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23247A - 영상 투사 시스템 - Google Patents

영상 투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23247A
KR20210023247A KR1020190103200A KR20190103200A KR20210023247A KR 20210023247 A KR20210023247 A KR 20210023247A KR 1020190103200 A KR1020190103200 A KR 1020190103200A KR 20190103200 A KR20190103200 A KR 20190103200A KR 20210023247 A KR20210023247 A KR 202100232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jection
image
mist
projected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032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30116B1 (ko
Inventor
이승건
김종남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지엔아이씨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지엔아이씨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지엔아이씨티
Priority to KR10201901032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30116B1/ko
Publication of KR202100232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232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301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301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12Picture reproducers
    • H04N9/31Projection devices for colour picture display, e.g. using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s [ESLM]
    • H04N9/3179Video signal processing therefor
    • H04N9/3188Scale or resolution adjustmen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11/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 G01B11/24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contours or curvatur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54Accessori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rojection Apparatus (AREA)
  • Transforming Electric Information Into Light Inform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영상 투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투사대상물에 투사영상을 투사하는 프로젝터와, 상기 프로젝터에 인접되게 설치되며, 상기 투사영상이 투사되는 상기 투사대상물의 투사면에 대한 깊이영상을 촬영하는 뎁스 카메라와, 상기 뎁스 카메라에서 제공되는 깊이영상을 토대로 상기 투사면의 곡률을 산출하는 곡률산출부와, 상기 프로젝터에 투사영상을 제공하는 것으로서, 상기 곡률산출부에 산출된 곡률에 대응되는 곡률을 갖도록 상기 투사영상에 포함된 오브젝트를 만곡되게 변형하여 상기 투사영상을 생성하는 영상처리유닛을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른 영상 투사 시스템은 투사대상물의 투사면 곡률에 따라 투사영상의 오브젝트를 변형시킬 있으므로 투사대상물에 따라 투사영상이 왜곡되는 것을 방지하여 전시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영상 투사 시스템{Image projection system}
본 발명은 영상 투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굴곡진 투사면이 마련된 투사대상물에 투사영상을 투사하는 영상 투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정보화 사회가 가속화됨에 따라 정보의 처리 및 전달 뿐만 아니라 정보의 표현이 중요한 이슈로 떠오르고 있다.
그 중에서도 정보의 시각적 표현 기술에 대한 요구가 증대되고 있는데, 특히 3차원 전시 방법 및 장치에 대한 요구가 날로 증대되고 있다. 체험을 중요시하는 시대의 흐름에 맞추어 일방적인 전시형태에서 벗어나 전시물과 관람객이 상호소통할 수 있는 전시시스템이 요구되고 있으며, 현재 협소한 공간과 부족한 전시물로 인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새로운 형태의 전시 공간이 필요하다.
이에 따라 프로젝션 매핑(projection mapping)의 기술이 전시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 적용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에는 단순히 투사대상물에 프로젝터를 이용하여 투사영상을 투사하므로 투사대상물에 굴곡진 부분에는 영상이 왜곡되는 단점이 있다.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27062호: 비임 프로젝터 스크린 겸용 옥외 광고장치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투사대상물의 투사면 곡률에 따라 투사영상의 오브젝트를 변형시킬 수 있는 영상 투사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영상 투사 시스템은 투사대상물에 투사영상을 투사하는 프로젝터와, 상기 프로젝터에 인접되게 설치되며, 상기 투사영상이 투사되는 상기 투사대상물의 투사면에 대한 깊이영상을 촬영하는 뎁스 카메라와, 상기 뎁스 카메라에서 제공되는 깊이영상을 토대로 상기 투사면의 곡률을 산출하는 곡률산출부와, 상기 프로젝터에 투사영상을 제공하는 것으로서, 상기 곡률산출부에 산출된 곡률에 대응되는 곡률을 갖도록 상기 투사영상에 포함된 오브젝트를 만곡되게 변형하여 상기 투사영상을 생성하는 영상처리유닛을 구비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영상 투사 시스템은 상기 뎁스 카메라에서 제공되는 깊이영상을 토대로 상기 투사면 중 기설정된 상기 투사대상물의 기준점으로부터 외부로 돌출되는 돌출부분 또는 상기 기준점으로부터 내측으로 인입된 인입부분을 판별하는 부분 판별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영상처리유닛은 상기 오브젝트 중 상기 돌출부분에 투사되는 영역을 기설정된 확대비율로 확대하고, 상기 오브젝트 중 상기 인입부분에 투사되는 영역을 기설정된 축소비율로 축소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영상 투사 시스템은 상기 프로젝터에 인접된 위치에 설치되며, 상기 투사대상물로 투사되는 투사영상에 심미적 효과를 향상시키기 위해 상기 투사영상을 산란시킬 수 있도록 상기 투사영상의 투사방향에 교차되는 방향으로 미스트를 분사하는 미스트 분사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미스트 분사부는 상기 프로젝터의 투사구에 인접된 위치에 설치되어 상기 투사영상의 투사방향에 교차되는 방향으로 미스트를 분사하는 분사노즐과, 상기 분사노즐에 물을 공급하는 물 공급부와, 상기 분사노즐에서 미스트가 분사되도록 상기 분사노즐에 설치되어 상기 물공급부에서 공급된 물을 통해 미스트를 발생시키는 미스트 생성유닛을 구비한다.
상기 미스트 분사부는 상기 분사노즐에 설치되어 상기 분사노즐에 진동을 인가하는 바이브레이터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상기 미스트 분사부는 상기 투사영상에 상기 미스트에 의해 미간섭된 부분이 생성될 수 있도록 상기 분사노즐의 분사구에서 분사되는 미스트를 간섭할 수 있게 상기 분사노즐의 분사구에 인접되게 설치되는 간섭유닛을 더 구비할 수도 있다.
상기 분사노즐은 상기 분사구가 상기 프로젝터에서 출력되는 상기 투사영상의 투사방향에 대해 교차되는 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고, 상기 간섭유닛은 상기 분사구에서 분사되는 미스트 중 일부를 간섭할 수 있도록 상기 분사구에 대향되되, 상기 분사구의 연장방향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상기 분사노즐에 설치된 간섭블럭과, 상기 간섭블럭을 상기 분사구의 연장방향을 따라 왕복이동시키는 블럭이동부를 구비한다.
상기 간섭블럭은 상기 분사노즐의 투사구에 인접될수록 폭이 감소하게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간섭유닛은 상기 간섭블럭의 외측면을 따라 이동하는 상기 미스트의 유동방향을 변화시킬 수 있도록 상기 간섭블럭의 외측면에 돌출되되, 상기 투사구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며, 파형으로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돌기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영상 투사 시스템은 투사대상물의 투사면 곡률에 따라 투사영상의 오브젝트를 변형시킬 있으므로 투사대상물에 따라 투사영상이 왜곡되는 것을 방지하여 전시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영상 투사 시스템에 대한 개념도이고,
도 2는 도 1의 영상 투사 시스템에 대한 블럭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영상 투사 시스템의 미스트 분사부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미스트 분사부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미스트 분사부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미스트 분사부의 간섭유닛에 대한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 투사 시스템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첨부된 도면에 있어서, 구조물들의 치수는 본 발명의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실제보다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1 및 도 2에는 본 발명에 따른 영상 투사 시스템(100)이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영상 투사 시스템(100)은 투사대상물(15)에 투사영상을 투사하는 프로젝터(110)와, 상기 프로젝터(110)에 인접되게 설치되며, 상기 투사영상이 투사되는 상기 투사대상물(15)의 투사면에 대한 깊이영상을 촬영하는 뎁스 카메라(120)와, 상기 뎁스 카메라(120)에서 제공되는 깊이영상을 토대로 상기 투사면의 곡률을 산출하는 곡률산출부(130)와, 상기 뎁스 카메라(120)에서 제공되는 깊이영상을 토대로 상기 투사면 중 돌출부분과 인입부분을 판별하는 부분 판별부(140)와, 상기 프로젝터(110)에 투사영상을 제공하는 것으로서, 상기 곡률산출부(130)에 산출된 곡률에 대응되는 곡률을 갖도록 상기 투사영상에 포함된 오브젝트를 만곡되게 변형하여 상기 투사영상을 생성하는 영상처리유닛(150)을 구비한다. 여기서, 투사대상물(15)은 프로젝터(110)로부터 투사영상이 투사되는 투사면이 마련되며, 상기 투사면은 소정의 곡률로 만곡되게 형성되어 있다.
프로젝터(110)는 투사면에 대향되도록 상기 투사대상물(15)로부터 이격되게 설치되어 투사대상물(15)의 투사면으로 투사영상을 출력한다. 여기서, 투사영상은 소정의 형상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오브젝트가 포함되어 있다.
뎁스 카메라(120)는 프로젝터(110)에 인접되게 설치되며, 투사대상물(15)의 투사면에 대한 깊이영상을 획득한다. 여기서, 상기 뎁스 카메라(120)는 깊이영상을 획득할 수 있는 깊이 센서가 포함된 키넥트(Kinect)와 같은 기기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시된 예에서는 뎁스 카메라(120)가 프로젝터(110)에 대해 독립적으로 설치된 구조가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뎁스 카메라(120)가 프로젝터(110)에 설치될 수도 있다.
곡률산출부(130)는 뎁스 카메라(120)로부터 제공받은 깊이영상을 분석하여 투사대상물(15)의 투사면의 곡률을 산출한다. 이때, 곡률산출부(130)는 산출된 투사면의 곡률에 대한 정보를 영상처리유닛(150)으로 전송한다.
부분 판별부(140)는 뎁스 카메라(120)로부터 제공받은 깊이 영상을 분석하여, 상기 투사면 중 기설정된 상기 투사대상물(15)의 기준점으로부터 외부로 돌출되는 돌출부분 또는 상기 기준점으로부터 내측으로 인입된 인입부분을 판별한다. 이때, 작업자는 투사대상물(15)을 설치시 부분 판별부(140)에 해당 기준점을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부분 판별부(140)는 판별된 돌출부분 및 인입부분에 대한 정보를 영상처리유닛(150)으로 전송한다.
영상처리유닛(150)은 투사대상물(15)에 출력할 수 있는 투사영상이 저장된 데이터 베이스(미도시)를 구비한다. 여기서, 영상처리유닛(150)은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된 투사영상을, 상기 곡률산출부(130)에 산출된 곡률에 대응되는 곡률을 갖도록 상기 투사영상에 포함된 오브젝트를 만곡되게 변형하여 상기 투사영상을 재생성하여 프로젝터(110)에 제공한다.
이때, 영상처리유닛(150)은 부분 판별부(140)에서 제공받은 판별 정보를 토대로 상기 오브젝트 중 상기 돌출부분에 투사되는 영역을 기설정된 확대비율로 확대하고, 상기 오브젝트 중 상기 인입부분에 투사되는 영역을 기설정된 축소비율로 축소할 수 있다. 투사대상물(15)의 돌출부분에 투사되는 오브젝터의 일부분을 확대하고, 투사대상물(15)의 인입부분에 투사되는 오브젝턱의 일부분을 축소시키므로 투사영상에 포함된 오브젝트가 보다 입체적으로 투사대상물(15)에 표시될 수 있다.
상술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영상 투사 시스템(100)은 투사대상물(15)의 투사면 곡률에 따라 투사영상의 오브젝트를 변형시킬 있으므로 투사대상물(15)에 따라 투사영상이 왜곡되는 것을 방지하여 전시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한편, 도 3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영상 투사 시스템(200)이 도시되어 있다.
앞서 도시된 도면에서와 동일한 기능을 하는 요소는 동일 참조부호로 표기한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영상 투사 시스템(200)은 상기 프로젝터(110)에 인접된 위치에 설치되며, 상기 투사대상물(15)로 투사되는 투사영상에 심미적 효과를 향상시키기 위해 상기 투사영상을 산란시킬 수 있도록 상기 투사영상의 투사방향에 교차되는 방향으로 미스트를 분사하는 미스트 분사부(210)를 더 구비한다.
상기 미스트 분사부(210)는 상기 프로젝터(110)의 투사구(16)에 인접된 위치에 설치되어 상기 투사영상의 투사방향에 교차되는 방향으로 미스트를 분사하는 분사노즐(211)과, 상기 분사노즐(211)에 물을 공급하는 물 공급부와, 상기 분사노즐(211)에서 미스트가 분사되도록 상기 분사노즐(211)에 설치되어 상기 물공급부에서 공급된 물을 통해 미스트를 발생시키는 미스트 생성유닛을 구비한다.
상기 분사노즐(211)은 투사구(16) 하측의 프로젝터(110)에 설치되며, 미스트가 분사될 수 있도록 상부에 분사구(214)가 형성되어 있다. 이때, 분사구(214)는 상기 프로젝터(110)에서 출력되는 상기 투사영상의 투사방향에 대해 교차되는 방향인 좌우방향을 따라 소정길이 연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 공급부는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내부에 물이 수용된 수용탱크와, 수용탱크 및 분사노즐(211)에 연결되는 공급관(215)과, 상기 공급관(215)에 설치되어 수용탱크의 물을 상기 분사노즐(211)로 공급하는 공급펌프를 구비한다. 한편, 물 공급부는 이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분사노즐(211)에 물을 공급할 수 있는 수단이면 무엇이든 가능하다.
미스트 생성유닛은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분사노즐(211)의 내부에 설치되어 물 공급부로부터 공급된 물을 초음파진동시켜 미스트를 발생시키는 초음파 진동판이 적용된다. 한편, 미스트 생성유닛은 이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물 공급부에서 공급된 물을 통해 미스트를 생성할 수 있는 미스트 생성수단이면 무엇이든 적용 가능하다.
상술된 바와 같이 구성된 미스트 분사부(210)는 투사대상물(15)과 프로젝터(110) 사이의 투사영상 투사 경로 상에 미스트를 분사하고, 분사된 미스트에 의해 투사영상이 산란되어 심미적 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다.
한편, 도 4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미스트 분사부(220)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미스트 분사부(220)는 상기 분사노즐(211)에 설치되어 상기 분사노즐(211)에 진동을 인가하는 바이브레이터(221)를 구비한다. 상기 바이브레이터(221)는 소정의 진동을 발생시킬 수 있도록 종래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진동발생수단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바이브레이터(221)에 의해 발생된 진동은 분사노즐(211)에 전달되며, 전달된 진동에 의해 분사노즐(211)에서 분사되는 미스트가 불규칙적으로 유동하여 투사영상의 심미적 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다.
한편, 도 5에는 본 발명의 도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미스트 분사부(230)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미스트 분사부(230)는 상기 투사영상에 상기 미스트에 의해 미간섭된 부분이 생성될 수 있도록 상기 분사노즐(211)의 분사구(214)에서 분사되는 미스트를 간섭할 수 있게 상기 분사노즐(211)의 분사구(214)에 인접되게 설치되는 간섭유닛(231)을 더 구비한다.
상기 간섭유닛(231)은 상기 분사구(214)에서 분사되는 미스트 중 일부를 간섭할 수 있도록 상기 분사구(214)에 대향되되, 상기 분사구(214)의 연장방향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상기 분사노즐(211)에 설치된 간섭블럭(232)과, 상기 간섭블럭(232)을 상기 분사구(214)의 연장방향을 따라 왕복이동시키는 블럭이동부(233)를 구비한다.
간섭블럭(232)은 지지부재에 의해 분사구(214)에 대해 상측으로 이격되게 분사노즐(211)에 지지된다. 지지부재는 상단이 간섭블럭(232)에 고정되며, 하단은 분사노즐(211)의 상단부에 지지되는 복수의 지지로드(234)를 구비한다. 지지부재에 의해 간섭블럭(232)은 좌우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분사노즐(211)에 지지된다.
이때, 상기 간섭블럭(232)은 분사노즐(211)의 투사구(16)에 인접될수록 폭이 감소하게 형성된다. 즉, 간섭블럭(232)은 하방으로 갈수록 좌우폭이 감소하는 역삼각형 단면을 갖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간섭블럭(232)의 좌우측면에 각각 소정의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되며, 간섭블럭(232)의 좌우측면을 따라 유동하는 미스트는 해당 좌우측면의 경사도에 따라 경사지게 유동하여 나머지 부분의 미스트와 충돌한다. 미스트들의 충돌부분에선 투사영상의 산란율이 높아 투사영상의 심미적 효과가 증가한다.
블럭이동부(233)는 좌측단부가 간섭블럭(232)의 지지부재에 설치되고, 우측단부는 분사노즐(211)에 고정되며, 좌우방향으로 신축되는 액츄에이터 또는 스크류잭이 적용된다. 한편, 블럭이동부(233)는 이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간섭블럭(232)을 좌우방향으로 왕복이동시킬 수 있는 이동수단이면 무엇이든 가능하다.
상술된 바와 같이 간섭유닛(231)은 간섭블럭(232)을 분사구(214) 상측에서 왕복이동시키므로 상기 투사영상에 상기 미스트에 의해 미간섭된 부분이 이동하는 것처럼 표시되어 심미적 효과가 증대되고, 투사영상을 감상하는 관람객의 흥미를 유발한다.
한편, 도 6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간섭유닛(240)이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간섭유닛(240)은 상기 간섭블럭(232)의 외측면을 따라 이동하는 상기 미스트의 유동방향을 변화시킬 수 있도록 상기 간섭블럭(232)의 외측면에 돌출되게 형성된 복수의 가이드돌기(241)를 더 구비한다.
상기 가이드돌기(241)는 간섭블럭(232)의 좌우측면에서 외부로 돌출되되, 각각 투사구(16)로부터 멀어지는 방향 즉, 상하방향으로 연장된다. 여기서, 가이드돌기(241)는 파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이드돌기(241)에 의해 간섭블럭(232)의 좌우측면을 따라 유동하는 미스트가 유동 방향이 변경되어 투사영상에 보다 다양한 시각적 효과를 줄 수 있다.
제시된 실시 예들에 대한 설명은 임의의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이용하거나 또는 실시할 수 있도록 제공된다. 이러한 실시예들에 대한 다양한 변형들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며, 여기에 정의된 일반적인 원리들은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른 실시예들에 적용될 수 있다. 그리하여, 본 발명은 여기에 제시된 실시예들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여기에 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관되는 최광의의 범위에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영상 투사 시스템
110: 프로젝터
120: 뎁스 카메라
130: 곡률 산출부
140: 부분 판별부
150: 영상처리유닛

Claims (9)

  1. 투사대상물에 투사영상을 투사하는 프로젝터;
    상기 프로젝터에 인접되게 설치되며, 상기 투사영상이 투사되는 상기 투사대상물의 투사면에 대한 깊이영상을 촬영하는 뎁스 카메라;
    상기 뎁스 카메라에서 제공되는 깊이영상을 토대로 상기 투사면의 곡률을 산출하는 곡률산출부; 및
    상기 프로젝터에 투사영상을 제공하는 것으로서, 상기 곡률산출부에 산출된 곡률에 대응되는 곡률을 갖도록 상기 투사영상에 포함된 오브젝트를 만곡되게 변형하여 상기 투사영상을 생성하는 영상처리유닛;을 구비하는,
    영상 투사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뎁스 카메라에서 제공되는 깊이영상을 토대로 상기 투사면 중 기설정된 상기 투사대상물의 기준점으로부터 외부로 돌출되는 돌출부분 또는 상기 기준점으로부터 내측으로 인입된 인입부분을 판별하는 부분 판별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영상처리유닛은 상기 오브젝트 중 상기 돌출부분에 투사되는 영역을 기설정된 확대비율로 확대하고, 상기 오브젝트 중 상기 인입부분에 투사되는 영역을 기설정된 축소비율로 축소하는,
    영상 투사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젝터에 인접된 위치에 설치되며, 상기 투사대상물로 투사되는 투사영상에 심미적 효과를 향상시키기 위해 상기 투사영상을 산란시킬 수 있도록 상기 투사영상의 투사방향에 교차되는 방향으로 미스트를 분사하는 미스트 분사부;를 더 구비하는,
    영상 투사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미스트 분사부는
    상기 프로젝터의 투사구에 인접된 위치에 설치되어 상기 투사영상의 투사방향에 교차되는 방향으로 미스트를 분사하는 분사노즐;
    상기 분사노즐에 물을 공급하는 물 공급부; 및
    상기 분사노즐에서 미스트가 분사되도록 상기 분사노즐에 설치되어 상기 물공급부에서 공급된 물을 통해 미스트를 발생시키는 미스트 생성유닛;을 구비하는,
    영상 투사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미스트 분사부는 상기 분사노즐에 설치되어 상기 분사노즐에 진동을 인가하는 바이브레이터;를 더 구비하는,
    영상 투사 시스템.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미스트 분사부는 상기 투사영상에 상기 미스트에 의해 미간섭된 부분이 생성될 수 있도록 상기 분사노즐의 분사구에서 분사되는 미스트를 간섭할 수 있게 상기 분사노즐의 분사구에 인접되게 설치되는 간섭유닛;을 더 구비하는,
    영상 투사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노즐은 상기 분사구가 상기 프로젝터에서 출력되는 상기 투사영상의 투사방향에 대해 교차되는 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고,
    상기 간섭유닛은
    상기 분사구에서 분사되는 미스트 중 일부를 간섭할 수 있도록 상기 분사구에 대향되되, 상기 분사구의 연장방향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상기 분사노즐에 설치된 간섭블럭; 및
    상기 간섭블럭을 상기 분사구의 연장방향을 따라 왕복이동시키는 블럭이동부;를 구비하는,
    영상 투사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간섭블럭은 상기 분사노즐의 투사구에 인접될수록 폭이 감소하게 형성된,
    영상 투사 시스템.
  9.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간섭유닛은 상기 간섭블럭의 외측면을 따라 이동하는 상기 미스트의 유동방향을 변화시킬 수 있도록 상기 간섭블럭의 외측면에 돌출되되, 상기 투사구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며, 파형으로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돌기;를 더 구비하는,
    영상 투사 시스템.

KR1020190103200A 2019-08-22 2019-08-22 영상 투사 시스템 KR1022301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3200A KR102230116B1 (ko) 2019-08-22 2019-08-22 영상 투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3200A KR102230116B1 (ko) 2019-08-22 2019-08-22 영상 투사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23247A true KR20210023247A (ko) 2021-03-04
KR102230116B1 KR102230116B1 (ko) 2021-03-19

Family

ID=751744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03200A KR102230116B1 (ko) 2019-08-22 2019-08-22 영상 투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30116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27062Y1 (ko) 2006-06-19 2006-09-22 전공식 비임 프로젝터 스크린 겸용 옥외 광고장치
KR20170013704A (ko) * 2015-07-28 2017-02-07 주식회사 카이 프로젝터 투사 환경하에서의 사용자 시점을 고려한 가상공간 구현 방법 및 시스템
KR20170027159A (ko) * 2015-09-01 2017-03-09 (주)엑스원프로덕션 4차원 영상구현장치
KR20180033122A (ko) * 2015-04-10 2018-04-02 더 리전트 오브 더 유니버시티 오브 캘리포니아 스위칭가능한 디지털 향기 발생 및 방출, 그리고 증기 및 액체 전달 방법 및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27062Y1 (ko) 2006-06-19 2006-09-22 전공식 비임 프로젝터 스크린 겸용 옥외 광고장치
KR20180033122A (ko) * 2015-04-10 2018-04-02 더 리전트 오브 더 유니버시티 오브 캘리포니아 스위칭가능한 디지털 향기 발생 및 방출, 그리고 증기 및 액체 전달 방법 및 시스템
KR20170013704A (ko) * 2015-07-28 2017-02-07 주식회사 카이 프로젝터 투사 환경하에서의 사용자 시점을 고려한 가상공간 구현 방법 및 시스템
KR20170027159A (ko) * 2015-09-01 2017-03-09 (주)엑스원프로덕션 4차원 영상구현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30116B1 (ko) 2021-03-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392817B (zh) 用于散斑减少激光线生成的系统和方法
KR101289595B1 (ko) 격자패턴투영장치
US7760204B2 (en) Computer readable medium for modifying an animation wire
US10996049B2 (en) Method and system for adjusting light pattern for structured light imaging
KR102366781B1 (ko) 컬러 가상 콘텐츠 와핑을 갖는 혼합 현실 시스템 및 이를 사용하여 가상 콘텐츠를 생성하는 방법
KR101954855B1 (ko) 볼륨 내 물체의 심도 맵핑을 위한 광 패턴의 강도 변화의 사용
KR20090065351A (ko) 3차원 얼굴 애니메이션을 위한 헤드 모션 추적 방법
JP2010503899A (ja) 3次元ディスプレイシステム
KR101556481B1 (ko) 워터스크린 3차원 영상 맵핑 디스플레이 장치 및 방법
US6989834B2 (en) System and apparatus for customizing a computer animation wireframe
JP2013211672A (ja) 曲面投影立体視装置
KR20130068575A (ko) 인터랙티브 증강 공간 제공 방법 및 시스템
JP3956561B2 (ja) 画像データ表示システム及び画像データ生成方法
KR102230116B1 (ko) 영상 투사 시스템
CN109493409A (zh) 基于左右眼空间复用的虚拟三维场景立体画面绘制方法
US9992464B1 (en) Method and system for screen correction
US11627291B2 (en) Image painting with multi-emitter light source
CN102193499A (zh) 针对群体绘制的效率控制方法
KR101771123B1 (ko) 포그 스크린을 이용한 다시점 디스플레이 장치 및 포그 스크린을 이용한 다시점 디스플레이 방법
KR102094772B1 (ko) 영상 제어 방법 및 서버
Hoang et al. A Virtual Reality System Using View-Dependent Stereoscopic Rendering
KR20100062774A (ko) 동화상 입력장치를 이용한 3차원 가상현실 디스플레이 시스템 및 방법
Ward et al. VRVision: A new tool for the display of 3-D images in behavioral research
KR101196570B1 (ko) 체험 장치
KR20240028345A (ko) 정보 처리 장치, 정보 처리 방법 및 프로그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