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24838A - 코에 착용하는 미세먼지 마스크 - Google Patents

코에 착용하는 미세먼지 마스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24838A
KR20210024838A KR1020190104519A KR20190104519A KR20210024838A KR 20210024838 A KR20210024838 A KR 20210024838A KR 1020190104519 A KR1020190104519 A KR 1020190104519A KR 20190104519 A KR20190104519 A KR 20190104519A KR 20210024838 A KR20210024838 A KR 202100248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se
housing
fine dust
exhalation
dust mas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045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40657B1 (ko
Inventor
김도경
Original Assignee
김도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도경 filed Critical 김도경
Priority to KR10201901045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40657B1/ko
Publication of KR202100248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248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406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406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23/00Filters for breathing-protection purposes
    • A62B23/06Nose filter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9/00Component parts for respiratory or breathing apparatus
    • A62B9/06Mouthpieces; Nose-clip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Otolaryng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Respiratory Apparatuses And Protective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호상의 해당 필터를 수용하기 위해 해당 필터의 형태와 대응하는 형상으로 수용공간을 형성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중 수용공간의 배후면에서 돌출 형성되어, 사용자의 콧구멍에 각각 삽입되는 한 쌍의 삽입중공부, 및 평면을 따라 다수의 들숨홀을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하고, 상기 하우징의 일측과 연결편으로 연결되며, 상기 연결편을 축으로 회전하여 선택적으로 상기 하우징의 수용공간을 개폐하는 수용커버를 포함하여, 들숨에서 미세먼지 및 이물질을 필터링하는 필터의 교체가 용이하고, 마라톤 및 축구 등의 격한 운동에도 마스크의 이탈을 방지하며, 들숨과 날숨의 경로를 달리하여 호흡이 수월한 코에 착용하는 미세먼지 마스크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코에 착용하는 미세먼지 마스크{Fine dust mask to wear on nose}
본 발명은 코에 착용하는 미세먼지 마스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코에 착용되어, 외부 공기가 콧구멍으로 유입될 수 있도록 하면서, 외부 공기에 미세먼지와 같은 이물질을 필터링하여 청결한 호흡이 가능하게 하고, 착용감이 종래보다 향상됨은 물론, 마라톤, 축구와 같은 격한 운동에도 그 장착상태를 유지하며, 들숨과 별도로 날숨의 배기가 이루어지도록 하여, 마스크를 착용한 상태에서도 호흡이 수월하게 하는 코에 착용하는 미세먼지 마스크에 관한 것이다.
오늘날 산업의 발전과 더불어 대기오염의 문제가 심각해지고 있고, 이로 인한 사회적 비용이 날로 증가하고 있다.
대기오염의 주요 원인이 되고 있는 미세먼지는 그 발생원이 자연적인 것과 인위적인 것으로 구분될 수 있는데, 자연적 발생원은 흙먼지, 화산 분출에 의한 분진 및 고체 물질, 식물의 꽃가루 등이 있다. 인위적 발생원은 보일러나 발전시설 등에서 석탄이나 석유 등의 화석연료를 태울 때 생기는 매연, 자동차 배기가스, 건설현장 등에서 발생하는 먼지, 공장 내 분말형태의 원자재, 부자재 취급공정에서의 가루성분, 소각장 연기 등이 있다.
그리고 미세먼지는 중금속, 유해화학물질 등을 함유하고 있어 건강에 악영향을 준다. 미세먼지는 폐에 깊숙히 침투하여 여러 질병을 유발할 수 있다고 알려져 있다. 또한 미세먼지는 폐암 발생률 뿐만 아니라 뇌졸중이나 심장마비 심혈관계 사망률과 질병률을 증가시킬 수 있다 한다. 미세먼지는 목구멍이나 코 점막을 통과한 후 뇌에 도달하여 노년층의 인지 능력을 저하 시킬 수 있으며, 임산부의 경우 높은 농도의 미세먼지에 노출되면 자폐아를 출산할 가능성이 높아진다는 연구 결과도 있다.
이러한 이유로 최근 대기오염을 줄이려는 사회적 국제적 노력과 더불어, 대기오염 물질로부터의 건강을 보호하려는 사람들의 관심이 매우 높아지고 있고, 또한 대기오염과 관련한 제품의 시장도 커지고 있으며, 다양한 신제품이 개발되고 있다.
한 예로 특허공개번호 제2005-0008729호(2005.01.21)에서‘코 마스크’는 코 마스크의 설치축의 선단에 기능이 서로 다른 여러 종류의 마스크부를 선택적으로 장착할 수 있도록 하는 코 마스크에 관한 것으로 콧구멍으로부터 비전정으로 설치 축을 넣어 마스크부가 장착된 설치축의 선단부에 복수의 마스크부를 선택적으로 장착할 수 있고 축부에 흡수성과 완충성이 우수한 셀룰로오스 스펀지의 양측 또는 편측에 오염된 공기를 여과하여 집진성이 우수한 원형 필터 또는 원형 규소 고무를 배치하고 원통형 셀룰로오스 스펀지를 사이에 끼워 축부에 장착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코 마스크에 대하여 개시하고 있다.
그리고 코 마스크와 관련된 다른 선행기술로 특허공개번호 제2011-0094495호(2011.08.24) ‘코 마스크’가 있다. 상기 선행기술은 프로폴리스를 흡입하여 신체 면역력을 강화시키면서 호흡기 질환 예방에 도움을 줄 수 있도록 하는 코 마스크에 관한 것으로 커버 링 테두리를 따라 다수의 지지대를 형성하여 커버 링의 중앙에 장착 바를 관통 형성하고 장착 바 단부에 쐐기부를 형성한 프런트 커버와, 장착 바에 끼워져 커버링 내측에 구비되는 필터와, 장착 바에 끼워지고 중간 부분 둘레를 따라 다수의 통공이 형성된 필터 고정구와, 전후방이 개방되고 전방 중앙에 필터 고정구가 끼움 수단에 의해 분리 가능하게 끼워지는 하우징과, 프로폴리스가 함침되어 하우징 내측에 구비되는 거즈 및 하우징의 외측에 끼워지는 쿠션을 포함하는 코 마스크에 대하여 개시하고 있다.
하지만, 종래기술에는 필터의 교체가 용이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마라톤, 축구 등과 같은 격한 운동시 마스크가 쉽게 코에서 이탈하는 문제점이 있었고, 들숨 및 날숨의 경로로 단일로 되어 있어, 호흡이 용이하지 않음 불편함이 있었다.
본 발명은 들숨에서 미세먼지 및 이물질을 필터링하는 필터의 교체가 용이하고, 마라톤 및 축구 등의 격한 운동에도 마스크의 이탈을 방지하며, 들숨과 날숨의 경로를 달리하여 호흡이 수월한 코에 착용하는 미세먼지 마스크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코에 착용하는 미세먼지 마스크는 호상의 해당 필터를 수용하기 위해 해당 필터의 형태와 대응하는 형상으로 수용공간을 형성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중 수용공간의 배후면에서 돌출 형성되어, 사용자의 콧구멍에 각각 삽입되는 한 쌍의 삽입중공부, 및 평면을 따라 다수의 들숨홀을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하고, 상기 하우징의 일측과 연결편으로 연결되며, 상기 연결편을 축으로 회전하여 선택적으로 상기 하우징의 수용공간을 개폐하는 수용커버를 포함한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하우징은 그 타측에 걸림돌기를 돌출 형성하고, 상기 수용커버는 그 타측에 상기 걸림돌기에 상응하여 걸리는 걸림고리를 형성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코에 착용하는 미세먼지 마스크는 상기 하우징 중 한 쌍의 삽입중공부 사이에 형성되어, 사용자의 코에서 배기되는 날숨을 외부로 배출하는 복수 개의 날숨홀을 더 형성한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날숨홀의 상면에 일방향 개폐막을 구비하여, 사용자의 코에서 배기되는 날숨만이 배기되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코에 착용하는 미세먼지 마스크는 상기 한 쌍의 삽입중공부 각각의 일측면에는 콧구멍 사이 비중격의 내면과 밀착되도록 돌출 형성된 돌출부를 형성한다.
더불어 본 발명에 따른 코에 착용하는 미세먼지 마스크는 상기 삽입중공부의 중공에 원통형의 몸체 일측단이 삽입되고, 상기 원통형의 몸체 타측단 외주변을 따라 사용자의 콧구멍 내면에 밀착되는 탄성버(burr)를 형성한 고정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코에 착용하는 미세먼지 마스크에 의해 나타나는 효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소형이면서 외부 공기를 필터링하는 필터의 교체가 용이하며, 유연한 소재로 형성되어 착용감이 향상되며, 이로 인하여 마스크를 착용하는 과정 및 착용하여 사용하는 과정에서 불쾌감 또는 거부감을 최소화하여 착용으로 인한 불편함을 감소시키고, 구조가 간단하여 제조비용이 감소되는 효과를 가진다.
둘째, 들숨에서 미세먼지 및 이물질을 필터링하는 필터의 교체가 용이하고, 마라톤 및 축구 등의 격한 운동에도 마스크의 이탈을 방지하며, 들숨과 날숨의 경로를 달리하여 호흡이 수월한 효과를 가진다.
셋째, 콧구멍의 내경 크기에 따라 교체할 수 있는 고정팁을 더 포함하여, 비강을 밀폐시키면서 미세먼지를 포함하는 외부공기가 필터를 통해서만 유입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코에 착용하는 미세먼지 마스크에 필터를 수용하는 상태를 보인 예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코에 착용하는 미세먼지 마스크를 보인 예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코에 착용하는 미세먼지 마스크를 통해 들숨하는 상태를 보인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코에 착용하는 미세먼지 마스크를 통해 날숨하는 상태를 보인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코에 착용하는 미세먼지 마스크에 고정팁을 결합하는 상태를 보인 예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은 대체할 수 있는 균등한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발명은 코에 착용되어, 외부 공기가 콧구멍으로 유입될 수 있도록 하면서, 외부 공기에 미세먼지와 같은 이물질을 필터링하여 청결한 호흡이 가능하게 하고, 착용감이 종래보다 향상됨은 물론, 마라톤, 축구와 같은 격한 운동에도 그 장착상태를 유지하며, 들숨과 별도로 날숨의 배기가 이루어지도록 하여, 마스크를 착용한 상태에서도 호흡이 수월하게 하는 코에 착용하는 미세먼지 마스크에 관한 것으로, 도면을 참고하여 더욱 상세하게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코에 착용하는 미세먼지 마스크(100)는 하우징(110)과, 한 쌍의 삽입중공부(120) 및, 수용커버(130)를 포함하는데, 먼저 상기 하우징(110)은 판상으로 내부에 호상을 이루는 해당 필터(10)를 수용하기 위해 해당 필터(10)의 형태와 대응하는 형상으로 수용공간(111)을 호상으로 형성한다.
이때 상기 하우징(110)은 플라스틱 소재로 어느 정도의 뒤틀림이나 변형이 가능하도록 유연한 소재로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하우징(110)이 사용자의 코에 착용될 시, 사용자의 코 밑에 위치하게 되므로, 상기 하우징(110)의 외각 형상 역시, 상기 수용공간(111)과 같은 호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하우징(110)의 전체적인 외각 형상 및 수용공간(111)을 호상에 한정하여 설명하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설계조건에 따라 직사각, 반원, 원통형 등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110) 중 수용공간(111)의 배후면에는 한 쌍의 삽입중공부(120)를 돌출 형성하는데, 상기 한 쌍의 삽입중공부(120)는 상기 하우징(110)의 외측면에서 외부로 돌출 형성되면서, 내부에는 상기 수용공간(111)과 연통하는 중공을 형성하여, 사용자의 콧구멍에 삽입중공부(120)들이 각각 삽입되어, 상기 하우징(110)이 코에 착용되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하우징(110)이 한 쌍의 삽입중공부(120)에 의해 사용자 코에 장착되면, 상기 수용공간(111)과 사용자의 콧구멍은 서로 연통하게 되고, 상기 수용공간(111)에 수용된 필터(10)에 의해 미세먼지 등이 필터링된 공기가 상기 삽입중공부(120)의 중공을 통해 콧구멍 속으로 유입된다.
그러므로 필요에 따라 필터가 교체될 수 있도록 하는 것에 의하여 위생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110)의 하부에는 수용커버(130)를 구비하는데, 상기 수용커버(130)은 판상으로 그 전체적인 형상이 상기 하우징(110)과 동일하게 호상으로 형성하며, 평면을 따라 다수의 들숨홀(131)을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하고, 상기 하우징(110)의 일측과 연결편(140)으로 연결된다.
이때 상기 수용커버(130)는 상기 연결편(140)을 축으로 회전하여 상기 하우징(110)의 수용공간(111)을 선택적으로 개폐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코에 착용하는 미세먼지 마스크는 상기 연결편(140)을 축으로 한 상기 수용커버(130)의 회전으로 개방된 상기 하우징(110)의 수용공간(111)에 필터(10)를 수용한 후, 다시 상기 연결편(140)을 축으로 상기 수용커버(130)의 역회전으로 상기 수용커버(130)가 하우징(110)에 접철되어, 상기 하우징(110)의 수용공간(111)을 폐쇄하여 미세먼지 마스크(100)를 이루어진다.
이렇게 필터(10)가 수용된 하우징(110) 중 한 쌍의 삽입중공부(120)를 사용자 콧구멍에 삽입시키는 것으로, 상기 미세먼지 마스크(100)가 사용자의 코에 착용되어, 콧구멍을 통한 들숨 및 날숨의 호흡으로 미세먼지 마스크로서 기능을 발휘하게 된다.
더불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코에 착용하는 미세먼지 마스크(100)는 상기 수용커버(130)에 의해 상기 수용공간(111)의 폐쇄된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상기 연결편(140)이 연결된 일측과 대향진 상기 하우징(110)의 타측에는 걸림돌기(112)를 돌출 형성하고, 상기 수용커버(130)의 타측에는 상기 걸림돌기(112)에 상응하여 걸리는 걸림고리(132)를 형성하여, 상기 수용커버(130)가 하우징(110)에 접철될 시, 상기 수용커버(130)의 걸림고리(132)가 상기 하우징(110)의 걸림돌기(112)를 걸어 상기 수용커버(130)의 회전이 단속되어, 상기 수용공간(111)이 폐쇄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110) 중 한 쌍의 삽입중공부(120) 사이에는 복수 개의 날숨홀(113)을 더 형성하는데, 상기 복수 개의 날숨홀(113)은 사용자의 코에서 배기되는 날숨을 외부로 배출한다.
이때 상기 날숨홀(113)의 상면에는 일방향 개폐막(150)을 적층 구비하는데, 상기 일방향 개폐막(150)은 매우 부드러운 막으로 상기 날숨홀(113)의 크기보다 큰 면적을 갖도록 하여, 사용자의 코에서 배기되는 날숨의 배기압에 의해 상기 날숨홀(113)에서 외부로 접혀져 날숨만이 상기 날숨홀(113)을 통해 배기되도록 한다.
일례로 사용자의 코로 들어가는 들숨은 상기 수용커버(130)의 들숨홀(131)을 통해 유입된 후, 상기 수용공간(111)에 수용된 필터(10)를 거쳐 상기 필터(10)에 의해 외부 공기 중 이물질이 필터링되고, 필터링된 청결한 공기는 삽입중공부(120)의 중공을 통해 콧구멍 내로 유입하게 되는데, 상기 일방향 개폐막(150)은 상기 날숨홀(113)의 상면에 적층된 상태로, 상기 일방향 개폐막(150)은 그 면적이 상기 날숨홀(113)의 크기보다 큰 면적으로 상기 날숨홀(113)을 덮고 있어, 상기 날숨홀(113)을 통해 들숨이 유입되지 않게 된다.
사용자의 코에서 나가는 날숨은 상기 삽입중공부(120)의 중공을 통해 수용공간(111)으로 유출되고, 상기 수용공간(111)으로 유출된 날숨은 필터(10)를 통해 외부로 배기되는 것보다 저항이 낮은 상기 날숨홀(113)을 통해 외부로 배기 된다.
이때 상기 날숨홀(113)의 상면에 적층된 일방향 개폐막(150)은 수용공간(111)으로 유출된 날숨의 배기압에 의해 상향으로 접혀지면서 상기 날숨홀(113)이 개방되어, 날숨만이 상기 날숨홀(113)을 통해 배기 된다.
또한, 상기 한 쌍의 삽입중공부(120) 각각의 일측면에는 콧구멍 내면으로 돌출 형성된 돌출부(121)를 형성하는데, 상기 돌출부(121)는 콧구멍 사이 비중격의 내면과 밀착되도록 하여, 마라톤, 축구와 같은 격한 운동에도 상기 마스크(100)가 코에서 이탈하지 않도록 잡아준다.
이때 상기 돌출부(121)는 부피를 가변하도록 자체탄성을 갖는 것으로, 콧구멍으로 삽입중공부(120)을 진입시킬 시에는 부피가 축소되다. 콧구멍 안에서는 부피가 팽창되어, 콧구멍 사이 비중격의 내면과 밀착하게 된다.
더불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코에 착용하는 미세먼지 마스크는 고정팁(160)을 더 포함하는데, 상기 고정팁(160)은 상기 삽입중공부(120)의 중공에 원통형의 몸체 일측단이 삽입되고, 상기 원통형의 몸체 타측단 외주변을 따라 사용자의 콧구멍 내면에 밀착되는 탄성버를 형성한다.
따라서 상기 고정팁(160)은 콧구멍의 내경 크기에 따라 교체할 수 있는 것으로, 사용자가 고정팁(160)이 결합된 마스크를 착용하게 되면, 탄성버가 콧구멍의 내면과 완전 밀착되어, 비강을 밀폐시키면서 미세먼지를 포함하는 외부공기가 필터를 통해서만 유입되도록 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필터
100: 미세먼지 마스크
110: 하우징
111: 수용공간
112: 걸림돌기
113: 날숨홀
120: 삽입중공부
121: 돌출부
130: 수용커버
131: 들숨홀
132: 걸림고리
140: 연결편
150: 일방향 개폐막
160: 고정팁

Claims (6)

  1. 호상의 해당 필터를 수용하기 위해 해당 필터의 형태와 대응하는 형상으로 수용공간을 형성한 하우징;
    상기 하우징 중 수용공간의 배후면에서 돌출 형성되어, 사용자의 콧구멍에 각각 삽입되는 한 쌍의 삽입중공부; 및
    평면을 따라 다수의 들숨홀을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하고, 상기 하우징의 일측과 연결편으로 연결되며, 상기 연결편을 축으로 회전하여 선택적으로 상기 하우징의 수용공간을 개폐하는 수용커버;를 포함하는 코에 착용하는 미세먼지 마스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그 타측에 걸림돌기를 돌출 형성하고,
    상기 수용커버는 그 타측에 상기 걸림돌기에 상응하여 걸리는 걸림고리를 형성한 코에 착용하는 미세먼지 마스크.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중 한 쌍의 삽입중공부 사이에 형성되어, 사용자의 코에서 배기되는 날숨을 외부로 배출하는 복수 개의 날숨홀을 더 형성한 코에 착용하는 미세먼지 마스크.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날숨홀의 상면에 일방향 개폐막을 구비하여, 사용자의 코에서 배기되는 날숨만이 배기되도록 한 코에 착용하는 미세먼지 마스크.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삽입중공부 각각의 일측면에는
    콧구멍 사이 비중격의 내면과 밀착되도록 돌출 형성된 돌출부를 형성한 코에 착용하는 미세먼지 마스크.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삽입중공부의 중공에 원통형의 몸체 일측단이 삽입되고, 상기 원통형의 몸체 타측단 외주변을 따라 사용자의 콧구멍 내면에 밀착되는 탄성버(burr)를 형성한 고정팁을 더 포함하는 코에 착용하는 미세먼지 마스크.
KR1020190104519A 2019-08-26 2019-08-26 코에 착용하는 미세먼지 마스크 KR1023406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4519A KR102340657B1 (ko) 2019-08-26 2019-08-26 코에 착용하는 미세먼지 마스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4519A KR102340657B1 (ko) 2019-08-26 2019-08-26 코에 착용하는 미세먼지 마스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24838A true KR20210024838A (ko) 2021-03-08
KR102340657B1 KR102340657B1 (ko) 2021-12-17

Family

ID=751851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04519A KR102340657B1 (ko) 2019-08-26 2019-08-26 코에 착용하는 미세먼지 마스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40657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25359A (en) * 1994-08-29 1995-06-20 Liou; Nan-Tien Nose plug structure with filter
WO2003047699A1 (en) * 2001-12-03 2003-06-12 Fausto Lancini Nose filter
US20100108071A1 (en) * 2008-10-30 2010-05-06 Macy Jr Bradford Apparatuses to filter air
KR20110009246U (ko) * 2010-03-23 2011-09-29 (주)금강알텍 방진 마스크
KR101434255B1 (ko) * 2012-09-20 2014-08-27 웅진고분자 주식회사 착용감이 향상된 코 마스크
WO2019050091A1 (ko) * 2017-09-07 2019-03-14 이영기 콧구멍에 삽입되는 비강 마스크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25359A (en) * 1994-08-29 1995-06-20 Liou; Nan-Tien Nose plug structure with filter
WO2003047699A1 (en) * 2001-12-03 2003-06-12 Fausto Lancini Nose filter
US20100108071A1 (en) * 2008-10-30 2010-05-06 Macy Jr Bradford Apparatuses to filter air
KR20110009246U (ko) * 2010-03-23 2011-09-29 (주)금강알텍 방진 마스크
KR101434255B1 (ko) * 2012-09-20 2014-08-27 웅진고분자 주식회사 착용감이 향상된 코 마스크
WO2019050091A1 (ko) * 2017-09-07 2019-03-14 이영기 콧구멍에 삽입되는 비강 마스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40657B1 (ko) 2021-12-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90117B1 (ko) 영역분리구조를 갖는 배기정화형 공기 청정 마스크
US20100108071A1 (en) Apparatuses to filter air
KR102173429B1 (ko) 산소 증강형 미세 먼지 제거 마스크
KR101434255B1 (ko) 착용감이 향상된 코 마스크
KR20200052218A (ko) 마스크용 배출 밸브, 이를 구비하는 마스크 및 상기 마스크의 착용부
KR100897161B1 (ko) 비강내 삽입형 호흡정화 마스크
KR102333134B1 (ko) 센서를 구비한 오염물질 흡입 방지용 마스크
CN208785629U (zh) 一种自吸式空气过滤器
KR200434575Y1 (ko) 코 마스크
CN209714045U (zh) 口鼻分隔防护面罩
KR102120473B1 (ko) 미세먼지 차단용 호흡장치
KR102340657B1 (ko) 코에 착용하는 미세먼지 마스크
KR102366286B1 (ko) 기계식 마스크
US20210220679A1 (en) Filter-type respiratory protective device
KR102280478B1 (ko) 미세먼지 방지 투챔버 마스크
CN209711604U (zh) 一种防护面罩
KR200351789Y1 (ko) 휴대용 비상호흡기
KR20220014257A (ko) 투명마스크
KR102365511B1 (ko) 코마스크
CN213077263U (zh) 鼻塞及鼻塞组件
KR102474269B1 (ko) 기밀성 향상 구조를 갖는 차세대 마스크
KR200495343Y1 (ko) 필터교체형 그물망 마스크
CN213096246U (zh) 多功能呼吸分离口鼻独立罩
CN212233214U (zh) 具有进出单向气流通道和气体净化结构的口罩
CN213604575U (zh) 一种儿童防护口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