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23325A - Cost settlement and clinic recommendation system for dental implant surgery based on the quantitative analysis of surgical operation concordance - Google Patents

Cost settlement and clinic recommendation system for dental implant surgery based on the quantitative analysis of surgical operation concordan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23325A
KR20210023325A KR1020190103377A KR20190103377A KR20210023325A KR 20210023325 A KR20210023325 A KR 20210023325A KR 1020190103377 A KR1020190103377 A KR 1020190103377A KR 20190103377 A KR20190103377 A KR 20190103377A KR 20210023325 A KR20210023325 A KR 202100233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rgery
surgical
cost
implant
success r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03377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태경
Original Assignee
이태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태경 filed Critical 이태경
Priority to KR10201901033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23325A/en
Priority to PCT/KR2020/011174 priority patent/WO2021040331A2/en
Publication of KR202100233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23325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2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 G16H20/4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mechanical, radiation or invasive therapies, e.g. surgery, laser therapy, dialysis or acupunct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34/00Computer-aided surgery; Manipulators or robot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surgery
    • A61B34/10Computer-aided planning, simulation or modelling of surgical operations
    • A61B2034/108Computer aided selection or customisation of medical implants or cutting guides

Abstract

The disclosed invention relates to a dental implant surgery cost settlement system. The dental implant surgery cost settlement system comprises: a surgery cost calculation device calculating implant surgery cost by applying a quantitatively predicted implant surgery success rate based on individual surgical plan information of a patient; and a surgical concordance rate determination device determining how well the plan and the surgical result match and outputting the concordance rate as a quantitative value by superimposing and contrasting an inputted 3D surgery plan image and a 3D surgery result image.

Description

정량적 수술 일치율 분석을 통한 치과 임플란트 수술비용 정산 및 추천 시스템{Cost settlement and clinic recommendation system for dental implant surgery based on the quantitative analysis of surgical operation concordance}{Cost settlement and clinic recommendation system for dental implant surgery based on the quantitative analysis of surgical operation concordance}

본 발명은 치과 임플란트 수술비용 정산 및 추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상세히는 환자 개개인의 수술계획 정보에 기반하여 정량적으로 예측된 임플란트 수술 성공률을 적용하여 객관적인 임플란트 수술비용을 산출하고, 임플란트 수술이 완료된 이후에는 실제 수술결과를 수술계획과 비교하여 그 일치율을 산출함으로써 합리적으로 임플란트 수술비용을 정산할 수 있도록 하며, 나아가 임플란트 수술 일치율의 정량적 분석 결과를 치과 병의원별로 데이터베이스화하여 통계적 정보로 제공함으로써 환자에게 객관적인 정보 수집의 기회를 부여할 수 있는 치과 임플란트 수술비용 정산 및 추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ntal implant surgery cost calculation and recommendation system, and in more detail, by applying a quantitatively predicted implant surgery success rate based on each patient's surgery plan information, an objective implant surgery cost is calculated, and after the implant surgery is completed.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reasonably settle the cost of implant surgery by comparing the actual surgical result with the surgical plan and calculating the agreement rate. Furthermore, the quantitative analysis result of the implant operation agreement rate is converted into a database for each dental clinic and provided as statistical information, thereby providing objective information to the patient. It relates to a dental implant surgery cost settlement and recommendation system that can give an opportunity to collect information.

치과 임플란트(Dental Implant, 이하 간략히 "임플란트"라 함)는 인공 치아 또는 제3의 치아라고도 한다. 즉, 임플란트란 치아의 결손이 있는 부위나 치아를 뽑은 자리의 턱뼈에 생체 적합성이 우수한 재질, 예를 들면 티타늄계 금속 재질로 만들어진 인공 치아를 심어서 자연치의 기능을 회복시켜주는 치과 치료 술식, 또는 인공 치아 자체를 지칭하는 것이다. 임플란트를 심을 자리의 잇몸뼈가 부족한 경우에는 골 이식, 골 신장술 등의 부가적인 수술을 통하여 임플란트를 충분히 감쌀 수 있도록 골 조직의 부피를 늘린 후에 임플란트를 심기도 한다.Dental implants (Dental Implant, hereinafter simply referred to as “implant”) are also referred to as artificial teeth or third teeth. In other words, an implant is a dental treatment technique that restores the function of natural teeth by implanting artificial teeth made of a material with excellent biocompatibility, for example, a titanium-based metal material, in the jawbone at the location where the tooth is defective or where the tooth was pulled out, or It refers to the artificial tooth itself. If the gingival bone at the site where the implant is to be placed is insufficient, the volume of the bone tissue is increased so that the implant can be sufficiently wrapped through additional surgery such as bone graft and bone kidney surgery, and then the implant is planted.

이러한 임플란트는 다양한 구조를 가지는데, 공지된 여러 문헌으로부터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기본적으로 픽스쳐(fixture)와 어버트먼트(abutment), 그리고 인공 크라운(crown)의 요소로 이루어진다. 픽스쳐는 생체 적합성이 우수한 재질의 나사형상으로 형성되어 치아가 상실된 치조골에 매식되어 뼈와 골 융합되고, 어버트먼트는 그 상단에 저작(詛嚼)과 미용을 위한 인공 크라운이 장착되는 상부 구조체로서 하부의 픽스쳐와 나사구조 또는 억지끼움 방식으로 결합하거나 일체로 구성된다.These implants have various structures, and as can be seen from various known documents, they are basically composed of elements of a fixture, an abutment, and an artificial crown. The fixture is formed in the shape of a screw made of a material with excellent biocompatibility, which is inserted into the lost alveolar bone and fused with the bone, and the abutment is an upper structure on which an artificial crown for mastication and beauty is mounted. It is combined or integrally configured with the lower fixture through a screw structure or force-fitting method.

이와 같은 치과용 임플란트는 없어진 치아 주변을 깎아서 연결하여 덧씌우는 브리지와 같은 보철과 달리, 탈락된 치아만 치료한다는 개념과 생역학적 우수성으로 인해서 치과 치료에서 빼놓을 수 없는 중요한 보철방법으로 자리매김하게 되었으며, 고령화 사회 및 건강보험의 확대적용 등으로 인해 많은 수술이 진행되고 있다. Unlike prosthetics such as bridges that cut and connect the periphery of missing teeth, such dental implants have become an important prosthesis method that cannot be excluded in dental treatment due to the concept of treating only the missing teeth and their biomechanical excellence. Many surgeries are in progress due to the widespread application of social and health insurance.

그러나, 통계자료(2014년 5월∼2015년 2월, 회원고충처리위원회 치과의료소송 판례, 대한민국 치과의사협회)를 보면, 치과진료과목 중 치과용 임플란트 진료가 송사에 차지하는 비중은 28%로 나왔다. 이를 본다면, 논문 등에서 단순히 치과용 임플란트의 성공률이 95%라는 것은 통제된 조건 하에서의 치과용 임플란트 그 자체의 임상적 성공률을 의미하는 것이지, 실제 치과 병의원에서 진행되는 수술, 치료의 성공률과는 구분되어야 마땅하다. However, according to statistical data (May 2014-February 2015, Member's Grievance Committee, Dental Litigation Case, Korea Dentist Association), the proportion of dental implant treatment among dental treatment subjects was found to be 28%. . In view of this, if the success rate of a dental implant is 95% simply in thesis, it means the clinical success rate of the dental implant itself under controlled conditions, and it should be distinguished from the success rate of surgery and treatment performed in an actual dental clinic. Do.

즉, 통제된 조건에서의 임플란트 자체의 생체적 적합성은 논문에서 조사된 바와 같이 우수할지 모르나, 일반적으로 널리 시술되고 있는 임플란트 수술의 실체적 성공률은 여러 요인에 의해 낮게 나오고 있는 것이다. 이로 인해, 임플란트 시술의 우수성을 기대하고 상대적으로 큰 돈을 지불하여 수술받은 환자의 입장에서는, 수술이 실패할 경우 환자의 불편과 고통이 가중되고, 치의학이라는 특수분야의 특성으로 인해 손해배상을 받기가 쉽지 않아, 종국에는 피해사례 누적 및 확산으로 인해 환자의 불신이 깊어지고 또 다른 사회갈등으로 심화하며, 정부에서 지원한 건강보험 또한 낭비되는 결과를 초래하게 된다.In other words, the biocompatibility of the implant itself under controlled conditions may be excellent as investigated in the paper, but the substantial success rate of implant surgery, which is generally widely performed, is low due to several factors. For this reason, from the perspective of the patient who had the surgery by paying a relatively large amount of money in anticipation of the excellence of the implant procedure, the patient's discomfort and pain increase when the operation fails, and damages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a special field of dentistry are received. In the end, due to the accumulation and spread of damage cases, the patient's distrust deepens, and another social conflict intensifies, and the health insurance supported by the government is also wasted.

이러한 사회적 현상에서, 환자는 치과 병의원을 단 1회 방문하여 수술을 결정하지 않고 여러 차례 방문하여 정보를 수집하는 등, 한번 진행되면 비가역적으로 되돌릴 수 없는 치료의 특성상, 그리고 잘못될 경우 보상받기가 어렵다는 이유로 사전에 정확한 판단을 위해 개인적으로 많은 시간과 노력을 투입하고 있다. In these social phenomena, patients visit the dental hospital only once and do not decide on surgery, but visit several times to collect information. Because it is difficult, I personally put a lot of time and effort into making accurate judgments in advance.

그 중에 대표적으로는, 지인을 통한 정보수집과 같은 통상적인 방법이 있고, 근래에는 인터넷 등을 통해 치료 후기를 공유함으로써 나름대로 정보를 수집하기도 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정보수집은 치료 후기 자체가 주관적으로 왜곡된 것이거나 환자유인책의 의도를 갖고 작성된 경우가 있을 수 있어, 주의가 요구되고 한계가 분명한 정보수집 방법이라 할 수 있다. Among them, there is a common method such as collecting information through acquaintances, and recently, information is collected in its own way by sharing treatment reviews through the Internet. However, such information collection may be subjectively distorted or written with the intention of patient incentives, so it can be said that it is a method of collecting information that requires attention and has clear limitations.

이와 같이, 여러 군데의 치과 병의원을 수차례 방문하여 상담받거나 치료 후기 등을 조사하더라도, 환자유인을 위해 병의원이 비합리적인 금액을 광고용으로 알리는 경우도 있어, 결국 객관적인 수술실력에 근거하여 치료받기가 어려워지게 된다.In this way, even if several dental clinics are visited several times for consultation or review of treatment reviews, etc., there are cases in which the clinic notifies an irrational amount for advertising purposes to attract patients, making it difficult to receive treatment based on objective surgical skills. do.

반대로 환자가 병의원에서 임플란트 수술비용에 대해 수술실력이나 그간의 수술실적과 무관하게 지나치게 할인을 요구하기도 하여, 결론적으로 환자와 병의원 간의 치과용 임플란트에 관한 진단, 상담, 치료 등의 과정이 더욱 왜곡되는 악순환이 발생하고 있다. On the contrary, patients in hospitals and clinics request excessive discounts for implant surgery costs regardless of their operating skill or previous operating results, and consequently, the process of diagnosis, consultation, and treatment regarding dental implants between the patient and the hospital is further distorted. A vicious cycle is occurring.

특히, 진료비 내지는 치료비의 경우, "치과 임플란트 상향식 원가산정"에 관한 논문(http://dx.doi.org/10.4047/jkap.2014.52.1.18 )에도 소개되었듯이, 그리고 "하향식 방식을 적용한 치과 임플란트 원가산정"에 관한 논문(신호성, 김민영. 대한치과의사협회지 Vol.52 No.7, 2014.07, 416 - 424)에서도 소개되었듯이, 치과 병의원이 운영을 위해 필요한 금액 등 환자의 증례 자체에 대한 중점적인 판단보다는 운영논리 위주로 결정된 치료비가 많아, 운영을 위해 가격을 지나치게 높이는 경우도 있고, 또 반대로 상업적 판단에 의해 지나치게 가격을 낮게 책정해서 불공정거래를 야기하는 경우도 발생하게 된다.In particular, in the case of medical expenses or treatment expenses, as introduced in the paper on "Dental Implant Bottom-Up Cost Estimation" ( http://dx.doi.org/10.4047/jkap.2014.52.1.18 ) , and "Dental implants applying a top-down method," As introduced in the thesis on "Cost Estimation" (Shin Shin, Min-Young Kim. Journal of the Korean Dental Association Vol.52 No.7, 2014.07, 416-424), it focuses on the patient's case itself, such as the amount required for operation of a dental hospital There are many treatment costs determined based on operational logic rather than human judgment, and there are cases in which the price is excessively increased for operation, and on the contrary, there are cases in which unfair trade is caused by setting the price too low by commercial judgment.

이는 종국에는 임플란트 치료비 자체가 주먹구구식으로 산정되었다는 인식을 환자에게 주게 되어, 갈등과 의심이 심화하는 악순환이 반복되고, 정당한 치료마저도 낮은 치료비로 진행되게 하거나, 쉽게 치료할 수 있는 증례도 비싸게 치료받게 되는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다. In the end, this gives the patient the recognition that the cost of implant treatment itself was calculated as a fist-and-forth, and a vicious cycle of intensifying conflict and suspicion is repeated, and even justified treatment proceeds at low treatment costs, or cases that can be easily treated are treated at high cost. Side effects can occur.

따라서, 치과용 임플란트의 장점을 정확하게 살리고, 환자와 의료인 간의 신뢰를 회복하며, 정확하고 합리적이며 객관적인 정보교류에 기반한 판단과 기대, 제안을 통한 상담과 치료진행이 환자와 의료인 사이에 이루어지도록 여러 노력이 시도될 필요가 있고, 나아가 국가에서 지원하는 건강보험이 효과적으로 적용될 수 있도록 할 필요가 있어, 이를 위해 본 특허는 정량적 정보에 기반한 임플란트 진단, 상담 및 시술비 정산법, 그리고 병의원 추천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Therefore, various efforts are made to accurately utilize the merits of dental implants, restore trust between patients and medical personnel, and ensure that consultation and treatment progress through judgments, expectations, and suggestions based on accurate, rational and objective information exchange are made between patients and medical personnel. This patent needs to be attempted, and furthermore, it is necessary to effectively apply health insurance supported by the state. For this purpose, this patent aims to present a method for diagnosing implants based on quantitative information, a method for calculating counseling and treatment costs, and a method for recommending hospitals and clinics.

한국등록특허 제10-1960476호(2019.03.14 등록)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960476 (registered on Mar 14, 2019)

신호성, 김민영. "하향식 방식을 적용한 치과 임플란트 원가산정", 대한치과의사협회지 Vol.52 No.7, 2014.07, 416 - 424 Shin Shin,   Minyoung Kim. "Dental implant cost estimation using top-down method", Journal of Korean Dental Association Vol.52 No.7, 2014.07, 416-424

본 발명은 환자 개개인의 수술계획 정보에 기반하여 정량적으로 예측된 임플란트 수술 성공률을 적용하여 객관적인 임플란트 수술비용을 산출하고, 임플란트 수술이 완료된 이후에는 실제 수술결과를 수술계획과 비교하여 그 일치율을 산출함으로써 합리적으로 임플란트 수술비용을 정산할 수 있도록 하며, 나아가 임플란트 수술 일치율의 정량적 분석 결과를 치과 병의원별로 데이터베이스화하여 통계적 정보로 공유하는 치과 임플란트 수술비용 정산 및 추천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calculates an objective implant surgery cost by applying a quantitatively predicted implant surgery success rate based on each patient's surgery plan information, and after the implant surgery is completed, the actual surgery result is compared with the surgery plan to calculate the coincidence rate. The purpose of this is to provide a system for calculating and recommending dental implant surgery costs, which makes it possible to reasonably settle the cost of implant surgery, and further converts the quantitative analysis results of the implant surgery coincidence rate into a database for each dental clinic and shares them as statistical information.

본 발명은 치과 임플란트 수술비용 정산 시스템으로서, 환자 개개인의 수술계획 정보에 기반하여 정량적으로 예측된 임플란트 수술 성공률을 적용하여 임플란트 수술비용을 산출하는 수술비용 산출 장치; 및 입력된 3차원 수술계획 영상과 3차원 수술결과 영상을 상호 중첩하여 대비함으로써 계획 대비 수술결과가 얼마나 일치하는지 판정하여 그 일치율을 정량적 수치로서 출력하는 수술 일치율 판정 장치;를 포함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dental implant surgery cost calculation system, comprising: a surgery cost calculation device for calculating an implant surgery cost by applying a quantitatively predicted implant surgery success rate based on each patient's surgery plan information; And a surgical coincidence rate determination device for determining how much the operation result matches the plan by overlapping the input 3D surgical plan image and the 3D surgical result image and outputting the coincidence rate as a quantitative value.

상기 수술비용 산출 장치는, 환자의 3차원 구강 정보와 임플란트의 수치적 정보 및 수술 계획에 따른 수술 난이도 인자와, 환자의 전신상태 및 구강상태에 따른 예후관련 인자에 대해 (-)의 정량적 지수를 부여하여 평가하고, 고려된 모든 인자에 대한 (-)의 정량적 지수를 합산하여 100% 대비 얼마만큼의 성공률이 예상되는지를 산출하는 수술 성공률 예측부;와, 임플란트 수술에 소요되는 노동임금, 재료비 및 이윤을 합산한 기준 원가를 산출하는 기준 원가 계산부; 및 상기 기준 원가 계산부에 의해 산출된 기준 원가에 대해 상기 수술 성공률 예측부에서 산출된 수술 성공률을 반비례적으로 적용하여 임플란트 수술비용을 산출하는 수술비용 산정부;를 포함한다.The surgical cost calculation device provides a quantitative index of (-) for the three-dimensional oral information of the patient, the numerical information of the implant, the operation difficulty factor according to the operation plan, and the prognosis-related factors according to the patient's general condition and oral condition. Surgical success rate prediction unit that calculates how much success rate is expected compared to 100% by assigning and evaluating, and summing the quantitative index of (-) for all factors considered; And, the labor wage, material cost, and A reference cost calculation unit that calculates a reference cost by summing the profits; And a surgery cost calculation unit that calculates an implant surgery cost by inversely applying the surgery success rate calculated by the surgery success rate prediction unit to the reference cost calculated by the reference cost calculation unit.

그리고, 상기 수술 성공률 예측부는 상기 수술 난이도 인자를 분석하는 수술 난이도 분석부를 포함하고, 상기 수술 난이도 분석부는 입력된 환자의 3차원 구강 영상을 분석하여 상기 수술 난이도 인자를 정량적으로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surgery success rate prediction unit includes a surgery difficulty analysis unit that analyzes the surgery difficulty factor, and the surgery difficulty analysis unit quantitatively extracts the surgery difficulty factor by analyzing an input 3D oral image of the patient. .

특히, 상기 3차원 구강 영상은 수술 계획에 따른 임플란트의 영상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상기 3차원 수술계획 영상인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In particular, it may be preferable that the 3D oral image is the 3D surgery plan image including image information of the implant according to the surgery plan.

그리고, 상기 수술 성공률 예측부는 상기 예후관련 인자를 분석하는 수술 예후 분석부를 포함하고, 상기 수술 예후 분석부는 입력된 상기 환자의 문진 정보에 기초하여 각 예후관련 인자에 대해 (-)의 정량적 지수를 부여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urgical success rate prediction unit includes a surgical prognosis analysis unit that analyzes the prognosis-related factors, and the surgical prognosis analysis unit gives a quantitative index of (-) for each prognostic factor based on the inputted patient's interview information. can do.

여기서, 상기 수술비용 산정부는, 상기 기준 원가에 대해 상기 수술 성공률이 역수로 작용하는 연속적인 함수를 사용하여 상기 임플란트 수술비용을 산출할 수 있다.Here, the operation cost calculation unit may calculate the implant operation cost using a continuous function in which the operation success rate acts as an inverse number with respect to the reference cost.

또는, 상기 수술비용 산정부는, 상기 기준 원가에 대해 상기 수술 성공률이 구간별로 서로 다른 가중치로 적용되는 비연속적 함수를 사용하여 상기 임플란트 수술비용을 산출할 수도 있다.Alternatively, the surgery cost calculation unit may calculate the implant surgery cost using a discontinuous function in which the surgery success rate is applied with different weights for each section with respect to the reference cost.

그리고, 상기 수술 성공률 예측부는, 상기 수술 난이도 인자와 예후관련 인자의 각 인자에 대해 임플란트 수술 성공에 미치는 영향의 강도를 반영한 가중치를 부여하고, 상기 가중치가 적용된 (-)의 정량적 지수를 합산하여 상기 수술 성공률을 산출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urgical success rate prediction unit assigns a weight reflecting the strength of the effect on the success of the implant surgery to each factor of the surgical difficulty factor and the prognosis-related factor, and adds a quantitative index of (-) to which the weight is applied, and the The success rate of surgery can be calculated.

그리고, 상기 수술비용 산정부는, 상기 기준 원가 중 재료비를 제외한 나머지 비용에 대해 상기 수술 성공률을 반비례적으로 적용하고, 이후 상기 재료비를 합산하여 상기 임플란트 수술비용을 산출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urgery cost calculation unit may calculate the implant surgery cost by applying the surgery success rate in inverse proportion to the remaining costs excluding the material cost of the reference cost, and then summing the material cost.

그리고, 상기 수술 일치율 판정 장치는, 상기 3차원 수술계획 영상에 포함되어 있는 가상의 임플란트를 기준으로 하여 상기 3차원 수술결과 영상에 포함된 실제 임플란트가 중첩되는 체적 비율을 계산하여 상기 일치율을 산출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urgical coincidence rate determining device calculates the coincidence rate by calculating a volume ratio at which the actual implants included in the 3D surgical result image overlap based on the virtual implant included in the 3D surgical plan image. I can.

나아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라서는, 상기 수술 일치율 판정 장치는, 부가적 수술정보를 더 포함하여 상기 일치율을 산출하되, 상기 3차원 수술결과 영상에 포함된 실제 임플란트 및 상기 부가적 수술 정보가 중첩되는 체적 비율, 이격거리, 이격각도, 프로파일의 상이도를 계산하여 상기 일치율을 산출할 수도 있다.Furth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pparatus for determining the surgical coincidence rate further includes additional surgical information to calculate the coincidence rate, but the actual implant included in the 3D surgical result image and the additional surgical information are The coincidence rate may be calculated by calculating the overlapping volume ratio, separation distance, separation angle, and difference of profiles.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치과 임플란트 수술 추천 시스템은,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진 치과 임플란트 수술비용 정산 시스템; 및 네트워크로 연결된 다수의 치과 병의원별로 수행된 임플란트 수술의 정량적 분석 결과를 데이터베이스화하여 통계적 정보로 환자에게 제공하는 병의원별 통계 처리장치;를 포함한다.On the other hand, the dental implant surgery recommend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dental implant surgery cost settlement system having the above configuration; And a statistical processing device for each hospital for providing a database of quantitative analysis results of implant surgery performed by a plurality of dental hospitals connected through a network and providing statistical information to the patient.

여기서, 상기 병의원별 통계 처리장치는, 상기 네트워크로 연결된 각 치과 병의원에서 수행된 각각의 임플란트 수술에 대한 수술계획 정보, 예측된 수술 성공률, 수술 이후에 평가된 수술 일치율 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베이스로 만들고, 상기 데이터베이스 상의 정보를 통계적으로 분석하여 그 결과를 제공한다.Here, the statistical processing device for each hospital is made into a database including information on a surgical plan for each implant operation performed at each dental hospital connected through the network, a predicted surgical success rate, and information on a surgical coincidence rate evaluated after the surgery, The information on the database is statistically analyzed and the result is provided.

그리고, 상기 병의원별 통계 처리장치는, 상기 각 치과 병의원이 수행한 임플란트 수술 건수 및 전체 수술 일치율, 임플란트 수술 종류별 건수 및 각 종류별 수술 일치율, 임플란트 식립 개수당 평균 수술비용, 수술비용 정산 비율을 포함하는 각종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tatistical processing device for each hospital includes the number of implant surgery cases performed by each dental hospital and a total surgical agreement rate, the number of cases for each type of implant surgery, and an operation agreement rate for each type, an average surgical cost per number of implant placements, and an operation cost settlement ratio. Various information can be provided.

위와 같은 구성을 가진 본 발명에 의하면, 객관적이고 정량적인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해서 수술계획을 세우고 표준화된 지표를 수립한 후에 수술의 난이도와 성공률을 정량적 수치로 예측하고, 이를 기반으로 삼아 환자와 의료인이 서로 상담하고 또 비용을 산정함으로써, 기존과 같이 주관적으로 상담하고 비용을 산정하는 데에서 비롯되는 불신과 불필요한 시간낭비를 줄이고, 불합리한 요구나 감정싸움 등을 예방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 configuration, after collecting and analyzing objective and quantitative data, establishing a surgical plan and establishing standardized indicators, the difficulty and success rate of the surgery are predicted as quantitative values, and based on this, patients and medical personnel By consulting each other and calculating the cost, it is possible to reduce distrust and unnecessary waste of time resulting from subjective consultation and cost calculation as in the past, and to prevent unreasonable demands and emotional struggles.

또한, 수술이 완료된 이후에는 수술계획 대비 실제 수술결과의 일치율을 정량적으로 분석하여 그 결과를 수치로 제공함으로써 합리적인 수술비용 정산의 근거를 마련하게 되며, 이를 통해 환자와 의료인 모두 만족할 수 있는 합리적 진행이 이루어지게 되어 치료의 품질과 만족도 향상을 기대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after the operation is completed, the agreement rate of the actual operation result compared to the operation plan is quantitatively analyzed and the result is provided as a number, thereby providing the basis for rational operation cost settlement. As a result, the quality and satisfaction of treatment can be expected to improve.

아울러, 네트워크로 연결된 다수의 치과 병의원별로 임플란트 수술 일치율의 정량적 분석 결과를 데이터베이스화하여 통계적 정보로 환자에게 제공함으로써 객관적인 정보 수집의 기회를 부여할 수 있어, 종래처럼 지인을 통해 정보를 수집하거나 인터넷 등에서 치료 후기를 공유하는 것과 같은 부정확하고 주관적으로 왜곡되기 쉬운 정보수집의 한계를 벗어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n opportunity to collect objective information by providing a database of quantitative analysis results of the implant operation agreement rate for each dental clinic connected through a network and providing statistical information to the patient.As in the past, information can be collected through acquaintances or through the Internet. It is possible to escape the limitations of collecting information that is prone to inaccurate and subjectively distorted information such as sharing treatment reviews.

도 1은 임플란트 수술의 성공률에 영향을 미치는 각종 인자를 정리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포함된 치과 임플란트 수술비용 산출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임플란트의 영상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3차원 구강 영상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도 3에서 픽스쳐와 신경관 사이의 거리를 추출하는 일례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치과 임플란트 수술비용 정산 시스템의 전체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6 및 도 7은 3차원 수술계획 영상과 3차원 수술결과 영상을 중첩한 영상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치과 임플란트 수술 추천 시스템의 전체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
1 is a view summarizing various factors affecting the success rate of implant surgery.
Figure 2 is a view showing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a dental implant surgery cost calculation apparatus included in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 3D oral image including image information of an implant.
FIG. 4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extracting a distance between a fixture and a neural tube in FIG. 3.
Figure 5 is a view showing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the dental implant surgery cost settlemen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 and 7 are diagrams showing an example of an image in which a 3D surgical plan image and a 3D surgical result image are superimposed.
Figure 8 is a view showing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the dental implant surgery recommend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Hereinafter,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hrough exemplary drawings. In adding reference numerals to elements of each drawing, it should be noted that the same elements are assigned the same numerals as possible, even if they are indicated on different drawings. In addition, in describ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configuration or function interferes with an understanding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개재되어 간접적으로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In addition, in describing the constituent elements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erms such as first, second, A, B, (a), and (b) may be used. These terms are for distinguishing the constituent element from other constituent elements, and the nature, order, or order of the constituent element is not limited by the term. When a component is described as being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the componen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at other component, but another component between each compon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intervening may be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indirectly.

본 발명은 치과 임플란트 수술비용 정산 및 추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크게 나누어 임플란트 수술 성공률에 기반한 수술비용 산출장치와, 수술 전에 수립된 수술계획과 수술 후의 수술결과를 영상으로 상호 비교하여 수술 일치율을 수치로서 제시하는 수술 일치율 판정장치로 구성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ntal implant surgery cost calculation and recommendation system, and a surgical cost calculation device based on the success rate of implant surgery, divided into two, and a surgical plan established before surgery and a surgical result after surgery are compared with each other in an image to determine the surgical coincidence rate as a numerical value. It consists of a device for determining the matching rate of surgery presented.

본 발명의 전체적인 이해를 위해서는 치과 임플란트 수술의 성공률을 어떻게 예측할 수 있고 이를 정량적인 수치로서 도출할 수 있는지에 대해 먼저 그 개념을 설명할 필요가 있다. For a general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necessary to first explain the concept of how to predict the success rate of dental implant surgery and derive it as a quantitative value.

치과 임플란트 수술의 성공률을 정량적으로 평가하기 위해서는, 우선 치과 임플란트가 성공하느냐 실패하느냐의 기준에 대해 살펴볼 필요가 있다.In order to quantitatively evaluate the success rate of dental implant surgery, it is necessary to first look at the criteria for success or failure of dental implants.

치과 임플란트(이하, 간단히 "임플란트"라 칭할 수 있음)는 구조적, 기능적으로 크게 픽스쳐, 지대주(어버트먼트), 상부 보철물의 3가지 부품으로 구성되는데, 특히 임플란트 시술의 성패는 픽스쳐가 얼마만큼 계획한 바대로 빈틈없이 견고하게 치조골 안에 심어지고 이후 픽스쳐 표면에 양호한 골 융합이 유도되어 마치 자연치와 유사할 정도의 결합력을 발휘할 수 있느냐에 달렸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다시 말해, 임플란트의 기초를 이루어 저작시 대부분의 하중을 받는 픽스쳐가 치조골에 단단히 식립되어 있어야 장기간 인공 치아로서의 기능을 보장할 수 있으며, 이렇게 되어야만 임플란트 시술이 성공했다고 평가할 수 있는 것이다.Dental implants (hereinafter, simply referred to as "implants") are structurally and functionally composed of three parts: a fixture, abutment (abutment), and an upper prosthesis. It is not an exaggeration to say that it depends on whether it is possible to exert a bonding force similar to that of natural teeth by inducing good bone fusion on the surface of the fixture after being thoroughly and firmly planted in the alveolar bone. In other words, a fixture that forms the basis of an implant and receives most of the load during mastication must be firmly placed in the alveolar bone to ensure the function as an artificial tooth for a long time, and only then can the implant procedure be evaluated as successful.

이와 같이, 픽스쳐가 치조골에 잘 생착하기 위해서 픽스쳐가 계획된 위치, 방향, 깊이로 치조골 내에 초기 식립될 때 형성된 치조골 홀과 픽스쳐가 긴밀하게 접촉해야 하는데, 너무 과도하게 밀착되면 치조골의 조골세표(뼈를 만드는 세포)가 압박괴사를 받고, 너무 헐거우면 픽스쳐 표면과 치조골 사이에 염증세포 내지는 연조직 세포가 먼저 자리를 잡게 되어, 결국에는 픽스쳐와 치조골 사이에 뼈가 생기는 것이 아니라 염증이나 연조직이 먼저 생겨서 임플란트가 고정되지 못하고 탈락하여, 임플란트 수술이 실패하게 된다.In this way, in order for the fixture to be engrafted in the alveolar bone well, the alveolar bone hole formed when the fixture is initially placed in the alveolar bone at the planned position, direction, and depth must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fixture. Cells) undergo pressure necrosis, and if it is too loose, inflammatory cells or soft tissue cells will first take place between the fixture surface and the alveolar bone.In the end, the bone will not form between the fixture and the alveolar bone, but inflammation or soft tissue will form first, causing the implant. It cannot be fixed and falls out, and the implant surgery fails.

이와 같이, 불필요한 확공을 줄이고, 정확한 위치, 방향, 깊이로 픽스쳐가 식립되게 하기 위해서는 수술용 가이드를 사용하느냐 아니냐의 유무가 수술난이도 및 성공률에 영향을 주게 된다. 그리고, 임플란트 수술용 가이드를 제작하기 위해서는 CT영상과, 구강스캐너로 영상인상을 뜬 3차원 영상정보 내지는 재료인상을 통해 만든 인상모델을 스캐닝한 3차원 영상정보를 활용해야 하는데, 이 3차원 구강정보에는 픽스쳐의 식립 계획까지 함께 포함될 수 있으며, 이러한 종합적인 환자별 영상정보로부터 임플란트 수술의 성공률을 가늠할 수 있는 각종 인자를 추출해낼 수 있다.In this way, in order to reduce unnecessary expansion and allow the fixture to be placed in an accurate position, direction, and depth, whether or not a surgical guide is used affects the difficulty and success rate of surgery. In addition, in order to manufacture an implant surgery guide, it is necessary to use CT images, 3D image information obtained by image impression with an oral scanner, or 3D image information obtained by scanning an impression model created through material impression. This 3D oral information Can also include a fixture placement plan, and various factors that can estimate the success rate of implant surgery can be extracted from this comprehensive patient-specific image information.

위와 같은 임플란트 수술의 성공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해서는 정량적인 연구가 오랜 기간에 걸쳐 진행되어 왔고, 장기관찰에 의해 수술 예후에 영향을 주는 정량적 인자 또한 여러 논문을 통해 도출되었다.Quantitative studies have been conducted over a long period of time on the factors that affect the success of implant surgery as described above, and quantitative factors that affect the prognosis of surgery by long-term observation have also been derived through several papers.

이에 따라 성공적인 수술 및 예후를 예측하기 위해서는 임플란트의 픽스쳐, 지대주 및 보철물에 관한 정량적인 수치들을 먼저 살펴볼 필요가 있으며, 따라서 임플란트, 지대주 및 보철물 주변의 수치정보를 얻을 수 있도록 3차원 정보를 기반으로 하여서 임플란트의 수술이 계획되고, 이를 바탕으로 환자와 상담하고 또 비용이 정산되는 것이 타당하고 또 효과적이다. Accordingly, in order to predict successful surgery and prognosis, it is necessary to first look at the quantitative values of the fixture, abutment and prosthesis of the implant, and therefore, based on three-dimensional information so that numerical information around the implant, abutment and prosthesis can be obtained. It is reasonable and effective that the implant surgery is planned, and that the patient is consulted and the cost is settled based on this.

예를 들어, 임플란트와 임플란트 사이의 거리는 최소 3㎜ 이상이어야 한다든지, 임플란트 주변 치조골은 최소 1㎜ 이상이 있어야 한다든지, 임플란트 픽스쳐의 상단과 보철물 마진까지의 거리는 최소 1.5㎜ 이상이어야 한다든지 하는 것 등이 그 예이며, 이러한 수치측량과 수술난이도 및 수술 예후의 예측은 자명하게 치과용 CT와 같은 3차원 정보를 기반으로 했을 때 더 정확하게 반영 및 도출될 수 있다. For example, the distance between the implant and the implant must be at least 3 mm, the alveolar bone around the implant must be at least 1 mm, or the distance between the top of the implant fixture and the prosthesis margin must be at least 1.5 mm. For example, such numerical measurement and prediction of surgical difficulty and surgical prognosis can be reflected and derived more accurately when based on three-dimensional information such as dental CT.

따라서, 본 발명은 환자의 3차원 구강정보를 활용하고, 3차원 정보에서 정량적으로 분석을 하는 것을 필수요건 내지 전제로 삼는 것으로 한다.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is assumed to be a prerequisite or premise that the patient's 3D oral information is utilized and quantitatively analyzed from the 3D information.

또한, 공지된 기술로서, 임플란트 수술이 계획한 바에 거의 일치되도록 도와주는 기술인 '수술용 가이드' 역시 3차원 정보에 기반하여 계획한 임플란트 수술정보를 활용하기 때문에, 본 발명의 비용정산 장치와 연동할 수 있다. 즉, 비용정산을 3차원 정보에 기반하여 정량적 기준에 의해 수행할 수 있으나, 단순히 분석을 하고 정산만 하면 환자에게 고지한 비용에 대해 책임 있는 수술이 이루어진다는 보장이 없으므로, 수술계획과 진단 및 비용정산에 활용된 3차원 정보대로 수술이 진행되도록 가이드를 사용하는 것이 본 발명의 취지에 바람직하다. In addition, as a known technology, the'surgical guide', which is a technology that helps the implant surgery to closely match the plan, also utilizes the implant surgery information planned based on 3D information, so it can be linked with the cost settlement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 can. In other words, cost calculation can be performed based on quantitative criteria based on 3D information, but there is no guarantee that a responsible operation will be performed for the cost notified to the patient simply by analyzing and settlement. It is preferable for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to use a guide so that the operation proceeds according to the three-dimensional information used for settlement.

도 1은 임플란트 수술의 성공률에 영향을 미치는 각종 인자(이하, 간략히 "성공률 인자"라 함)를 정리한 것이다. 성공률 인자는 크게 나누어 수술 난이도 인자와 예후관련 인자로 구분해볼 수 있다.1 is a summary of various factors that affect the success rate of implant surgery (hereinafter, simply referred to as "success rate factor"). The success rate factor can be broadly divided into a surgical difficulty factor and a prognostic factor.

수술 난이도 인자는, 그 용어 그대로, 임플란트 수술의 난이도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를 말한다. 당연히 수술 난이도가 높을수록 임플란트 수술의 성공률은 떨어지게 된다. 각각의 수술 난이도 인자에 대해서는 100%에 가까운 거의 확실한 성공률을 예측할 수 있는 적정 범위 또는 최저/최댓값을 설정할 수 있으며, 또한 이 수준에서 벗어나 수술 성공률을 낮추는 범위에 대해서는 비례적이거나 단계적으로 (-)의 정량적 지수를 부여할 수 있다.The surgical difficulty factor, as it is termed, refers to a factor that affects the difficulty of implant surgery. Naturally, the higher the difficulty of surgery, the less successful the implant surgery will be. For each surgical difficulty factor, you can set an appropriate range or minimum/maximum value that can predict an almost certain success rate close to 100%, and also proportionally or stepwise (-) for a range that falls outside this level and lowers the surgical success rate. Quantitative index can be assigned.

즉, 어떤 수술 난이도 인자가 (-)의 정량적 지수를 갖는다는 것은 수술 성공률을 낮추는 인자로 작용하고, 결과적으로 최종적인 치과 임플란트 수술비용(예후 관리 비용까지 포함함)을 증가시키는 인자로 취급된다. 또한, 대부분의 수술 난이도 인자는 적정 값 이상인 경우에는 영의 값으로 취급, 다시 말해 수술 성공률에 악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취급되지만, 수술 난이도 인자의 성격에 따라서는 (+)의 정량적 지수를 부여하는 경우도 있을 수 있다.That is, the fact that a certain surgical difficulty factor has a quantitative index of (-) acts as a factor that lowers the success rate of surgery, and as a result, is treated as a factor that increases the final dental implant surgery cost (including prognostic management cost). In addition, most of the surgical difficulty factors are treated as zero values if they are above the appropriate value, that is, they are treated as not having an adverse effect on the success rate of surgery, but if a quantitative index of (+) is given depending on the nature of the surgery difficulty factor. There may also be.

도 1을 참조하여, 각종 수술 난이도 인자가 어떤 의미를 가진 것인지에 대해 설명한다. 다만, 도 1에 표시된 수술 난이도 인자는 예시적인 것으로 이해할 필요가 있으며, 표시된 수술 난이도 인자 중의 어떤 것은 생략될 수 있고, 반대로 다른 수술 난이도 인자가 더 추가될 수도 있는 것이다.With reference to FIG. 1, the meaning of the various surgical difficulty factors will be described. However,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that the operation difficulty factor shown in FIG. 1 is exemplary, and some of the displayed operation difficulty factor may be omitted, and, conversely, another operation difficulty factor may be further added.

또한, 각 수술 난이도 인자가 임플란트 수술의 성공률에 미치는 영향의 강약 내지 중요도는 반드시 동등한 것으로 취급될 필요도 없으며, 중요도에 따라 비례하는 가중치를 부여할 수도 있는 것이다.In addition, the strength or importance of the effect of each surgical difficulty factor on the success rate of implant surgery does not necessarily need to be treated as equivalent, and weight proportional to the importance may be given.

도 1에 나타난 각종 수술 난이도 인자 중의 몇몇에 대해서는 수술 성공률에 대해 어떤 의미에서 영향을 미치는지에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Some of the various surgical difficulty factors shown in FIG. 1 will be described in terms of how they affect the success rate of surgery.

전술한 바와 같이, 임플란트 시술의 성패는 픽스쳐가 얼마만큼 계획한 바대로 빈틈없이 견고하게 치조골 안에 심어지고 이후 픽스쳐 표면에 양호한 골 융합이 유도되느냐에 크게 영향을 받는다. 이러한 사실에서, 잔존 치조골 두께와 픽스쳐 지름이 수술 난이도 인자에 포함될 수 있다. 즉, 픽스쳐는 가급적 굵고 긴 것을 심는 것이 좋은데, 그렇다고 하여 무조건 굵고 긴 것을 심을 수 있는 것은 아니며 픽스쳐 주변의 치조골 두께가 최소 1㎜ 이상은 남아 있는 것이 적절하다.As described above, the success or failure of an implant procedure is greatly influenced by how much the fixture is planted in the alveolar bone tightly and firmly as planned, and whether good bone fusion is induced on the surface of the fixture afterwards. In this fact, the residual alveolar bone thickness and fixture diameter can be included in the surgical difficulty factor. That is, it is good to plant a fixture as thick and long as possible, but that does not mean that a thick and long one can be planted unconditionally, and it is appropriate that the thickness of the alveolar bone around the fixture remains at least 1mm or more.

그리고, 픽스쳐는 치조골과 인접한 신경관이나 상악동 등과 같은 해부학적 조직에 대해 생물학적으로 안전하게 위치해야 하며, 특히 신경관을 압박하거나 침범하게 픽스쳐를 위치시키면 신경손상으로 이어져서 감각마비와 같은 큰 불편을 겪을 수 있다. 이런 점에서, 픽스쳐 하방에 대해, 상악동과 신경관 등이 몇 ㎜ 만큼 떨어져 있는지는 수술의 난이도를 살피고 수술 성공률을 예측하는 정량적 지표가 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xture must be biologically safely positioned with respect to anatomical tissues such as the neural tube or maxillary sinus adjacent to the alveolar bone.In particular, placing the fixture in a way that compresses or invades the neural tube can lead to nerve damage and cause great discomfort such as sensory paralysis. . In this regard, how many mm the maxillary sinus and neural tube are separated from the lower part of the fixture can be a quantitative index that examines the difficulty of surgery and predicts the success rate of surgery.

그리고, 픽스쳐는 상부에 올려질 보철물이 씹는 운동, 다시 말해 저작운동을 잘 수행하도록 위치와 방향, 깊이가 정해져야 하는데, 그렇지 못할 경우에는 제대로 저작을 못하거나, 반대로 과도한 저작력이 전달되어서 픽스쳐와 치조골 사이에 염증이 발생하여 결국에는 픽스쳐가 탈락하게 되는 경우로 이어질 수 있다. 따라서, 픽스쳐와 지대주 사이의 각도도 수술 성공률의 중요한 판단 기준이 된다.In addition, the position, direction, and depth must be determined so that the prosthesis to be placed on the upper part performs the chewing movement, that is, the mastication movement. If not, the fixture and alveolar bone cannot be properly masticated or, conversely, excessive mastication force is transmitted to the fixture and alveolar bone. Inflammation may occur in the gap, which may lead to a case in which the fixture is eventually removed. Therefore, the angle between the fixture and the abutment is also an important criterion for determining the success rate of surgery.

또한, 식립할 임플란트는 3개인데, 보철물은 4개 내지는 5개를 올리는 등, 각 임플란트가 담당해야 하는 교합압력이 어느 정도인지에 따라서 임플란트 치료 후의 예후가 영향을 받을 수 있다. 그런데, 임플란트 비용 산정에는 사후관리비용도 포함될 수 있으므로, 이와 같은 예후에 관한 정량적 판단이 비용정산에 반영되는 것이 합리적이다.In addition, the prognosis after implant treatment may be affected depending on the degree of occlusal pressure that each implant has to be responsible for, such as raising 3 implants and 4 to 5 prostheses. However, since the post-management cost can be included in the implant cost calculation, it is reasonable to reflect such a quantitative judgment on the prognosis in the cost calculation.

이처럼 임플란트 수술 성공률에 영향을 미치는 수술의 난이도에는 다양한 인자가 포섭될 수 있는데, 예시적으로 열거하자면 잔존치조골의 폭, 픽스쳐 하방에서 신경관까지의 거리, 상악동 기저에서 치조정(잇몸뼈의 맨 윗부분) 사이의 거리, 임플란트가 치조골에 잠기는 높이, 픽스쳐의 지름, 픽스쳐의 길이, 보철물의 종류, 치조골에서 픽스쳐가 노출되는 정도와 모양 및 면적, 상악동을 거상하는 높이, 골 이식을 진행하는 부피와 위치 및 모양, 잇몸 이식을 진행하는 면적 및 모양, 발치 후 언제 식립하는지에 관한 경과기간, 픽스쳐와 지대주 사이의 각도, 보철물 숫자와 픽스쳐 숫자의 비율, BMP 등과 같은 골유도 재생물질의 적용 여부 및 종류, 캔틸레버의 적용 여부, 픽스쳐의 길이와 지대주 및 보철물 높이의 비율 등이 포함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various factors can be included in the difficulty of surgery that affects the success rate of implant surgery.Examples include the width of the remaining alveolar bone, the distance from the underside of the fixture to the neural tube, and tooth adjustment at the base of the maxillary sinus (top part of the gum bone). The distance between the implants, the height at which the implant is submerged in the alveolar bone, the diameter of the fixture, the length of the fixture, the type of the prosthesis, the extent and shape and area of the fixture from the alveolar bone, the height of the maxillary sinus elevation, the volume and location of the bone graft, and Shape, area and shape of gum transplantation, elapsed period of time of implantation after tooth extraction, angle between fixture and abutment, ratio of number of prosthesis and number of fixtures, whether and type of bone-inducing regenerating material such as BMP is applied, cantilever It may include whether or not to apply, the ratio of the length of the fixture to the height of the abutment and the prosthesis.

그리고, 수술 난이도 외에도 임플란트 수술 성공률과 비용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로는 예후관련 인자를 고려해야 한다.In addition to the difficulty of surgery, prognostic factors should be considered as factors affecting the success rate and cost of implant surgery.

예후관련 인자는 환자의 전신상태 및 구강상태가 얼마나 양호한지에 관한 전반적인 평가를 수반하는 인자로서, 환자의 신체상태가 임플란트 수술을 받은 후에 얼마나 예후가 좋은지, 다시 말해 얼마나 빠르게 회복할 수 있는지를 정량적으로 가늠하기 위한 것이다. 임플란트 수술비용에는 수술 후의 관리 비용까지 포함하는 경우가 거의 대부분이고, 예후가 나쁠 경우에는 재수술에 버금가는 외과적 처치가 동반될 수 있으므로, 결국 환자의 전신상태 및 구강상태가 좋지 않아 예후 관리에 비용과 시간이 많이 필요할 것으로 예상된다면 이를 최초의 임플란트 비용 산정에 포함시키는 것이 합리적이다.The prognostic factor is a factor that accompanies an overall evaluation of how good the patient's general condition and oral condition are.The patient's physical condition quantitatively determines how well the patient's prognosis is after undergoing implant surgery, that is, how quickly he can recover. It is to measure. In most cases, implant surgery costs include post-operative management costs, and if the prognosis is poor, surgical treatment comparable to re-surgery may be accompanied. Eventually, the patient's general condition and oral condition are poor, so it is expensive to manage the prognosis. If it is expected that a lot of time and time will be required, it is reasonable to include this in the initial implant cost calculation.

이는 보험의 개념과 유사한데, 예를 들어 암 보험 가입시 가족력이나 흡연과 음주 여부 및 빈도, 운동 시간 등을 조사하여 통계적으로 암 발생의 위험이 큰 피보험자에게는 보험료를 높게 책정하는 것이 타 가입자와의 형평성 측면에서도 타당하다고 볼 수 있는 것과 비슷한 것이다. 즉, 환자 개개인의 예후관련 인자를 고려하여 개인별로 차등을 두어 적정 수술비용을 산정함으로써, 미래에 지출이 예상되는 예후 관리 비용을 전체 환자에 대해 균분하는 주먹구구식 비용 청구를 지양할 수 있게 된다. This is similar to the concept of insurance.For example, it is fair to set a high premium for the insured who is statistically at high risk of cancer by investigating family history, smoking and drinking, and exercise time when enrolling in cancer insurance. It is similar to what can be seen as valid from the side as well. In other words, by calculating the appropriate surgical cost by making a difference for each patient in consideration of the prognostic factors of each patient, it is possible to avoid billing for prognostic costs that equalize the prognosis management costs expected in the future for all patients.

예후관련 인자로서, 환자의 전신상태를 고려한 전신 인자에는 스트레스 지수, 음주, 흡연, 골밀도, 고혈압, 당뇨, 지혈장애, 영양상태, 대사질환, 염증수치 등이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구강상태에 관한 구강 인자에는 구강 청결상태, 치악력, 식습관이 포함될 수 있다. 예후관련 인자 역시 수술 난이도 인자와 마찬가지로 (-)의 정량적 지수로 작용한다.As prognostic factors, systemic factors taking into account the patient's systemic state may include stress index, alcohol consumption, smoking, bone density, high blood pressure, diabetes, hemostasis disorder, nutritional status, metabolic disease, and inflammation level. And oral factors related to the oral condition may include oral cleanliness, tooth grip strength, and eating habits. The prognostic factor also acts as a negative (-) quantitative index, like the surgical difficulty factor.

이상에서 설명한 수술 난이도 인자와 예후관련 인자를 정량적으로 평가하면 임플란트 수술 성공률을 수치로 표현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어, 수술 난이도 인자 중의 하나로서 픽스쳐 주변의 치조골 두께가 최소 1㎜일 것을 기준으로 삼는다면, 이보다 0.1㎜ 부족할 때마다 -1의 값만큼씩 수술 성공률을 낮추는 것으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예후관련 인자로서 음주 빈도가 주당 1회씩마다 -1의 값만큼씩 수술 성공률을 낮추는 것으로 설정할 수 있으며, 정략적 평가에 포함된 모든 인자에 대한 지수를 합산함으로써 수술 성공률 100% 대비 몇 % 수준인지를 환자 개개인별로 수치화할 수 있다.If the above-described surgical difficulty factor and prognostic factor are quantitatively evaluated, the success rate of implant surgery can be expressed in numerical terms. For example, if the alveolar bone thickness around the fixture is at least 1mm as a standard as one of the surgical difficulty factors, it can be set to lower the surgical success rate by a value of -1 whenever 0.1mm is insufficient. In addition, as a prognostic factor, the drinking frequency can be set to lower the surgical success rate by a value of -1 once per week, and by summing the indices for all factors included in the tactical evaluation, what percentage of the surgical success rate is 100% Can be quantified for each patient.

물론, 전술한 바와 같이, 정략적 평가에 포함된 모든 인자를 동등한 중요도로 평가할 필요는 없으며, 수술 성공률에 미치는 영향이 큰 인자를 더 중요하게 취급할 수 있도록 각 인자별로 가중치를 부여할 수도 있는 것이다.Of course, as described above, it is not necessary to evaluate all factors included in the regular evaluation with equal importance, and weights may be assigned to each factor so that factors having a large effect on the surgical success rate can be treated more importantly.

환자별로 정량적으로 산출된 수술 성공률을 기준 원가에 적용하면 환자 개개인에 대한 객관적인 임플란트 수술비용 산정이 이루어지게 된다.If the success rate of surgery, which is quantitatively calculated for each patient, is applied to the standard cost, an objective implant surgery cost can be calculated for each patient.

여기서, 기준 원가란 수술 성공률을 전혀 고려하지 않은 임플란트 수술 자체에 소요되는 비용을 의미하며, 이 기준 원가는 노동임금과 재료비, 더 나아가 일정 비율이나 정해진 단가의 이윤을 포함하게 된다.Here, the reference cost means the cost of implant surgery itself that does not take into account the success rate of surgery, and this standard cost includes labor wage and material cost, and furthermore, a certain percentage or a fixed unit price profit.

노동임금은 치과의사와 의료보조원이 수행하는 각종 의료 행위에 할당되는 요금을 의미한다. 이러한 의료 행위에는 상담, 차트 생성, 영상촬영을 포함하는 각종 진단, 임플란트 수술계획 수립, 수술 준비, 수술 및 보조, 보철물 관리, 사후 처치 등의 임플란트 수술에 수반되는 모든 노동 행위가 포함되며, 이는 정해진 매뉴얼에 따라 수행되는 것이 일반적이기 때문에 정형화된 비용으로 산정될 수 있다.Labor wage refers to a fee allocated to various medical activities performed by dentists and medical assistants. These medical practices include consultation, chart generation, various diagnosis including imaging, implant surgery plan establishment, surgery preparation, surgery and assistance, prosthesis management, and all labor activities involved in implant surgery such as post-treatment. Since it is generally performed according to the manual, it can be calculated as a standardized cost.

재료비는 임플란트 수술에 투입되는 각종 유형물의 비용을 의미하며, 픽스쳐의 종류, 지대주의 종류, 보철의 종류 및 재질, 가이드의 종류, 골 이식 재료의 종류 및 부피, 골유도 재생재료의 종류 및 부피 외에 투입되는 기구의 일회용인지 반영구품인지 여부 및 종류 등이 합리적으로 고려되어 비용이 산정될 수 있다. 재료비는 임플란트 수술계획에 따라 어떤 재료가 투입될지가 자동으로 결정될 수 있으며, 이에 기초하여 이미 정해진 각 재료의 비용이 합산되어 전체 재료비가 산정된다.The material cost refers to the cost of various types of materials to be used for implant surgery, in addition to the type of fixture, type of abutment, type and material of prosthesis, type of guide, type and volume of bone graft material, type and volume of bone induction regeneration material. The cost can be calculated based on rational consideration of whether the inserted device is disposable or semi-permanent. The material cost can automatically determine which material is to be injected according to the implant surgery plan, and based on this, the cost of each material already determined is summed to calculate the total material cost.

이와 같이, 노동임금과 재료비, 그리고 일정한 이윤으로 이루어진 기준 원가가 정해지면, 여기에 전술한 수치화된 임플란트 수술 성공률이 적용되어 합리적이고 객관적인 임플란트 수술비용이 산출된다.In this way, when a standard cost consisting of labor wage, material cost, and a certain profit is determined, the above-described numerical implant surgery success rate is applied to calculate a reasonable and objective implant surgery cost.

기본적으로 임플란트 수술비용은 기준 원가에 대해 수술 성공률이 반비례적으로 적용하여 결정된다. 예를 들어, 수술 성공률이 100%라면 수술 실패의 위험이 거의 없는 것이므로 기준 원가 그대로 임플란트 수술비용이 산출된다. 반면, 수술 성공률이 100%라면 예상되는 수술의 성공 확률은 반반이고 예후 관리나 추가 처치에 비용이 더 소요될 것으로 예상되므로, 이를 반영하여 기준 원가에 수술 성공률이 일종의 역수로 작용하여 기준 원가 대비 더 증가한 비용이 임플란트 수술비용으로 산출된다.Basically, the cost of implant surgery is determined by applying the surgical success rate in inverse proportion to the standard cost. For example, if the surgical success rate is 100%, there is almost no risk of surgery failure, so the cost of implant surgery is calculated as the standard cost. On the other hand, if the success rate of surgery is 100%, the expected success rate of the surgery is half and it is expected that more costs for prognosis management or additional treatment are expected, so reflecting this, the success rate of surgery acts as a kind of reciprocal to the standard cost, increasing more than the standard cost. The cost is calculated as the cost of implant surgery.

수술 성공률이 어떠한 함수로서 기준 원가에 대해 반비례 관계로 적용될지는 매우 다양하게 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술 성공률이 역수로 작용하는 함수를 기본으로 하여 이 함수를 좌표이동 하거나 증감의 기울기를 조절하여 경험칙에 맞는 합리적인 비용 산출이 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이와는 다른 비연속적인 함수로서, 100∼95% 수술 성공률에 대해서는 기준 원가×1.0으로 임플란트 수술비용을 산출하고, 95∼85% 수술 성공률에 대해서는 기준 원가×1.2의 값으로 임플란트 수술비용을 산출하는 등 수술 성공률을 구간으로 나누고 이 구간별로 합리적인 가중치를 적용하는 것도 가능하다.As a function of which surgical success rate is applied in inverse proportion to the reference cost, it can be configured in a wide variety of ways. For example, based on a function whose surgical success rate acts as an reciprocal, this function can be configured to calculate a reasonable cost according to the rule of thumb by moving the coordinates or adjusting the slope of the increase or decrease. In addition, as a different non-continuous function, for 100 to 95% success rate, the standard cost x 1.0 is used to calculate the implant surgery cost, and for 95 to 85% surgery success rate, the standard cost x 1.2 for implant surgery cost is calculated. It is also possible to divide the surgical success rate into sections and apply a reasonable weight for each section.

여기서 중요한 것은 정량적으로 평가된 수술 성공률을 적용하여 환자 개개인마다 합리적으로 차별된 임플란트 수술비용을 산출할 수 있다는 것이고, 이런 지표를 이용함으로써 임플란트 수술비용 산출이 좀더 객관화됨으로써 환자와 의료인 사이에 신뢰가 생기고 불필요한 시간낭비를 줄일 수 있다는 것이다.What is important here is that it is possible to calculate the cost of implant surgery that is reasonably discriminated for each patient by applying a quantitatively evaluated surgical success rate, and by using these indicators, the calculation of implant surgery cost becomes more objective, thereby creating trust between the patient and the healthcare provider. It means that unnecessary wasted time can be reduced.

여기서, 기준 원가에 대해 수술 성공률을 적용할 때에는 재료비를 제외한 노동임금에 대해서만 적용하고, 이후에 수술 성공률이 적용된 노동임금에 재료비를 합산하여 임플란트 수술비용을 산출하는 것이 합리적일 수 있다. 이는 임플란트 수술 성공률이 낮은 환자에게 요구되는 추가 비용은 주로 예후 관리나 추가 처치에서 발생하기 때문에 재로비 자체가 증가하는 경우는 별로 없기 때문이다.Here, when applying the surgical success rate to the standard cost, it may be reasonable to apply only to the labor wage excluding the material cost, and then calculate the implant surgery cost by summing the material cost to the labor wage to which the surgical success rate was applied. This is because the additional cost required for patients with a low success rate of implant surgery is mainly incurred in prognostic management or additional treatment, so there is not much of an increase in the hospital cost itself.

따라서, 이러한 사실을 환자에게 미리 고지하고 관리 단계에서 추가 재료비가 들어간다면 이를 추가로 청구하는 것이 합리적이다. 물론, 이와는 반대로, 수술 성공률이 낮은 것으로 계산된 환자라도 예상외로 수술이 쉽게 끝나고 예후도 좋다면 일정 비용을 환급할 수도 있는 것이며, 이는 환자와 의료인 사이에 신뢰를 형성하는데 큰 요인이 될 수 있다.Therefore, it is reasonable to notify the patient of this fact in advance and to charge for additional material costs if it is incurred in the management stage. Of course, on the contrary, even a patient whose success rate is calculated to be low may be reimbursed for a certain cost if the surgery is easily finished unexpectedly and the prognosis is good, which can be a big factor in building trust between the patient and the healthcare provider.

이와 같이, 수술계획 정보를 활용하면서 여기에 더하여 임플란트 수술의 성공률에 영향을 미치는 다수의 인자를 환자 개개인별로 정량적으로 평가하여 객관적인 임플란트 수술비용을 산출하고 이를 치과 병의원과 환자에게 제공하게 되면,상호 합리적 상담을 통한 적정 비용을 산정함으로써 기존과 같이 주관적으로 상담하고 비용을 산정하는 데에서 비롯되는 불신과 불필요한 시간낭비를 줄이고, 불합리한 요구나 감정싸움 등을 예방하는데 큰 도움이 된다.In this way, if the surgical plan information is utilized and a number of factors that affect the success rate of implant surgery in addition to this, a number of factors that affect the success rate of implant surgery are quantitatively evaluated for each patient to calculate an objective implant surgery cost and provide it to the dental clinic and the patient, it is mutually reasonable. By calculating the appropriate cost through counseling, it is very helpful in reducing distrust and unnecessary waste of time resulting from subjective counseling and cost estimation as in the past, and in preventing unreasonable demands and emotional fights.

그리고, 비용의 정산은 수술계획을 신뢰한 환자가 지급하겠다는 결정을 내린 것으로, 환자에게 수술계획을 상담한 병의원에서는 계획대로 수술을 진행하는 것이 당연한 도리이고, 비용에 대한 의무이다. 그러므로, 수술계획을 병의원에서 상담한 이후에는, 수술계획과 수술 후 영상을 상호 비교하여 환자에게 알리는 것은 당연하다 할 것이며 또한 수술 후 비용산정 등의 근거가 된다. In addition, it is a decision that the patient who trusts the operation plan pays the settlement of the cost, and it is a natural reason to proceed the operation according to the plan in the hospital that consulted the patient with the operation plan, and it is an obligation for the cost. Therefore, after consulting the surgery plan at the hospital, it is natural to compare the surgery plan with the postoperative image to inform the patient, and it is also the basis for calculating the cost after surgery.

또한, 얼마나 많은 수술에 대해서 수술계획과 수술결과가 얼마만큼 일치되게 진행되었는지, 그리고 수술계획과 수술결과의 차이가 어느 정도의 편차 범위 내에 있는지 살펴봄으로써, 수술을 진행한 병의원 및 수술담당의사의 수술실력을 정량적으로 평가할 수 있으며, 이는 임플란트 수술실력 내지는 신뢰도를 의미하므로, 수술비용을 경우에 따라 높게 책정할 수 있는 정량적 근거가 되거나, 또는 수술을 예정한 환자의 입장에서는 수술에 대한 신뢰도를 가질 수 있는 객관적 근거가 될 수 있다.In addition, by looking at how many surgeries the operation plan and the operation result were consistently progressed, and how much the difference between the operation plan and the operation result is within the range of deviation, the operation of the hospital and the surgeon in charge of the operation Ability can be quantitatively evaluated, and this means implant surgery skill or reliability, so it can be a quantitative basis for setting a high cost for surgery in some cases, or a patient who is planning to have surgery can have reliability in surgery. It can be an objective basis.

도 2는 본 발명의 치과 임플란트 수술비용 정산 및 추천 시스템을 구성하는 수술비용 산출장치(10)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으로서, 위에서 설명한 임플란트 수술비용의 산출을 컴퓨터상에 구현된 장치를 통해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2 is a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surgical cost calculation device 10 constituting the dental implant surgery cost calculation and recommendation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alculation of the implant surgery cost described above can be performed through a device implemented on a computer. It is structured to be able to.

도 2를 참조하면, 수술비용 산출장치(10)는 수술 성공률 예측부(100)와, 기준 원가 계산부(200), 그리고 수술비용 산정부(300)를 포함하고 있다. 여기서, 수술비용 산출장치(10)의 각 구성요소는 그 주된 기능을 중심으로 서로 구별한 것으로서, 동일한 기능을 가지는 이보다 적은 개수 또는 더 많은 개수의 요소 내지 수단으로 구성될 수도 있는 것임을 유의할 필요가 있으며, 이는 이어서 설명할 본 발명의 다른 구성요소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Referring to FIG. 2, the surgery cost calculation apparatus 10 includes a surgery success rate prediction unit 100, a reference cost calculation unit 200, and a surgery cost calculation unit 300. Here, it is necessary to note that each component of the surgical cost calculation device 10 is distinguished from each other based on its main function, and may be composed of a smaller number or a greater number of elements or means than those having the same function. , This also applies to other compon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o be described later.

수술 성공률 예측부(100)는, 도 1에 나타나 있는 임플란트 수술의 성공에 영향을 미치는 각종 인자를 정량적으로 평가하여 최종적으로 예측되는 임플란트 수술 성공률을 수치로 산출하는 구성요소이다.The surgery success rate prediction unit 100 is a component that quantitatively evaluates various factors affecting the success of the implant surgery shown in FIG. 1 and calculates a finally predicted implant surgery success rate as a numerical value.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임플란트 수술의 성공에 영향을 미치는 각종 인자는 크게 수술 난이도 인자와 예후관련 인자로 분류할 수 있으므로, 수술 성공률 예측부(100)는 이를 반영하여 수술 난이도 인자를 분석하는 수술 난이도 분석부(110) 및 예후관련 인자를 분석하는 수술 예후 분석부(120)를 포함하고 있다.As described above, since various factors that affect the success of implant surgery can be largely classified into surgical difficulty factors and prognostic factors, the surgical success rate prediction unit 100 reflects these factors and analyzes the surgical difficulty factor to analyze the difficulty of surgery. It includes a unit 110 and a surgical prognosis analysis unit 120 for analyzing prognostic factors.

수술 난이도 분석부(110)는 환자의 3차원 구강 정보와 임플란트의 수치적 정보 및 수술 계획에 따른 각종 수술 난이도 인자에 대해 평가하고 그 결과를 (-)의 정량적 지수로서 산출한다. 예를 들어, 임플란트와 임플란트 사이의 거리는 최소 3㎜ 이상일 경우 수술 성공이 보장된다는 것이 임상적으로 입증된 결과인데, 이 수치를 기준으로 하여 이보다 좁은 간격에 대해서는 그 차분에 따라 사전에 정해진 (-)의 정량적 지수를 부여하게 된다. 이런 작업은 수술 난이도 분석부(110)가 처리하는 모든 수술 난이도 인자에 대해 수행된다.The operation difficulty analysis unit 110 evaluates three-dimensional oral information of the patient, numerical information of the implant, and various surgical difficulty factors according to the operation plan, and calculates the result as a quantitative index of (-). For example, if the distance between the implant and the implant is at least 3 mm, it is a clinically proven result that surgical success is guaranteed.Based on this value, for narrower intervals based on this value, a pre-determined negative (-) Will be given a quantitative index of. This operation is performed for all surgical difficulty factors processed by the surgical difficulty analysis unit 110.

특히, 수술 난이도 분석부(110)는 입력된 환자의 3차원 구강 영상을 분석하여 각종 수술 난이도 인자를 정량적으로 추출할 수 있으며, 또한 입력된 3차원 구강 영상에는 수술 계획에 따른 임플란트의 영상 정보가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In particular, the surgical difficulty analysis unit 110 can quantitatively extract various surgical difficulty factors by analyzing the input 3D oral image of the patient, and the input 3D oral image contains image information of the implant according to the surgery plan. May be included.

도 3은 임플란트의 영상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3차원 구강 영상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인데, 환자의 3차원 CT 영상을 보면서 그 위에 임플란트의 픽스쳐와 지대주의 수술계획을 자유롭게 설계하게 된다. 따라서, 임플란트 수술계획이 수립된 3차원 구강 영상에는 잔존치조골의 폭, 상악동 기저에서 치조정 사이의 거리, 임플란트가 치조골에 잠기는 높이, 픽스쳐의 지름, 픽스쳐의 길이, 픽스쳐와 지대주 사이의 각도 등등의 매우 다양한 수술 난이도 인자가 포섭되어 있다. 또한, 도 4에 예시적으로 도시된 것처럼 픽스쳐 하방에서 신경관까지의 거리를 추출할 수도 있다.FIG. 3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 3D oral image including image information of an implant. While viewing a 3D CT image of a patient, an implant fixture and an abutment surgery plan can be freely designed on it. Therefore, in the 3D oral image for which the implant surgery plan is established, the width of the remaining alveolar bone, the distance between the tooth adjustment from the base of the maxillary sinus, the height at which the implant is immersed in the alveolar bone, the diameter of the fixture, the length of the fixture, the angle between the fixture and the abutment, etc. A wide variety of surgical difficulty factors are covered. In addition, as illustrated by way of example in FIG. 4, the distance from the lower side of the fixture to the neural tube may be extracted.

이처럼 수술 난이도 분석부(110)는 입력된 환자의 3차원 구강 영상을 분석하면 각종 수술 난이도 인자를 정량적으로 추출할 수 있으며, 이 추출된 수술 난이도 인자를 평가하여 수술 성공률을 낮추는 만큼의 (-)의 정량적 지수를 부여할 수 있다. 물론, 환자의 3차원 구강 영상에 표현되기 어려운 수술 난이도 인자가 있느다면 이는 별도의 방식, 예를 들어 환자의 3차원 구강 영상에 포함된 메타 데이터의 형식으로 입력될 수도 있는 것이다.In this way, the surgical difficulty analysis unit 110 can quantitatively extract various surgical difficulty factors by analyzing the input 3D oral image of the patient, and evaluates the extracted surgical difficulty factor to reduce the surgical success rate. Can be given a quantitative index of. Of course, if there is an operation difficulty factor that is difficult to express in the patient's 3D oral image, this may be input in a separate method, for example, in the form of metadata included in the patient's 3D oral image.

그리고, 수술 예후 분석부(120)는 환자의 전신상태 및 구강상태가 얼마나 양호한지에 관한 전반적인 평가를 수반하는 예후관련 인자에 대해, 수술 난이도 분석부(110)와 동일한 목적으로, 각 예후관련 인자에 대해 (-)의 정량적 지수를 부여하게 된다. 예후관련 인자는 환자의 신체상태가 임플란트 수술을 받은 후에 얼마나 양호하게 회복할 수 있는지를 정량적으로 가늠하기 위한 인지로서, 예를 들어 음주나 흡연 여부 및 빈도, 고혈압이나 당뇨의 병력 유무 등이 포함되는데, 예후관련 인자는 환자의 문진 정보로서 수술 예후 분석부(120)에 입력될 수 있다.And, the surgical prognosis analysis unit 120 for the prognostic-related factors accompanying the overall evaluation of how good the patient's general condition and oral condition are, for the same purpose as the operation difficulty analysis unit 110, for each prognostic-related factor. For this, a quantitative index of (-) is given. The prognosis-related factors are cognitive to quantitatively determine how well the patient's physical condition can recover after undergoing implant surgery, and includes, for example, whether or not drinking or smoking, and whether or not there is a history of high blood pressure or diabetes. , The prognostic factor may be input to the surgical prognosis analysis unit 120 as patient interview information.

이와 같이, 수술 성공률 예측부(100)는 수술 난이도 인자와 예후관련 인자에 대해 (-)의 정량적 지수를 부여하여 평가함으로써, 고려된 모든 인자에 대한 (-)의 정량적 지수를 합산하여 100% 대비 얼마만큼의 성공률이 예상되는지를 산출하게 된다.In this way, the surgical success rate prediction unit 100 is evaluated by assigning and evaluating the surgical difficulty factor and the prognostic-related factor with a quantitative index of (-), by summing the quantitative index of (-) for all the factors considered, compared to 100%. It calculates how much success rate is expected.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라서는, 수술 성공률 예측부(100)는 수술 난이도 인자와 예후관련 인자에 포함된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인자에 대해 가중치를 적용하여 (-)의 정량적 지수를 부여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수술 난이도 인자와 예후관련 인자의 모든 인자에 대해 임플란트 수술 성공에 미치는 영향의 강도를 반영한 가중치를 부여하고, 가중치가 적용된 (-)의 정량적 지수를 합산하여 상기 수술 성공률을 산출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보다 합리적이고 적중률이 높은 임플란트 수술 성공률을 도출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urgery success rate prediction unit 100 may apply a weight to at least one or more factors included in the surgery difficulty factor and the prognosis-related factor to give a quantitative index of (-). Preferably, weights reflecting the strength of the impact on the success of implant surgery are assigned to all factors of the surgical difficulty factor and prognosis-related factors, and the surgical success rate can be calculated by summing the quantitative index of (-) to which the weight is applied. In this way, it is possible to derive a more rational and high success rate of implant surgery.

그리고, 기준 원가 계산부(200)는 임플란트 수술에 소요되는 노동임금, 재료비 및 이윤을 합산한 기준 원가를 산출하는 구성요소이다. 노동임금은 치과의사와 의료보조원이 수행하는 각종 의료 행위에 할당되는 요금을 의미하고, 재료비는 임플란트 수술에 투입되는 각종 유형물의 비용을 의미함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으며, 결국 기준 원가는 임플란트 수술계획(예를 들어, 몇 개의 임플란트를 수술할 것이지 등)에 기반하여 정형화된 계산으로 산출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reference cost calculation unit 200 is a component that calculates a reference cost obtained by summing labor wage, material cost, and profit required for implant surgery. Labor wage refers to a fee allocated to various medical activities performed by dentists and medical assistants, and material cost refers to the cost of various tangible items that are invested in implant surgery, as described above. Ultimately, the standard cost is the implant surgery plan. It can be calculated as a standardized calculation based on (for example, how many implants will be operated, etc.).

수술비용 산정부(300)는 기준 원가 계산부(200)에 의해 산출된 기준 원가와 수술 성공률 예측부(100)에서 산출된 수술 성공률을 종합적으로 반영하여 합리적이고 객관적인 임플란트 수술비용, 즉 환자에게 제안 내지 청구되는 비용을 출력하는 구성요소이다. The surgery cost calculation unit 300 comprehensively reflects the standard cost calculated by the standard cost calculation unit 200 and the surgery success rate calculated by the surgery success rate prediction unit 100 to provide a reasonable and objective implant surgery cost, that is, to the patient. Is a component that outputs the billed cost.

수술 성공률 예측부(100)가 산출한 임플란트 수술 성공률은 100% 대비 얼마만큼의 성공률이 예상되는지의 결과로서 그 값은 100% 이하의 수치를 가지며, 이에 따라 수술비용 산정부(300)는는 기준 원가 계산부(200)에 의해 산출된 기준 원가에 대해 수술 성공률 예측부(100)에서 산출된 수술 성공률을 반비례적으로 적용하여 임플란트 수술비용을 산출하게 된다.The implant surgery success rate calculated by the surgery success rate prediction unit 100 is a result of how much success rate is expected compared to 100%, and the value has a value of 100% or less, and accordingly, the surgery cost calculation unit 300 is the standard cost. The implant surgery cost is calculated by inversely applying the surgery success rate calculated by the surgery success rate prediction unit 100 to the reference cost calculated by the calculation unit 200.

수술 성공률을 반비례적으로 기준 원가에 적용하는 방식으로는 기준 원가에 대해 수술 성공률이 역수로 작용하는 연속적인 함수를 사용하거나, 또는 기준 원가에 대해 수술 성공률이 구간별로 서로 다른 가중치로 적용되는 비연속적 함수를 사용하여 임플란트 수술비용을 산출하는 등 다양한 방식이 가능하다.As a method of applying the surgical success rate to the reference cost in inverse proportion, use a continuous function in which the success rate of surgery acts as the reciprocal of the reference cost, or a non-continuous function in which the success rate of surgery is applied with different weights for each section for the reference cost. Various methods are possible, such as calculating the cost of implant surgery using a function.

그리고, 수술비용 산정부(300)는 기준 원가 중, 예를 들어 재료비를 제외한 나머지 비용에 대해 수술 성공률을 반비례적으로 적용하고, 이후 재료비를 합산하여 임플란트 수술비용을 산출할 수도 있다. 이는 재료비는 수술 성공률에 의존하지 않는 일종의 고정비용으로 처리하는 것이 합리적이라고 생각될 경우를 고려한 것이다. 이처럼 기준 원가에 포함되는 각종 비용을 성공률 의존 비용과 성공률 비의존 비용으로 나누어 취급하는 것도 가능하며, 재료비는 성공률 비의존 비용의 하나의 예로서 제시된 것일 뿐 그 외의 다른 비용을 성공률 비의존 비용으로 처리하는 것이 가능함은 물론이다.In addition, the surgery cost calculation unit 300 may calculate the implant surgery cost by applying the surgery success rate in inverse proportion to the remaining costs, for example, excluding the material cost, and then summing the material cost. This considers the case where it is considered reasonable to treat the material cost at a fixed cost that does not depend on the success rate of surgery. In this way, it is possible to divide various costs included in the standard cost into success rate dependent cost and success rate independent cost, and material cost is only presented as an example of success rate independent cost, and other costs can be treated as success rate independent cost. Of course.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치과 임플란트 수술비용 정산 시스템(1000)의 전체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으로서, 앞서 상세히 설명한 수술비용 산출장치(10) 및 수술 일치율 판정장치(20)까지 모두 포함한 전체 구성을 보여주고 있다.5 is a view showing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the dental implant surgery cost calculation system 10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howing the overall configuration including all of the surgery cost calculation device 10 and the surgery coincidence rate determination device 20 described in detail above. Are giving.

수술 일치율 판정장치(20)는 수술 전에 수립된 수술계획이 반영되어 있는 환자의 3차원 구강 영상(이하, "3차원 수술계획 영상"이라 함, 도 3 및 도 4 참조)과 수술 후에 임플란트의 픽스쳐와 지대주 등이 모두 식립된 상태에서 환자의 구강을 재촬영한 3차원 구강 영상(이하, "3차원 수술결과 영상"이라 함)을 상호 중첩하여 대비함으로써 계획 대비 수술결과가 얼마나 일치하는지는 판정하는 구성요소이다.The surgery coincidence rate determination device 20 includes a 3D oral image of the patient in which the surgery plan established before the surgery is reflected (hereinafter, referred to as "three-dimensional surgery plan image", see FIGS. 3 and 4) and a fixture of the implant after the surgery. 3D oral image (hereinafter referred to as "3D surgical result image") re-imaged of the patient's oral cavity with both the abutment and the like are placed on top of each other to determine how consistent the surgical result is compared to the plan. It is a component.

예를 들어, 3차원 수술계획 영상에 포함되어 있는 가상의 임플란트를 기준으로 하여 3차원 수술결과 영상에 포함된 실제 임플란트가 중첩되는 체적 비율을 계산하면 수술이 얼마나 계획에 일치하여 있는지를 수치(예컨대, 백분율)로서 도출할 수 있으며, 결론적으로 수술 일치율 판정장치(20)는 3차원 수술계획 영상과 3차원 수술결과 영상을 입력받아 그 일치율을 정량적 수치로서 출력하게 된다.For example, if you calculate the volume ratio at which the actual implant included in the 3D surgery result image is based on the virtual implant included in the 3D surgery plan image, you can measure how much the surgery matches the plan (e.g. , Percentage), and consequently, the surgery coincidence rate determination device 20 receives the 3D surgery plan image and the 3D surgery result image and outputs the coincidence rate as a quantitative value.

또한, 임플란트 수술에는 상악동 거상술, 골 이식이나 잇몸 이식 등의 부가적 수술이 병행될 수 있으므로, 이러한 부가적 수술의 결과도 일치율 계산에 반영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수술 일치율 판정장치(20)는 임플란트 외에 부가적 수술정보까지 포함하여 3차원 수술결과 영상을 분석할 수 있으며, 가상 대비 실제 임플란트가 중첩되는 체적 비율 외에 양자의 이격거리, 이격각도, 프로파일의 상이도까지 계산하여 더욱 세분화된 일치율을 산출할 수도 있다.In addition, since additional surgeries such as maxillary sinus elevation, bone graft, or gum graft may be performed concurrently with implant surgery, the results of these additional surgeries need to be reflected in the calculation of the coincidence rate. Accordingly, the surgical coincidence rate determination device 20 can analyze the 3D surgical result image including additional surgical information in addition to the implant, and the separation distance, separation angle, and profile of the two in addition to the volume ratio at which the actual implant is overlapped compared to the virtual. It is also possible to calculate the degree of difference to obtain a more detailed match rate.

도 6 및 도 7은 3차원 수술계획 영상과 3차원 수술결과 영상을 중첩한 영상을 도시한 것인데, 도 6은 수술계획 대비 수술결과가 상당히 양호한 증례를 보여주고, 이에 비해 도 7은 수술계획에 비해 실제 수술결과가 눈에 띄게 차이가 나는 증례를 보여주고 있다. 이처럼, 3차원 수술계획 영상과 3차원 수술결과 영상을 상호 대비하면 수술 일치율을 정량적인 수치로서 산출할 수 있다.6 and 7 show an image in which a 3D surgical plan image and a 3D surgical result image are superimposed, and FIG. 6 shows a case in which the surgical result compared to the surgical plan was considerably good. Compared to this, it shows a case in which the actual surgical result is significantly different. As described above, if the 3D surgical plan image and the 3D surgical result image are compared with each other, the surgical coincidence rate can be calculated as a quantitative value.

여기서, 수술 일치율 판정장치(20)는 전체적인 일치율의 결과를 제공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거니와, 항목별로 구체적인 차이가 얼마인지도 수치로서 제공할 수도 있다. 예컨대, 임플란트의 식립 깊이와 각도가 계획대비 얼마나 차이 나는지, 인접한 임플란트 사이의 거리가 얼마나 벌어져 있는지 등을 세세히 알려줄 수 있다.Here, the surgical coincidence rate determination device 20 may provide not only the result of the overall coincidence rate, but also provide a numerical value of a specific difference for each item. For example, it is possible to inform in detail how far the depth and angle of implant placement differs from the plan, how far apart the adjacent implants are.

수술 일치율 판정장치(20)가 제공하는 수술 일치율은 임플란트 수술비용의 정산에 활용된다. 즉, 계획대비 실제 수술이 얼마나 정확하게 수행됐는지가 정량적 수치로서 제공되기 때문에 환자와 의료인은 이런 객관적인 자료를 가지고 수술비용을 합리적으로 정산할 수 있게 된다(선지급이나 후지급의 모든 경우에 활용 가능).The surgical coincidence rate provided by the surgical coincidence rate determination device 20 is utilized in the settlement of the implant surgery cost. In other words, since how accurately the actual operation was performed compared to the plan is provided as a quantitative number, patients and medical personnel can reasonably settle the operation cost with these objective data (available in all cases of pre-payment or post-payment).

정산 과정은 합리적인 정책에 따라 여러 방향으로 정립될 수 있다. 단순히 100% 일치 대비 어긋난 정도에 비례하여 최저 지급비용을 제외한 나머지 비용에 대해 정산을 수행하는 것도 가능하고, 수술비용 산출장치(10)가 예측한 수술 성공률을 기준으로 하여 이보다 일치율이 높은 경우에는 수술이 성공적으로 수행된 것으로 보고 정산을 하지 않을 수도 있다. 또한, 보험에 가입되어 있는 경우라면 수술 일치율을 근거로 하여 보험금 지급을 청구할 것인지를 결정하여 정산할 수도 있고, 법률 서비스와 연계하여 정산을 할 수도 있다.The settlement process can be established in several directions according to a reasonable policy. It is also possible to perform settlement for the remaining costs excluding the minimum payment cost in proportion to the degree of deviation compared to 100% match, and if the match rate is higher than this, based on the surgery success rate predicted by the surgery cost calculation device 10, surgery You may not be able to make a settlement based on the fact that this has been performed successfully. In addition, if you are insured, you can decide whether to claim insurance payments based on the surgery coincidence rate, and make payments, or you can make payments in connection with legal services.

이처럼 수술 일치율 판정장치(20)가 제공한 수술 일치율을 자지고 어떻게 정산을 수행할지는 비즈니스 모델의 영역에 해당하는 것으로서, 본 특허의 범주에서는 벗어난 것이기에 이에 대해서는 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As described above, how to determine how to perform the surgery coincidence rate provided by the surgical coincidence rate determination device 20 corresponds to the domain of the business model, and it is out of the scope of the present patent, so a mor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그리고, 본 발명의 치과 임플란트 수술비용 정산 시스템(1000)이 다수의 치과 병의원에 대해 네트워크로 연결 및 공유되도록 구성하면, 이는 곧 도 8에 도시된 치과 임플란트 수술 추천 시스템(2000)으로 확장될 수 있다.And, if the dental implant surgery cost settlement system 100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to be connected and shared with a network for a plurality of dental clinics, it can be extended to the dental implant surgery recommendation system 2000 shown in FIG. .

치과 임플란트 수술 추천 시스템(2000)은 기본적인 구성으로서 치과 임플란트 수술비용 정산 시스템(1000)을 포함하는 가운데 병의원별 통계 처리장치(30)를 더 포함하는데 특징이 있다.The dental implant surgery recommendation system 2000 is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includes a statistical processing device 30 for each hospital, including a dental implant surgery cost settlement system 1000 as a basic configuration.

병의원별 통계 처리장치(30)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다수의 치과 병의원별로 임플란트 수술 일치율의 정량적 분석 결과를 데이터베이스화하여 통계적 정보로 환자에게 제공하는 구성요소이다. 즉, 네트워크로 연결된 각 치과 병의원에서 수행된 각각의 임플란트 수술에 대한 수술계획 정보, 예측된 수술 성공률, 수술 이후에 평가된 수술 일치율 정보 등을 데이터베이스로 만들고, 데이터베이스 상의 정보를 통계적으로 분석하여 그 결과를 제공하는 것이 병의원별 통계 처리장치(30)의 기능이다.The statistical processing device for each hospital 30 is a component that provides a database of quantitative analysis results of the implant surgery coincidence rate for each of a plurality of dental hospitals connected through a network and provides statistical information to a patient. That is, the operation plan information for each implant surgery performed in each dental clinic connected through the network, the predicted surgical success rate, and the information on the surgical agreement rate evaluated after the operation are made into a database, and the information in the database is statistically analyzed and the result. It is a function of the statistical processing device 30 for each hospital and clinic to provide.

예를 들면, 병의원별 통계 처리장치(30)는 각 치과 병의원이 수행한 임플란트 수술 건수 및 전체 수술 일치율, 임플란트 수술 종류별(예컨대, 상악동 거상술, 무절개 수술, 발치 후 즉시 식립 수술, 골유도 재생물질 사용 수술 등) 건수 및 각 종류별 수술 일치율, 임플란트 식립 개수당 평균 수술비용, 수술비용 정산 비율 등의 각종 정보를 공개하여 환자에게, 또는 의료인까지도 그 정보를 활용할 수 있도록 한다.For example, the statistical processing device 30 for each hospital is the number of implant surgery performed by each dental hospital and the overall rate of agreement, by type of implant surgery (e.g., maxillary sinus elevation, no incision surgery, immediate post-extraction implantation surgery, bone-guided regenerated material Surgery used, etc.) Various information such as the number of cases and the agreement rate of each type of surgery, the average surgical cost per number of implant placements, and the rate of operation cost settlement are disclosed so that the information can be used by patients or even medical personnel.

환자의 입장에서는 자신이 받아야 할 임플란트 수술의 일치율이 높은 병의원이나 일치율 대비 수술비용이 저렴한 병의원 등, 자신에게 적합한 병의원이 어디인지를 객관적인 자료로서 확인할 수 있기 때문에, 종래처럼 지인을 통해 정보를 수집하거나 인터넷 등에서 치료 후기를 공유하는 것과 같은 부정확하고 주관적으로 왜곡되기 쉬운 정보수집의 한계점을 벗어날 수 있다.From the patient's point of view, since it is possible to confirm as objective data which hospital or clinic that is suitable for them, such as hospitals with a high coincidence rate of implant surgery that they need to undergo, or hospitals with low surgical costs compared to the coincidence rate, information can be collected through acquaintances, It can escape the limitations of collecting information that is prone to inaccurate and subjectively distorted information such as sharing treatment reviews on the Internet.

또한, 의료인의 입장에서도 치과 분야의 전체적인 서비스 수준을 성공률과 비용 등의 각종 인자에서 파악하고, 자신의 위치를 객관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기회를 얻을 수 있다는 점에서 긍정적인 영향을 받을 수 있다.In addition, from the standpoint of medical personnel, the overall service level in the dental field can be grasped from various factors such as success rate and cost, and can be positively influenced in that they can obtain an opportunity to objectively confirm their position.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above description is merely illustrativ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will be able to make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ly,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to explain the technical idea,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1000: 치과 임플란트 수술비용 정산 시스템
2000: 치과 임플란트 수술 추천 시스템
10: 수술비용 산출장치
100: 수술 성공률 예측부
110: 수술 난이도 분석부
120: 수술 예후 분석부
200: 기준 원가 계산부
300: 수술비용 산정부
20: 수술 일치율 판정장치
30: 병의원별 통계 처리장치
1000: dental implant surgery cost settlement system
2000: Dental implant surgery recommendation system
10: surgical cost calculation device
100: surgical success rate prediction unit
110: surgery difficulty analysis unit
120: surgical prognosis analysis unit
200: base cost calculation unit
300: Operation cost calculation government
20: surgical coincidence rate determination device
30: Statistics processing device for each hospital

Claims (14)

치과 임플란트 수술비용 정산 시스템으로서,
환자 개개인의 수술계획 정보에 기반하여 정량적으로 예측된 임플란트 수술 성공률을 적용하여 임플란트 수술비용을 산출하는 수술비용 산출 장치; 및
입력된 3차원 수술계획 영상과 3차원 수술결과 영상을 상호 중첩하여 대비함으로써 계획 대비 수술결과가 얼마나 일치하는지 판정하여 그 일치율을 정량적 수치로서 출력하는 수술 일치율 판정 장치;
를 포함하는 치과 임플란트 수술비용 정산 시스템.
As a dental implant surgery cost settlement system,
A surgical cost calculation device for calculating an implant surgery cost by applying a quantitatively predicted implant surgery success rate based on each patient's surgery plan information; And
A surgical coincidence rate determination device that determines how much the operation result matches the plan by overlapping the input 3D surgery plan image and the 3D surgery result image and outputs the matching rate as a quantitative value;
Dental implant surgery cost settlement system comprising a.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수술비용 산출 장치는,
환자의 3차원 구강 정보와 임플란트의 수치적 정보 및 수술 계획에 따른 수술 난이도 인자와, 환자의 전신상태 및 구강상태에 따른 예후관련 인자에 대해 (-)의 정량적 지수를 부여하여 평가하고, 고려된 모든 인자에 대한 (-)의 정량적 지수를 합산하여 100% 대비 얼마만큼의 성공률이 예상되는지를 산출하는 수술 성공률 예측부;
임플란트 수술에 소요되는 노동임금, 재료비 및 이윤을 합산한 기준 원가를 산출하는 기준 원가 계산부; 및
상기 기준 원가 계산부에 의해 산출된 기준 원가에 대해 상기 수술 성공률 예측부에서 산출된 수술 성공률을 반비례적으로 적용하여 임플란트 수술비용을 산출하는 수술비용 산정부;
를 포함하는 치과 임플란트 수술비용 정산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urgical cost calculation device,
The patient's three-dimensional oral information, the implant's numerical information, the surgical difficulty factor according to the surgery plan, and the prognosis-related factors according to the patient's general condition and oral condition were evaluated by assigning a quantitative index of (-) An operation success rate prediction unit that calculates how much success rate is expected compared to 100% by summing the quantitative indices of (-) for all factors;
A reference cost calculation unit that calculates a standard cost by summing up labor wages, material costs, and profits required for implant surgery; And
A surgery cost calculation unit for calculating an implant surgery cost by inversely applying the surgery success rate calculated by the surgery success rate prediction unit to the reference cost calculated by the reference cost calculation unit;
Dental implant surgery cost settlement system comprising a.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수술 성공률 예측부는 상기 수술 난이도 인자를 분석하는 수술 난이도 분석부를 포함하고,
상기 수술 난이도 분석부는 입력된 환자의 3차원 구강 영상을 분석하여 상기 수술 난이도 인자를 정량적으로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 임플란트 수술비용 정산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The surgery success rate prediction unit includes a surgery difficulty analysis unit for analyzing the surgery difficulty factor,
The surgical difficulty analysis unit quantitatively extracts the surgical difficulty factor by analyzing the input 3D oral image of the patient.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3차원 구강 영상은 수술 계획에 따른 임플란트의 영상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상기 3차원 수술계획 영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 임플란트 수술비용 정산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3,
The 3D oral image is a dental implant surgery cost calculation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3D surgery plan image including image information of the implant according to the surgery plan.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수술 성공률 예측부는 상기 예후관련 인자를 분석하는 수술 예후 분석부를 포함하고,
상기 수술 예후 분석부는 입력된 상기 환자의 문진 정보에 기초하여 각 예후관련 인자에 대해 (-)의 정량적 지수를 부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 임플란트 수술비용 정산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The surgical success rate prediction unit includes a surgical prognosis analysis unit for analyzing the prognostic-related factors,
The surgical prognosis analysis unit provides a (-) quantitative index for each prognostic factor based on the inputted patient's interview information.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수술비용 산정부는, 상기 기준 원가에 대해 상기 수술 성공률이 역수로 작용하는 연속적인 함수를 사용하여 상기 임플란트 수술비용을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 임플란트 수술비용 정산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The surgery cost calculation unit calculates the implant surgery cost using a continuous function in which the surgery success rate acts as an inverse number with respect to the reference cost.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수술비용 산정부는, 상기 기준 원가에 대해 상기 수술 성공률이 구간별로 서로 다른 가중치로 적용되는 비연속적 함수를 사용하여 상기 임플란트 수술비용을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 임플란트 수술비용 정산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The surgery cost calculation unit calculates the implant surgery cost using a discontinuous function in which the surgery success rate is applied with different weights for each section with respect to the reference cost.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수술 성공률 예측부는, 상기 수술 난이도 인자와 예후관련 인자의 각 인자에 대해 임플란트 수술 성공에 미치는 영향의 강도를 반영한 가중치를 부여하고, 상기 가중치가 적용된 (-)의 정량적 지수를 합산하여 상기 수술 성공률을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 임플란트 수술비용 정산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The surgical success rate prediction unit assigns a weight to each factor of the surgical difficulty factor and the prognosis-related factor by reflecting the strength of the effect on the success of the implant surgery, and adds the quantitative index of (-) to which the weight is applied, and the surgical success rate Dental implant surgery cost settlement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o calculate.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수술비용 산정부는, 상기 기준 원가 중 재료비를 제외한 나머지 비용에 대해 상기 수술 성공률을 반비례적으로 적용하고, 이후 상기 재료비를 합산하여 상기 임플란트 수술비용을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 임플란트 수술비용 정산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The surgical cost calculation unit applies the surgical success rate in inverse proportion to the remaining costs excluding the material cost of the reference cost, and then adds the material cost to calculate the implant surgery cost.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수술 일치율 판정 장치는, 상기 3차원 수술계획 영상에 포함되어 있는 가상의 임플란트를 기준으로 하여 상기 3차원 수술결과 영상에 포함된 실제 임플란트가 중첩되는 체적 비율을 계산하여 상기 일치율을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 임플란트 수술비용 정산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urgical coincidence rate determining device calculates the coincidence rate by calculating a volume ratio at which the actual implants included in the 3D surgical result image overlap based on the virtual implant included in the 3D surgical plan image. Dental implant surgery cost settlement system.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수술 일치율 판정 장치는, 부가적 수술정보를 더 포함하여 상기 일치율을 산출하되, 상기 3차원 수술결과 영상에 포함된 실제 임플란트 및 상기 부가적 수술 정보가 중첩되는 체적 비율, 이격거리, 이격각도, 프로파일의 상이도를 계산하여 상기 일치율을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 임플란트 수술비용 정산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0,
The surgical coincidence rate determination device further includes additional surgical information to calculate the coincidence rate, but the actual implant included in the 3D surgical result image and the volume ratio at which the additional surgical information overlaps, a separation distance, a separation angle, Dental implant surgery cost calculation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o calculate the degree of difference of the profile to calculate the matching rate.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1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치과 임플란트 수술비용 정산 시스템; 및
네트워크로 연결된 다수의 치과 병의원별로 수행된 임플란트 수술의 정량적 분석 결과를 데이터베이스화하여 통계적 정보로 환자에게 제공하는 병의원별 통계 처리장치;
를 포함하는 치과 임플란트 수술 추천 시스템.
Dental implant surgery cost settlement system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11; And
A statistical processing device for each hospital that provides a database of quantitative analysis results of implant surgery performed by a plurality of dental hospitals connected through a network and provides statistical information to a patient;
Dental implant surgery recommendation system comprising a.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병의원별 통계 처리장치는, 상기 네트워크로 연결된 각 치과 병의원에서 수행된 각각의 임플란트 수술에 대한 수술계획 정보, 예측된 수술 성공률, 수술 이후에 평가된 수술 일치율 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베이스로 만들고, 상기 데이터베이스 상의 정보를 통계적으로 분석하여 그 결과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 임플란트 수술 추천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2,
The statistical processing device for each hospital is made into a database including information on a surgical plan for each implant operation performed in each dental hospital connected through the network, a predicted surgical success rate, and information on a surgical coincidence rate evaluated after surgery, and the database A dental implant surgery recommendation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image information is statistically analyzed and the result is provided.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병의원별 통계 처리장치는, 상기 각 치과 병의원이 수행한 임플란트 수술 건수 및 전체 수술 일치율, 임플란트 수술 종류별 건수 및 각 종류별 수술 일치율, 임플란트 식립 개수당 평균 수술비용, 수술비용 정산 비율을 포함하는 각종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 임플란트 수술 추천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3,
The statistical processing device for each hospital includes various information including the number of implant surgeries performed by each dental hospital and the overall agreement rate, the number of implant surgeries and the surgical coincidence rate for each type, the average surgical cost per implant placement number, and a surgical cost settlement rate. Dental implant surgery recommendation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it provides a.
KR1020190103377A 2019-08-23 2019-08-23 Cost settlement and clinic recommendation system for dental implant surgery based on the quantitative analysis of surgical operation concordance KR20210023325A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3377A KR20210023325A (en) 2019-08-23 2019-08-23 Cost settlement and clinic recommendation system for dental implant surgery based on the quantitative analysis of surgical operation concordance
PCT/KR2020/011174 WO2021040331A2 (en) 2019-08-23 2020-08-21 System for calculating and recommending dental implant surgery cost by using quantitative surgery concordance rate analysi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3377A KR20210023325A (en) 2019-08-23 2019-08-23 Cost settlement and clinic recommendation system for dental implant surgery based on the quantitative analysis of surgical operation concordanc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23325A true KR20210023325A (en) 2021-03-04

Family

ID=746835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03377A KR20210023325A (en) 2019-08-23 2019-08-23 Cost settlement and clinic recommendation system for dental implant surgery based on the quantitative analysis of surgical operation concordance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10023325A (en)
WO (1) WO2021040331A2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0476B1 (en) 2017-04-28 2019-03-20 주식회사 코어라인소프트 System and method of dental implant planning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738152B2 (en) * 2005-12-02 2011-08-03 富士通株式会社 Simulation program to support dental treatment
KR20160008982A (en) * 2014-07-15 2016-01-25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Method for inputting implant treatment information, apparatus and recording medium thereof
KR20160142142A (en) * 2015-06-02 2016-12-12 와이메디칼네트워크 주식회사 Dental record management system and a method using a dental 3D scanning data
KR101637017B1 (en) * 2016-01-21 2016-07-20 박성우 System for searching surgical procedure hospital
KR101918119B1 (en) * 2017-03-10 2019-02-08 주식회사 모르페우스 Method, system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estimating anatomical layer of fac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0476B1 (en) 2017-04-28 2019-03-20 주식회사 코어라인소프트 System and method of dental implant planning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신호성, 김민영. "하향식 방식을 적용한 치과 임플란트 원가산정", 대한치과의사협회지 Vol.52 No.7, 2014.07, 416 - 424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040331A3 (en) 2021-07-01
WO2021040331A2 (en) 2021-03-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Saponaro et al. Evaluation of patient experience and satisfaction with CAD-CAM-fabricated complete dentures: A retrospective survey study
Lin et al. The influence of sinus membrane thickness upon membrane perforation during lateral window sinus augmentation
Pennington et al. Evaluation of the cost‐effectiveness of root canal treatment using conventional approaches versus replacement with an implant
Tepper et al. Representative marketing‐oriented study on implants in the Austrian population. II. Implant acceptance, patient‐perceived cost and patient satisfaction
Scheuber et al. Implants versus short‐span fixed bridges: survival, complications, patients' benefits. A systematic review on economic aspects
Augusti et al. Prosthetic restoration in the single‐tooth gap: patient preferences and analysis of the WTP index
Auraaen et al. How OECD health systems define the range of good and services to be financed collectively
Al‐Omiri et al. Relationship between personality and impacts of implant treatment on daily living
Korfage et al. Patients’ expectations of oral implants: a systematic review
Miremadi et al. A pilot assessment tool of the need for oral health care and cost prediction in institutionalized elderly people
Couso‐Queiruga et al. Effect of periodontal phenotype characteristics on post‐extraction dimensional changes of the alveolar ridge: a prospective case series
Patel et al. Oral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pre‐and post‐dental implant treatment
KR102286515B1 (en) Cost computation device for dental implant surgery based on the information of surgical operation plan
Bassi et al. Functional outcomes for clinical evaluation of implant restorations.
JP2022013898A (en) Information processor and learned model
Biggs Dental reform: an overview of universal dental schemes
Ab-Murat et al. Treatment needs and skill mix workforce requirements for prosthodontic care: a comparison of estimates using normative and sociodental approaches
KR20210023325A (en) Cost settlement and clinic recommendation system for dental implant surgery based on the quantitative analysis of surgical operation concordance
Vidzis et al. Quantity and quality analysis of dental prosthodontics among retirement age residents from nursing homes in different regions of Latvia and retirement age patients from dental clinic in Riga
Sahtout et al. Effect of cigarette smoking on alveolar bone thickness and density in patients undergoing leveling and alignment of crowded lower anterior teeth: a controlled clinical trial
Jackson et al. Development of tools for the oral health and panoramic radiograph evaluation of head and neck cancer patients: a methodological study
Zang et al. Cost-effectiveness analysis: nonsurgical root canal treatment versus single-tooth implant
Burde et al. Highlighting knowledge, attitude and practices regarding CAD/CAM technology among oral healthcare providers in Cluj-Napoca
González et al. Performance indicators used to assess the quality of primary dental care
Shenoy et al. Knowledge, attitude, and perception regarding the financial aspects of prosthetic rehabilitation using dental implants: a double-questionnaire-based stud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