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22428A - 원자력 발전소의 운전 제어 장치 및 이의 인터페이스 화면 표시 방법 - Google Patents

원자력 발전소의 운전 제어 장치 및 이의 인터페이스 화면 표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22428A
KR20210022428A KR1020190101917A KR20190101917A KR20210022428A KR 20210022428 A KR20210022428 A KR 20210022428A KR 1020190101917 A KR1020190101917 A KR 1020190101917A KR 20190101917 A KR20190101917 A KR 20190101917A KR 20210022428 A KR20210022428 A KR 202100224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display
interface screen
control
equip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019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23287B1 (ko
Inventor
장귀숙
박기용
김지호
Original Assignee
한국원자력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원자력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원자력연구원
Priority to KR10201901019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23287B1/ko
Publication of KR202100224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224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232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232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21NUCLEAR PHYSICS; NUCLEAR ENGINEERING
    • G21DNUCLEAR POWER PLANT
    • G21D3/00Control of nuclear power plant
    • G21D3/008Man-machine interface, e.g. control room layou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30/00Energy generation of nuclear origi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lasma & Fus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igh Energy & Nuclear Physics (AREA)
  • Testing And Monitoring For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명세서는 운전 모드에 따른 감시기 및 제어기의 사용 빈도를 판단하고, 이에 따라 감시 및 제어를 위한 인터페이스 화면을 동적으로 구성하여, 인터페이스 화면을 표시하는 원자력 발전소의 운전을 감시 및 제어하는 운전 제어 장치 및 이의 인터페이스 화면 표시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원자력 발전소의 운전 제어 장치 및 이의 인터페이스 화면 표시 방법{OPERATION CONTROLL APPARATUS FOR MONITORING AND CONTROLLING A NUCLEAR POWER PLANT AND METHOD FOR DISPLAYING INTERFACE SCREEN THEREOF}
본 발명은 원자력 발전소의 운전 감시 및 제어를 위한 운전 제어 장치 및 이의 인터페이스 화면 표시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은, 원자력 발전소의 감시 및 제어를 위한 운전 제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원자력 발전소 제어실은 아날로그 방식에 따라 상기 원자력 발전소의 감시 체계를 구성하는 각종 감시기와 제어 체계를 구성하는 각종 제어기의 정보를 표시하는 방식이었다. 그리고 이처럼 종래의 방식의 경우 상기 감시기 및 제어기의 정보들은, 원자력 발전소 시스템 기반의 미믹(mimic) 형태로 표현되어 운전원이 상기 감시기 및 제어기를 운전할 수 있도록 하거나, 단일 센서 및 단일 지시기의 형태로 정보들이 운전원에게 제공되어 운전원이 절차서에 따라 운전할 수 있도록 하였다.
한편 기술의 발달로 현재의 원자력 발전소 제어실은 VDU(Visual Display Unit) 형태의 감시 및 제어 장비를 이용할 수 있게 되었다. 이러한 경우 상기 VDU 감시 및 제어 장비는 하나의 표시부를 통해 표시되는 복수의 화면 페이지들을 통해 서로 다른 복수의 감시기 및 제어기의 정보를 표시할 수 있으므로, 운전원이 한 자리에 앉아서 상기 감시기 및 제어기의 정보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이에 따라 현재의 제어실은 착석식의 조밀(compact)한 설계특성을 가지며, 이는 운전원의 동선을 최소화하고 착석한 상태에서도 상기 복수의 감시기 및 제어기의 운전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운전원의 매크로(macro) 직무 수행 능력 증대에 크게 기여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감시기 및 제어기의 정보들은 P&ID(Piping and Instrumentation Diagram) 기반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이처럼 P&ID 방식으로 구성되는 정보가, 표시 공간 제약이 있는 VDU를 통해 표시되는 경우, 계층적인 구조를 가지는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운전원이 필요한 정보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감시, 진단, 조치 직무 등과 같은 직접 직무 외에, 정보 순항(navigation)과 같은 방식으로 필요한 정보를 탐색할 수 있다. 따라서 운전원이 필요한 정보를 확인 및 감시기 또는 제어기를 운전하기 위해서는 상기 정보 순항과 같은 부가적 직무를 더 필요로 한다.
한편 현재 국내의 디지털 기반 원자력 발전소 제어실의 정보 표시 장치는, 도 1에서 보이고 있는 바와 같이, P&ID 방식에 따라 계통 중심, 기기 중심  및 기능 중심의 계층 구조로 운용되고 있다. 그리고 운전원은 5개 이상의 표시기 화면을 통해 계층적으로 분산되어 있는 정보를 정보 순항(navigation)을 통해 운전에 필요한 정보 및 제어기를 선택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현재의 국내의 디지털 기반 원자력 발전소 제어실의 정보 표시 장치는, 상기 정보 순항과 같은 부가적 직무를 운전원에게 요구하며, 이러한 부가적 직무로 인해 운전원의 반응 시간 지연과 인지적 맥락유지의 어려움 등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반응 시간 지연과 인지적 맥락 유지의 어려움은 비상 상황의 발생과 같은 상황에서 운전원이 오류를 유발할 수 있는 요인이 되기도 한다. 그러므로 운전원의 작업 영역(work domain)에 대한 분석과 이해를 기반으로 하는 정보의 구조화 및 시각화 설계가 필요한 실정이다. 
이러한 요구사항을 충족시키기 위한 종래기술로, 한국 공개특허공보 10-2018-0116045(2018.10.24.공개)(이하, 선행기술이라 칭한다)에서는 선택된 운전 모드와, 정보 순항에 따라 탐색되는 장비들 및 탐색된 장비들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해 인가되는 운전원의 제어 행위에 대응되는 사건 및 조건을 포함하는 표시 규칙을 검출하고, 검출된 표시 규칙에 상기 사건 및 조건에 대응되는 활동으로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다른 장비들의 정보를 표시하는 감시체계 및 제어체계 정보 표시 장치를 제안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기술에서는 표시되는 정보들을 판단하는 구체적인 과정이나 표시되는 정보들의 표시 방법 등에 대한 구체적인 사항은 제안되지 못하였다. 즉, 상기 선행기술에서는 단순히 탐색된 장비들, 상기 탐색된 장비들에 대해 인가되는 제어 행위 및 이에 대응되는 표시 규칙을 표시하는 기술만 제안되었을 뿐, 표시할 정보들을 판단하여 제공하는 구체적인 과정이나 방법은 제안되지 못하였다. 이로 인해, 운전원에게 필요한 정보 제공이 보장되지 못하였으며, 정확하고 적절한 정보 제공이 보장되지 못하는 한계가 있었다.
본 발명에 따른 운전 제어 장치 및 이의 인터페이스 화면 표시 방법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한계를 개선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즉, 본 명세서는 종래기술의 한계를 개선할 수 있는 운전 제어 장치 및 이의 인터페이스 화면 표시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목적은, 탐색 빈도 및 제어 빈도가 높은 감시기 및 제어기의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운전 제어 장치 및 이의 인터페이스 화면 표시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감시기 및 제어기의 정보 표시가 정확하고 적절하게 이루어질 수 있고, 운전원에게 필요한 감시기 및 제어기의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운전 제어 장치 및 이의 인터페이스 화면 표시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운전원의 편리성이 증대될 수 있고, 특히, 복수의 설비들의 복잡한 운전이 이루어지는 초기 운전 시의 정확성, 안정성 및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운전 제어 장치 및 이의 인터페이스 화면 표시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운전 제어 장치 및 이의 인터페이스 화면 표시 방법은, 운전 모드에 따른 감시기 및 제어기의 사용 빈도를 판단하고, 이에 따라 감시 및 제어를 위한 인터페이스 화면을 동적으로 구성하여, 인터페이스 화면을 표시하는 것을 해결 수단으로 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운전 제어 장치 및 이의 인터페이스 화면 표시 방법은, 운전 모드에 따른 감시기 및 제어기의 사용 빈도, 즉 탐색된 장비들의 탐색 빈도 및 탐색된 장비들에 대한 제어 행위의 제어 빈도를 판단하여, 이에 따라 인터페이스 화면을 구성하여 표시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하여, 상술한 바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특징을 과제 해결 수단으로 하는 본 발명에 따른 운전 제어 장치의 실시 예는, 특정 운전 모드, 일련의 장비들의 정보와 상기 일련의 장비들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해 인가되는 기설정된 제어 행위를 각각 사건 및 조건으로 포함하며, 상기 사건 및 조건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다른 장비들의 정보를 상기 사건 및 조건에 대응되는 활동으로 포함하는 표시 규칙을 적어도 하나 포함하는 저장부, 운전원으로부터 선택된 운전 모드에 관련된 장비들의 정보 및 운전원의 정보 순항에 따라 탐색되는 장비들의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 및 상기 선택된 운전 모드와, 상기 정보 순항에 따라 탐색되는 장비들 및 탐색된 장비들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해 인가되는 운전원의 제어 행위에 대응되는 상기 사건 및 조건을 포함하는 표시 규칙을 검출하고, 검출한 표시 규칙에 상기 사건 및 조건에 대응되는 활동으로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다른 장비들의 정보가 표시되도록 상기 표시부를 제어하고, 상기 정보 순항에 따라 탐색된 장비들에 대한 정보 및 상기 탐색된 장비들에 대해 인가되는 제어 행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로그(log) 정보를 수집하여,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기설정된 분석 기준에 따라 상기 로그 정보를 분석하고, 분석 결과를 근거로 상기 탐색된 장비들을 감시 및 제어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화면을 구성하여, 상기 인터페이스 화면이 표시되도록 상기 표시부를 제어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분석 기준은, 상기 로그 정보로부터 특정 기간 동안 상기 탐색된 장비들에 대한 탐색 빈도 및 상기 제어 행위에 대한 제어 빈도를 판단하여, 상기 탐색 빈도 및 상기 제어 빈도에 따라 상기 인터페이스 화면에 표시할 정보를 판단하는 과정에 대한 기준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분석 기준은, 상기 로그 정보로부터 상기 특정 기간 동안의 상기 탐색 빈도 및 상기 제어 빈도를 판단하고, 상기 탐색 빈도 및 상기 제어 빈도에 따라 상기 탐색된 장비들 및 상기 제어 행위 중 상기 인터페이스 화면에 표시할 표시 대상 장비 및 표시 대상 행위를 판단하여, 상기 특정 기간 동안 표시된 상기 표시 규칙을 판단하는 과정으로 설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탐색된 장비들 및 상기 제어 행위 중 상기 탐색 빈도 및 상기 제어 빈도가 일정 기준 이상에 해당하는 장비들 및 제어 행위를 상기 표시 대상 장비 및 상기 표시 대상 행위로 판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탐색 빈도 및 상기 제어 빈도의 순서를 판단하여, 상기 탐색 빈도 및 상기 제어 빈도의 순서가 상기 일정 기준 이상인 장비들 및 제어 행위를 상기 표시 대상 장비 및 상기 표시 대상 행위로 판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인터페이스 화면 상에 상기 표시 대상 장비 및 상기 표시 대상 행위가 상기 탐색 빈도 및 상기 제어 빈도의 순서에 따라 테이블 형태로 표시되도록 상기 인터페이스 화면을 구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인터페이스 화면을 구성한 결과를 상기 인터페이스 화면의 초기 화면과 비교하여,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인터페이스 화면이 상기 표시부에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분석 결과를 근거로 상기 인터페이스 화면을 구성한 후, 상기 인터페이스 화면의 표시 여부가 선택되는 선택 화면이 상기 표시부에 표시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선택 화면 상에서 상기 인터페이스 화면의 표시가 선택될 시, 상기 인터페이스 화면이 상기 표시부에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인터페이스 화면이 상기 표시부에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경우, 상기 분석 결과가 상기 표시부에 더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인터페이스 화면이 상기 표시부에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경우, 상기 인터페이스 화면의 구성을 편집하는 편집 화면이 상기 표시부에 더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기술적 특징을 과제 해결 수단으로 하는 인터페이스 화면 표시 방법의 실시예는, 원자력 발전소의 운전 제어 장치의 인터페이스 화면 표시 방법으로, 운전원으로부터 운전모드를 선택받는 제1 단계, 상기 선택된 운전모드에 대응되는 기 저장된 초기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선택된 운전모드에 관련된 장비들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표시하는 제2 단계, 운전원의 정보 순항에 따라 탐색되는 장비들의 정보를 표시하거나, 상기 탐색된 장비들에 대해 인가되는 운전원의 제어 행위에 따라 상기 탐색된 장비들을 제어하는 제3 단계, 상기 운전원의 정보 순항에 따라 탐색되는 장비들에 대한 정보 및 상기 탐색된 장비들에 대해 인가되는 제어 행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로그(log) 정보를 수집하는 제4 단계, 선택된 운전 모드와, 상기 정보 순항에 따라 탐색되는 장비들 및 상기 탐색된 장비들에 대해 인가되는 운전원의 제어 행위에 대응되는 기 저장된 표시 규칙을 검출하는 제5 단계, 검출된 표시 규칙에 근거하여, 상기 선택된 운전 모드, 상기 정보 순항에 따라 탐색되는 장비들과 상기 탐색된 장비들에 대해 인가되는 운전원의 제어 행위에 대응되는 다른 장비들의 정보를 표시하는 제6 단계, 상기 운전원의 운전이 종료될 때까지, 상기 제3 단계 내지 상기 제6 단계를 반복 수행하는 제7 단계, 상기 로그 정보로부터 특정 기간 동안 상기 탐색된 장비들에 대한 탐색 빈도 및 상기 제어 행위에 대한 제어 빈도를 판단하는 제8 단계, 상기 탐색 빈도 및 상기 제어 빈도에 따라 상기 탐색된 장비들 및 상기 제어 행위 중 상기 인터페이스 화면에 표시할 표시 대상 장비 및 표시 대상 행위를 판단하는 제9 단계, 상기 특정 기간 동안 표시된 상기 표시 규칙을 판단하는 제10 단계, 제8 단계 내지 제10 단계의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탐색된 장비들을 감시 및 제어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화면을 구성하는 제11 단계 및 상기 인터페이스 화면을 표시하는 제12 단계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9 단계는, 상기 탐색 빈도 및 상기 제어 빈도의 순서를 판단하여, 상기 탐색 빈도 및 상기 제어 빈도의 순서가 일정 순위 이상인 장비들 및 제어 행위를 상기 표시 대상 장비 및 상기 표시 대상 행위로 판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2 단계는, 상기 인터페이스 화면을 구성한 결과를 상기 인터페이스 화면의 초기 화면과 비교하여,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인터페이스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2 단계는, 상기 인터페이스 화면의 표시 여부가 선택되는 선택 화면을 표시하고, 상기 선택 화면 상에서 상기 인터페이스 화면의 표시가 선택될 시, 상기 인터페이스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2 단계는, 제8 단계 내지 제10 단계의 판단 결과를 더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2 단계는, 상기 인터페이스 화면의 구성을 편집하는 편집 화면을 더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2 단계는, 상기 편집 화면 상에 이루어지는 편집 입력에 대응하여 상기 인터페이스 화면의 구성을 수정하여, 수정한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운전 제어 장치 및 이의 인터페이스 화면 표시 방법의 실시 예들은, 탐색 빈도 및 제어 빈도에 따라 인터페이스 화면을 동적으로 구성하여 표시함으로써, 탐색 빈도 및 제어 빈도가 높은 감시기 및 제어기의 정보를 제공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운전 제어 장치 및 이의 인터페이스 화면 표시 방법의 실시 예들은, 운전 모드에 따른 로그 정보를 근거로 탐색 빈도 및 제어 빈도를 판단하여, 이에 따라 인터페이스 화면을 동적으로 구성하여 표시함으로써, 감시기 및 제어기의 정보 표시가 정확하고 적절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운전 제어 장치 및 이의 인터페이스 화면 표시 방법의 실시 예들은, 운전원에게 필요한 감시기 및 제어기의 정보를 제공하게 됨으로써, 불필요한 정보의 표시를 제한할 수 있게 됨은 물론, 간소화된 인터페이스 화면을 통해 적절하고 효율적인 운전 제어가 이루어질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이에 더불어, 본 발명에 따른 운전 제어 장치 및 이의 인터페이스 화면 표시 방법의 실시 예들은, 운전원에게 필요한 감시기 및 제어기의 정보를 제공하게 됨으로써, 운전원의 편리성이 증대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운전 제어 장치 및 이의 인터페이스 화면 표시 방법의 실시 예들은, 복수의 설비들의 복잡한 운전이 이루어지는 초기 운전 시에, 중요도에 따른 필수적인 정보가 표시되는 인터페이스 화면을 통해 초기 운전 시의 감시 및 제어가 이루어지게 됨으로써, 초기 운전 제어 시의 정확성, 안정성 및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운전 제어 장치 및 이의 인터페이스 화면 표시 방법의 실시 예들은, 인터페이스 화면 상에 감시기 및 제어기의 정보가 사용 빈도에 따라 테이블 형태로 표시됨으로써, 운전 모드에 따른 필수적인 감시기 및 제어기의 정보가 직관적으로 판단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게다가, 본 발명에 따른 운전 제어 장치 및 이의 인터페이스 화면 표시 방법의 실시 예들은, 인터페이스 화면 상에 감시기 및 제어기의 정보가 사용 빈도에 따라 테이블 형태로 표시됨으로써, 이전 운전 제어에 대한 파악이 쉽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에 따른 운전 제어 장치 및 이의 인터페이스 화면 표시 방법의 실시 예들은, 로그 정보를 분석한 결과를 인터페이스 화면 상에 표시함으로써, 운전 모드에 따른 사용 빈도의 파악이 직관적으로 간단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운전 제어 장치 및 이의 인터페이스 화면 표시 방법의 실시 예들은, 인터페이스 화면의 표시 여부가 결정되는 선택 화면 및 인터페이스 화면 구성의 편집이 이루어지는 편집 화면이 표시됨으로써, 구성된 인터페이스 화면에 대한 선택적인 사용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운전원의 기호에 맞는 인터페이스 화면 구성의 편집이 이루어져, 운전원의 운전 능력에 최적화된 인터페이스 화면이 구성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운전 제어 장치 및 이의 인터페이스 화면 표시 방법의 실시 예들은, 종래기술의 제약들을 개선할 수 있음은 물론, 원자력 발전소의 운전 제어 기술의 안정성/효율성/효용성/편리성/정확성을 증대시킬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감시 계통 및 정보 계통의 정보를 표시하는 정보 표시 장치의 구성 및 P&ID 기반의 정보의 예를 도시한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원자력 발전소 제어실의 감시 및 제어를 위한 운전 제어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운전 제어 장치에서, 로그 정보를 분석하여 인터페이스 화면을 구성 및 표시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운전 제어 장치에서, 인터페이스 화면을 구성 및 표시하는 구체적인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운전 제어 장치 및 인터페이스 화면 표시 방법의 실시 예에 따른 인터페이스 화면의 구체적인 예시를 나타낸 예시도.
도 6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인터페이스 화면의 정보창의 구체적인 일 예를 나타낸 예시도.
도 7a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인터페이스 화면의 운전 모드 선택창의 구체적인 일 예를 나타낸 예시도 a.
도 7b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인터페이스 화면의 운전 모드 선택창의 구체적인 일 예를 나타낸 예시도 b.
도 8a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인터페이스 화면의 장비 표시창의 구체적인 일 예를 나타낸 예시도 a.
도 8b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인터페이스 화면의 장비 표시창의 구체적인 일 예를 나타낸 예시도 b.
도 9a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인터페이스 화면의 행위 표시창의 구체적인 일 예를 나타낸 예시도 a.
도 9b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인터페이스 화면의 행위 표시창의 구체적인 일 예를 나타낸 예시도 b.
도 1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인터페이스 화면의 구체적인 표시의 일 예를 나타낸 예시도.
도 11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인터페이스 화면의 주의 화면의 일 예를 나타낸 예시도.
도 12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인터페이스 화면의 분석 화면의 일 예를 나타낸 예시도.
도 13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은 분석 화면의 구체적인 표시창의 일 예를 나타낸 예시도 1.
도 14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은 분석 화면의 구체적인 표시창의 일 예를 나타낸 예시도 2.
도 15a 및 15b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은 분석 화면의 구체적인 표시창의 일 예를 나타낸 예시도 3a 및 3b.
도 16a 및 16b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은 분석 화면의 구체적인 표시창의 일 예를 나타낸 예시도 4a 및 4b.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에는 동일,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운전 제어 장치 및 인터페이스 화면 표시 방법이 적용되는 원자력 발전소 제어실의 감시체계 및 제어체계 정보 표시 장치의 구성을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원자력 발전소 제어실의 감시체계 및 제어체계 정보 표시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원자력 발전소 제어실의 감시체계 및 제어체계 정보 표시 장치(100)(이하, 정보 표시 장치라 칭한다)는 제어부(110)와, 상기 제어부(110)에 연결되는 표시부(130), 입력부(120), 저장부(150), 및 보완부(14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도 2에서 보이고 있는 구성 요소들은 상기 정보 표시 장치(100)를 구현하는데 있어서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본 명세서 상에서 설명되는 상기 정보 표시 장치(100)는 위에서 열거된 구성요소들 보다 많거나, 또는 적은 구성요소들을 가질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구성 요소들 중 입력부(120)는 운전원으로부터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키들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키들은 소프트웨어적인 처리를 통해 터치 스크린에 표시되는 가상 키(virtual key), 소프트 키(soft key) 또는 비주얼 키(visual key)로 이루어지거나, 상기 터치 스크린 이외의 부분에 배치되는 터치 키(touch key)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상기 가상 키 또는 비주얼 키는, 다양한 형태를 가지면서 터치 스크린 상에 표시되는 것이 가능하며, 예를 들어, 그래픽(graphic), 텍스트(text), 아이콘(icon), 비디오(video)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표시부(130)는, 상기 정보 표시 장치(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출력)한다. 예를 들어, 상기 표시부(130)는 운전원이 선택한 운전 모드에 따른 감시기 정보 및 제어기 정보를 표시할 수 있으며, 운전원의 키 입력에 따른 정보 순항을 통해 관련된 다양한 감시기 정보 및 제어기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상기 표시부(130)는, 터치 방식에 의하여 제어 명령을 입력 받을 수 있도록, 상기 표시부(130)에 대한 터치를 감지하는 터치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를 이용하여, 상기 표시부(130)에 대하여 터치가 이루어지면, 터치 센서는 상기 터치를 감지하고, 상기 제어부(110)는 이에 근거하여 상기 터치에 대응하는 제어 명령을 발생시키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터치 방식에 의하여 입력되는 내용은 문자 또는 숫자이거나, 각종 모드에서의 지시 또는 지정 가능한 메뉴 항목 등일 수 있다. 이처럼, 상기 표시부(130)가 터치 센서와 함께 터치 스크린을 형성하는 경우, 상기 터치 스크린은 상기 정보 표시 장치(100)와 운전원 사이의 입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입력부(120)로써 기능함과 동시에, 상기 정보 표시 장치(100)와 운전원 사이의 출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저장부(150)는, 상기 정보 표시 장치(100)의 다양한 기능을 지원하는 데이터를 저장한다. 상기 저장부(150)는 상기 정보 표시 장치(100)에서 구동되는 다수의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 program 또는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 상기 정보 표시 장치(100)의 동작을 위한 데이터들, 명령어들을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정보 표시 장치(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상기 제어부(110)는 위에서 살펴본 구성요소들을 통해 입력 또는 출력되는 신호, 데이터, 정보 등을 처리하거나 저장부(150)에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함으로써, 적어도 하나의 감시기 또는 제어기 정보를 상기 표시부(130) 상에 표시하고, 표시된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대응되는 감시기 또는 제어기에, 상기 운전자의 입력에 따른 제어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어부(110)는 운전자가 운전 모드를 선택하는 경우, 선택된 운전 모드에 따른 감시 계통의 정보 및 제어 계통 정보를 구조화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감시 계통의 정보 및 제어 계통의 정보는, 각각 서로 다른 복수의 감시기 및 제어기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구조화는 P&ID(Piping and Instrumentation Diagram) 기반으로 구성된 상기 감시 계통 및 제어 계통을 구성하는 상기 감시기 및 제어기의 정보들이 계층 구조를 가지도록 계층 구조화하는 것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계층 구조화된 감시기 및 제어기의 정보들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표시부(130)를 통해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계층 구조화된 감시기 및 제어기의 정보들 중에서, 기 설정된 적어도 하나의 감시기 및 제어기에 대한 정보만을 상기 표시부(130) 상에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기 설정된 적어도 하나의 감시기 및 제어기'는, 각각의 운전 모드 별로 미리 선택된 것일 수 있으며, 상기 저장부(150)에 상기 선택된 운전 모드에 대응되는 초기 정보로서 기 저장된 것일 수 있다. 즉, 상기 제어부(110)는 운전자가 특정 운전 모드를 선택하는 경우, 선택된 운전 모드에 관련된 복수의 감시기 또는 제어기 중에서, 상기 초기 정보로 설정된 적어도 하나의 감시기 및 제어기에 대한 정보를 상기 표시부(130) 상에 표시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어부(110)는 운전원의 운전 행위에 따라 다양한 감시기 및 제어기에 관련된 정보를 상기 표시부(130) 상에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110)는 운전원의 입력에 근거하여 계층적으로 구조화된 정보를 순항(naveigation)하며, 상기 정보 순항에 따른 감시기 및 제어기의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정보 순항이라 함은, 운전자가 필요로 하는 감시기 또는 제어기의 정보를 탐색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상기 표시부(130) 상에 현재 표시된 정보들 중 적어도 하나와 수직 방향(하위 계층과 상위 계층 사이) 또는 수평 방향(같은 계층 사이)으로 연결된 다른 감시기 및 제어기 정보를 표시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즉, 상기 '정보 순항'은, 일 예로 하기 [그림 1]과 같이 제어기 A, B, C가 각각 상위 계층, 중위 계층, 하위 계층으로 구조화되어 있는 상태에서, 운전자가 제어기 A의 정보를 확인하기 위해, 제어기 C의 정보로부터 제어기 B를 선택하여 제어기 B의 정보를 상기 표시부(130) 상에 표시하고, 제어기 B의 정보로부터 제어기 A를 선택하여 제어기 A의 정보를 상기 표시부(130) 상에 표시하는 과정을 의미할 수 있다.
[그림 1]
Figure pat00001
한편 이러한 정보 순항을 통해 특정 감시기 또는 제어기 정보를 탐색하고, 탐색된 감시기 또는 제어기에 대한 제어를 수행하는 운전자의 모든 운전 행위를, 상기 제어부(110)는 로그(log) 정보의 형태로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정보 순항 과정에서, 운전자가 찾고자 하는 감시기 또는 제어기의 정보와, 상기 정보 순항을 위한 경로 상에 있는 감시기 또는 제어기 정보를 구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110)는 기 설정된 이상 표시부(130) 상에 표시되거나, 운전자가 특정 제어 명령을 입력한 감시기 또는 제어기의 정보는 운전자가 찾고자 한, 즉 운전자의 운전행위에 따른 감시기 또는 제어기의 정보로 판단할 수 있다. 반대로 기 설정된 시간 미만만 표시된 이후 다른 정보가 표시되는 화면으로 대체(기 설정된 시간 내에 표시 종료된 경우)되거나, 다른 감시기 또는 제어기 정보로의 이동만이 선택되었을 뿐, 운전자의 제어 행위가 감지되지 않은 감시기 또는 제어기 정보의 경우, 다른 감시기 또는 제어기의 정보를 선택하기 위한 정보 순항 경로 상에 있는 감시기 또는 제어기의 정보로 판단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제어부(110)는 운전자의 운전 행위가 기 설정된 표시 규칙에 따른 조건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제어부(110)는 조건 분석부(112)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조건 분석부(112)는 상기 운전자의 운전 행위를 분석하여, 분석된 운전 행위가 기 설정된 표시 규칙에 포함된 조건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조건 분석부(112)는 상기 제어부(110)와 별개로 구비되거나, 상기 제어부(110)의 일 구성 요소로 상기 제어부(110)에 통합되는 형태로 구비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조건 분석부(112)는 상기 제어부(110)의 제어 기능과는 별개로 운전자의 행위들을 분석할 수 있으며, 분석된 행위들과 일치하는 조건을 포함하는 표시 규칙의 정보를 상기 제어부(110)에 입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기 설정된 표시 규칙은 "on 사건(event) if 조건(condition) then 활동(action)"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여기서 '사건(event)'은 운전 모드의 선택 또는 운전자의 키 입력 등을 의미할 수 있다. 그리고 '조건(condition)'은 현재 선택된 운전 모드에 따른 절차서에 기 정의된 조건 등에 따라 결정된 것일 수 있다. 즉, 상기 '조건'은 특정 운전 절차를 수행하는 경우의 진입 조건, 또는 각 운전 모드 별로 특정 운전 절차를 진행하는 경우에 운전원에게 제공되어야 할 감시기 및 제어기 정보들에 따라 결정된 것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활동(action)'은 상기 '사건(event)' 및, '조건(condition)'이 일치하는 경우 상기 표시부(130) 상에 표시되는 정보들, 및 상기 표시되는 정보들의 순서 또는 위치와 같은 배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110)는 운전자가 운전 모드를 선택하는 경우, 상기 운전 모드의 선택을 '사건(event)'으로 검출할 수 있다. 그리고 운전자의 행위, 즉 운전자가 탐색하는 감시기 또는 제어기의 정보(운전자가 찾고자 하는 감시기 및 제어기의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조건(condition)'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즉, 상기 제어부(110)는 운전자가 특정 운전 모드를 선택한 상태에서, 상기 운전자가 탐색한 감시기 및 제어기 정보가 기 설정된 표시 규칙에 포함된 '조건(condition)'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그림 1]과 같은 계층 구조를 가지는 경우에, 제어기 C를 제어한 이후, 제어기 B를 제어하고, 제어기 B가 제어되면 제어기 A 및 다른 제어기 X(표시되지 않음)를 제어하도록 절차가 정의된 경우(절차서에서 정의)라면, 상기 제어기 C의 제어 및 제어기 B의 제어가 상기 '조건(condition)'이 될 수 있으며, 상기 '제어기 A와 제어기 X의 정보 표시'가 상기 '활동(action)'이 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110)는, 제어기 C 및 제어기 B의 정보가, 운전자의 운전 행위에 따라 탐색 및 상기 제어기 C와 제어기 B가 상기 절차서에 정의된 절차에 따라 제어된 경우, 상기 '조건(condition)'이 충족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표시 규칙에 따른 활동(action), 즉 제어기 A와 제어기 X를 운전자가 제어할 수 있도록, 상기 제어기 A와 제어기 X의 정보를 상기 표시부(130) 상에 표시 및, 상기 제어기 A와 제어기 X의 정보를 기 설정된 순서 또는 위치에 따라 상기 표시부(130) 상에 배치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어부(110)는 운전자가 운전 행위를 종료할 때까지 운전자의 운전 행위, 즉 입력에 따라 탐색된 감시기 또는 제어기의 정보를 포함하는 로그(log)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로그 정보는 현재 선택된 운전 모드에서 정보 순항을 통해 운전자가 탐색한 감시기 및 제어기의 정보들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로그 정보는, 상기 저장부(150)의 로그 정보 저장부(156)에 저장될 수 있다.
그리고 로그 정보가 저장되면,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저장된 로그 정보가 기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제어부(110)는 기 설정된 주기마다 또는 저장된 로그 정보의 수가 기 설정된 개수 이상인 경우, 보완부(140)를 제어하여 상기 기 설정된 주기 동안 저장된 로그 정보들 또는 상기 기 설정된 개수 이상의 로그 정보들을 분석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기 설정된 개수 또는 주기는 특정 운전자에 의해 미리 지정되거나, 또는 관련된 실험을 복수회 수행하여 얻어진 최적 기간 또는 최적 개수에 근거하여 미리 결정된 것일 수 있다.
한편 상기 보완부(140)는 상기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로그 정보들의 분석이 시작되면, 각 운전 모드 별로 그 정보가 탐색된 감시기 또는 제어기의 수를 분석할 수 있다. 그리고 각 운전 모드에 관련된 감시기 및 제어기 별로, 그 정보가 탐색된 빈도를 분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완부(140)는 상기 탐색된 빈도가 기 설정된 횟수 이상인 감시기 또는 제어기의 경우, 관련된 운전 모드와의 상관관계를 분석할 수 있다. 상기 보완부(140)는 상기 분석 결과를 상기 제어부(110)에 입력할 수 있으며,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분석 결과에 근거하여 각 운전 모드별 초기 정보를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탐색 빈도 또는 상관관계 분석 결과 중 적어도 하나에 근거하여 각 운전 모드별 초기 정보를 설정할 수 있다. 즉, 상기 제어부(110)는 각 운전 모드 별로 탐색 빈도가 기 설정된 횟수 이상인 적어도 하나의 감시기 또는 제어기의 정보를 상기 초기 정보로 설정하거나, 상기 해당 운전 모드에 따른 운전 행위 중 상관관계가 높은 적어도 하나의 감시기 또는 제어기의 정보를 상기 초기 정보로 설정할 수 있다. 그리고 각 운전 모드별로 설정된 초기 정보를 상기 저장부(150)에 저장할 수 있다. 이하 상기 저장부(150)에서 상기 각 운전 모드 별로 설정된 초기 정보들이 저장되는 영역을 '초기 정보 저장부(152)'라고 칭하기로 한다.
한편 상기 보완부(140)는 상기 로그 정보들을 분석하여 상기 표시 규칙을 분석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보완부(140)는 상기 상관관계 분석 결과에 따라 선후 관계 또는 인과 관계가 있으며, 상기 선후 관계 또는 인과 관계에 따라 운전자가 탐색한 빈도 수가 일정 수준 이상인 감시기 및 제어기 정보들을 각각 상기 '조건(condition)'과 '활동(action)'으로 분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선후 관계에 있는 감시기 및 제어기 정보들 중, 먼저 탐색된 적어도 하나의 감시기 또는 제어기 정보는 '조건(condition)'이 될 수 있으며, 나중에 탐색된 적어도 하나의 다른 감시기 또는 제어기 정보는 '활동(action)'이 될 수 있다. 이와 유사하게 상기 인과 관계에 있는 감시기 및 제어기 정보들 중, 원인이 되는 적어도 하나의 감시기 또는 제어기 정보는 '조건(condition)'이 될 수 있으며, 결과가 되는 적어도 하나의 다른 감시기 또는 제어기 정보는 '활동(action)'이 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보완부(140)에서 분석된 표시 규칙 역시 상기 제어부(110)로 입력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표시 규칙은, 상기 보완부(140)의 분석 결과 뿐만 아니라 입력부(120)를 통해 추가로 입력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특정 운전자는 기 설정된 표시 규칙, 즉 예를 들어 "on 사건(event) if 조건(condition) then 활동(action)"의 형태로 표시 규칙을 생성하거나 기 생성된 표시 규칙을 수정하여 입력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입력된 표시 규칙을 상기 보완부(140)에서 분석된 표시 규칙과 함께 상기 저장부(150)에 저장할 수 있다. 이하 상기 저장부(150)에서 상기 분석 또는 입력된 표시 규칙들이 저장되는 영역을 '보완 정보 저장부(154)'라고 칭하기로 한다.
이하에서는 이와 같이 구성된 상기 정보 표시 장치(100)에서 구현될 수 있는 제어 방법과 관련된 실시 예들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살펴보겠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정신 및 필수적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정보 표시 장치(100)에서, 운전원이 선택한 운전 모드와, 운전원의 운전에 대응되는 표시 규칙에 따라 감시기 및 제어기 정보가 표시되는 동작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한편 상기 저장부(150)의 초기 정보 저장부(152)는, 복수의 기 저장된 로그 정보를 분석한 결과에 따라 각 운전 모드 별로 초기 정보로 설정된 적어도 하나의 감시기 또는 제어기 정보가 저장된 상태를 가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상기 저장부(150)의 보완 정보 저장부(154)에는, 하기 [표]에서 보이고 있는 바와 같은 표시 규칙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가정하기로 한다.
[표]
Figure pat00002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감시기와 제어기를 모두 '장비'로 지칭하기로 한다. 즉 '적어도 하나의 장비' 라 함은, 적어도 하나의 감시기 또는 적어도 하나의 제어기를 의미할 수 있으며, 적어도 하나의 감시기와 적어도 하나의 제어기를 모두 포함하는 경우를 의미할 수도 있다.
도 3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상기 정보 표시 장치(100)의 상기 제어부(110)는, 운전가가 선택한 운전 모드에 관련된 복수의 장비 정보를 구조화할 수 있다(S10), 여기서 상기 S10 단계는 현재 선택된 운전 모드에 따른 감시 계통 및 제어 계통을 구성하는 상기 복수의 장비 정보를 계층적으로 구조화하는 것일 수 있다.
한편 상기 S10 단계의 구조화가 완료되면, 상기 제어부(110)는 선택된 운전 모드에 필요한 적어도 하나의 장비 정보를, 상기 운전 모드의 선택에 따른 응답으로 표시할 수 있다(S11). 상기 S11 단계에서, 상기 운전 모드 선택에 따라 표시되는 적어도 하나의 장비 정보는, 상기 초기 정보 저장부에 저장된 초기 정보들 중, 현재 선택된 운전 모드에 따른 초기 정보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장비 정보일 수 있다. 
한편 상기 S11 단계에서, 초기 정보에 따른 장비 정보가 표시되면, 상기 제어부(110)는 운전자의 운전 행위에 따라 상기 표시부(130) 상에 표시된 정보들에 대응되는 장비에 제어 명령을 전송하거나, 운전자의 입력에 따라 선택되는 다른 장비의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운전자의 운전 행위를 포함하는 로그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S12). 여기서 상기 운전자의 운전 행위는, 상기 제어 명령을 전송하거나 상기 운전자의 입력에 따라 선택되는 다른 장비의 정보를 표시하는 행위(예 : 정보 순항)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로그 정보는, 운전자의 정보 순항을 통해 탐색된 적어도 하나의 장비의 정보와, 상기 탐색된 적어도 하나의 장비에 대한 상기 운전자의 제어 행위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어부(110)는 기 설정된 표시 규칙에 근거하여 운전자의 운전 행위를 분석할 수 있다(S13).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110)는 운전자의 정보 순항에 따라 탐색된 장비들과 상기 탐색된 장비들에 대해 인가되는 운전자의 제어 행위를 검출할 수 있다. 그리고 보완 정보 저장부(154)에 저장된 표시 규칙들 중, 상기 탐색된 장비들과 상기 검출된 제어 행위에 대응되는 조건을 포함하는 표시 규칙들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14).
그리고 상기 S14 단계의 판단 결과, 탐색된 장비들과, 상기 검출된 제어 행위에 대응되는 표시 규칙이 있는 경우라면, 상기 제어부(110)는 그 표시 규칙에 따른 활동을 수행할 수 있다(S15). 즉, 상기 탐색된 장비들과 검출된 제어 행위에 대응되는 표시 규칙에 따라 기 설정된 적어도 하나의 장비 정보들을 상기 표시부(130) 상에 표시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장비 정보들을 기 설정된 순서 또는 위치에 따라 상기 표시부(130) 상에 배치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10)는 운전 모드가 종료되었는지 여부를 검출할 수 있다(S16). 그리고 상기 S16 단계의 검출 결과 운전 모드가 종료되지 않은 경우라면, 다시 S12 단계로 진행하여 운전자의 운전 행위에 따라 제어 명령을 전송하거나 다른 장비의 정보를 표시하고, 상기 운전 행위에 대한 로그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S13 단계 내지 S14 단계에 이르는 과정을 다시 수행할 수 있다.
반면 상기 S14 단계의 판단 결과, 탐색된 장비들과, 상기 검출된 제어 행위에 대응되는 표시 규칙이 없는 경우라면,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S16 단계로 바로 진행하여 운전 모드가 종료되었는지 여부를 검출할 수 있다. 그리고 운전 모드가 종료되지 않은 경우라면, 다시 S12 단계로 진행하고, 상기 S13 단계 내지 S14 단계에 이르는 과정을 다시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S16 단계의 검출 결과 운전 모드가 종료된 경우라면, 상기 S12 단계에서 수행되는 로그 정보 수집을 종료할 수 있다. 그리고 현재까지 수집된 로그 정보를 분석할 수 있다. 그리고 분석된 로그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저장부(150)에 저장된 초기 정보 또는 보완 정보를 생성 및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보완부(140)의 분석 결과에 따라 특정 운전 모드의 초기 정보에 포함된 장비들 중 적어도 일부를 변경하거나, 적어도 하나의 장비를 삭제 또는 추가할 수 있다. 또는, 상기 보완부(140)의 분석 결과에 따라 상기 기 저장된 로그 정보들로부터 표시 규칙을 생성할 수 있으며, 생성된 표시 규칙을 보완 정보 저장부(154)에 저장할 수 있다. 또는, 특정 운전자로부터 직접 입력되는 보완 정보를 보완 정보 저장부(154)에 더 추가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과정으로 상기 표시부(130) 상에 정보를 표시하는 상기 운전 제어 장치(100)에서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S16 단계의 검출 결과 운전 모드가 종료된 경우, 기설정된 분석 기준에 따라 상기 로그 정보를 분석하고, 분석 결과를 근거로 상기 탐색된 장비들을 감시 및 제어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화면을 구성하여, 상기 인터페이스 화면이 상기 표시부(130)에 표시되도록 제어한다(S17 내지 S20). 구체적으로,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로그 정보에 포함된 상기 탐색된 장비들에 대한 정보 및 상기 탐색된 장비들에 대해 인가되는 제어 행위에 대한 정보를 분석하고(S17 내지 S19), 분석한 상기 탐색된 장비들에 대한 정보 및 상기 제어 행위에 대한 정보에 따라 상기 인터페이스 화면을 동적으로 구성하여, 상기 인터페이스 화면을 상기 표시부(130) 상에 표시하게 된다(S20).
상기 분석 기준은, 상기 로그 정보로부터 특정 기간 동안 상기 탐색된 장비들에 대한 탐색 빈도 및 상기 제어 행위에 대한 제어 빈도를 판단하여, 상기 탐색 빈도 및 상기 제어 빈도에 따라 상기 인터페이스 화면에 표시할 정보를 판단하는 과정에 대한 기준일 수 있다. 즉, 상기 분석 기준은, 상기 로그 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탐색 빈도 및 상기 제어 빈도를 판단하고, 상기 탐색 빈도 및 상기 제어 빈도에 따라 상기 인터페이스 화면에 표시할 정보를 판단하는 순서에 대한 기준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로그 정보를 상기 분석 기준에 따라 분석하여 상기 인터페이스 화면에 표시할 정보를 판단하게 될 수 있다.
상기 분석 기준은, 상기 로그 정보로부터 상기 특정 기간 동안의 상기 탐색 빈도 및 상기 제어 빈도를 판단하고(S17), 상기 탐색 빈도 및 상기 제어 빈도에 따라 상기 탐색된 장비들 및 상기 제어 행위 중 상기 인터페이스 화면에 표시할 표시 대상 장비 및 표시 대상 행위를 판단하여(S18), 상기 특정 기간 동안 표시된 상기 표시 규칙을 판단(S19)하는 과정으로 설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과정으로 설정된 상기 분석 기준에 따라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로그 정보로부터 상기 특정 기간 동안 선택된 감시기 및 제어기 정보의 탐색 빈도 및 제어 빈도를 판단하고(S17), 상기 탐색 빈도 및 상기 제어 빈도에 따라 상기 표시 대상 제어 장비 및 상기 표시 대상 행위를 판단하고(S18), 상기 특정 기간 동안 표시된 상기 표시 규칙을 판단(S19)하는 과정으로 상기 인터페이스 화면에 표시할 정보를 판단하게 될 수 있다.
상기 S17 단계에서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로그 정보를 근거로 상기 특정 기간 동안의 감시기 및 제어기 정보의 탐색 빈도 및 제어 빈도, 즉 상기 탐색된 장비들 및 상기 제어 행위의 상기 탐색 빈도 및 상기 제어 빈도를 판단할 수 있다. 이를테면, 상기 특정 기간 동안 상기 탐색된 장비들에서 선택된 감시기들의 탐색 빈도와, 상기 특정 기간 동안 수행된 상기 제어 행위의 제어 빈도 각각을 판단하게 될 수 있다.
상기 S18 단계에서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탐색된 장비들 및 상기 제어 행위 중 상기 탐색 빈도 및 상기 제어 빈도가 일정 기준 이상에 해당하는 장비들 및 제어 행위를 상기 표시 대상 장비 및 상기 표시 대상 행위로 판단할 수 있다. 즉,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탐색된 장비들 및 상기 제어 행위 중에서 상기 특정 기간 동안의 상기 탐색 빈도 및 상기 제어 빈도가 상기 일정 기준 이상에 해당하는 장비들 및 제어 행위를 상기 인터페이스 화면에 표시할 상기 표시 대상 장비 및 상기 표시 대상 행위로 판단하게 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탐색 빈도 및 상기 제어 빈도의 순서를 판단하여, 상기 탐색 빈도 및 상기 제어 빈도의 순서가 상기 일정 기준 이상인 장비들 및 제어 행위를 상기 표시 대상 장비 및 상기 표시 대상 행위로 판단할 수 있다. 이를테면, 상기 탐색 빈도 및 상기 제어 빈도의 순위가 높은 장비들 및 제어 행위를 상기 표시 대상 장비 및 상기 표시 대상 행위로 판단하게 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일정 기준은, 상기 탐색 빈도 및 상기 제어 빈도의 높은 순서에 따른 순위 기준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탐색된 장비들 및 상기 제어 행위 중 상기 탐색 빈도 및 상기 제어 빈도가 높은 순서대로 5위 이내에 해당하는 장비들 및 제어 행위들을 상기 표시 대상 장비 및 상기 표시 대상 행위로 판단하게 될 수 있다.
상기 S19 단계에서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특정 기간 동안 표시된 상기 S18 단계에서 판단한 상기 표시 대상 장비 및 상기 표시 대상 행위에 해당되는 장비들 및 제어 행위의 표시 규칙을 판단할 수 있다. 즉,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특정 기간 동안 표시된 상기 표시 대상 장비 및 상기 표시 대상 행위에 해당되는 장비들 및 제어 행위의 표시 규칙을 판단하게 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분석 기준에 따라 상기 로그 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인터페이스 화면에 표시할 상기 표시 대상 장비 및 상기 표시 대상 행위를 판단하는 상기 제어부(110)는,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인터페이스 화면을 구성하여, 상기 인터페이스 화면이 상기 표시부(130)에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S20).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S20 단계에서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인터페이스 화면 상에 상기 표시 대상 장비 및 상기 표시 대상 행위가 상기 탐색 빈도 및 상기 제어 빈도의 순서에 따라 테이블 형태로 표시되도록 상기 인터페이스 화면을 구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표시 대상 장비 및 상기 표시 대상 행위는, 상기 탐색 빈도 및 상기 제어 빈도의 순서대로 정렬되어 상기 인터페이스 화면 상에 테이블 형태로 표시될 수 있다. 즉, 상기 인터페이스 화면 상에 상기 표시 대상 장비 및 상기 표시 대상 행위가 상기 탐색 빈도 및 상기 제어 빈도의 순서에 따라 테이블 형태로 정렬되어 표시됨으로써, 상기 탐색 빈도 및 상기 제어 빈도의 수가 높은 순서대로 장비들 및 제어 행위가 상기 인터페이스 화면에 표시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운전 제어 장치(100)의 운전원에게 상기 운전 모드에 따른 사용 빈도수가 높은 감시기 및 제어기 정보, 즉 사용 빈도수가 높은 순서대로 탐색된 장비들 및 제어 행위가 표시되는 인터페이스 화면을 제공하게 될 수 있다. 또한, 운전원에게 상기 탐색 빈도 및 상기 제어 빈도가 높은 장비들 및 제어 행위가 직관적으로 판단될 수 있는 인터페이스 화면을 제공하게 될 수 있다.
한편 상기 S20 단계에서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인터페이스 화면을 구성한 결과를 상기 인터페이스 화면의 초기 화면과 비교하여,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인터페이스 화면이 상기 표시부(130)에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비교 결과를 상기 저장부(150)에 저장하고, 상기 인터페이스 화면을 구성한 결과와 상기 초기 화면의 차이에 따라 상기 표시부(130)에 표시되는 상기 인터페이스 화면을 구성하여 상기 표시부(130)에 표시되도록 제어하게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S20 단계에서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분석 결과를 근거로 상기 인터페이스 화면을 구성한 후, 상기 인터페이스 화면의 표시 여부가 선택되는 선택 화면이 상기 표시부(130)에 표시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선택 화면 상에서 상기 인터페이스 화면의 표시가 선택될 시, 상기 인터페이스 화면이 상기 표시부(130)에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상기 인터페이스 화면은, 상기 선택 화면 상에서 상기 인터페이스 화면의 표시 여부가 선택될 시 상기 표시부(130)에 표시될 수 있다. 이를테면, 상기 인터페이스 화면을 구성한 후 상기 표시부(130)에 표시하기 전, 상기 표시부(130)에 상기 선택 화면이 표시되어, 운전원에 의해 상기 선택 화면 상에서 상기 인터페이스 화면의 표시가 선택되면, 상기 선택 화면 상에서 이루어지는 상기 인터페이스 화면의 표시에 대응하여 상기 인터페이스 화면이 상기 표시부(130)에 표시될 수 있게 된다. 이 경우,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인터페이스 화면을 구성한 결과와 상기 선택 화면이 포함되어 표시되도록 제어하여, 상기 운전 제어 장치(100)의 운전원에게 상기 인터페이스 화면을 구성한 결과 및 이에 대한 확인 선택 여부를 제공하게 될 수 있다. 이처럼 상기 인터페이스 화면이 표시되기 전 상기 선택 화면이 표시되도록 제어하여, 상기 선택 화면 상에서 이루어지는 상기 인터페이스 화면의 표시 선택에 대응하여 상기 인터페이스 화면이 상기 표시부(130)에 표시되도록 제어하게 됨으로써, 상기 운전 제어 장치(100)의 운전원의 확인 과정이 반영된 상기 인터페이스 화면의 표시가 이루어지게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S20 단계에서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인터페이스 화면이 상기 표시부(130)에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경우, 상기 분석 결과가 상기 표시부(130)에 더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인터페이스 화면의 구성 근거가 되는 상기 분석 결과가 상기 표시부(130)에 표시되도록 제어하게 될 수 있다. 이를테면, 상기 특정 기간 동안의 상기 탐색 빈도 및 상기 제어 빈도, 상기 탐색 빈도 및 상기 제어 빈도가 일정 기준 이상에 해당하는 장비들 및 제어 행위, 상기 특정 기간 동안 표시된 상기 표시 규칙, 상기 표시 대상 장비 및 상기 표시 대상 행위의 판단 과정 중 하나 이상이 표시되도록 제어하게 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운전 제어 장치(100)의 운전원에게 상기 분석 결과 및 상기 분석 결과에 따라 구성한 상기 인터페이스 화면을 제공하게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S20 단계에서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인터페이스 화면이 상기 표시부(130)에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경우, 상기 인터페이스 화면의 구성을 편집하는 편집 화면이 상기 표시부(130)에 더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인터페이스 화면의 구성을 편집하기 위한 상기 편집 화면이 상기 표시부(130)에 표시되도록 제어하게 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편집 화면 상에서 이루어지는 편집 조작에 대응하여 상기 인터페이스 화면의 구성을 편집하여 상기 표시부(130)에 표시되도록 제어하게 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운전 제어 장치(100)의 운전원에 의한 상기 인터페이스 화면 구성의 편집이 이루어지게 될 수 있다.
한편, 상기 S17 내지 상기 S20 단계는, 기 설정된 분석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에 한해 더 수행되는 단계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기 설정된 분석 조건은, 현재까지 누적된 로그 정보들의 개수가 기 설정된 개수 이상이거나, 또는 기 설정된 분석 주기가 만기되는 경우에 충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기 설정된 분석 조건이 충족되지 않는 경우, 상기 S17 내지 상기 S20 단계의 수행 없이 상기 S16 단계의 운전 모드 종료와 동시에 동작이 종료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상기 인터페이스 화면의 구성 및 표시 과정은, 아래와 같은 단계를 포함하는 인터페이스 화면 표시 방법으로 수행될 수도 있다.
상기 인터페이스 화면 표시 방법은, 상기 운전 제어 장치(100)가 상기 인터페이스 화면을 구성하여 표시하기 위한 방법으로, 운전원으로부터 운전모드를 선택받는 제1 단계, 상기 선택된 운전모드에 대응되는 기 저장된 초기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선택된 운전모드에 관련된 장비들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표시하는 제2 단계, 운전원의 정보 순항에 따라 탐색되는 장비들의 정보를 표시하거나, 상기 탐색된 장비들에 대해 인가되는 운전원의 제어 행위에 따라 상기 탐색된 장비들을 제어하는 제3 단계, 상기 운전원의 정보 순항에 따라 탐색되는 장비들에 대한 정보 및 상기 탐색된 장비들에 대해 인가되는 제어 행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로그(log) 정보를 수집하는 제4 단계, 선택된 운전 모드와, 상기 정보 순항에 따라 탐색되는 장비들 및 상기 탐색된 장비들에 대해 인가되는 운전원의 제어 행위에 대응되는 기 저장된 표시 규칙을 검출하는 제5 단계, 검출된 표시 규칙에 근거하여, 상기 선택된 운전 모드, 상기 정보 순항에 따라 탐색되는 장비들과 상기 탐색된 장비들에 대해 인가되는 운전원의 제어 행위에 대응되는 다른 장비들의 정보를 표시하는 제6 단계, 상기 운전원의 운전이 종료될 때까지, 상기 제3 단계 내지 상기 제6 단계를 반복 수행하는 제7 단계, 상기 로그 정보로부터 특정 기간 동안 상기 탐색된 장비들에 대한 탐색 빈도 및 상기 제어 행위에 대한 제어 빈도를 판단하는 제8 단계, 상기 탐색 빈도 및 상기 제어 빈도에 따라 상기 탐색된 장비들 및 상기 제어 행위 중 상기 인터페이스 화면에 표시할 표시 대상 장비 및 표시 대상 행위를 판단하는 제9 단계, 상기 특정 기간 동안 표시된 상기 표시 규칙을 판단하는 제10 단계, 제8 단계 내지 제10 단계의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탐색된 장비들을 감시 및 제어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화면을 구성하는 제11 단계 및 상기 인터페이스 화면을 표시하는 제12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제1 단계 내지 상기 제7 단계는, 도 3에서 상기 S10 단계 내지 S16 단계에 해당되는 단계로, 초기 운전 시작 후, 상기 운전 모드에 따른 상기 로그 정보가 수집되는 단계일 수 있다. 이 후, 상기 제8 단계 내지 상기 제12 단계는, 도 3에서 상기 S17 단계 내지 상기 S20 단계에 해당되는 단계로, 상기 로그 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인터페이스 화면을 동적으로 구성하는 단계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9 단계는, 상기 탐색 빈도 및 상기 제어 빈도의 순서를 판단하여, 상기 탐색 빈도 및 상기 제어 빈도의 순서가 일정 순위 이상인 장비들 및 제어 행위를 상기 표시 대상 장비 및 상기 표시 대상 행위로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2 단계는, 상기 인터페이스 화면을 구성한 결과를 상기 인터페이스 화면의 초기 화면과 비교하여,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인터페이스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제12 단계는 또한, 상기 인터페이스 화면의 표시 여부가 선택되는 선택 화면을 표시하고, 상기 선택 화면 상에서 상기 인터페이스 화면의 표시가 선택될 시, 상기 인터페이스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제12 단계는 또한, 제8 단계 내지 제10 단계의 판단 결과를 더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제12 단계는 또한, 상기 인터페이스 화면의 구성을 편집하는 편집 화면을 더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제12 단계는 또한, 상기 편집 화면 상에 이루어지는 편집 입력에 대응하여 상기 인터페이스 화면의 구성을 수정하여, 수정한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이하 도 4를 참조하여 상기 인터페이스 화면의 구성 및 표시 과정들을 보다 자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운전 제어 장치(100)에서, 기 설정된 분석 조건이 충족되는 경우, 상기 로그 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인터페이스 화면을 구성 및 표시하는 과정을 보다 자세히 도시한 흐름도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기 설정된 분석 조건이 충족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110)는, 현재까지 수집된 로그 정보를 분석할 수 있다(S100 내지 S300). 이러한 분석은 각 운전 모드 별로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로그 정보를 각 운전 모드 별로 구분할 수 있으며, 각 운전 모드 별로 구분된 로그 정보들을 각각 분석할 수 있다. 한편 상기 S100 단계 내지 S300 단계는 상기 로그 정보의 분석을 위해 상기 로그 정보를 기 설정된 형식의 정보로 변경하는 전처리 단계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S100 단계에서 상기 제어부(110)는, 특정 기간 동안 탐색된 장비들에 대한 탐색 빈도 및 제어 행위에 대한 제어 빈도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S200 단계에서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탐색 빈도 및 상기 제어 빈도에 따라 상기 인터페이스 화면에 표시할 상기 표시 대상 장비 및 상기 표시 대상 행위를 판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탐색 빈도 및 상기 제어 빈도의 순서를 판단하여, 상기 탐색 빈도 및 상기 제어 빈도의 순서가 상기 일정 기준 이상인 장비들 및 제어 행위를 상기 표시 대상 장비 및 상기 표시 대상 행위로 판단할 수 있다. 이 후, 상기 S300 단계에서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특정 기간 동안 표시된 상기 표시 규칙을 판단할 수 있다.
상기 S100 단계 내지 상기 S300 단계에서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로그 정보들로부터 각 운전 모드 별로 기 제공된 장비 정보, 즉 초기 정보에 따른 장비의 정보 외에, 운전원이 정보 순항을 통해 탐색한 장비들의 수와 각 장비들이 탐색된 빈도를 분석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10)는 각 운전모드 별로 상기 탐색된 빈도가 높은 장비의 정보 사이의 상관관계를 분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각 운전 모드 별로, 운전원에 의해 탐색된 빈도가 일정 수준 이상인 장비들 중, 선후 관계 또는 인과 관계 등을 분석할 수 있다. 즉, 상기 제어부(110)는 기 저장된 절차서에 근거하여 탐색된 빈도가 일정 수준 이상인 장비들 중, 서로 인과 관계가 있는 장비들을 검출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제어부(110)는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장비들이 연속적으로 탐색되는 빈도가 기 설정된 횟수 이상인 경우, 상기 연속적으로 탐색되는 장비들이 서로 간에 선후 관계가 있는 것으로 분석할 수 있다. 한편, 분석이 완료되면, 상기 제어부(110)는 분석 결과에 따라 각 운전 모드에서 적어도 하나의 특정 장비 정보가 선택되는 규칙을 판단할 수 있다(S300). 예를 들어, 상기 분석 결과, 분석된 선후 관계 또는, 절차서에 근거하여 분석된 인과 관계에 따라, 일련의 다른 장비들의 정보가 탐색 및 상기 다른 장비들에 대한 기 설정된 제어가 이루어진 이후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특정 장비가 운전원에 의해 탐색되는 규칙을 검출할 수 있다.
상기 S100 단계 내지 상기 S300 단계에서 상기 로그 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인터페이스 화면에 표시할 정보를 판단한 후 상기 제어부(110)는,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인터페이스 화면을 구성하여 상기 표시부(130)에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S300 내지 S900).
상기 S400 단계에서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인터페이스 화면을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인터페이스 화면 상에 상기 표시 대상 장비 및 상기 표시 대상 행위가 상기 탐색 빈도 및 상기 제어 빈도의 순서에 따라 표시되도록 상기 인터페이스 화면을 구성할 수 있다. 이 후, 상기 S500 단계에서 상기 제어부(110)는, 구성된 인터페이스 화면과 상기 인터페이스 화면의 초기 화면을 비교 판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인터페이스 화면과 상기 초기 화면의 차이를 비교하여, 상기 S600 단계에서 비교 결과를 상기 저장부(150)에 저장하고, 상기 비교 결과가 상기 표시부(130)에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인터페이스 화면과 상기 초기 화면의 차이가 상기 표시부(130)에 표시되도록 제어하여, 상기 인터페이스 화면과 상기 초기 화면의 차이를 상기 운전 제어 장치의 운전원에게 제공하게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인터페이스 화면의 표시 여부가 선택되는 선택 화면이 상기 표시부(130)에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S700 단계에서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선택 화면 상에서 이루어지는 표시 선택에 대응하여 상기 인터페이스 화면이 상기 표시부(130)에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를테면, 상기 운전 제어 장치(100)의 운전원에 의해 상기 선택 화면 상에서 상기 인터페이스 화면의 표시 선택이 이루어지면, 상기 표시 선택에 대응하여 상기 인터페이스 화면이 상기 표시부(130)에 표시되도록 제어하게 될 수 있다. 이 후, 상기 S800 단계에서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인터페이스 화면의 구성을 편집하는 편집 화면이 상기 표시부에 더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 후, 상기 S900 단계에서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편집 화면 상에서 이루어지는 편집 입력에 대응하여 상기 인터페이스 화면의 구성을 수정하고, 수정한 화면이 상기 표시부(130)에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은 실시 예들에 따라 구성되는 인터페이스 화면의 구체적인 예시를 설명한다.
상기와 같이 상기 분석 기준에 따라 상기 로그 정보를 분석하여, 분석 결과를 근거로 동적으로 구성된 상기 인터페이스 화면(IS)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을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인터페이스 화면은 상기 인터페이스 화면(IS)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로, 상기 인터페이스 화면(IS)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다른 형태의 화면으로도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인터페이스 화면(IS)은, 상기 분석 기준에 따라 상기 로그 정보를 분석한 결과를 근거로 동적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버튼 및 복수의 창을 포함하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분석 기준에 따라 상기 로그 정보를 분석한 결과를 근거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기 인터페이스 화면(IS)을 구성하여, 상기 표시부(130)에 표시되도록 제어하게 될 수 있다. 상기 인터페이스 화면(IS)에는, 상기 표시 대상 장비가 테이블 형태로 표시되는 장비 표시창(MT) 및 상기 표시 대상 행위가 테이블 형태로 표시되는 행위 표시창(CT)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인터페이스 화면(IS)에는 또한, 운전 제어 장치의 기능 수행 및 상기 인터페이스 화면(IS)의 조작이 이루어지는 버튼, 배너 및 아이콘 중 하나 이상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장비 표시창(MT)은 상기 표시 대상 장비의 리스트가 테이블 형태로 표시될 수 있으며, 상기 표시 대상 장비 각각의 번호, 감시 변수명, 현재 공정값, 감시 영역 및 단위가 표시될 수 있다. 상기 장비 표시창(MT)은, 상기 표시 대상 장비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상태가 설정치를 초과하면 경보 표시 원칙에 따라 해당 장비의 항목에 시각 경보가 표시될 수 있다. 이를테면, 행 색깔이 변경되거나, 깜빡이는 형태로 시각 경보가 표시될 수 있다.
상기 행위 표시창(CT)은 상기 표시 대상 행위의 리스트가 테이블 형태로 표시될 수 있으며, 상기 표시 대상 행위 각각에 대응되는 제어기의 번호, 이름 및 제어기의 현재 상태가 표시될 수 있다. 상기 행위 표시창(CT)은 상기 제어기의 상태를 변경하는 제어창(CP)을 포함할 수 있는데, 상기 제어창(CP)은 상기 현재 상태가 표시되는 항목의 좌측/하든/우측 중 어느 한 곳에 표시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창(CP)의 표시는, 운전원의 설정 선택에 따라 이루어지게 될 수 있다. 이를테면, 운전원에 의해 상기 제어창(CP)의 표시가 상기 현재 상태가 표시되는 항목의 좌측에 표시로 선택된 경우, 상기 제어창(CP)이 상기 현재 상태가 표시되는 항목의 좌측에 표시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제어창(CP)의 표시 선택은, 상기 인터페이스 화면(IS)의 상단에 표시된 버튼을 통해 이루어지게 될 수 있다. 이를테면, 상기 인터페이스 화면(IS) 상의 좌측 상단에 표시된 OMT, OMT-ex1 및 OMT-ex2 버튼의 선택 클릭으로 표시 선택이 이루어지게 될 수 있다.
상기 인터페이스 화면(IS)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인터페이스 화면(IS) 상에 표시되는 정보가 구조화되어 표시되는 정보창(SB)이 더 포함되어 표시될 수 있다. 상기 정보창(SB)은, 상기 인터페이스 화면(IS) 상의 좌측에 표시될 수 있으며, 상기 인터페이스 화면(IS)의 사용자에 대한 정보가 포함되어 표시될 수 있다. 이를테면, 운전원의 소속, 사용자 권한, 현재 발전용량, 발전소 정지 원인 경보, 안전 계통 우회 및 운전 불능 상태 표시, 발전소 경보의 통계 정보(계통 그룹별, 우선순위별, 상태별) 및 운전원의 정보 순항과 관련되는 북마크 중 하나 이상이 표시될 수 있다.
상기 인터페이스 화면(IS)에는,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은 운전 모드의 선택이 이루어지는 운전 모드 선택 버튼(OMT)이 포함되어 표시될 수 있다. 상기 운전 모드 선택 버튼(OMT)은, 상기 인터페이스 화면(IS) 상에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은 운전 모드 선택창(OM)이 표시되도록 하는 버튼으로, 상기 인터페이스 화면(IS) 상의 상단에 표시될 수 있다. 상기 운전 모드 선택 버튼(OMT)이 선택된 경우, 이를테면 운전원에 의해 클릭된 경우, 상기 운전 모드 선택창(OM)이 상기 인터페이스 화면(IS) 상에 표시될 수 있다. 상기 인터페이스 화면(IS) 상에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기 운전 모드 선택창(OM)이 표시되면, 상기 운전 모드 선택창(OM)에서는 상기 운전 모드의 선택이 이루어지게 될 수 있다. 이를테면, 상기 운전 모드 선택창(OM)의 선택항목(Operation Mode)이 클릭되면,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운전 모드의 종류가 표시되어, 표시된 리스트를 통해 운전 모드의 선택이 이루어지게 될 수 있다.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기 운전 모드 선택창(OM)에서 운전 모드가 선택되면, 선택된 운전 모드에 따른 정보(표시 대상 장비 및 표시 대상 행위)가 상기 인터페이스 화면(IS) 상에 표시될 수 있게 된다.
상기 장비 표시창(MT)에서는, 상기 장비 표시창(MT)에 표시되는 상기 표시 대상 장치의 리스트의 편집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를테면,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은 초기 화면에서 "ADD" 및 "DELETE" 버튼을 통해 상기 표시 대상 장치의 추가 및 삭제가 이루어지게 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를들면, "ADD" 버튼이 클릭되면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추가 가능한 장비의 리스트가 상기 장비 표시창(MT)에 표시되고, 표시된 리스트 상에서 추가 대상 장비의 선택이 이루어지면 선택된 장비가 상기 장비 표시창(MT)에 추가로 표시될 수 있게 된다.
상기 행위 표시창(CT)에서도 또한, 상기 행위 표시창(CT)에 표시되는 상기 표시 대상 장치의 리스트의 편집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를테면, 도 9a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태에서 "ADD" 및 "DELETE" 버튼을 통해 상기 표시 대상 행위의 추가 및 삭제가 이루어지게 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를들면, "ADD" 버튼이 클릭되면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추가 가능한 행위의 리스트가 상기 행위 표시창(CT)에 표시되고, 표시된 리스트 상에서 추가 대상 행위의 선택이 이루어지면 선택된 행위가 상기 행위 표시창(CT)에 추가로 표시될 수 있게 된다.
상기 인터페이스 화면(IS)은, 상기 장비 표시창(MT) 및 상기 행위 표시창(CT) 각각에 표시된 상기 표시 대상 장비의 탐색 빈도 및 상기 표시 대상 행위의 제어 빈도에 대한 정보가 더 표시될 수 있다. 상기 인터페이스 화면(IS)은, 설정된 기간 동안의 탐색 빈도 및 제어 빈도에 따른 정보가 하이라이트 형태로 표시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표시 대상 장비 및 상기 표시 대상 행위 중 빈도의 기준이 일정 기준 이상에 해당되는 장비 및 행위의 항목이 하이라이트되어 표시될 수 있다. 예를들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설정된 기간 중 탐색 빈도가 높은 상위 5순위의 장비 및 행위의 항목이 하이라이트되어 표시될 수 있다. 이러한 빈도에 따른 하이라이트 표시는 상기 인터페이스 화면(IS)의 최초 로딩 시 자동으로 표시될 수 있으며, 이후에는 상기 인터페이스 화면(IS) 상에 표시된 "USERFREQ" 버튼의 클릭에 따라 이루어지게 될 수 있다.
상기 인터페이스 화면(IS)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주의 화면(CA)이 더 표시될 수 있다. 상기 주의 화면(CA)은, 상기 인터페이스 화면(IS) 상에 표시된 주의 화면 표시 버튼(IC)이 클릭된 경우, 상기 인터페이스 화면(IS) 상에 표시될 수 있다. 이때,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인터페이스 화면(IS) 상에 표시된 상기 장비 표시창(MT) 및 상기 행위 표시창(CT)의 표시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주의 화면(CA)의 표시로 전환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10)는, 운전 절차 수행 중 절차 선행조건이나 주의 조건을 위배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판단 결과가 상기 주의 화면(CA)에 표시되도록 제어하게 될 수 있다.
상기 인터페이스 화면(IS)에는 또한,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기 분석 결과가 표시되는 분석 화면(LA)의 표시 선택이 이루어지는 분석 표시 버튼(MA)이 포함되어 표시될 수 있다. 상기 분석 표시 버튼(MA)은, 상기 인터페이스 화면(IS) 상에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기 분석 화면(LA)이 표시되도록 하는 버튼으로, 상기 인터페이스 화면(IS) 상의 상단에 표시될 수 있다. 상기 분석 표시 버튼(MA)이 선택된 경우, 이를테면 운전원에 의해 클릭된 경우, 상기 분석 화면(LA)이 상기 인터페이스 화면(IS) 상에 표시될 수 있다. 이때,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인터페이스 화면(IS) 상에 표시된 상기 장비 표시창(MT) 및 상기 행위 표시창(CT)의 표시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분석 화면(LA)의 표시로 전환될 수 있다.
상기 분석 화면(LA)에는, 상기 로그 정보의 분석 결과가 시각 표시로 표시될 수 있다. 상기 분석 화면(LA)에는 상기 분석 결과에 대한 복수의 분석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이를테면, 특정 기간 별 제어 행위 수, 사용자 수, 특정 기간 동안 운전원에 의해 감시된 특정 장비, 변수 사용 빈도, 특정 기간 동안 운전원에 의해 제어된 특정 행위, 제어기 사용 빈도 및 특정 기간 동안 운전원에 의해 사용된 계통 중 둘 이상에 대한 분석 결과가 그래프, 차트 및 테이블 중 어느 하나 이상의 형태로 표시될 수 있다. 상기 분석 화면(LA)은, 상기 복수의 분석 정보 각각을 표시하기 위한 복수의 표시창(A1 내지 A6)으로 구분되어, 상기 복수의 표시창(A1 내지 A6) 각각에 상기 복수의 분석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표시창(A1 내지 A6) 중 제1 표시창(A1)에는,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분석 결과에 대한 요약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상기 제1 표시창(A1)에는, 상기 분석 결과에 대한 하나 이상의 요약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이를테면,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검색 기간(Search Peirod), 검색된 로그 갯수(Log Total Count), 사용자 수(User Count) 및 당일 기준 기록된 로그 갯수(Todays log Count) 중 하나 이상에 대한 정보가 각 항목으로 구분되어 표시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표시창(A1 내지 A6) 중 제2 표시창(A2)에는,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간 단위의 운전 로그의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상기 제2 표시창(A2)에는, 한 주를 기준으로 각 요일마다 생성된 운전 로그의 수가 그래프 형태로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표시창(A2)에는, 특정 주간에 대한 정보의 표시 선택이 이루어지는 탐색버튼이 표시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탐색버튼을 통해 특정 주간이 선택되면, 선택된 특정 주간에 해당되는 운전 로그의 정보가 상기 제2 표시창(A2)에 표시될 수 있게 된다.
상기 복수의 표시창(A1 내지 A6) 중 제3 표시창(A3)에는, 도 15a 또는 도 1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탐색 빈도에 대한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상기 제3 표시창(A3)에는, 감시 변수의 사용 빈도에 대한 정보가 도 15a 또는 도 15b에 도시된 바와 같은 그래프 형태로 표시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표시창(A1 내지 A6) 중 제4 표시창(A4)에는, 도 16a 또는 도 1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어 빈도에 대한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상기 제4 표시창(A4)에는, 제어기의 사용 빈도에 대한 정보가 도 16a 또는 도 16b에 도시된 바와 같은 그래프 형태로 표시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표시창(A1 내지 A6) 중 제5 표시창(A5) 및 제6 표시창(A6)에는, 상기 분석 결과에 대한 총합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상기 제5 표시창(A5) 및 제6 표시창(A6)에는, 계통, 감시 및 제어기의 사용 빈도가 일정 기준 이상에 해당되는 장비 및 제어 행위가 그래프 형태로 표시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프로그램이 기록된 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의 예로는, HDD(Hard Disk Drive), SSD(Solid State Disk), SDD(Silicon Disk Drive),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 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컴퓨터는 운전 제어 장치(100)의 제어부(110)를 포함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이상과 같은 실시 예들에 따라, 운전원에 의해 탐색된 장비들 중 탐색 빈도 및 제어 빈도가 높은 감시기 및 제어기를 위주로 인터페이스 화면을 동적으로 구성하여 상기 운전원에게 제공하게 됨으로써, 운전원에게 적절한 감시 및 제어 화면을 제공하게 될 수 있다. 특히, 운전 제어가 신중하게 이루어지는 초기 운전의 경우에, 적합/적절/필수적인 감시기 및 제어기로 이루어진 인터페이스 화면을 제공하게 됨으로써, 운전원의 감시 및 제어가 편리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됨은 물론, 이에 따라 안정적이고 적절하고 효율적인 초기 운전 제어가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100 : 정보 표시 장치 110 : 제어부                 
112 : 조건 분석부 120 : 입력부
130 : 표시부 140 : 보완부
150 : 저장부 152 : 초기 정보 저장부     
154 : 보완 정보 저장부 156 : 로그 정보 저장부

Claims (17)

  1. 특정 운전 모드, 일련의 장비들의 정보와 상기 일련의 장비들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해 인가되는 기설정된 제어 행위를 각각 사건 및 조건으로 포함하며, 상기 사건 및 조건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다른 장비들의 정보를 상기 사건 및 조건에 대응되는 활동으로 포함하는 표시 규칙을 적어도 하나 포함하는 저장부;
    운전원으로부터 선택된 운전 모드에 관련된 장비들의 정보 및 운전원의 정보 순항에 따라 탐색되는 장비들의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 및
    상기 선택된 운전 모드와, 상기 정보 순항에 따라 탐색되는 장비들 및 탐색된 장비들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해 인가되는 운전원의 제어 행위에 대응되는 상기 사건 및 조건을 포함하는 표시 규칙을 검출하고, 검출한 표시 규칙에 상기 사건 및 조건에 대응되는 활동으로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다른 장비들의 정보가 표시되도록 상기 표시부를 제어하고, 상기 정보 순항에 따라 탐색된 장비들에 대한 정보 및 상기 탐색된 장비들에 대해 인가되는 제어 행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로그(log) 정보를 수집하여,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기설정된 분석 기준에 따라 상기 로그 정보를 분석하고, 분석 결과를 근거로 상기 탐색된 장비들을 감시 및 제어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화면을 구성하여, 상기 인터페이스 화면이 표시되도록 상기 표시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전 제어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분석 기준은,
    상기 로그 정보로부터 특정 기간 동안 상기 탐색된 장비들에 대한 탐색 빈도 및 상기 제어 행위에 대한 제어 빈도를 판단하여, 상기 탐색 빈도 및 상기 제어 빈도에 따라 상기 인터페이스 화면에 표시할 정보를 판단하는 과정에 대한 기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전 제어 장치.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분석 기준은,
    상기 로그 정보로부터 상기 특정 기간 동안의 상기 탐색 빈도 및 상기 제어 빈도를 판단하고, 상기 탐색 빈도 및 상기 제어 빈도에 따라 상기 탐색된 장비들 및 상기 제어 행위 중 상기 인터페이스 화면에 표시할 표시 대상 장비 및 표시 대상 행위를 판단하여, 상기 특정 기간 동안 표시된 상기 표시 규칙을 판단하는 과정으로 설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전 제어 장치.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탐색된 장비들 및 상기 제어 행위 중 상기 탐색 빈도 및 상기 제어 빈도가 일정 기준 이상에 해당하는 장비들 및 제어 행위를 상기 표시 대상 장비 및 상기 표시 대상 행위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전 제어 장치.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탐색 빈도 및 상기 제어 빈도의 순서를 판단하여, 상기 탐색 빈도 및 상기 제어 빈도의 순서가 상기 일정 기준 이상인 장비들 및 제어 행위를 상기 표시 대상 장비 및 상기 표시 대상 행위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전 제어 장치.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인터페이스 화면 상에 상기 표시 대상 장비 및 상기 표시 대상 행위가 상기 탐색 빈도 및 상기 제어 빈도의 순서에 따라 테이블 형태로 표시되도록 상기 인터페이스 화면을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전 제어 장치.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인터페이스 화면을 구성한 결과를 상기 인터페이스 화면의 초기 화면과 비교하여,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인터페이스 화면이 상기 표시부에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전 제어 장치.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분석 결과를 근거로 상기 인터페이스 화면을 구성한 후, 상기 인터페이스 화면의 표시 여부가 선택되는 선택 화면이 상기 표시부에 표시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선택 화면 상에서 상기 인터페이스 화면의 표시가 선택될 시, 상기 인터페이스 화면이 상기 표시부에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전 제어 장치.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인터페이스 화면이 상기 표시부에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경우,
    상기 분석 결과가 상기 표시부에 더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전 제어 장치.
  10.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인터페이스 화면이 상기 표시부에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경우,
    상기 인터페이스 화면의 구성을 편집하는 편집 화면이 상기 표시부에 더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전 제어 장치.
  11. 운전원으로부터 운전모드를 선택받는 제1 단계;
    상기 선택된 운전모드에 대응되는 기 저장된 초기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선택된 운전모드에 관련된 장비들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표시하는 제2 단계;
    운전원의 정보 순항에 따라 탐색되는 장비들의 정보를 표시하거나, 상기 탐색된 장비들에 대해 인가되는 운전원의 제어 행위에 따라 상기 탐색된 장비들을 제어하는 제3 단계;
    상기 운전원의 정보 순항에 따라 탐색되는 장비들에 대한 정보 및 상기 탐색된 장비들에 대해 인가되는 제어 행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로그(log) 정보를 수집하는 제4 단계;
    선택된 운전 모드와, 상기 정보 순항에 따라 탐색되는 장비들 및 상기 탐색된 장비들에 대해 인가되는 운전원의 제어 행위에 대응되는 기 저장된 표시 규칙을 검출하는 제5 단계;
    검출된 표시 규칙에 근거하여, 상기 선택된 운전 모드, 상기 정보 순항에 따라 탐색되는 장비들과 상기 탐색된 장비들에 대해 인가되는 운전원의 제어 행위에 대응되는 다른 장비들의 정보를 표시하는 제6 단계;
    상기 운전원의 운전이 종료될 때까지, 상기 제3 단계 내지 상기 제6 단계를 반복 수행하는 제7 단계;
    상기 로그 정보로부터 특정 기간 동안 상기 탐색된 장비들에 대한 탐색 빈도 및 상기 제어 행위에 대한 제어 빈도를 판단하는 제8 단계;
    상기 탐색 빈도 및 상기 제어 빈도에 따라 상기 탐색된 장비들 및 상기 제어 행위 중 상기 인터페이스 화면에 표시할 표시 대상 장비 및 표시 대상 행위를 판단하는 제9 단계;
    상기 특정 기간 동안 표시된 상기 표시 규칙을 판단하는 제10 단계;
    제8 단계 내지 제10 단계의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탐색된 장비들을 감시 및 제어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화면을 구성하는 제11 단계; 및
    상기 인터페이스 화면을 표시하는 제12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페이스 화면 표시 방법.
  12.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9 단계는,
    상기 탐색 빈도 및 상기 제어 빈도의 순서를 판단하여, 상기 탐색 빈도 및 상기 제어 빈도의 순서가 일정 순위 이상인 장비들 및 제어 행위를 상기 표시 대상 장비 및 상기 표시 대상 행위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페이스 화면 표시 방법.
  13.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2 단계는,
    상기 인터페이스 화면을 구성한 결과를 상기 인터페이스 화면의 초기 화면과 비교하여,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인터페이스 화면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페이스 화면 표시 방법.
  14.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2 단계는,
    상기 인터페이스 화면의 표시 여부가 선택되는 선택 화면을 표시하고, 상기 선택 화면 상에서 상기 인터페이스 화면의 표시가 선택될 시, 상기 인터페이스 화면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페이스 화면 표시 방법.
  15.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2 단계는,
    제8 단계 내지 제10 단계의 판단 결과를 더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페이스 화면 표시 방법.
  16.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2 단계는,
    상기 인터페이스 화면의 구성을 편집하는 편집 화면을 더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페이스 화면 표시 방법.
  17. 제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2 단계는,
    상기 편집 화면 상에 이루어지는 편집 입력에 대응하여 상기 인터페이스 화면의 구성을 수정하여, 수정한 화면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페이스 화면 표시 방법.
KR1020190101917A 2019-08-20 2019-08-20 원자력 발전소의 운전 제어 장치 및 이의 인터페이스 화면 표시 방법 KR1022232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1917A KR102223287B1 (ko) 2019-08-20 2019-08-20 원자력 발전소의 운전 제어 장치 및 이의 인터페이스 화면 표시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1917A KR102223287B1 (ko) 2019-08-20 2019-08-20 원자력 발전소의 운전 제어 장치 및 이의 인터페이스 화면 표시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22428A true KR20210022428A (ko) 2021-03-03
KR102223287B1 KR102223287B1 (ko) 2021-03-08

Family

ID=751512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01917A KR102223287B1 (ko) 2019-08-20 2019-08-20 원자력 발전소의 운전 제어 장치 및 이의 인터페이스 화면 표시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2328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05181B1 (ko) * 2022-08-31 2023-03-03 (주)원프랜트 원자력 발전소용 사용자 기반 인터페이스 화면 표시 장치 및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189497A (ja) * 1988-12-07 1990-07-25 General Electric Co <Ge> 原子力発電所の制御方法と制御装置
KR20180116045A (ko) * 2017-04-14 2018-10-24 한국원자력연구원 원자력 발전소의 감시체계 및 제어체계 정보 표시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189497A (ja) * 1988-12-07 1990-07-25 General Electric Co <Ge> 原子力発電所の制御方法と制御装置
KR20180116045A (ko) * 2017-04-14 2018-10-24 한국원자력연구원 원자력 발전소의 감시체계 및 제어체계 정보 표시 장치 및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05181B1 (ko) * 2022-08-31 2023-03-03 (주)원프랜트 원자력 발전소용 사용자 기반 인터페이스 화면 표시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23287B1 (ko) 2021-03-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84108B1 (ko) 원자력 발전소의 감시체계 및 제어체계 정보 표시 장치 및 방법
EP1776650B1 (en) Centralized monitor and control system for laboratory instruments
US20050086093A1 (en) Asset management systems
US7149983B1 (en) User interface and method to facilitate hierarchical specification of queries using an information taxonomy
CN101147115B (zh) 操作系统程序运行菜单搜索
EP1808757B1 (en) Method for providing selectable alternate menu views
US7331019B2 (en) System and method for real-time configurable monitoring and management of task performance systems
JP4921374B2 (ja) ユーザ支援装置および困惑状態判定装置
WO2008151880A2 (en) Interactive progress display enabling modification to computer operations
US20080059913A1 (en) Radially expanding and context-dependent navigation dial
US20050219151A1 (en) System and method providing detailed network object performance information to locate root cause
WO2008125468A2 (en) An interactive progress bar
CN101681218A (zh) 视觉反馈显示
AU2018206691B2 (en) Data interaction cards for capturing and replaying logic in visual analyses
KR102223287B1 (ko) 원자력 발전소의 운전 제어 장치 및 이의 인터페이스 화면 표시 방법
JP5575617B2 (ja) プラント運転監視装置
CN1786953A (zh) 从显示网络实体的用户界面选择性删除实体的方法和系统
Guerlain Software navigation design
CN111066038A (zh) 警报使能的被动应用整合
US20120216031A1 (en) Method for configuring the generation and storage of output data, computer system, electromechanical device, operating system and data carrier
Fetter et al. CAESSA: visual authoring of context-aware experience sampling studies
KR101896081B1 (ko) Hmi 프로그램의 메뉴 표시 장치
JP6567229B1 (ja) 学習処理装置、データ分析装置、分析手法選択方法、及び分析手法選択プログラム
EP4312221A1 (en) Consolidation and prioritization of patient critical notifications
Ghazarian et al. Pauses in man-machine interactions: a clue to users’ skill levels and their user interface requiremen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