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23594A - 캐비테이션을 이용한 미세토 정화 장치 - Google Patents

캐비테이션을 이용한 미세토 정화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23594A
KR20210023594A KR1020190104017A KR20190104017A KR20210023594A KR 20210023594 A KR20210023594 A KR 20210023594A KR 1020190104017 A KR1020190104017 A KR 1020190104017A KR 20190104017 A KR20190104017 A KR 20190104017A KR 20210023594 A KR20210023594 A KR 202100235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il
fine soil
reservoir tank
cavitation
f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040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38100B1 (ko
Inventor
장준기
정태웅
김민정
Original Assignee
지에스건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지에스건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지에스건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040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38100B1/ko
Publication of KR202100235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235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381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381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C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C1/00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C1/08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chemically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oi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 Physical Water Treatments (AREA)

Abstract

캐비테이션을 이용한 미세토 정화 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미세토에 유류오염물이 부착된 함수 오염토를 저장하는 리저버 탱크; 상기 리저버 탱크의 일측과 연결되어 상기 함수 오염토를 제공받는 유입관; 상기 유입관에 연결되어 상기 함수 오염토를 제공받으며, 상기 함수 오염토가 지나가는 내부 통로의 단면적이 좁아지다가 확장되는 구조로 이루어져 상기 함수 오염토로부터 미세토와 유류오염물을 분리하는 벤츄리 유닛; 및 상기 벤츄리 유닛에 연결되며, 상기 벤츄리 유닛에서 분리된 상기 미세토와 상기 유류오염물을 상기 리저버 탱크에 공급하는 배출관;을 포함하는, 캐비테이션을 이용한 미세토 정화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Description

캐비테이션을 이용한 미세토 정화 장치{APPARATUS FOR REMEDIATING FINE SOIL PARTICLE}
본 발명은 캐비테이션을 이용한 미세토 정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오늘날 산업은 거의 전적으로 화석 연료를 기반으로 하여 발전되어 왔으나, 산업의 발전과 함께 수반된 환경 오염 문제가 최근 심각한 사회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환경 오염은 크게 대기 오염, 수질 오염 및 토양 오염으로 구분할 수 있다. 특히, 토양 오염 문제는 식량 생산에 매우 심각한 위협이 되고, 지하수 오염을 통한 수질 오염을 유발시킬 뿐만 아니라, 대기 오염이나 수질 오염에 비하여 해결하기가 쉽지 않다.
한편, 화석 연료 중 석유와 같은 유류는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이용될 수 있어 매우 광범위하게 활용되고 있으나, 해양 기름 유출 사고 내지는 운송 및 저장에 있어서의 부주의 등의 여러 가지 이유로 인해 상당량의 유류가 토양으로 유출되면서 심각한 토양 오염을 야기할 수 있다.
유류에 의해 오염된 토양이 자연적으로 회복되기 위해서는 상당한 기간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유류에 의해 오염된 토양을 인위적으로 정화하기 위한 기술들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유류에 의해 오염된 토양을 정화하는 기존의 방법들로, 토양 세척법(Soil washing), 열탈착법(Thermal desorption), 바이오 리미디에이션(bio remedation) 등의 기술들이 제안되고 있다.
상기 기술들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토양 세척법(Soil washing)은 물 또는 계면활성제(surfactant)를 이용하여 오염물질을 토양의 표면으로부터 분리시키는 기술이다.
이러한 토양 세척법은 중유 또는 원유로 오염된 토양을 처리하는 경우에는 계면활성제의 소모량이 비경제적으로 과다해지는 문제점이 있으며, 물이 중유 또는 원유와 접촉할 경우, 타르 볼(Tar Ball)이 생성되어 타르 볼에 의해 스크린이 막히는 현상 내지는 계면활성제의 접촉면적이 줄어들어 처리 효과가 급격히 줄어드는 현상을 보인다는 문제점이 있다.
열탈착법(Thermal desorption)은 유류에 의해 오염된 토양에 열을 가하여 유류 오염물을 휘발시킨 뒤, 휘발된 오염물을 연소실(burner)에서 태우는 공정에 의해 토양을 정화하는 기술이다. 휘발된 오염물을 연소실에서 태울 때, 분진이 발생하는데, 발생된 분진은 백 필터(bag filter)로 걸러서 오염물질을 최소화 시킨 후에 대기로 배출하게 된다.
이러한 열탈착법은 오염된 토양으로부터 휘발된 오염물을 소각할 때, 오염물의 탄소수(carbon number)에 비례하여 산소량이 필요하다. 토양을 오염시킨 원인 물질이 탄소수가 비교적 낮은 경유(light oil)인 경우에는 열탈착법에 의해 정화하는 경우 문제될 것이 없으나, 탄소수가 비교적 높은 중유 등에 의해 토양이 오염되는 경우, 이러한 오염 물질을 소각하는 데 필요한 산소량 또한 매우 커지고, 백 필터(bag filter)도 이에 비례하여 늘어나야 하므로, 후처리 시설이 매우 과다해져 버린다는 문제점이 있다.
바이오 리미디에이션(bio remedation)은 미생물을 이용하는 정화기술로서, US EPA에 따르면 일반적으로 TPH 5,000 mg/kg까지만 처리가 가능하며, 중유 또는 원유로 오염된 토양의 경우 TPH가 5,000 mg/kg를 훨씬 초과하는 경우가 일반적이므로, 미생물에 의한 처리로는 한계가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여기서, TPH란 Total Petroleum Hydrocarbon의 약자로, 총 석유계 탄화수소를 의미하고, TPH 수치가 높을수록 토양의 오염 정도가 심각함을 나타낸다.
또한, 원유에 의해 오염된 토양이 수십년간 방치되는 경우, 원유에 함유된 탄소수가 비교적 낮은 경유(light oil) 성분은 모두 날라가고, 난분해성 중유(heavy oil) 성분만 남게 되어, 생물학적인 분해가 어려울 수 있고, 건조하고 햇빛이 강한 환경에서는 미생물에 필요한 수분공급 및 통기성 확보가 현실적으로 어려워서, 바이오 리미디에이션 공정을 적용하는 것 자체가 어렵다는 한계점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유류 등으로 오염된 미세 토양을 캐비테이션 현상을 이용하여 미세토로부터 유류오염물을 효과적으로 분리할 수 있는 캐비테이션을 이용한 미세토 정화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미세토에 유류오염물이 부착된 함수 오염토를 저장하는 리저버 탱크; 상기 리저버 탱크의 일측과 연결되어 상기 함수 오염토를 제공받는 유입관; 상기 유입관에 연결되어 상기 함수 오염토를 제공받으며, 상기 함수 오염토가 지나가는 내부 통로의 단면적이 좁아지다가 확장되는 구조로 이루어져 상기 함수 오염토로부터 미세토와 유류오염물을 분리하는 벤츄리 유닛; 및 상기 벤츄리 유닛에 연결되며, 상기 벤츄리 유닛에서 분리된 상기 미세토와 상기 유류오염물을 상기 리저버 탱크에 공급하는 배출관;을 포함하는, 캐비테이션을 이용한 미세토 정화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입관에 제공되며, 상기 함수 오염토를 상기 벤츄리 유닛으로 이송하는 이송 펌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입관은, 상기 이송 펌프의 후단 쪽에서 상기 이송 펌프의 전단 쪽으로 과공급된 상기 함수 오염토를 바이패스시키는 바이패스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리저버 탱크의 상부에 연결되며, 상기 리저버 탱크의 상부에 층을 이루며 분리된 상기 유류오염물을 상기 리저터 탱크의 외부로 배출시키는 분리 라인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벤츄리 유닛은, 상기 유입관과 상기 배출관 사이에 복수 개로 제공되며, 각각의 내부 통로의 단면적이 좁아지다가 확장되는 구조로 형성되는 복수 개의 벤츄리 관; 및 상기 복수 개의 벤츄리 관을 감싸서 커버하는 하우징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리저버 탱크, 상기 유입관, 상기 상기 벤츄리 유닛 및 상기 배출관은 하나의 단위 모듈로 제공되고, 상기 단위 모듈이 복수 개로 제공될 때 상기 리저버 탱크는 서로 이웃하게 연결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복수 개의 상기 리저버 탱크에는 그 경계면을 이루는 격벽의 하부에 상기 함수 오염물이 이웃하는 다른 리저버 탱크로 이동 가능하도록 개구부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분리 라인은 상기 복수 개의 리저버 탱크의 상부와 각각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위 모듈은 디실터에서 정화되지 못한 미세토를 정화하도록 상기 디실터의 후 공정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 의하면, 유류 등으로 오염되어 유류오염물이 부착된 미세 토양을 간단한 벤츄리 구조를 통한 캐비테이션 현상을 이용하여 미세 토양에서 유류오염물을 분리, 회수할 수 있기 때문에 미세토의 정화 효율이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캐비테이션을 이용한 미세토 정화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캐비테이션을 이용한 미세토 정화 장치에서 벤츄리 유닛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A-A선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미세토 정화 장치를 하나의 기본 모듈로 하여 복수 개의 기본 모듈이 제공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성 및 작용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은 특허 청구 가능한 본 발명의 여러 측면(aspects) 중 하나이며, 하기의 설명은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기술의 일부를 이룰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공지된 구성 또는 기능에 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을 명료하게 하기 위해 생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들을 포함할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해당 구성요소들은 이와 같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이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들을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캐비테이션을 이용한 미세토 정화 장치(10)는 리저버 탱크(100), 유입관(200), 벤츄리 유닛(300) 및 배출관(400)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캐비테이션을 이용한 미세토 정화 장치(10)는 표면이 유류오염물(예컨대, 유출된 기름)에 둘러싸인 미세 토양입자(이하, "미세토"라 한다)에서 캐비테이션(공동 현상)을 이용하여 유류오염물을 분리하여 미세토를 정화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류오염물에 오염된 토양에서 대체로 입자 크기가 10um 이상의 토양은 대부분 깨끗하게 정화 처리가 되는 반면, 이보다 작은 입자 크기를 갖는 미세토는 토양의 입자 크기가 너무 작아서 물리적인 힘이 잘 전달되지 않고 유류오염물과 토양 입자의 결합이 단지 부착력 뿐만 아니라 전기적인 힘까지 작용하여 미세토를 정화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상기한 바와 같은 유류오염물의 제거가 어려운 미세토를 수리동력학적 공동 현상(캐비테이션)을 이용하여 정화하는 장치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치는, 미세토에 유류오염물이 부착되고 소정의 물이 함유된 미세토(이하, "함수 오염토"라 한다)가 단면적이 급속히 감소하는 벤츄리 구조체를 통과하도록 한다.
함수 오염토가 벤츄리 구조체를 통과할 때 유속이 높아지고 압력이 감소하면서 캐비테이션이 발생되었다가 단면적이 확장되는 곳에서 소멸되는 원리를 이용하여 미세토로부터 유로오염물을 간편하게 분리할 수 있기 때문에 미세토의 정화가 가능하다.
도 1을 참고하면, 리저버 탱크(100)는 미세토에 유류오염물이 부착된 함수 오염토를 저장하기 위해 제공된다.
리저버 탱크(100)는 상부가 개방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하부는 평평하거나 필요에 따라 아래로 오목한 호퍼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리저버 탱크(100)는 함수 오염토의 처리 용량에 대응하여 그 크기가 설정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2 개 이상으로 복수 개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유입관(200)은 리저버 탱크(100)의 일측과 연결되어 리저버 탱크(100)에 저장된 함수 오염토를 공급받기 위해 제공된다. 유입관(200)은 함수 오염수를 쉽게 공급받을 수 있도록 리저버 탱크(100)의 하부 측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벤츄리 유닛(300)은 유입관(200)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어 유입관(200)으로부터 함수 오염토를 제공받을 수 있다.
벤츄리 유닛(30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함수 오염토가 지나가는 내부 통로의 단면적이 좁아지다가 다시 확장되는 구조(벤츄리 구조)로 이루어져 함수 오염토로부터 미세토와 유류오염물을 분리하여 미세토를 정화할 수 있다. 벤츄리 유닛(300)의 구성, 구조 및 미세토의 정화 원리에 대해서는 뒤에서 다시 설명한다.
또한, 배출관(400)은 벤츄리 유닛(300)의 후단에 연결되어 벤츄리 유닛(300)을 통과한 후 함수 오염토로부터 분리된 미세토와 유류오염물을 전달받으며, 이를 리저버 탱크(100)에 공급한다. 따라서, 벤츄리 유닛(300)에서 배출된 미세토와 유류오염물은 리저버 탱크(100)로 투입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상기한 리저버 탱크(100), 유입관(200), 벤츄리 유닛(300) 및 배출관(400) 이외에 이송 펌프(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송 펌프(5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입관(200)에 설치되어 함수 오염토를 벤츄리 유닛(300)으로 이송하기 위해 제공될 수 있다. 이송 펌프(500)는 소정의 압력(예컨대, 10 ~ 20bar)으로 리저버 탱크(100)의 함수 오염토를 흡입하여 그 함수 오염토를 벤츄리 유닛(300)으로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유입관(20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요에 따라 바이패스관(21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바이패스관(210)은 유입관(200)의 일측과 타측을 서로 연결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바이패스관(210)은 유입관(200)에서 이송 펌프(500)의 후단을 형성하는 부분과 이송 펌프(500)의 전단을 형성하는 부분을 서로 연결하여 이송 펌프(500)의 후단에서 이송 펌프(500)의 전단으로 과공급된 함수 오염토를 바이패스시킬 수 있다.
따라서, 유입관(200) 내에서 이송 펌프(500)에 의해 벤츄리 유닛(300) 쪽으로 공급되는 함수 오염토는 함수 오염토의 양이 과다하면 바이패스관(210)을 통해 이송 펌프(500)의 전단 쪽으로 보내지기 때문에 벤츄리 유닛(300)에 공급되는 함수 오염토의 양은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
또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분리 라인(6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분리 라인(600)은 리저버 탱크(100)의 상부에 연결되며, 리저버 탱크(100)의 상부에 층을 이루며 분리되어 있는 유류오염물을 흡입하여 리저버 탱크(100)의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다.
함수 오염토는 벤츄리 유닛(300)을 통과하면서 캐비테이션에 의해 미세토에 부착된 유류오염물이 분리되고, 이 유류오염물과 미세토는 배출관(400)을 통해 리저버 탱크(100)에 다시 들어가게 된다. 이 과정에서 일단 분리된 유류오염물과 미세토, 수분들은 비중이 서로 다르기 때문에 리저버 탱크(100)에서 층 분리가 일어나게 된다.
이때, 유류 성분을 포함하고 있어 비중이 가장 작고 수분과 섞이지 않는 유류오염물은 리저버 탱크(100) 내에서 층 분리되어 최상층에 위치하기 때문에 분리 라인(600)이 층 분리된 유류오염물을 흡입하여 리저버 탱크(100) 외부로 배출하면 리저버 탱크(100) 내에서 유류오염물이 제거될 수 있다.
이하, 벤츄리 유닛(300)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벤츄리 유닛(300)은 오염된 함수 오염토가 단면적이 감소하는 구조물을 통과할 때 발생하는 캐비테이션(수리동력학적 공동 현상)을 이용하여 함수 오염토를 정화하기 위한 구성이다.
함수 오염토가 벤츄리 유닛(300)에서 단면적이 좁아지는 부분을 통과할 때 유체의 속도가 증가하게 되면 유체 내의 압력이 국소적으로 액체의 포화 증기압 이하로 저하되는데, 이때 유체 내에서는 물 분자와 비응축성 기체 분자로 이루어진 캐비테이션 기포군이 발생하게 된다.
또한, 함수 오염토가 벤츄리 유닛(300)에서 단면적이 다시 확장되는 부분을 지날 때 유속이 감소하면서 압력이 회복되면 각각의 캐비테이션 기포는 수축, 재팽창, 붕괴의 과정을 거치면서 충격압과 고온 환경을 기포 근방에 형성하게 된다.
이와 동시에, 붕괴되는 기포 내에는 마이크로 제트가 발생되고, 물 분자는 열 분해에 의해 OH라디칼과 H라디칼로 분해되는데, 이 중에서 강력한 산화력을 갖는 물질로 알려진 OH라디칼이 미세토에 부착되어 있는 유류오염물을 산화, 분해, 침식, 절삭시켜 오염된 미세토를 정화하게 된다.
상기한 작용을 수행하는 벤츄리 유닛(30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 통로의 단면적이 좁아지다가 확장되는 단 하나의 관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정화 처리해야 할 함수 오염토의 양이 많을 경우 이를 신속하게 처리하기 위해 필요에 따라 복수 개의 관이 제공되는 것도 가능하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벤츄리 유닛(300)은 복수 개의 벤츄리 관(310) 및 하우징(320)을 포함하는 것으로 제공될 수 있다.
복수 개의 벤츄리 관(310)은 유입관(200)과 배출관(400) 사이에서 나란하게 복수 개로 제공될 수 있다. 복수 개의 벤츄리 관(310)은 각각 내부 통로의 단면적이 좁아지다가 다시 확장되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유입관(200)으로부터 제공받은 함수 오염토가 복수 개의 벤츄리 관(310)으로 각각 나누어져 공급될 수 있고, 이 함수 오염토는 각각의 벤츄리 관(310)을 통과하면서 유속과 압력 변화에 의해 생성되는 캐비테이션에 의해 미세토와 유류오염물로 분리된 후 배출관(400)에서 다시 모아질 수 있다.
또한, 하우징(320)은 복수 개의 벤츄리 관(310)을 감싸서 벤츄리 관(310)을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보호하도록 커버할 수 있다.
또한,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상술한 바와 같은 리저버 탱크(100), 유입관(200), 벤츄리 유닛(300) 및 배출관(400)을 포함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세토 정화 장치(10)를 하나의 단위 모듈(10)로 하여, 이러한 단위 모듈(10)을 필요에 따라 서로 연결하여 사용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단위 모듈(10)이 2개 이상으로 복수 개 제공되는 경우, 도 4에서 보듯이 리저버 탱크(100)가 서로 이웃하게 연결되도록 배치된다. 도 4는 단위 모듈(10)이 4개로 제공되는 경우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으로서, 이와 같은 경우 4개의 리저버 탱크(100)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이 리저버 탱크(100)들의 경계면을 이루는 격벽(110)의 하부에는 리저버 탱크(100)에 저장된 함수 오염물이 이웃하는 다른 리저버 탱크(100)로 이동할 수 있도록 소정 크기의 개구부(111)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이 복수 개의 단위 모듈(10)로 제공되는 경우, 분리 라인(600)은 복수 개의 리저버 탱크(100)의 상부와 각각 연결되어 층 분리된 유류오염물을 리저버 탱크(100)의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또한 분리 라인(600)은 유수 분리기(610)와 연결되어 유수 분리기(610)를 통해 유류오염물로부터 물과 기름을 서로 분리할 수 있다.
또한, 단위 모듈(10)은 디실터(20)에서 정화되지 못한 대략 10um 이하의 미세토를 정화하도록 상기 디실터(20)의 후측에 배치될 수 있다.
디실터(20)는 토양 정화 공정에서 토양 입자와 유류 성분을 분리하기 위해 제공되는 장치이나, 미세토의 경우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유류오염물이 미세토에서 쉽게 분리되지 않으므로 단위 모듈(10)이 디실터(20)의 후 공정에 배치되어 미세토를 정화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사용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얼마든지 구성요소의 치환과 변경이 가능한 바,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에 속하게 된다.
10 : 미세토 정화 장치(단위 모듈) 20 : 디실터
100 : 리저버 탱크 110 : 격벽
111 : 개구부 200 : 유입관
210 : 바이패스관 300 : 벤츄리 유닛
310 : 벤츄리 관 320 : 하우징
400 : 배출관 500 : 이송 펌프
600 : 분리 라인 610 : 유수 분리기

Claims (8)

  1. 미세토에 유류오염물이 부착된 함수 오염토를 저장하는 리저버 탱크;
    상기 리저버 탱크의 일측과 연결되어 상기 함수 오염토를 제공받는 유입관;
    상기 유입관에 연결되어 상기 함수 오염토를 제공받으며, 상기 함수 오염토가 지나가는 내부 통로의 단면적이 좁아지다가 확장되는 구조로 이루어져 상기 함수 오염토로부터 미세토와 유류오염물을 분리하는 벤츄리 유닛; 및
    상기 벤츄리 유닛에 연결되며, 상기 벤츄리 유닛에서 분리된 상기 미세토와 상기 유류오염물을 상기 리저버 탱크에 공급하는 배출관;을 포함하는,
    캐비테이션을 이용한 미세토 정화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관에 제공되며, 상기 함수 오염토를 상기 벤츄리 유닛으로 이송하는 이송 펌프를 더 포함하는,
    캐비테이션을 이용한 미세토 정화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관은,
    상기 이송 펌프의 후단 쪽에서 상기 이송 펌프의 전단 쪽으로 과공급된 상기 함수 오염토를 바이패스시키는 바이패스관을 더 포함하는,
    캐비테이션을 이용한 미세토 정화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리저버 탱크의 상부에 연결되며, 상기 리저버 탱크의 상부에 층을 이루며 분리된 상기 유류오염물을 상기 리저버 탱크의 외부로 배출시키는 분리 라인;을 더 포함하는,
    캐비테이션을 이용한 미세토 정화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벤츄리 유닛은,
    상기 유입관과 상기 배출관 사이에 복수 개로 제공되며, 각각의 내부 통로의 단면적이 좁아지다가 확장되는 구조로 형성되는 복수 개의 벤츄리 관; 및
    상기 복수 개의 벤츄리 관을 감싸서 커버하는 하우징;을 포함하는,
    캐비테이션을 이용한 미세토 정화 장치.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리저버 탱크, 상기 유입관, 상기 벤츄리 유닛 및 상기 배출관은 하나의 단위 모듈로 제공되고,
    상기 단위 모듈이 복수 개로 제공될 때 상기 리저버 탱크는 서로 이웃하게 연결되도록 배치되는,
    캐비테이션을 이용한 미세토 정화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복수 개의 상기 리저버 탱크에는 그 경계면을 이루는 격벽의 하부에 상기 함수 오염물이 이웃하는 다른 리저버 탱크로 이동 가능하도록 개구부가 형성되는,
    캐비테이션을 이용한 미세토 정화 장치.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 모듈은 디실터에서 정화되지 못한 미세토를 정화하도록 상기 디실터의 후 공정에 배치되는,
    캐비테이션을 이용한 미세토 정화 장치.
KR1020190104017A 2019-08-23 2019-08-23 캐비테이션을 이용한 미세토 정화 장치 KR1023381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4017A KR102338100B1 (ko) 2019-08-23 2019-08-23 캐비테이션을 이용한 미세토 정화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4017A KR102338100B1 (ko) 2019-08-23 2019-08-23 캐비테이션을 이용한 미세토 정화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23594A true KR20210023594A (ko) 2021-03-04
KR102338100B1 KR102338100B1 (ko) 2021-12-10

Family

ID=751746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04017A KR102338100B1 (ko) 2019-08-23 2019-08-23 캐비테이션을 이용한 미세토 정화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38100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36150A (ja) * 2002-10-15 2004-05-13 Sumitomo Metal Ind Ltd 土壌の浄化方法及び装置
KR101046622B1 (ko) * 2010-05-12 2011-07-25 삼창엔텍 주식회사 벤츄리관을 직렬 및 병렬로 연결한 슬러지의 전처리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36150A (ja) * 2002-10-15 2004-05-13 Sumitomo Metal Ind Ltd 土壌の浄化方法及び装置
KR101046622B1 (ko) * 2010-05-12 2011-07-25 삼창엔텍 주식회사 벤츄리관을 직렬 및 병렬로 연결한 슬러지의 전처리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38100B1 (ko) 2021-1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545330A (en) Water treatment system
NO327344B1 (no) Metode og anordning for rensing av gasser ved bruk av blandeskovler
KR101663060B1 (ko) 산업 유체 탈수 시스템
JP6465272B2 (ja) 油水分離器、油水分離方法、およびろ過膜ユニット
KR100860493B1 (ko) 냉각 탈진 장치
JP6068481B2 (ja) 界面エマルジョン、水及び固体を処理する装置
KR101437816B1 (ko) 폐수 처리 방법, 폐수 처리 시스템 및 이에 이용되는 벤젠 분리 제거장치
CN111170394A (zh) 含油污水清洁处理中挥发性有机物减排方法和装置
KR101691425B1 (ko) 유류오염 지하수의 물리적 및 화학적 복합정화시스템
KR101772913B1 (ko) 이동식 수처리 장치
KR102338100B1 (ko) 캐비테이션을 이용한 미세토 정화 장치
WO2003076344A1 (en) System for removing organics from a wastewater stream
KR102001031B1 (ko) 지중열탈착 후처리 시스템
KR101059851B1 (ko) 디엔에이피엘 오염 지역에 대한 물리적 처리 시스템
JP4780503B2 (ja) 流出油回収処理装置
SK5697Y1 (en) Device for waste disposal
KR101285586B1 (ko) Dnapl 오염 부지 정화를 위한 복합 처리 시스템
US20070221558A1 (en) Plant for purifying water contaminated by droplets of hydrocarbonaceous liquid
KR102022937B1 (ko) 지중열탈착에서 발생되는 석유계 유증기의 회수장치
AU2001276599A1 (en) A plant for purifying water contaminated by droplets of hydrocarbonaceous liquid
KR20210023035A (ko) 캐비테이션을 이용한 미세토 정화 장치
KR100978804B1 (ko) 원유에 오염된 토양 복원시스템
JP4421417B2 (ja) 汚染土壌の浄化処理装置
KR20210023045A (ko) 토양 정화 설비
KR20140146678A (ko) 토양 정화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