아이콘 뱃지(21)가 "230"이라고 표현할 수 있다. 이는 수신자가 상기 앱(20)을 마지막으로 구동한 후, 수신자가 속한 그룹의 단일 또는 다수의 발신자가 수신자에게 발송한 푸시 정보가 총 230개임을 의미한다. 따라서 수신자가 앱(20)을 다시 구동하면, 상기 앱(20)은 수신자에게 230개의 신규, 미확인 컨텐츠를 표시하게 된다.
[도3]은 수신자가 특정 앱을 구동하였을 때, 터미널이 영상 유닛에 표시하는 다수의 그룹과 각 그룹에 존재하는 미확인 컨텐츠의 수효를 나타내는 미확인 아이콘 뱃지의 예시이다. 일예로 수신자가 앱(20)을 구동하게 되면, 터미널(10)은 앱(20)의 그룹 창(15)을 영상 유닛(11)에 표시한다. 상기 그룹 창(15)은 앱(20)을 사용하는 다수의 멤버들이 결성한 다수의 그룹에 대한 그룹 아이콘(16)을 표시하며, 그룹 아이콘(16) 옆에 상기 그룹에 속하는 멤버들의 이름, 멤버 아이디, 멤버 U/I(17) 등을 표시할 수 있다. 일예로 그룹 창(15)은 "김2," "이," "박," "김23," "민," "유"가 상기 앱(20)의 그룹 1의 멤버임을, "심," "이1," "박," "이2," "실비아"가 동일한 앱(20)의 그룹 2의 멤버임을 표시한다.
또한 [도3]과 같이 터미널(10)이나 앱(20)은 영상 유닛(11)에 각 그룹에 대한 미확인 컨텐츠의 수효(21)를 표시할 수 있다. 일예로 그룹 1의 미확인 컨텐츠 수효는 83개, 그룹 2의 미확인 컨텐츠 수효는 23개, 그룹 3의 미확인 컨텐츠 수효는 11개, 그룹 4의 미확인 컨텐츠 수효는 31개, 그룹 5의 미확인 컨텐츠 수효는 17개, 그룹 6의 미확인 컨텐츠 수효는 23개, 그룹 7의 미확인 컨텐츠 수효는 3개, 그룹 8의 미확인 컨텐츠 수효는 13개임을 알 수 있다.
[도4]는 [도3]의 앱의 그룹 1에 속하는 멤버들이 서로 주고받은 컨텐츠를 영상 유닛에 표시한 예시이다. 즉 [도1]의 터미널(10)의 사용자가 [도2]의 앱(20)에 사용자 입력을 제공하면, 터미널(10)은 앱(20)을 구동하여 영상 유닛(11)에 [도3]의 화면을 표시한다. 사용자가 그룹 창(15)에서 표시된 다수의 그룹 중 그룹 1에 해당하는 그룹 아이콘(16)에 사용자 입력을 제공하면, 터미널(10)은 영상 유닛(11)에 [도4]의 컨텐츠 창(19)을 표시하며, 컨텐츠 창(19)은 그룹 1의 멤버들이 주고받은 다양한 컨텐츠를 표시한다. 단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4]에서는 각각의 컨텐츠를 수신한 시간 등의 세부 정보는 표시하지 않았다. 또한 [도4]의 컨텐츠 31L과 31B 및 31N 둘레의 테두리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표시하였으며, 실제 화면에는 표시되지 않는다.
컨텐츠 창(19)에 표시된 컨텐츠 31L은 그룹 1의 멤버인 "박"이 상기 터미널(10)의 사용자이자 그룹 1의 멤버인 "심"을 지정하여 제기한 질문으로서, 그룹 1의 나머지 멤버와는 상대적으로 관련이 낮은 컨텐츠라 할 수 있다. 즉 컨텐츠 31L은 발신자인 "박"이 "심"을 지정하여 발송한 "지정 컨텐츠"라고 간주할 수 있다.
반면 컨텐츠 31N은 그룹 1의 멤버이자 발신자인 "김23"이 사용자 "심"을 포함하는 그룹 1의 모든 멤버에게 제공하는 컨텐츠로 간주할 수 있다. 즉 컨텐츠 31N은 "김23"이 사용자 "심"만 특별히 지정하여 발송한 컨텐츠가 아니라, "김23"이 (자신을 포함한) 모든 멤버에게 제공한 컨텐츠이다.
따라서 사용자 "심"이 컨텐츠 31N에 답변해야 할 필요성은, 사용자 "심"이 상기 컨텐츠 31L에 답변해야 할 필요성보다 낮다고 할 수 있다. 바꾸어 말하면 사용자 "심"의 입장에서 보면, 컨텐츠 31N은 발신자가 사용자를 특별히 지정한 "지정 컨텐츠"가 아니라, 사용자를 특별히 지정하지 않은, "비지정 컨텐츠"라고 간주할 수 있다.
이에 반하여 컨텐츠 31B는 그룹 1의 멤버인 발신자 "이"가 그룹 1의 멤버 모두에게 발송한 컨텐츠이다. 하지만 컨텐츠 31B와 컨텐츠 31N을 비교하면, 컨텐츠 31B가 사용자 "심"의 답변을 상대적으로 더 필요로 한다고 간주할 수 있다, 반면 컨텐츠 31B를 컨텐츠 31L과 비교하면, 컨텐츠 31B는 사용자 "심"의 답변을 상대적으로 덜 필요로 한다고 간주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경우, 컨텐츠 31B는 "지정 컨텐츠"라 하기 보다는 "비지정 컨텐츠"라고 간주할 수도 있고, 경우에 따라 "부분 지정 컨텐츠"라 세분하여 지칭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기존의 미확인 아이콘 뱃지(21)가 표시하는 미확인 컨텐츠는 다양한 컨텐츠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컨텐츠에 포함되는 컨텐츠의 예로는 [1] 발신자가 사용자를 포함하는 모든 멤버를 대상으로 발송한 컨텐츠, [2] 본 문단의 [1]의 컨텐츠 중 사용자와 관련이 없거나 적은, 다른 멤버들 사이에 주고받는 컨텐츠, 또는 [3] 상기 [1]의 컨텐츠 중 발신자가 사용자를 특별히 수신자로 지정하며 발송한 컨텐츠 등이 있다.
미확인 컨텐츠 중 발신자가 사용자만을 특별히 수신자로 지정한 컨텐츠가 포함되었는지를 확인하려면, 사용자는 미확인 컨텐츠를 하나씩 확인하며 발신자가 사용자를 수신자로 특별히 지정한 컨텐츠가 포함되어 있는 지 확인해야만 한다. 왜냐하면 특정 그룹의 창을 열기 전 까지는, 사용자는 기존의 미확인 아이콘 뱃지가 나타내는 미확인 컨텐츠의 수효만으로는, 발신자가 사용자를 지정한 컨텐츠가 미확인 컨텐츠에 포함되어 있는지를 확인할 수 없기 때문이다.
하지만 아이콘 뱃지의 수효가 크면(즉 미확인 컨텐츠의 수효가 많을 경우), 사용자는 미확인 컨텐츠에 발신자가 사용자를 지목한 컨텐츠가 포함되어 있는지 확인하기가 어려워진다. 또한 미확인 컨텐츠의 수효가 큰 만큼, 사용자가 이를 모두 확인하는 데에는 상당한 시간이 소요된다.
본 명세서는 상술의 기존의 "미확인 아이콘 뱃지"의 단점을 극복할 수 있는 다양한 구성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즉 본 명세서의 다양한 데이터 처리 터미널은 기존의 미확인 아이콘 뱃지와는 달리, 발신자가 수신자를 지정한 "(미확인) 지정 컨텐츠"의 수효나 내용을 표시할 수 있는 "(미확인) 지정 아이콘 뱃지"를 이용하여 상술의 기존의 미확인 아이콘 뱃지의 단점을 극복한다. 특히 본 명세서의 터미널은 특정 앱의 특정 그룹에 수신된 "미확인 컨텐츠" 중 발신자가 특별히 수신자를 지정하며 제공한 "(미확인) 지정 컨텐츠(상반된 설명이 없는 한 이후 "지정 컨텐츠"로 약칭)"의 수효 또는 내용을 시각적으로 표시할 수 있는 "(미확인) 지정 아이콘 뱃지(상반된 설명이 없는 한 이후 "지정 아이콘 뱃지"로 약칭)"를 생성하고 이를 다양한 방법으로 표시함으로써, 수신자는 물론 발신자에게 다양한 혜택을 제공한다.
또한 본 명세서는 데이터 처리 터미널의 운영체계, 컴퓨터 프로그램,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 이후 "앱"으로 약칭) 등의 "소프트웨어 요소(이후 "S/W 요소"로 약칭)를 이용하여 유무선 전화 송수신 작업, SNS(social network service) 작업, 그룹웨어 소프트웨어(groupware software) 작업, 메신저(messenger) 작업, 이메일(e-mail) 작업, 기타 유무선 통신 작업 등의 다양한 작업을 실행할 때, 상기 "지정 컨텐츠" 또는 "지정 아이콘 뱃지"를 생성하고 활용하는 다양한 구성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본 명세서는 스마트폰, 모바일폰 등의 데이터 처리 터미널의 S/W 요소나 상기 터미널의 기타 유닛들이 수신하는 "푸시 정보"의 수효나 내용을 보다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구성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명세서는 [1] 푸시 정보에 포함된 지정 컨텐츠(일예로 발신자가 다수의 수신자를 설정하며 컨텐츠를 발송하되, 하나 이상의 특정 수신자를 지정하여 제공하는 컨텐츠)의 수효나 내용 등을 표시할 수 있는 "지정 아이콘 뱃지," [2] 푸시 정보에 포함된 "지정 컨텐츠"를 푸시 정보에 포함된 전체 미확인 컨텐츠 또는 "비지정 컨텐츠"(즉 발신자가 다수의 수신자를 설정하였으나 수신자 중 누구도 특별히 지정하지 않고 제공하는 컨텐츠)와 서로 구분될 수 있도록 표시하는 "지정 아이콘 뱃지," [3] 수신자가 확인해야 할 필요성이 상대적으로 높은 "지정 컨텐츠"를, 상기 필요성이 상대적으로 낮은 "비지정 컨텐츠"와 구분하여 표시할 수 있는 "지정 아이콘 뱃지,", [4] "지정 컨텐츠"의 생성과 이용 방법, [5] "지정 컨텐츠"와 "비지정 컨텐츠"를 구별할 수 있는 "푸시 통지" 방법, 또는 [6] "지정 아이콘 뱃지"를 이용한 "푸시 통지" 방법 등에 관한 것이다.
단 수신자가 특정 컨텐츠를 확인해야할 상기 필요성은 다양한 주체가 확립할 수 있다. 일예로 상기 컨텐츠를 발신하는 발신자가 수신자로 하여금 자신이 발송하는 컨텐츠를 확인해야 할 필요성을 확립할 수 있다. 즉 발신자의 판단에 의한, 자체적인 필요성의 결정이다. 이와는 달리 발신자의 터미널이 상기 필요성을 결정할 수 있다. 일예로 발신자가 특정 컨텐츠를 발송할 때, 터미널이 상기 컨텐츠의 내용을 확인하거나 또는 상기 터미널 또는 서버에 저장된 발신자와 수신자가 주고받은 과거 컨텐츠를 분석한 후, 상기 분석의 결과에 따라 상기 필요성을 확립할 수 있다. 이와는 달리 수신자의 터미널이 상기 필요성을 확립할 수 있다. 일예로 수신자가 특정 컨텐츠를 수신할 때, 터미널이 상기 컨텐츠의 내용을 확인하거나 또는 상기 터미널 또는 서버에 저장된 발신자와 수신자가 주고받은 과거 컨텐츠를 분석한 후, 이에 근거하여 상기 필요성을 확립할 수 있다. 이와는 달리 서버가 상기 필요성을 확립할 수 있다. 일예로 서버는 발신자가 발송하는 컨텐츠의 내용 또는 서버가 저장하고 있는 발신자와 수신자가 서로 주고받은 과거 컨텐츠를 분석한 후, 이에 근거하여 상기 필요성을 확립할 수 있다.
바꾸어 말하면, 발신자, 발신자 터미널 또는 수신자 터미널이 상기 필요성이 높은 것으로 지정한 지정 컨텐츠를 수신한 수신자는, 상기 컨텐츠를 확인한 후 이에 대한 답변을 발신자에게 발송하거나 발송하지 않을 수도 있다. 또한 특정 앱 또는 특정 그룹에서 지정 컨텐츠의 수신을 확인한 수신자는, 상기 그룹의 그룹 창을 열고 지정 컨텐츠를 읽어서 그 내용을 확인할 수도 있지만, 상기 앱이나 상기 그룹 창을 아예 열지 않음으로써, 지정 컨텐츠를 읽지 않거나 또는 확인하지 않을 수도 있다. 일예로 수많은 지정 컨텐츠를 수신한 특정 앱의 특정 그룹의 대부분 멤버들이 사용자가 현재 참여하지 않는 동호회의 회원인 경우, 수신자는 지정 컨텐츠의 수신을 용이하게 인지하더라도 상기 그룹의 미확인 컨텐츠를 확인하지 않을 수 있다. 왜냐하면 수신자의 터미널이 특정 앱 또는 특정 그룹에서 수신한 지정 컨텐츠가 있음을 알려주어도, 상기 그룹 창을 열고 상기 지정 컨텐츠를 읽을 지는 수신자의 선택이기 때문이다.
본 명세서의 (미확인) 지정 컨텐츠, 상기 컨텐츠를 포함하는 지정 데이터 패킷, 상기 컨텐츠의 수효를 표시하는 지정 아이콘 뱃지 등은 모바일폰 또는 스마트폰 등의 다양한 데이터 처리 터미널에 장착되어 발신자와 수신자가 더 효율적으로 컨텐츠를 교환할 수 있다는 혜택을 제공한다. 따라서 상기 지정 컨텐츠, 지정 데이터 패킷 및 지정 아이콘 뱃지는 터미널에 장착된 메신저 앱, 이메일 앱, SNS 앱, 그룹웨어 소프트웨어 앱 등에 효율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정 컨텐츠, 지정 데이터 패킷 및 지정 아이콘 뱃지는 터미널에 장착된 일정 관리(scheduling) 앱, 광고 표시 앱, 특정 사건의 발생을 공지하는 앱, 알림(alarm) 앱 등에도 적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지정 컨텐츠, 지정 아이콘 뱃지 등은 모바일 폰, 스마트폰 등의 데이터 처리 터미널의 하드웨어 요소나 소프트웨어 요소를 제어하는 데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의 지정 컨텐츠, 지정 데이터 패킷, 지정 아이콘 뱃지 등은 건물, 차량, 로봇, 드론, 사물인터넷 망, 사물인터넷 망에 속한 다양한 전기 기기 또는 상기 기기의 다양한 유닛 등과 송수신하거나 이를 제어하는 데 적용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의 목적을 구현하는 첫 번째 수단은 "지정 신호"를 이용하여 "(미확인) 지정 컨텐츠"를 생성하고 사용할 수 있는 구성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명세서의 다양한 터미널은 기존의 하드웨어 요소 또는 기존의 소프트웨어 요소를 이용하여 지정 컨텐츠와 지정 신호를 기존 데이터 패킷 형태로 생성하고 발송할 수 있다. 터미널은 [1] 지정 신호를 데이터 패킷의 헤더나 테일에 포함시키거나, [2] 지정 신호를 상기 패킷의 컨텐츠에 포함시키거나, 또는 [3] 지정 신호에 따라 컨텐츠를 변환시키고, 상기 변환된 컨텐츠를 상기 데이터 패킷에 포함시킬 수 있다.
또는 터미널은 기존의 하드웨어 요소나 소프트웨어 요소를 이용하여 지정 컨텐츠와 지정 신호를 신규 데이터 패킷 형태로 생성, 발송할 수 있다. 일예로 터미널은 [1] 컨텐츠가 포함된 데이터 패킷에 헤드, 컨텐츠, 테일 이외의 별도의 부분을 생성한 후, 상기 별도의 부분에 지정 신호를 포함시키거나, [2] 컨텐츠가 포함된 데이터 패킷과는 별도의 데이터 패킷에 지정 신호를 포함시킨 후, 두 데이터 패킷을 순차적으로 또는 동시에 발송하거나, 또는 [3] 터미널은 지정 신호와 지정 신호를 포함하지 않은 데이터 패킷을 각각 서버에 전송하고, 서버가 상기 지정 신호를 저장하도록 할 수 있다. 수신자의 터미널은 서버로부터 지정 신호를 회수하거나 또는 상기 서버가 발송하는 지정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서버는 중앙(central) 서버나 위치(local) 서버를 의미하며, 추후 이들을 "서버"로 통칭한다.
본 명세서의 목적을 구현하는 두 번째 수단은 "지정 신호"를 포함하는 "지정 데이터 패킷"을 생성하고 사용하는 구성 또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명세서의 다양한 터미널은 [1] 컨텐츠를 기존의 하드웨어 요소나 소프트웨어 요소를 이용하여 지정 신호를 포함하는 "지정 데이터 패킷"의 형태로 생성하여 발송 또는 수신하거나, 또는 [2] 기존의 하드웨어 요소나 소프트웨어 요소 등을 이용하여 기존 데이터 패킷의 형태와 상이한 신규 형태의 데이터 패킷에 지정 신호를 포함시켜 발송하거나 또는 수신할 수 있다. 또는 수신자의 터미널은 [1] 지정 신호를 포함하지 않는 기존의 데이터 패킷을 수신하고, 상기 패킷에 포함된 컨텐츠가 지정 컨텐츠인지 또는 비지정 컨텐츠인지는 서버에 저장된 지정 신호로부터 또는 기타 데이터로부터 확인하거나, 또는 [2] 지정 신호를 포함하지 않은 기존의 데이터 패킷을 수신하고, 데이터 패킷에 포함된 컨텐츠의 다양한 특성(일예로 폰트, 크기, 모양, 색상, 배경, 투명도, 배치 등)에 따라 상기 컨텐츠가 지정 컨텐츠인지, 아니면 비지정 컨텐츠인지를 확인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목적을 구현하는 세 번째 수단은 미확인 컨텐츠에 포함되어 있는 "(미확인) 지정 컨텐츠"의 수효나 내용을 나타내는 "(미확인) 지정 아이콘 뱃지"를 생성하고 이용하는 구성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명세서의 다양한 터미널은 특정 앱의 아이콘을 영상 유닛에 표시하며, [1] 미확인 컨텐츠에 포함된 지정 컨텐츠의 수효나 내용을 지정 아이콘 뱃지를 이용하여 함께 표시하거나, [2] 미확인 컨텐츠의 지정 컨텐츠 포함 유무를 지정 아이콘 뱃지를 이용하여 함께 표시하거나, 또는 [3] 미확인 컨텐츠에 지정 컨텐츠가 포함되지 않은 경우, 이를 표시하는 지정 아이콘 뱃지를 다양한 구성으로 함께 표시할 수 있다.
위 문단의 [1] 또는 [2]의 터미널은 지정 컨텐츠의 수효 또는 유무를 표시하기 위하여 [1] 지정 아이콘 뱃지의 문자, 숫자, 이미지, 기호, 도형 등과 같은 다양한 시각적 특성을 조작하거나, [2] 지정 아이콘 뱃지의 색상, 폰트, 또는 배경 등을 조작하거나, [3] 지정 아이콘 뱃지의 모양이나 크기를 조작하거나, 또는 [4] 지정 아이콘 뱃지의 위치, 지향(orientation) 둥을 조작할 수 있다. 위 문단의 [3]의 터미널은 [1] 지정 아이콘 뱃지를 "0"으로 표시하거나 또는 지정 아이콘 뱃지에 "0"을 포함시키거나, [2] 어떤 지정 컨텐츠도 포함하지 않는 미확인 컨텐츠를 나타내는 지정 아이콘 뱃지(추후 "지정 아이콘 뱃지(0)"으로 약칭)를 하나 이상의 지정 컨텐츠를 포함하는 미확인 컨텐츠에 대한 지정 아이콘 뱃지(추후 "지정 아이콘 뱃지(N)"으로 약칭)와 동일한 색상, 폰트, 배경으로 표시하되 상이한 모양, 크기, 위치 또는 지향을 가지도록 구성하거나, [3] 지정 아이콘 뱃지(0)를 지정 아이콘 뱃지(N)와 동일한 모양, 크기, 위치 또는 지향으로 표시하되 상이한 색상, 폰트 또는 배경을 가지도록 구성하거나, 또는 [4] 지정 아이콘 뱃지를 표시하지 않은 채 미확인 아이콘 뱃지만 표시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목적을 구현하는 네 번째 수단은 미확인 컨텐츠에 포함된 "(미확인) 지정 컨텐츠"의 수효 또는 내용을 나타내는 "지정 아이콘 뱃지"와 함께 [1] 미확인 컨텐츠에 포함된 "(미확인) 비지정 컨텐츠"의 수효나 내용을 나타내는 "비지정 아이콘 뱃지" 또는 [2] 미확인 컨텐츠의 전체 수효를 나타내는 기존의 "미확인 아이콘 뱃지"와, 동시에 또는 함께 표시하거나 사용하는 구성과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예로 본 명세서의 다양한 터미널은 영상 유닛에 특정 앱의 앱 아이콘을 표시하며 이와 함께 [1] 미확인 컨텐츠에 포함되어 있는 지정 컨텐츠의 수효나 내용을 지정 아이콘 뱃지를 이용하여 표시하거나, [2] 미확인 아이콘 뱃지 및 지정 아이콘 뱃지를 다양한 배열에 따라 영상 유닛의 다양한 위치에 함께 표시하거나, [3] 비지정 아이콘 뱃지 및 지정 아이콘 뱃지를 다양한 배열에 따라 영상 유닛의 다양한 위치에 표시하거나, [4] 지정 아이콘 뱃지가 미확인 아이콘 뱃지 또는 비지정 아이콘 뱃지로부터 용이하게 구분될 수 있도록 표시하거나, 또는 [5] 지정 아이콘 뱃지와 미확인 아이콘 뱃지(또는 비지정 아이콘 뱃지)를 상이한 구성 또는 상이한 배열로 표시할 수 있다.
터미널이 지정 아이콘 뱃지와 미확인 아이콘 뱃지(또는 비지정 아이콘 뱃지)를 영상 유닛에 동시에 표시할 경우, 터미널은 각각의 뱃지가 서로 용이하게 구별되도록 상기 뱃지를 [1] 상이한 이미지 또는 도형으로 표시하거나, [2] 상이한 폰트, 두께, 색상, 투명도, 배경 등으로 표시하거나, [3] 상이한 모양, 크기 등을 가지도록 표시하거나, 또는 [4] 상이한 위치나 지향(orientation) 등을 가지도록 표시할 수 있다.
터미널은 지정 아이콘 뱃지와 미확인(또는 비지정) 아이콘 뱃지를 다양한 방법으로 영상 유닛에 배치할 수 있다. 일예로 터미널은 각각의 뱃지를 [1] 서로 거리를 두며 영상 유닛의 상하 또는 좌우에 표시하거나, [2] 영상 유닛의 특정 점이나 선에 대하여 선대칭 또는 점대칭이 되도록 배치하거나, [3] 비대칭으로 표시하거나, [4] 최소 일부분이 서로 중첩되도록 표시하거나, [5] 최소 일부분이 서로 접촉하도록 표시하거나, [6] 동심원 또는 동심 도형 내부에 각각 거리를 두어 표시하거나, [7] 단일의 도형이나 이미지 내부에 각각 거리를 두어 표시하거나, [8] 동심원, 동심 도형 내부에 최소 일부가 서로 중첩되거나 또는 접촉하도록 표시하거나, 또는 [9] 단일의 도형 또는 이미지 내부에 최소 일부가 서로 중첩되거나 또는 접촉하도록 표시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목적을 구현하는 다섯 번째 수단은 사용자가 터미널에 기계적 사용자 입력을 제공함으로써 "지정 수신자"를 선택할 수 있고, 상기 선택에 근거하여 "지정 신호"와 "지정 컨텐츠"를 생성하고 이용하는 구성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예로 사용자는 [1] 하드 또는 소프트 키보드를 조작하는 사용자 입력을 제공함으로써 지정 신호를 생성하거나, [2] 터치 스크린을 접촉, 조작하는 사용자 입력을 제공하여 지정 신호를 생성하거나, 또는 [3] 터미널의 기타 하드 버튼 형태 또는 소프트 버튼 형태의 입력 유닛을 조작하는 사용자 입력을 제공하여 지정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목적을 구현하는 여섯 번째 수단은 사용자가 터미널에 상이한 사용자 입력을 제공하여 "지정 수신자"를 선택한 후, 상기 선택에 근거하여 "지정 신호"와 "지정 컨텐츠"를 생성하고 이용하는 구성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사용자는 [1] 움직임 또는 제스처 등의 사용자 입력을 제공함으로써 지정 신호를 생성하거나, 또는 [2] 전기적, 자기적, 전자기적 또는 음향적 사용자 입력을 제공하여 지정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특히 본 문단의 [1]의 터미널은 [3] 사용자의 상기 움직임 또는 제스처 등을 직접 기계적으로, 전기적으로, 자기적으로 또는 음향적으로 감지하거나, 또는 [4] 사용자의 상기 움직임이나 제스처의 정적 이미지 또는 동적 이미지를 전자기적으로 확보하고 이를 분석하여 지정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목적을 구현하는 일곱 번째 수단은 발신자가 발송한 또는 수신자가 수신한 컨텐츠의 내용을 터미널이 다양한 기존의 정보 분석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분석한 후, 터미널이 컨텐츠에 포함된 "지정 요청 정보"를 확인하면 "지정 신호"를 생성함으로써 "지정 컨텐츠"를 생성하고 이용하는 구성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터미널은 기존의 인공지능, 빅데이터, 자연어 처리, 머신 러닝, 딥 러닝 등의 분야에서 사용되는 다양한 정보 분석 알고리즘을 이용함으로써 발신자나 수신자의 컨텐츠로부터 특정 그룹의 특정 멤버의 이름, 명칭, 별명 또는 상기 멤버를 의미하거나 지칭하는 단어, 글 또는 기호 등을 검색할 수 있다. 터미널이 이러한 지정 요청 정보를 확인할 경우, 터미널은 이에 근거하여 지정 수신자를 선택하며, 상기 컨텐츠를 지정 컨텐츠로 변환할 수 있다.
또는 터미널은 상기 정보 분석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발신자 또는 수신자의 컨텐츠에 첨부된 이미지나 소리 등을 검색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알고리즘이 상기 이미지가 특정 멤버의 사진이나 동영상이거나, 특정 멤버의 이름, 명칭, 별명 둥과 관련된 이미지인 것으로 확인하면, 터미널은 이를 지정 요청 정보로 간주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상기 정보 분석 알고리즘은 발신자 또는 수신자의 컨텐츠에 첨부된 소리를 분석할 수 있으며, 상기 소리를 특정 멤버의 음성으로 확인이거나, 또는 상기 소리가 특정 멤버의 이름, 명칭, 별명 둥과 관련된 이미지인 것으로 확인하면, 터미널은 이를 지정 요청 정보로 간주할 수 있다. 터미널이 지정 요청 정보를 확인하면, 터미널은 이에 근거하여 지정 수신자를 선택하며, 상기 컨텐츠를 지정 컨텐츠로 변환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목적을 구현하는 여덟 번째 수단은 수신자가 미확인 컨텐츠 중 지정 컨텐츠를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도록 컨텐츠를 표시하는 구성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예로 터미널은 미확인 컨텐츠를 영상 유닛에 표시할 경우 비지정 컨텐츠만 선택적으로 단순화 또는 최소화하여 표시하거나, 또는 비지정 컨텐츠를 아예 표시하지 않을 수 있다. 이 때 터미널은 지정 컨텐츠를 강조하여 표시하거나 강조 없이 표시할 수 있다.
또는 터미널은 미확인 컨텐츠 및 확인 컨텐츠를 영상 유닛에 표시하며, (미확인 또는 확인) 비지정 컨텐츠를 선택적으로 단순화 또는 최소화하여 표시하거나, 또는 표시하지 않을 수 있다. 이에 따라 터미널은 영상 유닛에 (미확인 또는 확인) 지정 컨텐츠를 그대로 또는 강조하여 표시하거나, 또는 지정 컨텐츠만 선택적으로 표시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목적을 구현하는 아홉 번째 수단은 미확인 컨텐츠 중 사용자와 관련된 지정 컨텐츠를 선택적으로 표시하는 구성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예로 터미널은 영상 유닛에 [1] 발신자가 사용자를 대상으로 발송한 지정 컨텐츠만 선택적으로 표시 또는 저장하거나, 또는 [2] 사용자가 발송한 지정 컨텐츠만 따로 표시 또는 저장할 수 있다.
특히 사용자에게 발송된 지정 컨텐츠의 경우, 터미널은 [1] 미확인 지정 컨텐츠만 표시 또는 저장하거나, [2] 확인 지정 컨텐츠만 표시 또는 저장하거나, [3] 미확인 및 확인 지정 컨텐츠를 모두 표시 또는 저장하거나, [4] (미확인 또는 확인) 지정 컨텐츠 중 하나 이상의 특정 멤버가 사용자에게 발송한 컨텐츠만 표시 또는 저장하거나, 또는 [5] 확인 지정 컨텐츠 중 하나 이상의 특정 멤버가 사용자에게 발송한 컨텐츠 및 이에 대하여 사용자가 답변으로 발송한 컨텐츠를 따로 표시 또는 저장할 수 있다.
사용자가 발송한 지정 컨텐츠의 경우, 터미널은 [1] 특정 지정 수신자의 (미확인 또는 확인) 지정 컨텐츠만 표시 또는 저장하거나, [2] 모든 지정 수신자의 (미확인 또는 확인) 지정 컨텐츠를 모두 표시 또는 저장하거나, [3] 지정 컨텐츠에 대하여 지정 수신자가 답변으로 발송한 (미확인 또는 확인) 컨텐츠를 따로 표시 또는 저장하거나, 또는 [4] 사용자가 하나 이상의 특정 멤버에게 제공한 지정 컨텐츠 및 이에 대하여 특정 멤버가 대응한 컨텐츠를 따로 표시 또는 저장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목적을 구현하는 열 번째 수단은 사용자는 물론 다른 발신자나 수신자에 대한 다양한 컨텐츠를 선택적으로 표시하는 구성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예로 터미널은 [1] 특정 멤버가 사용자에게 발송한 미확인 지정 컨텐츠, 확인 지정 컨텐츠 또는 모든 지정 컨텐츠를 영상 유닛에 표시하거나 또는 터미널(또는 서버)에 저장하거나, [2] 특정 멤버가 특정 그룹의 모든 멤버에게 발송한 미확인 또는 확인 비지정 컨텐츠 또는 모든 비지정 컨텐츠를 영상 유닛에 표시하거나, 터미널(또는 서버)에 저장하거나, [3] 특정(또는 모든) 멤버를 대상으로 사용자가 발송한 확인 또는 미확인 (지정 또는 비지정) 컨텐츠를 따로 영상 유닛에 표시하거나 또는 터미널(또는 서버)에 저장하거나, 또는 [4] 특정(또는 모든) 멤버를 대상으로 타멤버가 발송한 확인 또는 미확인(지정 또는 비지정) 컨텐츠를 따로 영상 유닛에 표시하거나 또는 터미널(또는 서버)에 저장할 수 있되, 본 [4]의 멤버들은 사용자가 아니다.
본 명세서의 목적을 구현하는 열한 번째 수단은 컨텐츠의 다양한 분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사용자나 발신자가 발송하는 컨텐츠를 비지정 컨텐츠와 지정 컨텐츠로 분류할 수 있다. 또는 사용자 또는 발신자가 발송하는 컨텐츠를 비지정 컨텐츠, 지정 컨텐츠 및 하나 이상의 일부 지정 컨텐츠로 분류할 수도 있다. 따라서 아이콘 뱃지 역시 비지정 아이콘 뱃지, 지정 아이콘 뱃지 또는 일부 지정 아이콘 뱃지 등으로 분류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의 목적을 구현하는 열두 번째 수단은 지정 아이콘 뱃지를 이용한 지정 컨텐츠의 유무, 수효 또는 내용 표시 등에 관한 것이다. 일예로 터미널은 영상 유닛에 특정 앱의 아이콘을 표시하며, 이와 함께 미확인 컨텐츠의 수효를 나타내는 미확인 아이콘 뱃지나 지정 컨텐츠의 수효를 나타내는 지정 아이콘 뱃지를 표시할 수 있다. 또는 터미널은 다양한 지정 신호를 이용하여 다양한 지정 아이콘 뱃지를 생성함으로써, 미확인 컨텐츠에 포함된 지정 컨텐츠가 텍스트인지, 이미지인지 또는 소리인지를 표시하거나, 상기 지정 컨텐츠의 크기, 상기 지정 컨텐츠의 발신 또는 수신 시간 등을 표시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의 목적을 구현하는 열세 번째 수단은 사용자가 지정한 지정 수신자에게만 사용자가 제공한 지정 컨텐츠 표시에 관한 것이다. 일예로 상기 첫 번째 내지 열두 번째 수단과 달리, 사용자가 특정 멤버를 지정 수신자로 선택하면, 터미널은 [1] 사용자가 발송하는 지정 컨텐츠는 지정 수신자에게만 발송되며, 기타 멤버에게는 발송되지 않거나, 또는 [2] 사용자가 발송한 컨텐츠는 모든 멤버에게 전달되되, 지정 수신자의 터미널은 이를 표시하지만 다른 멤버의 터미널은 이를 표시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열세 번째 수단의 구현을 위하여 터미널은 [1] 위 문단의 [1]을 위하여 지정 데이터 패킷에 특별한 지정 신호를 포함시키거나 (이에 따라 상기 패킷에 포함된 컨텐츠는 지정 컨텐츠), [2] 서버는 지정 수신자에게만 지정 컨텐츠를 포함한 지정 데이터 패킷을 발송하거나, [3] 지정 수신자의 터미널은 지정 컨텐츠를 수신한 후 이를 표시하지만, 나머지 멤버의 터미널은 지정 컨텐츠를 아예 수신하지 않거나, [4] 지정 수신자의 터미널은 지정 컨텐츠를 수신한 후 이를 표시하지만, 나머지 멤버의 터미널은 지정 컨텐츠를 수신하되 이를 앱에 제공하지 않거나, 또는 [5] 지정 수신자의 터미널의 앱은 지정 컨텐츠를 수신한 후 표시하지만, 나머지 멤버의 앱은 지정 컨텐츠를 수신하지만 이를 표시하지 않을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목적을 구현하는 열네 번째 수단은 지정 신호, 지정 데이터 패킷 및 지정 아이콘 뱃지 등을 다양한 기기에 적용하는 구성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예로 본 명세서의 지정 신호, 지정 데이터 패킷 또는 지정 아이콘 뱃지 등은 스마트폰, 모바일폰, 모바일 패드, 웹패드, 휴대용 정보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등의 데이터 처리 기기는 물론 컴퓨터, 유무선 전화, 인터폰, 무전기 등과 같은 통신 기기 등에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의 지정 신호, 지정 데이터 패킷 또는 지정 아이콘 뱃지 등은 [1] 차량, 건물, 로봇, 드론 등에 포함된 유무선 데이터 처리 유닛, 통신 유닛 또는 제어 유닛, [2] 사물인터넷 망 자체의 제어 유닛 또는 데이터 처리 유닛, 또는 [3] 사물인터넷 망에 연결된 전자 기기 또는 전기 기기 등에 적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목적을 구현하는 열다섯 번째 수단은 특정 앱의 그룹 창이나 컨텐츠 창을 열지 않더라도, 즉 더 적은 수효의 스텝을 거치거나 또는 더 적은 수효의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더라도, 미확인 지정 컨텐츠의 수효를 확인하는 특정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터미널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명세서의 다양한 터미널은 미확인 컨텐츠 중 특정 앱의 멤버들이 사용자를 지목하며 발송한 미확인 지정 컨텐츠가 포함되어 있는 지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는 향상된 사용자 인터페이스(U/I)를 제공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특정 앱의 아이콘을 눌러서 상기 앱의 그룹 창을 여는 스텝을 수행할 필요 없이, 또는 사용자가 특정 그룹을 선택한 후 상기 그룹의 컨텐츠 창을 여는 스텝을 수행할 필요 없이, 상기 앱이 다수의 그룹 창의 멤버로부터 수신한, 또는 특정 그룹 창의 멤버로부터 수신한 미확인 컨텐츠에 미확인 지정 컨텐츠가 포함되어 있는지, 또는 포함되었을 경우 상기 미확인 지정 컨텐츠의 수효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특정 크기 이하로 제작하여야 하는 본 명세서의 다양한 터미널 및 상기 터미널의 영상 유닛의 경우, 작은 화면에서도 앱 아이콘 주변 또는 내부에 작은 크기의 다양한 아이콘 뱃지를 이용하여 미확인 컨텐츠의 수효는 물론 미확인 지정 컨텐츠 또는 미확인 비지정 컨텐츠의 수효를 용이하게 표시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목적을 구현하는 열여섯 번째 수단은 새로운 기능성(functionality)을 가진 앱 아이콘(또는 U/I)을 기존 기능성을 가진 앱 아이콘에 결합함으로써, 향상된 기능성을 가진 앱 아이콘(또는 U/I)을 제공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명세서의 다양한 터미널은 앱 아이콘을 영상 유닛에 표시할 때, 기존 기능성에 해당하는 미확인 아이콘 뱃지를 표시하는 동시에 새로운 기능성에 해당하는 (미확인) 지정 아이콘 뱃지를 표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의 다양한 터미널은 기존의 휴대용 통신 기기가 표시하는 미확인 아이콘 뱃지의 문제점 또는 내재적 한계에 대한 해결책을 제시한다.
1. 수단 및 효과
상술의 첫 번째 수단에 따라 본 명세서의 터미널은 기존의 모바일폰, 스마트폰 등의 구성 및 작업 실행 순서를 최대한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의 터미널의 제작 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역시 기존의 구성을 가진 터미널을 기존의 작업 실행 순서에 따라 용이하게 구동할 수 있다.
상술의 두 번째 수단에 따라 본 명세서의 터미널은 기존의 데이터 패킷을 이용하여 지정 신호를 송신 또는 수신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명세서의 다양한 터미널은 기존의 모바일폰, 스마트폰 등의 구성 및 작업 실행 순서를 최대한 유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조사는 상기 터미널의 제작 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도 기존의 구성을 가진 터미널을 기존의 작업 실행 순서에 따라 용이하게 구동할 수 있다.
상기 세 번째 수단에 따라 사용자는 본 명세서의 터미널이 영상 유닛에 표시한 특정 앱의 아이콘에 부착된 숫자, 즉 지정 아이콘 뱃지만으로 미확인 컨텐츠에 지정 컨텐츠가 포함되어 있는 지, 만일 포함되어 있다면 몇 개나 포함되어 있는 지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컨텐츠 발신자 역시 자신이 지정하는 수신자가 자신이 발송한 컨텐츠에 대하여 주의를 기울이고, 또한 상기 컨텐츠를 확인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
상술의 네 번째 수단에 따라 본 명세서의 터미널을 구동하는 사용자는 미확인 컨텐츠에 포함된 지정 컨텐츠의 유무를 시각적으로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미확인 컨텐츠에 포함된 비지정 컨텐츠나 지정 컨텐츠의 유무 또는 수효를 시각적으로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상술의 다섯 번째 수단에 따라 본 명세서의 터미널을 사용하는 사용자는 기존 모바일폰, 스마트폰의 입력 유닛을 조작하는 작업 실행 순서와 동일 또는 유사한 작업을 통하여 지정 신호를 용이하게 생성할 수 있다. 터미널 제조사 역시 터미널의 제작 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다.
상술의 여섯 번째 수단에 따라 본 명세서의 터미널은 기존의 하드웨어 요소를 이용하여 상기 기계적, 전기적, 자기적, 전자기적 또는 음향적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터미널의 제작 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도 터미널을 용이하게 조작함으로써 다양한 방법으로 사용자 입력을 제공하여 지정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상술의 일곱 번째 수단에 따라 본 명세서의 터미널은 발신자가 지정 신호를 생성하지 않는 경우에도 자동적으로 미확인 컨텐츠에 지정 컨텐츠가 포함되어 있는 지 확인할 수 있다. 바꾸어 말하면, 상기 터미널을 구동하는 발신자는 지정 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추가 (기계적) 사용자 입력을 제공하지 않고도 지정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또는 발신자는 자기 자신, 지정 수신자나 다른 멤버와 관련된 이미지를 카메라로 확보한 후, 이를 사용자 입력으로 터미널에 공급하거나, 또는 자기 음성을 마이크로 확보한 후, 이를 사용자 입력으로 공급하여 지정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이 때 지정 수신자의 터미널은 상기 컨텐츠를 지정 컨텐츠로 표시할 수 있다. 발신자의 터미널이 상기 지정 신호를 생성하지 않더라도, 수신자의 터미널이 상기 이미지 또는 음성으로부터 지정 신호를 생성할 수도 있다. 일예로 수신자 터미널이 상기 이미지나 음성을 수신하고 이를 확인하면, 터미널은 이를 지정 컨텐츠로 표시할 수 있다. 이러한 지정 신호 생성 방법은 상기 다섯 번째 또는 여섯 번째 수단과 병행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상술의 여덟 번째 수단에 따라 본 명세서의 터미널을 구동하는 사용자는 미확인 컨텐츠에 포함되어 있는 지정 컨텐츠를 확인할 때 비지정 컨텐츠에 의한 방해를 제거하거나 또는 최소화활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확인 컨텐츠 또는 미확인 컨텐츠에 포함되어 있는 지정 컨텐츠를 확인할 때 비지정 컨텐츠에 의한 시각적 방해를 제거하거나 또는 최소화할 수도 있다.
상기 아홉 번째 수단에 따라 본 명세서의 터미널을 구동하는 사용자는 [1] 자신을 지정 수신자로 지정하지 않은 컨텐츠와 자신이 지정 수신자로 지정된 컨텐츠를 용이하게 구분하거나 또는 확인 가능하거나, [2] 자신이 지정 수신자에게 발송한 지정 컨텐츠 또는 특정 멤버 또는 모든 멤버가 사용자에게 발송한 지정 컨텐츠를 용이하게 구분하거나 또는 확인하거나, [3] 특정 멤버에게 제공한 지정 컨텐츠에 대하여 상기 멤버의 회신 여부를 용이하게 확인하거나, [4] 특정 멤버가 사용자에게 발송한 지정 컨텐츠에 대하여 사용자가 회신을 했는지를 용이하게 구분하거나 또는 확인하거나, 또는 [5] 특정 멤버와 주고받은 컨텐츠를 용이하게 확인하여 상호간의 의견 또는 관계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상술의 열 번째 수단에 따라 본 명세서의 터미널을 구동하는 사용자는 [1] 특정 멤버가 발신하거나 수신한 비지정 컨텐츠나 지정 컨텐츠를 용이하게 구분하거나 또는 확인하거나, 또는 [2] 특정 멤버들이 교환한 컨텐츠를 용이하게 확인함으로써, 이들의 의견 또는 관계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상기 열한 번째 수단에 따라 본 명세서의 터미널을 구동하는 사용자는 특정 멤버가 발송하거나 수신한 비지정 컨텐츠 또는 지정 컨텐츠를 용이하게 구분하며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자신과 특정 멤버 사이의 또는 자신을 제외한 특정 멤버들 사이의 컨텐츠 교환을 용이하게 확인함으로써 자신과 특정 멤버 또는 타멤버들 사이의 의견 또는 관계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상술의 열두 번째 수단에 따라 본 명세서의 터미널을 구동하는 사용자는 지정 아이콘 뱃지를 이용하여 미확인 컨텐츠에 포함된 지정 컨텐츠의 내용이 무엇인지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일예로 사용자는 지정 컨텐츠가 문자인지, 파일인지, 이미지인지 또는 음성인지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상술의 열세 번째 수단에 따라 본 명세서의 터미널을 구동하는 발신자가 지정 수신자에게 보내는 컨텐츠를 나머지 멤버가 알 수 없게 할 수 있다. 따라서 발신자는 특정 그룹 내에서도 지정 수신자만 컨텐츠를 교환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열네 번째 수단에 의하여 본 명세서의 터미널을 구동하는 사용자는 터미널을 이용하여 상기 터미널 이외의 기기와 컨텐츠를 교환하며 상기 기기들 또는 상기 유닛들을 조작할 수 있다. 특히 사용자는 자기 터미널을 상기 기기 또는 유닛에 유선, 무선으로 연결하여 상기 기기나 유닛을 직접 조작하거나, 또는 자신의 터미널을 리모트 컨트롤러로 사용하며 상기 기기나 유닛을 원격으로 조작할 수도 있다.
상술의 열다섯 번째 수단에 따라 본 명세서의 터미널은 사용자가 더 간단히 또는 더 적은 수효의 사용자 입력을 가하더라도 특정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일예로 기존 휴대용 데이터 처리 기기를 사용하는 사용자가 미확인 컨텐츠에 포함되어 있는 미확인 지정 컨텐츠 수효를 확인하려면 최소 두 개의 사용자 입력을 가하여야 한다. 즉 사용자는 첫 번째 사용자 입력을 가하여 오프 상태의 기기를 잠금 상태나 해제 상태로 이동시키고, 미확인 컨텐츠의 수효를 나타내는 미확인 아이콘 뱃지가 부착된 특정 앱의 U/I에 두 번째 사용자 입력을 가하여 그룹 창을 띄우고, 미확인 컨텐츠의 수효를 나타내는 미확인 아이콘 뱃지가 부착된 다수의 그룹의 U/I 중 하나에 세 번째 입력을 가하여 상기 그룹의 컨텐츠 창을 열어야만 미확인 컨텐츠에 포함된 미확인 지정 컨텐츠가 포함되어 있는 지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상기 컨텐츠 창을 열기 전까지는 미확인 컨텐츠에 지정 컨텐츠가 포함되어 있는 지 알 수 있는 방법이 없다는 불편함이 있다. 또한 특정 컨텐츠 창을 열어서 미확인 지정 컨텐츠가 있음을 확인하더라도, 상기 미확인 지정 컨텐츠가 몇 개인지 확인하기 위해서는 사용자는 이를 하나씩 세어야 한다.
하지만 본 명세서의 데이터 처리 터미널을 사용하는 사용자는 상기 첫 번째 사용자 입력만 가함으로써, 또는 첫 번째 및 두 번째 사용자 입력을 가함으로써, 미확인 컨텐츠에 포함되어 있는 미확인 지정 컨텐츠 수효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즉 본 명세서의 미확인 지정 아이콘 뱃지가 부착된 앱 아이콘이라는 U/I는 기존의 데이터 처리 기기의 U/I인 앱 아이콘의 상기 문제점을 간단히 해결할 수 있다. 일예로 상기 터미널이 잠금 상태의 잠금 화면에서 앱 아이콘과 이와 관련된 지정 아이콘 뱃지를 표시하는 경우, 상기 터미널을 사용하는 사용자는 위 문단의 첫 번째 사용자 입력만 제공하여도 특정 앱이 수신한 미확인 지정 컨텐츠의 수효를 알 수 있다. 또한 위 문단의 첫 번째 사용자 입력을 제공한 후 상기 터미널이 해제 상태에서 홈 화면을 표시하는 경우, 사용자는 특정 앱이 수신한 미확인 지정 컨텐츠의 수효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사용자가 위 문단의 첫 번째 사용자 입력을 제공하고 화면에 표시된 다수의 앱 중 특정 앱을 선택한 후, 위 문단의 두 번째 사용자 입력을 제공하여 상기 앱의 그룹 창을 열게 되면, 사용자는 상기 앱의 다수의 그룹 각각에 도착한 미확인 지정 컨텐츠의 수효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기존의 데이터 처리 기기에서 앱 아이콘이라는 U/I를 사용하는 사용자에 비하여, 본 명세서의 터미널과 같이 미확인 지정 아이콘 뱃지가 부착된 측면에서 향상된 앱 아이콘이라는 새로운 U/I를 사용하는 사용자는 더 간단히, 더 적은 수효의 스텝만을 수행하더라도, 또는 더 적은 수효의 사용자 입력만을 제공하더라도, 동일한 또는 더욱 향상된 결과를 얻을 수 있다.
상술의 열여섯 번째 수단에 따라 본 명세서의 터미널의 사용자는 기존 데이터 처리 기기에 비해 상기 터미널을 이용하여 미확인 지정 컨텐츠의 유무 또는 수효를 더 간단히, 더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또는 본 명세서의 터미널의 사용자는 기존 휴대용 통신 기기가 실행할 수 없었던 미확인 지정 컨텐츠의 수효를 확인하는 작업을 실행할 수 있다. 또는 본 명세서의 터미널의 사용자는 기존 휴대용 통신 기기에 비하여 상기 터미널을 이용하여 더 적은 수효의 스텝을 실행하거나 더 적은 수효의 사용자 입력을 제공하고서도 미확인 지정 컨텐츠를 확인하는 등의 더 향상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2. 정의
본 명세서에서 사용하는 다양한 단어 또는 문구는 아래를 의미하는 것으로 한다.
본 명세서에서 "데이터 처리 터미널" 또는 간략히 "터미널"은 유선 또는 무선(즉 유무선)으로 데이터(일예로 다양한 컨텐츠나 상기 컨텐츠를 포함한 데이터 패킷 등)를 송신 또는 수신하며, 상기 데이터를 처리 또는 저장할 수 있는 전자 기기 또는 전기 기기를 통칭한다. 상기 터미널은 모바일(또는 휴대용) 형태로 제작되거나, 비휴대용 형태로 제작될 수 있다.
"터미널"은 "휴대용 데이터 처리 터미널"일 수 있고, 상기 터미널의 예로는 [1] 스마트폰, [2] 모바일폰, [3] 모바일 패드, [4] 웹패드, [5] 휴대 정보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등이 있다. 또한 "터미널"은 기타 데이터 처리 터미널일 수 있으며, 상기 "터미널"의 예로는 [1] 유무선 전화, [2] 유무선 인터폰, [3] 기타 유무선 데이터 처리 기기, [4] 유무선 컴퓨터, [5] 유무선 통신 기기 등이 있다.
"터미널"은 다양한 전자 기기 또는 전기 기기일 수 있다. 이같은 "터미널"의 예로는 [1] 이륜, 삼륜, 사륜 또는 그 이상의 바퀴를 가진 개인용, 상업적, 또는 군사용 운송 수단에 포함되거나 장착된 유무선 제어 유닛 또는 데이터 처리 유닛, [2] 비행기, 헬리콥터 등의 개인용, 상업적, 또는 군사용 항공 운송 수단에 포함되거나 장착된 유무선 제어 유닛 또는 데이터 처리 유닛, [3] 요트, 선박, 잠수정 등의 개인용, 상업적, 또는 군사용 해상 운송 수단에 포함되거나 장착된 유무선 제어 유닛 또는 데이터 처리 유닛, [4] 집, 건물 등의 개인용, 상업적, 또는 군사용 공간 건축물에 설치되거나 장착된 유무선 제어 유닛 또는 데이터 처리 유닛 등이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본 문단의 [1] 내지 [3]의 다양한 운송 수단들을 "차량"으로 통칭하기로 한다.
"터미널"은 상이한 전자 기기나 전기 기기일 수 있다. 이러한 "터미널"의 예로는 [1] 로봇 또는 드론에 포함되거나 장착된 유무선 제어 유닛, 데이터 처리 유닛이나 통신 유닛, [2] 사물인터넷 망 자체의 유무선 제어 유닛, 데이터 처리 유닛 또는 통신 유닛, 또는 [3] 사물인터넷 망에 연결된 전자 기기 또는 전기 기기의 유무선 제어 유닛, 데이터 처리 유닛 또는 통신 유닛 등이 있다. 상술의 유무선 제어 유닛, 유무선 데이터 처리 유닛 또는 유무선 통신 유닛을 본 명세서에서는 "유닛"으로 통칭하기로 한다.
본 명세서의 "터미널이 특정 작업을 실행"한다는 표현은 일반적으로 [1] 터미널에 장착된 다양한 하드웨어 요소 또는 소프트웨어 요소가 특정 작업을 실행하거나, [2] 터미널의 소프트웨어 요소 중 하나인 운영체계(즉 O/S)가 특정 작업을 실행하거나, 또는 [3] 터미널에 장착되었고 상기 소프트웨어 요소 중 하나인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즉 "앱"으로 약칭)이 특정 작업을 실행하는 경우 등을 통칭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 "터미널 또는 앱이 특정 작업을 실행"한다는 표현은 터미널의 하드웨어 요소, 운영체계, 앱 또는 기타 소프트웨어 요소가 상기 작업을 실행함을 의미한다. 터미널 제조사는 터미널을 제조 도중 또는 제조 후 상기 "앱"을 터미널에 장착하거나, 터미널 배급사는 터미널을 판매하며 상기 "앱"을 터미널에 장착하거나, 또는 사용자는 터미널을 구입한 후 상기 "앱"을 터미널에 장착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터미널은 다양한 "컨텐츠"를 다양한 "데이터 패킷"의 형태로 인터넷 또는 네트워크를 통하여 발송 또는 수신할 수 있다. 기존의 "데이터 패킷"은 상기 패킷에 포함되는 컨텐츠의 종류 또는 인터넷 프로토콜에 따라 다양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데이터 패킷"은 "헤더(header)," "컨텐츠(contents)" 및 "테일(tail)"을 포함하는 것으로 하며, 경우에 따라 헤더나 테일 중 하나만 포함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헤더"는 데이터 패킷에 대한 개략적 정보, 서비스, 기타 송수신과 관련된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으며, "테일" 역시 상기 패킷의 송수신과 관련된 데이터, 또는 상기 컨텐츠의 종류, 특성 및 상기 컨텐츠의 처리 등과 관련된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컨텐츠"란 문자, 숫자, 기호 등으로 이루어진 문장, 문서 등의 텍스트를 지칭한다. "컨텐츠"는 점, 선 등의 도형이나 기하학적 물체를 포함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이미지나 소리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컨텐츠"는 상기 텍스트, 도형, 물체, 이미지 또는 소리 외에도 파일을 첨부할 수 있다. 또한 "컨텐츠"는 상술의 텍스트 없이 도형, 물체, 이미지 또는 소리만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비지정 데이터 패킷"이란 발신자가 특정한 수신자를 지정하지 않은 채 발송하는 컨텐츠를 포함한 데이터 패킷을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서 "비지정 데이터 패킷"은 기존의 "데이터 패킷"과 동일한 것으로 한다. 따라서 "비지정 데이터 패킷" 역시 헤더, 컨텐츠 및 테일을 포함하며, 경우에 따라 헤더나 테일 중 하나만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의 "비지정 데이터 패킷"에 포함된 컨텐츠는 "비지정 컨텐츠," 즉 발신자가 특정한 수신자를 지정하지 않은 채 발송하는 컨텐츠라 지칭한다. 따라서 발신자는 일반적으로 상기 비지정 데이터 패킷 또는 비지정 컨텐츠를 자신이 속한 그룹의 전체(또는 다수의) 멤버들에게 발송한다.
본 명세서에서 "지정 데이터 패킷"은 특정 수신자가 확인하기를 바라거나 요청하며 발신자가 발송하는 컨텐츠를 포함하는 데이터 패킷, 즉 발신자가 특정 수신자를 지정하여 발송하는 컨텐츠를 포함한 데이터 패킷을 지칭한다. 상기 "지정 데이터 패킷"은 헤더, 컨텐츠 및 테일 외에도 "지정 신호"를 포함하며, 경우에 따라 헤더나 테일 중 하나만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명세서의 "지정 데이터 패킷"에 포함된 컨텐츠는 "지정 컨텐츠," 즉 발신자가 특정한 수신자를 "지정 수신자"로 지정한 컨텐츠라 지칭한다.
따라서 발신자는 일반적으로 자신이 속한 그룹의 하나 이상의 멤버를 지정 수신자로 지정하고 지정 수신자에게 지정 데이터 패킷 또는 지정 컨텐츠를 발송하며, 지정 컨텐츠를 상기 지정 수신자는 물론 상기 그룹의 모든(또는 전부는 아니지만 다수의) 멤버에게 발송한다. 이와는 달리 터미널, 앱 또는 서버의 구성 또는 네트워크의 특성 등에 따라 발신자는 상기 지정 데이터 패킷 또는 지정 컨텐츠를 상기 그룹의 지정 수신자에게만 발송하는 한편, 상기 그룹의 나머지 멤버들에게는 발송하지 않을 수 있다.
단 본 명세서의 "비지정 데이터 패킷"에 포함된 컨텐츠(즉 "비지정 컨텐츠")의 구성 또는 형태는 일반적으로 "지장 데이터 패킷"에 포함된 컨텐츠(즉 "지정 컨텐츠")의 구성 또는 형태 등과 동일하거나 유사할 수 있다. 단 상기 컨텐츠가 "비지정 데이터 패킷"에 포함되면 이를 "비지정 컨텐츠"라 지칭하는 반면, 동일 또는 유사한 컨텐츠가 "지정 데이터 패킷"에 포함되면 상기 컨텐츠는 "지정 컨텐츠"로 지칭하기로 한다.
터미널은 상기 "지정 신호"를 지정 데이터 패킷의 헤더, 컨텐츠 또는 테일에 포함시킬 수 있다. 또는 터미널은 상기 "지정 신호"를 컨텐츠를 포함하는 데이터 패킷에 포함시키지 않을 수 있다. 이 경우 터미널은 상기 데이터 패킷 및 "지정 신호"를 각각 별도로 송신하거나 수신할 수 있으며, 이 때 터미널은 상기 "지정 신호"를 신호 자체로 송수신하거나, 상기 "지정 신호"를 별도의 데이터 패킷에 포함시켜 송수신할 수 있다. 즉 터미널은 기존 데이터 패킷과 상이한 형태를 가진 "지정 데이터 패킷"을 사용할 수도 있고, 이 경우 "지정 데이터 패킷"은 상술과 하술의 다양한 형태로 지정 신호나 지정 컨텐츠를 포함할 수 있다. 또는 터미널은 다양한 방법으로 지정 신호 또는 지정 컨텐츠를 수신자 터미널에 송신하거나 또는 이에 대한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다양한 터미널을 구동하는 사용자는 터미널에 장착된 특정 앱을 이용하여 단일 또는 다수의 다른 사용자와 컨텐츠를 교환하기 위하여 다수의 멤버로 구성된 특정 그룹을 결성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일반) 설정" 또는 간략히 "설정"이란 그룹의 발신자가 상기 그룹의 나머지 멤버를 컨텐츠 발송의 대상(즉 "일반 수신자")으로 선정하는 작업을 지칭한다. 따라서 발신자가 특정 그룹의 모든 멤버를 대상으로 상기 컨텐츠(즉 "비지정 데이터 패킷"에 포함된 "비지정 컨텐츠")를 발송하면, 모든 멤버는 컨텐츠를 동일한 형태의 데이터 패킷으로 수신하고, 컨텐츠를 동일한 형태로 영상 유닛에 표시할 수 있다.
수신자 터미널이 발신자가 발송한 컨텐츠를 수신하면, 수신자 터미널은 상기 앱의 컨텐츠 창에 발신자가 발송한 컨텐츠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발신자의 터미널은 편의상 발신자가 발송한 컨텐츠를 상기 컨텐츠 창에 표시하거나 또는 표시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상반된 설명이 없는 한, 본 명세서의 터미널 또는 상기 터미널에 장착된 앱은 특정 그룹의 발신자가 컨텐츠를 발송하면, 상기 컨텐츠를 발신자 터미널의 컨텐츠 창에도 표시하는 것으로 한다. 단 발신자 터미널은 상기 컨텐츠를 상이한 형태로 표시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발신자는 상기 컨텐츠가 자신이 발송한 컨텐츠임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반면 본 명세서에서 "지정"이란 발신자가 특정 앱의 특정 그룹에서 자신이 발송하는 컨텐츠를 확인하도록 특별히 요청하는 단일 또는 다수의 멤버(즉 "지정 수신자")를 지정하며 선택하는 작업을 지칭한다. 발신자(또는 터미널)는 하술의 다양한 방법을 통하여 "지정 신호"를 생성하며, 터미널은 상기 신호를 포함하는 "지정 데이터 패킷"을 생성한다. 발신자가 특정 그룹의 지정 수신자를 선택하고, 지정 컨텐츠를 포함하는 지정 데이터 패킷을 발송하면, 상기 그룹의 지정 수신자는 물론 나머지 멤버는 지정 컨텐츠를 수신할 수 있다. 그 후 지정 수신자를 제외한 나머지 멤버의 터미널은 수신한 지정 컨텐츠를 영상 유닛에 상기 비지정 컨텐츠의 형태로 표시하지만, 지정 수신자의 터미널은 수신한 지정 컨텐츠를 영상 유닛에 비지정 컨텐츠와는 상이한 형태로 표시할 수 있다. 그 결과 지정 수신자는 발신자가 지정 수신자로 하여금 지정 컨텐츠를 확인하도록 요청함을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다.
발신자의 터미널은 컨텐츠와 지정 신호를 다양한 형태로 발송할 수 있다. 일예로 터미널은 [1] 컨텐츠와 지정 신호를 지정 데이터 패킷에 포함시킨 후 상기 패킷을 발송하거나, [2] 컨텐츠를 포함한 비지정 데이터 패킷과 지장 신호를 따로 발송하되, 상기 지정 신호를 상기 비지정 데이터 패킷에 연동할 수 있는 정보를 비지정 데이터 패킷에 포함시키거나, 또는 [3] 컨텐츠를 포함한 비지정 데이터 패킷과 지정 신호를 따로 발송하되, 지정 신호를 비지정 데이터 패킷에 연동시킬 수 있는 정보는 서버에 저장할 수 있다. 수신자의 터미널도 지정 신호를 다양한 형태로 수신할 수 있다. 일예로 터미널은 [1] 지정 데이터 패킷을 수신한 후, 상기 패킷에 포함된 컨텐츠 및 지정 신호를 추출하거나, 또는 [2] 지정 신호를 수신한 후, 지정 신호에 해당하는 비지정 데이터 패킷을 확인한 후 이로부터 지정 컨텐츠를 추출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푸시 정보"는 서버나 인터넷 퍼블리셔 등의 다양한 발신자가 인터넷, 네트워크 등을 통하여 수신자에게 발송하는 다양한 컨텐츠, 데이터 패킷, 지정 신호 등을 통칭한다. 따라서 "푸시 정보"는 사용자의 요구에 의하여 시작되고 풀/겟(pull/get) 형태로 전달되는 정보와는 반대로 간주할 수 있다. 푸시 정보는 다양한 데이터 패킷 또는 컨텐츠를 의미하며, 따라서 푸시 정보의 예로는 [1] "비지정 데이터 패킷," [2] "지정 데이터 패킷," [3] "지정 컨텐츠" 또는 [4] "비지정 컨텐츠" 등이 있고, 각 컨텐츠는 위에서 정의한 컨텐츠와 동일하다. 발신자 터미널이 지정 신호를 데이터 패킷과는 별도로 발송하는 경우, 상기 지정 신호도 푸시 정보로 간주할 수 있다.
더욱 자세히 설명하자면, 다양한 발신자가 상기 푸시 정보를 발송할 수 있다. 일예로 특정 앱의 특정 그룹의 다수의 멤버 사이의 컨텐츠 교환이 가능한 경우, 상기 그룹의 멤버인 사용자가 발신자일 수 있다. 이 때 터미널이나 앱은 상기 컨텐츠를 사용자로부터 수신한 후, 상기 컨텐츠를 상기 그룹에 설정된 나머지 멤버에게 푸시 정보의 형태로 발송할 수 있다. 이 때 터미널이나 앱은 상기 사용자에게도 컨텐츠를 발송할 수 있다. 반면 사용자가 아닐 수도 있는, 상기 그룹의 다른 멤버가 상기 푸시 정보의 발신자일 수 있다. 이 때 터미널 또는 앱은 상기 컨텐츠를 상기 멤버로부터 수신하고, 그 후 모든 멤버에게 상기 컨텐츠를 푸시 정보의 형태로 발송할 수 있으며, 상기 모든 멤버에는 사용자가 포함될 수도 있다.
특정 앱의 목적이 다수의 멤버 사이의 컨텐츠 교환이 아닌 경우, 터미널 또는 앱은 자신이 생성하였거나 또는 외부의 소스로부터 제공받은 컨텐츠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푸시 정보의 제공자는 터미널 또는 앱일 수 있다. 또는 상술의 다양한 전자 기기 또는 다양한 전기 기기가 생성한 컨텐츠를 상기 기기가 수신자의 터미널에 직접 발송하는 경우에는, 상기 기기가 푸시 정보의 제공자일 수 있다. 하지만 상기 기기가 컨텐츠를 생성한 후 이를 서버로 발송하고, 상기 서버가 컨텐츠를 수신자 터미널로 발송하는 경우, 상기 전자 기기 또는 전기 기기를 푸시 정보의 제공자로 간주할 수 있거나 이와는 달리 상기 서버를 푸시 정보의 제공자로 간주할 수도 있다.
이처럼 푸시 정보는 상이한 제공자에 의하여 발송될 수 있다. 일예로 서버나 인터넷 퍼블리셔가 자체적으로 사용자의 명령 없이 푸시 정보를 발송할 수 있다. 터미널 역시 사용자의 명령 없이 자체적으로 푸시 정보를 발송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차량, 비행기, 건물, 드론 또는 로봇의 제어 유닛이나 데이터 처리 유닛이 사용자의 명령 없이 자체적으로 푸시 정보를 발송할 수 있다. 또는 사물인터넷 망에 속한 다양한 전기 기기의 제어 유닛, 데이터 처리 유닛 또는 통신 유닛이 사용자의 명령 없이 또는 사물인터넷 망 또는 망 관리자의 명령 없이 자체적으로 정보를 생성하고 이를 푸시 정보의 형태로 수신자의 터미널에 발송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푸시 통지(push notification)"란 특정 앱의 특정 그룹의 수신자가 수신한 다양한 "푸시 정보"의 "수효" 또는 "내용"을 나타내거나 표시하는 숫자, 문자, 기호, 텍스트, 이미지 또는 소리 등의 정보를 지칭한다.
상술과 같이 터미널, 서버, 앱 등과 같은 다양한 제공자가 다양한 방법으로 푸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의 첫 번째 상세예는 제공자가 푸시 정보를 제공하면, 수신자의 터미널 또는 앱은 사용자에게 상기 푸시 정보를 푸시 통지의 형태로 알릴 수 있으며, 특히 미확인 아이콘 뱃지 또는 (미확인) 지정 아이콘 뱃지의 형태로 알릴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영상 유닛을 켜면, 터미널은 앱 아이콘을 표시하며, 이와 함께 미확인 아이콘 뱃지나 지정 아이콘 뱃지를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가 앱 아이콘에 추가 사용자 입력을 제공하면, 터미널은 그룹 창을 표시하며, 사용자는 상기 그룹 창에 표시된 각각의 그룹에 수신된 미확인 컨텐츠의 수효를 알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상세예의 경우, 사용자는 영상 유닛을 켜기 전까지는 자신이 읽거나 확인해야 할 푸시 정보의 도착 여부를 알 수 없다.
이의 두 번째 상세예의 경우, 제공자가 푸시 정보를 제공하면, 수신자 터미널 또는 앱은 사용자에게 상기 푸시 정보를 위 문단의 포시 통지를 통하여 알리되, 이를 해제 상태는 물론 잠금 상태(즉 영상 유닛이 켜져 있지만 사용자가 인증에 성공하지 못하였거나 또는 정확한 암호를 입력하지 않은 상태)나 오프 상태(즉 영상 유닛이 꺼져 있는 상태)에서도 표시할 수 있다. 특히 터미널 또는 앱은 상기 미확인 아이콘 뱃지나 (미확인) 지정 아이콘 뱃지를 잠금 상테에서 표시하거나, 또는 (일상적 데이터의 표시를 제외한) 오프 상태에서 표시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오프 상태나 잠금 상태에서도 용이하게 미확인 비지정 컨텐츠 또는 미확인 지정 컨텐츠의 수신을 알 수 있다.
상술의 일상적 데이터는 다양한 정보를 통칭하며, 일상적 데이터의 예로는 날짜, 시간. 시계, 스톱워치, 배터리 잔량, 온도, 날씨, 무선 통신 접속, 얼람 유무, 신규 메일 또는 메시지 도착의 알림, 착신 전화 또는 임박한 일정의 공지 등이 있다. 터미널이 상술의 일상적 데이터 또는 다른 정보를 영상 유닛에 표시할 경우, 본 명세서에서는 영상 유닛의 픽셀 중 전체의 80% 이상이 꺼져 있는 경우, 상기 영상 유닛은 꺼져 있는, 즉 오프 상태인 것으로 간주한다.
터미널은 상술의 푸시 통지를 제공하며, 이와 함께 시각적, 청각적 또는 촉각적 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바꾸어 말하면, 터미널은 위의 세 개의 문단에서 설명한 다양한 푸시 통지를 제공하며, 시각적, 청각적이나 촉각적 신호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에게 미확인 컨텐츠의 수신을 알릴 수 있다. 일예로 터미널은 미확인 컨텐츠를 수신함에 따라 영상 유닛이나 기타 출력 유닛을 켜거나, 소리를 내거나 또는 진동을 발생할 수 있다. 또한 터미널은 상술의 신호를 사용자에게 푸시 통지를 제공하기 전, 제공하는 중 또는 제공 후 상기 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푸시 통지는 일반적으로 목적에 따라 상이해질 수 있다. 따라서 푸시 통지의 상세 사항은 상기 통지의 목적은 물론 각각의 앱의 특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아래에서는 상이한 앱에 대한 푸시 통지의 상세 사항에 대한 예시이다. 단 아래에서는 총 열 개의 상이한 앱에 대한 푸시 통지를 예시하였지만, 아래의 예시는 다른 앱에도 적용될 수 있고, 바람직한 경우 상기 푸시 통지와 함께 상술의 시각적, 청각적 또는 촉각적 신호를 제공할 수도 있다.
일예로 "유무선 전화 송수신 앱"의 경우, "푸시 통지"의 예로는 [1] 사용자가 응답하지 못한 착신 호출의 수효, [2] 본 문단의 [1]의 호출의 호출자, 호출자 전화 번호 또는 호출 시간 등의 정보, [3] 사용자가 특정 기간 중(또는 특정 시간 이후) 응답한 착신 호출의 수효, [4] 본 문단의 [3]의 호출의 호출자, 호출자 전화 번호나 호출 시간 등의 정보, [5] 본 문단의 [1] 및 [2]의 사용자에게 남겨진 음성이나 문자 메시지의 수효, [6] 본 문단의 [5]의 메시지의 호출자, 호출자 전화 번호나 메시지가 녹음된 시간 등의 정보, 또는 [7] 유무선 전화 기기의 작동 상태 또는 오류 상태 등의 정보 등이 있다. 또는 푸시 통지는 [8] 본 문단의 [1] 내지 [7]의 정보 또는 이에 대한 컨텐츠 중 수신자가 아직 확인하지 못한 미확인 정보 또는 미확인 컨텐츠에 국한되거나, 또는 [9] 본 문단의 [1] 내지 [7]의 정보나 이에 대한 컨텐츠 중 특정 시간 이후 수신한 모든 미확인 정보나 미확인 컨텐츠 및 확인 정보 또는 확인 컨텐츠에 관한 것일 수 있다.
다른 예로 "SNS 앱"의 경우, "푸시 통지"의 예로는 [1] 문자, 기호 또는 텍스트 등으로 구성된 메시지의 수효, [2] 본 문단의 [1]의 메시지의 발신자 정보나 또는 수신 시간 등의 정보, [3] 수신된 이미지 파일 수효, [4] 본 문단의 [3]의 이미지 파일의 크기, 이미지 파일의 발신자 또는 수신 시간 등의 정보, [5] 수신된 음성 파일의 수효, [6] 본 문단의 [5]의 음성 파일의 발신자 정보나 수신 시간 등의 정보, [7] 사용자가 응답하지 못한 SNS 컨텐츠 수효, 또는 [8] 본 문단의 [7]의 컨텐츠의 발신자 정보, 수신 시간 등과 관련된 정보 등이 있다. 또는 푸시 통지는 [9] 본 문단의 [1] 내지 [8]의 정보(또는 이와 관련된 컨텐츠) 중 수신자가 아직 확인하지 못한 미확인 정보(또는 이와 관련된 컨텐츠) 등에 국한되거나, 또는 [10] 본 문단의 [1] 내지 [8]의 정보(또는 컨텐츠) 중 특정 시간 이후 수신한 모든 미확인 및 확인 정보(또는 이와 관련된 컨텐츠)에 관한 것일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그룹웨어 소프트웨어 앱"의 경우, "푸시 통지"의 예로는 [1] 문자, 기호 또는 텍스트 등을 포함하는 메시지 수효, [2] 본 문단의 [1]의 메시지의 발신자 정보 또는 수신 시간 등의 정보, [3] 수신된 이미지 파일 수효, [4] 본 문단의 [3]의 이미지 파일의 크기, 발신자 정보 또는 수신 시간 등의 정보, [5] 수신된 음성 파일의 수효, [6] 본 문단의 [5]의 음성 파일의 발신자 정보나 수신 시간 등의 정보, [7] 사용자가 응답하지 못한 그룹웨어 메시지의 수효, [8] 본 문단의 [7]의 메시지의 발신자 정보 또는 수신 시간 등의 정보, [9] 특정 그룹의 관리자가 공지한 메시지의 수효, 또는 [10] 본 문단의 [9]의 메시지의 수신 시간 등과 관련된 정보 등이 있다. 또는 푸시 통지는 [11] 본 문단의 [1] 내지 [10]의 정보(또는 이와 관련된 컨텐츠) 중 수신자가 아직 확인하지 못한 미확인 정보(또는 이와 관련된 컨텐츠)에만 국한되거나, 또는 [12] 본 문단의 [1] 내지 [10]의 정보(또는 이와 관련된 컨텐츠) 중 특정 시간 이후 수신한 모든 미확인 및 확인 정보(또는 이와 관련된 컨텐츠)에 관한 것일 수도 있다.
또 다른 예로 "메신저 앱"의 경우, "푸시 통지"의 예로는 [1] 문자, 기호, 텍스트 등으로 구성된 메시지의 수효, [2] 본 문단의 [1]의 메시지의 발신자 정보 또는 수신 시간 등의 정보, [3] 수신된 이미지 파일의 수효, [4] 본 문단의 [3]의 파일의 크기, 발신자 정보나 수신 시간 등의 정보, [5] 수신된 음성 파일의 수효, 또는 [6] 본 문단의 [5]의 파일의 발신자 정보 또는 수신 시간 등의 정보 등이 있다. 또는 푸시 통지는 [7] 본 문단의 [1] 내지 [6]의 정보(또는 이와 관련된 컨텐츠) 중 수신자가 확인하지 못한 미확인 정보(또는 이와 관련된 컨텐츠)에만 국한되거나, 또는 [8] 본 문단의 [1] 내지 [6]의 정보(또는 이와 관련된 컨텐츠) 중 특정 시간 이후 수신한 모든 미확인 및 확인 정보에 관한 것일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이메일 앱"의 경우, "푸시 통지"의 예로는 [1] 문자, 기호 또는 텍스트 등을 포함하는 이메일의 수효, [2] 본 문단의 [1]의 이메일의 발신자 정보 또는 수신 시간 등의 정보, [3] 수신된 이미지 파일의 수효, [4] 본 문단의 [3]의 이미지 파일의 크기, 발신자 정보 또는 수신 시간 등의 정보, [5] 수신된 음성 파일의 수효, [6] 본 문단의 [5]의 파일의 발신자 정보나 수신 시간 등의 정보, [7] 파일이 첨부된(또는 첨부 파일이 없는) 이메일의 수효, 또는 [8] 본 문단의 [7]의 이메일의 발신자 정보나 수신 시간 등과 관련된 정보 등이 있다. 또는 상기 푸시 통지는 [9] 본 문단의 [1] 내지 [8]의 정보(또는 이와 관련된 컨텐츠) 중 수신자가 확인을 못한 미확인 정보(또는 이와 관련된 컨텐츠)에만 국한되거나, 또는 [10] 본 문단의 [1] 내지 [8]의 정보(또는 이와 관련된 컨텐츠) 중 특정 시간 이후 수신한 모든 미확인 및 확인 정보(또는 이와 관련된 컨텐츠)에 관한 것일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일정 관리 앱"의 경우, "푸시 통지"의 예로는 [1] 임박한 일정의 수효, [2] 본 문단의 [1]의 일정의 시간, 장소 또는 참석자 등의 정보, [3] 확정된 일정의 수효, [4] 본 문단의 [3]의 일정의 시간, 장소나 참석자 등의 정보, [5] 일정은 확정되었지만 사용자가 참석하지 못한 일정의 수효, [6] 본 문단의 [5]의 일정의 시간, 장소나 안건 등의 정보, [7] 상기 일정 중 사용자가 특별히 담당한 과업이 있는 일정의 수효, 또는 [8] 본 문단의 [7]의 일정의 시간 또는 장소 등과 관련된 정보 등이 있다. 또는 상기 푸시 통지는 [9] 본 문단의 [1] 내지 [8]의 정보(또는 이와 관련된 컨텐츠) 중 수신자가 확인하지 못한 미확인 정보(또는 이와 관련된 컨텐츠)에 국한되거나, 또는 [10] 본 문단의 [1] 내지 [8]의 정보(또는 이와 관련된 컨텐츠) 중 특정 시간 이후 수신한 모든 미확인 및 확인 정보에 관한 것일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광고 표시 앱"의 경우, "푸시 통지"의 예로는 [1] 광고와 관련된 문자, 기호나 텍스트 등을 포함하는 메시지의 수효, [2] 광고와 관련된 이미지 파일의 수효, [3] 광고와 관련된 음성 파일의 수효, [4] 본 문단의 [1] 내지 [3]의 광고의 발신자 또는 수신 시간에 대한 정보, [5] 수신자가 미리 신청하였거나 또는 예약한 물건이나 서비스와 관련된 광고의 수효, [6] 본 문단의 [5]의 광고 발신자 또는 수신 시간에 대한 정보, [7] 특별 할인 또는 기타 혜택이 포함된 광고의 수효, [8] 본 문단의 [7]의 광고 발신자나 수신 시간에 대한 정보, [9] 수신자가 미리 입력한 자신의 선호도와 관련된 광고의 수효, [10] 본 문단의 [9]의 광고 발신자나 수신 시간 등의 정보, [11] 수신자의 현재 위치 또는 도착 예정 위치 등과 관련된 광고의 수효, 또는 [12] 본 문단의 [11]의 광고 발신자 또는 수신 시간에 대한 정보 등이 있다. 또는 푸시 통지는 [13] 본 문단의 [1] 내지 [12]의 정보(또는 이와 관련된 컨텐츠) 중 수신자가 확인하지 않은 미확인 정보(또는 이와 관련된 컨텐츠)에만 국한되거나, 또는 [14] 본 문단의 [1] 내지 [12]의 정보(또는 이와 관련된 컨텐츠) 중 특정 시간 이후 수신한 모든 미확인 및 확인 정보(또는 이와 관련된 컨텐츠)에 관한 것일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사건 공지 앱"의 경우, "푸시 통지"의 예로는 [1] 수신자가 미리 선정한 특정 사건 또는 이와 유사한 사건과 관련된 문자, 기호나 텍스트 등의 메시지, [2] 본 문단의 [1]의 사건과 관련된 이미지 파일이나 음성 파일의 수효, [3] 본 문단의 [1]과 [2]의 사건의 발생 위치나 발생 시간 등의 정보, [4] 특정 사건을 야기할 수 있는, 즉 경제적 또는 정치적으로 상기 사건의 원인이 될 수 있는 사건과 관련된 문자, 기호 또는 텍스트 등의 메시지의 수효, [5] 본 문단의 [4]의 사건과 관련된 이미지 파일, 음성 파일 등의 수효, 또는 [6] 본 문단의 [4]의 사건 발생 위치 또는 발생 시간 등과 관련된 정보 등이 있다. 일예로 상기 사건 관련 정보의 예는 [7] 수신자의 안전, 건강 등과 관련된 사건의 정보, [8] 수신자의 주식, 증권 또는 부동산 투자 등과 관련된 경제적 사건의 정보, 또는 [9] 수신자 또는 수신자의 가족이나 친구와 관련된 사건의 정보 등이 있다. 또는 푸시 통지는 [10] 본 문단의 [1] 내지 [9]의 정보(또는 이와 관련된 컨텐츠) 중 수신자가 확인하지 못한 미확인 정보(또는 이와 관련된 컨텐츠)에만 국한되거나, 또는 [11] 본 문단의 [1] 내지 [9]의 정보(또는 이와 관련된 컨텐츠) 중 특정 시간 이후 수신한 미확인 및 확인 정보(또는 이와 관련된 컨텐츠) 모두에 관한 것일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알림 앱"의 경우, "푸시 통지"의 예로는 [1] 특정 시간에 대한 정보, [2] 특정 시간에 도달할 때까지 남은 시간에 대한 정보, [3] 약속 시간에 도달할 때까지 남은 시간에 대한 정보, 또는 [4] 본 문단의 [1] 내지 [3]의 시간에 대한 장소, 안건 등에 대한 정보 등이 있다. 또는 상기 푸시 통지는 [5] 본 문단의 [1] 내지 [4]의 정보(또는 이와 관련된 컨텐츠) 중 수신자가 아직 확인하지 못한 미확인 정보(또는 이와 관련된 컨텐츠) 등에 국한되거나, 또는 [6] 본 문단의 [1] 내지 [4]의 정보(또는 이와 관련된 컨텐츠) 중 사용자가 특정 시간 이후 수신한 모든 미확인 및 확인 정보(또는 이와 관련된 컨텐츠)에 관한 것일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상기 다양한 전자 기기 또는 전기 기기에 대한 "관리 앱"의 경우, "푸시 통지"의 예로는 [1] 상기 기기가 사용자에게 요청하는 제어 또는 지시의 수효, [2] 본 문단의 [1]의 제어나 지시의 종류, [3] 사용자 제어 또는 지시에 따라 상기 기기가 수행한 작업의 진행 정도를 나타내는 숫자, [4] 사용자의 제어를 필요로 하는 상기 기기의 부품, 작업 등의 수효, [5] 상기 기기의 부품이나 작업 중 오작동 부품 또는 작업의 수효, [6] 상기 기기의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숫자, [7] 임박한 사용자의 제어 또는 지시의 수효, 또는 [8] 일정 기간 동안 또는 일정 시간 이후 실행한 작업의 수효 등과 관련된 정보 등이 있다. 또는 푸시 통지는 [9] 본 문단의 [1] 내지 [8]의 정보(또는 이와 관련된 컨텐츠) 중 수신자가 확인하지 못한 미확인 정보(또는 이와 관련된 컨텐츠)에 국한되거나, 또는 [10] 본 문단의 [1] 내지 [8]의 정보(또는 이와 관련된 컨텐츠) 중 특정 시간 이후 수신한 모든 미확인 또는 확인 정보(또는 이와 관련된 컨텐츠)에 관한 것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발신자, 수신자 및 사용자는 각자의 휴대용 데이터 처리 터미널을 사용하며, 상기 터미널에 장착된 특정 앱의 특정 그룹의 멤버이다. 본 명세서의 "발신자"는 상기 앱의 상기 그룹의 멤버 중 하나이며, 발신자는 본 명세서의 터미널의 사용자일 수 있다. 일반적으로 발신자는 상기 그룹의 모든 멤버를 수신자로 설정하고, 모든 멤버에게 [1] 비지정 데이터 패킷을 발송함으로써 비지정 컨텐츠를 발송하거나, 또는 [2] 지정 데이터 패킷을 발송함으로써 지정 수신자에게는 지정 컨텐츠를, 하지만 상기 그룹의 나머지 수신자에게는 비지정 컨텐츠를 발송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수신자" 역시 상기 앱의 상기 그룹의 멤버 중 하나이며, 수신자는 본 명세서의 터미널의 사용자일 수 있다. 수신자는 일반적으로 발신자가 전달하는 컨텐츠를 상기 그룹의 나머지 멤버와 함께 수신하는 자이다. 수신자는 수신하는 데이터 패킷 또는 컨텐츠의 성격에 따라 "비지정(또는 일반) 수신자" 또는 "지정 수신자"로 구분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비지정(또는 일반) 수신자"는 수신자 중 하나이다. 비지정 수신자는 발신자가 발송한 비지정 데이터 패킷을 수신할 수 있고, 따라서 비지정 컨텐츠를 수신할 수 있다. 즉 비지정 수신자는 발신자가 발송하는 비지정 데이터 패킷과 비지정 컨텐츠를 지정 수신자를 제외한 모든 멤버와 동일한 조건으로 수신할 수 있다. 따라서 상반된 설명이 없는 한, 특정 앱의 특정 그룹의 모든 "비지정 수신자"는 (지정 수신자를 제외하면) 상기 앱의 상기 그룹의 모든 "멤버"와 동일한 것으로 한다.
본 명세서에서 "지정 수신자"는 수신자 중 하나이다. 지정 수신자는 발신자가 발송한 지정 데이터 패킷을 수신할 수 있고, 따라서 지정 컨텐츠를 수신할 수 있다. 일예로 발신자가 지정 데이터 패킷을 발송하면, 상기 그룹의 나머지 멤버는 지정 신호를 포함하지 않는 비지정 데이터 패킷을 수신하지만, 지정 수신자는 지정 신호를 포함하는 지정 데이터 패킷을 수신할 수 있다. 따라서 상반된 설명이 없는 한, "수신자" 중 하나 이상의 수신자, 즉 상기 멤버 중 하나 이상의 멤버가 "지정 수신자"가 될 수 있다. 하지만 다른 예의 경우, 발신자가 지정 데이터 패킷을 발송하면, 상기 그룹의 모든 멤버의 터미널은 서버를 통하여 또는 사용자 터미널로부터 직접 지정 신호를 포함하는 지정 데이터 패킷을 수신할 수 있다. 지정 수신자의 터미널 또는 앱은 지정 데이터 패킷에서 상기 수신자를 지정 수신자로 지정한 지정 신호를 확인한 후, 상기 패킷에 포함된 컨텐츠를 상기 터미널의 영상 유닛에 지정 컨텐츠로 표시할 수 있다. 하지만 기타 멤버, 즉 비지정 수신자의 터미널 또는 앱은 상기 데이터 패킷으로부터 지정 신호를 확인하고 지정 신호가 비지정 수신자를 지정하지 않음을 확인함에 따라, 영상 유닛에 상기 컨텐츠를 비지정 컨텐츠로 표시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본 명세서는 발신자 또는 터미널이 단일의 지정 수신자를 선택한 경우의 다양한 구성과 작업 실행 순서를 설명한다. 하지만 본 명세서의 상기 다양한 구성과 작업 실행 순서는 발신자나 터미널이 다수의 지정 수신자를 선택하는 경우에도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는 지정 신호의 발송이나 수신 등에 대하여 위 문장의 두 가지 예 중 하나를 설명한다. 하지만 상기 두 가지 예에 대한 터미널 또는 앱의 구성은 상기 두 가지 예의 차이점을 제외하면 동일하거나 유사하므로, 서로 호환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자"는 상기 앱의 상기 그룹의 멤버 중 하나로서, 발신자 또는 수신자이다. 상반된 설명이 없는 이상, 사용자가 발신자로부터 컨텐츠를 수신하는 경우, 사용자는 "지정 수신자"이거나 또는 "비지정 수신자"이다. 즉 사용자가 수신자이면, 하술과 같이 사용자는 데이터 패킷 또는 지정 신호의 종류 또는 유무에 따라 지정 수신자 및 비지정 수신자 중 하나만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자가 컨텐츠를 특정 그룹의 "모든 멤버"에게 발송한다는 표현에서 "모든 멤버"는 사용자를 포함한 상기 그룹의 모든 멤버를 의미하는 것으로 한다. 그 결과 사용자 터미널의 컨텐츠 창에는 사용자 자신이 작성한 컨텐츠도 표시될 수 있다. 단 사용자 터미널은 다양한 방법을 통하여 사용자의 컨텐츠 창에 사용자가 생성한 컨텐츠를 표시할 수 있다. 이의 첫 번째 방법은 발신에 의한 표시이다. 즉 사용자가 컨텐츠를 생성한 후 이를 서버에 발송하거나 또는 수신자의 터미널에 직접 발송하면, 사용자 터미널은 방금 사용자가 발송한 컨텐츠를 직접 컨텐츠 창에 표시할 수 있다. 이 때 서버는 상기 컨텐츠를 사용자 터미널에 다시 송신할 수도 있지만, 이를 송신하지 않을 수도 있다. 이와는 상이한 두 번째 방법은 수신에 의한 표시이다. 즉 사용자가 컨텐츠를 생성한 후 이를 서버에 발송하면, 서버는 상기 컨텐츠를 사용자를 포함하는 상기 그룹의 멤버 모두에게 발송한다. 따라서 사용자 터미널은 상기 컨텐츠를 수신한 후, 이를 컨텐츠 창에 "일종의 수신 컨텐츠"로 표시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 사용자가 컨텐츠를 특정 그룹의 "모든 멤버"에게 발송한다는 표현은 사용자가 상기 컨텐츠를 자신을 포함한 상기 그룹의 모든 멤버들에게 상기 컨텐츠를 발송하되, 사용자의 터미널은 위 문단의 첫 번째 또는 두 번째 방법을 통하여 상기 컨텐츠를 컨텐츠 창에 표시할 수 있는 것으로 한다.
상반된 설명이 없는 이상, 본 명세서의 터미널이 수행하는 다양한 작업에 대한 설명은 "사용자"의 관점에서 서술하기로 한다. 단 사용자가 발신자일 수도 있고, 수신자일 수도 있으므로, 하술의 설명은 발신자 또는 수신자의 관점에서도 해석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특정 앱의 특정 그룹의 특정 수신자를 "지정 수신자"로 지정하는 지의 여부에 따라 "컨텐츠"의 종류를 구분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비지정 컨텐츠 (undesignated contents 또는 unlabeled contents)"란 발신자가 푸시 정보 형태로 상기 그룹의 모든 멤버를 "비지정 수신자"로 설정하여 발송하는 비지정 데이터 패킷에 포함된 컨텐츠이다. 비지정 데이터 패킷은 "지정 신호"를 포함하지 않으며, 컨텐츠, 헤더 또는 테일에 [1] 상기 그룹의 모든 멤버를 설정하는 단어, 글, 이미지, 소리 등을 포함하거나, 또는 [2] 특정 멤버를 지정하는 단어, 글, 이미지, 소리 등을 포함하지 않는 컨텐츠일 수 있다. 참고로 사용자가 지정 컨텐츠의 수신자가 아닐 경우, 상기 사용자는 [1] 발신자가 발송하는 비지정 컨텐츠의 비지정 수신자이거나, 또는 [2] 비지정 컨텐츠의 발신자이다. 즉 비지정 컨텐츠를 포함하는 비지정 데이터 패킷은 헤더, 컨텐츠 및 테일을 포함하되, [1] 헤더, 컨텐츠 또는 테일이 "지정 신호"를 포함하지 않거나, 또는 [2] 상기 데이터 패킷은 "지정 신호"를 포함하는 다른 데이터 패킷과 함께 제공되지 않는다.
바꾸어 말하자면, 사용자가 발신하는 "비지정 컨텐츠"는 [1] 데이터 패킷이 "지정 신호"를 포함하지 않으며, 사용자가 그룹의 모든 멤버를 수신자로 설정하며 제공하는 컨텐츠이거나, [2] 데이터 패킷이 "지정 신호"를 포함하지 않고, 사용자가 그룹의 모든 멤버를 수신자로 설정하지 않았더라도, 컨텐츠가 그룹의 모든 멤버를 의미하는 단어, 글, 이미지, 소리 등을 포함하는 컨텐츠이거나, 또는 [3] 데이터 패킷이 "지정 신호"를 포함하지 않고, 사용자가 그룹의 모든 멤버를 수신자로 설정하지 않았지만, 상기 컨텐츠가 특정 멤버를 지정하는 단어, 글, 이미지, 소리 등을 포함하지 않는 컨텐츠이다.
이에 반하여 사용자가 수신하는 "비지정 컨텐츠"는 데이터 패킷이 "지정 신호"를 포함하지 않고, [1] 발신자가 그룹의 모든 멤버를 수신자로 설정하며 제공하는 컨텐츠, [2] 발신자가 그룹의 모든 멤버를 수신자로 설정하지 않았지만, 컨텐츠가 상기 그룹의 모든 멤버를 의미하는 글, 이미지, 소리 등을 포함하는 컨텐츠, 또는 [3] 발신자가 그룹의 모든 멤버를 수신자로 설정하지는 않았지만, 컨텐츠가 특정 멤버를 지정하는 글, 이미지, 소리 등을 포함하지 않은 컨텐츠이다.
본 명세서에서 "지정 컨텐츠 (designated contents 또는 labeled contents)"란 발신자가 푸시 정보 형태로 특정 그룹의 모든 멤버를 "비지정 수신자"로 설정하는 동시에, 발신자가 "지정 신호"를 직접 생성함으로써 상기 그룹의 단일의 멤버나 다수의 멤버를 "지정 수신자"로 지정하여 발송하는 "지정 데이터 패킷"에 포함된 컨텐츠를 지칭한다. 따라서 지정 데이터 패킷은 컨텐츠, 헤더, 테일 및 "지정 신호"를 포함하되, 헤더나 테일 중 하나만 포함할 수도 있다. 지정 컨텐츠의 발신자는 [1] 직접 지정 수신자를 선택함으로써 지정 신호를 생성하거나, 또는 [2] 직접 지정 신호를 생성함으로써 "지정 수신자"를 선택할 수 있다.
이와는 달리 지정 컨텐츠의 발신자가 직접 지정 신호를 생성하지 않더라도, 터미널이 사전적으로 "지정 신호"를 생성할 수도 있다. 일예로 발신자가 상기 그룹의 모든 멤버를 수신자로 설정하여 상기 지정 컨텐츠를 발송할 때, 상기 컨텐츠를 발송하는 발신자는 직접 "지정 신호"를 생성하지는 않지만, 상기 컨텐츠가 [1] 상기 그룹의 특정 멤버의 이름, 명칭 또는 별명, 또는 [2] 상기 그룹의 특정 멤버를 의미하는 글, 이미지, 소리 등의 "지정 요청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터미널은 다양한 기존의 정보 분석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지정 요청 정보"의 포함 여부를 확인할 수 있고, 터미널이 상기 컨텐츠에 포함된 지정 요청 정보를 확인하면, 터미널은 "지정 신호"를 생성하고 이를 데이터 패킷에 포함시킨다. 이에 따라 터미널은 상기 데이터 패킷을 "지정 데이터 패킷"으로 생성할 수 있고, 상기 패킷에 포함된 컨텐츠는 "지정 컨텐츠"로 생성된다.
일단 지정 데이터 패킷이 생성되면, 발신자(또는 터미널)는 지정 수신자에게 지정 컨텐츠를 발송하며 지정 컨텐츠를 확인하도록 강조할 수 있고, 지정 수신자 역시 자신에게 지정된 지정 컨텐츠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참고로 사용자는 [1] 지정 컨텐츠의 발신자이거나, [2] 지정 컨텐츠의 "비지정 수신자"이고 "지정 수신자"가 아니거나, 또는 [3] 지정 컨텐츠의 "비지정 수신자"인 동시에 "지정 수신자"일 수 있다. 하지만 하술의 설명과 같이 데이터 패킷이나 지정 신호의 종류에 따라, 사용자는 "지정 수신자"이지만 "비지정 수신자"가 아닐 수 있다.
바꾸어 말하면, 사용자가 발신하는 "지정 컨텐츠"는 [1] 특정 그룹의 모든 멤버를 "비지정 수신자"로 설정하며, 특정 멤버를 "지정 수신자"로 지정하며 제공하는 컨텐츠이거나, [2] 상기 그룹의 특정 멤버를 "지정 수신자"로 지정하지 않은 채, 모든 멤버를 "비지정 수신자"로 설정하여 제공하되, "지정 요청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컨텐츠이거나, 또는 [3] 상기 그룹의 특정 멤버를 "지정 수신자"로 지정하지 않은 채 컨텐츠를 제공하되, 모든 멤버를 비지정 수신자로 설정하는 문자, 단어, 텍스트, 이미지, 소리 등을 포함하지 않은 컨텐츠 등일 수 있다.
이에 반하여, 사용자가 수신하는 "지정 컨텐츠"는 [1] 발신자가 모든 멤버를 "비지정 수신자"로 설정하는 동시에 발신자가 사용자를 직접 "지정 수신자"로 지정하며 발송하는 컨텐츠이거나, 또는 [2] 발신자가 모든 멤버를 "비지정 수신자"로만 설정하고 특정 멤버를 "지정 수신자"로 지정하지 않고 컨텐츠를 제공하지만, 상기 컨텐츠에 "지정 요청 정보"를 포함하는 컨텐츠이다.
본 명세서의 "부분 지정 컨텐츠 (partly designated contents 또는 partly labeled contents)"란 수신자 지정 측면에서 보았을 때, 지정 컨텐츠가 아닐 수 있고, 비지정 컨텐츠도 아닐 수 있는 컨텐츠를 지칭한다. 일예로 특정 앱의 특정 그룹의 발신자의 입장에서 본 부분 지정 컨텐츠의 예로는 [1] 발신자가 상기 그룹의 모든 멤버를 "비지정 수신자"로 설정하여 제공하되, 모든 멤버는 아닌 하나 이상의 멤버를 "지정 수신자"로 지정하며 제공하는 컨텐츠, [2] 발신자가 상기 그룹의 모든 멤버는 아니지만 하나 이상의 멤버를 "비지정 수신자"로 설정하여 제공하되, 상기 "비지정 수신자" 중 특정 멤버를 "지정 수신자"로 지정하며 제공하는 컨텐츠, 또는 [3] 발신자가 상기 그룹의 모든 멤버는 아닌 다수의 멤버를 "비지정 수신자"로 설정하여 제공하지만, "비지정 수신자" 중 다수 멤버를 "지정 수신자"로 지정하며 제공하는 컨텐츠 등을 의미한다.
또 다른 예로서 특정 앱의 특정 그룹의 사용자의 입장에서 본 부분 지정 컨텐츠의 예로는 [1] 사용자가 상기 그룹의 모든 멤버를 "비지정 수신자"로 설정하여 발송하나, 상기 그룹의 모든 멤버는 아닌 다수의 멤버를 "지정 수신자"로 지정하며 발송하는 컨텐츠, [2] 사용자가 상기 그룹의 모든 멤버는 아니지만 다수의 멤버를 "비지정 수신자"로 설정하여 제공하되, "비지정 수신자" 중 특정 멤버를 "지정 수신자"로 지정하며 제공하는 컨텐츠, 또는 [3] 사용자가 상기 그룹의 모든 멤버는 아니지만 다수의 멤버를 "비지정 수신자"로 설정하여 제공하되, "비지정 수신자" 중 다수의 멤버를 "지정 수신자"로 지정하며 제공하는 컨텐츠 등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는 하술에서 컨텐츠를 지정 컨텐츠와 비지정 컨텐츠로 양분한 경우를 설명한다. 따라서 상반된 설명이 없는 한, 하술의 설명에서는 상술의 부분 지정 컨텐츠는 일반적으로 지정 컨텐츠로 간주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특정 앱의 특정 그룹의 수신자가 수신한 컨텐츠를 확인하였는지 여부에 따라 "컨텐츠"의 종류를 구분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미확인 컨텐츠 (unread contents)"란 특정 앱의 특정 그룹의 발신자가 수신자에게 컨텐츠를 발송하였지만, 수신자는 발신자의 컨텐츠를 수신한 후, 상기 앱을 구동하지 않았으며, 따라서 수신자가 아직 확인하지 못한 컨텐츠를 지칭한다. 즉 미확인 컨텐츠는 단일의 또는 다수의 발신자가 수신자에게 제공한 컨텐츠로서, "미확인 컨텐츠"는 "0"개 이상의 "(미확인) 비지정 컨텐츠" 및 "0"개 이상의 "(미확인) 지정 컨텐츠"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반하여 "확인 컨텐츠 (read contents)"란 특정 앱의 특정 그룹의 단일 또는 다수의 발신자가 수신자에게 컨텐츠를 발송하였고, 수신자는 발신자의 컨텐츠를 수신한 후, 상기 앱을 구동함으로써 그 내용을 확인한 컨텐츠를 지칭한다. 따라서 "확인 컨텐츠"에는 "0"개 이상의 "(확인) 비지정 컨텐츠" 및 "0"개 이상의 "(확인) 지정 컨텐츠"가 포함된다.
본 명세서에서 "아이콘 뱃지"는 터미널에 장착된 특정 앱이 수신한 푸시 정보와 관련된 "푸시 통지"를 나타내는 뱃지를 지칭한다. 아이콘 뱃지는 푸시 정보의 수효 또는 내용 등을 나타낼 수 있다. 일예로 아이콘 뱃지는 푸시 정보의 수효를 나타내기 위하여 [1] 숫자, 문자 또는 도형, [2] 숫자, 문자나 도형의 폰트나 굵기, [3] 숫자, 문자나 도형의 크기, 모양 또는 배경, [4] 숫자, 문자나 도형 등의 위치, 배치 또는 지향, 또는 [5] 숫자, 문자, 또는 도형의 색상, 명도, 채도, 투명도, 또는 밝기 등을 조작할 수 있다.
이와 유사하게 아이콘 뱃지는 푸시 정보의 내용 또는 유형을 표시하기 위하여 [1] 코드 숫자 (일예로 숫자 1은 텍스트, 숫자 2는 이미지, 숫자 3은 소리를 나타내는 등), [2] 코드 숫자 또는 문자의 폰트나 굵기, [3] 코드 숫자, 문자 또는 도형의 크기, 모양 또는 배경, [4] 코드 숫자, 문자 또는 도형의 위치, 배치 또는 지향, 또는 [5] 숫자, 문자, 또는 도형의 색상, 명도, 채도 또는 밝기 등을 조작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특정 앱의 특정 그룹의 수신자가 수신한 컨텐츠를 확인하였는지 여부에 따라 "컨텐츠"의 종류를 구분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미확인 아이콘 뱃지"란 특정 앱(또는 그룹)의 미확인 컨텐츠의 수효, 유형 또는 내용을 표시하는 뱃지를 지칭하되, 미확인 컨텐츠란 상술의 정의와 같이 특정 앱 또는 특정 그룹의 단일 또는 다수의 발신자가 수신자에게 컨텐츠를 발송하였지만, 수신자는 발신자의 컨텐츠를 수신한 후, 상기 앱을 구동하지 않았으며, 따라서 수신자가 아직 확인하지 못한 컨텐츠를 지칭한다. 터미널은 상술 또는 하술의 다양한 아이콘 뱃지 조작 방법을 통하여 "미확인 아이콘 뱃지"를 표시할 수 있다.
이에 반하여 "확인 아이콘 뱃지"란 특정 앱(또는 그룹)의 확인 컨텐츠의 수효, 유형 또는 내용을 표시하는 뱃지를 지칭하되, 확인 컨텐츠란 특정 앱 또는 특정 그룹의 단일 또는 다수의 발신자가 수신자에게 컨텐츠를 발송하였고, 수신자는 발신자의 컨텐츠를 수신한 후 상기 앱을 구동하여 그 내용을 확인한 컨텐츠를 지칭한다. 확인 아이콘 뱃지는 [1] 일정 기간 동안 수신자가 확인한 컨텐츠의 수효, 유형, 내용 등을 표시하거나, [2] 특정 발신자가 발송한 컨텐츠 중에서 수신자가 확인한 컨텐츠의 수효, 유형, 내용 등을 표시하거나, 또는 [3] 특정 그룹의 다수의 발신자가 발송한 컨텐츠 중 수신자가 확인한 컨텐츠의 수효, 유형 또는 내용을 표시할 수 있다. 터미널은 확인 아이콘 뱃지를 표시하거나, 또는 표시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터미널은 상술 또는 하술의 다양한 아이콘 뱃지 조작 방법을 통하여 "확인 아이콘 뱃지"를 표시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특정 앱의 특정 그룹의 발신자가 컨텐츠를 생성하거나 또는 발송하며 컨텐츠의 수신자를 지정하였는지 여부에 따라 "컨텐츠"의 종류를 구분할 수 있다. 일예로 본 명세서에서 "비지정 아이콘 뱃지"란 발신자가 수신자를 특별히 지정하지 않은 채 생성하거나 발송하는 "비지정 컨텐츠"의 수효, 내용 또는 유형을 표시하는 뱃지를 지칭한다. 이와는 달리 본 명세서의 "지정 아이콘 뱃지"란 발신자나 터미널이 하나 이상의 수신자를 특별히 지정 수신자로 지정하여 생성하거나 발송하는 "지정 컨텐츠"의 수효, 내용, 유형 등을 표시하는 뱃지를 지칭한다. 터미널은 상술의 다양한 아이콘 뱃지 조작 방법을 통하여 "비지정 아이콘 뱃지" 또는 "지정 아이콘 뱃지"를 표시할 수 있다.
참고로 본 명세서에서 상반된 설명이 없는 이상, 상기 "비지정 컨텐츠"와 "지정 컨텐츠"는 각각 "미확인 비지정 컨텐츠"와 "미확인 지정 컨텐츠"를 의미하는 것으로 한다. 또한 상반된 설명이 없는 이상, 상기 "부분 지정 컨텐츠" 역시 "미확인 부분 지정 컨텐츠"를 의미하는 것으로 한다. 마찬가지로 본 명세서에서 상반된 설명이 없는 이상, "비지정 아이콘 뱃지"와 "지정 아이콘 뱃지" 역시 각각 "미확인 비지정 아이콘 뱃지"와 "미확인 지정 아이콘 뱃지"를 의미하는 것으로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자 입력"이란 사용자가 터미널의 입력 유닛의 하나 이상의 부위를 직접적 또는 간접적으로 조작함으로써 상기 입력 유닛에 직접적 또는 간접적으로 제공하는 다양한 유형의 입력을 통칭한다. 사용자는 다양한 방법으로 사용자 입력을 제공할 수 있다. 일예로 사용자는 [1] 하나 이상의 신체 부위를 이용하여 사용자 입력을 제공하거나, [2] 하나 이상의 비사용자 물체 또는 간략히 "물체"(일예로 특수 팬, 스타일러스 등)를 조작하여 사용자 입력을 제공하거나, [3] 하술의 기계적, 전기적, 자기적, 전자기적 또는 음향적 방법으로 사용자 입력을 제공할 수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사용자가 터미널의 하나 이상의 입력 유닛에 "사용자 입력을 제공하다"는 문구는 [1] 사용자가 자신의 하나 이상의 신체 부위를 이용하여 사용자 입력을 제공하거나, [2] 사용자가 터미널의 다양한 입력 유닛이 인지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물체(즉 비사용자 물체)를 조작하여 사용자 입력을 제공하거나, [3] 터미널이 사용자의 생체 정보를 사전적으로(일예로 사용자가 인지하지 못하는 동안) 취득하거나, 또는 [4] 터미널이 사용자 또는 비사용자 물체와 관련된 전자기파 또는 음파를 취득하는 것을 통칭한다.
본 명세서에서 "기계적 사용자 입력"은 사용자가 입력 유닛의 하나 이상의 부위를 직접 기계적으로 조작하여 제공하는 입력이다. 기계적 사용자 입력의 예로는 [1] 입력 유닛의 하나 이상의 부위의 조작을 통한 상기 부위의 "움직임"(일예로 상하 또는 좌우로 누르기, 밀기, 당기기, 돌리기,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하기, 기타 방법에 의한 움직임 등), [2] 사용자 부위와 입력 유닛의 부위와의 "접촉(또는 만지기)," 또는 [3] 상기 움직임과 접촉의 혼합 등이 있다.
기계적 사용자 입력의 또 다른 예는 사용자의 "기계적 생체 정보"이며, 상기 생체 정보의 예로는 사용자의 특정 부위에서 측정한 혈압이나 심장 박동수, 특정 부위에서 측정한 혈류(blood flow rate), 기타 심장순환기 정보, 휴식 또는 운동 시의 호흡 횟수, 호흡 유량, 기타 호흡기 정보, 근육 또는 골격 관련 생체 정보 등이 있다.
기계적 사용자 입력은 상술의 기계적 사용자 입력의 정적 특성 또는 동적 특성과 관련될 수도 있다. 상기 기계적 사용자 입력의 예로는 [1] 입력 유닛의 특정 부위의 움직임이나 상기 부위와의 접촉과 관련된 (스칼라 또는 벡터) 힘, [2] 상기 움직임의 (스칼라 또는 벡터) 속도, [3] 상기 움직임의 (스칼라 또는 벡터) 가속도, [4] 상기 움직임에 의한 (스칼라 또는 벡터) 변위, [5] 상기 힘, 속도, 가속도 또는 변위의 방향, [6] 상기 접촉의 방향, [7] 앞의 [1]~[6]의 기간, [8] 앞의 [1] 내지 [6]의 횟수, [9] 앞의 [1] 내지 [6] 사이의 시간적 중첩(temporal overlap), 또는 [10] 앞의 [1] 내지 [6] 사이의 시간적 공백(temporal gap) 등이 있다.
기계적 사용자 입력은 입력 유닛의 상기 부위에 상기 입력을 제공하는 사용자의 신체 부위나 물체의 "기계적 특징"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사용자 입력의 예로는 탄성, 거칠기(roughness), 다양한 모듈러스(modulus) 등이 있다. 일예로 입력 유닛의 센서에 가해진 힘의 크기나 주파수도 이러한 입력의 예이다.
본 명세서에서 "전기적 사용자 입력"이란 상기 입력을 수신할 수 있는 입력 유닛의 하나 이상의 부위에 제공되는 전기적 신호에 해당한다. 일예로 사용자는 [1] 특정 펜, 웨어러블 기기, 기타 이동식 기기 등의 비사용자 물체를 이용하여 직류나 교류의 전기적 신호를 입력 유닛에 제공하거나, 또는 [2] 타터미널을 이용하여 전기적 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는 신체 부위의 전기적 생체 정보를 전기적 사용자 입력으로 제공할 수 있으며, 상기 생체 정보의 예로는 심전도(ECG), 근전도(EMG), 뇌전도(EEG), 신체 특정 부위에서 측정한 기타 전기적 신호 등이 있다.
전기적 사용자 입력은 상기 전기적 입력의 정적 또는 동적 특성과 관련될 수 있다. 이러한 전기적 사용자 입력의 예로는 [1] 전류, [2] 전압, [3] 전력, [3] 앞의 [1] 내지 [3]의 크기(또는 진폭), [5] 이들의 위상각, [6] 이들의 위상 지연, [7] 이들의 주파수, [8] 이들의 파장, 또는 [9] 이들의 (스칼라 또는 벡터) 유동(flux) 등이 있다. 전기적 사용자 입력은 입력 유닛의 적합한 부위에 사용자 입력을 제공할 수 있는 신체 부위 또는 비사용자 물체의 "전기적 특징"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러한 사용자 입력의 예로는 상기 부위나 물체의 전기 저항, 전기 전도도, 정전 용량, 유전율(permittivity), 열전기(thermoelectricity), 유전 특성(dielectric property) 등이 있고, 상기 전기적 특성은 정적(또는 동적) 전기장이나 자기장에서 측정할 수 있다. 일예로 정전 용량형 입력 유닛의 정전 용량 센서를 이용하여 측정한 사용자 지문 역시 전기적 사용자 입력에 속한다.
본 명세서에서 "자기적 사용자 입력"이란 상기 입력을 수신할 수 있는 입력 유닛의 하나 이상의 부위에 제공되는 자기적 신호에 해당한다. 일예로 사용자는 [1] 특정 펜, 웨어러블 기기, 기타 이동식 기기 등의 비사용자 물체를 이용하여 직류나 교류의 자기적 신호를 입력 유닛에 제공하거나, 또는 [2] 타터미널을 이용하여 상기 자기적 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는 신체 부위의 자기적 생체 정보를 자기적 사용자 입력으로 제공할 수도 있으며, 다양한 생체 정보의 예로는 자기 심전도(MCG, magnetocardiogram), 자기 근전도(MMG, magnetomyogram), 자기적 뇌전도(MEG, magnetoencephalogram), 신체 특정 부위에서 측정한 기타 자기적 신호 등이 있다.
자기적 사용자 입력은 상기 입력의 정적 또는 동적 특성과도 관련될 수 있다. 상기 자기적 사용자 입력의 예로는 B-자기장 또는 H-자기장의 크기 또는 방향, 자극(magnetic pole)의 자성이나 수효, 위상각, 위상 지연, 주파수, 파장, (스칼라 또는 벡터) 유동 등이 있다. 자기적 사용자 입력은 입력 유닛의 하나 이상의 부위에 자기적 사용자 입력을 제공하는 데 사용자가 이용하는 신체 부위 또는 비사용자 물체의 "자기적 특성"도 포함하며, 자기적 특성의 예로는 상기 부위나 물체의 자기 극성, 자기 투과성(permeability), 자기 민감도(susceptibility) 등이 있고, 상기 특성은 정적(또는 동적) 자기장(또는 전기장)에서 측정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전자기적 사용자 입력"은 이를 수신할 수 있는 입력 유닛의 하나 이상의 부위에 제공되는 다양한 전자기적 파동에 해당한다. 일예로 사용자는 [1] 특정 펜 또는 스타일러스, [2] 시계, [3] 웨어러블 기기(일예로 전자 기기가 장착된 안경, 고글, 렌즈, 팔목 밴드, 헤드 밴드, 등), [4] 웨어러블 악세서리(일예로 렌즈, 안경, 고글, 모자, 헤드 밴드, 귀마개, 마스크, 장갑, 벨트 등), 또는 [5] 웨어러블 장신구(일예로 인조 손톱, 반지, 팔찌, 팔목 밴드, 팔뚝 밴드, 목걸이, 귀걸이, 팬던트, 브로치 등) 등의 다양한 물체에 장착될 수 있거나 또는 상기 다양한 물체와 연동할 수 있는 이동식 기기를 이용함으로써 다양한 파장의 전자기파를 입력 유닛에 제공할 수 있다. 또는 사용자는 타터미널을 이용하여 발생시킨 상기 전자기적 파동을 제공할 수도 있다.
사용자는 가시광선 대역, UV 대역, IR 대역 또는 기타 주파수 대역의 전자기파를 이용하여 얼굴, 눈, 홍채, 망막, 귀, 코 등의 신체 부위의 "이미지" 또는 "비사용자 물체"의 "이미지"를 입력 유닛에 제공할 수 있고, 상기 이미지는 정적 이미지나 동영상 또는 이의 조합 등일 수 있다. 전자기적 사용자 입력을 가시광선 대역의 전자기파로 제공할 경우, 상기 입력은 "광학적 사용자 입력"이라고 지칭할 수 있다.
"전자기적 사용자 입력"은 터미널에 장착된 카메라, 고체 활상 소자(CCD 또는 charge-coupled device), 또는 기타 이미지 확보가 가능한 하드웨어 요소가 확보한 사용자 신체 부위의 이미지를 포함한다. 일예로 사용자의 신체 부위에 의하여 반사된 햇빛이나 조명 기기의 빛, 터미널이 비춘 후 사용자 신체 부위에 의하여 반사된 빛 등을 상기 하드웨어 요소가 확보한 경우, 상기 빛 등도 모두 상기 이미지에 포함되며, 상기 전자기적 사용자 입력에도 포함된다. 또 상기 빛은 가시광선은 물론 적외선이나 자외선 등도 포함하며, 상기 빛은 컬러 필터를 통하거나 통하지 않은 빗, 편광이거나 편광이 아닐 수 있다.
전자기적 사용자 입력은 이의 정적 또는 동적 특성과 관련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입력의 예로는 전자기파의 진폭, 위상각, 위상 지연, 파장, 주파수, (스칼라 또는 벡터) 유동 등이 있다. 전자기적 사용자 입력이 이미지일 경우, 전자기적 사용자 입력은 이미지 색조(hue), 이미지 색값(color value), 이미지 강도(intensity) 등의 컬러, 색상 대비, 상기 이미지의 크기, 상기 이미지에 포함된 도형 또는 내용, 상기 이미지의 배열이나 지향(orientation) 등이다.
본 명세서에서 "음향적 사용자 입력"이란 이를 수신할 수 있는 입력 유닛의 하나 이상의 부위에 제공되는 음파(acoustic wave)에 해당한다. 일예로 사용자는 [1] 특정 펜, 다양한 웨어러블 기기, 웨어러블 악세서리, 웨어러블 장신구, 기타 착용 가능한 기기 등의 비사용자 물체를 이용하여 발생시킨 음파를 입력 유닛에 제공하거나, 또는 [2] 타터미널을 이용하여 상기 음파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자신의 음성이나 자신의 신체 부위로 생성한 소리(일예로 박수, 손가락 스냅 등)를 입력 유닛에 제공할 수도 있다. 사용자는 자신의 신체 부위와 관계없는 소리를 입력 유닛에 제공할 수 있고, 상기 소리는 가청 주파수 이내의 음파, 초음파 또는 기타 특정 주파수 대역의 음파일 수 있다.
음향적 사용자 입력은 이의 정적 또는 동적 특성과도 관련될 수 있다. 이러한 음향적 사용자 입력의 예로는 음파의 진폭, 위상각, 위상 지연, 파장, 주파수, 유동 등이 있다. 음향적 사용자 입력이 사용자의 음성이나 신체 부위에 의한 소리일 경우, 상기 사용자 입력은 음성이나 소리의 길이(duration), 음(tone), 엔빌로프(envelope), 상기 음성이나 소리의 소스의 위치 등일 수 있다.
상기 기계적, 전기적, 자기적, 전자기적 또는 음향적 사용자 입력은 상술의 다양한 사용자 입력의 시간에 따른 변화일 수 있으며, 일예로 시간에 따른 상기 움직임의 변화, 시간에 따른 입력 유닛에 제공하는 힘의 크기의 변화 등이 상기 사용자 입력의 예이다. 사용자 입력은 상술의 다양한 사용자 입력의 공간적 변화일 수 있고, 일예로 사용자의 신체 부위가 입력 유닛을 접촉하는 위치의 변화, 사용자가 입력 유닛의 특정 부위에 제공하는 힘의 분포의 변화 등이 상기 사용자 입력의 예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는 "U/I"로 약칭한다. 상기 U/I의 종류는 [1] 그래픽 (graphic) U/I, [2] 터치(touch) U/I, [3] 텍스트-기반(text-based) U/I, [4] 직접-조작(direct manipulation) U/I, [5] 웹-기반(web-based) U/I, [6] 커맨드 라인(command line) U/I, [7] 하드웨어 U/I 또는 펌웨어(firmware) U/I, [8] 어텐티브 (attentive) U/I, [9] 뱃치 (batch) U/I, [10] 대화형(conversational) U/I, [11] 교환-기반(crossing-based) U/I, [12] 제스처(gesture) U/I, [13] 홀로그램 U/I, [14] 행동 추적(motion-tracking) U/I, [15] 다중화면(multi-screen) U/I, [16] 반사형(reflective) U/I 등이 있다. 본 명세서의 하술의 설명은 주로 그래픽 U/I 또는 터치 U/I를 사용하는 구성이나 방법에 해당하지만, 상기 구성 또는 방법은 본 문단의 상이한 U/I가 장착된 데이터 처리 터미널에도 용이하게 적용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터미널의 "소프트웨어 요소"란 운영체계(즉 O/S),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 컴퓨터 명령체계, 컴퓨터 프로그램 및 컴퓨터 프로그램 세트 등을 통칭한다. 본 명세서에서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 또는 간략히 "앱"은 터미널의 소프트웨어 요소 중 하나이며, 특정 작업의 실행이나 특정 기능의 수행을 위하여 설계된 컴퓨터 명령체계나 컴퓨터 프로그램의 세트를 의미한다. 상기 앱은 CPU 유닛, 운영체계 또는 다른 앱에 의하여 구동될 수 있으며, 사용자 또는 터미널은 상기 앱을 구동함으로써 특정 작업을 실행할 수 있거나 또는 특정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또는 터미널이 앱을 구동하면, 터미널의 하나 이상의 하드웨어 요소를 구동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앱"은 운영체계에 속하지 않는 것으로 정의하며, 따라서 상기 앱은 운영체계와 상이한 것으로 정의한다. 터미널의 제조사 또는 배급사는 터미널 판매 전 하나 이상의 앱을 상기 터미널에 장착할 수 있다. 또는 사용자는 터미널을 구입한 후 하나 이상의 앱을 다운로드할 수 있다. 또 운영체계, 터미널 또는 상기 터미널에 이미 장착된 앱은 외부 메모리 기기, 외부 웹사이트 등으로부터 신규 "앱"을 다운로드할 수 있다.
3. 상세 측면
본 명세서의 제1 상세한 측면은 컨텐츠를 생성한 후 발송하는 발신자와, 영상 유닛을 포함하는 데이터 처리 터미널을 이용하여 상기 컨텐츠를 무선으로 수신하는 수신자에 있어서, 발신자는 상기 컨텐츠 중 하나 이상을 상기 수신자를 수신 대상으로 지정한 지정 컨텐츠로 발송하고, 상기 터미널이 상기 컨텐츠를 무선으로 수신하면 상기 컨텐츠를 상기 영상 유닛에 표시하는 앱에 대한 것이다. 특히 상기 앱은 수신 후 상기 수신자가 확인하지 않아 미확인 상태인 컨텐츠의 수효를 나타내는 제1 숫자를 자신의 앱 아이콘과 함께 상기 영상 유닛에 표시하고, 상기 앱은 상기 미확인 컨텐츠 중 상기 발신자가 지정한 상기 지정 컨텐츠의 수효를 나타내는 제2 숫자를 상기 앱 아이콘과 상기 제1 숫자와 함께 상기 영상 유닛에 표시하되, 상기 제1 숫자는 제2 숫자보다 작지 않고, 이에 따라 상기 수신자는 상기 제1 숫자 및 제2 숫자만으로 상기 미확인 컨텐츠의 수효 및 상기 미확인 컨텐츠에 포함된 상기 지정 컨텐츠의 수효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제2 상세한 측면은 발신자가 다수의 컨텐츠를 생성한 후 이를 수신자에게 발송하되, 상기 발신자는 상기 컨텐츠 중 하나 이상을 상기 수신자를 수신 대상으로 지정한 지정 컨텐츠의 형태로 발송하고, 수신자가 영상 유닛을 포함하는 데이터 처리 터미널을 이용하여 상기 컨텐츠를 무선으로 수신하면, 상기 영상 유닛에 상기 컨텐츠를 표시할 수 있는 앱에 대한 것이다. 특히 상기 앱은 수신자가 수신한 후 아직 확인하지 않아 미확인 상태인 컨텐츠의 수효를 나타내는 제1 숫자를 자신의 앱 아이콘과 함께 상기 영상 유닛에 표시하며, 상기 앱은 상기 제1 다수의 컨텐츠에 포함된 지정 컨텐츠의 수효를 나타내는 제2 숫자를 상기 앱 아이콘 및 상기 제1 숫자와 함께 상기 영상 유닛에 표시하되, 상기 제1 숫자는 상기 제2 숫자보다 작지 않으며, 따라서 상기 수신자는 상기 제1 숫자 및 제2 숫자만으로도 자신이 수신한 상기 미확인 컨텐츠의 수효는 물론 상기 미확인 컨텐츠에 포함된 상기 지정 컨텐츠의 수효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상세한 측면에서, 상기 앱은 상기 제1 숫자와 제2 숫자 중 하나 이상을 상기 앱 아이콘의 주위나 내부에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앱은 상기 터미널에 장착되거나, 상기 터미널이 접속할 수 있는 서버에 장착되거나, 또는 상기 터미널이 접속할 수 있는 클라우드 저장소에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앱은 상기 제1 숫자의 크기, 모양, 색, 폰트, 배경, 위치 및 지향 하나 이상을 상기 제2 숫자의 크기, 모양, 색, 폰트, 배경, 위치 및 지향 하나 이상과 서로 상이하게 표시할 수도 있다. 상기 앱은 상기 제1 숫자를 상기 제2 숫자의 우측 또는 아래에 표시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제3 상세한 측면은 컨텐츠를 생성한 후 발송하는 발신자와, 영상 유닛을 포함하는 데이터 처리 터미널을 이용하여 상기 컨텐츠를 무선으로 수신하는 수신자에 있어서, 상기 발신자는 상기 컨텐츠 중 하나 이상을 수신자를 수신 대상자로 지정한 지정 컨텐츠로 발송하고, 상기 터미널이 상기 컨텐츠를 무선으로 수신하면 상기 컨텐츠를 상기 영상 유닛에 표시하는 앱에 대한 것이다. 특히 상기 앱은 수신 후 상기 수신자가 확인하지 않아 미확인 상태인 컨텐츠가 하나 이상 존재하는 경우 미확인 아이콘 뱃지를 자신의 앱 아이콘과 함께 상기 영상 유닛에 표시하고, 상기 앱은 상기 미확인 컨텐츠의 수효를 나타내는 제1 숫자를 상기 앱 아이콘과 함께 상기 영상 유닛에 표시하며, 상기 앱은 상기 미확인 컨텐츠 중 발신자가 지정한 상기 지정 컨텐츠가 포함되면 지정 아이콘 뱃지를 상기 미확인 아이콘 뱃지와 함께 상기 영상 유닛에 표시하며, 또한 상기 지정 컨텐츠의 수효를 나타내는 제2 숫자를 상기 지정 아이콘 뱃지와 함께 상기 영상 유닛에 표시하되, 상기 제1 숫자는 상기 제2 숫자보다 작지 않으며, 이에 따라 상기 수신자는 상기 제1 숫자 및 상기 제2 숫자만으로 상기 미확인 컨텐츠의 수효 및 상기 미확인 컨텐츠에 포함된 상기 지정 컨텐츠의 수효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제4 상세한 측면은 발신자가 다수의 컨텐츠를 생성한 후 이를 수신자에게 발송하되, 상기 발신자는 상기 컨텐츠 중 하나 이상의 컨텐츠를 수신자를 수신 대상으로 지정한 지정 컨텐츠의 형태로 발송하고, 수신자가 영상 유닛을 포함하는 데이터 처리 터미널로 상기 컨텐츠를 무선으로 수신하면, 상기 영상 유닛에 상기 컨텐츠를 표시할 수 있는 앱에 대한 것이다. 특히 상기 앱은 수신 후 상기 수신자가 확인하지 않아 미확인 상태인 컨텐츠가 존재할 경우 상기 앱의 앱 아이콘과 함께 미확인 아이콘 뱃지를 상기 영상 유닛에 표시하고, 상기 앱은 상기 미확인 컨텐츠의 수효를 나타내는 제1 숫자를 자신의 상기 미확인 아이콘 뱃지와 함께 상기 영상 유닛에 표시하며, 상기 앱은 상기 미확인 컨텐츠에 상기 지정 컨텐츠가 포함되는 경우 상기 앱 아이콘과 함께 지정 아이콘 뱃지를 상기 영상 유닛에 표시하고, 상기 앱은 상기 지정 컨텐츠의 수효를 나타내는 제2 숫자를 상기 미확인 아이콘 뱃지와 함께 상기 영상 유닛에 표시하되, 상기 제1 숫자는 상기 제2 숫자보다 작지 않고, 따라서 수신자는 상기 제1 숫자 또는 제2 숫자만으로 자신이 수신한 상기 미확인 컨텐츠의 수효는 물론 상기 미확인 컨텐츠에 포함된 상기 지정 컨텐츠의 수효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제3 및 제4 상세한 측면에서, 상기 앱은 상기 미확인 아이콘 뱃지 또는 지정 아이콘 뱃지를 상기 앱 아이콘의 주위나 내부 중 하나에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앱은 상기 제1 숫자와 제2 숫자 중 하나 이상을 각각 상기 미확인 아이콘 뱃지 및 지정 아이콘 뱃지의 주위나 내부에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앱은 상기 터미널에 장착되거나, 상기 터미널이 접속할 수 있는 서버에 장착되거나, 상기 터미널이 접속할 수 있는 클라우드 저장소에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앱은 상기 제1 숫자의 크기, 모양, 색, 폰트, 배경, 위치 및 지향 하나 이상을 상기 제2 숫자의 크기, 모양, 색, 폰트, 배경, 위치 및 지향 하나 이상과 서로 상이하게 표시할 수도 있다. 상기 앱은 상기 제1 숫자를 상기 제2 숫자의 우측 또는 아래에 표시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제5 상세한 측면은 발신자가 제3 다수의 컨텐츠와 제2 다수의 지정 신호를 생성한 후 하나 이상의 상기 컨텐츠를 제1 다수의 데이터 패킷의 각각에 포함시켜 수신자에게 발송하되 상기 제3 다수는 제2 다수보다 작지 않으며, 상기 제2 다수의 데이터 패킷은 상기 지정 신호와 하나 이상의 상기 컨텐츠를 포함하는 지정 데이터 패킷 형태로 상기 수신자에게 발송하되 상기 제1 다수는 상기 제2 다수보다 작지 않으며, 수신자가 영상 유닛을 포함하는 데이터 처리 터미널을 이용하여 상기 제1 다수의 데이터 패킷을 무선으로 수신하면, 상기 데이터 패킷에 포함된 상기 컨텐츠를 상기 영상 유닛에 표시하는 앱에 대한 것이다. 특히 상기 앱은 수신자의 데이터 처리 터미널 및 상기 발신자로부터 상기 제1 다수의 데이터 패킷을 수신한 후 이를 상기 수신자에게 발송하는 서버 중 하나 이상에 장착되고, 상기 앱은 자신의 앱 아이콘과 함께 상기 제1 다수를 나타내는 제1 숫자와 상기 제2 다수를 나타내는 제2 숫자를 상기 영상 유닛에 표시하며, 따라서 상기 수신자는 상기 제1 숫자 또는 상기 제2 숫자만으로도 자신이 수신한 상기 데이터 패킷의 수효 또는 상기 지정 데이터 패킷의 수효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제6 상세한 측면은 발신자는 제3 다수의 컨텐츠와 제2 다수의 지정 신호를 생성한 후 하나 이상의 상기 컨텐츠를 제1 다수의 데이터 패킷의 각각에 포함시켜 수신자에게 발송하되 상기 제3 다수는 제2 다수보다 작지 않으며, 상기 제2 다수의 데이터 패킷은 상기 지정 신호와 하나 이상의 상기 컨텐츠를 포함하는 지정 데이터 패킷 형태로 상기 수신자에게 발송하되 상기 제1 다수는 상기 제2 다수보다 작지 않으며, 상기 제1 다수의 데이터 패킷에 포함된 상기 컨텐츠를 표시하는 앱에 대한 것이다. 특히 상기 앱은 상기 수신자의 데이터 처리 터미널 및 상기 발신자로부터 상기 제1 다수의 데이터 패킷을 수신한 후 이를 상기 수신자에게 발송하는 서버 중 하나 이상에 장착되고, 상기 앱은 상기 터미널이 상기 제1 다수의 데이터 패킷을 무선으로 수신할 경우 상기 데이터 패킷에 포함된 상기 컨텐츠를 상기 영상 유닛에 표시하고, 상기 앱은 상기 제1 다수를 나타내는 제1 숫자와 상기 제2 다수를 나타내는 제2 숫자를 자신의 앱 아이콘과 함께 상기 영상 유닛에 표시하고, 따라서 수신자는 상기 제1 숫자와 상기 제2 숫자만으로 자신이 수신한 모든 데이터 패킷 및 상기 지정 데이터 패킷의 수효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제5 및 제6 상세한 측면에서, 상기 앱은 상기 제1 숫자와 상기 제2 숫자 중 하나 이상을 각각 상기 앱 아이콘의 주위 및 내부 중 하나에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앱은 상기 제1 숫자의 크기, 모양, 색, 폰트, 배경, 위치 및 지향 하나 이상을 상기 제2 숫자의 크기, 모양, 색, 폰트, 배경, 위치 및 지향 하나 이상과 서로 상이하게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앱은 상기 제1 숫자를 상기 제2 숫자의 우측 또는 아래에 표시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제7 상세한 측면은 발신자가 제3 다수의 컨텐츠와 제2 다수의 지정 신호를 생성한 후 하나 이상의 상기 컨텐츠를 제1 다수의 데이터 패킷의 각각에 포함시켜 수신자에게 발송하되 상기 제3 다수는 상기 제2 다수보다 작지 않으며, 상기 제2 다수의 데이터 패킷은 상기 지정 신호와 하나 이상의 상기 컨텐츠를 포함하는 지정 데이터 패킷의 형태로 수신자에게 발송하되 상기 제1 다수는 상기 제2 다수보다 작지 않으며, 상기 수신자가 영상 유닛을 포함하는 데이터 처리 터미널을 이용하여 상기 제1 다수의 데이터 패킷을 무선으로 수신하면, 상기 데이터 패킷에 포함된 상기 컨텐츠를 상기 영상 유닛에 표시하는 앱에 대한 것이다. 특히 상기 앱은 수신자의 데이터 처리 터미널 및 상기 발신자로부터 상기 제1 다수의 데이터 패킷을 수신하고 이를 상기 수신자에게 발송하는 서버 중 하나에 장착되고, 상기 제1 다수의 수효가 0이 아니면 상기 앱은 자신의 앱 아이콘과 함께 미확인 아이콘 뱃지를 상기 영상 유닛에 표시하고, 상기 앱은 상기 제1 다수를 나타내는 제1 숫자를 상기 미확인 아이콘 뱃지와 함께 상기 영상 유닛에 표시하는 반면, 상기 제2 다수의 수효가 0이 아니면 상기 앱은 지정 아이콘 뱃지와 함께 상기 미확인 아이콘 뱃지를 상기 영상 유닛에 표시하고, 상기 앱은 상기 제2 다수를 나타내는 제2 숫자를 상기 지정 아이콘 뱃지와 함께 상기 영상 유닛에 표시하며, 이에 따라 상기 수신자는 상기 제1 숫자 및 상기 제2 숫자만으로 자신이 수신한 모든 데이터 패킷 및 상기 지정 데이터 패킷의 수효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제8 상세한 측면은 발신자가 다수의 컨텐츠 및 다수의 지정 신호를 생성한 후 하나 이상의 상기 컨텐츠를 다수의 미확인 데이터 패킷의 각각에 포함시켜 수신자에게 발송하되, 하나 이상의 상기 미확인 데이터 패킷은 상기 컨텐츠 및 상기 지정 신호를 포함하는 지정 데이터 패킷의 형태로 상기 수신자에게 발송하며, 수신자가 영상 유닛을 포함하는 데이터 처리 터미널을 이용하여 상기 다수의 미확인 데이터 패킷을 무선으로 수신하면, 상기 미확인 데이터 패킷에 포함된 상기 컨텐츠를 상기 영상 유닛에 표시하는 앱에 대한 것이다. 특히 상기 앱은 수신자의 터미널 및 발신자로부터 상기 미확인 데이터 패킷을 수신하고 이를 수신자에게 발송할 수 있는 서버 중 하나에 장착되고, 상기 앱은 상기 미확인 데이터 패킷을 수신하면 이를 나타내는 미확인 아이콘 뱃지를 상기 앱의 앱 아이콘과 함께 상기 영상 유닛에 표시하고, 상기 앱은 상기 미확인 데이터 패킷의 수효를 확보한 후, 이를 나타내는 제1 숫자를 상기 미확인 아이콘 뱃지와 함께 상기 영상 유닛에 표시하며, 상기 앱은 수신된 상기 미확인 데이터 패킷에 상기 지정 데이터 패킷이 포함되는 경우, 이를 나타내는 지정 아이콘 뱃지를 영상 유닛에 표시하고, 상기 앱은 상기 지정 데이터 패킷의 수효를 확보한 후, 이를 나타내는 제2 숫자를 상기 지정 아이콘 뱃지와 함께 상기 영상 유닛에 표시하며, 따라서 수신자는 상기 제1 숫자 및 상기 제2 숫자만으로 자신이 수신한 모든 데이터 패킷의 수효나 상기 지정 데이터 패킷의 수효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제7 및 제8 상세한 측면에서, 상기 앱은 상기 미확인 아이콘 뱃지와 지정 아이콘 뱃지 중 하나 이상을 상기 앱 아이콘의 주위 및 내부 중 하나에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앱은 상기 제1 숫자와 상기 제2 숫자 중 하나 이상을 각각 상기 미확인 아이콘 뱃지 및 지정 아이콘 뱃지의 주위 및 내부 중 하나에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앱은 상기 제1 숫자의 크기, 모양, 색, 폰트, 배경, 위치 및 지향 하나 이상을 상기 제2 숫자의 크기, 모양, 색, 폰트, 배경, 위치 및 지향 하나 이상과 서로 상이하게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앱은 상기 제1 숫자를 상기 제2 숫자의 우측 또는 아래에 표시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제9 상세한 측면은 영상 유닛과 수신 유닛을 포함하는 데이터 처리 터미널에 장착되며, 상기 수신 유닛이 컨텐츠를 포함하는 데이터 패킷을 수신하면, 상기 패킷으로부터 상기 컨텐츠를 추출할 수 있는 앱에 대한 것이다. 특히 상기 앱은 수신자가 상기 앱의 구동을 완료한 후 상기 앱을 다시 구동하기 전까지 수신함에 따라 상기 수신자가 확인하지 못한 다수의 미확인 데이터 패킷으로부터 다수의 미확인 컨텐츠를 추출하고, 상기 미확인 컨텐츠의 수효를 확보하며, 상기 미확인 데이터 패킷이 지정 신호와 상기 컨텐츠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컨텐츠를 추출하여 지정 컨텐츠로 간주하고, 상기 지정 컨텐츠의 수효를 확보하며, 상기 앱은 자신의 앱 아이콘, 상기 미확인 컨텐츠의 수효를 나타내는 제1 숫자, 상기 지정 컨텐츠의 수효를 나타내는 제2 숫자를 표시하며, 이에 따라 상기 수신자는 상기 제1 숫자 및 제2 숫자만으로도 상기 미확인 컨텐츠의 수효 및 상기 미확인 컨텐츠에 포함된 상기 지정 컨텐츠의 수효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앱은 상기 미확인 데이터 패킷의 수효 및 상기 지정 데이터 패킷의 수효 중 하나 이상의 수효를 직접 계산하여 확보하거나 또는 상기 서버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제10 상세한 측면은 영상 유닛 및 수신 유닛을 포함하는 데이터 처리 터미널에 장착될 수 있으며, 상기 터미널의 상기 수신 유닛이 컨텐츠를 포함하는 데이터 패킷을 수신하는 경우, 상기 패킷으로부터 상기 컨텐츠를 추출할 수 있는 앱에 대한 것이다. 특히 상기 앱은 수신자가 상기 앱의 구동을 완료하고 상기 앱을 다시 구동하기 전까지 수신함에 따라 수신자가 확인하지 못한 다수의 미확인 데이터 패킷으로부터 다수의 미확인 컨텐츠를 추출하고, 상기 미확인 컨텐츠의 제1 수효를 확보하며, 상기 미확인 데이터 패킷이 지정 신호와 상기 컨텐츠를 모두 포함하면, 상기 컨텐츠를 추출한 후 지정 컨텐츠로 간주하고, 상기 지정 컨텐츠의 제2 수효를 확보하며, 상기 앱은 상기 터미널의 꺼진 화면, 잠금 화면, 해제 화면 중 하나의 화면에 자신의 앱 아이콘, 상기 미확인 컨텐츠가 존재함을 알리는 미확인 아이콘 뱃지, 상기 제1 수효를 나타내는 제1 숫자, 상기 미확인 컨텐츠에 포함된 상기 지정 컨텐츠가 존재함을 알리는 지정 아이콘 뱃지 및 상기 제2 수효를 타내는 제2 숫자를 표시하며, 따라서 상기 수신자는 상기 제1 숫자 또는 제2 숫자만으로도 상기 미확인 컨텐츠의 수효 및 상기 미확인 컨텐츠에 포함된 상기 지정 컨텐츠의 수효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제9 및 제10 상세한 측면에서, 상기 앱은 상기 제1 숫자(또는 미확인 아이콘 뱃지)와 상기 제2 숫자(또는 지정 아이콘 뱃지) 중 하나 이상을 상기 앱 아이콘의 주위 및 내부 중 하나에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앱은 상기 제1 숫자의 크기, 모양, 색, 폰트, 배경, 위치 및 지향 하나 이상을 상기 제2 숫자의 크기, 모양, 색, 폰트, 배경, 위치 및 지향 하나 이상과 서로 상이하게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앱은 상기 미확인 데이터 패킷의 수효 및 상기 지정 데이터 패킷의 수효 중 하나 이상의 수효를 직접 계산함으로써 확보하거나 또는 상기 서버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제11 상세한 측면은 수신 유닛, 영상 유닛 및 운영 체계를 포함하는 데이터 처리 터미널에 대한 것이다. 특히 상기 수신 유닛은 상기 터미널에 장착된 앱에 대한 다수의 제3 데이터 패킷을 수신하되, 상기 제3 데이터 패킷은 각각 제3 컨텐츠를 포함하나 지정 신호를 포함하지 않고, 상기 수신 유닛은 상기 앱에 대한 다수의 제2 데이터 패킷을 수신하되, 상기 제2 데이터 패킷은 각각 제2 컨텐츠를 포함할 뿐 아니라 상기 지정 신호를 포함하며, 상기 운영체계는 상기 제3 데이터 패킷과 제2 데이터 패킷으로부터 각각 상기 제3 컨텐츠 및 제2 컨텐츠를 추출하고, 수신한 상기 제3 컨텐츠와 제2 컨텐츠의 수효인 제3 수효와 제2 수효를 각각 계산하며, 상기 운영체계는 상기 제3 수효와 제2 수효의 합인 제1 수효를 계산한 후, 상기 운영체계는 상기 제1 수효를 나타내는 제1 숫자와 상기 제2 수효를 나타내는 제2 숫자를 상기 앱의 앱 아이콘과 함께 상기 영상 유닛에 표시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명세서의 제12 상세한 측면은 수신 유닛, 영상 유닛 및 운영 체계를 포함하는 데이터 처리 터미널에 대한 것이다. 상기 수신 유닛은 제3 다수의 컨텐츠와 제2 다수의 지정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운영체계는 특정 앱을 상기 터미널에 장착할 수 있으며, 상기 운영체계는 상기 수신 유닛이 상기 컨텐츠를 수신할 때마다 상기 컨텐츠의 수효인 제3 수효를 계산하고, 상기 운영체계는 상기 수신 유닛이 상기 지정 신호를 수신할 때마다 상기 지정 신호의 수효인 제2 수효를 계산하며, 상기 운영체계는 상기 제3 수효와 제2 수효의 합인 제1 수효를 확보한 후, 상기 운영체계는 상기 제1 수효를 나타내는 제1 숫자 및 상기 제2 수효를 나타내는 제2 숫자를 상기 앱의 앱 아이콘과 함께 상기 영상 유닛에 표시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1 또는 제12 상세한 측면에서, 상기 운영체계는 상기 제1 숫자와 상기 제2 숫자 중 하나 이상을 각각 상기 앱 아이콘의 주위 및 내부 중 하나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운영체계는 상기 제1 숫자의 크기, 모양, 색, 폰트, 배경, 위치 및 지향 하나 이상을 상기 제2 숫자의 크기, 모양, 색, 폰트, 배경, 위치 및 지향 하나 이상과 서로 상이하게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운영체계는 상기 제1 숫자를 상기 제2 숫자의 우측 또는 아래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운영체계는 상기 제2 숫자와 제1 숫자 및 상기 제3 숫자를 상기 영상 유닛에 함께 표시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제13 상세한 측면은 수신 유닛, 영상 유닛과 운영 체계를 포함하며, 상기 수신 유닛을 이용하여 서버가 발송하는 데이터 패킷을 수신할 수 있는 데이터 처리 터미널에 대한 것이다. 특히 상기 수신 유닛은 상기 터미널에 장착된 특정 앱에 대한 다수의 제3 데이터 패킷과 제3 수효를 수신하되, 상기 제3 데이터 패킷은 각각 제3 컨텐츠를 포함하지만 지정 신호를 포함하지 않고, 상기 제3 수효는 상기 제3 컨텐츠의 수효를 나타내고, 상기 수신 유닛은 또한 상기 앱에 대한 다수의 제2 데이터 패킷 및 제2 수효를 수신하지만, 상기 제2 데이터 패킷은 각각 제2 컨텐츠 및 상기 지정 신호를 포함하며, 상기 운영체계는 상기 제3 데이터 패킷과 제2 데이터 패킷으로부터 각각 상기 제3 컨텐츠 및 제2 컨텐츠를 추출하고, 상기 제3 수효와 제2 수효의 합인 제1 수효를 확보한 후, 상기 운영체계는 상기 제1 수효를 나타내는 제1 숫자와 상기 제2 수효를 나타내는 제2 숫자를 상기 앱의 앱 아이콘과 함께 상기 영상 유닛에 표시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제14 상세한 측면은 수신 유닛, 영상 유닛 및 운영 체계를 포함하며, 상기 수신 유닛을 이용하여 서버가 발송하는 컨텐츠를 수신할 수 있는 데이터 처리 터미널에 대한 것이다. 특히 상기 수신 유닛은 상기 터미널에 장착된 특정 앱에 대한 제3다수의 컨텐츠와 상기 컨텐츠의 수효를 나타내는 제3 수효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 유닛은 상기 앱에 대한 제2 다수의 지정 신호 및 상기 지정 신호의 수효를 나타내는 제2 수효를 수신하고, 상기 운영체계는 상기 제3 수효와 제2 수효의 합인 제1 수효를 확보한 후, 상기 운영체계는 상기 제1 수효를 나타내는 제1 숫자와 상기 제2 수효를 나타내는 제2 숫자를 상기 앱에 대한 앱 아이콘과 함께 상기 영상 유닛에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제13 또는 제14 상세한 측면에서, 상기 운영체계는 상기 제1 숫자와 제2 숫자 중 하나 이상을 각각 상기 앱 아이콘의 주위 또는 내부 중 하나에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운영체계는 상기 제1 숫자의 크기, 모양, 색, 폰트, 배경, 위치 및 지향 하나 이상을 상기 제2 숫자의 크기, 모양, 색, 폰트, 배경, 위치 및 지향 하나 이상과 서로 상이하게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운영체계는 상기 제1 숫자를 제2 숫자의 우측 또는 아래에 표시할 수도 있다. 상기 운영체계는 상기 제2 숫자와 제1 숫자 및 상기 제3 숫자를 상기 영상 유닛에 함께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운영체계는 상기 제2 숫자 및 제1 숫자 중 하나 이상의 숫자를 계산하여 확보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운영체계는 상기 제2 숫자 및 상기 제1 숫자 중 하나 이상의 숫자를 상기 서버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제15 상세한 측면은 영상 유닛을 포함하고 앱이 장착된 데이터 처리 터미널에 대한 것이다. 상기 터미널은 꺼진 상태의 꺼진 화면, 잠금 상태의 잠금 화면 및 해제 상태의 홈 화면 중 하나의 화면에 상기 앱의 앱 아이콘, 미확인 아이콘 뱃지 및 지정 아이콘 뱃지를 상기 영상 유닛에 표시하되, 상기 앱 아이콘은 상기 앱에 대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로서 사용자가 제공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면 상기 앱을 구동하고, 상기 미확인 아이콘 뱃지는 상기 터미널의 사용자가 상기 앱을 마지막으로 구동한 후 종료하고 상기 앱을 통하여 수신함에 따라 아직 확인하지 못한 미확인 컨텐츠의 수효, 내용 및 유형 중 하나를 상기 영상 유닛에 표시하고, 상기 지정 아이콘 뱃지는 상기 미확인 컨텐츠 중 하나 이상의 컨텐츠의 발신자가 상기 사용자를 지정 수신자로 지정하여 발송한 미확인 지정 컨텐츠의 수효, 내용 또는 유형을 상기 영상 유닛에 표시하며, 상기 터미널은 상기 영상 유닛에서 상기 미확인 아이콘 뱃지 또는 지정 아이콘 뱃지를 상기 앱 아이콘의 내부 및 주위 등 하나에 표시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제16 상세한 측면은 영상 유닛을 포함하는 한편 하나 이상의 앱이 장착된 데이터 처리 터미널에 대한 것이다. 상기 터미널은 꺼진 상태의 꺼진 화면, 잠금 상태의 잠금 화면 및 해제 상태의 홈 화면 중 하나의 화면에 상기 앱의 앱 아이콘, 미확인 아이콘 뱃지 및 지정 아이콘 뱃지를 상기 영상 유닛에 표시하되, 상기 앱 아이콘은 상기 앱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이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상기 앱 아이콘에 사용자 입력을 제공하면, 터미널은 상기 앱을 구동하고, 상기 미확인 아이콘 뱃지는 상기 터미널의 사용자가 상기 앱을 마지막으로 구동하고 종료한 후 상기 앱을 통하여 수신함에 따라 아직 확인하지 못한 미확인 컨텐츠의 수효, 내용 또는 유형을 상기 영상 유닛에 표시하고, 상기 지정 아이콘 뱃지는 상기 미확인 컨텐츠 중 지정 신호와 함께 수신한 미확인 지정 컨텐츠의 수효, 내용 또는 유형을 상기 영상 유닛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터미널은 상기 영상 유닛에서 상기 미확인 아이콘 뱃지 및 지정 아이콘 뱃지 중 하나 이상을 상기 앱 아이콘의 내부 및 주위 등 하나에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제15 또는 제16 상세한 측면에서, 상기 내용은 상기 컨텐츠의 발신자의 이름, 상기 발신자의 별명, 상기 발신자의 아이디, 상기 발신자의 직위, 상기 발신자의 소속 및 상기 컨텐츠의 중요도 중 하나 이상일 수 있다. 상기 유형은 텍스트, 기호, 숫자, 도형, 정적 이미지 및 동적 이미지 중 하나 이상일 수 있다. 상기 터미널은 상기 수효를 나타내는 숫자, 상기 내용을 나타내는 기호, 상기 내용을 나타내는 도형, 상기 유형을 나타내는 기호 및 상기 유형을 나타내는 도형 중 하나 이상을 상기 아이콘 뱃지 중 하나 이상과 상기 영상 유닛에 표시할 수도 있다. 상기 터미널은 상기 아이콘 뱃지 중 하나 이상의 뱃지를 상기 앱 아이콘의 주위 및 내부 중 하나에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지정 아이콘 뱃지는 상기 미확인 지정 컨텐츠의 수효를 나타내며, 상기 터미널은 상기 지정 컨텐츠의 수효를 상기 지정 아이콘 뱃지의 주위 및 내부 중 하나에 표시할 수 있다. 상기 터미널은 상기 미확인 컨텐츠의 수효 및 상기 지정 컨텐츠의 수효 중 하나 이상을 직접 계산할 수 있다. 서버는 발신자가 발송하는 상기 지정 컨텐츠를 수신한 후 상기 지정 컨텐츠 및 상기 지정 컨텐츠의 수효를 상기 터미널에 발송하며, 상기 터미널은 상기 지정 컨텐츠의 수효를 상기 서버로부터 수신한 후, 이를 상기 영상 유닛에 표시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제17 상세한 측면은 영상 유닛을 포함하고 하나 이상의 앱이 장착된 데이터 처리 터미널에 대한 것이다. 특히 상기 터미널은 상기 영상 유닛의 꺼진 상태, 잠금 상태 및 해제 상태 중 하나의 상태에서 상기 앱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인 앱 아이콘을 상기 영상 유닛에 표시하고, 상기 터미널은 사용자가 상기 앱의 구동을 마지막으로 완료한 후 상기 앱이 수신하여 상기 사용자가 아직 확인하지 못한 컨텐츠의 수효, 내용 및 유형 중 하나를 나타내는 제1 숫자를 상기 앱 아이콘의 주변이나 내부에 표시하고, 상기 터미널은 상기 컨텐츠 중 특정 컨텐츠의 수효, 내용 또는 유형을 나타내는 제2 숫자를 상기 제1 숫자와는 상이한 위치에 표시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제18 상세한 측면은 영상 유닛을 포함하는 데이터 처리 터미널에 장착된 앱에 대한 것이다. 특히 상술의 앱은 상기 터미널의 꺼진 상태, 잠금 상태나 해제 상태에서 자신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인 앱 아이콘을 상기 영상 유닛에 표시하고, 상기 앱은 사용자의 마지막 구동 후 수신함으로써 상기 사용자가 아직 확인하지 못한 컨텐츠의 수효, 내용이나 유형을 나타내는 제1 숫자를 상기 앱 아이콘의 주변 및 내부 중 하나에 표시하고, 상기 앱은 상기 컨텐츠 중 특정 컨텐츠의 수효, 내용 또는 유형을 나타내는 제2 숫자를 상기 제1 숫자와 상이한 위치에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제17 또는 제18 상세한 측면에서, 상기 내용은 상기 컨텐츠의 발신자의 이름, 상기 발신자의 별명, 상기 발신자의 아이디, 상기 발신자의 직위, 상기 발신자의 소속 및 상기 컨텐츠의 중요도 중 하나 이상일 수 있다. 상기 유형은 텍스트, 기호, 숫자, 도형, 정적 이미지 및 동적 이미지 중 하나 이상일 수 있다. 상기 터미널(또는 앱)은 상기 제1 숫자 및 제2 숫자 중 하나 이상의 숫자를 상기 앱 아이콘의 주위나 내부에 표시할 수 있으며, 상기 터미널(또는 앱)은 상기 미확인 컨텐츠의 수효 또는 상기 지정 컨텐츠의 수효를 직접 계산할 수 있다. 서버는 발신자가 발송하는 상기 컨텐츠를 수신한 후 상기 컨텐츠, 상기 제1 수효 및 상기 제2 수효를 상기 터미널(또는 앱)에 발송하며, 상기 터미널(또는 앱)은 상기 제1 수효 및 제2 수효를 수신한 후, 이를 상기 영상 유닛에 표시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제19 상세한 측면은 영상 유닛을 포함하는 데이터 처리 터미널에 장착된 하나 이상의 앱이, 발신자가 발송하였지만 사용자가 확인하지 않은 미확인 컨텐츠의 제1 수효 및 상기 미확인 컨텐츠 중 발신자가 상기 사용자를 지정하여 발송한 미확인 지정 컨텐츠의 제2 수효를 표시하는 방법에 대한 것이다. 상기 컨텐츠 수효 표시 방법은 발신자가 발송한 상기 미확인 컨텐츠를 수신하는 수신 단계; 상기 미확인 컨텐츠를 수신할 때마다 상기 제1 수효를 1씩 증가시키는 제1 수효 계산 단계; 상기 미확인 컨텐츠와 함께 지정 신호도 수신하였는지를 확인하는 지정 신호 확인 단계; 상기 지정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제2 수효를 1씩 증가시키는 제2 수효 계산 단계; 및 상기 터미널의 꺼진 화면, 잠금 화면 또는 해제 화면에 상기 앱의 앱 아이콘, 상기 제1 수효 및 상기 제2 수효를 함께 표시하는 표시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제20 상세한 측면은 영상 유닛을 포함하는 데이터 처리 터미널에 장착된 앱에 대한 것으로서, 발신자가 발송하였고 상기 앱이 수신하였지만 사용자가 아직 확인하지 않은 미확인 컨텐츠를 지정 컨텐츠 및 비지정 컨텐츠로 구분한 후, 상기 미확인 컨텐츠의 수효와 상기 미확인 컨텐츠에 포함된 상기 지정 컨텐츠의 수효를 표시하는 방법에 대한 것이다. 특히 상기 방법은 상기 발신자가 발송한 미확인 컨텐츠를 포함하는 데이터 패킷을 수신하는 수신 단계; 상기 데이터 패킷을 수신할 때마다 상기 미확인 컨텐츠의 제1 수효를 1씩 증가시키는 제1 수효 계산 단계; 상기 데이터 패킷에 지정 신호도 포함되었는지 확인하는 지정 신호 확인 단계; 상기 지정 신호가 포함되었을 때마다 제2 수효를 1씩 증가시키는 제2 수효 계산 단계; 및 상기 터미널의 꺼진 화면, 잠금 화면 및 해제 화면 중 하나의 화면에 상기 앱의 앱 아이콘, 상기 제1 수효 및 상기 제2 수효를 상기 영상 유닛에 표시하는 표시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9 또는 제20 상세한 측면에서,
상기 제1 수효 계산 단계와 상기 제2 수효 계산 단계는, 사용자가 상기 앱을 구동하다가 종료한 후 상기 제1 수효와 제2 수효를 1씩 증가시키기 전, 상기 앱은 상기 제1 수효와 제2 수효를 각각 "0"으로 초기화하는 초기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표시 단계는, 상기 앱이 상기 앱 아이콘의 주변 및 내부 중 하나에 상기 제1 수효 및 상기 제2 수효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상기 표시 단계는, 상기 앱이 상기 제1 수효 및 상기 제2 수효의 크기, 모양, 색, 폰트, 배경, 위치 및 지향 중 하나 이상을 서로 상이하게 표시함으로써 상기 사용자가 상기 제1 수효 및 상기 제2 수효를 용이하게 구별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신 단계는, 상기 발신자가 상기 미확인 컨텐츠(를 포함하는 데이터 패킷)를 서버에 발송하는 단계; 및 상기 서버가 상기 미확인 컨텐츠(를 포함하는 데이터 패킷)를 상기 사용자에게 발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제21 상세한 측면은 발신자가 특정 앱을 이용하여 발송한 제1 다수의 컨텐츠와 제2 다수의 지정 신호를 수신한 서버로부터 상기 컨텐츠와 지정 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데이터 처리 터미널로서, 영상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앱이 장착된 상기 터미널이 상기 컨텐츠의 수효에 해당하는 제1 숫자와 상기 지정 신호의 수효에 해당하는 제2 숫자를 상기 영상 유닛에 표시하는 방법에 대한 것이다. 상기 방법은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컨텐츠와 상기 지정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 단계; 상기 컨텐츠를 수신할 때마다 상기 제1 숫자를 1씩 큰 숫자로 대체하는 제1 숫자 확보 단계; 상기 컨텐츠와 함께 지정 신호도 수신하였을 때 상기 제2 숫자를 1씩 큰 숫자로 대체하는 제2 숫자 확보 단계; 및 상기 터미널의 꺼진 화면, 잠금 화면 및 해제 화면 중 하나의 화면에 상기 앱의 앱 아이콘, 상기 제1 숫자 및 상기 제2 숫자를 함께 표시하는 표시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제22 상세한 측면은 발신자가 특정 앱을 이용하여 발송한 제1 다수의 컨텐츠와 제2 다수의 지정 신호를 수신한 서버로부터 상기 컨텐츠와 지정 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데이터 처리 터미널로서, 상기 터미널은 영상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앱이 장착되었으며, 상기 터미널은 상기 서버로부터 수신하였지만 사용자가 아직 확인하지 않은 미확인 컨텐츠를 지정 컨텐츠, 비지정 컨텐츠 등으로 구분하고, 상기 미확인 컨텐츠의 제1 수효 및 상기 지정 컨텐츠의 제2 수효를 상기 영상 유닛에 표시하는 방법에 대한 것이다. 상기 방법은 상기 터미널이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미확인 컨텐츠를 포함하는 데이터 패킷을 수신하는 수신 단계; 상기 터미널이 상기 데이터 패킷을 수신할 때마다 상기 미확인 컨텐츠의 제1 수효를 1씩 증가시키는 제1 수효 계산 단계; 상기 터미널이 상기 데이터 패킷이 상기 지정 신호도 포함하는지 확인하는 지정 신호 확인 단계; 상기 터미널이 상기 지정 신호를 확인할 때마다 제2 수효를 1씩 증가시키는 제2 수효 계산 단계; 및 상기 터미널이 꺼진 화면, 잠금 화면 및 해제 화면 중 하나의 화면에 상기 앱의 앱 아이콘, 상기 제1 수효 및 상기 제2 수효를 상기 영상 유닛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1 또는 제22 상세한 측면에서, 상기 제1 수효 계산 단계와 제2 수효 계산 단계는, 상기 사용자가 상기 앱을 구동하다가 종료한 후 상기 제1 수효와 제2 수효를 1씩 증가시키기 전, 상기 앱은 상기 제1 수효와 제2 수효를 각각 "0"으로 초기화하는 초기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표시 단계는, 상기 앱이 상기 앱 아이콘의 주변 및 내부 중 하나에 상기 제1 수효 및 상기 제2 수효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상기 표시 단계는, 상기 앱은 상기 제1 수효 및 상기 제2 수효의 크기, 모양, 색, 폰트, 배경, 위치 및 지향 중 하나 이상을 서로 상이하게 표시함으로써 상기 사용자가 상기 제1 수효 및 상기 제2 수효를 용이하게 구별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제23 상세한 측면은 발신자가 특정 앱을 이용하여 발송한 제1 다수의 컨텐츠와 제2 다수의 지정 신호를 수신한 서버로부터 상기 컨텐츠, 상기 컨텐츠의 수효인 제1 수효, 상기 지정 신호 및 상기 지정 신호의 수효인 제2 수효를 수신할 수 있고, 상기 앱이 장착되어 있고, 영상 유닛을 포함하는 데이터 처리 터미널을 이용하여 상기 제1 수효와 상기 제2 수효를 상기 영상 유닛에 표시하는 방법에 대한 것이다. 상기 방법은 터미널이 서버로부터 상기 컨텐츠, 지정 신호, 제1 수효 및 제2 수효를 수신하는 수신 단계; 상기 터미널의 꺼진 화면, 잠금 화면 및 해제 화면 중 하나의 화면에 상기 앱의 앱 아이콘을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터미널이 상기 제1 수효 및 상기 제2 수효 중 하나 이상을 상기 앱 아이콘의 주변 및 내부 중 하나에 함께 표시하되, 상기 제1 수효가 상기 제2 수효보다 작지 않은 표시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제24 상세한 측면은 발신자가 특정 앱을 이용하여 발송한 제3 수효의 비지정 데이터 패킷 및 제2 수효의 지정 데이터 패킷을 수신할 수 있는 서버로서, 상기 비지정 데이터 패킷은 컨텐츠를 포함하지만 지정 신호를 포함하지 않고, 상기 지정 데이터 패킷은 상기 컨텐츠와 상기 지정 신호를 포함하며, 데이터 처리 터미널은 상기 서버와 무선 통신이 가능하고, 영상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앱이 장착되었고, 상기 터미널을 이용하여 상기 컨텐츠의 수효를 상기 영상 유닛에 표시하는 방법에 대한 것이다. 특히 상기 방법은 상기 터미널이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컨텐츠, 상기 제3 수효 및 상기 제2 수효를 수신하는 수신 단계; 상기 터미널이 상기 제3 수효와 제2 다수의 합인 제1 수효를 계산하는 단계; 상기 터미널의 꺼진 화면, 잠금 화면 및 해제 화면 중 하나의 화면에 상기 앱의 앱 아이콘을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터미널이 상기 제1 수효 및 상기 제2 수효 중 하나 이상을 상기 앱 아이콘의 주변 및 내부 중 하나에 함께 표시하는 표시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제25 상세한 측면은 발신자가 특정 앱을 이용하여 발송한 제3 수효의 비지정 데이터 패킷 및 제2 수효의 지정 데이터 패킷을 수신할 수 있는 서버로서, 상기 비지정 데이터 패킷은 컨텐츠를 포함하지만 지정 신호를 포함하지 않고, 상기 지정 데이터 패킷은 상기 컨텐츠와 상기 지정 신호를 포함하며, 상기 앱은 상기 제3 수효와 제2 수효의 합인 제1 수효를 계산하고, 데이터 처리 터미널은 상기 서버와 통신이 가능하고, 영상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앱이 장착되었고, 상기 터미널을 이용하여 상기 컨텐츠의 수효를 상기 영상 유닛에 표시하는 방법에 대한 것이다. 특히 상기 방법은 상기 터미널이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컨텐츠, 상기 제1 수효 및 상기 제2 수효를 수신하는 수신 단계; 상기 터미널의 꺼진 화면, 잠금 화면 및 해제 화면 중 하나의 화면에 상기 앱의 앱 아이콘을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터미널이 상기 제1 수효 및 상기 제2 수효 중 하나 이상을 상기 앱 아이콘의 주변 및 내부 중 하나에 함께 표시하는 표시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3 내지 제25 상세한 측면에서, 상기 표시 단계는 상기 앱이 상기 제1 수효의 크기, 모양, 색, 폰트, 배경, 위치 및 지향 중 하나 이상을 상기 제2 수효의 크기, 모양, 색, 폰트, 배경, 위치 및 지향 중 하나 이상과 서로 상이하게 표시함으로써 사용자가 상기 제1 수효 및 상기 제2 수효를 용이하게 구별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제26 상세한 측면은 영상 유닛을 포함하며 하나 이상의 특정 앱이 장착된 데이터 처리 터미널을 이용하여 상기 앱이 수신한 컨텐츠의 수효를 표시하는 방법에 대한 것이다. 특히 상기 방법은 상기 앱이 상기 터미널의 꺼진 화면, 잠금 화면 및 해제 화면 중 하나의 화면에 상기 앱의 앱 아이콘을 표시하는 단계; 상기 앱이 상기 앱 아이콘의 내부 또는 주위에 제1 수효를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앱이 상기 앱 아이콘의 내부나 주위 중 하나에 제2 수효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제1 수효는 상기 제2 수효보다 작지 않고, 상기 앱은 상기 제1 수효 및 상기 제2 수효의 크기, 모양, 색, 폰트, 배경, 위치 및 지향 중 하나 이상을 서로 상이하게 표시함으로써 사용자가 상기 제1 수효 및 상기 제2 수효를 용이하게 구별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제27 상세한 측면은 영상 유닛을 포함하고 하나 이상의 앱이 장착된 데이터 처리 터미널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상기 앱의 구동을 종료한 후 상기 앱이 수신한 제1 컨텐츠의 수효가 제1 수효이고, 상기 제1 컨텐츠의 일부인 제2 컨텐츠의 수효가 제2 수효일 때, 상기 앱이 상기 영상 유닛에 상기 제1 수효 및 상기 제2 수효를 표시하는 방법에 대한 것이다. 특히 상기 방법은 상기 앱이 상기 영상 유닛에 표시된 꺼진 화면, 잠금 화면 및 해제 화면 중 하나의 화면에 상기 앱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인 앱 아이콘을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앱이 수신한 상기 제1 수효 및 제2 수효 중 하나 이상을 상기 앱 아이콘의 내부 및 주위 중 하나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제1 수효는 상기 제2 수효보다 작지 않고, 상기 앱은 상기 제1 수효 및 상기 제2 수효의 크기, 모양, 색, 폰트, 배경, 위치 및 지향 중 하나 이상을 서로 상이하게 표시하여, 사용자가 상기 제1 수효 및 상기 제2 수효를 용이하게 구별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다양한 상세한 측면의 앱, 운영체계는 물론 본 명세서의 다양한 예시적 측면의 앱 또는 운영체계는 각각 다수의 명령어의 집합으로 간주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다양한 상세한 측면은 물론 본 명세서의 다양한 예시적 측면의 앱 또는 운영체계는 특정 작업을 실행하는 다수의 부분으로 이루어지며, 각 부분은 단일 또는 다수의 명령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특정 부분이 다수의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명령어들은 특정 앱이나 운영체계의 특정 위치에서 연속적으로 열거되거나, 또는 상기 앱 또는 운영체계의 다수의 상이한 위치에서 부분적으로 열거될 수 있다.
일예로 상기 제10 상세한 측면의 앱은 다수의 미확인 데이터 패킷으로부터 다수의 미확인 컨텐츠를 추출하는 제3 부분, 상기 미확인 컨텐츠의 제1 수효를 확보하는 제4 부분 등과 같은 다수의 부분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간주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상기 제14 상세한 측면의 운영 체계는 특정 앱에 대한 제3다수의 컨텐츠와 상기 컨텐츠의 수효를 나타내는 제3 수효를 수신하는 제6 부분, 상기 제3 수효와 제2 수효의 합인 제1 수효를 확보하는 제7 부분 등의 다수의 부분을 포함하는 것으로 간주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제28 상세한 측면의 앱은 발신자가 컨텐츠를 생성하여 발송할 수 있도록 하고, 영상 유닛을 포함하는 데이터 처리 터미널에 장착되며, 수신자가 터미널을 이용하여 상기 컨텐츠를 수신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앱은 수신자가 앱을 최종적으로 구동한 후 수신함에 따라 미확인 상태인 미확인 컨텐츠를 수신하고, 미확인 컨텐츠의 제1 수효를 확보하고, 미확인 컨텐츠를 비지정 컨텐츠와 지정 컨텐츠로 구분하며, 상기 지정 컨텐츠의 제2 수효를 확보하며, 영상 유닛에 상기 앱의 앱 아이콘, 상기 제1 수효를 나타내는 제1 숫자 및 상기 제2 수효를 나타내는 제2 숫자를 표시하되, 상기 제1 수효는 제2 수효보다 작지 않다. 상기 앱은 상기 제1 숫자 및 제2 숫자를 상기 앱 아이콘의 외부, 내부 및 테두리 중 하나에 표시하며, 이에 따라 수신자는 상기 제1 숫자 및 제2 숫자만으로 상기 미확인 컨텐츠의 수효와 상기 지정 컨텐츠의 수효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앱은 상기 미확인 컨텐츠와 지정 신호를 함께 수신하면, 상기 미확인 컨텐츠를 상기 지정 컨텐츠로 구분하지만, 상기 지정 신호 없이 상기 미확인 컨텐츠만 수신하면, 상기 미확인 컨텐츠를 상기 비지정 컨텐츠로 구분할 수 있다. 상기 앱은 상기 미확인 컨텐츠를 포함하는 데이터 패킷을 수신하며, 상기 데이터 패킷이 상기 미확인 컨텐츠 및 지정 신호를 포함하면, 상기 앱은 상기 미확인 컨텐츠를 상기 지정 컨텐츠로 구분한다. 하지만 상기 데이터 패킷이 상기 미확인 컨텐츠는 포함하지만 상기 지정 신호를 포함하지 않으면, 상기 앱은 상기 미확인 컨텐츠를 상기 비지정 컨텐츠로 구분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제29 상세한 측면의 앱은 발신자가 컨텐츠를 생성하여 발송할 수 있도록 하고, 영상 유닛을 포함하는 데이터 처리 터미널에 장착되며 수신자가 상기 터미널을 이용하여 상기 컨텐츠를 수신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앱은 상기 터미널의 꺼진 화면, 잠금 화면 및 홈 화면 중 하나의 화면에 상기 앱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인 앱 아이콘을 표시하고, 상기 앱은 수신자가 상기 앱을 최종적으로 구동한 후 수신함에 따라 미확인 상태인 미확인 컨텐츠를 수신하면 미확인 아이콘 뱃지를 상기 영상 유닛에 표시할 수 있고, 상기 앱은 상기 미확인 컨텐츠를 수신함에 따라 상기 미확인 컨텐츠의 수효인 제1 수효를 계산하고, 상기 제1 수효에 대한 제1 숫자를 상기 미확인 아이콘 뱃지에 첨부하여 표시한다. 상기 앱이 상기 미확인 컨텐츠를 수신함과 함께 지정 신호를 수신한 경우, 상기 앱은 상기 미확인 컨텐츠를 지정 컨텐츠로 구분하며 지정 아이콘 뱃지를 상기 영상 유닛에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앱은 상기 지정 컨텐츠를 수신함에 따라 상기 지정 컨텐츠의 수효인 제2 수효를 계산한 후, 상기 제2 수효에 대한 제2 숫자를 상기 지정 아이콘 뱃지에 첨부하여 표시하되, 상기 제1 수효는 제2 수효보다 작지 않으며, 이에 따라 수신자는 상기 제1 숫자 및 상기 제2 숫자만으로 상기 미확인 컨텐츠의 수효와 상기 지정 컨텐츠의 수효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제30 상세한 측면의 서버는 특정 앱을 통하여 발신자가 생성한 컨텐츠를 수신하고, 상기 컨텐츠를 수신자의 데이터 처리 터미널에 상기 앱을 통하여 발송할 수 있다. 상기 서버는 수신자가 상기 앱을 최종적으로 구동한 후 발신자로부터 수신하는 상기 컨텐츠를 미확인 컨텐츠로 간주할 수 있고, 상기 서버는 상기 미확인 컨텐츠를 수신할 때마다 상기 미확인 컨텐츠의 수효인 제1 수효를 계산할 수 있다. 발신자로부터 상기 미확인 컨텐츠와 함께 지정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서버는 상기 컨텐츠를 지정 컨텐츠로 간주하고, 다수의 상기 지정 컨텐츠를 수신할 때마다 상기 지정 컨텐츠의 수효인 제2 수효를 계산할 수 있으며, 상기 미확인 컨텐츠, 상기 제1 수효 및 상기 제2 수효를 상기 수신자의 상기 터미널에 발송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터미널은 상기 앱의 앱 아이콘과 상기 제1 수효에 해당하는 제1 숫자 및 상기 제2 수효에 해당하는 제2 숫자를 표시함으로써 상기 수신자는 상기 앱으로 수신한 상기 미확인 컨텐츠의 수효 및 상기 지정 컨텐츠의 수효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제31 상세한 측면의 앱은 영상 유닛을 포함한 데이터 처리 터미널에 장착되고, 발신자가 발신한 컨텐츠를 수신자가 수신할 수 있도록 한다. 특히 상기 앱은 다섯 개 이상의 "컴퓨터 명령어 부분(이후 "명령어 부분"으로 약칭)"들을 포함할 수 있다. 우선 제1 명령어 부분은 수신자가 상기 앱의 구동을 가장 최근 종료한 후 수신함예 따라 미확인 상태인 미확인 컨텐츠를 수신할 수 있으며, 제2 명령어 부분은 미확인 컨텐츠의 수효인 제1 수효를 확보할 수 있다. 제3 명령어 부분은 상기 미확인 컨텐츠를 비지정 컨텐츠와 지정 컨텐츠로 구분하며, 상기 지정 컨텐츠의 수효인 제2 수효를 확보할 수 있다. 제4 명령어 부분은 상기 앱의 앱 아이콘, 상기 제1 수효를 나타내는 제1 숫자 또는 상기 제2 수효를 나타내는 제2 숫자를 영상 유닛에 표시하되, 상기 제1 수효는 상기 제2 수효보다 작지 않다. 제5 명령어 부분은 제1 숫자 또는 제2 숫자를 앱 아이콘의 내부, 외부 또는 가장자리에 표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수신자는 상기 제1 또는 상기 제2 숫자만으로 미확인 컨텐츠의 수효나 지정 컨텐츠의 수효를 각각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제31 상세한 측면에서, 상기 앱이 상기 컨텐츠와 상기 지정 신호를 함께 수신하면, 제2 명령어 부분은 상기 컨텐츠를 지정 컨텐츠로 구분할 수 있다. 하지만 상기 앱이 지정 신호 없이 컨텐츠만 수신하는 경우, 제2 명령어 부분은 상기 컨텐츠를 비지정 컨텐츠로 구분할 수 있다. 이와는 달리 상기 앱은 미확인 컨텐츠를 포함하는 데이터 패킷을 수신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 패킷이 컨텐츠와 지정 신호를 수신하면, 제2 명령어 부분은 상기 컨텐츠를 지정 컨텐츠로 구분할 수 있다. 하지만 상기 데이터 패킷이 지정 신호 없이 컨텐츠만 포함하는 경우, 제2 명령어 부분은 상기 컨텐츠를 비지정 컨텐츠로 구분할 수 있다. 제5 명령어 부분은 상기 제1 숫자와 상기 제2 숫자의 크기, 모양, 색, 폰트, 위치, 배경 또는 지향 중 하나 이상을 상이하게 표시할 수도 있다. 제5 명령어 부분은 상기 앱 아이콘, 제1 숫자 및 제2 숫자를 동시에, 즉 같은 시간에 표시할 수 있다. 또는 제5 명령어 부분은 상기 앱 아이콘, 제1 숫자 및 제2 숫자의 두 개 이상을 동시에 또는 순차적으로 표시할 수 있다. 미확인 컨텐츠에 상기 지정 컨텐츠가 포함되지 않으면, 제5 명령어 부분은 상기 제2 숫자를 "0"으로 표시할 수 있다. 제5 명령어 부분은 터미널이 꺼진 상태에서 꺼진 화면에, 터미널이 잠금 상태에서 잠금 화면에 또는 터미널이 해제 상태에서 홈 화면에 상기 앱 아이콘, 제1 숫자 및 제2 숫자 중 하나 이상을 표시할 수 있다. 제3 명령어 부분은 컨텐츠의 내용에 따라 이를 비지정 컨텐츠 또는 지정 컨텐츠로 구분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제32 상세한 측면의 앱은 영상 유닛을 포함한 데이터 처리 터미널에 장착되고, 발신자가 발신한 컨텐츠를 수신자가 수신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앱은 다수의 "컴퓨터 명령어 부분," 즉 "명령어 부분"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명령어 부분은 상기 앱의 앱 아이콘을 꺼진 화면, 잠금 화면 또는 홈 화면에 표시할 수 있고, 이 때 상기 앱 아이콘은 상기 앱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일 수 있다. 상기 앱이 사용자가 상기 앱의 구동을 종료한 후 수신하고, 이에 따라 현재 상기 컨텐츠가 미확인 상태이면, 제2 명령어 부분은 미확인 아이콘 뱃지를 영상 유닛에 표시할 수 있다. 제3 명령어 부분은 상기 앱이 새로운 미확인 컨텐츠를 수신할 때마다 상기 미확인 컨텐츠의 수효인 제1 수효를 계산한다. 제4 명령어 부분은 상기 제1 수효를 나타내는 제1 숫자를 미확인 아이콘 뱃지에 첨부하여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앱이 컨텐츠와 지정 신호를 함께 수신하면, 제5 명령어 부분은 영상 유닛에 지정 아이콘 뱃지를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앱이 새로운 지정 컨텐츠를 수신할 때마다, 제6 명령어 부분은 지정 컨텐츠의 수효인 제2 수효를 계산하고, 상기 제2 수효를 나타내는 제2 숫자를 상기 지정 아이콘 뱃지에 첨부하여 표시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제1 수효는 제2 수효보다 작지 않다. 따라서 수신자는 상기 제1 숫자 또는 상기 제2 숫자를 봄으로써 상기 미확인 컨텐츠의 수효 또는 지정 컨텐츠의 수효를 각각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제32 상세한 측면에서, 제4 명령어 부분은 제1 숫자를 미확인 아이콘 뱃지의 내부, 외부 또는 가장자리에 표시할 수 있다. 제6 명령어 부분은 상기 제2 숫자를 지정 아이콘 뱃지의 내부, 외부 또는 가장자리에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앱은 상기 미확인 아이콘 뱃지와 지정 아이콘 뱃지의 크기, 모양, 색, 폰트, 위치, 배경 또는 지향 중 하나 이상을 상이하도록 표시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앱은 상기 제1 숫자와 제2 숫자의 크기, 모양, 색, 폰트, 위치, 배경 또는 지향 중 하나 이상을 상이하도록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앱은 앱 아이콘, 미확인 아이콘 뱃지 및 지정 아이콘 뱃지를 동시(즉 동일한 시간)에 표시하거나, 또는 순차적으로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앱은 앱 아이콘, 제1 숫자 및 제2 숫자를 동시에 또는 순차적으로 표시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제33 상세한 측면의 서버는 발신자가 특정 앱을 이용하여 생성한 컨텐츠를 수신할 수 있고, 상기 앱을 통하여 상기 컨텐츠를 수신자의 데이터 처리 터미널에 발송할 수 있다. 상기 서버는 다수의 "컴퓨터 명령어 부분," 즉 다수의 "명령어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명령어 부분은 수신자가 상기 앱을 최종적으로 종료한 후 서버가 수신한 컨텐츠를 미확인 컨텐츠로 간주할 수 있다. 제2 명령어 부분은 서버가 신규 미확인 컨텐츠를 수신할 때마다, 상기 미확인 컨텐츠의 수효를 나타내는 제1 수효를 계산한다. 하지만 서버가 상기 컨텐츠와 지정 신호를 함께 수신하면, 제3 명령어 부분은 상기 컨텐츠를 지정 컨텐츠로 간주할 수 있다. 서버가 신규 지정 컨텐츠를 수신하는 경우, 제4 명령어 부분은 상기 지정 컨텐츠의 수효를 나타내는 제2 수효를 계산할 수 있다. 제5 명령어 부분은 지정 컨텐츠, 제1 수효 및 제2 수효를 수신자의 터미널에 발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터미널은 앱 아이콘, 제1 수효를 나타내는 제1 숫자와 제2 수효를 나타내는 제2 숫자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수신자는 상기 숫자로부터 미확인 컨텐츠의 수효 및 지정 컨텐츠의 수효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제33 상세한 측면에서, 서버는 컨텐츠를 포함하는 데이터 패킷을 수신할 수도 있다. 데이터 패킷이 컨텐츠 및 지정 신호를 모두 포함하면, 서버는 상기 컨텐츠를 지정 컨텐츠로 간주할 수 있다. 하지만 데이터 패킷이 컨텐츠는 포함하지만 지정 신호는 포함하지 않는 경우, 서버는 상기 컨텐츠를 미확인 컨텐츠로 간주할 수 있다. 미확인 컨텐츠에 지정 컨텐츠가 포함되지 않으면, 서버는 상기 제2 수효를 "0"으로 표시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제34 상세한 측면은 앱 시스템에 대한 것으로서, 상기 앱 시스템은 하나 이상의 서버, 하드웨어 요소, 소프트웨어 요소 및 앱을 포함한다. 특히 상기 앱 시스템은 컨텐츠 발신자의 터미널에 장착된 발신 앱과, 상기 컨텐츠의 수신자의 터미널에 장착된 수신 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앱 시스템은 상기 서버를 이용하여 발신자가 자신의 터미널을 이용하여 생성한 후, 상기 발신 앱으로 발송하는 컨텐츠를 수신할 수 있고, 상기 서버를 이용하여 상기 컨텐츠를 수신자의 터미널의 상기 수신 앱에 발송할 수 있다.
상기 앱 시스텝의 서버 또는 상기 수신 앱은 수신자가 상기 앱을 최종적으로 구동한 후 수신함에 따라 수신자가 아직 확인하지 못한 상태인 미확인 컨텐츠의 수효를 나타내는 제1 숫자를 상기 앱의 아이콘과 함께 수신자 터미널의 영상 유닛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앱 시스템의 서버 또는 상기 수신 앱은 상기 미확인 컨텐츠 중 발신자가 수신자를 지정 수신자로 지정한 지정 컨텐츠의 수효를 나타내는 제2 숫자를 상기 앱 아이콘, 제1 숫자와 함께 상기 영상 유닛에 표시할 수 있되, 상기 제1 숫자는 제2 숫자보다 작지 않다. 따라서 수신자는 상기 제1 숫자 및 상기 제2 숫자만으로 상기 미확인 컨텐츠의 수효 및 상기 미확인 컨텐츠에 포함된 상기 지정 컨텐츠의 수효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제34 상세한 측면에서, 상기 앱 시스템은 상술의 다양한 상세한 측면은 물론 본 명세서의 다양한 예시적 측면, 각 측면의 다양한 실시예 또는 상세예에서 예시한 다양한 구성 또는 방법으로 상기 미확인 컨텐츠의 수효, 상기 미확인 지정 컨텐츠의 수효, 미확인 아이콘 뱃지 또는 지정 아이콘 뱃지를 생성하거나 사용할 수 있다. 단 이 경우, 상술과 같이 상기 다양한 상세한 측면, 예시적 측면, 실시예 또는 상세예의 서버, 발신 앱, 수신 앱 등은 상기 앱 시스템에 속한 하드웨어 요소 또는 소프트웨어 요소에 해당한다.
4. 기타
본 명세서에서는 상반된 언급이 없는 한, 모든 기술 용어나 모든 과학 용어는 데이터 처리 터미널, 상기 터미널을 이용하여 생성, 송신, 수신 또는 저장할 수 있는 다양한 컨텐츠, 상기 컨텐츠를 포함하는 다양한 데이터 패킷 또는 미확인 지정 컨텐츠의 수효나 내용을 표시할 수 있는 지정 아이콘 뱃지 등과 관련된 분야의 통상 지식을 가진 자가 통상적으로 이해하는 의미와 동일한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한다.
아래에서는 다양한 터미널, 컨텐츠, 데이터 패킷 또는 지정 아이콘 뱃지의 구조, 방법 또는 작업 실행 순서에 대하여 설명한다. 단 상기 터미널, 컨텐츠, 데이터 패킷 또는 지정 아이콘 뱃지의 구조, 방법, 또는 작업 실행 순서를 구현하기 위하여 본 명세서에서 예시한 다양한 측면, 실시예, 또는 상세예는 이와 유사하거나 또는 균등 터미널, 균등 컨텐츠, 균등 데이터 패킷 또는 균등 지정 아이콘 뱃지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인용한 학술 문헌, 출원특허, 등록특허 및 다른 참고 문헌은 전체가 본 명세서에 포함되는 것으로 간주한다. 만일 상기 문헌 또는 특허와 본 명세서의 설명이 상충되면, 본 명세서의 정의 및 설명이 우선하는 것으로 한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한 다양한 터미널, 컨텐츠, 데이터 패킷, 지정 아이콘 뱃지 등의 구조, 방법, 작업 실행 순서 등은 예시일 뿐이며, 이는 본 명세서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함이 아니다.
[도1]은 터미널의 영상 유닛에 표시된 다양한 사용자 인터페이스와 이에 대한 기존 미확인 아이콘 뱃지의 예시이다.
[도2]는 기존 미확인 아이콘 뱃지의 상세한 예시이다.
[도3]은 특정 앱을 구동하였을 경우 상기 앱이 영상 유닛에 표시하는 다수의 그룹 및 각각의 그룹에 대한 미확인 아이콘 뱃지의 예시이다.
[도4]는 [도3]의 앱의 특정 그룹의 멤버들이 서로 송수신한 컨텐츠를 영상 유닛에 표시한 컨텐츠 창의 예시이다.
[도5] 내지 [도11]은 미확인 아이콘 뱃지와 지정 아이콘 뱃지의 구성 및 배치에 대한 예시이다.
[도12] 내지 [도19]는 미확인 컨텐츠 중 지정 컨텐츠가 포함되지 않는 경우, 미확인 아이콘 뱃지와 지정 아이콘 뱃지의 구성 및 배치에 대한 예시이다.
[도20] 내지 [도23]은 미확인 아이콘 뱃지의 다양한 특성을 변화시킴으로써 지정 아이콘 뱃지를 표시하는 경우의 구성 및 배치에 대한 예시이다.
[도24] 내지 [도27]은 하드 키보드 또는 소프트 키보드를 조작하거나 또는 접촉함으로써 지정 수신자를 선택하는 구성 및 방법에 대한 예시이다.
[도28] 내지 [도34]는 특정 그룹의 멤버 리스트를 이용하여 지정 수신자를 선택하는 구성 및 방법에 대한 예시이다.
[도35]와 [도36]은 발신자가 능동적으로 지정 신호를 제공하지 않더라도 터미널이 지정 수신자를 선택하는 구성 및 방법에 대한 예시이다.
[도37]과 [도38]은 영상 유닛에 지정 컨텐츠를 선택적으로 표시하는 구성 및 방법에 대한 예시이다.
[도39]와 [도40]은 지정 신호, 지정 컨텐츠 및 지정 아이콘 뱃지를 일정 관리 앱에 적용하는 구성 및 방법에 대한 예시이다.
[도41]과 [도42]는 지정 신호, 지정 컨텐츠 및 지정 아이콘 뱃지를 광고 표시 앱에 적용하는 구성 및 방법에 대한 예시이다.
[도43]과 [도44]는 지정 신호, 지정 컨텐츠 및 지정 아이콘 뱃지를 사건 공지 앱에 적용하는 구성 및 방법에 대한 예시이다.
[도45]와 [도46]은 지정 신호, 지정 컨텐츠 및 지정 아이콘 뱃지를 차량 관리 앱에 적용하는 구성 및 방법에 대한 예시이다.
[도47]과 [도48]은 지정 신호, 지정 컨텐츠 및 지정 아이콘 뱃지를 사물인터넷 관리 앱에 적용하는 구성 및 방법에 대한 예시이다.
[도49]와 [도50]은 지정 신호, 지정 컨텐츠 및 지정 아이콘 뱃지를 로봇 관리 앱에 적용하는 구성 및 방법에 대한 예시이다.
[도51]과 [도52]는 지정 신호, 지정 컨텐츠 및 지정 아이콘 뱃지를 건강 관리 앱에 적용하는 구성 및 방법에 대한 예시이다.
[도53]은 영상 유닛이 꺼진 상태에서 다양한 아이콘 뱃지를 표시하는 구성 및 방법에 대한 예시이다.
[도54]는 영상 유닛이 잠금 화면을 표시하는 상태에서 다양한 아이콘 뱃지를 표시하는 구성 및 방법에 대한 예시이다.
[도55]와 [도56]은 비지정 컨텐츠 및 지정 컨텐츠의 수효를 표시하는 다양한 아이콘 뱃지의 구성 및 방법에 대한 예시이다.
[도57]과 [도58]은 다수의 앱의 다양한 아이콘 뱃지를 상기 종류에 따라 따로따로 표시하는 구성 및 방법에 대한 예시이다.
[도59]와 [도60]은 지정 신호, 지정 컨텐츠, 지정 데이터 패킷과 지정 아이콘 뱃지를 네트워크를 이용한 프로그램에 적용한 구성 및 방법에 대한 예시이다
[도61] 내지 [도63]은 미확인 컨텐츠의 수효 또는 미확인 지정 컨텐츠의 수효를 계산하는 프로그램의 예시이다.
아래에서는 본 명세서의 다양한 데이터 처리 터미널, 다양한 지정 컨텐츠, 다양한 지정 데이터 패킷, 다양한 지정 아이콘 뱃지에 대한 적합한 구조, 방법, 작업 실행 순서를 예시한다. 특히 본 명세서는 상기 터미널, 지정 컨텐츠, 지정 데이터 패킷, 지정 아이콘 뱃지 등의 구조 상 또는 작업 실행 상의 특징 및 이들의 다양한 제작 방법 및 사용 방법을 설명한다. 또한 본 명세서는 다양한 터미널, 지정 컨텐츠, 지정 데이터 패킷, 지정 아이콘 뱃지 등과 관련된 다양한 하드웨어 요소 또는 소프트웨어 요소는 물론 상기 요소를 구동하는 다양한 방법도 설명한다.
본 명세서는 첨부된 도면 및 설명을 참고로 하되, 본 명세서의 예시적 측면, 상기 측면의 실시예, 상기 실시예의 상세예는 각각 상이한 형태에 해당할 뿐이다. 하지만 본 명세서의 터미널, 지정 컨텐츠, 지정 데이터 패킷 또는 지정 아이콘 뱃지 등의 구조 상 또는 작업 실행 상의 특징 및 이들의 다양한 제작 방법 및 사용 방법 등은 상이한 구성, 구조, 방법, 절차 또는 작업 실행 순서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의 터미널, 지정 컨텐츠, 지정 데이터 패킷, 지정 아이콘 뱃지 등의 구조 상 또는 작업 실행 상의 특징과 이들의 다양한 제작 방법 또는 사용 방법은 상술 및 하술의 예시적 측면, 실시예 및 상세예에 국한되지 않는다. 오히려 상기 예시적 측면, 실시예 및 상세예는 본 명세서를 완전하고 철저히 하기 위하여, 그리고 상기 터미널, 지정 컨텐츠, 지정 데이터 패킷, 지정 아이콘 뱃지 등의 구조 상 및 작업 실행 상의 특성 및 이들의 다양한 제작 방법과 사용 방법과 관련된 분야의 당업자에서 상기 터미널, 방법 또는 작업 실행 순서에 대한 범위를 완전히 알리기 위함이다.
상반된 언급이 없는 이상, 본 명세서의 도면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데이터 처리 터미널의 다양한 시스템, 유닛, 요소, 부위 등을 실제 크기나 비율로 표시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하술의 도면에서 동일한 숫자로 나타내는 시스템, 유닛, 요소, 부위, 또는 이들의 작업, 스텝 및 작업 실행 순서는 서로 동일 또는 유사하거나 기능적으로 균등함을 나타낸다.
본 명세서의 도면은 다양한 데이터 처리 터미널의 제작 및 사용은 물론 지정 컨텐츠, 지정 데이터 패킷, 지정 아이콘 뱃지 등의 생성, 발송, 수신, 표시, 활용 등에 대한 다양한 예시적 측면. 실시예 및 상세예를 설명하기 위함이다. 상기 도면에서 "("와 ")"의 사이에 표기한 숫자, 일예로 (10) 또는 (60)은 도면에 예시한 시스템, 유닛, 요소, 부위, 화면 또는 작업 실행 순서를 나타낸다.
본 명세서의 데이터 처리 터미널, 지정 컨텐츠, 지정 데이터 패킷 및 지정 아이콘 뱃지에 대한 다양한 예시적 측면, 실시예 및 상세예는 서로 상이할 수 있지만, 특별한 설명이 없는 한 서로 배타적이지는 않다. 즉 특정 예시적 측면이나 실시예에서 예시한 터미널, 지정 컨텐츠, 지정 데이터 패킷 및 지정 아이콘 뱃지 등의 특성, 구조, 작업, 기능, 방법, 작업 실행 순서 또는 특징 등은 [1] 서로 상충되지 않는 한 또는 [2] 본 명세서의 다양한 터미널, 지정 컨텐츠, 지정 데이터 패킷 및 지정 아이콘 뱃지의 정신이나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한, 이와는 상이한 예시적 측면, 실시예 또는 상세예의 터미널, 지정 컨텐츠, 지정 데이터 패킷 또는 지정 아이콘 뱃지 등에도 적용될 수 있다. 단 이 경우 본 명세서의 설명의 자세한 문맥에 따라 상기 터미널, 지정 컨텐츠, 지정 데이터 패킷 및 지정 아이콘 뱃지의 특성, 구조, 작업, 기능, 방법, 작업 실행 순서, 특징 등의 일부를 수정하거나, 생략하거나, 또는 여기에 상이한 부분을 부가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예시적 측면 또는 실시예의 각 시스템, 유닛, 요소, 부위 등의 배치 또는 위치도 본 명세서의 다양한 터미널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이내에서 수정될 수 있다. 따라서 하술의 상세한 설명은 다양한 터미널, 지정 컨텐츠, 지정 데이터 패킷, 지정 아이콘 뱃지 등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자신에게 지정된 지정 컨텐츠를 용이하게 식별하고 확인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또한 다양한 지정 컨텐츠, 지정 데이터 패킷 및 지정 아이콘 뱃지를 제공하기 위한 다양한 터미널에 관한 것이다. 따라서 하술의 설명은 상기 터미널, 지정 컨텐츠, 지정 데이터 패킷, 지정 아이콘 뱃지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함이 아니다.
본 명세서의 터미널, 지정 컨텐츠, 지정 데이터 패킷 및 지정 아이콘 뱃지 등과 이와 관련된 방법의 범위는 하술의 청구항에 의해서만 결정되며, 이 경우 상기 청구항의 균등 터미널, 균등 지정 컨텐츠, 균등 지정 데이터 패킷 및 균등 지정 아이콘 뱃지 등은 물론 균등 방법도 고려해야 한다. 본 명세서의 도면에서 동일한 숫자는 다양한 방향에서 보았을 때의 동일한 또는 유사한 요소나 기능을 나타낸다.
하술에서는 도면을 참고하여 하드웨어적 또는 소프트웨어적 관점에서 본 명세서의 다양한 데이터 처리 터미널, 지정 컨텐츠, 지정 데이터 패킷, 지정 아이콘 뱃지 등에 대한 예시적 측면, 실시예 및 상세예를 자세히 설명한다. 이를 통하여 관련 분야의 당업자는 상기 터미널, 지정 컨텐츠, 지정 데이터 패킷 및 지정 아이콘 뱃지를 용이하게 이해하고, 제작하며, 사용할 수 있고, 이의 제작은 물론 이를 이용하여 다양한 작업 및 스텝을 다양한 작업 순서에 따라 수행할 수 있다.
1. 지정 아이콘 뱃지 및 미확인 아이콘 뱃지 표시
본 명세서의 첫 번째 예시적 측면은 특정 앱에 대한 미확인 아이콘 뱃지와 지정 아이콘 뱃지를 동시에 표시하는 것이다. 일예로 터미널은 미확인 컨텐츠에 대한 미확인 아이콘 뱃지 및 미확인 컨텐츠 중 지정 컨텐츠에 대한 지정 아이콘 뱃지를 영상 유닛에 함께 표시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미확인 아이콘 뱃지의 숫자로부터 미확인 컨텐츠의 수효를 확인함과 동시에 지정 아이콘 뱃지의 숫자로부터 미확인 컨텐츠에 포함된 지정 컨텐츠의 수효를 용이하게 함께 확인할 수 있다. 또한 터미널은 미확인 아이콘 뱃지와 지정 아이콘 뱃지를 상기 앱을 표시하는 앱 아이콘의 주변 또는 내부에 배치함으로써, 상기 뱃지가 어떤 앱과 관련되는 지 사용자가 용이하게 확인하도록 할 수 있다.
터미널은 미확인 아이콘 뱃지의 숫자로는 미확인 컨텐츠의 수효를, 지정 아이콘 뱃지의 숫자로는 (미확인) 지정 컨텐츠의 수효를 표시할 수 있다 터미널은 미확인 아이콘 뱃지의 숫자와 지정 아이콘 뱃지의 숫자를 [1] 동일하거나 유사한 폰트, 크기, 모양, 색상, 배경, 또는 지향 등을 가지도록 표시하거나, 또는 [2] 서로 상이한 폰트, 크기, 모양, 색상, 배경, 또는 지향 등을 가지도록 표시할 수 있다.
터미널은 앱 아이콘의 주변이나 내부의 다양한 위치에 지정 아이콘 뱃지와 미확인 아이콘 뱃지를 배치할 수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지정 아이콘 뱃지와 미확인 아이콘 뱃지만을 고려하였을 때, 터미널은 지정 아이콘 뱃지를 미확인 아이콘 뱃지의 [1] 우측 또는 좌측, [2] 상부 또는 하부, [3] 내부 또는 외부 등에 배치할 수 있다. 단 지정 아이콘 뱃지의 크기가 미확인 아이콘 뱃지보다 클 경우, 터미널은 미확인 아이콘 뱃지를 지정 아이콘 뱃지의 내부에 배치할 수 있다. 또는 터미널은 지정 아이콘 뱃지 및 미확인 아이콘 뱃지를 앱 아이콘의 내부 또는 가장자리의 특정 점 또는 선을 기준으로 선대칭이나 점대칭으로 배치하거나 또는 대칭이 아니도록 배치할 수 있다.
터미널은 [1] 지정 아이콘 뱃지와 미확인 아이콘 뱃지의 최소 일부분이 서로 겹치도록 표시하거나, [2] 지정 아이콘 뱃지와 미확인 아이콘 뱃지의 최소 일부분이 서로 겹치지는 않지만 서로 접촉하도록 표시하거나, 또는 [3] 일정 거리로 서로 떨어지도록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지정 아이콘 뱃지와 미확인 아이콘 뱃지 중 하나가 나머지의 내부에 표시될 경우, 터미널은 [1] 상기 뱃지들을 서로 동심원 또는 동심 도형의 형태로 표시하거나, [2] 상기 뱃지들을 비동심원, 비동심 도형 등의 형태로 표시하거나, [3] 상기 뱃지들의 최소 일부분이 서로 겹치도록 표시하거나, [4] 상기 뱃지들의 최소 일부가 서로 겹치지 않지만 서로 접촉하도록 표시하거나, 또는 [5] 상기 뱃지들이 일정 거리로 서로 떨어지도록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미확인 컨텐츠는 미확인 비지정 컨텐츠와 미확인 지정 컨텐츠를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따라서 미확인 아이콘 뱃지의 숫자는 항상 지정 아이콘 뱃지의 숫자보다 크거나 또는 동일할 수 있다. [도5] 내지 [도11]은 미확인 아이콘 뱃지 및 지정 아이콘 뱃지의 구성 및 배치의 예시이다.
본 명세서의 첫 번째 예시적 측면의 첫 번째 실시예의 터미널은 미확인 아이콘 뱃지와 지정 아이콘 뱃지를 동시에 영상 유닛에 표시할 수 있다. [도5] 내지 [도7]은 앱 아이콘 주변에 표시된 미확인 아이콘 뱃지와 지정 아이콘 뱃지의 구성과 배치의 예시이다. 일예로 터미널은 영상 유닛에 표시된 앱 아이콘 주위에 미확인 아이콘 뱃지와 지정 아이콘 뱃지 중 하나 이상을 표시할 수 있다. 일예로 [도5]와 같이 터미널은 앱 아이콘(20)의 우측, 좌측, 상부 또는 하부에 미확인 아이콘 뱃지(21)와 지정 아이콘 뱃지(23)를 함께 표시할 수 있다. 또는 [도6]과 같이 터미널은 앱 아이콘(20)의 반대되는 편에 각각 미확인 아이콘 뱃지(21)와 지정 아이콘 뱃지(23)를 표시할 수 있다 또는 [도7]과 같이 터미널은 미확인 아이콘 뱃지(21) 및 지정 아이콘 뱃지(23)를 앱 아이콘(20) 주위의 반대편은 아니지만 상이한 편에 표시할 수 있다.
이 때 터미널은 미확인 아이콘 뱃지와 지정 아이콘 뱃지 중 하나 이상을 [1] 앱 아이콘의 가장자리와 겹치도록 표시하거나, 또는 [2] 앱 아이콘의 외부에, 즉 앱 아이콘으로부터 일정 거리를 두도록 표시할 수 있다. 또한 터미널은 지정 아이콘 뱃지와 미확인 아이콘 뱃지가 [1] 서로 최소한의 일부분에서 겹치도록 표시하거나, [2] 서로 겹치지는 않지만 최소한 일부분이 서로 접촉하도록 표시하거나, 또는 [3] 서로 거리를 두도록 표시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첫 번째 예시적 측면의 두 번째 실시예의 터미널은 미확인 아이콘 뱃지와 지정 아이콘 뱃지 중 한 뱃지는 앱 아이콘 주위에 표시하는 반면 다른 뱃지는 앱 아이콘 내부에 표시할 수 있다. [도8]은 미확인 아이콘 뱃지와 지정 아이콘 뱃지의 구성 및 배치의 다른 예시이다. 즉 [도8]의 터미널은 앱 아이콘(20) 주변에 미확인 아이콘 뱃지(21)를 표시하지만, 지정 아이콘 뱃지(23)는 앱 아이콘(20) 내부에 표시한다. 또는 터미널은 미확인 아이콘 뱃지는 앱 아이콘의 내부에, 지정 아이콘 뱃지는 앱 아이콘 주위에 표시할 수도 있다.
터미널은 미확인 아이콘 뱃지와 지정 아이콘 뱃지 중 하나 이상의 [1] 모든 부분이 앱 아이콘 내부에 위치하도록 표시되거나 또는 [2] 최소 일부분을 표시할 수 있다. 또는 지정 아이콘 뱃지와 미확인 아이콘 뱃지는 [1] 서로 최소 일부분이 겹치도록 표시하거나, [2] 서로 겹치지는 않지만 최소 일부분이 서로 접촉하도록 표시하거나, 또는 [3] 서로 일정 거리로 격리되도록 표시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의 첫 번째 예시적 측면의 세 번째 실시예의 터미널은 앱 아이콘의 내부에 미확인 아이콘 뱃지와 지정 아이콘 뱃지를 함께 표시한다. [도9]는 미확인 아이콘 뱃지와 지정 아이콘 뱃지의 구성 및 배치의 또 다른 예시이다. 터미널은 앱 아이콘(20)의 내부를 상하로 양분한 후, 하부에는 미확인 아이콘 뱃지(21)를 표시하고, 상부에는 지정 아이콘 뱃지(23)를 표시한다. [도9]와 달리 터미널은 미확인 아이콘 뱃지와 지정 아이콘 뱃지 중 [1] 한 뱃지의 크기를 앱 아이콘 크기의 반 이상이 되도록 표시하거나, 또는 [2] 두 뱃지의 크기가 모두 앱 아이콘의 크기의 반 이하가 되도록 표시할 수 있다. 터미널은 지정 아이콘 뱃지 및 미확인 아이콘 뱃지를 [1] 서로 최소 일부분에서 겹치도록 표시하거나, [2] 서로 겹치지 않지만 최소 일부분이 서로 접촉하도록 표시하거나, 또는 [3] 서로 일정 거리를 두고 격리되도록 표시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첫 번째 예시적 측면의 네 번째 실시예의 터미널은 미확인 아이콘 뱃지와 지정 아이콘 뱃지를 완전히 겹치도록, 즉 한 아이콘 뱃지를 다른 아이콘 뱃지 내부에 표시할 수 있다. [도10]은 미확인 아이콘 뱃지 및 지정 아이콘 뱃지의 구성 및 배치의 다른 예시로서, 터미널은 미확인 아이콘 뱃지(21) 내부에 지정 아이콘 뱃지(23)를 표시하며, 상기 뱃지(21)(23)는 앱 아이콘(20)의 주변에 표시한다. 또 [도10]의 터미널은 지정 아이콘 뱃지(23)의 모든 부분이 미확인 아이콘 뱃지(21)의 내부에 위치하며, 미확인 아이콘 뱃지(21)와 상부에서 접촉하도록 표시한다. 따라서 상기 뱃지들(21)(23)의 중심은 서로 일치하지 않는다.
또는 터미널은 미확인 아이콘 뱃지 및 지정 아이콘 뱃지를 동심원의 형태 또는 동심 도형의 형태로 표시함으로써, 두 뱃지들의 중심이 서로 일치하게 표시할 수 있다. 터미널은 미확인 아이콘 뱃지와 지정 아이콘 뱃지 중 [1] 최소 한 뱃지의 모든 부분을 앱 아이콘의 내부에 표시하거나, [2] 최소 한 뱃지의 최소 일부분을 앱 아이콘의 외부에 표시하거나, 또는 [3] 두 뱃지의 모든 부분을 앱 아이콘의 외부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터미널은 [1] 지정 아이콘 뱃지와 미확인 아이콘 뱃지의 경계선의 최소 일부분이 서로 겹치도록 표시하거나, [2] 두 뱃지가 서로 겹치지는 않지만 최소 일부분이 서로 접촉하도록 배치하거나, 또는 [3] 두 뱃지가 서로 거리를 두어 격리되도록 표시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첫 번째 예시적 측면의 다섯 번째 실시예의 터미널은 미확인 아이콘 뱃지나 지정 아이콘 뱃지를 앱 아이콘과 일정 거리로 격리하여 표시한다. [도11]은 미확인 아이콘 뱃지와 지정 아이콘 뱃지의 구성 및 배치의 다른 예시로서, 터미널은 미확인 아이콘 뱃지(21)는 앱 아이콘(20)의 주변에 표시하지만, 지정 아이콘 뱃지(23)는 일정 거리 격리하여 표시하는 경우이다. 이 때 터미널은 지정 아이콘 뱃지(23)를 영상 유닛의 상부, 하부, 우측 또는 좌측 등의 특정 위치에 표시할 수 있으며, 터미널에 다수의 앱이 장착된 경우, 터미널은 다수의 엡에 대한 지정 아이콘 뱃지를 모두 모아서 영상 유닛의 특정 위치에 표시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영상 유닛의 특정 위치에 모아서 표시된 다수의 지정 아이콘 뱃지들을 확인함으로써, 어떤 앱에 미확인 지정 컨텐츠가 수신되어 있는 지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터미널은 지정 아이콘 뱃지는 앱 아이콘 주변이나 내부에 표시하는 반면 [1] 다수의(또는 모든) 앱의 미확인 아이콘 뱃지만 따로 모아 표시하거나, 또는 [2] 다수의(또는 모든) 앱의 미지정 아이콘 뱃지만 따로 모아 표시할 수 있다. 또는 터미널은 다수의 앱의 미확인 아이콘 뱃지들을 모아 영상 유닛의 특정 부분에 표시하는 한편, 상기 앱에 대한 지정 아이콘 뱃지들을 모아 영상 유닛의 다른 부분에 표시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의 첫 번째 예시적 측면의 다양한 터미널, 지정 컨텐츠 또는 지정 아이콘 뱃지는 다양한 구성 또는 방법으로 변형 또는 개량될 수 있다. 하술은 상기 변형 또는 개량에 대한 상세예들로서, 상기 변형 또는 개량은 [1] 본 첫 번째 예시적 측면의 상술의 실시예나 상세예의 변형 또는 개량에 적용되거나, 또는 [2] 본 명세서의 상술이나 하술의 상이한 예시적 측면, 상기 상이한 측면의 실시예나 상세예의 변형이나 개량에도 적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첫 번째 예시적 측면의 변형 또는 개량의 첫 번째 상세예는 미확인 아이콘 뱃지 대신 비지정 아이콘 뱃지의 사용에 관한 것이다. 즉 터미널은 미확인 컨텐츠에 포함된 지정 컨텐츠의 수효 또는 내용을 나타내는 지정 아이콘 뱃지와 미확인 아이콘 뱃지를 영상 유닛에 함께 표시하는 대신, 미확인 컨텐츠에 포함된 비지정 컨텐츠의 수효나 내용을 나타내는 비지정 아이콘 뱃지 및 지정 아이콘 뱃지를 영상 유닛에 함께 표시할 수 있다. 이 때 지정 아이콘 뱃지의 숫자와 비지정 아이콘 뱃지의 숫자의 합이 미확인 아이콘 뱃지의 숫자와 동일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첫 번째 예시적 측면의 변형 또는 개량의 두 번째 상세예는 지정 아이콘 뱃지로 미확인 지정 컨텐츠의 수효와 함께 또는 미확인 지정 컨텐츠의 수효 대신 미확인 지정 컨텐츠의 내용이나 유형을 표시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컨텐츠의 내용이란 상기 컨텐츠의 발신자의 정보(일예로 이름, 별명, 아이디 등), 상기 발신자의 기타 정보(일예로 직위, 소속, 성별, 나이, 국적, 신체 특징, 개인 정보 등), 상기 컨텐츠의 기타 정보(일예로 상기 컨텐츠의 크기, 작성일, 발송일, 저장 위치 등), 발신자 또는 수신자의 입장에서의 상기 컨텐츠의 중요도(일예로 아주 중요, 중요, 약간 중요, 중요하지 않음, 또는 스팸) 등이 있다. 일반적으로 컨텐츠의 유형이란 상기 컨텐츠의 서식과 관련된 정보로서, 일예로 데이터, 파일 또는 폴더 형태의 텍스트, 기호, 숫자, 도형, 정적 이미지, 동적 이미지(일예로 동영상, 비디오 클립 등), 소리 등이 있다.
본 명세서의 첫 번째 예시적 측면의 변형 또는 개량의 세 번째 상세예는 미확인 아이콘 뱃지와 지정 아이콘 뱃지의 표시에 관한 것이다. 일예로 터미널은 [1] 미확인 아이콘 뱃지와 지정 아이콘 뱃지를 시간적으로 동시에 표시하거나, [2] 미확인 아이콘 뱃지와 지정 아이콘 뱃지를 시간적으로 순차적으로 표시하거나, 또는 [3] 미확인 아이콘 뱃지와 지정 아이콘 뱃지를 순차적으로 표시하되, 상호간에 시간적 공백(temporal gap) 또는 시간적 중첩(temporal overlap)이 있도록 표시할 수 있다.
또는 터미널은 미확인 아이콘 뱃지와 지정 아이콘 뱃지를 서로 다른 기간 동안 표시할 수 있다. 일예로 사용자가 지정 컨텐츠의 수효를 중시할 때, 터미널은 [1] 지정 아이콘 뱃지는 계속 표시하지만, 미확인 아이콘 뱃지는 깜박거리도록 표시하거나, [2] 지정 아이콘 뱃지와 미확인 아이콘 뱃지를 모두 깜박거리도록 표시하나, 지정 아이콘 뱃지가 깜박거리는 속도를 더 빠르게(또는 늦게) 표시하거나, 또는 [3] 미확인 아이콘 뱃지는 계속 표시하지만, 지정 아이콘 뱃지를 사용자의 눈에 잘 띄도록 깜박거리도록 표시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첫 번째 예시적 측면의 변형 또는 개량의 네 번째 상세예는 첫 번째 예시적 측면의 첫 번째 내지 네 번째 실시예 및 상기 측면의 변형 또는 개량의 다양한 상세예의 조합에 관한 것이다. 일예로 터미널은 지정 아이콘 뱃지를 이용하여 미확인 지정 컨텐츠의 수효를 나타내지만, 사용자가 추가 사용자 입력을 가하면 미확인 지정 컨텐츠와 관련된 내용을 표시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두 번째 예시적 측면은 미확인 컨텐츠가 지정 컨텐츠를 포함하지 않는 경우에도 미확인 아이콘 뱃지와 지정 아이콘 뱃지를 동시에 표시하는 것이다. 일예로 터미널은 미확인 컨텐츠에 미확인 지정 컨텐츠가 포함되지 않아도, 미확인 컨텐츠에 대한 미확인 아이콘 뱃지와 지정 컨텐츠에 대한 지정 아이콘 뱃지를 함께 표시할 수 있다. 즉 터미널은 사용자에게 미확인 컨텐츠에 포함된 지정 컨텐츠가 없음을 다양한 구성과 방법으로 용이하게 알릴 수 있다.
일예로 터미널은 미확인 아이콘 뱃지의 숫자로는 미확인 컨텐츠의 수효를 표시하지만, 지정 아이콘 뱃지의 숫자는 지정 컨텐츠의 수효가 "0"임을 다양한 방법으로 표시한다. 따라서 터미널은 미확인 아이콘 뱃지의 숫자와 지정 아이콘 뱃지의 숫자를 [1] 동일한 또는 유사한 폰트, 크기, 두께, 모양, 색상, 배경, 또는 지향을 가지도록 표시하거나, 또는 [2] 상이한 폰트, 크기, 두께, 모양, 색상, 배경, 또는 지향을 가지도록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술의 첫 번째 측면과 같이, 터미널은 지정 아이콘 뱃지를 미확인 아이콘 뱃지의 [1] 우측 또는 좌측, [2] 상부 또는 하부, [3] 내부 또는 외부, 또는 [4] 선대칭, 점대칭, 또는 비대칭의 배열에 따라 표시할 수 있다. 이 때 터미널은 지정 아이콘 뱃지와 미확인 아이콘 뱃지를 [1] 서로 최소 일부분에서 겹치게 표시하거나, [2] 서로 겹치지 않지만 최소 일부분이 서로 접촉하도록 표시하거나, 또는 [3] 서로 일정 거리를 두어 격리되도록 표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특정 앱의 미확인 컨텐츠에 포함된 미확인 지정 컨텐츠가 없음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앱을 구동하지 않으며 미확인 컨텐츠를 확인하지 않을 수도 있고, 이와는 달리 상기 앱을 구동하여 미확인 비지정 컨텐츠를 확인할 수 있다. [도12] 내지 [도19]는 미확인 컨텐츠 중 지정 컨텐츠가 포함되지 않는 경우의 미확인 아이콘 뱃지와 지정 아이콘 뱃지의 구성 및 배치의 예시이다.
본 명세서의 두 번째 예시적 측면의 첫 번째 실시예의 터미널은 미확인 컨텐츠에 포함된 미확인 지정 컨텐츠가 없는 경우, 지정 아이콘 뱃지의 숫자를 "0"으로 표시하며, 상기 숫자를 미확인 컨텐츠에 대한 미확인 아이콘 뱃지와 함께 표시할 수 있다. [도12] 내지 [도14]는 미확인 컨텐츠 중 지정 컨텐츠가 포함되지 않는 경우, 미확인 아이콘 뱃지와 지정 아이콘 뱃지의 구성 및 배치의 예시로서, 터미널은 첫 번째 예시적 측면의 다양한 실시예나 상세예(즉 [도5] 내지 [도11] 포함)에서 예시한 다양한 지정 아이콘 뱃지에 숫자 "0"을 표시함으로써, 사용자에게 미확인 지정 컨텐츠가 없음을 시각적으로 표시할 수 있다. 일예로 [도12]는 [도5]의 지정 아이콘 뱃지에 숫자 "0"을, [도13]은 [도9]의 지정 아이콘 뱃지에 숫자 "0"을, 그리고 [도14]는 [도10]의 지정 아이콘 뱃지에 숫자 "0"을 표시한 경우이다.
터미널은 숫자 "0"을 다양한 방법으로 표시할 수 있다. 일예로 터미널은 미확인 컨텐츠에 포함된 (미확인) 지정 컨텐츠의 수효가 "0"임을 강조하기 위하여 [1] 미확인 아이콘 뱃지 또는 상기 뱃지의 숫자에 비하여 "0"을 더 크게, 더 밝게 또는 더 진한 구성으로 표시하거나, [2] 숫자 "0"을 (특정 축을 중심으로) 회전시키거나, (상하 또는 좌우로) 흔들거나, 또는 기타 방법으로 움직이거나, [3] 숫자 "0"을 크기를 변화시키거나, [4] 숫자 "0"의 모양을 변화시키거나, [5] 숫자 "0"의 색, 밝기, 또는 투명도를 변화시키거나 또는 [6] 숫자 "0"의 특정 부분, 테두리, 또는 배경을 본 문단의 [1] 내지 [3]의 방법으로 조작할 수도 있다. 또는 미확인 컨텐츠에 지정 컨텐츠가 포함되지 않으므로, 사용자가 급히 확인해야 할 컨텐츠가 없음을 강조하기 위하여, 터미널은 미확인 아이콘 뱃지 또는 상기 뱃지의 숫자에 비하여 숫자 "0"을 더 작게, 더 어둡게, 더 연하게 또는 기타 방법으로 강조하지 않는 구성으로 표시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의 두 번째 예시적 측면의 두 번째 실시예의 터미널은 미확인 컨텐츠에 포함된 미확인 지정 컨텐츠가 없는 경우, 지정 아이콘 뱃지는 표시하지만, 상기 뱃지에 숫자를 표시하지 않은 채, 미확인 컨텐츠에 대한 미확인 아이콘 뱃지와 함께 표시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터미널은 상기 첫 번째 예시적 측면의 다양한 실시예나 상세예(즉 [도5] 내지 [도11] 포함)에서 예시한 다양한 지정 아이콘 뱃지를 표시하되, 지정 아이콘 뱃지의 형태는 표시하지만 그 내부 또는 주변에 어떤 숫자도 표시하지 않을 수 있다. [도15]는 [도5]의 상기 실시예에 따른 지정 아이콘 뱃지의 구성 및 방법이며, [도15]의 터미널은 앱 아이콘(20)의 우하부에 미확인 아이콘 뱃지(21)를, 우상부에는 지정 아이콘 뱃지(23)를 표시하되, 지정 아이콘 뱃지(23) 내부 또는 주변에 "0" 또는 어떤 숫자도 표시하지 않는 경우이다.
터미널은 상이한 구성이나 배치를 이용하여 미확인 컨텐츠가 미확인 지정 컨텐츠를 포함하지 않음을 상이하게 강조할 수도 있다. 일예로 터미널은 지정 컨텐츠의 수효를 나타내는 숫자가 표시되지 않은 지정 아이콘 뱃지를 표시하되, 상기 지정 아이콘 뱃지를 1개 이상의 지정 컨텐츠를 포함하는 경우의 지정 아이콘 뱃지와 상이하게 표시할 수 있다. [도16]과 [도17]은 미확인 컨텐츠에 지정 컨텐츠가 포함되지 않을 경우의 미확인 아이콘 뱃지와 지정 아이콘 뱃지의 구성 및 배치의 다른 예시이다.
일예로 [도16]은 미확인 컨텐츠에 지정 컨텐츠가 포함되지 않음을 강조하는 지정 아이콘 뱃지의 예시이다. 일예로 터미널은 지정 아이콘 뱃지(23)를 앱 아이콘(20)의 우상부에 표시하되, 지정 아이콘 뱃지(23)는 어떤 숫자도 표시하지 않으며, 테두리가 점선으로 강조되어 표시될 수 있다. [도17] 역시 미확인 컨텐츠에 지정 컨텐츠가 포함되지 않음을 강조하는 지정 아이콘 뱃지의 예시로서, 터미널은 미확인 아이콘 뱃지(21)는 앱 아이콘(20) 내부의 하부에 표시하고, 지정 아이콘 뱃지(23)는 앱 아이콘(20) 내부의 상부에 표시하되, 지정 아이콘 뱃지(23)는 어떤 숫자도 표시하지 않으며, 테두리를 점선으로 강조하여 표시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두 번째 예시적 측면의 세 번째 실시예의 터미널은 미확인 컨텐츠에 포함된 미확인 지정 컨텐츠가 없는 경우, 지정 아이콘 뱃지를 생략하거나, 상기 뱃지에 숫자를 표시하지 않은 상태로, 미확인 컨텐츠에 대한 미확인 아이콘 뱃지와 함께 표시할 수 있다. [도18]과 [도19]는 미확인 컨텐츠 중 지정 컨텐츠가 포함되지 않는 경우의 미확인 아이콘 뱃지, 지정 아이콘 뱃지의 구성 및 배치의 또 다른 예시이다. 일예로 터미널은 첫 번째 예시적 측면의 다양한 실시예나 상세예(즉 [도5] 내지 [도11] 포함)에 따라 미확인 아이콘 뱃지를 표시하지만, [도18]의 터미널은 [도5] 내지 [도8]의 구성과는 달리 지정 아이콘 뱃지를 생략하거나, [도19]의 터미널은 [도10]의 구성과는 달리 지정 아이콘 뱃지를 생략할 수 있다.
상술의 두 번째 예시적 측면의 세 번째 실시예의 터미널은 상술의 예시를 변형 또는 개량하여 (미확인) 지정 컨텐츠를 표시할 수 있다. 일예로 터미널은 미확인 아이콘 뱃지는 표시하지만, 지정 아이콘 뱃지는 연하게 또는 약하게 표시함으로써 미확인 컨텐츠가 지정 컨텐츠를 포함되지 않았음을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다. 하지만 상기 지정 아이콘 뱃지를 강하게 표시할수록, 즉 사용자가 용이하게 인지하게 될수록, 상기 구성은 상기 두 번째 예시적 측면의 두 번째 실시예와 유사해질 수도 있다. 또는 터미널은 지정 아이콘 뱃지의 표시를 생략하였음을 사용자에게 알리기 위하여, 표시된 미확인 아이콘 뱃지의 구성이나 배치를 변형할 수 있다. 하지만 이러한 변형이 강해질수록, 즉 사용자가 이를 용이하게 인지할수록, 상기 구성은 상기 두 번째 예시적 측면의 하술의 세 번째 실시예와 유사해질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두 번째 예시적 측면의 다양한 터미널, 지정 컨텐츠 또는 지정 아이콘 뱃지는 다양한 구성 또는 방법으로 변형 또는 개량될 수 있다. 하술은 상기 변형 또는 개량에 대한 상세예들로서, 상기 변형 또는 개량은 [1] 본 두 번째 예시적 측면의 상술의 실시예나 상세예의 변형 또는 개량에 적용되거나, 또는 [2] 본 명세서의 상술이나 하술의 상이한 예시적 측면, 상기 상이한 측면의 실시예나 상세예의 변형이나 개량에도 적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두 번째 예시적 측면의 변형 또는 개량의 첫 번째 상세예는 미확인 컨텐츠에 지정 컨텐츠가 포함되지 않음을 강조할 수 있는 구성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예로 터미널은 [1] 미확인 아이콘 뱃지 테두리에 비하여 지정 아이콘의 뱃지 테두리를 더 두껍게, 더 밝게, 더 진하게, 또는 기타 강조하는 구성으로 표시하거나, [2] 미확인 컨텐츠에 지정 컨텐츠가 포함되지 않았으므로 사용자가 급히 확인해야 할 컨텐츠가 없음을 강조하기 위하여, 지정 아이콘 뱃지의 가장자리를 더 얇게, 더 흐리게, 더 연하게, 또는 기타 강조하지 않는 구성으로 표시하거나, 또는 [3] 기타 구성 또는 방법 등을 이용하여 지정 컨텐츠를 포함하지 않는 지정 아이콘 뱃지를 지정 컨텐츠를 포함하는 지정 아이콘 뱃지와는 상이하게 표시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두 번째 예시적 측면의 변형 또는 개량의 두 번째 상세예는 사용자가 미확인 컨텐츠에 지정 컨텐츠가 포함되지 않는 앱을 확인하는 구성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예로 터미널의 영상 유닛이 꺼져 있는 상태(즉 "오프 상태") 또는 터미널이 영상 유닛에 잠금화면(즉 "온 상태"이지만 사용자 인증 전 영상 유닛에 표시하는 화면)을 표시할 때, 터미널은 [1] 하나 이상의 미확인 컨텐츠를 포함하는 앱에 대한 앱 아이콘을 모두 표시하거나, 또는 [2] 하나 이상의 미확인 지정 컨텐츠를 포함하는 앱에 대한 앱 아이콘을 표시할 수 있다. 단 터미널은 미확인 컨텐츠를 포함하지만 미확인 지정 컨텐츠를 포함하지 않는 앱에 대한 앱 아이콘은 영상 유닛에 표시하지 않을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세 번째 예시적 측면은 단일의 아이콘 뱃지로 미확인 컨텐츠 미확인 아이콘 뱃지와 지정 컨텐츠에 대한 지장 아이콘 뱃지를 모두 표시하는 구성 및 방법에 대한 것이다. 특히 미확인 컨텐츠가 지정 컨텐츠를 포함하는 경우와 포함하지 않는 경우의 단일의 아이콘 뱃지를 상이하게 표시함으로써, 단일의 아이콘 뱃지로 특정 아이콘이 지정 컨텐츠를 포함하는 경우, 포함하지 않는 경우를 모두 표시할 수 있는 구성 및 방법에 대한 것이다. 바꾸어 말하면, 터미널은 지정 아이콘 뱃지를 따로 표시하지 않은 채 미확인 아이콘 뱃지만 표시하되, 미확인 컨텐츠에 지정 컨텐츠가 포함된 경우와 포함되지 않은 경우 각각 미확인 아이콘 뱃지를 상이하게 표시함으로써 단일의 미확인 아이콘 뱃지를 미확인 아이콘 뱃지 및 지정 아이콘 뱃지로 사용할 수 있다.
일예로 터미널은 상술의 첫 번째 예시적 측면의 다양한 실시예 및 상세예(즉 [도5] 내지 [도11] 포함)에서 예시한 바 있는 다양한 미확인 아이콘 뱃지는 표시하되, [도5] 내지 [도11]의 지정 아이콘 뱃지는 표시하지 않지만, 상기 미확인 아이콘 뱃지만 이용하여 미확인 아이콘 뱃지 및 지정 아이콘 뱃지를 표시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미확인 컨텐츠에 지정 컨텐츠가 포함되어 있는 지 여부를 시각적으로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본 세 번째 예시적 측면에 한하여, 지정 컨텐츠를 포함하지 않는 미확인 컨텐츠에 대한 아이콘 뱃지는 "미확인 아이콘 뱃지"라고 지칭하지만, 지정 컨텐츠를 포함하는 미확인 컨텐츠에 대한 미확인 아이콘 뱃지는 "지정 아이콘 뱃지"라 지칭하기로 한다.
따라서 미확인 컨텐츠가 지정 컨텐츠를 포함하지 않으면, 본 예시적 측면의 터미널은 미확인 아이콘 뱃지를 [도5] 내지 [도19]의 미확인 아이콘 뱃지와 동일하게 표시한다. 하지만 미확인 컨텐츠가 지정 컨텐츠를 포함하는 경우, 터미널은 미확인 아이콘 뱃지를 변형함으로써 상기 미확인 아이콘 뱃지를 지정 아이콘 뱃지로 사용할 수 있다. 일예로 미확인 컨텐츠가 지정 컨텐츠를 포함하면, 터미널은 [1] 미확인 아이콘 뱃지의 폰트, 크기, 두께, 모양, 색상, 또는 배경 등을 변형함으로써, 상기 뱃지를 지정 아이콘 뱃지로 표시하거나, 또는 [2] 미확인 아이콘 뱃지의 위치, 지향 등을 변형함으로써 상기 뱃지를 지정 아이콘 뱃지로 표시할 수 있다.
특히 미확인 컨텐츠가 지정 컨텐츠를 포함하면, 터미널은 [1] 미확인 아이콘 뱃지를 영상 유닛의 우측이나 좌측 또는 상부나 하부 등으로 이동함으로써 상기 뱃지를 지정 아이콘 배치로 표시하거나, 또는 [2] 미확인 아이콘 뱃지를 선대칭, 점대칭, 비대칭 등으로 이동함으로써 상기 뱃지를 지정 아이콘 뱃지로 표시할 수 있다. 미확인 컨텐츠가 지정 컨텐츠를 포함하는 경우, 터미널은 미확인 아이콘 뱃지나 상기 뱃지의 숫자를 강조함으로써 상기 뱃지를 지정 아이콘 뱃지로 표시할 수도 있다. 일예로 터미널은 [1] 미확인 아이콘 뱃지 또는 상기 뱃지의 숫자를 (특정 축을 중심으로) 회전시키거나, (상하 또는 좌우로) 흔들거나, 또는 기타 방법을 통하여 움직이거나, [2] 미확인 아이콘 뱃지 또는 상기 뱃지의 숫자의 크기 또는 모양을 변화시키거나, 또는 [3] 미확인 아이콘 뱃지 또는 상기 뱃지의 숫자의 색, 밝기 투명도를 변화시킴으로써, 상기 뱃지를 지정 아이콘 뱃지로 표시할 수도 있다.
[도20] 내지 [도23]은 미확인 아이콘 뱃지의 다양한 특성을 변화시키거나 상기 뱃지가 표시되는 위치를 변화시킴으로써, 변화된 미확인 아이콘 뱃지를 지정 아이콘 뱃지로 사용하는 경우의 구성 및 배치의 예시이다.
본 명세서의 세 번째 예시적 측면의 첫 번째 실시예의 경우, 터미널은 미확인 컨텐츠가 지정 컨텐츠를 포함하지 않을 때와 하나 이상의 지정 컨텐츠를 포함하는 경우, 단일의 아이콘 뱃지의 크기를 상이하게 조작함으로써, 단일의 아이콘 뱃지를 미확인 아이콘 뱃지는 물론 지정 아이콘 뱃지로 표시할 수 있다. [도20]은 아이콘 뱃지의 크기를 조작하여 미확인 아이콘 뱃지 및 지정 아이콘 뱃지를 사용하는 구성 및 배열에 대한 예시이다. 즉 미확인 컨텐츠가 지정 컨텐츠를 포함하지 않는 경우, 터미널은 [도20]의 패널 (가)와 같이 아이콘 뱃지를 작게 표시함으로써, 상기 뱃지가 지정 컨텐츠를 포함하지 않는 미확인 컨텐츠(또는 미확인 컨텐츠의 수효)에 대한 미확인 아이콘 뱃지(21)임을 표시할 수 있다. 하지만 미확인 컨텐츠가 하나 이상의 지정 컨텐츠를 포함하는 경우, 터미널은 아이콘 뱃지를 패널 (가)의 아이콘 뱃지보다 크게 표시함으로써, 상기 아이콘 뱃지가 지정 컨텐츠를 포함하는 미확인 컨텐츠 또는 지정 컨텐츠의 수효 등에 대한 지정 아이콘 뱃지(23)임을 표시할 수 있다.
또는 터미널은 [도20]의 패널 (나)와 같이 지정 아이콘 뱃지(23)를 미확인 아이콘 뱃지(21) 보다 크게 표시하거나, 또는 [2] 아이콘 뱃지의 크기는 동일하게 표시하되, 지정 아이콘 뱃지(23)의 숫자를 미확인 아이콘 뱃지(21)의 숫자보다 크게 표시할 수 있다. 또는 터미널은 아이콘 뱃지 또는 상기 뱃지의 숫자의 크기와 관계 없이, [1] 상기 뱃지(21)(23)의 색상, 투명도, 모양, 또는 배경, [2] 상기 뱃지(21)(23)의 테두리의 색상, 투명도, 모양, 또는 두께, 또는 [3] 상기 뱃지(21)(23)의 숫자의 폰트, 두께, 색상, 투명도, 또는 모양 등을 조작함으로써 동일한 또는 유사한 아이콘 뱃지를 경우에 따라 미확인 아이콘 뱃지(21) 및 지정 아이콘 뱃지(23)로 사용할 수 있다.
터미널이 단일의 아이콘 뱃지의 특징을 조작하며 이를 미확인 아이콘 뱃지 또는 지정 아이콘 뱃지로 사용할 경우, 이에 익숙하지 않은 사용자는 상기 뱃지가 어떤 뱃지를 나타내는지 혼동할 수도 있다. 이러한 혼동을 방지하기 위하여, 터미널은 아이콘 뱃지에 "기준 표시"를 부가하여 표시할 수도 있다. 일예로 터미널이 아이콘 뱃지를 지정(또는 미확인) 아이콘 뱃지로 사용할 때, 터미널은 상기 아이콘 뱃지가 미확인(또는 지정) 아이콘 뱃지로 사용될 경우의 크기나 위치를 사용자에게 표시할 수 있다. 일예로 [도20]의 터미널은 단일의 아이콘을 지정 아이콘 뱃지(23)로 표시하지만, 상기 뱃지(23) 내부에 미확인 아이콘 뱃지(21)의 크기에 대한 기준 표시(23N) 등을 함께 표시한다. 따라서 터미널은 영상 유닛에 단일의 아이콘 뱃지만 표시하지만, 사용자는 상기 뱃지의 크기 또는 위치 등을 비교함으로써, 상기 뱃지가 미확인 아이콘 뱃지로 표시되었는지 아니면 지정 아이콘 뱃지로 표시되었는지 용이하게 비교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세 번째 예시적 측면의 두 번째 실시예의 터미널은 미확인 컨텐츠가 지정 컨텐츠를 포함하지 않은 때와 하나 이상의 지정 컨텐츠를 포함하는 경우, 단일의 아이콘 뱃지의 다양한 특성, 특히 상기 뱃지의 바깥쪽 또는 테두리 부분의 크기를 상이하게 조작함으로써, 단일의 아이콘 뱃지를 미확인 아이콘 뱃지 및 지정 아이콘 뱃지로 표시할 수 있다. [도21]은 단일의 아이콘 뱃지의 테두리의 특성을 조작함으로써, 상기 단일의 아이콘 뱃지를 미확인 아이콘 뱃지나 지정 아이콘 뱃지로 상이하게 표시하는 구성과 방법에 대한 예시이다. 일예로 미확인 컨텐츠가 지정 컨텐츠를 포함하지 않는 경우, 터미널은 [도21]의 패널 (가)와 같이 단일의 아이콘 뱃지만 표시함으로써, 상기 뱃지가 지정 컨텐츠를 포함하지 않는 미확인 컨텐츠(또는 미확인 컨텐츠의 수효)를 표시하는 미확인 아이콘 뱃지(21)임을 표시한다. 하지만 미확인 컨텐츠가 하나 이상의 지정 컨텐츠를 포함하는 경우, 터미널은 패널 (가)의 단일의 아이콘 뱃지에 테두리를 가하여 표시함으로써, 상기 뱃지가 지정 컨텐츠를 포함하는 미확인 컨텐츠 또는 지정 컨텐츠의 수효 등에 대한 지정 아이콘 뱃지(23)임을 표시할 수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보았을 때, [도21]의 패널 (가)의 단일의 아이콘 뱃지는 원 모양의 미확인 아이콘 뱃지(23)인 반면, 패널 (나)의 단일의 아이콘 뱃지는 단일의 아이콘 뱃지에 링 모양의 테두리를 가장자리 또는 외부에 부가한 지정 아이콘 뱃지(23) 로 간주할 수 있다. 또는 [도21]의 패널(나)의 테두리는 그 자체를 지정 아이콘 뱃지(23)라고 간주할 수 있으며, 이 때 단일의 아이콘 뱃지는 미확인 아이콘 뱃지(21)로 간주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테두리는 미확인 아이콘 뱃지(21)의 가장자리를 접촉하도록 표시하거나, 또는 상기 가장자리와 일정 간격으로 격리되도록 표시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세 번째 예시적 측면의 세 번째 실시예의 터미널은 단일의 아이콘 뱃지만 표시하되, 미확인 컨텐츠가 지정 컨텐츠를 포함하지 않은 경우의 아이콘 뱃지와 하나 이상의 지정 컨텐츠를 포함하는 경우의 아이콘 뱃지가 영상 유닛에 표시되는 위치를 상이하게 조작함으로써, 단일의 아이콘 뱃지를 미확인 아이콘 뱃지 및 지정 아이콘 뱃지로 사용할 수 있다. [도22]는 터미널이 단일의 아이콘 뱃지가 영상 유닛에 표시되는 위치를 조작하여, 상기 뱃지로 미확인 아이콘 뱃지 및 지정 아이콘 뱃지로 공용하는 구성과 방법에 대한 예시이다. 일예로 미확인 컨텐츠가 지정 컨텐츠를 포함하지 않으면, 터미널은 패널 (가)와 같이 상기 단일의 뱃지를 앱 아이콘(20)의 우하부에 표시함으로써, 상기 뱃지를 미확인 아이콘 뱃지(21)로 표시할 수 있다. 하지만 미확인 컨텐츠가 지정 컨텐츠를 포함하면, 터미널은 패널 (나)처럼 상기 뱃지를 상이한 위치에 표시함으로써, 상기 뱃지를 지정 아이콘 뱃지(23)로 공용할 수 있다.
터미널은 단일의 뱃지를 미확인 아이콘 뱃지(21) 또는 지정 아이콘 뱃지(23)로 표시할 때, 미확인 컨텐츠에 미확인 지정 컨텐츠가 포함되어 있는 지의 여부에 근거하여 지정 아이콘 뱃지(23)와 미확인 아이콘 뱃지(21)가 상이한 특성을 가지도록 표시할 수 있다. 일예로 본 명세서의 세 번째 예시적 측면의 네 번째 실시예의 터미널은 영상 유닛에 미확인 아이콘 뱃지 및 지정 아이콘 뱃지를 표시하는 대신, 상기 아이콘 뱃지에 부가되는 숫자만 표시할 수도 있다. 일예로 터미널은 영상 유닛에 미확인 컨텐츠의 수효 또는 지정 컨텐츠의 수효를 나타내는 단일의 숫자만을 표시함으로써, 미확인 아이콘 뱃지 및 지정 아이콘 뱃지를 대체하는 경우이다. 일예로 [도23]은 터미널이 단일의 아이콘 뱃지의 숫자를 상이한 크기로 영상 유닛에 표시함으로써, 단일의 뱃지를 미확인 아이콘 뱃지 또는 지정 아이콘 뱃지로 공용하는 구성과 방법에 대한 예시이다. 즉 미확인 컨텐츠에 지정 컨텐츠가 포함되지 않는 경우, 터미널은 [도23]의 패널 (가)와 같이 단일의 숫자(21)를 앱 아이콘(20) 내부의 하부에 표시함으로써, 상기 숫자를 미확인 아이콘 뱃지(21)로 활용할 수도 있다. 하지만 미확인 컨텐츠에 지정 컨텐츠가 포함되는 경우, 터미널은 [도23]의 패널 (가)와 같이 단일의 숫자(21)의 하나 이상의 특성을 조작함으로써(일예로 단일의 숫자를 더 크게 표시하거나, 또는 단일의 숫자를 앱 아이콘(20) 내부 중앙에서 표시함으로써), 상기 숫자를 미확인 지정 아이콘 뱃지(23)로 활용할 수 있다.
터미널은 지정 아이콘 뱃지에 해당하는 숫자(23)를 [1] 미확인 아이콘 뱃지에 해당하는 숫자(21)와는 상이한 모양, 색상, 배경 등을 가지도록 표시하거나, 또는 [2] 미확인 아이콘 뱃지에 해당하는 숫자(21)와 상이한 위치 또는 상이한 지향을 가지도록 표시할 수도 있다. 터미널은 미확인 아이콘 뱃지(21)(또는 상기 뱃지에 부가된 숫자)의 위치 및 지정 아이콘 뱃지(23)(또는 상기 뱃지에 부가된 숫자)의 위치 사이의 다양한 차이(일예로 거리 상의 차이나 각도 상의 차이)가 미확인 컨텐츠에 포함된 지정 컨텐츠의 수효에 비례하도록 표시할 수 있다. 또는 터미널은 지정 아이콘 뱃지(23)를 표시할 때, 앱 아이콘(20) 주위 또는 내부에 미확인 아이콘 뱃지(21)의 원래 위치 또는 크기 등의 다양한 특성을 나타내는 기준 표시(23N)를 함께 표시할 수도 있다.
또한 터미널은 지정 아이콘 뱃지를 나타내는 숫자(23)와 미확인 아이콘 뱃지를 나타내는 숫자(21)의 차이를 강조하기 위하여 [1] 한 숫자를 다른 숫자와는 다른 폰트, 크기, 두께, 색상, 투명도 또는 모양을 가지도록 표시하거나, 또는 [2] 한 숫자를 다른 숫자와 다른 위치에 표시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세 번째 예시적 측면의 다양한 터미널, 지정 컨텐츠 또는 지정 아이콘 뱃지는 다양한 구성 또는 방법으로 변형 또는 개량될 수 있다. 하술은 상기 변형 또는 개량에 대한 상세예들로서, 상기 변형 또는 개량은 [1] 본 세 번째 예시적 측면의 상술의 실시예나 상세예의 변형 또는 개량에 적용되거나, 또는 [2] 본 명세서의 상술이나 하술의 상이한 예시적 측면, 상기 상이한 측면의 실시예나 상세예의 변형이나 개량에도 적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세 번째 예시적 측면의 변형 또는 개량의 첫 번째 상세예는 사용자가 지정 아이콘 뱃지를 표시하는 숫자를 용이하게 확인하도록 지정(또는 미확인) 아이콘 뱃지에 해당하는 숫자를 강조하는 구성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예로 미확인 컨텐츠가 지정 컨텐츠를 포함하지 않는 경우, 터미널은 [1] 상기 숫자를 특정 축을 중심으로 회전시키거나, 상하 또는 좌우로 흔들거나, 또는 기타 방법으로 움직이거나, [2] 상기 숫자의 크기를 변화시키거나, 모양을 변화시키거나, [3] 상기 숫자의 크기, 색, 두께 또는 밝기 등을 변화시키거나, [4] 상기 숫자의 투명도를 변화시키거나, 또는 [5] 상기 숫자의 전체, 특정 부분 또는 테두리, 또는 배경을 본 문단의 [1] 내지 [4]의 방법으로 조작할 수 있다. 터미널은 상술의 기준 표시(23N)를 함께 표시함으로써, 사용자가 상기 숫자와 기준 표시(23N)를 비교하도록 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의 세 번째 예시적 측면의 변형이나 개량의 두 번째 상세예는 앱 아이콘을 특성을 변화시킴으로써, 단일의 숫자가 지정 아이콘 뱃지의 특성(즉 지정 컨텐츠의 수효 또는 내용)을 표시하는 지, 아니면 미확인 컨텐츠의 특성을 표시하는 지를 사용자가 용이하게 인지하도록 하는 구성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예로 터미널은 앱 아이콘 내부나 주위에 단일의 숫자만 표시하되, [1] 앱 아이콘의 크기, 모양, 색상 등을 조작함으로써 상기 숫자가 어떤 아이콘 뱃지를 표시하는지, 또는 [2] 상기 앱 아이콘의 내부나 주변에 문자나 기호를 함께 표시함으로써 사용자가 상기 문자나 기호에 근거하여 상기 숫자가 어떤 아이콘 뱃지를 표시하는지 용이하게 확인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세 번째 예시적 측면의 변형이나 개량의 세 번째 상세예는 다수의 숫자, 문자, 기호 등을 이용하여 지정 아이콘 뱃지 및 미확인 아이콘 뱃지의 특성을 표시하는 구성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예로 터미널은 세 번째 예시적 측면의 실시예, 상세예 등과 같이 "23/127" 또는 "23:127" 등의 숫자를 표시함으로써, 특정 앱 또는 상기 앱의 특정 그룹에 총 127개의 미확인 컨텐츠가 있으며, 이 중 23개는 (미확인) 지정 컨텐츠임을 표시할 수 있다.
상술의 "1. 지정 아이콘 뱃지 및 미확인 아이콘 뱃지 표시"에서 예시한 첫 번째, 두 번째 및 세 번째 예시적 측면, 상기 측면의 각 실시예 또는 상세예는 서로 호환될 수 있다. 바꾸어 말하자면 특정 측면, 특정 실시예 또는 특정 상세예는 서로 상충되지 않는 한, [1] 상이한 측면, 상이한 실시예, 또는 상이한 상세예의 상응하는 특성에 적용되거나, [2] 상기 상응하는 특성에 포함되거나, [3] 상기 상응하는 특성을 대체하거나, [4] 상기 상응하는 특성에 의해 대체되거나, 또는 [5] 상기 상응하는 특성과 혼합될 수 있다.
2. 사용자 관점에서의 지정 컨텐츠 생성
본 명세서의 다양한 데이터 처리 터미널은 다양한 형태로 다양한 컨텐츠를 발송하며 수신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특정 컨텐츠를 생성하였고, 터미널이 상기 컨텐츠 및 "지정 신호"를 특정 데이터 패킷에 포함시킴으로써 "지정 데이터 패킷"을 생성하는 경우, 본 명세서에서는 터미널이 상기 컨텐츠를 "지정 컨텐츠"로 "생성하였다" 또는 "변환시켰다"고 표현하기로 한다. 하지만 터미널이 상기 컨텐츠는 포함하되 "지정 신호"를 포함하지 않는 비지정 데이터 패킷을 생성하는 경우, 본 명세서에서는 터미널이 상기 컨텐츠를 "비지정 컨텐츠"로 "생성하였다" 또는 "변환시켰다"고 표현하기로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자 또는 터미널은 다양한 방법으로 "지정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일예로 특정 앱을 구동하며 상기 앱의 특정 그룹에 속한 사용자는 컨텐츠를 생성하기 전, 생성 도중, 또는 생성 후, 상기 그룹의 멤버 중 하나 이상의 멤버를 지정 수신자로 지정할 수 있다. 일예로 사용자는 [1] 다수의 멤버가 컨텐츠를 교환하는 컨텐츠 창에 표시된 멤버의 멤버 아이콘 또는 멤버 U/I를 조작함으로써 지정 수신자를 수동으로 선택하거나, 또는 [2] 그룹 창 또는 컨텐츠 창에서 멤버 리스트를 호출하여 지정 수신자를 수동으로 선택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이러한 구성 또는 방법을 [1] 사용자가 하나 이상의 지정 수신자를 수동으로 선택함에 따라, 사용자가 직접 "지정 신호"를 생성한다고 표현하거나, 또는 [2] 사용자의 지정 수신자 선택에 근거하여 터미널이 간접적으로 "지정 신호"를 생성한다고 표현하며, 본 명세서에서는 본 문장의 [1]과 [2]를 서로 같은 의미로 사용하기로 한다.
이에 반하여, 특정 앱을 구동하며 상기 앱의 특정 그룹에 속한 사용자는 컨텐츠 생성 전, 도중, 또는 후, 상기 그룹의 어떤 멤버도 지정 수신자로 지정하지 않을 수 있다. 하지만 사용자가 작성한 컨텐츠는 [1] 이름, [2] 명칭, [3] 별명, 또는 [4] 문자, 텍스트, 소리 또는 이미지 등을 포함하고, 본 문장의 [1] 내지 [4]의 각각이 특정 앱의 특정 그룹 또는 특정 앱의 모든 그룹의 하나 이상의 특정 멤버를 지칭하는 등의 "지정 요청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터미널은 다양한 기존의 정보 분석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상기 컨텐츠를 분석한 후, 상기 분석에 근거하여 상기 그룹이나 상기 앱의 다수의 그룹의 하나 이상의 멤버를 지정 수신자로 지정하고, 상기 지정 수신자에 상응하는 "지정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일예로 터미널은 [1] 인공지능, 머신 러닝, 딥 러닝 등의 분석 알고리즘, [2] 자연어 처리에 대한 분석 알고리즘, [3] 빅데이터 등의 분석 알고리즘, 또는 [4] 기타 텍스트 분석 알고리즘 또는 음성 분석 알고리즘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이러한 구성 또는 방법을 [1] 터미널이 하나 이상의 지정 수신자를 능동적으로 선택하며, 터미널이 직접 "지정 신호"를 생성한다고 표현하거나, 또는 [2] 사용자가 자신이 작성한 컨텐츠에 포함되거나 또는 자신이 수신한 미확인 컨텐츠에 포함된 "지정 요청 정보"를 이용하여 터미널을 조작함으로써 사용자가 간접적으로 "지정 신호"를 생성한다고 표현하며, 본 명세서에서는 본 문장의 [1]과 [2]를 동일한 의미로 사용하기로 한다.
본 명세서의 네 번째 예시적 측면은 사용자가 그룹 창이나 컨텐츠 창을 이용하여 지정 수신자를 선택하고, 지정 신호를 생성하며, 지정 컨텐츠를 생성하는 다양한 구성과 방법에 대한 것이다.
특정 앱을 구동하며 특정 그룹에 속한 사용자는 그룹 창에 표시된 다수의 그룹 중 특정 그룹의 컨텐츠 창으로 이동하기 전, 지정 수신자를 선택할 수 있다. 일예로 [도3]에서 예시한 그룹 창(15)에서 앱을 구동하는 사용자는 [1] 멤버 아이디, 멤버 U/I(17) 등을 접촉하거나 또는 누르거나, [2] 하드 버튼 형태의 키보드(추후 "하드 키보드"로 약칭) 또는 소프트 버튼 형태의 키보드(추후 "소프트 키보드"로 약칭)를 조작하거나, 또는 [3] 기타 입력 유닛을 조작함으로써, 하나 이상의 특정 멤버를 지정 수신자로 선택할 수 있다. 터미널이 영상 유닛에 다수의 그룹 창(15)을 표시할 경우, 사용자는 다수의 그룹 창 중 특정 그룹 창(15)을 선택하고, 선택한 그룹 창에 표시된 다수의 그룹 중 특정 그룹을 선택하며, 상기 그룹의 컨텐츠 창(19)을 표시한 후, 그 후 상기 컨텐츠 창(19)에 표시된 특정 멤버의 ID 또는 U/I에 사용자 입력을 제공함으로써 특정 멤버를 지정 수신자로 선택할 수 있다.
이와는 달리 사용자는 마이크 등의 입력 유닛에 음성 등의 음향적 사용자 입력을 제공함으로써, 그룹 창(15)이나 컨텐츠 창(19)에 표시되는 다수의 멤버 아이디 또는 멤버 U/I(17) 중 하나 이상에 해당하는 멤버를 지정 수신자로 선택할 수 있다. 또는 터미널은 사용자의 망막, 홍채, 기타 눈 부위, 또는 얼굴 등의 이미지를 확보한 후, 이로부터 전자기적 사용자 입력을 추출함으로써 간접적 또는 사전적으로 상기 그룹의 하나 이상의 멤버를 지정 수신자로 선택할 수 있다. 일예로 터미널은 상기 그룹 창(15) 또는 컨텐츠 창(19)를 바라보는 사용자의 시선의 방향(line of sight)을 분석하고, 이에 해당하는 특정 멤버를 지정 수신자로 선택할 수 있다.
상술과 같이 특정 앱을 구동하며 특정 그룹에 속하는 사용자는 상기 그룹의 하나 이상의 멤버를 지정 수신자로 선택하거나, 또는 다수의 그룹의 다수의 멤버를 수신자로 선택할 수 있다. 하지만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하술의 네 번째 예시적 측면에서는 사용자 또는 컨텐츠 발신자가 단일의 멤버를 지정 수신자로 선택하는 경우를 위한 구성과 방법을 주로 설명한다. 하지만 하술의 네 번째 예시적 측면의 다양한 실시예나 상세예는 물론 본 명세서의 상이한 측면의 구성과 방법은 사용자 또는 터미널이 다수의 멤버들을 지정 사용자로 선택하는 경우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그 이유는 다수의 멤버를 지정 수신자로 선택하는 구성 또는 방법은 단일의 멤버를 지정 수신자로 선택하는 과정을 동시에 또는 순차적으로 반복하여 달성할 수 있기 때문이다. [도24] 내지 [도27]은 사용자가 하드 키보드, 소프트 키보드, 기타 입력 유닛 또는 영상 유닛을 직접 조작하여 지정 수신자를 선택하는 구성 및 방법의 예시이다.
본 명세서의 네 번째 예시적 측면의 첫 번째 실시예는 사용자가 직접 터미널의 다양한 하드웨어 요소를 조작하여 지정 수신자를 선택하도록 하는 터미널의 구성 및 작업 실행 방법 등에 대한 예시이다. 특히 [도24] 및 [도25]는 사용자가 하드 키보드, 소프트 키보드, 입력 유닛 등을 조작하거나, 또는 사용자가 터치 스크린 형태의 영상 유닛을 직접 접촉하는 등의 방법으로 사용자 입력을 제공함으로써, 컨텐츠 창에서 지정 수신자를 선택하는 구성 및 방법의 예시이다.
[도24]에서와 같이 터미널(10)은 다양한 하드웨어 요소와 다양한 소프트웨어 요소를 포함한다. 하드웨어 요소의 예로는 출력 유닛 중 하나인 영상 유닛(11), 하나 이상의 하드 버튼 형태의 입력 유닛(12A)(12B)(12C) (단 영상 유닛이 터치 스크린이면 하드 버튼 형태의 입력 유닛은 소프트 버튼 형태의 입력 유닛으로 대체될 수 있다), 기타 터미널(10) 내부에 장착되는 송신 유닛, 수신 유닛, 제어 유닛, 출력 유닛(스피커 등), 저장 유닛 등이 있다.
터미널(10)의 소프트웨어 요소의 예로는 입력 창(14), 컨텐츠 창(19), 소프트 키보드(13) (단 터미널이 하드 버튼 형태의 키보드를 포함할 경우 소프트 버튼 형태의 키보드는 필요하지 않을 수 있다), 소프트 화살표 키(13A) (단 터미널이 하드 버튼 형태의 화살표 키를 포함하면 소프트 버튼 형태의 화살표 키는 필요하지 않을 수 있다), 소프트 송신 버튼(또는 송신 U/I)(13S) (단 사용자가 하드 버튼 형태의 입력 유닛을 이용하여 데이터 패킷을 송신할 수 있거나, 터미널이 하드 버튼 형태의 송신 버튼을 포함하면, 소프트 버튼 형태의 송신 버튼은 필요하지 않을 수 있다) 등이 있다.
이 외에도 상기 소프트웨어 요소의 예로는 터미널(10)의 운영체계(O/S), 터미널(10)에 장착된 다수의 앱, 상기 운영체계와 관련된 또는 이와는 별도의 컴퓨터 명령어, 컴퓨터 프로그램, 컴퓨터 프로그램 세트 등이 있다. 하지만 상술과 같이 운영체계, 앱, 명령어, 프로그램 등이 특정 작업을 실행할 경우, 본 명세서에서는 이를 "터미널이 특정 작업을 실행"하는 것으로 통칭한다.
[도24]에서와 같이 컨텐츠 창(19)은 다양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일예로 컨텐츠 창(19)은 [1] 특정 그룹에 속하는 멤버의 멤버 아이콘(또는 멤버 U/I)(32), [2] 상기 멤버가 발신한 컨텐츠 (즉 상기 그룹의 모든 멤버에게 발신한 비지정 컨텐츠 및 특정 멤버에게 발신한 지정 컨텐츠 등), [3] 사용자가 컨텐츠를 생성할 수 있는 입력 창(14), [4] 컨텐츠 송신 버튼(또는 컨텐츠 송신 U/I)(13S), [5] 영상 유닛(11)이 터치 스크린 형태일 경우, 소프트 키보드(13) 또는 화살표 키(13A) 등을 표시할 수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24]에서는 각각의 컨텐츠를 수신한 시간 등의 세부 정보는 표시하지 않았다.
사용자는 다양한 방법으로 컨텐츠를 생성할 수 있다. 일예로 사용자는 [1] 소프트 키보드나 하드 키보드(13)를 조작하여 컨텐츠를 생성하거나, [2] 화살표 키(13A) 등을 조작하여 컨텐츠를 생성하거나, 또는 [3] 기타 방법으로 다양한 형태의 파일 또는 폴더 등을 첨부하며 컨텐츠를 생성할 수 있다. 사용자가 생성하는 컨텐츠는 입력 창(14)에 표시되며, 따라서 [1] 사용자는 자신이 생성 중인 또는 이미 생성한 컨텐츠를 용이하게 확인하거나, 또는 [2] 자신이 생성한 컨텐츠의 오류를 용이하게 수정할 수 있다.
사용자는 입력 창(14)에서 컨텐츠를 생성하기 전, 생성하는 도중, 또는 생성한 후, 다양한 방법을 통하여 상기 그룹의 다수의 멤버 중 하나 이상의 멤버를 지정 수신자로 선택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사용자는 [1] 멤버 아이디(또는 멤버 U/I)(17)를 누르거나 또는 접촉함으로써 특정 멤버를 지정 수신자로 선택하거나, [2] 하드 키보드 또는 소프트 키보드를 조작하여 특정 멤버를 지정 수신자로 선택하거나, 또는 [3] 기타 입력 유닛을 조작함으로써 특정 멤버를 지정 수신자로 선택할 수 있다.
일예로 [도24]에서는 사용자가 컨텐츠 창(19)에 표시된 멤버 중 위에서 세 번째 멤버인 "박"의 아이콘(또는 U/I)(32)을 접촉하거나 또는 이를 누를 경우, 터미널은 "박"을 상기 컨텐츠의 지정 수신자로 지정한다. [도25]에서와 같이 터미널(10)은 "박"의 아이콘(또는 U/I)(32)은 (33)과 같이 강조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사용자는 선택된 멤버가 자신이 의도한 지정 수신자인지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도24]와 [도25]의 터미널(10)은 컨텐츠 창(19)에 다양한 멤버의 멤버 아이디(17) 또는 아이콘(32)을 표시한다. 특히 터미널(10)은 수신 시간에 따라 컨텐츠를 표시하되, 가장 최근에 타멤버로부터 수신한 컨텐츠 또는 사용자가 발송한 컨텐츠를 입력 창(14)의 바로 위에 표시할 수 있다. 따라서 컨텐츠 창(19)에서 가장 밑에 표시된 컨텐츠는 위에 표시된 컨텐츠보다 더 최근에 수신하거나 발신한 컨텐츠를 의미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특정 멤버를 지정 수신자로 선택하려 할 때, 상기 멤버가 최근 발송한 컨텐츠가 없으면, 상기 멤버의 아이디(17) 또는 아이콘(32)은 컨텐츠 창(19)에 표시되지 않을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사용자는 상기 멤버를 용이하게 선택하지 못할 수 없다. 이러한 불편함을 방지하기 위하여, 터미널(10)은 사용자가 컨텐츠를 작성하기 전, 작성 도중 또는 작성한 후 지정 수신자 선택을 위하여 컨텐츠 창(19)을 위아래로 스크롤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또는 아래에서 설명하겠지만, 사용자는 음향적 사용자 입력 또는 전자기적 사용자 입력을 제공함으로써, 컨텐츠 창(19)을 스크롤하지 않고도 지정 수신자를 선택할 수 있다.
참고로 터미널(10)이 컨텐츠 창(19)에 미확인 컨텐츠를 표시할 때, 터미널(10)은 사용자의 편의를 위하여 사용자가 확인하지 않은 첫 번째 컨텐츠부터 영상 유닛(11)에 표시할 수 있다. 따라서 이 경우 입력 창(14) 바로 위에 표시된 컨텐츠는 터미널(10)이 가장 최근에 수신한 미확인 컨텐츠가 아닐 수 있다.
사용자가 멤버 아이콘(또는 U/I)(32) 조작을 끝내면, 터미널(10)은 상기 조작에 의하여 선택되고 지정된 수신자를 표시하는 "지정 신호"를 생성한다. 즉 지정 신호는 특정 그룹의 멤버 중 어떤 멤버가 지정 수신자인지를 표시하는 신호로 간주할 수 있다. 일예로 지정 신호는 매트릭스 또는 데이터 베이스의 형태로 구축하거나, 또는 상기 매트릭스나 데이터 베이스의 요소(element)의 형태로 생성할 수 있다. 그 후 터미널(10)은 사용자가 생성한 컨텐츠, 사용자가 생성한 "지정 신호" 및 헤더나 테일 등을 포함하는 "지정 데이터 패킷"을 생성할 수 있다. 사용자가 컨텐츠 생성을 완료한 후 지정 수신자 선택을 완료하면, 또는 사용자가 지정 수신자 선택을 완료한 후 컨텐츠 생성을 완료하면, 사용자는 송신 버튼(또는 U/I)(13S)을 누르거나 또는 접촉하는 등의 방법으로 컨텐츠를 발송할 수 있다.
사용자가 자신이 생성한 컨텐츠를 발송하기 위하여 송신 버튼(또는 U/I)(13S)을 조작하면, 터미널(10)은 지정 컨텐츠를 포함하는 지정 데이터 패킷을 (중앙 또는 위치) 서버로 전송하며, 이를 수신한 서버는 지정 데이터 패킷을 상기 그룹에 속한 모든 멤버에게 발송하거나, 또는 상기 멤버 전부는 아닌 다수의 멤버에게 발송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송신 버튼(13S)를 누르면, 터미널(10)은 사용자에게 발송 여부에 대한 확인을 요청할 수 있다. 일예로 터미널(10)은 사용자가 선택한 멤버가 지정 수신자가 맞는지 확인을 요청할 수도 있다. 사용자가 자신이 선택한 멤버가 지정 수신자임을 확인하면, 터미널(10)은 지정 데이터 패킷을 발송한다. 하지만 사용자가 확인을 부인하면, 터미널(10)은 발송을 멈추고, 사용자에게 다시 지정 수신자를 선택하도록 요청하거나, 또는 컨텐츠를 비지정 컨텐츠로 발송할 수 있다.
사용자의 컨텐츠를 지정 데이터 패킷의 형태로 수신한 수신자의 터미널은, 상기 패킷으로부터 컨텐츠 및 지정 신호를 추출한다. 지정 신호를 확인한 결과, 수신자가 지정 수신자(즉 지정 신호가 수신자에 해당)인 경우, 수신자의 터미널은 컨텐츠 창(19)에 상기 컨텐츠를 지정 컨텐츠 형태로 표시한다. 하지만 수신자가 지정 수신자가 아닌 경우(즉 지정 신호가 수신자에 해당하지 않는 경우), 수신자는 비지정 수신자이며, 지정 수신자가 아니다. 따라서 수신자의 터미널은 컨텐츠 창(19)에 상기 컨텐츠를 비지정 컨텐츠로 표시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네 번째 예시적 측면의 두 번째 실시예는 사용자가 직접 터미널의 다양한 하드웨어 요소를 조작하여 지정 수신자를 선택하도록 하는 터미널의 구성 및 작업 실행 방법에 대한 또 다른 예시이다. [도26] 및 [도27]는 사용자가 하드 키보드나 소프트 키보드, 입력 유닛 등을 조작하거나 또는 사용자가 터치 스크린 형태의 영상 유닛을 직접 접촉하여 사용자 입력을 제공함으로써, 컨텐츠 창에서 지정 수신자를 선택할 수 있는 터미널의 구성 및 작업 실행 방법의 예시이다.
상기 구성과 방법은 [도24]와 [도25]의 구성과 예시와 일반적으로 동일하지만 지정 수신자 선택의 구성 및 방법에 차이점이 있다. [도26]과 [도27]의 터미널(10)은 [도24]와 [도25]의 터미널과 동일하거나 유사한 하드웨어 요소 및 소프트웨어 요소를 포함하며, 따라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도26]의 컨텐츠 창(19)은 [도24]의 컨텐츠 창과 동일하거나 또는 유사한 정보를 표시하며, 따라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하지만 [도26]의 터미널(10)과 [도24]의 터미널의 차이점은, [도24]의 터미널이 컨텐츠 창에 특정 그룹에 속한 모든 멤버의 멤버 아이콘을 표시하지만, [도26]의 터미널(10)은 컨텐츠 창(19)에 특정 그룹에 속하는 멤버의 멤버 아이콘(32)을 표시하되, 사용자가 지정 수신자로 선택할 수 있는 멤버의 멤버 아이콘(또는 멤버 U/I)(32)과 지정 수신자로 선택할 수 없는 멤버의 멤버 아이콘(32)을 상이하게 표시할 수 있다는 점이다. 따라서 상기 터미널은 사용자가 실수로 지정 수신자가 될 수 없는 멤버에게 지정 컨텐츠를 발송하는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는 편의를 제공한다.
일예로 [도26]의 터미널(10)은 컨텐츠 창(19)에 표시된 대부분의 멤버의 멤버 아이콘(32)을 활성화(도면은 이를 타원으로 표시)된 상태로 표시하는 반면, 위에서 두 번째 멤버인 "이"의 아이콘(32)은 비활성화(도면에서는 타원 생략)된 상태로 표시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이"를 지정 수신자로 선택할 수 없으며, 이에 따라 사용자는 "이"에게 비지정 컨텐츠는 송신할 수 있지만 지정 컨텐츠는 송신할 수 없게 된다. 상기 구성은 미리 지정 수신자 목록에서 제외한 멤버인 "이"에게 사용자가 실수로 지정 컨텐츠를 발송하지 않도록 미연에 방지한다는 이점을 제공한다.
사용자는 수동으로(또는 직접) [1] 특정 앱의 특정 그룹에 속한 하나 이상의 멤버를 지정 수신자 목록에서 제외하거나, [2] 이와는 반대로 상기 멤버를 비수신자 목록에 추가할 수 있다. 단 앞 문장의 [2]의 비수신자 목록에의 추가는 앞 문장의 [1]의 지정 수신자 목록에서의 제외에 해당하므로, 아래에서는 [1]의 경우를 설명하는 한편 [2]의 경우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사용자가 상기 멤버를 지정 수신자 목록에서 제외할 경우, 터미널(10)은 [1] 상기 그룹의 지정 수신자 목록에 한하여 상기 멤버를 제외하거나, [2] 상기 그룹이 설정된 상기 앱이 설정한 모든 그룹의 지정 수신자 목록에서 상기 멤버를 제외하거나, [3] 상기 앱이 설정한 모든 그룹이 아닌 다수의 특정 그룹의 지정 수신자 목록에 한하여 상기 멤버를 제외하거나, [4] 상기 앱은 물론 터미널에 장착되어 있는 모든 앱의 지정 수신자 목록에서 상기 멤버를 제외하거나, 또는 [5] 터미널에 장착되어 있는 모든 앱은 아니지만 다수의 특정 앱의 지정 수신자 목록에 한하여 상기 멤버를 제외할 수 있다.
사용자는 상술의 네 번째 예시적 측면의 첫 번째 실시예에서 설명한 지정 수신자 선택 방법과 동일 또는 유사한 방법을 이용하여 상기 멤버를 지정 수신자 목록에서 제외하거나, 또는 상기 멤버를 비수신자 목록에 추가할 수 있다. 또는 사용자는 터미널의 설정 기능을 이용하여 상기 멤버를 지정 수신자 목록에서 제외하거나, 또는 상기 멤버를 비수신자 목록에 추가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상기 멤버가 발송하는 비지정 컨텐츠 또는 지정 컨텐츠를 수신할 수는 있지만, 사용자는 상기 멤버에게 지정 컨텐츠를 발송할 수 없게 되거나, 또는 터미널 세팅 또는 앱 세팅에 따라 비지정 컨텐츠도 발송할 수 없을 수 있다.
이와는 달리 터미널은 인공지능, 머신 러닝, 딥 러닝, 자연어 처리, 빅데이터, 음성 분석, 또는 텍스트 분석 등에 사용되는 다양한 정보 분석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지정 수신자 목록에서 제외해야 할 멤버를 선택할 수 있다. 일예로 상술의 정보 분석 알고리즘은 터미널에 저장된, 특정 앱에 저장된, 또는 특정 앱의 특정 그룹에 한하여 저장된 데이터를 분석함으로써, 사용자가 지정 컨텐츠를 발송하지 말아야할 멤버를 확인할 수 있고, 상기 멤버를 선택한 후 이들을 지정 수신자 목록에서 제외할 수 있다. 특히 터미널은 사용자와 특정 멤버 사이에 교환한 컨텐츠, 사용자와 상기 멤버 사이의 업무적 관계나 개인적 관계 등을 고려하여 지정 수신자 목록에서 제외해야 할 멤버를 선택할 수 있다.
사용자는 다양한 방법으로 입력 창(14)에서 컨텐츠를 작성할 수 있고, 이는 [도24]와 [도25]에서 예시한 방법과 동일하거나 또는 유사하므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사용자는 컨텐츠 생성하기 전, 생성 도중, 또는 생성한 후, 지정 수신자 목록에 포함된 멤버 중 지정 수신자를 선택하거나, 또는 비수신자 목록에 속하지 않은 멤버 중 지정 수신자를 선택할 수 있다. 단 지정 수신자 선택은 상술의 [도24]와 [도25]에서 예시한 방법과 동일하거나 또는 유사하므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사용자가 멤버 아이콘(또는 U/I)(32) 조작을 끝내면, 터미널(10)은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지정된 수신자를 표시하는 "지정 신호"를 생성한다. 터미널(10)은 영상 유닛(11)에 표시된 컨텐츠 창(19)에서 지정된 멤버의 멤버 아이콘(32) 또는 주변에 지정 표식(33)을 표시할 수 있다.
터미널(10)은 다양한 방법으로 사용자가 선택한 멤버가 지정 수신자가 맞는 지에 대한 사용자의 확인을 요청할 수 있다. 일예로 사용자가 지정 표식(33)을 확인한 결과 컨텐츠 창(19)에서 지정 표식(33)이 된 멤버가 사용자가 의도한 지정 수신자가 아닐 경우, 사용자는 멤버 아이콘(32)을 다시 조작하여 이전의 선택을 취소하고, 새로운 멤버를 지정 수신자로 선택할 수 있다. 터미널(10)은 이에 대응하여 의도한 지정 수신자가 아닌 멤버의 아이콘(32)에 대한 지정 표식(33)을 해지할 수 있다.
또는 사용자가 송신 버튼(13S)를 누르면, 터미널(10)은 사용자에게 발송 여부에 대한 확인을 요청할 수 있다. 일예로 터미널(10)은 사용자가 선택한 멤버가 지정 수신자가 맞는지에 대한 확인을 요청할 수 있다. 사용자가 자신이 선택한 멤버가 지정 수신자임을 확인하면, 터미널(10)은 지정 데이터 패킷을 발송할 수 있다. 하지만 사용자가 확인 작업을 실행하지 않으면, 터미널(10)은 발송을 멈추고, 사용자에게 다시 지정 수신자를 선택하도록 요청하거나, 또는 즉시 또는 일정 기간 후 컨텐츠를 비지정 컨텐츠로 발송할 수 있다.
사용자가 특정 시간 이내에 위의 두 문단에서 설명한 확인 작업에 대응하지 않으면, 터미널(10)은 [1] 사용자가 상기 멤버를 지정 수신자로 확인하였다고 간주하고 사용자가 생성한 컨텐츠를 지정 데이터 패킷 형태로 발송하거나, [2] 사용자가 생성한 컨텐츠를 비지정 컨텐츠로 간주하고 상기 컨텐츠를 비지정 데이터 패킷의 형태로 발송하거나, [3] 사용자에게 다시 확인을 요청하거나, 또는 [4] 사용자가 특정 액션을 취할 때까지 상기 컨텐츠의 발송을 보류할 수 있다.
사용자가 지정 표식(33)을 확인하고 송신 버튼(13S)을 조작하면, 터미널(10)은 지정 컨텐츠를 포함하는 지정 데이터 패킷을 (중앙 또는 위치) 서버로 전송한다. 상기 패킷을 수신한 서버는 지정 데이터 패킷을 상기 그룹에 속한 모든 멤버에게 발송하거나, 또는 상기 멤버 전부는 아닌 다수의 멤버에게 발송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도24]와 [도25]에서 예시한 방법과 동일 또는 유사하므로, 더 이상의 설명은 생략한다.
본 명세서의 네 번째 예시적 측면의 다양한 터미널, 지정 컨텐츠 또는 지정 아이콘 뱃지는 다양한 구성 또는 방법으로 변형 또는 개량될 수 있다. 하술은 상기 변형 또는 개량에 대한 상세예들로서, 상기 변형 또는 개량은 [1] 본 네 번째 예시적 측면의 상술의 실시예나 상세예의 변형 또는 개량에 적용되거나, 또는 [2] 본 명세서의 상술이나 하술의 상이한 예시적 측면, 상기 상이한 측면의 실시예나 상세예의 변형이나 개량에도 적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네 번째 예시적 측면의 변형 또는 개량의 첫 번째 상세예는 상기 지정 신호와는 상이한 지정 신호의 구성 및 방법에 대한 것이다. 일예로 터미널은 매트릭스나 데이터 베이스의 형태의 지정 신호 대신 "0" 또는 "1" 중 하나인 지정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일예로 지정 신호가 "1"이면 수신자가 지정 수신자임을 나타내지만, 지정 신호가 "0"이면 상기 수신자는 지정 수신자가 아닌 비지정 수신자임을 나타내는 경우이다.
터미널이 지정 데이터 패킷을 서버로 전송하면, 서버는 이를 수신한 후 지정 데이터 패킷을 상기 그룹의 모든 멤버에게 송신하고, 이를 수신한 수신자의 터미널은 지정 데이터 패킷으로부터 컨텐츠를 추출한다. 또한 수신자의 터미널은 지정 신호를 확인한 후, 수신자가 지정 수신자(즉 지정 신호가 "1")인 경우에는 상기 컨텐츠를 지정 컨텐츠로 표시하지만, 수신자가 비지정 수신자(즉 지정 신호가 "0")인 경우에는 상기 컨텐츠를 비지정 컨텐츠로 표시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네 번째 예시적 측면의 변형 또는 개량의 두 번째 상세예는 지정 컨텐츠의 확인에 대한 구성과 방법에 대한 것이다. 일예로 상술과는 달리 터미널은 상기 지정 데이터 패킷을 생성하고, 또한 사용자가 작성한 컨텐츠, 헤더와 테일 등을 포함하지만, 지정 신호는 포함하지 않는 "비지정 데이터 패킷"을 함께 생성한다. 터미널은 지정 데이터 패킷 및 비지정 데이터 패킷을 모두 서버로 전송하며, 이를 수신한 서버는 지정 수신자에게는 지정 데이터 패킷을 송신하지만, 나머지 그룹 멤버에게는 비지정 데이터 패킷을 송신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지정 데이터 패킷을 수신한 지정 수신자의 터미널은 상기 컨텐츠를 지정 컨텐츠로 표시하지만, 비지정 데이터 패킷을 수신한 비지정 수신자의 터미널은 상기 컨텐츠를 비지정 컨텐츠로 표시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네 번째 예시적 측면의 변형 또는 개량의 세 번째 상세예는 데이터 패킷과 지정 신호의 발송에 대한 구성과 방법에 대한 것이다. 상술과는 달리 터미널은 사용자가 작성한 컨텐츠, 헤더, 테일 등은 포함하지만, 지정 신호는 포함하지 않는 "비지정 데이터 패킷"을 생성한 후, 비지정 데이터 패킷과 지정 신호를 서버로 송신할 수 있다. 서버는 이를 수신한 후 지정 수신자에게는 지정 신호와 비지정 데이터 패킷을 모두 발송하지만, 나머지 그룹 멤버에게는 지정 신호는 송신하지 않고 비지정 데이터 패킷만 송신한다. 지정 신호 및 비지정 데이터 패킷을 모두 수신한 지정 수신자의 터미널은 상기 컨텐츠를 지정 컨텐츠로 표시하지만, 비지정 데이터 패킷만 수신한 나머지 멤버의 터미널은 상기 컨텐츠를 비지정 컨텐츠로 표시한다.
본 명세서의 네 번째 예시적 측면의 변형 또는 개량의 네 번째 상세예는 컨텐츠와 지정 신호의 저장 및 호출에 대한 구성 또는 방법에 대한 것이다. 본 명세서의 다양한 터미널 및 서버는 다양한 방법으로 컨텐츠, 지정 신호, 비지정 데이터 패킷 또는 지정 데이터 패킷 등을 저장할 수 있다. 일예로 서버는 컨텐츠, 지정 신호, 비지정 데이터 패킷 및 지정 데이터 패킷을 모두 수신하고, 처리한 후, 이들을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서버는 수신자에게 [1] 비지정 데이터 패킷이나 지정 데이터 패킷 중 하나를 송신하거나, [2] 지정 수신자에게는 컨텐츠와 지정 신호를 송신하지만, 일반 수신자에게는 컨텐츠만 송신하거나, 또는 [3] 수신자(또는 수신자의 터미널)에게 서버에 저장된 비지정 컨텐츠, 지정 컨텐츠 또는 저장 신호의 저장 위치만 송신할 수 있다.
또는 서버는 비지정 데이터 패킷과 지정 데이터 패킷을 모두 수신한 후 이를 처리하거나 저장하지 않은 채 수신자에게 수신할 수 있다. 따라서 수신자의 터미널이 지정 데이터 패킷을 수신하는 경우, 상기 터미널은 상기 패킷에 포함된 컨텐츠를 지정 컨텐츠로 표시할 수 있다. 하지만 수신자의 터미널이 비지정 데이터 패킷을 수신하는 경우, 터미널은 상기 패킷에 포함된 컨텐츠를 비지정 컨텐츠로 표시할 수 있다. 필요한 경우, 서버는 비지정 데이터 패킷 또는 지정 데이터 패킷의 일부나 전부를 처리하거나, 저장할 수 있다.
또는 서버는 지정 신호가 포함되지 않은 데이터 패킷과 지정 신호를 수신한 후 이들을 처리하거나 저장하지 않은 채(또는 이들을 처리하거나 저장한 후) 수신자에게 발송할 수 있다. 따라서 수신자 터미널이 상기 데이터 패킷만 수신하면, 터미널은 상기 패킷에 포함된 컨텐츠를 비지정 컨텐츠로 표시할 수 있다. 하지만 수신자 터미널이 상기 데이터 패킷과 지정 신호를 함께 수신한 경우, 상기 패킷에 포함된 컨텐츠를 지정 컨텐츠로 표시할 수 있다. 필요한 경우, 서버는 상기 데이터 패킷 또는 지정 신호의 일부 또는 전부를 처리하거나, 또는 저장할 수 있다.
이와는 달리 서버는 본 네 번째 상세예의 상술의 구성이나 방법을 조합하거나 변형한 방법으로 수신자의 터미널에 다양한 컨텐츠 또는 데이터 패킷을 송신할 수 있다. 일예로 서버는 [1] 지정 데이터 패킷 또는 비지정 데이터 패킷 중 하나 이상을 수신하거나, [2] 컨텐츠와 지정 신호를 수신하거나, [3] 비지정 데이터 패킷과 지정 신호를 수신하거나, 또는 [4] 지정 신호, 비지정 데이터 패킷 및 지정 데이터 패킷을 수신할 수 있다. 서버는 컨텐츠, 지정 신호, 지정 데이터 패킷 또는 비지정 데이터 패킷 중 하나 이상을 저장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서버는 [1] 지정 데이터 패킷 또는 비지정 데이터 패킷 중 하나 이상을 발송하거나, [2] 컨텐츠와 지정 신호를 발송하거나, [3] 비지정 데이터 패킷과 지정 신호를 발송하거나, [4] 지정 신호, 비지정 데이터 패킷 및 지정 데이터 패킷을 발송할 수 있다. 수신자의 터미널은 상술한 바와 같이 서버로부터 또는 사용자로부터 [1] 데이터 패킷을 수신하고, 상기 패킷에서 컨텐츠를 추출하거나, [2] 데이터 패킷 형태 대신 컨텐츠를 직접 수신하거나, 또는 [3] 컨텐츠가 서버에 저장된 위치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네 번째 예시적 측면의 변형 또는 개량의 다섯 번째 상세예는 다양한 형태의 사용자 입력을 이용하여 지정 수신자를 선택하는 구성 또는 방법에 대한 것이다. 일예로 사용자는 상기 기계적 사용자 입력 또는 상이한 기계적 사용자 입력을 제공하며 지정 수신자를 선택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자신의 신체 부위 이외의 비사용자 물체를 이용하여 다양한 기계적 사용자 입력이나, 다양한 전기적 사용자 입력이나, 또는 다양한 자기적 사용자 입력을 터미널의 다양한 입력 유닛에 제공함으로써 지정 수신자를 선택할 수 있다.
이와는 달리 사용자는 그룹 창이나 컨텐츠 창에서 자신이 원하는 특정 멤버의 멤버 아이디를 눈으로 응시하거나, 컨텐츠 창에서 상기 멤버의 멤버 아이디 또는 상기 멤버가 발신한 컨텐츠를 눈으로 응시하며, 이의 이미지 등과 같은 전자기적 사용자 입력을 터미널의 다양한 입력 유닛에 제공함으로써, 특정 수신자를 지정 수신자로 선택할 수 있다. 특히 터미널은 카메라나 기타 이미지 확보 유닛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홍채, 망막, 기타 눈 부위 또는 얼굴 등의 이미지를 확보하고, 상기 이미지부터 사용자의 시선(line of sight)을 분석한다. 상기 분석에 근거하여 터미널은 그룹 창이나 컨텐츠 창에 표시된 멤버 중 사용자가 응시하는 멤버를 확인한 후, 상기 멤버를 지정 수신자로 선택할 수 있다.
사용자는 자신의 음성, 기타 소리 등의 음향적 사용자 입력을 터미널의 마이크로폰이나 이와 균등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입력 유닛에 제공함으로써 지정 수신자를 선택할 수 있다. 일예로 사용자는 특정 멤버의 이름, 별명, 직위, 아이디는 물론, 특정 멤버에 할당된 숫자, 기호 또는 명칭 등을 마이크에 말함으로써 상기 멤버를 지정 수신자로 선택할 수 있다. 또는 사용자는 상기 멤버와 관련된 업무 또는 일정, 상기 멤버와 교환한 컨텐츠에 포함된 단어나 문구, 또는 기타 상기 멤버와 관련된 단어나 문구, 이미지의 묘사 등을 마이크에 말함으로써 상기 멤버를 지정 수신자로 선택할 수 있다.
특히 사용자가 이미지 등과 같은 전자기적 사용자 입력 또는 음성 등과 같은 음향적 사용자 입력을 제공할 경우, 사용자는 영상 유닛이 입력 창이나 컨텐츠 창을 표시할 때, 또는 상기 창을 표시하지 않을 때에도 특정 멤버를 지정 수신자로 선택할 수 있다. 또한 터미널이나 앱이 음성 인식 유닛을 이용하여 음향적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경우, [1] 사용자는 특정 멤버의 이름, 약칭, 별명 등을 말함으로써 상기 멤버를 지정 수신자로 선택하거나, 또는 [2] 사용자가 수신자를 선택하거나 또는 터미널이 입력 창을 영상 유닛에 표시한 후 "지정" 또는 이에 상응하는 단어를 말함으로써 상기 멤버를 지정 수신자로 선택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네 번째 예시적 측면의 변형 또는 개량의 여섯 번째 상세예는 지정 수신자 선택 여부에 대한 확인을 위한 구성 및 방법에 대한 것이다. 즉 터미널은 사용자가 지정 수신자를 선택하지 않더라도 사용자에게 이를 문의할 수 있다. 일예로 터미널은 [1] 사용자가 입력 창을 요청할 때, [2] 사용자가 입력 창에서 컨텐츠를 생성하기 시작할 때, [3] 사용자가 생성하는 컨텐츠에 특정 멤버를 지칭하는 이름, 별칭, 직위 또는 기타 상기 멤버를 연상시키거나 지칭하는 단어를 입력할 때, [4] 사용자가 일정 길이 또는 크기 이상의 컨텐츠를 입력할 때, 또는 [5] 사용자가 지정 수신자를 선택하지 않은 채 송신 버튼을 누르는 경우, 사용자에게 상기 멤버를 지정 수신자로 선택할 지에 대하여 문의할 수 있다.
상기 문의에 대하여 사용자가 지정 수신자 선택을 하지 않는다는 입력을 제공하면, 터미널은 사용자가 생성한 컨텐츠를 비지정 컨텐츠로 간주하고 이를 비지정 데이터 패킷에 포함시킨 후 발송할 수 있다. 반면 사용자가 지정 수신자를 선택하겠다는 입력을 제공하면, 터미널은 사용자의 선택을 기다린 후, 사용자가 선택한 수신자를 지정 수신자로 지정한 후 상기 컨텐츠를 지정 데이터 패킷에 포함시킨 후 발송할 수 있다. 상기 터미널은 사용자의 편의를 위하여 특정 앱의 특정 그룹에 속한 멤버의 멤버 리스트나 또는 상기 그룹의 지정 수신자 목록을 표시해 줄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네 번째 예시적 측면의 변형 또는 개량의 일곱 번째 상세예는 특정 앱의 특정 그룹에 속하는 둘 이상의 멤버를 지정 수신자로 선택하는 구성 및 방법에 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터미널은 사용자가 선택한 특정 그룹의 다수의 멤버를 각각 지정할 수 있는 다양한 "지정 신호"를 생성하거나, 또는 상기 다수의 멤버에 해당하는 다양한 "지정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일예로 지정 신호가 매트릭스 형태 또는 데이터 베이스 형태인 경우 상기 그룹에 n명의 멤버가 속하면, 상기 매트릭스나 데이터 베이스는 지정 수신자가 0명인 경우(즉 모든 멤버가 비지정 수신자인 경우), 1명인 경우, 2명인 경우, ... , (n-3)명인 경우, (n-2)명인 경우 및 (n-1)명인 경우(즉 사용자 자신을 제외한 모든 멤버가 지정 수신자인 경우)에 대한 데이터 등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즉 터미널은 상기 n명에 대한 모든 조합 및 이에 대한 각각의 지정 신호를 저장할 수 있다. 이 경우 터미널은 지정 수신자의 최대 수효를 제한하거나, 또는 특정 멤버를 제외한 매트릭스 형태나 데이터 베이스 형태의 데이터를 구축할 수 있다. 또한 터미널은 상기 조합 및 저장 신호를 특정 그룹에 속한 전체 멤버가 아닌, 지정 수신자 목록에 속한 멤버에 대해서 저장할 수 있다.
반면 지정 신호가 "0" 또는 "1"인 경우, 터미널은 비지정 수신자임을 알리는 "0"의 지정 신호를 포함하는 비지정 데이터 패킷 또는 지정 수신자임을 알리는 "1"의 지정 신호를 포함하는 지정 데이터 패킷을 단일의 또는 다수의 멤버들에게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어떤 멤버도 지정 수신자로 선택하지 않은 경우, 터미널은 지정 신호 "0"을 포함하는 비지정 데이터 패킷을 그룹의 모든 멤버에게 발송할 수 있다. 또는 지정 신호가 임의의 숫자, 문자 또는 기호인 경우, 터미널은 데이터 패킷에서 지정 신호가 저장될 부분에 임의의 숫자, 문자나 기호가 기입된 데이터 패킷(즉 지정 데이터 패킷)을 단일 또는 다수의 멤버들에게 전송할 수 있으며, 상기 부분이 비어 있는 데이터 패킷(즉 비지정 데이터 패킷)을 나머지 멤버들에게 전송할 수 있다. 터미널은 기타 상술 및 하술의 방법을 이용하여 다수의 멤버를 지정 수신자로 선택할 수 있다.
상술과 같이, 터미널이 지정 신호를 포함한 지정 데이터 패킷과 지정 신호를 포함하지 않는 비지정 데이터 패킷을 발송하는 경우, 수신자의 터미널은 데이터 패킷에 포함된 지정 신호의 유무에 따라 특정 컨텐츠를 지정 컨텐츠 또는 비지정 컨텐츠로 표시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지정 신호는 어떤 임의의 숫자, 문자 또는 기호일 수 있다. 즉 지정 신호를 포함하는 상기 데이터 패킷의 헤더, 테일 또는 기타 부분이 비어 있는 경우, 터미널은 상기 데이터 패킷을 비지정 데이터 패킷으로 간주하지만, 헤더, 테일 또는 기타 부분이 어떤 숫자, 문자, 기호, 이미지 또는 기타 정보를 포함하는 경우, 터미널은 상기 데이터 패킷을 지정 데이터 패킷으로 간주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네 번째 예시적 측면의 변형 및 개량의 여덟 번째 상세예는 상기 지정 신호의 반대에 해당하는 비지정 신호의 구성 및 방법에 대한 것이다. 일예로 터미널은 특정 그룹의 하나 이상의 멤버가 지정 수신자임을 나타내는 "지정 신호" 대신, 동일한 그룹의 하나 이상의 멤버가 비지정 수신자를 나타내는 "비지정 신호"를 생성하고, 비지정 신호를 포함하는 "비지정 데이터 패킷"을 생성하고 활용할 수 있다. 즉 비지정 신호는 특정 그룹의 멤버 중 지정 수신자를 표시하는 대신, 이와는 반대로 비지정 수신자를 표시하는 신호에 해당하며, 비지정 신호가 포함된 데이터 패킷을 수신한 터미널은 상기 데이터 패킷에 포함된 컨텐츠를 비지정 컨텐츠를 표시할 수 있다. 반대로 비지정 신호가 포함되지 않은 데이터 패킷을 수신한 터미널은 데이터 패킷에 포함된 컨텐츠를 지정 컨텐츠로 표시할 수 있다.
본 상세예의 구성은 위에서 설명한 지정 신호와 관련된 다양한 실시예 및 상세예에 용이하게 적용할 수 있다. 즉 터미널은 지정 신호와 반대인 비지정 신호를 이용함으로써 비지정 수신자를 확인하고, 하나 이상의 나머지 멤버를 모두 지정 수신자로 간주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비지정 신호를 포함한 데이터 패킷에 포함된 컨텐츠는 비지정 컨텐츠로, 비지정 신호를 포함하지 않은 데이터 패킷에 포함된 컨텐츠는 지정 컨텐츠로 표시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네 번째 예시적 측면의 변형 또는 개량의 아홉 번째 상세예는 특정 멤버에 대한 지정 컨텐츠의 선택적 발송을 위한 구성 및 방법에 대한 것이다. 즉 사용자는 지정 데이터 패킷 또는 지정 컨텐츠를 특정 그룹의 모든 멤버에게 발송하지 않는 대신, 지정 수신자에게만 발송할 수 있으며, 따라서 비지정 수신자는 상기 컨텐츠를 포함하는 비지정 데이터 패킷도 수신하지 못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비지정 수신자는 사용자가 지정 수신자에게 송신하는 컨텐츠를 수신할 수 없으며, 사용자 역시 상기 지정 컨텐츠를 지정 수신자에게만 송신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지정 신호가 매트릭스 또는 데이터 베이스 형태이면, 터미널은 [1] 매트릭스 또는 데이터 베이스의 요소를 수정하여 지정 신호에 해당하지 않는 멤버들은 수신자 목록에서 제외함으로써 이들에게는 비지정 데이터 패킷도 송신되지 않도록 하거나, 또는 [2] 상술의 다양한 방법 또는 기타 기존의 방법을 이용하여 지정 신호에 해당하는 수신자에게만 컨텐츠가 송신되도록 할 수 있다.
또는 지정 신호가 "0" 또는 "1"일 경우, 터미널은 [1] 지정 수신자에게 송신되는 지정 데이터 패킷의 지정 신호는 "1"로 하는 반면, 나머지 멤버들에게 송신되는 비지정 데이터 패킷의 지정 신호는 "0"으로 하여 이들에게는 비지정 데이터 패킷도 발송되지 않도록 하거나, 또는 [2] 지정 신호에 "0"과 "1" 외에 추가로 "2"를 지정하고, 지정 신호로 "0"이 할당된 멤버에게 어떤 컨텐츠도 발송하지 않도록 하고, 지정 신호로 "1"이 할당된 멤버에는 컨텐츠를 비지정 컨텐츠로 발송하도록 하며, 지정 신호로 "2"가 할당된 멤버에는 컨텐츠를 지정 컨텐츠로 발송하도록 하거나, 또는 [3] 기타 기존의 방법을 이용하여 지정 신호에 해당하는 수신자에게만 컨텐츠가 발송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네 번째 예시적 측면의 변형 또는 개량의 열 번째 상세예는 사용자가 서버를 경유하지 않고 직접 자신의 터미널에서 특정 그룹의 타멤버에게 비지정 데이터 패킷, 지정 데이터 패킷, 컨텐츠, 지정 신호 등을 송신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 및 방법에 대한 것이다. 즉 사용자는 터미널의 세팅을 조작하거나 (중앙) 서버와의 네트워크 구조를 수정함으로써, 사용자가 서버를 경유하지 않고 직접 특정 그룹의 타멤버에게 비지정 데이터 패킷, 지정 데이터 패킷, 컨텐츠, 지정 신호 등을 직접 송신할 수 있도록 한다. 본 상세예에서는 사용자 터미널과 수신자 터미널이 서버를 거치지 않고도 컨텐츠 교환이 가능한 경우에 해당하며, 일예로 다수의 터미널 사이의 블루투스(bluetooth), 근접통신(NFC, 즉 near field communication) 등이 이러한 경우에 해당한다.
상술의 네 번째 예시적 측면의 각각의 실시예와 상세예는 상술과 하술의 상이한 측면의 실시예나 상세예와 서로 호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네 번째 측면의 다양한 실시예 및 상세예는 서로 상충되지 않는 한, [1] 동일한 측면의 상이한 실시예 또는 상세예, 상이한 측면의 상이한 실시예 또는 상이한 상세예 중 이에 상응하는 특성에 적용되거나, [2] 상기 상응하는 특성에 포함되거나, [3] 상기 상응하는 특성을 대체하거나, [4] 상기 상응하는 특성에 의하여 대체되거나, 또는 [5] 상기 상응하는 특성과 혼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다섯 번째 예시적 측면은 터미널이 영상 유닛에 표시하는 다양한 멤버 리스트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단일이나 다수의 멤버를 지정 수신자를 선택하고, 지정 신호를 생성하며, 컨텐츠 및 지정 신호를 포함하는 지정 데이터 패킷을 생성하는 다양한 구성 및 방법에 대한 것이다. 특정 앱을 구동하는 사용자는 컨텐츠를 정보 창에 입력하기 전, 도중 또는 완료 후 지정 수신자를 선택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사용자는 특정 앱의 특정 그룹에 속하는 모든 (또는 다수) 멤버 또는 멤버 아이디를 표시하는 "멤버 리스트"를 이용하여 용이하게 지정 수신자를 선택할 수 있다.
본 예시적 측면에서는 사용자가 특정 앱의 특정 그룹의 단일의 멤버를 지정 수신자로 선택하는 구성 및 방법을 주로 설명하지만, 터미널은 상기 구성 및 방법을 용이하게 개량하여 사용자가 상기 방법을 반복함으로써 다수의 멤버를 지정 수신자로 선택할 수도 있게 할 수 있다. 따라서 다수의 멤버를 지정 수신자로 선택하는 구성 및 방법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명세서의 다섯 번째 예시적 측면의 첫 번째 실시예는 그룹 창에 표시한 멤버 리스트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직접 지정 수신자를 선택하도록 하는 터미널의 구성 및 작업 실행 방법에 대한 예시이다. 일예로 터미널이 [도3]에서 예시한 그룹 창(15)에 특정 앱의 특정 그룹에 속하는 모든(또는 다수의) 멤버의 멤버 아이디(또는 U/)I(17)를 포함하는 멤버 리스트를 표시하는 경우, 사용자는 상기 리스트에 표시된 멤버의 아이디(17)를 [1] 직접 누르거나, 접촉하거나, 기타 방법 등으로 조작함으로써, [2] 하드 키보드나 소프트 키보드 등을 이용하여 조작함으로써, 또는 [3] 기타 입력 유닛을 이용하야 조작함으로써, 상기 멤버 리스트로부터 특정 수신자를 지정 수신자로 선택할 수 있다.
이와는 달리 사용자는 다수의 그룹을 표시하는 그룹 창(15)으로부터 특정 그룹을 선택함으로써 영상 유닛(11)에 컨텐츠 창(19)을 표시하고, 사용자 입력을 제공함으로써 컨텐츠 창(19)에 멤버 리스트를 표시하며, 상기 리스트에서 특정 수신자를 지정 수신자로 선택할 수 있다. 또는 사용자는 그룹 창(15)이나 컨텐츠 창(19)에서 음향적 사용자 입력을 스피커 등의 입력 유닛에 제공함으로써 특정 멤버를 지정 수신자로 선택할 수도 있으며, 이를 위하여 사용자는 그룹 창(15) 또는 컨텐츠 창(19)에서 멤버 리스트를 영상 유닛(11)에 표시하도록 할 수 있다.
또는 터미널은 멤버 리스트를 영상 유닛(11)에 표시한 후 사용자의 눈, 홍채 또는 망막 등의 이미지를 이용하는 전자기적 음향적 사용자 입력을 확보함으로써 영상 유닛(11)에 표시되는 컨텐츠 창(19)에서 특정 멤버를 지정 수신자로 선택할 수도 있다. 일예로 터미널은 컨텐츠 창(19)에 표시된 멤버 리스트의 특정 부분을 응시하는 사용자의 시선 방향(line of sight)를 분석하고, 상기 멤버 리스트에서 시선 방향에 해당하는 특정 멤버 아이디(17)에 해당하는 멤버를 지정 수신자로 선택할 수 있다. 사용자는 터미널에 특정 사용자 입력을 제공함으로써, 터미널이 상기 시선 방향을 취득하고 이를 분석하도록 할 수 있다. 또는 터미널은 상술의 멤버 리스트를 영상 유닛에 표시한 후 일정 기간 동안 사용자의 시선 방향을 취득하고 이를 분석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사용자는 다른 사용자 입력을 터미널에 제공할 필요 없이, 상술의 일정 기간 동안 멤버 리스트에 포함된 특정 멤버의 멤버 아이디(17)를 쳐다보기만 하면 된다. 따라서 이러한 구성은 사용자로 하여금 더 편리하게 지정 수신자를 선택할 수 있다는 이점을 제공한다.
본 명세서의 다섯 번째 예시적 측면의 두 번째 실시예는 컨텐츠 창에 멤버 리스트를 표시함으로써 사용자가 직접 지정 수신자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터미널의 구성과 작업 실행 방법에 대한 예시이다. [도28]과 [도29]는 사용자가 직접 하드 키보드, 소프트 키보드, 또는 기타 입력 유닛 등을 조작하거나 또는 영상 유닛을 직접 접촉하는 등의 다양한 사용자 입력을 제공함으로써, 컨텐츠 창에서 지정 수신자를 선택하는 구성 및 방법의 예시이다.
터미널(10)은 [도24] 내지 [도27]의 터미널의 하드웨어 요소와 소프트웨어 요소와 동일하거나 또는 유사한 요소를 포함하며, 이에 따라 더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 [도28] 및 [도29]의 터미널(10)이 영상 유닛(11)에 표시하는 컨텐츠 창(19)은 [도24] 내지 [도27]의 터미널의 컨텐츠 창과 동일 또는 유사하며, 이에 따라 사용자는 터미널(10)을 [도24] 내지 [도27]의 터미널과 동일 또는 유사한 방법으로 조작함으로써 컨텐츠를 작성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더 이상의 설명은 생략한다.
[도28]과 [도29]의 터미널을 구동하는 사용자는 발송할 컨텐츠를 작성하기 전, 작성 중, 또는 작성 후, 다양한 방법을 통하여 상기 그룹의 멤버 중 하나(또는 다수의) 멤버를 지정 수신자로 선택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사용자는 다양한 방법으로 터미널이 상기 그룹의 모든(또는 다수의) 멤버들의 멤버 아이콘(32)을 포함하거나 멤버 아이디(또는 U/I)(17)를 포함하는 멤버 리스트(34A)를 영상 유닛(11)에 표시하도록 터미널에 요구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사용자는 [1] 하나 이상의 하드 버튼 형태의 입력 유닛(12A, 12B, 12C)을 조작하거나, [2] 소프트 버튼 또는 하드 버튼 형태의 키보드(13)를 조작하거나, 또는 [3] 하드 버튼이나 소프트 버튼 형태의 화살표 키(13A)를 조작할 수 있다.
위 문단의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여 터미널(10)이 영상 유닛(11)에 멤버 리스트(34A)를 표시하면, 사용자는 [1] 멤버 리스트(34A)의 특정 멤버 아이콘(32) 또는 아이디(17)를 누르거나 또는 접촉함으로써 특정 멤버를 지정 수신자로 선택하거나, [2] 하드 키보드나 소프트 키보드 등을 조작함으로써 멤버 리스트(34A)에 포함된 특정 멤버를 지정 수신자로 선택하거나, 또는 [3] 기타 입력 유닛을 조작함으로써 멤버 리스트(34A) 상의 특정 멤버를 지정 수신자로 선택할 수 있다.
터미널(10)은 영상 유닛(11)에 다양한 모양 또는 형식의 멤버 리스트(34A)를 표시할 수 있다. 일예로 [도28]과 [도29]의 터미널은 영상 유닛(11)의 일측(일예로 우측, 좌측, 상단, 하단 또는 중앙)에 상기 그룹에 속한 모든(또는 다수의) 멤버의 아이콘(32), 멤버 아이디(17) 등을 세로 방향으로 열거하는 멤버 리스트(34A)를 표시할 수 있다.
[도28]의 경우, 사용자가 컨텐츠 창(19)에 표시된 멤버 리스트(34A)로부터 아래에서 두 멤버인 "박"과 "김23"의 멤버 아이콘(32)을 누르거나 접촉하는 등의 방법으로 선택하면, 터미널(10)은 [도29]에서와 같이 "박"과 "김23"의 멤버 아이콘(32)을 강조하여 표시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하여 사용자는 자신이 선택한 멤버가 자신이 의도한 지정 수신자인지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터미널(10)은 다양한 방법으로 상기 그룹에 속한 멤버의 아이디(17)나 아이콘(32)을 멤버 리스트(34A)에 표시할 수 있다. 일예로 터미널(10)은 멤버의 이름, 아이디 등의 글자(일예로 한글, 영어 알파벳) 순서 또는 숫자 순서대로 멤버 아이디(17)나 아이콘(32)을 배치할 수 있다. 또는 터미널(10)은 멤버가 상기 그룹에 가입한 순서대로 멤버 아이디(17)나 아이콘(32)을 배치할 수 있다. 또는 터미널(10)은 컨텐츠 창(19)에 표시된 컨텐츠의 순서대로 이를 발송한 멤버의 멤버 아이디(17)나 아이콘(32)을 배치할 수 있다.
만일 멤버의 수효가 너무 많아 터미널(10)이 영상 유닛에 표시되는 멤버 리스트(34A)에 모든 멤버의 아이디(17)나 아이콘(32)을 표시할 수 없는 경우, 터미널(10)은 [1] 멤버 아이디(17)나 아이콘(32)을 작게 표시하여 가능한 많은 멤버의 멤버 아이디(17) 또는 아이콘(32)을 표시하도록 하거나, 또는 [2] 사용자가 다양한 사용자 입력을 제공함으로써 멤버 리스트(34A)를 상하로 스크롤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는 터미널(10)은 멤버 아이콘(32)이나 멤버 아이디(17)를 가로 방향 또는 세로 방향으로 두 줄 또는 이상의 배열로 표시하거나, 기타 배열로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가 멤버 아이디(17) 또는 아이콘(32)에 대한 조작을 끝내고 하나 이상의 지정 수신자를 선택하면, 터미널(10)은 상기 조작에 따라 지정된 수신자를 표시하는 "지정 신호"를 생성한다. 사용자가 컨텐츠 작성을 완료한 후 지정 수신자 선택을 완료하면, 또는 지정 수신자 선택을 완료한 후 컨텐츠 작성을 완료하면, 사용자는 송신 버튼(13S)을 누르거나 접촉하는 등의 방법으로 조작한다. 이에 따라 터미널(10) 또는 앱은 사용자가 작성한 컨텐츠와 사용자가 생성한 "지정 신호" 및 헤더나 테일을 모두 포함하는 "지정 데이터 패킷"을 생성할 수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보면, 지정 신호는 특정 그룹의 멤버 중 사용자가 어떤 멤버를 지정 수신자로 지정하였는지를 표시하는 신호로 간주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지정 신호는 매트릭스나 데이터 베이스의 형태로 구축할 수 있다.
또한 터미널(10)은 상술의 네 번째 실시예에서 예시한 다양한 지정 수신자 확인 작업 또는 발송 확인 작업을 실행할 수도 있다. 상술의 확인 과정을 거친 터미널(10)은 지정 데이터 패킷을 (중앙) 서버로 전송하며, 이를 수신한 서버는 상기 패킷을 상기 그룹의 모든 또는 특정 멤버에게 송신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 패킷을 수신한 수신자의 터미널은 상기 패킷으로부터 컨텐츠를 추출하고, 지정 신호 유무 또는 지정 신호의 특성을 확인한다. 만일 수신자가 지정 수신자(즉 지정 신호가 수신자에 해당)이면, 터미널(10)은 컨텐츠를 지정 컨텐츠 형태로 표시하는 반면, 수신자가 비지정 수신자(즉 지정 신호가 수신자에 해당하지 않음)이면, 터미널(10)은 컨텐츠를 비지정 컨텐츠로 표시한다.
본 명세서의 다섯 번째 예시적 측면의 세 번째 실시예는 컨텐츠 창에 멤버 리스트를 표시함으로써 사용자가 직접 지정 수신자를 선택하도록 하는 또 다른 터미널의 구성 및 작업 실행 방법에 대한 다른 예시이다.
[도30]과 [도31]은 사용자가 직접 하드 키보드, 소프트 키보드, 또는 기타 입력 유닛 등을 조작하거나, 영상 유닛을 직접 접촉하는 등의 다양한 사용자 입력을 제공하여, 컨텐츠 창에서 지정 수신자를 선택하는 구성 및 작업 실행 방법의 예시이다. 터미널(10)은 [도28]과 [도29]의 터미널의 하드웨어 요소 및 소프트웨어 요소와 동일 또는 유사한 요소들을 포함하며, 따라서 더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터미널(10)이 영상 유닛(11)에 표시하는 컨텐츠 창(19)은 [도28]과 [도29]의 컨텐츠 창과 동일하거나 또는 유사하며, 따라서 사용자는 터미널(10)을 [도28]과 [도29]의 터미널과 동일 또는 유사한 방법으로 조작함으로써 컨텐츠를 작성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더 이상의 설명은 생략한다.
[도30]과 [도31]의 터미널을 구동하는 사용자는 발송할 컨텐츠를 작성하기 전, 작성하는 도중, 또는 작성한 후, 다양한 방법으로 상기 그룹의 멤버 중 하나(또는 다수의) 멤버를 지정 수신자로 선택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사용자는 [도28]과 [도29]의 다양한 방법으로 사용자 입력을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대응하여 터미널(10)이 영상 유닛(11)에 멤버 리스트(34B)를 표시하면, 사용자는 [1] 멤버 리스트(34B)의 특정 멤버 아이콘(32) 또는 아이디(17)를 누르거나 또는 접촉함으로써, [2] 하드 키보드 또는 소프트 키보드를 이용하여 상기 아이콘(32)이나 아이디(17)를 조작함으로써, 또는 [3] 기타 입력 유닛을 이용하여 상기 아이콘(32)이나 아이디(17)를 조작함으로써, 멤버 리스트(34B)에 포함된 특정 멤버를 지정 수신자로 선택할 수 있다.
터미널(10)은 영상 유닛(11)에 [도28]이나 [도29]의 멤버 리스트와는 상이한 모양이나 형식의 멤버 리스트(34B)를 표시할 수 있다. 일예로 [도30]과 [도31]의 터미널은 영상 유닛(11)의 특정 부분(일예로 우측, 좌측, 상단, 하단, 중앙 등)에 상기 그룹의 모든(또는 다수의) 멤버의 아이콘(32)이나 멤버 아이디(17)를 가로 방향으로 열거하는 멤버 리스트(34B)를 표시할 수 있다.
일예로 [도30]과 [도31]의 터미널(10)은 입력 창(14) 바로 위에 멤버 리스트(34B)를 표시한다. [도30]의 예시에서, 사용자가 컨텐츠 창(19)에 표시된 멤버 리스트(34B) 중 중간에 위치한 멤버와 우측단에 위치한 멤버의 멤버 아이콘(32)을 누르거나 또는 접촉하면, 터미널(10)은 [도31]과 같이 상기 두 멤버의 아이콘(32)을 강조하여 표시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사용자는 자신이 선택한 멤버가 자신이 의도한 지정 수신자인지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만일 멤버의 수효가 너무 많아 터미널(10)이 영상 유닛에 표시되는 멤버 리스트(34B)에 모든 멤버의 아이디(17)나 아이콘(32)을 표시할 수 없는 경우, 터미널(10)은 [1] 멤버 아이디(17)나 아이콘(32)을 작게 표시하여 가능한 많은 멤버의 멤버 아이디(17) 또는 아이콘(32)을 표시하도록 하거나, 또는 [2] 사용자가 다양한 사용자 입력을 제공함으로써 멤버 리스트(34B)를 좌우로 스크롤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는 터미널(10)은 멤버 아이콘(32)이나 멤버 아이디(17)를 가로 방향 또는 세로 방향으로 두 줄 또는 이상의 배열로 표시하거나, 기타 배열로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가 멤버 아이콘(32) 또는 아이디(17)의 조작을 완료한 후 지정 수신자를 선택하면, 터미널(10)은 [도28]과 [도29]의 조작과 동일한 또는 유사한 조작으로 지정 수신자를 표시하는 "지정 신호" 및 다양한 데이터 패킷을 생성하고, 이를 수신자에서 발송한다. 단 터미널(10)은 상술의 네 번째 실시예에서 예시한 다양한 지정 수신자 확인 작업 또는 발송 확인 작업을 실행할 수도 있다. 그 후 터미널(10)은 지정 데이터 패킷을 서버로 발송하며, 이를 수신한 서버는 상기 데이터 패킷을 상기 그룹의 모든 멤버 또는 특정 멤버에게 송신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 패킷을 수신한 수신자의 터미널은 상기 패킷으로부터 컨텐츠를 추출하고, 지정 신호 유무 또는 지정 신호의 특성을 확인한다. 수신자가 지정 수신자(즉 지정 신호가 있거나 또는 지정 수신자에 해당)인 경우, 터미널(10)은 컨텐츠를 지정 컨텐츠의 형태로 표시하는 반면, 수신자가 비지정 수신자(즉 지정 신호가 없거나 또는 지정 수신자에 해당하지 않음)인 경우, 터미널(10)은 컨텐츠를 비지정 컨텐츠의 형태로 표시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다섯 번째 예시적 측면의 네 번째 실시예는 컨텐츠 창에 표시된 멤버 리스트로부터 사용자가 직접 지정 수신자를 선택하도록 하는 터미널의 구성과 방법에 대한 또 다른 예시이다. [도32]는 사용자가 직접 하드 키보드, 소프트 키보드, 또는 기타 입력 유닛 등을 조작하거나 또는 영상 유닛을 직접 접촉하는 등의 다양한 사용자 입력을 제공하며, 컨텐츠 창에서 지정 수신자를 선택하는 구성 및 방법의 예시이다.
[도32]의 터미널(10)은 [도28]과 [도29]의 터미널의 하드웨어 요소 및 소프트웨어 요소와 동일한 또는 유사한 요소들을 포함하며, 따라서 더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32]의 터미널(10)이 영상 유닛(11)에 표시하는 컨텐츠 창(19)도 [도28] 및 [도29]의 컨텐츠 창과 동일하거나 또는 유사하며, 따라서 사용자는 터미널(10)을 [도28]과 [도29]의 터미널과 동일한 또는 유사한 방법으로 조작함으로써 컨텐츠를 작성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더 이상의 설명은 생략한다.
[도32]의 터미널을 구동하는 사용자는 발송할 컨텐츠를 작성하기 전, 작성 중, 또는 작성 후, 다양한 방법으로 상기 그룹의 멤버 중 하나(또는 다수의) 멤버를 지정 수신자로 선택할 수 있다. 사용자는 [도28]과 [도29]의 다양한 방법으로 사용자 입력을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대응하여 터미널(10)이 영상 유닛(11)에 멤버 리스트(34C)를 표시하면, 사용자는 [1] 멤버 리스트(34C)의 특정 멤버 아이콘(32) 또는 아이디(17)를 누르거나 또는 접촉하며 특정 멤버를 지정 수신자로 선택하거나, [2] 하드 키보드, 소프트 키보드 등을 조작함으로써 멤버 리스트(34C) 상의 특정 멤버를 지정 수신자로 선택하거나, 또는 [3] 기타 입력 유닛을 조작함으로써 멤버 리스트(34C)의 특정 멤버를 지정 수신자로 선택할 수 있다.
터미널(10)은 영상 유닛(11)에 [도28] 내지 [도31]의 멤버 리스트(34A)(34B)와 상이한 모양 또는 형식을 가진 멤버 리스트(34C)를 표시할 수 있다. 일예로 [도32]의 터미널은 영상 유닛(11)에 표시한 입력 창(14)의 하단에 상기 그룹의 모든(또는 다수의) 멤버의 아이콘(32)이나 멤버 아이디(17)를 열거하는 멤버 리스트(34C)를 표시할 수 있다. 단 상기 멤버 리스트(34C)는 [도30]과 [도31]의 멤버 리스트(34B)와 일반적으로 유사하되, 입력 창(14) 상단에 표시되는 멤버 리스트(34B)와 달리 입력 창(14) 하단에 표시되며, 멤버 아이콘(32) 또는 아이디(17)를 가로 방향으로 일렬로 표시하는 멤버 리스트(34B)와 달리 멤버 아이콘(32) 또는 아이디(17)를 가로 방향으로 다수의 열로 표시할 수 있다.
영상 유닛(11)이 터치 스크린인 경우, 터미널(10)은 소프트 키보드(13)를 표시하는 위치에 멤버 아이콘(32)을 표시할 수 있다. 또는 터미널(10)은 소프트 키보드(13)를 연하게 표시하며, 그 위에 멤버 아이콘(32)을 표시할 수도 있다. 또는 터미널(10)은 각 멤버의 이름 또는 멤버 아이디 등을 멤버 아이콘(32)과 함께 표시할 수도 있다.
만일 멤버의 수효가 너무 많아 터미널(10)이 영상 유닛에 표시되는 멤버 리스트(34C)에 모든 멤버의 아이디(17)나 아이콘(32)을 표시할 수 없는 경우, 터미널(10)은 [1] 멤버 아이디(17)나 아이콘(32)을 작게 표시하여 가능한 많은 멤버의 멤버 아이디(17) 또는 아이콘(32)을 표시하도록 하거나, 또는 [2] 사용자가 다양한 사용자 입력을 제공함으로써 멤버 리스트(34C)를 좌우로 스크롤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는 터미널(10)은 멤버 아이콘(32)이나 멤버 아이디(17)를 가로 방향 또는 세로 방향으로 두 줄 또는 이상의 배열로 표시하거나, 기타 배열로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가 멤버 아이콘(32)이나 아이디(17)의 조작을 완료한 후 지정 수신자를 선택하면, 터미널(10)은 [도28] 내지 [도31]의 조작과 동일한 또는 유사한 조작으로 지정 수신자를 표시하는 "지정 신호" 및 다양한 데이터 패킷을 생성하고, 이를 수신자에서 발송한다. 단 상기 생성 및 발송과 관련된 자세한 내용은 [도28] 내지 [도31]의 설명과 동일 또는 유사하므로 더 이상의 설명은 생략한다.
본 명세서의 다섯 번째 예시적 측면의 다섯 번째 실시예는 컨텐츠 창에 표시된 상이한 멤버 리스트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직접 지정 수신자를 선택하도록 하는 터미널의 구성 및 작업 실행 방법에 대한 예시이다. [도33] 및 [도34]는 사용자가 소프트(또는 하드) 키보드 또는 기타 입력 유닛을 조작하거나 또는 영상 유닛을 직접 접촉하는 등 다양한 사용자 입력을 직접 제공함으로써, 컨텐츠 창에서 지정 수신자를 선택하는 구성 및 방법의 예시이다.
[도33]의 터미널(10)은 [도28] 내지 [도32]의 터미널의 하드웨어 요소 및 소프트웨어 요소와 동일하거나 유사한 요소를 포함하며, 따라서 더 이상의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도33]의 터미널(10)이 영상 유닛(11)에 표시하는 컨텐츠 창(19)은 [도28] 내지 [도32]의 컨텐츠 창과 동일하거나 유사하므로, 사용자는 터미널(10)을 [도28] 내지 [도32]의 터미널과 동일 또는 유사한 방법으로 조작하여 컨텐츠를 작성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더 이상의 설명도 생략한다.
[도33]의 터미널(10)을 구동하는 사용자는 발송할 컨텐츠의 작성 전, 작성 도중, 또는 작성 후, 다양한 방법으로 상기 그룹의 멤버 중 특정 멤버를 지정 수신자로 선택할 수 있다. 일예로 사용자는 [도28] 내지 [도32]의 다양한 방법으로 사용자 입력을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대응하여 터미널(10)이 영상 유닛(11)에 멤버 리스트(34D)를 표시하되, 멤버 리스트(34D)는 상기 그룹의 멤버의 멤버 아이콘(32)을 타원형 또는 원형의 창의 원주를 따라 열거하는 형태를 가진다.
사용자는 [1] 멤버 리스트(34D)에 표시된 멤버 아이콘(32) 또는 아이디(17)를 누르거나 또는 접촉하며 특정 멤버를 지정 수신자로 선택하거나, [2] 하드 키보드, 소프트 키보드 등을 조작하여 멤버 리스트(34D)의 특정 멤버를 지정 수신자로 선택하거나, 또는 [3] 기타 입력 유닛을 조작함으로써, 멤버 리스트(34D)의 특정 멤버를 지정 수신자로 선택할 수 있다. 필요한 경우 터미널(10)은 멤버 리스트(34D)를 회전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사용자가 특정 멤버를 용이하게 지정 수신자로 선택하도록 할 수 있다.
만일 멤버의 수효가 너무 많아 터미널(10)이 영상 유닛에 표시되는 멤버 리스트(34D)에 모든 멤버의 아이디(17)나 아이콘(32)을 표시할 수 없는 경우, 터미널(10)은 [1] 멤버 아이디(17)나 아이콘(32)을 작게 표시하여 가능한 많은 멤버의 멤버 아이디(17) 또는 아이콘(32)을 표시하도록 하거나, 또는 [2] 사용자가 다양한 사용자 입력을 제공함으로써 멤버 리스트(34D)를 시계 방향 또는 반대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특히 사용자가 멤버 리스트(34D)를 시계 방향 또는 시계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킬 경우, 터미널은 회전 전에는 멤버 리스트(34D)에 표시될 수 없었던 멤버들의 멤버 아이콘(32) 또는 아이디(17)를 멤버 리스트(34D)에 표시할 수 있다. 또는 터미널(10)은 멤버 아이콘(32)이나 멤버 아이디(17)를 동심원 형태로 여러 줄의 동심원 배열로 표시하거나, 기타 배열로 표시할 수 있다.
[도34]의 터미널(10)은 [도33]의 터미널과 동일하나, 멤버 리스트(34D)의 배열이 상이한 경우이다. 일예로 [도34]의 터미널(10)은 [도33]의 터미널과 같이 원형의 창의 원주를 따라 상기 그룹의 멤버의 멤버 아이콘(32)을 표시하는 멤버 리스트(34D)를 표시한다. 하지만 터미널(10)은 멤버 아이콘(32)의 지향을 원의 중심에 대칭이 되도록 표시한다.
사용자가 멤버 아이콘(32)이나 아이디(17)의 조작을 완료한 후 지정 수신자를 선택하면, 터미널(10)은 [도28] 내지 [도32]의 조작과 동일한 또는 유사한 조작으로 지정 수신자를 표시하는 "지정 신호" 및 다양한 데이터 패킷을 생성하고, 이를 수신자에서 발송한다. 단 상기 생성 및 발송과 관련된 자세한 내용은 [도28] 내지 [도32]의 설명과 동일 또는 유사하므로 더 이상의 설명은 생략한다.
본 명세서의 다섯 번째 예시적 측면의 다양한 터미널, 지정 컨텐츠 및 지정 아이콘 뱃지는 다양한 구성 또는 방법으로 변형 또는 개량될 수 있다. 하술은 상기 변형 또는 개량에 대한 상세예들로서, 상기 변형이나 개량은 [1] 본 다섯 번째 예시적 측면의 상술의 실시예나 상세예의 변형 또는 개량에 적용되거나, 또는 [2] 본 명세서의 상술 및 하술의 상이한 예시적 측면, 상기 상이한 측면의 실시에나 상세예의 변형 또는 개량에도 적용될 수 있다. 단 본 다섯 번째 예시적 측면의 변형 또는 개량과 관련된 상세예는, 멤버 리스트를 사용한다는 점을 제외한다면 일반적으로 상술의 네 번째 예시적 측면의 변형 또는 개량과 동일하거나 또는 유사하므로 중요한 차이점만 설명한다.
본 명세서의 다섯 번째 예시적 측면의 변형이나 개량의 첫 번째 내지 세 번째 상세예는 지정 신호 생성 및 사용에 대한 구성 및 방법에 대한 것이다. 일예로 터미널은 매트릭스 형태 또는 데이터 베이스의 형태의 지정 신호 대신 "0" 또는 "1" 중 하나인 지정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또는 터미널은 "0"과 "1" 및 "2"를 이용하여 지정 신호를 생성할 수도 있다. 또는 터미널은 지정 데이터 패킷은 물론 지정 신호는 포함하지 않는 "비지정 데이터 패킷"을 생성한 후, 이들 중 하나 또는 둘을 모두 수신자에게 송신할 수 있다. 기타 자세한 내용은 일반적으로 상기 네 번째 예시적 측면의 변형 또는 개량의 첫 번째 내지 세 번째 상세예와 유사 또는 동일하므로 더 이상의 설명은 생략한다.
본 명세서의 다섯 번째 예시적 측면의 변형 또는 개량의 네 번째 상세예는 다양한 컨텐츠, 다양한 지정 신호 및 이들을 포함하는 데이터 패킷의 생성 및 사용에 대한 구성 및 방법에 대한 것이다. 일예로 중앙 서버, 위치 서버 또는 터미널은 다양한 방법으로 컨텐츠, 지정 신호 및 (비지정 또는 지정) 데이터 패킷 등을 저장할 수 있다. 기타 자세한 내용은 상기 네 번째 예시적 측면의 변형 또는 개량의 네 번째 상세예와 유사 또는 동일하므로 더 이상의 설명은 생략한다.
본 명세서의 다섯 번째 예시적 측면의 변형 또는 개량의 다섯 번째 및 여섯 번째 상세예는 지정 수신자 선택을 위하여 사용자가 제공하는 다양한 사용자 입력에 대한 것이다. 사용자는 다양한 형태의 사용자 입력을 이용하여 지정 수신자를 선택할 수 있으며, 특히 사용자는 다양한 기계적 사용자 입력, 전기적 사용자 입력, 자기적 사용자 입력, 전자기적 사용자 입력, 또는 음향적 사용자 입력을 제공함으로써 지정 수신자를 선택할 수 있다. 또는 터미널(10)은 사용자가 지정 수신자를 선택하지 않아도 지정 수신자를 사전적으로 선택할 수 있다. 기타 자세한 내용은 일반적으로 상기 네 번째 예시적 측면의 변형 또는 개량의 다섯 번째 및 여섯 번째 상세예와 유사 또는 동일하므로 더 이상의 설명은 생략한다.
단 사용자가 자신이 지정하려는 특정 수신자의 이름, 별명 또는 기타 명칭을 알고 있는 경우에는, 터미널이 멤버 리스트를 영상 유닛에 표시하지 않아도 사용자는 상기 수신자의 이름, 별명, 기타 명칭 등을 말함으로써 상기 수신자를 지정 수신자로 지정할 수 있다. 이 때 사용자가 멤버 리스트를 참고하려면, 사용자는 특정 단어 또는 명령을 음성으로 제공함으로써 터미널로 하여금 상기 리스트를 영상 유닛에 표시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다섯 번째 예시적 측면의 변형 또는 개량의 일곱 번째 상세예는 "0" 또는 "1" 등의 형태의 지정 신호에 대한 것이다. 사용자는 특정 그룹의 다수의 멤버를 자신이 제공하는 컨텐츠의 지정 수신자로 선택할 수 있고, 이를 위하여 "0" 또는 "1" 형태의 지정 신호를 생성할 수 있으며, 필요할 경우, "0"과 "1" 이외에도 상술과 같이 "2"나 "3" 등도 지정 신호로 사용함으로써, 수신자를 두 종류, 세 종류, 네 종류 또는 그 이상으로 세분할 수 있다. 또한 터미널은 상기 숫자 자체를 지정 신호로 사용하거나, 상술의 숫자를 매트릭스 형태나 데이터 베이스 형태의 지정 신호로 사용할 수도 있다. 기타 자세한 내용은 일반적으로 상술의 네 번째 예시적 측면의 변형 또는 개량의 일곱 번째 상세예와 유사 또는 동일하므로 더 이상의 설명은 생략한다.
본 명세서의 다섯 번째 예시적 측면의 변형 또는 개량의 여덟 번째 상세예는 지정 신호의 반대 개념에 해당하는 비지정 신호의 생성 및 사용과 관련된 구성 및 방법에 대한 것이다. 터미널은 지정 신호 대신 비지정 신호를 생성하고, 지정 신호를 포함하는 지정 데이터 패킷 대신 비지정 신호를 포함하는 비지정 데이터 패킷을 생성할 수 있다. 기타 자세한 내용은 일반적으로 상술의 네 번째 예시적 측면의 변형 또는 개량의 여덟 번째 상세예와 유사 또는 동일하므로 더 이상의 설명은 생략한다.
본 명세서의 다섯 번째 예시적 측면의 변형 또는 개량의 아홉 번째 상세예는 지정 수신자에게만 지정 컨텐츠 또는 지정 데이터 패킷을 발송하는 구성 및 방법에 대한 것이다. 일예로 사용자는 지정 데이터 패킷이나 지정 컨텐츠를 특정 그룹의 모든 멤버에게 송신하지 않고, 대신 지정 수신자에게만 송신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터미널은 비지정 멤버가 비지정 컨텐츠를 포함하는 비지정 데이터 패킷마저 수신하지 못하도록 할 수 있다. 기타 자세한 내용은 일반적으로 상기 네 번째 예시적 측면의 변형 또는 개량의 아홉 번째 상세예와 유사 또는 동일하므로 더 이상의 설명은 생략한다.
본 명세서의 다섯 번째 예시적 측면의 변형 또는 개량의 열 번째 상세예는 서버를 경유하지 않는 컨텐츠나 데이터 패킷의 발송의 구성 및 방법에 대한 것이다. 일예로 사용자는 터미널의 세팅을 조작하거나 서버와의 네트워크를 수정함으로써, 서버를 경유하지 않고 직접 다른 멤버에게 비지정 데이터 패킷, 지정 데이터 패킷, 컨텐츠 또는 지정 신호를 직접 송신할 수 있다. 기타 자세한 내용은 일반적으로 상술의 네 번째 예시적 측면의 변형 또는 개량의 열 번째 상세예와 유사 또는 동일하므로 더 이상의 설명은 생략한다.
본 명세서의 다섯 번째 예시적 측면의 변형 또는 개량의 열한 번째 상세예는 멤버 리스트에 멤버를 표시하는 기준 또는 순서에 대한 것이다. 일예로 터미널은 멤버의 이름 또는 아이디 등의 글자(일예로 한글, 영어 알파벳)의 순서 또는 멤버와 관련된 숫자의 순서대로 멤버 리스트에 멤버 아이디나 멤버 아이콘을 배치할 수 있다. 또는 터미널은 멤버가 상기 그룹에 가입한 순서대로 멤버 아이디나 멤버 아이콘을 배치할 수도 있다. 또는 터미널은 컨텐츠 창에서 아래에서 위의 방향으로 표시된 컨텐츠의 순서대로, 즉 멤버가 발송한 컨텐츠를 수신한 순서대로 멤버 아이디 또는 멤버 아이콘을 배치할 수 있다. 이 외에도 터미널은 사용자가 미리 확립한 선호도나 순서에 따라 멤버 아이디 또는 멤버 아이콘을 배치할 수 있다. 이와는 반대로 터미널은 사용자가 미리 확립한 비선호도에 따라 멤버 아이디 또는 멤버 아이콘을 반대의 순서로 배치할 수 있다.
상기 다섯 번째 예시적 측면의 각각의 실시예와 상세예는 상술과 하술의 상이한 측면의 실시예나 상세예와 서로 호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다섯 번째 측면의 다양한 실시예 및 상세예는 서로 상충되지 않는 한, [1] 동일한 측면의 상이한 실시예 또는 상세예, 상이한 측면의 상이한 실시예 또는 상이한 상세예 중 이에 상응하는 특성에 적용되거나, [2] 상기 상응하는 특성에 포함되거나, [3] 상기 상응하는 특성을 대체하거나, [4] 상기 상응하는 특성에 의해 대체되거나, 또는 [5] 상기 상응하는 특성과 혼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여섯 번째 예시적 측면은 다양한 정보 분석 알고리즘을 이용함으로써, 터미널이 사전적(proactive)으로 지정 수신자를 선택하고, 지정 신호를 생성하며, 컨텐츠 및 지정 신호를 포함하는 지정 데이터 패킷을 생성하는 다양한 구성과 작업 실행 방법에 대한 것이다. 단 상술과 같이 이는 터미널이 사전적(proactive)으로 지정 신호를 생성하고, 지정 수신자를 선택하며, 컨텐츠와 지정 신호를 포함하는 지정 데이터 패킷을 생성하는 다양한 구성과 작업 실행 방법과 균등하다.
상기 여섯 번째 수단에서 설명하였고, 상기 네 번째 측면 및 다섯 번째 측면에서 예시한 바와 같이, [1] 사용자는 터미널에 다양한 사용자 입력을 제공함으로써 지정 수신자를 선택할 수 있고, 터미널은 상기 선택에 근거하여 지정 신호를 생성한 후 상기 신호를 포함하는 지정 데이터 패킷을 생성하여 특정 앱의 특정 그룹의 모든 멤버나 일부 멤버에게 발송할 수 있거나, 또는 [2] 사용자는 터미널에 다양한 사용자 입력을 제공함으로써 지정 신호를 생성할 수 있고, 터미널은 상기 지정 신호에 근거하여 지정 수신자를 선택한 후 상기 신호를 포함하는 지정 데이터 패킷을 생성하여 특정 앱의 특정 그룹의 모든(또는 일부) 멤버에게 발송할 수 있다. 단 본 문장의 앞의 [1]과 [2]는 해석하는 관점에 따른 차이일 수 있으므로, 상반된 설명이 없는 한, 본 명세서는 위의 [1]과 [2]를 동일한 표현으로 간주한다.
사용자는 [1] 움직임 또는 제스처 등의 사용자 입력을 터미널에 제공함으로써 지정 수신자를 선택하거나, 또는 [2] 전기적, 자기적, 전자기적 또는 음향적 사용자 입력을 터미널에 제공함으로써 지정 수신자를 선택할 수 있다. 특히 터미널은 [1] 사용자의 움직임 또는 제스처를 직접 기계적으로, 전기적으로, 자기적으로 또는 음향적으로 감지하거나, 또는 [2] 사용자의 움직임이나 제스처 등의 정적 이미지 또는 동적 이미지를 전자기적 사용자 입력의 형태로 확보하고 이를 분석하여 지정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이와는 달리 사용자는 지정 수신자를 선택하는 또는 지정 신호를 생성하는 사용자 입력을 제공함으로써 지정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또는 터미널은 지정 신호를 포함하지 않는 비지정 데이터 패킷을 생성한 후, [1] 지정 신호는 발송하지 않고 비지정 데이터 패킷만 상기 그룹의 모든 멤버에게 송신하거나, 또는 [2] 지정 신호와 비지정 데이터 패킷을 지정 수신자에게만 송신할 수 있다. 반면 사용자는 지정 수신자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을 제공하지 않거나 또는 지정 신호를 생성하는 사용자 입력을 제공하지 않은 채, 비지정 데이터 패킷을 상기 그룹의 모든 멤버에게 발송할 수 있다.
위의 세 문단에서 설명한 방법은 모두 사용자의 입력을 필요로 하는, 즉 사용자가 능동적으로 사용자 입력을 제공함으로써 지정 수신자를 선택하거나 또는 지정 신호를 생성하는 방법에 해당한다. 따라서 사용자가 지정 신호를 생성하지 않은 채(즉 능동적으로 특정 멤버를 지정 수신자로 선택하지 않고) 비지정 데이터 패킷을 특정 그룹의 모든(또는 선택된 일부의) 멤버에게 송신할 경우, 수신자 터미널은 상기 패킷에 포함된 컨텐츠를 비지정 컨텐츠로 표시하게 된다.
사용자가 지정 수신자를 선택하거나 지정 신호를 생성하는 사용자 입력을 제공하지 않아도, 터미널은 사전적으로 지정 수신자를 선택하거나 또는 지정 신호를 생성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의 여섯 번째 예시적 측면에서는 다양한 기존의 정보 분석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컨텐츠를 분석한 후, 사전적으로 지정 신호를 생성할 수 있는 터미널의 구조 또는 방법을 설명한다. 단 상기 컨텐츠는 [1] 발신자가 발송할 예정인 컨텐츠, [2] 발신자가 발송한 컨텐츠, [3] 서버가 발송할 예정인 컨텐츠, [4] 서버가 발송한 컨텐츠, 또는 [5] 수신자가 수신한 컨텐츠 중 하나일 수 있다.
이를 위하여 터미널은 위 문장의 컨텐츠에 [1] 상기 그룹의 특정 멤버를 지정하는 정보, [2] 상기 멤버가 컨텐츠를 읽도록 주의를 환기시키는 정보, 또는 [3] 상기 멤버가 컨텐츠를 읽은 후 취해야할 행동 등과 관련된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지 분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정보의 상세한 예로는 [1] 상기 멤버의 이름, 명칭, 별명 또는 직위, [2] 상기 멤버를 의미하거나 지칭하는 글, 이미지, 또는 소리, [3] 상기 멤버가 수행하여야 할 작업의 이름, 명칭 또는 별칭, 또는 [4] 상기 작업을 의미하거나 지칭하는 글, 이미지, 또는 소리 등이 있다. 본 명세서에서 이러한 정보를 "지정 요청 정보"라 통칭하기로 한다. 상기 "지정 요청 정보"는 앱 종류, 그룹 종류, 또는 멤버의 종류에 관계 없이, 발신자가 생성한 컨텐츠에 포함된 특정 단어, 문구, 또는 표현이거나, 또는 컨텐츠에 포함된 또는 첨부된 이미지 파일 또는 음성 파일일 수 있다.
터미널은 다양한 기존의 정보 분석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생성 중인 컨텐츠, 생성한 컨텐츠, 또는 발송하려는 컨텐츠에 "지정 요청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지 시전적으로 분석할 수 있다. 이러한 정보 분석 알고리즘의 예로는 [1] 기존의 인공지능 관련 분석 알고리즘, [2] 기존의 머신 러닝 관련 분석 알고리즘, [3] 기존의 딥 러닝 관련 분석 알고리즘, [4] 기존의 자연어 처리나 해석 관련 분석 알고리즘, [5] 기존의 빅데이터 관련 분석 알고리즘, [6] 기존의 텍스트 인식 관련 분석 알고리즘, 또는 [7] 기존의 음성 인식 관련 분석 알고리즘 등이 있다.
사용자의 컨텐츠 내용을 분석한 터미널이 컨텐츠에 포함된 "지정 요청 정보"를 확인하면, 터미널은 지정 수신자를 선택하고, "지정 신호"를 생성하며, 컨텐츠와 지정 신호 등을 포함하는 지정 데이터 패킷을 생성할 수 있다. 이와는 달리 터미널은 상기 정보 분석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컨텐츠에 첨부된 이미지나 소리를 분석하며 "지정 요청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정보 분석 알고리즘이 상기 이미지가 특정 멤버의 사진이나 동영상이거나, 특정 멤버의 이름, 명칭 또는 별명 둥과 관련된 이미지라고 확인하면, 터미널은 이를 "지정 요청 정보"로 간주할 수 있다.
또는 터미널은 정보 분석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컨텐츠에 첨부된 소리를 분석할 수 있으며, 터미널이 상기 소리를 특정 멤버의 음성이라고 확인하거나, 또는 상기 소리가 특정 멤버의 이름, 명칭, 별명 등과 관련된 소리인 것으로 확인하면, 터미널은 이를 "지정 요청 정보"로 간주할 수 있다. 터미널이 지정 요청 정보를 확인하면, 이에 근거하여 지정 수신자를 선택하고, 지정 신호를 생성하며, 상기 컨텐츠 및 지정 신호를 포함하는 지정 데이터 패킷을 생성할 수 있다.
사용자의 터미널은 상술의 정보 분석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1] 생성 중인 컨텐츠, [2] 생성을 완료한 컨텐츠, 또는 [3] 발송 전의 컨텐츠에 포함된 "지정 요청 정보"를 확인하고, 따라서 상기 컨텐츠를 지정 컨텐츠로 취급할 수 있다. 터미널이 "지정 요청 정보"에 근거하여 지정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컨텐츠와 지정 신호가 포함된 지정 데이터 패킷을 발송하면, 수신자 터미널은 상기 지정 데이터 패킷을 수신한 후, 상기 데이터 패킷에 포함된 컨텐츠를 지정 컨텐츠로 표시할 수 있다.
이와는 달리 사용자의 터미널은 상술의 정보 분석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수신한 컨텐츠를 분석하고 수신 컨텐츠에 "지정 요청 정보"가 포함되었는지 확인할 수 있다. 만일 수신 컨텐츠에서 지정 요청 정보가 확인되면, 사용자의 터미널은 수신 컨텐츠를 지정 컨텐츠로 취급하고, 이를 영상 유닛에 지정 컨텐츠로 표시할 수 있다. 즉 사용자 터미널은 사용자가 생성하거나 발송하는 발송 컨텐츠에 대한 "사전적 지정 수신자 선택 작업"은 물론, 필요한 경우 사용자 터미널이 수신한 수신 컨텐츠에 대해서도 상기 "사전적 지정 발신자 확인 작업"도 실행할 수 있다.
상술과 같이 사전적으로 지정 발신자를 확인하는 작업은 사용자에게 또 다른 혜택을 제공한다. 즉 발신자가 사용자에게 컨텐츠를 발신하며 [1] 실수로 사용자를 지정 수신자로 선택하지 않은 경우, 또는 [2] 발신자 터미널에 장착된 앱의 기능적 제약으로 인하여 사용자를 지정 수신자로 선택하지 못한 경우에도, 사용자의 터미널은 발신자로부터 수신한 컨텐츠가 사용자 관점에서 보았을 때 지정 컨텐츠인지 확인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사용자는 발신자가 발송한 지정 컨텐츠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바꾸어 말하면, 사용자는 특정 컨텐츠를 발송한 발신자의 의도와는 관계 없이, 자신이 터미널로 하여금 사전적 지정 발신자 확인 작업을 실행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 터미널은 사용자가 중요하게 여기는(또는 여길 것으로 유추되는) 미확인 컨텐츠를 사전적으로 확인하고, 이를 지정 컨텐츠로 표시함에 따라, 사용자가 상기 컨텐츠를 빨리 확인하도록 하거나 또는 간과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는 혜택을 제공한다.
이와 반대로 특정 컨텐츠의 발신자가 자신이 발송하는 컨텐츠를 사용자가 확인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컨텐츠를 지정 컨텐츠로 지정하였더라도, 사용자의 터미널은 사전적 지정 발신자 확인 작업을 실행함으로써, 상기 컨텐츠가 사용자가 중요하게 여기거나 또는 여길 것으로 유추되는 컨텐츠인지 확인할 수 있다. 즉 사용자의 터미널은 발신자의 의도와는 관계 없이, 미확인 컨텐츠 중 사용자가 중요하다고 여길 컨텐츠만 선택하고 이를 지정 컨텐츠로 표시할 수 있다는 혜택도 제공한다.
일반적으로 본 여섯 번째 예시적 측면의 터미널은 다양한 정보 분석 알고리즘을 상기 네 번째 예시적 측면의 사전적 지정 수신자 선택 작업 실행 시와 동일하게 이용할 수 있다. 하지만 상술의 네 번째 측면과 본 여섯 번째 측면의 정보 분석 알고리즘 사용 시 차이점은, 일반적으로 전자는 분석 대상이 발신자가 발송하여 사용자가 수신한 컨텐츠인 반면, 후자는 사용자가 생성하여 발송한 또는 발송할 예정인 컨텐츠라는 점이다. 따라서 분석 대상의 차이점을 제외한다면, 터미널은 상기 두 상이한 측면에서 정보 분석 알고리즘을 동일한 구성과 방법으로 이용하게 되므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35]와 [도36]는 사용자가 능동적으로 지정 신호를 생성하지 않아도, 터미널이 지정 요청 정보를 확인함으로써 사전적으로 지정 수신자를 선택하고. 지정 신호를 생성할 수 있는 구성 및 방법의 예시이다.
본 명세서의 여섯 번째 예시적 측면의 첫 번째 실시예는 다양한 정보 분석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다양한 발송 또는 수신 컨텐츠를 분석함으로써 사전적으로 지정 수신자를 선택할 수 있는 다양한 터미널의 구성 및 작업 실행 방법에 대한 예시이다. 단 [도35]와 [도36]의 터미널(10)은 [도24] 내지 [도34]의 터미널에서 예시한 하드웨어 요소나 소프트웨어 요소와 동일한 또는 유사한 요소를 포함하며, 따라서 더 이상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사용자는 다양한 방법으로 입력 창(14)을 이용하여 컨텐츠를 작성할 수 있고, 이는 [도24] 내지 [도34]에서 예시한 바 있는 방법과 동일 또는 유사하므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35]는 사용자가 특정 앱을 구동한 후 영상 유닛(11)에 표시된 그룹 창(15)에서 특정 그룹을 선택하고, 이에 따라 터미널(10)이 영상 유닛(11)에 컨텐츠 창(19)을 표시한 후 소프트 키보드 또는 하드 키보드(13)를 조작함에 따라 입력 창(14)이 표시된 후, 상기 입력 창(14)에 "Hey,"라는 컨텐츠를 입력한 경우에 해당한다. 이 시점에서 사용자는 상기 그룹의 모든 멤버에게 비지정 컨텐츠를 송신하려 한다고 유추할 수 있다. 반면 [도36]는 사용자가 입력 창(14)의 "Hey,"라는 문구의 뒤에 "Cutie, did you finish that?"이라는 구절을 추가로 입력하고, 송신 버튼(13S)를 조작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제공하려는 경우이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상기 그룹의 멤버 중 특정 멤버를 지정하는 지정 신호를 생성하지 않은 채, "Hey, Cutie, did you finish that?"이라는 컨텐츠를 비지정 컨텐츠로 발송하려 한다고 유추할 수 있다.
터미널(10)이 상술의 정보 분석 알고리즘을 포함하지 않는 경우, 사용자는 어떤 멤버도 지정 수신자로 선택하지 않았으며, 따라서 터미널(10) 역시 사용자로부터 어떤 지정 신호도 수신하지 않았다. 따라서 터미널(10)은 상기 컨텐츠를 비지정 컨텐츠로 취급하며, 상기 컨텐츠를 포함하는 비지정 데이터 패킷을 상기 그룹의 모든 멤버에게 발신할 수 있다.
하지만 다양한 정보 분석 알고리즘이 장착된 [도35]와 [도36]의 터미널(10)은 사용자가 생성 중인, 생성을 완료한, 또는 발송 준비 중인 컨텐츠에 "지정 요청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지를 용이하게 분석함으로써 상술의 "사전적 지정 수신자 선택 작업"을 실행할 수 있다. 일예로 [도36]의 터미널(10)은 특정 정보 분석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컨텐츠에 포함된 "Cutie"를 인지하고, 다양한 방법을 이용하여 "Cutie"가 "지정 요청 정보"에 해당하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일예로 터미널(10)은 상술의 정보 분석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1] "Cutie"가 상기 그룹의 멤버 아이디(17) 중 하나인지 확인하거나, [2] 상기 그룹의 멤버들의 이전의 대화를 분석함으로써 "Cutie"가 상기 그룹의 특정 멤버의 별명 또는 약칭인지를 확인하거나, [3] 특정 앱의 모든 그룹 및 상기 그룹의 멤버들의 이전의 대화를 분석함으로써 "Cutie"가 특정 그룹의 멤버의 이름인지, 특정 멤버의 별명 또는 약칭인지를 확인하거나, 또는 [4] 사용자의 터미널에 장착된 모든 앱과 관련된 모든 데이터를 분석하여 "Cutie"가 특정 앱의 특정 그룹의 멤버의 이름인지, 특정 멤버의 별명 또는 약칭인지를 확인할 수 있다.
상술의 분석을 통하여 정보 분석 알고리즘이 "Cutie"가 "지정 요청 정보"가 아닌 것으로 확인한 경우, 터미널(10)은 상기 컨텐츠와 헤더, 테일 등을 포함하는 비지정 데이터 패킷을 생성하고 이를 멤버에게 발송한다. 이와는 달리 상술의 분석을 통하여 정보 분석 알고리즘이 "Cutie"가 "지정 요청 정보"인 것으로 확인하게 되면, 터미널(10)은 상기 지정 요청 정보에 근거하여 하나 이상의 지정 수신자를 선택하고, 이에 해당하는 지정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그 후 터미널(10)은 상술의 다양한 방법을 이용하여 [1] 상기 컨텐츠를 지정 데이터 패킷에 포함시킨 후, 상기 패킷을 상기 그룹의 모든 멤버에게 발송하거나, [2] 상기 컨텐츠를 지정 데이터 패킷에 포함시킨 후, 상기 데이터 패킷을 특정 앱의 특정 그룹의 지정 수신자에게만 또는 상기 앱의 모든 그룹의 상기 지정 수신자에게만 발송하거나, [3] 상기 컨텐츠를 비지정 데이터 패킷에 포함시킨 후, 비지정 데이터 패킷과 지정 신호를 특정 앱의 특정 그룹의 모든 멤버에게 또는 상기 앱이 설정한 모든 그룹의 모든 멤버에게 발송하거나, [4] 상기 컨텐츠를 비지정 데이터 패킷에 포함시키고, 상기 데이터 패킷과 지정 신호를 특정 앱이나 특정 그룹의 지정 수신자에게 발송하거나 또는 상기 앱이 설정한 모든 그룹의 지정 수신자에게 발송하거나, 또는 [5] 상기 컨텐츠를 비지정 데이터 패킷에 포함시키고, 상기 데이터 패킷과 지정 신호를 상기 터미널에 장착된 모든 앱의 모든 멤버에게 발송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여섯 번째 예시적 측면의 두 번째 실시예는 다양한 정보 분석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다양한 컨텐츠를 분석함으로써 사전적으로 지정 수신자를 선택하도록 하는 터미널의 상이한 구성 및 작업 실행 방법에 대한 예시이다. 일예로 터미널(10)은 앱의 종류, 그룹의 성질, 그룹에 속한 멤버의 특성, 그룹에 속한 멤버의 이름 또는 명칭과는 관계 없이, 다양한 정보 분석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생성한 컨텐츠에 포함된 특정 단어, 문구, 또는 표현을 분석하여 "지정 요청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바꾸어 말하자 사용자의 터미널이 사용자가 생성하거나 발송하려는 발송 컨텐츠에 대한 "사전적 지정 수신자 선택 작업"을 실행함으로써, 사용자가 능동적으로 지정 신호를 생성하지 않더라도, 터미널이 사전적으로 지정 수신자를 선택하며, 이에 상응하는 지정 신호를 생성하는 경우이다.
위 문단의 터미널은 사용자가 생성한 컨텐츠에 포함된 특정 단어, 문구, 표현 등을 분석하여, 사전적으로 지정 수신자를 선택할 수 있다. 또는 터미널은 사용자가 생성한 컨텐츠에 포함된 특정 단어, 문구 또는 표현을 분석함으로써, 사전적으로 지정 수신자가 될 수 없는 수신자를 선택할 수도 있다. 일예로 특정 그룹에 남성 및 여성이 포함된 경우, 정보 분석 알고리즘이 남성 사용자가 생성한 컨텐츠로부터 여성 멤버가 확인할 경우 곤란한 단어나 내용을 발견하면, 터미널은 상기 컨텐츠를 지정 컨텐츠나 비지정 컨텐츠로 남성 멤버에게만 발송하지만, 여성 멤버에게는 아예 발송하지 않을 수 있다. 다른 예로 특정 그룹이 군인 멤버와 민간인 멤버를 모두 포함하는 경우, 정보 분석 알고리즘이 군인 멤버가 생성한 컨텐츠에서 군과 관련된 비밀 사항을 확인하면, 터미널은 상기 컨텐츠를 지정 컨텐츠나 비지정 컨텐츠로 민간인 멤버를 제외한 군인 멤버에게만 발송할 수 있다.
상술의 분석을 통하여 상기 정보 분석 알고리즘이 사용자가 생성한 컨텐츠로부터 "지정 요청 정보"를 확인한 경우, 터미널은 지정 수신자를 선택한 후, 이에 해당하는 지정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상술의 다양한 방법을 통하여 터미널은 상기 컨텐츠를 [1] 지정 데이터 패킷에 포함시키고, 상기 패킷을 특정 앱의 특정 그룹의 모든 멤버에게 발송하거나, [2] 지정 데이터 패킷에 포함시킨 후, 상기 패킷을 특정 앱의 지정 수신자에게만 발송하거나, [3] 비지정 데이터 패킷에 포함시킨 후, 상기 패킷과 지정 신호를 특정 앱의 특정 그룹의 모든 멤버에게 발송하거나, [4] 비지정 데이터 패킷에 포함시키고, 상기 패킷과 지정 신호를 지정 수신자에게만 발송하거나, 또는 [5] 비지정 데이터 패킷에 포함시키고, 상기 패킷과 지정 신호를 상기 그룹의 모든 멤버에게 발성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여섯 번째 예시적 측면의 다양한 터미널, 지정 컨텐츠 및 지정 아이콘 뱃지는 다양한 구성이나 방법으로 변형 또는 개량될 수 있다. 하술은 상기 변형 또는 개량에 대한 상세예들로서, 상기 변형이나 개량은 [1] 본 여섯 번째 예시적 측면의 상술의 실시예나 상세예의 변형 또는 개량에 적용되거나, 또는 [2] 본 명세서의 상술 및 하술의 상이한 예시적 측면, 상기 상이한 측면의 실시에나 상세예의 변형 또는 개량에도 적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여섯 번째 예시적 측면의 변형 또는 개량의 첫 번째 상세예는 지정 요청 정보의 확인 대상의 범위에 대한 것으로서, 터미널은 상술의 정보 분석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터미널 자체 또는 외부에 저장된 다양한 데이터를 분석하여 지정 요청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일예로 터미널은 특정 앱의 특정 그룹과 관련된, 터미널 자체나 외부에 저장된 데이터를 분석할 수 있다. 다른 예로 터미널은 특정 앱의 모든 그룹과 관련된, 터미널 자체 또는 외부에 저장된 데이터를 분석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터미널은 특정 앱은 물론 상기 터미널로 구동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다른 앱과 관련된, 터미널 자체 또는 외부에 저장된 데이터를 분석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여섯 번째 예시적 측면의 변형이나 개량의 두 번째 상세예 역시 지정 요청 정보의 확인 대상의 범위에 대한 것이다. 즉 터미널의 구조나 기능, 터미널이 사용할 수 있는 네트워크 구조나 기능 등에 의하여 달라질 수 있지만, 일반적으로 터미널은 상술의 정보 분석 알고리즘을 이용함으로써 다양한 위치에 저장된 데이터를 분석하여 지정 요청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터미널은 자체 데이터 베이스를 분석하거나, 중앙(또는 위치) 서버에 저장된 데이터 베이스를 분석하거나, 또는 클라우드 저장소에 저장된 데이터 베이스 등을 분석할 수 있다 또는 터미널은 유무선으로 호출할 수 있는 외부 저장 장치 또는 인터넷으로 접속할 수 있는 데이터 베이스 등도 분석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여섯 번째 예시적 측면의 변형 또는 개량의 세 번째 상세예는 지정 요청 정보의 확인과 관련된 터미널 세팅에 대한 것이다. 즉 사용자는 자신이 직접 지정 신호를 생성하지 않더라도, 터미널이 사전적으로 특정 컨텐츠로부터 "지정 정보 요청"을 확인하도록 터미널 또는 앱의 세팅을 설정할 수 있다. 일예로 사용자는 앱의 종류와 관계 없이 사용자가 컨텐츠를 생성할 때마다, 컨텐츠에 지정 요청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지 터미널이 항상 또는 특정한 경우에만 확인하도록 터미널의 세팅을 설정할 수 있다. 또는 사용자는 특정 앱으로 컨텐츠를 생성할 때마다 터미널이 상기 컨텐츠에 지정 요청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지를 특정한 경우 또는 항상 확인할 수 있도록 터미널의 세팅을 설정할 수 있다. 또는 사용자가 특정 앱을 이용하여 상기 앱에 확립된 특정 그룹에 컨텐츠를 생성할 때마다, 터미널이 컨텐츠에 지정 요청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지 항상 또는 특정한 경우에만 확인할 수 있도록 터미널의 세팅을 설정할 수 있다. 또는 앱의 종류, 그룹의 종류 또는 컨텐츠의 종류 등과 관계 없이, 사용자가 컨텐츠를 생성하여 특정 멤버에게 송신하거나 송신하려 할 때마다, 터미널은 상기 컨텐츠에 지정 요청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지를 항상 또는 특정한 경우에만 확인할 수 있도록 터미널의 세팅을 설정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여섯 번째 예시적 측면의 변형 또는 개량의 네 번째 상세예는 지정 요청 정보의 확인에 따른 지정 신호의 생성 또는 이용 방법에 대한 것이다. 즉 터미널이 상기 다양한 정보 분석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다양한 데이터를 분석하여 발송 컨텐츠 또는 수신 컨텐츠로부터 지정 요청 정보를 확인하면, 터미널은 자동적으로 또는 사용자의 확인을 거친 후 지정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일예로 사용자가 생성한 컨텐츠에서 터미널이 지정 요청 정보를 확인하면, 터미널은 자동적으로 상기 컨텐츠에 대한 지정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또는 터미널이 사용자가 생성한 컨텐츠로부터 지정 요청 정보를 확인하면, 터미널은 상기 컨텐츠에 대한 지정 신호를 생성하기 전 사용자의 확인을 요청할 수 있다. 일예로 터미널은 [도36]에서와 같이 영상 유닛(11)에 선택 창(38)을 표시하며, 사용자에게 지정 수신자 선택 또는 지정 신호 생성에 대한 확인을 요청할 수 있다. 사용자가 선택 창(38)에서 "Yes"를 눌러 이를 확인하면, 터미널은 지정 요청 정보를 생성하고, 컨텐츠를 상기 다양한 방법으로 다양한 멤버에 송신한다. 하지만 사용자가 선택 창(38)에서 "No"를 누르거나 또는 일정 기간 이내에 "Yes"를 누르지 않으면, 터미널은 지정 요청 정보를 생성하지 않은 채, 상기 컨텐츠를 비지정 컨텐츠로 간주하여 특정 그룹의 모든 멤버에게 송신할 수 있다.
상기 여섯 번째 예시적 측면의 각각의 실시예와 상세예는 상술과 하술의 상이한 측면의 실시예나 상세예와 서로 호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여섯 번째 측면의 다양한 실시예 및 상세예는 서로 상충되지 않는 한, [1] 동일한 측면의 상이한 실시예 또는 상세예, 상이한 측면의 상이한 실시예 또는 상이한 상세예 중 이에 상응하는 특성에 적용되거나, [2] 상기 상응하는 특성에 포함되거나, [3] 상기 상응하는 특성을 대체하거나, [4] 상기 상응하는 특성에 의해 대체되거나, 또는 [5] 상기 상응하는 특성과 혼합될 수 있다.
3. 사용자 관점에서의 지정 컨텐츠 활용
본 명세서의 다양한 터미널은 "지정 신호"를 생성하고 이를 이용하여 "지정 컨텐츠" 또는 "비지정 컨텐츠"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터미널은 지정 컨텐츠 또는 비지정 컨텐츠를 포함하는 "지정 데이터 패킷" 또는 "비지정 데이터 패킷" 등의 다양한 데이터 패킷을 생성하고, 이를 송신 또는 수신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특정 앱을 구동하지 않았거나, 상기 앱의 특정 그룹 창을 열지 않음으로써 사용자가 확인하지 못한 미확인 컨텐츠는 지정 컨텐츠 및 비지정 컨텐츠를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앱 또는 상기 그룹에 대한 미확인 아이콘 뱃지의 숫자(즉 미확인 상태의 컨텐츠 수효)가 클 경우, 미확인 지정 컨텐츠의 수효가 적더라도, 사용자가 모든 미확인 컨텐츠를 검토하며 이 중 지정 컨텐츠를 확인하기에는 오랜 시간 및 노력이 필요할 수 있다.
위 문단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명세서의 터미널은 지정 컨텐츠의 특성, 비지정 컨텐츠의 특성, 또는 지정 신호의 특성 등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전체 미확인 컨텐츠 중 선택적으로 미확인 지정 컨텐츠만 용이하게 읽거나 확인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터미널은 컨텐츠 창에 다양한 컨텐츠를 표시할 때 [1] 미확인 비지정 컨텐츠는 단순화 또는 최소화하여 표시하지만 미확인 지정 컨텐츠는 그대로 또는 강조하여 표시하거나, 또는 [2] 미확인 비지정 컨텐츠는 표시하지 않고, 미확인 지정 컨텐츠만 그대로 또는 강조하여 표시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미확인 컨텐츠에 포함되어 있는 지정 컨텐츠를 확인할 때 비지정 컨텐츠에 의한 방해를 제거하거나 또는 최소화할 수 있으며, 그 결과 사용자는 보다 용이하게 미확인 비지정 컨텐츠에 섞여 있는 미확인 지정 컨텐츠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특정 앱을 구동한 후 상기 앱의 특정 그룹 창을 열어서 확인한 확인 컨텐츠에도 확인 지정 컨텐츠 및 확인 비지정 컨텐츠가 포함된다. 따라서 상기 앱의 상기 그룹에 대한 확인 컨텐츠 수효가 클 경우, 확인 지정 컨텐츠의 수효가 적은 경우에도, 사용자가 자신과 관련 있는 확인 지정 컨텐츠를 다시 확인하기에는 오랜 시간 및 노력이 필요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터미널은 지정 컨텐츠와 비지정 컨텐츠의 특성 또는 지정 신호의 특성 등을 이용함으로써, 사용자가 컨텐츠 창에서 이미 확인한 확인 컨텐츠 중 선택적으로 확인 지정 컨텐츠만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일다. 이를 위하여 터미널은 [1] 확인 비지정 컨텐츠는 단순화하여 또는 최소화하여 표시하지만, 확인 지정 컨텐츠는 그대로 또는 강조하여 표시하거나, 또는 [2] 확인 비지정 컨텐츠는 표시하지 않는 한편 확인 지정 컨텐츠만 그대로 또는 강조하여 표시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확인 컨텐츠에 포함되어 있는 확인 지정 컨텐츠를 확인할 경우, 확인 비지정 컨텐츠에 의한 방해를 제거하거나 또는 최소화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사용자는 용이하게 선택적으로 확인 지정 컨텐츠를 확인할 수 있다. [도37] 내지 [도38]은 영상 유닛에 지정 컨텐츠를 선택적으로 표시하는 구성 및 방법의 예시이다.
미확인 컨텐츠는 미확인 비지정 컨텐츠 및 미확인 지정 컨텐츠를 포함한다. 일예로 N개의 미확인 컨텐츠가 모두 미확인 비지정 컨텐츠인 경우, 미확인 컨텐츠는 N개의 미확인 비지정 컨텐츠와 0개의 미확인 지정 컨텐츠를 포함하며, 이와는 반대로 N개의 미확인 컨텐츠가 모두 미확인 지정 컨텐츠인 경우, 미확인 컨텐츠는 N개의 미확인 지정 컨텐츠와 0개의 미확인 비지정 컨텐츠를 포함한다. 본 명세서의 일곱 번째 예시적 측면은 미확인 비지정 컨텐츠를 선택적으로 단순화 또는 최소화하여 표시하거나, 또는 생략하여 표시하는 다양한 구성과 작업 실행 방법에 대한 것이다. 즉 사용자가 적절한 사용자 입력을 제공하면 터미널은 미확인 비지정 컨텐츠는 단순화 또는 최소화하여 표시하는 반면 미확인 지정 컨텐츠를 그대로 또는 강조하여 표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미확인 컨텐츠 중 미확인 지정 컨텐츠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상반된 설명이 없는 한,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미확인 비지정 컨텐츠를 "(미확인) 비지정 컨텐츠" 또는 간략히 "비지정 컨텐츠"라 지칭하고, 미확인 지정 컨텐츠는 "(미확인) 지정 컨텐츠" 또는 간략히 "지정 컨텐츠"라 지칭한다.
본 명세서의 일곱 번째 예시적 측면의 첫 번째 실시예는 비지정 컨텐츠와 지정 컨텐츠를 포함하는 미확인 컨텐츠를 표시할 경우, 미확인 비지정 컨텐츠에 비하여 미확인 지정 컨텐츠를 강조하는 구성 및 작업 실행 방법에 대한 예시이다. 일예로 터미널은 특정 사용자 입력을 수신한 후, 영상 유닛에 표시된 컨텐츠 창에 미확인 비지정 컨텐츠에 비해 미확인 지정 컨텐츠를 강조하여 표시할 수 있다. [도37]은 터미널이 컨텐츠 창에 미확인 비지정 컨텐츠와 미확인 지정 컨텐츠를 함께 표시하지만, 미확인 지정 컨텐츠를 강조하여 표시하는 구성 및 방법에 대한 예시이다.
[도37]에서와 같이 터미널(10)이 영상 유닛(11)에 다수의 앱에 대한 앱 아이콘을 표시하며, 상기 앱에 대한 미확인 아이콘 뱃지를 함께 표시하면, 사용자는 터미널의 다양한 입력 유닛(12A, 12B, 12C)이나 터치 스크린 형태의 영상 유닛(11)에 표시된 앱 아이콘을 조작함으로써 자신이 원하는 앱을 구동할 수 있다. 터미널(10)이 상기 앱을 구동하면, 영상 유닛(11)에는 상기 앱의 그룹 창(15)이 표시된다. 사용자가 다수의 그룹 아이콘 중 자신이 원하는 그룹 아이콘(16)을 조작하게 되면, 터미널(10)은 영상 유닛(11)에 상기 그룹의 컨텐츠 창(19)을 표시한다. 터미널(10)은 컨텐츠 창(19)에 사용자가 아직 확인하지 않은 미확인 컨텐츠부터 표시할 수 있고, 이 때 상기 창(19)에 표시된 컨텐츠의 순서는 반드시 컨텐츠의 수신 시간에 의한 순서가 아닐 수 있다. 이와는 달리 터미널(10)은 컨텐츠 창(19)에 컨텐츠의 수신 시간에 따라 컨텐츠를 표시하되, 가장 최근에 수신한 컨텐츠를 가장 아래에 표시할 수도 있다.
그 후 터미널(10)은 컨텐츠 창(19)에 표시된 미확인 컨텐츠에 포함된 미확인 지정 컨텐츠(31L)를 다양한 시점에 강조할 수 있다. 일예로 터미널(10)은 [1] 컨텐츠 창(19)을 표시할 때마다 (미확인) 비지정 컨텐츠(31N)는 평소대로 표시하지만 이에 비해 (미확인) 지정 컨텐츠(31L)를 강조하거나, [2] 영상 유닛(11)에 컨텐츠 창(19)을 표시한 후, 사용자가 특정 소프트 버튼 또는 하드 버튼을 조작하며 특정 사용자 입력을 제공할 때에만, 지정 컨텐츠(31L)를 강조하거나, 또는 [3] 영상 유닛(11)에 컨텐츠 창(19)을 표시하기 전 사용자가 특정 소프트 버튼 또는 하드 버튼을 조작하며 특정 사용자 입력을 제공할 경우, 지정 컨텐츠(31L)를 강조할 수 있다.
또는 사용자가 추가 사용자 입력을 제공하면, 터미널(10)은 지정 컨텐츠(31L)에 대한 강조를 없애며, 이에 따라 컨텐츠 창(19)에는 지정 컨텐츠 및 비지정 컨텐츠가 서로 차이 없이 동일하게 표시될 수 있다. 이 외에도 사용자는 특정 움직임, 제스처 또는 음성 등의 사용자 입력을 가하여 지정 컨텐츠(31L)를 강조하거나, 지정 컨텐츠(31L)에 대한 강조를 취소할 수 있다.
터미널(10)은 다양한 모드로 지정 컨텐츠(31L)를 강조할 수도 있다. 일예로 터미널은 [1] 지정 컨텐츠(31L)를 특정 폰트, 색, 두께 등으로 강조하여 표시하거나, [2] 지정 컨텐츠(31L)의 배경을 강조하여 표시하거나, [3] 지정 컨텐츠(31L)를 크게 표시하거나, 또는 [4] 기타 방법으로 지정 컨텐츠(31L)를 강조하여 표시할 수 있다. 또는 사용자가 상기 특정 소프트 버튼이나 하드 버튼 등을 다시 조작하거나 또는 상이한 소프트 버튼이나 하드 버튼을 조작할 경우, 터미널(10)은 지정 컨텐츠(31L)를 강조하기 시작하거나 또는 강조를 멈출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컨텐츠 창(19)에는 지정 컨텐츠 및 비지정 컨텐츠가 서로 차이 없이 동일하게 표시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곱 번째 예시적 측면의 두 번째 실시예는 (미확인) 비지정 컨텐츠와 (미확인) 지정 컨텐츠를 모두 포함하는 미확인 컨텐츠를 표시할 경우, (미확인) 지정 컨텐츠는 원래의 형태대로 또는 강조하여 표시하지만, (미확인) 비지정 컨텐츠는 단순화 또는 최소화하여 표시하는 구성 및 작업 실행 방법에 대한 예시이다. 일예로 특정 사용자 입력을 수신한 터미널은 영상 유닛에 표시된 컨텐츠 창에 (미확인) 비지정 컨텐츠는 단순화하거나 또는 최소화하여 표시하는 반면 (미확인) 지정 컨텐츠는 원래 형태대로 또는 강조하여 표시할 수 있다. [도38]은 터미널이 컨텐츠 창에서 다양한 컨텐츠를 강조하거나, 단순화 또는 최소화하는 구성 및 방법 등에 대한 예시이다.
[도38]의 터미널(10)은 상술의 일곱 번째 예시적 측면의 첫 번째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 또는 방법으로 다수의 앱 아이콘과 미확인 아이콘 뱃지를 함께 표시한다. 사용자가 특정 앱을 구동한 후, 터미널은 상기 앱의 그룹 창(15)을 표시한다. 사용자가 특정 그룹을 선정하면, 터미널(10)은 상기 그룹의 컨텐츠 창(19)을 표시한다.
터미널(10)은 컨텐츠 창(19)에 표시된 다수의 미확인 컨텐츠 중 비지정 컨텐츠(31N)를 선택적으로 단순화 또는 최소화할 수 있다. 일예로 터미널(10)은 [1] 컨텐츠 창(19)을 표시할 때마다 비지정 컨텐츠(31N)를 다양한 단순화 표시(36)로 대체하여 표시하거나, [2] 컨텐츠 창(19)을 표시하고, 사용자가 특정 소프트 버튼 또는 하드 버튼을 조작할 때마다, 비지정 컨텐츠(31N)를 단순화 표시(36)로 대체하거나, 또는 [3] 영상 유닛(11)이 컨텐츠 창(19)을 표시하기 전 사용자가 특정 소프트 버튼 또는 하드 버튼을 조작할 때마다, 비지정 컨텐츠(31N)를 단순화 표시(36)로 대체할 수 있다.
터미널(10)은 다양한 방법으로 비지정 컨텐츠(31N)를 단순화 또는 최소화할 수 있으며, 일예로 터미널은 [1] 비지정 컨텐츠(31N)를 흐릿하게 표시하거나, [2] 비지정 컨텐츠(31N)를 단순화하는 폰트, 단순화하는 색 또는 단순화하는 양식으로 표시하거나, [3] 비지정 컨텐츠(31N)를 더 적은 크기로 표시하거나, 또는 [4] 기타 도형을 이용하여 비지정 컨텐츠(31N)를 단순화 또는 최소화하여 표시할 수 있다.
옵션으로 사용자가 특정 소프트 버튼 또는 하드 버튼을 다시 조작하거나 또는 상이한 소프트 버튼 또는 하드 버튼을 조작할 경우, 터미널(10)은 비지정 컨텐츠(31N)를 더 이상 단순화 또는 최소화하지 않은 채 원래 모양으로 표시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컨텐츠 창(19)에는 지정 컨텐츠 및 비지정 컨텐츠가 서로 차이 없이 동일하게 표시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곱 번째 예시적 측면의 세 번째 실시예는 비지정 컨텐츠와 지정 컨텐츠를 포함하는 미확인 컨텐츠를 표시할 경우, 미확인 지정 컨텐츠는 원래의 형태대로 또는 강조하여 표시하지만, 미확인 비지정 컨텐츠는 생략하는 구성 및 작업 실행 방법에 대한 예시이다.
특정 사용자 입력을 수신한 터미널은 영상 유닛에 표시된 컨텐츠 창에 미확인 비지정 컨텐츠는 생략함으로써 표시하지 않는 반면 미확인 지정 컨텐츠는 원래의 형태대로 또는 강조하여 표시할 수 있다. 일예로 터미널(10)은 상술의 일곱 번째 예시적 측면의 첫 번째 실시예와 동일한 방법으로 다수의 앱과 미확인 아이콘 뱃지를 함께 표시하고, 그 후 상기 앱의 그룹 창(15)을 표시하며, 그 후 상기 그룹의 컨텐츠 창(19)을 표시할 수 있다.
터미널(10)은 컨텐츠 창(19)에 표시된 미확인 컨텐츠 중 지정 컨텐츠(31L)만 선택적으로 다양한 방법으로 표시할 수 있다. 일예로 터미널(10)은 [1] 컨텐츠 창(19)을 표시할 때마다 지정 컨텐츠(31L)만 표시하거나, [2] 영상 유닛(11)이 컨텐츠 창(19)을 표시한 후 사용자가 특정 소프트 버튼 또는 하드 버튼을 조작할 경우에만, 지정 컨텐츠(31L)만 표시하거나, 또는 [3] 영상 유닛(11)이 컨텐츠 창(19)을 표시하기 전 사용자가 특정 소프트 또는 하드 버튼을 조작하는 경우, 컨텐츠 창(19)을 표시하면서 지정 컨텐츠(31L)만을 표시할 수 있다.
터미널(10)은 다양한 방법으로 지정 컨텐츠(31L)만을 표시할 수 있다. 일예로 터미널은 [1] 다수의 지정 컨텐츠(31L)들을 연결하여 또는 연속적으로 표시함으로써 지정 컨텐츠(31L)들 사이에 포함되어 있던 비지정 컨텐츠(31N)를 아예 표시하지 않거나, [2] 지정 컨텐츠(31L)를 표시하되, 지정 컨텐츠들(31L) 사이에 생략된 비지정 컨텐츠(31N)가 존재할 경우, 그 사이에 간격을 표시함으로써 사용자가 그 사이에 생략된 비지정 컨텐츠(31N)가 있음을 알 수 있도록 표시하거나, 또는 [3] 지정 컨텐츠(31L)를 표시하되, 상기 컨텐츠들(31L) 사이에 생략된 비지정 컨텐츠(31N)가 존재하는 경우, 위와 아래의 지정 컨텐츠(31L)를 상이한 크기, 배경, 색 또는 폰트 등으로 표시함으로써 사용자가 그 사이에 생략된 비지정 컨텐츠(31N)가 있음을 알 수 있도록 표시할 수 있다.
옵션으로 사용자가 특정 소프트 버튼이나 하드 버튼을 다시 조작하거나 또는 상이한 소프트 버튼 또는 하드 버튼을 조작할 경우, 터미널(10)은 지정 컨텐츠(31L) 사이에 위치하지만 그 동안 표시하지 않았던 비지정 컨텐츠(31N)를 표시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컨텐츠 창(19)에는 지정 컨텐츠 및 비지정 컨텐츠가 서로 차이 없이 동일하게 표시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곱 번째 예시적 측면의 다양한 터미널, 지정 컨텐츠 및 지정 아이콘 뱃지는 다양한 구성 또는 방법으로 변형 또는 개량될 수 있다. 하술은 상기 변형 또는 개량에 대한 상세예들로서, 상기 변형이나 개량은 [1] 본 일곱 번째 예시적 측면의 상술의 실시예나 상세예의 변형 또는 개량에 적용되거나, 또는 [2] 본 명세서의 상술 및 하술의 상이한 예시적 측면, 상기 상이한 측면의 실시에나 상세예의 변형 또는 개량에도 적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곱 번째 예시적 측면의 변형 및 개량의 첫 번째 상세예는 미확인 비지정 컨텐츠는 단순화, 최소화 또는 생략하는 한편, 미확인 지정 컨텐츠는 그대로 또는 강조하여 표시하되, 상기 지정 컨텐츠를 발송한 발신자에게 사용자가 과거에 발송했던 컨텐츠로서 발신자가 상기 지정 컨텐츠를 발신한 이유에 해당하는 사용자의 과거 컨텐츠를 함께 표시하는 구성 또는 방법에 대한 것이다.
일예로 사용자가 발신자로부터 지정 컨텐츠를 수신하면, 사용자 터미널은 발신자가 발송한 지정 컨텐츠를 영상 유닛에 표시하며, 발신자가 지정 컨텐츠를 발송한 이유가 되는 사용자의 과거 컨텐츠(일예로 사용자가 발신자에게 발송하였던 비지정 컨텐츠 또는 지정 컨텐츠)를 함께 영상 유닛에 표시할 수 있다. 만일 사용자가 발신자에게 과거에 발송한 컨텐츠와 상관 없이 발신자가 정보 교환을 시작하였고, 이에 따라 과거 지정 컨텐츠가 없는 경우, 터미널은 발신자로부터 수신한 지정 컨텐츠만 표시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발신자가 자신에게 지정 컨텐츠를 발송한 이유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으며, 이에 근거하여 사용자 역시 상기 발신자에게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다. 또 발신자가 발송한 지정 컨텐츠가 자신이 과거에 발신자에게 발송하였던 컨텐츠에 대한 답장일 경우, 사용자는 발신자의 컨텐츠에 대응을 하지 않기로 용이하게 결정할 수 있다. 하지만 발신자가 발송한 지정 컨텐츠가 자신이 과거에 발신자에게 발송한 컨텐츠에 대한 답장이 아닌, 신규 정보 교환의 시작이면, 사용자는 발신자에게 답장에 해당하는 컨텐츠를 발송할 필요가 있음을 알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곱 번째 예시적 측면의 변형 또는 개량의 두 번째 상세예는 비지정 컨텐츠는 단순화, 최소화 또는 생략하는 한편, 지정 컨텐츠는 그대로 또는 강조하여 표시하되, 발신자와 사용자 사이에 교환한 모든(또는 일부) 비지정 컨텐츠나 모든(또는 일부) 지정 컨텐츠를 모두 표시할 수 있는 구성 또는 방법에 대한 것이다.
일예로 발신자가 사용자에게 지정 컨텐츠를 발송하였을 때, 터미널이나 앱은 발신자와 사용자 사이에 교환된 미확인 컨텐츠 또는 확인 컨텐츠를 영상 유닛에 표시할 수 있다. 이 경우 터미널은 사용자와 나머지 멤버와의 교신 내용 또는 발신자와 나머지 멤버 사이의 교신 내용은 [1] 단순화 또는 최소화하여 표시하거나, 또는 [2] 아예 표시를 생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발신자와 자신이 주고받은 모든 컨텐츠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발신자가 사용자에게 발송한 지정 컨텐츠가 사용자가 과거에 상기 발신자에게 발송한 컨텐츠에 대한 답장이라면, 사용자는 발신자의 컨텐츠에 대응하지 않을 수 있다. 하지만 발신자가 발송한 지정 컨텐츠가 자신이 과거에 상기 발신자에게 발송하였던 컨텐츠에 대한 답장이 아닌, 신규 정보 교환의 시작인 경우, 사용자는 상기 발신자에게 답장에 해당하는 컨텐츠를 발송할 필요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상기 일곱 번째 예시적 측면의 각각의 실시예와 상세예는 상술과 하술의 상이한 측면의 실시예나 상세예와 서로 호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일곱 번째 측면의 다양한 실시예 및 상세예는 서로 상충되지 않는 한, [1] 동일한 측면의 상이한 실시예 또는 상세예, 상이한 측면의 상이한 실시예 또는 상이한 상세예 중 이에 상응하는 특성에 적용되거나, [2] 상기 상응하는 특성에 포함되거나, [3] 상기 상응하는 특성을 대체하거나, [4] 상기 상응하는 특성에 의해 대체되거나, 또는 [5] 상기 상응하는 특성과 혼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여덟 번째 예시적 측면은 확인 비지정 컨텐츠를 선택적으로 단순화 또는 최소화하여 표시하거나, 또는 아예 표시를 하지 않으며 생략하는 다양한 구성과 작업 실행 방법에 대한 것이다. 따라서 사용자가 적절한 사용자 입력을 제공하면, 터미널은 확인 비지정 컨텐츠는 단순화 또는 최소화하여 표시하거나 생략하는 반면, 확인 지정 컨텐츠를 그대로 또는 강조하여 표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확인 컨텐츠 중 확인 지정 컨텐츠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일예로 특정 사용자 입력을 수신한 터미널은 영상 유닛에 미확인 컨텐츠 및 확인 컨텐츠를 표시할 수 있고, 이 때 상기 컨텐츠는 비지정 컨텐츠이거나 지정 컨텐츠일 수 있다. 사용자가 추가 사용자 입력을 제공할 경우, 터미널은 사용자 이외의 두 명 이상의 멤버들이 교환한 지정 또는 비지정 컨텐츠 영상 유닛에 표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자신이 속한 그룹의 두 명 이상의 멤버 사이에 교환된 비지정 컨텐츠나 지정 컨텐츠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일예로 터미널은 상술의 일곱 번째 예시적 측면의 첫 번째 실시예와 동일 또는 유사한 한 방법으로 다수의 앱 아이콘 및 미확인 아이콘 뱃지를 동시에 표시하고, 상기 앱의 그룹 창을 표시하며, 특정 그룹의 컨텐츠 창을 표시한다. 터미널은 상술의 일곱 번째 예시적 측면의 다양한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컨텐츠 창에 다수의 미확인 컨텐츠 및 확인 컨텐츠를 표시할 수 있다.
그 후 사용자가 컨텐츠를 작성하지 않은 채, 상기 여섯 번째 예시적 측면에서 설명한 다양한 방법으로 두 명의 멤버를 지정하면, 터미널은 상기 두 멤버 사이에 과거에 교환된 다양한 비지정(또는 지정) 컨텐츠를 영상 유닛에 표시할 수 있다. 이 때 터미널은 상기 두 멤버 이외의 나머지 멤버들이 교환한 (미확인 또는 확인) 지정 컨텐츠 또는 비지정 컨텐츠는 [1] 단순화 또는 최소화하여 표시하거나, 또는 [2] 생략할 수 있다.
이와는 달리 터미널은 상기 두 멤버가 서로 주고받은 컨텐츠는 강조하여 표시하는 반면 두 멤버 이외의 나머지 멤버들이 교환한 지정 컨텐츠 또는 비지정 컨텐츠는 강조하지 않은 채 그대로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두 명을 초과하는 멤버를 선택하면, 터미널은 세 명 이상의 멤버가 서로 교환한 (확인 또는 미확인) 지정 또는 비지정 컨텐츠를 선택적으로 표시할 수도 있다.
터미널은 상술의 확인 비지정 컨텐츠의 단순화 표시, 최소화 표시 또는 생략을 상술의 일곱 번째 예시적 측면에서 설명한 미확인 비지정 컨텐츠의 단순화, 최소화 또는 생략과는 독립적으로 또는 병행하여 실행할 수 있다. 또한 터미널은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사용자를 제외한 특정 그룹의 다수의 멤버들이 교환한 컨텐츠 중 [1] 미확인 지정 컨텐츠, [2] 미확인 비지정 컨텐츠, [3] 확인 지정 컨텐츠 또는 [4] 확인 비지정 컨텐츠를 선택적으로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여덟 번째 예시적 측면의 각각의 실시예와 상세예는 상술과 하술의 상이한 측면의 실시예나 상세예와 서로 호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여덟 번째 측면의 다양한 실시예 및 상세예는 서로 상충되지 않는 한, [1] 동일한 측면의 상이한 실시예 또는 상세예, 상이한 측면의 상이한 실시예 또는 상이한 상세예 중 이에 상응하는 특성에 적용되거나, [2] 상기 상응하는 특성에 포함되거나, [3] 상기 상응하는 특성을 대체하거나, [4] 상기 상응하는 특성에 의해 대체되거나, 또는 [5] 상기 상응하는 특성과 혼합될 수 있다.
4. 지정 신호 및 지정 아이콘 뱃지의 추가 응용
본 명세서의 아홉 번째 예시적 측면은 다양한 지정 신호, 다양한 지정 컨텐츠 및 다양한 지정 아이콘 뱃지를 SNS 앱, 메신저 앱, 이메일 앱, 그룹웨어 소프트웨어 앱 이외의 다양한 앱에 적용하는 다양한 구성과 작업 실행 방법에 대한 것이다.
상술에서는 본 명세서의 다양한 지정 신호, 다양한 지정 컨텐츠 및 다양한 지정 아이콘 뱃지를 유무선 전화 송수신 앱, SNS 앱, 그룹웨어 소프트웨어 앱, 메신저 앱 또는 이메일 앱 등에 적용하는 다양한 구성과 작업 실행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일예로 유무선 전화 송수신 앱의 경우에는, 터미널은 미확인 아이콘 뱃지를 이용하여 미확인 착신 호출의 수효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터미널은 미확인 착신 호출 후 발신자가 남긴 메시지를 분석하여 지정 요청 정보를 확인하거나, 미확인 착신 호출을 동반하는 특정 코드에 부가된 지정 요청 정보를 확인함으로써, 상기 미확인 아이콘 뱃지 및 (미확인) 지정 아이콘 뱃지를 표시할 수 있다.
이 외에도 상술과 같이 터미널은 지정 아이콘 뱃지를 이용하여 일예로 [1] 사용자가 응답하지 못한 착신 호출의 호출자, 호출자 전화 번호, 호출자의 기타 정보, 또는 호출 시간, [2] 사용자가 특정 기간 동안(또는 특정 시간 이후) 응답하지 못한 착신 호출의 수효, 호출자, 호출자 전화 번호, 호출자의 기타 정보, 또는 호출 시간, [3] 사용자가 특정 기간 동안(또는 특정 시간 이후) 응답한 착신 호출의 수효, 호출자, 호출자 전화 번호, 호출자의 기타 정보, 또는 호출 시간, [4] 사용자에게 남겨진 음성 메시지의 수효, 호출자, 호출자의 전화 번호, 호출자의 기타 정보, 또는 메시지 녹음 시간, 또는 [5] 유무선 전화 기기의 작동 상태나 오류 상태 등과 관련된 정보 등의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특히 지정 아이콘 뱃지가 표시할 수 있는 푸시 통지는 [1] 상기 정보(또는 이와 관련된 컨텐츠) 중 사용자가 아직 확인하지 못한 미확인 정보(또는 이와 관련된 컨텐츠)에 국한되거나, [2] 특정 시간 이후 수신한 모든 미확인 정보(또는 이와 관련된 컨텐츠)에 국한되거나, 또는 [3] 특정 시간 이후 수신한 모든 확인 정보(또는 이와 관련된 컨텐츠)에 관한 것일 수 있다.
다른 예로 SNS앱, 그룹웨어 소프트웨어 앱, 메신저 앱 또는 이메일 앱의 경우, 터미널은 미확인 아이콘 뱃지를 이용하여 다양한 정보(또는 이와 관련된 컨텐츠)를 사용자에게 표시할 수 있다. 따라서 SNS 앱의 경우, 터미널은 미확인 아이콘 뱃지를 이용하여 미확인 컨텐츠(즉 미확인 메시지)의 수효를, 지정 아이콘 뱃지를 이용하여 미확인 메시지에 포함된 미확인 지정 컨텐츠(즉 지정 메시지)의 수효를 표시할 수 있다. 이외에도 터미널은 SNS 앱을 이용하여 교환되는 상술의 다양한 정보를 지정 컨텐츠로 표시할 수도 있다.
특히 상술의 첫 번째 예시적 측면 내지 여덟 번째 예시적 측면의 다양한 실시예 또는 상세예는 본 명세서의 다양한 데이터 처리 터미널에 장착된 SNS 앱을 대상으로 한 설명이므로, 본 명세서의 다양한 지정 신호, 다양한 지정 컨텐츠 및 다양한 지정 아이콘 뱃지를 SNS 앱에 적용하는 경우에 대한 더 이상의 설명은 생략한다.
그룹웨어 소프트웨어 앱, 메신저 앱 또는 이메일 앱의 경우, 터미널은 미확인 아이콘 뱃지를 이용하여 미확인 컨텐츠(즉 미확인 메시지나 이메일 등)의 수효를 표시하는 반면, 지정 아이콘 뱃지를 이용하여 미확인 컨텐츠에 포함된 미확인 지정 컨텐츠의 수효 또는 내용 등을 표시할 수도 있다. 이외에도 터미널은 그룹웨어 소프트웨어 앱, 메신저 앱 또는 이메일 앱을 이용하여 교환되는 상술의 다양한 정보(또는 이와 관련된 컨텐츠)를 지정 컨텐츠(즉 지정 메시지)로 표시할 수 있다.
따라서 SNS앱, 그룹웨어 소프트웨어 앱, 메신저 앱, 또는 이메일 앱 등의 다양한 통신용 앱을 이용하여 송신 및 수신할 수 있는 푸시 정보, 상기 푸시 정보에 대한 푸시 통지 등은 유무선 전화 송수신 앱을 이용하여 송수신할 수 있는 푸시 정보 및 이에 대한 푸시 통지와 동일 또는 유사하다. 또한 터미널이 SNS앱, 그룹웨어 소프트웨어 앱, 메신저 앱 또는 이메일 앱을 이용하여 상술의 다양한 지정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신호를 포함하는 지정 데이터 패킷을 생성한 후, 상기 데이터 패킷이나 컨텐츠를 송수신하는 구성 또는 작업 실행 순서는 터미널이 유무선 전화 송수신 앱을 이용하여 상기 생성 또는 송수신하는 구성이나 작업 실행 순서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더 이상의 설명은 생략한다.
이와 같이 본 명세서의 첫 번째 내지 여덟 번째 예시적 측면, 각각의 측면의 실시예나 상세예에서 예시한 다양한 지정 신호, 지정 컨텐츠 및 지정 아이콘 뱃지 등은 SNS앱, 그룹웨어 소프트웨어 앱, 메신저 앱, 또는 이메일 앱 및 기타 앱에도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 또는 방법으로 적용될 수 있다. 아래에서는 다양한 지정 신호, 지정 컨텐츠 및 지정 아이콘 뱃지를 일정 관리 앱, 광고 표시 앱, 사건 공지 앱 및 알림 앱 등에 적용할 경우의 구성 및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명세서의 아홉 번째 예시적 측면의 첫 번째 실시예는 상기 다양한 지정 신호, 지정 컨텐츠 및 지정 아이콘 뱃지를 일정 관리 앱에 적용하기 위한 구성 및 방법에 대한 것이다. 특히 터미널은 지정 신호 및 지정 아이콘 뱃지에 대한 첫 번째 내지 여덟 번째 측면의 다양한 구성 및 방법을 다양한 일정 관리 앱에 적용할 수 있다. [도39]와 [도40]은 일정 관리 앱에 본 명세서의 다양한 지정 신호, 지정 컨텐츠 및 지정 아이콘 뱃지를 적용하는 구성 및 방법에 대한 예시이다.
[도39]의 터미널은 일정 관리 앱을 나타내는, 또는 상기 앱의 U/I에 해당하는 앱 아이콘(20)의 우측에 미확인 아이콘 뱃지(21) 및 지정 아이콘 뱃지(23)를 각각 위아래로 배치하는 경우의 예시이다. 터미널은 상기 뱃지(21)(23)를 이용하여 다양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일예로 터미널은 미확인 아이콘 뱃지(21)를 이용하여 당일(또는 특정 시간 동안) 7개의 일정이 잡혀 있음을 사용자에게 통지할 수 있고, 지정 아이콘 뱃지(23)를 이용하여 7개의 일정 중 2개의 일정이 [1] 사용자에게 중요한 일정이거나, [2] 사용자가 소집한 미팅이거나, [3] 사용자가 발표를 담당한 미팅이거나, 또는 [4] 사용자가 진행에 책임을 진 미팅임을 알릴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지정 아이콘 뱃지(23)를 통하여 시각적으로 특정 일정의 수효 및 이에 대한 다양한 정보를 인지할 수 있다.
[도40]의 경우, 터미널은 앱 아이콘(20)의 우측에 미확인 아이콘 뱃지(21), 그 주변에 다수의 지정 아이콘 뱃지(23A)(23B)(23C)를 표시한다. 특히 터미널은 지정 아이콘 뱃지(23A)(23B)(23C) 각각의 배경을 상이하게 조작함으로써, 다양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일예로 터미널은 지정 아이콘 뱃지(23A)의 배경을 [1] 진하게 표시하여 업무 관련 일정을 표시하거나, [2] 해치 패턴으로 표시하여 의료 관련 일정을 표시하거나, 또는 [3] 사선 패턴으로 표시하여 가족 관련 일정을 표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상기 지정 아이콘 뱃지의 크기, 모양, 색, 위치 또는 배경만으로 상기 일정의 수효 또는 내용 등을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다.
이 외에도 터미널은 지정 아이콘 뱃지의 크기, 모양, 위치, 색, 수효 등의 다양한 특성을 조작함으로써 다양한 일정에 대한 다양한 푸시 정보를 푸시 통지의 형태로 표시할 수 있다. 이러한 푸시 정보의 예로는 [1] 임박한 일정의 수효, 시간, 장소, 또는 참석자에 대한 컨텐츠, [2] 확정된 일정의 수효, 시간, 장소, 또는 참석자에 대한 컨텐츠, [3] 확정되었지만 참석하지 못한 일정의 수효, 시간, 장소, 또는 안건 등에 대한 컨텐츠, 또는 [4] 상기 일정 중 사용자가 특별히 담당하는 과업이 있는 일정의 수효, 시간 또는 장소와 관련된 컨텐츠 등이 있다. 이에 따라 터미널은 지정 아이콘 뱃지(23)를 이용하여 상기 푸시 정보 중 하나 이상을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나 터미널은 상기 푸시 통지를 [1] 상기 정보 중 사용자가 아직 확인하지 못한 미확인 정보(또는 이와 관련된 컨텐츠)에만 국한시키거나, 또는 [2] 특정 시간 이후 수신한 모든 미확인 및 확인 정보(또는 이와 관련된 컨텐츠)에 국한시킬 수 있다.
일정 관리 앱과 관련된 지정 컨텐츠는 다양한 주체가 생성할 수 있다. 일예로 특정 앱의 특정 그룹의 멤버가 상기 일정을 결정한 후, 상기 일정을 지정 컨텐츠로 지정한 후 사용자에게 발송할 수 있다. 또는 사용자가 상기 일정을 결정하고, 이를 지정 컨텐츠로 지정한 후 자신을 포함한 상기 그룹의 멤버에게 발송할 수 있다. 또는 터미널은 상기 일정을 사용자나 상기 그룹의 멤버로부터 수신한 후, 상기 일정 또는 상기 일정과 관련된 정보를 다양한 정보 분석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분석하고, 상기 일정이 사용자에게 중요하다고 판단되면 이를 지정 컨텐츠로 생성하고 사용자에게 발송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알고리즘을 이용한 분석 결과 상기 일정이 중요하지 않다고 판단되면, 터미널은 상기 일정을 비지정 컨텐츠로 표시할 수 있다. 터미널이 상기 일정이 다른 일정과 상충된다고 판단하는 경우(즉 상기 일정을 입력하면 이미 설정된 다른 일정과 시간이 겹치거나, 다른 일정에 참석하기 어려운 경우), 터미널은 [1] 상기 일정을 사용자가 참석하지 않아도 되는 일정으로 간주하고 이를 비지정 컨텐츠로 분류하거나, 또는 [2] 사용자가 일정을 재조정할 수 있도록 상기 일정을 지정 컨텐츠로 표시할 수 있다.
상술과 같이 미확인 컨텐츠에 포함된 컨텐츠를 지정 컨텐츠 또는 비지정 컨텐츠로 구별하는 작업은 상대적이다. 따라서 터미널이 다양한 정보 분석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사전적으로 지정 컨텐츠를 선택할 때, 터미널은 상기 구별에 대한 다양한 기준을 확립할 수 있으며, 이러한 기준의 예로는 [1] 사용자의 선호도, [2] 사용자의 과거 생활 특성, [3] 사용자가 다른 멤버들과 주고받은 컨텐츠, [4] 사용자와 관련된 컨텐츠 중 지정 컨텐츠, 또는 [5] 터미널 세팅 등이 있다. 사전적으로 지정 컨텐츠를 생성한 터미널은 다양한 시각적 신호, 청각적 신호 또는 촉각적 신호를 생성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상기 지정 컨텐츠의 지정 여부를 확인하도록 요청할 수 있다. 본 문단의 다양한 구성은 하술의 본 아홉 번째 예시적 측면의 상이한 실시예는 물론 상이한 예시적 측면의 상이한 실시예 또는 상세예에도 적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아홉 번째 예시적 측면의 두 번째 실시예는 상기 다양한 지정 신호, 지정 컨텐츠 및 지정 아이콘 뱃지를 광고 표시 앱에 적용하기 위한 구성 또는 방법에 대한 것이다. 특히 터미널은 지정 신호 또는 지정 아이콘 뱃지에 대한 첫 번째 내지 여덟 번째 측면의 다양한 구성 또는 방법을 다양한 광고 표시 앱에 적용할 수도 있다. [도41]와 [도42]는 광고 표시 앱에 본 명세서의 다양한 지정 신호, 지정 컨텐츠 및 지정 아이콘 뱃지를 적용하는 구성 및 방법에 대한 예시이다.
[도41]의 터미널은 앱 아이콘(20)의 우측에 미확인 아이콘 뱃지(21) 및 지정 아이콘 뱃지(23)를 상하로 표시하며, 다양한 정보를 상이한 구성 또는 방법으로 표시할 수 있다, 일예로 터미널은 미확인 아이콘 뱃지(21)를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1] 당일(또는 특정 시간 동안) 23건의 할인 판매가 있음을 알리거나, [2] 사용자가 주문한 물품 총 23개의 구입 또는 배송이 준비되었음을 알리거나, [3] 사용자가 관심을 보인 물품과 동일하거나 또는 유사한 물품 23개의 구입 또는 배송이 가능함을 알리거나, 또는 [4] 23개의 신제품의 구입이 가능함을 알릴 수 있다.
또는 터미널은 미확인 아이콘 뱃지(21)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요청, 관심 등과는 관계 없이 광고 제공자가 발송한 미확인 컨텐츠를 알릴 수 있다. 즉 터미널은 미확인 아이콘 뱃지(21)를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1] 광고 제공자가 발송한 물품 관련 미확인 컨텐츠가 23개임을 알리거나, [2] 광고 제공자가 발송하였지만 물품과는 직접 관련 없는 미확인 컨텐츠가 23임을 알리거나, 또는 [3] 광고 제공자가 발송한 쿠폰이 23임을 알릴 수도 있다.
또한 터미널은 지정 아이콘 뱃지(23)를 이용하여 미확인 아이콘 뱃지(21)와는 상이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일예로 터미널은 지정 아이콘 뱃지(23)를 이용하여 [1] 당일(또는 특정 시간 동안) 계획된 할인 판매 23건 중 2건이 기록적으로 큰 할인 폭임을 알리거나, [2] 사용자가 주문 가능한 23개의 물품 중 2개가 사용자가 선호 물품 목록에 기재한 물품임을 알리거나, 또는 [3] 현재 진행 중인 할인 판매 23건 중 2건의 마감 기한이 당일(또는 특정 시간 동안)임 등을 알릴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지정 아이콘 뱃지(23)를 통하여 자신이 관심이 있는 또는 광고 제공자가 판매 중인 물품에 대한 수효 및 다양한 정보를 인지할 수 있다.
[도42]의 터미널은 앱 아이콘(20) 주위에 미확인 아이콘 뱃지(21)는 표시하지 않은 채 다수의 지정 아이콘 뱃지(23A)(23B)(23C)를 표시할 수 있다. 터미널은 상이한 모양의 지정 아이콘 뱃지(23A)(23B)(23C)를 표시할 수 있고, 일예로 지정 아이콘 뱃지(23A)의 숫자는 특정 물품에 대한 할인 폭이 83%임을 표시하고, 지정 아이콘 뱃지(23B)는 물품에 대한 할인은 현금 할인임을 사용자에게 알리며, 또한 지정 아이콘 뱃지(23C)는 할인 후 물품 가격이 $723임을 또는 할인 폭이 현금으로 환산하면 $723임을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지정 아이콘 뱃지의 크기, 모양, 색, 위치 또는 배경만으로 상기 할인 폭, 할인 기간, 물건의 가격 등을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다.
터미널은 지정 아이콘 뱃지의 크기, 모양, 위치, 색 또는 수효 등의 다양한 특성을 조작함으로써 다양한 광고에 대한 다양한 푸시 정보를 푸시 통지의 형태로 표시할 수 있다. 터미널은 푸시 정보로 다양한 컨텐츠를 전달할 수 있으며, 상기 컨텐츠의 예로는 [1] 광고와 관련된 문자, 기호, 텍스트 등의 메시지, 수효, 발신자 또는 수신 시간, [2] 광고와 관련된 이미지 파일의 수효, 발신자 또는 수신 시간, [3] 광고와 관련된 음성 파일 등의 수효, 발신자 또는 수신 시간, [4] 사용자가 미리 신청한 또는 예약한 물건, 서비스와 관련된 광고의 수효, 발신자 또는 수신 시간, [5] 특별 할인이나 기타 혜택이 포함된 광고의 수효, 발신자 또는 수신 시간, [6] 미리 입력된 사용자의 선호도와 관련된 광고의 수효, 발신자 또는 수신 시간, 또는 [7] 사용자의 현재 위치, 이동 중인 사용자의 도착 예정 위치, 사용자 일정에 따른 사용자의 장래의 위치 등과 관련된 광고의 수효, 발신자 또는 수신 시간 등이 있다. 특히 사용자 또는 터미널은 푸시 통지를 상기 푸시 정보 중 [1] 사용자가 확인하지 못한 미확인 정보(또는 관련된 컨텐츠)에 국한시키거나, [2] 특정 시간 이후 수신한 모든 미확인 정보(또는 관련된 컨텐츠)에 국한시키거나, [3] 특정 시간 이후 수신한 모든 확인 정보(또는 관련된 컨텐츠) 등으로 국한시킬 수 있다.
광고 표시 앱과 관련된 지정 컨텐츠는 다양한 주체가 생성할 수 있다. 일예로 특정 앱의 특정 그룹의 멤버가 특정 광고를 선택한 후, 상기 광고를 지정 컨텐츠로 지정한 후 사용자에게 발송할 수 있다. 또는 사용자가 특정 그룹에서 특정 물품을 선택하면, 물품 제공자(일예로 상인, 웹사이트 등)는 상기 물품과 관련된 컨텐츠를 선택하고 이를 지정 컨텐츠로 지정하여 사용자에게 발송할 수 있다. 또는 터미널은 상기 물품 제공자의 웹사이트 또는 물품 제공자가 발송하는 컨텐츠를 수신한 후, 상기 컨텐츠를 다양한 정보 분석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분석한 후, 상기 컨텐츠가 사용자에게 중요한 경우 이를 지정 컨텐츠로 생성할 수 있다.
터미널은 광고 제공자가 발송한 광고와 관련된 지정 컨텐츠를 무조건 지정 컨텐츠로 표시하는 대신 다양한 정보 분석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상기 지정 컨텐츠가 사용자가 확인할 필요가 있는 컨텐츠인지 확인할 수 있다. 일예로 터미널은 사용자의 선호도, 과거 물품 구매 내력, 사용자가 발송한 컨텐츠 등을 고려하여, 광고 제공자가 발송한 지정 컨텐츠를 지정 컨텐츠로 표시하거나, 비지정 컨텐츠로 표시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터미널은 광고 제공자가 발송한 지정 컨텐츠를 비지정 컨텐츠로 표시하거나, 스팸 광고로 표시할 수도 있다.
터미널은 SNS앱, 그룹웨어 소프트웨어 앱, 메신저 앱, 이메일 앱, 일정 관리 앱, 사건 공지 앱, 알림 앱 등 상기 터미널에 장착된 상이한 앱과 관련된 사용자의 활동 또는 상황 등을 분석한 후, 이와 관련된 광고를 선택하여 직접 또는 광고 표시 앱을 이용하여 상기 광고를 지정 컨텐츠로 사용자에게 표시할 수 있다. 일예로 사용자에게 응급 상황이 발생하여 병원을 방문할 경우, 터미널은 사용자가 방문할 수 있는 병원 또는 의사와 관련된 광고, 사용자가 필요로 하는 치료에 대한 광고 등을 지정 컨텐츠로 표시할 수 있다.
상술과 같이 미확인 컨텐츠에 포함된 컨텐츠를 지정 컨텐츠 또는 비지정 컨텐츠로 구별하는 작업은 상대적이다. 따라서 터미널이 사전적으로 지정 컨텐츠를 선택할 경우, 터미널은 다양한 정보 분석 알고리즘을 이용하되, [1] 사용자의 선호도, [2] 사용자의 과거 물품 구입 내력, [3] 터미널의 세팅, [4] 물품 제공자의 재고 또는 물류 관련 상황, 또는 [5] 기타 데이터 베이스 등을 상기 구별의 기준으로 활용할 수 있다. 터미널이 지정 컨텐츠를 생성하면, 터미널은 사용자가 상기 컨텐츠를 빨리 확인하도록 다양한 시각적, 청각적 또는 촉각적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본 문단의 다양한 구성은 본 아홉 번째 예시적 측면의 상이한 실시예는 물론 상이한 예시적 측면의 상이한 실시예 또는 상세예에도 적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아홉 번째 예시적 측면의 세 번째 실시예는 상기 다양한 지정 신호, 지정 컨텐츠 및 지정 아이콘 뱃지를 사건 공지 앱에 적용하기 위한 구성 또는 방법에 대한 것이다. 특히 터미널은 지정 신호 또는 지정 아이콘 뱃지에 대한 첫 번째 내지 여덟 번째 측면의 다양한 구성 또는 방법을 다양한 사건 공지 앱에 적용할 수도 있다. [도43]과 [도44]는 사건 공지 앱에 본 명세서의 다양한 지정 신호, 지정 컨텐츠 및 지정 아이콘 뱃지를 적용하는 구성 및 방법에 대한 예시이다.
[도43]의 터미널은 앱 아이콘(20)의 우측에 미확인 아이콘 뱃지(21)과 지정 아이콘 뱃지(23)를 상하로 표시하고, 각 뱃지(21)(23)로 사용자에게 다양한 정보를 상이한 구성 또는 방법으로 전달할 수 있다. 일예로 터미널은 미확인 아이콘 뱃지(21)로 사용자에게 [1] 사용자의 업무와 관련된 사건이 총 23건 발생하였음을 알리거나, [2] 사용자가 미리 지정한 종류의 사건이 총 23건 발생하였음을 알리거나, 또는 [3] 사용자가 속한 그룹과 관련된 사건이 23건 발생하였음을 알릴 수도 있다.
또한 터미널은 지정 아이콘 뱃지(23)를 이용하여 미확인 아이콘 뱃지(21)와는 상이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일예로 터미널은 지정 아이콘 뱃지(23)를 이용하여 [1] 23건의 사건 중 2건이 사용자의 업무와 직접적으로 관련 있는 사건임을 알리거나, [2] 23건의 사건 중 2건이 사용자에게 중요한 사건임을 알리거나, 또는 [3] 23건의 사건이 일어난 결과 사용자의 업무와 관련된 또는 사용자에게 중요한 사건이 2건 일어날 가능성이 높음을 알릴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지정 아이콘 뱃지(23)를 통하여 자신이 관심이 있거나 또는 자신의 업무와 관련된 사건의 수효 또는 내용에 대한 다양한 정보를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다. 또한 터미널은 앱 아이콘(20)을 표시할 때 상기 사건과 관련된 이미지를 표시할 수 있다. 일예로 [도43]의 경우, 터미널은 앱 아이콘 내부에 불을 표시함으로써 미확인 컨텐츠가 화재와 관련되었음을 시각적으로 표시할 수 있다.
[도44]의 터미널은 앱 아이콘 내부 또는 주위에 미확인 아이콘 뱃지는 표시하지 않은 채 다수의 지정 아이콘 뱃지만을 표시하는 구성 및 방법에 대한 예시이다. 이를 위하여 터미널은 상이한 모양이나 크기의 다수의 지정 아이콘 뱃지(23A)(23B)(23C)를 표시할 수 있다. 일예로 지정 아이콘 뱃지(23A)의 숫자는 이자율이 0.5% 인상되었음을 표시하고, 지정 아이콘 뱃지(23B)는 이자율 인상에 따라 채권 가격이 변하였거나 또는 곧 변화할 수 있음을 표시하며, 지정 아이콘 뱃지(23C)는 이자율 인상에 따른 주식 가격 변동 또는 예상되는 주식 가격 변동 등을 사용자에게 알릴 수도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지정 아이콘 뱃지의 크기, 숫자, 모양, 색, 위치 또는 배경으로 상기 사건의 수효 또는 내용 등을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다.
이 외에도 터미널은 지정 아이콘 뱃지의 크기, 모양, 위치, 색, 수효 등의 다양한 특성을 조작함으로써 다양한 사건에 대한 다양한 푸시 정보를 푸시 통지의 형태로 표시할 수 있다. 이러한 푸시 정보의 예로는 [1] 사용자가 미리 선정한 특정 사건에 대한 수효나 내용 등의 정보, [2] 상기 사건과 관련된 문자, 기호 또는 텍스트의 수효 또는 내용 등의 정보, [3] 특정 사건과 관련된 이미지 파일 또는 음성 파일의 수효 또는 내용에 대한 정보, [4] 특정 사건의 발생 위치 또는 발생 시간 등에 대한 정보, [5] 특정 사건을 야기할 수 있는 경제적 또는 정치적 사건과 관련된 문자, 기호 또는 텍스트 등의 수효 또는 내용 등의 정보, 또는 [6] 앞의 [5]의 정보와 관련된 이미지 파일이나 음성 파일 등의 수효, 사건 발생 위치, 또는 발생 시간 등과 관련된 정보 등이 있다.
또한 상기 특정 사건의 예로는 [1] 사용자의 안전, 건강 등과 관련된 사건, [2] 사용자의 주식, 증권 또는 부동산 투자 등과 관련된 경제적 사건, [3] 사용자의 업무와 관련된 사건, 또는 [4] 사용자, 사용자의 가족 또는 사용자 친구와 관련된 사건 등이 있다. 특히 푸시 통지는 [1] 상기 정보 중 사용자가 아직 확인하지 못한 미확인 정보(또는 이와 관련된 컨텐츠)에만 국한되거나, 또는 [2] 특정 시간 이후 수신한 미확인 및 확인 정보(또는 이와 관련된 컨텐츠) 모두에 관한 것일 수 있다.
사건 공지 앱과 관련된 지정 컨텐츠는 다양한 주체가 생성할 수 있다. 일예로 특정 앱의 특정 그룹의 멤버가 특정 사건을 선택한 후, 상기 사건을 지정 컨텐츠로 지정하고 이를 사용자에게 발송할 수 있다. 또는 터미널은 다양한 미디어, 뉴스 제공자 또는 뉴스 웹사이트가 발송하는 컨텐츠를 수신하고, 이를 상기 정보 분석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분석한 후, 상기 컨텐츠가 사용자에게 중요한 경우 이를 지정 컨텐츠로 생성할 수 있다. 또는 터미널은 다양한 미디어, 뉴스 제공자, 뉴스 웹사이트 등에 접속한 후, 상기 정보 분석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중요한 컨텐츠를 검색하고, 이를 지정 컨텐츠로 생성할 수 있다.
상술과 같이 미확인 컨텐츠에 포함된 컨텐츠를 지정 컨텐츠 또는 비지정 컨텐츠로 구별하는 작업은 상대적이다. 따라서 터미널이 다양한 정보 분석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사전적으로 지정 컨텐츠를 선택할 때, 터미널은 상기 구별에 대한 다양한 기준을 확립할 수 있으며, 이러한 기준의 예로는 [1] 사용자의 직업, [2] 사용자의 선호도, [3] 특정 사건과 관련된 사용자의 과거 내력, [4] 사용자와 관련된 컨텐츠 또는 지정 컨텐츠, 또는 [5] 터미널 세팅 등이 있다. 사전적으로 지정 컨텐츠를 생성한 터미널은 다양한 시각적 신호, 청각적 신호 또는 촉각적 신호를 생성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상기 지정 컨텐츠의 지정 여부를 확인하도록 요청할 수 있다. 본 문단의 다양한 구성은 하술의 본 아홉 번째 예시적 측면의 상이한 실시예는 물론 상이한 예시적 측면의 상이한 실시예 또는 상세예에도 적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아홉 번째 예시적 측면의 네 번째 실시예는 상기 다양한 지정 신호, 지정 컨텐츠 및 지정 아이콘 뱃지를 얼람(alarm) 앱에 적용하기 위한 구성 또는 방법에 대한 것이다. 터미널은 지정 아이콘 뱃지의 크기, 모양, 위치, 색, 수효 등의 다양한 특성을 조작하여 다양한 얼람에 대한 다양한 푸시 정보를 푸시 통지의 형태로 표시할 수 있다. 이러한 푸시 정보의 예로는 [1] 사용자가 설정한 얼람의 수효, [2] 임박한 얼람의 수효, 약속 시간이나 장소, 또는 참석자, [3] 참석하지 못한 얼람의 수효, 약속 시간, 장소, 또는 [4] 사용자에게 지정된 업무가 포함된 얼람의 수효, 약속 시간, 장소, 또는 참석자 등과 관련된 정보 등이 있다. 특히 사용자 또는 터미널은 푸시 통지를 [1] 상기 정보 중 수신자가 확인하지 못한 미확인 정보(또는 이와 관련된 컨텐츠)에만 국한시키거나, 또는 [2] 특정 시간 이후 수신한 모든 미확인 및 확인 정보(또는 이와 관련된 컨텐츠)를 포함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아홉 번째 예시적 측면의 다섯 번째 실시예는 상술의 다양한 지정 신호, 지정 컨텐츠 및 지정 아이콘 뱃지를 상술의 다양한 전자 기기나 전기 기기(이후 "기기"로 통칭)에 대한 관리 앱에 적용하기 위한 구성과 방법에 대한 것이다. 단 상기 기기는 앞서 설명하였듯이 [1] 모바일폰, 스마트폰 등의 데이터 처리 터미널, [2] 모바일 패드, 웹패드, 휴대용 정보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유선 전화, 인터폰, 무전기, 유무선 데이터 처리 기기 또는 컴퓨터 등의 유무선 통신 기기, [3] 건물, 차량, 선박, 잠수함, 항공기, 헬리콥터, 로봇이나 드론 등의 기기의 다양한 유선 또는 무선 데이터 처리 유닛, [4] 상기 다양한 "기기"의 통신 유닛 또는 제어 유닛, [5] 사물인터넷 망의 다양한 제어 유닛 또는 데이터 처리 유닛, 또는 [6] 사물인터넷 망에 연결된 전자 기기 또는 전기 기기의 제어 유닛이나 데이터 처리 유닛 등이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자신의 터미널에 장착된 다양한 엡을 구동하며 상기 다양한 지정 신호, 지정 컨텐츠 또는 지정 아이콘 뱃지 등을 이용함으로써 본 문단의 [1] 내지 [6]에서 예시한 다양한 기기를 보다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터미널이 위 문단의 [3] 내지 [6]의 기기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된 경우, 사용자는 자신의 터미널을 조작함으로써 상기 기기를 유선이나 무선으로 조작할 수 있다. 또는 사용자는 위 문단의 [3] 내지 [6]의 기기에 자신의 터미널을 탈착이 가능하도록 연결하고 자신의 터미널을 조작함으로써 상기 기기를 조작할 수도 있다. 또는 사용자는 터미널을 이용하여 위 문단의 [3] 내지 [6]의 다양한 기기의 제어 유닛 또는 데이터 처리 유닛을 유선 또는 무선으로 조작함으로써, 상기 기기를 조작할 수 있다. 따라서 터미널, 상기 유닛 또는 상기 기기는 지정 신호, 지정 데이터 패킷 및 지정 아이콘 뱃지를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1] 상기 기기의 조작과 관련된 다양한 지정 컨텐츠를 발송하거나, 또는 [2] 상기 기기의 작동 상태에 대한 다양한 지정 컨텐츠를 발송할 수 있다.
또는 사용자는 위의 문장의 다양한 예를 반대의 방향으로 이용하여 상기 기기나 상기 유닛으로부터 지정 신호, 지정 데이터 패킷 또는 지정 아이콘 뱃지를 이용하여 다양한 지정 컨텐츠를 자신의 터미널로 수신할 수 있다. 그 후 터미널은 상기 기기가 발송한 지정 컨텐츠에 따라 특정 작업을 실행하거나, 또는 상기 지정 컨텐츠를 다른 멤버에게 발송할 수 있다.
단 상기 "건물"은 주거용 건물, 상용 건물, 스마트 건물, 스마트 공장 등을 포함한다. 상기 건물의 데이터 처리 유닛은 건물 전체 또는 일부(일예로 특정 공간, 방, 층, 출입구, 비상구, 계단 등)에 대한 출입구 개폐, 기타 문의 개폐, 상기 건물의 온도 또는 습도 조절 장치, 화제 경보 장치, 전력 공급 장치, 또는 냉온수 공급 장치 등에 대한 감시 또는 제어를 담당하는 유닛일 수 있다.
상기 "차량"은 유인 자동차와 무인 자동차를 포함하며, 상기 차량의 데이터 처리 유닛은 차량의 전체 또는 일부(일예로 차량 실내, 또는 차체)의 개폐, 엔진 또는 모터의 시동, 또는 자동차의 기타 유닛의 작동 상태 등에 대한 감시나 제어를 담당하는 유닛일 수 있다. 상기 차량은 동력원으로 가솔린, 디젤, 수소, 전기, 연료 전지, 태양열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하이브리드 차량도 상기 차량에 포함된다. 또한 상기 차량은 이륜, 삼륜, 사륜 또는 그 이상의 바퀴를 포함하거나, 또는 바퀴 없이 레일로 구동하는 무한궤도 차량일 수 있다.
또한 위 문단의 "로봇"은 산업용 로봇, 군사용 로봇 또는 개인용 로봇 등일 수 있다. 상기 로봇은 자체 이동 수단을 포함함으로써 이동이 가능하거나 또는 자체 이동 수간을 포함하지 않을 수도 있다. 상기 로봇은 "수동식 로봇"일 수 있으며, 상기 수동식 로봇은 사용자에 의하여 조작되며, 사용자 명령 없이는 작업을 실행하지 못하는 로봇을 지칭한다. 이와는 달리 상기 로봇은 능동식일 수 있으며, 상기 능동식 로봇은 사용자의 명령이 있건 없건 다양한 작업을 실시하고, 특정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는 상기 로봇은 그 중간형으로서, 어떤 작업은 사용자 명령 없이 실행할 수 있지만, 다른 작업은 사용자 명령이 있어야만 실행할 수 있다. 따라서 어떤 형태의 로봇이건, 사용자, 터미널 또는 로봇은 다양한 컨텐츠를 생성하거나, 상기 컨텐츠를 비지정 데이터 패킷 또는 지정 데이터 패킷의 형태로 서로에게 발송하거나, 또는 상기 지정 신호, 미확인 아이콘 뱃지나 지정 아이콘 뱃지 등을 활용할 수 있다.
또한 위 문단의 "드론"은 산업용 드론, 군사용 드론 또는 개인용 드론 등일 수 있다. 상기 드론은 프로펠러나 엔진 등의 자체 이동 수단을 포함함으로써 양력(lift-off force)을 발생하거나, 다양한 방향으로 이동하기 위한 동력을 발생한다. 드론은 "수동식 드론"일 수 있으며, 상기 수동식 드론은 사용자에 의하여 조작되며, 사용자 명령이 없으면 이동할 수 없는 드론을 지칭한다. 이와는 달리 상기 드론은 능동식일 수 있으며, 상기 능동식 드론은 사용자의 명령이 있건 없건 이동할 수 있고, 다양한 작업을 실시하며, 특정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는 상기 드론은 그 중간 형태로서, 어떤 경우에는 사용자 명령이 없어도 이동하거나 작업을 실행하지만, 다른 경우에는 사용자 명령이 있어야만 이동하거나 작업을 실행할 수 있다. 따라서 어떤 형태의 드론이건, 사용자, 터미널 또는 드론은 다양한 컨텐츠를 생성하거나, 상기 컨텐츠를 비지정 데이터 패킷 또는 지정 데이터 패킷의 형태로 서로에게 발송하거나, 또는 상기 지정 신호, 미확인 아이콘 뱃지나 지정 아이콘 뱃지 등을 활용할 수 있다.
[도45] 내지 [도52]는 다양한 지정 신호, 지정 컨텐츠 및 지정 아이콘 뱃지 등을 본 명세서의 아홉 번째 예시적 측면의 다섯 번째 실시예에서 정의한 다양한 터미널 또는 기기에 적용하는 다양한 구성 및 방법에 대한 예시이다.
본 명세서의 아홉 번째 예시적 측면의 다섯 번째 실시예의 첫 번째 상세예는 유인 자동차와 무인 자동차를 포함하는 상기 차량의 전체 또는 일부의 개폐, 시동, 작동 상태 또는 작동 등의 감시 또는 제어를 담당하는 데이터 처리 유닛에 상술의 지정 신호, 지정 컨텐츠 또는 지정 아이콘 뱃지를 적용하는 구성 또는 방법에 대한 예시이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하술의 상세예는 차량 전체의 작동에 대한 예시이다. [도45]와 [도46]은 지정 신호, 지정 컨텐츠 및 지정 아이콘 뱃지를 차량 관리 앱에 적용하는 구성과 방법에 대한 예시이다.
[도45]의 경우, 터미널은 유인 차량 또는 무인 차량의 관리나 조작을 위한 앱 아이콘(20) 주위에 미확인 아이콘 뱃지(21)와 지정 아이콘 뱃지(23)를 표시한다. 터미널은 미확인 아이콘 뱃지(21)를 이용하여 다양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일예로 터미널은 차량 전체에 대한 아이콘(20) 위에 다수의 세부 아이콘(20S)을 이용하여 우측 헤드라이트, 좌측 전륜 등을 점검하라는 컨텐츠를 표시할 수 있다. 터미널은 세부 아이콘(20S)을 U/I 형태로도 영상 유닛에 표시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사용자가 상기 세부 아이콘(20S)을 조작하면, 터미널은 상기 부위의 상태, 보수 유지 등에 대한 자세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이 외에도 터미널은 미확인 아이콘 뱃지(21) 또는 미확인 지정 아이콘 뱃지(23)를 이용하여 추가 정보를 표시할 수 있으며, 상기 정보의 예로는 [1] 사용자가 차량 조작을 마친 후 현재까지의 상기 차량의 각 부분의 상태에 대한 정보, [2] 사용자가 차량 조작을 다시 시작하기 전 확인해야 할 정보, [3] 사용자가 차량 조작을 다시 시작할 경우 사용자의 일정에 따라 차량을 목적지로 운행하는 데 필요한 정보, [4] 사용자가 차량 조작을 마친 후 차량을 주차한 장소에 대한 정보, [5] 일정 관리 앱과 연동하거나, 자체적으로 저장한 사용자의 당일 일정과 이에 따른 차량 주행 계획에 대한 정보, 또는 [6] 교통 위반 등으로 인하여 사용자가 수신한 교통 위반 티켓 등에 대한 정보 등이 있다.
특히 위 문단의 [1]의 예로는 잔여 연료량, 잔여 배터리 충전량, 상기 연료량이나 충전량에 근거한 운행 가능 거리, 타이어 상태, 기타 부위의 상태, 당일 주행 기록 등이 있다. 위 문단의 [2]의 예로는 상기 [1]의 예, 당일 일정, 주행 계획, 정비 또는 수리 등이 필요한 부위 등이 있다. 위 문단의 [3]의 예로는 목적지 관련 일정, 상기 일정과 관련된 안건이나 참가자, 목적지 주소, 목적지에 도착할 수 있는 다양한 경로 등이 있다.
미확인 지정 컨텐츠의 예로는 [1] 유인 또는 무인 차량이 생성하여 사용자에게 발송한 컨텐츠, [2] 사용자가 발송한 컨텐츠에 대한 회신으로서 상기 차량이 사용자에게 발송한 컨텐츠, [3] 상기 차량의 한 유닛이 동일한 차량의 다른 유닛에 발송하며 사용자에게도 발송한 컨텐츠, [4] 상기 차량이 사용자를 지정 수신자로 선택하며 발송하며, 상기 차량의 다른 유닛에도 발송한 컨텐츠, 또는 [5] 차량이 사용자를 지정 수신자로 선택하며 상기 차량의 다양한 유닛이 아니라 사용자에게만 발생한 컨텐츠 등이 있다.
상기 차량이 지정 신호를 생성하지 않은 경우, 미확인 지정 컨텐츠는 터미널이 상기 다양한 정보 분석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지정 요청 정보"를 추출한 또는 추출할 수 있는 컨텐츠일 수 있다. 또는 미확인 지정 컨텐츠는 상기 차량이 지정 신호를 생성하지 않은 경우, 터미널이 상기 정보 분석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 사용자가 확인해야 할 필요성(일예로 미확인 비지정 컨텐츠와 비교하였을 경우)이 상대적으로 높은 컨텐츠일 수 있다.
상술과 같이 터미널은 지정 아이콘 뱃지(23)를 이용하여 미확인 아이콘 뱃지(21)와 상이한 정보를 표시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하여 지정 아이콘 뱃지(23)의 크기, 숫자, 모양, 색, 위치, 배경 등을 미확인 아이콘 뱃지(21)와 상이한 크기, 숫자, 모양, 색, 위치, 배경 등으로 표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지정 아이콘 뱃지의 크기, 숫자, 모양, 색, 위치, 배경 등을 시각적으로 확인함으로써 상기 차량의 상태, 사용자가 확인해야 할 작업의 수효나 내용 등을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다.
[도45]의 앱 아이콘이 조작이 완료된 차량의 관리와 관련된 앱에 대한 아이콘이라면, [도46]의 앱 아이콘(20)은 현재 조작 도중인 차량의 관리와 관련된 앱에 대한 아이콘으로 간주할 수 있다. [도46]의 터미널은 앱 아이콘(20) 주위에 총 3개의 미확인 아이콘 뱃지(21)(21A)(21B)와 1개의 지정 아이콘 뱃지(23)를 함께 표시한다. 미확인 아이콘 뱃지(21)는 "2+1"을 표시한다. 상기 뱃지(21)는 다양한 정보를 표시할 수 있지만, 본 예시에서는 사용자가 아직 확인하지 않은 2개의 미확인 비지정 컨텐츠는 물론 1개의 미확인 지정 컨텐츠 등을 표시하는 것으로 한다.
특히 [도46]의 터미널은 미확인 아이콘 뱃지(21A)(21B)를 이용하여 표시하는 다양한 정보를 앱 아이콘(20)의 주변에서 시각적으로 표시할 수 있다. 일예로 미확인 비지정 아이콘 뱃지(21A)는 상기 장소가 사용자가 자주 이용하는 로펌임을 표시하는 반면, 미확인 비지정 아이콘 뱃지(21B)는 상기 장소에 주차할 공간이 있음을 나타낼 수 있다. 이에 반하여 미확인 지정 아이콘 뱃지(23)는 상기 비지정 아이콘 뱃지(21A)(21B)에 비하여 사용자가 확인 또는 결정해야 할 필요성이 높은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일예로 터미널은 지정 아이콘 뱃지(23)를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다가오는 교차로에서 직진을 할지 아니면 우회전을 할지에 대하여 문의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아홉 번째 예시적 측면의 다섯 번째 실시예의 두 번째 상세예는 상기 다양한 지정 신호, 다양한 지정 컨텐츠, 다양한 지정 아이콘 뱃지 등을 산업용, 군사용 또는 개인용 드론 및 상기 드론의 시동, 작동 상태, 작동 등에 대한 감시, 제어를 담당하는 데이터 처리 유닛에 적용한 예시이다.
단 상술의 차량 관리 또는 조작과 관련된 다양한 지정 컨텐츠, 지정 데이터 패킷, 지정 아이콘 뱃지 등의 구성이나 방법은 드론의 관리 또는 조작에도 동일 또는 유사하게 적용될 수 있다. 물론 상기 차량은 육상에서 이동하는 반면 드론은 상공에서 이동하지만, 드론 조작과 관련된 지정 컨텐츠, 지정 데이터 패킷 및 아이콘 뱃지는 차량 조작과 관련된 다양한 지정 컨텐츠, 지정 데이터 패킷 및 지정 아이콘 뱃지와 동일하거나 또는 유사하다. 따라서 드론의 관리 도는 조작에 대한 지정 컨텐츠, 지정 데이터 패킷 및 지정 아이콘 뱃지 등의 구성이나 방법 더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명세서의 아홉 번째 예시적 측면의 다섯 번째 실시예의 세 번째 상세예는 상기 다양한 지정 신호, 다양한 지정 컨텐츠, 다양한 지정 아이콘 뱃지 등을 다양한 제어 유닛, 데이터 처리 유닛 등을 포함하는 사물인터넷 망, 또는 사물인터넷 망에 연결되며, 제어 유닛, 데이터 처리 유닛 등을 포함하는 전자 기기 등에 적용한 예시이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본 명세서의 상기 지정 신호, 지정 컨텐츠 또는 지정 아이콘 뱃지를 이용하여 자신이 접근할 수 있고 또한 제어할 수 있는 사물인터넷 망 전체를 관리하거나, 또는 상기 사물인터넷 망에 유무선으로 연결된 다양한 전자 기기나 전기 기기를 관리, 조작 및 제어할 수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하술의 상세예는 개인용 로봇을 이용하여 사물인터넷 망에 연결된 다양한 기기를 관리하는 실시예이다. 즉 개인용 로봇을 사물인터넷 망의 제어 유닛 또는 데이터 처리 유닛으로 사용하되, 상기 다양한 지정 신호, 지정 컨텐츠 또는 지정 아이콘 뱃지 등을 이용하여 상기 제어 유닛 또는 데이터 처리 유닛의 제어 또는 데이터 처리의 효율을 제고할 수 있다. [도47]과 [도48]은 지정 신호, 지정 컨텐츠 및 지정 아이콘 뱃지를 사물인터넷 망 관리 앱에 적용하는 구성 및 방법에 대한 예시로서, 특히 상기 망은 물론 상기 망에 포함된 또는 상기 망에 의하여 연결된 다양한 전자 기기 또는 전기 기기를 로봇을 이용하여 관리하는 구성 및 방법의 예시이다.
[도47]의 터미널은 범용 사물인터넷 망에 대한 앱 아이콘(20)을 표시하고, 이와 함께 미확인 아이콘 뱃지(21), 지장 아이콘 뱃지 및 다수의 세부 앱 아이콘(20S)을 표시할 수 있다. 터미널은 사물인터넷 망을 나타내는 이미지로서 앱 아이콘(20)을 표시하거나, 또는 상기 망을 통하여 서로 연결된 다수의 전자 기기나 전기 기기로 앱 아이콘(20)을 표시할 수 있다. [도47]의 경우, 터미널은 미확인 아이콘 뱃지(21)와 미확인 지정 아이콘 뱃지(23)를 표시하며, 각각의 뱃지(21)(23)는 미확인 비지정 컨텐츠가 총 23개, 이 중 미확인 지정 컨텐츠는 2개임을 나타낸다.
또한 터미널은 상기 망에 포함된 기기에 해당하는 다수의 세부 아이콘(20S)을 포함하는 앱 아이콘(20)을 표시할 수 있다. 일예로 [도47]의 터미널은 사물인터넷 망에 연결된 다양한 기기를 관리하고 조작할 수 있는 개인용 로봇을 중앙의 검은 점으로 표시한다. 또한 [도47]의 터미널은 사용자에게 개인용 로봇과 관련된 미확인 지정 컨텐츠 1개와 좌상귀의 검은 점으로 표시한 전기 기기와 관련된 미확인 지정 컨텐츠 1개를 수신하였음을 표시한다. 또한 터미널은 앱 아이콘(20)에 표시한 각각의 기기에 해당하는 점을 U/I 형태의 세부 앱 아이콘(20S)으로 표시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세부 앱 아이콘(20S)을 클릭하는 경우, 터미널은 세부 앱 아이콘(20S)과 연동된 각각의 전자 기기 또는 전기 기기의 현재 상태, 문제점 또는 조작 등에 대한 옵션을 표시할 수 있다.
터미널은 다양한 사물인터넷 망에 대한 앱 아이콘, 세부 앱 아이콘을 표시할 수 있다. 일예로 사물인터넷 망은 [1] 스마트 시티, [2] 스마트 빌딩, [3] 스마트 공장, [4] 스마트 홈, [5] 스마트 오피스, [6] 스마트 팜(farm), [7] 스마트 시스템, 또는 [8] 스마트 그리드(grid) 등과 같이, 사물인터넷 망 자체가 다수의 전자 기기 또는 전기 기기를 포함하고 이들을 서로 직접적으로 또는 간접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특히 앞 문장의 스마트 시스템은 태양열 발전 또는 풍력 발전 시스템, 수처리 시스템, 교통 제어 시스템 등일 수 있다. 또는 상술의 사물인터넷 망은 다수의 전자 기기 또는 전기 기기 등을 포함하며 이들을 연결할 수 있다. 따라서 사물인터넷 망은 하나 이상의 스마트 기기를 포함하며, 상기 스마트 기기 또는 간단히 "기기"의 예로는 [1] 스마트 가전 기기, [2] 스마트 조명 기기, [3] 스마트 보안 기기, [4] 스마트 차량, [5] 스마트 항공기, [6] 스마트 로봇, [7] 스마트 드론, [8] 스마트 헬스 기기, [9] 진 스마트 단 기기, [10] 스마트 의료 기기, [11] 스마트 웨어러블 기기, [12] 스마트 TV, [13] 스마트 통신 기기, [14] 스마트 컴퓨터 네트워크(주변 기기 포함), 또는 [15] 스마트 (중앙 또는 위치) 인터넷 네트워크(서버 포함) 등이 있다.
터미널은 미확인 아이콘 뱃지(21)나 미확인 지정 아이콘 뱃지(23)를 이용하여 다양한 컨텐츠의 수효 또는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정보의 예로는 [1] 사물인터넷 망 또는 상기 망에 포함되거나 상기 망에 의하여 연결된 다양한 전자 기기 또는 전기 기기의 상태, 작동, 오작동, 수리 등과 관련된 정보, [2] 상기 망 또는 기기의 작동 상 세팅이나 상기 세팅의 변경과 관련된 정보, [3] 상기 망 또는 기기의 조작 상 세팅 또는 상기 세팅의 변경과 관련된 정보, [4] 상기 망에 하나 이상의 상기 기기를 추가하거나 추가를 위한 조작과 관련된 정보, [5] 상기 망으로부터 하나 이상의 상기 기기를 제거하거나 제거를 위한 조작과 관련된 정보, [6] 상기 망 전체(또는 일부) 의 유지, 보수, 조작, 수리 등과 관련된 정보, 또는 [7] 상기 망의 전체(또는 일부)를 조작할 수 있는 상기 로봇의 상태, 보수, 작동, 오작동 또는 조작과 관련된 정보 등이 있다.
특히 미확인 컨텐츠는 [1] 사물인터넷 망에 포함된 다양한 기기가 생성하여 사용자에게 발송한 컨텐츠, [2] 상기 기기가 사용자가 발송한 컨텐츠에 대한 회신으로서 사용자에게 발송한 컨텐츠, [3] 상기 망의 한 기기가 다른 기기에 발송하며 사용자에게도 발송한 컨텐츠, [4] 상기 망 또는 상기 로봇이 생성하여 사용자에게 발송한 컨텐츠, 또는 [5] 상기 망 또는 로봇이 생성하여 상기 기기에게 발송하며 사용자에게도 발송한 컨텐츠 등이 있다. 또한 미확인 지정 컨텐츠는 [1] 상기 기기, 로봇 또는 사물인터넷 망이 사용자를 지정 수신자로 선택하며 상기 망에 속한 전체 기기에게 발송한 컨텐츠, 또는 [2] 상기 기기, 로봇 또는 사물인터넷 망이 사용자를 지정 수신자로 선택하며 상기 망에 속한 전체 기기가 아니라 사용자에게만 발생한 컨텐츠 등이 있다.
지정 컨텐츠는 상기 기기, 로봇, 사물인터넷 망 등이 지정 신호를 생성하지 않아도 터미널이 상기 정보 분석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지정 요청 정보"를 추출할 수 있는 컨텐츠일 수 있다. 또는 지정 컨텐츠는 상기 기기, 로봇, 또는 사물인터넷 망이 지정 신호를 생성하지 않아도, 터미널이 상기 다양한 정보 분석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 사용자가 확인해야 할 필요성(미확인 비지정 컨텐츠와 비교하였을 때)이 상대적으로 높은 컨텐츠일 수 있다.
[도48]의 경우, 터미널은 사물인터넷 망이 설치된 상품 매장에서 구동 중인 로봇이 획득한 영상을 앱 아이콘(20)으로 표시할 수 있고, 이와 함께 다수의 미확인 아이콘 뱃지(21)(21A)(21B) 및 다수의 지정 아이콘 뱃지(23)(23A)(23B)를 영상 유닛에 표시할 수도 있다. 터미널은 사물인터넷 망, 로봇 또는 특정 앱을 이용하여, 매장을 방문 중인 고객이 발송하는 다양한 컨텐츠를 수신할 수도 있고, 상기 매장의 종업원, 상기 망, 상기 망에 속한 기기 또는 로봇이 발송하는 다양한 컨텐츠를 터미널로 수신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매장 안에서나 밖에서나 상품의 재고, 고객 상담, 판매, 결재 등을 직접 수행하고 관리하는 등 매장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이에 근거하여 터미널은 사용자가 상기 앱을 최종적으로 구동한 후 수신한 컨텐츠의 수효를 미확인 아이콘 뱃지(21)를 이용하여 표시할 수 있다. 또는 터미널은 상기 수효에 해당하는 기호를 미확인 아이콘 뱃지(21A)로 사용할 수 있다. 또는 터미널은 상기 영상에서 미확인 컨텐츠와 관련된 장소 또는 상품을 나타내는 미확인 아이콘 뱃지(21B)를 표시할 수도 있다.
또 터미널은 상기 사물인터넷 망, 로봇, 고객이나 종업원이 사용자를 지정하며 발송한 미확인 지정 컨텐츠의 수효를 미확인 지정 아이콘 뱃지(23)를 이용하여 표시할 수 있다. 또는 터미널은 상기 수효에 해당하는 기호를 영상에 표시하고 이를 지정 아이콘 뱃지(23A)로 사용할 수 있다. 또는 터미널은 상기 영상에 지정 컨텐츠와 관련된 장소나 상품을 나타내는 지정 아이콘 뱃지(23B)를 표시할 수도 있다.
일예로 [도48]의 터미널은 사용자가 상기 앱을 마지막으로 구동한 후 수신한 미확인 컨텐츠가 5개임을 미확인 아이콘 뱃지(21) 및 미확인 아이콘 뱃지(21A)로 각각 표시할 수 있다. 또한 터미널은 상기 미확인 컨텐츠에 포함된 미확인 지정 컨텐츠의 수효는 총 2개임을 미확인 지정 아이콘 뱃지(23) 또는 추가 지정 아이콘 뱃지(23A)로 표시할 수 있다. 또한 터미널은 상기 영상에 직접 2개의 미확인 지정 아이콘 뱃지(23B)와 3개의 미확인 비지정 아이콘 뱃지(21B)로 표시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다양한 아이콘 뱃지들을 통하여 미확인 비지정 컨텐츠 및 미확인 지정 컨텐츠와 관련된 물품 또는 장소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터미널은 미확인 아이콘 뱃지(21)나 미확인 지정 아이콘 뱃지(23)를 이용하여 다양한 컨텐츠의 수효 또는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정보의 예로는 [1] 사물인터넷 망 또는 상기 망에 포함되거나 상기 망에 의하여 연결된 다양한 전자 기기 또는 전기 기기의 상태, 작동, 오작동, 수리 등과 관련된 정보, [2] 상기 망 또는 로봇이 확인한 매장 관련 정보, [3] 상기 망이나 로봇이 확인한 팔린 물품에 대한 정보, [4] 정리가 필요한 물품 또는 매장의 특정 부위, [5] 물품의 판매 또는 신규 물품 반입 등에 따른 재고 변동과 관련된 정보, [6] 고객이 요청한 정보, 또는 [7] 종업원이 요청한 정보 등이 있다.
미확인 컨텐츠는 [1] 사물인터넷 망, 상기 망에 속한 상기 기기, 로봇, 고객 또는 종업원이 생성하여 사용자에게 발송한 컨텐츠, [2] 상기 망, 상기 기기, 로봇, 고객, 또는 종업원이 사용자가 발송하였던 컨텐츠에 대한 회신으로 사용자에게 발송한 컨텐츠, 또는 [3] 상기 망, 상기 기기, 로봇, 고객, 또는 종업원 중 하나가 다른 하나에게 발송하며 사용자에게도 발송한 컨텐츠 등이 있다. 미확인 지정 컨텐츠는 [1] 상기 망, 상기 기기, 로봇, 고객 또는 종업원이 사용자를 지정 수신자로 선택하며, 사용자는 물론 상기 망, 상기 기기, 로봇, 고객, 종업원에게도 발송한 컨텐츠, 또는 [2] 상기 망, 상기 기기, 로봇, 고객 또는 종업원이 사용자를 지정 수신자로 선택하며 상기 망에 속한 전체 기기가 아니라 사용자에게만 발생한 컨텐츠 등이 있다.
지정 컨텐츠는 상기 망, 기기, 로봇, 고객 또는 종업원이 지정 신호를 생성하지 않아도 [1] 터미널이 다양한 정보 분석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지정 요청 정보"를 추출할 수 있는 컨텐츠이거나, 또는 [2] 터미널이 상기 정보 분석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 사용자가 확인해야 할 필요성(미확인 비지정 컨텐츠와 비교하였을 때)이 상대적으로 높은 컨텐츠일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아홉 번째 예시적 측면의 다섯 번째 실시예의 네 번째 상세예는 상기 다양한 지정 신호, 다양한 지정 컨텐츠, 다양한 지정 아이콘 뱃지 등을 다양한 제어 유닛이나 데이터 처리 유닛을 포함하는 다양한 가정용, 산업용, 또는 군사용 로봇에 적용한 예시이다. 따라서 사용자는 본 명세서의 지정 신호, 지정 컨텐츠 또는 지정 아이콘 뱃지를 이용하여 로봇을 관리, 조작 및 제어할 수 있다.
특히 사용자는 상기 로봇을 사물인터넷 망의 제어 유닛 또는 데이터 처리 유닛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따라서 다양한 지정 신호, 지정 컨텐츠 또는 지정 아이콘 뱃지를 이용하여 상기 로봇의 제어 효율, 데이터 처리의 효율 등을 용이하게 제고할 수 있다. 단 로봇을 이용하여 사물인터넷 망 또는 상기 망에 연결된 다양한 기기를 조작, 제어하는 경우는 [도47]에서 이미 예시하였으므로, 하술에서는 사물인터넷 망이 설치되지 않은 주택을 로봇으로 관리하는 상세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49]와 [도50]은 지정 신호, 지정 컨텐츠 및 지정 아이콘 뱃지를 로봇 관리 앱에 적용하는 구성 및 방법에 대한 예시이다.
[도49]의 터미널은 로봇 제어 앱을 주택의 설계도에 해당하는 앱 아이콘(20)으로 표시하고, 이와 함께 미확인 아이콘 뱃지(21) 및 지정 아이콘 뱃지(23)를 영상 유닛에 표시할 수 있다. 로봇은 다양한 작업이 실행되는 위치 또는 작업의 상태 등에 대한 컨텐츠를 사용자에게 발송하고, 사용자 터미널은 수신한 상기 컨텐츠를 앱 아이콘(20) 내부에 표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로봇이 발송하는 다양한 컨텐츠를 미확인 아이콘 뱃지(21) 또는 지정 아이콘 뱃지(23)를 이용하여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터미널은 본 다섯 번째 실시예의 첫 번째 내지 세 번째 상세예에서 설명한 다양한 구성 또는 방법을 사용함으로써, 다양한 구성 및 방법으로 상기 아이콘 뱃지(21)(23)를 표시할 수도 있다. 따라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50]의 터미널은 구동 중인 로봇이 획득한 영상을 영상 유닛에 앱 아이콘(20)으로 표시하고, 이와 함께 미확인 아이콘 뱃지(21) 및 지정 아이콘 뱃지(23)를 영상 유닛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로봇은 다양한 작업이 실행되는 위치 또는 작업의 상태 등에 대한 컨텐츠를 사용자에게 발송할 수 있고, 이에 따라 터미널은 수신한 컨텐츠의 수효 또는 내용을 앱 아이콘(20) 내부에 표시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로봇이 발송하는 다양한 컨텐츠를 미확인 아이콘 뱃지(21), 지정 아이콘 뱃지(23) 등을 이용하여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터미널은 본 다섯 번째 실시예의 첫 번째 내지 세 번째 상세예에서 설명한 다양한 구성 및 방법과 유사한 구성 및 방법으로 상기 아이콘 뱃지(21)(23)를 표시할 수도 있다. 따라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명세서의 아홉 번째 예시적 측면의 다섯 번째 실시예의 다섯 번째 상세예는 상기 다양한 지정 신호, 지정 컨텐츠, 지정 아이콘 뱃지 등을 다양한 U-헬스케어 앱에 적용한 예시이다. 따라서 사용자는 본 명세서의 지정 신호, 지정 컨텐츠 또는 지정 아이콘 뱃지를 이용하여 자신의 건강을 관리하고, 응급 상황 발생에 효율적으로 대처할 수 있으며, 특정 그룹에 속한 멤버들의 건강을 관리하며, 다양한 예방적 조치를 취할 수 있다. [도51]과 [도52]는 지정 신호, 지정 컨텐츠 및 지정 아이콘 뱃지를 건강 관리 앱에 적용하는 구성 및 방법에 대한 예시이다.
[도51]의 터미널은 건강에 관련된 이미지를 앱 아이콘(20)을 영상 유닛에 표시하며, 이와 함께 미확인 아이콘 뱃지(21) 및 미확인 지정 아이콘 뱃지(23)를 표시한다. 상기 예의 터미널은 사용자가 상기 앱을 최종 구동하고 종료한 후, 사용자의 건강과 관련된 총 7개의 컨텐츠를 수신하였음을 미확인 아이콘 뱃지(21)로 알릴 수 있다. 또한 터미널은 상기 미확인 컨텐츠 중 총 2개의 컨텐츠가 상대적으로 중요한 컨텐츠임을 지정 아이콘 뱃지(23)로 알릴 수 있다.
다양한 주체가 사용자의 건강과 관련된 컨텐츠를 생성한 후, 이를 사용자에게 발송할 수 있다. 특히 이러한 다양한 주체의 예로는 [1] 사용자의 건강을 실시간, 특정 시간 또는 특정 상황마다 분석하는 의사나 의료 기관, [2] 상기 의료 기관과 연계되었거나 또는 연계되지 않은 U-헬스케어 네트워크의 의료 기기 또는 상기 네트워크에 속한 의료 기관이나 의료진, [3] 사용자가 착용할 수 있고 사용자로부터 하나 이상의 생체 정보를 확보 또는 분석할 수 있는 웨어러블 기기, [4] 사용자 터미널에 고정되거나 상기 터미널에 탈착식으로 장착될 수 있는 생체 정보 분석 기기, 또는 [5] 의료 보험 기관, 상기 보험에 연계된 의료 기관, 의사 또는 의료 기기 등이 있다.
상기 다양한 주체는 다양한 방법을 통하여 확보한 사용자의 건강 관련 컨텐츠를 분석함으로써, 사용자의 건강 상태를 확인하고, 이에 근거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이에 대한 대응을 취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다양한 주체는 사용자의 건강 상태에 따라 상술의 미지정 컨텐츠 또는 지정 컨텐츠를 사용자에게 발송할 수 있다.
일예로 사용자 터미널이 상기 다양한 주체로부터 비지정 컨텐츠를 수신하면, 터미널은 사용자의 건강 상태가 전반적으로 양호한 것으로 판단하고, 사용자에게는 상기 결과를 표시해주고, 필요한 경우 이에 대한 대응 조치를 알릴 수 있다. 하지만 응급 상황에 대한 컨텐츠 또는 병원에 가서 확인해야 할 상황에 대한 컨텐츠 등은 그렇지 않은 컨텐츠보다 사용자에게 더욱 중요할 수 있다. 따라서 이 경우 상기 다양한 주체는 중요 컨텐츠를 사용자에게 지정 컨텐츠로 발송할 수 있으며, 이를 수신한 사용자 터미널은 영상 유닛에 상기 컨텐츠를 지정 컨텐츠로 표시할 수 있다. 필요한 경우 터미널은 상기 다양한 시각적 신호, 청각적 또는 촉각적 신호를 발생함으로써, 사용자가 상기 지정 컨텐츠를 용이하게 확인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사용자는 터미널이 수신하는 컨텐츠의 수효 또는 내용에 따라 응급 의료진을 호출하거나, 즉시 병원에 가거나, 가능한 빠른 시간 이내에 병원에 가거나, 특별 검진을 받거나, 또는 정기 검진을 받을 수 있다.
[도52]는 응급 상황을 확인한 터미널이 사용자에게 긴급한 대응 조치를 취하도록 영상 유닛에 표시하는 아이콘 뱃지의 구성 또는 방법에 대한 예시로서, 상기 터미널은 앱 아이콘(20)과 미확인 아이콘 뱃지(21) 및 미확인 지정 아이콘 뱃지(23)를 표시한다. 특히 터미널은 앱 아이콘(20)의 배경으로 신체 그림을 표시하며, 지정 아이콘 뱃지(23)를 수효 "2"로 표시하는 대신, 2개의 미확인 지정 아이콘 뱃지(23)와 관련 있는 사용자 신체 부위를 표시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자신의 신체 부위 중 응급 진료 또는 치료를 받아야 하는 신체 부위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주체는 사용자의 건강과 관련된 컨텐츠를 비지정 컨텐츠로 사용자에게 발송하지만, 사용자 터미널은 다양한 정보 분석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비지정 컨텐츠의 텍스트, 이미지 또는 소리 등을 분석함으로써 지정 요청 신호를 확인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사용자 터미널은 상기 컨텐츠를 지정 컨텐츠로 간주하고, 이를 지정 컨텐츠로 영상 유닛에 표시할 수 있다. 이 경우에도 터미널은 상기 시각적 신호, 청각적 또는 촉각적 신호를 발생함으로써 사용자가 상기 지정 컨텐츠를 용이하게 확인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아홉 번째 예시적 측면의 다양한 터미널, 지정 컨텐츠, 지정 아이콘 뱃지는 다양한 구성 또는 방법으로 변형 또는 개량될 수 있다. 하술은 상기 변형 또는 개량에 대한 상세예들로서, 상기 변형이나 개량은 [1] 본 아홉 번째 예시적 측면의 상술의 실시예 또는 상세예의 변형 또는 개량에 적용되거나, 또는 [2] 본 명세서의 상술 또는 하술의 상이한 예시적 측면, 상이한 예시적 측면의 실시예나 상세예의 변형이나 개량에도 적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아홉 번째 예시적 측면의 변형 또는 개량의 첫 번째 상세예의 경우, 상기 다양한 전자 또는 전기 기기에 대한 "관리 앱"의 경우, 터미널은 다양한 형태의 "푸시 통지"를 사용하며 다양한 아이콘 뱃지를 표시할 수 있다. 상기 푸시 통지의 예로는 [1] 상기 기기가 사용자에게 요청하는 제어 작업의 수효나 종류의 정보, [2] 상기 기기에 대한 사용자의 지시의 수효 또는 종류에 대한 정보, [3] 사용자의 제어 또는 지시에 따라 상기 기기가 수행한 작업의 진행 정도를 나타내는 숫자나 기호 등의 정보, [4] 사용자의 제어를 필요로 하는 상기 기기의 부품이나 작업의 수효 또는 종류에 대한 정보, [5] 오작동하는 상기 기기의 부품이나 작업의 수효 또는 종류 등에 대한 정보, [6] 상기 기기의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숫자 또는 기호 등에 대한 정보, [7] 임박한 사용자의 제어 또는 지시의 수효나 종류의 정보, 또는 [8] 일정 기간 동안 또는 일정 시간 이후 실행한 작업의 수효 또는 내용 등과 관련된 정보 등이 있다. 이러한 푸시 통지는 [1] 다양한 컨텐츠 중 수신자가 아직 확인하지 못한 미확인 컨텐츠에만 국한되거나, 또는 [2] 특정 시간 이후 수신한 모든 미확인 및 확인 컨텐츠에 관한 것일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아홉 번째 예시적 측면의 변형 및 개량의 두 번째 상세예는 다양한 푸시 통지 방법을 통하여 사용자가 미확인 지정 컨텐츠에 즉시 대응하도록 하는 구성 또는 방법에 대한 것이다. 일예로 터미널은 미확인 지정 컨텐츠의 성격, 수효에 따라 상이한 푸시 통지 방법을 이용함으로써 이에 대한 사용자의 대응을 유도할 수 있다.
일예로 다양한 주체는 응급 상황에 대한 미확인 지정 컨텐츠를 생성하여 이를 사용자에게 발송하고, 사용자가 즉시 또는 가급적 빠른 시간 이내에 상기 상황에 대응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터미널은 시각적, 청각적 또는 촉각적 신호를 생성하고, 이를 사용자에게 푸시 통지로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상기 상황에 대하여 직접 대응하거나, 터미널을 이용하여 이에 대응하도록 할 수 있다. 특히 미확인 지정 컨텐츠를 사용자에게 발송하는 주체의 예로는 [1] 특정 앱의 특정 그룹에 속한 멤버(일예로 동료, 종업원 또는 고객), [2] 사용자의 터미널, [3] 발신자의 터미널, [4] 로봇, [5] 차량, [6] 드론, [7] 사물인터넷 망, 또는 [8] 상기 사물인터넷 망에 속하는 다양한 기기 등이 있다.
상기 상황의 에로는 [1] 일정 관리 앱의 경우에는 사용자가 반드시 참석해야 할 미팅 일정, [2] 광고 표시 앱의 경우에는 사용자의 선호도가 매우 높은 상품에 대한 중요한 할인 행사 개시 또는 할인율이 높은 행사의 마감, [3] 사건 공지 앱의 경우에는 사용자의 주요 업무와 관련된 사건의 발생, 사용자의 금융 상태와 관련된 사건의 발생, 또는 사용자의 건강에 치명적인 응급 상황 발생, [4] 알림 앱의 경우에는 비행기 탑승 등 연기가 어려운 일정의 또래 또는 사용자의 생체 신호에 근거한 응급 상황 발생, [5] 차량 조작 앱의 경우에는 방향 변경 또는 사고 방지 등을 위하여 긴급히 조치를 취해야할 상황의 발생, [6] 드론 관리 앱의 경우에는 드론의 추락 등을 방지할 수 있는 조작이 필요한 상황 발생, [7] 사물인터넷 망 조작 앱의 경우에는 상기 망에 속한 기기의 오작동의 발생 또는 상기 기기가 탐지한 화재 또는 도난 등의 응급 상황 발생, 또는 [8] 로봇 조작 앱의 경우에는 로봇이 탐지한 응급 상황 발생 또는 상기 응급 상황의 전조가 되는 사건의 발생, 로봇의 오작동의 발생 등이 있다.
상술의 다양한 주체는 상기 상황과 관련된 지정 컨텐츠를 사용자에게 발송하며 지정 신호를 함께 발생함으로써, 사용자 터미널은 상기 컨텐츠를 지정 컨텐츠로 표시할 수 있다. 이와는 달리 상기 다양한 주체는 상기 상황과 관련된 컨텐츠를 비지정 컨텐츠로 사용자에게 발송하지만, 사용자 터미널은 다양한 정보 분석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비지정 컨텐츠의 텍스트, 이미지 또는 소리 등을 분석함으로써 지정 요청 신호를 확인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컨텐츠를 지정 컨텐츠로 간주하고, 이에 따라 상기 컨텐츠를 영상 유닛에 표시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아홉 번째 예시적 측면의 변형 또는 개량의 세 번째 상세예는 다양한 아이콘 뱃지를 다양한 상태에서 구동하는 영상 유닛에 표시하는 구성 또는 방법에 대한 것이다. 따라서 터미널은 [1] 영상 유닛이 꺼진 오프 상태의 꺼진 화면에, [2] 영상 유닛이 켜졌지만 사용자 인증이 완료되지 않은 잠금 상태(lock state)의 잠금 화면에, 또는 [3] 영상 유닛이 켜지고 사용자 인증도 완료된 해제 상태(unlock state)에서 홈 화면 등에 다양한 아이콘 뱃지를 다양한 방법으로 표시할 수 있다. [도53]과 [도54]는 오프 상태와 잠금 상태에서 표시하는 다양한 아이콘 뱃지의 구성 및 방법에 대한 예시이다.
일예로 사용자가 특정 앱을 마지막으로 조작한 후 터미널이 수신한 컨텐츠가 사용자의 긴급한 확인 또는 사용자의 긴급한 대응을 필요로 하지 않을 때, 터미널은 영상 유닛이 꺼진 상태에서 다양한 아이콘 뱃지를 일상적 데이터(routine data) 형태로 영상 유닛에 표시할 수 있다. [도53]은 영상 유닛이 꺼진 상태(즉 오프 상태)에서 다양한 아이콘 뱃지를 영상 유닛에 표시하는 구성 및 방법에 대한 예시로서, 검은 색으로 표시한 영상 유닛(11)은 상기 유닛(11)이 꺼져 있는 상태를 나타낸다.
일예로 터미널(10)은 영상 유닛(11)이 꺼져 있는 상태에서도 시간 또는 날짜 등의 일상적 데이터(39)를 상기 유닛(11)에 표시할 수 있다. 이 때 터미널(11)은 다수의 앱 아이콘(20), 미확인 아이콘 뱃지(21), 지정 아이콘 뱃지(23) 등을 일상적 데이터(39)로 간주한 후, 이를 시간 또는 날짜 등과 함께 영상 유닛(11)에 표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영상 유닛(11)을 켜지 않은 채, 사용자 인증 작업을 실행하지 않은 채, 또는 특정 앱을 구동하지 않은 채, 미확인 아이콘 뱃지(21) 또는 지정 아이콘 뱃지(23)를 이용하여 미확인 컨텐츠 및 이의 일부인 미확인 지정 컨텐츠의 수효 또는 내용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오프 상태는 영상 유닛(11)이 꺼져 있는 상태이며, 따라서 터미널(10)의 다양한 하드웨어 요소 또는 소프트웨어 요소는 구동 준비가 되어 있지 않는 경우도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오프 상태의 영상 유닛(11)에 표시된 앱 아이콘(20)에 다양한 사용자 입력을 제공하더라도, 터미널(10)은 사용자가 상기 앱을 구동하지 못하도록 방지할 수 있다. 이와는 달리 오프 상태에서 사용자가 상기 앱 아이콘(20)을 조작하면, 터미널(10)은 사용자로 하여금 상기 앱을 구동하도록 할 수도 있다. 후자의 구성에서도, 터미널은 오프 상태에서는 [1] 사용자가 특정 앱만 구동하도록 허락하거나, 또는 [2] 상기 앱을 구동하려면 사용자가 인증 작업을 실행하도록 요청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서 사용자가 특정 앱을 마지막으로 조작한 후 터미널이 수신한 컨텐츠가 사용자의 긴급한 확인 또는 사용자의 긴급 대응을 필요로 하지 않을 때, 터미널은 잠금 상태의 잠금 화면에 다양한 아이콘 뱃지를 영상 유닛에 표시할 수 있다. 이와는 달리 사용자가 특정 앱을 마지막으로 조작한 후 터미널이 수신한 컨텐츠가 사용자의 긴급한 확인 또는 사용자의 긴급 대응을 필요로 할 때에도, 터미널은 오프 상태의 영상 유닛을 켜며 잠금 상태의 잠금 화면에 다양한 아이콘 뱃지를 영상 유닛에 표시할 수 있다. [도54]는 잠금 상태에서 영상 유닛이 표시하는 잠금 화면에 다양한 아이콘 뱃지를 표시하는 구성과 방법에 대한 예시이다. 특히 회색으로 표시한 영상 유닛(11)은, 상기 유닛(11)이 켜져 있지만, 사용자 인증이 완료되지 않았으므로 사용자에게 제한적인 접근만 허락하는 상태를 나타낸다.
일예로 터미널(10)은 잠금 상태에서 시간이나 날짜 등의 일상적 데이터(39)를 상기 유닛(11)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터미널(11)은 영상 유닛(11)의 특정 부분에 다수의 앱 아이콘(20), 미확인 아이콘 뱃지(21)와 지정 아이콘 뱃지(23)를 표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사용자 인증 작업을 실행하지 않고도 특정 앱을 구동하지 않는 동안 수신한 미확인 컨텐츠 및 이의 일부인 미확인 지정 컨텐츠의 수효 또는 내용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잠금 상태는 영상 유닛(11)이 켜져 있는 상태이며, 따라서 터미널(10)의 다양한 하드웨어 요소 또는 소프트웨어 요소 중 최소 일부 요소는 구동 준비가 되어 있거나, 또는 이미 구동 중일 수 있다. 하지만 상기 잠금 상태는 사용자가 아직 인증 작업에 성공하지 못한 상태를 지칭한다. 따라서 사용자가 앱 아이콘(20)에 다양한 사용자입력을 제공해도, 터미널(10)은 사용자가 상기 앱을 구동하지 못하도록 방지할 수 있다. 이와는 달리 잠금 상태에서 사용자가 상기 앱 아이콘(20)을 조작하면, 터미널(10)은 사용자가 상기 앱을 구동하도록 허락할 수도 있다. 이러한 구성의 경우, 터미널은 잠금 상태에서 [1] 특정 앱에 한하여 사용자의 구동을 허락하거나, 또는 [2] 상기 앱을 구동하려면 사용자에게 인증 작업을 실행하고 이에 성공하도록 요청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서 사용자가 특정 앱을 마지막으로 조작한 후 터미널이 수신한 컨텐츠가 사용자의 긴급한 확인 또는 사용자의 긴급 대응을 필요로 하지 않은 경우, 터미널은 해제 상태의 홈 화면에서 다양한 아이콘 뱃지를 표시할 수 있다. 또는 사용자가 인증을 마친 후, 특정 앱을 구동하고 있을 때 터미널이 수신한 컨텐츠가 사용자의 긴급한 확인 또는 사용자의 긴급 대응을 필요로 하는 경우, 터미널은 해제 상태의 홈 화면에 다양한 아이콘 뱃지를 영상 유닛에 표시할 수 있다. 단 상기 경우는 상술의 잠금 화면의 경우와 동일 또는 유사하므로 더 이상의 설명은 생략한다.
참고로 오프 상태에 있는 [도53]의 터미널은 3개의 앱 아이콘을 표시하는 반면, 잠금 상태에 있는 [도54]의 터미널(10)이 9개의 앱 아이콘을 표시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예시의 터미널은 오프 상태보다 잠금 상태에서 사용자에게 더 많은 수효의 앱 아이콘을 표시함은 물론 더 많은 접근 권한 또는 더 많은 옵션을 부여한다고도 간주할 수 있다. 이는 일반적인 경우로서, 오프 상태는 사용자가 현재 터미널을 구동할 의사가 적은 상태이지만, 잠금 상태는 사용자가 터미널을 구동하는 해제 상태로 이동하기 위하여 경유하는 상태이기 때문이다.
물론 터미널은 오프 상태에서는 영상 유닛에 어떤 일상적 데이터도 표시하지 않을 수 있으며, 날짜와 시간 등의 일상적 데이터만 표시할 수도 있으며, 또는 특정 미확인 아이콘 뱃지도 함께 표시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터미널은 잠금 상태에서는 앱 아이콘은 표시하지만 상기 앱에 대한 아이콘 뱃지는 표시하지 않을 수 있다. 터미널은 잠금 상태에서 표시하는 잠금 화면에 지정 아이콘 뱃지를 표시하기는 하지만, 사용자가 사용자 인증을 마치기 전에는 상기 아이콘 뱃지가 나타내는 지정 컨텐츠를 볼 수 없도록 할 수 있거나, 또는 사용자 인증을 마치지 않은 상태에서도 지정 컨텐츠를 볼 수 있거나, 또는 지정 컨텐츠의 일부(일예로 첫 줄)만 볼 수 있도록 허용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의 아홉 번째 예시적 측면의 변형 또는 개량의 네 번째 상세예는 지정 아이콘 뱃지 및 미확인 아이콘 뱃지를 표시하는 대신 지정 아이콘 뱃지와 비지정 아이콘 뱃지만을 표시하는 구성 및 방법에 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미확인 컨텐츠는 미확인 비지정 컨텐츠와 미확인 지정 컨텐츠를 포함하는 것이 원칙이다. 따라서 미확인 아이콘 뱃지가 나타내는 미확인 컨텐츠의 수효는 미확인 비지정 컨텐츠의 수효와 미확인 지정 컨텐츠의 수효의 합이다.
하지만 사용자가 미확인 컨텐츠의 총 수효와 미확인 컨텐츠 중 포함된 지정 컨텐츠의 수효로부터 미확인 비지정 컨텐츠의 수효를 계산하려면 뺄셈을 해야 한다. 이와 같은 사용자의 수고를 덜기 위하여 터미널은 미확인 아이콘 뱃지 대신 미확인 비지정 아이콘 뱃지를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뺄셈 없이 직접 시각적으로 비지정 컨텐츠와 지정 컨텐츠의 수효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도55]와 [도56]은 미확인 아이콘 뱃지 대신 미확인 비지정 아이콘 뱃지를 표시하여 비지정 컨텐츠의 수효와 지정 컨텐츠의 수효를 표시하는 다양한 구성 및 방법에 대한 예시이다.
[도55]의 터미널은 특정 앱에 대한 앱 아이콘(20) 주위 또는 내부에 비지정 아이콘 뱃지(22)와 지정 아이콘 뱃지(23)를 표시한다. 특히 비지정 아이콘 뱃지(22)는 "223"을, 지정 아이콘 뱃지(23)는 "7"을 표시한다. 이로부터 사용자는 자신이 상기 앱을 구동한 후 지정 컨텐츠 7개 및 비지정 컨텐츠는 223개를 수신하였음을 용이하게,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도56]에서와 같이 터미널은 특정 앱에 대한 앱 아이콘(20) 주위나 내부에 비지정 아이콘 뱃지(22), 지정 아이콘 뱃지(23)는 물론 이들의 합인 미확인 아이콘 뱃지(21)를 표시한다. 이 때 비지정 아이콘 뱃지(22)는 "223"을, 지정 아이콘 뱃지(23)는 "7"을, 그리고 미확인 아이콘 뱃지(21)는 "230"을 표시하고, 이에 따라 사용자는 시각적으로 미확인 컨텐츠는 총 230개이며, 그 중 지정 컨텐츠는 7개, 비지정 컨텐츠는 223개임을 용이하게 알 수 있다.
터미널은 [도5] 내지 [도15]에서 설명한 미확인 아이콘 뱃지와 지정 아이콘 뱃지의 배열 또는 구성과 동일한 배열로 지정 아이콘 뱃지(23)와 비지정 아이콘 뱃지(22)를 표시할 수 있다. 따라서 터미널은 한 뱃지를 다른 뱃지의 [1] 위쪽에 표시하거나, [2] 옆쪽에 표시하거나, [3] 내부에 표시하거나, [4] 서로 겹치도록 표시하거나, 또는 [5] 서로 겹치지는 않되 서로 접촉하도록 표시할 수 있다. 또한 터미널은 상기 뱃지를 다양한 크기, 모양, 색상, 지향(orientation), 배열 또는 위치에 표시함으로써, 사용자가 한 뱃지를 다른 뱃지와 용이하게 구별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터미널은 미확인 아이콘 뱃지와 지정 아이콘 뱃지를 표시하거나, 또는 비지정 아이콘 뱃지와 지정 아이콘 뱃지를 표시하는 대신, 미확인 아이콘 뱃지와 비지정 아이콘 뱃지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도5] 내지 [도15]와 달리 터미널은 [1] 미확인 아이콘 뱃지를 지정 아이콘 뱃지 위에 표시하거나, [2] 비지정 아이콘 뱃지를 지정 아이콘 뱃지 위에 표시하거나, 또는 [3] 미확인 아이콘 뱃지를 비지정 아이콘 뱃지 위에 표시할 수 있다.
상술과 같이 미확인 컨텐츠는 항상 미확인 비지정 컨텐츠와 미확인 지정 컨텐츠를 모두 포함한다. 따라서 미확인 컨텐츠는 항상 지정 컨텐츠보다 많거나 또는 같다. 이와는 달리 비지정 컨텐츠는 지정 컨텐츠보다 많을 수도 있고, 적을 수도 있고, 동일할 수도 있다. 또한 모든 미확인 컨텐츠는 지정 컨텐츠이며, 어떤 비지정 컨텐츠도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특히 미확인 컨텐츠에 포함된 비지정 컨텐츠가 없을 경우, 즉 비지정 아이콘 뱃지에 부착할 숫자가 "0"일 경우, 터미널은 상기 [도12] 내지 [도23]에서 설명한 다양한 구성 또는 방법에 따라 이를 표시할 수 있다.
상술과 같이 본 명세서의 다양한 터미널은 다양한 아이콘 뱃지를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특정 앱이 수신한 미확인 컨텐츠에 포함된 지정 컨텐츠, 즉 다른 컨텐츠에 비하여 사용자가 확인해야 할 필요성이 상대적으로 높은 컨텐츠를 표시할 수 있으며, 특히 이러한 지정 컨텐츠의 수효나 내용을 표시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목적을 용이하게 달성될 수 있는 한, 본 명세서의 터미널은 상술의 다양한 뱃지를 상이한 구체적 구성이나 방법으로 표시할 수 있으며, 또한 필요한 경우 터미널은 다수의 상이한 지정 아이콘 뱃지 또는 이들의 다수의 특성을 혼합하여 새로운 지정 아이콘 뱃지를 만들고, 이를 영상 유닛에 표시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아홉 번째 예시적 측면의 변형 또는 개량의 다섯 번째 상세예는 앱 아이콘 내부 또는 주변에 숫자를 표시하지 않은 채, 상기 아이콘 뱃지가 나타내는 앱에 수신된 미확인 컨텐츠의 수효, 상기 미확인 컨텐츠에 포함된 지정 컨텐츠의 수효나 비지정 컨텐츠의 수효를 표시할 수 있는 구성 또는 방법에 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터미널은 아이콘 뱃지의 하나 이상의 부위의 크기, 모양, 색상, 투명도, 지향, 배열 또는 위치를 조작할 수 있다.
일예로 터미널은 [도5] 내지 [도15]에서 설명한 다양한 미확인 아이콘 뱃지와 지정 아이콘 뱃지를 표시하되, 상기 뱃지와 관련된 숫자를 표시하지 않을 수 있다. 대신 터미널은 상기 뱃지의 크기, 모양, 색상, 투명도, 지향, 배열 또는 위치를 조작함으로써, 상기 뱃지와 관련된 앱이 수신한 미확인 컨텐츠의 수효나 미확인 지정 컨텐츠의 수효를 상대적으로, 시각적으로 표시할 수 있다.
다른 예로 터미널은 숫자를 사용하는 대신 텍스트 또는 기호를 이용하여 미확인 컨텐츠의 수효나 미확인 지정 컨텐츠의 수효를 시각적으로 표시할 수 있다. 즉 터미널은 앱 아이콘에 텍스트 또는 기호를 표시함으로써 또는 미확인 아이콘 뱃지나 지정 아이콘 뱃지에 특정 텍스트나 기호를 표시함으로써, 미확인 컨텐츠의 수효 또는 지정 컨텐츠의 수효를 표시할 수 있다. 일예로 터미널은 [도23]의 예시와 유사하되, 숫자는 사용하지 않은 채, 특정 텍스트나 기호를 이용하여 상기 수효의 절대적 값, 또는 상대적 값을 표시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터미널은 숫자를 사용하지 않은 채 미확인 컨텐츠의 수효나 미확인 지정 컨텐츠의 수효를 표시할 수 있는 한, 상술의 텍스트 또는 기호를 이용하는 방법으로 상술의 다양한 지정 아이콘 뱃지 또는 미확인 아이콘 뱃지를 변형하거나 개량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터미널은 숫자를 사용하는 대신 도형 또는 이미지를 이용하여 미확인 컨텐츠의 수효나 미확인 지정 컨텐츠의 수효 등을 시각적으로 표시할 수 있다. 즉 터미널은 앱 아이콘에 도형 또는 이미지를 표시함으로써 또는 미확인 아이콘 뱃지나 지정 아이콘 뱃지에 도형이나 이미지를 표시함으로써, 미확인 컨텐츠의 수효 또는 지정 컨텐츠의 수효를 표시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터미널은 숫자를 사용하지 않은 채 미확인 컨텐츠의 수효나 미확인 지정 컨텐츠의 수효를 표시할 수 있는 한, 상술의 도형 또는 이미지를 이용하는 방법으로 상술의 다양한 지정 아이콘 뱃지 또는 미확인 아이콘 뱃지를 변형하거나 개량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아홉 번째 예시적 측면의 변형 또는 개량의 여섯 번째 상세예는 특정 앱의 U/I에 해당하는 또는 상기 앱을 나타내는 앱 아이콘 자체로 아이콘 뱃지를 대체할 수 있는, 즉 앱 아이콘 자체를 다양한 아이콘 뱃지로 사용할 수 있는 구성 또는 방법에 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터미널은 별도의 미확인 아이콘 뱃지나 별도의 지정 아이콘 뱃지를 표시하지 않은 채, 앱 아이콘의 하나 이상의 부위의 크기, 모양, 색상, 투명도, 지향, 배열 또는 위치 등과 같은 특성을 조작함으로써, 앱 아이콘 또는 아이콘의 특정 부위로 아이콘 뱃지를 대체할 수 있다.
일예로 터미널은 [도5] 내지 [도15]에서 설명한 다양한 미확인 아이콘 뱃지나 지정 아이콘 뱃지와 유사하게 앱 아이콘의 단일의 또는 다수의 부위의 모양을 조작할 수 있다. 일예로 상기 앱 아이콘의 우측 부분은 미확인 아이콘 뱃지를 대체하도록 하는 한편 좌측 부분은 지정 아이콘 뱃지를 대체하도록 할 수 있다. 또 터미널은 미확인 컨텐츠의 수효나 내용, 지정 컨텐츠의 수효나 내용 등에 따라 상기 앱 아이콘의 우측 부분 및 좌측 부분의 크기나 모양과 같은 상기 특성을 조작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앱 아이콘의 특정 부위의 크기, 모양 등의 특성을 시각적으로 확인함에 따라 미확인 컨텐츠 또는 지정 컨텐츠의 수효나 내용을 확인할 수 있다.
다른 예로 터미널은 앱 아이콘의 특정 부위에 텍스트, 기호 등을 표시함으로써 미확인 컨텐츠의 수효나 미확인 지정 컨텐츠의 수효를 시각적으로 표시할 수 있다. 즉 터미널은 앱 아이콘에 텍스트, 기호 등을 표시함으로써, 미확인 컨텐츠의 수효 또는 지정 컨텐츠의 수효를 표시할 수 있다. 이 외에도 사용자가 미확인 컨텐츠 또는 미확인 지정 컨텐츠의 수효나 내용을 인지할 수 있는 한, 앱 아이콘의 상기 특성을 다양한 방법으로 조작하여 다양한 지정 아이콘 뱃지 또는 미확인 아이콘 뱃지로 사용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아홉 번째 예시적 측면의 변형 또는 개량의 일곱 번째 상세예는 다수의 앱 아이콘을 사용하며 다양한 아이콘 뱃지를 동시에 사용하는 구성이나 방법에 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터미널은 단일의 앱에 대하여 다수의 앱 아이콘을 사용할 수 있다.
일예로 터미널은 영상 유닛에 특정 앱에 대한 또는 상기 앱의 U/I에 해당하는 제1 앱 아이콘 및 제2 앱 아이콘을 함께 표시할 수 있다. 특히 터미널은 제1 앱 아이콘의 주변 또는 내부에 미확인 아이콘 뱃지를 표시하고, 제2 앱 아이콘 주변 또는 내부에 미확인 지정 아이콘 뱃지를 표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특정 앱에 대한 다수의 앱 아이콘에 각각의 아이콘 뱃지를 표시함으로써 사용자는 미확인 컨텐츠, 지정 컨텐츠 또는 비지정 컨텐츠의 수효나 내용을 보다 용이하게 개별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이의 첫 번째 예로서, 터미널은 영상 유닛에 특정 앱에 대한 제1 앱 아이콘 및 제2 앱 아이콘을 표시할 수 있다. 특히 터미널은 제1 앱 아이콘의 크기, 모양, 색상, 투명도, 지향, 배열 또는 위치 등의 특성을 조작함으로써, 제1 앱 아이콘을 미확인 아이콘 뱃지로 사용할 수 있다. 즉 상기 앱이 수신한 미확인 컨텐츠의 수효에 근거하여 터미널은 제1 앱 아이콘의 상기 특성을 상이하게 조작하여 영상 유닛에 표시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시각적으로 상기 앱이 수신한 미확인 컨텐츠의 수효 또는 내용을 정성적으로 인지할 수 있다. 마찬가지 방법으로 터미널은 제2 앱 아이콘의 상기 특성을 조작함으로써 제2 앱 아이콘을 지정 아이콘 뱃지로 활용할 수 있다.
이의 두 번째 예로서, 터미널에 다수의 앱이 장착되었고, 상기 앱이 각각 컨텐츠를 수신할 경우, 터미널은 각 앱에 대한 제1 앱 아이콘 및 제2 앱 아이콘을 표시하며, 제1 앱 아이콘의 내부 또는 주변에는 미확인 컨텐츠의 수효 또는 내용을 나타내는 미확인 아이콘 뱃지를 표시하고, 제2 앱 아이콘의 내부나 주변에는 지정 컨텐츠의 수효나 내용을 나타내는 지정 아이콘 뱃지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터미널은 영상 유닛의 제1 부위에 다수의 앱들의 제1 앱 아이콘과 미확인 아이콘 뱃지를 표시하고, 영상 유닛의 제2 부위에는 상기 앱들의 제2 앱 아이콘과 지정 아이콘 뱃지들을 표시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영상 유닛의 제2 부위에 함께 표시된 다수의 제2 앱 아이콘 및 이에 대한 다수의 지정 아이콘 뱃지를 이용하여 각각의 앱이 수신한 지정 컨텐츠의 수효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영상 유닛의 제1 부위에 함께 표시된 다수의 제1 앱 아이콘 및 이에 대한 다수의 미확인 아이콘 뱃지를 이용하여 각 앱이 수신한 미확인 컨텐츠의 수효 또는 내용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도57]은 다수의 앱에 대한 미확인 아이콘 뱃지 및 지정(또는 비지정) 아이콘 뱃지를 상기 뱃지의 종류에 따라 따로따로 표시하는 구성 또는 방법의 예시로서, 본 아홉 번째 예시적 측면의 변형 또는 개량의 일곱 번째 상세예의 두 번째 예에 해당한다. [도57]의 터미널(10)은 잠금 상태에 있으며, 영상 유닛(11)에 세 개의 앱에 대한 제1 앱 아이콘 세 개 및 제2 앱 아이콘 세 개, 총 6개의 앱 아이콘을 표시한다. 특히 터미널(10)은 영상 유닛(11) 하부에는 세 개의 앱에 대한 제1 아이콘 3개를 표시하고, 상기 앱들이 수신한 미확인 컨텐츠에 대한 미확인 아이콘 뱃지 3개를 각각의 제1 앱 아이콘의 우측 하부에 표시한다. 또한 터미널(10)은 영상 유닛(11)의 상부에 상기 세 개의 앱에 대한 제2 아이콘 3개를 표시하고, 상기 앱들이 수신한 (미확인) 지정 컨텐츠에 대한 지정 아이콘 뱃지 3개를 각 제2 앱 아이콘의 우측 상부에 표시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각 앱이 수신한 미확인 컨텐츠의 숫자를 확인할 때 영상 유닛(11)의 하부를 확인하면 되며, 각 앱이 수신한 지정 컨텐츠의 숫자를 확인하려면 영상 유닛(11)의 상부를 확인하면 된다.
이의 세 번째 예로서, 터미널에 다수의 앱이 장착되었고, 각 앱이 컨텐츠를 수신할 경우, 터미널은 지정 컨텐츠를 포함한 미확인 컨텐츠를 수신한 앱들에 대해서는 제1 앱 아이콘과 미확인 아이콘 뱃지를 표시하는 동시에 제2 앱 아이콘과 지정 아이콘 뱃지를 표시할 수 있다. 하지만 지정 컨텐츠를 포함하지 않는 미확인 컨텐츠를 수신한 앱의 경우, 터미널은 상기 앱에 대해서는 제1 앱 아이콘 및 미확인 아이콘 뱃지만 표시한다. 또한 터미널은 영상 유닛의 제1 부위에 다수의 앱들의 제1 앱 아이콘 및 상기 앱에 대한 미확인 아이콘 뱃지를 함께 표시하지만, 이와 상이한 영상 유닛의 제2 부위에는 상기 앱들의 제2 앱 아이콘 및 상기 앱에 대한 지정 아이콘 뱃지들을 표시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영상 유닛의 제2 부위에 모아서 표시된 다수의 제2 앱 아이콘 및 이에 대한 다수의 지정 아이콘 뱃지를 통하여 각각의 앱이 수신한 지정 컨텐츠의 수효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도58] 역시 다수의 앱에 대한 미확인 아이콘 뱃지, 지정(또는 비지정) 아이콘 뱃지 등을 뱃지의 종류에 따라 따로따로 표시하는 구성 및 방법의 예시로서, 본 아홉 번째 예시적 측면의 일곱 번째 상세예의 세 번째 예에 대한 예시이다. [도57]의 터미널(10)은 해제 상태에 있으며, 영상 유닛(11)에는 세 개의 앱에 대한 제1 앱 아이콘 3개 및 제2 앱 아이콘 2개, 총 5개의 앱 아이콘을 표시하는 동시에, 미확인 컨텐츠를 수신하지 않았거나 수신할 수 없는 세 개의 앱에 대한 앱 아이콘 3개를 표시한다.
특히 터미널(10)은 영상 유닛(11)의 우측에 세 개의 앱 각각에 대한 제1 앱 아이콘 3개를 표시하고, 상기 앱들이 수신한 미확인 컨텐츠에 대한 미확인 아이콘 뱃지 3개를 각 제1 앱 아이콘의 우측 하부에 표시한다. 또한 터미널(10)은 영상 유닛(11)의 좌측에 상기 세 개의 앱 중 두 개의 앱에 대한 제2 앱 아이콘 2개를 표시하고, 상기 앱들이 수신한 (미확인) 지정 컨텐츠에 대한 지정 아이콘 뱃지 2개를 각 제2 앱 아이콘의 좌측 상부에 표시한다.
이 경우, 터미널(10)은 영상 유닛(11)의 우측에 총 183개의 미확인 컨텐츠를 수신한 메신저 앱에 대한 제1 아이콘과, 183이라는 숫자가 부착된 미확인 아이콘 뱃지를 표시한다. 하지만 메신저 앱이 수신한183개의 미확인 컨텐츠에 지정 컨텐츠가 포함되지 않는 경우, 터미널(10)은 메신저 앱에 대한 제1 앱 아이콘은 영상 유닛(11) 우측에 표시하지만, 상기 앱에 대한 제2 앱 아이콘은 표시하지 않으며, 따라서 터미널(10)은 영상 유닛(11)의 좌측에 메신저 앱에 대한 제2 앱 아이콘은 표기하지 않는다. 즉 상기 두 번째 예의 경우와 같이 특정 앱이 수신한 미확인 컨텐츠에 지정 컨텐츠가 포함되는 경우, 터미널(10)은 상기 앱에 대한 제1 앱 아이콘과 제2 앱 아이콘을 동시에 표시하지만, 상기 세 번째 예의 경우와 같이 특정 앱이 수신한 미확인 컨텐츠에 지정 컨텐츠가 포함되지 않는 경우, 터미널(10)은 상기 앱에 대한 제1 앱 아이콘은 표시하지만, 제2 앱 아이콘은 표시하지 않는다.
따라서 상기 세 번째 예의 구성에 따른 터미널 또는 앱을 사용하는 사용자는 각 앱이 수신한 미확인 컨텐츠의 숫자를 확인하려면 영상 유닛의 우측을 확인하면 되지만, 각 앱이 수신한 지정 컨텐츠의 숫자를 확인하려면 영상 유닛의 좌측을 확인하면 된다. 특히 터미널은 지정 컨텐츠가 포함되지 않은 미확인 컨텐츠만 수신한 앱의 앱 아이콘 및 아이콘 뱃지는 영상 유닛의 좌측에 표시하지 않기 때문에, 사용자는 더욱 용이하게 지정 컨텐츠를 수신한 앱 및 상기 지정 컨텐츠의 수효 또는 내용을 확인할 수 있다.
상술의 다양한 예에서, 터미널은 다수의 앱 아이콘 각각이 동일한 또는 유사한 기능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즉 특정 앱이 제1 앱 아이콘 및 제2 앱 아이콘을 표시하지만, 사용자가 제1 및 제2 앱 아이콘에 동일한 사용자 입력을 제공하면, 각 앱 아이콘이 동일한 그룹 창 또는 컨텐츠 창을 영상 유닛(11)에 표시할 수 있다.
이와는 달리 상술의 다양한 예에서, 터미널은 다수의 앱 아이콘 각각이 상이한 기능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일예로 특정 앱이 제1 앱 아이콘 및 제2 앱 아이콘을 표시하지만, 사용자가 제1 및 제2 앱 아이콘에 동일한 사용자 입력을 제공하더라도, 각각의 앱 아이콘이 상이한 그룹 창 또는 컨텐츠 창을 영상 유닛(11)에 표시하는 경우이다. 일예로 사용자가 특정 앱의 제1 앱 아이콘에 사용자 입력을 가하는 경우, 상기 앱은 지정 컨텐츠와 비지정 컨텐츠 모두를 포함하는 그룹 창 또는 컨텐츠 창을 표시할 수 있다. 하지만 사용자가 상기 앱의 제2 앱 아이콘에 동일한 사용자 입력을 가할 경우에는, 상기 앱은 [1] 지정 컨텐츠를 수신한 그룹만 선택적으로 표시하는 그룹 창을 표시하거나, 또는 [2] 상기 그룹이 수신한 비지정 컨텐츠는 단순화 또는 생략하나, 지정 컨텐츠를 강조한 컨텐츠 창을 표시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아홉 번째 예시적 측면의 변형 또는 개량의 여덟 번째 상세예는 지정 컨텐츠와 지정 아이콘 뱃지에 대한 사용자의 대응 또는 터미널의 대응에 대한 구성 또는 방법에 대한 것이다. 터미널에 장착된 앱이 수신한 미확인 컨텐츠에 포함된 미확인 지정 컨텐츠를 확인한 사용자는 상기 컨텐츠에 대한 대응을 할 수 있다. 일예로 상기 앱이 일정 관리 앱인 경우, 사용자는 참가 통지, 불참 통지, 늦을 예정이라는 통지 또는 연기 요청 통지를 발송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앱이 광고 표시 앱인 경우, 사용자는 특정 상품에 대한 구입 통지, 예약 취소 통지 또는 배달 통지를 발송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앱이 사건 공지 앱인 경우, 사용자는 사안에 따라 경찰 등의 보안 기관에 대한 신고 통지, 도움 요청 통지, 의료 기관에 대한 통지, 투자 실행(주식, 채권 매수 또는 매입 등)에 대한 통지 등을 발송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앱이 상술의 다양한 전자 기기나 전기 기기의 관리 앱인 경우, 사용자는 다양한 기기의 조작에 대한 통지를 발송할 수 있다.
사용자는 터미널에게 위 문단의 다양한 통지에 대한 대응을 취하도록 명령할 수 있다. 일예로 사용자가 사건 공지 앱에서 수신한 컨텐츠로부터 화재를 인지한 경우, 사용자가 지정 컨텐츠를 확인한 후 소방서에 전화를 거는 대신, 사용자가 지정 컨텐츠를 읽은 후 특정 버튼 또는 기타 입력 유닛을 조작하면, 터미널이 소방서에 전화를 걸도록 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의 아홉 번째 예시적 측면의 변형 또는 개량의 아홉 번째 상세예는 본 명세서의 다양한 지정 컨텐츠, 지정 데이터 패킷 및 지정 아이콘 뱃지를 휴대용 터미널에 장착된 앱 이외에도, 데스크탑 컴퓨터, 사무실이나 작업장의 제어 패널의 프로그램 또는 앱 등에 적용하는 것이다. [도59]와 [도60]은 지정 신호, 지정 컨텐츠, 지정 데이터 패킷과 지정 아이콘 뱃지를 네트워크를 이용한 프로그램에 적용한 구성 또는 방법에 대한 예시이다.
[도59]는 데스크탑 컴퓨터의 스크린에 표시된 이메일 앱에 대한 앱 아이콘, 미확인 아이콘 뱃지 및 지정 아이콘 뱃지의 예시이다. 컴퓨터는 사용자가 상기 앱 구동을 마친 후 총 230개의 미확인 이메일을 수신하였음을 미확인 아이콘 뱃지(21) 및 숫자 "230"을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컴퓨터는 지정 아이콘 뱃지(23)를 이용하여 상기 미확인 이메일 중 총 23개의 메일이 지정 이메일임을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다.
[도60]은 사용자가 동일한 앱을 랩탑 컴퓨터에서 구동하였을 때, 영상 유닛에 표시되는 상이한 창이며, "Inbox"(21)," 즉 수신 창은 총 230개의 미확인 이메일을 수신하였음을 알리며, 그 아래에 표시된 "Labeled Box"(23)," 즉 지정 창은 미확인 이메일 230개 중 7개가 지정 이메일임을 표시한다. 즉 상기 수신 창은 미확인 아이콘 뱃지, 상기 지정 창은 지정 아이콘 뱃지에 해당하는 것으로 간주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하여 랩탑 컴퓨터는 상기 터미널에 대한 다양한 구성 및 방법을 이용하여 지정 신호를 생성하고, 이를 포함하는 지정 데이터 패킷을 생성하며, 이를 네트워크를 통하여 송수신할 수 있다.
상기 아홉 번째 예시적 측면의 각각의 실시예와 상세예는 상술과 하술의 상이한 측면의 실시예나 상세예와 서로 호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아홉 번째 측면의 다양한 실시예 및 상세예는 서로 상충되지 않는 한, [1] 동일한 측면의 상이한 실시예 또는 상세예, 상이한 측면의 상이한 실시예 또는 상이한 상세예 중 이에 상응하는 특성에 적용되거나, [2] 상기 상응하는 특성에 포함되거나, [3] 상기 상응하는 특성을 대체하거나, [4] 상기 상응하는 특성에 의해 대체되거나, 또는 [5] 상기 상응하는 특성과 혼합될 수 있다.
5. 시스템 관점에서의 지정 신호 및 지정 컨텐츠 생성
본 명세서의 열 번째 예시적 측면은 다양한 아이콘 뱃지 생성을 위한 소프트웨어 요소의 다양한 구성 및 작업 실행 방법에 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터미널 또는 앱은 다양한 방법으로 특정 앱에서 또는 상기 앱의 특정 그룹에서 사용자가 수신하였지만 아직 확인하지 못한 미확인 컨텐츠의 유무 또는 그 수효를 계산할 수 있다. 또한 터미널 또는 앱은 유사한 또는 상이한 방법으로 상기 미확인 컨텐츠에 포함된 지정(또는 비지정) 컨텐츠의 유무는 물론 그 수효를 계산할 수 있다.
위 문장의 계산은 터미널의 다양한 소프트웨어 요소, 터미널에 장착된 다양한 앱, 외부 서버의 프로그램, 외부 서버에 장착된 앱, 클라우드 저장소의 프로그램, 또는 클라우드 저장소에 장착된 앱 등이 실행할 수 있다. 하지만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상기 계산을 통칭하여 "터미널이 실행하는 계산" 또는 간단히 "계산"이라 지칭한다. 따라서 하술의 다양한 계산은 터미널 또는 터미널에 장착된 앱이 실행할 수 있지만, 외부 서버, 클라우드는 물론 상기 계산을 실행할 수 있는 앱이나 컴퓨터 프로그램이 저장되었거나 장착된 어떤 기기에 의해서도 실행 가능하다. 터미널은 다양한 방법으로 상기 계산의 일부 또는 전부를 실행할 수 있다.
일예로 터미널에 장착된 특정 앱이나 상기 앱의 특정 그룹에 사용자가 아직 확인하지 못한 미확인 컨텐츠가 수신되면, 터미널은 미확인 컨텐츠가 존재함을 표시하는 "미확인 아이콘 뱃지"를 표시한다. 또한 터미널이 미확인 컨텐츠를 추가적으로 수신할 때마다, 터미널은 미확인 컨텐츠의 (누적) 수효를 계산할 수 있으며, 필요한 경우 터미널은 미확인 아이콘 뱃지와 함께 상기 (누적) 수효를 나타내는 숫자를 함께 표시할 수 있다. 물론 터미널은 미확인 아이콘 뱃지나 상기 숫자를 임의로 영상 유닛에 표시할 수 있지만, 사용자의 편의를 위하여 상기 앱의 앱 아이콘 주변 또는 내부에 미확인 아이콘 뱃지나 상기 숫자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터미널은 [1] 다양한 지정 신호에 근거하여 미확인 컨텐츠에 포함된 지정 컨텐츠의 유무를 확인하고, 그 수효를 계산하거나, 또는 [2] 상술의 다양한 정보 분석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사전적으로 미확인 컨텐츠에 포함된 지정 컨텐츠를 확인하고, 그 수효를 계산할 수 있다. 터미널이 미확인 컨텐츠에 포함된 미확인 지정 컨텐츠를 확인하면, 터미널은 상기 미확인 지정 컨텐츠의 존재를 표시하는 "(미확인) 지정 아이콘 뱃지" 또는 "지정 아이콘 뱃지"를 표시할 수 있다. 터미널이 미확인 컨텐츠를 추가적으로 수신할 때마다, 터미널은 미확인 컨텐츠에 지정 컨텐츠가 포함되어 있는 지 확인할 수도 있다. 터미널이 (미확인) 지정 컨텐츠를 확인할 때마다 (누적) 수효를 계산할 수 있으며, 필요한 경우 터미널은 미확인 지정 아이콘 뱃지와 함께 상기 수효를 나타내는 숫자를 함께 표시할 수 있다.
터미널은 미확인 지정 아이콘 뱃지나 지정 컨텐츠의 수효를 나타내는 숫자를 영상 유닛의 임의의 위치에 표시할 수 있다. 하지만 사용자의 편의를 위하여 터미널은 [1] 오프 상태의 화면, 잠금 화면 또는 해제 화면에 표시된 특정 앱에 대한 앱 아이콘의 주변 또는 내부에, 또는 [2] 특정 앱의 그룹 창의 그룹 아이콘 주변 또는 내부에, 상기 미확인 지정 아이콘 뱃지 및 상기 숫자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터미널이 미확인 아이콘 뱃지와 지정 아이콘 뱃지는 물론 미확인 컨텐츠의 수효나 내용 또는 지정 컨텐츠의 수효 또는 내용을 나타내는 숫자를 모두 표시할 경우, 터미널은 본 명세서에서 설명한 다양한 구성 또는 배치에 따라 상기 뱃지들 및 상기 숫자들을 표시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열 번째 예시적 측면의 첫 번째 실시예는 터미널이나 특정 앱이 수신하는 미확인 컨텐츠의 유무 또는 수효를 계산할 수 있는 프로그램에 관한 것이며, 일예로 [도61]은 미확인 컨텐츠의 수효를 계산한 후 표시하는 프로그램의 예시이다. 프로그램은 위의 5줄에서 카메라, 앨범 등을 호출할 때와 같이 미확인 컨텐츠의 (누적) 수효를 나타내는 "badgeCount"에 상수인 인텐트 액션 값, "int"를 부여한다. 이 경우 "getPackageName()"은 현재 패키지명을 가져오는 함수이고, 클래스 이름은 특정 앱이 처음 실행되는 액티비티 클래스의 이름에 해당한다. 만약 "MainActivity.class"가 첫 액티비티 클래스이면, 그 이름을 사용할 수 있으며, int로 화면 정용 클래스를 따로 설정하고, 일정 시간이 지나면 "MainActivity"로 이동하기 때문에, 런처(처음 실행되는) 화면을 구하는 함수를 사용할 수 있다.
프로그램은 FCM 기준 두 개의 서비스를 상속받는 클래스 두 개를 생성할 수 있고, 그 중 "FirevaseMessagingService"를 상속받는 클래스의 "sendNotification 메소드" 또는 "onMessageReceived 메소드" 등을 구현할 수 있다. 프로그램이 미확인 컨텐츠 또는 이를 포함하는 비지정 데이터 패킷 등의 푸시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프로그램은 "BadgeCount 변수"(이후 "뱃지 카운트"로 약칭)를 1씩 증가시키되, 상기 뱃지 카운트는 푸시를 누르고 앱을 구동할 때 "0"으로 초기화되어 있어야 한다. 터미널이나 앱은 뱃지 카운트를 "SharedPreference" 또는 "SQLite" 등의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할 수 있다. 또한 터미널 또는 앱은 뱃지 카운트를 검사하는 함수를 호출하고, 해당 카운트 값이 "0"이 아닌 경우 "0"으로 초기화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앱을 구동하면 뱃지 카운트를 0으로 하고, 사용자가 앱의 구동을 완료한 후, 미확인 컨텐츠, 미확인 컨텐츠를 포함하는 비지정 데이터 패킷 등의 푸시 정보를 수신하게 되면 상기 뱃지 카운트를 증가시킬 수 있다.
따라서 터미널 또는 앱은 특정 앱 또는 상기 앱의 특정 그룹이 수신한 미확인 컨텐츠의 수효에 해당하는 뱃지 카운트를 "미확인 아이콘 뱃지"와 함께 표시할 수 있다. 일예로 터미널은 해당 앱의 앱 아이콘(또는 U/I)을 영상 유닛에 표시할 때, "미확인 아이콘 뱃지"와 "뱃지 카운트(즉 미확인 컨텐츠의 수효)"를 상기 앱 아이콘(또는 U/I)의 내부 또는 주변 등에 함께 표시할 수 있다. 터미널 또는 앱은 상기 프로그램을 푸시 정보의 수신, 즉 미확인 컨텐츠를 수신하는 시점에 실행할 수 있다.
터미널이 그룹 창에서 특정 앱이 설정한 다수의 그룹에 대한 다수의 그룹 아이콘을 표시할 때, 터미널은 각 그룹에 대한 "미확인 아이콘 뱃지"와 "뱃지 카운트(즉 미확인 컨텐츠의 수효)"를 각 그룹 아이콘(또는 U/I)의 내부나 주변에 함께 표시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도61]의 프로그램은 상기 앱이 정의한 각 그룹에 고유 연결 정보와 그룹 카운트를 할당하고, 미확인 컨텐츠, 이를 포함한 비지정 데이터 패킷 등의 푸시 정보를 수신할 때, 위 문단의 뱃지 카운트는 물론 본 문단의 그룹 카운트 역시 1씩 증가시킬 수 있도록 변형할 수 있다. 따라서 터미널 또는 앱은 특정 앱이 수신한 미확인 컨텐츠의 수효, 상기 앱이 설정한 다수의 그룹 각각이 수신한 미확인 컨텐츠의 수효 등을 계산하고 표시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열 번째 예시적 측면의 두 번째 실시예는 터미널 또는 특정 앱이 수신하는 미확인 컨텐츠에 포함된 지정 컨텐츠의 유무 또는 수효를 계산할 수 있는 프로그램에 관한 것이며, [도62]는 미확인 지정 컨텐츠의 수효를 계산하고 표시하는 프로그램의 예시이다. 프로그램은 위의 5줄에서 미확인 지정 컨텐츠의 (누적) 수효를 나타내는 "labelCount"에 상수인 인텐트 액션 값, "int"를 부여한다. 또한 "getPackageName()"은 현재 패키지명을 가져오는 함수인 반면, 클래스 이름은 특정 앱이 처음 실행되는 액티비티 클래스의 이름에 해당한다. 만약 "MainActivity.class"가 첫 액티비티 클래스인 경우, 그 이름을 사용할 수 있으며, int로 화면 정용 클래스를 따로 설정하고, 일정 시간이 지나면 "MainActivity"로 이동하기 때문에, 런처(처음 실행되는) 화면을 구하는 함수를 사용할 수 있다.
프로그램은 FCM 기준 두 개의 서비스를 상속받는 클래스 두 개를 생성할 수 있고, 그 중 "FirevaseMessagingService"를 상속받는 클래스의 "sendNotification 메소드" 또는 "onMessageReceived 메소드" 등을 구현할 수 있다. 상기 프로그램이 상술의 지정 신호, 지정 컨텐츠 또는 지정 데이터 패킷 등의 푸시 정보를 수신하면, 프로그램은 "labelCount 변수"(이후 "지정 카운트"로 약칭)를 1씩 증가시키되, 상기 지정 카운트는 푸시를 누르고 앱을 구동할 때 "0"으로 초기화되어 있어야 한다. 터미널이나 앱은 지정 카운트를 "SharedPreference" 또는 "SQLite" 등의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할 수도 있다. 또한 지정 카운트를 검사하는 함수를 호출하여 해당 카운트 값이 "0" 이상이면 "0"으로 초기화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앱을 구동할 때에는 지정 카운트를 0으로 하고, 사용자가 앱의 구동을 완료한 후 지정 컨텐츠 등과 같은 푸시 정보를 수신하게 되면 상기 지정 카운트를 증가시킬 수 있다.
따라서 터미널 또는 앱은 특정 앱 또는 상기 앱의 특정 그룹이 수신한 미확인 컨텐츠에 포함된 (미확인) 지정 컨텐츠의 수효에 해당하는 지정 카운트를 "(미확인) 지정 아이콘 뱃지"와 함께 표시할 수 있다. 일예로 터미널은 해당 앱의 앱 아이콘(또는 U/I)를 영상 유닛에 표시할 때, "지정 아이콘 뱃지"와 "지정 카운트(즉 미확인 지정 컨텐츠의 수효)"를 상기 앱 아이콘(또는 U/I)의 내부나 주변 등에 함께 표시할 수 있다. 또는 터미널은 그룹 창에서 상기 앱이 설정한 다수의 그룹에 대한 다수의 그룹 아이콘을 표시할 경우, 각 그룹에 대한 "(미확인) 지정 아이콘 뱃지" 및 "지정 카운트(즉 미확인 지정 컨텐츠의 수효)"를 각 그룹 아이콘(또는 U/I)의 내부 또는 주변 등에 함께 표시할 수 있다. 터미널 또는 앱은 상기 프로그램을 푸시 정보의 수신, 즉 미확인 컨텐츠를 수신하는 시점에 실행할 수 있다.
참고로 [도62]의 프로그램은 [도61]의 프로그램과 유사하다. 단 [도61]의 프로그램은 "뱃지 카운트"라는 변수를 이용하여 미확인 컨텐츠의 (누적) 수효를 계산하지만, [도62]의 프로그램은 "지정 카운트"라는 변수를 이용하여 미확인 지정 컨텐츠의 (누적) 수효를 계산한다. 따라서 터미널 또는 앱은 영상 유닛에 미확인 아이콘 뱃지 및 지정 아이콘 뱃지를 표시함과 함께, [도61] 및 [도62]에서 예시한 프로그램 또는 이와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미확인 컨텐츠의 수효, 지정 컨텐츠의 수효 등을 표시할 수 있다.
[도62]의 프로그램은 [도61]의 프로그램과 독립적으로 구성되어 있고, 따라서 터미널 또는 앱은 [도62]의 프로그램은 실행하지만, [도61]의 프로그램은 실행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터미널 또는 앱은 "지정 카운트"라는 변수를 이용하여 미확인 지정 컨텐츠의 (누적) 수효를 계산하고, 지정 아이콘 뱃지와 상기 수효를 숫자로 표시할 수 있지만, 미확인 아이콘 뱃지 및 미확인 컨텐츠의 수효 등은 표시하지 않을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열 번째 예시적 측면의 세 번째 실시예는 터미널 측면과 서버 측면에서 특정 앱이 수신하는 미확인 컨텐츠에 포함된 미확인 지정 컨텐츠의 수효를 계산하는 프로그램에 관한 것이다. 특히 [도63]은 미확인 지정 컨텐츠의 수효를 계산하고 표시할 수 있는 서버 측 프로그램 및 터미널측 프로그램의 예시로서, 위 부분은 서버 측에 장착할 프로그램, 아래 부분은 터미널에 장착되는 프로그램의 단순화된 예시이다.
일예로 상술의 첫 번째 또는 두 번째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서버는 특정 앱 또는 상기 앱이 확립한 특정 그룹이 수신한 미확인 컨텐츠의 수효를 계산하고, 상기 수효 및 이와 관련된 고유 연결 정보 등을 Badge_Count로 표시한다. 또한 서버는 상기 미확인 컨텐츠에 포함된 지정 컨텐츠의 수효를 계산하고, 상기 수효 및 이와 관련된 고유 연결 정보를 Badge_Prioirty_Count로 표시한다. 또한 서버는 상기 Badge_Count 및 Badge_Prioirty_Count 외에도 Device_ID(상기 "수효" 및 관련 정보를 수신할 수신자 터미널의 고유 정보 또는 수신자의 전화번호 등), APP_ID(상기 "수효" 및 관련 정보를 수신할 수신자 터미널에 장착된 앱의 고유 정보), Service_ID(상기 "수효" 및 정보를 수신할 수신자 터미널의 브로드캐스트 서비스와 관련된 정보), Mode(표시 방식, 아이콘 모양 등과 같이 표시 방식과 관련하여 설정된 정보), Code(수신자 터미널의 접근가능 정보(일예로 단말기 알림 영역, 아이콘, 알림 창, 잠금화면, 내용표시 등)을 수신자 터미널에 발송할 수 있다.
서버는 Update_Badge를 실행하여 Calculate_Badgecount를 통해 얻은 정보를 서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거나 관리할 수 있다. 이때 Setting Parameter는 전달 관련 설정 값으로 전달 주기, 전달 실패 시 재 전송 여부, 전달 후 알림 여부 등에 대한 세팅이다. 또한 서버는 사용자에게 전달할 알림 정보를 Badge_Info형태로 담아서 단말기로 전달할 수 있고, 이 때 Database{Badge_info}는 수신자에게 전달할 정보가 담겨있는 데이터 및 단말 고유 정보들, PARAMETER는 발송 시 호출 관련 설정 값. 사용자 알림 방식 등에 대한 정보이다. 또한 서버는 Management_Badge()를 실행하며 수신자 터미널로 발송 시 성공 여부 등을 확인하는 정보를 저장, 관리하며, 추가 재전송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수신자 터미널은 서버로부터 다양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으며, 또는 서버에게 다양한 정보를 발송하도록 요청할 수 있다. 일예로 터미널은 Broadcating_RequestBadge를 실행하며, 터미널의 운영체계가 제공하는 브로드캐스트 기능을 통하여 서버와 유무선으로 통신하며, 알림 표시 정보 등과 같이 위의 두 문단에서 설명한 다양한 정보를 요청할 수 있다. 특히 터미널은 Get_BadgeInfo()를 실행하여 알림 표시 정보를 수신하고, 알림 표시 정보를 수신하면, 이를 Display_Badgeinfo()에게 전달하여 앱 아이콘에 표시할 수 있으며, 특정 앱의 앱 아이콘(또는 특정 그룹의 그룹 아이콘)의 주위 또는 내부에 미확인 아이콘 뱃지, 지정 아이콘 뱃지, 미확인 컨텐츠의 수효를 나타내는 숫자, 미확인 지정 컨텐츠의 수효를 나타내는 숫자 등을 표시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열 번째 예시적 측면에서 터미널, 앱 또는 서버에 장착되고 상기 미확인 컨텐츠 및 미확인 지정 컨텐츠의 유무 또는 수효를 계산하는 다양한 프로그램은 다양한 순서 또는 방법으로 변형 또는 개량될 수 있다. 하술은 상기 변형 또는 개량에 대한 상세예들로서, 상기 변형이나 개량은 [1] 본 열 번째 예시적 측면의 상술의 실시예나 상세예의 변형 또는 개량에 적용되거나, 또는 [2] 본 명세서의 상술 또는 하술의 상이한 예시적 측면, 상이한 예시적 측면의 상이한 실시예나 상세예의 변형이나 개량에 적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열 번째 예시적 측면의 변형이나 개량의 첫 번째 상세예의 경우, 특정 앱에 대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는 상기 앱 전체가 수신한 또는 상기 앱이 확립한 다수의 그룹 중 특정 그룹이 수신한 미확인 컨텐츠 또는 (미확인) 지정 컨텐츠 등은 푸시 정보의 형태로, 상기 컨텐츠들의 수효는 푸시 통지의 형태로 터미널에 장착된 앱에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서버는 [도63]의 예시의 Calculate_Badgecount() 실행 후 Update_Badge()를 통하여 서버의 데이터 베이스를 주기적 또는 실시간으로 업데이트할 수 있다. 또한 서버는 이와 같이 업데이트된 내용을 Pushing_Badge()를 통해 단말기에 미확인 컨텐츠 또는 지정 컨텐츠로 구분하여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서버는 다양한 컨텐츠 또는 데이터 패킷 발송과 관련된 정보를 Management_Badge()로 관리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열 번째 예시적 측면의 변형이나 개량의 두 번째 상세예의 경우, 사용자 터미널에 장착되어 특정 서비스를 제공하는 특정 앱은 미확인 컨텐츠, 지정 컨텐츠는 물론 상기 컨텐츠들의 수효 등에 대한 정보를 서버에 요청할 수 있다. 일예로 터미널이 상기 정보를 요청하는 경우 또는 사용자가 상기 앱을 구동하는 경우, 터미널 또는 앱은 Broadcating_RequestBadge()를 이용하여 서버에 상기 정보를 요청할 수 있다. 서버가 상기 정보를 터미널에 발송하면, 터미널은 Get_BadgeInfo()로 상기 정보를 수신한 후 Display_Badgeinfo()를 통하여 영상 유닛에 표시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열 번째 예시적 측면의 변형 또는 개량의 세 번째 상세예의 경우, 다양한 주체가 터미널 또는 앱이 수신하는 데이터 패킷이 지정 신호를 포함하는지 또는 터미널이나 앱이 수신하는 컨텐츠가 지정 컨텐츠인지를 결정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프로그램을 변형할 수 있다. 일예로 발신자는 기계적 사용자 입력을 제공함으로써 또는 발신자의 터미널은 자신에게 저장된 또는 외부에 저장된 다양한 정보 분석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지정 신호나 지정 컨텐츠를 생성할 수 있다. 또는 서버는 발신자가 제공한 사용자 입력에 근거하여 지정 신호나 지정 컨텐츠를 생성하거나, 또는 서버는 자신에게 저장된 또는 외부에 저장된 다양한 정보 분석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지정 신호나 지정 컨텐츠를 생성할 수 있다. 이와는 달리 수신자의 터미널은 수신하는 데이터 패킷에 포함된 지정 신호를 추출하거나 또는 자신에게 저장되었거나 또는 외부에 저장된 정보 분석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지정 신호 또는 지정 컨텐츠를 생성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열 번째 측면에서 예시한 다양한 프로그램 역시 이에 때라 변형 또는 개량할 수 있다.
6. 변형 또는 개량
본 명세서의 상기 첫 번째 예시적 측면 내지 열 번째 예시적 측면의 다양한 터미널, 지정 데이터 패킷 또는 지정 아이콘 뱃지 등의 구성 또는 방법은 다양한 구성 또는 방법으로 변형 또는 개량될 수 있다. 특히 하술의 예시적 측면, 하술의 다양한 실시예 및 상세예는 상기 첫 번째 내지 열 번째 예시적 측면의 각각의 다양한 실시예 또는 상세예를 변형하거나 또는 개량하기 위하여 적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열한 번째 예시적 측면은 지정 신호 생성의 주체의 구성이나 방법에 대한 것으로서, 본 예시적 측면은 상기 첫 번째 내지 열 번째 예시적 측면의 각각에 적용될 수 있다. 상술과 같이, 본 명세서의 지정 신호는 다양한 주체가 생성할 수 있고, 상기 주체의 예로는 [1] 컨텐츠를 생성하는 사용자의 터미널, [2] 상기 컨텐츠를 수신하는 수신자(일예로 특정 앱의 특정 그룹의 멤버)의 터미널, 또는 [3] 발신자와 수신자 사이에서 상기 컨텐츠를 중개하는 서버(즉 중앙 서버 또는 지역 서버) 등이 있다. 상기 주체는 서로 연계하거나 또는 각각 개별적으로 지정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사용자의 터미널, 수신자의 터미널 또는 서버는 서로 연계하거나 또는 각각 개별적으로 특정 데이터 패킷에 지정 신호가 포함되었는지 확인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지정 신호의 생성 또는 확인은 터미널의 구조나 작업 실행 상의 특징, 특정 앱의 구조나 작업 실행 상의 특징, 서버의 구조나 작업 실행 상의 특징 등에 의하여 상이해질 수 있다. 따라서 지정 신호의 생성 및 확인은 터미널이나 서버, 또는 앱 등이 원활하게 구동할 수 있는 한, 터미널 제조사, 서버 운영자 또는 앱 개발자의 선택에 의하여 상이하게 설계될 수도 있다.
일반적으로 터미널은 지정 신호를 생성하는 작업을 실행한 후, 이를 데이터 패킷에 포함시킴으로써 지정 데이터 패킷을 생성하는 작업을 실행한다. 이 때 상기 작업을 실행하는 터미널의 하드웨어 요소는 CPU 유닛인 반면, 이를 실행하는 소프트웨어 요소는 운영체계, 앱 또는 상기 작업을 수행하도록 지정된 컴퓨터 프로그램 등이다. 단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본 명세서에서 상기 작업은 모두 터미널이 실행하는 것으로 통칭한다.
본 예시적 측면의 하술의 실시예는 상술의 다양한 주체가 지정 신호를 생성하고, 지정 데이터 패킷을 생성하는 다양한 구성 또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하술의 실시예는 본 명세서의 첫 번째 예시적 측면 내지 열 번째 예시적 측면에 적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열한 번째 예시적 측면의 첫 번째 실시예의 경우, 사용자 터미널(즉 상기 터미널이나 상기 터미널에 장착된 앱)은 지정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일예로 컨텐츠를 생성한 사용자는 본 명세서의 네 번째 예시적 측면 또는 다섯 번째 예시적 측면의 다양한 실시예나 상세예에서 예시한 방법을 통하여 지정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또는 사용자의 터미널은 본 명세서의 여섯 번째 실시예의 다양한 실시예나 상세예에서 예시한 방법의 다양한 기존 정보 분석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지정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이 때 사용자 터미널은 상기 지정 신호를 데이터 패킷에 포함시킴으로써, 지정 데이터 패킷을 생성하고, 이를 서버에 송신하거나 또는 수신자의 터미널에 직접 송신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열한 번째 예시적 측면의 두 번째 실시예의 경우, 서버가 지정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일예로 사용자가 능동적으로 지정 신호를 생성하여 데이터 패킷에 포함시키지 않은 경우, 서버는 사용자 터미널로부터 데이터 패킷을 수신한 후, 본 명세서의 여섯 번째 실시예의 다양한 실시예나 상세예에서 예시한 다양한 정보 분석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상기 패킷의 컨텐츠를 분석한 후, 지정 신호 생성을 결정할 수 있다. 단 사용자가 능동적으로 지정 신호를 생성하여 데이터 패킷에 포함시킨 경우에는, 서버가 상기 알고리즘을 이용한 분석을 실행할 필요는 없다.
본 명세서의 열한 번째 예시적 측면의 세 번째 실시예의 경우, 서버는 수신한 데이터 패킷에 지정 신호가 포함되었는 지 확인할 수 있다. 일예로 상술의 첫 번째 실시예의 데이터 패킷을 수신한 서버는 상기 데이터 패킷을 분석하여 지정 신호가 포함되었는 지 확인할 수 있다. 데이터 패킷에 지정 신호가 포함된 경우, 서버는 수신자 터미널에 상기 데이터 패킷을 송신하며, 지정 신호가 포함되었음을 알릴 수 있다. 또는 서버는 상기 패킷의 컨텐츠는 저장한 채, 수신자 터미널에게는 지정 신호만 송신할 수도 있다. 이 때 수신자 터미널은 서버를 접속하여 상기 지정 컨텐츠를 확인하고, 이를 영상 유닛에 지정 컨텐츠의 형태로 표시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열한 번째 예시적 측면의 네 번째 실시예의 경우의 수신자 터미널은 지정 신호를 생성할 수도 있다. 일예로 수신자 터미널은 사용자 터미널 또는 서버로부터 데이터 패킷을 수신한 후, 본 명세서의 여섯 번째 측면의 다양한 실시예나 상세예에서 예시한 다양한 기존 정보 분석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상기 패킷의 컨텐츠를 분석한 후, 지정 신호 생성을 결정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열한 번째 예시적 측면의 다섯 번째 실시예의 경우, 수신자 터미널은 수신한 데이터 패킷에 지정 신호가 포함되었는 지 확인할 수 있다. 일예로 수신자 터미널은 데이터 패킷을 수신하고, 상기 데이터 패킷에 본 명세서의 첫 번째 또는 두 번째 측면에서 생성된 지정 신호가 포함되었는지 확인할 수 있다. 또는 수신자 터미널은 상기 네 번째 실시예에 의하여 자신이 생성한 지정 신호를 확인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의 열한 번째 예시적 측면의 여섯 번째 실시예의 경우, 사용자의 터미널과 상기 서버가 지정 신호의 생성 또는 확인을 분담할 수 있다. 또는 수신자 터미널과 상기 서버가 지정 신호의 생성 또는 확인을 분담할 수 있다. 또는 사용자 터미널과 수신자 터미널이 지정 신호의 생성 또는 확인을 분담할 수 있다. 또는 사용자 터미널, 서버 및 수신자 터미널이 지정 신호의 생성 또는 확인을 분담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열두 번째 예시적 측면은 앱 아이콘의 특성을 변화시킨 미확인 아이콘 뱃지나 지정 아이콘 뱃지의 구성 또는 방법에 대한 것으로서, 본 명세서의 첫 번째 내지 열 번째 예시적 측면에 적용될 수 있다. 일예로 터미널은 앱 아이콘의 다양한 특성들을 변형함으로써, 변형된 앱 아이콘을 미확인 아이콘 뱃지나 지정 아이콘 뱃지로 활용할 수 있다. 따라서 터미널은 특정 앱의 미확인 컨텐츠의 수효나 미확인 지정 컨텐츠의 수효가 증가할수록, 상기 앱의 앱 아이콘(또는 U/I)의 특성을 더욱 변화시킴으로써, 변화된 앱 아이콘을 미확인 아이콘 뱃지 또는 지정 아이콘 뱃지로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특성의 예로는 앱 아이콘(또는 U/I)의 크기, 모양, 위치, 지향, 배경, 색상, 명도, 또는 투명도 등이 있다.
따라서 터미널은 이메일 앱을 나타내는 앱 아이콘의 길이나 높이를 변화시켜 미확인 아이콘 뱃지나 지정 아이콘 뱃지로 사용할 수 있다. 또는 일정 관리 앱을 나타내는 앱 아이콘에 포함된 날짜의 폰트, 색상, 위치 또는 배경을 변화시켜 미확인 아이콘 뱃지 또는 지정 아이콘 뱃지로 사용할 수 있다. 또는 메신저 앱을 나타내는 앱 아이콘의 우측(또는 좌측)의 크기, 색상 등을 변화시켜 미확인 아이콘 뱃지나 지정 아이콘 뱃지로 사용할 수도 있다. 또는 터미널은 앱 아이콘의 상기 다양한 특성을 미확인 컨텐츠의 수효 또는 미확인 지정 컨텐츠의 수효에 따라 실시간으로 변화시키며, 상기 앱 아이콘을 미확인 아이콘 뱃지 또는 지정 아이콘 뱃지로 사용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의 열세 번째 예시적 측면은 발신자에 의한 일방적인 지정 수신자 지정, 발신자가 발신한 컨텐츠의 분석에 의거한 서버 또는 수신자 터미널에 의한 일방적인 지정 수신자 설정이 아니라, 특정 발신자와 특정 수신자 사이의 관계에 따라 지정 수신자를 지정하는 다양한 구성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의 열세 번째 예시적 측면의 첫 번째 실시예는 사용자가 발신자일 경우에 해당한다. 즉 사용자는 하나 이상의 수신자를 미리 지정 수신자로 선택할 수 있고, 이 때 사용자는 [1] 특정 앱의 그룹의 멤버 중에서 지정 수신자를 선택하거나, [2] 특정 앱의 다수의 그룹의 멤버 중에서 지정 수신자를 선택하거나, 또는 [3] 상기 앱의 종류와 관계없이 사용자 터미널에 정보가 입력된 모든 사람 또는 기관 중 지정 수신자를 선택할 수 있다. 일단 사용자가 지정 수신자를 선택하면, 사용자가 지정 신호를 생성하건 또는 생성하지 않건, 사용자 터미널은 지정 수신자에게 발송되는 모든 컨텐츠를 지정 데이터 패킷에 포함시켜 상기 지정 수신자에게 발송한다. 이 때 사용자 터미널은 데이터 패킷을 지정 수신자에게는 지정 데이터 패킷으로 발송하거나, 또는 다른 수신자에게도 비지정 데이터 패킷으로 발송할 수 있다. 이를 수신한 수신자의 터미널은 상기 데이터 패킷에 포함된 컨텐츠를 지정 컨텐츠로 또는 비지정 컨텐츠로 영상 유닛에 표시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사용자는 자신의 직장 상사, 가족 또는 기타 중요한 사람, 기관 등을 미리 지정 수신자로 지정할 수 있다. 사용자가 상술의 다양한 전자 기기나 전기 기기의 조작을 원하는 경우, 사용자는 상술의 기기 중 특정 기기를 지정 수신자로 지정할 수도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자신이 발송하는 컨텐츠가 지정 수신자에 대한 내용을 포함하건 포함하지 않건, 지정 수신자가 사용자가 발송하는 컨텐츠를 확인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열세 번째 예시적 측면의 두 번째 실시예는 사용자가 수신자인 경우에 해당한다. 즉 사용자는 하나 이상의 발신자를 미리 지정 발신자로 선택할 수 있고, 이 때 사용자는 [1] 특정 앱의 그룹의 멤버 중에서 지정 발신자를 선택하거나, [2] 특정 앱의 다수의 그룹의 멤버 중에서 지정 발신자를 선택하거나, 또는 [3] 상기 앱의 종류와 관계없이 사용자 터미널에 정보가 입력된 모든 사람 또는 기관 중 지정 발신자를 선택할 수 있다. 사용자가 지정 발신자를 선택하면, 사용자 터미널은 지정 발신자로부터 수신한 지정 데이터 패킷에 포함된 컨텐츠는 물론 비지정 데이터 패킷에 포함된 컨텐츠도 영상 유닛에 지정 컨텐츠로 표시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사용자는 자신의 직장 상사, 가족 또는 기타 중요한 사람, 기관 등을 미리 지정 발신자로 지정할 수 있다. 사용자가 상술의 다양한 전자 기기나 전기 기기의 상태를 알고 싶거나 상기 기기의 조작을 원하면, 사용자는 상술의 기기 중 특정 기기를 지정 발신자로 지정할 수도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지정 발신자가 자신에게만 발송하는 컨텐츠 및 다른 수신자에게도 발송하는 컨텐츠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열세 번째 예시적 측면의 세 번째 실시예는 서버가 지정 수신자를 선택하는 경우이다. 즉 서버는 발신자로부터 지정 수신자 리스트를 제공받을 수 있다. 그 후 발신자가 발송하는 데이터 패킷을 수신한 서버는 상기 패킷에 지정 신호가 포함되건 포함되지 않건, 지정 수신자에게는 지정 데이터 패킷을 발송하지만, 비지정 수신자에게는 비지정 데이터 패킷을 발송할 수 있다.
또는 서버는 수신자로부터 지정 발신자 리스트를 제공받을 수 있다. 그 후 발신자가 발송하는 데이터 패킷을 수신한 서버는 상기 발신자가 지정 발신자이면, 상기 패킷에 지정 신호가 포함되건 포함되지 않건, 지정 수신자에게는 지정 데이터 패킷을 발송하는 한편, 비지정 수신자에게는 비지정 데이터 패킷을 발송할 수 있다.
또는 서버는 사전적으로 지정 수신자를 선택할 수 있다. 즉 서버는 발신자가 발송하는 데이터 패킷에 지정 신호가 포함되건 않건 상기 패킷에 포함된 컨텐츠를 다양한 정보 분석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분석하며, 상기 분석에 근거하여 사전적으로 지정 수신자를 선택할 수 있다. 특히 서버는 상기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직장 상사, 가족 또는 기타 중요한 사람, 기관 등의 이름이나 명칭, 이들의 아이디, 이들의 이메일 주소 등을 이용하여 지정 수신자를 선택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의 열네 번째 예시적 측면은 발신자에 의한 일방적인 지정 수신자 지정, 발신자가 발신한 컨텐츠의 분석에 의거한 서버 또는 수신자 터미널에 의한 일방적인 지정 수신자 설정이 아닌, 쌍방의 설정에 근거하여 지정 수신자를 지정하는 다양한 구성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따라서 본 명세서의 열네 번째 측면에서는 발신자, 서버, 수신자 등의 세 개의 주체 중 두 개 이상의 주체가 사전 합의를 한 경우에 한해 발신자가 발신하는 컨텐츠 또는 수신자가 수신하는 컨텐츠를 지정 컨텐츠로 지정할 수 있도록 한다.
단 상기 발신자에는 발신자의 터미널은 물론 상술의 차량, 드론, 로봇, 다양한 전기 기기 또는 전자 기기, 다양한 사물인터넷 망, 상기 망에 속하는 다양한 기기 등이 포함되며, 상기 발신자로는 사용자 또는 사용자를 제외한 다른 멤버, 즉 특정 그룹에 속하는 고객, 종업원 등도 발신자가 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상기 수신자에는 수신자의 터미널은 물론 상술의 차량, 드론, 로봇, 다양한 전기 기기 또는 전자 기기, 다양한 사물인터넷 망, 상기 망에 속하는 다양한 기기 등이 포함되며, 상기 수신자에는 사용자 또는 사용자를 제외한 다른 멤버, 즉 특정 그룹에 속하는 고객, 종업원 등도 수신자가 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열네 번째 예시적 측면의 첫 번째 실시예의 경우, 터미널이나 서버는 발신자와 수신자의 합의에 의해서만 컨텐츠를 지정 컨텐츠로 지정할 수 있다. 따라서 발신자가 자신이 발송하는 컨텐츠를 지정 컨텐츠로 지정하였더라도 수신자와 사전 합의가 없는 경우, 수신자는 상기 컨텐츠를 비지정 컨텐츠로 수신한다. 또한 수신자가 발신자가 발송하는 특정 컨텐츠를 지정 컨텐츠로 수신하고자 하더라도, 발신자가 이를 지정 컨텐츠로 지정하고 발송하지 않는 이상, 상기 컨텐츠를 지정 컨텐츠로 수신할 수 없다. 또한 터미널이나 서버가 사전적으로 발신자가 발송하는 컨텐츠를 분석한 후, 이를 지정 컨텐츠로 지정하려 해도, 수신자 터미널 또는 수신자와 사전 합의가 없는 경우, 수신자 터미널은 상기 컨텐츠를 지정 컨텐츠로 간주하지 않을 수 있다.
발신자와 수신자는 다양한 협의를 이룰 수 있다. 일예로 발신자와 수신자는 발신자가 수신자에게 발송하는 모든 컨텐츠를 지정 컨텐츠로 수신하도록 합의할 수 있다. 또는 발신자와 수신자는 발신자가 발송하는 컨텐츠에 특정 내용, 단어 또는 문구가 포함된 한하여 지정 컨텐츠로 수신하도록 합의할 수 있다.
발신자가 자신이 발송하는 컨텐츠를 지정 컨텐츠로 지정하여 발송하는 경우, 발신자와 수신자와의 사전 합의가 양자의 동의를 요구할 경우, 수신자가 이에 동의하지 않는 이상 수신자는 상기 컨텐츠를 비지정 컨텐츠로 수신한다. 단 발신자와 수신자의 사전 합의가 발신자의 의견에 우선권을 부여하는 경우, 수신자는 자신의 의견과 관계 없이 발신자가 발송하는 비지정 컨텐츠는 비지정 컨텐츠로 수신하지만, 발신자가 발송하는 지정 컨텐츠는 지정 컨텐츠로 수신하게 된다. 이와는 달리 상기 사전 합의가 수신자의 의견에 우선권을 주는 경우, 수신자의 의견에 따라 수신자는 발신자가 발송하는 비지정 컨텐츠를 지정 컨텐츠로 수신하거나, 또는 발신자가 발송하는 지정 컨텐츠를 비지정 컨텐츠로 수신할 수 있다. 이 때 수신자는 특정 발신자를 지정 발신자 목록에 추가하여 상기 발신자가 발송하는 모든 컨텐츠를 지정 컨텐츠로 수신하거나, 또는 발신자가 발송하는 컨텐츠에 특정 내용, 단어, 문구 등이 포함된 경우에 한하여 발신자가 발송한 비지정 컨텐츠 또는 지정 컨텐츠를 지정 컨텐츠로 수신하도록 합의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열네 번째 예시적 측면의 두 번째 실시예의 경우, 터미널이나 서버는 발신자와 서버의 합의에 의해서 컨텐츠를 지정 컨텐츠로 지정할 수 있다. 따라서 발신자가 자신이 발송하는 컨텐츠를 지정 컨텐츠로 지정하였더라도 이를 수신하는 서버와 사전 합의가 없는 경우, 서버는 상기 컨텐츠를 비지정 컨텐츠로 수신자에게 발송한다. 또한 수신자가 발신자가 발송하는 특정 컨텐츠를 지정 컨텐츠로 수신하려 하더라도, 서버가 이를 지정 컨텐츠로 지정하고 발송하지 않는 한, 상기 컨텐츠를 지정 컨텐츠로 수신할 수 없다. 또한 발신자와의 사전 합의가 없는 한, 터미널이나 서버 역시 사전적으로 발신자가 발송하는 컨텐츠를 분석한 후, 이를 지정 컨텐츠로 지정할 수 없다.
발신자는 서버와도 다양한 협의를 이룰 수 있다. 일예로 발신자는 자신이 서버에 발송하는 모든 컨텐츠를 서버가 지정 컨텐츠로 수신하도록 합의할 수 있다. 또는 발신자와 서버는 발신자가 발송하는 특정 내용, 단어 또는 문구가 포함된 컨텐츠에 한하여 지정 컨텐츠로 수신하도록 합의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열네 번째 예시적 측면의 세 번째 실시예의 경우, 터미널이나 서버는 발신자와 서버의 합의에 의해서 컨텐츠를 지정 컨텐츠로 지정할 수 있다. 따라서 발신자가 자신이 발송하는 컨텐츠를 지정 컨텐츠로 지정하였더라도 이를 수신자에게 전달하는 서버와 사전 합의가 없는 경우, 서버는 상기 컨텐츠를 비지정 컨텐츠로 수신자에게 발송한다. 또한 수신자가 발신자가 발송하는 특정 컨텐츠를 지정 컨텐츠로 수신하고자 하더라도, 서버가 이를 지정 컨텐츠로 지정하고 발송하지 않는 한, 상기 컨텐츠를 지정 컨텐츠로 수신할 수 없다. 또한 발신자와의 사전 합의가 없는 한, 터미널이나 서버 역시 사전적으로 발신자가 발송하는 컨텐츠를 분석하고 이를 지정 컨텐츠로 지정할 수 없다.
수신자는 서버와 다양한 협의를 이룰 수 있다. 일예로 서버는 수신자가 수신하는 모든 컨텐츠를 지정 컨텐츠로 수신하게 합의할 수 있다. 또는 수신자와 서버는 수신자가 수신하는 특정 내용, 단어, 문구 등이 포함된 컨텐츠에 한하여 지정 컨텐츠로 수신할 수 있도록 합의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열다섯 번째 예시적 측면은 다양한 아이콘 뱃지의 추가 조작 또는 특성에 대한 구성 및 방법에 대한 것이다. 일예로 사용자가 영상 유닛에 표시된 앱 아이콘, 지정 아이콘 뱃지 또는 비지정 아이콘 뱃지에 특정 사용자 입력을 제공하면, 터미널은 특정 추가 작업을 실행하거나 또는 사용자에게 특정 추가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열다섯 번째 예시적 측면의 첫 번째 실시예의 경우, 사용자가 앱 아이콘에 특정 사용자 입력을 제공하면, 터미널은 영상 유닛에 미확인 컨텐츠를 표시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특정 앱의 앱 아이콘을 누르거나, 접촉하거나, 기타 방법으로 조작할 경우, 터미널은 상기 앱이 수신한 미확인 컨텐츠(즉 상기 앱이 확립한 다수의 그룹이 수신한 모든 미확인 컨텐츠)를 다양한 배열 또는 방법으로 표시할 수 있다. 이 때 터미널은 영상 유닛에 잠금 화면, 해제 화면, 그룹 창 또는 컨텐츠 창을 표시하며 미확인 컨텐츠를 표시할 수 있다.
위 문장의 구성의 예로서 터미널은 잠금 화면, 해제 화면, 그룹 창 또는 컨텐츠 창에 [1] 상기 앱이 수신한 모든 미확인 컨텐츠를 표시하거나, [2] 모든 미확인 컨텐츠를 표시하는 대신, 수신 시간, 컨텐츠 내용, 발신자 또는 그룹에 근거하여 선택한 특정 미확인 컨텐츠를 표시하거나, 또는 [3] 각각의 또는 특정 미확인 컨텐츠의 전부가 아닌 일부(일예로 미확인 컨텐츠의 첫 문장, 요약 또는 키워드)를 표시할 수 있다. 또는 터미널은 미확인 컨텐츠의 전부 또는 일부를 표시하는 대신, 상기 컨텐츠의 발신자의 이름, 별명, 아이디, 또는 사진 등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미확인 컨텐츠의 분량이 많아 영상 유닛에 한꺼번에 모두 표시할 수 없으면, 터미널은 사용자가 잠금 화면, 해제 화면, 그룹 창 또는 컨텐츠 창을 스크롤하며 미확인 컨텐츠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그 후 사용자가 위 문단의 사용자 입력과 동일한 또는 상이한 사용자 입력을 제공하면, 터미널은 [1] 위 문단에서 예시한 미확인 컨텐츠의 표시를 중지한 후 다시 원래 화면을 표시하거나, [2] 사용자가 선택한 특정 미확인 컨텐츠의 전부를 표시하거나, 또는 [3] 사용자가 특정 미확인 컨텐츠에 대하여 답변할 수 있도록 입력 창을 열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열다섯 번째 예시적 측면의 두 번째 실시예의 경우, 사용자가 지정 아이콘 뱃지에 특정 사용자 입력을 제공할 경우, 터미널은 영상 유닛에 지정 컨텐츠를 표시할 수 있다. 일예로 사용자가 특정 앱의 앱 아이콘 주변 또는 내부 등에 표시된 지정 아이콘 뱃지(또는 지정 컨텐츠의 수효나 내용을 나타내는 숫자)를 누르거나, 접촉하거나, 기타 방법으로 조작하면, 터미널은 상기 앱이 수신한 지정 컨텐츠를 표시할 수 있다. 터미널은 지정 컨텐츠가 발신자가 지정한 지정 컨텐츠인지 또는 사용자의 터미널이 사전적으로 확인한 지정 컨텐츠인지 표시할 수도 있다. 이 때 터미널이 지정 컨텐츠를 표시하는 배열, 방법은 위의 두 문단에서 설명한 미확인 컨텐츠를 표시하는 배열이나 방법과 유사하거나 동일하므로 더 이상의 설명은 생략한다.
본 명세서의 열다섯 번째 예시적 측면의 세 번째 실시예의 경우, 사용자가 비지정 아이콘 뱃지에 특정 사용자 입력을 제공하면, 터미널은 영상 유닛에 비지정 컨텐츠를 표시할 수 있다. 일예로 사용자가 특정 앱의 앱 아이콘 주변 또는 내부에 표시된 비지정 아이콘 뱃지(또는 비지정 컨텐츠의 수효나 내용을 나타내는 숫자)를 누르거나, 접촉하거나, 또는 기타 방법으로 조작하게 되면, 터미널은 상기 앱이 수신한 비지정 컨텐츠를 표시할 수 있다. 이 때 터미널은 비지정 컨텐츠가 발신자가 지정하지 않은 비지정 컨텐츠인지 또는 사용자의 터미널이 사전적으로 확인한 비지정 컨텐츠인지 표시할 수도 있다. 이 때 터미널이 비지정 컨텐츠를 표시하는 배열, 방법은 위 문단에서 설명한 지정 컨텐츠를 표시하는 배열이나 방법과 유사하거나 동일하며, 이에 따라 더 이상의 설명은 생략한다.
본 명세서의 열다섯 번째 예시적 측면의 네 번째 실시예의 경우, 터미널은 위의 두 문단의 추가 기능을 특정 앱 전체에 대하여 실행하는 대신, 상기 앱이 확립한 다수의 그룹 중 특정 그룹에 대하여 실행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상기 앱이 확립한 다수의 그룹 중 특정 그룹을 선택한 후 지정 아이콘 뱃지를 누르거나, 만지거나 기타 방법으로 조작하게 되면, 터미널은 상기 앱의 상기 그룹이 수신한 미확인 컨텐츠, 지정 컨텐츠, 비지정 컨텐츠를 본 열 다섯 번째 측면의 첫 번째 내지 세 번째 실시예에서 설명한 다양한 배열 또는 방법으로 표시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열여섯 번째 예시적 측면은 다양한 아이콘 뱃지의 추가 구성 및 추가 배열에 대한 것이다.
터미널은 장착된 각각의 앱에 대하여 미확인 아이콘 뱃지나 지정(또는 비지정) 아이콘 뱃지를 생성함은 물론, 상기 앱이 확립한 다수의 그룹 각각에 대해서도 미확인 아이콘 뱃지나 지정(또는 비지정) 아이콘 뱃지를 생성할 수 있다. 즉 본 명세서의 다양한 예시적 측면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터미널은 다양한 (미확인, 지정, 또는 비지정) 아이콘 뱃지 또는 이와 관련된 숫자를 다양한 앱 아이콘의 주변 또는 내부에 표시할 수 있음은 물론, 상기 아이콘 뱃지나 숫자를 특정 그룹 창에 표시된 다양한 그룹의 그룹 아이콘의 주변이나 내부에도 표시할 수 있다.
바꾸어 말하면, 본 명세서에서 특정 앱에 대한 앱 아이콘과 관련하여 설명한 다양한 뱃지 및 숫자는, 상기 앱의 그룹 창에 표시된 다수의 그룹 아이콘 각각에 대해서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SNS 앱의 경우, 터미널은 상기 앱의 앱 아이콘, 미확인 아이콘 뱃지, 지정(또는 비지정) 아이콘 뱃지 또는 이와 관련된 숫자를 표시함으로써 상기 앱이 수신한 각종 컨텐츠의 수효 또는 내용을 표시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터미널은 상기 SNS 앱이 확립한 다수의 그룹들을 표시하는 그룹 창에서, 특정 그룹의 그룹 아이콘, 미확인 아이콘 뱃지, 지정(또는 비지정) 아이콘 뱃지 또는 이와 관련된 숫자를 표시함으로써 상기 그룹이 수신한 각종 컨텐츠의 수효나 내용을 표시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의 열여섯 번째 예시적 측면의 두 번째 실시예의 경우, 터미널은 지정 컨텐츠가 생성된 과정의 특성에 근거하여 다수의 지정 아이콘 뱃지를 생성할 수 있다. 일예로 발신자가 직접 지정한 지정 컨텐츠를 수신한 터미널은 상기 지정 컨텐츠를 제1 유형 지정 컨텐츠로 간주하고, 이에 대한 제1 유형 지정 아이콘 뱃지와 제1 유형 지정 컨텐츠의 개수를 나타내는 제1 유형 수효 등을 영상 유닛에 표시할 수 있다. 하지만 상기 지정 컨텐츠가 사용자의 터미널이 사전적으로 분석하여 지정한 컨텐츠이면, 터미널은 상기 지정 컨텐츠를 제2 유형 지정 컨텐츠로 간주하고, 이에 대한 제2 유형 지정 아이콘 뱃지, 제2 유형 지정 컨텐츠의 개수를 나타내는 제2 수효를 영상 유닛에 표시할 수 있다.
터미널이 타멤버로부터 수신한 컨텐츠나 사용자가 발신하려는 컨텐츠를 사전적으로 분석하는 경우, 상기 컨텐츠는 확실하게 지정 컨텐츠이거나 확실하게 지정 컨텐츠가 아닌 경우 이외의 경우도 발생한다. 일예로 다양한 정보 분석 알고리즘의 분석 결과, 상기 컨텐츠가 지정 컨텐츠일 확률이나 신뢰도가 0%도 아니고 100%도 아닌, 76%인 경우이다. 이러한 경우를 위하여 터미널은 다양한 신뢰도 또는 확률에 따라 지정 컨텐츠를 상이하게 표시할 수 있고, 상기 지장 컨텐츠에 대하여 상이한 지정 아이콘 뱃지를 생성, 사용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의 열일곱 번째 예시적 측면은 다양한 아이콘 뱃지의 추가 구성 및 추가 배열에 대한 것이다. 일예로 사용자가 미확인 아이콘 뱃지 또는 상기 뱃지에 첨부된 숫자에 사용자 입력을 제공할 경우, 터미널이나 앱은 미확인 컨텐츠만 표시할 수 있다. 또는 사용자가 앱 아이콘에 특정 또는 단일의 사용자 입력을 제공하면, 터미널이나 앱은 미확인 컨텐츠만 표시할 수 있다. 또는 사용자가 지정 아이콘 뱃지 또는 상기 뱃지에 첨부된 숫자에 사용자 입력을 제공하면, 터미널 또는 앱은 미확인 지정 컨텐츠만 표시할 수 있다. 또는 사용자가 앱 아이콘에 상이한 또는 다수의 사용자 입력을 제공하면, 터미널이나 앱은 지정 컨텐츠만 표시할 구 있다.
본 명세서의 열여덟 번째 예시적 측면은 다양한 아이콘 뱃지의 추가 구성 및 추가 배열에 대한 것이다. 일예로 단일의 컨텐츠가 텍스트, 이미지 파일 또는 음성 파일 등 유형이 다른 다수의 정보를 포함하는 경우, 터미널, 서버, 앱 등은 이를 단일의 컨텐츠로 계산하거나 또는 이를 다수의 컨텐츠로 계산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터미널 또는 앱은 다양한 컨텐츠의 수효나 숫자를 계산할 때 상술의 방법과는 상이한 방법으로 계산할 수 있다.
미확인 컨텐츠의 수효 및 미확인 지정(또는 비지정) 컨텐츠의 수효 등을 계산하고 표시하는 대신, 터미널, 앱, 또는 서버는 미확인 컨텐츠를 포함하는 데이터 패킷의 수효 및 미확인 지정(또는 비지정) 컨텐츠를 포함하는 지정(또는 비지정) 데이터 패킷의 수효를 계산하고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컨텐츠가 텍스트, 이미지 파일 또는 음성 파일 등과 같이 상이한 유형의 다수의 정보를 포함하는 경우, 터미널, 앱 또는 서버는 이를 단일의 데이터 패킷으로 간주하거나 또는 다수의 데이터 패킷으로 간주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터미널 또는 앱은 상술의 다양한 데이터 패킷의 수효나 숫자를 계산할 때 상술의 방법과는 상이한 방법으로 계산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열아홉 번째 예시적 측면은 다양한 아이콘 뱃지 또는 수효의 다양한 표시 방법에 대한 것이다.
본 명세서의 열아홉 번째 예시적 측면의 첫 번째 실시예의 터미널 또는 앱은 시간적 관점에서 다양한 방법으로 상기 아이콘 뱃지 또는 상기 뱃지에 부착된 수효(또는 숫자)를 표시할 수 있다. 일예로 터미널이나 앱은 단일 또는 다수의 뱃지나 수효(또는 숫자)를 시간적으로 동시(즉 터미널의 CPU 클럭 사이클에서 다수의 뱃지의 표시 작업, 또는 다수의 수효(또는 숫자)의 표시 작업이 서로 중첩될 수 있도록, 즉 시간적으로 중첩되는 클럭 사이클이 존재하도록)에 표시할 수 있다. 이와는 달리 터미널 또는 앱은 하나 이상의 뱃지 또는 수효(또는 숫자)를 시간적으로 순차적( CPU 클럭 사이클에서 다수의 뱃지의 표시 작업이나 다수의 수효(또는 숫자)의 표시 작업이 서로 중첩되지 않도록, 즉 상기 작업들 사이에 시간적 공백이 존재하도록)으로 표시할 수도 있다. 단 상기 시간적 공백이 짧으면, 사용자는 이를 동시로 느낄 수 있거나 또는 순차적으로 느낄 수 있다. 따라서 상반된 설명이 없는 한, 터미널 또는 앱이 상기 뱃지나 수효(또는 숫자)를 표시할 경우, 클럭 사이클 상으로 보았을 때에는 순차적 표시이지만, 사용자의 관점에서 보았을 때 동시(즉 상기 시간적 공백이 1/16초보다 짧을 경우)이면, 이는 동시 표시로 간주한다. 또한 터미널이나 앱은 공간적으로 상기 뱃지나 수효(또는 숫자)를 앱 아이콘의 내부나 주변에 표시하거나, 상기 뱃지나 수효(또는 숫자)가 앱 아이콘의 가장자리와 겹치거나 겹치지 않도록 표시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열아홉 번째 예시적 측면의 두 번째 실시예의 터미널이나 앱은 공간적 관점에서 다양한 방법으로 상기 아이콘 뱃지 또는 상기 뱃지에 부착된 수효를 표시할 수 있다. 일예로 터미널 또는 앱은 단일 또는 다수의 뱃지나 수효를 영상 유닛 상에서 앱 아이콘 주변이나 내부에 앱 아이콘과 함께 표시할 수 있다. 터미널이나 앱은 상기 뱃지나 수효를 앱 아이콘의 가장자리와 겹치도록 앱 아이콘과 함께 표시할 수 있다. 이 경우, 터미널이나 앱은 상술과 같이 [1] 상기 뱃지나 상기 수효를 시간적으로 앱 아이콘과 동시에 또는 순차적으로 표시하거나, [2] 상기 뱃지를 상기 수효와 시간적으로 동시에 또는 순차적으로 표시하거나, [3] 다수의 뱃지를 시간적으로 서로 동시에 또는 순차적으로 표시하거나, 또는 [4] 다수의 숫자를 시간적으로 동시에 또는 순차적으로 표시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스무 번째 예시적 측면은 상술의 다양한 지정 신호, 지정 컨텐츠 또는 지정 아이콘 뱃지를 제공하거나 또는 활용할 수 있는 다양한 "앱 시스템"의 구성 또는 이를 이용하는 방법에 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명세서에서 "앱 시스템"이란 상술의 "앱"은 물론 상기 "앱"의 원활한 구동을 위하여 앱 제공자가 운영하거나 조작하는 하드웨어 요소 및 소프트웨어 요소를 통칭한다. 따라서 상기 앱 제공자가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운영할 수 있거나 또는 조작할 수 있는 각종 서버, 이와 관련된 다양한 하드웨어 요소나 소프트웨어 요소는 상기 "앱 시스템"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앱 시스템"이 사용자의 터미널에 장착된 앱을 직접적으로 또는 간접적으로 운영하거나 조작할 수 있는 경우, 상기 앱 역시 상기 "앱 시스템"의 일부로 간주할 수 있다. 또한 앱 제공자의 "앱 시스템"이 사용자와의 통신을 담당하는 유무선 네트워크의 일부를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운영하거나 조작할 수 있는 경우, 상기 네트워크의 상기 일부도 상기 앱 시스템의 일부로 간주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스무 번째 예시적 측면의 첫 번째 실시예는 사용자의 터미널에 장착된 다양한 앱 중 특정 앱을 사용자가 터미널을 이용하여 직접 운영하거나 조작할 수 있는 경우이다. 따라서 사용자는 본 명세서의 다양한 예시적 측면, 실시예 또는 상세예에서 설명한 다양한 방법으로 상기 앱을 조작함으로써, 다양한 지정 신호, 지정 컨텐츠, 지정 아이콘 뱃지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일예로 사용자는 본 명세서의 다양한 실시예 또는 상세예에서 특정 앱이 실행하는 것으로 예시한 다양한 작업을 상기 앱 또는 터미널을 이용하여 직접 실행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사용자는 본 명세서의 다양한 실시예나 상세예에서 서버가 실행하는 것으로 예시한 다양한 작업을 상기 앱 또는 터미널을 이용하여 자신이 직접 실행할 수 있다. 따라서 이 경우의 "앱 시스템"은 사용자의 터미널에 장착된 앱의 구동을 보조하는 기능을 담당한다고 간주할 수 있다.
일예로 [도63]에서 예시한 프로그램은 일부는 서버 측에 장착되는 반면 나머지 부분은 사용자의 터미널에 장착된다고 예시하였다. 상기 구성이나 방법을 본 스무 번째 예시적 측면의 첫 번째 실시예에 적용하면, 사용자의 터미널은 상기 프로그램 전체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프로그램은 발신자가 발송하는 컨텐츠 또는 데이터 패킷을 직접 또는 서버를 통하여 수신할 때마다, 미확인 컨텐츠의 수효는 물론 미확인 지정 컨텐츠의 수효를 계산하고, 이를 영상 유닛에 표시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서 본 명세서의 열세 번째 예시적 측면의 세 번째 실시예의 서버는 발신자 또는 수신자로부터 지정 수신자 리스트를 제공받거나 또는 사전적으로 지정 수신자를 선택할 수 있다고 예시하였다. 상기 구성이나 방법을 본 스무 번째 예시적 측면의 첫 번째 실시예에 적용하는 경우, 사용자 터미널은 발신자로부터 지정 수신자 리스트를 제공받거나, 또는 상기 터미널의 저장 유닛에 지정 수신자 리스트를 저장하고 사용할 수 있다. 또는 터미널은 자신의 운영체계 또는 앱을 이용하여 사전적으로 지정 수신자를 선택할 수 있다.
만일 사용자는 물론 상기 "앱 시스템"도 사용자의 터미널에 장착된 앱을 운영하거나 조작할 수 있는 경우, 상기 "앱 시스템" 역시 본 명세서의 다양한 예시적 측면, 실시예나 상세예에서 설명한 다양한 방법으로 상기 앱을 조작함으로써, 다양한 지정 신호, 지정 컨텐츠, 지정 아이콘 뱃지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스무 번째 예시적 측면의 두 번째 실시예는 앱 제공자가 상기 "앱 시스템"을 이용하여 상기 앱의 조작을 직접 운영 또는 조작하는 경우이다. 이 때 사용자는 자신의 터미널에 장착된 앱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인 앱 아이콘에 다양한 사용자 입력을 제공함으로써 상기 앱을 사용할 수 있고, 상기 "앱 시스템"이 허락하는 범위 내에서 세팅을 변경할 수 있지만, 그 이상으로 상기 앱을 운영하거나 조작할 수 없다. 따라서 상기 앱 제공자는 본 명세서의 다양한 실시예 또는 상세예에서 사용자, 터미널 또는 서버가 실행하는 것으로 예시한 다양한 작업을 직접 실행할 수 있다.
일예로 본 명세서의 첫 번째 예시적 측면의 첫 번째 실시예의 터미널은 [도5] 내지 [도7]에서와 같이 미확인 아이콘 뱃지와 지정 아이콘 뱃지를 동시에 영상 유닛의 특정 위치에 각각 표시할 수 있다고 예시하였다. 상기 구성 또는 방법을 본 스무 번째 예시적 측면의 두 번째 실시예에 적용하는 경우, "앱 시스템"은 사용자 터미널 또는 상기 터미널에 장착된 앱에 앱 아이콘과 지정 아이콘 뱃지를 표시하라는 명령은 물론, 앱 아이콘 및 지정 아이콘 뱃지의 위치, 크기 등에 대한 상세 명령을 전달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본 명세서의 여섯 번째 예시적 측면의 첫 번째 실시예의 터미널은 발신자로부터 직접 수신하거나 서버를 경유하여 수신한 발신자 컨텐츠를 다양한 정보 분석 알고리즘으로 분석함으로써 사전적으로 하나 이상의 지정 수신자를 선택할 수 있다고 예시하였다. 상기 구성 또는 방법을 본 스무 번째 예시적 측면의 두 번째 실시예에 적용하는 경우, 발신자로부터 수신한 컨텐츠를 사용자에게 발송하기 전, 상기 "앱 시스템"은 상기 컨텐츠에 지정 요청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지 사전적으로 분석할 수 있다. 만일 서버가 상기 컨텐츠에서 지정 요청 정보를 확인하면, 서버는 상기 컨텐츠를 지정 컨텐츠로 지정하는 지정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지정 컨텐츠와 이에 대한 지정 신호를 사용자의 터미널에 함께 발송할 수 있다. 또는 서버는 상기 지정 컨텐츠 및 지정 신호를 지정 데이터 패킷에 포함시킨 후, 상기 지정 데이터 패킷을 사용자의 터미널에 발송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본 명세서의 일곱 번째 예시적 측면의 세 번째 실시예의 터미널은 비지정 컨텐츠와 지정 컨텐츠를 포함하는 미확인 컨텐츠를 표시할 때. 미확인 지정 컨텐츠는 원래의 형태대로 또는 강조하여 표시하지만, 미확인 비지정 컨텐츠는 생략하여 표시할 수 있다고 예시하였다. 상기 구성 또는 방법을 본 스무 번째 예시적 측면의 두 번째 실시예에 적용하면,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한 터미널은 이를 서버에 발송하며, 서버는 상기 사용자 입력에 근거하여 비지정 컨텐츠를 단순화하거나 생략하는 명령을 생성하고, 또한 지정 컨텐츠를 그대로 또는 강조하여 표시하는 명령을 생성한 후, 이를 사용자 터미널에 발송한다. 이에 따라 상기 터미널은 컨텐츠 창에 지정 컨텐츠를 표시하며, 비지정 컨텐츠는 단순화하거나 또는 생략하여 표시한다.
본 명세서의 스무 번째 예시적 측면의 세 번째 실시예는 앱 제공자가 상기 "앱 시스템"의 다수의 하드웨어 요소를 다수의 상이한 장소에 분산하여 배치하는 경우이다. 따라서 이러한 경우는 위의 스무 번째 예시적 측면의 두 번째 실시예와 유사하지만, 상기 "앱 시스템"이 서로 상이한 장소에 위치한 다수의 서버를 이용하는 경우에 해당한다.
일예로 본 명세서의 첫 번째 예시적 측면의 첫 번째 실시예를 본 스무 번째 예시적 측면의 세 번째 실시예에 적용하는 경우, "앱 시스템"은 제1 장소의 제1 서버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터미널 또는 상기 터미널에 장착된 앱에 지정 아이콘 뱃지를 영상 유닛에 표시하라는 명령을 전달하지만, 제2 장소의 제2 서버를 이용하여 지정 컨텐츠의 수효를 계산한 후, 사용자의 터미널 또는 상기 앱에 상기 수효를 상기 지정 아이콘 뱃지의 내부 또는 주변에 표시하라는 명령을 전달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본 명세서의 여섯 번째 예시적 측면의 첫 번째 실시예를 본 스무 번째 예시적 측면의 세 번째 실시예에 적용하는 경우, "앱 시스템"은 제3 장소의 제3 서버에 다양한 정보 분석 알고리즘을 저장하고, 제4 장소의 제4 서버를 이용하여 상기 분석 알고리즘을 구동하며 다양한 컨텐츠를 사전적으로 분석할 수 있다. 또한 "앱 시스템"은 제5 장소의 제5 서버를 이용하여 상기 제3 서버와 제4 서버를 연결한 후, 제4 서버의 분석 결과를 사용자의 터미널에 발송할 수 있다.
본 스무 번째 예시적 측면의 세 번째 실시예에서, 앱 제공자는 다양한 방법으로 상기 "앱 시스템"을 운영하거나 조작할 수 있다. 일예로 앱 제공자는 "앱 시스템"의 특정 서버가 "앱 시스템" 전체의 다른 서버, 다른 하드웨어 요소 또는 소프트웨어 요소를 운영 또는 조작하도록 할 수 있다. 또는 "앱 시스템"은 두 개 이상의 서버가 나머지 서버, 다른 하드웨어 요소 또는 소프트웨어 요소를 운영 또는 조작하도록 할 수 있다. 즉 다수의 서버로 이루어진 "앱 시스템"의 경우, 어떤 서버가 전제 "앱 시스템"의 운영 또는 조작을 담당할지는 상기 시스템의 운영자가 용이하게 결정할 수 있다.
7. 호환성
상술에서는 다양한 지정 신호, 지정 컨텐츠, 지정 데이터 패킷 및 지정 아이콘 뱃지를 사용할 수 있는 데이터 처리 터미널, 상기 터미널을 구성하는 방법 및 상기 터미널을 사용하는 방법 등을 설명하였으며, 특히 다양한 예시적 측면, 상기 측면의 실시예와 상세예 및 다양한 수단과 효과 등을 언급하며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제공하였다. 단 상기 설명은 상기 터미널 및 상기 방법의 특성, 구성 상의 특성이나 작업 실행 상의 특성을 더 자세히 이해하기 위함을 목적으로 한다. 따라서 상기 터미널과 관련된 방법, 관련된 분야의 당업자에게는 본 명세서의 다양한 터미널의 변형 또는 개량이 자명하다.
비록 상술에서는 다양한 지정 신호, 지정 컨텐츠, 지정 데이터 패킷 및 지정 아이콘 뱃지를 사용할 수 있는 데이터 처리 터미널의 예시적 측면, 실시예, 상세예 및 목적 등을 설명하였으나, 아의 변형, 개량도 가능하다. 따라서 상기 변형 및 개량은 본 명세서의 예시적 측면, 실시예, 상세예 및 목적의 정신이나 범위로부터의 이탈로 간주하지 않으며, 관련 분야의 당업자에게 자명한 변형과 개량은 본 명세서의 범위는 물론 하술의 청구항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한다.
상반된 언급이 없는 한, 본 명세서에서 예시한 특정 측면, 실시예, 상세예, 또는 수단의 다양한 특성은 본 명세서의 상이한 측면, 실시예, 상세예나 수단의 상응하는 특성에 호환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단 상기 호환성은 상기 적용, 포함, 대체 또는 혼합이 서로 상충되지 않는 경우에 한한다.
본 명세서의 다양한 지정 신호, 지정 컨텐츠, 지정 데이터 패킷 및 지정 아이콘 뱃지를 사용할 수 있는 데이터 처리 터미널, 상기 터미널에 포함된 각종 요소 및 상기 터미널을 사용하는 방법 등은 상기 터미널이 상이한 전기 부품 또는 디지털 부품을 포함한 경우에도 상술한 작업과 유사한 작업을 실행할 수 있고, 상술의 기능과 유사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하지만 상술의 설명과 같이, 터미널이 다양한 지정 신호, 지정 컨텐츠, 지정 데이터 패킷 및 지정 아이콘 뱃지를 사용할 수 있는 한, 상기 터미널은 특정 프로그램, 소프트웨어 소스 코드, 바이너리 코드 또는 기타 명령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다양한 측면, 실시예 및 상세예를 상술과 같이 설명하였지만, 상술의 설명은 다양한 데이터 처리 터미널을 설명하기 위함이지 상기 터미널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함이 아니다. 특히 상기 범위는 아래의 청구항에 의하여 정의된다. 기타 측면, 실시예, 상세예, 이점, 변형 등은 모두 아래의 청구항의 범위에 속한다.
10:터미널
11:영상 유닛
12A, 12B, 12C:입력 유닛
20:앱 아이콘
21:미확인 아이콘 뱃지

Claims (1)

  1. 영상 유닛을 포함하는 수신자의 데이터 처리 터미널에 특정 앱이 장착되었고, 상기 수신자가 상기 앱의 구동을 최종적으로 종료한 후 상기 앱이 발신자로부터 컨텐츠를 수신함에 따라 상기 컨텐츠는 상기 수신자가 아직 확인하지 않은 미확인 컨텐츠인 경우, 상기 앱이 상기 컨텐츠의 수효를 상기 영상 유닛에 표시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앱이 하나 이상의 상기 발신자가 발송한 상기 미확인 컨텐츠를 수신하는 수신 단계;
    상기 앱이 상기 미확인 컨텐츠의 수효를 나타내는 제1 수효를 확보하는 제1 수효 확보 단계;
    상기 앱이 상기 미확인 컨텐츠가 지정 신호를 수반하는 미확인 지정 컨텐츠인지를 확인하는 지정 신호 확인 단계;
    상기 앱이 상기 미확인 지정 컨텐츠의 수효를 나타내는 제2 수효를 확보하되, 상기 제1 수효가 상기 제2 수효보다 작지 않는 제2 수효 확보 단계; 및
    상기 앱이 상기 영상 유닛에 표시된 상기 터미널의 꺼진 화면, 잠금 화면 및 해제 화면 중 하나의 화면에 상기 앱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해당하는 앱 아이콘, 상기 제1 수효를 나타내는 제1 숫자 및 상기 제2 수효를 나타내는 제2 숫자를 함께 표시하는 표시 단계를 포함하는 컨텐츠 수효 표시 방법.
KR1020210027095A 2021-03-01 2021-03-01 다양한 아이콘 뱃지를 표시할 수 있는 데이터 처리 터미널 및 상기 뱃지와 터미널을 이용하는 방법 KR2021002503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7095A KR20210025038A (ko) 2021-03-01 2021-03-01 다양한 아이콘 뱃지를 표시할 수 있는 데이터 처리 터미널 및 상기 뱃지와 터미널을 이용하는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7095A KR20210025038A (ko) 2021-03-01 2021-03-01 다양한 아이콘 뱃지를 표시할 수 있는 데이터 처리 터미널 및 상기 뱃지와 터미널을 이용하는 방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47249A Division KR102223954B1 (ko) 2018-09-29 2018-11-26 다양한 아이콘 뱃지를 표시할 수 있는 데이터 처리 터미널 및 상기 뱃지와 터미널을 이용하는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25038A true KR20210025038A (ko) 2021-03-08

Family

ID=751851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27095A KR20210025038A (ko) 2021-03-01 2021-03-01 다양한 아이콘 뱃지를 표시할 수 있는 데이터 처리 터미널 및 상기 뱃지와 터미널을 이용하는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25038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055838B2 (ja) 多様なアイコンバッジを表示できるデータ処理ターミナル及び該バッジとターミナルを用いる方法
US11430567B2 (en) Methods for tracking and responding to mental health changes in a user
KR102050334B1 (ko) 언어 모델을 사용한, 메시지들에서 수신되는 이미지들에 대한 자동적인 제안 응답들
US10163058B2 (en) Method, system and device for inferring a mobile user's current context and proactively providing assistance
US20170372271A1 (en) Providing recommended meeting parameters based on religious or cultural attributes of meeting invitees obtained from social media data
US20150213371A1 (en) Method, system and device for inferring a mobile user's current context and proactively providing assistance
EP2941744B1 (en) Global contact synchronization
Noortman et al. Hawkeye-deploying a design fiction probe
Sadri Ambient intelligence: A survey
CN109691034A (zh) 机器人交互
US10831866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facilitating remote care services
Reijula et al. Human well-being and flowing work in an intelligent work environment
Tuncer et al. Open door environments as interactional resources to initiate unscheduled encounters in office organizations
US20230246989A1 (en) Data processing terminals, icon badges, and methods of making and using the same
Könings User-centered awareness and control of privacy in Ubiquitous Computing
KR20210025038A (ko) 다양한 아이콘 뱃지를 표시할 수 있는 데이터 처리 터미널 및 상기 뱃지와 터미널을 이용하는 방법
US20230186248A1 (en) Method and system for facilitating convergence
Little et al. Ubiquitous systems and the family: thoughts about the networked home
Sadri et al. Ambient intelligence
WO2023045830A1 (zh) 家庭设备控制方法、相关装置及系统
Liu et al. AgeTech for Autonomy and Independence: Challenges and Future Directions
Ponnusamy et al. Wearable Devices, Surveillance Systems, and AI for Women's Wellbeing
WO2023113898A1 (en) Method and system for facilitating convergence
JP2024040983A (ja) 非常時の情報伝達システム
Feng Conplan: A context-aware ad-hoc meeting plan progra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